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594457)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철근콘크리트구조의 극한강도설계법에서 강도감소계수를 사용하는 이유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부정확한 부재강도 계산식에 대한 여유 확보
     2. 구조물에서 구조부재가 차지하는 부재의 중요도 반영
     3.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의 불확실성에 대한 여유 확보
     4. 주어진 하중조건에 대한 부재의 연성능력과 신뢰도 확보

     정답 : []
     정답률 : 55%

2. 다음 중 「건축구조기준(KBC2016)」에 따른 건축물 중요도 분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6월)
     1. 연면적 1,000m2 미만인 위험물저장시설은 중요도(1)에 해당한다.
     2. 연면적 1,000m2 이상인 소방서는 중요도(특)에 해당한다.
     3. 연면적 3,000m2 이상인 학교는 중요도(특)에 해당한다.
     4. 연면적 5,000m2 이상인 운수시설은 중요도(1)에 해당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3. 다음 중 프리스트레스하지 않는 부재의 현장치기콘크리트의 최소 피복두께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6월)
     1. 흙에 접하거나 옥외의 공기에 직접 노출되는 콘크리트에서 D25 이하의 철근일 경우는 50mm이다.
     2. 흙에 접하여 콘크리트를 친 후 영구히 흙에 묻혀 있는 콘크리트의 경우는 60mm이다.
     3. 수중에서 타설하는 콘크리트의 경우는 100mm이다.
     4. 옥외의 공기나 흙에 직접 접하지 않는 콘크리트의 보와 기둥은 40mm이다.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 fck가 40MPa 이상인 경우 규정된 값에서 10mm 저감시킬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95%

4. 3층 규모의 경골목조건축물의 내력벽 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내력벽 사이의 거리를 10m로 설계한다.
     2. 내력벽의 모서리 및 교차부에 각각 2개의 스터드를 사용하도록 설계한다.
     3. 3층은 전체 벽면적에 대한 내력벽면적의 비율을 25%로 설계한다.
     4. 지하층 벽을 조적조로 설계한다.

     정답 : []
     정답률 : 42%

5. 폭 b 및 높이 h인 직사각형 단면(b×h)을 갖는 무근콘크리트보에서, 콘크리트의 인장균열강도가 fcr인 경우 이 보의 최초 휨인장 균열모멘트 Mcr의 산정값은?(2017년 06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5%

6. 활하중의 저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지붕활하중을 제외한 등분포활하중은 부재의 영향 면적이 36m2 이상인 경우 기본등분포활하중에 활하중저감계수(C)를 곱하여 저감할 수 있다.
     2. 활하중 12kN/m2 이하의 공중집회 용도에 대해서는 활하중을 저감할 수 없다.
     3. 영향면적은 기둥 및 기초에서는 부하면적의 4배, 보 또는 벽체에서는 부하면적의 2배, 슬래브에서는 부하 면적을 적용한다.
     4. 1방향 슬래브의 영향면적은 슬래브 경간에 슬래브 폭을 곱하여 산정한다. 이때 슬래브 폭은 슬래브 경간의 1.5배 이하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1%

7. 기본등분포 활하중의 저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2월)
     1. 지붕활하중을 제외한 등분포활하중은 부재의 영향 면적이 36m2 이상인 경우 저감할 수 있다.
     2. 기둥 및 기초의 영향면적은 부하면적의 4배이다.
     3. 부하면적 중 캔틸레버 부분은 영향면적에 단순 합산한다.
     4. 1개 층을 지지하는 부재의 저감계수는 0.6보다 작을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64%

8. 「건축구조기준(KBC2016)」에서 풍동실험에 따라 특별풍 하중을 산정하여야 하는 조건이 아닌 것은?(2018년 06월)
     1. 평면이 원형인 건축물로 형상비 H/d(H : 건축물의 기준높이, d : 높이 2H/3에서의 외경)가 7 미만인 경우
     2. 장경간의 현수, 사장, 공기막 지붕 등 경량이며 강성이 낮은 지붕골조
     3. 국지적인 지형 및 지물의 영향으로 골바람 효과가 발생하는 곳에 위치한 건축물
     4. 인접효과가 우려되는 건축물

