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보관의 원칙: 입출고 빈도에 따라 보관할 물품의 위치를 달리하는 원칙으로 빈도가 높은 물품은 출입구 가까운 위치에 보관한다.
2.
중량특성 보관의 원칙: 물품의 중량에 따라 보관 위치를 결정하는 원칙으로 중량이 무거울수록 하층부에 보관한다.
3.
위치표시 보관의 원칙: 보관된 물품의 장소와 선반 번호의 위치를 표시하여 작업효율성을 높이는 원칙으로 입출고 시 불필요한 작업이나 실수를 줄일 수 있다.
4.
유사성 보관의 원칙: 유사품은 가까운 장소에 모아서 보관하는 원칙으로 관리효율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5.
통로대면 보관의 원칙: 입출고 용이성 및 보관의 효율성을 위해 물품을 가능한 통로에 접하여 보관하는 것으로 화물의 원활한 흐름과 활성화를 위한 원칙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회전 대응의 원칙: 물품 보관 장소의 회전정도에 따라 결정해야 하며, 출입구 동일시 입출하 빈도가 높은 화물은 출입구에 가까운 장소에 보관한다 네트워크 보관의 원칙: 연대 및 관련 품목을 한 장소에 모아 보관하는 원칙으로, 출하품목의 다양화에 따른 보관상의 곤란을 예상하여 물품정리가 용이하도록 보관하는 방식이다 [해설작성자 : 티다]
2.
다음에서 설명한 물류센터 입지결정의 방법은?(2016년 07월)
1.
총비용 비교법
2.
톤-킬로법
3.
브라운 & 깁슨법
4.
무게 중심법
5.
요소분석법
정답 : [
3
] 정답률 : 54%
3.
물류센터의 종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8월)
1.
항만 입지형은 부두 창고, 임항 창고, 보세 창고 등이 있다.
2.
단지 입지형은 유통업무 단지 등의 유통 거점에 집중적으로 입지를 정하고 있는 물류센터 및 창고로 공동창고, 집배송 단지 및 복합 물류터미널 등이 있다.
3.
임대 시설은 화차로 출하하기 위하여 일시 대기하는 화물의 보관을 위한 물류센터이다.
4.
자가 시설은 제조 및 유통 업체가 자기 책임 하에 운영하는 물류센터이다.
5.
도시 근교 입지형은 백화점, 슈퍼마켓, 대형 할인 매장 및 인터넷 쇼핑몰 등을 원하는 창고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3 화차로 출하하기 위해 일시 대기하는 화물의 보관을 위한 물류센터 - 배송센터 [해설작성자 : ㅇㅅ]
4.
포장 표준화의 4대 요소가 아닌 것은?(2010년 08월)
1.
치수의 표준화
2.
중량의 표준화
3.
강도의 표준화
4.
기법의 표준화
5.
재료의 표준화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포장 표준화의 4대 요소 : 치수 / 강도 / 기법/ 재료의 표준화 [해설작성자 : dh]
5.
분류시스템 중 화물의 형상, 두께 등에 따라 폭넓게 대응하여 신문사, 우체국, 통신판매 등의 각종 배송센터에서 이용되는 방식은?(2009년 08월)
살화물 탑재방식은 개별화물을 항공전용 컨테이너에 넣은 후 언로더(Unloader)를 이용하여 탑재하는 방식이다.
2.
살화물 탑재방식은 단시간에 집중적으로 작업해야 하는 화물탑재에 적합한 방식이다.
3.
살화물 탑재방식에서는 트랙터(Tractor)와 카고 카트(Cargo Cart)가 주로 사용된다.
4.
파렛트 탑재방식은 기본적인 항공화물 취급 방법이며, 파렛트화된 화물을 이글루(Igloo)로 씌워서 탑재하는 방식이다.
5.
컨테이너 탑재방식은 항공기 내부구조에 적합한 컨테이너를 이용하여 탑재하는 방식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1. 언로더는 항만에서 사용하는 기중기 종류이며, 언로더(X) -> 하이리프트로드(O)로 하면 답이 됨. [해설작성자 : 광명케이]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살화물 적재방식(Bulk Loading): 개별화물을 인력으로 직접 적재하는 가장 원시적인 방법이나 적재효율을 높이기 쉬운 방법
Bulk Cargo(살화물 (撒貨物)): 단위화되지 않고 재래방식으로 하역작업이 이루어지는 화물(곡물, 광석, 석탄, 당밀, 유류 등)을 살화물이라 한다.
1번 문장 자체가 전부 틀렸습니다. 컨테이너에 넣지 않고, 항공화물은 언로더와 관련도 없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
물류단지의 단일설비입지 결정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7월)
1.
입지요인으로 수송비를 고려한다.
2.
시장경쟁력, 재고통합효과, 설비를 고려하는 동적 입지모형이다.
3.
총 운송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입지 결정 방법이다.
4.
총 운송비용은 거리에 비례해서 증가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5.
공급지와 수요지의 위치와 반입, 반출 물량이 주어진다.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2번 동적입지모형 X -> 정적입지모형 O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공장에서 생산라인을 설계할 때 사용하는 대표적인 설비배치 개념은 유사한 공정 설비를 모아놓는 공정별배치(Process Layout)와 제품이 생산되는 공정순서대로 설비를 배치하는 제품별배치(Product Layout)로 분류된다. 다음 보기는 공정별 배치와 제품별배치의 장점을 나열한 것이다. 올바르게 구분된 것은?(2009년 08월)
1.
공정별배치 : ㄱ, ㄴ, ㄷ, ㅁ, 제품별배치 : ㄹ
2.
공정별배치 : ㄱ, ㄴ, 제품별배치 : ㄷ, ㄹ, ㅁ
3.
공정별배치 : ㄴ, ㄷ, ㄹ, 제품별배치 : ㄱ, ㅁ
4.
공정별배치 : ㄷ, ㄹ, 제품별배치 : ㄱ, ㄴ, ㅁ
5.
공정별배치 : ㄷ, 제품별배치 : ㄱ, ㄴ, ㄹ, ㅁ
정답 : [
4
] 정답률 : 알수없음
10.
다음 중 지게차(Fork Lift Truck)의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8월)
1.
스트래들 리치(Straddle Reach) 트럭은 스트래들 트럭의 아웃리거 길이를 줄이는 대신 리치능력을 제공함으로써 랙에 접근하기 쉽게 만든 장비이다.
2.
카운터 밸런스(Counter Balance)형은 포크 등 승강장치를 차체 앞에 설치한 형상으로 내연식과 전동식(축전지식) 두 가지가 있다.
3.
톱 핸들러(Top Handler)형은 카운터 밸런스형의 일종으로 컨테이너 모서리쇠를 잡는 스프레더(Spreader)와 승강 마스트를 갖추고 컨테이너를 하역하는데 사용하는 대형 지게차이다.
4.
리치포크(Reach Fork)형은 크레인 끝에 스프레더(Spreader)가 장착되어 주로 파렛트를 하역하는데 사용된다.
5.
사이드 포크(Side Fork)형은 차체측면으로 아웃리거를 움직여 차체측면 방향에서 하역이 가능하도록 한 장비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알수없음
11.
갑이라는 회사에서는 A라는 상품의 재고를 정량발주법으로 관리하고 있다. 이 상품에 대한 연간 수요량이 400개, 구매가격은 단위당 10,000원, 연간 단위당 재고유지비는 구매가격의 10%이고, 1회 주문비용은 8,000원이다. 단, 1년은 365일로 한다. 이 경우에 주문주기는?(2007년 08월)
1.
33 일
2.
50 일
3.
73 일
4.
80 일
5.
93 일
정답 : [
4
] 정답률 : 알수없음
12.
창고의 기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7월)
1.
물품을 안전하게 보관하거나 현상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2.
물품의 생산과 소비의 시간적 간격을 조절하여 시간가치를 창출한다.
3.
물품의 수요와 공급을 조정하여 가격안정을 도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4.
물품을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는 물리적 행위를 통해 장소적 효용을 창출한다.
5.
창고에 물품을 보관하여 안전재고를 확보함으로써 품절을 방지하여 기업 신용을 증대시킨다.
정답 : [
4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4. 물품을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는 물리적 행위 -> 운송의 기능 장소적 효용을 창출한다 -> 운송의 기능 [해설작성자 : bo]
13.
자동창고시스템이 시간당 300번의 저장 및 출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10개의 통로와 각 통로에는 한 대씩의 S/R(Storage and Retrieval)기계가 작업을 수행한다. 수행작업 40%는 단일명령에 의해서 수행되며 나머지는 이중명령에 의해서 수행된다. S/R기계의 평균 이용률은? (단, 단일명령수행 주기시간: 2분, 이중명령수행 주기시간: 3분)(2017년 07월)
1.
65%
2.
82.5%
3.
85%
4.
90%
5.
95%
정답 : [
3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300번 -> 단일 명령 : 120(300*40%) / 이중명령 : 90(300*60%/2회(이중)) 120*2분+90*3분/60분*10통로 = 85% [해설작성자 : 고양이]
14.
자동화창고의 구성요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7월)
1.
버킷(Bucket)은 화물의 입출고 및 보관에 사용되는 상자이다.
2.
셀(Cell)은 랙 속에 화물이 저장되는 단위공간을 의미한다.
3.
스태커크레인(Stacker Crane)은 승강장치, 주행장치, 포크장치로 구분된다.
4.
이중명령(Dual Command) 시 스태커크레인은 입고작업과 출고작업을 동시에 실행한다.
5.
트래버서(Traverser)는 화물을 지정된 입출고 지점까지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자동 주행장치이다.
정답 : [
5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수평입니다 [해설작성자 : 하루남았다]
15.
공급자와 수요자 중간에 위치하여 수요와 공급을 통합하고 계획하여 효율화를 도모하는 물류센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8월)
1.
공동물류센터는 자금 조달능력이 부족하고 물량을 확보하기 어려운 다수의 중소기업이 물류시설을 한 장소에 설치하고 공동으로 운영하는 시설이다.
2.
물류센터를 한 곳에 집중해 설치할 경우 거점간의 수송업무가 늘어난다.
3.
물류센터의 설치시 창고규모가 커지므로 입출하, 유통가공, 집품, 분류 등의 업무량이 증가한다.
4.
물류시설의 집약화로 저렴한 비용으로 대고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5.
물류센터는 재고량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할 수 있어서 시장동향을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인기상품과 사양상품을 신속히 파악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16.
일관파렛트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9년 07월)
1.
ㄱ
2.
ㄱ, ㄴ
3.
ㄱ, ㄷ
4.
ㄴ, ㄷ
5.
ㄱ, ㄴ, ㄷ
정답 : [
3
] 정답률 : 73%
17.
자동창고시스템(AS/RS :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에서 S/R(Storage and Retrieval) 장비가 제품을 랙에 저장하고 반출하는 방법은 단일명령(Single Command) 처리방식과 이중명령(Dual Command) 처리방식으로 구분된다. 다음의 가동조건에서 S/R장비의 평균 가동률은?(2009년 08월)
1.
41.7%
2.
58.3%
3.
66.7%
4.
83.3%
5.
100.0% 이상이므로 처리가 불가능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18.
물류단지시설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0년 08월)
1.
DP(Depot) : 재고품의 보관거점으로 상품의 배송거점인 동시에 예상수요에 대한 보관거점을 의미하며 일명 하치장이라 부른다.
2.
ICD(Inland Container Depot) : 산업단지와 항만 사이를 연결하여 화물의 유통을 원활히 하기 위한 대규모 물류단지이다.
3.
CY(Container Yard) : LCL(Less than Container Load) 화물을 모아서 FCL(Full Container Load)화물로 만드는 취급장이다.
4.
SP(Stock Point) : 수송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갖추어진 집배중계지 및 배송처에 컨테이너가 CY에 반입되기 전 야적된 상태에서 컨테이너를 적재하는 장소이다.
5.
CFS(Container Freight Station) : 컨테이너 보세장치장, 마샬링 야드 등을 의미한다.
하역의 개념 및 정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4년 06월)
1.
ㄱ, ㄹ
2.
ㄴ, ㄷ
3.
ㄷ, ㅁ
4.
ㄱ, ㄴ, ㄷ
5.
ㄱ, ㄴ, ㄷ, ㄹ
정답 : [
3
] 정답률 : 21%
<문제 해설> ㄷ. 제조공정 및 검사공정은 하역의 범위를 벗어난 생산활동에 속함. ㅁ. 항만하역도 명백한 하역작업에 해당.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1.
재고관리에 관한 설명과 용어의 연결로 옳은 것은?(2025년 07월)
1.
ㄱ - A, ㄴ - B, ㄷ – C
2.
ㄱ - A, ㄴ - D, ㄷ – E
3.
ㄱ - C, ㄴ - E, ㄷ - F
4.
ㄱ - E, ㄴ - B, ㄷ – D
5.
ㄱ - F, ㄴ - D, ㄷ - E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22.
다음 일반화물의 취급주의표지(KSA 1008) 중 쓰러지기 쉬운(unstable) 화물을 표시하는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07년 08월)
1.
2.
3.
4.
5.
정답 : [
5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5번은 손수레 삽입금지(no hand truck)입니다 정답은 2번입니다
23.
재고관리 및 통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정량발주법은 현재의 재고상태를 파악하여 재고량이 재주문점에 도달하면 미리 설정된 일정량을 주문하는 시스템이다.
2.
ABC 재고관리에서 A품목은 매출액이 매우 적어서 가능한 노력이 적게 드는 관리방법을 택하며, B품목은 매출액이 비교적 적지만 품목이 많으므로 정량발주시스템 적용이 바람직하고, C품목은 매출액이 높은 품목으로 정기발주시스템 이용이 적합하다.
3.
정기발주법은 재고량이 특정수준에 이르도록 적정량을 일정기간마다 재주문하는 방법이다.
4.
안전재고는 수요의 변동, 수요의 지연, 공급의 불확실성 등으로 품절이 발생하여 계속적인 공급중단 사태를 방지하기 위한 예비목적의 재고량이다.
5.
조달기간(Lead Time)은 발주 후 창고에 주문품목들이 들어오기까지의 기간으로 기간이 짧을수록 재고수준은 낮아진다.
정답 : [
2
] 정답률 : 58%
24.
항공하역에서 사용하는 장비가 아닌 것은?(2020년 07월)
1.
