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공조냉동기계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8619557)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공조냉동기계기사(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기계열역학


1. 이상기체에 대한 관계식 중 옳은 것은? (단,Cp, Cv는 정압 및 정적 비열, k는 비열비이고, R은 기체 상수이다.)(2018년 04월)
     1. Cp=Cv-R 
     2.
     3.
     4.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1. k=Cp/Cv이므로 Cv=Cp/k
2. Cp-Cv=R
1식을 2에 대입하면 Cp-(Cp/k)=R
정리하면 Cp=(k/k-1)R

2. 압력이 287 kPa 일 때 1m3의 공기 질량이 2 kg이었다. 이 때 공기의 온도(℃)는? (단, 공기의 기체상수 R=287 J/kgㆍK 이다.)(2010년 07월)
     1. 773
     2. 500
     3. 400
     4. 227

     정답 : []
     정답률 : 67%

3. 비가역 단열변화에 있어서 엔트로피 변화량은 어떻게 되는가?(2010년 05월)
     1. 증가한다.
     2. 감소한다.
     3. 변화량은 없다.
     4. 증가할 수도 감소할 수도 있다.

     정답 : []
     정답률 : 73%

4. 공기 1kg을 정적과정으로 40℃에서 120℃까지 가열하고 다음에 정압과정으로 120℃에서 220℃까지 가열한다면 전체 가열에 필요한 열량은 약 얼마인가?(단, cp=1.00KJ/kg℃, Cv-0.71KJ/kg℃ 이다.)(2008년 07월)
     1. 156.8 KJ/kg
     2. 151.5 KJ/kg
     3. 127.8 KJ/kg
     4. 180.5 KJ/kg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 다음 T-S 선도에서 과정 1-2가 가역일 때 빗금 친 부분은 무엇을 나타내는가?(2010년 05월)

   

     1. 엔탈피
     2. 엔트로피
     3. 열량
     4. 일량

     정답 : []
     정답률 : 75%

6. 어떤 시스템이 변화를 겪는 동안 주위를 엔트로피가 5kJ/K 감소하였다. 시스템의 엔트로피 변화는?(2015년 08월)
     1. 2 kJ/K 감소
     2. 5kJ/K 감소
     3. 3 kJ/K 증가
     4. 6kJ/K 증가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어떤 시스템에서는 모두 비가역과정.    그러므로 총 엔트로피 변화량 > 0 이므로, 시스템 엔트로피 변화는 6 증가
[해설작성자 : ㄱㄱ]

#주위의 엔트로피가 감소했다는 것은 열량을 빼앗겼다는 것이므로
주위 온도가 시스템의 온도보다 높다는 것이고
시스템은 열을 받은 것이므로 엔트로피는 증가한다
주위 △S1=Q/T1, 시스템 △S2=Q/T2
여기서 T2<T1이므로 △S2>△S1
따라서 △S2는 5보다는 커야한다.
[해설작성자 : 풍경소리]

7. 피스톤-실린더로 구성된 용기 안에 들어있는 기체의 초기체적은 0.1m3 이다 200 kPa의 일정한 압력으로 체적이 0.3m3로 변했을 때의 얼은? (문제 오류로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임의 정답 1번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2009년 07월)
     1. 40 J
     2. 40 KJ
     3. 400J
     4. 400 kJ

     정답 : []
     정답률 : 59%

8. 가정용 냉장고를 이용하여 겨울에 난방을 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면 이 주장은 이론적으로 열역학 법칙과 어떠한 관계를 갖겠는가?(2013년 06월)
     1. 열역학 1법칙에 위배된다.
     2. 열역학 2법칙에 위배된다.
     3. 열역학 1, 2법칙에 위배된다.
     4. 열역학 1, 2법칙에 위배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61%

9. 체적이 1m3인 용기에 물이 5kg 들어 있으며 그 압력을 측정해보니 500kPa이었다. 이 용기에 있는 물 중에 증기량(kg)은 얼마인가? (단, 500kPa에서 포화액체와 포화증기의 비체적은 각각 0.001093m3/kg, 0.37489m3/kg이다.)(2019년 08월)
     1. 0.005
     2. 0.94
     3. 1.87
     4. 2.66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물 1Kg=(0.001m^3) 5kg=0.005m^3
수증기 체적 = 전체체적 - 물체적
     0.995m^3         = 1-0.005
수증기 kg = 물체적 / 포화증기 비체적
     2.66kg = 0.995/0.37489

10. 어느 왕복동 내연기관에서 실린더 안지름이 6.8cm, 행정이 8cm일 때 평균유효압력은 1200kPa이다. 이 기관의 1행정당 유효 일은 약 몇 kJ인가?(2021년 05월)
     1. 0.09
     2. 0.15
     3. 0.35
     4. 0.48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평균 유효 압력 Pae = 일/행정체적
1200[kPa] = 1200[kN/m^2] = W / (π/4 x 0.068^2[m^2] x 0.08[m])
W = 1200[kN/m^2] x (π/4 x 0.068^2[m^2] x 0.08[m]) = 0.34864[kN·m] = 0.35[kJ]
[해설작성자 : 나대로]

11. 다음 중 이상적인 오토사이클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방안으로 맞는 것은?(2013년 06월)
     1. 최고온도 증가, 압축비 증가, 비열비 증가
     2. 최고온도 증가, 압축비 감소, 비열비 증가
     3. 최고온도 증가, 압축비 증가, 비열비 감소
     4. 최고온도 감소, 압축비 증가, 비열비 감소

     정답 : []
     정답률 : 59%

12. 압력 2 MPa, 300℃의 공기 0.3kg이 폴리트로픽 과정으로 팽창하여, 압력이 0.5 MPa로 변화하였다. 이때 공기가 한 일은 약 몇 kJ인가? (단, 공기는 기체상수가 0.287 kJ/(kg·K)인 이상기체이고, 폴리트로픽 지수는 1.3 이다.)(2019년 03월)
     1. 416
     2. 157
     3. 573
     4. 45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dq=du+pdv=0
cvdt+dw=0
cv(t2-t1)+1W2=0
1W2=cv(t2-t1)=r/k-1(t2-t1)
cv=r/k-1
폴리트로픽 K=n => 1W2=R/n-1(t2-t1)
t2/t1=(p2/p1)^n-1/n = (0.5/2)^0.3/1.3
t2/573=t2/t1=0.7262
t=416k,1W2=0.287/0.3(416-573)=150.2 KJ/KG x 0.3kg = -45KJ
답: 45KJ
[해설작성자 : 미드절대자박건호]

간단하게 W=mRT/n = 0.3(0.287)(416-573)/0.3 = 47KJ
[해설작성자 : 루나백놀]

13. 이상기체 1kg을 300K, 100kPa 에서 500K 까지 "PVn= 일정" 의 과정(n =1.2)을 따라 변화시켰다. 기체의 비열비는 1.3, 기체 상수는 0.287 kJ/kg.K 라고 가정한다. 이 기체의 엔트로피 변화량은?(2004년 08월)
     1. -0.244 kJ/K
     2. -0.287 kJ/K
     3. -0.344 kJ/K
     4. -0.373 kJ/K

     정답 : []
     정답률 : 29%

14. 공기 1kg를 1MPa, 250℃의 상태로부터 압력 0.2MPa까지 등온변화한 경우 외부에 대하여 한 일량은 약 몇 kJ인가? (단, 공기의 기체상수는 0.287kJ/kg·K 이다)(2014년 03월)
     1. 157
     2. 242
     3. 313
     4. 465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보일 샤를 법칙= Pv/T=C ===> 일량 = Pdv     ===> Pv/T=C에서 P를 우변에 남겨두면 P=CT/v
Pdv에서 P에다 CT/v대입CTv^-1dv = CTln(v2/v1) ===> C에다 Pv/T대입 ===> P1v1ln(v2/v1)
이상기체 방정식 Pv=RT로 v1=0.15, v2=0.75    ===> 다 대입하면 1*10^6*0.15ln(5)= 241,5xxJ= 242KJ
[해설작성자 : 공조 2일전사 드가자]

15. 피스톤-실린더 장치 안에 300 kPa, 100℃의 이산화탄소 2 kg이 들어있다. 이 가스를 PV1.2=constant인 관계를 만족하도록 피스톤 위에 추를 더해가며 온도가 200℃가 될 때까지 압축하였다. 이 과정 동안의 열전달량은 약 몇 kJ인가? (단, 이산화탄소의 정적비열(Cv)=0.653 kJ/kgㆍK 이고, 정압비열(Cp)=0.842 kJ/kgㆍK 이며, 각각 일정하다.)(2010년 05월)
     1. -189
     2. -58
     3. -20
     4. -130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폴리트로픽 가열량 = m *    Cv * (n-k / n-1) (T2-T1)
k = Cp/Cv = 1.289
2*0.653*(1.2-1.289/1-0.8)(473-373) = -58.12KJ
[해설작성자 : 건전한자]

16. 다음 중 그림과 같은 냉동사이클로 운전할 때 열역학 제1법칙과 제2법칙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는?(2021년 08월)

    

     1. Q1=100kJ, Q3=30kJ, W=30kJ
     2. Q1=80kJ, Q3=40kJ, W=10kJ
     3. Q1=90kJ, Q3=50kJ, W=10kJ
     4. Q1=100kJ, Q3=30kJ, W=40kJ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제1법칙 검토 : 에너지 보존의 법칙 Q1=Q2+Q3+W
1번은 Q1=100, Q2+Q3+W = 30+30+30 = 90이므로 제1법칙 위반 / 2~4번은 제1법칙이 만족됨
제2법칙 검토 : 엔트로피 증가의 법칙 S1>S2+S3
2번 검토 S1 = 80/330 = 0.2424 S2 + S3 = (30/240) + (40/280) = 0.2679 S1<S2+S3 => 2법칙 위배
3번 검토 S1 = 90/330 = 0.2727 S2 + S3 = (30/240) + (50/280) = 0.3036 S1<S2+S3 => 2법칙 위배
4번 검토 S1 = 100/330 = 0.303 S2 + S3 = (30/240) + (30/280) = 0.2321 S1>S2+S3 => 2법칙 만족
[해설작성자 : David Lee]

17. 열역학 제 2법칙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2004년 05월)
     1. 과정(process)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2. 에너지의 량을 결정한다.
     3. 에너지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4. 공학적 장치의 크기를 알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5%

18. 다음 중 강도성 상태량(intensive property)이 아닌것은?(2011년 08월)
     1. 온도
     2. 압력
     3. 체적
     4. 밀도

     정답 : []
     정답률 : 73%

19. 이론적인 카르노 열기관의 효율(η)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고열원의 절대온도는 TH, 저열원의 절대온도는 TL이다.)(2017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0%

