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자연생태복원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1483920)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자연생태복원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환경생태학개론


1. 수질오염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7년 05월)
     1. 수질오염은 침전물질, 공업폐수, 유기물질, 열 등에 의한 오염의 형태로 나눌 수 있다.
     2. 카드뮴 중독증으로 일본에서 발생한 미나마타병이 있다.
     3. 미국Tule호 및 Lower Klamath 보호구에서 발생한 생물군집의 DDT 농축은 먹이연쇄단계가 높아질수록 생물학적 농축이 높아짐을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4. 수중에 존재하는 유기물질을 산화시키는데 필요한 산소 요구량을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이라고 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2. 토양의 비옥도를 유지하고, 회복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06년 05월)
     1. 유기질 비료를 사용함으로써 토양의 침식, 작물의 수확등으로 잃어버린 영양분을 재 보충시켜준다.
     2. 천연비료인 퇴비는 토양 내 통기성을 높여주는 토양개선체로서 수분과 영양분 보유력을 높여주고 토양침식을 막아준다.
     3. 효능이 우수한 화학비료를 사용함으로써 토양의 통기성을 높여주고, 강우로 손실된 영양분을 보충해 토양의 산성화를 방지한다.
     4. 소, 말, 닭의 배설물과 같은 동물성 비료를 사용하여 토양의 구조를 개선해주며, 유기질소를 공급해 토양 내의 유익한 세균과 곰팡이의 성장을 촉진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 다음 중 생물 간에 상리공생(mutualism)관계가 성립하는 것은?(2006년 05월)
     1. 관속식물과 뿌리에 붙어 있는 균근균(mycorrhizal fungl)
     2. 호두나무와 일반 잡초
     3. 인삼의 연작
     4. 복숭아 과수원의 고사목 식재지에 보식한 복숭아 묘목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 토양침식의 원인과 대책이 옳게 짝지어진 것은?(2007년 09월)
     1. 과도한 경작 : 2~3년마다 콩과식물을 심고 그대로 토양에 유기물로 남겨두어 부식질의 생성을 촉진하고 영양염류의 손실을 막는다.
     2. 과도한 목축 : 지나친 목초의 소비가 일어나기 전에 육류의 소비를 늘려 과도한 목축을 피한다.
     3. 삼림의 제거 : 삼림의 개간을 막고, 주기적으로 화재를 일으켜 삼림토양의 비옥도를 높인다.
     4. 경작지 확대 : 표토 침식을 방지하기 위해 제초제를 사용하여 잡초를 제거한 다음 죽은 잡초의 뿌리와 줄기를 완전히 제거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 생태계에서는 공간, 먹이, 증식 등에 대하여 서식 생물들간에 종간경쟁과 종내경쟁이 일어난다. 그 결과로 나타나는 특정 개체군의 2가지 기본형 생장곡선은 무엇인가?(2020년 08월)
     1. J자형, S자형
     2. S자형, I자형
     3. J자형, L자형
     4. S자형, L자형

     정답 : []
     정답률 : 64%

6. 다음 중 ( )에 적합한 것은?(2013년 03월)

   

     1. 변수대
     2. 표수대
     3. 담수대
     4. 조광대

     정답 : []
     정답률 : 80%

7. 부영양호와 빈영양호의 특성 비교 중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8월)
     1. 물의 투명도 : 빈영양호(맑음), 부영양호(혼탁)
     2. 물의 색 : 빈영양호(무색-청색), 부영양호(녹색-황색)
     3. 수심 : 빈영양호(얕음), 부영양호(깊음)
     4. 주요 식물성 플랑크톤 : 빈영양호(규조류, 와편모조류), 부영양호(남조류, 녹조류)

     정답 : []
     정답률 : 100%

8. 호수에서 저층수가 상층부까지 영양염이 풍부한 물을 혼합시키는 시기는?(2005년 09월)
     1. 봄, 겨울
     2. 여름, 가을
     3. 봄, 가을
     4. 여름, 겨울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 다음 중 생물이 부족한 조건하에서 조정반응을 통하여 살아가는 법칙은?(2015년 08월)
     1. 제한요인의 결합의 법칙
     2. Bancroft의 법칙
     3. Liebig의 최소량의 법칙
     4. Shelford의 내성의 법칙

     정답 : []
     정답률 : 44%

10. 종의 상대빈도(RF, relative frequency)을 구하는 공식은?(2012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7%

11. 해양의 경관생태 유형 중 저질의 산소 공극률이 매우 높고, 큰 에너지 파랑의 작용이 우세하며, 매우 한정된 종들이 낮은 밀도로 서식하는 특징을 갖는 지역은?(2007년 09월)
     1. 자갈해안
     2. 암반해안
     3. 모래갯벌
     4. 사빈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2. 생태계 보전의 관점에서 도로 등의 건설에 있어서 생태계를 보호하는 수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4년 12월)
     1. 서식환경으로부터 노선을 우회하도록 한다.
     2. 관목식재를 통하여 조류의 비행고도를 확보한다.
     3. 도로에 의하여 이동루트가 분단된 양서류 등은 이동이 가능하도록 대안을 확보해 준다.
     4. 대형동물의 보호수법으로서 도로의 상부나 하부에 이동 루트를 확보한다.

     정답 : []
     정답률 : 84%

13. 주변 산림생태계와 연계된 도시림 조성에 있어서 생물서식 공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5년 05월)
     1. 식물군집의 식생구조와 층위는 각각의 야생동물 집단을 위한 독특한 환경을 제공해 준다.
     2. 장기간에 걸친 식생천이는 황량한 벌판에서 성숙한 산림까지 광범위한 서식처를 제공해 준다.
     3. 다양한 생물들이 갖는 생태적 지위는 종간경쟁을 초래하여 생물군의 영역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이다.
     4. 생물이 서식하고 지속가능한 살아있는 숲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반개방적인 수림이나 밀도가 높은 수림의 형태가 되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14. 담수생태계에서 호수의 수질개선을 위한 생태기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5년 05월)
     1. 습지의 이용
     2. 예비댐의 건설
     3. 인위적인 간섭증대
     4. 효율적인 먹이망 시스템 구축

     정답 : []
     정답률 : 90%

15. 다음 중 ( )에 적합한 것은?(2006년 05월)

    

     1. 변수대
     2. 표수대
     3. 담수대
     4. 조광대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6. 생태계에서 생산자인 녹색식물의 역할에 대하여 옳게 설명한 것은?(2013년 03월)
     1. 유기물을 무기물로 분해시킨다.
     2. 화학결합에너지를 빛에너지로 전환시킨다.
     3.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유기물을 합성시킨다.
     4. 호흡활동에 의해 열에너지를 방출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84%

17. 침엽수림대에서 발달하는 토양은?(2010년 05월)
     1. 갈색토
     2. 적색토
     3. 흑색초원토
     4. 포드졸토

     정답 : []
     정답률 : 80%

18. 해안가의 수계로서 해수와 담수가 합쳐지는 부분은?(2020년 08월)
     1. 사구
     2. 하구
     3. 대륙붕
     4. 갯벌해안

     정답 : []
     정답률 : 57%

19. 살충제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0년 08월)
     1. 지속성 살충제는 물과 공기를 통해 멀리 확산된다.
     2. 대부분의 살충제는 원하는 해충만 죽여야되나 여러 종류의 동물도 죽인다.
     3. DDT, 알드린, 린덴, 마라치온 같은 일부 살충제는 인체 내에 축적되어 있다.
     4. 해충은 진화가 잘 일어나지 않아서 살충제에 대한 저항성이 잘 생기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70%

20. 열대우림 지역의 경계에 존재하는 독특한 초원지대로 중간 중간에 산림이 존재하며 건조기가 긴 생물군계는?(2015년 08월)
     1. 차파렐(Chaparral)
     2. 팜파스
     3. 스텝
     4. 열대사바나

     정답 : []
     정답률 : 72%

2과목 : 환경학개론


21. 일반적으로 공원녹지면적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2012년 08월)
     1. 어린이공원면적
     2. 완충녹지면적
     3. 해수면적
     4. 도시자연공원면적

