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온실가스관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186297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온실가스관리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기후변화개론


1.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의 주요기준이 되는 원칙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9월)
     1. 과학적 확실성의 원칙
     2. 공통이지만 차별화된 책임의 원칙
     3. 각자 능력의 원칙
     4. 사전예방의 원칙

     정답 : []
     정답률 : 72%

2. 제2차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 시 기후변화 리스크의 기반 선진화된 적응관리체계 마련을 위한 단계별 기후변화 리스크 평가절차가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된 것은?(2020년 09월)
     1. 분석→파악→평가→우선순위 설정
     2. 파악→분석→평가→우선순위 설정
     3. 분석→파악→우선순위 설정→평가
     4. 파악→분석→우선순위 설정→평가

     정답 : []
     정답률 : 78%

3. 탄소성적표지 제도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4월)
     1. 온실가스 배출량을 제품에 표기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시장주도 저탄소 소비문화확산에 기여한다.
     2. 법적 강제 인증제도가 아니라 기업의 자발적 참여에 의한 인증제도이다.
     3. 탄소배출량 인증, 저탄소제품 인증, 탄소중립 제품 인증의 3단계로 구성된다.
     4. 탄소배출인증제품은 기후변화에 대응한 제품임을 기업에서 인증한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여러 재료와 제품의 생산·유통·소비·폐기 과정에 얽힌 지구온난화 정보를 계량화해 라벨(label)로 내보이는 체계.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 인증해 준다. 탄소배출량인증과 저탄소제품인증을 포괄한다. 2009년 2월 녹색소비문화 정착을 목표로 삼아 도입했다. 2012년 12월 31일까지 131개 기업, 263개 사업장, 807개 제품이 인증을 획득했다. 환경부는 2013년 2월부터 탄소성적표지 인증을 신청하는 중소기업에 수수료 50%를 깎아 주는 등 제도 확산을 꾀했다.
[해설작성자 : 온실가스 관리기사맨]

4. CDM사업관련 주요기관의 기능 및 역할에 관한 설명으로 ( )에 가장 적합한 기관은?(2021년 09월)

   

     1. 국가 CDM 승인기구(DNA)
     2. CDM 사업운영기구(DOE)
     3. CDM 집행위원회(EB)
     4. 당사국총회(COP/MOP)

     정답 : []
     정답률 : 74%

5. 지구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척도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9월)
     1. 해수면 변화, 해양 온도
     2. 강수 온도, 건축물 온도 측정
     3. 빙하, 해빙
     4. 위성 온도 측정, 기후 대리변수

     정답 : []
     정답률 : 86%

6. 기후변화협약의 모든 당사국이 이행해야 할 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2016년 05월)
     1. 모든 온실가스의 배출원에 의한 인위적 배출과 흡수원에 의한 제거에 대한 국가통계를 작성하고 당사국총회에 통보한다.
     2. 기후변화의 부정적 효과에 특히 취약한 개발도상국이 이에 적응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을 지원한다.
     3. 기후변화의 완화조치와 적절한 대응계획을 세루고 정기적으로 갱신한다.
     4. 기후변화와 관련된 과학적, 기술적, 사회경제적, 법률적 정보의 포괄적이고 신속한 교환을 도모하고 이에 협력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7. 기후변화 관련 국제기구 중 ( )안에 알맞은 것은?(2018년 04월)

   

     1. SBSTA
     2. SBI
     3. WMO
     4. GEO

     정답 : []
     정답률 : 90%

8. 우리나라가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에 가입한 연도와 교토의정서를 비준한 연도가 알맞게 짝지어진 것은?(2016년 05월)
     1. 1992년, 1998년
     2. 1993년, 2002년
     3. 1995년, 2005년
     4. 1997년, 2008년

     정답 : []
     정답률 : 80%

9. 기후변화 대응기술 및 정책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9월)
     1. 무경농법은 수확한 농토를 갈지 않고 그루터기에 파종하는 방법으로서 농경지에서 온실가스 배출을 저감하는 방법에 활용할 수 있다.
     2. 보호지역제도 관리대안으로 UNESCO는 생물권 보전지역 지정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3. 산림이 농경지나 산업용지, 도시용지로 바뀌면 자연의 이산화탄소 흡수능력이 약화되므로 토지이용 형태를 고려해야 한다.
     4. 생물 멸종을 막기 위해서는 특히 먹이사슬의 아래쪽에 있는 동물의 멸종을 막도록 하는 것이 보다 중요하고, 로드킬 예방을 위해 생태이동통로에 충붐한 먹이공급시설을 갖춘다.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생물멸종을 막기위해서는 먹이사슬 아래쪽이 아니라, 멸종위기에 처한 종을 우선 보호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지금시작]

10.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의 주요 결과와 거리가 먼 것은?(2018년 09월)
     1. 교토에서 교토의정서를 채택하였다.
     2. 더반에서 교토의 정서 제2차 공약기간 설정에 합의하였다.
     3. 코펜하겐에서 개도국의 능동적이고 자발적 감축행동을 취하기로 하는 행동계획을 채택하였다.
     4. 나이로비에서 개도국의 기후변화적응지원에 관한 5개년 행동계획을 채택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덴마크 코펜하겐(15차) 개도국과 선진국 대립
[해설작성자 : 낼시험]

11. 부문별 관장기관이 생성한 국가 온실가스 배출통계를 최종확정하기까지의 절차를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2021년 05월)

    

     1. ㄴ→ㄱ→ㄷ→ㄹ
     2. ㄴ→ㄷ→ㄹ→ㄱ
     3. ㄴ→ㄹ→ㄷ→ㄱ
     4. ㄱ→ㄴ→ㄹ→ㄷ

     정답 : []
     정답률 : 88%

12. 기후변화에 대한 정부간 패널(IPCC)의 실행그룹 중 기후변화의 영향평가와 적응 및 취약성 분야의 역할을 담당하는 것은?(2021년 09월)
     1. Working Group 1
     2. Working Group 2
     3. Working Group 3
     4. Task Force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WG1 : 기후변화의 물리과학적 측면 평가, 기후모델 및 기후전망, 기후변화 원인 등 연구
WG2 : 기후변화에 대한 사회-경제적 취약성 및 적응, 영향 평가
WG3 : 온실가스 배출 방지, 제한을 통한 기후변화 완화 평가 및 완화에 따른 비용, 편익 및 정책분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3. 다음 온실가스 중 온실가스 배출 총량비(%)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2017년 05월)
     1. 이산화탄소
     2. 메탄
     3. 아산화질소
     4. 육불화황

     정답 : []
     정답률 : 90%

14. 국제 기후변화 관련 협약이 시대순으로 옳게 나열된 것은?(2021년 05월)
     1. 마라케시 합의 → 코펜하겐 합의 → 발리 로드맵 → 칸쿤 합의
     2. 발리 로드맵 → 코펜하겐 합의 → 칸쿤 합의 → 더반 결과물
     3. 교토의정서 → 마라케시 합의 → 더반 결과물 → 칸쿤 합의
     4. 코펜하겐 합의 → 발리 로드맵 → 칸쿤 합의 → 더반 결과물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3차: 교토의정서
7차 마라케시: 교토메카니즘, 흡수원, 의무준수체계 합의
13차 발리로드맵: 2007, Post-2012 체제 구축 합의
15차 코펜하겐: 결렬
16차 칸쿤합의: GCF 합의
17차 더반: 더반플랫폼(새로운 대응체제 설립 합의). 교토의정서 연장 제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5. 21세기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이상기후 현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1년 09월)
     1. 집중적인 호우
     2. 중위도 지역 폭풍의 강도 증가
     3. 대부분 중위도 내륙에서의 혹서피해와 한발 위험증가
     4. 최고 기온의 하강, 무더운 일수와 혹서기간의 감소

     정답 : []
     정답률 : 90%

16. 기후변화로 인한 한반도의 환경적 영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6년 05월)
     1. 폐기물의 증가
     2. 생물 다양성 감소
     3. 농수산물 생산 변화
     4. 집중호우 등의 자연재해

     정답 : []
     정답률 : 91%

17. 다음 설명하는 당사국회의는?(2018년 04월)

    

     1. 카타르 도하 총회
     2. 페루 리마 총회
     3. 프랑스 파리 총회
     4. 폴란드 바르샤바 총회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2014 COP20 페루리마총회
2015 COP21 파리협정
[해설작성자 : ㅇㅇ]

18. 우리나라가 2011년에 세계표준센터를 유치한 온실가스는?(2016년 05월)
     1. 이산화탄소
     2. 메탄
     3. 아산화질소
     4. 육불화황

     정답 : []
     정답률 : 62%

19. 온실가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4월)
     1. 육불화황은 전기제품이나 변압기 등의 절연체로 사용된다.
     2. 수소불화탄소와 과불화탄소는 CFCs의 대체물질로 냉매, 소화기 등에 사용된다.
     3. 이산화탄소는 탄소 성분과 대기 중의 산소가 결합하는 연소 반응을 통해 대기 중에 배출된다.
     4. 아산화질소는 온실가스 중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95%

20. 국가 및 지자체 온실가스 인벤토리 산정 대상분야로 거리가 먼 것은?(2018년 04월)
     1. 에너지
     2. 산업공정
     3. 농업
     4. 생태계

     정답 : []
     정답률 : 93%

2과목 : 온실가스 배출의 이해


21. 고정연소시설에 사용하는 기체연료 중 발전소, 산업공정의 스팀과 열생산, 가정이나 상업용 난방 등에 주로 쓰이는 천연가스의 일반적인 주성분은?(2017년 09월)
     1. 메탄
     2. 부탄
     3. 프로판
     4. 에탄

     정답 : []
     정답률 : 78%

22.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소다회 생산의 배출활동 개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9월)
     1. 천연 소다회 생산공정에서는 이 공정 중에 트로나(Trona)(천연 소다회를 만들어 내는 중요한 광석)는 로터리 킬른 속에서 소성되고, 화학적으로 천연 소다회로 변형된다.
     2. 천연 소다회 생상공정에서 이산화탄소와 물이 이 공정의 부산물로 생성된다.
     3. 솔베이법 합성공정에서는 염화나트륨 수용액, 석회석, 야금 코크스, 암모니아는 소다회의 의 생산을 유도하는 일련의 반응에 사용되는 원료이다.
     4. 솔베이법 합성공정에서 암모니아는 급속도로 손실되므로, 일정 반응 후 계속 주입이 필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암모니아는 아주 작은 양만 손실되고, 대부분 재생된다.

23.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원료별 사용 비율에 따른 전 세계카프로락탐 생산능력이 큰 순서부터 작은 순서로 옳게 나열된 것은?(2017년 09월)
     1. 페놀 > 톨루엔 > 싸이클로헥산
     2. 톨루엔 > 싸이클로헥산 > 페놀
     3. 싸이클로헥산 > 페놀 > 톨루엔
     4. 페놀 > 싸이클로헥산 > 톨루엔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카프로락탐 생산능력>
싸이클로헥산 70%, 페놀 25%, 나머지 톨루엔
[해설작성자 : 온앤오프팬]

24. 다음 배출 시설 중 철강생산 공정배출 시설과 가장 거리가 먼 배출시설은? (단,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 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2016년 05월)
     1. 코크스로
     2. 가열로
     3. 고로
     4. 전로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일관제철시설, 코크스로, 소결로, 용선로(제선로,고로), 전로, 전기아크로, 평로 총 7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5.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석회석(CaCO3)이 사용되지 않는 공정은?(2016년 10월)
     1. 유리생산 공정
     2. 암모니아생산 공정
     3. 카아이드생산 공정
     4. 철강생산

     정답 : []
     정답률 : 72%

26. 다음은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항공기에서의 배출활동 개요이다. ()안에 알맞은 것은?(2019년 09월)

    

     1. ㉠ 90%, ㉡ 10%
     2. ㉠ 10%, ㉡ 90%
     3. ㉠ 50%, ㉡ 50%
     4. ㉠ 75%, ㉡ 23%

     정답 : []
     정답률 : 74%

27.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철도 부문 보고대상 배출시설을 <보기>에서 모두 선택한 것은?(2018년 09월)

    

     1.
     2. ㄱ, ㄴ
     3. ㄱ, ㄴ, ㄷ
     4.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철도 부문의 보고대상 배출시설
① 고속차량
② 전기기관차
③ 전기동차
④ 디젤기관차
⑤ 디젤동차
⑥ 특수차량

28.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이동연소(도로) 부분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시 필요한 자료와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4월)
     1. 연료의 열량계수
     2. 연료의 생산지
     3. 연료의 사용량
     4. 연료에 따른 온실가스의 배출계수

     정답 :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이동연소(도로) 부분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Tier 1)
Ei,j : 연료(i)의 연소에 따른 온실가스(j)의 배출량(tGHG)
Qi : 연료(i)의 사용량(KL-연료)
ECi : 연료(i)의 열량계수(순발열량, MJ/L-연료)
EFi,j : 연료(i)에 따른 온실가스(j)의 배출계수(kgGHG/TJ-연료)
i : 연료 종류

29.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하수처리에 있어서 Tier 1으로 배출계수를 산정할 때, 혐기석 처리공정이 있는 경우, IPCC 가이드라인에서 CH4 배출계수(kgCH4/kgBOD)로 옳은 것은?(2016년 10월)
     1. 0.2
     2. 0.48
     3. 0.62
     4. 1.2

     정답 : []
     정답률 : 61%

30.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이동연소(도로)의 보고대상 배출시설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2017년 05월)
     1. 경영 승용자동차
     2. 대형 승합자동차
     3. 대형 화물자동차
     4. 경형 이륜자동차

     정답 : []
     정답률 : 90%

31. 본체 내부에 노통화로, 연관 등을 설치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고 있으나, 고압용이나 대용량에는 적합하지 않은 배출시설은?(2016년 10월)
     1. 수관식 보일러
     2. 주철형 보일러
     3. 원통형 보일러
     4. 소각 보일러

     정답 : []
     정답률 : 85%

32.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고체연료(고정연소) 연소의 산화계수 Tier 2에 대한 설명으로 ( )에 알맞은 것은?(2020년 09월)

    

     1. ㉮ 에너지, ㉯ 0.99, ㉰ 0.995
     2. ㉮ 에너지, ㉯ 0.995, ㉰ 0.98
     3. ㉮ 발전, ㉯ 0.99, ㉰ 0.98
     4. ㉮ 발전, ㉯ 0.995, ㉰ 0.99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Tier 2
발전 부문은 산화계수(f) 0.99를 적용하고, 기타부문은 0.98을 적용한다. 단,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에서 별도의 계수를 공표하여 지침에 수록된 경우 그 값을 적용한다.