20. 밀폐 시스템의 가역 정압 변화에 관한 다음 사항중 올바른 것은? (단, u : 내부에너지, Q : 전달열, h : 엔탈피, v : 비체적, W : 일 이다.)(2006년 03월)
     1. d u = δ Q
     2. d h = δ Q
     3. d v = δ Q
     4. d W = δ Q

     정답 : []
     정답률 : 73%

2과목 : 냉동공학


21. 증발기의 온도와 응축기의 온도가 동일한 조건에서 성적 계수가 가장 큰 사이클은?(2003년 08월)
     1. 히이트 펌프를 냉각의 목적으로 사용할 때
     2. 터보 냉동기에서 R - 22를 냉매로 사용할 때
     3. 고속 다기통 압축기에서 후레온을 냉매로 사용할 때
     4. 이상 냉동 사이클로 작동될 때

     정답 : []
     정답률 : 61%

22. 다음 내용중 틀린 것은?(2003년 03월)
     1. 전도란 물체사이의 온도차에 의한 열의 이동현상
     2. 대류란 유체의 순환에 의한 열의 이동 현상
     3. 대류 열전달계수의 단위는 열통과율의 단위와 같다.
     4. 열전도율의 단위는 kcal/m2h℃ 이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열전도율 단위 kcal/mhc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3. 다음은 물과 리듐브로마이드 용액을 사용하는 흡수식 냉동기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2016년 03월)
     1. 흡수기의 개수에 따라 단효용 또는 다중효용 흡수식 냉동기로 구분된다.
     2. 냉매로 물을 사용하고, 흡수제로 리듐브로마이드(LiBr)를 사용한다.
     3. 사이클은 압력-엔탈피 선도가 아닌 듀링선도를 사용하여 작동상 태를 표현한다.
     4. 단효용 흡수식 냉동기에서 냉매는 재생기, 응축기, 냉각기, 흡수기의 순서로 순환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흡수기의 개수가 아니라 재생기의 개수에 따라 나뉩니다.
[해설작성자 : ㄱㅁㄹ]

24. 압축기 실린더의 체적효율이 감소되는 경우가 아닌 것은?(2010년 07월)
     1. 클리어런스(clearance)가 작을 경우
     2. 흡입ㆍ토출밸브에서 누설될 경우
     3. 실린더 피스톤이 과열될 경우
     4. 회전속도가 빨라질 경우

     정답 : []
     정답률 : 69%

25. 핀(fin)이 없는 공기냉각기에 있어서 냉각관 외면에는 서리가 4mm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 냉각관의 열통과율(kcal/m2h℃)은 약 얼마인가? (단, 냉각관의 두께, 서리의 두께에 의한 면적증가와 관의 열저항은 무시한다. 또한 공기측 열전달율 aa=8 kcal/m2h℃, 냉매측 열전달율 ar=600 kal/m2h℃, 서리의 열전도율 λ=0.2 kcal/mh℃ 이다.)(2010년 05월)
     1. 6.8
     2. 7.1
     3. 7.5
     4. 8.3

     정답 : []
     정답률 : 52%

26. 암모니아 냉동장치에서 고압측 게이지 압력이 14kg/cm2·g, 저압측 게이지 압력이 3kg/cm2·g이고, 피스톤 압출량이 100m3/h, 흡입증기의 비체적이 0.5m3/kg이라 할 때, 이 장치에서의 압축비와 냉매순환량(kg/h)은 각각 얼마인가? (단, 압축기의 체적효율은 0.7로 한다.)(2018년 08월)
     1. 3.73, 70
     2. 3.73, 140
     3. 4.67, 70
     4. 4.67, 140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압축비 = 고압 절대압/저압 절대압= 게이지 고압+1.0332/게이지 저압+1.0332 = 14+1.0332/3+1.0332 = 3.73
냉매순환량 = (피스톤 압출량/비체적) * 효율 =100 * 0.7/0.5 = 140kg/h
[해설작성자 : GaNaDaRaMaBaSa]

27. 다음 완성된 냉동기의 작업순서로 바르게 열거된 것은?(2003년 05월)

    

     1. ② → ③ → ① → ④
     2. ③ → ② → ① → ④
     3. ① → ② → ③ → ④
     4. ② → ① → ③ → ④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일단 냉동기가 완성되면 질소를 냉동기에 주입해서 일정압에서 일정시간을 견디는지 시험을 합니다(내압시험)
그리고 일정시간 동안 질소가 충전돼 있는 상태로 방치를합니다 세는 곳이 있나 없나를 확인하는 과정(누설시험)
한마디로 내압시험과 누설시험이 동시에 같이 진행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러고 나서 질소를 빼고 진공펌프를 연결해서 냉동기 안에 있는 기체를 모두 빼냅니다(진공시험)
다음으로 냉매를 일정량 충전하면(냉매충전) 완벽한 냉동기가 탄생합니다
[해설작성자 : dalma2018]

28. 냉동장치에서 공기가 들어 있음을 무엇을 보고 알 수 있는가? (문제 오류로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임의 정답 1번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2009년 07월)
     1. 응축기에서 소리가 난다.
     2. 응축기 온도가 떨어진다.
     3. 토출온도가 높다.
     4. 증발압력이 낮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53%

29. 냉동용 압축기를 냉동법의 원리에 의해 분류할 때, 저온에서 증발한 가스를 압축기로 압축하여 고온으로 이동시키는 냉동법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문제 오류로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임의 정답 1번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2009년 07월)
     1. 화학식 냉동법
     2. 기계식 냉동법
     3. 흡착식 냉동법
     4. 전자식 냉동법

     정답 : []
     정답률 : 43%

30. 어큐물레이터(accumlator)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08월)
     1. 건식 증발기에 설치하여 냉매액과 증기를 분리시킨다.
     2. 냉매액과 증기를 분리시켜 증기만을 압축기에 보낸다.
     3. 분리된 증기는 다시 응축하도록 응축기로 보낸다.
     4. 냉매속에 흐르는 냉동유를 분리시키는 장치이다.

     정답 : []
     정답률 : 47%

31. 다음 내용은 브라인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2008년 05월)
     1. 브라인은 농도가 진하게 될수록 부식성이 크다.
     2. 염화칼슘 브라인은 동결점이 매우 낮으며 부식성도 비교적 적다.
     3. 염화나트륨 브라인은 염화칼슘 브라인에 비해 동결 온도는 아주 높고 금속 재료에 대한 부식성도 크다.
     4. 브라인에 대한 부식 방지를 위해서는 밀폐 순환식을 채용하여 공기에 접촉하지 않게 해야한다.

     정답 : []
     정답률 : 45%

32. 증기 압축식 냉동사이클에서 증발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응축온도를 상승시킬 때 나타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2017년 03월)
     1. 소요동력 증가
     2. 성적계수 감소
     3. 토출가스 온도 상승
     4. 플래시가스 발생량 감소

     정답 : []
     정답률 : 82%

33. 응축기에서 냉매가스의 열이 제거되는 방법은?(2011년 03월)
     1. 대류와 전도
     2. 증발과 복사
     3. 승화와 휘발
     4. 복사와 액화

     정답 : []
     정답률 : 67%

34. 성적계수인 COP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3월)
     1. 냉동기의 성능을 표시하는 무차원수로서 압축일량과 냉동효과의 비를 말한다.
     2. 열펌프의 성적계수는 일반적으로1보다 작다.
     3. 실제 냉동기에서는 압축효율도 COP에 영향을 미친다.
     4. 냉동사이클에서는 응축온도가 가능한 한 낮고, 증발온도가 높을수록 성적계수는 크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열펌프의 성적계수는 일반적으로 3.0이상이며 냉동기의 성적계수보다 항상 1만큼 크다
[해설작성자 : 알과카]

35. 흡수식 냉동사이클 선도와 설명이 잘못된 것은?(2012년 08월)
     1. 듀링선도는 수용액의 농도, 온도, 압력 관계를 나타낸다.
     2. 엔탈피-농도(h-X)선도는 흡수식냉동기 설계 시 증발잠열, 엔탈피, 농도 등을 나타낸다.
     3. 듀링선도에서는 각 열교환기내의 열교환량을 표현할 수 없다.
     4. 모리엘(P-h)선도는 냉동사이클의 압력, 온도, 비체적 등을 이용 각종 계산을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몰리에르 P-h 선도는 냉매 압축식 냉동장치에서 적용된다.
[해설작성자 : Amd64]

36. 냉동장치 내에 불응축 가스가 생성되는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8년 08월)
     1. 냉동장치의 압력이 대기압 이상으로 운전될 경우 저압측에서 공기가 침입한다.
     2. 장치를 분해, 조립하였을 경우에 공기가 잔류한다.
     3. 압축기의 축봉장치 패킹 연결부분에 누설부분이 있으면 공기가 장치 내에 침입한다.
     4. 냉매, 윤활유 퉁의 열분해로 인해 가스가 발생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대기압이상으로 운전되면 외부의 공기가 침입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ㄱㅁㄹㅀㅁㅇㄻ]

37. 흡수냉동기의 용량제어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1년 08월)
     1. 구동열원 입구제어
     2. 증기토출 제어
     3. 희석운전 제어
     4. 버너 연소량 제어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흡수냉동기의 희석운전 제어는 흡수용액의 용액과 냉매 분리를 용이하게 하고 흡수용액의 결정 생성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해설작성자 : 재붐차]

38. 제상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8월)
     1. 살수방식은 저온의 냉장창고용 유니트 쿨러 등에서 많이 사용된다.
     2. 부동액 살포방식은 공기 중의 수분이 부동액에 흡수되므로 일정한 농도 관리가 필요하다.
     3. 핫가스 제상방식은 응축기 출구측 고온의 액냉매를 이용한다.
     4. 전기히터방식은 냉각관 배열의 일부에 핀튜브 형태의 전기히터를 삽입하여 착상부를 가열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증발기 냉각관 표면에 서리가 생길 때 핫가스를 증발기로 보내서 서리를 녹이는 것을 제상이라고 한다.
이 때 핫가스는 압축기나 응축기에 의해 생긴 뜨거운 <<증기>>를 사용한다.
압축기와 응축기 사이에서 뜨거운 증기를 빼낼 수도 있고
응축기에서 바이패스해서 뜨거운 증기를 빼낼 수도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9. 냉방용 터어보 냉동기에 가장 적당한 냉매는?(2003년 03월)
     1. R - 123
     2. R - 12
     3. R - 22
     4. R - 122

