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소방설비기사(기계분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4793636)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소방설비기사(기계분야)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소방원론


1. 가연성 액체에서 발생하는 증기와 공기의 혼합기체에 불꽃을 대었을 때 연소가 일어나는 최저 온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2014년 05월)
     1. 발화점
     2. 인화점
     3. 연소점
     4. 착화점

     정답 : []
     정답률 : 68%

2. 이산화탄소의 증기비중은 약 얼마인가?(2015년 03월)
     1. 0.81
     2. 1.52
     3. 2.02
     4. 2.51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공기의 분자량 = 질소(N)14이므로 N2=28, 산소(O)16이므로 O2=32, 분표율은 n2가 79%, 산소O2가 21%이므로 29가 됨
이산화 탄소의 분자량(CO2)=c가 12, 산소가 32이므로 분자량은 44
따라서 증기비중은 44/29=1.517
[해설작성자 : walldam]

3. 조연성 가스에 해당하는 것은?(2012년 09월)
     1. 수소
     2. 일산화탄소
     3. 산소
     4. 에탄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조연성가스와 가연성가스
1. 조연성가스 : 자기 자신은 연소하지 않지만 연소를 도와주는 가스
→ 산소, 공기, 염소, 오존, 불소
2. 가연성가스 : 물질 자체가 연소하는 것
→ 수소, 메탄, 일산화탄소, 천연가스, 부탄, 에탄, 암모니아, 프로판

해설 : 수소,이산화탄소,에탄은 가연성가스임 답은 3번
[해설작성자 : 허지운]

4. 다음 중 증발잠열(kJ/kg)이 가장 큰 것은?(2011년 06월)
     1. 질소
     2. 할론 1301
     3. 이산화탄소
     4.

     정답 : []
     정답률 : 79%

5. 철근 콘크리트조로서 내화구조 벽의 기준은 두께 몇 ㎝ 이상이어야 하는가?(2007년 05월)
     1. 10
     2. 15
     3. 20
     4. 25

     정답 : []
     정답률 : 80%

6. 상온에서 무색의 기체로서 암모니아와 유사한 냄새를 가지는 물질은?(2022년 03월)
     1. 에틸벤젠
     2. 에틸아민
     3. 산화프로필렌
     4. 사이클로프로판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에틸아민: 지방족 제1차 아민의 하나로 암모니아의 수소 1개를 에틸기로 치환한 것이다.
생선 썩는 냄새와 비슷한 냄새가 나며 고무의 가황촉진제의 원료, 선택성 용제, 의약 원료 등에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페닐 에필아민(PEA)]

7. 제2류 위험물에 해당하는 것은?(2018년 04월)
     1. 유황
     2. 질산칼륨
     3. 칼륨
     4. 톨루엔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1류 위험물(산화성고체) : 아연소산염류, 염소산염류, 브롬산염류, 과망간산염류, 요오드산염류, 중크롬산염류 등
2류 위험물(가연성고체) : 황화린, 적린, 유황, 철분, 금속분, 마그네슘, 인화성고체 등
3류 위험물(자연발화성물질 및 금수성물질) : 칼륨, 나트륨, 알킬알루미늄 황린, 알칼리토금속, 금속의수소화물, 금속의수소화물, 칼슘 등
4류 위험물(인화성액체) : 특수인화물 및 제1,2,3,4석유류(위발류,벤젠,롤루엔,아세톤.에탄올,등유,경유,초산,중유,글리세린,윤활유 등), 동식물유
5류 위험물(자기반응성물질) : 유기과산화물, 질산에스테르류, 니트로화합물, 아조화합물, 히드라진유도체, 히드록실아민
6류 위험물(산화성액체) : 과산화수소, 과염소산, 질산 등
[해설작성자 : 찰강냉이]

8. 유류 탱크의 화재 시 탱크 저부의 물이 뜨거운 열류층에 의하여 수증기로 변하면서 급작스런 부피 팽창을 일으켜 유류가 탱크 외부로 분출하는 현상은?(2018년 09월)
     1. 슬롭 오버(Slop Over)
     2. 블레비(BLEVE)
     3. 보일 오버(Boil Over)
     4. 파이어 볼(Fire Ball)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슬롭 오버: 화재시 물이 포함되어 있는 소화약제를 방사할 경우 물이 비등 기화하면서 탱크밖으로 비산 현상
2.블레비: 내부의 압력증가율이 큰 경우 용기가 파열되는 현상
4.파이어 볼: 거대한 화구를 형성하는 현상.
5.flash over : 실내화재가 에너지의 축적에 의해 급격히 확대되는 현상. 성장기에 발생.
5.프로스오버 : 화재가 아닌경우 탱크바닥에 있는 수분이 비등하면서 탱크밖으로 넘치는 현상.
[해설작성자 : 신도림]

[추가 해설]
프로스오버와 슬롭오버의 차이점
프로스오버:화재동반x
슬롭오버:화재동반함
[해설작성자 : 1989.6.4]

9. 단백포 소화약제의 특징이 아닌 것은?(2022년 03월)
     1. 내열성이 우수하다.
     2. 유류에 대한 유동성 이 나쁘다.
     3. 유류를 오염시킬 수 있다.
     4. 변질의 우려가 없어 저장 유효기간의 제한이 없다.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단백포 소화약제 특징
1. 포층이 장시간 유면에 남아있어 재 연소방지 효과가 우수하다.
2. 화재시 포가 잘 소면되지 않아 내열성이 우수하며 안정성이 높다.
3 유류에 대한 유동성이 나빠 유면에 덮는데 시간이 걸려 소화속도가 늦다.
4. 내유성이 약하다. 유류를 오염시킬 수 있다.
5. 변질, 부패의 우려가 있다. 경년기간이 짧아 장기저장이 불가하다.
[해설작성자 : 105파]

10.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지정된 동식물유류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8년 04월)
     1. 요오드가가 작을수록 자연발화의 위험성이 크다.
     2. 상온에서 모두 액체이다.
     3. 물에 불용성이지만 에테르 및 벤젠 등의 유기용매에는 잘 녹는다.
     4. 인화점은 1기압하에서 250℃ 미만이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요오드가 클수록 불포화도가 크므로 자연발화 위험성이 크다

11. 유류 저장탱크의 화재중 열류층(HEAT LAYER)을 형성, 화재의 진행과 더불어 열류층이 점차 탱크 바닥으로 도달해 탱크 저부에 물 또는 물기름 에멀젼이 수증기로 변해 부피팽창에 의하여 유류의 갑작스런 탱크 외부로의 분출을 발생시키면서 화재를 확대시키는 현상은?(2003년 08월)
     1. 보일오버(BOIL OVER)
     2. 스로프오버(SLOP OVER)
     3. 프로스오버(FROTH OVER)
     4. 프래시오버(FLASH OVER)

     정답 : []
     정답률 : 75%

12. 화재의 소화원리에 따른 소화방법의 적용이 잘못된 것은?(2009년 08월)
     1. 냉각소화 : 스프링클러설비
     2. 질식소화 : 이산화탄소소화설비
     3. 제거소화 : 포소화설비
     4. 억제소화 : 할로겐화합물소화설비

     정답 : []
     정답률 : 77%

13. Halon 1301 의 증기 비중은 약 얼마인가? (단, 원자량은 C 12, F 19, Br 80, Cl 35.5 이고, 공기의 평균분자량은 29 이다.)(2008년 05월)
     1. 4.14
     2. 5.14
     3. 6.14
     4. 7.14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1301이므로
C F3 Br
즉 12 +19*3+ 80=149
에서 29를 나눈다
[해설작성자 : 깡군]

14. 화재 발생시 인명을 구조하는 것으로서 직접 활용할 수 없는 것은?(2007년 03월)
     1. 무선통신보조설비
     2. 완강기
     3. 구조대
     4. 공기안전매트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무선통신보조설비(소화활동설비)

2,3,4(피난구조설비)
[해설작성자 : 권의훈]

15. 다음 중 공기에서의 연소범위를 기준으로 했을 때 위험도(H) 값이 가장 큰 것은?(2021년 09월)
     1. 디에틸에테르
     2. 수소
     3. 에틸렌
     4. 부탄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품명                연소 하한계    연소 상한계
디에틸에테르        1.9                 48         위험도 = (48-1.9)/1.9    = 24.26
수소                        4                 75            위험도 = (75-4)/4            = 17.75
에틸렌                 2.7                 36         위험도 = (36-2.7)/2.7    = 12.33
부탄                     1.8                8.4         위험도 = (8.4-1.8)/1.8 = 3.67
[해설작성자 : 소나무와별]

16. 소화효과를 고려하였을 경우 화재 시 사용할 수 있는 물질이 아닌 것은?(2020년 08월)
     1. 이산화탄소
     2. 아세틸렌
     3. Halon 1211
     4. Halon 1301

     정답 :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1. 이산화탄소 - 질식소화
2. 아세틸렌 - 가연성 가스로서 연소범위가 2.5~81%이다.
3. Halon1211 - 부촉매소화
4. Halon1301 - 부촉매소화
[해설작성자 : 하기 싫어]

17. 경유화재가 발생했을 때 주수소화가 오히려 위험할 수 있는 이유는?(2018년 09월)
     1. 경유는 물과 반응하여 유독가스를 발생하므로
     2. 경유의 연소열로 인하여 산소가 방출되어 연소를 돕기 때문에
     3. 경유는 물보다 비중이 가벼워 화재면의 확대 우려가 있으므로
     4. 경유가 연소할 때 수소가스를 발생하여 연소를 돕기 때문에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B급 화재인 유류 화재는 물과 섞이지 않으므로 위로 튀어올르수 있어 질식소화법이 가장 효과적임
[해설작성자 : 헌트pro]

18. "기체가 차지하는 부피는 압력에 반비례하며 절대온도에 비례한다."와 가장 관련이 있는 법칙은?(2004년 09월)
     1. 보일의 법칙
     2. 샤를의 법칙
     3. 보일-샤를의 법칙
     4. 주울의 법칙

     정답 : []
     정답률 : 67%

19. 건축물의 내화구조에서 바닥의 경우에는 철근콘크리트조의 두께가 몇 ㎝ 이상이어야 하는가?(2007년 09월)
     1. 7
     2. 10
     3. 12
     4. 15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내화구조의 기준
벽,바닥 : 철골,철근 콘크리트조로서 두께가 10cm이상인 것
기둥 : 철골을 두께 5cm이상의 콘크리트로 덮은 것
보 : 두께 5cm이상의 콘크리트로 덮은 것
[해설작성자 : 권의훈]

20. 다음 중 통신기기실, 박물관의 소화설비로 가장 적합한 것은?(2004년 03월)
     1. 할로겐화합물 소화설비
     2. 옥내소화전 설비
     3. 분말 소화설비
     4. 스프링클러 설비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물이나 분말로 소화시 소화후 장비의 손상 (젖음)으로 2차화재가 발생 하거나나 전시물의 손상을 초래하므로 가스 식 소화 장치를 사용함이 옳음.
[해설작성자 : 밥아저씨]

2과목 : 소방유체역학


21. 배연설비의 배관을 흐르는 공기의 유속을 피토정압관으로 측정할 때 정압단과 정체압단에 연결된 U자관의 수은 기둥 높이차가 0.03m 이었다. 이 때 공기의 속도는 약 몇 m/s 인가? (단, 공기의 비중은 0.00122, 수은의 비중 13.6이다.)(2016년 05월)
     1. 81
     2. 86
     3. 91
     4. 96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r1=공기=s1*rw
r2=수은=s2*rw
h2=0.03m
s=r1/r2

p=r1*h1=r2*h2
-> h1=334.426m

v=root(2*9.81*334.426)=81m/s
[해설작성자 : jg]

γa = 비중a x γw = 0.00122 x 9800[N/m3]
γh = 비중h x γw = 13.6 x 9800[N/m3]

높이h = 0.03[m] = P / γh = P / (13.6 x 9800[N/m3])
                                    P = 0.03[m] x (13.6 x 9800[N/m3]) = 3998.4[N/m2]

높이a = P / γa = 3998.4[N/m2] / (0.00122 x 9800[N/m3]) = 334.4262295[m]

속도a = √(2g x 높이a) = 80.98621619[m/s]
[해설작성자 : 나대로]

22. 지름 150 mm인 원관에 비중이 0.85, 동점성계수가 1.33×10-4 m2/s인 기름이 0.01 m3/s의 유량으로 흐르고 있다. 이 때 관마찰계수는 약 얼마인가?(2003년 08월)
     1. 0.1
     2. 0.12
     3. 0.14
     4. 0.16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Re=VD/v
f=64/Re
[해설작성자 : 2차중]

레이놀즈re = DV/동점성계수 u (D= 지름 v= 유속)
관마찰계수 F= 64/레이놀즈수 re    
유속 v = 4Q/파이xD 제곱    ( Q= 유량 D 제곱 = D에 2승)
[해설작성자 : 다보스]

23. 웨버수(Weber number)의 물리적 의미는?(2008년 03월)
     1. 관성력/압력
     2. 관성력/점성력
     3. 관성력/표면장력
     4. 관성력/탄성력

     정답 : []
     정답률 : 38%

24. 그림과 같이 비중이 0.8인 기름이 노즐로부터 분출하고 있다. 노즐 입구의 계기 압력이 P1= 686.5 kPa일 때, 노즐이 받는 힘은 몇 N 인가?(2003년 05월)

    

     1. 3496
     2. 1246
     3. 946
     4. 300

     정답 : []
     정답률 : 20%

25. 유동 단면이 30cm×40cm인 사각 덕트를 통하여 비중 0.86, 점성계수가 0.027kg/mㆍs인 기름이 2m/s의 유속으로 흐른다. 이 때 수력직경에 기초한 레이놀즈수는?(2010년 09월)
     1. 18670
     2. 21850
     3. 32150
     4. 33290

