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토목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738910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토목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응용역학


1. 그림과 같은 구조물에서 단부 A, B는 고정, C지점은 힌지 일 때 OA, OB, OC 부채의 분배율로 옳은 것은?(2020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0%

2. 다음 그림과 같은 단순보에서 최대 휨모멘트가 발생하는 위치는? (단, A점으로 부터의 거리)(2007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답은 1/루트3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루트 3분의 1임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0.577L 아닌가요?

[추가 오류 신고]
4번 선지 l/루트3입니다.
출처 :2014 토목기사 8개년 기출문제집(성안당)

[추가 오류 신고]
정답 1/(루트3)입니다
[해설작성자 : 얌냠]

[추가 오류 신고]
1/루트3

3. 주어진 보에서 지점 A의 휨모멘트(MA) 및 반력 RA의 크기로 옳은 것은?(2011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1%

4. 직사각형 단면 보의 단면적을 A, 전단력을 V라고 할 때 최대 전단응력(τmax)은?(2022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단면의 최대 전단응력>
구형단면: 3/2 S/A
원형단면: 4/3 S/A
[해설작성자 : oO]

5. 다음 그림과 같은 보에서 두 지점의 반력이 같게 되는 하중의 위치(x)를 구하면?(2011년 10월)

   

     1. 0.33m
     2. 1.33m
     3. 2.33m
     4. 3.33m

     정답 : []
     정답률 : 83%

6. 그림과 같이 길이가 2L인 보에 w의 등분포하중이 작용할 때 중앙지점을 δ만큼 낮추면 중간지점의 반력 (RB)값은 얼마인가?(2017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Rb의 반력은 5/8 × WL 이고
이를 근거로    위 문재는 2L이니까
Rb = 5/4 × WL
뒤에 중앙지점 낮추는거 고려하지않아도 답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앙투카]

7. 다음 그림과 같은 단면을 가지는 단순보에서 전단력에 안전하도록 하기 위한 지간 L은? (단, 허용전단응력은 7kg/cm2이다.)(2008년 09월)

   

     1. 450cm
     2. 440cm
     3. 430cm
     4. 420cm

     정답 : []
     정답률 : 32%

8. 동일한 재료 및 단면을 사용한 다음 기둥 중 좌굴하중이 가장 큰 기둥은?(2019년 08월)
     1. 양단 힌지의 길이가 L인 기둥
     2. 양단 고정의 길이가 2L인 기둥
     3. 일단 자유 타단 고정의 길이가 0.5L인 기둥
     4. 일단 힌지 타단 고정의 길이가 1.2L인 기둥

     정답 : []
     정답률 : 72%

9. 기둥의 중심에 축 방향으로 연직 하중 P=120t 이, 기둥의 횡 방향으로 풍하중이 역삼각형 모양으로 분포하여 작용할 때 기둥에 발생하는 최대 압축응력은?(2006년 09월)

   

     1. 375kg/cm2
     2. 625kg/cm2
     3. 1,000kg/cm2
     4. 1,625kg/cm2

     정답 : []
     정답률 : 34%

10. 양단고정의 장주에 중심축하중이 작용할 때 이 기둥의 좌굴응력은? (단, E=2.1×105MPa이고, 기둥은 지름이 4cm인 원형기둥이다.)(2020년 06월)

    

     1. 3.35MPa
     2. 6.72MPa
     3. 12.95MPa
     4. 25.91MPa

     정답 : []
     정답률 : 68%

11. 지름 5cm의 강봉을 8tf로 당길 때 지름은 약 얼마나 줄어들겠는가? (단, 전단탄성계수 G=7.0×105kgf/cm2, 푸아송비 ν=0.5)(2015년 05월)
     1. 0.003mm
     2. 0.005mm
     3. 0.007mm
     4. 0.008mm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1) E = 2G*(1+v) = 2*(7*10^5)(1+0.5) = 2.1*10^6
2) 응력 = P/A=8000/19.63 = 407.54
3) (0.5*5*407.54)/(2.1*10^6) = 0.0005cm = 0.005mm
[해설작성자 : 계ㄷ 토목]

12. 다음 정정보에서의 전단력도(SFD)로 옳은 것은?(2019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6%

13. 그림과 같이 한 변이 a인 정사각형 단면의 1/4 을 절취한 나머지 부분의 도심(C)의 위치(yo)는?(2022년 04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단면1차모멘트 Q = (a^2·a/2)-{(a^2/4)·(a/2+a/4)}
단면적 A = a^2-a^2/4
도심의 위치 위치(yo) = Q/A = 5a/12
[해설작성자 : 수고링]

14. 길이 50mm, 지름 10mm의 강봉을 당겼더니 5mm 늘어났다면 지름의 줄어든 값은 얼마인가? (단, 푸아송비 v= 1/3이다.)(2012년 09월)
     1. 1/6mm
     2. 1/5mm
     3. 1/3mm
     4. 1/2mm

     정답 : []
     정답률 : 62%

15. 다음과 같은 부재에서 길이의 변화량 Δ ℓ 은 얼마인가? (단, 보는 균일하며 단면적A와 탄성계수E는 일정하다고 가정한다.)(2003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49%

16. 지름이 d 인 강선이 반지름 r 인 원통 위로 굽어져 있다. 이 강선 내의 최대 굽힘모멘트 Mmax 는? (단, 강선의 탄성계수 E=2×106 kgf/cm2 , d=2 cm, r =10 cm)(2015년 03월)

    

     1. 1.2×105 kgf/cm
     2. 1.4×105 kgf/cm
     3. 2.0×105 kgf/cm
     4. 2.2×105 kgf/cm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R = EI / M
강선의 R = r + d/2 =11cm
강선의 I = πd4/ 64 = 0.785cm4
M = EI / R = 1.4 * 10^5 kg * cm
[해설작성자 : 주형]

17. 단면의 성질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잘못된 것은?(2005년 05월)
     1. 단면2차 모멘트의 값은 항상 0보다 크다.
     2. 단면2차 극모멘트의 값은 항상 극을 원점으로 하는 두직교좌표축에 대한 단면2차 모멘트의 합과 같다.
     3. 도심축에 관한 단면1차 모멘트의 값은 항상 0이다.
     4. 단면 상승 모멘트의 값은 항상 0보다 크거나 같다.

     정답 : []
     정답률 : 57%

18. 그림에서 합력 R과 P1 사이의 각을 α라고 할 때 tanα를 나타낸 식으로 옳은 것은?(2020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0%

19. 정사각형의 목재 기둥에서 길이가 5m라면 세장비가 100 이 되기 위한 기둥단면 한 변의 길이로서 옳은 것은?(2003년 03월)
     1. 8.66 cm
     2. 10.38 cm
     3. 15.82 cm
     4. 17.32 cm

     정답 : []
     정답률 : 46%

20. 그림과 같은 구조물의 C점의 연직하중이 작용할 때, AC부재가 받는 힘은?(2009년 08월)

    

     1. 250kg
     2. 500kg
     3. 866kg
     4. 1000kg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기선 하나가 더 주어줘야 가상일의 정리를 이용할듯합니다.

2과목 : 측량학


21. 시가지에서 25변형 폐합트래버스측량을 한 결과 측각오차가 1' 5"이었을 때, 이 오차의 처리는? (단, 시가지에서의 허용 오차:, n:트래버스의 측점 수, 각 측정의 정확도는 같다.)(2014년 09월)
     1. 오차를 각 내각에 균등배분 조정한다.
     2. 오차가 너무 크므로 재측(再測)을 하여야 한다.
     3. 오차를 내각(內角)의 크기에 비례하여 배분 조정한다.
     4. 오차를 내각(內角)의 크기에 반비례하여 배분 조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측각오차가 허용오차 이내이므로 각 내각에 균등배분한다
[해설작성자 : 띠리링맨]

22. 하천측량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하천측량시 처음에 할 일은 도상조사로서 유로상황, 지역면적, 지형지물, 토지이용 상황 등을 조사하여야 한다.
     2. 심천측량은 하천의 수심 및 유수부분의 하저사항을 조사하고 횡단면도를 제작하는 측량을 말한다.
     3. 하천측량에서 수준측량을 할 때의 거리표는 하천의 중심에 직각방향으로 설치한다.
     4. 수위관측소의 위치는 지천의 합류점 및 분류점으로서 수위의 변화가 뚜렷한 곳이 적당하다.

