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산업보건지도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4574886)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산업보건지도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산업안전보건법령


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근로를 금지시켜야 하는 사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03월)
     1. 정신분열증에 걸린 사람
     2. 감압증에 걸린 사람
     3. 폐 질환이 있는 사람으로서 근로에 의하여 병세가 악화될 우려가 있는 사람
     4. 심장 질환이 있는 사람으로서 근로에 의하여 병세가 악화될 우려가 있는 사람
     5. 신장 질환이 있는 사람으로서 근로에 의하여 병세가 악화될 우려가 있는 사람

     정답 : []
     정답률 : 80%

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대여자 등이 안전조치 등을 해야 하는 기계ㆍ기구ㆍ설비 및 건축물 등’에 규정되어 있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단,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기계ㆍ기구ㆍ설비 및 건축물 등은 고려하지 않음)(2022년 03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ㄹ
     4. ㄱ, ㄷ, ㄹ
     5.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산업용로봇 : 자율안전확인대상기계등, 압력용기 : 안전인증대상기계등
대여자 등이 안전조치를 시행해야하는 인증대상기계기구는 다음과 같다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 74조(안전인증대상기계 기구 등)
사무실 및 공장용 건물, 이동식 크레인, 타워크레인, 불도저, 모터그레이더, 로더, 스크레이퍼, 스크레이퍼 도저, 파워셔블, 드래그라인, 클램셸, 버킷굴착기, 트렌치, 항타기, 항발기, 어스드릴, 어스오거, 천공기, 페이퍼드레인머신, 리프트, 지게차, 롤러기, 콘크리트 펌프, 고소작업대
[해설작성자 : 태*건설망해라]

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주가 근로자에 대하여 실시하는 안전ㆍ보건교육의 교육대상, 교육과정 및 교육시간의 조합으로 옳은 것은?(2014년 04월)
     1. 일용근로자를 제외한 근로자에 대한 작업내용변경 시의 교육 - 2시간 이상
     2. 밀폐공간에서의 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에 대한 특별안전ㆍ보건교육 - 8시간 이상
     3. 건설 일용근로자에 대한 건설업 기초안전ㆍ보건교육 - 2시간
     4. 관리감독자의 지위에 있는 사람에 대한 정기교육 - 연간 12시간 이상
     5. 판매업무에 직접 종사하는 근로자에 대한 정기교육 - 매분기 2시간 이상

     정답 : []
     정답률 : 70%

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에 대한 직무교육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4월)
     1. 보건관리자가 의사인 경우는 선임된 후 1년 이내에 직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신규교육을 받아야 한다.
     2. 안전보건관리책임자로 선임된 자는 6개월 이내에 직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신규교육을 받아야 한다.
     3. 안전관리자로 선임된 자는 신규교육을 이수한 후 매 2년이 되는 날을 기준으로 전후 6개월 사이에 고용노동부장관이 실시하는 안전ㆍ보건에 관한 보수교육을 받아야 한다.
     4. 기업활동 규제완화에 관한 특별조치법에 따라 안전관리자로 채용된 것으로 보는 사람은 신규교육이 면제된다.
     5. 직무교육기관의 장은 직무교육을 실시하기 10일 전까지 교육 일시 및 장소 등을 직무교육 대상자에게 알려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5.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건설업체의 산업재해발생률 산출 계산식상 사업주의법 위반으로 인한 것이 아니라고 인정되는 재해에 의한 사고사망자로서 '사고사망자 수' 산정에서 제외되는 경우를 모두 고른 것은?(2023년 04월)

   

     1. ㄱ, ㄷ
     2. ㄴ, ㄹ
     3. ㄱ, ㄴ, ㄷ
     4. ㄱ, ㄴ,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 작업과 관련 없는제 3자 과실에 의한 경우
도 포함하여 사고사망자 수 산정에서 제외 됨.

공사, 사업과 관련 없으면 산정에서 제외 됨.    
[해설작성자 : hlong]

6.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 통로 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사업주는 계단 및 승강구 바닥을 구멍이 있는 재료로 만드는 경우 렌치나 그 밖의 공구 등이 낙하할 위험이 없는 구조로 하여야 한다.
     2. 사업주는 급유용ㆍ보수용ㆍ비상용 계단 및 나선형 계단을 설치하는 경우 그 폭을 1미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3. 사업주는 높이가 3미터를 초과하는 계단에 높이 3미터 이내마다 너비 1.2미터 이상의 계단참을 설치하여야 한다.
     4. 사업주는 갱내에 설치한 통로 또는 사다리식 통로에 권상장치(卷上裝置)가 설치된 경우 권상장치와 근로자의 접촉에 의한 위험이 있는 장소에 판자벽이나 그 밖에 위험 방지를 위한 격벽(隔壁)을 설치하여야 한다.
     5. 사업주는 높이 1미터 이상인 계단의 개방된 측면에 안전난간을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6%

7.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작업중지 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4월)
     1. 사업주는 산업재해가 발생할 급박한 위험이 있을 때 또는 중대재해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즉시 작업을 중지시키고 근로자를 작업장소로부터 대피시키는 등 필요한 안전ㆍ보건상의 조치를 한 후 작업을 다시 시작하여야 한다.
     2. 근로자는 산업재해가 발생할 급박한 위험으로 인하여 작업을 중지하고 대피하였을 때에는 사태가 안정된 후에 그 사실을 위 상급자에게 보고하는 등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3. 사업주는 산업재해가 발생할 급박한 위험이 있다고 믿을 만한 합리적인 근거가 있을 때에는 산업안전보건법의 규정에 따라 작업을 중지하고 대피한 근로자에 대하여 이를 이유로 해고나 그 밖의 불리한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4. 고용노동부장관은 중대재해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그 원인 규명 또는 예방대책 수립을 위하여 중대재해 발생원인을 조사하고, 근로감독관과 관계 전문가로 하여금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안전ㆍ보건진단이나 그 밖에 필요한 조치를 하도록 할 수 있다.
     5. 누구든지 중대재해 발생현장을 훼손하여 중대재해 발생의 원인조사를 방해하여서는 아니 된다.

     정답 : []
     정답률 : 78%

8.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인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2년 03월)
     1. 안전인증 심사 중 유해ㆍ위험기계등이 서면심사 내용과 일치하는지와 유해ㆍ위험기계등의 안전에 관한 성능이 안전인증기준에 적합한지에 대한 심사는 기술능력 및 생산체계 심사에 해당한다.
     2.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안전인증을 받은 사유로 안전인증이 취소된 자는 안전인증이 취소된 날부터 3년 이내에는 취소된 유해ㆍ위험기계등에 대하여 안전인증을 신청할 수 없다.
     3. 크레인, 리프트, 곤돌라는 설치ㆍ이전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주요 구조 부분을 변경하는 경우에도 안전인증을 받아야 한다.
     4. 안전인증기관은 안전인증을 받은 자가 최근 2년 동안 안전인증표시의 사용금지를 받은 사실이 없는 경우에는 안전인증기준을 지키고 있는지를 3년에 1회이상 확인해야 한다.
     5. 안전인증대상기계등이 아닌 유해ㆍ위험기계등을 제조하는 자는 그 유해ㆍ위험 기계등의 안전에 관한 성능을 평가받기 위하여 고용노동부장관에게 안전인증을 신청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60%

9.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물질안전보건자료 및 경고표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04월)
     1. 대상화학물질을 양도하거나 제공하는 자는 물질안전보건자료 제공의무가 없다.
     2. 약사법에 따른 의약품은 물질안전보건자료의 작성 대상이다.
     3. 탱크로리, 파이프라인에 의하여 대상화학물질을 양도하거나 제공하는 경우에는 경고표시 기재 항목을 적은 자료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
     4. 사업주는 새로운 대상화학물질이 도입된 경우 근로자에게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교육을 매번 실시할 필요가 없다.
     5. 사업주는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교육을 할 때 유해성ㆍ위험성이 유사한 대상 화학물질을 그룹별로 분류하여 교육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0%

10.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인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3월)
     1. 연구ㆍ개발을 목적으로 안전인증대상 기계ㆍ기구등을 제조하는 경우에도 안전인증을 받아야 한다.
     2. 고용노동부장관은 안전인증을 받은 자가 안전인증기준을 지키고 있는지를 5년을 주기로 확인하여야 한다.
     3. 곤돌라를 설치ㆍ이전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주요 구조 부분을 변경하는 경우 에도 안전인증을 받아야 한다.
     4. 서면심사와 기술능력 및 생산체계 심사 결과가 안전인증기준에 적합할 경우에 유해ㆍ위험한 기계ㆍ기구ㆍ설비등의 표본을 추출하여 하는 심사를 개별 제품심사라고 한다.
     5. 예비심사의 경우 안전인증 신청서를 제출받은 안전인증기관은 7일 이내에 심사하여야 하며 부득이한 사유가 있을 때에는 15일의 범위에서 심사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81%

1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도급인인 사업주가 작업장의 안전ㆍ보건조치 등을 위하여 2일에 1회 이상 순회점검하여야 하는 사업을 모두 고른 것은?(2017년 03월)

    

     1. ㄱ, ㄴ, ㅁ
     2. ㄱ, ㄷ, ㄹ
     3. ㄴ, ㄷ, ㅁ
     4. ㄱ, ㄴ, ㄷ, ㄹ
     5. ㄱ, ㄷ, ㄹ, ㅁ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건설 제조 토사석 출판업 오디오물출판업 금속 비금속 재생업 2일에 1번
그 외는 1주일 1번
[해설작성자 : 지도사지망생]

1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다음 ( ) 안에 들어갈 숫자를 순서대로 배열한 것은?(2014년 04월)

    

     1. 2, 75, 2
     2. 2, 80, 3
     3. 2, 85, 2
     4. 3, 80, 3
     5. 3, 85, 2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규칙 제 190조 2항
1. 작업공정 내 소음의 작업환경측정 결과가 최근 2회 연속 85dB 미만인 경우
2. 작업공정 내 소음 이외의 다른 모든 인자의 작업환경측정 결과가 최근 2회 연속 노출기준 미만인 경우
[해설작성자 : sophieK]

13.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 밀폐공간 내 작업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04월)
     1. “산소결핍”이란 공기 중의 산소농도가 18퍼센트 미만인 상태를 말한다.
     2. 밀폐공간 보건작업 프로그램에는 작업시작 전ㆍ후 공기상태가 적정한지를 확인 하기 위한 측정ㆍ평가, 방독마스크의 착용과 관리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3. 근로자가 밀폐공간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 밀폐공간 보건작업 프로그램을수립하여 시행하여야 하는 주체는 보건관리자 선임의무가 있는 사업주에 한한다.
     4. 사업주는 근로자가 밀폐공간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 상시 작업상황을 감시할 수 있는 감시인을 지정하여 밀폐공간 내부에 배치하여야 한다.
     5. 사업주는 밀폐공간에 종사하는 근로자에 대하여 응급처치 등 긴급 구조훈련을 1년에 1회 이상 주기적으로 실시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1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불도저를 대여 받는 자가 그가 사용하는 근로자가 아닌 사람에게 불도저를 조작하도록 하는 경우 조작하는 사람에게 주지시켜야 할 사항으로 명시되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작업의 내용
     2. 지휘계통
     3. 연락ㆍ신호 등의 방법
     4. 제한속도
     5. 면허의 갱신

     정답 :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기계 등을 대여받는 자의 조치
작업의 내용, 지휘계통, 연락 및 신호등 통신 방법, 운행경로, 제한 속도, 그밖에 해당 기계 등의 운행에 관한 사항
[해설작성자 : 둔둔]

15.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설치ㆍ이전하는 경우 안전인증을 받아야 하는 기계ㆍ기구에 해당하는 것은?(2019년 03월)
     1. 프레스
     2. 곤돌라
     3. 롤러기
     4. 사출성형기(射出成形機)
     5. 기계톱 -프레스 롤러기, 사출성형기, 기계톱 : 부분변경시 안전인증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크레인, 리프트, 곤돌라
[해설작성자 : 둔둔]

1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에 대한 직무교육 중 신규교육이 면제되는 사람에 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숫자로 옳은 것은?(2023년 04월)

    

     1. ㄱ: 2, ㄴ: 200
     2. ㄱ: 2, ㄴ: 300
     3. ㄱ: 3, ㄴ: 200
     4. ㄱ: 3, ㄴ: 300
     5. ㄱ: 5, ㄴ: 200

