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한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9997189)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한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임의 구분


1. 혼례시 신랑 신부의 속적삼 감으로 쓰였던 옷감은?(2004년 10월)
     1.
     2. 레이온
     3. 모시
     4. 인조

     정답 : []
     정답률 : 82%

2. 삼베를 바느질할 때 주로 사용하는 재봉기 바늘은?(2009년 01월)
     1. 7호
     2. 9호
     3. 11호
     4. 14호

     정답 : []
     정답률 : 35%

3. 깨끼 저고리를 만드는데 가장 적당한 직물은?(2004년 04월)
     1. 양단
     2. 무명
     3. 항라
     4. 옥양목

     정답 : []
     정답률 : 86%

4. 다음 섬유 중 섬유자체가 수축되지 않고 가벼우므로 안감으로 가장 적당한 옷감은?(2004년 10월)
     1. 실크
     2. 아세테이트
     3. 레이온
     4. 린넨

     정답 : []
     정답률 : 24%

5. 다음 섬유들의 공통된 성능은? (단, 양모, 비스코스레이온, 아세테이트)(2005년 01월)
     1. 알칼리에 강하다.
     2. 보온성이 크다.
     3. 내구성이 크다.
     4. 강도가 약하다.

     정답 : []
     정답률 : 58%

6. 한복의 속치마, 속바지등에 적합한 직물은?(2004년 10월)
     1. 레이온
     2. 폴리에스테르
     3. 나일론
     4. 비닐론

     정답 : []
     정답률 : 39%

7. 다음 옷감의 성질 중 서로 관계없이 짝지어진 것은?(2005년 04월)
     1. 강도 -- 내구성
     2. 흡습성 -- 땀
     3. 드레이프성 -- 맵시
     4. 내추성 -- 필링

     정답 : []
     정답률 : 88%

8. 다음 섬유 중 비중이 가장 가벼운 섬유는?(2004년 10월)
     1. 폴리프로필렌
     2. 비닐론
     3. 아크릴
     4. 나일론

     정답 : []
     정답률 : 39%

9. 산에는 강하나 알칼리에는 약하기 때문에 주의하여야 하며 , 마찰에 대한 저항력이 약하여 너무 세게 비벼 빨거나 직사광선에 말려서는 안되는 옷감은?(2004년 10월)
     1. 모섬유
     2. 마 섬유
     3. 견섬유
     4. 면섬유

     정답 : []
     정답률 : 64%

10. 섬유가 장 시간 대기중에 노출되어 햇빛, 공기, 비 등의 작용을 받으며 점차 강도가 떨어져 약해지는 성질은?(2005년 01월)
     1. 취화
     2. 내성
     3. 대전성
     4. 열가소성

     정답 : []
     정답률 : 63%

11. 한복의 구성상 한복의 미가 아닌 것은?(2005년 01월)
     1. 곧은 선과 은은히 흐르는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선의 흐름이다.
     2. 배색은 음양오행설을 바탕으로 한 색채의 조화이다.
     3. 한복의 선은 배래선과 같은 곡선으로만 이루어진다.
     4. 저고리와 치마의 배색관계는 음과 양의 조화를 바탕에 두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78%

12. 색입체는 색상, 명도, 채도에 의하여 색을 3차원의 입체로 배열하여 만든 구조체이다. 다음 중 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2006년 10월)
     1. 색상은 8등급으로 나누어 가장 순수한 색상이 5가 된다.
     2. 명도는 완전한 검정색을 0으로한다.
     3. 채도는 색의 순도가 증가함에 따라 숫자가 높아진다.
     4. 색체는 색입체 상에서 고유한 위치인 좌표점을 가지며 색체의 좌표점은 색상, 명도, 채도의 순서로 나타내다.

     정답 : []
     정답률 : 66%

13. 궁중 아이나인(內 人)의 예장용 머리로 두발을 두 갈래로 땋고 이것을 다시 올려 아래ㆍ위로 두 덩어리가 지도록 잡아맨 후 여기에 뒤꽂이를 꽂고 댕기코에도 석웅황(石雄黃) 같은 것으로 장식한 것은?(2006년 10월)
     1. 조짐머리
     2. 새앙머리
     3. 어여머리
     4. 첩지머리

     정답 : []
     정답률 : 68%

14. 회색을 흰색 바탕과 검정색 바탕에 놓았을 때 흰색 바탕의 회색이 어둡게 보이는 현상은?(2009년 01월)
     1. 채도 대비
     2. 색상대비
     3. 보색대비
     4. 명도 대비

     정답 : []
     정답률 : 53%

15. 치마 주름이나 색동, 연속문양과 옷고름 등의 배열에서 찾아 볼 수 있는 디자인의 원리는?(2009년 01월)
     1. 비율
     2. 균형
     3. 리듬
     4. 강조

     정답 : []
     정답률 : 62%

16. 남자 한복 입는 방법으로 잘못된 것은?(2005년 01월)
     1. 속적삼 위에 저고리를 입는다.
     2. 저고리 위에 조끼를 입고, 그 위에 마고자를 입는다.
     3. 대님은 매듭이 바깥쪽 복사뼈 위에 놓이도록 맨다.
     4. 웃옷은 저고리 → 조끼 → 마고자 → 두루마기 순으로 입는다.

