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건설안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1939427)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건설안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산업안전관리론


1. 다음 중 피로의 정신적 증상으로 가장 관련이 깊은 것은?(2008년 05월)
     1. 주의력이 감소 또는 경감된다.
     2. 작업의 효과나 작업량이 감퇴 및 저하된다.
     3. 작업에 대한 무감각ㆍ무표정ㆍ경련 등이 일어난다.
     4. 작업에 대한 몸의 자세가 흐트러지고 지치게 된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보기 2,3,4는 신체적 증상이고 1번만 정신적 증상입니다.
[해설작성자 : 이승빈]

2. 재해 발생과 관련된 버드(Frank Bird)의 도미노 이론을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2015년 09월)
     1. 기본원인→제어의 부족→직접원인→사고→상해
     2. 기본원인→직접원인→제어의 부족→사고→상해
     3. 제어의 부족→기본원인→직접원인→사고→상해
     4. 제어의 부족→직접원인→기본원인→상해→사고

     정답 : []
     정답률 : 64%

3. 사고방지의 기본원리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다.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4년 09월)
     1. 관리책임의 원칙
     2. 원인계기의 원칙
     3. 손실우연의 원칙
     4. 예방가능의 원칙

     정답 : []
     정답률 : 69%

4. 다음 중 학습의 전이에 영향을 주는 조건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1년 10월)
     1. 학습자의 지능요인
     2. 학습정도의 요인
     3. 학습자의 태도요인
     4. 학습장소의 요인

     정답 : []
     정답률 : 70%

5. 다음 중 리더십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1년 10월)
     1. 조직원에 의하여 선출된다.
     2. 지휘의 형태는 민주주의적이다.
     3. 조직원과의 사회적 간격이 넓다.
     4. 권한의 근거는 개인의 능력에 의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6. A 사업장의 도수율이 10이고 강도율이 1.7이라고 하면 이 사업장의 종합재해지수(FSI)는 약 얼마인가?(2011년 03월)
     1. 2.74
     2. 3.74
     3. 3.87
     4. 4.12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도수율X강도율)= 종합재해지수(FSI)

7. 인간의 동기부여에 관한 맥그리거의 X이론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2년 09월)
     1. 인간은 스스로 자기목표에 대하여 자기통제를 한다.
     2. 인간은 본래 일을 싫어하며 피하려고 한다.
     3. 인간은 명령받는 것을 좋아하며 책임회피를 좋아한다
     4. 동기는 생리적 수준 및 안정의 수준에서 나타난다.

     정답 : []
     정답률 : 37%

8. 단조로운 업무가 장시간 지속될 때 작업자의 감각기능 및 판단능력이 둔화 또는 마비되는 현상은?(2004년 03월)
     1. 망각현상
     2. 감각차단현상
     3. 피로현상
     4. 착각현상

     정답 : []
     정답률 : 71%

9. 다음 중 인간의 사회적 행동의 기본 형태가 아닌 것은?(2011년 06월)
     1. 대립
     2. 모방
     3. 도피
     4. 협력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인간의 사회적 행동의 기본형태
협력 / 대립 / 도피 / 융합
[해설작성자 : 화이링]

10. 생체리듬상 위험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6년 09월)
     1. 육체, 지성, 감성 리듬이 최고조일 때이다.
     2. 육체, 지성, 감성 리듬이 (-)리듬에서 (+)리듬으로, 또는 (+)리듬에서 (-)리듬으로 변화하는 때이다.
     3. 육체, 지성, 감성 리듬이 최저점일 때이다.
     4. 감성리듬이 최저점일 때이다.

     정답 : []
     정답률 : 32%

11. 보호구 안전인증 고시에 따른 안전화의 정의 중 ( )안에 알맞은 것은?(2020년 06월)

    

     1. ㉠ 500, ㉡ 10.0
     2. ㉠ 250, ㉡ 10.0
     3. ㉠ 500, ㉡ 4.4
     4. ㉠ 250, ㉡ 4.4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경작업화        250mm 4.4±0.1
보통작업화    500mm 10± 0.1
중작업화        1,000mm 15± 0.1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2. 어떤 상황의 판단능력과 사실의 분석 및 문제의 해결능 력을 키우기 위하여 먼저 사례를 조사하고, 문제적 사실들과 그의 상호 관계에 대하여 검토하고, 대책을 토의하도록 하는 교육기법은 무엇인가?(2007년 09월)
     1. 패널 디스커션(Panel discussion)
     2. 심포지엄(Symposium)
     3. 케이스 메소드(Case method)
     4. 롤 플레잉(Role playing)

     정답 : []
     정답률 : 46%

13. 재해발생의 주요원인 중 불안전한 상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7년 05월)
     1. 기계설비 및 장비의 결함
     2. 부적절한 조명 및 환기
     3. 작업장소의 정리ㆍ정돈 불량
     4. 보호구 미착용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2.3- 불안전한 상태
4 - 불안전한 행동
[해설작성자 : 이번엔]

14. 우리나라에서 어떤 한 해의 산업재해로 인한 경제적 직접손실액(산재보상금 지급액)이 2조원으로 집계되었다. 하인리히의 직접비와 간접비의 비율을 적용해 볼 때 총 경제적 손실 추정액은 얼마인가?(2006년 05월)
     1. 4조원
     2. 6조원
     3. 8조원
     4. 10조원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하인리히의 직접비 간접비 비율은 1:4로 직접적금액이 2조원(1)이니까 간접적(4)=2x4해서 8조원입니다
문제에서 직접비 간접비 따로 물은것이 아니고 "총" 경제적 손실금액을 물었으니까 2조원+8조원해서 10조원 입니다
[해설작성자 : 이승빈]

15. 안전교육 중 ATP(Administration Training Program)라고도 하며, 당초에는 일부 회사의 최고 관리자에 대해서만 행하여졌던 것이 널리 보급된 것은?(2007년 05월)
     1. TWI(Training Within Industry)
     2. MTP(Management Training Program)
     3. CCS(Civil Communication Section)
     4. ATT(American Telephone & Telegram Co)

     정답 : []
     정답률 : 49%

16. 다음 중 매슬로우(Maslow)가 제창한 인간의 욕구 5단계 이론을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2010년 05월)
     1. 생리적욕구→안전욕구→사회적욕구→존경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
     2. 안전욕구→생리적욕구→사회적욕구→존경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
     3. 사회적욕구→생리적욕구→안전욕구→존경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
     4. 사회적욕구→안전욕구→생리적욕구→존경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

     정답 : []
     정답률 : 76%

17. 학습의 전이에 영향을 주는 조건과 관련이 없는 것은?(2003년 05월)
     1. 학습자의 지능 요인
     2. 학습정도의 요인
     3. 학습자의 태도 요인
     4. 학습장소의 요인

     정답 : []
     정답률 : 36%

18. 학생들의 개인차가 최대한으로 조절되어야 할 경우에 적합한 교육방법은?(2005년 03월)
     1. Programmed self-instructional method
     2. Discussion method
     3. Demonstration method
     4. Simulation method

     정답 : []
     정답률 : 43%

19. 학생이 마음속에 생각하고 있는 것을 외부에 구체적으로 실현하고 형상화하기 위하여 자기 스스로가 계획을 세워 수행하는 학습활동으로 이루어지는 학습지도의 형태는?(2018년 03월)
     1. 케이스 메소드(Case mathod)
     2. 패널 디스커션(panel discussion)
     3. 구안법(Project method)
     4. 문제법(Problem method)

     정답 : []
     정답률 : 76%

20. 안전사고의 관리적 원인 중 기술적 원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3년 05월)
     1. 인원배치 부적당
     2. 점검, 정비보존 불량
     3. 생산공정의 부적당
     4. 구조, 재료의 부적합

     정답 : []
     정답률 : 63%

2과목 :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21. 다음 중 골격(뼈)의 주요 기능이 아닌 것은?(2007년 03월)
     1. 신체를 지지하고 형상을 유지하는 역할
     2. 주요한 부분을 보호하는 역할
     3. 신체활동을 수행하는 역할
     4. 유기질을 저장하는 역할

     정답 : []
     정답률 : 69%

22.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청각적 표시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로 적합한 것은?(2019년 04월)
     1. 전언이 복잡한 경우
     2. 전언이 이후에 재참조되는 경우
     3. 전언이 공간적인 사건을 다루는 경우
     4. 전언이 즉각적인 행동을 요구하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표시장치의 선택
* 청각장치
1. 전언이 간단하고 짧다.
2. 전언이 후에 재참조 되지 않는다.
3. 즉각적인 사상을 이룬다.
4. 즉각적인 행동을 요구한다.
5. 수신자가 시각계통이 과부하 상태일 때
6. 수신장소가 너무 밝거나 암조응 유지가 필요할 때
7. 직무상 수신자가 자주 움직이는 경우
[해설작성자 :    ghkdtjgus]

23. FT(Fault Tree)도를 작성할 때 일반적으로 최하단에 사용 되지 않는 사상은?(2009년 05월)
     1. 결함사상
     2. 통상사상
     3. 기본사상
     4. 생략사상

     정답 : []
     정답률 : 28%

24. 40세 이후 노화에 의한 인체의 시지각 능력 변화로 틀린 것은?(2015년 03월)
     1. 근시력 저하
     2. 휘광에 대한 민감도 저하
     3. 망막에 이르는 조명량 감소
     4. 수정체 변색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대비에 대한 민감도 저하
[해설작성자 : 동진]

25. 인간-기계체계의 신뢰도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닌것은?(2004년 03월)
     1. 중복설계
     2. 충분한 여유용량
     3. 고가재료사용
     4. 부품개선

     정답 : []
     정답률 : 73%

26. 작업설계를 할 때 인간요소적 접근방법은?(2003년 03월)
     1. 작업만족도를 강조
     2. 능률과 생산성을 강조
     3. 작업순환과 배치를 강조
     4. 작업에 대한 책임을 강조

     정답 : []
     정답률 : 20%

27.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상 정밀작업의 작업면 조명도에 맞는 것은?(2004년 03월)
     1. 750럭스 이상
     2. 300럭스 이상
     3. 150럭스 이상
     4. 75럭스 이상

     정답 : []
     정답률 : 56%

28. 어떤 물체나 표면에 도달하는 빛의 단위 면적당 밀도를 무엇이라 하는가?(2016년 10월)
     1. 광량
     2. 광도
     3. 조도
     4. 반사율

     정답 : []
     정답률 : 71%

29. 시스템이 저장되고 이동되고, 실행됨에 따라 발생하는 작동시스템의 기능이나 과업, 활동으로부터 발생되는 위험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는 위험분석방법은?(2014년 05월)
     1. FHA
     2. OHA
     3. PHA
     4. SHA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OSHA(OHA)의 정의
시스템의 모든 사용 단계에서 생산, 보전 시험, 운반, 저장, 운전, 저장, 운전, 비상탈출, 구조, 훈련 및 폐기 등에 사용되는 인원, 순서, 설비에 관하여 위험을 동정하고 제어한다.
안전 요건을 결정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해석이다.

