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48823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TCP/IP


1. IPv4와 IPv6를 비교하여 설명한 것 중 올바른 것은?(2009년 02월)
     가. IPv4는 자체적으로 IPsec과 같은 보안 프로토콜을 내장하고 있지만, IPv6는 보안 프로토콜의 추가가 필요하다.
     나. IPv4는 필드 구분을 위해 '.'을 사용하나, IPv6는 ';'으로 구분한다.
     다. IPv4의 각 필드는 10진수로 표시되나, IPv6의 각 필드는 16진수로 표시된다.
     라. IPv4는 4개의 16bit 정수로 나누어지나, IPv6는 8개의 32bit 정수로 구분된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ipv4 , ipv6    자주 나오는 내용이지요~
ipv4 4개의 10진수로 표시, ipv6 4개의 16진수를 이용합니다~
[해설작성자 : 초이]

IPv6는 ":"로 구분하고, 128bit입니다.

2. 다음은 라우터의 경로 결정 시 routing table을 참조하여 패킷을 전달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이다. 올바른 것은?(2023년 08월)

   

     가. Administrative distance (관리거리)
     나. Longest match rule (롱기스트 매치 룰)
     다. Next-hop address (넥스트홉 주소)
     라. Metric (메트릭)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라우팅 테이블의 prefix mask(프리픽스 마스크)는 IP주소에서 네트워크와 호스트 부분을 나누는데 사용되는 마스크 입니다. 이는네트워크 주소 길이를 나타내며, forwarding(포워딩,전달)은 라우터나 스위치가 수신한 패킷을 적절한 목적지로 보내는 프로세스를 말합니다.
합치면, 네트워크 주소 길이를 고려하여 패킷을 적절하게 전송하라는 의미가 됩니다.

보기 중 "Longest Match Rule(최장 일치 규칙)"은 목적지IP주소와 가장 잘 일치하는 항목을 찾을때 사용되는 규칙으로, 패킷의 목적지 IP 주소와 가장 긴(가장 많은 비트) 일치하는 서브넷 마스크를 가진 라우팅 항목을 선택합니다.
"Administrative distance(관리 거리)"는 라우팅 프로토콜이나 라우팅 정보를 평가하고 선택하는 데 사용되는 척도이고,
"Next-hop address(다음 점프 주소)"는 라우터가 패킷을 전달할 다음 목적지를 나타내는 주소입니다.
Metric(메트릭)은 경로의 가중치 또는 비용을 나타내는 값으로 해당 경로의 신뢰성, 대역폭, 지연 등과 관련된 정보를 나타내므로 이중 가장 비슷한 2번이 정답인 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출처:chatGPT]

3. TCP/IP의 디자인 목표로 타당하지 않는 것은?(2009년 02월)
     가. 에러가 발생해도 신뢰할만한 완전한 서비스 수행
     나. 낮은 데이터 오버헤드에서도 효과적인 서비스 수행
     다. 서비스 중단 없이 다른 네트워크 추가 기능
     라. TCP와 IP의 완벽한 기능 분리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TCP와 IP 프로토콜이 합해진 것으로 완벽한 기능 분리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4. 인터넷의 잘 알려진 포트(Well-Known Port) 번호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10월)
     가. SSH - 22번
     나. FTP - 21번
     다. Telnet - 24번
     라. SMTP - 25번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Telnet의 포트번호는 23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합격하고싶다]

5. Link State 알고리즘을 이용해 서로에게 자신의 현재 상태를 알려주며 네트워크 내 통신을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은?(2010년 10월)
     가. OSPF
     나. IDRP
     다. EGP
     라. BGP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OSPF (open shortest path first) 최단 경로 우선 프로토콜 IP 내에서 다이나믹 라우팅 프로토콜 IGP
[해설작성자 : 임현성]

거리-벡터 알고리즘 : RIP, IGRP, EIGRP, BGP
링크-상태 알고리즘 : OSPF, IS-IS

6. 높은 신뢰도나 제어용 메시지를 필요로 하지 않고, 비연결형 서비스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은?(2024년 05월)
     가. UDP
     나. TCP
     다. ARP
     라. ICMP

     정답 :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높은 신뢰도나 제어용 메시지를 필요로 하지 않고, 비연결형 서비스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1. UDP (User Datagram Protocol)입니다.

UDP는 비연결형 프로토콜로, 데이터 전송 시 연결 설정이 필요하지 않으며, 신뢰성보다는 빠른 데이터 전송을 우선시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이로 인해 데이터가 손실되거나 순서가 뒤바뀔 수 있지만, 실시간 스트리밍, 온라인 게임, VoIP 등 속도가 중요한 응용 프로그램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나머지 선택지:

2. TCP: 연결형 서비스로, 높은 신뢰성과 제어 기능을 제공합니다.
3. ARP: IP 주소를 MAC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입니다.
4. ICMP: 네트워크 진단과 오류 메시지 처리를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해설작성자 : 꿈은 이루어진다 오늘도 화이팅 ]

7. C Class 네트워크에서 6개의 서브넷이 필요하다고 할 때 가장 적당한 서브넷 마스크는?(2017년 02월)
     가. 255.255.255.0
     나. 255.255.255.192
     다. 255.255.255.224
     라. 255.255.255.240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6개의 서브넷 필요
>> 2의 n제곱 중에 6을 포함하는 가장 낮은 수
>> 8
>> 2^3
>> 제곱수인 3만큼을 1로 채운 2진수 표현
>> 1 1 1 0 0 0 0 0
>> 10진수화
>> 224

답은 255.255.255.224
[해설작성자 : dev]

8. Anonymous FTP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4월)
     가. 일반적으로 80번 포트를 사용하여 상호 통신한다.
     나. Internet의 많은 컴퓨터들이 Anonymous FTP를 사용하여 문서, S/W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다. 상대방 측 컴퓨터의 계정이 없어도 파일을 송수신 할 수 있다.
     라. 'Anonymous' 계정으로 접속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FTP는 21번포트, 웹서버는 80번 포트를 사용합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9. IPv6에서 6000Byte의 패킷이 이더넷 LAN을 통과해야 하는 경우 사용할 확장 헤더는?(2018년 02월)
     가. Source Routing
     나. Fragmentation
     다. Authentification
     라. Destination Option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Fragmentation
6000바이트 패킷이 이더넷 LAN 통과할때 사용할 확장 헤더

외우도록 합시다.
[해설작성자 : 답을 외워요]

문제자체가 잘 이해가 안되서 헤맸는데, 6000바이트의 데이터를 보내려고하니까 한 번에 보낼 수 있는 단위를 넘어섰기때문에 단편화를 해야해서 단편화에 대한 헤더가 활성화된다..정도로 외우면 어떨까라고 생각했습니다.
[해설작성자 : ㅎㅇ..]

10. 다음 지문에 표기된 IPv6 주소는 요약된 표현이다. 보기 중 요약되기 전 상태는?(2021년 08월)

    

     가. 2000:00AB:0001:0000:0001:0002
     나. 2000:00AB:0001:0000:0000:0000:0001:0002
     다. 2000:AB00:1000:0000:1000:2000
     라. 2000:AB00:1000:0000:0000:0000:1000:2000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IPv6는 16진수 4개를 사용하여 콜론(:)으로 구분
각 숫자는 16진수(4비트)를 의미
- 앞에오는 0은 생략가능
- 0이 연속으로 나올때는 콜론을 두번사용(::)[한번만사용가능]
[해설작성자 : 맞나?아닌가?]