     정답 :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시행령 별표4
6. 「고등교육법」에 따른 이공계 전문대학 또는 이와 같은 수준 이상의 학교에서 학위를 취득하고, 해당 사업의 관리감독자로서의 업무(건설업의 경우는 시공실무경력)를 3년(4년제 이공계 대학 학위 취득자는 1년) 이상 담당한 후 고용노동부장관이 지정하는 기관이 실시하는 교육(1998년 12월 31일까지의 교육만 해당한다)을 받고 정해진 시험에 합격한 사람. 다만, 관리감독자로 종사한 사업과 같은 업종(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른 대분류를 기준으로 한다)의 사업장이면서, 건설업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상시근로자 300명 미만인 사업장에서만 안전관리자가 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7.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보건관리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3월)
     1. 상시근로자 300명 이상을 사용하는 사업장의 사업주는 보건관리자에게 그 업무만을 전담하도록 하여야 한다.
     2. 안전인증대상기계등과 자율안전확인대상기계등 중 보건과 관련된 보호구(保護具) 구입 시 적격품 선정에 관한 보좌 및 지도ㆍ조언은 보건관리자의 업무에 해당한다.
     3. 외딴곳으로서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는 지역에 있는 사업장의 사업주는 보건관리전문기관에 보건관리자의 업무를 위탁할 수 있다.
     4. 보건관리자의 업무를 위탁할 수 있는 보건관리전문기관은 지역별 보건관리전문기관과 업종별ㆍ유해인자별 보건관리전문기관으로 구분한다.
     5. 「의료법」에 따른 간호사는 보건관리자가 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의료법」에 따른 간호사는 보건관리자가 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애옹]

18.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건강 및 환경 유해성 분류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입 또는 피부를 통하여 1회 투여 또는 8시간 이내에 여러 차례로 나누어 투여하거나 호흡기를 통하여 8시간 동안 흡입하는 경우 유해한 영향을 일으키는물질은 급성 독성 물질이다.
     2. 접촉 시 피부조직을 파괴하거나 자극을 일으키는 물질은 피부 부식성 또는 자극성 물질이다.
     3. 호흡기를 통하여 흡입되는 경우 기도에 과민반응을 일으키는 물질은 호흡기과민성 물질이다.
     4. 자손에게 유전될 수 있는 사람의 생식세포에 돌연변이를 일으킬 수 있는 물질은 생식세포 변이원성 물질이다.
     5. 단기간 또는 장기간의 노출로 수생생물에 유해한 영향을 일으키는 물질은 수생 환경 유해성 물질이다.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급성 독성 물질: 입 또는 피부를 통하여 1회 투여 또는 24시간 이내에 여러차례로 나누어 투여하거나 호흡기를 통하여 4시간 동안 흡입하는 경우 유해한 영향을 일으키는 물질
[해설작성자 : 둔둔]

19.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고용노동부장관이 작업환경측정기관에 대하여 그 지정을 취소하거나 6개월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그 업무의 정지를 명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2020년 07월)
     1. 작업환경측정 관련 서류를 거짓으로 작성한 경우
     2. 정당한 사유 없이 작업환경측정 업무를 거부한 경우
     3. 위탁받은 작업환경측정 업무에 차질을 일으킨 경우
     4. 작업환경측정 업무와 관련된 비치서류를 보존하지 않은 경우
     5. 고용노동부장관이 실시하는 작업환경측정기관의 측정ㆍ분석능력 확인을 6개월 동안 받지 않은 경우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고용노동부장관이 실시하는 작업환경측정기관의 측정ㆍ분석능력 확인을 1년 이상 받지 않거나 작업환경측정기관의 측정,분석 능력 확인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은경우
[해설작성자 : 둔둔]

20.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관리자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4월)
     1. 같은 사업주가 경영하는 둘 이상의 사업장이 같은 시ㆍ군ㆍ자치구 지역에 소재하는 경우에도 사업장마다 각각 안전관리자를 두어야 한다.
     2. 건설업의 경우 공사금액 120억원(토목공사업에 속하는 공사는 150억원) 이상인 사업장에는 해당 사업장에서 안전관리자의 업무만을 전담하는 안전관리자를 두어야 한다.
     3. 지방고용노동관서의 장은 중대재해가 연간 2건 발생한 경우 사업주에게 안전관리자를 정수 이상으로 증원할 것을 명할 수 있다.
     4. 상시 근로자 300명 미만을 사용하는 건설업은 안전관리자의 업무를 안전관리전문기관에 위탁할 수 있다.
     5. 사업주는 안전관리자를 선임한 경우 선임한 날부터 30일 이내에 고용노동부장관에게 증명할 수 있는 서류를 제출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2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주는 일정한 질병이 있는 근로자를 고기압 업무에 종사하도록 하여서는 아니 된다. 이 질병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5년 04월)
     1. 빈혈증
     2. 메니에르씨병
     3.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구순포진
     4. 관절염
     5. 천식

     정답 : []
     정답률 : 80%

2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관리규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4월)
     1.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작성하여야 할 경우 소방ㆍ가스ㆍ전기ㆍ교통 분야 등의 다른 법령에서 정하는 안전관리에 관한 규정과 별도로 작성하여야 한다.
     2. 안전보건관리규정은 해당 사업장에 적용되는 단체협약 및 취업규칙에 우선한다.
     3. 사업주는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작성하여야 할 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60일 이내에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작성하여야 한다.
     4. 사업주가 안전보건관리규정을 변경할 때에 산업안전보건위원회가 설치되어 있지 아니한 사업장의 경우에는 근로자대표에게 통보하면 된다.
     5. 안전보건관리규정에는 사고 조사 및 대책 수립에 관한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2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관리규정의 작성 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3월)
     1.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작성하여야 할 사업의 사업주는 안전보건관리규정을 변경할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그 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60일 이내에 안전보건관리규정을 변경하여야 한다.
     2. 농업의 경우 상시 근로자 100명 이상을 사용하는 사업장에는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작성하여야 한다.
     3. 사업주가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작성하는 경우에는 소방ㆍ가스ㆍ전기ㆍ교통분야 등의 다른 법령에서 정하는 안전관리에 관한 규정과 통합하여 작성할 수 없다.
     4. 사업주는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작성하거나 변경할 때에는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심의ㆍ의결을 거쳐야 하며, 산업안전보건위원회가 설치되어 있지 아니한 사업장의 경우에는 근로자대표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5. 해당 사업장에 적용되는 단체협약 및 취업규칙은 안전보건관리규정에 반할 수 없으며, 단체협약 또는 취업규칙 중 안전보건관리규정에 반하는 부분에 관하여는 안전보건관리규정으로 정한 기준에 따른다.

     정답 : []
     정답률 : 67%

2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징역 또는 벌금에 처해질 수 있는 자는?(2022년 03월)
     1. 작업환경측정 결과를 해당 작업장 근로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사업주
     2. 등록하지 아니하고 타워크레인을 설치ㆍ해체한 자
     3. 석면이 포함된 건축물이나 설비를 철거하거나 해체하면서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석면해체ㆍ제거의 작업기준을 준수하지 아니한 자
     4. 역학조사 참석이 허용된 사람의 역학조사 참석을 방해한 자
     5. 물질안전보건자료대상물질을 양도하면서 이를 양도받는 자에게 물질안전보건 자료를 제공하지 아니한 자

     정답 : []
     정답률 : 54%

25.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건강관리수첩 발급대상 업무 및 대상요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7년 03월)
     1. 니켈 또는 그 화합물을 광석으로부터 추출하여 제조하거나 취급하는 업무에 5년이상 종사한 사람
     2. 염화비닐을 제조하거나 사용하는 석유화학설비를 유지ㆍ보수하는 업무에 4년 이상 종사한 사람
     3. 비파괴검사 업무에 3년 이상 종사한 사람
     4. 석면 또는 석면방직제품을 제조하는 업무에 3개월 이상 종사한 사람
     5. 비스-(클로로메틸)에테르를 제조하거나 취급하는 업무에 3년 이상 종사한 사람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3. 1년이상 or 노출량 20 mSV이상

2과목 : 산업보건일반


26. 고용노동부 고시에서 규정하는 “용접흄 및 분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3월)
     1. 시간가중평균(TWA) 노출기준은 5 mg/m3 이며, 여과재를 이용해 시료를 채취해야 한다.
     2. 용접보안면 착용 시 내부에서 시료를 채취하고, 중량분석법과 GC-FID로 분석한다.
     3. 시간가중평균(TWA) 노출기준이 설정된 물질로 1일 작업시간 동안 6시간 이상 연속 측정을 한다.
     4. 발암성에 대해 사람이나 동물에 제한된 증거가 있으나, 구분 1로 분류하기에는 증거가 충분하지 않다.
     5. 1일 작업시간이 8시간 초과 시 보정노출기준을 산출해 측정값과 비교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7. 비가역적(irreversible)인 건강상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4년 03월)
     1. 인체의 방어기전에 의해 다시 회복할 수 있는 상태이다.
     2. 과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유해인자에 대한 양, 정도, 중요성, 상태를 근거로 노출의 타당성을 결정하는 것이다.
     3. 유해인자에 노출되면 일시적인 불쾌감과 작업능률 저하가 일어난다.
     4. 다시 회복할 수 없는 건강상태로서 인체의 조직이나 기관에 기능상 장해가 일어난 경우이다.
     5. 유해인자 노출에 대하여 적응할 수 있는 항상성 유지 단계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8. 고용노동부 고시에 따라 원자흡광광도법(AAS)으로 분석할 수 있는 유해인자 중 외부 작업환경전문연구기관 등에 시료분석을 위탁할 수 있는 유해인자로 옳은 것은?(2023년 04월)
     1. 구리
     2. 수산화나트륨
     3. 산화마그네슘
     4. 산화아연
     5. 주석

     정답 : []
     정답률 : 18%
     <문제 해설>
제43조(측정시료의 분석의뢰) ① 규칙 제192조제1항에 따른 사업장 위탁측정기관 또는 사업장 자체측정기관은 다음 각호의 경우에 해당 측정시료를 분석할 수 있는 분석장비 등을 갖춘 다른 사업장 위탁측정기관이나 작업환경전문연구기관(이하 "분석수탁기관”이라 한다) 등에 시료의 분석을 위탁할 수 있다.
    1. 가스크로마토그래피-불꽃이온화검출기(GC-FID)로 분석하기 어려운 유해인자를 측정한 경우
    2. 원자흡광광도계-불꽃원자화장치(AAS-flame)로 분석하기 어렵거나 분석빈도가 낮은 유해인자를 측정한 경우
        (별표 3의 유해인자를 제외한다)
     별표3. 원자흡광도법으로 분석할 수 있는 유해인자
                    구리, 납, 니켈, 크롬, 망간, 산화마크네슘, 산화아연, 산화철, 수산화나트륨, 카드뮴
     별표3은 의뢰대상에서 제외되므로 답은 주석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9. 작업환경측정 시 관련 절차별로 다음과 같이 오차 값이 추정될 때, 누적오차(cumulative error) 값은 약 얼마인가?(2019년 03월)

    

     1. 3.6 %
     2. 12.6 %
     3. 23.4 %
     4. 29.7 %
     5. 45.9 %

     정답 : []
     정답률 : 42%

30. 소음노출량계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소음에 노출되는 근로자의 8시간 소음노출량을 측정하면 몇 %가 되겠는가? (단, Threshold=80dB, Criteria=90dB, Exchange rate=5dB)(2014년 04월)

    

     1. 75
     2. 100
     3. 125
     4. 150
     5. 175

     정답 : []
     정답률 : 36%

31. 고온의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조리흄(emissions from high-temperature frying)에 관한 국제암연구소(IARC)의 분류로 옳은 것은?(2024년 03월)
     1. Group 1(carcinogenic to humans)
     2. Group 2A(probably carcinogenic to humans)
     3. Group 2B(possibly carcinogenic to humans)
     4. Group 1(not classifiable as to its carcinogenicity to humans)
     5. Group 4(carcinogenic to animals)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2. 60℃, 1기압인 탈지조에서 TCE(분자량 131.4, 비중 1.466) 2L를 사용하였다. 공기 중으로 모두 증발하였다고 가정할 때, 발생한 증기량(m3)은 약 얼마인가?(2022년 03월)
     1. 0.34
     2. 0.50
     3. 0.54
     4. 0.61
     5. 0.82