     정답 : []
     정답률 : 77%

23. 항공사진 촬영고도 6000m에서 촬영했을 때 수직 위치에 대한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오차범위는?(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0년 05월)
     1. 0.3 ~ 0.6 cm
     2. 6 ~ 30 cm
     3. 0.6 ~ 1.2 m
     4. 3 ~ 6 m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사진 측량 문제는 시험 범위에서 제외 되었습니다.

24. 수준측량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10월)
     1. 수준측량에서는 빛의 굴절에 의하여 물체가 실제로 위치하고 있는 곳보다 더욱 낮게 보인다.
     2. 삼각수준측량은 토털스테이션을 사용하여 연직각과 거리를 동시에 관측하므로 레벨측량보다 정확도가 높다.
     3. 수평한 시준선을 얻기 위해서는 시준선과 기포관 축은 서로 나란하여야 한다.
     4. 수준측량의 시준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기준점과의 구심 작업에 신중을 기울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2%

25. 삼각수준측량의 관측값에서 대기의 굴절오차(기차)와 지구의 곡률오차(구차)의 조정방법중 옳은 것은?(2006년 03월)
     1. 기차는 높게, 구차는 낮게 조정한다.
     2. 기차는 낮게, 구차는 높게 조정한다.
     3. 기차와 구차를 함께 높게 조정한다.
     4. 기차와 구차를 함께 낮게 조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47%

26. 지형측량을 할 때 기본 삼각점만으로는 기준점이 부족하여 추가로 설치하는 기준점은?(2014년 03월)
     1. 방향전환점
     2. 도근점
     3. 이기점
     4. 중간점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도근점 : 지형측량시 기준점이 부족할 때 설치하는 보조기준점
이기점 : 수준측량시 시준이 어려울 때 기계의 이동을 위해 표척을 세우고 전시와 후시를 읽어 수준 노선의 연락을 취하는 점
중간점 : 수준측량시 전시만 취하는 점
[해설작성자 : 초리뽀리집사]

27. 지상사진측량과 항공사진측량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07년 09월)
     1. 지상사진측량은 축척변경이 용이하나, 항공사진 측량은 축척변경이 안된다.
     2. 작업지역이 좁은 경우에는 지상사진측량이 작업지역이 넓은 경우에는 항공사징측량이 유리하다.
     3. 지상사진측량은 전반교회법으로 측량한다.
     4. 항공사진측량은 후방교회법으로 측량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사진측량 관련 문제는 시험 범위에서 제외 되었습니다.

28. 원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3월)
     1. 원곡선을 설치하기 위한 기본요소는 반지름(R)과 교각(I)이다.
     2. 접선길이는 곡선반지름에 비례한다.
     3. 원곡선은 평면곡선과 수직곡선으로 모두 사용할 수 있다.
     4. 고속도로와 같이 고속의 원활한 주행을 위해서는 복심곡선 또는 반향곡선을 주로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곡선은 수평곡선과 수직곡선으로 나뉜다. 수평곡선에서는 원곡선과 완화곡선으로 나뉘고, 고속도로는 원곡선이 아닌! 완화곡선이며 클로소이드 곡선을 사용한다. 그러므로 원곡선에 속하지않으며 복심과 반향곡선을 사용하지않는다. 복심과 반향곡선은 원곡선 4종류에 속하는 곡선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9. 원곡선에서 반지름 R=200m, 시점으로부터 교점(I.P)까지의 추가거리 423.26m 교각 I=42° 20'일 때 시단현의 편각은 얼마인가? (단, 중심말뚝간격은 20m임)(2007년 09월)
     1. 0° 50‘ 00“
     2. 2° 01‘ 52“
     3. 2° 03‘ 11“
     4. 2° 51‘ 47“

     정답 : []
     정답률 : 50%

30. 하천측량에서 유속관측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8월)
     1. 유속계에 의한 평균유속 계산식은 1점법, 2점법, 3점법 등이 있다.
     2. 하천기울기(I)를 이용하여 유속을 구하는 식에는 Chezy식과 Manning식 등이 있다.
     3. 유속관측을 위해 이용되는 부자는 표면부자, 2중부자, 봉부자 등이 있다.
     4. 위어(weir)는 유량관측을 위해 직접적으로 유속을 관측하는 장비이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위어는 보통 이등변삼각형의 형태이고 정확한 유량측정이 필요할 때 많이 사용한다.
Q = (8/15)*C*tan(세타/2)*(2*중력가속도)^1/2*h^(5/2)
이므로 속도와는 관련이 없다.
[해설작성자 : ewq321]

31. 수준측량에서 전,후시 거리를 같게 함으로써 제거되는 오차가 아닌 것은?(2013년 03월)
     1. 빛의 굴절오차
     2. 지구의 곡률오차
     3. 시준선이 기포관측과 평행하지 않아 생기는 오차
     4. 표척눈금의 부정확에서 오는 오차

     정답 : []
     정답률 : 71%

32. 그림과 같이 교각 60°의 두 직선 사이에 반경 R= 300m의, 원곡선을 설치할 때 접선장 T의 길이는?(2007년 03월)

    

     1. 81.603 m
     2. 173.205 m
     3. 346. 410 m
     4. 519. 615 m

     정답 : []
     정답률 : 60%

33. 1600m2의 정사각형 토지면적을 0.5m2까지 정확하게 구하기 위해서 필요한 변길이의 최대 허용 오차는?(2008년 09월)
     1. 6mm
     2. 8mm
     3. 10mm
     4. 12mm

     정답 : []
     정답률 : 48%

34. 직접고저측량을 실시한 결과가 그림과 같을 때, A점의 표고가 10m라면 C점의 표고는? (단, 그림 은 개략도로 실제 치수와 다를 수 있음)(2011년 03월)

    

     1. 9.57m
     2. 9.66m
     3. 10.57m
     4. 10.66m

     정답 : []
     정답률 : 72%

35. 방위각과 방향각의 차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6년 03월)
     1. 방위각은 진북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방향각은 적도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2. 방위각은 진북방향과 측선이 이루는 우회각이고 방향각은 기준선과 측선이 이루는 우회각이다.
     3. 방위각과 방향각은 동일한 것이다.
     4. 방위각은 우측으로 잰 각이며, 방향각은 이와 반대로 좌측으로 잰 각이다.

     정답 : []
     정답률 : 52%

36. 그림과 같은 유심 삼각망에서 만족하여야 할 조건이 아닌 것은?(2014년 05월)

    

     1. (① + ② + ⑨) - 180° = 0
     2. [① + ②] - [⑤ + ⑥] = 0
     3. (⑨ + ⑩ + ⑪ + ⑫) - 360° = 0
     4. (①+②+③+④+⑤+⑥+⑦+⑧) - 360° = 0

     정답 : []
     정답률 : 68%

37. 교호 수준 측량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A점의 표고가 120.564m이면 B점의 표고는?(2009년 08월)

    

     1. 120.759m
     2. 120.672m
     3. 120.524m
     4. 120.328m

     정답 : []
     정답률 : 55%

38. 다음의 설명 중 틀린 것은?(2009년 08월)
     1. 적도를 기준으로 수평면상에서 동쪽으로 돌아가며 잰 각을 방위각이라 한다.
     2. 평면 직교좌표의 X축을 기준으로 하여 오른쪽으로 관측한 각을 방향각이라 한다.
     3. 방위각과 방향각은 좌표원점에서 일치하며 원점에서 멀어질수록 그 차이가 커진다.
     4. 자오선수차는 진북방향각과 절대값이 같다.

     정답 : []
     정답률 : 27%

39. 100m2인 정사각형 토지의 면적을 0.1m2까지 정확하게 구현하고자 한다면 이에 필요한 거리관측의 정확도는?(2019년 03월)
     1. 1/2000
     2. 1/1000
     3. 1/500
     4. 1/300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거리관측정밀도는 면적관측정밀도의 1/2배이므로 0.1/100=1/1000 에 0.5를 곱해준다.
(0.1/100)*0.5=1/200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0. 다각측량에서 200m에 대한 거리관측의 오차가 ±2mm이었을 때 이와 같은 정밀도의 각관측 오차는?(2008년 05월)
     1. ±2°
     2. ±4°
     3. ±6°
     4. ±8°

     정답 : []
     정답률 : 56%

3과목 : 수리학 및 수문학


41. 수리수심(Hydraulic depth)을 가장 옳게 표현한 것은? (단, A는 유수단면적)(2008년 09월)
     1. 수심이 H 일 때 A/H 를 뜻한다.
     2. 윤변이 S 일 때 A/S 를 뜻한다.
     3. 수면폭이 B 일 때 A/B 를 뜻한다.
     4. 자유수면에서 수로바닥까지의 최대연직거리이다.