     정답 : []
     정답률 : 43%

26. 용기속의 물에 압력을 가했더니 물의 체적이 0.5% 감소하였다. 이 때 가해진 압력은 몇 Pa인가? (단, 물의 압축률은 5×10-10[1/Pa]이다.)(2008년 03월)
     1. 107
     2. 2×107
     3. 109
     4. 2×109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체적탄성계수 E = delta(P) / (delta(V) / V )
압축률 Beta = 1 / E
[해설작성자 : 박예삐]

27. 압력 200kPa, 온도 400K의 공기가 10m/s의 속도로 흐르는 지름 10cm의 원관이 지름 20cm인 원관이 연결된 다음 압력 180kPa, 온도 350K로 흐른다. 공기가 이상기체라면 정상 상태에서 지름 20cm인 원관에서의 공기의 속도 [m/s]는?(2015년 05월)
     1. 2.43
     2. 2.50
     3. 2.67
     4. 4.50

     정답 :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관경 변화에도 유량은 불변하는 그리고 압력과 온도에 따라 밀도가 변하는 성질을 이용해서,

P = ρRT 에서 ρ= P / RT
ρ1 =    P1 / (R x T1) = 200 / (R x 400) = 0.5 x 1/R
ρ2 =    P2 / (R x T2) = 180 / (R x 350) = 0.514285714 x 1/R = 1.028571429 x ρ1

중량 유량 Qg = ρ1 x g x A1 x u1 = ρ2 x g x A2 x u2 에서
u2 = ρ1 x g x A1 x u1 / (ρ2 x g x A2) 이고, g와 ρ1, 그리고 면적에서 π/4는 약분이 되므로
     = 0.1^2[m2] x 10[m/s] / (1.028571429 x 0.2^2)[m2]
     = 2.430555556[m/s]
[해설작성자 : 나대로]

28. 피토관으로 파이프 중심선에서 흐르는 물의 유속을 측정할 때 피토관의 액주높이가 5.2m, 정압튜브의 액주높이가 4.2m를 나타낸다면 유속(m/s)은? (단, 속도계수(Cv)는 0.97이다.)(2019년 09월)

    

     1. 4.3
     2. 3.5
     3. 2.8
     4. 1.9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0.97*√2*9.8*(5.2-4.2)
[해설작성자 : 김진성]

29. 압력 P1 = 100kPa, 온도 T1 = 300K, 체적 V1 = 1.0m3인 밀폐계(closed system)의 이상기체가 PV1.3 = 일정인 폴리트로픽 과정(polytropic process)을 거쳐 압력 P2 = 300kPa까지 압축된다면 최종상태의 온도 T2는 대략 얼마인가?(2010년 09월)
     1. 350K
     2. 390K
     3. 430K
     4. 470K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T2/T1= P2/P1 ^ N-1/N
X/300=300/100 ^ 0.3/1.3
X=1.28 X 300
= 386 ... 대략 390
[해설작성자 : 0현]

30. 그림과 같이 매우 큰 탱크에 연결된 길이 100m, 안지름 20cm인 원관에 부차적 손실계수가 5이 밸브 A가 부착되어 있다. 관 입구에서의 부차적 손실계수가 0.5, 관마찰계수는 0.02이고, 평균속도가 2m/s 일 때 물의 높이 H(m)는?(2020년 08월)

    

     1. 1.48
     2. 2.14
     3. 2.81
     4. 3.36

     정답 :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수정 베르누이 방정식
V1^1/2g+P1/r+Z1=V2^2/2g+P2/r+Z2+H

1) 속도수두 : V1<<<V2이므로, V1^2/2g=0
2) 압력수두 : P1과 P2는 대기압으로 압력이 같음.
3) 위치수두 : Z1-Z2=H

따라서, H=V2^2/2g+H

H= 직관에서의 마찰손실 + 밸브에서의 부차적손실 + 관입구에서의 부차적손실
[해설작성자 : 한라봉]

높이=속도수두+마찰손실수두
- 속도수두=V^2/2g=4/(2*9.8)=0.2m
- 마찰손실수두=flV^2/2gD
    (손실계수시 등가길이(l)=KD/f=(5.5*0.2)/0.02=55m이므로 전체길이는 155m)
    =(0.02*155*4)/(2*9.8*0.2)=3.16m
전체높이= 0.2+3.16=3.36m
[해설작성자 : 독봉산]

31. 지름 0.7m의 관 속에 5m/s의 평균속도로 물이 흐르고 있을 때 관의 길이 700m에 대한 마찰 손실수두는 약 몇 m 인가? (단, 관마찰계수는 0.03 이다.)(2013년 09월)
     1. 19
     2. 27
     3. 30
     4. 38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H=fLV^2/2gD
=0.03*700*5^2/2*9.8*0.7
=83.3
[해설작성자 : 열공]

[오류신고 반론]
위식대로 계산하면 38.26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2. 그림과 같은 수조에 0.3m ×1.0 m 크기의 사각 수문을 통하여 유출되는 유량은 몇 m3/s 인가? (단, 마찰손실은 무시하고 수조의 크기는 매우 크다고 가정한다.)(2016년 05월)

    

     1. 1.3
     2. 1.5
     3. 1.7
     4. 1.9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Q=AV
Q=A√2gH
Q=0.3*1*√2*9.8*1.3
=1.514
[해설작성자 : 김진성]

H값 1.3은 수면에서 수문 중심 까지의 거리입니다
0.8+0.5=1.3
(수문 높이 1M를 반으로 나눠서 0.5)
[해설작성자 : 스카이넷]

33. 수면의 높이가 h인 탱크의 바닥면에 위치한 오리피스에서 유출하는 물의 속도수두는?(Cv : 속도계수)(2004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28%

34. 다음 중 기체 유동의 국소 속도를 측정하는 것은?(2006년 03월)
     1. 위어
     2. 오리피스
     3. 연선 유속계
     4. 로터미터

     정답 : []
     정답률 : 37%

35. 이상기체의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3월)
     1. 분자 사이에 인력이 항상 작용한다.
     2. 분자 사이에 척력이 항상 작용한다.
     3. 분자가 충돌할 때 에너지의 손실이 있다.
     4. 분자 자신의 체적은 거의 무시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이상기체의 운동론
1.분자 자신의 체적을 거의 무시할 수 있다.
2.분자 상호간의 인력을 무시한다.
3.아보가도르 법칙을 만족하는 기체이다.
[해설작성자 : 권의훈]

36. 다음 중 점성계수의 차원은? (단, F는 힘, L은 길이, T는 시간의 차원이다.)(2006년 09월)
     1. FT-1L-2
     2. FT2L3
     3. FTL-2
     4. FTL-1

     정답 :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점성계수 단위 N.S/m2        
                 단위변환    kg*m/s2*S    / m2 = kg*m*s / m2 * s2 = kg / m.s
                 차원으로 표현하면 ML-1T-1    
답이 없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오류 아닙니다
M L^(-1)T^(-1)이 맞긴한데 그건 질량단위계이고
힘단위계로 나타내면 F= ma
즉 F= M L T^(-2)
이항하면 M = F L^(-1) T^2

처음식에 대입하면
F L^(-1) T^2 L ^(-1) T^(-1)이므로
F L^(-2) T 즉 3번이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깡군]

37. 유체의 압축률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2021년 05월)
     1. 압축률 = 밀도 × 체적탄성계수
     2. 압축률 = 1/체적탄성계수
     3. 압축률 = 밀도/체적탄성계수
     4. 압축률 = 체적탄성계수/밀도

     정답 : []
     정답률 : 68%

38. 원관 속을 층류상태로 흐르는 유체의 속도분포가 다음과 같을 때 관벽에서 30mm 떨어진 곳에서 유체의 속도기울기(속도구배)는 약 몇 s-1인가?(2022년 03월)

    

     1. 0.87
     2. 2.74
     3. 8.66
     4. 27.4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전단응력 t = µ (du/dy)
양변미분 du = 3/2 y^(-1/2) dy
미분된 식에 y = 0.03 대입
[해설작성자 : 쿠크오빠]

39. 합성 계면 활성제포의 고발포용 소화약제로 사용하는 3가지 종류가 아닌 것은?(2006년 05월)
     1. 1%형
     2. 1.5%형
     3. 2%형
     4. 2.5%형

     정답 : []
     정답률 : 37%

40. 유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9월)
     1. 실제유체는 유동할 때 마찰로 인한 손실이 생긴다.
     2. 이상유체는 높은 압력에서 밀도가 변화하는 유체이다.
     3. 유체에 압력을 가하면 체적이 줄어드는 유체는 압축성 유체이다.
     4. 전단력을 받았을 때 저항하지 못하고 연속적으로 변형하는 물질을 유체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이상유체 : 밀도가 변화하지 않는 유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과목 : 소방관계법규


41. 소방기본법에 규정한 한국소방안전협회의 회원이 될 수 없는 사람은?(2013년 06월)
     1. 소방관련 박사 또는 석사학위를 취득한 사람
     2. 소방공무원으로 3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
     3. 소방방재청장이 정하는 소방 관련학과를 졸업한 사람
     4. 소방설비기사 자격을 취득한 사람

     정답 : []
     정답률 : 52%

42. “무창층”이란 지상층 중 개구부의 면적의 합계가 당해 층의 바닥면적의 30분의 1 이하가 되는 층을 말한다. 다음 중 개구부의 요건으로 알맞은 것은?(2007년 09월)
     1. 해당 층의 바닥면으로부터 개구부 밑부분까지의 높이가 1.5m 이내일 것
     2. 개구부의 크기가 지름 50㎝ 이상의 원이 내접할 수 있을 것
     3. 개구부는 도로 또는 차량이 진입할 수 없는 빈터를 향할 것
     4. 내부 또는 외부에서 쉽게 파괴 또는 개방할 수 없을 것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가. 크기는 지름 50센티미터 이상의 원이 내접 할 수 있는 크기일 것
나. 해당 층의 바닥면으로부터 개구부 밑부분까지의 높이가 1.2미터 이내일 것
다. 도로 또는 차량이 진입할 수 있는 빈터를 향할 것
라. 화재 시 건축물로부터 쉽게 피난할 수 있도록 창살이나 그 밖의 장애물이 설치되지 아니할 것
마. 내부 또는 외부에서 쉽게 부수거나 열 수 있을 것
[해설작성자 : 111]

43. 특수가연물의 품명과 수량기준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2011년 06월)
     1. 면화류 - 200kg 이상
     2. 대팻밥 - 300kg 이상
     3. 가연성고체류 - 1000kg 이상
     4. 발포시킨 합성수지류 - 10m3 이상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 특수가연물의 종류 및 수량
- 면화류 : 200kg이상
- 나무껍질및 대팻밥 : 400kg이상
- 넝마 및 종이부스러기 : 1,000kg이상
- 사류 : 1,000kg이상
- 가연성고체류 : 3,000kg이상
- 석탄, 목탄류 : 10,000kg이상
- 가연성 액체류 : 2m3이상
- 목재가공품 및 나무부스러기류 : 10m3이상
- 합성수지류
1) 발포시킨것 : 20m3 이상
2) 그 밖의 것 : 3,000kg 이상
[해설작성자 : DoubleM]

44. 지정수량 미만인 위험물의 저장 또는 취급에 관한 기술상의 기준은 무엇으로 정하는가?(2017년 03월)
     1. 대통령령
     2. 총리령
     3. 국민안전처장관령
     4. 시∙도의 조례

     정답 : []
     정답률 : 63%

45.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소방안전관리자 업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4년 09월)
     1. 소방계획서의 작성 및 시행
     2. 화기 취급의 감독
     3. 소방용 기계·기구의 형식승인
     4. 피난시설, 방화구역 및 방화시설의 유지·관리

     정답 : []
     정답률 : 76%

46. 소방시설관리업의 기술인력으로 등록된 소방기술자는 실무교육을 몇 년마다 1회 이상 받아야 하며, 실무교육기관의 장은 교육일정 몇 일전까지 교육대상자에게 알려야하는가?(2014년 05월)
     1. 2년, 7일전
     2. 3년, 7일전
     3. 2년, 10일전
     4. 3년, 10일전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개정되서 2년30일입니다.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행인]

[오류신고 반론]
② 영 제20조제1항에 따라 소방기술자 실무교육에 관한 업무를 위탁받은 실무교육기관 또는 「소방기본법」 제40조에 따른 한국소방안전원의 장(이하 “실무교육기관등의 장”이라 한다)은 소방기술자에 대한 실무교육을 실시하려면 교육일정 등 교육에 필요한 계획을 수립하여 소방청장에게 보고한 후 교육 10일 전까지 교육대상자에게 알려야 한다.
[해설작성자 : 소방시설공사업법 시행규칙 26조 시행 21년7월13일 ]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실무교육통지
소방기술자 : 10일전
소방안전관리자 : 30일전
[해설작성자 : 3번 맞아용]

47.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서 규정하는 제3류 위험물의 품명에 속하는 것은?(2015년 03월)
     1. 나트륨
     2. 염소산염류
     3. 무기과산화물
     4. 유기과산화물

     정답 : []
     정답률 : 68%

48.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이 화재조사 결과 방화 또는 실화의 혐의가 있다고 인정하는 때 지체없이 그 사실을 알려야할 대상은?(2010년 03월)
     1. 시ㆍ도지사
     2. 검찰청장
     3. 소방방재청장
     4. 관할 경찰서장

