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가구제작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228488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가구제작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임의 구분


1. 셀룰로이드나 아크릴판에 크기가 다른 원, 타원같은 기본도형을 뚫어놓은 판을 무엇이라 하는가?(2002년 10월)
     1. 템플릿
     2. 운형자
     3. 만능자
     4. 자유자

     정답 : []
     정답률 : 78%

2. 입체의 각 면을 1면 위에 펴서 그린 도면을 무엇이라 하는가?(2004년 02월)
     1. 투시도
     2. 상관체
     3. 전개도
     4. 음영도

     정답 : []
     정답률 : 90%

3. 해칭(Hatching)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5년 01월)
     1. 기본 중심선 또는 기선에 대하여 30°의 가는 실선을 긋는다.
     2. 같은 부품의 단면은 떨어져 있어도 해칭의 방향과 간격은 같게한다.
     3. 서로 인접하는 단면의 해칭은 각도 및 간격을 같게 해서는 안된다.
     4. 해칭선은 45°의 굵은 직선을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52%

4. 의장의 원리가 아닌 것은?(2001년 10월)
     1. 통일(Unity)
     2. 율동(Rhythm)
     3. 형태(Form)
     4. 균형(Balance)

     정답 : []
     정답률 : 68%

5. 그림과 같은 등축투상도의 우측면도는? (단, 화살표 방향이 정면임)(2003년 01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8%

6. 선을 긋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1년 10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0%

7. 단면 상세도를 그릴 때 표시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2001년 10월)
     1. 각 실의 면적
     2. 1층 바닥 높이
     3. 지붕 물매
     4. 창의 높이

     정답 : []
     정답률 : 76%

8. 등각투상도에서 3개의 축이 이루는 각도는 얼마인가?(2002년 01월)
     1. 60°
     2. 90°
     3. 120°
     4. 180°

     정답 : []
     정답률 : 85%

9. 투시도에서 물체를 보는 사람이 서 있는 위치를 지칭하는 기호는?(2001년 10월)
     1. S.P.
     2. V.P.
     3. P.P.
     4. H.L.

     정답 : []
     정답률 : 79%

10. 축척자(삼각 스케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4년 10월)
     1. 임의의 축척으로 도면을 작성할 때 사용된다.
     2. 1/100, 1/200, 1/300, 1/400, 1/500, 1/600의 6가지 축척이 있다.
     3. 1/10, 1/20, 1/30 등의 도면을 작도할 때도 사용된다.
     4. 길이를 재거나 길이를 줄여 그릴 때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11. 평면 구성을 할 때 일정한 길이의 선이나 형태가 규칙적으로 반복되었을 때 나타나는 효과는?(2003년 01월)
     1. 율동감
     2. 균형감
     3. 재질감
     4. 변화감

     정답 : []
     정답률 : 78%

12. 실내 공간에서 가구의 역할, 기능으로 틀린 것은?(2003년 01월)
     1. 실내공간과 사람을 연결시켜 주는 매개역할을 한다.
     2. 실내 공간 구성요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3. 가구의 배치는 사람의 행동에 영향을 준다.
     4. 실내의 전체적인 공간감과는 관련이 없다.

     정답 : []
     정답률 : 88%

13. 그림에서 A선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5년 01월)

    

     1. 파단선
     2. 단면선
     3. 절단선
     4. 가상선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파단선
-건조물 부재나 물건을 전부 나타낼 필요가 없는 경우 절제한 곳을 나타낼 때 쓰는 선.
[해설작성자 : 안정현]

14. 투시도의 작성법 중 구도를 결정할 때 시선의 각도는 몇 도 이내로 하는 것이 가장 자연스러운가?(2004년 02월)
     1. 15°
     2. 30°
     3. 45°
     4. 60°

     정답 : []
     정답률 : 58%

15. 선의 종류에서 절단선의 표현은?(2002년 10월)
     1. 실선
     2. 파선
     3. 일점쇄선
     4. 이점쇄선

     정답 : []
     정답률 : 65%

16. 목재의 인공건조에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은?(2001년 10월)
     1. 진공법
     2. 증기법
     3. 열기법
     4. 훈연법

     정답 : []
     정답률 : 81%

17. 통나무에서 어느방향이 수축율이 가장 큰가?(2001년 10월)
     1. 길이의 방향
     2. 둘레의 방향
     3. 부피의 방향
     4. 지름의 방향

     정답 : []
     정답률 : 81%

18. 목질부 보다는 약간굳고 단단한 부분이 되어 가공이 좀 불편하고 미관상 좋지 않으나 목재로 사용하는 데에는 별 지장이 없는 옹이는?(2002년 01월)
     1. 산옹이
     2. 죽은옹이
     3. 썩은옹이
     4. 옹이구멍

     정답 : []
     정답률 : 84%

19. 부패균에 의한 목재의 부패를 방지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2002년 01월)
     1. 온도를 4℃ 이하나 55℃ 이상으로 한다.
     2. 습도를 20% 이하나 80% 이상으로 한다.
     3. 물에 담가 공기를 차단한다.
     4. 도료로 표면 피복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20. 열경화성 수지의 특성이 아닌 것은?(2005년 01월)
     1. 내열성이다.
     2. 밀도가 크며 딱딱하다.
     3. 탄력성이 없고 부스러지기 쉽다.
     4. 가열하면 유동성이고 냉각시키면 다시 굳는다.

