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콘크리트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6706104)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콘크리트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재료 및 배합


1.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사용한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8월)
     1. 일반 콘크리트보다 블리딩이 감소하고 워커빌리티가 좋아진다.
     2. 초기의 강도증가는 작으나 감재수 경성 반응에 의해 장기강도는 증가된다.
     3. 알카리성이 증가되어 중성화가 느리게 진행된다.
     4. 화학저항성이 크므로 해안구조물 공사에 적합하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고로슬래그는 알칼리성이 적습니다
[해설작성자 : 홍드래곤]

2. 콘크리트용 강섬유의 평균인장강도는 얼마 이상의 값을 가져야 하는가? (단, KS F 2564에 규정된 값)(2010년 03월)
     1. 600 MPa
     2. 500 MPa
     3. 400 MPa
     4. 300 MPa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5년 개정 평균 700 개별 650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2번이네요.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3. 콘크리트에 사용하는 혼화재료에 관한 다음의 일반적인 설명 중 적당하지 않은 것은?(2012년 08월)
     1. 실리카퓸은 실리카질 미립자의 미세충진 효과에 의해 콘크리트의 강도를 높인다.
     2. 플라이 애시는 유리질 입자의 잠재수경성에 의해 콘크리트의 초기강도를 증진시킨다.
     3. 팽창재는 에트린가이트 및 수산화칼슘 등의 생성에 의해 콘크리트를 팽창시킨다.
     4. 착색재는 콘크리트와 모르타르에 색을 입히는 혼화재로서 착색재를 혼화한 콘크리트는 본래의 콘크리트 특성과 함께 마무리재로서의 기능도 함께 가진다.

     정답 : []
     정답률 : 82%

4. 시멘트시험과 관련된 장비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2018년 03월)
     1. 비중시험-르샤틀리에 플라스크
     2. 분말도시험-블레인 투과장치 세트
     3. 응결시간 측정-비카장치
     4. 오토클레이브 팽창시험-워싱턴 에어미터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4. 오토클레이브 팽창시험- 오토클레이브, 콤퍼레이터
     * 공기량 시험 - 워싱턴 에어미터
[해설작성자 : 열공듇지]

5. 시멘트 제조 과정에서 시멘트 응결을 지연시키는 역할을 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재료는?(2011년 03월)
     1. 석고
     2. 슬래그
     3. 지연제
     4. 실라카(SiO2)

     정답 : []
     정답률 : 77%

6. 시멘트의 화학성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강열감량:950±50℃의 강한 열을 가했을 때의 감량으로서 시멘트 중에 함유된 H2O와 CO2의 양으로 시멘트가 풍화한 정도를 판정하는데 이용된다.
     2. 불용해잔분:시멘트를 염산 및 탄산나트륨 용액으로 처리하여도 녹지 않는 부분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불용해 잔분은 0.1~0.6% 정도이다.
     3. 수경률:시멘트 원료의 조합비를 정하는 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수경률이 크면 알루민산3석회(C3A)양이 많아져 초기강도가 높고 수화열이 큰 시멘트가 된다.
     4. 마그네시아(MgO):MgO의 양이 많으면 클링커 중에 미반응된 상태인 유리마그네시아로 남게 되며, 수화반응에 의해 서서히 팽창하여 콘크리트 경화체에 균열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어 시멘트 중의 MgO 함량을 3% 이하로 제한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시멘트 중의 MgO 함량을 5% 이하로 제한하고 있다.
[해설작성자 : 열공듇지]

7. 시방서에 규정된 콘크리트 배합의 표시 사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1년 08월)
     1. 골재의 단위량
     2. 슬럼프
     3. 공기량
     4. 혼합수의 염분량

     정답 : []
     정답률 : 79%

8. 다음의 잔골재 중 일반 콘크리트용으로 사용이 부적합한 것은?(2015년 05월)
     1. 0.08mm체 통과량이 8.0%인 잔골재
     2. 흡수율이 2.2%인 잔골재
     3. 절대건조밀도가 2.6g/cm3인 잔골재
     4. 안정성이 8%인 잔골재

     정답 : []
     정답률 : 75%

9. 콘크리트 1m3을 제조하는데 골재의 절대용적이 650ℓ이고, 잔골재율이 41.5%일 때 잔골재와 굵은 골재량은? (단, 잔골재 표건밀도=0.00265g/㎣, 굵은 골재 표건밀도=0.00271g/㎣(2015년 05월)
     1. 잔골재=705kg, 굵은 골재=1015kg
     2. 잔골재=715kg, 굵은 골재=1030kg
     3. 잔골재=730kg, 굵은 골재=1045kg
     4. 잔골재=740kg, 굵은 골재=1050kg

     정답 : []
     정답률 : 82%

10. 모래 A의 조립률이 3.2이고, 모래 B의 조립률이 2.2인 모래를 혼합하여 조립률 2.8의 모래 C를 만들려면 모래 A와 B는 얼마의 비율로 섞어야 하는가?(2008년 07월)
     1. A : 30%, B : 70%
     2. A : 40%, B : 60%
     3. A : 50%, B : 50%
     4. A : 60%, B : 40%

     정답 : []
     정답률 : 75%

11. 골재의 안정성 시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3월)
     1. 이 시험은 기상작용에 대한 골재의 내구성을 조사하는 시험이다.
     2. 시험용 용액은 규정에 의해 제조한 황산나트륨 포화 용액으로 한다.
     3. 시험용 잔골재는 10mm체를 통과한 것이어야 한다.
     4. 시험용 굵은골재는 10mm체로 쳐서 남는 시료에 대해서만 시험한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시험용 굵은골재는 5mm체로 쳐서 남는 시료에 대해서만 시험
[해설작성자 : 삶]

12. 시멘트 관련 KS 규격에 관하여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7월)
     1. 저열 포틀랜드 시멘트에서는 수화열을 억제하기 위하여 최저 C2S량을 규정하고 있다.
     2. 내황산염 포틀랜드 시멘트에서는 황산염에 의한 팽창을 억제하기 위하여 최대 C3A량을 규정하고 있다.
     3. 고로슬래그시멘트에서는 잠재수경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염기도의 최소값을 규정하고 있다.
     4. 고로슬래그시멘트에서는 알칼리골재반응을 억제하기 위하여 최대 알칼리량을 규정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60%

13. 콘크리트용 응결지연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콘크리트의 연속타설이 진행될 경우 작업이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2. 시멘트의 수화반응을 지연시키므로 응결과 경화의 진행 속도가 느리게 된다.
     3. 콘크리트의 응결경화불량을 방지시키므로 공사 시 거푸집의 회전율을 높일 수 있다.
     4. 서중 콘크리트나 운반시간이 긴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경우 워커빌리티의 저하를 어느정도 방지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거푸집의 회전율이 낮아진다.                                    
[해설작성자 : 열공듇지]

14. 한중콘크리트 배합시 이용하는 일반적인 적산 온도식으로 알맞은 것은? (단, M : 적산온도 (°DㆍD(일), 또는 ℃ㆍD), θ : △t시간 중의 콘크리트의 일평균 양생온도(℃), △t : 시간(일) )(2014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6%

15.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혼화제에 관하여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3월)
     1. AE제는 콘크리트 속에 독립된 미세한 공기포를 연행시켜 작업성 및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킨다.
     2. 감수제는 시멘트 입자를 분산하여 콘크리트의 단위수량을 감소시킨다.
     3. 유동화제는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타설직전 현장에서 첨가한다.
     4. 고성능 AE감수제는 시멘트의 수화반응을 화학적으로 촉진하여 콘크리트의 응결시간을 촉진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62%

16. 시멘트를 구성하는 주요 광물 중 초기강도에 가장 영향을 많이 주는 광물은?(2013년 03월)
     1. 3CaOㆍSiO2 (C3S)
     2. 2CaOㆍSiO2 (C2S)
     3. 4CaOㆍAl2O3ㆍFe2O3 (C4AF)
     4. 3CaOㆍAl2O3ㆍ (C3A)

     정답 : []
     정답률 : 49%

17. 콘크리트의 배합강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5월)
     1. 콘크리트 압축강도 표준편차는 실제 사용한 콘크리트의 30회 이상의 시험실적으로부터 결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콘크리트의 배합강도는 설계기준강도보다 충분히 크게 결정한다.
     3. 압축강도의 시험횟수가 기준보다 적을 경우 보정계수를 이용하여 표준편차를 구할 수 있다.
     4. 압축강도 표준편차를 알지 못할 경우, 설계기준강도가 21MPa 이상인 경우에는 설계기준 강도에 7MPa를 더하여 배합강도를 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압축강도의 시험 횟수가 14회 이하이거나 기록이 없는 경우의 배합강도*
21 미만 : FcK+7
21이상 35이하 : FcK+8.5
35 초과 : FcK+10
[해설작성자 : soya]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1 미만 : fck +7
21이상    35이하 : fck + 8.5
35초과 : 1.1fck + 5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8. 다음 중 콘크리트용으로 사용하는 굵은 골재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2년 08월)
     1. 절대 건조상태의 밀도가 2.65g/cm3인 굵은 골재
     2. 안정성이 14%인 굵은 골재
     3. 흡수율이 2.7%인 굵은 골재
     4. 마모율이 37%인 굵은 골재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굵은골재 밀도(절건밀도) = 2.5g/cm3 이상                 잔골재 밀도(절건밀도) = 2.5g/cm3 이상                
                흡수율 = 3% 이하                                                        흡수율 = 3% 이하
                안정성 = 12% 이하                                                     안정성 = 10% 이하
                마모율 = 40% 이하                                                     마모율 = -
[해설작성자 : 멘붕덕이]

19. 시멘트의 강도 시험 방법(KS L ISO 679)에 따른 모르타르의 배합을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단, ㉠은 시멘트와 표준사의 비, ㉡은 물-시멘트 비)(2020년 08월)
     1. ㉠=1:2, ㉡=50%
     2. ㉠=1:2, ㉡=60%
     3. ㉠=1:3, ㉡=50%
     4. ㉠=1:3, ㉡=60%

     정답 : []
     정답률 : 71%

20. 실제 사용한 콘크리트의 15회 시험실적으로부터 구한 압축강도의 표준편차가 2.5MPa이었다. 이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가 24MPa일 때 배합강도를 구하면?(2016년 08월)
     1. 27.6MPa
     2. 27.9MPa
     3. 28.4MPa
     4. 28.9MPa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실제 사용한 콘크리트의 30회 이상의 시험실적으로부터 결정하나, 압축강도의 시험횟수가 29회 이하이고,15회 이상인 경우는
그것으로 계산한 표준편창에 보정계수를 곱한 값을 표준편차로 사용.

