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리눅스마스터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399720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리눅스마스터 1급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리눅스 실무의 이해


1. 운영체제의 발전 과정의 순서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2006년 09월)

   

     1. ㉮ → ㉯ → ㉰ → ㉱
     2. ㉮ → ㉱ → ㉰ → ㉯
     3. ㉱ → ㉯ → ㉮ → ㉰
     4. ㉱ → ㉯ → ㉰ → ㉮

     정답 : []
     정답률 : 35%

2.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리눅스 배포판으로 알맞은 것은?(2019년 03월)

   

     1. Knoppix
     2. BackTrack
     3. Kali Linux
     4. Linux Mint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Kali Linux 와 BackTrack 둘다 Offensive Security 에서 제작한 리눅스 이지만 Kali Linux는 BackTrack의 후속버전으로    데비안 기반 리눅스 입니다. (BackTrack은 Ubuntu 기반 리눅스 입니다)
[해설작성자 : 익명]

3. 자유 소프트웨어(Free Software)를 충족시키는 조건을 모두 고른 것으로 알맞은 것은?(2014년 03월)

   

     1. (ㄱ), (ㄴ)
     2. (ㄱ), (ㄴ), (ㄷ)
     3. (ㄱ), (ㄷ), (ㄹ)
     4.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자유 소프트웨어: 복사,개작 및 재배포 가능 리처드 스톨먼이 주창한개념 하지만 저작권자가 저작권을 포기한 소트웨어는 아니라는게 프리웨어와 다른점이다. 프리웨어는 저작권은 보유한 경우와 버린경우 두가지가 존재한다.     개작시에는 원저작권자의 성명과 저작권 공고를 삭제하거나 변경하여서는 안된다.

4. 다음 중 리눅스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2018년 03월)
     1. 리눅스는 이더넷(Ethernet), SLIP, PPP 등의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을 지원하며 TCP/IP, IPX 등의 네트워크 프로토콜도 지원한다.
     2. 리눅스는 다른 운영체제에 비해 이식성, 확장성 등이 뛰어나지만, 특정 하드웨어에 설치가 어렵고 모든 플랫폼에서 작동하지는 않는다.
     3. 리눅스는 서버, 개발용, PC용들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이에 따른 다양한 배포 판이 존재하며, 유료 버전과 무료 버전이 존재한다.
     4. 리눅스는 Windows FAT32, NTFS, 네트워크 파일시스템인 SMB, CIFS 등의 다양한 파일 시스템을 지원하지만, 시스템 충돌 및 전원 문제로 복구 가능한 저널링 파일시스템을 아직 지원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4번 저널링 파일시스템을 지원을 하고 대표적으로 Ext3, JFS, XFS, reiserfs 등 여러가지 파일 시스템들이 존재 합니다.
[해설작성자 : 지나가다 공부한 사람 ]

5. 리눅스 개발에 영향을 주었던 오픈소스 운영체제인 교육용 유닉스는?(2006년 09월)
     1. HP-UX
     2. MINIX
     3. XENIX
     4. MULTICS

     정답 : []
     정답률 : 67%

6. 다음 그림에 해당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2022년 03월)

   

     1. xhost
     2. xauth
     3. xrandr
     4. xmodmap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ㅇ 명령어 설명
    - xhost : X 서버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는데 사용,
                     기본적으로 X 서버를 시작한 사용자만 연결할 수 있으며
                     xhost 명령을 사용하여 다른 사용자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하거나 거부할 수 있다
    - xauth : X 서버에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인증 쿠키를 관리하는 데 이용,
                    쿠키는 서버에 연결하는 클라이언트의 신원을 확인하는 데 사용
    - xrandr : 그래픽 환경에서 화면 해상도, 방향 및 기타 다양한 화면 설정을 구성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
    - xmodmap : X 윈도우 시스템에서 키 매핑과 버튼 바인딩을 수정하는 데 사용
ㅇ 그림 문구 내용
     access control enabled, only authorized clients can connect
     액세스 제어 활성화, 승인된 클라이언트만 연결할 수 있음
ㅇ 결과 : xhost 에 해당
[해설작성자 : 정추]

7. 부트 매니저(Boot Manager)란 부팅할 때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다양한 운영체제 중 본인이 필요로 하는 운영체제를 선택하여 부팅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다음 중 부트 매니저가 아닌 것은?(2008년 03월)
     1. 리눅스의 LILO
     2. OS/2의 부트 관리 프로그램
     3. 윈도우즈 98의 msdos.sys
     4. 유닉스의 MBR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MBR은 부트 매니저가 아닌 부트 섹터
[해설작성자 : 큰일남]

8. 다음 중 리눅스 시스템을 리부팅 하기위한 명령어와 거리가 가장 먼 것은?(2005년 09월)
     1. init 0
     2. init 6
     3. reboot
     4. shutdown -r now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1. init 0: 시스템 종료
2. init 6: 시스템 재부팅
3. reboot: 시스템 재부팅
4. shutdown -r now: '-r' <-- 시스템 재부팅
[해설작성자 : 분경지원]

9. 레드햇 리눅스와 국내 리눅스 배포판에서 적용되는 부팅디스켓을 만드는 과정의 순서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무엇인가?(2009년 03월)

   

     1. 가-나-다
     2. 나-가-다
     3. 나-다-가
     4. 다-나-가

     정답 : []
     정답률 : 63%

10. 현재 리눅스를 비롯하여 유닉스의 대부분이 이 프로젝트 기반의 X윈도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으며, freedesktop.org와 함께 X윈도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있는 곳으로 알맞은 것은?(2017년 03월)
     1. x-window.org
     2. x-win.org
     3. x.org
     4. x-window.com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x.org : 리눅스를 비롯하여 유닉스의 대부분이 이 프로젝트에서 개발된 X.org.server을 사용하고 있으며, freedesktop.org와 함께 X 윈도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수험생]

11. 다음 중 X 서버에 접속이 허가된 192.168.10.100의 접근 목록을 제거하려고 할 때 알맞은 것은?(2016년 03월)
     1. xhost 192.168.10.100
     2. xhost + 192.168.10.100
     3. xhost - 192.168.10.100
     4. xhost del 192.168.10.100

     정답 : []
     정답률 : 63%

12. 다음 중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쉘과 그 설명이 가장 알맞게 설명된 것은?(2008년 03월)
     1. Bourne Shell : 프로그램 이름은 sh 이며, 오랜 시간 동안 모든 유닉스 시스템의 표준 구성요소이지만 C쉘이나 콘 쉘과 비교해 보았을때 기능적인 면에서 미흡하다.
     2. C Shell : 프로그램 이름은 csh 이며, C 언어로 제작된 쉘로서 현재 리눅스 배포판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3. Bash Shell : 프로그램 이름은 bash 이며, csh 호환의 명령언어 해석기로서 현존하는 다양한 쉘중에서 가장 역사가 오래된 쉘이다.
     4. Korn Shell : 프로그램 이름은 ksh 이며, 사용이 편리하고 기능이 탁월한 장점이 있으나 명령행 편집기능을 제공하지 않고, c shell, bourne shell 등과 호환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39%

13. 현재 사용 중인 sh 쉘을 csh 쉘로 변경하고자 할 때의 명령으로 맞는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06년 09월)
     1. su csh
     2. cp sh csh
     3. sh
     4. csh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4.csh -> 4.chsh

14. 다음 프로세스 상태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2009년 09월)
     1. 실행 상태 : 프로세서를 할당받은 상태
     2. 준비 상태 : 필요한 자원들을 할당받고 프로세서를 요청하고 있는 상태
     3. 생성 상태 : 프로세서가 기억장치를 할당받지 못하고 있는 상태
     4. 대기 상태 : 임의의 자원을 요청한 후 할당 받을 때까지 기다리고 있는 상태

     정답 : []
     정답률 : 69%

15. 프로세스 스케줄링 방법 중 RR(Round-Robin)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7년 08월)
     1. 시간할당량이 작을 경우 문맥교환에 따른 오버헤드가 커진다.
     2. 대화형 시스템이나 시분할 시스템에 적합한 방식이다.
     3. 처리하여야 할 작업의 양이 가장 작은 프로세스에게 cpu를 할당하는 기법이다.
     4. FIFO 방식으로 선점(preemptive)형 기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라운드 로빈 스케줄링(Round Robin Scheduling, RR)은 시분할 시스템을 위해 설계된 선점형 스케줄링의 하나로서, 프로세스들 사이에 우선순위를 두지 않고, 순서대로 시간단위(Time Quantum/Slice)로 CPU를 할당하는 방식의 CPU 스케줄링 알고리즘입니다.
선전형 스케줄링의 하나로 시분할 시스템을 위해 설계됨
[해설작성자 : 하이퍼동바]

16. 다음 설명은 OSI7Layer중 어느 계층에 대한 설명인가?(2010년 03월)

    

     1.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2.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3.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4.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Data Link Layer
- 오류없이 한 장치에서 다른 장치로 프레임(Frame, 비트의 모음)을 전달하는 역할

Network Layer
- 다중 네트워크 링크에서 패킷(Packet)을 발신지로부터 목적지로 전달할 책임을 갖는다.

Transport Layer
- 전체 메시지를 발신지 대 목적지(종단 대 종단)간 제어와 에러를 관리한다.
[해설작성자 : 정재희]

17. 다음 중 브리지(Bridg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0년 03월)
     1. 2개의 근거리 통신망(LAN)을 상호 접속해주는 통신망 연결 장치이다.
     2. OSI참조모델의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동작 한다.
     3. 프로토콜이 다른 통신망을 상호 접속하기 위한 장치이다.
     4. 접속된 LAN사이의 통신량을 조정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프로토콜이 같거나 유사한 통신망을 상호 접속하기 위한 장치
[해설작성자 : 정재희]

18. 다음이 나타내는 클래스로 알맞은 것은?(2012년 09월)

    

     1. 클래스 A : 국가나 대형 통신망에 배정된다.
     2. 클래스 B : 캠퍼스 전산망과 같은 중대형 통신망에 배정된다.
     3. 클래스 C : 소규모 통신망에 배정된다.
     4. 클래스 D,E : 배정이 유보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IP Class
A Class : 00000000 | 0 ~ 127
B Class : 10000000 | 128 ~ 191
C Class : 11000000 | 192 ~ 223
D Class : 11100000 | 224 ~ 239
E Class : 11110000 | 240 ~ 255

19. 다음에서 설명하는 파일로 알맞은 것은?(2016년 09월)

    

     1. /etc/resolv.conf
     2. /etc/sysconfig/network
     3. /etc/hosts
     4. /etc/sysconfig/network-scripts

     정답 : []
     정답률 : 62%

20. 표준 C Class IP 주소 255개를 부여받아서, 서브넷 마스크 주소를 255.255.255.192 를 사용하고자 한다. 이 때, 사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의 개수로 알맞은 것은?(단, Zero Subnetting 기준의 개수로 한다.)(2005년 03월)
     1. 1 개
     2. 2 개
     3. 4 개
     4. 8 개

     정답 : []
     정답률 : 43%

2과목 : 리눅스 시스템 관리


21. 다음 중 su 명령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1월)
     1. su 명령에 사용자 계정이 주어지지 않을 경우 슈퍼 유저인 root로 설정된다.
     2. 하나 이상의 계정을 갖고 있는 경우, 다른 계정으로도 변경할 수 있다.
     3. 계정변경 후 원래의 계정으로 돌아오기 위해서 quit 명령어를 사용한다.
     4. 일반계정으로 접속하여 루트의 권한을 획득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su(substitute user)
-사용자와 그룹 ID를 교체하여 쉘을 실행한다.
-로그인을 다시 하지 않고 다른 계정을 사용할 때 쓰인다.
-USER가 지정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슈퍼 유저인 root로 설정된다.
-실행되는 쉘은 USER의 패스워드 목록에서 찾아오거나 없으면 /bin/sh를 수행한다.
-기본적으로 이 쉘은 로그인 쉘이 아니기 때문에 쉘 환경 설정을 기존 사용자의 것을 사용한다.
-원래의 계정으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exit 명령을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미나리나물]

22. 사용자 aaa가 로그인을 하지 못하도록 하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닌 것은?(2011년 03월)
     1. [root@ihd /]# userdel aaa
     2. [root@ihd /]# vi /etc/passwd 해서 로그인 이름이 aaa인 라인을 삭제하고 저장
     3. [root@ihd /]# passwd -l aaa
     4. [root@ihd /]# \rm -rf /home/aaa

     정답 : []
     정답률 : 59%

23. 다음 명령의 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2019년 03월)

    

     1. bash 프로세스의 NI 값을 -10으로 변경한다.
     2. bash 프로세스의 NI 값을 10으로 변경한다.
     3. bash 프로세스의 NI 값을 10만큼 감소시킨다.
     4. bash 프로세스의 NI 값을 10만큼 증가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 : 증가
-- : 감소
[해설작성자 : 쭝이]

24. 다음 중 패스워드 파일(/etc/passwd)에서 확인 할 수 있는 항목으로 묶여진 것은?(2003년 06월)

    

     1. (가), (나), (다), (마), (바)
     2. (가), (나), (다), (라), (바)
     3. (가), (나), (다), (라), (마)
     4. (가), (나), (라), (마), (바)

     정답 : []
     정답률 : 50%

25. 다음 중 사용자 계정을 일시적으로 로그인하지 못하도록 할 때 유용한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2012년 03월)
     1. passwd
     2. userdel
     3. su
     4. sudo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passwd -l binbin =>    입력한 binbin 사용자 계정을 일시적으로 로그인 할 수 없다.(패스워드 Lock 기능)
[해설작성자 : 빈빈]

26. 월, 수, 금요일 오후 4시 30분에 백업 스크립트가 동작하도록 cron을 설정하는 과정이다. 다음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8년 09월)

    

     1. 4 30 * * 1,3,5
     2. 30 4 * * 1,3,5
     3. 16 30 * * 1,3,5
     4. 30 16 * * 1,3,5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cron은 우리가 쓰는 시간순서 거꾸로 보시면됩니다.
30분 → 30, 오후4시(16) → 16, 월수금 → 1,3,5 * 0부터 일요일
따라서 4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방구석클래식]

27.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2023년 03월)

    

     1. ln /var/www/html /usr/local/apache/htdocs
     2. ln –s /var/www/html /usr/local/apache/htdocs
     3. ln /usr/local/apache/htdocs /var/www/html
     4. ln –s /usr/local/apache/htdocs /var/www/html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ln 명령은 링크 파일을 만드는 명령어이며 -s 옵션을 사용하지 않으면 하드링크 사용할 경우 심벌릭 링크를 만든다.
ln [옵션] [접근하려는 디렉터리] [지정해주는 디렉터리 명] 의 형식으로 사용
디렉토리의 경우 하드 링크를 만들 수 없고 심볼릭 링크 만을 만들 수 있다.
[해설작성자 : 해설을 쓰다보면 암기가 되지 않을까]

28. 다음 중 디렉터리 안에 숨겨진 파일을 포함한 모든 리스트 상세정보를 아이노드 번호와 함께 출력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2017년 03월)
     1. ls -alF
     2. ls -ali
     3. ll
     4. ls –sAil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a : 모든
l : 리스트
i : 아이노드
[해설작성자 : 한방호랑이]

29.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명령어의 출력 결과로 알맞은 것은?(2018년 03월)

    

     1. /home/ihduser
     2. /etc
     3. /
     4. ~/etc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pwd : 현재디렉토리의 위치를 알려달라는 명령어
cd(change directory)명령어로 수행되지 않는 이상 현재에 머문다.
[해설작성자 : 내일 시험]

직접 리눅스에서 확인을 한 결과 입니다.
ㅇ SU 명령어는 환경설정을 바뀌지 않습니다
     즉 SU로 사용자 변경을 했을 경우는 명령어 입력 디렉토리가 유지 됩니다.
ㅇ SU - 명령어를 사용했다면 변경되는 유저의 HOME 디렉토리로 가는 것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리눅스초보]

30. 다음 조건에 맞게 수행하려고 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조합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2014년 09월)

    

     1. chown, chgrp
     2. lsattr, chattr
     3. chgrp, chmod
     4. getfacl, setfacl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setfacl 명령으로 파일의 소유자나 그룹을 더 만들고 다양한 퍼미션을 줄수 있다.
getfacl 로 추가된 퍼미션을 확인할 수 있다.