돌리(Dolly)
2.
터그 카(Tug Car)
3.
리프트 로더(Lift Loader)
4.
파렛트 스케일(Pallet Scale)
5.
스트래들 캐리어(Straddle Carrier)
정답 : [
5
] 정답률 : 70%
25.
블록 트레인(Block Train)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8월)
1.
물동량이 충분하고 조차장이 작은 경우에 적합하다.
2.
고객맞춤형 직통 컨테이너화차 방식이다.
3.
출발역으로부터 도착역까지 직송서비스를 제공한다.
4.
일반 철도운송보다 운송시간 단축에 유리하고 녹색물류에 적합하다.
5.
루프형 구간 서비스로 단거리 수송에 유리하다.
정답 : [
5
] 정답률 : 50%
26.
다음은 K기업의 A제품의 자재소요계획(Material Requirement Planning)에 관한 정보이다. 부품 X와 Y의 순 소요량은?(2025년 07월)
1.
X: 150, Y: 210
2.
X: 160, Y: 210
3.
X: 180, Y: 240
4.
X: 210, Y: 150
5.
X: 240, Y: 180
정답 : [
1
] 정답률 : 알수없음
27.
창고관리시스템(WMS: Warehouse Management System)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7월)
1.
WMS는 입고관리, 위치관리, 재고관리, 출고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2.
WMS를 활용하면 재고 정확도, 공간과 설비의 활용도가 향상된다.
3.
WMS가 유통중심형 물류시설을 위한 차별화 전략의 핵심요인으로 등장했다.
4.
WMS는 물류센터의 시설운영 기기 등의 제어가 가능하다.
5.
WMS는 다른 시스템과의 원활한 인터페이스가 제한적이므로 실시간 정보관리에 한계가 있다.
정답 : [
5
] 정답률 : 64%
28.
연간 영업일이 300일인 K도매상은 A제품의 안전재고를 250개에서 400개로 늘리면서 새로운 재주문점을 고려하고 있다. A제품의 연간수요는 60,000개이며 주문 리드타임은 3일이었다. 이때 새롭게 설정된 재주문점은?(2020년 07월)
1.
400
2.
600
3.
900
4.
1,000
5.
1,200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재주문점(ROP) 공식 = 조달기간 x 단위기간 평균수요 + 안전재고 단위기간 평균수요 = 연간수요 ÷ 연간 영업일 => 60000 ÷ 300 = 200 3 x 200 + 400 = 1,000 [해설작성자 : 27회 물관사 준비생]
29.
K사에서 30일이 지난 후 철도차량 정비품 A의 1일 수요의 표준편차와 조달기간을 조사해 보니 이전보다 표준편차는 8에서 4로 감소되었고, 조달기간은 4일에서 9일로 증가되었다. 정비품 A의 안전재고수준은 어떻게 변동되는가? (단, 다른 조건은 동일하다.)(2019년 07월)
자재소요량계획(MRP; Material Requirements Planning)의 주요 입력요소를 모두 고른 것은?(2014년 06월)
1.
ㄱ, ㄷ, ㄹ, ㅅ
2.
ㄱ, ㄷ, ㄹ, ㅂ
3.
ㄴ, ㄷ, ㅁ, ㅂ
4.
ㄷ, ㄹ, ㅁ, ㅅ
5.
ㄱ, ㄷ, ㅁ, ㅂ, ㅅ
정답 : [
5
] 정답률 : 33%
31.
다음 중 크로스도킹(Cross-docking)을 고려하는 이유로 적합한 것은?(2009년 08월)
1.
제품 입하시 출하지를 알고 있을 때
2.
기업의 유통센터의 이용률이 낮을 때
3.
입하되는 개별 화물이 소량일 때
4.
화물이 납기에 민감하지 않을 때
5.
제품의 가격이 정해져 있지 않을 때
정답 : [
1
] 정답률 : 알수없음
32.
철도하역 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7월)
1.
TOFC(Trailer on Flat Car) 방식: 컨테이너가 적재된 트레일러를 철도화차 위에 적재하여 운송하는 방식
2.
COFC(Container on Flat Car) 방식: 철도화차 위에 컨테이너만을 적재하여 운송하는 방식
3.
Piggy Back 방식: 화물열차의 대차 위에 트레일러나 트럭을 컨테이너 등의 화물과 함께 실어 운송하는 방식
4.
Kangaroo 방식: 철도화차에 트레일러 차량의 바퀴가 들어갈 수 있는 홈이 있어 적재높이를 낮게 하여 운송할 수 있는 방식
5.
Freight Liner 방식: 트럭이 화물열차에 대해 직각으로 후진하여 무개화차에 컨테이너를 바로 실어 운송하는 방식
정답 : [
5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5. Freight Liner방식: 대형 컨테이너를 적재하고 터미널 사이를 고속의 고정편성으로 운행하는 화물 컨테이너 운송 - 트럭이 화물열차에 대해 직각으로 후진하여 무개화차에 컨테이너를 바로 실어 운송하는 방식 => 플렉시 밴 [해설작성자 : bo]
33.
분류시스템에 사용되는 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슬라이딩 슈 방식(Sliding Shoe Type)은 컨베이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슬랫으로 밀어서 분류하는 방식으로 충격이 크기 때문에 깨지기 쉬운 물건에는 사용할 수 없다.
2.
틸팅 방식(Tilting Type)은 컨베이어를 주행하는 트레이, 슬라이드 등에 물품을 적재하였다가 분류되는 순간에 트레이, 슬라이드가 기울어지는 방식으로 고속처리가 가능하지만 중력에 의한 파손품이 발생될 수 있다.
3.
팝업 방식(Pop-up Type)은 컨베이어의 아랫방향에서 벨트, 롤러, 휠, 핀 등의 분기장치가 튀어나와 분류하는 방식으로 화물의 하부면에 충격을 주는 단점이 있다.
4.
다이버터 방식(Diverter Type)은 외부에 설치된 안내판을 회전시켜 컨베이어에 가이드벽을 만들어 벽을 따라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화물 형상에 관계없이 분류가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화물을 처리하는 데 사용된다.
5.
크로스벨트 방식(Cross-belt Type)은 컨베이어를 주행하는 연속된 벨트에 소형 벨트컨베이어를 교차시켜서 분류하는 방식으로 분기점이 많은 통신판매, 의약품, 화장품, 서적 등의 분류에 사용된다.
정답 : [
1
] 정답률 : 알수없음
34.
어느 신문판매점에서 신문을 주문하려 한다. 주문은 일일 1회만 주문이 가능하고 10부 단위로 주문해야 한다. 신문 1부의 판매가격은 630원, 구매가격은 500원, 판매하지 못한 신문은 1부당 100원을 받고 처분된다. 합리적 주문량과 이 때의 서비스수준을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단, 신문판매점이 추정한 수요분포는 다음과 같다.)(2016년 07월)
1.
10부, 20%
2.
20부, 24.5%
3.
20부, 75.5%
4.
40부, 24.5%
5.
40부, 75.5%
정답 : [
2
] 정답률 : 20%
35.
컨베이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7월)
1.
벨트(Belt) 컨베이어: 연속적으로 움직이는 벨트를 사용하여 벨트 위에 화물을 싣고 운반하는 기기
2.
롤러(Roller) 컨베이어: 롤러 및 휠을 운반 방향으로 병렬시켜 화물을 운반하는 기기
3.
진동(Vibrating) 컨베이어: 철판의 진동을 통해 부품 등을 운반하는 기기
4.
스크루(Screw) 컨베이어: 스크루 상에 철판을 삽입하고 이를 회전시켜 액체화물 종류를 운반하는 기기
5.
플로우(Flow) 컨베이어: 파이프 속 공기나 물의 흐름을 이용하여 화물을 운반하는 기기
정답 : [
5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파이프 속 유체를 매체로 이용하는 기기는 유체(Fluid) 컨베이어이다. [해설작성자 : 망고]
36.
화주의 측면에서 자가창고와 비교하여 영업창고의 장점만 모두 고른 것은?(2014년 06월)
1.
ㄱ, ㄴ
2.
ㄱ, ㄹ
3.
ㄷ, ㄹ
4.
ㄱ, ㄴ, ㄷ
5.
ㄱ, ㄴ, ㄷ, ㄹ
정답 : [
1
] 정답률 : 17%
37.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사용되는 하역장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7월)
1.
리치 스태커(Reach Stacker)는 장비의 회전 없이 붐에 달린 스프레더만을 회전하여 컨테이너를 이적 또는 하역하는 장비이다.
야드 트랙터(Yard Tractor, Y/T)는 야드에서 컨테이너를 이동ㆍ운송하는데 사용되는 이동장비로서 일반 도로 운행이 가능한 장비이다.
4.
스트래들 캐리어(Straddle Carrier)는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컨테이너를 마샬링 야드로부터 에이프런 또는 CY지역으로 운반 및 적재할 경우에 사용되는 장비이다.
5.
윈치크레인(Winch Crane)은 차체를 이동 및 회전시키면서 컨테이너트럭이나 플랫 카(Flat Car)로부터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장비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컨테이너 부두 내에서만 운행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김문악]
38.
연속된 5개의 화물분류 공정별(A~E) 공정시간은 아래 표와 같다. 이 중 공정 1개의 공정시간을 변경하였을 때 공정효율(Balance Efficiency)이 80%가 되는 공정명과 공정시간은?(2016년 07월)
1.
공정 A, 9분
2.
공정 B, 10분
3.
공정 C, 11분
4.
공정 D, 8분
5.
공정 E, 8분
정답 : [
5
] 정답률 : 27%
39.
운반관리(Material Handling)의 4요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8월)
1.
Motion: 재료, 부품, 제품을 필요로 하는 분야로 보다 경제적이고 합리적으로 운반한다.
2.
Time: 제조공정이나 기타 필요한 장소에 필요한 것을 적시에 공급한다.
3.
Quantity: 필요량의 변화에 대응하여 정확한 수량, 중량, 용량을 공급한다.
4.
Quality: 제조공정에 필요한 고품질의 물품을 운반한다.
5.
Space: 공간, 장소를 계통적이고 효율적으로 이용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9%
40.
포장 결속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8월)
1.
밴드결속 - 플라스틱, 나일론, 금속 등의 재질로 된 밴드를 사용한다.
2.
꺽쇠 물림쇠 - 주로 칸막이 상자 등에서 상자가 고정되도록 사용하는 방법이다.
3.
테이핑 - 용기의 견고성을 유지하기 위해 접착테이프를 사용한다.
4.
대형 골판지 상자 - 작은 부품 등을 꾸러미로 묶지 않고 담을 때 사용한다.
5.
슬리브 - 열수축성 플라스틱 필름을 화물에 씌우고 터널을 통과시킬 때 가열하여 필름을 수축시키는 방법이다.
정답 : [
5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5번은 슈링크 방식 [해설작성자 : 똘딴]
슈링크: 열수축성 플라스틱 필름 슬리브: 필름으로 만든 슬리브로 4개 측면을 감싸는 방법 [해설작성자 : Yadon_]
41.
물류정책기본법령상 단위물류정보망 전담기관으로 지정될 수 없는 자는?(2016년 07월)
1.
「인천국제공항공사법」에 따른 인천국제공항공사
2.
「한국토지주택공사법」에 따른 한국토지주택공사
3.
「상법」에 따른 자본금이 1억원인 주식회사
4.
「한국도로공사법」에 따른 한국도로공사
5.
「항만공사법」에 따른 항만공사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단위물류 정보망 : 기능별 또는 지역별로 행정기관, 물류기업 및 거래처 연결하는 일련의 물류정보체계 전담기관의 지정 1. 공공기관 : 인천국제공항공사, 한국공항공사, 한국도로공사, 한국철도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항만공사 (단위물류정보망 : 정보로 만든 (공이), (도로)를 넘어 (철도)를 넘어 (항만)을 넘어 우리집 (주택)으로) 2. 공공기관 아닌데 지정받을 수 있는 자 - 자본금 2억 이상인 상법에 따른 주식회사 - 물류 관련 장비, 인력 등 잘 갖춘 자 [해설작성자 : 부들부들맨의 든든한BAG]
42.
물류정책기본법령상 국토교통부장관이 국가물류통 합정보센터의 운영자로 지정할 수 있는 자를 모두 고른 것은?(2015년 07월)
1.
ㄱ, ㄴ
2.
ㄱ, ㄴ, ㄷ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2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국가 물류통합정보센터의 설치 운영 1. 중항행정기관 2.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공공기관(단위물류정보망 전담기관과 동일) 3. 정부출연연구기관 4. 물류관련협회 5. 그 밖에 자본금 2억원 이상. 업무능력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과 자격을 갖춘 상벙상의 주식회사 I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3.
물류정책기본법령상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해양수산부장관이 물류현황조사에 필요한 자료의 제출을 요청하거나 그 일부에 대하여 직접 조사하도록 요청할 수 있는 자가 아닌 것은?(2013년 06월)
1.
시장ㆍ군수 및 구청장
2.
특별시장ㆍ광역시장ㆍ도지사 및 특별자치도지사
3.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
4.
물류정책기본법에 따라 지원을 받는 기업ㆍ단체
5.
물류기업
정답 : [
1
] 정답률 : 29%
44.
물류정책기본법령상 물류회계의 표준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7월)
1.
국토교통부장관은 물류기업 및 화주기업의 물류비 산정기준 및 방법 등을 표준화하기 위하여 기업물류비 산정지침을 작성하여 고시하여야 한다.
2.
해양수산부장관은 화주기업이 기업물류비 산정지침에 따라 물류비를 관리하도록 하는 의무를 부과할 수 있다.
3.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국토교통부장관과 협의하여 기업물류비 산정지침에 따라 물류비를 계산ㆍ관리하는 물류기업에 대하여는 필요한 행정적 지원을 하여야 한다.
4.
국토교통부장관은 기업물류비 산정지침에 따라 물류비를 계산ㆍ관리하는 화주기업에 대하여 재정적 지원을 할 수는 없다.
5.
물류비 관련 용어 및 개념에 대한 정의는 기업물류비 산정지침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이 아니다.
정답 : [
1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2. 의무를 부과할 수 있다 -> 권고할 수 있다 3,4 국토부 장관은 해수부 및 산자부와 협의하여 화주기업에게 재정적 지원을 할 수 있다. 5. 포함된다.