     정답 : []
     정답률 : 100%

22. 지속가능한 발전 개념의 바탕에서 생태계의 보전 목적으로 옳지 못한 것은?(2007년 05월)
     1. 자연환경보전을 위한 책무와 국제적인 책임을 충족한다.
     2. 새롭게 변화되고 있는 환경에 맞게 야생생물 개체군을 유지한다.
     3. 희귀 및 멸종위기 생물종의 개체군이 존속할 수 있도록 유지한다.
     4. 야생생물의 군집과 자연적 지향의 특징을 유지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3. 다음 중 자연환경보전기본계획에 포함되는 내용이 아닌 것은?(2006년 09월)
     1. 자연환경의 현황 및 전망에 관한 사항
     2. 생태축의 구축ㆍ추진에 관한 사항
     3. 자연환경보전을 위한 주요 추진과제에 관한 사항
     4. 자연환경 연구지원에 관한 사항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4. 다음 중 부문별 계획에서 고려할 수 있는 지표가 아닌 것은?(2007년 09월)
     1. 도시면적 대비 서식지 면적
     2. 전체 도시교통량 중 대중교통 분담율
     3. 1인당 천연가스 사용비율
     4. 개발지역을 감싸거나 관통하는 생태 녹지축의 존재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5. 다음 설명에 해당되는 것은?(2010년 05월)

    

     1. NGO
     2. Ombudsman
     3. EIA
     4. Partnership

     정답 : []
     정답률 : 70%

26. 최근 들어 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재생에너지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2015년 08월)
     1. 태양에너지
     2. 풍력에너지
     3. 조력에너지
     4. 화석에너지

     정답 : []
     정답률 : 77%

27. 산림-계곡환경의 친환경적인 관리지침을 토대로 한 규제 지침 중 건축물의 기준지침으로 타당하지 않은 것은?(2006년 05월)
     1. 산림 및 계곡의 지형에 순응하는 건물형태 및 평면지붕의 원칙
     2. 건축물의 위치, 높이는 주요 산, 계곡으로의 조망을 고려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고려하여 허용
     3. 구롱지 및 계곡의 급경사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건축물 배치
     4. 지붕 녹화 등 구조물과 외부공간의 적극적인 녹화 유도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8. 어메니티 계획이 기존 계획과 다른 차이점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2015년 08월)
     1. 환경문제 해결에 있어 물리적 계획, 프로그램 계획을 통합한 계획이다.
     2. 주민참여방법은 공청회나 공람 등 소극적 참여를 통해 이루어진다.
     3. 자연환경 문제에 있어 생태계와 관련된 구체적인 분야에 초점을 맞춘다.
     4. 도시 내 지역별 아름다움, 역사성 및 문화성 등의 질적 향상을 도모한다.

     정답 : []
     정답률 : 84%

29. 지속가능한 개발에서 말하는 환경용량의 정의로 가장 적당한 것은?(2004년 12월)
     1. 법률에서 정하는 용적율에 근거한 개발
     2. 환경이 지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의 개발
     3. 환경보전만을 위주로 한 개발
     4. 인간의 편의만을 위주로 한 개발

     정답 : []
     정답률 : 92%

30. 다음 중 2차 대기오염물질(secondary air pollution)에 해당하는 것들로만 짝지어진 것은?(2007년 05월)
     1. 탄소화합물. 황산화물
     2. 오존, 과산화수소
     3. 입상물질, 탄화수소
     4. 탄화수소, 질산화합물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1. 세계의 허파 역할을 하고 있는 열대림이 점차 사라지고 있는 이유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5년 08월)
     1. 국립공원의 확대
     2. 상업적 벌채
     3. 방목과 수출 농업
     4. 화전에 의한 자급농업

     정답 : []
     정답률 : 85%

32. 자연공원의 지정기준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08년 05월)
     1. 자연생태계의 보전상태가 양호하거나 보호 야생동·식물 등이 서식할 것
     2. 자연경관의 보전상태가 양호하여 훼손 또는 오염이 적으며 경관이 수려할 것
     3. 이용을 위한 개발을 허용할 수 있도록 훼손된 경관과 생태계가 포함되도록 할 것
     4. 국토의 보전·이용·관리측면에서 균형적인 자연공원의 배치가 될 수 있을 것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3. 다음 중 이산화탄소와 같은 온실가스 배출 규제를 위한 국제협약은?(2013년 03월)
     1. 기후변화협약
     2. 의제21(Agenda 21)
     3. 지구헌장
     4. 생물다양성협약

     정답 : []
     정답률 : 77%

34. 하천·호수환경 친환경적인 세부 규제지침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8월)
     1. 건축물의 용도별 또는 지역단위별 최대층수를 설정
     2. 소지역단위의 쓰레기 적환장, 분리수거시설 설치
     3. 생태적 가치가 있는 하천, 호수 경작지(농경지, 과수원 등) 보전
     4. 소지역 단위별 오수처리장의 건설비와 처리비용은 수익자 부담

     정답 : []
     정답률 : 49%

35. 자연환경보전계획체계와 공간계획체계와의 비교 중 잘못된 것은?(2008년 05월)
     1. 자연환경보전계획은 국가환경보전계획, 시·도 환경보전계획, 시·군·구 환경보전계획의 체계를 갖추고 있다.
     2. 자연환경보전계획과 공간계획체계는 정책계획과 함께 실행계획도 같이 수립되어 있다.
     3. 시·도의 자연환경보전실천계획은 전국환경보전계획을 지침으로 자체적인 실천계획을 수립하도록 한다.
     4. 자연환경보전계획에는 생태통로 설치, 훼손지 복원 등 자연환경보전을 위한 구체적인 사업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6. 지구환경파괴의 주요 유형이 아닌 것은?(2006년 05월)
     1. 지구사악화
     2. 지구온난화
     3. 도시화ㆍ산업화
     4. 오존층파괴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7. 자연환경복원을 위한 계힉 수립 단계에서 기본적인 고려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8월)
     1. 외래종은 도입하지 않도록 한다.
     2. 대상지역에 대한 목표종을 신중히 선택한다.
     3. 복원계획의 목표와 방법을 명확히 규정한다.
     4. 재료나 구성, 생물종은 원거리에서 도입한다.

     정답 : []
     정답률 : 77%

38. 생태주거단지에서 바람길을 확보하는 방안으로 틀린 것은?(2006년 09월)
     1. 경사지에서는 숲과 평행하도록 건축물을 늘어 세운다.
     2. 녹지나 기타 시설을 이용하여 바람의 방향이나 속도를 조절한다.
     3. 기후자료 분석을 통해 지역의 여건을 고려한 바람길을 선정한다.
     4. 개발지 깊숙하게 바람이 들어갈 수 있도록 녹지축을 조성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9. 어메니티의 개념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7년 09월)
     1. 어메니티는 총체적인 환경의 질이다.
     2. 어메니티는 인간이 기분 좋다고 느끼는 물리적 환경의 상태이다.
     3. 어메니티는 나라와 개인에 관계없이 동일한 개념을 가지고 있다.
     4. 어메니티는 경제적 가치를 가지는 개념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0. 지속가능한 발전 개념의 바탕에서 생태계 보전 목적으로 옳지 못한 것은?(2004년 12월)
     1. 자연환경 보전을 위한 책무와 국제적인 책임을 충족한다.
     2. 새롭게 변화되고 있는 환경에 맞게 야생생물 개체군을 유지한다.
     3. 희귀 및 멸종위기 생물종의 개체군이 존속할 수 있도록 유지한다.
     4. 야생생물의 군집과 자연적 지형의 특징을 유지한다.

     정답 : []
     정답률 : 100%

3과목 : 생태복원공학


41. 다음의 그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유연면적은 동일하며, 강우량이 같고, 강우가 유역전역에 최소한 10시간 계속된다고 가정함.)(2012년 08월)

    

     1. B유역의 형상이 첨두유량에 도달하는 시간이 가장 빠르다.
     2. B유역의 형상이 강우가 끝나면 가장 빨리 감수(減水)하게 된다.
     3. 가장 오랫 동안 유출이 되는 유역의 형상은 A이다.
     4. 유출량의 변화가 가장 적은 것은 C유역의 형태이다.

