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9급 국가직 공무원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5416027)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9급 국가직 공무원 국어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다음 중 호칭어와 지칭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4월)
     1. 남편의 여동생을 '고모'라고 부른다.
     2. 오빠의 아내는 '언니'라고 부르고, 지칭어는 '올케'이다.
     3. 누나의 입장에서 남동생의 아내는 지칭어가 '올케'이다.
     4. 남편의 형을 이르는 말은 '아주버니'이다.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남편의 여동생은 아가씨라고 부름
[해설작성자 : mickymouse]

2. 다음 글의 중심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8년 04월)

   

     1. '언문'과 마찬가지로 '언간'의 실용 범위에는 제약이 있었다.
     2. 사용자의 성별 특징으로 인해 '언간'은 '내간'으로 일컬어졌다.
     3. 언간은 특정 계층과 성별에 관계없이 이용된 의사소통 수단이었다.
     4. 조선시대에는 언간의 발신자나 수신자 어느 한쪽으로 반드시 여성이 관여하는 특징을 보인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언간을 둘러싼 역사와 내용을 이야기하면서 최종적으로 언간이 남녀 계층 구분없는 모두의 공유물이라고 결론.

1.글의 중심내용은 아님.
2,4.하지만 ' 명칭때문에~~~오해되어서는 안된다'라는 문장부터 중심내용 이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밑줄 친 부분의 활용이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4월)
     1. 다시 생각해 보니 내 생각과 달리 네 말이 맞는다.
     2. 유달리 가문 그해 봄에는 황사도 많이 왔다고 한다.
     3. 나는 저린 어깨 때문에 가방을 제대로 들 수가 없다.
     4. 그 모임의 분위기에 걸맞는 옷 좀 골라 주세요.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걸맞은
[해설작성자 : 합격 가즈아]

1.맞다 동사. 현재형 맞는다 가능.

2.가물다 = 가물+ㄴ -> 가문
3.저리다 = 저리+ㄴ -> 저린

4.걸맞다. 형용사. 걸맞은으로 표기해야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 두 사람의 대화에 적용된 공감적 듣기의 방법이 아닌 것은?(2019년 04월)

   

     1. 수빈은 정아의 말에 자신이 주의 집중하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2. 수빈은 정아가 계속 말을 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있다.
     3. 수빈은 정아의 혼란스러운 감정을 정아 스스로 정리하게끔 도와주고 있다.
     4. 수빈은 정아의 말을 자신의 처지로 바꾸어 의미를 재구성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정말?" 이라는 부분과 "팀장님 질문에 대답을 못했구나"라는 부분을 통해 정아의 말에 놀람을 표현하기도하고 반복하기도 하면서 자신이 정아의 말에 집중하고 있음을 표현하고 있다
"무슨 일이 있었는지 자세히 말해 봐" 라는 부분을 통해 정아가 계속 말을 할 수 있게 격려하고 있다
"처음 ~ 보다" 라는 부분을 통해서 처음 한 프레젠테이션을 망쳤다는 생각을 가진 정아에게 '그럴수도 있지' 라는 의미를 담아 혼란스러운 감정을 정리하게끔 도와주고 있다.
수빈은 정아의 말을 자신의 처지로 바꾸어 의미를 재구성하지 않았다 단지 정아의 말을 반복하면서 자신이 정아의 말에 집중하고 있음을 표현하고 있다

5. 밑줄 친 겹받침의 발음이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4월)
     1. 가을 하늘은 참으로 맑다. [막따]
     2. 감이 익지 않아 대단히 떫다. [떨ː따]
     3. 우리는 그 책을 읽고, 큰 감명을 받았다. [일꼬]
     4. 그는 흥에 겨워 시를 읊고, 장구를 쳤다. [을꼬]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표준발음법 제11항

겹받침 'ㄹㄱ,ㄹㅁ,ㄹㅍ'는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각각 [ㄱ,ㅁ,ㅂ] 로 발음한다
[해설작성자 : 모노오로]

6. (가)~(라)의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22년 04월)

   

     1. ㉠은 억울하게 해를 입은 충신을 가리킨다.
     2. ㉡은 궁궐에 계신 임금을 가리킨다.
     3. ㉢은 헤어진 연인을 가리킨다.
     4. ㉣은 오랜 세월을 함께한 벗을 가리킨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유응부 <간밤에 부던 바람에>
이항복 <철령 노픈 봉에>
이화우 <흩뿌릴 제>
조식 <삼동에 뵈옷 닙고> ㉣은 신하가 모시던 임금이다.
[해설작성자 : 차군원]