16비트씩 8개 부분으로 나뉘어서 총 128bit 주소체계를 갖는다. 지문을 보면 5개부분 생략된건 3개 부분이다. 따라서 0000 0000 0000 3개 부분이 추가되어야 함
[해설작성자 : 네트웤조지자]

11. TFTP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2월)
     가. Trivial File Transfer Protocol의 약어이다.
     나. 네트워크를 통한 파일 전송 서비스이다.
     다. 3방향 핸드셰이킹 방법인 TCP 세션을 통해 전송한다.
     라. 신속한 파일의 전송을 원할 경우에는 FTP보다 훨씬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TFTP는 FTP보다 단순한 방식을 사용하고, TCP가 아닌 UDP을 기반으로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공마고김난]

12. 다음 지문에 표기된 IPv6 주소는 요약된 표현이다. 보기 중 요약되기 전 상태는?(2025년 08월)

    

     가. 2000:00AB:0001:0000:0001:0002
     나. 2000:00AB:0001:0000:0000:0000:0001:0002
     다. 2000:AB00:1000:0000:1000:2000
     라. 2000:AB00:1000:0000:0000:0000:1000:2000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IPv6 축약 규칙
각 블록의 앞쪽 0은 생략 가능: 00AB → AB, 0001 → 1
연속된 0 블록은 한 번만 ::로 축약 가능.
예를 들어 지문 주소가 2000:AB:1::1:2였다면,
앞 0 복원 + ::를 4개의 0000 블록으로 복원하면
2000:00AB:0001:0000:0000:0000:0001:0002 → 2번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y ]

13. URL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5년 07월)
     가. URL은 인터넷상의 정보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방법으로서 인터넷의 모든 자원 및 서비스에 대해 사용되는 표준 명명 규칙이다.
     나. URL의 구성은 프로토콜, 호스트 명, 도메인 명, 디렉터리 이름, 파일 이름순으로 구성되며 [protocol://host.domain /directory/file] 형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다. URL은 지정된 컴퓨터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전 세계적으로 유일한 이름을 가질 뿐만 아니라 하나의 도메인 이름은 오직 하나의 호스트와 대응할 수 있다.
     라. URL에 참여할 수 있는 프로토콜들로는 HTTP를 비롯, FTP, Telnet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4%

14. 다음 중 SNMP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5년 04월)
     가. SNMP는 주기적으로 폴링(Polling)하여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나. 네트워크 확장을 용이하게 해준다.
     다. SNMP는 TCP 세션을 이용한다.
     라. Polling Overhead가 크다.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SNMP 는 UDP 세션을 이용합니다.
[해설작성자 : 윤현준]

SNMP: 호스트로부터 정기적으로 여러 관리 정보를 수집하거나 그것들의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
관리하는 manager가 관리 대상 agent 에게 request를 보내고 응답을 받는다.
실시간 모니터링 기능이 필요하고, 빠른 정보를 받아야 하기에 UDP를 사용.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이니까 심플해야 함. UDP 사용이 맞음, 심지어 TCP 사용하면 느릴거임
[해설작성자 : 합격만 시켜주세요..]

15. 망 내 교환 장비들이 오류 상황에 대한 보고를 할 수 있게 하고, 예상하지 못한 상황이 발생한 경우 이를 알릴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토콜은?(2019년 11월)
     가. ARP
     나. RARP
     다. ICMP
     라. RIP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는 인터넷 환경에서 오류에 관한 처리를 지원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16. 전력선 통신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4월)
     가. 전력선 통신은 가정이나 사무실에 이미 구축되어 있는 전력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이다.
     나. 전력선 통신은 신호전달을 위해 높은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가전제품에 치명적인 영향을 준다.
     다. 전력선 통신은 전력선을 통신매체로 사용하기 때문에 동축 케이블이나 광섬유 등을 이용한 통신과 달리 잡음이나 감쇄가 심하다.
     라. 전력선 통신은 100KHz에서 30MHz 사이의 고주파 대역에 신호를 실어 보내고 고주파 필터를 통해 신호를 구분해 내는 방식이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전력선 통신은 가정이나 사무실에 거의 무조건 깔려있는 전력선에 전기뿐만이 아니라 데이터와 음성신호까지 모두 보내는것이다.
보통 220V는 60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며 60Hz이외의 다른 주파수에 내가 원하는 정보를 실어 보내는것인데 전력선을 매체로 사용하기 때문에 현재 네트워크에 비해 너무 느리기때문에 아직 양산되지 못하고 있다.
[해설작성자 : WickedMJ]

17. 전력선 통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7월)
     가. 전력선 통신은 가정이나 사무실에 이미 구축되어 있는 전력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이다.
     나. 전력선 통신은 신호전달을 위해 높은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가전제품에 치명적인 영향을 준다.
     다. 전력선 통신은 전력선을 통신매체로 사용하기 때문에 동축 케이블이나 광섬유 등을 이용한 통신과 달리 잡음이나 감쇄가 심하다.
     라. 전력선 통신은 100KHz~30MHz 사이의 고주파 대역에 신호를 실어 보내고 고주파 필터를 통해 신호를 구분해 내는 방식이다.

     정답 : []
     정답률 : 76%

2과목 : 네트워크 일반


18. TCP/IP Suite와 OSI 7 Layer의 연결이 올바른 것은?(2018년 02월)
     가. Telnet - 전달 계층
     나. TCP/UDP - 세션 계층
     다. IP - 네트워크 계층
     라. Ethernet - 표현 계층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계층 1: 물리 계층(Physical layer)
단위 - Signal
대표 장치 - Hub

계층 2: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단위 - frame[1]
대표 장치 - L2 Switch[2]

계층 3: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단위 - Packet(패킷)
대표 장치 - Router(라우터), L3 Switch
프로토콜 - IP,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3], RIP, RIP v2, OSPF, IGRP, EIGRP[4], BGP 등등의 Routing Protocol

계층 4: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단위 - Segment(세그먼트)
프로토콜 - TCP, UDP

계층 5: 세션 계층(Session layer)
동시 송수신 방식(duplex), 반이중 방식(half-duplex), 전이중 방식(Full Duplex)의 통신과 함께, 체크 포인팅과 유휴, 종료, 다시 시작 과정 등을 수행

계층 6: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
수신자 장치에서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송신자 장치로부터온 데이터를 해석하기 위한 응용계층 데이터 부호화,변환

수신자에서 압축을 풀수있는 방식으로 된 데이터 압축

전송을 위한 암호화와 복호화

계층 7: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단위 - Message 또는 Data[5]
[해설작성자 : 출처-위치]

19. 패킷교환의 특징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4월)
     가. 패킷과 함께 오류제어를 함으로서 고품질/고신뢰성 통신이 가능하다.
     나. 패킷을 전송 시에만 전송로를 사용하므로 설비 이용 효율이 높다.
     다. 종량제 과금 처리가 용이하다.
     라. 복수의 상대방과는 통신이 불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69%

20. IEEE 802.3 표준안을 포함하고 있는 것은?(2017년 02월)
     가. Token Bus
     나. Ethernet
     다. FDDI
     라. Token Ring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가.    Token Bus IEEE 802.4
다.    FDDI 1980년대 Ethernet(IEEE 802.3),Token Ring(IEEE 802.5)에 뒤이은 고속 근거리 망의 표준
[해설작성자 : 오세민216]

21. 데이터 전송 시 전송매체를 통한 신호의 전달속도가 주파수의 가변적 속도에 따라 왜곡되는 현상은?(2018년 02월)
     가. 감쇠 현상
     나. 지연 왜곡
     다. 누화 잡음
     라. 상호 변조 잡음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왜곡되는 현상은?
지연왜곡
[해설작성자 : 함승필짱 친구]

22. (A) 안에 맞는 용어로 옳은 것은?(2019년 08월)

    

     가. QoS (Quality of Service)
     나. F/W (Fire Wall)
     다. IPS (intrusion prevention system)
     라. IDS ( Intrusion Detection System)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QoS (Quality of Service) : 데이터 흐름에 우선순위를 정해 데이터 전송에 일정수준 이상의 품질과 수준을 보장
F/W : 방화벽
IPS : 침입 방지 시스템
IDS : 침입 탐지 시스템
[해설작성자 : 마루]

23. 아래 내용에서 IPv6의 일반적인 특징만을 나열한 것은?(2022년 11월)

    

     가. A, B, C, D
     나. A, C, D, E
     다. B, C, D, E
     라. B, D, E, F

     정답 :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A. Ipv4는 32비트 입니다.
B. Ipv4는 4개의 클래스로 구분되는 클래스풀을 사용합니다 Ipv6는 네트워크 접두사와 인터페이스 식별자가 있는 계층적 주소 구조를 사용합니다.
C. Ipv6 헤더는 고정된 길이를 가지며 IPv4의 가변 길이 헤더에 비해 단순합니다.
D. Ipv4에 비해 보안 기능이 향상되었습니다
E. 멀티캐스트는 패킷 전송에 사용됩니다. 멀티캐스트는 효율적인 그룹통신을 위해 Ipv6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F. 브로드캐스트는 패킷을 전송하는데 사용됩니다. Ipv6는 브로드캐스트를 지원하지 않으며 대신 비슷한 목적으로 멀티캐스트를 지원합니다.

