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체의 온도복사 법칙 중 절대 온도가 높아질수록 파장이 짧아지는 법칙은?(2022년 03월)
1.
스테판 볼츠만(Stefan-Boltzmann)의 법칙
2.
빈(Wien)의 변위법칙
3.
플랑크(Planck)의 복사법칙
4.
베버 페히너(Weber-Fechner)의 법칙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표면에 부딪히는 모든 복사를 흡수하는 경우 이런 물체를 흑체 라고 함 "흑체복사"라는 전자기 복사를 방출한다. 이 복사는 플랑크 법칙에 따라 방출 "슈테판-볼츠만 법칙" 전체 복사 에너지가 절대온도의 4제곱에 비례 "빈 변위 법칙"은 흑체 복사의 파장 가운데 에너지 밀도가 가장 큰 파장과 흑체의 온도가 반비례한다. "베버페히너 법칙" 찾아보니 생물학 감각관련 법칙이네요
4.
금속의 표면 열처리에 이용하며 도체에 고주파 전류를 통하면 전류가 표면에 집중하는 현상은?(2017년 05월)
1.
표피 효과
2.
톰슨 효과
3.
펀치 효과
4.
제벡 효과
정답 : [
1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도체에 고주파 전류를 통하면 전류가 표면에 집중하는 현상으로 금속의 표면 열처리에 이용함. [해설작성자 : 네네]
5.
광도가 312 cd인 전등을 지름 3m의 원탁 중심 바로 위 2m 되는 곳에 놓았다. 원탁 가장자리의 조도는 약 몇 lx인가?(2015년 05월)
반지름을 기준으로 직각 삼각형을 그리자면 (높이 2, 밑변 1.5) 빗변의 길이는 r이라 하고 r= 루트(22+ 1.52) = 2.5[m]가 되죠.
우리가 구하는 것은 가장자리의 조도, 즉 수평면조도가 됩니다. 수평면 조도의 공식은 Eh = I/r2x Cos세타 입니다. I = 312 [cd]이고 r = 2.5 [m]로 아까 구했었죠. Cos 세타는 여기서 문제에서 몇도인지 나오지 않죠. 여기서 헷갈려 하시는분들이 계시는데 직각 삼각형을 생각해봅시다. 각 변을 ABC로 하자면 삼각함수 아시죠?
Sin 세타 = B/A Cos 세타 = C/A Tan 세타 = B/C
감이 오시죠? Cos 세타는 2/2.5 가 됩니다. 여기서 저희가 그린 사인세타의 각도와 같습니다. (헷갈리시면 안됩니다. 여기서 Cos세타는 저희가 그린 삼각형의 Cos세타 각도를 구하는게 아닙니다. 수평면 조도입니다.)
Eh = I/r2x Cos세타 = 312 / 2.52x 2 / 2.5 = 39.94
즉, 40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나도 헷갈려서...]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E=F/S, F=w*I, 원뿔이니 w=2*pi*(1-cos(theta))입니다. 테이블 반지름r=1.5 따라서 S=1.5^2*pi, 마지막으로 cos(theta)는 2/root(2^2+1.5^2)=0.8이구요. 모두 대입하면 E=(2*pi*(1-0.8)*312)/(1.5^2*pi)=55.47로 반올림하면 60입니다. 위의 해설 1은 면적을 2*pi*r로 면적이 아닌 둘레를 구하셨구요, 해설 2는 아래 면적이 원형이 아닌 사각형일때에 사용하는 역제곱 법칙입니다. 수정 바랍니다. [해설작성자 : 띠용쓴]
[오류신고 반론] 조도의 일반적 의미 처음에 50이라고 생각 했던 사람입니다. 헷갈리는 이유는 법선 조도가 기본 조도인줄 알았고 수직,수평면 조도는 그 구성 성분 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조도에 대해 검색해봤는데 조도는 작업을 위한 밝기의 정도를 나타내는 측광량이라 일반적으로 조도를 지칭할 때는 수평면 조도를 의미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문제에서 조도의 방향에 대한 추가 조건이 없으므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수평면 조도로 계산하는 것입니다. [해설작성자 : 조도 차이]
6.
플라이휠 효과1[kgㆍm2]인 플라이휠 회전속도가 1500[rpm]에서 1200[rpm]으로 떨어졌다. 방출에너지는 약 몇 [J]인가?(2009년 05월)
번개로 인한 외부 이상전압이나 개폐 서지로 인한 내부 이상전압으로부터 전기시설을 보호하는 장치는?(2017년 09월)
1.
피뢰기
2.
피뢰침
3.
차단기
4.
변압기
정답 : [
1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피뢰침 건물보호 피뢰기 전기시설 보호 [해설작성자 : Pokdo]
13.
가선 금구 중 완금에 특고압 전선의 조수가 3일 때 완금의 길이(mm)는?(2020년 09월)
1.
900
2.
1400
3.
1800
4.
2400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전선 조수별 완금의 표준 길이 (특고압/고압/저압 순, 단위 mm) ㅇ2조 : 1,800 / 1,400 / 900 ㅇ3조 : 2,400 / 1,800 / 1,400 [해설작성자 : 창전동피카츄]
14.
한국전기설비규정에 따른 플로어덕트공사의 시설조건 중 연선을 사용해야만 하는 전선의 최소 단면적 기준은? (단, 전선의 도체는 구리선이며 연선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예외조건은 고려하지 않는다.)(2021년 09월)
1.
