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유통관리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582999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유통관리사 1급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유통경영


1. 조직행동연구나 소비자행동연구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동기이론 중에서, 아래의 내용은 무엇과 관련된 내용인가?(2013년 07월)

   

     1. ERG이론
     2. 2요인이론
     3. 성숙이론
     4. 욕구단계이론
     5. 공정성이론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 SWOT 분석에서 약점(weakness)에 해당하는 사례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8월)
     1. 취약한 재무구조
     2. 불분명한 전략방향
     3. 낮은 생산성
     4. 쇠퇴하는 시장
     5. 비효율적인 인력운영

     정답 : []
     정답률 : 63%

3. 유동부채와 관련된 기본적인 계정과목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6월)
     1. 외상매입금은 일반적인 상거래를 통해 발생한 외상으로 인한 채무이다.
     2. 미지급금과 외상매입금을 묶어서 매입채무라고 한다.
     3. 영업외 활동에서 외상구입으로 발생한 채무는 미지급금이다.
     4. 상품을 판매하기로 하고 계약금으로 대금 중 일부를 미리 받은 금액은 선수금이다.
     5. 해당 회계기간에 발생한 비용 중 현금을 지급하지 않은 부분은 미지급금이다.

     정답 : []
     정답률 : 54%

4.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상 재무제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7월)
     1. 경영진은 재무제표를 작성할 때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가능성을 평가해야 한다.
     2. 재무제표는 기업의 재무상태, 재무성과 및 현금흐름을 공정하게 표시해야 한다.
     3. 재무제표의 목적은 광범위한 정보이용자의 경제적 의사결정에 유용한 기업의 재무상태, 재무성과와 재무상태 변동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4. 전체 재무제표는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현금흐름표를 말한다.
     5. 각각의 재무제표는 전체 재무제표에서 동등한 비중으로 표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K-IFRS는 “손익계산서”라고 하지 않고 포괄손익계산서(Statement of Comprehensive Income)”를 사용.
그리고 추가적으로 주석(Notes)도 반드시 포함해야 전체 재무제표가 됨.
[해설작성자 : 블랙멜론]

5. “최저임금법” (법률 제15666호, 2018. 6. 12., 일부개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동거하는 친족만을 사용하는 사업과 가사(家事) 사용인에게는 적용하지 않는다.
     2. 최저임금은 근로자의 생계비, 유사 근로자의 임금, 노동생산성 및 소득분배율 등을 고려하여 정한다.
     3. 최저임금액은 시간ㆍ일(日)ㆍ주(週) 또는 월(月)을 단위로 하여 정한다.
     4. 선원과 선원을 사용하는 선박의 소유자에게는 적용하지 않는다.
     5. 최저임금위원회는 매년 8월 5일까지 최저임금을 결정 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7%

6. 리더의 역할은 사회 환경에 맞춰 변해오고 있는데 패런(C. Farren)과 케이(B. Kaye)가 주장한 현대적 리더의 특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7월)
     1. 직업의 가치와 일에 대한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돕는 지원자의 역할
     2. 조직과 관련된 주요 사항을 결정하며 권력에 의존하는 관리자의 역할
     3. 직원들의 작업 수행평가 기준과 기대치를 명확히 하는 평가자의 역할
     4. 기업이나 해당 산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예측자의 역할
     5. 경력개발을 위한 행동계획을 이행하는데 필요한 자원을 연계시켜주는 격려자의 역할

     정답 : []
     정답률 : 92%

7. “소비자기본법”(법률 제15696호, 2018. 6. 12., 일부 개정)에 의하면 국가는 소비자가 사업자와의 거래에 있어서 표시나 포장 등으로 인하여 물품 등을 잘못 선택하거나 사용하지 아니하도록 표시기준을 정하여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이러한 표시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사용방법, 사용ㆍ보관할 때의 주의사항 및 경고사항
     2. 표시의 크기ㆍ위치 및 방법
     3. 물품 등에 따른 불만이나 소비자피해가 있는 경우의 처리기구 및 처리방법
     4. 시각장애인을 위한 표시방법
     5. 물품 등을 제조한 생산자의 성명

     정답 : []
     정답률 : 67%

8. 조직의 지도원리 중 하나인 효과성(effectiveness)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결정된 목표를 달성하는 정도를 말한다.
     2. 적절한 목표를 설정하는 능력을 포함한다.
     3. 결국 어떻게 일을 할 것인가 보다는 어떤 일을 할것이냐를 중요시하는 개념이다
     4. 일을 제대로 하는 것(doing things right)과 관련이 있다.
     5. 조직구성원의 성취노력에 대해 제공되는 반대급부에 대해 구성원이 느끼는 만족의 정도도 포함된다.

     정답 : []
     정답률 : 57%

9. 통제·효율성을 강조하여 설계된 조직을 수직적 조직, 의사소통·조정을 강조하여 설계된 조직을 수평적 조직이라고 할 경우, 수직적 조직이 수평적 조직보다 유리한 경우로서 옳은 것은?(2021년 08월)
     1. 다양한 학습이 필요한 경우
     2. 과업이 세분화, 분업화되어 있는 경우
     3. 조직계층의 구분이 느슨한 경우
     4. 권한위양이 대폭적으로 이루어진 경우
     5. 다수의 팀과 태스크포스가 존재하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64%

10. 아래 글상자에서 설명하는 기업구조조정행위로 가장 옳은 것은?(2025년 08월)

    

     1. 분리설립
     2. 흡수합병
     3. 신설합병
     4. 기업인수
     5. 기업통합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 조직(organization)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3년 07월)
     1. 조직에서 복잡성이란 조직 내 분화의 정도를 의미하며, 이러한 분화의 형태로 수평적 분화와 수직적 분화 등을 들 수 있다.
     2. 조직도는 조직에 있어서의 직위 및 직위 상호 간의 공식적 관계를 단순한 도표로 나타낸 것을 말하며, 기업은 이 공식적인 조직도를 이용하여 조직을 운영하다.
     3. 조직에서 분화는 ‘전체과업을 더 작은 과업단위로 세분하는 것’을 말하고, 한사람이 모든 작업을 수행한다는 것은 극히 어렵기 때문에 필요하다.
     4. 분권화는 자율적인 선택을 위한 공식적인 권한이 어떤 개인, 단위 혹은 계층에 집중되는 정도로 종업원이 작업에 최소한 개입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비공식적 조직이 아닌 공식적 조직에만 관심을 갖는다.
     5. 공식화는 비공식화에 대칭되는 의미이며, 공식화와 비공식화는 같은 연속선상에서 함께 표시될 수 있는 상대적 수준의 문제이므로 공식화와 비공식화를 획일적으로 규정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2. ( A )와 ( B )에 들어갈 용어로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2016년 07월)

    

     1. 영업이익, 자기자본비용
     2. 세후순영업이익, 총자본비용
     3. 세후순영업이익, 자기자본비용
     4. 세후순영업이익, 타인자본비용
     5. 영업이익, 총자본비용

     정답 : []
     정답률 : 76%

13. 연봉제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8월)
     1. 임금결정의 공정화
     2. 상급관리자의 경영의식 강화
     3. 임금체계의 단순화
     4. 동기부여 및 근무의욕 고취
     5. 협동적인 분위기

     정답 : []
     정답률 : 41%

14. 태도(attitude)를 다차원적 개념으로 접근할 경우, 3가지구성요소를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2017년 07월)
     1. 인지(cognition)적 요소 - 감정(affection)적 요소 - 행동(behavior)적 요소
     2. 지각(perception)적 요소 - 감정(affection)적 요소 - 평가(evaluation)적 요소
     3. 인지(cognition)적 요소 - 감정(affection)적 요소 - 평가(evaluation)적 요소
     4. 지각(perception)적 요소 - 인지(cognition)적 요소 - 행동(behavior)적 요소
     5. 지각(perception)적 요소 - 감정(affection)적 요소 - 행동(behavior)적 요소

     정답 : []
     정답률 : 67%

15. 학습이론과 관련된 아래의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학습은 직·간접적인 경험을 통하여 발생한다.
     2. 행위수정이론(behavioral modification perspective)은 학습이론과 관련이 없다.
     3. 학습에 의한 행동변화는 상당기간 지속되어야 한다.
     4. 학습이론은 행위주의학파와 인지론학파간의 치열한 논쟁 속에서 발전해 왔다.
     5. 학습이론은 고전적 조건화 이론, 즉 자극-반응주의 이론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63%

16. 아래 글상자는 어떤 비율에 대한 설명인가?(2018년 07월)

    

     1. 이자환수비율
     2. 이자회전비율
     3. 이자보상비율
     4. 이자상환비율
     5. 이자회수비율

     정답 : []
     정답률 : 60%

17. 손익분기점과 관련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7월)
     1. 제품의 단위당 공헌이익이 총고정원가를 회수하는데 사용된다고 본다.
     2. 손익분기점은 적자를 면하는 최소한의 매출량을 말하며 이는 미래 수익발생능력의 안전도를 평가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3.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면 고정비의 비율이 높을수록 손익분기매출액은 늘어난다.
     4. 안전율(MS : margin of safety)이란 기업이 손실 없이 조업을 단축할 수 있는 여유를 보여주는 척도이다.
     5. 매출량이 손익분기점 이하로 예상될 때는 하청생산 보다는 자체생산을 강화하는 것이 좋다.

     정답 : []
     정답률 : 77%

18. 유통기업의 경영자에게 요구되는 변혁적 리더십(transformational leadership)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7월)
     1. 변혁적 리더들은 부하들의 본보기가 될 수 있도록 행동하여 부하들로부터 존경과 신뢰를 받는다.
     2. 변혁적 리더들은 부하들에게 일에 대한 의미와 도전을 제공하여 자신의 주변 사람들에게 동기를 부여한다.
     3. 변혁적 리더들은 부하들로 하여금 새로운 아이디어와창의적 문제해결을 요구하며, 부하들이 문제해결과정에 참여하도록 한다.
     4. 변혁적 리더들은 부하들을 개인적으로 지도하면서 부하 개개인의 발전 및 성장에 대한 욕구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인다.
     5. 변혁적 리더들은 부하들에게 보상과 처벌을 통한동기부여 방법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19. 아래 글상자는 재고에 대한 총마진수익률(GMROI)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괄호 안에 들어갈 용어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으로 옳은 것은?(2023년 08월)

    

     1. ㉠ 총마진, ㉡ 순이익
     2. ㉠ 순이익, ㉡ 총자산
     3. ㉠ 총자산, ㉡ 순이익
     4. ㉠ 순매출액, ㉡ 총마진
     5. ㉠ 총마진, ㉡ 순매출액

     정답 : []
     정답률 : 22%

20. 업태개발의 추진 방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7월)
     1. 특정 고객층을 선정하여 그들이 만족할 수 있는 점포를 만들필요가 있다.
     2. 상품 구색 전환의 목적은 양적으로 풍부한 제품의 확보만을 의미한다.
     3. 고객과의 우호관계를 통해 고정고객을 확보, 유지 하는 것이 중요하다.
     4. 영업의 표적에 따라 동일한 업종이라도 경쟁 상황을 완화할수도 있다.
     5. 점포개념이 명확하다는 것은 누구에게 무엇을 어떻게 제공할까를 분명히 하는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과목 : 물류경영


21. 물류센터(Logistics center)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3년 07월)
     1. 물류센터의 위치(입지)는 화물의 흐름을 잘 고려하여 결정해야 하며,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화물(Product), 질적 요인(Quality), 경로(Route), 서비스와 시간(Service and Time)의 5가지 중요한 요소(PQRST)를 분석한다.
     2. 물류센터는 배송시간과 배송비용의 절감을 위해 상품의 수요가 많은 지역에 있어야 하고, 상품의 대량보관 보다 효율적인 물류배분에 초점을 맞추어 위치를 선정해야 한다.
     3. 일정지역에서는 집하 후 물류센터에서 분류하여 해당지역의 물류센터들로 수송하고, 일정지역에서는 물류센터에서 분류작업 없이 해당지역의 물류센터로 바로 직송하는 방식을 Hub & Spoke방식과 Point-to-Point방식의 혼합방식이라고 한다.
     4. 물류시스템은 크게 물류경로(link: 수배송)와 물류거점(node: 연결점)으로 구성되어 있고, 고객 서비스, 고객 주문사이클, 수요예측 등은 직접적인 구성요소이다. 물류거점은 철도역, 항만, 트럭터미널 등사회간접자본으로 정비되어 있다.
     5. 물류센터 내에서 분류시스템(Sorting system)이란 상품을 유형별로 분류하는 작업을 말한다. 이는 물건의 크기와 수량에 따라 분류할 수도 있고, 고객별로 분류할 수도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2. 원거리 수배송품 포장 시 고려하여야 할 포장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7월)
     1. 포장할 물품의 성질 및 형태를 분석하여 그 물품에 적합한 포장양식을 고안하여야 한다.
     2. 취급 및 보관에 적합하도록 포장물을 안배하여 포장용기의 용적 및 중량을 적절하게 하여야 한다.
     3. 동종물품의 포장에 적합한 방법을 개발하여 지속적으로 사용하도록 하여야 한다.
     4. 외장상 화인 및 상품표기에 관한 자국이나 외국의법률 및 관습에 정통하여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5. 포장재료의 선택에 있어서는 내항성에 중점을 둘 필요는 없다.