IPv6 멀티캐스트는 인터넷 또는 네트워크를 통한 1대 다 또는 다 대 다 통신에서 사용되는 매커니즘입니다. 송신자가 각각의 개별 수신자에게 별도의 데이터 복사본을 보내는 대신 특정 수신자 그룹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합니다. IPv6멀티캐스트 주소는 데이터를 수신해야 하는 수신기 그룹을 식별하는데 사용됩니다.

Ipv6 멀티캐스트는 불필요한 네트워크 트래픽을 생성하지 않고 데이터를 특정 수신기 그룹으로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유니캐스트나 브로드 캐스트 통신보다 효율 적입니다.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온라인 게임 및 회의 같이 그룹 통신이 필요한 응용프로그램에 특히 유용합니다
[해설작성자 : Labs]

24. IEEE에서 표준화된 저속 Ethernet 방식은 전송매체와 전송속도에 따라 xBase-y 또는 xBroad-y형태의 이름을 갖는다. 여기서 x와 y의 의미로 올바른 것은?(2010년 10월)
     가. x : 전송속도, y : 비트 에러율
     나. x : 전송속도, y : 리피터 없이 전송가능 최대거리
     다. x : 비트 에러율, y : 전송속도
     라. x : 리피터 없이 전송가능 최대거리, y : 전송속도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10Base-5, 10Base-2, 10Base-T 등이 있으며
10Base-T의 경우 UDP를 사용,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해설작성자 : 이아름]

25. 세션계층에서 제공하는 기능은?(2017년 04월)
     가. 대화 제어
     나. 데이터 변환
     다. 데이터 압축
     라. 암호화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세(션)제(어) 세.제
[해설작성자 : ㅇㅅㅎ]

세션계층(Session Layer)

기능
●동기화: 어떤 순서로 데이터를 전송 계층으로 전송할지를 결정하고, 전송시 수신자로부터의 확인이 요구되는 곳이 어디인지를 결정
●세션 연결의 설정과 종료: 세션 연결의 설정과 종료 및 관리에 대한 절차를 규정
●대화 제어: 누가 언제 보내는지를 결정
[해설작성자 : 정보보안김우석]

26. IEEE 표준안 중 CSMA/CA에 해당하는 표준은?(2018년 02월)
     가. 802.1
     나. 802.2
     다. 802.3
     라. 802.11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CSMA/CA는 충돌 회피 이며, 유선상에서는 회피를 할 수 없고, 무선상에서 가능합니다. 해당 문제는 무선의 IEEE표준안을 찾는 문제이므로 802.11이 정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한국디지털융합직업전문학교]

[추가 해설]
CSMA/CD 유선LAN에서 사용 802.3
CSMA/CA 무선LAN에서 사용 802.11
[해설작성자 : YG]

전기 전자 기술자 협회(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공식 사이트가서 직접 보시면
802.11 라고 나와있습니다. 문제오류가 아닙니다. 잘 찾아보시고 답변 다시길 바랍니다. 책과 인터넷이 802.3이라고 나와있으면 책과 인터넷 자료가 잘못된겁니다. 모르는 것이 많으면 공부 더하시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시길 바랍니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지만 위 해설과 같은 이유로 정답은 4번입니다.

[대표 오류 신고 내용]
CSMA/CA는 IEEE 표준안에서 802.3으로 알고있고 802.11은 무선랜 입니다. 제가 모르는 것이 많아도 이건 아닌걸로 아는데 수정 부탁드립니다.

[추가 신고 내용]
802.3이 IEEE표준안 CSMA/CA맞습니다 혹시몰라 책과 인터넷을 뒤져봐도 문제오류같네요
[해설작성자 : EffectI]

[오류신고 반론]
아니 "CSMA/CA는 802.3이고, 802.11은 무선랜이다"라고 하시는 분, CSMA/CA가 무선랜입니다;
802.3은 CSMA/CD입니다. 괜히 혼란만 주지 마세요.

∴ CSMA/CA = 무선랜 = 802.11
    CSMA/CD = 유선랜 = 네트워크 카드 = 802.3

IEEE 802.3     CSMA/CD
IEEE 802.4     Token bus
IEEE 802.5     Token ring
IEEE 802.11    CSMA/CA

27. 다음 내용이 설명하는 용어는?(2017년 07월)

    

     가. 스마트폰 결제
     나. RFID
     다. 전자금융
     라. FinTech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핀테크(fintech)’는 이름 그대로 ‘금융(finance)’과 ‘기술(technology)’이 결합한 서비스 또는 그런 서비스를 하는 회사를 가리키는 말이다. 여기서 말하는 기술은 정보기술(IT)이다.
[해설작성자 : 대충쳐도합격]

3과목 : NOS


28. Windows 2000 Server가 지원하는 File System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7월)
     가. EXT2
     나. NTFS
     다. FAT
     라. FAT32

     정답 : []
     정답률 : 71%

29. Windows Server 2016에서 FTP 사이트 구성시 SSL을 적용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은?(2021년 11월)
     가. 전송속도 증대
     나. 사용자 편의 향상
     다. 동시 접속 사용자 수 증가
     라. 보안 강화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SSL위에서 FTP를 수행하는 것으로 명령어와 데이터가 모두 암호화
[해설작성자 : 앙냥냥]

SSL: Secure Sockets Layer 보안 소켓 계층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0. Windows 2000 Server 멀티 부팅시 OS의 선택 시간을 “30초” 로 수정하려고 한다. 선택 시간을 수정하는 곳은?(2009년 02월)
     가. [시스템 등록 정보] - [고급 탭] - [성능 옵션]
     나. [시스템 등록 정보] - [하드웨어 탭] - [환경 변수]
     다. [시스템 등록 정보] - [고급 탭] - [시작 및 복구]
     라. [시스템 등록 정보] - [하드웨어 탭] - [장치 관리자]

     정답 : []
     정답률 : 68%

31. Linux 시스템에서 특정 파일의 권한이 ′-rwxr-x--x′ 이다. 이 파일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23년 11월)
     가. 소유자는 읽기 권한, 쓰기 권한, 실행 권한을 갖는다.
     나. 소유자와 같은 그룹을 제외한 다른 모든 사용자는 실행 권한만을 갖는다.
     다. 이 파일의 모드는 ′751′ 이다.
     라. 동일한 그룹에 속한 사용자는 실행 권한만을 갖는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xxx/xxx/xxx:
-앞의 세문자: 파일 소유자에 대한 권한
-중간의 세문자: 파일 소유자의 그룹에 대한 권한
-마지막 세문자: 시스템의 다른 사용자에 대한 권한

---    0 권한 없음
---x 1 실행 전용 권한
-w-    2 쓰기전용 권한
-wx    3 쓰기 및 실행 권한
r--    4 읽기 권한
r-x    5 읽기 및 실행 권한
rw-    6 읽기 및 쓰기 권한
rwx    7 읽기 쓰기 및 실행 권한
[해설작성자 : 군바리구글링]

chmod 더쉽게

r(읽기) = 4
w(쓰기) = 2
x(실행) = 1

위 세개만 기억하고 숫자 더하면됨.

ex> rwx = 4 + 2 + 1 = 7
        r-x = 4 + 0 + 1 = 5
        --x = 0 + 0 + 1 = 1
[해설작성자 : 빠대비]

32. Windows 2003 Server에서 Active Directory의 논리적 구조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1월)
     가. Domain
     나. Tree
     다. Forest
     라. Graph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 Active Directory의 논리적 구조
Domain, O.U, Object, Global catalog, Tree, Forest, site

33. Linux에서 사용되는 ′free′ 명령어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2024년 02월)
     가. 사용 중인 메모리, 사용 가능한 메모리 용량을 알 수 있다.
     나. 패스워드 없이 사용하는 유저를 알 수 있다.
     다. 디렉터리의 사용량을 알 수 있다.
     라. 사용 가능한 파일 시스템의 양을 알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free명령어는 리눅스 시스템에서 메모리의 전체적인 현황을 빠르게 살펴볼 수 있는 명령어.
전체 메모리의 크기와 사용 중인 메모리 크기, 그 밖에 공유 메모리와 buffer, cache메모리 및 swap의 크기를 알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동그리]

