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조경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4154796)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조경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조경일반


1. 조선시대 사대부나 양반계급에 속했던 사람들이 시골 별서에 꾸민 정원이 아닌 것은?(2008년 02월)
     가. 양산보의 소쇄원
     나. 윤선도의 부용동정원
     다. 정약용의 다산초당
     라. 이규보의 사륜정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이규보의 사륜정은 이동식 정자에 대한 기록으로 실제로 지어지지 않은 가상의 누정이다.

2.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규상 도시공원 설치 및 규모의 기준에서 어린이공원의 최소규모는 얼마인가?(2010년 01월)
     가. 500㎡
     나. 1000㎡
     다. 1500㎡
     라. 2000㎡

     정답 : []
     정답률 : 84%

3. 다음 중 서울시내의 남산에 위치한 남산타워는 도시를 구성하는 요소 중 어디에 속하는가?(2008년 02월)
     가. 도로(paths)
     나. 랜드마크(landmark)
     다. 지역(district)
     라. 가장자리(edge)

     정답 : []
     정답률 : 95%

4. 다음 중 조경 계획의 수행 과정의 단계가 옳은 것은?(2004년 02월)
     가. 목표설정 - 자료분석 및 종합 - 기본계획 - 실시설계 - 기본설계
     나. 자료분석 및 종합 - 목표설정 - 기본계획 - 기본설계 - 실시설계
     다. 목표설정 - 자료분석 및 종합 - 기본계획 - 기본설계 - 실시설계
     라. 목표설정 - 자료분석 및 종합 - 기본설계 - 기본계획 - 실시설계

     정답 : []
     정답률 : 79%

5. 우리나라에서 조경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한 때는?(2009년 09월)
     가. 1960년대 초반
     나. 1970년대 초반
     다. 1980년대 초반
     라. 1990년대 초반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박정희 대통령이 경부고속도로를 개통한 후 고속도로 공사로 인한 주변 산야의 조림이 필요하여
서울대학교와 영남대학교에 관련 학과를 개설하면서 사용되기 시작한 용어이다.
1973년에 개설된 학과이기 때문에 2023년 50주년 기념 행사가 이루어 지고 있으므로 1970년대 초반이 정답이다.
[해설작성자 : 마음은청춘]

6. 다음 중 여러 단을 만들어 그 곳에 물을 흘러 내리게 하는 이탈리아 정원에서 많이 사용되었던 조경기법은?(2007년 09월)
     가. 캐스케이드
     나. 토피어리
     다. 록 가든
     라. 캐널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토피어리: 형상수
록 가든: 자연석을 조화 있게 배치하여 만든 정원
캐널:운하
[해설작성자 : 쭈야]

7. 구조용 재료의 단면 도시기호 중 강(鋼)을 나타낸 것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4년 10월)
     가.
     나.
     다.
     라.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 2.는 석재 기호,    3.은 강(鋼:철재강)철에 대한 기호이다.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8. 주로 장독대, 쓰레기통, 빨래건조대 등을 설차하는 주택정원 의 적합 공간은?(2014년 04월)
     가. 안뜰
     나. 앞뜰
     다. 작업뜰
     라. 뒤뜰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 작업뜰
     부억과 장독대, 세탁 장소, 창고, 빨래건조대 등에 면하여 위한 곳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9. 다음 [보기]의 설명은 어느 시대의 정원에 관한 것인가?(2015년 10월)

   

     가. 조선
     나. 백제
     다. 고려
     라. 통일신라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 고려시대 정원의 특징
     -송나라의 영향을 받은 시각적 쾌감을 위한 관상위주의 조경양식
     -격구장, 석가산, 휴식과 조망을 위한 정자 발달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10. 정원의 구성 요소 중 점적인 요소로 구별되는 것은?(2009년 07월)
     가. 원로의 포장
     나. 생울타리
     다. 냇물
     라. 음수대

     정답 : []
     정답률 : 80%

11. 중국 송 시대의 수법을 모방한 화원과 석가산 및 누각 등이 많이 나타난 시기는?(2011년 02월)
     가. 백제시대
     나. 신라시대
     다. 고려시대
     라. 조선시대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고려시대에는 송나라와 원나라의 영향을 크게 받았던 시기 임.
[해설작성자 : 90박정우]

12. 귤준망의 [작정기]에 수록된 내용이 아닌 것은?(2014년 01월)
     가. 서원조 정원 건축과의 관계
     나. 원지를 만드는 법
     다. 지형의 취급방법
     라. 입석의 의장법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 귤준망의 '작정기'
     -일본 최초의 조원지침서이며 일본 정원 축조에 관한 가장 오랜된 비전서이다.
     -귤준망(강)의 저서이며, 겅물에 어울리는 조원법을 서술하였다.
     -내용 : 돌을 세울 때 마음 가짐과 세우는 법, 연못의 형태, 섬의 형태,
                     폭포 만드는 법 등 지형의 취급방법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13. 다음 중 청(靑)나라 때의 대표적인 정원은?(2010년 10월)
     가. 원명원 이궁
     나. 온천궁
     다. 상림원
     라. 사자림

     정답 : []
     정답률 : 80%

14. 벽돌로 만들어진 건축물에 태양광선이 비추어지는 부분과 그늘진 부분에서 나타나는 배색은?(2015년 07월)
     가. 톤 인 톤(tone in tone) 배색
     나. 톤 온 톤(tone on tone) 배색
     다. 까마이외(camaïeu) 배색
     라. 트리콜로르(tricolore) 배색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 톤 온 톤(tone on tone) : '톤을 겹친다'라는 의미로 동일 색상 내에서 톤의 차이(채도의 차이)를 두어 배색하는 방법
☞ 톤 인 톤(tone in tone) : 같은 톤에서 명도와 채도를 달리하는 배색방법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톤 온 톤 - 그라데이션 배색이라고도 한다.
톤 인 톤 - 서로 다른 색상들을 동일한 톤으로 배치하는 방법을 말한다.
까마이외 - 동일한 색상에서 아주 미세한 톤의 차이를 주어 배치하는 방법을 말한다.
트리콜로르 - 색상이나 톤이 명확하게 대조되는 3가지 색상을 배치하는 방법으로 프랑스 국기가 대표적이다.
[해설작성자 : 루미달콩]

15. 겨울철 좋은 생활환경과 나무의 생육을 위해 최소 얼마 정도의 광선이 필요한가?(2005년 01월)
     가. 2시간 정도
     나. 4시간 정도
     다. 6시간 정도
     라. 10시간 정도

