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해양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464953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해양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해양학개론


1. 어느 하수천에 많은 양의 용존 유기물과 Fe가 존재한다. 이 하천수가 estuary를 지나면서 볼 수 있는 용존 유기 물질과 Fe의 변화는?(2003년 05월)
     1. Fe의 증가 및 용존 유기물질의 감소
     2. Fe의 증가 및 용존 유기물질의 증가
     3. Fe의 감소 및 용존 유기물질의 감소
     4. Fe의 감소 및 용존 유기물질의 불변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어귀를 지나가는 것이기 때문에 둘다 감소한다.
[해설작성자 : 상병]

2. 북태평양에서 해무의 발생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기상요인은?(2020년 06월)
     1. 북서풍
     2. 편서풍
     3. 북태평양 고기압
     4. 북태평양 저기압

     정답 : []
     정답률 : 76%

3. 대양저산맥(mid-oceanic ridge)은 어원 그대로 대양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다음 중 중심부에 대양 저산맥이 위치하지 않는 바다는?(2017년 05월)
     1. 대서양
     2. 인도양
     3. 태평양
     4. 모두 중심부에 위치함

     정답 : []
     정답률 : 83%

4. 다음 중 해수중의 체류시간이 가장 긴 것은?(2018년 04월)
     1. Co2+
     2. Mn2+
     3. Na+
     4. Fe(OH)2-

     정답 : []
     정답률 : 88%

5. 북회귀선에서 적도근처까지의 해면을 서류하는 우세한 난류는?(2005년 05월)
     1. 북적도 해류
     2. 남적도 해류
     3. 아라스카 해류
     4. 적도 반류

     정답 : []
     정답률 : 88%

6. 심해퇴적물 중 제오라이트(zeolite)의 기원은?(2012년 05월)
     1. 생물
     2. 우주
     3. 화산
     4. 풍성

     정답 : []
     정답률 : 65%

7. 지형류(geostrophic current)란 다음 중 어느 힘들 사이에서 평형이 되었을 때 나타나는가?(2007년 05월)
     1. Coriolis힘과 압력경도력
     2. Coriolis힘과 바람응력
     3. Coriolis힘, 압력경도력 및 바람응력
     4. 압력경도력과 바람응력

     정답 : []
     정답률 : 84%

8. 대서양형 대륙주변부의 해저지형으로서 가장 수가 많고, 많이 발달한 것은?(2007년 05월)
     1. 대륙붕 수로
     2. 삼각주 전면계곡
     3. 해저협곡
     4. 심해저 수로

     정답 : []
     정답률 : 79%

9. 관성원의 반경(r)은? (단, ρ는 위도, C는 접선속도, ω는 지구자전의 각속도이다.)(2007년 05월)
     1. r=2Cωcosρ
     2. r=C/2ωsinρ
     3. r=2Cωsinρ
     4. r=C/2ωcosρ

     정답 : []
     정답률 : 65%

10. 해양에서 심층순환의 원인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두 가지 사항을 바르게 묶은 것은?(2013년 06월)
     1. 이유와 분자확산
     2. 해류와 와동확산
     3. 해류와 분자확산
     4. 이류와 와동확산

     정답 : []
     정답률 : 84%

11. 해양의 표면염분 분포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2019년 04월)
     1. 바람분포
     2. 수온분포
     3. 심층해류
     4. 증발-강수량의 차

     정답 : []
     정답률 : 95%

12. 다음 중 대서양형 대륙주변부의 특징을 나타내는 것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2003년 05월)
     1. divergent
     2. Seismic
     3. Passive
     4. not a plate boundary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대서양형 대륙주변부는 대륙열개와 해저확장으로 형성된 대륙과 해양지강의 경계부이므로, 넓게 발단된 대륙붕과 대륙사면 및 대륙대로 이루어져있기떄문에 지진이나 화산활동이 적다.다른이름으론 수동형 대륙주변부라고도 한다.
그러므로 1.갈라진 2.지진 3.수동적 4.판의 경계가 아니다.중에 정답은 2.지진이다.
[해설작성자 : 상병]

13. 적색 점토(red clay)가 가장 풍부하게 분포된 곳은?(2021년 05월)
     1. 인도양
     2. 지중해
     3. 남대서양
     4. 북태평양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중국 황허강에서 유입되는 석회성분으로 인하여 적색 혹은 갈색의 연니가 쌓이게 되고 심해에서는 높은 수압으로 인해 석회성분이 용식되어 발견되지않고 지표에서 흘러들어온 적색 점토만이 쌓이게 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적색 점토는 북태평양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며, 북태평양 바닷가에서 출렁거리는 물결 소리 때문에 "적매립(red mud)"이라고도 불립니다. 인도양과 지중해, 남대서양도 적색 점토의 분포 지역 중 하나이지만, 북태평양에 비해 풍부하지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슈멋]

14. 취송류에서 해면의 유향과 정반대의 유향이 되고 해면 유속의 약 4% 정도의 유속으로 감소되는 심도는?(2004년 05월)
     1. 역학심도
     2. 마찰심도
     3. 무류면
     4. 보상심도

     정답 : []
     정답률 : 79%

15. 지각에 분포하는 광물의 큐리온도(Curie point)는 대략 어느 정도인가?(2019년 04월)
     1. 250 ~ 450℃
     2. 450 ~ 600℃
     3. 600 ~ 750℃
     4. 1000℃ 이상

     정답 : []
     정답률 : 86%

16. 판구조론에서 말하는 판(plate)의 평균두께로 가장 적합한 것은?(2022년 04월)
     1. 10 ~ 50 km
     2. 100 ~ 150 km
     3. 400 ~ 500 km
     4. 800 ~ 1000 km

     정답 : []
     정답률 : 85%

17. 쇄설자원 중 중광물이 주로 퇴적되는 곳은?(2007년 05월)
     1. 해빈퇴적층
     2. 심해 퇴적층
     3. 대양저 산맥
     4. 해구

     정답 : []
     정답률 : 59%

18. 해수 중 인산염 농도변화를 설명한 내용 중 잘못된 것은?(2009년 05월)
     1. 겨울철에 높은 농도를 보인다.
     2. 봄철에 낮은 농도를 보인다.
     3. 하루 중 해뜨기 직전에 최소 농도를 보인다.
     4. 식물의 활동이 왕성한 시간에 최소 농도를 보인다.

     정답 : []
     정답률 : 75%

19. 심층류의 주 원인은?(2007년 05월)
     1. 해수의 밀도차
     2. 바람
     3. 조석력
     4. 심해파

     정답 : []
     정답률 : 85%

20. 저탁류를 3등분(머리-몸통-꼬리) 했을 때 어느 곳의 속도가 가장 빠른가?(2019년 04월)
     1. 머리
     2. 몸통
     3. 꼬리
     4. 전부 동일

     정답 : []
     정답률 : 86%

2과목 : 해양생태학


21. 다음 그림은 수심에 따른 광합성량과 호흡량의 변화곡선이다. 보상점(Compensation point)의 수심은?(2006년 05월)

    

     1. 20m
     2. 30m
     3. 50m
     4. 80m

     정답 : []
     정답률 : 90%

22. 다음 동물중 미색동물(Urochordata)에 속하지 않는 것은?(2003년 05월)
     1. 우렁쉥이
     2. Oikopleura
     3. Salpa
     4. Jellyfish

     정답 : []
     정답률 : 73%

23. PSP(Paralytic Shellfish Posion, 마비성패독류)의 주된 원인 생물은?(2006년 05월)
     1. 남조류
     2. 규조류
     3. 와편모조류
     4. 갈조류

     정답 : []
     정답률 : 88%

24. 일반적으로 강의 하구역(Estuary)에서 우점하는 해조류는?(2013년 06월)
     1. 녹조류
     2. 갈조류
     3. 홍조류
     4. 황색편모류

     정답 : []
     정답률 : 88%

25. 질소 고정능력은 영양염이 부족한 외양에서 새로운 질소 영양염 공급원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되는데 원핵세포로 이루어져 질소고정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부유생물군은 무엇인가?(2016년 05월)
     1. 규조류
     2. 와편모조류
     3. 코콜리소포
     4. 남조류

     정답 : []
     정답률 : 75%

26. 해양의 일차생산력을 구하는 측정 방법이 아닌 것은?(2016년 05월)
     1. 명압병 측정법
     2. C-14 측정법
     3. 부유식물 현존량 변화 측정법
     4. 보상수심측정법

     정답 : []
     정답률 : 76%

27. 대형 갈조류의 서식 요건이 아닌 것은?(2019년 04월)
     1. 단단한 기저부
     2. 맑은 물
     3. 높은 수온
     4. 풍부한 영양염

     정답 : []
     정답률 : 77%

28. 바다에서 영양염의 주된 공급원이 아닌 것은?(2005년 05월)
     1. 수층의 수직혼합
     2. 용승
     3. 육수의 유입
     4. 강우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4. 강우(X)
: 강우는 육지에 쌓인 영양염을 씻어내어 강, 하천을 통해 바다로 공급하는 간적적인 역할을 한다.
다른 공급원에 비해 영향이 크지 않다.
[해설작성자 : 은디빵야]

29. 조간대 생물의 대상분포(Zonation)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아닌 것은?(2003년 05월)
     1. 밀물과 썰물의 조석차
     2. 조석에 의한 간출시간
     3. 종간의 경쟁 및 포식작용
     4. 해수의 수온 및 염분

     정답 : []
     정답률 : 69%

30. 기초생산의 보상점에서 일어나는 현상은?(2009년 05월)
     1. 총호흡량은 총생산량보다 크다.
     2. 총호흡량과 총생산량은 같다.
     3. 총호흡량은 총생산량보다 작다.
     4. 총호흡량과 총소비량이 같다.