     정답 : []
     정답률 : 40%

40. 20℃의 물 50ℓ 중에 -10℃의 얼음 2㎏을 넣어 완전히 용해시켰다. 외부와 완전히 절연되어 있을 때 물의 온도는 몇℃가 되는가 ? (단,물의 비열은 1㎉/㎏℃,얼음의 비열은 0.485㎉/㎏℃로 하며,융해열은 79.7㎉/㎏이다.)(2004년 05월)
     1. 13.75
     2. 15.98
     3. 17.62
     4. 20.35

     정답 : []
     정답률 : 42%

3과목 : 공기조화


41. 보일러의 발생증기를 한 곳으로만 취출하면 그 부근에 압력이 저하하여 수면동요 현상과 동시에 비수가 발생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는?(2014년 08월)
     1. 급수내관
     2. 비수방지관
     3. 기수분리기
     4. 인젝터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문제에 적혀있다
'비수'가 발생된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

42. 긱 공조방식과 그 열운반 매체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2009년 07월)
     1. 단일덕트 방식 - 공기
     2. 이중덕트 방식 - 물, 공기
     3. 2관식 팬코일 유닛 방식 - 물
     4. 바닥설치형 패키지 방식 - 냉매

     정답 : []
     정답률 : 34%

43. 공기세정기에 공기중의 물방울이 송풍기 때문에 공기세정기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은?(2004년 05월)
     1. 플러싱 노즐
     2. 루버
     3. 스프레이 헤더
     4. 엘리미네이터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엘리미네이터는 공기중의 물방울 누출을 방지한다.
[해설작성자 : 류원수]

44. 증기난방 방식에는 환수주관을 보일러 수면보다 높은 위치에 배관하는 환수배관방식은?(2020년 09월)
     1. 습식 환수방식
     2. 강제 환수방식
     3. 건식 환수방식
     4. 중력 환수방식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환수주관이 보일러 수면 위 : 건식
환수주관이 보일러 수면 아래 : 습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5. 덕트의 보온목적으로 적합치 않은 것은?(2006년 08월)
     1. 결로방지를 위하여
     2. 급기덕트의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3. 천장수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4. 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정답 : []
     정답률 : 83%

46. 다음 보온재 중에서 사용온도가 제일 높은 것은?(2009년 05월)
     1. 규산칼슘
     2. 경질포옴라버
     3. 탄화코르크
     4. 우모펠트

     정답 : []
     정답률 : 78%

47. 엔탈피 변화가 없는 경우의 열수분비는?(2016년 03월)
     1. 0
     2. 1
     3. -1
     4.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열수분비는 엔탈피 변화에 대한 절대습도 변화의 비 이므로, 분자에 해당하는 엔탈피 변화가 0이면 열수분비도 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8. 전압기준 국부저항계수 ζT와 정압기준 국부저항계수 ζS와의 관계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단, 덕트 상류 풍속을 v1, 하류 풍속을 v2라 한다.,)(2016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2%

49. 다음 습공기 선도의 공기조화과정을 나타낸 장치도는? (단, ① = 외기, ② = 환기, RC = 가열기, CC = 냉각기이다.)(2011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4%

50. 다음 중 온수난방의 특징이 아닌 것은?(2003년 08월)
     1. 저온 방열이므로 안전하고,양호한 온열환경을 얻는다
     2. 온수 온도를 중앙에서 집중적으로 쉽게 조절할 수 있다.
     3. 축열용량이 크므로 운전을 정지해도 금방 식지 않는 다.
     4. 방열량의 조절이 곤란하다.

     정답 : []
     정답률 : 72%

51. 송풍 덕트 내의 정압제어가 필요 없고, 소음발생이 적은 변풍량 유닛은?(2014년 08월)
     1. 유인형
     2. 슬롯형
     3. 바이패스형
     4. 노즐형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변풍량 바이패스유닛형은 실내의 부하 변동시 필요 풍량은 실내로 보내고 나머지는 되돌려 보내는 방식이므로 유니트내 및 덕트에 풍량 변화가 없어서 풍량 변화에 따른 유니트 소음 발생이 적고 덕트 내의 정압 변동이 없다.
[해설작성자 : 풍경소리]

52. 두께 30cm, 벽면의 면적이 30m2인 벽돌벽이 있다. 내면의 온도가 20℃, 외면의 온도가 32℃일 때, 이 벽을 통한 열전열량은 몇kcal/h인가? (단, 벽돌의 열전도율 λ= 0.7kcal/mh℃이다.)(2011년 08월)
     1. 510
     2. 620
     3. 730
     4. 840

     정답 : []
     정답률 : 63%

53. 어떤 건물에 공기조화 설비를 하고자 한다. 공기조화 방식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우선적으로 고려할 사항이 아닌 것은?(2006년 03월)
     1. 건물의 용도와 규모
     2. 요구되는 실내환경 조건
     3. 사용할 열매의 종류
     4. 건물내부의 사용 상황

     정답 : []
     정답률 : 48%

54. 환기(ventilation)란 A에 있는 공기의 오염을 막기 위하여 B로부터 C를 공급하여, 실내의 D를 실외로 배출 하고 실내의 오염 공기를 교환 또는 희석시키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A, B, C, D로 적절한 것은?(2017년 03월)
     1. A : 일정 공간, B : 실외, C : 청정한 공기, D : 오염된 공기
     2. A : 실외, B : 일정 공간, C : 청정한 공기, D : 오염된 공기
     3. A : 일정 공간, B : 실외, C : 오염된 공기, D : 청정한 공기
     4. A : 실외, B : 일정 공간, C : 오염된 공기, D : 청정한 공기

     정답 : []
     정답률 : 79%

55. 덕트 내의 풍속이 8m/s이고 정압이 200Pa일 때, 전압은? (단, 공기밀도는 1.2kg/m3이다.)(2016년 08월)
     1. 203.9Pa
     2. 218.4Pa
     3. 239.3Pa
     4. 238.4Pa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전압 (Pт)
전압 = 동압 + 정압이므로

Pт = ω2/2 xρ+Ps = 82/2 x 1.2+200 = 238.4 Pa
[해설작성자 : 서문형]

56. 다음 중 전공기방식의 특징이 아닌 것은?(2010년 05월)
     1. 송풍량이 충분하여 실내오염이 적다.
     2. 환기용 팬(fan)을 설치하면 외기냉방이 가능하다.
     3. 실내에 노출되는 기기가 없어 마감이 깨끗하다.
     4. 천장의 여유공간이 적을 때 적합하다.

     정답 : []
     정답률 : 73%

57. 특정한 곳에 열원을 두고 열수송 및 분배망을 이용하여 한정된 지역으로 열매를 공급하는 난방법은?(2018년 03월)
     1. 간접난방법
     2. 지역난방법
     3. 단독난방법
     4. 개별난방법

     정답 : []
     정답률 : 82%

58. 산업용 공기 조화의 주요 목적이 아닌 것은?(2011년 08월)
     1. 제품의 품질을 보존하기 위하여
     2. 보관중인 제품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3.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4. 작업자의 근로시간을 개선하기 위하여

     정답 : []
     정답률 : 77%

59. 다음의 각종 기기 중 온수난방 설비용기기가 아닌 것은?(2014년 05월)
     1. 릴리프 밸브
     2. 순환펌프
     3. 관말트랩
     4. 팽창탱크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트랩은 증기
[해설작성자 : 황byaccident]

60. 유효 온도차(상당 외기온도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8월)
     1. 태양 일사량을 고려한 온도차이다.
     2. 계절, 시각 및 방위에 따라 변화한다.
     3. 실내온도와는 무관하다.
     4. 냉방부하 시에 적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태양의 일사에 의한 영향을 고려한 상당온도와 실내온도와의 차를 상당온도차(상당외기온도차, 실효온도차)라고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과목 : 전기제어공학


61. 폐회로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량적인 제어명령에 의하여 제어하는 방식은?(2010년 07월)
     1. 시한제어
     2. 피드백제어
     3. 순서제어
     4. 조건제어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폐회로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량적인 제어명령에 의하여 제어하는 방식은 피드백제어
[해설작성자 : 344]

62. 그림과 같은 연산증폭기를 사용한 회로의 기능은?(2006년 08월)

    

     1. 적분기
     2. 미분기
     3. 가산기
     4. 제한기

     정답 : []
     정답률 : 58%

63. 제동계수 중 최대 초과량이 가장 큰 것은?(2004년 03월)
     1. δ= 0.5
     2. δ= 1
     3. δ= 2
     4. δ= 3

     정답 : []
     정답률 : 62%

64. 제어 동작에 따른 분류 중 불연속제어에 해당되는 것은?(2016년 03월)
     1. ON/OFF 동작
     2. 비례제어 동작
     3. 적분제어 동작
     4. 미분제어 동작

     정답 : []
     정답률 : 80%

65. 무인운전을 시행하기 위한 제어에 해당되는 것은?(2003년 03월)
     1. 정치제어
     2. 추종제어
     3. 비율제어
     4. 프로그램제어

     정답 : []
     정답률 : 62%

66. 전기자철심을 규소 강판으로 성층하는 주된 이유로 적절한 것은?(2014년 05월)
     1. 정류자면의 손상이 적다.
     2. 가공하기 쉽다.
     3. 철손을 적게 할 수 있다.
     4. 기계손을 적게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전기자철심을 규소강판으로 성층하는 이유는 철손을 적게하기위함입니다.
[해설작성자 : 422]

67. 운전자가 배치되어 있지 않는 엘리베이터의 자동제어는?(2010년 03월)
     1. 추종제어
     2. 프로그램제어
     3. 정치제어
     4. 프로세스제어

     정답 : []
     정답률 : 69%

68. 직류기에서 전압정류의 역할을 하는 것은?(2018년 04월)
     1. 보극
     2. 보상권선
     3. 탄소브러시
     4. 리액턴스 코일

     정답 : []
     정답률 : 64%

69. 물체의 위치, 방향 및 자세 등의 기계적 변위를 제어량으로 해석 목표값의 임의의 변화에 추종하도록 구성된 제어계는?(2020년 06월)
     1. 프로그램제어
     2. 프로세스제어
     3. 서보 기구
     4. 자동 조정

     정답 : []
     정답률 : 71%

70. 자동제어계에서 이득이 높아지면?(2003년 03월)
     1. 정상오차가 증가한다.
     2. 과도응답이 진동하거나 불안정하게 된다.
     3. 응답이 빨라진다.
     4. 정정시간이 짧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24%

71. 정전용량이 같은 콘덴서 10개가 있다. 이것을 병렬로 접속할 때의 값은 직렬로 접속할 때의 몇 배가 되는가?(2003년 03월)
     1. 0.1
     2. 1
     3. 10
     4. 100

     정답 : []
     정답률 : 34%

72. 피드백 제어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외란에 대한 영향을 줄일 수 있다.
     2. 목표값과 출력을 비교한다.
     3. 조절부와 조작부로 구성된 제어요소를 가지고 있다.
     4. 입력과 출력의 비를 나타내는 전체 이득이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73. 다음과 같은 회로에서 I2가 0이 되기 위한 C의 값은? (단, L은 합성인덕턴스, M은 상호인덕턴스이다.)(2021년 08월)

    

     1. 1/(wL)
     2. 1/(w2L)
     3. 1/(wM)
     4. 1/(w2M)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Campbell Bridge 회로 : 상호 Inductance 값을 알아낼 수 있음_by making current I2 to be zero(0) with adjusting Capacitance or Angular Velocity or Frequency
L1과 L2는 차동결합.
M = 1/(ω^2·C)
C = 1/(ω^2·M)
[해설작성자 : 나대로]

74. 정현파 전압 보다 위상이 90° 뒤지고 최댓값이 20A인 정현파 전류의 순싯값은 몇 A인가?(2017년 03월)
     1. 20sin(ωt-30°)
     2. 20sin(ωt-60°)
     3.
     4.