     정답 : []
     정답률 : 80%

42. 생태 숲 조성을 위한 조사과정에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2004년 12월)
     1. 주변지역의 식생구조
     2. 식생군락 모델 선정
     3. 종 다양성 분석
     4. 주요 생물서식지

     정답 : []
     정답률 : 50%

43. 연환경복원을 위한 가장 일반적인 시행과정으로 적당한 것은?(2005년 05월)
     1. 복원목적의 설정 → 대상지역 여건 분석 → 부지현황 조사 및 평가 → 세부 복원 계획의 작성 → 시행, 관리, 모니터링의 실시
     2. 복원목적의 설정 → 부지현황 조사 및 평가 → 대상 지역 여건 분석 → 세부 복원 계획의 작성 → 시행, 관리, 모니터링의 실시
     3. 대상지역 여건 분석 → 부지현황 조사 및 평가 → 복원 목적의 설정 → 세부 복원 계획의 작성 → 시행, 관리, 모니터링의 실시
     4. 대상지역 여건 분석 → 복원목적의 설정 → 부지현황 조사 및 평가 → 세부 복원 계획의 작성 →시행, 관리, 모니터링의 실시

     정답 : []
     정답률 : 54%

44. 다음 중 야생동물의 이동통로 조성기법으로 볼 수 없는 것은?(2015년 08월)
     1. 지형복원
     2. 식생복원
     3. 농경지 복원
     4. 생물서식기반 복원

     정답 : []
     정답률 : 84%

45. 수질정화를 위한 인공습지의 분류 중에서 습지의 원지반을 굴착하고 여기에 입자가 큰 토양 또는 자갈 등의 여재를 채운 습지의 형태를 무엇이라고 하는가?(2015년 08월)
     1. 지하 흐름형 습지
     2. 지표 흐름형 습지
     3. 지하 침투형 습지
     4. 비점오염원 처리 습지

     정답 : []
     정답률 : 47%

46. 해안생태계 복원에 있어서 조류와 인간의 거리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 다음 중 비간섭거리를 설명하는 것은?(2015년 08월)
     1. 사람이 접근할 때 단숨에 장거리를 날아가면서 도피를 시작하는 거리
     2. 사람의 모습을 알아차리면서도 달아나거나 경계의 자세를 취하지 않는 거리
     3. 사람이 접근하면 수십 cm에서 수 m를 걸어 다니거나 또는 가볍게 뛰기고 하면서 사람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려고 하는 거리
     4. 이제까지 계속하고 있던 행동을 중지하고 사람쪽을 바라보거나 경계음을 내거나 또는 새의 꽁지와 깃을 흔드는 등의 행위를 하는 거리

     정답 : []
     정답률 : 74%

47. 생물학적 표본추출법에 의한 생태측정방법이 아닌 것은?(2004년 12월)
     1. 우점도
     2. 종다양도
     3. 균등도
     4. 녹지자연도

     정답 : []
     정답률 : 72%

48. 돌쌓기공사 시공방법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2년 08월)
     1. 기초를 얕게 파고, 밑바닥을 단단히 다져야 한다.
     2. 귀돌이나 갓돌은 우량한 것보다는 구득하기 쉬운 것을 사용한다.
     3. 돌쌓기벽의 세로줄눈이 일직선이 되는 통줄눈은 피해야 한다.
     4. 줄눈의 두께는 20~25mm정도로 하지만, 별도로 모르타르는 채우지 않아도 된다.

     정답 : []
     정답률 : 82%

49. 76m2의 단면적을 갖는 유로에 평균 1.5m/sec 속도로 물이 흐르고 있을 때 최대유량 값은?(2006년 09월)
     1. 50m3/sec
     2. 66m3/sec
     3. 114m3/sec
     4. 135m3/sec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0. 비탈면의 토질과 식물의 생육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2005년 09월)

    

     1. 사질토 지역은 보수성이 낮아서 지표면의 건조로 인한 생육불량이 되기 쉽다.
     2. 마사토 지역은 보비성이 낮아서 도입식물의 쇠퇴가 조기에 나타나기 쉽다.
     3. 연암지역은 수분과 양분의 보유력이 높아서 식물의 생육이 양호하다.
     4. 경암지역은 근계의 침입이 곤란하여 식물의 생육도 불량하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1. 칼륨의 과도한 시비로 유발될 수 있는 결핍증상은?(2005년 09월)
     1. 철 결핍증
     2. 나트륨 결핍증
     3. 칼슘 결핍증
     4. 마그네슘 결핍증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2. 멀칭은 어떤 특정한 재료를 사용하여 토양을 피복하거나 보호하여서 식물의 생육을 도아주는 역할을 한다. 멀칭(mulching)의 효과로 틀린 것은?(2015년 08월)
     1. 토양의 침식을 방지한다.
     2. 토양의 수분을 유지된다.
     3. 잡초의 발생이 억제된다.
     4. 멀칭은 태양열의 복사와 반사를 증가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69%

53. 조수의 영향을 받지 않는 지역에서 습지 인식을 위한 수문학적 지역의 분류를 할 때 각 범위와 지속정도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2010년 05월)
     1. 지속적으로 침수되어 있는 지역의 침수 지속정도는 100%임. (단, 침수가 평균수심 2m 초과)
     2. 반지속적 혹은 지속적으로 침수되어 있는 지역의 침수지속정도는 50∼75% 사이임.(단, 침수평균 수심이 2m이하)
     3. 계절적으로 침수되는 지역의 침수 지속정도는 12.5∼25% 사이임.
     4. 간헐적으로 또는 침수되지 않는 지역의 침수 지속정도는 5% 미만임 (단, 이러한 수문 성격을 지닌 지역은 습지가 아님)

     정답 : []
     정답률 : 39%

54. 다음 중 구곡침식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03월)
     1. 비탈면에 하나의 분명한 작은 물줄기가 형성된 것을 말한다.
     2. 표면유거수가 불안정한 상태의 토양을 운반하면서 나타나는 침식현상을 말한다.
     3. 지표면 아래 땅 속에서 침투수가 땅 속을 통과할 경우 그 통로에 있는 흙을 운반하는 현상으로 파이핑현상이라고도 한다.
     4. 누구침식이 점점 더 진행·악화되어 그 규모가 커져서 보다 깊고 넓은 침식골을 형성하는 왕성한 침식형태이다.

     정답 : []
     정답률 : 53%

55. A, B지점의 단면적이 각각 50m2, 80m2이고, 지점간의 거리가 10m일 떄의 토사량은 얼마인가? (단, 양단면평균법을 이용한다.)(2006년 05월)
     1. 350m3
     2. 450m3
     3. 550m3
     4. 650m3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6. 옥상녹화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방근층의 기능 및 시공시 주의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2005년 09월)
     1. 식물 뿌리로부터 방수층과 건물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2. 방수층이 시공시의 기계적, 물리적 충격으로 손상되는 것을 예방하는 기능을 함께 가질 수도 있다.
     3. 식재계획과 시스템의 특성을 고려하여 소재와 공법을 결정하여야 한다.
     4. 옥상녹화시스템의 침수로 인해 식물의 뿌리가 익사하는 것을 예방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7. 토양에서 부식질의 역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8월)
     1. 부신질은 토양의 단립화를 저해한다.
     2. 각종 토양반응에 대한 완충능력을 좋게 한다.
     3. 유익한 토양 동물을 비롯하여 미생물 활동을 활발하게 한다.
     4. 부식질은 분해되어 질소 또는 그 밖의 양분원소를 다량 방출한다.