     정답 : []
     정답률 : 83%

31. 해양 포유동물이 오랫동안 잠수해 있기 위한 산소 공급 기작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5월)
     1. 많은 해양 포유동물은 육상동물보다 더 높은 혈액체적을 보유한다.
     2. 해양 포유동물은 단위 혈액 체적 당 더 높은 산소량을 보유한다.
     3. 해양 포유동물의 잠수기간 동안 순환계는 여러 기관으로의 혈액공급을 차단한다.
     4. 해양 포유동물은 잠수기간 동안 심장박동을 늘인다.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해양 포유동물은 잠수 시 심장박동수를 낮추고 혈액순환을 제한하여 산소소비를 줄이는 등의 대처를 하기 때문에 심장박동수를 늘이지 않습니다. 이는 잠수기간을 연장하고, 에너지를 절약하여 생존확률을 높이는데 도움을 줍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2. 정체수면의 부영양화 진행 과정이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된 것은?(2013년 06월)
     1. 오염증가기 → 조류번성기 → 호기성분해기 → 혐기성분해기
     2. 조류번성기 → 오염증가기 → 호기성분해기 → 혐기성분해기
     3. 조류변성기 → 오염증가기 → 혐기성분해기 → 호기성분해기
     4. 오염증가기 → 호기성분해기 → 조류번성기 → 혐기성분해기

     정답 : []
     정답률 : 85%

33. 수력학적인 조건이 약한 곳에서의 조하대 연성 저질 저서동물 군집과 관련된 특성을 옳게 설명한 것은?(2009년 05월)
     1. 현탁물식자가 우세하다.
     2. 퇴적물식자가 우세하다.
     3. 퇴적물은 펄의 함량이 낮다.
     4. 퇴적물 내의 유기물 함량이 낮다.

     정답 : []
     정답률 : 74%

34. 대양의 심층부에 언제나 생물의 생존에 충분한 산소가 용존(흑해 제외)되어 있는 주된 이유는?(2021년 05월)
     1. 생물군의 밀도가 적어 산소의 소모가 적기 때문이다.
     2. 심해일지라도 해류의 수직이동에 의해 충분한 산소가 공급되고 있기 때문이다.
     3. 심해는 항상 온도가 낮으므로 산소 수중용해도가 높기 때문이다.
     4. 한대지방에서 침전된 산소의 함량이 높은 해류가 전대양의 심층부로 흐르고 있기 때문이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대서양에서는 북극의 미크론 해류(Mid-Ocean Ridge)에서 지속적으로 산소가 방출되고, 이러한 해류가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여 대양의 심층부에 충분한 산소가 용존되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jh]

35. 일반적으로 영양염류가 풍부하고 치어 성육장으로 가치가 큰 수역은 다음 중 어느 것이 가장 적합한가?(2003년 05월)
     1. 외해(外海:Open sea)
     2. 강 하류역(江下流域:Estuary)
     3. 쿠로시오 유역(黑潮)
     4. 조경(潮境)형성 해역

     정답 : []
     정답률 : 84%

36. 저서동물 유생의 해저 정착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가장 관계가 먼 것은?(2019년 04월)
     1. 광합성 식물의 존재여부
     2. 성체로부터 나오는 유인물질
     3. 퇴적물 표면에 발달된 박테리아 피막
     4. 유생자신의 주광성과 배광성

     정답 : []
     정답률 : 77%

37. 다음 중 복족류로만 구성된 것은?(2005년 05월)
     1. 산호, 말미잘
     2. 딱지조개, 고둥
     3. 고둥, 전복
     4. 따개비, 갯고사리

     정답 : []
     정답률 : 82%

38. 아래 그림은 해수에 있어서 alkalinity와 CO32-와의 관계이다. 만일 해수 1kg 중에서 alkalinity가 2.4meq, 전 CO2양이 2.2millimoles/kg일 때 0.1 millimole의 CaCO3를 더했을때 변하는 현상은?(2005년 05월)

    

     1. 전 CO2는 2.3millimoles/kg 으로 증가하고 alkalinity는 2.6meq/kg이 된다.
     2. 전 CO2는 2.1millimoles/kg 으로 감소하고 alkalinity는 2.2meq/kg이 된다.
     3. 전 CO2는 2.3millimoles/kg 으로 증가하고 alkalinity는 2.2meq/kg이 된다.
     4. 전 CO2는 2.1millimoles/kg으로 감소하고 alkalinity는 2.6meq/kg 이 된다.

     정답 : []
     정답률 : 72%

39. 아래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것은?(2011년 06월)

    

     1. 영양군 편해작용
     2. 생물교란
     3. 유생의 분산
     4. 산화-환원층

     정답 : []
     정답률 : 75%

40. 중형저서동물이 나타내는 일반적인 특징이 아닌 것은?(2010년 05월)
     1. 주로 육식자가 많다.
     2. 몸이 길게 연장되면서 구불구불하다.
     3. 부착기가 발달한다.
     4. 평형기가 발달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3과목 : 해양계측학


41. 동일한 지점의 깊은 곳과 얕은 곳에서 채취한 2개의 해수시료의 온위(Potential temperature)가 같았을 때 이 2개 해수시료의 현장온도(in situ temperature)는?(2016년 05월)
     1. 양쪽이 같다.
     2. 깊은 곳의 것이 더 높다.
     3. 얕은 곳의 것이 더 높다.
     4. 2개 해수시료 모두 온위와 값이 같다.

     정답 : []
     정답률 : 86%

42. 다음 중 파장이 가장 긴 전자파는?(2010년 05월)
     1. X선
     2. 자외선
     3. 가시광선
     4. 적외선

     정답 : []
     정답률 : 76%

43. 해양에서 표층부터 수심 20m까지의 밀도는 1.026g/cm3이고 20m 보다 깊은 수심에서의 밀도는 1.027g/cm3인 이층(two-layer) 밀도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다. 10m에 있는 물과 30m에 있는 물의 θS.T.P는 각각 얼마인가?(단, 는 특정 수심(P), 일정 온도(T), 일정 염분(S) 일 때의 밀도이다.)(2015년 05월)
     1. 26(10m), 27(30m)
     2. 20(10m), 30(30m)
     3. 10(10m), 30(30m)
     4. 27(10m), 28(30m)

     정답 : []
     정답률 : 75%

44. 해색 위성이 아닌 것은? (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3번으로 발표되었으나, 확정답안 발표시 모두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2020년 06월)
     1. CZCS
     2. OCTS
     3. Jason – 1
     4. MODIS

     정답 : []
     정답률 : 86%

45. 1 mbar 의 대기압이 유발하는 해수면 높이로 옳은 것은?(2021년 05월)
     1. 0.1 cm
     2. 1 cm
     3. 10 cm
     4. 100 cm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Inverse Barometer Effect 로 인해 1mbar = 1cm
[해설작성자 : 농듀니]

46. 전파에 의한 선위 측정방법에 해당하는 것은?(2016년 05월)
     1. 시간차의 곡선법이다.
     2. 시간차의 직선법이다.
     3. 시간차의 쌍곡선법이다.
     4. 시간차의 포물선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69%

47. 대조가 일어나는 시기는?(2015년 05월)
     1. 하현전 약 2일
     2. 상현후 약 2일
     3. 보름(만월)후 약 2일
     4. 하현후 약 2일

     정답 : []
     정답률 : 87%

48. 다음 중 교란이 가장 적은 해저퇴적물 채집 기구는?(2004년 05월)
     1. Piston corer
     2. Vibratory corer
     3. Rotary drilling corer
     4. Dredge

     정답 : []
     정답률 : 78%

49. 심해파(deep sea wave)의 파장과 주기와의 관계가 옳은 것은?(2018년 04월)
     1. 파장은 주기와 무관하다.
     2. 파장은 주기에 비례한다.
     3. 파장은 주기의 제곱에 비례한다.
     4. 파장은 주기의 제곱근에 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50. 해면의 기름에 의한 오염상태 파악에 가장 적합한 것은?(2004년 05월)
     1. 적외선 방사계
     2. 마이크로파 산란계
     3. 마이크로파 고도계
     4. 마이크로파 방사계

     정답 : []
     정답률 : 78%

51. 위성사진(satellite image)에서 가장 효과적이고 직접적으로 얻을 수 있는 정보는?(2008년 05월)
     1. 해면기압
     2. 심층해류
     3. 바다표면수온
     4. 바다표면염분

     정답 : []
     정답률 : 92%

52. 현탁성물질을 여과하는데 통상 쓰는 Millipore filter HA형의 공경은 약 얼마인가?(2009년 05월)
     1. 0.45μm
     2. 0.65μm
     3. 0.30μm
     4. 1μm

     정답 : []
     정답률 : 82%

53. 풍파(wind waves)는 바람에 의해 발생하는 해양 표면파이다. 풍파의 파고와 주기를 결정하는 요소는?(2019년 04월)
     1. time, duration, area
     2. wind speed, time, fetch
     3. wind speed, duration, time
     4. wind speed, duration, fetch

     정답 : []
     정답률 : 81%

54. 해류의 원동력은 주로 어디서 오는가?(2017년 05월)
     1. 바람
     2. 파랑
     3. 조석력
     4. 수온차

