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사회복지사 1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9794924)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사회복지사 1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사회복지 실천론


1. 한국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과정을 발생한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2021년 02월)

   

     1. ㄱ - ㄴ - ㄷ – ㄹ
     2. ㄴ - ㄱ - ㄹ – ㄷ
     3. ㄴ - ㄹ - ㄱ - ㄷ
     4. ㄷ - ㄴ - ㄹ – ㄱ
     5. ㄹ - ㄷ - ㄴ - ㄱ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ㄱ. 1947년 이화여자대학교에 기독교 사회사업학과가 최초로 설립
ㄴ. 1970년 사회복지사업법 제정 당시에는 사회복지종사자라는 명칭 사용, 이후 1983년 개정에서 사회복지사라는 명칭 사용
ㄷ. 1987년부터 사회복지전문요원을 행정기관에 배치하기 시작.
ㄹ. 정신건강사회복지사라는 명칭은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이 2016년 개정, 2017년 시행되면서 사용하기 시작
[해설작성자 : 이은지]

2. 작은 체계들 속에서 그들을 둘러싼 큰 체계의 특성이 발견되기도 하고 작은 체계들이 큰 체계에 동화되기도 하는 현상은?(2014년 01월)
     1. 네겐트로피(negentropy)
     2. 동등종결(equifinality)
     3. 홀론(holon)
     4. 피드백(feedback)
     5. 다중종결(multifinality)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3. 홀론 : 부분으로서 전체의 구성에 관여함과 동시에 각각이 하나의 전체적, 자율적 통합을 가지는 단위    
[해설작성자 : 맑음]

통합적 접근을 기반한 이론들

① 일반체계이론
체계, 경계(반투과적/명확/유연→건강한체계)
개방체계(네겐트로피, 항상성)
폐쇄체계(엔트로피, 균형(수평적 상호작용)
홀론
항상성(행동방식의 규칙성을 갖게 됨)
환류 피드백
동등종결(동귀결성)
다중종결(다중귀결:출발은 똑같지만 다양한 결과에 이름)
[해설작성자 : 맑음]

3. 사회복지 실천과정(접수 - 자료수집 및 사정 - 개입 - 평가 및 종결) 중 접수단계의 주요 과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1월)
     1. 클라이언트에게 기관의 서비스와 원조과정에 관한 안내를 한다.
     2. 클라이언트가 어떤 문제를 갖고 있는지, 문제와 관련된 욕구가 무엇인지를 파악한다.
     3. 클라이언트가 기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해 결정한다.
     4. 초기 면접지, 정보제공 동의서, 심리검사 등의 관련 서식을 작성한다.
     5. 자격요건, 이용절차, 비용 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심리검사 등의 관련 서식 작성은 '사정단계'
[해설작성자 : 으니리니]

심리검사를 하는 것은 자료수집 단계이다.
심리검사 - 전문가의 자문을 얻어 제대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설작성자 : 고양이덕후]

4. 인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1월)
     1. 천부성은 인간이 세상에 태어나면서부터 존엄성을 가지고 태어났다는 의미이다.
     2. 자유권은 시민적, 정치적 권리이다.
     3. 평화권은 국가들 간의 연대와 단결의 권리이다.
     4. 보편성은 자기의 인권은 자기만이 소유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5. 평등권은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이다.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4. 보편성: 인권이란 인간이면 누구나 보편적으로 가지는 권리임
                     (성별.국적.학력.인종.종교등과 관계없이 모든 사람에게 동등하게 부여)
[해설작성자 : 컵2]

5. 로웬버그와 돌고프(F. Loewenberg & R. Dolgoff)의 윤리적 원칙 중 다음 사례에서 아동학대전담공무원이 결정을 할 때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원칙은?(2024년 01월)

   

     1. 평등과 불평등의 원칙
     2. 최소 손실의 원칙
     3. 사회정의 실현의 원칙
     4. 진실성과 정보 개방의 원칙
     5. 사생활보호와 비밀보장의 원칙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최소 손실의 원칙이란 선택 가능한 대안이 다 유해할 때 가장 최소한으로 유해한 것으로 선택하는 것인데
해당 사례는 대안을 선택해야하므로 최소 손실의 원칙을 고려해야함
[해설작성자 : 김왕자]

6. 윤리강령의 기능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2년 01월)

   

     1. ㄱ, ㄷ
     2. ㄱ, ㄹ
     3. ㄱ, ㄴ,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사회복지사 윤리강령의 기능
- 스스로 자기규제를 가짐으로써 사회복지전문적의 전문성을 확보하고 외부로부터 전문직을 보호한다
-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윤리적 갈등이 생겼을 때 지침과 원칙을 제공한다.
- 일반 대중에게 전무가로서 사회복지사의 기본 업무 및 자세를 알리는 일차적 수단으로 기능한다.
[해설작성자 : 김왕자]

7. 사회복지실천이 봉사활동에서 전문직으로 출발하게 된 계기가 아닌 것은?(2020년 02월)
     1. 우애방문자들의 활동에 보수를 지급하기 시작하였다.
     2. 우애방문자를 지도#감독하는 체계를 마련하였다.
     3. 자선조직협회는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였다.
     4. 의사인 카보트(R. Cabot)가 매사추세츠병원에 의료사회복지사를 정식으로 채용하였다.
     5. 전통적 방법론의 한계로 인하여 통합적 방법론이 등장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전문직 확립시기는 1900년 전후~1920년 전후임.
5번은 1960년 전후~1980년 전후의 내용에 해당됨(시기상으로 다름)
[해설작성자 : 은수엄마]

8. 다음에서 설명하는 사회복지실천 접근이 등장하기 전의 일을 발생한 순서대로 바르게 연결한 것은?(2019년 01월)

   

     1. 리치몬드(M. Richmond)의 ≪사회진단≫ 출간 - 기능주의 등장 - 진단주의 등장
     2. 리치몬드의 ≪사회진단≫ 출간 - 기능주의 등장 - 한국 사회복지사업법 제정
     3. 일반주의 실천의 확대 - 리치몬드의 ≪사회진단≫ 출간 - 한국 사회복지사업법 제정
     4. 기능주의 등장 - 사회복지실천 3대 방법론으로 분화 - 플렉스너(A. Flexner)의 사회복지직 전문성 비판
     5. 플렉스너의 사회복지직 전문성 비판 - 리치몬드의 ≪사회진단≫ 출간 - 사회복지실천 3대 방법론으로 분화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문제해결모델(펄만), 4체계모델(핀커스/미나한), 6체계모델(콤든/갤러웨이)등은→ 통합기(1950~1970)에 해당

전문적 사회복지실천

□ 태동기(19C~20C초): 자선조직(COS)협회, 인보관운동

□ 전문적 확립기(1900~1920): 개별사회사업방법 발달(CaseWork)
→ 우애원 지도감독, 우애방문원 보수지급
→카보드(의료사회복지사채용, 1905)- 플렉스너 (시회복지 전문직 결여 비판,1915)- 리치몬드(사회진단 출간,1917)

□ 전문적 분화기(1920~ 1950): 개별/집단/지역사회 조직론 실천방법

진단주의(1920년대 전후): 프로이트 정신분석학 의존(기계론적 결정론 인간관)
밀포드회의(1929): 사회복지실천 8개영역 정리
기능주의(1930년대 후반): 개인의 성장에 초점

□통합기(1950~1970): 기존의 전통적 3대방법 실천론(개별/집단/지역사회) 한계대두
펄만(문제해결모델), 핀커스/미나한(4체계모델), 콤튼/갤러웨이(6체계모델),생활모델,단일화 모델 등장

□다양화/확장기 (1970년대 이후)
다양한 사회복지실천론 모델과 관정이 등장
과제모델,역량강화,강정관정

□ 사례관리(1980년대 이후) 등장
등장배경:
탈시설화, 지방분권화, 다양한욕구 클라이언트 등장, CT와 가족에게 부과되는 과도한 책임
비용효과성 인식(서비스비용 억제),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서비스제공, 재가복지서비스 활성화

[해설작성자 : 공식답변]

리치몬드 사회진단 출간 1917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표적문제의 우선순위 결정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1월)
     1. 긴급성
     2. 변화가능성
     3. 측정가능성
     4. 해결가능성
     5. 클라이언트의 선택

     정답 : []
     정답률 : 74%

10. 다음의 질문 중 폐쇄형 질문에 해당하는 것은?(2016년 01월)
     1. “결혼하셨습니까?”
     2. “무엇이 가장 힘드십니까?”
     3. “남편의 성격은 어떤가요?”
     4. “지난 일주일은 어떻게 지내셨습니까?”
     5. “무슨 일로 남편과 다투셨나요?”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1번 폐쇄형 질문은 클라이언트의 초점을 제한하고 확실한 사실에 대해서만 묻는 방식으로서 일반적으로 “예”“아니오“ 대답만 요구하거나 간단한 단답형 질문만을 하는 것이다.

1번은 폐쇄형 질문에 해당하며
2 3 4 5 는 개방형 질문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 자료수집단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2년 01월)
     1. 클라이언트 개인에게만 초점을 두어 정보를 모은다.
     2. 다양한 정보원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므로 검사 도구를 사용하면 안 된다.
     3. 초기면접은 비구조화된 양식만을 사용하여 기본적인 정보를 수집해야 한다.
     4. 객관적인 자료뿐만 아니라 클라이언트의 주관적인 인식이 담긴 자료도 포함하여 수집한다.
     5. 클라이언트로부터 얻은 정보가 가장 중요하므로 클라이언트가 직접 작성한 자료에만 의존한다.

     정답 : []
     정답률 : 90%

12. 통합적 접근에 관한 사회복지실천의 특징이 아닌 것은?(2021년 02월)
     1. 생태체계관점을 토대로 한다.
     2.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을 최소화한다.
     3. 문제에 대해 광범위하고 포괄적으로 접근한다.
     4. 체계와 체계를 둘러싼 환경 간의 관계를 중시한다.
     5. 사회복지실천과정을 점진적 문제해결과정으로 본다.

     정답 : []
     정답률 : 90%

13. 사회복지 실천현장과 분류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1월)
     1. 사회복지관 - 1차 현장
     2. 종합병원 - 2차 현장
     3. 발달장애인지원센터 - 이용시설
     4. 노인보호전문기관 - 생활시설
     5. 사회복지공동모금회 - 비영리기관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1차 현장: 사회복지를 목적으로 하는 시설
2차 현장: 사회복지 외의 목적을 갖지만, 사회복지가 제공되는 시설
이용시설: 클라이언트가 방문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 시설
생활시설: 클라이언트가 거주할 수 있는 시설
영리기관: 이윤 추구 기관
비영리기관: 가치 추구 기관
4. 노인보호전문기관은 학대 받은 노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용시설이다. 학대피해노인 전용쉼터가 생활시설이다.
[해설작성자 : 24]

14. 통합적 방법으로서 문제해결모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1월)
     1. 자아심리학, 듀이(J. Dewey)의 사상, 역할이론, 체계이론 등에 기반한다.
     2. 펄만(H. Perlman)의 모델에서는 주로 개인의 사회적 기능에 문제의 초점을 둔다.
     3. 콤튼과 갤러웨이(B. Compton & R. Galaway) 모델에서는 개인, 집단, 환경 간 상호작용 문제로 초점이 확대된다.
     4.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와 협동적 작업 관계 외에 다른 체계와 협조, 교섭, 갈등의 관계도 가진다.
     5. 미시체계, 중간체계, 외적체계, 거시체계의 4체계 모델에서 6체계 모델로 발전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4체계모델: 변화매개체계, 클라이언트체계, 표적체계, 행동체계
6체계모델: 변화매개체계, 클라이언트체계, 표적체계, 행동체계 + 전문체계, 의뢰-응답체계
[해설작성자 : 효곰]

[추가 해설]
5번. 지문은 4체계 6체계모델에 해당.
문제해결 모델이 아님.