6mm2 초과
2.
10mm2 초과
3.
16mm2 초과
4.
25mm2 초과
정답 : [
2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232.32 플로어덕트공사] 1. 전선은 절연전선(옥외용 비닐절연전선을 제외한다)일 것. 2. 전선은 연선일 것. 다만, 단면적 10 mm2(알루미늄선은 단면적 16 mm2) 이하인 것은 그러하지 아니하다. 3. 플로어덕트 안에는 전선에 접속점이 없도록 할 것. 다만, 전선을 분기하는 경우에 접속점을 쉽게 점검할 수 있을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해설작성자 : 담벼락]
15.
전선 배열에 따라 장주를 구분할 때 수직배열에 해당되는 장주는?(2021년 05월)
1.
보통 장주
2.
래크 장주
3.
창출 장주
4.
편출 장주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수평 배열 : 보통 장주, 창출 장주, 편출 장주 수직 배열 : 랙크장주, 돌출랙크장주 [해설작성자 : gangs]
16.
다음 절연전선의 종류에서 절연물의 최고 허용온도가 75℃인 전선은 어느 것인가?(2007년 03월)
1.
600V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전선
2.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전선
3.
600V 2종 비닐절연전선
4.
IV전선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1. 90℃ 2. 120℃ 4. 60℃ [해설작성자 : ruru]
17.
점유 면적이 좁고, 운전·보수가 안전하여 공장 및 빌딩 등의 전기설에 많이 사용되는 배전반은?(2010년 05월)
1.
데드 프런트형
2.
수직형
3.
큐비클형
4.
라이브 프런트형
정답 : [
3
] 정답률 : 87%
18.
300W 이상의 백열전구에 사용되는 베이스의 크기는?(2020년 09월)
1.
E10
2.
E17
3.
E26
4.
E39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E10 : 장식용 회전등으로 사용되는 작은 전구용 E12 : 배전반 표시등 E17 : 사인 전구용 E26 : 250W이하 병형 전구용 E39 : 300W이상 대형 전구용 [해설작성자 : 랄랄라]
19.
일정한 전압을 가진 전지에 부하를 걸면 단자 전압이 저하되는 원인은?(2017년 05월)
1.
주위 온도
2.
분극 작용
3.
이온화 경향
4.
전해액의 변색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전기 분해를 하고 있는 전해조 내에는 생성물이 액 속에서 일종의 전지를 만들어 외부에서 가하고 있는 전압과 역방향으로 기전력을 발생하여 전류를 잘 흐르지 못하도록 한다. 이를 분극작용이라함. [해설작성자 : 신종윤]
20.
케이블 트레이공사에 별도의 조치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케이블은?(2009년 08월)
1.
VV케이블
2.
EV케이블
3.
CV케이블
4.
연피케이블
정답 : [
4
] 정답률 : 71%
2과목 : 전력공학
21.
3상용 차단기의 용량은 그 차단기의 정격전압과 정격차단 전류와의 곱을 몇 배한 것인가?(2014년 05월)
1.
2.
3.
√2
4.
√3
정답 : [
4
] 정답률 : 34%
22.
송전선로의 1선 지락고장시, 인접 통신선에 대한 전자 유도장애의 방지대책이 아닌 것은?(2003년 03월)
1.
전력선과 통신선과의 병행거리 단축
2.
전력선과 통신선과의 이격거리 단축
3.
고속도계전기 및 차단기를 채용
4.
도전률이 높은 도체로 가공지선 설치
정답 : [
2
] 정답률 : 15%
23.
수력 발전소에서 흡출관을 사용하는 목적은?(2016년 05월)
1.
압력을 줄인다.
2.
유효 낙차를 늘린다. .
3.
속도 변동률을 작게 한다.
4.
물의 유선을 일정하게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36%
24.
3상 3선식 송전선에서 한 선의 저항이 10Ω, 리액턴스가 20Ω이며, 수전단의 선간전압이 60kV, 부하역률이 0.8인 경우에 전압강하율이 10%라 하면 이 송전선로는 약 몇 kW까지 수전할 수 있는가?(2021년 03월)
위상 정수, 位相定數, phase constant - 분포 정수 회로를 전파(傳播)하는 전압이나 전류는 전파 방향을 따라 위상의 지연이 생김 - 이때 선로의 단위 길이당 위상차를 나타내는 것 - 단위 길이당 radian[rad/m] - 위상 정수 β는 파장 λ에 대하여 λ = 2π/β[m]의 관계가 있으므로 파장 정수라고도 함.
β = 2π/λ = 2π/1.5[rad/m] [해설작성자 : 나대로]
69.
무손실 선로에서 단위 길이에 대한 직렬 인덕턴스를 L, 병렬 커패시턴스를 C, 감쇠정수를 α, 위상정수를 β, 전원의 각 주파수를 w라 할 때 다음 관계가 성립하는 것은?(2007년 09월)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17%
70.
를 라플라스 변환하면?(2011년 10월)
1.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18%
71.
의 나이퀴스트 선도를 도시한 것은? (단, K > 0이다.)(2018년 09월)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34%
72.
정격전압에서 1[kW]의 전력을 소비하는 저항에 정격의 80[%] 전압을 가할 때의 전력[W]은?(2016년 03월)
1.
320
2.
540
3.
640
4.
860
정답 : [
3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전력 P[W] = V^2 / R 즉 전력은 전압의 제곱에 비례! 1000 x 0.8^2 = 640[W] [해설작성자 : 나대로]
73.
