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물류관리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서 필요한 사항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08년 08월)
1.
최고경영자는 통합물류관리의 목표, 방법, 대상 등을 분명히 알려주어야 한다.
2.
물류관리 담당자는 물류혁신과 관련된 전사적인 인사관리에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
3.
각 부문별 관리자는 개별 부서의 성과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업무체계를 정비해야 한다.
4.
전체적 효율화 및 부문간 유기적인 결합을 위한 통합물류정보시스템이 필요하다.
5.
각 부서 활동에 대한 성과측정 내용과 방법이 전사적인 관점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2%
13.
물류거점 집약화의 효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7월)
1.
공장과 물류거점 간의 운송 경로가 통합되어 대형차량의 이용이 가능하다.
2.
물류거점과 고객의 배송단계에서 지점과 영업소의 수주를 통합하여 안전재고가 줄어든다.
3.
운송차량의 적재율 향상이 가능하다.
4.
물류거점의 기계화와 창고의 자동화 추진이 가능하다.
5.
물류거점에서 재고집약과 재고관리를 함으로써 재고의 편재는 해소되나 과부족 발생가능성이 높아진다.
정답 : [
5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물류거점 집약화의 효과 ① 공장과 물류거점 간의 운송 경로가 통합되어 대형차량의 이용이 가능하다. ② 물류 거점과 고객의 배송단계에서 지점과 영업소의 수주를 통합하여 안전재고가 줄어든다. ③ 운송차량의 적재율이 향상된다. ④ 물류거점의 기계화와 창고의 자동화 추진이 가능하다. ⑤ 물류거점에서 재고집약 및 재고관리를 하게 되면 재고과부족의 발생 가능성은 줄어들지만 특정 거점에 재고가 몰리는 재고의 편재 가능성은 높아진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4.
제품 A의 개당 판매 가격은 10 만원이고, 당기 고정비가 2 억원, 변동비는 가격의 75 %이다. 당기 손익분기점에 해당하는 제품 A의 판매량(개)은?(2025년 07월)
1.
6,000
2.
7,000
3.
8,000
4.
9,000
5.
10,000
정답 : [
3
] 정답률 : 알수없음
15.
A 기업의 수익률이 전체매출액 대비 20%이고 물류비가 전체매출액의 10%를 차지할 때, 물류비를 10% 절감한다면 수익률은 얼마나 증가하는가? (단, 다른 조건은 동일하다고 가정한다.)(2008년 08월)
1.
1%
2.
9%
3.
10%
4.
19%
5.
20%
정답 : [
1
] 정답률 : 32%
16.
물류 분야의 활동기준원가계산(ABC: Activity Based Costing)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7월)
1.
재료비, 노무비 및 경비로 구분하여 계산한다.
2.
업무를 활동단위로 세분하여 원가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3.
활동별로 원가를 분석하므로 낭비요인이 있는 물류업무영역을 파악할 수 있다.
4.
산정원가를 바탕으로 원가유발요인분석과 성과측정을 할 수 있다.
5.
물류서비스별, 활동별, 고객별, 유통경로별, 프로세스별 수익성 분석이 가능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활동기준원가의 구성요소는 자원과 자원동인. 활동과 활동동인으로 구분한다
17.
2018년도 매출액이 100억원인 A기업의 영업이익률은 5 %이고 물류비는 10억원이었다. 2019년도의 경영혁신 추진방안 중에서 재무적 기대효과가 가장 큰 것은? (단, 2019년 영업이익률은 2018년과 동일하다고 가정)(2019년 07월)
1.
전년대비 매출액 20 % 증가와 물류비용 20 % 절감
2.
전년대비 매출액 30 % 증가와 물류비용 3억원 절감
3.
전년대비 매출액 20억원 증가와 물류비용 3억원 절감
4.
전년대비 매출액 40억원 증가와 물류비용 20 % 절감
5.
전년대비 매출액 50억원 증가와 물류비용 10 % 절감
정답 : [
2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1. 매출액 20% 증가 - 120억 * 0.05 = 6억(1억 증가) / 물류비용 20% 절감 - 2억 이익 증가 : 총 3억 이익증가 2. 매출액 30% 증가 - 130억 * 0.05 = 6.5억(1,5억 증가) / 물류비용 3억원 절감 : 총 4.5억 이익증가 3. 매출액 20억 증가 - 120억 * 0.05 = 6억(1억 증가) / 물류비용 3억 절감 : 총 4억 이익증가 4. 매출액 40억 중가 - 140억 * 0.05 = 7억(2억 증가) / 물류비용 20% 절감 - 2억 이익 증가 : 총 4억 이익증가 5. 매출액 50억 증가 = 150억 * 0.05 = 7.5억(2.5억 증가) / 물류비용 10% 절감 : 1억 이익 증가 : 총 3.5억 이익증가 [해설작성자 : 비비안지유]
18.
물류기업 K는 제품의 포장 및 검사를 대행하는 유통가공 서비스의 경제적 타당성을 검토하고 있으며, 관련 자료는 다음과 같다. K사 유통가공 서비스의 연간 손익분기 매출액(단위: 만원)은?(2023년 07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시스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6월)
1.
원거리 인식 및 여러 개의 정보를 동시에 판독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2.
장애물 투과기능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교통 분야에 적용도 가능하며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3.
태그에 대용량의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 데이터 인식속도도 타 매체에 비해 빠르다.
4.
바코드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접촉하지 않으면 인식이 불가능하다.
5.
기존 바코드에 기록할 수 있는 가격, 제조일 등 정보 외에 다양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64%
21.
X, Y축의 양방향으로 데이터를 배열시켜 평면화한 점자식 또는 모자이크식 코드를 의미하는 2차원 코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7월)
1.
한국어뿐만 아니라 외국어도 코드화가 가능하다.
2.
데이터 구성방법에 따라 단층형과 다층형으로 나뉜다.
3.
1차원 바코드에 비해 좁은 영역에 많은 데이터를 표현할 수 있다.
4.
2차원 코드로 Maxi Code, QR Code, Data Code, Code 16K 등이 있다.
5.
문자, 숫자 등의 텍스트는 물론 그래픽, 사진 등 다양한 데이터를 담을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데이터 구성방법에 따라 다층형 바코드, 매트릭스형 코드로 나뉜다. [해설작성자 : 룰루]
22.
포장표준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7월)
1.
포장이 표준화되어야 기계화, 자동화, 파렛트화, 컨테이너화 등이 용이해진다.
2.
포장치수는 파렛트 및 컨테이너 치수에 정합하고, 수송, 보관, 하역의 기계화 및 자동화에 최적의 조건을 제공해야 한다.
3.
포장표준화는 치수, 강도, 재료, 기법의 표준화 등 4요소로 나누지만, 관리의 표준화를 추가하기도 한다.
4.
포장표준화를 통해 포장비, 포장재료비, 포장작업비 등을 절감할 수 있다.
5.
치수표준화는 비용절감효과가 빠르게 나타나지만 강도표준화는 그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다.
정답 : [
5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5. 각 기업들의 다양한 포장치수를 하나의 치수로 통일하는 치수표준화가 보다 중요하지만 그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다. 반면 강도표준화는 주로 포장재료의 적정화로 비용절감 효과가 빠르게 나타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3.
전통적 물류와 E/M/T Commerce (E : Electronic, M : Mobile, T : TV) 물류를 비교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8월)
1.
①
2.
②
3.
③
4.
④
5.
⑤
정답 : [
4
] 정답률 : 69%
24.
다음 기업사례에서 설명하는 공급사슬관리(SCM) 기법은?(2019년 07월)
1.
Risk Pooling
2.
Exponential Smoothing
3.
Postponement
4.
Vendor Managed Inventory
5.
Sales and Operation Planning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 Postponement (지연전략) [해설작성자 : 비비안지유]
25.
JIT(Just In Time)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8월)
1.
JIT 방식은 정확한 시간에 정확한 수량으로 정확한 납품이 요구된다.
2.
JIT 방식은 재고비용의 낭비요소를 줄일 수 있다.
3.
JIT 방식에서 공급자와 발주자는 장기적인 종속거래관계를 형성한다.
4.
JIT 방식에서 납품 차질로 인한 생산지연에 대한 비용은 공급자가 부담한다.
5.
JIT 방식은 발주자의 구매업무 및 인력이 절감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62%
26.
많은 기업들이 물류공동화를 추진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물류공동화의 일반적인 장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7월)
1.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2.
화물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3.
수ㆍ배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4.
물류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5.
안정적인 물류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78%
27.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판독기를 이용하여 태그(Tag)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는 무선주파수인식기술이다.
2.
바코드와는 달리 제품의 원산지 및 중간이동과정 등 다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3.
RFID시스템은 리더기, 태그 등의 요소로 구성된다.
4.
RFID는 주파수대역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5.
능동형(Active) 태그는 배터리 없이 근거리통신에 사용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69%
28.
4PL(Fourth Party Logistics)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8월)
1.
다양한 기업이 파트너로 참여하는 혼합조직 형태
2.
합작투자 또는 장기제휴
3.
이익분배를 통한 공통의 목표 설정
4.
공급체인 전체의 관리와 운영
5.
기업이 사내의 물류조직을 별도로 분리하여 전문 물류 자회사로 독립시켜 운영
정답 : [
5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기업이 사내의 물류조직을 별도로 분리하여 전문 물류 자회사로 독립시켜 운영하는 것은 자회사물류(2PL : Second Party Logistics)이다.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 행인]
29.
다음 중 최근 물류환경의 변화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07년 08월)
1.
전자상거래의 확대, 특히 B2C의 확대는 물류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2.
정보기술(IT)을 활용한 다양한 물류관리체계 합리화 기법들이 도입되고 있다.
3.
기업간의 전략적 제휴 및 파트너십이 확산되고 있다.
4.
생산자 중심의 부가가치 개념을 중시하여 e-SCM, e-logistics, 물류 e-Marketplace 등이 등장하고 있다.
5.
기업내에서 전담하던 물류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3자 물류업체에 위탁하는 형태가 확산되고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41%
30.
SCM의 응용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7월)
1.
ECR(Efficient Consumer Response): 유통업체와 제조업체가 고객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상품을 제공하고 고객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공급망을 push 방식으로 변화시키고 제품을 보충하는 기법이다.
2.
QR(Quick Response): 미국 식료품업계에서 개발한 공급망관리 기법으로써 유통업체의 물류센터에 있는 각종 데이터가 제조업체로 전달되면 제조업체가 주관하여 물류센터로 제품을 배송하고 관리하는 기법이다.
3.
Mass Customization: 비용, 효율성 및 효과성을 희생하여 개별 고객들의 욕구를 파악하고 충족시키는 전략이다.
4.
Postponement: 공장에서 제품을 완성하는 대신시장 가까이로 제품의 완성을 지연시켜 소비자가 원하는 다양한 수요를 만족시키는 전략적 지연을 의미한다.
5.
VMI(Vendor Managed Inventory): 수요자 주도형 재고관리로써 효율적 매장구색, 효율적 재고보충, 효율적 판매촉진 및 효율적 신제품 개발 등이 핵심적 실행전략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52%
31.
물류표준화의 목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4년 08월)
1.
단위 화물체계의 보급
2.
물류기기와의 연계성 향상
3.
물류비의 절감
4.
납품주기 단축과 납품횟수 증대
5.
물류활동의 효율화
정답 : [
4
] 정답률 : 75%
32.
물류보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7월)
1.
물류보안제도는 적용범위에 따라 공급사슬의 특정 구간을 적용대상으로 하고 있는 제도와 공급사슬의 전 구간을 적용대상으로 하고 있는 제도로 나눌 수 있다.
2.
최초의 물류보안제도는 2005년 11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발표한 ISO/PAS 28000 이다.
3.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ustoms and Border Protection: CBP)은 9.11테러 이후 반러프로그램의 일환으로 CSI(Container Security Initiative)를 도입하였다.
4.
24시간 전 적하목록 제출제도는 운송인이 선적항에서 선적 24시간 전에 화물적 하목록을 제출하도록 규정한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BP)의 규칙이다.
5.
세계관세기구(WCO)는 무역의 안전 및 원활화를 조화시키는 표준협력으로 AEO(Authorized Economic Operator)를 도입하였다.
정답 : [
2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최초의 물류보안제도는 미국이 자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도입한 C-TPAT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3.
물류합리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7월)
1.
물류합리화를 위해서는 시스템적 접근에 의한 물류활동 전체의 합리화를 추진하여야 한다.
2.
물류 수발주 처리의 전산화 등 물류정보의 전달체계 개선은 물류합리화 대상이 되지 않는다.
3.
경제규모의 증대, 물류비의 증대 및 노동력 수급상의 문제점 등은 물류합리화의 필요성을 증대시킨다.
4.
차량이나 창고공간의 활용을 극대화해서 유휴부문을 최소화하는 것도 물류합리화 대책이 될 수 있다.
5.
물류합리화는 운송, 보관, 포장, 하역뿐만 아니라 물류조직도 그 대상이 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물류 합리화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가 동시에 개선이 되어야 한다. 소프트웨어 : 전산, 정보 등 하드웨어 : 운송, 보관, 포장 등 [해설작성자 : ㅇ]
34.
물류 아웃소싱(Outsourcing)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물류활동을 효율화하기 위해 물류기능을 외부의 전문업체에 위탁하는 것이다.
2.
기업 핵심정보의 유출가능성이 있으며 사내에 물류전문지식의 축적이 어려울 수 있다.
3.
유연성이 있는 고용형태와 급여체계 실현이 가능하다.
4.
주요 대상영역은 주문접수 및 처리, 고객서비스관리, 재고관리 분야이다.
5.
고객불만에 대한 신속한 대처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39%
35.
4자물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7월)
1.
기존의 3자물류 서비스에 IT, 기술, 전략적 컨설팅 등을 추가한 서비스이다.
2.
포괄적인 공급사슬관리(SCM)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합서비스로, 공급사슬 전반의 최적화를 도모한다.
3.
합작투자 또는 장기간 제휴형태로 운영되며, 이익의 분배를 통하여 공통의 목표를 설정한다.
4.
기업과 고객 간의 거래(B2C) 보다는 기업과 기업 간의 거래(B2B)에 집중한다.
5.
다양한 기업이 파트너로서 참여하는 혼합조직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4자물류 : 3PL + IT업체 + 컨설팅업체 + 금융업체 : 광범위한 공급체인관리(SCM)체제를 구축하고 물류효율화를 위한 전략이 확대됨에 따라 등장한 개념 : 전체적인 공급사슬 솔루션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와 함께 기업의 경영자원, 능력, 기술을 관리하고 결합하는 공급사슬 통합자, 대표적인 비자산기반 지식형 물류기업 : 물류정보와 정보인프라가 복잡하게 얽혀 이는 기존 물류산업이 재편되고 특화된 물류솔루션을 바탕으로 한 산업별 물류체계의 구축이 가속화될 것임
특징 - 물류아웃소싱이 활성화되면서 3자물류가 더욱 발전된 개념 - 상호보안관계에 있는 IT 업체, 운송업체 등 타 물류업체와 연합하여 서비스를 제공(네트워크 조직) -> 합작투자 또는 장기간 제휴 형태 - 4자물류 서비스 제공자는 아웃소싱과 인소싱의 장점을 통합한 형태로 최대한의 경영성과를 얻기 위한 조직 - 4자물류 서비스 제공자는 공급사슬 전체를 관리하고 운영하며, 다양한 기업을 파트너로 참여시킴 -> 통합서비스와 수평적 계약관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6.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공동 수ㆍ배송 운영방식은?(2024년 08월)
1.
집배송공동형
2.
배송공동형
3.
노선집하공동형
4.
공동수주ㆍ공동배송형
5.
납품대행형
정답 : [
1
] 정답률 : 58%
37.
다음 중 유통채널의 수직적 통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8월)
1.
합병 또는 자본적 결합을 수반하는 경우를 자본통합이라고 한다.
2.
수직적 통합은 적은 비용이 소요되며 유통조직 간의 유연성이 제고된다.
3.
유통단계간의 여러 활동에 대한 사전 및 사후조절이 용이하다.
4.
자본과 인적수단에 의해 하나의 기업이 두 개 이상의 생산, 유통단계를 통합하는 것이다.
5.
거래처를 탐색, 교섭, 감시하는 비용이 줄어들고, 독자적 제품 조달처 및 판매처의 확보가 가능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60%
38.
BSC(Balanced Score Card)는 기업의 성과 중 재무적 관점, 고객관점,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점, 학습 및 성장의 관점에서 종합적이고 균형적으로 측정하는 성과평가시스템이다. 다음 중 학습 및 성장 관점의 측정항목에 해당하는 것은?(2011년 08월)
1.
내ㆍ외부 물류프로세스의 통합
2.
전사적 물류통합조직의 운영 정도
3.
운송화물추적(Tracking) 서비스
4.
