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소주의 정원 중 화려한 정원 건축물이 많고 허와 실, 명암대비 등 변화있는 공간처리와 유기적 건축배치를 가진 것은?(2018년 04월)
1.
졸정원
2.
사자림
3.
작원
4.
유원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졸정원과 함께 중국 4대 정원 중 하나인 유원(留園)은 명나라 때 서시태가 만든 개인 정원으로 700m의 긴 회랑과 회랑 벽면의 각각 다른 모양의 창, 그리고 그 창을 통해 바라보는 정원의 경관이 그림처럼 아름다운 곳이다. [해설작성자 : 팔봉K]
문제에 답이 있다. 유기적에서 '유' , 정원에서 '원' -> '유원' [해설작성자 : 눈누난나]
3.
고대 그리스 건축양식중 중심건물이 되는 파르테논신전의 기둥은 기초석이 없이 조망되어지는 수직성을 강조하는 형태로 조영되었다고 하는데, 어떤 기둥 양식인가?(2005년 09월)
1.
도리아식
2.
이오니아식
3.
코린트식
4.
파르테논식
정답 : [
1
] 정답률 : 67%
4.
Villa Madama의 설명 중 적당치 않은 것은?(2004년 03월)
1.
Raffaello가 설계하였으나 그의 사후 조수인 상갈로(Sangallo) 등에 의해 완성되었다
2.
최초의 노단 건축식 수법으로 이태리 조경의 전환기가 되었다
3.
기하학적인 곡선을 따라서 광대한 식재원을 건물 주위에 배치하였다
4.
주건물과 옥외 외부공간을 하나의 유니트로 설계하여 시각적으로 완전히 결합시켰다
정답 : [
2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이탈리아 노단식 건축의 시작은 벨베데레원 [해설작성자 : 배봉관]
5.
다음 Lancelot Brown의 설계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5월)
1.
부드러운 기복의 잔디밭
2.
자수화단 설치로 색채효과
3.
거울같이 잔잔한 수면
4.
빛과 그늘의 대조
정답 : [
2
] 정답률 : 74%
6.
중국 명대(明代)말에 저술된 원야(園冶)에서 원림(園林)터 조성에 관해 설명한 부분은 다음 중 어느 부분인가?(2012년 09월)
1.
상지(相地)
2.
입기(立基)
3.
옥우(屋宇)
4.
철산(掇山)
정답 : [
2
] 정답률 : 59%
7.
일본 교토에 위치한 실정(室町, 무로마치)시대의 전통정원 가운데 은사탄(銀砂灘, 인공모래펄), 향월대(向月臺) 등의 경물이 있는곳은?(2022년 03월)
1.
금각사
2.
은각사
3.
대선원
4.
용안사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은사탄(인공모래펄) 향월대 등의 경물이 있는 일본 교토에 위치한 실정(무로마치)시대의 전통 정원은 은각사 입니다. [해설작성자 : 미히힛]
일본 무로마치(실정) 시대 - 1336~1573 - 선사상이 정원 축조에 영향 - 고산수정원 발달 축산고산수정원 : 바위(폭포), 왕모래(냇물), 다듬은 수목(산봉우리)등 추상적인 정언 꾸민것 - 대덕사 대선원 - 평정고산수정원 : 수목을 사용하지 않고 왕모래, 정원석으로 꾸민 것 - 용안사 정원 - 은각사 : 은사탄(인골모래펄) 향월대 등 경물이 있는 곳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
한(漢)나라의 무제(武帝)가 꾸민 상림원(上林園)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3년 03월)
1.
원림내에는 황제가 봄, 가을 수렵할 수 있는 곳이 마련되어 있다.
2.
원림안에는 곤명호를 비롯한 일곱 개의 호수가 만들어졌다.
3.
곤명호의 동서 언덕에는 견우ㆍ직녀와 봉황새 그리고 거북이의 돌조상(石彫像)이 배치되었다.
4.
태액지에는 한 개의 봉래섬이 만들어졌고 호수가에는 청동의 동물상이 배치되었다.
정답 : [
1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상림원[ 上林苑 ] : 중국 진(秦)·한(漢) 대의천자(임금)의 동산 이름. 원(苑)이란 주위에 담을 두르고 그 안에 새나 짐승 등을 기르는 곳을 말한다. 상림원은 이미 진대에도 있었으나 황폐하였기 때문에 무제(武帝)가 이를 수복하여 확장. 장안(長安)을 중심으로 주위가 300여 리(里)나 되었다. 그 안에는 자연의 산천·호소(湖沼)·삼림이 있고, 지방에서 헌상한 과수와 초목 3000여 종이 재배되었다. 또 궁전 70여 채와 농경지도 들어 있었으며, 가을에서 겨울에 걸쳐서는 천자가 군신을 대동하고 사냥도 했다. [해설작성자 : 팔봉K]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원내에 곤명호를 비롯하여 6개의 호수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기사따자]
[추가 오류 신고] conquest 필기정복(조경기사) p127 원내에 곤명호를 비롯하여 6개의 호수 설치라고 적혀있어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관리자 입니다.
이게 말이좀.. 그런게.. 보기 지문은 '비롯한'이고 오류신고들은 '비롯하여' 입니다. 거의 같은 뜻으로 쓰이지만.. 출제자 의도는 짐작하고자 한다면 의미가 좀 다를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어서..
국립어학원 공식답변을 복사해 왔습니다.
'비롯한'과 '비롯하여'는 맥락에 따라 모두 쓸 수 있습니다. 문의하신 표현에서 구조적으로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의미상 크게 차이가 없어 보입니다. '비롯한'을 쓰면 뒤에 오는 말을 수식하는 구조가 되고 '비롯하여'를 쓰면 뒤에 오는 말과 연결하는 구조가 됩니다.
위와 같이 비롯한의 경우 뒤를 수식하는 형태고 비롯하여는 뒤의 말과 연결을 뜻합니다.
즉
'곤명호를 비롯한 일곱개의 호수'란 곤명호 포함 7개란 뜻으로 받아 들여질수도 있으며
'곤명호를 비롯하여 6개의 호수'란 곤명호를 제외하고 6개의 호수란 뜻으로 받아 들여질수도 있을듯 합니다.
결론은 호수가 총 7개란 뜻으로 받아 들여 질수 있는것 같습니다.
참 한국말이 애매하긴 하네요...
물론 저와는 달리 다른 뜻으로 받아 들이시는 분들도 계실듯 하네요..
아무튼..
다른 문제집 지문내용 및 정답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시대에듀 2023 조경기사필기 기출문제해설집에는 '곤명호, 곤명지, 서파지를 비롯한 6개의 대호수를 원내에 만들었다.' 라고 2번 문항에 대한 해설이 작성되어 있습니다.
테베(THEBE)에서 발견된 아래의 고대 이집트 벽화와 직접 관련되는 정원은?(2017년 09월)
1.
궁궐정원
2.
묘지정원
3.
옥상정원
4.
주택정원
정답 : [
2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고대 이집트 사자의 정원 [해설작성자 : muu]
16.
중국의 낙양가람기에 전해지는 정원으로 대해와 같은 연못을 파서 뱃놀이를 즐기고, 연못 중앙의 봉래산에는 선인관을 지었다는 곳은?(2006년 03월)
1.
졸정원
2.
이화원
3.
화림원
4.
원명원
정답 : [
3
] 정답률 : 20%
17.
다음 설명과 일치하는 조경 공간은?(2015년 09월)
1.
상림원(上林苑)
2.
화림원(華林園)
3.
온천궁(溫泉宮)
4.
구성궁(九成宮)
정답 : [
1
] 정답률 : 82%
18.
누정의 경관처리 기법 중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2008년 05월)
1.
차(借)
2.
허(虛)
3.
원경(遠景)
4.
취경(聚景)
정답 : [
2
] 정답률 : 53%
19.
조선시대에 조영된 별서정원 작정자의 연결이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옥호정-김조순
2.
남간정사-송시열
3.
소쇄원-양산보
4.
명옥헌-정영방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4. 명옥헌-오이정 서석지-정영방 [해설작성자 : 한울]
20.
고대 이집트에서 나일강을 중심으로 장제신전(분묘)과 예배신전은 어디에 위치하였는가?(2017년 03월)
1.
장제시전은 서쪽, 예배신전은 동쪽에 입지
2.
장제시전은 동쪽, 예배신전은 서쪽에 입지
3.
장제신전과 예배신전 둘 다 동쪽에 입지
4.
장제신전과 예배신전은 나일강 방향에 나란하게 입지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예배신전은 나일강 동쪽(해 뜨는 곳:탄생), 장제신전(분묘)은 서쪽(해 지는 쪽:죽음)에 입지 [해설작성자 : ㅇㅇ]
2과목 : 조경계획
21.
관개용 저수지나 댐 주변의 유원지 개발시 일반적으로 가장 큰 장애요인이 될 수 있는 것은?(2012년 05월)
1.
접근도가 낮다.
2.
주변경관이 단조롭다.
3.
수상 및 육지에 시설을 하여야 하므로 설계가 어렵다.
4.
만수시와 갈수시의 수심차이가 심하여 수변 위락시설의 적극적 이용이 힘들다.
정답 : [
4
] 정답률 : 74%
22.
프로그램(program)의 설명으로 부적합한 것은?(2008년 03월)
1.
프로그램은 계획 및 설계를 위한 전제 조건의 일부가 된다
2.
프로그램은 의뢰인이 제공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조경가가 작성할 수도 있다.
3.
프로그램은 조경가와 의뢰인의 대화 혹은 전문적 연구를 통하여 작성 된다.
4.
프로그램은 프로젝트에서 기본목표의 상위 개념이 되며 프로그램에 의하여 기본 목표가 설정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60%
23.
자연공원 내 용도지구 중 공원 입장객에 대한 편의 제공 및 공원의 보호, 관리를 위해 지정되는 곳은?(2005년 03월)
1.
자연보호지구
2.
자연환경지구
3.
농어촌지구
4.
