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581710)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화재 조사론


1. 화염확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화염확산은 화재의 부력이나 대기상의 바람으로 인한 유동의 영향을 받는다.
     2. 화염확산은 일반적으로 화염의 방향 및 연료의 특성에 영향을 받는다.
     3. 고체의 화염확산속도는 표면장력효과로 인하여 전반적으로 액체의 화염확산속도보다 크다.
     4. 다공성 고체물질은 다공성이 아닌 물질에 비하여 화염확산속도가 빠르다.

     정답 : []
     정답률 : 84%

2. 다음 중 액체의 물리적 성질과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2020년 06월)
     1. 증발
     2. 비점
     3. 비중
     4. 승화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승화 : 고체→기체, 기체→고체로 변하는 것
액체의 물리적 성질과는 관련이 없다.
[해설작성자 : 무거동]

3. 화재의 소실 정도를 나타내는 용어와 설명이 옳게 짝지어진 것은?(2019년 04월)
     1. 전소:건물의 입체면적 60% 이상 소실되었거나, 잔존부분을 보수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것
     2. 반소:건물의 입체면적 50% 이상 70% 미만이 소실된 것
     3. 부분소:전소, 반소화재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것
     4. 즉소:건물의 입체면적 30% 이상 소실된 것

     정답 : []
     정답률 : 88%

4. 화재현장 보존의 중요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9월)
     1. 조사대상인 화재현장은 현장조사가 개시될 때까지 화재진압 또는 진화 후의 현장과 거의 같은 상황으로 보존되어야 한다.
     2. 현장조사를 하기 전에 현장의 보존 상태를 반드시 확인 하고 변화가 없을 때 본격적인 현장조사를 실시한다.
     3. 화재현장은 감식 및 발굴 작업에 따라 훼손되어 전의 상태로 복구가 어렵다.
     4. 소방활동 중 증거물의 위치이동 여부의 확인 없이 신속히 조사한다.

     정답 : []
     정답률 : 82%

5. 습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0년 06월)
     1. 공기 중의 습도는 연소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2. 정전기는 습한 환경에서 축적이 잘 되는 경향이 있다.
     3. 절대습도는 대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의 양을 (%)로 표기한다.
     4. 가연물의 수분함량은 가연물 주변 공기의 습도와 상관관계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3. 절대습도는 공기 1m3 중에 포함된 수증기의 양을 g으로 나타낸다. -네이버 지식백과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 화재조사 범위와 관련된 내용 중 화재원인 조사 내용으로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발화원인 조사:발화지점, 발화열원, 발화요인, 최초착화물 및 발화관련기기 등
     2. 소실피해 조사:열에 의한 탄화, 용융, 파손 등의 조사
     3. 피난상황 조사:피난경로, 피난상의 장애요인 등
     4. 소방ㆍ방화시설 등 조사:소방ㆍ방화시설의 활용 또는 작동 등의 상황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화재원인조사와 화재피해조사는 다르다.
[해설작성자 : 광주소방대표]

7. 폭발의 발생 및 성장 원인으로 틀린 것은?(2017년 09월)
     1. 폭굉 한계 내의 가스가 어느 정도 다량으로 존재 할 때
     2. 존재된 잔여가스에 방전이나 화염, 충격 등 점화원이 작용할 때
     3. 폭발범위 내에 불활성가스가 존재할 때
     4. 폭발 충격으로 인한 파이프 파열로 2차적 폭발이 일어날 때

     정답 : []
     정답률 : 76%

8. 탄화칼슘의 자연발화 방지대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열 축적이 어려운 장소에 저장
     2. 온도가 낮은 곳에 저장
     3. 습도가 높은 곳에 저장
     4. 불활성가스를 주입하여 산소를 차단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탄화칼슘은 물과 작용하면 발열한다.
[해설작성자 : 아무개]

9. 다음 중 화학적 작용에 의한 소화방법에 해당하는 것은?(2019년 04월)
     1. 질식소화
     2. 냉각소화
     3. 제거소화
     4. 억제소화

     정답 : []
     정답률 : 84%

10. 폭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9월)
     1. 분무폭발은 기상폭발의 한 종류이다.
     2. 감압폭발은 응상폭발의 한 종류이다.
     3. 전선이 고상에서 급격히 액상을 거쳐 기상으로 전이할 때 발생되는 폭발은 전선폭발이다.
     4. 고온의 용융금속이 물속에서 급속냉각 될 때 폭발은 과열액체 증기폭발이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증기폭발 : 액화가스의 폭발적인 비등현상으로 인한 상변화에 따른 폭발현상
수증기폭발 : 액체의 폭바적인 비등현상으로 상변화에 따른 폭발현상
[해설작성자 : 119구조대]

11. 물질의 상변화에너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증발열-기체가 액체로 변화할 때 외부로부터 흡수하는 열량
     2. 잠열-물질이 상변화 없이 온도만 변할 때 흡수 또는 발생하는 열
     3. 응고열-액체가 응고점에서 동일 온도의 고체로 변화할 때 방출하는 열량
     4. 현열-물질이 온도ㆍ압력의 변화 없이 상변화만 일어날 때 흡수 또는 발생하는 열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 증발열-액체가 기체로
2. 현열에 대한 설명
4. 잠열에 대한 설명
[해설작성자 : act now]

12. 다음의 타임라인(Time Line)을 구성하기 위한 이벤트기록들 중, 하드타임(Hard Time)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4월)
     1. 무인경비설비가 화재를 감지한 시각
     2. 소방서에 화재가 신고된 시각
     3. 화재가 시작된 시각
     4. 화재의 진압이 종료된 시각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하드타임이란 실제로 기록이 가능한 시각을 말합니다.    
1.2.4번은 정확한 시간을 알 수 있으나,
3번 화재가 시작된 시각은 추정에 의한 시간이므로 거리가 멀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act now]

13. 폭열(Spalling)의 발생원인이 아닌 것은?(2017년 09월)
     1. 흡수율이 큰 골재의 사용
     2. 내화성이 약한 골재의 사용
     3. 콘크리트 내부 함수율이 낮을 때
     4. 콘크리트의 치밀한 조직으로 화재 시 수증기 배출이 안 될 때

     정답 : []
     정답률 : 60%

14. 화염이 버너의 상부를 떠나 연소하는 현상인 리프팅(Lifting)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9월)
     1. 가스압력이 높아 분출속도가 빠를 때
     2. 공기 조절기가 닫혀 1차 공기 흡입량이 없을 때
     3. 연소실내 급배기 불량으로 2차 공기가 급격히 감소 할 때
     4. 가스 방출구가 막혀 분출속도가 빠를 때

     정답 : []
     정답률 : 54%

15. 연기 및 연소가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황화수소는 황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물질이 불완전연소 될 때 발생하는 가스로 계한 썩는 냄새가 나는 독성이 강한 물질이다.
     2. 빛의 투과량으로부터 계산하는 감광계수는 연기의 절대농도를 나타내는 방법의 하나로 시야상태를 고려한 농도 표현법이다.
     3. 염화수소는 폴리염화비닐, 염화아크릴 등의 연소 시 발생되는 자극성이 강한 맹독성 기체이다.
     4. 감광계수 1.0은 거의 앞이 보이지 않을 정도의 연기농도를 말하며, 이 때 가시거리는 1~2m이다.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감광계수는 연기의 상대농도를 나타냄
[해설작성자 : 힘내라]

16. 다음 중 저항이 7Ω인 전선에 5A의 전류가 1분 동안 흐른 경우, 전선에서 발생하는 발열량(줄열)으로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H=I×R×t=5×7×60=2100J
     2. H=I2×R×t=52×7×60=10500J
     3. H=I2×R2×t=52×72×60=73500J
     4. H=I×R2×t2=5×72×602=882000J

     정답 : []
     정답률 : 70%

17. 연소 진행과정 추적과 관련하여 화재원인 판정절차 순서를 나열한 것 중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발화층, 발화실의 판정→발화원, 발화원인의 판정→발화개소의 판정→발화건물의 판정
     2. 발화층, 발화실의 판정→발화원, 발화원인의 판정→발화건물의 판정→발화개소의 판정
     3. 발화건물의 판정→발화층, 발화실의 판정→발화개소의 판정→발화원, 발화원인의 판정
     4. 발화건물의 판정→발화원, 발화원인의 판정→발화층, 발화실의 판정→발화개소의 판정

     정답 : []
     정답률 : 79%

18. 화재시건 관계자 진술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관계자의 인권을 고려하여 유도심문을 하여야 한다.
     2. 관계자의 기억이 희박해지기 이전에 최대한 빨리 질문하는 것이 좋다.
     3. 소방기본법상 질문을 행하는 주체는 소방청장ㆍ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이다.
     4. 피질문자의 심리가 충분히 안정된 상태에서 진술할 수 있는 장소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정답 : []
     정답률 : 89%

19. 목재의 탄화심도를 측정 시 유의사항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요철()부위중 요()부위를 게이지로 측정한다.
     2. 게이지로 측정된 깊이 외에 이미 소실된 부위의 깊이를 더하여 비교해야 한다.
     3. 게이지를 사용할 때 깊이 측정될 수 있도록 되도록 강력한 힘으로 눌러 삽입한다.
     4. 깊이 측정될 수 있도록 끝이 뾰족한 게이지를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20. 다음 중 가연물질로 옳은 것은?(2020년 06월)
     1. He(헬륨)
     2. CO2(이산화탄소)
     3. CO(일산화탄소)
     4. SO3(삼산화황)