30. 다음 중 청각적 신호의 수신에 관계되는 인간의 기능으로 볼 수 없는 것은?(2012년 09월)
     1. 검출
     2. 순응
     3. 위치 판별
     4. 절대적 식별

     정답 : []
     정답률 : 53%

31. 세발자전거에서 각 바퀴의 신뢰도가 0.9일 때 이 자전거의 신뢰도는 얼마인가?(2014년 03월)
     1. 0.729
     2. 0.810
     3. 0.891
     4. 0.999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신뢰도 R=1-(1-0.9)
여기서 세발자전거의 각 바퀴의 신뢰도가 0.9라고 하였음으로 바퀴는 3개
따라서 신뢰도 R=1-(1-0.9^3)=0.729
[해설작성자 : Rosy]

32. 조작자 한 사람의 신뢰도가 0.9일때 요원을 중복하여 2인 1조가 되어 작업을 진행하는 공정이 있다. 작업 기간 중 항상 요원 지원을 한다면 이 조의 인간 신뢰도는?(2020년 08월)
     1. 0.93
     2. 0.94
     3. 0.96
     4. 0.99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인간 신뢰도: 인간이 어떠한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에러를 범하지 않고 작업을 수행할 확률

요원의 중복에 따른 직무 신뢰도
R2 = 1-(1-R1)^2
R1: 각각의 작업자의 신뢰도
R2: 두 사람에 의해 수행되는 직무 신뢰도

해서, 문제의 답은 1-(1-0.9)^2 = 0.99
[해설작성자 : 가즈아!]

33. 원자력 산업과 같이 이미 상당한 안전이 확보되어 있는 장소에서 관리, 설계, 생산, 보전 등 광범위하고 고도의 안전달성을 목적으로 하는 시스템 해석방법은?(2008년 05월)
     1. ETA
     2. FHA
     3. MORT
     4. FMECA

     정답 : []
     정답률 : 57%

34. 다음 중 암호체계 사용상의 일반적인 지침에 해당하지않는 것은?(2009년 05월)
     1. 암호의 검출성
     2. 부호의 양립성
     3. 암호의 표준화
     4. 암호의 단일 차원화

     정답 : []
     정답률 : 54%

35. 다음 중 FT도에서 [그림]과 같은 기호의 명칭에 해당하는 것은?(2011년 03월)

    

     1. OR게이트
     2. 배타적 OR게이트
     3. 조합 OR게이트
     4. 우선적 OR게이트

     정답 : []
     정답률 : 53%

36. 시스템 설계 과정의 주요 단계 중 계면설계에 있어 계면설계를 위한 인간 요소 자료로 볼 수 없는 것은?(2013년 03월)
     1. 상식과 경험
     2. 전문가의 판단
     3. 실험절차
     4. 정량적 자료집

     정답 : []
     정답률 : 42%

37. 작업원 2인이 중복하여 작업하는 공정에서 작업자의 신뢰도는 0.85로 동일하며, 작업 중 50%는 작업자 1인이 수행하고 나머지 50%는 중복 작업한다면 이 공정의 인간 신뢰도는 약 얼마인가?(2012년 05월)
     1. 0.6694
     2. 0.7225
     3. 0.9138
     4. 0.9888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1-(1-0.85)(1-0.85*50%)=0.91375 그러므로 0.9138
[해설작성자 : wjs]

38. 반경 7cm의 조종구를 45° 움직일 때 계기판의 표시가 3cm 이동하였다. 이 조종장치의 C/R비는 약 얼마인가?(2010년 05월)
     1. 1.99
     2. 1.83
     3. 1.45
     4. 1.00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C/R=X/Y
X=a/360 x 2 x 3.14 x r(반경)
Y=변위량
C/R=(45/360 x 2 x 3.14 x 7 )/3
[해설작성자 : cyh3632]

39. 인간-기계 시스템에서의 기본적인 기능으로 볼 수 없는 것은?(2016년 10월)
     1. 행동 기능
     2. 정보의 수용
     3. 정보의 저장
     4. 정보의 설계

     정답 : []
     정답률 : 59%

40. 인간 에러(Hunman Error)를 예방하기 위한 기법 중 적당하지 않은 방법은?(2005년 09월)
     1. 작업상황 개선
     2. 인간실수 자료 은행
     3. 요원변경
     4. 시스템의 영향 감소

     정답 : []
     정답률 : 30%

3과목 : 건설시공학


41. 콘크리트용 혼화재 중에서 포졸란을 사용한 콘크리트의 효과 중 옳지 않은 것은 어느 것인가?(2006년 05월)
     1. 워커빌리티가 좋아지고 블리딩 및 재료 분리가 감소 된다.
     2. 수밀성이 크다.
     3. 강도 증진은 늦으나 단기강도는 크다.
     4. 해수 등에 화학적 저항이 크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포졸란 반응에 따른 효과
1) 워커빌리티 개선
2) 재료분리 및 블리딩 감소
3) 수화열 감소
4) 해수 및 화학적 저항성 증진
5) 초기강도는 감소하나 장기강도 증가
6) 수밀성 향상
7) 인장강도 신장능력 향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2. 철근콘크리트공사에서 거푸집의 상호 간 간격을 유지하는데 사용하는 것은?(2019년 04월)
     1. 폼 데코(form deck)
     2. 세퍼레이터(separator)
     3. 스페이서(spacer)
     4. 파이프 서포트(pipe support)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 세퍼레이터(Separator) : 격리재
     거푸집 간의 간격 유지
* 스페이서(Spacer) : 간격재
     철근과 거푸집 간의 간격 유지
* 폼타이(Formtie) : 긴결재
     거푸집 간격의 긴장재
* 폼오일(Formoil) : 박리제
     콘크리트와 거푸집 박리 용이하게
* 캠버(Camber) : 높이 조절용 쐐기
[해설작성자 : 건설안전산업기사뚜]

43. 타워크레인 등의 시공장비에 의해 한 번에 설치하고 탈형만 하므로 사용할 때마다 부재의 조립 및 분해를 반복하지 않아 평면상 상하부 동일단면의 벽식 구조인 아파트 건축물에 적용효과가 큰 대형 벽체거푸집은?(2019년 09월)
     1. 갱폼(Gang form)
     2. 유로폼(Euro form)
     3. 트래블링 폼(Traveling form)
     4. 슬라이딩 폼(Sliding form)

     정답 : []
     정답률 : 66%

44. 흙막이벽의 계측관리 중 지보공 버팀대에 작용하는 축력을 측정하는 장치의 이름은?(2003년 08월)
     1. 트랜싯
     2. 로드셀
     3. 크랙게이지
     4. 레벨

     정답 : []
     정답률 : 46%

45. 다음 중 철근의 정착 위치로 알맞지 않은 것은?(2008년 03월)
     1. 기둥의 주근은 기초에 정착한다.
     2. 작은 보의 주근은 기둥에 정착한다.
     3. 바닥철근은 보 또는 벽체에 정착한다.
     4. 벽체의 주근은 기둥 또는 큰보에 정착한다.

     정답 : []
     정답률 : 40%

46. 지반정리 작업을 위한 장비가 아닌 것은?(2002년 03월)
     1. 블도우저(Bulldozer)
     2. 드래그쇼벨(drag shovel)
     3. 그레이더(grader)
     4. 스크레이퍼(scraper)

     정답 : []
     정답률 : 49%

47. 토공사용 기계장비 중 기계가 서 있는 위치보다 높은 곳의 굴착에 적합한 기계장비는?(2020년 06월)
     1. 백호우
     2. 드래그 라인
     3. 크램쉘
     4. 파워셔블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굴삭용 장비 종류

1. power shovel: 기계보다 높은 지반의 굴삭에 적당하며 굴삭력이 우수.
굴삭높이: 1.5~3m, 굴삭깊이 : 지반 및 2m정도
버켓용량: 0.6~1.0루베, 선회각: 90도

2. 드래그쇼벨(백호): 기계가 서 있는 지반보다 낮은 곳의 굴착에 좋다.
파는 힘이 강력하고 비교적 경질지반도 잘 적응

3. 드래그라인: 기계위치보다 낮은 곳의 연질지반 굴착에 사용.
넓은 면적에 사용되나 힘이 강력하진 못함

4. 크람셸: 좁은곳의 수직굴착에 알맞음(slurry wall공사등)
사질지반에 적당하고 비교적 경질비잔에도 적용할 수 있다.

5. bucket Excavator: 순환하는 쇠사슬에 다수의 버켓을 설치, 연속적으로 아래에서 위로 떠올림.
채석장, 배쳐 plant등에서 사용 용도가 큼

6. suspention Dredger: 케이슨이나 피어기초의 안쪽 흙을 수직으로 팔때 사용.
Bucket이나 Excavator를 수직으로 이용

7. Trencher: 좁고 깊은 도랑을 연속으로 일정하게 파면서 전진하는 기계.
하수도관, 가스관, 송유관 등의 굴착용
[해설작성자 : 가즈아!]

48. 기초콘크리트에 앵커볼트를 묻을 구멍을 내 두었다가 큰 콘크리트가 경화한 뒤 볼트에 그라우트 모르타르로 충전하면서 고정하는 공법으로, 소규모 앵커볼트 매입에 적당한 것은?(2010년 09월)
     1. 고정매입공법
     2. 가동매입공법
     3. 전면바름공법
     4. 전면그라우트공법

     정답 : []
     정답률 : 46%

49. 한중 콘크리트 공사에서 콘크리트의 물시멘트비는 원칙적으로 얼마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2007년 05월)
     1. 25%
     2. 35%
     3. 45%
     4. 60%

     정답 : []
     정답률 : 58%

50. Top down 공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지하층과 지상층을 동시작업하므로 공기가 단축된다.
     2. 완전역타, 부분역타, 보 및 거더식 역타공법 등이 있다.
     3. 설계변경은 언제나 가능하고, 급배기 환기시설 등이 불필요하다.
     4. 도심지 공사에서 1층 작업장을 활용하고자 할 때 적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51. 철근가공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D35 이상의 철근은 산소절단기를 사용하여 절단한다.
     2. 유해한 휨이나 단면결손, 균열 등의 손상이 있는 철근은 사용하면 안된다.
     3. 한번 구부린 철근은 다시 펴서 사용해서는 안된다.
     4. 표준갈고리를 가공할 때에는 정해진 크기 이상의 곡률 반지름을 가져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산소절단기에읜 철근 절단은 피한다
[해설작성자 : 박교주]