     정답 : []
     정답률 : 46%

58. 인위적인 나지 또는 어떤 원인에 의해 훼손된 장소에 처음으로 침입하여 번성한 식물은?(2013년 03월)
     1. 선구식물
     2. 지표식물
     3. 극상수종
     4. 정수식물

     정답 : []
     정답률 : 74%

59. 연공으로 조성된 지역에 토양을 조성하여 나무를 심으려 하는 모험 중 먼저 시공해야 하는 순서대로 기술된 것은?(2010년 05월)
     1. 토양 → 투수시트 → 배수층 → 방근시트 → 수목식재
     2. 방근시트 → 배수층 → 투수시트 → 토양 → 수목식재
     3. 배수층 → 방근시트 → 투수시트 → 토양 → 수목식재
     4. 투수시트 → 배수층 → 방근시트 → 토양 → 수목식재

     정답 : []
     정답률 : 64%

60. 생태계 복원을 위한 시행절차 중 가장 마지막 단계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2005년 05월)
     1. 시행, 관리, 모니터링의 실시
     2. 복원계획의 작성
     3. 복원목적의 설정
     4. 대상지역의 여건분석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1. 수계에 기름의 유출이 있었다. 기름의 유출로 인하여 수계의 생물상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겠는가?(2006년 05월)
     1. 개체수와 종수가 감소한다.
     2. 개체수는 감소하고 종수는 증가한다.
     3. 개체수는 증가하고 종수는 감소한다.
     4. 개체수와 종수가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2. 일반적인 서식지 분석에 대한 옳은 기술이 아닌 것은?(2012년 08월)
     1. 결과에 대한 현지 확인
     2. 현지에서 예비조사와 적절한 자료 수집
     3. 해당 장소와 지역에 관한 적절한 서지와 문헌 검토
     4. 다수의 종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의 평가는 미소서식지로 평가

     정답 : []
     정답률 : 69%

63. 식물군집은 우점종은 이름에 따라 붙여진다. 상대우점값으로 우점종을 결정할 때 표에 제시된 군집에서 우점종으로 옳은 것은?(2007년 05월)

    

     1. 고마니
     2. 쇠별꽃
     3. 명아주
     4. 돌콩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4. 식물군집조사에서 어떤 종이 덮는 지표면의 면적을 전체 생육지 면적으로 나눈 값을 계급화하여 평가할 때 사용하는 것은?(2007년 05월)
     1. Bran-Blanquet법
     2. Km value
     3. Shanon index
     4. Diversity index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5. 질소(N2)가 식물이 이용할 수 있는 형태로 전환되는 과정을 질소고정이라고 하는데, 다음 중 질소를 고정하는 미생물이 아닌 것은?(2006년 05월)
     1. Clostridium
     2. Aspergillus
     3. Rhizobium
     4. Frankia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6. 생태조사에 있어서 필요한 정량적 재료 조사 대상이 아닌 것은?(2006년 09월)
     1. 개체군
     2. 군집
     3. 서식지
     4. 유전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7. 토양의 잠재비옥도는 1차적으로 양이온치환능(토양 100g당 수소이온이 양이온으로 치환될 수 있는 자리의 수)에 의해 결정된다. 토양의 잠재비옥도가 낮을 것부터 큰 것으로 순서가 배열된 것은?(2012년 08월)
     1. 자갈 → 모래 → 미사 → 점토
     2. 모래 → 미사 → 점토 → 자갈
     3. 미사 → 점토 → 자갈 → 모래
     4. 점토 → 미사 → 모래 → 자갈

     정답 : []
     정답률 : 69%

68. 식물의 현존량(standing crop)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2010년 05월)
     1. 식물이 광합성으로 생산한 유기물의 총량이다.
     2. 1차 총생산량에서 초식동물에 의해 소비되고 남은 양이다.
     3. 어떤 시점에서 일정한 면적이나 공간에 존재하는 생물량이다.
     4. 식물의 총광합성량에서 식물 자체의 호흡량을 뺀 나머지이다.

     정답 : []
     정답률 : 75%

69. 자연생태계에서 특정 종의 멸종원인으로 중요하게 조사되어야 하는 항목이 아닌 것은?(2005년 05월)
     1. 서식지 파괴
     2. 외래종의 출현
     3. 질병
     4. 포식율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0. 고도, 광도, 수분 및 염도 환경의 연속적인 구배에 따른 생물의 반응을 조사하는데 이용되는 방법으로, 두 줄 사이의 폭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그 속의 생물상을 파악하는 군집조사의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2005년 05월)
     1. 띠 대상법(belt transect)
     2. 선 차단법(line intercept)
     3. 선 대상법(line transect)
     4. 면 대상법(area transect)

     정답 : []
     정답률 : 20%

71. 식물의 식생 조사시 흔히 이용하는 Braun-Blanquet의 피도계급은 7계급으로 구분된다. 다음 중 이 계급을 판정하는 기준으로 설정이 잘못된 것은?(2004년 12월)
     1. 계급1 : 개체수가 많지만 피도가 조사면적의 5% 이하를 차지하는 종
     2. 계급2 : 피도가 조사면적의 6 - 25%를 차지하는 종
     3. 계급3 : 피도가 조사면적의 26 - 50%를 차지하는 종
     4. 계급4 : 피도가 조사면적의 51 - 100%를 차지하는 종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4계급 피도가 조사면적의 51%~75%
[해설작성자 : 잇츠미]

72. 흡인병을 이용하여 채집하는 동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07년 05월)
     1. 은폐동물
     2. 저서동물
     3. 포복동물
     4. 토양 소형 무척추동물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3. 포유류의 조사 방법으로 잘 사용되지 않은 것은?(2007년 09월)
     1. 족적 조사
     2. 생포틀 조사
     3. 정점 조사
     4. 배설물 조사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4. 다음 중 포유류의 조사방법으로 틀린 것은?(2006년 05월)
     1. 야간조명을 이용하여 직접 관찰한다.
     2. 트랩(trap)을 이용한다.
     3. 발자국, 배설물 등을 조사한다.
     4. 털어잡기망(beationg)을 이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5. 생물학적 표본추출법에 의한 생태측정방법이 아닌 것은?(2006년 09월)
     1. 우점도
     2. 종 다양도
     3. 분포도
     4. 종 풍부도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6. 곤충류의 조사 시 곤충의 발육에 필요한 유효적산온도를 참고하여야 한다. 발육기간 중의 평균온도 20℃, 발육한계 저온도 10℃, 발육에 필요한 일수가 10일 일 때 유효적산온도 K는 얼마인가?(2012년 08월)
     1. 10
     2. 40
     3. 100
     4. 2000

     정답 : []
     정답률 : 74%

77. Lotka-Voltera의 두 종간 경쟁모델은 다음과 같다. α와 β 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5년 09월)

    

     1. α=0, β=0 이면 두 종은 중립이다.
     2. α≥β이면 경쟁에서 A종이 B종보다 유리하다.
     3. 생태적 지위가 겹칠수록 α+β 의 값은 증가한다.
     4. α≠β이면 α=0 일 때보다 A개체군의 증가가 완만하다.

     정답 : []
     정답률 : 60%

78. 일반적인 생태조사 개요에 포함되는 사항이 아닌 것은?(2006년 09월)
     1. 물리화학적 환경조사
     2. 지형과 경관조사
     3. 출현종 목록
     4. 생물농축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9. 하천 또는 습지의 가장자리와 같이 환경구배가 잘 나타나는 곳의 식물군집을 조사하기에 가장 적절하지 않은 방법은?(2006년 09월)
     1. Braun - Blanquet법
     2. 표본을 무작위로 추출하는 방형구법
     3. 환경구배를 가로지르는 대상법
     4. 환경구배를 가로지르는 선차단법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0. 식물군락의 조사측정 값 중 피도(coverage)에 관한 설명중 옳지 않은 것은?(2004년 12월)
     1. 피도는 어떤 식물 종이 덮은 지표면의 면적을 전체 생육지 면적으로 나눈 값이다.
     2. 피도 계급은 피도 백분율과 외관으로 나타난 특징을 기준으로 구분하며 흔히 이용하는 Braun-Blanquet의 피도 계급은 7계급으로 나눈다.
     3. 군집의 기저피도는 지표면 기준으로 줄기만 측정한다.
     4. 군엽피도는 임관의 가장 무성한 부분에서 직경을 재고 그 원주로 피도를 계산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정 답 지

자연생태복원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1483920)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자연생태복원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환경생태학개론


