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전기공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6380664)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전기공사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전기응용 및 공사재료


1. 금속관 1본의 표준길이 [m]는?(2004년 09월)
     1. 6
     2. 5.5
     3. 4
     4. 3.6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금속관 기본 이해(금속전선관)
    1) 호칭
        ①박강 :    외경에 가까운 홀수
        ②후강 :    내경에 가까운 짝수
    2) 1본의 길이 : 3.66m
[해설작성자 : dusty]

2. 서미스터(Thermister)의 주된 용도는?(2017년 03월)
     1. 온도 보상용
     2. 잡음 제거용
     3. 전압 증폭용
     4. 출력 전류 조절용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서미스터 : 온도보상용
배리스터 : 과도전압 조정
[해설작성자 : 지나가는자]

ther- : 열(온도)과 관련.
[해설작성자 : 냥]

3. 흑체의 온도복사 법칙 중 절대 온도가 높아질수록 파장이 짧아지는 법칙은?(2022년 03월)
     1. 스테판 볼츠만(Stefan-Boltzmann)의 법칙
     2. 빈(Wien)의 변위법칙
     3. 플랑크(Planck)의 복사법칙
     4. 베버 페히너(Weber-Fechner)의 법칙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표면에 부딪히는 모든 복사를 흡수하는 경우 이런 물체를 흑체 라고 함
"흑체복사"라는 전자기 복사를 방출한다. 이 복사는 플랑크 법칙에 따라 방출
"슈테판-볼츠만 법칙" 전체 복사 에너지가 절대온도의 4제곱에 비례
"빈 변위 법칙"은 흑체 복사의 파장 가운데 에너지 밀도가 가장 큰 파장과 흑체의 온도가 반비례한다.
"베버페히너 법칙" 찾아보니 생물학 감각관련 법칙이네요

4. 금속의 표면 열처리에 이용하며 도체에 고주파 전류를 통하면 전류가 표면에 집중하는 현상은?(2017년 05월)
     1. 표피 효과
     2. 톰슨 효과
     3. 펀치 효과
     4. 제벡 효과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도체에 고주파 전류를 통하면 전류가 표면에 집중하는 현상으로 금속의 표면 열처리에 이용함.
[해설작성자 : 네네]

5. 광도가 312 cd인 전등을 지름 3m의 원탁 중심 바로 위 2m 되는 곳에 놓았다. 원탁 가장자리의 조도는 약 몇 lx인가?(2015년 05월)
     1. 30
     2. 40
     3. 50
     4. 60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광도I=F/w , 조도E=F/S    ,     오메가w=2π(1-cosΘ)    
에서 I=F/2π(1-cosΘ) , F=312x2π/5 , E=(312x2π/5)/2x1.5xπ = 41.6
[해설작성자 : KENT]

높이 : 2m
지름 : 3M (반지름 1.5M)

반지름을 기준으로 직각 삼각형을 그리자면 (높이 2, 밑변 1.5)
빗변의 길이는 r이라 하고 r= 루트(22+ 1.52) = 2.5[m]가 되죠.

우리가 구하는 것은 가장자리의 조도, 즉 수평면조도가 됩니다.
수평면 조도의 공식은
Eh = I/r2x Cos세타 입니다.
I = 312 [cd]이고
r = 2.5 [m]로 아까 구했었죠.
Cos 세타는 여기서 문제에서 몇도인지 나오지 않죠. 여기서 헷갈려 하시는분들이 계시는데
직각 삼각형을 생각해봅시다. 각 변을 ABC로 하자면
삼각함수 아시죠?
                
Sin 세타 = B/A
Cos 세타 = C/A
Tan 세타 = B/C

감이 오시죠?
Cos 세타는 2/2.5 가 됩니다. 여기서 저희가 그린 사인세타의 각도와 같습니다.
(헷갈리시면 안됩니다. 여기서 Cos세타는 저희가 그린 삼각형의 Cos세타 각도를 구하는게 아닙니다.
수평면 조도입니다.)

Eh = I/r2x Cos세타
        = 312 / 2.52x 2 / 2.5 = 39.94

즉, 40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나도 헷갈려서...]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E=F/S, F=w*I, 원뿔이니 w=2*pi*(1-cos(theta))입니다. 테이블 반지름r=1.5 따라서 S=1.5^2*pi, 마지막으로 cos(theta)는 2/root(2^2+1.5^2)=0.8이구요.
모두 대입하면 E=(2*pi*(1-0.8)*312)/(1.5^2*pi)=55.47로 반올림하면 60입니다.
위의 해설 1은 면적을 2*pi*r로 면적이 아닌 둘레를 구하셨구요,
해설 2는 아래 면적이 원형이 아닌 사각형일때에 사용하는 역제곱 법칙입니다. 수정 바랍니다.
[해설작성자 : 띠용쓴]

[오류신고 반론]
이렇게 푸는게 맞는것 같네요
전등 ~ 가장자리까지 거리 = 루트(2제곱 + 1.5제곱) = 2.5
조도 = 312/(2.5제곱) * 코싸인(2.5/2) = 4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의아하신분들 많을텐데 50으로 믿고가셔도됩니다. ^_^
312/(2.5)^2 에다가 코사인세타 곱하면 49.90 나오네요~
팁드리자면 I/r^2 곱하기 코사인 세타하시면되는데 수평면 조도일경우에는 사인세타 쓰시면됩니다.
우리가 흔히 하는 빗변분의 높이 = sin 이고 빗변분의 밑변은 cos인데 수평일경우 높이가 밑변이됩니다.
[해설작성자 : 하하하]

[오류신고 반론]
대각선 r=루트(1.5^2+2^2)=2.5
조도=(광도/r^2)*cos=(312/2.5^2)*(2/2.5)=39.936=40
[해설작성자 : 논다]

[오류신고 반론]
원탁 문제 풀이를 2개 아니얌?
1번은 E=F/S, F=w*I, → w=2*pi*(1-cos(theta))
2번은 Eh = I/r2x Cos세타

1번. E=F/S, F=w*I, → w=2*pi*(1-cos(theta))
         요건 문제가 원탁(테이블)의 "평균 조도"를 구하시오 라는 식으로 물어볼거고

2번. Eh = I/r2x Cos세타
         요건 원탁(테이블)의 "가장자리의 조도" 구하시오 라는 식으로 물어볼거얌
         얘는 우리가 기본적으로 아는 애지? 가장자리니 다른거 제끼고 쎄타랑 높이만 쓰는 거얌

그러니까 문제가
원탁 "전체의 평균조도"를 물어봐서 원뿔 필요한 앤지
원탁 "가장자리에서의 조도"를 물어봐서 원뿔이고 뭐고 필요없는 앤지 보고 눈치까는 거얌

지금 문제는 가장자리 구하시오 라고 되어있네
그러니까 2번으로 풀어야되네 그러니까 답이 40이네 이렇게 되는 거얌

잘 모르겠으면 2개로 다 풀어보고 보기를 봐!
    55.47인데 보기가 3번 50 4번 60 ...?
    39.94인데 1번 30    2번 40 요건 확실하네!
[해설작성자 : 정비대대_전기공쥬♥]

[오류신고 반론]
확신되는 답이 없는거 같길래 최종 정리하자면

대각선 r=루트2^2+1.5^2 = 2.5
수평면 조도 E = (312/2.5^2)*(2/2.5) =~ 40[lx]

정답 40 맞고 다산에듀 책 2021 기준 1단원 29번 보면 확인가능
확실하지도 않은데 뇌피셜 남발하면서 50이니 믿고 가라 이런말 하지마세요.
주관 만으로 풀이한걸로 다른 사람들 헷갈리게해;
[해설작성자 : 뇌피셜 남발하지마]

[오류신고 반론]
헷갈리시는 분들 이 문제랑 2018년 2회 3번이랑 비교해서 풀어보세요.
원탁 가장자리의 조도(수평면 조도)vs원탁 평균조도(원뿔 평균조도 공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조도의 일반적 의미
처음에 50이라고 생각 했던 사람입니다.
헷갈리는 이유는 법선 조도가 기본 조도인줄 알았고 수직,수평면 조도는 그 구성 성분 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조도에 대해 검색해봤는데 조도는 작업을 위한 밝기의 정도를 나타내는 측광량이라 일반적으로 조도를 지칭할 때는 수평면 조도를 의미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문제에서 조도의 방향에 대한 추가 조건이 없으므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수평면 조도로 계산하는 것입니다.    
[해설작성자 : 조도 차이]

6. 플라이휠 효과1[kgㆍm2]인 플라이휠 회전속도가 1500[rpm]에서 1200[rpm]으로 떨어졌다. 방출에너지는 약 몇 [J]인가?(2009년 05월)
     1. 1.11×103[J]
     2. 1.11×104[J]
     3. 2.11×103[J]
     4. 2.11×104[J]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플라이휠 효과 = G(D^2) = 1
에너지 = G(D^2)(N^2) / 730
방출 에너지 = N자리에 1500 넣은거 - 1200 넣은거
계산하면, (1/730)×810,000 = 1109 = 1.1×10^3
[해설작성자 : 경하석]

7. 양수량 40[m3/min], 총 양정 13[m]의 양수펌프용 전동기의 소요출력은 약 몇[kW]인가? (단, 펌프의 효율은 80[%]이다.)(2011년 03월)
     1. 68
     2. 106
     3. 136
     4. 212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P= 40×13 / 6.12×0.8 = 520 / 4.896 = 106.21
[해설작성자 : 다람쥐]

9.8*Q(uantity)*H(eight)/효율=9.8*(40/60->분을초로변환)*13/0.8=106.167

[추가 해설]
9.8*(40/60->분을 시(h)로 변환)*13/0.8=106.167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P = 40 * 13 / 6.12 * 0.8 = 106.209[kW]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8. 권상 하중이 100t 이며, 1.5m/min의 속도로 물체를 들어올리는 권상기용 전동기의 용량은 약 몇 kW인가? (단, 전동기를 포함한 기중기의 총 효율은 70%이다)(2006년 09월)
     1. 50
     2. 40
     3. 35
     4. 30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00×1.5 / 6.12×0.7 = 35%
[해설작성자 : 다람쥐]

9. 일반적인 농형 유도전동기의 기동법이 아닌 것은?(2021년 03월)
     1. Y - △ 기동
     2. 전전압 기동
     3. 2차 저항 기동
     4. 기동보상기에 의한 기동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2차 저항 기동은 농형이 아니라 권선형
[해설작성자 : 공사기사 합격기원]

10. 전기 저항 온도계의 저항체로 주로 사용되는 것은?(2012년 03월)
     1. 백금
     2. 텅스텐
     3.
     4. 주석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 저항 온도계 : 브리지식 온도계(온도 : -200~500[℃])
재료 : Pt(백금), Ni, Cu
반도체 : 서미스텟
[해설작성자 : D2]

11. 저압 배전반의 주 차단기로 주로 사용되는 차단기는?(2011년 06월)
     1. VCB 또는 TCB
     2. COS 또는 PF
     3. ACB 또는 MCCB
     4. DS 또는 OS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고압은 GCB(가스차단기), VCB(진공차단기), ABB(공기차단기), MBB(자기차단기), OCB(유입차단기)
저압은 ACB(기중차단기), MCCB(배선용차단기), ELB(누전차단기)
이렇게 됩니다.
[해설작성자 : 전기기사 따고 전기공사기사함]

12. 번개로 인한 외부 이상전압이나 개폐 서지로 인한 내부 이상전압으로부터 전기시설을 보호하는 장치는?(2017년 09월)
     1. 피뢰기
     2. 피뢰침
     3. 차단기
     4. 변압기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피뢰침
건물보호
피뢰기
전기시설 보호
[해설작성자 : Pokdo]