     정답 : []
     정답률 : 57%

9. 철근콘크리트 부재설계 시 강도감소계수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6월)
     1. 강도감소계수의 크기를 결정하는 기준은 부재의 파괴양상이다.
     2. 휨모멘트가 크게 작용하는 기둥의 경우, 변형률에 따라 강도감소계수 값을 보정한다.
     3. 인장지배 단면 부재에 적용되는 강도감소계수가 압축지배 단면 부재에 적용되는 값보다 작다.
     4. 보 휨설계 시 적용되는 강도감소계수는 0.85이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지배단면에 따른 강도감소계수
압축지배단면 : 0.65
변화구간단면 : 0.65~0.85
인장지배단면 : 0.85
[해설작성자 : 97dog]

10. 다음 그림과 같은 단면을 가지는 단순 지지보의 최대 인장응력의 크기는?(2015년 06월)

    

     1. 4.3N/mm2
     2. 8.3N/mm2
     3. 12.3N/mm2
     4. 16.3N/mm2

     정답 : []
     정답률 : 62%

11. <보기>의 구조물의 부정정 차수는?(2019년 02월)

    

     1. 0차
     2. 1차
     3. 2차
     4. 3차

     정답 : []
     정답률 : 46%

12. 목공사에 사용되는 구조용 합판의 품질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6월)
     1. 접착성은 내수 인장 전단 접착력이 0.7N/mm2 이상인 것이어야 한다.
     2. 함수율은 20% 이하인 것이어야 한다.
     3. 못접합부의 전단내력은 못접합부의 최대 전단내력의 40%에 해당하는 값이 700N 이상인 것이어야 한다.
     4. 못뽑기 강도는 못접합부의 최대 못뽑기 강도가 90N 이상인 것이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8%

13. 강구조에 사용되는 강재의 탄성영역에서 전단응력의 전단변형도에 대한 비례상수를 전단 탄성계수라 한다. 사용되는 강재의 탄성계수(E)가 2.0×105N/mm2이며 포아송비()가 0.25라 할 때 전단탄성계수(G) 값은 얼마인가?(2015년 06월)
     1. 80,000N/mm2
     2. 120,000N/mm2
     3. 160,000N/mm2
     4. 200,000N/mm2

     정답 : []
     정답률 : 65%

14. 등가정적해석법을 사용하여 중량이 동일한 건물의 밑면전단력을 산정할 때, 밑면전단력의 크기가 가장 큰 경우는 다음 중 어떠한 경우인가?(2016년 06월)
     1. 강성이 크고 반응수정계수가 큰 구조물
     2. 강성이 작고 반응수정계수가 큰 구조물
     3. 강성이 크고 반응수정계수가 작은 구조물
     4. 강성이 작고 반응수정계수가 작은 구조물

     정답 : []
     정답률 : 60%

15. <보기>는 건축물의 각 구조 부재별 피복두께를 나타낸 것이다. ㉠~㉢ 중 올바르게 제시된 값들을 모두 고른 것은? [단, 프리스트레스하지 않는 부재의 현장치기 콘크리트이며,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fck)는 40MPa이다.](2019년 06월)

    

     1. ㉠, ㉡
     2. ㉠, ㉢
     3. ㉡, ㉢
     4. ㉠, ㉡, ㉢

     정답 : []
     정답률 : 42%

16. 보통중량콘크리트 파괴계수를 고려할 때, 단면 폭 b 및 단면 높이 h인 직사각형 콘크리트 단면의 휨균열 모멘트 Mcr 의 값은? (단, fck는 콘크리트의 설계기준 압축강도이며, 처짐은 단면 높이 방향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한다.)(2019년 06월)
     1. Mcr = 0.105bh2√fck
     2. Mcr = 0.205bh3√fck
     3. Mcr = 0.305bh2√fck
     4. Mcr = 0.405bh3√fck

     정답 : []
     정답률 : 46%

17. 프리스트레스트(Prestressed) 콘크리트 부재에서 프리스트레스(Prestress)의 손실원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06월)
     1. 콘크리트의 수축
     2. 정착장치의 활동
     3. 긴장재 응력의 릴랙세이션
     4. 포스트텐셔닝 긴장재와 콘크리트 부재의 비부착