문제해결모델은 4체계가 아닌 4p를 중요시
4P: 문제(Problem), 사람(Person),장소(Place),과정(Process)
[해설작성자 : 겨울엔붕어사만코]

15. 통합적 접근방법의 등장배경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5년 01월)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지나친 분화와 전문화된 전통적 방법이 복잡한 문제에 포괄적으로 개입할수 없어 통합적 접근 방법 등장
[해설작성자 : 하니하니]

16. 면접과정에서의 질문으로 적절한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7년 01월)

    

     1.
     2. ㄱ, ㄷ
     3. ㄴ, ㄹ
     4. ㄱ, ㄴ, ㄷ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왜' 라고 묻는 것을 삼가고 감정을 유도해서는 안 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ㄹ.중첩형 질문( 질문 한꺼번에 여러가지 하면 클라이언트는 혼란에 처할수 있음)
[해설작성자 : 그렇다더군요]

17. 초기단계에서 사용하는 면접 기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1년 02월)

    

     1. ㄱ, ㄴ
     2. ㄴ,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89%

18. 사정을 위한 면접의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01월)
     1. 문제상황에 대한 이해
     2. 클라이언트의 강점 파악
     3. 문제해결과정의 장애물 탐색
     4. 클라이언트의 욕구 우선순위 설정
     5. 클라이언트 환경의 변화 촉진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5.치료를 위한 면접 기능에 해당한다.(ct의 기능향상 및 사회적 적응을 위한 환경변화에 주력)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9. 직면(confrontation) 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1월)
     1. 클라이언트의 말과 행동 간에 모순이 있으나 클라이언트가 이를 부인하고 인정하기를 거부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2. 클라이언트가 극심한 정서적 긴장 상태에 있을 때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3. 클라이언트에게 방어적 반응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4.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결정이나 행동이 실제로 합리적임에도 이에 대한 확신을 갖지 못하고 주저할 때 사용된다.
     5. 클라이언트와의 신뢰관계가 충분히 형성된 뒤에 사용하는 것이 유용하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자신의 결정이나 행동이 실제로 합리적임에도 이에 대한 확실을 갖지 못하고 주저할 때 사용하는 것은 재보증이다.
[해설작성자 : 웃지]

20. 사례관리의 원칙과 활동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1월)
     1. 통합성: 서비스 조정을 위해 사례회의를 개최한다.
     2. 접근성: 사각지대 발굴을 위해 아웃리치를 한다.
     3. 포괄성: 기관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의뢰를 한다.
     4. 체계성: 중도 탈락한 클라이언트를 찾아 서비스를 재개한다.
     5. 지속성: 종단적 차원에서 개인의 욕구에 반응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4. 접근성에 대한 설명
[해설작성자 : 사회복지사 1급 준비중]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4. 지속성에 대한 설명입니다
5. 보기에 중단적 차원이 아닌 종단적 차원입니다
[해설작성자 : 해냄]

21. 사례관리의 원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4년 01월)
     1. 서비스의 개별화
     2. 서비스의 접근성
     3. 서비스의 연계성
     4. 서비스의 분절성
     5. 서비스의 체계성

     정답 :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서비스의 분절성은 서비스가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각각 나누어진 상태를 말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2. 표적문제(target problem) 선정 시 고려할 사항으로 옳은 것은(2017년 01월)
     1. 표적문제는 가능한 많이 선정하는 것이 좋다.
     2.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 중 어느 한 쪽에서 문제로 인식하는 것은 모두 표적문제로 선정한다.
     3. 표적문제의 우선순위를 정할 때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판단을 중심으로 한다.
     4. 표적문제를 선정할 때 사회복지사 자신의 지식과 기술을 고려한다.
     5. 표적문제는 전문적 용어로 기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표적문제를 선정할 때는 클라이언트의 견해가 최대한 반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최대 3개까지 선정한다.

․클라이언트가 인정하는 문제
․자신의 노력으로 해결 가능한 문제
․구체적인 문제
․표적문제가 결정되면 개입의 우선순위를 정할 차례로 클라이언트는 자기의 문제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문제를 중심으로 우선    순위를 정해야 한다.

1.최대3개가 일반적
2.클라이언트가 인식한 문제이고, 사회복지사가 인정한 문제여야한다. 표적문제는 많으면 계획된 시간안에 해결되기 어렵다.
3.클라이언트 중심. 사회복지사는 전문적 판단에 의해 수용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5.구체적으로 규정하면 된다. 전문적 용어는 중요치 않다.
[해설작성자 : 효곰]

23. 사회복지 실천과정의 목적과 목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1월)
     1. 목표는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판단으로 설정해야 한다.
     2. 목표는 클라이언트가 바라는 바와 연결되어야 한다.
     3. 목적은 장기적이고 긍정적인 결과의 형태로 제시되어야 한다.
     4. 목표가 여러 개일 경우에는 클라이언트에게 가장 시급한 것을 최우선 순위로 설정한다.
     5. 목적은 사회복지실천을 통해 변화되기 원하는 방향의 형태로 진술되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의 합의로 결정
[해설작성자 : 202]

24. 사회복지사의 기능과 역할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1월)
     1. 직접 서비스 기능 - 상담가
     2. 체계 연결 기능 - 사례관리자
     3. 체계 유지 기능 - 팀 성원
     4. 체계 개발 기능 - 옹호자
     5. 체계 강화 기능 - 촉진자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옹호는 클라이언트가 정당함에도 대우를 받지 못하는 경우
[해설작성자 : ㅇㅓㄱㅏㅂㅗㄱ]

25. 양가감정(ambivalence)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7년 01월)

    

     1.
     2. ㄱ, ㄴ
     3. ㄴ, ㄷ
     4. ㄱ, ㄴ, ㄹ
     5. ㄱ, ㄷ, ㄹ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양가 감정이란 개인 내부에서 동시에 발생하는 사랑, 증오 같은 모순적 감정이며, 동일한 대상에 대해 사랑과 증오 또는 친근감과 적대감의 상반된 심리적 경향, 감정 및 태도가 종시에 존재하는 정신 상태를 말한다.

ㄷ. 클라이언트의 양가감정을 수용하면 클라이언트의 저항감이 약화된다.
ㄹ. 양가 감정은 초기 접촉단계와 종결단계에서 다루어져야 한다.

2과목 : 사회복지 실천 기술론


26. 심리사회모델의 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1월)
     1. 지지하기: 클라이언트가 표현한 표적문제와의 명백한 연관성을 탐색한다.
     2. 직접적 영향: 문제해결을 위해 사회복지사의 의견을 강조한다.
     3. 발달적 고찰: 성인기 이전의 생애경험이 현재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한다.
     4. 탐색-기술-환기: 클라이언트와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사실을 기술하고 감정을 표현하도록 한다.
     5. 인간-상황에 대한 고찰: 사건에 대한 클라이언트의 지각방식 및 행동에 대한 신념, 외적 영향력 등을 평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지지하기는 임파워먼트모델이다.

지지하기
클라이언트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신뢰나 존중,돕고자 하는 태도등을 직접적아 표현으로 전달
[해설작성자 : 갓팩트맨]

심리사회모델의 개입 방법
1. 지지하기 - 감정과 행동 지지하기
: CT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신뢰나 존중, 돕고자 하는 태도 등을 직접적인 표현으로 전달함, CT의 문제해결 능력에
    확신을 표현하며 자기존중감을 증진시키는 개입기법
[해설작성자 : 지리산혹등고래]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지지하기 기법도 심리사회모델에서는 쓰이는 기법입니다.
지지하기는 대표적으로 재보증(안심)과 격려하기가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keenk]

[오류신고 반론]
지지하기도 심리사회모델에서 사용
지지하기의 내용이 틀렸음 따라서 정답은 1번
[해설작성자 : ㅈㅈ]

27. 집단사회복지실천의 중간 단계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0년 02월)

    

     1. ㄱ, ㄷ
     2. ㄴ,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ㄹ은 종결단계에 해당하는 내용이다.
[해설작성자 : 은수엄마]

ㄴ.탐색과 시험단계(Northen)-중간1단계 해당(sarri,gailnsky)
[해설작성자 : 열심히하자]

28. 집단성원의 주도성이 높은 것부터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2020년 02월)

    

     1. ㄱ - ㄴ - ㄹ - ㄷ
     2. ㄱ - ㄷ - ㄴ - ㄹ
     3. ㄱ - ㄹ - ㄷ - ㄴ
     4. ㄴ - ㄱ - ㄹ - ㄷ
     5. ㄴ - ㄹ - ㄱ - ㄷ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집단성원의 주도성이 높은 순서대로 나열하면
자조>성장>교육>치료
[해설작성자 : 트윅스]

29. 위기개입모델의 중간단계 활동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1월)
     1. 위기상황에 대한 초기사정을 실시한다.
     2. 클라이언트의 일상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자원과 지지체계를 찾아낸다.
     3. 목표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과제들에 대해 작업한다.
     4. 위기사건 이후 상황과 관련된 자료를 보충한다.
     5. 현재 위기와 관련된 과거 경험을 탐색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 초기사정은 초기단계 활동임. 필요하면 재사정할수 있는 것도 강조하긴 함.
2.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변화를 위해 자원과 지지체계를 찾음 O
3. 중간단계는 변화를 위한 단계. 구체적 과제들 O
4. 중간단계니 계속 점검하면서 보충을 함 O
5. 필요한 경우에는 과거 경험 탐색 가능(추가 목표) 예시) 자살 시도자의 경우 과거 경험을 주로 함. 보통 자살시도자는 과거에 자살시도를 해본적이 있기 때문.
[해설작성자 : 사복1회차]

30. 과제중심모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1월)
     1.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권을 존중한다.
     2. 계약 내용에 사회복지사의 과제를 포함한다.
     3.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와의 관계는 협력적 관계이다.
     4. 단기치료의 기본원리를 강조한 비구조화된 접근이다.
     5. 클라이언트의 문제의식을 반영하여 표적문제를 설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비구조화가 아니라 구조화!
[해설작성자 : 시험붙자 와니야]

31. 집단사회복지실천기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1월)
     1. 집단과정의 명료화기술은 성원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있는지를 인식하도록 돕는 기술이다.
     2. 사회복지사와의 의사소통을 집단성원들 간 의사소통보다 중시해야 한다.
     3. 사회복지사는 특정한 집단과정에 선택적으로 반응해서는 안 된다.
     4. 직면은 집단 초반에 구성원의 참여를 촉진하는 기술이다.
     5. 집단의 목표는 집단과정을 통해 성취하면 되므로 처음부터 설명할 필요는 없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2) 사회복지사는 '집단성원들 간 의사소통의 연계 기술'을 통해 집단성원들로 하여금 사회복지사와 주로 의사소통을 하기 보다는 성원들 간에 의사소통을 촉진하도록 돕는다.
3) 사회복지사는 '반응 기술'을 통해 특정한 집단 과정에 선택적으로 반응함으로써 개별성원이나 전체집단이 적절한 방향으로 나아가도록 돕는다.
4) '직면 기술'은 집단의 저항을 극복하고 집단 성원을 동기화시킬 수 있는 행동기술이다.
     집단 초반에 집단 성원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참여 촉진'기술이다.
5) 사회복지사는 집단의 초기단계에서 집단의 목적과 목표에 대해 설명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머리속에 안들어와]

32. 임파워먼트모델의 실천단계 중 발견단계에서의 과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1월)
     1. 성공을 인정하기
     2. 달성한 것을 통합하기
     3. 새로운 자원 활성화하기
     4. 수집된 정보를 조직화하기
     5. 클라이언트와의 파트너십 형성하기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임파워먼트 실천단계 1단계- 대화단계, 2단계- 발견단계, 3단계-발달단계
1,2,3번은 발달단계
4번은 발견단계
5번은 대화단계
[해설작성자 : 으채]

33. 가족조각 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1월)
     1. 가족의 상호작용 양상을 공간 속에 배치하는 방법이다.
     2. 가족 내 숨겨져 표현되지 못했던 감정이나 가족규칙 등이 노출될 수 있다.
     3. 조각 후, 사회복지사는 현재의 조각이 어떻게 변화되기 바라는지를 다시 조각으로 표현하게 한다.
     4. 조각을 하는 동안 서로 웃거나 이야기하지 않는다.
     5. 가족을 조각한 사람은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조각에서 제외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5. 제외되는 것이 일반적인 것이 아니라 함께 참여하게 하는 것이 맞는 것이다.