     정답 : []
     정답률 : 94%

23. 국제복합운송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7월)
     1. 국가간 물품운송을 복수의 수송수단에 의해 항만에서 항만까지의 일관수송을 지향하는 수송방식이다.
     2. 독립된 단일의 복합운송인이 화주와 복수의 운송 계약 하에 복합운송서류를 발행한다.
     3. 둘 이상의 운송방식 가운데 반드시 해상운송이나 내수운송이 포함되어야 한다.
     4. 화주에게 투명한 운임을 제공하기 위하여 전운송 구간별로 운임을 분리하여 제시하여야 한다.
     5. 전운송구간 내지 전운송기간에 걸쳐 화물에 대해 책임을 지는 전구간 단일운송책임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4. 컨테이너선을 항만 내에 계선시키는 시설을 갖춘 접안장소를 무엇이라 하는가?(2013년 07월)
     1. Apron
     2. Marshalling Yard
     3. CY(Container Yard)
     4. CFS(Container Freight Station)
     5. Berth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5. 기업의 재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7월)
     1. 생산단위원가를 낮추기 위하여 기업이 대량생산을 하므로 재고가 발생한다.
     2. 운송에 대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대량운송을 하기 때문에 기업의 재고가 발생한다.
     3. 원자재 부족으로 인한 생산중단을 피하기 위해기업은 일정 재고를 보유한다.
     4. 미래의 가격인상, 인도 지연, 파업 등 위험회피를 위해 기업은 재고를 보유한다.
     5. 기업 재무측면에서 자본효율을 높이기 위해 기업이재고수준을 높이는 것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정답 : []
     정답률 : 94%

26. RFID가 바코드에 비해 가지는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8월)
     1. 정보간의 충돌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여러정보를 동시에 판독할 수 있다.
     2. 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의 수정이 가능하다.
     3. 전파를 이용하여 정보를 판독하므로 원거리에서도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4. 보다 많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5. 정보인식 시간은 다소 길지만 보다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0%

27. 아래 글상자에서 설명하는 물류조직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5년 08월)

    

     1. 사업부형 물류조직
     2. 직능형 물류조직
     3. 라인스탭형 물류조직
     4. 그리드형 물류조직
     5. 독립형 물류조직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8. A기업의 연간 물품 구매액은 $1,000이다. 주문비용은 1회 당 $25가 발생하고, 물품의 재고 보유비용은 물품 가격의 20%이다. 개당 물품 가격이 $5라고 하면 경제적 주문량(EOQ)은 얼마인가?(2018년 07월)
     1. 1,000
     2. 223
     3. 158
     4. 100
     5. 50

     정답 : []
     정답률 : 69%

29. 공동수배송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7월)
     1. 기업의 영업기밀유지
     2. 운송대형화로 인한 경제성 향상
     3. 교통체증 감소
     4. 동일지역 및 동일수하인에 대한 중복방문 제거로 상품 인도업무 효율화
     5. 다양한 거래처 물량으로 인해 상품의 계절적 수요 변동에 따른 차량수요 기복 완화

     정답 : []
     정답률 : 73%

30. 아래 글상자의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3년 08월)

    

     1. 기업형 물류조직
     2. 독립형 물류조직
     3. 직능형 물류조직
     4. 그리드형 물류조직
     5. 사업부제 물류조직

     정답 : []
     정답률 : 42%

31. 물류센터 운영 효과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7월)
     1. 효과적인 배송체제 구축
     2. 공장과 물류센터 간에 대량 및 계획운송을 통한 운송비 절감효과
     3. 물류거점의 조정을 통해 중복운송이나 교차운송 방지
     4. 과잉재고 및 재고편재 방지
     5. 물류센터를 판매거점화하면 제조업체의 직판체제의 확립은 가능하나 유통경로는 복잡해지고 길어지는 문제 발생

     정답 : []
     정답률 : 84%

32. 재고의 공간적 배치와 관련된 기능으로, 물류거점별로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형태별 분류와 배송을 가능하게 해 주는 관리의 기능은?(2018년 07월)
     1. 유통가공기능
     2. 경제적발주기능
     3. 운송합리화기능
     4. 수급적합기능
     5. 생산의 계획 및 평준화기능

     정답 : []
     정답률 : 61%

33. 물류정책기본법 (법률 제14541호, 시행 2019.3.19.) 제2조 정의에 나오는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6월)
     1. 화물의 운송, 보관, 하역을 위한 시설을 물류시설이라 한다.
     2. 효율적인 물류활동을 위하여 시설, 장비, 정보, 조직 및 인력 등이 서로 유기적으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연계된 집합체를 물류사업체라 한다.
     3. 물류 또는 화주기업들이 물류활동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물류에 필요한 각종 시설이나 장비 등을 공동으로 이용하는 것을 물류공동화라 한다.
     4. 원활한 물류를 위하여 시설 및 장비를 통일하고 단순화하는 것은 물류표준화이다.
     5. 물류터미널이나 창고 등의 물류시설을 운영하는 물류시설운영업은 물류사업에 속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34. 아래 글상자는 정기주문법과 정량주문법의 비교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2.
     3.
     4.
     5.

     정답 : []
     정답률 : 80%

35.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률([시행 2014. 1.28.][법률 제12375호, 2014.1.28.,일부개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정의 중 물류단지개발사업에 속하지 않은 것은?(2014년 07월)
     1. 물류시설 용지 및 지원시설 용지의 조성사업
     2. 도로· 철도· 궤도· 항만 또는 공항시설 등의 건설사업
     3. 전기· 가스· 용수 등의 공급시설과 전기통신설비의 건설사업
     4. 하수도, 폐기물처리시설, 그 밖의 환경오염방지시설 등의 건설사업
     5. 타인의 수요에 따라 자기의 명의와 계산으로 타인의 물류시설· 장비 등을 이용하여 수출입화물의 물류를 주선하는 사업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6. 보관의 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7월)
     1. 높이 쌓기의 원칙 : 물품을 고층으로 적재하는 것으로 파렛트 등을 이용하여 용적효율을 향상
     2. 위치표시의 원칙 : 보관품의 장소와 선반 번호 등의 위치를 표시함으로써 업무의 효율화 증대
     3. 명료성의 원칙 : 시각적으로 보관품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보관하는 원칙
     4. 네트워크 보관의 원칙 : 물품의 정리와 출고가 용이하도록 관련 품목을 한 장소에 모아서 보관하는 원칙
     5. 통로대면보관의 원칙 : 보관할 물품의 장소를 회전정도에 따라 정하는 것으로 입출하 빈도의 정도에 따라 보관 장소 결정

     정답 : []
     정답률 : 67%

37. 컨테이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8월)
     1. 컨테이너의 CSC Safety approval(안전승인판)에는 승인국, 승인번호, 승인년도, 컨테이너 제조자 일련번호 등이 기재되어 있다.
     2. 냉장, 냉동뿐 아니라 보냉을 위해 일정 온도를 유지시키기도 한다.
     3. 컨테이너 포괄리스는 컨테이너리스 계약기간 중 사용개수에 구속받을 필요가 없다.
     4. 컨테이너 편도리스는 일방통행의 임차로서 도착지에서 공컨테이너를 리스회사에 반납하는 계약이다.
     5. 플랫폼 컨테이너는 지붕과 벽을 제거하고 고정을 위한 기둥과 버팀대만을 두어 기계류나 목재, 승용차 종류를 수송하기 위한 컨테이너이다.

     정답 : []
     정답률 : 53%

38. 물류의 7R 원칙에 가장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3년 07월)
     1. Right Quality
     2. Right Price
     3. Right Safety
     4. Right Time
     5. Right Place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9. 극동지역에서 벤쿠버 또는 시애틀까지 해상운송하고 캐나다 철도를 이용하여 몬트리올까지 운송한 다음 해상운송을 이용하여 유럽까지 운송하는 복합운송체제로 옳은 것은?(2015년 07월)
     1. SLB(Siberian Land Bridge)
     2. CLB(Canadian Land Bridge)
     3. MLB(Mini Land Bridge)
     4. TCR(Trans China Rail)
     5. IPI(Interior Point Intermodal)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0. e-SCM의 효과에 대한 것으로 가장 잘못된 것은?(2013년 07월)
     1. 정보의 실시간 전달
     2. 거래투자비용의 최소화
     3. 자동보충을 통한 재고감소
     4. 리드타임 증가
     5. 생산물 부품의 적시 조달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과목 : 상권분석


41. 상권분석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7월)
     1. 상권의 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선정한 후 이를 기준으로 하여 평가하는 방법은 서술적방법에 속한다.
     2. 지역 내의 공간구조를 기초로 상권중심지와 배후상 권등의 구조를 설명하는 방법은 규범적 모형이다.
     3. 자사의 신규점포와 비슷한 유사점포를 선정하여 특성을 분석한 후 신규점포에 적용하는 방법은 서술적 모형에 속한다.
     4. 실제 점포 이용고객의 주소지를 파악하여 도면에 표시한 후 상권을 확인하는 방법은 규범적 모형에 많이 쓰인다.
     5. 입지가능 지역을 선택하는 지역비율과 가능매출액 등의 개념을 이용하여 상권을 분석하는 방법은서술적방 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2. 다른 도시들의 대형매장면적의 점유율은 25% 수준이고, 현재 A도시 전체 소매업의 매장면적은 2,000,000m2이며 이 중에서 대형매장면적의 비율은 23%라고 가정하자. 점유율 지표 이용법을 활용하여 산출한 A도시에 추가 진입이 가능한 대형점의 매장면적은 얼마인가?(2015년 07월)
     1. 약 32,000m2
     2. 약 43,500m2
     3. 약 53,000m2
     4. 약 62,000m2
     5. 약 75,000m2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3. 소매점이 집적하게 되면 경쟁과 양립의 이중성을 갖게 되므로 가능하면 양립을 통해 상호이익을 추구하는 것이 좋다. 다음 중 양립과 관련이 적은 것은?(2013년 07월)
     1. 시장세분화와 표적시장 선정
     2. 누적효과
     3. 차별화
     4. 차단효과
     5. 보충효과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4. 상권 및 입지분석과정에서 점포의 위치와 소비자의 분포 분석을 통해 관찰할 수 있는 거리감소효과(distance decay effect)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8월)
     1. 일반적으로 점포로부터 멀어질수록 고객의 밀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말한다.
     2. 유사점포법, 회귀분석법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3. 고객점표(CST) 지도를 이용하면 쉽게 관찰할 수 있다.
     4. 거리 마찰에 따른 비용과 시간의 증가율 때문에 발생한다.
     5. 거리조락현상 또는 거리체증효과라고도 한다.

     정답 : []
     정답률 : 53%

45. 중심성지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7월)
     1. 중심성지수는 소매업의 공간적 분포를 설명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지표이다.
     2. 중심성지수는 소매업이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다는 것을 기본 가정으로 하고 있다.
     3. 특정지역의 총 소매판매액을 일인당 구매액으로 나눈 값과 거주인구를 비교한 값이다.
     4. 중심성지수의 값이 1이 되는 경우는 외부유동인구가 없는 고립된 지역일수도 있다.
     5. 일반적으로 주위에 점포가 많이 없는 지역은 1보다 낮은 값을 가지게 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6. Huff 모델에 관한 특징이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7월)
     1. 실제 소비자의 선택자료를 토대로 하는 공간상호작용 모형의 한 종류이다.
     2. 거리와 점포의 유인력을 이용하는 점은 Reilly 모델과 유사하다.
     3. 상권을 분석하면서 결정론적 접근보다 확률론적인 접근을 시도한다.
     4. 특정 하부지역(zone) 소비자의 점포별 효용을 알아도 점포별 이용확률은 추정할 수 없다.
     5. 특정 지역의 개별 점포에 대한 이용자 수를 추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8%

47. 소비자가 상권내의 세 점포 중에서 하나를 골라 어떤 상품을 구매하려고 한다. 점포의 크기와 그 소비자의집에서 점포까지의 거리는 아래의 표와 같다. 수정Huff모형에 따라 세 점포에 대해 이 소비자가 느끼는 매력도의 크기를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2017년 07월)

    

     1. C > A > B
     2. A > B > C
     3. B > A > C
     4. A > C > B
     5. B > C > A

     정답 : []
     정답률 : 62%

48. 용도지역 및 용도지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7월)
     1. 건폐율은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면적의 비율로서 건축물의 과밀을 방지하고자 설정된다.
     2. 용적률은 대지면적에 대한 연면적의 비율을 의미한다.
     3. 도시지역의 용도지역은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으로 구분된다.
     4. 용도지역은 중첩하여 지정될 수 있는 반면 용도지구는 중첩하여 지정될 수 없다.
     5. 개발진흥지구는 주거, 상업, 공업, 유통물류, 관광휴양 등의 기능을 집중적으로 개발·정비하기 위해 지정된다.

     정답 : []
     정답률 : 76%

49. 상권분석에 관한 주요이론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7월)
     1. Christaller의 중심지이론에 따르면, 소비자들이유사점포 중의 한 점포를 선택할 때 그 중 가장 가까운 점포를 선택한다.
     2. Reilly의 소매중력이론에 따르면, 다양한 점포간의밀집이 개별점포의 매력도를 증가시킨다.
     3. Huff의 소매인력이론은 도시간의 상권경계를 확률적 접근으로 설명하고 있다.
     4. Reilly의 소매중력이론은 Converse가 개발한 분기점공식으로도 나타낼 수 있다.
     5. Luce의 확률적 선택모델을 이용하면 특정 점포에 대한 매력 평가라는 소비자행동적 요소를 포함시킬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9%

50. Christaller의 중심지이론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7월)
     1. 중심지의 정상이윤 확보에 필요한 최소한의 수요를 발생시키는 상권범위를 최소수요충족거리(threshold)라 한다.
     2. 상업중심지간에도 위계구조가 있다.
     3. 상업중심지가 포괄하는 상권의 규모는 도시 내의소득수준에 따라 결정된다.
     4. 중심지의 최대도달거리는 중심지에서 제공하는 상품의 가격과 소비자가 그것을 구입하는 데 드는 교통비의 영향을 받는다.
     5. 중심지란 배후주거지역에 대해 다양한 상품과서비스를 제공하며 상업, 행정 기능이 밀집된 장소를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56%

51. 쇼핑몰에 대한 다양한 분류기준을 적용할 때 몰의 유형과 특징을 바르게 연결하지 않은 것은?(2018년 07월)
     1. 수평형몰 - 바닥면적이 넓어 층단위, 또는 바닥단위로 전개되는 몰이며 수직형몰과 대비된다.
     2. 순환형몰 - 4개 내지 6개의 키 테넌트를 사방에 설치하고 중심에 커다란 코트를 설치하는 대표적인 다핵형 몰이다.
     3. 아케이드형몰 - 2동 이상의 건물 사이에 위치하여 상부에 경량의 지붕이 설치되어 외기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반외부형 몰이다.
     4. 단일형몰 - 하나의 몰로 보행동선을 구성하며 통상 양단에 키 테넌트가 위치하게 된다.
     5. 혼합형몰 - 키 테넌트와 전문점이 함께 있는 경우로 각 매장을 연결해주는 통로의 개념이 강하다.

