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전기공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1091969)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전기공사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전기응용 및 공사재료


1. 형광체가 발산하는 복사의 파장은 조사된 복사의 파장보다 항상 길다는 법칙은?(2007년 03월)
     1. 플랭크의 법칙
     2. 스테판불쯔만의 법칙
     3. 스토크의 법칙
     4. 빈의 변위법칙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1.플랭크-분광 방사속 발산도
2.스테판-절대온도의 4승에 비례
3.스토크-흡수된 빛의 파장보다 같거나 길다
4.빈의 - 방사체의 절대온도에 반비례
[해설작성자 : 음]

2. 내면이 완전확산 반사면으로 되어 있는 밀폐구 내에 광원을 두었을 때 그 면의 확산 조도는 어떻게 되는가?(2015년 09월)
     1. 광원의 형태에 의하여 변한다.
     2. 광원의 위치에 의하여 변한다.
     3. 광원의 배광에 의하여 변한다.
     4. 구의 지름에 의하여 변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완전 확산면에서의 조도
E = I / (r)^2 = pi * B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알칼리 축전지의 양극으로 사용되는 것은?(2015년 09월)
     1. 이산화 납
     2. 아연
     3. 구리
     4. 수산화 니켈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알칼리 축전지의
양극 + 전해액 + 음극 은
NiO2H + KOH + Cd
정답은 4번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

알칼리 축전지
양극: 수산화니켈,Ni(OH)2
음극: 철(Fe,에디슨 전지)or 카드뮴(Cd,융그너 전지)
전해액: 수산화칼륨(KOH)
학습에 참고합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 천장면을 여러 형태의 사각, 삼각 등으로 구멍을 내어 다양한 형태의 매입기구를 취부하여 실내의 단조로움을 피하는 조명 방식은?(2022년 04월)
     1. pin hole light
     2. coffer light
     3. line light
     4. cornis light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천장면 매입 방식으로
pin hole : 이름 비슷하게 천장면에 구멍을 뚫어 광원을 넣고 매입하는 방식이다.
coffer : 천장면을 오려내고 그곳에 매입기구를 부착해 실내의 단조로움을 피하는 형식이다.
line : 천장매입형으로, 트로퍼 조명방시의 일종으로 종,횡,장방향 대각선 같은 방식으로 설치하는 조명방식
cornis : 천장이 아닌 벽면 이용방식의 하나로 천장과 벽면 경계에 장식으로 돌출벽을 만들고 그 내부에 등기구를 배치하는 조명방식

5. 다음 중 다이액(DIAC)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0년 05월)
     1. 단일 방향성 소자
     2. 2극 다이오드의 교류 스위치
     3. 브레이크 오버 전압을 가지고 있다.
     4. TRIAC의 제어 소자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DIAC은 양방향성 2단자 소자이다
[해설작성자 : 자격증맨]

6. 그림은 ㄱ형완철에서의 현수애자를 설치하는 순서이다. 바르게 된 것은?(2003년 03월)

   

     1. ① ㄱ완철, ② 볼쇄클, ③ 볼크레비스, ④ 현수애자, ⑤ 소켓아이, ⑥ 데드앤드크램프, ⑦ 전선
     2. ① ㄱ완철, ② 앵커쇄클, ③ 소켓아이, ④ 현수애자, ⑤ 볼크레비스, ⑥ 데드앤드크램프, ⑦ 전선
     3. ① ㄱ완철, ② 데드앤드크램프, ③ 볼크레비스, ④ 현수애자, ⑤ 소켓아이, ⑥ 앵커쇄클, ⑦ 전선
     4. ① ㄱ완철, ② 앵커쇄클, ③ 볼크레비스, ④ 현수애자, ⑤ 소켓아이, ⑥ 데드앤드크램프, ⑦ 전선

     정답 : []
     정답률 : 57%

7. 동륜상의 중량이 75[t]인 기관차의 최대 견인력[kg]은? (단, 궤조의 점착계수는 0.2로 한다.)(2013년 06월)
     1. 5000
     2. 10000
     3. 15000
     4. 75000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마찰력(점착력)=1000*점착계수*동륜상 중량

8. 전기차량의 구동용 주전동기의 특성을 설명한 것이다. 틀린 것은?(2003년 05월)
     1. 직류직권 전동기의 회전수 n은 단자 전압에 비례 하고 부하전류에 반비례한다.
     2. 직류직권 전동기의 토크는 전류의 2승에 비례한다.
     3. 유도 전동기는 VVVF 인버터 장치가 필요하다.
     4. 유도 전동기 2차전류(IR)은 자속 P와 주파수 fs에 반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9. 기체 또는 액체 속에 고체의 입자가 분산되어 있을 경우 이에 전압을 가하면 입자가 이동한다. 이러한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2008년 05월)
     1. 전기침투
     2. 전기투석
     3. 전기영동
     4. 전기방식

     정답 : []
     정답률 : 79%

10. 광속이 20t3+1[lm]을 120[분]동안 발산되었다면 광원에서 나오는 광량은?(2002년 03월)
     1. 52 [lmㆍh]
     2. 62 [lmㆍh]
     3. 72 [lmㆍh]
     4. 82 [lmㆍh]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integral (0, 2시간) (20t3+1) dt [lm·h]
= [5*24+2] = 82 [lm·h]
[해설작성자 : iwc]

11. 전선관(박강)의 굵기 가운데 공칭값[mm]이 아닌것은?(2003년 03월)
     1. 15
     2. 19
     3. 24
     4. 31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후짝박홀
후강전선관은 짝수, 박강전선관은 홀수
따라서 보기에서 홀수가 아닌 것을 고르는게 포인트!
정답은 3번이 되겠습니다.
그렇다고 24가 후간전선관의 공칭값에 있느냐? 그것도 아닙니다.

후강 16, 22, 28, 36, 42, 54, 70, 82, 92, 104
박강 19, 25, 31, 39, 51, 63, 75
[해설작성자 : AAA]

만약 외우는게 귀찮다면 그냥 보기중에서 홀수 혹은 짝수가 한개만 있으면 그게 답입니다. 왜냐하면 중복답안이 될리가 없으니까요.
[해설작성자 : 투아타라]

12. 과전류 차단기로 사용되는 A종 퓨즈는 정격전류의 몇 배의 전류에서 용단되지 않아야 하는가?(2011년 03월)
     1. 1
     2. 1.1
     3. 1.25
     4. 1.3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A종 퓨즈는 1.1배
B종 퓨즈는 1.3배를 견디어야 함

13. 라인포스트 애자는 다음 중 어떤 종류의 애자인가?(2020년 08월)
     1. 핀애자
     2. 현수애자
     3. 장간애자
     4. 지지애자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라인포스트애자]
특고압 가공 배전선로의 지지물에서 전선을 지지 및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장주용 애자로 일반형과 내염형이 있다.
[해설작성자 : 서강대물리]

14. 특별 제3종 접지공사의 접지선 굵기는 공칭단면적 몇 [mm2] 이상의 연동선 이어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2년 09월)
     1. 8
     2. 6
     3. 1.25
     4. 2.5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 접지공사의 접지선의 굵기(연동선)
제1종 접지공사                    6[mm2]
제2종 접지공사                 16[mm2] 또는 6[mm2]
제3종 접지공사                    2.5[mm2]
특별 제3종 접지공사     2.5[mm2]
[해설작성자 : D2]

출제기준 변경 및 개정된 관계 법규에 따라 삭제
[해설작성자 : 애플민트]

2021 KEC 개정에 의해 삭제된 문제입니다!
[해설작성자 : 자케루]

15. 옥내배선용 공구 중 리머의 사용 목적으로 옳은 것은?(2020년 09월)
     1. 로크너트 또는 부싱을 견고히 조일 때
     2. 커넥터 또는 터미널을 압착하는 공구
     3. 금속관 절단에 따른 절단면 다듬기
     4. 금속관의 굽힘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리머(reamer)
용도: 금속판을 쇠톱이나 커터로 끊은다음! 관 안에 날카로운 것을 다듬는 것
[해설작성자 : 신영]

16. 배전반 및 분전반의 설치 장소로 적합하지 않은 곳은?(2017년 05월)
     1. 안정된 장소
     2. 노출되어 있지 않은 장소
     3. 개폐기를 쉽게 개폐할 수 있는 장소
     4. 전기회로를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장소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노출되어있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붙게해줘]

17. 전문상점의 조명시설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2년 09월)
     1. 전로의 사용전압은 대지전압을 300V 이하로 하여야 한다.
     2. 15A 분기회로 또는 20A 배선용 차단기 분기회로에서 공급한다.
     3. 조명기구의 지표상 높이는 차량이 통행하는 도로에서 4M 이상으로 한다.
     4. 금속제 연쇄노점에 시설하는 금속관은 특별 제3종 접지공사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차량통행시 5m(노단은4.5m)
[해설작성자 : 공사맨]

2021 KEC 개정에 의해 '15A 분기회로 -> 16A 분기회로'로 변경되었고 '제3종 접지공사 -> 삭제' 되었습니다. 고로 이 문제는 개정 전 문제이므로 그냥 넘어가시면 되겠습니다.
[해설작성자 : 자케루]

18. 알칼리 축전지에서 소결식에 해당하는 초급방전형은?(2010년 09월)
     1. AM 형
     2. AMH 형
     3. AL 형
     4. AH - S 형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알칼리 축전지의 종류
-포켓식 : AL완방전형, AM표준형, AMH급방전형, AH-P초급방전형
-소결식 : AH-S초급방전형, AHH초초급방전형
[해설작성자 : 의명]

19. 조명용 광원 중에서 연색성이 가장 우수한 것은?(2019년 04월)
     1. 백열전구
     2. 고압나트륨등
     3. 고압수은등
     4. 메탈할라이드등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연색성 지수
95이상 : 백열전구, 할로겐등
85~95 : 삼파장 형광등
75~90 : 형광등, 방전램프
60 : 수은전구
30~ : LED전구 (전구에 따른 편차가 매우 큼)
25 : 나트륨듬
[해설작성자 : 20년1회합격가즈앗]

연색성 효율
크세논등 > 백열전구 > 백색 형광등 > 수은등 > 나트륨등
*크~백배로 열올리는 백수냐(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연색성 효율(연색지수)
크> 백 > 형 > 수 > 나
--->연수 /큰백부 /형수나(냐의 사투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0. 급속 전선관용 부품 중 복스에 금속관을 고정할 때 사용하는 것은?(2008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관과 박스를 연결하여 고정시켜주는 부품은 로크너트이다.
[해설작성자 : 공사재료그림으로나오네]

2과목 : 전력공학


21. 옥내배선의 전선 굵기를 결정할대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허용전류
     2. 전압강하
     3. 배선방식
     4. 기계적강도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전선 굵기는 저항값과 관련있음(저항 R은 전선단면적 A에 반비례)

기계적강도 : 튼튼한걸 사용해야 잘 끊기지 않음.
허용전류 : 전선의 굵기, 즉 전선의 단면적이 넓을수록 허용 전류는 커짐.
전압강하 : 전선단면적에 따라 전선 자체의 저항값이 달라지고, 전선의 저항값이 커지면 전선내부저항에 의한 전압강하분이 커짐.
[해설작성자 : 아디마로]

22. 피뢰기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2017년 03월)
     1. 상용주파 방전개시 전압이 낮을 것
     2. 충격방전 개시전압이 낮을 것
     3. 속류 차단능력이 클 것
     4. 제한전압이 낮을 것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1. 낮을것-> 높을것
[해설작성자 : 찌니]

23. 전선의 굵기가 균일하고 부하가 균등하게 분산되어 있는 배전선로의 전력손실은 전체 부하가 선로 말단에 집중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어느 정도가 되는가?(2007년 09월)
     1. 1/2
     2. 1/3
     3. 2/3
     4. 3/4

     정답 : []
     정답률 : 13%

24. 전원이 양단에 있는 환상선로의 단락보호에 사용되는 계전기는?(2007년 03월)
     1. 방향거리계전기
     2. 부족전압계전기
     3. 선택접지계전기
     4. 부족전류계전기

     정답 :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전원이 양단에 있다. 2군데 이상 환상선로의 단락보호
DZ 방향거리 계전기

25. 동기조상기와 전력용 콘덴서를 비교할 때 전력용 콘덴서의 이점으로 알맞은 것은?(2010년 03월)
     1. 진상전류 및 지상전류 양용이다.
     2. 단락고장이 생겼을 때 고장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3. 송전선로의 무부하 충전시 송전에 이용 가능하다.
     4. 전압조정이 연속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16%

26. 다음 중 화력발전소에서 가장 큰 손실은?(2007년 09월)
     1. 소내용 동력
     2. 연도 배출가스 손실
     3. 복수기에서의 손실
     4. 송풍기의 손실

     정답 : []
     정답률 : 17%

27. 직류송전방식이 교류송전방식에 비하여 유리한 점을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5월)
     1. 표피효과에 의한 송전손실이 없다.
     2. 통신선에 대한 유도잡음이 적다.
     3. 선로의 절연이 쉽다.
     4. 정류가 필요 없고 승압 및 강압이 쉽다.

