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769448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컴퓨터 일반


1. 다음 중 멀티미디어의 동영상에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3월)
     1. 국제표준화단체인 MPEG에서는 다양한 규격의 압축 포맷과 부가 표준을 만들었다.
     2. 비디오 스트리밍은 인터넷에서 영상파일을 다운로드 하면서 실시간 재생하는 기법이다.
     3. MIDI는 애플사에서 개발한 동영상 압축 기술로 시퀀싱 작업을 통해 작성된다.
     4. AVI는 Windows에서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표준 동영상 파일 형식으로 별도의 하드웨어 장치 없이 재생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MIDI는 컴퓨터와 전자악기간 통신규약으로 16개 이상의 악기를 동시에 연주할 수 있으며 시퀀싱 작업(컴퓨터로 음악제작)이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dudu]

* 퀵타임 MOV (QuickTime MOV) : 애플사에서 개발한 동영상 압축 기술, JPEG압축 방식을 사용.
(Windows에서 재생하려면 'Quick Time for Windows'를 설치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JK]

MPEG : 동영상 압축기술에 대한 국제표준규격
AVI : windows에서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표준 동영상 (별도의 소프트웨어 설치필요X)
MIDI : 악기간 통신규약, 16개 이상의 악기를 동시에 연주가능
[해설작성자 : 5일남았다네~~ 이제 시작했다네~~]

MIDI : 전자음향장치, 디지털 악기 등 음악의 연주 정보 및 여러가지 기능에 대한 정보 포함하여 저장
[해설작성자 : 커말시러]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7adEjqhwSso?t=0]

2. 다음 중 컴퓨터에서 부동 소수점 연산을 위하여 사용되는 자료 표현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7월)
     1. 정규화(Normalization) 과정을 통하여 지수부와 가수부로 구성된다.
     2. 고정 소수점보다 간단하고 실행시간이 적게 걸리며 아주 큰 수나 작은 수의 표현이 가능하다.
     3. 부호 비트 양수는 0, 음수는 1로 표현한다.
     4. 실수 데이터의 표현과 연산에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부동 소수점은 대단히 큰수나 작은 수의 표현이 가능하고 속도가 느립니다.
연산속도는 고정 소수점 형식이 더 빠르고 수치 표현 범위는 부동소수점 방식이 더 넓습니다.

3. 다음 중 인터넷을 이용한 FTP(File Transfer Protocol)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10월)
     1. 멀리 떨어져 있는 컴퓨터로부터 파일을 전송 받거나 전송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2. 익명의 계정을 이용하여 파일을 전송할 수 있는 서버를 Anonymous FTP 서버라고 한다.
     3. FTP 서버에 계정을 가지고 있는 사용자는 FTP 서버에 있는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없이 실행시킬 수 있다.
     4. 일반적으로 텍스트 파일의 전송을 위한 ASCII 모드와 실행 파일의 전송을 위한 Binary 모드로 구분하여 수행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③ FTP(File Transfer Protocol)는 멀리 떨어져 있는 컴퓨터로부터 파일을 전송 받거나(다운로드) 전송하는(업로드) 서비스로서 다운로드 없이 실행은 불가능하다.
※ Anonymous(익명) FTP는 계정없이 사용 가능한 FTP(익명의 FTP, ID : Anonymous, PW: 자신의 전자우편주소)
※ Binary Mode : 텍스트(txt) 파일을 제외한 모든 파일 전송
※ ASCII Mode : 텍스트 파일 전송
[해설작성자 : 다음 카페 한방합격 정익종]

4. 다음 중 컴퓨터 방화벽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2월)
     1. 바이러스 백신은 방화벽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백신을 설치한 경우라도 방화벽은 필요하다.
     2. Windows의 방화벽은 외부로부터의 바이러스 및 웜을 차단하며 다른 컴퓨터로 바이러스를 전파하지 못하게 한다.
     3. Windows의 방화벽은 특정 프로그램에 대하여 연결 차단을 해제하기 위해 예외를 둘 수 있다.
     4. Windows의 방화벽은 사용자가 원할 경우 보안 로그를 만들어 컴퓨터에 대해 성공한 연결 시도와 실패한 연결 시도를 기록한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Windows의 방화벽은 바이러스 및 웜을 차단하는게 아니라, 알수없는 파일의 연결을 차단하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Rain]

5.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새로운 프린터의 설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10월)
     1. [프린터 및 팩스] 창에서 [프린터 추가]를 선택하여 수행되는 [프린터 추가 마법사]의 지시에 따라 설치한다.
     2. 설치한 프린터를 다른 이름으로 다시 설치할 수 없으며, 프린터 마다 개별적으로 이름을 부여하여 설치한다.
     3. 한 대의 컴퓨터에 여러 개의 로컬 프린터를 설치할 수 있으며, 한 대의 프린터를 네트워크로 공유하여 여러 대의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다.
     4. 기본 프린터는 1대만 지정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프린터도 기본 프린터로 설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2 . 한번 설치한 프린터는 다른 이름으로도 재설치가 가능 합니다
[해설작성자 : 춘천청와대]

6.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하드디스크의 파티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10월)
     1. 하나의 물리적인 하드디스크를 여러 개의 논리적인 파티션으로 나누어 사용할 수 있다.
     2. 하나의 파티션에는 한 가지의 파일 시스템만을 사용할 수 있다.
     3. 파티션으로 나누더라도 하나의 물리적인 하드디스크는 하나의 운영체제만 사용할 수 있다.
     4. 한 개의 하드디스크를 여러 개로 나눠 사용하는 것을 말하며, 파티션에는 기본 파티션과 확장 파티션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3번 하나의 물리적 하드디스크는 여러개의 운영체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부연설명 : 하나의 물리적 하드디스크를 여러개의 논리적으로 파티션한 경우에 각각의 논리적 파티션에 서로 다른 운영체제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다음카페 한방합격]

7. 다음 중 네트워크 관련 장비로 브리지(Bridge)에 관한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7월)
     1. OSI 참조 모델의 데이터 링크 계층에 속한다.
     2. 두 개의 근거리통신망을 상호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망 연결 장치이다.
     3. 통신 프로토콜을 변환하여 네트워크를 확장한다.
     4. 통신량을 조절하여 데이터가 다른 곳으로 가지 않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3. 네트워크 프로토콜과 독립적으로 작용하여
네트워크에 연결된 여러 단말들의 통신 프로토콜을 바꾸지 않고도 네트워크 확장 가능
[해설작성자 : 오늘시험인데...]

③은 게이트웨이에 대한 설명으로 서로 다른 구조와 환경으로 구성된 네트워크 간에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정보를 주고받도록 조정해 주는 하드웨어 장치로서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관문, 통로 역할을 한다.
[해설작성자 : 한방합격 정익종 컴활 인강]

브리지란
단순 신호 증폭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분할을 통해 트래픽을 감소시키며 물리적으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할 때 사용함
데이터를 양쪽 방향으로 전송만 해줄 뿐 프로토콜 변환 등 복잡한 처리는 불가능함 -> 따라서 3번은 프로토콜 변환 불가
[해설작성자 : 묭]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2sl3Pnh4dZo?t=106]

8. 다음 중 컴퓨터를 이용한 인터넷 통신과 관련하여 FTP 서비스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10월)
     1. 파일의 업로드나 다운로드 뿐만 아니라 서버에 있는 프로그램도 실행시킬 수 있다.
     2. 그림 파일을 전송할 때는 Binary Mode를 사용한다.
     3. 문서 파일을 전송할 때는 Text Mode를 사용한다.
     4. Anonymous FTP란 계정이 없는 사용자도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는 FTP 서비스이다.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FTP는 문서나 파일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원격 파일 전송 프로토콜을 칭한다.
서버의 프로그램 실행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

9. 다음 중 정보 통신망의 구성형태를 설명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3월)
     1. 망형(Mesh Topology)은 네트워크 상의 모든 노드들이 서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특정 노드에 이상이 생겨도 전송이 가능하다.
     2. 링형(Ring Topology)은 모든 노드들을 하나의 원형으로 연결하는 구조로 통신 제어가 간단하고 신뢰성이 높아 특정 노드의 이상도 쉽게 해결할 수 있다.
     3. 트리형(Tree Topology)은 하나의 컴퓨터에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확장하는 형태로 확장이 많을 경우 트래픽이 과중될 수 있다.
     4. 버스형(Bus Topology)은 모든 노드들이 하나의 케이블에 연결되어 있으며, 케이블 종단에는 종단 장치가 있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링형 : 양방향으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 회선 중 하나라도 고장(이상)시 전체 통신망에 영향을 미치며 쉽게 해결 불가능. 단말 장치의 추가/제거 및 기밀 보호가 어렵다.
[해설작성자 : 이번주시험인데]

성형(star,중앙집중형): 모든 노드가 중앙노드에 1:1로 연결되어 있는 방식으로 통신망의 처리 능력 및 신뢰성은 중앙노드의 제어장치에 의해 좌우된다. 고장발견이 쉽고, 유지 보수 및 확장이 용이하다.
[해설작성자 : 합격할수 있을까]

트리형 : 하나의 컴퓨터(나무)에 네트워크(나뭇잎)을 연결하여 확장하는 형태로 확장이 많을 경우 트래픽(나무 기둥이 꺾임)이 과중될 수 있다.
버스형 : 모든 노드(사람)들이 하나의 케이블(버스)에 연결(탑승)되어 있으며, 케이블 종단에는 종단 장치가 있어야 한다.

이렇게 외우시면 좋을거 같아요.
[해설작성자 : 컴활1급준비 수훈]

[링(Ring)형]
루프형으로 컴퓨터와 단말기들을 반지 모양 처럼 배치하여 이웃하는 것끼리 포인트 투 포인트 방식으로 연결한 것입니다.
단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단방향의 링의 경우 컴퓨터나 혹은 회선, 단말기가 고장시 전체 통신에 영향이 있습니다. (양방향인 경우에는 우회하여 통신이 가능합니다.)
단말기의 추가, 제거가 어렵고 기밀 보호가 어렵습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10.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네트워크 연결과 관련하여 [로컬 영역 연결 속성] 창에서 할 수 있는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장에서는 1,2번이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정답 처리 합니다.)(2010년 03월)
     1. 로컬 영역 연결의 사용 안 함을 설정할 수 있다.
     2. 인터넷 프로토콜(TCP/IP) 등의 네트워크 구성 요소를 설치 및 제거할 수 있다.
     3. 네트워크의 연결 상태를 작업 표시줄의 알림 영역에 표시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4. 네트워크 연결에 사용된 장치를 확인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정답 1, 2번
1번의 "로컬 영역 연결의 사용 안 함"은 속성창이 아닌 로컬 영역 연결의 바로가기 메뉴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2번은    인터넷 프로토콜(TCP/IP) 등의 네트워크 구성 요소를 설치는 할 수 있지만 제거는 할 수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한방합격 정익종]

11. 다음 중 TCP/IP 구성 내역을 테스트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08년 10월)
     1. msconfig 명령을 이용하여 TCP/IP 설정 사항을 살펴 본다.
     2. ping 127.0.0.1을 입력하여 루프백 주소를 ping해 본다.
     3. 기본 게이트웨이의 IP 주소를 ping해 본다.
     4. DNS 서버의 IP 주소를 ping해 본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msconfig 명령을 이용하여 TCP/IP 설정 사항을 살펴 볼수 없습니다.
msconfig 명령은 SYSTEM.INI, WIN.INI, BOOT.INI, 서비스,시작프로그램 을 설정하기 쉽게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12. 다음 중 클럭 주파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9월)
     1. 전류가 흐르는 상태(ON)와 흐르지 않는 상태(OFF)가 주기적으로 반복되어 작동하는데, 이 전류의 흐름을 클럭 주파수라고 한다.
     2. 1MHz는 1,000,000Hz를 의미하며, 1Hz는 1초 동안 1,000 번의 주기가 반복되는 것을 의미한다.
     3. CPU가 기본적으로 클럭 주기에 따라 명령을 수행한다고 할 때, 이 클럭값이 높을수록 CPU는 빠르게 일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4. 클럭 주파수를 높이기 위해 메인보드로 공급되는 클럭을 CPU 내부에서 두 배로 증가시켜 사용하는 클럭 더블링(Clock Doubling)이란 기술이 486이후부터 사용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1Hz : 1초동안 1번의 주기
1KHz : 1초동안 1,000번의 주기
1MHz : 1초동안 1,000,000번의 주기
1GHz : 1초동안 1,000,000,000의 주기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13.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인쇄 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프린터에서 인쇄 작업이 시작된 경우라도 잠시 중지 시켰다가 다시 이어서 인쇄할 수 있다.
     2. 여러 개의 출력 파일들의 출력대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3. 여러 개의 출력 파일들이 출력대기 할 때 출력 순서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4. 일단 프린터에서 인쇄 작업에 들어간 것은 프린터 전원을 끄기 전에는 강제로 종료시킬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Windows의 프린터 관리자 화면에서 인쇄 취소 기능을 이용하여 인쇄를 취소할수 있습니다.
(단, 이미 프린터기로 인쇄 자료가 넘어 갔다면 중단하기 어렵습니다.)
아울러 윈도우가 아닌 프린터기에 있는 취소 버튼 등을 이용하여 인쇄 작업을 중단 할수도 있습니다.
반드시 전원을 종료 해야 하는것은 아닙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14.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시스템 구성 편집기(Sysedit)로 편집할 수 있는 파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10월)
     1. win.ini
     2. config.sys
     3. admin.dll
     4. autoexec.bat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시작 => 실행]을 선택 후 "SYSEDIT" 입력 후 "실행"
: 직접 실습 요망(SYSTEM.INI, WIN.INI, CONFIG.SYS, AUTOEXEC.BAT)로 구성
[보기3] Admin.dll => 바이러스 프로그램의 일부 파일
[해설작성자: 유광현 (주)hrdm개발원]

15. 다음 중 Windows 7에서의 프린터 설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윈도우 10 검증 완료)(2015년 10월)
     1. Bluetooth 프린터를 설치하려면 컴퓨터에 Bluetooth 무선 어댑터를 연결하거나 켠 후 [프린터 추가 마법사]를 실행한다.
     2. 새로운 프린터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네트워크 프린터를 기본 프린터로 설정하려면 반드시 스풀링의 설정이 필요하다.
     3. 로컬 프린터 설치 시 프린터가 USB(범용 직렬버스) 모델인 경우에는 프린터를 컴퓨터에 연결하면 Windows에서 자동으로 검색하고 설치한다.
     4. 공유 프린터 설정 시 네트워크가 홈 그룹으로 설정되면 프린터가 자동으로 공유되며, 프린터가 연결된 컴퓨터의 전원이 켜져 있어야 프린터의 사용이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cpu는 처리속도가 빠르지만 프린터는 cpu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기에
디스크에 임시로 저장해두고 프린터가 점차적으로 받아들여서
일을 처리하게 되는데 이 과정을 스풀링이라고 한다.
[해설작성자 : 코딱지]

② 스풀링은 인쇄를 하면서 다른 작업을 병행하기 위한 설정으로 스풀을 반드시 설정해야하는 것은 아니며 또 스풀 설정은 프린트 설치과정에서 할수 없으며 설치 후 [프린트 속성]-[고급]탭에서 설정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한방합격 탑플러스 정익종]

16. 다음 중 중앙처리장치와 입출력장치 사이의 속도차이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장치는?(2017년 09월)
     1. 범용 레지스터
     2. 터미널
     3. 콘솔
     4. 채널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중앙처리장치와 입출력장치 사이의 속도차이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장치는 채널입니다.