시험횟수                    표준편차의 보정계수
15                                    1.16                                        
20                                    1.08
25                                    1.03
30 이상                         1.00

* 위 표에 명시되지 않은 시험 횟수는 직선보간 하여 구함.
예) 시험횟수가 18회다 그러면 1.16~1.08 사이
[해설작성자 : 꼬깔콘]

2과목 : 제조, 시험 및 품질관리


21. 콘크리트의 품질관리의 관리도에서 계수값 관리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2006년 08월)
     1. P관리도
     2. C관리도
     3. U관리도
     4. x관리도

     정답 : []
     정답률 : 62%

22. 다음 중 소성수축균열이 발생할 수 있는 경우는?(2008년 07월)
     1. 철근 및 기타 매설물에 의하여 침하가 국부적으로 방해를 받는 방법
     2. 바람이나 높은 기온으로 인하여 블리딩 발생량보다 표면수의 증발이 빠른 경우
     3. 굳지 않은 콘크리트 상태에서 하중을 가한 경우
     4. 외부의 구속조건이 큰 경우

     정답 : []
     정답률 : 73%

23. 콘크리트의 쪼갬인장강도 시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ø150×300mm인 원주형 공시체를 사용하고, 파괴 하중이 160kN이었다.)(2017년 05월)
     1. 공시체를 제작할 때 다짐봉에 의한 다짐횟수는 각 층당 18회 정도로 한다.
     2. 공시체를 제작할 때 몰드를 떼는 시기는 콘크리트 채우기가 끝나고 나서 16시간 이상 3일 이내로 한다.
     3. 공시체에 하중을 가하는 속도는 인장 응력도의 증가율이 매초 (0.6±0.4)MPa이 되도록 한다.
     4. 이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는 2.26MPa이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압축강도 - 매초 (0.6±0.4)MPa 증가
쪼갬인장강도 및 휨강도 - 매초 (0.06±0.04)MPa
[해설작성자 : 삶]

24. 알칼리-골재반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7월)
     1. 알칼리-실리카반응을 일으키기 쉬운 광물은 오팔, 트리디마이트, 옥수 등이다.
     2. 반응성 골재를 사용할 경우 전 알칼리량 0.6% 이하인 저알칼리형 시멘트를 사용한다.
     3. 플라이애시, 고로슬래그 미분말 등은 실리카질이 많기 때문에 알칼리 골재 반응을 촉진한다.
     4. 골재의 알칼리 잠재반응 시험은 모르타르 봉 방법으로 평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49%

25. 아래 표와 같은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주문 규격에서 호칭강도는 얼마인가?(2018년 08월)

    

     1. 25MPa
     2. 21MPa
     3. 120MPa
     4. 180MPa

     정답 : []
     정답률 : 86%

26. 콘크리트의 탄산화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5월)
     1. 탄산화는 콘크리트의 내부에서부터 외부를 향해 진행된다.
     2. 경화한 콘크리트가 공기중의 이산화탄소와 접촉하여 수산화칼슘이 탄산칼슘으로 변화하는 현상이다.
     3. 탄산화에 의해 물리적 열화가 생기는 것은 콘크리트 내부 철근의 녹슬음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4. 콘크리트의 탄산화깊이 및 탄산화속도는 구조물의 건전도 및 잔여수명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판단요소가 된다.

     정답 : []
     정답률 : 68%

27. 다음은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슬럼프 및 슬럼프플로 허용오차 범위를 나타낸 것이다. 잘못된 것은?(2009년 07월)
     1. 슬럼프 25mm : ± 10mm
     2. 슬럼프 80mm 이상 : ± 20mm
     3. 슬럼프 플로 500mm : ± 75mm
     4. 슬럼프 플로 600mm : ± 100mm

     정답 : []
     정답률 : 67%

28. 레디믹스트 콘크리트(KS F 4009)에서 규정하고 있는 각 재료의 계량시 허용오차 범위의 크기 비교가 올바른 것은?(2021년 03월)
     1. 물 = 혼화제 < 골재
     2. 물 < 시멘트 < 혼화제
     3. 시멘트 < 골재 = 혼화재
     4. 시멘트 < 혼화재 < 혼화제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1회계량분 허용오차]
물         -2%, +1%
시멘트 -1%, +2%
혼화재 ±2
골재, 혼화제     ±3%
[해설작성자 : 별찬]

29.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제조설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8월)
     1. 골재 저장 설비는 콘크리트 최대 출하량의 1일분 이상에 상당하는 골재량을 저장할 수 있는 크기로 한다.
     2. 계량기는 서로 배합이 다른 콘크리트의 각 재료를 연속적으로 계량할 수 있어야 한다.
     3. 믹서는 이동식 믹서로 하여야 하며, 각 재료를 충분히 혼합시켜 균일한 상태로 배출할 수 있어야 한다.
     4. 콘크리트 운반차는 트럭믹서나 트럭 에지테이터를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믹서는 '고정식' 믹서로 하여야 하며, 각재료를 충분히 혼합시켜 균일한 상태로 배출할 수 있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웅]

30.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08월)
     1. 다짐봉은 지름 16mm, 길이 500~600mm의 강 또는 금속제 원형봉으로 그 앞 끝을 반구 모양으로 한다.
     2. 슬럼프 콘에 시료를 채울 때 시료는 거의 같은 양의 3층으로 나눠서 채운다.
     3. 시료의 각 층은 다짐봉으로 25회씩 똑같이 다지며, 이 비율로 다져서 재료의 분리를 일으킬 경우에는 슬럼프 시험을 적용할 수 없다.
     4. 슬럼프 콘에 콘크리트를 채우기 시작하고 나서 슬럼프 콘의 들어 올리기를 종료할 때까지의 시간은 3분 이내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55%

31. 길이 300mm, 지름 20mm인 강봉을 길이방향으로 인장하였다. 인장력이 400kN 작용할 때 강봉의 크기는 길이 309mm, 지름 19.8mm이었다면, 이 강봉의 포아송수는?(2020년 09월)
     1. 0.2
     2. 0.3
     3. 3
     4. 5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푸아송수 = 세로변형률 / 가로변형률
m= (9/300) / (0.2/20) = 3
길이=> 309mm - 300mm = 9
지름=> 20mm - 19.8mm = 0.2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2. 콘크리트의 그리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8월)
     1. 재하기간 중의 대기의 습도가 낮을수록 그리프가 크다.
     2. 조강 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보통 시멘트를 사용한 경우보다 크리프가 크다.
     3. 시멘트량이 많을수록 크리프가 크다.
     4. 부재치수가 작을수록 크리프가 크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조강 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보통 시멘트를
사용한 시멘트를 사용한 경우보다
초기강도가 좋아
역할적으로 우수하고
Creep가 작다.
[해설작성자 : 동민 파파^^*]

33. 1일 콘크리트 사용량이 약 200m3인 경우 필요한 믹서의 용량은? (단, 1일 작업시간은 8시간, 1회 비벼내기 시간 2분, 작업효율 E=0.8이다.)(2011년 03월)
     1. 0.55m3
     2. 1.05m3
     3. 1.55m3
     4. 2.05m3

     정답 : []
     정답률 : 54%

34.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 및 반죽질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8년 04월)
     1. 골재-둥근 모양의 골재는 모가 난 골재보다 워커빌리티를 좋게 한다.
     2. 시멘트 - 일반적으로 단위 시멘트량이 많을수록 콘크리트는 워커블해진다.
     3. 온도 - 일반적으로 온도가 높을수록 슬럼프는 작아진다.
     4. 혼화제 - AE제, 감수제 등의 혼화재료는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74%

35. 다음 중 콘크리트의 공기량 측정법으로 사용되지 않는 방법은?(2006년 08월)
     1. 수주 압력법
     2. 초음파법
     3. 공기실 압력법
     4. 질량법

     정답 : []
     정답률 : 76%

36. 콘크리트의 단위잔골재량 및 단위굵은골재량이 각각 500kg/m3이며, 잔골재의 밀도가 2.5g/cm3, 굵은골재의 밀도가 2.7g/cm3일 때 잔골재율은 얼마인가?(2005년 08월)
     1. 50%
     2. 35%
     3. 33%
     4. 31%

     정답 : []
     정답률 : 38%

37.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 측정방법이 아닌 것은?(2009년 03월)
     1. 길모어침시험
     2. 슬럼프시험
     3. 구관입시험
     4. 비비시험

     정답 : []
     정답률 : 58%

38. 콘크리트의 강도를 평가하기 위한 비파괴시험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2017년 03월)
     1. 반발경도법
     2. 초음파속도법
     3. X-ray 회절 분석법
     4. 인발법(Pull-out Test)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1. 슈미트 해머 ( 타격법, 반발 경도법)
2. 방사선법
3. 초음파법(음속법)
4. 진동법
5. 인발법
6. 철근 탐사법
엑스레이는 관계없다.
[해설작성자 : 콘기사 왜이리 해설이 없어]

39. 일반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재료의 계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5월)
     1. 사용재료는 시방배합에 의해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2. 골재가 건조되어 있을 때의 유효 흡수율 값은 골재를 적절한 시간 동안 흡수시켜서 구하여야 한다.
     3. 혼화제를 녹이는 데 사용하는 물이나 혼화제를 묽게 하는 데 사용하는 물은 단위수량의 일부로 보아야 한다.
     4. 각 재료는 1배치씩 질량으로 계량하여야 한다. 다만, 물과 혼화제 용액은 용적으로 계량해도 좋다.

     정답 : []
     정답률 : 73%

40.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결과가 다음 표와 같다. 이 콘크리트의 강도에 대한 변동계수는? (단, 표준편차 계산은 불편분산에 의한다.)(2016년 03월)

    

     1. 4.8%
     2. 7.3%
     3. 24.0%
     4. 36.5%

     정답 : []
     정답률 : 62%

3과목 : 콘크리트의 시공


41. 고강도 콘크리트의ㅣ 배합 및 비비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3월)
     1. 비비기 시간은 시험에 의해서 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믹서에 재료를 투입할 때 고성능 감수제는 혼합수와 동시에 투여해야 한다.
     3. 단위 시멘트량은 소요의 워커빌리티 및 강도를 얻을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한 적게 되도록 시험에 의해 정하여야 한다.
     4. 기상의 변화가 심하거나 동결융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공기연행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유동화제를 용해한 물에 시멘트를 투입하거나, 현장에서 타설 직전에 첨가한다.
[해설작성자 : june]

42. 수중 콘크리트의 타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수중 불분리성 콘크리트의 펌프시공 시 압송압력은 보통 콘크리트의 2~3배, 타설 속도는 1/2~1/3 정도이다.
     2. 수중 불분리성 콘크리트의 타설은 유속이 50mm/s 정도 이하의 정수 중에서 수중 낙하 높이 0.5m 이하여야 한다.
     3. 일반 수중 콘크리트의 트레미에 의한 타설시 트레미의 안지름은 수심 5m 이상의 경우 300~500mm 정도가 좋다.
     4. 일반 수중 콘크리트의 타설에서 트레미 1개로 타설할 수 잇는 면적은 지나치게 크지 않도록 해야 하며, 50m2정도가 좋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4번 30m2
[해설작성자 : ㅇㅊ]

43. 고강도 콘크리트 제조방법으로 틀린 것은?(2014년 08월)
     1. 물-시멘트비를 감소시킨다
     2. 실리카퓸 등과 같은 미분말 혼화재료를 사용한다.
     3. 굵은골재 최대치수를 증가 시킨다.
     4. 철저히 습윤양생을 하여야 하며, 부득이한 경우 현장 봉함양생 등을 실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44. 매스콘크리트의 온도균열 방지 및 제어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팽창콘크리트의 사용에 의한 균열방지방법을 실시한다.
     2. 외부구속을 많이 받는 벽체 구조물의 경우에는 수축이음을 설치한다.
     3. 프리쿨링(Pre-cooling)과 파이프 쿨링(pipe cooling)을 한다.
     4. 프리웨팅(pre-wetting)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45. 콘크리트 공장제품의 경화를 촉진하기 위해 실시하는 촉진양생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9년 08월)
     1. 습윤양생
     2. 증기양생
     3. 적외선양생
     4. 오토클레이브 양생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경화촉진양생방법
-증기 양생 : 저압증기양생, 고압증기양생, 고온증기양생
-오토클레이브 양생
-전기 양생
-온수 양생
-적외선 양생
-고주파 양생
-등등