     정답 : []
     정답률 : 14%

28. Recloser(R), Sectionalizer(S), Fuse(F)의 보호협조에서 보호협조가 불가능한 배열은? (단, 왼쪽은 후비보호, 오른쪽은 전위보호 역할임)(2012년 03월)
     1. R - R - F
     2. R - S
     3. R - F
     4. S - F - R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r-s-f 순서대로 만 가능
r,s,f 순서만 맞으면 중복 가능
r-s, r-f, s-f 이것역시 순서 가 맞기 때문에 가능
[해설작성자 : 내인생 구제좀]

29. 변전소에서 접지보호용으로 사용되는 계전기에 영상 전류를 공급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은?(2010년 03월)
     1. PT
     2. ZCT
     3. GPT
     4. CT

     정답 : []
     정답률 : 26%
     <문제 해설>
전류 : CT
영상 : 'Z'ero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0. 전력선에 영상전류가 흐를 때 통신선로에 발생되는 유도장해는?(2011년 03월)
     1. 고조파유도장해
     2. 전력유도장해
     3. 정전유도장해
     4. 전자유도장해

     정답 : []
     정답률 : 22%

31. 그림과 같은 이상 변압기에서 2차측에 5Ω의 저항부하를 연결하였을 때 1차측에 흐르는 전류 I는 약 몇 A 인가?(2005년 05월)

    

     1. 0.6
     2. 1.8
     3. 20
     4. 660

     정답 : []
     정답률 : 13%
     <문제 해설>
권수비)a = V1 / V2 = I2 / I1 ▶ 3300 / 100 = 33
I2[A] = V2 / R2 ▶ 100 / 5 = 20[A]
I1[A] = I2 / a ▶ 20 / 33 = 0.606[A]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32. 정전용량이 C1이고, V1의 전압에서 Qr의 무효전력을 발생하는 콘덴서가 있다. 정전용량을 변화시켜 2배로 승압된 전압(2V1)에서도 동일한 무효전력 Qr을 발생시키고자 할 때, 필요한 콘덴서의 정전용량(C2)은?(2021년 03월)
     1. C2=4C1
     2. C2=2C1
     3. C2=(1/2)C1
     4. C2=(1/4)C1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Q=wCV^2이므로 V가 2배 되면 4배로 커지는데 무효전력을 동일하게 하기위해서는 C를 1/4배로 해야함.
[해설작성자 : 이번에는무조건합격]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무효전력 Q = V^2/(wC) #전력=전압*전류=전압*전압/저항 = 전류*전류*저항

따라서 C와 V^2은 비례 -> C는 4배 커짐
답 1번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전기공사기사]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및 확정답안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4번이네요.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전기공사기사님이 작성한 전압*전압/저항을 넣으면, V1*V1/(1/wC)가 되므로,wC(V1)^2가 됩니다.
[해설작성자 : nayana]

33. 수력발전설비에서 흡출관을 사용하는 목적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2009년 08월)
     1. 압력을 줄이기 위하여
     2. 물의 유선을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3. 속도변동률을 적게 하기 위하여
     4. 낙차를 늘리기 위하여

     정답 : []
     정답률 : 14%

34. 배전선로에서 사고범위의 확대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9월)
     1. 선택접지계전방식 채택
     2. 자동고장 검출장치 설치
     3. 진상콘덴서 설치하여 전압보상
     4. 특고압의 경우 자동구분개폐기 설치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선택 접지 계전방식은 비접지 계통에서 사용이 됩니다.
선택접지 계전방식은 ZCT와 GPT를 조합한 구성으로 비접지계통의 다회선 선로에서 지락사고를 검출하고 고장선로만 선택하여 차단하는 방식입니다.
자동고장구분개폐기의 용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3상 4선식 다중접지 방식을 사용 하다 보니, 지락사고 시, 큰 지락 전류로 인해 단락사고 발생처럼 리클로저나 차단기가 동작헀어요.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리클로저나 차단기 부하 측에 자동구분개폐기를 설치하여 자동으로 고장 구간을분리합니다.
진상용 콘덴서는 역률을 개선하기 위한 설비로 사고확대 방지와는 무관한 설비 입니다.
부하에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을 하고, 전압강하의 개선에도 도움이 되는 설비 입니다
[해설작성자 : 이가이버]

35. 소호리액터접지의 합조도가 정(+)인 경우에는 어느것과 관련이 있는가?(2007년 03월)
     1. 공진
     2. 과보상
     3. 접지저항
     4. 아크전압

     정답 : []
     정답률 : 18%

36. 차단기에서 차단시간을 옳게 설명한 것은?(2003년 03월)
     1. 고장발생에서부터 완전 소호시간까지의 합이다.
     2. 개극되는 시간을 말한다.
     3. 아크시간을 말한다.
     4. 개극과 아크시간을 합한 것을 말하며 약 3-8사이클 이다.

     정답 : []
     정답률 : 10%

37. 동작전류의 크기가 커질수록 동작시간이 짧게 되는 특성을 가진 계전기는?(2018년 04월)
     1. 순한시 계전기
     2. 정한시 계전기
     3. 반한시 계전기
     4. 반한시 정한시 계전기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순한시 계전기 : 고장전류 감지시 바로 동작
정한시 계전기 : 고장전류 감지후 일정시간 뒤에 동작
반한시 계전기 : 고장전류 크기에 반비례하여 고장전류가 클수록 빨리동작
반한시 정한시 계전기: 일정구간의 값에서는 반한시, 그 밖에는 정한시로 동작
[해설작성자 : 연달이 ]

38. 3000kW, 역률 75%(늦음)의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변전소에 콘덴서를 설치하여 역률을 93%로 향상시키고자 한다. 필요한 전력용 콘덴서의 용량은 약 몇 kVA인가?(2015년 03월)
     1. 1460
     2. 1540
     3. 1620
     4. 1730

     정답 :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39. 배전선로에서 수용가에의 공급 전압을 허용 범위 내에 유지하기 위해서 작용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2008년 05월)
     1. 배전변압기에서의 전압조정에는 고압선 각부의 전압에 따라서 배전변압기의 사용 탭을 적정하게 선정한다.
     2. 66kV 이하의 변전소에서의 전압조정에는 모선 또는 급전선 마다 정지형 전압 조정기를 설치해서 조정한다.
     3. 우리나라에서는 배전선로에서의 전압강하 한도를 10%로 잡고 적정한 전압강하 값을 설비별로 분담하는 방법으로 전압 조정용 기기와 병용해서 사용한다.
     4. 배전선로의 부하는 중부하시와 경부하시에 크게 변화하므로 변전소 수전측의 송전선로에 대해서는 소호리액터를 사용해서 조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11%

40. 계전기의 반환시 특성이란?(2006년 03월)
     1. 동작전류가 클수록 동작시간이 길어진다.
     2. 동작전류가 흐르는 순간에 동작한다.
     3. 동작전류에 관계없이 동작시간은 일정하다.
     4. 동작전류가 크면 동작시간은 짧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17%

3과목 : 전기기기


41. 4극, 7.5[kW], 200[V], 60[Hz]인 3상 유도 전동기가 있다. 전부하에서 2차 입력이 7950[W]이다. 이 경우 2차 효율[%]은 얼마인가? (단, 기계손은 130[W]이다.)(2008년 05월)
     1. 93
     2. 94
     3. 95
     4. 96

     정답 : []
     정답률 : 11%
     <문제 해설>
2차 효율[%] = ( 1 - s ) * 100 ▶ ( 1 - 0.04 ) * 100 = 96[%]
s = 320 / 7950 = 0.04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42. 전기자 반작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05월)
     1. 전기자 중성축이 이동하여 주자속이 증가하고 정류자편 사이의 전압이 상승한다.
     2. 전기자 권선에 전류가 흘러서 생긴 기자력은 계자 기자력에 영향을 주어서 자속의 분포가 기울어진다.
     3. 직류 발전기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중성축이 이동되고 정류자 편간의 불꽃 섬락이 일어난다.
     4. 전기자 전류에 의한 자속이 계자 자속에 영향을 미치게 하여 자속 분포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23%

43. 직류 발전기의 극수 8, 전기자 도체수가 400을 단중 파권으로 하였을 때 매극의 자속수가 0.01[Wb] 이면 600[rpm]로 회전하였을 때의 기전력은 얼마인가?(2003년 03월)
     1. 130[V]
     2. 160[V]
     3. 180[V]
     4. 200[V]

     정답 : []
     정답률 : 16%
     <문제 해설>
E = PZΦN / 60a ▶ 8 * 400 * 0.01 * 600 / 60 * 2 = 160[V]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44.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다이오드는?(2007년 03월)
     1. 전류용 다이오드
     2. 바랙터 다이오드
     3. 바리스터 다이오드
     4. 제너 다이오드

     정답 : []
     정답률 : 20%

45. 동기 전동기의 전기자 반작용에 있어서 맞는 것은?(2006년 03월)
     1. 전압보다 90°앞선 전류는 주자속을 감자한다.
     2. 전압보다 90°느린 전류는 주자속을 감자한다.
     3. 전압과 동상인 전류는 주자속을 감자한다.
     4. 전압보다 90°느린 전류는 주자속을 교차 자화한다.