     정답 : []
     정답률 : 62%

52. 상권구획과정에서 사용되는 기법인 티센다각형(thiessen polygon) 활용과 관련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7월)
     1. 공간독점접근법에 기반한 상권구획모형의 일종이다.
     2. 각 점포들이 차별성이 없는 상품을 판매할 때 더 유용하다.
     3. 인접하는 점포 간의 경쟁수준이 낮을수록 다각형의 크기는 작아진다.
     4. 근접구역법으로 소비자들이 가장 가까운 점포를 선택한다고 가정한다.
     5. 접근성이 소비자들의 점포선택의 가장 중요한 결정요소일 때 유용하다.

     정답 : []
     정답률 : 65%

53. 점포와의 거리에 따라 상권을 구분할 때 각 상권의 개념과 특성을 상대적으로 비교·설명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7월)
     1. 1차상권은 전체상권 중에서 점포에 가장 가까운 지역을 말하는데 매출액이나 소비자의 수에서 일반적으로 60~70% 정도를 차지하는 지역으로 그 비율은 절대적이지 않다.
     2. 2차상권은 1차상권을 둘러싸는 형태로 주변에 위치하며 소비자의 일정비율을 추가로 흡인하는 지역이다.
     3. 3차상권은 소비자의 내점빈도가 비교적 낮으며 1,2차상권에 비해 주변에 위치한 경쟁점포들과 상권중복 또는 상권잠식의 가능성이 낮은 지역이다.
     4. 1차상권이 중요한 이유는 소비자의 밀도가 가장 높은 곳이고 소비자의 충성도가 높으며 1인당 판매액이 가장 큰 핵심적인 지역이기 때문이다.
     5. 3차상권은 상권으로 인정하는 한계(fringe)가 되는 지역범위이며 지역적으로 넓게 분산되어 해당 점포를 이용하는 소비자의 밀도가 낮다.

     정답 : []
     정답률 : 64%

54. 상권분석 모델들 중에서 소비자의 점포방문 패턴을 공간상의 흐름으로 보고 이를 반영하여 특정 점포의 매출액과 상권규모를 예측하는데 활용되는 공간상호작용모델과 관련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8월)
     1. 상권분석과 관련된 공간상호작용모델에는 Huff모델, MCI모델, MNL모델 등이 있다.
     2. 매출액 등의 점포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입지변수들의 영향력을 설명하는데 유용하다.
     3. 공간상호작용이란 개념은 지리학에서 유래한 것으로 인구, 물자, 정보 등이 출발지(origin)에서 도착지(destination)로 이동하는 것을 분석한다.
     4. 소비자의 점포선택행동을 조사한 가상의 자료를 이용하여 점포의 시장점유율이나 매출액 등 경영성과를 예측하는 데 활용된다.
     5. 어느 한 점포에 대해 느끼는 효용(utility)이나 매력도(attraction)가 가장 크더라도 항상 그 점포를 선택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점포를 방문하기도 한다고 가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14%

55. A도시의 인구는 20만명, B도시의 인구는 40만명, 중간에 위치한 C도시의 인구는 6만명이다. A도시와 C도시의 거리는 5Km, C도시와 B도시의 거리는 10Km이다. 라일리(Reilly, W.J.)의 소매인력이론을 적용하여 추정할 때, C도시의 인구 중에서 A도시 상권으로 흡수되는 인구의 숫자로 가장 옳은 것은?(2023년 08월)
     1. 2만명
     2. 3만명
     3. 4만명
     4. 5만명
     5. 6만명

     정답 : []
     정답률 : 29%

56. 입지배정모델(location-allocation model)의 특성 및 용도와 관련된 항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7월)
     1. 재화 및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수요의 공간적 분포예측
     2. 기존 상권에 신규점포 추가시의 효과 분석
     3. 상권내에 위치하고 있는 기존점포의 재입지 및 폐점결정
     4. 일정 상권에 복수의 점포를 배치하는 소매점네트워크 설계
     5. 기존 상권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권내개설점포의 수 결정

     정답 : []
     정답률 : 75%

57.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법률 제17898호, 2021.1.12., 일부개정)에 따르면 상업지역은 도심기능 및 서비스 범위를 기반으로 세분화하여 지정하게 되는데 그 내용이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8월)
     1. 중심상업지역 : 도심·부도심의 상업기능 및 업무기능의 확충을 위하여 필요한 지역
     2. 일반상업지역 : 일반적인 상업기능 및 업무기능을 담당하게 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역
     3. 근린상업지역 : 근린지역에서의 일용품 및 서비스의 공급을 위하여 필요한 지역
     4. 유통상업지역 : 도시내 및 지역간 유통기능의 증진을 위하여 필요한 지역
     5. 주거상업지역 : 주거지역 인근에 일부 상업기능을 보완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역

     정답 : []
     정답률 : 53%

58. 상권분석 과정에서 활용하는 다양한 확률분석모델들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0년 06월)
     1. Huff모델과 달리 MNL모델은 Luce의 선택공리와 관련이 없는 분석방법이다.
     2. MCI모델과 수정Huff모델은 점포에 대한 객관적 변수와 주관적 변수를 모두 반영할 수 있다.
     3. MNL모델은 각 소비자의 개인별 데이터 보다는 집단별 구매행동 데이터를 활용하여 계산한다.
     4. MCI모델과 MNL모델, Huff모델은 모두 공간상호작용 모델의 대표적 분석방법으로 볼 수 있다.
     5. Huff모델과 달리 MNL모델은 일반적으로 상권을 세부지역(zone)으로 구분하는 절차를 거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47%

59. 상권과 입지를 구분하여 설명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7월)
     1. 상권은 범위(boundary), 입지는 지점(point)으로 비유하여 표현하기도 한다.
     2. 상권의 평가항목에는 소비자의 분포범위, 유효수요의 크기, 가시성 등이 있다.
     3. 상권은 점포의 매출이 발생하는 지역범위로 볼 수 있다.
     4. 입지의 평가항목에는 주차장, 지형, 층수, 편의시설, 층고, 임대료 등이 있다.
     5. 상권의 크기는 입지의 매력도에 따라 커지므로 서로비례관계가 성립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60. 소매업의 공간적 분포를 설명하는 중심성지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7월)
     1. 상업인구를 그 지역의 거주인구로 나눈 값을 중심 성지수라 한다.
     2. 중심성지수가 1이라는 것은 해당 지역의 구매력 유출과 유입이 동일하다는 뜻이다.
     3. 중심성지수는 소매업의 공간적 분포를 설명하는 것으로 소매업이 불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음을 가정한다.
     4. 소매 판매액의 변화가 없어도 해당 지역의 거주인구가 감소하면 중심성지수는 낮아지게 된다.
     5. 중심성지수가 1이라는 것은 소매판매액과 그 지역 내 거주자의 소매구매액이 동일하다는 뜻이 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과목 : 유통마케팅


61. 온라인에서 사용자가 노출된 광고를 클릭하고 랜딩 페이 지에 진입하여 광고주가 원하는 특정 행위를 한 경우 과금하는 방식으로, 획득 당 비용을 나타내는 단위로 옳은 것은?(2025년 08월)
     1. CPI(Cost Per Install)
     2. CPS(Cost Per Share)
     3. CPC(Cost Per Click)
     4. CPVC(Cost Per View and Click)
     5. CPA(Cost Per Action)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2. 아래 내용은 어떤 매입 방식에 대한 설명인가?(2015년 07월)

    

     1. 확인 매입
     2. 위탁 매입
     3. 명세 매입
     4. 사전 매입
     5. 규약에 의한 매입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3. 상품 분류체계를 설명하는 아래의 표에서 빈 칸에 들어갈 올바른 용어는?(2018년 07월)

    

     1. ㉠ 품군, ㉡ 품목, ㉢ 품종, ㉣ 단품
     2. ㉠ 품종, ㉡ 품군, ㉢ 단품, ㉣ 품목
     3. ㉠ 품목, ㉡ 품종, ㉢ 품군, ㉣ 단품
     4. ㉠ 품군, ㉡ 품종, ㉢ 품목, ㉣ 단품
     5. ㉠ 단품, ㉡ 품군, ㉢ 품종, ㉣ 품목

     정답 : []
     정답률 : 60%

64. 소매 서비스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갭분석 모형에서 설명하는 서비스 격차(gap)의 종류와 그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7월)
     1. 시장정보 갭 : 고객이 기대하는 바와 기업이 고객의 기대를 바라보는 인식의 차이에서 발생
     2. 서비스 기준 갭 : 기업이 고객의 기대를 만족시키기 위한 서비스 기준 및 시행지침을 잘못 설정하여 발생
     3. 서비스 성과 갭 : 종업원들이 적절한 매뉴얼과 지침에 따라 제대로 서비스를 이행하지 못하여 발생
     4. 커뮤니케이션 갭 : 고객에게 전달된 서비스가 그 서비스에 대한 외부 커뮤니케이션과 차이가 날 때 발생
     5. 서비스 회복 갭 : 고객의 불만 원인에 대한 이해와 그 처리가 고객이 기대하는 바와 달라서 발생

     정답 : []
     정답률 : 68%

65. 데이브 맥클루어(Dave McClure)가 제시한 고객생애주기관리를 위한 AARRR지표 중 활성화(Activation)에 해당하는 활동 및 노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4년 08월)
     1. 긍정적 사용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핵심 콘텐츠 및 서비스를 최적화한다.
     2. 유입현황과 경로를 분석하여 집중 홍보채널을 파악한다.
     3. 구매 고객 만족도 및 상품 경쟁력을 분석한다.
     4. 양질의 고객 확보 및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5. 추천이나 공유활동에 대한 리워드 방안을 수립한다.

     정답 : []
     정답률 : 33%

66. 아래 글상자에서 설명하는 가격전략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8월)

    

     1. 초기에 많은 수의 구매자들을 확보함으로써, 이들을 통하여 강력한 구전을 창출하고, 다른 구매자들의 모방행동을 유도한다.
     2. 경험효과가 큰 산업에서는 경쟁자들보다 훨씬 더 낮은 원가를 달성할 수 있게 되고, 이것을 진입장벽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3. 가격에 매우 민감한 시장의 경우 낮은 가격의 신상품이 시장 성장을 조장하여 높은 시장점유율을 달성 하도록 돕는다.
     4. 잠재구매자들이 가격-품질 연상을 강하게 갖고 있을 때 매우 유효한 전략이다.
     5. 처음에 낮은 가격을 매김으로써 구매자들의 준거 가격이 낮아졌다면, 나중에 가격을 올리고자 할 때 구매자들의 저항에 부딪힐 위험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7. High/Low 가격(pricing) 전략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8월)
     1. 충성고객을 위한 가격전략이다.
     2. 동일한 상품으로 가격에 탄력적인 고객과 비탄력적 고객 모두에게 소구할 수 있다.
     3. Low 가격전략은 고객을 자극하고, 모으는 효과가 있다.
     4. Low 가격전략은 판매가 부진한 상품에 대한 재고를 줄이는 데 있어 효과적이다.
     5. 제품 출시 시기의 High 가격전략은 고객에게 높은 품질에 대한 믿음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41%

68. 소셜커머스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6월)
     1. 오프라인 채널에 비해 낮은 가격으로 상품을 공급한다.
     2. 주 수입원은 판매금액의 일정비율을 수취하는 판매 수수료이다.
     3. 판매한 상품의 배송 및 반품처리 등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는다.
     4. 오픈마켓이나 종합몰에 비해 상품의 구색이 적은 편이다.
     5. 고객들에게 상품을 추천해주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큐레이션커머스의 형태를 띤다.

     정답 : []
     정답률 : 57%

69. 유통업체 브랜드(PB)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8월)
     1. 일반적으로 유통업체는 상품에 대한 디자인과 사양을 개발하고 그 상품을 생산해 줄 수 있는 제조업체와 계약을 한다.
     2. 제조업체 브랜드(NB)업체로부터 제공되지 않는 혁신적인 상품이나 더 나은 가치를 제공하는 상품을 유통업체 브랜드(PB)로 도입하기도 한다.
     3. 유통업체 브랜드(PB)는 저가, 저마진을 추구하는 회전율이 높은 상품 위주로 개발한다.
     4. 유통업체가 제조업체 브랜드(NB)의 벤더와 협력하여 자사 점포에서만 판매할 수 있는 상품을 개발하며 이러한 경우 NB벤더나 제조업체가 해당상품의 생산에 책임이 있다.
     5. 유통업체는 유통업체 브랜드(PB)를 통해 점포 충성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24%

70. 다음 중 상품 매입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8월)
     1. 직매입이란 협력업체에게 직접 현금 또는 그에 상응하는 대금을 지급하고 매입하여 소매업체 책임으로 판매하는 방식을 말한다.
     2. 판매분 매입이란 협력업체 상품을 소매업체 책임으로 판매하고 판매액에 따라서 상품대금을 지급하는 매입조건을 말한다.
     3. 특정매입이란 백화점 등 대형소매점에서 주로 이용하는 매입방법으로서 상품은 소매업체가 관리하고 판매대금은 판매분에 한해서 지급하는 위탁판매 방식의 일종이다.
     4. 일반적으로 유통업체 브랜드(PB)는 판매분 매입을 통한 조건부 매입방식을 택한다.
     5. 식품, 가전상품의 경우, 백화점, 대형마트 등에서는 주로 직매입방식을 택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24%

71. 인터넷 소매업의 유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7월)
     1. 인터넷 웹페이지를 통해 제품주문을 받고 오프라인매장을 통해 제품을 제공하는 인터넷 소매업은 채널지원형에 해당한다.
     2. 온라인 카테고리 킬러는 높은 브랜드 인지도를 확보하고 있어야 유리하다.
     3. 오픈마켓, 소셜커머스 등의 온라인 쇼핑업체는 상품을 구매하여 판매함으로써 마진을 수입원으로 한다.
     4. 입찰에 의해 가격결정이 이루어지는 온라인 경매형의경우, 수익은 커미션과 광고수입으로 실현된다.
     5. 수직적 포탈형은 구체적인 상품의 정보를 제공하면서소비자가 자사 사이트에서 상품을 구매하도록 유도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72. 아래 글상자에서 공통적으로 설명하는 고객특성 분석법으로 옳은 것은?(2023년 08월)

    

     1. 검색엔진 최적화
     2. 코호트 분석
     3. A/B 테스트
     4. 텍스트 마이닝
     5. 소셜네트워크 분석

     정답 : []
     정답률 : 15%

73. 아래 글상자에서 ㉠, ㉡이 설명하는 진열방식을 옳게 나열한 것은?(2020년 06월)

    