34. Windows 2000 Server에서 FTP서버의 등록정보에 없는 탭은?(2006년 07월)
     가. 보안 계정
     나. 디렉터리 보안
     다. 성능
     라. 홈 디렉터리

     정답 : []
     정답률 : 49%

35. Linux에서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 및 환경 설정에 필요한 설정 파일들과 passwd 파일을 포함하고 있는 디렉터리는?(2013년 10월)
     가. /bin
     나. /home
     다. /etc
     라. /root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etc 디렉토리에는 passwd 나 group, shadow 등의 각종 설정과 관련된 파일들이 들어있다.
[해설작성자 : kaiys]

36. Linux 시스템에서 디렉터리를 생성하는 명령어는?(2018년 07월)
     가. mkdir
     나. rmdir
     다. grep
     라. find

     정답 :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mkdir이란, make directory의 약자로, 리눅스시스템에서 새로운 디렉토리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37. Linux 시스템에서 'ls' 라는 명령어 사용법을 알아보는 명령어로 올바른 것은?(2018년 02월)
     가. cat ls
     나. man ls
     다. ls man
     라. ls cat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Linux 시스템에서 명령어의 사용법을 알아보는 명령어 : man (메뉴얼)
[해설작성자 : ㅈㅂ ㄱㅎ ㄱㄱㅇ]

38. Active Directory의 기본 단위이며 서로 구별이 가능하고 특정한 이름이 부여된 속성 집합으로 사용자, 프린터 또는 응용 프로그램과 같은 구체적인 대상을 가리키는 것은?(2007년 04월)
     가. 개체(Object)
     나. 도메인(Domain)
     다. 조직단위(OU)
     라. 트리(Trees)

     정답 : []
     정답률 : 68%

39. 명령 프롬프트에서 IIS의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시작하기 위한 명령은?(2009년 04월)
     가. net start w3svc
     나. net start iis
     다. net start svcw3
     라. net start iis5

     정답 : []
     정답률 : 67%

40. 다른 운영체제와 Linux가 공존하는 하나의 시스템에서 멀티 부팅을 지원할 때 사용되며, Linux 로더를 의미하는 것은?(2019년 02월)
     가. MBR
     나. RAS
     다. NetBEUI
     라. GRUB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Linux, 부트로더 GRUB

GRUB는 "Grand Unified Bootloader"의 약어로서 GNU하에서 개발된 멀티부트로더이다.
부트로더란 리눅스가 부팅되기까지 부팅의 전과정을 진행하는 부팅전문프로그램을 의미한다.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부트로더에는 지금은 거의사용되지 않는 LILO(Linux Loader)라는것이 있었고 현재는 대부분 GRUB를 사용한다..
LILO는 리눅스라는 운영체제에 한정되어 사용되었던 부트로더였다. 하지만 GRUB는 윈도우와 리눅스등에서 모두 사용될수 있는 멀티부트로더라고 할수 있다.
GRUB는 다른 부트로더와 마찬가지로 하드디스크의 첫번째 부트섹트인 MBR(Master Boot Record)이라는 곳에 저장된다.
시스템에 전원이 공급되면 가장 먼저 ROM-BIOS에서 시스템 제어권을 가지고 장착된 하드웨어에 대한 기본적인 점검과 인식을 한다. 이 과정이 모두 끝나고 나면 ROM-BIOS는 하드디스크의 첫번째 부트섹트인 MBR에 있는 부트로더에게 그 제어권을 넘겨준다.
[해설작성자 : 정박사코딩교실]

41. Windows 2000 Server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계정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2007년 10월)
     가. Guest 계정은 Windows 2000 Server 설치 시 만들어 지며, 일반 사용자 계정을 가지는 사용자가 사용한다.
     나. 일반 사용자 계정은 각 사용자가 필요할 때에 만들어 사용 할 수 있다.
     다. Administrator 계정으로 로그인하면 해당 컴퓨터에 대한 모든 권리를 행사 할 수 있다.
     라. Guest 계정으로 로그인을 하면 모든 폴더에 읽기 권한을 가진다.

     정답 : []
     정답률 : 74%

42. Windows 2000 Server의 네트워크 방식 중에서, 모든 계정과 자원을 특정 서버에서 관리하는 중앙 집중식 방식은?(2004년 10월)
     가. 도메인 방식
     나. 워크그룹 방식
     다. 분산 처리 방식
     라. 일괄 처리 방식

     정답 : []
     정답률 : 40%

43. Windows 2000 Server에서 구성된 FTP 사이트를 변경할 때 [FTP 사이트] 탭과 관련 없는 것은?(2008년 04월)
     가. IP 주소 및 포트
     나. 연결 수 제한
     다. 로깅 사용
     라. 익명 연결 허용

     정답 : []
     정답률 : 42%

44. Windows Server 2008 R2의 서버관리자의 역할 추가마법사를 이용하여 FTP 서버를 구축하고자 한다. 다음 중 어느 역할을 선택해서 설정해야 하는가?(2018년 07월)
     가. AD 도메인 서비스
     나. DNS 서버
     다. 웹 서버(IIS)
     라. 응용프로그램 서버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웹서버(IIS)에서 사용 가능한 서비스에는 FTP, SMTP, NNTP, HTTP/HTTPS 등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자격증탐구]

45. Linux 시스템의 명령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10월)
     가. 시스템을 종료하는 명령어는 “end”이다.
     나. 로그인 상태에서 시스템을 종료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만 Linux에서 빠져 나오는 명령어는 “logout”이다.
     다. Linux로 부팅하면 초기 화면에서 로그인 계정과 패스워드를 입력해야 Linux를 사용할 수 있다.
     라. 일반 계정으로 로그인하면 "[로그인명@컴퓨터이름 현재위치]$" 형식으로 나타난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 시스템을 종료하는 명령어는 init 0, halt, shutdown, poweroff 가 있다.

46. L2 LAN 스위치가 이더넷 프레임을 중계 처리할 때 사용하는 주소는?(2024년 05월)
     가. MAC 주소
     나. IP 주소
     다. Post 주소
     라. URL 주소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MAC 주소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에 할당된 고유 식별자로, L2 스위치에서 이더넷 프레임을 전달할 때 사용됩니다. 스위치는 수신한 프레임의 목적지 MAC 주소를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프레임을 적절한 포트로 중계합니다.
[해설작성자 : 채리아빠]

47. 선로의 명칭 중 10BASE-T의 '10' 이 의미하는 것은?(2016년 01월)
     가. 접속할 수 있는 단말의 수가 10대이다.
     나. 배선 할 수 있는 케이블의 길이가 10M이다.
     다. 데이터 전송속도가 10Mbps이다.
     라. 케이블의 굵기가 10mm이다.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선로의 명칭 중 10BASE-T의 '10'은 전송속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해설작성자 : 손인성]

48. 라우터의 설정 파일이 저장되는 곳은?(2013년 07월)
     가. NVRAM
     나. Shared RAM
     다. Main RAM
     라. ROM

     정답 : []
     정답률 : 74%

49. OSPF Area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4월)
     가. 다수의 Area를 구성할 때 Area 0는 반드시 있어야 한다.
     나. Stub Area 내부에는 LSA Type 5가 유입되지 않는다.
     다. Area 내부의 라우터들의 자원의 규모가 작을 경우, 그 Area를 Stub Area로 적용하면 적절하다.
     라. Totally Stub Area내부에는 LSA Type 3가 유입된다.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Totally Stub Area내부에는 LSA Type 2가 유입되는게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4세대 에이스]

IP 라우팅 프로토콜의 한 종류.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보다 규모가 큰 네트워크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규모가 크고 복잡한 TCP/IP 네트워크에서 RIP의 단점을 개선한 라우팅 프로토콜. RIP에 비해 자세한 제어가 가능하고, 관리 정보의 트래픽도 줄일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부산삼성컴퓨터학원]

50. 케이블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2006년 10월)
     가. UTP : 일반적으로 RJ-45 커넥터를 사용한다.
     나. Thin Cable : 10Base2라고 불리며, 최대 전송 거리는 2Km이다.
     다. Thick Cable : 10Base5라고 불리며, 최대 전송 거리는 10Km이다.
     라. Fiber-Optic : 가장 빠른 전송매체이나 보안성이 떨어진다.