블록선도에서 ⓐ에 해당하는 신호는?(2021년 09월)
1.
조작량
2.
제어량
3.
기준입력
4.
동작신호
정답 : [
4
] 정답률 : 50%
74.
다음 회로는 무엇을 나타낸 것인가?(2008년 05월)
1.
AND
2.
OR
3.
Exclusive OR
4.
NAND
정답 : [
3
] 정답률 : 16%
75.
그림과 같은 이상 변압기의 4단자 정수 A, B, C, D는 어떻게 표시되는가?(2002년 03월)
1.
n, 0, 0, 1/n
2.
1/n, 0, 0, 1-n
3.
1/n, 0, 0, n
4.
n, 0, 1, 1/n
정답 : [
3
] 정답률 : 15%
76.
2차 시스템의 감쇄율 δ가 δ > 1 이면 어떤 경우인가?(2011년 03월)
1.
비 제동
2.
과 제동
3.
부족 제동
4.
발산
정답 : [
2
] 정답률 : 25%
77.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전류 I[A]는?(2017년 05월)
1.
0.2
2.
0.5
3.
0.7
4.
0.9
정답 : [
2
] 정답률 : 28%
78.
다음의 상태방정식으로 표시되는 제어계가 있다. 이 방정식의 값은 어떻게 되는가? (단, X(O)는 초기상태 벡터이다.)(2007년 03월)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6%
79.
개루프 전달함수 일 때 점근선의 실수축과의 교차점은?(2004년 03월)
1.
-1
2.
-1.5
3.
-2
4.
-2.5
정답 : [
4
] 정답률 : 6%
80.
일 때 f(t)의 최종값은?(2015년 05월)
1.
15
2.
5
3.
3
4.
2
정답 : [
2
] 정답률 : 34%
81.
특별고압 계기용 변성기의 2차측 전로에는 제 몇 종 접지 공사를 하여야 하는가?(2002년 03월)
1.
제 1 종
2.
제 2 종
3.
제 3 종
4.
특별 제 3 종
정답 : [
1
] 정답률 : 9%
82.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지지물 양측의 경간의 차가 큰 곳에 사용하는 철탑의 종류는?(2022년 03월)
1.
내장형
2.
보강형
3.
직선형
4.
인류형
정답 : [
1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333.11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철주,철근 콘크리트주 또는 철탑의 종류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지지물로 사용하는 B종 철근, B종 콘크리트주 또는 철탑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가. 직선형 전선로의 직선부분(3도 이하의 수평각도를 이루는 곳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에 사용하는 것. 다만, 내장형 및 보강형에 속하는 것을 제외한다. 나. 각도형 전선로중 3도를 초과하는 수평각도에 이루는 곳에 사용할 것. 다. 인류형 전가섭선을 인류하는 곳에 사용하는 것. 라. 내장형 전선로의 지지물 양쪽의 경간의 차가 큰 곳에 사용하는 것. 마. 보강형 전선로의 직선부분에 그 보강을 위하여 사용하는 것. [해설작성자 : 1]
83.
쇼윈도내의 배선에 사용전압 400[V] 미만에 사용하는 캡타이어 케이블의 단면적은 최소 몇 [mm2]인가?(2010년 03월)
1.
1.25
2.
1.0
3.
0.75
4.
0.5
정답 : [
3
] 정답률 : 24%
84.
저압 가공 전선로와 기설 가공약전류 전선로가 병행하는 경우에 유도작용에 의한 통신상의 장해가 생기지 않도록 전선과 기설 약전류 전선과의 이격거리는 몇[m]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단, 저압 가공전선은 케이블이 아니며, 가공 약전류 전선로의 관리자의 승낙을 얻은 경우가 아님)(2007년 09월)
1.
2
2.
3
3.
4
4.
5
정답 : [
1
] 정답률 : 12%
85.
지중 전선로를 직접 매설식에 의하여 시설할 때, 중량물의 압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에 저압 또는 고압의 지중전선을 견고한 트라프 기타 방호물에 넣지 않고도 부설할 수 있는 케이블은?(2020년 06월)
1.
PVC 외장 케이블
2.
콤바인덕트 케이블
3.
염화비닐 절연 케이블
4.
폴리에틸렌 외장 케이블
정답 : [
2
] 정답률 : 44%
86.
지중에 매설되어 있고 대지와의 전기저항치가 3Ω인 금속 제 수도관로를 접지공사의 접지극으로 사용할 때 접지선과 수도관로의 접속은 안지름 75mm 이상인 수도관의 경우에 몇 m 이내의 부분에서 하여야 하는가?(2004년 05월)
1.
3
2.
5
3.
8
4.
10
정답 : [
2
] 정답률 : 9%
87.
특고압 가공전선이 삭도와 제2차 접근 상태로 시설할 경우에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보안공사는?(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6년 05월)
1.
고압 보안공사
2.
제1종 특고압 보안공사
3.
제2종 특고압 보안공사
4.
제3종 특고압 보안공사
정답 : [
3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삭도와 1차 접근 : 3종 특고압 삭도와 2차 접근 " 2종 특고압 [해설작성자 : ㄱㅂㅎ]
(2021년 KEC 규정 변경으로 인하여 종별 접지관련 문제는 출제되지 않습니다.)
88.
케이블 트레이 공사에 사용하는 케이블 트레이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1년 10월)
1.