     정답 : []
     정답률 : 76%

2과목 : 조경재료


16. 콘크리트용 혼화재료로 사용되는 플라이애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2년 10월)
     가. 포졸란 반응에 의해서 중성화 속도가 저감된다.
     나. 플라이애시의 비중은 보통포틀랜드 시멘트보다 작다.
     다. 입자가 구형이고 표면조직이 매끄러워 단위수량을 감소시킨다.
     라. 플라이애시는 이산화규소(SiO )의 함유율이 가장 많은 비결정질 재료이다.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플라이애쉬(혼화재):화력발전소에서 석탄을 태운후 나온 부산물.
공구리에 혼합하면 작업성개선,경화열낮춤,장기강도,수밀성향상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플라이애시의 주요 화학성분으로는 SiO2, Al2O3, Fe2O3, CaO, MgO 및 SO3를 포함하는데, 이들 성분 중 실리카(SiO2), 알루미나(Al2O3), 산화철(Fe2O3)의 성분비가 각각 25~60%, 5~25%, 10~30%로서 전 성분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지 8권 4호 <플라이애시 혼합 콘크리트의 내구특성>내용입니다 여기에 따르면 플라이애시 이산화규소 함유량은 최대가 60%인데 실리카흄은 75%, 85% 이고 국제표준이 85%라는 기사가 있었습니다 그러면 1,4번 다 틀린 거 아닐까요?


17. 다음 중 음수에 해당하는 수종은?(2008년 03월)
     가. 낙엽송
     나. 무궁화
     다. 식나무
     라. 해송

     정답 : []
     정답률 : 69%

18. 합판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1년 07월)
     가. 팽창, 수축 등으로 생기는 변형이 크다.
     나. 목재의 완전 이용이 불가능하다.
     다. 제품이 규격화되어 사용에 능률적이다.
     라. 섬유방향에 따라 강도의 차이가 크다.

     정답 : []
     정답률 : 86%

19. 다음 중 환경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친환경적 재료로 개발한 것은?(2015년 04월)
     가. 시멘트
     나. 절연재
     다. 잔디블록
     라. 유리블록

     정답 : []
     정답률 : 89%

20. 목재의 심재와 변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1월)
     가. 심재는 수액의 통로이며 양분의 저장소이다.
     나. 심재의 색깔은 짙으며 변재의 색깔은 비교적 엷다.
     다. 심재는 변재보다 단단하여 강도가 크고 신축 등 변형이 적다.
     라. 변재는 심재 외측과 수피 내측 사이에 있는 생활세포의 집합이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심재 : 목재의 수심 가까이에 우치하고 있는 적갈색 부분을 말하며, 단단하고 내구성이 크다.
변재 : 목재의 표면에 위피한 부분으로 심재보다 비중과 강도 흡수성 추축변형이 크다. 내구성이 작으며 수액의 이동과 양분의 저작 역할을 한다
[해설작성자 : 최은주]

21. 다음 인동과(科) 수종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2014년 10월)
     가. 백당나무는 열매가 적색이다.
     나. 아왜나무는 상록활엽관목이다.
     다. 분꽃나무는 꽃향기가 없다.
     라. 인동덩굴의 열매는 둥글고 6 ~ 8월에 붉게 성숙한다.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분꽃나무는 향기가 무척좋다
[해설작성자 : 모모]

☞ 인동과(科) 수종은 관목이고 덩굴식물, 관상용 식물 등으로 이루어진다.
     -백당나무는 5월 흰색 꽃 개화, 9월에 붉은색 열매
     -아왜나무는 상록활엽교목이다.
     -분꽃나무는 4월에 향기가 진하다.
     -인동덩굴의 열매는 8월에 검은색으로 성숙한다.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22. 겨울철 지상부의 잎이 말라 죽지 않는 지피식물은?(2003년 03월)
     가. 비비추
     나. 맥문동
     다. 옥잠화
     라. 들잔디

     정답 : []
     정답률 : 85%

23. 상록침엽성의 수종에 해당하는 것은?(2009년 07월)
     가. 산딸나무
     나. 낙우송
     다. 비자나무
     라. 동백나무

     정답 : []
     정답률 : 55%

24. 형상수로 이용할 수 있는 수종은?(2012년 04월)
     가. 주목
     나. 명자나무
     다. 단풍나무
     라. 소나무

     정답 : []
     정답률 : 90%

25. 일반적인 목재의 특성 중 장점에 해당되는 것은?(2012년 10월)
     가. 충격, 진동에 대한 저항성이 작다.
     나. 열전도율이 낮다.
     다. 충격의 흡수성이 크고, 건조에 의한 변형이 크다.
     라. 가연성이며 인화점이 낮다.

     정답 : []
     정답률 : 80%

26. 재료가 외력을 받아서 변형을 일으킨 뒤 외력을 제거하면 다시 원형으로 돌아가는 성질은?(2010년 10월)
     가. 소성
     나. 연성
     다. 탄성
     라. 강성

     정답 : []
     정답률 : 87%

27. 다음 그림과 같은 콘크리트 제품의 명칭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2년 10월)

    

     가. 견치블록
     나. 격자블록
     다. 기본블록
     라. 힘줄블록

     정답 : []
     정답률 : 81%

28. 가공은 용이하나 흡수성이 높고, 내수성이 크지만 강도가 높지 못해 건축용으로는 부적당하여 석축 등에 이용하는 석재는?(2009년 03월)
     가. 화강암
     나. 현무암
     다. 응회암
     라. 사문암

     정답 : []
     정답률 : 51%

29. 목재의 장점이라 할 수 있는 것은?(2009년 07월)
     가. 가공하기 쉽고 열전도율이 낮다.
     나. 부패성이 크다.
     다. 부위에 따라 재질이 고르지 못하나 불에는 강하다.
     라. 함수율에 따라 변형되기 쉽다.

     정답 : []
     정답률 : 86%

30. 덩굴로 자라면서 여름(7~8월경)에 아름다운 주황색 꽃이 피는 수종은?(2012년 10월)
     가. 남천
     나. 능소화
     다. 등나무
     라. 홍가시나무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등나무는 5월경 보라색꽃이 핀다
[해설작성자 : 사마사마사]

31. 꽃을 관상하는 나무로만 짝지어진 것은?(2002년 10월)
     가. 박태기나무, 주목, 느티나무
     나. 배롱나무, 동백나무, 백목련
     다. 소나무, 대나무, 산수유
     라. 매화나무, 개나리, 단풍나무

     정답 : []
     정답률 : 86%

32. 표면수를 배수시키기 위해 부지의 둘레나 원로가에 설치하는데 적합한 토관은?(2006년 01월)
     가.
     나.
     다.
     라.