     정답 : []
     정답률 : 54%

49. 관계인이 특정소방대상물에 대한 소방시설공사를 하고자 할 때 소방공사 감리자를 지정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는?(2014년 09월)
     1. 연면적 1000 m2 이상을 신축하는 특정소방대상물
     2. 용도 변경으로 인하여 비상방송설비를 추가적으로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
     3. 제연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
     4. 자동화재탐지설비를 설치하는 길이가 1000 m 이상인 지하구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공사업령 10조
소방공사감리자 지정대상 특정소방대상물의 범위
(1) 옥내소화전설비를 신설, 개설 또는 증설할 때
(2) 스프링클러설비 등(캐비닛형 간이스프링클러설비 제외)을 신설, 개설하거나 방호, 방수 구역을 증설할 때
(3) 물분무등소화설비(호스릴방식의 소화설비 제외)를 시선, 개설하거나 방호, 방수 구역을 증설할 때
(4) 옥외소화전설비를 신설,개설 또는 증설 할 때
(5) 자동화재탐지설비를 신설, 개설 또는 증설할 때
(6) 비상방송설비를 신설 또는 개설할 때
(7) 통합감시시설을 신설 또는 개설할 때
(8) 비상종명등을 신설 또는 개설할 때
(9) 소화용수설비를 신설 또는 개설할 때
(10) 다음의 소화활동설비에 대하여 시공을 할 때
ㄱ. 제연설비를 신설, 개설하거나 제연구역을 증설할 때
ㄴ. 연결송수관설비를 신설 또는 개설할 때
ㄷ. 연결살수설비를 신설, 개설하거나 송수구역을 증설할 때
ㄹ. 비상콘센트설비를 신설, 개설하거나 전용회로를 증설할 때
ㅁ. 무선통신보조설비를 신설 또는 개설할 때
ㅂ. 연소방지설비를 신설, 개설하거나 살수구역으 증설할 때
[해설작성자 : 네중]

50. 위험물 제조소에서 “위험물 제조소”라는 표시를 한 표지의 바탕색은?(2008년 05월)
     1. 청색
     2. 적색
     3. 흑색
     4. 백색

     정답 : []
     정답률 : 55%

51. 화재경계지구의 지정은 누가 하는가?(2004년 09월)
     1. 시· 도지사
     2. 소방안전기술위원회
     3. 의용소방대장
     4. 한국소방안전협회

     정답 : []
     정답률 : 73%

52. 소방대상물의 검사시 자료를 제출하지 않거나 허위자료를 제출한 자 또는 정당한 사유없이 관계공무원의 출입 또는 검사를 거부하거나 방해 또는 기피한 자의 벌칙에 해당하는 것은?(2003년 08월)
     1. 100만원이하의 벌금
     2. 200만원이하의 벌금
     3. 1년이하의 징역 또는 100만원이하의 벌금
     4. 1년이하의 징역 또는 200만원이하의 벌금

     정답 : []
     정답률 : 40%

53. 제4류 위험물로서 제1석유류인 수용성 액체의 지정수량은 몇 리터인가?(2011년 03월)
     1. 100
     2. 200
     3. 300
     4. 400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4류 인화성액체
1. 특수인화물 - 50L
2. 제1석유류
1) 비수용성액체 - 200L
2) 수용성액체 - 400L
3. 알코올류 - 400L
4. 제2석유류
1) 비수용성액체 - 1,000L
2) 수용성액체 - 2,000L
5. 제3석유류
1) 비수용성액체 - 2,000L
2) 수용성액체 - 4,000L
6. 제4석유류 - 6,000L
7. 동식물유류 - 10,000L
[해설작성자 : DoubleM]

54.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치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상 소방시설 등에 대한 자체점검 중 종합정밀점검 대상인 것은?(2020년 06월)
     1. 제연설비가 설치되지 않은 터널
     2.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된 연면적이 5,000m2이고 12층인 아파트
     3. 물분무등소화설비가 설치된 연면적이 5,000m2인 위험물 제조소
     4. 호스릴 방식의 물분무등소화설비만을 설치한 연면적 3,000m2인 특정소방대상물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종합정밀점검 점검대상

1.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된 특정소방대상물
2. 물분무 등 소화설비 : 연면적 5000m2이상 (호스릴 제외, 위험물제조소 등 제외)
3. 다중이용업의 영업장 : 연면적이 2000m2이상인 것
4. 제연설비가 설치된 터널
5. 공공기관 : 연면적이 1000m2이상인 것으로서 옥내소화전설비 또는 자동화재탐지설비가 설치된 것
[해설작성자 : 한라봉]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법 개정으로 스프링클러 설치된 대상물 면적,층 상관없이 종합정밀점검 대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 해당 문제는 종합정밀점검 대상의 기준을 선택하는 문제가 아니라 기준에 부합하는 답을 선택하는 문제임
    이러한 이유로 오류신고 내용은 삭제 필요
[해설작성자 : 두아들래미아빠]

55. 소방용품의 형식승인을 반드시 취소하여야 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2016년 10월)
     1. 거짓 또는 부정한 방법으로 형식승인을 받은 경우
     2. 시험시설의 시설기준에 미달되는 경우
     3. 거짓 또는 부정한 방법으로 제품검사를 받은 경우
     4. 변경승인을 받지 아니한 경우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보기 1 , 3 , 4 = 형식승인 취소
보기 2 = 제품검사 중지
[해설작성자 : pophc]

56. 소방특별조사에 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2014년 03월)
     1. 소방특별조사 업무를 수행하는 관계 공무원 및 관계 전문가는 그 권한을 표시하는 증표를 지니고 이를 관계인에게 내보여야 한다.
     2. 소방특별조사 시 관계인의 업무에 지장을 주지 아니하여야 하나 조사업무를 위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일정 부분 관계인의 업무를 중지시킬 수 있다.
     3. 조사업무를 수행하면서 취득한 자료나 알게 된 비밀을 다른 사람에게 제공 또는 누설하거나 목적 외의 용도로 사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4. 소방특별조사 업무를 수행하는 관계 공무원 및 관계 전문가를 관계인의 정당한 업무를 방해하여서는 아니 된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소방특별조사
(1)증표를 관계인에게 제시
(2)관계인의 업무방해 금지
(3)비밀유지

57. 화재를 진압하고 화재·재난·재해 그 밖의 위급한 상황에서의 구조·구급활동을 위하여 소방공무원, 의무소방원, 의용소방대원으로 구성된 조직체를 무엇이라 하는가?(2005년 03월)
     1. 구조구급대
     2. 의무소방대
     3. 소방대
     4. 의용소방대

     정답 : []
     정답률 : 55%

58.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하는 소방용품 중 경보설비를 구성하는 제품 또는 기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5년 03월)
     1. 비상조명등
     2. 누전경보기
     3. 발신기
     4. 감지기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소방용품제외 대상
주거용 주방 자동소화장치용 소화약제, 가스 자동소화장치용 소화약제, 비상종명등, 유도 표지, 피난밧줄, 방수구ㅡ 안전배트, 방수복 등등
[해설작성자 : 봉봉둥절]

59. 화재예방강화지구 안의 소방대상물에 대한 화재안전조사를 거부ㆍ방해 또는 기피한 자에 대한 벌칙은?(2021년 11월 30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2012년 09월)
     1. 100만원 이하의 벌금
     2. 200만원 이하의 벌금
     3. 300만원 이하의 벌금
     4. 500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화재경계지구 명칭은 법령 개정으로 화재예방강화지구로 변경되었습니다.
소방특별조사 또한 화재안전조사로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

화재의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 2022. 12. 1.] [법률 제18523호, 2021. 11. 30., 제정]
https://www.law.go.kr/법령/화재의예방및안전관리에관한법률
제정ㆍ개정이유 안의 내용입니다.

"화재경계지구"를 화재예방의 중요성을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화재예방강화지구"로 명칭을 변경하고, 시ㆍ도지사로 하여금 조례로 정하는 바에 따라 화재예방강화지구 안의 소방설비 등의 설치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함
"소방특별조사"를 조사의 목적이 분명히 드러날 수 있도록 "화재안전조사"로 명칭을 변경하고, 화재안전조사의 투명성 확보를 위하여 사전에 조사대상, 조사기간 및 조사사유 등을 관계인에게 통지하도록 하며, 화재안전조사를 실시한 경우 그 결과를 인터넷 홈페이지나 전산시스템 등에 공개할 수 있도록 함

화재의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 약칭: 화재예방법 )
[시행 2022. 12. 1.] [법률 제18523호, 2021. 11. 30., 제정]
제50조(벌칙)
③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3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제7조제1항에 따른 화재안전조사를 정당한 사유 없이 거부ㆍ방해 또는 기피한 자

제7조(화재안전조사) ① 소방관서장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화재안전조사를 실시할 수 있다. 다만, 개인의 주거(실제 주거용도로 사용되는 경우에 한정한다)에 대한 화재안전조사는 관계인의 승낙이 있거나 화재발생의 우려가 뚜렷하여 긴급한 필요가 있는 때에 한정한다.
1.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2조에 따른 자체점검이 불성실하거나 불완전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화재예방강화지구 등 법령에서 화재안전조사를 하도록 규정되어 있는 경우
3. 화재예방안전진단이 불성실하거나 불완전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4. 국가적 행사 등 주요 행사가 개최되는 장소 및 그 주변의 관계 지역에 대하여 소방안전관리 실태를 조사할 필요가 있는 경우
5. 화재가 자주 발생하였거나 발생할 우려가 뚜렷한 곳에 대한 조사가 필요한 경우
6. 재난예측정보, 기상예보 등을 분석한 결과 소방대상물에 화재의 발생 위험이 크다고 판단되는 경우
7. 제1호부터 제6호까지에서 규정한 경우 외에 화재, 그 밖의 긴급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인명 또는 재산 피해의 우려가 현저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화재예방법 제7조 제1항에 따라 화재예방강화지구 안의 소방대상물은 화재안전조사를 해야합니다.
같은 법령 제50조에 따라 화재안전조사를 거부ㆍ방해 또는 기피한 자는 300만원 이하의 벌금에 해당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몽몽]

60. 우수품질인증을 받지 아니한 제품에 우수품질 인증 표시를 하거나 우수품질인증 표시를 위조 또는 변조하여 사용한 자에 대한 벌칙기준은?(2018년 06월 27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2017년 03월)
     1. 300만원 이하의 벌금
     2. 500만원 이하의 벌금
     3. 1000만원 이하의 벌금
     4. 1500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2018년 06월 27일 개정된 규정]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 제40조제1항에 따른 우수품질인증을 받지 아니한 제품에 우수품질인증 표시를 하거나 우수품질인증 표시를 위조하거나 변조하여 사용한 자

61. 연결살수설비 전용헤드의 경우 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헤드까지 수평거리는?(2012년 03월)
     1. 2.3m 이하
     2. 2.5m 이하
     3. 3.2m 이하
     4. 3.7m 이하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전용해드 : 3.7m 이하
스프링클러헤드 : 2.3m 이하
[해설작성자 : taelee]

62. 청정소화약제 소화설비의 수동식 기동장치의 설치기준 중 틀린 것은?(2016년 10월)
     1. 5kg 이상의 힘을 가하여 기동할 수 있는 구조로 할 것
     2. 전기를 사용하는 기동장치에는 전원표시등을 설치할 것
     3. 기동장치의 방출용 스위치는 음향경보장치와 연동하여 조작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4. 해당 방호구역의 출입구부근 등 조작을 하는자가 쉽게 피난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할 것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 수동식 기동장치는 다음 각 목의 기준에 따라 설치할 것 이 경우 수동식 기동장치의 부근에는 소화약제의 방출을 지연시킬 수 있는 비상스위치(자동복귀형 스위치로서 수동식 기동장치의 타이머를 순간 정치시키는 기능의 스위치를 말한다)를 설치하여야 한다.
        가. 방호구역마다 설치
        나. 해당 방호구역의 출입구부근 등 조작을 하는 자가 쉽게 피난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할 것<개정 2012.8.20.>
        다. 기동장치의 조작부는 바닥으로부터 0.8m 이상 1.5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하고, 보호판 등에 따른 보호장치를 설치할 것
        라. 기동장치에는 가깝고 보기 쉬운 곳에 "청정소화약제소화설비 기동장치"라는 표지를 할 것
        마. 전기를 사용하는 기동장치에는 전원표시등을 설치할 것
        바. 기동장치의 방출용스위치는 음향경보장치와 연동하여 조작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사. 5kg 이하의 힘을 가하여 기동할 수 있는 구조로 설치
    2. 자동식 기동장치는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의 작동과 연동하는 것으로서 다음 각 목의 기준에 따라 설치할 것.
        가. 자동식 기동장치에는 제1호의 기준에 따른 수동식 기동장치를 함께    치할 것
        나. 기계식, 전기식 또는 가스압력식에 따른 방법으로 기동하는 구조로 설치할 것
    3. 청정소화약제소화설비가 설치된 구역의 출입구에는 소화약제가 방출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표시등을 설치할 것
[해설작성자 : 건국이엔아이]

63. 물분무소화설비의 자동식 기동장치 내용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2014년 05월)
     1.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 작동 시 연동하여 경보를 발한다.
     2.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의 개방과 연동하여 경보를 발한다.
     3. 가압송수장치의 기동과 연동하여 경보를 발한다.
     4. 가압송수장치 및 자동개방밸브를 기동할 수 있어야한다.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물분무소화설비의 자동식 기동장치는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 작동 또는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의 개방과 연동하여 경보를 발하고,
가압송수장치 및 자동개방밸브를 기동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다만,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수신기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에 상시 사람이 근무하고,
화재시 물분무소화설비를 즉시 작동가능한 경우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해설작성자 : 소방류찌]

64. 옥내소화전설비 배관과 배관이음쇠의 설치기준중 배관 내 사용압력이 1.2MPa 미만일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 아닌 것은?(2017년 09월)
     1. 배관용탄소강관(KS D 3507)
     2. 배관용 스테인리스강관(KS D 3576)
     3. 덕타일 주철관(KS D 4311)
     4. 배관용 아크용접 탄소강강관(KS D 3583)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1.2mpa 이상일때 압력배관용 탄소강관(KSD3562), 배관용 아크용접 탄소강관(KSD 3583)을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정준회]

65. 다음은 연결송수관 설비의 배관에 관하여 설명한 것이다. 옳은 것은?(2005년 09월)
     1. 물분무 소화설비의 배관과 겸용하여서는 안된다.
     2. 지상 11층 이상의 건물에는 반드시 습식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3. 지면으로 부터의 건물 높이가 30m 이상인 경우에는 반드시 습식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4. 지상 10m 이하의 건물에는 주배관을 65mm로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38%

66. 5층 건물에 옥내소화전이 1층에 3개, 2층 이상에 각각 2개씩 총 11가 설치 되었을 경우, 수원의 수량 선출방법으로 옳은 것은?(2021년 04월 01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2007년 03월)
     1. 3개 × 2.6m3 = 7.8m3
     2. 2개 × 2.6m3 = 5.2m3
     3. 11개 × 2.6m3 = 28.6m3
     4. 5개 × 2.6m3 = 13.0m3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2021년 04월 01일 개정된 규정]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제4조(수원) ① 옥내소화전설비의 수원은 그 저수량이 옥내소화전의 설치개수가 가장 많은 층의 설치개수(2개 이상 설치된 경우에는 2개)에 2.6m^3(호스릴옥내소화전설비를 포함한다)를 곱한 양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개정 2021. 4. 1.>
위 법령과 같이 최대 기준개수가 2개로 변경되었기 때문에 2.6 * 2 를 하여 5.2가 정답이 됩니다.