     정답 : []
     정답률 : 65%

2과목 : 화재 감식론


21. 다음 중 가열에 의해 연화되면서 가소성을 갖는 합성수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9년 04월)
     1. 폴리염화비닐
     2. 에폭시수지
     3. 폴리스틸렌
     4. 폴리에틸렌

     정답 : []
     정답률 : 74%

22. LPG차량의 구성품 중, LPG 용기의 밸브 색상이 옳게 연결된 것은?(2019년 04월)
     1. LPG 충전밸브 : 황색
     2. 체크밸브 : 적색
     3. 액체 송출밸브 : 적색
     4. 기체 송출밸브 : 청색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LPG 충전밸브: 녹색, 액체 송출밸브: 적색, 기체 송출밸브: 황색
[해설작성자 : 쿠아니]

23. 면적 100m2, 높이 2m인 내화조(환기율은 0.4회/h) 내부에 도시가스관에서 누설된 가스가 축적될 때, 얼마만큼의 누설량부터 폭발하한계에 도달하겠는가? (단, 도시가스의 폭발하한계는 5.6 Vol.%)(2019년 04월)
     1. 11.2m3
     2. 15.68m3
     3. 112m3
     4. 156.8m3

     정답 : []
     정답률 : 55%

24. 열가소성 수지로 옳은 것은?(2020년 06월)
     1. 페놀수지
     2. 우레아수지
     3. 멜라민수지
     4. 아크릴수지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비결정성 수지
폴리스티렌 (PS)
폴리염화비닐 (PVC) - 경질 및 연질
아크릴 수지 (PMMA)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ABS)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수지 (AS)

-결정성 수지
폴리에틸렌 (PE) - 저밀도(LDPE) 및 고밀도(HDPE)
폴리프로필렌 (PP)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에스터 (PE)
폴리비닐알코올 (PVA)
폴리염화비닐리덴 (PVDC)
[해설작성자 : 호호홍]

25. 과전류에 의한 전선의 변화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통전전류가 클수록 짧은 시간에 용단된다.
     2. 용융된 부분과 용웅되지 않은 부분의 경계가 명확하다.
     3. 회로 전체 배선에 과열된 흔적이 관찰된다.
     4. 용융되지 않은 전선의 표면은 산화작용에 의해 변색 산화되어 구부리면 표면의 일부가 박리되어 떨어진다.

     정답 : []
     정답률 : 57%

26. 고압가스 안전관리법령상 고압가스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9년 04월)
     1. 상용의 온도에서 압력이 1메가파스칼 미만이 되는 압축가스로서 실제로 그 압력이 1메가파스칼 미만이 되는 것
     2. 섭씨 15도의 온도에서 압력이 0파스칼을 초과하는 아세틸렌가스
     3. 상용의 온도에서 압력이 0.2메가파스칼 이상이 되는 액화가스로서 실제로 그 압력이 0.2메가파스칼 이상이 되는 것
     4. 섭씨 35도의 온도에서 압력이 0파스칼을 초과하는 액화가스 중 액화시안화수소, 액화브롬화메탄 및 액화산화에틸렌가스

     정답 : []
     정답률 : 49%

27. 터빈엔진(turbine engine) 항공기에 적용된 화재감지 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2020년 06월)
     1. 조종사에 의한 관찰
     2. 화염감지기(flame detector)
     3. 연기감지기(smoke detector)
     4. 승객(passenger)에 의한 관찰

     정답 : []
     정답률 : 40%

28. 그라인더 불티에 의한 화재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9월)
     1. 종이 등 셀룰로오즈 가연물에 착화가 용이하다.
     2. 상황에 따라서 장시간 잠복이 가능하다.
     3. 용접작업 시 발생하는 불티보다 크기 때문에 발견이 쉽다.
     4. 그라인더 불티 화재의 판정을 위해 비산범위 내 출화인지 확인이 필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72%

29. 다음 중 우발적 원인에 의한 방화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9년 04월)
     1. 부부싸움 중 시너를 뿌리고 방화
     2. 우울증에 시달리던 자가 자살방화
     3. 약물 중독에 의한 환각 등에 의한 방화
     4. 보험금 편취 목적으로 방화

     정답 : []
     정답률 : 85%

30. 의도적으로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연소를 확산시키기 위한 장치나 도구로서 인화성 액체와 고체 가연물이 사용된 연소흔적은 무엇이라 하는가?(2017년 09월)
     1. 트레일러 패턴
     2. 고스트 마크
     3. 스프래쉬 패턴
     4. 포어 패턴

     정답 : []
     정답률 : 69%

31. 선박외관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2017년 09월)
     1. 선체 건조
     2. 갑판
     3. 저장소 및 화물창
     4. 외관부속품

     정답 : []
     정답률 : 62%

32. 다음 물질 중, 위험도가 가장 큰 것은?(2019년 04월)

    

     1. 이황화탄소
     2. 메틸알코올
     3. 아세트알데히드
     4. 가솔린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1번 = 44-1.2/1.2
2번 = 36-7.3/7.3
3번 = 57-4.1/4.1
4번 = 7.6-1.4/1.4

33. 가연성가스의 폭발범위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9월)
     1. 일반적으로 가스압력이 높을수록 발화온도는 낮아지고, 폭발범위는 넓어진다.
     2. 가연성 가스라 함은 폭발하한계가 10% 이하인 것과 폭발하한과 상한의 차이가 20% 이상인 것을 말한다.
     3. 일반적으로 가스압력이 높을수록 발화온도는 낮아지고, 폭발범위는 좁아진다.
     4. 일반적으로 가스의 압력이 낮아지면 폭발범위가 좁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76%

34. 담배의 궐련지(Cigarette paper) 착화온도는 섭씨온도 몇 ℃인가?(2019년 04월)
     1. 250℃ 전후
     2. 300℃ 전후
     3. 350℃ 전후
     4. 400℃ 전후

     정답 : []
     정답률 : 52%

35. 다음의 방화동기 중 범죄은폐를 위한 방화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0년 06월)
     1. 살인은폐
     2. 강도은폐
     3. 사기, 횡령 등을 증거인멸
     4. 사회불안 조성

     정답 : []
     정답률 : 76%

36. 다음 중 산불의 초기 연소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강풍 또는 급경사지에서는 원형으로 연소
     2. 소능선이 있는 경사면에서는 산정상을 향하여 빠르게 연소
     3. 무풍 평탄지에서는 발화점을 중심으로 부채꼴 모양으로 연소
     4. 풍량이 일정하지 않거나 경사면에서는 풍향과 평행으로 연소

     정답 : []
     정답률 : 68%

37. 배선기구 접속 및 접속부의 과열 원인이 아닌 것은?(2019년 04월)
     1. 점접 표면에 먼지 등 이물질 부착
     2. 허용량 이하의 전압, 전류 사용
     3. 접촉면적 감소
     4. 미세한 개폐동작이 반복하는 채터링 현상

     정답 : []
     정답률 : 73%

38. 항공기 화재발생시 전기적 또는 케이블기구에 의해 기능을 차단하는 시스템 중 관계없는 장치는?(2019년 04월)
     1. 물 차단
     2. 오일 차단
     3. 유압 차단
     4. 연료 차단

     정답 : []
     정답률 : 76%

39. 화재현장 유리의 흔적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은?(2020년 06월)
     1. 열에 의해 파괴된 유리의 단면에는 무늬(리플마크)가 없다.
     2. 바닥에 쏟아진 유리파편 아래에도 그을음이 있는 것은 화재 발생 이전에 유리가 깨졌다는 증거로 볼 수 있다.
     3. 방사형 파괴선 및 동심원 파괴선은 열에 의해 파손된 유리에서 주로 발견된다.
     4. 유리표면에 잔금에 의한 복잡한 형태의 흔적은 충격에 의해 파손된 유리에서 주로 발생한다.

     정답 : []
     정답률 : 44%

40. 다음 중 성냥의 두약 부위에 사용되는 산화제로 옳은 것은?(2020년 06월)
     1. 염소산칼륨
     2. 유리분
     3. 아교
     4. 송진

     정답 : []
     정답률 : 55%

3과목 : 증거물 관리 및 법과학


41. 화재현장 기록용 디지털 카메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촬영 후에 즉시 현장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2. 다른 매체와 폭넓게 호환이 가능하다.
     3. 저장이 편리하고 장기간 보존할 수 있다.
     4. 촬영 대상의 온도를 확인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85%

42. 다음 중 화재폭발 사고를 시간의 순서에 따라 그래픽 또는 서술식으로 묘사하는 조사방법으로 적합한 것은?(2019년 04월)
     1. PERT
     2. 타임라인
     3. 시스템분석
     4. 컴퓨터모델링

     정답 : []
     정답률 : 84%

43. 화상 중 열탕화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열탕화상은 대부분 뜨거운 액체와 화염에 의한 조직손상을 말한다.
     2. 과열된 기름에 의한 것 외에는 건열화상처럼 타거나 탄화되며 체모가 그슬러져 있다.
     3. 감염은 동반될 수 없고 화상이 광범위하여도 쇼크는 오지 않는다.
     4. 피부화상이 온몸에 일정하게 퍼져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건열화상과 비슷하다.

     정답 : []
     정답률 : 45%

44. 물적증거 형태의 세부내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전문증거는 자신이 직접 인지한 사실이 아니라 다른 사람이 말한 것에 대한 증거로 다른 사람의 신뢰성에 의존하는 증거이다.
     2. 확증증거는 개인의 지식 또는 관찰에 의하지 않은 추론에 의한 증거이다.
     3. 정황증거는 다른 증거물을 강화하거나 확증하는 증거이다.
     4. 오염증거는 의심되지만 다른 증거에 의해 사실로 간주되는 증거이다.