     정답 : []
     정답률 : 34%

33. 근로자건강진단 실무지침에 따른 생물학적 노출지표의 검사방법으로 옳은 것은?(2025년 03월)
     1. 일산화탄소의 1차 생물학적 노출지표는 작업 종료 후 10~15분 이내 마지막 호기를 채취하여 일산화탄소 측정기로 분석한다,
     2. 납 및 그 무기화합물의 1차 생물학적 노출지표는 혈액 내 납 농도를 기준으로 하며, AAS로 분석한다.
     3. 메탄올의 1차 생물학적 노출지표는 소변을 이용하여 평가하며, 작업 종료 시 채취한 시료를 HS GC-FID로 분석한다.
     4. 1,2-디클로로프로판의 2차 생물학적 노출지표는 소변을 이용하여 평가하며, 작업 종료 시 채취한 시료를 GC-MSD로 분석한다.
     5. 톨루엔의 2차 생물학적 노출지표는 소변을 이용하여 평가하며, 작업 종료 시 채취한 시료를 HS GC-FID로 분석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4. 다음에 해당하는 중금속은?(2019년 03월)

    

     1.
     2. 크롬
     3. 카드뮴
     4. 수은
     5. 망간

     정답 : []
     정답률 : 43%

35. 원심형 송풍기(centrifugal fan)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5년 03월)
     1. Sirocco fan
     2. Air foil fan
     3. Turbo fan
     4. Radial fan
     5. Axial fan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6. 소음의 특수건강진단 및 청력보존프로그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3월)
     1. 특수건강진단시 2,000Hz에서 30dB 이상의 청력손실을 보이면 양쪽 귀에 대한 정밀청력검사(2차)를 실시한다.
     2. 특수건강진단시 2,000, 3,000, 4,000Hz의 주파수에서 기도청력검사를 실시한다.
     3. 배치전건강진단시 500, 1,000, 2,000, 3,000, 4,000 및 6,000Hz의 주파수에서 기도 청력검사를 실시한다.
     4. 소음성난청의 업무상 질병에 대한 인정기준 적용시 6분법으로 판정한다.
     5. 청력보존프로그램을 시행해야 하는 소음작업이란 1일 8시간 작업을 기준으로 90dB 이상의 소음이 발생하는 작업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7. 공기 중 금속을 정량하기 위한 일반적인 분석 장비는?(2016년 04월)
     1. 원자흡광광도계(AA), 유도결합플라즈마(ICP)
     2. 분광광도계, 이온크로마토그래피(IC)
     3. 위상차현미경, 원자흡광광도계(AA)
     4. 흑연로장치, 가스크로마토그래피(GC)
     5. 유도결합플라즈마(ICP), 액체크로마토그래피(LC)

     정답 : []
     정답률 : 53%

38. 실험실로 I-131(반감기 8.04일)이 들어있는 보관함이 배달되었으며, 방사능을 측정한 결과 500 pCi 였다. 30일 후 방사능(pCi)은 약 얼마인가?(2022년 03월)
     1. 37.6
     2. 32.6
     3. 27.6
     4. 22.6
     5. 17.6

     정답 : []
     정답률 : 26%

39. 세척공정에서 작업하는 근로자가 톨루엔 55 ppm의 농도에 노출되고 있다. 해당 작업의 근로자는 공기정화식 반면형 호흡용 보호구를 착용하고 있고 보호구 안의 농도가 0.5 ppm 일 때, 보호계수를 구하고 보호구의 적절성을 평가하면?(순서대로 보호계수, 보호구의 적절성)(2015년 04월)
     1. 27.5, 적절
     2. 27.5,부적절
     3. 90.9, 적절
     4. 110, 적절
     5. 110, 부적절

     정답 : []
     정답률 : 70%

40. 톨루엔 노출 작업자의 호흡보호구에 적합한 정성적 밀착도 검사(QLFT) 방법은?(2022년 03월)
     1. 초산이소아밀법
     2. 사카린법
     3. 자극성 스모그법
     4. 공기 중 에어로졸법(Condensation Nucleus Counter)
     5. 통제음압모니터법(Controlled Negative-Pressure Monitor)

     정답 : []
     정답률 : 38%

41. 직무스트레스 예방을 위한 국내의 근로시간 관련 지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3월)
     1. 근무 중 적절한 휴식시간을 제공한다.
     2. 1일 11시간 이상의 연장 근로와 야간 근로는 최소한으로 한다.
     3. 주 7일 근무를 해야 하는 상황에서도 한 달에 두 번은 이틀의 휴일을 제공한다.
     4. 1개월간 주당 평균근로시간이 52시간 이상인 경우 근로자의 신청을 받아 보건관리자에 의한 면접지도를 실시한다.
     5. 최소한 하루에 5시간 이상의 수면시간을 확보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2.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 유해인자 취급 작업별 보호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4월)

    

     1.
     2.
     3.
     4.
     5.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안전보건규칙 제600조(개인보호구의 지급 등)
1. 혈액이 분출되거나 분무될 가능성이 있는 작업 : 보안경과 보호마스크
2. 혈액 또는 혈액오염물을 취급하는 작업 : 보호장갑
3. 다량의 혈액이 의복을 적시고 피부에 노출될 우려가 있는 작업 : 보호앞치마
[해설작성자 : 오늘내일]

43. 직업성 암 등 만성질병을 초래하는 직무 또는 원인을 규명하기 어려운 이유가 아닌 것은?(2016년 04월)
     1. 질병 진단이 어렵기 때문
     2. 작업기간 동안 노출된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
     3. 직무나 환경에 의한 순수 영향 규명이 어렵기 때문
     4. 작업 공정이 없거나 변경되었기 때문
     5. 작업환경 중 노출된 물질이나 함량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

     정답 : []
     정답률 : 58%

44. 흡연, 염화비닐, 아플라톡신으로 인한 암 발생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인체 장기는?(2015년 04월)
     1.
     2.
     3.
     4. 유방
     5. 방광

     정답 : []
     정답률 : 60%

45. 건강진단 판정에서 건강관리구분과 그 의미의 연결이 옳은 것은?(2021년 03월)
     1. A - 질환 의심자로 2차 진단 필요
     2. C1 - 일반질병 유소견자로 사후관리가 필요
     3. D2 - 직업병 요관찰자로 추적관찰이 필요
     4. R - 건강진단 시기 부적정으로 1차 재검 필요
     5. U - 2차 건강진단 미실시로 건강관리구분을 판정할 수 없음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A-정상
C1-직업병 요관찰자
C2-일반질병 요관찰자
D1-직업병 유소견자
D2-일반질병 유소견자
R- 2차 건강진단 대상자, 일반 건강진단에서의 질환의심자
U- 2차 건강진단 미실시로 건강관리구분을 판정할 수 없음
[해설작성자 : 둔둔]

46. 야간작업으로 인한 건강영향과 특수건강진단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4월)
     1. 교대근무군은 주간근무군과 비교하여 대사증후군 발생률은 비슷하다.
     2. 위장관계와 내분비계 증상에 대한 1차 검사항목은 문진이다.
     3. 상시 근로자 50인 이상 100인 미만을 사용하는 사업장은 배치전 건강진단을 실시하지 않아도 된다.
     4. 배치 후 첫 번째 특수건강진단은 2년 이내에 실시하면 된다.
     5. 1차 검사항목으로는 총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라이드, HDL콜레스테롤, 24시간 심전도 검사 등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57%

47. 역학의 평가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4월)
     1. 코호트 연구에서 검정력은 비노출군에서의 질병발생률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2. 통계학적 연관성이 입증되었다 하여도 반드시 원인적 연관성이라고 말할 수 없다.
     3. 제1종 오류(type I error )는 귀무가설이 실제로 사실이 아닐 때 이를 기각하지 못할 확률을 말한다.
     4. 메타분석이란 개별 연구로부터 모은 많은 연구결과를 통합할 목적으로 통계적 분석을 하는 계량적 방법이다.
     5. 어떤 요인과 질병발생 간의 연관성을 추론하고자 할 때, 연구계획및 분석방법상의 오류로 인하여 참값과 차이가 나는 결과나 추론을 생성하게 되는데 이를 바이어스 (bias)라 한다.

     정답 : []
     정답률 : 37%

48. 1941년부터 1980년 사이 취업한 대규모 화학공장 근로자 800명의 사망진단서를 확보하였다. 이 중에서 암으로 사망한 사람은 160명이었으며, 동일기간 지역사회의 전체 사망자 중에서 암으로 인한 사망자는 15 %였다면 비례사망비( PMR)는?(2013년 04월)
     1. 75 %
     2. 120 %
     3. 133 %
     4. 150 %
     5. 200 %

     정답 : []
     정답률 : 37%

49. A사업장 소속 근로자 중 산업재해로 사망 1명, 3일의 휴업이 필요한 부상자 3명, 4일의 휴업이 필요한 부상자 4명이 발생하였다.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에 따라 A사업장의 사업주가 산업재해 발생 보고를 하여야 하는 인원(명)은?(2021년 03월)
     1. 1
     2. 4
     3. 5
     4. 7
     5. 8

     정답 : []
     정답률 : 74%

50. 업무상 질병의 특성이 아닌 것은?(2020년 07월)
     1. 임상적, 병리적 소견이 일반 질병과 구분이 어렵다.
     2. 개인적 요인 또는 비직업적 요인은 상승작용을 하지 않는다.
     3. 직업력을 소홀히 할 경우 판정이 어렵다.
     4. 건강영향에 대한 미확인 신물질이 많아 정확한 판정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5. 보상에 실익이 없을 수도 있다.

     정답 : []
     정답률 : 69%

51. 조직구조 설계의 상황요인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1년 03월)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ㄴ ,ㄷ, ㅁ
     4. ㄱ, ㄴ, ㄷ, ㄹ
     5. ㄱ, ㄷ, ㄹ, ㅁ

     정답 : []
     정답률 : 52%

52. 조직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4월)
     1. 가상네트워크 조직은 협력업체와 갈등해결 및 관계유지에 상대적으로 적은 시간이 필요하다.
     2. 기능별 조직은 각 기능부서의 효율성이 중요할 때 적합하다.
     3. 매트릭스 조직은 이중보고 체계로 인하여 종업원들이 혼란을 느낄 수 있다.
     4. 사업부제 조직은 2개 이상의 이질적인 제품으로 서로 다른 시장을 공략할 경우에 적합한 조직구조이다.
     5. 라인스텝 조직은 명령전달과 통제기능을 담당하는 라인과 관리자를 지원하는 스텝으로 구성된다.

     정답 : []
     정답률 : 69%

53. 단체교섭의 유형 중 특정 기업 또는 사업장 단위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해당 기업의 사용자 대표와 교섭하는 것은?(2025년 03월)
     1. 통일교섭
     2. 공동교섭
     3. 집단교섭
     4. 대각선 교섭
     5. 기업별 교섭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4. 집단의사결정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4월)
     1. 델파이법(Delphi technique)은 의사결정 시간이 짧아 긴박한 문제의 해결에 적합하다.
     2.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은 다른 참여자의 아이디어에 대해 비판할 수 없다.
     3. 프리모텀(premortem) 기법은 어떤 프로젝트가 실패했다고 미리 가정하고 그 실패의 원인을 찾는 방법이다.
     4. 지명반론자법은 악마의 옹호자(devil's advocate) 기법이라고도 하며, 집단사고의 위험을 줄이는 방법이다.
     5. 명목집단법은 참여자들 간에 토론을 하지 못한다.