34. 좋은 기록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2017년 01월)
     1. 서비스의 결정과 실행에 초점을 둔다.
     2. 상황묘사와 사회복지사의 견해를 구분하지 않는다.
     3. 비밀보장을 위해 정보를 쉽게 분류할 수 없게 한다.
     4. 모든 문제나 상황을 가능한 자세하고 풍부하게 기술한다.
     5. 클라이언트의 관점은 배제하고 전문적 견해를 강조한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좋은 기록의 특징
- 서비스의 결정 및 행동에 초점을 둠
- 사정, 개입, 평가의 기초로서 클라이언트와 상황에 관한 정보를 포함
- 각 단계에서의 목표, 계획, 과정, 진행, 서비스 전달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
- 사회복지사의 견해와 상황에의 기술이 명확히 분리되어 있다.
- 정보의 문서화를 위해 구조화되어 있다.
- 서비스 전달이 잘 기술되어 있으며, 모든 문서가 정확하다.
- 기록이 간결하고 구체적이며, 타당하고 논리적이다. 또한 시기적절하고 유의미하며, 사실에 근거한다.
- 전문가적 윤리를 토대로 한다.
- 수용된 이론에 기초한다.
- 전문가의 견해를 담고 있으면서도 클라이언트의 관점을 소홀히 하지 않는다.

좋지 않은 기록의 특징
- 그릇된 판단, 부적절한 개입, 부정확한 사정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
- 정보가 너무 적거나 많게 기술되어 있으며, 조직화되어 있지 않다.
- 명확한 근거가 제시되어 있지 않고 일방적인 결론을 내림으로써 과잉 단순화가 발생한다.
- 표현이 반복적이고 장황하며, 진부한 용어를 사용한다.
- 클라이언트에 대한 독단적인 견해로 클라이언트에게 부정적인 낙인을 붙인다.
[해설작성자 : 사회복지사]

35. 사회복지사가 비자발적 클라이언트와 공감하는 기술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4년 01월)

    

     1. ㄱ, ㄷ
     2. ㄴ, ㄹ
     3. ㄱ, ㄴ, ㄹ
     4. ㄱ, ㄷ, ㄹ
     5.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85%

36. 알코올 중독 노숙인의 자활을 위해 다차원적으로 개입한 후, 단일사례설계를 활용하여 사업의 성과를 평가하려고 한다. 이때 성과지표로 사용 가능한 자료가 아닌 것은?(2018년 01월)
     1. 밤사이 숙소 밖에 버려진 술병의 수
     2. 직업훈련 참여 시간
     3. 직업훈련의 성격
     4. 스스로 측정한 자활의지
     5. 단주 모임에 나간 횟수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직업훈련의 성격은 성과지표로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사회복지사 1급 준비중]

37. 가족치료모델의 개입 목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1월)
     1. 해결중심 가족치료: 가족이 문제 중심에서 벗어나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실행하도록 돕는다.
     2. 다세대 가족치료: 가족구성원의 불안 감소 및 미분화된 원가족과의 관계에서 자아분화를 증진시킨다.
     3. 구조적 가족치료: 역기능적 가족구조를 재구조화한다.
     4. 경험적 가족치료: 자아존중감 향상과 의사소통 방식의 변화를 통해 대처능력을 향상시킨다.
     5. 전략적 가족치료: 다양한 전략을 활용하여 제시된 문제의 원인을 찾도록 돕는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전략적 가족치료는 치료자가 가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을 고안하는데 관심을 둔다
[해설작성자 : 김왕자]

38. 미누친(S. Minuchin)의 구조적 가족치료의 대표적 기법을 옳게 나열한 것은?(2025년 01월)
     1. 합류하기, 균형 깨뜨리기, 실연
     2. 합류하기, 경계 만들기, 가족그림
     3. 경계 만들기, 탈삼각화, 과제부여
     4. 과제부여, 균형 깨뜨리기, 역설적 지시
     5. 균형 깨뜨리기, 경계 만들기, 순환적 질문

     정답 : []
     정답률 : 55%

39. 사회기술훈련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6년 01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79%

40. 가족 내부의 역동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1월)
     1. 이중구속(double binds)은 가족의 응집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2. 일치형 의사소통은 객관적 사실과 정확한 논리에 기초한 의사소통 행위다.
     3. 가족 하위체계 간 경계가 모호하면 그 관계가 소원해진다.
     4. 전문가의 가족 개입 과정에서 가족의 항상성이 작동될 수 있다.
     5. 부적 피드백은 가정 내 일탈행동을 증폭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 경계선은 가족의 응집종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2) 초이성형 의사소통은 객관적 사실과 정확하 논리에 기초한 의사소통 행위다.
(3) 가족 하위체계간 경계가 모호하면 그 관계가 너무 밀착된다.
(5) 정적 피드백: A에게 b가 ~~하라고 하면 a는 기존 행동을 지속한다.
        부정 피드백: 기존행동을 반복하던 a는 이건 아니라고 판단하고 하던 행동을 그만둔다.
[해설작성자 : 아픈 닭(2022년 20회 합격 가즈아)]

객관적 사실과 정확한 논리에 기초하는것은 주지화로, 초이성형 의사소통에서 상황만을 중시할때 나타난다.
[해설작성자 : ㅁㅁ]

41. 집단을 구성할 때 고려할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1월)
     1. 집단의 응집력을 높이기 위해 참여 동기가 유사한 성원을 모집한다.
     2. 다양한 집단성원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폐쇄형집단으로 구성한다.
     3. 집단성원의 동질성을 높이기 위해 사전에 욕구 수준을 파악한다.
     4. 집단의 목표에 따라 집단의 크기를 융통성있게 정한다.
     5. 집단의 정서적 안정감을 높이기 위해 쾌적한 장소를 선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다양한 집단성원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개방형집단으로 구성되어야 함.
[해설작성자 : 2021.02.05 화이팅]

42. 다음 사례에 해당되는 단일사례설계 평가유형은?(2019년 01월)

    

     1. AB 설계
     2. ABAB 설계
     3. BAB 설계
     4. 다중(복수)기초선 설계
     5. 다중(복수)요소 설계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다중기초선 설계, 복수기초선 설계 - 동일한 참여자에게 목표행동을 2개 이상 설정, 동일 목표행동을 보이는                                                                                여러 명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한 단일사례설계
다중 개입 설계(ABC 설계, ABCD 설계) - 특정 문제를 가진 참여자에게 두 가지 이상의 개입을 시도한 후 참여                                                                                        자의 변화를 기초선 단계와 개입단계로 구분하여 변화 관찰
[해설작성자 : 열심히하자]

43. 기록의 목적과 용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1년 02월)

    

     1.
     2. ㄱ,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ㄴ : 다른 전문직과의 의사소통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공유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호랑이어흥]

44. 가계도를 통한 분석 내용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1년 02월)

    

     1.
     2. ㄱ, ㄴ
     3. ㄱ, ㄹ
     4. ㄱ, ㄴ,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68%

45. 다음 사례에서 사회복지사가 사용하고 있는 기술은?(2017년 01월)

    

     1. 추적하기
     2. 경계만들기
     3. 치료적 삼각관계
     4. 대처질문
     5. 재명명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가족간 경계를 가깝게, 또는 거리를 두도록 하여 각자가 독립된 존재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기술을 경계만들기라고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6. 집단대상 실천의 치료적 효과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5년 01월)

    

     1.
     2. ㄴ, ㄷ
     3. ㄴ,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67%

47. 가족유형에 따른 가족원들의 과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1월)
     1. 재혼가족 - 가족 내 관계의 재구성
     2. 별거가족 - 협력적 부모관계의 지속
     3. 이혼가족 - 가족원 상실에 따른 애도
     4. 다세대가족 - 하위체계의 구성 및 조정
     5. 한부모가족 - 이전 양부모 가족의 구조 강화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5.한부모가족의 경우는 이혼 혹은 미혼모, 미혼부, 조손가정 등이 있고 이들은 현재 가족 구조를 강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혼 혹은 사별과 같은 이유로 인해 생겨난 가족의 유형임으로 이건 가족구조의 강화는 필요하지 않다.
[해설작성자 : Wize Slow]

48. 집단의 종결단계에서 수행하는 과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5년 01월)

    

     1.
     2. ㄴ, ㄷ
     3. ㄴ,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71%

49. 다음 사례에 적용한 실천모델은?(2020년 02월)

    

     1. 과제중심모델
     2. 심리사회모델
     3. 해결중심모델
     4. 위기개입모델
     5. 역량강화모델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A가 절망감에 극단적인 선택', 안전 확보 등의 키워드를 통해서 위기개입모델이 적합한다고 유츄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시험 1일 전]

50. 다음에 해당하는 단일사례설계의 유형은?(2023년 01월)

    

     1. AB
     2. BAB
     3. ABC
     4. ABAB
     5. 다중기초선설계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다중기초선설계: 하나의 동일한 개입 방법을 여러 문제, 대상, 상황에 적용하여 개입의 효과성을 파악
[해설작성자 : 뱀뱀]

51. 다음에서 설명하는 지역사회복지 이념은?(2025년 01월)

    

     1. 전문화
     2. 정상화
     3. 탈시설화
     4. 주민참여
     5. 사회통합

     정답 : []
     정답률 : 75%

52. 지역사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2월)
     1. 지역사회에 대한 정의나 구분은 학자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2. 현대의 지역사회는 지리적 개념을 넘어 기능적 개념까지 포괄하는 추세이다.
     3. 지역사회를 상호의존적인 집단들의 결합체로도 볼 수 있다.
     4. 펠린(P. F. Fellin)은 역량있는 지역사회를 바람직한 지역사회로 보았다.
     5. 로스(M. G. Ross)는 지역사회의 기능을 사회통제, 사회통합 등 다섯 가지로 구분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5. 지역사회의 기능을 사회통제, 사회통합 등 다섯 가지로 구분한 학자는 길버트와 스펙트(Gilbert&Specht)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 로스 : 지리적 지역사회, 기능적 지역사회로 구분
[해설작성자 : 은수엄마]

길버트와 스펙트
1. 생산, 분배, 소비기능
2. 사회화기능
3. 사회통제
4. 사회통합
5. 상부상조
[해설작성자 : 찬란한봄날]

53. 우리나라 지역사회복지의 역사적 흐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1월)
     1. 1950년대 외국원조기관은 구호 및 생활보호 등에 기여하였다.
     2. 1970년대 사회복지관 국고보조금 지침이 마련되었다.
     3. 1980년대 민주화 운동으로 전개된 지역사회 생활권 보장을 위한 활동은 사회행동모델에서 비롯되었다.
     4. 1990년대 재가복지서비스의 확대가 이루어졌다.
     5. 2000년대 도입된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사회서비스이용권 비용 지급ㆍ정산은 사회보장 정보원이 담당한다.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1983년 사회복지사업법 개정으로 사회복지관 국고보조금 지급 지침이 마련되었습니다.
사회복지사업법[시행 1983. 5. 21.] [법률 제3656호, 1983. 5. 21., 일부개정]
제13조 (보조금등) ①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법인에 대하여 보조를 할 수 있다.
②제1항의 규정에 의한 보조금등은 그 목적 이외에 사용할 수 없다.<개정 1983ㆍ5ㆍ21>
*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4. 한국 지역사회복지 역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0년 02월)

    