33. 다음 중 A사업장과 B사업장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에서 제외되는 경우는?(2019년 04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할당대상업체의 조직경계 내에 발전설비가 위치하여 생산된 전력을 자체적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간접적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에서 제외하도록 한다.
ㄱ:A 사업장 내에 위치한 발전설비에서의 전력생산에 따른 직접 온실가스 배출량(A 사업장의 직접적 온실가스 배출량으로서 보고)
ㄴ:A 사업장에서 생산한 전력을 A사업장 내에서 자체적으로 공급한 경우(전력사용에 따른 간접적 온실가스 배출량산정에서 제외)
ㄷ:A 사업장에서 생산한 전력을 B 사업장에 공급한 경우(B 사업장의 간접적 온실가스 배출량으로서 보고

34. 시멘트 생산 공정배출에서 배출량 산정방법에 필요한 자료가 아닌 것은?(2020년 09월)
     1. 클링커 생산에 따른 CO2 배출량
     2. 클링커 생산량당 CO2배출 계수
     3. 시멘트 킬른먼지(CKD) 생산량
     4. 석회 생산량

     정답 : []
     정답률 : 73%

35.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다음 철강생산 공정 중 CO2 배출계수 값(tCO2/t-생산물)이 가장 큰 곳은?(2022년 04월)
     1. 직접 환원철 생산
     2. 전기로
     3. 코크스 오븐
     4. 전로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헷갈릴 수 잇는 내용
4. 전로 : 철강생산 공정 중 CO2 ((배출계수))값이 가장 큰것
2. 전기로 : 합금철 생산공정에서 온실가스의 주 배출원
[해설작성자 : 아주환경나이스]

코크스 생산, 철과 강 생산에서의 CO2 배출계수
1. 직접 환원철 생산 : 0.70
2. 전기로 : 0.08
3. 코크스 오븐 : 0.56
4. 전로 : 1.46
[해설작성자 : JS]

36. 철강생산공정 중 제선공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2015년 05월)
     1. 소결 공정
     2. 전로공정
     3. 코크스 공정
     4. 고로 공정

     정답 : []
     정답률 : 55%

37.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하⋅폐수 처리의 가축분뇨 공공처리시설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종류의 조합으로 맞는 것은?(2021년 05월)
     1. CO2, CH4
     2. CO2, N2O
     3. CO2, CH4, N2O
     4. CH4, N2O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하ㆍ폐수는 현장에서 처리되거나, 중앙 집중화된 시설을 통해 처리되며, 처리 과정에서 CH4 및 N2O를 배출한다. 하ㆍ폐수로부터 배출되는 CO2는 생물 기원으로 배출량 산정 시 제외하도록 한다.
[해설작성자 : 나온]

38. 매립시설의 기능을 3가지로 대별한 구분으로 거리가 먼 것은?(2020년 09월)
     1. 저류기능
     2. 회복기능
     3. 차수기능
     4. 처리기능

     정답 : []
     정답률 : 81%

39.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에 따라 Tier 1 산정방법론으로 반도체 제조공정의 FC 가스 배출량을 구하고자 한다. 이 때 활용되는 다음 식에서 Qi의 의미는? (단, FCgas는 FC 가스의 배출량, EFFC는 배출계수임)(2022년 04월)

    

     1. 원료투입량(kg)
     2. FC 가스주입량(m3/y)
     3. 제품생산량(t/y)
     4. 제품생산실적(m2/y)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FCgas : FC 가스(j)의 배출량(tGHG)
Qi : 제품생산 실적 (m2)
EFFC : 배출계수, 제품생산실적 m2당 사용되는 가스량(kg/m2)
[해설작성자 : JS]

40. 아연생산 배출시설 중 광석이 융해되지 않을 정도의 온도에서 광석과 산소, 수증기, 탄소, 염화물 또는 염소 등을 상호작용 시켜서 다음 제련조작에서 처리하기 쉬운 화합물로 변화시키거나 어떤 성분을 기화시켜 제거하는 데 사용되는 로는?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2015년 09월)
     1. 용융로
     2. 전해로
     3. 용해로
     4. 배소로

     정답 : []
     정답률 : 76%

3과목 : 온실가스 산정과 데이터 품질관리


41.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배출량에 따른 시설규모 분류기준 중 연간 배출량이 가장 많은 배출시설이 속한 그룹은?(2021년 05월)
     1. A 그룹
     2. B 그룹
     3. C 그룹
     4. D 그룹

     정답 : []
     정답률 : 82%

42. 건물업종 관리업체 A에서 1년 간 도시가스(LNG) 58.970Nm3을 사용했을 때 온실가스 배출량은? (단, 발열량과 배출계수는 아래 표 참조, 산화계수는 1.0을 적용)(2018년 09월)

    

     1. 83.19tCO2-eq
     2. 96.24tCO2-eq
     3. 113.44tCO2-eq
     4. 130.66tCO2-eq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58,971Nm3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3.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 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상 상대정확도 시험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16년 05월)
     1. 관리업체의 측정기기 또는 데이터 수집기간의 통신상태 및 댁시분야 환경오염공정시험기준에 적합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시험이다.
     2. 측정자료 간의 오차율을 비교하여 정확성을 확인하는 시험으로 대기분야 환경오염 공정시험기준에 따라 적합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시험이다.
     3. 측정기기의 설치위치, 환경조건, 기능, 성능 등이 대기분야 환경오염 공정시험기준에 적합한지를 확인하는 시험이다.
     4. 상대정확도 시험은 확인검사와 통합시험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80%

44.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항공부문의 이동연소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9월)
     1. 배출량 산정방법론은 Tier 1, 2, 3의 세등급으로 구분할 수 있다.
     2. Tier 2수준의 배출량 산정방법론은 제트연료를 사용하는 항공기에 적용된다.
     3. Tier 1수준에서 활동자료의 측정불확도는 ±7.5% 이내이다.
     4. Tier 2수준에서 활동자료의 측정불확도는 ±5.0% 이내이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이동연소[항공] 부문의 배출량 산정방법론은 Tier 1, 2의 등급으로 구분됨
[해설작성자 : JS]

45.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납 생산에 대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을 산정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5월)
     1. 보고대상 온실가스는 CO2와 CH4이다.
     2. 배출량 산정방법론으로 Tier 1~4까지 4가지 방법론이 있다.
     3. Tier 1 방법론은 생산된 납의 양(t)에 납생산량 당 배출계수(tCO2/t-생산된 납)를 곱하여 배출량을 산정하는 방법이다.
     4. Tier 3 방법론 적용을 위해서는 사업자가 자체적으로 고유 배출계수를 개발하여 적용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납 생산공정 중 보고대상 배출시설 3가지 및 온실가스 종류
1. 보고대상 배출시설
- 배소로, 용융·융해로, 기타 제련공정
2. 온실가스 종류 : 이산화탄소(CO2)
[해설작성자 : DoubleM2]

46.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모니터링 계획 작성원칙 중 “모니터링 계획에 보고된 동일 배출시설 및 배출활동에 관한 데이터는 상호비교가 가능하도록 해야한다.”는 것과 가장 관련이 깊은 원칙은?(2018년 04월)
     1. 준수성
     2. 일관성
     3. 투명성
     4. 완전성

     정답 : []
     정답률 : 75%

47.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에 의거, 소다회 생산에 대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5월)
     1. 보고대상 온실가스는 CO2만 해당한다.
     2. 활동자료로서 트로나(Trona) 광석 사용량 또는 소다회 생산량 자료를 사용한다.
     3. 연속측정방식(CEM)을 이용한 배출량 산정방법론은 적용될 수 없다.
     4. 2006 IPPC 가이드라인에서 소다회 단위 생산량에 대한 기본 배출계수값을 제공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소다회 생산의 보고대상 온실가스는 CO2이고, 연속측정방식을 이용하는방식이다.
[해설작성자 : 탄소중립]

48.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관리업게 A에서 납 생산공정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시 Tier 1을 적용할 때, 활동자료 측정불확도 기준으로 적합한 것은?(2019년 09월)
     1. ±7.5% 이내의 납 생산량 자료를 사용한다.
     2. ±5.0% 이내의 납 생산량 자료를 사용한다.
     3. ±2.5% 이내의 납 생산량 자료를 사용한다.
     4. ±2.0% 이내의 납 생산량 자료를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84%

49.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운영을 위한 검증지침에서 검증계획 수립 시 주요 배출시설의 경우, 검증시간 배분등에 우선적으로 반영하여야 하는데, 이 주요 배출시설의 기준은?(2015년 05월)
     1. 온실가스 배출량의 총량대비 누적합계가 100분의 95를 차지하는 배출시설
     2. 온실가스 배출량의 총량대비 누적합계가 100분의 90를 차지하는 배출시설
     3. 온실가스 배출량의 총량대비 누적합계가 100분의 85를 차지하는 배출시설
     4. 온실가스 배출량의 총량대비 누적합계가 100분의 80를 차지하는 배출시설

     정답 : []
     정답률 : 60%

50.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제 하에서 구매한 연료 및 원료전력 및 열에너지를 정도검사를 받지 않은 내부측정기기를 이용하여 활동자료를 분배 결정하는 모니터링 유형은?(2014년 09월)
     1. A-1
     2. A-2
     3. C-1
     4. D-5

     정답 : []
     정답률 : 74%

51.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관리업체 지정과 관련하여 건물이 건축물 대장 또는 등기부에 각각 등재되어 있거나 소유지분을 달리하고 있는 경우에 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9월)
     1. 인접한 대지에 동일 법인이 여러 건물을 소유한 경우에는 한 건물로 본다.
     2. 건물의 소유구분이 지분형식으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지분별로 건물의 소유지분을 구분한다.
     3. 에너지 관리의 연계성이 있는 복수의 건물은 한 건물로 본다.
     4. 동일 부지 내에 있거나 인접 또는 연접한 집합건물이 동일한 조직에 의해 에너지 공급·관리 또는 온실가스 관리 등을 받을 경우에도 한 건물로 간주한다.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건물의 소유구분이 지분형식으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최대 지분을 보유한 법인 등을 당해 건물의 소유자로 본다.