기업 물류비 산정 지침 1. 물류비 관련 용어 및 개념에 대한 정의 2. 영역별 기능별 및 자가 위탁별 물류비 분류 3. 물류비 계산 기준 및 계산 방법 4. 물류비 계산서의 표준 서식 [해설작성자 : 고양이]
45.
물류정책기본법령상 물류관련협회 및 민ㆍ관 합동 물류지원센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8월)
1.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해양수산부장관은 물류관련협회 설립의 인가권자이다.
2.
물류관련협회는 법인으로 한다.
3.
물류관련협회는 해당 사업의 진흥ㆍ발전에 필요한 통계의 작성ㆍ관리와 외국자료의 수집ㆍ조사ㆍ연구사업을 수행한다.
4.
국토교통부장관ㆍ해양수산부장관ㆍ산업통상자원부장관 및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물류관련협회 및 물류관련 전문기관ㆍ단체는 공동으로 물류지원센터를 설치ㆍ운영할 수 있다.
5.
민ㆍ관 합동 물류지원센터의 장은 3년마다 사업계획을 수립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5. 3년 -> 매 연도별
*물류지원센터의 운영 - 물류지원센터에는 물류지원센터의 장과 업무 수행에 필요한 조직을 둔다 - 물류지원센터의 장은 매 연도별로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물류지원센터의 조직, 인사, 복무, 보수, 회계, 물품, 문서의 처리에 관한 규정을 정한 후, 이에 따라 사무를 처리하여야 한다. - 행정적, 재정적 지원을 하는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해당 물류지원센터의 장에 대하여 매년 2월 말까지 전년도의 사업추진실적 및 해당 연도의 사업추진계획을 작성하여 제출할 것을 요청할수 있다.
*물류지원센터의 업무 수행 - 국내물류기업의 해외진출 및 해외물류기업의 국내투자유치 지원 - 물류산업의 육성, 발전을 위한 조사, 연구 - 그 밖에 물류 공동화 및 정보화 지원 등 물류체계 효율화를 위하여 필요한 업무 [해설작성자 : 고대방개]
46.
물류정책기본법령상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8월)
1.
국토교통부장관은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를 설치ㆍ운영할 수 있다.
2.
국토교통부장관은 자본금 2억원 이상, 업무능력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과 자격을 갖춘 「상법」상의 주식회사를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의 운영자로 지정할 수 있다.
3.
국토교통부장관은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운영자를 지정하려는 경우에는 미리 물류정책분과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신청방법 등을 정하여 30일 이상 관보 또는 인터넷 홈페이지에 이를 공고하여야 한다.
4.
국토교통부장관은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운영자가 국가물류통합데이터베이스의 물류정보를 영리를 목적으로 사용한 경우에는 그 지정을 취소할 수 있다.
5.
국토교통부장관은 해양수산부장관ㆍ산업통상자원부장관 및 관세청장과 협의하여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운영자에게 필요한 지원을 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3.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운영자 ->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의 전부 또는 일부를 운영하는 자 물류정책분과위원회 -> 물류시설분과위원회
* 지정절차 - 국토교통부장관은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의 전부 또는 일부를 운영하는 자를 지정하려는 경우에는 미리 물류시설분과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신청방법 등을 정하여 30일 이상 관보 또는 인터넷 홈페이지에 이를 공고하여야 한다. - 지정받으려는 자는 공고가 있는 때에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지정신청서에 첨부서류를 갖추어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 지정한 때에는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지정증을 발급하고, 그 사실을 관보 또는 인터넷 홈페이지에 공고하여야 한다.
*지정의 취소 -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지정을 받은 경우 - 지정기준에 미달하게 된 경우 -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운영자가 국가물류통합데이터베이스의 물류정보를 영리를 목저그오 사용한 경우 [해설작성자 : 고대방개]
47.
화물유통촉진법상 전자문서 및 물류정보의 보안에 대한 설명이다.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8월)
1.
누구든지 불법 또는 부당한 방법으로 전자문서 및 물류정보의 보안에 필요한 보호조치를 침해하거나 훼손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물류전산망에 의하여 처리ㆍ보관 또는 전송되는 물류정보를 훼손하거나 그 비밀을 침해ㆍ도용 또는 누설하여서는 아니된다.
3.
종합물류전산망을 구성ㆍ운영하는 자(전담사업자)는 전자문서 및 물류정보의 보안에 필요한 보호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4.
전담사업자는 전자문서 및 전자계산조직의 화일에 기록되어 있는 물류정보를 5년 동안 보관하여야 한다. 다만, 건설교통부장관의 승인을 얻은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5.
누구든지 물류전산망에 의한 전자문서를 위작 또는 변작하거나 위작 또는 변작된 전자문서를 행사하여서는 아니된다.
정답 : [
1
] 정답률 : 알수없음
48.
물류정책기본법령상 국가물류정책위원회 위원의 해촉사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9년 07월)
1.
심신장애로 인하여 직무를 수행할 수 없게 된 경우
2.
직무와 관련 없는 비위사실이 있는 경우
3.
직무태만으로 인하여 위원으로 적합하지 아니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4.
품위손상으로 인하여 위원으로 적합하지 아니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5.
위원 스스로 직무를 수행하는 것이 곤란하다고 의사를 밝히는 경우
정답 : [
2
] 정답률 : 66%
49.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지원시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0년 07월)
1.
교육ㆍ연구 시설
2.
선상수산물가공업시설
3.
단독주택ㆍ공동주택 및 근린생활시설
4.
물류단지의 종사자의 생활과 편의를 위한 시설
5.
「건축법 시행령」별표 1 제5호에 따른 문화 및 집회시설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 시행령 제2조 제3항 제4호 "수산식품산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 제 15조에 따른 수산가공품 생산 공장 및 같은 법 제 16조에 따른 수산물가공시설(냉동, 냉장업 시설 및 선상가공업시설은 제외한다) [해설작성자 : 비비안지유]
50.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복합물류터미널사업자에 관한 설명으로 옳고(○), 그름(×)이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된 것은?(2016년 07월)
1.
○, ○, ○, ○
2.
○, ○, ×, ○
3.
○, ×, ×, ×
4.
×, ×, ○, ×
5.
×, ×, ×, ×
정답 : [
3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2. 3개월 이내에 충족하면 됨. 3. 취소하여야 함(거짓부정등록, 등록의결격사유에 해당될때, 등록증대여 등, 사업정지기간 중 영업) 4. 통지받고 20일 내 과징금 내야함. 천재지변 등의 사유가 없어지면 7일이내 납부기한이 지나면 7일이내 독촉장, 독촉장 보낸날부터 10일 이내 납부기한 [해설작성자 : 부들부들맨의 든든한BAG]
51.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물류단지의 지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8월)
1.
시ㆍ도지사가 지정할 수 있는 물류단지 규모의 기준은 3만3천 제곱미터 이하이다.
2.
국토해양부장관은 물류단지를 지정하려는 때에는 물류단지개발계획을 수립하여 관할 시ㆍ도지사의 의견을 듣고 관계 중앙행정기관의장과 협의한 후 물류시설분과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3.
시ㆍ도지사는 물류단지를 지정하려는 때에는 물류단지개발계획을 수립하여 관계 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한 후 지역물류정책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4.
물류단지개발계획을 수립할 때까지 물류단지개발사업의 시행자가 확정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물류단지의 지정 후에 이를 물류단지개발계획에 포함시킬 수 있다.
5.
물류단지개발계획에는 재원조달계획이 포함되어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31%
52.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복합물류터미널사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7월)
1.
복합물류터미널사업이란 두 종류 이상의 운송수단 간의 연계운송을 할 수 있는 규모 및 시설을 갖춘 물류터미널사업을 말한다.
2.
복합물류터미널사업을 경영하려는 자는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의 인가를 받아야 한다.
3.
복합물류터미널사업의 등록에 따른 권리ㆍ의무를 승계한 자는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4.
복합물류터미널사업자는 복합물류터미널사업의 전부 또는 일부를 휴업하거나 폐업하려는 때에는 미리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5.
국토교통부장관은 복합물류터미널사업자가 다른 사람에게 등록증을 대여한 때에는 등록을 취소하여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복합물류터미널사업을 경영하려는 자는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의 인가를 받아야 한다.[→등록을 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이거보면합격]
53.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스마트물류센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1년 07월)
1.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스마트물류센터의 구축 및 운영에 필요한 자금의 대출 등으로 인한 금전채무의 보증한도, 보증료 등 보증조건을 우대할 수 있다.
2.
스마트물류센터 인증의 유효기간은 인증을 받은 날부터 5년으로 한다.
3.
스마트물류센터 인증의 등급은 3등급으로 구분한다.
4.
스마트물류센터 예비인증은 본(本)인증에 앞서 건축물 설계에 반영된 내용을 대상으로 한다.
5.
스마트물류센터임을 사칭한 자에게는 과태료를 부과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인증의 유효기간은 3년 인증의 등급은 5등급으로 구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 -> 신용보증기금 등 2. 5년 -> 3년 3. 3등급 -> 5등급 5. 과태료 -> 벌금형 or 징역형 [해설작성자 : 광명케이]
54.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국토해양부 장관 및 시ㆍ지도사가 시행자에 대하여 반드시 물류단지 지정ㆍ승인 또는 인가를 취소하여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2009년 08월)
1.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물류단지의 지정을 받은 경우
2.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시행자의 지정을 받은 경우
3.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실시계획의 승인을 받은 경우
4.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준공인가를 받은 경우
5.
사정이 변경되어 물류단지개발사업을 계속 시행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 경우
정답 : [
5
] 정답률 : 알수없음
55.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률상 물류시설 개발종합계획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들어갈 내용이 옳은 것은?(2015년 07월)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물류단지의 관리기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8월)
1.
물류단지는 입주기업체협의회가 관리한다.
2.
입주기업체협의회가 구성되기 전에는 시행자가 물류단지를 관리할 수 있다.
3.
입주기업체협의회는 해당 물류단지 입주기업체 3분의 2 이상이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어야한다.
4.
입주기업체협의회는 매 사업연도 개시일부터 2개월 이내에 정기총회를 개최하여야 하며, 필요한 경우에는 임시총회를 개최할 수 있다.
5.
입주기업체협의회의 회의는 정관에 다른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회원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회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30%
57.
다음 중 화물자동차운수사업법령상 화물자동차운송사업의 양도ㆍ양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8월)
1.
화물자동차운송사업 양도ㆍ양수 신고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관련법령에 따라 양도인이 양도ㆍ양수 신고서를 관할 관청에 제출하여야 한다.
2.
화물자동차운송사업의 양도ㆍ양수 신고 시에는 양도ㆍ양수계약서 사본, 차고지 설치확인서 등을 첨부하여야 한다.
3.
화물자동차운송사업의 양도ㆍ양수 신고 시 양수인이 법인에 해당하나 운송사업자가 아닌 경우에는 담당 공무원이 「전자 정부 구현을 위한 행정업무 등의 전자화 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라 행정정보의 공동이용을 통하여 법인등기부 등본을 확인하여야 한다.
4.
화물자동차운송사업의 양도ㆍ양수 신고 시 제출하는 차고지 설치확인서는 양도ㆍ양수계약서 사본 등으로 차고지의 양도ㆍ양수가 확인되는 경우에는 제출하지 아니하여도 된다.
5.
화물자동차운송사업의 양도ㆍ양수는 원칙적으로 당해 화물자동차운송사업의 전부를 그 대상으로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58.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적재물배상 책임보험 또는 공제(이하 '적재물배상보험등'이라 한다)의 가입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7월)
1.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른 배출가스저감장치를 차체에 부착함에 따라 총중량이 10톤 이상이 된 화물자동차 중 최대 적재량이 5톤 미만인 일반형 화물자동차는 적재물배상보험등의 의무 가입 대상차량이 아니다.
2.
「보험업법」에 따른 보험회사(적재물배상책임 공제사업자를 포함하며, 이하 '보험회사등'이라 한다)는 적재물배상보험등에 가입하여야 하는 자(이하 '보험등 의무가입자'라 한다)가 적재물배상보험등에 가입하려고 하면 예외적인 사유가 있는 경우 외에는 적재물배상보험등의 계약(이하 '책임보험계약등'이라 한다) 체결을 거부할 수 없다.
3.
보험등 의무가입자 및 보험회사등은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을 휴업하거나 폐업하는 등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책임보험계약등의 전부 또는 일부를 해제하거나 해지 하여서는 아니 된다.
4.
보험등 의무가입자에 해당하는 이사화물운송주선사업자는 각 화물자동차별로 사고 건당 500만원 이상의 금액을 지급할 책임을 지는 적재물배상보험등에 가입하여야 한다.
5.
보험회사등은 자기와 책임보험계약등을 체결한 보험등 의무가입자가 그 계약이 끝난 후 새로운 계약을 체결하지 하니하면 그 사실을 지체 없이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알려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적재물배상 책임보험 = 사고 건당 2천만원 운송주선사업자가 이사화물운송만을 주선하는 경우 = 500만원 운송사업자: 각 화물자동차별 가입 운송주선사업자: 각 사업자별 가입 운송가맹사업자: 직접 소유한 자는 각 화물자동차별 및 각 사업자별로 가입, 그 외의 자는 각 사업자별로 가입 [해설작성자 : Yadon_]
59.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운송사업자의 운송약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7월)
1.
운송약관 변경신고가 있는 경우 그 변경신고를 받은 날부터 3일 이내에 신고수리 여부가 신고인에게 통지되어야 한다.
2.
운송사업자는 운송약관을 영업소 또는 화물자동차에 갖추어 두고 이용자가 요구하면 이를 내보여야 한다.
3.
운송약관에는 운송책임이 시작되는 시기 및 끝나는 시기를 적어야 한다.
4.
공정거래위원회는 화물운송에 관한 표준이 되는 약관을 작성하여 운송사업자에게 그 사용을 권장할 수 있다.
5.
운송약관의 신고는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에 따라 설립된 협회로 하여금 대리하게 할 수 있다.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상 운송사업자에게 할 수 있는 개선명령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5년 07월)
1.
화물자동차의 구조변경
2.
운송시설의 개선
3.
화물의 안전운송을 위한 조치
4.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에 따라 운송사업자가 의무적으로 가입하여야 하는 보험ㆍ공제에 가입
5.