     정답 : []
     정답률 : 52%

2과목 : 임의 구분


21. 일반적으로 건조한 목재는 어느 것이 클수록 단단한가?(2005년 01월)
     1. 넓이
     2. 부피
     3. 무게
     4. 비중

     정답 : []
     정답률 : 57%

22. 추재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2002년 01월)
     1. 원형질이 적게 들어있다.
     2. 세포막이 두껍다.
     3. 암색을 띤다.
     4. 목질이 연하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수목의 나이테 중에서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서 형성된 부분.
세포가 막이 두껍고 모양이 작아 춘재에 비해 색이 짙고 비중이 크며 단단
[해설작성자 : 우드]

23. 활엽수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3년 01월)
     1. 잎이 넓적한 나무로 화려한 무늬가 있다.
     2. 나무에 따라 무늬결의 고유한 특성이 있다.
     3. 가구제작과 실내 장식용으로 많이 쓰인다.
     4. 연하고 탄력성이 있기 때문에 건축재로 많이 쓰인다.

     정답 : []
     정답률 : 85%

24. 목재의 부분 중 수분증발이나 흡수속도가 가장 빠른 곳은?(2003년 01월)
     1. 무늬결면
     2. 마구리면
     3. 곧은결면
     4. 선회면

     정답 : []
     정답률 : 86%

25. 나이테가 확실히 나타나는 나무는?(2001년 10월)
     1. 단풍나무
     2. 버드나무
     3. 소나무
     4. 마호가니

     정답 : []
     정답률 : 81%

26. 다음 수지 중 열경화성 수지에 속하지 않는 것은?(2003년 01월)
     1. 페놀수지
     2. 멜라민수지
     3. 실리콘수지
     4. 염화비닐수지

     정답 : []
     정답률 : 65%

27. 합판에 대한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2002년 10월)
     1. 함수율 변화에 따른 팽창· 수축이 적다.
     2. 큰 면적의 평면 재료를 얻을 수 있다.
     3. 균일한 강도의 재료를 얻을 수 있다.
     4. 단판의 매수는 홀수가 아니라도 된다.

     정답 : []
     정답률 : 83%

28. 다음 중 계절적으로 가장 좋은 죽재의 벌목시기는?(2002년 01월)
     1. 1월 하순부터 2월 사이
     2. 4월 하순부터 5월 사이
     3. 7월 하순부터 8월 사이
     4. 10월 하순부터 11월 사이

     정답 : []
     정답률 : 86%

29. 알루미늄에 대한 설명으로 적당치 않은 것은?(2004년 10월)
     1. 비중은 철의 1/3정도이다.
     2. 내식성이 우수하며 가공성도 양호하다.
     3. 용해주조도가 좋으며 내화성이 우수하다.
     4. 건축디자인상으로 우수한 재료이다.

     정답 : []
     정답률 : 61%

30. 접착력과 내약품성, 내균성이 우수하나 접착층이 착색되는 결함이 있는 접착제는?(2002년 10월)
     1. 페놀수지 접착제
     2. 요소수지 접찹제
     3. 에폭시수지 접착제
     4. 레조르시놀수지 접착제

     정답 : []
     정답률 : 59%

31. 목재 섬유자체의 실질 비중은 얼마인가?(2003년 01월)
     1. 0.82
     2. 0.95
     3. 1.25
     4. 1.54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물을 포함하지 않은 세포벽의 비중은 목재의 종류에 관계없이 약 1.5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2. 목재의 주요구성 세포 중 목세포의 비율로서 맞는 것은?(2004년 10월)
     1. 2∼ 5%
     2. 5∼ 15%
     3. 20∼ 30%
     4. 50∼ 70%

     정답 : []
     정답률 : 55%

33. 합판의 제법에서 원목을 얇게 톱으로 자른 단판으로 아름다운 나무결을 얻을 수 있는 베니어는?(2001년 10월)
     1. 로터리베니어
     2. 소우드베니어
     3. 슬라이드베니어
     4. 반원슬라이드베니어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o 로터리베니어 : 둥근 원목을 돌려서 벗겨낸 단판
o 소드 베니어 : 미리 필요한 나뭇결이 나타나도록 통나무로부터 각재를 취하고, 이것을 수직형 띠톱으로 뽑아낸것
o 슬라이드 베니어 : 상하로 운동하는 칼로써 얇게 절단되는 합판 표면에 곧은 결 등 아름다운 결을 장식적으로 이용하려 할 때 쓰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슬라이스드 베니어는 원목을 평행하게 얇기 슬라이스하여 나뭇결을 잘 보존하고 고급스러운 무늬를 제공한다.
정답은 2번입니다. 소드 베니어는 절삭률이 좋지 않아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J]