31. 기존의 리눅스 시스템에 새로운 HDD를 추가하는 순서를 알맞게 나열한 것은?(2011년 09월)

    

     1. ㉰-㉲-㉮-㉯-㉳-㉱
     2. ㉳-㉰-㉲-㉮-㉯-㉱
     3. ㉳-㉮-㉯-㉰-㉲-㉱
     4. ㉮-㉳-㉲-㉰-㉱-㉯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하드 디스크 인식 여부 확인 - 파티션 분할 및 생성 - 파일 시스템 생성 - 사용하려는 디렉토리 생성 - 마운트 - 관련 파일 등록하기(설정)
[해설작성자 : 수험생]

32. 시그널과 가장 관련이 적은 시스템 호출은?(2010년 09월)
     1. signal
     2. creat
     3. kill
     4. sigaction

     정답 : []
     정답률 : 55%

33. 다음 중 yum을 이용해서 telnet이라는 문자열이 들어있는 패키지를 검색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2020년 10월)
     1. yum -f telnet
     2. yum search telnet
     3. yum -search telnet
     4. yum --search telnet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no such option: -f 옵션이 존재하지 않음.
2.search                 Search package details for the given string
3.no such option: -search 옵션이 존재하지 않음.
4.no such option: --search 옵션이 존재하지 않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4. ihd사용자가 소유한 하나의 프로세스가 계속해서 프로세스를 무한정 생성하는 것을 발견하여 ihd 사용자의 모든 프로세스를 종료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이 조치를 취하였다.( )안에 들어갈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2010년 03월)

    

     1. -V
     2. -u
     3. -l
     4. -q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killall 옵션
-V --version = 버전 정보
-u --user        = 사용자의 모든 프로세스 종료
-l --list        = 알려진 모든 시그널 이름 목록을 보여준다.
-q --quiet     = 프로세스가 죽지 않아도 불평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정재희]

35. vi 에디터로 편집 하던 중 잠시 다른 작업을 하기 위해서 Ctrl-z 키를 사용하여 빠져나왔다. 작업을 마친 후, 다시 vi 에디터의 편집 작업으로 돌아가기 위한 명령은?(2003년 01월)
     1. fg
     2. bg
     3. vi
     4. back

     정답 : []
     정답률 : 25%

36.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수 있는 파일명으로 알맞은 것은?(2019년 09월)

    

     1. httpd-2.4.41.tar.bz2
     2. httpd-2.4.41.tar.Z
     3. php-5.6.40.tar.xz
     4. mysql-boost-5.7.27.tar.gz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J: .tar.xz 형식의 파일을 지정
x: 압축 해제
v: 처리되는 과정을 출력
f: 압축을 풀 대상파일 지정

추가로
.tar : 디폴트(추가옵션 필요X)
.tar.bz2(=.tb2/.tbz/.tbz2) : tar jxvf <파일이름>.tar.bz2
.tar.Z : uncompress <파일이름>.tar.Z && tar xvf <파일이름>.tar
.tar.xz : tar Jxvf <파일이름>.tar.xz
.tar.gz : tar zxvf <파일이름>.tar.gz
[해설작성자 : 깡식]

37. dpkg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7년 05월)
     1. 특별한 패키지의 정보를 알려준다.
     2. 특별한 패키지의 내용을 알려준다.
     3. 시스템에 설치된 패키지의 목록을 알려준다.
     4. 의존성 체크 기능은 우수하지 못하다.

     정답 : []
     정답률 : 62%

38. 지워진 파일을 복구할 때 취할 수 있는 행동으로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2006년 09월)
     1. 덤프된 디렉토리를 분석한다.
     2. 지워진 파일이 있는 파티션을 언마운트한다.
     3. 지워진 파일이 있는 파티션에 파일을 복사하여 그 파일이 정상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4. 지워진 디렉토리의 inode 번호들을 찾는다.

     정답 : []
     정답률 : 19%

39. 다음은 현재 디렉터리 안에 존재하는 C 언어 파일을 기존에 생성되어 있던 text.tar 파일에 묶는 과정이다.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23년 03월)

    

     1. cvf
     2. xvf
     3. tvf
     4. rvf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1. cvf: 상세 내용을 표시하고 text.tar 명으로 압축 생성
2. xvf: 상세 내용을 표시하고 압축 해제
3. tvf: 지정된 archive의 목록 출력
기존에 생성되어 있던 text.tar 파일에 다시 압축하는 것이기 때문에 4번이 정답
[해설작성자 : uchtt]

40. 다음 중 설명에 맞는 ( 괄호 ) 안에 들어갈 chmod 명령어의 인자값으로 알맞은 것은?(2018년 03월)

    

     1. g+x
     2. u=rw-
     3. 775
     4. 551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ls -ld에서는 x(execution)가 모두 들어가 실행이 가능하지만, file1에서는 x 권한이 주어지지 않아 실행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삭제 또한 되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file1에 실행 권한인 x를 추가로 부여하면 file1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chmod로 권한을 부여할 경우 r이 4, w가 2, x가 1이 들어가므로, rwx=7, rwx=7, rx=5로 775가 들어가게 됩니다.
[해설작성자 : 리눅스마스터1급수험생]

file1에 x권한이 주어지지 않아서 삭제가 안되는 것이 아닙니다. file1 파일이 위치하고 있는 디렉터리(ls -ld로 조회한 디렉터리)에 w 권한이 없기 때문에 삭제가 안되는 것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보기가 잘못되었든 문항이 잘못되었든 아래와 같이 ./를 입력해야 합니다.
chmod 775 ./

잘 모르는 사람이 보면 "chmod 775" 이거나 "chmod 775 file1"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1트합시다]

[관리자 입니다.
실제 문제 확인해 봤는데
그냥 chmod로 되어 있습니다.
참고 부탁 드립니다.]

그러면 문제가 잘못되었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root@virtualbox file]# pwd
/root/file

[root@virtualbox file]# ls -ld
d---------. 2 root root 6 Feb 26 19:20 .

[root@virtualbox file]# chmod 755
chmod: missing operand after ‘755’
Try 'chmod --help' for more information.

[root@virtualbox file]# ls -ld
d---------. 2 root root 6 Feb 26 19:20 .

[root@virtualbox file]# chmod 755 ./

[root@virtualbox file]# ls -ld
drwxr-xr-x. 2 root root 6 Feb 26 19:20 .
[해설작성자 : 1트합시다]

[오류신고 반론]
문제가 잘못된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명렁어 실행 환경에 따라 "." 이나 "./" 를 생략해도 현재 디렉토리에 적용됩니다.
[해설작성자 : ㅇㅇ]

41. 다음 중 커널 컴파일을 위한 커널 설정 명령이 아닌 것은?(2003년 10월)
     1. make install
     2. make config
     3. make xconfig
     4. make menuconfig

     정답 : []
     정답률 : 27%

42. lin.txt라는 문서를 lp라는 이름을 가진 프린터로 2장 출력하는 과정이다.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2019년 09월)

    

     1. lp
     2. lpr
     3. lpq
     4. lpc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Ip: -n NUM 옵션을 사용함
Ipr: # NUM
[해설작성자 : 듣보잡]

43. 프로그램이 실행 중에도 hangup 신호와 무관하게 계속 실행되게 하기위한 방법으로 알맞은 것은?(2009년 03월)
     1. nohup 명령 뒤의 인수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2. nice 명령으로 스케쥴링 우선권을 가장 높은 값인 -20으로 조정한다.
     3. kill 명령으로 SIGHUP 신호를 보낸다.
     4. crontab 명령으로 그 프로세스의 PID를 /etc/crontab 테이블에 신규로 저장한다.

     정답 : []
     정답률 : 49%

44. 리눅스 커널 매커니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7년 05월)
     1. insmod 명령을 사용하여 수동으로 모듈을 커널에 추가할 수 있다.
     2. 운영체제를 구성하는 컴포넌트는 필요할 때마다 동적으로 언로드(unload) 할 수 있다.
     3. 모듈이 더 이상 사용되지 않을 경우, umount 에 의해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제거된다.
     4. 커널은 모듈을 로드할 때, 엄격한 버전 검사를 통해 선택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30%

45. 리눅스 커널을 계속적으로 업그레이드하여 컴파일 해야 하는 이유로 틀린 것은?(2013년 03월)
     1. 버그를 수정하고 속도를 개선
     2. 새로운 하드웨어의 지원
     3. 시스템 관리 능력의 개선
     4. 라이브러리 패키지의 버전 업데이트

     정답 : []
     정답률 : 50%

46. 리눅스 커널 소스의 컴파일 명령어를 순서 없이 나열한 것이다.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된 것은?(2004년 10월)

    

     1. 나-다-라-가-마-바
     2. 가-나-다-라-마-바
     3. 라-나-다-가-마-바
     4. 나-다-가-라-마-바

     정답 : []
     정답률 : 32%

47. 현재 리눅스 커널 컴파일시 사용가능한 네트워크 옵션으로 틀린 것은?(2008년 06월)
     1. TCP/IP Version 6
     2. Wibro
     3. IPX/SPX
     4. Apple Talk

     정답 : []
     정답률 : 37%

48. 다음 중 전통적으로 Sys V 계열 유닉스에서 사용했던 프린터 관련 명령어로 틀린 것은?(2017년 09월)
     1. lp
     2. lpr
     3. lpstat
     4. cancel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System V 계열 명령어 : lp, lpstat, cancel
BSD 계열 명령어: lpr, lpq, lprm, lpc
[해설작성자 : 훈스]

49.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리스트를 출력해 주는 명령어는?(2006년 09월)
     1. fdisk
     2. ls
     3. quota
     4. fsck

     정답 : []
     정답률 : 69%

50. 다음 중 프린터 명령어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09월)
     1. lpq : 프린트 작업 상태를 점검
     2. lprm : 실행한 프린트 작업을 취소
     3. lpr : 쉘 프롬프트에서 프린터로 파일을 인쇄
     4. ldd : 프린트 공유설정을 인쇄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ldd: 프로그램이나 공유 라이브러리들이 요구하는 공유 라이브러리(shared libraries)를 출력하는 명령 행(Command Line)프로그램이다.
[해설작성자 : KTH]

51. 다음에 제시된 조건으로 rsyslog.conf에 설정하려고 할 때 알맞은 것은?(2017년 09월)

    

     1. mail.*;info.!=mail /var/log/maillog
     2. mail.*;mail.!=info /var/log/maillog
     3. mail.*;mail.info /var/log/maillog
     4. mail.*;info.none /var/log/maillog

     정답 : []
     정답률 : 55%

52. 다음 중 로그 파일의 설명이 틀린 것은?(2008년 03월)
     1. /var/log/messages : syslogd의 로그
     2. /var/log/dmesg : 사용자 로그인의 로그
     3. /var/log/mailog : sendmail의 로그
     4. /var/log/boot.log : 부팅시의 로그

     정답 : []
     정답률 : 66%

53. ssh 명령을 사용하여 다른 시스템에 패스워드 없이 바로 로그인이 가능하도록 설정하려고 한다. 다음 중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9년 09월)

    

     1. ㉠ : ./ssh/id_rsa ㉡ : ./ssh/authorized_keys
     2. ㉠ : ./ssh/authorized_keys ㉡ : ./ssh/id_rsa
     3. ㉠ : ./ssh/id_rsa.pub ㉡ : ./ssh/authorized_keys
     4. ㉠ : ./ssh/authorized_keys ㉡ : ./ssh/id_rsa.pub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ㅇ ssh 명령을 사용하여 다른 시스템에 패스워드 없이 바로 로그인이 가능하도록 설정
     # scp ./ssh/id_rsa.pub ihd.or.kr:./ssh/authorized_keys

ㅇ ssh 원격 접속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한 SecureCopy(scp)의 약자로서 원격지에 있는 파일과
     디렉터리를    보내거나 가져올 때 사용하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입니다.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는 환경에서 ssh와 동일한 22번 포트와 identity file을 사용해서
     파일을 송수신하기 때문에 보안적으로도 안정된 프로토콜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Local ( 로컬 ) ----> Remote (원격지)
         scp [옵션] [파일명] [원격지_id]@[원격지_ip]:[받는 위치]
         예) 단일파일
                        scp testfile2 root@192.168.159.129:/tmp/testclient
                 여러개 파일
                        scp tesfile1 testfile2 root@192.168.159.129:/tmp/testclient
                 여러 파일을 포함하고 있는 디렉터리를 원격지로 보낼 때.
                     scp -r testgogo root@192.168.159.129:/tmp/testclient

            r 디렉토리 내 모든 파일/디렉토리 복사 scp -r
            p (소문자)    원본 권한 속성 유지 복사    scp -p
            P (대문자)    포트 번호 지정 복사 scp -P [포트번호]
            c (소문자)    압축 복사 scp -c
            v 과정 출력 복사    scp -v
            a 아카이브 모드 복사    scp -a

     Remote ( 원격지 ) ---> Local ( 로컬 )
         scp [옵션] [원격지_id]@[원격지_ip]:[원본 위치] [받는 위치]
         예) 단일 파일을 원격지에서 로컬로 가져올 때
                     scp root@192.168.159.129:/tmp/testclient/testfile2 /tmp
                 복수의 파일을 원격지에서 로컬로 가져올 때
                     " " ( 큰따옴표 )로 묶어주는 거 기억
                     scp root@192.168.159.129:"/tmp/testclient/testfile2 /tmp/testclient/testfile3" /tmp
                 여러 개의 파일을 포함하는 디렉터리 원격지에서 로컬로 가져올 때
                     scp -r root@192.168.159.129:/tmp/testclient/testgogo /tmp
[해설작성자 : 정추]

54. 갑작스런 장애발생시 시스템의 로컬외에 모든 외부 접속을 차단하는 방법으로 알맞은 것은?(2013년 03월)
     1. /etc/nologin
     2. /etc/securetty
     3. /etc/passwd
     4. /etc/shadow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etc/nologin : root 사용자를 제외한 모든 사용자와 외부 접속을 차단합니다.
[해설작성자 : 수험생]

/etc/securetty 파일은 루트가 로그인 가능한 터미널 장치들을 나열해 둔 것임.