     정답 : []
     정답률 : 58%

33. 벽돌쌓기 방법 중 가장 견고하고 튼튼한 것은?(2012년 07월)
     가. 영국식 쌓기
     나. 미국식 쌓기
     다. 네덜란드식 쌓기
     라. 프랑스식 쌓기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네덜란드식 쌓기가 튼튼한 이유는 모서리부분에 칠오토막을 넣어 시공하므로 모서리 부분이 견고해지기 때문이다.
[해설작성자 : 조경나그네]

영국식이 제일 튼튼하고
네덜란드는 모서리만 튼튼해진다.

34. 폭포나 벽천 등의 마감재로 부적합한 것은?(2003년 10월)
     가. 자연석
     나. 화강암
     다. 유리 섬유강화 프라스틱
     라. 목재

     정답 : []
     정답률 : 85%

35. 가공하지 않은 천연석으로 지름이 10 - 20㎝ 정도의 계란형의 돌은?(2003년 03월)
     가. 모암
     나. 원석
     다. 호박돌
     라. 조약돌

     정답 : []
     정답률 : 47%

36. 다음 [보기]에서 입찰의 순서로 옳은 것은?(2012년 04월)

    

     가. (ㄱ) → (ㄴ) → (ㄷ) → (ㄹ) → (ㅁ) → ㉥
     나. (ㄱ) → (ㅁ) → (ㄴ) → ㉥ → (ㄷ) → (ㄹ)
     다. (ㄱ) → (ㄴ) → ㉥ → (ㄷ) → (ㄹ) → (ㅁ)
     라. (ㅁ) → ㉥ → (ㄱ) → (ㄴ) → (ㄷ) → (ㄹ)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입찰공고=>현장설명=>입찰=>개찰=>낙찰=>계약
[해설작성자 : 마음은청춘]

37. 수목의 전정작업 요령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10월)
     가. 상부는 가볍게, 하부는 강하게 한다.
     나. 우선 나무의 정상부로부터 주지의 전정을 실시한다.
     다. 전정작업을 하기 전 나무의 수형을 살펴 이루어질 가지의 배치를 염두에 둔다.
     라. 주지의 전정은 주간에 대해서 사방으로 고르게 굵은가지를 배치하는 동시에 상하(上下)로도 적당한 간격으로 자리잡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38. 다음 중 보통분으로 뿌리분을 뜨고자 할 때 A부분의 적당한 크기는?(2006년 01월)

    

     가. 1/4d
     나. d
     다. 2d
     라. 1/2d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1)보통분(일반수종)            분의크기 4D    분의깊이 3D
2)조개분(심근성수종)                "                                 4D (느티나무,소나무,회화나무,주목 등)
3)접시분(천근성수종)                "                                 2D (자작나무,미루나무,편백 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9. 다음 중 일반적으로 전정시 제거해야 하는 가지가 아닌 것은?(2013년 10월)
     가. 도장한 가지
     나. 바퀴살 가지
     다. 얽힌 가지
     라. 주지(主枝)

     정답 :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일반적으로 제거해야 하는 가지는 도장지, 역지, 평행지, 하향지, 상향지, 얽힌가지, 바퀴살가지, 옴돋은 가지이다.
[해설작성자 : 합격한다]

40. 수목을 이식하려고 굴취 할 경우에 뿌리분(盆)의 크기는 어느 정도가 가장 적합한가?(2009년 07월)
     가. 근원직경의 4배
     나. 흉고직경의 4배
     다. 근원직경의 1/4배
     라. 수고의 1/10배

     정답 : []
     정답률 : 88%

41. 축적이 1/5000인 지도상에서 구한 수평 면적이 5cm2라면 지상에서의 실제면적은 얼마인가?(2014년 01월)
     가. 1250m2
     나. 12500m2
     다. 2500m2
     라. 25000m2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실제면적 = 도상면적 × 축적제곱
             = 0.0005m제곱 × 5,000제곱
(10,000cm제곱 = 1m제곱이기 때문입니다.)
[해설작성자 : 10년]

실제면적 = 지도상 면적 × 축척제곱 = 5cm2 × 5,000 × 5,000 = 0.0005m2 × 25,000,000 = 125,000,000cm2 = 12,500m2 (10,000cm2 = 1m2)
[해설작성자 : 현아]

가로,세로를 a,b라고하면
(a÷5,000)×(b÷5,000)=5cm2
ab=5,000×5,000×5cm2 = 125,000,000cm2
    =12,500m2
[해설작성자 : 나무사랑]

42. 벽돌의 크기는 190mm × 90mm × 57mm 이다. 벽돌 줄눈의 두께를 10mm로 할 때, 표준형 시멘트 벽돌벽 1.5B의 두께로 가장 적합한 것은?(2007년 09월)
     가. 170mm
     나. 270mm
     다. 290mm
     라. 330mm

     정답 : []
     정답률 : 82%

43. 동계전정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2년 01월)
     가. 낙엽수는 휴면기에 실시하므로 전정을 하여도 나무에 별 피해가 없다.
     나. 제거대상가지를 발견하기 쉽고 작업도 용이하다.
     다. 12 - 3월에 실시한다.
     라. 상록수는 동계에 강전정하는 것이 가장 좋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동계전정 (12~3월)
낙엽수는 휴면 중이라 전정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병해충 피해가지 발견이 쉽다.
낙엽수는 회복이 늦다, 상록수는 봄과 가을에 전정함
상록수는 추위에 약하기 때문에 강전정을 피한다.
[해설작성자 : 쭈야]

44. 다음 중 등고선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2015년 07월)
     가. 지표의 경사가 급할수록 등고선 간격이 넓어진다.
     나. 같은 등고선 위의 모든 점은 높이가 서로 다르다.
     다. 등고선은 지표의 최대 경사선의 방향과 직교하지 않는다.
     라. 높이가 다른 두 등고선은 동굴이나 절벽의 지형이 아닌 곳에서는 교차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1. 지표의 경사가 급할수록 등고선 간격은 좁아짐
2. 같은 등고선 위의 모든 점은 높이가 서로 같음
3. 등고선은 지표의 최대 경사선의 방향과 직교함
[해설작성자 : 김지용]

45. 다음 중 화단의 꽃 심기 작업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2월)
     가. 바람이 없고 흐린 날 심는다.
     나. 비교적 큰 면적의 화단은 중심부에서 바깥쪽으로 심어 나간다.
     다. 식재한 화초에 그늘이 지도록 작업자는 태양을 등지고 심어 나간다.
     라. 묘를 심은 다음 발로 꼭 밟아준다.