업무처리절차의 신속성
5.
리드타임 단축
정답 : [
2
] 정답률 : 38%
39.
녹색물류 추진방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7월)
1.
공동 수ㆍ배송 추진
2.
소량 다빈도 수송 추진
3.
모달 쉬프트(modal shift) 추진
4.
회수물류 활성화
5.
저공해 운송수단 도입
정답 : [
2
] 정답률 : 77%
40.
다음의 내용에 해당되는 경영기법은?(2008년 08월)
1.
6-시그마
2.
자재소요계획
3.
제약이론
4.
JIT(Just In Time)
5.
수송계획법
정답 : [
3
] 정답률 : 56%
2과목 : 화물수송론
41.
운송수단을 선택할 때의 고려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7월)
1.
화물의 종류 및 중량
2.
운임부담력
3.
화물 운송구간의 소요시간
4.
로트 사이즈(Lot Size)
5.
화물 납품처의 매출규모
정답 : [
5
] 정답률 : 77%
42.
선박에 대한 관세, 등록세, 소득세, 도선료, 각종 검사료와 세금 및 수수료의 산정 기준이 되며 선박의 크기를 나타낼 때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선박 톤수는?(2013년 06월)
1.
총톤수(gross tonnage)
2.
순톤수(net tonnage)
3.
재화중량톤수(dead weight tonnage)
4.
배수톤수(displacement tonnage)
5.
재화용적톤수(measurement tonnage)
정답 : [
1
] 정답률 : 70%
43.
운송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6월)
1.
최적의 운송수단 선택, 정보시스템의 발전, 신규 수송루트의 개발 등으로 운송의 효율성이 향상되었다.
2.
운송은 수요자의 요청에 따라 공급이 이루어지는 즉시재(Instantaneous Goods)의 성격을 갖는다.
3.
Modal Shift 등 수송체계의 다변화, 운송업체의 대형화 등을 통해 운송시스템의 합리화가 가능하다.
4.
운송수요는 유통 및 생산에 대한 파생수요적 성격을 갖는다.
5.
운송 대형화에 따른 비용 절감으로 물류비 중 운송비가 가장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정답 : [
5
] 정답률 : 58%
44.
기존의 도로(공로) 중심의 운송체계를 철도 및 연안운송 등으로 전환하는 것을 뜻하는 용어는?(2013년 06월)
1.
3PL(3rd Party Logistics)
2.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
3.
통합물류서비스(Integrated Logistics Service)
4.
모달쉬프트(Modal Shift)
5.
LCL(Less than Container Load)
정답 : [
4
] 정답률 : 71%
45.
다음과 같은 수배송 네트워크가 주어져 있을 때 출발지 S에서 목적지 F까지의 최대 수송량을 목적으로 할 때 용량이 남는 구간은? (단, 각 경로에 표시된 숫자는 경로별 수송용량을 의미하며 모든 수송로를 단독으로 사용한다.)(2015년 07월)
1.
A → B
2.
B → C
3.
C → F
4.
B → E
5.
E → F
정답 : [
4
] 정답률 : 30%
46.
운송수단의 운영 효율화를 위한 원칙으로 옳은 것은?(2021년 07월)
1.
소형차량을 이용하는 소형화 원칙
2.
영차율 최소화 원칙
3.
회전율 최소화 원칙
4.
가동률 최대화 원칙
5.
적재율 최소화 원칙
정답 : [
4
] 정답률 : 70%
47.
운송 효율화 측면에서 ‘운송수단과 비용간의 관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7월)
1.
운송수단의 선정 시 운송비용과 재고유지비용을 고려한다.
2.
운송수단별 운송물량에 따라 운송비용에 차이가 있다.
3.
항공운송은 리드타임(Lead Time)이 짧기 때문에 재고유지비용이 증가한다.
4.
해상운송은 운송기간 중에 재고유지비용이 증가한다.
5.
속도가 느린 운송수단일수록 운송 빈도가 낮아져 보관비가 증가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1%
48.
물류활동 및 운송합리화를 위한 3S1L의 기본원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7월)
다음은 B기업의 2018년도 화물자동차 운행실적이다. 실차율, 적재율, 가동률이 모두 옳은 것은? (단,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 (순서대로 실차율, 적재율, 가동률)(2018년 07월)
1.
83.3%, 80.0%, 86.7%
2.
83.3%, 86.7%, 80.0%
3.
86.7%, 60.0%, 83.3%
4.
86.7%, 80.0%, 83.3%
5.
86.7%, 86.7%, 80.0%
정답 : [
4
] 정답률 : 58%
50.
2007년 12월 28일 공정거래위원위가 승인한 “택배 표준약관(제10026호)”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8월)
1.
손해배상한도액은 고객이 운송장에 운송물의 가액을 기재하지 아니한 경우에 한하여 적용되며, 사업자는 손해배상한도액을 미리 이 약관의 별표로 제시하고 운송장에 기재한다.
2.
운송물의 멸실, 훼손 또는 연착이 사업자 또는 그의 사용인의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인하여 발생한 때에는 사업자는 모든 손해를 배상한다.
3.
사업자는 고객이 운송장에 필요한 사항을 기재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운송물의 수탁을 거절할 수 없다.
4.
사업자는 고객의 이익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탁한 운송물을 다른 운송사업자와 협정을 체결하여 공동으로 운송하거나 다른 운송사업자의 운송수단을 이용하여 운송할 수있다.
5.
운송물의 일부 멸실 또는 훼손에 대한 사업자의 손해배상책임은 수하인이 운송물을 수령한 날로부터 14일 이내에 그 일부 멸실 또는 훼손에 대한 사실을 사업자에게 통지를 발송하지 아니하면 소멸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47%
51.
운송회사는 공급지 A, B, C에서 수요지 W, X, Y, Z까지 화물을 운송하려고 한다. 최소비용법에 의한 총운송비용과 공급지 B에서 수요지 X까지의 운송량은? (단, 공급지와 수요지간 톤당 단위운송비용은 셀의 우측 상단에 표시됨)(2019년 07월)
1.
1,210,000원, 30톤
2.
1,210,000원, 40톤
3.
1,210,000원, 50톤
4.
2,050,000원, 30톤
5.
2,050,000원, 40톤
정답 : [
1
] 정답률 : 58%
52.
다음에서 설명하는 화물자동차 운송정보시스템은?(2023년 07월)
1.
WMS(Warehouse Management System)
2.
Routing System
3.
Tracking System
4.
VMS(Vanning Management System)
5.
CVO(Commercial Vehicle Operating system)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2. Routing System : 화물자동차의 최종 배송지에 대한 최적 운송경로를 설정하여주는 운송경로 시스템 4. VMS 적재관리 시스템 : 화물의 특징에 따라 적정한 화물차에 화물이 효율적으로 적재될 수 있도록 차량의 소요 배차 적재위치 등을 지정해주는 적재관리 시스템 5. CVO 구차구화시스템 : 차주와 화주를 연결하는 구차구화시스템으로 화물차량의 위치, 적재화물의 종류, 운행상태, 노선상태 등울 자동적으로 파악하여 화물차량의 운행을 최적화하고 관리를 효율화하기 위한 지능형 교통시스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 WMS: 창고관리시스템 / 창고내에서 자재 및 재고를 관리하면서 발생하는 모든 활동들을 유기적으로 통합관리하여 고객 기업의 물류관리 및 운영 능력을 향상시키고 경영자원의 효율적 활용과 고객서비스 향상을 지원하는 관리시스템 [해설작성자 : 이번엔 붙자,, 재발,,]
3. Tracking System : 주문배송추적시스템 [해설작성자 : 이번엔 붙자,, 재발,,]
53.
화물자동차운송의 고정비 항목으로 옳은 것은?(2022년 08월)
1.
유류비
2.
수리비
3.
감가상각비
4.
윤활유비
5.
도로통행료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고정비 = 운행 안해도 나가는 비용 변동비 = 운행 많이하면 많이 나가고 안하면 안나가고 적게하면 적게 나가는 비용 [해설작성자 : 똘딴]
54.
철도운송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07월)
1.
이단적열차(Double Stack Train): 컨테이너가 적재된 트레일러를 무개화차위에 그대로 적재하여 운송하는 열차
2.
철도ㆍ도로겸용시스템(Bimodal System): Box Car, Hopper Car, 곤돌라화차 등의 각종 철도차량을 전기 또는 디젤기관차에 직접 연결하여 화물을 운송하는 방식
3.
곤돌라화차(Gondola Car): 날씨 또는 기후로부터 화물이 보호될 수 있도록 상자 형태로 제작된 화차
4.
덮개형 개저식화차(Covered Hopper Car): 천장 부분에 적재용 뚜껑이 부착되어 있고, 밑 부분에 중력양륙 또는 공기양륙 장치가 부착되어 있는 화차
5.
무개화차(Flat Car): 상면이 평평하여 가공되지 않은 곡물 등의 산화물을 운송하는데 적합한 화차
정답 : [
4
] 정답률 : 42%
55.
화물자동차의 명칭과 화물적재와의 관계에 관한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7월)
1.
전폭: 팔레트 적재 수, 컨테이너의 적재여부에 영향을 준다.
2.
전·후 오버행: 커브 시 안전도에 영향을 준다.
3.
하대높이: 지하도 및 교량 통과 높이에 영향을 준다.
4.
제1축간 거리: 축간거리가 길수록 적재함의 길이가 커지거나 적재함 중량이 뒷바퀴에 많이 전달된다.
5.
오프: 오프 값이 클수록 적재함 중량이 뒷바퀴에 많이 전달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16%
56.
다이어그램 배송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한 것은?(2007년 08월)
1.
차량 적재율을 기준으로 가장 적합한 배송방식을 결정한다.
2.
비교적 광범위한 지역에서 소량의 화물을 주문하는 다수고객에게 배송할 때 유리하다.
3.
배송범위가 60km 이상인 경우 주로 적용한다.
4.
배송범위가 30km 이내, 배송빈도는 2회/일 또는 1.5회/일(30~60km)인 경우 주로 적용한다.
5.
배송범위를 몇 가지 경로로 구분한 후 1회/일 배송을 원칙으로 배송차량의 크기와 출발시간을 정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14%
57.
다음 네트워크에서 7지점의 물류 창고를 모두 연결하는 도로를 개설하려 한다. 최소로 필요한 도로 연장은? (단, 각 구간별 숫자는 거리(km)를 나타냄)(2017년 07월)
택배 표준약관(공정거래위원회 표준약관 제10026호)에서 사업자가 운송물의 수탁을 거절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2021년 07월)
1.
운송물의 인도예정일(시)에 따른 운송이 불가능한 경우
2.
운송이 법령, 사회질서 기타 선량한 풍속에 반하는 경우
3.
운송물 1포장의 가액이 100만원 이하인 경우
4.
운송물이 살아 있는 동물, 동물사체 등인 경우
5.
고객(송화인)이 운송장에 필요한 사항을 기재하지 아니한 경우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포장의 가액이 300만원 이하이다. [해설작성자 : 유통3급탈락자]
1포장 가액이 300만원 '초과'일때 거절가능 [해설작성자 : 세방맨]
59.
가로 150 cm, 세로 120 cm, 높이 30 cm의 Box 4개가 있다. Box 한 개당 실제 총 중량이 80 kg일 때 항공운임 산출중량을 구한 것으로 옳은 것은?(2015년 07월)
1.
320 kg
2.
340 kg
3.
360 kg
4.
380 kg
5.
400 kg
정답 : [
3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항공운임은 기본적으로 높은 운임으로 선정 (1)kg계산법 -> 80(kg)*4(개)= 320(kg) (2)CM기준 (가로*세로*높이*개수/6000) -> (150*120*30*4)/6000= 360(kg) [해설작성자 : 티다]
60.
수ㆍ배송시스템 설계 시 고려 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07월)
1.
리드타임
2.
적재율
3.
차량의 회전율
4.
차량운행 대수
5.
안전수요량
정답 : [
5
] 정답률 : 67%
61.
선박의 국적(선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8월)
1.
전통적인 선박의 국적 취득 요건은 자국민 소유, 자국 건조, 자국민 승선이다.
2.
편의치적제도를 활용하는 선사는 자국의 엄격한 선박운항기준과 안전기준에서 벗어날 수 있다.
3.
제2선적제도는 기존의 전통적 선적제도를 폐지하고, 역외등록제도와 국제선박등록제도를 신규로 도입한다.
4.
편의치적제도는 세제상의 혜택과 금융조달의 용이성으로 인해 세계적으로 확대되었다.
5.
우리나라는 제2선적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3. 제2선적제도는 기존의 전통적 선적제도를 폐지하는 것이 아닌 별개로 운용되는 제도이다. [해설작성자 : Yadon_]
62.
다음 네트워크에서 각 운송로의 숫자는 각 운송로에 대한 최대 운송 용량(톤)을 나타낸다. 출발지 S에서 목적지 F로 최대로 운송할 수 있는 운송량은?(2011년 08월)
1.
4톤
2.
5톤
3.
6톤
4.
7톤
5.
8톤
정답 : [
2
] 정답률 : 19%
63.
랜드브리지(Land Bridge)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8월)
1.
대륙과 대륙을 연결하는 데 있어서 항공운송이 교량(Bridge) 역할을 하는 운송시스템이다.
2.
운송시간의 단축 또는 운송비의 절감이 주요 목표이다.
3.
SLB는 TSR을 이용하는 운송시스템이다.
4.
ALB는 수에즈 운하가 봉쇄될 경우, 이용할 수 있는 운송시스템 중의 하나이다.
5.
TCR은 중국 연운항을 기점으로 하는 대륙횡단철도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75%
64.
항공화물 운송에 필요한 지상조업장비의 하나로 적재작업이 완료된 항공화물의 단위탑재용기를 터미널에서 항공기까지 견인차에 연결하여 수평 이동하는 장비는?(2017년 07월)
1.
하이 로더(high loader)
2.
포크리프트 트럭(forklift truck)
3.
트랜스포터(transporter)
4.
달리(dolly)
5.
셀프 프로펠드 컨베이어(self propelled conveyor)
정답 : [
4
] 정답률 : 47%
65.
다음 S에서 출발하여 F에 도착하는 운송네트워크의 최단경로 거리(km)는? (단, 경로별 숫자는 km임)(2025년 07월)
1.
11
2.
12
3.
13
4.
14
5.
15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66.
아시아와 북미 또는 유럽을 연결하는 컨테이너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선박회사의 특징을 모두 고른 것은?(2010년 08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 : [
2
] 정답률 : 39%
67.
파이프라인 운송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다른 운송수단에 비해서 유지비가 저렴하다.
2.
연속으로 대량운송이 가능하다.
3.
컴퓨터 시스템에 의한 자동화가 가능하다.
4.
유류 등을 운송하므로 친환경 운송수단이 아니다.
5.
초기 시설투자비가 비교적 많이 든다.
정답 : [
4
] 정답률 : 61%
68.
항공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7월)
1.
High Capacity Aircraft는 소형기종의 항공기로서 데크(deck)에 의해 상부실 및 하부실로 구분되며 하부실은 구조상 ULD의 탑재가 불가능하다.
2.
항공기는 국제민간항공조약에 의해 등록이 이루어진 국가의 국적을 보유하도록 되어 있다.
3.
여객기는 항공기의 상부 공간은 객실로 이용하고 하부 공간은 화물실로 이용한다.
4.
Convertible Aircraft는 화물실과 여객실을 상호 전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항공기이다.
5.
항공기 블랙박스는 비행정보 기록장치와 음성 기록장치를 통칭하는 이름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High Capacity Aircraft(대형기종)는 대형 항공기를 의미하며, 데크(deck)에 의해 상부(Upper Deck)와 하부(Lower Deck)로 구분됩니다. 하부실(화물실, Lower Deck)에도 ULD(Unit Load Device, 단위적재용기)의 탑재가 가능하며, 오히려 대형기종일수록 ULD 탑재가 활발하게 이루어집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9.
세이빙(Saving)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6월)
1.
차량의 통행시간, 적재능력 등이 제한되는 복잡한 상황에서 차량의 노선 배정 및 일정계획 문제의 해결방안을 구하는 한 방법이다.
2.
배차되는 각 트럭의 용량은 총수요보다 크고 특정 고객의 수요보다는 작아야 한다.
3.
배송센터에서 두 수요지까지의 거리를 각각 a, b라 하고 두 수요지 간의 거리를 c라 할 때 saving은 a+b-c가 된다.
4.
세이빙이 큰 순위로 차량 운행 경로를 편성한다.
5.
경로 편성 시 차량의 적재 용량 등의 제약을 고려해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0%
70.
비교적 광범위한 지역에 소량화물을 요구하는 다수의 고객을 대상으로 배송할 때에 유리한 방법으로 판매지역에 대하여 배송 담당자가 배송 트럭에 화물을 상ㆍ하차하고 화물을 수수함과 동시에 현금수수도 병행하는 방식은?(2013년 06월)
1.