67. 피난기구의 화재안전기준상 근린생활시설 지하층에 적응성이 있는 피난기구는? (단, 근린생활시설 중 입원실이 있는 의원·접골원·조산원에 한한다.)(2022년 04월)
     1. 피난용트랩
     2. 미끄럼대
     3. 구조대
     4. 피난교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지하층 설치장소별 피난기구 적응성
의료시설 노유자시설 입원실 있는 의원 산후조리원 접골원 : 피난용트랩
그 외 : 피난사다리 피난용트랩
[해설작성자 : 소방시설관리사이웃]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질문에 지하층이 아니라 4층 인거 같아요

[추가 오류 신고]
질문내용 지하층이아니라 3층으로 바뀌어야 할거같아요
[해설작성자 : 겨울왕]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1번이네요.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68.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상 차압 등에 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2022년 03월)
     1. 제연설비가 가동되었을 경우 출입문의 개방에 필요한 힘은 150N 이하로 하여야 한다.
     2. 제연구역과 옥내와의 사이에 유지하여야 하는 최소차압은 옥내에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된 경우에는 40Pa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3. 계단실과 부속실을 동시에 제연하는 경우 부속실의 기압은 계단실과 같게 하거나 계단실의 기압보다 낮게 할 경우에는 부속실과 계단실의 압력차이는 3Pa 이하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4. 피난을 위하여 제연구역의 출입문이 일시적으로 개방되는 경우 개방되지 아니하는 제연구역과 옥내와의 차압은 기준에 따른 차압은 기준에 따른 차압의 70% 미만이 되어서는 아니 된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1) 출입문의 개방에 필요한 힘은 110N 이하
2) 제연구역과 옥내와의 유지해야하는 압력차는 40Pa 이하가 맞지만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된 경우에는 12.5pa 이하이다.
3) 계단실과 부속실의 압력차는 5pa 이하로 한다.
4) 피난을 위해 제연구역의 문을 일시적으로 개방할 때 개방하지 않는 제연구역과 옥내와의 차압은 기준 차압의 70% 미만이 되어서는 안된다

! 계단실과 부속실을 동시 제연 또는 계단실만 제연하는 경우의 방연풍속은 0.5m/s
! 부속실만 제연하는 경우는 0.7m/s 이다.
[해설작성자 : 와수베가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문제해설에 2번에
압력차는 40Pa 이하가 맞지만,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된 경우에는 12.5pa 이하이다.(X)
압력차는 40Pa 이상이 맞지만,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된 경우에는 12.5pa 이상이다.(O)
[해설작성자 : 땡이]

69. 분말 소화설비의 가압용 가스로 질소가스를 사용하는 것에 있어서 소화약제가 25kg이라면 이에 필요한 질소가스의 양은 최소 몇 L 정도인가? (단, 35℃에서 1기압의 압력상태로 환산한다.)(2007년 03월)
     1. 800
     2. 1000
     3. 1200
     4. 1400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가압 질소 40L/1kg
,40x25=1000
[해설작성자 : 훌라]

70.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의 화재안전기준상 규정하는 화재의 종류가 아닌 것은?(2021년 03월)
     1. A급 화재
     2. B급 화재
     3. G급 화재
     4. K급 화재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A: 일반, B: 유류, C: 전기, D: 금속, K: 주방 화재
[해설작성자 : 기다리바]

71.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에 따라 옥내소화전 방수구를 반드시 설치하여야 하는 곳은?(2020년 09월)
     1. 식물원
     2. 수족관
     3. 수영장의 관람석
     4. 냉장창고 중 온도가 영하인 냉장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제11조(방수구의 설치 제외)
    1. 냉장창고 중 온도가 영하인 냉장실 또는 냉동창고의 냉동실 <개정 2013. 6. 10.>
    2. 고온의 노(爐)가 설치된 장소 또는 물과 격렬하게 반응하는 물품의 저장 또는 취급 장소
    3. 발전소ㆍ변전소 등으로서 전기시설이 설치된 장소
    4. 식물원ㆍ수족관ㆍ목욕실ㆍ수영장(관람석 부분을 제외한다) 또는 그 밖의 이와 비슷한 장소
    5. 야외음악당ㆍ야외극장 또는 그 밖의 이와 비슷한 장소

출제 당시 기준상 3번이 정답이었으나, 2022년 11월 아래와 같이 개정 됨.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102)

제11조(방수구의 설치 제외) 불연재료로 된 특정소방대상물 또는 그 부분으로서 옥내소화전설비 작동 시 소화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장소이거나 2차 피해가 예상되는 장소 또는 화재발생 위험이 적은 장소에는 옥내소화전 방수구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해설작성자 : OILIEI]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72. 포 소화약제의 혼합장치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18년 04월)
     1. 라인 푸로포셔너방식 이란 펌프의 토출관과 흡입관 사이의 배관 도중에 설치한 흡입기에 펌프에서 토출된 물의 일부를 보내고, 농도 조절밸브에서 조정된 포 소화약제의 필요량을 포 소화약제 탱크에서 펌프 흡입측으로 보내어 이를 혼합하는 방식을 말한다.
     2. 프레져사이드 푸로포셔너방식 이란 펌프의 토출관에 압입기를 설치하여 포 소화약제 압입용펌프로 포 소화약제를 압입시켜 혼합하는 방식을 말한다.
     3. 프레져 푸로포셔너방식 이란 펌프와 발포기 중간에 설치된 벤추리관의 벤추리작용에 따라 포 소화약제를 흡입·혼합하는 방식을 말한다.
     4. 펌프 푸로포셔너방식 이란 펌프와 발포기의 중간에 설치된 벤추리관의 벤추리작용과 펌프 가압수의 포 소화약제 저장탱크에 대한 압력에 따라 포 소화약제를 흡입·혼합하는 방식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펌프 프로포셔너방식
펌프의 토출관과 흡입관 사이의 배관 도중에 설치한 흡입기에 펌프에서 토출된 물의 일부를 보내고 농도조절밸브에서 조정된 포소화약제의 필요량을 포소화약제탱크에서 펌프 흡입측으로 보내어 약제를 혼합하는 방식

라인 프로포셔너방식
펌프와 발포기의 중간에 설치된 벤투리관의 벤투리작용에 따라 포소화약제를 흡입,혼합하는 방식

프레셔 프로포셔너방식
펌프와 발포기의 중간에 설치된 벤투리관의 벤투리작용과 펌프가압수의 포소화약제 저장탱크에 대한 압력에 따라 흡입, 혼합하는 방식

프레셔사이드 프로포셔너방식
펌프의 토출관에 압입기를 설치하여 포소화약제 압입용 펌프로 포소화약제를 압입시켜 혼합하는 방식
[해설작성자 : 김도현]

73. 일정 이상의 층수를 가진 오피스텔에서는 모든 층에 주거용 주방자동소화장치를 설치해야 하는데, 몇 층 이상인 경우 이러한 조치를 취해야 하는가?(2023년 03월 07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2019년 03월)
     1. 20층 이상
     2. 25층 이상
     3. 30층 이상
     4. 모든 곳(층수와 무관)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기존 해설[
주거용 주방자동소화장치
1. 아파트 등(주택으로 쓰이는 층수가 5층 이상인 주택)
2. 30층 이상 오피스텔의 모든 층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개정된 해설]
[2023년 03월 07일 개정된 규정]
소방시설법 시행령 별표 4(소화설비의 설치대상)에 의하여
주거용 주방자동소화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는데 오피스텔은 층수무관하게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74.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에 따른 건축물에 설치하는 연결살수설비의 헤드에 대한 기준 중 다음 ( ) 안에 알맞은 것은?(2020년 06월)

    

     1. ㉠ 3.7, ㉡ 2.3, ㉢ 2.1
     2. ㉠ 3.7, ㉡ 2.3, ㉢ 2.3
     3. ㉠ 2.3, ㉡ 3.7, ㉢ 2.3
     4. ㉠ 2.3, ㉡ 3.7, ㉢ 2.1

     정답 : []
     정답률 : 68%

75. 층고가 12미터인 6층 무대부에 3개 회로로 분기하여 개방형 스프링쿨러 헤드를 각 회로당 20개씩 설치하였을 경우에 소요되는 펌프의 분당 토출량 및 수원의 량은 얼마 이상이여야 하는가?(2006년 03월)
     1. 1600리터, 32.0m3
     2. 3200리터, 32.0m3
     3. 3200리터, 48.0m3
     4. 1600리터, 48.0m3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개방형 스프링클러헤드를 사용하는 경우 최대 방호구역에 설치하는 스프링클러헤드 개수가 30개를 초과하는 경우 산출된 가압송수장치의 1분당 송수량 x 20
1600리터 x 20 = 32000리터 = 32m3
[해설작성자 : ehdaud0721]

76. 개방형헤드를 사용하는 연결살수설비에서 하나의 송수구역에 설치하는 살수헤드의 최대 개수는?(2016년 05월)
     1. 10
     2. 15
     3. 20
     4. 30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503) [시행 2022. 12. 1.]
2.1.4 개방형헤드를 사용하는 연결살수설비에 있어서 하나의 송수구역에 설치하는 살수헤드의 수는 10개 이하가 되도록 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7. 분말소화설비에 대한 기준 중 맞는 것은?(2013년 06월)
     1. 축압식의 경우 20℃에서 압력이 2.5MPa 이상 4.2MPa 이하인 것에 있어서는 압력배관용 탄소강관 중 이음이 없는 Sch 80 이상을 사용한다.
     2. 동관의 경우 최고사용압력의 1.8배 이상의 압력에 견딜수 있어야 한다.
     3. 기동장치의 조작부는 바닥으로부터 높이 0.5m 이상 1.5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하고, 보호판 등에 따른 보호장치를 설치한다.
     4. 저장용기의 충전비는 0.8 이상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2. 강관을 사용하는 경우의 배관은 아연도금에 따른 배관용탄소강관(KS D 3507)이나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내식성 및 내열성을 가진 것으로 할 것. 다만, 축압식분말소화설비에 사용하는 것 중 20 ℃에서 압력이 2.5 ㎫ 이상 4.2 ㎫ 이하인 것은 압력배관용탄소강관(KS D 3562)중 이음이 없는 스케줄 40 이상의 것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를 가진 것으로서 아연도금으로 방식처리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3. 동관을 사용하는 경우의 배관은 고정압력 또는 최고사용압력의 1.5배 이상의 압력에 견딜 수 있는 것을 사용할 것
3. 기동장치의 조작부는 바닥으로부터 높이 0.8m 이상 1.5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하고, 보호판 등에 따른 보호장치를 설치할 것
[해설작성자 : 마커맨]

78. 양정이 60m, 토출량이 분당 1,200ℓ , 효율이 58%인 스프링클러 설비용 펌프에 전동기를 직결방식으로 설치할 경우의 전동기의 용량은 얼마인가? (단, 전달계수는 1.1)(2003년 08월)
     1. 21.3㎾
     2. 22.3㎾
     3. 24.3㎾
     4. 20.3㎾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rQH/효율 * K
[해설작성자 : 게으름뱅이]

79. 포소화설비에서 펌프의 토출관에 압입기를 설치하여 포 소화약제 압입용 펌프로 포소화약제를 압입시켜 혼합하는 방식은?(2019년 03월)
     1. 라인 프로포셔너방식
     2. 펌프 프로포셔너방식
     3. 프레져 프로포셔너방식
     4. 프레져사이드 프로포셔너방식

     정답 : []
     정답률 : 82%

80. 분말소화약제 중 일반화재에도 적응성이 있는 인산염을 주성분으로 사용하는 약제는 몇 종 소화약제인가?(2008년 05월)
     1. 제 1종 분말
     2. 제 2종 분말
     3. 제 3종 분말
     4. 제 4종 분말

     정답 : []
     정답률 : 69%


정 답 지

소방설비기사(기계분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4793636)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소방설비기사(기계분야)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소방원론


1. 가연성 액체에서 발생하는 증기와 공기의 혼합기체에 불꽃을 대었을 때 연소가 일어나는 최저 온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2014년 05월)
     1. 발화점
     2. 인화점
     3. 연소점
     4. 착화점

     정답 : []
     정답률 : 68%

2. 이산화탄소의 증기비중은 약 얼마인가?(2015년 03월)
     1. 0.81
     2. 1.52
     3. 2.02
     4. 2.51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공기의 분자량 = 질소(N)14이므로 N2=28, 산소(O)16이므로 O2=32, 분표율은 n2가 79%, 산소O2가 21%이므로 29가 됨
이산화 탄소의 분자량(CO2)=c가 12, 산소가 32이므로 분자량은 44
따라서 증기비중은 44/29=1.517
[해설작성자 : walldam]

3. 조연성 가스에 해당하는 것은?(2012년 09월)
     1. 수소
     2. 일산화탄소
     3. 산소
     4. 에탄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조연성가스와 가연성가스
1. 조연성가스 : 자기 자신은 연소하지 않지만 연소를 도와주는 가스
→ 산소, 공기, 염소, 오존, 불소
2. 가연성가스 : 물질 자체가 연소하는 것
→ 수소, 메탄, 일산화탄소, 천연가스, 부탄, 에탄, 암모니아, 프로판

해설 : 수소,이산화탄소,에탄은 가연성가스임 답은 3번
[해설작성자 : 허지운]

4. 다음 중 증발잠열(kJ/kg)이 가장 큰 것은?(2011년 06월)
     1. 질소
     2. 할론 1301
     3. 이산화탄소
     4.