     정답 : []
     정답률 : 75%

17. 키가 크고 마른 체형에 알맞은 것은?(2005년 01월)
     1. 저고리의 길이를 조금 길게 하고 품은 넉넉하게 한다.
     2. 저고리의 품과 길이를 알맞게 한다.
     3. 저고리의 면적이 좁아 보이도록 곁마기를 단다.
     4. 치맛단에 장식 또는 금박을 하지 아니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18. 얼굴이 긴 형일 때 저고리의 모양은?(2004년 10월)
     1. 치마는 길게, 저고리는 짧게, 도련은 완만하게 한다.
     2. 깃은 좁고 짧게 한다.
     3. 깃과 고름에 장식을 한다.
     4. 동정은 좁게 단다.

     정답 : []
     정답률 : 54%

19. 다음 중 마직물에 해당되는 것은?(2009년 01월)
     1. 모본단
     2. 안동포
     3. 삼팔주
     4. 공단

     정답 : []
     정답률 : 66%

20. 우리 옷에서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남자한복의 배색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2005년 01월)
     1. 미색바지 쑥색저고리 녹색조끼
     2. 꽃분홍바지 저고리 청옥색조끼
     3. 옥색바지 저고리 청옥색조끼
     4. 옥색바지 회색저고리 남색조끼

     정답 : []
     정답률 : 40%

2과목 : 임의 구분


21. 건식 세탁의 단점은?(2005년 01월)
     1. 옷감의 색깔, 형태 등이 쉽게 변할 염려가 있다.
     2. 건조가 빠르지 아니하다.
     3. 색상에 관계 없이 동시에 세탁을 할 수 없다.
     4. 수용성 때가 깨끗이 빠지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67%

22. 솔기를 튼튼하게 하거나 장식을 목적으로 박는 바느질로 가장 적당한 것은?(2006년 10월)
     1. 직선 박기
     2. 상침 박기
     3. 곡선 박기
     4. 모서리 박기

     정답 : []
     정답률 : 80%

23. 여자 마고자 치수는?(2004년 10월)
     1. 여자 저고리와 같게 해야 예쁘다.
     2. 여자 저고리보다 0.5㎝ 정도 크게 한다.
     3. 여자 저고리보다 0.5㎝ 정도 작게 한다.
     4. 저고리 치수와 상관없이 만든다.

     정답 : []
     정답률 : 75%

24. 남자 저고리를 만드는 방법이다. 올바르지 못한 것은?(2005년 01월)
     1. 젊은 층의 옷길이는 약간 짧게 하고, 노인 층은 조금 길게 한다.
     2. 저고리의 치수는 체형과 연령, 기호 등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다.
     3. 어깨솔기는 앞 뒤길의 겉과 안을 맞대어 놓고 고대점까지 되돌아 박고, 시접은 앞길쪽으로 꺾어 넘긴다.
     4. 소매달기는 길의 어깨선과 소매의 중심을 잘 맞춘 후 진동선이 어긋나지 않게 시침하여 박는데 진동 치수까지만 박고 풀리지 않게 되돌아 박는다.

     정답 : []
     정답률 : 68%

25. 재봉틀로 바느질할 때 주름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5년 04월)
     1. 풀치마 주름너비는 1㎝ 정도가 알맞다.
     2. 주름은 겉자락쪽에서 안자락쪽으로 넘어지게 만든다.
     3. 통치마 아귀가 있는 맨끝은 겹쳐지므로 주름을 잡지 않는다.
     4. 주름 방향은 오른편으로 잡는 것이 잡기에 편하다.

     정답 : []
     정답률 : 59%

26. 다음 그림과 같은 다림질의 적합한 온도는?(문제 오류로 그림 파일이 없습니다. 정확한 그림 내용을 아시는분께서는 자유게시판 또는 관리자 메일로 부탁 드립니다. 정답은 1번 입니다.)(2006년 10월)
     1. 80~120℃
     2. 140~160℃
     3. 180~210℃
     4. 180~250℃

     정답 : []
     정답률 : 43%

27. 재봉기의 부품 중 다음 그림에 해당되는 것은?(문제 오류로 그림이 없습니다. 정확안 그림 내용을 아시는분께서는 자유게시판 또는 관리자 메일로 부탁 드립니다. 정답은 2번 입니다.)(2009년 01월)
     1. 바늘판
     2. 침판
     3. 각판
     4. 미끄럼판

     정답 : []
     정답률 : 57%

28. 엷은 합성섬유 직물을 재봉할 때 1cm당 바느질 땀수는?(2009년 01월)
     1. 8~9
     2. 6~7
     3. 4~5
     4. 2~3

     정답 : []
     정답률 : 57%

29. 다음 중 삼회장저고리를 제도할 때 반드시 있어야 할 치수가 아니 것은?(2006년 10월)
     1. 화장
     2. 곁마기 치수
     3. 저고리 길이
     4. 가슴둘레

     정답 : []
     정답률 : 84%

30. 견 섬유은 안전 다림질 온도로 옳은 것은?(2009년 01월)
     1. 120
     2. 150
     3. 200
     4. 230

     정답 : []
     정답률 : 44%

31. 재봉틀을 분해 조립할 때 가장 먼저 해야 할일은?(2004년 02월)
     1. 바늘판을 떼고, 솔로 북집에 낀 먼지를 턴다.
     2. 바퀴의 벨트를 푼다.
     3. 미끄럼판을 열고, 안쪽을 기름 수건으로 닦는다.
     4. 실, 바늘, 북을 뺀다.