※ 채널(channel) : 입출력장치와 중앙처리장치 사이의 속도 차이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장치
- 입출력장치와 중앙처리장치 중간에 위치해 두 장치를 연결하는 중개 역할을 담당합니다.
- 입출력 장치의 명령 실행 지시 및 지시된 명령의 실행 상황을 점검합니다.
- CPU의 명령을 받고 입출력 조작을 개시하면 CPU와는 독립적으로 조작합니다.

[해설작성자 : 자격증 따기]

범용 레지스터 : 중앙 처리 장치 내에 있는 레지스터 가운데, 계산 결과의 임시 저장, 산술 및 논리 연산 따위와 같이 여러 가지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레지스터 (레지스터:cpu내부의 일시적 기억장치. 젤 빠름).
터미널 :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여 전송하고 컴퓨터에서 생성된 정보를 눈으로 볼 수 있도록, 키보드와 디스플레이(모니터) 또는 키보드와 프린터 장치 등.
콘솔 : 컴퓨터의 조작원과 데이터 처리 시스템과의 사이에 교신을 위해 사용되는 컴퓨터 단말 장치의 하나.
[해설작성자 : 출처는 네이버 지식백과]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sF29UzgFZec?t=226]

17. 다음 중 윈도우의 폴더 옵션에서 설정하는 ‘오프라인 파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문제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모두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시험범위를 벗어났기 때문입니다. 여기서는 3번을 정답 처리 합니다.)(2008년 08월)
     1. 바탕화면에 오프라인 파일 폴더에 대한 바로 가기를 만들 수 있다.
     2.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을 때에도 네트워크에 있는 파일 및 프로그램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3. 로그온 방식이 ‘빠른 사용자 전환’인 경우에 오프라인 파일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4. 로그오프하기 전에 모든 오프라인 파일을 동기화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문제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모두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시험범위를 벗어났기 때문입니다. 여기서는 3번을 정답 처리 합니다.

18. 다음 중 보기의 네트워크 장비와 관련된 OSI 7계층으로 옳은 것은?(2010년 06월)

    

     1. 물리 계층
     2. 데이터 링크 계층
     3. 네트워크 계층
     4. 전송계층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네트워크 장비를 비교해 보면 알 수 있는 문제입니다.
위의 보기에서 허브나 리피터 등 에서 알 수 있듯이 물리계층이 답이 됩니다.
물리 계층 - 리피터, 허브
데이터링크 계층 - 스위치, 브리지
네트워크 계층 -라우터
전송 계층 - L4 스위치
[해설작성자 : 프리루나]

19. 다음 중 정보보안을 위해 사용하는 공개키 암호화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알고리즘이 복잡하며 암호화와 복호화 속도가 느리다.
     2. 키의 분배가 용이하고 관리해야 할 키의 수가 적다.
     3. 비대칭 암호화 기법이라고도 하며 대표적으로 DES가 있다.
     4.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 사용하는 키를 공개하고 복호화 할 때 키는 비밀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공개키 암호화는 비대칭 암호화 기법으로 대표적으로 RSA 기법이 존재하며,
암호화는 공개하고, 복호화는 비밀로 하는 것을 말합니다.

장점 : 키의 분배가 용이하고 관리할 키의 수가 적습니다.
단점 : 알고리즘이 복잡하고, 암호,복호화 속도가 느립니다.
[해설작성자 : 갈데까지가자]

3. 비밀키 암호화 기법중 대표적으로 DES가 있으며
     공개키 암호화 기법은 비대칭 암호화 기법이라고 하는것은 맞지만 대표적으로 RSA가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햄충]

비밀키(대칭)
1 키, 암호 복호화 키가 동일함, DES, 암호 복호화 속도 빠름, 사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키가 늘어남

공개키(비대칭)
2 키, 암호 복호화 키가 다름, RSA, 알고리즘 복잡, 암호 복호화 속도 느림, 키의 분배 용이 관리해야할 키수가 적음
[해설작성자 : 어려운컴활]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W1dQKzwkaFY?t=1733]

20. 다음 중 네트워크 운영 방식 중 하나인 클라이언트/서버 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9월)
     1.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모두 처리 능력을 가지며, 분산처리 환경에 적합하다.
     2. 중앙 컴퓨터가 모든 단말기에서 요구하는 데이터 처리를 전담한다.
     3. 모든 단말기가 동등한 계층으로 연결되어 모두 클라이언트와 서버 역할을 할 수 있다.
     4. 단방향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 처리를 위한 대기시간이 필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클라이언트/서버 방식 :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독자적 처리 능력을 보유하여 분산처리 환경에 적합하다.
중앙 집중 방식 : 모든 데이터 처리를 중앙컴퓨터에서 전담하며, 독립적 연결(포인트 투 포인트) 방식으로 유지 보수가 쉽다.
동배간 처리 방식 : 모든 컴퓨터가 동등하게 연결되어 클라이언트이면서 동시에 서버 역할이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끝까지가자]

클라이언트/서버 방식
정보를 제공해주는 서버와 정보를 제공받는 클라이언트간의 관계로써
쌍방이 모두 처리능력을 가지고있어 분산처리에 적합합니다.
그리고 유지보수가 쉽습니다.

3. 동등한계층으로 연결되는건 동배간처리(피어투피어)입니다.
[해설작성자 : (인천 명문 도원학원 032-886-8805)킹갓민경]

클라이언트/서버 방식-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와 정보를 요구하는 클라이언트로 구성. 서버와 클라이언트 모두 처리능력을 가지고 있어 분산처리환경에 적합함.
2번 : 중앙집중방식
3번 : 동배간 처리 방식
[해설작성자 : 하루벼락치기 도전중]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W1dQKzwkaFY?t=2023]

2과목 : 스프레드시트 일반


21. 다음 중 [A1] 셀에 =SUMPRODUCT({1,2;3,1},{1,2;3,1})로 수식을 입력하고 <Enter> 키를 눌렀을 때의 결과 값으로 옳은 것은?(2008년 10월)
     1. 24
     2. 70
     3. 36
     4. 15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1*1=1, 2*2=4, 3*3=9, 1*1=1
다 더하면 15가 됩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22. 다음 중 자동 필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10월)
     1. 데이터에 필터를 적용하면 지정한 조건에 맞는 행만 표시되고 나머지 행은 숨겨지며, 필터링된 데이터는 다시 정렬하거나 이동하지 않고도 복사, 찾기, 편집 및 인쇄를 할 수 있다.
     2. ‘상위 10’ 자동 필터는 숫자 데이터 필드에서만 가능하고, 문자 데이터 필드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3. 자동 필터를 사용하면 목록 값, 서식, 조건으로 세 가지 유형의 필터를 만들 수 있는데, 각 셀 범위나 표 열에 대해 적용할 필터의 유형을 선택적으로 두 가지 이상 적용할 수 있다.
     4. 필터의 결과는 레코드(행) 단위로 추출된다.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자동 필터는 한 번에 한 가지 유형의 필터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스누피부부]

23. 다음 중 VBA에서 프로시저(Procedur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10월)
     1. 특정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명령문들의 집합이다.
     2. 사용자가 직접 기록한 매크로도 프로시저로 기록된다.
     3. Sub ∼ End Sub 프로시저는 명령문들의 실행 결과를 반환한다.
     4. 하나 이상의 프로시저들을 이용하여 모듈을 구성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결과를 반환하는 프로시저는 Function 프로시저입니다.
[해설작성자 : 솔로몬컴퓨터교습소]

24. 다음 고급 필터의 검색 기준의 의미로 옳은 것은?(2006년 07월)

    

     1. 회사가 (주)한성이고 연봉이 25,000,000 이상이고 종업원 수가 500 이상이고 업종이 네트워크인 경우
     2. 회사가 (주)한성이거나 연봉이 25,000,000 이상이고 종업원 수가 500 이상이고 업종이 네트워크인 경우
     3. 회사가 (주)한성이거나 연봉이 25,000,000 이상이거나 종업원 수가 500 이상이고 업종이 네트워크인 경우
     4. 회사가 (주)한성이고 연봉이 25,000,000 이상이고 종업원 수가 500 이상이거나 업종이 네트워크인 경우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회사와 연봉은 떨어져 있기 때문에 "이거나" 연봉과 종업원수도 떨어져 있기 때문에 "이거나" 종업원수와 업종은 붙어 있기 때문에 "이고" 따라서 이거나, 이거나, 이고를 찾으면 정답은 3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25. 다음 중 엑셀의 화면 제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3월)
     1. 두 개 이상의 파일을 함께 보려면 [창]-[정렬] 메뉴를 이용한다.
     2. 확대/축소 배율은 지정한 시트에만 적용된다.
     3. [도구]-[옵션]의 [일반] 탭에서 'IntelliMouse로 화면 확대/축소' 옵션을 체크하면 <Ctrl>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마우스의 스크롤 버튼만으로 화면의 축소 및 확대가 가능하다.
     4. 틀 고정에 의해 분할된 왼쪽 또는 위쪽 부분은 인쇄 시 반복할 행과 반복할 열로 자동 설정된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4.자동으로 설정기능은 없습니다.
[파일]-[페이지설정]-[시트탭]-[인쇄제목]에서
반복할 행, 반복할 열을 수동으로 설정해주셔야 됩니다.
[해설작성자 : 안양하나컴퓨터학원]

OFFICE 2010 기준

페이지 레이아웃-시트탭-인쇄제목
[해설작성자 : 개곰냥이]

26. 다음 중 과학, 통계 및 공학 데이터와 같은 숫자 값을 표시하고 비교하는데 주로 사용되며, 두 개의 숫자 그룹을 xy 좌표로 이루어진 하나의 계열로 표시하기에 적합한 차트 유형은?(2017년 09월)
     1. 영역형 차트
     2. 주식형 차트
     3. 분산형 차트
     4. 방사형 차트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분산형 차트: XY 좌표로 이뤄진 한 계열로 두 개의 숫자 그룹을 나타냄. 데이터의 불규칙한 간격이나 묶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주로 과학, 공학용 데이터 분석에 사용됨. 데이터 요소 간의 차이점보다는 큰 데이터 집합 간의 유사점을 표시하려는 경우 가로 축의 값이 일정한 간격이 아닌 경우, 데이터 요소의 수가 많은 경우 등에 사용된다.

분산형차트 - 데이터 요소간의 차이보다는 큰데이터 집합간의 유사점을 표시
주식형차트 - 시가, 종가, 거래량, 저가, 고가
영역형차트 - 시간에 따른 변화량 전체영역과 특정값의 비교
방사형차트 - 계열이 많을때 가운데에서 뻗어가는 형태
표면형차트 - 두개 데이터집합에서 최적의 조합을 찾을때
거품형차트 - 분산형의 한종류로 계열이 3개일때
꺾은선형 차트 - 시간에 따른 자료추이
원형 - 각항목간 비교 계열이 1개 <->도넛형 각항목간 비교 계열이 여러 계열
[해설작성자 : 2번떨어짐 ㅠㅠ 3번도전하자]

27. 다음 중 조건부 서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동일한 셀 범위에 둘 이상의 조건부 서식 규칙이 True로 평가 되어 충돌하는 경우 [조건부 서식 규칙 관리자] 대화상자의 규칙 목록에서 가장 위에 있는 즉, 우선순위가 높은 규칙 하나만 적용된다.
     2. [홈] 탭 [편집] 그룹의 [찾기 및 선택]-[이동 옵션]을 이용하면 조건부 서식이 적용되고 있는 셀을 적용한 순서대로 찾아 이동할 수 있다.
     3. 조건부 서식을 만들 때 조건으로 다른 워크시트 또는 통합 문서에 참조는 사용할 수 없다.
     4. 셀 범위에 대한 서식 규칙이 True로 평가되면 해당 규칙의 서식이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한 서식보다 우선한다.