     정답 : []
     정답률 : 84%

55. 육상 혹은 해상에서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 중 위성을 이용하는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0년 05월)
     1. Loran
     2. Radar
     3. Rapid Sediment Analyzer
     4. Pycnometer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4. GPS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4. GPS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4번. GPS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56. 다음 중 해저지형의 관찰로 대양저산맥의 확장을 연구하려 할 때 사용되는 장비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6년 05월)
     1. 수중카메라
     2. 음향측심기
     3. 해상중력계
     4. 측면주사 음향탐사기

     정답 : []
     정답률 : 85%

57. 로젯 멀티 샘플러 (Rosette Multi-sampler)에 일반적으로 부착하지 않는 것은?(2018년 04월)
     1. 수심 센서(Depth sensor)
     2. 바닥 감지기(Bottom detector)
     3. 데이터 터미널(Data terminal)
     4. 전도도 센서(Conductivity sensor)

     정답 : []
     정답률 : 86%

58. 자유낙하 시추기(free fall corer)가 아닌 것은?(2022년 04월)
     1. Box Corer
     2. Gravity Corer
     3. Boomerang Corer
     4. Hydraulic Piston Corer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Hydraulic Piston Corer은 시추기의 피스톤에 유압을 가하여 퇴적물을 채취하는 시추기임.    
*자유낙하 시추기: 시추기 자체의 무게와 중력을 이용하여 퇴적물을 채취하는 시추기로, Box Corer, Gravity Corer, Boomerang Corer이 이에 속함.
[해설작성자 : 잔망루피]

59. 다음 중 인공위성 항법은?(2003년 05월)
     1. LORAN-A
     2. LORAN-C
     3. Decca
     4. NNSS

     정답 : []
     정답률 : 63%

60. CTD 관측 방법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22년 04월)
     1. 장비 설명서에서 제시한 최적 하강속도를 준수한다.
     2. 장비를 해수면으로 투하한 후 바로 내리기 시작한다.
     3. 세밀한 연직구조를 관측하기 위해서 하강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4. 큰 파도에 선박의 운동이 심할 때에는 하강속도를 증가하는 것이 좋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파고가 크고 선박 운동이 심하면, 장비가 줄에 의해 상하로 흔들리는 영향을 줄이기 위해 하강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CTD를 해수면에 투하한 후 바로 내리면 표층 안정화(센서 플러싱)가 이루어지지 않아 초기 자료가 부정확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표층에서 잠시 대기하여 센서가 물 온도·전도도에 안정화된 후 하강을 시작합니다.
→ 틀린 설명 고로 정답은 2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해양해양해양]

4과목 : 해수의 수질분석


61. 퇴적물의 입도분석 시 시료전처리와 습식분석이 필요 없는 경우는?(2020년 06월)
     1. 퇴적물이 사질인 경우
     2. 퇴적물이 자갈만 있을 경우
     3. 퇴적물이 펄질인 경우
     4. 퇴적물이 펄질과 사질로 혼합되어 있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73%

62. 다음은 해수공정시험의 초순수에 관한 사항이다. ( ) 안에 적절한 것은?(2017년 05월)

    

     1. 14
     2. 16
     3. 18
     4. 20

     정답 : []
     정답률 : 83%

63. 0.1N 염산용액 10ml를 중화하는데 KOH용액 200ml가 소비되었다면 KOH용액의 pH는?(2021년 05월)
     1. 11.0
     2. 11.5
     3. 11.7
     4. 12.0

     정답 : []
     정답률 : 60%

64. Cu 성분을 측정하고자 할때 시료의 농도가 측정 장비의 최대 측정범위를 넘는 경우 다음 중 가장 적절한 조치는?(2017년 05월)
     1. 추출용매의 양을 줄인다.
     2. 유기착화제의 혼합용액을 바꾼다.
     3. 1N 질산용액으로 희석하여 측정한다.
     4. 증류수로 희석시켜, 추출한 후 분석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65. 원자흡수분광법에 의한 해양의 퇴적물이나 생물시료 중의 중금속을 정량할 때 매트릭스 효과가 방해작용을 할 수 있다. 이를 막을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은?(2020년 06월)
     1. 유기용매로 추출한 후 측정한다.
     2. 표준물 첨가법을 이용한다.
     3. 시료를 산으로 분해하여 중금속만을 침출시켜서 측정한다.
     4. 염분이 문제가 되므로 표준용액을 제조할 때 해수를 사용하면 된다.

     정답 : []
     정답률 : 65%

66. 순수한 물 500mL에 HCl(비중 1.18) 100mL를 혼합하였을 때, 이 용액의 염산농도는 약 몇 %(W/W)인가?(2009년 05월)
     1. 16.6%
     2. 19.1%
     3. 20.0%
     4. 23.0%

     정답 : []
     정답률 : 75%

67.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분석법 중 불꽃이온화검출기 (FID)로 검출하는데 다음 중 가장 적합한 것은?(2019년 04월)
     1. 페놀류
     2. 유기수은
     3. 탄화수소
     4. 잔류농약류

     정답 : []
     정답률 : 55%

68. 다음 중 시료를 해양환경공정시험방법상의 시료 보존 방법에 의해 보존할 때 최대 보존기간이 가장 짧은 것은?(2008년 05월)
     1. 대장균군
     2. 6가크롬
     3. 유기인
     4. 부유물질

     정답 : []
     정답률 : 89%

69. 다음 중 미량금속의 분석기기로 사용되는 ICP-MS의 내부 표준용액은?(2008년 05월)
     1. La
     2. Y-89
     3. Rn
     4. Ra

     정답 : []
     정답률 : 80%

70. 질산염의 분석원리를 가장 잘 설명한 것은?(2011년 06월)
     1. Cd와 Cu가 충진된 유리관에 시료를 넣어 시료에 존재하는 질산염을 산화시켜 아질산염으로 만든 후, 아질산염을 시약들과 반응시켜 발색된 상태에서 흡관도를 측정한다.
     2. Cd와 Cu가 충진된 유리관에 시료를 넣어 시료에 존재하는 아질산염을 산화시켜 질산염으로 만든 후, 질산염을 시약들과 반응시켜 발색된 상태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3. Cd와 Cu가 충진된 유리관에 시료를 넣어 시료에 존재하는 질산염을 환원시켜 아질산염으로 만든 후, 아질산염을 시약들과 반응시켜 발색된 상태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4. Cd와 Cu가 충진된 유리관에 시료를 넣어 시료에 존재하는 아질산염을 환원시켜 질산염으로 만든 후, 질산염을 시약들과 반응시켜 발색된 상태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84%

71.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상 분광광도계에 의한 클로로필-a의 측정에 사용되는 기구가 아닌 것은?(2021년 05월)
     1. 건조기
     2. 교반기
     3. 여과기
     4. 원심분리기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실험방법에 건조 과정이 없다.
[해설작성자 : 농듀니]

72. 원자흡수분광법으로 직접 측정할 수 없는 원소는?(2006년 05월)
     1. 셀렌
     2. 수은
     3. 비소
     4. 불소

     정답 : []
     정답률 : 65%

73. 해수 중의 알킬수은은 어떤 방법으로 측정하는가?(2006년 05월)
     1. 원자흡광광도법
     2. 가스크로마토그래피
     3. 흡광광도법
     4. 이온전극법

     정답 : []
     정답률 : 63%

74. 다음은 연안 해수시료를 1000배 희석한 후 원자흡수 분광법으로 칼슘농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해수시료의 흡광도가 0.080일 때 칼슘농도는? (단, 공시험값은 무시한다.)(2019년 04월)

    

     1. 400mg/L
     2. 600mg/L
     3. 800mg/L
     4. 1600mg/L

     정답 : []
     정답률 : 73%

75. 다음 중 클로로필 측정과 관계없는 파장은?(2013년 06월)
     1. 480 nm
     2. 540 nm
     3. 645 nm
     4. 750 nm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2. 540 nm는 아질산 질소, 질산 질소 측정 파장과 관련있다.
클로로필 측정은 750, 665, 645, 630, 480 nm에서 측정하여 chlorophyll a, b, c 및 총 카로티노이드 (total carotenoids) 량을 계산하기 때문에 '540nm'은 맞지 않는 파장이다.
[참고]
* 540nm 관련: 해수공정시험기준-제10항 아질산 질소 & 제 11항 질산 질소 - 6. 시험방법
* 클로로필 측정 관련 : 해양생물공정시험기준 - 제 4장 항목별 시험 방법 - 제 1항 제1항 클로로필(chlorophylls) 및 총 카로틴노이드(total carotenoids)- 1. 분광광도계에 의한 측정법 -1.1. 측정원리
[해설작성자 : 하이하]

76. 윙클러법에 의한 해수중의 용존산소 측정에서 황산을 가했을 때 망간의 원자가는 어떻게 변하는가?(2008년 05월)
     1. +2
     2. +3
     3. +5
     4. +7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시약 첨가에 따른 반응은 다음과 같다. 망간 이온(Mn2+)은 강한 알칼리 용액 안에서 Mn(II)(OH)2를 형성하며(①식), 이 때 시료 속에 용존 산소가 존재할 경우 갈색을 띄는 Mn(OH)2로 침전한다(②식). 그 후 황산을 넣어 강한 산성 용액으로 만 들어 주면 침전이 녹아서 망간이온(Mn3+)을 물로 내놓게 된다.
출처-국립수산과학원.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제4장 항목별 시험방법 제2항 용존산소(Dissolved Oxygen, DO)
[해설작성자 : 길로바이]

77. Microtox bioassay 기법 중 유기용매추출법에 의한 독성평가 방법의 특징이 아닌 것은?(2007년 05월)
     1. 공극수가 제거된 퇴적물을 대상으로 한다.
     2. 추출용매는 주로 염화메틸렌을 사용한다.
     3. 주로 중성 또는 비이온성 유기물질의 독성을 검색한다.
     4. 전처리 과정이 단순하다.