     정답 : []
     정답률 : 67%

32. 얇은 감의 치마를 견사 100 Denier를 사용 시 1㎝의 땀새는 대략 몇땀 정도인가?(2004년 10월)
     1. 4 – 6
     2. 7 - 8
     3. 10 – 11
     4. 13 - 14

     정답 : []
     정답률 : 65%

33. 다음 중 다림질 온도가 가장 높은 것은?(2005년 01월)
     1. cotton + rayon
     2. acetate + wool
     3. cotton + vinylon
     4. wool + vinylon

     정답 : []
     정답률 : 65%

34. 다음의 다림질에서 가장 적당한 방법은?(2004년 10월)
     1. 저고리 마고자 등은 우선 앞길 뒷길의 겉감을 먼저 다리고 수구도련의 안감을 다린다.
     2. 소매는 배래를 먼저 다린 후 소매 모양을 바로 잡은 다음 소매산을 다린다.
     3. 소매는 소매산을 먼저 다리고 소매 모양을 잡은 다음 양쪽 배래를 다린다.
     4. 저고리 마고자 등은 앞길 뒷길의 안감을 먼저 다리고 수구도련의 겉감을 다리고 안감을 다린다.

     정답 : []
     정답률 : 28%

35. 도련 박음질에 있어서 땀새에 주름이 지는 경우와 관계가 가장 먼 것은?(2006년 10월)
     1. 바늘, 옷감, 실의 조절이 나쁠 때
     2. 톱니의 조절이 나쁠 때
     3. 조임 나사가 헐거울 때
     4. 노루발 조절을 잘못했을 때

     정답 : []
     정답률 : 50%

36. 헹구기가 잘못된 것은?(2004년 10월)
     1. 비누의 용해 온도보다 높은 온도의 온수를 쓴다.
     2. 온수에 암모니아수를 소량 가한다.
     3. 비누기가 피복에 남아 있으면 피복이 무겁고 곰팡이가 나기 쉽다.
     4. 많은 물로 한번 헹구는 것이 적은 물로 여러번 헹구는 것보다 효과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59%

37. 다음 중 섬유자체의 구조와 성질로 사용 중 계속 수축되는 현상은?(2004년 10월)
     1. 긴장성 수축
     2. 이완 수축
     3. 진행성 수축
     4. 실의 팽윤에 의한 수축

     정답 : []
     정답률 : 59%

38. 다음 중 얼룩빼기에 있어서 주의할 점이 아닌 것은?(2004년 04월)
     1. 오염을 발견하면 즉시 처리해야 하며 시일이 경과하면 곤란하다.
     2. 섬유의 종류, 염색물의 성질, 얼룩의 종류와 정도를 고려하여야 한다.
     3. 얼룩빼기 전에 일부 예비실험을 한후에 실시 하여야 한다.
     4. 표면을 빡빡 문질러 그 부분을 중점적으로 닦아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39. 남자조끼 마름질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1월)
     1. 조끼는 안단과 주머니분이 더 필요하다.
     2. 겉감으로 안단과 입술감을 준비한다.
     3. 너비가 110cm일 때 옷감 소요량은 (조끼길이+시접)이다.
     4. 각 부분의 시접은 1~1.5cm정도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40. 스란치마와 대한치마를 구별하는 기준이 되는 것은?(2009년 01월)
     1. 스란단 수
     2. 치마폭 수
     3. 치마의 길이
     4. 치마허리의 형태

     정답 : []
     정답률 : 55%

41. 흰 저고리에 립스틱에 묻었을 경우 가장 적합한 제거 법은?(2006년 10월)
     1. 지우개 고무-벤젠-비눗물-표백
     2. 더운물-비눗물-표백
     3. 비눗물-알코올-휘발유
     4. 더운물-비눗물-벤젠-표백

     정답 : []
     정답률 : 54%

42. 옷을 장기간 보관시 푸새를 하지 않는 이유는 ?(2005년 04월)
     1. 구김살을 막기 위해
     2. 접는 부분이 부러지는 것을 막기 위해
     3. 빳빳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4. 해충의 피해를 막기 위해

     정답 : []
     정답률 : 82%

43. 남자 조끼 마름질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2005년 04월)
     1. 조끼는 옷 본 모양대로 곡선 재단한다.
     2. 겉감으로 안단과 주머니 입술 감을 마른다.
     3. 110cm 폭 소요량은 조끼 길이 × 2 + 시접
     4. 각 부분의 시접은 1∼1.5cm정도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44. 봉제시 바늘이 건너뛸 경우 원인이 아닌 것은?(2009년 01월)
     1. 바늘 밑판에 불순물이 끼었을 경우
     2. 바늘이 잘못 끼워졌을 경우
     3. 실이 잘못 끼워졌을 경우
     4. 톱니가 내려져 있을 경우