34. 마이타조인트의 특징으로 잘못된 것은?(2002년 01월)
     1. 볼트의 장착과 분리가 자유롭다.
     2. 강력한 구심력 작용으로 접합력이 우수하다.
     3. 접합의 각도가 90° ∼ 180° 까지 가능하다.
     4. 기능에 비해 가구형태에 대한 디자인이 다양하지 못하다.

     정답 : []
     정답률 : 70%

35. 섬유판의 주원료로 부적당한 것은?(2002년 10월)
     1. 볏짚
     2. 파지
     3. 목펄프
     4. 천연고무

     정답 : []
     정답률 : 74%

36. 톱날 어김의 적당한 수치는? (단,t는 톱몸의 두께)(2003년 10월)
     1. 1.0 ~ 1.3t
     2. 1.8 ~ 2.0t
     3. 1.3 ~ 1.8t
     4. 2.2 ~ 3.0t

     정답 : []
     정답률 : 64%

37. 공구를 사용할때 주의할 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2년 10월)
     1. 공구의 배열은 사용 순서대로 한다.
     2. 날을 너무 잘들게 연마하면 사고나기 쉬우므로 적당히 갈아써야 한다.
     3. 많은 공구를 다룰 때에는 서로 부딪치지 않도록 한다.
     4. 공구는 그 용도에 합당한 목적에만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88%

38. 목재 가공시 가장 큰 구멍을 수동적으로 뚫을 수 있는 공구는?(2002년 10월)
     1. 쥐이빨 송곳
     2. 접시 송곳
     3. 드릴
     4. 익스펜시브 송곳

     정답 : []
     정답률 : 70%

39. 그림과 같이 탁자 다리에 직각으로 막판을 맞추려 할 때 사용할 수 없는 맞춤법은? (단, A,B 두 부재는 동일 수평면상에 있는 같은 단면임)(2002년 10월)

    

     1. 턱장부 맞춤
     2. 내다지장부 맞춤
     3. 짧은장부 맞춤
     4. 지옥장부 맞춤

     정답 : []
     정답률 : 57%

40. 쪽매방법 중 가장 튼튼하고 견고한 방법은?(2002년 10월)
     1. 제혀쪽매
     2. 빗쪽매
     3. 반턱쪽매
     4. 오늬쪽매

     정답 : []
     정답률 : 83%

41. 판재다리 맞춤에서 사용하지 않는 방법은?(2002년 10월)
     1. 연귀 맞춤에 삼각형 나무 보강
     2. 연귀 맞춤에 꽂음촉 보강
     3. 주먹장 맞춤
     4. 반턱맞춤

     정답 : []
     정답률 : 51%

42. 옆판을 천판에 접착시키는 방법 중 가장 좋은 것은?(2004년 10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3%

43. 대패질에서 거스러미를 없애는 방법으로 적당치 못한 것은?(2005년 01월)
     1. 대패를 약간 경사지게 하여 깎는다.
     2. 날을 잘 갈아서 쓴다.
     3. 어미날과 덧날을 잘맞게 조절한다.
     4. 깎는 각도를 작게한다.

     정답 : []
     정답률 : 39%

44. 탁자의 밑면과 가로재와의 맞춤상태를 나타낸 그림 중 가장 튼튼한 방법은?(2002년 10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9%

45. 두 각재의 맞춤 방법 중 가장 옳은 것은?(2004년 02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4%

46. 나무못으로 가장 부적당한 재료는?(2005년 01월)
     1. 대나무
     2. 버드나무
     3. 물참나무
     4. 미송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미송은 더러움을 잘 타고 진이 스며 나오며 갈라지기 쉬운 약점을 가지고 있다.
[해설작성자 : ㅎㅇ]

47. 둥근톱 기계 사용시 안내자 면과 둥근톱 사이 앞쪽이 좁으면 어떠한 현상이 일어나는가?(2003년 10월)
     1. 톱질된 목재가 톱날과 안내자 사이에 끼워지는 상태로 되어 반발하므로 위험하다.
     2. 가공한 재료의 나비가 고르지 못하다.
     3. 일정한 나비로 켜기가 잘된다.
     4. 톱날과 안내자 사이에 끼워져 기계의 회전이 멈추게 된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일어나는 현상으로 옳지 않은 것을 고르는게 맞는 거 같습니다. 정답은 3번입니다. 킥백,부재손상,과부하는 모두 발생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8. 반턱통맞춤의 변형으로 정밀을 요구하는 맞춤으로 맞추었을 때 틈이 보이지 않게 하는 맞춤은?(2004년 10월)
     1. 장부 통맞춤
     2. 주먹장 통맞춤
     3. 남김 주먹장 통맞춤
     4. 통맞춤