52. 공개 경쟁 입찰인 경우 입찰조건을 현장에서 설명할 필요가 있는데 이 때의 설명내용과 거리가 먼 것은?(2009년 05월)
     1. 공사기간
     2. 공사비 지불조건
     3. 도급자 결정방법
     4. 자재의 수량

     정답 : []
     정답률 : 57%

53. 시공과정상 불가피하게 콘크리트를 이어치기할 때 발생하는 시공불량 이음부를 무엇이라고 하는가?(2010년 09월)
     1. 컨스트럭션 조인트(construction jiont)
     2. 콜드 조인트(cold joint)
     3. 컨트롤 조인트(control joint)
     4. 익스팬션 조인트(expansion joint)

     정답 : []
     정답률 : 64%

54. 철근 콘크리트 공사에서 철근의 최소 피복두께를 확보하는 이유로 볼 수 없는 것은?(2016년 10월)
     1. 콘크리트 산화막에 의한 철근의 부식 방지
     2. 콘크리트의 조기 강도 증진
     3. 철근과 콘크리트의 부착응력 확보
     4. 화재, 염해, 중성화 등으로부터의 보호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피복두께 확보 목적
1. 내화성    2. 내구성    3. 유동성    4. 부착강도
[해설작성자 : 빈]

55. 구조물 위치 전체를 동시에 파내지 않고 측벽이나 주열선 부분만을 먼저 파내고 그 부분의 기초와 지하구조체를 축조한 다음 중앙부의 나머지 부분을 파내어 지하구조물을 완성하는 공법은?(2006년 05월)
     1. 아일랜드 공법
     2. 트렌치 컷 공법
     3. 어스앵커 공법
     4. 타이로드 공법

     정답 : []
     정답률 : 33%

56. 지반의 토질시험 중에서 무게 63.5kg의 추를 76cm 높이에서 낙하시켜 샘플러가 30cm 관입하는데 따른 저항치를 측정하는 시험을 무엇이라 하는가?(2014년 09월)
     1. 전단시험
     2. 지내력시험
     3. 표준관입시험
     4. 베인시험

     정답 : []
     정답률 : 81%

57. 다음 건설기계와 용도가 맞지 않는 것은?(2006년 03월)
     1. 파워쇼벨 - 굴착 및 크레인 작업
     2. 불도저 - 굴착, 운반
     3. 드래그라인 - 기계가 서있는 곳 보다 낮은 곳의 굴착
     4. 컨베이어 - 굴착, 기계

     정답 : []
     정답률 : 53%

58. 다음 중 건설공사용 공정표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8년 03월)
     1. 횡선식 공정표
     2. 네트워크공정표
     3. PDM기법
     4. WBS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WBS는 Work Breakdown Structure의 약어로 '작업분류체계"
공사에서 수행할 작업을 계층적으로 정의한 문서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9. 철근가공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대지의 여유가 없어도 정밀도 확보를위해 현장가공을 우선적으로 고려한다.
     2. 철근 가공은 현장가공과 공장가공으로 나눌 수 있다.
     3. 공장가공은 현장가공에 비해 절단손실을 줄일 수 있다.
     4. 공장가공은 현장가공보다 운반비가 높은 경우가 많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정밀도는 현장보다 공장작업이 우수함
[해설작성자 : 토리]

60. 철골공사에서 세우기 계획을 수립할 때 철골제작공장과 협의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2006년 05월)
     1. 반입 철골의 중량
     2. 반입 시간의 확인
     3. 반입 부재수의 확인
     4. 부재 반입의 순서

     정답 : []
     정답률 : 37%

4과목 : 건설재료학


61. 각종 금속의 성질 및 사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3월)
     1. 아연판은 철과 접촉하면 침식되므로 아연못을 사용한다.
     2. 동은 대기 중에서 내구성이 있으나 암모니아에 침식 된다.
     3. 연은 산과 알칼리에 강하므로 콘크리트에 직접매설 하여도 침식이 적다.
     4. 동은 전연성이 풍부하므로 가공하기 쉽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연(납) - 알칼리에는 침식된다
                    - 산에는 강하나 알칼리에는 약하므로 콘크리트 속에 매설할 경우에는 방식피복을 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ㅈ]

62. 바다 모래 중의 염분에 의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기 위해 콘크리트에 첨가하는 혼화제의 주성분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2007년 05월)
     1. 규불화마그네슘
     2. 염화칼슘
     3. 아초산염
     4. 실리카흄

     정답 : []
     정답률 : 30%

63. 고로시멘트는 포틀랜드 시멘트 클링커에 어떤 물질을 첨가한 것인가?(2012년 09월)
     1. 고로슬래그
     2. 플라이애쉬
     3. 포졸란
     4. 알루미나

     정답 : []
     정답률 : 62%

64. 플라스틱재료의 일반적인 성질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15년 03월)
     1. 산이나 알칼리, 염류 등에 대한 저항성이 약하다.
     2. 전기저항성이 불량하여 절연재료로 사용할 수 없다.
     3. 내수성 및 내투습성이 좋지 않아 방수피막제 등으로 사용이 불가능하다.
     4. 상호간 계면 접착이 잘되며 금속, 콘크리트, 목재, 유리 등 다른 재료에도 잘 부착된다.

     정답 : []
     정답률 : 57%

65. 목재의 성질에 관한 내용 중 알맞지 않은 것은?(2004년 05월)
     1. 목재의 무게가 기건상태 80g, 전건상태 72g 일 때 함수율은 10% 이다.
     2. 목재의 인장 및 압축강도는 응력방향이 섬유방향에 평행한 경우에 최대가 된다.
     3. 심재는 변재보다 일반적으로 강도가 크다.
     4. 목재는 열전도율이 낮아 여러 가지 보온재로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32%

66. 다음 중 섬유판(fiber board)을 만드는 주원료에 속하는 것은?(2007년 05월)
     1. 시멘트
     2. 목재펄프
     3. 퍼티(putty)
     4. 카세인

     정답 : []
     정답률 : 30%

67. 목재를 건조시키는 목적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2012년 09월)
     1. 목재의 자중을 가볍게 한다.
     2. 부패나 충해를 방지한다.
     3. 변형을 증가시킨다.
     4. 도장을 용이하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76%

68. 석고보드의 일반적인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9월)
     1. 수축률이 크고 단열성이 낮다.
     2. 방화성능 및 보온성이 우수하다.
     3. 흡습되면 강도, 강성이 저하된다.
     4. 부식이 안되고 충해를 받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37%

69. 점토소성제품의 흡수성이 큰 것부터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2019년 04월)
     1. 토기 > 도기 > 석기 > 자기
     2. 토기 > 도기 > 자기 > 석기
     3. 도기 > 토기 > 석기 > 자기
     4. 도기 > 토기 > 자기 >석기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자기1%, 석기3~10%, 도기10~20%, 토기20%이상
[해설작성자 : 모두 합격 기원]

70. 다음 중 콘크리트의 골재시험과 관계없는 것은?(2009년 05월)
     1. 단위 용적 중량시험
     2. 안전성 시험
     3. 체가름 시험
     4. 크리프 시험

     정답 : []
     정답률 : 31%

71. 내열성 내한성이 우수한 열경화성 수지로 60~260℃의 범위에서는 안정하고 탄성이 있으며 내후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것은?(2019년 09월)
     1. 폴리에틸렌 수지
     2. 염화비닐 수지
     3. 아크릴 수지
     4. 실리콘 수지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실리콘의 특이하고도 유용한 성질로는, ① -260~-80℃에서 안정하게 사용할 수 있다. ② 가소물이나 금속을 성형할 때 이형제(離型劑)로 쓸 수 있을 정도로 피복력이 양호하다. ③ 대부분의 용제에서 거품을 없애는 작용이 크다. ④ 무기물·유기물에 발수성(撥水性: 물을 튀기는 성질)을 준다. ⑤ 생리적으로 무해하므로 화장품이나 약품으로 쓸 수 있다. ⑥ 전기절연성이 좋다. 유기기(有機基)가 메틸기일 때 내열성이 최고이며, 다른 알킬기나 알릴기로 치환한 것은 기계적 강도는 크나 전기적 성능은 다소 떨어진다.
[네이버 지식백과] 실리콘수지 [silicone resin]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해설작성자 : 한번에 합격 가즈아!]

72.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구조물의 균열 및 변형을 방지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혼화재료는?(2014년 03월)
     1. 지연제(Retarder)
     2. 플라이애시(Fly ash)
     3. 실리카흄(Silica fume)
     4. 팽창제(Expansive producing admixtures)

     정답 : []
     정답률 : 67%

73. 스테인리스강은 어떤 성분의 금속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금속재료인가?(2011년 10월)
     1. 망간
     2. 규소
     3. 크롬
     4.

     정답 : []
     정답률 : 59%

74. 도료의 사용부위별 페인트를 연결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목재면-목재용 래커 페인트
     2. 모르타르면-실리콘 페인트
     3. 외부 철재구조물-조합페인트
     4. 내부 철재구조물-수성페인트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내부철재구조물 - 에나멜 등 조합페인트를 주로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애옹애옹]

75. 대리석에 관한 기술 중 틀린 것은?(2006년 05월)
     1. 외장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2. 주성분은 탄산석회이다.
     3. 내화성이 낮고 풍화되기 쉽다.
     4. 변성암에 속한다.

     정답 : []
     정답률 : 54%

76. 접착제를 사용할 때의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피착제의 표면은 가능한 한 습기가 없는 건조상태로 한다.
     2. 용제, 희석제를 사용할 경우 과도하게 희석시키지 않도록 한다.
     3. 용제성의 접착제는 도포 후 용제가 휘발한 적당한 시간에 접착시킨다.
     4. 접착처리 후 일정한 시간 내에는 가능한 한 압축을 피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접착 처리 후 일정 시간 동안은 지속 압축 해야함
[해설작성자 : 간따삐야]

77. 철강의 부식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8년 03월)
     1. 토양 속에서의 강재부식은 전기전도도가 낮을수록, pH 값이 높을수록 빠르다.
     2. 철강의 표면은 대기중의 습기나 탄산가스와 반응하여 수산화제이철, 수산화제일철 및 탄산철 등으로 구성되는 녹을 발생시킨다.
     3. 물 특히 바닷물 속에서 부식되기 쉬우며, 물과 공기에 번갈아 접촉시키면 더욱 부식되기 쉽다.
     4. 철근콘크리트 중의 철근 부식은 콘크리트의 성질에 영향을 받는다.

