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임상심리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6228227)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임상심리사 1급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임상심리연구방법론


1. t-test의 기본 가정이 아닌 것은?(2012년 09월)
     1. 표본이 무선 표집되어야 한다.
     2. 표본 평규차의 분포가 정상분포 해야 한다.
     3. 표본이 추출된 모집단의 변산이 동질적이어야 한다.
     4. 변인돌 간의 상관이 낮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2.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독립변수 선택 방법은?(2014년 09월)

   

     1. 입력(enter)
     2. 단계선택(stepwise)
     3. 전진(forward)
     4. 후진(backward)

     정답 : []
     정답률 : 83%

3. 다음 중 두 집단 간의 평균차이에 대한 통계적 검증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9년 08월)
     1. 표본크기
     2. 제1종 오류의 확률
     3. 두 집단 평균 간의 실제 차이
     4. 표집방법

     정답 : []
     정답률 : 70%

4. 다음 중 연구가설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0년 09월)
     1. 시험에서 틀린 문제수가 적을수록 더 높은 점수가 나올 것이다.
     2. 여성이 남성보다 성격이 더 좋을 것이다.
     3. 종업원들의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결근하는 횟수가 적을 것이다.
     4. 사람은 해를 거듭할수록 나이가 많아질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95%

5. 다음 중 요인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8월)
     1. t검증이나 일원변량분석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피험자를 이용해 동일한 질문에 답할 수 있다.
     2. 주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3.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4. 종속변인이 두 개 이상인 설계이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종속변인이 두 개 이상인 경우 다변량분석을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보리]

6. 상관관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09월)
     1. 사례수가 부족하면 상관의 크기가 작아질 수 있다.
     2. 두 변인 간에 곡선적인 관계가 있는 경우에 상관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게 나올 수 있다.
     3. 모집단으로부터 제한된 범위의 표본만을 표집하는 경우에 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게 나올수 있다.
     4. 두 변인 간에 인과관계가 있다고 해서 두 변인 간에 반드시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정답 : []
     정답률 : 82%

7. 과학적 조사에서의 자료 수집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0년 09월)
     1. 면접조사는 우편조사보다 응답율이 낮다.
     2. 전화조사는 다른 조사에 비해 시간과 비용이 더 든다.
     3. 우편조사는 최소의 경비와 노력으로 광범위한 지역과 대상을 표본으로 삼을 수 있다.
     4. 집단조사는 응답자들에 대한 통제가 언제나 용이하다.

     정답 : []
     정답률 : 93%

8. 다음 중 귀납적 추리에 해당하는 것은?(2013년 09월)
     1. 아동들에게 비디오 게임을 하게 한 후 이들의 공격성 수준을 예측한다.
     2. 유명한 공격성 이론이 사실이라는 것을 아동 대상 실험을 통해 증명한다.
     3. 공격성에 대해 이미 정립된 이론을 바탕으로 공격성에 대한 가설을 세운다.
     4. 한 실험 연구에서 공격성에 대한 정의를 제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구체적인 사실을 토대로 아동의 공격성 수준을 예측하는 것. 귀납적 추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p(A or B)=p(A)+p(B)라면 A와 B는?(2014년 09월)
     1. 연속적이다.
     2. 상호배타적이다.
     3. 종속적이다.
     4. 중첩된다.

     정답 : []
     정답률 : 92%
     <문제 해설>
A와 B의 교집합 부분이 없는 것을 의미하므로 상호배타적이다.
[해설작성자 : 이희숙]

10. 변산도를 나타내는 통계치를 바르게 짝지은 것은?(2013년 09월)

    

     1. ㄱ, ㄴ, ㄹ
     2. ㄱ, ㄷ, ㅂ
     3. ㄴ, ㄹ, ㅁ
     4. ㄷ, ㄹ, ㅁ

     정답 : []
     정답률 : 75%

11. 연구자가 주관적으로 판단하여, 모집단을 가장 잘 대표한다고 생각되는 사례들을 표본으로 선정하는 표본추출 방법은?(2010년 09월)
     1. 편의 추출
     2. 층화추출
     3. 할당추출
     4. 목적추출

     정답 : []
     정답률 : 65%

12. 다음에서 조사연구의 표본 크기와 표집 오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09월)

    

     1. ㄱ, ㄴ
     2. ㄴ, ㄷ
     3. ㄴ, ㄹ
     4. ㄷ, ㅁ

     정답 : []
     정답률 : 68%

13. 다음 중 변량분석에서 동일 사례수 가정이 파괴되는 상황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은?(2012년 09월)
     1. 결측치
     2. 반복측정설계
     3. 짝짓기설계
     4. 라틴스퀘어설계

     정답 : []
     정답률 : 68%

14. 다중회귀분석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닌 것은?(2014년 09월)
     1. 더미변수(dummy variable)
     2.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
     3. 자기상관(autocorrelation)
     4. 이분산성(heteroscedasticity)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더미변수는 남성, 여성 같은 범주형 독립변수가 통계분석을 위해 1,0과 같은 연속변수로 전환된것이다.
[해설작성자 : 이희숙]

다중공선성은 다중회기분석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 상관분석을 통해 두 독립변수가 간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는 경우를 의미한다,(나눔북 2025 최신판)
[해설작성자 : 이은숙]

15. 표준편차에 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9월)
     1. 변량의 양의 제곱근 값이다.
     2. 모든 변인값이 동일하면 표준편차는 0 이다.
     3. 표준편차가 크다는 것은 점수들이 평균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4. 모집단으로부터 추출한 표본의 평균들이 모집단 평균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알려준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4번은 표준오차에 대한 설명이다.
[해설작성자 : 이희숙]

16. 다음 중 공변량 분석에서 타당한 자료 해석을 위해 가장 중요한 가정은?(2010년 09월)
     1. 회귀선 기울기의 동일성 가정
     2. 대칭행렬 가정
     3. 비직선성 가정
     4. 상호작용 효과 유효성 가정

     정답 : []
     정답률 : 76%

17. 피험자 내 설계(within-subject design)의 장점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4년 09월)
     1. 이중 은폐절차의 사용이 가능하다.
     2. 연습효과가 있어 정확한 데이터 수집이 가능하다.
     3. 개인차로 인한 실험의 효과를 통제할 수 있다.
     4. 이월효과(carry-over effect)를 통제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피험자내설계는 동일한 피험자에게 여러 개의 처치를 투입하고 처치효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피험자내 설계는 연습효과, 이월효과가 있을 수 있다. 앞서 경험한 처치에 비추어 나중에 투입되는 처치의 내용을 피험자들이 추측할 수 있기 때문에 이중은폐는 어려우며 개인간 비교가 아니므로 개인차로 인한 오차는 발생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이희숙]

18. 다음 중 확률표본추출방법이 아닌 것은?(2010년 09월)
     1. 단순무작위표본추출법
     2. 층화표본추출법
     3. 군집표본추출법
     4. 할당표본추출법

     정답 : []
     정답률 : 80%

19. 가설설정 시 유의해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6년 10월)
     1. 가설은 가치중립적인 성질을 띠어야 한다.
     2. 가설의 조작적 정의는 추상적인 성질을 띤다.
     3. 가설은 항상 실증적으로 검증이 가능해야 한다.
     4. 가설은 구체적인 성질의 것이어야 하며 그 뜻이 명확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가설은 실험대상 연구주제 연구방법을 검증 가능한 형태로 만든 문장이다.
추상적인 성질일 때 변수는 조작적 정의가 어렵다
가설의 조작적 정의는 변수 조작과 측정 절차를 구체적으로 명시하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0. 다음 사례의 외적타당도 저해요인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4년 09월)

    

     1. 중다처치에 의한 간섭효과
     2. 사전검사와 실험처치 간의 상호작용
     3. 피험자 선발과 성숙 간의 상호작용
     4. 피험자 선발과 실험처치 간의 상호작용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우울증 환자를 위한 심리치료의 효과를 검증할 때 중증 우울증 환자를 대상으로 실험하였다면 이 치료법이 모든 우울증 환자에게 효과가 있다고 일반화가기 어렵다. 경도 우울증 환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했을 때 심리치료 효과가 없고 중증 환자를 대상으로 했을 때 효과가 있다면 피험자 선발과 실험처치 간의 상호작용한 것이다.
[해설작성자 : 이희숙]

2과목 : 고급이상심리학


21. DSM-IV의 성적 장애 및 성 정체감 장애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2년 09월)
     1. 동성애
     2. 물품음란증
     3. 성욕감퇴장애
     4. 성적흥분장애

     정답 : []
     정답률 : 74%

22. 일주일 리듬 수면-각성 장애에 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9월)
     1. 불규칙한 수면-각성형의 24시간 내 수면 시간의 총합은 동일 연령대의 정상 시간에 해당된다.
     2. 아침에 늦게 일어나고 밤늦게까지 깨어 있는 올빼미식의 수면-각성 주기를 지닌 사람은 지연된 수면단계형에 해당한다.
     3. 조기 수면단계형은 남성에게서 많이 나타난다.
     4. 비24시간 수면-각성형은 맹인에게서 흔히 나타난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조기 수면 단계형은 노인에게 많이 나타난다.
[해설작성자 : 이희숙]

23. 다음 중 범불안장애의 원인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8월)
     1. 정신분석 입장에서 볼 때 의식적 갈등이 주요 원인이나 방어기제에 의해 변형되므로 환자 자신은 불안의 이유를 자각하기 어렵다.
     2. 범불안장애는 여러 가지 사소한 자극에 대해 경미한 불안반응이 조건형성되어 나타나는 다중 공포증이다.
     3. 현재 불안과 관련된 신경전달물질로 알려진 것은 GABA, Norepinephrine, Glutamate 등이다.
     4. 범불안장애를 지닌 사람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이 부족하며 파국적인 결과를 예상하는 인지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62%

24. 공황발작의 인지모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8월)
     1. Clark는 위험지각이 걱정과 염려, 신체감각 고양, 파국적 해석으로 이어지고 이것이 다시 위험지각을 증폭시킨다는 공황발작 인지모형을 주장하였다.
     2. Beck은 불안장애 환자들이 과민한 경계체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하고 신체 내부의 감각에 지나치게 집중한다고 생각하였다.
     3. 불안민감성이 높지 않은 사람들은 공황이 시작되는 시점에 이를 깨닫지 못하므로 심한 발작에까지 이르는 경우가 더 많다.
     4. 공황장애 환자들은 정보처리과정에서 공황발작과 관련된 위협자극에 대한 선택적 주의를 하기 때문에 이를 더 심각하게 지각하는 경향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70%

25. 정신분열증 하위유형 중 편집형이 다른 하위유형과 구별되는 특징은?(2013년 09월)
     1. 초발 연령이 상대적으로 높다.
     2. 남녀 유병율이 거의 비슷한다.
     3. 평균보다 낮은 지적수준을 보인다.
     4. 전반적인 현실검증 능력의 손상을 보인다.

     정답 : []
     정답률 : 65%

26. 다음 중 물질 관련 장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9년 08월)
     1. 물질의존을 진단 내리기 위해서는 내성과 금단 두 가지 증상이 필수적으로 존재해야 한다.
     2. 물질의존은 해당 장애가 12개월 이상, 물질 남용은 해당 장애가 6개월 이상 지속될 때 진단 내린다.
     3. 니코틴의 경우 의존 진단은 가능하지만, 중독이나 남용은 진단 내리지 않는다.
     4. 동일군의 물질에 대해 물질남용과 물질 의존을 함께 진단 내릴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0%

27. 다음 증상에 가장 접합한 진단은?(2016년 10월)

    

     1. 의존성 성격장애
     2. 편집성 성격장애
     3. 강박성 성격장애
     4. 회피성 성격장애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문제의 사례와 같이 어떤 성취를 하여도 언제나 다음 목표를 세워야 하며 즐겁지가 않다든지 휴가를 가서도 일할 거리를 가지고 가서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내기가 어렵다면 강박성 성격장애로 진단이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8. 일반적으로 여성에게서 더 많이 발견되는 것으로 알려진 성격장애를 모두 고른 것은?(2014년 09월)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ㄴ, ㄷ, ㅁ
     4. ㄴ, ㄹ, ㅁ

     정답 : []
     정답률 : 82%

29. 인지행동치료에 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9월)
     1. 개인이 처한 문제상황의 해결에 초점을 두고 최선의 문제해결방법을 치료자와 함께 계획하고 실행한다.
     2. 다양한 스트레스 상황에 대처하는 여러 인지 행동적 기술을 습득한다.
     3. 자신이 가지고 있는 부적응적 인지를 적응적 인지로 대체한다.
     4. 무의식적 갈등이 자신의 삶을 어떻게 지배하고 있는지를 검토하고 더 이상 그 갈등에 의해 지배되지 않도록 실제 생활 속에서 적응적 행동을 실천한다.