     정답 : []
     정답률 : 30%

55. 경력개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3월)
     1. 경력 정체기에 접어들은 종업원들이 보여주는 반응유형은 방어형, 절망형, 성과미달형, 이상형으로 구분된다.
     2. 샤인(E. Schein)은 개인의 경력욕구 유형을 관리지향, 기술-기능지향, 안전지향 등 세 가지로 구분하였다.
     3. 홀(D. Hall)의 경력단계 모델에서 중년의 위기가 나타나는 단계는 확립단계이다.
     4. 이중 경력경로(dual-career path)는 개인이 조직에서 경험하는 직무들이 수평적 뿐만 아니라 수직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경우이다.
     5. 경력욕구는 조직이 개인에게 기대하는 행동인 경력역할과 개인 자신이 추구하려고 하는 경력방향에 의해 결정된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2. 관리지향, 기술-기능지향, 안전지향, 사업가적 창의성 지향, 자율지향 5가지로 분류
3. 유지단계
4. 개인의 경력은 조직에서의 관리자로 경력을 쌓으면서도 그분야의 전문가로 경력을 쌓는 것
5. 경력욕구 형성의 근본원인은 경력역할과 경력상황에 의하여 결정
[해설작성자 : Sophiek]

56. 수요예측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0년 07월)
     1. 델파이 방법은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정량적 수요예측 방법이다.
     2. 이동평균법은 과거 수요예측치의 평균으로 예측한다.
     3. 시계열분석법의 변동요인에 추세(trend)는 포함되지 않는다.
     4. 단순회귀분석법에서 수요량 예측은 최대자승법을 이용한다.
     5. 지수평활법은 과거 실제 수요량과 예측치 간의 오차에 대해 지수적 가중치를 반영해 예측한다.

     정답 : []
     정답률 : 55%

57. 동기부여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3월)
     1. 동기부여이론을 내용이론과 과정이론으로 구분할 때 알더퍼(C. Alderfer)의 ERG 이론은 내용이론이다.
     2. 맥클랜드(D. McClelland)의 성취동기이론에서 성취욕구를 측정하기에 가장 적합한 것은 TAT(주제통각검사)이다.
     3. 허츠버그(F. Herzberg)의 이요인이론에 따르면, 동기유발이 되기 위해서는 동기요인은 충족시키고, 위생요인은 제거해 주어야 한다.
     4. 브룸(V. Vroom)의 기대이론은 기대감, 수단성, 유의성에 의해 노력의 강도가 결정되는데 이들 중 하나라도 0이면 동기부여가 안된다고 한다.
     5. 아담스(J. Adams)는 페스팅거(L. Festinger)의 인지부조화 이론을 동기유발과 연관시켜서 공정성이론을 체계화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0%

58. 품질경영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7월)
     1. SERVQUAL 모형은 서비스 품질수준을 측정하고 평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2. TQM은 고객의 입장에서 품질을 정의하고 조직 내의 모든 구성원이 참여하여 품질을 향상하고자 하는 기법이다.
     3. HACCP은 식품의 품질 및 위생을 생산부터 유통단계를 거쳐 최종 소비될 때까지 합리적이고 철저하게 관리하기 위하여 도입되었다.
     4. 6시그마 기법에서는 품질특성치가 허용한계에서 멀어질수록 품질비용이 증가하는 손실함수 개념을 도입하고 있다.
     5. ISO 9000 시리즈는 표준화된 품질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제정되었으며 제3자(인증기관)가 심사하여 인증하는 제도이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6 시그마(6σ)는 기업에서 전략적으로 완벽에 가까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하고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정립된 품질경영 기법 또는 철학으로서, 기업 또는 조직 내의 다양한 문제를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현재 수준을 계량화하고 평가한 다음 개선하고 이를 유지 관리하는 경영 기법이다

59. 조직문화의 순기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4월)
     1. 조직구성원들에게 일체감을 조성한다.
     2. 조직구성원들의 생각과 행동지침이나 규범을 제공한다.
     3. 조직의 안정성과 계속성을 갖게 한다.
     4. 조직구성원들에게 획일성을 갖게 한다.
     5. 조직구성원들의 태도와 행동을 통제하는 기제(mechanism) 기능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60. A과장은 근무평정을 할 때 자신의 부하직원 B가 평소 성실하다는 이유로 자신이 직접 관찰하지 않아서 잘 모르는 B의 창의성, 도덕성, 기획력 등을 모두 높게 평가하였다. 이러한 경우 A과장은 어떤 평정오류를 범하고 있는가?(2013년 04월)
     1. 관대화오류
     2. 후광오류
     3. 엄격화오류
     4. 중앙집중오류
     5. 대비오류

     정답 : []
     정답률 : 46%

61. 목표설정 이론(goal setting theory)에서 종업원의 직무수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들을 모두 고른 것은?(2018년 03월)

    

     1. ㄱ, ㄹ
     2. ㄴ, ㄷ
     3. ㄱ, ㄴ,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0%

62.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4월)
     1. 역할 내 갈등은 직무상 요구가 여럿일 때 발생한다.
     2. 역할 모호성은 상사가 명확한 지침과 방향성을 제시하지 못하는 경우에 유발된다.
     3. 작업부하는 업무 요구량에 관한 것으로 직접 유형과 간접 유형이 있다.
     4. 요구-통제 모형에 의하면 통제력은 요구의 부정적 효과를 줄이거나 완충해 주는 역할을 한다.
     5. 대인관계 갈등과 타인과의 소원한 관계는 다양한 스트레스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0%

63. 다음에 설명하는 용어는?(2020년 07월)

    

     1. 집단사고(groupthink)
     2. 사회적 태만(social loafing)
     3. 집단극화(group polarization)
     4. 사회적 촉진(social facilitation)
     5. 남만큼만 하기 효과(sucker effect)

     정답 : []
     정답률 : 64%

64. 직업 스트레스 모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3월)
     1. 노력-보상 불균형 모델(Effort-Reward Imbalance Model)은 직장에서 제공하는 보상이 종업원의 노력에 비례하지 않을 때 종업원이 많은 스트레스를 느낀다고 주장한다.
     2. 요구-통제 모델(Demands-Control Model)에 따르면 작업장에서 스트레스가 가장 높은 상황은 종업원에 대한 업무 요구가 높고 동시에 종업원 자신이 가지는 업무 통제력이 많을 때이다.
     3. 직무요구-자원 모델(Job Demands-Resources Model)은 업무량 이외에도 다양한 요구가 존재한다는 점을 인식하고, 이러한 다양한 요구가 종업원의 안녕과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4. 자원보존 모델(Conservation of Resources Model)은 자원의 실제적 손실 또는 손실의 위협이 종업원에게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한다고 주장한다.
     5. 사람-환경 적합 모델(Person-Environment Fit Model)에 의하면 종업원은 개인과 환경 간의 적합도가 낮은 업무 환경을 스트레스원(stressor)으로 지각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2. 통제력이 많으면 스트레스가 줄어든다

65. 인간정보처리(human information processing)이론에서 정보량과 관련된 설명이다.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인간정보처리이론에서 사용하는 정보 측정단위는 비트(bit)다.
     2. 힉-하이만 법칙(Hick-Hyman law)은 선택반응시간과 자극 정보량 사이의 선형함수 관계로 나타난다.
     3. 자극-반응 실험에서 인간에게 입력되는 정보량(자극 정보량)과 출력되는 정보량(반응 정보량)은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4. 정보란 불확실성을 감소시켜 주는 지식이나 소식을 의미한다.
     5. 자극-반응 실험에서 전달된(transmitted) 정보량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소음(noise) 정보량과 손실(loss) 정보량도 고려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5%

66. 착시를 크기 착시와 방향 착시로 구분하는 경우, 동일한 물리적인 길이와 크기를 가지는 선이나 형태를 다르게 지각하는 크기 착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3년 04월)
     1. 뮬러-라이어(Müller-Lyer) 착시
     2. 폰조(Ponzo) 착시
     3. 에빙하우스(Ebbinghaus) 착시
     4. 포겐도르프(Poggendorf) 착시
     5. 델뵈프(Delboeuf) 착시

     정답 : []
     정답률 : 37%

67. 집단(팀)에 관한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모델은?(2023년 04월)

    

     1. 캠피온(Campion)의 모델
     2. 맥그래스(McGrath)의 모델
     3. 그래드스테인(Gladstein)의 모델
     4. 해크만(Hackman)의 모델
     5. 터크만(Tuckman)의 모델

     정답 : []
     정답률 : 30%

68. 조직 스트레스원 자체의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1년 03월)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5%

69. 풀 프루프(fool proof)가 적용된 기계ㆍ기구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4년 04월)
     1. 카메라의 이중촬영 방지기구
     2. 프레스기의 양수조작식 방호장치
     3. 압력용기의 안전밸브
     4. 사출성형기의 인터로크(interlock)식 가드
     5. 산업용 로봇의 작업장(안전울) 안전플러그

     정답 : []
     정답률 : 47%

70. 사업주가 실시하는 단계별 위험성평가 추진절차와 그 내용이 잘못 연결된 것은?(2015년 04월)
     1. 1단계 사전준비?평가시기 및 절차
     2. 2단계 유해ㆍ위험요인 파악?청취에 의한 방법
     3. 3단계 위험성 추정?가능성 및 중대성의 크기 추정
     4. 4단계 위험성 결정?위험성 크기의 허용 가능여부 판단
     5. 5단계 위험성 감소대책 수립 및 실행?사업장 순회점검에 의한 방법

     정답 : []
     정답률 : 62%

71. 개인보호구의 사용 및 관리에 관한 기술지침에서 유해인자 취급 작업별 보호구 중 작업명과 보호구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3월)
     1. 석면 해체ㆍ제거 작업 - 송기마스크
     2. 환자의 가검물 처리 작업 - 보호마스크
     3. 산소결핍 위험이 있는 밀폐공간 작업 - 방독마스크
     4. 허가 대상 유해물질을 제조ㆍ사용하는 작업 - 방독마스크
     5. 혈액이 분출되거나 분무될 가능성이 있는 작업 - 보호마스크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산소농도가 18% 미만인 장소에서 공기정화식 호흡보호구(방독마스크 등)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반드시 공기호흡기(SCBA)나 송기마스크를 착용토록 하십시오.

72.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이해를 위한 지참상 안전보건 경영시스템의 관리체계의 흐름을 나타낸 그림이다. A단계의 활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3월)

    

     1. 안전보건의 문제점이 발생한 때에는 재해, 앗차사고 등에 대한 사례를 통하여 잘못된 점을 확인하여야 한다.
     2. 위험성이 가장 큰 부분을 우선적으로 해결하여야 한다.
     3. 잠재적으로 심각한 피해를 미치는 사건을 자세히 살펴보아야 한다.
     4. 발생한 일과 원인에 대하여 조사하고, 기록하여야 한다.
     5. 안전보건 실적을 측정할 수 있는 기준을 설정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3. 다음에서 설명하는 기법은?(2016년 04월)

    

     1. 위험과 운전분석기법
     2. 예비위험 분석기법
     3. 상대위험 순위결정기법
     4. 안정성 검토기법
     5. 인간오류 분석기법

     정답 : []
     정답률 : 46%

74. 감전시 응급조치에 관한 기술지침상 통전전류에 의한 영향에 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것으로 옳은 것은?(2023년 04월)

    

     1. ㄱ: 최소감지전류, ㄴ: 고통전류
     2. ㄱ: 최소감지전류, ㄴ: 가수전류
     3. ㄱ: 가수전류, ㄴ: 고통전류
     4. ㄱ: 불수전류, ㄴ: 가수전류
     5. ㄱ: 심실세동전류, ㄴ: 고통전류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최소감지전류: 짜릿함, 1-2mA
고통전류 : 참을수 있거나 고통스러움, 2-8
가수전류 : 안전하게 전원에서 떨어질 수 있는 최소한의 전류, 8-15
불수전류 : 스스로 떨어질 수 없는 전류, 15-50
심실세동전류 : 심장의 기능을 잃게되어 수분내 사망, 165/root(T)
[해설작성자 : 다도]

75. 안전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8년 03월)

    

     1.
     2.
     3. ㄱ, ㄴ
     4. ㄴ, ㄷ
     5. ㄱ, ㄴ, ㄷ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트립
풀 프루프의 일종
사람의 접근을 인식하면 기계가 정지 또는 안전한 위치로 복귀


정 답 지

산업보건지도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4574886)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산업보건지도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산업안전보건법령


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근로를 금지시켜야 하는 사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03월)
     1. 정신분열증에 걸린 사람
     2. 감압증에 걸린 사람
     3. 폐 질환이 있는 사람으로서 근로에 의하여 병세가 악화될 우려가 있는 사람
     4. 심장 질환이 있는 사람으로서 근로에 의하여 병세가 악화될 우려가 있는 사람
     5. 신장 질환이 있는 사람으로서 근로에 의하여 병세가 악화될 우려가 있는 사람