     정답 : []
     정답률 : 46%

49. 상자를 조립하려 할 때 가장 좋은 조립상태는?(2001년 10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9%

50. 조임쇠의 종류 중에서 가장 큰 구조물을 조일 수 있는 것은?(2003년 10월)
     1. 평행조임쇠
     2. C클램프
     3. 핸드스크루
     4. 스틸바

     정답 : []
     정답률 : 81%

51. 비교적 작업방법이 쉽고 기계를 사용하여 대량으로 가공이 용이하여 양산가구의 접합에 많이 사용되는 맞춤법은?(2002년 10월)
     1. 홈맞춤
     2. 연귀맞춤
     3. 주먹장맞춤
     4. 꽂음촉맞춤

     정답 : []
     정답률 : 55%

52. 나사못 접합시 나사못 머리와 부재면과 평탄하도록 사용되는 송곳은?(2005년 01월)
     1. 반달송곳
     2. 돌보송곳
     3. 세모송곳
     4. 접시송곳

     정답 : []
     정답률 : 51%

53. 빗 이음에서 이음길이는 재 춤의 몇배 정도로 하는가?(2005년 01월)
     1. 0.5 - 1.0배
     2. 1.5 - 2.0배
     3. 2.5 - 3.0배
     4. 3.0 - 3.5배

     정답 : []
     정답률 : 41%

54. 루우터 기계에서 날의 깊이를 조정하는 장치는?(2002년 10월)
     1. 테이블 상하조절 핸들
     2. 테이블 고정 손잡이
     3. 보조 페달
     4. 좌우 이동 핸들

     정답 : []
     정답률 : 83%

55. 장부맞춤의 순서로 옳은 것은?(2001년 10월)
     1. 마름질하기- 장부구멍파기- 장부켜기- 어깨자르기 - 조립하기
     2. 마름질하기- 어깨자르기- 장부켜기- 장부구멍파기 - 조립하기
     3. 마름질하기- 장부켜기- 어깨자르기 - 장부구멍파기 - 조립하기
     4. 마름질하기- 장부구멍파기- 어깨자르기 -장부켜기 - 조립하기

     정답 : []
     정답률 : 63%

56. 다음 그림의 접합에 대한 명칭은 어느 것인가?(2004년 10월)

    

     1. 턱솔 장부맞춤
     2. 턱 장부
     3. 반턱 맞춤
     4. 주먹 장부

     정답 : []
     정답률 : 62%

57. 싱글 에지벤더의 작업공정과정을 바르게 열거한 것은?(2003년 01월)
     1. 부재투입-본드도포-접착-에지절단-프레스-트리밍-수작업
     2. 부재투입-에지절단-본드도포-접착-트리밍-프레스-수작업
     3. 부재투입-트리밍-에지절단-본드도포-접착-프레스-수작업
     4. 부재투입-프레스-본드도포-접착-트리밍-에지절단-수작업

     정답 : []
     정답률 : 54%

58. 대팻날의 뒷날내기가 충분하지 않을때,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가?(2005년 01월)
     1. 대팻날과 덧날과의 사이에 틈이 생겨 대팻밥이 끼이게 된다.
     2. 덧날만 잘 연마되어 있다면 큰 문제는 없고, 약간의 거스러미가 생긴다.
     3. 대팻날만 잘 연마되면 거스러미는 생기지 않지만 약간 힘이든다.
     4. 대팻날과 덧날사이가 밀착이 되지 않아 대패질 면에 자국이 생긴다.

     정답 : []
     정답률 : 46%

59. 조임쇠의 종류중에서 가장 큰 구조물을 조일 수 있는 것은?(2005년 01월)
     1. 평행조임쇠
     2. C클램프
     3. 핸드스크류
     4. 스틸바

     정답 : []
     정답률 : 46%

60. 고주파 집성기의 특징을 서술한 내용 중 잘못된 것은?(2004년 02월)
     1. 급속히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2. 고주파 전원 차단과 동시에 즉시 냉각이 되며 살충, 살균의 효과가 있다.
     3. 균일 가열이 가능하므로 얇은 두께의 목재만 가능하다.
     4. 온도조절이 자유롭다.