     정답 : []
     정답률 : 69%

46. 다음 중 한발이 계속될 때 짚 깔기나 물주기를 제일 먼저 해야 될 나무는?(2012년 07월)
     가. 소나무
     나. 향나무
     다. 가중나무
     라. 낙우송

     정답 : []
     정답률 : 58%

47. 바다를 매립한 공업단지에서 토양의 염분함량이 많을 때는 토양 염분을 몇 % 이하로 용탈시킨 다음 식재하는가?(2007년 04월)
     가. 0.08
     나. 0.02
     다. 0.1
     라. 0.3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번 보기가 0.05인데 오타인듯 싶습니다.
[해설작성자 : 10년]

식물생육에미치는 염분의 한계농도:
채소류 : 0.04%
수목     : 0.05%
잔디     : 0.1%
[해설작성자 : 청솔모]

48. 잠복소를 설치하는 목적에 가장 적당한 설명은 어느것인가?(2005년 04월)
     가. 동해의 방지를 위해
     나. 월동 벌레를 유인하여 봄에 태우기 위해
     다. 겨울의 가뭄 피해를 막기 위해
     라. 동해나 나무생육 조절을 위해

     정답 : []
     정답률 : 84%

49. 가로수는 차도 가장자리에서 얼마정도 떨어진 곳에 심는 것이 가장 좋은가?(2004년 10월)
     가. 10 cm
     나. 20 - 30 cm
     다. 40 - 50 cm
     라. 60 - 70 cm

     정답 : []
     정답률 : 65%

50. 한중(寒中) 콘크리트는 기온이 얼마일 때 사용하는가?(2004년 02월)
     가. -1℃ 이하
     나. 4℃ 이하
     다. 25℃ 이하
     라. 30℃ 이하

     정답 : []
     정답률 : 79%

51. 목재 시설물에 대한 특징 및 관리 등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1월)
     가. 감촉이 좋고 외관이 아름답다.
     나. 철재보다 부패하기 쉽고 잘 갈라진다.
     다. 정기적인 보수와 칠을 해 주어야 한다.
     라. 저온 때 충격에 의한 파손이 우려된다.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목재는 온도에 의한 변화가 크지 않다.
[해설작성자 : 루미달콩]

52. 주택정원을 공사할 때 어느 공종을 가장 먼저 실시하여야 하는가?(2009년 07월)
     가. 돌쌓기
     나. 콘크리트 치기
     다. 터닦기
     라. 나무심기

     정답 : []
     정답률 : 92%

53. 도시공원의 식물 관리비 계산시 산출근거와 관련이 없는 것은?(2014년 10월)
     가. 식물의 수량
     나. 식물의 품종
     다. 작업률
     라. 작업회수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 도시공원의 식물관리비
     =식물의 수량x작업률x작업횟수x작업단가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54. 다음〔보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암거배치 방법은?(2014년 04월)

    

     가. 빗살형
     나. 부채살형
     다. 어골형
     라. 자연형

     정답 : []
     정답률 : 84%

55. 벽돌(190×90×57)을 이용하여 경계부의 담장을 쌓으려고 한다. 시공면적 10m2에 1.5B 두께로 시공할 때 약 몇 장의 벽돌이 필요한가? (단, 줄눈은 10mm이고, 할증률은 무시한다.)(2015년 07월)
     가. 약 750장
     나. 약 1490장
     다. 약 2240장
     라. 약 2980장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1.0B(149장), 1.5B(224장), 2.0B(298장)
시공면적(10)X 1.5(224장)= 2240장
[해설작성자 : 김지용]

이런류의 문제는 벽돌 1장의 면적을 구하는것이 젤일 좋습니다.
1장은 몰탈까지 0.2x0.67=0.134
10(1평방미터)/0.134=74.6장 여기서 1.5B는 3장소요
74.6X3=224장 그래서 224X10=2240장 입니다.
1장의 면적을 알면 쉽게 개산 할 수 있어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장은 몰탈포함하여 0.2*0.067=.0134
1제곱미터/0.0134=74.6장
[해설작성자 : 숲생태]

1m2 당 벽돌의 소요매수
                                                                         0.5B    1.0B    1.5B    2.0B
기본형(210 x 100 x 60)    65        130        195     260
표준형(190 x 90 x 57)        75        149        224     298
그러므로, 표준형 224장 x 10m2 = 2,240장
[해설작성자 : 루미달콩]

56. 잔디의 잎에 황갈색의 얼룩점이 생겨 큰 잔디밭에 퍼지는 병으로 잔디밭의 미관을 나쁘게 하지만 죽지는 않는다. 이 병의 병명을 무엇이라고 하는가?(2004년 10월)
     가. 붉은 녹병
     나. 그을음병
     다. 흰가루병
     라. 탄저병

     정답 : []
     정답률 : 82%

57. 수피가 얇아서 겨울에 얼어 터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새끼 감기를 해 주는 것이 다른 수종들 보다 좋은 수종들로만 짝지어진 것은?(2008년 03월)
     가. 단풍나무, 배롱나무
     나. 은행나무, 매화나무
     다. 라일락, 층층나무
     라. 꽃아그배나무, 산딸나무

     정답 : []
     정답률 : 80%

58. 지주 세우기에서 일반적으로 대형의 나무에 적용하며 경관적 가치가 요구되는 곳에 설치하는 지주 이름은?(2003년 10월)
     가. 이각형
     나. 삼발이형
     다. 삼각 및 사각지주
     라. 당김줄형

     정답 : []
     정답률 : 81%

59. 다음 중 수목의 굵은 가지치기 요령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6년 01월)
     가. 잘라낼 부위는 가지의 밑둥으로부터 10~15cm 부위를 위에서부터 밑까지 내리 자른다.
     나. 잘라낼 부위는 아래쪽에 가지굵기의 1/3정도 깊이 까지 톱자국을 먼저 만들어 놓는다.
     다. 톱을 돌려 아래쪽에 만들어 놓은 상처보다 약간 높은 곳을 위로부터 내리 자른다.
     라. 톱으로 자른 자리의 거친 면은 손칼로 깨끗이 다듬는다.

     정답 : []
     정답률 : 64%

60. 다음 중 호박돌 쌓기에 이용되는 쌓기의 방법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2005년 01월)
     가. 견치석 쌓기
     나. 줄눈 어긋나게 쌓기
     다. 이음매 경사지게 쌓기
     라. 평석 쌓기

     정답 : []
     정답률 : 75%


정 답 지

조경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4154796)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조경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조경일반


1. 조선시대 사대부나 양반계급에 속했던 사람들이 시골 별서에 꾸민 정원이 아닌 것은?(2008년 02월)
     가. 양산보의 소쇄원
     나. 윤선도의 부용동정원
     다. 정약용의 다산초당
     라. 이규보의 사륜정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이규보의 사륜정은 이동식 정자에 대한 기록으로 실제로 지어지지 않은 가상의 누정이다.