     정답 : []
     정답률 : 67%

78. 해양생물 시료를 채취할 때의 주의 사항으로 틀린 것은?(2008년 05월)
     1. 해양생물의 수평과 수직분포 변호가 잘 나타날 수 있도록 채취지점의 간격과 수를 결정한다.
     2. 동일 채취지점에서 시료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하기위하여 농도에 따라 시료의 반복갯수를 증감한다.
     3. 시료용기는 조사항목에 따라 경질의 유리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용기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4. 중금속 분석용 생물시료는 청장(depuration)을 고려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90%

79. 해수의 인산인 분석과 관계가 없는 시약은?(2012년 05월)
     1. 옥살산용액
     2. 몰리브덴산암모늄용액
     3. 아스코르빈산용액
     4. 황산용액

     정답 : []
     정답률 : 70%

80. 최적확수시험법에 의한 대장균군 시험법의 설명 중 틀린 것은?(2007년 05월)
     1. 측정단위는 MPN/100ml로 나타낸다.
     2. 희석수는 멸균된 증류수를 사용한다.
     3. 그람염색 시약으로는 수산암모늄-크리스탈 바이올렛, 루골용액, 카운터스테인, 아세톤, 알코올 등을 사용한다.
     4. 시료의 채취는 무균적으로 하고, 멸균된 용기에 넣어 하루 내에 측정하면 된다.

     정답 : []
     정답률 : 75%

81. 유류오염손해배상보장법상 유조선에 의한 유류오염 피해자는 국제기금의 보상한도액을 초과하는 유휴오염손해에 대하여는 어떤 협약에 따라 보상을 청구할 수 있는가?(2017년 05월)
     1. 1992년 유류오염손해에 대한 민사책임에 관한 국제협약
     2. 1992년 유류오염손해보상을 위한 국제기금의 설치에 관한 국제협약
     3. 1992년 유류오염손해보상을 위한 국제기금의 설치에 관한 국제협약의 2003년 의정서
     4. 2001년 선박 연료유 오염손해에 대한 민사책임에 관한 국제협약

     정답 : []
     정답률 : 68%

82. 해양환경관리법상 해양오염방지 검사증서의 유효기간은 몇 년인가?(2018년 04월)
     1. 영구
     2. 3년
     3. 5년
     4. 10년

     정답 : []
     정답률 : 82%

83. 폐기물 및 그 밖의 물질의 투기에 의한 국제협약(1972 LC협약)상 해양투기를 금지하고 있는 물질이 아닌 것은?(2015년 05월)
     1. 폐수 처리장 오니
     2. 플라스틱, 어망, 로프류
     3. 유기할로겐 화합물
     4. 수은 및 그 화합물

     정답 : []
     정답률 : 68%

84.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령상 회유성해양동물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9년 04월)
     1. 연어
     2. 뱀장어
     3. 고등어
     4. 동남참게

     정답 : []
     정답률 : 75%

85. 해양환경관리법상 선박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해양에 배출할 수 있는 경우로 틀린 것은?(2017년 05월)
     1. 해양조사를 위하여 부득이하게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경우
     2. 선박의 손상 등으로 인하여 부득이하게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경우
     3. 선박의 안전확보다 인명구조를 위하여 부득이하게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경우
     4. 선박의 오염사고에 있어 오염피해를 최소화하는 과정에서 부득이하게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70%

86. 해양환경관리법상 오염물질 총량규제 항목이 아닌 것은?(2021년 05월)
     1. 질소
     2. 중금속
     3. 부유물질
     4. 화학적 산소요구량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해양환경관리법 시행령에서 규정하고 있는 오염물질 총량규제 향목은 '화학적 산소요구량/질소/인/중금속'으로 3번은 맞지 않는 항목이다.
[참고] 국가법령정보센터 - 해양환경관리법 시행령 - 제 12조(오염물질 총량규제 항목 등)
[해설작성자 : 하이하]

87. 유류오염 손해배상보장법상의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2년 05월)
     1. 유조선이란 산적 유류를 화물로 싣고 운송하기 위해 건조되거나 개조된 모든 형태의 항해선을 말한다.
     2. 유류가 아닌 일반화물을 운송하는 일반석박에 의한 유류오염 손해는 동법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
     3. 일반석박이란 유조선과 유류저장부선을 제외한 모든 선박을 말한다.
     4. 대한민국의 배타적 경제수역에서의 유류오염손해를 방지하거나 경감하기 위한 방제조치에 대하여는 장소에 관계없이 이 법을 적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88. 유류오염손해배상 보장법은 어떤 경우에 적용되는가?(2016년 05월)
     1. 선박으로부터의 기름유출
     2. 항공기로부터의 기름유출
     3. 자동차로부터의 기름유출
     4. 육상으로부터의 기름유출

     정답 : []
     정답률 : 88%

89. 다음 ( ) 안에 들어갈 가장 알맞은 것은?(2016년 05월)

    

     1. 200
     2. 500
     3. 1000
     4. 2000

     정답 : []
     정답률 : 83%

90. 유류오염 손해배상 보장법상 선박소유자 손해배상의 면책이 인정되는 경우는?(2005년 05월)
     1. 유조선의 감항성이 부족한 경우
     2. 용선자의 상사과실로 발생한 경우
     3. 제3자의 고의만으로 발생한 경우
     4. 타선과 쌍방과실로 충돌한 경우

     정답 : []
     정답률 : 82%

91. 연안관리법에서 규정한 연안정비사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6년 05월)
     1. 연안을 보전 또는 개선하는 사업
     2. 산업시설조성을 위하여 항만시설을 확충하는 사업
     3. 국민이 연안을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친수공간을 조성하는 사업
     4. 해일, 파랑, 해수, 연안침식 등으로부터 연안을 보호하고 훼손된 연안을 정비하는 사업

     정답 : []
     정답률 : 76%

92. 해양오염방지협약상 가장 가까운 육지란?(2005년 05월)
     1. 연안국의 내수선
     2. 연안국의 평수구역
     3. 연안국의 영해기선
     4. 연안국의 항계

     정답 : []
     정답률 : 57%

93. 해양환경관리법상 해양에서의 대기오염방지를 위한 규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5월)
     1. 누구든지 선박으로부터 오존층 파괴물질을 배출해서는 안 되며, 오존층 파괴물질을 회수할 때도 배출하면 안 된다.
     2. 비상사용 목적의 선박은 질소산화물의 배출허용기준을 초과하는 디젤기관의 작동은 가능하다.
     3. 선박의 소유자는 황산화물 배출규제해역을 제외한 해역에서 경유의 황함유량이 1.0퍼센트(무게퍼센트)를 초과하는 연료유를 사용하여서는 아니된다.
     4. 누구든지 선박의 항해 및 적방 중에는 폴리염화비페닐을 선박 안에서 소각하여서는 아니된다.

     정답 : []
     정답률 : 67%

94. 해양환경관리법상 선수 탱크와 충돌 격벽보다 앞쪽 탱크에 기름을 적재하는 것이 금지된 선박의 톤수 기준은?(2022년 04월)
     1. 총톤수 200톤 이상의 선박
     2. 총톤수 300톤 이상의 선박
     3. 총톤수 400톤 이상의 선박
     4. 총톤수 500톤 이상의 선박

     정답 : []
     정답률 : 60%

95. 선박검사증서의 유효기간은 몇 년인가?(2006년 05월)
     1. 2년
     2. 3년
     3. 5년
     4. 6년

     정답 : []
     정답률 : 74%

96. 다음 중 73/78 MARPOL과 관련된 국내법규는?(2007년 05월)
     1. 해양오염방지법
     2. 선박안전법
     3. 개항질서법
     4. 국제선박등록법

     정답 : []
     정답률 : 85%

97. 유류오염손해배생보장법의 목적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2007년 05월)
     1. 선박소유자의 책임 명확화
     2. 유류손해의 배상제도 확립
     3. 유류운송의 건전한 발전도모
     4. 해양환경의 적절한 보존과 관리

     정답 : []
     정답률 : 62%

98. 어장관리법상 어장정화ℓ정비업의 등록을 할 수 있는 자는?(2010년 05월)
     1. 금치산자나 한정치산자
     2. 파산선고를 받고 복권되지 아니한자
     3. 수산업법을 위반하여 금고 이상의 형의 집행유예를 선고받고 그 유예기간 중에 잇는 자
     4. 어장정화ㆍ정비업의 등록이 취소된 자로서 그 등록이 취소된 날부터 5년이 지난 자

     정답 : []
     정답률 : 86%

99. 1972년 LC 협약상 해상투기가 금지된 물질은?(2018년 04월)
     1. 준설물질
     2. 저준위 방사성 물질
     3. 천연기원의 비오염 유기물질
     4. 생선폐기물 또는 산업적 생선가공 과정에서 나오는 유기물

     정답 : []
     정답률 : 73%

100. 다음 중 선박으로부터 모든 종류의 오염물질에 의한 해양오염방지사항을 가장 포괄적으로 규제하기 시작한 국제협약은?(2005년 05월)
     1. OILPOL 1954
     2. INTERVENTION 1969
     3. LC 1972
     4. MARPOL 73/78

     정답 : []
     정답률 : 78%


정 답 지

해양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464953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해양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해양학개론


1. 어느 하수천에 많은 양의 용존 유기물과 Fe가 존재한다. 이 하천수가 estuary를 지나면서 볼 수 있는 용존 유기 물질과 Fe의 변화는?(2003년 05월)
     1. Fe의 증가 및 용존 유기물질의 감소
     2. Fe의 증가 및 용존 유기물질의 증가
     3. Fe의 감소 및 용존 유기물질의 감소
     4. Fe의 감소 및 용존 유기물질의 불변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어귀를 지나가는 것이기 때문에 둘다 감소한다.
[해설작성자 : 상병]