     1. ㉠ 래프트업 진열, ㉡ 수평진열
     2. ㉠ 라이트업 진열, ㉡ 수직진열
     3. ㉠ 라이트업 진열, ㉡ 점내진열
     4. ㉠ 래프트업 진열, ㉡ 점두진열
     5. ㉠ 라이트업 진열, ㉡ 수평진열

     정답 : []
     정답률 : 57%

74. SKU(stock keeping unit)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8월)
     1. 의류의 경우 SKU는 색상, 사이즈, 스타일 등의 요소가 고려되어 정해진다.
     2. 가장 말단의 상품분류단위로 상품에 대한 추적과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는 식별관리코드를 의미한다.
     3. 문자를 제외한 숫자 등의 기호로 표기되며 구매자나 판매자는 이 코드를 이용하여 특정한 상품을 지정할 수 있다.
     4. 일반적으로 상품의 바코드에 표기되는 상품 단위와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된다.
     5. 제조업체에 의해 정해지는데 업체에 따라 각기 다른 체계가 사용되기도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5. 기업이 자사제품의 경로를 설계할 때 마케팅 관리자가 고려해야 할 유통목표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2015년 07월)
     1. 고객의 전반적인 만족도
     2. 바라는 통제수준
     3. 총유통비용
     4. 경로 신축성
     5. 선택적 유통의 비용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6. 업체별 머천다이징의 지향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7월)
     1. 편의점의 머천다이징은 계절성, 편리성을 바탕으로 한 효율적 판매를 지향한다.
     2. 전품점의 머천다이징은 전문성의 표현과 개성전개, 표적의 명확화를 지향한다.
     3. 할인점은 저비용, 저마진, 대량판매의 효율성을 지향한다.
     4. 백화점은 인기성, 유행성, 생활제안형의 전개를 지향한다.
     5. 슈퍼마켓은 합리적인 상품회전율을 유지하는 머천 다이징을 지향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7. 아래 글상자에서 사용하는 촉진방법과 가장 관련성이 높은 학습이론으로 옳은 것은?(2023년 08월)

    

     1. 모방학습
     2. 수단적 조건화
     3. 관찰학습
     4. 기계적 학습
     5. 고전적 조건화

     정답 : []
     정답률 : 21%

78. 표적고객의 특성에 따른 소매유통전략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6월)
     1. 소비자가 가격에 민감하면 인터넷을 통한 직거래 유통경로의 구축을 검토한다.
     2. 근거리·소량 쇼핑을 원하면 편의점 유통에 집중한다.
     3. 시간과 공간의 제한을 받지 않고 구매하기를 원하면 온라인쇼핑을 활용한다.
     4. 쾌적한 분위기에서 쇼핑하는 것을 즐기면 백화점이나 복합쇼핑몰을 선택한다.
     5. 한번에 다양한 제품군의 상품들을 구매하기 원하면 전문양판점이나 대형마트를 선택한다.

     정답 : []
     정답률 : 43%

79. 소매 조직 구성원의 동기부여를 위한 직무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7월)
     1. 직무확대란 한 업무에서 타 업무로 주기적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을 말한다.
     2. 직무 충실화란 소매점 직원이 작업의 계획, 실행, 평가를 통제하는 정도를 증대시킴으로써 직무를 확대하는 방법을 말한다.
     3. 직무특성모형에서 과업 정체성이란 직무가 다른 사람의 인생이나 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말한다.
     4. 직무교차란 개인을 대상으로 수평적 직무를 확대하는 것을 말한다.
     5. 자율적 작업팀이란 스스로 팀을 구성하여 수평적으로 직무를 확대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80. 어느 소매점에서 6,000원에 매입한 물건을 8,000원에 판매하였다면 매가이익률(margin)은 몇 %인가?(2015년 07월)
     1. 20 %
     2. 25 %
     3. 33.3 %
     4. 40 %
     5. 50 %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1. 다음 글상자의 내용을 포괄하는 가장 적절한 용어는?(2016년 07월)

    

     1. 온덱
     2. EBPP
     3. 아마존 웰렛
     4. 스마트 카드
     5. 핀테크

     정답 : []
     정답률 : 80%

82. 유통업체에서 도입하고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유통업체들은 정보시스템 구현에 있어 기존 정보시스템 운영 환경을 보다 운영 효율성이 높은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으로 바꾸고 있다.
     2. 클라우드 컴퓨팅은 온 프레미스 시스템(on Premise System)으로 전문화된 IT 벤더에 의해 서비스를 지원받는다.
     3. 클라우드 컴퓨팅은 대표적으로 SaaS(software as a service),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PaaS(platform as a service)로 구분할 수 있다.
     4. 대표적인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급업체로는 아마존(Amozon)과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가 있다. 아마존은 클라우드서비스로 AWS(Amazon Web Service)를 제공하고 있고, 마이크로 소프트사는 애저 (Azure)를 제공하고 있다.
     5. 클라우드 컴퓨팅을 도입하면, 유통업체는 유통정보 시스템의 유지, 보수, 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4%

83. 공급사슬관리의 발전 방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8월)
     1. 공급자 주도에서 시장 주도로 변화된다.
     2. 대량 생산에서 고객 맞춤화로 변화된다.
     3. 대중 마케팅에서 일대일 마케팅으로 변화된다.
     4. 재고 기반에서 정보 기반으로 변화된다.
     5. 고객 가치 지향 생산에서 저비용 생산으로 변화된다.

     정답 : []
     정답률 : 68%

84. 일반적인 보안에 대한 위협요소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7월)
     1. 기밀성에 대한 공격
     2. 무결성에 대한 공격
     3. 부인봉쇄에 대한 공격
     4. 투명성에 대한 공격
     5. 인증에 대한 공격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5. 인터넷 조사방법의 일환인 쿠키(cookie)를 활용하는 방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7월)
     1. 쿠키는 특정 웹사이트를 방문한 소비자가 어떠한 페이지를 보았는지를 파악하는데 사용된다.
     2. 어떤 사이트들은 쿠키를 자사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의 특성 및 욕구에 맞추어 고객화 하는데 사용된다.
     3. 쿠키는 소비자들이 어떠한 사이트를 방문했는지를 파악하여 관련된 광고나 판촉활동을 지원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4. 쿠키는 동일 사용자가 여러번 Reload하게 되면 여러번 카운트되는 한계는 있으나 방문자 수통계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5. 쿠키는 개인정보를 보관하여 재방문할 때마다 방문자가 이름과 주소 등을 되풀이하여 입력할 필요가 없도록 해준다.

     정답 : []
     정답률 : 74%

86. 개인정보보호법(법률 제16930호, 2020.2.4., 일부개정)과 관련해서 괄호 안에 들어갈 용어를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3년 08월)

    

     1.
     2.
     3.
     4.
     5.

     정답 : []
     정답률 : 24%

87. 유통 빅데이터 활용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8월)
     1. 기업에서 활용하는 유통 빅데이터 형태는 텍스트, 오디오, 동영상, 문서 등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고 있다.
     2. 맵리듀스는 대량의 데이터를 분산처리하는 방식으로 일괄처리 방식인 스파크에 비해 실시간으로 빠른 처리가 가능하다.
     3. 빅데이터는 등장 초기부터 크기(volume), 속도(velocity), 다양성(variety)이라는 측면에서 전통적 데이터와 구별되는 3대 특성으로 제시되어 왔으며 최근 신뢰성, 가치, 정확성, 휘발성 등의 특성이 추가되고 있다.
     4. 데이터 분석기술의 발달로 정형데이터뿐만 아니라 비정형 데이터도 분석할 수 있게 되었다.
     5. 사물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등과 같은 첨단 기술의 발전은 빅데이터 활용 여건을 개선시켜 주었다.

     정답 : []
     정답률 : 21%

88. OLAP(Online Analytical Processing)의 주요 분석기능의 하나로 아래의 글상자가 뜻하는 기능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8년 07월)

    

     1. 피보팅(pivoting)
     2. 드릴 업(drill up)
     3. 드릴 다운(drill down)
     4. 드릴 쓰루(drill trough)
     5. 드릴 어크로스(drill across)

     정답 : []
     정답률 : 60%

89. A사는 유통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client-server architecture) 기반으로 구축하고자 한다.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와 관련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6월)
     1.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는 서비스를 요구하는 클라 이언트와 요구사항에 대응하는 서버 간 작업과 워크로드를 분할하는 컴퓨팅 모델이다.
     2. 2계층 구조에 비해 3계층 구조가 상대적으로 더 나은 안정성과 보안향상 등 효율성을 제공한다.
     3. 프레젠테이션 로직, 비즈니스 로직, 데이터베이스로직을 클라이언트 계층(tier)에 구현한 경우를 3계층 구조라 한다.
     4. 프레젠테이션 로직은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5. 비즈니스 로직은 비즈니스 트랜잭션 과정과 데이터 저장장치에 접속하여 어떠한 데이터가 필요한지 명시해 주는 역할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42%

90. 정보를 지식으로 전환하는 데 필요한 네 가지 유형의 중요한 활동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통계적 분석
     2. 타 정보와의 비교
     3. 함축된 정보 발견
     4. 타인과의 상호작용
     5. 다른 지식과의 연관

     정답 : []
     정답률 : 43%

91. USN(Ubiquitous Sensor Network)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7월)
     1. 인식정보와 환경정보를 모두 감지한다.
     2. 필요한 모든 곳에 센서를 부착하고 이를 통해 정보를 수집한다.
     3. 실시간으로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4. 뱃치(Batch)적으로 정보를 공유한다.
     5. 무선으로 정보를 수집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92. 유통업체에서 업무 혁신을 위해 도입하고 있는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8월)
     1. 고객과 관련된 반복적인 질의에 대응하는 업무를 정해진 규칙에 따라 처리할 수 있도록 자동화시켜 준다.
     2. 업무처리 속도가 매우 빠르고 업무 효율성이 매우 높다.
     3. 최근 데이터에 기반한 학습을 통해 스스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이 RPA 시스템에 이용되는 추세이다.
     4. 음성 변환 기술을 활용해서 보다 많은 고객들의 요구사항에 효율적으로 응대할 수 있도록 발전하고 있다.
     5. 설계적 오류나 병목현상 발생 시, 자동으로 프로세스를 변경할 수 있으며, 다양한 요구에 유연하게 변경가능하여 복잡한 업무 자동화에 적합하다.

     정답 : []
     정답률 : 54%

93. 인터넷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7월)
     1. 인터넷은 개방적인 네트워크이다.
     2. 인터넷을 통하여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3. 인터넷은 특정한 소유자나 운영자가 특정한 형식이나 양식에 따라 운영되는 네트워크이다.
     4. 인터넷은 양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한 네트워크이다.
     5. 인터넷은 이용에 따른 비용이 저렴한 매우 경제적인 네트워크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4. 아래 글상자가 뜻하는 보안설정기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0년 06월)

    

     1. 인터넷 쿠키(internet cookie)
     2. 윈도우 방화벽(windows firewall)
     3. 인프라이빗 브라우징(inprivate browsing)
     4. 윈도우즈 디펜더(windows defender)
     5. 스마트 스크린 필터(smart screen filter)

     정답 : []
     정답률 : 53%

95. 아래 글상자의 괄호 안에 공통적으로 들어갈 용어로 가장 옳은 것은?(2023년 08월)

    

     1. OTO
     2. Open API
     3. data visualization
     4. data service
     5. data set

     정답 : []
     정답률 : 25%

96. 의사결정지원시스템(DSS: Decision Support System)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7월)
     1. 운영관리 및 중간관리층에서 거래정보를 취합하여 관리해 줌으로써 구체적이고 정확한 자료 관리를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의사결정 시 정보기술이 필요한 이유는 많은 의사결정에는 시간적 제약이 있으므로 필요 정보를 신속하게 수작업으로 처리하는 것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비효과적 및 비효율적이기 때문이다.
     3. 의사결정지원시스템에서 제시하는 대안이 문제 해결의 답이 아니라 보조적인 지식일 수도 있고 답안을 제시하더라도 문제의 해답이라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4. 전통적인 데이터 처리와 경영과학의 계량적 분석 기법을 통하여 의사 결정자가 보다 손쉽고 정확하게 그리고 신속하고 다양하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정보 시스템 환경을 제공한다.
     5. 의사결정지원시스템 중 보고 및 조회시스템의 특이사항 보고는 과거의 실적 자료에 기초하여 기업 활동의 성과를 계량화하여 사전에 설정된 적정치와 비교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7. 다음 글상자에서 설명하고 있는 용어로 가장 옳은 것은?(2016년 07월)

    

     1. EPC
     2. 로제타넷(RosettaNet)
     3. VMI
     4. QR
     5. ECR

     정답 : []
     정답률 : 62%

98. 유통업체의 통합정보자원관리를 위한 ERP 시스템 구현과정에서 중요한 데이터 마이그레이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2년 08월)
     1. 데이터 추출: 레거시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꺼내는 작업이다.
     2. 데이터 정제: 새로운 도메인의 데이터를 레거시 시스템에 추가하기 위한 작업이다.
     3. 데이터 수집: 데이터를 새로운 ERP 시스템으로 옮기는 작업이다.
     4. 데이터 일치: 데이터를 ERP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수정하는 작업이다.
     5. 데이터 운반: 외부로부터 유입된 데이터를 기업 표준으로 변환하는 작업이다.

     정답 : []
     정답률 : 40%

99. 아래 글상자의 괄호 안에 들어갈 용어로 가장 옳은 것은?(2025년 08월)

    

     1. HC(Hallucination Case)
     2. sLLM(small Large Language Model)
     3. LLM(Large Language Model)
     4.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5. NLG(Natural Language Generation)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0. 유통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기획 단계에 수행해야하는 것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1년 08월)
     1. 유통정보시스템 통제 방안 마련
     2. 유통정보시스템 분석 및 설계
     3. 유통정보시스템의 문제점 파악 및 개선작업
     4. 유통정보시스템 요구사항 분석
     5. 유통정보시스템의 단계적 실무 적용

     정답 : []
     정답률 : 45%


정 답 지

유통관리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582999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유통관리사 1급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유통경영


1. 조직행동연구나 소비자행동연구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동기이론 중에서, 아래의 내용은 무엇과 관련된 내용인가?(2013년 07월)

   

     1. ERG이론
     2. 2요인이론
     3. 성숙이론
     4. 욕구단계이론
     5. 공정성이론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 SWOT 분석에서 약점(weakness)에 해당하는 사례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8월)
     1. 취약한 재무구조
     2. 불분명한 전략방향
     3. 낮은 생산성
     4. 쇠퇴하는 시장
     5. 비효율적인 인력운영

     정답 : []
     정답률 : 63%

3. 유동부채와 관련된 기본적인 계정과목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6월)
     1. 외상매입금은 일반적인 상거래를 통해 발생한 외상으로 인한 채무이다.
     2. 미지급금과 외상매입금을 묶어서 매입채무라고 한다.
     3. 영업외 활동에서 외상구입으로 발생한 채무는 미지급금이다.
     4. 상품을 판매하기로 하고 계약금으로 대금 중 일부를 미리 받은 금액은 선수금이다.
     5. 해당 회계기간에 발생한 비용 중 현금을 지급하지 않은 부분은 미지급금이다.