2.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규상 도시공원 설치 및 규모의 기준에서 어린이공원의 최소규모는 얼마인가?(2010년 01월)
     가. 500㎡
     나. 1000㎡
     다. 1500㎡
     라. 2000㎡

     정답 : []
     정답률 : 84%

3. 다음 중 서울시내의 남산에 위치한 남산타워는 도시를 구성하는 요소 중 어디에 속하는가?(2008년 02월)
     가. 도로(paths)
     나. 랜드마크(landmark)
     다. 지역(district)
     라. 가장자리(edge)

     정답 : []
     정답률 : 95%

4. 다음 중 조경 계획의 수행 과정의 단계가 옳은 것은?(2004년 02월)
     가. 목표설정 - 자료분석 및 종합 - 기본계획 - 실시설계 - 기본설계
     나. 자료분석 및 종합 - 목표설정 - 기본계획 - 기본설계 - 실시설계
     다. 목표설정 - 자료분석 및 종합 - 기본계획 - 기본설계 - 실시설계
     라. 목표설정 - 자료분석 및 종합 - 기본설계 - 기본계획 - 실시설계

     정답 : []
     정답률 : 79%

5. 우리나라에서 조경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한 때는?(2009년 09월)
     가. 1960년대 초반
     나. 1970년대 초반
     다. 1980년대 초반
     라. 1990년대 초반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박정희 대통령이 경부고속도로를 개통한 후 고속도로 공사로 인한 주변 산야의 조림이 필요하여
서울대학교와 영남대학교에 관련 학과를 개설하면서 사용되기 시작한 용어이다.
1973년에 개설된 학과이기 때문에 2023년 50주년 기념 행사가 이루어 지고 있으므로 1970년대 초반이 정답이다.
[해설작성자 : 마음은청춘]

6. 다음 중 여러 단을 만들어 그 곳에 물을 흘러 내리게 하는 이탈리아 정원에서 많이 사용되었던 조경기법은?(2007년 09월)
     가. 캐스케이드
     나. 토피어리
     다. 록 가든
     라. 캐널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토피어리: 형상수
록 가든: 자연석을 조화 있게 배치하여 만든 정원
캐널:운하
[해설작성자 : 쭈야]

7. 구조용 재료의 단면 도시기호 중 강(鋼)을 나타낸 것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4년 10월)
     가.
     나.
     다.
     라.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 2.는 석재 기호,    3.은 강(鋼:철재강)철에 대한 기호이다.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8. 주로 장독대, 쓰레기통, 빨래건조대 등을 설차하는 주택정원 의 적합 공간은?(2014년 04월)
     가. 안뜰
     나. 앞뜰
     다. 작업뜰
     라. 뒤뜰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 작업뜰
     부억과 장독대, 세탁 장소, 창고, 빨래건조대 등에 면하여 위한 곳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9. 다음 [보기]의 설명은 어느 시대의 정원에 관한 것인가?(2015년 10월)

   

     가. 조선
     나. 백제
     다. 고려
     라. 통일신라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 고려시대 정원의 특징
     -송나라의 영향을 받은 시각적 쾌감을 위한 관상위주의 조경양식
     -격구장, 석가산, 휴식과 조망을 위한 정자 발달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10. 정원의 구성 요소 중 점적인 요소로 구별되는 것은?(2009년 07월)
     가. 원로의 포장
     나. 생울타리
     다. 냇물
     라. 음수대

     정답 : []
     정답률 : 80%

11. 중국 송 시대의 수법을 모방한 화원과 석가산 및 누각 등이 많이 나타난 시기는?(2011년 02월)
     가. 백제시대
     나. 신라시대
     다. 고려시대
     라. 조선시대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고려시대에는 송나라와 원나라의 영향을 크게 받았던 시기 임.
[해설작성자 : 90박정우]

12. 귤준망의 [작정기]에 수록된 내용이 아닌 것은?(2014년 01월)
     가. 서원조 정원 건축과의 관계
     나. 원지를 만드는 법
     다. 지형의 취급방법
     라. 입석의 의장법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 귤준망의 '작정기'
     -일본 최초의 조원지침서이며 일본 정원 축조에 관한 가장 오랜된 비전서이다.
     -귤준망(강)의 저서이며, 겅물에 어울리는 조원법을 서술하였다.
     -내용 : 돌을 세울 때 마음 가짐과 세우는 법, 연못의 형태, 섬의 형태,
                     폭포 만드는 법 등 지형의 취급방법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13. 다음 중 청(靑)나라 때의 대표적인 정원은?(2010년 10월)
     가. 원명원 이궁
     나. 온천궁
     다. 상림원
     라. 사자림

     정답 : []
     정답률 : 80%

14. 벽돌로 만들어진 건축물에 태양광선이 비추어지는 부분과 그늘진 부분에서 나타나는 배색은?(2015년 07월)
     가. 톤 인 톤(tone in tone) 배색
     나. 톤 온 톤(tone on tone) 배색
     다. 까마이외(camaïeu) 배색
     라. 트리콜로르(tricolore) 배색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 톤 온 톤(tone on tone) : '톤을 겹친다'라는 의미로 동일 색상 내에서 톤의 차이(채도의 차이)를 두어 배색하는 방법
☞ 톤 인 톤(tone in tone) : 같은 톤에서 명도와 채도를 달리하는 배색방법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톤 온 톤 - 그라데이션 배색이라고도 한다.
톤 인 톤 - 서로 다른 색상들을 동일한 톤으로 배치하는 방법을 말한다.
까마이외 - 동일한 색상에서 아주 미세한 톤의 차이를 주어 배치하는 방법을 말한다.
트리콜로르 - 색상이나 톤이 명확하게 대조되는 3가지 색상을 배치하는 방법으로 프랑스 국기가 대표적이다.
[해설작성자 : 루미달콩]

15. 겨울철 좋은 생활환경과 나무의 생육을 위해 최소 얼마 정도의 광선이 필요한가?(2005년 01월)
     가. 2시간 정도
     나. 4시간 정도
     다. 6시간 정도
     라. 10시간 정도

     정답 : []
     정답률 : 76%

2과목 : 조경재료


16. 콘크리트용 혼화재료로 사용되는 플라이애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2년 10월)
     가. 포졸란 반응에 의해서 중성화 속도가 저감된다.
     나. 플라이애시의 비중은 보통포틀랜드 시멘트보다 작다.
     다. 입자가 구형이고 표면조직이 매끄러워 단위수량을 감소시킨다.
     라. 플라이애시는 이산화규소(SiO )의 함유율이 가장 많은 비결정질 재료이다.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플라이애쉬(혼화재):화력발전소에서 석탄을 태운후 나온 부산물.
공구리에 혼합하면 작업성개선,경화열낮춤,장기강도,수밀성향상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플라이애시의 주요 화학성분으로는 SiO2, Al2O3, Fe2O3, CaO, MgO 및 SO3를 포함하는데, 이들 성분 중 실리카(SiO2), 알루미나(Al2O3), 산화철(Fe2O3)의 성분비가 각각 25~60%, 5~25%, 10~30%로서 전 성분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지 8권 4호 <플라이애시 혼합 콘크리트의 내구특성>내용입니다 여기에 따르면 플라이애시 이산화규소 함유량은 최대가 60%인데 실리카흄은 75%, 85% 이고 국제표준이 85%라는 기사가 있었습니다 그러면 1,4번 다 틀린 거 아닐까요?