52.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건물이 건축물 대장 또는 등기부등에 각각 등재되어 있거나 수유지분을 달리하고 있는 경우의 조직경계 설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연접한 대지에 동일 법인이 여러 건물을 소유한 경우에는 한 건물로 본다.
     2. 에너지관리의 연계성이 있는 복수의 건물 등은 한 건물로 본다.
     3. 연접한 집한건물이 동일한 조직에 의해 에너지공급ㆍ관리를 받는 경우에도 한 건물로 간주한다.
     4. 건물의 소유구분이 지분형식으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보유지분에 따라 경계를 분발한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건물의 소유구분이 지분형식으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최대 지분을 보유한 법인 등을 당해 건물의 소유자로 본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3.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연료 둥 구매량 기반 모니터링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아래 유형은 어디에 해당하는가?(2021년 05월)

    

     1. A-1 유형
     2. A-2 유형
     3. A-3 유형
     4. A-4 유형

     정답 : []
     정답률 : 62%

54.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연료의 경우 분석항목에 따른 시료의 최소 분석주기를 만족하여야 하는데, 다음 중 시료의 최소 분석주기 기준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고체연료(원소함량 분석) - 월 1회 또는 연료 입하 시 (더운 짧은 주기)
     2. 액체연료(원소함량 분석) - 분기 1회 또는 연료 입하 시 (더욱 짧은 주기)
     3. 기체연료 중 천연가스, 도시가스(가스성분 분석) - 연 1회 또는 연료 입하 시
     4. 기체연료 중 공정부생가스(가스성분 분석) - 월 1회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기체연료 중 천연가스, 도시가스 : 반기 1회
[해설작성자 : Ice Breakers]

55. 고정연소(고체연료)의 보고대상 시설 중 일반보일러 시설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2021년 09월)
     1. 일반보일러 시설은 연료의 연소열을 물에 전달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시설을 말한다.
     2. 일반보일러 시설은 크게 물 및 증기를 넣는 철제용기(보일러 본체)와 연료의 연소장치 및 연소실(화로)로 나눌 수 있다.
     3. 원통형보일러는 주물계의 Section을 몇 개 전후로 짜 맞춘 보일러로써 하부는 연소실, 상부는 굴뚝으로 되어 있다.
     4. 수관식보일러는 작은 직경의 드럼과 여러 개의 수관으로 나누어져 있고 수관 내에서 증발이 일어나도록 되어 있으며 고압, 대용량으로 적합하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3번 설명은 원통형보일러가 아닌, "주철형보일러"에 대한 설명입니다.
원통형보일러는 "구멍이 큰 원통을 본체로 하여 그 내부에 노통화로, 연관 등을 설치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고 있으나, 고압용이나 대용량에는 적합지 않다. 종류에는 입식보일러, 노통보일러, 연관보일러, 노통연관보일러 등이 있다." 라고 쓰여져 있습니다.
출처) 환경부 -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 내 [별표 6] 배출활동별 온실가스 배출량 등의 세부산정방법 및 기준 (제11조 관련)
[해설작성자 : yul]

56.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아디프산 생산량이 320t일 때(감축기술은 촉매분해방법 적용), 발생되는 온실가스 배출량(tCO2-eq)은?(2019년 04월)

    

     1. 3458.07
     2. 3874.92
     3. 4338.02
     4. 5260.08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300(kgN2o/t-아디프산)*320(t-아디프산)*(1-0.925*0.89)*10^(-3) = 16.968
N2O는 310tCO2-eq이므로, 16.968*310 = 5260.08tCO2-eq

57. A씨는 하루 30L의 휘발유를 소모한다. 이로인해 매일 A씨가 지구온난화에 기여하는 이산화탄소의 하루 동안의 배출총량(kgCO2/일)은?(단, 순발열량은 30,3MJ/L(Tier 2), 차량용 휘발유의 CO2배출계수는 69300kg/TJ)(2017년 09월)
     1. 123
     2. 92
     3. 85
     4. 63

     정답 : []
     정답률 : 66%

58.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탄산염의 기타 공정 사용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Tier 2 산정방법론으로 산정할 때, 활동자료의 측정불확도 기준은?(2022년 04월)
     1. ±9.5% 이내
     2. ±7.5% 이내
     3. ±5.0% 이내
     4. ±2.5% 이내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Tier 1 측정불확도 ±7.5% 이내의 활동자료를 사용한다.
Tier 2 측정불확도 ±5.0% 이내의 활동자료를 사용한다.
Tier 3 측정불확도 ±2.5% 이내의 활동자료를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요시]

59.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온실가스 소량배출사업장 기준이다. ()안에 가장 적합한 수치는?(2019년 09월)

    

     1. 1000분의 50 미만
     2. 1000분의 100 미만
     3. 1000분의 150 미만
     4. 1000분의 300 미만

     정답 : []
     정답률 : 66%

60.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제 하에서 모니터링 유형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9월)
     1. 연료 및 원료의 공급자가 상거래 등의 목적으로 설치ㆍ관리하는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활동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
     2. 배출시설별로 정도검사를 실시하는 내부 측정기기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해당 측정기기를 활용하여 활동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
     3. 배출시설별 활동자료를 구매연료 및 원료 등의 메인 측정기기 활동자료에 타당한 배분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4. 구매량과 직접계량에 의한 방법 중 관리업체의 판단에 따라 배출량 산정시 마다 유리한 방법을 선택한다.

     정답 : []
     정답률 : 83%

4과목 : 온실가스 감축관리


61. CCS 기술 중 CO2 저장 기술의 구분으로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4년 09월)
     1. 지중저장
     2. 해양저장
     3. 지표저장
     4. 회수저장

     정답 : []
     정답률 : 77%

62. 강원도 원주시에 10MWh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 개발을 검토 중에 있다. 사업의 타당성 조사를 실시한 결과, 태양광 발전소를 설치할 경우의 이용률은 20%로 추정되었으며, 해당 태양광 발전사업을 CDM사업으로 추진하고자 한다. 이 때 예상되는 연간 발전량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량(tCO2-eq/yr)은? (단, 사업에 따른 배출 및 누출은 없으며, 소규모 CDM사업으로 가정하고 전력배출계수 0.6060tCO2-eq/MWh)(2020년 09월)
     1. 117108
     2. 20869
     3. 18834
     4. 10617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10*0.2*0.6060*24*365 = 10617.12
[해설작성자 : 10기사]

63. 액상 유기화합물을 사용하여 수소를 저장하는 방법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4월)
     1. 수소는 가솔린, 천연가스에 비해 에너지 밀도가 낮기 때문에 대용량 이용보다 소용량 이용에 적합하다.
     2. 수소화, 탈수소화 반응 등을 통해 수소를 저장 및 사용할 수 있다.
     3. 기존 화석연료의 저장·운송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다.
     4. 액상유기수소운반체(LOHC)로 사용할 수 있는 물질에는 방향족 물질과 헤테로고리 화합물 등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수소는 질량 에너지 밀도가 석유제품 및 기타 액화가 .
스에 비해 높지만 체적 부피 에너지 밀도는 낮다 즉 가볍지만 부피가 큰 특징으로 인해 전통적인 화석원료 대비 경제적인 대용량 저장과 장거리 운송이 어렵다.
[해설작성자 : 아떠나간그대여]

64. 기존의 화석연료를 변환시켜 이용하거나 햇빛, 물, 지열, 강수, 생물유기체 등을 포함하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변환시켜 이용하는 에너지를 신ㆍ재생에너지라고 부르는데, 다음중 신에너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9년 04월)
     1. 연료전지(Fuel Cell)
     2. 중질잔사유를 가스화한 에너지
     3. 수소에너지
     4. 폐기물에너지

     정답 : []
     정답률 : 76%

65. 연료를 대체하여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한 기술로 적합한 것은?(2016년 05월)
     1. 보일러에서 사용하는 연료를 B-C유에서 LNG로 대체한다.
     2. 발전소 증기터빈 보일러에 사용하는 연료를 등유에서 무연탄으로 대체한다.
     3. 스팀보일러의 연료로 사용하는 우드칩과 폐목을 LNG로 대체한다.
     4. 공장의 LNG보일러를 경유보일러로 대체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66. 다음 중 소규모 CDM 사업의 기준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5년 09월)
     1. 인위적 배출감축사업으로서 직접배출량이 연간 30000 CO2ton 미만의 사업
     2. 인위적 배출감축사업으로서 직접배출량이 연간 40000 CO2ton 미만의 사업
     3. 인위적 배출감축사업으로서 직접배출량이 연간 50000 CO2ton 미만의 사업
     4. 인위적 배출감축사업으로서 직접배출량이 연간 60000 CO2ton 미만의 사업

     정답 : []
     정답률 : 70%

67. 다음 중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가장 큰 것은?(2019년 09월)
     1. 이산화탄소 1000톤 감축
     2. 메탄 150톤 감축
     3. 아산화질소 25톤 감축
     4. 육불화황 1톤 감축

     정답 : []
     정답률 : 83%

68. CDM사업 절차와 수행기관이 잘못 연결된 것은?(2020년 09월)
     1. 사업계획서 등록 – CDM 집행위원회
     2. 사업계획서 타당성 평가 – CDM 운영기구
     3. 사업감축량 검증 및 인증 – CDM 운영기구
     4. 크리디트(CERs) 발행 – 국가 CDM 승인기구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크레디트(CERs) 발행 -> EB(CDM 집행위원회)
[해설작성자 : 연빈]

69. CDM사업 추진 시 사업이 발생하는 해당 국가의 정부에서 CDM사업에 대한 승인을 해주기 위해 지정한 기구의 영문 약어 이름은 무엇인가?(2017년 09월)
     1. PDD
     2. DNA
     3. MRV
     4. AAU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DNA(Designated National Authorities)
[해설작성자 : 야호]

70. 온실가스 저감노력으로 인한 온실가스 저감량을 계산하는 비교기준으로서, 온실가스 저감에 해당하는 사업이 수행되지 않았을 경우의 배출량 및 흡수량에 대한 계산 또는 예측을 의미하는 것은?(2018년 04월)
     1. 시나리오
     2. 벤치마크
     3. 베이스라인
     4. 모니터링

     정답 : []
     정답률 : 73%

71. 다음에서 설명하는 모니터링 보고서 작성원칙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8년 09월)

    

     1. 일관성
     2. 보수성
     3. 투명성
     4. 완전성

     정답 : []
     정답률 : 86%

72. CO2 포집기술 중 연소 후 포집기술에 해당하는 화학적 흡수(습식흡수)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09월)
     1. 습식아민기술
     2. 암모니아기술
     3. 탄산칼륨기술
     4. 분리막기술

     정답 : []
     정답률 : 61%

73. CDM 사업 타당성 조사를 위한 추가성 검토 사항이 아닌 것은?(2016년 05월)
     1. 환경적 추가성
     2. 기술적 추가성
     3. 경제적 추가성
     4. 지역적 추가성

     정답 : []
     정답률 : 67%

74.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조기감축실적을 인정함에 있어 고려되어야 할 기준과 해당사항에 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2017년 05월)
     1. 조기감축실적은 국내에서 실시한 행동에 의한 감축분에 한하여 그 실적을 인정한다.
     2. 조기감축실적은 관리업체의 조직경계 안에서 발생한 것에 한하여 그 실적을 인정한다. 다만, 복수의 사업자가 참여하여 조직경계 외에서 실적이 발생한 경우에는 이를 인정할 수있다.
     3. 조기감축실적은 배출시설 단위에서의 감축분에 대해서만 인정된다.
     4. 조기감축실적으로 인정되기 위해서는 조기행동으로 인한 감축이 실제적이고 지속적이어야 하며, 정량화 되어야 하고 검증 가능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조기감축실적은 관리업체 사업장 단위에서의 감축분 또는 사업 단위에서의 감축분에 대하여 인정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탄소중립]

75.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연료전지는?(2018년 09월)

    

     1. 용융탄산염 연료전지(MCFC)
     2. 인산형 연료전지(PAFC)
     3.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4. 알칼리 연료전지(AFC)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고온형 연료전지: 용융탄산염 연료전지(MCFC),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저온형 연료전지: 인산형 연료전지(PAFC), 알칼리 연료전지(AFC),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PEMFC),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DMFC)
[해설작성자 : 병점무쇠틀니]

백금을 주촉매로 사용하는 연료전지는 인산형 연료전지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인데,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는 750-1000도에서 작동된다. 연료전지중 제일 높은 온도에서 작동함.
[해설작성자 : ㅜㅜ]

76. 다음 중 감축목표 설정의 원칙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5월)
     1. 목표의 설정 방법과 수준 등은 관리업체가 예측할 수 있도록 가능한 범위에서 사후에 공표되어야 한다.
     2. 목표의 협의 및 설정은 다수 이해관계자들의 신뢰를 확보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진행되어야 한다.
     3. 관리업체의 과거 온실가스배출량과 에너지 사용량의 이력을 적절하게 반영하여야 한다.
     4. 관리업체의 신ㆍ증설 계획과 국제경쟁력 등을 적절하게 고려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7%

77. 포집한 이산화탄소의 영구적 또는 반영구적 저장기술의 구분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1년 05월)
     1. 지중저장기술
     2. 탱크저장기술
     3. 해양저장기술
     4. 지표저장기술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지중저장
지표저장
해양저장
[해설작성자 : 기후위기는]

78.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관리업체가 조기감축실적을 분할하여 이행실적에 반영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최초로 이행실적을 보고하는 연도를 포함하여 연속으로 최대 몇 회까지 반영할 수 있는가?(2019년 09월)
     1. 3회
     2. 5회
     3. 10회
     4. 12회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제7장 조기감축실적 등의 인정

제48조(조기감축실적의 인정원칙) ① 조기감축실적 인정은 관리업체가 목표관리를 받기 이전에 자발적으로 행한 감축실적을 인정함으로써 관리업체의 조기행동을 적절하게 반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④ 관리업체가 조기감축실적을 분할하여 이행실적에 반영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최초로 이행실적을 보고하는 연도를 포함하여 연속으로 3회까지 반영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JHPP]

79. CDM 방법론인 베이스라인방법론에서 베이스라인을 설정하는 원칙만을 나열한 것은?(2015년 09월)
     1. 투명성 원칙, 보수성 원칙
     2. 적절성 원칙, 완전성 원칙
     3. 일관성 원칙, 정확성 원칙
     4. 정확성 원칙, 투명성 원칙

     정답 : []
     정답률 : 69%

80.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에 관한 기술 구분 중 이산화탄소 포집(연소후 포집)기술과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9월)
     1. 습식 아민 기술
     2. 백금 촉매 기술
     3. 분리막 기술
     4. 암모니아 기술

     정답 : []
     정답률 : 48%

81.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관리업체의 소관 관장기관 분류 중 “해양ㆍ수산ㆍ해운ㆍ항만 분야”가 해당하는 곳은?(2019년 04월)
     1. 국토교통부
     2. 해양수산부
     3. 산업통상자원부
     4. 환경부

     정답 : []
     정답률 : 83%

82.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하에서 배출권거래제 기본계획을 수립하여야 하는 자는?(2021년 03월 23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2015년 05월)
     1. 기획재정부장관
     2. 산업통상자원부장관
     3. 국무총리
     4. 환경부차관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관리자 입니다.
아래와 같이 관련 규정이 개정된 관계로
4번 보기를 환경부장관에서 환경부차관으로 변경하였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개정 2021. 3. 23. [대통령령 제31548호, 시행 2021. 3. 23.] 환경부
제2조(배출권거래제 기본계획의 수립 등)
① 기획재정부장관과 환경부장관은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이하 "법"이라 한다) 제4조에 따른 배출권거래제 기본계획(이하 "기본계획"이라 한다)을 매 계획기간 시작 1년 전까지 공동으로 수립해야 한다.