1. 수질오염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7년 05월)
     1. 수질오염은 침전물질, 공업폐수, 유기물질, 열 등에 의한 오염의 형태로 나눌 수 있다.
     2. 카드뮴 중독증으로 일본에서 발생한 미나마타병이 있다.
     3. 미국Tule호 및 Lower Klamath 보호구에서 발생한 생물군집의 DDT 농축은 먹이연쇄단계가 높아질수록 생물학적 농축이 높아짐을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4. 수중에 존재하는 유기물질을 산화시키는데 필요한 산소 요구량을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이라고 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2. 토양의 비옥도를 유지하고, 회복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06년 05월)
     1. 유기질 비료를 사용함으로써 토양의 침식, 작물의 수확등으로 잃어버린 영양분을 재 보충시켜준다.
     2. 천연비료인 퇴비는 토양 내 통기성을 높여주는 토양개선체로서 수분과 영양분 보유력을 높여주고 토양침식을 막아준다.
     3. 효능이 우수한 화학비료를 사용함으로써 토양의 통기성을 높여주고, 강우로 손실된 영양분을 보충해 토양의 산성화를 방지한다.
     4. 소, 말, 닭의 배설물과 같은 동물성 비료를 사용하여 토양의 구조를 개선해주며, 유기질소를 공급해 토양 내의 유익한 세균과 곰팡이의 성장을 촉진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 다음 중 생물 간에 상리공생(mutualism)관계가 성립하는 것은?(2006년 05월)
     1. 관속식물과 뿌리에 붙어 있는 균근균(mycorrhizal fungl)
     2. 호두나무와 일반 잡초
     3. 인삼의 연작
     4. 복숭아 과수원의 고사목 식재지에 보식한 복숭아 묘목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 토양침식의 원인과 대책이 옳게 짝지어진 것은?(2007년 09월)
     1. 과도한 경작 : 2~3년마다 콩과식물을 심고 그대로 토양에 유기물로 남겨두어 부식질의 생성을 촉진하고 영양염류의 손실을 막는다.
     2. 과도한 목축 : 지나친 목초의 소비가 일어나기 전에 육류의 소비를 늘려 과도한 목축을 피한다.
     3. 삼림의 제거 : 삼림의 개간을 막고, 주기적으로 화재를 일으켜 삼림토양의 비옥도를 높인다.
     4. 경작지 확대 : 표토 침식을 방지하기 위해 제초제를 사용하여 잡초를 제거한 다음 죽은 잡초의 뿌리와 줄기를 완전히 제거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 생태계에서는 공간, 먹이, 증식 등에 대하여 서식 생물들간에 종간경쟁과 종내경쟁이 일어난다. 그 결과로 나타나는 특정 개체군의 2가지 기본형 생장곡선은 무엇인가?(2020년 08월)
     1. J자형, S자형
     2. S자형, I자형
     3. J자형, L자형
     4. S자형, L자형

     정답 : []
     정답률 : 64%

6. 다음 중 ( )에 적합한 것은?(2013년 03월)

   

     1. 변수대
     2. 표수대
     3. 담수대
     4. 조광대

     정답 : []
     정답률 : 80%

7. 부영양호와 빈영양호의 특성 비교 중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8월)
     1. 물의 투명도 : 빈영양호(맑음), 부영양호(혼탁)
     2. 물의 색 : 빈영양호(무색-청색), 부영양호(녹색-황색)
     3. 수심 : 빈영양호(얕음), 부영양호(깊음)
     4. 주요 식물성 플랑크톤 : 빈영양호(규조류, 와편모조류), 부영양호(남조류, 녹조류)

     정답 : []
     정답률 : 100%

8. 호수에서 저층수가 상층부까지 영양염이 풍부한 물을 혼합시키는 시기는?(2005년 09월)
     1. 봄, 겨울
     2. 여름, 가을
     3. 봄, 가을
     4. 여름, 겨울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 다음 중 생물이 부족한 조건하에서 조정반응을 통하여 살아가는 법칙은?(2015년 08월)
     1. 제한요인의 결합의 법칙
     2. Bancroft의 법칙
     3. Liebig의 최소량의 법칙
     4. Shelford의 내성의 법칙

     정답 : []
     정답률 : 44%

10. 종의 상대빈도(RF, relative frequency)을 구하는 공식은?(2012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7%

11. 해양의 경관생태 유형 중 저질의 산소 공극률이 매우 높고, 큰 에너지 파랑의 작용이 우세하며, 매우 한정된 종들이 낮은 밀도로 서식하는 특징을 갖는 지역은?(2007년 09월)
     1. 자갈해안
     2. 암반해안
     3. 모래갯벌
     4. 사빈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2. 생태계 보전의 관점에서 도로 등의 건설에 있어서 생태계를 보호하는 수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4년 12월)
     1. 서식환경으로부터 노선을 우회하도록 한다.
     2. 관목식재를 통하여 조류의 비행고도를 확보한다.
     3. 도로에 의하여 이동루트가 분단된 양서류 등은 이동이 가능하도록 대안을 확보해 준다.
     4. 대형동물의 보호수법으로서 도로의 상부나 하부에 이동 루트를 확보한다.

     정답 : []
     정답률 : 84%

13. 주변 산림생태계와 연계된 도시림 조성에 있어서 생물서식 공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5년 05월)
     1. 식물군집의 식생구조와 층위는 각각의 야생동물 집단을 위한 독특한 환경을 제공해 준다.
     2. 장기간에 걸친 식생천이는 황량한 벌판에서 성숙한 산림까지 광범위한 서식처를 제공해 준다.
     3. 다양한 생물들이 갖는 생태적 지위는 종간경쟁을 초래하여 생물군의 영역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이다.
     4. 생물이 서식하고 지속가능한 살아있는 숲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반개방적인 수림이나 밀도가 높은 수림의 형태가 되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14. 담수생태계에서 호수의 수질개선을 위한 생태기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5년 05월)
     1. 습지의 이용
     2. 예비댐의 건설
     3. 인위적인 간섭증대
     4. 효율적인 먹이망 시스템 구축

     정답 : []
     정답률 : 90%

15. 다음 중 ( )에 적합한 것은?(2006년 05월)

    

     1. 변수대
     2. 표수대
     3. 담수대
     4. 조광대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6. 생태계에서 생산자인 녹색식물의 역할에 대하여 옳게 설명한 것은?(2013년 03월)
     1. 유기물을 무기물로 분해시킨다.
     2. 화학결합에너지를 빛에너지로 전환시킨다.
     3.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유기물을 합성시킨다.
     4. 호흡활동에 의해 열에너지를 방출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84%

17. 침엽수림대에서 발달하는 토양은?(2010년 05월)
     1. 갈색토
     2. 적색토
     3. 흑색초원토
     4. 포드졸토

     정답 : []
     정답률 : 80%

18. 해안가의 수계로서 해수와 담수가 합쳐지는 부분은?(2020년 08월)
     1. 사구
     2. 하구
     3. 대륙붕
     4. 갯벌해안

     정답 : []
     정답률 : 57%

19. 살충제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0년 08월)
     1. 지속성 살충제는 물과 공기를 통해 멀리 확산된다.
     2. 대부분의 살충제는 원하는 해충만 죽여야되나 여러 종류의 동물도 죽인다.
     3. DDT, 알드린, 린덴, 마라치온 같은 일부 살충제는 인체 내에 축적되어 있다.
     4. 해충은 진화가 잘 일어나지 않아서 살충제에 대한 저항성이 잘 생기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70%

20. 열대우림 지역의 경계에 존재하는 독특한 초원지대로 중간 중간에 산림이 존재하며 건조기가 긴 생물군계는?(2015년 08월)
     1. 차파렐(Chaparral)
     2. 팜파스
     3. 스텝
     4. 열대사바나

     정답 : []
     정답률 : 72%

2과목 : 환경학개론


21. 일반적으로 공원녹지면적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2012년 08월)
     1. 어린이공원면적
     2. 완충녹지면적
     3. 해수면적
     4. 도시자연공원면적