13. 가선 금구 중 완금에 특고압 전선의 조수가 3일 때 완금의 길이(mm)는?(2020년 09월)
     1. 900
     2. 1400
     3. 1800
     4. 2400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전선 조수별 완금의 표준 길이 (특고압/고압/저압 순, 단위 mm)
ㅇ2조 : 1,800 / 1,400 / 900
ㅇ3조 : 2,400 / 1,800 / 1,400
[해설작성자 : 창전동피카츄]

14. 한국전기설비규정에 따른 플로어덕트공사의 시설조건 중 연선을 사용해야만 하는 전선의 최소 단면적 기준은? (단, 전선의 도체는 구리선이며 연선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예외조건은 고려하지 않는다.)(2021년 09월)
     1. 6mm2 초과
     2. 10mm2 초과
     3. 16mm2 초과
     4. 25mm2 초과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232.32 플로어덕트공사]
1. 전선은 절연전선(옥외용 비닐절연전선을 제외한다)일 것.
2. 전선은 연선일 것. 다만, 단면적 10 mm2(알루미늄선은 단면적 16 mm2) 이하인 것은 그러하지 아니하다.
3. 플로어덕트 안에는 전선에 접속점이 없도록 할 것. 다만, 전선을 분기하는 경우에 접속점을 쉽게 점검할 수 있을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해설작성자 : 담벼락]

15. 전선 배열에 따라 장주를 구분할 때 수직배열에 해당되는 장주는?(2021년 05월)
     1. 보통 장주
     2. 래크 장주
     3. 창출 장주
     4. 편출 장주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수평 배열 : 보통 장주, 창출 장주, 편출 장주
수직 배열 : 랙크장주, 돌출랙크장주
[해설작성자 : gangs]

16. 다음 절연전선의 종류에서 절연물의 최고 허용온도가 75℃인 전선은 어느 것인가?(2007년 03월)
     1. 600V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전선
     2.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전선
     3. 600V 2종 비닐절연전선
     4. IV전선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1. 90℃
2. 120℃
4. 60℃
[해설작성자 : ruru]

17. 점유 면적이 좁고, 운전·보수가 안전하여 공장 및 빌딩 등의 전기설에 많이 사용되는 배전반은?(2010년 05월)
     1. 데드 프런트형
     2. 수직형
     3. 큐비클형
     4. 라이브 프런트형

     정답 : []
     정답률 : 87%

18. 300W 이상의 백열전구에 사용되는 베이스의 크기는?(2020년 09월)
     1. E10
     2. E17
     3. E26
     4. E39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E10 : 장식용 회전등으로 사용되는 작은 전구용
E12 : 배전반 표시등
E17 : 사인 전구용
E26 : 250W이하 병형 전구용
E39 : 300W이상 대형 전구용
[해설작성자 : 랄랄라]

19. 일정한 전압을 가진 전지에 부하를 걸면 단자 전압이 저하되는 원인은?(2017년 05월)
     1. 주위 온도
     2. 분극 작용
     3. 이온화 경향
     4. 전해액의 변색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전기 분해를 하고 있는 전해조 내에는 생성물이 액 속에서 일종의 전지를 만들어 외부에서 가하고 있는 전압과 역방향으로 기전력을 발생하여 전류를 잘 흐르지 못하도록 한다.
이를 분극작용이라함.
[해설작성자 : 신종윤]

20. 케이블 트레이공사에 별도의 조치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케이블은?(2009년 08월)
     1. VV케이블
     2. EV케이블
     3. CV케이블
     4. 연피케이블

     정답 : []
     정답률 : 71%

2과목 : 전력공학


21. 3상용 차단기의 용량은 그 차단기의 정격전압과 정격차단 전류와의 곱을 몇 배한 것인가?(2014년 05월)
     1.
     2.
     3. √2
     4. √3

     정답 : []
     정답률 : 34%

22. 송전선로의 1선 지락고장시, 인접 통신선에 대한 전자 유도장애의 방지대책이 아닌 것은?(2003년 03월)
     1. 전력선과 통신선과의 병행거리 단축
     2. 전력선과 통신선과의 이격거리 단축
     3. 고속도계전기 및 차단기를 채용
     4. 도전률이 높은 도체로 가공지선 설치

     정답 : []
     정답률 : 15%

23. 수력 발전소에서 흡출관을 사용하는 목적은?(2016년 05월)
     1. 압력을 줄인다.
     2. 유효 낙차를 늘린다. .
     3. 속도 변동률을 작게 한다.
     4. 물의 유선을 일정하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36%

24. 3상 3선식 송전선에서 한 선의 저항이 10Ω, 리액턴스가 20Ω이며, 수전단의 선간전압이 60kV, 부하역률이 0.8인 경우에 전압강하율이 10%라 하면 이 송전선로는 약 몇 kW까지 수전할 수 있는가?(2021년 03월)
     1. 10,000
     2. 12,000
     3. 14,400
     4. 18,000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R=10, X=20, V=60kV, cos=0.8 sin=0.6 tan=0.6/0.8 전압강하율=10% 전압강하e=6kV
e=P/V(R+X*tan)
P=e*V/(R+X*tan)
P=6*60/10+(10+20*tan)
=14.4 ->14400

[추가 해설]
전압강하율=10%
전압 강하율 공식 = P/V^2(R+X*tan)
P = 전압강하율 * V^2
        ㅡㅡㅡㅡㅡㅡㅡㅡㅡ = 0.1 * 60000^2 / 10 + 20*0.6/0.8 = 14400
        10+20*0.6/0.8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P[kW] = ε * V^2 / R + X * tanθ ▶ [ 0.1 * ( 60 * 10^3 )^2 / 10 + 20 * 0.6/0.8 ] * 10^-3 = 14400[kW]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25. 배전 선로의 고장 전류를 차단 할 수 있는 것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2011년 10월)
     1. 단로기
     2. 구분 개폐기
     3. 컷아웃 스위치
     4. 차단기

     정답 : []
     정답률 : 25%

26. 승압기에 의하여 전압 Ve에서 Vh로 승압할 때, 2차 정격전압 e, 자기용량 W인 단상 승압기가 공급할 수 있는 부하 용량은?(2017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33%

27. 전력계통의 전압조정과 무관한 것은?(2008년 03월)
     1. 발전기의 조속기
     2. 발전기의 전압조정장치
     3. 전력용콘덴서
     4. 전력용 분로리액터

     정답 : []
     정답률 : 14%

28. 배전선의 전력손실 경감 대책이 아닌 것은?(2004년 05월)
     1. Feeder 수를 늘린다.
     2. 역률을 개선한다.
     3. 배전 전압을 높인다.
     4. Network 방식을 채택한다.

     정답 : []
     정답률 : 11%

29. 일반회로정수가 A , B , C , D 인 선로에 임피던스가 인 변압기가 수전단에 접속된 계통의 일반회로정수 D0는?(2004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16%

30. A, B 및 C상 전류를 각각 Ia, Ib, 및 Ic라 할 때 으로 표시되는 Ix는 어떤 전류인가?(2018년 03월)
     1. 정상전류
     2. 역상전류
     3. 영상전류
     4. 역상전류와 영상전류의 합

     정답 : []
     정답률 : 44%

31. 어느 발전소에서 40000kWh를 발전하는데 발열량 5000㎉/㎏의 석탄을 20톤 사용하였다. 이 화력발전소의 열효율(%)은 약 얼마인가?(2022년 03월)
     1. 27.5
     2. 30.4
     3. 34.4
     4. 38.5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열효율 n=860*W / BH *100%
W: 전력발전량[kWh]     B: 연료량 [kg]     H: 열료발열량 [kcal/kg]
n=( 860*40000 / 5000*20000 ) * 100         =    34.4%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2. 3상3선식 송전선을 연가 할 경우 일반적으로 몇 의 배수(倍數)의 구간으로 등분하여 연가 하는가?(2009년 08월)
     1. 2
     2. 3
     3. 5
     4. 6

     정답 : []
     정답률 : 17%

33. 전력계통의 전압조정과 무관한 것은?(2018년 09월)
     1. 전력용콘덴서
     2. 자동전압조정기
     3. 발전기의 조속기
     4. 부하시 탭 조정장치

     정답 :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조"속'기 = 수차 속도조정 장치
[해설작성자 : 역시왕택신]

34. 교류 발전기의 전압조정 장치로 속응 여자방식을 채택하는 이유로 틀린 것은?(2015년 09월)
     1. 전력 계통에 고장이 발생할 때 발전기의 동기화력을 증가시킨다.
     2. 송전 계통의 안정도를 높인다.
     3. 여자기의 전압 상승률을 크게 한다.
     4. 전압 조정용 탭의 수동변환을 원활히 하기 위함이다.

     정답 : []
     정답률 : 19%
     <문제 해설>
속응 여자방식 : 발전기의 일반 여자기보다 동작 속도를 높인 여자 방식으로 발전기의 동기화력을 증가시켜 계통의 안정도를 향상시킨다
[해설작성자 : 피카츄]

35. 동기조상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8년 04월)
     1. 시충전이 불가능하다.
     2. 전압 조정이 연속적이다.
     3. 중부하시에는 과여자로 운전하여 앞선 전류를 취한다.
     4. 경부하시에는 부족여자로 운전하여 뒤진 전류를 취한다.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동기조상기는 시충전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연달이 ]

36. 유역 면적이 4000㎢인 어떤 발전 지점이 있다. 유역 내의 연 강우량이 1400㎜이고, 유출계수가 75%라고 하면 그 지점을 통과하는 연평균 유량[m3/sec]은?(2012년 05월)
     1. 약 121
     2. 약 133
     3. 약 251
     4. 약 150

     정답 : []
     정답률 : 17%

37. 단상 2선식(110[V]) 저압 배전선로를 단상 3선식(110/220[V])으로 변경하였을 때 전선로의 전압 강하율은 변경전에 비해서 어떻게 되는가? (단, 부하용량은 변경 전후에 같고 역률은 1.0이며 평형부하이다.)(2008년 03월)
     1. 1/4로 된다.
     2. 1/3로 된다.
     3. 1/2로 된다.
     4. 변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7%

38. 가공송전선로에서 총 단면적이 같은 경우 단도체와 비교하여 복도체의 장점이 아닌 것은?(2017년 09월)
     1. 안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2. 공사비가 저렴하고 시공이 간편하다.
     3. 전선표면 전위경도 감소시켜 코로나 임계전압이 높아진다.
     4. 선로의 인덕턴스가 감소되고 정전용량이 증가해서 송전용량이 증대된다.