-> 법이 개정되면서 기획재정부장관과 환경부장관 공동 수립
[해설작성자 : 닭숯불]

83.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관리업체가 총 온실가스 배출량에서 제외하고 보고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이 아닌 것은?(2017년 05월)
     1. 바이오매스 사용에 따른 이산화탄소의 직접배출량
     2. 관리업체 내부 발전시설에서의 LNG 사용에 따른 직접배출량
     3. 관리업체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공정폐열 사용에 따른 간접배출량
     4. 관리업체 외부의 폐기물 소각열 회수시설에서 공급받아 사용한 소각열의 간접배출량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법 개정으로 관련 법 삭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4.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배출권 차입의 한도는 할당대상 업체가 주무관청에 제출하여야 하는 배출권의 얼마까지 가능한가?(2016년 10월)
     1. 100분의 50
     2. 100분의 30
     3. 100분의 10
     4. 100분의 5

     정답 : []
     정답률 : 63%

85.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상 지방녹색성장위원회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7년 05월)
     1. 위원장 2명을 포함한 50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2. 행정부지사 또는 행정부시장은 위원회 위원장이 될 수 없다.
     3. 시ㆍ도 소속 실장ㆍ국장급 공무원 중 시ㆍ도지사가 임명하는 사람은 위원이 될 수 있다.
     4. 기후변화, 에너지ㆍ자원, 녹색기술ㆍ녹색산업 등 저탄소 녹색성장에 관한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사람 중에 시ㆍ도지사가 위촉하는 사람은 위원이 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법 제22조에 따라 지방위원회의 구성, 운영 및 기능 등 필요한 사항은 조례로 정한다.
[해설작성자 : .]

86.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배출량 등의 산정범위에 관한 사항이다.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2019년 09월)

    

     1. 200tCO2-eq 미만
     2. 150tCO2-eq 미만
     3. 120tCO2-eq 미만
     4. 100tCO2-eq 미만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제8조(배출량 등의 산정범위) 제2항에 의거, 보고대상 배출시설 중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배출권거래제의 경우 기준연도 온실가스 배출량의 연평균 총량)이 100 tCO2-eq 미만인 소규모 배출시설은 다음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 부문별 관장기관의 확인을 거쳐 시설군으로 통합하여 보고할 수 있음
[해설작성자 : 부경대 해양공확과 준스베이비]

87.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상 녹색성장위원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4월)
     1. 녹색성장위원회는 국가의 저탄소 녹색성장과 관련된 주요 정책 및 계획과 그 이행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기 위하여 환경부 소속으로 둔다.
     2. 녹색성장위원회의 회의는 위원 과반수 출석으로 개의하고, 출석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하지만,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에는 서면으로 심의ㆍ의결할 수 있다.
     3. 녹색성장위원회의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ㆍ지원하고 위원회가 위임하는 업무를 검토ㆍ조정 또는 처리하기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위원회에 분과위원회를 둘 수 있다.
     4. 지방자치단체의 저탄소 녹색성장과 관련된 주요 정책 및 계획과 그 이행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기 위하여 시ㆍ도지사 소속으로 지방녹색성장위원회를 둘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국무총리 소속으로 둔다.
[해설작성자 : 탄소중립]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문제:탄소중립기본법상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의 설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위원회는 위원장 1명을 포함한 50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2.위원장은 국무총리와 위원 중에서 대통령이 지명한 사람이 된다
3.위원회에는 간사 1명을 둔다.
4.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하며 연임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대통령소속....
[해설작성자 : 음....]

88. 배출량 인증위원회는 위원장 1명을 포함하여 16인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인증위원회의 위원장은?(2020년 09월)
     1. 환경부차관
     2. 기획재정부 1차관
     3. 산업통상자원부 차관
     4. 국토교통부 차관

     정답 : []
     정답률 : 79%

89. ‘녹색기술ㆍ녹색산업의 표준화 및 인증’과 관련된 사항 중 옳은 것은?(2015년 09월)
     1. 정부는 국내에서 개발된 기술이 국제 표준화에 부합되도록 표준화 기반 구축을 지원할 수 있고, 개발단계의 기술 등은 개발이전에 표준화 취득을 의무화한다.
     2. 녹색기술의 표준화, 인증 및 취소등에 관하여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은 산업통상자원부장관령으로 정한다.
     3. 기업은 녹색기술 및 녹색산업의 적합성에 대해 제3자 검증을 의무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4. 정부는 녹색기술ㆍ녹색산업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하여 적합성 인증을 하거나, 공공기관의 구매의무화 또는 기술지도 등을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5%

90.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제 하에서 부문별 관련기관의 소관업무가 잘못 짝지어진 것은?(2016년 05월)
     1. 농림축산식품부 : 농업ㆍ임업ㆍ축산 분야
     2. 산업통상자원부 : 산업ㆍ상업 분야
     3. 환경부 : 폐기물 분랴
     4. 국토교통부 : 건물ㆍ교통분야

     정답 : []
     정답률 : 73%

91.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령상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는 2030년의 국가 온실가스 총배출량을 2017년의 온실가스 총배출량의 얼마만큼 감축하는 것으로 하는가?(2021년 09월)
     1. 1000분의 120
     2. 1000분의 244
     3. 1000분의 375
     4. 1000분의 455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ㆍ녹색성장 기본법 ( 약칭: 탄소중립기본법 )
제8조(중장기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등) ① 정부는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30년까지 2018년의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대비 35퍼센트 이상의 범위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비율만큼 감축하는 것을 중장기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이하 “중장기감축목표”라 한다)로 한다.
[해설작성자 : 닭숯불]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령상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는 2017년 온실가스 총배출량 대비 24.4%를 감축하는 것입니다.이는 2017년 온실가스 총배출량을 기준으로 1000분의 244만큼 감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해설작성자 : 융쓰]

92.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령상 객관적이고 전문적인 검증을 위해 외부 검증 전문기관을 지정하여 검증하는 항목이 아닌 것은? (단, 기타 사항은 고려하지 않음)(2022년 04월)
     1. 외부사업 온실가스 감축량
     2. 실제 배출된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해 배출량 산정계획서를 기준으로 작성한 명세서
     3. 이행계획서
     4. 배출량 산정계획서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① 주무관청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사항을 객관적이고 전문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적합한 자로부터 신청을 받아 외부 검증 전문기관(이하 “검증기관”이라 한다)을 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업무의 범위를 구분하여 지정할 수 있다.
1. 배출량 산정계획서
2. 제24조제1항에 따른 명세서
3. 제30조에 따른 외부사업 온실가스 감축량
4. 그 밖에 할당대상업체의 온실가스 감축량
제24조(배출량의 보고 및 검증) ① 할당대상업체는 매 이행연도 종료일부터 3개월 이내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해당 이행연도에 자신의 모든 사업장에서 실제 배출된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하여 배출량 산정계획서를 기준으로 명세서를 작성하여 주무관청에 보고하여야 한다. <개정 2020.3.24>
     ② 제1항에 따른 보고에 관하여는 기본법 제27조제3항을 준용한다. 이 경우 "관리업체"는 "할당대상업체"로, "정부"는 "주무관청"으로 본다. <개정 2021.9.24>
     ③ 제1항 및 제2항에서 규정한 사항 외에 온실가스 배출량의 보고ㆍ검증에 필요한 세부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93.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ㆍ이용ㆍ보급 촉진법 시행령 상 바이오에너지 등의 기준 및 범위에서 바이오에너지에 해당하는 범위로 거리가 먼 것은?(2018년 09월)
     1. 생물유기체를 변환시킨 바이오가스, 바이오에탄올, 바이오 액화류 및 합성가스
     2. 동물ㆍ식물의 유지를 변환시킨 바이오디젤
     3. 쓰레기 매립장의 유기성 폐기물을 변환시킨 매립지 가스
     4. 해수 표층의 열을 변환시켜 얻은 에너지

     정답 : []
     정답률 : 78%

94.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상 소관 사무와 부문별 관장기관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4월)
     1. 건물 분야:국토교통부
     2. 해운 분야:환경부
     3. 임업 분야:농림축산식품부
     4. 발전(發電) 분야:산업통상자원부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해운,어업 - 해수부
폐기물- 환경부
[해설작성자 : 오오]

95. 다음은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이의신청서 작성과 관련된 사랑이다.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2019년 09월)

    

     1. 5일
     2. 10일
     3. 15일
     4. 30일

     정답 : []
     정답률 : 59%

96.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령상 할당대상업체에 배출권을 할당하는 기준을 정할 때 고려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2년 04월)
     1. 유상으로 할당하는 배출권의 비율
     2. 조기감축실적
     3. 할당대상업체의 배출권 제출 실적
     4. 할당대상업체의 시설투자 등이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에 기여하는 정도

     정답 : []
     정답률 : 51%

97.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배출시설의 배출량에 따른 시설규모 분류 중 A그룹에 해당하는 시설규모 분류기준은?(2018년 09월)
     1. 연간 5만 톤 미만의 배출시설
     2. 연간 15만 톤 이상의 배출시설
     3. 연간 5만 톤 이상, 연간 50만톤 미만의 배출시설
     4. 연간 50만 톤 이상의 배출시설

     정답 : []
     정답률 : 86%

98. 녹색성장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9월)
     1. 위원장은 국무총리가 지면하는 사람이 된다.
     2. 위원의 임기는 1년으로 하되, 연임할 수 있다.
     3. 위원장 2명을 포함한 50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4. 위원장은 각자 위원회를 대표하며, 위원회의 업무를 총괄한다.

