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기상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353759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기상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기상관측법


1. 기상위성 관측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6년 03월)
     1. 궤도 위성은 극지방 관측이 용이하다.
     2. 궤도 위성은 중규모 기상 관측에 적당하다.
     3. 정지 위성은 종관 규모기상 관측에 적합하다.
     4. 정지 위성은 적도나 극지방 모두 관측이 용이하다.

     정답 : []
     정답률 : 76%

2. 강수량계 주위에 설치하는 바람막이의 역할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6년 08월)
     1. 강수량계 주위에 기류를 수평으로 만든다.
     2. 바람에 따라 소리를 내게 해서 조류의 접근을 막는다.
     3. 강수량계 측면으로 불어오는 풍속을 감소시킨다.
     4. 강수량계 주위에 떨어진 물방울이 강수량계로 튀어 들어오는 것을 막는다.

     정답 : []
     정답률 : 77%

3. 기차 보정,온도 보정 및 중력 보정을 행한 기압치를 가리키는 용어가 아닌 것은?(2003년 03월)
     1. 관측소 기압
     2. 현지 기압
     3. 해면 기압
     4. 보정 기압

     정답 : []
     정답률 : 35%

4. 통풍건습계로 습도 관측 시 오차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없는 항목은?(2022년 03월)
     1. 통풍시간
     2. 습구의 청결 상태
     3. 각 온도계의 설치 각도
     4. 각 온도계의 기차(index error)

     정답 : []
     정답률 : 70%

5. 다음 중 풍속 측정의 원리로 이용되지 않는 것은?(2008년 03월)
     1. 풍배의 회전
     2. 피토관 (Pitot tube)
     3. 쌍금속 (bimetal)
     4. 초음파(ultrasonic)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 흡수형 습도계에 관한 설명 중 적당치 않은 것은?(2005년 08월)
     1. 화학적 흡수방법도 있다.
     2. 흡수에 따른 전기적 변화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3. 이 습도계는 일상 관측에 널리 많이 사용된다.
     4. 전기적 방법은 온도보정이 필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50%

7. 다음 중 빛의 회절에 의한 현상은?(2008년 03월)
     1. 무리(halo)
     2. 코로나(corona)
     3. 신기루(mirage)
     4. 무지개(rainbow)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 다음중 고층 종관 관측소가 아닌 것은?(2004년 03월)
     1. 라디오 존데(radio - sonde)관측소
     2. 라윈존데(rawin - sonde)관측소
     3. 레이다(radar)관측소
     4. 파이발(pilot balloon)관측소

     정답 : []
     정답률 : 50%

9. 국제적으로 통일된 통보관측 시각의 횟수가 아닌 것은?(2005년 08월)
     1. 1일 4회
     2. 1일 8회
     3. 1일 12회
     4. 1일 24회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 다음 중 안개비를 나타내는 기호는?(2010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7%

11. 다인스 풍속계(Dines anemometer)의 설명 중 적당치 않은 것은?(2005년 03월)
     1. 풍향은 고정되어 있다.
     2. 풍압계의 일종이다.
     3. 풍속에 따른 압력차를 이용한 것이다.
     4. 휴대에 불편하다.

     정답 : []
     정답률 : 45%

12. 낙뢰 관측장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3월)
     1. 유효탐지 범위는 반경 약 300km이내이다.
     2. 발생위치, 낙뢰강도 및 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3. 유효탐지거리 내에서는 대지방전의 90% 이상을 관측한다.
     4. 탐지위치의 정확도는 탐지법에 따라 500~8000m 수준이다.

     정답 : []
     정답률 : 56%

13. 건습구 습도계로 관측된 습도의 오차를 일으키는 원인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2007년 08월)
     1. 온도계 자체의 오차
     2. 온도(기온) 변화에 따른 오차
     3. 통풍 속도 변화에 의한 오차
     4. 습구에 부착된 천의 두께에 의한 오차

     정답 : []
     정답률 : 27%

14. 고층대기 관측장비와 이들 장비가 발사하는 신호를 후방산란시키는 매개물로 잘못 짝지어진 것은?(2017년 08월)
     1. Mie LIDAR - 에어로솔
     2. RASS – 대기분자의 불연속
     3. RADAR – 강수 및 구름입자
     4. SODAR – 대기난류에 의한 음파

     정답 : []
     정답률 : 73%

15. 기상관측보고에서 박무(mist)로 분류되는 기준은?(2004년 03월)
     1. 층이 얇아 하늘이 보이는 경우
     2. 입자의 직경이 0.1㎜ 이하인 경우
     3. 수평시정이 1㎞보다 작지 않은 경우
     4. 수평시정이 2㎞ 이상이고 푸른색을 띨 경우

     정답 : []
     정답률 : 47%

16. 종관 지상 관측에서 표준시각 정시에 관측하는 요소는?(2009년 07월)
     1. 기온
     2. 기압
     3. 습도
     4. 바람

     정답 : []
     정답률 : 100%

17. 하이드로메타(hydrometer)는 무엇을 측정하기 위한 측기인가?(2007년 08월)
     1. 기체의 비중
     2. 액체의 비중
     3. 고체의 비중
     4. 수증기의 비중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8. 기상전보에서 일반적으로 풍향을 나타내는 방위는?(2010년 07월)
     1. 8 방위
     2. 16 방위
     3. 32 방위
     4. 36 방위

     정답 : []
     정답률 : 71%

19. 기상위성에서 가시광선역 사진이라 함은 파장이 대략 얼마나 되는가?(2005년 03월)
     1. 0.1㎛
     2. 0.7㎛
     3. 7.0㎛
     4. 70.0㎛

     정답 : []
     정답률 : 65%

20. 레이더에서 주로 수 cm의 마이크로파를 이용하는 이유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1년 03월)
     1. 파장이 짧을수록 회절이 적고 직진성이 좋아 정확한 거리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2. 이 파장대에서는 지향성이 좋아서 방위분해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3. 좁은 빔을 만드는 경우 안테나의 개구면적이 비교적 적게 되어 경량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4. 이 파장대에서는 송신출력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정답 : []
     정답률 : 66%

2과목 : 대기열역학


21. 비습(specific humidity)에 대해 올바르게 설명된 것은?(2005년 03월)
     1. 습윤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의 밀도와 습윤 공기 전체 밀도의 비
     2. 습윤 공기중의 수증기의 밀도와 건조공기의 밀도와의 비
     3. 습윤 공기중의 1g의 건조 공기와의 공존하는 수증기의 질량
     4. (q : 비습, Cd : 건조 공기의 밀도, Cw : 수증기 밀도, p : 대기압, e : 수증기압)

     정답 : []
     정답률 : 62%

22. 대류권에서의 평균 기온 감율은 100m당 몇 ℃인가?(2008년 03월)
     1. 0.5℃
     2. 0.65℃
     3. 0.75℃
     4. 0.98℃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3. 등밀대기의 높이 H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단, 중력 가속도는 g, 기체상수는 R, 지상기온은 T이다.)(2021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6%

24. 다음 중 고도에 따른 기온감률이 가장 큰 것은?(2015년 03월)
     1. 건조단열대기
     2. 등온대기
     3. 등밀대기
     4. 표준대기

     정답 : []
     정답률 : 51%

25. 다음 중 이상기체의 내부에너지가 가장 큰 상태는?(2004년 08월)
     1. 1기압, 200 K
     2. 2기압, 100 K
     3. 0.5기압, 300 K
     4. 0.1기압, 50 K

     정답 : []
     정답률 : 64%

26. 등밀대기(homogeneous atmosphere)의 높이(H)는 다음 중 어느 식으로 주어지는가? (단, ρ는 밀도, g는 중력가속도, P0는 해면기압이다.)(2018년 08월)
     1. H = ρgP0
     2. H = P0 / ρg
     3. H = ρg / P0
     4. H = ρP0 / g

     정답 : []
     정답률 : 75%

27. 다음 포화혼합비선 값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2004년 08월)
     1. 압력이 감소할수록 작아진다.
     2. 온도가 감소할수록 커진다.
     3. 포화증기압이 증가할수록 커진다.
     4. 압력과 온도에 무관하다.