「가맹사업거래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에 따른 정보공개서 제공의무의 통지
정답 : [
5
] 정답률 : 알수없음
64.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상 화물자동차 운송주선사업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3년 07월)
1.
운송주선사업자는 자기 명의로 다른 사람에게 화물자동차 운송주선사업을 경영하게 할 수 있다.
2.
운송주선사업자는 화주로부터 중개 또는 대리를 의뢰받은 화물에 대하여 다른 운송주선사업자에게 수수료나 그 밖의 대가를 받고 중개 또는 대리를 의뢰할 수 있다.
3.
운송가맹사업자의 화물운송계약을 중개ㆍ대리하는 운송주선사업자는 화물자동차운송가맹점이 될 수 있다.
4.
국토교통부장관은 운수종사자의 집단적 화물운송 거부로 국가경제에 매우 심각한 위기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고 인정할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으면 운송주선사업자에게 업무개시를 명할 수 있다.
5.
운송주선사업자는 공영차고지를 임대받아 운영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1. 경영하게 할 수 있다->없다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 제25조) 2. 대리를 의뢰할 수 있다->없다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 제26조 2항) 4. 운송주선사업자X 운송사업자,운수종사자O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 제14조 1항) 5. 운송주선사업자X 사업자단체,운송사업자,운송가맹사업자,운송사업자로 구성된 「협동조합기본법」제2조제1호에따른 협동조 [해설작성자 : 우성]
65.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의 폐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8월)
1.
운송사업자가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의 전부를 폐업하려면 미리 신고하여야 한다.
2.
폐업 신고의 의무는 신고에 대한 수리 여부가 신고인에게 통지된 때에 이행된 것으로 본다.
3.
운송사업자가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의 전부를 폐업하려면 미리 그 취지를 영업소나 그 밖에 일반 공중이 보기 쉬운 곳에 게시하여야 한다.
4.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의 폐업 신고를 한 운송사업자는 해당 화물자동차의 자동차등록증과 자동차등록번호판을 반납하여야 한다.
5.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의 폐업 신고를 받은 관할관청은 그 사실을 관할 협회에 통지하여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 제18조(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의 휴업 및 폐업 신고) ② 제1항에 따른 신고가 신고서의 기재사항 및 첨부서류에 흠이 없고, 법령 등에 규정된 형식상의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에는 신고서가 접수기관에 도달된 때에 신고 의무가 이행된 것으로 본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6.
항만운송사업법령상 항만운송사업자가 정당한 사유 없이 운임 및 요금을 인가받거나 신고한 것과 다르게 받은 때, 1차, 2차 및 3차 위반으로 취해질 수 있는 각각의 행정처분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2009년 08월)
1.
①
2.
②
3.
③
4.
④
5.
⑤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67.
유통산업발전법상 공동집배송센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2년 08월)
1.
시ㆍ도지사는 물류공동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의 추천을 받아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하는 요건에 해당하는 지역 및 시설물을 공동집배송센터로 지정할 수 있다.
2.
공동집배송센터사업자는 지정받은 사항 중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하는 중요사항을 변경하려면 시ㆍ도지사의 변경지정을 받아야 한다.
3.
공동집배송센터의 지정을 받은 날부터 정당한 사유 없이 2년 이내에 시공을 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공동집배송센터의 지정이 취소될 수 있다.
4.
거짓으로 공동집배송센터의 지정을 받은 경우는 공동집배송센터의 지정을 취소할 수 있는 사유에 해당한다.
5.
시ㆍ도지사는 집배송시설의 집단적 설치를 촉진하고 집배송시설의 효율적 배치를 위하여 공동집배송센터 개발촉진지구의 지정을 산업통상자원부장관에게 요청할 수 있다.
정답 : [
5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1. 시.도지사(x) 산업통상자원부장관(o) 시.군.구청장(x) 시.도지사(o) 2. 시.도지사(x) 산업통상자원부장관(o) 3. 2년 => 3년 4. 할 수 있는 사유 => 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늑대물류]
공동집배송센터 지정ㆍ변경지정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지정 추천 = 시ㆍ도지사 정당한 사유가 없으면 3년 이내 시공 = 안 하면 취소하여야 한다.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 = 취소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Yadon_]
68.
항만운송사업법령상 지방해양항만청장이 항만운송 관련사업자에 대하여 등록을 취소하여야 하는 경우를 모두 고른 것은?(2013년 06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 : [
4
] 정답률 : 알수없음
69.
유통산업발전법령상 대규모점포관리자의 변경신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8월)
1.
소재지(주소지) 및 상호
2.
업태
3.
정관
4.
대표자성명(법인, 조합, 자치관리단체에 한함)
5.
매장면적의 10분의 1 이상의 증감
정답 : [
3
] 정답률 : 알수없음
70.
유통산업발전법령상 대규모점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9년 08월)
1.
매장면적의 2분의 1 이상을 직영하는 자가 없는 경우 입점상인 3분의 2 이상이 동의하여 지정하는 자가 개설자의 업무를 수행한다.
2.
영업을 정당한 사유 없이 6개월 이상 계속 휴업한 경우에는 등록을 취소한다.
3.
대규모점포개설자가 대규모점포를 휴업 또는 폐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지식경제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4.
대규모점포관리자 신고서의 첨부서류에는 대규모점포개설자의 결격사유에 해당하지 아니함을 증명한 서류와 사업계획, 자치규약 등이 있다.
5.
대규모점포개설자가 사망한 경우 그 상속인이 지위를 승계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알수없음
71.
유통산업발전법령상 용어의 정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7월)
1.
"프랜차이즈형 체인사업"이란 체인본부의 계속적인 경영지도 및 체인본부와 가맹점 간의 협업에 의하여 가맹점의 취급품목ㆍ영업방식 등의 표준화사업과 공동구매ㆍ공동판매ㆍ공동시설활용 등 공동사업을 수행하는 형태의 체인사업을 말한다.
2.
"유통산업"이란 농산물ㆍ임산물ㆍ축산물ㆍ수산물(가공물 및 조리물을 포함한다) 및 공산품의 도매ㆍ소매 및 이를 경영하기 위한 보관ㆍ배송ㆍ포장과 이와 관련된 정보ㆍ용역의 제공 등을 목적으로 하는 산업을 말한다.
3.
"임시시장"이란 다수(多數)의 수요자와 공급자가 일정한 기간 동안 상품을 매매하거나 용역을 제공하는 일정한 장소를 말한다.
4.
"전문상가단지"란 같은 업종을 경영하는 여러 도매업자 또는 소매업자가 일정 지역에 점포 및 부대시설 등을 집단으로 설치하여 만든 상가단지를 말한다.
5.
"무점포판매"란 상시 운영되는 매장을 가진 점포를 두지 아니하고 상품을 판매하는 것으로서 다단계판매, 전화권유판매, 카탈로그판매, 텔레비전홈쇼핑 등에 해당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1. '임의가맹점형 체인사업'에 대한 설명 [해설작성자 : fff]
72.
유통산업발전법령상 물류설비의 인증에 대한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의 권한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2013년 06월)
1.
시ㆍ도지사 및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물류설비의 종류별로 표준이 되는 인증규격 및 인증기준을 정하여 고시할 수 있다.
2.
인증물류설비의 이용 및 보급을 촉진하기 위하여 유통사업자가 인증물류설비와 관련한 연구개발투자사업을 하는 경우에는 예산의 범위에서 필요한 자금을 지원할 수 있다.
3.
공공부문의 물류표준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공기업의 장에게 인증물류설비의 우선 구매를 명할 수 있다.
4.
물류설비의 인증사업을 하는 경우에는 물류설비의 인증규격등과 관련된 성능을 시험ㆍ검사하는 물류설비인증기관을 지정할 수 있다.
5.
물류설비성능검사기관이 정당한 사유 없이 성능검사업무를 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그 지정을 취소하여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73.
항만운송사업법령상 부두운영회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5년 07월)
1.
항만시설운영자등은 부두운영회사의 운영성과 평가 결과에 따라 부두운영회사에 대하여 항만시설등의 임대료를 감면할 수는 없다.
2.
항만시설등의 임대료를 2개월 이상 연체한 경우 항만시설운영자등은 부두운영계약을 해지하고, 위약금을 부과한다.
3.
부두운영회사가 부두운영계약의 계약기간을 연장하려는 경우 그 계약기간이 만료되기 3개월 전까지 항만시설운영자등에게 부두운영계약의 갱신을 신청하여야 한다.
4.
항만시설운영자등은 화물유치 또는 투자 계획을 이행하지 못한 부두운영회사에 대하여 그 귀책사유를 불문하고 위약금을 부과할 수 있다.
5.
「항만공사법」에 따른 항만공사와 임대차계약을 체결하고, 해양수산부장관이 컨테이너 부두로 정하여 고시한 항만시설을 임차하여 사용하는 자는 부두운영회사에 해당하지 않는다.
정답 : [
5
] 정답률 : 알수없음
74.
항만운송사업법령상 항만시설운영자등이 부두운영계약을 해지할 수 있는 사유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7월)
1.
「항만법」에 따른 항만재개발사업의 시행 등 공공의 목적을 위하여 항만시설등을 부두운영회사에 계속 임대하기 어려운 경우
2.
항만시설등이 멸실되어 부두운영계약을 계속 유지할 수 없는 경우
3.
부두운영회사가 항만시설등의 임대료를 2개월 이상 연체한 경우
4.
부두운영회사가 항만시설등의 분할 운영 금지 등 금지행위를 하여 부두운영계약을 계속 유지할 수 없는 경우
5.
부두운영회사가 항만시설등의 효율적인 사용 및 운영 등을 위하여 항만시설운영자등과 해양수산부장관이 협의한 사항을 정당한 사유 없이 이행하지 아니하여 부두운영계약을 계속 유지할 수 없는 경우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3. 3개월 이상 연체한 경우. [해설작성자 : fff]
75.
「철도사업법」상 철도사업의 면허취득에 관한 결격사유가 있는 법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7월)
1.
법인의 임원 중에 피한정후견인이 있는 법인
2.
법인의 임원 중에 「철도사업법」을 위반하여 금고 이상의 실형을 선고받고 그 집행이 끝나거나(끝난 것으로 보는 경우를 포함한다) 면제된 날부터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사람이 있는 법인
3.
법인의 임원 중에 파산선고를 받고 복권되지 아니한 사람이 있는 법인
4.
법인의 임원 중에 「철도사업법」을 위반하여 금고 이상의 형의 집행유예를 선고받고 그 유예 기간 중에 있는 사람이 있는 법인
5.
「철도사업법」에 따라 철도사업의 면허가 취소된 후 그 취소일부터 2년이 지난 법인
정답 : [
5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5. 2년이 지나지 아니한 법인 [해설작성자 : 하늘무]
76.
철도사업법령상 국토교통부장관의 인가를 받아야 하는 사항을 모두 고른 것은?(2018년 07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ㄷ, ㄹ
5.
ㄱ, ㄴ, ㄹ
정답 : [
3
] 정답률 : 45%
77.
철도사업법령상 전용철도를 운영하는 자가 등록사항의 변경을 등록하지 않아 도 되는 사유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0년 07월)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5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경미한 변경 1. 운행시간 연장·단축 2. 배차간격·운행횟수 단축·연장 3. 10분의 1의 범위 안에서 철도차량 대수 변경 4. 주사무소·철도차량기지 제외 운송관련 부대시설 변경 5. 임원을 변경(법인) 6. 6월의 범위 안에서 전용철도 건설기간을 조정한 경우 [해설작성자 : Yadon_]
78.
다음 중 항만운송사업법령상 항만운송에서 제외되는 운송을 열거한 것이다. 틀린 것은?(2007년 08월)
1.
선박에서 사용하는 물품의 공급을 위한 운송
2.
선박에서 발생하는 분뇨 및 폐물의 운송
3.
어획물 운반선(어업장으로부터 양륙지까지 어획물 또는 그 제품을 운반하는 선박을 말한다)에 의하여 행하는 운송
4.
탱커선에 의하여 행하는 운송
5.
하주 또는 선박운항업자의 위탁을 받고 선박에 의하여 운송된 화물을 항만안에서 선박으로부터 인수 또는 하주에게 인도하는 행위
정답 : [
3
] 정답률 : 알수없음
79.
농수산물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령상 유통산업발전법의 규정이 적용되지 않는 시장 또는 사업장이 아닌 것은?(2012년 08월)
1.
중앙도매시장
2.
농수산물공판장
3.
민영농수산물도매시장
4.
총매출액 중 농수산물의 매출액 비중이 51퍼센트 이상인 임시시장
5.
농수산물종합유통센터
정답 : [
4
] 정답률 : 39%
80.
철도사업법령상 철도서비스의 품질평가 및 우수철도서비스 인증절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7월)
1.
국토교통부장관은 공공복리의 증진과 철도서비스 이용자의 권익보호를 위하여 철도사업자가 제공하는 철도서비스에 대하여 적정한 철도서비스 기준을 정하고, 그에 따라 철도사업자가 제공하는 철도서비스의 품질을 평가하여야 한다.
2.
국토교통부장관은 철도사업자에 대하여 3년마다 철도서비스의 품질평가를 실시하여야 하나, 국토교통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수시로 품질평가를 실시할 수 있다.
3.
국토교통부장관은 품질평가를 하고자 하는 경우 품질평가를 개시하는 날 2주 전까지 철도사업자에게 품질평가실시계획, 품질평가의 기간 등을 통보하여야 한다.
4.
국토교통부장관은 품질평가를 실시하고자 하는 때에는 철도서비스 기준의 세부내역, 품질평가의 항목 등이 포함된 철도서비스품질평가실시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5.
국토교통부장관은 품질평가결과가 우수한 철도서비스에 대하여 직권으로 또는 철도사업자의 신청에 의하여 우수철도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철도사업법 제19조(철도서비스의 품질평가 등) -철도 품질평가는 2년마다 -철도 품질평가 2주전까지 기간 통보 <철도가 세로로 2개니까 2년, 2주라고 생각하자> [해설작성자 : 부들부들맨의 든든한BAG]
정 답 지
물류관리사 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6552391)
네트워크 보관의 원칙: 입출고 빈도에 따라 보관할 물품의 위치를 달리하는 원칙으로 빈도가 높은 물품은 출입구 가까운 위치에 보관한다.
2.
