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전산회계운용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3434540)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전산회계운용사 2급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재무회계


1. 다음 중 재무제표가 정보이용자에게 경제적 의사결정을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갖추어야할 질적 특성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5년 05월)
     1. 비교가능성
     2. 정당성
     3. 목적적합성
     4. 이해가능성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재무제표의 질적 특성에는 비교가능성, 목적적합성, 이해가능성, 신뢰성이 있다.
[해설작성자 : 기출달달암기하기]

2. 결산일이 되어 당좌예금 실사 중에 은행의 당좌예금증명서를 받은 결과, 회사측 당좌예금출납장 잔액은 ₩75,050이고 은행측 당좌예금원장 잔액은 ₩79,510이다. 차액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정확한 당좌예금 잔액은 얼마인가?(2020년 02월)

   

     1. ₩76,910
     2. ₩76,950
     3. ₩77,610
     4. ₩78,000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은행측 당좌예금 원장을 기준으로 잡는다
가, 바 - 은행 당좌예금 원장에 계상되지 못한 것
79,510-10,300(결제되지 않았으므로 결제를 해준다고 생각)+7,700(당좌예입한 금액 마감처리)
=76,910
[해설작성자 : 오늘시험,,금금금]

3. 다음 중 포괄손익계산서의 기타포괄손익의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0년 05월)
     1. 재평가이익
     2.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익
     3. 해외사업장의 재무제표 환산으로 인한 손익
     4. 투자부동산평가손익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1. 재평가이익 → 재평가잉여금(기타포괄손익)
3. 해외사업장의 재무제표 환산으로 인한 손익 → 해외사업환산손익(기타포괄손익)

<해외사업환산손익>
자산과 부채의 항목은 모회사의 재무상태표일 현재의 환율, 자본은 매수 당시의 환율,
종속기업을 매수한 뒤 증가한 이익잉여금 이외의 자본은 거래발생 당시의 환율,
손익 항목은 거래 발생 당시의 환율이나 당해 회계기간의 평균환율을 적용한다.
따라서 원화로 환산한 재무제표는 자산-부채=자본이 일치하지 않으므로 그 차이를 해외사업환산손익으로 환산함.
출처 : https://steemit.com/kr/@cpalee/1vyrs

4. 다음은 포괄손익계산서에 기입된 자료의 일부이다. 당기순이익을 추정한 금액으로 옳은 것은?(2017년 05월)

   

     1. ₩600,000
     2. ₩800,000
     3. ₩1,200,000
     4. ₩2,000,000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총포괄이익)=(당기순이익)+(기타포괄이익)이다.
이 때, 900,000=(당기순이익)+300,000 이므로
당기순이익은 600,000원이다.

5. 다음 중 자본변동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자본의 구성요소는 각 분류별 납입자본, 각 분류별 기타 포괄손익의 누계액과 이익잉여금의 누계액 등을 포함한다.
     2. 자본의 각 구성요소별로 장부금액의 각 변동액을 공시한 기초시점과 기말시점의 장부금액 조정내역을 표시한다.
     3. 자본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자본변동표에 기타포괄손익의 항목별 분석 내용을 표시하나, 주석에는 표시하지 않는다.
     4. 자본변동표란 납입자본, 기타자본구성요소, 이익잉여금의 각 항목별로 기초 잔액, 당기 변동사항, 기말 잔액을 일목요연하게 나타낸 재무보고서이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3번 마지막에 주석에는 표시하지 않는다에서 주석으로 표시해야된다 가 맞다. 그래서 옳지않는 답
[해설작성자 : 해설이 없어서 내가 씀]

6. 은행계정조정표는 회사잔액과 은행잔액이 불일치하는 경우 불일치한 원인을 조사하여 잔액을 일치시키는 표를 말한다. 다음의 원인으로 회사잔액과 은행잔액 간 불일치가 발생했다고 가정할 때, 회사측 장부를 조정(수정분개)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2020년 05월)
     1. 기발행 미인도당좌수표
     2. 기발행 미인출당좌수표
     3. 은행수수료 및 이자비용
     4. 회사미통지 추심어음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기발행미지급(미인출)수표는 지급하지 않았지만 지급한것으로 간주하고 은행 측 잔액을 차감해야 함
[해설작성자 : 쩝쩝]

1. 기발행 미인도당좌수표 - 회사잔액에 차감
2. 기발행 미인출당좌수표 - 은행잔액에 차감
3. 은행수수료 및 이자비용 - 회사잔액에 차감
4. 회사미통지 추심어음 - 회사잔액에 차감
[해설작성자 : 회계공부하새우]

7. ㈜대한은 20X1년초에 장기 임대수익을 얻을 목적으로 건물을 ₩200,000에 구입하였다. 20X1년 12월 31일과 20X2년 12월 31일 현재의 공정가치는 각각 ₩360,000과 ₩300,000이다. 동 건물에 대하여 공정가치모형을 적용할 경우 20X2년도 당기손익에 영향을 미치는 금액은 얼마인가? (단, 감가상각이 필요할 경우에는 건물의 내용연수 10년, 잔존가치는 없으며, 정액법으로 처리한다.)(2019년 05월)
     1. ₩120,000
     2. ₩100,000
     3. ₩80,000
     4. ₩60,000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공정가치 모형적용시 감가상각을 고려하지 않으므로
300,000-360,000= -60,000
[해설작성자 : Kenny Lee]

20X1년 초 투자부동산 200,000 | 현금 200,000
공정가치 360,0000 이므로
20X1년 말 투자부동산 160,000 | 투자부동산평가이익 160,000

공정가치 300,000 이므로
20X2년 말 부자부동산평가손실 60,000 | 투자부동산 60,000
부자부동산평가손실 60,000 손실 발생
[해설작성자 : 회계공부하새우]

8. 다음 중 투자부동산으로 분류하여야 하는 것은?(2015년 05월)
     1. 자가사용부동산
     2. 제품 생산에 사용하는 부동산
     3. 장기시세차익을 얻기 위하여 보유하는 부동산
     4. 정상적인 영업활동과정에서 판매를 목적으로 보유하는 부동산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1,2 유형자산
4 재고자산
[해설작성자 : 쩝쩝]

9. 투자부동산으로 회계 처리하는 경우로 옳은 것은?(2016년 05월)
     1. 자가 사용 부동산
     2. 제3자를 위하여 건설 중인 부동산
     3. 장기 시세차익을 얻기 위하여 보유하고 있는 토지
     4. 정상적인 영업과정에서 판매를 목적으로 보유 중인 부동산

     정답 : []
     정답률 : 87%

10. 20X1년초에 운용리스로 제공할 목적으로 건물을 취득하였다. 건물의 취득원가는 ₩10,000이며, 잔존가치는 ₩0, 내용연수는 10년으로 추정된다. 동 건물에 대하여 공정가치모형을 적용하기로 한다. 20X1년 말 현재 공정가치가 ₩11,000이라면, 20X1년도의 포괄손익계산서에 계상되는 동 건물에 대한 감가상각비와 투자부동산평가손익은 각각 얼마인가? (단, 법인세효과는 없다.)(2018년 02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공정가치 적용시 감가상각비는 없이 계상한다
따라서 감가상각비는 0원이고 투자부동산평가이익은 공정가치-취득원가(11000-10000=1000)이다.
[해설작성자 : 전산회계 운용사 붙으면 금반지]