     정답 : []
     정답률 : 35%

45. 치마의 조끼허리 길이는 저고리 길이보다 어느 만큼 짧게 하여야 보기 좋은가?(2006년 10월)
     1. 0.1~0.2cm
     2. 0.5~1cm
     3. 2~3cm
     4. 5~7cm

     정답 : []
     정답률 : 75%

46. 여자속치마의 일종으로 하체를 크게 과장하여 입었던 것으로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착용되었던 것은?(2004년 04월)
     1. 고려-스란 치마, 조선 - 선군
     2. 고려-선군, 조선 - 무지기 치마
     3. 고려-무지기 치마, 조선 - 스란 치마
     4. 고려-스란 치마, 조선 - 무지기 치마

     정답 : []
     정답률 : 64%

47. 조끼는 언제부터 입었는가?(2005년 01월)
     1. 삼한시대부터 입었다.
     2. 개화기 때 생긴 것이다.
     3. 조선왕조 초기에도 있었다.
     4. 확실한 년대는 모른다.

     정답 : []
     정답률 : 63%

48. 조선시대 문무관이 융복으로 착용했던 포의 명칭은?(2005년 04월)
     1. 전복
     2. 철릭
     3. 답호
     4. 창의

     정답 : []
     정답률 : 67%

49. 조선조 적이(翟衣)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2006년 10월)
     1. 조선시대 말기 황후의 적의는 대홍색 이었다.
     2. 간이예복 또는 소례복으로 평복 위에 착용하였다.
     3. 적의는 민서가 함께 입었다.
     4. 임진왜란 후 왕비의 적의는 대홍단으로 지었다.

     정답 : []
     정답률 : 38%

50. 신라 태종 때 당(唐)의 복식이 우리나라에 유입되어 조선 조까지 전승된 부녀예복은?(2005년 04월)
     1. 원삼
     2. 당의
     3. 대란치마
     4. 활옷

     정답 : []
     정답률 : 68%

51. 외명부들이 궁중을 출입할 때 가체의 일종으로 낭자를 소라껍질처럼 크게 틀어 쪽진 머리에 가식한 머리모양은?(2009년 01월)
     1. 조짐머리
     2. 첩지머리
     3. 땋은머리
     4. 새앙머리

     정답 : []
     정답률 : 47%

52. 남자아이의 돌이나 명절에 입혀지는 옷이 아닌 것은?(2004년 04월)
     1. 까치두루마기
     2. 풍차바지
     3. 관복
     4. 전복

     정답 : []
     정답률 : 92%

53. 소매가 넓고 전삼(展杉)이 붙어 있는 의복은?(2009년 01월)
     1. 학창의
     2. 첩리
     3. 직령포
     4. 도포

     정답 : []
     정답률 : 43%

54. 다음 중 쌍깃으로 구성되면서 색동의 배색인 옷은?(2005년 01월)
     1. 활옷
     2. 돌저고리
     3. 원삼
     4. 배자

     정답 : []
     정답률 : 31%

55. 조선시대 방심곡령(方心曲領)을 한 백관복(百官服)은?(2005년 01월)
     1. 제복(祭服)
     2. 조복(朝服)
     3. 공복(公服)
     4. 상복(常服)

     정답 : []
     정답률 : 44%

56. 조선시대의 포의 형태에 속하지 않는 것은?(2004년 10월)
     1. 첩리
     2. 백저포
     3. 도포
     4. 창의

     정답 : []
     정답률 : 43%

57. 통일신라 후 왕은 물론 골품에서 평인에 이르기까지 착용하던 두식은?(2004년 02월)
     1. 조우관
     2. 절풍
     3. 사모
     4. 복두

     정답 : []
     정답률 : 63%

58. 노리개는 계절에 따라 패용하는 것이 다르다. 8월 보름에 패용했던 노리개는?(2005년 04월)
     1. 비취 노리개
     2. 옥 노리개
     3. 삼작 노리개
     4. 옥장도 노리개

     정답 : []
     정답률 : 88%

59. 우리나라 복식의 기본구조는 어느 것에 해당 되는가?(2005년 01월)
     1. 북방 알타이계의 착수대구고(窄袖大口袴)
     2. 북방알타이계의 착수궁고(窄袖窮袴)
     3. 북방알타이계의 광수궁고(廣袖窮袴)
     4. 북방 알타이계의 광수대구고(廣袖大口袴)

     정답 : []
     정답률 : 50%

60. 조선시대 왕이 국난을 당했을 때 착용했던 복식은?(2004년 02월)
     1. 전립, 융복
     2. 면류관, 곤복
     3. 원유관, 강사포
     4. 익선관, 곤룡포

     정답 : []
     정답률 : 56%


정 답 지

한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9997189)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한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임의 구분


1. 혼례시 신랑 신부의 속적삼 감으로 쓰였던 옷감은?(2004년 10월)
     1.
     2. 레이온
     3. 모시
     4. 인조

     정답 : []
     정답률 : 82%

2. 삼베를 바느질할 때 주로 사용하는 재봉기 바늘은?(2009년 01월)
     1. 7호
     2. 9호
     3. 11호
     4. 14호