차군원님의 해설에 좀 더 추가하자면
1. 낙락장송은 소나무이며, 지조절개를 뜻합니다. 지조절개를 지키는 건 충신입니다.
2. 구주심처는 궁궐이므로, 님은 임금이 맞습니다
3. 임과 이별한 화자가 낙엽이 떨어지는 가을에 임을 그리워하면서 '저'(=임) 자신을 그리워하는지 궁금해하고 있습니다.
4. 틀린 답으로 (서산의)해가 지는 것은 임금의 승하를 비유하는 것입니다.
[해설작성자 : 민초단]

7. 한자 표기가 옳은 것은?(2021년 04월)
     1. 그분은 냉혹한 현실(現室)을 잘 견뎌 냈다.
     2. 첫 손님을 야박(野薄)하게 대해서는 안 된다.
     3. 그에게서 타고난 승부 근성(謹性)이 느껴진다.
     4. 그는 평소 희망했던 기관에 채용(債用)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2.야박 - 野 들 야, 薄 엷을 박

1.現 나타날 현, 實 열매 실//보기는 없는 단어
3.根 뿌리 근, 性 성품 성//보기는 없는 단어
4.採 캘 채, 用 쓸 용//債 빚 채, 用 쓸 용(무언가를 빌려다 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 글쓴이의 견해에 부합하지 않는 것은?(2020년 07월)

   

     1. 사물 인터넷의 개념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기존 인터넷과의 공통점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센서와 배터리, 통신 모듈 등을 갖춘 사물들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사물 인터넷으로 기능한다.
     3. 사물 인터넷은 사람 수준의 지능을 가진 사물들이 네트워크상에서 인간의 개입 없이 서로 소통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4. 사물 인터넷은 컴퓨터가 아니었던 사물도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인터넷과 다르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2. 사물 인터넷은 사람 수준의 지능을 가진 사물들이 네트워크상에서 인간의 개입 없이 서로 소통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X)
→ 지문에서 사람 수준의 지능에 대한 내용은 없다.
[오답 확인]
① 둘째 단락에서 ‘사물 인터넷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기존 인터넷과의 차이점에 주목하기보다는 오히려 공통점을 인식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고 하였다
② 첫째 단락의 마지막 ‘ 일반 사물들은 새롭게 센서와 배터리, 통신 모듈이 부착되면서 컴퓨터가 되고 이렇게 컴퓨터가 된 사물들이 그들 간에 또는 인간의 스마트 기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것이다’는 설명으로 알 수 있다.
④‘인터넷이 전 세계의 컴퓨터를 서로 소통하도록 만든다는 생각이 실현된 것이라면, 사물 인터넷은 이제 전세계의 사물들을 ‘컴퓨터로 만들어’서로 소통하도록 만든다는 생각을 실현하는 것이다.’는 설명으로 알 수 있다.
[해설작성자 : 9급 초시생]

9. (가)~(다)에 들어갈 한자어로 가장 적절한 것은?(2024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47%

10. 다음은 '청소년의 디지털 중독의 폐해와 해결 방안'이라는 주제로 글을 쓰기 위한 개요이다. 수정ㆍ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4년 04월)

    

     1. ㉠의 하위 항목으로 '우울증이나 정서 불안 등의 심리적 질환 초래'를 추가한다.
     2. ㉡은 'Ⅱ-1'과 관련된 내용이 아니므로 삭제한다.
     3. ㉢은 'Ⅱ-2'의 내용과 어울리지 않으므로, 'Ⅱ-1'의 하위 항목으로 옮긴다.
     4. ㉣에는 'Ⅱ-2'와의 관련성을 고려하여 '청소년을 대상으로 디지털 기기의 사용 시간 제한'이라는 내용을 넣는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에는 청소년 디지털 중독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가 들어가야 한다. Ⅱ-2-라와의 연관성을 따져보자면 자극적이고 중독적인 디지털 콘텐츠의 무분별한 유통을 막을 수 있는 방안이 들어가는 것이 더 적절하다.