중량특성 보관의 원칙: 물품의 중량에 따라 보관 위치를 결정하는 원칙으로 중량이 무거울수록 하층부에 보관한다.
3.
위치표시 보관의 원칙: 보관된 물품의 장소와 선반 번호의 위치를 표시하여 작업효율성을 높이는 원칙으로 입출고 시 불필요한 작업이나 실수를 줄일 수 있다.
4.
유사성 보관의 원칙: 유사품은 가까운 장소에 모아서 보관하는 원칙으로 관리효율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5.
통로대면 보관의 원칙: 입출고 용이성 및 보관의 효율성을 위해 물품을 가능한 통로에 접하여 보관하는 것으로 화물의 원활한 흐름과 활성화를 위한 원칙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회전 대응의 원칙: 물품 보관 장소의 회전정도에 따라 결정해야 하며, 출입구 동일시 입출하 빈도가 높은 화물은 출입구에 가까운 장소에 보관한다 네트워크 보관의 원칙: 연대 및 관련 품목을 한 장소에 모아 보관하는 원칙으로, 출하품목의 다양화에 따른 보관상의 곤란을 예상하여 물품정리가 용이하도록 보관하는 방식이다 [해설작성자 : 티다]
2.
다음에서 설명한 물류센터 입지결정의 방법은?(2016년 07월)
1.
총비용 비교법
2.
톤-킬로법
3.
브라운 & 깁슨법
4.
무게 중심법
5.
요소분석법
정답 : [
3
] 정답률 : 54%
3.
물류센터의 종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8월)
1.
항만 입지형은 부두 창고, 임항 창고, 보세 창고 등이 있다.
2.
단지 입지형은 유통업무 단지 등의 유통 거점에 집중적으로 입지를 정하고 있는 물류센터 및 창고로 공동창고, 집배송 단지 및 복합 물류터미널 등이 있다.
3.
임대 시설은 화차로 출하하기 위하여 일시 대기하는 화물의 보관을 위한 물류센터이다.
4.
자가 시설은 제조 및 유통 업체가 자기 책임 하에 운영하는 물류센터이다.
5.
도시 근교 입지형은 백화점, 슈퍼마켓, 대형 할인 매장 및 인터넷 쇼핑몰 등을 원하는 창고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3 화차로 출하하기 위해 일시 대기하는 화물의 보관을 위한 물류센터 - 배송센터 [해설작성자 : ㅇㅅ]
4.
포장 표준화의 4대 요소가 아닌 것은?(2010년 08월)
1.
치수의 표준화
2.
중량의 표준화
3.
강도의 표준화
4.
기법의 표준화
5.
재료의 표준화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포장 표준화의 4대 요소 : 치수 / 강도 / 기법/ 재료의 표준화 [해설작성자 : dh]
5.
분류시스템 중 화물의 형상, 두께 등에 따라 폭넓게 대응하여 신문사, 우체국, 통신판매 등의 각종 배송센터에서 이용되는 방식은?(2009년 08월)
살화물 탑재방식은 개별화물을 항공전용 컨테이너에 넣은 후 언로더(Unloader)를 이용하여 탑재하는 방식이다.
2.
살화물 탑재방식은 단시간에 집중적으로 작업해야 하는 화물탑재에 적합한 방식이다.
3.
살화물 탑재방식에서는 트랙터(Tractor)와 카고 카트(Cargo Cart)가 주로 사용된다.
4.
파렛트 탑재방식은 기본적인 항공화물 취급 방법이며, 파렛트화된 화물을 이글루(Igloo)로 씌워서 탑재하는 방식이다.
5.
컨테이너 탑재방식은 항공기 내부구조에 적합한 컨테이너를 이용하여 탑재하는 방식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1. 언로더는 항만에서 사용하는 기중기 종류이며, 언로더(X) -> 하이리프트로드(O)로 하면 답이 됨. [해설작성자 : 광명케이]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살화물 적재방식(Bulk Loading): 개별화물을 인력으로 직접 적재하는 가장 원시적인 방법이나 적재효율을 높이기 쉬운 방법
Bulk Cargo(살화물 (撒貨物)): 단위화되지 않고 재래방식으로 하역작업이 이루어지는 화물(곡물, 광석, 석탄, 당밀, 유류 등)을 살화물이라 한다.
1번 문장 자체가 전부 틀렸습니다. 컨테이너에 넣지 않고, 항공화물은 언로더와 관련도 없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
물류단지의 단일설비입지 결정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7월)
1.
입지요인으로 수송비를 고려한다.
2.
시장경쟁력, 재고통합효과, 설비를 고려하는 동적 입지모형이다.
3.
총 운송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입지 결정 방법이다.
4.
총 운송비용은 거리에 비례해서 증가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5.
공급지와 수요지의 위치와 반입, 반출 물량이 주어진다.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2번 동적입지모형 X -> 정적입지모형 O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공장에서 생산라인을 설계할 때 사용하는 대표적인 설비배치 개념은 유사한 공정 설비를 모아놓는 공정별배치(Process Layout)와 제품이 생산되는 공정순서대로 설비를 배치하는 제품별배치(Product Layout)로 분류된다. 다음 보기는 공정별 배치와 제품별배치의 장점을 나열한 것이다. 올바르게 구분된 것은?(2009년 08월)
1.
공정별배치 : ㄱ, ㄴ, ㄷ, ㅁ, 제품별배치 : ㄹ
2.
공정별배치 : ㄱ, ㄴ, 제품별배치 : ㄷ, ㄹ, ㅁ
3.
공정별배치 : ㄴ, ㄷ, ㄹ, 제품별배치 : ㄱ, ㅁ
4.
공정별배치 : ㄷ, ㄹ, 제품별배치 : ㄱ, ㄴ, ㅁ
5.
공정별배치 : ㄷ, 제품별배치 : ㄱ, ㄴ, ㄹ, ㅁ
정답 : [
4
] 정답률 : 알수없음
10.
다음 중 지게차(Fork Lift Truck)의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8월)
1.
스트래들 리치(Straddle Reach) 트럭은 스트래들 트럭의 아웃리거 길이를 줄이는 대신 리치능력을 제공함으로써 랙에 접근하기 쉽게 만든 장비이다.
2.
카운터 밸런스(Counter Balance)형은 포크 등 승강장치를 차체 앞에 설치한 형상으로 내연식과 전동식(축전지식) 두 가지가 있다.
3.
톱 핸들러(Top Handler)형은 카운터 밸런스형의 일종으로 컨테이너 모서리쇠를 잡는 스프레더(Spreader)와 승강 마스트를 갖추고 컨테이너를 하역하는데 사용하는 대형 지게차이다.
4.
리치포크(Reach Fork)형은 크레인 끝에 스프레더(Spreader)가 장착되어 주로 파렛트를 하역하는데 사용된다.
5.
사이드 포크(Side Fork)형은 차체측면으로 아웃리거를 움직여 차체측면 방향에서 하역이 가능하도록 한 장비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알수없음
11.
갑이라는 회사에서는 A라는 상품의 재고를 정량발주법으로 관리하고 있다. 이 상품에 대한 연간 수요량이 400개, 구매가격은 단위당 10,000원, 연간 단위당 재고유지비는 구매가격의 10%이고, 1회 주문비용은 8,000원이다. 단, 1년은 365일로 한다. 이 경우에 주문주기는?(2007년 08월)
1.
33 일
2.
50 일
3.
73 일
4.
80 일
5.
93 일
정답 : [
4
] 정답률 : 알수없음
12.
창고의 기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7월)
1.
물품을 안전하게 보관하거나 현상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2.
물품의 생산과 소비의 시간적 간격을 조절하여 시간가치를 창출한다.
3.
물품의 수요와 공급을 조정하여 가격안정을 도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4.
물품을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는 물리적 행위를 통해 장소적 효용을 창출한다.
5.
창고에 물품을 보관하여 안전재고를 확보함으로써 품절을 방지하여 기업 신용을 증대시킨다.
정답 : [
4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4. 물품을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는 물리적 행위 -> 운송의 기능 장소적 효용을 창출한다 -> 운송의 기능 [해설작성자 : bo]
13.
자동창고시스템이 시간당 300번의 저장 및 출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10개의 통로와 각 통로에는 한 대씩의 S/R(Storage and Retrieval)기계가 작업을 수행한다. 수행작업 40%는 단일명령에 의해서 수행되며 나머지는 이중명령에 의해서 수행된다. S/R기계의 평균 이용률은? (단, 단일명령수행 주기시간: 2분, 이중명령수행 주기시간: 3분)(2017년 07월)
1.
65%
2.
82.5%
3.
85%
4.
90%
5.
95%
정답 : [
3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300번 -> 단일 명령 : 120(300*40%) / 이중명령 : 90(300*60%/2회(이중)) 120*2분+90*3분/60분*10통로 = 85% [해설작성자 : 고양이]
14.
자동화창고의 구성요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7월)
1.
버킷(Bucket)은 화물의 입출고 및 보관에 사용되는 상자이다.
2.
셀(Cell)은 랙 속에 화물이 저장되는 단위공간을 의미한다.
3.
스태커크레인(Stacker Crane)은 승강장치, 주행장치, 포크장치로 구분된다.
4.
이중명령(Dual Command) 시 스태커크레인은 입고작업과 출고작업을 동시에 실행한다.
5.
트래버서(Traverser)는 화물을 지정된 입출고 지점까지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자동 주행장치이다.
정답 : [
5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수평입니다 [해설작성자 : 하루남았다]
15.
공급자와 수요자 중간에 위치하여 수요와 공급을 통합하고 계획하여 효율화를 도모하는 물류센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8월)
1.
공동물류센터는 자금 조달능력이 부족하고 물량을 확보하기 어려운 다수의 중소기업이 물류시설을 한 장소에 설치하고 공동으로 운영하는 시설이다.
2.
물류센터를 한 곳에 집중해 설치할 경우 거점간의 수송업무가 늘어난다.
3.
물류센터의 설치시 창고규모가 커지므로 입출하, 유통가공, 집품, 분류 등의 업무량이 증가한다.
4.
물류시설의 집약화로 저렴한 비용으로 대고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5.
물류센터는 재고량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할 수 있어서 시장동향을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인기상품과 사양상품을 신속히 파악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16.
일관파렛트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9년 07월)
1.
ㄱ
2.
ㄱ, ㄴ
3.
ㄱ, ㄷ
4.
ㄴ, ㄷ
5.
ㄱ, ㄴ, ㄷ
정답 : [
3
] 정답률 : 73%
17.
자동창고시스템(AS/RS :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에서 S/R(Storage and Retrieval) 장비가 제품을 랙에 저장하고 반출하는 방법은 단일명령(Single Command) 처리방식과 이중명령(Dual Command) 처리방식으로 구분된다. 다음의 가동조건에서 S/R장비의 평균 가동률은?(2009년 08월)
1.
41.7%
2.
58.3%
3.
66.7%
4.
83.3%
5.
100.0% 이상이므로 처리가 불가능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18.
물류단지시설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0년 08월)
1.
DP(Depot) : 재고품의 보관거점으로 상품의 배송거점인 동시에 예상수요에 대한 보관거점을 의미하며 일명 하치장이라 부른다.
2.
ICD(Inland Container Depot) : 산업단지와 항만 사이를 연결하여 화물의 유통을 원활히 하기 위한 대규모 물류단지이다.
3.
CY(Container Yard) : LCL(Less than Container Load) 화물을 모아서 FCL(Full Container Load)화물로 만드는 취급장이다.
4.
SP(Stock Point) : 수송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갖추어진 집배중계지 및 배송처에 컨테이너가 CY에 반입되기 전 야적된 상태에서 컨테이너를 적재하는 장소이다.
5.
CFS(Container Freight Station) : 컨테이너 보세장치장, 마샬링 야드 등을 의미한다.
하역의 개념 및 정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4년 06월)
1.
ㄱ, ㄹ
2.
ㄴ, ㄷ
3.
ㄷ, ㅁ
4.
ㄱ, ㄴ, ㄷ
5.
ㄱ, ㄴ, ㄷ, ㄹ
정답 : [
3
] 정답률 : 21%
<문제 해설> ㄷ. 제조공정 및 검사공정은 하역의 범위를 벗어난 생산활동에 속함. ㅁ. 항만하역도 명백한 하역작업에 해당.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1.
재고관리에 관한 설명과 용어의 연결로 옳은 것은?(2025년 07월)
1.
ㄱ - A, ㄴ - B, ㄷ – C
2.
ㄱ - A, ㄴ - D, ㄷ – E
3.
ㄱ - C, ㄴ - E, ㄷ - F
4.
ㄱ - E, ㄴ - B, ㄷ – D
5.
ㄱ - F, ㄴ - D, ㄷ - E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22.
다음 일반화물의 취급주의표지(KSA 1008) 중 쓰러지기 쉬운(unstable) 화물을 표시하는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07년 08월)
1.
2.
3.
4.
5.
정답 : [
5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5번은 손수레 삽입금지(no hand truck)입니다 정답은 2번입니다
23.
재고관리 및 통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정량발주법은 현재의 재고상태를 파악하여 재고량이 재주문점에 도달하면 미리 설정된 일정량을 주문하는 시스템이다.
2.
ABC 재고관리에서 A품목은 매출액이 매우 적어서 가능한 노력이 적게 드는 관리방법을 택하며, B품목은 매출액이 비교적 적지만 품목이 많으므로 정량발주시스템 적용이 바람직하고, C품목은 매출액이 높은 품목으로 정기발주시스템 이용이 적합하다.
3.
정기발주법은 재고량이 특정수준에 이르도록 적정량을 일정기간마다 재주문하는 방법이다.
4.
안전재고는 수요의 변동, 수요의 지연, 공급의 불확실성 등으로 품절이 발생하여 계속적인 공급중단 사태를 방지하기 위한 예비목적의 재고량이다.
5.
조달기간(Lead Time)은 발주 후 창고에 주문품목들이 들어오기까지의 기간으로 기간이 짧을수록 재고수준은 낮아진다.
정답 : [
2
] 정답률 : 58%
24.
항공하역에서 사용하는 장비가 아닌 것은?(2020년 07월)
1.
돌리(Dolly)
2.
터그 카(Tug Car)
3.
리프트 로더(Lift Loader)
4.
파렛트 스케일(Pallet Scale)
5.
스트래들 캐리어(Straddle Carrier)
정답 : [
5
] 정답률 : 70%
25.