     정답 : []
     정답률 : 35%

3. 깨끼 저고리를 만드는데 가장 적당한 직물은?(2004년 04월)
     1. 양단
     2. 무명
     3. 항라
     4. 옥양목

     정답 : []
     정답률 : 86%

4. 다음 섬유 중 섬유자체가 수축되지 않고 가벼우므로 안감으로 가장 적당한 옷감은?(2004년 10월)
     1. 실크
     2. 아세테이트
     3. 레이온
     4. 린넨

     정답 : []
     정답률 : 24%

5. 다음 섬유들의 공통된 성능은? (단, 양모, 비스코스레이온, 아세테이트)(2005년 01월)
     1. 알칼리에 강하다.
     2. 보온성이 크다.
     3. 내구성이 크다.
     4. 강도가 약하다.

     정답 : []
     정답률 : 58%

6. 한복의 속치마, 속바지등에 적합한 직물은?(2004년 10월)
     1. 레이온
     2. 폴리에스테르
     3. 나일론
     4. 비닐론

     정답 : []
     정답률 : 39%

7. 다음 옷감의 성질 중 서로 관계없이 짝지어진 것은?(2005년 04월)
     1. 강도 -- 내구성
     2. 흡습성 -- 땀
     3. 드레이프성 -- 맵시
     4. 내추성 -- 필링

     정답 : []
     정답률 : 88%

8. 다음 섬유 중 비중이 가장 가벼운 섬유는?(2004년 10월)
     1. 폴리프로필렌
     2. 비닐론
     3. 아크릴
     4. 나일론

     정답 : []
     정답률 : 39%

9. 산에는 강하나 알칼리에는 약하기 때문에 주의하여야 하며 , 마찰에 대한 저항력이 약하여 너무 세게 비벼 빨거나 직사광선에 말려서는 안되는 옷감은?(2004년 10월)
     1. 모섬유
     2. 마 섬유
     3. 견섬유
     4. 면섬유

     정답 : []
     정답률 : 64%

10. 섬유가 장 시간 대기중에 노출되어 햇빛, 공기, 비 등의 작용을 받으며 점차 강도가 떨어져 약해지는 성질은?(2005년 01월)
     1. 취화
     2. 내성
     3. 대전성
     4. 열가소성

     정답 : []
     정답률 : 63%

11. 한복의 구성상 한복의 미가 아닌 것은?(2005년 01월)
     1. 곧은 선과 은은히 흐르는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선의 흐름이다.
     2. 배색은 음양오행설을 바탕으로 한 색채의 조화이다.
     3. 한복의 선은 배래선과 같은 곡선으로만 이루어진다.
     4. 저고리와 치마의 배색관계는 음과 양의 조화를 바탕에 두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78%

12. 색입체는 색상, 명도, 채도에 의하여 색을 3차원의 입체로 배열하여 만든 구조체이다. 다음 중 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2006년 10월)
     1. 색상은 8등급으로 나누어 가장 순수한 색상이 5가 된다.
     2. 명도는 완전한 검정색을 0으로한다.
     3. 채도는 색의 순도가 증가함에 따라 숫자가 높아진다.
     4. 색체는 색입체 상에서 고유한 위치인 좌표점을 가지며 색체의 좌표점은 색상, 명도, 채도의 순서로 나타내다.

     정답 : []
     정답률 : 66%

13. 궁중 아이나인(內 人)의 예장용 머리로 두발을 두 갈래로 땋고 이것을 다시 올려 아래ㆍ위로 두 덩어리가 지도록 잡아맨 후 여기에 뒤꽂이를 꽂고 댕기코에도 석웅황(石雄黃) 같은 것으로 장식한 것은?(2006년 10월)
     1. 조짐머리
     2. 새앙머리
     3. 어여머리
     4. 첩지머리

     정답 : []
     정답률 : 68%

14. 회색을 흰색 바탕과 검정색 바탕에 놓았을 때 흰색 바탕의 회색이 어둡게 보이는 현상은?(2009년 01월)
     1. 채도 대비
     2. 색상대비
     3. 보색대비
     4. 명도 대비

     정답 : []
     정답률 : 53%

15. 치마 주름이나 색동, 연속문양과 옷고름 등의 배열에서 찾아 볼 수 있는 디자인의 원리는?(2009년 01월)
     1. 비율
     2. 균형
     3. 리듬
     4. 강조

     정답 : []
     정답률 : 62%

16. 남자 한복 입는 방법으로 잘못된 것은?(2005년 01월)
     1. 속적삼 위에 저고리를 입는다.
     2. 저고리 위에 조끼를 입고, 그 위에 마고자를 입는다.
     3. 대님은 매듭이 바깥쪽 복사뼈 위에 놓이도록 맨다.
     4. 웃옷은 저고리 → 조끼 → 마고자 → 두루마기 순으로 입는다.