     정답 : []
     정답률 : 11%

46. 단상 유도전압조정기의 2차 전압이 100±30[V]이고, 직렬권선의 전류가 6[A]인 경우 정격용량은 몇 [VA]인가?(2007년 09월)
     1. 780
     2. 420
     3. 312
     4. 180

     정답 : []
     정답률 : 12%

47. 변압기의 규약효율 산출에 필요한 기본요건이 아닌 것은?(2017년 03월)
     1. 파형은 정현파를 기준으로 한다
     2. 별도의 지정이 없는 경우 역률은 100% 기준이다
     3. 부하손은 40℃를 기준으로 보정한 값을 사용한다
     4. 손실은 각 권선에 대한 부하손의 합과 무부하손의 합이다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75℃ 기준

48. 제9차 고조파에 의한 기자력이 회전방향 및 속도는 기본파 회전 자계와 비교할 때 다음 중 적당한 것은?(2013년 03월)
     1. 기본파와 역방향이고 9배의 속도
     2. 기본파와 역방향이고 1/9배의 속도
     3. 회전자계를 발생하지 않는다.
     4. 기본파와 동방향이고 9배의 속도

     정답 : []
     정답률 : 19%

49. 5KVA 3300/210V, 단상 변압기의 단락시험에서 임피던스 전압 120V, 동손 150W라 하면 퍼센트 저항강하는 몇 %인가?(2015년 05월)
     1. 2
     2. 3
     3. 4
     4. 5

     정답 :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R=Pc/ Pn X100    
150/5000 =0.03×100 =3%
[해설작성자 : 어 려 워]

퍼센트 저항강하)%R = ( Pc / P ) * 100 ▶ ( 150 / 5000 ) * 100 = 3[%]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50. 3상 권선형 유도전동기 기동 시 2차측에 외부 가변저항을 넣는 이유는?(2021년 03월)
     1. 회전수 감소
     2. 기동전류 증가
     3. 기동토크 감소
     4. 기동전류 감소와 기동토크 증가

     정답 : []
     정답률 : 50%

51. 직류 직권전동기의 회전수를 반으로 줄이면 토크는 몇 배가 되는가?(2009년 05월)
     1. 1/4
     2. 1/2
     3. 4
     4. 2

     정답 : []
     정답률 : 12%

52. 돌극형 동기발전기에서 직축 동기리액턴스 Xd와 횡축 동기 리액턴스 Xq의 관계로 옳은 것은?(2021년 09월)
     1. Xd < Xq
     2. Xd ≪ Xq
     3. Xd = Xq
     4. Xd > Xq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돌극형의 경우 직축Xd가 횡축Xq 보다 더 크다. Xd>Xq
비돌극형의 경우 직축과 횡축이 같다. Xd=Xq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3. 유도전동기의 안정 운전의 조건은? (단, Tm : 전동기 토크, TL : 부하토크, n : 회전수)(2017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부하토크 변화량이 전동기토크 변화량보다 커야 일정토크로 수렴함
[해설작성자 : 흠냐]

54. 역률이 가장 좋은 전동기는?(2015년 03월)
     1. 농형 유도 전동기
     2. 반발기동 전동기
     3. 동기 전동기
     4. 교류 정류자 전동기

     정답 : []
     정답률 : 36%

55. 교류정류자기에서 갭의 자속분포가 정현파로 øm=0.14Wb, P=2, a=1, Z=200, n=1200rpm인 경우 브러시 축이 자극축과 30°라면, 속도 기전력의 실효값 Es는 약 몇 V인가?(2017년 05월)
     1. 160
     2. 400
     3. 560
     4. 800

     정답 : []
     정답률 : 20%
     <문제 해설>
속도기전력의 실효값을 물어보는 거기 때문에 반드시 기전력 공식에다가 1/루트 2를 곱해주어야함. 아마 대부분 그냥 기전력 공식 구한 뒤 3번으로 찍어서 정답률이 낮지 않았나 싶음.
실효값을 물어보는 거라 1/루트2를 곱해주자
[해설작성자 : 실효값은 1/root2를 곱해주자]

Es = 1/루트(2) * (P * Z * Φ * N / 60 * a) * sinθ ▶ 1/루트(2) * (2 * 200 * 0.14 * 1200 / 60 * 1) * sin30˚ = 396[V]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56. 1[MVA], 3300[V], 동기 임피던스 5[Ω]의 2대의 3상 교류 발전기 병렬운전 중 한쪽 발전의 계자를 강화해서 각 상 유도기전력(상전압) 사이에 200[V]의 전압차가 생기게 했을 때, 두 발전기 사이에 흐르는 무효횡류는 몇[A] 인가?(2011년 10월)
     1. 40
     2. 30
     3. 20
     4. 10

     정답 : []
     정답률 : 15%
     <문제 해설>
무효횡류 전류[A] = V(전압차)/Z(임피던스) ▶ 200/2*5 = 20[A]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57. 직류발전기의 병렬운전에 있어서 균압선을 붙이는 발전기는?(2017년 03월)
     1. 타여자발전기
     2. 직권발전기와 분권발전기
     3. 직권발전기와 복권발전기
     4. 분권발전기과 복권발전기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병렬운전시 균압선이 필요한건 직권발전기라고 생각하면 편함
직권+분권 = 복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8. VVVF(variable voltage variable frequency)는 어떤 전동기의 속도 제어에 사용 되는가?(2016년 05월)
     1. 동기 전동기
     2. 유도 전동기
     3. 직류 복권 전동기
     4. 직류 타여자 전동기

     정답 :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직류전동기 속도제어 : 전압, 계자, 저항
동기전동기(농형) : 극수, 주파수, 1차전압
동기전동기(권선형) : 2차저항, 여자(슬립제어), 종속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9. 게이트 조작에 의해 부하전류 이상으로 유지 전류를 높일 수 있어 게이트 턴온, 턴오프가 가능한 사이리스터는?(2015년 03월)
     1. SCR
     2. GTO
     3. LASCR
     4. TRIAC

     정답 : []
     정답률 : 28%

60. 3300/210[V], 10[kVA]의 단상변압기가 있다. % 저항강하는 3[%], %리액턴스강하는 4[%]이다. 이 변압기가 무부하인 경우의 2차 단자전압은 약 몇 [V] 인가? (단, 변압기는 지역률 80[%]일 때 정격출력을 낸다고 한다.(2008년 05월)
     1. 168
     2. 216
     3. 220
     4. 228

     정답 : []
     정답률 : 9%
     <문제 해설>
€ = [(R * cosθ) + (X * sinθ)] ▶ [(3 * 0.8) + (4 * 0.6)] = 4.8[%]
€ = V2 - V1 / V1 ▶ V2 = ( € * V1 ) + V1 ▶ ( 4.8/100 * 210 ) + 210 = 220.08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4과목 :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61. 20mH의 두 자기인덕턴스가 있다. 결합계수를 0.1부터 0.9 까지 변화시킬 수 있다면 이것을 접속시켜 얻을수 있는 합성 인덕턴스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비는 얼마인가?(2007년 03월)
     1. 9 : 1
     2. 13 : 1
     3. 16 : 1
     4. 19 : 1

     정답 : []
     정답률 : 10%
     <문제 해설>
M = k루트(L1 * L2)
최대값 : 직렬가동
L1+L2+2M ▶ 20 + 20 + 2*0.9루트(20*20) = 76
최소값 : 직렬차동
L1+L2+2M ▶ 20 + 20 - 2*0.9루트(20*20) = 4
최대값과 최소값의 비 = 19 : 1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62. 단위 길이 당 인덕턴스가 L(H/m)이고, 단위 길이 당 정전용량이 C(F/m)인 무손실 선로에서의 진행파 속도(m/s)는?(2020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무손실
R=G=0, Z0=root(Z/Y)=root(L/C)
전파정수r=root(ZY), a=0, b=w*root(LC)
위상속도v=w/b=1/root(LC)

무왜형
RC=LG, Z0=root(Z/Y)=root(L/C)
전파정수r=root(ZY), a=0, b=w*root(LC)
위상속도v=w/b=1/root(LC)
[해설작성자 : 1]

63. 단자 a, b 간에 25[V]의 전압을 가할 때, 5[A]의 전류가 흐른다. 저항 r1, r2에 흐르는 전류비가 1:3일 때 r1, r2의 값은?(2012년 03월)

    

     1. r1=12[Ω], r2=4[Ω]
     2. r1=4[Ω], r2=12[Ω]
     3. r1=6[Ω], r2=2[Ω]
     4. r1=2[Ω], r2=6[Ω]

     정답 : []
     정답률 : 24%

64. 무한장 평행 2선 선로에서 주파수 4㎒의 전압을 가하였을 때 전압의 위상정수는 약 몇 rad/m인가? (단, 전파속도는 3×108㎧이다.)(2019년 09월)
     1. 0.0634
     2. 0.0734
     3. 0.0838
     4. 0.0934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전파속도 v=f람다
람다 = v/f    = 75
위상정수니까 2pi를 나누면 11.936 얼마얼마...
역수하면 3번
[해설작성자 : ㄴㅇㅎ]

위상정수 β = ω√LC
전파속도 υ = 1 / √LC = 300000000[m/s]
β = 2πf x √LC = 2π x 4000000 / 300000000 = 0.083775804[rad/m]
[해설작성자 : 나대로]

65. 2차 제어시스템의 감쇠율(damping ratio, ζ)이 ζ < 0인 경우제어시스템의 과도응답 특성은?(2021년 03월)
     1. 발산
     2. 무제동
     3. 임계제동
     4. 과제동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ζ< 0 : 발산
ζ= 0 : 무제동
0 < ζ< 1 : 부족제동
ζ= 1 : 임계제동
1 < ζ : 과제동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66. 전압 의 실효값은 약 몇 V 인가?(2021년 05월)
     1. 3.87
     2. 11.2
     3. 15.8
     4. 21.2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14.14와 7.07은 최대값 상태이므로 실효값으로 만들어주기 위해 root2를 나누어 준다.
그러면 14.14는 10이되고 7.07은 5가 된다.
결과적으로 실효값 = root(10^2 + 5^2) = 11.18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Vrms = √(V1rms^2 + V3rms^2) = √{(14.14/√2)^2 + (7.07/√2)^2} = √125 = 11.2
[해설작성자 : 나대로]

67. 8+j6(Ω)인 임피던스에 13+j20(V)의 전압을 인가할 때 복소전력은 약 몇 VA인가?(2020년 06월)
     1. 12.7+j34.1
     2. 12.7+j55.5
     3. 45.5+j34.1
     4. 45.5+j55.5

     정답 : []
     정답률 : 26%
     <문제 해설>
V/Z를 통해 I 를 구한다. I = 2.24+0.82i
복소전력은 I = 2.24-0.82i 로 부호를 바꿔준다.
따라서 P=VI를 통해 (13+20i) * (2.24-0.82i) = 45.52+34.14i

68. a, b 양단에 220[A] 전압을 인가시 전류 I가 1[A]흘렸다면 R 의 저항은 몇 [Ω]인가?(2009년 05월)

    

     1. 100[Ω]
     2. 150[Ω]
     3. 220[Ω]
     4. 330[Ω]

     정답 : []
     정답률 : 15%
     <문제 해설>
전체저항)R[Ω] = R * 2R / R + 2R = 2R / 3 ▶ 2R / 3 = V / I ▶ R = ( 3 / 2 ) * ( 220 / 1 ) = 330[Ω]
문제에 220[A] 전압 -> 220[V] 전압으로 변경해야함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69. 분포정수 회로가 무왜선로로 되는 조건은? (단, 선로의 단위 길이당 저항은 R, 인덕턴스는 L, 정전용량은 C, 누설 콘덕턴스는 G이다.)(2013년 09월)
     1. RL=CG
     2. RC=LG
     3.
     4.

     정답 : []
     정답률 : 28%

70. 그림과 같은 직류회로에서 저항 R(Ω)의 값은?(2019년 09월)

    

     1. 10
     2. 20
     3. 30
     4. 40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R_total = 3 + 2R / (2 + R)
I_total = 106 / {3 + 2R / (2 + R)}
2[A] = I_total x {2 / (2 + R)}
         = 106 / {3 + 2R / (2 + R)} x {2 / (2 + R)}
106 / {3 + 2R / (2 + R)} = (2 + R)
106 = (2 + R) x {3 + 2R / (2 + R)}
106 = 6 + 5R
R = 20[Ω]
[해설작성자 : 나대로]

전류원 = 106/3 = 35.33, 합성저항 = 3*2/3+2 = 1.2
I2 = (1.2 / 1.2 + R) * 35.33 = 2[A]
R = [(1.2/2) * 35.33] - 1.2 = 19.998[Ω]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71. 그림과 같은 신호흐름 선도의 전달함수는?(2016년 10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Forward Path 두 개
- FP1: 2 x 1/S^2 = 2/S^2
- FP2: 1/S

Loop는 1개: -4 x 1/S

Mason rule에 따른 분모는 1 - (-4/S) = 1 + 4/S,
분자는 2/S^2 + 1/S

문제에서 요구하는 전달함수 = (2/S^2 + 1/S) / (1 + 4/S)
분모, 분자에 S를 곱하면,
(2/S + 1) / (S + 4)

분자 (2/S + 1) = (2+S)/S 로 고쳐 쓸 수 있으니,
전달함수 = (2+S)/{S(S + 4)}
[해설작성자 : 나대로]

72. 주파수 응답에 의한 위치제어계의 설계에서 계통의 안정도 척도와 관계가 적은 것은?(2006년 09월)
     1. 공전차
     2. 고유주파수
     3. . 위상여유
     4. 이득여유

     정답 : []
     정답률 : 8%

73. 다음의 설명 중 틀린 것은?(2006년 03월)
     1. 최소위상 함수는 양의 위상여유이면 안정하다.
     2. 최소위상 함수는 위상여유가 0이면 임계안정하다.
     3. 최소위상 함수의 상대안정도는 위상각의 증가와 함께 작아진다.
     4. 이득 교차 주파수는 진폭비가 1이 되는 주파수이다.