블록 트레인(Block Train)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8월)
1.
물동량이 충분하고 조차장이 작은 경우에 적합하다.
2.
고객맞춤형 직통 컨테이너화차 방식이다.
3.
출발역으로부터 도착역까지 직송서비스를 제공한다.
4.
일반 철도운송보다 운송시간 단축에 유리하고 녹색물류에 적합하다.
5.
루프형 구간 서비스로 단거리 수송에 유리하다.
정답 : [
5
] 정답률 : 50%
26.
다음은 K기업의 A제품의 자재소요계획(Material Requirement Planning)에 관한 정보이다. 부품 X와 Y의 순 소요량은?(2025년 07월)
1.
X: 150, Y: 210
2.
X: 160, Y: 210
3.
X: 180, Y: 240
4.
X: 210, Y: 150
5.
X: 240, Y: 180
정답 : [
1
] 정답률 : 알수없음
27.
창고관리시스템(WMS: Warehouse Management System)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7월)
1.
WMS는 입고관리, 위치관리, 재고관리, 출고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2.
WMS를 활용하면 재고 정확도, 공간과 설비의 활용도가 향상된다.
3.
WMS가 유통중심형 물류시설을 위한 차별화 전략의 핵심요인으로 등장했다.
4.
WMS는 물류센터의 시설운영 기기 등의 제어가 가능하다.
5.
WMS는 다른 시스템과의 원활한 인터페이스가 제한적이므로 실시간 정보관리에 한계가 있다.
정답 : [
5
] 정답률 : 64%
28.
연간 영업일이 300일인 K도매상은 A제품의 안전재고를 250개에서 400개로 늘리면서 새로운 재주문점을 고려하고 있다. A제품의 연간수요는 60,000개이며 주문 리드타임은 3일이었다. 이때 새롭게 설정된 재주문점은?(2020년 07월)
1.
400
2.
600
3.
900
4.
1,000
5.
1,200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재주문점(ROP) 공식 = 조달기간 x 단위기간 평균수요 + 안전재고 단위기간 평균수요 = 연간수요 ÷ 연간 영업일 => 60000 ÷ 300 = 200 3 x 200 + 400 = 1,000 [해설작성자 : 27회 물관사 준비생]
29.
K사에서 30일이 지난 후 철도차량 정비품 A의 1일 수요의 표준편차와 조달기간을 조사해 보니 이전보다 표준편차는 8에서 4로 감소되었고, 조달기간은 4일에서 9일로 증가되었다. 정비품 A의 안전재고수준은 어떻게 변동되는가? (단, 다른 조건은 동일하다.)(2019년 07월)
자재소요량계획(MRP; Material Requirements Planning)의 주요 입력요소를 모두 고른 것은?(2014년 06월)
1.
ㄱ, ㄷ, ㄹ, ㅅ
2.
ㄱ, ㄷ, ㄹ, ㅂ
3.
ㄴ, ㄷ, ㅁ, ㅂ
4.
ㄷ, ㄹ, ㅁ, ㅅ
5.
ㄱ, ㄷ, ㅁ, ㅂ, ㅅ
정답 : [
5
] 정답률 : 33%
31.
다음 중 크로스도킹(Cross-docking)을 고려하는 이유로 적합한 것은?(2009년 08월)
1.
제품 입하시 출하지를 알고 있을 때
2.
기업의 유통센터의 이용률이 낮을 때
3.
입하되는 개별 화물이 소량일 때
4.
화물이 납기에 민감하지 않을 때
5.
제품의 가격이 정해져 있지 않을 때
정답 : [
1
] 정답률 : 알수없음
32.
철도하역 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7월)
1.
TOFC(Trailer on Flat Car) 방식: 컨테이너가 적재된 트레일러를 철도화차 위에 적재하여 운송하는 방식
2.
COFC(Container on Flat Car) 방식: 철도화차 위에 컨테이너만을 적재하여 운송하는 방식
3.
Piggy Back 방식: 화물열차의 대차 위에 트레일러나 트럭을 컨테이너 등의 화물과 함께 실어 운송하는 방식
4.
Kangaroo 방식: 철도화차에 트레일러 차량의 바퀴가 들어갈 수 있는 홈이 있어 적재높이를 낮게 하여 운송할 수 있는 방식
5.
Freight Liner 방식: 트럭이 화물열차에 대해 직각으로 후진하여 무개화차에 컨테이너를 바로 실어 운송하는 방식
정답 : [
5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5. Freight Liner방식: 대형 컨테이너를 적재하고 터미널 사이를 고속의 고정편성으로 운행하는 화물 컨테이너 운송 - 트럭이 화물열차에 대해 직각으로 후진하여 무개화차에 컨테이너를 바로 실어 운송하는 방식 => 플렉시 밴 [해설작성자 : bo]
33.
분류시스템에 사용되는 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슬라이딩 슈 방식(Sliding Shoe Type)은 컨베이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슬랫으로 밀어서 분류하는 방식으로 충격이 크기 때문에 깨지기 쉬운 물건에는 사용할 수 없다.
2.
틸팅 방식(Tilting Type)은 컨베이어를 주행하는 트레이, 슬라이드 등에 물품을 적재하였다가 분류되는 순간에 트레이, 슬라이드가 기울어지는 방식으로 고속처리가 가능하지만 중력에 의한 파손품이 발생될 수 있다.
3.
팝업 방식(Pop-up Type)은 컨베이어의 아랫방향에서 벨트, 롤러, 휠, 핀 등의 분기장치가 튀어나와 분류하는 방식으로 화물의 하부면에 충격을 주는 단점이 있다.
4.
다이버터 방식(Diverter Type)은 외부에 설치된 안내판을 회전시켜 컨베이어에 가이드벽을 만들어 벽을 따라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화물 형상에 관계없이 분류가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화물을 처리하는 데 사용된다.
5.
크로스벨트 방식(Cross-belt Type)은 컨베이어를 주행하는 연속된 벨트에 소형 벨트컨베이어를 교차시켜서 분류하는 방식으로 분기점이 많은 통신판매, 의약품, 화장품, 서적 등의 분류에 사용된다.
정답 : [
1
] 정답률 : 알수없음
34.
어느 신문판매점에서 신문을 주문하려 한다. 주문은 일일 1회만 주문이 가능하고 10부 단위로 주문해야 한다. 신문 1부의 판매가격은 630원, 구매가격은 500원, 판매하지 못한 신문은 1부당 100원을 받고 처분된다. 합리적 주문량과 이 때의 서비스수준을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단, 신문판매점이 추정한 수요분포는 다음과 같다.)(2016년 07월)
1.
10부, 20%
2.
20부, 24.5%
3.
20부, 75.5%
4.
40부, 24.5%
5.
40부, 75.5%
정답 : [
2
] 정답률 : 20%
35.
컨베이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7월)
1.
벨트(Belt) 컨베이어: 연속적으로 움직이는 벨트를 사용하여 벨트 위에 화물을 싣고 운반하는 기기
2.
롤러(Roller) 컨베이어: 롤러 및 휠을 운반 방향으로 병렬시켜 화물을 운반하는 기기
3.
진동(Vibrating) 컨베이어: 철판의 진동을 통해 부품 등을 운반하는 기기
4.
스크루(Screw) 컨베이어: 스크루 상에 철판을 삽입하고 이를 회전시켜 액체화물 종류를 운반하는 기기
5.
플로우(Flow) 컨베이어: 파이프 속 공기나 물의 흐름을 이용하여 화물을 운반하는 기기
정답 : [
5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파이프 속 유체를 매체로 이용하는 기기는 유체(Fluid) 컨베이어이다. [해설작성자 : 망고]
36.
화주의 측면에서 자가창고와 비교하여 영업창고의 장점만 모두 고른 것은?(2014년 06월)
1.
ㄱ, ㄴ
2.
ㄱ, ㄹ
3.
ㄷ, ㄹ
4.
ㄱ, ㄴ, ㄷ
5.
ㄱ, ㄴ, ㄷ, ㄹ
정답 : [
1
] 정답률 : 17%
37.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사용되는 하역장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7월)
1.
리치 스태커(Reach Stacker)는 장비의 회전 없이 붐에 달린 스프레더만을 회전하여 컨테이너를 이적 또는 하역하는 장비이다.
야드 트랙터(Yard Tractor, Y/T)는 야드에서 컨테이너를 이동ㆍ운송하는데 사용되는 이동장비로서 일반 도로 운행이 가능한 장비이다.
4.
스트래들 캐리어(Straddle Carrier)는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컨테이너를 마샬링 야드로부터 에이프런 또는 CY지역으로 운반 및 적재할 경우에 사용되는 장비이다.
5.
윈치크레인(Winch Crane)은 차체를 이동 및 회전시키면서 컨테이너트럭이나 플랫 카(Flat Car)로부터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장비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컨테이너 부두 내에서만 운행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김문악]
38.
연속된 5개의 화물분류 공정별(A~E) 공정시간은 아래 표와 같다. 이 중 공정 1개의 공정시간을 변경하였을 때 공정효율(Balance Efficiency)이 80%가 되는 공정명과 공정시간은?(2016년 07월)
1.
공정 A, 9분
2.
공정 B, 10분
3.
공정 C, 11분
4.
공정 D, 8분
5.
공정 E, 8분
정답 : [
5
] 정답률 : 27%
39.
운반관리(Material Handling)의 4요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8월)
1.
Motion: 재료, 부품, 제품을 필요로 하는 분야로 보다 경제적이고 합리적으로 운반한다.
2.
Time: 제조공정이나 기타 필요한 장소에 필요한 것을 적시에 공급한다.
3.
Quantity: 필요량의 변화에 대응하여 정확한 수량, 중량, 용량을 공급한다.
4.
Quality: 제조공정에 필요한 고품질의 물품을 운반한다.
5.
Space: 공간, 장소를 계통적이고 효율적으로 이용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9%
40.
포장 결속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8월)
1.
밴드결속 - 플라스틱, 나일론, 금속 등의 재질로 된 밴드를 사용한다.
2.
꺽쇠 물림쇠 - 주로 칸막이 상자 등에서 상자가 고정되도록 사용하는 방법이다.
3.
테이핑 - 용기의 견고성을 유지하기 위해 접착테이프를 사용한다.
4.
대형 골판지 상자 - 작은 부품 등을 꾸러미로 묶지 않고 담을 때 사용한다.
5.
슬리브 - 열수축성 플라스틱 필름을 화물에 씌우고 터널을 통과시킬 때 가열하여 필름을 수축시키는 방법이다.
정답 : [
5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5번은 슈링크 방식 [해설작성자 : 똘딴]
슈링크: 열수축성 플라스틱 필름 슬리브: 필름으로 만든 슬리브로 4개 측면을 감싸는 방법 [해설작성자 : Yadon_]
41.
물류정책기본법령상 단위물류정보망 전담기관으로 지정될 수 없는 자는?(2016년 07월)
1.
「인천국제공항공사법」에 따른 인천국제공항공사
2.
「한국토지주택공사법」에 따른 한국토지주택공사
3.
「상법」에 따른 자본금이 1억원인 주식회사
4.
「한국도로공사법」에 따른 한국도로공사
5.
「항만공사법」에 따른 항만공사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단위물류 정보망 : 기능별 또는 지역별로 행정기관, 물류기업 및 거래처 연결하는 일련의 물류정보체계 전담기관의 지정 1. 공공기관 : 인천국제공항공사, 한국공항공사, 한국도로공사, 한국철도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항만공사 (단위물류정보망 : 정보로 만든 (공이), (도로)를 넘어 (철도)를 넘어 (항만)을 넘어 우리집 (주택)으로) 2. 공공기관 아닌데 지정받을 수 있는 자 - 자본금 2억 이상인 상법에 따른 주식회사 - 물류 관련 장비, 인력 등 잘 갖춘 자 [해설작성자 : 부들부들맨의 든든한BAG]
42.
물류정책기본법령상 국토교통부장관이 국가물류통 합정보센터의 운영자로 지정할 수 있는 자를 모두 고른 것은?(2015년 07월)
1.
ㄱ, ㄴ
2.
ㄱ, ㄴ, ㄷ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2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국가 물류통합정보센터의 설치 운영 1. 중항행정기관 2.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공공기관(단위물류정보망 전담기관과 동일) 3. 정부출연연구기관 4. 물류관련협회 5. 그 밖에 자본금 2억원 이상. 업무능력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과 자격을 갖춘 상벙상의 주식회사 I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3.
물류정책기본법령상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해양수산부장관이 물류현황조사에 필요한 자료의 제출을 요청하거나 그 일부에 대하여 직접 조사하도록 요청할 수 있는 자가 아닌 것은?(2013년 06월)
1.
시장ㆍ군수 및 구청장
2.
특별시장ㆍ광역시장ㆍ도지사 및 특별자치도지사
3.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
4.
물류정책기본법에 따라 지원을 받는 기업ㆍ단체
5.
물류기업
정답 : [
1
] 정답률 : 29%
44.
물류정책기본법령상 물류회계의 표준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7월)
1.
국토교통부장관은 물류기업 및 화주기업의 물류비 산정기준 및 방법 등을 표준화하기 위하여 기업물류비 산정지침을 작성하여 고시하여야 한다.
2.
해양수산부장관은 화주기업이 기업물류비 산정지침에 따라 물류비를 관리하도록 하는 의무를 부과할 수 있다.
3.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국토교통부장관과 협의하여 기업물류비 산정지침에 따라 물류비를 계산ㆍ관리하는 물류기업에 대하여는 필요한 행정적 지원을 하여야 한다.
4.
국토교통부장관은 기업물류비 산정지침에 따라 물류비를 계산ㆍ관리하는 화주기업에 대하여 재정적 지원을 할 수는 없다.
5.
물류비 관련 용어 및 개념에 대한 정의는 기업물류비 산정지침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이 아니다.
정답 : [
1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2. 의무를 부과할 수 있다 -> 권고할 수 있다 3,4 국토부 장관은 해수부 및 산자부와 협의하여 화주기업에게 재정적 지원을 할 수 있다. 5. 포함된다.
기업 물류비 산정 지침 1. 물류비 관련 용어 및 개념에 대한 정의 2. 영역별 기능별 및 자가 위탁별 물류비 분류 3. 물류비 계산 기준 및 계산 방법 4. 물류비 계산서의 표준 서식 [해설작성자 : 고양이]
45.