     정답 : []
     정답률 : 75%

17. 키가 크고 마른 체형에 알맞은 것은?(2005년 01월)
     1. 저고리의 길이를 조금 길게 하고 품은 넉넉하게 한다.
     2. 저고리의 품과 길이를 알맞게 한다.
     3. 저고리의 면적이 좁아 보이도록 곁마기를 단다.
     4. 치맛단에 장식 또는 금박을 하지 아니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18. 얼굴이 긴 형일 때 저고리의 모양은?(2004년 10월)
     1. 치마는 길게, 저고리는 짧게, 도련은 완만하게 한다.
     2. 깃은 좁고 짧게 한다.
     3. 깃과 고름에 장식을 한다.
     4. 동정은 좁게 단다.

     정답 : []
     정답률 : 54%

19. 다음 중 마직물에 해당되는 것은?(2009년 01월)
     1. 모본단
     2. 안동포
     3. 삼팔주
     4. 공단

     정답 : []
     정답률 : 66%

20. 우리 옷에서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남자한복의 배색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2005년 01월)
     1. 미색바지 쑥색저고리 녹색조끼
     2. 꽃분홍바지 저고리 청옥색조끼
     3. 옥색바지 저고리 청옥색조끼
     4. 옥색바지 회색저고리 남색조끼

     정답 : []
     정답률 : 40%

2과목 : 임의 구분


21. 건식 세탁의 단점은?(2005년 01월)
     1. 옷감의 색깔, 형태 등이 쉽게 변할 염려가 있다.
     2. 건조가 빠르지 아니하다.
     3. 색상에 관계 없이 동시에 세탁을 할 수 없다.
     4. 수용성 때가 깨끗이 빠지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67%

22. 솔기를 튼튼하게 하거나 장식을 목적으로 박는 바느질로 가장 적당한 것은?(2006년 10월)
     1. 직선 박기
     2. 상침 박기
     3. 곡선 박기
     4. 모서리 박기

     정답 : []
     정답률 : 80%

23. 여자 마고자 치수는?(2004년 10월)
     1. 여자 저고리와 같게 해야 예쁘다.
     2. 여자 저고리보다 0.5㎝ 정도 크게 한다.
     3. 여자 저고리보다 0.5㎝ 정도 작게 한다.
     4. 저고리 치수와 상관없이 만든다.

     정답 : []
     정답률 : 75%

24. 남자 저고리를 만드는 방법이다. 올바르지 못한 것은?(2005년 01월)
     1. 젊은 층의 옷길이는 약간 짧게 하고, 노인 층은 조금 길게 한다.
     2. 저고리의 치수는 체형과 연령, 기호 등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다.
     3. 어깨솔기는 앞 뒤길의 겉과 안을 맞대어 놓고 고대점까지 되돌아 박고, 시접은 앞길쪽으로 꺾어 넘긴다.
     4. 소매달기는 길의 어깨선과 소매의 중심을 잘 맞춘 후 진동선이 어긋나지 않게 시침하여 박는데 진동 치수까지만 박고 풀리지 않게 되돌아 박는다.

     정답 : []
     정답률 : 68%

25. 재봉틀로 바느질할 때 주름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5년 04월)
     1. 풀치마 주름너비는 1㎝ 정도가 알맞다.
     2. 주름은 겉자락쪽에서 안자락쪽으로 넘어지게 만든다.
     3. 통치마 아귀가 있는 맨끝은 겹쳐지므로 주름을 잡지 않는다.
     4. 주름 방향은 오른편으로 잡는 것이 잡기에 편하다.

     정답 : []
     정답률 : 59%

26. 다음 그림과 같은 다림질의 적합한 온도는?(문제 오류로 그림 파일이 없습니다. 정확한 그림 내용을 아시는분께서는 자유게시판 또는 관리자 메일로 부탁 드립니다. 정답은 1번 입니다.)(2006년 10월)
     1. 80~120℃
     2. 140~160℃
     3. 180~210℃
     4. 180~250℃

     정답 : []
     정답률 : 43%

27. 재봉기의 부품 중 다음 그림에 해당되는 것은?(문제 오류로 그림이 없습니다. 정확안 그림 내용을 아시는분께서는 자유게시판 또는 관리자 메일로 부탁 드립니다. 정답은 2번 입니다.)(2009년 01월)
     1. 바늘판
     2. 침판
     3. 각판
     4. 미끄럼판

     정답 : []
     정답률 : 57%

28. 엷은 합성섬유 직물을 재봉할 때 1cm당 바느질 땀수는?(2009년 01월)
     1. 8~9
     2. 6~7
     3. 4~5
     4. 2~3

     정답 : []
     정답률 : 57%

29. 다음 중 삼회장저고리를 제도할 때 반드시 있어야 할 치수가 아니 것은?(2006년 10월)
     1. 화장
     2. 곁마기 치수
     3. 저고리 길이
     4. 가슴둘레

     정답 : []
     정답률 : 84%

30. 견 섬유은 안전 다림질 온도로 옳은 것은?(2009년 01월)
     1. 120
     2. 150
     3. 200
     4. 230

     정답 : []
     정답률 : 44%

31. 재봉틀을 분해 조립할 때 가장 먼저 해야 할일은?(2004년 02월)
     1. 바늘판을 떼고, 솔로 북집에 낀 먼지를 턴다.
     2. 바퀴의 벨트를 푼다.
     3. 미끄럼판을 열고, 안쪽을 기름 수건으로 닦는다.
     4. 실, 바늘, 북을 뺀다.