     정답 : []
     정답률 : 23%
     <문제 해설>
[홈] 탭 [편집] 그룹의 [찾기 및 선택]-[이동 옵션]을 이용하면 조건부 서식이 적용되고 있는 셀의 범위를 알려준다.
[해설작성자 : 에효]

조건부서식이 적용되고 있는 셀의 범위를 알려주지만 셀을 적용한 순서대로 찾아 이동할순없다.
[해설작성자 : 한방에합격가자]

1.둘 이상의 조건부 서식의 조건이 참일 경우 규칙에 지정된 서식은 모두 적용되나,
서식이 충돌할 경우 우선 순위가 높은 규칙의 서식이 적용된다.
예를 들어 글꼴 색과 채우기 색을 지정하는 두규칙이 모두 참일 경우 모두 적용되나,
글꼴 색을 빨강,파랑으로 지정하는 두 규칙이 모두 참일때 우선순위가 높은 규칙에 대해서만 글꼴 색이 지정된다
<충돌>단어에 주의합시당
[해설작성자 : 내일셤^^ 합격하자^^]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gW0gB_aPSgU?t=336]

28. 다음 시트에서 [A1:G3] 영역을 제목으로 설정하여 매 페이지마다 반복 인쇄하기 위한 페이지 설정 방법으로 옳은 것은?(2012년 06월)

    

     1. [페이지 설정] 대화상자의 시트 탭에서 '반복할 행'에 $1:$3를 입력한다.
     2. [페이지 설정] 대화상자의 시트 탭에서 '인쇄 영역'에 A:G를 입력한다.
     3. [페이지 설정] 대화상자의 머리글/바닥글 탭에서 '머리글'에 $1:$3를 입력한다.
     4. [페이지 설정] 대화상자의 머리글/바닥글 탭에서 '머리글'에 A:G를 입력한다.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반복할 행 의 역할은 각 인쇄되는 시트마다 특정 행,열에 대한 반복이 인쇄 되는경우
인쇄영역 의 역할은 보고있는 시트나 특정 시트의 한 영역만을 인쇄하는 경우
머리글/바닥글 의 역할은 각 인쇄 페이지마다의 나오는 머리글/바닥글(행, 열, 셀의
반복과는 전혀 다른 영역)
[해설작성자 : 인공전평교원]

29. 다음 중 매크로 작성 시 지정하는 바로 가기 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3월)
     1. 엑셀에 이미 지정되어 있는 바로 가기 키는 매크로의 바로 가기 키로 지정할 수 없다.
     2. 매크로 기록 시 바로 가기 키는 반드시 지정하여야 한다.
     3. 매크로 작성 시 지정한 바로 가기 키는 추후에도 수정이 가능하다.
     4. 바로 가기 키는 기본적으로 Ctrl 과 영문 소문자로 조합하여 사용하나 대문자로 지정하면 Ctrl 에 이어서 Alt 가 자동으로 덧붙여 지정된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4. Alt 가 아니라 Shift 이다.
[해설작성자 : 크레이지]

1. 지정 가능하며 엑셀의 바로 가기 키보다 우선한다.
2. 이름만 필수이고, 바로 가기 키와 설명메시지는 선택 사항이다.
4. 기본적으로 Ctrl키와 영문자가 함께 쓰이나, 대문자 입력시영문 소문자 취급을 위해 Shift키가 추가된다.
[해설작성자 : eunmiya]

4. Ctrl+(): 소문자
     Ctrl+Shift+(): 대문자
[해설작성자 : 우현]

[매크로 바로가기 키]
Ctrl + 영문자만 가능합니다. (대, 소문자 구분 가능하며 대문자로 설정시 ‘Shift’를 같이 사용합니다.)
엑셀의 바로가기 키보다 매크로의 바로가기카기는 동일하여도 상관없으며 대신 매크로의 바로가기키가 우선시 됩니다.
바로가기키는 필수가 아니고 수정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30. 다음 프로시저에 저장된 명령문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10월)

    

     1. Range("A1").Select는 [A1] 셀을 선택하는 명령문으로, Range("A1")은 [A1]이라는 셀 개체를 나타내며, Select는 메서드이다.
     2. ActiveCell.FormulaR1C1 = "1"은 현재 활성 셀에 1을 입력하는 명령문으로, ActiveCell은 개체이며 FormulaR1C1은 속성이다.
     3. 프로시저가 실행된 후에 셀 포인터는 최종적으로 [A4]셀에 위치한다.
     4. ActiveCell.FormulaR1C1 = "=R[-2]C+R[-1]C"은 활성 셀로부터 두 행 아래쪽에 있는 셀과 한 행 아래쪽에 있는 셀을 더하라는 의미이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A1셀에 1 입력, A2셀에 4 입력
A3셀에서 2행 위쪽에 있는 셀(R[-2]C) + 1행 위쪽에 있는 셀(R[-1]C)    --> 5
A4셀에 셀포인터 위치함

따라서 4번 내용이 틀린것임.음수는 위쪽이며, 양수는 아래쪽임
[해설작성자 : 다음카페 한방합격]

31. 다음 시트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HLOOKUP("1분기실적", A2:C7, 3) 수식의 결과 값으로 옳은 것은?(2011년 03월)

    

     1. 335
     2. 1,580
     3. 1,274
     4. 982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HLOOKUP(찾을값 범위, 범위, 행번호, 찾을방법)
설정범위가 A2:C7으로 설정되어있어, 1분기실적이 1행,359가 2행, 1274가 3행이 됩니다.
hlookup(찾을값범위,범위,행번호)임으로, 행번호3 에 해당하는 1274가 출력되게 됩니다.

32. 다음 중 메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새 메모를 작성하려면 바로 가기 키 〈Shift〉+〈F2〉 키를 누르거나 [검토]탭 [메모]그룹에서 '새 메모'를 클릭한다.
     2. 셀을 이동하면 메모를 제외한 수식, 결과값, 셀 서식 등이 이동된다.
     3. 한 시트에 여러 개의 메모가 삽입되어 있는 경우 [검토]탭 [메모]그룹의 '이전' 또는 '다음'을 이용하여 메모들을 탐색할 수 있다.
     4. 통합 문서에 포함된 메모를 시트에 표시된 대로 인쇄하거나 시트 끝에 인쇄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메모도 이동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33. 대출 원금 3천만원을 연 이자율 6.5%로 3년 동안 매월 말에 상환하는 경우 매월의 불입 금액을 계산하는 함수식으로 옳은 것은?(2007년 07월)
     1. =PMT(6.5%/12, 3*12, -30000000)
     2. =PMT(6.5%, 3*12, -30000000)
     3. =PMT(6.5%/12, 3*12, 30000000)
     4. =PMT(6.5%, 3*12, 30000000)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연 이자율은 월로 계산하기 위해 12로 나누어 주고 3년도 월로 바꾸기 위해 12를 곱해줍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34. 다음 중 피벗 차트 보고서와 표준 차트의 차이점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본 문제는 오피스 2003 기준 문제입니다. 기존정답은 4번이면 여기서는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0년 06월)
     1. 차트 요소 : 표준 차트의 항목, 계열, 데이터가 피벗차트 보고서에서는 항목 필드, 계열 필드, 값 필드에 해당한다.
     2. 차트 위치 : 표준 차트는 기본적으로 워크 시트에 포함된 차트로 만들어지나 피벗 차트 보고서는 기본적으로 차트 시트에 만들어진다.
     3. 원본 데이터 : 표준 차트는 워크시트 셀에 직접 연결되나 피벗 차트 보고서는 관련된 피벗 테이블 보고서에 있는 데이터 형식에 기반을 둔다.
     4. 항목 이동 또는 크기 조정 : 피벗 차트 보고서와 표준차트 모두 그림 영역, 범례, 차트 제목, 축 제목 등을 이동하거나 그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④ 표준차트의 경우 각 항목(차트 제목, X/Y축 제목, 그림 영역, 범례)을 마우스로 끌어 이동이 가능하지만 피벗 차트는 마우스로 끌어 이동이 불가능함.
[해설작성자 : 한방합격 도우미 정익종]

2007버전에서는 둘 다 이동이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오보름]

② 2007버전에서는 표준차트와 피벗차트 모두 현재 워크시트에 만들어진다.
피벗테이블이 없는 상태에서 피벗차트를 생성할 경우, '새 시트에 만들기'를 선택할 수는 있지만
차트시트로 생성할 수는 없다. (차트시트≠워크시트)
[해설작성자 : 2007충]

35. 다음 중 매크로 기록과 실행에 관련된 항목들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5월)
     1. 자주 사용되는 매크로는 PERSON.XLS로 저장하여 엑셀이 실행될 때 자동으로 열리도록 한다.
     2. 매크로 기록 기능을 통해 작성된 매크로는 ‘VBA 편집기’에서 실행할 수 있다.
     3. 매크로 기록 기능을 이용할 때 기본 저장 위치는 ‘현재 통합 문서’가 된다.
     4. 매크로 실행을 위한 바로가기 키는 <Ctrl> 키와 <영문자>로 지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PERSONAL.XLS 입니다.(2003 버전 기준)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PERSONAL.XLSB입니다(2007 버전 기준)
[해설작성자 : 율린]

36. 다음 중 영문 대·소문자를 구분하도록 설정했을 때의 오름차순 정렬의 순서를 바르게 표시한 것은?(윈도우 XP 문제로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07년 07월)
     1. 1 - ? - 나 - a - A
     2. 1 - ? - 나 - A - a
     3. ? - 1 - 가 - A - a
     4. ? - 1 - 가 - a - A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숫자-문자(특수문자-한글-영어소-영어대)-논리값-오류-빈셀
외우실때는 숫문논오빈 으로 외우세요.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xp버전은 문자(특문-한글-영어소-영어대)지만
windows 7 이후는 문자(특문-영어소-영어대-한글)입니다~
[해설작성자 : ㅋㅋ]

37. 다음 중 차트 및 차트 요소의 서식 변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10월)
     1. 차트 요소에 도형 스타일이나 WordArt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다.
     2. 차트를 클릭하면 리본 메뉴에 [디자인], [레이아웃], [서식] 탭이 있는 [차트 도구]가 표시된다.
     3. 차트 요소들은 도형처럼 맞춤, 그룹, 회전 등의 정렬 설정을 할 수 있다.
     4. [홈]-[글꼴] 그룹이나 미니 도구 모음을 이용하여 차트 요소의 텍스트 서식을 지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차트 생성 후 클릭하면 리본메뉴에 차트도구가 생깁니다(2번보기) 그 중 [서식]탭에 보면 정렬기능에 맞춤, 그룹, 회전이 있지만 맞춤을 제외하고 그룹, 회전은 비활성화 되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물류관리사]

38. 다음 중 엑셀 차트의 추세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추세선은 6종류로 지수, 선형, 로그, 다항식, 거듭 제곱, 이동 평균이 있다.
     2. 하나의 데이터 계열에 두 개 이상의 추세선을 동시에 표시할 수 없다.
     3. 추세선이 추가된 데이터 계열의 차트 종류를 3차원으로 바꾸면 추세선이 사라진다.
     4. 추세선을 삭제하려면 차트에 표시된 추세선을 선택한 후 Delete 키를 누르거나 바로 가기 메뉴의 [삭제]를 선택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추세선: 특정한 데이터 계열에 대한 변화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표시하는 선임
- 3차원, 방사형, 원형, 도넛형, 표면형 차트에는 추세선을 추가할 수 없음
- 추세선이 추가된 계열의 차트를 3차원으로 변경하면 추세선이 삭제됨
- 추세선을 삭제하려면 차트에 표시된 추세선을 선택한 후 delete키를 누르거나 바로가기 메뉴의 삭제를 선택함
- 추세선의 종류에는 선형, 로그, 다항식, 거듭제곱, 지수, 이동 평균이 있음(6종류)
- 하나의 데이터 계열에 두 개 이상의 추세선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음
[해설작성자 : 모두컴활합격합시다]

39. 다음 중 한자와 특수문자 입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3월)
     1. 한글 자음 중 하나를 입력한 후 <한자> 키를 누르면 화면 하단에 특수문자 목록이 표시된다.
     2. '국'과 같이 한자의 음이 되는 글자를 한 글자를 입력한 후 <한자> 키를 누르면 화면 하단에 해당 글자에 대한 한자 목록이 표시된다.
     3. 한글 모음을 입력한 후 <한자> 키를 이용하면 그리스 문자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4. 한글 자음에 따라서 화면 하단에 표시되는 특수 문자가 다르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한글 자음을 입력한후 <한자> 키를 눌러야 특수문자를 사용 가능합니다.
특수한 언어는 별도의 다국어 입력기를 사용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40. 다음 차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4월)

    

     1. 데이터 표식 항목 사이에 공백이 있도록 하기위하여 [간격 너비]에 0보다 큰 값을 입력하였다.
     2. 데이터 계열 항목 안에서 표식이 겹치도록 하기위하여 [겹치기]에 항목에 음수를 입력하였다.
     3. Y(값) 축의 [주 눈금선]이 선택되지 않았다.
     4. 데이터 레이블로 '값'이 선택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양수로 하면 겹쳐지고 음수로 하면 떨어집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41. 다음 중 매크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8월)
     1. 매크로를 한 단계 씩 이동하면서 매크로의 흐름과 각 동작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2. Access의 매크로는 작업을 자동화하고 양식, 보고서 및 컨트롤에 기능을 추가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이다.
     3. 이미 매크로에 추가한 작업을 반복해야 하는 경우 매크로 동작을 복사하여 붙여 넣으면 된다.
     4. 각 매크로는 하위 매크로를 포함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각 매크로는 하위 매크로도 포함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갈데까지가자]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SVECd_4eLGw?t=1]

42. 다음 보기의 설명에 해당되는 것은?(문제오류로 모두 정답 처리한 문제 입니다. 여기서는 1번을 정답 처리 합니다.)(2008년 02월)

    

     1. 기본키(Primary Key)
     2. 슈퍼키(Super Key)
     3. 대체키(Alternate Key)
     4. 후보키(Candidate Key)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후보키 (Candidate Key)
&#8228;릴레이션을 구성하는 속성들 중에서 튜플을 유일하게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속성들의 부분집합, 즉 기본키로 사용할 수 있는 속성들을 말함
&#8228;릴레이션에 있는 모든 튜플에 대해서 유일성과 최소성을 만족시켜야 함

기본키 (Primary Key)
&#8228;후보키 중에서 선택한 주키(Main Key)
&#8228;한 릴레이션에서 특정 튜플을 유일하게 구별할 수 있는 속성
&#8228;Null 값을 가질 수 없음
&#8228;기본키로 정의된 속성에는 동일한 값이 중복되어 저장될 수 없음

대체키(Alternate Key)
&#8228;후보키가 둘 이상일 때 기본키를 제외한 나머지 후보키들을 말함
&#8228;보조키라고도 함

슈퍼키(Super Key)
&#8228;릴에이션에서 같은 튜플이 발생하지 않는 키를 구성할 때, 속성의 집합으로 구성하는 것을 말함
&#8228;릴레이션을 구성하는 모든 튜플에 대해 유일성은 만족시키지만, 최소성은 만족시키지 못함

외래키(Foreign Key)
&#8228;관계(Realtionship)를 맺고 있는 릴레이션 R1, R2에서 릴레이션 R1이 참조하고 있는 릴레이션 R2의 기본키와 같은 R1 릴레이션의 속성
&#8228;외래키로 지정되면 참조테이블의 기본키에 없는 값은 입력할 수 없음

[해설작성자 : yongmaru]

43. 다음 중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실제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데이터 조작어에 해당하는 SQL문은?(2014년 06월)
     1. COMMIT
     2. SELECT
     3. DROP
     4. CREATE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 데이터정의어(DDL): CREATE, ALTER, DROP
- 데이터조작어(DML): SELECT, UPDATE, INSERT, DELETE
- 데이터제어어(DCL): COMMIT, ROLLBACK, GRANT, REVOKE
[해설작성자 : 까미]

데이터 정의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거나 수정할 때 사용
데이터 조작어: 데이터를 실질적으로 처리할 때 사용
데이터 제어어: 데이터 보안, 무결성, 회복, 제어 등을 할 때 사용