     정답 : []
     정답률 : 10%

74. 그림과 같은 벡터궤적(주파수 응답)을 나타내는 계의 전달함수는?(2011년 10월)

    

     1. s
     2. 1/s
     3.
     4.

     정답 : []
     정답률 : 20%

75. 그림과 같은 신호흐름 선도에서 전달함수 C(s)/R(s)는?(2010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14%

76. 의 역변환은?(2014년 09월)
     1. 1-e-aT
     2. 1+e-aT
     3. te-aT
     4. teaT

     정답 : []
     정답률 : 20%

77. 상태방정식 이라면 이라면 A의 고유값은?(2010년 03월)
     1. 1, -8
     2. 1, -5
     3. 2, -8
     4. 2, -5

     정답 : []
     정답률 : 18%

78. 그림과 같은 논리회로와 등가인 것은?(2022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Y=AB'+A'B+AB
공식 X+X'=1, X=X+X
Y=AB'+A'B+AB+AB
Y=(AB'+AB)+(A'B+AB)
=A(B'+B)+B(A'+A)=A+B
OR회로
[해설작성자 : JUHEEEE]

79. 안정된 제어계의 특성근이 2개의 공역복소근을 가질때 이 근들이 허수측 가까이에 있는 경우 허수측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안정된 근에 비해 과도응답 영향은 어떻게 되는가?(2006년 09월)
     1. 과도응답은 천천히 사라진다.
     2. 과도응답이 길다.
     3. 과도응답은 빨리 사라진다.
     4. 과도응답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10%

80. 인 계의 이득여유가 40[dB]이면, 이때의 K의 값은?(2011년 10월)
     1. -50
     2. 1/50
     3. -20
     4. 1/40

     정답 : []
     정답률 : 17%

81. 수소냉각식 발전기 및 이에 부속하는 수소냉각장치에 관한 시설이 잘못 된 것은?(2014년 03월)
     1. 발전기는 기밀구조의 것이고 또한 수소가 대기압에서 폭발하는 경우에 생기는 압력에 견디는 강도를 가지는 것일 것
     2. 발전기 안의 수소의 순도가 70% 이하로 저하한 경우에 이를 경보하는 장치를 시설할 것
     3. 발전기안의수소의 온도를 계측하는 장치를 시설할 것
     4. 발전기안의 수소의 압력을 계측하는 장치 및 그 압력이 현저히 변동한 경우에 이를 경보하는 장치를 시설할 것

     정답 : []
     정답률 : 33%

82. 고압 가공전선로의 지지물로는 A종 철근콘크리트주를 사용하고, 전선으로는 단면적 22mm2 의 경동연선을 사용한다면 경간은 최대 몇 [m] 이하이어야 하는가?(2011년 03월)
     1. 150
     2. 250
     3. 300
     4. 500

     정답 : []
     정답률 : 14%

83.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시설하는 지선으로 연선을 사용할 경우에는 소선이 최소 몇 가닥 이상이어야 하는가?(2017년 03월)
     1. 3
     2. 4
     3. 5
     4. 6

     정답 : []
     정답률 : 41%

84. 전력 보안 가공통신선의 시설 높이에 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2020년 08월)
     1. 철도의 궤도를 횡단하는 경우에는 레일면상 5m 이상
     2. 횡단보도교 위에 시설하는 경우에는 그 노면상 3m 이상
     3. 도로(차도와 도로의 구별이 있는 도로는 차도) 위에 시설하는 경우에는 지표상 2m 이상
     4. 교통에 지장을 줄 우려가 없도록 도로(차도와 도로의 구별이 있는 도로는 차도) 위에 시설하는 경우에는 지표상 2m까지로 감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통신선에 대한 높이기준
철도 궤도 횡단 : 무조건6.5m
횡단보도교 위 : 가공 통신선의 경우 3m 그 외에 첨가 통신선의 저-고압 3.5m 특고압 5m
도로 위 : 교통의 지장 유/무에 따라
지장 유 : 가공통신선 5m    첨가통신선 상관없이 6m
지장 무 : 가공통신선 4.5m 첨가통신선 저-고압 5m 특고압 설비 x

85. 지중 전선로를 관로식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 매설 깊이를 최소 몇 m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2018년 09월)
     1. 0.6
     2. 1
     3. 1.2
     4. 1.5

     정답 : []
     정답률 : 32%

86. 전선의 단면적 55[mm2]인 경동연선을 사용하는 경우 특고압 가공전선로 경간의 최대한도는 몇 [m]인가? (단, 지지물은 목주 또는 A종 철주이다.)(2011년 10월)
     1. 150
     2. 250
     3. 300
     4. 500

     정답 : []
     정답률 : 15%

87. 고압 옥내배선의 공사방법으로 틀린 것은?(2020년 08월)
     1. 케이블공사
     2. 합성수지관공사
     3. 케이블 트레이공사
     4. 애자사용공사(건조한 장소로서 전개된 장소에 한한다.)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1. 고압 옥내배선은 다음에 따라 시설하여야 한다.
가. 고압 옥내배선은 다음 중 하나에 의하여 시설할 것.
(1) 애자사용배선(건조한 장소로서 전개된 장소에 한한다)
(2) 케이블배선
(3) 케이블트레이배선
[해설작성자 : ㅇㅇ]

88. 과전류 차단기로 시설하는 퓨즈 중 고압전로에 사용하는 포장 퓨즈는 2배의 정격전류시 몇 분 안에 용단되어야 하는가?(2012년 05월)
     1. 2
     2. 30
     3. 60
     4. 120

     정답 : []
     정답률 : 21%
     <문제 해설>
④ 과전류 차단기로 시설하는 퓨즈중 고압전로에 사용하는 포장 퓨즈(퓨즈 이외의 과전류 차단기와 조합하여 하나의 과전류 차단기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한다)는 정격전류의 1.3배의 전류에 견디고 또한 2배의 전류로 120분안에 용단되는 것 또는 별표 17에서 정하는 규격에 적합한 고압 전류 제한 퓨즈이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DoubleM]

89. 출퇴표시등 회로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변압기는 2차측 전로의 사용전업이 몇 [V] 이하인 절연변압기이어야 하는가?(2007년 05월)
     1. 40
     2. 60
     3. 80
     4. 100

     정답 : []
     정답률 : 18%

90. 발전기·조상기·변압기·계기용변성기·모선 및 이를 지지하는 애자는 다음 중 어느 것에 의하여 생기는 기계적 충격에 견디는 것이어야 하는가?(2007년 09월)
     1. 정격전압
     2. 정격전류
     3. 단락전류
     4. 과부하전류

     정답 : []
     정답률 : 13%

91. 대지로부터 절연을 하는 것이 기술상 곤란하여 절연을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2014년 03월)
     1. 항공장애등
     2. 전기로
     3. 옥외조명등
     4. 에어콘

     정답 : []
     정답률 : 24%

92. 다음 중 욕실 등 인체가 물에 젖어 있는 상태에서 물을 사용하는 장소에 콘센트를 시설하는 경우에 적합한 누전차단기는?(2008년 05월)
     1. 정격감도전류 15mA 이하, 동작시간 0.03초 이하의 전압 동작형 누전차단기
     2. 정격감도전류 15mA 이하, 동작시간 0.03초 이하의 전류 동작형 누전차단기
     3. 정격감도전류 15mA 이하, 동작시간 0.3초 이하의 전압 동작형 누전차단기
     4. 정격감도전류 15mA 이하, 동작시간 0.3초 이하의 전류 동작형 누전차단기

     정답 : []
     정답률 : 12%

93. 소맥분, 전분, 유황 등의 분진이 존재하는 공장에 전기설비가 발화원이 되어 폭발할 우려가 있는 곳의 저압옥내배선에 적합하지 못한 공사는? (단, 각 종 전선관공사 시 관의 두께는 모두 기준에 적합한 것을 사용한다.)(2014년 03월)
     1. 합성수지관 공사
     2. 금속관 공사
     3. 가요전선관 공사
     4. 케이블 공사

     정답 : []
     정답률 : 19%

94. 고압 가공인입선의 시설방법으로 틀린 것은?(2010년 09월)
     1. 고압 가공인입선 아래에 위험 표시를 하고 지표상 3.5m 높이에 시설하였다.
     2. 전선은 지름이 5mm 이상의 경동선의 고압 절연전선을 사용하였다.
     3. 애자사용공사로 시설하였다.
     4. 15m 떨어진 다른 수용가에 고압 연접인입선을 시설 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14%

95. 과전류차단기로 저압전로에 사용하는 퓨즈를 수평으로 붙인 경우 이 퓨즈는 정격전류의 몇 배의 전류에 견딜 수 있어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9년 03월)
     1. 1.1
     2. 1.25
     3. 1.6
     4. 2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2021년 KEC 규정부턴 저압퓨즈 규정 바뀜
[해설작성자 : 흠냐]

저압퓨즈 수평기준으로 1.5~2배의 전류를 견딜 수 있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ㅅㄱㅎㅁ]

96. 풀용 수중조명등에서 절연변압기 2차측 전로의 사용전압이 30V 이하인 경우 접지공사의 종류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4년 03월)
     1. 제1종 접지
     2. 제2종 접지
     3. 제3종 접지
     4. 특별 제3종 접지

     정답 : []
     정답률 : 14%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접지종별 삭제입니다 수정바래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7.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시설하는 통신선 또는 이에 직접 접속하는 가공 통신선이 철도를 횡단하는 경우에는 레일면상 몇 m 이상으로 설치하여야 하는가?(2014년 09월)
     1. 4.5
     2. 5.5
     3. 6.5
     4. 7.5

     정답 : []
     정답률 : 33%

98. 3300V 고압 가공전선을 교통이 번잡한 도로를 횡단하여 시설하는 경우 지표상 높이를 몇 m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2019년 09월)
     1. 5.0
     2. 5.5
     3. 6.0
     4. 6.5

     정답 : []
     정답률 : 31%

99.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시설하는 지선으로 연선을 사용할 경우 소선은 최소 몇 가닥 이상이어야 하는가?(2020년 06월)
     1. 3
     2. 5
     3. 7
     4. 9

     정답 : []
     정답률 : 51%

100. 동일 지지물에 저압가공전선(다중접지된 중성선은 제외)과 고압가공전선을 시설하는 경우 저압 가공전선은?(2009년 08월)
     1. 고압 가공전선의 위로 하고 동일 완금류에 시설
     2. 고압 가공전선과 나란하게 하고 동일 완금류에 시설
     3. 고압 가공전선의 아래로 하고 별개의 완금류에 시설
     4. 고압 가공전선과 나란하게 하고 별개의 완금류에 시설

     정답 : []
     정답률 : 18%


정 답 지

전기공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1091969)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전기공사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전기응용 및 공사재료


1. 형광체가 발산하는 복사의 파장은 조사된 복사의 파장보다 항상 길다는 법칙은?(2007년 03월)
     1. 플랭크의 법칙
     2. 스테판불쯔만의 법칙
     3. 스토크의 법칙
     4. 빈의 변위법칙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1.플랭크-분광 방사속 발산도
2.스테판-절대온도의 4승에 비례
3.스토크-흡수된 빛의 파장보다 같거나 길다
4.빈의 - 방사체의 절대온도에 반비례
[해설작성자 : 음]