     정답 : []
     정답률 : 54%

4.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상 재무제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7월)
     1. 경영진은 재무제표를 작성할 때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가능성을 평가해야 한다.
     2. 재무제표는 기업의 재무상태, 재무성과 및 현금흐름을 공정하게 표시해야 한다.
     3. 재무제표의 목적은 광범위한 정보이용자의 경제적 의사결정에 유용한 기업의 재무상태, 재무성과와 재무상태 변동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4. 전체 재무제표는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현금흐름표를 말한다.
     5. 각각의 재무제표는 전체 재무제표에서 동등한 비중으로 표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K-IFRS는 “손익계산서”라고 하지 않고 포괄손익계산서(Statement of Comprehensive Income)”를 사용.
그리고 추가적으로 주석(Notes)도 반드시 포함해야 전체 재무제표가 됨.
[해설작성자 : 블랙멜론]

5. “최저임금법” (법률 제15666호, 2018. 6. 12., 일부개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동거하는 친족만을 사용하는 사업과 가사(家事) 사용인에게는 적용하지 않는다.
     2. 최저임금은 근로자의 생계비, 유사 근로자의 임금, 노동생산성 및 소득분배율 등을 고려하여 정한다.
     3. 최저임금액은 시간ㆍ일(日)ㆍ주(週) 또는 월(月)을 단위로 하여 정한다.
     4. 선원과 선원을 사용하는 선박의 소유자에게는 적용하지 않는다.
     5. 최저임금위원회는 매년 8월 5일까지 최저임금을 결정 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7%

6. 리더의 역할은 사회 환경에 맞춰 변해오고 있는데 패런(C. Farren)과 케이(B. Kaye)가 주장한 현대적 리더의 특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7월)
     1. 직업의 가치와 일에 대한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돕는 지원자의 역할
     2. 조직과 관련된 주요 사항을 결정하며 권력에 의존하는 관리자의 역할
     3. 직원들의 작업 수행평가 기준과 기대치를 명확히 하는 평가자의 역할
     4. 기업이나 해당 산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예측자의 역할
     5. 경력개발을 위한 행동계획을 이행하는데 필요한 자원을 연계시켜주는 격려자의 역할

     정답 : []
     정답률 : 92%

7. “소비자기본법”(법률 제15696호, 2018. 6. 12., 일부 개정)에 의하면 국가는 소비자가 사업자와의 거래에 있어서 표시나 포장 등으로 인하여 물품 등을 잘못 선택하거나 사용하지 아니하도록 표시기준을 정하여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이러한 표시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사용방법, 사용ㆍ보관할 때의 주의사항 및 경고사항
     2. 표시의 크기ㆍ위치 및 방법
     3. 물품 등에 따른 불만이나 소비자피해가 있는 경우의 처리기구 및 처리방법
     4. 시각장애인을 위한 표시방법
     5. 물품 등을 제조한 생산자의 성명

     정답 : []
     정답률 : 67%

8. 조직의 지도원리 중 하나인 효과성(effectiveness)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결정된 목표를 달성하는 정도를 말한다.
     2. 적절한 목표를 설정하는 능력을 포함한다.
     3. 결국 어떻게 일을 할 것인가 보다는 어떤 일을 할것이냐를 중요시하는 개념이다
     4. 일을 제대로 하는 것(doing things right)과 관련이 있다.
     5. 조직구성원의 성취노력에 대해 제공되는 반대급부에 대해 구성원이 느끼는 만족의 정도도 포함된다.

     정답 : []
     정답률 : 57%

9. 통제·효율성을 강조하여 설계된 조직을 수직적 조직, 의사소통·조정을 강조하여 설계된 조직을 수평적 조직이라고 할 경우, 수직적 조직이 수평적 조직보다 유리한 경우로서 옳은 것은?(2021년 08월)
     1. 다양한 학습이 필요한 경우
     2. 과업이 세분화, 분업화되어 있는 경우
     3. 조직계층의 구분이 느슨한 경우
     4. 권한위양이 대폭적으로 이루어진 경우
     5. 다수의 팀과 태스크포스가 존재하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64%

10. 아래 글상자에서 설명하는 기업구조조정행위로 가장 옳은 것은?(2025년 08월)

    

     1. 분리설립
     2. 흡수합병
     3. 신설합병
     4. 기업인수
     5. 기업통합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 조직(organization)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3년 07월)
     1. 조직에서 복잡성이란 조직 내 분화의 정도를 의미하며, 이러한 분화의 형태로 수평적 분화와 수직적 분화 등을 들 수 있다.
     2. 조직도는 조직에 있어서의 직위 및 직위 상호 간의 공식적 관계를 단순한 도표로 나타낸 것을 말하며, 기업은 이 공식적인 조직도를 이용하여 조직을 운영하다.
     3. 조직에서 분화는 ‘전체과업을 더 작은 과업단위로 세분하는 것’을 말하고, 한사람이 모든 작업을 수행한다는 것은 극히 어렵기 때문에 필요하다.
     4. 분권화는 자율적인 선택을 위한 공식적인 권한이 어떤 개인, 단위 혹은 계층에 집중되는 정도로 종업원이 작업에 최소한 개입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비공식적 조직이 아닌 공식적 조직에만 관심을 갖는다.
     5. 공식화는 비공식화에 대칭되는 의미이며, 공식화와 비공식화는 같은 연속선상에서 함께 표시될 수 있는 상대적 수준의 문제이므로 공식화와 비공식화를 획일적으로 규정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2. ( A )와 ( B )에 들어갈 용어로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2016년 07월)

    

     1. 영업이익, 자기자본비용
     2. 세후순영업이익, 총자본비용
     3. 세후순영업이익, 자기자본비용
     4. 세후순영업이익, 타인자본비용
     5. 영업이익, 총자본비용

     정답 : []
     정답률 : 76%

13. 연봉제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8월)
     1. 임금결정의 공정화
     2. 상급관리자의 경영의식 강화
     3. 임금체계의 단순화
     4. 동기부여 및 근무의욕 고취
     5. 협동적인 분위기

     정답 : []
     정답률 : 41%

14. 태도(attitude)를 다차원적 개념으로 접근할 경우, 3가지구성요소를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2017년 07월)
     1. 인지(cognition)적 요소 - 감정(affection)적 요소 - 행동(behavior)적 요소
     2. 지각(perception)적 요소 - 감정(affection)적 요소 - 평가(evaluation)적 요소
     3. 인지(cognition)적 요소 - 감정(affection)적 요소 - 평가(evaluation)적 요소
     4. 지각(perception)적 요소 - 인지(cognition)적 요소 - 행동(behavior)적 요소
     5. 지각(perception)적 요소 - 감정(affection)적 요소 - 행동(behavior)적 요소

     정답 : []
     정답률 : 67%

15. 학습이론과 관련된 아래의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학습은 직·간접적인 경험을 통하여 발생한다.
     2. 행위수정이론(behavioral modification perspective)은 학습이론과 관련이 없다.
     3. 학습에 의한 행동변화는 상당기간 지속되어야 한다.
     4. 학습이론은 행위주의학파와 인지론학파간의 치열한 논쟁 속에서 발전해 왔다.
     5. 학습이론은 고전적 조건화 이론, 즉 자극-반응주의 이론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63%

16. 아래 글상자는 어떤 비율에 대한 설명인가?(2018년 07월)

    

     1. 이자환수비율
     2. 이자회전비율
     3. 이자보상비율
     4. 이자상환비율
     5. 이자회수비율

     정답 : []
     정답률 : 60%

17. 손익분기점과 관련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7월)
     1. 제품의 단위당 공헌이익이 총고정원가를 회수하는데 사용된다고 본다.
     2. 손익분기점은 적자를 면하는 최소한의 매출량을 말하며 이는 미래 수익발생능력의 안전도를 평가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3.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면 고정비의 비율이 높을수록 손익분기매출액은 늘어난다.
     4. 안전율(MS : margin of safety)이란 기업이 손실 없이 조업을 단축할 수 있는 여유를 보여주는 척도이다.
     5. 매출량이 손익분기점 이하로 예상될 때는 하청생산 보다는 자체생산을 강화하는 것이 좋다.

     정답 : []
     정답률 : 77%

18. 유통기업의 경영자에게 요구되는 변혁적 리더십(transformational leadership)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7월)
     1. 변혁적 리더들은 부하들의 본보기가 될 수 있도록 행동하여 부하들로부터 존경과 신뢰를 받는다.
     2. 변혁적 리더들은 부하들에게 일에 대한 의미와 도전을 제공하여 자신의 주변 사람들에게 동기를 부여한다.
     3. 변혁적 리더들은 부하들로 하여금 새로운 아이디어와창의적 문제해결을 요구하며, 부하들이 문제해결과정에 참여하도록 한다.
     4. 변혁적 리더들은 부하들을 개인적으로 지도하면서 부하 개개인의 발전 및 성장에 대한 욕구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인다.
     5. 변혁적 리더들은 부하들에게 보상과 처벌을 통한동기부여 방법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19. 아래 글상자는 재고에 대한 총마진수익률(GMROI)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괄호 안에 들어갈 용어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으로 옳은 것은?(2023년 08월)

    

     1. ㉠ 총마진, ㉡ 순이익
     2. ㉠ 순이익, ㉡ 총자산
     3. ㉠ 총자산, ㉡ 순이익
     4. ㉠ 순매출액, ㉡ 총마진
     5. ㉠ 총마진, ㉡ 순매출액

     정답 : []
     정답률 : 22%

20. 업태개발의 추진 방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7월)
     1. 특정 고객층을 선정하여 그들이 만족할 수 있는 점포를 만들필요가 있다.
     2. 상품 구색 전환의 목적은 양적으로 풍부한 제품의 확보만을 의미한다.
     3. 고객과의 우호관계를 통해 고정고객을 확보, 유지 하는 것이 중요하다.
     4. 영업의 표적에 따라 동일한 업종이라도 경쟁 상황을 완화할수도 있다.
     5. 점포개념이 명확하다는 것은 누구에게 무엇을 어떻게 제공할까를 분명히 하는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과목 : 물류경영


21. 물류센터(Logistics center)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3년 07월)
     1. 물류센터의 위치(입지)는 화물의 흐름을 잘 고려하여 결정해야 하며,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화물(Product), 질적 요인(Quality), 경로(Route), 서비스와 시간(Service and Time)의 5가지 중요한 요소(PQRST)를 분석한다.
     2. 물류센터는 배송시간과 배송비용의 절감을 위해 상품의 수요가 많은 지역에 있어야 하고, 상품의 대량보관 보다 효율적인 물류배분에 초점을 맞추어 위치를 선정해야 한다.
     3. 일정지역에서는 집하 후 물류센터에서 분류하여 해당지역의 물류센터들로 수송하고, 일정지역에서는 물류센터에서 분류작업 없이 해당지역의 물류센터로 바로 직송하는 방식을 Hub & Spoke방식과 Point-to-Point방식의 혼합방식이라고 한다.
     4. 물류시스템은 크게 물류경로(link: 수배송)와 물류거점(node: 연결점)으로 구성되어 있고, 고객 서비스, 고객 주문사이클, 수요예측 등은 직접적인 구성요소이다. 물류거점은 철도역, 항만, 트럭터미널 등사회간접자본으로 정비되어 있다.
     5. 물류센터 내에서 분류시스템(Sorting system)이란 상품을 유형별로 분류하는 작업을 말한다. 이는 물건의 크기와 수량에 따라 분류할 수도 있고, 고객별로 분류할 수도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2. 원거리 수배송품 포장 시 고려하여야 할 포장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7월)
     1. 포장할 물품의 성질 및 형태를 분석하여 그 물품에 적합한 포장양식을 고안하여야 한다.
     2. 취급 및 보관에 적합하도록 포장물을 안배하여 포장용기의 용적 및 중량을 적절하게 하여야 한다.
     3. 동종물품의 포장에 적합한 방법을 개발하여 지속적으로 사용하도록 하여야 한다.
     4. 외장상 화인 및 상품표기에 관한 자국이나 외국의법률 및 관습에 정통하여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5. 포장재료의 선택에 있어서는 내항성에 중점을 둘 필요는 없다.