습윤양생 : 현장에서 사용

46. 한중 콘크리트의 시공에서 주의할 사항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2020년 09월)
     1. 한중 콘크리트에는 AE제, AE감수제 및 고성능 AE감수제의 적용을 삼가야 한다.
     2. 가열한 배합재료의 투입순서는 가열한 물과 굵은 골재를 넣은 후 시멘트를 넣는 것이 좋다.
     3. 응결 경화의 초기에 동결되지 않도록 주의하며 양생종료 후 동결융해작용에 대하여 저항성을 가져야 한다.
     4. 재료를 가열할 경우, 물 또는 골재를 가열하는 것으로 하며, 시멘트는 어떠한 경우라도 직접 가열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한중콘크리트는 공기연행제(AE제 또는 AE감수제)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별찬]

47. 한중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5월)
     1. 비빔온도를 높게 하기 위해서는 시멘트, 물 또는 골재를 40℃ 이상의 범위에서 가열하는 것이 좋다.
     2. 통상의 적산온도방식을 적용하면, 5℃에서 28일간 양생한 콘크리트의 강도는 10℃에서 14일간 양생한 경우와 거의 같다.
     3. 보통의 노출상태의 경우,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5MPa 이상에 도달한다면 초기양생을 종료해도 좋다.
     4. 초기동해를 방지하기 위해서 콘크리트에 플라이애시를 혼입하여 초기 강도를 증진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48%

48. 매스콘크리트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5년 08월)
     1. 매스콘크리트로 다루어야 하는 구조물의 부재치수는 일반적인 표준으로서 넓이가 넓은 평판구조에서는 두께 0.8m 이상으로 한다.
     2. 매스콘크리트의 온도상승 저감을 위해서는 단위시멘트량을 줄이는 것보다 단위수량을 줄이는 편이 바람직하다.
     3. 온도균열방지 및 제어방법으로 프리쿨링 및 파이프쿨링 방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4. 균열유발 줄눈의 간격은 대략 콘크리트 1회 치기 높이의 1~2배 정도, 또는 4~5m 정도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좋다.

     정답 : []
     정답률 : 59%

49. 한중 콘크리트를 비볐을 때 콘크리트의 온도가 20℃, 주위의 기온이 4℃, 비빈후부터 타설이 끝났을 때까지의 시간이 1.5시간일 경우 타설이 완료된 후 콘크리트의 온도는?(2019년 08월)
     1. 11.3℃
     2. 13.4℃
     3. 15.3℃
     4. 16.4℃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콘크리트 양생온도 = 비빔온도 - 0.15*(비빔온도-기온)*경과시간
                                    = 20 - 0.15(20-4)*1.5
                                    =16.4

50. 이미 경화한 매시브한 콘크리트 위에 슬래브를 타설할 때 부재평균 최고온도와 외기온도와의 균형시의 온도차가 12.8℃발생하였을 때 아래의 표를 이용하여 온도균열 발생확률을 구하면? (단, 간이법 적용)(2012년 08월)

    

     1. 약 5%
     2. 약 15%
     3. 약 30%
     4. 약 50%

     정답 : []
     정답률 : 67%

51. 팽창 콘크리트에 대한 재료의 취급과 저장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2020년 08월)
     1. 포대 팽창재는 12포대 이하로 쌓아야 한다.
     2. 포대 팽창재는 지상 3m 이상의 마루 위에 쌓아 운반이나 검사에 편리하도록 배치하여 저장하여야 한다.
     3. 3개월 이상 장기간 저장된 팽창재는 저장기간이 길어진 경우에는 시험을 실시하여 소요의 품질을 갖고 있는지를 확인한 후에 사용하여야 한다.
     4. 벌크 상태의 팽창재 및 팽창재와 시멘트를 미리 혼합한 것은 양호한 밀폐상태에 있는 사이로 등에 저장하여 다른 재료와 혼합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지상 0.3 m 이상의 마루 위에 쌓아야함
[해설작성자 : 몽키몽키매직]

52. 고강도 콘크리트용 골재의 품질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8월)
     1. 굵은 골재의 절건 밀도 : 0.0025g/㎣
     2. 잔골재 흡수율 : 3.0% 이하
     3. 굵은 골재 실적률 : 65% 이상
     4. 잔골재 염화물 이온량 : 0.02% 이하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굵은 골재 실적률은 59% 이상이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GreenPing]

53. 유동화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08월)
     1. 슬럼프 및 공기량 시험은 150m3 마다 1회씩 실시한다.
     2. 유동화 후에 재료분리, 공기량의 변동 등이 발생할 경우가 있다.
     3. 유동화 콘크리트의 슬럼프 증가량은 100mm 이하를 원칙으로 한다.
     4. 유동화 콘크리트의 재유동화는 원칙적으로 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2. 150 -->> 50 으로 하면 맞음..
[해설작성자 : 111]

54. 한중콘크리트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8월)
     1. 하루의 평균기온이 4℃ 이하가 예상되는 조건일 때는 한중콘크리트 시공하여야 한다.
     2. 한중콘크리트에는 AE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 물-결합재비는 원칙적으로 50% 이하로 하여야 한다.
     4. 재료를 가열할 경우, 물 또는 골재를 가열하는 것으로 하며, 시멘트 어떠한 경우라도 직접 가열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물-결합재비는 60%이하로 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윤페이스]

55. 거푸집판에 접하지 않은 면의 표면마무리 시공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8년 03월)
     1. 다지기를 끝내고 거의 소정의 높이와 형상으로 된 콘크리트의 윗면은 스며올라온 물이 없어진 후나 물을 처리한 후가 아니면 마무리해서는 안된다.
     2. 마무리에는 나무흙손이나 적절한 마무리기계를 사용하여야 하고, 마무리 작업은 과도하게 되지 않도록 한다.
     3. 매끄럽고 치밀한 표면이 필요할 때는 작업을 되도록 빠른 시기에 나무흙손으로 가볍게 콘크리트 윗면을 마무리하여야 한다.
     4. 마무리 작업 후 콘크리트가 굳기 시작할 때까지의 사이에 일어나는 균열은 다짐 또는 재마무리에 의해서 제거하여야 한다. 필요에 따라 재진동을 해도 좋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매끄럽고 치밀한 표면이 필요할 떄는 작업이 가능한 범위에서 될 수 있는대로 늦은 시기에 쇠손으로 강하게 힘을 주어 콘크리트 윗면을 마무리 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june]

56. 콘크리트의 양생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3월)
     1. 시멘트의 수화반응은 양생온도에 크게 좌우되지 않는다.
     2. 초기재령에서의 급격한 건조는 강도발현을 지연시킬 뿐만 아니라 표면균열의 원인이 된다.
     3. 고로 슬래그 미분말을 50% 정도 치환하면 보통 콘크리트에 비해서 습윤양생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4. 콘크리트 표면이 건조함에 따라 수밀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수밀 콘크리트는 가능한 한 빨리 건조될 수 있도록 습윤양생 기간을 일반보다 짧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57%

57. 서중콘크리트의 시공은 일평균 기온이 몇 ℃를 초과하는 것이 예상되는 경우에 실시하는가?(2013년 03월)
     1. 15℃
     2. 20℃
     3. 25℃
     4. 30℃

     정답 : []
     정답률 : 75%

58. 매스콘크리트의 균열유발줄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6년 08월)
     1. 균열유발줄눈에 따른 단면감소율은 5~10%가 적당하다.
     2. 균열유발줄눈의 간격은 4~5m를 기준으로 한다.
     3. 균열유발줄눈의 간격은 대략 콘크리트 1회치기 높이의 1~2배 정도가 바람직하다.
     4. 균열유발줄눈을 설치할 경우 비교적 쉽게 매스콘크리트의 균열제어를 할 수 있으나, 구조상의 위약부가 될 우려가 있으므로 구조형식 및 위치 등을 잘 선정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균열유발줄눈에 따른 단면감소율은 35%이상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9. 매스 콘크리트를 시공할 때에 콘크리트의 반응온도 상승을 적게 하는 동시에 균등한 온도분포를 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2020년 09월)
     1. 콘크리트의 혼합수에 얼음을 넣거나, 골재를 냉각시킨다.
     2. 매스 콘크리트는 1회에 타설할 구획과 타설높이를 결정한다.
     3. 매스 콘크리트의 양생방법은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있는 주변기온을 급냉시킨다.
     4. 매스 콘크리트의 타설작업을 장시간 계속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응결지연제를 사용하는 것도 좋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매스콘크리트는 관로냉각(콘크리트내부), 선행냉각(물,골재)등으로 반응온도 상승을 적게하는 방법을 쓴다.
* 타설 주변기온을 급냉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별찬]

60. 콘크리트 표준시방서에서 규정하고 있는 철근이 배치된 일반적인 매스콘크리트 구조물에서 표준적인 온도균열지수 값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2014년 05월)
     1. 균열 발생을 방지해야 할 경우에는 온도균열지수가 1.5이상 이어야 한다.
     2. 균열 발생을 제한해야 할 경우에는 온도균열지수가 1.2이상 이어야 한다.
     3. 유해한 균열 발생을 제한할 경우에는 온도균열지수가 0.5 이상 1.0 미만이어야 한다.
     4. 균열 발생을 제한해야 할 경우에는 온도균열지수가 1.0 이상 1.2 미만이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2%

61. 그림과 같은 T형단면에 3-D35(As=2870mm2)의 철근이 배근되었을 때 압축연단에서 중립축 까지의 거리(c)는? (단, fck=30MPam, fy=400MPa이다.)(2008년 07월)

    

     1. 64.3mm
     2. 73.6mm
     3. 76.9mm
     4. 80.9mm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KDS14 개정 미반영됨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3번이네요.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62. 아래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 단면의 보에서 휨에 대한 강도감소계수(ø)를 구하면? (단, fck=28MPa, fy350MPa, As=3000mm2이고, 변형률(ε)은 소수점이하 6째자리에서 반올림하시오.)(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8년 08월)

    

     1. 0.808
     2. 0.823
     3. 0.835
     4. 0.85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fy는 500MPa 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Fy=500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문제집마다 기출문제 답에다 수식을 끼워 맞추고 있는 것 같은데, Et가 0.005 보다 크면 인장지배이므로 0.85 가 정답인 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3. 4변에 의해 지지되는 2방향 슬래브 중 1방향 슬래브로서 해석할 수 있는 경우는? (단, L : 슬래브의 장경간, S : 슬래브의 단경간)(2014년 08월)
     1. L/S이 2보다 클 때
     2. L/S이 1일 때
     3. S/L가 2보다 클 때
     4. S/L가 1보다 작을 때

     정답 : []
     정답률 : 69%

64.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화학적 부식에 대한 설명 중 바르지 않은 것은?(2014년 05월)
     1. 일반적으로 산은 다소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시멘트 수화물 및 수산화칼슘을 분해하여 침식한다. 침식의 정도는 유기산이 무기산보다 심하다.
     2. 콘크리트는 그 자체가 강알칼리이며, 알칼리에 대한 저항력은 상당히 크다. 그러나, 매우 높은 농도의 NaOH에는 침식된다.
     3. 염류에 의한 화학적부식의 대표적인 것은 황산염에 의한 화학적부식이다. 황산염에 의한 시멘트 콘크리트의 열화기구는 일반적인 황산염, 황산마그네슘 및 해수에 의한 작용으로 분류할 수 있다.
     4. 콘크리트가 외부로부터의 화학작용을 받아 그 결과 시멘트 경화체를 구성하는 수화생성물이 변질 또는 분해하여 결합 능력을 잃는 열화현상을 총칭하여 화학적 부식이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콘크리트의 침식작용은 농도가 일정한 경우에는 무기산은 유기산보다 심하다.
[해설작성자 : 멘붕덕이]