     정답 : []
     정답률 : 51%

99. 온실가스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조직의 온실가스 배출과 관련하여 지배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지리적 경계, 물리적 경계, 업무활동 경계를 의미하는 용어는?(2022년 04월)
     1. 조직경계
     2. 운영경계
     3. 운영통제 범위
     4. 사업장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조직경계: 업체의 지배적인 영양력 아래에서 발생되는 활동에 의한 인위적인 온실가스 배출량의 산정 및 보고의 기준이 되는 조직의 범위를 말한다
운영통제범위: 조직의 온실가스 배출구 관련하여 지배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지리적 경계, 물리적 경계, 업무활동의 경계 등윽 의미한다
온실가스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혼 지침 제2조
[해설작성자 : ㅇㅇ]

100. 온실가스 배출시설의 배출량에 따른 시설규모 분류 중 C 그룹에 해당하는 시설은?(2021년 05월)
     1. 연간 5만톤 미만의 배출시설
     2. 연간 5만톤 이상, 연간 25만톤 미만의 배출시설
     3. 연간 25만톤 이상, 연간 50만톤 미만의 배출시설
     4. 연간 50만톤 이상의 배출시설

     정답 : []
     정답률 : 76%


정 답 지

온실가스관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186297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온실가스관리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기후변화개론


1.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의 주요기준이 되는 원칙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9월)
     1. 과학적 확실성의 원칙
     2. 공통이지만 차별화된 책임의 원칙
     3. 각자 능력의 원칙
     4. 사전예방의 원칙

     정답 : []
     정답률 : 72%

2. 제2차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 시 기후변화 리스크의 기반 선진화된 적응관리체계 마련을 위한 단계별 기후변화 리스크 평가절차가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된 것은?(2020년 09월)
     1. 분석→파악→평가→우선순위 설정
     2. 파악→분석→평가→우선순위 설정
     3. 분석→파악→우선순위 설정→평가
     4. 파악→분석→우선순위 설정→평가

     정답 : []
     정답률 : 78%

3. 탄소성적표지 제도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4월)
     1. 온실가스 배출량을 제품에 표기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시장주도 저탄소 소비문화확산에 기여한다.
     2. 법적 강제 인증제도가 아니라 기업의 자발적 참여에 의한 인증제도이다.
     3. 탄소배출량 인증, 저탄소제품 인증, 탄소중립 제품 인증의 3단계로 구성된다.
     4. 탄소배출인증제품은 기후변화에 대응한 제품임을 기업에서 인증한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여러 재료와 제품의 생산·유통·소비·폐기 과정에 얽힌 지구온난화 정보를 계량화해 라벨(label)로 내보이는 체계.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 인증해 준다. 탄소배출량인증과 저탄소제품인증을 포괄한다. 2009년 2월 녹색소비문화 정착을 목표로 삼아 도입했다. 2012년 12월 31일까지 131개 기업, 263개 사업장, 807개 제품이 인증을 획득했다. 환경부는 2013년 2월부터 탄소성적표지 인증을 신청하는 중소기업에 수수료 50%를 깎아 주는 등 제도 확산을 꾀했다.
[해설작성자 : 온실가스 관리기사맨]

4. CDM사업관련 주요기관의 기능 및 역할에 관한 설명으로 ( )에 가장 적합한 기관은?(2021년 09월)

   

     1. 국가 CDM 승인기구(DNA)
     2. CDM 사업운영기구(DOE)
     3. CDM 집행위원회(EB)
     4. 당사국총회(COP/MOP)

     정답 : []
     정답률 : 74%

5. 지구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척도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9월)
     1. 해수면 변화, 해양 온도
     2. 강수 온도, 건축물 온도 측정
     3. 빙하, 해빙
     4. 위성 온도 측정, 기후 대리변수

     정답 : []
     정답률 : 86%

6. 기후변화협약의 모든 당사국이 이행해야 할 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2016년 05월)
     1. 모든 온실가스의 배출원에 의한 인위적 배출과 흡수원에 의한 제거에 대한 국가통계를 작성하고 당사국총회에 통보한다.
     2. 기후변화의 부정적 효과에 특히 취약한 개발도상국이 이에 적응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을 지원한다.
     3. 기후변화의 완화조치와 적절한 대응계획을 세루고 정기적으로 갱신한다.
     4. 기후변화와 관련된 과학적, 기술적, 사회경제적, 법률적 정보의 포괄적이고 신속한 교환을 도모하고 이에 협력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7. 기후변화 관련 국제기구 중 ( )안에 알맞은 것은?(2018년 04월)

   

     1. SBSTA
     2. SBI
     3. WMO
     4. GEO

     정답 : []
     정답률 : 90%

8. 우리나라가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에 가입한 연도와 교토의정서를 비준한 연도가 알맞게 짝지어진 것은?(2016년 05월)
     1. 1992년, 1998년
     2. 1993년, 2002년
     3. 1995년, 2005년
     4. 1997년, 2008년

     정답 : []
     정답률 : 80%

9. 기후변화 대응기술 및 정책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9월)
     1. 무경농법은 수확한 농토를 갈지 않고 그루터기에 파종하는 방법으로서 농경지에서 온실가스 배출을 저감하는 방법에 활용할 수 있다.
     2. 보호지역제도 관리대안으로 UNESCO는 생물권 보전지역 지정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3. 산림이 농경지나 산업용지, 도시용지로 바뀌면 자연의 이산화탄소 흡수능력이 약화되므로 토지이용 형태를 고려해야 한다.
     4. 생물 멸종을 막기 위해서는 특히 먹이사슬의 아래쪽에 있는 동물의 멸종을 막도록 하는 것이 보다 중요하고, 로드킬 예방을 위해 생태이동통로에 충붐한 먹이공급시설을 갖춘다.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생물멸종을 막기위해서는 먹이사슬 아래쪽이 아니라, 멸종위기에 처한 종을 우선 보호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지금시작]

10.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의 주요 결과와 거리가 먼 것은?(2018년 09월)
     1. 교토에서 교토의정서를 채택하였다.
     2. 더반에서 교토의 정서 제2차 공약기간 설정에 합의하였다.
     3. 코펜하겐에서 개도국의 능동적이고 자발적 감축행동을 취하기로 하는 행동계획을 채택하였다.
     4. 나이로비에서 개도국의 기후변화적응지원에 관한 5개년 행동계획을 채택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덴마크 코펜하겐(15차) 개도국과 선진국 대립
[해설작성자 : 낼시험]

11. 부문별 관장기관이 생성한 국가 온실가스 배출통계를 최종확정하기까지의 절차를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2021년 05월)

    

     1. ㄴ→ㄱ→ㄷ→ㄹ
     2. ㄴ→ㄷ→ㄹ→ㄱ
     3. ㄴ→ㄹ→ㄷ→ㄱ
     4. ㄱ→ㄴ→ㄹ→ㄷ

     정답 : []
     정답률 : 88%

12. 기후변화에 대한 정부간 패널(IPCC)의 실행그룹 중 기후변화의 영향평가와 적응 및 취약성 분야의 역할을 담당하는 것은?(2021년 09월)
     1. Working Group 1
     2. Working Group 2
     3. Working Group 3
     4. Task Force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WG1 : 기후변화의 물리과학적 측면 평가, 기후모델 및 기후전망, 기후변화 원인 등 연구
WG2 : 기후변화에 대한 사회-경제적 취약성 및 적응, 영향 평가
WG3 : 온실가스 배출 방지, 제한을 통한 기후변화 완화 평가 및 완화에 따른 비용, 편익 및 정책분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3. 다음 온실가스 중 온실가스 배출 총량비(%)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2017년 05월)
     1. 이산화탄소
     2. 메탄
     3. 아산화질소
     4. 육불화황

     정답 : []
     정답률 : 90%

14. 국제 기후변화 관련 협약이 시대순으로 옳게 나열된 것은?(2021년 05월)
     1. 마라케시 합의 → 코펜하겐 합의 → 발리 로드맵 → 칸쿤 합의
     2. 발리 로드맵 → 코펜하겐 합의 → 칸쿤 합의 → 더반 결과물
     3. 교토의정서 → 마라케시 합의 → 더반 결과물 → 칸쿤 합의
     4. 코펜하겐 합의 → 발리 로드맵 → 칸쿤 합의 → 더반 결과물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3차: 교토의정서
7차 마라케시: 교토메카니즘, 흡수원, 의무준수체계 합의
13차 발리로드맵: 2007, Post-2012 체제 구축 합의
15차 코펜하겐: 결렬
16차 칸쿤합의: GCF 합의
17차 더반: 더반플랫폼(새로운 대응체제 설립 합의). 교토의정서 연장 제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5. 21세기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이상기후 현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1년 09월)
     1. 집중적인 호우
     2. 중위도 지역 폭풍의 강도 증가
     3. 대부분 중위도 내륙에서의 혹서피해와 한발 위험증가
     4. 최고 기온의 하강, 무더운 일수와 혹서기간의 감소

     정답 : []
     정답률 : 90%

16. 기후변화로 인한 한반도의 환경적 영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6년 05월)
     1. 폐기물의 증가
     2. 생물 다양성 감소
     3. 농수산물 생산 변화
     4. 집중호우 등의 자연재해

     정답 : []
     정답률 : 91%

17. 다음 설명하는 당사국회의는?(2018년 04월)

    

     1. 카타르 도하 총회
     2. 페루 리마 총회
     3. 프랑스 파리 총회
     4. 폴란드 바르샤바 총회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2014 COP20 페루리마총회
2015 COP21 파리협정
[해설작성자 : ㅇㅇ]

18. 우리나라가 2011년에 세계표준센터를 유치한 온실가스는?(2016년 05월)
     1. 이산화탄소
     2. 메탄
     3. 아산화질소
     4. 육불화황

     정답 : []
     정답률 : 62%

19. 온실가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4월)
     1. 육불화황은 전기제품이나 변압기 등의 절연체로 사용된다.
     2. 수소불화탄소와 과불화탄소는 CFCs의 대체물질로 냉매, 소화기 등에 사용된다.
     3. 이산화탄소는 탄소 성분과 대기 중의 산소가 결합하는 연소 반응을 통해 대기 중에 배출된다.
     4. 아산화질소는 온실가스 중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95%

20. 국가 및 지자체 온실가스 인벤토리 산정 대상분야로 거리가 먼 것은?(2018년 04월)
     1. 에너지
     2. 산업공정
     3. 농업
     4. 생태계

     정답 : []
     정답률 : 93%

2과목 : 온실가스 배출의 이해


21. 고정연소시설에 사용하는 기체연료 중 발전소, 산업공정의 스팀과 열생산, 가정이나 상업용 난방 등에 주로 쓰이는 천연가스의 일반적인 주성분은?(2017년 09월)
     1. 메탄
     2. 부탄
     3. 프로판
     4. 에탄

     정답 : []
     정답률 : 78%

22.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소다회 생산의 배출활동 개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9월)
     1. 천연 소다회 생산공정에서는 이 공정 중에 트로나(Trona)(천연 소다회를 만들어 내는 중요한 광석)는 로터리 킬른 속에서 소성되고, 화학적으로 천연 소다회로 변형된다.
     2. 천연 소다회 생상공정에서 이산화탄소와 물이 이 공정의 부산물로 생성된다.
     3. 솔베이법 합성공정에서는 염화나트륨 수용액, 석회석, 야금 코크스, 암모니아는 소다회의 의 생산을 유도하는 일련의 반응에 사용되는 원료이다.
     4. 솔베이법 합성공정에서 암모니아는 급속도로 손실되므로, 일정 반응 후 계속 주입이 필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암모니아는 아주 작은 양만 손실되고, 대부분 재생된다.

23.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원료별 사용 비율에 따른 전 세계카프로락탐 생산능력이 큰 순서부터 작은 순서로 옳게 나열된 것은?(2017년 09월)
     1. 페놀 > 톨루엔 > 싸이클로헥산
     2. 톨루엔 > 싸이클로헥산 > 페놀
     3. 싸이클로헥산 > 페놀 > 톨루엔
     4. 페놀 > 싸이클로헥산 > 톨루엔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카프로락탐 생산능력>
싸이클로헥산 70%, 페놀 25%, 나머지 톨루엔
[해설작성자 : 온앤오프팬]

24. 다음 배출 시설 중 철강생산 공정배출 시설과 가장 거리가 먼 배출시설은? (단,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 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2016년 05월)
     1. 코크스로
     2. 가열로
     3. 고로
     4. 전로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일관제철시설, 코크스로, 소결로, 용선로(제선로,고로), 전로, 전기아크로, 평로 총 7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5.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석회석(CaCO3)이 사용되지 않는 공정은?(2016년 10월)
     1. 유리생산 공정
     2. 암모니아생산 공정
     3. 카아이드생산 공정
     4. 철강생산

     정답 : []
     정답률 : 72%

26. 다음은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항공기에서의 배출활동 개요이다. ()안에 알맞은 것은?(2019년 09월)

    

     1. ㉠ 90%, ㉡ 10%
     2. ㉠ 10%, ㉡ 90%
     3. ㉠ 50%, ㉡ 50%
     4. ㉠ 75%, ㉡ 23%

     정답 : []
     정답률 : 74%

27.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철도 부문 보고대상 배출시설을 <보기>에서 모두 선택한 것은?(2018년 09월)

    

     1.
     2. ㄱ, ㄴ
     3. ㄱ, ㄴ, ㄷ
     4.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철도 부문의 보고대상 배출시설
① 고속차량
② 전기기관차
③ 전기동차
④ 디젤기관차
⑤ 디젤동차
⑥ 특수차량

28.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이동연소(도로) 부분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시 필요한 자료와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4월)
     1. 연료의 열량계수
     2. 연료의 생산지
     3. 연료의 사용량
     4. 연료에 따른 온실가스의 배출계수

     정답 :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이동연소(도로) 부분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Tier 1)
Ei,j : 연료(i)의 연소에 따른 온실가스(j)의 배출량(tGHG)
Qi : 연료(i)의 사용량(KL-연료)
ECi : 연료(i)의 열량계수(순발열량, MJ/L-연료)
EFi,j : 연료(i)에 따른 온실가스(j)의 배출계수(kgGHG/TJ-연료)
i : 연료 종류

29.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하수처리에 있어서 Tier 1으로 배출계수를 산정할 때, 혐기석 처리공정이 있는 경우, IPCC 가이드라인에서 CH4 배출계수(kgCH4/kgBOD)로 옳은 것은?(2016년 10월)
     1. 0.2
     2. 0.48
     3. 0.62
     4. 1.2

     정답 : []
     정답률 : 61%

30.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이동연소(도로)의 보고대상 배출시설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2017년 05월)
     1. 경영 승용자동차
     2. 대형 승합자동차
     3. 대형 화물자동차
     4. 경형 이륜자동차

     정답 : []
     정답률 : 90%

31. 본체 내부에 노통화로, 연관 등을 설치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고 있으나, 고압용이나 대용량에는 적합하지 않은 배출시설은?(2016년 10월)
     1. 수관식 보일러
     2. 주철형 보일러
     3. 원통형 보일러
     4. 소각 보일러

     정답 : []
     정답률 : 85%

32.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고체연료(고정연소) 연소의 산화계수 Tier 2에 대한 설명으로 ( )에 알맞은 것은?(2020년 09월)

    

     1. ㉮ 에너지, ㉯ 0.99, ㉰ 0.995
     2. ㉮ 에너지, ㉯ 0.995, ㉰ 0.98
     3. ㉮ 발전, ㉯ 0.99, ㉰ 0.98
     4. ㉮ 발전, ㉯ 0.995, ㉰ 0.99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Tier 2
발전 부문은 산화계수(f) 0.99를 적용하고, 기타부문은 0.98을 적용한다. 단,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에서 별도의 계수를 공표하여 지침에 수록된 경우 그 값을 적용한다.