     정답 : []
     정답률 : 84%

28. 공기 중에 포함된 건조공기의 질량에 대한 수증기의 질량비는?(2006년 03월)
     1. 절대습도
     2. 상대습도
     3. 비습
     4. 혼합비

     정답 : []
     정답률 : 84%

29. 다음 중 열역학 선도(thermodynamic diagram)에 포함 되어 있지 않은 선은?(2007년 08월)
     1. 등온선
     2. 건조 단열선
     3. 등압선
     4. 상대습도선

     정답 : []
     정답률 : 72%

30. 수백 m의 두께를 가진 기층이 상승 또는 침강하는 경우에 그 기층이 안정한 상태로 있는가 또는 불안정하게 되는가는 주로 무엇에 의해 결정되는가?(2008년 07월)
     1. 기주 내의 기압 분포 상태
     2. 기주 내의 수증기 분포상태
     3. 기주 내의 불순물 분포상태
     4. 기주 내의 밀도

     정답 : []
     정답률 : 80%

31. 절대습도의 단위는?(2007년 03월)
     1. %
     2. g/m3
     3. g/kg
     4. g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2. 대기 중에서 어느 습윤공기덩이의 온도와 가온도(virtual temperature)를 비교한 설명 중 맞는 것은?(2006년 08월)
     1. 온도가 가온도 보다 항상 높다.
     2. 온도와 가온도는 항상 길다.
     3. 가온도가 온도보다 항상 높다.
     4. 가온도는 온도보다 높을 때고 있고 낮을 때도 있다.

     정답 : []
     정답률 : 55%

33. Skew T-log P diagram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은?(2011년 03월)
     1. 포화단열선
     2. 건조단열선
     3. 등풍속선
     4. 포화혼합비선

     정답 : []
     정답률 : 90%

34. 수증기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9년 07월)
     1. 수증기가 공기와 함께 포함되어 있을 때 수증기에 의한 부분압이다.
     2. 수증기가 기체 상태로 남아 있을 수 있는 양의 상한은 한정되어 있으며 이것이 포화수증기압이다.
     3. 포화수증기압은 온도와 압력의 함수이다.
     4. 포화수증기압은 Clausius-Clapeyron 방정식에 의해 주어진다.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포화수증기압은 온도만의 함수, 포화혼합비는 온도와 압력의 함수
[해설작성자 : 박야옹이]

35. 온위(potential temperature) θ를 구하는 옳은 식은? (단, k는 R/CP 이다.)(2003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5%

36. 건조공기에서 기체상수 R, 정압비열 Cp, 정적비열 Cv 사이의 관계로 옳은 것은?(2018년 08월)
     1. R > Cp > Cv
     2. Cp > Cv > R
     3. Cv > R > Cp
     4. Cp > R > Cv

     정답 : []
     정답률 : 82%

37. 다음 중 열의 단위로 쓰이지 않는 것은?(2011년 03월)
     1. erg
     2. joule
     3. caloric
     4. pascal

     정답 : []
     정답률 : 80%

38. 이상적인 열역학 선도에서 갖추어야 할 조건 중에서 틀린 것은?(2005년 08월)
     1. 등치선은 가능한 한 직선이어야 좋다.
     2. 여러 가지 과정에 따른 에너지의 변화는 면적에 정비례하는 것이 좋다.
     3. 등온선과 건조 단열선이 이루는 각은 90°가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4. 등압선과 등온선은 평행하게 되어야 좋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9. 건조단열선이 직선으로 나타나는 단열선도는?(2007년 03월)
     1. Clapeyron 선도
     2. Tephigram
     3. Emagram
     4. Skew T-log P 선도

     정답 : []
     정답률 : 40%

40. 온도에 대한 포화증기압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것은?(2003년 03월)
     1. Poisson's equation
     2. Hydrostatic equation
     3. Free-energy equation
     4. Clausius-Clapeyron equation

     정답 : []
     정답률 : 74%

3과목 : 대기운동학


41. 다음 중 남북 방향의 대기 대순환에서 가장 뚜렷한 부분은?(2017년 08월)
     1. 극세포
     2. 적도세포
     3. 페렐세포
     4. 해들리세포

     정답 : []
     정답률 : 85%

42. 준 수평운동(Quasi-horizontal motion)의 기술 중에서 틀린 것은?(2006년 08월)
     1. 등지오포텐샬에 거의 평행하다.
     2. 대규모 공기의 흐름은 준 수평적이다.
     3. 코리올리힘은 별로 중요하지 않다.
     4. 공기의 가속도는 무시된다.

     정답 : []
     정답률 : 85%

43. 온도풍을 잘못 설명한 것은?(2005년 08월)
     1. 상층의 지균풍에서 하층의 지균풍을 벡터적으로 뺀 바람이다.
     2. 수평 온도 경도가 있을 때 존재한다.
     3. 북반구에서 찬쪽을 오른쪽에 두고 분다.
     4. 등온선에 나란하게 분다.

     정답 : []
     정답률 : 64%

44. 다음 중 코리올리 인자의 그래프를 옳게 표현한 것은?(2005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6%

45. 마찰이 없는 경우 절대소용돌이도가 보존된다고 할 때 북상하는 공기덩이의 상대소용돌이도는?(2022년 03월)
     1. 일정하다.
     2. 감소한다.
     3. 증가한다.
     4. 증가와 감소를 되풀이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절대소용돌이도 = 상대소용돌이도 + 행성소용돌이도
(북상하는 공기덩이의 경우 행성소용돌이도 ↑, 절대소용돌이도는 보존된다고 했으므로, 상대소용돌이도 ↓)
[해설작성자 : Idontknowanything]

46. 엘니뇨와 관련된 사항 중 맞는 것은?(2006년 08월)
     1. 무역풍의 강화와 관련되어있다.
     2. 서태평양의 수온이 평년보다 증가한다.
     3. 서태평양에서의 대류활동이 보다 강화된다.
     4. 엘니뇨시기에는 서태평양의 기압이 높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64%

47. 다음 ( ) 안에 들어갈 말로서 적당한 것은?(2004년 03월)

    

     1. A: 거시, B:거시
     2. A:거시, B:미시
     3. A: 미시, B:거시
     4. A:미시, B:미시

     정답 : []
     정답률 : 90%

48. 대기가 순압대기라고 할 때 공기덩어리가 적도에서 극쪽으로 이동할 경우 나타나는 현상은?(2007년 03월)
     1. 상대와도는 감소한다.
     2. 상대와도는 증가한다.
     3. 절대와도는 감소한다.
     4. 절대와도는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80%

49. 대규모 운동인 경우의 로스비 수의 크기는?(2008년 03월)
     1. 0.1
     2. 0.5
     3. 1.0
     4. 1.5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0. 아열대성 고기압대에 사막이 생기는 가장 큰 이유는?(2016년 08월)
     1. 고온의 영향
     2. 해류의 영향
     3. 현열의 이동
     4. 하강기류의 지속

     정답 : []
     정답률 : 90%

51. 운동하고 있는 물체와 마찰의 관계 중 틀린 것은?(2003년 03월)
     1. 마찰력의 방향은 운동방향의 반대이다.
     2. 마찰력은 운동속도에 반비례한다.
     3. 마찰력이 클수록 운동속도는 감소한다.
     4. 마찰력은 운동하고 있는 물체의 넓이에 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86%

52. 말 위도(horse latitude)는 무엇의 결과인가?(2008년 03월)
     1. 극 전선대
     2. 극 고기압
     3. 열대 수렴대
     4. 아열대 고기압

     정답 : []
     정답률 : 69%

53. 기압좌표계의 운동방정식에 관여하지 않는 요소는?(2017년 08월)
     1. 온도 이류
     2. 중력가속도
     3. 지오포텐셜
     4. 코리올리인자