     정답 : []
     정답률 : 94%

23. 국제복합운송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7월)
     1. 국가간 물품운송을 복수의 수송수단에 의해 항만에서 항만까지의 일관수송을 지향하는 수송방식이다.
     2. 독립된 단일의 복합운송인이 화주와 복수의 운송 계약 하에 복합운송서류를 발행한다.
     3. 둘 이상의 운송방식 가운데 반드시 해상운송이나 내수운송이 포함되어야 한다.
     4. 화주에게 투명한 운임을 제공하기 위하여 전운송 구간별로 운임을 분리하여 제시하여야 한다.
     5. 전운송구간 내지 전운송기간에 걸쳐 화물에 대해 책임을 지는 전구간 단일운송책임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4. 컨테이너선을 항만 내에 계선시키는 시설을 갖춘 접안장소를 무엇이라 하는가?(2013년 07월)
     1. Apron
     2. Marshalling Yard
     3. CY(Container Yard)
     4. CFS(Container Freight Station)
     5. Berth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5. 기업의 재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7월)
     1. 생산단위원가를 낮추기 위하여 기업이 대량생산을 하므로 재고가 발생한다.
     2. 운송에 대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대량운송을 하기 때문에 기업의 재고가 발생한다.
     3. 원자재 부족으로 인한 생산중단을 피하기 위해기업은 일정 재고를 보유한다.
     4. 미래의 가격인상, 인도 지연, 파업 등 위험회피를 위해 기업은 재고를 보유한다.
     5. 기업 재무측면에서 자본효율을 높이기 위해 기업이재고수준을 높이는 것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정답 : []
     정답률 : 94%

26. RFID가 바코드에 비해 가지는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8월)
     1. 정보간의 충돌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여러정보를 동시에 판독할 수 있다.
     2. 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의 수정이 가능하다.
     3. 전파를 이용하여 정보를 판독하므로 원거리에서도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4. 보다 많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5. 정보인식 시간은 다소 길지만 보다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0%

27. 아래 글상자에서 설명하는 물류조직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5년 08월)

    

     1. 사업부형 물류조직
     2. 직능형 물류조직
     3. 라인스탭형 물류조직
     4. 그리드형 물류조직
     5. 독립형 물류조직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8. A기업의 연간 물품 구매액은 $1,000이다. 주문비용은 1회 당 $25가 발생하고, 물품의 재고 보유비용은 물품 가격의 20%이다. 개당 물품 가격이 $5라고 하면 경제적 주문량(EOQ)은 얼마인가?(2018년 07월)
     1. 1,000
     2. 223
     3. 158
     4. 100
     5. 50

     정답 : []
     정답률 : 69%

29. 공동수배송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7월)
     1. 기업의 영업기밀유지
     2. 운송대형화로 인한 경제성 향상
     3. 교통체증 감소
     4. 동일지역 및 동일수하인에 대한 중복방문 제거로 상품 인도업무 효율화
     5. 다양한 거래처 물량으로 인해 상품의 계절적 수요 변동에 따른 차량수요 기복 완화

     정답 : []
     정답률 : 73%

30. 아래 글상자의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3년 08월)

    

     1. 기업형 물류조직
     2. 독립형 물류조직
     3. 직능형 물류조직
     4. 그리드형 물류조직
     5. 사업부제 물류조직

     정답 : []
     정답률 : 42%

31. 물류센터 운영 효과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7월)
     1. 효과적인 배송체제 구축
     2. 공장과 물류센터 간에 대량 및 계획운송을 통한 운송비 절감효과
     3. 물류거점의 조정을 통해 중복운송이나 교차운송 방지
     4. 과잉재고 및 재고편재 방지
     5. 물류센터를 판매거점화하면 제조업체의 직판체제의 확립은 가능하나 유통경로는 복잡해지고 길어지는 문제 발생

     정답 : []
     정답률 : 84%

32. 재고의 공간적 배치와 관련된 기능으로, 물류거점별로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형태별 분류와 배송을 가능하게 해 주는 관리의 기능은?(2018년 07월)
     1. 유통가공기능
     2. 경제적발주기능
     3. 운송합리화기능
     4. 수급적합기능
     5. 생산의 계획 및 평준화기능

     정답 : []
     정답률 : 61%

33. 물류정책기본법 (법률 제14541호, 시행 2019.3.19.) 제2조 정의에 나오는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6월)
     1. 화물의 운송, 보관, 하역을 위한 시설을 물류시설이라 한다.
     2. 효율적인 물류활동을 위하여 시설, 장비, 정보, 조직 및 인력 등이 서로 유기적으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연계된 집합체를 물류사업체라 한다.
     3. 물류 또는 화주기업들이 물류활동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물류에 필요한 각종 시설이나 장비 등을 공동으로 이용하는 것을 물류공동화라 한다.
     4. 원활한 물류를 위하여 시설 및 장비를 통일하고 단순화하는 것은 물류표준화이다.
     5. 물류터미널이나 창고 등의 물류시설을 운영하는 물류시설운영업은 물류사업에 속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34. 아래 글상자는 정기주문법과 정량주문법의 비교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2.
     3.
     4.
     5.

     정답 : []
     정답률 : 80%

35.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률([시행 2014. 1.28.][법률 제12375호, 2014.1.28.,일부개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정의 중 물류단지개발사업에 속하지 않은 것은?(2014년 07월)
     1. 물류시설 용지 및 지원시설 용지의 조성사업
     2. 도로· 철도· 궤도· 항만 또는 공항시설 등의 건설사업
     3. 전기· 가스· 용수 등의 공급시설과 전기통신설비의 건설사업
     4. 하수도, 폐기물처리시설, 그 밖의 환경오염방지시설 등의 건설사업
     5. 타인의 수요에 따라 자기의 명의와 계산으로 타인의 물류시설· 장비 등을 이용하여 수출입화물의 물류를 주선하는 사업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6. 보관의 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7월)
     1. 높이 쌓기의 원칙 : 물품을 고층으로 적재하는 것으로 파렛트 등을 이용하여 용적효율을 향상
     2. 위치표시의 원칙 : 보관품의 장소와 선반 번호 등의 위치를 표시함으로써 업무의 효율화 증대
     3. 명료성의 원칙 : 시각적으로 보관품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보관하는 원칙
     4. 네트워크 보관의 원칙 : 물품의 정리와 출고가 용이하도록 관련 품목을 한 장소에 모아서 보관하는 원칙
     5. 통로대면보관의 원칙 : 보관할 물품의 장소를 회전정도에 따라 정하는 것으로 입출하 빈도의 정도에 따라 보관 장소 결정

     정답 : []
     정답률 : 67%

37. 컨테이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8월)
     1. 컨테이너의 CSC Safety approval(안전승인판)에는 승인국, 승인번호, 승인년도, 컨테이너 제조자 일련번호 등이 기재되어 있다.
     2. 냉장, 냉동뿐 아니라 보냉을 위해 일정 온도를 유지시키기도 한다.
     3. 컨테이너 포괄리스는 컨테이너리스 계약기간 중 사용개수에 구속받을 필요가 없다.
     4. 컨테이너 편도리스는 일방통행의 임차로서 도착지에서 공컨테이너를 리스회사에 반납하는 계약이다.
     5. 플랫폼 컨테이너는 지붕과 벽을 제거하고 고정을 위한 기둥과 버팀대만을 두어 기계류나 목재, 승용차 종류를 수송하기 위한 컨테이너이다.

     정답 : []
     정답률 : 53%

38. 물류의 7R 원칙에 가장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3년 07월)
     1. Right Quality
     2. Right Price
     3. Right Safety
     4. Right Time
     5. Right Place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9. 극동지역에서 벤쿠버 또는 시애틀까지 해상운송하고 캐나다 철도를 이용하여 몬트리올까지 운송한 다음 해상운송을 이용하여 유럽까지 운송하는 복합운송체제로 옳은 것은?(2015년 07월)
     1. SLB(Siberian Land Bridge)
     2. CLB(Canadian Land Bridge)
     3. MLB(Mini Land Bridge)
     4. TCR(Trans China Rail)
     5. IPI(Interior Point Intermodal)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0. e-SCM의 효과에 대한 것으로 가장 잘못된 것은?(2013년 07월)
     1. 정보의 실시간 전달
     2. 거래투자비용의 최소화
     3. 자동보충을 통한 재고감소
     4. 리드타임 증가
     5. 생산물 부품의 적시 조달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과목 : 상권분석


41. 상권분석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7월)
     1. 상권의 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선정한 후 이를 기준으로 하여 평가하는 방법은 서술적방법에 속한다.
     2. 지역 내의 공간구조를 기초로 상권중심지와 배후상 권등의 구조를 설명하는 방법은 규범적 모형이다.
     3. 자사의 신규점포와 비슷한 유사점포를 선정하여 특성을 분석한 후 신규점포에 적용하는 방법은 서술적 모형에 속한다.
     4. 실제 점포 이용고객의 주소지를 파악하여 도면에 표시한 후 상권을 확인하는 방법은 규범적 모형에 많이 쓰인다.
     5. 입지가능 지역을 선택하는 지역비율과 가능매출액 등의 개념을 이용하여 상권을 분석하는 방법은서술적방 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2. 다른 도시들의 대형매장면적의 점유율은 25% 수준이고, 현재 A도시 전체 소매업의 매장면적은 2,000,000m2이며 이 중에서 대형매장면적의 비율은 23%라고 가정하자. 점유율 지표 이용법을 활용하여 산출한 A도시에 추가 진입이 가능한 대형점의 매장면적은 얼마인가?(2015년 07월)
     1. 약 32,000m2
     2. 약 43,500m2
     3. 약 53,000m2
     4. 약 62,000m2
     5. 약 75,000m2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3. 소매점이 집적하게 되면 경쟁과 양립의 이중성을 갖게 되므로 가능하면 양립을 통해 상호이익을 추구하는 것이 좋다. 다음 중 양립과 관련이 적은 것은?(2013년 07월)
     1. 시장세분화와 표적시장 선정
     2. 누적효과
     3. 차별화
     4. 차단효과
     5. 보충효과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4. 상권 및 입지분석과정에서 점포의 위치와 소비자의 분포 분석을 통해 관찰할 수 있는 거리감소효과(distance decay effect)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8월)
     1. 일반적으로 점포로부터 멀어질수록 고객의 밀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말한다.
     2. 유사점포법, 회귀분석법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3. 고객점표(CST) 지도를 이용하면 쉽게 관찰할 수 있다.
     4. 거리 마찰에 따른 비용과 시간의 증가율 때문에 발생한다.
     5. 거리조락현상 또는 거리체증효과라고도 한다.

     정답 : []
     정답률 : 53%

45. 중심성지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7월)
     1. 중심성지수는 소매업의 공간적 분포를 설명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지표이다.
     2. 중심성지수는 소매업이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다는 것을 기본 가정으로 하고 있다.
     3. 특정지역의 총 소매판매액을 일인당 구매액으로 나눈 값과 거주인구를 비교한 값이다.
     4. 중심성지수의 값이 1이 되는 경우는 외부유동인구가 없는 고립된 지역일수도 있다.
     5. 일반적으로 주위에 점포가 많이 없는 지역은 1보다 낮은 값을 가지게 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6. Huff 모델에 관한 특징이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7월)
     1. 실제 소비자의 선택자료를 토대로 하는 공간상호작용 모형의 한 종류이다.
     2. 거리와 점포의 유인력을 이용하는 점은 Reilly 모델과 유사하다.
     3. 상권을 분석하면서 결정론적 접근보다 확률론적인 접근을 시도한다.
     4. 특정 하부지역(zone) 소비자의 점포별 효용을 알아도 점포별 이용확률은 추정할 수 없다.
     5. 특정 지역의 개별 점포에 대한 이용자 수를 추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8%

47. 소비자가 상권내의 세 점포 중에서 하나를 골라 어떤 상품을 구매하려고 한다. 점포의 크기와 그 소비자의집에서 점포까지의 거리는 아래의 표와 같다. 수정Huff모형에 따라 세 점포에 대해 이 소비자가 느끼는 매력도의 크기를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2017년 07월)

    

     1. C > A > B
     2. A > B > C
     3. B > A > C
     4. A > C > B
     5. B > C > A

     정답 : []
     정답률 : 62%

48. 용도지역 및 용도지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7월)
     1. 건폐율은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면적의 비율로서 건축물의 과밀을 방지하고자 설정된다.
     2. 용적률은 대지면적에 대한 연면적의 비율을 의미한다.
     3. 도시지역의 용도지역은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으로 구분된다.
     4. 용도지역은 중첩하여 지정될 수 있는 반면 용도지구는 중첩하여 지정될 수 없다.
     5. 개발진흥지구는 주거, 상업, 공업, 유통물류, 관광휴양 등의 기능을 집중적으로 개발·정비하기 위해 지정된다.

     정답 : []
     정답률 : 76%

49. 상권분석에 관한 주요이론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7월)
     1. Christaller의 중심지이론에 따르면, 소비자들이유사점포 중의 한 점포를 선택할 때 그 중 가장 가까운 점포를 선택한다.
     2. Reilly의 소매중력이론에 따르면, 다양한 점포간의밀집이 개별점포의 매력도를 증가시킨다.
     3. Huff의 소매인력이론은 도시간의 상권경계를 확률적 접근으로 설명하고 있다.
     4. Reilly의 소매중력이론은 Converse가 개발한 분기점공식으로도 나타낼 수 있다.
     5. Luce의 확률적 선택모델을 이용하면 특정 점포에 대한 매력 평가라는 소비자행동적 요소를 포함시킬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9%

50. Christaller의 중심지이론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7월)
     1. 중심지의 정상이윤 확보에 필요한 최소한의 수요를 발생시키는 상권범위를 최소수요충족거리(threshold)라 한다.
     2. 상업중심지간에도 위계구조가 있다.
     3. 상업중심지가 포괄하는 상권의 규모는 도시 내의소득수준에 따라 결정된다.
     4. 중심지의 최대도달거리는 중심지에서 제공하는 상품의 가격과 소비자가 그것을 구입하는 데 드는 교통비의 영향을 받는다.
     5. 중심지란 배후주거지역에 대해 다양한 상품과서비스를 제공하며 상업, 행정 기능이 밀집된 장소를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56%

51. 쇼핑몰에 대한 다양한 분류기준을 적용할 때 몰의 유형과 특징을 바르게 연결하지 않은 것은?(2018년 07월)
     1. 수평형몰 - 바닥면적이 넓어 층단위, 또는 바닥단위로 전개되는 몰이며 수직형몰과 대비된다.
     2. 순환형몰 - 4개 내지 6개의 키 테넌트를 사방에 설치하고 중심에 커다란 코트를 설치하는 대표적인 다핵형 몰이다.
     3. 아케이드형몰 - 2동 이상의 건물 사이에 위치하여 상부에 경량의 지붕이 설치되어 외기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반외부형 몰이다.
     4. 단일형몰 - 하나의 몰로 보행동선을 구성하며 통상 양단에 키 테넌트가 위치하게 된다.
     5. 혼합형몰 - 키 테넌트와 전문점이 함께 있는 경우로 각 매장을 연결해주는 통로의 개념이 강하다.

     정답 : []
     정답률 : 62%

52. 상권구획과정에서 사용되는 기법인 티센다각형(thiessen polygon) 활용과 관련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7월)
     1. 공간독점접근법에 기반한 상권구획모형의 일종이다.
     2. 각 점포들이 차별성이 없는 상품을 판매할 때 더 유용하다.
     3. 인접하는 점포 간의 경쟁수준이 낮을수록 다각형의 크기는 작아진다.
     4. 근접구역법으로 소비자들이 가장 가까운 점포를 선택한다고 가정한다.
     5. 접근성이 소비자들의 점포선택의 가장 중요한 결정요소일 때 유용하다.