     정답 : []
     정답률 : 51%

78. P.S.콘크리트 부재 제작 시 프리스트레스(prestress)를 도입시키기 위해 개발된 시멘트는?(2015년 09월)
     1. 제트 시멘트
     2. 알루미나 시멘트
     3. 인산 시멘트
     4. 팽창 시멘트

     정답 : []
     정답률 : 46%

79. 콘크리트 타설후에 떠오른 미립물이 콘크리트 표면에 엷은막으로 침적되는 이 미립물을 무엇이라 하는가?(2002년 03월)
     1. 레이턴스(laitance)
     2. 블리딩(bleeding)
     3. 분리(segregation)
     4. 침하(settling)

     정답 : []
     정답률 : 41%

80. 시멘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시멘트의 강도는 시멘트의 조성, 물시멘트비, 재령 및 양생조건 등에 따라 다르다.
     2. 응결시간은 분말도가 미세한 것일수록, 또한 수량이 작을수록 짧아진다.
     3. 시멘트의 풍화란 시멘트가 습기를 흡수하여 생성된 수산화칼슘과 공기 중의 탄산가스가 작용하여 탄산칼슘을 생성하는 작용을 말한다.
     4. 시멘트의 안정성은 단위중량에 대한 표면적에 의하여 표시되며, 브레인법에 의해 측정된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시멘트의 안정성시험은 오토클래이브 팽창도 시험을 실시 한다.
[해설작성자 : 기사맨]

81. 크레인을 사용하는 작업에서 재해방지를 위한 조치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2002년 05월)
     1. 사업주는 매월 1회이상 자체검사를 하여야 한다.
     2. 정격하중을 초과하여 하중을 작용시켰을 때에는 그 기록을 3년간 보존하여야 한다.
     3. 크레인의 달기구에 탑승설비를 한 경우에는 근로자를 탑승시킬 수 있다.
     4. 지브크레인인 경우에는 명세서에 기록된 경사각을 초과하여서는 안된다.

     정답 : []
     정답률 : 25%

82. 다음 건설재료의 구분 중 유기질 재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2년 09월)
     1. 콜타르
     2. 합성고무
     3. 아스팔트
     4. 시멘트

     정답 : []
     정답률 : 47%

83. 고층건물공사의 마무리작업 및 외부청소작업 등에 주로 이용되는 달비계의 안전지침 중 틀린 것은?(2002년 05월)
     1. 와이어로우프 지름의 감소가 공칭지름의 10%를 넘는 것을 사용해서는 안된다.
     2. 달기체인의 길이가 제조당시보다 5%이상 늘어난 것을 사용해서는 안된다.
     3. 달기섬유로프의 가닥이 절단된것을 사용해서는 안된다.
     4. 달기체인에 균열이 있을 경우 사용을 중지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39%

84. 부두, 안벽 등 하역작업을 하는 장소에 대하여 부두 또는 안벽의 선을 따라 통로를 설치할 때 통로의 최소 폭은?(2010년 09월)
     1. 70cm
     2. 80cm
     3. 90cm
     4. 100cm

     정답 : []
     정답률 : 75%

85. 일반 거푸집 설계시 강도상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2015년 05월)
     1. 고정하중
     2. 풍압
     3. 콘크리트 강도
     4. 측압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콘크리트의 중량은 거푸집 설계 시 고려되지만 콘크리트의 강도는 무관하다
[해설작성자 : gygygy ]

86. 날씨 등의 이유로 비계를 변경한 후 해야 하는 비계의 점검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0년 09월)
     1. 기둥의 침하ㆍ변형ㆍ변위 또는 흔들림 상태
     2. 손잡이의 탈락여부
     3. 격벽의 설치여부
     4. 발판재료의 손상여부 및 부착 또는 걸림상태

     정답 : []
     정답률 : 64%

87. 철공공사의 용접, 용단작업에 사용되는 가스의 용기는 최대 몇 ℃ 이하로 보존해야 하는가?(2016년 03월)
     1. 25℃
     2. 36℃
     3. 40℃
     4. 48℃

     정답 : []
     정답률 : 64%

88.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을 제정하여 사용하게 된 직접적인 동기로 가장 알맞은 것은?(2005년 05월)
     1. 공사의 품질을 좋게 하기 위함이다.
     2. 공사의 원가를 절감하기 위함이다.
     3. 공사시에 근로자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함이다.
     4. 공사 중 공사기간을 단축하기 위함이다.

     정답 : []
     정답률 : 48%

89. 철근가공작업에서 가스절단을 할 때의 유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9월)
     1. 가스절단 작업 시 호스는 겹치거나 구부러지거나 밟히지 않도록 한다.
     2. 호스, 전선 등은 작업효율을 위하여 다른 작업장을 거치는 곡선상의 배선이어야 한다.
     3. 작업장에서 가연성 물질에 인접하여 용접 작업할 때에는 소화기를 비치하여야 한다.
     4. 가스절단 작업 중에는 보호구를 착용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1%

90. 공사종류 및 규모별 안전관리비 계상 기준표에서 공사종류의 명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20년 06월)
     1. 철도ㆍ궤도신설공사
     2. 일반건설공사(병)
     3. 중건설공사
     4. 특수 및 기타건설공사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일반건설공사(갑),(을)까지만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가즈아!]

91. 다음 중 유해 ㆍ위험방지 계획서 제출 대상 공사는?(2006년 09월)
     1. 지상높이가 25m인 건축물
     2. 최대지간길이가 45m인 교량건설공사
     3. 제방 높이가 50m인 다목적댐 건설공사
     4. 깊이가 8m인 굴착공사

     정답 : []
     정답률 : 55%

92. 굴착기계로 채석작업시 근로자의 작업장에 후진하여 접근하거나 전락할 우려가 있을 때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치하여야 하는 사람은?(2005년 05월)
     1. 작업지휘자
     2. 관리감독자
     3. 감시인
     4. 유도자

     정답 : []
     정답률 : 47%

93. 개착식 굴착공사(Open cut)에서 설치하는 계측기기와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3월)
     1. 수위계
     2. 경사계
     3. 응력계
     4. 내공변위계

     정답 : []
     정답률 : 61%

94.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하는 경우에 준수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9월)
     1. 당일의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해당 작업에 관한 거푸집 동바리 등의 변형ㆍ변위 및 지반의 침하 유무 등을 점검하고 이상이 있으면 보수할 것
     2. 작업 중에는 거푸집동바리 등의 변형ㆍ변위 및 침하 유무 등을 감시할 수 있는 감시자를 배치하여 이상이 있으면 작업을 중지하고 근로자를 대피시킬 것
     3. 콘크리트 타설작업 시 거푸집 붕괴의 위험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면 충분한 보강조치를 할 것
     4.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에는 밀실한 충전을 위해 최대한 편심이 발생하도록 집중하여 타설할 것

     정답 : []
     정답률 : 82%

95. 지반의 사면파괴 유형 중 유한사면의 종류가 아닌 것은?(2020년 06월)
     1. 사면내파괴
     2. 사면선단파괴
     3. 사면저부파괴
     4. 직립사면파괴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유한사면(Finite slope): 암반층 위의 토층의 깊이가 사면의 길이에 비해 큰 사면, 제방, 댐의 사면 등이 있다.
① 직립사면: 점토지반을 연직으로 굴착한 사면으로 흙막이 굴착 등이 여기에 속한다.
② 단순사면(Simple slope): 토목기사에서 많이 다룸, 사면의 정부와 선단이 평면을 이루고 있는 사면이다.

단순사면의 파괴형태
1) 사면내파괴(Slope failure)
2) 사면선단파괴(Toe failure)
3) 사면저부파괴(Base failure)
[해설작성자 : 가즈아!]

96. 강관비계를 설치하는 경우 첫 번째 띠장의 설치 기준은?(2015년 03월)
     1. 지상으로부터 1m 이하
     2. 지상으로부터 2m 이하
     3. 지상으로부터 3m 이하
     4. 지상으로부터 4m 이하

     정답 : []
     정답률 : 67%

97. 공사종류 및 규모별 안전관리비 계상기준표에서 공사종류의 명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6년 03월)
     1. 철도ㆍ궤도신설공사
     2. 일반건설공사(병)
     3. 중건설공사
     4. 특수 및 기타건설공사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일반건설공사(갑), 일반건설공사(을) - (0)
일반건설공사 (병) - (X)
[해설작성자 : 시리]

98. 수중굴착 및 구조물의 기초바닥, 잠함 등과 같은 협소하고 깊은 범위의 굴착과 호퍼작업에 가장 적합한 건설장비는?(2005년 03월)
     1. 크램셀(clam shell)
     2. 파워쇼벨(power shovel)
     3. 불도저(bulldozer)
     4. 항타기(pile driver)

     정답 : []
     정답률 : 58%

99. 옥내사업장에는 비상시에 근로자에게 신속하게 알리기 위한 경보용 설비 또는 기구를 설치하여야 하는데 그 설치기준으로 옳은 것은?(2011년 10월)
     1. 연면적이 400m2 이거나 상시 40명 이상의 근로자가 작업하는 옥내 작업장
     2. 연면적이 400m2 이거나 상시 50명 이상의 근로자가 작업하는 옥내 작업장
     3. 연면적이 500m2 이거나 상시 40명 이상의 근로자가 작업하는 옥내 작업장
     4. 연면적이 500m2 이거나 상시 50명 이상의 근로자가 작업하는 옥내 작업장

     정답 : []
     정답률 : 46%

100. "작업장이나 기계⋅설비의 바닥⋅작업발판 및 통로 등의 끝이나 개구부로부터 근로자가 추락하거나 넘어질 위험이 있는 장소에는 ( ① ), 울, 손잡이 또는 충분한 강도를 가진 ( ② ) 등을 설치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빈 칸에 가장 알맞은 것으로 짝지어진 것은? (순서대로 ①, ②)(2004년 09월)
     1. 폭목, 덮개
     2. 안전난간, 덮개
     3. 표준안전난간, 발끝막이 판
     4. 방호선반, 폭목

     정답 : []
     정답률 : 51%


정 답 지

건설안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1939427)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건설안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산업안전관리론


1. 다음 중 피로의 정신적 증상으로 가장 관련이 깊은 것은?(2008년 05월)
     1. 주의력이 감소 또는 경감된다.
     2. 작업의 효과나 작업량이 감퇴 및 저하된다.
     3. 작업에 대한 무감각ㆍ무표정ㆍ경련 등이 일어난다.
     4. 작업에 대한 몸의 자세가 흐트러지고 지치게 된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보기 2,3,4는 신체적 증상이고 1번만 정신적 증상입니다.
[해설작성자 : 이승빈]