11. 20X1년 1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100,000(부가가치세를 제외한 금액)의 매출과 ₩110,000(부가가치세를 제외한 금액)의 매입이 있었다. 매출과 매입이 모두 부가가치세 과세거래일 때, 20X1년 제1기분 부가가치세 확정신고 시 해야 할 분개는? (단, 예정신고는 없었으며, 부가가치세 신고 시 납부할 세액이 있으면 즉시 납부하고, 환급받을 세액이 있으면 신고 즉시 환급받는다고 가정한다.)(2018년 02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매출금액의10%=낼세금10,000=부가가치세예수금
매입액의10%=낸세금11,000=부가가치세대급금
낸세금이 더 크므로 차액만큼 환급받음=현금1,000(차변기입)

12. 다음은 자본을 분류한 것이다. (가)에 해당하는 계정으로 옳은 것은?(2016년 02월)

    

     1. 자기주식
     2. 보통주자본금
     3. 자기주식처분손실
     4. 매도가능증권평가이익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가)는 납입자본으로, 자본금(보통주, 우선주), 주식발행초과금 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똥고맘]

13. 취득원가 ₩500,000의 건물에 대하여 취득 후 다음과 같은 지출이 발생하였다. 건물의 장부금액과 수선비는 각각 얼마인가? (단, 주어진 자료만 활용한다.)(2016년 05월)

    

     1. 건물의 장부금액 : ₩220,000 수선비 : ₩19,000
     2. 건물의 장부금액 : ₩230,000 수선비 : ₩18,000
     3. 건물의 장부금액 : ₩720,000 수선비 : ₩19,000
     4. 건물의 장부금액 : ₩719,000 수선비 : ₩18,000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자본적지출 : 가+나+바=220,000
건물의 장부금액이므로 220,000 + (건물취득원가) 500,000 = 720,000

수익적지출 : 다+라+마=19,000
[해설작성자 : 자격증따기!]

14. 다음은 (주)상공기업의 토지 취득과 관련된 거래이다. 토지의 취득원가는 얼마인가?(2018년 09월)

    

     1. ₩10,000,000
     2. ₩10,500,000
     3. ₩10,700,000
     4. ₩11,200,000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토지 취득시 관련된 거래들에서 발생했으므로 10,000,000 + 500,000 + 700,000 = 11,200,000원임
(취득세와 중개수수료는 모두 토지 취득시 관련된 거래들임)
[해설작성자 : 파카]

15. 다음 중 유형자산의 취득원가에 포함되는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9월)
     1. 유형자산 구입시 중개인에게 지급한 중개수수료
     2. 유형자산의 취득과 직접 관련된 취득세, 등록세, 관세 등
     3. 유형자산의 설계와 관련하여 전문가에게 지급하는 수수료
     4. 유형자산의 효율적 운전을 유지하기 위해 발생한 수선유지비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4.    유형자산의 효율적 운전을 유지하기 위해 발생한 수선유지비 - [수선비]계정으로 처리
[해설작성자 : 파란나비]

16. 다음은 개인기업인 상공상점의 자본금 거래 내용이다. 기말 자본금으로 옳은 것은?(2016년 05월)

    

     1. ₩1,300,000
     2. ₩1,500,000
     3. ₩1,600,000
     4. ₩1,800,000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1/1 (대) 현금 1,000,000
3/10 (대) 현금 500,000
9/30 (차) 인출금 200,000
12/31 (대) 당기순이익 300,000
=> 자본금 계정 대변 잔액 1,600,000
[해설작성자 : 하]

17. 다음 자료를 이용하여 매출총이익을 계산하면 얼마인가?(2015년 02월)

    

     1. ₩700
     2. ₩800
     3. ₩900
     4. ₩1,000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 가(\3,000) - 마(\100) } - 다(\1,000) + { 나(\2,000) - 바(\200) } - 라(\800) = \900
[해설작성자 : 무와부]

( 가 3,000 - 마 100    - 다 1,000 ) - ( 나 2,000 - 바 200 - 라 800 ) = 90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매출총이익 = 매출액 - 매출원가
기초상품재고액(1000) + 당기매입액 = 매출원가 + 기말상품재고액(800)

매출액 = 가 - 마 = 2900
당기매입액 = 나 - 바 = 1800
매출원가 = 2000
매출총이익= 900
[해설작성자 : 아야핑]

18. 한국(주)는 20X4년에 일시적 여유자금을 이용하여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으로 분류되는 고려(주)가 발행한 주식 500주(취득원가 @₩100)를 구입하여 기중에 200주(처분금액 @₩120)를 처분하고 기말에 300주를 보유하고 있다. 기말 현재 고려(주) 주식의 공정가치는 @₩110이다. 20X4년 한국(주)의 재무상태표에 계상될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장부금액과 포괄손익계산서에 계상될 관련 손익의 증감금액은 얼마인가? (순서대로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당기순손익, 기타포괄손익)(2019년 09월)
     1. ₩30,000, ₩4,000, ₩3,000
     2. ₩30,000, ₩7,000, ₩0
     3. ₩33,000, ₩4,000, ₩3,000
     4. ₩33,000, ₩7,000, ₩0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단기매매증권
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매도가능증권
기말 현재 @\110의 단기매매증권 300주를 가지고 있으므로 총 \33,000
단기매매증권 처분 시 @\100짜리 단매증 200주를 @\120으로 처분했으므로, 단기매매증권처분이익 \4,000 증가
단기매매증권 기말 평가 시 남은 단기매매증권 300주가 @\110으로 올랐으므로 단기매매증권평가이익 \3,000 증가
단기매매증권처분이익과 평가이익 모두 당기순손익에 들어가므로 당기순이익 \7,000 증가
기타포괄손익은 발생하지 않았으므로 \0 (매도가능증권평가손익이 기타포관손익에 들어간다)
[해설작성자 : 합격하쟝ㅎㅎ]

19. 다음과 같이 (주)상공은 2017년 1월 1일에 사채를 발행하고 대금은 현금으로 받았다. 2017년 12월 31일 포괄손익계산서에 표시될 이자비용은 얼마인가? (단, 유효이자율법을 적용한다.)(2017년 02월)

    

     1. ₩76,000
     2. ₩80,000
     3. ₩95,000
     4. ₩100,000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유효이자율법=발행금액×유효이자율
[해설작성자 : 지현쨔응☆-☆]

20. 회사는 100명의 종업원에게 1년에 5일의 근무일수에 해당하는 유급휴가를 제공하고 있으며, 미사용유급휴가는 다음 1년 동안 이월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유급휴가의 사용에 관해서는 당기에 부여된 권리가 먼저 사용된 후에 전기에서 이월된 권리가 사용되는 것으로 본다. 과거의 경험에 비추어서 2018년 12월 31일 현재 추정한 결과 2019년도 중에 종업원 90명이 사용할 유급휴가일수는 5일 이하, 나머지 10명이 사용할 유급휴가일수는 평균 7일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회사의 2018년 말 유급휴가와 관련된 회계처리에서 부채로 인식할 금액은 얼마인가? (단, 유급휴가 1일당 지급할 급여는 ₩100,000이라고 가정한다.)(2018년 09월)
     1. ₩2,000,000
     2. ₩3,000,000
     3. ₩5,000,000
     4. ₩6,000,000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미지급비용 = 10명 * (7일 - 5일) * 100,000 = 2,000,000원
[해설작성자 : 파카]

문제에서 물어보는건 x8년도 유급휴가 비용이다. (당기껄 먼저 쓰고 전기꺼를 쓰라고 하는데 휴가가 5일이하니 전기랑 연관없다고 보면 된다)
90명은 x9년도 휴가를 쓸거니까 제외하고 10명만이 7일 휴가를 쓴다고 본다 문제에서 당기꺼를 먼저 쓰라고 하니 5일은 당기꺼를 쓴다고 보면
2일만 전기꺼를 쓴다고 볼수있다 10명*2일*100,000 = 2,000,000이라고 보면 된다.
[해설작성자 : 해설쓰면서 나도 외워야지]