     정답 : []
     정답률 : 53%


정 답 지

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48823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TCP/IP


1. IPv4와 IPv6를 비교하여 설명한 것 중 올바른 것은?(2009년 02월)
     가. IPv4는 자체적으로 IPsec과 같은 보안 프로토콜을 내장하고 있지만, IPv6는 보안 프로토콜의 추가가 필요하다.
     나. IPv4는 필드 구분을 위해 '.'을 사용하나, IPv6는 ';'으로 구분한다.
     다. IPv4의 각 필드는 10진수로 표시되나, IPv6의 각 필드는 16진수로 표시된다.
     라. IPv4는 4개의 16bit 정수로 나누어지나, IPv6는 8개의 32bit 정수로 구분된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ipv4 , ipv6    자주 나오는 내용이지요~
ipv4 4개의 10진수로 표시, ipv6 4개의 16진수를 이용합니다~
[해설작성자 : 초이]

IPv6는 ":"로 구분하고, 128bit입니다.

2. 다음은 라우터의 경로 결정 시 routing table을 참조하여 패킷을 전달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이다. 올바른 것은?(2023년 08월)

   

     가. Administrative distance (관리거리)
     나. Longest match rule (롱기스트 매치 룰)
     다. Next-hop address (넥스트홉 주소)
     라. Metric (메트릭)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라우팅 테이블의 prefix mask(프리픽스 마스크)는 IP주소에서 네트워크와 호스트 부분을 나누는데 사용되는 마스크 입니다. 이는네트워크 주소 길이를 나타내며, forwarding(포워딩,전달)은 라우터나 스위치가 수신한 패킷을 적절한 목적지로 보내는 프로세스를 말합니다.
합치면, 네트워크 주소 길이를 고려하여 패킷을 적절하게 전송하라는 의미가 됩니다.

보기 중 "Longest Match Rule(최장 일치 규칙)"은 목적지IP주소와 가장 잘 일치하는 항목을 찾을때 사용되는 규칙으로, 패킷의 목적지 IP 주소와 가장 긴(가장 많은 비트) 일치하는 서브넷 마스크를 가진 라우팅 항목을 선택합니다.
"Administrative distance(관리 거리)"는 라우팅 프로토콜이나 라우팅 정보를 평가하고 선택하는 데 사용되는 척도이고,
"Next-hop address(다음 점프 주소)"는 라우터가 패킷을 전달할 다음 목적지를 나타내는 주소입니다.
Metric(메트릭)은 경로의 가중치 또는 비용을 나타내는 값으로 해당 경로의 신뢰성, 대역폭, 지연 등과 관련된 정보를 나타내므로 이중 가장 비슷한 2번이 정답인 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출처:chatGPT]

3. TCP/IP의 디자인 목표로 타당하지 않는 것은?(2009년 02월)
     가. 에러가 발생해도 신뢰할만한 완전한 서비스 수행
     나. 낮은 데이터 오버헤드에서도 효과적인 서비스 수행
     다. 서비스 중단 없이 다른 네트워크 추가 기능
     라. TCP와 IP의 완벽한 기능 분리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TCP와 IP 프로토콜이 합해진 것으로 완벽한 기능 분리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4. 인터넷의 잘 알려진 포트(Well-Known Port) 번호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10월)
     가. SSH - 22번
     나. FTP - 21번
     다. Telnet - 24번
     라. SMTP - 25번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Telnet의 포트번호는 23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합격하고싶다]

5. Link State 알고리즘을 이용해 서로에게 자신의 현재 상태를 알려주며 네트워크 내 통신을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은?(2010년 10월)
     가. OSPF
     나. IDRP
     다. EGP
     라. BGP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OSPF (open shortest path first) 최단 경로 우선 프로토콜 IP 내에서 다이나믹 라우팅 프로토콜 IGP
[해설작성자 : 임현성]

거리-벡터 알고리즘 : RIP, IGRP, EIGRP, BGP
링크-상태 알고리즘 : OSPF, IS-IS

6. 높은 신뢰도나 제어용 메시지를 필요로 하지 않고, 비연결형 서비스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은?(2024년 05월)
     가. UDP
     나. TCP
     다. ARP
     라. ICMP

     정답 :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높은 신뢰도나 제어용 메시지를 필요로 하지 않고, 비연결형 서비스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1. UDP (User Datagram Protocol)입니다.

UDP는 비연결형 프로토콜로, 데이터 전송 시 연결 설정이 필요하지 않으며, 신뢰성보다는 빠른 데이터 전송을 우선시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이로 인해 데이터가 손실되거나 순서가 뒤바뀔 수 있지만, 실시간 스트리밍, 온라인 게임, VoIP 등 속도가 중요한 응용 프로그램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나머지 선택지:

2. TCP: 연결형 서비스로, 높은 신뢰성과 제어 기능을 제공합니다.
3. ARP: IP 주소를 MAC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입니다.
4. ICMP: 네트워크 진단과 오류 메시지 처리를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해설작성자 : 꿈은 이루어진다 오늘도 화이팅 ]

7. C Class 네트워크에서 6개의 서브넷이 필요하다고 할 때 가장 적당한 서브넷 마스크는?(2017년 02월)
     가. 255.255.255.0
     나. 255.255.255.192
     다. 255.255.255.224
     라. 255.255.255.240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6개의 서브넷 필요
>> 2의 n제곱 중에 6을 포함하는 가장 낮은 수
>> 8
>> 2^3
>> 제곱수인 3만큼을 1로 채운 2진수 표현
>> 1 1 1 0 0 0 0 0
>> 10진수화
>> 224

답은 255.255.255.224
[해설작성자 : dev]

8. Anonymous FTP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4월)
     가. 일반적으로 80번 포트를 사용하여 상호 통신한다.
     나. Internet의 많은 컴퓨터들이 Anonymous FTP를 사용하여 문서, S/W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다. 상대방 측 컴퓨터의 계정이 없어도 파일을 송수신 할 수 있다.
     라. 'Anonymous' 계정으로 접속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FTP는 21번포트, 웹서버는 80번 포트를 사용합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9. IPv6에서 6000Byte의 패킷이 이더넷 LAN을 통과해야 하는 경우 사용할 확장 헤더는?(2018년 02월)
     가. Source Routing
     나. Fragmentation
     다. Authentification
     라. Destination Option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Fragmentation
6000바이트 패킷이 이더넷 LAN 통과할때 사용할 확장 헤더

외우도록 합시다.
[해설작성자 : 답을 외워요]

문제자체가 잘 이해가 안되서 헤맸는데, 6000바이트의 데이터를 보내려고하니까 한 번에 보낼 수 있는 단위를 넘어섰기때문에 단편화를 해야해서 단편화에 대한 헤더가 활성화된다..정도로 외우면 어떨까라고 생각했습니다.
[해설작성자 : ㅎㅇ..]

10. 다음 지문에 표기된 IPv6 주소는 요약된 표현이다. 보기 중 요약되기 전 상태는?(2021년 08월)

    

     가. 2000:00AB:0001:0000:0001:0002
     나. 2000:00AB:0001:0000:0000:0000:0001:0002
     다. 2000:AB00:1000:0000:1000:2000
     라. 2000:AB00:1000:0000:0000:0000:1000:2000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IPv6는 16진수 4개를 사용하여 콜론(:)으로 구분
각 숫자는 16진수(4비트)를 의미
- 앞에오는 0은 생략가능
- 0이 연속으로 나올때는 콜론을 두번사용(::)[한번만사용가능]
[해설작성자 : 맞나?아닌가?]

16비트씩 8개 부분으로 나뉘어서 총 128bit 주소체계를 갖는다. 지문을 보면 5개부분 생략된건 3개 부분이다. 따라서 0000 0000 0000 3개 부분이 추가되어야 함
[해설작성자 : 네트웤조지자]

11. TFTP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2월)
     가. Trivial File Transfer Protocol의 약어이다.
     나. 네트워크를 통한 파일 전송 서비스이다.
     다. 3방향 핸드셰이킹 방법인 TCP 세션을 통해 전송한다.
     라. 신속한 파일의 전송을 원할 경우에는 FTP보다 훨씬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TFTP는 FTP보다 단순한 방식을 사용하고, TCP가 아닌 UDP을 기반으로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공마고김난]

12. 다음 지문에 표기된 IPv6 주소는 요약된 표현이다. 보기 중 요약되기 전 상태는?(2025년 08월)

    

     가. 2000:00AB:0001:0000:0001:0002
     나. 2000:00AB:0001:0000:0000:0000:0001:0002
     다. 2000:AB00:1000:0000:1000:2000
     라. 2000:AB00:1000:0000:0000:0000:1000:2000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IPv6 축약 규칙
각 블록의 앞쪽 0은 생략 가능: 00AB → AB, 0001 → 1
연속된 0 블록은 한 번만 ::로 축약 가능.
예를 들어 지문 주소가 2000:AB:1::1:2였다면,
앞 0 복원 + ::를 4개의 0000 블록으로 복원하면
2000:00AB:0001:0000:0000:0000:0001:0002 → 2번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y ]