     정답 : []
     정답률 : 76%


정 답 지

가구제작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228488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가구제작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임의 구분


1. 셀룰로이드나 아크릴판에 크기가 다른 원, 타원같은 기본도형을 뚫어놓은 판을 무엇이라 하는가?(2002년 10월)
     1. 템플릿
     2. 운형자
     3. 만능자
     4. 자유자

     정답 : []
     정답률 : 78%

2. 입체의 각 면을 1면 위에 펴서 그린 도면을 무엇이라 하는가?(2004년 02월)
     1. 투시도
     2. 상관체
     3. 전개도
     4. 음영도

     정답 : []
     정답률 : 90%

3. 해칭(Hatching)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5년 01월)
     1. 기본 중심선 또는 기선에 대하여 30°의 가는 실선을 긋는다.
     2. 같은 부품의 단면은 떨어져 있어도 해칭의 방향과 간격은 같게한다.
     3. 서로 인접하는 단면의 해칭은 각도 및 간격을 같게 해서는 안된다.
     4. 해칭선은 45°의 굵은 직선을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52%

4. 의장의 원리가 아닌 것은?(2001년 10월)
     1. 통일(Unity)
     2. 율동(Rhythm)
     3. 형태(Form)
     4. 균형(Balance)

     정답 : []
     정답률 : 68%

5. 그림과 같은 등축투상도의 우측면도는? (단, 화살표 방향이 정면임)(2003년 01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8%

6. 선을 긋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1년 10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0%

7. 단면 상세도를 그릴 때 표시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2001년 10월)
     1. 각 실의 면적
     2. 1층 바닥 높이
     3. 지붕 물매
     4. 창의 높이

     정답 : []
     정답률 : 76%

8. 등각투상도에서 3개의 축이 이루는 각도는 얼마인가?(2002년 01월)
     1. 60°
     2. 90°
     3. 120°
     4. 180°

     정답 : []
     정답률 : 85%

9. 투시도에서 물체를 보는 사람이 서 있는 위치를 지칭하는 기호는?(2001년 10월)
     1. S.P.
     2. V.P.
     3. P.P.
     4. H.L.

     정답 : []
     정답률 : 79%

10. 축척자(삼각 스케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4년 10월)
     1. 임의의 축척으로 도면을 작성할 때 사용된다.
     2. 1/100, 1/200, 1/300, 1/400, 1/500, 1/600의 6가지 축척이 있다.
     3. 1/10, 1/20, 1/30 등의 도면을 작도할 때도 사용된다.
     4. 길이를 재거나 길이를 줄여 그릴 때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11. 평면 구성을 할 때 일정한 길이의 선이나 형태가 규칙적으로 반복되었을 때 나타나는 효과는?(2003년 01월)
     1. 율동감
     2. 균형감
     3. 재질감
     4. 변화감

     정답 : []
     정답률 : 78%

12. 실내 공간에서 가구의 역할, 기능으로 틀린 것은?(2003년 01월)
     1. 실내공간과 사람을 연결시켜 주는 매개역할을 한다.
     2. 실내 공간 구성요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3. 가구의 배치는 사람의 행동에 영향을 준다.
     4. 실내의 전체적인 공간감과는 관련이 없다.

     정답 : []
     정답률 : 88%

13. 그림에서 A선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5년 01월)

    

     1. 파단선
     2. 단면선
     3. 절단선
     4. 가상선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파단선
-건조물 부재나 물건을 전부 나타낼 필요가 없는 경우 절제한 곳을 나타낼 때 쓰는 선.
[해설작성자 : 안정현]

14. 투시도의 작성법 중 구도를 결정할 때 시선의 각도는 몇 도 이내로 하는 것이 가장 자연스러운가?(2004년 02월)
     1. 15°
     2. 30°
     3. 45°
     4. 60°

     정답 : []
     정답률 : 58%

15. 선의 종류에서 절단선의 표현은?(2002년 10월)
     1. 실선
     2. 파선
     3. 일점쇄선
     4. 이점쇄선

     정답 : []
     정답률 : 65%

16. 목재의 인공건조에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은?(2001년 10월)
     1. 진공법
     2. 증기법
     3. 열기법
     4. 훈연법

     정답 : []
     정답률 : 81%

17. 통나무에서 어느방향이 수축율이 가장 큰가?(2001년 10월)
     1. 길이의 방향
     2. 둘레의 방향
     3. 부피의 방향
     4. 지름의 방향

     정답 : []
     정답률 : 81%

18. 목질부 보다는 약간굳고 단단한 부분이 되어 가공이 좀 불편하고 미관상 좋지 않으나 목재로 사용하는 데에는 별 지장이 없는 옹이는?(2002년 01월)
     1. 산옹이
     2. 죽은옹이
     3. 썩은옹이
     4. 옹이구멍

     정답 : []
     정답률 : 84%

19. 부패균에 의한 목재의 부패를 방지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2002년 01월)
     1. 온도를 4℃ 이하나 55℃ 이상으로 한다.
     2. 습도를 20% 이하나 80% 이상으로 한다.
     3. 물에 담가 공기를 차단한다.
     4. 도료로 표면 피복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20. 열경화성 수지의 특성이 아닌 것은?(2005년 01월)
     1. 내열성이다.
     2. 밀도가 크며 딱딱하다.
     3. 탄력성이 없고 부스러지기 쉽다.
     4. 가열하면 유동성이고 냉각시키면 다시 굳는다.