     정답 : []
     정답률 : 40%

39. 이상전압의 파고치를 저깅시켜 기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은?(2009년 05월)
     1. 리액터
     2. 아아모 로드(Armour rod)
     3. 피뢰기
     4. 아킹 호은(Arcing horn)

     정답 : []
     정답률 : 19%

40. 역률 0.8(지상)의 2800kW 부하에 전력용콘덴서를 병렬로 접속하여 합성역률을 0.9로 개선하고자 할 경우, 필요한 전력용콘덴서의 용량은?(2010년 05월)
     1. 약 372[kVA]
     2. 약 558[kVA]
     3. 약 744[kVA]
     4. 약 1116[kVA]

     정답 : []
     정답률 : 19%
     <문제 해설>
P( tanθ1 - tanθ2 ) ▶ 2800 * ( 0.6 / 0.8 - 루트( 1 - 0.9^2 ) / 0.9 ) = 743.8981[kVA]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3과목 : 전기기기


41. 380V, 60Hz, 4극, 10kW인 3상 유도전동기의 전부하 슬립이 4%이다. 전원 전압을 10% 낮추는 경우 전부하 슬립은 약 몇 % 인가?(2022년 04월)
     1. 3.3
     2. 3.6
     3. 4.4
     4. 4.9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슬립은 전압의 제곱에 반비례 4/(0.9^2)
[해설작성자 : 율무]

유도기 관련문제
T=V^2 , s=1/V^2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2. 권선형 유도 전동기의 전부하 운전 시 슬립이 4%이고, 2차 정격전압이 150V 이면 2차 유도기전력은 몇 V 인가?(2018년 03월)
     1. 9
     2. 8
     3. 7
     4. 6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정답 해설]
2차 유도기전력 = sE2 = 0.04 * 150 = 6[V]
[해설작성자 : DoubleM2]

43. 정류회로에서 상의 수를 크게 했을 경우 옳은 것은?(2019년 03월)
     1. 맥동 주파수와 맥동률이 증가한다.
     2. 맥동률과 맥동 주파수가 감소한다.
     3. 맥동 주파수는 증가하고 맥동률은 감소한다.
     4. 맥동률과 주파수는 감소하나 출력이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상의 수를 크게하면 할 수록 정류가 더 잘 일어남
단상 반파시 Edc =    0.45E
3상 반파시 Edc = 1.17E
따라서 맥동이 적어지므로 맥동률이 작아지고 맥동 주기가 짧아짐, 즉 맥동 주파수가 커짐
[해설작성자 : 흠냐]

44. 3상 유도전동기에서 2차측 저항을 2배로 하면 그 최대토크는 어떻게 변하는가?(2020년 08월)
     1. 2배로 커진다.
     2. 3배로 커진다.
     3. 변하지 않는다.
     4. √2배로 커진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비례추이정리
2차 저항 크게 하면,
최대토크 변함없음
기동토크 증가
기동전류 감소
슬립 증가
역률 증가
전부하효율 감소
속도 감소
[해설작성자 : 갸갸햐뱌]

45. 용량 1kVA, 3000/200V의 단상변압기를 단권변압기로 결선해서 3000/3200V의 승압기로 사용할 때 그 부하용량(kVA)은?(2020년 06월)
     1. 1/16
     2. 1
     3. 15
     4. 16

     정답 :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자기용량/부하용량=Vh-Vl/Vh
Vh 승압전압 Vl 승압전 전압
자기용량/부하용량=3200-3000/3200 = 1/16
1번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합격하고싶다]

[오류신고 반론]
부하용량만 언급.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ㄴ합격하고싶다// 아닙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16 4번입니다. 3200/3200-3000= 3200/200 = 16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6. 전기자 저항 0.3[Ω], 직권계자 권선의 저항 0.7[Ω]의 직권 전동기에 110[V]를 가하니 부하전류가 10[A]이었다. 이 때 전동기의 속도[rpm]는? (단, 기계정수는 2 이다.)(2005년 05월)
     1. 3600
     2. 1800
     3. 1200
     4. 800

     정답 : []
     정답률 : 9%

47. 유도 전동기에서 권선형 회전자에 비해 농형 회전자의 특성이 아닌 것은?(2013년 03월)
     1. 구조가 간단하고 효율이 좋다.
     2. 견고하고 보수가 용이하다.
     3. 대용량에서 기동이 용이하다.
     4. 중, 소형 전동기에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26%

48. 직류 전동기의 역기전력이 220V, 분당 회전수가 1200rpm일 때, 토크가 15kg ‧ m가 발생한다면 전기자 전류는 약 몇 A인가?(2015년 05월)
     1. 54
     2. 67
     3. 84
     4. 96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토크 T = 0.975*P/N = 0.975*(VI)/N

I = T*N / 0.975*V
    = 15*1200 / 0.975*220 = 83.916 = 84[A]
[해설작성자 : 무명]

49. 자극수6, 파권, 전기자 도체수 400의 직류발전기를 600[rpm]의 회전속도로 운전할 때 유도기전력 120[V]이다. 매극당 자속[Wb]은?(2009년 08월)
     1. 0.89
     2. 0.09
     3. 0.47
     4. 0.01

     정답 : []
     정답률 : 13%
     <문제 해설>
E[V] = P * Z * Φ * N / 60 * a ▶ Φ[Wb] = 60 * a * E / P * Z * N ▶ 60 * 2 * 120 / 6 * 400 * 600 = 0.01[Wb]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50. 단상 반파 정류로 직류전압 100[V]를 얻으려고 한다. 최대 역전압(Peak inverse voltage) 즉 PIV는 몇 [V]이상의 다이오드를 사용해야 하는가?(2008년 09월)
     1. 100
     2. 156
     3. 223
     4. 314

     정답 : []
     정답률 : 14%

51. 변압기에서 역률 100%일 때의 전압변동률 ε은 어떻게 표시되는가?(2006년 03월)
     1. % 저항 강하
     2. % 리액턴스 강하
     3. % 써셉턴스 강하
     4. % 임피던스 전압

     정답 : []
     정답률 : 10%

52. 2차로 환산한 임피던스가 각각 0.03+j0.02Ω, 0.02+0.03Ω 인 단상 변압기 2대를 병렬로 운전시킬 때 분담 전류는?(2015년 05월)
     1. 크기는 같으나 위상이 다르다.
     2. 크기의 위상이 같다.
     3. 크기는 다르나 위상이 같다.
     4. 크기와 위상이 다르다.

     정답 : []
     정답률 : 33%

53. 회전형전동기와 선형전동기(Linear Motor)를 비교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6년 03월)
     1. 선형의 경우 회전형에 비해 공극의 크기가 작다.
     2. 선형의 경우 직접적으로 직선운동을 얻을 수 있다.
     3. 선형의 경우 회전형에 비해 부하관성의 영향이 크다.
     4. 선형의 경우 전원의 상 순서를 바꾸어 이동방향을 변경한다.

     정답 : []
     정답률 : 26%

54. 다음은 3상 유도전동기의 슬립이 S < 0인 경우를 설명한 것이다. 잘못된 것은?(2006년 05월)
     1. 동기속도 이상이다.
     2. 유도발전기로 사용된다.
     3. 유도전동기 단독으로 동작이 가능하다.
     4. 속도를 증가시키면 출력이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13%

55. 동기리액턴스 Xs=10Ω, 전기자 권선저항 ra=0.1Ω, 3상 중 1상의 유도기전력 E=6400V, 단자전압 V=4000V, 부하각δ=30°이다. 비철극기인 3상 동기발전기의 출력은 약 몇 kW인가?(2021년 03월)
     1. 1,280
     2. 3,840
     3. 5,560
     4. 6,650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동기발전기 출력=(유도기전력*단자전압*sin부하각)/동기리액턴스
                            P=(EVsin쎄타)/X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

1상 출력 P=EVsinδ/X
3상 출력 P=3EVsinδ/X
[해설작성자 : 1]

출력)P[kW] = 3 * ( E * V / Xs ) * sinθ ▶ 3 * ( 6400 * 4000 / 10 ) * sin30˚ * 10^-3 = 3,840[kW]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56. 단상 직권 정류자 전동기의 회전 속도를 높이는 이유는?(2017년 09월)
     1. 역률을 개선한다.
     2. 토크를 증가시킨다.
     3. 리액턴스 강하를 크게 한다.
     4. 전자기에 유도되는 역기전력을 적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23%
     <문제 해설>
단상 직권 정류자 전동기
회전속도 상승시 역률 개선
역률개선위해 보상권선
약계자 강전기형
[해설작성자 : 흠냐]

57. 교류 타코미터(AC tacnometer)의 제어 권선전압 e(t)와 회전각 θ의 관계는?(2014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23%

58. 유도 전동기의 슬립(slip) S 의 범위는?(2010년 03월)
     1. 1> S> 0
     2. 0> S> -1
     3. 2> S> 1
     4. -1> S> 1

     정답 : []
     정답률 : 26%

59. 3상 유조전동기의 회전자 입력 P2, 슬립 s일 때 2차 동손은?(2012년 09월)
     1. (1-s)P2
     2.
     3.
     4. sP2

     정답 : []
     정답률 : 25%

60. 정류자형 주파수 변환기를 동일한 전원에 연결된 유도전동기의 축과 직결해서 사용하고 있다.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2007년 09월)
     1. 농형 유도전동기의 2차 여자를 할 수 있다.
     2. 권선형 유도전동기의 속도제어 및 역률개선을 할수 있다.
     3. 유도전동기의 속도제어법위가 동기속도 상하 10~15% 정도이다.
     4. 유도전동기가 동기속도 이하에서는 2차 전력이 변압기를 통해 전원으로 반환된다.

     정답 : []
     정답률 : 8%

4과목 :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61. RLC 직렬회로의 파라미터가 R2=4L/C의 관계를 가진다면, 이 회로에 직류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 과도 응답특성은?(2020년 06월)
     1. 무제동
     2. 과제동
     3. 부족제동
     4. 임계제동

     정답 : []
     정답률 : 39%

62. 어느 함수가f(t)=1-e-at인 것을 라플라스 변환하면?(2008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13%

63. 어느 회로의 유효전력은 300[W], 무효전력은 400[var]이다. 이 회루의 피상전력은 몇 [VA]인가?(2009년 08월)
     1. 350[VA]
     2. 500[VA]
     3. 600[VA]
     4. 700[VA]

     정답 : []
     정답률 : 16%
     <문제 해설>
피상전력)P[VA] = 루트( 유효전력^2 + 무효전력^2 ) ▶ 루트( 300^2 + 400^2 ) = 500[VA]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64. 는?(2021년 09월)
     1. δ(t)+e-t(cos2t-sin2t)
     2. δ(t)+e-t(cos2t+2sin2t)
     3. δ(t)+e-t(cos2t-2sin2t)
     4. δ(t)+e-t(cos2t+sin2t)

     정답 :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답안에 δ(t)가 있기 때문에 역라플라스 시 1이 나온다.
그러므로 분자 s^2+3s+8을 (s^2+2s+5)+(s+3)로 분리한다.

1+(s+3)/(s^2+2s+5)에서 분모를 (s+1)^2+2^2로 바꾸고 분자를 (s+1)+2로 바꾸면
1+(s+1)/((s+1)^2+2^2)+2/((s+1)^2+2^2)로 나눌 수 있게 된다.

라플라스 변환 δ(t)=1, coswt=s/(s^2+w^2), sinwt=w/(s^2+w^2), e^-at=1/(s+a) 이므로
δ(t)+e^-t*cos2t+e^-t*sin2t=δ(t)+e^-t(cos2t+sin2t)
[해설작성자 : 1]

65. 회로에서 0.5Ω 양단 전압(V)은 약 몇 V인가?(2020년 06월)

    

     1. 0.6
     2. 0.93
     3. 1.47
     4. 1.5

     정답 : []
     정답률 : 31%

66. 함수 f(t)=e-2tcos3t의 라플라스 변환은?(2004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13%

67. R[Ω]의 저항 3개를 Y로 접속한 것을 전압 200[V]의 3상 교류 전원에 연결할 때 선전류가 10[A] 흐른다면, 이 3개의 저항을 △로 접속하고 동일 전원에 연결하면 선전류는 몇 [A]가 되는가?(2006년 05월)
     1. 30
     2. 25
     3. 20
     4. 20/√3

     정답 : []
     정답률 : 13%

68. 송전선로에서 전압이3×108[m/s]인 광속으로 전파할 때 200[MHz]인 주파수에 대한 위상정수는 몇 rad/m인가?(2015년 09월)
     1.
     2.
     3.
     4. π

     정답 : []
     정답률 : 22%
     <문제 해설>
파장(Wavelength)
- 한 주기 동안 파(波)가 진행한 거리 (1 주기분의 길이) : (공간 주기성을 나타냄)
- 파장 표기 : λ (람다, lamda)

λ =    υ/ f = 300,000,000 / 200,000,000 = 1.5[m]
where, 파장(λ[m]), 속도(υ[m/s]), 주파수(f[Hz])

위상 정수, 位相定數, phase constant
- 분포 정수 회로를 전파(傳播)하는 전압이나 전류는 전파 방향을 따라 위상의 지연이 생김
- 이때 선로의 단위 길이당 위상차를 나타내는 것
- 단위 길이당 radian[rad/m]
- 위상 정수 β는 파장 λ에 대하여 λ = 2π/β[m]의 관계가 있으므로 파장 정수라고도 함.