다이어그램(diagram) 배송 방식
2.
루트(route) 배송 방식
3.
단일 배송 방식
4.
콘솔(consolidation) 배송 방식
5.
변동 다이어그램 배송 방식
정답 : [
2
] 정답률 : 55%
71.
해상운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7월)
1.
Discrimination Rate는 화물, 장소, 화주에 따라 차별적으로 부과하는 운임이다.
2.
Freight Collect는 무역조건이 CFR계약이나 CIF계약으로 체결되는 경우에 적용되는 운임이다.
3.
Optional Surcharge는 양륙항을 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운송 도중에 양륙항이 정해지는 경우에 부과되는 할증운임이다.
4.
Terminal Handling Charge는 화물이 CY에 입고된 순간부터 본선의 선측까지와 본선의 선측에서 CY 게이트를 통과하기까지의 화물 이동에 따른 비용으로 국가별로 그 명칭과 징수내용이 다소 상이하다.
5.
Congestion Surcharge는 도착항의 항만이 혼잡할 경우에 부과되는 할증료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2번은 선불운임에 대한 설명입니다 Freight collect(후불운임)은 FOB조건으로 계약체결시 적용되는 운임입니다. [해설작성자 : 홈즈hz]
72.
다음과 같은 네트워크에서 노드 S로부터 다른 모든 노드에 원유를 공급하는 송유관 물류네트워크를 구축하고자 한다. 모든 노드들에 원유를 공급할 수 있는 가장 짧은 길이의 송유관 물류네트워크를 구축하고자 할 때, 송유관의 총길이는 얼마인가? (단, 네트워크상의 숫자는 두 노드상의 거리로 km단위를 의미한다.)(2011년 08월)
1.
17km
2.
19km
3.
21km
4.
23km
5.
25km
정답 : [
2
] 정답률 : 24%
73.
트레일러의 형상에 따른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7년 07월)
1.
ㅁ
2.
ㄴ, ㄷ
3.
ㄴ, ㅁ
4.
ㄱ, ㄷ, ㅁ
5.
ㄱ, ㄴ, ㄷ, ㄹ, ㅁ
정답 : [
5
] 정답률 : 54%
74.
택배 표준약관(공정거래위원회 표준약관 제10026호)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8월)
1.
고객(송화인)은 운송물을 성질, 중량, 용량에 따라 운송에 적합하도록 포장하여야 한다.
2.
사업자는 운송물의 포장이 운송에 적합하지 아니한 때, 고객(송화인)의 승낙을 얻어 운송 중 발생될 수 있는 충격량을 고려하여 포장을 하여야 한다.
3.
사업자는 운송물을 수탁한 후 포장의 외부에 운송물의 종류와 수량, 인도예정일(시), 운송상의 특별한 주의사항을 표시한다.
4.
사업자가 운반하는 도중에 운송물의 포장이 훼손되어 재포장을 한 경우, 운송물을 인도한 후 고객(송화인)에게 그 사실을 알려야 한다.
5.
운송물이 포장 당 50만원을 초과하거나 운송상 특별한 주의를 요하는 것일 때는 사업자는 별도 할증요금을 청구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일반적으로 사업자는 포장이 훼손된 경우 즉시 고객에게 알리고, 재포장에 대한 승인을 받는 것이 표준 절차일 수 있습니다. 인도 후에 알리는 것이 아니라, 문제 발생 시점에 고객과 협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포장이 훼손되어 재포장을 한 경우, 지체 없이 고객에 알림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5.
화물자동차의 운송능력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2024년 08월)
1.
최대적재중량은 화물자동차 자체중량과 최대 승차중량을 합한 중량을 말한다.
2.
자동차연결 총중량은 공차상태에서 트랙터와 트레일러까지 합산된 중량을 말한다.
3.
화물자동차의 운송능력은 공차중량에 자동차의 평균 용적을 곱하여 계산한다.
4.
최대접지압력은 공차상태에서 도로 지면 접지부에 미치는 압력의 정도를 말한다.
5.
공차중량은 화물을 적재하지 않고 연료, 냉각수, 윤활유 등을 가득 채운 상태의 중량을 말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최대적재중량 : 차량이 안전하게 적재할 수 있는 화물의 최대 중량 자동차연결 총중량 : 트랙터와 트레일러가 연결된 상태에서의 총 중량을 의미하며, 공차상태가 아닌 적재 상태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운송능력은 일반적으로 최대적재중량이나 적재 용적을 기준으로 평가됩니다. 최대접지압력은 일반적으로 차량이 적재된 상태에서 도로에 미치는 압력을 의미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6.
운송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7월)
1.
운송비는 화물량의 증감에 영향을 받지 않는 고정비이다.
2.
용차운송비는 부정기 차량에 의해서 발생되는 비용이다.
3.
노선운송비는 정해진 노선일정(schedule)에 의해 정기적인 운행으로 발생되는 비용이다.
'택배'라 함은 대량의 운송물을 수하인의 주택, 사무실 또는 기타의 장소까지 운송하는 것을 말한다.
3.
'증명서'라 함은 사업자와 고객 간의 택배계약의 성립과 내용을 증명하기 위하여 사업자의 청구에 의하여 고객이 발행한 문서를 말한다.
4.
'수하인'이라 함은 고객이 운송장에 운송물의 수령자로 지정하여 기재하는 자를 말한다.
5.
'인수'라 함은 사업자가 수하인에게 운송장에 기재된 운송물을 넘겨주는 것을 말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3%
78.
실제중량이 5kg이며,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30.5cm, 55cm, 24.5cm의 박스 3개를 항공화물로 운송하고자 할 때 운임적용 중량은? (계산결과는 반올림하여 정수로 산정하시오)(2007년 08월)
1.
15 kg
2.
20 kg
3.
21 kg
4.
42 kg
5.
45 kg
정답 : [
3
] 정답률 : 38%
79.
택배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7년 07월)
1.
ㄱ, ㄷ, ㄹ
2.
ㄱ, ㄹ, ㅂ
3.
ㄴ, ㄷ, ㅂ
4.
ㄱ, ㄷ, ㄹ, ㅂ
5.
ㄱ, ㄷ, ㄹ, ㅁ, ㅂ
정답 : [
4
] 정답률 : 56%
80.
택배표준약관(공정거래위원회 표준약관 제10026호)상 운임의 청구와 유치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7월)
1.
수화인이 운임을 지급하지 않는 때에는 사업자는 운송물을 유치할 수 있다.
2.
운송물이 포장 당 50만 원을 초과하거나 운송 상 특별한 주의를 요하는 것일 때에는 사업자는 따로 할증요금을 청구할 수 있다.
3.
고객의 사유로 운송물을 돌려보내는 경우, 사업자는 따로 추가요금을 청구할 수 있다.
4.
운임 및 할증요금은 미리 약관의 별표로 제시하고 운송장에 기재한다.
5.
사업자는 고객과의 합의가 있더라도 운송물을 인도할 때 수화인에게 운임을 청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정답 : [
5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5. 고객(선불) 또는 수화인(후불) 중 누가 낼지 합의 가능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1.
국제물류의 기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7월)
1.
정보의 비대칭성을 강화하여 생산자의 경쟁력을 제고하는 기능을 한다.
2.
생산자와 소비자의 수급 불일치를 해소하는 기능을 한다.
3.
생산물품과 소비물품의 품질을 동일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4.
재화의 생산시점과 소비시점의 불일치를 조정하는 기능을 한다.
5.
생산지와 소비지의 장소적, 거리적 격차를 단축시키는 기능을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물류의 기능에는 정보의 비대칭성의 격차를 해소 하기 위한 것이 있다 [해설작성자 : 이번엔 붙자,, 재발,,]
82.
국제물류의 동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7월)
1.
선박대형화에 따른 항만효율화를 위해 Post Panamax Crane이 도입되었다.
2.
선박대형화에 따라 항만의 수심이 깊어지고 있다.
3.
국제특송업체들은 항공화물운송 효율화를 위해 항공기 소형화를 추진하고 있다.
4.
글로벌 공급사슬 관점에서의 국제물류관리가 중요해지고 있다.
5.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국제물류체계가 플랫폼화 및 고도화되고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71%
83.
복합운송증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6월)
1.
복합운송증권은 복합운송계약에 의해 복합운송인이 발행하는 운송서류로서 복합운송계약의 내용, 운송조건 및 운송화물의 수령 등을 증명하는 증거서류이다.
2.
복합운송증권은 두 가지 이상의 다른 운송방식에 의하여 운송물품의 수탁지와 목적지가 상이한 국가의 영역간에 이루어지는 복합운송계약 하에서 발행되는 증권이다.
3.
컨테이너 화물에 대한 복합운송증권은 FIATA의 표준양식을 사용하여 발행될 수도 있다.
4.
'UN 국제물품복합운송조약 1980'에 따르면 복합 운송증권은 송화인의 선택에 관계없이 배서에 의한 양도가 가능한 유통성증권으로만 발행된다.
5.
복합운송증권을 발행하는 복합운송인은 해상운송인, 육상운송인, 항공운송인, 그리고 운송주선업자도 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48%
84.
해상운송계약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8월)
1.
개품운송계약은 불특정 다수의 화주를 대상으로 하며 선박회사에서 일방적으로 결정한 정형화된 약관을 화주가 포괄적으로 승인하는 부합계약 형태를 취한다.
2.
정기용선계약은 일정 기간을 정해 용선자에게 선박을 사용하도록 하는 계약으로 표준서식으로 Gencon 서식이 사용된다.
3.
항해용선에는 화물의 양에 따라 운임을 계산하는 물량용선(Freight Charter)과 화물의 양에 관계없이 본선의 선복을 기준으로 운임을 결정하는 총괄운임용선(Lump Sum Charter)이 있다.
4.
나용선계약은 선박 자체만을 용선하여 선장, 선원, 승무원 및 연료나 장비 등 인적ㆍ물적 요소나 운항에 필요한 모든 비용을 용선자가 부담하는 계약이다.
5.
Gross Term Charter는 항해용선계약에서 선주가 적ㆍ양하항에서 발생하는 일체의 하역비 및 항비를 부담하는 조건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NYPE 서식 [해설작성자 : 똘딴]
정기용선계약: NYPE 서식(New York Produce Exchange Form) 항해용선계약: Gencon 서식 [해설작성자 : Yadon_]
85.
용선선박이 용선계약 상에 명시된 날짜까지 선적준비를 하지 못할 경우 용선자에게 용선계약의 취소여부에 관한 선택권을 부여하는 항해용선계약(Gencon C/P)상 조항은?(2024년 08월)
1.
Laytime
2.
Demurrage
3.
Off hire Clause
4.
Cancelling Clause
5.
Deviation Clause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용선"은 선박을 빌리는 것을 의미하며, 주로 화물 운송을 위해 선박을 임대하는 계약을 말합니다. Cancelling Clause는 용선계약에서 선박이 지정된 날짜까지 준비되지 않을 경우 용선자가 계약을 취소할 수 있는 권리를 명시하는 조항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6.
제3자 물류에 비해 제4자 물류가 갖는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7월)
1.
위탁받은 물류활동을 중심으로 하는 제3자 물류와는 달리 전문성을 가지고 물류프로세스의 개선을 적극적으로 추구하여 세계수준의 전략, 기술, 경영관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
전체 SCM상 다양한 물류서비스를 통합할 수 있는 최적의 위치에 있으므로 제3자 물류에 비해 SCM의 솔루션을 제시할 수 있고, 전체적인 공급사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3.
IT 기반 통합적 물류서비스 제공보다는 오프라인 중심의 개별적ㆍ선별적 서비스를 지향한다.
4.
제3자 물류와는 달리 물류전문업체, IT업체 및 물류컨설팅업체가 일련의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가상물류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5.
제3자 물류보다 광범위하고 종합적이며 전문적인 물류서비스를 제공하여 더욱 높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68%
87.
항해용선계약에서 선내인부의 작업비용을 선적 시에는 용선자가 부담하고 양륙 시에는 선주가 부담하는 조건은?(2014년 06월)
1.
FI
2.
FIO
3.
FO
4.
FIOS
5.
FIOST
정답 : [
1
] 정답률 : 41%
88.
(ㄱ) ~ (ㄷ)에 들어갈 용어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2014년 06월)
1.
ㄱ: 항해용선, ㄴ: 기간용선, ㄷ: 나용선
2.
ㄱ: 나용선, ㄴ: 항해용선, ㄷ: 기간용선
3.
ㄱ: 기간용선, ㄴ: 항해용선, ㄷ: 개품운송계약
4.
ㄱ: 개품운송계약, ㄴ: 나용선, ㄷ: 기간용선
5.
ㄱ: 항해용선, ㄴ: 기간용선, ㄷ: 개품운송계약
정답 : [
5
] 정답률 : 57%
89.
정기선사들의 전략적 제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7월)
1.
공동운항을 통해 선복을 공유한다.
2.
화주에게 안정된 수송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3.
광석, 석탄 등 벌크 화물 운송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4.
제휴선사간 상호 이해관계를 조정하기 위해 협정을 맺고 있다.
5.
제휴선사간 불필요한 경쟁을 회피하는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정기선사들의 전략적 제휴는 주로 컨테이너 화물 운송을 중심으로 이루어집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0.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컨테이너 화물운송과 관련된 국제협약은?(2025년 07월)
1.
CCC(Customs Convention on Container, 1956)
2.
TIR(Transport International Routiere, 1959)
3.
CSC(International Convention for Safe Containers, 1972)
4.
CMR(Convention Relative au Contract de Transport International de Marchandises par Route, 1956)
5.
ITI(Customs Convention on the International Transit of Goods, 1971)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91.
정기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7월)
1.
운임은 공시된 확정운임이 적용된다.
2.
개품운송계약을 체결하고 선하증권을 사용한다.
3.
다수 화주로부터 다양한 화물을 집화하여 운송한다.
4.
특정한 항구 간을 운항계획에 따라 규칙적으로 반복 운항한다.
5.
항해단위, 기간 등에 따라 계약조건이 다른 용선계약서를 사용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용선계약서는 주로 부정기선에서 사용되며, 정기선은 일반적으로 선하증권을 사용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2.
미국의 1998년 개정해운법(The Ocean Shipping Reform Act of 1998)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2년 08월)
1.
개정법은 동맹에 대한 독점금지법의 면제를 인정하지 않는다.
2.
서비스 계약시 개별선사에게 비밀계약을 허용한다.
3.
태리프(Tariff)는 연방해사위원회(FMC)에 신고하여야 한다.
4.
선사그룹(Carrier Group)이 내륙운송업자와 운임률 및 서비스를 공동으로 협상할 수 없다.
5.
무선박운송인(NVOCC)은 연방해사위원회(FMC)로부터 면허를 받지 않아도 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34%
93.
다음에서 설명하는 국제복합운송경로는?(2019년 07월)
1.
IPI
2.
ALB
3.
SLB
4.
OCP
5.
RIPI
정답 : [
1
] 정답률 : 51%
94.
국제물품매매계약에 관한 UN 협약(비엔나협약, 1980)에 규정되어 있는 매수인의 구제권리가 아닌 것은?(2015년 07월)
1.
물품명세확정권
2.
대체품인도청구권
3.
하자보완청구권
4.
대금감액권
5.
조기이행거절권
정답 : [
1
] 정답률 : 19%
<문제 해설> 물품명세확정권 >> 국제물품매매계약에 관한 UN협약(비엔나협약,1980)에 존재하지 않는 권리임. >> 구제권리가 아님. 구제권리란 계약이행이 불완전하거나 위반되었을 때, 손해를 줄이거나 회복하기 위해 매수인에게 부여되는 권리임. 따라서, 계약의 유연성을 위해 매수인에게 부여된 '권리'이지, 계약 위반이나 손해에 대한 '구제를 위한 권리'가 아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5.
Hague Rules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8월)
1.
운송인은 본선 선적개시시부터 출항시까지 선박의 내항성(Seaworthiness)에 대한 주의를 게을리하지 말아야 할 의무가 있다.
2.
항해 또는 선박 자체의 취급에 대하여 선장이나 선원의 과실인 항해과실에 대하여는 운송인이 책임진다.
3.
선박의 항해에 필요한 승조원을 배치하고 선박의 의장 및 필수품을 보급할 의무가 운송인에게 있다.
4.
화물이 운송될 창내, 냉동실, 냉기실 및 화물운송에 필요한 선박의 다른 모든 부분을 화물의 수령, 운송 및 보존에 적합하고 안전하게 하기 위하여 상당한 주의를 운송인이 기울여야 한다.
5.
운송인은 물품의 선적, 적부, 운송, 보관 또는 양하가 적절하고 신중하게 행하여 지지 않아서 발생한 물품의 손해에 대하여 책임을 면할수 없다.