     1.
     2. ㄱ, ㄴ
     3. ㄱ, ㄷ
     4. ㄴ, ㄷ
     5. ㄱ, ㄴ, ㄷ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필수 암기제도, 법 제정/시행 연도>
- 재가복지서비스: 시행(1980), 재가 복지 봉사센터 도입(1992)
- 사회복지 공동 모금제도: 공동 모금사업 등장(1972), 공동 모금회 법 시행(1999)
-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 사회복지사업법 개정(2003, 4년마다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 시군구 협의체 구성)
-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설치 운영(2005)
- 읍면동 복지 허브화(2016)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5. 갈등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3년 01월)
     1. 이익과 보상으로 사회적 관계가 유지된다.
     2. 특정집단이 지닌 문화의 의미를 해석한다.
     3. 지역사회는 상호의존적인 부분들로 구성되어 있다.
     4. 조직구조 개발에 자원 동원 과정을 중요하게 여긴다.
     5. 이해관계의 대립을 불평등한 분배로 설명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 사회교환이론
2. 사회구성주의이론
3. 사회체계이론
4. 자원동원이론
[해설작성자 : 으뇽]

56. 지역사회복지실천에서 추구하는 가치로 부적절한 것은?(2015년 01월)
     1. 문화적 다양성 존중
     2. 배분적 사회정의
     3. 임파워먼트
     4. 비판의식의 지양
     5. 상호학습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가치 : 지역사회는 대상인 동시에 실천수단
- 다양성 및 문화적 이해, 자기결정권과 임파워먼트, 비판의식의 개발, 상호학습, 사회정의와 균등한 자원배분
[해설작성자 : 티모시]

57. 지역사회복지 실천과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5년 01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ㄱ. 개입방향과 수준을 정하는 것은 목적 및 목표 설정 단계입니다
ㄴ. 실행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고려사항은 자원과 수혜자의 만족입니다 그러므로 조정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합니다
ㄷ. 문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은 프로그램 또는 대안의 선택 단계입니다.
[해설작성자 : 으채]

58. 지역사회의 사정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1월)
     1. 비공식적 인터뷰는 자료수집과정에서 신뢰도와 일관성을 높이는 방법이다.
     2. 하위체계사정은 하위체계의 정태적인 이해를 높이는데 활용된다.
     3. 민속학적(ethnographic) 방법은 일반적으로 표준화된 면담도구를 사용한다.
     4. 명목집단기법은 문제이해, 목표확인, 행동계획 개발 등에 활용된다.
     5. 델파이기법은 명목집단기법을 대신하여 지역사회 포럼 맥락 내에서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1. 공식적
2. 동태적인 이해
3. 표준화된 면담도구: 양적조사
5. X
[해설작성자 : ㅇㅇ]

59. 지역사회에서 이용할 수 있는 권력, 전문기술, 재정, 서비스 등을 조사하는 사정(assessment) 유형은?(2016년 01월)
     1. 자원 사정
     2. 포괄적 사정
     3. 협력적 사정
     4. 하위체계 사정
     5. 문제중심 사정

     정답 : []
     정답률 : 68%

60. 다음에서 설명하는 지역사회의 욕구사정방법은?(2017년 01월)

    

     1. 델파이(Delphi) 기법
     2. 지역사회포럼(Community Forum)
     3. 민속학적(Ethnographic) 기법
     4. 명목집단(Nominal Group) 기법
     5. 초점집단(Focus Group) 기법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델파이 : 전문가 비대면
명목집단 : 토론x, 우선순위
초점집단 : 토론o
[해설작성자 : ㅋㅎㅋㅎ]

61. 다음의 설명에 해당하는 지역사회복지실천 단계는?(2022년 01월)

    

     1. 문제확인 단계
     2. 자원동원 단계
     3. 실행 단계
     4. 모니터링 단계
     5. 평가 단계

     정답 : []
     정답률 : 74%

62. 밑줄 친 사회복지사의 핵심 역할로 옳은 것은?(2018년 01월)

    

     1. 계획가
     2. 옹호자
     3. 치료자
     4. 교육자
     5. 행정가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옹호자란 클라이언트가 불리하거나 불합리한 상황에 놓일 때 문제를 알리고 시정을 하는 역할
[해설작성자 : 민근당근민당근철]

63. 지역사회 권력구조를 설명하는 정치적 의사결정 모델 중 다음 설명에 해당되는 것은?(2016년 01월)

    

     1. 다원주의 의사결정 모델
     2. 엘리트주의 의사결정 모델
     3. 신엘리트주의 의사결정 모델
     4. 공공선택 의사결정 모델
     5. 시민선택 의사결정 모델

     정답 : []
     정답률 : 64%

64. 지역사회 조직화 과정에서 사회복지사가 지켜야 할 중요한 원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1월)
     1. 지역사회는 여러 갈등을 갖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2. 지역사회의 외적 능력에 우선 중점을 두어야 한다.
     3. 모든 일에 솔직하고 근면하여야 한다.
     4. 행사에 참여하여 운영과정을 이해해야 한다.
     5. 지역사회 관련법, 제도, 규칙 등을 알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8%

65. 후원 개발사업의 장점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6년 01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73%

66. 지역사회복지실천에서 옹호(advocacy) 기술 중 하나인 설득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2016년 01월)
     1. 대상(audience)
     2. 메시지(message)
     3. 전달형식(format)
     4. 전달자(communicator)
     5. 의제설정(agenda setting)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대상    ------메시지-----→ *전달자

여기서 전달형식은 전화냐 편지냐 등등으로 생각하면 됨
[해설작성자 : 13~20 편차가 심한자]

67. 연계기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4년 01월)
     1. 클라이언트 중심의 사회적 관계망을 강화시킬 수 있다.
     2. 이용자 중심의 통합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3. 새로운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
     4. 사회복지시설의 서비스 중복ㆍ누락을 방지할 수 있다.
     5. 지역사회 공공의제를 개발하고 주민 의식화를 강화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2%

68. 지역사회보장협의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1년 02월)
     1. 사회복지사업법에 법적 근거를 두고 있다.
     2. 10명 이상 25명 이하의 위원으로 구성하고, 임기는 2년이다.
     3. 관할 지역의 사회복지사업에 관한 중요사항을 심의ㆍ건의한다.
     4. 민ㆍ관 네트워크를 통한 지역복지 거버넌스 구조와 기능을 축소시킨다.
     5. 실무협의체, 실무분과, 읍ㆍ면ㆍ동 협의체 간 수평적 네트워크 관계를 형성한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1. 사회보장급여법
2. 10명 ~ 40명, 임기 2년
3. 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심의기능 x
4. 구조와 기능 확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 위원장 포함 10명-40명, 임기 2년
3.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심의기능 있음.
다만, 사회보장급여의 이용제공 및 수급권자 발굴에 관한 법률의 목적이 복지 사각지대 발굴 및 지원이므로 사회복지사업에 관한 사항은 심의,건의하지 않음.

사회보장급여의 이용제공 및 수급권자 발굴에 관한 법률
제41조(지역사회보장협의체) ①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은 지역의 사회보장을 증진하고, 사회보장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계 기관ㆍ법인ㆍ단체ㆍ시설과 연계ㆍ협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해당 시ㆍ군ㆍ구에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둔다.
② 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다음 각 호의 업무를 심의ㆍ자문한다.
1. 시ㆍ군ㆍ구의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ㆍ시행 및 평가에 관한 사항
2. 시ㆍ군ㆍ구의 지역사회보장조사 및 지역사회보장지표에 관한 사항
3. 시ㆍ군ㆍ구의 사회보장급여 제공에 관한 사항
4. 시ㆍ군ㆍ구의 사회보장 추진에 관한 사항
5. 읍ㆍ면ㆍ동 단위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구성 및 운영에 관한 사항
6. 그 밖에 위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9.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실무협의체 운영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3년 01월)
     1. 사회보장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은 제외된다.
     2. 위원장 1명을 포함하여 10명 미만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3. 지역사회보장계획과 관련된 조례를 제정한다.
     4. 시ㆍ군ㆍ구의 사회보장급여 제공에 관한 사항을 심의ㆍ자문한다.
     5. 전문성 원칙에 따라 현장 전문가를 중심으로 구성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2. 위원장 10명을 포함하여 40인 이하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 30명 이하의 위원으로 구성됩니다.
[해설작성자 : 감자]

[오류신고 반론]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실무협의체는 10명이상 40명 이하(위원장 포함)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쭈꾸빵]

70. 사회복지협의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21년 02월)
     1. 사회복지사업법에 근거를 둔 법정단체이다.
     2. 민ㆍ관 협력을 위해 시ㆍ군ㆍ구에 설치된 공공기관이다.
     3. 한국사회복지협의회는 기타 공공기관으로 지정되었다.
     4. 사회복지기관 간 연계ㆍ협력ㆍ조정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5. 광역 및 지역 단위 사회복지협의회는 독립적인 사회복지법인이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2025년 개정으로 사회복지협의회는 시군구에도 설치 의무화가 됨
[해설작성자 : 김야옹]

71. 사회복지협의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2월)
     1. 민간 사회복지 증진을 위한 법적 단체
     2. 사회복지 소외계층 발굴 및 민간사회복지자원과의 연계ㆍ협력
     3. 시,군,구에서 모두 의무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4. 1970년 사회복지법인 한국사회복지협의회로 명칭 변경
     5. 사회복지에 관한 조사#연구 및 정책 건의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법령 변경으로 시군구 의무설치로 변경

72. 사회적기업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3년 01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ㄱ, ㄴ, ㄹ
     5. ㄱ,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ㄷ.보건복지부 x 고용노동부 o
[해설작성자 : 부가대]

73. 다음 설명을 모두 충족하는 것은?(2024년 01월)

    

     1. 사회적기업
     2. 마을기업
     3. 자활기업
     4. 협동조합
     5. 자선단체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정답>
마을기업: 도시재생법(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근거하는 법률로 지역주민 또는 단체가 해당 지역의 인력, 향토, 문화, 자연자원 등 각종 자원을 활용하여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지역공도체를 활성화하며 소득 및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하여 운영하는 기업으로 공동체를 중심으로 한 자발적 참여, 민주적 운영, 상호신뢰를 바탕으로 공동체 회복 및 사회통합에 이바지해야함.

<오답 체크>
1. 사회적 기업: 사화적기업 육성법에 근거하여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 또는 일자리를 제공하거나 지역사회에 공헌하여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등의 목적을 추구하여 재화 및 서비스의 생산, 판매 등 영업활동을 하는 기업
3. 자활기업: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자활지원 사업의 하나로 보장기관의 인정을 받아 설립함.
4. 협동조합: 협동조합 기본법에 따라 재화 또는 용역의 구매, 생산, 판매, 제공 등을 협동으로 영위해 조합원의 권익을 향상하고 지역사회에 공헌하고자 하는 사업조직임.
[해설작성자 : 김왕자]

74. 다음 사례에서 설명하는 아른스테인(S. Arnstein)의 주민참여 수준은?(2021년 02월)

    

     1. 조작
     2. 회유
     3. 주민통제
     4. 권한위임
     5. 정보제공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아른스테인의 8단계 수준
주민통제 : "스스로" 라는 단어 들어가면 해당
권한위임 : 주민의 막강한 권한
협동관계 : 대등함, 협상유도
회유 : 위원회, 심의권만 있고 결정권은 없음
상담 : "공청회", 주민참여 유도하지만 형식적
정보제공 : 정보는 주지만 피드백은 없음
치료 : 의견제시하지만 듣지 않음
조작 : “단순참여” 관심 없음
- 주민통제쪽으로 갈수록 주민의 권한이 높고, 조작쪽으로 갈수록 행정 권한이 높다고 보면 됨.
지문에 위원회가 나왔기 때문에 회유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5. 최근 복지전달체계의 동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1월)
     1. 사회복지 전담인력의 확충
     2. 수요자 중심 복지서비스 제공
     3. 통합사례관리의 축소
     4. 민ㆍ관 협력의 활성화
     5. 보건과 연계한 서비스의 통합성 강화

     정답 : []
     정답률 : 86%


정 답 지

사회복지사 1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9794924)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사회복지사 1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사회복지 실천론


1. 한국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과정을 발생한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2021년 02월)

   