예시)
tty1
tty2
tty3
tty4
tty5
tty6
tty7
tty8

pts/0
pts/1

주석 처리시 해당 터미널 사용 불가.(ex. #pts/0)
[해설작성자 : Hewlett Packard Enterprise 지원 센터]

55. 다음은 /var/log/xferlog 파일의 구성에 관한 설명이다.(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20년 10월)

    

     1. ㉠ direction, ㉡ access-mode, ㉢ _
     2. ㉠ direction, ㉡ completion-status, ㉢ !
     3. ㉠ transfer-type, ㉡ access-mode, ㉢ !
     4. ㉠ transfer-type, ㉡ completion-status, ㉢ _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ㅇ xferlog : FTP 등을 통해 파일이 전송된 기록이 저장된 로그 파일
ㅇ 설정파일
    # vi /etc/vsftpd/vsftpd.conf
        xferlog_enable=YES
        #xferlog_file=/var/log/xferlog
ㅇ 파일구성
(Thu May 17 11:54:41 2018) (6) (q.fran.kr) (1234567) (/home/user/test1.mp3) (b) (_) (i) (r) (itwiki) (ftp) (0) (*) (c)

ㅇ 항목설명
1. 전송 날짜와 시간 : (Thu May 17 11:54:41 2018)
2. 전송 시간 : (6)초
3. 원격 호스트 주소 : (q.fran.kr)
4. 전송된 파일의 크기 : (1234567)바이트
5. 전송 파일명-파일의 전체경로 : (/home/user/test1.mp3)
6. 전송 파일 유형 : (b) 2가지가 존재
    a=ascii(문자, 텍스트)
    b=binary(파일)

문제의 ㉢ 에 해당
7. special-action-flag 액션플래그 : (_)
    _=행위가 일어나지 않음
    C=파일이 압축된 경우
    U=파일이 압축되지 않은 경우
    T=tar로 묶여 있음

문제의 ㉠ 에 해당
8. Direction 전송 방향 : ( i ) 종류는 i,o,d.
    (*) 전송된 지시를 나타내는 영역
    i = 파일을 업로드하여 서버로 들어오는 것(incoming)
    o =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서버에서 나가는 것(outgoing)
    d = 파일을 삭제(delete)
    
문제의 ㉡ 에 해당
9. access-mode 엑세스 모드 : ( r ) 사용자가 접근한 방식이나 형태를 나타내는 것
    (*) 사용자가 어떤 형태로 login 했는지를 나타내는 영역
    종류: r,a,g
    r = 시스템의 사용자 계정
    a = 익명사용자(anonymous)
    g = 비밀번호가 있는 게스트 계정

10. 사용자명 : ( itwiki ) 로그인한 사용자명
11. 서비스명 : ( ftp ) 호출된 서비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FTP
12. 사용자의 인증 방식 : (0) 사용자의 인증 방법
    0인 경우 없음을 나타내고 1인 경우 RFC 931 authentication
13. 인증 사용자 ID : ( * ) 인증 메소드가 되돌려주는 사용자 ID.
        *는 인증된 사용자 ID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14. 완료 상태 : ( c ) 전송의 완료 상태
    c = 전송이 완료된 상태. (complete)
    i - 전송이 실패된 상태. (incomplete)
[해설작성자 : 정추]

56. 다음 중 grub 셸 프롬프트에서 암호화된 패스워드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2017년 09월)
     1. md5
     2. md5sum
     3. md5crypt
     4. crypt

     정답 : []
     정답률 : 48%

57. 저널링 파일시스템을 사용함으로서 얻을 수 있는 특징으로 틀린 것은?(2005년 09월)
     1. 파일 복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2. 파일을 저장전 저널링 시스템은 로그를 기록하여, 향후 장애에 대비한다.
     3. ext3저널링 시스템은 파일복구를 위해, 슈퍼블록, 비트맵, inode를 모두 검사한다.
     4. 파일 시스템영역은 관리 영력과 테이터 영역으로 구성된다.

     정답 : []
     정답률 : 48%

58. 다음 중 재부팅(reboot)한 기록을 가장 쉽게 확인할 수있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2018년 09월)
     1. last
     2. lastb
     3. lastlog
     4. dmesg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last : 모든 사용자의 로그인과 재부팅 로그를 출력 (로그파일위치 /var/log/wtmp)
lastb : 접속 실패 기록 보기 (/var/log/btmp 로그를 보여주는 명령어)
lastlog : 전체 계정에 대한 마지막 접속 로그 보기
[해설작성자 : 쭝이]

59. 리눅스에서 백업(backup) 요령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7년 05월)
     1. 백업 테이프는 가급적 컴퓨터가 있는 장소에 함께 보관한다.
     2. 백업을 한 후에는 백업 테이프에 쓰기 방지를 해 둔다.
     3. 중요한 백업 자료는 암호화를 해 둔다.
     4. 가끔씩 백업 테이프의 상태를 확인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60. 다음 중 dump를 이용한 백업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03월)
     1. 파티션 단위의 백업을 지원한다.
     2. 복원은 restore 명령을 사용한다.
     3. /etc 등 디렉토리 단위의 백업을 지원한다.
     4. 전체 백업 뿐만 아니라 증분백업도 지원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61. iptables 명령을 이용해서 직접 방화벽 규칙(rule)을 설정하려고 한다. 다음 중 동적 방화벽인 firewalld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2022년 03월)
     1. systemctl firewall-cmd stop
     2. systemctl stop firewall-cmd
     3. systemctl firewalld stop
     4. systemctl stop firewalld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ㅇ systemctl sshd
     - 서비스 상태 확인 : # systemctl status sshd
     - 서비스 시작 : # systemctl start firewalld
     - 서비스 중지 : # systemctl stop firewalld
     - 서비스 재시작 : # systemctl restart firewalld
[해설작성자 : 정추]

62. 웹서비스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웹 개발 언어인 PHP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07년 05월)
     1. MySQL, Oracle, mSQL등 다양한 DBMS와 연동할 수 있다.
     2. 윈도우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3. 윈도우의 ASP와 비슷한 역할을 한다.
     4. HTML문서안에 코드를 삽입하면 서버쪽에서 문서를 처리하여 그 결과를 HTML로 만들어 내는 역할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PHP는 윈도우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더불어, 윈도우에서도 웹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데, MS에서 제공하는 IIS가 있으며, 리눅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Apache도 윈도우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Apache, PHP, MySQL을 주로 사용하지만 설정하기 번거로운 사용자들을 위해 APM 이라고 패키지 형태로 제공하기도 한다.

63. 웹서버 환경 설정에서 HostnameLookups On, Off는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는가?(2010년 09월)
     1. On으로 설정시 클라이언트 IP 확인후 다시 DNS 서버에 질의하여 도메인 이름으로 로그를 기록하며 Off로 설정시 111.111.111.111과 같이 아이피로 기록한다.
     2. On으로 설정시 로그를 기록하며 Off로 설정시 로그를 기록하지 않는다.
     3. On으로 설정시 클라이언트 IP를 111.111.111.111과 같이 로그를 기록하며 Off로 설정시 DNS 서버에 질의하여 도메인 이름으로 로그를 기록한다.
     4. On으로 설정시 클라이언트 IP를 캐쉬에 저장하고 Off로 설정시 저장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40%

64. Apache 웹 서버에서 이름 기반 가상 호스트의 설정과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3년 06월)
     1. 하나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도메인 주소를 사용할 수 있다.
     2. httpd.conf내의 <VirtualHost> ~ </VirtualHost> 설정을 이용한다.
     3. <VirtualHost 192.168.0.101>와 같이 가상호스트 별로 서로 다른 IP를 설정하여야 한다.
     4. 각 가상 호스트별로 에러 로그와 액세스 로그를 설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8%

65. 다음 중 iptables의 nat 테이블에 존재하는 사슬명으로 틀린 것은?(2022년 03월)
     1. INPUT
     2. OUTPUT
     3. FORWARD
     4. PREROUTING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ㅇ iptables NAT(네트워크 주소 변환) 테이블에 존재하는 체인의 한 예는 "PREROUTING" 체인이며
     PREROUTING 체인은 들어오는 네트워크 패킷이 로컬 라우팅 결정 논리에 의해 처리되기 전에 조작하는 데 사용됨.
     iptables NAT 테이블에 존재하는 다른 체인에는 "POSTROUTING" 체인, "OUTPUT" 체인 및 "INPUT" 체인이 존재
ㅇ 결과 : PREROUTING, POSTROUTING, OUTPUT, INPUT , (*) FORWARD는 미 존재
[해설작성자 : 정추]

66. httpd 명령어에 사용 가능한 옵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0년 09월)
     1. -d : ServerRoot 변수에 대한 지정
     2. -f : 환경 설정 파일을 지정
     3. -X : 내부적인 테스트를 위해 싱글 프로세스 모드로 실행
     4. -v : 로그 디렉토리 지정

     정답 : []
     정답률 : 36%

67. 웹 서비스를 하기 위해서 DBMS는 꼭 필요한 요소이다. 공개 S/W DBMS 중 PostgreSQL의 3가지 주요특징이 아닌 것은?(2007년 05월)
     1. 관계형 모델
     2. 고수준 확장성
     3. 인공지능
     4. 객체지향

     정답 : []
     정답률 : 53%

68. 다음 중 NIS 서버명과 관련 맵 파일을 출력할 때 사용하는 NIS 클라이언트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2015년 09월)
     1. ypbind
     2. ypcat
     3. yptest
     4. ypwhich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ypwitch : NIS 서버명을 출력합니다.
[해설작성자 : 수험생]

1. ypbind - 클라이언트에 설치 되어야 하는 것 (yp-tools도, NIS서버는 ypserv)
2. ypcat - 맵파일의 내용을 확인
3. yptest - 관련설정을 테스트
4. ypwhich - NIS서버명과 관련 맵파일을 보여줌
[해설작성자 : 정처기합격자]

69. 삼바 서버 데몬인 smbd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못한 것은?(2004년 05월)
     1. smb는 server message block의 약어이다.
     2. TCP 포트 139번을 사용한다.
     3. 클라이언트 요청이 들어오면 새로운 자식 프로세스를 만들어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담당하게 한다.
     4. 클라이언트 연결에 대한 인증이 이루어지면 루트의 권한으로 서비스하게 된다.

     정답 : []
     정답률 : 48%

70. NFS 데몬 가동 후 서버 측에서 새로운 디렉토리를 공유하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2003년 06월)
     1. rpcinfo
     2. mount
     3. exportfs
     4. ntsysv

     정답 : []
     정답률 : 50%

71. 다음 중 NIS 서버 구성 시에 반드시 구동해야할 데몬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8년 09월)
     1. yppasswdd
     2. ypxfrd
     3. ypbind
     4. rpcbind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NIS 서버 데몬
RPC (Remote Procedure Call)을 사용하므로 관련 데몬을 반드시 구동해야한다.
RHEL5버젼까지는 portmap 데몬, RHEL6부터는 rpcbind 데몬이 사용된다.
서버에서는 ypserv, 클라이언트에선 ypbind을 구동시킨다.
ypxfrd : NIS 서버와 NIS 클라이언트 간의 맵핑 속도를 높여주는 데몬.
yppasswdd : NIS클라이언트에서 패스워드 적용에 사용되는 데몬.

=> NIS서버 구성이므로 ypserv 사용, ypbind는 알맞지 않다.

72. ProFTPd 설정 파일에서 쓰이는 지시자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2002년 08월)
     1. ServerType : FTP 서버를 standalone 방식으로 운영할 것인지, inetd 방식으로 운영할 것인지를 지정한다.
     2. RequireValidShell : FTP 서버에 접속 시 사용할 쉘(Shell)을 지정한다.
     3. TimeoutIdle : 접속 대기시간을 설정하는것으로, 접속 후 지정한 시간이상 아무런 동작이 없으면 접속을 종료시킨다.
     4. DisplayLogin : 사용자가 FTP 서버에 로그인 시 보여줄 메시지를 저장하는 파일을 지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31%

73. 다음 중 삼바 서버 설정(smb.conf)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09월)

    

     1. 윈도우상의 workgroup 는 MYGROUP 이다.
     2. 오직 192.168.1. 대역에서만 허락이 가능하다.
     3. 192.168.1. 에서도 허용가능하며, 다른 대역에서도 연결허락이 가능하다.
     4. 서버에 대한 설명은 samba server 이다

     정답 : []
     정답률 : 67%

74. NFS 클라이언트에서 NFS 서버에 익스포트된 정보를 확인하려고 한다.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2016년 09월)

    

     1. exportfs
     2. nfsstat
     3. rpcinfo
     4. showmount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정답 4번 맞아요.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에 익스포트 된 정보 보는 건 showmount -e
***서버에서*** 익스포트 된 정보 보는 건 exportfs

75. NFS 서버에서 클라이언트의 호스트 이름과 마운트된 디렉토리를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는?(2009년 03월)
     1. showmount
     2. nfsstat
     3. exportfs
     4. nhfsstone

     정답 : []
     정답률 : 54%

76. 메일 서비스를 위한 컴포넌트 MUA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2010년 09월)
     1. 아웃룻, 썬더버드등 메일 사용자 에이전트로 메일을 보거나 보낼 수 있는 역할을 핟나.
     2. 메일 전송 에이전트로 메일을 받아 다른 호스트로 메일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3. 수신된 메시지를 사용자의 메일 박스에 저장해주는 역할을 한다.
     4. MUA는 서버에서만 사용되는 컴포넌트이다.

     정답 : []
     정답률 : 39%

77. 다음 설명과 같은 경우에 도입해야할 가상화 기술로 알맞은 것은?(2020년 10월)

    

     1. VirtualBox
     2. RHEV
     3. Docker
     4. Openstack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ㅇ 1. VirtualBox
    이노테크(InnoTek)에서 개발한 가상머신 소프트웨어. 썬 마이크로시스템즈가 이노테크를 인수하고,
    이후 오라클이 썬을 인수한 이후에는 오라클에서 배포되고 있다.
    이전에는 개인용으로만 사용할 수 있는 버전과,
    누구나 어디서나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VirtualBox Open Source Edition(OSE)으로 나뉘어 있었다.
ㅇ 2. RHEV
    Red Hat® Virtualization은 Red Hat Enterprise Linux® 및 KVM에 구축되는 엔터프라이즈 가상화 플랫폼
ㅇ 3. Docker
     Linux® 컨테이너를 만들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테이너화 기술
     애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구축, 테스트 및 배포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플랫폼.
     소프트웨어를 컨테이너라는 표준화된 유닛으로 패키징하며,
     이 컨테이너에는 라이브러리, 시스템 도구, 코드, 런타임 등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모든 것이 포함.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애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배포 및 확장
ㅇ 4. OpenStack
     VNware 기반의 가상 머신과 XenServer 기반의 가상 머신을 통합관리
     오픈스택이란 2010년 7월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인 랙스페이스와 NASA가 처음 시작한 모든 타입의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을 개발하고 관리할 수 있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기반의 클라우드 운영체제.
     서비스형 IaaS를 쉽게 구축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관리자는 데이터센터의 프로세싱, 스토리지, 네트워킹
     자원들을 대시보드를 통해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는 웹을 통해 필요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정추]

78. ProFTPD 서버 설치를 하기 위한 환경파일 설정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2009년 09월)
     1. ServerName “ihd server” : ServerName은 ProFTPD가 현재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의 서버 이름을 “ihd server”로 설정한다.
     2. ServerType standalone : ProFTPD을 실행 시키는 방법으로 ServerType을 standalone으로 설정한다.
     3. MaxInstances 30 : MaxInstances는 ProFTPD 서버가 standalone 모드일 때 최대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를 지정한다.
     4. RequireValidShell off : RequireValidShell은 /etc/shells파일에 정의되지 않는 쉘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FTP 접속을 허락하거나 거절하는 것에 대한 지정이다.