집단시설지구
정답 : [
4
] 정답률 : 38%
24.
「국토기본법」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국토종합계획은 10년을 단위로 수립한다.
2.
국토종합계획은 5년을 단위로 전반적으로 재검토하고 실천계획을 수립한다.
3.
국토계획의 유형에는 국토종합계획, 도종합계획, 시ㆍ군종합계획, 지역계획 및 부문별계획으로 구분한다.
4.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지역 특성에 맞는 정비나 개발을 위하여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관계 법률에 따라 지역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 국토종합계획은 국토해양부장관이 수립하며 20년을 단위로 하고 사회적,경제적 여건변화를 고려하여 5년마다 국토종합계획을 전반적으로 재검토하고 필요한 경우 이를 정비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능소화]
25.
다음 적지(適地)선정 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5년 09월)
1.
제약요소를 중첩시킬 때 여러 가지 요소를 전문가가 주관적으로 판별하여야 한다.
2.
일반적으로 주어진 토지이용에 부정적인(megatlve)지역을 제외한 지역이 적지이다.
3.
단위공산에 비교적 다양한 정보를 중첩시켜 평가한다.
4.
이 방법은 계량화할 수 없는 요소는 포함시킬수가 없다.
정답 : [
3
] 정답률 : 61%
26.
도시환경에 있어 형태(form)와 행위(activity)의 일치에 대한 연구를 하여 도시의 물리적 형태가 지닌 행위적 의미의 상호 관련성을 분석한 사람은 누구인가?(2004년 05월)
1.
케빈 린치(Kevin Lynch)
2.
칼 스타이니츠(Carl Steinitz)
3.
로오렌스 할프린(Lawrence Halprin)
4.
아버나티와 노우(Abernathy and Noe)
정답 : [
2
] 정답률 : 45%
27.
다음 「자연공원법 시행규칙」의 점용료 또는 사용료 요율기준으로 ( )안에 알맞은 것은?(2019년 03월)
1.
㉠ 100분의 20, ㉡ 100분의 10
2.
㉠ 100분의 20, ㉡ 100분의 50
3.
㉠ 100분의 50, ㉡ 100분의 25
4.
㉠ 100분의 50, ㉡ 100분의 50
정답 : [
3
] 정답률 : 61%
28.
이용자수 추정 시 활용되는 “최대일률(피크율)”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20년 08월)
1.
경제적인 측면에서 볼 때 최대일률이 높을수록 좋다.
2.
최대일 이용자 수에 대한 최대 시 이용자수의 비율이다.
3.
연간 이용자 수에 대한 최대일 이용자 수의 비율이다.
4.
최대일률은 계절형과 관계없이 일정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최대일 이용자 수 = 연간 이용자 수 x 최대일률 [해설작성자 : 앙호종띠]
29.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령상 소공원 및 어린이공원등의 공원조성계획의 정비를 요청할 수 있는 주민의 요건으로 맞는 것은?(2008년 03월)
1.
공원구역 경계로부터 500미터 이내에 거주하는 주민 250명 이상의요청
2.
공원구역 경계로부터 300미터 이내에 거주하는 주민 300명 이상의요청
3.
공원구역 경계로부터 250미터 이내에 거주하는 주민 500명 이상의요청
4.
공원구역 경계로부터 200미터 이내에 거주하는 주민 700명 이상의요청
정답 : [
3
] 정답률 : 54%
30.
우리나라의 공원, 유원지 등은 기후적 영향으로 보통 몇 계절형으로 분류되는가?(2006년 03월)
1.
1 계절형
2.
2 계절형
3.
3 계절형
4.
4 계절형
정답 : [
3
] 정답률 : 63%
31.
다음 중 완충녹지의 설치 목적으로 볼 수 없는것은?(2011년 03월)
1.
자연환경의 보전
2.
공해의 완화
3.
재해의 방지
4.
사고의 방지
정답 : [
1
] 정답률 : 55%
32.
다음 토양의 단면구조 설명 중 집적층(集積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8년 05월)
1.
점토, 철, 유기물 등이 혼합되어 괴상구조(塊狀構造)를 띠고 있는 토양층이다.
2.
무기물층으로 토양발달이 거의 안된 모암층이다.
3.
낙엽이나 나뭇가지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층이다.
4.
식물체의 원형을 육안으로 볼 수 있는 층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토양 층위는 크게 O : 유기물층 // 3번, 4번 A : 용탈층 // 1번 B : 집적층 C : 모재층 R(D) : 암반층 // 2번 으로 분류
33.
도로를 기능적으로 구분할 때 다음 설명에 해당되는 것은?(2020년 06월)
1.
주간선도로
2.
보조간선도로
3.
집산도로
4.
국지도로
정답 : [
4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 주간선도로 : 시·군 내 주요지역을 연결하거나 시·군 상호간을 연결하여 대량의 통과교통을 처리하는 도로로서 시·군의 골격을 형성하는 도로
- 보조간선도로 : 주간선도로를 집산도로 또는 주요 교통발생원과 연결하여 시·군 교통의 집산기능을 하는 도로로서 근린주거구역의 외곽을 형성하는 도로
- 집산도로 : 근린주거구역의 교통을 보조간선도로에 연결하여 근린주거구역 내 교통의 집산기능을 하는 도로로서 근린주거구역의 내부를 구획하는 도로
- 국지도로 : 가구(도로로 둘러싸인 일단(一團)의 지역)를 구획하는 도로
- 특수도로 : 보행자전용도로·자전거전용도로 등 자동차 외의 교통에 전용되는 도로 [해설작성자 : 쏭]
34.
관광, 레크레이션 수요추정에 사용되는 시설 가동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3월)
1.
관광 수요가 가장 극대점에 도달하는 계절에는 100%를 초과하여 수요추정을 한다.
2.
시설의 경영상 수지분기점이 되는 지표이다.
3.
시설의 연중 평균이용율을 고려하여 설정한다.
4.
경영효율은 상한선 보다 하한선 설정이 더 중요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71%
35.
공장조경계획의 원칙이 아닌 것은?(2004년 05월)
1.
식재계획은 공장의 차폐 및 엄폐와 같은 국지적 조경처리 방식을 도입한다.
2.
공장의 성격과 입지적 특성에 따라 개성적인 식재 계획이 이루어져야 한다.
3.
식재계획은 자연환경은 물론이고 주변의 지역적, 도시적 여건을 고려한 인문환경을 최대로 존중하고 운영관리적 측면을 배려한다.
4.
식재계획시 녹화용 수목의 경우 이식이 용이하고 성장속도가 빠르며 병해충이 적으면서 관리가 쉬운 나무를 선택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1%
36.
골프장 코스 계획 시 잔디가 가장 잘 다듬어진 지역의 명칭은?(2019년 04월)
1.
그린(green)
2.
러프(rough)
3.
페어웨이(fairway)
4.
벙커(bunker)
정답 : [
1
] 정답률 : 80%
37.
조경계획의 과정에서 기초자료의 분석은 주로 자연환경과 인문사회환경의 분석으로 대별할 수 있다. 다음 사항 중 인문사회환경의 분석요소가 아닌 것은?(2003년 05월)
1.
인구
2.
교통
3.
식생
4.
토지이용
정답 : [
3
] 정답률 : 72%
38.
이용 후 평가(post occupancy evaluation)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9월)
1.
대상지의 시공 전 환경영향 분석에 관한 설명이다.
2.
설계프로그램을 위한 과학적 자료를 제공한다.
3.
과거의 경험을 새로운 프로젝트에 반영시키기 위한 방법이다.
4.
주로 이용자의 행태에 적합하게 설계되었는가를 분석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이용 ‘후’ 평가 시공 전에 하는 평가 아님 [해설작성자 : 00]
대상 지를 시공 전 환경영향 분석에 관한 설명은 '환경영향평가'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9.
다음 중 시간 혹은 비용의 제약 등을 고려해 볼 때 주어진 시간 및 비용의 범위 내에서 얻을 수 있는 최선의 안을 말하는 것은?(2020년 08월)
1.
최적 안(Optimal Solution)
2.
규범적인 안(Normative Solution)
3.
만족스런 안(Satisficing Solution)
4.
혁신적인 안(Innovative Solution)
정답 : [
3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최적안 : 주어진 여건 내에서 가장 적절한 안 규범적인 안 : 이상적, 권위주의적인 안 혁신적인 안 : 창조적 안 [해설작성자 : 제발 꼭 붙자]
대안의 종류 1. 최적안 : 설계자가 추구해야 하는 것, 분석종류도 많고 시간과 비용도 많이 소요 2. 규범적인 안 : 가장 이상적인 안으로 권위주의적이며 현재를 고려하지 않음 3. 만족스러운 안 : 시간, 비용, 범위 내에서 내놓는 안 4. 혁신적인 안 : 주어진 프로그램 안에서 변경하는 대안 [해설작성자 : kwonheedhi]
40.
다음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간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2016년 05월)
1.
1년 이상 5년 이내
2.
3년 이상 10년 이내
3.
10년 이상 20년 이내
4.
5년 이상 20년 이내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무질서한 시가화 방지, 단계적인 개발을 도모하기 위해 시가화를 유보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면 - 시가화조정구역을 지정함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은 5년이상 20년 이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과목 : 조경설계
41.
한국이나 중국에서 색을 오행(五行)에 비유하여 나타내는 상징으로 사용하였다. 다음 중 색과 오행의 연결이 틀린 것은?(2015년 09월)
1.
빨강 - 불(火)
2.
노랑 - 흙(土)
3.
검정 - 물(水)
4.
파랑 - 쇠(金)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오방색 동 - 청 - 목 서 - 백 - 금 남 - 적 - 화 북 - 흑 - 수 중앙 - 황 - 토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2.
도로 가용지 상정시 피해야 할 지역으로 거리가 먼 것은?(2005년 03월)
1.
기존마을
2.
급경사지
3.
황폐지
4.
문화유적지
정답 : [
3
] 정답률 : 56%
43.
도면에 레터링(lettering)을 할 때 주의할 사항 중 틀린 것은?(2003년 03월)
1.