     정답 : []
     정답률 : 79%

5. 철근 콘크리트조로서 내화구조 벽의 기준은 두께 몇 ㎝ 이상이어야 하는가?(2007년 05월)
     1. 10
     2. 15
     3. 20
     4. 25

     정답 : []
     정답률 : 80%

6. 상온에서 무색의 기체로서 암모니아와 유사한 냄새를 가지는 물질은?(2022년 03월)
     1. 에틸벤젠
     2. 에틸아민
     3. 산화프로필렌
     4. 사이클로프로판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에틸아민: 지방족 제1차 아민의 하나로 암모니아의 수소 1개를 에틸기로 치환한 것이다.
생선 썩는 냄새와 비슷한 냄새가 나며 고무의 가황촉진제의 원료, 선택성 용제, 의약 원료 등에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페닐 에필아민(PEA)]

7. 제2류 위험물에 해당하는 것은?(2018년 04월)
     1. 유황
     2. 질산칼륨
     3. 칼륨
     4. 톨루엔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1류 위험물(산화성고체) : 아연소산염류, 염소산염류, 브롬산염류, 과망간산염류, 요오드산염류, 중크롬산염류 등
2류 위험물(가연성고체) : 황화린, 적린, 유황, 철분, 금속분, 마그네슘, 인화성고체 등
3류 위험물(자연발화성물질 및 금수성물질) : 칼륨, 나트륨, 알킬알루미늄 황린, 알칼리토금속, 금속의수소화물, 금속의수소화물, 칼슘 등
4류 위험물(인화성액체) : 특수인화물 및 제1,2,3,4석유류(위발류,벤젠,롤루엔,아세톤.에탄올,등유,경유,초산,중유,글리세린,윤활유 등), 동식물유
5류 위험물(자기반응성물질) : 유기과산화물, 질산에스테르류, 니트로화합물, 아조화합물, 히드라진유도체, 히드록실아민
6류 위험물(산화성액체) : 과산화수소, 과염소산, 질산 등
[해설작성자 : 찰강냉이]

8. 유류 탱크의 화재 시 탱크 저부의 물이 뜨거운 열류층에 의하여 수증기로 변하면서 급작스런 부피 팽창을 일으켜 유류가 탱크 외부로 분출하는 현상은?(2018년 09월)
     1. 슬롭 오버(Slop Over)
     2. 블레비(BLEVE)
     3. 보일 오버(Boil Over)
     4. 파이어 볼(Fire Ball)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슬롭 오버: 화재시 물이 포함되어 있는 소화약제를 방사할 경우 물이 비등 기화하면서 탱크밖으로 비산 현상
2.블레비: 내부의 압력증가율이 큰 경우 용기가 파열되는 현상
4.파이어 볼: 거대한 화구를 형성하는 현상.
5.flash over : 실내화재가 에너지의 축적에 의해 급격히 확대되는 현상. 성장기에 발생.
5.프로스오버 : 화재가 아닌경우 탱크바닥에 있는 수분이 비등하면서 탱크밖으로 넘치는 현상.
[해설작성자 : 신도림]

[추가 해설]
프로스오버와 슬롭오버의 차이점
프로스오버:화재동반x
슬롭오버:화재동반함
[해설작성자 : 1989.6.4]

9. 단백포 소화약제의 특징이 아닌 것은?(2022년 03월)
     1. 내열성이 우수하다.
     2. 유류에 대한 유동성 이 나쁘다.
     3. 유류를 오염시킬 수 있다.
     4. 변질의 우려가 없어 저장 유효기간의 제한이 없다.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단백포 소화약제 특징
1. 포층이 장시간 유면에 남아있어 재 연소방지 효과가 우수하다.
2. 화재시 포가 잘 소면되지 않아 내열성이 우수하며 안정성이 높다.
3 유류에 대한 유동성이 나빠 유면에 덮는데 시간이 걸려 소화속도가 늦다.
4. 내유성이 약하다. 유류를 오염시킬 수 있다.
5. 변질, 부패의 우려가 있다. 경년기간이 짧아 장기저장이 불가하다.
[해설작성자 : 105파]

10.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지정된 동식물유류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8년 04월)
     1. 요오드가가 작을수록 자연발화의 위험성이 크다.
     2. 상온에서 모두 액체이다.
     3. 물에 불용성이지만 에테르 및 벤젠 등의 유기용매에는 잘 녹는다.
     4. 인화점은 1기압하에서 250℃ 미만이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요오드가 클수록 불포화도가 크므로 자연발화 위험성이 크다

11. 유류 저장탱크의 화재중 열류층(HEAT LAYER)을 형성, 화재의 진행과 더불어 열류층이 점차 탱크 바닥으로 도달해 탱크 저부에 물 또는 물기름 에멀젼이 수증기로 변해 부피팽창에 의하여 유류의 갑작스런 탱크 외부로의 분출을 발생시키면서 화재를 확대시키는 현상은?(2003년 08월)
     1. 보일오버(BOIL OVER)
     2. 스로프오버(SLOP OVER)
     3. 프로스오버(FROTH OVER)
     4. 프래시오버(FLASH OVER)

     정답 : []
     정답률 : 75%

12. 화재의 소화원리에 따른 소화방법의 적용이 잘못된 것은?(2009년 08월)
     1. 냉각소화 : 스프링클러설비
     2. 질식소화 : 이산화탄소소화설비
     3. 제거소화 : 포소화설비
     4. 억제소화 : 할로겐화합물소화설비

     정답 : []
     정답률 : 77%

13. Halon 1301 의 증기 비중은 약 얼마인가? (단, 원자량은 C 12, F 19, Br 80, Cl 35.5 이고, 공기의 평균분자량은 29 이다.)(2008년 05월)
     1. 4.14
     2. 5.14
     3. 6.14
     4. 7.14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1301이므로
C F3 Br
즉 12 +19*3+ 80=149
에서 29를 나눈다
[해설작성자 : 깡군]

14. 화재 발생시 인명을 구조하는 것으로서 직접 활용할 수 없는 것은?(2007년 03월)
     1. 무선통신보조설비
     2. 완강기
     3. 구조대
     4. 공기안전매트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무선통신보조설비(소화활동설비)

2,3,4(피난구조설비)
[해설작성자 : 권의훈]

15. 다음 중 공기에서의 연소범위를 기준으로 했을 때 위험도(H) 값이 가장 큰 것은?(2021년 09월)
     1. 디에틸에테르
     2. 수소
     3. 에틸렌
     4. 부탄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품명                연소 하한계    연소 상한계
디에틸에테르        1.9                 48         위험도 = (48-1.9)/1.9    = 24.26
수소                        4                 75            위험도 = (75-4)/4            = 17.75
에틸렌                 2.7                 36         위험도 = (36-2.7)/2.7    = 12.33
부탄                     1.8                8.4         위험도 = (8.4-1.8)/1.8 = 3.67
[해설작성자 : 소나무와별]

16. 소화효과를 고려하였을 경우 화재 시 사용할 수 있는 물질이 아닌 것은?(2020년 08월)
     1. 이산화탄소
     2. 아세틸렌
     3. Halon 1211
     4. Halon 1301

     정답 :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1. 이산화탄소 - 질식소화
2. 아세틸렌 - 가연성 가스로서 연소범위가 2.5~81%이다.
3. Halon1211 - 부촉매소화
4. Halon1301 - 부촉매소화
[해설작성자 : 하기 싫어]

17. 경유화재가 발생했을 때 주수소화가 오히려 위험할 수 있는 이유는?(2018년 09월)
     1. 경유는 물과 반응하여 유독가스를 발생하므로
     2. 경유의 연소열로 인하여 산소가 방출되어 연소를 돕기 때문에
     3. 경유는 물보다 비중이 가벼워 화재면의 확대 우려가 있으므로
     4. 경유가 연소할 때 수소가스를 발생하여 연소를 돕기 때문에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B급 화재인 유류 화재는 물과 섞이지 않으므로 위로 튀어올르수 있어 질식소화법이 가장 효과적임
[해설작성자 : 헌트pro]

18. "기체가 차지하는 부피는 압력에 반비례하며 절대온도에 비례한다."와 가장 관련이 있는 법칙은?(2004년 09월)
     1. 보일의 법칙
     2. 샤를의 법칙
     3. 보일-샤를의 법칙
     4. 주울의 법칙

     정답 : []
     정답률 : 67%

19. 건축물의 내화구조에서 바닥의 경우에는 철근콘크리트조의 두께가 몇 ㎝ 이상이어야 하는가?(2007년 09월)
     1. 7
     2. 10
     3. 12
     4. 15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내화구조의 기준
벽,바닥 : 철골,철근 콘크리트조로서 두께가 10cm이상인 것
기둥 : 철골을 두께 5cm이상의 콘크리트로 덮은 것
보 : 두께 5cm이상의 콘크리트로 덮은 것
[해설작성자 : 권의훈]

20. 다음 중 통신기기실, 박물관의 소화설비로 가장 적합한 것은?(2004년 03월)
     1. 할로겐화합물 소화설비
     2. 옥내소화전 설비
     3. 분말 소화설비
     4. 스프링클러 설비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물이나 분말로 소화시 소화후 장비의 손상 (젖음)으로 2차화재가 발생 하거나나 전시물의 손상을 초래하므로 가스 식 소화 장치를 사용함이 옳음.
[해설작성자 : 밥아저씨]

2과목 : 소방유체역학


21. 배연설비의 배관을 흐르는 공기의 유속을 피토정압관으로 측정할 때 정압단과 정체압단에 연결된 U자관의 수은 기둥 높이차가 0.03m 이었다. 이 때 공기의 속도는 약 몇 m/s 인가? (단, 공기의 비중은 0.00122, 수은의 비중 13.6이다.)(2016년 05월)
     1. 81
     2. 86
     3. 91
     4. 96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r1=공기=s1*rw
r2=수은=s2*rw
h2=0.03m
s=r1/r2

p=r1*h1=r2*h2
-> h1=334.426m

v=root(2*9.81*334.426)=81m/s
[해설작성자 : jg]

γa = 비중a x γw = 0.00122 x 9800[N/m3]
γh = 비중h x γw = 13.6 x 9800[N/m3]

높이h = 0.03[m] = P / γh = P / (13.6 x 9800[N/m3])
                                    P = 0.03[m] x (13.6 x 9800[N/m3]) = 3998.4[N/m2]

높이a = P / γa = 3998.4[N/m2] / (0.00122 x 9800[N/m3]) = 334.4262295[m]

속도a = √(2g x 높이a) = 80.98621619[m/s]
[해설작성자 : 나대로]

22. 지름 150 mm인 원관에 비중이 0.85, 동점성계수가 1.33×10-4 m2/s인 기름이 0.01 m3/s의 유량으로 흐르고 있다. 이 때 관마찰계수는 약 얼마인가?(2003년 08월)
     1. 0.1
     2. 0.12
     3. 0.14
     4. 0.16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Re=VD/v
f=64/Re
[해설작성자 : 2차중]

레이놀즈re = DV/동점성계수 u (D= 지름 v= 유속)
관마찰계수 F= 64/레이놀즈수 re    
유속 v = 4Q/파이xD 제곱    ( Q= 유량 D 제곱 = D에 2승)
[해설작성자 : 다보스]

23. 웨버수(Weber number)의 물리적 의미는?(2008년 03월)
     1. 관성력/압력
     2. 관성력/점성력
     3. 관성력/표면장력
     4. 관성력/탄성력

     정답 : []
     정답률 : 38%

24. 그림과 같이 비중이 0.8인 기름이 노즐로부터 분출하고 있다. 노즐 입구의 계기 압력이 P1= 686.5 kPa일 때, 노즐이 받는 힘은 몇 N 인가?(2003년 05월)

    

     1. 3496
     2. 1246
     3. 946
     4. 300

     정답 : []
     정답률 : 20%

25. 유동 단면이 30cm×40cm인 사각 덕트를 통하여 비중 0.86, 점성계수가 0.027kg/mㆍs인 기름이 2m/s의 유속으로 흐른다. 이 때 수력직경에 기초한 레이놀즈수는?(2010년 09월)
     1. 18670
     2. 21850
     3. 32150
     4. 33290

     정답 : []
     정답률 : 43%

26. 용기속의 물에 압력을 가했더니 물의 체적이 0.5% 감소하였다. 이 때 가해진 압력은 몇 Pa인가? (단, 물의 압축률은 5×10-10[1/Pa]이다.)(2008년 03월)
     1. 107
     2. 2×107
     3. 109
     4. 2×109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체적탄성계수 E = delta(P) / (delta(V) / V )
압축률 Beta = 1 / E
[해설작성자 : 박예삐]