     정답 : []
     정답률 : 83%

30. 다음 사례에서 A씨의 진단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2년 09월)

    

     1. 감별불능 신체형장애(undifferentiated somatoform disorder)
     2. 광장공포증을 수반하지 않은 공황장애(panic disorder without agoraphobia)
     3. 통찰을 결여한 건강염려증(hypochondriasis, without insight)
     4. 다른 장애에 분류되지 않는 충동조절장애(impulse-control disorder not otherwise specified)

     정답 : []
     정답률 : 76%

31. 다음 중 주요 우울증 삽화로 진단하기 위한 가능성을 높이는 상황이 아닌 것은?(2009년 08월)
     1. 소아와 청소년의 과민한 기분
     2. 거의 매일 나타나는 불면이나 과다수면
     3. 3개월 전에 경험한 사별 이후 지속되는 반복되는 죽음에 대한 생각
     4. 병이 있는 것에 대한 자책이나 죄책감

     정답 : []
     정답률 : 57%

32. 회피성 인격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09월)
     1. 역동적 관점에서 핵심감정의 문제는 수치심으로 가정된다.
     2. 일반적으로 대인관계에 대해 무관심하다.
     3. 양육과정에서 과잉보호보다는 부모의 학대 및 방임을 경험한 것으로 가정된다.
     4. 분열성 인격장애와 연속선상에 위치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33. 다음은 어떤 망상의 유형에 해당하는가?(2012년 09월)

    

     1. 질투망상
     2. 피해망상
     3. 애정망상
     4. 허무망상

     정답 : []
     정답률 : 77%

34. 다음 중 성정체감 장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8월)
     1. 심리치료는 성정체감 장애에 대해 가장 효과적인 치료방법이다.
     2. 반대 성(性)에 대한 동일시가 성인기 초기에 들어와서 뚜렷하게 나타나는 경우는 어린 시절에 나타나는 경우 보다 반대 성에 대한 동일시가 불안정하며 안성화되는 경향도 약하다.
     3. Freud는 성정체감 장애를 남근기에 고착된 현상으로 설명하고 있는데, 즉 이성의 부모를 과도하게 동일시하게 되면 이후에 성정체감 장애가 생긴다고 보았다.
     4. 동성애와는 구분되는 장애이다.

     정답 : []
     정답률 : 54%

35. 정신불열증의 양성 증상(positive symptom)으로 틀린 것은?(2014년 09월)
     1. 와해된 행동
     2. 환각
     3. 정서적 둔마
     4. 망상

     정답 : []
     정답률 : 86%

36. 뚜렛장애와 주로 동반되는 장애를 모두 고른 것은?(2013년 09월)

    

     1. ㄱ,ㄴ
     2. ㄱ,ㄷ
     3. ㄴ,ㄹ
     4. ㄷ,ㄹ

     정답 : []
     정답률 : 84%

37. DSM-5에서 다음 사례에 가장 적합한 진단명은?(2016년 10월)

    

     1. 조현성 성격장애
     2. 회피성 성격자애
     3. 조현형 성격장애
     4. 자기애성 성격장애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조현성 성격장애 진단기준

A. 다양한 형태의 사회적 유대로부터 반복적으로 유리되고, 대인관계에서 제한된 범위의 감정표현이 전반적으로 나타나며, 이러한 양상이 성인기 초기에 시작되며 여러 상황에서 나타나고 다음 중 4가지 이상에 해당될 때 조현성 성격장애로 진단한다
1) 가족과의 관계를 포함해서 친밀한 관계를 바라지도 않고 즐기지도 않음.
2) 항상 혼자서 하는 행위를 선택함.
3) 다른 사람과의 성적 경험에 대한 관심이 거의 없음.
4) 거의 모든 분야에서 즐거움을 취하려 하지 않음.
5) 일차가족 이외의 친한 친구가 없음.
6) 다른 사람의 칭찬이나 비난에 무관심함.
7) 감정적 냉담, 유리 혹은 단조로운 정동의 표현을 보임.

B. 단, 조현병(정신분열병), 정신병적 양상을 동반한 기분장애, 기타 정신병적 장애 혹은 자폐스펙트럼 장애의 경과 중 발생한 것은 조현성 성격장애로 진단하지 않으며, 다른 의학적 상태의 생리적 효과로 인한 것이 아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조현성 성격장애 [schizoid personality disorder]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8. 다음 중 노인 우울증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9년 08월)
     1. 젊은 연령층과는 달리 남녀 유병율이 비슷하다.
     2. 신체증상, 건강염려증적 호소, 죄책감이 빈번하다.
     3. 기억을 효율적으로 인출하는 능력의 저하가 흔하다.
     4. 조발성(early onset)보다 만발성(late onset)에서 우울증 가족력이 높다.

     정답 : []
     정답률 : 73%

39. 우울증에 대한 Seligman의 학습된 무기력 이론에 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6년 10월)
     1. 정적 강화의 결핍과 혐오적 불쾌 경험 증가에 의한 우울 유발 효과
     2. 반응과 결과 간의 반복적인 무관성 경험의 우울 유발 효과
     3. 상황에 대한 통제 불가능 경험의 우울 유발 효과
     4. 회피 및 도피조건 형성 패러다임에 근거하여 설명된 개념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셀리그만은 우울증인 사람들으 ㄴ실패 경험을 내부적 안정적 전반적 귀인을 주장한다.
실패 경험에 대한 내부적 귀인은 자존감 손상과 우울증 발생에 영향을 미치며 안정적 귀인은 우울증의 만성화 정도를 결정한다.
셀리그만의 학습된 무기력 이론과 정적 강화의 결핍과 혐오적 불쾌경험 증가에 의한 우울 유발 효과는 관련성이 적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0. 인간행동의 습득과정을 설명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하여 변용을 시도하였으며 모델링 형성과정과 1차적 추동, 2차적 추동을 중요시한 이론적 모델은?(2009년 08월)
     1. 정신분석적 모델
     2. 생리학적 모델
     3. 행동주의 모델
     4. 실존주의적 모델

     정답 : []
     정답률 : 79%

3과목 : 고급심리검사


41. 한국아동인성평정척도(KPRC)의 자아탄력성 척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09월)
     1. 심리적 문제에 대한 아동의 대처 능력이나 적응 잠재력을 측정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2. 이 척도가 상승한 아동은 상황의 요구에 맞게 해동하고 환경 변화에 적절히 대처한다.
     3. 다른 모든 임상척도들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인다.
     4. 여러 가지 정신병리 발현 시 환경적 요인의 심각성을 반영하며 치료의 좋은 예후를 시사해 주는 지표이다.

     정답 : []
     정답률 : 83%

42. K-WAIS의 소검사 중 공통성 문제 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0년 09월)
     1. 주의 집중력
     2. 사고의 유연성
     3. 부정적 태도
     4. 개인적 흥미와 관심분야

     정답 : []
     정답률 : 52%

43. 다음 중 시공간 지각 및 구성능력을 측정하는 신경심리검사가 아닌 것은?(2009년 08월)
     1. Block Design Test
     2. Stroop Test
     3. BGT
     4. Rey-Osterrieth Complex Figure Test

     정답 : []
     정답률 : 60%

44. MMPI 타당도 척도 중 F척도에 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9월)
     1. 수검 태도의 지표로 비일상적 반응 경향을 효과적으로 탐지할 수 있다.
     2. 통계적으로 임상척도 프로파일의 척도치를 교정하는데 사용한다.
     3. 일반적인 적응 수준을 추론할 수 있다.
     4. 정신병리 정도를 지적하는 좋은 지침이 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8%

45. 인지 행동적 면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09월)
     1. 문제 행동을 유인하는 환경적 자극 신호로부터 야기되는 환경적 반응의 결과를 중요시한다.
     2. 개인의 핵심적 신념의 규명이 우선적 과제이다.
     3. 목표증상이나 문제행동을 조작적으로 정의한다.
     4. 심리장애에 선행하거나 동반되는 사고 내용을 탐색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46. K-WAIS를 실시하는 절차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0년 09월)
     1. 언어장애와 같은 특별한 결함이 있는 수검자에게는 실시요강의 절차를 엄격히 고집하기보다 동작성 검사를 먼저 실시하여 가벼운 기분으로 검사에 임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2. 언어성 검사에서 대답이 불완전하거나 불분명한 경우 자세히 대답을 해달라고 요구해서는 안된다.
     3. 지능검사는 성능검사이기 때문에 최대한 솔직한 응답을 하도록 유도한다.
     4. K-WAIS는 표준화된 검사이기 때문에 실시와 채점, 해석에 관한 특별한 훈련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75%

47. 다음 중 지능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2년 09월)
     1. 웩슬러 지능 검사는 Spearman의 g요인 개념과 Thorndike(Thurstone 인지 확인을 요함)의 중다요인 지능 개념을 동시에 구현하였다.
     2. 웩슬러 지능 검사에서는 정신연령과 생활연령 간의 비율로 IQ를 산출한다.
     3. 웩슬러 지능 검사는 성인용과 아동용 두 가지 형태로 사용된다.
     4. 한국판 웩슬러 성인용 지능 검사(K-WAIS)는 WAIS-Ⅲ를 이용하여 표준화 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55%

48. 다음 중 임상심리 검사의 해석과 관련된 윤리적 지침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09년 08월)
     1. 임상가는 특정한 해석을 뒷받침할만한 증거가 없는 경우 임상적 경험을 바탕으로 해석한다.
     2. 임상가는 환자에게 검사 결과에 대한 해석뿐만 아니라 환자에게 도움이 된다고 판단될 경우 해석 오류의 가능성에 대한 정보도 알려주어야 한다.
     3. 컴퓨터를 이용한 검사에서는 자극조건이 동일하기 때문에 특별히 검사 환경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4. 장애를 가진 수검자와 일반 수검자의 기능을 비교하는 것이 검사의 주목적일 때 일반규준보다 특수규준을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49. 어떤 지능검사와 측정의 표준오차가 7점일 때, 지능검사 점수가 90점이라면 95% 신뢰구간에서 실제 지능 지수의 범위는 약 얼마로 추정할 수 있는가?(2009년 08월)
     1. 86.5 ~ 93.5
     2. 83 ~ 97
     3. 76 ~ 104
     4. 72 ~ 108

     정답 : []
     정답률 : 50%

50. 다음 중 피검자의 지각적 통합능력을 측정하는 검사는?(2013년 09월)
     1. Hooper Visual Organization Test
     2. Line Bisection Test
     3. Face-Hand Test
     4. Rey Complex Figure Test

     정답 : []
     정답률 : 62%

51.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은?(2014년 09월)

    

     1. 결정적 지능
     2. 전체적 능력
     3. 특수지능
     4. 유동적 지능

     정답 : []
     정답률 : 77%

52. MMPI-2의 척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09월)
     1. S 척도: 고등학교 교사로 지원한 남성들의 반응과 규준집단 남성들의 반응을 대조하는 방식으로 선정되었다.
     2. VRIN 척도: 문항 내용과 상관없이 무분별하게 '그렇다'를 응답하는 경향을 탐지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3. Fp척도: 선정된 F 척도의 문항들과 비교할 때 Fp척도의 만항들은 실제 정신병리를 반영할 가능성이 훨씬 낮다.
     4. TRIN 척도: 수검자가 문항에 비일관적으로 응답하는 경향이 있는지를 탐지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53. 일반적으로 신경심리검사를 실시하는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3년 09월)
     1. 현재의 기능상태에 대한 실제적 평가
     2. 환자관리 및 구체적 치료계획 수립
     3. 구체적인 재활계획 수립
     4. 뇌영상 장비로 판별이 어려운 손상부위의 국재화