21. 원가와 의사결정과의 관련성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8년 02월)
     1. 과거에 발생한 원가도 미래의 의사결정과정에 고려할 필요가 있다.
     2. 매몰원가는 과거의 의사결정으로 인하여 발생한 원가로서 대안 간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 원가를 말한다.
     3. 기회원가는 자원을 현재의 용도에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순현금유입과 차선의 대체안에 사용할 때 얻을 수 있는 순현금유입의 차액이 아니라, 차선의 대체안으로부터의 순현금유입 그 자체이다.
     4. 관련원가에는 여러 가지 대체안들과 실제 선택된 의사결정 대안 간에서 발생하는 원가의 차이인 차액원가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의사결정 관련성에 따른 분류
1. 매몰원가 : 과거의 의사결정으로 이미 발생한 원가로서 어떤 의사결정을 하더라도 회수 할 수 없는 원가를 말하며,
                            의사결정에 고려할 필요가 없다.
2. 기회비용 :여러 대안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태했을때, 포기해야하는 다른 대안들의 경제적 효익 중 가장 큰 것
[출처 : '박쌤 전산세무2급' 책에서.. p.180]

그래서 1번은 과거에 발생한 원가는 미래의 의사결정과정에 고려할 필요가 없어야하는데 있다고해서 틀린것이다.
답은 1번
[해설작성자 : 동일여상최강혜린]

22. 다음 중 원가(cost)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5월)
     1. 원가란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서 상이한 목적에 따라 상이한 원가를 적용할 수 있다.
     2. 원가 중 기업의 수익획득에 기여하지 못하고 소멸된 부분은 비용으로, 수익획득에 기여하고 소멸된 부분은 손실로 처리한다.
     3. 원가 중 기업의 수익획득에 아직 사용되지 않은 부분은 자산 즉 미소멸원가이다.
     4. 원가란 특정 재화 및 용역을 얻거나 생산하기 위하여 치른 경제적자원의 희생을 화폐단위로 측정한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기여했으면->비용
기여못했으면->손실
간단한 문제입니다.
[해설작성자 : Kenny Lee]

23. 다음 중 소멸원가에 해당하는 것은?(2015년 02월)
     1. 기말 재공품에 포함된 노무비
     2. 원재료 미사용액
     3. 제품 매출에 따른 매출원가
     4. 재고자산으로 남아있는 제품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제품 매출에 따른 매출원가>>소멸원가에 해당함.
[해설작성자 : 양파링]

24. (주)대한공업의 다음 자료를 이용하여 당월의 매출원가를 계산하면 얼마인가?(2019년 09월)

    

     1. ₩1,290,000
     2. ₩1,440,000
     3. ₩1,470,000
     4. ₩1,490,000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월초원재료재고 + 당월매입액 - 월말원재료재고 = 직접재료비 340,000원
월초재공품재고 + (직접재료비+직접노무비+제조간접비) - 월말재공품재고 = 당월제품제조원가
1,490,000원
월초제품재고 + 당월제품제조원가 - 월말제품재고 = 당월매출원가 1,440,000원
[해설작성자 : 회계공부하새우]

25. 다음(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6년 05월)

    

     1. 매출원가조정법
     2. 총원가기준법
     3. 원가요소기준법
     4. 안분법

     정답 : []
     정답률 : 61%

26. 다음 중 보조부문비를 배분하는 목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부문 상호간에 원가통제를 위해
     2. 제조직접비를 각 부문별로 집계하기 위해
     3. 외부보고를 위한 재고자산 및 이익 측정을 위해
     4. 경제적 의사결정을 위한 최적의 자원 배분을 위해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2번 제조직접비는 집계할 필요가 없다. 제조간접비가 들어가야한다.
[해설작성자 : 해설쓰면서 나도 외워야지]

27. (주)상공은 20X1년 다음과 같이 작업지시서 #1052에 원가가 집계되었다. 작업지시서#1052직접재료비₩11,000직접노무비₩4,000제조간접비₩6,000₩21,000 제조과정에서 작업지시서 #1052 와 관련하여 품질불량으로 인하여 재작업원가(직접재료비 ₩500, 직접노무비 ₩2,000)가 투입되었던 것을 알게 되었다. 작업 #1052의 총제조원가는 얼마인가? (단, 회사는 제조간접비를 직접노무비의 150%를 배부한다.)(2017년 09월)

    

     1. ₩17,500
     2. ₩21,000
     3. ₩23,500
     4. ₩26,500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품질불량으로 인한 재작업원가 = 직접재료비 500 + 직접노무비 2000 + 제조간접비 2000 * 1.5 = 5500
=> 작업 #1052의 총제조원가 = 21,000 + 5,500 = 26,500
[해설작성자 : 파카]

28. 다음의 자료를 이용하여 재공품계정의 차기이월 금액을 계산한 것으로 옳은 것은? (단, 제조간접비는 직접재료비를 기준으로 배부하며, 제조지시서 #1은 완성되었다.)(2016년 10월)

    

     1. ₩3,000
     2. ₩4,000
     3. ₩7,000
     4. ₩10,000

     정답 : []
     정답률 : 56%

29. 제조부문원가의 예정배부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2월)
     1. 제조부문과 보조부문별로 발생하리라고 예상되는 제조간접원가 연간예상액을 추정하고, 보조부문원가의 연간예상액을 제조부문에 배부하여 각 제조부문별 연간총예상액을 계산한다.
     2. 제조부문별 제조간접원가의 연간총예상액을 제조부문별에 배부기준의 연간예상액으로 나누어 각 제조부문별 예상배부율을 계산한다.
     3. 제조부문별 예정배부율에 배부기준의 예정발생분을 곱하여 제품별 제조부문원가 예정배부액을 계산한다.
     4. 부문원가배부차이의 처리는 연말재공품, 연말제품, 연말매출원가의 각 금액에 비례하여 배분하는 방법과 전액 연간매출원가에 가감하는 방법 등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제품별 제조부문원가 예정배부액은 예정배부율에 실제발생액을 곱하여 구한다.
[해설작성자 : 난 할 수 있어]

30. 개별원가계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5월)
     1. 직접원가는 작업별로 직접 추적하고 간접원가는 배부기준에 따라 배부하여 제품이나 서비스의 원가를 계산한다.
     2. 조선업이나 건설업 등과 같이 수요자의 주문에 따라 제품을 생산하는 업종에서 주로 사용된다.
     3. 직접재료원가, 직접노무원가, 제조간접원가 모두를 실제 원가로 계산하는 것을 실제개별원가계산이라 한다.
     4. 직접재료원가, 직접노무원가, 제조간접원가 모두를 예정 배부율을 사용해 예정원가로 계산하는 것을 정상개별원가 계산이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4. 직접재료원가, 직접노무원가는 실제 원가로 계산하고 제조간접원가는 예정 배부율을 사용해 예정원가로 계산하는 것을 정상개별원가 계산이라 한다.
[해설작성자 : SoHot]

31. 다음 ( ) 안에 알맞은 것은?(2020년 02월)

    

     1. 매출원가조정법
     2. 총원가기준법
     3. 원가요소기준법
     4. 안분법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매출원가조정법은 기말재고자산에 배분되는 금액이 작거나 제조간접원가 배부차이가 중요하지 않을 정도로 작을 때 사용된다.
매출원가조정법은 제조간접원가 배부차이를 매출원가에 가감하는데, 과소배부액은 매출원가에 더하고 과대배부액은 차감하는 방식이다.