     정답 : []
     정답률 : 65%

53. 점포와의 거리에 따라 상권을 구분할 때 각 상권의 개념과 특성을 상대적으로 비교·설명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7월)
     1. 1차상권은 전체상권 중에서 점포에 가장 가까운 지역을 말하는데 매출액이나 소비자의 수에서 일반적으로 60~70% 정도를 차지하는 지역으로 그 비율은 절대적이지 않다.
     2. 2차상권은 1차상권을 둘러싸는 형태로 주변에 위치하며 소비자의 일정비율을 추가로 흡인하는 지역이다.
     3. 3차상권은 소비자의 내점빈도가 비교적 낮으며 1,2차상권에 비해 주변에 위치한 경쟁점포들과 상권중복 또는 상권잠식의 가능성이 낮은 지역이다.
     4. 1차상권이 중요한 이유는 소비자의 밀도가 가장 높은 곳이고 소비자의 충성도가 높으며 1인당 판매액이 가장 큰 핵심적인 지역이기 때문이다.
     5. 3차상권은 상권으로 인정하는 한계(fringe)가 되는 지역범위이며 지역적으로 넓게 분산되어 해당 점포를 이용하는 소비자의 밀도가 낮다.

     정답 : []
     정답률 : 64%

54. 상권분석 모델들 중에서 소비자의 점포방문 패턴을 공간상의 흐름으로 보고 이를 반영하여 특정 점포의 매출액과 상권규모를 예측하는데 활용되는 공간상호작용모델과 관련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8월)
     1. 상권분석과 관련된 공간상호작용모델에는 Huff모델, MCI모델, MNL모델 등이 있다.
     2. 매출액 등의 점포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입지변수들의 영향력을 설명하는데 유용하다.
     3. 공간상호작용이란 개념은 지리학에서 유래한 것으로 인구, 물자, 정보 등이 출발지(origin)에서 도착지(destination)로 이동하는 것을 분석한다.
     4. 소비자의 점포선택행동을 조사한 가상의 자료를 이용하여 점포의 시장점유율이나 매출액 등 경영성과를 예측하는 데 활용된다.
     5. 어느 한 점포에 대해 느끼는 효용(utility)이나 매력도(attraction)가 가장 크더라도 항상 그 점포를 선택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점포를 방문하기도 한다고 가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14%

55. A도시의 인구는 20만명, B도시의 인구는 40만명, 중간에 위치한 C도시의 인구는 6만명이다. A도시와 C도시의 거리는 5Km, C도시와 B도시의 거리는 10Km이다. 라일리(Reilly, W.J.)의 소매인력이론을 적용하여 추정할 때, C도시의 인구 중에서 A도시 상권으로 흡수되는 인구의 숫자로 가장 옳은 것은?(2023년 08월)
     1. 2만명
     2. 3만명
     3. 4만명
     4. 5만명
     5. 6만명

     정답 : []
     정답률 : 29%

56. 입지배정모델(location-allocation model)의 특성 및 용도와 관련된 항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7월)
     1. 재화 및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수요의 공간적 분포예측
     2. 기존 상권에 신규점포 추가시의 효과 분석
     3. 상권내에 위치하고 있는 기존점포의 재입지 및 폐점결정
     4. 일정 상권에 복수의 점포를 배치하는 소매점네트워크 설계
     5. 기존 상권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권내개설점포의 수 결정

     정답 : []
     정답률 : 75%

57.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법률 제17898호, 2021.1.12., 일부개정)에 따르면 상업지역은 도심기능 및 서비스 범위를 기반으로 세분화하여 지정하게 되는데 그 내용이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8월)
     1. 중심상업지역 : 도심·부도심의 상업기능 및 업무기능의 확충을 위하여 필요한 지역
     2. 일반상업지역 : 일반적인 상업기능 및 업무기능을 담당하게 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역
     3. 근린상업지역 : 근린지역에서의 일용품 및 서비스의 공급을 위하여 필요한 지역
     4. 유통상업지역 : 도시내 및 지역간 유통기능의 증진을 위하여 필요한 지역
     5. 주거상업지역 : 주거지역 인근에 일부 상업기능을 보완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역

     정답 : []
     정답률 : 53%

58. 상권분석 과정에서 활용하는 다양한 확률분석모델들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0년 06월)
     1. Huff모델과 달리 MNL모델은 Luce의 선택공리와 관련이 없는 분석방법이다.
     2. MCI모델과 수정Huff모델은 점포에 대한 객관적 변수와 주관적 변수를 모두 반영할 수 있다.
     3. MNL모델은 각 소비자의 개인별 데이터 보다는 집단별 구매행동 데이터를 활용하여 계산한다.
     4. MCI모델과 MNL모델, Huff모델은 모두 공간상호작용 모델의 대표적 분석방법으로 볼 수 있다.
     5. Huff모델과 달리 MNL모델은 일반적으로 상권을 세부지역(zone)으로 구분하는 절차를 거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47%

59. 상권과 입지를 구분하여 설명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7월)
     1. 상권은 범위(boundary), 입지는 지점(point)으로 비유하여 표현하기도 한다.
     2. 상권의 평가항목에는 소비자의 분포범위, 유효수요의 크기, 가시성 등이 있다.
     3. 상권은 점포의 매출이 발생하는 지역범위로 볼 수 있다.
     4. 입지의 평가항목에는 주차장, 지형, 층수, 편의시설, 층고, 임대료 등이 있다.
     5. 상권의 크기는 입지의 매력도에 따라 커지므로 서로비례관계가 성립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60. 소매업의 공간적 분포를 설명하는 중심성지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7월)
     1. 상업인구를 그 지역의 거주인구로 나눈 값을 중심 성지수라 한다.
     2. 중심성지수가 1이라는 것은 해당 지역의 구매력 유출과 유입이 동일하다는 뜻이다.
     3. 중심성지수는 소매업의 공간적 분포를 설명하는 것으로 소매업이 불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음을 가정한다.
     4. 소매 판매액의 변화가 없어도 해당 지역의 거주인구가 감소하면 중심성지수는 낮아지게 된다.
     5. 중심성지수가 1이라는 것은 소매판매액과 그 지역 내 거주자의 소매구매액이 동일하다는 뜻이 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과목 : 유통마케팅


61. 온라인에서 사용자가 노출된 광고를 클릭하고 랜딩 페이 지에 진입하여 광고주가 원하는 특정 행위를 한 경우 과금하는 방식으로, 획득 당 비용을 나타내는 단위로 옳은 것은?(2025년 08월)
     1. CPI(Cost Per Install)
     2. CPS(Cost Per Share)
     3. CPC(Cost Per Click)
     4. CPVC(Cost Per View and Click)
     5. CPA(Cost Per Action)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2. 아래 내용은 어떤 매입 방식에 대한 설명인가?(2015년 07월)

    

     1. 확인 매입
     2. 위탁 매입
     3. 명세 매입
     4. 사전 매입
     5. 규약에 의한 매입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3. 상품 분류체계를 설명하는 아래의 표에서 빈 칸에 들어갈 올바른 용어는?(2018년 07월)

    

     1. ㉠ 품군, ㉡ 품목, ㉢ 품종, ㉣ 단품
     2. ㉠ 품종, ㉡ 품군, ㉢ 단품, ㉣ 품목
     3. ㉠ 품목, ㉡ 품종, ㉢ 품군, ㉣ 단품
     4. ㉠ 품군, ㉡ 품종, ㉢ 품목, ㉣ 단품
     5. ㉠ 단품, ㉡ 품군, ㉢ 품종, ㉣ 품목

     정답 : []
     정답률 : 60%

64. 소매 서비스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갭분석 모형에서 설명하는 서비스 격차(gap)의 종류와 그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7월)
     1. 시장정보 갭 : 고객이 기대하는 바와 기업이 고객의 기대를 바라보는 인식의 차이에서 발생
     2. 서비스 기준 갭 : 기업이 고객의 기대를 만족시키기 위한 서비스 기준 및 시행지침을 잘못 설정하여 발생
     3. 서비스 성과 갭 : 종업원들이 적절한 매뉴얼과 지침에 따라 제대로 서비스를 이행하지 못하여 발생
     4. 커뮤니케이션 갭 : 고객에게 전달된 서비스가 그 서비스에 대한 외부 커뮤니케이션과 차이가 날 때 발생
     5. 서비스 회복 갭 : 고객의 불만 원인에 대한 이해와 그 처리가 고객이 기대하는 바와 달라서 발생

     정답 : []
     정답률 : 68%

65. 데이브 맥클루어(Dave McClure)가 제시한 고객생애주기관리를 위한 AARRR지표 중 활성화(Activation)에 해당하는 활동 및 노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4년 08월)
     1. 긍정적 사용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핵심 콘텐츠 및 서비스를 최적화한다.
     2. 유입현황과 경로를 분석하여 집중 홍보채널을 파악한다.
     3. 구매 고객 만족도 및 상품 경쟁력을 분석한다.
     4. 양질의 고객 확보 및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5. 추천이나 공유활동에 대한 리워드 방안을 수립한다.

     정답 : []
     정답률 : 33%

66. 아래 글상자에서 설명하는 가격전략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8월)

    

     1. 초기에 많은 수의 구매자들을 확보함으로써, 이들을 통하여 강력한 구전을 창출하고, 다른 구매자들의 모방행동을 유도한다.
     2. 경험효과가 큰 산업에서는 경쟁자들보다 훨씬 더 낮은 원가를 달성할 수 있게 되고, 이것을 진입장벽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3. 가격에 매우 민감한 시장의 경우 낮은 가격의 신상품이 시장 성장을 조장하여 높은 시장점유율을 달성 하도록 돕는다.
     4. 잠재구매자들이 가격-품질 연상을 강하게 갖고 있을 때 매우 유효한 전략이다.
     5. 처음에 낮은 가격을 매김으로써 구매자들의 준거 가격이 낮아졌다면, 나중에 가격을 올리고자 할 때 구매자들의 저항에 부딪힐 위험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7. High/Low 가격(pricing) 전략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8월)
     1. 충성고객을 위한 가격전략이다.
     2. 동일한 상품으로 가격에 탄력적인 고객과 비탄력적 고객 모두에게 소구할 수 있다.
     3. Low 가격전략은 고객을 자극하고, 모으는 효과가 있다.
     4. Low 가격전략은 판매가 부진한 상품에 대한 재고를 줄이는 데 있어 효과적이다.
     5. 제품 출시 시기의 High 가격전략은 고객에게 높은 품질에 대한 믿음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41%

68. 소셜커머스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6월)
     1. 오프라인 채널에 비해 낮은 가격으로 상품을 공급한다.
     2. 주 수입원은 판매금액의 일정비율을 수취하는 판매 수수료이다.
     3. 판매한 상품의 배송 및 반품처리 등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는다.
     4. 오픈마켓이나 종합몰에 비해 상품의 구색이 적은 편이다.
     5. 고객들에게 상품을 추천해주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큐레이션커머스의 형태를 띤다.

     정답 : []
     정답률 : 57%

69. 유통업체 브랜드(PB)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8월)
     1. 일반적으로 유통업체는 상품에 대한 디자인과 사양을 개발하고 그 상품을 생산해 줄 수 있는 제조업체와 계약을 한다.
     2. 제조업체 브랜드(NB)업체로부터 제공되지 않는 혁신적인 상품이나 더 나은 가치를 제공하는 상품을 유통업체 브랜드(PB)로 도입하기도 한다.
     3. 유통업체 브랜드(PB)는 저가, 저마진을 추구하는 회전율이 높은 상품 위주로 개발한다.
     4. 유통업체가 제조업체 브랜드(NB)의 벤더와 협력하여 자사 점포에서만 판매할 수 있는 상품을 개발하며 이러한 경우 NB벤더나 제조업체가 해당상품의 생산에 책임이 있다.
     5. 유통업체는 유통업체 브랜드(PB)를 통해 점포 충성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24%

70. 다음 중 상품 매입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8월)
     1. 직매입이란 협력업체에게 직접 현금 또는 그에 상응하는 대금을 지급하고 매입하여 소매업체 책임으로 판매하는 방식을 말한다.
     2. 판매분 매입이란 협력업체 상품을 소매업체 책임으로 판매하고 판매액에 따라서 상품대금을 지급하는 매입조건을 말한다.
     3. 특정매입이란 백화점 등 대형소매점에서 주로 이용하는 매입방법으로서 상품은 소매업체가 관리하고 판매대금은 판매분에 한해서 지급하는 위탁판매 방식의 일종이다.
     4. 일반적으로 유통업체 브랜드(PB)는 판매분 매입을 통한 조건부 매입방식을 택한다.
     5. 식품, 가전상품의 경우, 백화점, 대형마트 등에서는 주로 직매입방식을 택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24%

71. 인터넷 소매업의 유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7월)
     1. 인터넷 웹페이지를 통해 제품주문을 받고 오프라인매장을 통해 제품을 제공하는 인터넷 소매업은 채널지원형에 해당한다.
     2. 온라인 카테고리 킬러는 높은 브랜드 인지도를 확보하고 있어야 유리하다.
     3. 오픈마켓, 소셜커머스 등의 온라인 쇼핑업체는 상품을 구매하여 판매함으로써 마진을 수입원으로 한다.
     4. 입찰에 의해 가격결정이 이루어지는 온라인 경매형의경우, 수익은 커미션과 광고수입으로 실현된다.
     5. 수직적 포탈형은 구체적인 상품의 정보를 제공하면서소비자가 자사 사이트에서 상품을 구매하도록 유도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72. 아래 글상자에서 공통적으로 설명하는 고객특성 분석법으로 옳은 것은?(2023년 08월)

    

     1. 검색엔진 최적화
     2. 코호트 분석
     3. A/B 테스트
     4. 텍스트 마이닝
     5. 소셜네트워크 분석

     정답 : []
     정답률 : 15%

73. 아래 글상자에서 ㉠, ㉡이 설명하는 진열방식을 옳게 나열한 것은?(2020년 06월)

    

     1. ㉠ 래프트업 진열, ㉡ 수평진열
     2. ㉠ 라이트업 진열, ㉡ 수직진열
     3. ㉠ 라이트업 진열, ㉡ 점내진열
     4. ㉠ 래프트업 진열, ㉡ 점두진열
     5. ㉠ 라이트업 진열, ㉡ 수평진열