     정답 : []
     정답률 : 76%

54. 웩슬러 지능검사의 소검사들을 Cattell-Horn의 방식으로 '유동적ㆍ결정적 지능'으로 분류할 때, 다음 중 유동적 지능 범주에 속할 가능성이 높은 것은?(2013년 09월)
     1. 기본지식
     2. 어휘
     3. 공통성
     4. 이해

     정답 : []
     정답률 : 79%

55. 다음 중 Wechsler 지능검사의 신뢰도를 추정하는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0년 09월)
     1. 검사-재검사법
     2. 반분신뢰도 중 기우 절감법
     3. 반분신뢰도 중 전후 절감법
     4. 내적일관성 방법

     정답 : []
     정답률 : 42%

56. 다음 심리검사의 윤리 강령 중 검사를 실시하기 전에 피검자나 피검자의 법적 대리인으로부터 동의를 받아야 하는 경우는?(2012년 09월)
     1. 법률에 따라 전국적인 검사 실시가 필요할 경우
     2. 정규적인 학교 활동의 일부로 검사를 실시할 경우
     3. 임상에서 정신병리 선별을 목적으로 개발된 검사의 표준화 작업을 실시할 경우
     4. 고용이나 입학허가를 위해 검사를 실시할 경우

     정답 : []
     정답률 : 69%

57. 외상성 뇌 손상 환자의 신경심리평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8월)
     1. 평가의 초점은 뇌손상 여부를 평가하는 것이다.
     2. 결손의 증거를 발견하는데 실패하였더라도 이것이 결손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3. 병전 적응능력, 병전 지능과 관련된 교육 직업 수준에 대한 정보 또한 중요하다.
     4. 두부 손상의 정도는 Glasgow Coma Scale이나 외상후 기억상실 기간으로 평가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9%

58. 운동성 가족화검사(KFD)에 대한 해석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6년 10월)
     1. 특정인물 밑에 선을 긋는 것은 그 인물에 대한 호감을 나타낸다.
     2. 우측에 그려진 인물은 내향성 및 침체성과 관련된다.
     3. 요지의 하단에 그려지는 인물은 가족 내 주도적인 인물을 나타낸다.
     4. 인물 간의 거리는 아동이 지각한 구성원 간의 친밀도나 심리적 거리로 해석된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특정인물 및에 선을 긋는 것은 그 인물에 대한 심리적 이슈를 나타낸다.
우측에 그려진 인물은 외향성 및 활동서오가 관련된다.
용지의 하단에 그려지는 인물은 가족 내 위축된 인물을 나타낸다.
인물간의 거리는 아동이 지각한 구성원 간의 친밀도나 심리적 거리로 해석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9. 학습장애가 있는 것으로의심되는 10세 아동에게 연속수행검사를 실시한 결과 반응속도가 느리고, 누락오류가 많았으며 오경보 오류는 정상범위에 해당하였다. 이때 생각할 수 잇는 심리장애가 아닌 것은?(2009년 08월)
     1. 정신지체
     2.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부주의 우세형
     3. 우울 장애
     4. 품행 장애

     정답 : []
     정답률 : 73%

60. 다음 중 Gardner 가 제시한 지능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09월)
     1. 지능을 '한 문화권이나 여러 문화권에서 가치가 있는 것으로 인정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산물을 창조해내는 능력' 이라고 정의했다.
     2. 인간의 능력의 기저에는 일반지능과 같은 공통적인 능력이 존재한다고 보았다.
     3. 지적 능력은 서로독립적인 여러 유형의 능력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았다.
     4. 전통적인 지능검사의 지능이론이나 타당성에 의문을 제기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64%

4과목 : 고급임상심리학


61. 다음 임상심리학 발전의 주요항목을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2012년 09월)

    

     1. A→B→C→D
     2. C→D→B→A
     3. B→C→A→D
     4. B→A→C→D

     정답 : []
     정답률 : 56%

62. 듣기와 읽기는 양호하지만 특정 말소리를 선택하고 발성하는데 장애가 생기는 유형의 실어증은?(2013년 09월)
     1. 베르니케 실어증
     2. 전도성 실어증
     3. 브로카 실어증
     4. 명칭 실어증

     정답 : []
     정답률 : 73%

63. 일반적인 자문의 단계를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2013년 09월)
     1. 상황의 평가 → 질문의 이해 → 중재전략과 반응개발 → 종결 → 추적 조사
     2. 중재전략과 반응개발 → 상황의 평가 → 질문의 이해 → 추적 조사 → 종결
     3. 상황의 평가 → 중재전략과 반응개발 → 질문의 이해 → 추적 조사 → 종결
     4. 질문의 이해 → 상황의 평가 → 중재전략과 반응개발 → 종결 → 추적 조사

     정답 : []
     정답률 : 78%

64. 대상관계이론 및 치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09월)
     1. 아동에 대한 최초의 정신분석적 치료를 적용한 후 대상 관계 이론의 길을 연 사람은 Fairbairn이다.
     2. 유아를 보는 관점은 쾌락-추구적 관점이 아니라 대상-추구(인간-추구)라는 관점이다.
     3. 대상관계 이론 학자들로는 Winnicott, Balint, Bowlby, Kernberg, Kohut등이 해당된다.
     4. 대상관계 관점에서, 정신병리는 자신과 타인을 항상 전적으로 '악'하거나 '선'한 것 중에 하나로 경직되게 보는 아동의 경향성이 반영된다.

     정답 : []
     정답률 : 83%

65. 일반적인 자문의 단계를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2010년 09월)
     1. 상황의 평가 → 질문의 이해 → 중재전략과 반응개발 → 종결 → 추적조사
     2. 중재전략과 반응개발 → 상황의 평가 → 질문의 이해 → 추적 조사 → 종결
     3. 상황의 평가 → 중재전략과 반응개발 → 질문의 이해 → 추적 조사 → 종결
     4. 질문의 이해 → 상황의 평가 → 중재전략과 반응개발 → 종결 → 추적조사

     정답 : []
     정답률 : 85%

66. 지능 및 지능평가에 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9월)
     1. 편차 IQ란 개인의 수행 점수를 개인의 연령집단과 비교하여 산출한 지능지수로 비율 IQ 상 나이가 증가하는 것에 따라 지능이 낮아지는 것을 보완할 수 있다.
     2. 인종에 따라서 지능의 집단차가 보이기는 하나 이는 인종 간의 우열로 보기보다는 환경적인 문제로 볼 수도 있다.
     3. IQ점수와 학업 성취와의 상관계수는 0.30 이하로 학업 성취는 지능 이외에 동기, 교사 기대, 문화적 배경, 부모의 태도 등이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쌍둥이 연구 등에서 나타난 지능의 유전적 영향과 환경적 영향의 문제를 고려할 때 유전적 영향도 상당한 것으로 인정되며 그 설명변량은 약 50% 정도에 이른다는 결과도 있다.

     정답 : []
     정답률 : 56%

67. 행동평가에서 임상적 판단과 해석을 향상시키는데 가장 적합한 방법은?(2014년 09월)
     1. 행동평가 시 많은 양의 정보들을 얻게 되므로 적절한 분류와 단순화가 핵심적인 방안이다.
     2. 행동평가는 결국 표본 행동의 획득 및 제한적 정보 수집을 기초로 하기 떄문에 핵심 정보들을 중심으로 집중적 의미를 부여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3. 행동평가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충분한 기록을 확보하여야 하며, 가능한대로 충분한 추후조사를 실시하여 기록에 대한 검증과 확인을 거치는 것이 필요하다.
     4. 행동평가에서 모든 상황과 환경적 요인을 알 수는 없으므로 보다 과도한 추정을 통하여 이를 보완하는 것이 요구된다.

     정답 : []
     정답률 : 64%

68. 형사법 체계에서 정상적인 법 절차를 집행하기 어려운 사유로 그 성질이 다른 하나는?(2014년 09월)
     1. 해리성 성격장애환자가 다른 성격 상태에서 범행한 사실을 기억할 수 없는 경우
     2. 정신지체 청소년이 낮은 지능으로 인하여 자신의 범행사실에 대해 정상적인 판단이 어려운 경우
     3. 장기간의 법적 소송문제로 더 이상 재판을 받기가 어려울 정도의 정신적 혼란을 보이는 경우
     4. 급성기 정신병 상태에서 범행을 저질러 분명한 범행동기를 밝히기 어려운 경우

     정답 : []
     정답률 : 67%

69. 다음 중 게슈탈트 치료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2년 09월)
     1. 과학적 측면이 강조된다.
     2. 과거 경험이 현재에 의미 있는 영향을 준다.
     3. 비현실적인 기대를 변화시키는 것에 초점을 둔다.
     4. 현재 경험과 정서 및 행동에 대한 즉각적 자각에 초점을 둔다.

     정답 : []
     정답률 : 74%

70. A씨는 최근 다음과 같은 행동특징을 보이고 있다. A씨가 주로 사용한 방어기제는 무엇인가?(2010년 09월)

    

     1. 부인, 반동형성
     2. 치환, 투사
     3. 투사, 억압, 행동화
     4. 투사, 부인, 주지화

     정답 : []
     정답률 : 80%

71. 행동평가에서 임상적 판단과 해석을 향상시키는 가장 적절한 방법은?(2009년 08월)
     1. 행동평가 시 많은 양의 정보들을 얻게 되므로 적절히 분류하고 단순화시켜야 한다.
     2. 행동평가는 결국 표본 행동의 획득 및 제한적 정보 수집을 기초로 하기 때문에 핵심 정보들을 중심으로 집중적 의미부여가 필요하다.
     3. 행동평가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충분한 기록을 하여야 하며 기회가 된다면, 충분한 추후조사를 실시하여 기록에 대한 검증과 확인을 거치는 것이 필요하다.
     4. 행동평가에서 모든 상황과 환경적 요인을 알 수 없으므로 적절한 추정을 통하여 이를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73%

72. 임상심리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 수련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3년 09월)
     1. 여타 정신건강전문가에 비해 임상심리사의 교육과 수련은 전문가 영역과 과학적 영역이 고루 강조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2. 수련과정의 기본적 기능은 습득한 임상적 지식을 임상실제에 통합하는 것으로 실험적-객관적 태도를 발전 시키고 다른 분야의 전문가와 협업하는 태도를 촉진 시키는 것이다.
     3. 임상심리사와 관련된 학위 과정에서는 연구자적 자질을 강조하며 심층적이고 전문적, 학구적인 지식의 습득을 배양하도록 한다.
     4. 임상심리사는 정신의학 장면에서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학문적 교육보다 병원장면의 수련과정이 중요하며, 이를 반드시 이수하여야만 한다.

     정답 : []
     정답률 : 82%

73. 신경심리학에 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9월)
     1. 신경심리학이란 두뇌 기능과 행동 간 관련성에 대한 연구이다.
     2. 두뇌 손상을 일으키는 원인으로는 외상, 독성물질, 퇴행성 질환과 성격장애가 있다.
     3. 현대 임상신경심리학자는 검사 배터리를 융통성 있게 채택하여 평가한다.
     4. 신경심리학자들은 진단, 회복의 예후, 개입과 재활에 주요 역할을 감당한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두뇌 손상을 일으키는 원인으로는 외상, 독성물질, 퇴행성 질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4. 심리치료에 관한 일반적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09월)
     1. Rogers는 일치성(진솔성),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 정확한 공감을 심리치료 관계의 핵심 태도로 꼽았다.
     2. 심리치료의 구조를 환자에게 알려주는 것은 환자의 불필요한 저항과 전이를 유발시키는 등 부정적인 영향이 클 수 있으므로, 가능하면 상세히 알려주지 않는 것이 좋다.
     3. Egan 은 심리치료자의 미시적 기술로 SOLER(Squarely, Open, Leaning, Eye contact, Relaxed)를 제시하였다.
     4. 심리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가능하면 심리평가를 실시하여 환자에 대한 이해를 촉진하는 것이 권장된다.