     정답 : []
     정답률 : 14%

79. 다음 설명과 관련 있는 파일로 알맞은 것은?(2015년 09월)

    

     1. /etc/aliases
     2. /etc/mail/access
     3. /etc/mail/virtusertable
     4. /etc/mail/local-host-names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etc/mail/virtusertable : 하나의 메일 서버에 여러 도메인을 사용하는 환경에서 동일한 메일 계정을 요구구할 때 각각의 도메인으로 도착하는 메일을 포워할 때 사용하는 파일입니다.
[해설작성자 : 수험생]

80. 다음 중 메일 암호화 관련 있는 도구로 가장 알맞은 것은?(2016년 03월)
     1. PGP
     2. Nessus
     3. Nmap
     4. Tripwire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1. PGP    : 인터넷에서 전달하는 전자우편을 다른 사람이 받아 볼 수 없도록 암호화하고, 받은 전자우편의 암호를 해석해주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2. Nessus    : 취약점 분석 도구
3. Nmap : 네트워크 보안을 위한 유틸리티. IP 패킷을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어느 호스트가 살아 있고, 그들이 어떠한 포트를 제공하며, 운영 체계 버전이 무엇이며, 방화벽의 패킷 타입이 무엇인지 등 네트워크의 특징들을 검사한다.
4. Tripwire : 시스템 무결성 검사

81. 다음은 sendmail의 매크로 설정파일을 복원하는 과정이다.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8년 03월)

    

     1. ⓐ /etc/mail/sendmail.mc ⓑ /etc/mail/sendmail.cf
     2. ⓐ /etc/mail/sendmail.cf ⓑ /etc/mail/sendmail.mc
     3. ⓐ /etc/mail/sendmail.m4 ⓑ /etc/mail/sendmail.cf
     4. ⓐ /etc/mail/sendmail.cf ⓑ /etc/mail/sendmail.m4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ㅇ m4 명령어는 메일 송/수신 시 필요한 sendmail.cf 생성하는 명령어.
    ex) m4 /etc/mail/sendmail.mc > /etc/mail/sendmail.cf
[해설작성자 : 정추]

82. 아파치 웹 서버의 환경 설정에서 서버의 설정, 에러 로그파일 등이 기록되는 서버 루트 디렉터리의 기본 경로를 지정해 주는 항목으로 알맞은 것은?(2017년 03월)
     1. DocumentRoot "/usr/local/apache/htdocs"
     2. PidFile /usr/local/apache/logs/httpd.pig
     3. ServerRoot "/usr/local/apache"
     4. ScoreBoardFile /usr/local/apache/logs/httpd.scoreboard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DocumentRoot >> 웹 문서들의 기본 디렉터리 설정.
PidFile >> 웹서버 가동시 자신의 PID를 기록할 파일
ServerRoot >> 말그대로 서버의 루트 디렉터리
[해설작성자 : korus물적관리]

83. 웹호스팅 중인 특정 도메인에 대해 어떠한 호스트명을 입력해도 접근이 가능하도록 존 파일을 설정하려고 한다. 다음 ( 괄호) 안에 들어갈내용으로알맞은 것은?(2016년 09월)

    

     1. @
     2. *
     3. $
     4. !

     정답 : []
     정답률 : 52%

84. 다음 명령의 실행 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03년 06월)

    

     1. 원격 시스템에 telnet으로 접속하여 사용자들에게 Sendmail 서비스가 중지될 것이라고 공지한 후, 서비스를 재시작하고 있다.
     2. Sendmail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 확인한 후, 서비스를 중지시키고 있다.
     3. 원격 호스트에 Sendmail 서비스가 중지될 것이라고 공지 이메일을 보낸 후, Sendmail 서비스를 중지 시키고 있다.
     4. 원격 호스트에서 실행 중인 Sendmail 서비스에 접속 하여 해킹을 시도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34%

85. DNS서버에 다음과 같은 zone파일을 생성하여 DNS를 운영하려고 할 때 다음 설명 중 알맞은 것은?(2010년 03월)

    

     1. 주 DNS 서버와 보조 DNS 서버간의 정보 동기화를 위한 시간 간격은 1분이다.
     2. 마스터 서버와의 정보 동기화를 위해 통신이 실패하였을 때 다음 시도를 위한 대기 시간은 15분이다.
     3. 동기화를 하려는 시도에도 불구하고 일정 시간동안 접속이 실패하여 작업을 진행하지 못했을 때 보조 DNS서버가 기존의 정보를 파기하는 시간은 하루이다.
     4. 메일은 192.168.1.6서버에서 수신한다.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60     :    Serial     : 2차 네임서버가 Zone 파일의 수정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옵션입니다.
                                     1차 네임서버와 2차 네임서버를 운영중 일때 1차 네임서버의 Zone 파일의 내용이 변경 되면
                                     반드시 Serial 를 증가 시켜줘야 2차 네임서버가 자신의 현재 Serial 를 비교하여 값이 작다면
                                     Zone 파일의 정보를 갱신을 하게 됩니다.

3H     :    Refresh    : 1차 네임서버의 Zone 파일 수정 여부를 2차 네임서버가 검사를 하기위한 옵션입니다.

15M    :    Retry        : 2차 네임서버에서 1차 네임서버로 연결이 되지 않을 경우 재접속을 요구하는 옵션입니다.

1W     :    Expire     : Secondary가 Expire에서 지정한 시간동안 primay에 연결하지 못 할 경우
                                     해당 도메인이 유효하지 않다고 보고, 해당 도메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 것 입니다.

1D     :    Minimum    : 제 3의 네임서버.즉, 다른 네임서버가 본 서버의 Zone 파일의 정보를 가지고 갔을 경우 그 정보에 대해 캐쉬에
                                     살아있는 시간을 설정하는 것입니다. TTL(Time To Live )값이 명시되지 않은 레코드는 본 값을 기본으로 갖게되며
                                     특정 레코드가 변경이 되었을 때, 이것이 다른 네임서버로 정보가 전달되어 업데이트가 되는 주기는 Minimum의 값을
                                     기본으로 합니다. 일반적으로 10800(3H)가 적당합니다.
[해설작성자 : 강선균]

86. 다음 중 PAM 관련 설정 파일에서 사용되는 파일로 기본 설정이 접근 거부될 사용자 목록 파일은?(2019년 03월)
     1. /etc/vsftpd/ftpuser
     2. /etc/vsftpd/ftpusers
     3. /etc/vsftpd/user_list
     4. /etc/vsftpd/users_list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ㅇ PAM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인증 모듈(Pluggable Authentication Modules)'로써
     응용 프로그램(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 권한을 제어하는 모듈.
ㅇ PAM 관련 설정 파일에서 사용되는 파일로 기본 설정이 접근 거부될 사용자 목록 파일    
    -> /etc/vsftpd/ftpusers
ㅇ    vsftpd 서버에 접근이 불가능한 사용자 목록 파일에는
        /etc/vsftpd/ftpusers 와 /etc/vsftpd/user_list 두가지가 있다
[해설작성자 : 정추]

87. 센드메일의 Relay 설정파일인 /etc/mail/access의 메일 거부패턴 설정옵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4년 05월)
     1. 501 : 지정한 메일주소와 일치하는 메일 수신을 거부한다.
     2. 503 : 지정된 도메인으로부터 받은 메일은 모두 폐기한다.
     3. 553 : 발신 메일주소에 호스트명이 없을 경우 메일을 받지 않는다.
     4. 550 : 지정된 도메인과 관련된 모든 메일의 수신을 거부한다.

     정답 : []
     정답률 : 12%

88. BIND 네임 서버의 최상위 설정파일로 알맞은 것은?(2012년 03월)
     1. /var/named/bind.conf
     2. /etc/bind.conf
     3. /etc/named.conf
     4. /var/name.conf

     정답 : []
     정답률 : 54%

89.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를 이용해 서핑을 할 때 느린 속도를 보완해 주기 위해 캐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무엇인가?(2011년 03월)
     1. NIS
     2. SMTP
     3. DHCP
     4. PROXY

     정답 : []
     정답률 : 69%

90. 네임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파일로서 설정 파일의 디렉토리, 파일의 위치 등을 지정하는 파일은?(2003년 10월)
     1. resolv.conf
     2. named.conf
     3. named.ca
     4. named.local

     정답 : []
     정답률 : 30%

91. 아파치 웹 데몬 시작 시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됐다. 다음 중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정되는 파일로 가장 알맞은 것은?(2018년 03월)

    

     1. /etc/hosts
     2. /etc/netconfig
     3. httpd-default.conf
     4. httpd-userdir.conf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ㅇ # /usr/local/apache/bin/apachectl start
    httpd: apr_sockaddr_info_get() failed for www -> www라는 호스트네임을 못찾음
    httpd: Could not reiliably determine the server's fully
    qualified domain name, using 127.0.0.1 for Server Name
    
ㅇ /etc/hosts
        용도 : 호스트 이름을 IP 주소에 매핑하는 로컬 정적 테이블
        형식 : <IP_address> <host_name>
                     127.0.0.1     localhost
                     127.0.0.2     www
[해설작성자 : 정추]

92. 운영 중인 텔넷 서비스의 이용 시간을 제한하려고 한다.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5년 09월)

    

     1. allow_time
     2. allow_times
     3. access_time
     4. access_times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access_times : 지정된 시간에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설정하는 항목입니다.
[해설작성자 : 수험생]

93. DHCP 클라이언트는 DHCP 서버에 요청을 하여 IP, 게이트웨이 정보, DNS 정보 등을 받아오는 역할을 한다. MAC 주소가 00:10:4B:D6:49:22이고, 요청하는 IP를 192.168.5.5로 요청한다고 하고, leasetime은 60초 그리고 호스트 이름을 ihd, 타임 아웃은 30초라고 설정했을 때 다음 ( )안에 알맞은 옵션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순서대로 (ㄱ) (ㄴ) (ㄷ) (ㄹ) (ㅁ))(2007년 05월)

    

     1. -I -s -l -t -h
     2. -i -r -l -t -h
     3. -i -s -l -o -h
     4. -I -r -l -o -h

     정답 : []
     정답률 : 23%

94. 다음의 경우에 구축하면 유용한 서버로 알맞은 것은?(2015년 03월)

    

     1. NTP 서버
     2. DHCP 서버
     3. PROXY 서버
     4. VNC 서버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 VNC 서버란?

그래픽 모드로 원격 관리를 지원하는 VNC 서버는 원격지에서 X 윈도우 환경 자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버 프로그램이다.
텔넷과 개념이 거의 동일하지만, 텔넷은 전통적으로 오랫동안 사용해 왔으므로 대부분의 OS에 telnet이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있지만, VNC의 경우에는 별도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설치해 주어야 한다.
VNC의 경우 원격지로 그래픽 화면을 전송하는 원리이므로, 텍스트만 전송하는 텔넷에 비해서 속도가 많이 느려지는 단점이 있다.
[해설작성자 : ㄱㅇㄷ]

95. MAC 주소를 이용하여 서버나 호스트의 위치를 찾기 위한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의 옵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9월)
     1. arp –a : 캐시에 있는 특정된 호스트 또는 모든 호스트를 나열한다.
     2. arp –s : 현재 캐시에 있는 특정한 호스트에 대한 MAC 주소의 값을 생성 또는 변경한다.
     3. arp –d : 현재 캐시에 있는 특정한 호스트에 대한 MAC 주소의 값을 지운다.
     4. arp –v : 정적인 모드로 보여준다.

     정답 : []
     정답률 : 34%

96. 다음 시나리오 상에서 추측할 수 있 는 공격 패턴을 모두 나열한 것은?(2007년 08월)

    

     1. 루트킷
     2. DoS, 트로이목마
     3. DoS, 백도어
     4. 백도어, 루트킷

     정답 : []
     정답률 : 53%

97. 다음의 C언어로 작성된 소스코드는 내부공격 방법 중의 하나이다. 어떤 공격을 하는 코드인가?(2010년 03월)

    

     1. 디스크 채우기
     2. 프로세스 대량 만들기
     3. 메모리 고갈
     4. 모든 프로세스 죽이기

     정답 : []
     정답률 : 58%

98. 네트워크를 통해 많은 컴퓨터에 자기 자신의 복사본을 보낼 수 있는 프로그램과 관련 있는 것은?(2007년 03월)
     1. 백도어
     2. 바이러스
     3.
     4. 트로이목마

     정답 : []
     정답률 : 34%

99.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공격 유형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2019년 09월)

    

     1. Brute Force
     2. Land Attack
     3. DDoS Attack
     4. TCP SYN Flooding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다중 교환(Multi-switching) : 다수의 작업이 동시 실행되나 포그라운드 프로그램만 동작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ㅇ Land Attack
    공격자가 패킷의 출발지 주소(Address)나 포트(port)를 임의로 변경하여 출발지와 목적지의 주소(또는 포트)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공격 대상 컴퓨터의 실행 속도를 느리게 하거나 동작을 마비시켜 서비스 거부 상태에 빠지도록 하는 공격 방법.
ㅇ DDoS Attack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attack / 약칭 DDoS Attack)이란 특정 서버(컴퓨터)나 네트워크 장비를 대상으로
    많은 데이터를 발생시켜 장애를 일으키는 대표적인 서비스 거부 공격이다.    
ㅇ TCP SYN Flooding :
    DoS 공격의 한 종류이며 TCP의 연결과정(3Way Handshake)에서 취약점을 이용하여 공격한다
    이 공격을 당하게 되면 TCP의 연결 가능한 자원을 모두 소진하게 되고 외부 사용자는 TCP 연결을 할수가 없게 된다
[해설작성자 : 정추]

100. 해커를 유인하여 그들의 해킹 수법이나 행동방식 등을 연구하기 위한 서버로 해커의 접근 시 해커의 동작을 모니터링 하여 최신 해킹 기술이나 해커의 신분 등 각종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서버의 이름은 무엇인가?(2002년 05월)
     1. VPN
     2. IDS
     3. Honeypot
     4. Firewall

     정답 : []
     정답률 : 47%


정 답 지

리눅스마스터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399720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리눅스마스터 1급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리눅스 실무의 이해


1. 운영체제의 발전 과정의 순서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2006년 09월)

   

     1. ㉮ → ㉯ → ㉰ → ㉱
     2. ㉮ → ㉱ → ㉰ → ㉯
     3. ㉱ → ㉯ → ㉮ → ㉰
     4. ㉱ → ㉯ → ㉰ → ㉮

     정답 : []
     정답률 : 35%

2.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리눅스 배포판으로 알맞은 것은?(2019년 03월)

   

     1. Knoppix
     2. BackTrack
     3. Kali Linux
     4. Linux Mint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Kali Linux 와 BackTrack 둘다 Offensive Security 에서 제작한 리눅스 이지만 Kali Linux는 BackTrack의 후속버전으로    데비안 기반 리눅스 입니다. (BackTrack은 Ubuntu 기반 리눅스 입니다)
[해설작성자 : 익명]

3. 자유 소프트웨어(Free Software)를 충족시키는 조건을 모두 고른 것으로 알맞은 것은?(2014년 03월)

   

     1. (ㄱ), (ㄴ)
     2. (ㄱ), (ㄴ), (ㄷ)
     3. (ㄱ), (ㄷ), (ㄹ)
     4.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자유 소프트웨어: 복사,개작 및 재배포 가능 리처드 스톨먼이 주창한개념 하지만 저작권자가 저작권을 포기한 소트웨어는 아니라는게 프리웨어와 다른점이다. 프리웨어는 저작권은 보유한 경우와 버린경우 두가지가 존재한다.     개작시에는 원저작권자의 성명과 저작권 공고를 삭제하거나 변경하여서는 안된다.