27. 압력 200kPa, 온도 400K의 공기가 10m/s의 속도로 흐르는 지름 10cm의 원관이 지름 20cm인 원관이 연결된 다음 압력 180kPa, 온도 350K로 흐른다. 공기가 이상기체라면 정상 상태에서 지름 20cm인 원관에서의 공기의 속도 [m/s]는?(2015년 05월)
     1. 2.43
     2. 2.50
     3. 2.67
     4. 4.50

     정답 :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관경 변화에도 유량은 불변하는 그리고 압력과 온도에 따라 밀도가 변하는 성질을 이용해서,

P = ρRT 에서 ρ= P / RT
ρ1 =    P1 / (R x T1) = 200 / (R x 400) = 0.5 x 1/R
ρ2 =    P2 / (R x T2) = 180 / (R x 350) = 0.514285714 x 1/R = 1.028571429 x ρ1

중량 유량 Qg = ρ1 x g x A1 x u1 = ρ2 x g x A2 x u2 에서
u2 = ρ1 x g x A1 x u1 / (ρ2 x g x A2) 이고, g와 ρ1, 그리고 면적에서 π/4는 약분이 되므로
     = 0.1^2[m2] x 10[m/s] / (1.028571429 x 0.2^2)[m2]
     = 2.430555556[m/s]
[해설작성자 : 나대로]

28. 피토관으로 파이프 중심선에서 흐르는 물의 유속을 측정할 때 피토관의 액주높이가 5.2m, 정압튜브의 액주높이가 4.2m를 나타낸다면 유속(m/s)은? (단, 속도계수(Cv)는 0.97이다.)(2019년 09월)

    

     1. 4.3
     2. 3.5
     3. 2.8
     4. 1.9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0.97*√2*9.8*(5.2-4.2)
[해설작성자 : 김진성]

29. 압력 P1 = 100kPa, 온도 T1 = 300K, 체적 V1 = 1.0m3인 밀폐계(closed system)의 이상기체가 PV1.3 = 일정인 폴리트로픽 과정(polytropic process)을 거쳐 압력 P2 = 300kPa까지 압축된다면 최종상태의 온도 T2는 대략 얼마인가?(2010년 09월)
     1. 350K
     2. 390K
     3. 430K
     4. 470K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T2/T1= P2/P1 ^ N-1/N
X/300=300/100 ^ 0.3/1.3
X=1.28 X 300
= 386 ... 대략 390
[해설작성자 : 0현]

30. 그림과 같이 매우 큰 탱크에 연결된 길이 100m, 안지름 20cm인 원관에 부차적 손실계수가 5이 밸브 A가 부착되어 있다. 관 입구에서의 부차적 손실계수가 0.5, 관마찰계수는 0.02이고, 평균속도가 2m/s 일 때 물의 높이 H(m)는?(2020년 08월)

    

     1. 1.48
     2. 2.14
     3. 2.81
     4. 3.36

     정답 :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수정 베르누이 방정식
V1^1/2g+P1/r+Z1=V2^2/2g+P2/r+Z2+H

1) 속도수두 : V1<<<V2이므로, V1^2/2g=0
2) 압력수두 : P1과 P2는 대기압으로 압력이 같음.
3) 위치수두 : Z1-Z2=H

따라서, H=V2^2/2g+H

H= 직관에서의 마찰손실 + 밸브에서의 부차적손실 + 관입구에서의 부차적손실
[해설작성자 : 한라봉]

높이=속도수두+마찰손실수두
- 속도수두=V^2/2g=4/(2*9.8)=0.2m
- 마찰손실수두=flV^2/2gD
    (손실계수시 등가길이(l)=KD/f=(5.5*0.2)/0.02=55m이므로 전체길이는 155m)
    =(0.02*155*4)/(2*9.8*0.2)=3.16m
전체높이= 0.2+3.16=3.36m
[해설작성자 : 독봉산]

31. 지름 0.7m의 관 속에 5m/s의 평균속도로 물이 흐르고 있을 때 관의 길이 700m에 대한 마찰 손실수두는 약 몇 m 인가? (단, 관마찰계수는 0.03 이다.)(2013년 09월)
     1. 19
     2. 27
     3. 30
     4. 38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H=fLV^2/2gD
=0.03*700*5^2/2*9.8*0.7
=83.3
[해설작성자 : 열공]

[오류신고 반론]
위식대로 계산하면 38.26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2. 그림과 같은 수조에 0.3m ×1.0 m 크기의 사각 수문을 통하여 유출되는 유량은 몇 m3/s 인가? (단, 마찰손실은 무시하고 수조의 크기는 매우 크다고 가정한다.)(2016년 05월)

    

     1. 1.3
     2. 1.5
     3. 1.7
     4. 1.9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Q=AV
Q=A√2gH
Q=0.3*1*√2*9.8*1.3
=1.514
[해설작성자 : 김진성]

H값 1.3은 수면에서 수문 중심 까지의 거리입니다
0.8+0.5=1.3
(수문 높이 1M를 반으로 나눠서 0.5)
[해설작성자 : 스카이넷]

33. 수면의 높이가 h인 탱크의 바닥면에 위치한 오리피스에서 유출하는 물의 속도수두는?(Cv : 속도계수)(2004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28%

34. 다음 중 기체 유동의 국소 속도를 측정하는 것은?(2006년 03월)
     1. 위어
     2. 오리피스
     3. 연선 유속계
     4. 로터미터

     정답 : []
     정답률 : 37%

35. 이상기체의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3월)
     1. 분자 사이에 인력이 항상 작용한다.
     2. 분자 사이에 척력이 항상 작용한다.
     3. 분자가 충돌할 때 에너지의 손실이 있다.
     4. 분자 자신의 체적은 거의 무시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이상기체의 운동론
1.분자 자신의 체적을 거의 무시할 수 있다.
2.분자 상호간의 인력을 무시한다.
3.아보가도르 법칙을 만족하는 기체이다.
[해설작성자 : 권의훈]

36. 다음 중 점성계수의 차원은? (단, F는 힘, L은 길이, T는 시간의 차원이다.)(2006년 09월)
     1. FT-1L-2
     2. FT2L3
     3. FTL-2
     4. FTL-1

     정답 :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점성계수 단위 N.S/m2        
                 단위변환    kg*m/s2*S    / m2 = kg*m*s / m2 * s2 = kg / m.s
                 차원으로 표현하면 ML-1T-1    
답이 없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오류 아닙니다
M L^(-1)T^(-1)이 맞긴한데 그건 질량단위계이고
힘단위계로 나타내면 F= ma
즉 F= M L T^(-2)
이항하면 M = F L^(-1) T^2

처음식에 대입하면
F L^(-1) T^2 L ^(-1) T^(-1)이므로
F L^(-2) T 즉 3번이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깡군]

37. 유체의 압축률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2021년 05월)
     1. 압축률 = 밀도 × 체적탄성계수
     2. 압축률 = 1/체적탄성계수
     3. 압축률 = 밀도/체적탄성계수
     4. 압축률 = 체적탄성계수/밀도

     정답 : []
     정답률 : 68%

38. 원관 속을 층류상태로 흐르는 유체의 속도분포가 다음과 같을 때 관벽에서 30mm 떨어진 곳에서 유체의 속도기울기(속도구배)는 약 몇 s-1인가?(2022년 03월)

    

     1. 0.87
     2. 2.74
     3. 8.66
     4. 27.4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전단응력 t = µ (du/dy)
양변미분 du = 3/2 y^(-1/2) dy
미분된 식에 y = 0.03 대입
[해설작성자 : 쿠크오빠]

39. 합성 계면 활성제포의 고발포용 소화약제로 사용하는 3가지 종류가 아닌 것은?(2006년 05월)
     1. 1%형
     2. 1.5%형
     3. 2%형
     4. 2.5%형

     정답 : []
     정답률 : 37%

40. 유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9월)
     1. 실제유체는 유동할 때 마찰로 인한 손실이 생긴다.
     2. 이상유체는 높은 압력에서 밀도가 변화하는 유체이다.
     3. 유체에 압력을 가하면 체적이 줄어드는 유체는 압축성 유체이다.
     4. 전단력을 받았을 때 저항하지 못하고 연속적으로 변형하는 물질을 유체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이상유체 : 밀도가 변화하지 않는 유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과목 : 소방관계법규


41. 소방기본법에 규정한 한국소방안전협회의 회원이 될 수 없는 사람은?(2013년 06월)
     1. 소방관련 박사 또는 석사학위를 취득한 사람
     2. 소방공무원으로 3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
     3. 소방방재청장이 정하는 소방 관련학과를 졸업한 사람
     4. 소방설비기사 자격을 취득한 사람

     정답 : []
     정답률 : 52%

42. “무창층”이란 지상층 중 개구부의 면적의 합계가 당해 층의 바닥면적의 30분의 1 이하가 되는 층을 말한다. 다음 중 개구부의 요건으로 알맞은 것은?(2007년 09월)
     1. 해당 층의 바닥면으로부터 개구부 밑부분까지의 높이가 1.5m 이내일 것
     2. 개구부의 크기가 지름 50㎝ 이상의 원이 내접할 수 있을 것
     3. 개구부는 도로 또는 차량이 진입할 수 없는 빈터를 향할 것
     4. 내부 또는 외부에서 쉽게 파괴 또는 개방할 수 없을 것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가. 크기는 지름 50센티미터 이상의 원이 내접 할 수 있는 크기일 것
나. 해당 층의 바닥면으로부터 개구부 밑부분까지의 높이가 1.2미터 이내일 것
다. 도로 또는 차량이 진입할 수 있는 빈터를 향할 것
라. 화재 시 건축물로부터 쉽게 피난할 수 있도록 창살이나 그 밖의 장애물이 설치되지 아니할 것
마. 내부 또는 외부에서 쉽게 부수거나 열 수 있을 것
[해설작성자 : 111]

43. 특수가연물의 품명과 수량기준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2011년 06월)
     1. 면화류 - 200kg 이상
     2. 대팻밥 - 300kg 이상
     3. 가연성고체류 - 1000kg 이상
     4. 발포시킨 합성수지류 - 10m3 이상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 특수가연물의 종류 및 수량
- 면화류 : 200kg이상
- 나무껍질및 대팻밥 : 400kg이상
- 넝마 및 종이부스러기 : 1,000kg이상
- 사류 : 1,000kg이상
- 가연성고체류 : 3,000kg이상
- 석탄, 목탄류 : 10,000kg이상
- 가연성 액체류 : 2m3이상
- 목재가공품 및 나무부스러기류 : 10m3이상
- 합성수지류
1) 발포시킨것 : 20m3 이상
2) 그 밖의 것 : 3,000kg 이상
[해설작성자 : DoubleM]

44. 지정수량 미만인 위험물의 저장 또는 취급에 관한 기술상의 기준은 무엇으로 정하는가?(2017년 03월)
     1. 대통령령
     2. 총리령
     3. 국민안전처장관령
     4. 시∙도의 조례

     정답 : []
     정답률 : 63%

45.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소방안전관리자 업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4년 09월)
     1. 소방계획서의 작성 및 시행
     2. 화기 취급의 감독
     3. 소방용 기계·기구의 형식승인
     4. 피난시설, 방화구역 및 방화시설의 유지·관리

     정답 : []
     정답률 : 76%

46. 소방시설관리업의 기술인력으로 등록된 소방기술자는 실무교육을 몇 년마다 1회 이상 받아야 하며, 실무교육기관의 장은 교육일정 몇 일전까지 교육대상자에게 알려야하는가?(2014년 05월)
     1. 2년, 7일전
     2. 3년, 7일전
     3. 2년, 10일전
     4. 3년, 10일전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개정되서 2년30일입니다.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행인]

[오류신고 반론]
② 영 제20조제1항에 따라 소방기술자 실무교육에 관한 업무를 위탁받은 실무교육기관 또는 「소방기본법」 제40조에 따른 한국소방안전원의 장(이하 “실무교육기관등의 장”이라 한다)은 소방기술자에 대한 실무교육을 실시하려면 교육일정 등 교육에 필요한 계획을 수립하여 소방청장에게 보고한 후 교육 10일 전까지 교육대상자에게 알려야 한다.
[해설작성자 : 소방시설공사업법 시행규칙 26조 시행 21년7월13일 ]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실무교육통지
소방기술자 : 10일전
소방안전관리자 : 30일전
[해설작성자 : 3번 맞아용]

47.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서 규정하는 제3류 위험물의 품명에 속하는 것은?(2015년 03월)
     1. 나트륨
     2. 염소산염류
     3. 무기과산화물
     4. 유기과산화물

     정답 : []
     정답률 : 68%

48.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이 화재조사 결과 방화 또는 실화의 혐의가 있다고 인정하는 때 지체없이 그 사실을 알려야할 대상은?(2010년 03월)
     1. 시ㆍ도지사
     2. 검찰청장
     3. 소방방재청장
     4. 관할 경찰서장