레터링은 왼편부터 가로쓰기를 원칙으로 한다.
2.
글자의 선의 굵기와 기울기는 다양해도 괜찮다.
3.
숫자는 가능한 한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한다.
4.
도면에 과다하게 많은 글씨를 쓰지 않는다.
정답 : [
2
] 정답률 : 74%
44.
Gordon Cullen이 도시경관 분석 시 이용했던 분석개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9년 04월)
2인용을 기준으로 높이 2.3~2.5m, 길이 3.0~3.5m, 폭 4.5~5.0m를 표준규격으로 한다.
4.
그네의 안장과 모래밭과의 높이는 35~45㎝가 되도록하며, 이용자의 나이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미끄럼대 등 높이 2m가 넘는 시설물은 인접한 주택과 정면 배치를 피하고, 활주판, 그네 등 사설물으의 주 이용방향과 놀이터의 주 출입로가 주택의 정면과 서로 마주치지 않도록 배치한다 [해설작성자 : 서니]
46.
원로(苑路)에 있어 1인이 통행할 수 있는 소규모의 원로 폭은?(2004년 03월)
1.
20 - 30㎝
2.
40 - 50㎝
3.
60 - 70㎝
4.
120 - 150㎝
정답 : [
3
] 정답률 : 36%
47.
일반적으로 조경설계에서 사용되는 축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1년 03월)
1.
축척이란 실물 크기가 도면상에 나타날 때의 비율이다.
2.
축척은 대지의 규모나 도면의 종류와 따라 달라진다.
3.
일반적으로 어린이공원 계획평면도는 세밀한표현이 가능한 1/500∼1/1000 축척을 사용한다.
4.
일반적으로 상세도에서는 1/10∼1/50 축척을 사용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5%
48.
조경설계기준상의 「조경포장」 관련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3월)
1.
놀이터 포설용 모래는 입경 1~3mm 정도의 입도를 가진 것으로 하고 먼지·점토·불순물 또는 이물질이 없어야 한다.
2.
차도용 포장면의 횡단경사는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 및 시멘트콘크리트포장의 경우 2~4%를 기준으로 한다.
3.
자전거도로 포장면의 종단경사는 2.5~ 3.0%를 기준으로 하되, 최대 5%까지 가능하다.
4.
보도용 포장면의 종단기울기는 1/12이하가 되도록 하되, 휠체어 이용자를 고려하는 경우에는 1/18이하로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 및 시멘트콘크리트포장의 경우 1.5~2.0% [해설작성자 : 조경사선상님]
49.
다음의 조경 시설물 설계기준에 대한 설명중 틀린 것은?(2010년 09월)
1.
안전난간의 높이는 바닥의 마감면으로부터 110cm 이상으로 한다.
2.
단주(볼리드)의 배치간격은 3m를 기준으로 하여 차량의 진입을 막을 수 있도록 설계한다.
3.
설계대상공간에 대한 적극적 침입방지기능을 요하는 울타리의 높이는 1.5~2.1m로 설계한다.
4.
쓰레기통은 각 단위공간의 의자 등 휴게시설에 근접시키되 보행에 방해가 되지 않아야 하며 단위공간마다 1개소 이상 배치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단주(볼라드)의 배치간격은 2m를 기준으로 하여 '차량의 진입을 막을 수 있도록' 설계한다. [해설작성자 : 담연]
50.
친환경적 도시시설 중에는 자전거전용도로가 가장 효율적인 시설 중의 하나이다. 다응 중 자전거 전용도로 설계시 양쪽의 여유를 고려한 1차선 폭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09년 05월)
1.
100cm
2.
120cm
3.
150cm
4.
180cm
정답 : [
3
] 정답률 : 62%
51.
다음 중 Albedo 값이 높은 것부터 낮은 것으로 옳게 나열 한 것은?(2012년 05월)
1.
눈 → 숲 → 바다 → 마른모래
2.
마른모래 → 숲 → 눈 → 바다
3.
눈 → 마른모래 → 숲 → 바다
4.
숲 → 바다 → 마른모래 → 눈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알베도 : 표면에 닿는 복사열이 흡수되지 않고 반사되는 비율(%) [해설작성자 : 사마사마사]
52.
다음 환경지각 이론 중에서 지원성(affordance)의 지각을 내용으로 하는 이론은?(2017년 05월)
1.
형태심리 이론
2.
장(場)의 이론
3.
확률적 이론
4.
생태적 이론
정답 : [
4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지원성(affordance, 행동의 유도성) : 대상의 어떤 속성이 유기체로 하여금 특정한 행동을 하게끔 유도하거나 특정 행동을 쉽게 하게 하는 성질이다. 예컨대, 사과의 빨간색은 따 먹고자 하는 행동을 유도하며, 적당한 높이의 받침대는 앉는 행동을 잘 지원한다.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53.
학교 운동장 포장면의 정지작업을 위한 설계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합한 것은?(2005년 03월)
1.
운동장의 표면은 원활한 배수를 위하여 중심부 양측으로 10% 정도의 경사를 주는 것이 좋다.
2.
운동장의 배수는 편구배가 바람직하며, 5% 내외가 좋다.
3.
운동장 표면은 원활한 배수를 위하여 기울기는 외곽방향으로 0.5 ~ 1%를 표준으로 한다.
4.
운동장의 배수는 편구배가 바람직하며 1% 내외가 좋다.
정답 : [
3
] 정답률 : 73%
54.
면적 200m2 이상인 대지에 건축을 하는 경우 대지 안의 조경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는 법은?(2009년 03월)
1.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2.
주택법
3.
건축법
4.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정답 : [
3
] 정답률 : 43%
55.
조경설계기준상의 하천조경 설계 시 관찰시설 설치와 관련된 내용이 틀린 것은?(2018년 03월)
1.
야생동물이 자주 출현하는 곳에 작은 규모의 야생동물 관찰소를 설치한다.
2.
안전을 위한 데크의 난간 높이는 100㎝ 이상으로 하며, 장애자가 이용하는 데크는 최소 80㎝ 의 폭이 확보되도록 계획한다.
3.
관찰시설 설치는 생태ㆍ 미관의 교육, 체험 목적으로 설치되나, 서식처 보호, 훼손 확산 방지를 위한 이용객 동선 유도 등 꼭 필요한 장소에 설치한다.
4.
관찰시설은 사회적 약자의 배려를 도모하여 진행도중 추락의 위험이 없도록 안전난간을 설치하는 등 안전한 관찰 및 탐방이 가능하도록 설치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난간높이는 120 폭은 100 [해설작성자 : 조경사선상님]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식물을 관찰하기 위한 공간의 경우 식물의 길이를 고려하고 무단출입 방지와 안전을 위한 데크는 그높이를 100cm 미만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하하]
[오류신고 반론] 안전을 위한 난간의 높이는 120cm 이상으로 하며, 장애자용 데크는 최소 100cm의 폭이 확보되로록 계획 한다. 문제에서 안전을 위한 난간이라 했으니, 120cm 이상이 맞음 [해설작성자 : 가자]
56.
색의 진출과 후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4년 03월)
1.
따뜻한 색은 진출색이 된다.
2.
후퇴색은 팽창색이 된다.
3.
명도가 높은 색은 진출색이 된다.
4.
채도가 낮은 색은 후퇴색이 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79%
57.
옹벽이나 급경사지 등 추락 위험이 있는 놀이터, 휴게소, 산책로에 안전난간을 설계하고자 한다. 다음중 안전난간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단, 조경설계기준을 적용한다.)(2012년 09월)
1.
폭은 10cm 이상으로 한다.
2.
높이는 바닥의 마감면으로부터 90cm 이하로 한다.
3.
위험이 많은 장소에 설치하는 간살의 간격은 안목치수 10cm 이하로 한다.
4.
철근콘크리트 또는 강도 및 내구성이 있는 재료로 설계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2. 110cm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높이는 바닥의 마감면으로부터 120cm 이상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배상명]
그네 미끄럼대 등 동적인 놀이시설은 시설물의 주위로 3.0m 이상의 이용공간을 확보하여야 한다.
3.
흔들말 시설 등의 정적인 놀이시설은 시설물 주위로 2.0m이상의 이용공간을 확보하여야 한다.
4.
기어오르기 시설의 높이는 1.5 ~ 2.0m를 기준으로 하고, 줄은 내구성·안전성 등에 적합하게 설계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20%
59.
시각적 선호에 관련된 변수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2017년 05월)
1.
물리적 변수 : 식생, 물, 지형
2.
추상적 변수 : 복잡성, 조화성, 새로움
3.
지역적 변수 : 위치, 거리, 규모
4.
개인적 변수 : 개인의 나이, 학력, 성격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시각적 선호에 관련된 변수에는 지역적 변수란 것은 없다. [해설작성자 : 조]
시각적 선호의 변수에는 물리적 변수, 추상적 변수, 상징적 변수, 개인적 변수가 있다.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시각적 선호의 변수] -물리적 변수 : 지형, 지물, 식생, 물, 색채, 질감, 형태 등 -추상적 변수 : 복잡성, 조화성, 새로움으로 환경속에서 지각되는 추상적 특성 -개인적 변수 : 개인의 연령, 성별, 학력, 성격, 심리적 상태 등에 관계 -상징적 변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0.
다음 항목 가운데 자연적인 형태 주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05년 03월)
1.
유기체적 모서리형(organic edge)
2.
집합과 분열형(clustering and fragmentation)
3.
나선형(spiral)
4.
불규칙 다각형(irregular polygon)
정답 : [
3
] 정답률 : 51%
4과목 : 조경식재
61.
공원에 파고라(pergola)를 설치하고, 덩굴성 식물로 파고라 주변에 식재하려 한다.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어떠한 식물이 가장 적합한가?(2013년 03월)
구조물에 하중이 작용하면, 부재의 각 지점(支点)에는 무엇이 생기는가?(2021년 09월)
1.
우력
2.
합력
3.
전단력
4.