     정답 : []
     정답률 : 70%

54. 등압선(또는 등고선)의 간격이 서고 같고 기온이 같다면 다음 중 어느 곳에서 지균풍이 강한가?(2006년 08월)
     1. 고위도
     2. 저위도
     3. 자유대기중의 고고도
     4. 자유대기중의 저고도

     정답 : []
     정답률 : 37%

55. 로스비 수(Rossby number)가 가장 큰 것은?(2022년 03월)
     1. 관성류(Inertial flow)
     2. 경도풍(Gradient wind)
     3. 지균풍(Geostrophic wind)
     4. 선형풍(Cyclostrophic wind)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로스비 수가 작을수록 지균근사가 유효한 큰 규모의 운동이다
(로스비 수 ∝ 1/규모)
[해설작성자 : Idontknowanything]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관성류 > 경도풍 > 선형풍 > 지균풍 순으로 로스비 수가 크기 때문에 답은 1번 관성류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6. 지구반경을 R이라 할 때 위도 ø에서 풍속이 동풍 u일 때의 지구 자전축을 향한 구심가속도는?(2010년 03월)
     1. (RΩcosø+u)2/R
     2. u2/Rcosø
     3. (RΩcosø-u)2/Rcosø
     4. (RΩsinø-u)2/Rcosø

     정답 : []
     정답률 : 59%

57. 지구 전향력(Coriolis force)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3월)
     1. 북반구에서는 운동하는 물체에 우측 직각으로 작용한다.
     2. 절대 좌표계에서 작용될 수 있는 힘이다.
     3. 이 힘에 의해서는 일을 할 수 없다.
     4. 운동방향을 변화시켜 준다.

     정답 : []
     정답률 : 57%

58. 지균풍을 구할 때 도입된 가정이 아닌 것은?(2006년 03월)
     1. 지면과의 마찰을 무시
     2. 구심 가속도를 무시
     3. 관성 가속도를 무시
     4. 코리올리힘에 의한 가속도를 무시

     정답 : []
     정답률 : 74%

59. 적도의 상층에서와 중위도의 편서풍대에서는 운동에너지가 어떻게 유지되어 편서풍이 지속되는가?(2004년 03월)
     1. 열대성 저기압에 의한 운동에너지의 생성
     2. 극전선에 의한 운동에너지의 생성
     3. 평균 남북순환에 의한 운동에너지의 생성과 수송
     4. 열대성 저기압에 의한 운동에너지의 생성과 수송

     정답 : []
     정답률 : 57%

60. 대상 운동에너지가 대상 유효위치에너지로 전환되는 순환 세포는?(2004년 03월)
     1. Hadley 세포
     2. Ferrel 세포
     3. Polar 세포
     4. 적도 세포

     정답 : []
     정답률 : 63%

4과목 : 기후학


61. 클라이모그래프(Climograph)의 요소는?(2009년 07월)
     1. 습구온도와 상대습도
     2. 습구온도와 건구온도
     3. 습구온도와 풍속
     4. 습구온도와 우량

     정답 : []
     정답률 : 74%

62. G.Taylor가 월별 체감기후를 도표화하기 위하여 만든 Climograghp의 횡축(x축)에 표시하는 변수?(2005년 08월)
     1. 습구온도
     2. 강수량
     3. 상대습도
     4. 평균온도

     정답 : []
     정답률 : 30%

63. 대기의 대순환과 관련이 없는 풍계는?(2021년 03월)
     1. 몬순
     2. 무역풍
     3. 편서풍
     4. 해륙풍

     정답 : []
     정답률 : 79%

64. 열대성 저기압 발생의 특성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7년 08월)
     1. 위도 0 ~ 5℃ 에서 발생
     2. 해상에서 발생
     3. 대체로 해수면 온도 27℃이상의 조건에서 발생
     4. 발생하면서 서쪽으로 이동

     정답 : []
     정답률 : 67%

65. 다음 중 산풍(mountain breeze)이 가장 잘 발달할 수 있는 곳은?(2012년 03월)
     1. 밤에 바람이 약하고 구름이 많이 끼는 곳
     2. 밤에 바람이 강하고 구름이 많이 끼는 곳
     3. 밤에 바람이 약하고 맑은 곳
     4. 밤에 바람이 강하고 맑은 곳

     정답 : []
     정답률 : 81%

66. 기후변화의 원인 중 천문학적 원인에 속하는 것은?(2008년 03월)
     1. 조석
     2. 육지의 변화
     3. 화산활동
     4. 공전궤도의 이심률 변화

     정답 : []
     정답률 : 80%

67. 우리 나라 국지풍으로서 잘 알려져 있는 높새바람(fӧhn)의 풍향은?(2005년 03월)
     1. 북동풍
     2. 남동풍
     3. 남서풍
     4. 북서풍

     정답 : []
     정답률 : 67%

68. 기후는 위도, 대기순환, 지표의 상태에 의하여 지배된다라고 보고, 이 요인들에 따라 기후구분을 한 사람은?(2008년 07월)
     1. Allissow
     2. Flohn
     3. Thornthwaite
     4. Köppen

     정답 : []
     정답률 : 64%

69. 적도 동태평양에서 중앙태평양까지 해수면 온도가 상승하면서 일어나는 엘니뇨 현상의 주요 원인은?(2021년 03월)
     1. 적도 편동풍이 약해졌기 때문이다.
     2. 중위도 편서풍이 강해졌기 때문이다.
     3. 남아메리카 서쪽 해안의 용승이 강해졌기 때문이다.
     4. 적도 서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평소보다 상승하기 때문이다.

     정답 : []
     정답률 : 66%

70. 다음 중 기단이 생성되기 위한 조건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8년 08월)
     1. 넓고 평평한 고원지대
     2. 공기의 이동속도가 빠른 지역
     3. 국지적인 가열이 자주 발생하는 지역
     4. 부분분적으로 공기의 상승·하강 운동이 활발한 지역

     정답 : []
     정답률 : 67%

71. 대륙도(大陸度)를 나타내는 다음 식 중 R은?(2007년 03월)

    

     1. 연교차
     2. 일교차
     3. 온량지수
     4. 추위지수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2. 기후분류의 근거가 될 수 없는 것은?(2016년 03월)
     1. 물수지
     2. 대기작용
     3. 식생분포
     4. 인구밀도

     정답 : []
     정답률 : 90%

73. 다음 저기압계 중 1년을 통하여 그 위치가 거의 변하지 않는 것은?(2009년 07월)
     1. 아시아 대륙 중앙에 형성되는 저기압
     2. 알류산 열도부근에 위치한 저기압
     3. 양자강 부근에서 형성되는 저기압
     4. 적도부근에 생기는 저기압

     정답 : []
     정답률 : 34%

74. 강수량의 영향인자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2년 03월)
     1. 지형
     2. 기온의 일교차
     3. 대기층의 요란
     4. 기류의 수렴, 발산

     정답 : []
     정답률 : 68%

75. 기온의 일교차(日較差)가 가장 작은 곳은?(2021년 03월)
     1. 북극 부근
     2. 60°N 부근
     3. 30°N 부근
     4. 적도 부근

     정답 : []
     정답률 : 52%

76. 다음 그림은 한국의 어떤 지점의 연평균물수지를 나타내고 있다. 그림에서 D 부분은?(2007년 03월)

    

     1. 토양수분의 결핍
     2. 토양수분의 보충
     3. 토양수분의 과잉
     4. 토양수분의 이용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7. 다음 중 산풍(mountain breeze)이 가장 잘 발달할 수 있는 곳은?(2017년 08월)
     1. 밤에 바람이 약하고 맑은 곳
     2. 밤에 바람이 강하고 맑은 곳
     3. 밤에 바람이 약하고 구름이 많이 끼는 곳
     4. 밤에 바람이 강하고 구름이 많이 끼는 곳

     정답 : []
     정답률 : 76%

78. 습도의 연변화형 중 우기가 있는 계절에만 습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끼리 이어진 것은?(2021년 03월)
     1. 대륙성 - 열대성
     2. 몬순성 - 열대성
     3. 해양성 - 열대성
     4. 해양성 – 몬순성

     정답 : []
     정답률 : 56%

79. 우리나라 기후의 일반적 특성이 아닌 것은?(2006년 03월)
     1. 쾨펜의 11개 주요 기후구 중 주로 C와 D의 기후구에 속한다.
     2. 연평균 기온은 6~16℃ 분포로 지역 차가 크다
     3. 습도는 8월에 가장 높아 80~90%의 분포를 보인다.
     4. 남부지방의 연강수량은 1500mm 정도이다.