17. 다음 중 음수에 해당하는 수종은?(2008년 03월)
     가. 낙엽송
     나. 무궁화
     다. 식나무
     라. 해송

     정답 : []
     정답률 : 69%

18. 합판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1년 07월)
     가. 팽창, 수축 등으로 생기는 변형이 크다.
     나. 목재의 완전 이용이 불가능하다.
     다. 제품이 규격화되어 사용에 능률적이다.
     라. 섬유방향에 따라 강도의 차이가 크다.

     정답 : []
     정답률 : 86%

19. 다음 중 환경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친환경적 재료로 개발한 것은?(2015년 04월)
     가. 시멘트
     나. 절연재
     다. 잔디블록
     라. 유리블록

     정답 : []
     정답률 : 89%

20. 목재의 심재와 변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1월)
     가. 심재는 수액의 통로이며 양분의 저장소이다.
     나. 심재의 색깔은 짙으며 변재의 색깔은 비교적 엷다.
     다. 심재는 변재보다 단단하여 강도가 크고 신축 등 변형이 적다.
     라. 변재는 심재 외측과 수피 내측 사이에 있는 생활세포의 집합이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심재 : 목재의 수심 가까이에 우치하고 있는 적갈색 부분을 말하며, 단단하고 내구성이 크다.
변재 : 목재의 표면에 위피한 부분으로 심재보다 비중과 강도 흡수성 추축변형이 크다. 내구성이 작으며 수액의 이동과 양분의 저작 역할을 한다
[해설작성자 : 최은주]

21. 다음 인동과(科) 수종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2014년 10월)
     가. 백당나무는 열매가 적색이다.
     나. 아왜나무는 상록활엽관목이다.
     다. 분꽃나무는 꽃향기가 없다.
     라. 인동덩굴의 열매는 둥글고 6 ~ 8월에 붉게 성숙한다.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분꽃나무는 향기가 무척좋다
[해설작성자 : 모모]

☞ 인동과(科) 수종은 관목이고 덩굴식물, 관상용 식물 등으로 이루어진다.
     -백당나무는 5월 흰색 꽃 개화, 9월에 붉은색 열매
     -아왜나무는 상록활엽교목이다.
     -분꽃나무는 4월에 향기가 진하다.
     -인동덩굴의 열매는 8월에 검은색으로 성숙한다.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22. 겨울철 지상부의 잎이 말라 죽지 않는 지피식물은?(2003년 03월)
     가. 비비추
     나. 맥문동
     다. 옥잠화
     라. 들잔디

     정답 : []
     정답률 : 85%

23. 상록침엽성의 수종에 해당하는 것은?(2009년 07월)
     가. 산딸나무
     나. 낙우송
     다. 비자나무
     라. 동백나무

     정답 : []
     정답률 : 55%

24. 형상수로 이용할 수 있는 수종은?(2012년 04월)
     가. 주목
     나. 명자나무
     다. 단풍나무
     라. 소나무

     정답 : []
     정답률 : 90%

25. 일반적인 목재의 특성 중 장점에 해당되는 것은?(2012년 10월)
     가. 충격, 진동에 대한 저항성이 작다.
     나. 열전도율이 낮다.
     다. 충격의 흡수성이 크고, 건조에 의한 변형이 크다.
     라. 가연성이며 인화점이 낮다.

     정답 : []
     정답률 : 80%

26. 재료가 외력을 받아서 변형을 일으킨 뒤 외력을 제거하면 다시 원형으로 돌아가는 성질은?(2010년 10월)
     가. 소성
     나. 연성
     다. 탄성
     라. 강성

     정답 : []
     정답률 : 87%

27. 다음 그림과 같은 콘크리트 제품의 명칭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2년 10월)

    

     가. 견치블록
     나. 격자블록
     다. 기본블록
     라. 힘줄블록

     정답 : []
     정답률 : 81%

28. 가공은 용이하나 흡수성이 높고, 내수성이 크지만 강도가 높지 못해 건축용으로는 부적당하여 석축 등에 이용하는 석재는?(2009년 03월)
     가. 화강암
     나. 현무암
     다. 응회암
     라. 사문암

     정답 : []
     정답률 : 51%

29. 목재의 장점이라 할 수 있는 것은?(2009년 07월)
     가. 가공하기 쉽고 열전도율이 낮다.
     나. 부패성이 크다.
     다. 부위에 따라 재질이 고르지 못하나 불에는 강하다.
     라. 함수율에 따라 변형되기 쉽다.

     정답 : []
     정답률 : 86%

30. 덩굴로 자라면서 여름(7~8월경)에 아름다운 주황색 꽃이 피는 수종은?(2012년 10월)
     가. 남천
     나. 능소화
     다. 등나무
     라. 홍가시나무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등나무는 5월경 보라색꽃이 핀다
[해설작성자 : 사마사마사]

31. 꽃을 관상하는 나무로만 짝지어진 것은?(2002년 10월)
     가. 박태기나무, 주목, 느티나무
     나. 배롱나무, 동백나무, 백목련
     다. 소나무, 대나무, 산수유
     라. 매화나무, 개나리, 단풍나무

     정답 : []
     정답률 : 86%

32. 표면수를 배수시키기 위해 부지의 둘레나 원로가에 설치하는데 적합한 토관은?(2006년 01월)
     가.
     나.
     다.
     라.

     정답 : []
     정답률 : 58%

33. 벽돌쌓기 방법 중 가장 견고하고 튼튼한 것은?(2012년 07월)
     가. 영국식 쌓기
     나. 미국식 쌓기
     다. 네덜란드식 쌓기
     라. 프랑스식 쌓기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네덜란드식 쌓기가 튼튼한 이유는 모서리부분에 칠오토막을 넣어 시공하므로 모서리 부분이 견고해지기 때문이다.
[해설작성자 : 조경나그네]

영국식이 제일 튼튼하고
네덜란드는 모서리만 튼튼해진다.