     정답 : []
     정답률 : 81%

75. 가까운 미래의 행동 판단 및 임상가가 이미 확보한 개인사 자료와 동일한 상황의 판단 등이 긴밀하게 관계를 갖는 법심리학자의 주요활동 영역은?(2009년 08월)
     1. 전문가 증인
     2. 위험성 예측
     3. 법정참여 능력
     4. 양육권 결정

     정답 : []
     정답률 : 65%

76. 심리치료를 종결해야 할 상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9월)
     1. 치료과정에서 역전이가 나타날 경우
     2. 환자가 다른 지역으로 이사하여 지속적인 치료를 받기 어려운 경우
     3. 치료자가 충분한 지식이나 경험, 기술이 부족하여 더 이상 치료적 관계를 지속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경우
     4. 치료자와 내담자가 최선의 노력을 했지만 더 이상 진전이 없는 고원상태가 지속될 경우

     정답 : []
     정답률 : 76%

77. 다음 중에서 행동의학의 시술영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3년 09월)
     1. 금연
     2. 비만
     3. 만성 통증 관리
     4. 우울증

     정답 : []
     정답률 : 71%

78. 변증법적 행동치료의 4가지 기술훈련 방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09년 08월)
     1. 고통인내(distress tolerance)
     2. 행동시연(behavioral rehearsal)
     3. 마음챙김(mindfulness)
     4. 감정조절(emotional regulation)

     정답 : []
     정답률 : 64%

79. 다음 중 위기면접에서의 면접자 태도로 적합한 것을 모두 고르면?(2009년 08월)

    

     1. B, D
     2. A, B, C
     3. B, C, D
     4. A, B, C, D

     정답 : []
     정답률 : 59%

80. 행동치료에서 효과적인 행동계약을 맺기 위한 지침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9월)
     1. 계약된 보상은 정해진 행동이 나타난 즉시 주어져야 한다.
     2. 계약내용이 명확해야 한다.
     3. 행동계약을 맺을 때 보상기회를 매번 가질 수 있도록 한다.
     4. 내담자가 한 계약은 정해진 시간 내에 충분히 실행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81. 정신사회재활의 기본 목표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0년 09월)
     1. 각 개인의 능력을 사회적응이 가능하도록 호전시킴
     2. 주거환경 및 사회적 환경의 변화를 최대화 함
     3. 병전 기능을 회복하여 양질의 삶을 유지하도록 함
     4. 증상이 더 이상 악화되지 않고 유지되도록 함

     정답 : []
     정답률 : 69%

82. 비언어적 단서 관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3년 09월)
     1. 말하는 스타일
     2. 몸짓과 동작
     3. 표정
     4. 눈물

     정답 : []
     정답률 : 73%

83. 인지행동치료에서 틀린 가정이나 잘못된 개념을 이끄는 체계적 오류와 인지적 왜곡 중 다음은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2010년 09월)

    

     1. 선택적 추론
     2. 과잉 일반화
     3. 근거 없는 추론
     4. 극단적 사고

     정답 : []
     정답률 : 67%

84. 다음 사례에서 A양에게 읽기 이해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가장 적합한 개입은?(2010년 09월)

    

     1. 단어 하나하나에 집중하기보다는 덩어리나 군 단위로 읽도록 한다.
     2. 읽기의 목적이 무엇인지 파악하도록 한다.
     3. 조용히 배경음악을 틀고 혼자서 읽도록 한다.
     4. 기본 시선은 무선의 주앙에 두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83%

85. 심리치료에서 언어적·비언어적 행동 관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09월)
     1. 치료자는 참여적 관찰자가 되어 내담자와의 상호작용에서 일어나는 행동의 불일치를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2. 내담자의 문화적 배경에 따라 상담자의 행동이 다를 필요가 있다.
     3. 관계왜곡이란 치료 장면에서 내담자-치료자 이외의 제3의 어떤 인물이 존재하는 것과 같은 지각적 왜곡현상을 말한다.
     4. 내담자가 언어적·비언어적 행동 불일치인 혼합 메시지를 보일 때 내담자의 진심은 언어적 행동에서 파악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2%

86. 누군가 우리를 멍청하다고 생각하더라도 그것이 그리 비극적인 것이 아님을 느끼게 하는 RET의 절차로 불친절한 웨이터에게 팁을 거부하거나 공구점에서 왼손잡이용 공구를 비치하라고 요구하는 등의 다소 과장된 행동을 하게 하는 절차는?(2010년 09월)
     1. 역할연기
     2. 수치심-공격연습
     3. 유머사용 훈련
     4. 신념 논박하기

     정답 : []
     정답률 : 70%

87. 정신재활에 필요한 유용한 정보를 얻기 위해 이용되는 기능적 평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09월)
     1. 행동적 면담 : 가족체계, 사회관계, 직업기술, 여가활동 등을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면담하는 것이다.
     2. 직접 관찰 :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관찰자의 훈련이 필요하다.
     3. 자기 관찰 : 문제 해동의 빈도 내용을 환자가 스스로 기록하고, 환자가 협조적이지 않을 때 자주 사용된다.
     4. 설문지 검사법 : 환자의 태도가 촉구나 격려를 해야 신뢰성 있는 정보를 얻는다면, 반드시 면담을 함께 해야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4%

88. 다음 사례에서 치료자의 초기개입 방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6년 10월)

    

     1. A군에 대한 개인상담보다는 A군이 부모님과 화해할 수 있도록 가족상담을 최우선적으로 추진한다.
     2. 부모의 잘못된 양육방식을 변화시키려고 노력한다.
     3. A군을 비난하지 않고 가출과 관련된 고민을 충분히 논의한다.
     4. 불량한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하도록 전학을 권유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 불만 가득한 A군은 상담 자체를 거부할 것이기 때문에 가족상담보다는 개인상담이 적합합니다.
2. 부모의 잘못된 양육방식은 초기개입 방향과는 어울리지 않습니다. 초기개입 방향은 라포형성이 적합합니다.
4. 불량한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하도록 원하는 건 부모의 욕구입니다. 또 전학이 답이 아닐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바보같은문제]

89. 상담계획 수립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09월)
     1. 상담자의 가치관과 세계관이 반영되어야 한다.
     2. 상담과정은 사회체계의 기대와 영향을 다루어야 한다.
     3. 상담자가 제안한 상담시간을 내담자의 시간여건 보다 우선시 한다.
     4. 외부지지체계 요소는 배제해야 하며 내담자 고유 자원에 집중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90. 정신분석에서 내담자의 전이반응(transference)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아닌 것은?(2012년 09월)
     1. 분석가의 익명성
     2. 분석가의 중립적 태도
     3. 분석가의 해결되지 않은 갈등
     4. 빈번하고 규칙적인 치료 회기

     정답 : []
     정답률 : 60%

91. 심리치료 상담에서 방어를 다루는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0년 09월)
     1. 자아 강도를 고려하여 방어를 그대로 두는 것이 유익하다면 무시하는 것도 방법이 된다.
     2. 조증 환자처럼 기분 상태가 비정상적인 환자는 주의를 다른 곳으로 전환시키는 것도 효과적이다.
     3. 해석은 자신의 문제를 표현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환자에게 자신의 행동을 직면하도록 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직면에 앞서 상용되는 방법이다.
     4. 자신이 방어기제를 구사하고 있음을 직면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문제에 대해 어느 정도 통찰이 있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92. 학습 문제의 치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09월)
     1. 치료와 평가는 증상의 근원이 되는 지각, 인지와 같은 기본적인 과정을 매우 강조한다.
     2. 치료에서 외견상 동일한 학습 문제를 보이는 아동은 동일한 치료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원칙이다.
     3. 학습 문제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인지과정으로는 작업기억력(또는 관리기능)으로 알려져 있다.
     4. 학습 문제를 가진 아동 중 상당수는 주의력 문제 혹은 우울이나 불안과 같은 정서 문제를 동반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76%

93. 약물중독에 대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 내용으로 권장되지 않는 것은?(2013년 09월)
     1. 위기 상황 및 실수에 대한 대처훈련을 한다.
     2. 외견상 사소해 보이는 일 중에서 재발을 유발할 만한 일을 미리 찾아본다.
     3. 자신의 자제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약물을 접하고도 참는 자제력 시험을 자주 해 본다.
     4. 역할극 시연을 통해 거절 연습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76%

94. 다음 중 정신재활의 기본 원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09월)
     1. 내담자의 의존성을 신중하게 높이면 결국 내담자의 독립적인 기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2. 정신재활의 두 가지 기본적인 개입방법은 내담자의 기술을 발전시키는 것과 내담자에 대한 환경적인 지원을 개발하는 것이다.
     3. 정신재활의 일차적인 목표는 치료적 통찰이 생기도록 하는 것이다.
     4. 재활은 미래 지향적이며, 희망이나 긍정적인 기대가 회복 절차의 결정적인 요인이 된다.

     정답 : []
     정답률 : 49%

95. 정신상태검사 면접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09월)
     1. 진단 면접시 부수적으로 사용된다.
     2. 모든 환자에게 필수적인 사항을 쉽게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다.
     3. 인지, 정서, 행동의 문제점을 탐색하기 위해 사용된다.
     4. K-MMSE 같은 구조화된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간편하다.

     정답 : []
     정답률 : 52%

96. 다음 중 직업재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2009년 08월)
     1. 직업재활은 재활의 궁극적 목적이다.
     2. 직업 능력 평가에서 배치성은 직업의 다양한 요구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개인의 특성을 말한다.
     3. 직업 재활을 위해서는 적절한 기능 평가를 하고 이를 토대로 훈련해야 한다.
     4. 직업 재활 시에는 단계적으로 정신과 환자의 독립심을 증가시켜가면서 실시하는 것이 좋다.

     정답 : []
     정답률 : 42%

97. 상담계획 수립과정에서 치료자가 유의할 사항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4년 09월)
     1. 내담자가 초기에 보이는 불만은 차차 해소되기 때문에 내담자의 불만보다는 긍정적 반응에 초점을 유지한다.
     2. 내담자의 의사전달방식은 언어적 작업인 심리치료에서는 부차적으로 취급되어야 한다.
     3. 치료는 내담자가 호소하는 문제들을 위주로 진행되어야 한다.
     4. 내담자의 문제 정의 및 해결방안은 치료의 진행과정에서 작업가설의 형태로 검증되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98. 다음 중 직업재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0년 09월)
     1. 정신재활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2. 직업능력보다는 정신과적 장애 수준에 대한 고려가 우선이다.
     3. 지원취업모형은 일단 취업을 시킨 후에 부족한 기술을 가르치는 방식이다.
     4.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취업 전 훈련기간은 가능한 짧게 줄이는 것이 권장된다.

     정답 : []
     정답률 : 55%

99. Rogers가 제시한 인간중심치료의 기본 가정이 아닌 것은?(2009년 08월)
     1. 자신의 이론을 정신분석이나 행동주의와는 대비되는 치료과정에 대한 정론으로 제시하였다.
     2. 내담자가 현실을 더욱 완벽하게 직면하는 방법들을 발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다고 가정한다.
     3. 일관성, 수용성, 공감적인 치료관계는 지금-여기의 경험에 관심을 갖도록 이끈다고 가정한다.
     4. 모든 내담자에게 치료자는 실수할 수 있음을 전제한다.