2. 북태평양에서 해무의 발생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기상요인은?(2020년 06월)
     1. 북서풍
     2. 편서풍
     3. 북태평양 고기압
     4. 북태평양 저기압

     정답 : []
     정답률 : 76%

3. 대양저산맥(mid-oceanic ridge)은 어원 그대로 대양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다음 중 중심부에 대양 저산맥이 위치하지 않는 바다는?(2017년 05월)
     1. 대서양
     2. 인도양
     3. 태평양
     4. 모두 중심부에 위치함

     정답 : []
     정답률 : 83%

4. 다음 중 해수중의 체류시간이 가장 긴 것은?(2018년 04월)
     1. Co2+
     2. Mn2+
     3. Na+
     4. Fe(OH)2-

     정답 : []
     정답률 : 88%

5. 북회귀선에서 적도근처까지의 해면을 서류하는 우세한 난류는?(2005년 05월)
     1. 북적도 해류
     2. 남적도 해류
     3. 아라스카 해류
     4. 적도 반류

     정답 : []
     정답률 : 88%

6. 심해퇴적물 중 제오라이트(zeolite)의 기원은?(2012년 05월)
     1. 생물
     2. 우주
     3. 화산
     4. 풍성

     정답 : []
     정답률 : 65%

7. 지형류(geostrophic current)란 다음 중 어느 힘들 사이에서 평형이 되었을 때 나타나는가?(2007년 05월)
     1. Coriolis힘과 압력경도력
     2. Coriolis힘과 바람응력
     3. Coriolis힘, 압력경도력 및 바람응력
     4. 압력경도력과 바람응력

     정답 : []
     정답률 : 84%

8. 대서양형 대륙주변부의 해저지형으로서 가장 수가 많고, 많이 발달한 것은?(2007년 05월)
     1. 대륙붕 수로
     2. 삼각주 전면계곡
     3. 해저협곡
     4. 심해저 수로

     정답 : []
     정답률 : 79%

9. 관성원의 반경(r)은? (단, ρ는 위도, C는 접선속도, ω는 지구자전의 각속도이다.)(2007년 05월)
     1. r=2Cωcosρ
     2. r=C/2ωsinρ
     3. r=2Cωsinρ
     4. r=C/2ωcosρ

     정답 : []
     정답률 : 65%

10. 해양에서 심층순환의 원인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두 가지 사항을 바르게 묶은 것은?(2013년 06월)
     1. 이유와 분자확산
     2. 해류와 와동확산
     3. 해류와 분자확산
     4. 이류와 와동확산

     정답 : []
     정답률 : 84%

11. 해양의 표면염분 분포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2019년 04월)
     1. 바람분포
     2. 수온분포
     3. 심층해류
     4. 증발-강수량의 차

     정답 : []
     정답률 : 95%

12. 다음 중 대서양형 대륙주변부의 특징을 나타내는 것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2003년 05월)
     1. divergent
     2. Seismic
     3. Passive
     4. not a plate boundary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대서양형 대륙주변부는 대륙열개와 해저확장으로 형성된 대륙과 해양지강의 경계부이므로, 넓게 발단된 대륙붕과 대륙사면 및 대륙대로 이루어져있기떄문에 지진이나 화산활동이 적다.다른이름으론 수동형 대륙주변부라고도 한다.
그러므로 1.갈라진 2.지진 3.수동적 4.판의 경계가 아니다.중에 정답은 2.지진이다.
[해설작성자 : 상병]

13. 적색 점토(red clay)가 가장 풍부하게 분포된 곳은?(2021년 05월)
     1. 인도양
     2. 지중해
     3. 남대서양
     4. 북태평양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중국 황허강에서 유입되는 석회성분으로 인하여 적색 혹은 갈색의 연니가 쌓이게 되고 심해에서는 높은 수압으로 인해 석회성분이 용식되어 발견되지않고 지표에서 흘러들어온 적색 점토만이 쌓이게 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적색 점토는 북태평양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며, 북태평양 바닷가에서 출렁거리는 물결 소리 때문에 "적매립(red mud)"이라고도 불립니다. 인도양과 지중해, 남대서양도 적색 점토의 분포 지역 중 하나이지만, 북태평양에 비해 풍부하지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슈멋]

14. 취송류에서 해면의 유향과 정반대의 유향이 되고 해면 유속의 약 4% 정도의 유속으로 감소되는 심도는?(2004년 05월)
     1. 역학심도
     2. 마찰심도
     3. 무류면
     4. 보상심도

     정답 : []
     정답률 : 79%

15. 지각에 분포하는 광물의 큐리온도(Curie point)는 대략 어느 정도인가?(2019년 04월)
     1. 250 ~ 450℃
     2. 450 ~ 600℃
     3. 600 ~ 750℃
     4. 1000℃ 이상

     정답 : []
     정답률 : 86%

16. 판구조론에서 말하는 판(plate)의 평균두께로 가장 적합한 것은?(2022년 04월)
     1. 10 ~ 50 km
     2. 100 ~ 150 km
     3. 400 ~ 500 km
     4. 800 ~ 1000 km

     정답 : []
     정답률 : 85%

17. 쇄설자원 중 중광물이 주로 퇴적되는 곳은?(2007년 05월)
     1. 해빈퇴적층
     2. 심해 퇴적층
     3. 대양저 산맥
     4. 해구

     정답 : []
     정답률 : 59%

18. 해수 중 인산염 농도변화를 설명한 내용 중 잘못된 것은?(2009년 05월)
     1. 겨울철에 높은 농도를 보인다.
     2. 봄철에 낮은 농도를 보인다.
     3. 하루 중 해뜨기 직전에 최소 농도를 보인다.
     4. 식물의 활동이 왕성한 시간에 최소 농도를 보인다.

     정답 : []
     정답률 : 75%

19. 심층류의 주 원인은?(2007년 05월)
     1. 해수의 밀도차
     2. 바람
     3. 조석력
     4. 심해파

     정답 : []
     정답률 : 85%

20. 저탁류를 3등분(머리-몸통-꼬리) 했을 때 어느 곳의 속도가 가장 빠른가?(2019년 04월)
     1. 머리
     2. 몸통
     3. 꼬리
     4. 전부 동일

     정답 : []
     정답률 : 86%

2과목 : 해양생태학


21. 다음 그림은 수심에 따른 광합성량과 호흡량의 변화곡선이다. 보상점(Compensation point)의 수심은?(2006년 05월)

    

     1. 20m
     2. 30m
     3. 50m
     4. 80m

     정답 : []
     정답률 : 90%

22. 다음 동물중 미색동물(Urochordata)에 속하지 않는 것은?(2003년 05월)
     1. 우렁쉥이
     2. Oikopleura
     3. Salpa
     4. Jellyfish

     정답 : []
     정답률 : 73%

23. PSP(Paralytic Shellfish Posion, 마비성패독류)의 주된 원인 생물은?(2006년 05월)
     1. 남조류
     2. 규조류
     3. 와편모조류
     4. 갈조류

     정답 : []
     정답률 : 88%

24. 일반적으로 강의 하구역(Estuary)에서 우점하는 해조류는?(2013년 06월)
     1. 녹조류
     2. 갈조류
     3. 홍조류
     4. 황색편모류

     정답 : []
     정답률 : 88%

25. 질소 고정능력은 영양염이 부족한 외양에서 새로운 질소 영양염 공급원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되는데 원핵세포로 이루어져 질소고정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부유생물군은 무엇인가?(2016년 05월)
     1. 규조류
     2. 와편모조류
     3. 코콜리소포
     4. 남조류

     정답 : []
     정답률 : 75%

26. 해양의 일차생산력을 구하는 측정 방법이 아닌 것은?(2016년 05월)
     1. 명압병 측정법
     2. C-14 측정법
     3. 부유식물 현존량 변화 측정법
     4. 보상수심측정법

     정답 : []
     정답률 : 76%

27. 대형 갈조류의 서식 요건이 아닌 것은?(2019년 04월)
     1. 단단한 기저부
     2. 맑은 물
     3. 높은 수온
     4. 풍부한 영양염

     정답 : []
     정답률 : 77%

28. 바다에서 영양염의 주된 공급원이 아닌 것은?(2005년 05월)
     1. 수층의 수직혼합
     2. 용승
     3. 육수의 유입
     4. 강우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4. 강우(X)
: 강우는 육지에 쌓인 영양염을 씻어내어 강, 하천을 통해 바다로 공급하는 간적적인 역할을 한다.
다른 공급원에 비해 영향이 크지 않다.
[해설작성자 : 은디빵야]

29. 조간대 생물의 대상분포(Zonation)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아닌 것은?(2003년 05월)
     1. 밀물과 썰물의 조석차
     2. 조석에 의한 간출시간
     3. 종간의 경쟁 및 포식작용
     4. 해수의 수온 및 염분

     정답 : []
     정답률 : 69%

30. 기초생산의 보상점에서 일어나는 현상은?(2009년 05월)
     1. 총호흡량은 총생산량보다 크다.
     2. 총호흡량과 총생산량은 같다.
     3. 총호흡량은 총생산량보다 작다.
     4. 총호흡량과 총소비량이 같다.