반력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우력 : 크기가 같고 작용선이 평행하며, 방향이 반대인 한 쌍의 힘 -합력 : 물체에 작용하는 여러 개의 힘을 한개의 힘으로 합성했을 떄의 역학적 효과가 합성 전과 동일하다고 할 때 한 개로 대치된 힘 -전단력 : 부재축에 직각방향으로 절단하려는 힘 [해설작성자 : 올리]
99.
50촉광(candle power)인 점광원으로 부터 2m거리에서 그 방향과 직각인 면과 30°기울어진 평면 위의 조도는 얼마인가? (단, cos30°= 0.86, sin30° = 0.5)(2013년 03월)
1.
6.25룩스
2.
10.75룩스
3.
12.5룩스
4.
25.0룩스
정답 : [
2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수평면의 조도= {광도/(광원에서 알려진 지점과의 거리)2}×cosθ ∴ 50/22×0.86=10.75룩스
100.
노무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3월)
1.
노동력의 대가를 말한다.
2.
직접노무비와 간접노무비로 구성된다.
3.
직접노무비 계상법에는 직접계상법과 승률법이 있다.
4.
작업 현장의 보조작업원의 급료는 간접노무비에 속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40%
101.
지방자치제도가 정착되면서 공원관리에 있어서도 주변 주민의 적극적인 참여가 요구된다. 공원 관리에 있어 주민참여를 유도하는 조건 중에서 가장 바람직한 것은?(2009년 03월)
1.
규모나 전문성이 참여자의 수준을 넘지 않게 한다.
2.
관리정책이 충분하게 전달되어 관리효과가 극대화되게 한다.
3.
기존의 조직을 이용하여 주민 참여가 의무화되게 한다.
4.
참여자의 전문성을 고려하여 특정인의 참여를 부각시킨다.
정답 : [
1
] 정답률 : 55%
102.
조경수목의 생육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오염물질이 아닌 것은?(2003년 03월)
1.
아황산가스(SO2)
2.
불화수소(HF)
3.
옥시탄트(오존, PAN)
4.
이산화탄소(CO2)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아황산가스(SO2): 이산화황(SO2)은 공기 오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식물의 교란과 잎의 손상을 일으켜 생육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불화수소(HF): 불화수소는 산성 비오는 형태로 산성화된 물로서 식물의 잎을 손상시키고 섭취된 물에도 해로울 수 있습니다. 옥시탄트(오존, PAN): 대기 중 오존과 다른 산화물질은 식물의 교란을 일으킬 수 있으며, 특히 높은 농도에서 식물의 꽃과 잎을 손상시키고 생육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이산화탄소(CO2): 이산화탄소는 온실 가스로서, 고농도에서는 기후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만, 일반적으로 조경수목의 생육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오염물질은 아닙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선택지는 "4. 이산화탄소(CO2)"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3.
잔디를 정기적으로 적당한 높이에서 예초할 때의 효과로 거리가 먼 것은?(2020년 08월)
1.
잡초 방제 효과
2.
깎인 경엽은 거름으로 제공
3.
잔디분얼 촉진과 밀도를 높임
4.
미관을 증진시켜 휴식처의 이용에 적합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2번의 깍인 경엽은 대취층을 형성한다. 대취는 잔디의 잎, 줄기 및 뿌리 등이 노화되거나 잔디깍기 작업 후에 나온 찌꺼기 등이 쌓인것이다. - 대취층은 병해충의 서식지가 되기도 한다. [해설작성자 : 이응]
104.
가을에 이식한 배롱나무 가지에 새끼를 감는 이유 중 가장 알맞는 것은?(2004년 03월)
1.
가지로부터 수분증산을 막기 위해
2.
가지로부터 수분증산 및 동해를 막기 위해
3.
병충해를 막기 위해
4.
동해와 병충해를 막기 위해
정답 : [
2
] 정답률 : 51%
105.
토성의 분류 방법 중 자갈의 크기는 입경이 몇 mm 이상인가?(2020년 08월)
1.
0.2mm
2.
1mm
3.
2mm
4.
3mm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mm) 0.002 점토 0.002~0.02 고운 모래(미사) 0.02~2 모래 2 이상 자갈 [해설작성자 : 전공관]
106.
다음 목재로 된 벤치에 대한 단점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3월)
1.
병해충의 피해를 받기 쉽다.
2.
습기에 약하며 썩기 쉽다.
3.
내화력이 작다.
4.
파손되면 보수가 곤란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77%
107.
수목관리를 할 때에 수형의 전체 모양을 일정한 양식에 따라 다듬는 작업은?(2018년 09월)
1.
정자(整姿, trimming)
2.
정지(整枝, training)
3.
전제(煎除, trailing)
4.
전정(煎定, pruning)
정답 : [
1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정자(Trimming, 整姿) : 너무 전체의 모양을 일정한 양식에 의한 다듬기(주로 접반송을 관리하는 기법) 정지(Traing, 整枝) : 수목의 수형을 영구히 유지하기 위한 줄기나 가지의 생장조절(조형목 관리하는 기법) 전지(Trailing, 剪枝) : 필요 없는 가지나 생유에 방해가 되는 가지제거 전정(Pruning, 剪定) : 관상과 개화 결실 생육상태 조절기능(과수목에 주로 많이 사용하는 기법) [해설작성자 : 팔봉K]
108.
풍화작용에 의해 규산영광물이나 산화광물로부터 용해된 철성분이 토양내에서 산소 또는 물과 결합하여 토색에 영향을 미치는 작용은?(2012년 03월)
1.
회색화작용
2.
갈색화작용
3.
이탄화작용
4.
포드졸화작용
정답 : [
2
] 정답률 : 48%
109.
다음의 비탈면 표면을 보호(우수침식방지, 동상붕괴억제, 녹화, 전면식생조성)하는 식생공법 중 일반적으로 가장 시공 능률이 높은 것은?(2009년 08월)
1.
직파 공법
2.
식생판 공법
3.
종자 뿜어붙이기 공법
4.
식생혈 공법
정답 : [
3
] 정답률 : 57%
110.
토양에서 서식하고, 충분한 수분을 요구하며, 주로 목조 건물 및 목조 구조물에 피해를 주는 해충은?(2017년 03월)
1.
흰개미
2.
그리마
3.
흰불나방
4.
독일바퀴벌레
정답 : [
1
] 정답률 : 76%
111.
응애류(mite)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7년 03월)
1.
잎의 즙액을 빨아먹는다.
2.
침엽수에만 피해를 준다.
3.
활엽수에만 피해를 준다.
4.
미관상 나쁠 뿐, 생육에는 상관이 없다.
정답 : [
1
] 정답률 : 47%
112.
옥외 레크레이션 관리체계에서 주요 기능의 부체계 관리요소가 될 수 없는 것은?(2018년 09월)
1.
시설관리(facility management)
2.
자원관리(resource management)
3.
이용자관리(visitor management)
4.
서비스관리(service management)
정답 : [
1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레크레이션 관리계획의 3가지 기본 요소 - 이용자 - 자연자원기반 - 서비스관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3.
시설물 이용조사의 항목과 거리가 먼 것은?(2010년 03월)
1.
시간적 이용자 계측조사
2.
시설 현황 조사
3.
이용형태별 조사
4.
의식조사
정답 : [
2
] 정답률 : 29%
114.
다음 중 삽목(꺾꽂이) 발근과 가장 관계없는 인자는?(2010년 09월)
1.
습도
2.
온도
3.
광선
4.
극성
정답 : [
4
] 정답률 : 66%
115.
베수시설의 관리 내용이 아닌 것은?(2008년 05월)
1.
배수로는 정기적인 청소로 낙엽 찌꺼기를 제거한다.
2.
바닥포장시 일정한 구배(경사도)를 주어 물이 고이지 않도록한다.
3.
지반침하로 집수구가 솟아오르면 집수구를 낮추어 준다.
4.
비탈면의 U형 배수구는 인접 지표면 보다 항상 높게 설치하여 표면수가 유입되지 않게 주의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4%
116.
식재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토양의 물리적 성질을 좋게 개량하기 위한 토양개량제로서 가장 부적당한 것은?(2005년 05월)
1.
응회암, 해초
2.
석회, 규석
3.
토탄, 갈탄
4.
펄프폐액, 분뇨
정답 : [
3
] 정답률 : 36%
117.
포플러류 잎의 뒷면에 초여름부터 오렌지색의 작은 가루덩이가 생기고, 정상적인 나무보다 먼저 낙엽이 지는 현상이 나타나는 병은?(2020년 06월)
1.
갈반병
2.
잎녹병
3.
잎마름병
4.
점무늬잎떨림병
정답 : [
2
] 정답률 : 51%
118.
농약 중에서 분제의 물리적 성질에 해당하는 것으로만 나열된 것은?(2019년 03월)
1.
현수성, 유화성
2.
수화성, 접촉각
3.
용적비중, 비산성
4.
습전성, 표면장력
정답 : [
3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분제의 물리적 성질 : 용적비중, 비산성, 분말도, 입도, 부착성과 고착성, 응집력 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9.
솔수염하늘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유충으로 월동한다.
2.
소나무재선충병의 매개체이다.
3.
산란기는 6 ~ 9월이며, 7 ~ 8월에 가장 많다.
4.
암컷 한 마리의 산란수는 평균 500여개 정도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4. 평균 100여개 정도 [해설작성자 : 늘bluesky]
솔수염하늘소는 6~9월에 100여 개의 알을 소나무류의 수피 속에 낳는다.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120.
실내조경용 식물의 인공토양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20년 06월)
1.
질석
2.
펄라이트
3.
피트모스
4.
사질양토
정답 : [
4
] 정답률 : 66%
정 답 지
조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8856737)
중국 소주의 정원 중 화려한 정원 건축물이 많고 허와 실, 명암대비 등 변화있는 공간처리와 유기적 건축배치를 가진 것은?(2018년 04월)
1.
졸정원
2.
사자림
3.
작원
4.