     정답 : []
     정답률 : 52%

2과목 : 임의 구분


21. 일반적으로 건조한 목재는 어느 것이 클수록 단단한가?(2005년 01월)
     1. 넓이
     2. 부피
     3. 무게
     4. 비중

     정답 : []
     정답률 : 57%

22. 추재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2002년 01월)
     1. 원형질이 적게 들어있다.
     2. 세포막이 두껍다.
     3. 암색을 띤다.
     4. 목질이 연하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수목의 나이테 중에서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서 형성된 부분.
세포가 막이 두껍고 모양이 작아 춘재에 비해 색이 짙고 비중이 크며 단단
[해설작성자 : 우드]

23. 활엽수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3년 01월)
     1. 잎이 넓적한 나무로 화려한 무늬가 있다.
     2. 나무에 따라 무늬결의 고유한 특성이 있다.
     3. 가구제작과 실내 장식용으로 많이 쓰인다.
     4. 연하고 탄력성이 있기 때문에 건축재로 많이 쓰인다.

     정답 : []
     정답률 : 85%

24. 목재의 부분 중 수분증발이나 흡수속도가 가장 빠른 곳은?(2003년 01월)
     1. 무늬결면
     2. 마구리면
     3. 곧은결면
     4. 선회면

     정답 : []
     정답률 : 86%

25. 나이테가 확실히 나타나는 나무는?(2001년 10월)
     1. 단풍나무
     2. 버드나무
     3. 소나무
     4. 마호가니

     정답 : []
     정답률 : 81%

26. 다음 수지 중 열경화성 수지에 속하지 않는 것은?(2003년 01월)
     1. 페놀수지
     2. 멜라민수지
     3. 실리콘수지
     4. 염화비닐수지

     정답 : []
     정답률 : 65%

27. 합판에 대한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2002년 10월)
     1. 함수율 변화에 따른 팽창· 수축이 적다.
     2. 큰 면적의 평면 재료를 얻을 수 있다.
     3. 균일한 강도의 재료를 얻을 수 있다.
     4. 단판의 매수는 홀수가 아니라도 된다.

     정답 : []
     정답률 : 83%

28. 다음 중 계절적으로 가장 좋은 죽재의 벌목시기는?(2002년 01월)
     1. 1월 하순부터 2월 사이
     2. 4월 하순부터 5월 사이
     3. 7월 하순부터 8월 사이
     4. 10월 하순부터 11월 사이

     정답 : []
     정답률 : 86%

29. 알루미늄에 대한 설명으로 적당치 않은 것은?(2004년 10월)
     1. 비중은 철의 1/3정도이다.
     2. 내식성이 우수하며 가공성도 양호하다.
     3. 용해주조도가 좋으며 내화성이 우수하다.
     4. 건축디자인상으로 우수한 재료이다.

     정답 : []
     정답률 : 61%

30. 접착력과 내약품성, 내균성이 우수하나 접착층이 착색되는 결함이 있는 접착제는?(2002년 10월)
     1. 페놀수지 접착제
     2. 요소수지 접찹제
     3. 에폭시수지 접착제
     4. 레조르시놀수지 접착제

     정답 : []
     정답률 : 59%

31. 목재 섬유자체의 실질 비중은 얼마인가?(2003년 01월)
     1. 0.82
     2. 0.95
     3. 1.25
     4. 1.54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물을 포함하지 않은 세포벽의 비중은 목재의 종류에 관계없이 약 1.5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2. 목재의 주요구성 세포 중 목세포의 비율로서 맞는 것은?(2004년 10월)
     1. 2∼ 5%
     2. 5∼ 15%
     3. 20∼ 30%
     4. 50∼ 70%

     정답 : []
     정답률 : 55%

33. 합판의 제법에서 원목을 얇게 톱으로 자른 단판으로 아름다운 나무결을 얻을 수 있는 베니어는?(2001년 10월)
     1. 로터리베니어
     2. 소우드베니어
     3. 슬라이드베니어
     4. 반원슬라이드베니어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o 로터리베니어 : 둥근 원목을 돌려서 벗겨낸 단판
o 소드 베니어 : 미리 필요한 나뭇결이 나타나도록 통나무로부터 각재를 취하고, 이것을 수직형 띠톱으로 뽑아낸것
o 슬라이드 베니어 : 상하로 운동하는 칼로써 얇게 절단되는 합판 표면에 곧은 결 등 아름다운 결을 장식적으로 이용하려 할 때 쓰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슬라이스드 베니어는 원목을 평행하게 얇기 슬라이스하여 나뭇결을 잘 보존하고 고급스러운 무늬를 제공한다.
정답은 2번입니다. 소드 베니어는 절삭률이 좋지 않아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J]

34. 마이타조인트의 특징으로 잘못된 것은?(2002년 01월)
     1. 볼트의 장착과 분리가 자유롭다.
     2. 강력한 구심력 작용으로 접합력이 우수하다.
     3. 접합의 각도가 90° ∼ 180° 까지 가능하다.
     4. 기능에 비해 가구형태에 대한 디자인이 다양하지 못하다.