13. URL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5년 07월)
     가. URL은 인터넷상의 정보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방법으로서 인터넷의 모든 자원 및 서비스에 대해 사용되는 표준 명명 규칙이다.
     나. URL의 구성은 프로토콜, 호스트 명, 도메인 명, 디렉터리 이름, 파일 이름순으로 구성되며 [protocol://host.domain /directory/file] 형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다. URL은 지정된 컴퓨터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전 세계적으로 유일한 이름을 가질 뿐만 아니라 하나의 도메인 이름은 오직 하나의 호스트와 대응할 수 있다.
     라. URL에 참여할 수 있는 프로토콜들로는 HTTP를 비롯, FTP, Telnet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4%

14. 다음 중 SNMP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5년 04월)
     가. SNMP는 주기적으로 폴링(Polling)하여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나. 네트워크 확장을 용이하게 해준다.
     다. SNMP는 TCP 세션을 이용한다.
     라. Polling Overhead가 크다.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SNMP 는 UDP 세션을 이용합니다.
[해설작성자 : 윤현준]

SNMP: 호스트로부터 정기적으로 여러 관리 정보를 수집하거나 그것들의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
관리하는 manager가 관리 대상 agent 에게 request를 보내고 응답을 받는다.
실시간 모니터링 기능이 필요하고, 빠른 정보를 받아야 하기에 UDP를 사용.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이니까 심플해야 함. UDP 사용이 맞음, 심지어 TCP 사용하면 느릴거임
[해설작성자 : 합격만 시켜주세요..]

15. 망 내 교환 장비들이 오류 상황에 대한 보고를 할 수 있게 하고, 예상하지 못한 상황이 발생한 경우 이를 알릴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토콜은?(2019년 11월)
     가. ARP
     나. RARP
     다. ICMP
     라. RIP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는 인터넷 환경에서 오류에 관한 처리를 지원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16. 전력선 통신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4월)
     가. 전력선 통신은 가정이나 사무실에 이미 구축되어 있는 전력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이다.
     나. 전력선 통신은 신호전달을 위해 높은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가전제품에 치명적인 영향을 준다.
     다. 전력선 통신은 전력선을 통신매체로 사용하기 때문에 동축 케이블이나 광섬유 등을 이용한 통신과 달리 잡음이나 감쇄가 심하다.
     라. 전력선 통신은 100KHz에서 30MHz 사이의 고주파 대역에 신호를 실어 보내고 고주파 필터를 통해 신호를 구분해 내는 방식이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전력선 통신은 가정이나 사무실에 거의 무조건 깔려있는 전력선에 전기뿐만이 아니라 데이터와 음성신호까지 모두 보내는것이다.
보통 220V는 60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며 60Hz이외의 다른 주파수에 내가 원하는 정보를 실어 보내는것인데 전력선을 매체로 사용하기 때문에 현재 네트워크에 비해 너무 느리기때문에 아직 양산되지 못하고 있다.
[해설작성자 : WickedMJ]

17. 전력선 통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7월)
     가. 전력선 통신은 가정이나 사무실에 이미 구축되어 있는 전력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이다.
     나. 전력선 통신은 신호전달을 위해 높은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가전제품에 치명적인 영향을 준다.
     다. 전력선 통신은 전력선을 통신매체로 사용하기 때문에 동축 케이블이나 광섬유 등을 이용한 통신과 달리 잡음이나 감쇄가 심하다.
     라. 전력선 통신은 100KHz~30MHz 사이의 고주파 대역에 신호를 실어 보내고 고주파 필터를 통해 신호를 구분해 내는 방식이다.

     정답 : []
     정답률 : 76%

2과목 : 네트워크 일반


18. TCP/IP Suite와 OSI 7 Layer의 연결이 올바른 것은?(2018년 02월)
     가. Telnet - 전달 계층
     나. TCP/UDP - 세션 계층
     다. IP - 네트워크 계층
     라. Ethernet - 표현 계층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계층 1: 물리 계층(Physical layer)
단위 - Signal
대표 장치 - Hub

계층 2: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단위 - frame[1]
대표 장치 - L2 Switch[2]

계층 3: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단위 - Packet(패킷)
대표 장치 - Router(라우터), L3 Switch
프로토콜 - IP,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3], RIP, RIP v2, OSPF, IGRP, EIGRP[4], BGP 등등의 Routing Protocol

계층 4: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단위 - Segment(세그먼트)
프로토콜 - TCP, UDP

계층 5: 세션 계층(Session layer)
동시 송수신 방식(duplex), 반이중 방식(half-duplex), 전이중 방식(Full Duplex)의 통신과 함께, 체크 포인팅과 유휴, 종료, 다시 시작 과정 등을 수행

계층 6: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
수신자 장치에서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송신자 장치로부터온 데이터를 해석하기 위한 응용계층 데이터 부호화,변환

수신자에서 압축을 풀수있는 방식으로 된 데이터 압축

전송을 위한 암호화와 복호화

계층 7: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단위 - Message 또는 Data[5]
[해설작성자 : 출처-위치]

19. 패킷교환의 특징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4월)
     가. 패킷과 함께 오류제어를 함으로서 고품질/고신뢰성 통신이 가능하다.
     나. 패킷을 전송 시에만 전송로를 사용하므로 설비 이용 효율이 높다.
     다. 종량제 과금 처리가 용이하다.
     라. 복수의 상대방과는 통신이 불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69%

20. IEEE 802.3 표준안을 포함하고 있는 것은?(2017년 02월)
     가. Token Bus
     나. Ethernet
     다. FDDI
     라. Token Ring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가.    Token Bus IEEE 802.4
다.    FDDI 1980년대 Ethernet(IEEE 802.3),Token Ring(IEEE 802.5)에 뒤이은 고속 근거리 망의 표준
[해설작성자 : 오세민216]

21. 데이터 전송 시 전송매체를 통한 신호의 전달속도가 주파수의 가변적 속도에 따라 왜곡되는 현상은?(2018년 02월)
     가. 감쇠 현상
     나. 지연 왜곡
     다. 누화 잡음
     라. 상호 변조 잡음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왜곡되는 현상은?
지연왜곡
[해설작성자 : 함승필짱 친구]

22. (A) 안에 맞는 용어로 옳은 것은?(2019년 08월)

    

     가. QoS (Quality of Service)
     나. F/W (Fire Wall)
     다. IPS (intrusion prevention system)
     라. IDS ( Intrusion Detection System)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QoS (Quality of Service) : 데이터 흐름에 우선순위를 정해 데이터 전송에 일정수준 이상의 품질과 수준을 보장
F/W : 방화벽
IPS : 침입 방지 시스템
IDS : 침입 탐지 시스템
[해설작성자 : 마루]

23. 아래 내용에서 IPv6의 일반적인 특징만을 나열한 것은?(2022년 11월)

    

     가. A, B, C, D
     나. A, C, D, E
     다. B, C, D, E
     라. B, D, E, F

     정답 :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A. Ipv4는 32비트 입니다.
B. Ipv4는 4개의 클래스로 구분되는 클래스풀을 사용합니다 Ipv6는 네트워크 접두사와 인터페이스 식별자가 있는 계층적 주소 구조를 사용합니다.
C. Ipv6 헤더는 고정된 길이를 가지며 IPv4의 가변 길이 헤더에 비해 단순합니다.
D. Ipv4에 비해 보안 기능이 향상되었습니다
E. 멀티캐스트는 패킷 전송에 사용됩니다. 멀티캐스트는 효율적인 그룹통신을 위해 Ipv6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F. 브로드캐스트는 패킷을 전송하는데 사용됩니다. Ipv6는 브로드캐스트를 지원하지 않으며 대신 비슷한 목적으로 멀티캐스트를 지원합니다.

IPv6 멀티캐스트는 인터넷 또는 네트워크를 통한 1대 다 또는 다 대 다 통신에서 사용되는 매커니즘입니다. 송신자가 각각의 개별 수신자에게 별도의 데이터 복사본을 보내는 대신 특정 수신자 그룹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합니다. IPv6멀티캐스트 주소는 데이터를 수신해야 하는 수신기 그룹을 식별하는데 사용됩니다.