1. COMMIT - 데이터 제어어
2. SELECT - 데이터 조작어 (정답)
3. DROP - 데이터 정의어
4. CREATE - 데이터 정의어
[해설작성자 : 우현]

44. 다음 중 실행 쿼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6년 06월)
     1. 테이블 만들기 쿼리
     2. 추가 쿼리
     3. 업데이트 쿼리
     4. 선택 쿼리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실행쿼리의 종류: 삭제, 업데이트, 추가, 테이블작성
[해설작성자 : 아정말하기싫음]

실행쿼리 종류 외우기
추/태 부리지 말고 샷/업(삭업)
추가,테이블작성,삭제,업데이트
[해설작성자 : 아침에 시험이당]

저는 상추업대로 외웠어요 (삭제, 추가,업데이트,테이블)
[해설작성자 : 세븐 ]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jIaLm74Ufio?t=356]

45. 다음 중 보고서의 [그룹, 정렬 및 요약] 창을 이용한 정렬 및 그룹 설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보고서의 그룹 수준 및 정렬 수준은 최대 10개까지 정의할 수 있다.
     2. 그룹 수준을 삭제하는 경우 그룹 머리글 또는 그룹 바닥글 구역에 삽입되어 있는 모든 컨트롤들은 자동으로 본문 구역으로 이동된다.
     3. ‘전체 그룹을 같은 페이지에 표시’ 옵션을 선택한 경우 페이지의 나머지 공간에 그룹을 표시할 수 없는 경우 빈 공간으로 두고 대신 다음 페이지에서 그룹이 시작된다.
     4. 그룹 간격 옵션은 레코드가 그룹화되는 방식을 결정하는 설정이며, 텍스트 필드인 경우 '전체 값', '첫 문자', '처음 두 문자', '사용자 지정 문자'를 기준으로 그룹화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② 그룹 머리글 또는 그룹 바닥글 삭제시 모든 컨트롤이 본문으로 이동되는것이 아니라 모든 컨트롤들도 함께 삭제된다.
[해설작성자 : 한방합격 컴활 인강 정익종]

그룹 수준을 삭제하는 경우 그룹머리글과 그룹바닥글 구역이 사라지면서 모든 컨트롤도 같이 사라진다는 창이 뜨고 확인을 누르면 모두 삭제 된다.
[해설작성자 : 기출만 공부해서 합격하자]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eXIXUpMMVjw?t=840]

46. 다음 중 필드에 입력되는 값이 'T'로 시작하는 것만 입력되도록 하기 위한 유효성 검사 규칙으로 옳은 것은?(2011년 07월)
     1. = "T??"
     2. = "T"
     3. Like "T*"
     4. Like "T??"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문제에서 말한것과 같이 특정한 값만을 원할경우엔 Like함수를 사용하며, "*"는 값이 얼마나 올지알수가 없을때 사용함

47. 여러 페이지에 걸쳐 작성된 보고서의 첫 페이지 상단에만 ‘구매현황’을 인쇄하려고 한다. 보고서의 어느 구역을 이용해야 하나?(2006년 07월)
     1. 페이지 머리글
     2. 보고서 머리글
     3. 본문
     4. 그룹 머리글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보고서 머리글 : 첫 페이지 상단에 한번 표시
보고서 바닥글 : 마지막 페이지 하단에 한번 표시
페이지 머리글 : 매 페이지 상단에 표시
페이지 바닥글 : 매 페이지 하단에 표시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48. 다음 중 보고서의 레코드 원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보고서 마법사]를 통해 원하는 필드들을 손쉽게 선택하여 레코드 원본으로 지정할 수 있다.
     2. 하나의 테이블에서만 필요한 필드를 선택하여 레코드 원본으로 지정할 수 있다.
     3. [속성 시트]의 '레코드 원본' 드롭다운 목록에서 테이블이나 쿼리를 선택하여 지정할 수 있다.
     4. 쿼리 작성기를 통해 쿼리를 작성하여 레코드 원본으로 지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하나의 테이블에서 x -> 여러 테이블에서 필요한 필드 선택하여 레코드 원본 지정 가능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6IaFwmj5io0?t=874]

49. 다음 중 현재 폼에서 'cmd숨기기' 단추를 클릭하는 경우, DateDue 컨트롤이 표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이벤트 프로시저로 옳은 것은?(2019년 03월)
     1. Private Sub cmd숨기기_Click( )
Me.[DateDue]!Visible = False
End Sub
     2. Private Sub cmd숨기기_DblClick( )
Me!DateDue.Visible = True
End Sub
     3. Private Sub cmd숨기기_Click( )
Me![DateDue].Visible = False
End Sub
     4. Private Sub cmd숨기기_DblClick( )
Me.DateDue!Visible = True
End Sub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visible = True
보여줄까? 그래
visible = false
보여줄까? 아니

뱅(!)은 액세스에서 작성한 개체들을 표현할 경우
닷(.)은 그 개체들의 속성 및 메서드를 표시할 때 입니다.

즉, me![DateDue].Visible 는 현재폼의 DateDue라는 컨트롤의 visible 속성값을 나타내는 것이죠!!

그런데 실제로 해보면
Me.[DateDue].Visible = false
Me![DateDue].Visible = false
두가지 모두 잘 작동합니다.!!

즉, Me 뒤에 뱅이 붙든 닷이 붙든 다 잘된다는...    
[해설작성자 : [ 일규님 답변 펌]]

[추가 해설]
Me.[DateDue]!Visible = false
ㄴ Visible 속성값은 !이 아닌 .이 되야한다.

그러므로 Me![DateDue].visible = false 가 정답.
[해설작성자 : 성호 합격 가즈아!]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Iu6ALCIp4MY?t=1354]


50. 다음 보기에서 데이터 형식의 필드에 할당되는 크기가 큰 것부터 작은 순으로 바르게 배열된 것은?(일부 컴퓨터에서 보기가 보이지 않는 현상으로 인하여 괄로 뒤에 다시 적어 둡니다. 참고하세요.)(2008년 02월)

    

     1. ㉮-㉱-㉯-㉰(가-라-나-다)
     2. ㉱-㉮-㉯-㉰(라-가-나-다)
     3. ㉱-㉯-㉮-㉰(라-나-가-다)
     4. ㉮-㉱-㉰-㉯(가-라-다-나)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날짜/시간형식(8Byte)
일련번호(4Byte)
정수(integer)(2Byte)
예/아니오(1bit)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51. 다음은 데이터베이스에 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2009년 10월)
     1. 데이터베이스란 여러 응용 시스템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통합, 저장되어 운용되는 데이터 집합을 말한다.
     2. 데이터베이스 모델의 종류에는 계층형, 네트워크형, 관계형 등이 있다.
     3.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거나 수정하는데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 언어를 데이터 제어어(DCL)라 한다.
     4. 데이터베이스 관리자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총체적으로 감시, 관리하는 책임과 권한을 갖는 사람 또는 그룹이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거나 수정하는데 사용되는 언어는 데이터 정의어(DDL)라 합니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어서 관리자가 직접 설명합니다.

[오류신고내용]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거나 수정하는데 사용되는 언어는 데이터 조작어아닌가요?
데이터 조작어의 특징이 검색,갱신,수정,삭제라고 배웠는데...

위 오류 신고는 잘 못되었습니다.

데이터 조작어 즉 DML은 테이터베이스를 생성, 수정, 삭제하는 것이 아닙니다.
레코드들 수정(update), 삽입(insert), 삭제(delete) 하는 것입니다.

데이터베이스는 DDL 명령관련이며 생성(Create), 수정(Alter), 삭제(Drop) 명령어가 따로 있습니다.

52. 다음 중 테이블의 필드와 레코드 삭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8년 08월)
     1. 필드를 삭제한 후 즉시 'Ctrl+Z'를 실행하면 되살릴 수 있다.
     2. 데이터시트 보기 상태에서는 필드를 삭제할 수 없다.
     3. 데이터시트 보기 상태에서는 레코드를 삭제할 수 없다.
     4. 필드를 삭제하면 필드에 입력된 모든 데이터도 함께 지워진다.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1번 : 필드 삭제는 되돌리기를 할수 없습니다.
2번,3번 : 데이터 시트 보기상태에서 필드나 레코드를 삭제하려면 필드 선택기나 레코드 선택기를 오른쪽 마우스 클릭해서 삭제할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53. 다음 중 데이터베이스 내의 정보를 검색, 추가, 삭제, 수정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언어를 의미하는 것은?(2012년 06월)
     1. DCL
     2. DBA
     3. DDL
     4. DML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DBA : 데이터베이스 관리자.무결성 제약조건 지정.
DDL : 데이터 정의어.데이터베이스 생성,삭제,수정 언어(구조를 정의,삭제,변경)
DML : 데이터 조작어.사용자나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역할.데이터의 검색,삽입,삭제,수정 등
DCL : 데이터의 보안,무결성유지,복구등을 위해 사용하는 언어

54. 다음 중 인덱스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5월)
     1. 데이터의 검색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 사용한다.
     2. 일련번호나 메모, 날짜/시간 데이터 형식의 필드에는 인덱스를 지정할 수 없다.
     3. 인덱스를 설정하면 데이터를 추가, 삭제할 때 성능이 떨어질 수도 있다.
     4. 단일 필드 기본 키는 인덱스 속성이 “예(중복불가능)”으로 지정되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일련번호나 날짜/시간 데이터 형식의 필드는 지정할수 있으나 메모형식은 지정할 수 없음

55. 다음 중 프로시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6월)
     1. 프로시저는 연산을 수행하거나 값을 계산하는 일련의 명령문과 메서드로 구성된다.
     2. 명령문은 대체로 프로시저나 선언 구역에서 한 줄로 표현되며 명령문의 끝에는 세미콜론(;)을 찍어 구분한다.
     3. 이벤트 프로시저는 특정 객체에 해당 이벤트가 발생하면 자동적으로 실행되나 다른 프로시저에서도 이를 호출하여 실행할 수 있다.
     4. Function 프로시저는 Function 문으로 함수를 선언하고 End Function 문으로 함수를 끝낸다.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VBA 프로시저에서 사용하는 명령문은 한줄 이상으로도 가능하며
끝에 세미콜론을 찍어 구분하지 않습니다.

VBA는 비쥬얼 베이직 문법을 사용하며

끝에 세미콜론을 찍는 방식은 일반적으로 C, C++, JAVA등에서 사용하는 형식입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56. 다음 중 정렬 및 그룹화 기능을 사용하여 업체별 판매금액의 합계를 보고서 형태로 작성하려는 작업에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업체명이나 업체번호 필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그룹화 한다.
     2. 그룹의 머리글이나 바닥글에 =Sum([판매금액])과 같은 함수를 이용하여 요약정보를 생성한다.
     3. 본문 영역에는 아무런 컨트롤도 추가하지 않고 간격을 0으로 좁힌다.
     4. 전체 업체의 총 판매금액에 대한 사항은 페이지 바닥글 에서 구성한다.

     정답 :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페이지 바닥글이 아니라 보고서 바닥글
[해설작성자 : 컴활재수생]

57. 전체 페이지가 5이고 현재 페이지번호가 1일 때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2011년 10월)
     1. 강제로 페이지를 구분하려면 해당 위치에 [페이지 나누기] 컨트롤을 생성하여 놓는다.
     2. =[Page]/[Pages]& "페이지" 식의 결과는 "1/5 페이지" 이다.
     3. =Format([Pages], "000")식의 결과는 001이다.
     4. 보고서를 인쇄하면서 모든 페이지의 아랫부분에 페이지 번호를 출력하고자 하면 보고서의 바닥글을 이용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2.    =[Page] & "/" & [Pages]& "페이지" 이렇게 해야 " 1/5 페이지 " 가 나옵니다
3. 결과는 005이구요 (pages는 전체 페이지, page는 현재 페이지입니다.
4. 모든 페이지 아랫부분에 페이지 번호를 출력하려하면 페이지 바닥글을 이용해야합니다
보고서 바닥글은 맨마지막 한장에 나타나요.
[해설작성자 : 춘천청와대]

2번은 또한 띄어쓰기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페이지"가 아닌 " 페이지"로 해야 1/5페이지가 아닌 문제처럼 1/5 페이지로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떼낄라리아]

58. 다음 중 폼의 데이터 속성에서 설정할 수 없는 것은?(2013년 10월)
     1. 데이터 원본
     2. 레코드 잠금
     3. 데이터 입력
     4. 로드할 때 필터링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1. 데이터 속성에는 레코드 원본 <데이터 원본 아님>
[해설작성자 : 묭이]

폼의 데이터 속성에서 설정할 수 있는 것
-레코드 원본(데이터 원본X)
-레코드 잠금
-데이터 입력
-로드할 때 필터링
[해설작성자 : 떄려칠까 1000번째 고민중]

59. 데이터베이스 매니저(Database Manager)는 데이터베이스내의 하위 단계 데이터와 응용 프로그램 및 시스템에 제기된 질의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다음 중 데이터베이스 매니저의 작업이 아닌 것은?(2008년 08월)
     1. 무결성 제약 조건의 지정
     2. 병행 수행(concurrency) 제어
     3. 예비조치(backup) 및 회복(recovery)
     4. 비밀 보호 유지

     정답 :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무결성 제약 조건이 지정은 데이터베이스 관리자가 합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60. 다음 중 테이블에 데이터가 입력되는 방식을 제어하는 방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08년 10월)
     1. 유효성 검사 규칙을 정의하여 필드에 입력되는 데이터를 제한할 수 있다.
     2. 입력 마스크를 이용하여 필드의 각 자리에 입력되는 값의 종류를 제한할 수 있다.
     3. 색인(index)을 이용하여 해당 필드에 중복된 값이 입력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4. 기본 키(PK) 속성을 이용하여 레코드 추가시 입력되는 기본 값을 사용자 임의로 지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기본키 속성이 아니라 기본값 속성을 사용하여 기본값을 사용자 임의로 지정할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정 답 지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769448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컴퓨터 일반


1. 다음 중 멀티미디어의 동영상에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3월)
     1. 국제표준화단체인 MPEG에서는 다양한 규격의 압축 포맷과 부가 표준을 만들었다.
     2. 비디오 스트리밍은 인터넷에서 영상파일을 다운로드 하면서 실시간 재생하는 기법이다.
     3. MIDI는 애플사에서 개발한 동영상 압축 기술로 시퀀싱 작업을 통해 작성된다.
     4. AVI는 Windows에서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표준 동영상 파일 형식으로 별도의 하드웨어 장치 없이 재생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MIDI는 컴퓨터와 전자악기간 통신규약으로 16개 이상의 악기를 동시에 연주할 수 있으며 시퀀싱 작업(컴퓨터로 음악제작)이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dudu]

* 퀵타임 MOV (QuickTime MOV) : 애플사에서 개발한 동영상 압축 기술, JPEG압축 방식을 사용.
(Windows에서 재생하려면 'Quick Time for Windows'를 설치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JK]

MPEG : 동영상 압축기술에 대한 국제표준규격
AVI : windows에서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표준 동영상 (별도의 소프트웨어 설치필요X)
MIDI : 악기간 통신규약, 16개 이상의 악기를 동시에 연주가능
[해설작성자 : 5일남았다네~~ 이제 시작했다네~~]

MIDI : 전자음향장치, 디지털 악기 등 음악의 연주 정보 및 여러가지 기능에 대한 정보 포함하여 저장
[해설작성자 : 커말시러]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7adEjqhwSso?t=0]

2. 다음 중 컴퓨터에서 부동 소수점 연산을 위하여 사용되는 자료 표현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7월)
     1. 정규화(Normalization) 과정을 통하여 지수부와 가수부로 구성된다.
     2. 고정 소수점보다 간단하고 실행시간이 적게 걸리며 아주 큰 수나 작은 수의 표현이 가능하다.
     3. 부호 비트 양수는 0, 음수는 1로 표현한다.
     4. 실수 데이터의 표현과 연산에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부동 소수점은 대단히 큰수나 작은 수의 표현이 가능하고 속도가 느립니다.
연산속도는 고정 소수점 형식이 더 빠르고 수치 표현 범위는 부동소수점 방식이 더 넓습니다.