     정답 : []
     정답률 : 80%

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대여자 등이 안전조치 등을 해야 하는 기계ㆍ기구ㆍ설비 및 건축물 등’에 규정되어 있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단,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기계ㆍ기구ㆍ설비 및 건축물 등은 고려하지 않음)(2022년 03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ㄹ
     4. ㄱ, ㄷ, ㄹ
     5.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산업용로봇 : 자율안전확인대상기계등, 압력용기 : 안전인증대상기계등
대여자 등이 안전조치를 시행해야하는 인증대상기계기구는 다음과 같다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 74조(안전인증대상기계 기구 등)
사무실 및 공장용 건물, 이동식 크레인, 타워크레인, 불도저, 모터그레이더, 로더, 스크레이퍼, 스크레이퍼 도저, 파워셔블, 드래그라인, 클램셸, 버킷굴착기, 트렌치, 항타기, 항발기, 어스드릴, 어스오거, 천공기, 페이퍼드레인머신, 리프트, 지게차, 롤러기, 콘크리트 펌프, 고소작업대
[해설작성자 : 태*건설망해라]

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주가 근로자에 대하여 실시하는 안전ㆍ보건교육의 교육대상, 교육과정 및 교육시간의 조합으로 옳은 것은?(2014년 04월)
     1. 일용근로자를 제외한 근로자에 대한 작업내용변경 시의 교육 - 2시간 이상
     2. 밀폐공간에서의 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에 대한 특별안전ㆍ보건교육 - 8시간 이상
     3. 건설 일용근로자에 대한 건설업 기초안전ㆍ보건교육 - 2시간
     4. 관리감독자의 지위에 있는 사람에 대한 정기교육 - 연간 12시간 이상
     5. 판매업무에 직접 종사하는 근로자에 대한 정기교육 - 매분기 2시간 이상

     정답 : []
     정답률 : 70%

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에 대한 직무교육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4월)
     1. 보건관리자가 의사인 경우는 선임된 후 1년 이내에 직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신규교육을 받아야 한다.
     2. 안전보건관리책임자로 선임된 자는 6개월 이내에 직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신규교육을 받아야 한다.
     3. 안전관리자로 선임된 자는 신규교육을 이수한 후 매 2년이 되는 날을 기준으로 전후 6개월 사이에 고용노동부장관이 실시하는 안전ㆍ보건에 관한 보수교육을 받아야 한다.
     4. 기업활동 규제완화에 관한 특별조치법에 따라 안전관리자로 채용된 것으로 보는 사람은 신규교육이 면제된다.
     5. 직무교육기관의 장은 직무교육을 실시하기 10일 전까지 교육 일시 및 장소 등을 직무교육 대상자에게 알려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5.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건설업체의 산업재해발생률 산출 계산식상 사업주의법 위반으로 인한 것이 아니라고 인정되는 재해에 의한 사고사망자로서 '사고사망자 수' 산정에서 제외되는 경우를 모두 고른 것은?(2023년 04월)

   

     1. ㄱ, ㄷ
     2. ㄴ, ㄹ
     3. ㄱ, ㄴ, ㄷ
     4. ㄱ, ㄴ,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 작업과 관련 없는제 3자 과실에 의한 경우
도 포함하여 사고사망자 수 산정에서 제외 됨.

공사, 사업과 관련 없으면 산정에서 제외 됨.    
[해설작성자 : hlong]

6.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 통로 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사업주는 계단 및 승강구 바닥을 구멍이 있는 재료로 만드는 경우 렌치나 그 밖의 공구 등이 낙하할 위험이 없는 구조로 하여야 한다.
     2. 사업주는 급유용ㆍ보수용ㆍ비상용 계단 및 나선형 계단을 설치하는 경우 그 폭을 1미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3. 사업주는 높이가 3미터를 초과하는 계단에 높이 3미터 이내마다 너비 1.2미터 이상의 계단참을 설치하여야 한다.
     4. 사업주는 갱내에 설치한 통로 또는 사다리식 통로에 권상장치(卷上裝置)가 설치된 경우 권상장치와 근로자의 접촉에 의한 위험이 있는 장소에 판자벽이나 그 밖에 위험 방지를 위한 격벽(隔壁)을 설치하여야 한다.
     5. 사업주는 높이 1미터 이상인 계단의 개방된 측면에 안전난간을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6%

7.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작업중지 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4월)
     1. 사업주는 산업재해가 발생할 급박한 위험이 있을 때 또는 중대재해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즉시 작업을 중지시키고 근로자를 작업장소로부터 대피시키는 등 필요한 안전ㆍ보건상의 조치를 한 후 작업을 다시 시작하여야 한다.
     2. 근로자는 산업재해가 발생할 급박한 위험으로 인하여 작업을 중지하고 대피하였을 때에는 사태가 안정된 후에 그 사실을 위 상급자에게 보고하는 등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3. 사업주는 산업재해가 발생할 급박한 위험이 있다고 믿을 만한 합리적인 근거가 있을 때에는 산업안전보건법의 규정에 따라 작업을 중지하고 대피한 근로자에 대하여 이를 이유로 해고나 그 밖의 불리한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4. 고용노동부장관은 중대재해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그 원인 규명 또는 예방대책 수립을 위하여 중대재해 발생원인을 조사하고, 근로감독관과 관계 전문가로 하여금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안전ㆍ보건진단이나 그 밖에 필요한 조치를 하도록 할 수 있다.
     5. 누구든지 중대재해 발생현장을 훼손하여 중대재해 발생의 원인조사를 방해하여서는 아니 된다.

     정답 : []
     정답률 : 78%

8.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인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2년 03월)
     1. 안전인증 심사 중 유해ㆍ위험기계등이 서면심사 내용과 일치하는지와 유해ㆍ위험기계등의 안전에 관한 성능이 안전인증기준에 적합한지에 대한 심사는 기술능력 및 생산체계 심사에 해당한다.
     2.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안전인증을 받은 사유로 안전인증이 취소된 자는 안전인증이 취소된 날부터 3년 이내에는 취소된 유해ㆍ위험기계등에 대하여 안전인증을 신청할 수 없다.
     3. 크레인, 리프트, 곤돌라는 설치ㆍ이전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주요 구조 부분을 변경하는 경우에도 안전인증을 받아야 한다.
     4. 안전인증기관은 안전인증을 받은 자가 최근 2년 동안 안전인증표시의 사용금지를 받은 사실이 없는 경우에는 안전인증기준을 지키고 있는지를 3년에 1회이상 확인해야 한다.
     5. 안전인증대상기계등이 아닌 유해ㆍ위험기계등을 제조하는 자는 그 유해ㆍ위험 기계등의 안전에 관한 성능을 평가받기 위하여 고용노동부장관에게 안전인증을 신청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60%

9.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물질안전보건자료 및 경고표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04월)
     1. 대상화학물질을 양도하거나 제공하는 자는 물질안전보건자료 제공의무가 없다.
     2. 약사법에 따른 의약품은 물질안전보건자료의 작성 대상이다.
     3. 탱크로리, 파이프라인에 의하여 대상화학물질을 양도하거나 제공하는 경우에는 경고표시 기재 항목을 적은 자료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
     4. 사업주는 새로운 대상화학물질이 도입된 경우 근로자에게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교육을 매번 실시할 필요가 없다.
     5. 사업주는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교육을 할 때 유해성ㆍ위험성이 유사한 대상 화학물질을 그룹별로 분류하여 교육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0%

10.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인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3월)
     1. 연구ㆍ개발을 목적으로 안전인증대상 기계ㆍ기구등을 제조하는 경우에도 안전인증을 받아야 한다.
     2. 고용노동부장관은 안전인증을 받은 자가 안전인증기준을 지키고 있는지를 5년을 주기로 확인하여야 한다.
     3. 곤돌라를 설치ㆍ이전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주요 구조 부분을 변경하는 경우 에도 안전인증을 받아야 한다.
     4. 서면심사와 기술능력 및 생산체계 심사 결과가 안전인증기준에 적합할 경우에 유해ㆍ위험한 기계ㆍ기구ㆍ설비등의 표본을 추출하여 하는 심사를 개별 제품심사라고 한다.
     5. 예비심사의 경우 안전인증 신청서를 제출받은 안전인증기관은 7일 이내에 심사하여야 하며 부득이한 사유가 있을 때에는 15일의 범위에서 심사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81%

1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도급인인 사업주가 작업장의 안전ㆍ보건조치 등을 위하여 2일에 1회 이상 순회점검하여야 하는 사업을 모두 고른 것은?(2017년 03월)

    

     1. ㄱ, ㄴ, ㅁ
     2. ㄱ, ㄷ, ㄹ
     3. ㄴ, ㄷ, ㅁ
     4. ㄱ, ㄴ, ㄷ, ㄹ
     5. ㄱ, ㄷ, ㄹ, ㅁ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건설 제조 토사석 출판업 오디오물출판업 금속 비금속 재생업 2일에 1번
그 외는 1주일 1번
[해설작성자 : 지도사지망생]

1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다음 ( ) 안에 들어갈 숫자를 순서대로 배열한 것은?(2014년 04월)

    

     1. 2, 75, 2
     2. 2, 80, 3
     3. 2, 85, 2
     4. 3, 80, 3
     5. 3, 85, 2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규칙 제 190조 2항
1. 작업공정 내 소음의 작업환경측정 결과가 최근 2회 연속 85dB 미만인 경우
2. 작업공정 내 소음 이외의 다른 모든 인자의 작업환경측정 결과가 최근 2회 연속 노출기준 미만인 경우
[해설작성자 : sophieK]

13.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 밀폐공간 내 작업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04월)
     1. “산소결핍”이란 공기 중의 산소농도가 18퍼센트 미만인 상태를 말한다.
     2. 밀폐공간 보건작업 프로그램에는 작업시작 전ㆍ후 공기상태가 적정한지를 확인 하기 위한 측정ㆍ평가, 방독마스크의 착용과 관리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3. 근로자가 밀폐공간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 밀폐공간 보건작업 프로그램을수립하여 시행하여야 하는 주체는 보건관리자 선임의무가 있는 사업주에 한한다.
     4. 사업주는 근로자가 밀폐공간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 상시 작업상황을 감시할 수 있는 감시인을 지정하여 밀폐공간 내부에 배치하여야 한다.
     5. 사업주는 밀폐공간에 종사하는 근로자에 대하여 응급처치 등 긴급 구조훈련을 1년에 1회 이상 주기적으로 실시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1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불도저를 대여 받는 자가 그가 사용하는 근로자가 아닌 사람에게 불도저를 조작하도록 하는 경우 조작하는 사람에게 주지시켜야 할 사항으로 명시되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작업의 내용
     2. 지휘계통
     3. 연락ㆍ신호 등의 방법
     4. 제한속도
     5. 면허의 갱신

     정답 :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기계 등을 대여받는 자의 조치
작업의 내용, 지휘계통, 연락 및 신호등 통신 방법, 운행경로, 제한 속도, 그밖에 해당 기계 등의 운행에 관한 사항
[해설작성자 : 둔둔]

15.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설치ㆍ이전하는 경우 안전인증을 받아야 하는 기계ㆍ기구에 해당하는 것은?(2019년 03월)
     1. 프레스
     2. 곤돌라
     3. 롤러기
     4. 사출성형기(射出成形機)
     5. 기계톱 -프레스 롤러기, 사출성형기, 기계톱 : 부분변경시 안전인증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크레인, 리프트, 곤돌라
[해설작성자 : 둔둔]

1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에 대한 직무교육 중 신규교육이 면제되는 사람에 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숫자로 옳은 것은?(2023년 04월)

    

     1. ㄱ: 2, ㄴ: 200
     2. ㄱ: 2, ㄴ: 300
     3. ㄱ: 3, ㄴ: 200
     4. ㄱ: 3, ㄴ: 300
     5. ㄱ: 5, ㄴ: 200