Ipv6 멀티캐스트는 불필요한 네트워크 트래픽을 생성하지 않고 데이터를 특정 수신기 그룹으로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유니캐스트나 브로드 캐스트 통신보다 효율 적입니다.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온라인 게임 및 회의 같이 그룹 통신이 필요한 응용프로그램에 특히 유용합니다
[해설작성자 : Labs]

24. IEEE에서 표준화된 저속 Ethernet 방식은 전송매체와 전송속도에 따라 xBase-y 또는 xBroad-y형태의 이름을 갖는다. 여기서 x와 y의 의미로 올바른 것은?(2010년 10월)
     가. x : 전송속도, y : 비트 에러율
     나. x : 전송속도, y : 리피터 없이 전송가능 최대거리
     다. x : 비트 에러율, y : 전송속도
     라. x : 리피터 없이 전송가능 최대거리, y : 전송속도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10Base-5, 10Base-2, 10Base-T 등이 있으며
10Base-T의 경우 UDP를 사용,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해설작성자 : 이아름]

25. 세션계층에서 제공하는 기능은?(2017년 04월)
     가. 대화 제어
     나. 데이터 변환
     다. 데이터 압축
     라. 암호화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세(션)제(어) 세.제
[해설작성자 : ㅇㅅㅎ]

세션계층(Session Layer)

기능
●동기화: 어떤 순서로 데이터를 전송 계층으로 전송할지를 결정하고, 전송시 수신자로부터의 확인이 요구되는 곳이 어디인지를 결정
●세션 연결의 설정과 종료: 세션 연결의 설정과 종료 및 관리에 대한 절차를 규정
●대화 제어: 누가 언제 보내는지를 결정
[해설작성자 : 정보보안김우석]

26. IEEE 표준안 중 CSMA/CA에 해당하는 표준은?(2018년 02월)
     가. 802.1
     나. 802.2
     다. 802.3
     라. 802.11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CSMA/CA는 충돌 회피 이며, 유선상에서는 회피를 할 수 없고, 무선상에서 가능합니다. 해당 문제는 무선의 IEEE표준안을 찾는 문제이므로 802.11이 정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한국디지털융합직업전문학교]

[추가 해설]
CSMA/CD 유선LAN에서 사용 802.3
CSMA/CA 무선LAN에서 사용 802.11
[해설작성자 : YG]

전기 전자 기술자 협회(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공식 사이트가서 직접 보시면
802.11 라고 나와있습니다. 문제오류가 아닙니다. 잘 찾아보시고 답변 다시길 바랍니다. 책과 인터넷이 802.3이라고 나와있으면 책과 인터넷 자료가 잘못된겁니다. 모르는 것이 많으면 공부 더하시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시길 바랍니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지만 위 해설과 같은 이유로 정답은 4번입니다.

[대표 오류 신고 내용]
CSMA/CA는 IEEE 표준안에서 802.3으로 알고있고 802.11은 무선랜 입니다. 제가 모르는 것이 많아도 이건 아닌걸로 아는데 수정 부탁드립니다.

[추가 신고 내용]
802.3이 IEEE표준안 CSMA/CA맞습니다 혹시몰라 책과 인터넷을 뒤져봐도 문제오류같네요
[해설작성자 : EffectI]

[오류신고 반론]
아니 "CSMA/CA는 802.3이고, 802.11은 무선랜이다"라고 하시는 분, CSMA/CA가 무선랜입니다;
802.3은 CSMA/CD입니다. 괜히 혼란만 주지 마세요.

∴ CSMA/CA = 무선랜 = 802.11
    CSMA/CD = 유선랜 = 네트워크 카드 = 802.3

IEEE 802.3     CSMA/CD
IEEE 802.4     Token bus
IEEE 802.5     Token ring
IEEE 802.11    CSMA/CA

27. 다음 내용이 설명하는 용어는?(2017년 07월)

    

     가. 스마트폰 결제
     나. RFID
     다. 전자금융
     라. FinTech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핀테크(fintech)’는 이름 그대로 ‘금융(finance)’과 ‘기술(technology)’이 결합한 서비스 또는 그런 서비스를 하는 회사를 가리키는 말이다. 여기서 말하는 기술은 정보기술(IT)이다.
[해설작성자 : 대충쳐도합격]

3과목 : NOS


28. Windows 2000 Server가 지원하는 File System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7월)
     가. EXT2
     나. NTFS
     다. FAT
     라. FAT32

     정답 : []
     정답률 : 71%

29. Windows Server 2016에서 FTP 사이트 구성시 SSL을 적용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은?(2021년 11월)
     가. 전송속도 증대
     나. 사용자 편의 향상
     다. 동시 접속 사용자 수 증가
     라. 보안 강화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SSL위에서 FTP를 수행하는 것으로 명령어와 데이터가 모두 암호화
[해설작성자 : 앙냥냥]

SSL: Secure Sockets Layer 보안 소켓 계층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0. Windows 2000 Server 멀티 부팅시 OS의 선택 시간을 “30초” 로 수정하려고 한다. 선택 시간을 수정하는 곳은?(2009년 02월)
     가. [시스템 등록 정보] - [고급 탭] - [성능 옵션]
     나. [시스템 등록 정보] - [하드웨어 탭] - [환경 변수]
     다. [시스템 등록 정보] - [고급 탭] - [시작 및 복구]
     라. [시스템 등록 정보] - [하드웨어 탭] - [장치 관리자]

     정답 : []
     정답률 : 68%

31. Linux 시스템에서 특정 파일의 권한이 ′-rwxr-x--x′ 이다. 이 파일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23년 11월)
     가. 소유자는 읽기 권한, 쓰기 권한, 실행 권한을 갖는다.
     나. 소유자와 같은 그룹을 제외한 다른 모든 사용자는 실행 권한만을 갖는다.
     다. 이 파일의 모드는 ′751′ 이다.
     라. 동일한 그룹에 속한 사용자는 실행 권한만을 갖는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xxx/xxx/xxx:
-앞의 세문자: 파일 소유자에 대한 권한
-중간의 세문자: 파일 소유자의 그룹에 대한 권한
-마지막 세문자: 시스템의 다른 사용자에 대한 권한

---    0 권한 없음
---x 1 실행 전용 권한
-w-    2 쓰기전용 권한
-wx    3 쓰기 및 실행 권한
r--    4 읽기 권한
r-x    5 읽기 및 실행 권한
rw-    6 읽기 및 쓰기 권한
rwx    7 읽기 쓰기 및 실행 권한
[해설작성자 : 군바리구글링]

chmod 더쉽게

r(읽기) = 4
w(쓰기) = 2
x(실행) = 1

위 세개만 기억하고 숫자 더하면됨.

ex> rwx = 4 + 2 + 1 = 7
        r-x = 4 + 0 + 1 = 5
        --x = 0 + 0 + 1 = 1
[해설작성자 : 빠대비]

32. Windows 2003 Server에서 Active Directory의 논리적 구조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1월)
     가. Domain
     나. Tree
     다. Forest
     라. Graph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 Active Directory의 논리적 구조
Domain, O.U, Object, Global catalog, Tree, Forest, site

33. Linux에서 사용되는 ′free′ 명령어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2024년 02월)
     가. 사용 중인 메모리, 사용 가능한 메모리 용량을 알 수 있다.
     나. 패스워드 없이 사용하는 유저를 알 수 있다.
     다. 디렉터리의 사용량을 알 수 있다.
     라. 사용 가능한 파일 시스템의 양을 알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free명령어는 리눅스 시스템에서 메모리의 전체적인 현황을 빠르게 살펴볼 수 있는 명령어.
전체 메모리의 크기와 사용 중인 메모리 크기, 그 밖에 공유 메모리와 buffer, cache메모리 및 swap의 크기를 알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동그리]

34. Windows 2000 Server에서 FTP서버의 등록정보에 없는 탭은?(2006년 07월)
     가. 보안 계정
     나. 디렉터리 보안
     다. 성능
     라. 홈 디렉터리

     정답 : []
     정답률 : 49%

35. Linux에서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 및 환경 설정에 필요한 설정 파일들과 passwd 파일을 포함하고 있는 디렉터리는?(2013년 10월)
     가. /bin
     나. /home
     다. /etc
     라. /root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etc 디렉토리에는 passwd 나 group, shadow 등의 각종 설정과 관련된 파일들이 들어있다.
[해설작성자 : kaiys]