65. 그림과 같은 단면을 가진 PSC보가 L=15m, 자중을 포함한 계수하중 32.5kN/m가 작용할 때 경간 중앙단면의 상연응력은 약 얼마인가? (단, 프리스트레스 힘 P=3200kN, 편심량 ep=0.2m이다.)(2020년 06월)

    

     1. 9MPa
     2. 13MPa
     3. 17MPa
     4. 23MPa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상연응력 f =        P             p.e                M
                             ---    -    -----y     + ---y
                                A                i                 i

i = bh^3/12

M = wl^2/8
[해설작성자 : june]

윗분이 적은 식으로 답 구하면 됨 kN=1000N
P=3200kN=3200000N
A=1000*500=500000mm2
e=200mm
M=[w(l^2)]/8=(32.5*(15^2))/8=914.0625kN·m=914.0625*(10^6)N·mm
I=[b(h^3)]/12=(1000*(500^3))/12=10416666667=mm^4
y=h/2=250
① P/A=(3200*10^3)/500000=6.4N/mm2=6.4MPa
② [(P*e)/I]*y=[(3200000*200)/10416666667]*250=15.36N/mm2=15.36MPa
③ (M/I)y=(914062500/10416666667)*250=21.9375N/mm2=21.9375MPa
①-②+③=6.4-15.36+21.9375=12.9775MPa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6. 아래 그림과 같은 단철근 직사각형 보 단면의 균형 철근량(As)은? (단, fck=30MPa, fu=300MPa)(2021년 개정된 규정 적용됨)(2017년 03월)

    

     1. 8347mm2
     2. 9710mm2
     3. 10098mm2
     4. 10404mm2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ρb = 0.85 x β1 x (fck/fy) x (600/600+fy)         <- 21년 개정 전이기 때문에 600 사용 개정 후는 (660/660+fy) 사용
        = 0.85 x 0.836 x (30/300) x (600/(600+300)) = 0.04737333
※ fck > 28 β1 = 0.85-0.007x(fck-28) =0.85-0.007x(30-28) =0.836
As = ρb x b x d
     = 0.04737333 x 400 x 540 = 10232.639 약10233mm2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개정 후 문제 풀이
ρb = 0.85 x β1 x (fck/fy) x (660/660+fy)
        = 0.85 x 0.8 x (30/300) x (660/(660+300)) = 0.04675
※fck≤40 일때 β=0.8
As = ρb x b x d = 0.04675*400*540=10098mm2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7. 폭=300mm, 유효깊이 500mm, As=1700mm2, fck=60MPa, fy=350MPa인 단철근 직사각형 보가 있다. 강도설계법으로 설계할 때 압축연단에서 중립축까지의 거리(c)는?(2011년 08월)
     1. 38.9mm
     2. 40.2mm
     3. 59.8mm
     4. 61.7mm

     정답 : []
     정답률 : 50%

68. 연속섬유 시트접착공법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8월)
     1. 내식성이 우수하고, 염해지역의 콘크리트구조물 보강에도 적용할 수 있다.
     2. 다른 보강공법과 비교하여 단면강성의 증가가 크다.
     3. 일정한 격자모양으로 부착함으로써 발생된 균열의 진전상태 관찰이 가능하다.
     4. 작업공간이 한정된 장소에서는 작업이 편리하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연속섬유 시트접착공법은 단면강서의 증가가 적다
[해설작성자 : ㅂㅊ]

69. 다음 중 아래의 표에서 설명하는 최소 전단철근 규정에 제외되는 경우가 아닌 것은?(2018년 08월)

    

     1. 슬래브
     2. 기초판
     3. 전체 깊이가 250mm를 초과하는 보
     4. 교대 벽체 및 날개벽과 같이 휨이 주거동인 판부재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최소 전단철근 규정에 제외되는 경우
슬래브, 기초판
전체 깊이가 250mm 이하이거나 T형보
T형보에서 깇이가 플랜지 두께의 2.5배 또는 복부판의 1/2중에 큰 값
교대 벽체 및 날개벽과 같이 휨이 주 거동인 판부재
[해설작성자 : june]

70.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다짐하여 마감작업을 한 이후에도 콘크리트는 계속하여 압밀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현장을 발생하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균열을 침하균열이라 한다. 이러한 침하균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3월)
     1. 콘크리트 피복두께가 클수록 침하균열은 증가한다.
     2. 슬럼프가 클수록 침하균열은 증가한다.
     3. 배근한 철근의 직경이 클수록 침하균열은 증가한다.
     4. 누수되는 거푸집을 사용한 경우 침하균열은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발생원인
1. 철근의 직경이 클수록
2. 슬럼프가 클수록
3. 거푸집이 수밀하지 않을 수록
4. 피복두께가 적을수록
5. 다짐이 불충분할수록
6. 물시멘트비가 높을수록
7. 누구되는 거푸집사용
[해설작성자 : 콘기사 왜이리 해설이 없어]

71. 염해에 대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평가를 위한 염소이온 농도를 구하는 아래식에 포함된 X, Y, Z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C(x, t) : 깊이 x, 시간 t에서 염화물이온 농도의 설계값, erf : 오차함수)(2020년 08월)

    

     1. 해중(海中)이 비말대(splash belt)보다 X가 더 크다.
     2. 콘크리트의 물-결합재비(W/B)가 작게 되면 Z가 작게 된다.
     3. 콘크리트 제조시에 제염처리가 되지 않은 바다모래를 사용하면 Y가 크게 된다.
     4.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보다 고로 슬래그 시멘트를 사용한 경우가 Z가 작게 된다.

     정답 : []
     정답률 : 47%

72. 단부에 표준갈고리가 있는 도막되지 않은 인장 이형철근 D25(공칭지름 25.4mm)를 정착시키는 데 필요한 기본정착길이(lhb)는? (단, 보통중량콘크리트이고, fck=24MPa, fy=400MPa이며, 보정계수는 고려하지 않는다.)(2019년 04월)
     1. 498mm
     2. 519mm
     3. 584mm
     4. 647mm

     정답 : []
     정답률 : 38%

73. 다음 중 구조물의 사용성 평가 조사항목과 방법을 잘못 설명한 것은?(2015년 05월)
     1. 잔류처짐, 최대처짐 – 재하시험에 의해 최대처짐과 재하 후의 잔류처짐을 측정
     2. 균열길이 – 스케일, 화상처리
     3. 균열깊이 – 초음파법, 코어채취
     4. 내수성 – 스케일, 탄성파 반사파법, 탄성파 공진법

     정답 : []
     정답률 : 66%

74. 폭 300mm, 인장철근까지의 유효깊이 550mm, 압축철근까지의 50mm, 인장철근량 5000mm2, 압축철근량 2000mm2의 복철근 직사각형 단면이 연성파괴를 한다면 설계휨강도(Md)는? (단, fck=20MPa, fy=300MPa)(2019년 08월)
     1. 516kNㆍm
     2. 548kNㆍm
     3. 576kNㆍm
     4. 608kNㆍm

     정답 : []
     정답률 : 26%
     <문제 해설>
a=[(As-As')fy]/(0.85*fck*b)= [(5000-2000)*300]/(0.85*20*300) =176.47mm
설계 휨강도
ΦMn=Φ[(As-As')fy(d-(a/2))+As'fy(d-d')]=0.85*[(5000-2000)*300*(550-(176.47/2))+2000*300*(550-50)]=608.25kN·m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5. 1방향 슬래브의 구조상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8월)
     1. 1방향 슬래브의 두께는 최소 100m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2. 슬래브의 정모멘트 철근 및 부모멘트 철근의 중심간격은 위험단면에서는 슬래브 두께의 2배 이하이어야 하고, 또한 300mm이하로 하여야 한다.
     3. 1방향 슬래브에서는 정모멘트 철근 및 부모멘트 철근에 직각방향으로 수축ㆍ온도 철근을 배치하여야 한다.
     4. 슬래브의 단변방향 보의 상부에 부모멘트로 인해 발생하는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슬래브의 단변방향으로 슬래브 상부에 철근을 배치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슬래브의 ★ 장변방향 ★ 으로 슬래브 상부에 철근 배치
[해설작성자 : 삶]

76. 아래의 표에서 설명하는 비파괴시험방법은?(2011년 08월)

    

     1. RC-Radar Test
     2. BS Test
     3. Tc-To Test
     4. Pull-out Test

     정답 : []
     정답률 : 69%

77. 재령 28일이 경과한 굳은 콘크리트의 수용성 염화물 이온량은 규정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이때 부재의 종류에 따른 굳은 콘크리트의 최대 수용성 염소이온 비율로 옳은 것은? (단, 시멘트 질량에 대한 비율)(2016년 03월)
     1.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 0.5%
     2. 염화물에 노출된 철근 콘크리트 : 0.15%
     3. 건조한 상태이거나 습기로부터 차단된 철근 콘크리트 : 0.5%
     4. 1, 2, 3 외의 철근 콘크리트 : 0.8%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1.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 0.06%
3. 건조한 상태이거나 습기로부터 차단된 철근콘크리트 ; 1%
4. 1,2,3외 철근 콘크리트 : 0.3%
[해설작성자 : rd]

78. 보강공법 중에서 연속 섬유 시트 접착공법의 특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3월)
     1. 단면강성의 증가가 크다.
     2. 보강효과로서 균열의 구속효과와 내하성능의 향상효과가 기대된다.
     3. 내식성이 우수하고, 염해지역의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에 적용할 수 있다.
     4. 섬유시트는 현장성형이 용이하기 때문에 작업공간이 한정된 장소에서는 작업이 편리하다.

     정답 : []
     정답률 : 58%

79. 콘크리트 구조물의 재하시험은 하중을 받는 부재의 재령이 최소한 며칠이 지난 다음에 재하시험을 수행하여야 하는가?(2020년 09월)
     1. 14일
     2. 28일
     3. 56일
     4. 84일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이유
- 콘크리트는 일반적으로 28일 재령에서 설계강도의 약 100%에 도달하므로, 이 시점 이후에 재하시험을 해야 정확한 구조 성능 평가가 가능합니다.
- 28일 이전에는 강도가 충분히 발현되지 않아 시험 결과가 신뢰성을 잃을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라면]

80. 다음 중 콘크리트의 중성화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열화는?(2016년 03월)
     1. 철근의 부식
     2. 건조수축
     3. 크리프 변형
     4. 레이턴스

     정답 : []
     정답률 : 72%


정 답 지

콘크리트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6706104)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콘크리트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재료 및 배합


1.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사용한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8월)
     1. 일반 콘크리트보다 블리딩이 감소하고 워커빌리티가 좋아진다.
     2. 초기의 강도증가는 작으나 감재수 경성 반응에 의해 장기강도는 증가된다.
     3. 알카리성이 증가되어 중성화가 느리게 진행된다.
     4. 화학저항성이 크므로 해안구조물 공사에 적합하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고로슬래그는 알칼리성이 적습니다
[해설작성자 : 홍드래곤]

2. 콘크리트용 강섬유의 평균인장강도는 얼마 이상의 값을 가져야 하는가? (단, KS F 2564에 규정된 값)(2010년 03월)
     1. 600 MPa
     2. 500 MPa
     3. 400 MPa
     4. 300 MPa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5년 개정 평균 700 개별 650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2번이네요.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3. 콘크리트에 사용하는 혼화재료에 관한 다음의 일반적인 설명 중 적당하지 않은 것은?(2012년 08월)
     1. 실리카퓸은 실리카질 미립자의 미세충진 효과에 의해 콘크리트의 강도를 높인다.
     2. 플라이 애시는 유리질 입자의 잠재수경성에 의해 콘크리트의 초기강도를 증진시킨다.
     3. 팽창재는 에트린가이트 및 수산화칼슘 등의 생성에 의해 콘크리트를 팽창시킨다.
     4. 착색재는 콘크리트와 모르타르에 색을 입히는 혼화재로서 착색재를 혼화한 콘크리트는 본래의 콘크리트 특성과 함께 마무리재로서의 기능도 함께 가진다.