     정답 : []
     정답률 : 100%

22. 지속가능한 발전 개념의 바탕에서 생태계의 보전 목적으로 옳지 못한 것은?(2007년 05월)
     1. 자연환경보전을 위한 책무와 국제적인 책임을 충족한다.
     2. 새롭게 변화되고 있는 환경에 맞게 야생생물 개체군을 유지한다.
     3. 희귀 및 멸종위기 생물종의 개체군이 존속할 수 있도록 유지한다.
     4. 야생생물의 군집과 자연적 지향의 특징을 유지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3. 다음 중 자연환경보전기본계획에 포함되는 내용이 아닌 것은?(2006년 09월)
     1. 자연환경의 현황 및 전망에 관한 사항
     2. 생태축의 구축ㆍ추진에 관한 사항
     3. 자연환경보전을 위한 주요 추진과제에 관한 사항
     4. 자연환경 연구지원에 관한 사항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4. 다음 중 부문별 계획에서 고려할 수 있는 지표가 아닌 것은?(2007년 09월)
     1. 도시면적 대비 서식지 면적
     2. 전체 도시교통량 중 대중교통 분담율
     3. 1인당 천연가스 사용비율
     4. 개발지역을 감싸거나 관통하는 생태 녹지축의 존재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5. 다음 설명에 해당되는 것은?(2010년 05월)

    

     1. NGO
     2. Ombudsman
     3. EIA
     4. Partnership

     정답 : []
     정답률 : 70%

26. 최근 들어 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재생에너지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2015년 08월)
     1. 태양에너지
     2. 풍력에너지
     3. 조력에너지
     4. 화석에너지

     정답 : []
     정답률 : 77%

27. 산림-계곡환경의 친환경적인 관리지침을 토대로 한 규제 지침 중 건축물의 기준지침으로 타당하지 않은 것은?(2006년 05월)
     1. 산림 및 계곡의 지형에 순응하는 건물형태 및 평면지붕의 원칙
     2. 건축물의 위치, 높이는 주요 산, 계곡으로의 조망을 고려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고려하여 허용
     3. 구롱지 및 계곡의 급경사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건축물 배치
     4. 지붕 녹화 등 구조물과 외부공간의 적극적인 녹화 유도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8. 어메니티 계획이 기존 계획과 다른 차이점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2015년 08월)
     1. 환경문제 해결에 있어 물리적 계획, 프로그램 계획을 통합한 계획이다.
     2. 주민참여방법은 공청회나 공람 등 소극적 참여를 통해 이루어진다.
     3. 자연환경 문제에 있어 생태계와 관련된 구체적인 분야에 초점을 맞춘다.
     4. 도시 내 지역별 아름다움, 역사성 및 문화성 등의 질적 향상을 도모한다.

     정답 : []
     정답률 : 84%

29. 지속가능한 개발에서 말하는 환경용량의 정의로 가장 적당한 것은?(2004년 12월)
     1. 법률에서 정하는 용적율에 근거한 개발
     2. 환경이 지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의 개발
     3. 환경보전만을 위주로 한 개발
     4. 인간의 편의만을 위주로 한 개발

     정답 : []
     정답률 : 92%

30. 다음 중 2차 대기오염물질(secondary air pollution)에 해당하는 것들로만 짝지어진 것은?(2007년 05월)
     1. 탄소화합물. 황산화물
     2. 오존, 과산화수소
     3. 입상물질, 탄화수소
     4. 탄화수소, 질산화합물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1. 세계의 허파 역할을 하고 있는 열대림이 점차 사라지고 있는 이유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5년 08월)
     1. 국립공원의 확대
     2. 상업적 벌채
     3. 방목과 수출 농업
     4. 화전에 의한 자급농업

     정답 : []
     정답률 : 85%

32. 자연공원의 지정기준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08년 05월)
     1. 자연생태계의 보전상태가 양호하거나 보호 야생동·식물 등이 서식할 것
     2. 자연경관의 보전상태가 양호하여 훼손 또는 오염이 적으며 경관이 수려할 것
     3. 이용을 위한 개발을 허용할 수 있도록 훼손된 경관과 생태계가 포함되도록 할 것
     4. 국토의 보전·이용·관리측면에서 균형적인 자연공원의 배치가 될 수 있을 것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3. 다음 중 이산화탄소와 같은 온실가스 배출 규제를 위한 국제협약은?(2013년 03월)
     1. 기후변화협약
     2. 의제21(Agenda 21)
     3. 지구헌장
     4. 생물다양성협약

     정답 : []
     정답률 : 77%

34. 하천·호수환경 친환경적인 세부 규제지침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8월)
     1. 건축물의 용도별 또는 지역단위별 최대층수를 설정
     2. 소지역단위의 쓰레기 적환장, 분리수거시설 설치
     3. 생태적 가치가 있는 하천, 호수 경작지(농경지, 과수원 등) 보전
     4. 소지역 단위별 오수처리장의 건설비와 처리비용은 수익자 부담

     정답 : []
     정답률 : 49%

35. 자연환경보전계획체계와 공간계획체계와의 비교 중 잘못된 것은?(2008년 05월)
     1. 자연환경보전계획은 국가환경보전계획, 시·도 환경보전계획, 시·군·구 환경보전계획의 체계를 갖추고 있다.
     2. 자연환경보전계획과 공간계획체계는 정책계획과 함께 실행계획도 같이 수립되어 있다.
     3. 시·도의 자연환경보전실천계획은 전국환경보전계획을 지침으로 자체적인 실천계획을 수립하도록 한다.
     4. 자연환경보전계획에는 생태통로 설치, 훼손지 복원 등 자연환경보전을 위한 구체적인 사업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6. 지구환경파괴의 주요 유형이 아닌 것은?(2006년 05월)
     1. 지구사악화
     2. 지구온난화
     3. 도시화ㆍ산업화
     4. 오존층파괴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7. 자연환경복원을 위한 계힉 수립 단계에서 기본적인 고려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8월)
     1. 외래종은 도입하지 않도록 한다.
     2. 대상지역에 대한 목표종을 신중히 선택한다.
     3. 복원계획의 목표와 방법을 명확히 규정한다.
     4. 재료나 구성, 생물종은 원거리에서 도입한다.

     정답 : []
     정답률 : 77%

38. 생태주거단지에서 바람길을 확보하는 방안으로 틀린 것은?(2006년 09월)
     1. 경사지에서는 숲과 평행하도록 건축물을 늘어 세운다.
     2. 녹지나 기타 시설을 이용하여 바람의 방향이나 속도를 조절한다.
     3. 기후자료 분석을 통해 지역의 여건을 고려한 바람길을 선정한다.
     4. 개발지 깊숙하게 바람이 들어갈 수 있도록 녹지축을 조성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9. 어메니티의 개념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7년 09월)
     1. 어메니티는 총체적인 환경의 질이다.
     2. 어메니티는 인간이 기분 좋다고 느끼는 물리적 환경의 상태이다.
     3. 어메니티는 나라와 개인에 관계없이 동일한 개념을 가지고 있다.
     4. 어메니티는 경제적 가치를 가지는 개념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0. 지속가능한 발전 개념의 바탕에서 생태계 보전 목적으로 옳지 못한 것은?(2004년 12월)
     1. 자연환경 보전을 위한 책무와 국제적인 책임을 충족한다.
     2. 새롭게 변화되고 있는 환경에 맞게 야생생물 개체군을 유지한다.
     3. 희귀 및 멸종위기 생물종의 개체군이 존속할 수 있도록 유지한다.
     4. 야생생물의 군집과 자연적 지형의 특징을 유지한다.

     정답 : []
     정답률 : 100%

3과목 : 생태복원공학


41. 다음의 그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유연면적은 동일하며, 강우량이 같고, 강우가 유역전역에 최소한 10시간 계속된다고 가정함.)(2012년 08월)

    

     1. B유역의 형상이 첨두유량에 도달하는 시간이 가장 빠르다.
     2. B유역의 형상이 강우가 끝나면 가장 빨리 감수(減水)하게 된다.
     3. 가장 오랫 동안 유출이 되는 유역의 형상은 A이다.
     4. 유출량의 변화가 가장 적은 것은 C유역의 형태이다.