물류정책기본법령상 물류관련협회 및 민ㆍ관 합동 물류지원센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8월)
1.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해양수산부장관은 물류관련협회 설립의 인가권자이다.
2.
물류관련협회는 법인으로 한다.
3.
물류관련협회는 해당 사업의 진흥ㆍ발전에 필요한 통계의 작성ㆍ관리와 외국자료의 수집ㆍ조사ㆍ연구사업을 수행한다.
4.
국토교통부장관ㆍ해양수산부장관ㆍ산업통상자원부장관 및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물류관련협회 및 물류관련 전문기관ㆍ단체는 공동으로 물류지원센터를 설치ㆍ운영할 수 있다.
5.
민ㆍ관 합동 물류지원센터의 장은 3년마다 사업계획을 수립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5. 3년 -> 매 연도별
*물류지원센터의 운영 - 물류지원센터에는 물류지원센터의 장과 업무 수행에 필요한 조직을 둔다 - 물류지원센터의 장은 매 연도별로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물류지원센터의 조직, 인사, 복무, 보수, 회계, 물품, 문서의 처리에 관한 규정을 정한 후, 이에 따라 사무를 처리하여야 한다. - 행정적, 재정적 지원을 하는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해당 물류지원센터의 장에 대하여 매년 2월 말까지 전년도의 사업추진실적 및 해당 연도의 사업추진계획을 작성하여 제출할 것을 요청할수 있다.
*물류지원센터의 업무 수행 - 국내물류기업의 해외진출 및 해외물류기업의 국내투자유치 지원 - 물류산업의 육성, 발전을 위한 조사, 연구 - 그 밖에 물류 공동화 및 정보화 지원 등 물류체계 효율화를 위하여 필요한 업무 [해설작성자 : 고대방개]
46.
물류정책기본법령상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8월)
1.
국토교통부장관은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를 설치ㆍ운영할 수 있다.
2.
국토교통부장관은 자본금 2억원 이상, 업무능력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과 자격을 갖춘 「상법」상의 주식회사를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의 운영자로 지정할 수 있다.
3.
국토교통부장관은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운영자를 지정하려는 경우에는 미리 물류정책분과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신청방법 등을 정하여 30일 이상 관보 또는 인터넷 홈페이지에 이를 공고하여야 한다.
4.
국토교통부장관은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운영자가 국가물류통합데이터베이스의 물류정보를 영리를 목적으로 사용한 경우에는 그 지정을 취소할 수 있다.
5.
국토교통부장관은 해양수산부장관ㆍ산업통상자원부장관 및 관세청장과 협의하여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운영자에게 필요한 지원을 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3.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운영자 ->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의 전부 또는 일부를 운영하는 자 물류정책분과위원회 -> 물류시설분과위원회
* 지정절차 - 국토교통부장관은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의 전부 또는 일부를 운영하는 자를 지정하려는 경우에는 미리 물류시설분과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신청방법 등을 정하여 30일 이상 관보 또는 인터넷 홈페이지에 이를 공고하여야 한다. - 지정받으려는 자는 공고가 있는 때에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지정신청서에 첨부서류를 갖추어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 지정한 때에는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지정증을 발급하고, 그 사실을 관보 또는 인터넷 홈페이지에 공고하여야 한다.
*지정의 취소 -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지정을 받은 경우 - 지정기준에 미달하게 된 경우 -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운영자가 국가물류통합데이터베이스의 물류정보를 영리를 목저그오 사용한 경우 [해설작성자 : 고대방개]
47.
화물유통촉진법상 전자문서 및 물류정보의 보안에 대한 설명이다.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8월)
1.
누구든지 불법 또는 부당한 방법으로 전자문서 및 물류정보의 보안에 필요한 보호조치를 침해하거나 훼손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물류전산망에 의하여 처리ㆍ보관 또는 전송되는 물류정보를 훼손하거나 그 비밀을 침해ㆍ도용 또는 누설하여서는 아니된다.
3.
종합물류전산망을 구성ㆍ운영하는 자(전담사업자)는 전자문서 및 물류정보의 보안에 필요한 보호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4.
전담사업자는 전자문서 및 전자계산조직의 화일에 기록되어 있는 물류정보를 5년 동안 보관하여야 한다. 다만, 건설교통부장관의 승인을 얻은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5.
누구든지 물류전산망에 의한 전자문서를 위작 또는 변작하거나 위작 또는 변작된 전자문서를 행사하여서는 아니된다.
정답 : [
1
] 정답률 : 알수없음
48.
물류정책기본법령상 국가물류정책위원회 위원의 해촉사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9년 07월)
1.
심신장애로 인하여 직무를 수행할 수 없게 된 경우
2.
직무와 관련 없는 비위사실이 있는 경우
3.
직무태만으로 인하여 위원으로 적합하지 아니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4.
품위손상으로 인하여 위원으로 적합하지 아니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5.
위원 스스로 직무를 수행하는 것이 곤란하다고 의사를 밝히는 경우
정답 : [
2
] 정답률 : 66%
49.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지원시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0년 07월)
1.
교육ㆍ연구 시설
2.
선상수산물가공업시설
3.
단독주택ㆍ공동주택 및 근린생활시설
4.
물류단지의 종사자의 생활과 편의를 위한 시설
5.
「건축법 시행령」별표 1 제5호에 따른 문화 및 집회시설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 시행령 제2조 제3항 제4호 "수산식품산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 제 15조에 따른 수산가공품 생산 공장 및 같은 법 제 16조에 따른 수산물가공시설(냉동, 냉장업 시설 및 선상가공업시설은 제외한다) [해설작성자 : 비비안지유]
50.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복합물류터미널사업자에 관한 설명으로 옳고(○), 그름(×)이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된 것은?(2016년 07월)
1.
○, ○, ○, ○
2.
○, ○, ×, ○
3.
○, ×, ×, ×
4.
×, ×, ○, ×
5.
×, ×, ×, ×
정답 : [
3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2. 3개월 이내에 충족하면 됨. 3. 취소하여야 함(거짓부정등록, 등록의결격사유에 해당될때, 등록증대여 등, 사업정지기간 중 영업) 4. 통지받고 20일 내 과징금 내야함. 천재지변 등의 사유가 없어지면 7일이내 납부기한이 지나면 7일이내 독촉장, 독촉장 보낸날부터 10일 이내 납부기한 [해설작성자 : 부들부들맨의 든든한BAG]
51.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물류단지의 지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8월)
1.
시ㆍ도지사가 지정할 수 있는 물류단지 규모의 기준은 3만3천 제곱미터 이하이다.
2.
국토해양부장관은 물류단지를 지정하려는 때에는 물류단지개발계획을 수립하여 관할 시ㆍ도지사의 의견을 듣고 관계 중앙행정기관의장과 협의한 후 물류시설분과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3.
시ㆍ도지사는 물류단지를 지정하려는 때에는 물류단지개발계획을 수립하여 관계 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한 후 지역물류정책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4.
물류단지개발계획을 수립할 때까지 물류단지개발사업의 시행자가 확정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물류단지의 지정 후에 이를 물류단지개발계획에 포함시킬 수 있다.
5.
물류단지개발계획에는 재원조달계획이 포함되어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31%
52.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복합물류터미널사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7월)
1.
복합물류터미널사업이란 두 종류 이상의 운송수단 간의 연계운송을 할 수 있는 규모 및 시설을 갖춘 물류터미널사업을 말한다.
2.
복합물류터미널사업을 경영하려는 자는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의 인가를 받아야 한다.
3.
복합물류터미널사업의 등록에 따른 권리ㆍ의무를 승계한 자는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4.
복합물류터미널사업자는 복합물류터미널사업의 전부 또는 일부를 휴업하거나 폐업하려는 때에는 미리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5.
국토교통부장관은 복합물류터미널사업자가 다른 사람에게 등록증을 대여한 때에는 등록을 취소하여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복합물류터미널사업을 경영하려는 자는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의 인가를 받아야 한다.[→등록을 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이거보면합격]
53.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스마트물류센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1년 07월)
1.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스마트물류센터의 구축 및 운영에 필요한 자금의 대출 등으로 인한 금전채무의 보증한도, 보증료 등 보증조건을 우대할 수 있다.
2.
스마트물류센터 인증의 유효기간은 인증을 받은 날부터 5년으로 한다.
3.
스마트물류센터 인증의 등급은 3등급으로 구분한다.
4.
스마트물류센터 예비인증은 본(本)인증에 앞서 건축물 설계에 반영된 내용을 대상으로 한다.
5.
스마트물류센터임을 사칭한 자에게는 과태료를 부과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인증의 유효기간은 3년 인증의 등급은 5등급으로 구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 -> 신용보증기금 등 2. 5년 -> 3년 3. 3등급 -> 5등급 5. 과태료 -> 벌금형 or 징역형 [해설작성자 : 광명케이]
54.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국토해양부 장관 및 시ㆍ지도사가 시행자에 대하여 반드시 물류단지 지정ㆍ승인 또는 인가를 취소하여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2009년 08월)
1.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물류단지의 지정을 받은 경우
2.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시행자의 지정을 받은 경우
3.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실시계획의 승인을 받은 경우
4.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준공인가를 받은 경우
5.
사정이 변경되어 물류단지개발사업을 계속 시행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 경우
정답 : [
5
] 정답률 : 알수없음
55.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률상 물류시설 개발종합계획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들어갈 내용이 옳은 것은?(2015년 07월)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물류단지의 관리기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8월)
1.
물류단지는 입주기업체협의회가 관리한다.
2.
입주기업체협의회가 구성되기 전에는 시행자가 물류단지를 관리할 수 있다.
3.
입주기업체협의회는 해당 물류단지 입주기업체 3분의 2 이상이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어야한다.
4.
입주기업체협의회는 매 사업연도 개시일부터 2개월 이내에 정기총회를 개최하여야 하며, 필요한 경우에는 임시총회를 개최할 수 있다.
5.
입주기업체협의회의 회의는 정관에 다른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회원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회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30%
57.
다음 중 화물자동차운수사업법령상 화물자동차운송사업의 양도ㆍ양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8월)
1.
화물자동차운송사업 양도ㆍ양수 신고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관련법령에 따라 양도인이 양도ㆍ양수 신고서를 관할 관청에 제출하여야 한다.
2.
화물자동차운송사업의 양도ㆍ양수 신고 시에는 양도ㆍ양수계약서 사본, 차고지 설치확인서 등을 첨부하여야 한다.
3.
화물자동차운송사업의 양도ㆍ양수 신고 시 양수인이 법인에 해당하나 운송사업자가 아닌 경우에는 담당 공무원이 「전자 정부 구현을 위한 행정업무 등의 전자화 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라 행정정보의 공동이용을 통하여 법인등기부 등본을 확인하여야 한다.
4.
화물자동차운송사업의 양도ㆍ양수 신고 시 제출하는 차고지 설치확인서는 양도ㆍ양수계약서 사본 등으로 차고지의 양도ㆍ양수가 확인되는 경우에는 제출하지 아니하여도 된다.
5.
화물자동차운송사업의 양도ㆍ양수는 원칙적으로 당해 화물자동차운송사업의 전부를 그 대상으로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58.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적재물배상 책임보험 또는 공제(이하 '적재물배상보험등'이라 한다)의 가입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7월)
1.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른 배출가스저감장치를 차체에 부착함에 따라 총중량이 10톤 이상이 된 화물자동차 중 최대 적재량이 5톤 미만인 일반형 화물자동차는 적재물배상보험등의 의무 가입 대상차량이 아니다.
2.
「보험업법」에 따른 보험회사(적재물배상책임 공제사업자를 포함하며, 이하 '보험회사등'이라 한다)는 적재물배상보험등에 가입하여야 하는 자(이하 '보험등 의무가입자'라 한다)가 적재물배상보험등에 가입하려고 하면 예외적인 사유가 있는 경우 외에는 적재물배상보험등의 계약(이하 '책임보험계약등'이라 한다) 체결을 거부할 수 없다.
3.
보험등 의무가입자 및 보험회사등은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을 휴업하거나 폐업하는 등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책임보험계약등의 전부 또는 일부를 해제하거나 해지 하여서는 아니 된다.
4.
보험등 의무가입자에 해당하는 이사화물운송주선사업자는 각 화물자동차별로 사고 건당 500만원 이상의 금액을 지급할 책임을 지는 적재물배상보험등에 가입하여야 한다.
5.
보험회사등은 자기와 책임보험계약등을 체결한 보험등 의무가입자가 그 계약이 끝난 후 새로운 계약을 체결하지 하니하면 그 사실을 지체 없이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알려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적재물배상 책임보험 = 사고 건당 2천만원 운송주선사업자가 이사화물운송만을 주선하는 경우 = 500만원 운송사업자: 각 화물자동차별 가입 운송주선사업자: 각 사업자별 가입 운송가맹사업자: 직접 소유한 자는 각 화물자동차별 및 각 사업자별로 가입, 그 외의 자는 각 사업자별로 가입 [해설작성자 : Yadon_]
59.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운송사업자의 운송약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7월)
1.
운송약관 변경신고가 있는 경우 그 변경신고를 받은 날부터 3일 이내에 신고수리 여부가 신고인에게 통지되어야 한다.
2.
운송사업자는 운송약관을 영업소 또는 화물자동차에 갖추어 두고 이용자가 요구하면 이를 내보여야 한다.
3.
운송약관에는 운송책임이 시작되는 시기 및 끝나는 시기를 적어야 한다.
4.
공정거래위원회는 화물운송에 관한 표준이 되는 약관을 작성하여 운송사업자에게 그 사용을 권장할 수 있다.
5.
운송약관의 신고는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에 따라 설립된 협회로 하여금 대리하게 할 수 있다.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상 운송사업자에게 할 수 있는 개선명령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5년 07월)
1.
화물자동차의 구조변경
2.
운송시설의 개선
3.
화물의 안전운송을 위한 조치
4.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에 따라 운송사업자가 의무적으로 가입하여야 하는 보험ㆍ공제에 가입
5.
「가맹사업거래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에 따른 정보공개서 제공의무의 통지
정답 : [
5
] 정답률 : 알수없음
64.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상 화물자동차 운송주선사업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3년 07월)
1.
운송주선사업자는 자기 명의로 다른 사람에게 화물자동차 운송주선사업을 경영하게 할 수 있다.