유원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졸정원과 함께 중국 4대 정원 중 하나인 유원(留園)은 명나라 때 서시태가 만든 개인 정원으로 700m의 긴 회랑과 회랑 벽면의 각각 다른 모양의 창, 그리고 그 창을 통해 바라보는 정원의 경관이 그림처럼 아름다운 곳이다. [해설작성자 : 팔봉K]
문제에 답이 있다. 유기적에서 '유' , 정원에서 '원' -> '유원' [해설작성자 : 눈누난나]
3.
고대 그리스 건축양식중 중심건물이 되는 파르테논신전의 기둥은 기초석이 없이 조망되어지는 수직성을 강조하는 형태로 조영되었다고 하는데, 어떤 기둥 양식인가?(2005년 09월)
1.
도리아식
2.
이오니아식
3.
코린트식
4.
파르테논식
정답 : [
1
] 정답률 : 67%
4.
Villa Madama의 설명 중 적당치 않은 것은?(2004년 03월)
1.
Raffaello가 설계하였으나 그의 사후 조수인 상갈로(Sangallo) 등에 의해 완성되었다
2.
최초의 노단 건축식 수법으로 이태리 조경의 전환기가 되었다
3.
기하학적인 곡선을 따라서 광대한 식재원을 건물 주위에 배치하였다
4.
주건물과 옥외 외부공간을 하나의 유니트로 설계하여 시각적으로 완전히 결합시켰다
정답 : [
2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이탈리아 노단식 건축의 시작은 벨베데레원 [해설작성자 : 배봉관]
5.
다음 Lancelot Brown의 설계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5월)
1.
부드러운 기복의 잔디밭
2.
자수화단 설치로 색채효과
3.
거울같이 잔잔한 수면
4.
빛과 그늘의 대조
정답 : [
2
] 정답률 : 74%
6.
중국 명대(明代)말에 저술된 원야(園冶)에서 원림(園林)터 조성에 관해 설명한 부분은 다음 중 어느 부분인가?(2012년 09월)
1.
상지(相地)
2.
입기(立基)
3.
옥우(屋宇)
4.
철산(掇山)
정답 : [
2
] 정답률 : 59%
7.
일본 교토에 위치한 실정(室町, 무로마치)시대의 전통정원 가운데 은사탄(銀砂灘, 인공모래펄), 향월대(向月臺) 등의 경물이 있는곳은?(2022년 03월)
1.
금각사
2.
은각사
3.
대선원
4.
용안사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은사탄(인공모래펄) 향월대 등의 경물이 있는 일본 교토에 위치한 실정(무로마치)시대의 전통 정원은 은각사 입니다. [해설작성자 : 미히힛]
일본 무로마치(실정) 시대 - 1336~1573 - 선사상이 정원 축조에 영향 - 고산수정원 발달 축산고산수정원 : 바위(폭포), 왕모래(냇물), 다듬은 수목(산봉우리)등 추상적인 정언 꾸민것 - 대덕사 대선원 - 평정고산수정원 : 수목을 사용하지 않고 왕모래, 정원석으로 꾸민 것 - 용안사 정원 - 은각사 : 은사탄(인골모래펄) 향월대 등 경물이 있는 곳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
한(漢)나라의 무제(武帝)가 꾸민 상림원(上林園)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3년 03월)
1.
원림내에는 황제가 봄, 가을 수렵할 수 있는 곳이 마련되어 있다.
2.
원림안에는 곤명호를 비롯한 일곱 개의 호수가 만들어졌다.
3.
곤명호의 동서 언덕에는 견우ㆍ직녀와 봉황새 그리고 거북이의 돌조상(石彫像)이 배치되었다.
4.
태액지에는 한 개의 봉래섬이 만들어졌고 호수가에는 청동의 동물상이 배치되었다.
정답 : [
1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상림원[ 上林苑 ] : 중국 진(秦)·한(漢) 대의천자(임금)의 동산 이름. 원(苑)이란 주위에 담을 두르고 그 안에 새나 짐승 등을 기르는 곳을 말한다. 상림원은 이미 진대에도 있었으나 황폐하였기 때문에 무제(武帝)가 이를 수복하여 확장. 장안(長安)을 중심으로 주위가 300여 리(里)나 되었다. 그 안에는 자연의 산천·호소(湖沼)·삼림이 있고, 지방에서 헌상한 과수와 초목 3000여 종이 재배되었다. 또 궁전 70여 채와 농경지도 들어 있었으며, 가을에서 겨울에 걸쳐서는 천자가 군신을 대동하고 사냥도 했다. [해설작성자 : 팔봉K]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원내에 곤명호를 비롯하여 6개의 호수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기사따자]
[추가 오류 신고] conquest 필기정복(조경기사) p127 원내에 곤명호를 비롯하여 6개의 호수 설치라고 적혀있어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관리자 입니다.
이게 말이좀.. 그런게.. 보기 지문은 '비롯한'이고 오류신고들은 '비롯하여' 입니다. 거의 같은 뜻으로 쓰이지만.. 출제자 의도는 짐작하고자 한다면 의미가 좀 다를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어서..
국립어학원 공식답변을 복사해 왔습니다.
'비롯한'과 '비롯하여'는 맥락에 따라 모두 쓸 수 있습니다. 문의하신 표현에서 구조적으로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의미상 크게 차이가 없어 보입니다. '비롯한'을 쓰면 뒤에 오는 말을 수식하는 구조가 되고 '비롯하여'를 쓰면 뒤에 오는 말과 연결하는 구조가 됩니다.
위와 같이 비롯한의 경우 뒤를 수식하는 형태고 비롯하여는 뒤의 말과 연결을 뜻합니다.
즉
'곤명호를 비롯한 일곱개의 호수'란 곤명호 포함 7개란 뜻으로 받아 들여질수도 있으며
'곤명호를 비롯하여 6개의 호수'란 곤명호를 제외하고 6개의 호수란 뜻으로 받아 들여질수도 있을듯 합니다.
결론은 호수가 총 7개란 뜻으로 받아 들여 질수 있는것 같습니다.
참 한국말이 애매하긴 하네요...
물론 저와는 달리 다른 뜻으로 받아 들이시는 분들도 계실듯 하네요..
아무튼..
다른 문제집 지문내용 및 정답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시대에듀 2023 조경기사필기 기출문제해설집에는 '곤명호, 곤명지, 서파지를 비롯한 6개의 대호수를 원내에 만들었다.' 라고 2번 문항에 대한 해설이 작성되어 있습니다.
테베(THEBE)에서 발견된 아래의 고대 이집트 벽화와 직접 관련되는 정원은?(2017년 09월)
1.
궁궐정원
2.
묘지정원
3.
옥상정원
4.
주택정원
정답 : [
2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고대 이집트 사자의 정원 [해설작성자 : muu]
16.
중국의 낙양가람기에 전해지는 정원으로 대해와 같은 연못을 파서 뱃놀이를 즐기고, 연못 중앙의 봉래산에는 선인관을 지었다는 곳은?(2006년 03월)
1.
졸정원
2.
이화원
3.
화림원
4.
원명원
정답 : [
3
] 정답률 : 20%
17.
다음 설명과 일치하는 조경 공간은?(2015년 09월)
1.
상림원(上林苑)
2.
화림원(華林園)
3.
온천궁(溫泉宮)
4.
구성궁(九成宮)
정답 : [
1
] 정답률 : 82%
18.
누정의 경관처리 기법 중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2008년 05월)
1.
차(借)
2.
허(虛)
3.
원경(遠景)
4.
취경(聚景)
정답 : [
2
] 정답률 : 53%
19.
조선시대에 조영된 별서정원 작정자의 연결이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옥호정-김조순
2.
남간정사-송시열
3.
소쇄원-양산보
4.
명옥헌-정영방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4. 명옥헌-오이정 서석지-정영방 [해설작성자 : 한울]
20.
고대 이집트에서 나일강을 중심으로 장제신전(분묘)과 예배신전은 어디에 위치하였는가?(2017년 03월)
1.
장제시전은 서쪽, 예배신전은 동쪽에 입지
2.
장제시전은 동쪽, 예배신전은 서쪽에 입지
3.
장제신전과 예배신전 둘 다 동쪽에 입지
4.
장제신전과 예배신전은 나일강 방향에 나란하게 입지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예배신전은 나일강 동쪽(해 뜨는 곳:탄생), 장제신전(분묘)은 서쪽(해 지는 쪽:죽음)에 입지 [해설작성자 : ㅇㅇ]
2과목 : 조경계획
21.
관개용 저수지나 댐 주변의 유원지 개발시 일반적으로 가장 큰 장애요인이 될 수 있는 것은?(2012년 05월)
1.
접근도가 낮다.
2.
주변경관이 단조롭다.
3.
수상 및 육지에 시설을 하여야 하므로 설계가 어렵다.
4.
만수시와 갈수시의 수심차이가 심하여 수변 위락시설의 적극적 이용이 힘들다.
정답 : [
4
] 정답률 : 74%
22.
프로그램(program)의 설명으로 부적합한 것은?(2008년 03월)
1.
프로그램은 계획 및 설계를 위한 전제 조건의 일부가 된다
2.
프로그램은 의뢰인이 제공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조경가가 작성할 수도 있다.
3.
프로그램은 조경가와 의뢰인의 대화 혹은 전문적 연구를 통하여 작성 된다.
4.
프로그램은 프로젝트에서 기본목표의 상위 개념이 되며 프로그램에 의하여 기본 목표가 설정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60%
23.
자연공원 내 용도지구 중 공원 입장객에 대한 편의 제공 및 공원의 보호, 관리를 위해 지정되는 곳은?(2005년 03월)
1.
자연보호지구
2.
자연환경지구
3.
농어촌지구
4.
집단시설지구
정답 : [
4
] 정답률 : 38%
24.
「국토기본법」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국토종합계획은 10년을 단위로 수립한다.
2.
국토종합계획은 5년을 단위로 전반적으로 재검토하고 실천계획을 수립한다.
3.
국토계획의 유형에는 국토종합계획, 도종합계획, 시ㆍ군종합계획, 지역계획 및 부문별계획으로 구분한다.