     정답 : []
     정답률 : 57%

45. 다음의 화재현장에 잔류된 유리형태 조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열에 의해 파괴된 유리의 표면에 나타난 파괴선은 길고 구불구불한 불규칙형태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2. 열에 의해 파손된 유리의 파단면은 매끄러운 상태를 보인다.
     3. 조사할 때는 최소한의 조각을 수거하여 파괴기점을 파악한다.
     4. 폭발에 의하여 파손된 유리의 파단형태는 방사형태보다는 평행선에 가까운 모습을 보인다.

     정답 : []
     정답률 : 58%

46. 액체 및 고체 증거물의 수집 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탄화수소계 물질은 물보다 비중이 높아 물에 가라앉는다.
     2. 대부분의 액체 위험물은 용매작용을 한다.
     3. 금속캔에는 3/4이상 채우지 않는다.
     4. 아세톤이나 알코올은 물과 쉽게 섞이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52%

47. 시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시반은 사망 시간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된다.
     2. 시반은 시신의 사망 전 이동 여부를 나타낸다.
     3. 시반은 3~4 시간 후에 더 이상 진행되지 않는다.
     4. 시반은 우리 몸의 가장 높은 신체부위에 발생한다.

     정답 : []
     정답률 : 76%

48. 둔체가 피부를 눌렀을 때 유두진피의 모세혈관이 터져 미세한 점출혈이 형성된 형태는?(2017년 09월)
     1. 피하출혈
     2. 줄모양출혈
     3. 피내출혈
     4. 피외출혈

     정답 : []
     정답률 : 48%

49. 화재로 인한 사망자의 생활반응 특징 중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사망자 피부의 수포는 생활반응으로 볼 수 있다.
     2. 기도 내 그을름 관찰은 화재 시 생존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3. 혈중 카복시헤모글로빈(COHb) 농도가 40% 이상일 경우 급격히 사망에 이른다.
     4. 보통의 중년의 남성이 사망에 이르는 혈중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50~70%이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카복시헤모글로빈 (%)
0-10
· 건강한 사람에게 특별한 증상 없음
·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운동 능력 감소
· 동맥경화 환자에서 협심증과 파행 임계값(threshold) 낮아짐
10-20
· 강도 운동에서 두통, 호흡곤란
20-30
· 편두통(맥박성 두통), 중강도 운동에서 호흡곤란, 집중 어려움, 근력 저하
30-40
· 극심한 두통, 어지러움, 오심, 구토, 생각하기 어려움, 시각 장애
40-50
혼돈, 운동 중 실신
50-60
순환허탈(collapse), 경련
60-70
치명적인 혼수
> 70
혼수, 사망
[출처] 메트헤모글로빈, 카복시헤모글로빈 (생물학적 노출지표, methemoglobin, carboxyhemoglobin)|작성자 sungshil
[해설작성자 : 아지에여]

50. 다음은 아연도금 철판에 관한 설명으로 ㉠~㉢에 해당하는 용어가 맞는 것은?(2020년 06월)

    

     1. ㉠:백화현상, ㉡:적자색, ㉢:음청색
     2. ㉠:나화현상, ㉡:음청색, ㉢:파란색
     3. ㉠:백화현상, ㉡:검정색, ㉢:적자색
     4. ㉠:변색반응, ㉡:검정색, ㉢:적자색

     정답 : []
     정답률 : 56%

51. 화재사에서는 화재에 대한 생활반응과 사후계속적인 열의 작용에 의한 사후변화가 섞여 있다. 다음 중 외부소견의 생활반응으로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시반은 일산화탄소헤모글로빈(COHb)의 형성으로 선홍색을 띤다.
     2. 장갑상 및 양말상 탈락으로 벗겨질 때가 있다.
     3. 피부균열 및 파열되어 절창 또는 열창과 유사한 소견을 보인다.
     4. 투사형자세로 근육이 응고되어 수축되는 소위 열경직 현상을 보인다.

     정답 : []
     정답률 : 68%

52. 다음 중 증거물 수집과정에서 오염을 막기 위한 방법과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2019년 04월)
     1. 면장갑 대신 일회용 비닐장갑을 이용한다.
     2. 빗자루, 부삽 등 증거수집도구는 오염이 되지 않도록 조치한 후에 사용한다.
     3. 정확한 증거물의 수집을 위하여 무수(無水)성 또는 기타 형태의 클리너를 사용한다.
     4. 증거물 수집용기의 금속 뚜껑을 수집도구로 활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57%

53. 화재증거물수집관리규칙상 입수한 증거물을 이송할 때에 기록해야 할 내용이 아닌 것은?(2020년 06월)
     1. 수집자
     2. 수집일시
     3. 화재조사번호
     4. 증거물 시료용기 종류

     정답 : []
     정답률 : 63%

54.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상에 건축ㆍ구조물, 자동차ㆍ철도차량, 임야, 선박ㆍ항공기 화재 등 각기 다른 성격의 화재에 대하여 각각의 서식에 따라 작성하도록 규정된 화재조사서류로 적합한 것은?(2019년 04월)
     1. 화재유형별조사서
     2. 화재감식ㆍ감정보고서
     3. 방화ㆍ방화의심조사서
     4. 질문기록서

     정답 : []
     정답률 : 86%

55. 화상사의 사체소견으로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7년 09월)
     1. 각 장기에서 빈혈상을 보인다.
     2. 피부 표면에 1도에서 4도의 화상이 보인다.
     3. 내부 장기는 열로 인해 부풀어 오른다.
     4. 사망이 지연되면 실질장기의 혼탁종창이 나타난다.

     정답 : []
     정답률 : 23%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화상사 사체소견 중 내부 장기는 영향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답은 3번이 틀린 것
[해설작성자 : 파이팅!]

[추가 오류 신고]
내부장기에는 영향이 없다. 3번이 정답
[해설작성자 : 레드민]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시대에듀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필기 한권으로 끝내기 410페이지
4 화상사체 소견 및 진단
(1)화상사체에 나타나는 특징
2번: 내부에서 특이한 소견은 없으나, 각 장기에는 빈혈상을 보인다.
[해설작성자 : 돌도리]

56. 물리적 증거물로부터 도출할 수 있는 결론으로 맞는 것은?(2020년 06월)
     1. 물질의 질량손실을 통하여 화재의 시간과 강도를 추절할 수 있다.
     2. 콘크리트 폭역이 있다는 것은 바로 아래가 발화지점임을 증명한다.
     3. 동일한 대기에 노출되어 있었다면 오래된 건조목이 최근의 건조목보다 더 잘 탄다.
     4. 탄화물에 반짝이는 기포(alligator char)가 존재한다는 것은 액체 촉진제가 사용되었음을 증명한다.

     정답 : []
     정답률 : 39%

57. 액체 촉진제와 고체 촉진제용 수집용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9월)
     1. 미사용 청정 금속캔 사용을 권장하며, 증기 수집을 위한 공간을 허용하기 위해 캔은 2/3이상 채워서는 안된다.
     2. 유리병 뚜껑에는 접착제 성분 라이너나 고무씰이 있는 것을 사용하여 기밀유지토록 한다.
     3. 특수하게 제작된 백을 수집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4. 플라스틱 백은 방화도구나 고체 가속제의 잔유물을 포장하는 데 사용되지만 침투성이 있어 증거물이 소모되거나 오염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4%

58. 다음 중 화재진압 시 화재현장 보존을 위한 진압대원의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최초 발화지역으로 판단되는 경우, 수압을 강하게 하여 직사직수로 신속하게 진압한다.
     2. 세척작업, 벽의 파괴 등을 위한 소방호스사용은 최초 발화 추정지역에서 충분히 떨어진 곳에서 하도록 한다.
     3. 화재패턴이 남아 있을 가능성이 있어 조사가 필요한 바닥면의 경우, 소방호스 및 물의 사용을 자제하여야 한다.
     4. 고인물이 있는 바닥이 샐 때에는 새는 구멍을 찾아서 증거물 및 화재패턴이 소실되지 않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83%

59. 연소가스 중 고농도의 이것은 눈에 접촉되면 점막을 심하게 자극하여 결막부종 및 각막혼탁을 초래하고 시력장애의 후유증을 남기는 경우가 있으며, 흡입하면 폐수종을 일으키거나 호흡정지를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주로 냉동시설의 냉매로 많이 쓰이고 있으므로 냉동창고 화재 시 누출가능성이 큰 가스는?(2017년 09월)
     1. 아황산가스(SO2)
     2. 시안화수소(HCN)
     3. 암모니아(NH3)
     4. 포스겐(COCL2)

     정답 : []
     정답률 : 66%

60. 화재현장 주요 사진촬영 대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발굴 전의 발화지점 부근
     2. 소손현장의 전경
     3. 관계자 진술에 언급된 지점
     4. 연소경로

     정답 : []
     정답률 : 64%

61. 화재피해의 조사 및 피해액 산정순서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기본현황 조사 → 피해정도 조사 → 화재현장 조사 → 재구입비 산정 → 피해액 산정
     2. 화재현장 조사 → 피해정도 조사 → 기본현황 조사 → 재구입비 산정 → 피해액 산정
     3. 기본현황 조사 → 피해정도 조사 → 재구입비 산정 → 피해액 산정 → 화재현장 조사
     4. 화재현장 조사 → 기본현황 조사 → 피해정도 조사 → 재구입비 산정 → 피해액 산정