     정답 : []
     정답률 : 83%

31. 해양 포유동물이 오랫동안 잠수해 있기 위한 산소 공급 기작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5월)
     1. 많은 해양 포유동물은 육상동물보다 더 높은 혈액체적을 보유한다.
     2. 해양 포유동물은 단위 혈액 체적 당 더 높은 산소량을 보유한다.
     3. 해양 포유동물의 잠수기간 동안 순환계는 여러 기관으로의 혈액공급을 차단한다.
     4. 해양 포유동물은 잠수기간 동안 심장박동을 늘인다.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해양 포유동물은 잠수 시 심장박동수를 낮추고 혈액순환을 제한하여 산소소비를 줄이는 등의 대처를 하기 때문에 심장박동수를 늘이지 않습니다. 이는 잠수기간을 연장하고, 에너지를 절약하여 생존확률을 높이는데 도움을 줍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2. 정체수면의 부영양화 진행 과정이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된 것은?(2013년 06월)
     1. 오염증가기 → 조류번성기 → 호기성분해기 → 혐기성분해기
     2. 조류번성기 → 오염증가기 → 호기성분해기 → 혐기성분해기
     3. 조류변성기 → 오염증가기 → 혐기성분해기 → 호기성분해기
     4. 오염증가기 → 호기성분해기 → 조류번성기 → 혐기성분해기

     정답 : []
     정답률 : 85%

33. 수력학적인 조건이 약한 곳에서의 조하대 연성 저질 저서동물 군집과 관련된 특성을 옳게 설명한 것은?(2009년 05월)
     1. 현탁물식자가 우세하다.
     2. 퇴적물식자가 우세하다.
     3. 퇴적물은 펄의 함량이 낮다.
     4. 퇴적물 내의 유기물 함량이 낮다.

     정답 : []
     정답률 : 74%

34. 대양의 심층부에 언제나 생물의 생존에 충분한 산소가 용존(흑해 제외)되어 있는 주된 이유는?(2021년 05월)
     1. 생물군의 밀도가 적어 산소의 소모가 적기 때문이다.
     2. 심해일지라도 해류의 수직이동에 의해 충분한 산소가 공급되고 있기 때문이다.
     3. 심해는 항상 온도가 낮으므로 산소 수중용해도가 높기 때문이다.
     4. 한대지방에서 침전된 산소의 함량이 높은 해류가 전대양의 심층부로 흐르고 있기 때문이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대서양에서는 북극의 미크론 해류(Mid-Ocean Ridge)에서 지속적으로 산소가 방출되고, 이러한 해류가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여 대양의 심층부에 충분한 산소가 용존되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jh]

35. 일반적으로 영양염류가 풍부하고 치어 성육장으로 가치가 큰 수역은 다음 중 어느 것이 가장 적합한가?(2003년 05월)
     1. 외해(外海:Open sea)
     2. 강 하류역(江下流域:Estuary)
     3. 쿠로시오 유역(黑潮)
     4. 조경(潮境)형성 해역

     정답 : []
     정답률 : 84%

36. 저서동물 유생의 해저 정착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가장 관계가 먼 것은?(2019년 04월)
     1. 광합성 식물의 존재여부
     2. 성체로부터 나오는 유인물질
     3. 퇴적물 표면에 발달된 박테리아 피막
     4. 유생자신의 주광성과 배광성

     정답 : []
     정답률 : 77%

37. 다음 중 복족류로만 구성된 것은?(2005년 05월)
     1. 산호, 말미잘
     2. 딱지조개, 고둥
     3. 고둥, 전복
     4. 따개비, 갯고사리

     정답 : []
     정답률 : 82%

38. 아래 그림은 해수에 있어서 alkalinity와 CO32-와의 관계이다. 만일 해수 1kg 중에서 alkalinity가 2.4meq, 전 CO2양이 2.2millimoles/kg일 때 0.1 millimole의 CaCO3를 더했을때 변하는 현상은?(2005년 05월)

    

     1. 전 CO2는 2.3millimoles/kg 으로 증가하고 alkalinity는 2.6meq/kg이 된다.
     2. 전 CO2는 2.1millimoles/kg 으로 감소하고 alkalinity는 2.2meq/kg이 된다.
     3. 전 CO2는 2.3millimoles/kg 으로 증가하고 alkalinity는 2.2meq/kg이 된다.
     4. 전 CO2는 2.1millimoles/kg으로 감소하고 alkalinity는 2.6meq/kg 이 된다.

     정답 : []
     정답률 : 72%

39. 아래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것은?(2011년 06월)

    

     1. 영양군 편해작용
     2. 생물교란
     3. 유생의 분산
     4. 산화-환원층

     정답 : []
     정답률 : 75%

40. 중형저서동물이 나타내는 일반적인 특징이 아닌 것은?(2010년 05월)
     1. 주로 육식자가 많다.
     2. 몸이 길게 연장되면서 구불구불하다.
     3. 부착기가 발달한다.
     4. 평형기가 발달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3과목 : 해양계측학


41. 동일한 지점의 깊은 곳과 얕은 곳에서 채취한 2개의 해수시료의 온위(Potential temperature)가 같았을 때 이 2개 해수시료의 현장온도(in situ temperature)는?(2016년 05월)
     1. 양쪽이 같다.
     2. 깊은 곳의 것이 더 높다.
     3. 얕은 곳의 것이 더 높다.
     4. 2개 해수시료 모두 온위와 값이 같다.

     정답 : []
     정답률 : 86%

42. 다음 중 파장이 가장 긴 전자파는?(2010년 05월)
     1. X선
     2. 자외선
     3. 가시광선
     4. 적외선

     정답 : []
     정답률 : 76%

43. 해양에서 표층부터 수심 20m까지의 밀도는 1.026g/cm3이고 20m 보다 깊은 수심에서의 밀도는 1.027g/cm3인 이층(two-layer) 밀도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다. 10m에 있는 물과 30m에 있는 물의 θS.T.P는 각각 얼마인가?(단, 는 특정 수심(P), 일정 온도(T), 일정 염분(S) 일 때의 밀도이다.)(2015년 05월)
     1. 26(10m), 27(30m)
     2. 20(10m), 30(30m)
     3. 10(10m), 30(30m)
     4. 27(10m), 28(30m)

     정답 : []
     정답률 : 75%

44. 해색 위성이 아닌 것은? (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3번으로 발표되었으나, 확정답안 발표시 모두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2020년 06월)
     1. CZCS
     2. OCTS
     3. Jason – 1
     4. MODIS

     정답 : []
     정답률 : 86%

45. 1 mbar 의 대기압이 유발하는 해수면 높이로 옳은 것은?(2021년 05월)
     1. 0.1 cm
     2. 1 cm
     3. 10 cm
     4. 100 cm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Inverse Barometer Effect 로 인해 1mbar = 1cm
[해설작성자 : 농듀니]

46. 전파에 의한 선위 측정방법에 해당하는 것은?(2016년 05월)
     1. 시간차의 곡선법이다.
     2. 시간차의 직선법이다.
     3. 시간차의 쌍곡선법이다.
     4. 시간차의 포물선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69%

47. 대조가 일어나는 시기는?(2015년 05월)
     1. 하현전 약 2일
     2. 상현후 약 2일
     3. 보름(만월)후 약 2일
     4. 하현후 약 2일

     정답 : []
     정답률 : 87%

48. 다음 중 교란이 가장 적은 해저퇴적물 채집 기구는?(2004년 05월)
     1. Piston corer
     2. Vibratory corer
     3. Rotary drilling corer
     4. Dredge

     정답 : []
     정답률 : 78%

49. 심해파(deep sea wave)의 파장과 주기와의 관계가 옳은 것은?(2018년 04월)
     1. 파장은 주기와 무관하다.
     2. 파장은 주기에 비례한다.
     3. 파장은 주기의 제곱에 비례한다.
     4. 파장은 주기의 제곱근에 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50. 해면의 기름에 의한 오염상태 파악에 가장 적합한 것은?(2004년 05월)
     1. 적외선 방사계
     2. 마이크로파 산란계
     3. 마이크로파 고도계
     4. 마이크로파 방사계

     정답 : []
     정답률 : 78%

51. 위성사진(satellite image)에서 가장 효과적이고 직접적으로 얻을 수 있는 정보는?(2008년 05월)
     1. 해면기압
     2. 심층해류
     3. 바다표면수온
     4. 바다표면염분

     정답 : []
     정답률 : 92%

52. 현탁성물질을 여과하는데 통상 쓰는 Millipore filter HA형의 공경은 약 얼마인가?(2009년 05월)
     1. 0.45μm
     2. 0.65μm
     3. 0.30μm
     4. 1μm

     정답 : []
     정답률 : 82%

53. 풍파(wind waves)는 바람에 의해 발생하는 해양 표면파이다. 풍파의 파고와 주기를 결정하는 요소는?(2019년 04월)
     1. time, duration, area
     2. wind speed, time, fetch
     3. wind speed, duration, time
     4. wind speed, duration, fetch

     정답 : []
     정답률 : 81%

54. 해류의 원동력은 주로 어디서 오는가?(2017년 05월)
     1. 바람
     2. 파랑
     3. 조석력
     4. 수온차

     정답 : []
     정답률 : 84%

55. 육상 혹은 해상에서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 중 위성을 이용하는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0년 05월)
     1. Loran
     2. Radar
     3. Rapid Sediment Analyzer
     4. Pycnometer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4. GPS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4. GPS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4번. GPS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56. 다음 중 해저지형의 관찰로 대양저산맥의 확장을 연구하려 할 때 사용되는 장비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6년 05월)
     1. 수중카메라
     2. 음향측심기
     3. 해상중력계
     4. 측면주사 음향탐사기