     정답 : []
     정답률 : 54%

80. 다음 중 주기가 가장 긴 변동은?(2003년 08월)
     1. intraseasonal oscillation
     2. interdecadal oscillation
     3. El Nino
     4. annual cycle

     정답 : []
     정답률 : 80%

81. 북반구에서 다음 그림과 같은 대기 수직 구조에서 O로 표시된 지점에서의 풍향은 어느 방향인가? (단, P, P-1, P-2는 등압면을 의미한다.)(2016년 08월)

    

     1. A에서 B로
     2. B에서 A로
     3. 앞면에서 뒷면(⨂)
     4. 뒷면에서 앞면(⨀)

     정답 : []
     정답률 : 63%

82. 다음 중 태풍의 에너지 원천은?(2003년 03월)
     1. 하강기류
     2. 수증기의 응결열
     3. 마찰
     4. 해수의 기화열

     정답 : []
     정답률 : 89%

83. 1000 ~ 500 hPa 층후층의 특징이 아닌 것은?(2009년 07월)
     1. 700hPa의 온도분포와 비슷하다.
     2. 지상전선의 한기쪽에 등층후선이 조밀하다.
     3. 대기 하층의 기온분포와 관계없다.
     4. 층후선이 조밀한 곳에 강풍대가 위치한다.

     정답 : []
     정답률 : 87%

84. 지상 기상 전문에서 노점온도가 영하일 때 노점온도를 표시하는 방법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05년 03월)
     1. 영하의 노점온도 값에 - 부호를 붙인다.
     2. 영하의 노점온도 값에 “( )”를 붙인다.
     3. 영하의 노점온도 값에 50을 더한다.
     4. 영하의 노점온도 값에 100을 더한다.

     정답 : []
     정답률 : 19%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지상기상전문에서 기온과 노점온도가 영하일경우 값의 앞에 1을 붙여줍니다.
여기 보기를 적용하면 각 값에 100을 더하게 되면 1을 붙여주는 것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지만
엄밀히 말하면 2SnTdTdTd 에서 Sn과 TdTdTd는 별개이므로 1을 값 앞에 붙여준다는 표현이 더욱 정확한 것 같습니다.

여튼 정답은 4번이 되어야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은비아빠]

85. 한냉전선 통과시 나타나는 대표적인 운형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2004년 08월)
     1. 권운
     2. 상층운
     3. 층운
     4. 적란운

     정답 : []
     정답률 : 69%

86. 상층 일기도의 기압골이 지상 일기도의 저기압 중심의 위치보다 앞서 이동할 때, 다음 중 예상할 수 있는 지상기압계의 변화는?(2018년 08월)
     1. 지상저기압의 발달
     2. 지상저기압의 서진
     3. 지상저기압의 쇠약
     4. 지상저기압은 변화 없음

     정답 : []
     정답률 : 60%

87. 지상기상전문의 Nddff이 21299 00125 이면 풍속은?(2012년 03월)
     1. 129 knots
     2. 299 knots
     3. 99 knots
     4. 125 knots

     정답 : []
     정답률 : 88%

88. 대류억제(CiN, Convective inhibition)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6년 03월)
     1. 이것이 전혀 없어야 대류운이나 용오름이 발생한다.
     2. 이 값이 클수록 대기는 안정하다.
     3. 단열선도 상에서 음성지역으로 나타난다.
     4. 아침에는 큰 값을 가지다가 오후에는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58%

89. 다음 중 온난전선이 접근할 때 나타나는 구름의 순서로 가장 올바른 것은?(2018년 08월)
     1. Cc → St → Cu
     2. Ci → Ac → Sc
     3. Cs → As → Ns
     4. Ns → As → Cs

     정답 : []
     정답률 : 60%

90. 우리나라의 장마전선 양쪽에 있는 각 기단은?(2017년 08월)
     1. cP와 mP
     2. cT와 cP
     3. mT와 cT
     4. mP와 mT

     정답 : []
     정답률 : 86%

91. 평평한 육상에서 지상풍과 등압선의 교각(交角)은?(2007년 08월)
     1. 0도
     2. 25 ~ 35도
     3. 45 ~ 55도
     4. 90도

     정답 : []
     정답률 : 50%

92. 동일지점의 같은 기상상태에서 상층 일기도 고도면의 구배가 2배로 증가했다면 지균풍속은 몇 배가 되겠는가?(2018년 08월)
     1. 1/2 배
     2. 1 배
     3. 2 배
     4. 4 배

     정답 : []
     정답률 : 54%

93. mTw 기단의 특징은?(2005년 08월)
     1. 고온다습하다.
     2. 건조한랭하다.
     3. 고온건조하다.
     4. 저온과습하다.

     정답 : []
     정답률 : 67%

94. 하나의 등압선의 설명 중 틀린 것은?(2006년 08월)
     1. 저기압 중심부근에서 닫힌다.
     2. 다른 등압선과 교차하지 않는다.
     3. 두 등압선으로 분리되지 않는다.
     4. 고기압중심부를 통과한다.

     정답 : []
     정답률 : 55%

95. 전선의 형성과 가장 관련이 높은 운동은?(2016년 08월)
     1. 변형운동
     2. 전이운동
     3. 팽창운동
     4. 회전운동

     정답 : []
     정답률 : 66%

96. 지상에서 온난전선의 전면에 광범위한 구름구역과 강수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런 저기압이 가까이 오는 것을 나타내는 첫 징후의 구름은?(2008년 07월)
     1. 권운
     2. 고층운
     3. 층적운
     4. 난층운

     정답 : []
     정답률 : 20%

97. 한냉한 기류가 남하할 때 주로 나타나는 구름은?(2003년 03월)
     1. 적운계 구름
     2. 층운계 구름
     3. 적운계와 층운계 구름이 공존
     4. 상층운

     정답 : []
     정답률 : 74%

98. 단열도상에서 상승응결고도(LCL)는 어떻게 구하는가?(2011년 03월)
     1. 지상의 노점온도를 지나는 포화혼합비선과 온도를 지나는 건조단열선이 만나는 점의 고도
     2. 기온의 상탯곡선과 지상기온을 지나는 건조단열선과 만나는 점의 고도
     3. 지상의 노점온도를 지나는 포화혼합비선과 기온의 상태곡선과 만나는 점의 고도
     4. 지상의 온도를 지나는 건조단열선과 노점온도를 지나는 습윤단열선이 만나는 점의 고도

     정답 : []
     정답률 : 61%

99. 건조주의보를 발표할 때 고려하는 기상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8년 03월)
     1. 우세 풍향
     2. 최대순간 풍속
     3. 실효습도
     4. 최소 습도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0. 국제 기상 전보식에서 4PPPP군의 PPPP는 다음 중 어느 것을 나타내는 부호인가?(2005년 08월)
     1. 해면기압
     2. 현지기압
     3. 기압변화량
     4. 24시간 강수량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정 답 지

기상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353759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기상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기상관측법


1. 기상위성 관측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6년 03월)
     1. 궤도 위성은 극지방 관측이 용이하다.
     2. 궤도 위성은 중규모 기상 관측에 적당하다.
     3. 정지 위성은 종관 규모기상 관측에 적합하다.
     4. 정지 위성은 적도나 극지방 모두 관측이 용이하다.