11. 밑줄 친 부분이 맞춤법에 맞지 않는 것은?(2015년 04월)
     1. 하나에 백 원씩 처주마.
     2. 여름이 되니 몸이 축축 처지네.
     3. 아궁이에서 쓰레기를 처대고 있지.
     4. 오는 길에 처박힌 자전거를 보았어.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해설] 1번 '쳐주다'는 치어+주다 / '쳐주다'의 활용형 '쳐주마' / 3번, 4번 처대다, 처박히다는 접두사 '처-' 가 붙은 것/ 2번은 접두사 처-와 관계 없는 합성어
[해설작성자 : 桎梏]

12. 다음 대화의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22년 04월)

    

     1. ㉠은 청자보다 화자에게, ㉡은 화자보다 청자에게 가까이 있는 대상을 가리킨다.
     2. ㉢은 화자보다 청자에게 멀리 있는 대상을 가리킨다.
     3. ㉢과 ㉣은 같은 대상을 가리킨다.
     4. ㉤은 ㉡과 ㉢ 모두를 가리킨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1. ㉠은 청자보다 화자에게, ㉡은 화자보다 청자에게 가까이 있는 대상을 가리킨다.(○)
→'이'는 말하는 이에게 가까이 있거나 말하는 이가 생각하고 있는 대상을 가리키는 지시 대명사이고, '그'는 듣는 이에게 가까이 있거나 듣는 이가 생각하고 있는 대상을 가리킬 때 쓰는 말이다. 즉 ㉠은 화자에게 ㉡은 청자에게 가까이 있는 대상을 가리킨다.
② ㉢은 화자보다 청자에게 멀리 있는 대상을 가리킨다.(X)
→'저'는 말하는 이와 듣는 이로부터 멀리 있는 대상을 가리키는 지시 대명사로 화자보다 청자에게 멀리 있는 대상이라고 말하기 어렵다.
3. ㉢과 ㉣은 같은 대상을 가리킨다.(○)
→'저' 책과 '그' 책은 한국 대중문화를 다양한 시각에서 다룬 재미있는 책을 뜻한다.
4. ㉤은 ㉡과 ㉢ 모두를 가리킨다.(○)
→'이' 책 두 권은 앞서 말한 두 책으로 ㉡과 ㉢ 모두를 가리키는 것은 적절하다
[해설작성자 : 9급 초시생]

13. 밑줄 친 부분의 의미 관계가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2015년 04월)
     1. 세 시간이 흐르도록 분분했던 의견들이 마침내 하나로 합치하였다.
     2. 아무리 논리적 사고라 하더라도 거기에는 비판이 따르게 마련이다.
     3. 사회적 지위가 높은 사람이 보여주는 겸손은 가끔 오만으로 비칠 수도 있다.
     4. 결미에 제시된 결론이 모두에서 진술한 내용과 관련을 맺는다면 좀 더 긴밀한 구성이 될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②번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반의 관계이다.
②번은 '사고에도 비판이 따른다'는 것일 뿐 반의 관계가 아니다
[해설작성자 : kim]

14. 다음 글에 형상화된 '나'에 대한 비판적 평가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1년 04월)

    

     1. 불한당 같은 사람이다.
     2. 각다귀 같은 사람이다.
     3. 팔불출 같은 사람이다.
     4. 어릿광대 같은 사람이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팔불출 : 덜떨어진 사람의 행동을 나타내는 단어.
칠삭동이처럼 제 달을 다 채우지 못하고 8달만에 낳은 아이를 일컫는 팔삭동이 유래.

팔불용 팔불취라고도 함.

이외에

자기자랑 마누라자랑 자식자랑 부모 조상자랑 형제 자랑 선후배라고 자랑 출신자랑을 하는 사람을 팔불출이라고 한다.

15. 다음 글에서 밑줄 친 내용이 함축하는 의미와 거리가 먼 것은?(2007년 04월)

    

     1. 온달의 만남은 계산하지 않은 만남이다.
     2. 온달의 만남은 일상적이고 자연스러운 것이다.
     3. 온달의 만남은 신비함과 놀라움을 경험하게 해 준다.
     4. 온달의 만남은 인간의 근본적 경험의 원형으로 볼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본문에서 온달이야기에서의 만남은 극적인 모습.
우리가 헤아릴 수 있는 만남은 ~~~ 일상적인 것일수록 자연스럽다. -> 온달의 만남과 대조되는 설명.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6. 다음 글을 내용에 따라 두 문단으로 나눌 때 두 번째 단락이 시작되는 부분은?(2003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1단락 -독서의 시기 주체 내용을 가을,장부,병서에 두고있다.