케이블 트레이가 방화구획의 벽 등을 관통하는 경우에는 개구부에 연소방지 시설이나 조치를 하여야 한다.
2.
비금속재 케이블 트레이는 난연성 재료의 것이지 않아도 된다.
3.
금속재의 것은 적절한 방식처리를 하거나 내식성 재료의 것이어야 한다.
4.
금속제 케이블 트레이 계통은 기계적 또는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하여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26%
89.
건조한 장소로서 전개된 장소에 한하여 고압옥내배선을 할 수 있는 것은?(2005년 05월)
1.
애자사용공사
2.
합성수지관공사
3.
금속관공사
4.
가요전선관공사
정답 : [
1
] 정답률 : 14%
90.
발열선을을 도로, 주차장 또는 조영물의 조영재에 고정시켜 시설하는 경우 발열선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로의 대지전압은 몇 V 이하이어야 하는가?(2017년 03월)
1.
100
2.
150
3.
200
4.
300
정답 : [
4
] 정답률 : 38%
91.
교량의 윗면에 시설하는 고압 전선로는 전선의 높이를 교량의 노면상 몇 [m]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2010년 09월)
1.
3[m]
2.
4[m]
3.
5[m]
4.
6[m]
정답 : [
3
] 정답률 : 13%
92.
가공인입선 및 수용장소의 조영물의 옆면 등에 시설하는 전선으로서 그 수용장소의 인입구에 이르는 부분의 전선을 무엇이라고 하는가?(2018년 09월)
1.
인입선
2.
옥외배선
3.
옥측배선
4.
배전간선
정답 : [
1
] 정답률 : 39%
93.
고압 지중전선이 지중 약전류전선 등과 접근하거나 교차하는 경우에 상호의 이격거리가 몇 [cm]이하인 때에는 두 전선이 직접 접촉하지 아니하도록 조치 하여야 하는가?(2012년 03월)
1.
15
2.
20
3.
30
4.
40
정답 : [
3
] 정답률 : 19%
94.
정격전류가 30A를 넘고 40A 이하인 과전류차단기로 보호되는 저압 옥내전로에 사용되는 콘센트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2004년 09월)
1.
정격전류가 15A 이상 30A 이하인 것을 사용한다.
2.
정격전류가 20A 이상 30A 이하인 것을 사용한다.
3.
정격전류가 20A 이상 40A 이하인 것을 사용한다.
4.
정격전류가 30A 이상 40A 이하인 것을 사용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13%
95.
일반주택 및 아파트 각 호실의 현관등은 몇 분 이내에 소등 되도록 타임 스위치를 시설해야 하는가?(2016년 05월)
1.
3
2.
4
3.
5
4.
6
정답 : [
1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호텔, 또는 여관 각 객실 입구등 : 1분 이내에 소등되는 것 일반 주택 및 아파트 각 호실의 형광등 : 3분 이내에 소등되는 것 [해설작성자 : ㄱㅂㅎ]
96.
금속 덕트 공사에 의한 저압 옥내배선 공사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2007년 05월)
1.
금속 덕트에 넣은 전선의 단면적의 합계가 덕트의 내부 단면적의 20[%] 이하가 되게 하여야 한다.
2.
덕트 상호간은 견고하고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 하여야 한다.
3.
덕트를 조영재에 붙이는 경우에는 덕트의 지지점간 거리를 8[m] 이하로 하여야 한다.
4.
저압 옥내배선의 사용전압이 400[V] 미만인 경우 덕트에 제3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14%
97.
사용전압이 170kV 이하의 변압기를 시설하는 변전소로서 기술원이 상주하여 감시하지는 않으나 수시로 순회하는 경우, 기술원이 상주하는 장소에 경보장치를 시설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는?(2021년 05월)
1.
옥내변전소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2.
제어회로의 전압이 현저히 저하한 경우
3.
운전조작에 필요한 차단기가 자동적으로 차단한 후 재폐로한 경우
4.
수소냉각식 조상기는 그 조상기 안의 수소의 순도가 90% 이하로 저하된 경우
정답 : [
3
] 정답률 : 40%
98.
특별고압 가공 전선로의 지지물에 시설하는 통신선 또는 이에 직접 접속하는 가공 통신선의 높이는 철도 또는 궤도를 횡단하는 경우에는 레일면산 몇 [m]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2009년 03월)
1.
5.0m
2.
5.5m
3.
6.0m
4.
6.5m
정답 : [
4
] 정답률 : 25%
99.
고압 및 특고압 가공 전선로로부터 공급을 받는 수용장소 인입구에 반드시 시설하여야 하는 것은?(2011년 10월)
1.
피뢰기
2.
방전 코일
3.
분로 리액터
4.
조상기
정답 : [
1
] 정답률 : 25%
100.
가공전선과 약전류전선로 등의 지지물 사이의 이격거리는 저압 및 고압(전선이 케이블인 경우가 아님) 일 때 각각 몇 [cm] 이상이어야 하는가?(2007년 09월)
1.
저압 30[cm], 고압 45[cm]
2.
저압 30[cm], 고압 60[cm]
3.
저압 45[cm], 고압 60[cm]
4.
저압 45[cm], 고압 90[cm]
정답 : [
2
] 정답률 : 14%
정 답 지
전기공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6380664)
흑체의 온도복사 법칙 중 절대 온도가 높아질수록 파장이 짧아지는 법칙은?(2022년 03월)
1.
스테판 볼츠만(Stefan-Boltzmann)의 법칙
2.
빈(Wien)의 변위법칙
3.