     1. ㄱ - ㄴ - ㄷ – ㄹ
     2. ㄴ - ㄱ - ㄹ – ㄷ
     3. ㄴ - ㄹ - ㄱ - ㄷ
     4. ㄷ - ㄴ - ㄹ – ㄱ
     5. ㄹ - ㄷ - ㄴ - ㄱ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ㄱ. 1947년 이화여자대학교에 기독교 사회사업학과가 최초로 설립
ㄴ. 1970년 사회복지사업법 제정 당시에는 사회복지종사자라는 명칭 사용, 이후 1983년 개정에서 사회복지사라는 명칭 사용
ㄷ. 1987년부터 사회복지전문요원을 행정기관에 배치하기 시작.
ㄹ. 정신건강사회복지사라는 명칭은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이 2016년 개정, 2017년 시행되면서 사용하기 시작
[해설작성자 : 이은지]

2. 작은 체계들 속에서 그들을 둘러싼 큰 체계의 특성이 발견되기도 하고 작은 체계들이 큰 체계에 동화되기도 하는 현상은?(2014년 01월)
     1. 네겐트로피(negentropy)
     2. 동등종결(equifinality)
     3. 홀론(holon)
     4. 피드백(feedback)
     5. 다중종결(multifinality)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3. 홀론 : 부분으로서 전체의 구성에 관여함과 동시에 각각이 하나의 전체적, 자율적 통합을 가지는 단위    
[해설작성자 : 맑음]

통합적 접근을 기반한 이론들

① 일반체계이론
체계, 경계(반투과적/명확/유연→건강한체계)
개방체계(네겐트로피, 항상성)
폐쇄체계(엔트로피, 균형(수평적 상호작용)
홀론
항상성(행동방식의 규칙성을 갖게 됨)
환류 피드백
동등종결(동귀결성)
다중종결(다중귀결:출발은 똑같지만 다양한 결과에 이름)
[해설작성자 : 맑음]

3. 사회복지 실천과정(접수 - 자료수집 및 사정 - 개입 - 평가 및 종결) 중 접수단계의 주요 과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1월)
     1. 클라이언트에게 기관의 서비스와 원조과정에 관한 안내를 한다.
     2. 클라이언트가 어떤 문제를 갖고 있는지, 문제와 관련된 욕구가 무엇인지를 파악한다.
     3. 클라이언트가 기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해 결정한다.
     4. 초기 면접지, 정보제공 동의서, 심리검사 등의 관련 서식을 작성한다.
     5. 자격요건, 이용절차, 비용 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심리검사 등의 관련 서식 작성은 '사정단계'
[해설작성자 : 으니리니]

심리검사를 하는 것은 자료수집 단계이다.
심리검사 - 전문가의 자문을 얻어 제대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설작성자 : 고양이덕후]

4. 인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1월)
     1. 천부성은 인간이 세상에 태어나면서부터 존엄성을 가지고 태어났다는 의미이다.
     2. 자유권은 시민적, 정치적 권리이다.
     3. 평화권은 국가들 간의 연대와 단결의 권리이다.
     4. 보편성은 자기의 인권은 자기만이 소유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5. 평등권은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이다.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4. 보편성: 인권이란 인간이면 누구나 보편적으로 가지는 권리임
                     (성별.국적.학력.인종.종교등과 관계없이 모든 사람에게 동등하게 부여)
[해설작성자 : 컵2]

5. 로웬버그와 돌고프(F. Loewenberg & R. Dolgoff)의 윤리적 원칙 중 다음 사례에서 아동학대전담공무원이 결정을 할 때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원칙은?(2024년 01월)

   

     1. 평등과 불평등의 원칙
     2. 최소 손실의 원칙
     3. 사회정의 실현의 원칙
     4. 진실성과 정보 개방의 원칙
     5. 사생활보호와 비밀보장의 원칙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최소 손실의 원칙이란 선택 가능한 대안이 다 유해할 때 가장 최소한으로 유해한 것으로 선택하는 것인데
해당 사례는 대안을 선택해야하므로 최소 손실의 원칙을 고려해야함
[해설작성자 : 김왕자]

6. 윤리강령의 기능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2년 01월)

   

     1. ㄱ, ㄷ
     2. ㄱ, ㄹ
     3. ㄱ, ㄴ,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사회복지사 윤리강령의 기능
- 스스로 자기규제를 가짐으로써 사회복지전문적의 전문성을 확보하고 외부로부터 전문직을 보호한다
-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윤리적 갈등이 생겼을 때 지침과 원칙을 제공한다.
- 일반 대중에게 전무가로서 사회복지사의 기본 업무 및 자세를 알리는 일차적 수단으로 기능한다.
[해설작성자 : 김왕자]

7. 사회복지실천이 봉사활동에서 전문직으로 출발하게 된 계기가 아닌 것은?(2020년 02월)
     1. 우애방문자들의 활동에 보수를 지급하기 시작하였다.
     2. 우애방문자를 지도#감독하는 체계를 마련하였다.
     3. 자선조직협회는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였다.
     4. 의사인 카보트(R. Cabot)가 매사추세츠병원에 의료사회복지사를 정식으로 채용하였다.
     5. 전통적 방법론의 한계로 인하여 통합적 방법론이 등장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전문직 확립시기는 1900년 전후~1920년 전후임.
5번은 1960년 전후~1980년 전후의 내용에 해당됨(시기상으로 다름)
[해설작성자 : 은수엄마]

8. 다음에서 설명하는 사회복지실천 접근이 등장하기 전의 일을 발생한 순서대로 바르게 연결한 것은?(2019년 01월)

   

     1. 리치몬드(M. Richmond)의 ≪사회진단≫ 출간 - 기능주의 등장 - 진단주의 등장
     2. 리치몬드의 ≪사회진단≫ 출간 - 기능주의 등장 - 한국 사회복지사업법 제정
     3. 일반주의 실천의 확대 - 리치몬드의 ≪사회진단≫ 출간 - 한국 사회복지사업법 제정
     4. 기능주의 등장 - 사회복지실천 3대 방법론으로 분화 - 플렉스너(A. Flexner)의 사회복지직 전문성 비판
     5. 플렉스너의 사회복지직 전문성 비판 - 리치몬드의 ≪사회진단≫ 출간 - 사회복지실천 3대 방법론으로 분화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문제해결모델(펄만), 4체계모델(핀커스/미나한), 6체계모델(콤든/갤러웨이)등은→ 통합기(1950~1970)에 해당

전문적 사회복지실천

□ 태동기(19C~20C초): 자선조직(COS)협회, 인보관운동

□ 전문적 확립기(1900~1920): 개별사회사업방법 발달(CaseWork)
→ 우애원 지도감독, 우애방문원 보수지급
→카보드(의료사회복지사채용, 1905)- 플렉스너 (시회복지 전문직 결여 비판,1915)- 리치몬드(사회진단 출간,1917)

□ 전문적 분화기(1920~ 1950): 개별/집단/지역사회 조직론 실천방법

진단주의(1920년대 전후): 프로이트 정신분석학 의존(기계론적 결정론 인간관)
밀포드회의(1929): 사회복지실천 8개영역 정리
기능주의(1930년대 후반): 개인의 성장에 초점

□통합기(1950~1970): 기존의 전통적 3대방법 실천론(개별/집단/지역사회) 한계대두
펄만(문제해결모델), 핀커스/미나한(4체계모델), 콤튼/갤러웨이(6체계모델),생활모델,단일화 모델 등장

□다양화/확장기 (1970년대 이후)
다양한 사회복지실천론 모델과 관정이 등장
과제모델,역량강화,강정관정

□ 사례관리(1980년대 이후) 등장
등장배경:
탈시설화, 지방분권화, 다양한욕구 클라이언트 등장, CT와 가족에게 부과되는 과도한 책임
비용효과성 인식(서비스비용 억제),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서비스제공, 재가복지서비스 활성화

[해설작성자 : 공식답변]

리치몬드 사회진단 출간 1917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표적문제의 우선순위 결정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1월)
     1. 긴급성
     2. 변화가능성
     3. 측정가능성
     4. 해결가능성
     5. 클라이언트의 선택

     정답 : []
     정답률 : 74%

10. 다음의 질문 중 폐쇄형 질문에 해당하는 것은?(2016년 01월)
     1. “결혼하셨습니까?”
     2. “무엇이 가장 힘드십니까?”
     3. “남편의 성격은 어떤가요?”
     4. “지난 일주일은 어떻게 지내셨습니까?”
     5. “무슨 일로 남편과 다투셨나요?”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1번 폐쇄형 질문은 클라이언트의 초점을 제한하고 확실한 사실에 대해서만 묻는 방식으로서 일반적으로 “예”“아니오“ 대답만 요구하거나 간단한 단답형 질문만을 하는 것이다.

1번은 폐쇄형 질문에 해당하며
2 3 4 5 는 개방형 질문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 자료수집단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2년 01월)
     1. 클라이언트 개인에게만 초점을 두어 정보를 모은다.
     2. 다양한 정보원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므로 검사 도구를 사용하면 안 된다.
     3. 초기면접은 비구조화된 양식만을 사용하여 기본적인 정보를 수집해야 한다.
     4. 객관적인 자료뿐만 아니라 클라이언트의 주관적인 인식이 담긴 자료도 포함하여 수집한다.
     5. 클라이언트로부터 얻은 정보가 가장 중요하므로 클라이언트가 직접 작성한 자료에만 의존한다.

     정답 : []
     정답률 : 90%

12. 통합적 접근에 관한 사회복지실천의 특징이 아닌 것은?(2021년 02월)
     1. 생태체계관점을 토대로 한다.
     2.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을 최소화한다.
     3. 문제에 대해 광범위하고 포괄적으로 접근한다.
     4. 체계와 체계를 둘러싼 환경 간의 관계를 중시한다.
     5. 사회복지실천과정을 점진적 문제해결과정으로 본다.

     정답 : []
     정답률 : 90%

13. 사회복지 실천현장과 분류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1월)
     1. 사회복지관 - 1차 현장
     2. 종합병원 - 2차 현장
     3. 발달장애인지원센터 - 이용시설
     4. 노인보호전문기관 - 생활시설
     5. 사회복지공동모금회 - 비영리기관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1차 현장: 사회복지를 목적으로 하는 시설
2차 현장: 사회복지 외의 목적을 갖지만, 사회복지가 제공되는 시설
이용시설: 클라이언트가 방문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 시설
생활시설: 클라이언트가 거주할 수 있는 시설
영리기관: 이윤 추구 기관
비영리기관: 가치 추구 기관
4. 노인보호전문기관은 학대 받은 노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용시설이다. 학대피해노인 전용쉼터가 생활시설이다.
[해설작성자 : 24]

14. 통합적 방법으로서 문제해결모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1월)
     1. 자아심리학, 듀이(J. Dewey)의 사상, 역할이론, 체계이론 등에 기반한다.
     2. 펄만(H. Perlman)의 모델에서는 주로 개인의 사회적 기능에 문제의 초점을 둔다.
     3. 콤튼과 갤러웨이(B. Compton & R. Galaway) 모델에서는 개인, 집단, 환경 간 상호작용 문제로 초점이 확대된다.
     4.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와 협동적 작업 관계 외에 다른 체계와 협조, 교섭, 갈등의 관계도 가진다.
     5. 미시체계, 중간체계, 외적체계, 거시체계의 4체계 모델에서 6체계 모델로 발전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4체계모델: 변화매개체계, 클라이언트체계, 표적체계, 행동체계
6체계모델: 변화매개체계, 클라이언트체계, 표적체계, 행동체계 + 전문체계, 의뢰-응답체계
[해설작성자 : 효곰]

[추가 해설]
5번. 지문은 4체계 6체계모델에 해당.
문제해결 모델이 아님.