33. 다음 중 A사업장과 B사업장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에서 제외되는 경우는?(2019년 04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할당대상업체의 조직경계 내에 발전설비가 위치하여 생산된 전력을 자체적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간접적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에서 제외하도록 한다.
ㄱ:A 사업장 내에 위치한 발전설비에서의 전력생산에 따른 직접 온실가스 배출량(A 사업장의 직접적 온실가스 배출량으로서 보고)
ㄴ:A 사업장에서 생산한 전력을 A사업장 내에서 자체적으로 공급한 경우(전력사용에 따른 간접적 온실가스 배출량산정에서 제외)
ㄷ:A 사업장에서 생산한 전력을 B 사업장에 공급한 경우(B 사업장의 간접적 온실가스 배출량으로서 보고

34. 시멘트 생산 공정배출에서 배출량 산정방법에 필요한 자료가 아닌 것은?(2020년 09월)
     1. 클링커 생산에 따른 CO2 배출량
     2. 클링커 생산량당 CO2배출 계수
     3. 시멘트 킬른먼지(CKD) 생산량
     4. 석회 생산량

     정답 : []
     정답률 : 73%

35.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다음 철강생산 공정 중 CO2 배출계수 값(tCO2/t-생산물)이 가장 큰 곳은?(2022년 04월)
     1. 직접 환원철 생산
     2. 전기로
     3. 코크스 오븐
     4. 전로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헷갈릴 수 잇는 내용
4. 전로 : 철강생산 공정 중 CO2 ((배출계수))값이 가장 큰것
2. 전기로 : 합금철 생산공정에서 온실가스의 주 배출원
[해설작성자 : 아주환경나이스]

코크스 생산, 철과 강 생산에서의 CO2 배출계수
1. 직접 환원철 생산 : 0.70
2. 전기로 : 0.08
3. 코크스 오븐 : 0.56
4. 전로 : 1.46
[해설작성자 : JS]

36. 철강생산공정 중 제선공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2015년 05월)
     1. 소결 공정
     2. 전로공정
     3. 코크스 공정
     4. 고로 공정

     정답 : []
     정답률 : 55%

37.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하⋅폐수 처리의 가축분뇨 공공처리시설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종류의 조합으로 맞는 것은?(2021년 05월)
     1. CO2, CH4
     2. CO2, N2O
     3. CO2, CH4, N2O
     4. CH4, N2O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하ㆍ폐수는 현장에서 처리되거나, 중앙 집중화된 시설을 통해 처리되며, 처리 과정에서 CH4 및 N2O를 배출한다. 하ㆍ폐수로부터 배출되는 CO2는 생물 기원으로 배출량 산정 시 제외하도록 한다.
[해설작성자 : 나온]

38. 매립시설의 기능을 3가지로 대별한 구분으로 거리가 먼 것은?(2020년 09월)
     1. 저류기능
     2. 회복기능
     3. 차수기능
     4. 처리기능

     정답 : []
     정답률 : 81%

39.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에 따라 Tier 1 산정방법론으로 반도체 제조공정의 FC 가스 배출량을 구하고자 한다. 이 때 활용되는 다음 식에서 Qi의 의미는? (단, FCgas는 FC 가스의 배출량, EFFC는 배출계수임)(2022년 04월)

    

     1. 원료투입량(kg)
     2. FC 가스주입량(m3/y)
     3. 제품생산량(t/y)
     4. 제품생산실적(m2/y)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FCgas : FC 가스(j)의 배출량(tGHG)
Qi : 제품생산 실적 (m2)
EFFC : 배출계수, 제품생산실적 m2당 사용되는 가스량(kg/m2)
[해설작성자 : JS]

40. 아연생산 배출시설 중 광석이 융해되지 않을 정도의 온도에서 광석과 산소, 수증기, 탄소, 염화물 또는 염소 등을 상호작용 시켜서 다음 제련조작에서 처리하기 쉬운 화합물로 변화시키거나 어떤 성분을 기화시켜 제거하는 데 사용되는 로는?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2015년 09월)
     1. 용융로
     2. 전해로
     3. 용해로
     4. 배소로

     정답 : []
     정답률 : 76%

3과목 : 온실가스 산정과 데이터 품질관리


41.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배출량에 따른 시설규모 분류기준 중 연간 배출량이 가장 많은 배출시설이 속한 그룹은?(2021년 05월)
     1. A 그룹
     2. B 그룹
     3. C 그룹
     4. D 그룹

     정답 : []
     정답률 : 82%

42. 건물업종 관리업체 A에서 1년 간 도시가스(LNG) 58.970Nm3을 사용했을 때 온실가스 배출량은? (단, 발열량과 배출계수는 아래 표 참조, 산화계수는 1.0을 적용)(2018년 09월)

    

     1. 83.19tCO2-eq
     2. 96.24tCO2-eq
     3. 113.44tCO2-eq
     4. 130.66tCO2-eq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58,971Nm3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3.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 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상 상대정확도 시험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16년 05월)
     1. 관리업체의 측정기기 또는 데이터 수집기간의 통신상태 및 댁시분야 환경오염공정시험기준에 적합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시험이다.
     2. 측정자료 간의 오차율을 비교하여 정확성을 확인하는 시험으로 대기분야 환경오염 공정시험기준에 따라 적합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시험이다.
     3. 측정기기의 설치위치, 환경조건, 기능, 성능 등이 대기분야 환경오염 공정시험기준에 적합한지를 확인하는 시험이다.
     4. 상대정확도 시험은 확인검사와 통합시험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80%

44.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항공부문의 이동연소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9월)
     1. 배출량 산정방법론은 Tier 1, 2, 3의 세등급으로 구분할 수 있다.
     2. Tier 2수준의 배출량 산정방법론은 제트연료를 사용하는 항공기에 적용된다.
     3. Tier 1수준에서 활동자료의 측정불확도는 ±7.5% 이내이다.
     4. Tier 2수준에서 활동자료의 측정불확도는 ±5.0% 이내이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이동연소[항공] 부문의 배출량 산정방법론은 Tier 1, 2의 등급으로 구분됨
[해설작성자 : JS]

45.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납 생산에 대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을 산정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5월)
     1. 보고대상 온실가스는 CO2와 CH4이다.
     2. 배출량 산정방법론으로 Tier 1~4까지 4가지 방법론이 있다.
     3. Tier 1 방법론은 생산된 납의 양(t)에 납생산량 당 배출계수(tCO2/t-생산된 납)를 곱하여 배출량을 산정하는 방법이다.
     4. Tier 3 방법론 적용을 위해서는 사업자가 자체적으로 고유 배출계수를 개발하여 적용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납 생산공정 중 보고대상 배출시설 3가지 및 온실가스 종류
1. 보고대상 배출시설
- 배소로, 용융·융해로, 기타 제련공정
2. 온실가스 종류 : 이산화탄소(CO2)
[해설작성자 : DoubleM2]

46.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모니터링 계획 작성원칙 중 “모니터링 계획에 보고된 동일 배출시설 및 배출활동에 관한 데이터는 상호비교가 가능하도록 해야한다.”는 것과 가장 관련이 깊은 원칙은?(2018년 04월)
     1. 준수성
     2. 일관성
     3. 투명성
     4. 완전성

     정답 : []
     정답률 : 75%

47.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에 의거, 소다회 생산에 대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5월)
     1. 보고대상 온실가스는 CO2만 해당한다.
     2. 활동자료로서 트로나(Trona) 광석 사용량 또는 소다회 생산량 자료를 사용한다.
     3. 연속측정방식(CEM)을 이용한 배출량 산정방법론은 적용될 수 없다.
     4. 2006 IPPC 가이드라인에서 소다회 단위 생산량에 대한 기본 배출계수값을 제공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소다회 생산의 보고대상 온실가스는 CO2이고, 연속측정방식을 이용하는방식이다.
[해설작성자 : 탄소중립]

48.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관리업게 A에서 납 생산공정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시 Tier 1을 적용할 때, 활동자료 측정불확도 기준으로 적합한 것은?(2019년 09월)
     1. ±7.5% 이내의 납 생산량 자료를 사용한다.
     2. ±5.0% 이내의 납 생산량 자료를 사용한다.
     3. ±2.5% 이내의 납 생산량 자료를 사용한다.
     4. ±2.0% 이내의 납 생산량 자료를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84%

49.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운영을 위한 검증지침에서 검증계획 수립 시 주요 배출시설의 경우, 검증시간 배분등에 우선적으로 반영하여야 하는데, 이 주요 배출시설의 기준은?(2015년 05월)
     1. 온실가스 배출량의 총량대비 누적합계가 100분의 95를 차지하는 배출시설
     2. 온실가스 배출량의 총량대비 누적합계가 100분의 90를 차지하는 배출시설
     3. 온실가스 배출량의 총량대비 누적합계가 100분의 85를 차지하는 배출시설
     4. 온실가스 배출량의 총량대비 누적합계가 100분의 80를 차지하는 배출시설

     정답 : []
     정답률 : 60%

50.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제 하에서 구매한 연료 및 원료전력 및 열에너지를 정도검사를 받지 않은 내부측정기기를 이용하여 활동자료를 분배 결정하는 모니터링 유형은?(2014년 09월)
     1. A-1
     2. A-2
     3. C-1
     4. D-5

     정답 : []
     정답률 : 74%

51.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관리업체 지정과 관련하여 건물이 건축물 대장 또는 등기부에 각각 등재되어 있거나 소유지분을 달리하고 있는 경우에 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9월)
     1. 인접한 대지에 동일 법인이 여러 건물을 소유한 경우에는 한 건물로 본다.
     2. 건물의 소유구분이 지분형식으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지분별로 건물의 소유지분을 구분한다.
     3. 에너지 관리의 연계성이 있는 복수의 건물은 한 건물로 본다.
     4. 동일 부지 내에 있거나 인접 또는 연접한 집합건물이 동일한 조직에 의해 에너지 공급·관리 또는 온실가스 관리 등을 받을 경우에도 한 건물로 간주한다.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건물의 소유구분이 지분형식으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최대 지분을 보유한 법인 등을 당해 건물의 소유자로 본다.