4.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지역 특성에 맞는 정비나 개발을 위하여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관계 법률에 따라 지역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 국토종합계획은 국토해양부장관이 수립하며 20년을 단위로 하고 사회적,경제적 여건변화를 고려하여 5년마다 국토종합계획을 전반적으로 재검토하고 필요한 경우 이를 정비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능소화]
25.
다음 적지(適地)선정 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5년 09월)
1.
제약요소를 중첩시킬 때 여러 가지 요소를 전문가가 주관적으로 판별하여야 한다.
2.
일반적으로 주어진 토지이용에 부정적인(megatlve)지역을 제외한 지역이 적지이다.
3.
단위공산에 비교적 다양한 정보를 중첩시켜 평가한다.
4.
이 방법은 계량화할 수 없는 요소는 포함시킬수가 없다.
정답 : [
3
] 정답률 : 61%
26.
도시환경에 있어 형태(form)와 행위(activity)의 일치에 대한 연구를 하여 도시의 물리적 형태가 지닌 행위적 의미의 상호 관련성을 분석한 사람은 누구인가?(2004년 05월)
1.
케빈 린치(Kevin Lynch)
2.
칼 스타이니츠(Carl Steinitz)
3.
로오렌스 할프린(Lawrence Halprin)
4.
아버나티와 노우(Abernathy and Noe)
정답 : [
2
] 정답률 : 45%
27.
다음 「자연공원법 시행규칙」의 점용료 또는 사용료 요율기준으로 ( )안에 알맞은 것은?(2019년 03월)
1.
㉠ 100분의 20, ㉡ 100분의 10
2.
㉠ 100분의 20, ㉡ 100분의 50
3.
㉠ 100분의 50, ㉡ 100분의 25
4.
㉠ 100분의 50, ㉡ 100분의 50
정답 : [
3
] 정답률 : 61%
28.
이용자수 추정 시 활용되는 “최대일률(피크율)”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20년 08월)
1.
경제적인 측면에서 볼 때 최대일률이 높을수록 좋다.
2.
최대일 이용자 수에 대한 최대 시 이용자수의 비율이다.
3.
연간 이용자 수에 대한 최대일 이용자 수의 비율이다.
4.
최대일률은 계절형과 관계없이 일정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최대일 이용자 수 = 연간 이용자 수 x 최대일률 [해설작성자 : 앙호종띠]
29.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령상 소공원 및 어린이공원등의 공원조성계획의 정비를 요청할 수 있는 주민의 요건으로 맞는 것은?(2008년 03월)
1.
공원구역 경계로부터 500미터 이내에 거주하는 주민 250명 이상의요청
2.
공원구역 경계로부터 300미터 이내에 거주하는 주민 300명 이상의요청
3.
공원구역 경계로부터 250미터 이내에 거주하는 주민 500명 이상의요청
4.
공원구역 경계로부터 200미터 이내에 거주하는 주민 700명 이상의요청
정답 : [
3
] 정답률 : 54%
30.
우리나라의 공원, 유원지 등은 기후적 영향으로 보통 몇 계절형으로 분류되는가?(2006년 03월)
1.
1 계절형
2.
2 계절형
3.
3 계절형
4.
4 계절형
정답 : [
3
] 정답률 : 63%
31.
다음 중 완충녹지의 설치 목적으로 볼 수 없는것은?(2011년 03월)
1.
자연환경의 보전
2.
공해의 완화
3.
재해의 방지
4.
사고의 방지
정답 : [
1
] 정답률 : 55%
32.
다음 토양의 단면구조 설명 중 집적층(集積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8년 05월)
1.
점토, 철, 유기물 등이 혼합되어 괴상구조(塊狀構造)를 띠고 있는 토양층이다.
2.
무기물층으로 토양발달이 거의 안된 모암층이다.
3.
낙엽이나 나뭇가지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층이다.
4.
식물체의 원형을 육안으로 볼 수 있는 층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토양 층위는 크게 O : 유기물층 // 3번, 4번 A : 용탈층 // 1번 B : 집적층 C : 모재층 R(D) : 암반층 // 2번 으로 분류
33.
도로를 기능적으로 구분할 때 다음 설명에 해당되는 것은?(2020년 06월)
1.
주간선도로
2.
보조간선도로
3.
집산도로
4.
국지도로
정답 : [
4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 주간선도로 : 시·군 내 주요지역을 연결하거나 시·군 상호간을 연결하여 대량의 통과교통을 처리하는 도로로서 시·군의 골격을 형성하는 도로
- 보조간선도로 : 주간선도로를 집산도로 또는 주요 교통발생원과 연결하여 시·군 교통의 집산기능을 하는 도로로서 근린주거구역의 외곽을 형성하는 도로
- 집산도로 : 근린주거구역의 교통을 보조간선도로에 연결하여 근린주거구역 내 교통의 집산기능을 하는 도로로서 근린주거구역의 내부를 구획하는 도로
- 국지도로 : 가구(도로로 둘러싸인 일단(一團)의 지역)를 구획하는 도로
- 특수도로 : 보행자전용도로·자전거전용도로 등 자동차 외의 교통에 전용되는 도로 [해설작성자 : 쏭]
34.
관광, 레크레이션 수요추정에 사용되는 시설 가동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3월)
1.
관광 수요가 가장 극대점에 도달하는 계절에는 100%를 초과하여 수요추정을 한다.
2.
시설의 경영상 수지분기점이 되는 지표이다.
3.
시설의 연중 평균이용율을 고려하여 설정한다.
4.
경영효율은 상한선 보다 하한선 설정이 더 중요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71%
35.
공장조경계획의 원칙이 아닌 것은?(2004년 05월)
1.
식재계획은 공장의 차폐 및 엄폐와 같은 국지적 조경처리 방식을 도입한다.
2.
공장의 성격과 입지적 특성에 따라 개성적인 식재 계획이 이루어져야 한다.
3.
식재계획은 자연환경은 물론이고 주변의 지역적, 도시적 여건을 고려한 인문환경을 최대로 존중하고 운영관리적 측면을 배려한다.
4.
식재계획시 녹화용 수목의 경우 이식이 용이하고 성장속도가 빠르며 병해충이 적으면서 관리가 쉬운 나무를 선택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1%
36.
골프장 코스 계획 시 잔디가 가장 잘 다듬어진 지역의 명칭은?(2019년 04월)
1.
그린(green)
2.
러프(rough)
3.
페어웨이(fairway)
4.
벙커(bunker)
정답 : [
1
] 정답률 : 80%
37.
조경계획의 과정에서 기초자료의 분석은 주로 자연환경과 인문사회환경의 분석으로 대별할 수 있다. 다음 사항 중 인문사회환경의 분석요소가 아닌 것은?(2003년 05월)
1.
인구
2.
교통
3.
식생
4.
토지이용
정답 : [
3
] 정답률 : 72%
38.
이용 후 평가(post occupancy evaluation)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9월)
1.
대상지의 시공 전 환경영향 분석에 관한 설명이다.
2.
설계프로그램을 위한 과학적 자료를 제공한다.
3.
과거의 경험을 새로운 프로젝트에 반영시키기 위한 방법이다.
4.
주로 이용자의 행태에 적합하게 설계되었는가를 분석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이용 ‘후’ 평가 시공 전에 하는 평가 아님 [해설작성자 : 00]
대상 지를 시공 전 환경영향 분석에 관한 설명은 '환경영향평가'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9.
다음 중 시간 혹은 비용의 제약 등을 고려해 볼 때 주어진 시간 및 비용의 범위 내에서 얻을 수 있는 최선의 안을 말하는 것은?(2020년 08월)
1.
최적 안(Optimal Solution)
2.
규범적인 안(Normative Solution)
3.
만족스런 안(Satisficing Solution)
4.
혁신적인 안(Innovative Solution)
정답 : [
3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최적안 : 주어진 여건 내에서 가장 적절한 안 규범적인 안 : 이상적, 권위주의적인 안 혁신적인 안 : 창조적 안 [해설작성자 : 제발 꼭 붙자]
대안의 종류 1. 최적안 : 설계자가 추구해야 하는 것, 분석종류도 많고 시간과 비용도 많이 소요 2. 규범적인 안 : 가장 이상적인 안으로 권위주의적이며 현재를 고려하지 않음 3. 만족스러운 안 : 시간, 비용, 범위 내에서 내놓는 안 4. 혁신적인 안 : 주어진 프로그램 안에서 변경하는 대안 [해설작성자 : kwonheedhi]
40.
다음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간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2016년 05월)
1.
1년 이상 5년 이내
2.
3년 이상 10년 이내
3.
10년 이상 20년 이내
4.
5년 이상 20년 이내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무질서한 시가화 방지, 단계적인 개발을 도모하기 위해 시가화를 유보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면 - 시가화조정구역을 지정함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은 5년이상 20년 이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과목 : 조경설계
41.
한국이나 중국에서 색을 오행(五行)에 비유하여 나타내는 상징으로 사용하였다. 다음 중 색과 오행의 연결이 틀린 것은?(2015년 09월)
1.
빨강 - 불(火)
2.
노랑 - 흙(土)
3.
검정 - 물(水)
4.
파랑 - 쇠(金)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오방색 동 - 청 - 목 서 - 백 - 금 남 - 적 - 화 북 - 흑 - 수 중앙 - 황 - 토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2.
도로 가용지 상정시 피해야 할 지역으로 거리가 먼 것은?(2005년 03월)
1.
기존마을
2.
급경사지
3.
황폐지
4.
문화유적지
정답 : [
3
] 정답률 : 56%
43.
도면에 레터링(lettering)을 할 때 주의할 사항 중 틀린 것은?(2003년 03월)
1.
레터링은 왼편부터 가로쓰기를 원칙으로 한다.
2.
글자의 선의 굵기와 기울기는 다양해도 괜찮다.
3.
숫자는 가능한 한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한다.
4.
도면에 과다하게 많은 글씨를 쓰지 않는다.