비례배분법은 제조간접원가 배부차이를 기말재공품, 기말제품, 매출원가 계정의 비율에 따라 배분하는 방법이다.
재공품, 제품, 매출원가의 총액을 기준으로 배부차이를 각 계정을 나누는 방법을 총원가기준법,
재공품, 제품, 매출원가에 포함된 제조간접원가의 비율로 배부차이를 각 계정에 나누는 방법을 원가요소기준법이라고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2. (주)대한은 가공팀과 조립팀을 통해서 A제품과 B제품을 생산한 다. 가공팀의 원가는 기계작업시간을 기준으로 배부하며, 조립팀의 원가는 인원수를 기준으로 배부한다. 다음 중 제조간접비를 A제품과 B제품에 배부한 것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A제품 12,000원, B제품 10,000원
     2. A제품 10,000원, B제품 12,000원
     3. A제품 32,000원, B제품 18,000원
     4. A제품 18,000원, B제품 32,000원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가공팀 200,000 / 200시간 = 1,000 / 1시간당
∙조립팀 100,000 / 25명 = 4,000 / 1명당
∙A제품 = (2명 × 4,000) + (10시간 × 1,000) = 18,000
∙B제품 = (3명 × 4,000) + (20시간 × 1,000) = 32,000
[해설작성자 : 필기만 3수]

33. 다음 개별원가계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2월)
     1. 직접원가는 작업별로 직접 추적하고 간접원가는 배부기준에 따라 배부하여 제품이나 서비스의 원가를 계산한다.
     2. 조선업이나 건설업 등과 같이 수요자의 주문에 따라 제품을 생산하는 업종에서 주로 사용된다.
     3. 직접재료원가, 직접노무원가, 제조간접원가 모두를 실제원가로 계산하는 것을 실제개별원가계산이라 한다.
     4. 직접재료원가, 직접노무원가, 제조간접원가 모두를 예정 배부율을 사용해 예정원가로 계산하는 것을 정상개별원가계산 이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5%

34. 직접원가를 기준으로 제조간접비 총액 ₩30,000을 배부한다. 이때 제품A의 제조간접비 배부액은 얼마인가?(2017년 09월)

    

     1. ₩4,500
     2. ₩5,000
     3. ₩6,000
     4. ₩15,000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직접원가 총액 60,000 , 제품a의 직접원가 총액 10,000
=> 제품a의 제조간접비 배부액 = 30,000 * 10,000 / 60,000 = 5,000원
[해설작성자 : 파카]

35. 다음은 원가의 배부와 관련된 설명들이다. 그 내용이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2월)
     1. 일반적으로 직접원가를 원가의 집적대상에 할당하는 것을 원가의 추적이라고 한다.
     2. 일반적으로 간접원가를 원가의 집적대상에 할당하는 것을 원가의 배부라고 한다.
     3. 본질적으로 원가의 배부는 명확하게 검증 가능하므로 임의성이 개입할 여지가 없다.
     4. 원가의 배부에 있어서 인과관계를 이용하여 원가를 배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방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63%

36. 종합원가계산의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2월)
     1. 공정별원가계산은 제조공정이 2개 이상의 연속되는 공정으로 구분되고 각 공정별로 당해 공정제품의 제조원가를 계산할 경우에 적용한다.
     2. 조별원가계산은 동일 종류의 제품을 조별로 연속하여 생산하는 생산형태에 적용한다.
     3. 등급별원가계산은 동일 종류의 제품이 동일공정에서 연속적으로 생산되나 그 제품의 품질 등이 다른 경우에 적용한다.
     4. 연산품원가계산은 동일재료로 동일공정에서 생산되는 다른 종류의 제품으로서 주산물과 부산물을 명확히 구분하기 곤란한 경우에 적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2.동일종류의 제품을 연속하여(x) > 종류가 다른제품을 연속하여
[해설작성자 : 조녜화은여신님!]

37. (주)상공은 20X1년 11월에 발생한 제조간접원가를 집계한 후 원가계산을 위하여 재공품계정으로 대체 하였다. 옳은 회계처리는?(2019년 02월)
     1. 재공품 ××× / 제조간접원가 ×××
     2. 제조간접원가 ××× / 재공품 ×××
     3. 제조간접원가 ××× / 제품 ×××
     4. 매출원가 ××× / 제조간접원가 ×××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재공품(T계정_)
    -----------------------------------------------
월초재공품                             ㅣ 제품(당월제품제조원가)
직접재료비                             ㅣ
직접노무비                             ㅣ 월말재공품
제조간접비(제조간접원가) ㅣ

재공품 티계정에서 제조간접원가 는 차변에 있다.
내가 그린 재공품티계정에있는 (제조간접원가)글씨 오른쪽에는 선으로 막혀있다.
그래서 내가그린 티계정의 제목 '재공품' 이라는 글씨를 분개하기위해
제조간접비 왼쪽에다가 써주면    "재공품 / 제조간접비(제조간접원가)"라는 분개가 생긴다
그래서 답은 1번이다
[해설작성자 : 동일여상최강혜린]

38. 다음 자료를 토대로 (주)상공제지의 20X1년 5월 재료비와 가공비의 완성품환산량 단위당 원가를 계산하면 얼마인가?(2020년 02월)

    

     1. 재료비 ₩45, 가공비 ₩20
     2. 재료비 ₩50, 가공비 ₩30
     3. 재료비 ₩55, 가공비 ₩40
     4. 재료비 ₩60, 가공비 ₩50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1. 완성품 환산량 [평균법] = 완성수량 + 기말환산량
     재료비 : 3,000 + 1,000 = 4,000
     가공비 : 3,000 + 400 = 3,400
2. 당기투입 원가
     재료비 : 180,000원
     가공비 : 68,000
3. 완성품 환산량 단위당 원가
     재료비 : 180,000 / 4,000 = @45
     가공비 : 68,000 / 3,400 = @20
[해설작성자 : 조T]

39. 다음 계정의 기입 내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5월)

    

     1. 절단부문비는 예정배부액보다 실제발생액이 더 많았다.
     2. 조립부문비는 실제발생액보다 예정배부액이 과대 배부 되었다.
     3. 안분(비례배분)법은 재공품, 제품, 매출원가의 금액에 비례 하여 부문비배부차이를 안분하는 방법이다.
     4. 매출원가조정법에 의할 경우 (차)부문비배부차이 40,000 (대)매출원가 40,000으로 대체분개하여 마감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40. (주)서울의 20X1년 3월 직접재료사용액은 ₩13,000이다. 3월 말 직접재료 재고액은 월초에 비해 ₩3,000이 감소하였다. ㈜서울의 3월 중 직접재료 구입액은 얼마인가?(2020년 02월)
     1. ₩10,000
     2. ₩11,000
     3. ₩12,000
     4. ₩13,000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기초+구입=사용+기말
기말이 기초에 비해 3000원 감소했다니까
기초x, 기말x-3000

x+구입=13000+x-3000
구입액= 10000


정 답 지

전산회계운용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3434540)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전산회계운용사 2급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재무회계


1. 다음 중 재무제표가 정보이용자에게 경제적 의사결정을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갖추어야할 질적 특성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5년 05월)
     1. 비교가능성
     2. 정당성
     3. 목적적합성
     4. 이해가능성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재무제표의 질적 특성에는 비교가능성, 목적적합성, 이해가능성, 신뢰성이 있다.
[해설작성자 : 기출달달암기하기]