     정답 : []
     정답률 : 85%

57. 로젯 멀티 샘플러 (Rosette Multi-sampler)에 일반적으로 부착하지 않는 것은?(2018년 04월)
     1. 수심 센서(Depth sensor)
     2. 바닥 감지기(Bottom detector)
     3. 데이터 터미널(Data terminal)
     4. 전도도 센서(Conductivity sensor)

     정답 : []
     정답률 : 86%

58. 자유낙하 시추기(free fall corer)가 아닌 것은?(2022년 04월)
     1. Box Corer
     2. Gravity Corer
     3. Boomerang Corer
     4. Hydraulic Piston Corer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Hydraulic Piston Corer은 시추기의 피스톤에 유압을 가하여 퇴적물을 채취하는 시추기임.    
*자유낙하 시추기: 시추기 자체의 무게와 중력을 이용하여 퇴적물을 채취하는 시추기로, Box Corer, Gravity Corer, Boomerang Corer이 이에 속함.
[해설작성자 : 잔망루피]

59. 다음 중 인공위성 항법은?(2003년 05월)
     1. LORAN-A
     2. LORAN-C
     3. Decca
     4. NNSS

     정답 : []
     정답률 : 63%

60. CTD 관측 방법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22년 04월)
     1. 장비 설명서에서 제시한 최적 하강속도를 준수한다.
     2. 장비를 해수면으로 투하한 후 바로 내리기 시작한다.
     3. 세밀한 연직구조를 관측하기 위해서 하강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4. 큰 파도에 선박의 운동이 심할 때에는 하강속도를 증가하는 것이 좋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파고가 크고 선박 운동이 심하면, 장비가 줄에 의해 상하로 흔들리는 영향을 줄이기 위해 하강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CTD를 해수면에 투하한 후 바로 내리면 표층 안정화(센서 플러싱)가 이루어지지 않아 초기 자료가 부정확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표층에서 잠시 대기하여 센서가 물 온도·전도도에 안정화된 후 하강을 시작합니다.
→ 틀린 설명 고로 정답은 2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해양해양해양]

4과목 : 해수의 수질분석


61. 퇴적물의 입도분석 시 시료전처리와 습식분석이 필요 없는 경우는?(2020년 06월)
     1. 퇴적물이 사질인 경우
     2. 퇴적물이 자갈만 있을 경우
     3. 퇴적물이 펄질인 경우
     4. 퇴적물이 펄질과 사질로 혼합되어 있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73%

62. 다음은 해수공정시험의 초순수에 관한 사항이다. ( ) 안에 적절한 것은?(2017년 05월)

    

     1. 14
     2. 16
     3. 18
     4. 20

     정답 : []
     정답률 : 83%

63. 0.1N 염산용액 10ml를 중화하는데 KOH용액 200ml가 소비되었다면 KOH용액의 pH는?(2021년 05월)
     1. 11.0
     2. 11.5
     3. 11.7
     4. 12.0

     정답 : []
     정답률 : 60%

64. Cu 성분을 측정하고자 할때 시료의 농도가 측정 장비의 최대 측정범위를 넘는 경우 다음 중 가장 적절한 조치는?(2017년 05월)
     1. 추출용매의 양을 줄인다.
     2. 유기착화제의 혼합용액을 바꾼다.
     3. 1N 질산용액으로 희석하여 측정한다.
     4. 증류수로 희석시켜, 추출한 후 분석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65. 원자흡수분광법에 의한 해양의 퇴적물이나 생물시료 중의 중금속을 정량할 때 매트릭스 효과가 방해작용을 할 수 있다. 이를 막을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은?(2020년 06월)
     1. 유기용매로 추출한 후 측정한다.
     2. 표준물 첨가법을 이용한다.
     3. 시료를 산으로 분해하여 중금속만을 침출시켜서 측정한다.
     4. 염분이 문제가 되므로 표준용액을 제조할 때 해수를 사용하면 된다.

     정답 : []
     정답률 : 65%

66. 순수한 물 500mL에 HCl(비중 1.18) 100mL를 혼합하였을 때, 이 용액의 염산농도는 약 몇 %(W/W)인가?(2009년 05월)
     1. 16.6%
     2. 19.1%
     3. 20.0%
     4. 23.0%

     정답 : []
     정답률 : 75%

67.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분석법 중 불꽃이온화검출기 (FID)로 검출하는데 다음 중 가장 적합한 것은?(2019년 04월)
     1. 페놀류
     2. 유기수은
     3. 탄화수소
     4. 잔류농약류

     정답 : []
     정답률 : 55%

68. 다음 중 시료를 해양환경공정시험방법상의 시료 보존 방법에 의해 보존할 때 최대 보존기간이 가장 짧은 것은?(2008년 05월)
     1. 대장균군
     2. 6가크롬
     3. 유기인
     4. 부유물질

     정답 : []
     정답률 : 89%

69. 다음 중 미량금속의 분석기기로 사용되는 ICP-MS의 내부 표준용액은?(2008년 05월)
     1. La
     2. Y-89
     3. Rn
     4. Ra

     정답 : []
     정답률 : 80%

70. 질산염의 분석원리를 가장 잘 설명한 것은?(2011년 06월)
     1. Cd와 Cu가 충진된 유리관에 시료를 넣어 시료에 존재하는 질산염을 산화시켜 아질산염으로 만든 후, 아질산염을 시약들과 반응시켜 발색된 상태에서 흡관도를 측정한다.
     2. Cd와 Cu가 충진된 유리관에 시료를 넣어 시료에 존재하는 아질산염을 산화시켜 질산염으로 만든 후, 질산염을 시약들과 반응시켜 발색된 상태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3. Cd와 Cu가 충진된 유리관에 시료를 넣어 시료에 존재하는 질산염을 환원시켜 아질산염으로 만든 후, 아질산염을 시약들과 반응시켜 발색된 상태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4. Cd와 Cu가 충진된 유리관에 시료를 넣어 시료에 존재하는 아질산염을 환원시켜 질산염으로 만든 후, 질산염을 시약들과 반응시켜 발색된 상태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84%

71.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상 분광광도계에 의한 클로로필-a의 측정에 사용되는 기구가 아닌 것은?(2021년 05월)
     1. 건조기
     2. 교반기
     3. 여과기
     4. 원심분리기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실험방법에 건조 과정이 없다.
[해설작성자 : 농듀니]

72. 원자흡수분광법으로 직접 측정할 수 없는 원소는?(2006년 05월)
     1. 셀렌
     2. 수은
     3. 비소
     4. 불소

     정답 : []
     정답률 : 65%

73. 해수 중의 알킬수은은 어떤 방법으로 측정하는가?(2006년 05월)
     1. 원자흡광광도법
     2. 가스크로마토그래피
     3. 흡광광도법
     4. 이온전극법

     정답 : []
     정답률 : 63%

74. 다음은 연안 해수시료를 1000배 희석한 후 원자흡수 분광법으로 칼슘농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해수시료의 흡광도가 0.080일 때 칼슘농도는? (단, 공시험값은 무시한다.)(2019년 04월)

    

     1. 400mg/L
     2. 600mg/L
     3. 800mg/L
     4. 1600mg/L

     정답 : []
     정답률 : 73%

75. 다음 중 클로로필 측정과 관계없는 파장은?(2013년 06월)
     1. 480 nm
     2. 540 nm
     3. 645 nm
     4. 750 nm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2. 540 nm는 아질산 질소, 질산 질소 측정 파장과 관련있다.
클로로필 측정은 750, 665, 645, 630, 480 nm에서 측정하여 chlorophyll a, b, c 및 총 카로티노이드 (total carotenoids) 량을 계산하기 때문에 '540nm'은 맞지 않는 파장이다.
[참고]
* 540nm 관련: 해수공정시험기준-제10항 아질산 질소 & 제 11항 질산 질소 - 6. 시험방법
* 클로로필 측정 관련 : 해양생물공정시험기준 - 제 4장 항목별 시험 방법 - 제 1항 제1항 클로로필(chlorophylls) 및 총 카로틴노이드(total carotenoids)- 1. 분광광도계에 의한 측정법 -1.1. 측정원리
[해설작성자 : 하이하]

76. 윙클러법에 의한 해수중의 용존산소 측정에서 황산을 가했을 때 망간의 원자가는 어떻게 변하는가?(2008년 05월)
     1. +2
     2. +3
     3. +5
     4. +7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시약 첨가에 따른 반응은 다음과 같다. 망간 이온(Mn2+)은 강한 알칼리 용액 안에서 Mn(II)(OH)2를 형성하며(①식), 이 때 시료 속에 용존 산소가 존재할 경우 갈색을 띄는 Mn(OH)2로 침전한다(②식). 그 후 황산을 넣어 강한 산성 용액으로 만 들어 주면 침전이 녹아서 망간이온(Mn3+)을 물로 내놓게 된다.
출처-국립수산과학원.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제4장 항목별 시험방법 제2항 용존산소(Dissolved Oxygen, DO)
[해설작성자 : 길로바이]

77. Microtox bioassay 기법 중 유기용매추출법에 의한 독성평가 방법의 특징이 아닌 것은?(2007년 05월)
     1. 공극수가 제거된 퇴적물을 대상으로 한다.
     2. 추출용매는 주로 염화메틸렌을 사용한다.
     3. 주로 중성 또는 비이온성 유기물질의 독성을 검색한다.
     4. 전처리 과정이 단순하다.