2.
운송주선사업자는 화주로부터 중개 또는 대리를 의뢰받은 화물에 대하여 다른 운송주선사업자에게 수수료나 그 밖의 대가를 받고 중개 또는 대리를 의뢰할 수 있다.
3.
운송가맹사업자의 화물운송계약을 중개ㆍ대리하는 운송주선사업자는 화물자동차운송가맹점이 될 수 있다.
4.
국토교통부장관은 운수종사자의 집단적 화물운송 거부로 국가경제에 매우 심각한 위기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고 인정할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으면 운송주선사업자에게 업무개시를 명할 수 있다.
5.
운송주선사업자는 공영차고지를 임대받아 운영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1. 경영하게 할 수 있다->없다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 제25조) 2. 대리를 의뢰할 수 있다->없다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 제26조 2항) 4. 운송주선사업자X 운송사업자,운수종사자O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 제14조 1항) 5. 운송주선사업자X 사업자단체,운송사업자,운송가맹사업자,운송사업자로 구성된 「협동조합기본법」제2조제1호에따른 협동조 [해설작성자 : 우성]
65.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의 폐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8월)
1.
운송사업자가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의 전부를 폐업하려면 미리 신고하여야 한다.
2.
폐업 신고의 의무는 신고에 대한 수리 여부가 신고인에게 통지된 때에 이행된 것으로 본다.
3.
운송사업자가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의 전부를 폐업하려면 미리 그 취지를 영업소나 그 밖에 일반 공중이 보기 쉬운 곳에 게시하여야 한다.
4.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의 폐업 신고를 한 운송사업자는 해당 화물자동차의 자동차등록증과 자동차등록번호판을 반납하여야 한다.
5.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의 폐업 신고를 받은 관할관청은 그 사실을 관할 협회에 통지하여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 제18조(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의 휴업 및 폐업 신고) ② 제1항에 따른 신고가 신고서의 기재사항 및 첨부서류에 흠이 없고, 법령 등에 규정된 형식상의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에는 신고서가 접수기관에 도달된 때에 신고 의무가 이행된 것으로 본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6.
항만운송사업법령상 항만운송사업자가 정당한 사유 없이 운임 및 요금을 인가받거나 신고한 것과 다르게 받은 때, 1차, 2차 및 3차 위반으로 취해질 수 있는 각각의 행정처분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2009년 08월)
1.
①
2.
②
3.
③
4.
④
5.
⑤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67.
유통산업발전법상 공동집배송센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2년 08월)
1.
시ㆍ도지사는 물류공동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의 추천을 받아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하는 요건에 해당하는 지역 및 시설물을 공동집배송센터로 지정할 수 있다.
2.
공동집배송센터사업자는 지정받은 사항 중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하는 중요사항을 변경하려면 시ㆍ도지사의 변경지정을 받아야 한다.
3.
공동집배송센터의 지정을 받은 날부터 정당한 사유 없이 2년 이내에 시공을 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공동집배송센터의 지정이 취소될 수 있다.
4.
거짓으로 공동집배송센터의 지정을 받은 경우는 공동집배송센터의 지정을 취소할 수 있는 사유에 해당한다.
5.
시ㆍ도지사는 집배송시설의 집단적 설치를 촉진하고 집배송시설의 효율적 배치를 위하여 공동집배송센터 개발촉진지구의 지정을 산업통상자원부장관에게 요청할 수 있다.
정답 : [
5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1. 시.도지사(x) 산업통상자원부장관(o) 시.군.구청장(x) 시.도지사(o) 2. 시.도지사(x) 산업통상자원부장관(o) 3. 2년 => 3년 4. 할 수 있는 사유 => 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늑대물류]
공동집배송센터 지정ㆍ변경지정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지정 추천 = 시ㆍ도지사 정당한 사유가 없으면 3년 이내 시공 = 안 하면 취소하여야 한다.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 = 취소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Yadon_]
68.
항만운송사업법령상 지방해양항만청장이 항만운송 관련사업자에 대하여 등록을 취소하여야 하는 경우를 모두 고른 것은?(2013년 06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 : [
4
] 정답률 : 알수없음
69.
유통산업발전법령상 대규모점포관리자의 변경신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8월)
1.
소재지(주소지) 및 상호
2.
업태
3.
정관
4.
대표자성명(법인, 조합, 자치관리단체에 한함)
5.
매장면적의 10분의 1 이상의 증감
정답 : [
3
] 정답률 : 알수없음
70.
유통산업발전법령상 대규모점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9년 08월)
1.
매장면적의 2분의 1 이상을 직영하는 자가 없는 경우 입점상인 3분의 2 이상이 동의하여 지정하는 자가 개설자의 업무를 수행한다.
2.
영업을 정당한 사유 없이 6개월 이상 계속 휴업한 경우에는 등록을 취소한다.
3.
대규모점포개설자가 대규모점포를 휴업 또는 폐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지식경제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4.
대규모점포관리자 신고서의 첨부서류에는 대규모점포개설자의 결격사유에 해당하지 아니함을 증명한 서류와 사업계획, 자치규약 등이 있다.
5.
대규모점포개설자가 사망한 경우 그 상속인이 지위를 승계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알수없음
71.
유통산업발전법령상 용어의 정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7월)
1.
"프랜차이즈형 체인사업"이란 체인본부의 계속적인 경영지도 및 체인본부와 가맹점 간의 협업에 의하여 가맹점의 취급품목ㆍ영업방식 등의 표준화사업과 공동구매ㆍ공동판매ㆍ공동시설활용 등 공동사업을 수행하는 형태의 체인사업을 말한다.
2.
"유통산업"이란 농산물ㆍ임산물ㆍ축산물ㆍ수산물(가공물 및 조리물을 포함한다) 및 공산품의 도매ㆍ소매 및 이를 경영하기 위한 보관ㆍ배송ㆍ포장과 이와 관련된 정보ㆍ용역의 제공 등을 목적으로 하는 산업을 말한다.
3.
"임시시장"이란 다수(多數)의 수요자와 공급자가 일정한 기간 동안 상품을 매매하거나 용역을 제공하는 일정한 장소를 말한다.
4.
"전문상가단지"란 같은 업종을 경영하는 여러 도매업자 또는 소매업자가 일정 지역에 점포 및 부대시설 등을 집단으로 설치하여 만든 상가단지를 말한다.
5.
"무점포판매"란 상시 운영되는 매장을 가진 점포를 두지 아니하고 상품을 판매하는 것으로서 다단계판매, 전화권유판매, 카탈로그판매, 텔레비전홈쇼핑 등에 해당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1. '임의가맹점형 체인사업'에 대한 설명 [해설작성자 : fff]
72.
유통산업발전법령상 물류설비의 인증에 대한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의 권한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2013년 06월)
1.
시ㆍ도지사 및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물류설비의 종류별로 표준이 되는 인증규격 및 인증기준을 정하여 고시할 수 있다.
2.
인증물류설비의 이용 및 보급을 촉진하기 위하여 유통사업자가 인증물류설비와 관련한 연구개발투자사업을 하는 경우에는 예산의 범위에서 필요한 자금을 지원할 수 있다.
3.
공공부문의 물류표준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공기업의 장에게 인증물류설비의 우선 구매를 명할 수 있다.
4.
물류설비의 인증사업을 하는 경우에는 물류설비의 인증규격등과 관련된 성능을 시험ㆍ검사하는 물류설비인증기관을 지정할 수 있다.
5.
물류설비성능검사기관이 정당한 사유 없이 성능검사업무를 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그 지정을 취소하여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73.
항만운송사업법령상 부두운영회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5년 07월)
1.
항만시설운영자등은 부두운영회사의 운영성과 평가 결과에 따라 부두운영회사에 대하여 항만시설등의 임대료를 감면할 수는 없다.
2.
항만시설등의 임대료를 2개월 이상 연체한 경우 항만시설운영자등은 부두운영계약을 해지하고, 위약금을 부과한다.
3.
부두운영회사가 부두운영계약의 계약기간을 연장하려는 경우 그 계약기간이 만료되기 3개월 전까지 항만시설운영자등에게 부두운영계약의 갱신을 신청하여야 한다.
4.
항만시설운영자등은 화물유치 또는 투자 계획을 이행하지 못한 부두운영회사에 대하여 그 귀책사유를 불문하고 위약금을 부과할 수 있다.
5.
「항만공사법」에 따른 항만공사와 임대차계약을 체결하고, 해양수산부장관이 컨테이너 부두로 정하여 고시한 항만시설을 임차하여 사용하는 자는 부두운영회사에 해당하지 않는다.
정답 : [
5
] 정답률 : 알수없음
74.
항만운송사업법령상 항만시설운영자등이 부두운영계약을 해지할 수 있는 사유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7월)
1.
「항만법」에 따른 항만재개발사업의 시행 등 공공의 목적을 위하여 항만시설등을 부두운영회사에 계속 임대하기 어려운 경우
2.
항만시설등이 멸실되어 부두운영계약을 계속 유지할 수 없는 경우
3.
부두운영회사가 항만시설등의 임대료를 2개월 이상 연체한 경우
4.
부두운영회사가 항만시설등의 분할 운영 금지 등 금지행위를 하여 부두운영계약을 계속 유지할 수 없는 경우
5.
부두운영회사가 항만시설등의 효율적인 사용 및 운영 등을 위하여 항만시설운영자등과 해양수산부장관이 협의한 사항을 정당한 사유 없이 이행하지 아니하여 부두운영계약을 계속 유지할 수 없는 경우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3. 3개월 이상 연체한 경우. [해설작성자 : fff]
75.
「철도사업법」상 철도사업의 면허취득에 관한 결격사유가 있는 법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7월)
1.
법인의 임원 중에 피한정후견인이 있는 법인
2.
법인의 임원 중에 「철도사업법」을 위반하여 금고 이상의 실형을 선고받고 그 집행이 끝나거나(끝난 것으로 보는 경우를 포함한다) 면제된 날부터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사람이 있는 법인
3.
법인의 임원 중에 파산선고를 받고 복권되지 아니한 사람이 있는 법인
4.
법인의 임원 중에 「철도사업법」을 위반하여 금고 이상의 형의 집행유예를 선고받고 그 유예 기간 중에 있는 사람이 있는 법인
5.
「철도사업법」에 따라 철도사업의 면허가 취소된 후 그 취소일부터 2년이 지난 법인
정답 : [
5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5. 2년이 지나지 아니한 법인 [해설작성자 : 하늘무]
76.
철도사업법령상 국토교통부장관의 인가를 받아야 하는 사항을 모두 고른 것은?(2018년 07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ㄷ, ㄹ
5.
ㄱ, ㄴ, ㄹ
정답 : [
3
] 정답률 : 45%
77.
철도사업법령상 전용철도를 운영하는 자가 등록사항의 변경을 등록하지 않아 도 되는 사유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0년 07월)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5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경미한 변경 1. 운행시간 연장·단축 2. 배차간격·운행횟수 단축·연장 3. 10분의 1의 범위 안에서 철도차량 대수 변경 4. 주사무소·철도차량기지 제외 운송관련 부대시설 변경 5. 임원을 변경(법인) 6. 6월의 범위 안에서 전용철도 건설기간을 조정한 경우 [해설작성자 : Yadon_]
78.
다음 중 항만운송사업법령상 항만운송에서 제외되는 운송을 열거한 것이다. 틀린 것은?(2007년 08월)
1.
선박에서 사용하는 물품의 공급을 위한 운송
2.
선박에서 발생하는 분뇨 및 폐물의 운송
3.
어획물 운반선(어업장으로부터 양륙지까지 어획물 또는 그 제품을 운반하는 선박을 말한다)에 의하여 행하는 운송
4.
탱커선에 의하여 행하는 운송
5.
하주 또는 선박운항업자의 위탁을 받고 선박에 의하여 운송된 화물을 항만안에서 선박으로부터 인수 또는 하주에게 인도하는 행위
정답 : [
3
] 정답률 : 알수없음
79.
농수산물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령상 유통산업발전법의 규정이 적용되지 않는 시장 또는 사업장이 아닌 것은?(2012년 08월)
1.
중앙도매시장
2.
농수산물공판장
3.
민영농수산물도매시장
4.
총매출액 중 농수산물의 매출액 비중이 51퍼센트 이상인 임시시장
5.
농수산물종합유통센터
정답 : [
4
] 정답률 : 39%
80.
철도사업법령상 철도서비스의 품질평가 및 우수철도서비스 인증절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7월)
1.
국토교통부장관은 공공복리의 증진과 철도서비스 이용자의 권익보호를 위하여 철도사업자가 제공하는 철도서비스에 대하여 적정한 철도서비스 기준을 정하고, 그에 따라 철도사업자가 제공하는 철도서비스의 품질을 평가하여야 한다.
2.
국토교통부장관은 철도사업자에 대하여 3년마다 철도서비스의 품질평가를 실시하여야 하나, 국토교통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수시로 품질평가를 실시할 수 있다.
3.
국토교통부장관은 품질평가를 하고자 하는 경우 품질평가를 개시하는 날 2주 전까지 철도사업자에게 품질평가실시계획, 품질평가의 기간 등을 통보하여야 한다.
4.
국토교통부장관은 품질평가를 실시하고자 하는 때에는 철도서비스 기준의 세부내역, 품질평가의 항목 등이 포함된 철도서비스품질평가실시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5.
국토교통부장관은 품질평가결과가 우수한 철도서비스에 대하여 직권으로 또는 철도사업자의 신청에 의하여 우수철도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철도사업법 제19조(철도서비스의 품질평가 등) -철도 품질평가는 2년마다 -철도 품질평가 2주전까지 기간 통보 <철도가 세로로 2개니까 2년, 2주라고 생각하자> [해설작성자 : 부들부들맨의 든든한BAG]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①
③
③
②
①
①
①
②
④
④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④
④
③
⑤
②
③
②
②
④
③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②
⑤
②
⑤
⑤
①
⑤
④
②
⑤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①
⑤
①
②
⑤
①
③
⑤
④
⑤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③
②
①
①
⑤
③
①
②
②
③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①
②
④
⑤
③
③
②
④
④
③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⑤
①
⑤
③
②
②
⑤
④
③
⑤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①
②
⑤
③
⑤
③
⑤
③
④
②
물류관리사 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6552391)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