     정답 : []
     정답률 : 82%

4. 시멘트시험과 관련된 장비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2018년 03월)
     1. 비중시험-르샤틀리에 플라스크
     2. 분말도시험-블레인 투과장치 세트
     3. 응결시간 측정-비카장치
     4. 오토클레이브 팽창시험-워싱턴 에어미터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4. 오토클레이브 팽창시험- 오토클레이브, 콤퍼레이터
     * 공기량 시험 - 워싱턴 에어미터
[해설작성자 : 열공듇지]

5. 시멘트 제조 과정에서 시멘트 응결을 지연시키는 역할을 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재료는?(2011년 03월)
     1. 석고
     2. 슬래그
     3. 지연제
     4. 실라카(SiO2)

     정답 : []
     정답률 : 77%

6. 시멘트의 화학성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강열감량:950±50℃의 강한 열을 가했을 때의 감량으로서 시멘트 중에 함유된 H2O와 CO2의 양으로 시멘트가 풍화한 정도를 판정하는데 이용된다.
     2. 불용해잔분:시멘트를 염산 및 탄산나트륨 용액으로 처리하여도 녹지 않는 부분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불용해 잔분은 0.1~0.6% 정도이다.
     3. 수경률:시멘트 원료의 조합비를 정하는 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수경률이 크면 알루민산3석회(C3A)양이 많아져 초기강도가 높고 수화열이 큰 시멘트가 된다.
     4. 마그네시아(MgO):MgO의 양이 많으면 클링커 중에 미반응된 상태인 유리마그네시아로 남게 되며, 수화반응에 의해 서서히 팽창하여 콘크리트 경화체에 균열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어 시멘트 중의 MgO 함량을 3% 이하로 제한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시멘트 중의 MgO 함량을 5% 이하로 제한하고 있다.
[해설작성자 : 열공듇지]

7. 시방서에 규정된 콘크리트 배합의 표시 사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1년 08월)
     1. 골재의 단위량
     2. 슬럼프
     3. 공기량
     4. 혼합수의 염분량

     정답 : []
     정답률 : 79%

8. 다음의 잔골재 중 일반 콘크리트용으로 사용이 부적합한 것은?(2015년 05월)
     1. 0.08mm체 통과량이 8.0%인 잔골재
     2. 흡수율이 2.2%인 잔골재
     3. 절대건조밀도가 2.6g/cm3인 잔골재
     4. 안정성이 8%인 잔골재

     정답 : []
     정답률 : 75%

9. 콘크리트 1m3을 제조하는데 골재의 절대용적이 650ℓ이고, 잔골재율이 41.5%일 때 잔골재와 굵은 골재량은? (단, 잔골재 표건밀도=0.00265g/㎣, 굵은 골재 표건밀도=0.00271g/㎣(2015년 05월)
     1. 잔골재=705kg, 굵은 골재=1015kg
     2. 잔골재=715kg, 굵은 골재=1030kg
     3. 잔골재=730kg, 굵은 골재=1045kg
     4. 잔골재=740kg, 굵은 골재=1050kg

     정답 : []
     정답률 : 82%

10. 모래 A의 조립률이 3.2이고, 모래 B의 조립률이 2.2인 모래를 혼합하여 조립률 2.8의 모래 C를 만들려면 모래 A와 B는 얼마의 비율로 섞어야 하는가?(2008년 07월)
     1. A : 30%, B : 70%
     2. A : 40%, B : 60%
     3. A : 50%, B : 50%
     4. A : 60%, B : 40%

     정답 : []
     정답률 : 75%

11. 골재의 안정성 시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3월)
     1. 이 시험은 기상작용에 대한 골재의 내구성을 조사하는 시험이다.
     2. 시험용 용액은 규정에 의해 제조한 황산나트륨 포화 용액으로 한다.
     3. 시험용 잔골재는 10mm체를 통과한 것이어야 한다.
     4. 시험용 굵은골재는 10mm체로 쳐서 남는 시료에 대해서만 시험한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시험용 굵은골재는 5mm체로 쳐서 남는 시료에 대해서만 시험
[해설작성자 : 삶]

12. 시멘트 관련 KS 규격에 관하여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7월)
     1. 저열 포틀랜드 시멘트에서는 수화열을 억제하기 위하여 최저 C2S량을 규정하고 있다.
     2. 내황산염 포틀랜드 시멘트에서는 황산염에 의한 팽창을 억제하기 위하여 최대 C3A량을 규정하고 있다.
     3. 고로슬래그시멘트에서는 잠재수경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염기도의 최소값을 규정하고 있다.
     4. 고로슬래그시멘트에서는 알칼리골재반응을 억제하기 위하여 최대 알칼리량을 규정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60%

13. 콘크리트용 응결지연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콘크리트의 연속타설이 진행될 경우 작업이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2. 시멘트의 수화반응을 지연시키므로 응결과 경화의 진행 속도가 느리게 된다.
     3. 콘크리트의 응결경화불량을 방지시키므로 공사 시 거푸집의 회전율을 높일 수 있다.
     4. 서중 콘크리트나 운반시간이 긴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경우 워커빌리티의 저하를 어느정도 방지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거푸집의 회전율이 낮아진다.                                    
[해설작성자 : 열공듇지]

14. 한중콘크리트 배합시 이용하는 일반적인 적산 온도식으로 알맞은 것은? (단, M : 적산온도 (°DㆍD(일), 또는 ℃ㆍD), θ : △t시간 중의 콘크리트의 일평균 양생온도(℃), △t : 시간(일) )(2014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6%

15.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혼화제에 관하여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3월)
     1. AE제는 콘크리트 속에 독립된 미세한 공기포를 연행시켜 작업성 및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킨다.
     2. 감수제는 시멘트 입자를 분산하여 콘크리트의 단위수량을 감소시킨다.
     3. 유동화제는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타설직전 현장에서 첨가한다.
     4. 고성능 AE감수제는 시멘트의 수화반응을 화학적으로 촉진하여 콘크리트의 응결시간을 촉진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62%

16. 시멘트를 구성하는 주요 광물 중 초기강도에 가장 영향을 많이 주는 광물은?(2013년 03월)
     1. 3CaOㆍSiO2 (C3S)
     2. 2CaOㆍSiO2 (C2S)
     3. 4CaOㆍAl2O3ㆍFe2O3 (C4AF)
     4. 3CaOㆍAl2O3ㆍ (C3A)

     정답 : []
     정답률 : 49%

17. 콘크리트의 배합강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5월)
     1. 콘크리트 압축강도 표준편차는 실제 사용한 콘크리트의 30회 이상의 시험실적으로부터 결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콘크리트의 배합강도는 설계기준강도보다 충분히 크게 결정한다.
     3. 압축강도의 시험횟수가 기준보다 적을 경우 보정계수를 이용하여 표준편차를 구할 수 있다.
     4. 압축강도 표준편차를 알지 못할 경우, 설계기준강도가 21MPa 이상인 경우에는 설계기준 강도에 7MPa를 더하여 배합강도를 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압축강도의 시험 횟수가 14회 이하이거나 기록이 없는 경우의 배합강도*
21 미만 : FcK+7
21이상 35이하 : FcK+8.5
35 초과 : FcK+10
[해설작성자 : soya]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1 미만 : fck +7
21이상    35이하 : fck + 8.5
35초과 : 1.1fck + 5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8. 다음 중 콘크리트용으로 사용하는 굵은 골재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2년 08월)
     1. 절대 건조상태의 밀도가 2.65g/cm3인 굵은 골재
     2. 안정성이 14%인 굵은 골재
     3. 흡수율이 2.7%인 굵은 골재
     4. 마모율이 37%인 굵은 골재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굵은골재 밀도(절건밀도) = 2.5g/cm3 이상                 잔골재 밀도(절건밀도) = 2.5g/cm3 이상                
                흡수율 = 3% 이하                                                        흡수율 = 3% 이하
                안정성 = 12% 이하                                                     안정성 = 10% 이하
                마모율 = 40% 이하                                                     마모율 = -
[해설작성자 : 멘붕덕이]

19. 시멘트의 강도 시험 방법(KS L ISO 679)에 따른 모르타르의 배합을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단, ㉠은 시멘트와 표준사의 비, ㉡은 물-시멘트 비)(2020년 08월)
     1. ㉠=1:2, ㉡=50%
     2. ㉠=1:2, ㉡=60%
     3. ㉠=1:3, ㉡=50%
     4. ㉠=1:3, ㉡=60%

     정답 : []
     정답률 : 71%

20. 실제 사용한 콘크리트의 15회 시험실적으로부터 구한 압축강도의 표준편차가 2.5MPa이었다. 이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가 24MPa일 때 배합강도를 구하면?(2016년 08월)
     1. 27.6MPa
     2. 27.9MPa
     3. 28.4MPa
     4. 28.9MPa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실제 사용한 콘크리트의 30회 이상의 시험실적으로부터 결정하나, 압축강도의 시험횟수가 29회 이하이고,15회 이상인 경우는
그것으로 계산한 표준편창에 보정계수를 곱한 값을 표준편차로 사용.