3. 다음 중 인터넷을 이용한 FTP(File Transfer Protocol)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10월)
     1. 멀리 떨어져 있는 컴퓨터로부터 파일을 전송 받거나 전송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2. 익명의 계정을 이용하여 파일을 전송할 수 있는 서버를 Anonymous FTP 서버라고 한다.
     3. FTP 서버에 계정을 가지고 있는 사용자는 FTP 서버에 있는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없이 실행시킬 수 있다.
     4. 일반적으로 텍스트 파일의 전송을 위한 ASCII 모드와 실행 파일의 전송을 위한 Binary 모드로 구분하여 수행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③ FTP(File Transfer Protocol)는 멀리 떨어져 있는 컴퓨터로부터 파일을 전송 받거나(다운로드) 전송하는(업로드) 서비스로서 다운로드 없이 실행은 불가능하다.
※ Anonymous(익명) FTP는 계정없이 사용 가능한 FTP(익명의 FTP, ID : Anonymous, PW: 자신의 전자우편주소)
※ Binary Mode : 텍스트(txt) 파일을 제외한 모든 파일 전송
※ ASCII Mode : 텍스트 파일 전송
[해설작성자 : 다음 카페 한방합격 정익종]

4. 다음 중 컴퓨터 방화벽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2월)
     1. 바이러스 백신은 방화벽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백신을 설치한 경우라도 방화벽은 필요하다.
     2. Windows의 방화벽은 외부로부터의 바이러스 및 웜을 차단하며 다른 컴퓨터로 바이러스를 전파하지 못하게 한다.
     3. Windows의 방화벽은 특정 프로그램에 대하여 연결 차단을 해제하기 위해 예외를 둘 수 있다.
     4. Windows의 방화벽은 사용자가 원할 경우 보안 로그를 만들어 컴퓨터에 대해 성공한 연결 시도와 실패한 연결 시도를 기록한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Windows의 방화벽은 바이러스 및 웜을 차단하는게 아니라, 알수없는 파일의 연결을 차단하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Rain]

5.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새로운 프린터의 설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10월)
     1. [프린터 및 팩스] 창에서 [프린터 추가]를 선택하여 수행되는 [프린터 추가 마법사]의 지시에 따라 설치한다.
     2. 설치한 프린터를 다른 이름으로 다시 설치할 수 없으며, 프린터 마다 개별적으로 이름을 부여하여 설치한다.
     3. 한 대의 컴퓨터에 여러 개의 로컬 프린터를 설치할 수 있으며, 한 대의 프린터를 네트워크로 공유하여 여러 대의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다.
     4. 기본 프린터는 1대만 지정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프린터도 기본 프린터로 설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2 . 한번 설치한 프린터는 다른 이름으로도 재설치가 가능 합니다
[해설작성자 : 춘천청와대]

6.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하드디스크의 파티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10월)
     1. 하나의 물리적인 하드디스크를 여러 개의 논리적인 파티션으로 나누어 사용할 수 있다.
     2. 하나의 파티션에는 한 가지의 파일 시스템만을 사용할 수 있다.
     3. 파티션으로 나누더라도 하나의 물리적인 하드디스크는 하나의 운영체제만 사용할 수 있다.
     4. 한 개의 하드디스크를 여러 개로 나눠 사용하는 것을 말하며, 파티션에는 기본 파티션과 확장 파티션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3번 하나의 물리적 하드디스크는 여러개의 운영체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부연설명 : 하나의 물리적 하드디스크를 여러개의 논리적으로 파티션한 경우에 각각의 논리적 파티션에 서로 다른 운영체제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다음카페 한방합격]

7. 다음 중 네트워크 관련 장비로 브리지(Bridge)에 관한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7월)
     1. OSI 참조 모델의 데이터 링크 계층에 속한다.
     2. 두 개의 근거리통신망을 상호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망 연결 장치이다.
     3. 통신 프로토콜을 변환하여 네트워크를 확장한다.
     4. 통신량을 조절하여 데이터가 다른 곳으로 가지 않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3. 네트워크 프로토콜과 독립적으로 작용하여
네트워크에 연결된 여러 단말들의 통신 프로토콜을 바꾸지 않고도 네트워크 확장 가능
[해설작성자 : 오늘시험인데...]

③은 게이트웨이에 대한 설명으로 서로 다른 구조와 환경으로 구성된 네트워크 간에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정보를 주고받도록 조정해 주는 하드웨어 장치로서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관문, 통로 역할을 한다.
[해설작성자 : 한방합격 정익종 컴활 인강]

브리지란
단순 신호 증폭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분할을 통해 트래픽을 감소시키며 물리적으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할 때 사용함
데이터를 양쪽 방향으로 전송만 해줄 뿐 프로토콜 변환 등 복잡한 처리는 불가능함 -> 따라서 3번은 프로토콜 변환 불가
[해설작성자 : 묭]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2sl3Pnh4dZo?t=106]

8. 다음 중 컴퓨터를 이용한 인터넷 통신과 관련하여 FTP 서비스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10월)
     1. 파일의 업로드나 다운로드 뿐만 아니라 서버에 있는 프로그램도 실행시킬 수 있다.
     2. 그림 파일을 전송할 때는 Binary Mode를 사용한다.
     3. 문서 파일을 전송할 때는 Text Mode를 사용한다.
     4. Anonymous FTP란 계정이 없는 사용자도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는 FTP 서비스이다.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FTP는 문서나 파일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원격 파일 전송 프로토콜을 칭한다.
서버의 프로그램 실행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

9. 다음 중 정보 통신망의 구성형태를 설명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3월)
     1. 망형(Mesh Topology)은 네트워크 상의 모든 노드들이 서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특정 노드에 이상이 생겨도 전송이 가능하다.
     2. 링형(Ring Topology)은 모든 노드들을 하나의 원형으로 연결하는 구조로 통신 제어가 간단하고 신뢰성이 높아 특정 노드의 이상도 쉽게 해결할 수 있다.
     3. 트리형(Tree Topology)은 하나의 컴퓨터에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확장하는 형태로 확장이 많을 경우 트래픽이 과중될 수 있다.
     4. 버스형(Bus Topology)은 모든 노드들이 하나의 케이블에 연결되어 있으며, 케이블 종단에는 종단 장치가 있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링형 : 양방향으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 회선 중 하나라도 고장(이상)시 전체 통신망에 영향을 미치며 쉽게 해결 불가능. 단말 장치의 추가/제거 및 기밀 보호가 어렵다.
[해설작성자 : 이번주시험인데]

성형(star,중앙집중형): 모든 노드가 중앙노드에 1:1로 연결되어 있는 방식으로 통신망의 처리 능력 및 신뢰성은 중앙노드의 제어장치에 의해 좌우된다. 고장발견이 쉽고, 유지 보수 및 확장이 용이하다.
[해설작성자 : 합격할수 있을까]

트리형 : 하나의 컴퓨터(나무)에 네트워크(나뭇잎)을 연결하여 확장하는 형태로 확장이 많을 경우 트래픽(나무 기둥이 꺾임)이 과중될 수 있다.
버스형 : 모든 노드(사람)들이 하나의 케이블(버스)에 연결(탑승)되어 있으며, 케이블 종단에는 종단 장치가 있어야 한다.

이렇게 외우시면 좋을거 같아요.
[해설작성자 : 컴활1급준비 수훈]

[링(Ring)형]
루프형으로 컴퓨터와 단말기들을 반지 모양 처럼 배치하여 이웃하는 것끼리 포인트 투 포인트 방식으로 연결한 것입니다.
단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단방향의 링의 경우 컴퓨터나 혹은 회선, 단말기가 고장시 전체 통신에 영향이 있습니다. (양방향인 경우에는 우회하여 통신이 가능합니다.)
단말기의 추가, 제거가 어렵고 기밀 보호가 어렵습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10.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네트워크 연결과 관련하여 [로컬 영역 연결 속성] 창에서 할 수 있는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장에서는 1,2번이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정답 처리 합니다.)(2010년 03월)
     1. 로컬 영역 연결의 사용 안 함을 설정할 수 있다.
     2. 인터넷 프로토콜(TCP/IP) 등의 네트워크 구성 요소를 설치 및 제거할 수 있다.
     3. 네트워크의 연결 상태를 작업 표시줄의 알림 영역에 표시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4. 네트워크 연결에 사용된 장치를 확인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정답 1, 2번
1번의 "로컬 영역 연결의 사용 안 함"은 속성창이 아닌 로컬 영역 연결의 바로가기 메뉴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2번은    인터넷 프로토콜(TCP/IP) 등의 네트워크 구성 요소를 설치는 할 수 있지만 제거는 할 수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한방합격 정익종]

11. 다음 중 TCP/IP 구성 내역을 테스트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08년 10월)
     1. msconfig 명령을 이용하여 TCP/IP 설정 사항을 살펴 본다.
     2. ping 127.0.0.1을 입력하여 루프백 주소를 ping해 본다.
     3. 기본 게이트웨이의 IP 주소를 ping해 본다.
     4. DNS 서버의 IP 주소를 ping해 본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msconfig 명령을 이용하여 TCP/IP 설정 사항을 살펴 볼수 없습니다.
msconfig 명령은 SYSTEM.INI, WIN.INI, BOOT.INI, 서비스,시작프로그램 을 설정하기 쉽게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12. 다음 중 클럭 주파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9월)
     1. 전류가 흐르는 상태(ON)와 흐르지 않는 상태(OFF)가 주기적으로 반복되어 작동하는데, 이 전류의 흐름을 클럭 주파수라고 한다.
     2. 1MHz는 1,000,000Hz를 의미하며, 1Hz는 1초 동안 1,000 번의 주기가 반복되는 것을 의미한다.
     3. CPU가 기본적으로 클럭 주기에 따라 명령을 수행한다고 할 때, 이 클럭값이 높을수록 CPU는 빠르게 일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4. 클럭 주파수를 높이기 위해 메인보드로 공급되는 클럭을 CPU 내부에서 두 배로 증가시켜 사용하는 클럭 더블링(Clock Doubling)이란 기술이 486이후부터 사용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1Hz : 1초동안 1번의 주기
1KHz : 1초동안 1,000번의 주기
1MHz : 1초동안 1,000,000번의 주기
1GHz : 1초동안 1,000,000,000의 주기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13.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인쇄 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프린터에서 인쇄 작업이 시작된 경우라도 잠시 중지 시켰다가 다시 이어서 인쇄할 수 있다.
     2. 여러 개의 출력 파일들의 출력대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3. 여러 개의 출력 파일들이 출력대기 할 때 출력 순서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4. 일단 프린터에서 인쇄 작업에 들어간 것은 프린터 전원을 끄기 전에는 강제로 종료시킬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Windows의 프린터 관리자 화면에서 인쇄 취소 기능을 이용하여 인쇄를 취소할수 있습니다.
(단, 이미 프린터기로 인쇄 자료가 넘어 갔다면 중단하기 어렵습니다.)
아울러 윈도우가 아닌 프린터기에 있는 취소 버튼 등을 이용하여 인쇄 작업을 중단 할수도 있습니다.
반드시 전원을 종료 해야 하는것은 아닙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14.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시스템 구성 편집기(Sysedit)로 편집할 수 있는 파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10월)
     1. win.ini
     2. config.sys
     3. admin.dll
     4. autoexec.bat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시작 => 실행]을 선택 후 "SYSEDIT" 입력 후 "실행"
: 직접 실습 요망(SYSTEM.INI, WIN.INI, CONFIG.SYS, AUTOEXEC.BAT)로 구성
[보기3] Admin.dll => 바이러스 프로그램의 일부 파일
[해설작성자: 유광현 (주)hrdm개발원]

15. 다음 중 Windows 7에서의 프린터 설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윈도우 10 검증 완료)(2015년 10월)
     1. Bluetooth 프린터를 설치하려면 컴퓨터에 Bluetooth 무선 어댑터를 연결하거나 켠 후 [프린터 추가 마법사]를 실행한다.
     2. 새로운 프린터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네트워크 프린터를 기본 프린터로 설정하려면 반드시 스풀링의 설정이 필요하다.
     3. 로컬 프린터 설치 시 프린터가 USB(범용 직렬버스) 모델인 경우에는 프린터를 컴퓨터에 연결하면 Windows에서 자동으로 검색하고 설치한다.
     4. 공유 프린터 설정 시 네트워크가 홈 그룹으로 설정되면 프린터가 자동으로 공유되며, 프린터가 연결된 컴퓨터의 전원이 켜져 있어야 프린터의 사용이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cpu는 처리속도가 빠르지만 프린터는 cpu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기에
디스크에 임시로 저장해두고 프린터가 점차적으로 받아들여서
일을 처리하게 되는데 이 과정을 스풀링이라고 한다.
[해설작성자 : 코딱지]

② 스풀링은 인쇄를 하면서 다른 작업을 병행하기 위한 설정으로 스풀을 반드시 설정해야하는 것은 아니며 또 스풀 설정은 프린트 설치과정에서 할수 없으며 설치 후 [프린트 속성]-[고급]탭에서 설정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한방합격 탑플러스 정익종]

16. 다음 중 중앙처리장치와 입출력장치 사이의 속도차이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장치는?(2017년 09월)
     1. 범용 레지스터
     2. 터미널
     3. 콘솔
     4. 채널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중앙처리장치와 입출력장치 사이의 속도차이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장치는 채널입니다.

