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토목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342740)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토목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응용역학


1. 그림에서와 같이 케이블 C점에서 하중 33kg이 작용하고 있다. 이때 AC케이블에 작용하는 인장력은?(2011년 03월)

   

     1. 17.5kg
     2. 18.5kg
     3. 25.5kg
     4. 26.5kg

     정답 : []
     정답률 : 55%

2. 그림과 같이 2개의 집중하중이 단순보 위를 통과할 때 절대최대 휨모멘트의 크기와 발생위치 x는?(2010년 09월)

   

     1. Mmax=36.2tㆍm, x=8m
     2. Mmax=38.2tㆍm, x=8m
     3. Mmax=48.6tㆍm, x=9m
     4. Mmax=50.6tㆍm, x=9m

     정답 : []
     정답률 : 78%

3. 단면 2차 모멘트가 I이고 길이가 ℓ인 균일한 단면의 직선상(直線狀)의 기둥이 있다. 지지상태가 1단 고정, 1단 자유인 경우 오일러(Euler) 좌굴하중(Pcr)은? (단, 이 기둥의 영(Young)계수는 E이다.)(2018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4%

4. 균질한 균일 단면봉이 그림과 같이 P1, P2, P3의 하중을 B, C, D점에서 받고 있다. 각 구간의 거리 a=1.0m, b =0.4m, c =0.6m이고 P2=10t, P3=5t의 하중이 작용할 때 D점에서 의 수직방향 변위가 일어나지 않기 위한 하중 P1은 얼마인가?(2011년 10월)

   

     1. 5t
     2. 6t
     3. 8t
     4. 24t

     정답 : []
     정답률 : 62%

5. 다음 그림과 같은 보에서 휨모멘트에 의한 탄성변형 에너지를 구한 값은?(2016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9%

6. 15cm× 25cm 의 직사각형 단면을 가진 길이 4.5m 인 양단 힌지 기둥이 있다. 세장비 λ 는?(2003년 08월)
     1. 62.4
     2. 124.7
     3. 100.1
     4. 103.9

     정답 : []
     정답률 : 75%

7. 그림과 같은 단순보에서 허용휨응력 fha=50kg/cm2, 허용전단응력 τa=5kg/cm2일 때 하중 P의 한계치는?(2007년 05월)

   

     1. 1666.7kg
     2. 2516.7kg
     3. 2500.0kg
     4. 2314.8kg

     정답 : []
     정답률 : 65%

8. 그림의 수평부재 AB는 A지점은 힌지로 지지되고 B점에는 집중하중 Q가 작용하고 있다. C점과 D점에서는 끝단이 힌지로 지지된 길이가 L이고, 휨 강성이 모두 EI로 일정한 기둥으로 지지되고 있다. 두 기둥의 좌굴에 의해서 붕괴를 일으키는 하중 Q의 크기는?(2011년 06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3%

9. 등분포 하중을 받는 단순보에서 중앙점의 처짐을 구하는 공식은? (단, 등분포 하중은 W, 보의 길이는 L, 보의 휨강성은 EI이다.)(2020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9%

10. 다음 그림과 같은 세 힘이 평형 상태에 있다면 점 C에서 작용하는 힘 P와 BC사이의 거리 x로 옳은 것은?(2016년 03월)

    

     1. P = 200㎏, x = 3m
     2. P = 300㎏, x = 3m
     3. P = 200㎏, x = 2m
     4. P = 300㎏, x = 2m

     정답 : []
     정답률 : 80%

11. 다음 그림의 단순보에 이동하중이 작용할 때 절대 최대 휨모멘트를 구한 값은?(2013년 06월)

    

     1. 18.20t ∙ m
     2. 22.09t ∙ m
     3. 26.76t ∙ m
     4. 32.80t ∙ m

     정답 : []
     정답률 : 65%

12. 그림과 같이 길이가 2L인 w의 등분포하중이 작용할 대 중앙지점을 δ만큼 낮추면 중간지점의 반력(RB) 값은 얼마인가?(2012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6%

13. 다음중 정(+)의 값 뿐만 아니라 부(-)의 값도 갖는것은?(2007년 03월)
     1. 단면계수
     2. 단면 2차모멘트
     3. 단면 2차 변경
     4. 단면 상승 모멘트

     정답 : []
     정답률 : 83%

14. 균질한 강봉에 하중이 아래 그림과 같이 가해질때 D점이 움직이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하중 P3에 추가하여 얼마의 하중(P)이 더 가해져야 하는가? (단, P1= 12t, P2 = 8t, P3 = 6t이다.)(2013년 06월)

    

     1. 5.6t
     2. 7t
     3. 11.6t
     4. 14t

     정답 : []
     정답률 : 47%

15. 다음 라멘의 수직반력 RB는?(2019년 03월)

    

     1. 2t
     2. 3t
     3. 4t
     4. 5t

     정답 : []
     정답률 : 80%

16. 그림과 같은 캔틸레버보에서 하중을 받기전 B점의 1㎝ 아래에 받침부(B')가 있다. 하중 20t이 보의 중앙에 작용할 경우 B'에 작용하는 수직반력의 크기는? (단, EI=2.0×1012kg·cm2이다.)(2014년 09월)

    

     1. 200kg
     2. 250kg
     3. 300kg
     4. 350kg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하중에 의한 B점의 처짐 : (5/48)*(PL^3/EI)    반력에 의한 B점의 처짐 : (1/3) * (Rb*L^3/EI)
처짐B= (5PL^3)/(48EI) - (Rb*L^3/3EI)= 1cm    여기서 공통된 부분 생략 후 계산
Rb= 5P/16 - 3EI/L^3 = 5(20*10^3)/16 - 3(2*10^12)/(10*10^2)^3 = 250kgf
[해설작성자 : 계대해병]

17. 그림의 라멘에서 수평반력 H를 구한 값은?(2007년 03월)

    

     1. 9.0 t
     2. 4.5 t
     3. 3.0 t
     4. 2.25 t

     정답 : []
     정답률 : 50%

18. 다음 보의 C점의 수직처짐량은?(2017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0%

19. 그림과 같은 도형에서 빗금친 부분에 대한 x, y축의 단면 상승모멘트(Ixy)는?(2012년 03월)

    

     1. 2cm4
     2. 4cm4
     3. 8cm4
     4. 16cm4

     정답 : []
     정답률 : 75%

20. 길이가 3m이고 가로 200mm, 세로 300mm인 직사각형 단면의 기둥이 있다. 지지상태가 양단힌지인 경우 좌굴응력을 구하기 위한 이 기둥의 세장비는?(2020년 08월)
     1. 34.6
     2. 43.3
     3. 52.0
     4. 60.7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답 1번으로 계산됨. (KL/rx)=3000/86.6=34.64.... , rx=루트(200*300^3/12)/200*300=86.6....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3번 맞습니다.
KL / r.min
K=1 (문제에 없기 때문에 1로 가정)
L=300[cm]
r.min = root(I / A) = root(bh^3/12 / bh) = root(h^2/12)
r.min이어야 하므로, h에 최솟값이 들어가야 합니다. b=30[cm], h=20[cm]
root(h^2 / 12) = root(20^2 / 12) = root(33.333) = 5.77 [cm]

KL/r.min = 1*300/5.77 = 51.99
h에 20 대신에 30 넣으면 위에 분처럼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수정]

[오류신고 반론]
정답 3번으로 나옵니다.
오류신고 반론 하신분처럼 문제 풀면 됩니다. 첫번째분은 h = 300 집어 넣으셔서 틀린거입니다
[해설작성자 : 지나가는 토목인]

[오류신고 반론]
세장비=기둥 의 길이/ 최소회전반지름
최소회전반지름=루트Imin/A= 5.77cm
=루트(bh^2/12)/bh
[해설작성자 : comcbt.com이용자]

[관리자 입니다.
오류신고 반론은 여기까지만 받는것으로 하겠습니다.
오류신고 내용은 남겨 두겠습니다.
잘못 풀면 저렇게 풀수도 있다는것도 해설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서 입니다.
감사합니다.]

2과목 : 측량학


21. 비행장이나 운동장과 같이 넓은 지형의 정지 공사시에 토량을 계산하고자 할 때 적당한 방법은?(2003년 05월)
     1. 점고법
     2. 등고선법
     3. 중앙단면법
     4. 양단면 평균법

     정답 : []
     정답률 : 64%

22. 삼각수준측량에 의해 높이를 측정할 때 기지점과 미지점의 쌍방에서 연직각을 측정하여 평균하는 이유는?(2019년 08월)
     1. 연직축오차를 최소하하기 위하여
     2. 수평분도원의 편심오차를 제거하기 위하여
     3. 연직분도원의 눈금오차를 제거하기 위하여
     4. 공기의 밀도변화에 의한 굴절 오차의 영향을 소거하기 위하여

     정답 : []
     정답률 : 47%

23. 어떤 각을 12회 관측한 결과 ± 0.5″ 의 평균제곱근오차를 얻었다. 같은 정확도로 해서 ± 0.3″ 의 평균제곱근오차를 얻으려면 몇회 관측하는 것이 좋은가?(2004년 05월)
     1. 5회
     2. 8회
     3. 18회
     4. 34회

     정답 : []
     정답률 : 20%

24. 축척 1/25,000 지형도상에서 거리가 6.73cm인 두 점 사이의 거리를 다름 축척의 지형도에서 측정한 결과 11.21cm이었다. 이 지형도의 축척은 약 얼마인가?(2006년 09월)
     1. 1/20,000
     2. 1/18,000
     3. 1/15,000
     4. 1/13,000

     정답 : []
     정답률 : 57%

25. 양수표 설치장소 선정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9월)
     1. 지천의 합류점으로 지천에 의한 수위 변화가 뚜렷한 곳
     2. 홍수시에도 양수표를 쉽게 읽을 수 있는 곳
     3. 세굴과 퇴적이 생기지 않는 곳
     4. 유속의 변화가 심하지 않은 곳

     정답 : []
     정답률 : 73%

26. 그림에서 AD, BD 간에 단곡선을 설치할 때 潮ADB의 2등분 선상의 C 점을 곡선의 중점으로 선택하였을 때 이 곡선의 접선길이를 구한 값은? (단, DC = 10.0m, I = 80° 20' 이다.)(2004년 05월)

    

     1. 34.05m
     2. 32.41m
     3. 27.35m
     4. 15.31m

     정답 : []
     정답률 : 20%

27. 그림과 같은 도로 횡단면도의 단면적은? (단, O을 원점으로 하는 좌표(x, y)의 단위:[m])(2016년 10월)

    

     1. 94m2
     2. 98m2
     3. 102m2
     4. 106m2

     정답 : []
     정답률 : 70%

28. 초점거리 150mm인 카메라로 1:20000 축척의 항공사진을 촬영할 때의 비행고도(m)는?(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0년 03월)
     1. 1000m
     2. 2000m
     3. 3000m
     4. 4000m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사진측량 관련 문제는 2022년 부터 시험 범위에서 제외 되었습니다.

29. 곡선 반지름이 500m인 단곡선의 종단현이 15.343m이라면 이에 대한 편각은?(2014년 09월)
     1. 0˚ 31' 37"
     2. 0˚ 43' 19"
     3. 0˚ 52' 45"
     4. 1˚ 04' 26"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90/파이)*(L/R)
=1718.87분*(15.343/500)=0도52분45초
[해설작성자 : kkkouy]

30. 측량성과표에 측점A의 진북방향각은 0°06′17″이고, 측점A에서 측점B에 대한 평균방향각은 263°38′26″로 되어 있을 때에 측점A에서 측점B에 대한 역방위각은?(2018년 08월)
     1. 83°32′09″
     2. 83°44′43″
     3. 263°32′09″
     4. 263°44′43″

     정답 : []
     정답률 : 47%

31. 어떤 노선을 수준측량하여 작성된 기고식 야장의 일부 중 지반고 값이 틀린 측점은? (단, 단위 : m)(2022년 03월)

    

     1. 측점 1
     2. 측점 2
     3. 측점 3
     4. 측점 4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측점 0 기계고 : 123.567+3.121=126.688m
측점 1 지반고 : 126.688-2.586=124.102m
측점 2 지반고 : 126.688-4.065=122.623m
측점 2 기계고 : 122.623+2.428=125.051m
측점 3 지반고 : 125.051-(-0.664)=125.715m
측점 4 지반고 : 125.051-2.321=122.730m
로 측점 3의 지반고의 값이 잘못되었다.
[해설작성자 : dh]

32. 위성에 의한 원격탐사(Remote Sensing)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8년 08월)
     1. 항공사진측량이나 지상측량에 비해 넓은 지역의 동시측량이 가능하다.
     2. 동일 대상물에 대해 반복측량이 가능하다.
     3. 항공사진측량을 통해 지도를 제작하는 경우보다 대축척 지도의 제작에 적합하다.
     4. 여러 가지 분광 파장대에 대한 측량자료 수집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주제도 작성이 용이하다.

     정답 : []
     정답률 : 74%

33. 교각 I= 90° , 곡선반경 R=150m 인 단곡선의 교점(I.P)의 추가거리가 1139.250m 일 때 곡선의 종점(E.C)까지의 추가거리는?(2004년 03월)
     1. 875.375m
     2. 989.250m
     3. 1224.869m
     4. 1374.825m

     정답 : []
     정답률 : 42%

34. A, B 두 점간의 거리를 관측하기 위하여 그림과 같이 세 구간으로 나누어 측량하였다. 측선 의 거리는? (단, Ⅰ:10m±0.01m, Ⅱ : 20m±0.03m, Ⅲ : 30m±0.05m이다.)(2018년 04월)

    

     1. 60m±0.09m
     2. 30m±0.06m
     3. 60m±0.06m
     4. 30m±0.09m

     정답 : []
     정답률 : 61%

35. 완화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9월)
     1. 완화곡선의 접선은 시점에서 원호에, 종점에서 직선에 접한다.
     2. 완화곡선에 연한 곡선반지름의 감소율은 캔트(cant)의 증가율과 같다.
     3. 완화곡선의 반지름은 그 시점에서 무한대, 종점에서는 원곡선의 반지름과 같다.
     4. 모든 클로소이드(clothoid)는 닮음 꼴이며 클로소이드 요소는 길이의 단위를 가진 것과 단위가 없는 것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완화곡선의 접선은 시점에서 직선에, 종점에서 원호에 접한다.