β = 2π/λ = 2π/1.5[rad/m]
[해설작성자 : 나대로]

69. 무손실 선로에서 단위 길이에 대한 직렬 인덕턴스를 L, 병렬 커패시턴스를 C, 감쇠정수를 α, 위상정수를 β, 전원의 각 주파수를 w라 할 때 다음 관계가 성립하는 것은?(2007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17%

70. 를 라플라스 변환하면?(2011년 10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18%

71. 의 나이퀴스트 선도를 도시한 것은? (단, K > 0이다.)(2018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34%

72. 정격전압에서 1[kW]의 전력을 소비하는 저항에 정격의 80[%] 전압을 가할 때의 전력[W]은?(2016년 03월)
     1. 320
     2. 540
     3. 640
     4. 860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전력 P[W] = V^2 / R
즉 전력은 전압의 제곱에 비례!
1000 x 0.8^2 = 640[W]
[해설작성자 : 나대로]

73. 블록선도에서 ⓐ에 해당하는 신호는?(2021년 09월)

    

     1. 조작량
     2. 제어량
     3. 기준입력
     4. 동작신호

     정답 : []
     정답률 : 50%

74. 다음 회로는 무엇을 나타낸 것인가?(2008년 05월)

    

     1. AND
     2. OR
     3. Exclusive OR
     4. NAND

     정답 : []
     정답률 : 16%

75. 그림과 같은 이상 변압기의 4단자 정수 A, B, C, D는 어떻게 표시되는가?(2002년 03월)

    

     1. n, 0, 0, 1/n
     2. 1/n, 0, 0, 1-n
     3. 1/n, 0, 0, n
     4. n, 0, 1, 1/n

     정답 : []
     정답률 : 15%

76. 2차 시스템의 감쇄율 δ가 δ > 1 이면 어떤 경우인가?(2011년 03월)
     1. 비 제동
     2. 과 제동
     3. 부족 제동
     4. 발산

     정답 : []
     정답률 : 25%

77.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전류 I[A]는?(2017년 05월)

    

     1. 0.2
     2. 0.5
     3. 0.7
     4. 0.9

     정답 : []
     정답률 : 28%

78. 다음의 상태방정식으로 표시되는 제어계가 있다. 이 방정식의 값은 어떻게 되는가? (단, X(O)는 초기상태 벡터이다.)(2007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

79. 개루프 전달함수 일 때 점근선의 실수축과의 교차점은?(2004년 03월)
     1. -1
     2. -1.5
     3. -2
     4. -2.5

     정답 : []
     정답률 : 6%

80. 일 때 f(t)의 최종값은?(2015년 05월)
     1. 15
     2. 5
     3. 3
     4. 2

     정답 : []
     정답률 : 34%

81. 특별고압 계기용 변성기의 2차측 전로에는 제 몇 종 접지 공사를 하여야 하는가?(2002년 03월)
     1. 제 1 종
     2. 제 2 종
     3. 제 3 종
     4. 특별 제 3 종

     정답 : []
     정답률 : 9%

82.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지지물 양측의 경간의 차가 큰 곳에 사용하는 철탑의 종류는?(2022년 03월)
     1. 내장형
     2. 보강형
     3. 직선형
     4. 인류형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333.11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철주,철근 콘크리트주 또는 철탑의 종류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지지물로 사용하는 B종 철근, B종 콘크리트주 또는 철탑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가. 직선형
전선로의 직선부분(3도 이하의 수평각도를 이루는 곳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에 사용하는 것. 다만, 내장형 및 보강형에 속하는 것을 제외한다.
나. 각도형
전선로중 3도를 초과하는 수평각도에 이루는 곳에 사용할 것.
다. 인류형
전가섭선을 인류하는 곳에 사용하는 것.
라. 내장형
전선로의 지지물 양쪽의 경간의 차가 큰 곳에 사용하는 것.
마. 보강형
전선로의 직선부분에 그 보강을 위하여 사용하는 것.
[해설작성자 : 1]

83. 쇼윈도내의 배선에 사용전압 400[V] 미만에 사용하는 캡타이어 케이블의 단면적은 최소 몇 [mm2]인가?(2010년 03월)
     1. 1.25
     2. 1.0
     3. 0.75
     4. 0.5

     정답 : []
     정답률 : 24%

84. 저압 가공 전선로와 기설 가공약전류 전선로가 병행하는 경우에 유도작용에 의한 통신상의 장해가 생기지 않도록 전선과 기설 약전류 전선과의 이격거리는 몇[m]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단, 저압 가공전선은 케이블이 아니며, 가공 약전류 전선로의 관리자의 승낙을 얻은 경우가 아님)(2007년 09월)
     1. 2
     2. 3
     3. 4
     4. 5

     정답 : []
     정답률 : 12%

85. 지중 전선로를 직접 매설식에 의하여 시설할 때, 중량물의 압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에 저압 또는 고압의 지중전선을 견고한 트라프 기타 방호물에 넣지 않고도 부설할 수 있는 케이블은?(2020년 06월)
     1. PVC 외장 케이블
     2. 콤바인덕트 케이블
     3. 염화비닐 절연 케이블
     4. 폴리에틸렌 외장 케이블

     정답 : []
     정답률 : 44%

86. 지중에 매설되어 있고 대지와의 전기저항치가 3Ω인 금속 제 수도관로를 접지공사의 접지극으로 사용할 때 접지선과 수도관로의 접속은 안지름 75mm 이상인 수도관의 경우에 몇 m 이내의 부분에서 하여야 하는가?(2004년 05월)
     1. 3
     2. 5
     3. 8
     4. 10

     정답 : []
     정답률 : 9%

87. 특고압 가공전선이 삭도와 제2차 접근 상태로 시설할 경우에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보안공사는?(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6년 05월)
     1. 고압 보안공사
     2. 제1종 특고압 보안공사
     3. 제2종 특고압 보안공사
     4. 제3종 특고압 보안공사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삭도와 1차 접근 : 3종 특고압
삭도와 2차 접근 " 2종 특고압
[해설작성자 : ㄱㅂㅎ]

(2021년 KEC 규정 변경으로 인하여 종별 접지관련 문제는 출제되지 않습니다.)

88. 케이블 트레이 공사에 사용하는 케이블 트레이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1년 10월)
     1. 케이블 트레이가 방화구획의 벽 등을 관통하는 경우에는 개구부에 연소방지 시설이나 조치를 하여야 한다.
     2. 비금속재 케이블 트레이는 난연성 재료의 것이지 않아도 된다.
     3. 금속재의 것은 적절한 방식처리를 하거나 내식성 재료의 것이어야 한다.
     4. 금속제 케이블 트레이 계통은 기계적 또는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26%

89. 건조한 장소로서 전개된 장소에 한하여 고압옥내배선을 할 수 있는 것은?(2005년 05월)
     1. 애자사용공사
     2. 합성수지관공사
     3. 금속관공사
     4. 가요전선관공사

     정답 : []
     정답률 : 14%

90. 발열선을을 도로, 주차장 또는 조영물의 조영재에 고정시켜 시설하는 경우 발열선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로의 대지전압은 몇 V 이하이어야 하는가?(2017년 03월)
     1. 100
     2. 150
     3. 200
     4. 300

     정답 : []
     정답률 : 38%

91. 교량의 윗면에 시설하는 고압 전선로는 전선의 높이를 교량의 노면상 몇 [m]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2010년 09월)
     1. 3[m]
     2. 4[m]
     3. 5[m]
     4. 6[m]

     정답 : []
     정답률 : 13%

92. 가공인입선 및 수용장소의 조영물의 옆면 등에 시설하는 전선으로서 그 수용장소의 인입구에 이르는 부분의 전선을 무엇이라고 하는가?(2018년 09월)
     1. 인입선
     2. 옥외배선
     3. 옥측배선
     4. 배전간선

     정답 : []
     정답률 : 39%

93. 고압 지중전선이 지중 약전류전선 등과 접근하거나 교차하는 경우에 상호의 이격거리가 몇 [cm]이하인 때에는 두 전선이 직접 접촉하지 아니하도록 조치 하여야 하는가?(2012년 03월)
     1. 15
     2. 20
     3. 30
     4. 40

     정답 : []
     정답률 : 19%

94. 정격전류가 30A를 넘고 40A 이하인 과전류차단기로 보호되는 저압 옥내전로에 사용되는 콘센트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2004년 09월)
     1. 정격전류가 15A 이상 30A 이하인 것을 사용한다.
     2. 정격전류가 20A 이상 30A 이하인 것을 사용한다.
     3. 정격전류가 20A 이상 40A 이하인 것을 사용한다.
     4. 정격전류가 30A 이상 40A 이하인 것을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13%

95. 일반주택 및 아파트 각 호실의 현관등은 몇 분 이내에 소등 되도록 타임 스위치를 시설해야 하는가?(2016년 05월)
     1. 3
     2. 4
     3. 5
     4. 6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호텔, 또는 여관 각 객실 입구등 : 1분 이내에 소등되는 것
일반 주택 및 아파트 각 호실의 형광등 : 3분 이내에 소등되는 것
[해설작성자 : ㄱㅂㅎ]

96. 금속 덕트 공사에 의한 저압 옥내배선 공사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2007년 05월)
     1. 금속 덕트에 넣은 전선의 단면적의 합계가 덕트의 내부 단면적의 20[%] 이하가 되게 하여야 한다.
     2. 덕트 상호간은 견고하고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 하여야 한다.
     3. 덕트를 조영재에 붙이는 경우에는 덕트의 지지점간 거리를 8[m] 이하로 하여야 한다.
     4. 저압 옥내배선의 사용전압이 400[V] 미만인 경우 덕트에 제3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14%

97. 사용전압이 170kV 이하의 변압기를 시설하는 변전소로서 기술원이 상주하여 감시하지는 않으나 수시로 순회하는 경우, 기술원이 상주하는 장소에 경보장치를 시설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는?(2021년 05월)
     1. 옥내변전소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2. 제어회로의 전압이 현저히 저하한 경우
     3. 운전조작에 필요한 차단기가 자동적으로 차단한 후 재폐로한 경우
     4. 수소냉각식 조상기는 그 조상기 안의 수소의 순도가 90% 이하로 저하된 경우

     정답 : []
     정답률 : 40%

98. 특별고압 가공 전선로의 지지물에 시설하는 통신선 또는 이에 직접 접속하는 가공 통신선의 높이는 철도 또는 궤도를 횡단하는 경우에는 레일면산 몇 [m]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2009년 03월)
     1. 5.0m
     2. 5.5m
     3. 6.0m
     4. 6.5m

     정답 : []
     정답률 : 25%

99. 고압 및 특고압 가공 전선로로부터 공급을 받는 수용장소 인입구에 반드시 시설하여야 하는 것은?(2011년 10월)
     1. 피뢰기
     2. 방전 코일
     3. 분로 리액터
     4. 조상기

     정답 : []
     정답률 : 25%

100. 가공전선과 약전류전선로 등의 지지물 사이의 이격거리는 저압 및 고압(전선이 케이블인 경우가 아님) 일 때 각각 몇 [cm] 이상이어야 하는가?(2007년 09월)
     1. 저압 30[cm], 고압 45[cm]
     2. 저압 30[cm], 고압 60[cm]
     3. 저압 45[cm], 고압 60[cm]
     4. 저압 45[cm], 고압 90[cm]

     정답 : []
     정답률 : 14%


정 답 지

전기공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6380664)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전기공사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전기응용 및 공사재료


1. 금속관 1본의 표준길이 [m]는?(2004년 09월)
     1. 6
     2. 5.5
     3. 4
     4. 3.6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금속관 기본 이해(금속전선관)
    1) 호칭
        ①박강 :    외경에 가까운 홀수
        ②후강 :    내경에 가까운 짝수
    2) 1본의 길이 : 3.66m
[해설작성자 : dusty]