     정답 : []
     정답률 : 30%

42. 직사각형 위어로 유량을 측정하였다. 위어의 수두측정에 2% 의 오차가 발생하였다면 유량에는 몇 %의 오차가 있겠는가?(2003년 05월)
     1. 1%
     2. 1.5%
     3. 2%
     4. 3%

     정답 : []
     정답률 : 54%

43. 도수 전후의 수심이 각각 1m, 3m일 때 에너지손실은?(2014년 05월)
     1. 1/3m
     2. 1/2m
     3. 2/3m
     4. 4/5m

     정답 : []
     정답률 : 68%

44. 면적 평균 강수량 계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5월)
     1. 관측소의 수가 적은 산악지역에는 산술평균법이 적합하다.
     2. 티센망이나 등우선도 작성에 유역 밖의 관측소는 고려하지 말아야 한다.
     3. 등우선도 작성에 지형도가 반드시 필요하다.
     4. 티센 가중법은 관측소간의 우량변화를 선형으로 단순화한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답 3번입니다.
티센 가중법은 우량변화를 선형으로 단순화한 방법
등우선법은 지형의 영향을 고려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정답 4번입니다.
등우선법- 유역면적 5000이상, 산악 영향 고려
티센가중법- 500~5000 이내, 우량변화 선형으로 단순화
산술평균법- 500이내, 평야지역 적합
[해설작성자 : 주희]

45. 미계측 유역에 대한 단위유량도의 합성방법이 아닌 것은?(2019년 04월)
     1. SCS 방법
     2. Clark 방법
     3. Horton 방법
     4. Snyder 방법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합성 단위유량도 = S.C.S(Snyder, Clark, SCS)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6. 배수면적이 500 ha, 유출계수가 0.70인 어느 유역에 연평균강우량이 1300mm 내렸다. 이때 유역 내에서 발생한 최대유출량은?(2020년 08월)
     1. 0.1443 m3/s
     2. 12.64 m3/s
     3. 14.43 m3/s
     4. 1264 m3/s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1/360*0.7*1300/(365*24)*500
ha일경우 1/360, 연평균강우량을 mm/hr 로 환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두번째 해설에 오류가 있습니다. 합리식에서 면적이 ha일 때는 1/360*CIA이고 면적이 km^2일 때는 0.2778CIA를 사용하는 것 입니다.0.2778=1/3.6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7. 미계측 유역에 대한 단위유량도의 합성방법이 아닌 것은?(2004년 03월)
     1. Clark 방법
     2. Horton 방법
     3. Snyder 방법
     4. SCS 방법

     정답 : []
     정답률 : 54%

48. 지름 20cm, 길이 100m의 주철관으로서 매초0.1m3의 물을 40m의 높이까지 양수하려고 한다. 펌프의 효율이 100%라 할 때, 필요한 펌프의 동력은? (단, 마찰손실계수는 0.03, 유출 및 유입손실계수는 각각 1.0과 0.5이다.)(2011년 06월)
     1. 40HP
     2. 65HP
     3. 75HP
     4. 85HP

     정답 : []
     정답률 : 46%

49. 합리식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7년 05월)
     1. 작은 우역면적에 적용한다.
     2. 불투수층 지역이라 가정한다.
     3. 첨두유량은 도달시간 이후부터는 강우강도에 유역면적을 곱한 값이다.
     4. 강우강도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

     정답 : []
     정답률 : 60%

50. 관수로 흐름에서 레이놀즈수가 500보다 작은 경우의 흐름 상태는?(2018년 04월)
     1. 상류
     2. 난류
     3. 사류
     4. 층류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레이놀즈수: 무차원의 수로 흐름상태를 구분하는 지표이다
Re<2000 층류
Re<4000 난류
2000<Re<4000 천이영역
[해설작성자 : 덕이]

51. 광폭 직사각형 단면 수로의 단위폭당 유량이 16m3/s일 때, 한계경사는? (단, 수로의 조도계수 n=0.02이다.)(2018년 04월)
     1. 3.27×10-3
     2. 2.73×10-3
     3. 2.81×10-2
     4. 2.90×10-2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한계경사(Ic) = g/c^2 = 2.73*10-3
한계수심(hc) = (Q/g)^1/3= 2.967m
유속계수(C) = (1/n)*hc = 59.936
[해설작성자 : 덕이]

한계수심(hc) = (q/g)^1/3 = 2.966m
*.q는 단위폭당 유량임을 유의
유속계수(C) = Rh^1/6*1/n = 59.933
*.여기서 동수반경(경심)Rh은 광폭 직사각형이므로 한계수심 hc가 된다.
한계경사(Ic) = g/α*C^2 = 2.73*10^-3
*.보정계수α는 주어주지 않았으니 α= 1로 계산
[해설작성자 : 토목꺼억]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한계수심 hc =(Q^2/g)^(1/3)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2. 개수로 흐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8년 04월)
     1. 사류에서 상류로 변하는 곳에 도수현상이 생긴다.
     2. 개수로 흐름은 중력이 원동력이 된다.
     3. 비에너지는 수로 바닥을 기준으로 한 에너지이다.
     4. 배수곡선은 수로가 단락(段落)이 되는 곳에 생기는 수면곡선이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저하곡선 : 수로가 단락된 곳에서 생기는 수면곡선이다.
[해설작성자 : 빈]

53. 다음 중 토양의 침투능(Infiltration Capacity) 결정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21년 08월)
     1. Philip 공식
     2. 침투계에 의한 실측법
     3. 침투지수에 의한 방법
     4. 물수지 원리에 의한 산정법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물수지 원리에 의한 산정법은 증발량 산정법에 사용됨
[해설작성자 : oO]

54. 오리피스(Orifice)의 이론유속 V=√2gh는 다음 중 어느 이론으로부터 유도되는 특수한 경우인 가? (단, V:유속, g:중력가속도, h:수두차)(2013년 06월)
     1. 베르누이(Bernoulli)의 정리
     2. 레이놀즈(Reynolds)의 정리
     3. 벤투리(Venturi)의 이론식
     4. 운동량 방정식 이론

     정답 : []
     정답률 : 69%

55. 면적 10㎢의 지역에 3시간에 10mm의 강우강도로 무한히 내릴 때 평형유출량(Qe)은 약 얼마인가?(2009년 03월)
     1. 9.72 m3/sec
     2. 9.26 m3/sec
     3. 8.94 m3/sec
     4. 8.33 m3/sec

     정답 : []
     정답률 : 53%

56. 유역면적 10km2, 강우강도 80mm/h, 유출계수 0.70일 때 합리식에 의한 첨두유량(Qmax)은?(2021년 03월)
     1. 155.6m3/s
     2. 560m3/s
     3. 1.556m3/s
     4. 5.6m3/s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합리식
Q=0.2778*CIA
[해설작성자 : 도아]

57. 한계수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7년 09월)
     1. 일정한 유량이 흐를 때 최소의 비에너지를 갖게 하는 수심
     2. 일정한 비에너지 아래서 최소유량을 흐르게 하는 수심
     3. 흐름의 속도가 장파의 전파속도와 같은 흐름의 수심
     4. 일정한 유량이 흐를 때 비력을 최소로 하는 수심

     정답 : []
     정답률 : 44%

58. 개수로의 지배단면(Control Sec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6년 09월)
     1. 개수로 내에서 유속이 가장 크게 되는 단면이다.
     2. 개수로 내에서 압력이 가장 크게 작용하는 단면이다.
     3. 개수로 내에서 수로경사가 항상 같은 단면을 말한다.
     4. 한계수심이 생기는 단면으로서 상류에서 사류로 변하는 단면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59. 수표면적이 10km2되는 어떤 저수지 수면으로부터 2m 위에서 측정된 대기의 평균온도가 25℃, 상대습도가 65%이고, 저수지 수면 6m 위에서 측정한 풍속이 4m/s, 저수지 수면 경계층의 수온이 20℃로 추정되었을 때 증방률(Eo)이 1.44mm/day이었다면 이 저수지 수면으로부터의 일증발량(Edav)은?(2014년 03월)
     1. 42300m3/day
     2. 32900m3/day
     3. 27300m3/day
     4. 14400m3/day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일증발량 = 증발률 * 수표면적