     정답 : []
     정답률 : 70%

35. 섬유판의 주원료로 부적당한 것은?(2002년 10월)
     1. 볏짚
     2. 파지
     3. 목펄프
     4. 천연고무

     정답 : []
     정답률 : 74%

36. 톱날 어김의 적당한 수치는? (단,t는 톱몸의 두께)(2003년 10월)
     1. 1.0 ~ 1.3t
     2. 1.8 ~ 2.0t
     3. 1.3 ~ 1.8t
     4. 2.2 ~ 3.0t

     정답 : []
     정답률 : 64%

37. 공구를 사용할때 주의할 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2년 10월)
     1. 공구의 배열은 사용 순서대로 한다.
     2. 날을 너무 잘들게 연마하면 사고나기 쉬우므로 적당히 갈아써야 한다.
     3. 많은 공구를 다룰 때에는 서로 부딪치지 않도록 한다.
     4. 공구는 그 용도에 합당한 목적에만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88%

38. 목재 가공시 가장 큰 구멍을 수동적으로 뚫을 수 있는 공구는?(2002년 10월)
     1. 쥐이빨 송곳
     2. 접시 송곳
     3. 드릴
     4. 익스펜시브 송곳

     정답 : []
     정답률 : 70%

39. 그림과 같이 탁자 다리에 직각으로 막판을 맞추려 할 때 사용할 수 없는 맞춤법은? (단, A,B 두 부재는 동일 수평면상에 있는 같은 단면임)(2002년 10월)

    

     1. 턱장부 맞춤
     2. 내다지장부 맞춤
     3. 짧은장부 맞춤
     4. 지옥장부 맞춤

     정답 : []
     정답률 : 57%

40. 쪽매방법 중 가장 튼튼하고 견고한 방법은?(2002년 10월)
     1. 제혀쪽매
     2. 빗쪽매
     3. 반턱쪽매
     4. 오늬쪽매

     정답 : []
     정답률 : 83%

41. 판재다리 맞춤에서 사용하지 않는 방법은?(2002년 10월)
     1. 연귀 맞춤에 삼각형 나무 보강
     2. 연귀 맞춤에 꽂음촉 보강
     3. 주먹장 맞춤
     4. 반턱맞춤

     정답 : []
     정답률 : 51%

42. 옆판을 천판에 접착시키는 방법 중 가장 좋은 것은?(2004년 10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3%

43. 대패질에서 거스러미를 없애는 방법으로 적당치 못한 것은?(2005년 01월)
     1. 대패를 약간 경사지게 하여 깎는다.
     2. 날을 잘 갈아서 쓴다.
     3. 어미날과 덧날을 잘맞게 조절한다.
     4. 깎는 각도를 작게한다.

     정답 : []
     정답률 : 39%

44. 탁자의 밑면과 가로재와의 맞춤상태를 나타낸 그림 중 가장 튼튼한 방법은?(2002년 10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9%

45. 두 각재의 맞춤 방법 중 가장 옳은 것은?(2004년 02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4%

46. 나무못으로 가장 부적당한 재료는?(2005년 01월)
     1. 대나무
     2. 버드나무
     3. 물참나무
     4. 미송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미송은 더러움을 잘 타고 진이 스며 나오며 갈라지기 쉬운 약점을 가지고 있다.
[해설작성자 : ㅎㅇ]

47. 둥근톱 기계 사용시 안내자 면과 둥근톱 사이 앞쪽이 좁으면 어떠한 현상이 일어나는가?(2003년 10월)
     1. 톱질된 목재가 톱날과 안내자 사이에 끼워지는 상태로 되어 반발하므로 위험하다.
     2. 가공한 재료의 나비가 고르지 못하다.
     3. 일정한 나비로 켜기가 잘된다.
     4. 톱날과 안내자 사이에 끼워져 기계의 회전이 멈추게 된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일어나는 현상으로 옳지 않은 것을 고르는게 맞는 거 같습니다. 정답은 3번입니다. 킥백,부재손상,과부하는 모두 발생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8. 반턱통맞춤의 변형으로 정밀을 요구하는 맞춤으로 맞추었을 때 틈이 보이지 않게 하는 맞춤은?(2004년 10월)
     1. 장부 통맞춤
     2. 주먹장 통맞춤
     3. 남김 주먹장 통맞춤
     4. 통맞춤

     정답 : []
     정답률 : 46%

49. 상자를 조립하려 할 때 가장 좋은 조립상태는?(2001년 10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9%