     정답 : []
     정답률 : 76%

2. 강수량계 주위에 설치하는 바람막이의 역할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6년 08월)
     1. 강수량계 주위에 기류를 수평으로 만든다.
     2. 바람에 따라 소리를 내게 해서 조류의 접근을 막는다.
     3. 강수량계 측면으로 불어오는 풍속을 감소시킨다.
     4. 강수량계 주위에 떨어진 물방울이 강수량계로 튀어 들어오는 것을 막는다.

     정답 : []
     정답률 : 77%

3. 기차 보정,온도 보정 및 중력 보정을 행한 기압치를 가리키는 용어가 아닌 것은?(2003년 03월)
     1. 관측소 기압
     2. 현지 기압
     3. 해면 기압
     4. 보정 기압

     정답 : []
     정답률 : 35%

4. 통풍건습계로 습도 관측 시 오차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없는 항목은?(2022년 03월)
     1. 통풍시간
     2. 습구의 청결 상태
     3. 각 온도계의 설치 각도
     4. 각 온도계의 기차(index error)

     정답 : []
     정답률 : 70%

5. 다음 중 풍속 측정의 원리로 이용되지 않는 것은?(2008년 03월)
     1. 풍배의 회전
     2. 피토관 (Pitot tube)
     3. 쌍금속 (bimetal)
     4. 초음파(ultrasonic)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 흡수형 습도계에 관한 설명 중 적당치 않은 것은?(2005년 08월)
     1. 화학적 흡수방법도 있다.
     2. 흡수에 따른 전기적 변화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3. 이 습도계는 일상 관측에 널리 많이 사용된다.
     4. 전기적 방법은 온도보정이 필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50%

7. 다음 중 빛의 회절에 의한 현상은?(2008년 03월)
     1. 무리(halo)
     2. 코로나(corona)
     3. 신기루(mirage)
     4. 무지개(rainbow)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 다음중 고층 종관 관측소가 아닌 것은?(2004년 03월)
     1. 라디오 존데(radio - sonde)관측소
     2. 라윈존데(rawin - sonde)관측소
     3. 레이다(radar)관측소
     4. 파이발(pilot balloon)관측소

     정답 : []
     정답률 : 50%

9. 국제적으로 통일된 통보관측 시각의 횟수가 아닌 것은?(2005년 08월)
     1. 1일 4회
     2. 1일 8회
     3. 1일 12회
     4. 1일 24회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 다음 중 안개비를 나타내는 기호는?(2010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7%

11. 다인스 풍속계(Dines anemometer)의 설명 중 적당치 않은 것은?(2005년 03월)
     1. 풍향은 고정되어 있다.
     2. 풍압계의 일종이다.
     3. 풍속에 따른 압력차를 이용한 것이다.
     4. 휴대에 불편하다.

     정답 : []
     정답률 : 45%

12. 낙뢰 관측장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3월)
     1. 유효탐지 범위는 반경 약 300km이내이다.
     2. 발생위치, 낙뢰강도 및 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3. 유효탐지거리 내에서는 대지방전의 90% 이상을 관측한다.
     4. 탐지위치의 정확도는 탐지법에 따라 500~8000m 수준이다.

     정답 : []
     정답률 : 56%

13. 건습구 습도계로 관측된 습도의 오차를 일으키는 원인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2007년 08월)
     1. 온도계 자체의 오차
     2. 온도(기온) 변화에 따른 오차
     3. 통풍 속도 변화에 의한 오차
     4. 습구에 부착된 천의 두께에 의한 오차

     정답 : []
     정답률 : 27%

14. 고층대기 관측장비와 이들 장비가 발사하는 신호를 후방산란시키는 매개물로 잘못 짝지어진 것은?(2017년 08월)
     1. Mie LIDAR - 에어로솔
     2. RASS – 대기분자의 불연속
     3. RADAR – 강수 및 구름입자
     4. SODAR – 대기난류에 의한 음파

     정답 : []
     정답률 : 73%

15. 기상관측보고에서 박무(mist)로 분류되는 기준은?(2004년 03월)
     1. 층이 얇아 하늘이 보이는 경우
     2. 입자의 직경이 0.1㎜ 이하인 경우
     3. 수평시정이 1㎞보다 작지 않은 경우
     4. 수평시정이 2㎞ 이상이고 푸른색을 띨 경우

     정답 : []
     정답률 : 47%

16. 종관 지상 관측에서 표준시각 정시에 관측하는 요소는?(2009년 07월)
     1. 기온
     2. 기압
     3. 습도
     4. 바람

     정답 : []
     정답률 : 100%

17. 하이드로메타(hydrometer)는 무엇을 측정하기 위한 측기인가?(2007년 08월)
     1. 기체의 비중
     2. 액체의 비중
     3. 고체의 비중
     4. 수증기의 비중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8. 기상전보에서 일반적으로 풍향을 나타내는 방위는?(2010년 07월)
     1. 8 방위
     2. 16 방위
     3. 32 방위
     4. 36 방위

     정답 : []
     정답률 : 71%

19. 기상위성에서 가시광선역 사진이라 함은 파장이 대략 얼마나 되는가?(2005년 03월)
     1. 0.1㎛
     2. 0.7㎛
     3. 7.0㎛
     4. 70.0㎛

     정답 : []
     정답률 : 65%

20. 레이더에서 주로 수 cm의 마이크로파를 이용하는 이유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1년 03월)
     1. 파장이 짧을수록 회절이 적고 직진성이 좋아 정확한 거리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2. 이 파장대에서는 지향성이 좋아서 방위분해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3. 좁은 빔을 만드는 경우 안테나의 개구면적이 비교적 적게 되어 경량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4. 이 파장대에서는 송신출력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정답 : []
     정답률 : 66%

2과목 : 대기열역학


21. 비습(specific humidity)에 대해 올바르게 설명된 것은?(2005년 03월)
     1. 습윤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의 밀도와 습윤 공기 전체 밀도의 비
     2. 습윤 공기중의 수증기의 밀도와 건조공기의 밀도와의 비
     3. 습윤 공기중의 1g의 건조 공기와의 공존하는 수증기의 질량
     4. (q : 비습, Cd : 건조 공기의 밀도, Cw : 수증기 밀도, p : 대기압, e : 수증기압)

     정답 : []
     정답률 : 62%

22. 대류권에서의 평균 기온 감율은 100m당 몇 ℃인가?(2008년 03월)
     1. 0.5℃
     2. 0.65℃
     3. 0.75℃
     4. 0.98℃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3. 등밀대기의 높이 H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단, 중력 가속도는 g, 기체상수는 R, 지상기온은 T이다.)(2021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6%

24. 다음 중 고도에 따른 기온감률이 가장 큰 것은?(2015년 03월)
     1. 건조단열대기
     2. 등온대기
     3. 등밀대기
     4. 표준대기

     정답 : []
     정답률 : 51%

25. 다음 중 이상기체의 내부에너지가 가장 큰 상태는?(2004년 08월)
     1. 1기압, 200 K
     2. 2기압, 100 K
     3. 0.5기압, 300 K
     4. 0.1기압, 50 K

     정답 : []
     정답률 : 64%

26. 등밀대기(homogeneous atmosphere)의 높이(H)는 다음 중 어느 식으로 주어지는가? (단, ρ는 밀도, g는 중력가속도, P0는 해면기압이다.)(2018년 08월)
     1. H = ρgP0
     2. H = P0 / ρg
     3. H = ρg / P0
     4. H = ρP0 / g

     정답 : []
     정답률 : 75%

27. 다음 포화혼합비선 값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2004년 08월)
     1. 압력이 감소할수록 작아진다.
     2. 온도가 감소할수록 커진다.
     3. 포화증기압이 증가할수록 커진다.
     4. 압력과 온도에 무관하다.