문제해결모델은 4체계가 아닌 4p를 중요시
4P: 문제(Problem), 사람(Person),장소(Place),과정(Process)
[해설작성자 : 겨울엔붕어사만코]

15. 통합적 접근방법의 등장배경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5년 01월)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지나친 분화와 전문화된 전통적 방법이 복잡한 문제에 포괄적으로 개입할수 없어 통합적 접근 방법 등장
[해설작성자 : 하니하니]

16. 면접과정에서의 질문으로 적절한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7년 01월)

    

     1.
     2. ㄱ, ㄷ
     3. ㄴ, ㄹ
     4. ㄱ, ㄴ, ㄷ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왜' 라고 묻는 것을 삼가고 감정을 유도해서는 안 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ㄹ.중첩형 질문( 질문 한꺼번에 여러가지 하면 클라이언트는 혼란에 처할수 있음)
[해설작성자 : 그렇다더군요]

17. 초기단계에서 사용하는 면접 기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1년 02월)

    

     1. ㄱ, ㄴ
     2. ㄴ,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89%

18. 사정을 위한 면접의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01월)
     1. 문제상황에 대한 이해
     2. 클라이언트의 강점 파악
     3. 문제해결과정의 장애물 탐색
     4. 클라이언트의 욕구 우선순위 설정
     5. 클라이언트 환경의 변화 촉진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5.치료를 위한 면접 기능에 해당한다.(ct의 기능향상 및 사회적 적응을 위한 환경변화에 주력)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9. 직면(confrontation) 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1월)
     1. 클라이언트의 말과 행동 간에 모순이 있으나 클라이언트가 이를 부인하고 인정하기를 거부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2. 클라이언트가 극심한 정서적 긴장 상태에 있을 때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3. 클라이언트에게 방어적 반응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4.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결정이나 행동이 실제로 합리적임에도 이에 대한 확신을 갖지 못하고 주저할 때 사용된다.
     5. 클라이언트와의 신뢰관계가 충분히 형성된 뒤에 사용하는 것이 유용하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자신의 결정이나 행동이 실제로 합리적임에도 이에 대한 확실을 갖지 못하고 주저할 때 사용하는 것은 재보증이다.
[해설작성자 : 웃지]

20. 사례관리의 원칙과 활동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1월)
     1. 통합성: 서비스 조정을 위해 사례회의를 개최한다.
     2. 접근성: 사각지대 발굴을 위해 아웃리치를 한다.
     3. 포괄성: 기관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의뢰를 한다.
     4. 체계성: 중도 탈락한 클라이언트를 찾아 서비스를 재개한다.
     5. 지속성: 종단적 차원에서 개인의 욕구에 반응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4. 접근성에 대한 설명
[해설작성자 : 사회복지사 1급 준비중]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4. 지속성에 대한 설명입니다
5. 보기에 중단적 차원이 아닌 종단적 차원입니다
[해설작성자 : 해냄]

21. 사례관리의 원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4년 01월)
     1. 서비스의 개별화
     2. 서비스의 접근성
     3. 서비스의 연계성
     4. 서비스의 분절성
     5. 서비스의 체계성

     정답 :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서비스의 분절성은 서비스가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각각 나누어진 상태를 말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2. 표적문제(target problem) 선정 시 고려할 사항으로 옳은 것은(2017년 01월)
     1. 표적문제는 가능한 많이 선정하는 것이 좋다.
     2.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 중 어느 한 쪽에서 문제로 인식하는 것은 모두 표적문제로 선정한다.
     3. 표적문제의 우선순위를 정할 때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판단을 중심으로 한다.
     4. 표적문제를 선정할 때 사회복지사 자신의 지식과 기술을 고려한다.
     5. 표적문제는 전문적 용어로 기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표적문제를 선정할 때는 클라이언트의 견해가 최대한 반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최대 3개까지 선정한다.

․클라이언트가 인정하는 문제
․자신의 노력으로 해결 가능한 문제
․구체적인 문제
․표적문제가 결정되면 개입의 우선순위를 정할 차례로 클라이언트는 자기의 문제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문제를 중심으로 우선    순위를 정해야 한다.

1.최대3개가 일반적
2.클라이언트가 인식한 문제이고, 사회복지사가 인정한 문제여야한다. 표적문제는 많으면 계획된 시간안에 해결되기 어렵다.
3.클라이언트 중심. 사회복지사는 전문적 판단에 의해 수용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5.구체적으로 규정하면 된다. 전문적 용어는 중요치 않다.
[해설작성자 : 효곰]

23. 사회복지 실천과정의 목적과 목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1월)
     1. 목표는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판단으로 설정해야 한다.
     2. 목표는 클라이언트가 바라는 바와 연결되어야 한다.
     3. 목적은 장기적이고 긍정적인 결과의 형태로 제시되어야 한다.
     4. 목표가 여러 개일 경우에는 클라이언트에게 가장 시급한 것을 최우선 순위로 설정한다.
     5. 목적은 사회복지실천을 통해 변화되기 원하는 방향의 형태로 진술되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의 합의로 결정
[해설작성자 : 202]

24. 사회복지사의 기능과 역할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1월)
     1. 직접 서비스 기능 - 상담가
     2. 체계 연결 기능 - 사례관리자
     3. 체계 유지 기능 - 팀 성원
     4. 체계 개발 기능 - 옹호자
     5. 체계 강화 기능 - 촉진자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옹호는 클라이언트가 정당함에도 대우를 받지 못하는 경우
[해설작성자 : ㅇㅓㄱㅏㅂㅗㄱ]

25. 양가감정(ambivalence)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7년 01월)

    

     1.
     2. ㄱ, ㄴ
     3. ㄴ, ㄷ
     4. ㄱ, ㄴ, ㄹ
     5. ㄱ, ㄷ, ㄹ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양가 감정이란 개인 내부에서 동시에 발생하는 사랑, 증오 같은 모순적 감정이며, 동일한 대상에 대해 사랑과 증오 또는 친근감과 적대감의 상반된 심리적 경향, 감정 및 태도가 종시에 존재하는 정신 상태를 말한다.

ㄷ. 클라이언트의 양가감정을 수용하면 클라이언트의 저항감이 약화된다.
ㄹ. 양가 감정은 초기 접촉단계와 종결단계에서 다루어져야 한다.

2과목 : 사회복지 실천 기술론


26. 심리사회모델의 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1월)
     1. 지지하기: 클라이언트가 표현한 표적문제와의 명백한 연관성을 탐색한다.
     2. 직접적 영향: 문제해결을 위해 사회복지사의 의견을 강조한다.
     3. 발달적 고찰: 성인기 이전의 생애경험이 현재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한다.
     4. 탐색-기술-환기: 클라이언트와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사실을 기술하고 감정을 표현하도록 한다.
     5. 인간-상황에 대한 고찰: 사건에 대한 클라이언트의 지각방식 및 행동에 대한 신념, 외적 영향력 등을 평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지지하기는 임파워먼트모델이다.

지지하기
클라이언트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신뢰나 존중,돕고자 하는 태도등을 직접적아 표현으로 전달
[해설작성자 : 갓팩트맨]

심리사회모델의 개입 방법
1. 지지하기 - 감정과 행동 지지하기
: CT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신뢰나 존중, 돕고자 하는 태도 등을 직접적인 표현으로 전달함, CT의 문제해결 능력에
    확신을 표현하며 자기존중감을 증진시키는 개입기법
[해설작성자 : 지리산혹등고래]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지지하기 기법도 심리사회모델에서는 쓰이는 기법입니다.
지지하기는 대표적으로 재보증(안심)과 격려하기가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keenk]

[오류신고 반론]
지지하기도 심리사회모델에서 사용
지지하기의 내용이 틀렸음 따라서 정답은 1번
[해설작성자 : ㅈㅈ]

27. 집단사회복지실천의 중간 단계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0년 02월)

    

     1. ㄱ, ㄷ
     2. ㄴ,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ㄹ은 종결단계에 해당하는 내용이다.
[해설작성자 : 은수엄마]

ㄴ.탐색과 시험단계(Northen)-중간1단계 해당(sarri,gailnsky)
[해설작성자 : 열심히하자]

28. 집단성원의 주도성이 높은 것부터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2020년 02월)

    

     1. ㄱ - ㄴ - ㄹ - ㄷ
     2. ㄱ - ㄷ - ㄴ - ㄹ
     3. ㄱ - ㄹ - ㄷ - ㄴ
     4. ㄴ - ㄱ - ㄹ - ㄷ
     5. ㄴ - ㄹ - ㄱ - ㄷ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집단성원의 주도성이 높은 순서대로 나열하면
자조>성장>교육>치료
[해설작성자 : 트윅스]

29. 위기개입모델의 중간단계 활동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1월)
     1. 위기상황에 대한 초기사정을 실시한다.
     2. 클라이언트의 일상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자원과 지지체계를 찾아낸다.
     3. 목표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과제들에 대해 작업한다.
     4. 위기사건 이후 상황과 관련된 자료를 보충한다.
     5. 현재 위기와 관련된 과거 경험을 탐색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 초기사정은 초기단계 활동임. 필요하면 재사정할수 있는 것도 강조하긴 함.
2.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변화를 위해 자원과 지지체계를 찾음 O
3. 중간단계는 변화를 위한 단계. 구체적 과제들 O
4. 중간단계니 계속 점검하면서 보충을 함 O
5. 필요한 경우에는 과거 경험 탐색 가능(추가 목표) 예시) 자살 시도자의 경우 과거 경험을 주로 함. 보통 자살시도자는 과거에 자살시도를 해본적이 있기 때문.
[해설작성자 : 사복1회차]

30. 과제중심모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1월)
     1.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권을 존중한다.
     2. 계약 내용에 사회복지사의 과제를 포함한다.
     3.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와의 관계는 협력적 관계이다.
     4. 단기치료의 기본원리를 강조한 비구조화된 접근이다.
     5. 클라이언트의 문제의식을 반영하여 표적문제를 설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비구조화가 아니라 구조화!
[해설작성자 : 시험붙자 와니야]

31. 집단사회복지실천기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1월)
     1. 집단과정의 명료화기술은 성원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있는지를 인식하도록 돕는 기술이다.
     2. 사회복지사와의 의사소통을 집단성원들 간 의사소통보다 중시해야 한다.
     3. 사회복지사는 특정한 집단과정에 선택적으로 반응해서는 안 된다.
     4. 직면은 집단 초반에 구성원의 참여를 촉진하는 기술이다.
     5. 집단의 목표는 집단과정을 통해 성취하면 되므로 처음부터 설명할 필요는 없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2) 사회복지사는 '집단성원들 간 의사소통의 연계 기술'을 통해 집단성원들로 하여금 사회복지사와 주로 의사소통을 하기 보다는 성원들 간에 의사소통을 촉진하도록 돕는다.
3) 사회복지사는 '반응 기술'을 통해 특정한 집단 과정에 선택적으로 반응함으로써 개별성원이나 전체집단이 적절한 방향으로 나아가도록 돕는다.
4) '직면 기술'은 집단의 저항을 극복하고 집단 성원을 동기화시킬 수 있는 행동기술이다.
     집단 초반에 집단 성원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참여 촉진'기술이다.
5) 사회복지사는 집단의 초기단계에서 집단의 목적과 목표에 대해 설명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머리속에 안들어와]

32. 임파워먼트모델의 실천단계 중 발견단계에서의 과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1월)
     1. 성공을 인정하기
     2. 달성한 것을 통합하기
     3. 새로운 자원 활성화하기
     4. 수집된 정보를 조직화하기
     5. 클라이언트와의 파트너십 형성하기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임파워먼트 실천단계 1단계- 대화단계, 2단계- 발견단계, 3단계-발달단계
1,2,3번은 발달단계
4번은 발견단계
5번은 대화단계
[해설작성자 : 으채]

33. 가족조각 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1월)
     1. 가족의 상호작용 양상을 공간 속에 배치하는 방법이다.
     2. 가족 내 숨겨져 표현되지 못했던 감정이나 가족규칙 등이 노출될 수 있다.
     3. 조각 후, 사회복지사는 현재의 조각이 어떻게 변화되기 바라는지를 다시 조각으로 표현하게 한다.
     4. 조각을 하는 동안 서로 웃거나 이야기하지 않는다.
     5. 가족을 조각한 사람은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조각에서 제외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5. 제외되는 것이 일반적인 것이 아니라 함께 참여하게 하는 것이 맞는 것이다.