정답 : [
2
] 정답률 : 74%
44.
Gordon Cullen이 도시경관 분석 시 이용했던 분석개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9년 04월)
2인용을 기준으로 높이 2.3~2.5m, 길이 3.0~3.5m, 폭 4.5~5.0m를 표준규격으로 한다.
4.
그네의 안장과 모래밭과의 높이는 35~45㎝가 되도록하며, 이용자의 나이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미끄럼대 등 높이 2m가 넘는 시설물은 인접한 주택과 정면 배치를 피하고, 활주판, 그네 등 사설물으의 주 이용방향과 놀이터의 주 출입로가 주택의 정면과 서로 마주치지 않도록 배치한다 [해설작성자 : 서니]
46.
원로(苑路)에 있어 1인이 통행할 수 있는 소규모의 원로 폭은?(2004년 03월)
1.
20 - 30㎝
2.
40 - 50㎝
3.
60 - 70㎝
4.
120 - 150㎝
정답 : [
3
] 정답률 : 36%
47.
일반적으로 조경설계에서 사용되는 축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1년 03월)
1.
축척이란 실물 크기가 도면상에 나타날 때의 비율이다.
2.
축척은 대지의 규모나 도면의 종류와 따라 달라진다.
3.
일반적으로 어린이공원 계획평면도는 세밀한표현이 가능한 1/500∼1/1000 축척을 사용한다.
4.
일반적으로 상세도에서는 1/10∼1/50 축척을 사용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5%
48.
조경설계기준상의 「조경포장」 관련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3월)
1.
놀이터 포설용 모래는 입경 1~3mm 정도의 입도를 가진 것으로 하고 먼지·점토·불순물 또는 이물질이 없어야 한다.
2.
차도용 포장면의 횡단경사는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 및 시멘트콘크리트포장의 경우 2~4%를 기준으로 한다.
3.
자전거도로 포장면의 종단경사는 2.5~ 3.0%를 기준으로 하되, 최대 5%까지 가능하다.
4.
보도용 포장면의 종단기울기는 1/12이하가 되도록 하되, 휠체어 이용자를 고려하는 경우에는 1/18이하로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 및 시멘트콘크리트포장의 경우 1.5~2.0% [해설작성자 : 조경사선상님]
49.
다음의 조경 시설물 설계기준에 대한 설명중 틀린 것은?(2010년 09월)
1.
안전난간의 높이는 바닥의 마감면으로부터 110cm 이상으로 한다.
2.
단주(볼리드)의 배치간격은 3m를 기준으로 하여 차량의 진입을 막을 수 있도록 설계한다.
3.
설계대상공간에 대한 적극적 침입방지기능을 요하는 울타리의 높이는 1.5~2.1m로 설계한다.
4.
쓰레기통은 각 단위공간의 의자 등 휴게시설에 근접시키되 보행에 방해가 되지 않아야 하며 단위공간마다 1개소 이상 배치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단주(볼라드)의 배치간격은 2m를 기준으로 하여 '차량의 진입을 막을 수 있도록' 설계한다. [해설작성자 : 담연]
50.
친환경적 도시시설 중에는 자전거전용도로가 가장 효율적인 시설 중의 하나이다. 다응 중 자전거 전용도로 설계시 양쪽의 여유를 고려한 1차선 폭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09년 05월)
1.
100cm
2.
120cm
3.
150cm
4.
180cm
정답 : [
3
] 정답률 : 62%
51.
다음 중 Albedo 값이 높은 것부터 낮은 것으로 옳게 나열 한 것은?(2012년 05월)
1.
눈 → 숲 → 바다 → 마른모래
2.
마른모래 → 숲 → 눈 → 바다
3.
눈 → 마른모래 → 숲 → 바다
4.
숲 → 바다 → 마른모래 → 눈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알베도 : 표면에 닿는 복사열이 흡수되지 않고 반사되는 비율(%) [해설작성자 : 사마사마사]
52.
다음 환경지각 이론 중에서 지원성(affordance)의 지각을 내용으로 하는 이론은?(2017년 05월)
1.
형태심리 이론
2.
장(場)의 이론
3.
확률적 이론
4.
생태적 이론
정답 : [
4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지원성(affordance, 행동의 유도성) : 대상의 어떤 속성이 유기체로 하여금 특정한 행동을 하게끔 유도하거나 특정 행동을 쉽게 하게 하는 성질이다. 예컨대, 사과의 빨간색은 따 먹고자 하는 행동을 유도하며, 적당한 높이의 받침대는 앉는 행동을 잘 지원한다.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53.
학교 운동장 포장면의 정지작업을 위한 설계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합한 것은?(2005년 03월)
1.
운동장의 표면은 원활한 배수를 위하여 중심부 양측으로 10% 정도의 경사를 주는 것이 좋다.
2.
운동장의 배수는 편구배가 바람직하며, 5% 내외가 좋다.
3.
운동장 표면은 원활한 배수를 위하여 기울기는 외곽방향으로 0.5 ~ 1%를 표준으로 한다.
4.
운동장의 배수는 편구배가 바람직하며 1% 내외가 좋다.
정답 : [
3
] 정답률 : 73%
54.
면적 200m2 이상인 대지에 건축을 하는 경우 대지 안의 조경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는 법은?(2009년 03월)
1.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2.
주택법
3.
건축법
4.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정답 : [
3
] 정답률 : 43%
55.
조경설계기준상의 하천조경 설계 시 관찰시설 설치와 관련된 내용이 틀린 것은?(2018년 03월)
1.
야생동물이 자주 출현하는 곳에 작은 규모의 야생동물 관찰소를 설치한다.
2.
안전을 위한 데크의 난간 높이는 100㎝ 이상으로 하며, 장애자가 이용하는 데크는 최소 80㎝ 의 폭이 확보되도록 계획한다.
3.
관찰시설 설치는 생태ㆍ 미관의 교육, 체험 목적으로 설치되나, 서식처 보호, 훼손 확산 방지를 위한 이용객 동선 유도 등 꼭 필요한 장소에 설치한다.
4.
관찰시설은 사회적 약자의 배려를 도모하여 진행도중 추락의 위험이 없도록 안전난간을 설치하는 등 안전한 관찰 및 탐방이 가능하도록 설치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난간높이는 120 폭은 100 [해설작성자 : 조경사선상님]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식물을 관찰하기 위한 공간의 경우 식물의 길이를 고려하고 무단출입 방지와 안전을 위한 데크는 그높이를 100cm 미만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하하]
[오류신고 반론] 안전을 위한 난간의 높이는 120cm 이상으로 하며, 장애자용 데크는 최소 100cm의 폭이 확보되로록 계획 한다. 문제에서 안전을 위한 난간이라 했으니, 120cm 이상이 맞음 [해설작성자 : 가자]
56.
색의 진출과 후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4년 03월)
1.
따뜻한 색은 진출색이 된다.
2.
후퇴색은 팽창색이 된다.
3.
명도가 높은 색은 진출색이 된다.
4.
채도가 낮은 색은 후퇴색이 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79%
57.
옹벽이나 급경사지 등 추락 위험이 있는 놀이터, 휴게소, 산책로에 안전난간을 설계하고자 한다. 다음중 안전난간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단, 조경설계기준을 적용한다.)(2012년 09월)
1.
폭은 10cm 이상으로 한다.
2.
높이는 바닥의 마감면으로부터 90cm 이하로 한다.
3.
위험이 많은 장소에 설치하는 간살의 간격은 안목치수 10cm 이하로 한다.
4.
철근콘크리트 또는 강도 및 내구성이 있는 재료로 설계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2. 110cm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높이는 바닥의 마감면으로부터 120cm 이상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배상명]
그네 미끄럼대 등 동적인 놀이시설은 시설물의 주위로 3.0m 이상의 이용공간을 확보하여야 한다.
3.
흔들말 시설 등의 정적인 놀이시설은 시설물 주위로 2.0m이상의 이용공간을 확보하여야 한다.
4.
기어오르기 시설의 높이는 1.5 ~ 2.0m를 기준으로 하고, 줄은 내구성·안전성 등에 적합하게 설계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20%
59.
시각적 선호에 관련된 변수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2017년 05월)
1.
물리적 변수 : 식생, 물, 지형
2.
추상적 변수 : 복잡성, 조화성, 새로움
3.
지역적 변수 : 위치, 거리, 규모
4.
개인적 변수 : 개인의 나이, 학력, 성격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시각적 선호에 관련된 변수에는 지역적 변수란 것은 없다. [해설작성자 : 조]
시각적 선호의 변수에는 물리적 변수, 추상적 변수, 상징적 변수, 개인적 변수가 있다.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시각적 선호의 변수] -물리적 변수 : 지형, 지물, 식생, 물, 색채, 질감, 형태 등 -추상적 변수 : 복잡성, 조화성, 새로움으로 환경속에서 지각되는 추상적 특성 -개인적 변수 : 개인의 연령, 성별, 학력, 성격, 심리적 상태 등에 관계 -상징적 변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0.
다음 항목 가운데 자연적인 형태 주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05년 03월)
1.
유기체적 모서리형(organic edge)
2.
집합과 분열형(clustering and fragmentation)
3.
나선형(spiral)
4.
불규칙 다각형(irregular polygon)
정답 : [
3
] 정답률 : 51%
4과목 : 조경식재
61.
공원에 파고라(pergola)를 설치하고, 덩굴성 식물로 파고라 주변에 식재하려 한다.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어떠한 식물이 가장 적합한가?(2013년 03월)
구조물에 하중이 작용하면, 부재의 각 지점(支点)에는 무엇이 생기는가?(2021년 09월)
1.
우력
2.
합력
3.
전단력
4.
반력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우력 : 크기가 같고 작용선이 평행하며, 방향이 반대인 한 쌍의 힘 -합력 : 물체에 작용하는 여러 개의 힘을 한개의 힘으로 합성했을 떄의 역학적 효과가 합성 전과 동일하다고 할 때 한 개로 대치된 힘 -전단력 : 부재축에 직각방향으로 절단하려는 힘 [해설작성자 : 올리]
99.