     정답 :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시행령 별표4
6. 「고등교육법」에 따른 이공계 전문대학 또는 이와 같은 수준 이상의 학교에서 학위를 취득하고, 해당 사업의 관리감독자로서의 업무(건설업의 경우는 시공실무경력)를 3년(4년제 이공계 대학 학위 취득자는 1년) 이상 담당한 후 고용노동부장관이 지정하는 기관이 실시하는 교육(1998년 12월 31일까지의 교육만 해당한다)을 받고 정해진 시험에 합격한 사람. 다만, 관리감독자로 종사한 사업과 같은 업종(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른 대분류를 기준으로 한다)의 사업장이면서, 건설업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상시근로자 300명 미만인 사업장에서만 안전관리자가 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7.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보건관리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3월)
     1. 상시근로자 300명 이상을 사용하는 사업장의 사업주는 보건관리자에게 그 업무만을 전담하도록 하여야 한다.
     2. 안전인증대상기계등과 자율안전확인대상기계등 중 보건과 관련된 보호구(保護具) 구입 시 적격품 선정에 관한 보좌 및 지도ㆍ조언은 보건관리자의 업무에 해당한다.
     3. 외딴곳으로서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는 지역에 있는 사업장의 사업주는 보건관리전문기관에 보건관리자의 업무를 위탁할 수 있다.
     4. 보건관리자의 업무를 위탁할 수 있는 보건관리전문기관은 지역별 보건관리전문기관과 업종별ㆍ유해인자별 보건관리전문기관으로 구분한다.
     5. 「의료법」에 따른 간호사는 보건관리자가 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의료법」에 따른 간호사는 보건관리자가 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애옹]

18.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건강 및 환경 유해성 분류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입 또는 피부를 통하여 1회 투여 또는 8시간 이내에 여러 차례로 나누어 투여하거나 호흡기를 통하여 8시간 동안 흡입하는 경우 유해한 영향을 일으키는물질은 급성 독성 물질이다.
     2. 접촉 시 피부조직을 파괴하거나 자극을 일으키는 물질은 피부 부식성 또는 자극성 물질이다.
     3. 호흡기를 통하여 흡입되는 경우 기도에 과민반응을 일으키는 물질은 호흡기과민성 물질이다.
     4. 자손에게 유전될 수 있는 사람의 생식세포에 돌연변이를 일으킬 수 있는 물질은 생식세포 변이원성 물질이다.
     5. 단기간 또는 장기간의 노출로 수생생물에 유해한 영향을 일으키는 물질은 수생 환경 유해성 물질이다.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급성 독성 물질: 입 또는 피부를 통하여 1회 투여 또는 24시간 이내에 여러차례로 나누어 투여하거나 호흡기를 통하여 4시간 동안 흡입하는 경우 유해한 영향을 일으키는 물질
[해설작성자 : 둔둔]

19.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고용노동부장관이 작업환경측정기관에 대하여 그 지정을 취소하거나 6개월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그 업무의 정지를 명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2020년 07월)
     1. 작업환경측정 관련 서류를 거짓으로 작성한 경우
     2. 정당한 사유 없이 작업환경측정 업무를 거부한 경우
     3. 위탁받은 작업환경측정 업무에 차질을 일으킨 경우
     4. 작업환경측정 업무와 관련된 비치서류를 보존하지 않은 경우
     5. 고용노동부장관이 실시하는 작업환경측정기관의 측정ㆍ분석능력 확인을 6개월 동안 받지 않은 경우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고용노동부장관이 실시하는 작업환경측정기관의 측정ㆍ분석능력 확인을 1년 이상 받지 않거나 작업환경측정기관의 측정,분석 능력 확인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은경우
[해설작성자 : 둔둔]

20.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관리자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4월)
     1. 같은 사업주가 경영하는 둘 이상의 사업장이 같은 시ㆍ군ㆍ자치구 지역에 소재하는 경우에도 사업장마다 각각 안전관리자를 두어야 한다.
     2. 건설업의 경우 공사금액 120억원(토목공사업에 속하는 공사는 150억원) 이상인 사업장에는 해당 사업장에서 안전관리자의 업무만을 전담하는 안전관리자를 두어야 한다.
     3. 지방고용노동관서의 장은 중대재해가 연간 2건 발생한 경우 사업주에게 안전관리자를 정수 이상으로 증원할 것을 명할 수 있다.
     4. 상시 근로자 300명 미만을 사용하는 건설업은 안전관리자의 업무를 안전관리전문기관에 위탁할 수 있다.
     5. 사업주는 안전관리자를 선임한 경우 선임한 날부터 30일 이내에 고용노동부장관에게 증명할 수 있는 서류를 제출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2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주는 일정한 질병이 있는 근로자를 고기압 업무에 종사하도록 하여서는 아니 된다. 이 질병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5년 04월)
     1. 빈혈증
     2. 메니에르씨병
     3.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구순포진
     4. 관절염
     5. 천식

     정답 : []
     정답률 : 80%

2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관리규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4월)
     1.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작성하여야 할 경우 소방ㆍ가스ㆍ전기ㆍ교통 분야 등의 다른 법령에서 정하는 안전관리에 관한 규정과 별도로 작성하여야 한다.
     2. 안전보건관리규정은 해당 사업장에 적용되는 단체협약 및 취업규칙에 우선한다.
     3. 사업주는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작성하여야 할 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60일 이내에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작성하여야 한다.
     4. 사업주가 안전보건관리규정을 변경할 때에 산업안전보건위원회가 설치되어 있지 아니한 사업장의 경우에는 근로자대표에게 통보하면 된다.
     5. 안전보건관리규정에는 사고 조사 및 대책 수립에 관한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2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관리규정의 작성 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3월)
     1.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작성하여야 할 사업의 사업주는 안전보건관리규정을 변경할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그 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60일 이내에 안전보건관리규정을 변경하여야 한다.
     2. 농업의 경우 상시 근로자 100명 이상을 사용하는 사업장에는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작성하여야 한다.
     3. 사업주가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작성하는 경우에는 소방ㆍ가스ㆍ전기ㆍ교통분야 등의 다른 법령에서 정하는 안전관리에 관한 규정과 통합하여 작성할 수 없다.
     4. 사업주는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작성하거나 변경할 때에는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심의ㆍ의결을 거쳐야 하며, 산업안전보건위원회가 설치되어 있지 아니한 사업장의 경우에는 근로자대표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5. 해당 사업장에 적용되는 단체협약 및 취업규칙은 안전보건관리규정에 반할 수 없으며, 단체협약 또는 취업규칙 중 안전보건관리규정에 반하는 부분에 관하여는 안전보건관리규정으로 정한 기준에 따른다.

     정답 : []
     정답률 : 67%

2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징역 또는 벌금에 처해질 수 있는 자는?(2022년 03월)
     1. 작업환경측정 결과를 해당 작업장 근로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사업주
     2. 등록하지 아니하고 타워크레인을 설치ㆍ해체한 자
     3. 석면이 포함된 건축물이나 설비를 철거하거나 해체하면서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석면해체ㆍ제거의 작업기준을 준수하지 아니한 자
     4. 역학조사 참석이 허용된 사람의 역학조사 참석을 방해한 자
     5. 물질안전보건자료대상물질을 양도하면서 이를 양도받는 자에게 물질안전보건 자료를 제공하지 아니한 자

     정답 : []
     정답률 : 54%

25.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건강관리수첩 발급대상 업무 및 대상요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7년 03월)
     1. 니켈 또는 그 화합물을 광석으로부터 추출하여 제조하거나 취급하는 업무에 5년이상 종사한 사람
     2. 염화비닐을 제조하거나 사용하는 석유화학설비를 유지ㆍ보수하는 업무에 4년 이상 종사한 사람
     3. 비파괴검사 업무에 3년 이상 종사한 사람
     4. 석면 또는 석면방직제품을 제조하는 업무에 3개월 이상 종사한 사람
     5. 비스-(클로로메틸)에테르를 제조하거나 취급하는 업무에 3년 이상 종사한 사람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3. 1년이상 or 노출량 20 mSV이상

2과목 : 산업보건일반


26. 고용노동부 고시에서 규정하는 “용접흄 및 분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3월)
     1. 시간가중평균(TWA) 노출기준은 5 mg/m3 이며, 여과재를 이용해 시료를 채취해야 한다.
     2. 용접보안면 착용 시 내부에서 시료를 채취하고, 중량분석법과 GC-FID로 분석한다.
     3. 시간가중평균(TWA) 노출기준이 설정된 물질로 1일 작업시간 동안 6시간 이상 연속 측정을 한다.
     4. 발암성에 대해 사람이나 동물에 제한된 증거가 있으나, 구분 1로 분류하기에는 증거가 충분하지 않다.
     5. 1일 작업시간이 8시간 초과 시 보정노출기준을 산출해 측정값과 비교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7. 비가역적(irreversible)인 건강상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4년 03월)
     1. 인체의 방어기전에 의해 다시 회복할 수 있는 상태이다.
     2. 과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유해인자에 대한 양, 정도, 중요성, 상태를 근거로 노출의 타당성을 결정하는 것이다.
     3. 유해인자에 노출되면 일시적인 불쾌감과 작업능률 저하가 일어난다.
     4. 다시 회복할 수 없는 건강상태로서 인체의 조직이나 기관에 기능상 장해가 일어난 경우이다.
     5. 유해인자 노출에 대하여 적응할 수 있는 항상성 유지 단계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8. 고용노동부 고시에 따라 원자흡광광도법(AAS)으로 분석할 수 있는 유해인자 중 외부 작업환경전문연구기관 등에 시료분석을 위탁할 수 있는 유해인자로 옳은 것은?(2023년 04월)
     1. 구리
     2. 수산화나트륨
     3. 산화마그네슘
     4. 산화아연
     5. 주석

     정답 : []
     정답률 : 18%
     <문제 해설>
제43조(측정시료의 분석의뢰) ① 규칙 제192조제1항에 따른 사업장 위탁측정기관 또는 사업장 자체측정기관은 다음 각호의 경우에 해당 측정시료를 분석할 수 있는 분석장비 등을 갖춘 다른 사업장 위탁측정기관이나 작업환경전문연구기관(이하 "분석수탁기관”이라 한다) 등에 시료의 분석을 위탁할 수 있다.
    1. 가스크로마토그래피-불꽃이온화검출기(GC-FID)로 분석하기 어려운 유해인자를 측정한 경우
    2. 원자흡광광도계-불꽃원자화장치(AAS-flame)로 분석하기 어렵거나 분석빈도가 낮은 유해인자를 측정한 경우
        (별표 3의 유해인자를 제외한다)
     별표3. 원자흡광도법으로 분석할 수 있는 유해인자
                    구리, 납, 니켈, 크롬, 망간, 산화마크네슘, 산화아연, 산화철, 수산화나트륨, 카드뮴
     별표3은 의뢰대상에서 제외되므로 답은 주석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9. 작업환경측정 시 관련 절차별로 다음과 같이 오차 값이 추정될 때, 누적오차(cumulative error) 값은 약 얼마인가?(2019년 03월)

    

     1. 3.6 %
     2. 12.6 %
     3. 23.4 %
     4. 29.7 %
     5. 45.9 %

     정답 : []
     정답률 : 42%

30. 소음노출량계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소음에 노출되는 근로자의 8시간 소음노출량을 측정하면 몇 %가 되겠는가? (단, Threshold=80dB, Criteria=90dB, Exchange rate=5dB)(2014년 04월)

    

     1. 75
     2. 100
     3. 125
     4. 150
     5. 175

     정답 : []
     정답률 : 36%

31. 고온의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조리흄(emissions from high-temperature frying)에 관한 국제암연구소(IARC)의 분류로 옳은 것은?(2024년 03월)
     1. Group 1(carcinogenic to humans)
     2. Group 2A(probably carcinogenic to humans)
     3. Group 2B(possibly carcinogenic to humans)
     4. Group 1(not classifiable as to its carcinogenicity to humans)
     5. Group 4(carcinogenic to animals)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2. 60℃, 1기압인 탈지조에서 TCE(분자량 131.4, 비중 1.466) 2L를 사용하였다. 공기 중으로 모두 증발하였다고 가정할 때, 발생한 증기량(m3)은 약 얼마인가?(2022년 03월)
     1. 0.34
     2. 0.50
     3. 0.54
     4. 0.61
     5. 0.82