4. 다음 중 리눅스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2018년 03월)
     1. 리눅스는 이더넷(Ethernet), SLIP, PPP 등의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을 지원하며 TCP/IP, IPX 등의 네트워크 프로토콜도 지원한다.
     2. 리눅스는 다른 운영체제에 비해 이식성, 확장성 등이 뛰어나지만, 특정 하드웨어에 설치가 어렵고 모든 플랫폼에서 작동하지는 않는다.
     3. 리눅스는 서버, 개발용, PC용들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이에 따른 다양한 배포 판이 존재하며, 유료 버전과 무료 버전이 존재한다.
     4. 리눅스는 Windows FAT32, NTFS, 네트워크 파일시스템인 SMB, CIFS 등의 다양한 파일 시스템을 지원하지만, 시스템 충돌 및 전원 문제로 복구 가능한 저널링 파일시스템을 아직 지원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4번 저널링 파일시스템을 지원을 하고 대표적으로 Ext3, JFS, XFS, reiserfs 등 여러가지 파일 시스템들이 존재 합니다.
[해설작성자 : 지나가다 공부한 사람 ]

5. 리눅스 개발에 영향을 주었던 오픈소스 운영체제인 교육용 유닉스는?(2006년 09월)
     1. HP-UX
     2. MINIX
     3. XENIX
     4. MULTICS

     정답 : []
     정답률 : 67%

6. 다음 그림에 해당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2022년 03월)

   

     1. xhost
     2. xauth
     3. xrandr
     4. xmodmap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ㅇ 명령어 설명
    - xhost : X 서버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는데 사용,
                     기본적으로 X 서버를 시작한 사용자만 연결할 수 있으며
                     xhost 명령을 사용하여 다른 사용자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하거나 거부할 수 있다
    - xauth : X 서버에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인증 쿠키를 관리하는 데 이용,
                    쿠키는 서버에 연결하는 클라이언트의 신원을 확인하는 데 사용
    - xrandr : 그래픽 환경에서 화면 해상도, 방향 및 기타 다양한 화면 설정을 구성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
    - xmodmap : X 윈도우 시스템에서 키 매핑과 버튼 바인딩을 수정하는 데 사용
ㅇ 그림 문구 내용
     access control enabled, only authorized clients can connect
     액세스 제어 활성화, 승인된 클라이언트만 연결할 수 있음
ㅇ 결과 : xhost 에 해당
[해설작성자 : 정추]

7. 부트 매니저(Boot Manager)란 부팅할 때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다양한 운영체제 중 본인이 필요로 하는 운영체제를 선택하여 부팅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다음 중 부트 매니저가 아닌 것은?(2008년 03월)
     1. 리눅스의 LILO
     2. OS/2의 부트 관리 프로그램
     3. 윈도우즈 98의 msdos.sys
     4. 유닉스의 MBR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MBR은 부트 매니저가 아닌 부트 섹터
[해설작성자 : 큰일남]

8. 다음 중 리눅스 시스템을 리부팅 하기위한 명령어와 거리가 가장 먼 것은?(2005년 09월)
     1. init 0
     2. init 6
     3. reboot
     4. shutdown -r now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1. init 0: 시스템 종료
2. init 6: 시스템 재부팅
3. reboot: 시스템 재부팅
4. shutdown -r now: '-r' <-- 시스템 재부팅
[해설작성자 : 분경지원]

9. 레드햇 리눅스와 국내 리눅스 배포판에서 적용되는 부팅디스켓을 만드는 과정의 순서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무엇인가?(2009년 03월)

   

     1. 가-나-다
     2. 나-가-다
     3. 나-다-가
     4. 다-나-가

     정답 : []
     정답률 : 63%

10. 현재 리눅스를 비롯하여 유닉스의 대부분이 이 프로젝트 기반의 X윈도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으며, freedesktop.org와 함께 X윈도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있는 곳으로 알맞은 것은?(2017년 03월)
     1. x-window.org
     2. x-win.org
     3. x.org
     4. x-window.com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x.org : 리눅스를 비롯하여 유닉스의 대부분이 이 프로젝트에서 개발된 X.org.server을 사용하고 있으며, freedesktop.org와 함께 X 윈도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수험생]

11. 다음 중 X 서버에 접속이 허가된 192.168.10.100의 접근 목록을 제거하려고 할 때 알맞은 것은?(2016년 03월)
     1. xhost 192.168.10.100
     2. xhost + 192.168.10.100
     3. xhost - 192.168.10.100
     4. xhost del 192.168.10.100

     정답 : []
     정답률 : 63%

12. 다음 중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쉘과 그 설명이 가장 알맞게 설명된 것은?(2008년 03월)
     1. Bourne Shell : 프로그램 이름은 sh 이며, 오랜 시간 동안 모든 유닉스 시스템의 표준 구성요소이지만 C쉘이나 콘 쉘과 비교해 보았을때 기능적인 면에서 미흡하다.
     2. C Shell : 프로그램 이름은 csh 이며, C 언어로 제작된 쉘로서 현재 리눅스 배포판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3. Bash Shell : 프로그램 이름은 bash 이며, csh 호환의 명령언어 해석기로서 현존하는 다양한 쉘중에서 가장 역사가 오래된 쉘이다.
     4. Korn Shell : 프로그램 이름은 ksh 이며, 사용이 편리하고 기능이 탁월한 장점이 있으나 명령행 편집기능을 제공하지 않고, c shell, bourne shell 등과 호환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39%

13. 현재 사용 중인 sh 쉘을 csh 쉘로 변경하고자 할 때의 명령으로 맞는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06년 09월)
     1. su csh
     2. cp sh csh
     3. sh
     4. csh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4.csh -> 4.chsh

14. 다음 프로세스 상태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2009년 09월)
     1. 실행 상태 : 프로세서를 할당받은 상태
     2. 준비 상태 : 필요한 자원들을 할당받고 프로세서를 요청하고 있는 상태
     3. 생성 상태 : 프로세서가 기억장치를 할당받지 못하고 있는 상태
     4. 대기 상태 : 임의의 자원을 요청한 후 할당 받을 때까지 기다리고 있는 상태

     정답 : []
     정답률 : 69%

15. 프로세스 스케줄링 방법 중 RR(Round-Robin)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7년 08월)
     1. 시간할당량이 작을 경우 문맥교환에 따른 오버헤드가 커진다.
     2. 대화형 시스템이나 시분할 시스템에 적합한 방식이다.
     3. 처리하여야 할 작업의 양이 가장 작은 프로세스에게 cpu를 할당하는 기법이다.
     4. FIFO 방식으로 선점(preemptive)형 기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라운드 로빈 스케줄링(Round Robin Scheduling, RR)은 시분할 시스템을 위해 설계된 선점형 스케줄링의 하나로서, 프로세스들 사이에 우선순위를 두지 않고, 순서대로 시간단위(Time Quantum/Slice)로 CPU를 할당하는 방식의 CPU 스케줄링 알고리즘입니다.
선전형 스케줄링의 하나로 시분할 시스템을 위해 설계됨
[해설작성자 : 하이퍼동바]

16. 다음 설명은 OSI7Layer중 어느 계층에 대한 설명인가?(2010년 03월)

    

     1.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2.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3.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4.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Data Link Layer
- 오류없이 한 장치에서 다른 장치로 프레임(Frame, 비트의 모음)을 전달하는 역할

Network Layer
- 다중 네트워크 링크에서 패킷(Packet)을 발신지로부터 목적지로 전달할 책임을 갖는다.

Transport Layer
- 전체 메시지를 발신지 대 목적지(종단 대 종단)간 제어와 에러를 관리한다.
[해설작성자 : 정재희]

17. 다음 중 브리지(Bridg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0년 03월)
     1. 2개의 근거리 통신망(LAN)을 상호 접속해주는 통신망 연결 장치이다.
     2. OSI참조모델의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동작 한다.
     3. 프로토콜이 다른 통신망을 상호 접속하기 위한 장치이다.
     4. 접속된 LAN사이의 통신량을 조정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프로토콜이 같거나 유사한 통신망을 상호 접속하기 위한 장치
[해설작성자 : 정재희]

18. 다음이 나타내는 클래스로 알맞은 것은?(2012년 09월)

    

     1. 클래스 A : 국가나 대형 통신망에 배정된다.
     2. 클래스 B : 캠퍼스 전산망과 같은 중대형 통신망에 배정된다.
     3. 클래스 C : 소규모 통신망에 배정된다.
     4. 클래스 D,E : 배정이 유보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IP Class
A Class : 00000000 | 0 ~ 127
B Class : 10000000 | 128 ~ 191
C Class : 11000000 | 192 ~ 223
D Class : 11100000 | 224 ~ 239
E Class : 11110000 | 240 ~ 255

19. 다음에서 설명하는 파일로 알맞은 것은?(2016년 09월)

    

     1. /etc/resolv.conf
     2. /etc/sysconfig/network
     3. /etc/hosts
     4. /etc/sysconfig/network-scripts

     정답 : []
     정답률 : 62%

20. 표준 C Class IP 주소 255개를 부여받아서, 서브넷 마스크 주소를 255.255.255.192 를 사용하고자 한다. 이 때, 사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의 개수로 알맞은 것은?(단, Zero Subnetting 기준의 개수로 한다.)(2005년 03월)
     1. 1 개
     2. 2 개
     3. 4 개
     4. 8 개

     정답 : []
     정답률 : 43%

2과목 : 리눅스 시스템 관리


21. 다음 중 su 명령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1월)
     1. su 명령에 사용자 계정이 주어지지 않을 경우 슈퍼 유저인 root로 설정된다.
     2. 하나 이상의 계정을 갖고 있는 경우, 다른 계정으로도 변경할 수 있다.
     3. 계정변경 후 원래의 계정으로 돌아오기 위해서 quit 명령어를 사용한다.
     4. 일반계정으로 접속하여 루트의 권한을 획득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su(substitute user)
-사용자와 그룹 ID를 교체하여 쉘을 실행한다.
-로그인을 다시 하지 않고 다른 계정을 사용할 때 쓰인다.
-USER가 지정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슈퍼 유저인 root로 설정된다.
-실행되는 쉘은 USER의 패스워드 목록에서 찾아오거나 없으면 /bin/sh를 수행한다.
-기본적으로 이 쉘은 로그인 쉘이 아니기 때문에 쉘 환경 설정을 기존 사용자의 것을 사용한다.
-원래의 계정으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exit 명령을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미나리나물]

22. 사용자 aaa가 로그인을 하지 못하도록 하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닌 것은?(2011년 03월)
     1. [root@ihd /]# userdel aaa
     2. [root@ihd /]# vi /etc/passwd 해서 로그인 이름이 aaa인 라인을 삭제하고 저장
     3. [root@ihd /]# passwd -l aaa
     4. [root@ihd /]# \rm -rf /home/aaa

     정답 : []
     정답률 : 59%

23. 다음 명령의 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2019년 03월)

    

     1. bash 프로세스의 NI 값을 -10으로 변경한다.
     2. bash 프로세스의 NI 값을 10으로 변경한다.
     3. bash 프로세스의 NI 값을 10만큼 감소시킨다.
     4. bash 프로세스의 NI 값을 10만큼 증가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 : 증가
-- : 감소
[해설작성자 : 쭝이]

24. 다음 중 패스워드 파일(/etc/passwd)에서 확인 할 수 있는 항목으로 묶여진 것은?(2003년 06월)

    

     1. (가), (나), (다), (마), (바)
     2. (가), (나), (다), (라), (바)
     3. (가), (나), (다), (라), (마)
     4. (가), (나), (라), (마), (바)

     정답 : []
     정답률 : 50%

25. 다음 중 사용자 계정을 일시적으로 로그인하지 못하도록 할 때 유용한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2012년 03월)
     1. passwd
     2. userdel
     3. su
     4. sudo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passwd -l binbin =>    입력한 binbin 사용자 계정을 일시적으로 로그인 할 수 없다.(패스워드 Lock 기능)
[해설작성자 : 빈빈]

26. 월, 수, 금요일 오후 4시 30분에 백업 스크립트가 동작하도록 cron을 설정하는 과정이다. 다음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8년 09월)

    

     1. 4 30 * * 1,3,5
     2. 30 4 * * 1,3,5
     3. 16 30 * * 1,3,5
     4. 30 16 * * 1,3,5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cron은 우리가 쓰는 시간순서 거꾸로 보시면됩니다.
30분 → 30, 오후4시(16) → 16, 월수금 → 1,3,5 * 0부터 일요일
따라서 4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방구석클래식]

27.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2023년 03월)

    

     1. ln /var/www/html /usr/local/apache/htdocs
     2. ln –s /var/www/html /usr/local/apache/htdocs
     3. ln /usr/local/apache/htdocs /var/www/html
     4. ln –s /usr/local/apache/htdocs /var/www/html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ln 명령은 링크 파일을 만드는 명령어이며 -s 옵션을 사용하지 않으면 하드링크 사용할 경우 심벌릭 링크를 만든다.
ln [옵션] [접근하려는 디렉터리] [지정해주는 디렉터리 명] 의 형식으로 사용
디렉토리의 경우 하드 링크를 만들 수 없고 심볼릭 링크 만을 만들 수 있다.
[해설작성자 : 해설을 쓰다보면 암기가 되지 않을까]

28. 다음 중 디렉터리 안에 숨겨진 파일을 포함한 모든 리스트 상세정보를 아이노드 번호와 함께 출력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2017년 03월)
     1. ls -alF
     2. ls -ali
     3. ll
     4. ls –sAil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a : 모든
l : 리스트
i : 아이노드
[해설작성자 : 한방호랑이]

29.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명령어의 출력 결과로 알맞은 것은?(2018년 03월)

    

     1. /home/ihduser
     2. /etc
     3. /
     4. ~/etc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pwd : 현재디렉토리의 위치를 알려달라는 명령어
cd(change directory)명령어로 수행되지 않는 이상 현재에 머문다.
[해설작성자 : 내일 시험]

직접 리눅스에서 확인을 한 결과 입니다.
ㅇ SU 명령어는 환경설정을 바뀌지 않습니다
     즉 SU로 사용자 변경을 했을 경우는 명령어 입력 디렉토리가 유지 됩니다.
ㅇ SU - 명령어를 사용했다면 변경되는 유저의 HOME 디렉토리로 가는 것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리눅스초보]

30. 다음 조건에 맞게 수행하려고 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조합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2014년 09월)

    

     1. chown, chgrp
     2. lsattr, chattr
     3. chgrp, chmod
     4. getfacl, setfacl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setfacl 명령으로 파일의 소유자나 그룹을 더 만들고 다양한 퍼미션을 줄수 있다.
getfacl 로 추가된 퍼미션을 확인할 수 있다.