60. 수심 2m, 폭 4m, 경사 0.0004인 직사각형 단면수로에서 유량 14.56m3/s가 흐르고 있다. 이 흐름에서 수로표면 조도계수는(n)는?(2017년 05월)
     1. 0.0096
     2. 0.01099
     3. 0.02096
     4. 0.030991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매닝공식
Q=(1/n)*ARh^2/3 *S0^1/2 이고 n을 이항시켜 구할 수 있다.
여기서 Rh=A/P 이고 P는 윤변 길이이므로 8m이다.
따라서 Rh=1이므로 계산하면,
0.010989
[해설작성자 : 단국대 토목공학과 학생]

4과목 : 철근콘크리트 및 강구조


61. 직사각형 단순보에서 계수 전단력 Vu70kN을 전단철근 없이 지지하고자 할 경우 필요한 최소유효깊이 d는? (단, b=400mm, fck=24MPa, fy=350MPa)(2013년 06월)
     1. 426mm
     2. 572mm
     3. 611mm
     4. 751mm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d=12Vu/0.75*루트fck*b
0.75 (직사각형)
[해설작성자 : 참 쉽죵]

62. PSC보를 RC보처럼 생각하여, 콘크리트는 압축력을 받고 긴장재는 인장력을 받게 하여 두 힘의 우력 모멘트로 외력에 의한 휨모멘트에 저항시킨다는 개념은?(2020년 09월)
     1. 응력개념
     2. 강도개념
     3. 하중평형개념
     4. 균등질 보의 개념

     정답 : []
     정답률 : 58%

63. 아래 그림의 지그재그로 구멍이 있는 판에서 순폭을 구하면? (단, 구멍직경은 25mm)(2018년 03월)

    

     1. 187mm
     2. 141mm
     3. 137mm
     4. 125mm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200-25-2(25-40^2/4*50)=141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4. 철근의 겹침이음 등급에서 A급 이음의 조건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2018년 04월)
     1. 배치된 철근량이 이음부 전체 구간에서 해석결과 요구되는 소요 철근량의 3배 이상이고 소요 겹침이음 길이 내 겹침이음된 철근량이 전체 철근량의 1/3 이상인 경우
     2. 배치된 철근량이 이음부 전체 구간에서 해석결과 요구되는 소요 철근량의 3배 이상이고 소요 겹침이음 길이 내 겹침이음된 철근량이 전체 철근량의 1/2 이하인 경우
     3. 배치된 철근량이 이음부 전체 구간에서 해석결과 요구되는 소요 철근량의 2배 이상이고 소요 겹침이음 길이 내 겹침이음된 철근량이 전체 철근량의 1/3 이상인 경우
     4. 배치된 철근량이 이음부 전체 구간에서 해석결과 요구되는 소요 철근량의 2배 이상이고 소요 겹침이음 길이 내 겹침이음된 철근량이 전체 철근량의 1/2 이하인 경우

     정답 : []
     정답률 : 61%

65. 설계휨강도가 φMn=350kN ∙ m인 단철근 직사각형 보의 유효깊이 d는? (단, 철근비 p=0.014, bw=350mm, fck=21MPa, fy=350MPa이고, 이 단면은 인장지배단면이다.)(2013년 06월)
     1. 462mm
     2. 528mm
     3. 574mm
     4. 651mm

     정답 : []
     정답률 : 38%

66. 인장 이형철근의 정착길이 산정시 필요한 보정계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단, fsp는 콘크리트의 쪼갬인장강도)(2009년 08월)
     1. 상부철근(정착길이 또는 겹침이음부 아래 300mm를 초과되게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친 수평철근)인 경우, 철근배근 위치에 따른 보정계수 1.3을 사용한다.
     2. 에폭시 도막철근인 경우, 피복두께 및 순간격에 따라 1.2나 2.0의 보정계수를 사용한다.
     3. fsp가 주어지지 않은 경량콘크리트인 경우, 1.3의 보정계수를 사용한다.
     4. 에폭시 도막철근이 상부철근인 경우, 보정계수끼리 곱한 값이 1.7보다 클 필요는 없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3번 0.75 아닌가요 답 2개같습니다

[추가 오류 신고]

3번도 보정계수 1.3이 아닌 0.75로 오답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번과 3번 두개입니다
[해설작성자 : 권기호]

67. 다음은 L형강에서 인장력을 검토를 위한 순폭계산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2007년 05월)

    

     1. 전개 총폭(b)=b1+b2-t이다.
     2. 경우 순폭(bn)=b-d이다.
     3. 리벳선간거리(g)=g1-t이다.
     4. 인 경우 순폭 이다.

     정답 : []
     정답률 : 64%

68.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2003)에서 규정한 강도감소 계수를 잘못 기술한 것은?(2007년 03월)
     1. 무근 콘크리트의 휨모멘트: ø=0.65
     2. 전단력과 비틀림 모멘트: ø=0.70
     3. 콘크리트의 지압력: ø=0.70
     4. 축인 장력: ø=0.85

     정답 : []
     정답률 : 30%

69. b=300mm, d=500mm, As=3-D25=1520mm2가 1열로 배치된 단철근 직사각형 보의 설계 휨강도(øMn)는? (단, fck=28MPa, fy=400MPa이고, 과소철근보이다.)(2020년 09월)
     1. 132.5kNㆍm
     2. 183.3kNㆍm
     3. 236.4kNㆍm
     4. 307.7kNㆍm

     정답 : []
     정답률 : 62%

70.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 단면의 프리텐션 부재의 편심 배치한 직선 PS강재를 820kN으로 긴장했을 때 탄성변형으로 인한 프리스트레스의 감소량은? (단, I=3.125×109mm4, n=6이고, 자중에 의한 영향은 무시한다.)(2011년 03월)

    

     1. 44.5MPa
     2. 46.5MPa
     3. 48.5MPa
     4. 50.5MPa

     정답 : []
     정답률 : 52%

71. 압축 이형철근의 정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9월)
     1. 정착길이는 항상 200mm 이상이어야 한다.
     2. 정착길이는 기본정착길이에 적용 가능한 모든 보정계수를 곱하여 구하여야 한다.
     3. 해석결과 요구되는 철근량을 초과하여 배치한 경우의 보정계수는 이다.
     4. 지름이 6mm 이상이고 나선 간격이 100mm이하인 나선철근으로 둘러싸인 압축 이형철근의 보정계수는 0.8이다.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지름이 6mm 이상이고 나선 간격이 100mm이하인 나선철근으로 둘러싸인 압축 이형철근의 보정계수는 0.75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2.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비틀림철근 상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Ph : 가장 바깥의 횡방향 폐쇄스터럽 중심선의 둘레(mm)이다.)(2019년 03월)
     1. 종방향 비틀림철근은 양단에 정착하여야 한다.
     2. 횡방향 비틀림철근의 간격은 Ph/4 보다 작아야 하고, 또한 200mm보다 작아야 한다.
     3. 종방향 철근의 지름은 스터럽 간격의 1/24 이상이어야 하며, 또한 D10 이상의 철근이어야 한다.
     4. 비틀림에 요구되는 종방향 철근은 폐쇄스터럽의 둘레를 따라 300mm 이하의 간격으로 분포시켜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횡방향 비틀림철근의 간격은 "Ph/8" 보다 작아야 하고, 또한 "300mm"보다 작아야 한다.
[해설작성자 : gavis]

73. 그림과 같은 철근콘크리트보 단면이 파괴시 인 장철근의 변형률은? (단, fck=28MPa, fy=350MPa, As=1,520mm2)(2011년 10월)

    

     1. 0.004
     2. 0.008
     3. 0.011
     4. 0.015

     정답 : []
     정답률 : 51%

74. 주어진 T형 단면에서 전단에 대해 위험단면에서 Vud/Mu=0.28 이었다. 휨철근 인장강도의 40% 이상의 유효 프리스트레스트 힘이 작용할 때 콘크리트의 공칭전단강도 (Vc)는 얼마인가? (단, fck=45MPa, Vu :계수전단력, Mu :계수휨모멘트, d:앞축측 표면에서 긴장재 도심까지의 거리)(2016년 10월)

    

     1. 185.7kN
     2. 230.5kN
     3. 321.7kN
     4. 462.7kN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0.05*루트45)+(4.9*0.28)}*(300*450)=230.5
[해설작성자 : 계ㄷ 토목]

75. 그림과 같이 경간 L=9m인 연속 슬래브에서 반 T형 단면의 유효폭(b)은 얼마인가?(2010년 09월)

    