     정답 : []
     정답률 : 80%

42. 생태 숲 조성을 위한 조사과정에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2004년 12월)
     1. 주변지역의 식생구조
     2. 식생군락 모델 선정
     3. 종 다양성 분석
     4. 주요 생물서식지

     정답 : []
     정답률 : 50%

43. 연환경복원을 위한 가장 일반적인 시행과정으로 적당한 것은?(2005년 05월)
     1. 복원목적의 설정 → 대상지역 여건 분석 → 부지현황 조사 및 평가 → 세부 복원 계획의 작성 → 시행, 관리, 모니터링의 실시
     2. 복원목적의 설정 → 부지현황 조사 및 평가 → 대상 지역 여건 분석 → 세부 복원 계획의 작성 → 시행, 관리, 모니터링의 실시
     3. 대상지역 여건 분석 → 부지현황 조사 및 평가 → 복원 목적의 설정 → 세부 복원 계획의 작성 → 시행, 관리, 모니터링의 실시
     4. 대상지역 여건 분석 → 복원목적의 설정 → 부지현황 조사 및 평가 → 세부 복원 계획의 작성 →시행, 관리, 모니터링의 실시

     정답 : []
     정답률 : 54%

44. 다음 중 야생동물의 이동통로 조성기법으로 볼 수 없는 것은?(2015년 08월)
     1. 지형복원
     2. 식생복원
     3. 농경지 복원
     4. 생물서식기반 복원

     정답 : []
     정답률 : 84%

45. 수질정화를 위한 인공습지의 분류 중에서 습지의 원지반을 굴착하고 여기에 입자가 큰 토양 또는 자갈 등의 여재를 채운 습지의 형태를 무엇이라고 하는가?(2015년 08월)
     1. 지하 흐름형 습지
     2. 지표 흐름형 습지
     3. 지하 침투형 습지
     4. 비점오염원 처리 습지

     정답 : []
     정답률 : 47%

46. 해안생태계 복원에 있어서 조류와 인간의 거리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 다음 중 비간섭거리를 설명하는 것은?(2015년 08월)
     1. 사람이 접근할 때 단숨에 장거리를 날아가면서 도피를 시작하는 거리
     2. 사람의 모습을 알아차리면서도 달아나거나 경계의 자세를 취하지 않는 거리
     3. 사람이 접근하면 수십 cm에서 수 m를 걸어 다니거나 또는 가볍게 뛰기고 하면서 사람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려고 하는 거리
     4. 이제까지 계속하고 있던 행동을 중지하고 사람쪽을 바라보거나 경계음을 내거나 또는 새의 꽁지와 깃을 흔드는 등의 행위를 하는 거리

     정답 : []
     정답률 : 74%

47. 생물학적 표본추출법에 의한 생태측정방법이 아닌 것은?(2004년 12월)
     1. 우점도
     2. 종다양도
     3. 균등도
     4. 녹지자연도

     정답 : []
     정답률 : 72%

48. 돌쌓기공사 시공방법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2년 08월)
     1. 기초를 얕게 파고, 밑바닥을 단단히 다져야 한다.
     2. 귀돌이나 갓돌은 우량한 것보다는 구득하기 쉬운 것을 사용한다.
     3. 돌쌓기벽의 세로줄눈이 일직선이 되는 통줄눈은 피해야 한다.
     4. 줄눈의 두께는 20~25mm정도로 하지만, 별도로 모르타르는 채우지 않아도 된다.

     정답 : []
     정답률 : 82%

49. 76m2의 단면적을 갖는 유로에 평균 1.5m/sec 속도로 물이 흐르고 있을 때 최대유량 값은?(2006년 09월)
     1. 50m3/sec
     2. 66m3/sec
     3. 114m3/sec
     4. 135m3/sec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0. 비탈면의 토질과 식물의 생육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2005년 09월)

    

     1. 사질토 지역은 보수성이 낮아서 지표면의 건조로 인한 생육불량이 되기 쉽다.
     2. 마사토 지역은 보비성이 낮아서 도입식물의 쇠퇴가 조기에 나타나기 쉽다.
     3. 연암지역은 수분과 양분의 보유력이 높아서 식물의 생육이 양호하다.
     4. 경암지역은 근계의 침입이 곤란하여 식물의 생육도 불량하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1. 칼륨의 과도한 시비로 유발될 수 있는 결핍증상은?(2005년 09월)
     1. 철 결핍증
     2. 나트륨 결핍증
     3. 칼슘 결핍증
     4. 마그네슘 결핍증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2. 멀칭은 어떤 특정한 재료를 사용하여 토양을 피복하거나 보호하여서 식물의 생육을 도아주는 역할을 한다. 멀칭(mulching)의 효과로 틀린 것은?(2015년 08월)
     1. 토양의 침식을 방지한다.
     2. 토양의 수분을 유지된다.
     3. 잡초의 발생이 억제된다.
     4. 멀칭은 태양열의 복사와 반사를 증가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69%

53. 조수의 영향을 받지 않는 지역에서 습지 인식을 위한 수문학적 지역의 분류를 할 때 각 범위와 지속정도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2010년 05월)
     1. 지속적으로 침수되어 있는 지역의 침수 지속정도는 100%임. (단, 침수가 평균수심 2m 초과)
     2. 반지속적 혹은 지속적으로 침수되어 있는 지역의 침수지속정도는 50∼75% 사이임.(단, 침수평균 수심이 2m이하)
     3. 계절적으로 침수되는 지역의 침수 지속정도는 12.5∼25% 사이임.
     4. 간헐적으로 또는 침수되지 않는 지역의 침수 지속정도는 5% 미만임 (단, 이러한 수문 성격을 지닌 지역은 습지가 아님)

     정답 : []
     정답률 : 39%

54. 다음 중 구곡침식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03월)
     1. 비탈면에 하나의 분명한 작은 물줄기가 형성된 것을 말한다.
     2. 표면유거수가 불안정한 상태의 토양을 운반하면서 나타나는 침식현상을 말한다.
     3. 지표면 아래 땅 속에서 침투수가 땅 속을 통과할 경우 그 통로에 있는 흙을 운반하는 현상으로 파이핑현상이라고도 한다.
     4. 누구침식이 점점 더 진행·악화되어 그 규모가 커져서 보다 깊고 넓은 침식골을 형성하는 왕성한 침식형태이다.

     정답 : []
     정답률 : 53%

55. A, B지점의 단면적이 각각 50m2, 80m2이고, 지점간의 거리가 10m일 떄의 토사량은 얼마인가? (단, 양단면평균법을 이용한다.)(2006년 05월)
     1. 350m3
     2. 450m3
     3. 550m3
     4. 650m3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6. 옥상녹화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방근층의 기능 및 시공시 주의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2005년 09월)
     1. 식물 뿌리로부터 방수층과 건물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2. 방수층이 시공시의 기계적, 물리적 충격으로 손상되는 것을 예방하는 기능을 함께 가질 수도 있다.
     3. 식재계획과 시스템의 특성을 고려하여 소재와 공법을 결정하여야 한다.
     4. 옥상녹화시스템의 침수로 인해 식물의 뿌리가 익사하는 것을 예방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7. 토양에서 부식질의 역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8월)
     1. 부신질은 토양의 단립화를 저해한다.
     2. 각종 토양반응에 대한 완충능력을 좋게 한다.
     3. 유익한 토양 동물을 비롯하여 미생물 활동을 활발하게 한다.
     4. 부식질은 분해되어 질소 또는 그 밖의 양분원소를 다량 방출한다.