     정답 : []
     정답률 : 84%

28. 공기 중에 포함된 건조공기의 질량에 대한 수증기의 질량비는?(2006년 03월)
     1. 절대습도
     2. 상대습도
     3. 비습
     4. 혼합비

     정답 : []
     정답률 : 84%

29. 다음 중 열역학 선도(thermodynamic diagram)에 포함 되어 있지 않은 선은?(2007년 08월)
     1. 등온선
     2. 건조 단열선
     3. 등압선
     4. 상대습도선

     정답 : []
     정답률 : 72%

30. 수백 m의 두께를 가진 기층이 상승 또는 침강하는 경우에 그 기층이 안정한 상태로 있는가 또는 불안정하게 되는가는 주로 무엇에 의해 결정되는가?(2008년 07월)
     1. 기주 내의 기압 분포 상태
     2. 기주 내의 수증기 분포상태
     3. 기주 내의 불순물 분포상태
     4. 기주 내의 밀도

     정답 : []
     정답률 : 80%

31. 절대습도의 단위는?(2007년 03월)
     1. %
     2. g/m3
     3. g/kg
     4. g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2. 대기 중에서 어느 습윤공기덩이의 온도와 가온도(virtual temperature)를 비교한 설명 중 맞는 것은?(2006년 08월)
     1. 온도가 가온도 보다 항상 높다.
     2. 온도와 가온도는 항상 길다.
     3. 가온도가 온도보다 항상 높다.
     4. 가온도는 온도보다 높을 때고 있고 낮을 때도 있다.

     정답 : []
     정답률 : 55%

33. Skew T-log P diagram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은?(2011년 03월)
     1. 포화단열선
     2. 건조단열선
     3. 등풍속선
     4. 포화혼합비선

     정답 : []
     정답률 : 90%

34. 수증기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9년 07월)
     1. 수증기가 공기와 함께 포함되어 있을 때 수증기에 의한 부분압이다.
     2. 수증기가 기체 상태로 남아 있을 수 있는 양의 상한은 한정되어 있으며 이것이 포화수증기압이다.
     3. 포화수증기압은 온도와 압력의 함수이다.
     4. 포화수증기압은 Clausius-Clapeyron 방정식에 의해 주어진다.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포화수증기압은 온도만의 함수, 포화혼합비는 온도와 압력의 함수
[해설작성자 : 박야옹이]

35. 온위(potential temperature) θ를 구하는 옳은 식은? (단, k는 R/CP 이다.)(2003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5%

36. 건조공기에서 기체상수 R, 정압비열 Cp, 정적비열 Cv 사이의 관계로 옳은 것은?(2018년 08월)
     1. R > Cp > Cv
     2. Cp > Cv > R
     3. Cv > R > Cp
     4. Cp > R > Cv

     정답 : []
     정답률 : 82%

37. 다음 중 열의 단위로 쓰이지 않는 것은?(2011년 03월)
     1. erg
     2. joule
     3. caloric
     4. pascal

     정답 : []
     정답률 : 80%

38. 이상적인 열역학 선도에서 갖추어야 할 조건 중에서 틀린 것은?(2005년 08월)
     1. 등치선은 가능한 한 직선이어야 좋다.
     2. 여러 가지 과정에 따른 에너지의 변화는 면적에 정비례하는 것이 좋다.
     3. 등온선과 건조 단열선이 이루는 각은 90°가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4. 등압선과 등온선은 평행하게 되어야 좋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9. 건조단열선이 직선으로 나타나는 단열선도는?(2007년 03월)
     1. Clapeyron 선도
     2. Tephigram
     3. Emagram
     4. Skew T-log P 선도

     정답 : []
     정답률 : 40%

40. 온도에 대한 포화증기압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것은?(2003년 03월)
     1. Poisson's equation
     2. Hydrostatic equation
     3. Free-energy equation
     4. Clausius-Clapeyron equation

     정답 : []
     정답률 : 74%

3과목 : 대기운동학


41. 다음 중 남북 방향의 대기 대순환에서 가장 뚜렷한 부분은?(2017년 08월)
     1. 극세포
     2. 적도세포
     3. 페렐세포
     4. 해들리세포

     정답 : []
     정답률 : 85%

42. 준 수평운동(Quasi-horizontal motion)의 기술 중에서 틀린 것은?(2006년 08월)
     1. 등지오포텐샬에 거의 평행하다.
     2. 대규모 공기의 흐름은 준 수평적이다.
     3. 코리올리힘은 별로 중요하지 않다.
     4. 공기의 가속도는 무시된다.

     정답 : []
     정답률 : 85%

43. 온도풍을 잘못 설명한 것은?(2005년 08월)
     1. 상층의 지균풍에서 하층의 지균풍을 벡터적으로 뺀 바람이다.
     2. 수평 온도 경도가 있을 때 존재한다.
     3. 북반구에서 찬쪽을 오른쪽에 두고 분다.
     4. 등온선에 나란하게 분다.

     정답 : []
     정답률 : 64%

44. 다음 중 코리올리 인자의 그래프를 옳게 표현한 것은?(2005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6%

45. 마찰이 없는 경우 절대소용돌이도가 보존된다고 할 때 북상하는 공기덩이의 상대소용돌이도는?(2022년 03월)
     1. 일정하다.
     2. 감소한다.
     3. 증가한다.
     4. 증가와 감소를 되풀이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절대소용돌이도 = 상대소용돌이도 + 행성소용돌이도
(북상하는 공기덩이의 경우 행성소용돌이도 ↑, 절대소용돌이도는 보존된다고 했으므로, 상대소용돌이도 ↓)
[해설작성자 : Idontknowanything]

46. 엘니뇨와 관련된 사항 중 맞는 것은?(2006년 08월)
     1. 무역풍의 강화와 관련되어있다.
     2. 서태평양의 수온이 평년보다 증가한다.
     3. 서태평양에서의 대류활동이 보다 강화된다.
     4. 엘니뇨시기에는 서태평양의 기압이 높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64%

47. 다음 ( ) 안에 들어갈 말로서 적당한 것은?(2004년 03월)

    

     1. A: 거시, B:거시
     2. A:거시, B:미시
     3. A: 미시, B:거시
     4. A:미시, B:미시

     정답 : []
     정답률 : 90%

48. 대기가 순압대기라고 할 때 공기덩어리가 적도에서 극쪽으로 이동할 경우 나타나는 현상은?(2007년 03월)
     1. 상대와도는 감소한다.
     2. 상대와도는 증가한다.
     3. 절대와도는 감소한다.
     4. 절대와도는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80%

49. 대규모 운동인 경우의 로스비 수의 크기는?(2008년 03월)
     1. 0.1
     2. 0.5
     3. 1.0
     4. 1.5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0. 아열대성 고기압대에 사막이 생기는 가장 큰 이유는?(2016년 08월)
     1. 고온의 영향
     2. 해류의 영향
     3. 현열의 이동
     4. 하강기류의 지속

     정답 : []
     정답률 : 90%

51. 운동하고 있는 물체와 마찰의 관계 중 틀린 것은?(2003년 03월)
     1. 마찰력의 방향은 운동방향의 반대이다.
     2. 마찰력은 운동속도에 반비례한다.
     3. 마찰력이 클수록 운동속도는 감소한다.
     4. 마찰력은 운동하고 있는 물체의 넓이에 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86%

52. 말 위도(horse latitude)는 무엇의 결과인가?(2008년 03월)
     1. 극 전선대
     2. 극 고기압
     3. 열대 수렴대
     4. 아열대 고기압

     정답 : []
     정답률 : 69%

53. 기압좌표계의 운동방정식에 관여하지 않는 요소는?(2017년 08월)
     1. 온도 이류
     2. 중력가속도
     3. 지오포텐셜
     4. 코리올리인자

     정답 : []
     정답률 : 70%

54. 등압선(또는 등고선)의 간격이 서고 같고 기온이 같다면 다음 중 어느 곳에서 지균풍이 강한가?(2006년 08월)
     1. 고위도
     2. 저위도
     3. 자유대기중의 고고도
     4. 자유대기중의 저고도