     정답 : []
     정답률 : 67%

32. 얇은 감의 치마를 견사 100 Denier를 사용 시 1㎝의 땀새는 대략 몇땀 정도인가?(2004년 10월)
     1. 4 – 6
     2. 7 - 8
     3. 10 – 11
     4. 13 - 14

     정답 : []
     정답률 : 65%

33. 다음 중 다림질 온도가 가장 높은 것은?(2005년 01월)
     1. cotton + rayon
     2. acetate + wool
     3. cotton + vinylon
     4. wool + vinylon

     정답 : []
     정답률 : 65%

34. 다음의 다림질에서 가장 적당한 방법은?(2004년 10월)
     1. 저고리 마고자 등은 우선 앞길 뒷길의 겉감을 먼저 다리고 수구도련의 안감을 다린다.
     2. 소매는 배래를 먼저 다린 후 소매 모양을 바로 잡은 다음 소매산을 다린다.
     3. 소매는 소매산을 먼저 다리고 소매 모양을 잡은 다음 양쪽 배래를 다린다.
     4. 저고리 마고자 등은 앞길 뒷길의 안감을 먼저 다리고 수구도련의 겉감을 다리고 안감을 다린다.

     정답 : []
     정답률 : 28%

35. 도련 박음질에 있어서 땀새에 주름이 지는 경우와 관계가 가장 먼 것은?(2006년 10월)
     1. 바늘, 옷감, 실의 조절이 나쁠 때
     2. 톱니의 조절이 나쁠 때
     3. 조임 나사가 헐거울 때
     4. 노루발 조절을 잘못했을 때

     정답 : []
     정답률 : 50%

36. 헹구기가 잘못된 것은?(2004년 10월)
     1. 비누의 용해 온도보다 높은 온도의 온수를 쓴다.
     2. 온수에 암모니아수를 소량 가한다.
     3. 비누기가 피복에 남아 있으면 피복이 무겁고 곰팡이가 나기 쉽다.
     4. 많은 물로 한번 헹구는 것이 적은 물로 여러번 헹구는 것보다 효과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59%

37. 다음 중 섬유자체의 구조와 성질로 사용 중 계속 수축되는 현상은?(2004년 10월)
     1. 긴장성 수축
     2. 이완 수축
     3. 진행성 수축
     4. 실의 팽윤에 의한 수축

     정답 : []
     정답률 : 59%

38. 다음 중 얼룩빼기에 있어서 주의할 점이 아닌 것은?(2004년 04월)
     1. 오염을 발견하면 즉시 처리해야 하며 시일이 경과하면 곤란하다.
     2. 섬유의 종류, 염색물의 성질, 얼룩의 종류와 정도를 고려하여야 한다.
     3. 얼룩빼기 전에 일부 예비실험을 한후에 실시 하여야 한다.
     4. 표면을 빡빡 문질러 그 부분을 중점적으로 닦아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39. 남자조끼 마름질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1월)
     1. 조끼는 안단과 주머니분이 더 필요하다.
     2. 겉감으로 안단과 입술감을 준비한다.
     3. 너비가 110cm일 때 옷감 소요량은 (조끼길이+시접)이다.
     4. 각 부분의 시접은 1~1.5cm정도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40. 스란치마와 대한치마를 구별하는 기준이 되는 것은?(2009년 01월)
     1. 스란단 수
     2. 치마폭 수
     3. 치마의 길이
     4. 치마허리의 형태

     정답 : []
     정답률 : 55%

41. 흰 저고리에 립스틱에 묻었을 경우 가장 적합한 제거 법은?(2006년 10월)
     1. 지우개 고무-벤젠-비눗물-표백
     2. 더운물-비눗물-표백
     3. 비눗물-알코올-휘발유
     4. 더운물-비눗물-벤젠-표백

     정답 : []
     정답률 : 54%

42. 옷을 장기간 보관시 푸새를 하지 않는 이유는 ?(2005년 04월)
     1. 구김살을 막기 위해
     2. 접는 부분이 부러지는 것을 막기 위해
     3. 빳빳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4. 해충의 피해를 막기 위해

     정답 : []
     정답률 : 82%

43. 남자 조끼 마름질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2005년 04월)
     1. 조끼는 옷 본 모양대로 곡선 재단한다.
     2. 겉감으로 안단과 주머니 입술 감을 마른다.
     3. 110cm 폭 소요량은 조끼 길이 × 2 + 시접
     4. 각 부분의 시접은 1∼1.5cm정도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44. 봉제시 바늘이 건너뛸 경우 원인이 아닌 것은?(2009년 01월)
     1. 바늘 밑판에 불순물이 끼었을 경우
     2. 바늘이 잘못 끼워졌을 경우
     3. 실이 잘못 끼워졌을 경우
     4. 톱니가 내려져 있을 경우

     정답 : []
     정답률 : 35%

45. 치마의 조끼허리 길이는 저고리 길이보다 어느 만큼 짧게 하여야 보기 좋은가?(2006년 10월)
     1. 0.1~0.2cm
     2. 0.5~1cm
     3. 2~3cm
     4. 5~7cm

     정답 : []
     정답률 : 75%

46. 여자속치마의 일종으로 하체를 크게 과장하여 입었던 것으로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착용되었던 것은?(2004년 04월)
     1. 고려-스란 치마, 조선 - 선군
     2. 고려-선군, 조선 - 무지기 치마
     3. 고려-무지기 치마, 조선 - 스란 치마
     4. 고려-스란 치마, 조선 - 무지기 치마

     정답 : []
     정답률 : 64%

47. 조끼는 언제부터 입었는가?(2005년 01월)
     1. 삼한시대부터 입었다.
     2. 개화기 때 생긴 것이다.
     3. 조선왕조 초기에도 있었다.
     4. 확실한 년대는 모른다.