34. 폭포나 벽천 등의 마감재로 부적합한 것은?(2003년 10월)
     가. 자연석
     나. 화강암
     다. 유리 섬유강화 프라스틱
     라. 목재

     정답 : []
     정답률 : 85%

35. 가공하지 않은 천연석으로 지름이 10 - 20㎝ 정도의 계란형의 돌은?(2003년 03월)
     가. 모암
     나. 원석
     다. 호박돌
     라. 조약돌

     정답 : []
     정답률 : 47%

36. 다음 [보기]에서 입찰의 순서로 옳은 것은?(2012년 04월)

    

     가. (ㄱ) → (ㄴ) → (ㄷ) → (ㄹ) → (ㅁ) → ㉥
     나. (ㄱ) → (ㅁ) → (ㄴ) → ㉥ → (ㄷ) → (ㄹ)
     다. (ㄱ) → (ㄴ) → ㉥ → (ㄷ) → (ㄹ) → (ㅁ)
     라. (ㅁ) → ㉥ → (ㄱ) → (ㄴ) → (ㄷ) → (ㄹ)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입찰공고=>현장설명=>입찰=>개찰=>낙찰=>계약
[해설작성자 : 마음은청춘]

37. 수목의 전정작업 요령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10월)
     가. 상부는 가볍게, 하부는 강하게 한다.
     나. 우선 나무의 정상부로부터 주지의 전정을 실시한다.
     다. 전정작업을 하기 전 나무의 수형을 살펴 이루어질 가지의 배치를 염두에 둔다.
     라. 주지의 전정은 주간에 대해서 사방으로 고르게 굵은가지를 배치하는 동시에 상하(上下)로도 적당한 간격으로 자리잡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38. 다음 중 보통분으로 뿌리분을 뜨고자 할 때 A부분의 적당한 크기는?(2006년 01월)

    

     가. 1/4d
     나. d
     다. 2d
     라. 1/2d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1)보통분(일반수종)            분의크기 4D    분의깊이 3D
2)조개분(심근성수종)                "                                 4D (느티나무,소나무,회화나무,주목 등)
3)접시분(천근성수종)                "                                 2D (자작나무,미루나무,편백 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9. 다음 중 일반적으로 전정시 제거해야 하는 가지가 아닌 것은?(2013년 10월)
     가. 도장한 가지
     나. 바퀴살 가지
     다. 얽힌 가지
     라. 주지(主枝)

     정답 :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일반적으로 제거해야 하는 가지는 도장지, 역지, 평행지, 하향지, 상향지, 얽힌가지, 바퀴살가지, 옴돋은 가지이다.
[해설작성자 : 합격한다]

40. 수목을 이식하려고 굴취 할 경우에 뿌리분(盆)의 크기는 어느 정도가 가장 적합한가?(2009년 07월)
     가. 근원직경의 4배
     나. 흉고직경의 4배
     다. 근원직경의 1/4배
     라. 수고의 1/10배

     정답 : []
     정답률 : 88%

41. 축적이 1/5000인 지도상에서 구한 수평 면적이 5cm2라면 지상에서의 실제면적은 얼마인가?(2014년 01월)
     가. 1250m2
     나. 12500m2
     다. 2500m2
     라. 25000m2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실제면적 = 도상면적 × 축적제곱
             = 0.0005m제곱 × 5,000제곱
(10,000cm제곱 = 1m제곱이기 때문입니다.)
[해설작성자 : 10년]

실제면적 = 지도상 면적 × 축척제곱 = 5cm2 × 5,000 × 5,000 = 0.0005m2 × 25,000,000 = 125,000,000cm2 = 12,500m2 (10,000cm2 = 1m2)
[해설작성자 : 현아]

가로,세로를 a,b라고하면
(a÷5,000)×(b÷5,000)=5cm2
ab=5,000×5,000×5cm2 = 125,000,000cm2
    =12,500m2
[해설작성자 : 나무사랑]

42. 벽돌의 크기는 190mm × 90mm × 57mm 이다. 벽돌 줄눈의 두께를 10mm로 할 때, 표준형 시멘트 벽돌벽 1.5B의 두께로 가장 적합한 것은?(2007년 09월)
     가. 170mm
     나. 270mm
     다. 290mm
     라. 330mm

     정답 : []
     정답률 : 82%

43. 동계전정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2년 01월)
     가. 낙엽수는 휴면기에 실시하므로 전정을 하여도 나무에 별 피해가 없다.
     나. 제거대상가지를 발견하기 쉽고 작업도 용이하다.
     다. 12 - 3월에 실시한다.
     라. 상록수는 동계에 강전정하는 것이 가장 좋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동계전정 (12~3월)
낙엽수는 휴면 중이라 전정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병해충 피해가지 발견이 쉽다.
낙엽수는 회복이 늦다, 상록수는 봄과 가을에 전정함
상록수는 추위에 약하기 때문에 강전정을 피한다.
[해설작성자 : 쭈야]

44. 다음 중 등고선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2015년 07월)
     가. 지표의 경사가 급할수록 등고선 간격이 넓어진다.
     나. 같은 등고선 위의 모든 점은 높이가 서로 다르다.
     다. 등고선은 지표의 최대 경사선의 방향과 직교하지 않는다.
     라. 높이가 다른 두 등고선은 동굴이나 절벽의 지형이 아닌 곳에서는 교차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1. 지표의 경사가 급할수록 등고선 간격은 좁아짐
2. 같은 등고선 위의 모든 점은 높이가 서로 같음
3. 등고선은 지표의 최대 경사선의 방향과 직교함
[해설작성자 : 김지용]

45. 다음 중 화단의 꽃 심기 작업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2월)
     가. 바람이 없고 흐린 날 심는다.
     나. 비교적 큰 면적의 화단은 중심부에서 바깥쪽으로 심어 나간다.
     다. 식재한 화초에 그늘이 지도록 작업자는 태양을 등지고 심어 나간다.
     라. 묘를 심은 다음 발로 꼭 밟아준다.

     정답 : []
     정답률 : 69%

46. 다음 중 한발이 계속될 때 짚 깔기나 물주기를 제일 먼저 해야 될 나무는?(2012년 07월)
     가. 소나무
     나. 향나무
     다. 가중나무
     라. 낙우송

     정답 : []
     정답률 : 58%

47. 바다를 매립한 공업단지에서 토양의 염분함량이 많을 때는 토양 염분을 몇 % 이하로 용탈시킨 다음 식재하는가?(2007년 04월)
     가. 0.08
     나. 0.02
     다. 0.1
     라. 0.3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번 보기가 0.05인데 오타인듯 싶습니다.
[해설작성자 : 10년]

식물생육에미치는 염분의 한계농도:
채소류 : 0.04%
수목     : 0.05%
잔디     : 0.1%
[해설작성자 : 청솔모]

48. 잠복소를 설치하는 목적에 가장 적당한 설명은 어느것인가?(2005년 04월)
     가. 동해의 방지를 위해
     나. 월동 벌레를 유인하여 봄에 태우기 위해
     다. 겨울의 가뭄 피해를 막기 위해
     라. 동해나 나무생육 조절을 위해