2. 재해 발생과 관련된 버드(Frank Bird)의 도미노 이론을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2015년 09월)
     1. 기본원인→제어의 부족→직접원인→사고→상해
     2. 기본원인→직접원인→제어의 부족→사고→상해
     3. 제어의 부족→기본원인→직접원인→사고→상해
     4. 제어의 부족→직접원인→기본원인→상해→사고

     정답 : []
     정답률 : 64%

3. 사고방지의 기본원리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다.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4년 09월)
     1. 관리책임의 원칙
     2. 원인계기의 원칙
     3. 손실우연의 원칙
     4. 예방가능의 원칙

     정답 : []
     정답률 : 69%

4. 다음 중 학습의 전이에 영향을 주는 조건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1년 10월)
     1. 학습자의 지능요인
     2. 학습정도의 요인
     3. 학습자의 태도요인
     4. 학습장소의 요인

     정답 : []
     정답률 : 70%

5. 다음 중 리더십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1년 10월)
     1. 조직원에 의하여 선출된다.
     2. 지휘의 형태는 민주주의적이다.
     3. 조직원과의 사회적 간격이 넓다.
     4. 권한의 근거는 개인의 능력에 의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6. A 사업장의 도수율이 10이고 강도율이 1.7이라고 하면 이 사업장의 종합재해지수(FSI)는 약 얼마인가?(2011년 03월)
     1. 2.74
     2. 3.74
     3. 3.87
     4. 4.12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도수율X강도율)= 종합재해지수(FSI)

7. 인간의 동기부여에 관한 맥그리거의 X이론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2년 09월)
     1. 인간은 스스로 자기목표에 대하여 자기통제를 한다.
     2. 인간은 본래 일을 싫어하며 피하려고 한다.
     3. 인간은 명령받는 것을 좋아하며 책임회피를 좋아한다
     4. 동기는 생리적 수준 및 안정의 수준에서 나타난다.

     정답 : []
     정답률 : 37%

8. 단조로운 업무가 장시간 지속될 때 작업자의 감각기능 및 판단능력이 둔화 또는 마비되는 현상은?(2004년 03월)
     1. 망각현상
     2. 감각차단현상
     3. 피로현상
     4. 착각현상

     정답 : []
     정답률 : 71%

9. 다음 중 인간의 사회적 행동의 기본 형태가 아닌 것은?(2011년 06월)
     1. 대립
     2. 모방
     3. 도피
     4. 협력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인간의 사회적 행동의 기본형태
협력 / 대립 / 도피 / 융합
[해설작성자 : 화이링]

10. 생체리듬상 위험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6년 09월)
     1. 육체, 지성, 감성 리듬이 최고조일 때이다.
     2. 육체, 지성, 감성 리듬이 (-)리듬에서 (+)리듬으로, 또는 (+)리듬에서 (-)리듬으로 변화하는 때이다.
     3. 육체, 지성, 감성 리듬이 최저점일 때이다.
     4. 감성리듬이 최저점일 때이다.

     정답 : []
     정답률 : 32%

11. 보호구 안전인증 고시에 따른 안전화의 정의 중 ( )안에 알맞은 것은?(2020년 06월)

    

     1. ㉠ 500, ㉡ 10.0
     2. ㉠ 250, ㉡ 10.0
     3. ㉠ 500, ㉡ 4.4
     4. ㉠ 250, ㉡ 4.4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경작업화        250mm 4.4±0.1
보통작업화    500mm 10± 0.1
중작업화        1,000mm 15± 0.1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2. 어떤 상황의 판단능력과 사실의 분석 및 문제의 해결능 력을 키우기 위하여 먼저 사례를 조사하고, 문제적 사실들과 그의 상호 관계에 대하여 검토하고, 대책을 토의하도록 하는 교육기법은 무엇인가?(2007년 09월)
     1. 패널 디스커션(Panel discussion)
     2. 심포지엄(Symposium)
     3. 케이스 메소드(Case method)
     4. 롤 플레잉(Role playing)

     정답 : []
     정답률 : 46%

13. 재해발생의 주요원인 중 불안전한 상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7년 05월)
     1. 기계설비 및 장비의 결함
     2. 부적절한 조명 및 환기
     3. 작업장소의 정리ㆍ정돈 불량
     4. 보호구 미착용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2.3- 불안전한 상태
4 - 불안전한 행동
[해설작성자 : 이번엔]

14. 우리나라에서 어떤 한 해의 산업재해로 인한 경제적 직접손실액(산재보상금 지급액)이 2조원으로 집계되었다. 하인리히의 직접비와 간접비의 비율을 적용해 볼 때 총 경제적 손실 추정액은 얼마인가?(2006년 05월)
     1. 4조원
     2. 6조원
     3. 8조원
     4. 10조원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하인리히의 직접비 간접비 비율은 1:4로 직접적금액이 2조원(1)이니까 간접적(4)=2x4해서 8조원입니다
문제에서 직접비 간접비 따로 물은것이 아니고 "총" 경제적 손실금액을 물었으니까 2조원+8조원해서 10조원 입니다
[해설작성자 : 이승빈]

15. 안전교육 중 ATP(Administration Training Program)라고도 하며, 당초에는 일부 회사의 최고 관리자에 대해서만 행하여졌던 것이 널리 보급된 것은?(2007년 05월)
     1. TWI(Training Within Industry)
     2. MTP(Management Training Program)
     3. CCS(Civil Communication Section)
     4. ATT(American Telephone & Telegram Co)

     정답 : []
     정답률 : 49%

16. 다음 중 매슬로우(Maslow)가 제창한 인간의 욕구 5단계 이론을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2010년 05월)
     1. 생리적욕구→안전욕구→사회적욕구→존경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
     2. 안전욕구→생리적욕구→사회적욕구→존경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
     3. 사회적욕구→생리적욕구→안전욕구→존경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
     4. 사회적욕구→안전욕구→생리적욕구→존경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

     정답 : []
     정답률 : 76%

17. 학습의 전이에 영향을 주는 조건과 관련이 없는 것은?(2003년 05월)
     1. 학습자의 지능 요인
     2. 학습정도의 요인
     3. 학습자의 태도 요인
     4. 학습장소의 요인

     정답 : []
     정답률 : 36%

18. 학생들의 개인차가 최대한으로 조절되어야 할 경우에 적합한 교육방법은?(2005년 03월)
     1. Programmed self-instructional method
     2. Discussion method
     3. Demonstration method
     4. Simulation method

     정답 : []
     정답률 : 43%

19. 학생이 마음속에 생각하고 있는 것을 외부에 구체적으로 실현하고 형상화하기 위하여 자기 스스로가 계획을 세워 수행하는 학습활동으로 이루어지는 학습지도의 형태는?(2018년 03월)
     1. 케이스 메소드(Case mathod)
     2. 패널 디스커션(panel discussion)
     3. 구안법(Project method)
     4. 문제법(Problem method)

     정답 : []
     정답률 : 76%

20. 안전사고의 관리적 원인 중 기술적 원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3년 05월)
     1. 인원배치 부적당
     2. 점검, 정비보존 불량
     3. 생산공정의 부적당
     4. 구조, 재료의 부적합

     정답 : []
     정답률 : 63%

2과목 :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21. 다음 중 골격(뼈)의 주요 기능이 아닌 것은?(2007년 03월)
     1. 신체를 지지하고 형상을 유지하는 역할
     2. 주요한 부분을 보호하는 역할
     3. 신체활동을 수행하는 역할
     4. 유기질을 저장하는 역할

     정답 : []
     정답률 : 69%

22.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청각적 표시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로 적합한 것은?(2019년 04월)
     1. 전언이 복잡한 경우
     2. 전언이 이후에 재참조되는 경우
     3. 전언이 공간적인 사건을 다루는 경우
     4. 전언이 즉각적인 행동을 요구하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표시장치의 선택
* 청각장치
1. 전언이 간단하고 짧다.
2. 전언이 후에 재참조 되지 않는다.
3. 즉각적인 사상을 이룬다.
4. 즉각적인 행동을 요구한다.
5. 수신자가 시각계통이 과부하 상태일 때
6. 수신장소가 너무 밝거나 암조응 유지가 필요할 때
7. 직무상 수신자가 자주 움직이는 경우
[해설작성자 :    ghkdtjgus]

23. FT(Fault Tree)도를 작성할 때 일반적으로 최하단에 사용 되지 않는 사상은?(2009년 05월)
     1. 결함사상
     2. 통상사상
     3. 기본사상
     4. 생략사상

     정답 : []
     정답률 : 28%

24. 40세 이후 노화에 의한 인체의 시지각 능력 변화로 틀린 것은?(2015년 03월)
     1. 근시력 저하
     2. 휘광에 대한 민감도 저하
     3. 망막에 이르는 조명량 감소
     4. 수정체 변색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대비에 대한 민감도 저하
[해설작성자 : 동진]

25. 인간-기계체계의 신뢰도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닌것은?(2004년 03월)
     1. 중복설계
     2. 충분한 여유용량
     3. 고가재료사용
     4. 부품개선

     정답 : []
     정답률 : 73%

26. 작업설계를 할 때 인간요소적 접근방법은?(2003년 03월)
     1. 작업만족도를 강조
     2. 능률과 생산성을 강조
     3. 작업순환과 배치를 강조
     4. 작업에 대한 책임을 강조

     정답 : []
     정답률 : 20%

27.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상 정밀작업의 작업면 조명도에 맞는 것은?(2004년 03월)
     1. 750럭스 이상
     2. 300럭스 이상
     3. 150럭스 이상
     4. 75럭스 이상

     정답 : []
     정답률 : 56%

28. 어떤 물체나 표면에 도달하는 빛의 단위 면적당 밀도를 무엇이라 하는가?(2016년 10월)
     1. 광량
     2. 광도
     3. 조도
     4. 반사율

     정답 : []
     정답률 : 71%

29. 시스템이 저장되고 이동되고, 실행됨에 따라 발생하는 작동시스템의 기능이나 과업, 활동으로부터 발생되는 위험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는 위험분석방법은?(2014년 05월)
     1. FHA
     2. OHA
     3. PHA
     4. SHA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OSHA(OHA)의 정의
시스템의 모든 사용 단계에서 생산, 보전 시험, 운반, 저장, 운전, 저장, 운전, 비상탈출, 구조, 훈련 및 폐기 등에 사용되는 인원, 순서, 설비에 관하여 위험을 동정하고 제어한다.
안전 요건을 결정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해석이다.