     정답 : []
     정답률 : 59%

75. 변압기 Y-Y결선방법의 특성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2010년 03월)
     1. 중성점을 접지할 수 있다.
     2. 상전압이 선간전압의 1/√3배가 되므로 절연이 용이하다.
     3. 선로에 제 3조파를 주로 하는 충전전류가 흘러 통신장해가 생긴다.
     4. 단상변압기 3대로 운전하던 중 한대가 고장이 발생해도 V결선 운전이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한대 고장시 V결선으로 운전가능한것은 델타결선이다.
[해설작성자 : 건전한자]

76. R=10Ω, L=10mH에 가변콘덴서 C를 직렬로 구성시킨 회로에 교류주파수 1000Hz를 가하여 직렬공진을 시켰다면 가변콘덴서는 약 몇 ㎌인가?(2020년 06월)
     1. 2.533
     2. 12.675
     3. 25.35
     4. 126.75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2πf)^2 = 1 / LC 라는 공식에서
C로 정리하면 답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유누1]

공진이 되려면 리엑턴스가 서로 같아져야 한다.
XL=XC
wL = 1/wC

XL=wL= 2πf L
XC=1/wC=1/2πf C

C=1/(w^2*L)
=2.53* 10^-6
[해설작성자 : 나볼라고]

77. 논리식 A=X(X+Y)를 간단히 하면?(2013년 08월)
     1. A=X
     2. A=Y
     3. A=X+Y
     4. A=XㆍY

     정답 : []
     정답률 : 64%

78. 제어하려는 물리량을 무엇이라 하는가?(2018년 03월)
     1. 제어
     2. 제어량
     3. 물질량
     4. 제어대상

     정답 : []
     정답률 : 72%

79. 3상 동기발전기를 병렬운전하는 경우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2015년 03월)
     1. 기전력 파형의 일치 여부
     2. 상회전방향의 동일 여부
     3. 회전수의 동일 여부
     4. 기전력 주파수의 동일 여부

     정답 : []
     정답률 : 57%

80. 그림에서 3개의 입력단자 모두 1을 입력하면 출력단자 A와 B의 출력은?(2019년 08월)

    

     1. A=0, B=0
     2. A=0, B=1
     3. A=1, B=0
     4. A=1, B=1

     정답 : []
     정답률 : 67%

81. 다음 중 관의 지지 금속 설치 시공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2009년 07월)
     1. 관의 신축
     2. 배관 구배의 조절
     3. 배관 중량
     4. 관내 수용 물질

     정답 : []
     정답률 : 74%

82. 신축곡관이라고 통용되는 신축이음은?(2014년 08월)
     1. 스위블형
     2. 벨로즈형
     3. 슬리브형
     4. 루프형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스위블형 : 여러개의 엘보를 사용
벨로즈형 : 주름이 있는 형상을 사용
슬리브형 : 미끄러질 수 있는 슬리브 파이프와 패킹재의 조합
루프형 : 곡선형 관(신축곡관)
[해설작성자 : 공조다람]

83. 통기관의 설치와 거리가 먼 것은?(2011년 08월)
     1. 배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배수관의 부식을 방지한다.
     2. 봉수가 사이펀 작용으로 파괴되는 것을 방지한다.
     3. 배수계통 내의 신선한 공기를 유입하기 위해 환기 시킨다.
     4. 배수계통 내의 배수 및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54%

84. 가스배관의 표시색상은 어느 것인가?(2004년 05월)
     1. 황색
     2. 흰색
     3. 청색
     4. 녹색

     정답 : []
     정답률 : 75%

85. 유기질 보온재가 아닌 것은?(2012년 03월)
     1. 펠트
     2. 코르크
     3. 기포성수지
     4. 탄산마그네슘

     정답 : []
     정답률 : 54%

86. 배관 용접 작업 중 다음과 같은 결함을 무엇이라고 하는가?(2019년 08월)

    

     1. 용입불량
     2. 언더컷
     3. 오버랩
     4. 피트

     정답 : []
     정답률 : 77%

87. 다음은 공기조화설비 중 복사난방의 패널형식을 나나낸 것이다.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4년 05월)
     1. 바닥패널
     2. 천장패널
     3. 벽패널
     4. 유닛패널

     정답 : []
     정답률 : 70%

88. 다음 중 방열기나 팬코일 유니트에 가장 적합한 관 이음은?(2016년 05월)
     1. 스위블 이음(swivel joint)
     2. 루프 이음(loop joint)
     3. 슬리브 이음(sleeve joint)
     4. 벨로즈 이음(bellow joint)

     정답 : []
     정답률 : 70%

89. 기체 수송 설비에서 압축공기 배관의 부속장치가 아닌 것은?(2018년 03월)
     1. 후부냉각기
     2. 공기여과기
     3. 안전밸브
     4. 공기빼기밸브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압축공기 배관의 부속장치
분리기 및 후부냉각기, 공기탱크, 공기여과기, 공기흡입관, 안전밸브
[해설작성자 : asd]

90. 60℃ 의 물 200L와 15℃ 의 물 100L를 혼합하였을 때 최종온도는?(2016년 08월)
     1. 35℃
     2. 40℃
     3. 45℃
     4. 50℃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G1·C·T1 + G2·C·T2 = (G1 + G2)·T3
비열이 같은 물질의 혼합이기에,
T3 = (G1·T1 + G2·T2) / (G1 + G2)
= (200 x 60 + 100 x 15) / (200 + 100) = 45[℃]
[해설작성자 : 나대로]

91. 펌프 운전 시 발생하는 캐비테이션 현상에 대한 방지대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8월)
     1. 흡입양정을 짧게 한다.
     2. 펌프의 회전수를 낮춘다.
     3. 단흡입 펌프를 사용한다.
     4. 흡입관의 관경을 굵게, 굽힘을 적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양흡입 Pump 사용.
[해설작성자 : 나대로]

92. 급수설비 중 수평배관의 지지간격이 3m일 경우 강관의 관경은 얼마인가?(2010년 03월)
     1. 20A 이하
     2. 25~30A
     3. 32~40A
     4. 50~80A

     정답 : []
     정답률 : 39%

93. 5세주형 700mm의 주철제 방열기를 설치하여 증기온도가 110℃, 실내 공기온도가 20℃이며 난방부하가 25000kcal/h일 때 방열기의 소요 쪽수는? (단, 방열계수 6.9kcal/m2ㆍhㆍ℃, 1쪽당 방열면적 0.28m2이다.)(2016년 03월)
     1. 144쪽
     2. 164쪽
     3. 154쪽
     4. 174쪽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방열기 방열량 Qr = K·A·n·Δt
방열기 쪽수 n = Qr / (K·A·Δt)
= 25000 / {6.9 x 0.28 x (110 - 20)}
= 144[쪽]
[해설작성자 : 나대로]

94. 배관의 하중을 위에서 걸어 당겨 지지하는 행거(hanger) 중 상하 방향의 변위가 없는 개소에 사용하는 것은?(2015년 03월)
     1. 콘스타트 행거(constant hanger)
     2. 리지드 행거(rigid hanger)
     3. 베리어블 행거(variable hanger)
     4. 스프링 행거(spring hanger)

     정답 : []
     정답률 : 59%

95. 다음 중 열을 잘 반사하고 확산하여 방열기 표면 등의 도장용으로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도료는?(2021년 05월)
     1. 광명단
     2. 산화철
     3. 합성수지
     4. 알루미늄

     정답 : []
     정답률 : 70%

96. 유체 흐름의 방향을 바꾸어 주는 관 이음쇠는?(2019년 08월)
     1. 리턴벤드
     2. 리듀서
     3. 니플
     4. 유니온

     정답 : []
     정답률 : 70%

97. 도시가스배관을 지하에 매설하는 경우 배관의 외면과 상수 도관, 하수관거 등 타시설물과는 몇 m2 이상의 간격을 유지 해야하는가?(2008년 07월)
     1. 0.1
     2. 0.3
     3. 0.8
     4. 1.5

     정답 : []
     정답률 : 50%

98. 진공환수식 증기난반 배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배관 도중에 공기 빼기 밸브를 설치한다.
     2. 배관에는 적당한 구배를 준다.
     3. 진공식에서는 리프트 피팅에 의해 응축수를 상부로 배출할 수 있다.
     4. 응축수의 유속이 빠르게 되므로 환수관을 가늘게 할 수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진공환수식 증기난방은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공기를 배출하기 때문에 공가빼기 밸브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해설작성자 : ㅇㅈㅇ]

99. 열팽창에 의한 배관의 이동을 구속 또는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는 관 지지장치는 무엇인가?(2011년 06월)
     1. 행거(hanger)
     2. 서포트(support)
     3. 브레이스(brace)
     4. 레스트레인트(restraint)

     정답 : []
     정답률 : 61%

100. 급탕설비에서 급탕온도가 70℃, 복귀탕 온도가 60℃일 때, 온수 순환 펌프의 수량은? (단, 배관계의 총 손실 열량은 3000kcal/h로 한다.)(2015년 03월)
     1. 50 L/min
     2. 5 L/min
     3. 45 L/min
     4. 4.5 L/min

     정답 : []
     정답률 : 60%


정 답 지

공조냉동기계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8619557)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공조냉동기계기사(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기계열역학


1. 이상기체에 대한 관계식 중 옳은 것은? (단,Cp, Cv는 정압 및 정적 비열, k는 비열비이고, R은 기체 상수이다.)(2018년 04월)
     1. Cp=Cv-R 
     2.
     3.
     4.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1. k=Cp/Cv이므로 Cv=Cp/k
2. Cp-Cv=R
1식을 2에 대입하면 Cp-(Cp/k)=R
정리하면 Cp=(k/k-1)R

2. 압력이 287 kPa 일 때 1m3의 공기 질량이 2 kg이었다. 이 때 공기의 온도(℃)는? (단, 공기의 기체상수 R=287 J/kgㆍK 이다.)(2010년 07월)
     1. 773
     2. 500
     3. 400
     4. 227

     정답 : []
     정답률 : 67%

3. 비가역 단열변화에 있어서 엔트로피 변화량은 어떻게 되는가?(2010년 05월)
     1. 증가한다.
     2. 감소한다.
     3. 변화량은 없다.
     4. 증가할 수도 감소할 수도 있다.