     정답 : []
     정답률 : 53%

100. 학습문제의 반복되는 자기 패배적 3단계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8월)
     1. 비생산적 학습 단계 - 고정적이고 엄격하여 실행하기 어려운 학습 계획을 세우는 단계
     2. 유동적 전략 단계 - 불완전한 것에 유동성을 제공하는 단계
     3. 비합리적 학습 단계 - 계획을 실천하려고 실속 없이 애쓰는 단계
     4. 좌절감, 무력감 단계 - 결국 실패하여 자신의 능력에 대한 모멸감과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여 좌절감을 느끼는 단계

     정답 : []
     정답률 : 52%


정 답 지

임상심리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6228227)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임상심리사 1급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임상심리연구방법론


1. t-test의 기본 가정이 아닌 것은?(2012년 09월)
     1. 표본이 무선 표집되어야 한다.
     2. 표본 평규차의 분포가 정상분포 해야 한다.
     3. 표본이 추출된 모집단의 변산이 동질적이어야 한다.
     4. 변인돌 간의 상관이 낮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2.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독립변수 선택 방법은?(2014년 09월)

   

     1. 입력(enter)
     2. 단계선택(stepwise)
     3. 전진(forward)
     4. 후진(backward)

     정답 : []
     정답률 : 83%

3. 다음 중 두 집단 간의 평균차이에 대한 통계적 검증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9년 08월)
     1. 표본크기
     2. 제1종 오류의 확률
     3. 두 집단 평균 간의 실제 차이
     4. 표집방법

     정답 : []
     정답률 : 70%

4. 다음 중 연구가설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0년 09월)
     1. 시험에서 틀린 문제수가 적을수록 더 높은 점수가 나올 것이다.
     2. 여성이 남성보다 성격이 더 좋을 것이다.
     3. 종업원들의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결근하는 횟수가 적을 것이다.
     4. 사람은 해를 거듭할수록 나이가 많아질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95%

5. 다음 중 요인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8월)
     1. t검증이나 일원변량분석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피험자를 이용해 동일한 질문에 답할 수 있다.
     2. 주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3.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4. 종속변인이 두 개 이상인 설계이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종속변인이 두 개 이상인 경우 다변량분석을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보리]

6. 상관관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09월)
     1. 사례수가 부족하면 상관의 크기가 작아질 수 있다.
     2. 두 변인 간에 곡선적인 관계가 있는 경우에 상관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게 나올 수 있다.
     3. 모집단으로부터 제한된 범위의 표본만을 표집하는 경우에 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게 나올수 있다.
     4. 두 변인 간에 인과관계가 있다고 해서 두 변인 간에 반드시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정답 : []
     정답률 : 82%

7. 과학적 조사에서의 자료 수집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0년 09월)
     1. 면접조사는 우편조사보다 응답율이 낮다.
     2. 전화조사는 다른 조사에 비해 시간과 비용이 더 든다.
     3. 우편조사는 최소의 경비와 노력으로 광범위한 지역과 대상을 표본으로 삼을 수 있다.
     4. 집단조사는 응답자들에 대한 통제가 언제나 용이하다.

     정답 : []
     정답률 : 93%

8. 다음 중 귀납적 추리에 해당하는 것은?(2013년 09월)
     1. 아동들에게 비디오 게임을 하게 한 후 이들의 공격성 수준을 예측한다.
     2. 유명한 공격성 이론이 사실이라는 것을 아동 대상 실험을 통해 증명한다.
     3. 공격성에 대해 이미 정립된 이론을 바탕으로 공격성에 대한 가설을 세운다.
     4. 한 실험 연구에서 공격성에 대한 정의를 제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구체적인 사실을 토대로 아동의 공격성 수준을 예측하는 것. 귀납적 추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p(A or B)=p(A)+p(B)라면 A와 B는?(2014년 09월)
     1. 연속적이다.
     2. 상호배타적이다.
     3. 종속적이다.
     4. 중첩된다.

     정답 : []
     정답률 : 92%
     <문제 해설>
A와 B의 교집합 부분이 없는 것을 의미하므로 상호배타적이다.
[해설작성자 : 이희숙]

10. 변산도를 나타내는 통계치를 바르게 짝지은 것은?(2013년 09월)

    

     1. ㄱ, ㄴ, ㄹ
     2. ㄱ, ㄷ, ㅂ
     3. ㄴ, ㄹ, ㅁ
     4. ㄷ, ㄹ, ㅁ

     정답 : []
     정답률 : 75%

11. 연구자가 주관적으로 판단하여, 모집단을 가장 잘 대표한다고 생각되는 사례들을 표본으로 선정하는 표본추출 방법은?(2010년 09월)
     1. 편의 추출
     2. 층화추출
     3. 할당추출
     4. 목적추출

     정답 : []
     정답률 : 65%

12. 다음에서 조사연구의 표본 크기와 표집 오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09월)

    

     1. ㄱ, ㄴ
     2. ㄴ, ㄷ
     3. ㄴ, ㄹ
     4. ㄷ, ㅁ

     정답 : []
     정답률 : 68%

13. 다음 중 변량분석에서 동일 사례수 가정이 파괴되는 상황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은?(2012년 09월)
     1. 결측치
     2. 반복측정설계
     3. 짝짓기설계
     4. 라틴스퀘어설계

     정답 : []
     정답률 : 68%

14. 다중회귀분석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닌 것은?(2014년 09월)
     1. 더미변수(dummy variable)
     2.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
     3. 자기상관(autocorrelation)
     4. 이분산성(heteroscedasticity)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더미변수는 남성, 여성 같은 범주형 독립변수가 통계분석을 위해 1,0과 같은 연속변수로 전환된것이다.
[해설작성자 : 이희숙]

다중공선성은 다중회기분석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 상관분석을 통해 두 독립변수가 간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는 경우를 의미한다,(나눔북 2025 최신판)
[해설작성자 : 이은숙]

15. 표준편차에 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9월)
     1. 변량의 양의 제곱근 값이다.
     2. 모든 변인값이 동일하면 표준편차는 0 이다.
     3. 표준편차가 크다는 것은 점수들이 평균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4. 모집단으로부터 추출한 표본의 평균들이 모집단 평균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알려준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4번은 표준오차에 대한 설명이다.
[해설작성자 : 이희숙]

16. 다음 중 공변량 분석에서 타당한 자료 해석을 위해 가장 중요한 가정은?(2010년 09월)
     1. 회귀선 기울기의 동일성 가정
     2. 대칭행렬 가정
     3. 비직선성 가정
     4. 상호작용 효과 유효성 가정

     정답 : []
     정답률 : 76%

17. 피험자 내 설계(within-subject design)의 장점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4년 09월)
     1. 이중 은폐절차의 사용이 가능하다.
     2. 연습효과가 있어 정확한 데이터 수집이 가능하다.
     3. 개인차로 인한 실험의 효과를 통제할 수 있다.
     4. 이월효과(carry-over effect)를 통제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피험자내설계는 동일한 피험자에게 여러 개의 처치를 투입하고 처치효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피험자내 설계는 연습효과, 이월효과가 있을 수 있다. 앞서 경험한 처치에 비추어 나중에 투입되는 처치의 내용을 피험자들이 추측할 수 있기 때문에 이중은폐는 어려우며 개인간 비교가 아니므로 개인차로 인한 오차는 발생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이희숙]

18. 다음 중 확률표본추출방법이 아닌 것은?(2010년 09월)
     1. 단순무작위표본추출법
     2. 층화표본추출법
     3. 군집표본추출법
     4. 할당표본추출법

     정답 : []
     정답률 : 80%

19. 가설설정 시 유의해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6년 10월)
     1. 가설은 가치중립적인 성질을 띠어야 한다.
     2. 가설의 조작적 정의는 추상적인 성질을 띤다.
     3. 가설은 항상 실증적으로 검증이 가능해야 한다.
     4. 가설은 구체적인 성질의 것이어야 하며 그 뜻이 명확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가설은 실험대상 연구주제 연구방법을 검증 가능한 형태로 만든 문장이다.
추상적인 성질일 때 변수는 조작적 정의가 어렵다
가설의 조작적 정의는 변수 조작과 측정 절차를 구체적으로 명시하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0. 다음 사례의 외적타당도 저해요인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4년 09월)

    

     1. 중다처치에 의한 간섭효과
     2. 사전검사와 실험처치 간의 상호작용
     3. 피험자 선발과 성숙 간의 상호작용
     4. 피험자 선발과 실험처치 간의 상호작용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우울증 환자를 위한 심리치료의 효과를 검증할 때 중증 우울증 환자를 대상으로 실험하였다면 이 치료법이 모든 우울증 환자에게 효과가 있다고 일반화가기 어렵다. 경도 우울증 환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했을 때 심리치료 효과가 없고 중증 환자를 대상으로 했을 때 효과가 있다면 피험자 선발과 실험처치 간의 상호작용한 것이다.
[해설작성자 : 이희숙]

2과목 : 고급이상심리학


21. DSM-IV의 성적 장애 및 성 정체감 장애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2년 09월)
     1. 동성애
     2. 물품음란증
     3. 성욕감퇴장애
     4. 성적흥분장애

     정답 : []
     정답률 : 74%

22. 일주일 리듬 수면-각성 장애에 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9월)
     1. 불규칙한 수면-각성형의 24시간 내 수면 시간의 총합은 동일 연령대의 정상 시간에 해당된다.
     2. 아침에 늦게 일어나고 밤늦게까지 깨어 있는 올빼미식의 수면-각성 주기를 지닌 사람은 지연된 수면단계형에 해당한다.
     3. 조기 수면단계형은 남성에게서 많이 나타난다.
     4. 비24시간 수면-각성형은 맹인에게서 흔히 나타난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조기 수면 단계형은 노인에게 많이 나타난다.
[해설작성자 : 이희숙]

23. 다음 중 범불안장애의 원인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8월)
     1. 정신분석 입장에서 볼 때 의식적 갈등이 주요 원인이나 방어기제에 의해 변형되므로 환자 자신은 불안의 이유를 자각하기 어렵다.
     2. 범불안장애는 여러 가지 사소한 자극에 대해 경미한 불안반응이 조건형성되어 나타나는 다중 공포증이다.
     3. 현재 불안과 관련된 신경전달물질로 알려진 것은 GABA, Norepinephrine, Glutamate 등이다.
     4. 범불안장애를 지닌 사람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이 부족하며 파국적인 결과를 예상하는 인지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62%

24. 공황발작의 인지모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8월)
     1. Clark는 위험지각이 걱정과 염려, 신체감각 고양, 파국적 해석으로 이어지고 이것이 다시 위험지각을 증폭시킨다는 공황발작 인지모형을 주장하였다.
     2. Beck은 불안장애 환자들이 과민한 경계체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하고 신체 내부의 감각에 지나치게 집중한다고 생각하였다.
     3. 불안민감성이 높지 않은 사람들은 공황이 시작되는 시점에 이를 깨닫지 못하므로 심한 발작에까지 이르는 경우가 더 많다.
     4. 공황장애 환자들은 정보처리과정에서 공황발작과 관련된 위협자극에 대한 선택적 주의를 하기 때문에 이를 더 심각하게 지각하는 경향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70%

25. 정신분열증 하위유형 중 편집형이 다른 하위유형과 구별되는 특징은?(2013년 09월)
     1. 초발 연령이 상대적으로 높다.
     2. 남녀 유병율이 거의 비슷한다.
     3. 평균보다 낮은 지적수준을 보인다.
     4. 전반적인 현실검증 능력의 손상을 보인다.

     정답 : []
     정답률 : 65%

26. 다음 중 물질 관련 장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9년 08월)
     1. 물질의존을 진단 내리기 위해서는 내성과 금단 두 가지 증상이 필수적으로 존재해야 한다.
     2. 물질의존은 해당 장애가 12개월 이상, 물질 남용은 해당 장애가 6개월 이상 지속될 때 진단 내린다.
     3. 니코틴의 경우 의존 진단은 가능하지만, 중독이나 남용은 진단 내리지 않는다.
     4. 동일군의 물질에 대해 물질남용과 물질 의존을 함께 진단 내릴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0%

27. 다음 증상에 가장 접합한 진단은?(2016년 10월)

    

     1. 의존성 성격장애
     2. 편집성 성격장애
     3. 강박성 성격장애
     4. 회피성 성격장애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문제의 사례와 같이 어떤 성취를 하여도 언제나 다음 목표를 세워야 하며 즐겁지가 않다든지 휴가를 가서도 일할 거리를 가지고 가서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내기가 어렵다면 강박성 성격장애로 진단이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8. 일반적으로 여성에게서 더 많이 발견되는 것으로 알려진 성격장애를 모두 고른 것은?(2014년 09월)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ㄴ, ㄷ, ㅁ
     4. ㄴ, ㄹ, ㅁ

     정답 : []
     정답률 : 82%

29. 인지행동치료에 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9월)
     1. 개인이 처한 문제상황의 해결에 초점을 두고 최선의 문제해결방법을 치료자와 함께 계획하고 실행한다.
     2. 다양한 스트레스 상황에 대처하는 여러 인지 행동적 기술을 습득한다.
     3. 자신이 가지고 있는 부적응적 인지를 적응적 인지로 대체한다.
     4. 무의식적 갈등이 자신의 삶을 어떻게 지배하고 있는지를 검토하고 더 이상 그 갈등에 의해 지배되지 않도록 실제 생활 속에서 적응적 행동을 실천한다.