2. 내면이 완전확산 반사면으로 되어 있는 밀폐구 내에 광원을 두었을 때 그 면의 확산 조도는 어떻게 되는가?(2015년 09월)
     1. 광원의 형태에 의하여 변한다.
     2. 광원의 위치에 의하여 변한다.
     3. 광원의 배광에 의하여 변한다.
     4. 구의 지름에 의하여 변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완전 확산면에서의 조도
E = I / (r)^2 = pi * B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알칼리 축전지의 양극으로 사용되는 것은?(2015년 09월)
     1. 이산화 납
     2. 아연
     3. 구리
     4. 수산화 니켈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알칼리 축전지의
양극 + 전해액 + 음극 은
NiO2H + KOH + Cd
정답은 4번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

알칼리 축전지
양극: 수산화니켈,Ni(OH)2
음극: 철(Fe,에디슨 전지)or 카드뮴(Cd,융그너 전지)
전해액: 수산화칼륨(KOH)
학습에 참고합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 천장면을 여러 형태의 사각, 삼각 등으로 구멍을 내어 다양한 형태의 매입기구를 취부하여 실내의 단조로움을 피하는 조명 방식은?(2022년 04월)
     1. pin hole light
     2. coffer light
     3. line light
     4. cornis light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천장면 매입 방식으로
pin hole : 이름 비슷하게 천장면에 구멍을 뚫어 광원을 넣고 매입하는 방식이다.
coffer : 천장면을 오려내고 그곳에 매입기구를 부착해 실내의 단조로움을 피하는 형식이다.
line : 천장매입형으로, 트로퍼 조명방시의 일종으로 종,횡,장방향 대각선 같은 방식으로 설치하는 조명방식
cornis : 천장이 아닌 벽면 이용방식의 하나로 천장과 벽면 경계에 장식으로 돌출벽을 만들고 그 내부에 등기구를 배치하는 조명방식

5. 다음 중 다이액(DIAC)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0년 05월)
     1. 단일 방향성 소자
     2. 2극 다이오드의 교류 스위치
     3. 브레이크 오버 전압을 가지고 있다.
     4. TRIAC의 제어 소자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DIAC은 양방향성 2단자 소자이다
[해설작성자 : 자격증맨]

6. 그림은 ㄱ형완철에서의 현수애자를 설치하는 순서이다. 바르게 된 것은?(2003년 03월)

   

     1. ① ㄱ완철, ② 볼쇄클, ③ 볼크레비스, ④ 현수애자, ⑤ 소켓아이, ⑥ 데드앤드크램프, ⑦ 전선
     2. ① ㄱ완철, ② 앵커쇄클, ③ 소켓아이, ④ 현수애자, ⑤ 볼크레비스, ⑥ 데드앤드크램프, ⑦ 전선
     3. ① ㄱ완철, ② 데드앤드크램프, ③ 볼크레비스, ④ 현수애자, ⑤ 소켓아이, ⑥ 앵커쇄클, ⑦ 전선
     4. ① ㄱ완철, ② 앵커쇄클, ③ 볼크레비스, ④ 현수애자, ⑤ 소켓아이, ⑥ 데드앤드크램프, ⑦ 전선

     정답 : []
     정답률 : 57%

7. 동륜상의 중량이 75[t]인 기관차의 최대 견인력[kg]은? (단, 궤조의 점착계수는 0.2로 한다.)(2013년 06월)
     1. 5000
     2. 10000
     3. 15000
     4. 75000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마찰력(점착력)=1000*점착계수*동륜상 중량

8. 전기차량의 구동용 주전동기의 특성을 설명한 것이다. 틀린 것은?(2003년 05월)
     1. 직류직권 전동기의 회전수 n은 단자 전압에 비례 하고 부하전류에 반비례한다.
     2. 직류직권 전동기의 토크는 전류의 2승에 비례한다.
     3. 유도 전동기는 VVVF 인버터 장치가 필요하다.
     4. 유도 전동기 2차전류(IR)은 자속 P와 주파수 fs에 반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9. 기체 또는 액체 속에 고체의 입자가 분산되어 있을 경우 이에 전압을 가하면 입자가 이동한다. 이러한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2008년 05월)
     1. 전기침투
     2. 전기투석
     3. 전기영동
     4. 전기방식

     정답 : []
     정답률 : 79%

10. 광속이 20t3+1[lm]을 120[분]동안 발산되었다면 광원에서 나오는 광량은?(2002년 03월)
     1. 52 [lmㆍh]
     2. 62 [lmㆍh]
     3. 72 [lmㆍh]
     4. 82 [lmㆍh]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integral (0, 2시간) (20t3+1) dt [lm·h]
= [5*24+2] = 82 [lm·h]
[해설작성자 : iwc]

11. 전선관(박강)의 굵기 가운데 공칭값[mm]이 아닌것은?(2003년 03월)
     1. 15
     2. 19
     3. 24
     4. 31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후짝박홀
후강전선관은 짝수, 박강전선관은 홀수
따라서 보기에서 홀수가 아닌 것을 고르는게 포인트!
정답은 3번이 되겠습니다.
그렇다고 24가 후간전선관의 공칭값에 있느냐? 그것도 아닙니다.

후강 16, 22, 28, 36, 42, 54, 70, 82, 92, 104
박강 19, 25, 31, 39, 51, 63, 75
[해설작성자 : AAA]

만약 외우는게 귀찮다면 그냥 보기중에서 홀수 혹은 짝수가 한개만 있으면 그게 답입니다. 왜냐하면 중복답안이 될리가 없으니까요.
[해설작성자 : 투아타라]

12. 과전류 차단기로 사용되는 A종 퓨즈는 정격전류의 몇 배의 전류에서 용단되지 않아야 하는가?(2011년 03월)
     1. 1
     2. 1.1
     3. 1.25
     4. 1.3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A종 퓨즈는 1.1배
B종 퓨즈는 1.3배를 견디어야 함

13. 라인포스트 애자는 다음 중 어떤 종류의 애자인가?(2020년 08월)
     1. 핀애자
     2. 현수애자
     3. 장간애자
     4. 지지애자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라인포스트애자]
특고압 가공 배전선로의 지지물에서 전선을 지지 및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장주용 애자로 일반형과 내염형이 있다.
[해설작성자 : 서강대물리]

14. 특별 제3종 접지공사의 접지선 굵기는 공칭단면적 몇 [mm2] 이상의 연동선 이어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2년 09월)
     1. 8
     2. 6
     3. 1.25
     4. 2.5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 접지공사의 접지선의 굵기(연동선)
제1종 접지공사                    6[mm2]
제2종 접지공사                 16[mm2] 또는 6[mm2]
제3종 접지공사                    2.5[mm2]
특별 제3종 접지공사     2.5[mm2]
[해설작성자 : D2]

출제기준 변경 및 개정된 관계 법규에 따라 삭제
[해설작성자 : 애플민트]

2021 KEC 개정에 의해 삭제된 문제입니다!
[해설작성자 : 자케루]

15. 옥내배선용 공구 중 리머의 사용 목적으로 옳은 것은?(2020년 09월)
     1. 로크너트 또는 부싱을 견고히 조일 때
     2. 커넥터 또는 터미널을 압착하는 공구
     3. 금속관 절단에 따른 절단면 다듬기
     4. 금속관의 굽힘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리머(reamer)
용도: 금속판을 쇠톱이나 커터로 끊은다음! 관 안에 날카로운 것을 다듬는 것
[해설작성자 : 신영]

16. 배전반 및 분전반의 설치 장소로 적합하지 않은 곳은?(2017년 05월)
     1. 안정된 장소
     2. 노출되어 있지 않은 장소
     3. 개폐기를 쉽게 개폐할 수 있는 장소
     4. 전기회로를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장소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노출되어있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붙게해줘]

17. 전문상점의 조명시설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2년 09월)
     1. 전로의 사용전압은 대지전압을 300V 이하로 하여야 한다.
     2. 15A 분기회로 또는 20A 배선용 차단기 분기회로에서 공급한다.
     3. 조명기구의 지표상 높이는 차량이 통행하는 도로에서 4M 이상으로 한다.
     4. 금속제 연쇄노점에 시설하는 금속관은 특별 제3종 접지공사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차량통행시 5m(노단은4.5m)
[해설작성자 : 공사맨]

2021 KEC 개정에 의해 '15A 분기회로 -> 16A 분기회로'로 변경되었고 '제3종 접지공사 -> 삭제' 되었습니다. 고로 이 문제는 개정 전 문제이므로 그냥 넘어가시면 되겠습니다.
[해설작성자 : 자케루]

18. 알칼리 축전지에서 소결식에 해당하는 초급방전형은?(2010년 09월)
     1. AM 형
     2. AMH 형
     3. AL 형
     4. AH - S 형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알칼리 축전지의 종류
-포켓식 : AL완방전형, AM표준형, AMH급방전형, AH-P초급방전형
-소결식 : AH-S초급방전형, AHH초초급방전형
[해설작성자 : 의명]

19. 조명용 광원 중에서 연색성이 가장 우수한 것은?(2019년 04월)
     1. 백열전구
     2. 고압나트륨등
     3. 고압수은등
     4. 메탈할라이드등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연색성 지수
95이상 : 백열전구, 할로겐등
85~95 : 삼파장 형광등
75~90 : 형광등, 방전램프
60 : 수은전구
30~ : LED전구 (전구에 따른 편차가 매우 큼)
25 : 나트륨듬
[해설작성자 : 20년1회합격가즈앗]

연색성 효율
크세논등 > 백열전구 > 백색 형광등 > 수은등 > 나트륨등
*크~백배로 열올리는 백수냐(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연색성 효율(연색지수)
크> 백 > 형 > 수 > 나
--->연수 /큰백부 /형수나(냐의 사투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0. 급속 전선관용 부품 중 복스에 금속관을 고정할 때 사용하는 것은?(2008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관과 박스를 연결하여 고정시켜주는 부품은 로크너트이다.
[해설작성자 : 공사재료그림으로나오네]

2과목 : 전력공학


21. 옥내배선의 전선 굵기를 결정할대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허용전류
     2. 전압강하
     3. 배선방식
     4. 기계적강도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전선 굵기는 저항값과 관련있음(저항 R은 전선단면적 A에 반비례)

기계적강도 : 튼튼한걸 사용해야 잘 끊기지 않음.
허용전류 : 전선의 굵기, 즉 전선의 단면적이 넓을수록 허용 전류는 커짐.
전압강하 : 전선단면적에 따라 전선 자체의 저항값이 달라지고, 전선의 저항값이 커지면 전선내부저항에 의한 전압강하분이 커짐.
[해설작성자 : 아디마로]

22. 피뢰기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2017년 03월)
     1. 상용주파 방전개시 전압이 낮을 것
     2. 충격방전 개시전압이 낮을 것
     3. 속류 차단능력이 클 것
     4. 제한전압이 낮을 것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1. 낮을것-> 높을것
[해설작성자 : 찌니]

23. 전선의 굵기가 균일하고 부하가 균등하게 분산되어 있는 배전선로의 전력손실은 전체 부하가 선로 말단에 집중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어느 정도가 되는가?(2007년 09월)
     1. 1/2
     2. 1/3
     3. 2/3
     4. 3/4

     정답 : []
     정답률 : 13%

24. 전원이 양단에 있는 환상선로의 단락보호에 사용되는 계전기는?(2007년 03월)
     1. 방향거리계전기
     2. 부족전압계전기
     3. 선택접지계전기
     4. 부족전류계전기

     정답 :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전원이 양단에 있다. 2군데 이상 환상선로의 단락보호
DZ 방향거리 계전기

25. 동기조상기와 전력용 콘덴서를 비교할 때 전력용 콘덴서의 이점으로 알맞은 것은?(2010년 03월)
     1. 진상전류 및 지상전류 양용이다.
     2. 단락고장이 생겼을 때 고장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3. 송전선로의 무부하 충전시 송전에 이용 가능하다.
     4. 전압조정이 연속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16%

26. 다음 중 화력발전소에서 가장 큰 손실은?(2007년 09월)
     1. 소내용 동력
     2. 연도 배출가스 손실
     3. 복수기에서의 손실
     4. 송풍기의 손실

     정답 : []
     정답률 : 17%

27. 직류송전방식이 교류송전방식에 비하여 유리한 점을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5월)
     1. 표피효과에 의한 송전손실이 없다.
     2. 통신선에 대한 유도잡음이 적다.
     3. 선로의 절연이 쉽다.
     4. 정류가 필요 없고 승압 및 강압이 쉽다.