52.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건물이 건축물 대장 또는 등기부등에 각각 등재되어 있거나 수유지분을 달리하고 있는 경우의 조직경계 설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연접한 대지에 동일 법인이 여러 건물을 소유한 경우에는 한 건물로 본다.
     2. 에너지관리의 연계성이 있는 복수의 건물 등은 한 건물로 본다.
     3. 연접한 집한건물이 동일한 조직에 의해 에너지공급ㆍ관리를 받는 경우에도 한 건물로 간주한다.
     4. 건물의 소유구분이 지분형식으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보유지분에 따라 경계를 분발한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건물의 소유구분이 지분형식으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최대 지분을 보유한 법인 등을 당해 건물의 소유자로 본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3.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연료 둥 구매량 기반 모니터링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아래 유형은 어디에 해당하는가?(2021년 05월)

    

     1. A-1 유형
     2. A-2 유형
     3. A-3 유형
     4. A-4 유형

     정답 : []
     정답률 : 62%

54.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연료의 경우 분석항목에 따른 시료의 최소 분석주기를 만족하여야 하는데, 다음 중 시료의 최소 분석주기 기준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고체연료(원소함량 분석) - 월 1회 또는 연료 입하 시 (더운 짧은 주기)
     2. 액체연료(원소함량 분석) - 분기 1회 또는 연료 입하 시 (더욱 짧은 주기)
     3. 기체연료 중 천연가스, 도시가스(가스성분 분석) - 연 1회 또는 연료 입하 시
     4. 기체연료 중 공정부생가스(가스성분 분석) - 월 1회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기체연료 중 천연가스, 도시가스 : 반기 1회
[해설작성자 : Ice Breakers]

55. 고정연소(고체연료)의 보고대상 시설 중 일반보일러 시설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2021년 09월)
     1. 일반보일러 시설은 연료의 연소열을 물에 전달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시설을 말한다.
     2. 일반보일러 시설은 크게 물 및 증기를 넣는 철제용기(보일러 본체)와 연료의 연소장치 및 연소실(화로)로 나눌 수 있다.
     3. 원통형보일러는 주물계의 Section을 몇 개 전후로 짜 맞춘 보일러로써 하부는 연소실, 상부는 굴뚝으로 되어 있다.
     4. 수관식보일러는 작은 직경의 드럼과 여러 개의 수관으로 나누어져 있고 수관 내에서 증발이 일어나도록 되어 있으며 고압, 대용량으로 적합하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3번 설명은 원통형보일러가 아닌, "주철형보일러"에 대한 설명입니다.
원통형보일러는 "구멍이 큰 원통을 본체로 하여 그 내부에 노통화로, 연관 등을 설치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고 있으나, 고압용이나 대용량에는 적합지 않다. 종류에는 입식보일러, 노통보일러, 연관보일러, 노통연관보일러 등이 있다." 라고 쓰여져 있습니다.
출처) 환경부 -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 내 [별표 6] 배출활동별 온실가스 배출량 등의 세부산정방법 및 기준 (제11조 관련)
[해설작성자 : yul]

56.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아디프산 생산량이 320t일 때(감축기술은 촉매분해방법 적용), 발생되는 온실가스 배출량(tCO2-eq)은?(2019년 04월)

    

     1. 3458.07
     2. 3874.92
     3. 4338.02
     4. 5260.08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300(kgN2o/t-아디프산)*320(t-아디프산)*(1-0.925*0.89)*10^(-3) = 16.968
N2O는 310tCO2-eq이므로, 16.968*310 = 5260.08tCO2-eq

57. A씨는 하루 30L의 휘발유를 소모한다. 이로인해 매일 A씨가 지구온난화에 기여하는 이산화탄소의 하루 동안의 배출총량(kgCO2/일)은?(단, 순발열량은 30,3MJ/L(Tier 2), 차량용 휘발유의 CO2배출계수는 69300kg/TJ)(2017년 09월)
     1. 123
     2. 92
     3. 85
     4. 63

     정답 : []
     정답률 : 66%

58.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탄산염의 기타 공정 사용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Tier 2 산정방법론으로 산정할 때, 활동자료의 측정불확도 기준은?(2022년 04월)
     1. ±9.5% 이내
     2. ±7.5% 이내
     3. ±5.0% 이내
     4. ±2.5% 이내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Tier 1 측정불확도 ±7.5% 이내의 활동자료를 사용한다.
Tier 2 측정불확도 ±5.0% 이내의 활동자료를 사용한다.
Tier 3 측정불확도 ±2.5% 이내의 활동자료를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요시]

59.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온실가스 소량배출사업장 기준이다. ()안에 가장 적합한 수치는?(2019년 09월)

    

     1. 1000분의 50 미만
     2. 1000분의 100 미만
     3. 1000분의 150 미만
     4. 1000분의 300 미만

     정답 : []
     정답률 : 66%

60.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제 하에서 모니터링 유형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9월)
     1. 연료 및 원료의 공급자가 상거래 등의 목적으로 설치ㆍ관리하는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활동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
     2. 배출시설별로 정도검사를 실시하는 내부 측정기기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해당 측정기기를 활용하여 활동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
     3. 배출시설별 활동자료를 구매연료 및 원료 등의 메인 측정기기 활동자료에 타당한 배분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4. 구매량과 직접계량에 의한 방법 중 관리업체의 판단에 따라 배출량 산정시 마다 유리한 방법을 선택한다.

     정답 : []
     정답률 : 83%

4과목 : 온실가스 감축관리


61. CCS 기술 중 CO2 저장 기술의 구분으로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4년 09월)
     1. 지중저장
     2. 해양저장
     3. 지표저장
     4. 회수저장

     정답 : []
     정답률 : 77%

62. 강원도 원주시에 10MWh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 개발을 검토 중에 있다. 사업의 타당성 조사를 실시한 결과, 태양광 발전소를 설치할 경우의 이용률은 20%로 추정되었으며, 해당 태양광 발전사업을 CDM사업으로 추진하고자 한다. 이 때 예상되는 연간 발전량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량(tCO2-eq/yr)은? (단, 사업에 따른 배출 및 누출은 없으며, 소규모 CDM사업으로 가정하고 전력배출계수 0.6060tCO2-eq/MWh)(2020년 09월)
     1. 117108
     2. 20869
     3. 18834
     4. 10617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10*0.2*0.6060*24*365 = 10617.12
[해설작성자 : 10기사]

63. 액상 유기화합물을 사용하여 수소를 저장하는 방법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4월)
     1. 수소는 가솔린, 천연가스에 비해 에너지 밀도가 낮기 때문에 대용량 이용보다 소용량 이용에 적합하다.
     2. 수소화, 탈수소화 반응 등을 통해 수소를 저장 및 사용할 수 있다.
     3. 기존 화석연료의 저장·운송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다.
     4. 액상유기수소운반체(LOHC)로 사용할 수 있는 물질에는 방향족 물질과 헤테로고리 화합물 등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수소는 질량 에너지 밀도가 석유제품 및 기타 액화가 .
스에 비해 높지만 체적 부피 에너지 밀도는 낮다 즉 가볍지만 부피가 큰 특징으로 인해 전통적인 화석원료 대비 경제적인 대용량 저장과 장거리 운송이 어렵다.
[해설작성자 : 아떠나간그대여]

64. 기존의 화석연료를 변환시켜 이용하거나 햇빛, 물, 지열, 강수, 생물유기체 등을 포함하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변환시켜 이용하는 에너지를 신ㆍ재생에너지라고 부르는데, 다음중 신에너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9년 04월)
     1. 연료전지(Fuel Cell)
     2. 중질잔사유를 가스화한 에너지
     3. 수소에너지
     4. 폐기물에너지

     정답 : []
     정답률 : 76%

65. 연료를 대체하여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한 기술로 적합한 것은?(2016년 05월)
     1. 보일러에서 사용하는 연료를 B-C유에서 LNG로 대체한다.
     2. 발전소 증기터빈 보일러에 사용하는 연료를 등유에서 무연탄으로 대체한다.
     3. 스팀보일러의 연료로 사용하는 우드칩과 폐목을 LNG로 대체한다.
     4. 공장의 LNG보일러를 경유보일러로 대체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66. 다음 중 소규모 CDM 사업의 기준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5년 09월)
     1. 인위적 배출감축사업으로서 직접배출량이 연간 30000 CO2ton 미만의 사업
     2. 인위적 배출감축사업으로서 직접배출량이 연간 40000 CO2ton 미만의 사업
     3. 인위적 배출감축사업으로서 직접배출량이 연간 50000 CO2ton 미만의 사업
     4. 인위적 배출감축사업으로서 직접배출량이 연간 60000 CO2ton 미만의 사업

     정답 : []
     정답률 : 70%

67. 다음 중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가장 큰 것은?(2019년 09월)
     1. 이산화탄소 1000톤 감축
     2. 메탄 150톤 감축
     3. 아산화질소 25톤 감축
     4. 육불화황 1톤 감축

     정답 : []
     정답률 : 83%

68. CDM사업 절차와 수행기관이 잘못 연결된 것은?(2020년 09월)
     1. 사업계획서 등록 – CDM 집행위원회
     2. 사업계획서 타당성 평가 – CDM 운영기구
     3. 사업감축량 검증 및 인증 – CDM 운영기구
     4. 크리디트(CERs) 발행 – 국가 CDM 승인기구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크레디트(CERs) 발행 -> EB(CDM 집행위원회)
[해설작성자 : 연빈]

69. CDM사업 추진 시 사업이 발생하는 해당 국가의 정부에서 CDM사업에 대한 승인을 해주기 위해 지정한 기구의 영문 약어 이름은 무엇인가?(2017년 09월)
     1. PDD
     2. DNA
     3. MRV
     4. AAU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DNA(Designated National Authorities)
[해설작성자 : 야호]

70. 온실가스 저감노력으로 인한 온실가스 저감량을 계산하는 비교기준으로서, 온실가스 저감에 해당하는 사업이 수행되지 않았을 경우의 배출량 및 흡수량에 대한 계산 또는 예측을 의미하는 것은?(2018년 04월)
     1. 시나리오
     2. 벤치마크
     3. 베이스라인
     4. 모니터링

     정답 : []
     정답률 : 73%

71. 다음에서 설명하는 모니터링 보고서 작성원칙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8년 09월)

    

     1. 일관성
     2. 보수성
     3. 투명성
     4. 완전성

     정답 : []
     정답률 : 86%

72. CO2 포집기술 중 연소 후 포집기술에 해당하는 화학적 흡수(습식흡수)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09월)
     1. 습식아민기술
     2. 암모니아기술
     3. 탄산칼륨기술
     4. 분리막기술

     정답 : []
     정답률 : 61%

73. CDM 사업 타당성 조사를 위한 추가성 검토 사항이 아닌 것은?(2016년 05월)
     1. 환경적 추가성
     2. 기술적 추가성
     3. 경제적 추가성
     4. 지역적 추가성

     정답 : []
     정답률 : 67%

74.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조기감축실적을 인정함에 있어 고려되어야 할 기준과 해당사항에 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2017년 05월)
     1. 조기감축실적은 국내에서 실시한 행동에 의한 감축분에 한하여 그 실적을 인정한다.
     2. 조기감축실적은 관리업체의 조직경계 안에서 발생한 것에 한하여 그 실적을 인정한다. 다만, 복수의 사업자가 참여하여 조직경계 외에서 실적이 발생한 경우에는 이를 인정할 수있다.
     3. 조기감축실적은 배출시설 단위에서의 감축분에 대해서만 인정된다.
     4. 조기감축실적으로 인정되기 위해서는 조기행동으로 인한 감축이 실제적이고 지속적이어야 하며, 정량화 되어야 하고 검증 가능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조기감축실적은 관리업체 사업장 단위에서의 감축분 또는 사업 단위에서의 감축분에 대하여 인정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탄소중립]

75.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연료전지는?(2018년 09월)

    

     1. 용융탄산염 연료전지(MCFC)
     2. 인산형 연료전지(PAFC)
     3.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4. 알칼리 연료전지(AFC)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고온형 연료전지: 용융탄산염 연료전지(MCFC),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저온형 연료전지: 인산형 연료전지(PAFC), 알칼리 연료전지(AFC),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PEMFC),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DMFC)
[해설작성자 : 병점무쇠틀니]

백금을 주촉매로 사용하는 연료전지는 인산형 연료전지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인데,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는 750-1000도에서 작동된다. 연료전지중 제일 높은 온도에서 작동함.
[해설작성자 : ㅜㅜ]

76. 다음 중 감축목표 설정의 원칙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5월)
     1. 목표의 설정 방법과 수준 등은 관리업체가 예측할 수 있도록 가능한 범위에서 사후에 공표되어야 한다.
     2. 목표의 협의 및 설정은 다수 이해관계자들의 신뢰를 확보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진행되어야 한다.
     3. 관리업체의 과거 온실가스배출량과 에너지 사용량의 이력을 적절하게 반영하여야 한다.
     4. 관리업체의 신ㆍ증설 계획과 국제경쟁력 등을 적절하게 고려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7%

77. 포집한 이산화탄소의 영구적 또는 반영구적 저장기술의 구분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1년 05월)
     1. 지중저장기술
     2. 탱크저장기술
     3. 해양저장기술
     4. 지표저장기술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지중저장
지표저장
해양저장
[해설작성자 : 기후위기는]

78.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관리업체가 조기감축실적을 분할하여 이행실적에 반영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최초로 이행실적을 보고하는 연도를 포함하여 연속으로 최대 몇 회까지 반영할 수 있는가?(2019년 09월)
     1. 3회
     2. 5회
     3. 10회
     4. 12회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제7장 조기감축실적 등의 인정

제48조(조기감축실적의 인정원칙) ① 조기감축실적 인정은 관리업체가 목표관리를 받기 이전에 자발적으로 행한 감축실적을 인정함으로써 관리업체의 조기행동을 적절하게 반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④ 관리업체가 조기감축실적을 분할하여 이행실적에 반영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최초로 이행실적을 보고하는 연도를 포함하여 연속으로 3회까지 반영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JHPP]

79. CDM 방법론인 베이스라인방법론에서 베이스라인을 설정하는 원칙만을 나열한 것은?(2015년 09월)
     1. 투명성 원칙, 보수성 원칙
     2. 적절성 원칙, 완전성 원칙
     3. 일관성 원칙, 정확성 원칙
     4. 정확성 원칙, 투명성 원칙

     정답 : []
     정답률 : 69%

80.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에 관한 기술 구분 중 이산화탄소 포집(연소후 포집)기술과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9월)
     1. 습식 아민 기술
     2. 백금 촉매 기술
     3. 분리막 기술
     4. 암모니아 기술

     정답 : []
     정답률 : 48%

81.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관리업체의 소관 관장기관 분류 중 “해양ㆍ수산ㆍ해운ㆍ항만 분야”가 해당하는 곳은?(2019년 04월)
     1. 국토교통부
     2. 해양수산부
     3. 산업통상자원부
     4. 환경부

     정답 : []
     정답률 : 83%

82.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하에서 배출권거래제 기본계획을 수립하여야 하는 자는?(2021년 03월 23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2015년 05월)
     1. 기획재정부장관
     2. 산업통상자원부장관
     3. 국무총리
     4. 환경부차관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관리자 입니다.
아래와 같이 관련 규정이 개정된 관계로
4번 보기를 환경부장관에서 환경부차관으로 변경하였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개정 2021. 3. 23. [대통령령 제31548호, 시행 2021. 3. 23.] 환경부
제2조(배출권거래제 기본계획의 수립 등)
① 기획재정부장관과 환경부장관은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이하 "법"이라 한다) 제4조에 따른 배출권거래제 기본계획(이하 "기본계획"이라 한다)을 매 계획기간 시작 1년 전까지 공동으로 수립해야 한다.