     정답 : []
     정답률 : 63%

62. 다음의 화재피해액 산정기준에 적합한 산정대상은? (단,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을 적용한다.)(2020년 06월)

    

     1. 차량
     2. 식물
     3. 회화
     4. 가재도구

     정답 : []
     정답률 : 53%

63. 화재피해액 산정 시 소손 정도에 따른 손해율 적용에서 전부손해(손해율 100%)로 볼수 있는 것은?(2020년 06월)
     1. 공동주택의 주요구조체는 재사용 가능하나 기타부분의 재사용이 불가능한 경우
     2. 부대설비의 손해 정도가 다소 심한 경우
     3. 공구ㆍ기구가 50% 이상 소손되고 그을음 및 수침오염 정도가 심한 경우
     4. 가재도구가 오염, 수침손을 입은 경우

     정답 : []
     정답률 : 64%

64. 세대주, 건물의 소실면적 및 화재피해액의 산정에 관한 설명이 옳은 것은? (단,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을 적용한다.)(2020년 06월)
     1. 소실면적의 산정은 소실 연면적을 기준으로 한다.
     2. 화재피해 범위가 건물의 6면 중 2면 이하인 경우에는 6면 중의 피해면적의 합에 5분의 1을 더한 값을 소실면적으로 한다.
     3. 건물 등 자산에 대한 잔가율은 건물ㆍ부대설비ㆍ가재도구는 20%로 하며, 그 이외의 자산은 10%로 정한다.
     4. 세대수의 산정은 하나의 기구를 구성하여 살고 있는 독신자로서 자신의 주거에 사용되는 건물에 대하여 재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사람을 1세대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1. 건물의 소실면적 산정은 소실 바닥면적으로 산정한다.
2. 다만, 화재피해 범위가 건물의 6면 중 2면 이하인 경우에는 6면 중의 피해면적의 합에 5분의 1을 곱한 값을 소실면적으로 한다.
3. 건물 등 자산에 대한 최종잔가율은 건물ㆍ부대설비ㆍ가재도구는 20%로 하며, 그 이외의 자산은 10%로 정한다.
[해설작성자 : 아지에여]

65. 관할구역내의 화재에 대하여 조사책임을 가진 직책은? (단,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을 적용한다.)(2020년 06월)
     1. 소방청장
     2. 경찰서장
     3. 지역자치단체의 장
     4.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

     정답 : []
     정답률 : 74%

66. 건물의 동수산정에 있어서 동일동(1동)으로 간주하지 않는 것은? (단,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을 적용한다.)(2020년 06월)
     1. 주요구조부가 하나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2. 건물의 외벽을 이용하여 실을 만들어 작업실 용도로 사용하고 있는 경우
     3. 구조에 관계없이 지붕 및 실이 하나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4. 독립된 건물과 건물 사이에 차광막 덮개를 설치하고, 그 밑을 통로로 사용하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70%

67. 화재피해액 산정 시 건물에 포함하여 피해액을 산정하는 것은?(2017년 09월)
     1. 건물의 소화설비
     2. 건물의 가스설비
     3. 건물의 승강기설비
     4. 건물에 부착된 간판

     정답 : []
     정답률 : 72%

68. 화재현장 출동보고서의 기재 항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단,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을 적용한다.)(2020년 06월)
     1. 화재건물 현황
     2. 현장도착시 발견사항
     3. 소방대 이외의 강제적인 진입흔적
     4. 출입문 상태 및 소방대 건물 진입방법

     정답 : []
     정답률 : 55%

69. 화재피해액 산정 시 건물에 포함하여 피해액을 산정하는 것은?(2020년 06월)
     1. 건물의 소화설비
     2. 건물의 가스설비
     3. 건물의 승강기 설비
     4. 건물에 부착된 간판

     정답 : []
     정답률 : 56%

70. 다음 중 질문기록서를 생략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2019년 04월)
     1. 쓰레기 화재
     2. 가로등 화재
     3. 전봇대 화재
     4. 구조물 화재

     정답 : []
     정답률 : 74%

71. 다음의 화재조사와 관련된 설명 중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화재조사 전담부서는 소방청, 시ㆍ도의 소방본부, 소방서에 설치한다.
     2. 소방본부장은 대형화재가 발생하면 조사본부를 설치ㆍ운영할 수 있다. 이 경우 소방서 조사요원은 소방본부 조사업무를 지원하여야 한다.
     3. 동일범이 아닌 각기 다른 사람에 의한 방화, 불장난은 동일 대상물에서 발화하는 경우 1개의 화재로 본다.
     4. 발화열원에 의해 불이 붙고 이 물질을 통해 제어하기 힘든 화세로 발전한 가연물을 발화물이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2.청장
3.별건
4.최초착화물
[해설작성자 : 방랑자]

72. 질문기록서 작성을 생략할 수 있는 화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단, 사후조사는 제외하며, 화재조사 및 보고 규정을 적용한다.)(2020년 06월)
     1. 전못대화재
     2. 자동차화재
     3. 가로등화재
     4. 임야화재

     정답 : []
     정답률 : 58%

73. 다음 중 화재 당시에 피해물의 재구입비에 대한 현자가의 비율을 의미하는 용어로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손해율
     2. 보정율
     3. 잔가율
     4. 최종잔가율

     정답 : []
     정답률 : 71%

74. 화재건수 결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을 적용한다.)(2020년 06월)
     1. 동일범이 아닌 각기 다른 사람에 의한 방화는 동일 대상물에서 발화했더라도 각각 별건의 화재로 한다.
     2. 동일 소방대상물에서 누전점이 동일한 누전에 의한 발화점이 2개소 이상인 화재는 2건의 호재로 한다.
     3. 화재범위가 2개소 이상의 관할구역에 걸친 화재에 대해서는 발화 소방대상물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소방서에서 1건의 화재로 한다.
     4. 동일 소방대상물에서 지진에 의한 다발화재로 발화점이 2개소 있는 화재는 1건의 화재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75. 조사활동 중 본부장 또는 서장이 소방청장에게 긴급상황을 보고하여야 할 화재 중 특수화재에 해당하는 것은? (단,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을 적용한다.)(2020년 06월)
     1. 시장화재
     2. 지하구의 화재
     3. 외국공관 및 그 사택의 화재
     4. 재산피해가 50억원 이상 추정되는 화재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1,2 : 중요화재
4.번 : 대형화재
3번 : 특수화재
[해설작성자 : 아무개]

76. 정당한 사유 없이 화재조사 관계 공무원의 출입 또는 조사를 거부·방해 또는 기피한 자에 대한 벌칙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100만원 이하의 벌금
     2. 200만원 이하의 벌금
     3. 300만원 이하의 벌금
     4. 400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거부기피 방해/관계인 비밀누설

화재경계지구내 소방특별조사 거부기피:100만원이하 벌금

화재조사 거부기피:200만원이하 벌금
화재조사 비밀누설:300만원이하 벌금

소방특별조사 거부기피:300이하 벌금
소방특별조사 비밀누설:1년이하 1000만원이하 벌금
[해설작성자 : 헤일로]

77. 화재발생종합보고서 작성 시 건물의 동수 산정 기준으로 틀린 것은?(2017년 09월)
     1. 주요구조부가 하나로 연결되어 있는 것은 1동으로 한다. 다만, 건널 복도 등으로 2이상의 동에 연결되어 있는 것은 그 부분을 절반으로 분리하여 각 동으로 한다.
     2. 구조와 관계없이 지붕 및 실이 하나로 연결되어 있는 것은 동일동으로 본다.
     3. 목조 또는 내화조 건물의 경우 격벽으로 방화구획이 되어 있는 경우는 별동으로 한다.
     4. 독립된 건물과 건물 사이에 차광막, 비막이 등의 덮개를 설치하고 그 밑을 통로 등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별동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3.한동(=동일동)으로한다
[해설작성자 : 우문현답]

78.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상 방화ㆍ방화의심 조사서 작성 시 기재항목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방화도구
     2. 방화의심 사유
     3. 도착 시 초기상황
     4. 방화자의 인상착의 및 직업

     정답 : []
     정답률 : 70%

79. 질문기록서의 작성 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9월)
     1. 질문기록서가 증거로서 가치를 가지기 위해서는 진술이 임의로 행해진 것이어야 한다.
     2. 미성년자에 대한 질문은 객관성유지를 위하여 친권자 등의 입회를 배제하여야 한다.
     3. 녹취를 종료하는 경우, 녹취내용에 오류가 없는지 확인시키 후 서명을 받는다.
     4. 질문의 권한은 소방법상 소방서장에게 있다.

     정답 : []
     정답률 : 64%

80. 모든 화재에 공통적으로 작성하여야 하는 서식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화재현장조사서, 질문기록서
     2. 화재현황조사서, 재산피해신고서
     3. 화재현황조사서, 인명피해신고서
     4. 화재현장조사서, 화재현황조사서

     정답 : []
     정답률 : 77%


정 답 지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581710)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화재 조사론


1. 화염확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화염확산은 화재의 부력이나 대기상의 바람으로 인한 유동의 영향을 받는다.
     2. 화염확산은 일반적으로 화염의 방향 및 연료의 특성에 영향을 받는다.
     3. 고체의 화염확산속도는 표면장력효과로 인하여 전반적으로 액체의 화염확산속도보다 크다.
     4. 다공성 고체물질은 다공성이 아닌 물질에 비하여 화염확산속도가 빠르다.