시험횟수                    표준편차의 보정계수
15                                    1.16                                        
20                                    1.08
25                                    1.03
30 이상                         1.00

* 위 표에 명시되지 않은 시험 횟수는 직선보간 하여 구함.
예) 시험횟수가 18회다 그러면 1.16~1.08 사이
[해설작성자 : 꼬깔콘]

2과목 : 제조, 시험 및 품질관리


21. 콘크리트의 품질관리의 관리도에서 계수값 관리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2006년 08월)
     1. P관리도
     2. C관리도
     3. U관리도
     4. x관리도

     정답 : []
     정답률 : 62%

22. 다음 중 소성수축균열이 발생할 수 있는 경우는?(2008년 07월)
     1. 철근 및 기타 매설물에 의하여 침하가 국부적으로 방해를 받는 방법
     2. 바람이나 높은 기온으로 인하여 블리딩 발생량보다 표면수의 증발이 빠른 경우
     3. 굳지 않은 콘크리트 상태에서 하중을 가한 경우
     4. 외부의 구속조건이 큰 경우

     정답 : []
     정답률 : 73%

23. 콘크리트의 쪼갬인장강도 시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ø150×300mm인 원주형 공시체를 사용하고, 파괴 하중이 160kN이었다.)(2017년 05월)
     1. 공시체를 제작할 때 다짐봉에 의한 다짐횟수는 각 층당 18회 정도로 한다.
     2. 공시체를 제작할 때 몰드를 떼는 시기는 콘크리트 채우기가 끝나고 나서 16시간 이상 3일 이내로 한다.
     3. 공시체에 하중을 가하는 속도는 인장 응력도의 증가율이 매초 (0.6±0.4)MPa이 되도록 한다.
     4. 이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는 2.26MPa이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압축강도 - 매초 (0.6±0.4)MPa 증가
쪼갬인장강도 및 휨강도 - 매초 (0.06±0.04)MPa
[해설작성자 : 삶]

24. 알칼리-골재반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7월)
     1. 알칼리-실리카반응을 일으키기 쉬운 광물은 오팔, 트리디마이트, 옥수 등이다.
     2. 반응성 골재를 사용할 경우 전 알칼리량 0.6% 이하인 저알칼리형 시멘트를 사용한다.
     3. 플라이애시, 고로슬래그 미분말 등은 실리카질이 많기 때문에 알칼리 골재 반응을 촉진한다.
     4. 골재의 알칼리 잠재반응 시험은 모르타르 봉 방법으로 평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49%

25. 아래 표와 같은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주문 규격에서 호칭강도는 얼마인가?(2018년 08월)

    

     1. 25MPa
     2. 21MPa
     3. 120MPa
     4. 180MPa

     정답 : []
     정답률 : 86%

26. 콘크리트의 탄산화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5월)
     1. 탄산화는 콘크리트의 내부에서부터 외부를 향해 진행된다.
     2. 경화한 콘크리트가 공기중의 이산화탄소와 접촉하여 수산화칼슘이 탄산칼슘으로 변화하는 현상이다.
     3. 탄산화에 의해 물리적 열화가 생기는 것은 콘크리트 내부 철근의 녹슬음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4. 콘크리트의 탄산화깊이 및 탄산화속도는 구조물의 건전도 및 잔여수명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판단요소가 된다.

     정답 : []
     정답률 : 68%

27. 다음은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슬럼프 및 슬럼프플로 허용오차 범위를 나타낸 것이다. 잘못된 것은?(2009년 07월)
     1. 슬럼프 25mm : ± 10mm
     2. 슬럼프 80mm 이상 : ± 20mm
     3. 슬럼프 플로 500mm : ± 75mm
     4. 슬럼프 플로 600mm : ± 100mm

     정답 : []
     정답률 : 67%

28. 레디믹스트 콘크리트(KS F 4009)에서 규정하고 있는 각 재료의 계량시 허용오차 범위의 크기 비교가 올바른 것은?(2021년 03월)
     1. 물 = 혼화제 < 골재
     2. 물 < 시멘트 < 혼화제
     3. 시멘트 < 골재 = 혼화재
     4. 시멘트 < 혼화재 < 혼화제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1회계량분 허용오차]
물         -2%, +1%
시멘트 -1%, +2%
혼화재 ±2
골재, 혼화제     ±3%
[해설작성자 : 별찬]

29.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제조설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8월)
     1. 골재 저장 설비는 콘크리트 최대 출하량의 1일분 이상에 상당하는 골재량을 저장할 수 있는 크기로 한다.
     2. 계량기는 서로 배합이 다른 콘크리트의 각 재료를 연속적으로 계량할 수 있어야 한다.
     3. 믹서는 이동식 믹서로 하여야 하며, 각 재료를 충분히 혼합시켜 균일한 상태로 배출할 수 있어야 한다.
     4. 콘크리트 운반차는 트럭믹서나 트럭 에지테이터를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믹서는 '고정식' 믹서로 하여야 하며, 각재료를 충분히 혼합시켜 균일한 상태로 배출할 수 있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웅]

30.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08월)
     1. 다짐봉은 지름 16mm, 길이 500~600mm의 강 또는 금속제 원형봉으로 그 앞 끝을 반구 모양으로 한다.
     2. 슬럼프 콘에 시료를 채울 때 시료는 거의 같은 양의 3층으로 나눠서 채운다.
     3. 시료의 각 층은 다짐봉으로 25회씩 똑같이 다지며, 이 비율로 다져서 재료의 분리를 일으킬 경우에는 슬럼프 시험을 적용할 수 없다.
     4. 슬럼프 콘에 콘크리트를 채우기 시작하고 나서 슬럼프 콘의 들어 올리기를 종료할 때까지의 시간은 3분 이내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55%

31. 길이 300mm, 지름 20mm인 강봉을 길이방향으로 인장하였다. 인장력이 400kN 작용할 때 강봉의 크기는 길이 309mm, 지름 19.8mm이었다면, 이 강봉의 포아송수는?(2020년 09월)
     1. 0.2
     2. 0.3
     3. 3
     4. 5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푸아송수 = 세로변형률 / 가로변형률
m= (9/300) / (0.2/20) = 3
길이=> 309mm - 300mm = 9
지름=> 20mm - 19.8mm = 0.2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2. 콘크리트의 그리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8월)
     1. 재하기간 중의 대기의 습도가 낮을수록 그리프가 크다.
     2. 조강 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보통 시멘트를 사용한 경우보다 크리프가 크다.
     3. 시멘트량이 많을수록 크리프가 크다.
     4. 부재치수가 작을수록 크리프가 크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조강 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보통 시멘트를
사용한 시멘트를 사용한 경우보다
초기강도가 좋아
역할적으로 우수하고
Creep가 작다.
[해설작성자 : 동민 파파^^*]

33. 1일 콘크리트 사용량이 약 200m3인 경우 필요한 믹서의 용량은? (단, 1일 작업시간은 8시간, 1회 비벼내기 시간 2분, 작업효율 E=0.8이다.)(2011년 03월)
     1. 0.55m3
     2. 1.05m3
     3. 1.55m3
     4. 2.05m3

     정답 : []
     정답률 : 54%

34.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 및 반죽질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8년 04월)
     1. 골재-둥근 모양의 골재는 모가 난 골재보다 워커빌리티를 좋게 한다.
     2. 시멘트 - 일반적으로 단위 시멘트량이 많을수록 콘크리트는 워커블해진다.
     3. 온도 - 일반적으로 온도가 높을수록 슬럼프는 작아진다.
     4. 혼화제 - AE제, 감수제 등의 혼화재료는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74%

35. 다음 중 콘크리트의 공기량 측정법으로 사용되지 않는 방법은?(2006년 08월)
     1. 수주 압력법
     2. 초음파법
     3. 공기실 압력법
     4. 질량법

     정답 : []
     정답률 : 76%

36. 콘크리트의 단위잔골재량 및 단위굵은골재량이 각각 500kg/m3이며, 잔골재의 밀도가 2.5g/cm3, 굵은골재의 밀도가 2.7g/cm3일 때 잔골재율은 얼마인가?(2005년 08월)
     1. 50%
     2. 35%
     3. 33%
     4. 31%

     정답 : []
     정답률 : 38%

37.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 측정방법이 아닌 것은?(2009년 03월)
     1. 길모어침시험
     2. 슬럼프시험
     3. 구관입시험
     4. 비비시험

     정답 : []
     정답률 : 58%

38. 콘크리트의 강도를 평가하기 위한 비파괴시험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2017년 03월)
     1. 반발경도법
     2. 초음파속도법
     3. X-ray 회절 분석법
     4. 인발법(Pull-out Test)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1. 슈미트 해머 ( 타격법, 반발 경도법)
2. 방사선법
3. 초음파법(음속법)
4. 진동법
5. 인발법
6. 철근 탐사법
엑스레이는 관계없다.
[해설작성자 : 콘기사 왜이리 해설이 없어]

39. 일반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재료의 계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5월)
     1. 사용재료는 시방배합에 의해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2. 골재가 건조되어 있을 때의 유효 흡수율 값은 골재를 적절한 시간 동안 흡수시켜서 구하여야 한다.
     3. 혼화제를 녹이는 데 사용하는 물이나 혼화제를 묽게 하는 데 사용하는 물은 단위수량의 일부로 보아야 한다.
     4. 각 재료는 1배치씩 질량으로 계량하여야 한다. 다만, 물과 혼화제 용액은 용적으로 계량해도 좋다.

     정답 : []
     정답률 : 73%

40.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결과가 다음 표와 같다. 이 콘크리트의 강도에 대한 변동계수는? (단, 표준편차 계산은 불편분산에 의한다.)(2016년 03월)

    

     1. 4.8%
     2. 7.3%
     3. 24.0%
     4. 36.5%

     정답 : []
     정답률 : 62%

3과목 : 콘크리트의 시공


41. 고강도 콘크리트의ㅣ 배합 및 비비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3월)
     1. 비비기 시간은 시험에 의해서 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믹서에 재료를 투입할 때 고성능 감수제는 혼합수와 동시에 투여해야 한다.
     3. 단위 시멘트량은 소요의 워커빌리티 및 강도를 얻을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한 적게 되도록 시험에 의해 정하여야 한다.
     4. 기상의 변화가 심하거나 동결융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공기연행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유동화제를 용해한 물에 시멘트를 투입하거나, 현장에서 타설 직전에 첨가한다.
[해설작성자 : june]

42. 수중 콘크리트의 타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수중 불분리성 콘크리트의 펌프시공 시 압송압력은 보통 콘크리트의 2~3배, 타설 속도는 1/2~1/3 정도이다.
     2. 수중 불분리성 콘크리트의 타설은 유속이 50mm/s 정도 이하의 정수 중에서 수중 낙하 높이 0.5m 이하여야 한다.
     3. 일반 수중 콘크리트의 트레미에 의한 타설시 트레미의 안지름은 수심 5m 이상의 경우 300~500mm 정도가 좋다.
     4. 일반 수중 콘크리트의 타설에서 트레미 1개로 타설할 수 잇는 면적은 지나치게 크지 않도록 해야 하며, 50m2정도가 좋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4번 30m2
[해설작성자 : ㅇㅊ]

43. 고강도 콘크리트 제조방법으로 틀린 것은?(2014년 08월)
     1. 물-시멘트비를 감소시킨다
     2. 실리카퓸 등과 같은 미분말 혼화재료를 사용한다.
     3. 굵은골재 최대치수를 증가 시킨다.
     4. 철저히 습윤양생을 하여야 하며, 부득이한 경우 현장 봉함양생 등을 실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44. 매스콘크리트의 온도균열 방지 및 제어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팽창콘크리트의 사용에 의한 균열방지방법을 실시한다.
     2. 외부구속을 많이 받는 벽체 구조물의 경우에는 수축이음을 설치한다.
     3. 프리쿨링(Pre-cooling)과 파이프 쿨링(pipe cooling)을 한다.
     4. 프리웨팅(pre-wetting)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45. 콘크리트 공장제품의 경화를 촉진하기 위해 실시하는 촉진양생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9년 08월)
     1. 습윤양생
     2. 증기양생
     3. 적외선양생
     4. 오토클레이브 양생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경화촉진양생방법
-증기 양생 : 저압증기양생, 고압증기양생, 고온증기양생
-오토클레이브 양생
-전기 양생
-온수 양생
-적외선 양생
-고주파 양생
-등등

습윤양생 : 현장에서 사용

46. 한중 콘크리트의 시공에서 주의할 사항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2020년 09월)
     1. 한중 콘크리트에는 AE제, AE감수제 및 고성능 AE감수제의 적용을 삼가야 한다.
     2. 가열한 배합재료의 투입순서는 가열한 물과 굵은 골재를 넣은 후 시멘트를 넣는 것이 좋다.
     3. 응결 경화의 초기에 동결되지 않도록 주의하며 양생종료 후 동결융해작용에 대하여 저항성을 가져야 한다.
     4. 재료를 가열할 경우, 물 또는 골재를 가열하는 것으로 하며, 시멘트는 어떠한 경우라도 직접 가열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한중콘크리트는 공기연행제(AE제 또는 AE감수제)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별찬]

47. 한중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5월)
     1. 비빔온도를 높게 하기 위해서는 시멘트, 물 또는 골재를 40℃ 이상의 범위에서 가열하는 것이 좋다.
     2. 통상의 적산온도방식을 적용하면, 5℃에서 28일간 양생한 콘크리트의 강도는 10℃에서 14일간 양생한 경우와 거의 같다.
     3. 보통의 노출상태의 경우,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5MPa 이상에 도달한다면 초기양생을 종료해도 좋다.
     4. 초기동해를 방지하기 위해서 콘크리트에 플라이애시를 혼입하여 초기 강도를 증진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48%

48. 매스콘크리트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5년 08월)
     1. 매스콘크리트로 다루어야 하는 구조물의 부재치수는 일반적인 표준으로서 넓이가 넓은 평판구조에서는 두께 0.8m 이상으로 한다.
     2. 매스콘크리트의 온도상승 저감을 위해서는 단위시멘트량을 줄이는 것보다 단위수량을 줄이는 편이 바람직하다.
     3. 온도균열방지 및 제어방법으로 프리쿨링 및 파이프쿨링 방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4. 균열유발 줄눈의 간격은 대략 콘크리트 1회 치기 높이의 1~2배 정도, 또는 4~5m 정도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좋다.