플랑크(Planck)의 복사법칙
4.
베버 페히너(Weber-Fechner)의 법칙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표면에 부딪히는 모든 복사를 흡수하는 경우 이런 물체를 흑체 라고 함 "흑체복사"라는 전자기 복사를 방출한다. 이 복사는 플랑크 법칙에 따라 방출 "슈테판-볼츠만 법칙" 전체 복사 에너지가 절대온도의 4제곱에 비례 "빈 변위 법칙"은 흑체 복사의 파장 가운데 에너지 밀도가 가장 큰 파장과 흑체의 온도가 반비례한다. "베버페히너 법칙" 찾아보니 생물학 감각관련 법칙이네요
4.
금속의 표면 열처리에 이용하며 도체에 고주파 전류를 통하면 전류가 표면에 집중하는 현상은?(2017년 05월)
1.
표피 효과
2.
톰슨 효과
3.
펀치 효과
4.
제벡 효과
정답 : [
1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도체에 고주파 전류를 통하면 전류가 표면에 집중하는 현상으로 금속의 표면 열처리에 이용함. [해설작성자 : 네네]
5.
광도가 312 cd인 전등을 지름 3m의 원탁 중심 바로 위 2m 되는 곳에 놓았다. 원탁 가장자리의 조도는 약 몇 lx인가?(2015년 05월)
반지름을 기준으로 직각 삼각형을 그리자면 (높이 2, 밑변 1.5) 빗변의 길이는 r이라 하고 r= 루트(22+ 1.52) = 2.5[m]가 되죠.
우리가 구하는 것은 가장자리의 조도, 즉 수평면조도가 됩니다. 수평면 조도의 공식은 Eh = I/r2x Cos세타 입니다. I = 312 [cd]이고 r = 2.5 [m]로 아까 구했었죠. Cos 세타는 여기서 문제에서 몇도인지 나오지 않죠. 여기서 헷갈려 하시는분들이 계시는데 직각 삼각형을 생각해봅시다. 각 변을 ABC로 하자면 삼각함수 아시죠?
Sin 세타 = B/A Cos 세타 = C/A Tan 세타 = B/C
감이 오시죠? Cos 세타는 2/2.5 가 됩니다. 여기서 저희가 그린 사인세타의 각도와 같습니다. (헷갈리시면 안됩니다. 여기서 Cos세타는 저희가 그린 삼각형의 Cos세타 각도를 구하는게 아닙니다. 수평면 조도입니다.)
Eh = I/r2x Cos세타 = 312 / 2.52x 2 / 2.5 = 39.94
즉, 40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나도 헷갈려서...]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E=F/S, F=w*I, 원뿔이니 w=2*pi*(1-cos(theta))입니다. 테이블 반지름r=1.5 따라서 S=1.5^2*pi, 마지막으로 cos(theta)는 2/root(2^2+1.5^2)=0.8이구요. 모두 대입하면 E=(2*pi*(1-0.8)*312)/(1.5^2*pi)=55.47로 반올림하면 60입니다. 위의 해설 1은 면적을 2*pi*r로 면적이 아닌 둘레를 구하셨구요, 해설 2는 아래 면적이 원형이 아닌 사각형일때에 사용하는 역제곱 법칙입니다. 수정 바랍니다. [해설작성자 : 띠용쓴]
[오류신고 반론] 조도의 일반적 의미 처음에 50이라고 생각 했던 사람입니다. 헷갈리는 이유는 법선 조도가 기본 조도인줄 알았고 수직,수평면 조도는 그 구성 성분 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조도에 대해 검색해봤는데 조도는 작업을 위한 밝기의 정도를 나타내는 측광량이라 일반적으로 조도를 지칭할 때는 수평면 조도를 의미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문제에서 조도의 방향에 대한 추가 조건이 없으므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수평면 조도로 계산하는 것입니다. [해설작성자 : 조도 차이]
6.
플라이휠 효과1[kgㆍm2]인 플라이휠 회전속도가 1500[rpm]에서 1200[rpm]으로 떨어졌다. 방출에너지는 약 몇 [J]인가?(2009년 05월)
번개로 인한 외부 이상전압이나 개폐 서지로 인한 내부 이상전압으로부터 전기시설을 보호하는 장치는?(2017년 09월)
1.
피뢰기
2.
피뢰침
3.
차단기
4.
변압기
정답 : [
1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피뢰침 건물보호 피뢰기 전기시설 보호 [해설작성자 : Pokdo]
13.
가선 금구 중 완금에 특고압 전선의 조수가 3일 때 완금의 길이(mm)는?(2020년 09월)
1.
900
2.
1400
3.
1800
4.
2400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전선 조수별 완금의 표준 길이 (특고압/고압/저압 순, 단위 mm) ㅇ2조 : 1,800 / 1,400 / 900 ㅇ3조 : 2,400 / 1,800 / 1,400 [해설작성자 : 창전동피카츄]
14.
한국전기설비규정에 따른 플로어덕트공사의 시설조건 중 연선을 사용해야만 하는 전선의 최소 단면적 기준은? (단, 전선의 도체는 구리선이며 연선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예외조건은 고려하지 않는다.)(2021년 09월)
1.
6mm2 초과
2.
10mm2 초과
3.
16mm2 초과
4.