     정답 : []
     정답률 : 83%

30. 다음 사례에서 A씨의 진단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2년 09월)

    

     1. 감별불능 신체형장애(undifferentiated somatoform disorder)
     2. 광장공포증을 수반하지 않은 공황장애(panic disorder without agoraphobia)
     3. 통찰을 결여한 건강염려증(hypochondriasis, without insight)
     4. 다른 장애에 분류되지 않는 충동조절장애(impulse-control disorder not otherwise specified)

     정답 : []
     정답률 : 76%

31. 다음 중 주요 우울증 삽화로 진단하기 위한 가능성을 높이는 상황이 아닌 것은?(2009년 08월)
     1. 소아와 청소년의 과민한 기분
     2. 거의 매일 나타나는 불면이나 과다수면
     3. 3개월 전에 경험한 사별 이후 지속되는 반복되는 죽음에 대한 생각
     4. 병이 있는 것에 대한 자책이나 죄책감

     정답 : []
     정답률 : 57%

32. 회피성 인격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09월)
     1. 역동적 관점에서 핵심감정의 문제는 수치심으로 가정된다.
     2. 일반적으로 대인관계에 대해 무관심하다.
     3. 양육과정에서 과잉보호보다는 부모의 학대 및 방임을 경험한 것으로 가정된다.
     4. 분열성 인격장애와 연속선상에 위치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33. 다음은 어떤 망상의 유형에 해당하는가?(2012년 09월)

    

     1. 질투망상
     2. 피해망상
     3. 애정망상
     4. 허무망상

     정답 : []
     정답률 : 77%

34. 다음 중 성정체감 장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8월)
     1. 심리치료는 성정체감 장애에 대해 가장 효과적인 치료방법이다.
     2. 반대 성(性)에 대한 동일시가 성인기 초기에 들어와서 뚜렷하게 나타나는 경우는 어린 시절에 나타나는 경우 보다 반대 성에 대한 동일시가 불안정하며 안성화되는 경향도 약하다.
     3. Freud는 성정체감 장애를 남근기에 고착된 현상으로 설명하고 있는데, 즉 이성의 부모를 과도하게 동일시하게 되면 이후에 성정체감 장애가 생긴다고 보았다.
     4. 동성애와는 구분되는 장애이다.

     정답 : []
     정답률 : 54%

35. 정신불열증의 양성 증상(positive symptom)으로 틀린 것은?(2014년 09월)
     1. 와해된 행동
     2. 환각
     3. 정서적 둔마
     4. 망상

     정답 : []
     정답률 : 86%

36. 뚜렛장애와 주로 동반되는 장애를 모두 고른 것은?(2013년 09월)

    

     1. ㄱ,ㄴ
     2. ㄱ,ㄷ
     3. ㄴ,ㄹ
     4. ㄷ,ㄹ

     정답 : []
     정답률 : 84%

37. DSM-5에서 다음 사례에 가장 적합한 진단명은?(2016년 10월)

    

     1. 조현성 성격장애
     2. 회피성 성격자애
     3. 조현형 성격장애
     4. 자기애성 성격장애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조현성 성격장애 진단기준

A. 다양한 형태의 사회적 유대로부터 반복적으로 유리되고, 대인관계에서 제한된 범위의 감정표현이 전반적으로 나타나며, 이러한 양상이 성인기 초기에 시작되며 여러 상황에서 나타나고 다음 중 4가지 이상에 해당될 때 조현성 성격장애로 진단한다
1) 가족과의 관계를 포함해서 친밀한 관계를 바라지도 않고 즐기지도 않음.
2) 항상 혼자서 하는 행위를 선택함.
3) 다른 사람과의 성적 경험에 대한 관심이 거의 없음.
4) 거의 모든 분야에서 즐거움을 취하려 하지 않음.
5) 일차가족 이외의 친한 친구가 없음.
6) 다른 사람의 칭찬이나 비난에 무관심함.
7) 감정적 냉담, 유리 혹은 단조로운 정동의 표현을 보임.

B. 단, 조현병(정신분열병), 정신병적 양상을 동반한 기분장애, 기타 정신병적 장애 혹은 자폐스펙트럼 장애의 경과 중 발생한 것은 조현성 성격장애로 진단하지 않으며, 다른 의학적 상태의 생리적 효과로 인한 것이 아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조현성 성격장애 [schizoid personality disorder]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8. 다음 중 노인 우울증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9년 08월)
     1. 젊은 연령층과는 달리 남녀 유병율이 비슷하다.
     2. 신체증상, 건강염려증적 호소, 죄책감이 빈번하다.
     3. 기억을 효율적으로 인출하는 능력의 저하가 흔하다.
     4. 조발성(early onset)보다 만발성(late onset)에서 우울증 가족력이 높다.

     정답 : []
     정답률 : 73%

39. 우울증에 대한 Seligman의 학습된 무기력 이론에 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6년 10월)
     1. 정적 강화의 결핍과 혐오적 불쾌 경험 증가에 의한 우울 유발 효과
     2. 반응과 결과 간의 반복적인 무관성 경험의 우울 유발 효과
     3. 상황에 대한 통제 불가능 경험의 우울 유발 효과
     4. 회피 및 도피조건 형성 패러다임에 근거하여 설명된 개념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셀리그만은 우울증인 사람들으 ㄴ실패 경험을 내부적 안정적 전반적 귀인을 주장한다.
실패 경험에 대한 내부적 귀인은 자존감 손상과 우울증 발생에 영향을 미치며 안정적 귀인은 우울증의 만성화 정도를 결정한다.
셀리그만의 학습된 무기력 이론과 정적 강화의 결핍과 혐오적 불쾌경험 증가에 의한 우울 유발 효과는 관련성이 적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0. 인간행동의 습득과정을 설명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하여 변용을 시도하였으며 모델링 형성과정과 1차적 추동, 2차적 추동을 중요시한 이론적 모델은?(2009년 08월)
     1. 정신분석적 모델
     2. 생리학적 모델
     3. 행동주의 모델
     4. 실존주의적 모델

     정답 : []
     정답률 : 79%

3과목 : 고급심리검사


41. 한국아동인성평정척도(KPRC)의 자아탄력성 척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09월)
     1. 심리적 문제에 대한 아동의 대처 능력이나 적응 잠재력을 측정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2. 이 척도가 상승한 아동은 상황의 요구에 맞게 해동하고 환경 변화에 적절히 대처한다.
     3. 다른 모든 임상척도들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인다.
     4. 여러 가지 정신병리 발현 시 환경적 요인의 심각성을 반영하며 치료의 좋은 예후를 시사해 주는 지표이다.

     정답 : []
     정답률 : 83%

42. K-WAIS의 소검사 중 공통성 문제 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0년 09월)
     1. 주의 집중력
     2. 사고의 유연성
     3. 부정적 태도
     4. 개인적 흥미와 관심분야

     정답 : []
     정답률 : 52%

43. 다음 중 시공간 지각 및 구성능력을 측정하는 신경심리검사가 아닌 것은?(2009년 08월)
     1. Block Design Test
     2. Stroop Test
     3. BGT
     4. Rey-Osterrieth Complex Figure Test

     정답 : []
     정답률 : 60%

44. MMPI 타당도 척도 중 F척도에 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9월)
     1. 수검 태도의 지표로 비일상적 반응 경향을 효과적으로 탐지할 수 있다.
     2. 통계적으로 임상척도 프로파일의 척도치를 교정하는데 사용한다.
     3. 일반적인 적응 수준을 추론할 수 있다.
     4. 정신병리 정도를 지적하는 좋은 지침이 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8%

45. 인지 행동적 면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09월)
     1. 문제 행동을 유인하는 환경적 자극 신호로부터 야기되는 환경적 반응의 결과를 중요시한다.
     2. 개인의 핵심적 신념의 규명이 우선적 과제이다.
     3. 목표증상이나 문제행동을 조작적으로 정의한다.
     4. 심리장애에 선행하거나 동반되는 사고 내용을 탐색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46. K-WAIS를 실시하는 절차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0년 09월)
     1. 언어장애와 같은 특별한 결함이 있는 수검자에게는 실시요강의 절차를 엄격히 고집하기보다 동작성 검사를 먼저 실시하여 가벼운 기분으로 검사에 임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2. 언어성 검사에서 대답이 불완전하거나 불분명한 경우 자세히 대답을 해달라고 요구해서는 안된다.
     3. 지능검사는 성능검사이기 때문에 최대한 솔직한 응답을 하도록 유도한다.
     4. K-WAIS는 표준화된 검사이기 때문에 실시와 채점, 해석에 관한 특별한 훈련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75%

47. 다음 중 지능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2년 09월)
     1. 웩슬러 지능 검사는 Spearman의 g요인 개념과 Thorndike(Thurstone 인지 확인을 요함)의 중다요인 지능 개념을 동시에 구현하였다.
     2. 웩슬러 지능 검사에서는 정신연령과 생활연령 간의 비율로 IQ를 산출한다.
     3. 웩슬러 지능 검사는 성인용과 아동용 두 가지 형태로 사용된다.
     4. 한국판 웩슬러 성인용 지능 검사(K-WAIS)는 WAIS-Ⅲ를 이용하여 표준화 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55%

48. 다음 중 임상심리 검사의 해석과 관련된 윤리적 지침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09년 08월)
     1. 임상가는 특정한 해석을 뒷받침할만한 증거가 없는 경우 임상적 경험을 바탕으로 해석한다.
     2. 임상가는 환자에게 검사 결과에 대한 해석뿐만 아니라 환자에게 도움이 된다고 판단될 경우 해석 오류의 가능성에 대한 정보도 알려주어야 한다.
     3. 컴퓨터를 이용한 검사에서는 자극조건이 동일하기 때문에 특별히 검사 환경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4. 장애를 가진 수검자와 일반 수검자의 기능을 비교하는 것이 검사의 주목적일 때 일반규준보다 특수규준을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49. 어떤 지능검사와 측정의 표준오차가 7점일 때, 지능검사 점수가 90점이라면 95% 신뢰구간에서 실제 지능 지수의 범위는 약 얼마로 추정할 수 있는가?(2009년 08월)
     1. 86.5 ~ 93.5
     2. 83 ~ 97
     3. 76 ~ 104
     4. 72 ~ 108

     정답 : []
     정답률 : 50%

50. 다음 중 피검자의 지각적 통합능력을 측정하는 검사는?(2013년 09월)
     1. Hooper Visual Organization Test
     2. Line Bisection Test
     3. Face-Hand Test
     4. Rey Complex Figure Test

     정답 : []
     정답률 : 62%

51.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은?(2014년 09월)

    

     1. 결정적 지능
     2. 전체적 능력
     3. 특수지능
     4. 유동적 지능

     정답 : []
     정답률 : 77%

52. MMPI-2의 척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09월)
     1. S 척도: 고등학교 교사로 지원한 남성들의 반응과 규준집단 남성들의 반응을 대조하는 방식으로 선정되었다.
     2. VRIN 척도: 문항 내용과 상관없이 무분별하게 '그렇다'를 응답하는 경향을 탐지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3. Fp척도: 선정된 F 척도의 문항들과 비교할 때 Fp척도의 만항들은 실제 정신병리를 반영할 가능성이 훨씬 낮다.
     4. TRIN 척도: 수검자가 문항에 비일관적으로 응답하는 경향이 있는지를 탐지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53. 일반적으로 신경심리검사를 실시하는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3년 09월)
     1. 현재의 기능상태에 대한 실제적 평가
     2. 환자관리 및 구체적 치료계획 수립
     3. 구체적인 재활계획 수립
     4. 뇌영상 장비로 판별이 어려운 손상부위의 국재화

     정답 : []
     정답률 : 76%

54. 웩슬러 지능검사의 소검사들을 Cattell-Horn의 방식으로 '유동적ㆍ결정적 지능'으로 분류할 때, 다음 중 유동적 지능 범주에 속할 가능성이 높은 것은?(2013년 09월)
     1. 기본지식
     2. 어휘
     3. 공통성
     4. 이해