3번지문 그러나 반드시라고 시작하면서 윗 내용과 다른 내용으로 이어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7. 다음 글의 내용에 부합하지 않는 것은?(2008년 04월)

    

     1. 이 글은 인간이 지니고 있는 고정관념의 부정적인 측면을 이야기하고 있다.
     2. 이 글은 임신 및 출산에 따른 뇌 기능의 변화에 관한 실험 결과를 논박하고 있다.
     3. 임신과 출산의 긍정적 측면은 다양한 호르몬의 분비 및 아이와의 상호작용으로 인지-수행 뇌기능이 향상된다는 것이다.
     4. 육아활동을 통해 아빠의 뇌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2.이 글은 임신 및 출산에 따른 뇌 기능의 변화에 관한 실험 결과를 통해 고정관념을 논박하고 있다.

18. 밑줄 친 단어 중 표준어인 것은?(2012년 04월)
     1. 살다 보면 별 희안한 일이 다 생기지요.
     2. 고향에서 온 편지를 뜯어본 그의 심정은 착찹하기 이를 데 없었다.
     3. 이렇게 심하게 아픈 줄 알았더라면 진즉 병원에 가 볼 것을 그랬다.
     4. 그가 그처럼 흉칙스러운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는 게 믿어지지 않았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희한한.
착잡하다.
흉측하다.

진작 진즉 둘다 부사. 사용가능.
하지만 부사격 조사 에를 붙이면 진작에(x) 진즉에(o)

19. 다음 글의 시사점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20년 07월)

    

     1. 표준으로 삼은 대상이 나머지 대상의 특성까지 대표하지 못하므로 앞으로 의학적 연구를 하려면 하나의 표준을 정하기보다 가능한 한 다양한 대상을 선정해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의학 지식 중에는 특정 표준 대상만을 연구한 결과인 것이 있으므로 앞으로 이런 의학 지식을 활용하려면 연구한 대상을 살펴봐서 그대로 활용할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성별이나 연령대 등에 따라 신체 조건이 같지 않으므로 근무 환경을 조성할 때 근무자들의 성별이나 연령대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기존의 사무실 적정 실내 온도가 조사된 것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향후에 모든 공공 기관의 사무실 온도를 조정할 때 현재보다 설정 온도를 일률적으로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글의 내용은 1960년대 측정된 자료인 특정기준의 성인남성을 기준으로만 하여 측정된 것이고 이걸 표준이라 하기엔 여성이나 다른 남성들의 기준과도 다르다는 내용.

1,2,3번은 다양성을 고려하자는 내용.

4번은 다양성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행동하자는 내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0. 글쓴이의 견해에 부합하는 것은?(2022년 04월)

    

     1. 문화의 전파 기제는 밈 이론보다는 의사소통 이론으로 설명하는 것이 적절하다.
     2. 의사소통 이론에 따르면 문화의 수용 과정에는 수용 주체의 주관이 개입하지 않는다.
     3. 의사소통 이론에 따르면 특정 공동체의 문화는 다른 공동체로 복제를 통해 전파될 수 있다.
     4. 요크셔 푸딩 요리법이 요크셔 지방의 가정이나 개인에 따라 세부적인 차이를 보이는 현상은 밈 이론에 의해 설명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① 문화의 전파 기제는 밈 이론보다는 의사소통 이론으로 설명하는 것이 적절하다. (○)
→셋째 문단, 첫 문장에서 '문화 전파의 기제를 설명하는 이론으로는 밈 이론보다는 의사소통 이론이 더 적절해 보이다'라고 했으므로 ①은 맞는 내용이다.
2. 의사소통 이론에 따르면 문화의 수용 과정에는 수용 주체의 주관이 개입하지 않는다.(×)
→‘의사소통 이론’에 따르면 개입하고 '밈 이론'에 따르면 개입하지 않는다.면 문화의 수용 과정에는 수용 주체의 주관이 개입할 수 있다.
3. 의사소통 이론에 따르면 특정 공동체의 문화는 다른 공동체로 복제를 통해 전파될 수 있다. (×)
→'의사소통 이론'이 아니라 '밈 이론'통해 알 수 있다
4. 요크셔 푸딩 요리법이 요크셔 지방의 가정이나 개인에 따라 세부적인 차이를 보이는 현상은 밈 이론에 의해 설명할 수 있다. (×)
→‘밈 이론' 이 아니라 '의사소통 이론'에 의해 설명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9급 초시생]


정 답 지

9급 국가직 공무원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5416027)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9급 국가직 공무원 국어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다음 중 호칭어와 지칭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4월)
     1. 남편의 여동생을 '고모'라고 부른다.
     2. 오빠의 아내는 '언니'라고 부르고, 지칭어는 '올케'이다.
     3. 누나의 입장에서 남동생의 아내는 지칭어가 '올케'이다.
     4. 남편의 형을 이르는 말은 '아주버니'이다.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남편의 여동생은 아가씨라고 부름
[해설작성자 : mickymouse]