많이 풀어도 헷갈리는데 ㅅㅈ=ㅈㅅ 이거 하나만 외워두세요
[해설작성자 : 응 내일이야]

36. 직사각형의 두변의 길이를 1/100 정밀도로 관측하여 면적을 산출할 경우 산출된 면적의 정밀도는?(2016년 03월)
     1. 1/50
     2. 1/100
     3. 1/200
     4. 1/300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da*2a=dA에서, da=(1/100) 대입시 답나옴
부피는 3da=dV 사용
[해설작성자 : 7군토목]

37. 수심이 H인 하천의 유속을 3점법에 의해 관측할 때, 관측 위치로 옳은 것은?(2016년 10월)
     1. 수면에서 0.1H, 0.5H, 0.9H가 되는 지점
     2. 수면에서 0.2H, 0.6H, 0.8H가 되는 지점
     3. 수면에서 0.3H, 0.5H, 0.7H가 되는 지점
     4. 수면에서 0.4H, 0.5H, 0.9H가 되는 지점

     정답 : []
     정답률 : 84%

38. 축척 1:20000인 항공사진에서 굴뚝의 변위가 2.0mm이고, 연직점에서 10cm 떨어져 나타났다면 굴뚝의 높이는? (단, 촬영 카메라의 초점거리=15cm)(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21년 08월)
     1. 15m
     2. 30m
     3. 60m
     4. 80m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사진측량 출제기준 제외

39. 측지학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3월)
     1. 측지학이란 지구내부의 특성, 지구의 형상, 지구표면의 상호위치관계를 결정하는 학문이다.
     2. 물리학적 측지학은 중력측정, 지자기측정 등을 포함한다.
     3. 기학학적 측지학에는 천문측량, 위성측량, 높이의 결정 등이 있다.
     4. 측지측량이란 지구의 곡률을 고려하지 않는 측량으로 11km 이내를 평면으로 취급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측지측량이란 지구의 곡률을 고려하는 측량으로 반지름 11km이상의 넓은 지역의 측량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도아]

40. 하천에서 수애선 결정에 관계되는 수위는?(2006년 09월)
     1. 갈수위(DWL)
     2. 최저수위(HWL)
     3. 평균최저수위(NHWL)
     4. 평수위(OWL)

     정답 : []
     정답률 : 72%

3과목 : 수리학 및 수문학


41. 단위도의 지속시간을 변경시킬 때 사용되는 방법은?(2004년 05월)
     1. N - day법
     2. S - 곡선법
     3. ø - index법
     4. Stevens법

     정답 : []
     정답률 : 18%

42. 강우계의 관측분포가 균일한 평야지역의 작은 유역에 발생한 강우에 적합한 유역 평균 강우량 산정법은?(2017년 03월)
     1. Thiessen의 가중법
     2. Talbot의 강도법
     3. 산술평균법
     4. 등우선법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산술평균법-평야지역에서 강우분포가 균일
[해설작성자 : 헤이즈지원]

43. 도수(Hydraulic Jump) 전후의 수심 h1, h2의 관계를 도수 전의 후루드수 Fr1의 함수로 표시한 것으로 옳은 것은?(2012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2%

44. 폭이 50m인 직사각형 수로의 도수 전 수위(h1)는 3m, 유량(Q)은 2000m3/sec일 때 대응수심은?(2005년 03월)
     1. 1.6m
     2. 6.1m
     3. 9.0m
     4. 도수가 발생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42%

45. 지하수에 대한 Darcy 법칙의 유속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5월)
     1. 영향권의 반지름에 비례한다.
     2. 동수경사에 비례한다.
     3. 동수반경에 비례한다.
     4. 수심에 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46. 그림에서 수조 내의 높이 h가 일정하게 물을 공급할 때 C점에 유속vc=10m/sec가 되도록 유지하기 위한 h는? (단, 수조내의 유속 vA는 무시)(2006년 03월)

    

     1. 2.0m
     2. 1.7m
     3. 1.4m
     4. 1.1m

     정답 : []
     정답률 : 30%

47. 유량 147.6L/s를 송수하기 위하여 안지름 0.4m의 관을 700m의 길이로 설치하였을 때 흐름의 에너지 경사는? (단, 조도계수 n=0.012, Manning 공식 적용)(2019년 03월)
     1. 1/700
     2. 2/700
     3. 3/700
     4. 4/700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Rh = 0.4/4 = 0.1m
0.1476m^3/s = π/4*0.4^2*1/0.012*0.1^[2/3]*sqrt(S)
S = 4.28*10^-3
S*L = 4.28*10^-3*700 = 약 3m. 따라서 답은 3/70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8. 관수로에서 상대조도란 무엇인가?(2004년 09월)
     1. 관직경에 대한 관벽의 조도와의 비
     2. 최대유속에 대한 관벽의 조도와의 비
     3. 평균유속에 대한 관벽의 조도와의 비
     4. 한계 Reynolds 수에 대한 관벽의 조도와의 비

     정답 : []
     정답률 : 28%

49. 다음 표는 어느 지역의 40분간 집중 호우를 매 5분 마다 관측한 것이다. 지속기간이 20분인 최대강우강도는?(2019년 04월)

    

     1. I = 49 mm/hr
     2. I = 59 mm/hr
     3. I = 69 mm/hr
     4. I = 72 mm/hr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20분간 최대 강우=5+8+7+3=23mm
시간당 최대강우강도=23*3mm/hr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최대강우강도=5+8+7+3=23mm
=23×(60/20)=69mm/hr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0. 관수로 흐름에서 레이놀즈수가 500보다 작은 경우의 흐름 상태는?(2018년 04월)
     1. 상류
     2. 난류
     3. 사류
     4. 층류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레이놀즈수: 무차원의 수로 흐름상태를 구분하는 지표이다
Re<2000 층류
Re<4000 난류
2000<Re<4000 천이영역
[해설작성자 : 덕이]

51. 오리피스에서 Cc를 수축계수, Cv를 유속계수라 할 때 실제유량과 이론유량과의 비(C)는?(2005년 03월)
     1. C = Cc·Cv
     2. C = Cc / Cv
     3. C = Cv
     4. C = Cc

     정답 : []
     정답률 : 56%

52. 한계수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5년 09월)
     1. 일정한 유량이 흐를 때 비에너지가 가장 큰 수심이다.
     2. 일정한 비에너지에서 최대 유량을 흐르게 할 수 있는 수심이다.
     3. 유량이 일정할 때 최소 비력(Specific Force)이 되는 수심이다.
     4. 상류에서 사류로 변할 경우에 한계수심이 지배단면이 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3%

53. 수문을 갑자기 닫아서 물의 흐름을 막으면 상류(上流)쪽의 수면이 갑자기 상승하여 단상(段狀)이 되고, 이것이 상류로 향하여 전파된다. 이러한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2006년 03월)
     1. 장파(長波)
     2. 단파(段波)
     3. 홍수파(洪水波)
     4. 파상도수(波狀跳水)

     정답 : []
     정답률 : 54%

54. 그림과 같은 유역(12km×8km)의 평균강우량을 Thiessen 방법으로 구한 값은? (단, 작은 삼각형은 2km×2km의 정사각형으로서 모두 크기가 동일하다.)(2020년 08월)

    

     1. 120mm
     2. 123mm
     3. 125mm
     4. 130mm

     정답 : []
     정답률 : 58%

55. 면적 10㎢의 지역에 3시간에 10mm의 강우강도로 무한히 내릴 때 평형유출량(Qe)은 약 얼마인가?(2009년 03월)
     1. 9.72 m3/sec
     2. 9.26 m3/sec
     3. 8.94 m3/sec
     4. 8.33 m3/sec

     정답 : []
     정답률 : 53%

56. 강우 자료의 일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은?(2022년 03월)
     1. 합리식
     2. DAD 해석법
     3. 누가 우량 곡선법
     4. SCS (Soil Conservation Service) 방법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강우자료 일관성 분석 = 이중누가우량 분석법
[해설작성자 : oO]

57. 개수로 흐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9월)
     1. 한계류 상태에서는 수심의 크기가 속도수두의 2배가 된다.
     2. 유량이 일정할 때 상류에서는 수심이 작아질수록 유속이 커진다.
     3. 비에너지는 수평기준면을 기준으로 한 단위무게의 유수가 가진 에너지를 말한다.
     4. 흐름이 사류에서 상류로 바뀔 때에는 도수와 함께 큰 에너지 손실을 동반한다.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비에너지는 수로 바닥을 기준으로 한 단위무게의 유수가 가진 에너지이다.
[해설작성자 : 필기2수]

58. 물의 단위중량 ω, 수면경사 I, 수리평균심 R이라 할 때, 등류 내에서의 유수의 소류력 τ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2011년 10월)
     1. ωRI
     2. RI/w
     3. I/Rw
     4. Rw/I

     정답 : []
     정답률 : 66%

59. 폭 11m인 직사각형단면 수로에 0.6m의 수심으로 25m3/sec의 유량이 흐른다. 조도계수 n=0.025, 에너지보정계수 α=1일 때 한계수심은?(2004년 09월)
     1. 0.146m
     2. 0.527m
     3. 0.808m
     4. 0.652m

     정답 : []
     정답률 : 40%

60. 어느 유역에 1시간 동안 계속되는 강우기록이 아래 표와 같을 때 10분 지속 최대강우강도는?(2022년 03월)

    

     1. 5.1 mm/h
     2. 7.0 mm/h
     3. 30.6 mm/h
     4. 42.0 mm/h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0분 지속최대유량=20분~30분 우량=7mm/10min=7*6/1hr=42mm/h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과목 : 철근콘크리트 및 강구조


61. 슬래브의 단경간 S=4m, 장경간 L=5m에 집중하중 P=150kN이 슬래브의 중앙에 작용할 경우 장경간 L이 부담하는 하중은 얼마인가?(2012년 05월)
     1. 50.8kN
     2. 56.5kN
     3. 91.5kN
     4. 99.2kN

     정답 : []
     정답률 : 43%

62. As=4,000mm2, Asʹ=1,500mm2로 배근된 그림과 같은 복철근 보의 탄성처짐이 15mm이다. 5년 이상의 지속하중에 의해 유발되는 장기처짐은 얼마인가?(2013년 06월)

    

     1. 15mm
     2. 20mm
     3. 25mm
     4. 30mm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장기처짐 = 탄성처짐 * e/1+50p'    = 15* 2/(1+50*(1500/300*500)) = 20mm
e = 2.0(5년이상)
p' = As'/bd
[해설작성자 : 참 쉽죵]

63. b=350 mm, d=550mm인 직사각형 단면의 보에서 지속하중에 의한 순간처짐이 16mm였다. 1년 후 총 처짐량은 얼마인가? (단, As=2246mm2, Ag=1284mm2, ζ=1.4)(2009년 08월)
     1. 20.5mm
     2. 32.8mm
     3. 42.1mm
     4. 26.5mm

     정답 : []
     정답률 : 66%

64. 필렛 용접한 이음부에 외력 P(인장력, 압축력 또는 전단력)가 작용할 때 용접부의 응력검토를 위한 응력 계산식은? (단, a:용접의 목의 두께, ℓ :용접의 유효길이)(2003년 08월)
     1. ℓ P/Σ a
     2. ℓ /Σ pa
     3. P/Σ aℓ
     4. ℓ /Σ p

     정답 : []
     정답률 : 54%

65. 과도한 처짐에 의해 손상되기 쉬운 비구조 요소를 지지 또는 부착한 지붕 또는 바닥구조의 최대 허용처짐은? (단, ℓ은 부재의 길이이고, 콘크리트구조기준 교정을 따른다.)(2014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4%

66. 자중을 포함한 계수등분포하중 75 kN/m을 받는 단철근 직사각형 단면 단순보가 있다. fck=24 MPa, 지간은 8m이고, b=350mm, d=550mm일 때,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5년 05월)
     1. 위험단면에서의 전단력은 258.8 kN이다.
     2. 콘크리트가 부담할 수 있는 전단강도는 157.2 kN이다.
     3. 부재축에 직각으로 스터럽을 설치하는 경우 그 간격은 275mm 이하로 설치하여야 한다.
     4. 전단철근이 필요한 구간은 지점으로부터 1.68m까지 이다.

     정답 : []
     정답률 : 46%

67. 연속 휨부재의 부모멘트를 재분배하고자 할 경우 휨모멘트를 감소시킬 단면에서 최외단 인장철근의 순인장변형률(Et)이 얼마이상인 경우에만 가능한가?(2010년 05월)
     1. 0.0045
     2. 0.005
     3. 0.0075
     4. Ey

     정답 : []
     정답률 : 37%

68. 부재의 설계 시 적용되는 강도감수계수( φ )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5월)
     1. 압축지배단면에서 나선철근으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강도감소계수는 0.70이다.
     2. 인장지배 단면에서의 강도감소계수는 0.85이다.
     3. 공칭강도에서 최외단 인장철근의 순인장 변형률(εt)이 압축지배와 인장지배단면 사이일 경우에는 εt가 압축지배변형률 한계에서 인장지배변형률 한계로 증가함에 따라 φ 값을 압축지배단면에 대한 값에서 0.85까지 증가시킨다.
     4. 포스트텐션 정착구역에서 강도감소계수는 0.80이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포스트텐션 정착구역에서 강도감소계수는 0.85 이다.