     정답 : []
     정답률 : 14%

28. Recloser(R), Sectionalizer(S), Fuse(F)의 보호협조에서 보호협조가 불가능한 배열은? (단, 왼쪽은 후비보호, 오른쪽은 전위보호 역할임)(2012년 03월)
     1. R - R - F
     2. R - S
     3. R - F
     4. S - F - R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r-s-f 순서대로 만 가능
r,s,f 순서만 맞으면 중복 가능
r-s, r-f, s-f 이것역시 순서 가 맞기 때문에 가능
[해설작성자 : 내인생 구제좀]

29. 변전소에서 접지보호용으로 사용되는 계전기에 영상 전류를 공급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은?(2010년 03월)
     1. PT
     2. ZCT
     3. GPT
     4. CT

     정답 : []
     정답률 : 26%
     <문제 해설>
전류 : CT
영상 : 'Z'ero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0. 전력선에 영상전류가 흐를 때 통신선로에 발생되는 유도장해는?(2011년 03월)
     1. 고조파유도장해
     2. 전력유도장해
     3. 정전유도장해
     4. 전자유도장해

     정답 : []
     정답률 : 22%

31. 그림과 같은 이상 변압기에서 2차측에 5Ω의 저항부하를 연결하였을 때 1차측에 흐르는 전류 I는 약 몇 A 인가?(2005년 05월)

    

     1. 0.6
     2. 1.8
     3. 20
     4. 660

     정답 : []
     정답률 : 13%
     <문제 해설>
권수비)a = V1 / V2 = I2 / I1 ▶ 3300 / 100 = 33
I2[A] = V2 / R2 ▶ 100 / 5 = 20[A]
I1[A] = I2 / a ▶ 20 / 33 = 0.606[A]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32. 정전용량이 C1이고, V1의 전압에서 Qr의 무효전력을 발생하는 콘덴서가 있다. 정전용량을 변화시켜 2배로 승압된 전압(2V1)에서도 동일한 무효전력 Qr을 발생시키고자 할 때, 필요한 콘덴서의 정전용량(C2)은?(2021년 03월)
     1. C2=4C1
     2. C2=2C1
     3. C2=(1/2)C1
     4. C2=(1/4)C1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Q=wCV^2이므로 V가 2배 되면 4배로 커지는데 무효전력을 동일하게 하기위해서는 C를 1/4배로 해야함.
[해설작성자 : 이번에는무조건합격]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무효전력 Q = V^2/(wC) #전력=전압*전류=전압*전압/저항 = 전류*전류*저항

따라서 C와 V^2은 비례 -> C는 4배 커짐
답 1번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전기공사기사]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및 확정답안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4번이네요.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전기공사기사님이 작성한 전압*전압/저항을 넣으면, V1*V1/(1/wC)가 되므로,wC(V1)^2가 됩니다.
[해설작성자 : nayana]

33. 수력발전설비에서 흡출관을 사용하는 목적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2009년 08월)
     1. 압력을 줄이기 위하여
     2. 물의 유선을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3. 속도변동률을 적게 하기 위하여
     4. 낙차를 늘리기 위하여

     정답 : []
     정답률 : 14%

34. 배전선로에서 사고범위의 확대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9월)
     1. 선택접지계전방식 채택
     2. 자동고장 검출장치 설치
     3. 진상콘덴서 설치하여 전압보상
     4. 특고압의 경우 자동구분개폐기 설치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선택 접지 계전방식은 비접지 계통에서 사용이 됩니다.
선택접지 계전방식은 ZCT와 GPT를 조합한 구성으로 비접지계통의 다회선 선로에서 지락사고를 검출하고 고장선로만 선택하여 차단하는 방식입니다.
자동고장구분개폐기의 용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3상 4선식 다중접지 방식을 사용 하다 보니, 지락사고 시, 큰 지락 전류로 인해 단락사고 발생처럼 리클로저나 차단기가 동작헀어요.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리클로저나 차단기 부하 측에 자동구분개폐기를 설치하여 자동으로 고장 구간을분리합니다.
진상용 콘덴서는 역률을 개선하기 위한 설비로 사고확대 방지와는 무관한 설비 입니다.
부하에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을 하고, 전압강하의 개선에도 도움이 되는 설비 입니다
[해설작성자 : 이가이버]

35. 소호리액터접지의 합조도가 정(+)인 경우에는 어느것과 관련이 있는가?(2007년 03월)
     1. 공진
     2. 과보상
     3. 접지저항
     4. 아크전압

     정답 : []
     정답률 : 18%

36. 차단기에서 차단시간을 옳게 설명한 것은?(2003년 03월)
     1. 고장발생에서부터 완전 소호시간까지의 합이다.
     2. 개극되는 시간을 말한다.
     3. 아크시간을 말한다.
     4. 개극과 아크시간을 합한 것을 말하며 약 3-8사이클 이다.

     정답 : []
     정답률 : 10%

37. 동작전류의 크기가 커질수록 동작시간이 짧게 되는 특성을 가진 계전기는?(2018년 04월)
     1. 순한시 계전기
     2. 정한시 계전기
     3. 반한시 계전기
     4. 반한시 정한시 계전기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순한시 계전기 : 고장전류 감지시 바로 동작
정한시 계전기 : 고장전류 감지후 일정시간 뒤에 동작
반한시 계전기 : 고장전류 크기에 반비례하여 고장전류가 클수록 빨리동작
반한시 정한시 계전기: 일정구간의 값에서는 반한시, 그 밖에는 정한시로 동작
[해설작성자 : 연달이 ]

38. 3000kW, 역률 75%(늦음)의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변전소에 콘덴서를 설치하여 역률을 93%로 향상시키고자 한다. 필요한 전력용 콘덴서의 용량은 약 몇 kVA인가?(2015년 03월)
     1. 1460
     2. 1540
     3. 1620
     4. 1730

     정답 :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39. 배전선로에서 수용가에의 공급 전압을 허용 범위 내에 유지하기 위해서 작용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2008년 05월)
     1. 배전변압기에서의 전압조정에는 고압선 각부의 전압에 따라서 배전변압기의 사용 탭을 적정하게 선정한다.
     2. 66kV 이하의 변전소에서의 전압조정에는 모선 또는 급전선 마다 정지형 전압 조정기를 설치해서 조정한다.
     3. 우리나라에서는 배전선로에서의 전압강하 한도를 10%로 잡고 적정한 전압강하 값을 설비별로 분담하는 방법으로 전압 조정용 기기와 병용해서 사용한다.
     4. 배전선로의 부하는 중부하시와 경부하시에 크게 변화하므로 변전소 수전측의 송전선로에 대해서는 소호리액터를 사용해서 조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11%

40. 계전기의 반환시 특성이란?(2006년 03월)
     1. 동작전류가 클수록 동작시간이 길어진다.
     2. 동작전류가 흐르는 순간에 동작한다.
     3. 동작전류에 관계없이 동작시간은 일정하다.
     4. 동작전류가 크면 동작시간은 짧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17%

3과목 : 전기기기


41. 4극, 7.5[kW], 200[V], 60[Hz]인 3상 유도 전동기가 있다. 전부하에서 2차 입력이 7950[W]이다. 이 경우 2차 효율[%]은 얼마인가? (단, 기계손은 130[W]이다.)(2008년 05월)
     1. 93
     2. 94
     3. 95
     4. 96

     정답 : []
     정답률 : 11%
     <문제 해설>
2차 효율[%] = ( 1 - s ) * 100 ▶ ( 1 - 0.04 ) * 100 = 96[%]
s = 320 / 7950 = 0.04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42. 전기자 반작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05월)
     1. 전기자 중성축이 이동하여 주자속이 증가하고 정류자편 사이의 전압이 상승한다.
     2. 전기자 권선에 전류가 흘러서 생긴 기자력은 계자 기자력에 영향을 주어서 자속의 분포가 기울어진다.
     3. 직류 발전기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중성축이 이동되고 정류자 편간의 불꽃 섬락이 일어난다.
     4. 전기자 전류에 의한 자속이 계자 자속에 영향을 미치게 하여 자속 분포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23%

43. 직류 발전기의 극수 8, 전기자 도체수가 400을 단중 파권으로 하였을 때 매극의 자속수가 0.01[Wb] 이면 600[rpm]로 회전하였을 때의 기전력은 얼마인가?(2003년 03월)
     1. 130[V]
     2. 160[V]
     3. 180[V]
     4. 200[V]

     정답 : []
     정답률 : 16%
     <문제 해설>
E = PZΦN / 60a ▶ 8 * 400 * 0.01 * 600 / 60 * 2 = 160[V]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44.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다이오드는?(2007년 03월)
     1. 전류용 다이오드
     2. 바랙터 다이오드
     3. 바리스터 다이오드
     4. 제너 다이오드

     정답 : []
     정답률 : 20%

45. 동기 전동기의 전기자 반작용에 있어서 맞는 것은?(2006년 03월)
     1. 전압보다 90°앞선 전류는 주자속을 감자한다.
     2. 전압보다 90°느린 전류는 주자속을 감자한다.
     3. 전압과 동상인 전류는 주자속을 감자한다.
     4. 전압보다 90°느린 전류는 주자속을 교차 자화한다.

     정답 : []
     정답률 : 11%

46. 단상 유도전압조정기의 2차 전압이 100±30[V]이고, 직렬권선의 전류가 6[A]인 경우 정격용량은 몇 [VA]인가?(2007년 09월)
     1. 780
     2. 420
     3. 312
     4. 180

     정답 : []
     정답률 : 12%

47. 변압기의 규약효율 산출에 필요한 기본요건이 아닌 것은?(2017년 03월)
     1. 파형은 정현파를 기준으로 한다
     2. 별도의 지정이 없는 경우 역률은 100% 기준이다
     3. 부하손은 40℃를 기준으로 보정한 값을 사용한다
     4. 손실은 각 권선에 대한 부하손의 합과 무부하손의 합이다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75℃ 기준

48. 제9차 고조파에 의한 기자력이 회전방향 및 속도는 기본파 회전 자계와 비교할 때 다음 중 적당한 것은?(2013년 03월)
     1. 기본파와 역방향이고 9배의 속도
     2. 기본파와 역방향이고 1/9배의 속도
     3. 회전자계를 발생하지 않는다.
     4. 기본파와 동방향이고 9배의 속도

     정답 : []
     정답률 : 19%

49. 5KVA 3300/210V, 단상 변압기의 단락시험에서 임피던스 전압 120V, 동손 150W라 하면 퍼센트 저항강하는 몇 %인가?(2015년 05월)
     1. 2
     2. 3
     3. 4
     4. 5

     정답 :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R=Pc/ Pn X100    
150/5000 =0.03×100 =3%
[해설작성자 : 어 려 워]

퍼센트 저항강하)%R = ( Pc / P ) * 100 ▶ ( 150 / 5000 ) * 100 = 3[%]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50. 3상 권선형 유도전동기 기동 시 2차측에 외부 가변저항을 넣는 이유는?(2021년 03월)
     1. 회전수 감소
     2. 기동전류 증가
     3. 기동토크 감소
     4. 기동전류 감소와 기동토크 증가

     정답 : []
     정답률 : 50%

51. 직류 직권전동기의 회전수를 반으로 줄이면 토크는 몇 배가 되는가?(2009년 05월)
     1. 1/4
     2. 1/2
     3. 4
     4. 2