     정답 : []
     정답률 : 63%

48. 조선시대 문무관이 융복으로 착용했던 포의 명칭은?(2005년 04월)
     1. 전복
     2. 철릭
     3. 답호
     4. 창의

     정답 : []
     정답률 : 67%

49. 조선조 적이(翟衣)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2006년 10월)
     1. 조선시대 말기 황후의 적의는 대홍색 이었다.
     2. 간이예복 또는 소례복으로 평복 위에 착용하였다.
     3. 적의는 민서가 함께 입었다.
     4. 임진왜란 후 왕비의 적의는 대홍단으로 지었다.

     정답 : []
     정답률 : 38%

50. 신라 태종 때 당(唐)의 복식이 우리나라에 유입되어 조선 조까지 전승된 부녀예복은?(2005년 04월)
     1. 원삼
     2. 당의
     3. 대란치마
     4. 활옷

     정답 : []
     정답률 : 68%

51. 외명부들이 궁중을 출입할 때 가체의 일종으로 낭자를 소라껍질처럼 크게 틀어 쪽진 머리에 가식한 머리모양은?(2009년 01월)
     1. 조짐머리
     2. 첩지머리
     3. 땋은머리
     4. 새앙머리

     정답 : []
     정답률 : 47%

52. 남자아이의 돌이나 명절에 입혀지는 옷이 아닌 것은?(2004년 04월)
     1. 까치두루마기
     2. 풍차바지
     3. 관복
     4. 전복

     정답 : []
     정답률 : 92%

53. 소매가 넓고 전삼(展杉)이 붙어 있는 의복은?(2009년 01월)
     1. 학창의
     2. 첩리
     3. 직령포
     4. 도포

     정답 : []
     정답률 : 43%

54. 다음 중 쌍깃으로 구성되면서 색동의 배색인 옷은?(2005년 01월)
     1. 활옷
     2. 돌저고리
     3. 원삼
     4. 배자

     정답 : []
     정답률 : 31%

55. 조선시대 방심곡령(方心曲領)을 한 백관복(百官服)은?(2005년 01월)
     1. 제복(祭服)
     2. 조복(朝服)
     3. 공복(公服)
     4. 상복(常服)

     정답 : []
     정답률 : 44%

56. 조선시대의 포의 형태에 속하지 않는 것은?(2004년 10월)
     1. 첩리
     2. 백저포
     3. 도포
     4. 창의

     정답 : []
     정답률 : 43%

57. 통일신라 후 왕은 물론 골품에서 평인에 이르기까지 착용하던 두식은?(2004년 02월)
     1. 조우관
     2. 절풍
     3. 사모
     4. 복두

     정답 : []
     정답률 : 63%

58. 노리개는 계절에 따라 패용하는 것이 다르다. 8월 보름에 패용했던 노리개는?(2005년 04월)
     1. 비취 노리개
     2. 옥 노리개
     3. 삼작 노리개
     4. 옥장도 노리개

     정답 : []
     정답률 : 88%

59. 우리나라 복식의 기본구조는 어느 것에 해당 되는가?(2005년 01월)
     1. 북방 알타이계의 착수대구고(窄袖大口袴)
     2. 북방알타이계의 착수궁고(窄袖窮袴)
     3. 북방알타이계의 광수궁고(廣袖窮袴)
     4. 북방 알타이계의 광수대구고(廣袖大口袴)

     정답 : []
     정답률 : 50%

60. 조선시대 왕이 국난을 당했을 때 착용했던 복식은?(2004년 02월)
     1. 전립, 융복
     2. 면류관, 곤복
     3. 원유관, 강사포
     4. 익선관, 곤룡포

     정답 : []
     정답률 : 56%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한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9997189)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628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건축계획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4614436) 좋은아빠되기 2025.11.23 3
6627 소비자전문상담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8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626 <h2>중식조리기능사 필기 시험문제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839622)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625 사무자동화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3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2
6624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간호관리(8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2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3
6623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사회복지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2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2
6622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공중보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6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2
6621 생물분류기사(동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5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620 화약취급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10월20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619 9급 국가직 공무원 통계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7월1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618 전기철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4995224)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617 농기계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7월17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616 멀티미디어콘텐츠제작전문가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3295333) 좋은아빠되기 2025.11.23 2
6615 초음파비파괴검사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5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614 경영지도사 1차 2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4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 한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9997189)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612 화공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3월0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611 금속도장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1년04월29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61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전기이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6월1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609 침투비파괴검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7484622)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353 Next
/ 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