     정답 : []
     정답률 : 37%

55. 로스비 수(Rossby number)가 가장 큰 것은?(2022년 03월)
     1. 관성류(Inertial flow)
     2. 경도풍(Gradient wind)
     3. 지균풍(Geostrophic wind)
     4. 선형풍(Cyclostrophic wind)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로스비 수가 작을수록 지균근사가 유효한 큰 규모의 운동이다
(로스비 수 ∝ 1/규모)
[해설작성자 : Idontknowanything]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관성류 > 경도풍 > 선형풍 > 지균풍 순으로 로스비 수가 크기 때문에 답은 1번 관성류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6. 지구반경을 R이라 할 때 위도 ø에서 풍속이 동풍 u일 때의 지구 자전축을 향한 구심가속도는?(2010년 03월)
     1. (RΩcosø+u)2/R
     2. u2/Rcosø
     3. (RΩcosø-u)2/Rcosø
     4. (RΩsinø-u)2/Rcosø

     정답 : []
     정답률 : 59%

57. 지구 전향력(Coriolis force)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3월)
     1. 북반구에서는 운동하는 물체에 우측 직각으로 작용한다.
     2. 절대 좌표계에서 작용될 수 있는 힘이다.
     3. 이 힘에 의해서는 일을 할 수 없다.
     4. 운동방향을 변화시켜 준다.

     정답 : []
     정답률 : 57%

58. 지균풍을 구할 때 도입된 가정이 아닌 것은?(2006년 03월)
     1. 지면과의 마찰을 무시
     2. 구심 가속도를 무시
     3. 관성 가속도를 무시
     4. 코리올리힘에 의한 가속도를 무시

     정답 : []
     정답률 : 74%

59. 적도의 상층에서와 중위도의 편서풍대에서는 운동에너지가 어떻게 유지되어 편서풍이 지속되는가?(2004년 03월)
     1. 열대성 저기압에 의한 운동에너지의 생성
     2. 극전선에 의한 운동에너지의 생성
     3. 평균 남북순환에 의한 운동에너지의 생성과 수송
     4. 열대성 저기압에 의한 운동에너지의 생성과 수송

     정답 : []
     정답률 : 57%

60. 대상 운동에너지가 대상 유효위치에너지로 전환되는 순환 세포는?(2004년 03월)
     1. Hadley 세포
     2. Ferrel 세포
     3. Polar 세포
     4. 적도 세포

     정답 : []
     정답률 : 63%

4과목 : 기후학


61. 클라이모그래프(Climograph)의 요소는?(2009년 07월)
     1. 습구온도와 상대습도
     2. 습구온도와 건구온도
     3. 습구온도와 풍속
     4. 습구온도와 우량

     정답 : []
     정답률 : 74%

62. G.Taylor가 월별 체감기후를 도표화하기 위하여 만든 Climograghp의 횡축(x축)에 표시하는 변수?(2005년 08월)
     1. 습구온도
     2. 강수량
     3. 상대습도
     4. 평균온도

     정답 : []
     정답률 : 30%

63. 대기의 대순환과 관련이 없는 풍계는?(2021년 03월)
     1. 몬순
     2. 무역풍
     3. 편서풍
     4. 해륙풍

     정답 : []
     정답률 : 79%

64. 열대성 저기압 발생의 특성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7년 08월)
     1. 위도 0 ~ 5℃ 에서 발생
     2. 해상에서 발생
     3. 대체로 해수면 온도 27℃이상의 조건에서 발생
     4. 발생하면서 서쪽으로 이동

     정답 : []
     정답률 : 67%

65. 다음 중 산풍(mountain breeze)이 가장 잘 발달할 수 있는 곳은?(2012년 03월)
     1. 밤에 바람이 약하고 구름이 많이 끼는 곳
     2. 밤에 바람이 강하고 구름이 많이 끼는 곳
     3. 밤에 바람이 약하고 맑은 곳
     4. 밤에 바람이 강하고 맑은 곳

     정답 : []
     정답률 : 81%

66. 기후변화의 원인 중 천문학적 원인에 속하는 것은?(2008년 03월)
     1. 조석
     2. 육지의 변화
     3. 화산활동
     4. 공전궤도의 이심률 변화

     정답 : []
     정답률 : 80%

67. 우리 나라 국지풍으로서 잘 알려져 있는 높새바람(fӧhn)의 풍향은?(2005년 03월)
     1. 북동풍
     2. 남동풍
     3. 남서풍
     4. 북서풍

     정답 : []
     정답률 : 67%

68. 기후는 위도, 대기순환, 지표의 상태에 의하여 지배된다라고 보고, 이 요인들에 따라 기후구분을 한 사람은?(2008년 07월)
     1. Allissow
     2. Flohn
     3. Thornthwaite
     4. Köppen

     정답 : []
     정답률 : 64%

69. 적도 동태평양에서 중앙태평양까지 해수면 온도가 상승하면서 일어나는 엘니뇨 현상의 주요 원인은?(2021년 03월)
     1. 적도 편동풍이 약해졌기 때문이다.
     2. 중위도 편서풍이 강해졌기 때문이다.
     3. 남아메리카 서쪽 해안의 용승이 강해졌기 때문이다.
     4. 적도 서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평소보다 상승하기 때문이다.

     정답 : []
     정답률 : 66%

70. 다음 중 기단이 생성되기 위한 조건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8년 08월)
     1. 넓고 평평한 고원지대
     2. 공기의 이동속도가 빠른 지역
     3. 국지적인 가열이 자주 발생하는 지역
     4. 부분분적으로 공기의 상승·하강 운동이 활발한 지역

     정답 : []
     정답률 : 67%

71. 대륙도(大陸度)를 나타내는 다음 식 중 R은?(2007년 03월)

    

     1. 연교차
     2. 일교차
     3. 온량지수
     4. 추위지수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2. 기후분류의 근거가 될 수 없는 것은?(2016년 03월)
     1. 물수지
     2. 대기작용
     3. 식생분포
     4. 인구밀도

     정답 : []
     정답률 : 90%

73. 다음 저기압계 중 1년을 통하여 그 위치가 거의 변하지 않는 것은?(2009년 07월)
     1. 아시아 대륙 중앙에 형성되는 저기압
     2. 알류산 열도부근에 위치한 저기압
     3. 양자강 부근에서 형성되는 저기압
     4. 적도부근에 생기는 저기압

     정답 : []
     정답률 : 34%

74. 강수량의 영향인자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2년 03월)
     1. 지형
     2. 기온의 일교차
     3. 대기층의 요란
     4. 기류의 수렴, 발산

     정답 : []
     정답률 : 68%

75. 기온의 일교차(日較差)가 가장 작은 곳은?(2021년 03월)
     1. 북극 부근
     2. 60°N 부근
     3. 30°N 부근
     4. 적도 부근

     정답 : []
     정답률 : 52%

76. 다음 그림은 한국의 어떤 지점의 연평균물수지를 나타내고 있다. 그림에서 D 부분은?(2007년 03월)

    

     1. 토양수분의 결핍
     2. 토양수분의 보충
     3. 토양수분의 과잉
     4. 토양수분의 이용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7. 다음 중 산풍(mountain breeze)이 가장 잘 발달할 수 있는 곳은?(2017년 08월)
     1. 밤에 바람이 약하고 맑은 곳
     2. 밤에 바람이 강하고 맑은 곳
     3. 밤에 바람이 약하고 구름이 많이 끼는 곳
     4. 밤에 바람이 강하고 구름이 많이 끼는 곳

     정답 : []
     정답률 : 76%

78. 습도의 연변화형 중 우기가 있는 계절에만 습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끼리 이어진 것은?(2021년 03월)
     1. 대륙성 - 열대성
     2. 몬순성 - 열대성
     3. 해양성 - 열대성
     4. 해양성 – 몬순성

     정답 : []
     정답률 : 56%

79. 우리나라 기후의 일반적 특성이 아닌 것은?(2006년 03월)
     1. 쾨펜의 11개 주요 기후구 중 주로 C와 D의 기후구에 속한다.
     2. 연평균 기온은 6~16℃ 분포로 지역 차가 크다
     3. 습도는 8월에 가장 높아 80~90%의 분포를 보인다.
     4. 남부지방의 연강수량은 1500mm 정도이다.