2. 결산일이 되어 당좌예금 실사 중에 은행의 당좌예금증명서를 받은 결과, 회사측 당좌예금출납장 잔액은 ₩75,050이고 은행측 당좌예금원장 잔액은 ₩79,510이다. 차액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정확한 당좌예금 잔액은 얼마인가?(2020년 02월)

   

     1. ₩76,910
     2. ₩76,950
     3. ₩77,610
     4. ₩78,000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은행측 당좌예금 원장을 기준으로 잡는다
가, 바 - 은행 당좌예금 원장에 계상되지 못한 것
79,510-10,300(결제되지 않았으므로 결제를 해준다고 생각)+7,700(당좌예입한 금액 마감처리)
=76,910
[해설작성자 : 오늘시험,,금금금]

3. 다음 중 포괄손익계산서의 기타포괄손익의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0년 05월)
     1. 재평가이익
     2.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익
     3. 해외사업장의 재무제표 환산으로 인한 손익
     4. 투자부동산평가손익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1. 재평가이익 → 재평가잉여금(기타포괄손익)
3. 해외사업장의 재무제표 환산으로 인한 손익 → 해외사업환산손익(기타포괄손익)

<해외사업환산손익>
자산과 부채의 항목은 모회사의 재무상태표일 현재의 환율, 자본은 매수 당시의 환율,
종속기업을 매수한 뒤 증가한 이익잉여금 이외의 자본은 거래발생 당시의 환율,
손익 항목은 거래 발생 당시의 환율이나 당해 회계기간의 평균환율을 적용한다.
따라서 원화로 환산한 재무제표는 자산-부채=자본이 일치하지 않으므로 그 차이를 해외사업환산손익으로 환산함.
출처 : https://steemit.com/kr/@cpalee/1vyrs

4. 다음은 포괄손익계산서에 기입된 자료의 일부이다. 당기순이익을 추정한 금액으로 옳은 것은?(2017년 05월)

   

     1. ₩600,000
     2. ₩800,000
     3. ₩1,200,000
     4. ₩2,000,000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총포괄이익)=(당기순이익)+(기타포괄이익)이다.
이 때, 900,000=(당기순이익)+300,000 이므로
당기순이익은 600,000원이다.

5. 다음 중 자본변동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자본의 구성요소는 각 분류별 납입자본, 각 분류별 기타 포괄손익의 누계액과 이익잉여금의 누계액 등을 포함한다.
     2. 자본의 각 구성요소별로 장부금액의 각 변동액을 공시한 기초시점과 기말시점의 장부금액 조정내역을 표시한다.
     3. 자본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자본변동표에 기타포괄손익의 항목별 분석 내용을 표시하나, 주석에는 표시하지 않는다.
     4. 자본변동표란 납입자본, 기타자본구성요소, 이익잉여금의 각 항목별로 기초 잔액, 당기 변동사항, 기말 잔액을 일목요연하게 나타낸 재무보고서이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3번 마지막에 주석에는 표시하지 않는다에서 주석으로 표시해야된다 가 맞다. 그래서 옳지않는 답
[해설작성자 : 해설이 없어서 내가 씀]

6. 은행계정조정표는 회사잔액과 은행잔액이 불일치하는 경우 불일치한 원인을 조사하여 잔액을 일치시키는 표를 말한다. 다음의 원인으로 회사잔액과 은행잔액 간 불일치가 발생했다고 가정할 때, 회사측 장부를 조정(수정분개)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2020년 05월)
     1. 기발행 미인도당좌수표
     2. 기발행 미인출당좌수표
     3. 은행수수료 및 이자비용
     4. 회사미통지 추심어음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기발행미지급(미인출)수표는 지급하지 않았지만 지급한것으로 간주하고 은행 측 잔액을 차감해야 함
[해설작성자 : 쩝쩝]

1. 기발행 미인도당좌수표 - 회사잔액에 차감
2. 기발행 미인출당좌수표 - 은행잔액에 차감
3. 은행수수료 및 이자비용 - 회사잔액에 차감
4. 회사미통지 추심어음 - 회사잔액에 차감
[해설작성자 : 회계공부하새우]

7. ㈜대한은 20X1년초에 장기 임대수익을 얻을 목적으로 건물을 ₩200,000에 구입하였다. 20X1년 12월 31일과 20X2년 12월 31일 현재의 공정가치는 각각 ₩360,000과 ₩300,000이다. 동 건물에 대하여 공정가치모형을 적용할 경우 20X2년도 당기손익에 영향을 미치는 금액은 얼마인가? (단, 감가상각이 필요할 경우에는 건물의 내용연수 10년, 잔존가치는 없으며, 정액법으로 처리한다.)(2019년 05월)
     1. ₩120,000
     2. ₩100,000
     3. ₩80,000
     4. ₩60,000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공정가치 모형적용시 감가상각을 고려하지 않으므로
300,000-360,000= -60,000
[해설작성자 : Kenny Lee]

20X1년 초 투자부동산 200,000 | 현금 200,000
공정가치 360,0000 이므로
20X1년 말 투자부동산 160,000 | 투자부동산평가이익 160,000

공정가치 300,000 이므로
20X2년 말 부자부동산평가손실 60,000 | 투자부동산 60,000
부자부동산평가손실 60,000 손실 발생
[해설작성자 : 회계공부하새우]

8. 다음 중 투자부동산으로 분류하여야 하는 것은?(2015년 05월)
     1. 자가사용부동산
     2. 제품 생산에 사용하는 부동산
     3. 장기시세차익을 얻기 위하여 보유하는 부동산
     4. 정상적인 영업활동과정에서 판매를 목적으로 보유하는 부동산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1,2 유형자산
4 재고자산
[해설작성자 : 쩝쩝]

9. 투자부동산으로 회계 처리하는 경우로 옳은 것은?(2016년 05월)
     1. 자가 사용 부동산
     2. 제3자를 위하여 건설 중인 부동산
     3. 장기 시세차익을 얻기 위하여 보유하고 있는 토지
     4. 정상적인 영업과정에서 판매를 목적으로 보유 중인 부동산

     정답 : []
     정답률 : 87%

10. 20X1년초에 운용리스로 제공할 목적으로 건물을 취득하였다. 건물의 취득원가는 ₩10,000이며, 잔존가치는 ₩0, 내용연수는 10년으로 추정된다. 동 건물에 대하여 공정가치모형을 적용하기로 한다. 20X1년 말 현재 공정가치가 ₩11,000이라면, 20X1년도의 포괄손익계산서에 계상되는 동 건물에 대한 감가상각비와 투자부동산평가손익은 각각 얼마인가? (단, 법인세효과는 없다.)(2018년 02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공정가치 적용시 감가상각비는 없이 계상한다
따라서 감가상각비는 0원이고 투자부동산평가이익은 공정가치-취득원가(11000-10000=1000)이다.
[해설작성자 : 전산회계 운용사 붙으면 금반지]

11. 20X1년 1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100,000(부가가치세를 제외한 금액)의 매출과 ₩110,000(부가가치세를 제외한 금액)의 매입이 있었다. 매출과 매입이 모두 부가가치세 과세거래일 때, 20X1년 제1기분 부가가치세 확정신고 시 해야 할 분개는? (단, 예정신고는 없었으며, 부가가치세 신고 시 납부할 세액이 있으면 즉시 납부하고, 환급받을 세액이 있으면 신고 즉시 환급받는다고 가정한다.)(2018년 02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매출금액의10%=낼세금10,000=부가가치세예수금
매입액의10%=낸세금11,000=부가가치세대급금
낸세금이 더 크므로 차액만큼 환급받음=현금1,000(차변기입)