69. 강도 설계에 있어서 안전율을 위한 강도 감소계수 φ 의 값으로 틀린 것은?(2013년 09월)
     1. 인장지배 단면:0.85
     2. 전단:0.75
     3. 비틀림모멘트:0.75
     4. 나선철근으로 보강된 압축지배 단면:0.65

     정답 : []
     정답률 : 64%

70. 그림과 같은 맞대기 용접의 이음부에 발생하는 용력의 크기는? (단, P=360kN, 강판두께=12mm)(2022년 03월)

    

     1. 압축응력 fc = 14.4 MPa
     2. 인장응력 ft = 3000 MPa
     3. 전단응력 τ = 150 MPa
     4. 압축응력 fc = 120 MPa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f=P/A, (360*10^3)/(250*12) = 120N/mm^2 = 120MPa
[해설작성자 : 웅]

71.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fck)가 30MPa이며 철근의 설계항복강도가 400MPa이면 직경이 25 mm인 압축 이형철근의 기본정착길이(ldb)는 얼마인가?(2004년 05월)
     1. 227 mm
     2. 358 mm
     3. 457 mm
     4. 545 mm

     정답 : []
     정답률 : 48%

72. 전단철근이 부담하는 전단력 Vs = 150 kN 일 때 수직스터럽으로 전단보강을 하는 경우 최대 배치간격은 얼마 이하인가? (단, 전단철근 1개 단면적 = 125mm2, 횡방향 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fyt) = 400 MPa, fck = 28 MPa, bw = 300mm, d = 500mm, 보통중량콘크리트이다.)(2021년 05월)
     1. 167mm
     2. 250mm
     3. 333mm
     4. 600mm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Vs가 2Vc를 초과하지 않는경우 : 600mm이하, d/2, 계산값 중 작은 값을 써야합니다.
계산값이 333mm가 나왔다고 3번고르기 전에 다시 한 번 생각해봅시다. 함정에 빠지지 맙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Vs가 2Vc를 초과하지 않는경우 (위의 설명에서 일부 추가)
1) 수직스티럽: (0.5d , 600mm)중에서 작은값
2) 경사스티럽: (0.75d, 600mm)중에서 작은값

Vs가 2Vc를 초과하지 할 경우
둘다 간격을 1/2로 감소
[해설작성자 : ㄷㅇ]

73. 일반적으로 물을 저장하는 수조 등과 같은 수밀성을 요구하는 구조물의 허용 균영폭은 얼마인가?(2006년 03월)
     1. 0.2㎜
     2. 0.4㎜
     3. 0.6㎜
     4. 0.8㎜

     정답 : []
     정답률 : 23%

74. 철근콘크리트 보에서 스터럽을 배근하는 주목적으로 옳은 것은?(2019년 08월)
     1. 철근의 인장강도가 부족하기 때문에
     2. 콘크리트의 탄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3. 콘크리트의 사인장강도가 부족하기 때문에
     4. 철근과 콘크리트의 부착강도가 부족하기 때문에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전단철근(스터럽)을 두는 이유는 보의 사인장응력(전단응력)에 의한 균열을 막기 위해서다.
[해설작성자 : 율스킴]

75. 설계기준 항복강도가 400MPa인 이형철근을 사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서 피로에 대한 안전성을 검토하지 않아도 되는 철근 응력범위로 옳은 것은? (단, 충격을 포함한 사용 활하중에 의한 철근의 응력범위)(2016년 10월)
     1. 150MPa
     2. 170MPa
     3. 180MPa
     4. 200MPa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기둥에서 피로에 대한 검토가 필요 없는 철근의 응력범위는 130~150MPa 이다
[해설작성자 : 탲운]

76. 그림과 같이 단면의 중심에 PS강선이 배치된 부재에 자중을 포함한 계수하중(w) 30kN/m가 작용한다. 부재의 연단에 인장응력이 발생하지 않으려면 PS강선에 도입되어야 할 긴장력(P)은 최소 얼마 이상인가?(2017년 09월)

    

     1. 2005kN
     2. 2025kN
     3. 2045kN
     4. 2065kN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M = wl^2/8 = 30*6^2/8 = 135KN*m
I = bh^3/12 = 300*400^3/12 = 1600000000mm^4
A = 300*400 = 120000
y = h/2 = 400/2 = 200

fc = p/A-(M*y)/I = 0    → p = M*y*A/I =135000000*200*120000/160000000=2025000N=2025kN
[해설작성자 : 토목 초보자]

77. 처짐을 계산하지 않는 경우 단순지지된 보의 최소 두께(h)로 옳은 것은?(단, 보통콘크리트(mc=2,300kg/m3) 및 fy=300MPa인 철근을 사용한 부재의 길이가 10m인 보)(2012년 05월)
     1. 429mm
     2. 500mm
     3. 537mm
     4. 625mm

     정답 : []
     정답률 : 50%

78. 철근의 겹침이음 등급에서 A급 이음의 조건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2012년 05월)
     1. 배근된 철근량이 이음부 전체 구간에서 해석결과 요구되는 소요 철근량의 2배 이상이고 소요 겹침이음길이 내 겹침이음된 철근량이 전체 철근량의 1/3 이상인 경우
     2. 배근된 철근량이 이음부 전체 구간에서 해석결과 요구되는 소요 철근량의 2배 이상이고 소요 겹침이음길이 내 겹침이음된 철근량이 전체 철근량의 1/2 이하인 경우
     3. 배근된 철근량이 이음부 전체 구간에서 해석결과 요구되는 소요 철근량의 3배 이상이고 소요 겹침이음길이 내 겹침이음된 철근량이 전체 철근량의 1/3 이상인 경우
     4. 배근된 철근량이 이음부 전체 구간에서 해석결과 요구되는 소요 철근량의 3배 이상이고 소요 겹침이음길이 내 겹침이음된 철근량이 전체 철근량의 1/2 이하인 경우

     정답 : []
     정답률 : 68%

79. bw=300mm, d=450mm인 단철근 직사각형 보의 균형철근량은 약 얼마인가? (단, f=35MPa, fy=300MPa이다.)(22년 1월 개정된 KSI 규정 적용됨)(2012년 03월)
     1. 7590mm2
     2. 7320mm2
     3. 7150mm2
     4. 7010mm2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p_b = (0.85*b_1*f_ck)/f_y*600/600+f_y ; b_1 = 0.85-0.05*(f_ck-28/7) = 0.85-0.05*(35-28/7) = 0.80
p_b = 0.0529 ; A_s = p_b*b_w*d = 0.0529*300*450 = 7141.5mm2 약 7150mm2
[해설작성자 : 봉봉드링크]

80. 그림과 같은 나선철근 기둥에서 나선철근의 간격(pitch)으로 적당한 것은? (단, 소요나선철근비(ρs)는 0.018, 나선철근의 지름은 12 mm, Dc는 나선철근의 바깥지름)(2019년 04월)

    

     1. 61 mm
     2. 85 mm
     3. 93 mm
     4. 105 mm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s = 4 As / Dc ρ
    = 4 * (π* 12^2 / 4) / (400 * 0.018)
    = 62.8mm
[해설작성자 : 탲운]

5과목 : 토질 및 기초


81. 압밀이론에서 선행압밀하중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3월)
     1. 현재 지반 중에서 과거에 받았던 최대의 압밀하중이다.
     2. 압밀소요시간의 추정이 가능하여 압밀도 산정에 사용된다.
     3. 주로 압밀시험으로부터 작도란 e-log P 곡선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4. 현재의 지반 응력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과압밀비 산정시 이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35%

82. 다음 그림과 같이 점토질 지반에 연속기초가 설치되어 있다. Terzaghi 공식에 의한 이 기초의 허용 지지력 qa는 얼마인가? (단, ø=0이며, Nc=5.14, Nq=1.0, Nr=0, 안전율 Fs=3이다.)(2007년 03월)

    

     1. 6.4 t/m2
     2. 13.5 t/m2
     3. 18.5 t/m2
     4. 40.49 t/m2

     정답 : []
     정답률 : 46%

83. 말뚝기초의 지반거동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03월)
     1. 연약지반상에 타입되어 지반이 먼저 변형하고 그 결과 말뚝이 저항하는 말뚝을 주동말뚝이라 한다.
     2. 말뚝에 작용한 하중은 말뚝주변의 마찰력과 말뚝선단의 지지력에 의하여 주변 지반에 전달된다.
     3. 기성말뚝을 타입하면 전단파괴를 일으키며 말뚝 주위의 지반은 교란된다.
     4. 말뚝 타입 후 지지력의 증가 또는 감소 현상을 시간효과(time effect)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연약지반상에 타입되어 지반이 먼저 변형하고 그 결과 말뚝이 저항하는 말뚝을 수동말뚝이라 한다.
[해설작성자 : 최석현]

84. 흙의 다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8월)
     1. 최적함수비는 흙의 종류와 다짐 에너지에 따라 다르다.
     2. 일반적으로 조립토일수록 다짐곡선의 기울기가 급하다.
     3. 흙이 조립토에 가까울수록 최적함수비가 커지며 최대건조단위중량은 작아진다.
     4. 함수비의 변화에 따라 건조단위중량이 변하는데 건조단위중량이 가장 클 때의 함수비를 최적함수비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세립토에 가까울수록 최적함수비가 커지며 최대건조단위중량은 작아진다.
[해설작성자 : 차선변경시깜빡이]

85. 지표가 수평인 곳에 높이 5m의 연직옹벽이 있다. 흙의 단위중량이 1.8t/m3, 내부 마찰각이 30o 이고 점착력이 없을 때 주동토압은 얼마인가?(2004년 03월)
     1. 4.5 t/m
     2. 5.5 t/m
     3. 6.5 t/m
     4. 7.5 t/m

     정답 : []
     정답률 : 47%

86. 다음 그림과 같이 점토질 지반에 연속기초가 설치되어 있다. Terzaghi 공식에 의한 이 기초의 허용 지지력 qa는 얼마인가? (단, φ = 0이며, 폭(B)=2m, Nc=5.14, Nq=1.0, Nr=0, 안전율 Fs=3이다.)(2011년 03월)

    

     1. 6.4t/m2
     2. 13.5t/m2
     3. 18.5t/m2
     4. 40.49t/m2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terzaghi 공식은 필수 암기.
qu= 알파*C*Nc + 베타*B*Nrr1 + r2*D*Nq
요기 문제에서는 Nr=0 이므로 테르자기식에서 가운데식은 통째로 날아갑니다. 따라서 알파*C*Nc, r2*D*Nq만 구하면되네요.
C는 일축압축강도 주어졌으니까 나누기 2하면 7.43. 연속기초 : 알파=1 베타=0.5,    D= 1.2    Nc=5.14, Nq=1 대입하면
qu= 40.49t/m^2 와 쉽다 ~ 4번~ 하면 틀립니다!!
왜냐면 문제에서 허용지지력 구해라고했으니까 안전율만큼 나눠줘야지요. 그래서 진짜답은 40.49/3인 13.5
[해설작성자 : 차니]

87. 흙 속에서의 물의 흐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1년 10월)
     1. 흙의 간극은 서로 연결되어 있어 간극을 통해 물이 흐를 수 있다.
     2. 특히 사질토의 경우에는 실험실에서 현장 흑의 상태를 재현하기 곤란하기 때문에 현장에서 투수시험을 실시하여 투수계수를 결정하는 것이 좋다.
     3. 점토가 이산구조로 퇴적되었다면 면모구조인 경우보다 더 큰 투수계수를 갖는 것이 보통이다.
     4. 흙이 포화되지 않았다면 포화된 경우보다 투수계수는 낮게 측정된다.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다짐 곡선 상에서 왼쪽은 건조측으로 면모구조 오른쪽은 습윤측으로 이산구조가 되게 됩니다.

습윤측은 건조측보다 차수성이 뛰어납니다. = 투수계수가 낮음.