-> 법이 개정되면서 기획재정부장관과 환경부장관 공동 수립
[해설작성자 : 닭숯불]

83.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관리업체가 총 온실가스 배출량에서 제외하고 보고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이 아닌 것은?(2017년 05월)
     1. 바이오매스 사용에 따른 이산화탄소의 직접배출량
     2. 관리업체 내부 발전시설에서의 LNG 사용에 따른 직접배출량
     3. 관리업체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공정폐열 사용에 따른 간접배출량
     4. 관리업체 외부의 폐기물 소각열 회수시설에서 공급받아 사용한 소각열의 간접배출량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법 개정으로 관련 법 삭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4.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배출권 차입의 한도는 할당대상 업체가 주무관청에 제출하여야 하는 배출권의 얼마까지 가능한가?(2016년 10월)
     1. 100분의 50
     2. 100분의 30
     3. 100분의 10
     4. 100분의 5

     정답 : []
     정답률 : 63%

85.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상 지방녹색성장위원회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7년 05월)
     1. 위원장 2명을 포함한 50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2. 행정부지사 또는 행정부시장은 위원회 위원장이 될 수 없다.
     3. 시ㆍ도 소속 실장ㆍ국장급 공무원 중 시ㆍ도지사가 임명하는 사람은 위원이 될 수 있다.
     4. 기후변화, 에너지ㆍ자원, 녹색기술ㆍ녹색산업 등 저탄소 녹색성장에 관한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사람 중에 시ㆍ도지사가 위촉하는 사람은 위원이 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법 제22조에 따라 지방위원회의 구성, 운영 및 기능 등 필요한 사항은 조례로 정한다.
[해설작성자 : .]

86.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배출량 등의 산정범위에 관한 사항이다.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2019년 09월)

    

     1. 200tCO2-eq 미만
     2. 150tCO2-eq 미만
     3. 120tCO2-eq 미만
     4. 100tCO2-eq 미만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제8조(배출량 등의 산정범위) 제2항에 의거, 보고대상 배출시설 중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배출권거래제의 경우 기준연도 온실가스 배출량의 연평균 총량)이 100 tCO2-eq 미만인 소규모 배출시설은 다음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 부문별 관장기관의 확인을 거쳐 시설군으로 통합하여 보고할 수 있음
[해설작성자 : 부경대 해양공확과 준스베이비]

87.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상 녹색성장위원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4월)
     1. 녹색성장위원회는 국가의 저탄소 녹색성장과 관련된 주요 정책 및 계획과 그 이행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기 위하여 환경부 소속으로 둔다.
     2. 녹색성장위원회의 회의는 위원 과반수 출석으로 개의하고, 출석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하지만,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에는 서면으로 심의ㆍ의결할 수 있다.
     3. 녹색성장위원회의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ㆍ지원하고 위원회가 위임하는 업무를 검토ㆍ조정 또는 처리하기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위원회에 분과위원회를 둘 수 있다.
     4. 지방자치단체의 저탄소 녹색성장과 관련된 주요 정책 및 계획과 그 이행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기 위하여 시ㆍ도지사 소속으로 지방녹색성장위원회를 둘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국무총리 소속으로 둔다.
[해설작성자 : 탄소중립]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문제:탄소중립기본법상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의 설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위원회는 위원장 1명을 포함한 50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2.위원장은 국무총리와 위원 중에서 대통령이 지명한 사람이 된다
3.위원회에는 간사 1명을 둔다.
4.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하며 연임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대통령소속....
[해설작성자 : 음....]

88. 배출량 인증위원회는 위원장 1명을 포함하여 16인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인증위원회의 위원장은?(2020년 09월)
     1. 환경부차관
     2. 기획재정부 1차관
     3. 산업통상자원부 차관
     4. 국토교통부 차관

     정답 : []
     정답률 : 79%

89. ‘녹색기술ㆍ녹색산업의 표준화 및 인증’과 관련된 사항 중 옳은 것은?(2015년 09월)
     1. 정부는 국내에서 개발된 기술이 국제 표준화에 부합되도록 표준화 기반 구축을 지원할 수 있고, 개발단계의 기술 등은 개발이전에 표준화 취득을 의무화한다.
     2. 녹색기술의 표준화, 인증 및 취소등에 관하여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은 산업통상자원부장관령으로 정한다.
     3. 기업은 녹색기술 및 녹색산업의 적합성에 대해 제3자 검증을 의무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4. 정부는 녹색기술ㆍ녹색산업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하여 적합성 인증을 하거나, 공공기관의 구매의무화 또는 기술지도 등을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5%

90.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제 하에서 부문별 관련기관의 소관업무가 잘못 짝지어진 것은?(2016년 05월)
     1. 농림축산식품부 : 농업ㆍ임업ㆍ축산 분야
     2. 산업통상자원부 : 산업ㆍ상업 분야
     3. 환경부 : 폐기물 분랴
     4. 국토교통부 : 건물ㆍ교통분야

     정답 : []
     정답률 : 73%

91.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령상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는 2030년의 국가 온실가스 총배출량을 2017년의 온실가스 총배출량의 얼마만큼 감축하는 것으로 하는가?(2021년 09월)
     1. 1000분의 120
     2. 1000분의 244
     3. 1000분의 375
     4. 1000분의 455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ㆍ녹색성장 기본법 ( 약칭: 탄소중립기본법 )
제8조(중장기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등) ① 정부는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30년까지 2018년의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대비 35퍼센트 이상의 범위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비율만큼 감축하는 것을 중장기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이하 “중장기감축목표”라 한다)로 한다.
[해설작성자 : 닭숯불]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령상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는 2017년 온실가스 총배출량 대비 24.4%를 감축하는 것입니다.이는 2017년 온실가스 총배출량을 기준으로 1000분의 244만큼 감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해설작성자 : 융쓰]

92.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령상 객관적이고 전문적인 검증을 위해 외부 검증 전문기관을 지정하여 검증하는 항목이 아닌 것은? (단, 기타 사항은 고려하지 않음)(2022년 04월)
     1. 외부사업 온실가스 감축량
     2. 실제 배출된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해 배출량 산정계획서를 기준으로 작성한 명세서
     3. 이행계획서
     4. 배출량 산정계획서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① 주무관청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사항을 객관적이고 전문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적합한 자로부터 신청을 받아 외부 검증 전문기관(이하 “검증기관”이라 한다)을 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업무의 범위를 구분하여 지정할 수 있다.
1. 배출량 산정계획서
2. 제24조제1항에 따른 명세서
3. 제30조에 따른 외부사업 온실가스 감축량
4. 그 밖에 할당대상업체의 온실가스 감축량
제24조(배출량의 보고 및 검증) ① 할당대상업체는 매 이행연도 종료일부터 3개월 이내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해당 이행연도에 자신의 모든 사업장에서 실제 배출된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하여 배출량 산정계획서를 기준으로 명세서를 작성하여 주무관청에 보고하여야 한다. <개정 2020.3.24>
     ② 제1항에 따른 보고에 관하여는 기본법 제27조제3항을 준용한다. 이 경우 "관리업체"는 "할당대상업체"로, "정부"는 "주무관청"으로 본다. <개정 2021.9.24>
     ③ 제1항 및 제2항에서 규정한 사항 외에 온실가스 배출량의 보고ㆍ검증에 필요한 세부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93.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ㆍ이용ㆍ보급 촉진법 시행령 상 바이오에너지 등의 기준 및 범위에서 바이오에너지에 해당하는 범위로 거리가 먼 것은?(2018년 09월)
     1. 생물유기체를 변환시킨 바이오가스, 바이오에탄올, 바이오 액화류 및 합성가스
     2. 동물ㆍ식물의 유지를 변환시킨 바이오디젤
     3. 쓰레기 매립장의 유기성 폐기물을 변환시킨 매립지 가스
     4. 해수 표층의 열을 변환시켜 얻은 에너지

     정답 : []
     정답률 : 78%

94.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상 소관 사무와 부문별 관장기관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4월)
     1. 건물 분야:국토교통부
     2. 해운 분야:환경부
     3. 임업 분야:농림축산식품부
     4. 발전(發電) 분야:산업통상자원부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해운,어업 - 해수부
폐기물- 환경부
[해설작성자 : 오오]

95. 다음은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이의신청서 작성과 관련된 사랑이다.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2019년 09월)

    

     1. 5일
     2. 10일
     3. 15일
     4. 30일

     정답 : []
     정답률 : 59%

96.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령상 할당대상업체에 배출권을 할당하는 기준을 정할 때 고려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2년 04월)
     1. 유상으로 할당하는 배출권의 비율
     2. 조기감축실적
     3. 할당대상업체의 배출권 제출 실적
     4. 할당대상업체의 시설투자 등이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에 기여하는 정도

     정답 : []
     정답률 : 51%

97.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배출시설의 배출량에 따른 시설규모 분류 중 A그룹에 해당하는 시설규모 분류기준은?(2018년 09월)
     1. 연간 5만 톤 미만의 배출시설
     2. 연간 15만 톤 이상의 배출시설
     3. 연간 5만 톤 이상, 연간 50만톤 미만의 배출시설
     4. 연간 50만 톤 이상의 배출시설

     정답 : []
     정답률 : 86%

98. 녹색성장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9월)
     1. 위원장은 국무총리가 지면하는 사람이 된다.
     2. 위원의 임기는 1년으로 하되, 연임할 수 있다.
     3. 위원장 2명을 포함한 50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4. 위원장은 각자 위원회를 대표하며, 위원회의 업무를 총괄한다.

     정답 : []
     정답률 : 51%

99. 온실가스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조직의 온실가스 배출과 관련하여 지배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지리적 경계, 물리적 경계, 업무활동 경계를 의미하는 용어는?(2022년 04월)
     1. 조직경계
     2. 운영경계
     3. 운영통제 범위
     4. 사업장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조직경계: 업체의 지배적인 영양력 아래에서 발생되는 활동에 의한 인위적인 온실가스 배출량의 산정 및 보고의 기준이 되는 조직의 범위를 말한다
운영통제범위: 조직의 온실가스 배출구 관련하여 지배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지리적 경계, 물리적 경계, 업무활동의 경계 등윽 의미한다
온실가스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혼 지침 제2조
[해설작성자 : ㅇㅇ]

100. 온실가스 배출시설의 배출량에 따른 시설규모 분류 중 C 그룹에 해당하는 시설은?(2021년 05월)
     1. 연간 5만톤 미만의 배출시설
     2. 연간 5만톤 이상, 연간 25만톤 미만의 배출시설
     3. 연간 25만톤 이상, 연간 50만톤 미만의 배출시설
     4. 연간 50만톤 이상의 배출시설

     정답 : []
     정답률 : 76%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온실가스관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1862972)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온실가스관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1862972) 좋은아빠되기 2025.11.23 2
6581 전산세무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001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580 산업위생관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3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579 9급 국가직 공무원 기계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4월1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578 변리사 1차(3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2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577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6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576 리눅스마스터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3997202) 좋은아빠되기 2025.11.23 2
6575 용접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5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574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지방세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573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3월0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2
6572 9급 지방직 공무원 정보봉사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2581880)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571 컴퓨터활용능력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9월2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2
6570 수능(경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10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569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행정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568 9급 국가직 공무원 과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4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567 9급 국가직 공무원 응용역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3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566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정보봉사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565 수능(생활과윤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6월1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564 실내건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3월0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563 콘크리트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3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352 Next
/ 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