50촉광(candle power)인 점광원으로 부터 2m거리에서 그 방향과 직각인 면과 30°기울어진 평면 위의 조도는 얼마인가? (단, cos30°= 0.86, sin30° = 0.5)(2013년 03월)
1.
6.25룩스
2.
10.75룩스
3.
12.5룩스
4.
25.0룩스
정답 : [
2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수평면의 조도= {광도/(광원에서 알려진 지점과의 거리)2}×cosθ ∴ 50/22×0.86=10.75룩스
100.
노무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3월)
1.
노동력의 대가를 말한다.
2.
직접노무비와 간접노무비로 구성된다.
3.
직접노무비 계상법에는 직접계상법과 승률법이 있다.
4.
작업 현장의 보조작업원의 급료는 간접노무비에 속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40%
101.
지방자치제도가 정착되면서 공원관리에 있어서도 주변 주민의 적극적인 참여가 요구된다. 공원 관리에 있어 주민참여를 유도하는 조건 중에서 가장 바람직한 것은?(2009년 03월)
1.
규모나 전문성이 참여자의 수준을 넘지 않게 한다.
2.
관리정책이 충분하게 전달되어 관리효과가 극대화되게 한다.
3.
기존의 조직을 이용하여 주민 참여가 의무화되게 한다.
4.
참여자의 전문성을 고려하여 특정인의 참여를 부각시킨다.
정답 : [
1
] 정답률 : 55%
102.
조경수목의 생육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오염물질이 아닌 것은?(2003년 03월)
1.
아황산가스(SO2)
2.
불화수소(HF)
3.
옥시탄트(오존, PAN)
4.
이산화탄소(CO2)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아황산가스(SO2): 이산화황(SO2)은 공기 오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식물의 교란과 잎의 손상을 일으켜 생육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불화수소(HF): 불화수소는 산성 비오는 형태로 산성화된 물로서 식물의 잎을 손상시키고 섭취된 물에도 해로울 수 있습니다. 옥시탄트(오존, PAN): 대기 중 오존과 다른 산화물질은 식물의 교란을 일으킬 수 있으며, 특히 높은 농도에서 식물의 꽃과 잎을 손상시키고 생육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이산화탄소(CO2): 이산화탄소는 온실 가스로서, 고농도에서는 기후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만, 일반적으로 조경수목의 생육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오염물질은 아닙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선택지는 "4. 이산화탄소(CO2)"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3.
잔디를 정기적으로 적당한 높이에서 예초할 때의 효과로 거리가 먼 것은?(2020년 08월)
1.
잡초 방제 효과
2.
깎인 경엽은 거름으로 제공
3.
잔디분얼 촉진과 밀도를 높임
4.
미관을 증진시켜 휴식처의 이용에 적합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2번의 깍인 경엽은 대취층을 형성한다. 대취는 잔디의 잎, 줄기 및 뿌리 등이 노화되거나 잔디깍기 작업 후에 나온 찌꺼기 등이 쌓인것이다. - 대취층은 병해충의 서식지가 되기도 한다. [해설작성자 : 이응]
104.
가을에 이식한 배롱나무 가지에 새끼를 감는 이유 중 가장 알맞는 것은?(2004년 03월)
1.
가지로부터 수분증산을 막기 위해
2.
가지로부터 수분증산 및 동해를 막기 위해
3.
병충해를 막기 위해
4.
동해와 병충해를 막기 위해
정답 : [
2
] 정답률 : 51%
105.
토성의 분류 방법 중 자갈의 크기는 입경이 몇 mm 이상인가?(2020년 08월)
1.
0.2mm
2.
1mm
3.
2mm
4.
3mm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mm) 0.002 점토 0.002~0.02 고운 모래(미사) 0.02~2 모래 2 이상 자갈 [해설작성자 : 전공관]
106.
다음 목재로 된 벤치에 대한 단점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3월)
1.
병해충의 피해를 받기 쉽다.
2.
습기에 약하며 썩기 쉽다.
3.
내화력이 작다.
4.
파손되면 보수가 곤란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77%
107.
수목관리를 할 때에 수형의 전체 모양을 일정한 양식에 따라 다듬는 작업은?(2018년 09월)
1.
정자(整姿, trimming)
2.
정지(整枝, training)
3.
전제(煎除, trailing)
4.
전정(煎定, pruning)
정답 : [
1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정자(Trimming, 整姿) : 너무 전체의 모양을 일정한 양식에 의한 다듬기(주로 접반송을 관리하는 기법) 정지(Traing, 整枝) : 수목의 수형을 영구히 유지하기 위한 줄기나 가지의 생장조절(조형목 관리하는 기법) 전지(Trailing, 剪枝) : 필요 없는 가지나 생유에 방해가 되는 가지제거 전정(Pruning, 剪定) : 관상과 개화 결실 생육상태 조절기능(과수목에 주로 많이 사용하는 기법) [해설작성자 : 팔봉K]
108.
풍화작용에 의해 규산영광물이나 산화광물로부터 용해된 철성분이 토양내에서 산소 또는 물과 결합하여 토색에 영향을 미치는 작용은?(2012년 03월)
1.
회색화작용
2.
갈색화작용
3.
이탄화작용
4.
포드졸화작용
정답 : [
2
] 정답률 : 48%
109.
다음의 비탈면 표면을 보호(우수침식방지, 동상붕괴억제, 녹화, 전면식생조성)하는 식생공법 중 일반적으로 가장 시공 능률이 높은 것은?(2009년 08월)
1.
직파 공법
2.
식생판 공법
3.
종자 뿜어붙이기 공법
4.
식생혈 공법
정답 : [
3
] 정답률 : 57%
110.
토양에서 서식하고, 충분한 수분을 요구하며, 주로 목조 건물 및 목조 구조물에 피해를 주는 해충은?(2017년 03월)
1.
흰개미
2.
그리마
3.
흰불나방
4.
독일바퀴벌레
정답 : [
1
] 정답률 : 76%
111.
응애류(mite)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7년 03월)
1.
잎의 즙액을 빨아먹는다.
2.
침엽수에만 피해를 준다.
3.
활엽수에만 피해를 준다.
4.
미관상 나쁠 뿐, 생육에는 상관이 없다.
정답 : [
1
] 정답률 : 47%
112.
옥외 레크레이션 관리체계에서 주요 기능의 부체계 관리요소가 될 수 없는 것은?(2018년 09월)
1.
시설관리(facility management)
2.
자원관리(resource management)
3.
이용자관리(visitor management)
4.
서비스관리(service management)
정답 : [
1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레크레이션 관리계획의 3가지 기본 요소 - 이용자 - 자연자원기반 - 서비스관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3.
시설물 이용조사의 항목과 거리가 먼 것은?(2010년 03월)
1.
시간적 이용자 계측조사
2.
시설 현황 조사
3.
이용형태별 조사
4.
의식조사
정답 : [
2
] 정답률 : 29%
114.
다음 중 삽목(꺾꽂이) 발근과 가장 관계없는 인자는?(2010년 09월)
1.
습도
2.
온도
3.
광선
4.
극성
정답 : [
4
] 정답률 : 66%
115.
베수시설의 관리 내용이 아닌 것은?(2008년 05월)
1.
배수로는 정기적인 청소로 낙엽 찌꺼기를 제거한다.
2.
바닥포장시 일정한 구배(경사도)를 주어 물이 고이지 않도록한다.
3.
지반침하로 집수구가 솟아오르면 집수구를 낮추어 준다.
4.
비탈면의 U형 배수구는 인접 지표면 보다 항상 높게 설치하여 표면수가 유입되지 않게 주의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4%
116.
식재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토양의 물리적 성질을 좋게 개량하기 위한 토양개량제로서 가장 부적당한 것은?(2005년 05월)
1.
응회암, 해초
2.
석회, 규석
3.
토탄, 갈탄
4.
펄프폐액, 분뇨
정답 : [
3
] 정답률 : 36%
117.
포플러류 잎의 뒷면에 초여름부터 오렌지색의 작은 가루덩이가 생기고, 정상적인 나무보다 먼저 낙엽이 지는 현상이 나타나는 병은?(2020년 06월)
1.
갈반병
2.
잎녹병
3.
잎마름병
4.
점무늬잎떨림병
정답 : [
2
] 정답률 : 51%
118.
농약 중에서 분제의 물리적 성질에 해당하는 것으로만 나열된 것은?(2019년 03월)
1.
현수성, 유화성
2.
수화성, 접촉각
3.
용적비중, 비산성
4.
습전성, 표면장력
정답 : [
3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분제의 물리적 성질 : 용적비중, 비산성, 분말도, 입도, 부착성과 고착성, 응집력 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9.
솔수염하늘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유충으로 월동한다.
2.
소나무재선충병의 매개체이다.
3.
산란기는 6 ~ 9월이며, 7 ~ 8월에 가장 많다.
4.
암컷 한 마리의 산란수는 평균 500여개 정도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4. 평균 100여개 정도 [해설작성자 : 늘bluesky]
솔수염하늘소는 6~9월에 100여 개의 알을 소나무류의 수피 속에 낳는다. [해설작성자 : 과기대조경원탑]
120.
실내조경용 식물의 인공토양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20년 06월)
1.
질석
2.
펄라이트
3.
피트모스
4.
사질양토
정답 : [
4
] 정답률 : 66%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②
④
①
②
②
②
②
①
②
①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④
①
①
②
②
③
①
②
④
①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④
④
④
①
③
②
③
③
③
③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①
①
④
①
①
①
③
①
③
④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④
③
②
③
②
③
③
②
②
③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③
④
③
③
②
②
②
④
③
③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①
①
②
④
①
③
②
①
①
④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③
①
③
①
④
④
②
②
②
①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③
④
①
③
④
③
③
④
②
②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①
③
②
①
②
④
③
④
②
③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①
④
②
②
③
④
①
②
③
①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①
①
②
④
④
③
②
③
④
④
조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8856737)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