정답 : [
2
] 정답률 : 35%
96.
다음 ( )에 들어갈 용어로 옳은 것은?(2016년 07월)
1.
ㄱ: 내국신용장 ㄴ: 보증신용장
2.
ㄱ: 내국신용장 ㄴ: 구매확인서
3.
ㄱ: 구매확인서 ㄴ: 보증신용장
4.
ㄱ: 보증신용장 ㄴ: 회전신용장
5.
ㄱ: 구매확인서 ㄴ: 회전신용장
정답 : [
2
] 정답률 : 46%
97.
선박을 운항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소요되는 비용을 1DWT-1Month 기준으로 계산하는 방식은?(2009년 08월)
1.
Hire Base
2.
Demurrage
3.
Charter Base
4.
Despatch Money
5.
Lump Sum Freight
정답 : [
1
] 정답률 : 17%
98.
컨테이너화물 수출선적절차에 필요한 서류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2018년 07월)
1.
ㄱ - ㄴ-ㄷ -ㄹ- ㅁ
2.
ㄱ-ㄹ -ㄴ - ㄷ -ㅁ
3.
ㄴ - ㄱ-ㄷ -ㄹ - ㅁ
4.
ㄴ - ㄷ-ㄹ -ㄱ- ㅁ
5.
ㄷ-ㄴ -ㄱ - ㄹ -ㅁ
정답 : [
1
] 정답률 : 61%
99.
최근 국제물류 환경변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7월)
1.
국제물류시장의 치열한 경쟁으로 물류기업간 수평적 통합과 수직적 통합이 가속화되고 있다.
2.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메탄올 연료를 사용하는 선박 건조가 증가하고 있다.
3.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디지털 기술들을 활용하여 운영효율성과 고객만족을 제고하려는 물류기업들이 늘어나고 있다.
4.
기업경영의 글로벌화가 보편화되면서 글로벌 공급사슬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5.
코로나 팬데믹의 영향으로 전자상거래 비중이 감소하는 추세이다.
정답 : [
5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전자상거래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해설작성자 : 이번엔 붙자,, 재발,,]
100.
대전에 위치한 A회사가 미국 덴버에 위치한 B회사로부터 물품을 수입(덴버에 위치한 B회사 발송 → LA항 선적 → 부산항 입항 → 대전에 위치한 A회사 도착)하면서 지불한 운임 및 부대비의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다. 이 경우 관세와 부가가치세는?(2015년 07월)
1.
관세 US$ 101,000, 부가가치세 US$ 101,000
2.
관세 US$ 101,000, 부가가치세 US$ 111,100
3.
관세 US$ 101,070, 부가가치세 US$ 101,070
4.
관세 US$ 101,070, 부가가치세 US$ 111,177
5.
관세 US$ 101,100, 부가가치세 US$ 111,210
정답 : [
2
] 정답률 : 29%
101.
국제물류와 국내물류의 비교로 옳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3년 07월)
1.
ㄱ, ㄴ, ㄷ
2.
ㄱ, ㄷ, ㅁ
3.
ㄱ, ㄹ, ㅁ
4.
ㄴ, ㄷ, ㄹ
5.
ㄴ, ㄹ, ㅁ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재고 수준 : 국제물류는 긴 리드타임으로 인해 재고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아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 국내물류는 주문시간이 짧고 운송의 불확실성이 적어 재고 수준이 낮을 수 있습니다. 화물 위험 : 국제물류는 장기운송과 환적 등으로 인해 위험이 높습니다. 반면, 국내물류는 단기운송으로 위험이 낮습니다. 서류 작업 : 국제물류는 각종 무역운송서류가 필요하여 서류 작업이 복잡합니다. 반면, 국내물류는 구매주문서와 송장 정도로 서류 작업이 간단합니다. 재무적 위험 : 국제물류는 환리스크로 인해 재무적 위험이 높습니다. 반면, 국내물류는 환리스크가 없어 재무적 위험이 낮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2.
컨테이너 터미널의 주요시설 중 컨테이너 터미널(선사)과 외부(화주, 내륙수송업자)와의 책임관계를 구분하는 지점은?(2011년 08월)
1.
Marshalling Yard
2.
Container Yard
3.
Container Freight Station
4.
Apron
5.
Gate
정답 : [
5
] 정답률 : 29%
103.
선하증권 작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7월)
1.
Container No.란에는 화물이 적입된 컨테이너 번호를 표기한다.
2.
Place of Delivery란에는 운송인의 책임 하에 화물을 운송하여 수하인에게 인도 하는 장소를 명시한다.
3.
Notify Party란에는 수입업자 또는 수입업자가 지정하는 대리인이 기재된다.
4.
Final Destination란에는 화물의 최종 목적지를 표시한다.
5.
Gross Weight란에는 포장의 무게가 포함된 총중량 및 컨테이너 개수를 명시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Gross Weight는 "총중량"을 의미합니다. 화물 자체의 무게 + 포장 무게 포함 그러나 컨테이너 개수는 포함하지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쮼쮼]
104.
항해용선운송계약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7월)
1.
Stevedorage 부담과 관련하여 선적 시는 용선자가, 양륙 시는 선주가 부담하는 조건은 Free In(FI)이다.
2.
하역 시작일로부터 끝날 때까지의 모든 기간을 정박기간으로 계산하는 방법은 Running Laydays이다.
3.
초과정박일에 대하여 계약상 정박일수를 경과할 때 용선자가 선주에게 지급하는 약정금은 Despatch Money이다.
4.
운송계약에 따라 화주가 운임 및 기타 부대경비를 지급하지 아니할 때 선주는 그 화물을 유치할 수 있는 권한이 있다.
5.
기상조건이 하역 가능한 상태의 날만 정박기간에 산입하는 정박기간 표시방법은 Weather Working Days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Despatch money - 조출료 - 약정된 정박기간 만료 이전에 하역이 완료되면 선주가 용선자에게 주는 보상 정박 일수를 초과한 경우 Demurrage 체선료
105.
신용장통일규칙(UCP 600) 제20조의 선하증권 수리요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7월)
1.
운송인의 명칭이 표시되어 있고, 지정된 운송인 뿐만 아니라 선장 또는 그 지정대리인이 발행하고 서명 또는 확인된 것
2.
물품이 신용장에서 명기된 선적항에서 지정된 선박에 본선적재 되었다는 것을 인쇄된 문언이나 본선적재필 부기로 명시한 것
3.
운송조건을 포함하거나 또는 운송조건을 포함하는 다른 자료를 참조하고 있는 것
4.
용선계약에 따른다는 표시를 포함하고 있는 것
5.
단일의 선하증권 원본 또는 2통 이상의 원본으로 발행된 경우에는, 선하증권 상에 표시된 대로 전통인 것
다음 Incoterms 2000 무역거래조건 중 매도인이 수입통관 절차를 밟아야 하는 것은?(2008년 08월)
1.
DEQ
2.
CIP
3.
EXW
4.
DDP
5.
FOB
정답 : [
4
] 정답률 : 60%
107.
국제물류에서 항만의 기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7월)
1.
수출입 화물의 일시적 보관, 하역을 통하여 해륙을 연결한다.
2.
물류활동의 중심지로서 다양한 부가가치 서비스를 제공한다.
3.
국가 및 지역의 경제성장과 고용창출에 기여한다.
4.
선사간 전략적 제휴 또는 합병을 유도한다.
5.
신속한 하역과 내륙연결점에서 원활한 물류서비스를 제공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3%
108.
항만의 시설과 장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7월)
1.
Quay는 해안에 평행하게 축조된, 선박 접안을 위하여 수직으로 만들어진 옹벽을 말한다.
2.
Marshalling Yard는 선적할 컨테이너나 양륙완료된 컨테이너를 적재 및 보관하는 장소이다.
3.
Yard Tractor는 Apron과 CY간 컨테이너의 이동을 위한 장비로 야드 샤시(chassis)와 결합하여 사용한다.
4.
Straddle Carrier는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양다리 사이에 컨테이너를 끼우고 운반하는 차량이다.
5.
Gantry Crane은 CY에서 컨테이너를 트레일러에 싣고 내리는 작업을 수행하는 장비이다.
정답 : [
5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 갠트리 크레인 : 선박에서 컨테이너를 하역하거나 선박에 선적하기 위한 대형 크레인 : 컨테이너 하역시, 에이프런에 부설된 레일을 따라 주행하고 유압에 의하여 신축되는 스프레더에 의하여 훅(HOOK)에 매달린 컨테이너를 감아올려 적·양하작업을 하는 장비 [해설작성자 : 이번엔 붙자,, 재발,,]
Gantry Crane은 주로 선박과 부두 사이에서 컨테이너를 싣고 내리는 데 사용됩니다. CY에서 트레일러에 싣고 내리는 작업은 Reach Stacker나 Forklift 같은 장비가 수행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9.
화환 신용장통일규칙(UCP 600) 내용의 일부이다. 다음 ( )에 들어갈 단어로 옳은 것은?(2010년 08월)
1.
after
2.
before
3.
prompt
4.
from
5.
immediately
정답 : [
4
] 정답률 : 57%
110.
다음 ( )안에 들어갈 용어는?(2011년 08월)
1.
expense loss
2.
particular average
3.
general average
4.
constructive total loss
5.
actual total loss
정답 : [
5
] 정답률 : 25%
111.
한국의 내륙컨테이너기지(ICD)에서 수행하고 있지 않는 기능은?(2018년 07월)
1.
통관
2.
혼재
3.
보관
4.
제조
5.
철도운송
정답 : [
4
] 정답률 : 61%
112.
INCOTERMS 2000의 CIF 조건과 DES 조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8월)
1.
CIF 조건에서 물품에 대한 위험의 이전 시점은 선적항의 본선 난간을 통과한 때이다.
2.
DES 조건은 해상운송 또는 내수로 운송에 사용되는 조건이다.
3.
CIF 조건에서 해상적하에 대한 피보험 이익은 매수인에게 귀속된다.
4.
DES 조건에서 물품에 대한 위험의 이전 시점은 목적항의 선박갑판 상에서 매수인의 임의 처분상태로 둔 때이다.
5.
CIF 조건에서 비용의 분기점은 위험의 이전 분기점과 같다.
정답 : [
5
] 정답률 : 15%
113.
Marine Insurance Act(1906)에서 비용손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2년 08월)
1.
특별비용은 공동해손과 손해방지비용을 모두 포함한 비용을 말한다.
2.
제3자나 보험자가 손해방지행위를 했다면 그 비용은 손해방지비용으로 보상될 수 있다.
3.
특별비용은 보험조건에 상관없이 정당하게 지출된 경우 보험자로부터 보상받을 수 있다.
4.
보험자의 담보위험 여부에 상관없이 발생한 손해를 방지하기 위해 지출한 구조비는 보상받을 수 있다.
5.
보험목적물의 안전과 보존을 위하여 구조계약을 체결했을 경우 발생하는 비용은 특별비용으로 보상될 수 있다.
정답 : [
5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1. 특별비용(Particular Charge)은 공동해손비용과 구조비 이외의 비용이다. 2. 보험자가 아닌 피보험자(또는 그 대리인)이 손해방지행위를 했다면 보상될 수 있다. 3. 특별비용은 피보험목적물에 안전과 보존을 위하여 지출된 경우에만 보험자로부터 보상받을 수 있다. (보험조건에 맞게) 4. 보험자의 손해를 방지하기 위해 지출한 비용은 "구조비가 아닌" 손해방지비용이다. [해설작성자 : Yadon_]
손해방지비용은 일반적으로 피보험자가 손해를 방지하기 위해 직접 지출한 비용을 의미합니다. 제3자나 보험자가 손해방지행위를 했을 경우, 그 비용이 손해방지비용으로 보상될 수 있는지 여부는 보험 계약의 조건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제3자가 지출한 비용은 피보험자의 손해방지비용으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 공동해손: 여러 명이 같이 부담(공동의 희생) - 손해방지비용: 내가(피보험자) 내 물건을 지키려고 쓴 돈만! - 특별비용(구조비용): 구조업체와 계약해서 구조받고 쓴 돈(구조계약 필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4.
항공화물운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8월)
1.
요율의 적용시점은 항공화물운송장 발행일로 한다.
2.
항공화물의 요율은 공항에서 공항까지의 운송 구간만을 대상으로 한다.
3.
운임의 기준통화는 도착지 국가의 현지통화로 설정되는 것이 원칙이나 많은 국가에서 미국달러로 요율을 설정하고 있다.
4.
미국출발 화물의 중량요율(Weight Rate)은 lb(파운드)당 요율로 표시할 수 있다.
5.
운임산출에 적용한 경로대로 수송하지 않아도 운임의 변동은 없다.
정답 : [
3
] 정답률 : 48%
115.
무역구제제도(Trade Remedy)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8월)
1.
긴급관세(세이프가드)제도는 수출국의 공정한 수출행위에 의한 수입이지만 특정물품의 수입이 급격히 증가하여 국내산업에 심각한 피해를 받거나 받을 우려가 있을 때 조사를 실시하여 긴급관세를 인하한다.
2.
상계관세제도는 수출국 정부로부터 보조금을 받아 수출경쟁력이 높아진 물품이 수입되어 국내산업이 실질적인 피해를 받거나 받을 우려가 있을 때 조사를 실시하여 보조금 범위 내에서 상계관세를 부과한다.
3.
반덤핑관세제도는 외국물품이 정상가격 이하로 덤핑수입되어 국내산업이 실질적인 피해를 받거나 받을 우려가 있을 때 조사를 실시하여 정상가격과 덤핑가격의 차액범위 내에서 반덤핑 관세를 부과한다.
4.
긴급관세(세이프가드)를 부과하는 경우에는 이해당사국과 긴급관세부과의 부정적 효과에 대한 적절한 무역보상방법에 관하여 협의할 수 있다.
5.
무역구제제도는 공정한 경쟁을 확보하고 국내산업을 보호하는 제도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긴급관세(세이프가드)제도는 특정 물품의 수입이 급격히 증가하여 국내 산업에 심각한 피해를 주거나 줄 우려가 있을 때 발동됩니다. 그러나, 세이프가드는 관세를 인하하는 것이 아니라, 추가적인 관세를 부과하거나 수입을 제한하는 조치를 취하는 것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6.
IncotermsⓇ 2010상 THE BUYER'S OBLIGATIONS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7월)
1.
B1 : General obligations of the buyer
2.
B4 : Taking delivery
3.
B5 : Transfer of risks
4.
B8 : Proof of delivery
5.
B9 : Checking-packing-marking
정답 : [
5
] 정답률 : 32%
117.
다음 ( )에 들어갈 용어로 옳은 것은?(2016년 07월)
1.
ㄱ: 용선계약 ㄴ: 용선계약서
2.
ㄱ: 용선계약 ㄴ: 선하증권
3.
ㄱ: 개품운송계약 ㄴ: 선하증권
4.
ㄱ: 개품운송계약 ㄴ: 용선계약서
5.
ㄱ: 개품운송계약 ㄴ: 수입화물선취보증장
정답 : [
3
] 정답률 : 46%
118.
물류 관련 용어의 약술로 옳은 것은?(2016년 07월)
1.
WMS: Warehouse Management System
2.
RTLS: Real-Time Logistics Service
3.
SCM: Supply Chain Marketing
4.
CPFR: Collaborative Production, Forecasting and Replenishment
5.
VMI: Visual Management Inventory
정답 : [
1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RTLS = Real Time Location System SCM = Supply Chain Management CPFR = Collaborative Planning Forecasting & Replenishment VMI = Vendor Management Inventory [해설작성자 : 똘딴]
119.
최근 국제연합(UN) 산하기구인 국제해사기구(IMO)의 사무총장으로 사상 처음 한국인이 선출되었다. 다음 중 국제해사기구(IMO)의 설립목적과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7월)
1.
정부간 해사기술의 상호협력
2.
국제민간선주들의 권익보호
3.
해양오염방지대책 수립
4.
해사안전대책 수립
5.
국제해사관련 협약의 시행 및 권고
정답 : [
2
] 정답률 : 41%
120.
항해용선계약에서 화물량보다 실제 선적량이 적은 경우 용선자(charterer)인 화주가 그 부족분에 대해서도 지불하는 운임은?(2010년 08월)
1.
선불운임(advanced freight)
2.
부적운임(dead freight)
3.
선복운임(lump sum freight)
4.
반송운임(back freight)
5.
후불운임(destination freight)
정답 : [
2
] 정답률 : 37%
정 답 지
물류관리사 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3089264)
통합물류관리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서 필요한 사항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08년 08월)
1.
최고경영자는 통합물류관리의 목표, 방법, 대상 등을 분명히 알려주어야 한다.
2.
물류관리 담당자는 물류혁신과 관련된 전사적인 인사관리에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
3.
각 부문별 관리자는 개별 부서의 성과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업무체계를 정비해야 한다.