     정답 : []
     정답률 : 58%

18. 다음 중 강구조의 조립인장재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6월)
     1. 띠판은 조립인장재의 비충복면에 사용할 수 있으며, 띠판에서의 단속용접 또는 파스너의 재축방향 간격은 150mm 이하로 한다.
     2. 판재와 형강 또는 2개의 판재로 구성되어 연속적으로 접촉되어 있는 조립인장재의 재축방향 긴결간격은 대기 중 부식에 노출된 도장되지 않은 내후성강재의 경우 얇은 판두께의 16배 또는 180mm 이하로 해야 한다.
     3. 판재와 형강 또는 2개의 판재로 구성되어 연속적으로 접촉되어 있는 조립인장재의 재축방향 긴결간격은 도장된 부재 또는 부식의 우려가 없어 도장되지 않은 부재의 경우 얇은 판두께의 24배 또는 300mm 이하로 해야 한다.
     4. 끼움판을 사용한 2개 이상의 형강으로 구성된 조립인장재는 개재의 세장비가 가급적 300을 넘지 않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19. 강구조 매입형 합성부재의 구조제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강재코어의 단면적은 합성기둥 총단면적의 1% 이상으로 한다.
     2. 횡방향철근의 중심 간 간격은 직경 D10의 철근을 사용할 경우에는 300mm 이하, 직경 D13 이상의 철근을 사용할 경우에는 400mm 이하로 한다.
     3. 횡방향 철근의 최대 간격은 강재코어의 설계기준 공칭항복강도가 450MPa 이하인 경우에는 부재단면에서 최소크기의 0.25배를 초과할 수 없다.
     4. 연속된 길이방향철근의 최소철근비(psr)는 0.004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43%

20. 철골조에 철근콘크리트 슬래브를 타설할 경우, 철골보와 슬래브간의 전단력을 적절하게 전달하게 하는 철물은?(2015년 06월)
     1. 턴 버클(turn buckle)
     2. 스티프너(stiffener)
     3. 커버 플레이트(cover plate)
     4. 시어 커넥터(shear connector)

     정답 : []
     정답률 : 74%


정 답 지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594457)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철근콘크리트구조의 극한강도설계법에서 강도감소계수를 사용하는 이유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부정확한 부재강도 계산식에 대한 여유 확보
     2. 구조물에서 구조부재가 차지하는 부재의 중요도 반영
     3.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의 불확실성에 대한 여유 확보
     4. 주어진 하중조건에 대한 부재의 연성능력과 신뢰도 확보

     정답 : []
     정답률 : 55%

2. 다음 중 「건축구조기준(KBC2016)」에 따른 건축물 중요도 분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6월)
     1. 연면적 1,000m2 미만인 위험물저장시설은 중요도(1)에 해당한다.
     2. 연면적 1,000m2 이상인 소방서는 중요도(특)에 해당한다.
     3. 연면적 3,000m2 이상인 학교는 중요도(특)에 해당한다.
     4. 연면적 5,000m2 이상인 운수시설은 중요도(1)에 해당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3. 다음 중 프리스트레스하지 않는 부재의 현장치기콘크리트의 최소 피복두께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6월)
     1. 흙에 접하거나 옥외의 공기에 직접 노출되는 콘크리트에서 D25 이하의 철근일 경우는 50mm이다.
     2. 흙에 접하여 콘크리트를 친 후 영구히 흙에 묻혀 있는 콘크리트의 경우는 60mm이다.
     3. 수중에서 타설하는 콘크리트의 경우는 100mm이다.
     4. 옥외의 공기나 흙에 직접 접하지 않는 콘크리트의 보와 기둥은 40mm이다.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 fck가 40MPa 이상인 경우 규정된 값에서 10mm 저감시킬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95%

4. 3층 규모의 경골목조건축물의 내력벽 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내력벽 사이의 거리를 10m로 설계한다.
     2. 내력벽의 모서리 및 교차부에 각각 2개의 스터드를 사용하도록 설계한다.
     3. 3층은 전체 벽면적에 대한 내력벽면적의 비율을 25%로 설계한다.
     4. 지하층 벽을 조적조로 설계한다.