     정답 : []
     정답률 : 84%

2. 다음 중 액체의 물리적 성질과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2020년 06월)
     1. 증발
     2. 비점
     3. 비중
     4. 승화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승화 : 고체→기체, 기체→고체로 변하는 것
액체의 물리적 성질과는 관련이 없다.
[해설작성자 : 무거동]

3. 화재의 소실 정도를 나타내는 용어와 설명이 옳게 짝지어진 것은?(2019년 04월)
     1. 전소:건물의 입체면적 60% 이상 소실되었거나, 잔존부분을 보수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것
     2. 반소:건물의 입체면적 50% 이상 70% 미만이 소실된 것
     3. 부분소:전소, 반소화재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것
     4. 즉소:건물의 입체면적 30% 이상 소실된 것

     정답 : []
     정답률 : 88%

4. 화재현장 보존의 중요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9월)
     1. 조사대상인 화재현장은 현장조사가 개시될 때까지 화재진압 또는 진화 후의 현장과 거의 같은 상황으로 보존되어야 한다.
     2. 현장조사를 하기 전에 현장의 보존 상태를 반드시 확인 하고 변화가 없을 때 본격적인 현장조사를 실시한다.
     3. 화재현장은 감식 및 발굴 작업에 따라 훼손되어 전의 상태로 복구가 어렵다.
     4. 소방활동 중 증거물의 위치이동 여부의 확인 없이 신속히 조사한다.

     정답 : []
     정답률 : 82%

5. 습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0년 06월)
     1. 공기 중의 습도는 연소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2. 정전기는 습한 환경에서 축적이 잘 되는 경향이 있다.
     3. 절대습도는 대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의 양을 (%)로 표기한다.
     4. 가연물의 수분함량은 가연물 주변 공기의 습도와 상관관계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3. 절대습도는 공기 1m3 중에 포함된 수증기의 양을 g으로 나타낸다. -네이버 지식백과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 화재조사 범위와 관련된 내용 중 화재원인 조사 내용으로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발화원인 조사:발화지점, 발화열원, 발화요인, 최초착화물 및 발화관련기기 등
     2. 소실피해 조사:열에 의한 탄화, 용융, 파손 등의 조사
     3. 피난상황 조사:피난경로, 피난상의 장애요인 등
     4. 소방ㆍ방화시설 등 조사:소방ㆍ방화시설의 활용 또는 작동 등의 상황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화재원인조사와 화재피해조사는 다르다.
[해설작성자 : 광주소방대표]

7. 폭발의 발생 및 성장 원인으로 틀린 것은?(2017년 09월)
     1. 폭굉 한계 내의 가스가 어느 정도 다량으로 존재 할 때
     2. 존재된 잔여가스에 방전이나 화염, 충격 등 점화원이 작용할 때
     3. 폭발범위 내에 불활성가스가 존재할 때
     4. 폭발 충격으로 인한 파이프 파열로 2차적 폭발이 일어날 때

     정답 : []
     정답률 : 76%

8. 탄화칼슘의 자연발화 방지대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열 축적이 어려운 장소에 저장
     2. 온도가 낮은 곳에 저장
     3. 습도가 높은 곳에 저장
     4. 불활성가스를 주입하여 산소를 차단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탄화칼슘은 물과 작용하면 발열한다.
[해설작성자 : 아무개]

9. 다음 중 화학적 작용에 의한 소화방법에 해당하는 것은?(2019년 04월)
     1. 질식소화
     2. 냉각소화
     3. 제거소화
     4. 억제소화

     정답 : []
     정답률 : 84%

10. 폭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9월)
     1. 분무폭발은 기상폭발의 한 종류이다.
     2. 감압폭발은 응상폭발의 한 종류이다.
     3. 전선이 고상에서 급격히 액상을 거쳐 기상으로 전이할 때 발생되는 폭발은 전선폭발이다.
     4. 고온의 용융금속이 물속에서 급속냉각 될 때 폭발은 과열액체 증기폭발이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증기폭발 : 액화가스의 폭발적인 비등현상으로 인한 상변화에 따른 폭발현상
수증기폭발 : 액체의 폭바적인 비등현상으로 상변화에 따른 폭발현상
[해설작성자 : 119구조대]

11. 물질의 상변화에너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증발열-기체가 액체로 변화할 때 외부로부터 흡수하는 열량
     2. 잠열-물질이 상변화 없이 온도만 변할 때 흡수 또는 발생하는 열
     3. 응고열-액체가 응고점에서 동일 온도의 고체로 변화할 때 방출하는 열량
     4. 현열-물질이 온도ㆍ압력의 변화 없이 상변화만 일어날 때 흡수 또는 발생하는 열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 증발열-액체가 기체로
2. 현열에 대한 설명
4. 잠열에 대한 설명
[해설작성자 : act now]

12. 다음의 타임라인(Time Line)을 구성하기 위한 이벤트기록들 중, 하드타임(Hard Time)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4월)
     1. 무인경비설비가 화재를 감지한 시각
     2. 소방서에 화재가 신고된 시각
     3. 화재가 시작된 시각
     4. 화재의 진압이 종료된 시각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하드타임이란 실제로 기록이 가능한 시각을 말합니다.    
1.2.4번은 정확한 시간을 알 수 있으나,
3번 화재가 시작된 시각은 추정에 의한 시간이므로 거리가 멀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act now]

13. 폭열(Spalling)의 발생원인이 아닌 것은?(2017년 09월)
     1. 흡수율이 큰 골재의 사용
     2. 내화성이 약한 골재의 사용
     3. 콘크리트 내부 함수율이 낮을 때
     4. 콘크리트의 치밀한 조직으로 화재 시 수증기 배출이 안 될 때

     정답 : []
     정답률 : 60%

14. 화염이 버너의 상부를 떠나 연소하는 현상인 리프팅(Lifting)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9월)
     1. 가스압력이 높아 분출속도가 빠를 때
     2. 공기 조절기가 닫혀 1차 공기 흡입량이 없을 때
     3. 연소실내 급배기 불량으로 2차 공기가 급격히 감소 할 때
     4. 가스 방출구가 막혀 분출속도가 빠를 때

     정답 : []
     정답률 : 54%

15. 연기 및 연소가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황화수소는 황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물질이 불완전연소 될 때 발생하는 가스로 계한 썩는 냄새가 나는 독성이 강한 물질이다.
     2. 빛의 투과량으로부터 계산하는 감광계수는 연기의 절대농도를 나타내는 방법의 하나로 시야상태를 고려한 농도 표현법이다.
     3. 염화수소는 폴리염화비닐, 염화아크릴 등의 연소 시 발생되는 자극성이 강한 맹독성 기체이다.
     4. 감광계수 1.0은 거의 앞이 보이지 않을 정도의 연기농도를 말하며, 이 때 가시거리는 1~2m이다.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감광계수는 연기의 상대농도를 나타냄
[해설작성자 : 힘내라]

16. 다음 중 저항이 7Ω인 전선에 5A의 전류가 1분 동안 흐른 경우, 전선에서 발생하는 발열량(줄열)으로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H=I×R×t=5×7×60=2100J
     2. H=I2×R×t=52×7×60=10500J
     3. H=I2×R2×t=52×72×60=73500J
     4. H=I×R2×t2=5×72×602=882000J

     정답 : []
     정답률 : 70%

17. 연소 진행과정 추적과 관련하여 화재원인 판정절차 순서를 나열한 것 중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발화층, 발화실의 판정→발화원, 발화원인의 판정→발화개소의 판정→발화건물의 판정
     2. 발화층, 발화실의 판정→발화원, 발화원인의 판정→발화건물의 판정→발화개소의 판정
     3. 발화건물의 판정→발화층, 발화실의 판정→발화개소의 판정→발화원, 발화원인의 판정
     4. 발화건물의 판정→발화원, 발화원인의 판정→발화층, 발화실의 판정→발화개소의 판정

     정답 : []
     정답률 : 79%

18. 화재시건 관계자 진술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관계자의 인권을 고려하여 유도심문을 하여야 한다.
     2. 관계자의 기억이 희박해지기 이전에 최대한 빨리 질문하는 것이 좋다.
     3. 소방기본법상 질문을 행하는 주체는 소방청장ㆍ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이다.
     4. 피질문자의 심리가 충분히 안정된 상태에서 진술할 수 있는 장소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정답 : []
     정답률 : 89%

19. 목재의 탄화심도를 측정 시 유의사항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요철()부위중 요()부위를 게이지로 측정한다.
     2. 게이지로 측정된 깊이 외에 이미 소실된 부위의 깊이를 더하여 비교해야 한다.
     3. 게이지를 사용할 때 깊이 측정될 수 있도록 되도록 강력한 힘으로 눌러 삽입한다.
     4. 깊이 측정될 수 있도록 끝이 뾰족한 게이지를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20. 다음 중 가연물질로 옳은 것은?(2020년 06월)
     1. He(헬륨)
     2. CO2(이산화탄소)
     3. CO(일산화탄소)
     4. SO3(삼산화황)

     정답 : []
     정답률 : 65%

2과목 : 화재 감식론


21. 다음 중 가열에 의해 연화되면서 가소성을 갖는 합성수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9년 04월)
     1. 폴리염화비닐
     2. 에폭시수지
     3. 폴리스틸렌
     4. 폴리에틸렌