34. 좋은 기록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2017년 01월)
     1. 서비스의 결정과 실행에 초점을 둔다.
     2. 상황묘사와 사회복지사의 견해를 구분하지 않는다.
     3. 비밀보장을 위해 정보를 쉽게 분류할 수 없게 한다.
     4. 모든 문제나 상황을 가능한 자세하고 풍부하게 기술한다.
     5. 클라이언트의 관점은 배제하고 전문적 견해를 강조한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좋은 기록의 특징
- 서비스의 결정 및 행동에 초점을 둠
- 사정, 개입, 평가의 기초로서 클라이언트와 상황에 관한 정보를 포함
- 각 단계에서의 목표, 계획, 과정, 진행, 서비스 전달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
- 사회복지사의 견해와 상황에의 기술이 명확히 분리되어 있다.
- 정보의 문서화를 위해 구조화되어 있다.
- 서비스 전달이 잘 기술되어 있으며, 모든 문서가 정확하다.
- 기록이 간결하고 구체적이며, 타당하고 논리적이다. 또한 시기적절하고 유의미하며, 사실에 근거한다.
- 전문가적 윤리를 토대로 한다.
- 수용된 이론에 기초한다.
- 전문가의 견해를 담고 있으면서도 클라이언트의 관점을 소홀히 하지 않는다.

좋지 않은 기록의 특징
- 그릇된 판단, 부적절한 개입, 부정확한 사정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
- 정보가 너무 적거나 많게 기술되어 있으며, 조직화되어 있지 않다.
- 명확한 근거가 제시되어 있지 않고 일방적인 결론을 내림으로써 과잉 단순화가 발생한다.
- 표현이 반복적이고 장황하며, 진부한 용어를 사용한다.
- 클라이언트에 대한 독단적인 견해로 클라이언트에게 부정적인 낙인을 붙인다.
[해설작성자 : 사회복지사]

35. 사회복지사가 비자발적 클라이언트와 공감하는 기술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4년 01월)

    

     1. ㄱ, ㄷ
     2. ㄴ, ㄹ
     3. ㄱ, ㄴ, ㄹ
     4. ㄱ, ㄷ, ㄹ
     5.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85%

36. 알코올 중독 노숙인의 자활을 위해 다차원적으로 개입한 후, 단일사례설계를 활용하여 사업의 성과를 평가하려고 한다. 이때 성과지표로 사용 가능한 자료가 아닌 것은?(2018년 01월)
     1. 밤사이 숙소 밖에 버려진 술병의 수
     2. 직업훈련 참여 시간
     3. 직업훈련의 성격
     4. 스스로 측정한 자활의지
     5. 단주 모임에 나간 횟수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직업훈련의 성격은 성과지표로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사회복지사 1급 준비중]

37. 가족치료모델의 개입 목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1월)
     1. 해결중심 가족치료: 가족이 문제 중심에서 벗어나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실행하도록 돕는다.
     2. 다세대 가족치료: 가족구성원의 불안 감소 및 미분화된 원가족과의 관계에서 자아분화를 증진시킨다.
     3. 구조적 가족치료: 역기능적 가족구조를 재구조화한다.
     4. 경험적 가족치료: 자아존중감 향상과 의사소통 방식의 변화를 통해 대처능력을 향상시킨다.
     5. 전략적 가족치료: 다양한 전략을 활용하여 제시된 문제의 원인을 찾도록 돕는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전략적 가족치료는 치료자가 가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을 고안하는데 관심을 둔다
[해설작성자 : 김왕자]

38. 미누친(S. Minuchin)의 구조적 가족치료의 대표적 기법을 옳게 나열한 것은?(2025년 01월)
     1. 합류하기, 균형 깨뜨리기, 실연
     2. 합류하기, 경계 만들기, 가족그림
     3. 경계 만들기, 탈삼각화, 과제부여
     4. 과제부여, 균형 깨뜨리기, 역설적 지시
     5. 균형 깨뜨리기, 경계 만들기, 순환적 질문

     정답 : []
     정답률 : 55%

39. 사회기술훈련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6년 01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79%

40. 가족 내부의 역동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1월)
     1. 이중구속(double binds)은 가족의 응집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2. 일치형 의사소통은 객관적 사실과 정확한 논리에 기초한 의사소통 행위다.
     3. 가족 하위체계 간 경계가 모호하면 그 관계가 소원해진다.
     4. 전문가의 가족 개입 과정에서 가족의 항상성이 작동될 수 있다.
     5. 부적 피드백은 가정 내 일탈행동을 증폭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 경계선은 가족의 응집종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2) 초이성형 의사소통은 객관적 사실과 정확하 논리에 기초한 의사소통 행위다.
(3) 가족 하위체계간 경계가 모호하면 그 관계가 너무 밀착된다.
(5) 정적 피드백: A에게 b가 ~~하라고 하면 a는 기존 행동을 지속한다.
        부정 피드백: 기존행동을 반복하던 a는 이건 아니라고 판단하고 하던 행동을 그만둔다.
[해설작성자 : 아픈 닭(2022년 20회 합격 가즈아)]

객관적 사실과 정확한 논리에 기초하는것은 주지화로, 초이성형 의사소통에서 상황만을 중시할때 나타난다.
[해설작성자 : ㅁㅁ]

41. 집단을 구성할 때 고려할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1월)
     1. 집단의 응집력을 높이기 위해 참여 동기가 유사한 성원을 모집한다.
     2. 다양한 집단성원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폐쇄형집단으로 구성한다.
     3. 집단성원의 동질성을 높이기 위해 사전에 욕구 수준을 파악한다.
     4. 집단의 목표에 따라 집단의 크기를 융통성있게 정한다.
     5. 집단의 정서적 안정감을 높이기 위해 쾌적한 장소를 선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다양한 집단성원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개방형집단으로 구성되어야 함.
[해설작성자 : 2021.02.05 화이팅]

42. 다음 사례에 해당되는 단일사례설계 평가유형은?(2019년 01월)

    

     1. AB 설계
     2. ABAB 설계
     3. BAB 설계
     4. 다중(복수)기초선 설계
     5. 다중(복수)요소 설계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다중기초선 설계, 복수기초선 설계 - 동일한 참여자에게 목표행동을 2개 이상 설정, 동일 목표행동을 보이는                                                                                여러 명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한 단일사례설계
다중 개입 설계(ABC 설계, ABCD 설계) - 특정 문제를 가진 참여자에게 두 가지 이상의 개입을 시도한 후 참여                                                                                        자의 변화를 기초선 단계와 개입단계로 구분하여 변화 관찰
[해설작성자 : 열심히하자]

43. 기록의 목적과 용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1년 02월)

    

     1.
     2. ㄱ,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ㄴ : 다른 전문직과의 의사소통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공유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호랑이어흥]

44. 가계도를 통한 분석 내용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1년 02월)

    

     1.
     2. ㄱ, ㄴ
     3. ㄱ, ㄹ
     4. ㄱ, ㄴ,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68%

45. 다음 사례에서 사회복지사가 사용하고 있는 기술은?(2017년 01월)

    

     1. 추적하기
     2. 경계만들기
     3. 치료적 삼각관계
     4. 대처질문
     5. 재명명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가족간 경계를 가깝게, 또는 거리를 두도록 하여 각자가 독립된 존재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기술을 경계만들기라고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6. 집단대상 실천의 치료적 효과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5년 01월)

    

     1.
     2. ㄴ, ㄷ
     3. ㄴ,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67%

47. 가족유형에 따른 가족원들의 과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1월)
     1. 재혼가족 - 가족 내 관계의 재구성
     2. 별거가족 - 협력적 부모관계의 지속
     3. 이혼가족 - 가족원 상실에 따른 애도
     4. 다세대가족 - 하위체계의 구성 및 조정
     5. 한부모가족 - 이전 양부모 가족의 구조 강화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5.한부모가족의 경우는 이혼 혹은 미혼모, 미혼부, 조손가정 등이 있고 이들은 현재 가족 구조를 강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혼 혹은 사별과 같은 이유로 인해 생겨난 가족의 유형임으로 이건 가족구조의 강화는 필요하지 않다.
[해설작성자 : Wize Slow]

48. 집단의 종결단계에서 수행하는 과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5년 01월)

    

     1.
     2. ㄴ, ㄷ
     3. ㄴ,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71%

49. 다음 사례에 적용한 실천모델은?(2020년 02월)

    

     1. 과제중심모델
     2. 심리사회모델
     3. 해결중심모델
     4. 위기개입모델
     5. 역량강화모델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A가 절망감에 극단적인 선택', 안전 확보 등의 키워드를 통해서 위기개입모델이 적합한다고 유츄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시험 1일 전]

50. 다음에 해당하는 단일사례설계의 유형은?(2023년 01월)

    

     1. AB
     2. BAB
     3. ABC
     4. ABAB
     5. 다중기초선설계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다중기초선설계: 하나의 동일한 개입 방법을 여러 문제, 대상, 상황에 적용하여 개입의 효과성을 파악
[해설작성자 : 뱀뱀]

51. 다음에서 설명하는 지역사회복지 이념은?(2025년 01월)

    

     1. 전문화
     2. 정상화
     3. 탈시설화
     4. 주민참여
     5. 사회통합

     정답 : []
     정답률 : 75%

52. 지역사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2월)
     1. 지역사회에 대한 정의나 구분은 학자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2. 현대의 지역사회는 지리적 개념을 넘어 기능적 개념까지 포괄하는 추세이다.
     3. 지역사회를 상호의존적인 집단들의 결합체로도 볼 수 있다.
     4. 펠린(P. F. Fellin)은 역량있는 지역사회를 바람직한 지역사회로 보았다.
     5. 로스(M. G. Ross)는 지역사회의 기능을 사회통제, 사회통합 등 다섯 가지로 구분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5. 지역사회의 기능을 사회통제, 사회통합 등 다섯 가지로 구분한 학자는 길버트와 스펙트(Gilbert&Specht)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 로스 : 지리적 지역사회, 기능적 지역사회로 구분
[해설작성자 : 은수엄마]

길버트와 스펙트
1. 생산, 분배, 소비기능
2. 사회화기능
3. 사회통제
4. 사회통합
5. 상부상조
[해설작성자 : 찬란한봄날]

53. 우리나라 지역사회복지의 역사적 흐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1월)
     1. 1950년대 외국원조기관은 구호 및 생활보호 등에 기여하였다.
     2. 1970년대 사회복지관 국고보조금 지침이 마련되었다.
     3. 1980년대 민주화 운동으로 전개된 지역사회 생활권 보장을 위한 활동은 사회행동모델에서 비롯되었다.
     4. 1990년대 재가복지서비스의 확대가 이루어졌다.
     5. 2000년대 도입된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사회서비스이용권 비용 지급ㆍ정산은 사회보장 정보원이 담당한다.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1983년 사회복지사업법 개정으로 사회복지관 국고보조금 지급 지침이 마련되었습니다.
사회복지사업법[시행 1983. 5. 21.] [법률 제3656호, 1983. 5. 21., 일부개정]
제13조 (보조금등) ①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법인에 대하여 보조를 할 수 있다.
②제1항의 규정에 의한 보조금등은 그 목적 이외에 사용할 수 없다.<개정 1983ㆍ5ㆍ21>
*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4. 한국 지역사회복지 역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0년 02월)

    

     1.
     2. ㄱ, ㄴ
     3. ㄱ, ㄷ
     4. ㄴ, ㄷ
     5. ㄱ, ㄴ, ㄷ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필수 암기제도, 법 제정/시행 연도>
- 재가복지서비스: 시행(1980), 재가 복지 봉사센터 도입(1992)
- 사회복지 공동 모금제도: 공동 모금사업 등장(1972), 공동 모금회 법 시행(1999)
-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 사회복지사업법 개정(2003, 4년마다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 시군구 협의체 구성)
-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설치 운영(2005)
- 읍면동 복지 허브화(2016)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5. 갈등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3년 01월)
     1. 이익과 보상으로 사회적 관계가 유지된다.
     2. 특정집단이 지닌 문화의 의미를 해석한다.
     3. 지역사회는 상호의존적인 부분들로 구성되어 있다.
     4. 조직구조 개발에 자원 동원 과정을 중요하게 여긴다.
     5. 이해관계의 대립을 불평등한 분배로 설명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 사회교환이론
2. 사회구성주의이론
3. 사회체계이론
4. 자원동원이론
[해설작성자 : 으뇽]