     1. 1100mm
     2. 1050mm
     3. 900mm
     4. 850mm

     정답 : []
     정답률 : 51%

76. 강도설계법에서 그림과 같은 단철근 T형보의 공칭휨강도(Mn)는? (단, As=5000mm2, fck=21MPa, fy=300MPa, 그림의 단위는 mm이다.)(2020년 09월)

    

     1. 711.3kNㆍm
     2. 836.8kNㆍm
     3. 947.5kNㆍm
     4. 1084.6kNㆍm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a > 80

Asf = 0.85 * fck * (b - bw) * t / fy
        = 0.85 * 21 * (1000 - 400) * 80 / 300
        = 2856 mm2

a = ((As - Asf) * fy) / (0.85 * fck * bw)
    = ((5000 - 2856) * 300) / (0.85 * 21 * 400)
    = 90.1 mm

Mn = Asf * fy * (d - t / 2) + (As - Asf) * fy * (d - a / 2)
     = 2856 * 300 * (600 - 80 / 2) + (5000 - 2856) * 300 * (600 - 90.1 / 2)
     = 836.8 kN·m
[해설작성자 : 돈모으자]

77. 그림과 같은 리벳 연결에서 리벳의 허용력은? (단, 리벳 지름은 12mm이며, 리벳의 허용전단응력은 200MPa, 허용지압응력은 400MPa이다.)(2015년 09월)

    

     1. 60.2KN
     2. 55.2kN
     3. 45.2kN
     4. 40.2kN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리벳 지름x -> 리벳 구멍 지름

78. 주어진 단철근보 단면에서 균열검토를 위한 유효인장 단면적(A)은 얼마인가? (단, 사용 철근은 D25-6EA이다.)(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07년 03월)

    

     1. 9000mm2
     2. 10000mm2
     3. 1200mm2
     4. 60000mm2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답이없네요 75000인데

79. 보의 유효깊이(d) 600mm, 복부의 폭( bw) 320mm, 플랜지의 두께 130mm, 인장철근량 7650mm2, 양쪽 슬래브의 중심간 거리 2.5m, 경간 10.4m, fck=25MPa, fy=400MPa로 설계된 대칭 T형보가 있다. 이 보의 등가 직사각형 응력 블록의 깊이(a)는?(2015년 09월)
     1. 51.2mm
     2. 60mm
     3. 137.5mm
     4. 145mm

     정답 : []
     정답률 : 47%

80. 포스트텐션 긴장재의 마찰손실을 구하기 위해 아래의 표와 같은 근사식을 사용하고자 한다. 이때 근사식을 사용할 수 있는 조건으로 옳은 것은?(2015년 05월)

    

     1. Po 의 값이 5000kN이하인 경우
     2. Po 의 값이 5000kN을 초과하는 경우
     3. (Kl+μα)의 값이 0.3이하인 경우
     4. (Kl+μα)의 값이 0.3을 초과하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62%

5과목 : 토질 및 기초


81. 흙의 포화단위중량이 20 kN/m3 인 포화점토층을 45°경사로 8m를 굴착하엿다. 흙의 강도정수 Cu = 65 kN/m2, ø = 0° 이다. 그림과 같은 파괴면에 대하여 사면의 안전율은? (단, ABCD의 면적은 70m2 이고 O점에서 ABCD의 무게중심까지의 수직거리는 4.5m 이다.)(2021년 05월)

    

     1. 4.72
     2. 4.21
     3. 2.67
     4. 2.36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65×12.1×18.89/70×20×4.5=2.36
89.5×2파이×12.1/360=18.89
[해설작성자 : 덕이]

82. 포화된 지반의 간극비를 e, 함수비를 w, 간극률을 n, 비중을 Gs : 라 할 때 다음 중 한계 동수 경사를 나타내는 식으로 적절한 것은?(2018년 03월)
     1. Gs+1/1+e
     2. e-w/w(1+e)
     3. (1+n)(Gs-1)
     4. Gs(1-w+e)/(1+Gs)(1+e)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Icr=(Gs-1)/(1+e)
Gs*W=S*e→e=(Gs*W)/S→포화된 지반이라 S=1 e=Gs*W
(e-W)/(W(1+e))→(W(Gs-1))/(W(1+e))→(Gs-1)/(1=e)
[해설작성자 : 크로꼬다일]

83. 토질 종류에 따른 다짐 곡선을 설명항 것 중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8월)
     1. 조립토가 세립토에 비하여 최대건조단위 중량이 크게 나타나고 최적함수비는 작게 나타난다.
     2. 조립토에서는 입도분포가 양호할수록 최대건조단위 중량은 크고 최적함수비는 작다.
     3. 조립토 일수록 다짐 곡선은 완만하고 세립토 일수록 다짐 곡선은 급하게 나타난다.
     4. 점성토에서는 소성이 클수록 최대건조단위 중량은 감소하고 최적함수비는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84. 표준관입시험(SPT)을 할 때 처음 150mm 관입에 요하는 N값은 제외하고, 그 후 300mm 관입에 요하는 타격수로 N값을 구한다. 그 이유로 옳은 것은?(2020년 08월)
     1. 흙은 보통 150mm 밑부터 그 흙의 성질을 가장 잘 나타낸다.
     2. 관입봉의 길이가 정확히 450mm 이므로 이에 맞도록 관입시키기 위함이다.
     3. 정확히 300mm를 관입시키기가 어려워서 150mm 관입에 요하는 N값을 제외한다.
     4. 보링구멍 밑면 흙이 보링에 의하여 흐트러져 150mm 관입 후부터 N값을 측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85. 입도분석 시험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이 흙을 통일분류법에 의해 분류하면? (단, 0.074mm체 통과율=3%, 2mm체 통과율=40%, 4.75mm체통과율=65%, D10=0.10㎜, D30=0.13㎜, D60=3.2㎜)(2005년 05월)
     1. GW
     2. G
     3. SW
     4. SP

     정답 : []
     정답률 : 37%

86. 다음 그림과 같이 점토질 지반에 연속기초가 설치되어 있다. Terzaghi 공식에 의한 이 기초의 허용 지지력 qa는 얼마인가? (단, φ = 0이며, 폭(B)=2m, Nc=5.14, Nq=1.0, Nr=0, 안전율 Fs=3이다.)(2011년 03월)

    

     1. 6.4t/m2
     2. 13.5t/m2
     3. 18.5t/m2
     4. 40.49t/m2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terzaghi 공식은 필수 암기.
qu= 알파*C*Nc + 베타*B*Nrr1 + r2*D*Nq
요기 문제에서는 Nr=0 이므로 테르자기식에서 가운데식은 통째로 날아갑니다. 따라서 알파*C*Nc, r2*D*Nq만 구하면되네요.
C는 일축압축강도 주어졌으니까 나누기 2하면 7.43. 연속기초 : 알파=1 베타=0.5,    D= 1.2    Nc=5.14, Nq=1 대입하면
qu= 40.49t/m^2 와 쉽다 ~ 4번~ 하면 틀립니다!!
왜냐면 문제에서 허용지지력 구해라고했으니까 안전율만큼 나눠줘야지요. 그래서 진짜답은 40.49/3인 13.5
[해설작성자 : 차니]

87. 흙속에 있는 한 점의 최대 및 최소 주응력이 각각 2.0 kg/cm2 및 1.0kg/cm2일 때 최대 주응력면과 30°를 이루는 평면상의 전단응력을 구한 값은?(2010년 05월)
     1. 0.105 kg/cm2
     2. 0.215 kg/cm2
     3. 0.323 kg/cm2
     4. 0.433 kg/cm2

     정답 : []
     정답률 : 50%

88. 주동토압을 PA, 수동토압을 PP, 정지토압을 P0라 할 때 토압의 크기 순서는?(2004년 09월)
     1. PA > PP > P0
     2. PP > P0 > PA
     3. PP > PA > P0
     4. P0 > PA > PP

     정답 : []
     정답률 : 47%

89. 말뚝에 대한나 동역학적 지지력공식 중 말뚝머리에서 측정되는 리바운드량을 공식에 이용하는 것은?(2007년 09월)
     1. Hilley 공식
     2. Engineering News공식
     3. Sander 공식
     4. Weisbach 공식

     정답 : []
     정답률 : 21%

90. Paper drain 설계 시 Drain paper의 폭이 10cm, 두께가 0.3cm일 때 Drain paper의 등치환산원의 직경이 약 얼마이면 Sand drain과 동등한 값으로 볼 수 있는가? (단, 형상계수(a)는 0.75이다.)(2020년 06월)
     1. 5cm
     2. 8cm
     3. 10cm
     4. 15cm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D=0.75×2×(10+0.3)/파이=5cm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1. sand drain 공법에서 sand pile을 정삼각형으로 배치할때 모래기둥의 간격은?(단, pile의 유효지름은 40㎝ 이다.)(2004년 03월)
     1. 38㎝
     2. 40㎝
     3. 42㎝
     4. 44㎝