     정답 : []
     정답률 : 59%

49. 한중 콘크리트를 비볐을 때 콘크리트의 온도가 20℃, 주위의 기온이 4℃, 비빈후부터 타설이 끝났을 때까지의 시간이 1.5시간일 경우 타설이 완료된 후 콘크리트의 온도는?(2019년 08월)
     1. 11.3℃
     2. 13.4℃
     3. 15.3℃
     4. 16.4℃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콘크리트 양생온도 = 비빔온도 - 0.15*(비빔온도-기온)*경과시간
                                    = 20 - 0.15(20-4)*1.5
                                    =16.4

50. 이미 경화한 매시브한 콘크리트 위에 슬래브를 타설할 때 부재평균 최고온도와 외기온도와의 균형시의 온도차가 12.8℃발생하였을 때 아래의 표를 이용하여 온도균열 발생확률을 구하면? (단, 간이법 적용)(2012년 08월)

    

     1. 약 5%
     2. 약 15%
     3. 약 30%
     4. 약 50%

     정답 : []
     정답률 : 67%

51. 팽창 콘크리트에 대한 재료의 취급과 저장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2020년 08월)
     1. 포대 팽창재는 12포대 이하로 쌓아야 한다.
     2. 포대 팽창재는 지상 3m 이상의 마루 위에 쌓아 운반이나 검사에 편리하도록 배치하여 저장하여야 한다.
     3. 3개월 이상 장기간 저장된 팽창재는 저장기간이 길어진 경우에는 시험을 실시하여 소요의 품질을 갖고 있는지를 확인한 후에 사용하여야 한다.
     4. 벌크 상태의 팽창재 및 팽창재와 시멘트를 미리 혼합한 것은 양호한 밀폐상태에 있는 사이로 등에 저장하여 다른 재료와 혼합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지상 0.3 m 이상의 마루 위에 쌓아야함
[해설작성자 : 몽키몽키매직]

52. 고강도 콘크리트용 골재의 품질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8월)
     1. 굵은 골재의 절건 밀도 : 0.0025g/㎣
     2. 잔골재 흡수율 : 3.0% 이하
     3. 굵은 골재 실적률 : 65% 이상
     4. 잔골재 염화물 이온량 : 0.02% 이하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굵은 골재 실적률은 59% 이상이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GreenPing]

53. 유동화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08월)
     1. 슬럼프 및 공기량 시험은 150m3 마다 1회씩 실시한다.
     2. 유동화 후에 재료분리, 공기량의 변동 등이 발생할 경우가 있다.
     3. 유동화 콘크리트의 슬럼프 증가량은 100mm 이하를 원칙으로 한다.
     4. 유동화 콘크리트의 재유동화는 원칙적으로 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2. 150 -->> 50 으로 하면 맞음..
[해설작성자 : 111]

54. 한중콘크리트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8월)
     1. 하루의 평균기온이 4℃ 이하가 예상되는 조건일 때는 한중콘크리트 시공하여야 한다.
     2. 한중콘크리트에는 AE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 물-결합재비는 원칙적으로 50% 이하로 하여야 한다.
     4. 재료를 가열할 경우, 물 또는 골재를 가열하는 것으로 하며, 시멘트 어떠한 경우라도 직접 가열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물-결합재비는 60%이하로 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윤페이스]

55. 거푸집판에 접하지 않은 면의 표면마무리 시공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8년 03월)
     1. 다지기를 끝내고 거의 소정의 높이와 형상으로 된 콘크리트의 윗면은 스며올라온 물이 없어진 후나 물을 처리한 후가 아니면 마무리해서는 안된다.
     2. 마무리에는 나무흙손이나 적절한 마무리기계를 사용하여야 하고, 마무리 작업은 과도하게 되지 않도록 한다.
     3. 매끄럽고 치밀한 표면이 필요할 때는 작업을 되도록 빠른 시기에 나무흙손으로 가볍게 콘크리트 윗면을 마무리하여야 한다.
     4. 마무리 작업 후 콘크리트가 굳기 시작할 때까지의 사이에 일어나는 균열은 다짐 또는 재마무리에 의해서 제거하여야 한다. 필요에 따라 재진동을 해도 좋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매끄럽고 치밀한 표면이 필요할 떄는 작업이 가능한 범위에서 될 수 있는대로 늦은 시기에 쇠손으로 강하게 힘을 주어 콘크리트 윗면을 마무리 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june]

56. 콘크리트의 양생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3월)
     1. 시멘트의 수화반응은 양생온도에 크게 좌우되지 않는다.
     2. 초기재령에서의 급격한 건조는 강도발현을 지연시킬 뿐만 아니라 표면균열의 원인이 된다.
     3. 고로 슬래그 미분말을 50% 정도 치환하면 보통 콘크리트에 비해서 습윤양생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4. 콘크리트 표면이 건조함에 따라 수밀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수밀 콘크리트는 가능한 한 빨리 건조될 수 있도록 습윤양생 기간을 일반보다 짧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57%

57. 서중콘크리트의 시공은 일평균 기온이 몇 ℃를 초과하는 것이 예상되는 경우에 실시하는가?(2013년 03월)
     1. 15℃
     2. 20℃
     3. 25℃
     4. 30℃

     정답 : []
     정답률 : 75%

58. 매스콘크리트의 균열유발줄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6년 08월)
     1. 균열유발줄눈에 따른 단면감소율은 5~10%가 적당하다.
     2. 균열유발줄눈의 간격은 4~5m를 기준으로 한다.
     3. 균열유발줄눈의 간격은 대략 콘크리트 1회치기 높이의 1~2배 정도가 바람직하다.
     4. 균열유발줄눈을 설치할 경우 비교적 쉽게 매스콘크리트의 균열제어를 할 수 있으나, 구조상의 위약부가 될 우려가 있으므로 구조형식 및 위치 등을 잘 선정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균열유발줄눈에 따른 단면감소율은 35%이상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9. 매스 콘크리트를 시공할 때에 콘크리트의 반응온도 상승을 적게 하는 동시에 균등한 온도분포를 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2020년 09월)
     1. 콘크리트의 혼합수에 얼음을 넣거나, 골재를 냉각시킨다.
     2. 매스 콘크리트는 1회에 타설할 구획과 타설높이를 결정한다.
     3. 매스 콘크리트의 양생방법은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있는 주변기온을 급냉시킨다.
     4. 매스 콘크리트의 타설작업을 장시간 계속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응결지연제를 사용하는 것도 좋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매스콘크리트는 관로냉각(콘크리트내부), 선행냉각(물,골재)등으로 반응온도 상승을 적게하는 방법을 쓴다.
* 타설 주변기온을 급냉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별찬]

60. 콘크리트 표준시방서에서 규정하고 있는 철근이 배치된 일반적인 매스콘크리트 구조물에서 표준적인 온도균열지수 값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2014년 05월)
     1. 균열 발생을 방지해야 할 경우에는 온도균열지수가 1.5이상 이어야 한다.
     2. 균열 발생을 제한해야 할 경우에는 온도균열지수가 1.2이상 이어야 한다.
     3. 유해한 균열 발생을 제한할 경우에는 온도균열지수가 0.5 이상 1.0 미만이어야 한다.
     4. 균열 발생을 제한해야 할 경우에는 온도균열지수가 1.0 이상 1.2 미만이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2%

61. 그림과 같은 T형단면에 3-D35(As=2870mm2)의 철근이 배근되었을 때 압축연단에서 중립축 까지의 거리(c)는? (단, fck=30MPam, fy=400MPa이다.)(2008년 07월)

    

     1. 64.3mm
     2. 73.6mm
     3. 76.9mm
     4. 80.9mm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KDS14 개정 미반영됨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3번이네요.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62. 아래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 단면의 보에서 휨에 대한 강도감소계수(ø)를 구하면? (단, fck=28MPa, fy350MPa, As=3000mm2이고, 변형률(ε)은 소수점이하 6째자리에서 반올림하시오.)(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8년 08월)

    

     1. 0.808
     2. 0.823
     3. 0.835
     4. 0.85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fy는 500MPa 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Fy=500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문제집마다 기출문제 답에다 수식을 끼워 맞추고 있는 것 같은데, Et가 0.005 보다 크면 인장지배이므로 0.85 가 정답인 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3. 4변에 의해 지지되는 2방향 슬래브 중 1방향 슬래브로서 해석할 수 있는 경우는? (단, L : 슬래브의 장경간, S : 슬래브의 단경간)(2014년 08월)
     1. L/S이 2보다 클 때
     2. L/S이 1일 때
     3. S/L가 2보다 클 때
     4. S/L가 1보다 작을 때

     정답 : []
     정답률 : 69%

64.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화학적 부식에 대한 설명 중 바르지 않은 것은?(2014년 05월)
     1. 일반적으로 산은 다소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시멘트 수화물 및 수산화칼슘을 분해하여 침식한다. 침식의 정도는 유기산이 무기산보다 심하다.
     2. 콘크리트는 그 자체가 강알칼리이며, 알칼리에 대한 저항력은 상당히 크다. 그러나, 매우 높은 농도의 NaOH에는 침식된다.
     3. 염류에 의한 화학적부식의 대표적인 것은 황산염에 의한 화학적부식이다. 황산염에 의한 시멘트 콘크리트의 열화기구는 일반적인 황산염, 황산마그네슘 및 해수에 의한 작용으로 분류할 수 있다.
     4. 콘크리트가 외부로부터의 화학작용을 받아 그 결과 시멘트 경화체를 구성하는 수화생성물이 변질 또는 분해하여 결합 능력을 잃는 열화현상을 총칭하여 화학적 부식이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콘크리트의 침식작용은 농도가 일정한 경우에는 무기산은 유기산보다 심하다.
[해설작성자 : 멘붕덕이]