2. 서미스터(Thermister)의 주된 용도는?(2017년 03월)
     1. 온도 보상용
     2. 잡음 제거용
     3. 전압 증폭용
     4. 출력 전류 조절용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서미스터 : 온도보상용
배리스터 : 과도전압 조정
[해설작성자 : 지나가는자]

ther- : 열(온도)과 관련.
[해설작성자 : 냥]

3. 흑체의 온도복사 법칙 중 절대 온도가 높아질수록 파장이 짧아지는 법칙은?(2022년 03월)
     1. 스테판 볼츠만(Stefan-Boltzmann)의 법칙
     2. 빈(Wien)의 변위법칙
     3. 플랑크(Planck)의 복사법칙
     4. 베버 페히너(Weber-Fechner)의 법칙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표면에 부딪히는 모든 복사를 흡수하는 경우 이런 물체를 흑체 라고 함
"흑체복사"라는 전자기 복사를 방출한다. 이 복사는 플랑크 법칙에 따라 방출
"슈테판-볼츠만 법칙" 전체 복사 에너지가 절대온도의 4제곱에 비례
"빈 변위 법칙"은 흑체 복사의 파장 가운데 에너지 밀도가 가장 큰 파장과 흑체의 온도가 반비례한다.
"베버페히너 법칙" 찾아보니 생물학 감각관련 법칙이네요

4. 금속의 표면 열처리에 이용하며 도체에 고주파 전류를 통하면 전류가 표면에 집중하는 현상은?(2017년 05월)
     1. 표피 효과
     2. 톰슨 효과
     3. 펀치 효과
     4. 제벡 효과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도체에 고주파 전류를 통하면 전류가 표면에 집중하는 현상으로 금속의 표면 열처리에 이용함.
[해설작성자 : 네네]

5. 광도가 312 cd인 전등을 지름 3m의 원탁 중심 바로 위 2m 되는 곳에 놓았다. 원탁 가장자리의 조도는 약 몇 lx인가?(2015년 05월)
     1. 30
     2. 40
     3. 50
     4. 60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광도I=F/w , 조도E=F/S    ,     오메가w=2π(1-cosΘ)    
에서 I=F/2π(1-cosΘ) , F=312x2π/5 , E=(312x2π/5)/2x1.5xπ = 41.6
[해설작성자 : KENT]

높이 : 2m
지름 : 3M (반지름 1.5M)

반지름을 기준으로 직각 삼각형을 그리자면 (높이 2, 밑변 1.5)
빗변의 길이는 r이라 하고 r= 루트(22+ 1.52) = 2.5[m]가 되죠.

우리가 구하는 것은 가장자리의 조도, 즉 수평면조도가 됩니다.
수평면 조도의 공식은
Eh = I/r2x Cos세타 입니다.
I = 312 [cd]이고
r = 2.5 [m]로 아까 구했었죠.
Cos 세타는 여기서 문제에서 몇도인지 나오지 않죠. 여기서 헷갈려 하시는분들이 계시는데
직각 삼각형을 생각해봅시다. 각 변을 ABC로 하자면
삼각함수 아시죠?
                
Sin 세타 = B/A
Cos 세타 = C/A
Tan 세타 = B/C

감이 오시죠?
Cos 세타는 2/2.5 가 됩니다. 여기서 저희가 그린 사인세타의 각도와 같습니다.
(헷갈리시면 안됩니다. 여기서 Cos세타는 저희가 그린 삼각형의 Cos세타 각도를 구하는게 아닙니다.
수평면 조도입니다.)

Eh = I/r2x Cos세타
        = 312 / 2.52x 2 / 2.5 = 39.94

즉, 40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나도 헷갈려서...]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E=F/S, F=w*I, 원뿔이니 w=2*pi*(1-cos(theta))입니다. 테이블 반지름r=1.5 따라서 S=1.5^2*pi, 마지막으로 cos(theta)는 2/root(2^2+1.5^2)=0.8이구요.
모두 대입하면 E=(2*pi*(1-0.8)*312)/(1.5^2*pi)=55.47로 반올림하면 60입니다.
위의 해설 1은 면적을 2*pi*r로 면적이 아닌 둘레를 구하셨구요,
해설 2는 아래 면적이 원형이 아닌 사각형일때에 사용하는 역제곱 법칙입니다. 수정 바랍니다.
[해설작성자 : 띠용쓴]

[오류신고 반론]
이렇게 푸는게 맞는것 같네요
전등 ~ 가장자리까지 거리 = 루트(2제곱 + 1.5제곱) = 2.5
조도 = 312/(2.5제곱) * 코싸인(2.5/2) = 4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의아하신분들 많을텐데 50으로 믿고가셔도됩니다. ^_^
312/(2.5)^2 에다가 코사인세타 곱하면 49.90 나오네요~
팁드리자면 I/r^2 곱하기 코사인 세타하시면되는데 수평면 조도일경우에는 사인세타 쓰시면됩니다.
우리가 흔히 하는 빗변분의 높이 = sin 이고 빗변분의 밑변은 cos인데 수평일경우 높이가 밑변이됩니다.
[해설작성자 : 하하하]

[오류신고 반론]
대각선 r=루트(1.5^2+2^2)=2.5
조도=(광도/r^2)*cos=(312/2.5^2)*(2/2.5)=39.936=40
[해설작성자 : 논다]

[오류신고 반론]
원탁 문제 풀이를 2개 아니얌?
1번은 E=F/S, F=w*I, → w=2*pi*(1-cos(theta))
2번은 Eh = I/r2x Cos세타

1번. E=F/S, F=w*I, → w=2*pi*(1-cos(theta))
         요건 문제가 원탁(테이블)의 "평균 조도"를 구하시오 라는 식으로 물어볼거고

2번. Eh = I/r2x Cos세타
         요건 원탁(테이블)의 "가장자리의 조도" 구하시오 라는 식으로 물어볼거얌
         얘는 우리가 기본적으로 아는 애지? 가장자리니 다른거 제끼고 쎄타랑 높이만 쓰는 거얌

그러니까 문제가
원탁 "전체의 평균조도"를 물어봐서 원뿔 필요한 앤지
원탁 "가장자리에서의 조도"를 물어봐서 원뿔이고 뭐고 필요없는 앤지 보고 눈치까는 거얌

지금 문제는 가장자리 구하시오 라고 되어있네
그러니까 2번으로 풀어야되네 그러니까 답이 40이네 이렇게 되는 거얌

잘 모르겠으면 2개로 다 풀어보고 보기를 봐!
    55.47인데 보기가 3번 50 4번 60 ...?
    39.94인데 1번 30    2번 40 요건 확실하네!
[해설작성자 : 정비대대_전기공쥬♥]

[오류신고 반론]
확신되는 답이 없는거 같길래 최종 정리하자면

대각선 r=루트2^2+1.5^2 = 2.5
수평면 조도 E = (312/2.5^2)*(2/2.5) =~ 40[lx]

정답 40 맞고 다산에듀 책 2021 기준 1단원 29번 보면 확인가능
확실하지도 않은데 뇌피셜 남발하면서 50이니 믿고 가라 이런말 하지마세요.
주관 만으로 풀이한걸로 다른 사람들 헷갈리게해;
[해설작성자 : 뇌피셜 남발하지마]

[오류신고 반론]
헷갈리시는 분들 이 문제랑 2018년 2회 3번이랑 비교해서 풀어보세요.
원탁 가장자리의 조도(수평면 조도)vs원탁 평균조도(원뿔 평균조도 공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조도의 일반적 의미
처음에 50이라고 생각 했던 사람입니다.
헷갈리는 이유는 법선 조도가 기본 조도인줄 알았고 수직,수평면 조도는 그 구성 성분 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조도에 대해 검색해봤는데 조도는 작업을 위한 밝기의 정도를 나타내는 측광량이라 일반적으로 조도를 지칭할 때는 수평면 조도를 의미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문제에서 조도의 방향에 대한 추가 조건이 없으므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수평면 조도로 계산하는 것입니다.    
[해설작성자 : 조도 차이]

6. 플라이휠 효과1[kgㆍm2]인 플라이휠 회전속도가 1500[rpm]에서 1200[rpm]으로 떨어졌다. 방출에너지는 약 몇 [J]인가?(2009년 05월)
     1. 1.11×103[J]
     2. 1.11×104[J]
     3. 2.11×103[J]
     4. 2.11×104[J]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플라이휠 효과 = G(D^2) = 1
에너지 = G(D^2)(N^2) / 730
방출 에너지 = N자리에 1500 넣은거 - 1200 넣은거
계산하면, (1/730)×810,000 = 1109 = 1.1×10^3
[해설작성자 : 경하석]

7. 양수량 40[m3/min], 총 양정 13[m]의 양수펌프용 전동기의 소요출력은 약 몇[kW]인가? (단, 펌프의 효율은 80[%]이다.)(2011년 03월)
     1. 68
     2. 106
     3. 136
     4. 212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P= 40×13 / 6.12×0.8 = 520 / 4.896 = 106.21
[해설작성자 : 다람쥐]

9.8*Q(uantity)*H(eight)/효율=9.8*(40/60->분을초로변환)*13/0.8=106.167

[추가 해설]
9.8*(40/60->분을 시(h)로 변환)*13/0.8=106.167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P = 40 * 13 / 6.12 * 0.8 = 106.209[kW]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8. 권상 하중이 100t 이며, 1.5m/min의 속도로 물체를 들어올리는 권상기용 전동기의 용량은 약 몇 kW인가? (단, 전동기를 포함한 기중기의 총 효율은 70%이다)(2006년 09월)
     1. 50
     2. 40
     3. 35
     4. 30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00×1.5 / 6.12×0.7 = 35%
[해설작성자 : 다람쥐]

9. 일반적인 농형 유도전동기의 기동법이 아닌 것은?(2021년 03월)
     1. Y - △ 기동
     2. 전전압 기동
     3. 2차 저항 기동
     4. 기동보상기에 의한 기동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2차 저항 기동은 농형이 아니라 권선형
[해설작성자 : 공사기사 합격기원]

10. 전기 저항 온도계의 저항체로 주로 사용되는 것은?(2012년 03월)
     1. 백금
     2. 텅스텐
     3.
     4. 주석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 저항 온도계 : 브리지식 온도계(온도 : -200~500[℃])
재료 : Pt(백금), Ni, Cu
반도체 : 서미스텟
[해설작성자 : D2]

11. 저압 배전반의 주 차단기로 주로 사용되는 차단기는?(2011년 06월)
     1. VCB 또는 TCB
     2. COS 또는 PF
     3. ACB 또는 MCCB
     4. DS 또는 OS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고압은 GCB(가스차단기), VCB(진공차단기), ABB(공기차단기), MBB(자기차단기), OCB(유입차단기)
저압은 ACB(기중차단기), MCCB(배선용차단기), ELB(누전차단기)
이렇게 됩니다.
[해설작성자 : 전기기사 따고 전기공사기사함]

12. 번개로 인한 외부 이상전압이나 개폐 서지로 인한 내부 이상전압으로부터 전기시설을 보호하는 장치는?(2017년 09월)
     1. 피뢰기
     2. 피뢰침
     3. 차단기
     4. 변압기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피뢰침
건물보호
피뢰기
전기시설 보호
[해설작성자 : Pokdo]

13. 가선 금구 중 완금에 특고압 전선의 조수가 3일 때 완금의 길이(mm)는?(2020년 09월)
     1. 900
     2. 1400
     3. 1800
     4. 2400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전선 조수별 완금의 표준 길이 (특고압/고압/저압 순, 단위 mm)
ㅇ2조 : 1,800 / 1,400 / 900
ㅇ3조 : 2,400 / 1,800 / 1,400
[해설작성자 : 창전동피카츄]