     정답 : []
     정답률 : 30%

92. 모래지반의 현장상태 습윤 단위 중량을 측정한 결과 1.8t/m3으로 얻어졌으며 동일한 모래를 체취하여 실내에서 가장 조밀한 상태의 간극비를 구한 결과 emin =0.45, 가장 느슨한 상태의 간극비를 구한 결과 emax=0.92를 얻었다. 현장상태의 상대밀도는 약 몇 %인가? (단, 모래의 비중 Gs =2.7이고, 현장상태의 함수비 w =10%이다.)(2016년 03월)
     1. 44%
     2. 57%
     3. 64%
     4. 80%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γw=Gs+wGs/1+e --> 1.8=2.7+0.1x2.7/1+e
e=0.65 나옵니다!!
0.92-0.65/(0.92-0.45)x100 = 57.4% 나오내요!!
참고기출문제 2010년 3월7일 시험지 찾아보세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3년 한솔 책 보신 분들, 한솔에는 단위중량 18kN/m^3으로 나와서 e=0.62인데, 1.8t/m^3으로 하면 e=0.65 나와요
e= 0.65 사용해서 57%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3년 보라색 한솔책 57로 나와있어요
1.8t/m^3 이기 때문에 57이 맞는 것 같습니다..
동일한 문제가 나온 기출문제를 찾아봤는데
2016년 3월 1일 / 2010년 3월 7일 답이 모두 57로 되어있어요
[해설작성자 : 주희]

단위를 확인하세요. 한솔은 단위가 kN/m^3 이라 값이 다르게 나오는 겁니다.
cbt에 출제된 문제들 보면 t/m^3 이라 계산하면 57% 맞습니다. 시험 풀때도 단위 꼭 확인하고 푸세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3. 아래 표와 같은 흙을 통일분류법에 따라 분류한 것으로 옳은 것은?(2018년 08월)

    

     1. GW
     2. GP
     3. SW
     4. SP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균등계수Cu=7.9>4 입도양호
곡률계수Cg=1.4 1<Cg<3 입도양호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4. 실내시험에 의한 점토의 강도 증가율(Cu/P)산정 방법이 아닌 것은?(2018년 08월)
     1. 소성지수에 의한 방법
     2. 비배수 전단강도에 의한 방법
     3. 압밀비배수 삼축압축시험에 의한 방법
     4. 직접전단시험에 의한 방법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소성지수에 의한 방법
비배수 전단강도에 의한 방법
압밀비배수 삼축압축시험에 의한 방법
액성한계에 의한 방법
[해설작성자 : 기사마스터]

95. 아래 그림에서 지표면에서 깊이 6m에서의 연직응력(бv)과 수평응력(бh)의 크기를 구하면? (단, 토압계수는 0.6이다.)(2013년 06월)

    

     1. бv=12.34t/m2, бh =7.4t/m2
     2. бv=8.73t/m2, бh=5.24t/m2
     3. бv=11.22t/m2, бh=6.73t/m2
     4. бv=9.52t/m2, бh=5.71t/m2

     정답 : []
     정답률 : 67%

96. 어떤 군은 점토층을 깊이 7m까지 연직 절토하였다. 이 점토층의 일축압축강도가 1.4㎏/cm2, 흙의 단위중량이 2t/m3라 하면 파괴의 안전율은?(2017년 09월)
     1. 0.5
     2. 1.0
     3. 1.5
     4. 2.0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한계고를 이용해 안전율을 구하는 문제입니다.
한계고=2*일축압축강도/흙의 단위중량입니다.1.4kg/cm2을 t/m2으로 바꾸면 14t/m2이 됩니다.
ic=2*14/2=14m
안전율Fs=한계고/절토깊이
따라서14/7=2입니다.

내부마찰각은 1도 필요없습니다 문제풀때
Hc= 2×일축강도 / 흙단위중량     이기때문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한계고 = 2*q/r, q = 일축압축강도, r=흙의 단위중량
일축압축강도 = 2c*tan(45+φ/2)
문제에선 점착력(c)가 아닌 일축압축강도가 주어졌으므로 내부마찰각은 딱히 필요가 없습니다
문제에서 만약 점착력이 주어졌다면 내부 마찰각이 필요하죠!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7. 다음 흙의 다짐에 관한것중 틀린 것은?(2003년 05월)
     1. 인공적으로 흙에 압력이나 충격을 가하여 밀도를 높이는 것을 다짐이라 한다.
     2. 최대건조밀도때의 함수비를 최적함수비라 한다.
     3. 영공기공극 곡선은 흙이 완전포화될때 함수비 - 밀도 곡선을 말한다.
     4. 다짐에너지를 증가하면 최적함수비는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52%

98. 그림과 같은 정수 중에 있는 포화토의 A-A'면에서의 유효 응력은?(2004년 03월)

    

     1. 12.2t/m2
     2. 16.0t/m2
     3. 1.22t/m2
     4. 1.60t/m2

     정답 : []
     정답률 : 48%

99. 사질토에 대한 직접 전단시험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경과를 얻었다. 내부마찰각을 약 얼마인가?(2009년 08월)

    

     1. 25°
     2. 30°
     3. 35°
     4. 40°

     정답 : []
     정답률 : 64%

100. 토질조사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사운딩(Sounding)이란 지중에 저항체를 삽입하여 토층의 성상을 파악하는 현장 시험이다.
     2. 불교란시료를 얻기 위해서 Foil Sampler, Thin Wall Tube Sampler 등이 사용된다.
     3. 표준관입시험은 로드(Rod)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N 치가 작게 나온다.
     4. 베인 시험은 정적인 사운딩이다.

     정답 : []
     정답률 : 60%

101. 우수관거 및 합류관거 내에서의 부유물 침전을 막기 위하여 계획우수량에 대하여 요구되는 최소 유속은?(2014년 05월)
     1. 0.3m/s
     2. 0.6m/s
     3. 0.8m/s
     4. 1.2m/s

     정답 : []
     정답률 : 49%

102. 침전지의 수심이 4m이고 체류시간이 2시간일 때 이 침전지의 표면부하율(Surface loading rate)은?(2012년 03월)
     1. 12m3/m2·day
     2. 24m3/m2·day
     3. 36m3/m2·day
     4. 48m3/m2·day

     정답 : []
     정답률 : 54%

103. 오존처리법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1년 03월)
     1. 자체의 높은 산화력으로 염소에 비하여 높은 살균력을 가지고 있다.
     2. 유기물질의 생분해성을 증가시킨다.
     3. 철ㆍ망간의 산화능력이 크다.
     4. 소독의 잔류효과가 크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4. 잔류효과가 큰 것은 잔류염소가 남는 '염소처리법'입니다. 오존 처리법은 소독력이 뛰어나지만 잔류효과가 없어서 지속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차니]

104. 하수 배제방식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5월)
     1. 분류식은 합류식에 비해 우천시 월류의 위험이 크다.
     2. 합류식은 단면적이 크기 때문에 검사, 수리 등에 유리하다.
     3. 합류식은 분류식(2계통 건설)에 비해 건설비가 저렴하고 시공이 용이하다.
     4. 분류식은 강우초기에 노면의 오염물질이 포함된 세정수가 직접 하천 등으로 유입된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합류식이 우천시 월류의 위험이 더 큼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5. 지표수를 수원으로 하는 경우의 상수시설 배치순서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0년 03월)
     1. 취수탑 - 침사지 - 응집침전지 - 정수지 - 배수지
     2. 집수매거 - 응집침전지 - 침사지 - 정수지 - 배수지
     3. 취수문 - 여과지 - 보통침전지 - 배수탑 - 배수관망
     4. 취수구 - 약품침전지 - 혼화지- 정수지 - 배수지

     정답 : []
     정답률 : 68%

106. 부영양화(Eutrophication) 발생시 나타나는 현상으로 틀린 것은?(2013년 06월)
     1. 조류 번식에 의한 냄새 발생
     2. 수중 생물종의 변화
     3. 염소요구량 증가
     4. 중금속의 침전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중금속 침전은 부영양화와 관계가 없다.
[해설작성자 : 필기2수]

107. 다음 중 하수슬러지 개량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8년 04월)
     1. 세정
     2. 열처리
     3. 동결
     4. 농축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개량방법에는 세정 동결 열처리 약품처리가 있다.
농축은 아니다.