31. 기존의 리눅스 시스템에 새로운 HDD를 추가하는 순서를 알맞게 나열한 것은?(2011년 09월)

    

     1. ㉰-㉲-㉮-㉯-㉳-㉱
     2. ㉳-㉰-㉲-㉮-㉯-㉱
     3. ㉳-㉮-㉯-㉰-㉲-㉱
     4. ㉮-㉳-㉲-㉰-㉱-㉯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하드 디스크 인식 여부 확인 - 파티션 분할 및 생성 - 파일 시스템 생성 - 사용하려는 디렉토리 생성 - 마운트 - 관련 파일 등록하기(설정)
[해설작성자 : 수험생]

32. 시그널과 가장 관련이 적은 시스템 호출은?(2010년 09월)
     1. signal
     2. creat
     3. kill
     4. sigaction

     정답 : []
     정답률 : 55%

33. 다음 중 yum을 이용해서 telnet이라는 문자열이 들어있는 패키지를 검색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2020년 10월)
     1. yum -f telnet
     2. yum search telnet
     3. yum -search telnet
     4. yum --search telnet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no such option: -f 옵션이 존재하지 않음.
2.search                 Search package details for the given string
3.no such option: -search 옵션이 존재하지 않음.
4.no such option: --search 옵션이 존재하지 않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4. ihd사용자가 소유한 하나의 프로세스가 계속해서 프로세스를 무한정 생성하는 것을 발견하여 ihd 사용자의 모든 프로세스를 종료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이 조치를 취하였다.( )안에 들어갈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2010년 03월)

    

     1. -V
     2. -u
     3. -l
     4. -q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killall 옵션
-V --version = 버전 정보
-u --user        = 사용자의 모든 프로세스 종료
-l --list        = 알려진 모든 시그널 이름 목록을 보여준다.
-q --quiet     = 프로세스가 죽지 않아도 불평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정재희]

35. vi 에디터로 편집 하던 중 잠시 다른 작업을 하기 위해서 Ctrl-z 키를 사용하여 빠져나왔다. 작업을 마친 후, 다시 vi 에디터의 편집 작업으로 돌아가기 위한 명령은?(2003년 01월)
     1. fg
     2. bg
     3. vi
     4. back

     정답 : []
     정답률 : 25%

36.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수 있는 파일명으로 알맞은 것은?(2019년 09월)

    

     1. httpd-2.4.41.tar.bz2
     2. httpd-2.4.41.tar.Z
     3. php-5.6.40.tar.xz
     4. mysql-boost-5.7.27.tar.gz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J: .tar.xz 형식의 파일을 지정
x: 압축 해제
v: 처리되는 과정을 출력
f: 압축을 풀 대상파일 지정

추가로
.tar : 디폴트(추가옵션 필요X)
.tar.bz2(=.tb2/.tbz/.tbz2) : tar jxvf <파일이름>.tar.bz2
.tar.Z : uncompress <파일이름>.tar.Z && tar xvf <파일이름>.tar
.tar.xz : tar Jxvf <파일이름>.tar.xz
.tar.gz : tar zxvf <파일이름>.tar.gz
[해설작성자 : 깡식]

37. dpkg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7년 05월)
     1. 특별한 패키지의 정보를 알려준다.
     2. 특별한 패키지의 내용을 알려준다.
     3. 시스템에 설치된 패키지의 목록을 알려준다.
     4. 의존성 체크 기능은 우수하지 못하다.

     정답 : []
     정답률 : 62%

38. 지워진 파일을 복구할 때 취할 수 있는 행동으로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2006년 09월)
     1. 덤프된 디렉토리를 분석한다.
     2. 지워진 파일이 있는 파티션을 언마운트한다.
     3. 지워진 파일이 있는 파티션에 파일을 복사하여 그 파일이 정상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4. 지워진 디렉토리의 inode 번호들을 찾는다.

     정답 : []
     정답률 : 19%

39. 다음은 현재 디렉터리 안에 존재하는 C 언어 파일을 기존에 생성되어 있던 text.tar 파일에 묶는 과정이다.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23년 03월)

    

     1. cvf
     2. xvf
     3. tvf
     4. rvf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1. cvf: 상세 내용을 표시하고 text.tar 명으로 압축 생성
2. xvf: 상세 내용을 표시하고 압축 해제
3. tvf: 지정된 archive의 목록 출력
기존에 생성되어 있던 text.tar 파일에 다시 압축하는 것이기 때문에 4번이 정답
[해설작성자 : uchtt]

40. 다음 중 설명에 맞는 ( 괄호 ) 안에 들어갈 chmod 명령어의 인자값으로 알맞은 것은?(2018년 03월)

    

     1. g+x
     2. u=rw-
     3. 775
     4. 551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ls -ld에서는 x(execution)가 모두 들어가 실행이 가능하지만, file1에서는 x 권한이 주어지지 않아 실행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삭제 또한 되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file1에 실행 권한인 x를 추가로 부여하면 file1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chmod로 권한을 부여할 경우 r이 4, w가 2, x가 1이 들어가므로, rwx=7, rwx=7, rx=5로 775가 들어가게 됩니다.
[해설작성자 : 리눅스마스터1급수험생]

file1에 x권한이 주어지지 않아서 삭제가 안되는 것이 아닙니다. file1 파일이 위치하고 있는 디렉터리(ls -ld로 조회한 디렉터리)에 w 권한이 없기 때문에 삭제가 안되는 것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보기가 잘못되었든 문항이 잘못되었든 아래와 같이 ./를 입력해야 합니다.
chmod 775 ./

잘 모르는 사람이 보면 "chmod 775" 이거나 "chmod 775 file1"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1트합시다]

[관리자 입니다.
실제 문제 확인해 봤는데
그냥 chmod로 되어 있습니다.
참고 부탁 드립니다.]

그러면 문제가 잘못되었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root@virtualbox file]# pwd
/root/file

[root@virtualbox file]# ls -ld
d---------. 2 root root 6 Feb 26 19:20 .

[root@virtualbox file]# chmod 755
chmod: missing operand after ‘755’
Try 'chmod --help' for more information.

[root@virtualbox file]# ls -ld
d---------. 2 root root 6 Feb 26 19:20 .

[root@virtualbox file]# chmod 755 ./

[root@virtualbox file]# ls -ld
drwxr-xr-x. 2 root root 6 Feb 26 19:20 .
[해설작성자 : 1트합시다]

[오류신고 반론]
문제가 잘못된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명렁어 실행 환경에 따라 "." 이나 "./" 를 생략해도 현재 디렉토리에 적용됩니다.
[해설작성자 : ㅇㅇ]

41. 다음 중 커널 컴파일을 위한 커널 설정 명령이 아닌 것은?(2003년 10월)
     1. make install
     2. make config
     3. make xconfig
     4. make menuconfig

     정답 : []
     정답률 : 27%

42. lin.txt라는 문서를 lp라는 이름을 가진 프린터로 2장 출력하는 과정이다.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2019년 09월)

    

     1. lp
     2. lpr
     3. lpq
     4. lpc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Ip: -n NUM 옵션을 사용함
Ipr: # NUM
[해설작성자 : 듣보잡]

43. 프로그램이 실행 중에도 hangup 신호와 무관하게 계속 실행되게 하기위한 방법으로 알맞은 것은?(2009년 03월)
     1. nohup 명령 뒤의 인수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2. nice 명령으로 스케쥴링 우선권을 가장 높은 값인 -20으로 조정한다.
     3. kill 명령으로 SIGHUP 신호를 보낸다.
     4. crontab 명령으로 그 프로세스의 PID를 /etc/crontab 테이블에 신규로 저장한다.

     정답 : []
     정답률 : 49%

44. 리눅스 커널 매커니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7년 05월)
     1. insmod 명령을 사용하여 수동으로 모듈을 커널에 추가할 수 있다.
     2. 운영체제를 구성하는 컴포넌트는 필요할 때마다 동적으로 언로드(unload) 할 수 있다.
     3. 모듈이 더 이상 사용되지 않을 경우, umount 에 의해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제거된다.
     4. 커널은 모듈을 로드할 때, 엄격한 버전 검사를 통해 선택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30%

45. 리눅스 커널을 계속적으로 업그레이드하여 컴파일 해야 하는 이유로 틀린 것은?(2013년 03월)
     1. 버그를 수정하고 속도를 개선
     2. 새로운 하드웨어의 지원
     3. 시스템 관리 능력의 개선
     4. 라이브러리 패키지의 버전 업데이트

     정답 : []
     정답률 : 50%

46. 리눅스 커널 소스의 컴파일 명령어를 순서 없이 나열한 것이다.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된 것은?(2004년 10월)

    

     1. 나-다-라-가-마-바
     2. 가-나-다-라-마-바
     3. 라-나-다-가-마-바
     4. 나-다-가-라-마-바

     정답 : []
     정답률 : 32%

47. 현재 리눅스 커널 컴파일시 사용가능한 네트워크 옵션으로 틀린 것은?(2008년 06월)
     1. TCP/IP Version 6
     2. Wibro
     3. IPX/SPX
     4. Apple Talk

     정답 : []
     정답률 : 37%

48. 다음 중 전통적으로 Sys V 계열 유닉스에서 사용했던 프린터 관련 명령어로 틀린 것은?(2017년 09월)
     1. lp
     2. lpr
     3. lpstat
     4. cancel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System V 계열 명령어 : lp, lpstat, cancel
BSD 계열 명령어: lpr, lpq, lprm, lpc
[해설작성자 : 훈스]

49.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리스트를 출력해 주는 명령어는?(2006년 09월)
     1. fdisk
     2. ls
     3. quota
     4. fsck

     정답 : []
     정답률 : 69%

50. 다음 중 프린터 명령어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09월)
     1. lpq : 프린트 작업 상태를 점검
     2. lprm : 실행한 프린트 작업을 취소
     3. lpr : 쉘 프롬프트에서 프린터로 파일을 인쇄
     4. ldd : 프린트 공유설정을 인쇄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ldd: 프로그램이나 공유 라이브러리들이 요구하는 공유 라이브러리(shared libraries)를 출력하는 명령 행(Command Line)프로그램이다.
[해설작성자 : KTH]

51. 다음에 제시된 조건으로 rsyslog.conf에 설정하려고 할 때 알맞은 것은?(2017년 09월)

    

     1. mail.*;info.!=mail /var/log/maillog
     2. mail.*;mail.!=info /var/log/maillog
     3. mail.*;mail.info /var/log/maillog
     4. mail.*;info.none /var/log/maillog

     정답 : []
     정답률 : 55%

52. 다음 중 로그 파일의 설명이 틀린 것은?(2008년 03월)
     1. /var/log/messages : syslogd의 로그
     2. /var/log/dmesg : 사용자 로그인의 로그
     3. /var/log/mailog : sendmail의 로그
     4. /var/log/boot.log : 부팅시의 로그

     정답 : []
     정답률 : 66%

53. ssh 명령을 사용하여 다른 시스템에 패스워드 없이 바로 로그인이 가능하도록 설정하려고 한다. 다음 중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9년 09월)

    

     1. ㉠ : ./ssh/id_rsa ㉡ : ./ssh/authorized_keys
     2. ㉠ : ./ssh/authorized_keys ㉡ : ./ssh/id_rsa
     3. ㉠ : ./ssh/id_rsa.pub ㉡ : ./ssh/authorized_keys
     4. ㉠ : ./ssh/authorized_keys ㉡ : ./ssh/id_rsa.pub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ㅇ ssh 명령을 사용하여 다른 시스템에 패스워드 없이 바로 로그인이 가능하도록 설정
     # scp ./ssh/id_rsa.pub ihd.or.kr:./ssh/authorized_keys

ㅇ ssh 원격 접속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한 SecureCopy(scp)의 약자로서 원격지에 있는 파일과
     디렉터리를    보내거나 가져올 때 사용하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입니다.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는 환경에서 ssh와 동일한 22번 포트와 identity file을 사용해서
     파일을 송수신하기 때문에 보안적으로도 안정된 프로토콜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Local ( 로컬 ) ----> Remote (원격지)
         scp [옵션] [파일명] [원격지_id]@[원격지_ip]:[받는 위치]
         예) 단일파일
                        scp testfile2 root@192.168.159.129:/tmp/testclient
                 여러개 파일
                        scp tesfile1 testfile2 root@192.168.159.129:/tmp/testclient
                 여러 파일을 포함하고 있는 디렉터리를 원격지로 보낼 때.
                     scp -r testgogo root@192.168.159.129:/tmp/testclient

            r 디렉토리 내 모든 파일/디렉토리 복사 scp -r
            p (소문자)    원본 권한 속성 유지 복사    scp -p
            P (대문자)    포트 번호 지정 복사 scp -P [포트번호]
            c (소문자)    압축 복사 scp -c
            v 과정 출력 복사    scp -v
            a 아카이브 모드 복사    scp -a

     Remote ( 원격지 ) ---> Local ( 로컬 )
         scp [옵션] [원격지_id]@[원격지_ip]:[원본 위치] [받는 위치]
         예) 단일 파일을 원격지에서 로컬로 가져올 때
                     scp root@192.168.159.129:/tmp/testclient/testfile2 /tmp
                 복수의 파일을 원격지에서 로컬로 가져올 때
                     " " ( 큰따옴표 )로 묶어주는 거 기억
                     scp root@192.168.159.129:"/tmp/testclient/testfile2 /tmp/testclient/testfile3" /tmp
                 여러 개의 파일을 포함하는 디렉터리 원격지에서 로컬로 가져올 때
                     scp -r root@192.168.159.129:/tmp/testclient/testgogo /tmp
[해설작성자 : 정추]

54. 갑작스런 장애발생시 시스템의 로컬외에 모든 외부 접속을 차단하는 방법으로 알맞은 것은?(2013년 03월)
     1. /etc/nologin
     2. /etc/securetty
     3. /etc/passwd
     4. /etc/shadow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etc/nologin : root 사용자를 제외한 모든 사용자와 외부 접속을 차단합니다.
[해설작성자 : 수험생]

/etc/securetty 파일은 루트가 로그인 가능한 터미널 장치들을 나열해 둔 것임.