     정답 : []
     정답률 : 73%

4. 공기 1kg을 정적과정으로 40℃에서 120℃까지 가열하고 다음에 정압과정으로 120℃에서 220℃까지 가열한다면 전체 가열에 필요한 열량은 약 얼마인가?(단, cp=1.00KJ/kg℃, Cv-0.71KJ/kg℃ 이다.)(2008년 07월)
     1. 156.8 KJ/kg
     2. 151.5 KJ/kg
     3. 127.8 KJ/kg
     4. 180.5 KJ/kg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 다음 T-S 선도에서 과정 1-2가 가역일 때 빗금 친 부분은 무엇을 나타내는가?(2010년 05월)

   

     1. 엔탈피
     2. 엔트로피
     3. 열량
     4. 일량

     정답 : []
     정답률 : 75%

6. 어떤 시스템이 변화를 겪는 동안 주위를 엔트로피가 5kJ/K 감소하였다. 시스템의 엔트로피 변화는?(2015년 08월)
     1. 2 kJ/K 감소
     2. 5kJ/K 감소
     3. 3 kJ/K 증가
     4. 6kJ/K 증가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어떤 시스템에서는 모두 비가역과정.    그러므로 총 엔트로피 변화량 > 0 이므로, 시스템 엔트로피 변화는 6 증가
[해설작성자 : ㄱㄱ]

#주위의 엔트로피가 감소했다는 것은 열량을 빼앗겼다는 것이므로
주위 온도가 시스템의 온도보다 높다는 것이고
시스템은 열을 받은 것이므로 엔트로피는 증가한다
주위 △S1=Q/T1, 시스템 △S2=Q/T2
여기서 T2<T1이므로 △S2>△S1
따라서 △S2는 5보다는 커야한다.
[해설작성자 : 풍경소리]

7. 피스톤-실린더로 구성된 용기 안에 들어있는 기체의 초기체적은 0.1m3 이다 200 kPa의 일정한 압력으로 체적이 0.3m3로 변했을 때의 얼은? (문제 오류로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임의 정답 1번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2009년 07월)
     1. 40 J
     2. 40 KJ
     3. 400J
     4. 400 kJ

     정답 : []
     정답률 : 59%

8. 가정용 냉장고를 이용하여 겨울에 난방을 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면 이 주장은 이론적으로 열역학 법칙과 어떠한 관계를 갖겠는가?(2013년 06월)
     1. 열역학 1법칙에 위배된다.
     2. 열역학 2법칙에 위배된다.
     3. 열역학 1, 2법칙에 위배된다.
     4. 열역학 1, 2법칙에 위배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61%

9. 체적이 1m3인 용기에 물이 5kg 들어 있으며 그 압력을 측정해보니 500kPa이었다. 이 용기에 있는 물 중에 증기량(kg)은 얼마인가? (단, 500kPa에서 포화액체와 포화증기의 비체적은 각각 0.001093m3/kg, 0.37489m3/kg이다.)(2019년 08월)
     1. 0.005
     2. 0.94
     3. 1.87
     4. 2.66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물 1Kg=(0.001m^3) 5kg=0.005m^3
수증기 체적 = 전체체적 - 물체적
     0.995m^3         = 1-0.005
수증기 kg = 물체적 / 포화증기 비체적
     2.66kg = 0.995/0.37489

10. 어느 왕복동 내연기관에서 실린더 안지름이 6.8cm, 행정이 8cm일 때 평균유효압력은 1200kPa이다. 이 기관의 1행정당 유효 일은 약 몇 kJ인가?(2021년 05월)
     1. 0.09
     2. 0.15
     3. 0.35
     4. 0.48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평균 유효 압력 Pae = 일/행정체적
1200[kPa] = 1200[kN/m^2] = W / (π/4 x 0.068^2[m^2] x 0.08[m])
W = 1200[kN/m^2] x (π/4 x 0.068^2[m^2] x 0.08[m]) = 0.34864[kN·m] = 0.35[kJ]
[해설작성자 : 나대로]

11. 다음 중 이상적인 오토사이클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방안으로 맞는 것은?(2013년 06월)
     1. 최고온도 증가, 압축비 증가, 비열비 증가
     2. 최고온도 증가, 압축비 감소, 비열비 증가
     3. 최고온도 증가, 압축비 증가, 비열비 감소
     4. 최고온도 감소, 압축비 증가, 비열비 감소

     정답 : []
     정답률 : 59%

12. 압력 2 MPa, 300℃의 공기 0.3kg이 폴리트로픽 과정으로 팽창하여, 압력이 0.5 MPa로 변화하였다. 이때 공기가 한 일은 약 몇 kJ인가? (단, 공기는 기체상수가 0.287 kJ/(kg·K)인 이상기체이고, 폴리트로픽 지수는 1.3 이다.)(2019년 03월)
     1. 416
     2. 157
     3. 573
     4. 45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dq=du+pdv=0
cvdt+dw=0
cv(t2-t1)+1W2=0
1W2=cv(t2-t1)=r/k-1(t2-t1)
cv=r/k-1
폴리트로픽 K=n => 1W2=R/n-1(t2-t1)
t2/t1=(p2/p1)^n-1/n = (0.5/2)^0.3/1.3
t2/573=t2/t1=0.7262
t=416k,1W2=0.287/0.3(416-573)=150.2 KJ/KG x 0.3kg = -45KJ
답: 45KJ
[해설작성자 : 미드절대자박건호]

간단하게 W=mRT/n = 0.3(0.287)(416-573)/0.3 = 47KJ
[해설작성자 : 루나백놀]

13. 이상기체 1kg을 300K, 100kPa 에서 500K 까지 "PVn= 일정" 의 과정(n =1.2)을 따라 변화시켰다. 기체의 비열비는 1.3, 기체 상수는 0.287 kJ/kg.K 라고 가정한다. 이 기체의 엔트로피 변화량은?(2004년 08월)
     1. -0.244 kJ/K
     2. -0.287 kJ/K
     3. -0.344 kJ/K
     4. -0.373 kJ/K

     정답 : []
     정답률 : 29%

14. 공기 1kg를 1MPa, 250℃의 상태로부터 압력 0.2MPa까지 등온변화한 경우 외부에 대하여 한 일량은 약 몇 kJ인가? (단, 공기의 기체상수는 0.287kJ/kg·K 이다)(2014년 03월)
     1. 157
     2. 242
     3. 313
     4. 465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보일 샤를 법칙= Pv/T=C ===> 일량 = Pdv     ===> Pv/T=C에서 P를 우변에 남겨두면 P=CT/v
Pdv에서 P에다 CT/v대입CTv^-1dv = CTln(v2/v1) ===> C에다 Pv/T대입 ===> P1v1ln(v2/v1)
이상기체 방정식 Pv=RT로 v1=0.15, v2=0.75    ===> 다 대입하면 1*10^6*0.15ln(5)= 241,5xxJ= 242KJ
[해설작성자 : 공조 2일전사 드가자]

15. 피스톤-실린더 장치 안에 300 kPa, 100℃의 이산화탄소 2 kg이 들어있다. 이 가스를 PV1.2=constant인 관계를 만족하도록 피스톤 위에 추를 더해가며 온도가 200℃가 될 때까지 압축하였다. 이 과정 동안의 열전달량은 약 몇 kJ인가? (단, 이산화탄소의 정적비열(Cv)=0.653 kJ/kgㆍK 이고, 정압비열(Cp)=0.842 kJ/kgㆍK 이며, 각각 일정하다.)(2010년 05월)
     1. -189
     2. -58
     3. -20
     4. -130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폴리트로픽 가열량 = m *    Cv * (n-k / n-1) (T2-T1)
k = Cp/Cv = 1.289
2*0.653*(1.2-1.289/1-0.8)(473-373) = -58.12KJ
[해설작성자 : 건전한자]

16. 다음 중 그림과 같은 냉동사이클로 운전할 때 열역학 제1법칙과 제2법칙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는?(2021년 08월)

    

     1. Q1=100kJ, Q3=30kJ, W=30kJ
     2. Q1=80kJ, Q3=40kJ, W=10kJ
     3. Q1=90kJ, Q3=50kJ, W=10kJ
     4. Q1=100kJ, Q3=30kJ, W=40kJ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제1법칙 검토 : 에너지 보존의 법칙 Q1=Q2+Q3+W
1번은 Q1=100, Q2+Q3+W = 30+30+30 = 90이므로 제1법칙 위반 / 2~4번은 제1법칙이 만족됨
제2법칙 검토 : 엔트로피 증가의 법칙 S1>S2+S3
2번 검토 S1 = 80/330 = 0.2424 S2 + S3 = (30/240) + (40/280) = 0.2679 S1<S2+S3 => 2법칙 위배
3번 검토 S1 = 90/330 = 0.2727 S2 + S3 = (30/240) + (50/280) = 0.3036 S1<S2+S3 => 2법칙 위배
4번 검토 S1 = 100/330 = 0.303 S2 + S3 = (30/240) + (30/280) = 0.2321 S1>S2+S3 => 2법칙 만족
[해설작성자 : David Lee]

17. 열역학 제 2법칙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2004년 05월)
     1. 과정(process)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2. 에너지의 량을 결정한다.
     3. 에너지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4. 공학적 장치의 크기를 알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5%

18. 다음 중 강도성 상태량(intensive property)이 아닌것은?(2011년 08월)
     1. 온도
     2. 압력
     3. 체적
     4. 밀도

     정답 : []
     정답률 : 73%

19. 이론적인 카르노 열기관의 효율(η)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고열원의 절대온도는 TH, 저열원의 절대온도는 TL이다.)(2017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0%

20. 밀폐 시스템의 가역 정압 변화에 관한 다음 사항중 올바른 것은? (단, u : 내부에너지, Q : 전달열, h : 엔탈피, v : 비체적, W : 일 이다.)(2006년 03월)
     1. d u = δ Q
     2. d h = δ Q
     3. d v = δ Q
     4. d W = δ Q