     정답 : []
     정답률 : 34%

33. 근로자건강진단 실무지침에 따른 생물학적 노출지표의 검사방법으로 옳은 것은?(2025년 03월)
     1. 일산화탄소의 1차 생물학적 노출지표는 작업 종료 후 10~15분 이내 마지막 호기를 채취하여 일산화탄소 측정기로 분석한다,
     2. 납 및 그 무기화합물의 1차 생물학적 노출지표는 혈액 내 납 농도를 기준으로 하며, AAS로 분석한다.
     3. 메탄올의 1차 생물학적 노출지표는 소변을 이용하여 평가하며, 작업 종료 시 채취한 시료를 HS GC-FID로 분석한다.
     4. 1,2-디클로로프로판의 2차 생물학적 노출지표는 소변을 이용하여 평가하며, 작업 종료 시 채취한 시료를 GC-MSD로 분석한다.
     5. 톨루엔의 2차 생물학적 노출지표는 소변을 이용하여 평가하며, 작업 종료 시 채취한 시료를 HS GC-FID로 분석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4. 다음에 해당하는 중금속은?(2019년 03월)

    

     1.
     2. 크롬
     3. 카드뮴
     4. 수은
     5. 망간

     정답 : []
     정답률 : 43%

35. 원심형 송풍기(centrifugal fan)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5년 03월)
     1. Sirocco fan
     2. Air foil fan
     3. Turbo fan
     4. Radial fan
     5. Axial fan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6. 소음의 특수건강진단 및 청력보존프로그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3월)
     1. 특수건강진단시 2,000Hz에서 30dB 이상의 청력손실을 보이면 양쪽 귀에 대한 정밀청력검사(2차)를 실시한다.
     2. 특수건강진단시 2,000, 3,000, 4,000Hz의 주파수에서 기도청력검사를 실시한다.
     3. 배치전건강진단시 500, 1,000, 2,000, 3,000, 4,000 및 6,000Hz의 주파수에서 기도 청력검사를 실시한다.
     4. 소음성난청의 업무상 질병에 대한 인정기준 적용시 6분법으로 판정한다.
     5. 청력보존프로그램을 시행해야 하는 소음작업이란 1일 8시간 작업을 기준으로 90dB 이상의 소음이 발생하는 작업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7. 공기 중 금속을 정량하기 위한 일반적인 분석 장비는?(2016년 04월)
     1. 원자흡광광도계(AA), 유도결합플라즈마(ICP)
     2. 분광광도계, 이온크로마토그래피(IC)
     3. 위상차현미경, 원자흡광광도계(AA)
     4. 흑연로장치, 가스크로마토그래피(GC)
     5. 유도결합플라즈마(ICP), 액체크로마토그래피(LC)

     정답 : []
     정답률 : 53%

38. 실험실로 I-131(반감기 8.04일)이 들어있는 보관함이 배달되었으며, 방사능을 측정한 결과 500 pCi 였다. 30일 후 방사능(pCi)은 약 얼마인가?(2022년 03월)
     1. 37.6
     2. 32.6
     3. 27.6
     4. 22.6
     5. 17.6

     정답 : []
     정답률 : 26%

39. 세척공정에서 작업하는 근로자가 톨루엔 55 ppm의 농도에 노출되고 있다. 해당 작업의 근로자는 공기정화식 반면형 호흡용 보호구를 착용하고 있고 보호구 안의 농도가 0.5 ppm 일 때, 보호계수를 구하고 보호구의 적절성을 평가하면?(순서대로 보호계수, 보호구의 적절성)(2015년 04월)
     1. 27.5, 적절
     2. 27.5,부적절
     3. 90.9, 적절
     4. 110, 적절
     5. 110, 부적절

     정답 : []
     정답률 : 70%

40. 톨루엔 노출 작업자의 호흡보호구에 적합한 정성적 밀착도 검사(QLFT) 방법은?(2022년 03월)
     1. 초산이소아밀법
     2. 사카린법
     3. 자극성 스모그법
     4. 공기 중 에어로졸법(Condensation Nucleus Counter)
     5. 통제음압모니터법(Controlled Negative-Pressure Monitor)

     정답 : []
     정답률 : 38%

41. 직무스트레스 예방을 위한 국내의 근로시간 관련 지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3월)
     1. 근무 중 적절한 휴식시간을 제공한다.
     2. 1일 11시간 이상의 연장 근로와 야간 근로는 최소한으로 한다.
     3. 주 7일 근무를 해야 하는 상황에서도 한 달에 두 번은 이틀의 휴일을 제공한다.
     4. 1개월간 주당 평균근로시간이 52시간 이상인 경우 근로자의 신청을 받아 보건관리자에 의한 면접지도를 실시한다.
     5. 최소한 하루에 5시간 이상의 수면시간을 확보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2.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 유해인자 취급 작업별 보호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4월)

    

     1.
     2.
     3.
     4.
     5.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안전보건규칙 제600조(개인보호구의 지급 등)
1. 혈액이 분출되거나 분무될 가능성이 있는 작업 : 보안경과 보호마스크
2. 혈액 또는 혈액오염물을 취급하는 작업 : 보호장갑
3. 다량의 혈액이 의복을 적시고 피부에 노출될 우려가 있는 작업 : 보호앞치마
[해설작성자 : 오늘내일]

43. 직업성 암 등 만성질병을 초래하는 직무 또는 원인을 규명하기 어려운 이유가 아닌 것은?(2016년 04월)
     1. 질병 진단이 어렵기 때문
     2. 작업기간 동안 노출된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
     3. 직무나 환경에 의한 순수 영향 규명이 어렵기 때문
     4. 작업 공정이 없거나 변경되었기 때문
     5. 작업환경 중 노출된 물질이나 함량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

     정답 : []
     정답률 : 58%

44. 흡연, 염화비닐, 아플라톡신으로 인한 암 발생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인체 장기는?(2015년 04월)
     1.
     2.
     3.
     4. 유방
     5. 방광

     정답 : []
     정답률 : 60%

45. 건강진단 판정에서 건강관리구분과 그 의미의 연결이 옳은 것은?(2021년 03월)
     1. A - 질환 의심자로 2차 진단 필요
     2. C1 - 일반질병 유소견자로 사후관리가 필요
     3. D2 - 직업병 요관찰자로 추적관찰이 필요
     4. R - 건강진단 시기 부적정으로 1차 재검 필요
     5. U - 2차 건강진단 미실시로 건강관리구분을 판정할 수 없음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A-정상
C1-직업병 요관찰자
C2-일반질병 요관찰자
D1-직업병 유소견자
D2-일반질병 유소견자
R- 2차 건강진단 대상자, 일반 건강진단에서의 질환의심자
U- 2차 건강진단 미실시로 건강관리구분을 판정할 수 없음
[해설작성자 : 둔둔]

46. 야간작업으로 인한 건강영향과 특수건강진단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4월)
     1. 교대근무군은 주간근무군과 비교하여 대사증후군 발생률은 비슷하다.
     2. 위장관계와 내분비계 증상에 대한 1차 검사항목은 문진이다.
     3. 상시 근로자 50인 이상 100인 미만을 사용하는 사업장은 배치전 건강진단을 실시하지 않아도 된다.
     4. 배치 후 첫 번째 특수건강진단은 2년 이내에 실시하면 된다.
     5. 1차 검사항목으로는 총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라이드, HDL콜레스테롤, 24시간 심전도 검사 등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57%

47. 역학의 평가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4월)
     1. 코호트 연구에서 검정력은 비노출군에서의 질병발생률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2. 통계학적 연관성이 입증되었다 하여도 반드시 원인적 연관성이라고 말할 수 없다.
     3. 제1종 오류(type I error )는 귀무가설이 실제로 사실이 아닐 때 이를 기각하지 못할 확률을 말한다.
     4. 메타분석이란 개별 연구로부터 모은 많은 연구결과를 통합할 목적으로 통계적 분석을 하는 계량적 방법이다.
     5. 어떤 요인과 질병발생 간의 연관성을 추론하고자 할 때, 연구계획및 분석방법상의 오류로 인하여 참값과 차이가 나는 결과나 추론을 생성하게 되는데 이를 바이어스 (bias)라 한다.

     정답 : []
     정답률 : 37%

48. 1941년부터 1980년 사이 취업한 대규모 화학공장 근로자 800명의 사망진단서를 확보하였다. 이 중에서 암으로 사망한 사람은 160명이었으며, 동일기간 지역사회의 전체 사망자 중에서 암으로 인한 사망자는 15 %였다면 비례사망비( PMR)는?(2013년 04월)
     1. 75 %
     2. 120 %
     3. 133 %
     4. 150 %
     5. 200 %

     정답 : []
     정답률 : 37%

49. A사업장 소속 근로자 중 산업재해로 사망 1명, 3일의 휴업이 필요한 부상자 3명, 4일의 휴업이 필요한 부상자 4명이 발생하였다.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에 따라 A사업장의 사업주가 산업재해 발생 보고를 하여야 하는 인원(명)은?(2021년 03월)
     1. 1
     2. 4
     3. 5
     4. 7
     5. 8

     정답 : []
     정답률 : 74%

50. 업무상 질병의 특성이 아닌 것은?(2020년 07월)
     1. 임상적, 병리적 소견이 일반 질병과 구분이 어렵다.
     2. 개인적 요인 또는 비직업적 요인은 상승작용을 하지 않는다.
     3. 직업력을 소홀히 할 경우 판정이 어렵다.
     4. 건강영향에 대한 미확인 신물질이 많아 정확한 판정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5. 보상에 실익이 없을 수도 있다.

     정답 : []
     정답률 : 69%

51. 조직구조 설계의 상황요인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1년 03월)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ㄴ ,ㄷ, ㅁ
     4. ㄱ, ㄴ, ㄷ, ㄹ
     5. ㄱ, ㄷ, ㄹ, ㅁ

     정답 : []
     정답률 : 52%

52. 조직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4월)
     1. 가상네트워크 조직은 협력업체와 갈등해결 및 관계유지에 상대적으로 적은 시간이 필요하다.
     2. 기능별 조직은 각 기능부서의 효율성이 중요할 때 적합하다.
     3. 매트릭스 조직은 이중보고 체계로 인하여 종업원들이 혼란을 느낄 수 있다.
     4. 사업부제 조직은 2개 이상의 이질적인 제품으로 서로 다른 시장을 공략할 경우에 적합한 조직구조이다.
     5. 라인스텝 조직은 명령전달과 통제기능을 담당하는 라인과 관리자를 지원하는 스텝으로 구성된다.

     정답 : []
     정답률 : 69%

53. 단체교섭의 유형 중 특정 기업 또는 사업장 단위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해당 기업의 사용자 대표와 교섭하는 것은?(2025년 03월)
     1. 통일교섭
     2. 공동교섭
     3. 집단교섭
     4. 대각선 교섭
     5. 기업별 교섭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4. 집단의사결정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4월)
     1. 델파이법(Delphi technique)은 의사결정 시간이 짧아 긴박한 문제의 해결에 적합하다.
     2.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은 다른 참여자의 아이디어에 대해 비판할 수 없다.
     3. 프리모텀(premortem) 기법은 어떤 프로젝트가 실패했다고 미리 가정하고 그 실패의 원인을 찾는 방법이다.
     4. 지명반론자법은 악마의 옹호자(devil's advocate) 기법이라고도 하며, 집단사고의 위험을 줄이는 방법이다.
     5. 명목집단법은 참여자들 간에 토론을 하지 못한다.

     정답 : []
     정답률 : 30%

55. 경력개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3월)
     1. 경력 정체기에 접어들은 종업원들이 보여주는 반응유형은 방어형, 절망형, 성과미달형, 이상형으로 구분된다.
     2. 샤인(E. Schein)은 개인의 경력욕구 유형을 관리지향, 기술-기능지향, 안전지향 등 세 가지로 구분하였다.
     3. 홀(D. Hall)의 경력단계 모델에서 중년의 위기가 나타나는 단계는 확립단계이다.
     4. 이중 경력경로(dual-career path)는 개인이 조직에서 경험하는 직무들이 수평적 뿐만 아니라 수직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경우이다.
     5. 경력욕구는 조직이 개인에게 기대하는 행동인 경력역할과 개인 자신이 추구하려고 하는 경력방향에 의해 결정된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2. 관리지향, 기술-기능지향, 안전지향, 사업가적 창의성 지향, 자율지향 5가지로 분류
3. 유지단계
4. 개인의 경력은 조직에서의 관리자로 경력을 쌓으면서도 그분야의 전문가로 경력을 쌓는 것
5. 경력욕구 형성의 근본원인은 경력역할과 경력상황에 의하여 결정
[해설작성자 : Sophiek]

56. 수요예측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0년 07월)
     1. 델파이 방법은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정량적 수요예측 방법이다.
     2. 이동평균법은 과거 수요예측치의 평균으로 예측한다.
     3. 시계열분석법의 변동요인에 추세(trend)는 포함되지 않는다.
     4. 단순회귀분석법에서 수요량 예측은 최대자승법을 이용한다.
     5. 지수평활법은 과거 실제 수요량과 예측치 간의 오차에 대해 지수적 가중치를 반영해 예측한다.