     정답 : []
     정답률 : 57%

74. SKU(stock keeping unit)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8월)
     1. 의류의 경우 SKU는 색상, 사이즈, 스타일 등의 요소가 고려되어 정해진다.
     2. 가장 말단의 상품분류단위로 상품에 대한 추적과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는 식별관리코드를 의미한다.
     3. 문자를 제외한 숫자 등의 기호로 표기되며 구매자나 판매자는 이 코드를 이용하여 특정한 상품을 지정할 수 있다.
     4. 일반적으로 상품의 바코드에 표기되는 상품 단위와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된다.
     5. 제조업체에 의해 정해지는데 업체에 따라 각기 다른 체계가 사용되기도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5. 기업이 자사제품의 경로를 설계할 때 마케팅 관리자가 고려해야 할 유통목표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2015년 07월)
     1. 고객의 전반적인 만족도
     2. 바라는 통제수준
     3. 총유통비용
     4. 경로 신축성
     5. 선택적 유통의 비용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6. 업체별 머천다이징의 지향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7월)
     1. 편의점의 머천다이징은 계절성, 편리성을 바탕으로 한 효율적 판매를 지향한다.
     2. 전품점의 머천다이징은 전문성의 표현과 개성전개, 표적의 명확화를 지향한다.
     3. 할인점은 저비용, 저마진, 대량판매의 효율성을 지향한다.
     4. 백화점은 인기성, 유행성, 생활제안형의 전개를 지향한다.
     5. 슈퍼마켓은 합리적인 상품회전율을 유지하는 머천 다이징을 지향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7. 아래 글상자에서 사용하는 촉진방법과 가장 관련성이 높은 학습이론으로 옳은 것은?(2023년 08월)

    

     1. 모방학습
     2. 수단적 조건화
     3. 관찰학습
     4. 기계적 학습
     5. 고전적 조건화

     정답 : []
     정답률 : 21%

78. 표적고객의 특성에 따른 소매유통전략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6월)
     1. 소비자가 가격에 민감하면 인터넷을 통한 직거래 유통경로의 구축을 검토한다.
     2. 근거리·소량 쇼핑을 원하면 편의점 유통에 집중한다.
     3. 시간과 공간의 제한을 받지 않고 구매하기를 원하면 온라인쇼핑을 활용한다.
     4. 쾌적한 분위기에서 쇼핑하는 것을 즐기면 백화점이나 복합쇼핑몰을 선택한다.
     5. 한번에 다양한 제품군의 상품들을 구매하기 원하면 전문양판점이나 대형마트를 선택한다.

     정답 : []
     정답률 : 43%

79. 소매 조직 구성원의 동기부여를 위한 직무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7월)
     1. 직무확대란 한 업무에서 타 업무로 주기적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을 말한다.
     2. 직무 충실화란 소매점 직원이 작업의 계획, 실행, 평가를 통제하는 정도를 증대시킴으로써 직무를 확대하는 방법을 말한다.
     3. 직무특성모형에서 과업 정체성이란 직무가 다른 사람의 인생이나 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말한다.
     4. 직무교차란 개인을 대상으로 수평적 직무를 확대하는 것을 말한다.
     5. 자율적 작업팀이란 스스로 팀을 구성하여 수평적으로 직무를 확대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80. 어느 소매점에서 6,000원에 매입한 물건을 8,000원에 판매하였다면 매가이익률(margin)은 몇 %인가?(2015년 07월)
     1. 20 %
     2. 25 %
     3. 33.3 %
     4. 40 %
     5. 50 %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1. 다음 글상자의 내용을 포괄하는 가장 적절한 용어는?(2016년 07월)

    

     1. 온덱
     2. EBPP
     3. 아마존 웰렛
     4. 스마트 카드
     5. 핀테크

     정답 : []
     정답률 : 80%

82. 유통업체에서 도입하고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유통업체들은 정보시스템 구현에 있어 기존 정보시스템 운영 환경을 보다 운영 효율성이 높은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으로 바꾸고 있다.
     2. 클라우드 컴퓨팅은 온 프레미스 시스템(on Premise System)으로 전문화된 IT 벤더에 의해 서비스를 지원받는다.
     3. 클라우드 컴퓨팅은 대표적으로 SaaS(software as a service),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PaaS(platform as a service)로 구분할 수 있다.
     4. 대표적인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급업체로는 아마존(Amozon)과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가 있다. 아마존은 클라우드서비스로 AWS(Amazon Web Service)를 제공하고 있고, 마이크로 소프트사는 애저 (Azure)를 제공하고 있다.
     5. 클라우드 컴퓨팅을 도입하면, 유통업체는 유통정보 시스템의 유지, 보수, 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4%

83. 공급사슬관리의 발전 방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8월)
     1. 공급자 주도에서 시장 주도로 변화된다.
     2. 대량 생산에서 고객 맞춤화로 변화된다.
     3. 대중 마케팅에서 일대일 마케팅으로 변화된다.
     4. 재고 기반에서 정보 기반으로 변화된다.
     5. 고객 가치 지향 생산에서 저비용 생산으로 변화된다.

     정답 : []
     정답률 : 68%

84. 일반적인 보안에 대한 위협요소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7월)
     1. 기밀성에 대한 공격
     2. 무결성에 대한 공격
     3. 부인봉쇄에 대한 공격
     4. 투명성에 대한 공격
     5. 인증에 대한 공격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5. 인터넷 조사방법의 일환인 쿠키(cookie)를 활용하는 방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7월)
     1. 쿠키는 특정 웹사이트를 방문한 소비자가 어떠한 페이지를 보았는지를 파악하는데 사용된다.
     2. 어떤 사이트들은 쿠키를 자사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의 특성 및 욕구에 맞추어 고객화 하는데 사용된다.
     3. 쿠키는 소비자들이 어떠한 사이트를 방문했는지를 파악하여 관련된 광고나 판촉활동을 지원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4. 쿠키는 동일 사용자가 여러번 Reload하게 되면 여러번 카운트되는 한계는 있으나 방문자 수통계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5. 쿠키는 개인정보를 보관하여 재방문할 때마다 방문자가 이름과 주소 등을 되풀이하여 입력할 필요가 없도록 해준다.

     정답 : []
     정답률 : 74%

86. 개인정보보호법(법률 제16930호, 2020.2.4., 일부개정)과 관련해서 괄호 안에 들어갈 용어를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3년 08월)

    

     1.
     2.
     3.
     4.
     5.

     정답 : []
     정답률 : 24%

87. 유통 빅데이터 활용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8월)
     1. 기업에서 활용하는 유통 빅데이터 형태는 텍스트, 오디오, 동영상, 문서 등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고 있다.
     2. 맵리듀스는 대량의 데이터를 분산처리하는 방식으로 일괄처리 방식인 스파크에 비해 실시간으로 빠른 처리가 가능하다.
     3. 빅데이터는 등장 초기부터 크기(volume), 속도(velocity), 다양성(variety)이라는 측면에서 전통적 데이터와 구별되는 3대 특성으로 제시되어 왔으며 최근 신뢰성, 가치, 정확성, 휘발성 등의 특성이 추가되고 있다.
     4. 데이터 분석기술의 발달로 정형데이터뿐만 아니라 비정형 데이터도 분석할 수 있게 되었다.
     5. 사물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등과 같은 첨단 기술의 발전은 빅데이터 활용 여건을 개선시켜 주었다.

     정답 : []
     정답률 : 21%

88. OLAP(Online Analytical Processing)의 주요 분석기능의 하나로 아래의 글상자가 뜻하는 기능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8년 07월)

    

     1. 피보팅(pivoting)
     2. 드릴 업(drill up)
     3. 드릴 다운(drill down)
     4. 드릴 쓰루(drill trough)
     5. 드릴 어크로스(drill across)

     정답 : []
     정답률 : 60%

89. A사는 유통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client-server architecture) 기반으로 구축하고자 한다.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와 관련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6월)
     1.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는 서비스를 요구하는 클라 이언트와 요구사항에 대응하는 서버 간 작업과 워크로드를 분할하는 컴퓨팅 모델이다.
     2. 2계층 구조에 비해 3계층 구조가 상대적으로 더 나은 안정성과 보안향상 등 효율성을 제공한다.
     3. 프레젠테이션 로직, 비즈니스 로직, 데이터베이스로직을 클라이언트 계층(tier)에 구현한 경우를 3계층 구조라 한다.
     4. 프레젠테이션 로직은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5. 비즈니스 로직은 비즈니스 트랜잭션 과정과 데이터 저장장치에 접속하여 어떠한 데이터가 필요한지 명시해 주는 역할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42%

90. 정보를 지식으로 전환하는 데 필요한 네 가지 유형의 중요한 활동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통계적 분석
     2. 타 정보와의 비교
     3. 함축된 정보 발견
     4. 타인과의 상호작용
     5. 다른 지식과의 연관

     정답 : []
     정답률 : 43%

91. USN(Ubiquitous Sensor Network)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7월)
     1. 인식정보와 환경정보를 모두 감지한다.
     2. 필요한 모든 곳에 센서를 부착하고 이를 통해 정보를 수집한다.
     3. 실시간으로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4. 뱃치(Batch)적으로 정보를 공유한다.
     5. 무선으로 정보를 수집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92. 유통업체에서 업무 혁신을 위해 도입하고 있는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8월)
     1. 고객과 관련된 반복적인 질의에 대응하는 업무를 정해진 규칙에 따라 처리할 수 있도록 자동화시켜 준다.
     2. 업무처리 속도가 매우 빠르고 업무 효율성이 매우 높다.
     3. 최근 데이터에 기반한 학습을 통해 스스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이 RPA 시스템에 이용되는 추세이다.
     4. 음성 변환 기술을 활용해서 보다 많은 고객들의 요구사항에 효율적으로 응대할 수 있도록 발전하고 있다.
     5. 설계적 오류나 병목현상 발생 시, 자동으로 프로세스를 변경할 수 있으며, 다양한 요구에 유연하게 변경가능하여 복잡한 업무 자동화에 적합하다.

     정답 : []
     정답률 : 54%

93. 인터넷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7월)
     1. 인터넷은 개방적인 네트워크이다.
     2. 인터넷을 통하여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3. 인터넷은 특정한 소유자나 운영자가 특정한 형식이나 양식에 따라 운영되는 네트워크이다.
     4. 인터넷은 양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한 네트워크이다.
     5. 인터넷은 이용에 따른 비용이 저렴한 매우 경제적인 네트워크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4. 아래 글상자가 뜻하는 보안설정기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0년 06월)

    

     1. 인터넷 쿠키(internet cookie)
     2. 윈도우 방화벽(windows firewall)
     3. 인프라이빗 브라우징(inprivate browsing)
     4. 윈도우즈 디펜더(windows defender)
     5. 스마트 스크린 필터(smart screen filter)

     정답 : []
     정답률 : 53%

95. 아래 글상자의 괄호 안에 공통적으로 들어갈 용어로 가장 옳은 것은?(2023년 08월)

    

     1. OTO
     2. Open API
     3. data visualization
     4. data service
     5. data set

     정답 : []
     정답률 : 25%

96. 의사결정지원시스템(DSS: Decision Support System)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7월)
     1. 운영관리 및 중간관리층에서 거래정보를 취합하여 관리해 줌으로써 구체적이고 정확한 자료 관리를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의사결정 시 정보기술이 필요한 이유는 많은 의사결정에는 시간적 제약이 있으므로 필요 정보를 신속하게 수작업으로 처리하는 것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비효과적 및 비효율적이기 때문이다.
     3. 의사결정지원시스템에서 제시하는 대안이 문제 해결의 답이 아니라 보조적인 지식일 수도 있고 답안을 제시하더라도 문제의 해답이라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4. 전통적인 데이터 처리와 경영과학의 계량적 분석 기법을 통하여 의사 결정자가 보다 손쉽고 정확하게 그리고 신속하고 다양하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정보 시스템 환경을 제공한다.
     5. 의사결정지원시스템 중 보고 및 조회시스템의 특이사항 보고는 과거의 실적 자료에 기초하여 기업 활동의 성과를 계량화하여 사전에 설정된 적정치와 비교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7. 다음 글상자에서 설명하고 있는 용어로 가장 옳은 것은?(2016년 07월)

    

     1. EPC
     2. 로제타넷(RosettaNet)
     3. VMI
     4. QR
     5. ECR

     정답 : []
     정답률 : 62%

98. 유통업체의 통합정보자원관리를 위한 ERP 시스템 구현과정에서 중요한 데이터 마이그레이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2년 08월)
     1. 데이터 추출: 레거시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꺼내는 작업이다.
     2. 데이터 정제: 새로운 도메인의 데이터를 레거시 시스템에 추가하기 위한 작업이다.
     3. 데이터 수집: 데이터를 새로운 ERP 시스템으로 옮기는 작업이다.
     4. 데이터 일치: 데이터를 ERP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수정하는 작업이다.
     5. 데이터 운반: 외부로부터 유입된 데이터를 기업 표준으로 변환하는 작업이다.

     정답 : []
     정답률 : 40%

99. 아래 글상자의 괄호 안에 들어갈 용어로 가장 옳은 것은?(2025년 08월)

    

     1. HC(Hallucination Case)
     2. sLLM(small Large Language Model)
     3. LLM(Large Language Model)
     4.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5. NLG(Natural Language Generation)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0. 유통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기획 단계에 수행해야하는 것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1년 08월)
     1. 유통정보시스템 통제 방안 마련
     2. 유통정보시스템 분석 및 설계
     3. 유통정보시스템의 문제점 파악 및 개선작업
     4. 유통정보시스템 요구사항 분석
     5. 유통정보시스템의 단계적 실무 적용

     정답 : []
     정답률 : 45%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유통관리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5829998)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 자동차정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8월2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25 화훼장식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01월22일(1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24 건축설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3월0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23 워드프로세서 3급(폐지)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11월19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22 9급 국가직 공무원 전자공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4월1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21 9급 국가직 공무원 형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4월19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20 9급 지방직 공무원 토목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6월0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19 철도신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8월2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0
18 손해평가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12월0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17 굴착기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3월30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 유통관리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5829998)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15 토목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3월1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14 청소년상담사 2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8346474)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13 금형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1월25일(1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12 여성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8882550)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11 경찰공무원(순경)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2월1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10 방사선비파괴검사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9월0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9 ERP 회계 2급 이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5월2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8 조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2월13일(1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7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과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6월2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Board Pagination Prev 1 ...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Next
/ 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