     정답 : []
     정답률 : 74%

22. LPG차량의 구성품 중, LPG 용기의 밸브 색상이 옳게 연결된 것은?(2019년 04월)
     1. LPG 충전밸브 : 황색
     2. 체크밸브 : 적색
     3. 액체 송출밸브 : 적색
     4. 기체 송출밸브 : 청색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LPG 충전밸브: 녹색, 액체 송출밸브: 적색, 기체 송출밸브: 황색
[해설작성자 : 쿠아니]

23. 면적 100m2, 높이 2m인 내화조(환기율은 0.4회/h) 내부에 도시가스관에서 누설된 가스가 축적될 때, 얼마만큼의 누설량부터 폭발하한계에 도달하겠는가? (단, 도시가스의 폭발하한계는 5.6 Vol.%)(2019년 04월)
     1. 11.2m3
     2. 15.68m3
     3. 112m3
     4. 156.8m3

     정답 : []
     정답률 : 55%

24. 열가소성 수지로 옳은 것은?(2020년 06월)
     1. 페놀수지
     2. 우레아수지
     3. 멜라민수지
     4. 아크릴수지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비결정성 수지
폴리스티렌 (PS)
폴리염화비닐 (PVC) - 경질 및 연질
아크릴 수지 (PMMA)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ABS)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수지 (AS)

-결정성 수지
폴리에틸렌 (PE) - 저밀도(LDPE) 및 고밀도(HDPE)
폴리프로필렌 (PP)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에스터 (PE)
폴리비닐알코올 (PVA)
폴리염화비닐리덴 (PVDC)
[해설작성자 : 호호홍]

25. 과전류에 의한 전선의 변화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통전전류가 클수록 짧은 시간에 용단된다.
     2. 용융된 부분과 용웅되지 않은 부분의 경계가 명확하다.
     3. 회로 전체 배선에 과열된 흔적이 관찰된다.
     4. 용융되지 않은 전선의 표면은 산화작용에 의해 변색 산화되어 구부리면 표면의 일부가 박리되어 떨어진다.

     정답 : []
     정답률 : 57%

26. 고압가스 안전관리법령상 고압가스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9년 04월)
     1. 상용의 온도에서 압력이 1메가파스칼 미만이 되는 압축가스로서 실제로 그 압력이 1메가파스칼 미만이 되는 것
     2. 섭씨 15도의 온도에서 압력이 0파스칼을 초과하는 아세틸렌가스
     3. 상용의 온도에서 압력이 0.2메가파스칼 이상이 되는 액화가스로서 실제로 그 압력이 0.2메가파스칼 이상이 되는 것
     4. 섭씨 35도의 온도에서 압력이 0파스칼을 초과하는 액화가스 중 액화시안화수소, 액화브롬화메탄 및 액화산화에틸렌가스

     정답 : []
     정답률 : 49%

27. 터빈엔진(turbine engine) 항공기에 적용된 화재감지 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2020년 06월)
     1. 조종사에 의한 관찰
     2. 화염감지기(flame detector)
     3. 연기감지기(smoke detector)
     4. 승객(passenger)에 의한 관찰

     정답 : []
     정답률 : 40%

28. 그라인더 불티에 의한 화재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9월)
     1. 종이 등 셀룰로오즈 가연물에 착화가 용이하다.
     2. 상황에 따라서 장시간 잠복이 가능하다.
     3. 용접작업 시 발생하는 불티보다 크기 때문에 발견이 쉽다.
     4. 그라인더 불티 화재의 판정을 위해 비산범위 내 출화인지 확인이 필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72%

29. 다음 중 우발적 원인에 의한 방화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9년 04월)
     1. 부부싸움 중 시너를 뿌리고 방화
     2. 우울증에 시달리던 자가 자살방화
     3. 약물 중독에 의한 환각 등에 의한 방화
     4. 보험금 편취 목적으로 방화

     정답 : []
     정답률 : 85%

30. 의도적으로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연소를 확산시키기 위한 장치나 도구로서 인화성 액체와 고체 가연물이 사용된 연소흔적은 무엇이라 하는가?(2017년 09월)
     1. 트레일러 패턴
     2. 고스트 마크
     3. 스프래쉬 패턴
     4. 포어 패턴

     정답 : []
     정답률 : 69%

31. 선박외관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2017년 09월)
     1. 선체 건조
     2. 갑판
     3. 저장소 및 화물창
     4. 외관부속품

     정답 : []
     정답률 : 62%

32. 다음 물질 중, 위험도가 가장 큰 것은?(2019년 04월)

    

     1. 이황화탄소
     2. 메틸알코올
     3. 아세트알데히드
     4. 가솔린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1번 = 44-1.2/1.2
2번 = 36-7.3/7.3
3번 = 57-4.1/4.1
4번 = 7.6-1.4/1.4

33. 가연성가스의 폭발범위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9월)
     1. 일반적으로 가스압력이 높을수록 발화온도는 낮아지고, 폭발범위는 넓어진다.
     2. 가연성 가스라 함은 폭발하한계가 10% 이하인 것과 폭발하한과 상한의 차이가 20% 이상인 것을 말한다.
     3. 일반적으로 가스압력이 높을수록 발화온도는 낮아지고, 폭발범위는 좁아진다.
     4. 일반적으로 가스의 압력이 낮아지면 폭발범위가 좁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76%

34. 담배의 궐련지(Cigarette paper) 착화온도는 섭씨온도 몇 ℃인가?(2019년 04월)
     1. 250℃ 전후
     2. 300℃ 전후
     3. 350℃ 전후
     4. 400℃ 전후

     정답 : []
     정답률 : 52%

35. 다음의 방화동기 중 범죄은폐를 위한 방화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0년 06월)
     1. 살인은폐
     2. 강도은폐
     3. 사기, 횡령 등을 증거인멸
     4. 사회불안 조성

     정답 : []
     정답률 : 76%

36. 다음 중 산불의 초기 연소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강풍 또는 급경사지에서는 원형으로 연소
     2. 소능선이 있는 경사면에서는 산정상을 향하여 빠르게 연소
     3. 무풍 평탄지에서는 발화점을 중심으로 부채꼴 모양으로 연소
     4. 풍량이 일정하지 않거나 경사면에서는 풍향과 평행으로 연소

     정답 : []
     정답률 : 68%

37. 배선기구 접속 및 접속부의 과열 원인이 아닌 것은?(2019년 04월)
     1. 점접 표면에 먼지 등 이물질 부착
     2. 허용량 이하의 전압, 전류 사용
     3. 접촉면적 감소
     4. 미세한 개폐동작이 반복하는 채터링 현상

     정답 : []
     정답률 : 73%

38. 항공기 화재발생시 전기적 또는 케이블기구에 의해 기능을 차단하는 시스템 중 관계없는 장치는?(2019년 04월)
     1. 물 차단
     2. 오일 차단
     3. 유압 차단
     4. 연료 차단

     정답 : []
     정답률 : 76%

39. 화재현장 유리의 흔적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은?(2020년 06월)
     1. 열에 의해 파괴된 유리의 단면에는 무늬(리플마크)가 없다.
     2. 바닥에 쏟아진 유리파편 아래에도 그을음이 있는 것은 화재 발생 이전에 유리가 깨졌다는 증거로 볼 수 있다.
     3. 방사형 파괴선 및 동심원 파괴선은 열에 의해 파손된 유리에서 주로 발견된다.
     4. 유리표면에 잔금에 의한 복잡한 형태의 흔적은 충격에 의해 파손된 유리에서 주로 발생한다.

     정답 : []
     정답률 : 44%

40. 다음 중 성냥의 두약 부위에 사용되는 산화제로 옳은 것은?(2020년 06월)
     1. 염소산칼륨
     2. 유리분
     3. 아교
     4. 송진

     정답 : []
     정답률 : 55%

3과목 : 증거물 관리 및 법과학


41. 화재현장 기록용 디지털 카메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촬영 후에 즉시 현장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2. 다른 매체와 폭넓게 호환이 가능하다.
     3. 저장이 편리하고 장기간 보존할 수 있다.
     4. 촬영 대상의 온도를 확인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85%

42. 다음 중 화재폭발 사고를 시간의 순서에 따라 그래픽 또는 서술식으로 묘사하는 조사방법으로 적합한 것은?(2019년 04월)
     1. PERT
     2. 타임라인
     3. 시스템분석
     4. 컴퓨터모델링

     정답 : []
     정답률 : 84%

43. 화상 중 열탕화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열탕화상은 대부분 뜨거운 액체와 화염에 의한 조직손상을 말한다.
     2. 과열된 기름에 의한 것 외에는 건열화상처럼 타거나 탄화되며 체모가 그슬러져 있다.
     3. 감염은 동반될 수 없고 화상이 광범위하여도 쇼크는 오지 않는다.
     4. 피부화상이 온몸에 일정하게 퍼져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건열화상과 비슷하다.

     정답 : []
     정답률 : 45%

44. 물적증거 형태의 세부내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전문증거는 자신이 직접 인지한 사실이 아니라 다른 사람이 말한 것에 대한 증거로 다른 사람의 신뢰성에 의존하는 증거이다.
     2. 확증증거는 개인의 지식 또는 관찰에 의하지 않은 추론에 의한 증거이다.
     3. 정황증거는 다른 증거물을 강화하거나 확증하는 증거이다.
     4. 오염증거는 의심되지만 다른 증거에 의해 사실로 간주되는 증거이다.