※ 채널(channel) : 입출력장치와 중앙처리장치 사이의 속도 차이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장치
- 입출력장치와 중앙처리장치 중간에 위치해 두 장치를 연결하는 중개 역할을 담당합니다.
- 입출력 장치의 명령 실행 지시 및 지시된 명령의 실행 상황을 점검합니다.
- CPU의 명령을 받고 입출력 조작을 개시하면 CPU와는 독립적으로 조작합니다.

[해설작성자 : 자격증 따기]

범용 레지스터 : 중앙 처리 장치 내에 있는 레지스터 가운데, 계산 결과의 임시 저장, 산술 및 논리 연산 따위와 같이 여러 가지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레지스터 (레지스터:cpu내부의 일시적 기억장치. 젤 빠름).
터미널 :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여 전송하고 컴퓨터에서 생성된 정보를 눈으로 볼 수 있도록, 키보드와 디스플레이(모니터) 또는 키보드와 프린터 장치 등.
콘솔 : 컴퓨터의 조작원과 데이터 처리 시스템과의 사이에 교신을 위해 사용되는 컴퓨터 단말 장치의 하나.
[해설작성자 : 출처는 네이버 지식백과]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sF29UzgFZec?t=226]

17. 다음 중 윈도우의 폴더 옵션에서 설정하는 ‘오프라인 파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문제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모두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시험범위를 벗어났기 때문입니다. 여기서는 3번을 정답 처리 합니다.)(2008년 08월)
     1. 바탕화면에 오프라인 파일 폴더에 대한 바로 가기를 만들 수 있다.
     2.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을 때에도 네트워크에 있는 파일 및 프로그램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3. 로그온 방식이 ‘빠른 사용자 전환’인 경우에 오프라인 파일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4. 로그오프하기 전에 모든 오프라인 파일을 동기화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문제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모두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시험범위를 벗어났기 때문입니다. 여기서는 3번을 정답 처리 합니다.

18. 다음 중 보기의 네트워크 장비와 관련된 OSI 7계층으로 옳은 것은?(2010년 06월)

    

     1. 물리 계층
     2. 데이터 링크 계층
     3. 네트워크 계층
     4. 전송계층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네트워크 장비를 비교해 보면 알 수 있는 문제입니다.
위의 보기에서 허브나 리피터 등 에서 알 수 있듯이 물리계층이 답이 됩니다.
물리 계층 - 리피터, 허브
데이터링크 계층 - 스위치, 브리지
네트워크 계층 -라우터
전송 계층 - L4 스위치
[해설작성자 : 프리루나]

19. 다음 중 정보보안을 위해 사용하는 공개키 암호화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알고리즘이 복잡하며 암호화와 복호화 속도가 느리다.
     2. 키의 분배가 용이하고 관리해야 할 키의 수가 적다.
     3. 비대칭 암호화 기법이라고도 하며 대표적으로 DES가 있다.
     4.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 사용하는 키를 공개하고 복호화 할 때 키는 비밀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공개키 암호화는 비대칭 암호화 기법으로 대표적으로 RSA 기법이 존재하며,
암호화는 공개하고, 복호화는 비밀로 하는 것을 말합니다.

장점 : 키의 분배가 용이하고 관리할 키의 수가 적습니다.
단점 : 알고리즘이 복잡하고, 암호,복호화 속도가 느립니다.
[해설작성자 : 갈데까지가자]

3. 비밀키 암호화 기법중 대표적으로 DES가 있으며
     공개키 암호화 기법은 비대칭 암호화 기법이라고 하는것은 맞지만 대표적으로 RSA가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햄충]

비밀키(대칭)
1 키, 암호 복호화 키가 동일함, DES, 암호 복호화 속도 빠름, 사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키가 늘어남

공개키(비대칭)
2 키, 암호 복호화 키가 다름, RSA, 알고리즘 복잡, 암호 복호화 속도 느림, 키의 분배 용이 관리해야할 키수가 적음
[해설작성자 : 어려운컴활]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W1dQKzwkaFY?t=1733]

20. 다음 중 네트워크 운영 방식 중 하나인 클라이언트/서버 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9월)
     1.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모두 처리 능력을 가지며, 분산처리 환경에 적합하다.
     2. 중앙 컴퓨터가 모든 단말기에서 요구하는 데이터 처리를 전담한다.
     3. 모든 단말기가 동등한 계층으로 연결되어 모두 클라이언트와 서버 역할을 할 수 있다.
     4. 단방향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 처리를 위한 대기시간이 필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클라이언트/서버 방식 :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독자적 처리 능력을 보유하여 분산처리 환경에 적합하다.
중앙 집중 방식 : 모든 데이터 처리를 중앙컴퓨터에서 전담하며, 독립적 연결(포인트 투 포인트) 방식으로 유지 보수가 쉽다.
동배간 처리 방식 : 모든 컴퓨터가 동등하게 연결되어 클라이언트이면서 동시에 서버 역할이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끝까지가자]

클라이언트/서버 방식
정보를 제공해주는 서버와 정보를 제공받는 클라이언트간의 관계로써
쌍방이 모두 처리능력을 가지고있어 분산처리에 적합합니다.
그리고 유지보수가 쉽습니다.

3. 동등한계층으로 연결되는건 동배간처리(피어투피어)입니다.
[해설작성자 : (인천 명문 도원학원 032-886-8805)킹갓민경]

클라이언트/서버 방식-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와 정보를 요구하는 클라이언트로 구성. 서버와 클라이언트 모두 처리능력을 가지고 있어 분산처리환경에 적합함.
2번 : 중앙집중방식
3번 : 동배간 처리 방식
[해설작성자 : 하루벼락치기 도전중]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W1dQKzwkaFY?t=2023]

2과목 : 스프레드시트 일반


21. 다음 중 [A1] 셀에 =SUMPRODUCT({1,2;3,1},{1,2;3,1})로 수식을 입력하고 <Enter> 키를 눌렀을 때의 결과 값으로 옳은 것은?(2008년 10월)
     1. 24
     2. 70
     3. 36
     4. 15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1*1=1, 2*2=4, 3*3=9, 1*1=1
다 더하면 15가 됩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22. 다음 중 자동 필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10월)
     1. 데이터에 필터를 적용하면 지정한 조건에 맞는 행만 표시되고 나머지 행은 숨겨지며, 필터링된 데이터는 다시 정렬하거나 이동하지 않고도 복사, 찾기, 편집 및 인쇄를 할 수 있다.
     2. ‘상위 10’ 자동 필터는 숫자 데이터 필드에서만 가능하고, 문자 데이터 필드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3. 자동 필터를 사용하면 목록 값, 서식, 조건으로 세 가지 유형의 필터를 만들 수 있는데, 각 셀 범위나 표 열에 대해 적용할 필터의 유형을 선택적으로 두 가지 이상 적용할 수 있다.
     4. 필터의 결과는 레코드(행) 단위로 추출된다.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자동 필터는 한 번에 한 가지 유형의 필터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스누피부부]

23. 다음 중 VBA에서 프로시저(Procedur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10월)
     1. 특정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명령문들의 집합이다.
     2. 사용자가 직접 기록한 매크로도 프로시저로 기록된다.
     3. Sub ∼ End Sub 프로시저는 명령문들의 실행 결과를 반환한다.
     4. 하나 이상의 프로시저들을 이용하여 모듈을 구성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결과를 반환하는 프로시저는 Function 프로시저입니다.
[해설작성자 : 솔로몬컴퓨터교습소]

24. 다음 고급 필터의 검색 기준의 의미로 옳은 것은?(2006년 07월)

    

     1. 회사가 (주)한성이고 연봉이 25,000,000 이상이고 종업원 수가 500 이상이고 업종이 네트워크인 경우
     2. 회사가 (주)한성이거나 연봉이 25,000,000 이상이고 종업원 수가 500 이상이고 업종이 네트워크인 경우
     3. 회사가 (주)한성이거나 연봉이 25,000,000 이상이거나 종업원 수가 500 이상이고 업종이 네트워크인 경우
     4. 회사가 (주)한성이고 연봉이 25,000,000 이상이고 종업원 수가 500 이상이거나 업종이 네트워크인 경우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회사와 연봉은 떨어져 있기 때문에 "이거나" 연봉과 종업원수도 떨어져 있기 때문에 "이거나" 종업원수와 업종은 붙어 있기 때문에 "이고" 따라서 이거나, 이거나, 이고를 찾으면 정답은 3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25. 다음 중 엑셀의 화면 제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3월)
     1. 두 개 이상의 파일을 함께 보려면 [창]-[정렬] 메뉴를 이용한다.
     2. 확대/축소 배율은 지정한 시트에만 적용된다.
     3. [도구]-[옵션]의 [일반] 탭에서 'IntelliMouse로 화면 확대/축소' 옵션을 체크하면 <Ctrl>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마우스의 스크롤 버튼만으로 화면의 축소 및 확대가 가능하다.
     4. 틀 고정에 의해 분할된 왼쪽 또는 위쪽 부분은 인쇄 시 반복할 행과 반복할 열로 자동 설정된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4.자동으로 설정기능은 없습니다.
[파일]-[페이지설정]-[시트탭]-[인쇄제목]에서
반복할 행, 반복할 열을 수동으로 설정해주셔야 됩니다.
[해설작성자 : 안양하나컴퓨터학원]

OFFICE 2010 기준

페이지 레이아웃-시트탭-인쇄제목
[해설작성자 : 개곰냥이]

26. 다음 중 과학, 통계 및 공학 데이터와 같은 숫자 값을 표시하고 비교하는데 주로 사용되며, 두 개의 숫자 그룹을 xy 좌표로 이루어진 하나의 계열로 표시하기에 적합한 차트 유형은?(2017년 09월)
     1. 영역형 차트
     2. 주식형 차트
     3. 분산형 차트
     4. 방사형 차트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분산형 차트: XY 좌표로 이뤄진 한 계열로 두 개의 숫자 그룹을 나타냄. 데이터의 불규칙한 간격이나 묶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주로 과학, 공학용 데이터 분석에 사용됨. 데이터 요소 간의 차이점보다는 큰 데이터 집합 간의 유사점을 표시하려는 경우 가로 축의 값이 일정한 간격이 아닌 경우, 데이터 요소의 수가 많은 경우 등에 사용된다.

분산형차트 - 데이터 요소간의 차이보다는 큰데이터 집합간의 유사점을 표시
주식형차트 - 시가, 종가, 거래량, 저가, 고가
영역형차트 - 시간에 따른 변화량 전체영역과 특정값의 비교
방사형차트 - 계열이 많을때 가운데에서 뻗어가는 형태
표면형차트 - 두개 데이터집합에서 최적의 조합을 찾을때
거품형차트 - 분산형의 한종류로 계열이 3개일때
꺾은선형 차트 - 시간에 따른 자료추이
원형 - 각항목간 비교 계열이 1개 <->도넛형 각항목간 비교 계열이 여러 계열
[해설작성자 : 2번떨어짐 ㅠㅠ 3번도전하자]

27. 다음 중 조건부 서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동일한 셀 범위에 둘 이상의 조건부 서식 규칙이 True로 평가 되어 충돌하는 경우 [조건부 서식 규칙 관리자] 대화상자의 규칙 목록에서 가장 위에 있는 즉, 우선순위가 높은 규칙 하나만 적용된다.
     2. [홈] 탭 [편집] 그룹의 [찾기 및 선택]-[이동 옵션]을 이용하면 조건부 서식이 적용되고 있는 셀을 적용한 순서대로 찾아 이동할 수 있다.
     3. 조건부 서식을 만들 때 조건으로 다른 워크시트 또는 통합 문서에 참조는 사용할 수 없다.
     4. 셀 범위에 대한 서식 규칙이 True로 평가되면 해당 규칙의 서식이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한 서식보다 우선한다.