25mm2 초과
정답 : [
2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232.32 플로어덕트공사] 1. 전선은 절연전선(옥외용 비닐절연전선을 제외한다)일 것. 2. 전선은 연선일 것. 다만, 단면적 10 mm2(알루미늄선은 단면적 16 mm2) 이하인 것은 그러하지 아니하다. 3. 플로어덕트 안에는 전선에 접속점이 없도록 할 것. 다만, 전선을 분기하는 경우에 접속점을 쉽게 점검할 수 있을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해설작성자 : 담벼락]
15.
전선 배열에 따라 장주를 구분할 때 수직배열에 해당되는 장주는?(2021년 05월)
1.
보통 장주
2.
래크 장주
3.
창출 장주
4.
편출 장주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수평 배열 : 보통 장주, 창출 장주, 편출 장주 수직 배열 : 랙크장주, 돌출랙크장주 [해설작성자 : gangs]
16.
다음 절연전선의 종류에서 절연물의 최고 허용온도가 75℃인 전선은 어느 것인가?(2007년 03월)
1.
600V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전선
2.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전선
3.
600V 2종 비닐절연전선
4.
IV전선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1. 90℃ 2. 120℃ 4. 60℃ [해설작성자 : ruru]
17.
점유 면적이 좁고, 운전·보수가 안전하여 공장 및 빌딩 등의 전기설에 많이 사용되는 배전반은?(2010년 05월)
1.
데드 프런트형
2.
수직형
3.
큐비클형
4.
라이브 프런트형
정답 : [
3
] 정답률 : 87%
18.
300W 이상의 백열전구에 사용되는 베이스의 크기는?(2020년 09월)
1.
E10
2.
E17
3.
E26
4.
E39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E10 : 장식용 회전등으로 사용되는 작은 전구용 E12 : 배전반 표시등 E17 : 사인 전구용 E26 : 250W이하 병형 전구용 E39 : 300W이상 대형 전구용 [해설작성자 : 랄랄라]
19.
일정한 전압을 가진 전지에 부하를 걸면 단자 전압이 저하되는 원인은?(2017년 05월)
1.
주위 온도
2.
분극 작용
3.
이온화 경향
4.
전해액의 변색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전기 분해를 하고 있는 전해조 내에는 생성물이 액 속에서 일종의 전지를 만들어 외부에서 가하고 있는 전압과 역방향으로 기전력을 발생하여 전류를 잘 흐르지 못하도록 한다. 이를 분극작용이라함. [해설작성자 : 신종윤]
20.
케이블 트레이공사에 별도의 조치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케이블은?(2009년 08월)
1.
VV케이블
2.
EV케이블
3.
CV케이블
4.
연피케이블
정답 : [
4
] 정답률 : 71%
2과목 : 전력공학
21.
3상용 차단기의 용량은 그 차단기의 정격전압과 정격차단 전류와의 곱을 몇 배한 것인가?(2014년 05월)
1.
2.
3.
√2
4.
√3
정답 : [
4
] 정답률 : 34%
22.
송전선로의 1선 지락고장시, 인접 통신선에 대한 전자 유도장애의 방지대책이 아닌 것은?(2003년 03월)
1.
전력선과 통신선과의 병행거리 단축
2.
전력선과 통신선과의 이격거리 단축
3.
고속도계전기 및 차단기를 채용
4.
도전률이 높은 도체로 가공지선 설치
정답 : [
2
] 정답률 : 15%
23.
수력 발전소에서 흡출관을 사용하는 목적은?(2016년 05월)
1.
압력을 줄인다.
2.
유효 낙차를 늘린다. .
3.
속도 변동률을 작게 한다.
4.
물의 유선을 일정하게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36%
24.
3상 3선식 송전선에서 한 선의 저항이 10Ω, 리액턴스가 20Ω이며, 수전단의 선간전압이 60kV, 부하역률이 0.8인 경우에 전압강하율이 10%라 하면 이 송전선로는 약 몇 kW까지 수전할 수 있는가?(2021년 03월)
위상 정수, 位相定數, phase constant - 분포 정수 회로를 전파(傳播)하는 전압이나 전류는 전파 방향을 따라 위상의 지연이 생김 - 이때 선로의 단위 길이당 위상차를 나타내는 것 - 단위 길이당 radian[rad/m] - 위상 정수 β는 파장 λ에 대하여 λ = 2π/β[m]의 관계가 있으므로 파장 정수라고도 함.
β = 2π/λ = 2π/1.5[rad/m] [해설작성자 : 나대로]
69.
무손실 선로에서 단위 길이에 대한 직렬 인덕턴스를 L, 병렬 커패시턴스를 C, 감쇠정수를 α, 위상정수를 β, 전원의 각 주파수를 w라 할 때 다음 관계가 성립하는 것은?(2007년 09월)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17%
70.
를 라플라스 변환하면?(2011년 10월)
1.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18%
71.
의 나이퀴스트 선도를 도시한 것은? (단, K > 0이다.)(2018년 09월)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34%
72.
정격전압에서 1[kW]의 전력을 소비하는 저항에 정격의 80[%] 전압을 가할 때의 전력[W]은?(2016년 03월)
1.
320
2.
540
3.
640
4.
860
정답 : [
3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전력 P[W] = V^2 / R 즉 전력은 전압의 제곱에 비례! 1000 x 0.8^2 = 640[W] [해설작성자 : 나대로]
73.
블록선도에서 ⓐ에 해당하는 신호는?(2021년 09월)
1.
조작량
2.
제어량
3.
기준입력
4.
동작신호
정답 : [
4
] 정답률 : 50%
74.