     정답 : []
     정답률 : 73%

2과목 : 냉동공학


21. 증발기의 온도와 응축기의 온도가 동일한 조건에서 성적 계수가 가장 큰 사이클은?(2003년 08월)
     1. 히이트 펌프를 냉각의 목적으로 사용할 때
     2. 터보 냉동기에서 R - 22를 냉매로 사용할 때
     3. 고속 다기통 압축기에서 후레온을 냉매로 사용할 때
     4. 이상 냉동 사이클로 작동될 때

     정답 : []
     정답률 : 61%

22. 다음 내용중 틀린 것은?(2003년 03월)
     1. 전도란 물체사이의 온도차에 의한 열의 이동현상
     2. 대류란 유체의 순환에 의한 열의 이동 현상
     3. 대류 열전달계수의 단위는 열통과율의 단위와 같다.
     4. 열전도율의 단위는 kcal/m2h℃ 이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열전도율 단위 kcal/mhc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3. 다음은 물과 리듐브로마이드 용액을 사용하는 흡수식 냉동기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2016년 03월)
     1. 흡수기의 개수에 따라 단효용 또는 다중효용 흡수식 냉동기로 구분된다.
     2. 냉매로 물을 사용하고, 흡수제로 리듐브로마이드(LiBr)를 사용한다.
     3. 사이클은 압력-엔탈피 선도가 아닌 듀링선도를 사용하여 작동상 태를 표현한다.
     4. 단효용 흡수식 냉동기에서 냉매는 재생기, 응축기, 냉각기, 흡수기의 순서로 순환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흡수기의 개수가 아니라 재생기의 개수에 따라 나뉩니다.
[해설작성자 : ㄱㅁㄹ]

24. 압축기 실린더의 체적효율이 감소되는 경우가 아닌 것은?(2010년 07월)
     1. 클리어런스(clearance)가 작을 경우
     2. 흡입ㆍ토출밸브에서 누설될 경우
     3. 실린더 피스톤이 과열될 경우
     4. 회전속도가 빨라질 경우

     정답 : []
     정답률 : 69%

25. 핀(fin)이 없는 공기냉각기에 있어서 냉각관 외면에는 서리가 4mm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 냉각관의 열통과율(kcal/m2h℃)은 약 얼마인가? (단, 냉각관의 두께, 서리의 두께에 의한 면적증가와 관의 열저항은 무시한다. 또한 공기측 열전달율 aa=8 kcal/m2h℃, 냉매측 열전달율 ar=600 kal/m2h℃, 서리의 열전도율 λ=0.2 kcal/mh℃ 이다.)(2010년 05월)
     1. 6.8
     2. 7.1
     3. 7.5
     4. 8.3

     정답 : []
     정답률 : 52%

26. 암모니아 냉동장치에서 고압측 게이지 압력이 14kg/cm2·g, 저압측 게이지 압력이 3kg/cm2·g이고, 피스톤 압출량이 100m3/h, 흡입증기의 비체적이 0.5m3/kg이라 할 때, 이 장치에서의 압축비와 냉매순환량(kg/h)은 각각 얼마인가? (단, 압축기의 체적효율은 0.7로 한다.)(2018년 08월)
     1. 3.73, 70
     2. 3.73, 140
     3. 4.67, 70
     4. 4.67, 140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압축비 = 고압 절대압/저압 절대압= 게이지 고압+1.0332/게이지 저압+1.0332 = 14+1.0332/3+1.0332 = 3.73
냉매순환량 = (피스톤 압출량/비체적) * 효율 =100 * 0.7/0.5 = 140kg/h
[해설작성자 : GaNaDaRaMaBaSa]

27. 다음 완성된 냉동기의 작업순서로 바르게 열거된 것은?(2003년 05월)

    

     1. ② → ③ → ① → ④
     2. ③ → ② → ① → ④
     3. ① → ② → ③ → ④
     4. ② → ① → ③ → ④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일단 냉동기가 완성되면 질소를 냉동기에 주입해서 일정압에서 일정시간을 견디는지 시험을 합니다(내압시험)
그리고 일정시간 동안 질소가 충전돼 있는 상태로 방치를합니다 세는 곳이 있나 없나를 확인하는 과정(누설시험)
한마디로 내압시험과 누설시험이 동시에 같이 진행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러고 나서 질소를 빼고 진공펌프를 연결해서 냉동기 안에 있는 기체를 모두 빼냅니다(진공시험)
다음으로 냉매를 일정량 충전하면(냉매충전) 완벽한 냉동기가 탄생합니다
[해설작성자 : dalma2018]

28. 냉동장치에서 공기가 들어 있음을 무엇을 보고 알 수 있는가? (문제 오류로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임의 정답 1번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2009년 07월)
     1. 응축기에서 소리가 난다.
     2. 응축기 온도가 떨어진다.
     3. 토출온도가 높다.
     4. 증발압력이 낮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53%

29. 냉동용 압축기를 냉동법의 원리에 의해 분류할 때, 저온에서 증발한 가스를 압축기로 압축하여 고온으로 이동시키는 냉동법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문제 오류로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임의 정답 1번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2009년 07월)
     1. 화학식 냉동법
     2. 기계식 냉동법
     3. 흡착식 냉동법
     4. 전자식 냉동법

     정답 : []
     정답률 : 43%

30. 어큐물레이터(accumlator)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08월)
     1. 건식 증발기에 설치하여 냉매액과 증기를 분리시킨다.
     2. 냉매액과 증기를 분리시켜 증기만을 압축기에 보낸다.
     3. 분리된 증기는 다시 응축하도록 응축기로 보낸다.
     4. 냉매속에 흐르는 냉동유를 분리시키는 장치이다.

     정답 : []
     정답률 : 47%

31. 다음 내용은 브라인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2008년 05월)
     1. 브라인은 농도가 진하게 될수록 부식성이 크다.
     2. 염화칼슘 브라인은 동결점이 매우 낮으며 부식성도 비교적 적다.
     3. 염화나트륨 브라인은 염화칼슘 브라인에 비해 동결 온도는 아주 높고 금속 재료에 대한 부식성도 크다.
     4. 브라인에 대한 부식 방지를 위해서는 밀폐 순환식을 채용하여 공기에 접촉하지 않게 해야한다.

     정답 : []
     정답률 : 45%

32. 증기 압축식 냉동사이클에서 증발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응축온도를 상승시킬 때 나타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2017년 03월)
     1. 소요동력 증가
     2. 성적계수 감소
     3. 토출가스 온도 상승
     4. 플래시가스 발생량 감소

     정답 : []
     정답률 : 82%

33. 응축기에서 냉매가스의 열이 제거되는 방법은?(2011년 03월)
     1. 대류와 전도
     2. 증발과 복사
     3. 승화와 휘발
     4. 복사와 액화

     정답 : []
     정답률 : 67%

34. 성적계수인 COP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3월)
     1. 냉동기의 성능을 표시하는 무차원수로서 압축일량과 냉동효과의 비를 말한다.
     2. 열펌프의 성적계수는 일반적으로1보다 작다.
     3. 실제 냉동기에서는 압축효율도 COP에 영향을 미친다.
     4. 냉동사이클에서는 응축온도가 가능한 한 낮고, 증발온도가 높을수록 성적계수는 크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열펌프의 성적계수는 일반적으로 3.0이상이며 냉동기의 성적계수보다 항상 1만큼 크다
[해설작성자 : 알과카]

35. 흡수식 냉동사이클 선도와 설명이 잘못된 것은?(2012년 08월)
     1. 듀링선도는 수용액의 농도, 온도, 압력 관계를 나타낸다.
     2. 엔탈피-농도(h-X)선도는 흡수식냉동기 설계 시 증발잠열, 엔탈피, 농도 등을 나타낸다.
     3. 듀링선도에서는 각 열교환기내의 열교환량을 표현할 수 없다.
     4. 모리엘(P-h)선도는 냉동사이클의 압력, 온도, 비체적 등을 이용 각종 계산을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몰리에르 P-h 선도는 냉매 압축식 냉동장치에서 적용된다.
[해설작성자 : Amd64]

36. 냉동장치 내에 불응축 가스가 생성되는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8년 08월)
     1. 냉동장치의 압력이 대기압 이상으로 운전될 경우 저압측에서 공기가 침입한다.
     2. 장치를 분해, 조립하였을 경우에 공기가 잔류한다.
     3. 압축기의 축봉장치 패킹 연결부분에 누설부분이 있으면 공기가 장치 내에 침입한다.
     4. 냉매, 윤활유 퉁의 열분해로 인해 가스가 발생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대기압이상으로 운전되면 외부의 공기가 침입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ㄱㅁㄹㅀㅁㅇㄻ]

37. 흡수냉동기의 용량제어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1년 08월)
     1. 구동열원 입구제어
     2. 증기토출 제어
     3. 희석운전 제어
     4. 버너 연소량 제어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흡수냉동기의 희석운전 제어는 흡수용액의 용액과 냉매 분리를 용이하게 하고 흡수용액의 결정 생성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해설작성자 : 재붐차]

38. 제상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8월)
     1. 살수방식은 저온의 냉장창고용 유니트 쿨러 등에서 많이 사용된다.
     2. 부동액 살포방식은 공기 중의 수분이 부동액에 흡수되므로 일정한 농도 관리가 필요하다.
     3. 핫가스 제상방식은 응축기 출구측 고온의 액냉매를 이용한다.
     4. 전기히터방식은 냉각관 배열의 일부에 핀튜브 형태의 전기히터를 삽입하여 착상부를 가열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증발기 냉각관 표면에 서리가 생길 때 핫가스를 증발기로 보내서 서리를 녹이는 것을 제상이라고 한다.
이 때 핫가스는 압축기나 응축기에 의해 생긴 뜨거운 <<증기>>를 사용한다.
압축기와 응축기 사이에서 뜨거운 증기를 빼낼 수도 있고
응축기에서 바이패스해서 뜨거운 증기를 빼낼 수도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9. 냉방용 터어보 냉동기에 가장 적당한 냉매는?(2003년 03월)
     1. R - 123
     2. R - 12
     3. R - 22
     4. R - 122

     정답 : []
     정답률 : 40%

40. 20℃의 물 50ℓ 중에 -10℃의 얼음 2㎏을 넣어 완전히 용해시켰다. 외부와 완전히 절연되어 있을 때 물의 온도는 몇℃가 되는가 ? (단,물의 비열은 1㎉/㎏℃,얼음의 비열은 0.485㎉/㎏℃로 하며,융해열은 79.7㎉/㎏이다.)(2004년 05월)
     1. 13.75
     2. 15.98
     3. 17.62
     4. 20.35