     정답 : []
     정답률 : 67%

78. 해양생물 시료를 채취할 때의 주의 사항으로 틀린 것은?(2008년 05월)
     1. 해양생물의 수평과 수직분포 변호가 잘 나타날 수 있도록 채취지점의 간격과 수를 결정한다.
     2. 동일 채취지점에서 시료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하기위하여 농도에 따라 시료의 반복갯수를 증감한다.
     3. 시료용기는 조사항목에 따라 경질의 유리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용기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4. 중금속 분석용 생물시료는 청장(depuration)을 고려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90%

79. 해수의 인산인 분석과 관계가 없는 시약은?(2012년 05월)
     1. 옥살산용액
     2. 몰리브덴산암모늄용액
     3. 아스코르빈산용액
     4. 황산용액

     정답 : []
     정답률 : 70%

80. 최적확수시험법에 의한 대장균군 시험법의 설명 중 틀린 것은?(2007년 05월)
     1. 측정단위는 MPN/100ml로 나타낸다.
     2. 희석수는 멸균된 증류수를 사용한다.
     3. 그람염색 시약으로는 수산암모늄-크리스탈 바이올렛, 루골용액, 카운터스테인, 아세톤, 알코올 등을 사용한다.
     4. 시료의 채취는 무균적으로 하고, 멸균된 용기에 넣어 하루 내에 측정하면 된다.

     정답 : []
     정답률 : 75%

81. 유류오염손해배상보장법상 유조선에 의한 유류오염 피해자는 국제기금의 보상한도액을 초과하는 유휴오염손해에 대하여는 어떤 협약에 따라 보상을 청구할 수 있는가?(2017년 05월)
     1. 1992년 유류오염손해에 대한 민사책임에 관한 국제협약
     2. 1992년 유류오염손해보상을 위한 국제기금의 설치에 관한 국제협약
     3. 1992년 유류오염손해보상을 위한 국제기금의 설치에 관한 국제협약의 2003년 의정서
     4. 2001년 선박 연료유 오염손해에 대한 민사책임에 관한 국제협약

     정답 : []
     정답률 : 68%

82. 해양환경관리법상 해양오염방지 검사증서의 유효기간은 몇 년인가?(2018년 04월)
     1. 영구
     2. 3년
     3. 5년
     4. 10년

     정답 : []
     정답률 : 82%

83. 폐기물 및 그 밖의 물질의 투기에 의한 국제협약(1972 LC협약)상 해양투기를 금지하고 있는 물질이 아닌 것은?(2015년 05월)
     1. 폐수 처리장 오니
     2. 플라스틱, 어망, 로프류
     3. 유기할로겐 화합물
     4. 수은 및 그 화합물

     정답 : []
     정답률 : 68%

84.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령상 회유성해양동물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9년 04월)
     1. 연어
     2. 뱀장어
     3. 고등어
     4. 동남참게

     정답 : []
     정답률 : 75%

85. 해양환경관리법상 선박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해양에 배출할 수 있는 경우로 틀린 것은?(2017년 05월)
     1. 해양조사를 위하여 부득이하게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경우
     2. 선박의 손상 등으로 인하여 부득이하게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경우
     3. 선박의 안전확보다 인명구조를 위하여 부득이하게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경우
     4. 선박의 오염사고에 있어 오염피해를 최소화하는 과정에서 부득이하게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70%

86. 해양환경관리법상 오염물질 총량규제 항목이 아닌 것은?(2021년 05월)
     1. 질소
     2. 중금속
     3. 부유물질
     4. 화학적 산소요구량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해양환경관리법 시행령에서 규정하고 있는 오염물질 총량규제 향목은 '화학적 산소요구량/질소/인/중금속'으로 3번은 맞지 않는 항목이다.
[참고] 국가법령정보센터 - 해양환경관리법 시행령 - 제 12조(오염물질 총량규제 항목 등)
[해설작성자 : 하이하]

87. 유류오염 손해배상보장법상의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2년 05월)
     1. 유조선이란 산적 유류를 화물로 싣고 운송하기 위해 건조되거나 개조된 모든 형태의 항해선을 말한다.
     2. 유류가 아닌 일반화물을 운송하는 일반석박에 의한 유류오염 손해는 동법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
     3. 일반석박이란 유조선과 유류저장부선을 제외한 모든 선박을 말한다.
     4. 대한민국의 배타적 경제수역에서의 유류오염손해를 방지하거나 경감하기 위한 방제조치에 대하여는 장소에 관계없이 이 법을 적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88. 유류오염손해배상 보장법은 어떤 경우에 적용되는가?(2016년 05월)
     1. 선박으로부터의 기름유출
     2. 항공기로부터의 기름유출
     3. 자동차로부터의 기름유출
     4. 육상으로부터의 기름유출

     정답 : []
     정답률 : 88%

89. 다음 ( ) 안에 들어갈 가장 알맞은 것은?(2016년 05월)

    

     1. 200
     2. 500
     3. 1000
     4. 2000

     정답 : []
     정답률 : 83%

90. 유류오염 손해배상 보장법상 선박소유자 손해배상의 면책이 인정되는 경우는?(2005년 05월)
     1. 유조선의 감항성이 부족한 경우
     2. 용선자의 상사과실로 발생한 경우
     3. 제3자의 고의만으로 발생한 경우
     4. 타선과 쌍방과실로 충돌한 경우

     정답 : []
     정답률 : 82%

91. 연안관리법에서 규정한 연안정비사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6년 05월)
     1. 연안을 보전 또는 개선하는 사업
     2. 산업시설조성을 위하여 항만시설을 확충하는 사업
     3. 국민이 연안을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친수공간을 조성하는 사업
     4. 해일, 파랑, 해수, 연안침식 등으로부터 연안을 보호하고 훼손된 연안을 정비하는 사업

     정답 : []
     정답률 : 76%

92. 해양오염방지협약상 가장 가까운 육지란?(2005년 05월)
     1. 연안국의 내수선
     2. 연안국의 평수구역
     3. 연안국의 영해기선
     4. 연안국의 항계

     정답 : []
     정답률 : 57%

93. 해양환경관리법상 해양에서의 대기오염방지를 위한 규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5월)
     1. 누구든지 선박으로부터 오존층 파괴물질을 배출해서는 안 되며, 오존층 파괴물질을 회수할 때도 배출하면 안 된다.
     2. 비상사용 목적의 선박은 질소산화물의 배출허용기준을 초과하는 디젤기관의 작동은 가능하다.
     3. 선박의 소유자는 황산화물 배출규제해역을 제외한 해역에서 경유의 황함유량이 1.0퍼센트(무게퍼센트)를 초과하는 연료유를 사용하여서는 아니된다.
     4. 누구든지 선박의 항해 및 적방 중에는 폴리염화비페닐을 선박 안에서 소각하여서는 아니된다.

     정답 : []
     정답률 : 67%

94. 해양환경관리법상 선수 탱크와 충돌 격벽보다 앞쪽 탱크에 기름을 적재하는 것이 금지된 선박의 톤수 기준은?(2022년 04월)
     1. 총톤수 200톤 이상의 선박
     2. 총톤수 300톤 이상의 선박
     3. 총톤수 400톤 이상의 선박
     4. 총톤수 500톤 이상의 선박

     정답 : []
     정답률 : 60%

95. 선박검사증서의 유효기간은 몇 년인가?(2006년 05월)
     1. 2년
     2. 3년
     3. 5년
     4. 6년

     정답 : []
     정답률 : 74%

96. 다음 중 73/78 MARPOL과 관련된 국내법규는?(2007년 05월)
     1. 해양오염방지법
     2. 선박안전법
     3. 개항질서법
     4. 국제선박등록법

     정답 : []
     정답률 : 85%

97. 유류오염손해배생보장법의 목적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2007년 05월)
     1. 선박소유자의 책임 명확화
     2. 유류손해의 배상제도 확립
     3. 유류운송의 건전한 발전도모
     4. 해양환경의 적절한 보존과 관리

     정답 : []
     정답률 : 62%

98. 어장관리법상 어장정화ℓ정비업의 등록을 할 수 있는 자는?(2010년 05월)
     1. 금치산자나 한정치산자
     2. 파산선고를 받고 복권되지 아니한자
     3. 수산업법을 위반하여 금고 이상의 형의 집행유예를 선고받고 그 유예기간 중에 잇는 자
     4. 어장정화ㆍ정비업의 등록이 취소된 자로서 그 등록이 취소된 날부터 5년이 지난 자

     정답 : []
     정답률 : 86%

99. 1972년 LC 협약상 해상투기가 금지된 물질은?(2018년 04월)
     1. 준설물질
     2. 저준위 방사성 물질
     3. 천연기원의 비오염 유기물질
     4. 생선폐기물 또는 산업적 생선가공 과정에서 나오는 유기물

     정답 : []
     정답률 : 73%

100. 다음 중 선박으로부터 모든 종류의 오염물질에 의한 해양오염방지사항을 가장 포괄적으로 규제하기 시작한 국제협약은?(2005년 05월)
     1. OILPOL 1954
     2. INTERVENTION 1969
     3. LC 1972
     4. MARPOL 73/78

     정답 : []
     정답률 : 78%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해양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4649538)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6 변리사 1차(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2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525 콘크리트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3월30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 해양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4649538)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523 생물분류기사(동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7071689)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522 화약취급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10월01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521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정보보호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6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520 9급 국가직 공무원 경제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7월1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519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조경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6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518 침투비파괴검사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03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517 공유압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7월19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516 전기철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5월2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515 9급 국가직 공무원 공직선거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4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514 조리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04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513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1월26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512 패션머천다이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8월2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511 종자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7월13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510 9급 지방직 공무원 재배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509 컨테이너크레인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9997943)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508 소방설비기사(기계분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3월2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507 의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3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Board Pagination Prev 1 ...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 349 Next
/ 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