그래서 3)번 이산구조로 퇴적되면 차수성이 더 뛰어나고 그 말은 즉 투수계수가 더 작다는 것이기 때문에 3번이 틀린 설명입니다.
[해설작성자 : 차니]

88. 다음 현장시럼 중 Sounding의 종류가 아닌 것은?(2007년 05월)
     1. 평판재하 시험
     2. Vane 시험
     3. 표준관입 시험
     4. 동적 원추관입 시험

     정답 : []
     정답률 : 59%

89. 최대주응력이 10t/m2, 최소주응력이 4t/m2일 때 최소주응력 면과 45° 를 이루는 평면에 일어나는 수직응력은?(2003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40%

90. 콘크리트 말뚝을 마찰말뚝으로 보고 설계할 때, 총 연적하중을 200ton, 말뚝 1개의 극한지지력을 89ton, 안전율을 2.0으로 하면 소요말뚝의 수는?(2016년 05월)
     1. 6개
     2. 5개
     3. 3개
     4. 2개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허용하중 = 89/2 = 44.5t
소요말뚝 = 200/44.5 = 약 5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1. 현장다짐을 실시한 후 들밀도시험을 수행하였다. 파낸 흙의 체적과 무게가 각각 365.0cm3, 745 g이었으며, 함수비는 12.5%였다. 흙의 비중이 2.65이며 실내표준다짐시 최대 건도단위 중량이 rdmax=1.90t/m3일 때 상대다짐도는?(2011년 10월)
     1. 88.7%
     2. 93.1%
     3. 95.3%
     4. 97.8%

     정답 : []
     정답률 : 60%

92. Terzangi의 1차 압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2년 04월)
     1. 압밀방정식은 점토 내에 발생하는 과잉간극수압의 변화를 시간과 배수거리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2. 압밀방정식을 풀면 압밀도를 시간계수의 함수로 나타낼 수 있다.
     3. 평균압밀도는 시간에 따른 압밀침하량을 최종압밀침하량으로 나누면 구할 수 있다.
     4. 압밀도는 배수거리에 비례하고, 압밀계수에 반비례 한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배수거리가 길면 그만큼 배수해야하는 물의 양이 많아지고 압밀에 걸리는 시간이 길어지겠쥬
반비례 관계
[해설작성자 : 1]

93. 흙의 투수계수 k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9년 08월)
     1. k는 간극비에 반비례한다.
     2. k는 형상계수에 반비례한다.
     3. k는 점성계수에 반비례한다.
     4. k는 입경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52%

94. 피조콘(piezocone) 시험의 목적이 아닌 것은?(2018년 03월)
     1. 지층의 연속적인 조사를 통하여 지층 분류 및 지층 변화 분석
     2. 연속적인 원지반 전단강도의 추이 분석
     3. 중간 점토 내 분포한 sand seam 유무 및 발달 정도 확인
     4. 불교란 시료 채취

     정답 : []
     정답률 : 68%

95. 아래 표의 공식은 흙시료에 삼축압력이 작용할 때 흙시료 내부에 발생하는 간극수압을 구하는 공식이다. 이 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09월)

    

     1. 포화된 흙의 경우 B=1이다.
     2. 간극수압계수 A의 값은 삼축압축시험에서 구할 수 있다.
     3. 포화된 점토에서 구속응력을 일정하게 두고 간극수압을 측정했다면, 축차응력과 간극수압으로부터 A값을 계산할 수 있다.
     4. 간극수압계수 A값은 언제나 (+)의 값을 갖는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4. 과압밀점토는 A값이 음수(-0.5~0)의 값을 가질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배준]

96. 어떤 군은 점토층을 깊이 7m까지 연직 절토하였다. 이 점토층의 일축압축강도가 1.4㎏/cm2, 흙의 단위중량이 2t/m3라 하면 파괴의 안전율은?(2017년 09월)
     1. 0.5
     2. 1.0
     3. 1.5
     4. 2.0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한계고를 이용해 안전율을 구하는 문제입니다.
한계고=2*일축압축강도/흙의 단위중량입니다.1.4kg/cm2을 t/m2으로 바꾸면 14t/m2이 됩니다.
ic=2*14/2=14m
안전율Fs=한계고/절토깊이
따라서14/7=2입니다.

내부마찰각은 1도 필요없습니다 문제풀때
Hc= 2×일축강도 / 흙단위중량     이기때문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한계고 = 2*q/r, q = 일축압축강도, r=흙의 단위중량
일축압축강도 = 2c*tan(45+φ/2)
문제에선 점착력(c)가 아닌 일축압축강도가 주어졌으므로 내부마찰각은 딱히 필요가 없습니다
문제에서 만약 점착력이 주어졌다면 내부 마찰각이 필요하죠!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7. γsat=2.0t/m3인 사질토가 20°로 경사진 무한사면이 있다. 지하수위가 지표면과 일치하는 경우 이 사면의 안전율이 1 이상이 되기 위해서는 흙의 내부마찰각이 최소 몇 도 이상이어야 하는가?(2015년 05월)
     1. 18.21°
     2. 20.52°
     3. 36.06°
     4. 45.47°

     정답 : []
     정답률 : 64%

98. 어떤 흙의 변수위 투수시험을 한 결과 시료의 직경과 길이가 각각 5.0cm, 2.0cm이었으며, 유리관의 내경이 4.5mm, 1분 10초 동안에 수두가 40cm에서 20cm로 내렸다. 이 시료의 투수계수는?(2015년 03월)
     1. 4.95×10-4cm/s
     2. 5.45×10-4cm/s
     3. 1.60×10-4cm/s
     4. 7.39×10-4cm/s

     정답 : []
     정답률 : 40%

99. 흙의 분류법인 AASHTO분류법과 통일분률법을 비교ㆍ분석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2010년 05월)
     1. AASHTO분류법은 입도분포, 군지수 등을 주요 분류인자로 한 분류법이다.
     2. 통일분류법은 입도분포, 액성한계, 소성지수 등을 주요분류인자로 한 분류법이다.
     3. 통일분류법은 0.075mm체 통과율을 35%를 기준으로 조립토와 세립토로 분류하는데 이것은 AASHTO분류법 보다 적절하다.
     4. 통일분류법은 유기질토 분류방법이 있으나 AASHTO분류법은 없다.

     정답 : []
     정답률 : 62%

100. 점성토의 예민비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5년 03월)
     1. 예민비는 불교란시료와 교란시료와의 강도차이를 알수있는 재성형 효과를 말한다.
     2. 예민비의 측정은 보통 일축압축 시험으로 한다.
     3. 예민비가 크다는 것은 점토가 교란의 영향을 크게 받지않는 양호한 점토지반을 말한다.
     4. Tschebotarioff는 예민비를 등변형 상태에 있어서의 강도비로 정의 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예민비가 크다는 것은 점토가 교란의 영향을 크게 받지않는 양호한 점토지반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馬力]

101. 효율이 0.8인 펌프 2대를 이용하여 취수탑에서 100000m3/일의 수량을 20m 높이에 있는 도수로에 끌어올리려 한다. 펌프 한 대의 소요동력은?(2012년 03월)
     1. 90.6kw
     2. 113.2kw
     3. 141.5kw
     4. 283.0kw

     정답 : []
     정답률 : 52%

102. 활성슬러지의 SVI가 현저하게 증가되어 응집성이 나빠져 최종 침전지에서 처리수의 분리가 곤란하게 되었다. 이것은 활성슬러지의 어떤 이상 현상에 해당되는가?(2021년 03월)
     1. 활성슬러지의 부패
     2. 활성슬러지의 상승
     3. 활성슬러지의 팽화
     4. 활성슬러지의 해제

     정답 : []
     정답률 : 71%

103. 계획오수량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5월)
     1. 지하수량은 1일1인최대오수량의 20% 이하로 한다.
     2. 생활오수량의 1일1인최대오수량은 1일1인최대급수량을 감안하여 결정한다.
     3. 계획1일평균오수량은 계획1일최소오수량의 1.3~1.8배를 사용한다.
     4. 합류식에서 우천 시 계획오수량은 원칙적으로 계획시간최대오수량의 3배 이상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계획시간 최대오수량은 계획1일 최대오수량의 1시간당 수량의 1.3~1.8배를 표준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일광 흑진주]

104. 하수관거의 단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9월)
     1. 계란형은 유량이 적은 경우 원형거에 비해 수리학적으로 유리하다.
     2. 말굽형은 상반부의 아치작용에 의해 역학적으로 유리하다.
     3. 원형 직사각형은 역학계산이 비교적 간단하다.
     4. 원형은 주로 공장제품이므로 지하수의 침투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9%

105. 다음 상수의 도수 및 송수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5년 05월)
     1. 도수 및 송수방식은 에너지의 공급원 및 지형에 따라 자연유하식과 펌프압송식으로 나눌 수 있다.
     2. 송수관로는 수리학적으로 수압작용 여부에 따라 개수로 식과 관수로식으로 분류 가능하다.
     3. 펌프압송식은 수원이 급수구역과 가까울 때와 지하수를 수원으로 할 때 적당하다.
     4. 자연유하식은 평탄한 지형에서 유리한 방식이다.

     정답 : []
     정답률 : 48%

106. SVI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잘못된 것은?(2006년 03월)
     1. 활성슬러지의 침강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2. SVI가 100전후로 활성슬러지의 침강성이 양호 한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압밀침강에 해당된다.
     3. SVI가 적을수록 슬러지가 농축되기 쉽다.
     4. SVI가 높아지면 MLSS도 상승한다.

     정답 : []
     정답률 : 39%

107. 하수처리장 유입수의 SS농도는 200mg/L 이다. 1차 침전지에서 30% 정도가 제거되고, 2차 침전지에서 85%의 제거효율을 갖고 있다. 하루 처리용량이 3000 m3/d 일 때 방류되는 총 SS량은?(2021년 05월)
     1. 63 kg/d
     2. 2800 g/d
     3. 6300 kg/d
     4. 6300 mg/d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처리용량×SS농도×(1-1차 제거효율)×(1-2차 제거효율
[해설작성자 : 덕이]

108. 급수방식에 대한 다음 설명 중 맞지 않은 것은?(2007년 09월)
     1. 급수방식은 직결식과 저수도식으로 나누며 이를 병용하기도 한다.
     2. 배수관의 관경과 수압이 충분할 경우는 직결식을 사용한다.
     3. 재해시나 사고 등에 의한 수도의 단수나 강수시에도 물을 반드시 확보해야 할 경우는 직결식으로 한다.
     4. 배수관의 압력변동에 관계없이 상시 일정한 수량과 압력을 필요로 하는 경우는 저수조식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109. 도수시설 중 접합정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2009년 08월)
     1. 원형 또는 각형의 콘크리트 혹은 철근콘크리트로 축조한다.
     2. 수압이 높은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수압제어용 밸브를 설치한다.
     3. 유출관의 유출구 중심높이는 저수위에서 관경의 3배 이상 낮게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4. 유입속도가 큰 경우에는 접합정 내에 월류벽 등을 설치하여 유속을 감쇄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54%

110. 혐기성 소화가 호기섬 소화에 비해 지닌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9월)
     1. 유효한 자원인 메탄이 생성된다.
     2. 처리후 슬러지 생성량이 적다.
     3. 반응속도가 매우 빠르다.
     4. 동력비 및 유지관리비가 적게 든다.

     정답 : []
     정답률 : 31%

111. 활성슬러지법에서 BOD 용적부하를 옳게 표현한 것은?(2007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47%

112. 상수도 배수관망 중 격자식 배수관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8년 04월)
     1. 물이 정체하지 않는다.
     2. 사고시 단수구역이 작아진다.
     3. 수리계산이 복잡하다.
     4. 제수밸브가 적게 소요되며 시공이 용이하다.

     정답 : []
     정답률 : 69%

113. 활성슬러지법에서 BOD 용적부하를 옳게 표현한 것은?(2009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0%

114. 수원지에서부터 각 가정까지의 상수계통도를 나타낸 것으로 옳은 것은?(2013년 09월)
     1. 수원 → 취수 → 도수 → 배수 → 정수 → 송수 → 급수
     2. 수원 → 취수 → 배수 → 정수 → 도수 → 송수 → 급수
     3. 수원 → 취수 → 도수 → 송수 → 정수 → 배수 → 급수
     4. 수원 → 취수 → 도수 → 정수 → 송수 → 배수 → 급수

     정답 : []
     정답률 : 74%

115. P도시에서 1985년도의 인구를 현재 인구라고 할 때 현재부터 10년 후의 인구를 등비급수법으로 추정한 값으로 옳은 것은?(2005년 09월)

    

     1. 약 47,500명
     2. 약 49,700명
     3. 약 53,800명
     4. 약 56,300명

     정답 : []
     정답률 : 32%

116. 혐기성 소화법과 비교할 때, 호기성 소화법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2021년 05월)
     1. 최초시공비 과다
     2. 유기물 감소율 우수
     3. 저온시의 효율 향상
     4. 소화슬러지의 탈수 불량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호기성 소화법의 장점
초기투자비가 절감, 처리수의 수질이 양호, 소화슬러지 악취발생이 감소, 운전이 용이하다, 상징수의 수질양호
[해설작성자 : 승주유]

117. 인구 10만의 도시에 계획 1인 1일 최대급수량 600L, 급수보급율 80%를 기준으로 상수도 시설을 계획하고자 한다. 이 도시의 계획 1일 최대급수량은?(2004년 05월)
     1. 32,000m3
     2. 40,000m3
     3. 48,000m3
     4. 60,000m3

     정답 : []
     정답률 : 67%

118. 다음 그림은 포기조에서 부유물질의 물질수지를 나타낸 것이다. 포기조내 MLSS를 3000mg/L로 유지하기 위한 슬러지의 반송비는?(2021년 08월)

    

     1. 39%
     2. 49%
     3. 59%
     4. 69%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MLSS 농도를 X, 반송슬러지 농도를 Xr, 슬러지 반송비를 R이라고 하면 X=(R*Xr+SS)/(1+R)이다.
3000=(R*8000+50)/(1+R) ==> R=0.59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9. 슬러지를 혐기성소화법으로 처리할 경우에 호기성소화법과 비교하여 혐기성소화법이 갖는 특징으로 틀린 것은?(2006년 09월)
     1. 병원균의 사멸률이 낮다.
     2. 동력시설 없이 연속적인 처리가 가능하다.
     3. 부산물로 유용한 메탄가스가 생산된다.
     4. 유지관리비가 적게 소요된다.