     정답 : []
     정답률 : 12%

52. 돌극형 동기발전기에서 직축 동기리액턴스 Xd와 횡축 동기 리액턴스 Xq의 관계로 옳은 것은?(2021년 09월)
     1. Xd < Xq
     2. Xd ≪ Xq
     3. Xd = Xq
     4. Xd > Xq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돌극형의 경우 직축Xd가 횡축Xq 보다 더 크다. Xd>Xq
비돌극형의 경우 직축과 횡축이 같다. Xd=Xq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3. 유도전동기의 안정 운전의 조건은? (단, Tm : 전동기 토크, TL : 부하토크, n : 회전수)(2017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부하토크 변화량이 전동기토크 변화량보다 커야 일정토크로 수렴함
[해설작성자 : 흠냐]

54. 역률이 가장 좋은 전동기는?(2015년 03월)
     1. 농형 유도 전동기
     2. 반발기동 전동기
     3. 동기 전동기
     4. 교류 정류자 전동기

     정답 : []
     정답률 : 36%

55. 교류정류자기에서 갭의 자속분포가 정현파로 øm=0.14Wb, P=2, a=1, Z=200, n=1200rpm인 경우 브러시 축이 자극축과 30°라면, 속도 기전력의 실효값 Es는 약 몇 V인가?(2017년 05월)
     1. 160
     2. 400
     3. 560
     4. 800

     정답 : []
     정답률 : 20%
     <문제 해설>
속도기전력의 실효값을 물어보는 거기 때문에 반드시 기전력 공식에다가 1/루트 2를 곱해주어야함. 아마 대부분 그냥 기전력 공식 구한 뒤 3번으로 찍어서 정답률이 낮지 않았나 싶음.
실효값을 물어보는 거라 1/루트2를 곱해주자
[해설작성자 : 실효값은 1/root2를 곱해주자]

Es = 1/루트(2) * (P * Z * Φ * N / 60 * a) * sinθ ▶ 1/루트(2) * (2 * 200 * 0.14 * 1200 / 60 * 1) * sin30˚ = 396[V]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56. 1[MVA], 3300[V], 동기 임피던스 5[Ω]의 2대의 3상 교류 발전기 병렬운전 중 한쪽 발전의 계자를 강화해서 각 상 유도기전력(상전압) 사이에 200[V]의 전압차가 생기게 했을 때, 두 발전기 사이에 흐르는 무효횡류는 몇[A] 인가?(2011년 10월)
     1. 40
     2. 30
     3. 20
     4. 10

     정답 : []
     정답률 : 15%
     <문제 해설>
무효횡류 전류[A] = V(전압차)/Z(임피던스) ▶ 200/2*5 = 20[A]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57. 직류발전기의 병렬운전에 있어서 균압선을 붙이는 발전기는?(2017년 03월)
     1. 타여자발전기
     2. 직권발전기와 분권발전기
     3. 직권발전기와 복권발전기
     4. 분권발전기과 복권발전기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병렬운전시 균압선이 필요한건 직권발전기라고 생각하면 편함
직권+분권 = 복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8. VVVF(variable voltage variable frequency)는 어떤 전동기의 속도 제어에 사용 되는가?(2016년 05월)
     1. 동기 전동기
     2. 유도 전동기
     3. 직류 복권 전동기
     4. 직류 타여자 전동기

     정답 :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직류전동기 속도제어 : 전압, 계자, 저항
동기전동기(농형) : 극수, 주파수, 1차전압
동기전동기(권선형) : 2차저항, 여자(슬립제어), 종속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9. 게이트 조작에 의해 부하전류 이상으로 유지 전류를 높일 수 있어 게이트 턴온, 턴오프가 가능한 사이리스터는?(2015년 03월)
     1. SCR
     2. GTO
     3. LASCR
     4. TRIAC

     정답 : []
     정답률 : 28%

60. 3300/210[V], 10[kVA]의 단상변압기가 있다. % 저항강하는 3[%], %리액턴스강하는 4[%]이다. 이 변압기가 무부하인 경우의 2차 단자전압은 약 몇 [V] 인가? (단, 변압기는 지역률 80[%]일 때 정격출력을 낸다고 한다.(2008년 05월)
     1. 168
     2. 216
     3. 220
     4. 228

     정답 : []
     정답률 : 9%
     <문제 해설>
€ = [(R * cosθ) + (X * sinθ)] ▶ [(3 * 0.8) + (4 * 0.6)] = 4.8[%]
€ = V2 - V1 / V1 ▶ V2 = ( € * V1 ) + V1 ▶ ( 4.8/100 * 210 ) + 210 = 220.08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4과목 :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61. 20mH의 두 자기인덕턴스가 있다. 결합계수를 0.1부터 0.9 까지 변화시킬 수 있다면 이것을 접속시켜 얻을수 있는 합성 인덕턴스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비는 얼마인가?(2007년 03월)
     1. 9 : 1
     2. 13 : 1
     3. 16 : 1
     4. 19 : 1

     정답 : []
     정답률 : 10%
     <문제 해설>
M = k루트(L1 * L2)
최대값 : 직렬가동
L1+L2+2M ▶ 20 + 20 + 2*0.9루트(20*20) = 76
최소값 : 직렬차동
L1+L2+2M ▶ 20 + 20 - 2*0.9루트(20*20) = 4
최대값과 최소값의 비 = 19 : 1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62. 단위 길이 당 인덕턴스가 L(H/m)이고, 단위 길이 당 정전용량이 C(F/m)인 무손실 선로에서의 진행파 속도(m/s)는?(2020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무손실
R=G=0, Z0=root(Z/Y)=root(L/C)
전파정수r=root(ZY), a=0, b=w*root(LC)
위상속도v=w/b=1/root(LC)

무왜형
RC=LG, Z0=root(Z/Y)=root(L/C)
전파정수r=root(ZY), a=0, b=w*root(LC)
위상속도v=w/b=1/root(LC)
[해설작성자 : 1]

63. 단자 a, b 간에 25[V]의 전압을 가할 때, 5[A]의 전류가 흐른다. 저항 r1, r2에 흐르는 전류비가 1:3일 때 r1, r2의 값은?(2012년 03월)

    

     1. r1=12[Ω], r2=4[Ω]
     2. r1=4[Ω], r2=12[Ω]
     3. r1=6[Ω], r2=2[Ω]
     4. r1=2[Ω], r2=6[Ω]

     정답 : []
     정답률 : 24%

64. 무한장 평행 2선 선로에서 주파수 4㎒의 전압을 가하였을 때 전압의 위상정수는 약 몇 rad/m인가? (단, 전파속도는 3×108㎧이다.)(2019년 09월)
     1. 0.0634
     2. 0.0734
     3. 0.0838
     4. 0.0934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전파속도 v=f람다
람다 = v/f    = 75
위상정수니까 2pi를 나누면 11.936 얼마얼마...
역수하면 3번
[해설작성자 : ㄴㅇㅎ]

위상정수 β = ω√LC
전파속도 υ = 1 / √LC = 300000000[m/s]
β = 2πf x √LC = 2π x 4000000 / 300000000 = 0.083775804[rad/m]
[해설작성자 : 나대로]

65. 2차 제어시스템의 감쇠율(damping ratio, ζ)이 ζ < 0인 경우제어시스템의 과도응답 특성은?(2021년 03월)
     1. 발산
     2. 무제동
     3. 임계제동
     4. 과제동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ζ< 0 : 발산
ζ= 0 : 무제동
0 < ζ< 1 : 부족제동
ζ= 1 : 임계제동
1 < ζ : 과제동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66. 전압 의 실효값은 약 몇 V 인가?(2021년 05월)
     1. 3.87
     2. 11.2
     3. 15.8
     4. 21.2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14.14와 7.07은 최대값 상태이므로 실효값으로 만들어주기 위해 root2를 나누어 준다.
그러면 14.14는 10이되고 7.07은 5가 된다.
결과적으로 실효값 = root(10^2 + 5^2) = 11.18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Vrms = √(V1rms^2 + V3rms^2) = √{(14.14/√2)^2 + (7.07/√2)^2} = √125 = 11.2
[해설작성자 : 나대로]

67. 8+j6(Ω)인 임피던스에 13+j20(V)의 전압을 인가할 때 복소전력은 약 몇 VA인가?(2020년 06월)
     1. 12.7+j34.1
     2. 12.7+j55.5
     3. 45.5+j34.1
     4. 45.5+j55.5

     정답 : []
     정답률 : 26%
     <문제 해설>
V/Z를 통해 I 를 구한다. I = 2.24+0.82i
복소전력은 I = 2.24-0.82i 로 부호를 바꿔준다.
따라서 P=VI를 통해 (13+20i) * (2.24-0.82i) = 45.52+34.14i

68. a, b 양단에 220[A] 전압을 인가시 전류 I가 1[A]흘렸다면 R 의 저항은 몇 [Ω]인가?(2009년 05월)

    

     1. 100[Ω]
     2. 150[Ω]
     3. 220[Ω]
     4. 330[Ω]

     정답 : []
     정답률 : 15%
     <문제 해설>
전체저항)R[Ω] = R * 2R / R + 2R = 2R / 3 ▶ 2R / 3 = V / I ▶ R = ( 3 / 2 ) * ( 220 / 1 ) = 330[Ω]
문제에 220[A] 전압 -> 220[V] 전압으로 변경해야함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69. 분포정수 회로가 무왜선로로 되는 조건은? (단, 선로의 단위 길이당 저항은 R, 인덕턴스는 L, 정전용량은 C, 누설 콘덕턴스는 G이다.)(2013년 09월)
     1. RL=CG
     2. RC=LG
     3.
     4.

     정답 : []
     정답률 : 28%

70. 그림과 같은 직류회로에서 저항 R(Ω)의 값은?(2019년 09월)

    

     1. 10
     2. 20
     3. 30
     4. 40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R_total = 3 + 2R / (2 + R)
I_total = 106 / {3 + 2R / (2 + R)}
2[A] = I_total x {2 / (2 + R)}
         = 106 / {3 + 2R / (2 + R)} x {2 / (2 + R)}
106 / {3 + 2R / (2 + R)} = (2 + R)
106 = (2 + R) x {3 + 2R / (2 + R)}
106 = 6 + 5R
R = 20[Ω]
[해설작성자 : 나대로]

전류원 = 106/3 = 35.33, 합성저항 = 3*2/3+2 = 1.2
I2 = (1.2 / 1.2 + R) * 35.33 = 2[A]
R = [(1.2/2) * 35.33] - 1.2 = 19.998[Ω]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71. 그림과 같은 신호흐름 선도의 전달함수는?(2016년 10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Forward Path 두 개
- FP1: 2 x 1/S^2 = 2/S^2
- FP2: 1/S

Loop는 1개: -4 x 1/S

Mason rule에 따른 분모는 1 - (-4/S) = 1 + 4/S,
분자는 2/S^2 + 1/S

문제에서 요구하는 전달함수 = (2/S^2 + 1/S) / (1 + 4/S)
분모, 분자에 S를 곱하면,
(2/S + 1) / (S + 4)

분자 (2/S + 1) = (2+S)/S 로 고쳐 쓸 수 있으니,
전달함수 = (2+S)/{S(S + 4)}
[해설작성자 : 나대로]

72. 주파수 응답에 의한 위치제어계의 설계에서 계통의 안정도 척도와 관계가 적은 것은?(2006년 09월)
     1. 공전차
     2. 고유주파수
     3. . 위상여유
     4. 이득여유

     정답 : []
     정답률 : 8%

73. 다음의 설명 중 틀린 것은?(2006년 03월)
     1. 최소위상 함수는 양의 위상여유이면 안정하다.
     2. 최소위상 함수는 위상여유가 0이면 임계안정하다.
     3. 최소위상 함수의 상대안정도는 위상각의 증가와 함께 작아진다.
     4. 이득 교차 주파수는 진폭비가 1이 되는 주파수이다.