12. 다음은 자본을 분류한 것이다. (가)에 해당하는 계정으로 옳은 것은?(2016년 02월)

    

     1. 자기주식
     2. 보통주자본금
     3. 자기주식처분손실
     4. 매도가능증권평가이익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가)는 납입자본으로, 자본금(보통주, 우선주), 주식발행초과금 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똥고맘]

13. 취득원가 ₩500,000의 건물에 대하여 취득 후 다음과 같은 지출이 발생하였다. 건물의 장부금액과 수선비는 각각 얼마인가? (단, 주어진 자료만 활용한다.)(2016년 05월)

    

     1. 건물의 장부금액 : ₩220,000 수선비 : ₩19,000
     2. 건물의 장부금액 : ₩230,000 수선비 : ₩18,000
     3. 건물의 장부금액 : ₩720,000 수선비 : ₩19,000
     4. 건물의 장부금액 : ₩719,000 수선비 : ₩18,000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자본적지출 : 가+나+바=220,000
건물의 장부금액이므로 220,000 + (건물취득원가) 500,000 = 720,000

수익적지출 : 다+라+마=19,000
[해설작성자 : 자격증따기!]

14. 다음은 (주)상공기업의 토지 취득과 관련된 거래이다. 토지의 취득원가는 얼마인가?(2018년 09월)

    

     1. ₩10,000,000
     2. ₩10,500,000
     3. ₩10,700,000
     4. ₩11,200,000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토지 취득시 관련된 거래들에서 발생했으므로 10,000,000 + 500,000 + 700,000 = 11,200,000원임
(취득세와 중개수수료는 모두 토지 취득시 관련된 거래들임)
[해설작성자 : 파카]

15. 다음 중 유형자산의 취득원가에 포함되는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9월)
     1. 유형자산 구입시 중개인에게 지급한 중개수수료
     2. 유형자산의 취득과 직접 관련된 취득세, 등록세, 관세 등
     3. 유형자산의 설계와 관련하여 전문가에게 지급하는 수수료
     4. 유형자산의 효율적 운전을 유지하기 위해 발생한 수선유지비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4.    유형자산의 효율적 운전을 유지하기 위해 발생한 수선유지비 - [수선비]계정으로 처리
[해설작성자 : 파란나비]

16. 다음은 개인기업인 상공상점의 자본금 거래 내용이다. 기말 자본금으로 옳은 것은?(2016년 05월)

    

     1. ₩1,300,000
     2. ₩1,500,000
     3. ₩1,600,000
     4. ₩1,800,000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1/1 (대) 현금 1,000,000
3/10 (대) 현금 500,000
9/30 (차) 인출금 200,000
12/31 (대) 당기순이익 300,000
=> 자본금 계정 대변 잔액 1,600,000
[해설작성자 : 하]

17. 다음 자료를 이용하여 매출총이익을 계산하면 얼마인가?(2015년 02월)

    

     1. ₩700
     2. ₩800
     3. ₩900
     4. ₩1,000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 가(\3,000) - 마(\100) } - 다(\1,000) + { 나(\2,000) - 바(\200) } - 라(\800) = \900
[해설작성자 : 무와부]

( 가 3,000 - 마 100    - 다 1,000 ) - ( 나 2,000 - 바 200 - 라 800 ) = 90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매출총이익 = 매출액 - 매출원가
기초상품재고액(1000) + 당기매입액 = 매출원가 + 기말상품재고액(800)

매출액 = 가 - 마 = 2900
당기매입액 = 나 - 바 = 1800
매출원가 = 2000
매출총이익= 900
[해설작성자 : 아야핑]

18. 한국(주)는 20X4년에 일시적 여유자금을 이용하여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으로 분류되는 고려(주)가 발행한 주식 500주(취득원가 @₩100)를 구입하여 기중에 200주(처분금액 @₩120)를 처분하고 기말에 300주를 보유하고 있다. 기말 현재 고려(주) 주식의 공정가치는 @₩110이다. 20X4년 한국(주)의 재무상태표에 계상될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장부금액과 포괄손익계산서에 계상될 관련 손익의 증감금액은 얼마인가? (순서대로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당기순손익, 기타포괄손익)(2019년 09월)
     1. ₩30,000, ₩4,000, ₩3,000
     2. ₩30,000, ₩7,000, ₩0
     3. ₩33,000, ₩4,000, ₩3,000
     4. ₩33,000, ₩7,000, ₩0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단기매매증권
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매도가능증권
기말 현재 @\110의 단기매매증권 300주를 가지고 있으므로 총 \33,000
단기매매증권 처분 시 @\100짜리 단매증 200주를 @\120으로 처분했으므로, 단기매매증권처분이익 \4,000 증가
단기매매증권 기말 평가 시 남은 단기매매증권 300주가 @\110으로 올랐으므로 단기매매증권평가이익 \3,000 증가
단기매매증권처분이익과 평가이익 모두 당기순손익에 들어가므로 당기순이익 \7,000 증가
기타포괄손익은 발생하지 않았으므로 \0 (매도가능증권평가손익이 기타포관손익에 들어간다)
[해설작성자 : 합격하쟝ㅎㅎ]

19. 다음과 같이 (주)상공은 2017년 1월 1일에 사채를 발행하고 대금은 현금으로 받았다. 2017년 12월 31일 포괄손익계산서에 표시될 이자비용은 얼마인가? (단, 유효이자율법을 적용한다.)(2017년 02월)

    

     1. ₩76,000
     2. ₩80,000
     3. ₩95,000
     4. ₩100,000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유효이자율법=발행금액×유효이자율
[해설작성자 : 지현쨔응☆-☆]

20. 회사는 100명의 종업원에게 1년에 5일의 근무일수에 해당하는 유급휴가를 제공하고 있으며, 미사용유급휴가는 다음 1년 동안 이월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유급휴가의 사용에 관해서는 당기에 부여된 권리가 먼저 사용된 후에 전기에서 이월된 권리가 사용되는 것으로 본다. 과거의 경험에 비추어서 2018년 12월 31일 현재 추정한 결과 2019년도 중에 종업원 90명이 사용할 유급휴가일수는 5일 이하, 나머지 10명이 사용할 유급휴가일수는 평균 7일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회사의 2018년 말 유급휴가와 관련된 회계처리에서 부채로 인식할 금액은 얼마인가? (단, 유급휴가 1일당 지급할 급여는 ₩100,000이라고 가정한다.)(2018년 09월)
     1. ₩2,000,000
     2. ₩3,000,000
     3. ₩5,000,000
     4. ₩6,000,000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미지급비용 = 10명 * (7일 - 5일) * 100,000 = 2,000,000원
[해설작성자 : 파카]

문제에서 물어보는건 x8년도 유급휴가 비용이다. (당기껄 먼저 쓰고 전기꺼를 쓰라고 하는데 휴가가 5일이하니 전기랑 연관없다고 보면 된다)
90명은 x9년도 휴가를 쓸거니까 제외하고 10명만이 7일 휴가를 쓴다고 본다 문제에서 당기꺼를 먼저 쓰라고 하니 5일은 당기꺼를 쓴다고 보면
2일만 전기꺼를 쓴다고 볼수있다 10명*2일*100,000 = 2,000,000이라고 보면 된다.
[해설작성자 : 해설쓰면서 나도 외워야지]