     정답 : []
     정답률 : 22%

120. 일반 상수에서 경도(Hardness)를 유발하는 주된 물질은?(2005년 09월)
     1. Ca2+, Mg2+
     2. Al2+, Na+
     3. SO42-, NO3-
     4. Mn2+, Zn2+

     정답 : []
     정답률 : 33%


정 답 지

토목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342740)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토목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응용역학


1. 그림에서와 같이 케이블 C점에서 하중 33kg이 작용하고 있다. 이때 AC케이블에 작용하는 인장력은?(2011년 03월)

   

     1. 17.5kg
     2. 18.5kg
     3. 25.5kg
     4. 26.5kg

     정답 : []
     정답률 : 55%

2. 그림과 같이 2개의 집중하중이 단순보 위를 통과할 때 절대최대 휨모멘트의 크기와 발생위치 x는?(2010년 09월)

   

     1. Mmax=36.2tㆍm, x=8m
     2. Mmax=38.2tㆍm, x=8m
     3. Mmax=48.6tㆍm, x=9m
     4. Mmax=50.6tㆍm, x=9m

     정답 : []
     정답률 : 78%

3. 단면 2차 모멘트가 I이고 길이가 ℓ인 균일한 단면의 직선상(直線狀)의 기둥이 있다. 지지상태가 1단 고정, 1단 자유인 경우 오일러(Euler) 좌굴하중(Pcr)은? (단, 이 기둥의 영(Young)계수는 E이다.)(2018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4%

4. 균질한 균일 단면봉이 그림과 같이 P1, P2, P3의 하중을 B, C, D점에서 받고 있다. 각 구간의 거리 a=1.0m, b =0.4m, c =0.6m이고 P2=10t, P3=5t의 하중이 작용할 때 D점에서 의 수직방향 변위가 일어나지 않기 위한 하중 P1은 얼마인가?(2011년 10월)

   

     1. 5t
     2. 6t
     3. 8t
     4. 24t

     정답 : []
     정답률 : 62%

5. 다음 그림과 같은 보에서 휨모멘트에 의한 탄성변형 에너지를 구한 값은?(2016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9%

6. 15cm× 25cm 의 직사각형 단면을 가진 길이 4.5m 인 양단 힌지 기둥이 있다. 세장비 λ 는?(2003년 08월)
     1. 62.4
     2. 124.7
     3. 100.1
     4. 103.9

     정답 : []
     정답률 : 75%

7. 그림과 같은 단순보에서 허용휨응력 fha=50kg/cm2, 허용전단응력 τa=5kg/cm2일 때 하중 P의 한계치는?(2007년 05월)

   

     1. 1666.7kg
     2. 2516.7kg
     3. 2500.0kg
     4. 2314.8kg

     정답 : []
     정답률 : 65%

8. 그림의 수평부재 AB는 A지점은 힌지로 지지되고 B점에는 집중하중 Q가 작용하고 있다. C점과 D점에서는 끝단이 힌지로 지지된 길이가 L이고, 휨 강성이 모두 EI로 일정한 기둥으로 지지되고 있다. 두 기둥의 좌굴에 의해서 붕괴를 일으키는 하중 Q의 크기는?(2011년 06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3%

9. 등분포 하중을 받는 단순보에서 중앙점의 처짐을 구하는 공식은? (단, 등분포 하중은 W, 보의 길이는 L, 보의 휨강성은 EI이다.)(2020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9%

10. 다음 그림과 같은 세 힘이 평형 상태에 있다면 점 C에서 작용하는 힘 P와 BC사이의 거리 x로 옳은 것은?(2016년 03월)

    

     1. P = 200㎏, x = 3m
     2. P = 300㎏, x = 3m
     3. P = 200㎏, x = 2m
     4. P = 300㎏, x = 2m

     정답 : []
     정답률 : 80%

11. 다음 그림의 단순보에 이동하중이 작용할 때 절대 최대 휨모멘트를 구한 값은?(2013년 06월)

    

     1. 18.20t ∙ m
     2. 22.09t ∙ m
     3. 26.76t ∙ m
     4. 32.80t ∙ m

     정답 : []
     정답률 : 65%

12. 그림과 같이 길이가 2L인 w의 등분포하중이 작용할 대 중앙지점을 δ만큼 낮추면 중간지점의 반력(RB) 값은 얼마인가?(2012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6%

13. 다음중 정(+)의 값 뿐만 아니라 부(-)의 값도 갖는것은?(2007년 03월)
     1. 단면계수
     2. 단면 2차모멘트
     3. 단면 2차 변경
     4. 단면 상승 모멘트

     정답 : []
     정답률 : 83%

14. 균질한 강봉에 하중이 아래 그림과 같이 가해질때 D점이 움직이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하중 P3에 추가하여 얼마의 하중(P)이 더 가해져야 하는가? (단, P1= 12t, P2 = 8t, P3 = 6t이다.)(2013년 06월)

    

     1. 5.6t
     2. 7t
     3. 11.6t
     4. 14t

     정답 : []
     정답률 : 47%

15. 다음 라멘의 수직반력 RB는?(2019년 03월)

    

     1. 2t
     2. 3t
     3. 4t
     4. 5t

     정답 : []
     정답률 : 80%

16. 그림과 같은 캔틸레버보에서 하중을 받기전 B점의 1㎝ 아래에 받침부(B')가 있다. 하중 20t이 보의 중앙에 작용할 경우 B'에 작용하는 수직반력의 크기는? (단, EI=2.0×1012kg·cm2이다.)(2014년 09월)

    

     1. 200kg
     2. 250kg
     3. 300kg
     4. 350kg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하중에 의한 B점의 처짐 : (5/48)*(PL^3/EI)    반력에 의한 B점의 처짐 : (1/3) * (Rb*L^3/EI)
처짐B= (5PL^3)/(48EI) - (Rb*L^3/3EI)= 1cm    여기서 공통된 부분 생략 후 계산
Rb= 5P/16 - 3EI/L^3 = 5(20*10^3)/16 - 3(2*10^12)/(10*10^2)^3 = 250kgf
[해설작성자 : 계대해병]

17. 그림의 라멘에서 수평반력 H를 구한 값은?(2007년 03월)

    

     1. 9.0 t
     2. 4.5 t
     3. 3.0 t
     4. 2.25 t

     정답 : []
     정답률 : 50%

18. 다음 보의 C점의 수직처짐량은?(2017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0%

19. 그림과 같은 도형에서 빗금친 부분에 대한 x, y축의 단면 상승모멘트(Ixy)는?(2012년 03월)

    

     1. 2cm4
     2. 4cm4
     3. 8cm4
     4. 16cm4

     정답 : []
     정답률 : 75%

20. 길이가 3m이고 가로 200mm, 세로 300mm인 직사각형 단면의 기둥이 있다. 지지상태가 양단힌지인 경우 좌굴응력을 구하기 위한 이 기둥의 세장비는?(2020년 08월)
     1. 34.6
     2. 43.3
     3. 52.0
     4. 60.7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답 1번으로 계산됨. (KL/rx)=3000/86.6=34.64.... , rx=루트(200*300^3/12)/200*300=86.6....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3번 맞습니다.
KL / r.min
K=1 (문제에 없기 때문에 1로 가정)
L=300[cm]
r.min = root(I / A) = root(bh^3/12 / bh) = root(h^2/12)
r.min이어야 하므로, h에 최솟값이 들어가야 합니다. b=30[cm], h=20[cm]
root(h^2 / 12) = root(20^2 / 12) = root(33.333) = 5.77 [cm]

KL/r.min = 1*300/5.77 = 51.99
h에 20 대신에 30 넣으면 위에 분처럼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수정]

[오류신고 반론]
정답 3번으로 나옵니다.
오류신고 반론 하신분처럼 문제 풀면 됩니다. 첫번째분은 h = 300 집어 넣으셔서 틀린거입니다
[해설작성자 : 지나가는 토목인]

[오류신고 반론]
세장비=기둥 의 길이/ 최소회전반지름
최소회전반지름=루트Imin/A= 5.77cm
=루트(bh^2/12)/bh
[해설작성자 : comcbt.com이용자]

[관리자 입니다.
오류신고 반론은 여기까지만 받는것으로 하겠습니다.
오류신고 내용은 남겨 두겠습니다.
잘못 풀면 저렇게 풀수도 있다는것도 해설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서 입니다.
감사합니다.]

2과목 : 측량학


21. 비행장이나 운동장과 같이 넓은 지형의 정지 공사시에 토량을 계산하고자 할 때 적당한 방법은?(2003년 05월)
     1. 점고법
     2. 등고선법
     3. 중앙단면법
     4. 양단면 평균법

     정답 : []
     정답률 : 64%

22. 삼각수준측량에 의해 높이를 측정할 때 기지점과 미지점의 쌍방에서 연직각을 측정하여 평균하는 이유는?(2019년 08월)
     1. 연직축오차를 최소하하기 위하여
     2. 수평분도원의 편심오차를 제거하기 위하여
     3. 연직분도원의 눈금오차를 제거하기 위하여
     4. 공기의 밀도변화에 의한 굴절 오차의 영향을 소거하기 위하여

     정답 : []
     정답률 : 47%

23. 어떤 각을 12회 관측한 결과 ± 0.5″ 의 평균제곱근오차를 얻었다. 같은 정확도로 해서 ± 0.3″ 의 평균제곱근오차를 얻으려면 몇회 관측하는 것이 좋은가?(2004년 05월)
     1. 5회
     2. 8회
     3. 18회
     4. 34회

     정답 : []
     정답률 : 20%

24. 축척 1/25,000 지형도상에서 거리가 6.73cm인 두 점 사이의 거리를 다름 축척의 지형도에서 측정한 결과 11.21cm이었다. 이 지형도의 축척은 약 얼마인가?(2006년 09월)
     1. 1/20,000
     2. 1/18,000
     3. 1/15,000
     4. 1/13,000

     정답 : []
     정답률 : 57%

25. 양수표 설치장소 선정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9월)
     1. 지천의 합류점으로 지천에 의한 수위 변화가 뚜렷한 곳
     2. 홍수시에도 양수표를 쉽게 읽을 수 있는 곳
     3. 세굴과 퇴적이 생기지 않는 곳
     4. 유속의 변화가 심하지 않은 곳

     정답 : []
     정답률 : 73%

26. 그림에서 AD, BD 간에 단곡선을 설치할 때 潮ADB의 2등분 선상의 C 점을 곡선의 중점으로 선택하였을 때 이 곡선의 접선길이를 구한 값은? (단, DC = 10.0m, I = 80° 20' 이다.)(2004년 05월)

    

     1. 34.05m
     2. 32.41m
     3. 27.35m
     4. 15.31m

     정답 : []
     정답률 : 20%

27. 그림과 같은 도로 횡단면도의 단면적은? (단, O을 원점으로 하는 좌표(x, y)의 단위:[m])(2016년 10월)

    

     1. 94m2
     2. 98m2
     3. 102m2
     4. 106m2

     정답 : []
     정답률 : 70%

28. 초점거리 150mm인 카메라로 1:20000 축척의 항공사진을 촬영할 때의 비행고도(m)는?(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0년 03월)
     1. 1000m
     2. 2000m
     3. 3000m
     4. 4000m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사진측량 관련 문제는 2022년 부터 시험 범위에서 제외 되었습니다.

29. 곡선 반지름이 500m인 단곡선의 종단현이 15.343m이라면 이에 대한 편각은?(2014년 09월)
     1. 0˚ 31' 37"
     2. 0˚ 43' 19"
     3. 0˚ 52' 45"
     4. 1˚ 04' 26"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90/파이)*(L/R)
=1718.87분*(15.343/500)=0도52분45초
[해설작성자 : kkkouy]

30. 측량성과표에 측점A의 진북방향각은 0°06′17″이고, 측점A에서 측점B에 대한 평균방향각은 263°38′26″로 되어 있을 때에 측점A에서 측점B에 대한 역방위각은?(2018년 08월)
     1. 83°32′09″
     2. 83°44′43″
     3. 263°32′09″
     4. 263°44′43″

     정답 : []
     정답률 : 47%

31. 어떤 노선을 수준측량하여 작성된 기고식 야장의 일부 중 지반고 값이 틀린 측점은? (단, 단위 : m)(2022년 03월)

    

     1. 측점 1
     2. 측점 2
     3. 측점 3
     4. 측점 4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측점 0 기계고 : 123.567+3.121=126.688m
측점 1 지반고 : 126.688-2.586=124.102m
측점 2 지반고 : 126.688-4.065=122.623m
측점 2 기계고 : 122.623+2.428=125.051m
측점 3 지반고 : 125.051-(-0.664)=125.715m
측점 4 지반고 : 125.051-2.321=122.730m
로 측점 3의 지반고의 값이 잘못되었다.
[해설작성자 : dh]

32. 위성에 의한 원격탐사(Remote Sensing)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8년 08월)
     1. 항공사진측량이나 지상측량에 비해 넓은 지역의 동시측량이 가능하다.
     2. 동일 대상물에 대해 반복측량이 가능하다.
     3. 항공사진측량을 통해 지도를 제작하는 경우보다 대축척 지도의 제작에 적합하다.
     4. 여러 가지 분광 파장대에 대한 측량자료 수집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주제도 작성이 용이하다.

     정답 : []
     정답률 : 74%

33. 교각 I= 90° , 곡선반경 R=150m 인 단곡선의 교점(I.P)의 추가거리가 1139.250m 일 때 곡선의 종점(E.C)까지의 추가거리는?(2004년 03월)
     1. 875.375m
     2. 989.250m
     3. 1224.869m
     4. 1374.825m

     정답 : []
     정답률 : 42%

34. A, B 두 점간의 거리를 관측하기 위하여 그림과 같이 세 구간으로 나누어 측량하였다. 측선 의 거리는? (단, Ⅰ:10m±0.01m, Ⅱ : 20m±0.03m, Ⅲ : 30m±0.05m이다.)(2018년 04월)

    

     1. 60m±0.09m
     2. 30m±0.06m
     3. 60m±0.06m
     4. 30m±0.09m

     정답 : []
     정답률 : 61%

35. 완화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9월)
     1. 완화곡선의 접선은 시점에서 원호에, 종점에서 직선에 접한다.
     2. 완화곡선에 연한 곡선반지름의 감소율은 캔트(cant)의 증가율과 같다.
     3. 완화곡선의 반지름은 그 시점에서 무한대, 종점에서는 원곡선의 반지름과 같다.
     4. 모든 클로소이드(clothoid)는 닮음 꼴이며 클로소이드 요소는 길이의 단위를 가진 것과 단위가 없는 것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완화곡선의 접선은 시점에서 직선에, 종점에서 원호에 접한다.