4.
전체적 효율화 및 부문간 유기적인 결합을 위한 통합물류정보시스템이 필요하다.
5.
각 부서 활동에 대한 성과측정 내용과 방법이 전사적인 관점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2%
13.
물류거점 집약화의 효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7월)
1.
공장과 물류거점 간의 운송 경로가 통합되어 대형차량의 이용이 가능하다.
2.
물류거점과 고객의 배송단계에서 지점과 영업소의 수주를 통합하여 안전재고가 줄어든다.
3.
운송차량의 적재율 향상이 가능하다.
4.
물류거점의 기계화와 창고의 자동화 추진이 가능하다.
5.
물류거점에서 재고집약과 재고관리를 함으로써 재고의 편재는 해소되나 과부족 발생가능성이 높아진다.
정답 : [
5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물류거점 집약화의 효과 ① 공장과 물류거점 간의 운송 경로가 통합되어 대형차량의 이용이 가능하다. ② 물류 거점과 고객의 배송단계에서 지점과 영업소의 수주를 통합하여 안전재고가 줄어든다. ③ 운송차량의 적재율이 향상된다. ④ 물류거점의 기계화와 창고의 자동화 추진이 가능하다. ⑤ 물류거점에서 재고집약 및 재고관리를 하게 되면 재고과부족의 발생 가능성은 줄어들지만 특정 거점에 재고가 몰리는 재고의 편재 가능성은 높아진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4.
제품 A의 개당 판매 가격은 10 만원이고, 당기 고정비가 2 억원, 변동비는 가격의 75 %이다. 당기 손익분기점에 해당하는 제품 A의 판매량(개)은?(2025년 07월)
1.
6,000
2.
7,000
3.
8,000
4.
9,000
5.
10,000
정답 : [
3
] 정답률 : 알수없음
15.
A 기업의 수익률이 전체매출액 대비 20%이고 물류비가 전체매출액의 10%를 차지할 때, 물류비를 10% 절감한다면 수익률은 얼마나 증가하는가? (단, 다른 조건은 동일하다고 가정한다.)(2008년 08월)
1.
1%
2.
9%
3.
10%
4.
19%
5.
20%
정답 : [
1
] 정답률 : 32%
16.
물류 분야의 활동기준원가계산(ABC: Activity Based Costing)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7월)
1.
재료비, 노무비 및 경비로 구분하여 계산한다.
2.
업무를 활동단위로 세분하여 원가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3.
활동별로 원가를 분석하므로 낭비요인이 있는 물류업무영역을 파악할 수 있다.
4.
산정원가를 바탕으로 원가유발요인분석과 성과측정을 할 수 있다.
5.
물류서비스별, 활동별, 고객별, 유통경로별, 프로세스별 수익성 분석이 가능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활동기준원가의 구성요소는 자원과 자원동인. 활동과 활동동인으로 구분한다
17.
2018년도 매출액이 100억원인 A기업의 영업이익률은 5 %이고 물류비는 10억원이었다. 2019년도의 경영혁신 추진방안 중에서 재무적 기대효과가 가장 큰 것은? (단, 2019년 영업이익률은 2018년과 동일하다고 가정)(2019년 07월)
1.
전년대비 매출액 20 % 증가와 물류비용 20 % 절감
2.
전년대비 매출액 30 % 증가와 물류비용 3억원 절감
3.
전년대비 매출액 20억원 증가와 물류비용 3억원 절감
4.
전년대비 매출액 40억원 증가와 물류비용 20 % 절감
5.
전년대비 매출액 50억원 증가와 물류비용 10 % 절감
정답 : [
2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1. 매출액 20% 증가 - 120억 * 0.05 = 6억(1억 증가) / 물류비용 20% 절감 - 2억 이익 증가 : 총 3억 이익증가 2. 매출액 30% 증가 - 130억 * 0.05 = 6.5억(1,5억 증가) / 물류비용 3억원 절감 : 총 4.5억 이익증가 3. 매출액 20억 증가 - 120억 * 0.05 = 6억(1억 증가) / 물류비용 3억 절감 : 총 4억 이익증가 4. 매출액 40억 중가 - 140억 * 0.05 = 7억(2억 증가) / 물류비용 20% 절감 - 2억 이익 증가 : 총 4억 이익증가 5. 매출액 50억 증가 = 150억 * 0.05 = 7.5억(2.5억 증가) / 물류비용 10% 절감 : 1억 이익 증가 : 총 3.5억 이익증가 [해설작성자 : 비비안지유]
18.
물류기업 K는 제품의 포장 및 검사를 대행하는 유통가공 서비스의 경제적 타당성을 검토하고 있으며, 관련 자료는 다음과 같다. K사 유통가공 서비스의 연간 손익분기 매출액(단위: 만원)은?(2023년 07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시스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6월)
1.
원거리 인식 및 여러 개의 정보를 동시에 판독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2.
장애물 투과기능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교통 분야에 적용도 가능하며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3.
태그에 대용량의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 데이터 인식속도도 타 매체에 비해 빠르다.
4.
바코드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접촉하지 않으면 인식이 불가능하다.
5.
기존 바코드에 기록할 수 있는 가격, 제조일 등 정보 외에 다양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64%
21.
X, Y축의 양방향으로 데이터를 배열시켜 평면화한 점자식 또는 모자이크식 코드를 의미하는 2차원 코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7월)
1.
한국어뿐만 아니라 외국어도 코드화가 가능하다.
2.
데이터 구성방법에 따라 단층형과 다층형으로 나뉜다.
3.
1차원 바코드에 비해 좁은 영역에 많은 데이터를 표현할 수 있다.
4.
2차원 코드로 Maxi Code, QR Code, Data Code, Code 16K 등이 있다.
5.
문자, 숫자 등의 텍스트는 물론 그래픽, 사진 등 다양한 데이터를 담을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데이터 구성방법에 따라 다층형 바코드, 매트릭스형 코드로 나뉜다. [해설작성자 : 룰루]
22.
포장표준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7월)
1.
포장이 표준화되어야 기계화, 자동화, 파렛트화, 컨테이너화 등이 용이해진다.
2.
포장치수는 파렛트 및 컨테이너 치수에 정합하고, 수송, 보관, 하역의 기계화 및 자동화에 최적의 조건을 제공해야 한다.
3.
포장표준화는 치수, 강도, 재료, 기법의 표준화 등 4요소로 나누지만, 관리의 표준화를 추가하기도 한다.
4.
포장표준화를 통해 포장비, 포장재료비, 포장작업비 등을 절감할 수 있다.
5.
치수표준화는 비용절감효과가 빠르게 나타나지만 강도표준화는 그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다.
정답 : [
5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5. 각 기업들의 다양한 포장치수를 하나의 치수로 통일하는 치수표준화가 보다 중요하지만 그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다. 반면 강도표준화는 주로 포장재료의 적정화로 비용절감 효과가 빠르게 나타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3.
전통적 물류와 E/M/T Commerce (E : Electronic, M : Mobile, T : TV) 물류를 비교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8월)
1.
①
2.
②
3.
③
4.
④
5.
⑤
정답 : [
4
] 정답률 : 69%
24.
다음 기업사례에서 설명하는 공급사슬관리(SCM) 기법은?(2019년 07월)
1.
Risk Pooling
2.
Exponential Smoothing
3.
Postponement
4.
Vendor Managed Inventory
5.
Sales and Operation Planning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 Postponement (지연전략) [해설작성자 : 비비안지유]
25.
JIT(Just In Time)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8월)
1.
JIT 방식은 정확한 시간에 정확한 수량으로 정확한 납품이 요구된다.
2.
JIT 방식은 재고비용의 낭비요소를 줄일 수 있다.
3.
JIT 방식에서 공급자와 발주자는 장기적인 종속거래관계를 형성한다.
4.
JIT 방식에서 납품 차질로 인한 생산지연에 대한 비용은 공급자가 부담한다.
5.
JIT 방식은 발주자의 구매업무 및 인력이 절감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62%
26.
많은 기업들이 물류공동화를 추진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물류공동화의 일반적인 장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7월)
1.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2.
화물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3.
수ㆍ배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4.
물류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5.
안정적인 물류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78%
27.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판독기를 이용하여 태그(Tag)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는 무선주파수인식기술이다.
2.
바코드와는 달리 제품의 원산지 및 중간이동과정 등 다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3.
RFID시스템은 리더기, 태그 등의 요소로 구성된다.
4.
RFID는 주파수대역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5.
능동형(Active) 태그는 배터리 없이 근거리통신에 사용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69%
28.
4PL(Fourth Party Logistics)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8월)
1.
다양한 기업이 파트너로 참여하는 혼합조직 형태
2.
합작투자 또는 장기제휴
3.
이익분배를 통한 공통의 목표 설정
4.
공급체인 전체의 관리와 운영
5.
기업이 사내의 물류조직을 별도로 분리하여 전문 물류 자회사로 독립시켜 운영
정답 : [
5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기업이 사내의 물류조직을 별도로 분리하여 전문 물류 자회사로 독립시켜 운영하는 것은 자회사물류(2PL : Second Party Logistics)이다.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 행인]
29.
다음 중 최근 물류환경의 변화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07년 08월)
1.
전자상거래의 확대, 특히 B2C의 확대는 물류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2.
정보기술(IT)을 활용한 다양한 물류관리체계 합리화 기법들이 도입되고 있다.
3.
기업간의 전략적 제휴 및 파트너십이 확산되고 있다.
4.
생산자 중심의 부가가치 개념을 중시하여 e-SCM, e-logistics, 물류 e-Marketplace 등이 등장하고 있다.
5.
기업내에서 전담하던 물류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3자 물류업체에 위탁하는 형태가 확산되고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41%
30.
SCM의 응용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7월)
1.
ECR(Efficient Consumer Response): 유통업체와 제조업체가 고객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상품을 제공하고 고객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공급망을 push 방식으로 변화시키고 제품을 보충하는 기법이다.
2.
QR(Quick Response): 미국 식료품업계에서 개발한 공급망관리 기법으로써 유통업체의 물류센터에 있는 각종 데이터가 제조업체로 전달되면 제조업체가 주관하여 물류센터로 제품을 배송하고 관리하는 기법이다.
3.
Mass Customization: 비용, 효율성 및 효과성을 희생하여 개별 고객들의 욕구를 파악하고 충족시키는 전략이다.
4.
Postponement: 공장에서 제품을 완성하는 대신시장 가까이로 제품의 완성을 지연시켜 소비자가 원하는 다양한 수요를 만족시키는 전략적 지연을 의미한다.
5.
VMI(Vendor Managed Inventory): 수요자 주도형 재고관리로써 효율적 매장구색, 효율적 재고보충, 효율적 판매촉진 및 효율적 신제품 개발 등이 핵심적 실행전략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52%
31.
물류표준화의 목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4년 08월)
1.
단위 화물체계의 보급
2.
물류기기와의 연계성 향상
3.
물류비의 절감
4.
납품주기 단축과 납품횟수 증대
5.
물류활동의 효율화
정답 : [
4
] 정답률 : 75%
32.
물류보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7월)
1.
물류보안제도는 적용범위에 따라 공급사슬의 특정 구간을 적용대상으로 하고 있는 제도와 공급사슬의 전 구간을 적용대상으로 하고 있는 제도로 나눌 수 있다.
2.
최초의 물류보안제도는 2005년 11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발표한 ISO/PAS 28000 이다.
3.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ustoms and Border Protection: CBP)은 9.11테러 이후 반러프로그램의 일환으로 CSI(Container Security Initiative)를 도입하였다.
4.
24시간 전 적하목록 제출제도는 운송인이 선적항에서 선적 24시간 전에 화물적 하목록을 제출하도록 규정한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BP)의 규칙이다.
5.
세계관세기구(WCO)는 무역의 안전 및 원활화를 조화시키는 표준협력으로 AEO(Authorized Economic Operator)를 도입하였다.
정답 : [
2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최초의 물류보안제도는 미국이 자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도입한 C-TPAT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3.
물류합리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7월)
1.
물류합리화를 위해서는 시스템적 접근에 의한 물류활동 전체의 합리화를 추진하여야 한다.
2.
물류 수발주 처리의 전산화 등 물류정보의 전달체계 개선은 물류합리화 대상이 되지 않는다.
3.
경제규모의 증대, 물류비의 증대 및 노동력 수급상의 문제점 등은 물류합리화의 필요성을 증대시킨다.
4.
차량이나 창고공간의 활용을 극대화해서 유휴부문을 최소화하는 것도 물류합리화 대책이 될 수 있다.
5.
물류합리화는 운송, 보관, 포장, 하역뿐만 아니라 물류조직도 그 대상이 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물류 합리화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가 동시에 개선이 되어야 한다. 소프트웨어 : 전산, 정보 등 하드웨어 : 운송, 보관, 포장 등 [해설작성자 : ㅇ]
34.
물류 아웃소싱(Outsourcing)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물류활동을 효율화하기 위해 물류기능을 외부의 전문업체에 위탁하는 것이다.
2.
기업 핵심정보의 유출가능성이 있으며 사내에 물류전문지식의 축적이 어려울 수 있다.
3.
유연성이 있는 고용형태와 급여체계 실현이 가능하다.
4.
주요 대상영역은 주문접수 및 처리, 고객서비스관리, 재고관리 분야이다.
5.
고객불만에 대한 신속한 대처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39%
35.
4자물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7월)
1.
기존의 3자물류 서비스에 IT, 기술, 전략적 컨설팅 등을 추가한 서비스이다.
2.
포괄적인 공급사슬관리(SCM)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합서비스로, 공급사슬 전반의 최적화를 도모한다.
3.
합작투자 또는 장기간 제휴형태로 운영되며, 이익의 분배를 통하여 공통의 목표를 설정한다.
4.
기업과 고객 간의 거래(B2C) 보다는 기업과 기업 간의 거래(B2B)에 집중한다.
5.
다양한 기업이 파트너로서 참여하는 혼합조직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4자물류 : 3PL + IT업체 + 컨설팅업체 + 금융업체 : 광범위한 공급체인관리(SCM)체제를 구축하고 물류효율화를 위한 전략이 확대됨에 따라 등장한 개념 : 전체적인 공급사슬 솔루션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와 함께 기업의 경영자원, 능력, 기술을 관리하고 결합하는 공급사슬 통합자, 대표적인 비자산기반 지식형 물류기업 : 물류정보와 정보인프라가 복잡하게 얽혀 이는 기존 물류산업이 재편되고 특화된 물류솔루션을 바탕으로 한 산업별 물류체계의 구축이 가속화될 것임
특징 - 물류아웃소싱이 활성화되면서 3자물류가 더욱 발전된 개념 - 상호보안관계에 있는 IT 업체, 운송업체 등 타 물류업체와 연합하여 서비스를 제공(네트워크 조직) -> 합작투자 또는 장기간 제휴 형태 - 4자물류 서비스 제공자는 아웃소싱과 인소싱의 장점을 통합한 형태로 최대한의 경영성과를 얻기 위한 조직 - 4자물류 서비스 제공자는 공급사슬 전체를 관리하고 운영하며, 다양한 기업을 파트너로 참여시킴 -> 통합서비스와 수평적 계약관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6.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공동 수ㆍ배송 운영방식은?(2024년 08월)
1.
집배송공동형
2.
배송공동형
3.
노선집하공동형
4.
공동수주ㆍ공동배송형
5.
납품대행형
정답 : [
1
] 정답률 : 58%
37.
다음 중 유통채널의 수직적 통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8월)
1.
합병 또는 자본적 결합을 수반하는 경우를 자본통합이라고 한다.
2.
수직적 통합은 적은 비용이 소요되며 유통조직 간의 유연성이 제고된다.
3.
유통단계간의 여러 활동에 대한 사전 및 사후조절이 용이하다.
4.
자본과 인적수단에 의해 하나의 기업이 두 개 이상의 생산, 유통단계를 통합하는 것이다.
5.
거래처를 탐색, 교섭, 감시하는 비용이 줄어들고, 독자적 제품 조달처 및 판매처의 확보가 가능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60%
38.
BSC(Balanced Score Card)는 기업의 성과 중 재무적 관점, 고객관점,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점, 학습 및 성장의 관점에서 종합적이고 균형적으로 측정하는 성과평가시스템이다. 다음 중 학습 및 성장 관점의 측정항목에 해당하는 것은?(2011년 08월)
1.
내ㆍ외부 물류프로세스의 통합
2.
전사적 물류통합조직의 운영 정도
3.
운송화물추적(Tracking) 서비스
4.
업무처리절차의 신속성
5.
리드타임 단축
정답 : [
2
] 정답률 : 38%
39.
녹색물류 추진방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7월)
1.
공동 수ㆍ배송 추진
2.
소량 다빈도 수송 추진
3.
모달 쉬프트(modal shift) 추진
4.
회수물류 활성화
5.