다음 회로는 무엇을 나타낸 것인가?(2008년 05월)
1.
AND
2.
OR
3.
Exclusive OR
4.
NAND
정답 : [
3
] 정답률 : 16%
75.
그림과 같은 이상 변압기의 4단자 정수 A, B, C, D는 어떻게 표시되는가?(2002년 03월)
1.
n, 0, 0, 1/n
2.
1/n, 0, 0, 1-n
3.
1/n, 0, 0, n
4.
n, 0, 1, 1/n
정답 : [
3
] 정답률 : 15%
76.
2차 시스템의 감쇄율 δ가 δ > 1 이면 어떤 경우인가?(2011년 03월)
1.
비 제동
2.
과 제동
3.
부족 제동
4.
발산
정답 : [
2
] 정답률 : 25%
77.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전류 I[A]는?(2017년 05월)
1.
0.2
2.
0.5
3.
0.7
4.
0.9
정답 : [
2
] 정답률 : 28%
78.
다음의 상태방정식으로 표시되는 제어계가 있다. 이 방정식의 값은 어떻게 되는가? (단, X(O)는 초기상태 벡터이다.)(2007년 03월)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6%
79.
개루프 전달함수 일 때 점근선의 실수축과의 교차점은?(2004년 03월)
1.
-1
2.
-1.5
3.
-2
4.
-2.5
정답 : [
4
] 정답률 : 6%
80.
일 때 f(t)의 최종값은?(2015년 05월)
1.
15
2.
5
3.
3
4.
2
정답 : [
2
] 정답률 : 34%
81.
특별고압 계기용 변성기의 2차측 전로에는 제 몇 종 접지 공사를 하여야 하는가?(2002년 03월)
1.
제 1 종
2.
제 2 종
3.
제 3 종
4.
특별 제 3 종
정답 : [
1
] 정답률 : 9%
82.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지지물 양측의 경간의 차가 큰 곳에 사용하는 철탑의 종류는?(2022년 03월)
1.
내장형
2.
보강형
3.
직선형
4.
인류형
정답 : [
1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333.11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철주,철근 콘크리트주 또는 철탑의 종류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지지물로 사용하는 B종 철근, B종 콘크리트주 또는 철탑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가. 직선형 전선로의 직선부분(3도 이하의 수평각도를 이루는 곳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에 사용하는 것. 다만, 내장형 및 보강형에 속하는 것을 제외한다. 나. 각도형 전선로중 3도를 초과하는 수평각도에 이루는 곳에 사용할 것. 다. 인류형 전가섭선을 인류하는 곳에 사용하는 것. 라. 내장형 전선로의 지지물 양쪽의 경간의 차가 큰 곳에 사용하는 것. 마. 보강형 전선로의 직선부분에 그 보강을 위하여 사용하는 것. [해설작성자 : 1]
83.
쇼윈도내의 배선에 사용전압 400[V] 미만에 사용하는 캡타이어 케이블의 단면적은 최소 몇 [mm2]인가?(2010년 03월)
1.
1.25
2.
1.0
3.
0.75
4.
0.5
정답 : [
3
] 정답률 : 24%
84.
저압 가공 전선로와 기설 가공약전류 전선로가 병행하는 경우에 유도작용에 의한 통신상의 장해가 생기지 않도록 전선과 기설 약전류 전선과의 이격거리는 몇[m]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단, 저압 가공전선은 케이블이 아니며, 가공 약전류 전선로의 관리자의 승낙을 얻은 경우가 아님)(2007년 09월)
1.
2
2.
3
3.
4
4.
5
정답 : [
1
] 정답률 : 12%
85.
지중 전선로를 직접 매설식에 의하여 시설할 때, 중량물의 압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에 저압 또는 고압의 지중전선을 견고한 트라프 기타 방호물에 넣지 않고도 부설할 수 있는 케이블은?(2020년 06월)
1.
PVC 외장 케이블
2.
콤바인덕트 케이블
3.
염화비닐 절연 케이블
4.
폴리에틸렌 외장 케이블
정답 : [
2
] 정답률 : 44%
86.
지중에 매설되어 있고 대지와의 전기저항치가 3Ω인 금속 제 수도관로를 접지공사의 접지극으로 사용할 때 접지선과 수도관로의 접속은 안지름 75mm 이상인 수도관의 경우에 몇 m 이내의 부분에서 하여야 하는가?(2004년 05월)
1.
3
2.
5
3.
8
4.
10
정답 : [
2
] 정답률 : 9%
87.
특고압 가공전선이 삭도와 제2차 접근 상태로 시설할 경우에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보안공사는?(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6년 05월)
1.
고압 보안공사
2.
제1종 특고압 보안공사
3.
제2종 특고압 보안공사
4.
제3종 특고압 보안공사
정답 : [
3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삭도와 1차 접근 : 3종 특고압 삭도와 2차 접근 " 2종 특고압 [해설작성자 : ㄱㅂㅎ]
(2021년 KEC 규정 변경으로 인하여 종별 접지관련 문제는 출제되지 않습니다.)
88.
케이블 트레이 공사에 사용하는 케이블 트레이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1년 10월)
1.
케이블 트레이가 방화구획의 벽 등을 관통하는 경우에는 개구부에 연소방지 시설이나 조치를 하여야 한다.
2.
비금속재 케이블 트레이는 난연성 재료의 것이지 않아도 된다.
3.
금속재의 것은 적절한 방식처리를 하거나 내식성 재료의 것이어야 한다.