많이 풀어도 헷갈리는데 ㅅㅈ=ㅈㅅ 이거 하나만 외워두세요
[해설작성자 : 응 내일이야]

36. 직사각형의 두변의 길이를 1/100 정밀도로 관측하여 면적을 산출할 경우 산출된 면적의 정밀도는?(2016년 03월)
     1. 1/50
     2. 1/100
     3. 1/200
     4. 1/300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da*2a=dA에서, da=(1/100) 대입시 답나옴
부피는 3da=dV 사용
[해설작성자 : 7군토목]

37. 수심이 H인 하천의 유속을 3점법에 의해 관측할 때, 관측 위치로 옳은 것은?(2016년 10월)
     1. 수면에서 0.1H, 0.5H, 0.9H가 되는 지점
     2. 수면에서 0.2H, 0.6H, 0.8H가 되는 지점
     3. 수면에서 0.3H, 0.5H, 0.7H가 되는 지점
     4. 수면에서 0.4H, 0.5H, 0.9H가 되는 지점

     정답 : []
     정답률 : 84%

38. 축척 1:20000인 항공사진에서 굴뚝의 변위가 2.0mm이고, 연직점에서 10cm 떨어져 나타났다면 굴뚝의 높이는? (단, 촬영 카메라의 초점거리=15cm)(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21년 08월)
     1. 15m
     2. 30m
     3. 60m
     4. 80m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사진측량 출제기준 제외

39. 측지학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3월)
     1. 측지학이란 지구내부의 특성, 지구의 형상, 지구표면의 상호위치관계를 결정하는 학문이다.
     2. 물리학적 측지학은 중력측정, 지자기측정 등을 포함한다.
     3. 기학학적 측지학에는 천문측량, 위성측량, 높이의 결정 등이 있다.
     4. 측지측량이란 지구의 곡률을 고려하지 않는 측량으로 11km 이내를 평면으로 취급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측지측량이란 지구의 곡률을 고려하는 측량으로 반지름 11km이상의 넓은 지역의 측량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도아]

40. 하천에서 수애선 결정에 관계되는 수위는?(2006년 09월)
     1. 갈수위(DWL)
     2. 최저수위(HWL)
     3. 평균최저수위(NHWL)
     4. 평수위(OWL)

     정답 : []
     정답률 : 72%

3과목 : 수리학 및 수문학


41. 단위도의 지속시간을 변경시킬 때 사용되는 방법은?(2004년 05월)
     1. N - day법
     2. S - 곡선법
     3. ø - index법
     4. Stevens법

     정답 : []
     정답률 : 18%

42. 강우계의 관측분포가 균일한 평야지역의 작은 유역에 발생한 강우에 적합한 유역 평균 강우량 산정법은?(2017년 03월)
     1. Thiessen의 가중법
     2. Talbot의 강도법
     3. 산술평균법
     4. 등우선법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산술평균법-평야지역에서 강우분포가 균일
[해설작성자 : 헤이즈지원]

43. 도수(Hydraulic Jump) 전후의 수심 h1, h2의 관계를 도수 전의 후루드수 Fr1의 함수로 표시한 것으로 옳은 것은?(2012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2%

44. 폭이 50m인 직사각형 수로의 도수 전 수위(h1)는 3m, 유량(Q)은 2000m3/sec일 때 대응수심은?(2005년 03월)
     1. 1.6m
     2. 6.1m
     3. 9.0m
     4. 도수가 발생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42%

45. 지하수에 대한 Darcy 법칙의 유속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5월)
     1. 영향권의 반지름에 비례한다.
     2. 동수경사에 비례한다.
     3. 동수반경에 비례한다.
     4. 수심에 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46. 그림에서 수조 내의 높이 h가 일정하게 물을 공급할 때 C점에 유속vc=10m/sec가 되도록 유지하기 위한 h는? (단, 수조내의 유속 vA는 무시)(2006년 03월)

    

     1. 2.0m
     2. 1.7m
     3. 1.4m
     4. 1.1m

     정답 : []
     정답률 : 30%

47. 유량 147.6L/s를 송수하기 위하여 안지름 0.4m의 관을 700m의 길이로 설치하였을 때 흐름의 에너지 경사는? (단, 조도계수 n=0.012, Manning 공식 적용)(2019년 03월)
     1. 1/700
     2. 2/700
     3. 3/700
     4. 4/700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Rh = 0.4/4 = 0.1m
0.1476m^3/s = π/4*0.4^2*1/0.012*0.1^[2/3]*sqrt(S)
S = 4.28*10^-3
S*L = 4.28*10^-3*700 = 약 3m. 따라서 답은 3/70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8. 관수로에서 상대조도란 무엇인가?(2004년 09월)
     1. 관직경에 대한 관벽의 조도와의 비
     2. 최대유속에 대한 관벽의 조도와의 비
     3. 평균유속에 대한 관벽의 조도와의 비
     4. 한계 Reynolds 수에 대한 관벽의 조도와의 비

     정답 : []
     정답률 : 28%

49. 다음 표는 어느 지역의 40분간 집중 호우를 매 5분 마다 관측한 것이다. 지속기간이 20분인 최대강우강도는?(2019년 04월)

    

     1. I = 49 mm/hr
     2. I = 59 mm/hr
     3. I = 69 mm/hr
     4. I = 72 mm/hr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20분간 최대 강우=5+8+7+3=23mm
시간당 최대강우강도=23*3mm/hr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최대강우강도=5+8+7+3=23mm
=23×(60/20)=69mm/hr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0. 관수로 흐름에서 레이놀즈수가 500보다 작은 경우의 흐름 상태는?(2018년 04월)
     1. 상류
     2. 난류
     3. 사류
     4. 층류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레이놀즈수: 무차원의 수로 흐름상태를 구분하는 지표이다
Re<2000 층류
Re<4000 난류
2000<Re<4000 천이영역
[해설작성자 : 덕이]

51. 오리피스에서 Cc를 수축계수, Cv를 유속계수라 할 때 실제유량과 이론유량과의 비(C)는?(2005년 03월)
     1. C = Cc·Cv
     2. C = Cc / Cv
     3. C = Cv
     4. C = Cc

     정답 : []
     정답률 : 56%

52. 한계수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5년 09월)
     1. 일정한 유량이 흐를 때 비에너지가 가장 큰 수심이다.
     2. 일정한 비에너지에서 최대 유량을 흐르게 할 수 있는 수심이다.
     3. 유량이 일정할 때 최소 비력(Specific Force)이 되는 수심이다.
     4. 상류에서 사류로 변할 경우에 한계수심이 지배단면이 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3%

53. 수문을 갑자기 닫아서 물의 흐름을 막으면 상류(上流)쪽의 수면이 갑자기 상승하여 단상(段狀)이 되고, 이것이 상류로 향하여 전파된다. 이러한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2006년 03월)
     1. 장파(長波)
     2. 단파(段波)
     3. 홍수파(洪水波)
     4. 파상도수(波狀跳水)

     정답 : []
     정답률 : 54%

54. 그림과 같은 유역(12km×8km)의 평균강우량을 Thiessen 방법으로 구한 값은? (단, 작은 삼각형은 2km×2km의 정사각형으로서 모두 크기가 동일하다.)(2020년 08월)

    

     1. 120mm
     2. 123mm
     3. 125mm
     4. 130mm

     정답 : []
     정답률 : 58%

55. 면적 10㎢의 지역에 3시간에 10mm의 강우강도로 무한히 내릴 때 평형유출량(Qe)은 약 얼마인가?(2009년 03월)
     1. 9.72 m3/sec
     2. 9.26 m3/sec
     3. 8.94 m3/sec
     4. 8.33 m3/sec

     정답 : []
     정답률 : 53%

56. 강우 자료의 일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은?(2022년 03월)
     1. 합리식
     2. DAD 해석법
     3. 누가 우량 곡선법
     4. SCS (Soil Conservation Service) 방법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강우자료 일관성 분석 = 이중누가우량 분석법
[해설작성자 : oO]

57. 개수로 흐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9월)
     1. 한계류 상태에서는 수심의 크기가 속도수두의 2배가 된다.
     2. 유량이 일정할 때 상류에서는 수심이 작아질수록 유속이 커진다.
     3. 비에너지는 수평기준면을 기준으로 한 단위무게의 유수가 가진 에너지를 말한다.
     4. 흐름이 사류에서 상류로 바뀔 때에는 도수와 함께 큰 에너지 손실을 동반한다.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비에너지는 수로 바닥을 기준으로 한 단위무게의 유수가 가진 에너지이다.
[해설작성자 : 필기2수]

58. 물의 단위중량 ω, 수면경사 I, 수리평균심 R이라 할 때, 등류 내에서의 유수의 소류력 τ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2011년 10월)
     1. ωRI
     2. RI/w
     3. I/Rw
     4. Rw/I

     정답 : []
     정답률 : 66%

59. 폭 11m인 직사각형단면 수로에 0.6m의 수심으로 25m3/sec의 유량이 흐른다. 조도계수 n=0.025, 에너지보정계수 α=1일 때 한계수심은?(2004년 09월)
     1. 0.146m
     2. 0.527m
     3. 0.808m
     4. 0.652m

     정답 : []
     정답률 : 40%

60. 어느 유역에 1시간 동안 계속되는 강우기록이 아래 표와 같을 때 10분 지속 최대강우강도는?(2022년 03월)

    

     1. 5.1 mm/h
     2. 7.0 mm/h
     3. 30.6 mm/h
     4. 42.0 mm/h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0분 지속최대유량=20분~30분 우량=7mm/10min=7*6/1hr=42mm/h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과목 : 철근콘크리트 및 강구조


61. 슬래브의 단경간 S=4m, 장경간 L=5m에 집중하중 P=150kN이 슬래브의 중앙에 작용할 경우 장경간 L이 부담하는 하중은 얼마인가?(2012년 05월)
     1. 50.8kN
     2. 56.5kN
     3. 91.5kN
     4. 99.2kN

     정답 : []
     정답률 : 43%

62. As=4,000mm2, Asʹ=1,500mm2로 배근된 그림과 같은 복철근 보의 탄성처짐이 15mm이다. 5년 이상의 지속하중에 의해 유발되는 장기처짐은 얼마인가?(2013년 06월)

    

     1. 15mm
     2. 20mm
     3. 25mm
     4. 30mm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장기처짐 = 탄성처짐 * e/1+50p'    = 15* 2/(1+50*(1500/300*500)) = 20mm
e = 2.0(5년이상)
p' = As'/bd
[해설작성자 : 참 쉽죵]

63. b=350 mm, d=550mm인 직사각형 단면의 보에서 지속하중에 의한 순간처짐이 16mm였다. 1년 후 총 처짐량은 얼마인가? (단, As=2246mm2, Ag=1284mm2, ζ=1.4)(2009년 08월)
     1. 20.5mm
     2. 32.8mm
     3. 42.1mm
     4. 26.5mm

     정답 : []
     정답률 : 66%

64. 필렛 용접한 이음부에 외력 P(인장력, 압축력 또는 전단력)가 작용할 때 용접부의 응력검토를 위한 응력 계산식은? (단, a:용접의 목의 두께, ℓ :용접의 유효길이)(2003년 08월)
     1. ℓ P/Σ a
     2. ℓ /Σ pa
     3. P/Σ aℓ
     4. ℓ /Σ p

     정답 : []
     정답률 : 54%

65. 과도한 처짐에 의해 손상되기 쉬운 비구조 요소를 지지 또는 부착한 지붕 또는 바닥구조의 최대 허용처짐은? (단, ℓ은 부재의 길이이고, 콘크리트구조기준 교정을 따른다.)(2014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4%

66. 자중을 포함한 계수등분포하중 75 kN/m을 받는 단철근 직사각형 단면 단순보가 있다. fck=24 MPa, 지간은 8m이고, b=350mm, d=550mm일 때,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5년 05월)
     1. 위험단면에서의 전단력은 258.8 kN이다.
     2. 콘크리트가 부담할 수 있는 전단강도는 157.2 kN이다.
     3. 부재축에 직각으로 스터럽을 설치하는 경우 그 간격은 275mm 이하로 설치하여야 한다.
     4. 전단철근이 필요한 구간은 지점으로부터 1.68m까지 이다.

     정답 : []
     정답률 : 46%

67. 연속 휨부재의 부모멘트를 재분배하고자 할 경우 휨모멘트를 감소시킬 단면에서 최외단 인장철근의 순인장변형률(Et)이 얼마이상인 경우에만 가능한가?(2010년 05월)
     1. 0.0045
     2. 0.005
     3. 0.0075
     4. Ey

     정답 : []
     정답률 : 37%

68. 부재의 설계 시 적용되는 강도감수계수( φ )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5월)
     1. 압축지배단면에서 나선철근으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강도감소계수는 0.70이다.
     2. 인장지배 단면에서의 강도감소계수는 0.85이다.
     3. 공칭강도에서 최외단 인장철근의 순인장 변형률(εt)이 압축지배와 인장지배단면 사이일 경우에는 εt가 압축지배변형률 한계에서 인장지배변형률 한계로 증가함에 따라 φ 값을 압축지배단면에 대한 값에서 0.85까지 증가시킨다.
     4. 포스트텐션 정착구역에서 강도감소계수는 0.80이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포스트텐션 정착구역에서 강도감소계수는 0.85 이다.