36. Linux 시스템에서 디렉터리를 생성하는 명령어는?(2018년 07월)
     가. mkdir
     나. rmdir
     다. grep
     라. find

     정답 :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mkdir이란, make directory의 약자로, 리눅스시스템에서 새로운 디렉토리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37. Linux 시스템에서 'ls' 라는 명령어 사용법을 알아보는 명령어로 올바른 것은?(2018년 02월)
     가. cat ls
     나. man ls
     다. ls man
     라. ls cat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Linux 시스템에서 명령어의 사용법을 알아보는 명령어 : man (메뉴얼)
[해설작성자 : ㅈㅂ ㄱㅎ ㄱㄱㅇ]

38. Active Directory의 기본 단위이며 서로 구별이 가능하고 특정한 이름이 부여된 속성 집합으로 사용자, 프린터 또는 응용 프로그램과 같은 구체적인 대상을 가리키는 것은?(2007년 04월)
     가. 개체(Object)
     나. 도메인(Domain)
     다. 조직단위(OU)
     라. 트리(Trees)

     정답 : []
     정답률 : 68%

39. 명령 프롬프트에서 IIS의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시작하기 위한 명령은?(2009년 04월)
     가. net start w3svc
     나. net start iis
     다. net start svcw3
     라. net start iis5

     정답 : []
     정답률 : 67%

40. 다른 운영체제와 Linux가 공존하는 하나의 시스템에서 멀티 부팅을 지원할 때 사용되며, Linux 로더를 의미하는 것은?(2019년 02월)
     가. MBR
     나. RAS
     다. NetBEUI
     라. GRUB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Linux, 부트로더 GRUB

GRUB는 "Grand Unified Bootloader"의 약어로서 GNU하에서 개발된 멀티부트로더이다.
부트로더란 리눅스가 부팅되기까지 부팅의 전과정을 진행하는 부팅전문프로그램을 의미한다.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부트로더에는 지금은 거의사용되지 않는 LILO(Linux Loader)라는것이 있었고 현재는 대부분 GRUB를 사용한다..
LILO는 리눅스라는 운영체제에 한정되어 사용되었던 부트로더였다. 하지만 GRUB는 윈도우와 리눅스등에서 모두 사용될수 있는 멀티부트로더라고 할수 있다.
GRUB는 다른 부트로더와 마찬가지로 하드디스크의 첫번째 부트섹트인 MBR(Master Boot Record)이라는 곳에 저장된다.
시스템에 전원이 공급되면 가장 먼저 ROM-BIOS에서 시스템 제어권을 가지고 장착된 하드웨어에 대한 기본적인 점검과 인식을 한다. 이 과정이 모두 끝나고 나면 ROM-BIOS는 하드디스크의 첫번째 부트섹트인 MBR에 있는 부트로더에게 그 제어권을 넘겨준다.
[해설작성자 : 정박사코딩교실]

41. Windows 2000 Server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계정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2007년 10월)
     가. Guest 계정은 Windows 2000 Server 설치 시 만들어 지며, 일반 사용자 계정을 가지는 사용자가 사용한다.
     나. 일반 사용자 계정은 각 사용자가 필요할 때에 만들어 사용 할 수 있다.
     다. Administrator 계정으로 로그인하면 해당 컴퓨터에 대한 모든 권리를 행사 할 수 있다.
     라. Guest 계정으로 로그인을 하면 모든 폴더에 읽기 권한을 가진다.

     정답 : []
     정답률 : 74%

42. Windows 2000 Server의 네트워크 방식 중에서, 모든 계정과 자원을 특정 서버에서 관리하는 중앙 집중식 방식은?(2004년 10월)
     가. 도메인 방식
     나. 워크그룹 방식
     다. 분산 처리 방식
     라. 일괄 처리 방식

     정답 : []
     정답률 : 40%

43. Windows 2000 Server에서 구성된 FTP 사이트를 변경할 때 [FTP 사이트] 탭과 관련 없는 것은?(2008년 04월)
     가. IP 주소 및 포트
     나. 연결 수 제한
     다. 로깅 사용
     라. 익명 연결 허용

     정답 : []
     정답률 : 42%

44. Windows Server 2008 R2의 서버관리자의 역할 추가마법사를 이용하여 FTP 서버를 구축하고자 한다. 다음 중 어느 역할을 선택해서 설정해야 하는가?(2018년 07월)
     가. AD 도메인 서비스
     나. DNS 서버
     다. 웹 서버(IIS)
     라. 응용프로그램 서버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웹서버(IIS)에서 사용 가능한 서비스에는 FTP, SMTP, NNTP, HTTP/HTTPS 등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자격증탐구]

45. Linux 시스템의 명령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10월)
     가. 시스템을 종료하는 명령어는 “end”이다.
     나. 로그인 상태에서 시스템을 종료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만 Linux에서 빠져 나오는 명령어는 “logout”이다.
     다. Linux로 부팅하면 초기 화면에서 로그인 계정과 패스워드를 입력해야 Linux를 사용할 수 있다.
     라. 일반 계정으로 로그인하면 "[로그인명@컴퓨터이름 현재위치]$" 형식으로 나타난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 시스템을 종료하는 명령어는 init 0, halt, shutdown, poweroff 가 있다.

46. L2 LAN 스위치가 이더넷 프레임을 중계 처리할 때 사용하는 주소는?(2024년 05월)
     가. MAC 주소
     나. IP 주소
     다. Post 주소
     라. URL 주소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MAC 주소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에 할당된 고유 식별자로, L2 스위치에서 이더넷 프레임을 전달할 때 사용됩니다. 스위치는 수신한 프레임의 목적지 MAC 주소를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프레임을 적절한 포트로 중계합니다.
[해설작성자 : 채리아빠]

47. 선로의 명칭 중 10BASE-T의 '10' 이 의미하는 것은?(2016년 01월)
     가. 접속할 수 있는 단말의 수가 10대이다.
     나. 배선 할 수 있는 케이블의 길이가 10M이다.
     다. 데이터 전송속도가 10Mbps이다.
     라. 케이블의 굵기가 10mm이다.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선로의 명칭 중 10BASE-T의 '10'은 전송속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해설작성자 : 손인성]

48. 라우터의 설정 파일이 저장되는 곳은?(2013년 07월)
     가. NVRAM
     나. Shared RAM
     다. Main RAM
     라. ROM

     정답 : []
     정답률 : 74%

49. OSPF Area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4월)
     가. 다수의 Area를 구성할 때 Area 0는 반드시 있어야 한다.
     나. Stub Area 내부에는 LSA Type 5가 유입되지 않는다.
     다. Area 내부의 라우터들의 자원의 규모가 작을 경우, 그 Area를 Stub Area로 적용하면 적절하다.
     라. Totally Stub Area내부에는 LSA Type 3가 유입된다.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Totally Stub Area내부에는 LSA Type 2가 유입되는게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4세대 에이스]

IP 라우팅 프로토콜의 한 종류.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보다 규모가 큰 네트워크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규모가 크고 복잡한 TCP/IP 네트워크에서 RIP의 단점을 개선한 라우팅 프로토콜. RIP에 비해 자세한 제어가 가능하고, 관리 정보의 트래픽도 줄일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부산삼성컴퓨터학원]

50. 케이블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2006년 10월)
     가. UTP : 일반적으로 RJ-45 커넥터를 사용한다.
     나. Thin Cable : 10Base2라고 불리며, 최대 전송 거리는 2Km이다.
     다. Thick Cable : 10Base5라고 불리며, 최대 전송 거리는 10Km이다.
     라. Fiber-Optic : 가장 빠른 전송매체이나 보안성이 떨어진다.

     정답 : []
     정답률 : 53%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488238)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네트워크, 네트워크관리사, 2급, 네트워크관리사2급,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089 수능(생명과학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4월1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0
6088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기계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3월2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087 콘크리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4월2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 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488238)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085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자동차구조원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6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084 9급 국가직 공무원 직업상담심리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4월0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083 TAT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11월1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082 컴활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3월1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081 9급 지방직 공무원 과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1516743)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080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중급(폐지)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5월2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079 워드프로세서 (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03월1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078 콘크리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7월2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077 철도신호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9월2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2
6076 변리사 1차(3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5월3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075 리눅스마스터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9월1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074 도시계획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5월09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073 종자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3월0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072 화학분석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2379537)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071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0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070 건축설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5월09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09 Next
/ 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