     정답 : []
     정답률 : 57%

45. 다음의 화재현장에 잔류된 유리형태 조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열에 의해 파괴된 유리의 표면에 나타난 파괴선은 길고 구불구불한 불규칙형태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2. 열에 의해 파손된 유리의 파단면은 매끄러운 상태를 보인다.
     3. 조사할 때는 최소한의 조각을 수거하여 파괴기점을 파악한다.
     4. 폭발에 의하여 파손된 유리의 파단형태는 방사형태보다는 평행선에 가까운 모습을 보인다.

     정답 : []
     정답률 : 58%

46. 액체 및 고체 증거물의 수집 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탄화수소계 물질은 물보다 비중이 높아 물에 가라앉는다.
     2. 대부분의 액체 위험물은 용매작용을 한다.
     3. 금속캔에는 3/4이상 채우지 않는다.
     4. 아세톤이나 알코올은 물과 쉽게 섞이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52%

47. 시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시반은 사망 시간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된다.
     2. 시반은 시신의 사망 전 이동 여부를 나타낸다.
     3. 시반은 3~4 시간 후에 더 이상 진행되지 않는다.
     4. 시반은 우리 몸의 가장 높은 신체부위에 발생한다.

     정답 : []
     정답률 : 76%

48. 둔체가 피부를 눌렀을 때 유두진피의 모세혈관이 터져 미세한 점출혈이 형성된 형태는?(2017년 09월)
     1. 피하출혈
     2. 줄모양출혈
     3. 피내출혈
     4. 피외출혈

     정답 : []
     정답률 : 48%

49. 화재로 인한 사망자의 생활반응 특징 중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사망자 피부의 수포는 생활반응으로 볼 수 있다.
     2. 기도 내 그을름 관찰은 화재 시 생존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3. 혈중 카복시헤모글로빈(COHb) 농도가 40% 이상일 경우 급격히 사망에 이른다.
     4. 보통의 중년의 남성이 사망에 이르는 혈중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50~70%이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카복시헤모글로빈 (%)
0-10
· 건강한 사람에게 특별한 증상 없음
·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운동 능력 감소
· 동맥경화 환자에서 협심증과 파행 임계값(threshold) 낮아짐
10-20
· 강도 운동에서 두통, 호흡곤란
20-30
· 편두통(맥박성 두통), 중강도 운동에서 호흡곤란, 집중 어려움, 근력 저하
30-40
· 극심한 두통, 어지러움, 오심, 구토, 생각하기 어려움, 시각 장애
40-50
혼돈, 운동 중 실신
50-60
순환허탈(collapse), 경련
60-70
치명적인 혼수
> 70
혼수, 사망
[출처] 메트헤모글로빈, 카복시헤모글로빈 (생물학적 노출지표, methemoglobin, carboxyhemoglobin)|작성자 sungshil
[해설작성자 : 아지에여]

50. 다음은 아연도금 철판에 관한 설명으로 ㉠~㉢에 해당하는 용어가 맞는 것은?(2020년 06월)

    

     1. ㉠:백화현상, ㉡:적자색, ㉢:음청색
     2. ㉠:나화현상, ㉡:음청색, ㉢:파란색
     3. ㉠:백화현상, ㉡:검정색, ㉢:적자색
     4. ㉠:변색반응, ㉡:검정색, ㉢:적자색

     정답 : []
     정답률 : 56%

51. 화재사에서는 화재에 대한 생활반응과 사후계속적인 열의 작용에 의한 사후변화가 섞여 있다. 다음 중 외부소견의 생활반응으로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시반은 일산화탄소헤모글로빈(COHb)의 형성으로 선홍색을 띤다.
     2. 장갑상 및 양말상 탈락으로 벗겨질 때가 있다.
     3. 피부균열 및 파열되어 절창 또는 열창과 유사한 소견을 보인다.
     4. 투사형자세로 근육이 응고되어 수축되는 소위 열경직 현상을 보인다.

     정답 : []
     정답률 : 68%

52. 다음 중 증거물 수집과정에서 오염을 막기 위한 방법과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2019년 04월)
     1. 면장갑 대신 일회용 비닐장갑을 이용한다.
     2. 빗자루, 부삽 등 증거수집도구는 오염이 되지 않도록 조치한 후에 사용한다.
     3. 정확한 증거물의 수집을 위하여 무수(無水)성 또는 기타 형태의 클리너를 사용한다.
     4. 증거물 수집용기의 금속 뚜껑을 수집도구로 활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57%

53. 화재증거물수집관리규칙상 입수한 증거물을 이송할 때에 기록해야 할 내용이 아닌 것은?(2020년 06월)
     1. 수집자
     2. 수집일시
     3. 화재조사번호
     4. 증거물 시료용기 종류

     정답 : []
     정답률 : 63%

54.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상에 건축ㆍ구조물, 자동차ㆍ철도차량, 임야, 선박ㆍ항공기 화재 등 각기 다른 성격의 화재에 대하여 각각의 서식에 따라 작성하도록 규정된 화재조사서류로 적합한 것은?(2019년 04월)
     1. 화재유형별조사서
     2. 화재감식ㆍ감정보고서
     3. 방화ㆍ방화의심조사서
     4. 질문기록서

     정답 : []
     정답률 : 86%

55. 화상사의 사체소견으로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7년 09월)
     1. 각 장기에서 빈혈상을 보인다.
     2. 피부 표면에 1도에서 4도의 화상이 보인다.
     3. 내부 장기는 열로 인해 부풀어 오른다.
     4. 사망이 지연되면 실질장기의 혼탁종창이 나타난다.

     정답 : []
     정답률 : 23%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화상사 사체소견 중 내부 장기는 영향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답은 3번이 틀린 것
[해설작성자 : 파이팅!]

[추가 오류 신고]
내부장기에는 영향이 없다. 3번이 정답
[해설작성자 : 레드민]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시대에듀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필기 한권으로 끝내기 410페이지
4 화상사체 소견 및 진단
(1)화상사체에 나타나는 특징
2번: 내부에서 특이한 소견은 없으나, 각 장기에는 빈혈상을 보인다.
[해설작성자 : 돌도리]

56. 물리적 증거물로부터 도출할 수 있는 결론으로 맞는 것은?(2020년 06월)
     1. 물질의 질량손실을 통하여 화재의 시간과 강도를 추절할 수 있다.
     2. 콘크리트 폭역이 있다는 것은 바로 아래가 발화지점임을 증명한다.
     3. 동일한 대기에 노출되어 있었다면 오래된 건조목이 최근의 건조목보다 더 잘 탄다.
     4. 탄화물에 반짝이는 기포(alligator char)가 존재한다는 것은 액체 촉진제가 사용되었음을 증명한다.

     정답 : []
     정답률 : 39%

57. 액체 촉진제와 고체 촉진제용 수집용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9월)
     1. 미사용 청정 금속캔 사용을 권장하며, 증기 수집을 위한 공간을 허용하기 위해 캔은 2/3이상 채워서는 안된다.
     2. 유리병 뚜껑에는 접착제 성분 라이너나 고무씰이 있는 것을 사용하여 기밀유지토록 한다.
     3. 특수하게 제작된 백을 수집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4. 플라스틱 백은 방화도구나 고체 가속제의 잔유물을 포장하는 데 사용되지만 침투성이 있어 증거물이 소모되거나 오염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4%

58. 다음 중 화재진압 시 화재현장 보존을 위한 진압대원의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최초 발화지역으로 판단되는 경우, 수압을 강하게 하여 직사직수로 신속하게 진압한다.
     2. 세척작업, 벽의 파괴 등을 위한 소방호스사용은 최초 발화 추정지역에서 충분히 떨어진 곳에서 하도록 한다.
     3. 화재패턴이 남아 있을 가능성이 있어 조사가 필요한 바닥면의 경우, 소방호스 및 물의 사용을 자제하여야 한다.
     4. 고인물이 있는 바닥이 샐 때에는 새는 구멍을 찾아서 증거물 및 화재패턴이 소실되지 않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83%

59. 연소가스 중 고농도의 이것은 눈에 접촉되면 점막을 심하게 자극하여 결막부종 및 각막혼탁을 초래하고 시력장애의 후유증을 남기는 경우가 있으며, 흡입하면 폐수종을 일으키거나 호흡정지를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주로 냉동시설의 냉매로 많이 쓰이고 있으므로 냉동창고 화재 시 누출가능성이 큰 가스는?(2017년 09월)
     1. 아황산가스(SO2)
     2. 시안화수소(HCN)
     3. 암모니아(NH3)
     4. 포스겐(COCL2)

     정답 : []
     정답률 : 66%

60. 화재현장 주요 사진촬영 대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발굴 전의 발화지점 부근
     2. 소손현장의 전경
     3. 관계자 진술에 언급된 지점
     4. 연소경로

     정답 : []
     정답률 : 64%

61. 화재피해의 조사 및 피해액 산정순서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기본현황 조사 → 피해정도 조사 → 화재현장 조사 → 재구입비 산정 → 피해액 산정
     2. 화재현장 조사 → 피해정도 조사 → 기본현황 조사 → 재구입비 산정 → 피해액 산정
     3. 기본현황 조사 → 피해정도 조사 → 재구입비 산정 → 피해액 산정 → 화재현장 조사
     4. 화재현장 조사 → 기본현황 조사 → 피해정도 조사 → 재구입비 산정 → 피해액 산정

     정답 : []
     정답률 : 63%

62. 다음의 화재피해액 산정기준에 적합한 산정대상은? (단,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을 적용한다.)(2020년 06월)

    