2. 다음 글의 중심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8년 04월)

   

     1. '언문'과 마찬가지로 '언간'의 실용 범위에는 제약이 있었다.
     2. 사용자의 성별 특징으로 인해 '언간'은 '내간'으로 일컬어졌다.
     3. 언간은 특정 계층과 성별에 관계없이 이용된 의사소통 수단이었다.
     4. 조선시대에는 언간의 발신자나 수신자 어느 한쪽으로 반드시 여성이 관여하는 특징을 보인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언간을 둘러싼 역사와 내용을 이야기하면서 최종적으로 언간이 남녀 계층 구분없는 모두의 공유물이라고 결론.

1.글의 중심내용은 아님.
2,4.하지만 ' 명칭때문에~~~오해되어서는 안된다'라는 문장부터 중심내용 이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밑줄 친 부분의 활용이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4월)
     1. 다시 생각해 보니 내 생각과 달리 네 말이 맞는다.
     2. 유달리 가문 그해 봄에는 황사도 많이 왔다고 한다.
     3. 나는 저린 어깨 때문에 가방을 제대로 들 수가 없다.
     4. 그 모임의 분위기에 걸맞는 옷 좀 골라 주세요.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걸맞은
[해설작성자 : 합격 가즈아]

1.맞다 동사. 현재형 맞는다 가능.

2.가물다 = 가물+ㄴ -> 가문
3.저리다 = 저리+ㄴ -> 저린

4.걸맞다. 형용사. 걸맞은으로 표기해야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 두 사람의 대화에 적용된 공감적 듣기의 방법이 아닌 것은?(2019년 04월)

   

     1. 수빈은 정아의 말에 자신이 주의 집중하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2. 수빈은 정아가 계속 말을 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있다.
     3. 수빈은 정아의 혼란스러운 감정을 정아 스스로 정리하게끔 도와주고 있다.
     4. 수빈은 정아의 말을 자신의 처지로 바꾸어 의미를 재구성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정말?" 이라는 부분과 "팀장님 질문에 대답을 못했구나"라는 부분을 통해 정아의 말에 놀람을 표현하기도하고 반복하기도 하면서 자신이 정아의 말에 집중하고 있음을 표현하고 있다
"무슨 일이 있었는지 자세히 말해 봐" 라는 부분을 통해 정아가 계속 말을 할 수 있게 격려하고 있다
"처음 ~ 보다" 라는 부분을 통해서 처음 한 프레젠테이션을 망쳤다는 생각을 가진 정아에게 '그럴수도 있지' 라는 의미를 담아 혼란스러운 감정을 정리하게끔 도와주고 있다.
수빈은 정아의 말을 자신의 처지로 바꾸어 의미를 재구성하지 않았다 단지 정아의 말을 반복하면서 자신이 정아의 말에 집중하고 있음을 표현하고 있다

5. 밑줄 친 겹받침의 발음이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4월)
     1. 가을 하늘은 참으로 맑다. [막따]
     2. 감이 익지 않아 대단히 떫다. [떨ː따]
     3. 우리는 그 책을 읽고, 큰 감명을 받았다. [일꼬]
     4. 그는 흥에 겨워 시를 읊고, 장구를 쳤다. [을꼬]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표준발음법 제11항

겹받침 'ㄹㄱ,ㄹㅁ,ㄹㅍ'는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각각 [ㄱ,ㅁ,ㅂ] 로 발음한다
[해설작성자 : 모노오로]

6. (가)~(라)의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22년 04월)

   

     1. ㉠은 억울하게 해를 입은 충신을 가리킨다.
     2. ㉡은 궁궐에 계신 임금을 가리킨다.
     3. ㉢은 헤어진 연인을 가리킨다.
     4. ㉣은 오랜 세월을 함께한 벗을 가리킨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유응부 <간밤에 부던 바람에>
이항복 <철령 노픈 봉에>
이화우 <흩뿌릴 제>
조식 <삼동에 뵈옷 닙고> ㉣은 신하가 모시던 임금이다.
[해설작성자 : 차군원]

차군원님의 해설에 좀 더 추가하자면
1. 낙락장송은 소나무이며, 지조절개를 뜻합니다. 지조절개를 지키는 건 충신입니다.
2. 구주심처는 궁궐이므로, 님은 임금이 맞습니다
3. 임과 이별한 화자가 낙엽이 떨어지는 가을에 임을 그리워하면서 '저'(=임) 자신을 그리워하는지 궁금해하고 있습니다.
4. 틀린 답으로 (서산의)해가 지는 것은 임금의 승하를 비유하는 것입니다.
[해설작성자 : 민초단]