4.
금속제 케이블 트레이 계통은 기계적 또는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하여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26%
89.
건조한 장소로서 전개된 장소에 한하여 고압옥내배선을 할 수 있는 것은?(2005년 05월)
1.
애자사용공사
2.
합성수지관공사
3.
금속관공사
4.
가요전선관공사
정답 : [
1
] 정답률 : 14%
90.
발열선을을 도로, 주차장 또는 조영물의 조영재에 고정시켜 시설하는 경우 발열선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로의 대지전압은 몇 V 이하이어야 하는가?(2017년 03월)
1.
100
2.
150
3.
200
4.
300
정답 : [
4
] 정답률 : 38%
91.
교량의 윗면에 시설하는 고압 전선로는 전선의 높이를 교량의 노면상 몇 [m]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2010년 09월)
1.
3[m]
2.
4[m]
3.
5[m]
4.
6[m]
정답 : [
3
] 정답률 : 13%
92.
가공인입선 및 수용장소의 조영물의 옆면 등에 시설하는 전선으로서 그 수용장소의 인입구에 이르는 부분의 전선을 무엇이라고 하는가?(2018년 09월)
1.
인입선
2.
옥외배선
3.
옥측배선
4.
배전간선
정답 : [
1
] 정답률 : 39%
93.
고압 지중전선이 지중 약전류전선 등과 접근하거나 교차하는 경우에 상호의 이격거리가 몇 [cm]이하인 때에는 두 전선이 직접 접촉하지 아니하도록 조치 하여야 하는가?(2012년 03월)
1.
15
2.
20
3.
30
4.
40
정답 : [
3
] 정답률 : 19%
94.
정격전류가 30A를 넘고 40A 이하인 과전류차단기로 보호되는 저압 옥내전로에 사용되는 콘센트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2004년 09월)
1.
정격전류가 15A 이상 30A 이하인 것을 사용한다.
2.
정격전류가 20A 이상 30A 이하인 것을 사용한다.
3.
정격전류가 20A 이상 40A 이하인 것을 사용한다.
4.
정격전류가 30A 이상 40A 이하인 것을 사용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13%
95.
일반주택 및 아파트 각 호실의 현관등은 몇 분 이내에 소등 되도록 타임 스위치를 시설해야 하는가?(2016년 05월)
1.
3
2.
4
3.
5
4.
6
정답 : [
1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호텔, 또는 여관 각 객실 입구등 : 1분 이내에 소등되는 것 일반 주택 및 아파트 각 호실의 형광등 : 3분 이내에 소등되는 것 [해설작성자 : ㄱㅂㅎ]
96.
금속 덕트 공사에 의한 저압 옥내배선 공사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2007년 05월)
1.
금속 덕트에 넣은 전선의 단면적의 합계가 덕트의 내부 단면적의 20[%] 이하가 되게 하여야 한다.
2.
덕트 상호간은 견고하고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 하여야 한다.
3.
덕트를 조영재에 붙이는 경우에는 덕트의 지지점간 거리를 8[m] 이하로 하여야 한다.
4.
저압 옥내배선의 사용전압이 400[V] 미만인 경우 덕트에 제3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14%
97.
사용전압이 170kV 이하의 변압기를 시설하는 변전소로서 기술원이 상주하여 감시하지는 않으나 수시로 순회하는 경우, 기술원이 상주하는 장소에 경보장치를 시설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는?(2021년 05월)
1.
옥내변전소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2.
제어회로의 전압이 현저히 저하한 경우
3.
운전조작에 필요한 차단기가 자동적으로 차단한 후 재폐로한 경우
4.
수소냉각식 조상기는 그 조상기 안의 수소의 순도가 90% 이하로 저하된 경우
정답 : [
3
] 정답률 : 40%
98.
특별고압 가공 전선로의 지지물에 시설하는 통신선 또는 이에 직접 접속하는 가공 통신선의 높이는 철도 또는 궤도를 횡단하는 경우에는 레일면산 몇 [m]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2009년 03월)
1.
5.0m
2.
5.5m
3.
6.0m
4.
6.5m
정답 : [
4
] 정답률 : 25%
99.
고압 및 특고압 가공 전선로로부터 공급을 받는 수용장소 인입구에 반드시 시설하여야 하는 것은?(2011년 10월)
1.
피뢰기
2.
방전 코일
3.
분로 리액터
4.
조상기
정답 : [
1
] 정답률 : 25%
100.
가공전선과 약전류전선로 등의 지지물 사이의 이격거리는 저압 및 고압(전선이 케이블인 경우가 아님) 일 때 각각 몇 [cm] 이상이어야 하는가?(2007년 09월)
1.
저압 30[cm], 고압 45[cm]
2.
저압 30[cm], 고압 60[cm]
3.
저압 45[cm], 고압 60[cm]
4.
저압 45[cm], 고압 90[cm]
정답 : [
2
] 정답률 : 14%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④
①
②
①
②
①
②
③
③
①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③
①
④
②
②
③
③
④
②
④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④
②
②
③
④
①
①
①
①
②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③
②
③
④
①
②
①
②
③
③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④
④
③
③
④
③
③
③
④
④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①
①
①
③
②
①
②
①
④
①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④
④
②
④
③
①
①
①
①
④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②
③
④
③
③
②
②
②
④
②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①
①
③
①
②
②
③
②
①
④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③
①
③
④
①
③
③
④
①
②
전기공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6380664)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