14. 한국전기설비규정에 따른 플로어덕트공사의 시설조건 중 연선을 사용해야만 하는 전선의 최소 단면적 기준은? (단, 전선의 도체는 구리선이며 연선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예외조건은 고려하지 않는다.)(2021년 09월)
     1. 6mm2 초과
     2. 10mm2 초과
     3. 16mm2 초과
     4. 25mm2 초과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232.32 플로어덕트공사]
1. 전선은 절연전선(옥외용 비닐절연전선을 제외한다)일 것.
2. 전선은 연선일 것. 다만, 단면적 10 mm2(알루미늄선은 단면적 16 mm2) 이하인 것은 그러하지 아니하다.
3. 플로어덕트 안에는 전선에 접속점이 없도록 할 것. 다만, 전선을 분기하는 경우에 접속점을 쉽게 점검할 수 있을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해설작성자 : 담벼락]

15. 전선 배열에 따라 장주를 구분할 때 수직배열에 해당되는 장주는?(2021년 05월)
     1. 보통 장주
     2. 래크 장주
     3. 창출 장주
     4. 편출 장주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수평 배열 : 보통 장주, 창출 장주, 편출 장주
수직 배열 : 랙크장주, 돌출랙크장주
[해설작성자 : gangs]

16. 다음 절연전선의 종류에서 절연물의 최고 허용온도가 75℃인 전선은 어느 것인가?(2007년 03월)
     1. 600V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전선
     2.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전선
     3. 600V 2종 비닐절연전선
     4. IV전선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1. 90℃
2. 120℃
4. 60℃
[해설작성자 : ruru]

17. 점유 면적이 좁고, 운전·보수가 안전하여 공장 및 빌딩 등의 전기설에 많이 사용되는 배전반은?(2010년 05월)
     1. 데드 프런트형
     2. 수직형
     3. 큐비클형
     4. 라이브 프런트형

     정답 : []
     정답률 : 87%

18. 300W 이상의 백열전구에 사용되는 베이스의 크기는?(2020년 09월)
     1. E10
     2. E17
     3. E26
     4. E39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E10 : 장식용 회전등으로 사용되는 작은 전구용
E12 : 배전반 표시등
E17 : 사인 전구용
E26 : 250W이하 병형 전구용
E39 : 300W이상 대형 전구용
[해설작성자 : 랄랄라]

19. 일정한 전압을 가진 전지에 부하를 걸면 단자 전압이 저하되는 원인은?(2017년 05월)
     1. 주위 온도
     2. 분극 작용
     3. 이온화 경향
     4. 전해액의 변색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전기 분해를 하고 있는 전해조 내에는 생성물이 액 속에서 일종의 전지를 만들어 외부에서 가하고 있는 전압과 역방향으로 기전력을 발생하여 전류를 잘 흐르지 못하도록 한다.
이를 분극작용이라함.
[해설작성자 : 신종윤]

20. 케이블 트레이공사에 별도의 조치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케이블은?(2009년 08월)
     1. VV케이블
     2. EV케이블
     3. CV케이블
     4. 연피케이블

     정답 : []
     정답률 : 71%

2과목 : 전력공학


21. 3상용 차단기의 용량은 그 차단기의 정격전압과 정격차단 전류와의 곱을 몇 배한 것인가?(2014년 05월)
     1.
     2.
     3. √2
     4. √3

     정답 : []
     정답률 : 34%

22. 송전선로의 1선 지락고장시, 인접 통신선에 대한 전자 유도장애의 방지대책이 아닌 것은?(2003년 03월)
     1. 전력선과 통신선과의 병행거리 단축
     2. 전력선과 통신선과의 이격거리 단축
     3. 고속도계전기 및 차단기를 채용
     4. 도전률이 높은 도체로 가공지선 설치

     정답 : []
     정답률 : 15%

23. 수력 발전소에서 흡출관을 사용하는 목적은?(2016년 05월)
     1. 압력을 줄인다.
     2. 유효 낙차를 늘린다. .
     3. 속도 변동률을 작게 한다.
     4. 물의 유선을 일정하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36%

24. 3상 3선식 송전선에서 한 선의 저항이 10Ω, 리액턴스가 20Ω이며, 수전단의 선간전압이 60kV, 부하역률이 0.8인 경우에 전압강하율이 10%라 하면 이 송전선로는 약 몇 kW까지 수전할 수 있는가?(2021년 03월)
     1. 10,000
     2. 12,000
     3. 14,400
     4. 18,000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R=10, X=20, V=60kV, cos=0.8 sin=0.6 tan=0.6/0.8 전압강하율=10% 전압강하e=6kV
e=P/V(R+X*tan)
P=e*V/(R+X*tan)
P=6*60/10+(10+20*tan)
=14.4 ->14400

[추가 해설]
전압강하율=10%
전압 강하율 공식 = P/V^2(R+X*tan)
P = 전압강하율 * V^2
        ㅡㅡㅡㅡㅡㅡㅡㅡㅡ = 0.1 * 60000^2 / 10 + 20*0.6/0.8 = 14400
        10+20*0.6/0.8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P[kW] = ε * V^2 / R + X * tanθ ▶ [ 0.1 * ( 60 * 10^3 )^2 / 10 + 20 * 0.6/0.8 ] * 10^-3 = 14400[kW]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25. 배전 선로의 고장 전류를 차단 할 수 있는 것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2011년 10월)
     1. 단로기
     2. 구분 개폐기
     3. 컷아웃 스위치
     4. 차단기

     정답 : []
     정답률 : 25%

26. 승압기에 의하여 전압 Ve에서 Vh로 승압할 때, 2차 정격전압 e, 자기용량 W인 단상 승압기가 공급할 수 있는 부하 용량은?(2017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33%

27. 전력계통의 전압조정과 무관한 것은?(2008년 03월)
     1. 발전기의 조속기
     2. 발전기의 전압조정장치
     3. 전력용콘덴서
     4. 전력용 분로리액터

     정답 : []
     정답률 : 14%

28. 배전선의 전력손실 경감 대책이 아닌 것은?(2004년 05월)
     1. Feeder 수를 늘린다.
     2. 역률을 개선한다.
     3. 배전 전압을 높인다.
     4. Network 방식을 채택한다.

     정답 : []
     정답률 : 11%

29. 일반회로정수가 A , B , C , D 인 선로에 임피던스가 인 변압기가 수전단에 접속된 계통의 일반회로정수 D0는?(2004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16%

30. A, B 및 C상 전류를 각각 Ia, Ib, 및 Ic라 할 때 으로 표시되는 Ix는 어떤 전류인가?(2018년 03월)
     1. 정상전류
     2. 역상전류
     3. 영상전류
     4. 역상전류와 영상전류의 합

     정답 : []
     정답률 : 44%

31. 어느 발전소에서 40000kWh를 발전하는데 발열량 5000㎉/㎏의 석탄을 20톤 사용하였다. 이 화력발전소의 열효율(%)은 약 얼마인가?(2022년 03월)
     1. 27.5
     2. 30.4
     3. 34.4
     4. 38.5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열효율 n=860*W / BH *100%
W: 전력발전량[kWh]     B: 연료량 [kg]     H: 열료발열량 [kcal/kg]
n=( 860*40000 / 5000*20000 ) * 100         =    34.4%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2. 3상3선식 송전선을 연가 할 경우 일반적으로 몇 의 배수(倍數)의 구간으로 등분하여 연가 하는가?(2009년 08월)
     1. 2
     2. 3
     3. 5
     4. 6

     정답 : []
     정답률 : 17%

33. 전력계통의 전압조정과 무관한 것은?(2018년 09월)
     1. 전력용콘덴서
     2. 자동전압조정기
     3. 발전기의 조속기
     4. 부하시 탭 조정장치

     정답 :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조"속'기 = 수차 속도조정 장치
[해설작성자 : 역시왕택신]

34. 교류 발전기의 전압조정 장치로 속응 여자방식을 채택하는 이유로 틀린 것은?(2015년 09월)
     1. 전력 계통에 고장이 발생할 때 발전기의 동기화력을 증가시킨다.
     2. 송전 계통의 안정도를 높인다.
     3. 여자기의 전압 상승률을 크게 한다.
     4. 전압 조정용 탭의 수동변환을 원활히 하기 위함이다.

     정답 : []
     정답률 : 19%
     <문제 해설>
속응 여자방식 : 발전기의 일반 여자기보다 동작 속도를 높인 여자 방식으로 발전기의 동기화력을 증가시켜 계통의 안정도를 향상시킨다
[해설작성자 : 피카츄]

35. 동기조상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8년 04월)
     1. 시충전이 불가능하다.
     2. 전압 조정이 연속적이다.
     3. 중부하시에는 과여자로 운전하여 앞선 전류를 취한다.
     4. 경부하시에는 부족여자로 운전하여 뒤진 전류를 취한다.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동기조상기는 시충전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연달이 ]

36. 유역 면적이 4000㎢인 어떤 발전 지점이 있다. 유역 내의 연 강우량이 1400㎜이고, 유출계수가 75%라고 하면 그 지점을 통과하는 연평균 유량[m3/sec]은?(2012년 05월)
     1. 약 121
     2. 약 133
     3. 약 251
     4. 약 150

     정답 : []
     정답률 : 17%

37. 단상 2선식(110[V]) 저압 배전선로를 단상 3선식(110/220[V])으로 변경하였을 때 전선로의 전압 강하율은 변경전에 비해서 어떻게 되는가? (단, 부하용량은 변경 전후에 같고 역률은 1.0이며 평형부하이다.)(2008년 03월)
     1. 1/4로 된다.
     2. 1/3로 된다.
     3. 1/2로 된다.
     4. 변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7%

38. 가공송전선로에서 총 단면적이 같은 경우 단도체와 비교하여 복도체의 장점이 아닌 것은?(2017년 09월)
     1. 안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2. 공사비가 저렴하고 시공이 간편하다.
     3. 전선표면 전위경도 감소시켜 코로나 임계전압이 높아진다.
     4. 선로의 인덕턴스가 감소되고 정전용량이 증가해서 송전용량이 증대된다.

     정답 : []
     정답률 : 40%

39. 이상전압의 파고치를 저깅시켜 기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은?(2009년 05월)
     1. 리액터
     2. 아아모 로드(Armour rod)
     3. 피뢰기
     4. 아킹 호은(Arcing horn)

     정답 : []
     정답률 : 19%

40. 역률 0.8(지상)의 2800kW 부하에 전력용콘덴서를 병렬로 접속하여 합성역률을 0.9로 개선하고자 할 경우, 필요한 전력용콘덴서의 용량은?(2010년 05월)
     1. 약 372[kVA]
     2. 약 558[kVA]
     3. 약 744[kVA]
     4. 약 1116[kVA]

     정답 : []
     정답률 : 19%
     <문제 해설>
P( tanθ1 - tanθ2 ) ▶ 2800 * ( 0.6 / 0.8 - 루트( 1 - 0.9^2 ) / 0.9 ) = 743.8981[kVA]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3과목 : 전기기기


41. 380V, 60Hz, 4극, 10kW인 3상 유도전동기의 전부하 슬립이 4%이다. 전원 전압을 10% 낮추는 경우 전부하 슬립은 약 몇 % 인가?(2022년 04월)
     1. 3.3
     2. 3.6
     3. 4.4
     4. 4.9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슬립은 전압의 제곱에 반비례 4/(0.9^2)
[해설작성자 : 율무]

유도기 관련문제
T=V^2 , s=1/V^2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2. 권선형 유도 전동기의 전부하 운전 시 슬립이 4%이고, 2차 정격전압이 150V 이면 2차 유도기전력은 몇 V 인가?(2018년 03월)
     1. 9
     2. 8
     3. 7
     4. 6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정답 해설]
2차 유도기전력 = sE2 = 0.04 * 150 = 6[V]
[해설작성자 : DoubleM2]