예시)
tty1
tty2
tty3
tty4
tty5
tty6
tty7
tty8

pts/0
pts/1

주석 처리시 해당 터미널 사용 불가.(ex. #pts/0)
[해설작성자 : Hewlett Packard Enterprise 지원 센터]

55. 다음은 /var/log/xferlog 파일의 구성에 관한 설명이다.(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20년 10월)

    

     1. ㉠ direction, ㉡ access-mode, ㉢ _
     2. ㉠ direction, ㉡ completion-status, ㉢ !
     3. ㉠ transfer-type, ㉡ access-mode, ㉢ !
     4. ㉠ transfer-type, ㉡ completion-status, ㉢ _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ㅇ xferlog : FTP 등을 통해 파일이 전송된 기록이 저장된 로그 파일
ㅇ 설정파일
    # vi /etc/vsftpd/vsftpd.conf
        xferlog_enable=YES
        #xferlog_file=/var/log/xferlog
ㅇ 파일구성
(Thu May 17 11:54:41 2018) (6) (q.fran.kr) (1234567) (/home/user/test1.mp3) (b) (_) (i) (r) (itwiki) (ftp) (0) (*) (c)

ㅇ 항목설명
1. 전송 날짜와 시간 : (Thu May 17 11:54:41 2018)
2. 전송 시간 : (6)초
3. 원격 호스트 주소 : (q.fran.kr)
4. 전송된 파일의 크기 : (1234567)바이트
5. 전송 파일명-파일의 전체경로 : (/home/user/test1.mp3)
6. 전송 파일 유형 : (b) 2가지가 존재
    a=ascii(문자, 텍스트)
    b=binary(파일)

문제의 ㉢ 에 해당
7. special-action-flag 액션플래그 : (_)
    _=행위가 일어나지 않음
    C=파일이 압축된 경우
    U=파일이 압축되지 않은 경우
    T=tar로 묶여 있음

문제의 ㉠ 에 해당
8. Direction 전송 방향 : ( i ) 종류는 i,o,d.
    (*) 전송된 지시를 나타내는 영역
    i = 파일을 업로드하여 서버로 들어오는 것(incoming)
    o =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서버에서 나가는 것(outgoing)
    d = 파일을 삭제(delete)
    
문제의 ㉡ 에 해당
9. access-mode 엑세스 모드 : ( r ) 사용자가 접근한 방식이나 형태를 나타내는 것
    (*) 사용자가 어떤 형태로 login 했는지를 나타내는 영역
    종류: r,a,g
    r = 시스템의 사용자 계정
    a = 익명사용자(anonymous)
    g = 비밀번호가 있는 게스트 계정

10. 사용자명 : ( itwiki ) 로그인한 사용자명
11. 서비스명 : ( ftp ) 호출된 서비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FTP
12. 사용자의 인증 방식 : (0) 사용자의 인증 방법
    0인 경우 없음을 나타내고 1인 경우 RFC 931 authentication
13. 인증 사용자 ID : ( * ) 인증 메소드가 되돌려주는 사용자 ID.
        *는 인증된 사용자 ID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14. 완료 상태 : ( c ) 전송의 완료 상태
    c = 전송이 완료된 상태. (complete)
    i - 전송이 실패된 상태. (incomplete)
[해설작성자 : 정추]

56. 다음 중 grub 셸 프롬프트에서 암호화된 패스워드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2017년 09월)
     1. md5
     2. md5sum
     3. md5crypt
     4. crypt

     정답 : []
     정답률 : 48%

57. 저널링 파일시스템을 사용함으로서 얻을 수 있는 특징으로 틀린 것은?(2005년 09월)
     1. 파일 복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2. 파일을 저장전 저널링 시스템은 로그를 기록하여, 향후 장애에 대비한다.
     3. ext3저널링 시스템은 파일복구를 위해, 슈퍼블록, 비트맵, inode를 모두 검사한다.
     4. 파일 시스템영역은 관리 영력과 테이터 영역으로 구성된다.

     정답 : []
     정답률 : 48%

58. 다음 중 재부팅(reboot)한 기록을 가장 쉽게 확인할 수있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2018년 09월)
     1. last
     2. lastb
     3. lastlog
     4. dmesg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last : 모든 사용자의 로그인과 재부팅 로그를 출력 (로그파일위치 /var/log/wtmp)
lastb : 접속 실패 기록 보기 (/var/log/btmp 로그를 보여주는 명령어)
lastlog : 전체 계정에 대한 마지막 접속 로그 보기
[해설작성자 : 쭝이]

59. 리눅스에서 백업(backup) 요령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7년 05월)
     1. 백업 테이프는 가급적 컴퓨터가 있는 장소에 함께 보관한다.
     2. 백업을 한 후에는 백업 테이프에 쓰기 방지를 해 둔다.
     3. 중요한 백업 자료는 암호화를 해 둔다.
     4. 가끔씩 백업 테이프의 상태를 확인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60. 다음 중 dump를 이용한 백업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03월)
     1. 파티션 단위의 백업을 지원한다.
     2. 복원은 restore 명령을 사용한다.
     3. /etc 등 디렉토리 단위의 백업을 지원한다.
     4. 전체 백업 뿐만 아니라 증분백업도 지원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61. iptables 명령을 이용해서 직접 방화벽 규칙(rule)을 설정하려고 한다. 다음 중 동적 방화벽인 firewalld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2022년 03월)
     1. systemctl firewall-cmd stop
     2. systemctl stop firewall-cmd
     3. systemctl firewalld stop
     4. systemctl stop firewalld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ㅇ systemctl sshd
     - 서비스 상태 확인 : # systemctl status sshd
     - 서비스 시작 : # systemctl start firewalld
     - 서비스 중지 : # systemctl stop firewalld
     - 서비스 재시작 : # systemctl restart firewalld
[해설작성자 : 정추]

62. 웹서비스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웹 개발 언어인 PHP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07년 05월)
     1. MySQL, Oracle, mSQL등 다양한 DBMS와 연동할 수 있다.
     2. 윈도우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3. 윈도우의 ASP와 비슷한 역할을 한다.
     4. HTML문서안에 코드를 삽입하면 서버쪽에서 문서를 처리하여 그 결과를 HTML로 만들어 내는 역할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PHP는 윈도우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더불어, 윈도우에서도 웹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데, MS에서 제공하는 IIS가 있으며, 리눅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Apache도 윈도우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Apache, PHP, MySQL을 주로 사용하지만 설정하기 번거로운 사용자들을 위해 APM 이라고 패키지 형태로 제공하기도 한다.

63. 웹서버 환경 설정에서 HostnameLookups On, Off는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는가?(2010년 09월)
     1. On으로 설정시 클라이언트 IP 확인후 다시 DNS 서버에 질의하여 도메인 이름으로 로그를 기록하며 Off로 설정시 111.111.111.111과 같이 아이피로 기록한다.
     2. On으로 설정시 로그를 기록하며 Off로 설정시 로그를 기록하지 않는다.
     3. On으로 설정시 클라이언트 IP를 111.111.111.111과 같이 로그를 기록하며 Off로 설정시 DNS 서버에 질의하여 도메인 이름으로 로그를 기록한다.
     4. On으로 설정시 클라이언트 IP를 캐쉬에 저장하고 Off로 설정시 저장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40%

64. Apache 웹 서버에서 이름 기반 가상 호스트의 설정과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3년 06월)
     1. 하나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도메인 주소를 사용할 수 있다.
     2. httpd.conf내의 <VirtualHost> ~ </VirtualHost> 설정을 이용한다.
     3. <VirtualHost 192.168.0.101>와 같이 가상호스트 별로 서로 다른 IP를 설정하여야 한다.
     4. 각 가상 호스트별로 에러 로그와 액세스 로그를 설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8%

65. 다음 중 iptables의 nat 테이블에 존재하는 사슬명으로 틀린 것은?(2022년 03월)
     1. INPUT
     2. OUTPUT
     3. FORWARD
     4. PREROUTING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ㅇ iptables NAT(네트워크 주소 변환) 테이블에 존재하는 체인의 한 예는 "PREROUTING" 체인이며
     PREROUTING 체인은 들어오는 네트워크 패킷이 로컬 라우팅 결정 논리에 의해 처리되기 전에 조작하는 데 사용됨.
     iptables NAT 테이블에 존재하는 다른 체인에는 "POSTROUTING" 체인, "OUTPUT" 체인 및 "INPUT" 체인이 존재
ㅇ 결과 : PREROUTING, POSTROUTING, OUTPUT, INPUT , (*) FORWARD는 미 존재
[해설작성자 : 정추]

66. httpd 명령어에 사용 가능한 옵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0년 09월)
     1. -d : ServerRoot 변수에 대한 지정
     2. -f : 환경 설정 파일을 지정
     3. -X : 내부적인 테스트를 위해 싱글 프로세스 모드로 실행
     4. -v : 로그 디렉토리 지정

     정답 : []
     정답률 : 36%

67. 웹 서비스를 하기 위해서 DBMS는 꼭 필요한 요소이다. 공개 S/W DBMS 중 PostgreSQL의 3가지 주요특징이 아닌 것은?(2007년 05월)
     1. 관계형 모델
     2. 고수준 확장성
     3. 인공지능
     4. 객체지향

     정답 : []
     정답률 : 53%

68. 다음 중 NIS 서버명과 관련 맵 파일을 출력할 때 사용하는 NIS 클라이언트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2015년 09월)
     1. ypbind
     2. ypcat
     3. yptest
     4. ypwhich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ypwitch : NIS 서버명을 출력합니다.
[해설작성자 : 수험생]

1. ypbind - 클라이언트에 설치 되어야 하는 것 (yp-tools도, NIS서버는 ypserv)
2. ypcat - 맵파일의 내용을 확인
3. yptest - 관련설정을 테스트
4. ypwhich - NIS서버명과 관련 맵파일을 보여줌
[해설작성자 : 정처기합격자]

69. 삼바 서버 데몬인 smbd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못한 것은?(2004년 05월)
     1. smb는 server message block의 약어이다.
     2. TCP 포트 139번을 사용한다.
     3. 클라이언트 요청이 들어오면 새로운 자식 프로세스를 만들어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담당하게 한다.
     4. 클라이언트 연결에 대한 인증이 이루어지면 루트의 권한으로 서비스하게 된다.

     정답 : []
     정답률 : 48%

70. NFS 데몬 가동 후 서버 측에서 새로운 디렉토리를 공유하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2003년 06월)
     1. rpcinfo
     2. mount
     3. exportfs
     4. ntsysv

     정답 : []
     정답률 : 50%

71. 다음 중 NIS 서버 구성 시에 반드시 구동해야할 데몬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8년 09월)
     1. yppasswdd
     2. ypxfrd
     3. ypbind
     4. rpcbind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NIS 서버 데몬
RPC (Remote Procedure Call)을 사용하므로 관련 데몬을 반드시 구동해야한다.
RHEL5버젼까지는 portmap 데몬, RHEL6부터는 rpcbind 데몬이 사용된다.
서버에서는 ypserv, 클라이언트에선 ypbind을 구동시킨다.
ypxfrd : NIS 서버와 NIS 클라이언트 간의 맵핑 속도를 높여주는 데몬.
yppasswdd : NIS클라이언트에서 패스워드 적용에 사용되는 데몬.

=> NIS서버 구성이므로 ypserv 사용, ypbind는 알맞지 않다.

72. ProFTPd 설정 파일에서 쓰이는 지시자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2002년 08월)
     1. ServerType : FTP 서버를 standalone 방식으로 운영할 것인지, inetd 방식으로 운영할 것인지를 지정한다.
     2. RequireValidShell : FTP 서버에 접속 시 사용할 쉘(Shell)을 지정한다.
     3. TimeoutIdle : 접속 대기시간을 설정하는것으로, 접속 후 지정한 시간이상 아무런 동작이 없으면 접속을 종료시킨다.
     4. DisplayLogin : 사용자가 FTP 서버에 로그인 시 보여줄 메시지를 저장하는 파일을 지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31%

73. 다음 중 삼바 서버 설정(smb.conf)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09월)

    

     1. 윈도우상의 workgroup 는 MYGROUP 이다.
     2. 오직 192.168.1. 대역에서만 허락이 가능하다.
     3. 192.168.1. 에서도 허용가능하며, 다른 대역에서도 연결허락이 가능하다.
     4. 서버에 대한 설명은 samba server 이다

     정답 : []
     정답률 : 67%

74. NFS 클라이언트에서 NFS 서버에 익스포트된 정보를 확인하려고 한다.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2016년 09월)

    

     1. exportfs
     2. nfsstat
     3. rpcinfo
     4. showmount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정답 4번 맞아요.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에 익스포트 된 정보 보는 건 showmount -e
***서버에서*** 익스포트 된 정보 보는 건 exportfs

75. NFS 서버에서 클라이언트의 호스트 이름과 마운트된 디렉토리를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는?(2009년 03월)
     1. showmount
     2. nfsstat
     3. exportfs
     4. nhfsstone

     정답 : []
     정답률 : 54%

76. 메일 서비스를 위한 컴포넌트 MUA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2010년 09월)
     1. 아웃룻, 썬더버드등 메일 사용자 에이전트로 메일을 보거나 보낼 수 있는 역할을 핟나.
     2. 메일 전송 에이전트로 메일을 받아 다른 호스트로 메일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3. 수신된 메시지를 사용자의 메일 박스에 저장해주는 역할을 한다.
     4. MUA는 서버에서만 사용되는 컴포넌트이다.

     정답 : []
     정답률 : 39%

77. 다음 설명과 같은 경우에 도입해야할 가상화 기술로 알맞은 것은?(2020년 10월)

    

     1. VirtualBox
     2. RHEV
     3. Docker
     4. Openstack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ㅇ 1. VirtualBox
    이노테크(InnoTek)에서 개발한 가상머신 소프트웨어. 썬 마이크로시스템즈가 이노테크를 인수하고,
    이후 오라클이 썬을 인수한 이후에는 오라클에서 배포되고 있다.
    이전에는 개인용으로만 사용할 수 있는 버전과,
    누구나 어디서나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VirtualBox Open Source Edition(OSE)으로 나뉘어 있었다.
ㅇ 2. RHEV
    Red Hat® Virtualization은 Red Hat Enterprise Linux® 및 KVM에 구축되는 엔터프라이즈 가상화 플랫폼
ㅇ 3. Docker
     Linux® 컨테이너를 만들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테이너화 기술
     애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구축, 테스트 및 배포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플랫폼.
     소프트웨어를 컨테이너라는 표준화된 유닛으로 패키징하며,
     이 컨테이너에는 라이브러리, 시스템 도구, 코드, 런타임 등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모든 것이 포함.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애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배포 및 확장
ㅇ 4. OpenStack
     VNware 기반의 가상 머신과 XenServer 기반의 가상 머신을 통합관리
     오픈스택이란 2010년 7월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인 랙스페이스와 NASA가 처음 시작한 모든 타입의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을 개발하고 관리할 수 있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기반의 클라우드 운영체제.
     서비스형 IaaS를 쉽게 구축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관리자는 데이터센터의 프로세싱, 스토리지, 네트워킹
     자원들을 대시보드를 통해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는 웹을 통해 필요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정추]

78. ProFTPD 서버 설치를 하기 위한 환경파일 설정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2009년 09월)
     1. ServerName “ihd server” : ServerName은 ProFTPD가 현재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의 서버 이름을 “ihd server”로 설정한다.
     2. ServerType standalone : ProFTPD을 실행 시키는 방법으로 ServerType을 standalone으로 설정한다.
     3. MaxInstances 30 : MaxInstances는 ProFTPD 서버가 standalone 모드일 때 최대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를 지정한다.
     4. RequireValidShell off : RequireValidShell은 /etc/shells파일에 정의되지 않는 쉘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FTP 접속을 허락하거나 거절하는 것에 대한 지정이다.