65. 그림과 같은 단면을 가진 PSC보가 L=15m, 자중을 포함한 계수하중 32.5kN/m가 작용할 때 경간 중앙단면의 상연응력은 약 얼마인가? (단, 프리스트레스 힘 P=3200kN, 편심량 ep=0.2m이다.)(2020년 06월)

    

     1. 9MPa
     2. 13MPa
     3. 17MPa
     4. 23MPa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상연응력 f =        P             p.e                M
                             ---    -    -----y     + ---y
                                A                i                 i

i = bh^3/12

M = wl^2/8
[해설작성자 : june]

윗분이 적은 식으로 답 구하면 됨 kN=1000N
P=3200kN=3200000N
A=1000*500=500000mm2
e=200mm
M=[w(l^2)]/8=(32.5*(15^2))/8=914.0625kN·m=914.0625*(10^6)N·mm
I=[b(h^3)]/12=(1000*(500^3))/12=10416666667=mm^4
y=h/2=250
① P/A=(3200*10^3)/500000=6.4N/mm2=6.4MPa
② [(P*e)/I]*y=[(3200000*200)/10416666667]*250=15.36N/mm2=15.36MPa
③ (M/I)y=(914062500/10416666667)*250=21.9375N/mm2=21.9375MPa
①-②+③=6.4-15.36+21.9375=12.9775MPa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6. 아래 그림과 같은 단철근 직사각형 보 단면의 균형 철근량(As)은? (단, fck=30MPa, fu=300MPa)(2021년 개정된 규정 적용됨)(2017년 03월)

    

     1. 8347mm2
     2. 9710mm2
     3. 10098mm2
     4. 10404mm2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ρb = 0.85 x β1 x (fck/fy) x (600/600+fy)         <- 21년 개정 전이기 때문에 600 사용 개정 후는 (660/660+fy) 사용
        = 0.85 x 0.836 x (30/300) x (600/(600+300)) = 0.04737333
※ fck > 28 β1 = 0.85-0.007x(fck-28) =0.85-0.007x(30-28) =0.836
As = ρb x b x d
     = 0.04737333 x 400 x 540 = 10232.639 약10233mm2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개정 후 문제 풀이
ρb = 0.85 x β1 x (fck/fy) x (660/660+fy)
        = 0.85 x 0.8 x (30/300) x (660/(660+300)) = 0.04675
※fck≤40 일때 β=0.8
As = ρb x b x d = 0.04675*400*540=10098mm2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7. 폭=300mm, 유효깊이 500mm, As=1700mm2, fck=60MPa, fy=350MPa인 단철근 직사각형 보가 있다. 강도설계법으로 설계할 때 압축연단에서 중립축까지의 거리(c)는?(2011년 08월)
     1. 38.9mm
     2. 40.2mm
     3. 59.8mm
     4. 61.7mm

     정답 : []
     정답률 : 50%

68. 연속섬유 시트접착공법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8월)
     1. 내식성이 우수하고, 염해지역의 콘크리트구조물 보강에도 적용할 수 있다.
     2. 다른 보강공법과 비교하여 단면강성의 증가가 크다.
     3. 일정한 격자모양으로 부착함으로써 발생된 균열의 진전상태 관찰이 가능하다.
     4. 작업공간이 한정된 장소에서는 작업이 편리하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연속섬유 시트접착공법은 단면강서의 증가가 적다
[해설작성자 : ㅂㅊ]

69. 다음 중 아래의 표에서 설명하는 최소 전단철근 규정에 제외되는 경우가 아닌 것은?(2018년 08월)

    

     1. 슬래브
     2. 기초판
     3. 전체 깊이가 250mm를 초과하는 보
     4. 교대 벽체 및 날개벽과 같이 휨이 주거동인 판부재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최소 전단철근 규정에 제외되는 경우
슬래브, 기초판
전체 깊이가 250mm 이하이거나 T형보
T형보에서 깇이가 플랜지 두께의 2.5배 또는 복부판의 1/2중에 큰 값
교대 벽체 및 날개벽과 같이 휨이 주 거동인 판부재
[해설작성자 : june]

70.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다짐하여 마감작업을 한 이후에도 콘크리트는 계속하여 압밀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현장을 발생하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균열을 침하균열이라 한다. 이러한 침하균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3월)
     1. 콘크리트 피복두께가 클수록 침하균열은 증가한다.
     2. 슬럼프가 클수록 침하균열은 증가한다.
     3. 배근한 철근의 직경이 클수록 침하균열은 증가한다.
     4. 누수되는 거푸집을 사용한 경우 침하균열은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발생원인
1. 철근의 직경이 클수록
2. 슬럼프가 클수록
3. 거푸집이 수밀하지 않을 수록
4. 피복두께가 적을수록
5. 다짐이 불충분할수록
6. 물시멘트비가 높을수록
7. 누구되는 거푸집사용
[해설작성자 : 콘기사 왜이리 해설이 없어]

71. 염해에 대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평가를 위한 염소이온 농도를 구하는 아래식에 포함된 X, Y, Z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C(x, t) : 깊이 x, 시간 t에서 염화물이온 농도의 설계값, erf : 오차함수)(2020년 08월)

    

     1. 해중(海中)이 비말대(splash belt)보다 X가 더 크다.
     2. 콘크리트의 물-결합재비(W/B)가 작게 되면 Z가 작게 된다.
     3. 콘크리트 제조시에 제염처리가 되지 않은 바다모래를 사용하면 Y가 크게 된다.
     4.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보다 고로 슬래그 시멘트를 사용한 경우가 Z가 작게 된다.

     정답 : []
     정답률 : 47%

72. 단부에 표준갈고리가 있는 도막되지 않은 인장 이형철근 D25(공칭지름 25.4mm)를 정착시키는 데 필요한 기본정착길이(lhb)는? (단, 보통중량콘크리트이고, fck=24MPa, fy=400MPa이며, 보정계수는 고려하지 않는다.)(2019년 04월)
     1. 498mm
     2. 519mm
     3. 584mm
     4. 647mm

     정답 : []
     정답률 : 38%

73. 다음 중 구조물의 사용성 평가 조사항목과 방법을 잘못 설명한 것은?(2015년 05월)
     1. 잔류처짐, 최대처짐 – 재하시험에 의해 최대처짐과 재하 후의 잔류처짐을 측정
     2. 균열길이 – 스케일, 화상처리
     3. 균열깊이 – 초음파법, 코어채취
     4. 내수성 – 스케일, 탄성파 반사파법, 탄성파 공진법

     정답 : []
     정답률 : 66%

74. 폭 300mm, 인장철근까지의 유효깊이 550mm, 압축철근까지의 50mm, 인장철근량 5000mm2, 압축철근량 2000mm2의 복철근 직사각형 단면이 연성파괴를 한다면 설계휨강도(Md)는? (단, fck=20MPa, fy=300MPa)(2019년 08월)
     1. 516kNㆍm
     2. 548kNㆍm
     3. 576kNㆍm
     4. 608kNㆍm

     정답 : []
     정답률 : 26%
     <문제 해설>
a=[(As-As')fy]/(0.85*fck*b)= [(5000-2000)*300]/(0.85*20*300) =176.47mm
설계 휨강도
ΦMn=Φ[(As-As')fy(d-(a/2))+As'fy(d-d')]=0.85*[(5000-2000)*300*(550-(176.47/2))+2000*300*(550-50)]=608.25kN·m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5. 1방향 슬래브의 구조상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8월)
     1. 1방향 슬래브의 두께는 최소 100m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2. 슬래브의 정모멘트 철근 및 부모멘트 철근의 중심간격은 위험단면에서는 슬래브 두께의 2배 이하이어야 하고, 또한 300mm이하로 하여야 한다.
     3. 1방향 슬래브에서는 정모멘트 철근 및 부모멘트 철근에 직각방향으로 수축ㆍ온도 철근을 배치하여야 한다.
     4. 슬래브의 단변방향 보의 상부에 부모멘트로 인해 발생하는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슬래브의 단변방향으로 슬래브 상부에 철근을 배치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슬래브의 ★ 장변방향 ★ 으로 슬래브 상부에 철근 배치
[해설작성자 : 삶]

76. 아래의 표에서 설명하는 비파괴시험방법은?(2011년 08월)

    

     1. RC-Radar Test
     2. BS Test
     3. Tc-To Test
     4. Pull-out Test

     정답 : []
     정답률 : 69%

77. 재령 28일이 경과한 굳은 콘크리트의 수용성 염화물 이온량은 규정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이때 부재의 종류에 따른 굳은 콘크리트의 최대 수용성 염소이온 비율로 옳은 것은? (단, 시멘트 질량에 대한 비율)(2016년 03월)
     1.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 0.5%
     2. 염화물에 노출된 철근 콘크리트 : 0.15%
     3. 건조한 상태이거나 습기로부터 차단된 철근 콘크리트 : 0.5%
     4. 1, 2, 3 외의 철근 콘크리트 : 0.8%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1.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 0.06%
3. 건조한 상태이거나 습기로부터 차단된 철근콘크리트 ; 1%
4. 1,2,3외 철근 콘크리트 : 0.3%
[해설작성자 : rd]

78. 보강공법 중에서 연속 섬유 시트 접착공법의 특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3월)
     1. 단면강성의 증가가 크다.
     2. 보강효과로서 균열의 구속효과와 내하성능의 향상효과가 기대된다.
     3. 내식성이 우수하고, 염해지역의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에 적용할 수 있다.
     4. 섬유시트는 현장성형이 용이하기 때문에 작업공간이 한정된 장소에서는 작업이 편리하다.

     정답 : []
     정답률 : 58%

79. 콘크리트 구조물의 재하시험은 하중을 받는 부재의 재령이 최소한 며칠이 지난 다음에 재하시험을 수행하여야 하는가?(2020년 09월)
     1. 14일
     2. 28일
     3. 56일
     4. 84일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이유
- 콘크리트는 일반적으로 28일 재령에서 설계강도의 약 100%에 도달하므로, 이 시점 이후에 재하시험을 해야 정확한 구조 성능 평가가 가능합니다.
- 28일 이전에는 강도가 충분히 발현되지 않아 시험 결과가 신뢰성을 잃을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라면]

80. 다음 중 콘크리트의 중성화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열화는?(2016년 03월)
     1. 철근의 부식
     2. 건조수축
     3. 크리프 변형
     4. 레이턴스

     정답 : []
     정답률 : 72%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콘크리트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6706104)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0 수능(국어영역)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7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0 4
189 <h2>피부미용기능사 필기 시험문제 및 CBT 2010년10월0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188 사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4월04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0 4
187 이용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3149740) 좋은아빠되기 2025.11.20 3
186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전자공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6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0 3
185 항공무선통신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10월0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0 4
184 자동차정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3월0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0 3
183 유기농업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7월12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0 3
182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한국사(유공자)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6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0 3
181 가스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10월02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0 4
180 전파전자통신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3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0 5
179 에너지관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3월0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178 9급 지방직 공무원 지역사회간호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951706) 좋은아빠되기 2025.11.20 3
177 ERP 회계 2급 실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7월2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0 5
176 9급 지방직 공무원 기계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6월2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0 3
» 콘크리트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6706104) 좋은아빠되기 2025.11.20 2
174 방사선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9월1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0 3
173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사회복지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5470871) 좋은아빠되기 2025.11.20 2
172 직업상담사 1급(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8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0 3
171 전산회계운용사 3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3669170)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Board Pagination Prev 1 ...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 296 Next
/ 2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