108. 지름 400mm, 길이 1000m인 원형 철근 콘크리트 관에 물이 가득 차 흐르고 있다. 이 관로 시점의 수두가 50m 라면 관로 종점의 수압(kgf/cm2)은? (단, 손실수두는 마찰손실 수두만을 고려하며 마찰계수(f) = 0.05, 유속은 Manning 공식을 이용하여 구하고 조도계수(n) = 0.013, 동수경사(I) = 0.001 이다.)(2022년 04월)
     1. 2.92 kgf/cm2
     2. 3.28 kgf/cm2
     3. 4.83 kgf/cm2
     4. 5.31 kgf/cm2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매닝공식과 베르누이 방정식을 쓸 수 있으면 그렇게 어려운 문제는 아님
시점의 수두가 50m이므로 시점의 수압 = 50t/m^2, 관내 유속은 매닝공식으로 V = 1/0.013*(0.4/4)^2/3*0.001^1/2 = 0.524m/s
관은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고 보면 직경이 같은 관에선 유속이 동일하므로 속도수두 같음, 위치수두도 같음
베르누이 방정식을 쓰면 50+0+0=p/γ+0+0+0.05*1000/0.4*0.524^2/2*9.8, p=48.25t/m^2=4.83kg/cm^2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물이 가득 찬 콘크리트 관에서 R(경심)은 A/S 인데 이때 A는 원형관 단면의 넓이 즉 파이r^2이고 S는 단면에서 수로 벽과 접하는 부분의 넓이인데 가득 차니 원주와 같겠죠? 따라서 2파이r이 됩니다. 그래서 여기서 R은 결국 약분되어 r/2 가 됩니다.

기존 해설에 추가해설을 하나 더합니다. 베르누이 공식 사용 시 우측 공식은 Darch-Weisbach공식입니다.
마찰손실수두 h=f x (l/d) x (v^2/2g) 공식을 쓴 것입니다.

109. 처리수량이 6,000m3/day정수장에서 염소를 6mg/L의 농도로 주입한다. 잔류염소 농도가 0.2mg/L 이었다면 염소 요구량은? (단, 염소의 순도는 75% 이다.)(2008년 03월)
     1. 36.6 kg/day
     2. 46.4 kg/day
     3. 100.1 kg/day
     4. 480.4 kg/day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염소요구량농도=염소주입농도-잔류염소농도=6.0-5.2=5.8
염소요구량=염소요구량농도*유량/순도=5.8*6000/0.75=46400g/day
[해설작성자 : 쑤야]

110. 활성슬러지법에서 MLSS란 무엇을 뜻하는가?(2005년 05월)
     1. 방류수 중의 부유물질
     2. 반송슬러지의 부유물질
     3. 폐수 중의 부유물질
     4. 폭기조 내의 부유물질

     정답 : []
     정답률 : 63%

111. Hardy-Cross 방법에 의해 상수 배수관망을 해석할 때에 각 폐합관의 마찰손실수두 h의 산정식은? (단, Q 는 유량, k는 상수)(2003년 05월)
     1. Hazen-Williams 식 사용시 h = kQ1.85
     2. Hazen-Williams 식 사용시 h = kQ3
     3. Darcy-Weisbach 식 사용시 h = kQ1.85
     4. Darcy-Weisbach 식 사용시 h = kQ3

     정답 : []
     정답률 : 46%

112. 하수배제 방식의 합류식과 분류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3월)
     1. 분류식이 합류식에 비하여 일반적으로 관거의 부설비가 적게 든다.
     2. 분류식은 강우초기에 비교적 오염된 노면배수가 직접 공공수역에 방류될 우려가 있다.
     3. 하수관거내의 유속의 변화폭은 합류식이 분류식보다 크다.
     4. 합류식, 하수관거는 단면이 커서 관거내 유지관리가 분류식보다 쉽다.

     정답 : []
     정답률 : 66%

113. 급수량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0년 08월)
     1. 시간최대급수량은 일최대급수량보다 작게 나타난다.
     2. 계획1일평균급수량은 시간최대급수량에 부하율을 곱해 산정한다.
     3. 소화용수는 일최대급수량에 포함되므로 별도로 산정하지 않는다.
     4. 계획1일최대급수량은 계획1일평균급수량에 계획첨두율을 곱해 산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114. 하수도 시설을 계획할 때 원칙적으로 계획목표년도는 몇 년인가?(2006년 03월)
     1. 10년
     2. 20년
     3. 30년
     4. 40년

     정답 : []
     정답률 : 66%

115. 대기압이 10.33m, 포화수증기압이 0.238m, 흡입관내의 전 손실수두가 1.2m, 토출관의 전 손실수두가 5.6m, 펌프의 공동현상계수(σ)가 0.8이라 할 때, 공동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펌프가 흡입수면으로부터 얼마의 높이까지 위치할 수 있겠는가?(2020년 06월)
     1. 약 0.8m까지
     2. 약 2.4m까지
     3. 약 3.4m까지
     4. 약 4.5m까지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10.33x0.8-(0.238-1.2+5.6)/0.8=2.47m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6. 다음 그림은 펌프 표준득성 곡선이다. 펌프의 양정을 나타내는 곡선 형태는?(2007년 09월)

    

     1. A
     2. B
     3. C
     4. D

     정답 : []
     정답률 : 60%

117. 합류식과 분류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4월)
     1. 분류식의 경우 관로 내 퇴적은 적으나 수세효과는 기대할 수 없다.
     2. 합류식의 경우 일정량 이상이 되면 우천 시 오수가 월류한다.
     3. 합류식의 경우 관경이 커지기 때문에 2계통인 분류식보다 건설비용이 많이 든다.
     4. 분류식의 경우 오수와 우수를 별개의 관로로 배제하기 때문에 오수의 배제계획이 합리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분류식은 2계통을 건설하는 경우 합류식에 비해 건설비용이 많이 든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8. 펌프의 흡입관에 대한 다음 사항 중 틀린 것은?(2005년 09월)
     1. 충분한 흡입수두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2. 흡입관은 가능하면 수평으로 설치되도록 한다.
     3. 흡입관에는 공기가 혼입되지 않도록 한다.
     4. 펌프 한 대에 하나의 흡입관을 설치한다.

     정답 : []
     정답률 : 61%

119. 상수도에 있어서 도ㆍ송수관거의 평균유속의 허용최대값은?(2015년 05월)
     1. 3m/s
     2. 4m/s
     3. 5m/s
     4. 6m/s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최소 0.3m/sec 최대 3.0m/sec
[해설작성자 : TIWSY]

120. 하수도시설의 일차침전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3월)
     1. 침전지 형상은 원형,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 한다.
     2. 직사각형 침전지의 폭과 길이의 비는 1:3 이상으로 한다.
     3. 유효수심은 2.5~4m를 표준으로 한다.
     4. 침전시간은 계획1일 최대오수량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12시간 정도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55%


정 답 지

토목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738910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토목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응용역학


1. 그림과 같은 구조물에서 단부 A, B는 고정, C지점은 힌지 일 때 OA, OB, OC 부채의 분배율로 옳은 것은?(2020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0%

2. 다음 그림과 같은 단순보에서 최대 휨모멘트가 발생하는 위치는? (단, A점으로 부터의 거리)(2007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답은 1/루트3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루트 3분의 1임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0.577L 아닌가요?