     정답 : []
     정답률 : 23%
     <문제 해설>
[홈] 탭 [편집] 그룹의 [찾기 및 선택]-[이동 옵션]을 이용하면 조건부 서식이 적용되고 있는 셀의 범위를 알려준다.
[해설작성자 : 에효]

조건부서식이 적용되고 있는 셀의 범위를 알려주지만 셀을 적용한 순서대로 찾아 이동할순없다.
[해설작성자 : 한방에합격가자]

1.둘 이상의 조건부 서식의 조건이 참일 경우 규칙에 지정된 서식은 모두 적용되나,
서식이 충돌할 경우 우선 순위가 높은 규칙의 서식이 적용된다.
예를 들어 글꼴 색과 채우기 색을 지정하는 두규칙이 모두 참일 경우 모두 적용되나,
글꼴 색을 빨강,파랑으로 지정하는 두 규칙이 모두 참일때 우선순위가 높은 규칙에 대해서만 글꼴 색이 지정된다
<충돌>단어에 주의합시당
[해설작성자 : 내일셤^^ 합격하자^^]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gW0gB_aPSgU?t=336]

28. 다음 시트에서 [A1:G3] 영역을 제목으로 설정하여 매 페이지마다 반복 인쇄하기 위한 페이지 설정 방법으로 옳은 것은?(2012년 06월)

    

     1. [페이지 설정] 대화상자의 시트 탭에서 '반복할 행'에 $1:$3를 입력한다.
     2. [페이지 설정] 대화상자의 시트 탭에서 '인쇄 영역'에 A:G를 입력한다.
     3. [페이지 설정] 대화상자의 머리글/바닥글 탭에서 '머리글'에 $1:$3를 입력한다.
     4. [페이지 설정] 대화상자의 머리글/바닥글 탭에서 '머리글'에 A:G를 입력한다.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반복할 행 의 역할은 각 인쇄되는 시트마다 특정 행,열에 대한 반복이 인쇄 되는경우
인쇄영역 의 역할은 보고있는 시트나 특정 시트의 한 영역만을 인쇄하는 경우
머리글/바닥글 의 역할은 각 인쇄 페이지마다의 나오는 머리글/바닥글(행, 열, 셀의
반복과는 전혀 다른 영역)
[해설작성자 : 인공전평교원]

29. 다음 중 매크로 작성 시 지정하는 바로 가기 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3월)
     1. 엑셀에 이미 지정되어 있는 바로 가기 키는 매크로의 바로 가기 키로 지정할 수 없다.
     2. 매크로 기록 시 바로 가기 키는 반드시 지정하여야 한다.
     3. 매크로 작성 시 지정한 바로 가기 키는 추후에도 수정이 가능하다.
     4. 바로 가기 키는 기본적으로 Ctrl 과 영문 소문자로 조합하여 사용하나 대문자로 지정하면 Ctrl 에 이어서 Alt 가 자동으로 덧붙여 지정된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4. Alt 가 아니라 Shift 이다.
[해설작성자 : 크레이지]

1. 지정 가능하며 엑셀의 바로 가기 키보다 우선한다.
2. 이름만 필수이고, 바로 가기 키와 설명메시지는 선택 사항이다.
4. 기본적으로 Ctrl키와 영문자가 함께 쓰이나, 대문자 입력시영문 소문자 취급을 위해 Shift키가 추가된다.
[해설작성자 : eunmiya]

4. Ctrl+(): 소문자
     Ctrl+Shift+(): 대문자
[해설작성자 : 우현]

[매크로 바로가기 키]
Ctrl + 영문자만 가능합니다. (대, 소문자 구분 가능하며 대문자로 설정시 ‘Shift’를 같이 사용합니다.)
엑셀의 바로가기 키보다 매크로의 바로가기카기는 동일하여도 상관없으며 대신 매크로의 바로가기키가 우선시 됩니다.
바로가기키는 필수가 아니고 수정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30. 다음 프로시저에 저장된 명령문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10월)

    

     1. Range("A1").Select는 [A1] 셀을 선택하는 명령문으로, Range("A1")은 [A1]이라는 셀 개체를 나타내며, Select는 메서드이다.
     2. ActiveCell.FormulaR1C1 = "1"은 현재 활성 셀에 1을 입력하는 명령문으로, ActiveCell은 개체이며 FormulaR1C1은 속성이다.
     3. 프로시저가 실행된 후에 셀 포인터는 최종적으로 [A4]셀에 위치한다.
     4. ActiveCell.FormulaR1C1 = "=R[-2]C+R[-1]C"은 활성 셀로부터 두 행 아래쪽에 있는 셀과 한 행 아래쪽에 있는 셀을 더하라는 의미이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A1셀에 1 입력, A2셀에 4 입력
A3셀에서 2행 위쪽에 있는 셀(R[-2]C) + 1행 위쪽에 있는 셀(R[-1]C)    --> 5
A4셀에 셀포인터 위치함

따라서 4번 내용이 틀린것임.음수는 위쪽이며, 양수는 아래쪽임
[해설작성자 : 다음카페 한방합격]

31. 다음 시트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HLOOKUP("1분기실적", A2:C7, 3) 수식의 결과 값으로 옳은 것은?(2011년 03월)

    

     1. 335
     2. 1,580
     3. 1,274
     4. 982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HLOOKUP(찾을값 범위, 범위, 행번호, 찾을방법)
설정범위가 A2:C7으로 설정되어있어, 1분기실적이 1행,359가 2행, 1274가 3행이 됩니다.
hlookup(찾을값범위,범위,행번호)임으로, 행번호3 에 해당하는 1274가 출력되게 됩니다.

32. 다음 중 메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새 메모를 작성하려면 바로 가기 키 〈Shift〉+〈F2〉 키를 누르거나 [검토]탭 [메모]그룹에서 '새 메모'를 클릭한다.
     2. 셀을 이동하면 메모를 제외한 수식, 결과값, 셀 서식 등이 이동된다.
     3. 한 시트에 여러 개의 메모가 삽입되어 있는 경우 [검토]탭 [메모]그룹의 '이전' 또는 '다음'을 이용하여 메모들을 탐색할 수 있다.
     4. 통합 문서에 포함된 메모를 시트에 표시된 대로 인쇄하거나 시트 끝에 인쇄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메모도 이동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33. 대출 원금 3천만원을 연 이자율 6.5%로 3년 동안 매월 말에 상환하는 경우 매월의 불입 금액을 계산하는 함수식으로 옳은 것은?(2007년 07월)
     1. =PMT(6.5%/12, 3*12, -30000000)
     2. =PMT(6.5%, 3*12, -30000000)
     3. =PMT(6.5%/12, 3*12, 30000000)
     4. =PMT(6.5%, 3*12, 30000000)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연 이자율은 월로 계산하기 위해 12로 나누어 주고 3년도 월로 바꾸기 위해 12를 곱해줍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34. 다음 중 피벗 차트 보고서와 표준 차트의 차이점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본 문제는 오피스 2003 기준 문제입니다. 기존정답은 4번이면 여기서는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0년 06월)
     1. 차트 요소 : 표준 차트의 항목, 계열, 데이터가 피벗차트 보고서에서는 항목 필드, 계열 필드, 값 필드에 해당한다.
     2. 차트 위치 : 표준 차트는 기본적으로 워크 시트에 포함된 차트로 만들어지나 피벗 차트 보고서는 기본적으로 차트 시트에 만들어진다.
     3. 원본 데이터 : 표준 차트는 워크시트 셀에 직접 연결되나 피벗 차트 보고서는 관련된 피벗 테이블 보고서에 있는 데이터 형식에 기반을 둔다.
     4. 항목 이동 또는 크기 조정 : 피벗 차트 보고서와 표준차트 모두 그림 영역, 범례, 차트 제목, 축 제목 등을 이동하거나 그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④ 표준차트의 경우 각 항목(차트 제목, X/Y축 제목, 그림 영역, 범례)을 마우스로 끌어 이동이 가능하지만 피벗 차트는 마우스로 끌어 이동이 불가능함.
[해설작성자 : 한방합격 도우미 정익종]

2007버전에서는 둘 다 이동이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오보름]

② 2007버전에서는 표준차트와 피벗차트 모두 현재 워크시트에 만들어진다.
피벗테이블이 없는 상태에서 피벗차트를 생성할 경우, '새 시트에 만들기'를 선택할 수는 있지만
차트시트로 생성할 수는 없다. (차트시트≠워크시트)
[해설작성자 : 2007충]

35. 다음 중 매크로 기록과 실행에 관련된 항목들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5월)
     1. 자주 사용되는 매크로는 PERSON.XLS로 저장하여 엑셀이 실행될 때 자동으로 열리도록 한다.
     2. 매크로 기록 기능을 통해 작성된 매크로는 ‘VBA 편집기’에서 실행할 수 있다.
     3. 매크로 기록 기능을 이용할 때 기본 저장 위치는 ‘현재 통합 문서’가 된다.
     4. 매크로 실행을 위한 바로가기 키는 <Ctrl> 키와 <영문자>로 지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PERSONAL.XLS 입니다.(2003 버전 기준)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PERSONAL.XLSB입니다(2007 버전 기준)
[해설작성자 : 율린]

36. 다음 중 영문 대·소문자를 구분하도록 설정했을 때의 오름차순 정렬의 순서를 바르게 표시한 것은?(윈도우 XP 문제로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07년 07월)
     1. 1 - ? - 나 - a - A
     2. 1 - ? - 나 - A - a
     3. ? - 1 - 가 - A - a
     4. ? - 1 - 가 - a - A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숫자-문자(특수문자-한글-영어소-영어대)-논리값-오류-빈셀
외우실때는 숫문논오빈 으로 외우세요.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xp버전은 문자(특문-한글-영어소-영어대)지만
windows 7 이후는 문자(특문-영어소-영어대-한글)입니다~
[해설작성자 : ㅋㅋ]

37. 다음 중 차트 및 차트 요소의 서식 변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10월)
     1. 차트 요소에 도형 스타일이나 WordArt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다.
     2. 차트를 클릭하면 리본 메뉴에 [디자인], [레이아웃], [서식] 탭이 있는 [차트 도구]가 표시된다.
     3. 차트 요소들은 도형처럼 맞춤, 그룹, 회전 등의 정렬 설정을 할 수 있다.
     4. [홈]-[글꼴] 그룹이나 미니 도구 모음을 이용하여 차트 요소의 텍스트 서식을 지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차트 생성 후 클릭하면 리본메뉴에 차트도구가 생깁니다(2번보기) 그 중 [서식]탭에 보면 정렬기능에 맞춤, 그룹, 회전이 있지만 맞춤을 제외하고 그룹, 회전은 비활성화 되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물류관리사]

38. 다음 중 엑셀 차트의 추세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추세선은 6종류로 지수, 선형, 로그, 다항식, 거듭 제곱, 이동 평균이 있다.
     2. 하나의 데이터 계열에 두 개 이상의 추세선을 동시에 표시할 수 없다.
     3. 추세선이 추가된 데이터 계열의 차트 종류를 3차원으로 바꾸면 추세선이 사라진다.
     4. 추세선을 삭제하려면 차트에 표시된 추세선을 선택한 후 Delete 키를 누르거나 바로 가기 메뉴의 [삭제]를 선택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추세선: 특정한 데이터 계열에 대한 변화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표시하는 선임
- 3차원, 방사형, 원형, 도넛형, 표면형 차트에는 추세선을 추가할 수 없음
- 추세선이 추가된 계열의 차트를 3차원으로 변경하면 추세선이 삭제됨
- 추세선을 삭제하려면 차트에 표시된 추세선을 선택한 후 delete키를 누르거나 바로가기 메뉴의 삭제를 선택함
- 추세선의 종류에는 선형, 로그, 다항식, 거듭제곱, 지수, 이동 평균이 있음(6종류)
- 하나의 데이터 계열에 두 개 이상의 추세선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음
[해설작성자 : 모두컴활합격합시다]

39. 다음 중 한자와 특수문자 입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3월)
     1. 한글 자음 중 하나를 입력한 후 <한자> 키를 누르면 화면 하단에 특수문자 목록이 표시된다.
     2. '국'과 같이 한자의 음이 되는 글자를 한 글자를 입력한 후 <한자> 키를 누르면 화면 하단에 해당 글자에 대한 한자 목록이 표시된다.
     3. 한글 모음을 입력한 후 <한자> 키를 이용하면 그리스 문자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4. 한글 자음에 따라서 화면 하단에 표시되는 특수 문자가 다르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한글 자음을 입력한후 <한자> 키를 눌러야 특수문자를 사용 가능합니다.
특수한 언어는 별도의 다국어 입력기를 사용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40. 다음 차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4월)

    

     1. 데이터 표식 항목 사이에 공백이 있도록 하기위하여 [간격 너비]에 0보다 큰 값을 입력하였다.
     2. 데이터 계열 항목 안에서 표식이 겹치도록 하기위하여 [겹치기]에 항목에 음수를 입력하였다.
     3. Y(값) 축의 [주 눈금선]이 선택되지 않았다.
     4. 데이터 레이블로 '값'이 선택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양수로 하면 겹쳐지고 음수로 하면 떨어집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41. 다음 중 매크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8월)
     1. 매크로를 한 단계 씩 이동하면서 매크로의 흐름과 각 동작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2. Access의 매크로는 작업을 자동화하고 양식, 보고서 및 컨트롤에 기능을 추가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이다.
     3. 이미 매크로에 추가한 작업을 반복해야 하는 경우 매크로 동작을 복사하여 붙여 넣으면 된다.
     4. 각 매크로는 하위 매크로를 포함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각 매크로는 하위 매크로도 포함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갈데까지가자]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SVECd_4eLGw?t=1]

42. 다음 보기의 설명에 해당되는 것은?(문제오류로 모두 정답 처리한 문제 입니다. 여기서는 1번을 정답 처리 합니다.)(2008년 02월)

    

     1. 기본키(Primary Key)
     2. 슈퍼키(Super Key)
     3. 대체키(Alternate Key)
     4. 후보키(Candidate Key)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후보키 (Candidate Key)
&#8228;릴레이션을 구성하는 속성들 중에서 튜플을 유일하게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속성들의 부분집합, 즉 기본키로 사용할 수 있는 속성들을 말함
&#8228;릴레이션에 있는 모든 튜플에 대해서 유일성과 최소성을 만족시켜야 함

기본키 (Primary Key)
&#8228;후보키 중에서 선택한 주키(Main Key)
&#8228;한 릴레이션에서 특정 튜플을 유일하게 구별할 수 있는 속성
&#8228;Null 값을 가질 수 없음
&#8228;기본키로 정의된 속성에는 동일한 값이 중복되어 저장될 수 없음

대체키(Alternate Key)
&#8228;후보키가 둘 이상일 때 기본키를 제외한 나머지 후보키들을 말함
&#8228;보조키라고도 함

슈퍼키(Super Key)
&#8228;릴에이션에서 같은 튜플이 발생하지 않는 키를 구성할 때, 속성의 집합으로 구성하는 것을 말함
&#8228;릴레이션을 구성하는 모든 튜플에 대해 유일성은 만족시키지만, 최소성은 만족시키지 못함

외래키(Foreign Key)
&#8228;관계(Realtionship)를 맺고 있는 릴레이션 R1, R2에서 릴레이션 R1이 참조하고 있는 릴레이션 R2의 기본키와 같은 R1 릴레이션의 속성
&#8228;외래키로 지정되면 참조테이블의 기본키에 없는 값은 입력할 수 없음

[해설작성자 : yongmaru]

43. 다음 중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실제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데이터 조작어에 해당하는 SQL문은?(2014년 06월)
     1. COMMIT
     2. SELECT
     3. DROP
     4. CREATE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 데이터정의어(DDL): CREATE, ALTER, DROP
- 데이터조작어(DML): SELECT, UPDATE, INSERT, DELETE
- 데이터제어어(DCL): COMMIT, ROLLBACK, GRANT, REVOKE
[해설작성자 : 까미]

데이터 정의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거나 수정할 때 사용
데이터 조작어: 데이터를 실질적으로 처리할 때 사용
데이터 제어어: 데이터 보안, 무결성, 회복, 제어 등을 할 때 사용

1. COMMIT - 데이터 제어어
2. SELECT - 데이터 조작어 (정답)
3. DROP - 데이터 정의어
4. CREATE - 데이터 정의어
[해설작성자 : 우현]

44. 다음 중 실행 쿼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6년 06월)
     1. 테이블 만들기 쿼리
     2. 추가 쿼리
     3. 업데이트 쿼리
     4. 선택 쿼리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실행쿼리의 종류: 삭제, 업데이트, 추가, 테이블작성
[해설작성자 : 아정말하기싫음]