저공해 운송수단 도입
정답 : [
2
] 정답률 : 77%
40.
다음의 내용에 해당되는 경영기법은?(2008년 08월)
1.
6-시그마
2.
자재소요계획
3.
제약이론
4.
JIT(Just In Time)
5.
수송계획법
정답 : [
3
] 정답률 : 56%
2과목 : 화물수송론
41.
운송수단을 선택할 때의 고려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7월)
1.
화물의 종류 및 중량
2.
운임부담력
3.
화물 운송구간의 소요시간
4.
로트 사이즈(Lot Size)
5.
화물 납품처의 매출규모
정답 : [
5
] 정답률 : 77%
42.
선박에 대한 관세, 등록세, 소득세, 도선료, 각종 검사료와 세금 및 수수료의 산정 기준이 되며 선박의 크기를 나타낼 때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선박 톤수는?(2013년 06월)
1.
총톤수(gross tonnage)
2.
순톤수(net tonnage)
3.
재화중량톤수(dead weight tonnage)
4.
배수톤수(displacement tonnage)
5.
재화용적톤수(measurement tonnage)
정답 : [
1
] 정답률 : 70%
43.
운송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6월)
1.
최적의 운송수단 선택, 정보시스템의 발전, 신규 수송루트의 개발 등으로 운송의 효율성이 향상되었다.
2.
운송은 수요자의 요청에 따라 공급이 이루어지는 즉시재(Instantaneous Goods)의 성격을 갖는다.
3.
Modal Shift 등 수송체계의 다변화, 운송업체의 대형화 등을 통해 운송시스템의 합리화가 가능하다.
4.
운송수요는 유통 및 생산에 대한 파생수요적 성격을 갖는다.
5.
운송 대형화에 따른 비용 절감으로 물류비 중 운송비가 가장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정답 : [
5
] 정답률 : 58%
44.
기존의 도로(공로) 중심의 운송체계를 철도 및 연안운송 등으로 전환하는 것을 뜻하는 용어는?(2013년 06월)
1.
3PL(3rd Party Logistics)
2.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
3.
통합물류서비스(Integrated Logistics Service)
4.
모달쉬프트(Modal Shift)
5.
LCL(Less than Container Load)
정답 : [
4
] 정답률 : 71%
45.
다음과 같은 수배송 네트워크가 주어져 있을 때 출발지 S에서 목적지 F까지의 최대 수송량을 목적으로 할 때 용량이 남는 구간은? (단, 각 경로에 표시된 숫자는 경로별 수송용량을 의미하며 모든 수송로를 단독으로 사용한다.)(2015년 07월)
1.
A → B
2.
B → C
3.
C → F
4.
B → E
5.
E → F
정답 : [
4
] 정답률 : 30%
46.
운송수단의 운영 효율화를 위한 원칙으로 옳은 것은?(2021년 07월)
1.
소형차량을 이용하는 소형화 원칙
2.
영차율 최소화 원칙
3.
회전율 최소화 원칙
4.
가동률 최대화 원칙
5.
적재율 최소화 원칙
정답 : [
4
] 정답률 : 70%
47.
운송 효율화 측면에서 ‘운송수단과 비용간의 관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7월)
1.
운송수단의 선정 시 운송비용과 재고유지비용을 고려한다.
2.
운송수단별 운송물량에 따라 운송비용에 차이가 있다.
3.
항공운송은 리드타임(Lead Time)이 짧기 때문에 재고유지비용이 증가한다.
4.
해상운송은 운송기간 중에 재고유지비용이 증가한다.
5.
속도가 느린 운송수단일수록 운송 빈도가 낮아져 보관비가 증가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1%
48.
물류활동 및 운송합리화를 위한 3S1L의 기본원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7월)
다음은 B기업의 2018년도 화물자동차 운행실적이다. 실차율, 적재율, 가동률이 모두 옳은 것은? (단,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 (순서대로 실차율, 적재율, 가동률)(2018년 07월)
1.
83.3%, 80.0%, 86.7%
2.
83.3%, 86.7%, 80.0%
3.
86.7%, 60.0%, 83.3%
4.
86.7%, 80.0%, 83.3%
5.
86.7%, 86.7%, 80.0%
정답 : [
4
] 정답률 : 58%
50.
2007년 12월 28일 공정거래위원위가 승인한 “택배 표준약관(제10026호)”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8월)
1.
손해배상한도액은 고객이 운송장에 운송물의 가액을 기재하지 아니한 경우에 한하여 적용되며, 사업자는 손해배상한도액을 미리 이 약관의 별표로 제시하고 운송장에 기재한다.
2.
운송물의 멸실, 훼손 또는 연착이 사업자 또는 그의 사용인의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인하여 발생한 때에는 사업자는 모든 손해를 배상한다.
3.
사업자는 고객이 운송장에 필요한 사항을 기재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운송물의 수탁을 거절할 수 없다.
4.
사업자는 고객의 이익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탁한 운송물을 다른 운송사업자와 협정을 체결하여 공동으로 운송하거나 다른 운송사업자의 운송수단을 이용하여 운송할 수있다.
5.
운송물의 일부 멸실 또는 훼손에 대한 사업자의 손해배상책임은 수하인이 운송물을 수령한 날로부터 14일 이내에 그 일부 멸실 또는 훼손에 대한 사실을 사업자에게 통지를 발송하지 아니하면 소멸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47%
51.
운송회사는 공급지 A, B, C에서 수요지 W, X, Y, Z까지 화물을 운송하려고 한다. 최소비용법에 의한 총운송비용과 공급지 B에서 수요지 X까지의 운송량은? (단, 공급지와 수요지간 톤당 단위운송비용은 셀의 우측 상단에 표시됨)(2019년 07월)
1.
1,210,000원, 30톤
2.
1,210,000원, 40톤
3.
1,210,000원, 50톤
4.
2,050,000원, 30톤
5.
2,050,000원, 40톤
정답 : [
1
] 정답률 : 58%
52.
다음에서 설명하는 화물자동차 운송정보시스템은?(2023년 07월)
1.
WMS(Warehouse Management System)
2.
Routing System
3.
Tracking System
4.
VMS(Vanning Management System)
5.
CVO(Commercial Vehicle Operating system)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2. Routing System : 화물자동차의 최종 배송지에 대한 최적 운송경로를 설정하여주는 운송경로 시스템 4. VMS 적재관리 시스템 : 화물의 특징에 따라 적정한 화물차에 화물이 효율적으로 적재될 수 있도록 차량의 소요 배차 적재위치 등을 지정해주는 적재관리 시스템 5. CVO 구차구화시스템 : 차주와 화주를 연결하는 구차구화시스템으로 화물차량의 위치, 적재화물의 종류, 운행상태, 노선상태 등울 자동적으로 파악하여 화물차량의 운행을 최적화하고 관리를 효율화하기 위한 지능형 교통시스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 WMS: 창고관리시스템 / 창고내에서 자재 및 재고를 관리하면서 발생하는 모든 활동들을 유기적으로 통합관리하여 고객 기업의 물류관리 및 운영 능력을 향상시키고 경영자원의 효율적 활용과 고객서비스 향상을 지원하는 관리시스템 [해설작성자 : 이번엔 붙자,, 재발,,]
3. Tracking System : 주문배송추적시스템 [해설작성자 : 이번엔 붙자,, 재발,,]
53.
화물자동차운송의 고정비 항목으로 옳은 것은?(2022년 08월)
1.
유류비
2.
수리비
3.
감가상각비
4.
윤활유비
5.
도로통행료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고정비 = 운행 안해도 나가는 비용 변동비 = 운행 많이하면 많이 나가고 안하면 안나가고 적게하면 적게 나가는 비용 [해설작성자 : 똘딴]
54.
철도운송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07월)
1.
이단적열차(Double Stack Train): 컨테이너가 적재된 트레일러를 무개화차위에 그대로 적재하여 운송하는 열차
2.
철도ㆍ도로겸용시스템(Bimodal System): Box Car, Hopper Car, 곤돌라화차 등의 각종 철도차량을 전기 또는 디젤기관차에 직접 연결하여 화물을 운송하는 방식
3.
곤돌라화차(Gondola Car): 날씨 또는 기후로부터 화물이 보호될 수 있도록 상자 형태로 제작된 화차
4.
덮개형 개저식화차(Covered Hopper Car): 천장 부분에 적재용 뚜껑이 부착되어 있고, 밑 부분에 중력양륙 또는 공기양륙 장치가 부착되어 있는 화차
5.
무개화차(Flat Car): 상면이 평평하여 가공되지 않은 곡물 등의 산화물을 운송하는데 적합한 화차
정답 : [
4
] 정답률 : 42%
55.
화물자동차의 명칭과 화물적재와의 관계에 관한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7월)
1.
전폭: 팔레트 적재 수, 컨테이너의 적재여부에 영향을 준다.
2.
전·후 오버행: 커브 시 안전도에 영향을 준다.
3.
하대높이: 지하도 및 교량 통과 높이에 영향을 준다.
4.
제1축간 거리: 축간거리가 길수록 적재함의 길이가 커지거나 적재함 중량이 뒷바퀴에 많이 전달된다.
5.
오프: 오프 값이 클수록 적재함 중량이 뒷바퀴에 많이 전달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16%
56.
다이어그램 배송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한 것은?(2007년 08월)
1.
차량 적재율을 기준으로 가장 적합한 배송방식을 결정한다.
2.
비교적 광범위한 지역에서 소량의 화물을 주문하는 다수고객에게 배송할 때 유리하다.
3.
배송범위가 60km 이상인 경우 주로 적용한다.
4.
배송범위가 30km 이내, 배송빈도는 2회/일 또는 1.5회/일(30~60km)인 경우 주로 적용한다.
5.
배송범위를 몇 가지 경로로 구분한 후 1회/일 배송을 원칙으로 배송차량의 크기와 출발시간을 정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14%
57.
다음 네트워크에서 7지점의 물류 창고를 모두 연결하는 도로를 개설하려 한다. 최소로 필요한 도로 연장은? (단, 각 구간별 숫자는 거리(km)를 나타냄)(2017년 07월)
택배 표준약관(공정거래위원회 표준약관 제10026호)에서 사업자가 운송물의 수탁을 거절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2021년 07월)
1.
운송물의 인도예정일(시)에 따른 운송이 불가능한 경우
2.
운송이 법령, 사회질서 기타 선량한 풍속에 반하는 경우
3.
운송물 1포장의 가액이 100만원 이하인 경우
4.
운송물이 살아 있는 동물, 동물사체 등인 경우
5.
고객(송화인)이 운송장에 필요한 사항을 기재하지 아니한 경우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포장의 가액이 300만원 이하이다. [해설작성자 : 유통3급탈락자]
1포장 가액이 300만원 '초과'일때 거절가능 [해설작성자 : 세방맨]
59.
가로 150 cm, 세로 120 cm, 높이 30 cm의 Box 4개가 있다. Box 한 개당 실제 총 중량이 80 kg일 때 항공운임 산출중량을 구한 것으로 옳은 것은?(2015년 07월)
1.
320 kg
2.
340 kg
3.
360 kg
4.
380 kg
5.
400 kg
정답 : [
3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항공운임은 기본적으로 높은 운임으로 선정 (1)kg계산법 -> 80(kg)*4(개)= 320(kg) (2)CM기준 (가로*세로*높이*개수/6000) -> (150*120*30*4)/6000= 360(kg) [해설작성자 : 티다]
60.
수ㆍ배송시스템 설계 시 고려 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07월)
1.
리드타임
2.
적재율
3.
차량의 회전율
4.
차량운행 대수
5.
안전수요량
정답 : [
5
] 정답률 : 67%
61.
선박의 국적(선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8월)
1.
전통적인 선박의 국적 취득 요건은 자국민 소유, 자국 건조, 자국민 승선이다.
2.
편의치적제도를 활용하는 선사는 자국의 엄격한 선박운항기준과 안전기준에서 벗어날 수 있다.
3.
제2선적제도는 기존의 전통적 선적제도를 폐지하고, 역외등록제도와 국제선박등록제도를 신규로 도입한다.
4.
편의치적제도는 세제상의 혜택과 금융조달의 용이성으로 인해 세계적으로 확대되었다.
5.
우리나라는 제2선적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3. 제2선적제도는 기존의 전통적 선적제도를 폐지하는 것이 아닌 별개로 운용되는 제도이다. [해설작성자 : Yadon_]
62.
다음 네트워크에서 각 운송로의 숫자는 각 운송로에 대한 최대 운송 용량(톤)을 나타낸다. 출발지 S에서 목적지 F로 최대로 운송할 수 있는 운송량은?(2011년 08월)
1.
4톤
2.
5톤
3.
6톤
4.
7톤
5.
8톤
정답 : [
2
] 정답률 : 19%
63.
랜드브리지(Land Bridge)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8월)
1.
대륙과 대륙을 연결하는 데 있어서 항공운송이 교량(Bridge) 역할을 하는 운송시스템이다.
2.
운송시간의 단축 또는 운송비의 절감이 주요 목표이다.
3.
SLB는 TSR을 이용하는 운송시스템이다.
4.
ALB는 수에즈 운하가 봉쇄될 경우, 이용할 수 있는 운송시스템 중의 하나이다.
5.
TCR은 중국 연운항을 기점으로 하는 대륙횡단철도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75%
64.
항공화물 운송에 필요한 지상조업장비의 하나로 적재작업이 완료된 항공화물의 단위탑재용기를 터미널에서 항공기까지 견인차에 연결하여 수평 이동하는 장비는?(2017년 07월)
1.
하이 로더(high loader)
2.
포크리프트 트럭(forklift truck)
3.
트랜스포터(transporter)
4.
달리(dolly)
5.
셀프 프로펠드 컨베이어(self propelled conveyor)
정답 : [
4
] 정답률 : 47%
65.
다음 S에서 출발하여 F에 도착하는 운송네트워크의 최단경로 거리(km)는? (단, 경로별 숫자는 km임)(2025년 07월)
1.
11
2.
12
3.
13
4.
14
5.
15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66.
아시아와 북미 또는 유럽을 연결하는 컨테이너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선박회사의 특징을 모두 고른 것은?(2010년 08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 : [
2
] 정답률 : 39%
67.
파이프라인 운송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다른 운송수단에 비해서 유지비가 저렴하다.
2.
연속으로 대량운송이 가능하다.
3.
컴퓨터 시스템에 의한 자동화가 가능하다.
4.
유류 등을 운송하므로 친환경 운송수단이 아니다.
5.
초기 시설투자비가 비교적 많이 든다.
정답 : [
4
] 정답률 : 61%
68.
항공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7월)
1.
High Capacity Aircraft는 소형기종의 항공기로서 데크(deck)에 의해 상부실 및 하부실로 구분되며 하부실은 구조상 ULD의 탑재가 불가능하다.
2.
항공기는 국제민간항공조약에 의해 등록이 이루어진 국가의 국적을 보유하도록 되어 있다.
3.
여객기는 항공기의 상부 공간은 객실로 이용하고 하부 공간은 화물실로 이용한다.
4.
Convertible Aircraft는 화물실과 여객실을 상호 전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항공기이다.
5.
항공기 블랙박스는 비행정보 기록장치와 음성 기록장치를 통칭하는 이름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High Capacity Aircraft(대형기종)는 대형 항공기를 의미하며, 데크(deck)에 의해 상부(Upper Deck)와 하부(Lower Deck)로 구분됩니다. 하부실(화물실, Lower Deck)에도 ULD(Unit Load Device, 단위적재용기)의 탑재가 가능하며, 오히려 대형기종일수록 ULD 탑재가 활발하게 이루어집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9.
세이빙(Saving)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6월)
1.
차량의 통행시간, 적재능력 등이 제한되는 복잡한 상황에서 차량의 노선 배정 및 일정계획 문제의 해결방안을 구하는 한 방법이다.
2.
배차되는 각 트럭의 용량은 총수요보다 크고 특정 고객의 수요보다는 작아야 한다.
3.
배송센터에서 두 수요지까지의 거리를 각각 a, b라 하고 두 수요지 간의 거리를 c라 할 때 saving은 a+b-c가 된다.
4.
세이빙이 큰 순위로 차량 운행 경로를 편성한다.
5.
경로 편성 시 차량의 적재 용량 등의 제약을 고려해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0%
70.
비교적 광범위한 지역에 소량화물을 요구하는 다수의 고객을 대상으로 배송할 때에 유리한 방법으로 판매지역에 대하여 배송 담당자가 배송 트럭에 화물을 상ㆍ하차하고 화물을 수수함과 동시에 현금수수도 병행하는 방식은?(2013년 06월)
1.
다이어그램(diagram) 배송 방식
2.
루트(route) 배송 방식
3.
단일 배송 방식
4.
콘솔(consolidation) 배송 방식
5.
변동 다이어그램 배송 방식
정답 : [
2
] 정답률 : 55%
71.