     정답 : []
     정답률 : 79%

55. 다음 중 Wechsler 지능검사의 신뢰도를 추정하는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0년 09월)
     1. 검사-재검사법
     2. 반분신뢰도 중 기우 절감법
     3. 반분신뢰도 중 전후 절감법
     4. 내적일관성 방법

     정답 : []
     정답률 : 42%

56. 다음 심리검사의 윤리 강령 중 검사를 실시하기 전에 피검자나 피검자의 법적 대리인으로부터 동의를 받아야 하는 경우는?(2012년 09월)
     1. 법률에 따라 전국적인 검사 실시가 필요할 경우
     2. 정규적인 학교 활동의 일부로 검사를 실시할 경우
     3. 임상에서 정신병리 선별을 목적으로 개발된 검사의 표준화 작업을 실시할 경우
     4. 고용이나 입학허가를 위해 검사를 실시할 경우

     정답 : []
     정답률 : 69%

57. 외상성 뇌 손상 환자의 신경심리평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8월)
     1. 평가의 초점은 뇌손상 여부를 평가하는 것이다.
     2. 결손의 증거를 발견하는데 실패하였더라도 이것이 결손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3. 병전 적응능력, 병전 지능과 관련된 교육 직업 수준에 대한 정보 또한 중요하다.
     4. 두부 손상의 정도는 Glasgow Coma Scale이나 외상후 기억상실 기간으로 평가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9%

58. 운동성 가족화검사(KFD)에 대한 해석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6년 10월)
     1. 특정인물 밑에 선을 긋는 것은 그 인물에 대한 호감을 나타낸다.
     2. 우측에 그려진 인물은 내향성 및 침체성과 관련된다.
     3. 요지의 하단에 그려지는 인물은 가족 내 주도적인 인물을 나타낸다.
     4. 인물 간의 거리는 아동이 지각한 구성원 간의 친밀도나 심리적 거리로 해석된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특정인물 및에 선을 긋는 것은 그 인물에 대한 심리적 이슈를 나타낸다.
우측에 그려진 인물은 외향성 및 활동서오가 관련된다.
용지의 하단에 그려지는 인물은 가족 내 위축된 인물을 나타낸다.
인물간의 거리는 아동이 지각한 구성원 간의 친밀도나 심리적 거리로 해석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9. 학습장애가 있는 것으로의심되는 10세 아동에게 연속수행검사를 실시한 결과 반응속도가 느리고, 누락오류가 많았으며 오경보 오류는 정상범위에 해당하였다. 이때 생각할 수 잇는 심리장애가 아닌 것은?(2009년 08월)
     1. 정신지체
     2.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부주의 우세형
     3. 우울 장애
     4. 품행 장애

     정답 : []
     정답률 : 73%

60. 다음 중 Gardner 가 제시한 지능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09월)
     1. 지능을 '한 문화권이나 여러 문화권에서 가치가 있는 것으로 인정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산물을 창조해내는 능력' 이라고 정의했다.
     2. 인간의 능력의 기저에는 일반지능과 같은 공통적인 능력이 존재한다고 보았다.
     3. 지적 능력은 서로독립적인 여러 유형의 능력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았다.
     4. 전통적인 지능검사의 지능이론이나 타당성에 의문을 제기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64%

4과목 : 고급임상심리학


61. 다음 임상심리학 발전의 주요항목을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2012년 09월)

    

     1. A→B→C→D
     2. C→D→B→A
     3. B→C→A→D
     4. B→A→C→D

     정답 : []
     정답률 : 56%

62. 듣기와 읽기는 양호하지만 특정 말소리를 선택하고 발성하는데 장애가 생기는 유형의 실어증은?(2013년 09월)
     1. 베르니케 실어증
     2. 전도성 실어증
     3. 브로카 실어증
     4. 명칭 실어증

     정답 : []
     정답률 : 73%

63. 일반적인 자문의 단계를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2013년 09월)
     1. 상황의 평가 → 질문의 이해 → 중재전략과 반응개발 → 종결 → 추적 조사
     2. 중재전략과 반응개발 → 상황의 평가 → 질문의 이해 → 추적 조사 → 종결
     3. 상황의 평가 → 중재전략과 반응개발 → 질문의 이해 → 추적 조사 → 종결
     4. 질문의 이해 → 상황의 평가 → 중재전략과 반응개발 → 종결 → 추적 조사

     정답 : []
     정답률 : 78%

64. 대상관계이론 및 치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09월)
     1. 아동에 대한 최초의 정신분석적 치료를 적용한 후 대상 관계 이론의 길을 연 사람은 Fairbairn이다.
     2. 유아를 보는 관점은 쾌락-추구적 관점이 아니라 대상-추구(인간-추구)라는 관점이다.
     3. 대상관계 이론 학자들로는 Winnicott, Balint, Bowlby, Kernberg, Kohut등이 해당된다.
     4. 대상관계 관점에서, 정신병리는 자신과 타인을 항상 전적으로 '악'하거나 '선'한 것 중에 하나로 경직되게 보는 아동의 경향성이 반영된다.

     정답 : []
     정답률 : 83%

65. 일반적인 자문의 단계를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2010년 09월)
     1. 상황의 평가 → 질문의 이해 → 중재전략과 반응개발 → 종결 → 추적조사
     2. 중재전략과 반응개발 → 상황의 평가 → 질문의 이해 → 추적 조사 → 종결
     3. 상황의 평가 → 중재전략과 반응개발 → 질문의 이해 → 추적 조사 → 종결
     4. 질문의 이해 → 상황의 평가 → 중재전략과 반응개발 → 종결 → 추적조사

     정답 : []
     정답률 : 85%

66. 지능 및 지능평가에 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9월)
     1. 편차 IQ란 개인의 수행 점수를 개인의 연령집단과 비교하여 산출한 지능지수로 비율 IQ 상 나이가 증가하는 것에 따라 지능이 낮아지는 것을 보완할 수 있다.
     2. 인종에 따라서 지능의 집단차가 보이기는 하나 이는 인종 간의 우열로 보기보다는 환경적인 문제로 볼 수도 있다.
     3. IQ점수와 학업 성취와의 상관계수는 0.30 이하로 학업 성취는 지능 이외에 동기, 교사 기대, 문화적 배경, 부모의 태도 등이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쌍둥이 연구 등에서 나타난 지능의 유전적 영향과 환경적 영향의 문제를 고려할 때 유전적 영향도 상당한 것으로 인정되며 그 설명변량은 약 50% 정도에 이른다는 결과도 있다.

     정답 : []
     정답률 : 56%

67. 행동평가에서 임상적 판단과 해석을 향상시키는데 가장 적합한 방법은?(2014년 09월)
     1. 행동평가 시 많은 양의 정보들을 얻게 되므로 적절한 분류와 단순화가 핵심적인 방안이다.
     2. 행동평가는 결국 표본 행동의 획득 및 제한적 정보 수집을 기초로 하기 떄문에 핵심 정보들을 중심으로 집중적 의미를 부여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3. 행동평가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충분한 기록을 확보하여야 하며, 가능한대로 충분한 추후조사를 실시하여 기록에 대한 검증과 확인을 거치는 것이 필요하다.
     4. 행동평가에서 모든 상황과 환경적 요인을 알 수는 없으므로 보다 과도한 추정을 통하여 이를 보완하는 것이 요구된다.

     정답 : []
     정답률 : 64%

68. 형사법 체계에서 정상적인 법 절차를 집행하기 어려운 사유로 그 성질이 다른 하나는?(2014년 09월)
     1. 해리성 성격장애환자가 다른 성격 상태에서 범행한 사실을 기억할 수 없는 경우
     2. 정신지체 청소년이 낮은 지능으로 인하여 자신의 범행사실에 대해 정상적인 판단이 어려운 경우
     3. 장기간의 법적 소송문제로 더 이상 재판을 받기가 어려울 정도의 정신적 혼란을 보이는 경우
     4. 급성기 정신병 상태에서 범행을 저질러 분명한 범행동기를 밝히기 어려운 경우

     정답 : []
     정답률 : 67%

69. 다음 중 게슈탈트 치료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2년 09월)
     1. 과학적 측면이 강조된다.
     2. 과거 경험이 현재에 의미 있는 영향을 준다.
     3. 비현실적인 기대를 변화시키는 것에 초점을 둔다.
     4. 현재 경험과 정서 및 행동에 대한 즉각적 자각에 초점을 둔다.

     정답 : []
     정답률 : 74%

70. A씨는 최근 다음과 같은 행동특징을 보이고 있다. A씨가 주로 사용한 방어기제는 무엇인가?(2010년 09월)

    

     1. 부인, 반동형성
     2. 치환, 투사
     3. 투사, 억압, 행동화
     4. 투사, 부인, 주지화

     정답 : []
     정답률 : 80%

71. 행동평가에서 임상적 판단과 해석을 향상시키는 가장 적절한 방법은?(2009년 08월)
     1. 행동평가 시 많은 양의 정보들을 얻게 되므로 적절히 분류하고 단순화시켜야 한다.
     2. 행동평가는 결국 표본 행동의 획득 및 제한적 정보 수집을 기초로 하기 때문에 핵심 정보들을 중심으로 집중적 의미부여가 필요하다.
     3. 행동평가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충분한 기록을 하여야 하며 기회가 된다면, 충분한 추후조사를 실시하여 기록에 대한 검증과 확인을 거치는 것이 필요하다.
     4. 행동평가에서 모든 상황과 환경적 요인을 알 수 없으므로 적절한 추정을 통하여 이를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73%

72. 임상심리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 수련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3년 09월)
     1. 여타 정신건강전문가에 비해 임상심리사의 교육과 수련은 전문가 영역과 과학적 영역이 고루 강조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2. 수련과정의 기본적 기능은 습득한 임상적 지식을 임상실제에 통합하는 것으로 실험적-객관적 태도를 발전 시키고 다른 분야의 전문가와 협업하는 태도를 촉진 시키는 것이다.
     3. 임상심리사와 관련된 학위 과정에서는 연구자적 자질을 강조하며 심층적이고 전문적, 학구적인 지식의 습득을 배양하도록 한다.
     4. 임상심리사는 정신의학 장면에서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학문적 교육보다 병원장면의 수련과정이 중요하며, 이를 반드시 이수하여야만 한다.

     정답 : []
     정답률 : 82%

73. 신경심리학에 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9월)
     1. 신경심리학이란 두뇌 기능과 행동 간 관련성에 대한 연구이다.
     2. 두뇌 손상을 일으키는 원인으로는 외상, 독성물질, 퇴행성 질환과 성격장애가 있다.
     3. 현대 임상신경심리학자는 검사 배터리를 융통성 있게 채택하여 평가한다.
     4. 신경심리학자들은 진단, 회복의 예후, 개입과 재활에 주요 역할을 감당한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두뇌 손상을 일으키는 원인으로는 외상, 독성물질, 퇴행성 질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4. 심리치료에 관한 일반적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09월)
     1. Rogers는 일치성(진솔성),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 정확한 공감을 심리치료 관계의 핵심 태도로 꼽았다.
     2. 심리치료의 구조를 환자에게 알려주는 것은 환자의 불필요한 저항과 전이를 유발시키는 등 부정적인 영향이 클 수 있으므로, 가능하면 상세히 알려주지 않는 것이 좋다.
     3. Egan 은 심리치료자의 미시적 기술로 SOLER(Squarely, Open, Leaning, Eye contact, Relaxed)를 제시하였다.
     4. 심리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가능하면 심리평가를 실시하여 환자에 대한 이해를 촉진하는 것이 권장된다.