     정답 : []
     정답률 : 55%

57. 동기부여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3월)
     1. 동기부여이론을 내용이론과 과정이론으로 구분할 때 알더퍼(C. Alderfer)의 ERG 이론은 내용이론이다.
     2. 맥클랜드(D. McClelland)의 성취동기이론에서 성취욕구를 측정하기에 가장 적합한 것은 TAT(주제통각검사)이다.
     3. 허츠버그(F. Herzberg)의 이요인이론에 따르면, 동기유발이 되기 위해서는 동기요인은 충족시키고, 위생요인은 제거해 주어야 한다.
     4. 브룸(V. Vroom)의 기대이론은 기대감, 수단성, 유의성에 의해 노력의 강도가 결정되는데 이들 중 하나라도 0이면 동기부여가 안된다고 한다.
     5. 아담스(J. Adams)는 페스팅거(L. Festinger)의 인지부조화 이론을 동기유발과 연관시켜서 공정성이론을 체계화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0%

58. 품질경영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7월)
     1. SERVQUAL 모형은 서비스 품질수준을 측정하고 평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2. TQM은 고객의 입장에서 품질을 정의하고 조직 내의 모든 구성원이 참여하여 품질을 향상하고자 하는 기법이다.
     3. HACCP은 식품의 품질 및 위생을 생산부터 유통단계를 거쳐 최종 소비될 때까지 합리적이고 철저하게 관리하기 위하여 도입되었다.
     4. 6시그마 기법에서는 품질특성치가 허용한계에서 멀어질수록 품질비용이 증가하는 손실함수 개념을 도입하고 있다.
     5. ISO 9000 시리즈는 표준화된 품질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제정되었으며 제3자(인증기관)가 심사하여 인증하는 제도이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6 시그마(6σ)는 기업에서 전략적으로 완벽에 가까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하고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정립된 품질경영 기법 또는 철학으로서, 기업 또는 조직 내의 다양한 문제를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현재 수준을 계량화하고 평가한 다음 개선하고 이를 유지 관리하는 경영 기법이다

59. 조직문화의 순기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4월)
     1. 조직구성원들에게 일체감을 조성한다.
     2. 조직구성원들의 생각과 행동지침이나 규범을 제공한다.
     3. 조직의 안정성과 계속성을 갖게 한다.
     4. 조직구성원들에게 획일성을 갖게 한다.
     5. 조직구성원들의 태도와 행동을 통제하는 기제(mechanism) 기능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60. A과장은 근무평정을 할 때 자신의 부하직원 B가 평소 성실하다는 이유로 자신이 직접 관찰하지 않아서 잘 모르는 B의 창의성, 도덕성, 기획력 등을 모두 높게 평가하였다. 이러한 경우 A과장은 어떤 평정오류를 범하고 있는가?(2013년 04월)
     1. 관대화오류
     2. 후광오류
     3. 엄격화오류
     4. 중앙집중오류
     5. 대비오류

     정답 : []
     정답률 : 46%

61. 목표설정 이론(goal setting theory)에서 종업원의 직무수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들을 모두 고른 것은?(2018년 03월)

    

     1. ㄱ, ㄹ
     2. ㄴ, ㄷ
     3. ㄱ, ㄴ,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0%

62.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4월)
     1. 역할 내 갈등은 직무상 요구가 여럿일 때 발생한다.
     2. 역할 모호성은 상사가 명확한 지침과 방향성을 제시하지 못하는 경우에 유발된다.
     3. 작업부하는 업무 요구량에 관한 것으로 직접 유형과 간접 유형이 있다.
     4. 요구-통제 모형에 의하면 통제력은 요구의 부정적 효과를 줄이거나 완충해 주는 역할을 한다.
     5. 대인관계 갈등과 타인과의 소원한 관계는 다양한 스트레스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0%

63. 다음에 설명하는 용어는?(2020년 07월)

    

     1. 집단사고(groupthink)
     2. 사회적 태만(social loafing)
     3. 집단극화(group polarization)
     4. 사회적 촉진(social facilitation)
     5. 남만큼만 하기 효과(sucker effect)

     정답 : []
     정답률 : 64%

64. 직업 스트레스 모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3월)
     1. 노력-보상 불균형 모델(Effort-Reward Imbalance Model)은 직장에서 제공하는 보상이 종업원의 노력에 비례하지 않을 때 종업원이 많은 스트레스를 느낀다고 주장한다.
     2. 요구-통제 모델(Demands-Control Model)에 따르면 작업장에서 스트레스가 가장 높은 상황은 종업원에 대한 업무 요구가 높고 동시에 종업원 자신이 가지는 업무 통제력이 많을 때이다.
     3. 직무요구-자원 모델(Job Demands-Resources Model)은 업무량 이외에도 다양한 요구가 존재한다는 점을 인식하고, 이러한 다양한 요구가 종업원의 안녕과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4. 자원보존 모델(Conservation of Resources Model)은 자원의 실제적 손실 또는 손실의 위협이 종업원에게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한다고 주장한다.
     5. 사람-환경 적합 모델(Person-Environment Fit Model)에 의하면 종업원은 개인과 환경 간의 적합도가 낮은 업무 환경을 스트레스원(stressor)으로 지각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2. 통제력이 많으면 스트레스가 줄어든다

65. 인간정보처리(human information processing)이론에서 정보량과 관련된 설명이다.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인간정보처리이론에서 사용하는 정보 측정단위는 비트(bit)다.
     2. 힉-하이만 법칙(Hick-Hyman law)은 선택반응시간과 자극 정보량 사이의 선형함수 관계로 나타난다.
     3. 자극-반응 실험에서 인간에게 입력되는 정보량(자극 정보량)과 출력되는 정보량(반응 정보량)은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4. 정보란 불확실성을 감소시켜 주는 지식이나 소식을 의미한다.
     5. 자극-반응 실험에서 전달된(transmitted) 정보량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소음(noise) 정보량과 손실(loss) 정보량도 고려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5%

66. 착시를 크기 착시와 방향 착시로 구분하는 경우, 동일한 물리적인 길이와 크기를 가지는 선이나 형태를 다르게 지각하는 크기 착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3년 04월)
     1. 뮬러-라이어(Müller-Lyer) 착시
     2. 폰조(Ponzo) 착시
     3. 에빙하우스(Ebbinghaus) 착시
     4. 포겐도르프(Poggendorf) 착시
     5. 델뵈프(Delboeuf) 착시

     정답 : []
     정답률 : 37%

67. 집단(팀)에 관한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모델은?(2023년 04월)

    

     1. 캠피온(Campion)의 모델
     2. 맥그래스(McGrath)의 모델
     3. 그래드스테인(Gladstein)의 모델
     4. 해크만(Hackman)의 모델
     5. 터크만(Tuckman)의 모델

     정답 : []
     정답률 : 30%

68. 조직 스트레스원 자체의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1년 03월)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5%

69. 풀 프루프(fool proof)가 적용된 기계ㆍ기구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4년 04월)
     1. 카메라의 이중촬영 방지기구
     2. 프레스기의 양수조작식 방호장치
     3. 압력용기의 안전밸브
     4. 사출성형기의 인터로크(interlock)식 가드
     5. 산업용 로봇의 작업장(안전울) 안전플러그

     정답 : []
     정답률 : 47%

70. 사업주가 실시하는 단계별 위험성평가 추진절차와 그 내용이 잘못 연결된 것은?(2015년 04월)
     1. 1단계 사전준비?평가시기 및 절차
     2. 2단계 유해ㆍ위험요인 파악?청취에 의한 방법
     3. 3단계 위험성 추정?가능성 및 중대성의 크기 추정
     4. 4단계 위험성 결정?위험성 크기의 허용 가능여부 판단
     5. 5단계 위험성 감소대책 수립 및 실행?사업장 순회점검에 의한 방법

     정답 : []
     정답률 : 62%

71. 개인보호구의 사용 및 관리에 관한 기술지침에서 유해인자 취급 작업별 보호구 중 작업명과 보호구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3월)
     1. 석면 해체ㆍ제거 작업 - 송기마스크
     2. 환자의 가검물 처리 작업 - 보호마스크
     3. 산소결핍 위험이 있는 밀폐공간 작업 - 방독마스크
     4. 허가 대상 유해물질을 제조ㆍ사용하는 작업 - 방독마스크
     5. 혈액이 분출되거나 분무될 가능성이 있는 작업 - 보호마스크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산소농도가 18% 미만인 장소에서 공기정화식 호흡보호구(방독마스크 등)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반드시 공기호흡기(SCBA)나 송기마스크를 착용토록 하십시오.

72.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이해를 위한 지참상 안전보건 경영시스템의 관리체계의 흐름을 나타낸 그림이다. A단계의 활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3월)

    

     1. 안전보건의 문제점이 발생한 때에는 재해, 앗차사고 등에 대한 사례를 통하여 잘못된 점을 확인하여야 한다.
     2. 위험성이 가장 큰 부분을 우선적으로 해결하여야 한다.
     3. 잠재적으로 심각한 피해를 미치는 사건을 자세히 살펴보아야 한다.
     4. 발생한 일과 원인에 대하여 조사하고, 기록하여야 한다.
     5. 안전보건 실적을 측정할 수 있는 기준을 설정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3. 다음에서 설명하는 기법은?(2016년 04월)

    

     1. 위험과 운전분석기법
     2. 예비위험 분석기법
     3. 상대위험 순위결정기법
     4. 안정성 검토기법
     5. 인간오류 분석기법

     정답 : []
     정답률 : 46%

74. 감전시 응급조치에 관한 기술지침상 통전전류에 의한 영향에 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것으로 옳은 것은?(2023년 04월)

    

     1. ㄱ: 최소감지전류, ㄴ: 고통전류
     2. ㄱ: 최소감지전류, ㄴ: 가수전류
     3. ㄱ: 가수전류, ㄴ: 고통전류
     4. ㄱ: 불수전류, ㄴ: 가수전류
     5. ㄱ: 심실세동전류, ㄴ: 고통전류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최소감지전류: 짜릿함, 1-2mA
고통전류 : 참을수 있거나 고통스러움, 2-8
가수전류 : 안전하게 전원에서 떨어질 수 있는 최소한의 전류, 8-15
불수전류 : 스스로 떨어질 수 없는 전류, 15-50
심실세동전류 : 심장의 기능을 잃게되어 수분내 사망, 165/root(T)
[해설작성자 : 다도]

75. 안전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8년 03월)

    

     1.
     2.
     3. ㄱ, ㄴ
     4. ㄴ, ㄷ
     5. ㄱ, ㄴ, ㄷ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트립
풀 프루프의 일종
사람의 접근을 인식하면 기계가 정지 또는 안전한 위치로 복귀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산업보건지도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4574886)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204 유통관리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580439)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7203 토목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7389102)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7202 직업상담사 1급(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6962159)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4 2
7201 9급 국가직 공무원 전자공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7월11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 산업보건지도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4574886)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4 2
7199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9월2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4 2
7198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9월0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4 2
7197 조경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10월11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4 2
7196 9급 지방직 공무원 화학공학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9881500)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7195 경찰공무원(순경)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3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4 2
7194 산림산업기사(구60문항)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5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7193 잠수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4월04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4 2
7192 공인중개사 1차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10월2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7191 기계설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5465160) 좋은아빠되기 2025.11.24 2
7190 9급 국가직 공무원 수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2291203) 좋은아빠되기 2025.11.24 2
7189 화훼장식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1118437) 좋은아빠되기 2025.11.24 0
7188 보석감정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1월25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4 2
7187 항로표지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8월2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4 2
7186 품질경영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4월2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4 3
7185 바이오화학제품제조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2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4 2
Board Pagination Prev 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396 Next
/ 3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