     정답 : []
     정답률 : 10%

74. 그림과 같은 벡터궤적(주파수 응답)을 나타내는 계의 전달함수는?(2011년 10월)

    

     1. s
     2. 1/s
     3.
     4.

     정답 : []
     정답률 : 20%

75. 그림과 같은 신호흐름 선도에서 전달함수 C(s)/R(s)는?(2010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14%

76. 의 역변환은?(2014년 09월)
     1. 1-e-aT
     2. 1+e-aT
     3. te-aT
     4. teaT

     정답 : []
     정답률 : 20%

77. 상태방정식 이라면 이라면 A의 고유값은?(2010년 03월)
     1. 1, -8
     2. 1, -5
     3. 2, -8
     4. 2, -5

     정답 : []
     정답률 : 18%

78. 그림과 같은 논리회로와 등가인 것은?(2022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Y=AB'+A'B+AB
공식 X+X'=1, X=X+X
Y=AB'+A'B+AB+AB
Y=(AB'+AB)+(A'B+AB)
=A(B'+B)+B(A'+A)=A+B
OR회로
[해설작성자 : JUHEEEE]

79. 안정된 제어계의 특성근이 2개의 공역복소근을 가질때 이 근들이 허수측 가까이에 있는 경우 허수측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안정된 근에 비해 과도응답 영향은 어떻게 되는가?(2006년 09월)
     1. 과도응답은 천천히 사라진다.
     2. 과도응답이 길다.
     3. 과도응답은 빨리 사라진다.
     4. 과도응답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10%

80. 인 계의 이득여유가 40[dB]이면, 이때의 K의 값은?(2011년 10월)
     1. -50
     2. 1/50
     3. -20
     4. 1/40

     정답 : []
     정답률 : 17%

81. 수소냉각식 발전기 및 이에 부속하는 수소냉각장치에 관한 시설이 잘못 된 것은?(2014년 03월)
     1. 발전기는 기밀구조의 것이고 또한 수소가 대기압에서 폭발하는 경우에 생기는 압력에 견디는 강도를 가지는 것일 것
     2. 발전기 안의 수소의 순도가 70% 이하로 저하한 경우에 이를 경보하는 장치를 시설할 것
     3. 발전기안의수소의 온도를 계측하는 장치를 시설할 것
     4. 발전기안의 수소의 압력을 계측하는 장치 및 그 압력이 현저히 변동한 경우에 이를 경보하는 장치를 시설할 것

     정답 : []
     정답률 : 33%

82. 고압 가공전선로의 지지물로는 A종 철근콘크리트주를 사용하고, 전선으로는 단면적 22mm2 의 경동연선을 사용한다면 경간은 최대 몇 [m] 이하이어야 하는가?(2011년 03월)
     1. 150
     2. 250
     3. 300
     4. 500

     정답 : []
     정답률 : 14%

83.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시설하는 지선으로 연선을 사용할 경우에는 소선이 최소 몇 가닥 이상이어야 하는가?(2017년 03월)
     1. 3
     2. 4
     3. 5
     4. 6

     정답 : []
     정답률 : 41%

84. 전력 보안 가공통신선의 시설 높이에 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2020년 08월)
     1. 철도의 궤도를 횡단하는 경우에는 레일면상 5m 이상
     2. 횡단보도교 위에 시설하는 경우에는 그 노면상 3m 이상
     3. 도로(차도와 도로의 구별이 있는 도로는 차도) 위에 시설하는 경우에는 지표상 2m 이상
     4. 교통에 지장을 줄 우려가 없도록 도로(차도와 도로의 구별이 있는 도로는 차도) 위에 시설하는 경우에는 지표상 2m까지로 감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통신선에 대한 높이기준
철도 궤도 횡단 : 무조건6.5m
횡단보도교 위 : 가공 통신선의 경우 3m 그 외에 첨가 통신선의 저-고압 3.5m 특고압 5m
도로 위 : 교통의 지장 유/무에 따라
지장 유 : 가공통신선 5m    첨가통신선 상관없이 6m
지장 무 : 가공통신선 4.5m 첨가통신선 저-고압 5m 특고압 설비 x

85. 지중 전선로를 관로식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 매설 깊이를 최소 몇 m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2018년 09월)
     1. 0.6
     2. 1
     3. 1.2
     4. 1.5

     정답 : []
     정답률 : 32%

86. 전선의 단면적 55[mm2]인 경동연선을 사용하는 경우 특고압 가공전선로 경간의 최대한도는 몇 [m]인가? (단, 지지물은 목주 또는 A종 철주이다.)(2011년 10월)
     1. 150
     2. 250
     3. 300
     4. 500

     정답 : []
     정답률 : 15%

87. 고압 옥내배선의 공사방법으로 틀린 것은?(2020년 08월)
     1. 케이블공사
     2. 합성수지관공사
     3. 케이블 트레이공사
     4. 애자사용공사(건조한 장소로서 전개된 장소에 한한다.)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1. 고압 옥내배선은 다음에 따라 시설하여야 한다.
가. 고압 옥내배선은 다음 중 하나에 의하여 시설할 것.
(1) 애자사용배선(건조한 장소로서 전개된 장소에 한한다)
(2) 케이블배선
(3) 케이블트레이배선
[해설작성자 : ㅇㅇ]

88. 과전류 차단기로 시설하는 퓨즈 중 고압전로에 사용하는 포장 퓨즈는 2배의 정격전류시 몇 분 안에 용단되어야 하는가?(2012년 05월)
     1. 2
     2. 30
     3. 60
     4. 120

     정답 : []
     정답률 : 21%
     <문제 해설>
④ 과전류 차단기로 시설하는 퓨즈중 고압전로에 사용하는 포장 퓨즈(퓨즈 이외의 과전류 차단기와 조합하여 하나의 과전류 차단기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한다)는 정격전류의 1.3배의 전류에 견디고 또한 2배의 전류로 120분안에 용단되는 것 또는 별표 17에서 정하는 규격에 적합한 고압 전류 제한 퓨즈이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DoubleM]

89. 출퇴표시등 회로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변압기는 2차측 전로의 사용전업이 몇 [V] 이하인 절연변압기이어야 하는가?(2007년 05월)
     1. 40
     2. 60
     3. 80
     4. 100

     정답 : []
     정답률 : 18%

90. 발전기·조상기·변압기·계기용변성기·모선 및 이를 지지하는 애자는 다음 중 어느 것에 의하여 생기는 기계적 충격에 견디는 것이어야 하는가?(2007년 09월)
     1. 정격전압
     2. 정격전류
     3. 단락전류
     4. 과부하전류

     정답 : []
     정답률 : 13%

91. 대지로부터 절연을 하는 것이 기술상 곤란하여 절연을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2014년 03월)
     1. 항공장애등
     2. 전기로
     3. 옥외조명등
     4. 에어콘

     정답 : []
     정답률 : 24%

92. 다음 중 욕실 등 인체가 물에 젖어 있는 상태에서 물을 사용하는 장소에 콘센트를 시설하는 경우에 적합한 누전차단기는?(2008년 05월)
     1. 정격감도전류 15mA 이하, 동작시간 0.03초 이하의 전압 동작형 누전차단기
     2. 정격감도전류 15mA 이하, 동작시간 0.03초 이하의 전류 동작형 누전차단기
     3. 정격감도전류 15mA 이하, 동작시간 0.3초 이하의 전압 동작형 누전차단기
     4. 정격감도전류 15mA 이하, 동작시간 0.3초 이하의 전류 동작형 누전차단기

     정답 : []
     정답률 : 12%

93. 소맥분, 전분, 유황 등의 분진이 존재하는 공장에 전기설비가 발화원이 되어 폭발할 우려가 있는 곳의 저압옥내배선에 적합하지 못한 공사는? (단, 각 종 전선관공사 시 관의 두께는 모두 기준에 적합한 것을 사용한다.)(2014년 03월)
     1. 합성수지관 공사
     2. 금속관 공사
     3. 가요전선관 공사
     4. 케이블 공사

     정답 : []
     정답률 : 19%

94. 고압 가공인입선의 시설방법으로 틀린 것은?(2010년 09월)
     1. 고압 가공인입선 아래에 위험 표시를 하고 지표상 3.5m 높이에 시설하였다.
     2. 전선은 지름이 5mm 이상의 경동선의 고압 절연전선을 사용하였다.
     3. 애자사용공사로 시설하였다.
     4. 15m 떨어진 다른 수용가에 고압 연접인입선을 시설 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14%

95. 과전류차단기로 저압전로에 사용하는 퓨즈를 수평으로 붙인 경우 이 퓨즈는 정격전류의 몇 배의 전류에 견딜 수 있어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9년 03월)
     1. 1.1
     2. 1.25
     3. 1.6
     4. 2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2021년 KEC 규정부턴 저압퓨즈 규정 바뀜
[해설작성자 : 흠냐]

저압퓨즈 수평기준으로 1.5~2배의 전류를 견딜 수 있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ㅅㄱㅎㅁ]

96. 풀용 수중조명등에서 절연변압기 2차측 전로의 사용전압이 30V 이하인 경우 접지공사의 종류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4년 03월)
     1. 제1종 접지
     2. 제2종 접지
     3. 제3종 접지
     4. 특별 제3종 접지

     정답 : []
     정답률 : 14%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접지종별 삭제입니다 수정바래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7.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시설하는 통신선 또는 이에 직접 접속하는 가공 통신선이 철도를 횡단하는 경우에는 레일면상 몇 m 이상으로 설치하여야 하는가?(2014년 09월)
     1. 4.5
     2. 5.5
     3. 6.5
     4. 7.5

     정답 : []
     정답률 : 33%

98. 3300V 고압 가공전선을 교통이 번잡한 도로를 횡단하여 시설하는 경우 지표상 높이를 몇 m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2019년 09월)
     1. 5.0
     2. 5.5
     3. 6.0
     4. 6.5

     정답 : []
     정답률 : 31%

99.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시설하는 지선으로 연선을 사용할 경우 소선은 최소 몇 가닥 이상이어야 하는가?(2020년 06월)
     1. 3
     2. 5
     3. 7
     4. 9

     정답 : []
     정답률 : 51%

100. 동일 지지물에 저압가공전선(다중접지된 중성선은 제외)과 고압가공전선을 시설하는 경우 저압 가공전선은?(2009년 08월)
     1. 고압 가공전선의 위로 하고 동일 완금류에 시설
     2. 고압 가공전선과 나란하게 하고 동일 완금류에 시설
     3. 고압 가공전선의 아래로 하고 별개의 완금류에 시설
     4. 고압 가공전선과 나란하게 하고 별개의 완금류에 시설

     정답 : []
     정답률 : 18%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전기공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1091969)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29 자기비파괴검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7월19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4 4
4228 정보기기운용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04월02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4 2
4227 폐기물처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7384959) 좋은아빠되기 2025.11.24 5
4226 9급 국가직 공무원 사회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7월1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4 2
4225 9급 지방직 공무원 지역사회간호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4 4
4224 공조냉동기계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8월1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4 2
4223 건설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9월1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4 4
4222 자기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5043097)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4221 금속재료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1323981) 좋은아빠되기 2025.11.24 4
4220 9급 국가직 공무원 국제법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4 2
4219 소비자전문상담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1504535) 좋은아빠되기 2025.11.24 4
4218 교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5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4217 건축설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3910194) 좋은아빠되기 2025.11.24 5
» 전기공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1091969) 좋은아빠되기 2025.11.24 3
4215 계리직공무원 우편 및 금융상식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8월3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4 3
4214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보건행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4190873) 좋은아빠되기 2025.11.24 2
4213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의료관계법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6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4 3
4212 스포츠경영관리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9163177) 좋은아빠되기 2025.11.24 5
4211 9급 국가직 공무원 조경계획및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4월0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4 3
421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정보봉사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4 3
Board Pagination Prev 1 ... 350 351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 566 Next
/ 5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