     정답 : []
     정답률 : 42%

3과목 : 공기조화


41. 보일러의 발생증기를 한 곳으로만 취출하면 그 부근에 압력이 저하하여 수면동요 현상과 동시에 비수가 발생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는?(2014년 08월)
     1. 급수내관
     2. 비수방지관
     3. 기수분리기
     4. 인젝터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문제에 적혀있다
'비수'가 발생된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

42. 긱 공조방식과 그 열운반 매체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2009년 07월)
     1. 단일덕트 방식 - 공기
     2. 이중덕트 방식 - 물, 공기
     3. 2관식 팬코일 유닛 방식 - 물
     4. 바닥설치형 패키지 방식 - 냉매

     정답 : []
     정답률 : 34%

43. 공기세정기에 공기중의 물방울이 송풍기 때문에 공기세정기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은?(2004년 05월)
     1. 플러싱 노즐
     2. 루버
     3. 스프레이 헤더
     4. 엘리미네이터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엘리미네이터는 공기중의 물방울 누출을 방지한다.
[해설작성자 : 류원수]

44. 증기난방 방식에는 환수주관을 보일러 수면보다 높은 위치에 배관하는 환수배관방식은?(2020년 09월)
     1. 습식 환수방식
     2. 강제 환수방식
     3. 건식 환수방식
     4. 중력 환수방식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환수주관이 보일러 수면 위 : 건식
환수주관이 보일러 수면 아래 : 습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5. 덕트의 보온목적으로 적합치 않은 것은?(2006년 08월)
     1. 결로방지를 위하여
     2. 급기덕트의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3. 천장수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4. 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정답 : []
     정답률 : 83%

46. 다음 보온재 중에서 사용온도가 제일 높은 것은?(2009년 05월)
     1. 규산칼슘
     2. 경질포옴라버
     3. 탄화코르크
     4. 우모펠트

     정답 : []
     정답률 : 78%

47. 엔탈피 변화가 없는 경우의 열수분비는?(2016년 03월)
     1. 0
     2. 1
     3. -1
     4.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열수분비는 엔탈피 변화에 대한 절대습도 변화의 비 이므로, 분자에 해당하는 엔탈피 변화가 0이면 열수분비도 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8. 전압기준 국부저항계수 ζT와 정압기준 국부저항계수 ζS와의 관계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단, 덕트 상류 풍속을 v1, 하류 풍속을 v2라 한다.,)(2016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2%

49. 다음 습공기 선도의 공기조화과정을 나타낸 장치도는? (단, ① = 외기, ② = 환기, RC = 가열기, CC = 냉각기이다.)(2011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4%

50. 다음 중 온수난방의 특징이 아닌 것은?(2003년 08월)
     1. 저온 방열이므로 안전하고,양호한 온열환경을 얻는다
     2. 온수 온도를 중앙에서 집중적으로 쉽게 조절할 수 있다.
     3. 축열용량이 크므로 운전을 정지해도 금방 식지 않는 다.
     4. 방열량의 조절이 곤란하다.

     정답 : []
     정답률 : 72%

51. 송풍 덕트 내의 정압제어가 필요 없고, 소음발생이 적은 변풍량 유닛은?(2014년 08월)
     1. 유인형
     2. 슬롯형
     3. 바이패스형
     4. 노즐형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변풍량 바이패스유닛형은 실내의 부하 변동시 필요 풍량은 실내로 보내고 나머지는 되돌려 보내는 방식이므로 유니트내 및 덕트에 풍량 변화가 없어서 풍량 변화에 따른 유니트 소음 발생이 적고 덕트 내의 정압 변동이 없다.
[해설작성자 : 풍경소리]

52. 두께 30cm, 벽면의 면적이 30m2인 벽돌벽이 있다. 내면의 온도가 20℃, 외면의 온도가 32℃일 때, 이 벽을 통한 열전열량은 몇kcal/h인가? (단, 벽돌의 열전도율 λ= 0.7kcal/mh℃이다.)(2011년 08월)
     1. 510
     2. 620
     3. 730
     4. 840

     정답 : []
     정답률 : 63%

53. 어떤 건물에 공기조화 설비를 하고자 한다. 공기조화 방식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우선적으로 고려할 사항이 아닌 것은?(2006년 03월)
     1. 건물의 용도와 규모
     2. 요구되는 실내환경 조건
     3. 사용할 열매의 종류
     4. 건물내부의 사용 상황

     정답 : []
     정답률 : 48%

54. 환기(ventilation)란 A에 있는 공기의 오염을 막기 위하여 B로부터 C를 공급하여, 실내의 D를 실외로 배출 하고 실내의 오염 공기를 교환 또는 희석시키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A, B, C, D로 적절한 것은?(2017년 03월)
     1. A : 일정 공간, B : 실외, C : 청정한 공기, D : 오염된 공기
     2. A : 실외, B : 일정 공간, C : 청정한 공기, D : 오염된 공기
     3. A : 일정 공간, B : 실외, C : 오염된 공기, D : 청정한 공기
     4. A : 실외, B : 일정 공간, C : 오염된 공기, D : 청정한 공기

     정답 : []
     정답률 : 79%

55. 덕트 내의 풍속이 8m/s이고 정압이 200Pa일 때, 전압은? (단, 공기밀도는 1.2kg/m3이다.)(2016년 08월)
     1. 203.9Pa
     2. 218.4Pa
     3. 239.3Pa
     4. 238.4Pa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전압 (Pт)
전압 = 동압 + 정압이므로

Pт = ω2/2 xρ+Ps = 82/2 x 1.2+200 = 238.4 Pa
[해설작성자 : 서문형]

56. 다음 중 전공기방식의 특징이 아닌 것은?(2010년 05월)
     1. 송풍량이 충분하여 실내오염이 적다.
     2. 환기용 팬(fan)을 설치하면 외기냉방이 가능하다.
     3. 실내에 노출되는 기기가 없어 마감이 깨끗하다.
     4. 천장의 여유공간이 적을 때 적합하다.

     정답 : []
     정답률 : 73%

57. 특정한 곳에 열원을 두고 열수송 및 분배망을 이용하여 한정된 지역으로 열매를 공급하는 난방법은?(2018년 03월)
     1. 간접난방법
     2. 지역난방법
     3. 단독난방법
     4. 개별난방법

     정답 : []
     정답률 : 82%

58. 산업용 공기 조화의 주요 목적이 아닌 것은?(2011년 08월)
     1. 제품의 품질을 보존하기 위하여
     2. 보관중인 제품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3.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4. 작업자의 근로시간을 개선하기 위하여

     정답 : []
     정답률 : 77%

59. 다음의 각종 기기 중 온수난방 설비용기기가 아닌 것은?(2014년 05월)
     1. 릴리프 밸브
     2. 순환펌프
     3. 관말트랩
     4. 팽창탱크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트랩은 증기
[해설작성자 : 황byaccident]

60. 유효 온도차(상당 외기온도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8월)
     1. 태양 일사량을 고려한 온도차이다.
     2. 계절, 시각 및 방위에 따라 변화한다.
     3. 실내온도와는 무관하다.
     4. 냉방부하 시에 적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태양의 일사에 의한 영향을 고려한 상당온도와 실내온도와의 차를 상당온도차(상당외기온도차, 실효온도차)라고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과목 : 전기제어공학


61. 폐회로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량적인 제어명령에 의하여 제어하는 방식은?(2010년 07월)
     1. 시한제어
     2. 피드백제어
     3. 순서제어
     4. 조건제어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폐회로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량적인 제어명령에 의하여 제어하는 방식은 피드백제어
[해설작성자 : 344]

62. 그림과 같은 연산증폭기를 사용한 회로의 기능은?(2006년 08월)

    

     1. 적분기
     2. 미분기
     3. 가산기
     4. 제한기

     정답 : []
     정답률 : 58%

63. 제동계수 중 최대 초과량이 가장 큰 것은?(2004년 03월)
     1. δ= 0.5
     2. δ= 1
     3. δ= 2
     4. δ= 3

     정답 : []
     정답률 : 62%

64. 제어 동작에 따른 분류 중 불연속제어에 해당되는 것은?(2016년 03월)
     1. ON/OFF 동작
     2. 비례제어 동작
     3. 적분제어 동작
     4. 미분제어 동작

     정답 : []
     정답률 : 80%

65. 무인운전을 시행하기 위한 제어에 해당되는 것은?(2003년 03월)
     1. 정치제어
     2. 추종제어
     3. 비율제어
     4. 프로그램제어

     정답 : []
     정답률 : 62%

66. 전기자철심을 규소 강판으로 성층하는 주된 이유로 적절한 것은?(2014년 05월)
     1. 정류자면의 손상이 적다.
     2. 가공하기 쉽다.
     3. 철손을 적게 할 수 있다.
     4. 기계손을 적게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전기자철심을 규소강판으로 성층하는 이유는 철손을 적게하기위함입니다.
[해설작성자 : 422]

67. 운전자가 배치되어 있지 않는 엘리베이터의 자동제어는?(2010년 03월)
     1. 추종제어
     2. 프로그램제어
     3. 정치제어
     4. 프로세스제어

     정답 : []
     정답률 : 69%

68. 직류기에서 전압정류의 역할을 하는 것은?(2018년 04월)
     1. 보극
     2. 보상권선
     3. 탄소브러시
     4. 리액턴스 코일

     정답 : []
     정답률 : 64%

69. 물체의 위치, 방향 및 자세 등의 기계적 변위를 제어량으로 해석 목표값의 임의의 변화에 추종하도록 구성된 제어계는?(2020년 06월)
     1. 프로그램제어
     2. 프로세스제어
     3. 서보 기구
     4. 자동 조정

     정답 : []
     정답률 : 71%

70. 자동제어계에서 이득이 높아지면?(2003년 03월)
     1. 정상오차가 증가한다.
     2. 과도응답이 진동하거나 불안정하게 된다.
     3. 응답이 빨라진다.
     4. 정정시간이 짧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24%

71. 정전용량이 같은 콘덴서 10개가 있다. 이것을 병렬로 접속할 때의 값은 직렬로 접속할 때의 몇 배가 되는가?(2003년 03월)
     1. 0.1
     2. 1
     3. 10
     4. 100

     정답 : []
     정답률 : 34%

72. 피드백 제어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외란에 대한 영향을 줄일 수 있다.
     2. 목표값과 출력을 비교한다.
     3. 조절부와 조작부로 구성된 제어요소를 가지고 있다.
     4. 입력과 출력의 비를 나타내는 전체 이득이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73. 다음과 같은 회로에서 I2가 0이 되기 위한 C의 값은? (단, L은 합성인덕턴스, M은 상호인덕턴스이다.)(2021년 08월)

    

     1. 1/(wL)
     2. 1/(w2L)
     3. 1/(wM)
     4. 1/(w2M)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Campbell Bridge 회로 : 상호 Inductance 값을 알아낼 수 있음_by making current I2 to be zero(0) with adjusting Capacitance or Angular Velocity or Frequency
L1과 L2는 차동결합.
M = 1/(ω^2·C)
C = 1/(ω^2·M)
[해설작성자 : 나대로]

74. 정현파 전압 보다 위상이 90° 뒤지고 최댓값이 20A인 정현파 전류의 순싯값은 몇 A인가?(2017년 03월)
     1. 20sin(ωt-30°)
     2. 20sin(ωt-60°)
     3.
     4.