30. 다음 중 청각적 신호의 수신에 관계되는 인간의 기능으로 볼 수 없는 것은?(2012년 09월)
     1. 검출
     2. 순응
     3. 위치 판별
     4. 절대적 식별

     정답 : []
     정답률 : 53%

31. 세발자전거에서 각 바퀴의 신뢰도가 0.9일 때 이 자전거의 신뢰도는 얼마인가?(2014년 03월)
     1. 0.729
     2. 0.810
     3. 0.891
     4. 0.999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신뢰도 R=1-(1-0.9)
여기서 세발자전거의 각 바퀴의 신뢰도가 0.9라고 하였음으로 바퀴는 3개
따라서 신뢰도 R=1-(1-0.9^3)=0.729
[해설작성자 : Rosy]

32. 조작자 한 사람의 신뢰도가 0.9일때 요원을 중복하여 2인 1조가 되어 작업을 진행하는 공정이 있다. 작업 기간 중 항상 요원 지원을 한다면 이 조의 인간 신뢰도는?(2020년 08월)
     1. 0.93
     2. 0.94
     3. 0.96
     4. 0.99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인간 신뢰도: 인간이 어떠한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에러를 범하지 않고 작업을 수행할 확률

요원의 중복에 따른 직무 신뢰도
R2 = 1-(1-R1)^2
R1: 각각의 작업자의 신뢰도
R2: 두 사람에 의해 수행되는 직무 신뢰도

해서, 문제의 답은 1-(1-0.9)^2 = 0.99
[해설작성자 : 가즈아!]

33. 원자력 산업과 같이 이미 상당한 안전이 확보되어 있는 장소에서 관리, 설계, 생산, 보전 등 광범위하고 고도의 안전달성을 목적으로 하는 시스템 해석방법은?(2008년 05월)
     1. ETA
     2. FHA
     3. MORT
     4. FMECA

     정답 : []
     정답률 : 57%

34. 다음 중 암호체계 사용상의 일반적인 지침에 해당하지않는 것은?(2009년 05월)
     1. 암호의 검출성
     2. 부호의 양립성
     3. 암호의 표준화
     4. 암호의 단일 차원화

     정답 : []
     정답률 : 54%

35. 다음 중 FT도에서 [그림]과 같은 기호의 명칭에 해당하는 것은?(2011년 03월)

    

     1. OR게이트
     2. 배타적 OR게이트
     3. 조합 OR게이트
     4. 우선적 OR게이트

     정답 : []
     정답률 : 53%

36. 시스템 설계 과정의 주요 단계 중 계면설계에 있어 계면설계를 위한 인간 요소 자료로 볼 수 없는 것은?(2013년 03월)
     1. 상식과 경험
     2. 전문가의 판단
     3. 실험절차
     4. 정량적 자료집

     정답 : []
     정답률 : 42%

37. 작업원 2인이 중복하여 작업하는 공정에서 작업자의 신뢰도는 0.85로 동일하며, 작업 중 50%는 작업자 1인이 수행하고 나머지 50%는 중복 작업한다면 이 공정의 인간 신뢰도는 약 얼마인가?(2012년 05월)
     1. 0.6694
     2. 0.7225
     3. 0.9138
     4. 0.9888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1-(1-0.85)(1-0.85*50%)=0.91375 그러므로 0.9138
[해설작성자 : wjs]

38. 반경 7cm의 조종구를 45° 움직일 때 계기판의 표시가 3cm 이동하였다. 이 조종장치의 C/R비는 약 얼마인가?(2010년 05월)
     1. 1.99
     2. 1.83
     3. 1.45
     4. 1.00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C/R=X/Y
X=a/360 x 2 x 3.14 x r(반경)
Y=변위량
C/R=(45/360 x 2 x 3.14 x 7 )/3
[해설작성자 : cyh3632]

39. 인간-기계 시스템에서의 기본적인 기능으로 볼 수 없는 것은?(2016년 10월)
     1. 행동 기능
     2. 정보의 수용
     3. 정보의 저장
     4. 정보의 설계

     정답 : []
     정답률 : 59%

40. 인간 에러(Hunman Error)를 예방하기 위한 기법 중 적당하지 않은 방법은?(2005년 09월)
     1. 작업상황 개선
     2. 인간실수 자료 은행
     3. 요원변경
     4. 시스템의 영향 감소

     정답 : []
     정답률 : 30%

3과목 : 건설시공학


41. 콘크리트용 혼화재 중에서 포졸란을 사용한 콘크리트의 효과 중 옳지 않은 것은 어느 것인가?(2006년 05월)
     1. 워커빌리티가 좋아지고 블리딩 및 재료 분리가 감소 된다.
     2. 수밀성이 크다.
     3. 강도 증진은 늦으나 단기강도는 크다.
     4. 해수 등에 화학적 저항이 크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포졸란 반응에 따른 효과
1) 워커빌리티 개선
2) 재료분리 및 블리딩 감소
3) 수화열 감소
4) 해수 및 화학적 저항성 증진
5) 초기강도는 감소하나 장기강도 증가
6) 수밀성 향상
7) 인장강도 신장능력 향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2. 철근콘크리트공사에서 거푸집의 상호 간 간격을 유지하는데 사용하는 것은?(2019년 04월)
     1. 폼 데코(form deck)
     2. 세퍼레이터(separator)
     3. 스페이서(spacer)
     4. 파이프 서포트(pipe support)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 세퍼레이터(Separator) : 격리재
     거푸집 간의 간격 유지
* 스페이서(Spacer) : 간격재
     철근과 거푸집 간의 간격 유지
* 폼타이(Formtie) : 긴결재
     거푸집 간격의 긴장재
* 폼오일(Formoil) : 박리제
     콘크리트와 거푸집 박리 용이하게
* 캠버(Camber) : 높이 조절용 쐐기
[해설작성자 : 건설안전산업기사뚜]

43. 타워크레인 등의 시공장비에 의해 한 번에 설치하고 탈형만 하므로 사용할 때마다 부재의 조립 및 분해를 반복하지 않아 평면상 상하부 동일단면의 벽식 구조인 아파트 건축물에 적용효과가 큰 대형 벽체거푸집은?(2019년 09월)
     1. 갱폼(Gang form)
     2. 유로폼(Euro form)
     3. 트래블링 폼(Traveling form)
     4. 슬라이딩 폼(Sliding form)

     정답 : []
     정답률 : 66%

44. 흙막이벽의 계측관리 중 지보공 버팀대에 작용하는 축력을 측정하는 장치의 이름은?(2003년 08월)
     1. 트랜싯
     2. 로드셀
     3. 크랙게이지
     4. 레벨

     정답 : []
     정답률 : 46%

45. 다음 중 철근의 정착 위치로 알맞지 않은 것은?(2008년 03월)
     1. 기둥의 주근은 기초에 정착한다.
     2. 작은 보의 주근은 기둥에 정착한다.
     3. 바닥철근은 보 또는 벽체에 정착한다.
     4. 벽체의 주근은 기둥 또는 큰보에 정착한다.

     정답 : []
     정답률 : 40%

46. 지반정리 작업을 위한 장비가 아닌 것은?(2002년 03월)
     1. 블도우저(Bulldozer)
     2. 드래그쇼벨(drag shovel)
     3. 그레이더(grader)
     4. 스크레이퍼(scraper)

     정답 : []
     정답률 : 49%

47. 토공사용 기계장비 중 기계가 서 있는 위치보다 높은 곳의 굴착에 적합한 기계장비는?(2020년 06월)
     1. 백호우
     2. 드래그 라인
     3. 크램쉘
     4. 파워셔블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굴삭용 장비 종류

1. power shovel: 기계보다 높은 지반의 굴삭에 적당하며 굴삭력이 우수.
굴삭높이: 1.5~3m, 굴삭깊이 : 지반 및 2m정도
버켓용량: 0.6~1.0루베, 선회각: 90도

2. 드래그쇼벨(백호): 기계가 서 있는 지반보다 낮은 곳의 굴착에 좋다.
파는 힘이 강력하고 비교적 경질지반도 잘 적응

3. 드래그라인: 기계위치보다 낮은 곳의 연질지반 굴착에 사용.
넓은 면적에 사용되나 힘이 강력하진 못함

4. 크람셸: 좁은곳의 수직굴착에 알맞음(slurry wall공사등)
사질지반에 적당하고 비교적 경질비잔에도 적용할 수 있다.

5. bucket Excavator: 순환하는 쇠사슬에 다수의 버켓을 설치, 연속적으로 아래에서 위로 떠올림.
채석장, 배쳐 plant등에서 사용 용도가 큼

6. suspention Dredger: 케이슨이나 피어기초의 안쪽 흙을 수직으로 팔때 사용.
Bucket이나 Excavator를 수직으로 이용

7. Trencher: 좁고 깊은 도랑을 연속으로 일정하게 파면서 전진하는 기계.
하수도관, 가스관, 송유관 등의 굴착용
[해설작성자 : 가즈아!]

48. 기초콘크리트에 앵커볼트를 묻을 구멍을 내 두었다가 큰 콘크리트가 경화한 뒤 볼트에 그라우트 모르타르로 충전하면서 고정하는 공법으로, 소규모 앵커볼트 매입에 적당한 것은?(2010년 09월)
     1. 고정매입공법
     2. 가동매입공법
     3. 전면바름공법
     4. 전면그라우트공법

     정답 : []
     정답률 : 46%

49. 한중 콘크리트 공사에서 콘크리트의 물시멘트비는 원칙적으로 얼마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2007년 05월)
     1. 25%
     2. 35%
     3. 45%
     4. 60%

     정답 : []
     정답률 : 58%

50. Top down 공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지하층과 지상층을 동시작업하므로 공기가 단축된다.
     2. 완전역타, 부분역타, 보 및 거더식 역타공법 등이 있다.
     3. 설계변경은 언제나 가능하고, 급배기 환기시설 등이 불필요하다.
     4. 도심지 공사에서 1층 작업장을 활용하고자 할 때 적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51. 철근가공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D35 이상의 철근은 산소절단기를 사용하여 절단한다.
     2. 유해한 휨이나 단면결손, 균열 등의 손상이 있는 철근은 사용하면 안된다.
     3. 한번 구부린 철근은 다시 펴서 사용해서는 안된다.
     4. 표준갈고리를 가공할 때에는 정해진 크기 이상의 곡률 반지름을 가져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산소절단기에읜 철근 절단은 피한다
[해설작성자 : 박교주]