43. 정류회로에서 상의 수를 크게 했을 경우 옳은 것은?(2019년 03월)
     1. 맥동 주파수와 맥동률이 증가한다.
     2. 맥동률과 맥동 주파수가 감소한다.
     3. 맥동 주파수는 증가하고 맥동률은 감소한다.
     4. 맥동률과 주파수는 감소하나 출력이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상의 수를 크게하면 할 수록 정류가 더 잘 일어남
단상 반파시 Edc =    0.45E
3상 반파시 Edc = 1.17E
따라서 맥동이 적어지므로 맥동률이 작아지고 맥동 주기가 짧아짐, 즉 맥동 주파수가 커짐
[해설작성자 : 흠냐]

44. 3상 유도전동기에서 2차측 저항을 2배로 하면 그 최대토크는 어떻게 변하는가?(2020년 08월)
     1. 2배로 커진다.
     2. 3배로 커진다.
     3. 변하지 않는다.
     4. √2배로 커진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비례추이정리
2차 저항 크게 하면,
최대토크 변함없음
기동토크 증가
기동전류 감소
슬립 증가
역률 증가
전부하효율 감소
속도 감소
[해설작성자 : 갸갸햐뱌]

45. 용량 1kVA, 3000/200V의 단상변압기를 단권변압기로 결선해서 3000/3200V의 승압기로 사용할 때 그 부하용량(kVA)은?(2020년 06월)
     1. 1/16
     2. 1
     3. 15
     4. 16

     정답 :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자기용량/부하용량=Vh-Vl/Vh
Vh 승압전압 Vl 승압전 전압
자기용량/부하용량=3200-3000/3200 = 1/16
1번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합격하고싶다]

[오류신고 반론]
부하용량만 언급.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ㄴ합격하고싶다// 아닙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16 4번입니다. 3200/3200-3000= 3200/200 = 16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6. 전기자 저항 0.3[Ω], 직권계자 권선의 저항 0.7[Ω]의 직권 전동기에 110[V]를 가하니 부하전류가 10[A]이었다. 이 때 전동기의 속도[rpm]는? (단, 기계정수는 2 이다.)(2005년 05월)
     1. 3600
     2. 1800
     3. 1200
     4. 800

     정답 : []
     정답률 : 9%

47. 유도 전동기에서 권선형 회전자에 비해 농형 회전자의 특성이 아닌 것은?(2013년 03월)
     1. 구조가 간단하고 효율이 좋다.
     2. 견고하고 보수가 용이하다.
     3. 대용량에서 기동이 용이하다.
     4. 중, 소형 전동기에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26%

48. 직류 전동기의 역기전력이 220V, 분당 회전수가 1200rpm일 때, 토크가 15kg ‧ m가 발생한다면 전기자 전류는 약 몇 A인가?(2015년 05월)
     1. 54
     2. 67
     3. 84
     4. 96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토크 T = 0.975*P/N = 0.975*(VI)/N

I = T*N / 0.975*V
    = 15*1200 / 0.975*220 = 83.916 = 84[A]
[해설작성자 : 무명]

49. 자극수6, 파권, 전기자 도체수 400의 직류발전기를 600[rpm]의 회전속도로 운전할 때 유도기전력 120[V]이다. 매극당 자속[Wb]은?(2009년 08월)
     1. 0.89
     2. 0.09
     3. 0.47
     4. 0.01

     정답 : []
     정답률 : 13%
     <문제 해설>
E[V] = P * Z * Φ * N / 60 * a ▶ Φ[Wb] = 60 * a * E / P * Z * N ▶ 60 * 2 * 120 / 6 * 400 * 600 = 0.01[Wb]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50. 단상 반파 정류로 직류전압 100[V]를 얻으려고 한다. 최대 역전압(Peak inverse voltage) 즉 PIV는 몇 [V]이상의 다이오드를 사용해야 하는가?(2008년 09월)
     1. 100
     2. 156
     3. 223
     4. 314

     정답 : []
     정답률 : 14%

51. 변압기에서 역률 100%일 때의 전압변동률 ε은 어떻게 표시되는가?(2006년 03월)
     1. % 저항 강하
     2. % 리액턴스 강하
     3. % 써셉턴스 강하
     4. % 임피던스 전압

     정답 : []
     정답률 : 10%

52. 2차로 환산한 임피던스가 각각 0.03+j0.02Ω, 0.02+0.03Ω 인 단상 변압기 2대를 병렬로 운전시킬 때 분담 전류는?(2015년 05월)
     1. 크기는 같으나 위상이 다르다.
     2. 크기의 위상이 같다.
     3. 크기는 다르나 위상이 같다.
     4. 크기와 위상이 다르다.

     정답 : []
     정답률 : 33%

53. 회전형전동기와 선형전동기(Linear Motor)를 비교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6년 03월)
     1. 선형의 경우 회전형에 비해 공극의 크기가 작다.
     2. 선형의 경우 직접적으로 직선운동을 얻을 수 있다.
     3. 선형의 경우 회전형에 비해 부하관성의 영향이 크다.
     4. 선형의 경우 전원의 상 순서를 바꾸어 이동방향을 변경한다.

     정답 : []
     정답률 : 26%

54. 다음은 3상 유도전동기의 슬립이 S < 0인 경우를 설명한 것이다. 잘못된 것은?(2006년 05월)
     1. 동기속도 이상이다.
     2. 유도발전기로 사용된다.
     3. 유도전동기 단독으로 동작이 가능하다.
     4. 속도를 증가시키면 출력이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13%

55. 동기리액턴스 Xs=10Ω, 전기자 권선저항 ra=0.1Ω, 3상 중 1상의 유도기전력 E=6400V, 단자전압 V=4000V, 부하각δ=30°이다. 비철극기인 3상 동기발전기의 출력은 약 몇 kW인가?(2021년 03월)
     1. 1,280
     2. 3,840
     3. 5,560
     4. 6,650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동기발전기 출력=(유도기전력*단자전압*sin부하각)/동기리액턴스
                            P=(EVsin쎄타)/X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

1상 출력 P=EVsinδ/X
3상 출력 P=3EVsinδ/X
[해설작성자 : 1]

출력)P[kW] = 3 * ( E * V / Xs ) * sinθ ▶ 3 * ( 6400 * 4000 / 10 ) * sin30˚ * 10^-3 = 3,840[kW]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56. 단상 직권 정류자 전동기의 회전 속도를 높이는 이유는?(2017년 09월)
     1. 역률을 개선한다.
     2. 토크를 증가시킨다.
     3. 리액턴스 강하를 크게 한다.
     4. 전자기에 유도되는 역기전력을 적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23%
     <문제 해설>
단상 직권 정류자 전동기
회전속도 상승시 역률 개선
역률개선위해 보상권선
약계자 강전기형
[해설작성자 : 흠냐]

57. 교류 타코미터(AC tacnometer)의 제어 권선전압 e(t)와 회전각 θ의 관계는?(2014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23%

58. 유도 전동기의 슬립(slip) S 의 범위는?(2010년 03월)
     1. 1> S> 0
     2. 0> S> -1
     3. 2> S> 1
     4. -1> S> 1

     정답 : []
     정답률 : 26%

59. 3상 유조전동기의 회전자 입력 P2, 슬립 s일 때 2차 동손은?(2012년 09월)
     1. (1-s)P2
     2.
     3.
     4. sP2

     정답 : []
     정답률 : 25%

60. 정류자형 주파수 변환기를 동일한 전원에 연결된 유도전동기의 축과 직결해서 사용하고 있다.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2007년 09월)
     1. 농형 유도전동기의 2차 여자를 할 수 있다.
     2. 권선형 유도전동기의 속도제어 및 역률개선을 할수 있다.
     3. 유도전동기의 속도제어법위가 동기속도 상하 10~15% 정도이다.
     4. 유도전동기가 동기속도 이하에서는 2차 전력이 변압기를 통해 전원으로 반환된다.

     정답 : []
     정답률 : 8%

4과목 :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61. RLC 직렬회로의 파라미터가 R2=4L/C의 관계를 가진다면, 이 회로에 직류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 과도 응답특성은?(2020년 06월)
     1. 무제동
     2. 과제동
     3. 부족제동
     4. 임계제동

     정답 : []
     정답률 : 39%

62. 어느 함수가f(t)=1-e-at인 것을 라플라스 변환하면?(2008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13%

63. 어느 회로의 유효전력은 300[W], 무효전력은 400[var]이다. 이 회루의 피상전력은 몇 [VA]인가?(2009년 08월)
     1. 350[VA]
     2. 500[VA]
     3. 600[VA]
     4. 700[VA]

     정답 : []
     정답률 : 16%
     <문제 해설>
피상전력)P[VA] = 루트( 유효전력^2 + 무효전력^2 ) ▶ 루트( 300^2 + 400^2 ) = 500[VA]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64. 는?(2021년 09월)
     1. δ(t)+e-t(cos2t-sin2t)
     2. δ(t)+e-t(cos2t+2sin2t)
     3. δ(t)+e-t(cos2t-2sin2t)
     4. δ(t)+e-t(cos2t+sin2t)

     정답 :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답안에 δ(t)가 있기 때문에 역라플라스 시 1이 나온다.
그러므로 분자 s^2+3s+8을 (s^2+2s+5)+(s+3)로 분리한다.

1+(s+3)/(s^2+2s+5)에서 분모를 (s+1)^2+2^2로 바꾸고 분자를 (s+1)+2로 바꾸면
1+(s+1)/((s+1)^2+2^2)+2/((s+1)^2+2^2)로 나눌 수 있게 된다.

라플라스 변환 δ(t)=1, coswt=s/(s^2+w^2), sinwt=w/(s^2+w^2), e^-at=1/(s+a) 이므로
δ(t)+e^-t*cos2t+e^-t*sin2t=δ(t)+e^-t(cos2t+sin2t)
[해설작성자 : 1]

65. 회로에서 0.5Ω 양단 전압(V)은 약 몇 V인가?(2020년 06월)

    

     1. 0.6
     2. 0.93
     3. 1.47
     4. 1.5

     정답 : []
     정답률 : 31%

66. 함수 f(t)=e-2tcos3t의 라플라스 변환은?(2004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13%

67. R[Ω]의 저항 3개를 Y로 접속한 것을 전압 200[V]의 3상 교류 전원에 연결할 때 선전류가 10[A] 흐른다면, 이 3개의 저항을 △로 접속하고 동일 전원에 연결하면 선전류는 몇 [A]가 되는가?(2006년 05월)
     1. 30
     2. 25
     3. 20
     4. 20/√3

     정답 : []
     정답률 : 13%

68. 송전선로에서 전압이3×108[m/s]인 광속으로 전파할 때 200[MHz]인 주파수에 대한 위상정수는 몇 rad/m인가?(2015년 09월)
     1.
     2.
     3.
     4. π

     정답 : []
     정답률 : 22%
     <문제 해설>
파장(Wavelength)
- 한 주기 동안 파(波)가 진행한 거리 (1 주기분의 길이) : (공간 주기성을 나타냄)
- 파장 표기 : λ (람다, lamda)

λ =    υ/ f = 300,000,000 / 200,000,000 = 1.5[m]
where, 파장(λ[m]), 속도(υ[m/s]), 주파수(f[Hz])

위상 정수, 位相定數, phase constant
- 분포 정수 회로를 전파(傳播)하는 전압이나 전류는 전파 방향을 따라 위상의 지연이 생김
- 이때 선로의 단위 길이당 위상차를 나타내는 것
- 단위 길이당 radian[rad/m]
- 위상 정수 β는 파장 λ에 대하여 λ = 2π/β[m]의 관계가 있으므로 파장 정수라고도 함.