     정답 : []
     정답률 : 59%

75. 변압기 Y-Y결선방법의 특성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2010년 03월)
     1. 중성점을 접지할 수 있다.
     2. 상전압이 선간전압의 1/√3배가 되므로 절연이 용이하다.
     3. 선로에 제 3조파를 주로 하는 충전전류가 흘러 통신장해가 생긴다.
     4. 단상변압기 3대로 운전하던 중 한대가 고장이 발생해도 V결선 운전이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한대 고장시 V결선으로 운전가능한것은 델타결선이다.
[해설작성자 : 건전한자]

76. R=10Ω, L=10mH에 가변콘덴서 C를 직렬로 구성시킨 회로에 교류주파수 1000Hz를 가하여 직렬공진을 시켰다면 가변콘덴서는 약 몇 ㎌인가?(2020년 06월)
     1. 2.533
     2. 12.675
     3. 25.35
     4. 126.75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2πf)^2 = 1 / LC 라는 공식에서
C로 정리하면 답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유누1]

공진이 되려면 리엑턴스가 서로 같아져야 한다.
XL=XC
wL = 1/wC

XL=wL= 2πf L
XC=1/wC=1/2πf C

C=1/(w^2*L)
=2.53* 10^-6
[해설작성자 : 나볼라고]

77. 논리식 A=X(X+Y)를 간단히 하면?(2013년 08월)
     1. A=X
     2. A=Y
     3. A=X+Y
     4. A=XㆍY

     정답 : []
     정답률 : 64%

78. 제어하려는 물리량을 무엇이라 하는가?(2018년 03월)
     1. 제어
     2. 제어량
     3. 물질량
     4. 제어대상

     정답 : []
     정답률 : 72%

79. 3상 동기발전기를 병렬운전하는 경우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2015년 03월)
     1. 기전력 파형의 일치 여부
     2. 상회전방향의 동일 여부
     3. 회전수의 동일 여부
     4. 기전력 주파수의 동일 여부

     정답 : []
     정답률 : 57%

80. 그림에서 3개의 입력단자 모두 1을 입력하면 출력단자 A와 B의 출력은?(2019년 08월)

    

     1. A=0, B=0
     2. A=0, B=1
     3. A=1, B=0
     4. A=1, B=1

     정답 : []
     정답률 : 67%

81. 다음 중 관의 지지 금속 설치 시공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2009년 07월)
     1. 관의 신축
     2. 배관 구배의 조절
     3. 배관 중량
     4. 관내 수용 물질

     정답 : []
     정답률 : 74%

82. 신축곡관이라고 통용되는 신축이음은?(2014년 08월)
     1. 스위블형
     2. 벨로즈형
     3. 슬리브형
     4. 루프형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스위블형 : 여러개의 엘보를 사용
벨로즈형 : 주름이 있는 형상을 사용
슬리브형 : 미끄러질 수 있는 슬리브 파이프와 패킹재의 조합
루프형 : 곡선형 관(신축곡관)
[해설작성자 : 공조다람]

83. 통기관의 설치와 거리가 먼 것은?(2011년 08월)
     1. 배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배수관의 부식을 방지한다.
     2. 봉수가 사이펀 작용으로 파괴되는 것을 방지한다.
     3. 배수계통 내의 신선한 공기를 유입하기 위해 환기 시킨다.
     4. 배수계통 내의 배수 및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54%

84. 가스배관의 표시색상은 어느 것인가?(2004년 05월)
     1. 황색
     2. 흰색
     3. 청색
     4. 녹색

     정답 : []
     정답률 : 75%

85. 유기질 보온재가 아닌 것은?(2012년 03월)
     1. 펠트
     2. 코르크
     3. 기포성수지
     4. 탄산마그네슘

     정답 : []
     정답률 : 54%

86. 배관 용접 작업 중 다음과 같은 결함을 무엇이라고 하는가?(2019년 08월)

    

     1. 용입불량
     2. 언더컷
     3. 오버랩
     4. 피트

     정답 : []
     정답률 : 77%

87. 다음은 공기조화설비 중 복사난방의 패널형식을 나나낸 것이다.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4년 05월)
     1. 바닥패널
     2. 천장패널
     3. 벽패널
     4. 유닛패널

     정답 : []
     정답률 : 70%

88. 다음 중 방열기나 팬코일 유니트에 가장 적합한 관 이음은?(2016년 05월)
     1. 스위블 이음(swivel joint)
     2. 루프 이음(loop joint)
     3. 슬리브 이음(sleeve joint)
     4. 벨로즈 이음(bellow joint)

     정답 : []
     정답률 : 70%

89. 기체 수송 설비에서 압축공기 배관의 부속장치가 아닌 것은?(2018년 03월)
     1. 후부냉각기
     2. 공기여과기
     3. 안전밸브
     4. 공기빼기밸브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압축공기 배관의 부속장치
분리기 및 후부냉각기, 공기탱크, 공기여과기, 공기흡입관, 안전밸브
[해설작성자 : asd]

90. 60℃ 의 물 200L와 15℃ 의 물 100L를 혼합하였을 때 최종온도는?(2016년 08월)
     1. 35℃
     2. 40℃
     3. 45℃
     4. 50℃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G1·C·T1 + G2·C·T2 = (G1 + G2)·T3
비열이 같은 물질의 혼합이기에,
T3 = (G1·T1 + G2·T2) / (G1 + G2)
= (200 x 60 + 100 x 15) / (200 + 100) = 45[℃]
[해설작성자 : 나대로]

91. 펌프 운전 시 발생하는 캐비테이션 현상에 대한 방지대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8월)
     1. 흡입양정을 짧게 한다.
     2. 펌프의 회전수를 낮춘다.
     3. 단흡입 펌프를 사용한다.
     4. 흡입관의 관경을 굵게, 굽힘을 적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양흡입 Pump 사용.
[해설작성자 : 나대로]

92. 급수설비 중 수평배관의 지지간격이 3m일 경우 강관의 관경은 얼마인가?(2010년 03월)
     1. 20A 이하
     2. 25~30A
     3. 32~40A
     4. 50~80A

     정답 : []
     정답률 : 39%

93. 5세주형 700mm의 주철제 방열기를 설치하여 증기온도가 110℃, 실내 공기온도가 20℃이며 난방부하가 25000kcal/h일 때 방열기의 소요 쪽수는? (단, 방열계수 6.9kcal/m2ㆍhㆍ℃, 1쪽당 방열면적 0.28m2이다.)(2016년 03월)
     1. 144쪽
     2. 164쪽
     3. 154쪽
     4. 174쪽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방열기 방열량 Qr = K·A·n·Δt
방열기 쪽수 n = Qr / (K·A·Δt)
= 25000 / {6.9 x 0.28 x (110 - 20)}
= 144[쪽]
[해설작성자 : 나대로]

94. 배관의 하중을 위에서 걸어 당겨 지지하는 행거(hanger) 중 상하 방향의 변위가 없는 개소에 사용하는 것은?(2015년 03월)
     1. 콘스타트 행거(constant hanger)
     2. 리지드 행거(rigid hanger)
     3. 베리어블 행거(variable hanger)
     4. 스프링 행거(spring hanger)

     정답 : []
     정답률 : 59%

95. 다음 중 열을 잘 반사하고 확산하여 방열기 표면 등의 도장용으로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도료는?(2021년 05월)
     1. 광명단
     2. 산화철
     3. 합성수지
     4. 알루미늄

     정답 : []
     정답률 : 70%

96. 유체 흐름의 방향을 바꾸어 주는 관 이음쇠는?(2019년 08월)
     1. 리턴벤드
     2. 리듀서
     3. 니플
     4. 유니온

     정답 : []
     정답률 : 70%

97. 도시가스배관을 지하에 매설하는 경우 배관의 외면과 상수 도관, 하수관거 등 타시설물과는 몇 m2 이상의 간격을 유지 해야하는가?(2008년 07월)
     1. 0.1
     2. 0.3
     3. 0.8
     4. 1.5

     정답 : []
     정답률 : 50%

98. 진공환수식 증기난반 배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배관 도중에 공기 빼기 밸브를 설치한다.
     2. 배관에는 적당한 구배를 준다.
     3. 진공식에서는 리프트 피팅에 의해 응축수를 상부로 배출할 수 있다.
     4. 응축수의 유속이 빠르게 되므로 환수관을 가늘게 할 수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진공환수식 증기난방은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공기를 배출하기 때문에 공가빼기 밸브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해설작성자 : ㅇㅈㅇ]

99. 열팽창에 의한 배관의 이동을 구속 또는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는 관 지지장치는 무엇인가?(2011년 06월)
     1. 행거(hanger)
     2. 서포트(support)
     3. 브레이스(brace)
     4. 레스트레인트(restraint)

     정답 : []
     정답률 : 61%

100. 급탕설비에서 급탕온도가 70℃, 복귀탕 온도가 60℃일 때, 온수 순환 펌프의 수량은? (단, 배관계의 총 손실 열량은 3000kcal/h로 한다.)(2015년 03월)
     1. 50 L/min
     2. 5 L/min
     3. 45 L/min
     4. 4.5 L/min

     정답 : []
     정답률 : 60%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공조냉동기계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8619557)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94 9급 국가직 공무원 안전관리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4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493 바리스타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06월0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492 전파통신기능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9678143)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491 이용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10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490 콘크리트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3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489 무선설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3월2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488 9급 지방직 공무원 식용작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487 화재감식평가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4월2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486 계리직공무원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8월3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485 조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5월1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484 수능(생명과학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1276192)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483 식품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7602566)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482 항공무선통신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10월1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481 수산양식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3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480 전자캐드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1월24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479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지방세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4236398)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478 수능(생명과학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4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477 비서 3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5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 공조냉동기계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8619557) 좋은아빠되기 2025.11.22 3
475 유통관리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2265994) 좋은아빠되기 2025.11.22 0
Board Pagination Prev 1 ...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 349 Next
/ 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