해상운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7월)
1.
Discrimination Rate는 화물, 장소, 화주에 따라 차별적으로 부과하는 운임이다.
2.
Freight Collect는 무역조건이 CFR계약이나 CIF계약으로 체결되는 경우에 적용되는 운임이다.
3.
Optional Surcharge는 양륙항을 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운송 도중에 양륙항이 정해지는 경우에 부과되는 할증운임이다.
4.
Terminal Handling Charge는 화물이 CY에 입고된 순간부터 본선의 선측까지와 본선의 선측에서 CY 게이트를 통과하기까지의 화물 이동에 따른 비용으로 국가별로 그 명칭과 징수내용이 다소 상이하다.
5.
Congestion Surcharge는 도착항의 항만이 혼잡할 경우에 부과되는 할증료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2번은 선불운임에 대한 설명입니다 Freight collect(후불운임)은 FOB조건으로 계약체결시 적용되는 운임입니다. [해설작성자 : 홈즈hz]
72.
다음과 같은 네트워크에서 노드 S로부터 다른 모든 노드에 원유를 공급하는 송유관 물류네트워크를 구축하고자 한다. 모든 노드들에 원유를 공급할 수 있는 가장 짧은 길이의 송유관 물류네트워크를 구축하고자 할 때, 송유관의 총길이는 얼마인가? (단, 네트워크상의 숫자는 두 노드상의 거리로 km단위를 의미한다.)(2011년 08월)
1.
17km
2.
19km
3.
21km
4.
23km
5.
25km
정답 : [
2
] 정답률 : 24%
73.
트레일러의 형상에 따른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7년 07월)
1.
ㅁ
2.
ㄴ, ㄷ
3.
ㄴ, ㅁ
4.
ㄱ, ㄷ, ㅁ
5.
ㄱ, ㄴ, ㄷ, ㄹ, ㅁ
정답 : [
5
] 정답률 : 54%
74.
택배 표준약관(공정거래위원회 표준약관 제10026호)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8월)
1.
고객(송화인)은 운송물을 성질, 중량, 용량에 따라 운송에 적합하도록 포장하여야 한다.
2.
사업자는 운송물의 포장이 운송에 적합하지 아니한 때, 고객(송화인)의 승낙을 얻어 운송 중 발생될 수 있는 충격량을 고려하여 포장을 하여야 한다.
3.
사업자는 운송물을 수탁한 후 포장의 외부에 운송물의 종류와 수량, 인도예정일(시), 운송상의 특별한 주의사항을 표시한다.
4.
사업자가 운반하는 도중에 운송물의 포장이 훼손되어 재포장을 한 경우, 운송물을 인도한 후 고객(송화인)에게 그 사실을 알려야 한다.
5.
운송물이 포장 당 50만원을 초과하거나 운송상 특별한 주의를 요하는 것일 때는 사업자는 별도 할증요금을 청구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일반적으로 사업자는 포장이 훼손된 경우 즉시 고객에게 알리고, 재포장에 대한 승인을 받는 것이 표준 절차일 수 있습니다. 인도 후에 알리는 것이 아니라, 문제 발생 시점에 고객과 협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포장이 훼손되어 재포장을 한 경우, 지체 없이 고객에 알림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5.
화물자동차의 운송능력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2024년 08월)
1.
최대적재중량은 화물자동차 자체중량과 최대 승차중량을 합한 중량을 말한다.
2.
자동차연결 총중량은 공차상태에서 트랙터와 트레일러까지 합산된 중량을 말한다.
3.
화물자동차의 운송능력은 공차중량에 자동차의 평균 용적을 곱하여 계산한다.
4.
최대접지압력은 공차상태에서 도로 지면 접지부에 미치는 압력의 정도를 말한다.
5.
공차중량은 화물을 적재하지 않고 연료, 냉각수, 윤활유 등을 가득 채운 상태의 중량을 말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최대적재중량 : 차량이 안전하게 적재할 수 있는 화물의 최대 중량 자동차연결 총중량 : 트랙터와 트레일러가 연결된 상태에서의 총 중량을 의미하며, 공차상태가 아닌 적재 상태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운송능력은 일반적으로 최대적재중량이나 적재 용적을 기준으로 평가됩니다. 최대접지압력은 일반적으로 차량이 적재된 상태에서 도로에 미치는 압력을 의미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6.
운송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7월)
1.
운송비는 화물량의 증감에 영향을 받지 않는 고정비이다.
2.
용차운송비는 부정기 차량에 의해서 발생되는 비용이다.
3.
노선운송비는 정해진 노선일정(schedule)에 의해 정기적인 운행으로 발생되는 비용이다.
'택배'라 함은 대량의 운송물을 수하인의 주택, 사무실 또는 기타의 장소까지 운송하는 것을 말한다.
3.
'증명서'라 함은 사업자와 고객 간의 택배계약의 성립과 내용을 증명하기 위하여 사업자의 청구에 의하여 고객이 발행한 문서를 말한다.
4.
'수하인'이라 함은 고객이 운송장에 운송물의 수령자로 지정하여 기재하는 자를 말한다.
5.
'인수'라 함은 사업자가 수하인에게 운송장에 기재된 운송물을 넘겨주는 것을 말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3%
78.
실제중량이 5kg이며,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30.5cm, 55cm, 24.5cm의 박스 3개를 항공화물로 운송하고자 할 때 운임적용 중량은? (계산결과는 반올림하여 정수로 산정하시오)(2007년 08월)
1.
15 kg
2.
20 kg
3.
21 kg
4.
42 kg
5.
45 kg
정답 : [
3
] 정답률 : 38%
79.
택배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7년 07월)
1.
ㄱ, ㄷ, ㄹ
2.
ㄱ, ㄹ, ㅂ
3.
ㄴ, ㄷ, ㅂ
4.
ㄱ, ㄷ, ㄹ, ㅂ
5.
ㄱ, ㄷ, ㄹ, ㅁ, ㅂ
정답 : [
4
] 정답률 : 56%
80.
택배표준약관(공정거래위원회 표준약관 제10026호)상 운임의 청구와 유치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7월)
1.
수화인이 운임을 지급하지 않는 때에는 사업자는 운송물을 유치할 수 있다.
2.
운송물이 포장 당 50만 원을 초과하거나 운송 상 특별한 주의를 요하는 것일 때에는 사업자는 따로 할증요금을 청구할 수 있다.
3.
고객의 사유로 운송물을 돌려보내는 경우, 사업자는 따로 추가요금을 청구할 수 있다.
4.
운임 및 할증요금은 미리 약관의 별표로 제시하고 운송장에 기재한다.
5.
사업자는 고객과의 합의가 있더라도 운송물을 인도할 때 수화인에게 운임을 청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정답 : [
5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5. 고객(선불) 또는 수화인(후불) 중 누가 낼지 합의 가능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1.
국제물류의 기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7월)
1.
정보의 비대칭성을 강화하여 생산자의 경쟁력을 제고하는 기능을 한다.
2.
생산자와 소비자의 수급 불일치를 해소하는 기능을 한다.
3.
생산물품과 소비물품의 품질을 동일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4.
재화의 생산시점과 소비시점의 불일치를 조정하는 기능을 한다.
5.
생산지와 소비지의 장소적, 거리적 격차를 단축시키는 기능을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물류의 기능에는 정보의 비대칭성의 격차를 해소 하기 위한 것이 있다 [해설작성자 : 이번엔 붙자,, 재발,,]
82.
국제물류의 동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7월)
1.
선박대형화에 따른 항만효율화를 위해 Post Panamax Crane이 도입되었다.
2.
선박대형화에 따라 항만의 수심이 깊어지고 있다.
3.
국제특송업체들은 항공화물운송 효율화를 위해 항공기 소형화를 추진하고 있다.
4.
글로벌 공급사슬 관점에서의 국제물류관리가 중요해지고 있다.
5.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국제물류체계가 플랫폼화 및 고도화되고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71%
83.
복합운송증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6월)
1.
복합운송증권은 복합운송계약에 의해 복합운송인이 발행하는 운송서류로서 복합운송계약의 내용, 운송조건 및 운송화물의 수령 등을 증명하는 증거서류이다.
2.
복합운송증권은 두 가지 이상의 다른 운송방식에 의하여 운송물품의 수탁지와 목적지가 상이한 국가의 영역간에 이루어지는 복합운송계약 하에서 발행되는 증권이다.
3.
컨테이너 화물에 대한 복합운송증권은 FIATA의 표준양식을 사용하여 발행될 수도 있다.
4.
'UN 국제물품복합운송조약 1980'에 따르면 복합 운송증권은 송화인의 선택에 관계없이 배서에 의한 양도가 가능한 유통성증권으로만 발행된다.
5.
복합운송증권을 발행하는 복합운송인은 해상운송인, 육상운송인, 항공운송인, 그리고 운송주선업자도 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48%
84.
해상운송계약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8월)
1.
개품운송계약은 불특정 다수의 화주를 대상으로 하며 선박회사에서 일방적으로 결정한 정형화된 약관을 화주가 포괄적으로 승인하는 부합계약 형태를 취한다.
2.
정기용선계약은 일정 기간을 정해 용선자에게 선박을 사용하도록 하는 계약으로 표준서식으로 Gencon 서식이 사용된다.
3.
항해용선에는 화물의 양에 따라 운임을 계산하는 물량용선(Freight Charter)과 화물의 양에 관계없이 본선의 선복을 기준으로 운임을 결정하는 총괄운임용선(Lump Sum Charter)이 있다.
4.
나용선계약은 선박 자체만을 용선하여 선장, 선원, 승무원 및 연료나 장비 등 인적ㆍ물적 요소나 운항에 필요한 모든 비용을 용선자가 부담하는 계약이다.
5.
Gross Term Charter는 항해용선계약에서 선주가 적ㆍ양하항에서 발생하는 일체의 하역비 및 항비를 부담하는 조건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NYPE 서식 [해설작성자 : 똘딴]
정기용선계약: NYPE 서식(New York Produce Exchange Form) 항해용선계약: Gencon 서식 [해설작성자 : Yadon_]
85.
용선선박이 용선계약 상에 명시된 날짜까지 선적준비를 하지 못할 경우 용선자에게 용선계약의 취소여부에 관한 선택권을 부여하는 항해용선계약(Gencon C/P)상 조항은?(2024년 08월)
1.
Laytime
2.
Demurrage
3.
Off hire Clause
4.
Cancelling Clause
5.
Deviation Clause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용선"은 선박을 빌리는 것을 의미하며, 주로 화물 운송을 위해 선박을 임대하는 계약을 말합니다. Cancelling Clause는 용선계약에서 선박이 지정된 날짜까지 준비되지 않을 경우 용선자가 계약을 취소할 수 있는 권리를 명시하는 조항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6.
제3자 물류에 비해 제4자 물류가 갖는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7월)
1.
위탁받은 물류활동을 중심으로 하는 제3자 물류와는 달리 전문성을 가지고 물류프로세스의 개선을 적극적으로 추구하여 세계수준의 전략, 기술, 경영관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
전체 SCM상 다양한 물류서비스를 통합할 수 있는 최적의 위치에 있으므로 제3자 물류에 비해 SCM의 솔루션을 제시할 수 있고, 전체적인 공급사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3.
IT 기반 통합적 물류서비스 제공보다는 오프라인 중심의 개별적ㆍ선별적 서비스를 지향한다.
4.
제3자 물류와는 달리 물류전문업체, IT업체 및 물류컨설팅업체가 일련의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가상물류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5.
제3자 물류보다 광범위하고 종합적이며 전문적인 물류서비스를 제공하여 더욱 높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68%
87.
항해용선계약에서 선내인부의 작업비용을 선적 시에는 용선자가 부담하고 양륙 시에는 선주가 부담하는 조건은?(2014년 06월)
1.
FI
2.
FIO
3.
FO
4.
FIOS
5.
FIOST
정답 : [
1
] 정답률 : 41%
88.
(ㄱ) ~ (ㄷ)에 들어갈 용어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2014년 06월)
1.
ㄱ: 항해용선, ㄴ: 기간용선, ㄷ: 나용선
2.
ㄱ: 나용선, ㄴ: 항해용선, ㄷ: 기간용선
3.
ㄱ: 기간용선, ㄴ: 항해용선, ㄷ: 개품운송계약
4.
ㄱ: 개품운송계약, ㄴ: 나용선, ㄷ: 기간용선
5.
ㄱ: 항해용선, ㄴ: 기간용선, ㄷ: 개품운송계약
정답 : [
5
] 정답률 : 57%
89.
정기선사들의 전략적 제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7월)
1.
공동운항을 통해 선복을 공유한다.
2.
화주에게 안정된 수송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3.
광석, 석탄 등 벌크 화물 운송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4.
제휴선사간 상호 이해관계를 조정하기 위해 협정을 맺고 있다.
5.
제휴선사간 불필요한 경쟁을 회피하는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정기선사들의 전략적 제휴는 주로 컨테이너 화물 운송을 중심으로 이루어집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0.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컨테이너 화물운송과 관련된 국제협약은?(2025년 07월)
1.
CCC(Customs Convention on Container, 1956)
2.
TIR(Transport International Routiere, 1959)
3.
CSC(International Convention for Safe Containers, 1972)
4.
CMR(Convention Relative au Contract de Transport International de Marchandises par Route, 1956)
5.
ITI(Customs Convention on the International Transit of Goods, 1971)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91.
정기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7월)
1.
운임은 공시된 확정운임이 적용된다.
2.
개품운송계약을 체결하고 선하증권을 사용한다.
3.
다수 화주로부터 다양한 화물을 집화하여 운송한다.
4.
특정한 항구 간을 운항계획에 따라 규칙적으로 반복 운항한다.
5.
항해단위, 기간 등에 따라 계약조건이 다른 용선계약서를 사용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용선계약서는 주로 부정기선에서 사용되며, 정기선은 일반적으로 선하증권을 사용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2.
미국의 1998년 개정해운법(The Ocean Shipping Reform Act of 1998)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2년 08월)
1.
개정법은 동맹에 대한 독점금지법의 면제를 인정하지 않는다.
2.
서비스 계약시 개별선사에게 비밀계약을 허용한다.
3.
태리프(Tariff)는 연방해사위원회(FMC)에 신고하여야 한다.
4.
선사그룹(Carrier Group)이 내륙운송업자와 운임률 및 서비스를 공동으로 협상할 수 없다.
5.
무선박운송인(NVOCC)은 연방해사위원회(FMC)로부터 면허를 받지 않아도 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34%
93.
다음에서 설명하는 국제복합운송경로는?(2019년 07월)
1.
IPI
2.
ALB
3.
SLB
4.
OCP
5.
RIPI
정답 : [
1
] 정답률 : 51%
94.
국제물품매매계약에 관한 UN 협약(비엔나협약, 1980)에 규정되어 있는 매수인의 구제권리가 아닌 것은?(2015년 07월)
1.
물품명세확정권
2.
대체품인도청구권
3.
하자보완청구권
4.
대금감액권
5.
조기이행거절권
정답 : [
1
] 정답률 : 19%
<문제 해설> 물품명세확정권 >> 국제물품매매계약에 관한 UN협약(비엔나협약,1980)에 존재하지 않는 권리임. >> 구제권리가 아님. 구제권리란 계약이행이 불완전하거나 위반되었을 때, 손해를 줄이거나 회복하기 위해 매수인에게 부여되는 권리임. 따라서, 계약의 유연성을 위해 매수인에게 부여된 '권리'이지, 계약 위반이나 손해에 대한 '구제를 위한 권리'가 아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5.
Hague Rules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8월)
1.
운송인은 본선 선적개시시부터 출항시까지 선박의 내항성(Seaworthiness)에 대한 주의를 게을리하지 말아야 할 의무가 있다.
2.
항해 또는 선박 자체의 취급에 대하여 선장이나 선원의 과실인 항해과실에 대하여는 운송인이 책임진다.
3.
선박의 항해에 필요한 승조원을 배치하고 선박의 의장 및 필수품을 보급할 의무가 운송인에게 있다.
4.
화물이 운송될 창내, 냉동실, 냉기실 및 화물운송에 필요한 선박의 다른 모든 부분을 화물의 수령, 운송 및 보존에 적합하고 안전하게 하기 위하여 상당한 주의를 운송인이 기울여야 한다.
5.
운송인은 물품의 선적, 적부, 운송, 보관 또는 양하가 적절하고 신중하게 행하여 지지 않아서 발생한 물품의 손해에 대하여 책임을 면할수 없다.
정답 : [
2
] 정답률 : 35%
96.
다음 ( )에 들어갈 용어로 옳은 것은?(2016년 07월)
1.
ㄱ: 내국신용장 ㄴ: 보증신용장
2.
ㄱ: 내국신용장 ㄴ: 구매확인서
3.
ㄱ: 구매확인서 ㄴ: 보증신용장
4.