     정답 : []
     정답률 : 46%

58. 인위적인 나지 또는 어떤 원인에 의해 훼손된 장소에 처음으로 침입하여 번성한 식물은?(2013년 03월)
     1. 선구식물
     2. 지표식물
     3. 극상수종
     4. 정수식물

     정답 : []
     정답률 : 74%

59. 연공으로 조성된 지역에 토양을 조성하여 나무를 심으려 하는 모험 중 먼저 시공해야 하는 순서대로 기술된 것은?(2010년 05월)
     1. 토양 → 투수시트 → 배수층 → 방근시트 → 수목식재
     2. 방근시트 → 배수층 → 투수시트 → 토양 → 수목식재
     3. 배수층 → 방근시트 → 투수시트 → 토양 → 수목식재
     4. 투수시트 → 배수층 → 방근시트 → 토양 → 수목식재

     정답 : []
     정답률 : 64%

60. 생태계 복원을 위한 시행절차 중 가장 마지막 단계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2005년 05월)
     1. 시행, 관리, 모니터링의 실시
     2. 복원계획의 작성
     3. 복원목적의 설정
     4. 대상지역의 여건분석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1. 수계에 기름의 유출이 있었다. 기름의 유출로 인하여 수계의 생물상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겠는가?(2006년 05월)
     1. 개체수와 종수가 감소한다.
     2. 개체수는 감소하고 종수는 증가한다.
     3. 개체수는 증가하고 종수는 감소한다.
     4. 개체수와 종수가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2. 일반적인 서식지 분석에 대한 옳은 기술이 아닌 것은?(2012년 08월)
     1. 결과에 대한 현지 확인
     2. 현지에서 예비조사와 적절한 자료 수집
     3. 해당 장소와 지역에 관한 적절한 서지와 문헌 검토
     4. 다수의 종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의 평가는 미소서식지로 평가

     정답 : []
     정답률 : 69%

63. 식물군집은 우점종은 이름에 따라 붙여진다. 상대우점값으로 우점종을 결정할 때 표에 제시된 군집에서 우점종으로 옳은 것은?(2007년 05월)

    

     1. 고마니
     2. 쇠별꽃
     3. 명아주
     4. 돌콩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4. 식물군집조사에서 어떤 종이 덮는 지표면의 면적을 전체 생육지 면적으로 나눈 값을 계급화하여 평가할 때 사용하는 것은?(2007년 05월)
     1. Bran-Blanquet법
     2. Km value
     3. Shanon index
     4. Diversity index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5. 질소(N2)가 식물이 이용할 수 있는 형태로 전환되는 과정을 질소고정이라고 하는데, 다음 중 질소를 고정하는 미생물이 아닌 것은?(2006년 05월)
     1. Clostridium
     2. Aspergillus
     3. Rhizobium
     4. Frankia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6. 생태조사에 있어서 필요한 정량적 재료 조사 대상이 아닌 것은?(2006년 09월)
     1. 개체군
     2. 군집
     3. 서식지
     4. 유전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7. 토양의 잠재비옥도는 1차적으로 양이온치환능(토양 100g당 수소이온이 양이온으로 치환될 수 있는 자리의 수)에 의해 결정된다. 토양의 잠재비옥도가 낮을 것부터 큰 것으로 순서가 배열된 것은?(2012년 08월)
     1. 자갈 → 모래 → 미사 → 점토
     2. 모래 → 미사 → 점토 → 자갈
     3. 미사 → 점토 → 자갈 → 모래
     4. 점토 → 미사 → 모래 → 자갈

     정답 : []
     정답률 : 69%

68. 식물의 현존량(standing crop)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2010년 05월)
     1. 식물이 광합성으로 생산한 유기물의 총량이다.
     2. 1차 총생산량에서 초식동물에 의해 소비되고 남은 양이다.
     3. 어떤 시점에서 일정한 면적이나 공간에 존재하는 생물량이다.
     4. 식물의 총광합성량에서 식물 자체의 호흡량을 뺀 나머지이다.

     정답 : []
     정답률 : 75%

69. 자연생태계에서 특정 종의 멸종원인으로 중요하게 조사되어야 하는 항목이 아닌 것은?(2005년 05월)
     1. 서식지 파괴
     2. 외래종의 출현
     3. 질병
     4. 포식율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0. 고도, 광도, 수분 및 염도 환경의 연속적인 구배에 따른 생물의 반응을 조사하는데 이용되는 방법으로, 두 줄 사이의 폭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그 속의 생물상을 파악하는 군집조사의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2005년 05월)
     1. 띠 대상법(belt transect)
     2. 선 차단법(line intercept)
     3. 선 대상법(line transect)
     4. 면 대상법(area transect)

     정답 : []
     정답률 : 20%

71. 식물의 식생 조사시 흔히 이용하는 Braun-Blanquet의 피도계급은 7계급으로 구분된다. 다음 중 이 계급을 판정하는 기준으로 설정이 잘못된 것은?(2004년 12월)
     1. 계급1 : 개체수가 많지만 피도가 조사면적의 5% 이하를 차지하는 종
     2. 계급2 : 피도가 조사면적의 6 - 25%를 차지하는 종
     3. 계급3 : 피도가 조사면적의 26 - 50%를 차지하는 종
     4. 계급4 : 피도가 조사면적의 51 - 100%를 차지하는 종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4계급 피도가 조사면적의 51%~75%
[해설작성자 : 잇츠미]

72. 흡인병을 이용하여 채집하는 동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07년 05월)
     1. 은폐동물
     2. 저서동물
     3. 포복동물
     4. 토양 소형 무척추동물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3. 포유류의 조사 방법으로 잘 사용되지 않은 것은?(2007년 09월)
     1. 족적 조사
     2. 생포틀 조사
     3. 정점 조사
     4. 배설물 조사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4. 다음 중 포유류의 조사방법으로 틀린 것은?(2006년 05월)
     1. 야간조명을 이용하여 직접 관찰한다.
     2. 트랩(trap)을 이용한다.
     3. 발자국, 배설물 등을 조사한다.
     4. 털어잡기망(beationg)을 이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5. 생물학적 표본추출법에 의한 생태측정방법이 아닌 것은?(2006년 09월)
     1. 우점도
     2. 종 다양도
     3. 분포도
     4. 종 풍부도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6. 곤충류의 조사 시 곤충의 발육에 필요한 유효적산온도를 참고하여야 한다. 발육기간 중의 평균온도 20℃, 발육한계 저온도 10℃, 발육에 필요한 일수가 10일 일 때 유효적산온도 K는 얼마인가?(2012년 08월)
     1. 10
     2. 40
     3. 100
     4. 2000

     정답 : []
     정답률 : 74%

77. Lotka-Voltera의 두 종간 경쟁모델은 다음과 같다. α와 β 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5년 09월)

    

     1. α=0, β=0 이면 두 종은 중립이다.
     2. α≥β이면 경쟁에서 A종이 B종보다 유리하다.
     3. 생태적 지위가 겹칠수록 α+β 의 값은 증가한다.
     4. α≠β이면 α=0 일 때보다 A개체군의 증가가 완만하다.

     정답 : []
     정답률 : 60%

78. 일반적인 생태조사 개요에 포함되는 사항이 아닌 것은?(2006년 09월)
     1. 물리화학적 환경조사
     2. 지형과 경관조사
     3. 출현종 목록
     4. 생물농축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9. 하천 또는 습지의 가장자리와 같이 환경구배가 잘 나타나는 곳의 식물군집을 조사하기에 가장 적절하지 않은 방법은?(2006년 09월)
     1. Braun - Blanquet법
     2. 표본을 무작위로 추출하는 방형구법
     3. 환경구배를 가로지르는 대상법
     4. 환경구배를 가로지르는 선차단법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0. 식물군락의 조사측정 값 중 피도(coverage)에 관한 설명중 옳지 않은 것은?(2004년 12월)
     1. 피도는 어떤 식물 종이 덮은 지표면의 면적을 전체 생육지 면적으로 나눈 값이다.
     2. 피도 계급은 피도 백분율과 외관으로 나타난 특징을 기준으로 구분하며 흔히 이용하는 Braun-Blanquet의 피도 계급은 7계급으로 나눈다.
     3. 군집의 기저피도는 지표면 기준으로 줄기만 측정한다.
     4. 군엽피도는 임관의 가장 무성한 부분에서 직경을 재고 그 원주로 피도를 계산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자연생태복원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1483920)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2 폐기물처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9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461 의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8950506)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460 9급 지방직 공무원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6월1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459 9급 지방직 공무원 전기기기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5427679)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458 9급 국가직 공무원 화학공학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4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457 ERP 인사 2급 실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1월2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456 조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05월1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455 금속재료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3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454 지적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3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 자연생태복원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1483920)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452 초음파비파괴검사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03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451 비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1659972) 좋은아빠되기 2025.11.22 4
45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건축계획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3월2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449 가구제작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2284888)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448 경찰공무원(순경)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8월3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447 정보통신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3126561) 좋은아빠되기 2025.11.22 2
446 9급 국가직 공무원 컴퓨터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4월1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2
445 비서 3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5월1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444 조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3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443 미용사(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7583630)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Board Pagination Prev 1 ...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 351 Next
/ 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