52. 공개 경쟁 입찰인 경우 입찰조건을 현장에서 설명할 필요가 있는데 이 때의 설명내용과 거리가 먼 것은?(2009년 05월)
     1. 공사기간
     2. 공사비 지불조건
     3. 도급자 결정방법
     4. 자재의 수량

     정답 : []
     정답률 : 57%

53. 시공과정상 불가피하게 콘크리트를 이어치기할 때 발생하는 시공불량 이음부를 무엇이라고 하는가?(2010년 09월)
     1. 컨스트럭션 조인트(construction jiont)
     2. 콜드 조인트(cold joint)
     3. 컨트롤 조인트(control joint)
     4. 익스팬션 조인트(expansion joint)

     정답 : []
     정답률 : 64%

54. 철근 콘크리트 공사에서 철근의 최소 피복두께를 확보하는 이유로 볼 수 없는 것은?(2016년 10월)
     1. 콘크리트 산화막에 의한 철근의 부식 방지
     2. 콘크리트의 조기 강도 증진
     3. 철근과 콘크리트의 부착응력 확보
     4. 화재, 염해, 중성화 등으로부터의 보호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피복두께 확보 목적
1. 내화성    2. 내구성    3. 유동성    4. 부착강도
[해설작성자 : 빈]

55. 구조물 위치 전체를 동시에 파내지 않고 측벽이나 주열선 부분만을 먼저 파내고 그 부분의 기초와 지하구조체를 축조한 다음 중앙부의 나머지 부분을 파내어 지하구조물을 완성하는 공법은?(2006년 05월)
     1. 아일랜드 공법
     2. 트렌치 컷 공법
     3. 어스앵커 공법
     4. 타이로드 공법

     정답 : []
     정답률 : 33%

56. 지반의 토질시험 중에서 무게 63.5kg의 추를 76cm 높이에서 낙하시켜 샘플러가 30cm 관입하는데 따른 저항치를 측정하는 시험을 무엇이라 하는가?(2014년 09월)
     1. 전단시험
     2. 지내력시험
     3. 표준관입시험
     4. 베인시험

     정답 : []
     정답률 : 81%

57. 다음 건설기계와 용도가 맞지 않는 것은?(2006년 03월)
     1. 파워쇼벨 - 굴착 및 크레인 작업
     2. 불도저 - 굴착, 운반
     3. 드래그라인 - 기계가 서있는 곳 보다 낮은 곳의 굴착
     4. 컨베이어 - 굴착, 기계

     정답 : []
     정답률 : 53%

58. 다음 중 건설공사용 공정표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8년 03월)
     1. 횡선식 공정표
     2. 네트워크공정표
     3. PDM기법
     4. WBS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WBS는 Work Breakdown Structure의 약어로 '작업분류체계"
공사에서 수행할 작업을 계층적으로 정의한 문서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9. 철근가공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대지의 여유가 없어도 정밀도 확보를위해 현장가공을 우선적으로 고려한다.
     2. 철근 가공은 현장가공과 공장가공으로 나눌 수 있다.
     3. 공장가공은 현장가공에 비해 절단손실을 줄일 수 있다.
     4. 공장가공은 현장가공보다 운반비가 높은 경우가 많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정밀도는 현장보다 공장작업이 우수함
[해설작성자 : 토리]

60. 철골공사에서 세우기 계획을 수립할 때 철골제작공장과 협의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2006년 05월)
     1. 반입 철골의 중량
     2. 반입 시간의 확인
     3. 반입 부재수의 확인
     4. 부재 반입의 순서

     정답 : []
     정답률 : 37%

4과목 : 건설재료학


61. 각종 금속의 성질 및 사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3월)
     1. 아연판은 철과 접촉하면 침식되므로 아연못을 사용한다.
     2. 동은 대기 중에서 내구성이 있으나 암모니아에 침식 된다.
     3. 연은 산과 알칼리에 강하므로 콘크리트에 직접매설 하여도 침식이 적다.
     4. 동은 전연성이 풍부하므로 가공하기 쉽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연(납) - 알칼리에는 침식된다
                    - 산에는 강하나 알칼리에는 약하므로 콘크리트 속에 매설할 경우에는 방식피복을 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ㅈ]

62. 바다 모래 중의 염분에 의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기 위해 콘크리트에 첨가하는 혼화제의 주성분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2007년 05월)
     1. 규불화마그네슘
     2. 염화칼슘
     3. 아초산염
     4. 실리카흄

     정답 : []
     정답률 : 30%

63. 고로시멘트는 포틀랜드 시멘트 클링커에 어떤 물질을 첨가한 것인가?(2012년 09월)
     1. 고로슬래그
     2. 플라이애쉬
     3. 포졸란
     4. 알루미나

     정답 : []
     정답률 : 62%

64. 플라스틱재료의 일반적인 성질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15년 03월)
     1. 산이나 알칼리, 염류 등에 대한 저항성이 약하다.
     2. 전기저항성이 불량하여 절연재료로 사용할 수 없다.
     3. 내수성 및 내투습성이 좋지 않아 방수피막제 등으로 사용이 불가능하다.
     4. 상호간 계면 접착이 잘되며 금속, 콘크리트, 목재, 유리 등 다른 재료에도 잘 부착된다.

     정답 : []
     정답률 : 57%

65. 목재의 성질에 관한 내용 중 알맞지 않은 것은?(2004년 05월)
     1. 목재의 무게가 기건상태 80g, 전건상태 72g 일 때 함수율은 10% 이다.
     2. 목재의 인장 및 압축강도는 응력방향이 섬유방향에 평행한 경우에 최대가 된다.
     3. 심재는 변재보다 일반적으로 강도가 크다.
     4. 목재는 열전도율이 낮아 여러 가지 보온재로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32%

66. 다음 중 섬유판(fiber board)을 만드는 주원료에 속하는 것은?(2007년 05월)
     1. 시멘트
     2. 목재펄프
     3. 퍼티(putty)
     4. 카세인

     정답 : []
     정답률 : 30%

67. 목재를 건조시키는 목적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2012년 09월)
     1. 목재의 자중을 가볍게 한다.
     2. 부패나 충해를 방지한다.
     3. 변형을 증가시킨다.
     4. 도장을 용이하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76%

68. 석고보드의 일반적인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9월)
     1. 수축률이 크고 단열성이 낮다.
     2. 방화성능 및 보온성이 우수하다.
     3. 흡습되면 강도, 강성이 저하된다.
     4. 부식이 안되고 충해를 받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37%

69. 점토소성제품의 흡수성이 큰 것부터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2019년 04월)
     1. 토기 > 도기 > 석기 > 자기
     2. 토기 > 도기 > 자기 > 석기
     3. 도기 > 토기 > 석기 > 자기
     4. 도기 > 토기 > 자기 >석기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자기1%, 석기3~10%, 도기10~20%, 토기20%이상
[해설작성자 : 모두 합격 기원]

70. 다음 중 콘크리트의 골재시험과 관계없는 것은?(2009년 05월)
     1. 단위 용적 중량시험
     2. 안전성 시험
     3. 체가름 시험
     4. 크리프 시험

     정답 : []
     정답률 : 31%

71. 내열성 내한성이 우수한 열경화성 수지로 60~260℃의 범위에서는 안정하고 탄성이 있으며 내후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것은?(2019년 09월)
     1. 폴리에틸렌 수지
     2. 염화비닐 수지
     3. 아크릴 수지
     4. 실리콘 수지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실리콘의 특이하고도 유용한 성질로는, ① -260~-80℃에서 안정하게 사용할 수 있다. ② 가소물이나 금속을 성형할 때 이형제(離型劑)로 쓸 수 있을 정도로 피복력이 양호하다. ③ 대부분의 용제에서 거품을 없애는 작용이 크다. ④ 무기물·유기물에 발수성(撥水性: 물을 튀기는 성질)을 준다. ⑤ 생리적으로 무해하므로 화장품이나 약품으로 쓸 수 있다. ⑥ 전기절연성이 좋다. 유기기(有機基)가 메틸기일 때 내열성이 최고이며, 다른 알킬기나 알릴기로 치환한 것은 기계적 강도는 크나 전기적 성능은 다소 떨어진다.
[네이버 지식백과] 실리콘수지 [silicone resin]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해설작성자 : 한번에 합격 가즈아!]

72.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구조물의 균열 및 변형을 방지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혼화재료는?(2014년 03월)
     1. 지연제(Retarder)
     2. 플라이애시(Fly ash)
     3. 실리카흄(Silica fume)
     4. 팽창제(Expansive producing admixtures)

     정답 : []
     정답률 : 67%

73. 스테인리스강은 어떤 성분의 금속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금속재료인가?(2011년 10월)
     1. 망간
     2. 규소
     3. 크롬
     4.

     정답 : []
     정답률 : 59%

74. 도료의 사용부위별 페인트를 연결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목재면-목재용 래커 페인트
     2. 모르타르면-실리콘 페인트
     3. 외부 철재구조물-조합페인트
     4. 내부 철재구조물-수성페인트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내부철재구조물 - 에나멜 등 조합페인트를 주로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애옹애옹]

75. 대리석에 관한 기술 중 틀린 것은?(2006년 05월)
     1. 외장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2. 주성분은 탄산석회이다.
     3. 내화성이 낮고 풍화되기 쉽다.
     4. 변성암에 속한다.

     정답 : []
     정답률 : 54%

76. 접착제를 사용할 때의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피착제의 표면은 가능한 한 습기가 없는 건조상태로 한다.
     2. 용제, 희석제를 사용할 경우 과도하게 희석시키지 않도록 한다.
     3. 용제성의 접착제는 도포 후 용제가 휘발한 적당한 시간에 접착시킨다.
     4. 접착처리 후 일정한 시간 내에는 가능한 한 압축을 피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접착 처리 후 일정 시간 동안은 지속 압축 해야함
[해설작성자 : 간따삐야]

77. 철강의 부식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8년 03월)
     1. 토양 속에서의 강재부식은 전기전도도가 낮을수록, pH 값이 높을수록 빠르다.
     2. 철강의 표면은 대기중의 습기나 탄산가스와 반응하여 수산화제이철, 수산화제일철 및 탄산철 등으로 구성되는 녹을 발생시킨다.
     3. 물 특히 바닷물 속에서 부식되기 쉬우며, 물과 공기에 번갈아 접촉시키면 더욱 부식되기 쉽다.
     4. 철근콘크리트 중의 철근 부식은 콘크리트의 성질에 영향을 받는다.