56. 지역사회복지실천에서 추구하는 가치로 부적절한 것은?(2015년 01월)
     1. 문화적 다양성 존중
     2. 배분적 사회정의
     3. 임파워먼트
     4. 비판의식의 지양
     5. 상호학습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가치 : 지역사회는 대상인 동시에 실천수단
- 다양성 및 문화적 이해, 자기결정권과 임파워먼트, 비판의식의 개발, 상호학습, 사회정의와 균등한 자원배분
[해설작성자 : 티모시]

57. 지역사회복지 실천과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5년 01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ㄱ. 개입방향과 수준을 정하는 것은 목적 및 목표 설정 단계입니다
ㄴ. 실행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고려사항은 자원과 수혜자의 만족입니다 그러므로 조정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합니다
ㄷ. 문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은 프로그램 또는 대안의 선택 단계입니다.
[해설작성자 : 으채]

58. 지역사회의 사정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1월)
     1. 비공식적 인터뷰는 자료수집과정에서 신뢰도와 일관성을 높이는 방법이다.
     2. 하위체계사정은 하위체계의 정태적인 이해를 높이는데 활용된다.
     3. 민속학적(ethnographic) 방법은 일반적으로 표준화된 면담도구를 사용한다.
     4. 명목집단기법은 문제이해, 목표확인, 행동계획 개발 등에 활용된다.
     5. 델파이기법은 명목집단기법을 대신하여 지역사회 포럼 맥락 내에서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1. 공식적
2. 동태적인 이해
3. 표준화된 면담도구: 양적조사
5. X
[해설작성자 : ㅇㅇ]

59. 지역사회에서 이용할 수 있는 권력, 전문기술, 재정, 서비스 등을 조사하는 사정(assessment) 유형은?(2016년 01월)
     1. 자원 사정
     2. 포괄적 사정
     3. 협력적 사정
     4. 하위체계 사정
     5. 문제중심 사정

     정답 : []
     정답률 : 68%

60. 다음에서 설명하는 지역사회의 욕구사정방법은?(2017년 01월)

    

     1. 델파이(Delphi) 기법
     2. 지역사회포럼(Community Forum)
     3. 민속학적(Ethnographic) 기법
     4. 명목집단(Nominal Group) 기법
     5. 초점집단(Focus Group) 기법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델파이 : 전문가 비대면
명목집단 : 토론x, 우선순위
초점집단 : 토론o
[해설작성자 : ㅋㅎㅋㅎ]

61. 다음의 설명에 해당하는 지역사회복지실천 단계는?(2022년 01월)

    

     1. 문제확인 단계
     2. 자원동원 단계
     3. 실행 단계
     4. 모니터링 단계
     5. 평가 단계

     정답 : []
     정답률 : 74%

62. 밑줄 친 사회복지사의 핵심 역할로 옳은 것은?(2018년 01월)

    

     1. 계획가
     2. 옹호자
     3. 치료자
     4. 교육자
     5. 행정가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옹호자란 클라이언트가 불리하거나 불합리한 상황에 놓일 때 문제를 알리고 시정을 하는 역할
[해설작성자 : 민근당근민당근철]

63. 지역사회 권력구조를 설명하는 정치적 의사결정 모델 중 다음 설명에 해당되는 것은?(2016년 01월)

    

     1. 다원주의 의사결정 모델
     2. 엘리트주의 의사결정 모델
     3. 신엘리트주의 의사결정 모델
     4. 공공선택 의사결정 모델
     5. 시민선택 의사결정 모델

     정답 : []
     정답률 : 64%

64. 지역사회 조직화 과정에서 사회복지사가 지켜야 할 중요한 원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1월)
     1. 지역사회는 여러 갈등을 갖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2. 지역사회의 외적 능력에 우선 중점을 두어야 한다.
     3. 모든 일에 솔직하고 근면하여야 한다.
     4. 행사에 참여하여 운영과정을 이해해야 한다.
     5. 지역사회 관련법, 제도, 규칙 등을 알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8%

65. 후원 개발사업의 장점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6년 01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73%

66. 지역사회복지실천에서 옹호(advocacy) 기술 중 하나인 설득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2016년 01월)
     1. 대상(audience)
     2. 메시지(message)
     3. 전달형식(format)
     4. 전달자(communicator)
     5. 의제설정(agenda setting)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대상    ------메시지-----→ *전달자

여기서 전달형식은 전화냐 편지냐 등등으로 생각하면 됨
[해설작성자 : 13~20 편차가 심한자]

67. 연계기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4년 01월)
     1. 클라이언트 중심의 사회적 관계망을 강화시킬 수 있다.
     2. 이용자 중심의 통합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3. 새로운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
     4. 사회복지시설의 서비스 중복ㆍ누락을 방지할 수 있다.
     5. 지역사회 공공의제를 개발하고 주민 의식화를 강화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2%

68. 지역사회보장협의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1년 02월)
     1. 사회복지사업법에 법적 근거를 두고 있다.
     2. 10명 이상 25명 이하의 위원으로 구성하고, 임기는 2년이다.
     3. 관할 지역의 사회복지사업에 관한 중요사항을 심의ㆍ건의한다.
     4. 민ㆍ관 네트워크를 통한 지역복지 거버넌스 구조와 기능을 축소시킨다.
     5. 실무협의체, 실무분과, 읍ㆍ면ㆍ동 협의체 간 수평적 네트워크 관계를 형성한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1. 사회보장급여법
2. 10명 ~ 40명, 임기 2년
3. 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심의기능 x
4. 구조와 기능 확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 위원장 포함 10명-40명, 임기 2년
3.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심의기능 있음.
다만, 사회보장급여의 이용제공 및 수급권자 발굴에 관한 법률의 목적이 복지 사각지대 발굴 및 지원이므로 사회복지사업에 관한 사항은 심의,건의하지 않음.

사회보장급여의 이용제공 및 수급권자 발굴에 관한 법률
제41조(지역사회보장협의체) ①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은 지역의 사회보장을 증진하고, 사회보장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계 기관ㆍ법인ㆍ단체ㆍ시설과 연계ㆍ협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해당 시ㆍ군ㆍ구에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둔다.
② 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다음 각 호의 업무를 심의ㆍ자문한다.
1. 시ㆍ군ㆍ구의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ㆍ시행 및 평가에 관한 사항
2. 시ㆍ군ㆍ구의 지역사회보장조사 및 지역사회보장지표에 관한 사항
3. 시ㆍ군ㆍ구의 사회보장급여 제공에 관한 사항
4. 시ㆍ군ㆍ구의 사회보장 추진에 관한 사항
5. 읍ㆍ면ㆍ동 단위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구성 및 운영에 관한 사항
6. 그 밖에 위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9.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실무협의체 운영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3년 01월)
     1. 사회보장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은 제외된다.
     2. 위원장 1명을 포함하여 10명 미만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3. 지역사회보장계획과 관련된 조례를 제정한다.
     4. 시ㆍ군ㆍ구의 사회보장급여 제공에 관한 사항을 심의ㆍ자문한다.
     5. 전문성 원칙에 따라 현장 전문가를 중심으로 구성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2. 위원장 10명을 포함하여 40인 이하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 30명 이하의 위원으로 구성됩니다.
[해설작성자 : 감자]

[오류신고 반론]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실무협의체는 10명이상 40명 이하(위원장 포함)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쭈꾸빵]

70. 사회복지협의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21년 02월)
     1. 사회복지사업법에 근거를 둔 법정단체이다.
     2. 민ㆍ관 협력을 위해 시ㆍ군ㆍ구에 설치된 공공기관이다.
     3. 한국사회복지협의회는 기타 공공기관으로 지정되었다.
     4. 사회복지기관 간 연계ㆍ협력ㆍ조정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5. 광역 및 지역 단위 사회복지협의회는 독립적인 사회복지법인이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2025년 개정으로 사회복지협의회는 시군구에도 설치 의무화가 됨
[해설작성자 : 김야옹]

71. 사회복지협의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2월)
     1. 민간 사회복지 증진을 위한 법적 단체
     2. 사회복지 소외계층 발굴 및 민간사회복지자원과의 연계ㆍ협력
     3. 시,군,구에서 모두 의무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4. 1970년 사회복지법인 한국사회복지협의회로 명칭 변경
     5. 사회복지에 관한 조사#연구 및 정책 건의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법령 변경으로 시군구 의무설치로 변경

72. 사회적기업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3년 01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ㄱ, ㄴ, ㄹ
     5. ㄱ,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ㄷ.보건복지부 x 고용노동부 o
[해설작성자 : 부가대]

73. 다음 설명을 모두 충족하는 것은?(2024년 01월)

    

     1. 사회적기업
     2. 마을기업
     3. 자활기업
     4. 협동조합
     5. 자선단체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정답>
마을기업: 도시재생법(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근거하는 법률로 지역주민 또는 단체가 해당 지역의 인력, 향토, 문화, 자연자원 등 각종 자원을 활용하여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지역공도체를 활성화하며 소득 및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하여 운영하는 기업으로 공동체를 중심으로 한 자발적 참여, 민주적 운영, 상호신뢰를 바탕으로 공동체 회복 및 사회통합에 이바지해야함.

<오답 체크>
1. 사회적 기업: 사화적기업 육성법에 근거하여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 또는 일자리를 제공하거나 지역사회에 공헌하여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등의 목적을 추구하여 재화 및 서비스의 생산, 판매 등 영업활동을 하는 기업
3. 자활기업: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자활지원 사업의 하나로 보장기관의 인정을 받아 설립함.
4. 협동조합: 협동조합 기본법에 따라 재화 또는 용역의 구매, 생산, 판매, 제공 등을 협동으로 영위해 조합원의 권익을 향상하고 지역사회에 공헌하고자 하는 사업조직임.
[해설작성자 : 김왕자]

74. 다음 사례에서 설명하는 아른스테인(S. Arnstein)의 주민참여 수준은?(2021년 02월)

    

     1. 조작
     2. 회유
     3. 주민통제
     4. 권한위임
     5. 정보제공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아른스테인의 8단계 수준
주민통제 : "스스로" 라는 단어 들어가면 해당
권한위임 : 주민의 막강한 권한
협동관계 : 대등함, 협상유도
회유 : 위원회, 심의권만 있고 결정권은 없음
상담 : "공청회", 주민참여 유도하지만 형식적
정보제공 : 정보는 주지만 피드백은 없음
치료 : 의견제시하지만 듣지 않음
조작 : “단순참여” 관심 없음
- 주민통제쪽으로 갈수록 주민의 권한이 높고, 조작쪽으로 갈수록 행정 권한이 높다고 보면 됨.
지문에 위원회가 나왔기 때문에 회유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5. 최근 복지전달체계의 동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1월)
     1. 사회복지 전담인력의 확충
     2. 수요자 중심 복지서비스 제공
     3. 통합사례관리의 축소
     4. 민ㆍ관 협력의 활성화
     5. 보건과 연계한 서비스의 통합성 강화

     정답 : []
     정답률 : 86%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사회복지사 1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9794924)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사회복지사, 1급, 2교시,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301 소음진동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5월2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300 누설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8984316)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299 방사선비파괴검사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10월0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298 교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4817764)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297 9급 국가직 공무원 재배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4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296 소방공무원(공개) 소방관계법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4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2
6295 워드프로세서 (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8월3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294 인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7월21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293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정보봉사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292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기계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6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291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7월21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290 9급 지방직 공무원 조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5월2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289 산림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3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288 소방공무원(공개,경력) 영어(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4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287 9급 지방직 공무원 정보보호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6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 사회복지사 1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9794924)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285 축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4749922)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284 잠수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03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283 조리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07월2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282 정보기기운용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1년10월14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331 Next
/ 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