ㄱ: 보증신용장 ㄴ: 회전신용장
5.
ㄱ: 구매확인서 ㄴ: 회전신용장
정답 : [
2
] 정답률 : 46%
97.
선박을 운항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소요되는 비용을 1DWT-1Month 기준으로 계산하는 방식은?(2009년 08월)
1.
Hire Base
2.
Demurrage
3.
Charter Base
4.
Despatch Money
5.
Lump Sum Freight
정답 : [
1
] 정답률 : 17%
98.
컨테이너화물 수출선적절차에 필요한 서류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2018년 07월)
1.
ㄱ - ㄴ-ㄷ -ㄹ- ㅁ
2.
ㄱ-ㄹ -ㄴ - ㄷ -ㅁ
3.
ㄴ - ㄱ-ㄷ -ㄹ - ㅁ
4.
ㄴ - ㄷ-ㄹ -ㄱ- ㅁ
5.
ㄷ-ㄴ -ㄱ - ㄹ -ㅁ
정답 : [
1
] 정답률 : 61%
99.
최근 국제물류 환경변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7월)
1.
국제물류시장의 치열한 경쟁으로 물류기업간 수평적 통합과 수직적 통합이 가속화되고 있다.
2.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메탄올 연료를 사용하는 선박 건조가 증가하고 있다.
3.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디지털 기술들을 활용하여 운영효율성과 고객만족을 제고하려는 물류기업들이 늘어나고 있다.
4.
기업경영의 글로벌화가 보편화되면서 글로벌 공급사슬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5.
코로나 팬데믹의 영향으로 전자상거래 비중이 감소하는 추세이다.
정답 : [
5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전자상거래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해설작성자 : 이번엔 붙자,, 재발,,]
100.
대전에 위치한 A회사가 미국 덴버에 위치한 B회사로부터 물품을 수입(덴버에 위치한 B회사 발송 → LA항 선적 → 부산항 입항 → 대전에 위치한 A회사 도착)하면서 지불한 운임 및 부대비의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다. 이 경우 관세와 부가가치세는?(2015년 07월)
1.
관세 US$ 101,000, 부가가치세 US$ 101,000
2.
관세 US$ 101,000, 부가가치세 US$ 111,100
3.
관세 US$ 101,070, 부가가치세 US$ 101,070
4.
관세 US$ 101,070, 부가가치세 US$ 111,177
5.
관세 US$ 101,100, 부가가치세 US$ 111,210
정답 : [
2
] 정답률 : 29%
101.
국제물류와 국내물류의 비교로 옳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3년 07월)
1.
ㄱ, ㄴ, ㄷ
2.
ㄱ, ㄷ, ㅁ
3.
ㄱ, ㄹ, ㅁ
4.
ㄴ, ㄷ, ㄹ
5.
ㄴ, ㄹ, ㅁ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재고 수준 : 국제물류는 긴 리드타임으로 인해 재고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아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 국내물류는 주문시간이 짧고 운송의 불확실성이 적어 재고 수준이 낮을 수 있습니다. 화물 위험 : 국제물류는 장기운송과 환적 등으로 인해 위험이 높습니다. 반면, 국내물류는 단기운송으로 위험이 낮습니다. 서류 작업 : 국제물류는 각종 무역운송서류가 필요하여 서류 작업이 복잡합니다. 반면, 국내물류는 구매주문서와 송장 정도로 서류 작업이 간단합니다. 재무적 위험 : 국제물류는 환리스크로 인해 재무적 위험이 높습니다. 반면, 국내물류는 환리스크가 없어 재무적 위험이 낮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2.
컨테이너 터미널의 주요시설 중 컨테이너 터미널(선사)과 외부(화주, 내륙수송업자)와의 책임관계를 구분하는 지점은?(2011년 08월)
1.
Marshalling Yard
2.
Container Yard
3.
Container Freight Station
4.
Apron
5.
Gate
정답 : [
5
] 정답률 : 29%
103.
선하증권 작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7월)
1.
Container No.란에는 화물이 적입된 컨테이너 번호를 표기한다.
2.
Place of Delivery란에는 운송인의 책임 하에 화물을 운송하여 수하인에게 인도 하는 장소를 명시한다.
3.
Notify Party란에는 수입업자 또는 수입업자가 지정하는 대리인이 기재된다.
4.
Final Destination란에는 화물의 최종 목적지를 표시한다.
5.
Gross Weight란에는 포장의 무게가 포함된 총중량 및 컨테이너 개수를 명시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Gross Weight는 "총중량"을 의미합니다. 화물 자체의 무게 + 포장 무게 포함 그러나 컨테이너 개수는 포함하지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쮼쮼]
104.
항해용선운송계약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7월)
1.
Stevedorage 부담과 관련하여 선적 시는 용선자가, 양륙 시는 선주가 부담하는 조건은 Free In(FI)이다.
2.
하역 시작일로부터 끝날 때까지의 모든 기간을 정박기간으로 계산하는 방법은 Running Laydays이다.
3.
초과정박일에 대하여 계약상 정박일수를 경과할 때 용선자가 선주에게 지급하는 약정금은 Despatch Money이다.
4.
운송계약에 따라 화주가 운임 및 기타 부대경비를 지급하지 아니할 때 선주는 그 화물을 유치할 수 있는 권한이 있다.
5.
기상조건이 하역 가능한 상태의 날만 정박기간에 산입하는 정박기간 표시방법은 Weather Working Days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Despatch money - 조출료 - 약정된 정박기간 만료 이전에 하역이 완료되면 선주가 용선자에게 주는 보상 정박 일수를 초과한 경우 Demurrage 체선료
105.
신용장통일규칙(UCP 600) 제20조의 선하증권 수리요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7월)
1.
운송인의 명칭이 표시되어 있고, 지정된 운송인 뿐만 아니라 선장 또는 그 지정대리인이 발행하고 서명 또는 확인된 것
2.
물품이 신용장에서 명기된 선적항에서 지정된 선박에 본선적재 되었다는 것을 인쇄된 문언이나 본선적재필 부기로 명시한 것
3.
운송조건을 포함하거나 또는 운송조건을 포함하는 다른 자료를 참조하고 있는 것
4.
용선계약에 따른다는 표시를 포함하고 있는 것
5.
단일의 선하증권 원본 또는 2통 이상의 원본으로 발행된 경우에는, 선하증권 상에 표시된 대로 전통인 것
다음 Incoterms 2000 무역거래조건 중 매도인이 수입통관 절차를 밟아야 하는 것은?(2008년 08월)
1.
DEQ
2.
CIP
3.
EXW
4.
DDP
5.
FOB
정답 : [
4
] 정답률 : 60%
107.
국제물류에서 항만의 기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7월)
1.
수출입 화물의 일시적 보관, 하역을 통하여 해륙을 연결한다.
2.
물류활동의 중심지로서 다양한 부가가치 서비스를 제공한다.
3.
국가 및 지역의 경제성장과 고용창출에 기여한다.
4.
선사간 전략적 제휴 또는 합병을 유도한다.
5.
신속한 하역과 내륙연결점에서 원활한 물류서비스를 제공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3%
108.
항만의 시설과 장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7월)
1.
Quay는 해안에 평행하게 축조된, 선박 접안을 위하여 수직으로 만들어진 옹벽을 말한다.
2.
Marshalling Yard는 선적할 컨테이너나 양륙완료된 컨테이너를 적재 및 보관하는 장소이다.
3.
Yard Tractor는 Apron과 CY간 컨테이너의 이동을 위한 장비로 야드 샤시(chassis)와 결합하여 사용한다.
4.
Straddle Carrier는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양다리 사이에 컨테이너를 끼우고 운반하는 차량이다.
5.
Gantry Crane은 CY에서 컨테이너를 트레일러에 싣고 내리는 작업을 수행하는 장비이다.
정답 : [
5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 갠트리 크레인 : 선박에서 컨테이너를 하역하거나 선박에 선적하기 위한 대형 크레인 : 컨테이너 하역시, 에이프런에 부설된 레일을 따라 주행하고 유압에 의하여 신축되는 스프레더에 의하여 훅(HOOK)에 매달린 컨테이너를 감아올려 적·양하작업을 하는 장비 [해설작성자 : 이번엔 붙자,, 재발,,]
Gantry Crane은 주로 선박과 부두 사이에서 컨테이너를 싣고 내리는 데 사용됩니다. CY에서 트레일러에 싣고 내리는 작업은 Reach Stacker나 Forklift 같은 장비가 수행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9.
화환 신용장통일규칙(UCP 600) 내용의 일부이다. 다음 ( )에 들어갈 단어로 옳은 것은?(2010년 08월)
1.
after
2.
before
3.
prompt
4.
from
5.
immediately
정답 : [
4
] 정답률 : 57%
110.
다음 ( )안에 들어갈 용어는?(2011년 08월)
1.
expense loss
2.
particular average
3.
general average
4.
constructive total loss
5.
actual total loss
정답 : [
5
] 정답률 : 25%
111.
한국의 내륙컨테이너기지(ICD)에서 수행하고 있지 않는 기능은?(2018년 07월)
1.
통관
2.
혼재
3.
보관
4.
제조
5.
철도운송
정답 : [
4
] 정답률 : 61%
112.
INCOTERMS 2000의 CIF 조건과 DES 조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8월)
1.
CIF 조건에서 물품에 대한 위험의 이전 시점은 선적항의 본선 난간을 통과한 때이다.
2.
DES 조건은 해상운송 또는 내수로 운송에 사용되는 조건이다.
3.
CIF 조건에서 해상적하에 대한 피보험 이익은 매수인에게 귀속된다.
4.
DES 조건에서 물품에 대한 위험의 이전 시점은 목적항의 선박갑판 상에서 매수인의 임의 처분상태로 둔 때이다.
5.
CIF 조건에서 비용의 분기점은 위험의 이전 분기점과 같다.
정답 : [
5
] 정답률 : 15%
113.
Marine Insurance Act(1906)에서 비용손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2년 08월)
1.
특별비용은 공동해손과 손해방지비용을 모두 포함한 비용을 말한다.
2.
제3자나 보험자가 손해방지행위를 했다면 그 비용은 손해방지비용으로 보상될 수 있다.
3.
특별비용은 보험조건에 상관없이 정당하게 지출된 경우 보험자로부터 보상받을 수 있다.
4.
보험자의 담보위험 여부에 상관없이 발생한 손해를 방지하기 위해 지출한 구조비는 보상받을 수 있다.
5.
보험목적물의 안전과 보존을 위하여 구조계약을 체결했을 경우 발생하는 비용은 특별비용으로 보상될 수 있다.
정답 : [
5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1. 특별비용(Particular Charge)은 공동해손비용과 구조비 이외의 비용이다. 2. 보험자가 아닌 피보험자(또는 그 대리인)이 손해방지행위를 했다면 보상될 수 있다. 3. 특별비용은 피보험목적물에 안전과 보존을 위하여 지출된 경우에만 보험자로부터 보상받을 수 있다. (보험조건에 맞게) 4. 보험자의 손해를 방지하기 위해 지출한 비용은 "구조비가 아닌" 손해방지비용이다. [해설작성자 : Yadon_]
손해방지비용은 일반적으로 피보험자가 손해를 방지하기 위해 직접 지출한 비용을 의미합니다. 제3자나 보험자가 손해방지행위를 했을 경우, 그 비용이 손해방지비용으로 보상될 수 있는지 여부는 보험 계약의 조건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제3자가 지출한 비용은 피보험자의 손해방지비용으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 공동해손: 여러 명이 같이 부담(공동의 희생) - 손해방지비용: 내가(피보험자) 내 물건을 지키려고 쓴 돈만! - 특별비용(구조비용): 구조업체와 계약해서 구조받고 쓴 돈(구조계약 필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4.
항공화물운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8월)
1.
요율의 적용시점은 항공화물운송장 발행일로 한다.
2.
항공화물의 요율은 공항에서 공항까지의 운송 구간만을 대상으로 한다.
3.
운임의 기준통화는 도착지 국가의 현지통화로 설정되는 것이 원칙이나 많은 국가에서 미국달러로 요율을 설정하고 있다.
4.
미국출발 화물의 중량요율(Weight Rate)은 lb(파운드)당 요율로 표시할 수 있다.
5.
운임산출에 적용한 경로대로 수송하지 않아도 운임의 변동은 없다.
정답 : [
3
] 정답률 : 48%
115.
무역구제제도(Trade Remedy)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8월)
1.
긴급관세(세이프가드)제도는 수출국의 공정한 수출행위에 의한 수입이지만 특정물품의 수입이 급격히 증가하여 국내산업에 심각한 피해를 받거나 받을 우려가 있을 때 조사를 실시하여 긴급관세를 인하한다.
2.
상계관세제도는 수출국 정부로부터 보조금을 받아 수출경쟁력이 높아진 물품이 수입되어 국내산업이 실질적인 피해를 받거나 받을 우려가 있을 때 조사를 실시하여 보조금 범위 내에서 상계관세를 부과한다.
3.
반덤핑관세제도는 외국물품이 정상가격 이하로 덤핑수입되어 국내산업이 실질적인 피해를 받거나 받을 우려가 있을 때 조사를 실시하여 정상가격과 덤핑가격의 차액범위 내에서 반덤핑 관세를 부과한다.
4.
긴급관세(세이프가드)를 부과하는 경우에는 이해당사국과 긴급관세부과의 부정적 효과에 대한 적절한 무역보상방법에 관하여 협의할 수 있다.
5.
무역구제제도는 공정한 경쟁을 확보하고 국내산업을 보호하는 제도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긴급관세(세이프가드)제도는 특정 물품의 수입이 급격히 증가하여 국내 산업에 심각한 피해를 주거나 줄 우려가 있을 때 발동됩니다. 그러나, 세이프가드는 관세를 인하하는 것이 아니라, 추가적인 관세를 부과하거나 수입을 제한하는 조치를 취하는 것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6.
IncotermsⓇ 2010상 THE BUYER'S OBLIGATIONS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7월)
1.
B1 : General obligations of the buyer
2.
B4 : Taking delivery
3.
B5 : Transfer of risks
4.
B8 : Proof of delivery
5.
B9 : Checking-packing-marking
정답 : [
5
] 정답률 : 32%
117.
다음 ( )에 들어갈 용어로 옳은 것은?(2016년 07월)
1.
ㄱ: 용선계약 ㄴ: 용선계약서
2.
ㄱ: 용선계약 ㄴ: 선하증권
3.
ㄱ: 개품운송계약 ㄴ: 선하증권
4.
ㄱ: 개품운송계약 ㄴ: 용선계약서
5.
ㄱ: 개품운송계약 ㄴ: 수입화물선취보증장
정답 : [
3
] 정답률 : 46%
118.
물류 관련 용어의 약술로 옳은 것은?(2016년 07월)
1.
WMS: Warehouse Management System
2.
RTLS: Real-Time Logistics Service
3.
SCM: Supply Chain Marketing
4.
CPFR: Collaborative Production, Forecasting and Replenishment
5.
VMI: Visual Management Inventory
정답 : [
1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RTLS = Real Time Location System SCM = Supply Chain Management CPFR = Collaborative Planning Forecasting & Replenishment VMI = Vendor Management Inventory [해설작성자 : 똘딴]
119.
최근 국제연합(UN) 산하기구인 국제해사기구(IMO)의 사무총장으로 사상 처음 한국인이 선출되었다. 다음 중 국제해사기구(IMO)의 설립목적과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7월)
1.
정부간 해사기술의 상호협력
2.
국제민간선주들의 권익보호
3.
해양오염방지대책 수립
4.
해사안전대책 수립
5.
국제해사관련 협약의 시행 및 권고
정답 : [
2
] 정답률 : 41%
120.
항해용선계약에서 화물량보다 실제 선적량이 적은 경우 용선자(charterer)인 화주가 그 부족분에 대해서도 지불하는 운임은?(2010년 08월)
1.
선불운임(advanced freight)
2.
부적운임(dead freight)
3.
선복운임(lump sum freight)
4.
반송운임(back freight)
5.
후불운임(destination freight)
정답 : [
2
] 정답률 : 37%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②
④
④
③
③
①
③
⑤
①
⑤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③
③
⑤
③
①
①
②
⑤
①
④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②
⑤
④
③
③
②
⑤
⑤
④
④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④
②
②
④
④
①
②
②
②
③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⑤
①
⑤
④
④
④
③
②
④
③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①
④
③
④
②
④
②
③
③
⑤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③
②
①
④
②
②
④
①
②
②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②
②
⑤
④
⑤
①
④
③
④
⑤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①
③
④
②
④
③
①
⑤
③
②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⑤
②
①
①
②
②
①
①
⑤
②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④
⑤
⑤
③
④
④
④
⑤
④
⑤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④
⑤
⑤
③
①
⑤
③
①
②
②
물류관리사 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3089264)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