7. 한자 표기가 옳은 것은?(2021년 04월)
     1. 그분은 냉혹한 현실(現室)을 잘 견뎌 냈다.
     2. 첫 손님을 야박(野薄)하게 대해서는 안 된다.
     3. 그에게서 타고난 승부 근성(謹性)이 느껴진다.
     4. 그는 평소 희망했던 기관에 채용(債用)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2.야박 - 野 들 야, 薄 엷을 박

1.現 나타날 현, 實 열매 실//보기는 없는 단어
3.根 뿌리 근, 性 성품 성//보기는 없는 단어
4.採 캘 채, 用 쓸 용//債 빚 채, 用 쓸 용(무언가를 빌려다 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 글쓴이의 견해에 부합하지 않는 것은?(2020년 07월)

   

     1. 사물 인터넷의 개념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기존 인터넷과의 공통점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센서와 배터리, 통신 모듈 등을 갖춘 사물들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사물 인터넷으로 기능한다.
     3. 사물 인터넷은 사람 수준의 지능을 가진 사물들이 네트워크상에서 인간의 개입 없이 서로 소통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4. 사물 인터넷은 컴퓨터가 아니었던 사물도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인터넷과 다르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2. 사물 인터넷은 사람 수준의 지능을 가진 사물들이 네트워크상에서 인간의 개입 없이 서로 소통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X)
→ 지문에서 사람 수준의 지능에 대한 내용은 없다.
[오답 확인]
① 둘째 단락에서 ‘사물 인터넷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기존 인터넷과의 차이점에 주목하기보다는 오히려 공통점을 인식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고 하였다
② 첫째 단락의 마지막 ‘ 일반 사물들은 새롭게 센서와 배터리, 통신 모듈이 부착되면서 컴퓨터가 되고 이렇게 컴퓨터가 된 사물들이 그들 간에 또는 인간의 스마트 기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것이다’는 설명으로 알 수 있다.
④‘인터넷이 전 세계의 컴퓨터를 서로 소통하도록 만든다는 생각이 실현된 것이라면, 사물 인터넷은 이제 전세계의 사물들을 ‘컴퓨터로 만들어’서로 소통하도록 만든다는 생각을 실현하는 것이다.’는 설명으로 알 수 있다.
[해설작성자 : 9급 초시생]

9. (가)~(다)에 들어갈 한자어로 가장 적절한 것은?(2024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47%

10. 다음은 '청소년의 디지털 중독의 폐해와 해결 방안'이라는 주제로 글을 쓰기 위한 개요이다. 수정ㆍ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4년 04월)

    

     1. ㉠의 하위 항목으로 '우울증이나 정서 불안 등의 심리적 질환 초래'를 추가한다.
     2. ㉡은 'Ⅱ-1'과 관련된 내용이 아니므로 삭제한다.
     3. ㉢은 'Ⅱ-2'의 내용과 어울리지 않으므로, 'Ⅱ-1'의 하위 항목으로 옮긴다.
     4. ㉣에는 'Ⅱ-2'와의 관련성을 고려하여 '청소년을 대상으로 디지털 기기의 사용 시간 제한'이라는 내용을 넣는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에는 청소년 디지털 중독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가 들어가야 한다. Ⅱ-2-라와의 연관성을 따져보자면 자극적이고 중독적인 디지털 콘텐츠의 무분별한 유통을 막을 수 있는 방안이 들어가는 것이 더 적절하다.

11. 밑줄 친 부분이 맞춤법에 맞지 않는 것은?(2015년 04월)
     1. 하나에 백 원씩 처주마.
     2. 여름이 되니 몸이 축축 처지네.
     3. 아궁이에서 쓰레기를 처대고 있지.
     4. 오는 길에 처박힌 자전거를 보았어.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해설] 1번 '쳐주다'는 치어+주다 / '쳐주다'의 활용형 '쳐주마' / 3번, 4번 처대다, 처박히다는 접두사 '처-' 가 붙은 것/ 2번은 접두사 처-와 관계 없는 합성어
[해설작성자 : 桎梏]

12. 다음 대화의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22년 04월)

    