69. 강도 설계에 있어서 안전율을 위한 강도 감소계수 φ 의 값으로 틀린 것은?(2013년 09월)
     1. 인장지배 단면:0.85
     2. 전단:0.75
     3. 비틀림모멘트:0.75
     4. 나선철근으로 보강된 압축지배 단면:0.65

     정답 : []
     정답률 : 64%

70. 그림과 같은 맞대기 용접의 이음부에 발생하는 용력의 크기는? (단, P=360kN, 강판두께=12mm)(2022년 03월)

    

     1. 압축응력 fc = 14.4 MPa
     2. 인장응력 ft = 3000 MPa
     3. 전단응력 τ = 150 MPa
     4. 압축응력 fc = 120 MPa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f=P/A, (360*10^3)/(250*12) = 120N/mm^2 = 120MPa
[해설작성자 : 웅]

71.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fck)가 30MPa이며 철근의 설계항복강도가 400MPa이면 직경이 25 mm인 압축 이형철근의 기본정착길이(ldb)는 얼마인가?(2004년 05월)
     1. 227 mm
     2. 358 mm
     3. 457 mm
     4. 545 mm

     정답 : []
     정답률 : 48%

72. 전단철근이 부담하는 전단력 Vs = 150 kN 일 때 수직스터럽으로 전단보강을 하는 경우 최대 배치간격은 얼마 이하인가? (단, 전단철근 1개 단면적 = 125mm2, 횡방향 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fyt) = 400 MPa, fck = 28 MPa, bw = 300mm, d = 500mm, 보통중량콘크리트이다.)(2021년 05월)
     1. 167mm
     2. 250mm
     3. 333mm
     4. 600mm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Vs가 2Vc를 초과하지 않는경우 : 600mm이하, d/2, 계산값 중 작은 값을 써야합니다.
계산값이 333mm가 나왔다고 3번고르기 전에 다시 한 번 생각해봅시다. 함정에 빠지지 맙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Vs가 2Vc를 초과하지 않는경우 (위의 설명에서 일부 추가)
1) 수직스티럽: (0.5d , 600mm)중에서 작은값
2) 경사스티럽: (0.75d, 600mm)중에서 작은값

Vs가 2Vc를 초과하지 할 경우
둘다 간격을 1/2로 감소
[해설작성자 : ㄷㅇ]

73. 일반적으로 물을 저장하는 수조 등과 같은 수밀성을 요구하는 구조물의 허용 균영폭은 얼마인가?(2006년 03월)
     1. 0.2㎜
     2. 0.4㎜
     3. 0.6㎜
     4. 0.8㎜

     정답 : []
     정답률 : 23%

74. 철근콘크리트 보에서 스터럽을 배근하는 주목적으로 옳은 것은?(2019년 08월)
     1. 철근의 인장강도가 부족하기 때문에
     2. 콘크리트의 탄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3. 콘크리트의 사인장강도가 부족하기 때문에
     4. 철근과 콘크리트의 부착강도가 부족하기 때문에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전단철근(스터럽)을 두는 이유는 보의 사인장응력(전단응력)에 의한 균열을 막기 위해서다.
[해설작성자 : 율스킴]

75. 설계기준 항복강도가 400MPa인 이형철근을 사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서 피로에 대한 안전성을 검토하지 않아도 되는 철근 응력범위로 옳은 것은? (단, 충격을 포함한 사용 활하중에 의한 철근의 응력범위)(2016년 10월)
     1. 150MPa
     2. 170MPa
     3. 180MPa
     4. 200MPa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기둥에서 피로에 대한 검토가 필요 없는 철근의 응력범위는 130~150MPa 이다
[해설작성자 : 탲운]

76. 그림과 같이 단면의 중심에 PS강선이 배치된 부재에 자중을 포함한 계수하중(w) 30kN/m가 작용한다. 부재의 연단에 인장응력이 발생하지 않으려면 PS강선에 도입되어야 할 긴장력(P)은 최소 얼마 이상인가?(2017년 09월)

    

     1. 2005kN
     2. 2025kN
     3. 2045kN
     4. 2065kN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M = wl^2/8 = 30*6^2/8 = 135KN*m
I = bh^3/12 = 300*400^3/12 = 1600000000mm^4
A = 300*400 = 120000
y = h/2 = 400/2 = 200

fc = p/A-(M*y)/I = 0    → p = M*y*A/I =135000000*200*120000/160000000=2025000N=2025kN
[해설작성자 : 토목 초보자]

77. 처짐을 계산하지 않는 경우 단순지지된 보의 최소 두께(h)로 옳은 것은?(단, 보통콘크리트(mc=2,300kg/m3) 및 fy=300MPa인 철근을 사용한 부재의 길이가 10m인 보)(2012년 05월)
     1. 429mm
     2. 500mm
     3. 537mm
     4. 625mm

     정답 : []
     정답률 : 50%

78. 철근의 겹침이음 등급에서 A급 이음의 조건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2012년 05월)
     1. 배근된 철근량이 이음부 전체 구간에서 해석결과 요구되는 소요 철근량의 2배 이상이고 소요 겹침이음길이 내 겹침이음된 철근량이 전체 철근량의 1/3 이상인 경우
     2. 배근된 철근량이 이음부 전체 구간에서 해석결과 요구되는 소요 철근량의 2배 이상이고 소요 겹침이음길이 내 겹침이음된 철근량이 전체 철근량의 1/2 이하인 경우
     3. 배근된 철근량이 이음부 전체 구간에서 해석결과 요구되는 소요 철근량의 3배 이상이고 소요 겹침이음길이 내 겹침이음된 철근량이 전체 철근량의 1/3 이상인 경우
     4. 배근된 철근량이 이음부 전체 구간에서 해석결과 요구되는 소요 철근량의 3배 이상이고 소요 겹침이음길이 내 겹침이음된 철근량이 전체 철근량의 1/2 이하인 경우

     정답 : []
     정답률 : 68%

79. bw=300mm, d=450mm인 단철근 직사각형 보의 균형철근량은 약 얼마인가? (단, f=35MPa, fy=300MPa이다.)(22년 1월 개정된 KSI 규정 적용됨)(2012년 03월)
     1. 7590mm2
     2. 7320mm2
     3. 7150mm2
     4. 7010mm2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p_b = (0.85*b_1*f_ck)/f_y*600/600+f_y ; b_1 = 0.85-0.05*(f_ck-28/7) = 0.85-0.05*(35-28/7) = 0.80
p_b = 0.0529 ; A_s = p_b*b_w*d = 0.0529*300*450 = 7141.5mm2 약 7150mm2
[해설작성자 : 봉봉드링크]

80. 그림과 같은 나선철근 기둥에서 나선철근의 간격(pitch)으로 적당한 것은? (단, 소요나선철근비(ρs)는 0.018, 나선철근의 지름은 12 mm, Dc는 나선철근의 바깥지름)(2019년 04월)

    

     1. 61 mm
     2. 85 mm
     3. 93 mm
     4. 105 mm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s = 4 As / Dc ρ
    = 4 * (π* 12^2 / 4) / (400 * 0.018)
    = 62.8mm
[해설작성자 : 탲운]

5과목 : 토질 및 기초


81. 압밀이론에서 선행압밀하중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3월)
     1. 현재 지반 중에서 과거에 받았던 최대의 압밀하중이다.
     2. 압밀소요시간의 추정이 가능하여 압밀도 산정에 사용된다.
     3. 주로 압밀시험으로부터 작도란 e-log P 곡선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4. 현재의 지반 응력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과압밀비 산정시 이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35%

82. 다음 그림과 같이 점토질 지반에 연속기초가 설치되어 있다. Terzaghi 공식에 의한 이 기초의 허용 지지력 qa는 얼마인가? (단, ø=0이며, Nc=5.14, Nq=1.0, Nr=0, 안전율 Fs=3이다.)(2007년 03월)

    

     1. 6.4 t/m2
     2. 13.5 t/m2
     3. 18.5 t/m2
     4. 40.49 t/m2

     정답 : []
     정답률 : 46%

83. 말뚝기초의 지반거동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03월)
     1. 연약지반상에 타입되어 지반이 먼저 변형하고 그 결과 말뚝이 저항하는 말뚝을 주동말뚝이라 한다.
     2. 말뚝에 작용한 하중은 말뚝주변의 마찰력과 말뚝선단의 지지력에 의하여 주변 지반에 전달된다.
     3. 기성말뚝을 타입하면 전단파괴를 일으키며 말뚝 주위의 지반은 교란된다.
     4. 말뚝 타입 후 지지력의 증가 또는 감소 현상을 시간효과(time effect)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연약지반상에 타입되어 지반이 먼저 변형하고 그 결과 말뚝이 저항하는 말뚝을 수동말뚝이라 한다.
[해설작성자 : 최석현]

84. 흙의 다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8월)
     1. 최적함수비는 흙의 종류와 다짐 에너지에 따라 다르다.
     2. 일반적으로 조립토일수록 다짐곡선의 기울기가 급하다.
     3. 흙이 조립토에 가까울수록 최적함수비가 커지며 최대건조단위중량은 작아진다.
     4. 함수비의 변화에 따라 건조단위중량이 변하는데 건조단위중량이 가장 클 때의 함수비를 최적함수비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세립토에 가까울수록 최적함수비가 커지며 최대건조단위중량은 작아진다.
[해설작성자 : 차선변경시깜빡이]

85. 지표가 수평인 곳에 높이 5m의 연직옹벽이 있다. 흙의 단위중량이 1.8t/m3, 내부 마찰각이 30o 이고 점착력이 없을 때 주동토압은 얼마인가?(2004년 03월)
     1. 4.5 t/m
     2. 5.5 t/m
     3. 6.5 t/m
     4. 7.5 t/m

     정답 : []
     정답률 : 47%

86. 다음 그림과 같이 점토질 지반에 연속기초가 설치되어 있다. Terzaghi 공식에 의한 이 기초의 허용 지지력 qa는 얼마인가? (단, φ = 0이며, 폭(B)=2m, Nc=5.14, Nq=1.0, Nr=0, 안전율 Fs=3이다.)(2011년 03월)

    

     1. 6.4t/m2
     2. 13.5t/m2
     3. 18.5t/m2
     4. 40.49t/m2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terzaghi 공식은 필수 암기.
qu= 알파*C*Nc + 베타*B*Nrr1 + r2*D*Nq
요기 문제에서는 Nr=0 이므로 테르자기식에서 가운데식은 통째로 날아갑니다. 따라서 알파*C*Nc, r2*D*Nq만 구하면되네요.
C는 일축압축강도 주어졌으니까 나누기 2하면 7.43. 연속기초 : 알파=1 베타=0.5,    D= 1.2    Nc=5.14, Nq=1 대입하면
qu= 40.49t/m^2 와 쉽다 ~ 4번~ 하면 틀립니다!!
왜냐면 문제에서 허용지지력 구해라고했으니까 안전율만큼 나눠줘야지요. 그래서 진짜답은 40.49/3인 13.5
[해설작성자 : 차니]

87. 흙 속에서의 물의 흐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1년 10월)
     1. 흙의 간극은 서로 연결되어 있어 간극을 통해 물이 흐를 수 있다.
     2. 특히 사질토의 경우에는 실험실에서 현장 흑의 상태를 재현하기 곤란하기 때문에 현장에서 투수시험을 실시하여 투수계수를 결정하는 것이 좋다.
     3. 점토가 이산구조로 퇴적되었다면 면모구조인 경우보다 더 큰 투수계수를 갖는 것이 보통이다.
     4. 흙이 포화되지 않았다면 포화된 경우보다 투수계수는 낮게 측정된다.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다짐 곡선 상에서 왼쪽은 건조측으로 면모구조 오른쪽은 습윤측으로 이산구조가 되게 됩니다.

습윤측은 건조측보다 차수성이 뛰어납니다. = 투수계수가 낮음.