21. 원가와 의사결정과의 관련성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8년 02월)
     1. 과거에 발생한 원가도 미래의 의사결정과정에 고려할 필요가 있다.
     2. 매몰원가는 과거의 의사결정으로 인하여 발생한 원가로서 대안 간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 원가를 말한다.
     3. 기회원가는 자원을 현재의 용도에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순현금유입과 차선의 대체안에 사용할 때 얻을 수 있는 순현금유입의 차액이 아니라, 차선의 대체안으로부터의 순현금유입 그 자체이다.
     4. 관련원가에는 여러 가지 대체안들과 실제 선택된 의사결정 대안 간에서 발생하는 원가의 차이인 차액원가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의사결정 관련성에 따른 분류
1. 매몰원가 : 과거의 의사결정으로 이미 발생한 원가로서 어떤 의사결정을 하더라도 회수 할 수 없는 원가를 말하며,
                            의사결정에 고려할 필요가 없다.
2. 기회비용 :여러 대안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태했을때, 포기해야하는 다른 대안들의 경제적 효익 중 가장 큰 것
[출처 : '박쌤 전산세무2급' 책에서.. p.180]

그래서 1번은 과거에 발생한 원가는 미래의 의사결정과정에 고려할 필요가 없어야하는데 있다고해서 틀린것이다.
답은 1번
[해설작성자 : 동일여상최강혜린]

22. 다음 중 원가(cost)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5월)
     1. 원가란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서 상이한 목적에 따라 상이한 원가를 적용할 수 있다.
     2. 원가 중 기업의 수익획득에 기여하지 못하고 소멸된 부분은 비용으로, 수익획득에 기여하고 소멸된 부분은 손실로 처리한다.
     3. 원가 중 기업의 수익획득에 아직 사용되지 않은 부분은 자산 즉 미소멸원가이다.
     4. 원가란 특정 재화 및 용역을 얻거나 생산하기 위하여 치른 경제적자원의 희생을 화폐단위로 측정한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기여했으면->비용
기여못했으면->손실
간단한 문제입니다.
[해설작성자 : Kenny Lee]

23. 다음 중 소멸원가에 해당하는 것은?(2015년 02월)
     1. 기말 재공품에 포함된 노무비
     2. 원재료 미사용액
     3. 제품 매출에 따른 매출원가
     4. 재고자산으로 남아있는 제품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제품 매출에 따른 매출원가>>소멸원가에 해당함.
[해설작성자 : 양파링]

24. (주)대한공업의 다음 자료를 이용하여 당월의 매출원가를 계산하면 얼마인가?(2019년 09월)

    

     1. ₩1,290,000
     2. ₩1,440,000
     3. ₩1,470,000
     4. ₩1,490,000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월초원재료재고 + 당월매입액 - 월말원재료재고 = 직접재료비 340,000원
월초재공품재고 + (직접재료비+직접노무비+제조간접비) - 월말재공품재고 = 당월제품제조원가
1,490,000원
월초제품재고 + 당월제품제조원가 - 월말제품재고 = 당월매출원가 1,440,000원
[해설작성자 : 회계공부하새우]

25. 다음(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6년 05월)

    

     1. 매출원가조정법
     2. 총원가기준법
     3. 원가요소기준법
     4. 안분법

     정답 : []
     정답률 : 61%

26. 다음 중 보조부문비를 배분하는 목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부문 상호간에 원가통제를 위해
     2. 제조직접비를 각 부문별로 집계하기 위해
     3. 외부보고를 위한 재고자산 및 이익 측정을 위해
     4. 경제적 의사결정을 위한 최적의 자원 배분을 위해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2번 제조직접비는 집계할 필요가 없다. 제조간접비가 들어가야한다.
[해설작성자 : 해설쓰면서 나도 외워야지]

27. (주)상공은 20X1년 다음과 같이 작업지시서 #1052에 원가가 집계되었다. 작업지시서#1052직접재료비₩11,000직접노무비₩4,000제조간접비₩6,000₩21,000 제조과정에서 작업지시서 #1052 와 관련하여 품질불량으로 인하여 재작업원가(직접재료비 ₩500, 직접노무비 ₩2,000)가 투입되었던 것을 알게 되었다. 작업 #1052의 총제조원가는 얼마인가? (단, 회사는 제조간접비를 직접노무비의 150%를 배부한다.)(2017년 09월)

    

     1. ₩17,500
     2. ₩21,000
     3. ₩23,500
     4. ₩26,500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품질불량으로 인한 재작업원가 = 직접재료비 500 + 직접노무비 2000 + 제조간접비 2000 * 1.5 = 5500
=> 작업 #1052의 총제조원가 = 21,000 + 5,500 = 26,500
[해설작성자 : 파카]

28. 다음의 자료를 이용하여 재공품계정의 차기이월 금액을 계산한 것으로 옳은 것은? (단, 제조간접비는 직접재료비를 기준으로 배부하며, 제조지시서 #1은 완성되었다.)(2016년 10월)

    

     1. ₩3,000
     2. ₩4,000
     3. ₩7,000
     4. ₩10,000

     정답 : []
     정답률 : 56%

29. 제조부문원가의 예정배부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2월)
     1. 제조부문과 보조부문별로 발생하리라고 예상되는 제조간접원가 연간예상액을 추정하고, 보조부문원가의 연간예상액을 제조부문에 배부하여 각 제조부문별 연간총예상액을 계산한다.
     2. 제조부문별 제조간접원가의 연간총예상액을 제조부문별에 배부기준의 연간예상액으로 나누어 각 제조부문별 예상배부율을 계산한다.
     3. 제조부문별 예정배부율에 배부기준의 예정발생분을 곱하여 제품별 제조부문원가 예정배부액을 계산한다.
     4. 부문원가배부차이의 처리는 연말재공품, 연말제품, 연말매출원가의 각 금액에 비례하여 배분하는 방법과 전액 연간매출원가에 가감하는 방법 등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제품별 제조부문원가 예정배부액은 예정배부율에 실제발생액을 곱하여 구한다.
[해설작성자 : 난 할 수 있어]

30. 개별원가계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5월)
     1. 직접원가는 작업별로 직접 추적하고 간접원가는 배부기준에 따라 배부하여 제품이나 서비스의 원가를 계산한다.
     2. 조선업이나 건설업 등과 같이 수요자의 주문에 따라 제품을 생산하는 업종에서 주로 사용된다.
     3. 직접재료원가, 직접노무원가, 제조간접원가 모두를 실제 원가로 계산하는 것을 실제개별원가계산이라 한다.
     4. 직접재료원가, 직접노무원가, 제조간접원가 모두를 예정 배부율을 사용해 예정원가로 계산하는 것을 정상개별원가 계산이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4. 직접재료원가, 직접노무원가는 실제 원가로 계산하고 제조간접원가는 예정 배부율을 사용해 예정원가로 계산하는 것을 정상개별원가 계산이라 한다.
[해설작성자 : SoHot]

31. 다음 ( ) 안에 알맞은 것은?(2020년 02월)

    

     1. 매출원가조정법
     2. 총원가기준법
     3. 원가요소기준법
     4. 안분법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매출원가조정법은 기말재고자산에 배분되는 금액이 작거나 제조간접원가 배부차이가 중요하지 않을 정도로 작을 때 사용된다.
매출원가조정법은 제조간접원가 배부차이를 매출원가에 가감하는데, 과소배부액은 매출원가에 더하고 과대배부액은 차감하는 방식이다.