     정답 : []
     정답률 : 54%

49. 관계인이 특정소방대상물에 대한 소방시설공사를 하고자 할 때 소방공사 감리자를 지정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는?(2014년 09월)
     1. 연면적 1000 m2 이상을 신축하는 특정소방대상물
     2. 용도 변경으로 인하여 비상방송설비를 추가적으로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
     3. 제연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
     4. 자동화재탐지설비를 설치하는 길이가 1000 m 이상인 지하구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공사업령 10조
소방공사감리자 지정대상 특정소방대상물의 범위
(1) 옥내소화전설비를 신설, 개설 또는 증설할 때
(2) 스프링클러설비 등(캐비닛형 간이스프링클러설비 제외)을 신설, 개설하거나 방호, 방수 구역을 증설할 때
(3) 물분무등소화설비(호스릴방식의 소화설비 제외)를 시선, 개설하거나 방호, 방수 구역을 증설할 때
(4) 옥외소화전설비를 신설,개설 또는 증설 할 때
(5) 자동화재탐지설비를 신설, 개설 또는 증설할 때
(6) 비상방송설비를 신설 또는 개설할 때
(7) 통합감시시설을 신설 또는 개설할 때
(8) 비상종명등을 신설 또는 개설할 때
(9) 소화용수설비를 신설 또는 개설할 때
(10) 다음의 소화활동설비에 대하여 시공을 할 때
ㄱ. 제연설비를 신설, 개설하거나 제연구역을 증설할 때
ㄴ. 연결송수관설비를 신설 또는 개설할 때
ㄷ. 연결살수설비를 신설, 개설하거나 송수구역을 증설할 때
ㄹ. 비상콘센트설비를 신설, 개설하거나 전용회로를 증설할 때
ㅁ. 무선통신보조설비를 신설 또는 개설할 때
ㅂ. 연소방지설비를 신설, 개설하거나 살수구역으 증설할 때
[해설작성자 : 네중]

50. 위험물 제조소에서 “위험물 제조소”라는 표시를 한 표지의 바탕색은?(2008년 05월)
     1. 청색
     2. 적색
     3. 흑색
     4. 백색

     정답 : []
     정답률 : 55%

51. 화재경계지구의 지정은 누가 하는가?(2004년 09월)
     1. 시· 도지사
     2. 소방안전기술위원회
     3. 의용소방대장
     4. 한국소방안전협회

     정답 : []
     정답률 : 73%

52. 소방대상물의 검사시 자료를 제출하지 않거나 허위자료를 제출한 자 또는 정당한 사유없이 관계공무원의 출입 또는 검사를 거부하거나 방해 또는 기피한 자의 벌칙에 해당하는 것은?(2003년 08월)
     1. 100만원이하의 벌금
     2. 200만원이하의 벌금
     3. 1년이하의 징역 또는 100만원이하의 벌금
     4. 1년이하의 징역 또는 200만원이하의 벌금

     정답 : []
     정답률 : 40%

53. 제4류 위험물로서 제1석유류인 수용성 액체의 지정수량은 몇 리터인가?(2011년 03월)
     1. 100
     2. 200
     3. 300
     4. 400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4류 인화성액체
1. 특수인화물 - 50L
2. 제1석유류
1) 비수용성액체 - 200L
2) 수용성액체 - 400L
3. 알코올류 - 400L
4. 제2석유류
1) 비수용성액체 - 1,000L
2) 수용성액체 - 2,000L
5. 제3석유류
1) 비수용성액체 - 2,000L
2) 수용성액체 - 4,000L
6. 제4석유류 - 6,000L
7. 동식물유류 - 10,000L
[해설작성자 : DoubleM]

54.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치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상 소방시설 등에 대한 자체점검 중 종합정밀점검 대상인 것은?(2020년 06월)
     1. 제연설비가 설치되지 않은 터널
     2.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된 연면적이 5,000m2이고 12층인 아파트
     3. 물분무등소화설비가 설치된 연면적이 5,000m2인 위험물 제조소
     4. 호스릴 방식의 물분무등소화설비만을 설치한 연면적 3,000m2인 특정소방대상물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종합정밀점검 점검대상

1.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된 특정소방대상물
2. 물분무 등 소화설비 : 연면적 5000m2이상 (호스릴 제외, 위험물제조소 등 제외)
3. 다중이용업의 영업장 : 연면적이 2000m2이상인 것
4. 제연설비가 설치된 터널
5. 공공기관 : 연면적이 1000m2이상인 것으로서 옥내소화전설비 또는 자동화재탐지설비가 설치된 것
[해설작성자 : 한라봉]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법 개정으로 스프링클러 설치된 대상물 면적,층 상관없이 종합정밀점검 대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 해당 문제는 종합정밀점검 대상의 기준을 선택하는 문제가 아니라 기준에 부합하는 답을 선택하는 문제임
    이러한 이유로 오류신고 내용은 삭제 필요
[해설작성자 : 두아들래미아빠]

55. 소방용품의 형식승인을 반드시 취소하여야 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2016년 10월)
     1. 거짓 또는 부정한 방법으로 형식승인을 받은 경우
     2. 시험시설의 시설기준에 미달되는 경우
     3. 거짓 또는 부정한 방법으로 제품검사를 받은 경우
     4. 변경승인을 받지 아니한 경우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보기 1 , 3 , 4 = 형식승인 취소
보기 2 = 제품검사 중지
[해설작성자 : pophc]

56. 소방특별조사에 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2014년 03월)
     1. 소방특별조사 업무를 수행하는 관계 공무원 및 관계 전문가는 그 권한을 표시하는 증표를 지니고 이를 관계인에게 내보여야 한다.
     2. 소방특별조사 시 관계인의 업무에 지장을 주지 아니하여야 하나 조사업무를 위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일정 부분 관계인의 업무를 중지시킬 수 있다.
     3. 조사업무를 수행하면서 취득한 자료나 알게 된 비밀을 다른 사람에게 제공 또는 누설하거나 목적 외의 용도로 사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4. 소방특별조사 업무를 수행하는 관계 공무원 및 관계 전문가를 관계인의 정당한 업무를 방해하여서는 아니 된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소방특별조사
(1)증표를 관계인에게 제시
(2)관계인의 업무방해 금지
(3)비밀유지

57. 화재를 진압하고 화재·재난·재해 그 밖의 위급한 상황에서의 구조·구급활동을 위하여 소방공무원, 의무소방원, 의용소방대원으로 구성된 조직체를 무엇이라 하는가?(2005년 03월)
     1. 구조구급대
     2. 의무소방대
     3. 소방대
     4. 의용소방대

     정답 : []
     정답률 : 55%

58.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하는 소방용품 중 경보설비를 구성하는 제품 또는 기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5년 03월)
     1. 비상조명등
     2. 누전경보기
     3. 발신기
     4. 감지기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소방용품제외 대상
주거용 주방 자동소화장치용 소화약제, 가스 자동소화장치용 소화약제, 비상종명등, 유도 표지, 피난밧줄, 방수구ㅡ 안전배트, 방수복 등등
[해설작성자 : 봉봉둥절]

59. 화재예방강화지구 안의 소방대상물에 대한 화재안전조사를 거부ㆍ방해 또는 기피한 자에 대한 벌칙은?(2021년 11월 30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2012년 09월)
     1. 100만원 이하의 벌금
     2. 200만원 이하의 벌금
     3. 300만원 이하의 벌금
     4. 500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화재경계지구 명칭은 법령 개정으로 화재예방강화지구로 변경되었습니다.
소방특별조사 또한 화재안전조사로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

화재의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 2022. 12. 1.] [법률 제18523호, 2021. 11. 30., 제정]
https://www.law.go.kr/법령/화재의예방및안전관리에관한법률
제정ㆍ개정이유 안의 내용입니다.

"화재경계지구"를 화재예방의 중요성을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화재예방강화지구"로 명칭을 변경하고, 시ㆍ도지사로 하여금 조례로 정하는 바에 따라 화재예방강화지구 안의 소방설비 등의 설치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함
"소방특별조사"를 조사의 목적이 분명히 드러날 수 있도록 "화재안전조사"로 명칭을 변경하고, 화재안전조사의 투명성 확보를 위하여 사전에 조사대상, 조사기간 및 조사사유 등을 관계인에게 통지하도록 하며, 화재안전조사를 실시한 경우 그 결과를 인터넷 홈페이지나 전산시스템 등에 공개할 수 있도록 함

화재의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 약칭: 화재예방법 )
[시행 2022. 12. 1.] [법률 제18523호, 2021. 11. 30., 제정]
제50조(벌칙)
③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3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제7조제1항에 따른 화재안전조사를 정당한 사유 없이 거부ㆍ방해 또는 기피한 자

제7조(화재안전조사) ① 소방관서장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화재안전조사를 실시할 수 있다. 다만, 개인의 주거(실제 주거용도로 사용되는 경우에 한정한다)에 대한 화재안전조사는 관계인의 승낙이 있거나 화재발생의 우려가 뚜렷하여 긴급한 필요가 있는 때에 한정한다.
1.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2조에 따른 자체점검이 불성실하거나 불완전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화재예방강화지구 등 법령에서 화재안전조사를 하도록 규정되어 있는 경우
3. 화재예방안전진단이 불성실하거나 불완전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4. 국가적 행사 등 주요 행사가 개최되는 장소 및 그 주변의 관계 지역에 대하여 소방안전관리 실태를 조사할 필요가 있는 경우
5. 화재가 자주 발생하였거나 발생할 우려가 뚜렷한 곳에 대한 조사가 필요한 경우
6. 재난예측정보, 기상예보 등을 분석한 결과 소방대상물에 화재의 발생 위험이 크다고 판단되는 경우
7. 제1호부터 제6호까지에서 규정한 경우 외에 화재, 그 밖의 긴급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인명 또는 재산 피해의 우려가 현저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화재예방법 제7조 제1항에 따라 화재예방강화지구 안의 소방대상물은 화재안전조사를 해야합니다.
같은 법령 제50조에 따라 화재안전조사를 거부ㆍ방해 또는 기피한 자는 300만원 이하의 벌금에 해당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몽몽]

60. 우수품질인증을 받지 아니한 제품에 우수품질 인증 표시를 하거나 우수품질인증 표시를 위조 또는 변조하여 사용한 자에 대한 벌칙기준은?(2018년 06월 27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2017년 03월)
     1. 300만원 이하의 벌금
     2. 500만원 이하의 벌금
     3. 1000만원 이하의 벌금
     4. 1500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2018년 06월 27일 개정된 규정]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 제40조제1항에 따른 우수품질인증을 받지 아니한 제품에 우수품질인증 표시를 하거나 우수품질인증 표시를 위조하거나 변조하여 사용한 자

61. 연결살수설비 전용헤드의 경우 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헤드까지 수평거리는?(2012년 03월)
     1. 2.3m 이하
     2. 2.5m 이하
     3. 3.2m 이하
     4. 3.7m 이하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전용해드 : 3.7m 이하
스프링클러헤드 : 2.3m 이하
[해설작성자 : taelee]

62. 청정소화약제 소화설비의 수동식 기동장치의 설치기준 중 틀린 것은?(2016년 10월)
     1. 5kg 이상의 힘을 가하여 기동할 수 있는 구조로 할 것
     2. 전기를 사용하는 기동장치에는 전원표시등을 설치할 것
     3. 기동장치의 방출용 스위치는 음향경보장치와 연동하여 조작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4. 해당 방호구역의 출입구부근 등 조작을 하는자가 쉽게 피난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할 것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 수동식 기동장치는 다음 각 목의 기준에 따라 설치할 것 이 경우 수동식 기동장치의 부근에는 소화약제의 방출을 지연시킬 수 있는 비상스위치(자동복귀형 스위치로서 수동식 기동장치의 타이머를 순간 정치시키는 기능의 스위치를 말한다)를 설치하여야 한다.
        가. 방호구역마다 설치
        나. 해당 방호구역의 출입구부근 등 조작을 하는 자가 쉽게 피난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할 것<개정 2012.8.20.>
        다. 기동장치의 조작부는 바닥으로부터 0.8m 이상 1.5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하고, 보호판 등에 따른 보호장치를 설치할 것
        라. 기동장치에는 가깝고 보기 쉬운 곳에 "청정소화약제소화설비 기동장치"라는 표지를 할 것
        마. 전기를 사용하는 기동장치에는 전원표시등을 설치할 것
        바. 기동장치의 방출용스위치는 음향경보장치와 연동하여 조작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사. 5kg 이하의 힘을 가하여 기동할 수 있는 구조로 설치
    2. 자동식 기동장치는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의 작동과 연동하는 것으로서 다음 각 목의 기준에 따라 설치할 것.
        가. 자동식 기동장치에는 제1호의 기준에 따른 수동식 기동장치를 함께    치할 것
        나. 기계식, 전기식 또는 가스압력식에 따른 방법으로 기동하는 구조로 설치할 것
    3. 청정소화약제소화설비가 설치된 구역의 출입구에는 소화약제가 방출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표시등을 설치할 것
[해설작성자 : 건국이엔아이]

63. 물분무소화설비의 자동식 기동장치 내용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2014년 05월)
     1.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 작동 시 연동하여 경보를 발한다.
     2.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의 개방과 연동하여 경보를 발한다.
     3. 가압송수장치의 기동과 연동하여 경보를 발한다.
     4. 가압송수장치 및 자동개방밸브를 기동할 수 있어야한다.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물분무소화설비의 자동식 기동장치는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 작동 또는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의 개방과 연동하여 경보를 발하고,
가압송수장치 및 자동개방밸브를 기동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다만,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수신기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에 상시 사람이 근무하고,
화재시 물분무소화설비를 즉시 작동가능한 경우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해설작성자 : 소방류찌]

64. 옥내소화전설비 배관과 배관이음쇠의 설치기준중 배관 내 사용압력이 1.2MPa 미만일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 아닌 것은?(2017년 09월)
     1. 배관용탄소강관(KS D 3507)
     2. 배관용 스테인리스강관(KS D 3576)
     3. 덕타일 주철관(KS D 4311)
     4. 배관용 아크용접 탄소강강관(KS D 3583)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1.2mpa 이상일때 압력배관용 탄소강관(KSD3562), 배관용 아크용접 탄소강관(KSD 3583)을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정준회]

65. 다음은 연결송수관 설비의 배관에 관하여 설명한 것이다. 옳은 것은?(2005년 09월)
     1. 물분무 소화설비의 배관과 겸용하여서는 안된다.
     2. 지상 11층 이상의 건물에는 반드시 습식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3. 지면으로 부터의 건물 높이가 30m 이상인 경우에는 반드시 습식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4. 지상 10m 이하의 건물에는 주배관을 65mm로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38%

66. 5층 건물에 옥내소화전이 1층에 3개, 2층 이상에 각각 2개씩 총 11가 설치 되었을 경우, 수원의 수량 선출방법으로 옳은 것은?(2021년 04월 01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2007년 03월)
     1. 3개 × 2.6m3 = 7.8m3
     2. 2개 × 2.6m3 = 5.2m3
     3. 11개 × 2.6m3 = 28.6m3
     4. 5개 × 2.6m3 = 13.0m3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2021년 04월 01일 개정된 규정]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제4조(수원) ① 옥내소화전설비의 수원은 그 저수량이 옥내소화전의 설치개수가 가장 많은 층의 설치개수(2개 이상 설치된 경우에는 2개)에 2.6m^3(호스릴옥내소화전설비를 포함한다)를 곱한 양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개정 2021. 4. 1.>
위 법령과 같이 최대 기준개수가 2개로 변경되었기 때문에 2.6 * 2 를 하여 5.2가 정답이 됩니다.