β = 2π/λ = 2π/1.5[rad/m]
[해설작성자 : 나대로]

69. 무손실 선로에서 단위 길이에 대한 직렬 인덕턴스를 L, 병렬 커패시턴스를 C, 감쇠정수를 α, 위상정수를 β, 전원의 각 주파수를 w라 할 때 다음 관계가 성립하는 것은?(2007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17%

70. 를 라플라스 변환하면?(2011년 10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18%

71. 의 나이퀴스트 선도를 도시한 것은? (단, K > 0이다.)(2018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34%

72. 정격전압에서 1[kW]의 전력을 소비하는 저항에 정격의 80[%] 전압을 가할 때의 전력[W]은?(2016년 03월)
     1. 320
     2. 540
     3. 640
     4. 860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전력 P[W] = V^2 / R
즉 전력은 전압의 제곱에 비례!
1000 x 0.8^2 = 640[W]
[해설작성자 : 나대로]

73. 블록선도에서 ⓐ에 해당하는 신호는?(2021년 09월)

    

     1. 조작량
     2. 제어량
     3. 기준입력
     4. 동작신호

     정답 : []
     정답률 : 50%

74. 다음 회로는 무엇을 나타낸 것인가?(2008년 05월)

    

     1. AND
     2. OR
     3. Exclusive OR
     4. NAND

     정답 : []
     정답률 : 16%

75. 그림과 같은 이상 변압기의 4단자 정수 A, B, C, D는 어떻게 표시되는가?(2002년 03월)

    

     1. n, 0, 0, 1/n
     2. 1/n, 0, 0, 1-n
     3. 1/n, 0, 0, n
     4. n, 0, 1, 1/n

     정답 : []
     정답률 : 15%

76. 2차 시스템의 감쇄율 δ가 δ > 1 이면 어떤 경우인가?(2011년 03월)
     1. 비 제동
     2. 과 제동
     3. 부족 제동
     4. 발산

     정답 : []
     정답률 : 25%

77.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전류 I[A]는?(2017년 05월)

    

     1. 0.2
     2. 0.5
     3. 0.7
     4. 0.9

     정답 : []
     정답률 : 28%

78. 다음의 상태방정식으로 표시되는 제어계가 있다. 이 방정식의 값은 어떻게 되는가? (단, X(O)는 초기상태 벡터이다.)(2007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

79. 개루프 전달함수 일 때 점근선의 실수축과의 교차점은?(2004년 03월)
     1. -1
     2. -1.5
     3. -2
     4. -2.5

     정답 : []
     정답률 : 6%

80. 일 때 f(t)의 최종값은?(2015년 05월)
     1. 15
     2. 5
     3. 3
     4. 2

     정답 : []
     정답률 : 34%

81. 특별고압 계기용 변성기의 2차측 전로에는 제 몇 종 접지 공사를 하여야 하는가?(2002년 03월)
     1. 제 1 종
     2. 제 2 종
     3. 제 3 종
     4. 특별 제 3 종

     정답 : []
     정답률 : 9%

82.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지지물 양측의 경간의 차가 큰 곳에 사용하는 철탑의 종류는?(2022년 03월)
     1. 내장형
     2. 보강형
     3. 직선형
     4. 인류형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333.11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철주,철근 콘크리트주 또는 철탑의 종류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지지물로 사용하는 B종 철근, B종 콘크리트주 또는 철탑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가. 직선형
전선로의 직선부분(3도 이하의 수평각도를 이루는 곳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에 사용하는 것. 다만, 내장형 및 보강형에 속하는 것을 제외한다.
나. 각도형
전선로중 3도를 초과하는 수평각도에 이루는 곳에 사용할 것.
다. 인류형
전가섭선을 인류하는 곳에 사용하는 것.
라. 내장형
전선로의 지지물 양쪽의 경간의 차가 큰 곳에 사용하는 것.
마. 보강형
전선로의 직선부분에 그 보강을 위하여 사용하는 것.
[해설작성자 : 1]

83. 쇼윈도내의 배선에 사용전압 400[V] 미만에 사용하는 캡타이어 케이블의 단면적은 최소 몇 [mm2]인가?(2010년 03월)
     1. 1.25
     2. 1.0
     3. 0.75
     4. 0.5

     정답 : []
     정답률 : 24%

84. 저압 가공 전선로와 기설 가공약전류 전선로가 병행하는 경우에 유도작용에 의한 통신상의 장해가 생기지 않도록 전선과 기설 약전류 전선과의 이격거리는 몇[m]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단, 저압 가공전선은 케이블이 아니며, 가공 약전류 전선로의 관리자의 승낙을 얻은 경우가 아님)(2007년 09월)
     1. 2
     2. 3
     3. 4
     4. 5

     정답 : []
     정답률 : 12%

85. 지중 전선로를 직접 매설식에 의하여 시설할 때, 중량물의 압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에 저압 또는 고압의 지중전선을 견고한 트라프 기타 방호물에 넣지 않고도 부설할 수 있는 케이블은?(2020년 06월)
     1. PVC 외장 케이블
     2. 콤바인덕트 케이블
     3. 염화비닐 절연 케이블
     4. 폴리에틸렌 외장 케이블

     정답 : []
     정답률 : 44%

86. 지중에 매설되어 있고 대지와의 전기저항치가 3Ω인 금속 제 수도관로를 접지공사의 접지극으로 사용할 때 접지선과 수도관로의 접속은 안지름 75mm 이상인 수도관의 경우에 몇 m 이내의 부분에서 하여야 하는가?(2004년 05월)
     1. 3
     2. 5
     3. 8
     4. 10

     정답 : []
     정답률 : 9%

87. 특고압 가공전선이 삭도와 제2차 접근 상태로 시설할 경우에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보안공사는?(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6년 05월)
     1. 고압 보안공사
     2. 제1종 특고압 보안공사
     3. 제2종 특고압 보안공사
     4. 제3종 특고압 보안공사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삭도와 1차 접근 : 3종 특고압
삭도와 2차 접근 " 2종 특고압
[해설작성자 : ㄱㅂㅎ]

(2021년 KEC 규정 변경으로 인하여 종별 접지관련 문제는 출제되지 않습니다.)

88. 케이블 트레이 공사에 사용하는 케이블 트레이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1년 10월)
     1. 케이블 트레이가 방화구획의 벽 등을 관통하는 경우에는 개구부에 연소방지 시설이나 조치를 하여야 한다.
     2. 비금속재 케이블 트레이는 난연성 재료의 것이지 않아도 된다.
     3. 금속재의 것은 적절한 방식처리를 하거나 내식성 재료의 것이어야 한다.
     4. 금속제 케이블 트레이 계통은 기계적 또는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26%

89. 건조한 장소로서 전개된 장소에 한하여 고압옥내배선을 할 수 있는 것은?(2005년 05월)
     1. 애자사용공사
     2. 합성수지관공사
     3. 금속관공사
     4. 가요전선관공사

     정답 : []
     정답률 : 14%

90. 발열선을을 도로, 주차장 또는 조영물의 조영재에 고정시켜 시설하는 경우 발열선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로의 대지전압은 몇 V 이하이어야 하는가?(2017년 03월)
     1. 100
     2. 150
     3. 200
     4. 300

     정답 : []
     정답률 : 38%

91. 교량의 윗면에 시설하는 고압 전선로는 전선의 높이를 교량의 노면상 몇 [m]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2010년 09월)
     1. 3[m]
     2. 4[m]
     3. 5[m]
     4. 6[m]

     정답 : []
     정답률 : 13%

92. 가공인입선 및 수용장소의 조영물의 옆면 등에 시설하는 전선으로서 그 수용장소의 인입구에 이르는 부분의 전선을 무엇이라고 하는가?(2018년 09월)
     1. 인입선
     2. 옥외배선
     3. 옥측배선
     4. 배전간선

     정답 : []
     정답률 : 39%

93. 고압 지중전선이 지중 약전류전선 등과 접근하거나 교차하는 경우에 상호의 이격거리가 몇 [cm]이하인 때에는 두 전선이 직접 접촉하지 아니하도록 조치 하여야 하는가?(2012년 03월)
     1. 15
     2. 20
     3. 30
     4. 40

     정답 : []
     정답률 : 19%

94. 정격전류가 30A를 넘고 40A 이하인 과전류차단기로 보호되는 저압 옥내전로에 사용되는 콘센트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2004년 09월)
     1. 정격전류가 15A 이상 30A 이하인 것을 사용한다.
     2. 정격전류가 20A 이상 30A 이하인 것을 사용한다.
     3. 정격전류가 20A 이상 40A 이하인 것을 사용한다.
     4. 정격전류가 30A 이상 40A 이하인 것을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13%

95. 일반주택 및 아파트 각 호실의 현관등은 몇 분 이내에 소등 되도록 타임 스위치를 시설해야 하는가?(2016년 05월)
     1. 3
     2. 4
     3. 5
     4. 6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호텔, 또는 여관 각 객실 입구등 : 1분 이내에 소등되는 것
일반 주택 및 아파트 각 호실의 형광등 : 3분 이내에 소등되는 것
[해설작성자 : ㄱㅂㅎ]

96. 금속 덕트 공사에 의한 저압 옥내배선 공사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2007년 05월)
     1. 금속 덕트에 넣은 전선의 단면적의 합계가 덕트의 내부 단면적의 20[%] 이하가 되게 하여야 한다.
     2. 덕트 상호간은 견고하고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 하여야 한다.
     3. 덕트를 조영재에 붙이는 경우에는 덕트의 지지점간 거리를 8[m] 이하로 하여야 한다.
     4. 저압 옥내배선의 사용전압이 400[V] 미만인 경우 덕트에 제3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14%

97. 사용전압이 170kV 이하의 변압기를 시설하는 변전소로서 기술원이 상주하여 감시하지는 않으나 수시로 순회하는 경우, 기술원이 상주하는 장소에 경보장치를 시설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는?(2021년 05월)
     1. 옥내변전소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2. 제어회로의 전압이 현저히 저하한 경우
     3. 운전조작에 필요한 차단기가 자동적으로 차단한 후 재폐로한 경우
     4. 수소냉각식 조상기는 그 조상기 안의 수소의 순도가 90% 이하로 저하된 경우

     정답 : []
     정답률 : 40%

98. 특별고압 가공 전선로의 지지물에 시설하는 통신선 또는 이에 직접 접속하는 가공 통신선의 높이는 철도 또는 궤도를 횡단하는 경우에는 레일면산 몇 [m]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2009년 03월)
     1. 5.0m
     2. 5.5m
     3. 6.0m
     4. 6.5m

     정답 : []
     정답률 : 25%

99. 고압 및 특고압 가공 전선로로부터 공급을 받는 수용장소 인입구에 반드시 시설하여야 하는 것은?(2011년 10월)
     1. 피뢰기
     2. 방전 코일
     3. 분로 리액터
     4. 조상기

     정답 : []
     정답률 : 25%

100. 가공전선과 약전류전선로 등의 지지물 사이의 이격거리는 저압 및 고압(전선이 케이블인 경우가 아님) 일 때 각각 몇 [cm] 이상이어야 하는가?(2007년 09월)
     1. 저압 30[cm], 고압 45[cm]
     2. 저압 30[cm], 고압 60[cm]
     3. 저압 45[cm], 고압 60[cm]
     4. 저압 45[cm], 고압 90[cm]

     정답 : []
     정답률 : 14%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전기공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6380664)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전기공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6380664)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114 배관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2월03일(1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113 식물보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8월2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112 경찰공무원(순경)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5월3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111 9급 지방직 공무원 화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8315431)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110 9급 국가직 공무원 형사소송법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0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109 축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6256911)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108 유기농업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575402)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107 수능(윤리와사상)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4월11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106 멀티미디어콘텐츠제작전문가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3월0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105 디지털영상편집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766477)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104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6월2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103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기계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6월2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102 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7월10일(4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101 9급 국가직 공무원 형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4월1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100 대기환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6810780)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2
6099 9급 지방직 공무원 공업화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6월1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098 워드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3월0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097 컴퓨터그래픽스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7월18일(4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096 화약류관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3월0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10 Next
/ 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