     정답 : []
     정답률 : 54%

80. 다음 중 주기가 가장 긴 변동은?(2003년 08월)
     1. intraseasonal oscillation
     2. interdecadal oscillation
     3. El Nino
     4. annual cycle

     정답 : []
     정답률 : 80%

81. 북반구에서 다음 그림과 같은 대기 수직 구조에서 O로 표시된 지점에서의 풍향은 어느 방향인가? (단, P, P-1, P-2는 등압면을 의미한다.)(2016년 08월)

    

     1. A에서 B로
     2. B에서 A로
     3. 앞면에서 뒷면(⨂)
     4. 뒷면에서 앞면(⨀)

     정답 : []
     정답률 : 63%

82. 다음 중 태풍의 에너지 원천은?(2003년 03월)
     1. 하강기류
     2. 수증기의 응결열
     3. 마찰
     4. 해수의 기화열

     정답 : []
     정답률 : 89%

83. 1000 ~ 500 hPa 층후층의 특징이 아닌 것은?(2009년 07월)
     1. 700hPa의 온도분포와 비슷하다.
     2. 지상전선의 한기쪽에 등층후선이 조밀하다.
     3. 대기 하층의 기온분포와 관계없다.
     4. 층후선이 조밀한 곳에 강풍대가 위치한다.

     정답 : []
     정답률 : 87%

84. 지상 기상 전문에서 노점온도가 영하일 때 노점온도를 표시하는 방법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05년 03월)
     1. 영하의 노점온도 값에 - 부호를 붙인다.
     2. 영하의 노점온도 값에 “( )”를 붙인다.
     3. 영하의 노점온도 값에 50을 더한다.
     4. 영하의 노점온도 값에 100을 더한다.

     정답 : []
     정답률 : 19%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지상기상전문에서 기온과 노점온도가 영하일경우 값의 앞에 1을 붙여줍니다.
여기 보기를 적용하면 각 값에 100을 더하게 되면 1을 붙여주는 것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지만
엄밀히 말하면 2SnTdTdTd 에서 Sn과 TdTdTd는 별개이므로 1을 값 앞에 붙여준다는 표현이 더욱 정확한 것 같습니다.

여튼 정답은 4번이 되어야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은비아빠]

85. 한냉전선 통과시 나타나는 대표적인 운형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2004년 08월)
     1. 권운
     2. 상층운
     3. 층운
     4. 적란운

     정답 : []
     정답률 : 69%

86. 상층 일기도의 기압골이 지상 일기도의 저기압 중심의 위치보다 앞서 이동할 때, 다음 중 예상할 수 있는 지상기압계의 변화는?(2018년 08월)
     1. 지상저기압의 발달
     2. 지상저기압의 서진
     3. 지상저기압의 쇠약
     4. 지상저기압은 변화 없음

     정답 : []
     정답률 : 60%

87. 지상기상전문의 Nddff이 21299 00125 이면 풍속은?(2012년 03월)
     1. 129 knots
     2. 299 knots
     3. 99 knots
     4. 125 knots

     정답 : []
     정답률 : 88%

88. 대류억제(CiN, Convective inhibition)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6년 03월)
     1. 이것이 전혀 없어야 대류운이나 용오름이 발생한다.
     2. 이 값이 클수록 대기는 안정하다.
     3. 단열선도 상에서 음성지역으로 나타난다.
     4. 아침에는 큰 값을 가지다가 오후에는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58%

89. 다음 중 온난전선이 접근할 때 나타나는 구름의 순서로 가장 올바른 것은?(2018년 08월)
     1. Cc → St → Cu
     2. Ci → Ac → Sc
     3. Cs → As → Ns
     4. Ns → As → Cs

     정답 : []
     정답률 : 60%

90. 우리나라의 장마전선 양쪽에 있는 각 기단은?(2017년 08월)
     1. cP와 mP
     2. cT와 cP
     3. mT와 cT
     4. mP와 mT

     정답 : []
     정답률 : 86%

91. 평평한 육상에서 지상풍과 등압선의 교각(交角)은?(2007년 08월)
     1. 0도
     2. 25 ~ 35도
     3. 45 ~ 55도
     4. 90도

     정답 : []
     정답률 : 50%

92. 동일지점의 같은 기상상태에서 상층 일기도 고도면의 구배가 2배로 증가했다면 지균풍속은 몇 배가 되겠는가?(2018년 08월)
     1. 1/2 배
     2. 1 배
     3. 2 배
     4. 4 배

     정답 : []
     정답률 : 54%

93. mTw 기단의 특징은?(2005년 08월)
     1. 고온다습하다.
     2. 건조한랭하다.
     3. 고온건조하다.
     4. 저온과습하다.

     정답 : []
     정답률 : 67%

94. 하나의 등압선의 설명 중 틀린 것은?(2006년 08월)
     1. 저기압 중심부근에서 닫힌다.
     2. 다른 등압선과 교차하지 않는다.
     3. 두 등압선으로 분리되지 않는다.
     4. 고기압중심부를 통과한다.

     정답 : []
     정답률 : 55%

95. 전선의 형성과 가장 관련이 높은 운동은?(2016년 08월)
     1. 변형운동
     2. 전이운동
     3. 팽창운동
     4. 회전운동

     정답 : []
     정답률 : 66%

96. 지상에서 온난전선의 전면에 광범위한 구름구역과 강수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런 저기압이 가까이 오는 것을 나타내는 첫 징후의 구름은?(2008년 07월)
     1. 권운
     2. 고층운
     3. 층적운
     4. 난층운

     정답 : []
     정답률 : 20%

97. 한냉한 기류가 남하할 때 주로 나타나는 구름은?(2003년 03월)
     1. 적운계 구름
     2. 층운계 구름
     3. 적운계와 층운계 구름이 공존
     4. 상층운

     정답 : []
     정답률 : 74%

98. 단열도상에서 상승응결고도(LCL)는 어떻게 구하는가?(2011년 03월)
     1. 지상의 노점온도를 지나는 포화혼합비선과 온도를 지나는 건조단열선이 만나는 점의 고도
     2. 기온의 상탯곡선과 지상기온을 지나는 건조단열선과 만나는 점의 고도
     3. 지상의 노점온도를 지나는 포화혼합비선과 기온의 상태곡선과 만나는 점의 고도
     4. 지상의 온도를 지나는 건조단열선과 노점온도를 지나는 습윤단열선이 만나는 점의 고도

     정답 : []
     정답률 : 61%

99. 건조주의보를 발표할 때 고려하는 기상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8년 03월)
     1. 우세 풍향
     2. 최대순간 풍속
     3. 실효습도
     4. 최소 습도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0. 국제 기상 전보식에서 4PPPP군의 PPPP는 다음 중 어느 것을 나타내는 부호인가?(2005년 08월)
     1. 해면기압
     2. 현지기압
     3. 기압변화량
     4. 24시간 강수량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기상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3537592)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513 산업안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8월2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512 전파통신기능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4월03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511 산림산업기사(구60문항)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5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510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3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509 수능(경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10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508 워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5424267)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507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화학공학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8308274)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 기상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3537592)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505 잠수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5월2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504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보건행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503 9급 국가직 공무원 과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502 항로표지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8월2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501 전자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9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500 유통관리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2265994) 좋은아빠되기 2025.11.22 0
6499 공조냉동기계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8619557) 좋은아빠되기 2025.11.22 3
6498 비서 3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5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497 수능(생명과학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4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496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지방세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4236398)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495 전자캐드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1월24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6494 수산양식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3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350 Next
/ 3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