     1. 차량
     2. 식물
     3. 회화
     4. 가재도구

     정답 : []
     정답률 : 53%

63. 화재피해액 산정 시 소손 정도에 따른 손해율 적용에서 전부손해(손해율 100%)로 볼수 있는 것은?(2020년 06월)
     1. 공동주택의 주요구조체는 재사용 가능하나 기타부분의 재사용이 불가능한 경우
     2. 부대설비의 손해 정도가 다소 심한 경우
     3. 공구ㆍ기구가 50% 이상 소손되고 그을음 및 수침오염 정도가 심한 경우
     4. 가재도구가 오염, 수침손을 입은 경우

     정답 : []
     정답률 : 64%

64. 세대주, 건물의 소실면적 및 화재피해액의 산정에 관한 설명이 옳은 것은? (단,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을 적용한다.)(2020년 06월)
     1. 소실면적의 산정은 소실 연면적을 기준으로 한다.
     2. 화재피해 범위가 건물의 6면 중 2면 이하인 경우에는 6면 중의 피해면적의 합에 5분의 1을 더한 값을 소실면적으로 한다.
     3. 건물 등 자산에 대한 잔가율은 건물ㆍ부대설비ㆍ가재도구는 20%로 하며, 그 이외의 자산은 10%로 정한다.
     4. 세대수의 산정은 하나의 기구를 구성하여 살고 있는 독신자로서 자신의 주거에 사용되는 건물에 대하여 재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사람을 1세대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1. 건물의 소실면적 산정은 소실 바닥면적으로 산정한다.
2. 다만, 화재피해 범위가 건물의 6면 중 2면 이하인 경우에는 6면 중의 피해면적의 합에 5분의 1을 곱한 값을 소실면적으로 한다.
3. 건물 등 자산에 대한 최종잔가율은 건물ㆍ부대설비ㆍ가재도구는 20%로 하며, 그 이외의 자산은 10%로 정한다.
[해설작성자 : 아지에여]

65. 관할구역내의 화재에 대하여 조사책임을 가진 직책은? (단,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을 적용한다.)(2020년 06월)
     1. 소방청장
     2. 경찰서장
     3. 지역자치단체의 장
     4.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

     정답 : []
     정답률 : 74%

66. 건물의 동수산정에 있어서 동일동(1동)으로 간주하지 않는 것은? (단,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을 적용한다.)(2020년 06월)
     1. 주요구조부가 하나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2. 건물의 외벽을 이용하여 실을 만들어 작업실 용도로 사용하고 있는 경우
     3. 구조에 관계없이 지붕 및 실이 하나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4. 독립된 건물과 건물 사이에 차광막 덮개를 설치하고, 그 밑을 통로로 사용하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70%

67. 화재피해액 산정 시 건물에 포함하여 피해액을 산정하는 것은?(2017년 09월)
     1. 건물의 소화설비
     2. 건물의 가스설비
     3. 건물의 승강기설비
     4. 건물에 부착된 간판

     정답 : []
     정답률 : 72%

68. 화재현장 출동보고서의 기재 항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단,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을 적용한다.)(2020년 06월)
     1. 화재건물 현황
     2. 현장도착시 발견사항
     3. 소방대 이외의 강제적인 진입흔적
     4. 출입문 상태 및 소방대 건물 진입방법

     정답 : []
     정답률 : 55%

69. 화재피해액 산정 시 건물에 포함하여 피해액을 산정하는 것은?(2020년 06월)
     1. 건물의 소화설비
     2. 건물의 가스설비
     3. 건물의 승강기 설비
     4. 건물에 부착된 간판

     정답 : []
     정답률 : 56%

70. 다음 중 질문기록서를 생략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2019년 04월)
     1. 쓰레기 화재
     2. 가로등 화재
     3. 전봇대 화재
     4. 구조물 화재

     정답 : []
     정답률 : 74%

71. 다음의 화재조사와 관련된 설명 중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화재조사 전담부서는 소방청, 시ㆍ도의 소방본부, 소방서에 설치한다.
     2. 소방본부장은 대형화재가 발생하면 조사본부를 설치ㆍ운영할 수 있다. 이 경우 소방서 조사요원은 소방본부 조사업무를 지원하여야 한다.
     3. 동일범이 아닌 각기 다른 사람에 의한 방화, 불장난은 동일 대상물에서 발화하는 경우 1개의 화재로 본다.
     4. 발화열원에 의해 불이 붙고 이 물질을 통해 제어하기 힘든 화세로 발전한 가연물을 발화물이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2.청장
3.별건
4.최초착화물
[해설작성자 : 방랑자]

72. 질문기록서 작성을 생략할 수 있는 화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단, 사후조사는 제외하며, 화재조사 및 보고 규정을 적용한다.)(2020년 06월)
     1. 전못대화재
     2. 자동차화재
     3. 가로등화재
     4. 임야화재

     정답 : []
     정답률 : 58%

73. 다음 중 화재 당시에 피해물의 재구입비에 대한 현자가의 비율을 의미하는 용어로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손해율
     2. 보정율
     3. 잔가율
     4. 최종잔가율

     정답 : []
     정답률 : 71%

74. 화재건수 결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을 적용한다.)(2020년 06월)
     1. 동일범이 아닌 각기 다른 사람에 의한 방화는 동일 대상물에서 발화했더라도 각각 별건의 화재로 한다.
     2. 동일 소방대상물에서 누전점이 동일한 누전에 의한 발화점이 2개소 이상인 화재는 2건의 호재로 한다.
     3. 화재범위가 2개소 이상의 관할구역에 걸친 화재에 대해서는 발화 소방대상물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소방서에서 1건의 화재로 한다.
     4. 동일 소방대상물에서 지진에 의한 다발화재로 발화점이 2개소 있는 화재는 1건의 화재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75. 조사활동 중 본부장 또는 서장이 소방청장에게 긴급상황을 보고하여야 할 화재 중 특수화재에 해당하는 것은? (단,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을 적용한다.)(2020년 06월)
     1. 시장화재
     2. 지하구의 화재
     3. 외국공관 및 그 사택의 화재
     4. 재산피해가 50억원 이상 추정되는 화재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1,2 : 중요화재
4.번 : 대형화재
3번 : 특수화재
[해설작성자 : 아무개]

76. 정당한 사유 없이 화재조사 관계 공무원의 출입 또는 조사를 거부·방해 또는 기피한 자에 대한 벌칙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100만원 이하의 벌금
     2. 200만원 이하의 벌금
     3. 300만원 이하의 벌금
     4. 400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거부기피 방해/관계인 비밀누설

화재경계지구내 소방특별조사 거부기피:100만원이하 벌금

화재조사 거부기피:200만원이하 벌금
화재조사 비밀누설:300만원이하 벌금

소방특별조사 거부기피:300이하 벌금
소방특별조사 비밀누설:1년이하 1000만원이하 벌금
[해설작성자 : 헤일로]

77. 화재발생종합보고서 작성 시 건물의 동수 산정 기준으로 틀린 것은?(2017년 09월)
     1. 주요구조부가 하나로 연결되어 있는 것은 1동으로 한다. 다만, 건널 복도 등으로 2이상의 동에 연결되어 있는 것은 그 부분을 절반으로 분리하여 각 동으로 한다.
     2. 구조와 관계없이 지붕 및 실이 하나로 연결되어 있는 것은 동일동으로 본다.
     3. 목조 또는 내화조 건물의 경우 격벽으로 방화구획이 되어 있는 경우는 별동으로 한다.
     4. 독립된 건물과 건물 사이에 차광막, 비막이 등의 덮개를 설치하고 그 밑을 통로 등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별동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3.한동(=동일동)으로한다
[해설작성자 : 우문현답]

78.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상 방화ㆍ방화의심 조사서 작성 시 기재항목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방화도구
     2. 방화의심 사유
     3. 도착 시 초기상황
     4. 방화자의 인상착의 및 직업

     정답 : []
     정답률 : 70%

79. 질문기록서의 작성 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9월)
     1. 질문기록서가 증거로서 가치를 가지기 위해서는 진술이 임의로 행해진 것이어야 한다.
     2. 미성년자에 대한 질문은 객관성유지를 위하여 친권자 등의 입회를 배제하여야 한다.
     3. 녹취를 종료하는 경우, 녹취내용에 오류가 없는지 확인시키 후 서명을 받는다.
     4. 질문의 권한은 소방법상 소방서장에게 있다.

     정답 : []
     정답률 : 64%

80. 모든 화재에 공통적으로 작성하여야 하는 서식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화재현장조사서, 질문기록서
     2. 화재현황조사서, 재산피해신고서
     3. 화재현황조사서, 인명피해신고서
     4. 화재현장조사서, 화재현황조사서

     정답 : []
     정답률 : 77%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581710)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1 9급 국가직 공무원 관세법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4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2
52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화학공학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6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519 전기공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6월1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518 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3월0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517 화약취급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01월27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516 디지털영상편집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2268687)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515 경찰공무원(순경) 사회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8월3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514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토목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6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513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공업화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6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581710) 좋은아빠되기 2025.11.23 4
511 항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9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510 9급 국가직 공무원 세법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4월1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509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지적측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508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물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6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0
507 전산세무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6657488)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506 PSAT 상황판단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3월0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505 PSAT 자료해석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2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504 텔레마케팅관리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8월1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503 방사선비파괴검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1월30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502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초급(폐지)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10월2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Board Pagination Prev 1 ... 328 329 330 331 332 333 334 335 336 337 ... 359 Next
/ 3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