그래서 3)번 이산구조로 퇴적되면 차수성이 더 뛰어나고 그 말은 즉 투수계수가 더 작다는 것이기 때문에 3번이 틀린 설명입니다.
[해설작성자 : 차니]

88. 다음 현장시럼 중 Sounding의 종류가 아닌 것은?(2007년 05월)
     1. 평판재하 시험
     2. Vane 시험
     3. 표준관입 시험
     4. 동적 원추관입 시험

     정답 : []
     정답률 : 59%

89. 최대주응력이 10t/m2, 최소주응력이 4t/m2일 때 최소주응력 면과 45° 를 이루는 평면에 일어나는 수직응력은?(2003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40%

90. 콘크리트 말뚝을 마찰말뚝으로 보고 설계할 때, 총 연적하중을 200ton, 말뚝 1개의 극한지지력을 89ton, 안전율을 2.0으로 하면 소요말뚝의 수는?(2016년 05월)
     1. 6개
     2. 5개
     3. 3개
     4. 2개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허용하중 = 89/2 = 44.5t
소요말뚝 = 200/44.5 = 약 5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1. 현장다짐을 실시한 후 들밀도시험을 수행하였다. 파낸 흙의 체적과 무게가 각각 365.0cm3, 745 g이었으며, 함수비는 12.5%였다. 흙의 비중이 2.65이며 실내표준다짐시 최대 건도단위 중량이 rdmax=1.90t/m3일 때 상대다짐도는?(2011년 10월)
     1. 88.7%
     2. 93.1%
     3. 95.3%
     4. 97.8%

     정답 : []
     정답률 : 60%

92. Terzangi의 1차 압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2년 04월)
     1. 압밀방정식은 점토 내에 발생하는 과잉간극수압의 변화를 시간과 배수거리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2. 압밀방정식을 풀면 압밀도를 시간계수의 함수로 나타낼 수 있다.
     3. 평균압밀도는 시간에 따른 압밀침하량을 최종압밀침하량으로 나누면 구할 수 있다.
     4. 압밀도는 배수거리에 비례하고, 압밀계수에 반비례 한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배수거리가 길면 그만큼 배수해야하는 물의 양이 많아지고 압밀에 걸리는 시간이 길어지겠쥬
반비례 관계
[해설작성자 : 1]

93. 흙의 투수계수 k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9년 08월)
     1. k는 간극비에 반비례한다.
     2. k는 형상계수에 반비례한다.
     3. k는 점성계수에 반비례한다.
     4. k는 입경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52%

94. 피조콘(piezocone) 시험의 목적이 아닌 것은?(2018년 03월)
     1. 지층의 연속적인 조사를 통하여 지층 분류 및 지층 변화 분석
     2. 연속적인 원지반 전단강도의 추이 분석
     3. 중간 점토 내 분포한 sand seam 유무 및 발달 정도 확인
     4. 불교란 시료 채취

     정답 : []
     정답률 : 68%

95. 아래 표의 공식은 흙시료에 삼축압력이 작용할 때 흙시료 내부에 발생하는 간극수압을 구하는 공식이다. 이 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09월)

    

     1. 포화된 흙의 경우 B=1이다.
     2. 간극수압계수 A의 값은 삼축압축시험에서 구할 수 있다.
     3. 포화된 점토에서 구속응력을 일정하게 두고 간극수압을 측정했다면, 축차응력과 간극수압으로부터 A값을 계산할 수 있다.
     4. 간극수압계수 A값은 언제나 (+)의 값을 갖는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4. 과압밀점토는 A값이 음수(-0.5~0)의 값을 가질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배준]

96. 어떤 군은 점토층을 깊이 7m까지 연직 절토하였다. 이 점토층의 일축압축강도가 1.4㎏/cm2, 흙의 단위중량이 2t/m3라 하면 파괴의 안전율은?(2017년 09월)
     1. 0.5
     2. 1.0
     3. 1.5
     4. 2.0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한계고를 이용해 안전율을 구하는 문제입니다.
한계고=2*일축압축강도/흙의 단위중량입니다.1.4kg/cm2을 t/m2으로 바꾸면 14t/m2이 됩니다.
ic=2*14/2=14m
안전율Fs=한계고/절토깊이
따라서14/7=2입니다.

내부마찰각은 1도 필요없습니다 문제풀때
Hc= 2×일축강도 / 흙단위중량     이기때문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한계고 = 2*q/r, q = 일축압축강도, r=흙의 단위중량
일축압축강도 = 2c*tan(45+φ/2)
문제에선 점착력(c)가 아닌 일축압축강도가 주어졌으므로 내부마찰각은 딱히 필요가 없습니다
문제에서 만약 점착력이 주어졌다면 내부 마찰각이 필요하죠!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7. γsat=2.0t/m3인 사질토가 20°로 경사진 무한사면이 있다. 지하수위가 지표면과 일치하는 경우 이 사면의 안전율이 1 이상이 되기 위해서는 흙의 내부마찰각이 최소 몇 도 이상이어야 하는가?(2015년 05월)
     1. 18.21°
     2. 20.52°
     3. 36.06°
     4. 45.47°

     정답 : []
     정답률 : 64%

98. 어떤 흙의 변수위 투수시험을 한 결과 시료의 직경과 길이가 각각 5.0cm, 2.0cm이었으며, 유리관의 내경이 4.5mm, 1분 10초 동안에 수두가 40cm에서 20cm로 내렸다. 이 시료의 투수계수는?(2015년 03월)
     1. 4.95×10-4cm/s
     2. 5.45×10-4cm/s
     3. 1.60×10-4cm/s
     4. 7.39×10-4cm/s

     정답 : []
     정답률 : 40%

99. 흙의 분류법인 AASHTO분류법과 통일분률법을 비교ㆍ분석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2010년 05월)
     1. AASHTO분류법은 입도분포, 군지수 등을 주요 분류인자로 한 분류법이다.
     2. 통일분류법은 입도분포, 액성한계, 소성지수 등을 주요분류인자로 한 분류법이다.
     3. 통일분류법은 0.075mm체 통과율을 35%를 기준으로 조립토와 세립토로 분류하는데 이것은 AASHTO분류법 보다 적절하다.
     4. 통일분류법은 유기질토 분류방법이 있으나 AASHTO분류법은 없다.

     정답 : []
     정답률 : 62%

100. 점성토의 예민비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5년 03월)
     1. 예민비는 불교란시료와 교란시료와의 강도차이를 알수있는 재성형 효과를 말한다.
     2. 예민비의 측정은 보통 일축압축 시험으로 한다.
     3. 예민비가 크다는 것은 점토가 교란의 영향을 크게 받지않는 양호한 점토지반을 말한다.
     4. Tschebotarioff는 예민비를 등변형 상태에 있어서의 강도비로 정의 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예민비가 크다는 것은 점토가 교란의 영향을 크게 받지않는 양호한 점토지반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馬力]

101. 효율이 0.8인 펌프 2대를 이용하여 취수탑에서 100000m3/일의 수량을 20m 높이에 있는 도수로에 끌어올리려 한다. 펌프 한 대의 소요동력은?(2012년 03월)
     1. 90.6kw
     2. 113.2kw
     3. 141.5kw
     4. 283.0kw

     정답 : []
     정답률 : 52%

102. 활성슬러지의 SVI가 현저하게 증가되어 응집성이 나빠져 최종 침전지에서 처리수의 분리가 곤란하게 되었다. 이것은 활성슬러지의 어떤 이상 현상에 해당되는가?(2021년 03월)
     1. 활성슬러지의 부패
     2. 활성슬러지의 상승
     3. 활성슬러지의 팽화
     4. 활성슬러지의 해제

     정답 : []
     정답률 : 71%

103. 계획오수량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5월)
     1. 지하수량은 1일1인최대오수량의 20% 이하로 한다.
     2. 생활오수량의 1일1인최대오수량은 1일1인최대급수량을 감안하여 결정한다.
     3. 계획1일평균오수량은 계획1일최소오수량의 1.3~1.8배를 사용한다.
     4. 합류식에서 우천 시 계획오수량은 원칙적으로 계획시간최대오수량의 3배 이상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계획시간 최대오수량은 계획1일 최대오수량의 1시간당 수량의 1.3~1.8배를 표준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일광 흑진주]

104. 하수관거의 단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9월)
     1. 계란형은 유량이 적은 경우 원형거에 비해 수리학적으로 유리하다.
     2. 말굽형은 상반부의 아치작용에 의해 역학적으로 유리하다.
     3. 원형 직사각형은 역학계산이 비교적 간단하다.
     4. 원형은 주로 공장제품이므로 지하수의 침투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9%

105. 다음 상수의 도수 및 송수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5년 05월)
     1. 도수 및 송수방식은 에너지의 공급원 및 지형에 따라 자연유하식과 펌프압송식으로 나눌 수 있다.
     2. 송수관로는 수리학적으로 수압작용 여부에 따라 개수로 식과 관수로식으로 분류 가능하다.
     3. 펌프압송식은 수원이 급수구역과 가까울 때와 지하수를 수원으로 할 때 적당하다.
     4. 자연유하식은 평탄한 지형에서 유리한 방식이다.

     정답 : []
     정답률 : 48%

106. SVI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잘못된 것은?(2006년 03월)
     1. 활성슬러지의 침강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2. SVI가 100전후로 활성슬러지의 침강성이 양호 한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압밀침강에 해당된다.
     3. SVI가 적을수록 슬러지가 농축되기 쉽다.
     4. SVI가 높아지면 MLSS도 상승한다.

     정답 : []
     정답률 : 39%

107. 하수처리장 유입수의 SS농도는 200mg/L 이다. 1차 침전지에서 30% 정도가 제거되고, 2차 침전지에서 85%의 제거효율을 갖고 있다. 하루 처리용량이 3000 m3/d 일 때 방류되는 총 SS량은?(2021년 05월)
     1. 63 kg/d
     2. 2800 g/d
     3. 6300 kg/d
     4. 6300 mg/d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처리용량×SS농도×(1-1차 제거효율)×(1-2차 제거효율
[해설작성자 : 덕이]

108. 급수방식에 대한 다음 설명 중 맞지 않은 것은?(2007년 09월)
     1. 급수방식은 직결식과 저수도식으로 나누며 이를 병용하기도 한다.
     2. 배수관의 관경과 수압이 충분할 경우는 직결식을 사용한다.
     3. 재해시나 사고 등에 의한 수도의 단수나 강수시에도 물을 반드시 확보해야 할 경우는 직결식으로 한다.
     4. 배수관의 압력변동에 관계없이 상시 일정한 수량과 압력을 필요로 하는 경우는 저수조식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109. 도수시설 중 접합정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2009년 08월)
     1. 원형 또는 각형의 콘크리트 혹은 철근콘크리트로 축조한다.
     2. 수압이 높은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수압제어용 밸브를 설치한다.
     3. 유출관의 유출구 중심높이는 저수위에서 관경의 3배 이상 낮게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4. 유입속도가 큰 경우에는 접합정 내에 월류벽 등을 설치하여 유속을 감쇄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54%

110. 혐기성 소화가 호기섬 소화에 비해 지닌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9월)
     1. 유효한 자원인 메탄이 생성된다.
     2. 처리후 슬러지 생성량이 적다.
     3. 반응속도가 매우 빠르다.
     4. 동력비 및 유지관리비가 적게 든다.

     정답 : []
     정답률 : 31%

111. 활성슬러지법에서 BOD 용적부하를 옳게 표현한 것은?(2007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47%

112. 상수도 배수관망 중 격자식 배수관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8년 04월)
     1. 물이 정체하지 않는다.
     2. 사고시 단수구역이 작아진다.
     3. 수리계산이 복잡하다.
     4. 제수밸브가 적게 소요되며 시공이 용이하다.

     정답 : []
     정답률 : 69%

113. 활성슬러지법에서 BOD 용적부하를 옳게 표현한 것은?(2009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0%

114. 수원지에서부터 각 가정까지의 상수계통도를 나타낸 것으로 옳은 것은?(2013년 09월)
     1. 수원 → 취수 → 도수 → 배수 → 정수 → 송수 → 급수
     2. 수원 → 취수 → 배수 → 정수 → 도수 → 송수 → 급수
     3. 수원 → 취수 → 도수 → 송수 → 정수 → 배수 → 급수
     4. 수원 → 취수 → 도수 → 정수 → 송수 → 배수 → 급수

     정답 : []
     정답률 : 74%

115. P도시에서 1985년도의 인구를 현재 인구라고 할 때 현재부터 10년 후의 인구를 등비급수법으로 추정한 값으로 옳은 것은?(2005년 09월)

    

     1. 약 47,500명
     2. 약 49,700명
     3. 약 53,800명
     4. 약 56,300명

     정답 : []
     정답률 : 32%

116. 혐기성 소화법과 비교할 때, 호기성 소화법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2021년 05월)
     1. 최초시공비 과다
     2. 유기물 감소율 우수
     3. 저온시의 효율 향상
     4. 소화슬러지의 탈수 불량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호기성 소화법의 장점
초기투자비가 절감, 처리수의 수질이 양호, 소화슬러지 악취발생이 감소, 운전이 용이하다, 상징수의 수질양호
[해설작성자 : 승주유]

117. 인구 10만의 도시에 계획 1인 1일 최대급수량 600L, 급수보급율 80%를 기준으로 상수도 시설을 계획하고자 한다. 이 도시의 계획 1일 최대급수량은?(2004년 05월)
     1. 32,000m3
     2. 40,000m3
     3. 48,000m3
     4. 60,000m3

     정답 : []
     정답률 : 67%

118. 다음 그림은 포기조에서 부유물질의 물질수지를 나타낸 것이다. 포기조내 MLSS를 3000mg/L로 유지하기 위한 슬러지의 반송비는?(2021년 08월)

    

     1. 39%
     2. 49%
     3. 59%
     4. 69%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MLSS 농도를 X, 반송슬러지 농도를 Xr, 슬러지 반송비를 R이라고 하면 X=(R*Xr+SS)/(1+R)이다.
3000=(R*8000+50)/(1+R) ==> R=0.59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9. 슬러지를 혐기성소화법으로 처리할 경우에 호기성소화법과 비교하여 혐기성소화법이 갖는 특징으로 틀린 것은?(2006년 09월)
     1. 병원균의 사멸률이 낮다.
     2. 동력시설 없이 연속적인 처리가 가능하다.
     3. 부산물로 유용한 메탄가스가 생산된다.
     4. 유지관리비가 적게 소요된다.

     정답 : []
     정답률 : 22%

120. 일반 상수에서 경도(Hardness)를 유발하는 주된 물질은?(2005년 09월)
     1. Ca2+, Mg2+
     2. Al2+, Na+
     3. SO42-, NO3-
     4. Mn2+, Zn2+

     정답 : []
     정답률 : 33%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토목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342740)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도목기사, 토목, 기사,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8 배관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9월27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247 유기농업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3월0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246 청소년상담사 2급(1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3월2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245 공조냉동기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4월17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244 초음파비파괴검사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5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 토목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342740)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242 공인중개사 2차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10월2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241 어로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7926369)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240 청소년상담사 1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10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239 수능(세계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5793781)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238 9급 국가직 공무원 국제법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4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237 PSAT 헌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3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236 9급 지방직 공무원 과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6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0
235 건설기계정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8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234 수능(한국지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9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233 9급 지방직 공무원 재난관리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5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232 해양조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05월1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231 소비자전문상담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3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230 설비보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5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229 실내건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8월2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Board Pagination Prev 1 ...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 325 Next
/ 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