     정답 : []
     정답률 : 42%

5. 폭 b 및 높이 h인 직사각형 단면(b×h)을 갖는 무근콘크리트보에서, 콘크리트의 인장균열강도가 fcr인 경우 이 보의 최초 휨인장 균열모멘트 Mcr의 산정값은?(2017년 06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5%

6. 활하중의 저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지붕활하중을 제외한 등분포활하중은 부재의 영향 면적이 36m2 이상인 경우 기본등분포활하중에 활하중저감계수(C)를 곱하여 저감할 수 있다.
     2. 활하중 12kN/m2 이하의 공중집회 용도에 대해서는 활하중을 저감할 수 없다.
     3. 영향면적은 기둥 및 기초에서는 부하면적의 4배, 보 또는 벽체에서는 부하면적의 2배, 슬래브에서는 부하 면적을 적용한다.
     4. 1방향 슬래브의 영향면적은 슬래브 경간에 슬래브 폭을 곱하여 산정한다. 이때 슬래브 폭은 슬래브 경간의 1.5배 이하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1%

7. 기본등분포 활하중의 저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2월)
     1. 지붕활하중을 제외한 등분포활하중은 부재의 영향 면적이 36m2 이상인 경우 저감할 수 있다.
     2. 기둥 및 기초의 영향면적은 부하면적의 4배이다.
     3. 부하면적 중 캔틸레버 부분은 영향면적에 단순 합산한다.
     4. 1개 층을 지지하는 부재의 저감계수는 0.6보다 작을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64%

8. 「건축구조기준(KBC2016)」에서 풍동실험에 따라 특별풍 하중을 산정하여야 하는 조건이 아닌 것은?(2018년 06월)
     1. 평면이 원형인 건축물로 형상비 H/d(H : 건축물의 기준높이, d : 높이 2H/3에서의 외경)가 7 미만인 경우
     2. 장경간의 현수, 사장, 공기막 지붕 등 경량이며 강성이 낮은 지붕골조
     3. 국지적인 지형 및 지물의 영향으로 골바람 효과가 발생하는 곳에 위치한 건축물
     4. 인접효과가 우려되는 건축물

     정답 : []
     정답률 : 57%

9. 철근콘크리트 부재설계 시 강도감소계수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6월)
     1. 강도감소계수의 크기를 결정하는 기준은 부재의 파괴양상이다.
     2. 휨모멘트가 크게 작용하는 기둥의 경우, 변형률에 따라 강도감소계수 값을 보정한다.
     3. 인장지배 단면 부재에 적용되는 강도감소계수가 압축지배 단면 부재에 적용되는 값보다 작다.
     4. 보 휨설계 시 적용되는 강도감소계수는 0.85이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지배단면에 따른 강도감소계수
압축지배단면 : 0.65
변화구간단면 : 0.65~0.85
인장지배단면 : 0.85
[해설작성자 : 97dog]

10. 다음 그림과 같은 단면을 가지는 단순 지지보의 최대 인장응력의 크기는?(2015년 06월)

    

     1. 4.3N/mm2
     2. 8.3N/mm2
     3. 12.3N/mm2
     4. 16.3N/mm2

     정답 : []
     정답률 : 62%

11. <보기>의 구조물의 부정정 차수는?(2019년 02월)

    

     1. 0차
     2. 1차
     3. 2차
     4. 3차

     정답 : []
     정답률 : 46%

12. 목공사에 사용되는 구조용 합판의 품질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6월)
     1. 접착성은 내수 인장 전단 접착력이 0.7N/mm2 이상인 것이어야 한다.
     2. 함수율은 20% 이하인 것이어야 한다.
     3. 못접합부의 전단내력은 못접합부의 최대 전단내력의 40%에 해당하는 값이 700N 이상인 것이어야 한다.
     4. 못뽑기 강도는 못접합부의 최대 못뽑기 강도가 90N 이상인 것이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8%

13. 강구조에 사용되는 강재의 탄성영역에서 전단응력의 전단변형도에 대한 비례상수를 전단 탄성계수라 한다. 사용되는 강재의 탄성계수(E)가 2.0×105N/mm2이며 포아송비()가 0.25라 할 때 전단탄성계수(G) 값은 얼마인가?(2015년 06월)
     1. 80,000N/mm2
     2. 120,000N/mm2
     3. 160,000N/mm2
     4. 200,000N/mm2

     정답 : []
     정답률 : 65%

14. 등가정적해석법을 사용하여 중량이 동일한 건물의 밑면전단력을 산정할 때, 밑면전단력의 크기가 가장 큰 경우는 다음 중 어떠한 경우인가?(2016년 06월)
     1. 강성이 크고 반응수정계수가 큰 구조물
     2. 강성이 작고 반응수정계수가 큰 구조물
     3. 강성이 크고 반응수정계수가 작은 구조물
     4. 강성이 작고 반응수정계수가 작은 구조물