     1. ㉠은 청자보다 화자에게, ㉡은 화자보다 청자에게 가까이 있는 대상을 가리킨다.
     2. ㉢은 화자보다 청자에게 멀리 있는 대상을 가리킨다.
     3. ㉢과 ㉣은 같은 대상을 가리킨다.
     4. ㉤은 ㉡과 ㉢ 모두를 가리킨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1. ㉠은 청자보다 화자에게, ㉡은 화자보다 청자에게 가까이 있는 대상을 가리킨다.(○)
→'이'는 말하는 이에게 가까이 있거나 말하는 이가 생각하고 있는 대상을 가리키는 지시 대명사이고, '그'는 듣는 이에게 가까이 있거나 듣는 이가 생각하고 있는 대상을 가리킬 때 쓰는 말이다. 즉 ㉠은 화자에게 ㉡은 청자에게 가까이 있는 대상을 가리킨다.
② ㉢은 화자보다 청자에게 멀리 있는 대상을 가리킨다.(X)
→'저'는 말하는 이와 듣는 이로부터 멀리 있는 대상을 가리키는 지시 대명사로 화자보다 청자에게 멀리 있는 대상이라고 말하기 어렵다.
3. ㉢과 ㉣은 같은 대상을 가리킨다.(○)
→'저' 책과 '그' 책은 한국 대중문화를 다양한 시각에서 다룬 재미있는 책을 뜻한다.
4. ㉤은 ㉡과 ㉢ 모두를 가리킨다.(○)
→'이' 책 두 권은 앞서 말한 두 책으로 ㉡과 ㉢ 모두를 가리키는 것은 적절하다
[해설작성자 : 9급 초시생]

13. 밑줄 친 부분의 의미 관계가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2015년 04월)
     1. 세 시간이 흐르도록 분분했던 의견들이 마침내 하나로 합치하였다.
     2. 아무리 논리적 사고라 하더라도 거기에는 비판이 따르게 마련이다.
     3. 사회적 지위가 높은 사람이 보여주는 겸손은 가끔 오만으로 비칠 수도 있다.
     4. 결미에 제시된 결론이 모두에서 진술한 내용과 관련을 맺는다면 좀 더 긴밀한 구성이 될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②번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반의 관계이다.
②번은 '사고에도 비판이 따른다'는 것일 뿐 반의 관계가 아니다
[해설작성자 : kim]

14. 다음 글에 형상화된 '나'에 대한 비판적 평가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1년 04월)

    

     1. 불한당 같은 사람이다.
     2. 각다귀 같은 사람이다.
     3. 팔불출 같은 사람이다.
     4. 어릿광대 같은 사람이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팔불출 : 덜떨어진 사람의 행동을 나타내는 단어.
칠삭동이처럼 제 달을 다 채우지 못하고 8달만에 낳은 아이를 일컫는 팔삭동이 유래.

팔불용 팔불취라고도 함.

이외에

자기자랑 마누라자랑 자식자랑 부모 조상자랑 형제 자랑 선후배라고 자랑 출신자랑을 하는 사람을 팔불출이라고 한다.

15. 다음 글에서 밑줄 친 내용이 함축하는 의미와 거리가 먼 것은?(2007년 04월)

    

     1. 온달의 만남은 계산하지 않은 만남이다.
     2. 온달의 만남은 일상적이고 자연스러운 것이다.
     3. 온달의 만남은 신비함과 놀라움을 경험하게 해 준다.
     4. 온달의 만남은 인간의 근본적 경험의 원형으로 볼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본문에서 온달이야기에서의 만남은 극적인 모습.
우리가 헤아릴 수 있는 만남은 ~~~ 일상적인 것일수록 자연스럽다. -> 온달의 만남과 대조되는 설명.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6. 다음 글을 내용에 따라 두 문단으로 나눌 때 두 번째 단락이 시작되는 부분은?(2003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1단락 -독서의 시기 주체 내용을 가을,장부,병서에 두고있다.

3번지문 그러나 반드시라고 시작하면서 윗 내용과 다른 내용으로 이어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7. 다음 글의 내용에 부합하지 않는 것은?(2008년 04월)

    

     1. 이 글은 인간이 지니고 있는 고정관념의 부정적인 측면을 이야기하고 있다.
     2. 이 글은 임신 및 출산에 따른 뇌 기능의 변화에 관한 실험 결과를 논박하고 있다.
     3. 임신과 출산의 긍정적 측면은 다양한 호르몬의 분비 및 아이와의 상호작용으로 인지-수행 뇌기능이 향상된다는 것이다.
     4. 육아활동을 통해 아빠의 뇌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2.이 글은 임신 및 출산에 따른 뇌 기능의 변화에 관한 실험 결과를 통해 고정관념을 논박하고 있다.