50. 조임쇠의 종류 중에서 가장 큰 구조물을 조일 수 있는 것은?(2003년 10월)
     1. 평행조임쇠
     2. C클램프
     3. 핸드스크루
     4. 스틸바

     정답 : []
     정답률 : 81%

51. 비교적 작업방법이 쉽고 기계를 사용하여 대량으로 가공이 용이하여 양산가구의 접합에 많이 사용되는 맞춤법은?(2002년 10월)
     1. 홈맞춤
     2. 연귀맞춤
     3. 주먹장맞춤
     4. 꽂음촉맞춤

     정답 : []
     정답률 : 55%

52. 나사못 접합시 나사못 머리와 부재면과 평탄하도록 사용되는 송곳은?(2005년 01월)
     1. 반달송곳
     2. 돌보송곳
     3. 세모송곳
     4. 접시송곳

     정답 : []
     정답률 : 51%

53. 빗 이음에서 이음길이는 재 춤의 몇배 정도로 하는가?(2005년 01월)
     1. 0.5 - 1.0배
     2. 1.5 - 2.0배
     3. 2.5 - 3.0배
     4. 3.0 - 3.5배

     정답 : []
     정답률 : 41%

54. 루우터 기계에서 날의 깊이를 조정하는 장치는?(2002년 10월)
     1. 테이블 상하조절 핸들
     2. 테이블 고정 손잡이
     3. 보조 페달
     4. 좌우 이동 핸들

     정답 : []
     정답률 : 83%

55. 장부맞춤의 순서로 옳은 것은?(2001년 10월)
     1. 마름질하기- 장부구멍파기- 장부켜기- 어깨자르기 - 조립하기
     2. 마름질하기- 어깨자르기- 장부켜기- 장부구멍파기 - 조립하기
     3. 마름질하기- 장부켜기- 어깨자르기 - 장부구멍파기 - 조립하기
     4. 마름질하기- 장부구멍파기- 어깨자르기 -장부켜기 - 조립하기

     정답 : []
     정답률 : 63%

56. 다음 그림의 접합에 대한 명칭은 어느 것인가?(2004년 10월)

    

     1. 턱솔 장부맞춤
     2. 턱 장부
     3. 반턱 맞춤
     4. 주먹 장부

     정답 : []
     정답률 : 62%

57. 싱글 에지벤더의 작업공정과정을 바르게 열거한 것은?(2003년 01월)
     1. 부재투입-본드도포-접착-에지절단-프레스-트리밍-수작업
     2. 부재투입-에지절단-본드도포-접착-트리밍-프레스-수작업
     3. 부재투입-트리밍-에지절단-본드도포-접착-프레스-수작업
     4. 부재투입-프레스-본드도포-접착-트리밍-에지절단-수작업

     정답 : []
     정답률 : 54%

58. 대팻날의 뒷날내기가 충분하지 않을때,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가?(2005년 01월)
     1. 대팻날과 덧날과의 사이에 틈이 생겨 대팻밥이 끼이게 된다.
     2. 덧날만 잘 연마되어 있다면 큰 문제는 없고, 약간의 거스러미가 생긴다.
     3. 대팻날만 잘 연마되면 거스러미는 생기지 않지만 약간 힘이든다.
     4. 대팻날과 덧날사이가 밀착이 되지 않아 대패질 면에 자국이 생긴다.

     정답 : []
     정답률 : 46%

59. 조임쇠의 종류중에서 가장 큰 구조물을 조일 수 있는 것은?(2005년 01월)
     1. 평행조임쇠
     2. C클램프
     3. 핸드스크류
     4. 스틸바

     정답 : []
     정답률 : 46%

60. 고주파 집성기의 특징을 서술한 내용 중 잘못된 것은?(2004년 02월)
     1. 급속히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2. 고주파 전원 차단과 동시에 즉시 냉각이 되며 살충, 살균의 효과가 있다.
     3. 균일 가열이 가능하므로 얇은 두께의 목재만 가능하다.
     4. 온도조절이 자유롭다.

     정답 : []
     정답률 : 76%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가구제작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2284888)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2 폐기물처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9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461 의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8950506)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460 9급 지방직 공무원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6월1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459 9급 지방직 공무원 전기기기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5427679)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458 9급 국가직 공무원 화학공학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4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457 ERP 인사 2급 실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1월2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456 조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05월1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455 금속재료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3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454 지적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3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453 자연생태복원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1483920)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452 초음파비파괴검사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03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451 비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1659972) 좋은아빠되기 2025.11.22 4
45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건축계획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3월2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 가구제작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2284888)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448 경찰공무원(순경)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8월3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447 정보통신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2일)(3126561) 좋은아빠되기 2025.11.22 2
446 9급 국가직 공무원 컴퓨터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4월1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2
445 비서 3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5월1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444 조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3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2 1
443 미용사(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7583630)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Board Pagination Prev 1 ...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 351 Next
/ 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