     정답 : []
     정답률 : 60%

15. <보기>는 건축물의 각 구조 부재별 피복두께를 나타낸 것이다. ㉠~㉢ 중 올바르게 제시된 값들을 모두 고른 것은? [단, 프리스트레스하지 않는 부재의 현장치기 콘크리트이며,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fck)는 40MPa이다.](2019년 06월)

    

     1. ㉠, ㉡
     2. ㉠, ㉢
     3. ㉡, ㉢
     4. ㉠, ㉡, ㉢

     정답 : []
     정답률 : 42%

16. 보통중량콘크리트 파괴계수를 고려할 때, 단면 폭 b 및 단면 높이 h인 직사각형 콘크리트 단면의 휨균열 모멘트 Mcr 의 값은? (단, fck는 콘크리트의 설계기준 압축강도이며, 처짐은 단면 높이 방향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한다.)(2019년 06월)
     1. Mcr = 0.105bh2√fck
     2. Mcr = 0.205bh3√fck
     3. Mcr = 0.305bh2√fck
     4. Mcr = 0.405bh3√fck

     정답 : []
     정답률 : 46%

17. 프리스트레스트(Prestressed) 콘크리트 부재에서 프리스트레스(Prestress)의 손실원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06월)
     1. 콘크리트의 수축
     2. 정착장치의 활동
     3. 긴장재 응력의 릴랙세이션
     4. 포스트텐셔닝 긴장재와 콘크리트 부재의 비부착

     정답 : []
     정답률 : 58%

18. 다음 중 강구조의 조립인장재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6월)
     1. 띠판은 조립인장재의 비충복면에 사용할 수 있으며, 띠판에서의 단속용접 또는 파스너의 재축방향 간격은 150mm 이하로 한다.
     2. 판재와 형강 또는 2개의 판재로 구성되어 연속적으로 접촉되어 있는 조립인장재의 재축방향 긴결간격은 대기 중 부식에 노출된 도장되지 않은 내후성강재의 경우 얇은 판두께의 16배 또는 180mm 이하로 해야 한다.
     3. 판재와 형강 또는 2개의 판재로 구성되어 연속적으로 접촉되어 있는 조립인장재의 재축방향 긴결간격은 도장된 부재 또는 부식의 우려가 없어 도장되지 않은 부재의 경우 얇은 판두께의 24배 또는 300mm 이하로 해야 한다.
     4. 끼움판을 사용한 2개 이상의 형강으로 구성된 조립인장재는 개재의 세장비가 가급적 300을 넘지 않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19. 강구조 매입형 합성부재의 구조제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강재코어의 단면적은 합성기둥 총단면적의 1% 이상으로 한다.
     2. 횡방향철근의 중심 간 간격은 직경 D10의 철근을 사용할 경우에는 300mm 이하, 직경 D13 이상의 철근을 사용할 경우에는 400mm 이하로 한다.
     3. 횡방향 철근의 최대 간격은 강재코어의 설계기준 공칭항복강도가 450MPa 이하인 경우에는 부재단면에서 최소크기의 0.25배를 초과할 수 없다.
     4. 연속된 길이방향철근의 최소철근비(psr)는 0.004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43%

20. 철골조에 철근콘크리트 슬래브를 타설할 경우, 철골보와 슬래브간의 전단력을 적절하게 전달하게 하는 철물은?(2015년 06월)
     1. 턴 버클(turn buckle)
     2. 스티프너(stiffener)
     3. 커버 플레이트(cover plate)
     4. 시어 커넥터(shear connector)

     정답 : []
     정답률 : 74%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594457)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39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사회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7389 항공기관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5일)(2207669)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7388 조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10월12일(5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2
7387 <h2>미용사(피부) 필기 시험문제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5일)(3683317)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7386 의료전자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4월14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7385 초음파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3월0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7384 9급 국가직 공무원 화학공학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4월1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7383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자동차구조원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6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7382 경비지도사 2차(기계경비기획및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11월2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7381 경찰공무원(순경) 경찰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9월11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7380 9급 지방직 공무원 지적측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5일)(7118810)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7379 수능(화학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3월1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7378 일반기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5월11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2
7377 사회복지사 1급(3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2월0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7376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기계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6월1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7375 방사선비파괴검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3월0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7374 수능(지구과학I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7월1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7373 청소년상담사 3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5일)(1851738)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7372 워드프로세서 (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5일)(8273222)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7371 9급 지방직 공무원 기계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6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385 Next
/ 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