     정답 : []
     정답률 : 14%

79. 다음 설명과 관련 있는 파일로 알맞은 것은?(2015년 09월)

    

     1. /etc/aliases
     2. /etc/mail/access
     3. /etc/mail/virtusertable
     4. /etc/mail/local-host-names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etc/mail/virtusertable : 하나의 메일 서버에 여러 도메인을 사용하는 환경에서 동일한 메일 계정을 요구구할 때 각각의 도메인으로 도착하는 메일을 포워할 때 사용하는 파일입니다.
[해설작성자 : 수험생]

80. 다음 중 메일 암호화 관련 있는 도구로 가장 알맞은 것은?(2016년 03월)
     1. PGP
     2. Nessus
     3. Nmap
     4. Tripwire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1. PGP    : 인터넷에서 전달하는 전자우편을 다른 사람이 받아 볼 수 없도록 암호화하고, 받은 전자우편의 암호를 해석해주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2. Nessus    : 취약점 분석 도구
3. Nmap : 네트워크 보안을 위한 유틸리티. IP 패킷을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어느 호스트가 살아 있고, 그들이 어떠한 포트를 제공하며, 운영 체계 버전이 무엇이며, 방화벽의 패킷 타입이 무엇인지 등 네트워크의 특징들을 검사한다.
4. Tripwire : 시스템 무결성 검사

81. 다음은 sendmail의 매크로 설정파일을 복원하는 과정이다.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8년 03월)

    

     1. ⓐ /etc/mail/sendmail.mc ⓑ /etc/mail/sendmail.cf
     2. ⓐ /etc/mail/sendmail.cf ⓑ /etc/mail/sendmail.mc
     3. ⓐ /etc/mail/sendmail.m4 ⓑ /etc/mail/sendmail.cf
     4. ⓐ /etc/mail/sendmail.cf ⓑ /etc/mail/sendmail.m4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ㅇ m4 명령어는 메일 송/수신 시 필요한 sendmail.cf 생성하는 명령어.
    ex) m4 /etc/mail/sendmail.mc > /etc/mail/sendmail.cf
[해설작성자 : 정추]

82. 아파치 웹 서버의 환경 설정에서 서버의 설정, 에러 로그파일 등이 기록되는 서버 루트 디렉터리의 기본 경로를 지정해 주는 항목으로 알맞은 것은?(2017년 03월)
     1. DocumentRoot "/usr/local/apache/htdocs"
     2. PidFile /usr/local/apache/logs/httpd.pig
     3. ServerRoot "/usr/local/apache"
     4. ScoreBoardFile /usr/local/apache/logs/httpd.scoreboard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DocumentRoot >> 웹 문서들의 기본 디렉터리 설정.
PidFile >> 웹서버 가동시 자신의 PID를 기록할 파일
ServerRoot >> 말그대로 서버의 루트 디렉터리
[해설작성자 : korus물적관리]

83. 웹호스팅 중인 특정 도메인에 대해 어떠한 호스트명을 입력해도 접근이 가능하도록 존 파일을 설정하려고 한다. 다음 ( 괄호) 안에 들어갈내용으로알맞은 것은?(2016년 09월)

    

     1. @
     2. *
     3. $
     4. !

     정답 : []
     정답률 : 52%

84. 다음 명령의 실행 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03년 06월)

    

     1. 원격 시스템에 telnet으로 접속하여 사용자들에게 Sendmail 서비스가 중지될 것이라고 공지한 후, 서비스를 재시작하고 있다.
     2. Sendmail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 확인한 후, 서비스를 중지시키고 있다.
     3. 원격 호스트에 Sendmail 서비스가 중지될 것이라고 공지 이메일을 보낸 후, Sendmail 서비스를 중지 시키고 있다.
     4. 원격 호스트에서 실행 중인 Sendmail 서비스에 접속 하여 해킹을 시도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34%

85. DNS서버에 다음과 같은 zone파일을 생성하여 DNS를 운영하려고 할 때 다음 설명 중 알맞은 것은?(2010년 03월)

    

     1. 주 DNS 서버와 보조 DNS 서버간의 정보 동기화를 위한 시간 간격은 1분이다.
     2. 마스터 서버와의 정보 동기화를 위해 통신이 실패하였을 때 다음 시도를 위한 대기 시간은 15분이다.
     3. 동기화를 하려는 시도에도 불구하고 일정 시간동안 접속이 실패하여 작업을 진행하지 못했을 때 보조 DNS서버가 기존의 정보를 파기하는 시간은 하루이다.
     4. 메일은 192.168.1.6서버에서 수신한다.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60     :    Serial     : 2차 네임서버가 Zone 파일의 수정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옵션입니다.
                                     1차 네임서버와 2차 네임서버를 운영중 일때 1차 네임서버의 Zone 파일의 내용이 변경 되면
                                     반드시 Serial 를 증가 시켜줘야 2차 네임서버가 자신의 현재 Serial 를 비교하여 값이 작다면
                                     Zone 파일의 정보를 갱신을 하게 됩니다.

3H     :    Refresh    : 1차 네임서버의 Zone 파일 수정 여부를 2차 네임서버가 검사를 하기위한 옵션입니다.

15M    :    Retry        : 2차 네임서버에서 1차 네임서버로 연결이 되지 않을 경우 재접속을 요구하는 옵션입니다.

1W     :    Expire     : Secondary가 Expire에서 지정한 시간동안 primay에 연결하지 못 할 경우
                                     해당 도메인이 유효하지 않다고 보고, 해당 도메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 것 입니다.

1D     :    Minimum    : 제 3의 네임서버.즉, 다른 네임서버가 본 서버의 Zone 파일의 정보를 가지고 갔을 경우 그 정보에 대해 캐쉬에
                                     살아있는 시간을 설정하는 것입니다. TTL(Time To Live )값이 명시되지 않은 레코드는 본 값을 기본으로 갖게되며
                                     특정 레코드가 변경이 되었을 때, 이것이 다른 네임서버로 정보가 전달되어 업데이트가 되는 주기는 Minimum의 값을
                                     기본으로 합니다. 일반적으로 10800(3H)가 적당합니다.
[해설작성자 : 강선균]

86. 다음 중 PAM 관련 설정 파일에서 사용되는 파일로 기본 설정이 접근 거부될 사용자 목록 파일은?(2019년 03월)
     1. /etc/vsftpd/ftpuser
     2. /etc/vsftpd/ftpusers
     3. /etc/vsftpd/user_list
     4. /etc/vsftpd/users_list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ㅇ PAM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인증 모듈(Pluggable Authentication Modules)'로써
     응용 프로그램(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 권한을 제어하는 모듈.
ㅇ PAM 관련 설정 파일에서 사용되는 파일로 기본 설정이 접근 거부될 사용자 목록 파일    
    -> /etc/vsftpd/ftpusers
ㅇ    vsftpd 서버에 접근이 불가능한 사용자 목록 파일에는
        /etc/vsftpd/ftpusers 와 /etc/vsftpd/user_list 두가지가 있다
[해설작성자 : 정추]

87. 센드메일의 Relay 설정파일인 /etc/mail/access의 메일 거부패턴 설정옵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4년 05월)
     1. 501 : 지정한 메일주소와 일치하는 메일 수신을 거부한다.
     2. 503 : 지정된 도메인으로부터 받은 메일은 모두 폐기한다.
     3. 553 : 발신 메일주소에 호스트명이 없을 경우 메일을 받지 않는다.
     4. 550 : 지정된 도메인과 관련된 모든 메일의 수신을 거부한다.

     정답 : []
     정답률 : 12%

88. BIND 네임 서버의 최상위 설정파일로 알맞은 것은?(2012년 03월)
     1. /var/named/bind.conf
     2. /etc/bind.conf
     3. /etc/named.conf
     4. /var/name.conf

     정답 : []
     정답률 : 54%

89.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를 이용해 서핑을 할 때 느린 속도를 보완해 주기 위해 캐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무엇인가?(2011년 03월)
     1. NIS
     2. SMTP
     3. DHCP
     4. PROXY

     정답 : []
     정답률 : 69%

90. 네임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파일로서 설정 파일의 디렉토리, 파일의 위치 등을 지정하는 파일은?(2003년 10월)
     1. resolv.conf
     2. named.conf
     3. named.ca
     4. named.local

     정답 : []
     정답률 : 30%

91. 아파치 웹 데몬 시작 시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됐다. 다음 중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정되는 파일로 가장 알맞은 것은?(2018년 03월)

    

     1. /etc/hosts
     2. /etc/netconfig
     3. httpd-default.conf
     4. httpd-userdir.conf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ㅇ # /usr/local/apache/bin/apachectl start
    httpd: apr_sockaddr_info_get() failed for www -> www라는 호스트네임을 못찾음
    httpd: Could not reiliably determine the server's fully
    qualified domain name, using 127.0.0.1 for Server Name
    
ㅇ /etc/hosts
        용도 : 호스트 이름을 IP 주소에 매핑하는 로컬 정적 테이블
        형식 : <IP_address> <host_name>
                     127.0.0.1     localhost
                     127.0.0.2     www
[해설작성자 : 정추]

92. 운영 중인 텔넷 서비스의 이용 시간을 제한하려고 한다.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5년 09월)

    

     1. allow_time
     2. allow_times
     3. access_time
     4. access_times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access_times : 지정된 시간에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설정하는 항목입니다.
[해설작성자 : 수험생]

93. DHCP 클라이언트는 DHCP 서버에 요청을 하여 IP, 게이트웨이 정보, DNS 정보 등을 받아오는 역할을 한다. MAC 주소가 00:10:4B:D6:49:22이고, 요청하는 IP를 192.168.5.5로 요청한다고 하고, leasetime은 60초 그리고 호스트 이름을 ihd, 타임 아웃은 30초라고 설정했을 때 다음 ( )안에 알맞은 옵션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순서대로 (ㄱ) (ㄴ) (ㄷ) (ㄹ) (ㅁ))(2007년 05월)

    

     1. -I -s -l -t -h
     2. -i -r -l -t -h
     3. -i -s -l -o -h
     4. -I -r -l -o -h

     정답 : []
     정답률 : 23%

94. 다음의 경우에 구축하면 유용한 서버로 알맞은 것은?(2015년 03월)

    

     1. NTP 서버
     2. DHCP 서버
     3. PROXY 서버
     4. VNC 서버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 VNC 서버란?

그래픽 모드로 원격 관리를 지원하는 VNC 서버는 원격지에서 X 윈도우 환경 자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버 프로그램이다.
텔넷과 개념이 거의 동일하지만, 텔넷은 전통적으로 오랫동안 사용해 왔으므로 대부분의 OS에 telnet이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있지만, VNC의 경우에는 별도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설치해 주어야 한다.
VNC의 경우 원격지로 그래픽 화면을 전송하는 원리이므로, 텍스트만 전송하는 텔넷에 비해서 속도가 많이 느려지는 단점이 있다.
[해설작성자 : ㄱㅇㄷ]

95. MAC 주소를 이용하여 서버나 호스트의 위치를 찾기 위한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의 옵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9월)
     1. arp –a : 캐시에 있는 특정된 호스트 또는 모든 호스트를 나열한다.
     2. arp –s : 현재 캐시에 있는 특정한 호스트에 대한 MAC 주소의 값을 생성 또는 변경한다.
     3. arp –d : 현재 캐시에 있는 특정한 호스트에 대한 MAC 주소의 값을 지운다.
     4. arp –v : 정적인 모드로 보여준다.

     정답 : []
     정답률 : 34%

96. 다음 시나리오 상에서 추측할 수 있 는 공격 패턴을 모두 나열한 것은?(2007년 08월)

    

     1. 루트킷
     2. DoS, 트로이목마
     3. DoS, 백도어
     4. 백도어, 루트킷

     정답 : []
     정답률 : 53%

97. 다음의 C언어로 작성된 소스코드는 내부공격 방법 중의 하나이다. 어떤 공격을 하는 코드인가?(2010년 03월)

    

     1. 디스크 채우기
     2. 프로세스 대량 만들기
     3. 메모리 고갈
     4. 모든 프로세스 죽이기

     정답 : []
     정답률 : 58%

98. 네트워크를 통해 많은 컴퓨터에 자기 자신의 복사본을 보낼 수 있는 프로그램과 관련 있는 것은?(2007년 03월)
     1. 백도어
     2. 바이러스
     3.
     4. 트로이목마

     정답 : []
     정답률 : 34%

99.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공격 유형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2019년 09월)

    

     1. Brute Force
     2. Land Attack
     3. DDoS Attack
     4. TCP SYN Flooding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다중 교환(Multi-switching) : 다수의 작업이 동시 실행되나 포그라운드 프로그램만 동작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ㅇ Land Attack
    공격자가 패킷의 출발지 주소(Address)나 포트(port)를 임의로 변경하여 출발지와 목적지의 주소(또는 포트)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공격 대상 컴퓨터의 실행 속도를 느리게 하거나 동작을 마비시켜 서비스 거부 상태에 빠지도록 하는 공격 방법.
ㅇ DDoS Attack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attack / 약칭 DDoS Attack)이란 특정 서버(컴퓨터)나 네트워크 장비를 대상으로
    많은 데이터를 발생시켜 장애를 일으키는 대표적인 서비스 거부 공격이다.    
ㅇ TCP SYN Flooding :
    DoS 공격의 한 종류이며 TCP의 연결과정(3Way Handshake)에서 취약점을 이용하여 공격한다
    이 공격을 당하게 되면 TCP의 연결 가능한 자원을 모두 소진하게 되고 외부 사용자는 TCP 연결을 할수가 없게 된다
[해설작성자 : 정추]

100. 해커를 유인하여 그들의 해킹 수법이나 행동방식 등을 연구하기 위한 서버로 해커의 접근 시 해커의 동작을 모니터링 하여 최신 해킹 기술이나 해커의 신분 등 각종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서버의 이름은 무엇인가?(2002년 05월)
     1. VPN
     2. IDS
     3. Honeypot
     4. Firewall

     정답 : []
     정답률 : 47%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리눅스마스터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3997202)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리눅스마스터, 1급, 리눅스, 마스터,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51 9급 지방직 공무원 안전관리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450 양화장치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8516003)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449 콘크리트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3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448 실내건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3월0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447 수능(생활과윤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6월1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446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정보봉사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445 9급 국가직 공무원 응용역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3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444 9급 국가직 공무원 과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4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443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행정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442 수능(경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10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441 컴퓨터활용능력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9월2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2
440 9급 지방직 공무원 정보봉사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2581880)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439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3월0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2
438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지방세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437 용접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5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 리눅스마스터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3997202) 좋은아빠되기 2025.11.23 2
435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6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434 변리사 1차(3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2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433 9급 국가직 공무원 기계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4월1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432 산업위생관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3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Board Pagination Prev 1 ...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333 ... 351 Next
/ 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