67. 피난기구의 화재안전기준상 근린생활시설 지하층에 적응성이 있는 피난기구는? (단, 근린생활시설 중 입원실이 있는 의원·접골원·조산원에 한한다.)(2022년 04월)
     1. 피난용트랩
     2. 미끄럼대
     3. 구조대
     4. 피난교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지하층 설치장소별 피난기구 적응성
의료시설 노유자시설 입원실 있는 의원 산후조리원 접골원 : 피난용트랩
그 외 : 피난사다리 피난용트랩
[해설작성자 : 소방시설관리사이웃]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질문에 지하층이 아니라 4층 인거 같아요

[추가 오류 신고]
질문내용 지하층이아니라 3층으로 바뀌어야 할거같아요
[해설작성자 : 겨울왕]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1번이네요.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68.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상 차압 등에 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2022년 03월)
     1. 제연설비가 가동되었을 경우 출입문의 개방에 필요한 힘은 150N 이하로 하여야 한다.
     2. 제연구역과 옥내와의 사이에 유지하여야 하는 최소차압은 옥내에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된 경우에는 40Pa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3. 계단실과 부속실을 동시에 제연하는 경우 부속실의 기압은 계단실과 같게 하거나 계단실의 기압보다 낮게 할 경우에는 부속실과 계단실의 압력차이는 3Pa 이하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4. 피난을 위하여 제연구역의 출입문이 일시적으로 개방되는 경우 개방되지 아니하는 제연구역과 옥내와의 차압은 기준에 따른 차압은 기준에 따른 차압의 70% 미만이 되어서는 아니 된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1) 출입문의 개방에 필요한 힘은 110N 이하
2) 제연구역과 옥내와의 유지해야하는 압력차는 40Pa 이하가 맞지만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된 경우에는 12.5pa 이하이다.
3) 계단실과 부속실의 압력차는 5pa 이하로 한다.
4) 피난을 위해 제연구역의 문을 일시적으로 개방할 때 개방하지 않는 제연구역과 옥내와의 차압은 기준 차압의 70% 미만이 되어서는 안된다

! 계단실과 부속실을 동시 제연 또는 계단실만 제연하는 경우의 방연풍속은 0.5m/s
! 부속실만 제연하는 경우는 0.7m/s 이다.
[해설작성자 : 와수베가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문제해설에 2번에
압력차는 40Pa 이하가 맞지만,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된 경우에는 12.5pa 이하이다.(X)
압력차는 40Pa 이상이 맞지만,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된 경우에는 12.5pa 이상이다.(O)
[해설작성자 : 땡이]

69. 분말 소화설비의 가압용 가스로 질소가스를 사용하는 것에 있어서 소화약제가 25kg이라면 이에 필요한 질소가스의 양은 최소 몇 L 정도인가? (단, 35℃에서 1기압의 압력상태로 환산한다.)(2007년 03월)
     1. 800
     2. 1000
     3. 1200
     4. 1400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가압 질소 40L/1kg
,40x25=1000
[해설작성자 : 훌라]

70.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의 화재안전기준상 규정하는 화재의 종류가 아닌 것은?(2021년 03월)
     1. A급 화재
     2. B급 화재
     3. G급 화재
     4. K급 화재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A: 일반, B: 유류, C: 전기, D: 금속, K: 주방 화재
[해설작성자 : 기다리바]

71.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에 따라 옥내소화전 방수구를 반드시 설치하여야 하는 곳은?(2020년 09월)
     1. 식물원
     2. 수족관
     3. 수영장의 관람석
     4. 냉장창고 중 온도가 영하인 냉장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제11조(방수구의 설치 제외)
    1. 냉장창고 중 온도가 영하인 냉장실 또는 냉동창고의 냉동실 <개정 2013. 6. 10.>
    2. 고온의 노(爐)가 설치된 장소 또는 물과 격렬하게 반응하는 물품의 저장 또는 취급 장소
    3. 발전소ㆍ변전소 등으로서 전기시설이 설치된 장소
    4. 식물원ㆍ수족관ㆍ목욕실ㆍ수영장(관람석 부분을 제외한다) 또는 그 밖의 이와 비슷한 장소
    5. 야외음악당ㆍ야외극장 또는 그 밖의 이와 비슷한 장소

출제 당시 기준상 3번이 정답이었으나, 2022년 11월 아래와 같이 개정 됨.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102)

제11조(방수구의 설치 제외) 불연재료로 된 특정소방대상물 또는 그 부분으로서 옥내소화전설비 작동 시 소화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장소이거나 2차 피해가 예상되는 장소 또는 화재발생 위험이 적은 장소에는 옥내소화전 방수구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해설작성자 : OILIEI]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72. 포 소화약제의 혼합장치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18년 04월)
     1. 라인 푸로포셔너방식 이란 펌프의 토출관과 흡입관 사이의 배관 도중에 설치한 흡입기에 펌프에서 토출된 물의 일부를 보내고, 농도 조절밸브에서 조정된 포 소화약제의 필요량을 포 소화약제 탱크에서 펌프 흡입측으로 보내어 이를 혼합하는 방식을 말한다.
     2. 프레져사이드 푸로포셔너방식 이란 펌프의 토출관에 압입기를 설치하여 포 소화약제 압입용펌프로 포 소화약제를 압입시켜 혼합하는 방식을 말한다.
     3. 프레져 푸로포셔너방식 이란 펌프와 발포기 중간에 설치된 벤추리관의 벤추리작용에 따라 포 소화약제를 흡입·혼합하는 방식을 말한다.
     4. 펌프 푸로포셔너방식 이란 펌프와 발포기의 중간에 설치된 벤추리관의 벤추리작용과 펌프 가압수의 포 소화약제 저장탱크에 대한 압력에 따라 포 소화약제를 흡입·혼합하는 방식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펌프 프로포셔너방식
펌프의 토출관과 흡입관 사이의 배관 도중에 설치한 흡입기에 펌프에서 토출된 물의 일부를 보내고 농도조절밸브에서 조정된 포소화약제의 필요량을 포소화약제탱크에서 펌프 흡입측으로 보내어 약제를 혼합하는 방식

라인 프로포셔너방식
펌프와 발포기의 중간에 설치된 벤투리관의 벤투리작용에 따라 포소화약제를 흡입,혼합하는 방식

프레셔 프로포셔너방식
펌프와 발포기의 중간에 설치된 벤투리관의 벤투리작용과 펌프가압수의 포소화약제 저장탱크에 대한 압력에 따라 흡입, 혼합하는 방식

프레셔사이드 프로포셔너방식
펌프의 토출관에 압입기를 설치하여 포소화약제 압입용 펌프로 포소화약제를 압입시켜 혼합하는 방식
[해설작성자 : 김도현]

73. 일정 이상의 층수를 가진 오피스텔에서는 모든 층에 주거용 주방자동소화장치를 설치해야 하는데, 몇 층 이상인 경우 이러한 조치를 취해야 하는가?(2023년 03월 07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2019년 03월)
     1. 20층 이상
     2. 25층 이상
     3. 30층 이상
     4. 모든 곳(층수와 무관)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기존 해설[
주거용 주방자동소화장치
1. 아파트 등(주택으로 쓰이는 층수가 5층 이상인 주택)
2. 30층 이상 오피스텔의 모든 층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개정된 해설]
[2023년 03월 07일 개정된 규정]
소방시설법 시행령 별표 4(소화설비의 설치대상)에 의하여
주거용 주방자동소화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는데 오피스텔은 층수무관하게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74.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에 따른 건축물에 설치하는 연결살수설비의 헤드에 대한 기준 중 다음 ( ) 안에 알맞은 것은?(2020년 06월)

    

     1. ㉠ 3.7, ㉡ 2.3, ㉢ 2.1
     2. ㉠ 3.7, ㉡ 2.3, ㉢ 2.3
     3. ㉠ 2.3, ㉡ 3.7, ㉢ 2.3
     4. ㉠ 2.3, ㉡ 3.7, ㉢ 2.1

     정답 : []
     정답률 : 68%

75. 층고가 12미터인 6층 무대부에 3개 회로로 분기하여 개방형 스프링쿨러 헤드를 각 회로당 20개씩 설치하였을 경우에 소요되는 펌프의 분당 토출량 및 수원의 량은 얼마 이상이여야 하는가?(2006년 03월)
     1. 1600리터, 32.0m3
     2. 3200리터, 32.0m3
     3. 3200리터, 48.0m3
     4. 1600리터, 48.0m3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개방형 스프링클러헤드를 사용하는 경우 최대 방호구역에 설치하는 스프링클러헤드 개수가 30개를 초과하는 경우 산출된 가압송수장치의 1분당 송수량 x 20
1600리터 x 20 = 32000리터 = 32m3
[해설작성자 : ehdaud0721]

76. 개방형헤드를 사용하는 연결살수설비에서 하나의 송수구역에 설치하는 살수헤드의 최대 개수는?(2016년 05월)
     1. 10
     2. 15
     3. 20
     4. 30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503) [시행 2022. 12. 1.]
2.1.4 개방형헤드를 사용하는 연결살수설비에 있어서 하나의 송수구역에 설치하는 살수헤드의 수는 10개 이하가 되도록 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7. 분말소화설비에 대한 기준 중 맞는 것은?(2013년 06월)
     1. 축압식의 경우 20℃에서 압력이 2.5MPa 이상 4.2MPa 이하인 것에 있어서는 압력배관용 탄소강관 중 이음이 없는 Sch 80 이상을 사용한다.
     2. 동관의 경우 최고사용압력의 1.8배 이상의 압력에 견딜수 있어야 한다.
     3. 기동장치의 조작부는 바닥으로부터 높이 0.5m 이상 1.5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하고, 보호판 등에 따른 보호장치를 설치한다.
     4. 저장용기의 충전비는 0.8 이상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2. 강관을 사용하는 경우의 배관은 아연도금에 따른 배관용탄소강관(KS D 3507)이나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내식성 및 내열성을 가진 것으로 할 것. 다만, 축압식분말소화설비에 사용하는 것 중 20 ℃에서 압력이 2.5 ㎫ 이상 4.2 ㎫ 이하인 것은 압력배관용탄소강관(KS D 3562)중 이음이 없는 스케줄 40 이상의 것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를 가진 것으로서 아연도금으로 방식처리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3. 동관을 사용하는 경우의 배관은 고정압력 또는 최고사용압력의 1.5배 이상의 압력에 견딜 수 있는 것을 사용할 것
3. 기동장치의 조작부는 바닥으로부터 높이 0.8m 이상 1.5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하고, 보호판 등에 따른 보호장치를 설치할 것
[해설작성자 : 마커맨]

78. 양정이 60m, 토출량이 분당 1,200ℓ , 효율이 58%인 스프링클러 설비용 펌프에 전동기를 직결방식으로 설치할 경우의 전동기의 용량은 얼마인가? (단, 전달계수는 1.1)(2003년 08월)
     1. 21.3㎾
     2. 22.3㎾
     3. 24.3㎾
     4. 20.3㎾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rQH/효율 * K
[해설작성자 : 게으름뱅이]

79. 포소화설비에서 펌프의 토출관에 압입기를 설치하여 포 소화약제 압입용 펌프로 포소화약제를 압입시켜 혼합하는 방식은?(2019년 03월)
     1. 라인 프로포셔너방식
     2. 펌프 프로포셔너방식
     3. 프레져 프로포셔너방식
     4. 프레져사이드 프로포셔너방식

     정답 : []
     정답률 : 82%

80. 분말소화약제 중 일반화재에도 적응성이 있는 인산염을 주성분으로 사용하는 약제는 몇 종 소화약제인가?(2008년 05월)
     1. 제 1종 분말
     2. 제 2종 분말
     3. 제 3종 분말
     4. 제 4종 분말

     정답 : []
     정답률 : 69%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소방설비기사(기계분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4793636)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3 9급 국가직 공무원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3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0
402 건설기계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1488712) 좋은아빠되기 2025.11.22 2
401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물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6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2
400 환경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1월24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399 9급 국가직 공무원 공직선거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7월1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 소방설비기사(기계분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4793636)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397 경비지도사 2차(범죄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11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3
396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식용작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5542648)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395 9급 지방직 공무원 수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3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394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회계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393 9급 국가직 공무원 정보시스템보안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2063495) 좋은아빠되기 2025.11.22 2
392 일반기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9월2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391 전자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390 통신설비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3월1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389 생물분류기사(동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9월1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388 9급 지방직 공무원 지적측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5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387 청소년상담사 1급(1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3월2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386 비서 3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5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385 방수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8월1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384 지적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4월03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Board Pagination Prev 1 ...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 337 Next
/ 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