     정답 : []
     정답률 : 51%

78. P.S.콘크리트 부재 제작 시 프리스트레스(prestress)를 도입시키기 위해 개발된 시멘트는?(2015년 09월)
     1. 제트 시멘트
     2. 알루미나 시멘트
     3. 인산 시멘트
     4. 팽창 시멘트

     정답 : []
     정답률 : 46%

79. 콘크리트 타설후에 떠오른 미립물이 콘크리트 표면에 엷은막으로 침적되는 이 미립물을 무엇이라 하는가?(2002년 03월)
     1. 레이턴스(laitance)
     2. 블리딩(bleeding)
     3. 분리(segregation)
     4. 침하(settling)

     정답 : []
     정답률 : 41%

80. 시멘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시멘트의 강도는 시멘트의 조성, 물시멘트비, 재령 및 양생조건 등에 따라 다르다.
     2. 응결시간은 분말도가 미세한 것일수록, 또한 수량이 작을수록 짧아진다.
     3. 시멘트의 풍화란 시멘트가 습기를 흡수하여 생성된 수산화칼슘과 공기 중의 탄산가스가 작용하여 탄산칼슘을 생성하는 작용을 말한다.
     4. 시멘트의 안정성은 단위중량에 대한 표면적에 의하여 표시되며, 브레인법에 의해 측정된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시멘트의 안정성시험은 오토클래이브 팽창도 시험을 실시 한다.
[해설작성자 : 기사맨]

81. 크레인을 사용하는 작업에서 재해방지를 위한 조치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2002년 05월)
     1. 사업주는 매월 1회이상 자체검사를 하여야 한다.
     2. 정격하중을 초과하여 하중을 작용시켰을 때에는 그 기록을 3년간 보존하여야 한다.
     3. 크레인의 달기구에 탑승설비를 한 경우에는 근로자를 탑승시킬 수 있다.
     4. 지브크레인인 경우에는 명세서에 기록된 경사각을 초과하여서는 안된다.

     정답 : []
     정답률 : 25%

82. 다음 건설재료의 구분 중 유기질 재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2년 09월)
     1. 콜타르
     2. 합성고무
     3. 아스팔트
     4. 시멘트

     정답 : []
     정답률 : 47%

83. 고층건물공사의 마무리작업 및 외부청소작업 등에 주로 이용되는 달비계의 안전지침 중 틀린 것은?(2002년 05월)
     1. 와이어로우프 지름의 감소가 공칭지름의 10%를 넘는 것을 사용해서는 안된다.
     2. 달기체인의 길이가 제조당시보다 5%이상 늘어난 것을 사용해서는 안된다.
     3. 달기섬유로프의 가닥이 절단된것을 사용해서는 안된다.
     4. 달기체인에 균열이 있을 경우 사용을 중지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39%

84. 부두, 안벽 등 하역작업을 하는 장소에 대하여 부두 또는 안벽의 선을 따라 통로를 설치할 때 통로의 최소 폭은?(2010년 09월)
     1. 70cm
     2. 80cm
     3. 90cm
     4. 100cm

     정답 : []
     정답률 : 75%

85. 일반 거푸집 설계시 강도상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2015년 05월)
     1. 고정하중
     2. 풍압
     3. 콘크리트 강도
     4. 측압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콘크리트의 중량은 거푸집 설계 시 고려되지만 콘크리트의 강도는 무관하다
[해설작성자 : gygygy ]

86. 날씨 등의 이유로 비계를 변경한 후 해야 하는 비계의 점검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0년 09월)
     1. 기둥의 침하ㆍ변형ㆍ변위 또는 흔들림 상태
     2. 손잡이의 탈락여부
     3. 격벽의 설치여부
     4. 발판재료의 손상여부 및 부착 또는 걸림상태

     정답 : []
     정답률 : 64%

87. 철공공사의 용접, 용단작업에 사용되는 가스의 용기는 최대 몇 ℃ 이하로 보존해야 하는가?(2016년 03월)
     1. 25℃
     2. 36℃
     3. 40℃
     4. 48℃

     정답 : []
     정답률 : 64%

88.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을 제정하여 사용하게 된 직접적인 동기로 가장 알맞은 것은?(2005년 05월)
     1. 공사의 품질을 좋게 하기 위함이다.
     2. 공사의 원가를 절감하기 위함이다.
     3. 공사시에 근로자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함이다.
     4. 공사 중 공사기간을 단축하기 위함이다.

     정답 : []
     정답률 : 48%

89. 철근가공작업에서 가스절단을 할 때의 유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9월)
     1. 가스절단 작업 시 호스는 겹치거나 구부러지거나 밟히지 않도록 한다.
     2. 호스, 전선 등은 작업효율을 위하여 다른 작업장을 거치는 곡선상의 배선이어야 한다.
     3. 작업장에서 가연성 물질에 인접하여 용접 작업할 때에는 소화기를 비치하여야 한다.
     4. 가스절단 작업 중에는 보호구를 착용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1%

90. 공사종류 및 규모별 안전관리비 계상 기준표에서 공사종류의 명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20년 06월)
     1. 철도ㆍ궤도신설공사
     2. 일반건설공사(병)
     3. 중건설공사
     4. 특수 및 기타건설공사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일반건설공사(갑),(을)까지만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가즈아!]

91. 다음 중 유해 ㆍ위험방지 계획서 제출 대상 공사는?(2006년 09월)
     1. 지상높이가 25m인 건축물
     2. 최대지간길이가 45m인 교량건설공사
     3. 제방 높이가 50m인 다목적댐 건설공사
     4. 깊이가 8m인 굴착공사

     정답 : []
     정답률 : 55%

92. 굴착기계로 채석작업시 근로자의 작업장에 후진하여 접근하거나 전락할 우려가 있을 때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치하여야 하는 사람은?(2005년 05월)
     1. 작업지휘자
     2. 관리감독자
     3. 감시인
     4. 유도자

     정답 : []
     정답률 : 47%

93. 개착식 굴착공사(Open cut)에서 설치하는 계측기기와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3월)
     1. 수위계
     2. 경사계
     3. 응력계
     4. 내공변위계

     정답 : []
     정답률 : 61%

94.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하는 경우에 준수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9월)
     1. 당일의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해당 작업에 관한 거푸집 동바리 등의 변형ㆍ변위 및 지반의 침하 유무 등을 점검하고 이상이 있으면 보수할 것
     2. 작업 중에는 거푸집동바리 등의 변형ㆍ변위 및 침하 유무 등을 감시할 수 있는 감시자를 배치하여 이상이 있으면 작업을 중지하고 근로자를 대피시킬 것
     3. 콘크리트 타설작업 시 거푸집 붕괴의 위험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면 충분한 보강조치를 할 것
     4.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에는 밀실한 충전을 위해 최대한 편심이 발생하도록 집중하여 타설할 것

     정답 : []
     정답률 : 82%

95. 지반의 사면파괴 유형 중 유한사면의 종류가 아닌 것은?(2020년 06월)
     1. 사면내파괴
     2. 사면선단파괴
     3. 사면저부파괴
     4. 직립사면파괴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유한사면(Finite slope): 암반층 위의 토층의 깊이가 사면의 길이에 비해 큰 사면, 제방, 댐의 사면 등이 있다.
① 직립사면: 점토지반을 연직으로 굴착한 사면으로 흙막이 굴착 등이 여기에 속한다.
② 단순사면(Simple slope): 토목기사에서 많이 다룸, 사면의 정부와 선단이 평면을 이루고 있는 사면이다.

단순사면의 파괴형태
1) 사면내파괴(Slope failure)
2) 사면선단파괴(Toe failure)
3) 사면저부파괴(Base failure)
[해설작성자 : 가즈아!]

96. 강관비계를 설치하는 경우 첫 번째 띠장의 설치 기준은?(2015년 03월)
     1. 지상으로부터 1m 이하
     2. 지상으로부터 2m 이하
     3. 지상으로부터 3m 이하
     4. 지상으로부터 4m 이하

     정답 : []
     정답률 : 67%

97. 공사종류 및 규모별 안전관리비 계상기준표에서 공사종류의 명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6년 03월)
     1. 철도ㆍ궤도신설공사
     2. 일반건설공사(병)
     3. 중건설공사
     4. 특수 및 기타건설공사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일반건설공사(갑), 일반건설공사(을) - (0)
일반건설공사 (병) - (X)
[해설작성자 : 시리]

98. 수중굴착 및 구조물의 기초바닥, 잠함 등과 같은 협소하고 깊은 범위의 굴착과 호퍼작업에 가장 적합한 건설장비는?(2005년 03월)
     1. 크램셀(clam shell)
     2. 파워쇼벨(power shovel)
     3. 불도저(bulldozer)
     4. 항타기(pile driver)

     정답 : []
     정답률 : 58%

99. 옥내사업장에는 비상시에 근로자에게 신속하게 알리기 위한 경보용 설비 또는 기구를 설치하여야 하는데 그 설치기준으로 옳은 것은?(2011년 10월)
     1. 연면적이 400m2 이거나 상시 40명 이상의 근로자가 작업하는 옥내 작업장
     2. 연면적이 400m2 이거나 상시 50명 이상의 근로자가 작업하는 옥내 작업장
     3. 연면적이 500m2 이거나 상시 40명 이상의 근로자가 작업하는 옥내 작업장
     4. 연면적이 500m2 이거나 상시 50명 이상의 근로자가 작업하는 옥내 작업장

     정답 : []
     정답률 : 46%

100. "작업장이나 기계⋅설비의 바닥⋅작업발판 및 통로 등의 끝이나 개구부로부터 근로자가 추락하거나 넘어질 위험이 있는 장소에는 ( ① ), 울, 손잡이 또는 충분한 강도를 가진 ( ② ) 등을 설치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빈 칸에 가장 알맞은 것으로 짝지어진 것은? (순서대로 ①, ②)(2004년 09월)
     1. 폭목, 덮개
     2. 안전난간, 덮개
     3. 표준안전난간, 발끝막이 판
     4. 방호선반, 폭목

     정답 : []
     정답률 : 51%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건설안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1939427)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466 컴활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3월0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465 폐기물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5월2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 건설안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1939427)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463 잠수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3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462 청소년상담사 2급(2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3월2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461 9급 국가직 공무원 식용작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4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460 의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3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459 소방설비기사(기계분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3월2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458 컨테이너크레인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9997943)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457 9급 지방직 공무원 재배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456 종자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7월13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455 패션머천다이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8월2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454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1월26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453 조리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04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452 9급 국가직 공무원 공직선거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4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451 전기철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5월2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450 공유압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7월19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449 침투비파괴검사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03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448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조경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6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447 9급 국가직 공무원 경제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7월1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Board Pagination Prev 1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349 Next
/ 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