     정답 : []
     정답률 : 81%

75. 가까운 미래의 행동 판단 및 임상가가 이미 확보한 개인사 자료와 동일한 상황의 판단 등이 긴밀하게 관계를 갖는 법심리학자의 주요활동 영역은?(2009년 08월)
     1. 전문가 증인
     2. 위험성 예측
     3. 법정참여 능력
     4. 양육권 결정

     정답 : []
     정답률 : 65%

76. 심리치료를 종결해야 할 상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9월)
     1. 치료과정에서 역전이가 나타날 경우
     2. 환자가 다른 지역으로 이사하여 지속적인 치료를 받기 어려운 경우
     3. 치료자가 충분한 지식이나 경험, 기술이 부족하여 더 이상 치료적 관계를 지속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경우
     4. 치료자와 내담자가 최선의 노력을 했지만 더 이상 진전이 없는 고원상태가 지속될 경우

     정답 : []
     정답률 : 76%

77. 다음 중에서 행동의학의 시술영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3년 09월)
     1. 금연
     2. 비만
     3. 만성 통증 관리
     4. 우울증

     정답 : []
     정답률 : 71%

78. 변증법적 행동치료의 4가지 기술훈련 방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09년 08월)
     1. 고통인내(distress tolerance)
     2. 행동시연(behavioral rehearsal)
     3. 마음챙김(mindfulness)
     4. 감정조절(emotional regulation)

     정답 : []
     정답률 : 64%

79. 다음 중 위기면접에서의 면접자 태도로 적합한 것을 모두 고르면?(2009년 08월)

    

     1. B, D
     2. A, B, C
     3. B, C, D
     4. A, B, C, D

     정답 : []
     정답률 : 59%

80. 행동치료에서 효과적인 행동계약을 맺기 위한 지침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9월)
     1. 계약된 보상은 정해진 행동이 나타난 즉시 주어져야 한다.
     2. 계약내용이 명확해야 한다.
     3. 행동계약을 맺을 때 보상기회를 매번 가질 수 있도록 한다.
     4. 내담자가 한 계약은 정해진 시간 내에 충분히 실행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81. 정신사회재활의 기본 목표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0년 09월)
     1. 각 개인의 능력을 사회적응이 가능하도록 호전시킴
     2. 주거환경 및 사회적 환경의 변화를 최대화 함
     3. 병전 기능을 회복하여 양질의 삶을 유지하도록 함
     4. 증상이 더 이상 악화되지 않고 유지되도록 함

     정답 : []
     정답률 : 69%

82. 비언어적 단서 관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3년 09월)
     1. 말하는 스타일
     2. 몸짓과 동작
     3. 표정
     4. 눈물

     정답 : []
     정답률 : 73%

83. 인지행동치료에서 틀린 가정이나 잘못된 개념을 이끄는 체계적 오류와 인지적 왜곡 중 다음은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2010년 09월)

    

     1. 선택적 추론
     2. 과잉 일반화
     3. 근거 없는 추론
     4. 극단적 사고

     정답 : []
     정답률 : 67%

84. 다음 사례에서 A양에게 읽기 이해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가장 적합한 개입은?(2010년 09월)

    

     1. 단어 하나하나에 집중하기보다는 덩어리나 군 단위로 읽도록 한다.
     2. 읽기의 목적이 무엇인지 파악하도록 한다.
     3. 조용히 배경음악을 틀고 혼자서 읽도록 한다.
     4. 기본 시선은 무선의 주앙에 두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83%

85. 심리치료에서 언어적·비언어적 행동 관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09월)
     1. 치료자는 참여적 관찰자가 되어 내담자와의 상호작용에서 일어나는 행동의 불일치를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2. 내담자의 문화적 배경에 따라 상담자의 행동이 다를 필요가 있다.
     3. 관계왜곡이란 치료 장면에서 내담자-치료자 이외의 제3의 어떤 인물이 존재하는 것과 같은 지각적 왜곡현상을 말한다.
     4. 내담자가 언어적·비언어적 행동 불일치인 혼합 메시지를 보일 때 내담자의 진심은 언어적 행동에서 파악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2%

86. 누군가 우리를 멍청하다고 생각하더라도 그것이 그리 비극적인 것이 아님을 느끼게 하는 RET의 절차로 불친절한 웨이터에게 팁을 거부하거나 공구점에서 왼손잡이용 공구를 비치하라고 요구하는 등의 다소 과장된 행동을 하게 하는 절차는?(2010년 09월)
     1. 역할연기
     2. 수치심-공격연습
     3. 유머사용 훈련
     4. 신념 논박하기

     정답 : []
     정답률 : 70%

87. 정신재활에 필요한 유용한 정보를 얻기 위해 이용되는 기능적 평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09월)
     1. 행동적 면담 : 가족체계, 사회관계, 직업기술, 여가활동 등을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면담하는 것이다.
     2. 직접 관찰 :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관찰자의 훈련이 필요하다.
     3. 자기 관찰 : 문제 해동의 빈도 내용을 환자가 스스로 기록하고, 환자가 협조적이지 않을 때 자주 사용된다.
     4. 설문지 검사법 : 환자의 태도가 촉구나 격려를 해야 신뢰성 있는 정보를 얻는다면, 반드시 면담을 함께 해야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4%

88. 다음 사례에서 치료자의 초기개입 방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6년 10월)

    

     1. A군에 대한 개인상담보다는 A군이 부모님과 화해할 수 있도록 가족상담을 최우선적으로 추진한다.
     2. 부모의 잘못된 양육방식을 변화시키려고 노력한다.
     3. A군을 비난하지 않고 가출과 관련된 고민을 충분히 논의한다.
     4. 불량한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하도록 전학을 권유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 불만 가득한 A군은 상담 자체를 거부할 것이기 때문에 가족상담보다는 개인상담이 적합합니다.
2. 부모의 잘못된 양육방식은 초기개입 방향과는 어울리지 않습니다. 초기개입 방향은 라포형성이 적합합니다.
4. 불량한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하도록 원하는 건 부모의 욕구입니다. 또 전학이 답이 아닐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바보같은문제]

89. 상담계획 수립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09월)
     1. 상담자의 가치관과 세계관이 반영되어야 한다.
     2. 상담과정은 사회체계의 기대와 영향을 다루어야 한다.
     3. 상담자가 제안한 상담시간을 내담자의 시간여건 보다 우선시 한다.
     4. 외부지지체계 요소는 배제해야 하며 내담자 고유 자원에 집중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90. 정신분석에서 내담자의 전이반응(transference)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아닌 것은?(2012년 09월)
     1. 분석가의 익명성
     2. 분석가의 중립적 태도
     3. 분석가의 해결되지 않은 갈등
     4. 빈번하고 규칙적인 치료 회기

     정답 : []
     정답률 : 60%

91. 심리치료 상담에서 방어를 다루는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0년 09월)
     1. 자아 강도를 고려하여 방어를 그대로 두는 것이 유익하다면 무시하는 것도 방법이 된다.
     2. 조증 환자처럼 기분 상태가 비정상적인 환자는 주의를 다른 곳으로 전환시키는 것도 효과적이다.
     3. 해석은 자신의 문제를 표현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환자에게 자신의 행동을 직면하도록 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직면에 앞서 상용되는 방법이다.
     4. 자신이 방어기제를 구사하고 있음을 직면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문제에 대해 어느 정도 통찰이 있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92. 학습 문제의 치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09월)
     1. 치료와 평가는 증상의 근원이 되는 지각, 인지와 같은 기본적인 과정을 매우 강조한다.
     2. 치료에서 외견상 동일한 학습 문제를 보이는 아동은 동일한 치료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원칙이다.
     3. 학습 문제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인지과정으로는 작업기억력(또는 관리기능)으로 알려져 있다.
     4. 학습 문제를 가진 아동 중 상당수는 주의력 문제 혹은 우울이나 불안과 같은 정서 문제를 동반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76%

93. 약물중독에 대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 내용으로 권장되지 않는 것은?(2013년 09월)
     1. 위기 상황 및 실수에 대한 대처훈련을 한다.
     2. 외견상 사소해 보이는 일 중에서 재발을 유발할 만한 일을 미리 찾아본다.
     3. 자신의 자제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약물을 접하고도 참는 자제력 시험을 자주 해 본다.
     4. 역할극 시연을 통해 거절 연습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76%

94. 다음 중 정신재활의 기본 원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09월)
     1. 내담자의 의존성을 신중하게 높이면 결국 내담자의 독립적인 기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2. 정신재활의 두 가지 기본적인 개입방법은 내담자의 기술을 발전시키는 것과 내담자에 대한 환경적인 지원을 개발하는 것이다.
     3. 정신재활의 일차적인 목표는 치료적 통찰이 생기도록 하는 것이다.
     4. 재활은 미래 지향적이며, 희망이나 긍정적인 기대가 회복 절차의 결정적인 요인이 된다.

     정답 : []
     정답률 : 49%

95. 정신상태검사 면접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09월)
     1. 진단 면접시 부수적으로 사용된다.
     2. 모든 환자에게 필수적인 사항을 쉽게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다.
     3. 인지, 정서, 행동의 문제점을 탐색하기 위해 사용된다.
     4. K-MMSE 같은 구조화된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간편하다.

     정답 : []
     정답률 : 52%

96. 다음 중 직업재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2009년 08월)
     1. 직업재활은 재활의 궁극적 목적이다.
     2. 직업 능력 평가에서 배치성은 직업의 다양한 요구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개인의 특성을 말한다.
     3. 직업 재활을 위해서는 적절한 기능 평가를 하고 이를 토대로 훈련해야 한다.
     4. 직업 재활 시에는 단계적으로 정신과 환자의 독립심을 증가시켜가면서 실시하는 것이 좋다.

     정답 : []
     정답률 : 42%

97. 상담계획 수립과정에서 치료자가 유의할 사항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4년 09월)
     1. 내담자가 초기에 보이는 불만은 차차 해소되기 때문에 내담자의 불만보다는 긍정적 반응에 초점을 유지한다.
     2. 내담자의 의사전달방식은 언어적 작업인 심리치료에서는 부차적으로 취급되어야 한다.
     3. 치료는 내담자가 호소하는 문제들을 위주로 진행되어야 한다.
     4. 내담자의 문제 정의 및 해결방안은 치료의 진행과정에서 작업가설의 형태로 검증되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98. 다음 중 직업재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0년 09월)
     1. 정신재활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2. 직업능력보다는 정신과적 장애 수준에 대한 고려가 우선이다.
     3. 지원취업모형은 일단 취업을 시킨 후에 부족한 기술을 가르치는 방식이다.
     4.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취업 전 훈련기간은 가능한 짧게 줄이는 것이 권장된다.

     정답 : []
     정답률 : 55%

99. Rogers가 제시한 인간중심치료의 기본 가정이 아닌 것은?(2009년 08월)
     1. 자신의 이론을 정신분석이나 행동주의와는 대비되는 치료과정에 대한 정론으로 제시하였다.
     2. 내담자가 현실을 더욱 완벽하게 직면하는 방법들을 발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다고 가정한다.
     3. 일관성, 수용성, 공감적인 치료관계는 지금-여기의 경험에 관심을 갖도록 이끈다고 가정한다.
     4. 모든 내담자에게 치료자는 실수할 수 있음을 전제한다.

     정답 : []
     정답률 : 53%

100. 학습문제의 반복되는 자기 패배적 3단계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8월)
     1. 비생산적 학습 단계 - 고정적이고 엄격하여 실행하기 어려운 학습 계획을 세우는 단계
     2. 유동적 전략 단계 - 불완전한 것에 유동성을 제공하는 단계
     3. 비합리적 학습 단계 - 계획을 실천하려고 실속 없이 애쓰는 단계
     4. 좌절감, 무력감 단계 - 결국 실패하여 자신의 능력에 대한 모멸감과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여 좌절감을 느끼는 단계

     정답 : []
     정답률 : 52%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임상심리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6228227)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6 워드프로세서 (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03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3
185 제선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1월25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184 청소년상담사 2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10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183 전기공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5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182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안전관리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4822018)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181 PSAT 헌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8475094)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180 교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6044067)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179 초음파비파괴검사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8월2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178 가스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5월3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177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6월2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176 소방설비기사(전기분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7084639) 좋은아빠되기 2025.11.22 2
175 경찰공무원(순경)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3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2
174 조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8856737)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173 방사선비파괴검사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8월3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 임상심리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6228227)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171 방사선비파괴검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3월28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170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3월28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169 임산가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3월30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168 수능(경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7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167 소음진동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3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Board Pagination Prev 1 ...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 321 Next
/ 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