     정답 : []
     정답률 : 84%

49. 가로수는 차도 가장자리에서 얼마정도 떨어진 곳에 심는 것이 가장 좋은가?(2004년 10월)
     가. 10 cm
     나. 20 - 30 cm
     다. 40 - 50 cm
     라. 60 - 70 cm

     정답 : []
     정답률 : 65%

50. 한중(寒中) 콘크리트는 기온이 얼마일 때 사용하는가?(2004년 02월)
     가. -1℃ 이하
     나. 4℃ 이하
     다. 25℃ 이하
     라. 30℃ 이하

     정답 : []
     정답률 : 79%

51. 목재 시설물에 대한 특징 및 관리 등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1월)
     가. 감촉이 좋고 외관이 아름답다.
     나. 철재보다 부패하기 쉽고 잘 갈라진다.
     다. 정기적인 보수와 칠을 해 주어야 한다.
     라. 저온 때 충격에 의한 파손이 우려된다.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목재는 온도에 의한 변화가 크지 않다.
[해설작성자 : 루미달콩]

52. 주택정원을 공사할 때 어느 공종을 가장 먼저 실시하여야 하는가?(2009년 07월)
     가. 돌쌓기
     나. 콘크리트 치기
     다. 터닦기
     라. 나무심기

     정답 : []
     정답률 : 92%

53. 도시공원의 식물 관리비 계산시 산출근거와 관련이 없는 것은?(2014년 10월)
     가. 식물의 수량
     나. 식물의 품종
     다. 작업률
     라. 작업회수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 도시공원의 식물관리비
     =식물의 수량x작업률x작업횟수x작업단가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54. 다음〔보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암거배치 방법은?(2014년 04월)

    

     가. 빗살형
     나. 부채살형
     다. 어골형
     라. 자연형

     정답 : []
     정답률 : 84%

55. 벽돌(190×90×57)을 이용하여 경계부의 담장을 쌓으려고 한다. 시공면적 10m2에 1.5B 두께로 시공할 때 약 몇 장의 벽돌이 필요한가? (단, 줄눈은 10mm이고, 할증률은 무시한다.)(2015년 07월)
     가. 약 750장
     나. 약 1490장
     다. 약 2240장
     라. 약 2980장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1.0B(149장), 1.5B(224장), 2.0B(298장)
시공면적(10)X 1.5(224장)= 2240장
[해설작성자 : 김지용]

이런류의 문제는 벽돌 1장의 면적을 구하는것이 젤일 좋습니다.
1장은 몰탈까지 0.2x0.67=0.134
10(1평방미터)/0.134=74.6장 여기서 1.5B는 3장소요
74.6X3=224장 그래서 224X10=2240장 입니다.
1장의 면적을 알면 쉽게 개산 할 수 있어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장은 몰탈포함하여 0.2*0.067=.0134
1제곱미터/0.0134=74.6장
[해설작성자 : 숲생태]

1m2 당 벽돌의 소요매수
                                                                         0.5B    1.0B    1.5B    2.0B
기본형(210 x 100 x 60)    65        130        195     260
표준형(190 x 90 x 57)        75        149        224     298
그러므로, 표준형 224장 x 10m2 = 2,240장
[해설작성자 : 루미달콩]

56. 잔디의 잎에 황갈색의 얼룩점이 생겨 큰 잔디밭에 퍼지는 병으로 잔디밭의 미관을 나쁘게 하지만 죽지는 않는다. 이 병의 병명을 무엇이라고 하는가?(2004년 10월)
     가. 붉은 녹병
     나. 그을음병
     다. 흰가루병
     라. 탄저병

     정답 : []
     정답률 : 82%

57. 수피가 얇아서 겨울에 얼어 터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새끼 감기를 해 주는 것이 다른 수종들 보다 좋은 수종들로만 짝지어진 것은?(2008년 03월)
     가. 단풍나무, 배롱나무
     나. 은행나무, 매화나무
     다. 라일락, 층층나무
     라. 꽃아그배나무, 산딸나무

     정답 : []
     정답률 : 80%

58. 지주 세우기에서 일반적으로 대형의 나무에 적용하며 경관적 가치가 요구되는 곳에 설치하는 지주 이름은?(2003년 10월)
     가. 이각형
     나. 삼발이형
     다. 삼각 및 사각지주
     라. 당김줄형

     정답 : []
     정답률 : 81%

59. 다음 중 수목의 굵은 가지치기 요령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6년 01월)
     가. 잘라낼 부위는 가지의 밑둥으로부터 10~15cm 부위를 위에서부터 밑까지 내리 자른다.
     나. 잘라낼 부위는 아래쪽에 가지굵기의 1/3정도 깊이 까지 톱자국을 먼저 만들어 놓는다.
     다. 톱을 돌려 아래쪽에 만들어 놓은 상처보다 약간 높은 곳을 위로부터 내리 자른다.
     라. 톱으로 자른 자리의 거친 면은 손칼로 깨끗이 다듬는다.

     정답 : []
     정답률 : 64%

60. 다음 중 호박돌 쌓기에 이용되는 쌓기의 방법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2005년 01월)
     가. 견치석 쌓기
     나. 줄눈 어긋나게 쌓기
     다. 이음매 경사지게 쌓기
     라. 평석 쌓기

     정답 : []
     정답률 : 75%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조경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4154796)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조경기능사, 조경, 기출문제, 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249 공유압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7708212) 좋은아빠되기 2025.11.24 5
7248 9급 국가직 공무원 과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4월1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4 3
7247 굴착기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7월15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4 4
7246 화공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8월1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4 3
7245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한국사(유공자)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1004120) 좋은아빠되기 2025.11.24 4
7244 9급 국가직 공무원 노동법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7769718) 좋은아빠되기 2025.11.24 3
7243 9급 지방직 공무원 과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215366) 좋은아빠되기 2025.11.24 4
7242 자연생태복원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5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4 3
7241 9급 국가직 공무원 공업화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7월1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4 4
7240 9급 지방직 공무원 지적측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12월1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4 3
7239 경비지도사 2차(기계경비기획및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11월1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4 3
7238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8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4 4
7237 9급 지방직 공무원 지적측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4 2
7236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조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6376638) 좋은아빠되기 2025.11.24 4
7235 수능(지구과학I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4월1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4 3
7234 임산가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4월14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4 4
7233 화약류관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2116374)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7232 농업기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05월2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4 4
7231 비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11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4 3
7230 축로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4월03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4 3
Board Pagination Prev 1 ... 468 469 470 471 472 473 474 475 476 477 ... 835 Next
/ 8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