실행쿼리 종류 외우기
추/태 부리지 말고 샷/업(삭업)
추가,테이블작성,삭제,업데이트
[해설작성자 : 아침에 시험이당]

저는 상추업대로 외웠어요 (삭제, 추가,업데이트,테이블)
[해설작성자 : 세븐 ]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jIaLm74Ufio?t=356]

45. 다음 중 보고서의 [그룹, 정렬 및 요약] 창을 이용한 정렬 및 그룹 설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보고서의 그룹 수준 및 정렬 수준은 최대 10개까지 정의할 수 있다.
     2. 그룹 수준을 삭제하는 경우 그룹 머리글 또는 그룹 바닥글 구역에 삽입되어 있는 모든 컨트롤들은 자동으로 본문 구역으로 이동된다.
     3. ‘전체 그룹을 같은 페이지에 표시’ 옵션을 선택한 경우 페이지의 나머지 공간에 그룹을 표시할 수 없는 경우 빈 공간으로 두고 대신 다음 페이지에서 그룹이 시작된다.
     4. 그룹 간격 옵션은 레코드가 그룹화되는 방식을 결정하는 설정이며, 텍스트 필드인 경우 '전체 값', '첫 문자', '처음 두 문자', '사용자 지정 문자'를 기준으로 그룹화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② 그룹 머리글 또는 그룹 바닥글 삭제시 모든 컨트롤이 본문으로 이동되는것이 아니라 모든 컨트롤들도 함께 삭제된다.
[해설작성자 : 한방합격 컴활 인강 정익종]

그룹 수준을 삭제하는 경우 그룹머리글과 그룹바닥글 구역이 사라지면서 모든 컨트롤도 같이 사라진다는 창이 뜨고 확인을 누르면 모두 삭제 된다.
[해설작성자 : 기출만 공부해서 합격하자]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eXIXUpMMVjw?t=840]

46. 다음 중 필드에 입력되는 값이 'T'로 시작하는 것만 입력되도록 하기 위한 유효성 검사 규칙으로 옳은 것은?(2011년 07월)
     1. = "T??"
     2. = "T"
     3. Like "T*"
     4. Like "T??"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문제에서 말한것과 같이 특정한 값만을 원할경우엔 Like함수를 사용하며, "*"는 값이 얼마나 올지알수가 없을때 사용함

47. 여러 페이지에 걸쳐 작성된 보고서의 첫 페이지 상단에만 ‘구매현황’을 인쇄하려고 한다. 보고서의 어느 구역을 이용해야 하나?(2006년 07월)
     1. 페이지 머리글
     2. 보고서 머리글
     3. 본문
     4. 그룹 머리글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보고서 머리글 : 첫 페이지 상단에 한번 표시
보고서 바닥글 : 마지막 페이지 하단에 한번 표시
페이지 머리글 : 매 페이지 상단에 표시
페이지 바닥글 : 매 페이지 하단에 표시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48. 다음 중 보고서의 레코드 원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보고서 마법사]를 통해 원하는 필드들을 손쉽게 선택하여 레코드 원본으로 지정할 수 있다.
     2. 하나의 테이블에서만 필요한 필드를 선택하여 레코드 원본으로 지정할 수 있다.
     3. [속성 시트]의 '레코드 원본' 드롭다운 목록에서 테이블이나 쿼리를 선택하여 지정할 수 있다.
     4. 쿼리 작성기를 통해 쿼리를 작성하여 레코드 원본으로 지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하나의 테이블에서 x -> 여러 테이블에서 필요한 필드 선택하여 레코드 원본 지정 가능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6IaFwmj5io0?t=874]

49. 다음 중 현재 폼에서 'cmd숨기기' 단추를 클릭하는 경우, DateDue 컨트롤이 표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이벤트 프로시저로 옳은 것은?(2019년 03월)
     1. Private Sub cmd숨기기_Click( )
Me.[DateDue]!Visible = False
End Sub
     2. Private Sub cmd숨기기_DblClick( )
Me!DateDue.Visible = True
End Sub
     3. Private Sub cmd숨기기_Click( )
Me![DateDue].Visible = False
End Sub
     4. Private Sub cmd숨기기_DblClick( )
Me.DateDue!Visible = True
End Sub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visible = True
보여줄까? 그래
visible = false
보여줄까? 아니

뱅(!)은 액세스에서 작성한 개체들을 표현할 경우
닷(.)은 그 개체들의 속성 및 메서드를 표시할 때 입니다.

즉, me![DateDue].Visible 는 현재폼의 DateDue라는 컨트롤의 visible 속성값을 나타내는 것이죠!!

그런데 실제로 해보면
Me.[DateDue].Visible = false
Me![DateDue].Visible = false
두가지 모두 잘 작동합니다.!!

즉, Me 뒤에 뱅이 붙든 닷이 붙든 다 잘된다는...    
[해설작성자 : [ 일규님 답변 펌]]

[추가 해설]
Me.[DateDue]!Visible = false
ㄴ Visible 속성값은 !이 아닌 .이 되야한다.

그러므로 Me![DateDue].visible = false 가 정답.
[해설작성자 : 성호 합격 가즈아!]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Iu6ALCIp4MY?t=1354]


50. 다음 보기에서 데이터 형식의 필드에 할당되는 크기가 큰 것부터 작은 순으로 바르게 배열된 것은?(일부 컴퓨터에서 보기가 보이지 않는 현상으로 인하여 괄로 뒤에 다시 적어 둡니다. 참고하세요.)(2008년 02월)

    

     1. ㉮-㉱-㉯-㉰(가-라-나-다)
     2. ㉱-㉮-㉯-㉰(라-가-나-다)
     3. ㉱-㉯-㉮-㉰(라-나-가-다)
     4. ㉮-㉱-㉰-㉯(가-라-다-나)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날짜/시간형식(8Byte)
일련번호(4Byte)
정수(integer)(2Byte)
예/아니오(1bit)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51. 다음은 데이터베이스에 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2009년 10월)
     1. 데이터베이스란 여러 응용 시스템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통합, 저장되어 운용되는 데이터 집합을 말한다.
     2. 데이터베이스 모델의 종류에는 계층형, 네트워크형, 관계형 등이 있다.
     3.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거나 수정하는데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 언어를 데이터 제어어(DCL)라 한다.
     4. 데이터베이스 관리자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총체적으로 감시, 관리하는 책임과 권한을 갖는 사람 또는 그룹이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거나 수정하는데 사용되는 언어는 데이터 정의어(DDL)라 합니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어서 관리자가 직접 설명합니다.

[오류신고내용]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거나 수정하는데 사용되는 언어는 데이터 조작어아닌가요?
데이터 조작어의 특징이 검색,갱신,수정,삭제라고 배웠는데...

위 오류 신고는 잘 못되었습니다.

데이터 조작어 즉 DML은 테이터베이스를 생성, 수정, 삭제하는 것이 아닙니다.
레코드들 수정(update), 삽입(insert), 삭제(delete) 하는 것입니다.

데이터베이스는 DDL 명령관련이며 생성(Create), 수정(Alter), 삭제(Drop) 명령어가 따로 있습니다.

52. 다음 중 테이블의 필드와 레코드 삭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8년 08월)
     1. 필드를 삭제한 후 즉시 'Ctrl+Z'를 실행하면 되살릴 수 있다.
     2. 데이터시트 보기 상태에서는 필드를 삭제할 수 없다.
     3. 데이터시트 보기 상태에서는 레코드를 삭제할 수 없다.
     4. 필드를 삭제하면 필드에 입력된 모든 데이터도 함께 지워진다.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1번 : 필드 삭제는 되돌리기를 할수 없습니다.
2번,3번 : 데이터 시트 보기상태에서 필드나 레코드를 삭제하려면 필드 선택기나 레코드 선택기를 오른쪽 마우스 클릭해서 삭제할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53. 다음 중 데이터베이스 내의 정보를 검색, 추가, 삭제, 수정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언어를 의미하는 것은?(2012년 06월)
     1. DCL
     2. DBA
     3. DDL
     4. DML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DBA : 데이터베이스 관리자.무결성 제약조건 지정.
DDL : 데이터 정의어.데이터베이스 생성,삭제,수정 언어(구조를 정의,삭제,변경)
DML : 데이터 조작어.사용자나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역할.데이터의 검색,삽입,삭제,수정 등
DCL : 데이터의 보안,무결성유지,복구등을 위해 사용하는 언어

54. 다음 중 인덱스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5월)
     1. 데이터의 검색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 사용한다.
     2. 일련번호나 메모, 날짜/시간 데이터 형식의 필드에는 인덱스를 지정할 수 없다.
     3. 인덱스를 설정하면 데이터를 추가, 삭제할 때 성능이 떨어질 수도 있다.
     4. 단일 필드 기본 키는 인덱스 속성이 “예(중복불가능)”으로 지정되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일련번호나 날짜/시간 데이터 형식의 필드는 지정할수 있으나 메모형식은 지정할 수 없음

55. 다음 중 프로시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6월)
     1. 프로시저는 연산을 수행하거나 값을 계산하는 일련의 명령문과 메서드로 구성된다.
     2. 명령문은 대체로 프로시저나 선언 구역에서 한 줄로 표현되며 명령문의 끝에는 세미콜론(;)을 찍어 구분한다.
     3. 이벤트 프로시저는 특정 객체에 해당 이벤트가 발생하면 자동적으로 실행되나 다른 프로시저에서도 이를 호출하여 실행할 수 있다.
     4. Function 프로시저는 Function 문으로 함수를 선언하고 End Function 문으로 함수를 끝낸다.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VBA 프로시저에서 사용하는 명령문은 한줄 이상으로도 가능하며
끝에 세미콜론을 찍어 구분하지 않습니다.

VBA는 비쥬얼 베이직 문법을 사용하며

끝에 세미콜론을 찍는 방식은 일반적으로 C, C++, JAVA등에서 사용하는 형식입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56. 다음 중 정렬 및 그룹화 기능을 사용하여 업체별 판매금액의 합계를 보고서 형태로 작성하려는 작업에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업체명이나 업체번호 필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그룹화 한다.
     2. 그룹의 머리글이나 바닥글에 =Sum([판매금액])과 같은 함수를 이용하여 요약정보를 생성한다.
     3. 본문 영역에는 아무런 컨트롤도 추가하지 않고 간격을 0으로 좁힌다.
     4. 전체 업체의 총 판매금액에 대한 사항은 페이지 바닥글 에서 구성한다.

     정답 :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페이지 바닥글이 아니라 보고서 바닥글
[해설작성자 : 컴활재수생]

57. 전체 페이지가 5이고 현재 페이지번호가 1일 때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2011년 10월)
     1. 강제로 페이지를 구분하려면 해당 위치에 [페이지 나누기] 컨트롤을 생성하여 놓는다.
     2. =[Page]/[Pages]& "페이지" 식의 결과는 "1/5 페이지" 이다.
     3. =Format([Pages], "000")식의 결과는 001이다.
     4. 보고서를 인쇄하면서 모든 페이지의 아랫부분에 페이지 번호를 출력하고자 하면 보고서의 바닥글을 이용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2.    =[Page] & "/" & [Pages]& "페이지" 이렇게 해야 " 1/5 페이지 " 가 나옵니다
3. 결과는 005이구요 (pages는 전체 페이지, page는 현재 페이지입니다.
4. 모든 페이지 아랫부분에 페이지 번호를 출력하려하면 페이지 바닥글을 이용해야합니다
보고서 바닥글은 맨마지막 한장에 나타나요.
[해설작성자 : 춘천청와대]

2번은 또한 띄어쓰기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페이지"가 아닌 " 페이지"로 해야 1/5페이지가 아닌 문제처럼 1/5 페이지로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떼낄라리아]

58. 다음 중 폼의 데이터 속성에서 설정할 수 없는 것은?(2013년 10월)
     1. 데이터 원본
     2. 레코드 잠금
     3. 데이터 입력
     4. 로드할 때 필터링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1. 데이터 속성에는 레코드 원본 <데이터 원본 아님>
[해설작성자 : 묭이]

폼의 데이터 속성에서 설정할 수 있는 것
-레코드 원본(데이터 원본X)
-레코드 잠금
-데이터 입력
-로드할 때 필터링
[해설작성자 : 떄려칠까 1000번째 고민중]

59. 데이터베이스 매니저(Database Manager)는 데이터베이스내의 하위 단계 데이터와 응용 프로그램 및 시스템에 제기된 질의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다음 중 데이터베이스 매니저의 작업이 아닌 것은?(2008년 08월)
     1. 무결성 제약 조건의 지정
     2. 병행 수행(concurrency) 제어
     3. 예비조치(backup) 및 회복(recovery)
     4. 비밀 보호 유지

     정답 :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무결성 제약 조건이 지정은 데이터베이스 관리자가 합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60. 다음 중 테이블에 데이터가 입력되는 방식을 제어하는 방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08년 10월)
     1. 유효성 검사 규칙을 정의하여 필드에 입력되는 데이터를 제한할 수 있다.
     2. 입력 마스크를 이용하여 필드의 각 자리에 입력되는 값의 종류를 제한할 수 있다.
     3. 색인(index)을 이용하여 해당 필드에 중복된 값이 입력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4. 기본 키(PK) 속성을 이용하여 레코드 추가시 입력되는 기본 값을 사용자 임의로 지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기본키 속성이 아니라 기본값 속성을 사용하여 기본값을 사용자 임의로 지정할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7694482)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컴퓨터활용능력, 컴활1급필기, 컴활1급, 컴활, 1급,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082 정보기기운용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04월02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7081 자기비파괴검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7월19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7080 경비지도사 2차(소방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11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7079 건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5월3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7078 9급 국가직 공무원 회계원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7월1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7077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물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8575523)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7076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6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7075 공유압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10월02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7074 전자캐드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7월10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7073 멀티미디어콘텐츠제작전문가(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3월2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7072 물류관리사 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3089264) 좋은아빠되기 2025.11.24 2
7071 청소년상담사 1급(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5772707) 좋은아빠되기 2025.11.24 2
7070 귀금속가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4월06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7069 도시계획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9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4 2
7068 경영지도사 1차 1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5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4 2
7067 측량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9월16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7066 9급 국가직 공무원 조경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7월1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7065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594457)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7064 유통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8월2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4 2
7063 소비자전문상담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3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370 Next
/ 3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