18. 밑줄 친 단어 중 표준어인 것은?(2012년 04월)
     1. 살다 보면 별 희안한 일이 다 생기지요.
     2. 고향에서 온 편지를 뜯어본 그의 심정은 착찹하기 이를 데 없었다.
     3. 이렇게 심하게 아픈 줄 알았더라면 진즉 병원에 가 볼 것을 그랬다.
     4. 그가 그처럼 흉칙스러운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는 게 믿어지지 않았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희한한.
착잡하다.
흉측하다.

진작 진즉 둘다 부사. 사용가능.
하지만 부사격 조사 에를 붙이면 진작에(x) 진즉에(o)

19. 다음 글의 시사점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20년 07월)

    

     1. 표준으로 삼은 대상이 나머지 대상의 특성까지 대표하지 못하므로 앞으로 의학적 연구를 하려면 하나의 표준을 정하기보다 가능한 한 다양한 대상을 선정해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의학 지식 중에는 특정 표준 대상만을 연구한 결과인 것이 있으므로 앞으로 이런 의학 지식을 활용하려면 연구한 대상을 살펴봐서 그대로 활용할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성별이나 연령대 등에 따라 신체 조건이 같지 않으므로 근무 환경을 조성할 때 근무자들의 성별이나 연령대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기존의 사무실 적정 실내 온도가 조사된 것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향후에 모든 공공 기관의 사무실 온도를 조정할 때 현재보다 설정 온도를 일률적으로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글의 내용은 1960년대 측정된 자료인 특정기준의 성인남성을 기준으로만 하여 측정된 것이고 이걸 표준이라 하기엔 여성이나 다른 남성들의 기준과도 다르다는 내용.

1,2,3번은 다양성을 고려하자는 내용.

4번은 다양성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행동하자는 내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0. 글쓴이의 견해에 부합하는 것은?(2022년 04월)

    

     1. 문화의 전파 기제는 밈 이론보다는 의사소통 이론으로 설명하는 것이 적절하다.
     2. 의사소통 이론에 따르면 문화의 수용 과정에는 수용 주체의 주관이 개입하지 않는다.
     3. 의사소통 이론에 따르면 특정 공동체의 문화는 다른 공동체로 복제를 통해 전파될 수 있다.
     4. 요크셔 푸딩 요리법이 요크셔 지방의 가정이나 개인에 따라 세부적인 차이를 보이는 현상은 밈 이론에 의해 설명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① 문화의 전파 기제는 밈 이론보다는 의사소통 이론으로 설명하는 것이 적절하다. (○)
→셋째 문단, 첫 문장에서 '문화 전파의 기제를 설명하는 이론으로는 밈 이론보다는 의사소통 이론이 더 적절해 보이다'라고 했으므로 ①은 맞는 내용이다.
2. 의사소통 이론에 따르면 문화의 수용 과정에는 수용 주체의 주관이 개입하지 않는다.(×)
→‘의사소통 이론’에 따르면 개입하고 '밈 이론'에 따르면 개입하지 않는다.면 문화의 수용 과정에는 수용 주체의 주관이 개입할 수 있다.
3. 의사소통 이론에 따르면 특정 공동체의 문화는 다른 공동체로 복제를 통해 전파될 수 있다. (×)
→'의사소통 이론'이 아니라 '밈 이론'통해 알 수 있다
4. 요크셔 푸딩 요리법이 요크셔 지방의 가정이나 개인에 따라 세부적인 차이를 보이는 현상은 밈 이론에 의해 설명할 수 있다. (×)
→‘밈 이론' 이 아니라 '의사소통 이론'에 의해 설명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9급 초시생]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9급 국가직 공무원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5416027)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034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사회(유공자)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6월1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3
6033 전자부품장착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7월13일(4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032 청소년상담사 2급(1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3월2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4
6031 관광통역안내사 1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9월0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03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정보보호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9404925)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3
6029 9급 국가직 공무원 재난관리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1686338)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028 항공기체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10월06일(5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3
6027 경찰공무원(순경) 영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5월3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026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기계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3월2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3
6025 공조냉동기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1월18일(1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024 소방공무원(공개,경력) 영어(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4월09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4
6023 정보처리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3월2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022 9급 국가직 공무원 회계원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4월1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4
6021 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1월24일(1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020 9급 국가직 공무원 조경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3월2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3
6019 식품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3월0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018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지역사회간호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6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3
6017 PSAT 언어논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3월09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0
6016 워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8월31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4
» 9급 국가직 공무원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5416027)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04 Next
/ 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