비례배분법은 제조간접원가 배부차이를 기말재공품, 기말제품, 매출원가 계정의 비율에 따라 배분하는 방법이다.
재공품, 제품, 매출원가의 총액을 기준으로 배부차이를 각 계정을 나누는 방법을 총원가기준법,
재공품, 제품, 매출원가에 포함된 제조간접원가의 비율로 배부차이를 각 계정에 나누는 방법을 원가요소기준법이라고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2. (주)대한은 가공팀과 조립팀을 통해서 A제품과 B제품을 생산한 다. 가공팀의 원가는 기계작업시간을 기준으로 배부하며, 조립팀의 원가는 인원수를 기준으로 배부한다. 다음 중 제조간접비를 A제품과 B제품에 배부한 것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A제품 12,000원, B제품 10,000원
     2. A제품 10,000원, B제품 12,000원
     3. A제품 32,000원, B제품 18,000원
     4. A제품 18,000원, B제품 32,000원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가공팀 200,000 / 200시간 = 1,000 / 1시간당
∙조립팀 100,000 / 25명 = 4,000 / 1명당
∙A제품 = (2명 × 4,000) + (10시간 × 1,000) = 18,000
∙B제품 = (3명 × 4,000) + (20시간 × 1,000) = 32,000
[해설작성자 : 필기만 3수]

33. 다음 개별원가계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2월)
     1. 직접원가는 작업별로 직접 추적하고 간접원가는 배부기준에 따라 배부하여 제품이나 서비스의 원가를 계산한다.
     2. 조선업이나 건설업 등과 같이 수요자의 주문에 따라 제품을 생산하는 업종에서 주로 사용된다.
     3. 직접재료원가, 직접노무원가, 제조간접원가 모두를 실제원가로 계산하는 것을 실제개별원가계산이라 한다.
     4. 직접재료원가, 직접노무원가, 제조간접원가 모두를 예정 배부율을 사용해 예정원가로 계산하는 것을 정상개별원가계산 이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5%

34. 직접원가를 기준으로 제조간접비 총액 ₩30,000을 배부한다. 이때 제품A의 제조간접비 배부액은 얼마인가?(2017년 09월)

    

     1. ₩4,500
     2. ₩5,000
     3. ₩6,000
     4. ₩15,000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직접원가 총액 60,000 , 제품a의 직접원가 총액 10,000
=> 제품a의 제조간접비 배부액 = 30,000 * 10,000 / 60,000 = 5,000원
[해설작성자 : 파카]

35. 다음은 원가의 배부와 관련된 설명들이다. 그 내용이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2월)
     1. 일반적으로 직접원가를 원가의 집적대상에 할당하는 것을 원가의 추적이라고 한다.
     2. 일반적으로 간접원가를 원가의 집적대상에 할당하는 것을 원가의 배부라고 한다.
     3. 본질적으로 원가의 배부는 명확하게 검증 가능하므로 임의성이 개입할 여지가 없다.
     4. 원가의 배부에 있어서 인과관계를 이용하여 원가를 배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방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63%

36. 종합원가계산의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2월)
     1. 공정별원가계산은 제조공정이 2개 이상의 연속되는 공정으로 구분되고 각 공정별로 당해 공정제품의 제조원가를 계산할 경우에 적용한다.
     2. 조별원가계산은 동일 종류의 제품을 조별로 연속하여 생산하는 생산형태에 적용한다.
     3. 등급별원가계산은 동일 종류의 제품이 동일공정에서 연속적으로 생산되나 그 제품의 품질 등이 다른 경우에 적용한다.
     4. 연산품원가계산은 동일재료로 동일공정에서 생산되는 다른 종류의 제품으로서 주산물과 부산물을 명확히 구분하기 곤란한 경우에 적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2.동일종류의 제품을 연속하여(x) > 종류가 다른제품을 연속하여
[해설작성자 : 조녜화은여신님!]

37. (주)상공은 20X1년 11월에 발생한 제조간접원가를 집계한 후 원가계산을 위하여 재공품계정으로 대체 하였다. 옳은 회계처리는?(2019년 02월)
     1. 재공품 ××× / 제조간접원가 ×××
     2. 제조간접원가 ××× / 재공품 ×××
     3. 제조간접원가 ××× / 제품 ×××
     4. 매출원가 ××× / 제조간접원가 ×××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재공품(T계정_)
    -----------------------------------------------
월초재공품                             ㅣ 제품(당월제품제조원가)
직접재료비                             ㅣ
직접노무비                             ㅣ 월말재공품
제조간접비(제조간접원가) ㅣ

재공품 티계정에서 제조간접원가 는 차변에 있다.
내가 그린 재공품티계정에있는 (제조간접원가)글씨 오른쪽에는 선으로 막혀있다.
그래서 내가그린 티계정의 제목 '재공품' 이라는 글씨를 분개하기위해
제조간접비 왼쪽에다가 써주면    "재공품 / 제조간접비(제조간접원가)"라는 분개가 생긴다
그래서 답은 1번이다
[해설작성자 : 동일여상최강혜린]

38. 다음 자료를 토대로 (주)상공제지의 20X1년 5월 재료비와 가공비의 완성품환산량 단위당 원가를 계산하면 얼마인가?(2020년 02월)

    

     1. 재료비 ₩45, 가공비 ₩20
     2. 재료비 ₩50, 가공비 ₩30
     3. 재료비 ₩55, 가공비 ₩40
     4. 재료비 ₩60, 가공비 ₩50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1. 완성품 환산량 [평균법] = 완성수량 + 기말환산량
     재료비 : 3,000 + 1,000 = 4,000
     가공비 : 3,000 + 400 = 3,400
2. 당기투입 원가
     재료비 : 180,000원
     가공비 : 68,000
3. 완성품 환산량 단위당 원가
     재료비 : 180,000 / 4,000 = @45
     가공비 : 68,000 / 3,400 = @20
[해설작성자 : 조T]

39. 다음 계정의 기입 내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5월)

    

     1. 절단부문비는 예정배부액보다 실제발생액이 더 많았다.
     2. 조립부문비는 실제발생액보다 예정배부액이 과대 배부 되었다.
     3. 안분(비례배분)법은 재공품, 제품, 매출원가의 금액에 비례 하여 부문비배부차이를 안분하는 방법이다.
     4. 매출원가조정법에 의할 경우 (차)부문비배부차이 40,000 (대)매출원가 40,000으로 대체분개하여 마감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40. (주)서울의 20X1년 3월 직접재료사용액은 ₩13,000이다. 3월 말 직접재료 재고액은 월초에 비해 ₩3,000이 감소하였다. ㈜서울의 3월 중 직접재료 구입액은 얼마인가?(2020년 02월)
     1. ₩10,000
     2. ₩11,000
     3. ₩12,000
     4. ₩13,000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기초+구입=사용+기말
기말이 기초에 비해 3000원 감소했다니까
기초x, 기말x-3000

x+구입=13000+x-3000
구입액= 10000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전산회계운용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3434540)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824 잠수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7888851)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823 누설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5월2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822 침투비파괴검사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3월1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821 환경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10월10일(5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820 PSAT 언어논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2월0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819 9급 국가직 공무원 무선공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7월2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818 청소년상담사 1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10월0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817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수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2월2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816 자기비파괴검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8월1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815 디지털영상편집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6월2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3
5814 청소년상담사 3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10월01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813 해양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2988626)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812 잠수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1647919)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811 조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3월0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81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재배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809 9급 지방직 공무원 토목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6월1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808 청소년상담사 2급(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7819633)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 전산회계운용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3434540)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806 청소년상담사 2급(2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3월2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805 바리스타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11월1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94 Next
/ 2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