[추가 오류 신고]
4번 선지 l/루트3입니다.
출처 :2014 토목기사 8개년 기출문제집(성안당)

[추가 오류 신고]
정답 1/(루트3)입니다
[해설작성자 : 얌냠]

[추가 오류 신고]
1/루트3

3. 주어진 보에서 지점 A의 휨모멘트(MA) 및 반력 RA의 크기로 옳은 것은?(2011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1%

4. 직사각형 단면 보의 단면적을 A, 전단력을 V라고 할 때 최대 전단응력(τmax)은?(2022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단면의 최대 전단응력>
구형단면: 3/2 S/A
원형단면: 4/3 S/A
[해설작성자 : oO]

5. 다음 그림과 같은 보에서 두 지점의 반력이 같게 되는 하중의 위치(x)를 구하면?(2011년 10월)

   

     1. 0.33m
     2. 1.33m
     3. 2.33m
     4. 3.33m

     정답 : []
     정답률 : 83%

6. 그림과 같이 길이가 2L인 보에 w의 등분포하중이 작용할 때 중앙지점을 δ만큼 낮추면 중간지점의 반력 (RB)값은 얼마인가?(2017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Rb의 반력은 5/8 × WL 이고
이를 근거로    위 문재는 2L이니까
Rb = 5/4 × WL
뒤에 중앙지점 낮추는거 고려하지않아도 답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앙투카]

7. 다음 그림과 같은 단면을 가지는 단순보에서 전단력에 안전하도록 하기 위한 지간 L은? (단, 허용전단응력은 7kg/cm2이다.)(2008년 09월)

   

     1. 450cm
     2. 440cm
     3. 430cm
     4. 420cm

     정답 : []
     정답률 : 32%

8. 동일한 재료 및 단면을 사용한 다음 기둥 중 좌굴하중이 가장 큰 기둥은?(2019년 08월)
     1. 양단 힌지의 길이가 L인 기둥
     2. 양단 고정의 길이가 2L인 기둥
     3. 일단 자유 타단 고정의 길이가 0.5L인 기둥
     4. 일단 힌지 타단 고정의 길이가 1.2L인 기둥

     정답 : []
     정답률 : 72%

9. 기둥의 중심에 축 방향으로 연직 하중 P=120t 이, 기둥의 횡 방향으로 풍하중이 역삼각형 모양으로 분포하여 작용할 때 기둥에 발생하는 최대 압축응력은?(2006년 09월)

   

     1. 375kg/cm2
     2. 625kg/cm2
     3. 1,000kg/cm2
     4. 1,625kg/cm2

     정답 : []
     정답률 : 34%

10. 양단고정의 장주에 중심축하중이 작용할 때 이 기둥의 좌굴응력은? (단, E=2.1×105MPa이고, 기둥은 지름이 4cm인 원형기둥이다.)(2020년 06월)

    

     1. 3.35MPa
     2. 6.72MPa
     3. 12.95MPa
     4. 25.91MPa

     정답 : []
     정답률 : 68%

11. 지름 5cm의 강봉을 8tf로 당길 때 지름은 약 얼마나 줄어들겠는가? (단, 전단탄성계수 G=7.0×105kgf/cm2, 푸아송비 ν=0.5)(2015년 05월)
     1. 0.003mm
     2. 0.005mm
     3. 0.007mm
     4. 0.008mm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1) E = 2G*(1+v) = 2*(7*10^5)(1+0.5) = 2.1*10^6
2) 응력 = P/A=8000/19.63 = 407.54
3) (0.5*5*407.54)/(2.1*10^6) = 0.0005cm = 0.005mm
[해설작성자 : 계ㄷ 토목]

12. 다음 정정보에서의 전단력도(SFD)로 옳은 것은?(2019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6%

13. 그림과 같이 한 변이 a인 정사각형 단면의 1/4 을 절취한 나머지 부분의 도심(C)의 위치(yo)는?(2022년 04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단면1차모멘트 Q = (a^2·a/2)-{(a^2/4)·(a/2+a/4)}
단면적 A = a^2-a^2/4
도심의 위치 위치(yo) = Q/A = 5a/12
[해설작성자 : 수고링]

14. 길이 50mm, 지름 10mm의 강봉을 당겼더니 5mm 늘어났다면 지름의 줄어든 값은 얼마인가? (단, 푸아송비 v= 1/3이다.)(2012년 09월)
     1. 1/6mm
     2. 1/5mm
     3. 1/3mm
     4. 1/2mm

     정답 : []
     정답률 : 62%

15. 다음과 같은 부재에서 길이의 변화량 Δ ℓ 은 얼마인가? (단, 보는 균일하며 단면적A와 탄성계수E는 일정하다고 가정한다.)(2003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49%

16. 지름이 d 인 강선이 반지름 r 인 원통 위로 굽어져 있다. 이 강선 내의 최대 굽힘모멘트 Mmax 는? (단, 강선의 탄성계수 E=2×106 kgf/cm2 , d=2 cm, r =10 cm)(2015년 03월)

    

     1. 1.2×105 kgf/cm
     2. 1.4×105 kgf/cm
     3. 2.0×105 kgf/cm
     4. 2.2×105 kgf/cm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R = EI / M
강선의 R = r + d/2 =11cm
강선의 I = πd4/ 64 = 0.785cm4
M = EI / R = 1.4 * 10^5 kg * cm
[해설작성자 : 주형]

17. 단면의 성질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잘못된 것은?(2005년 05월)
     1. 단면2차 모멘트의 값은 항상 0보다 크다.
     2. 단면2차 극모멘트의 값은 항상 극을 원점으로 하는 두직교좌표축에 대한 단면2차 모멘트의 합과 같다.
     3. 도심축에 관한 단면1차 모멘트의 값은 항상 0이다.
     4. 단면 상승 모멘트의 값은 항상 0보다 크거나 같다.

     정답 : []
     정답률 : 57%

18. 그림에서 합력 R과 P1 사이의 각을 α라고 할 때 tanα를 나타낸 식으로 옳은 것은?(2020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0%

19. 정사각형의 목재 기둥에서 길이가 5m라면 세장비가 100 이 되기 위한 기둥단면 한 변의 길이로서 옳은 것은?(2003년 03월)
     1. 8.66 cm
     2. 10.38 cm
     3. 15.82 cm
     4. 17.32 cm

     정답 : []
     정답률 : 46%

20. 그림과 같은 구조물의 C점의 연직하중이 작용할 때, AC부재가 받는 힘은?(2009년 08월)

    

     1. 250kg
     2. 500kg
     3. 866kg
     4. 1000kg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기선 하나가 더 주어줘야 가상일의 정리를 이용할듯합니다.

2과목 : 측량학


21. 시가지에서 25변형 폐합트래버스측량을 한 결과 측각오차가 1' 5"이었을 때, 이 오차의 처리는? (단, 시가지에서의 허용 오차:, n:트래버스의 측점 수, 각 측정의 정확도는 같다.)(2014년 09월)
     1. 오차를 각 내각에 균등배분 조정한다.
     2. 오차가 너무 크므로 재측(再測)을 하여야 한다.
     3. 오차를 내각(內角)의 크기에 비례하여 배분 조정한다.
     4. 오차를 내각(內角)의 크기에 반비례하여 배분 조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측각오차가 허용오차 이내이므로 각 내각에 균등배분한다
[해설작성자 : 띠리링맨]

22. 하천측량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하천측량시 처음에 할 일은 도상조사로서 유로상황, 지역면적, 지형지물, 토지이용 상황 등을 조사하여야 한다.
     2. 심천측량은 하천의 수심 및 유수부분의 하저사항을 조사하고 횡단면도를 제작하는 측량을 말한다.
     3. 하천측량에서 수준측량을 할 때의 거리표는 하천의 중심에 직각방향으로 설치한다.
     4. 수위관측소의 위치는 지천의 합류점 및 분류점으로서 수위의 변화가 뚜렷한 곳이 적당하다.

     정답 : []
     정답률 : 77%

23. 항공사진 촬영고도 6000m에서 촬영했을 때 수직 위치에 대한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오차범위는?(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0년 05월)
     1. 0.3 ~ 0.6 cm
     2. 6 ~ 30 cm
     3. 0.6 ~ 1.2 m
     4. 3 ~ 6 m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사진 측량 문제는 시험 범위에서 제외 되었습니다.

24. 수준측량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10월)
     1. 수준측량에서는 빛의 굴절에 의하여 물체가 실제로 위치하고 있는 곳보다 더욱 낮게 보인다.
     2. 삼각수준측량은 토털스테이션을 사용하여 연직각과 거리를 동시에 관측하므로 레벨측량보다 정확도가 높다.
     3. 수평한 시준선을 얻기 위해서는 시준선과 기포관 축은 서로 나란하여야 한다.
     4. 수준측량의 시준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기준점과의 구심 작업에 신중을 기울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2%

25. 삼각수준측량의 관측값에서 대기의 굴절오차(기차)와 지구의 곡률오차(구차)의 조정방법중 옳은 것은?(2006년 03월)
     1. 기차는 높게, 구차는 낮게 조정한다.
     2. 기차는 낮게, 구차는 높게 조정한다.
     3. 기차와 구차를 함께 높게 조정한다.
     4. 기차와 구차를 함께 낮게 조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47%

26. 지형측량을 할 때 기본 삼각점만으로는 기준점이 부족하여 추가로 설치하는 기준점은?(2014년 03월)
     1. 방향전환점
     2. 도근점
     3. 이기점
     4. 중간점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도근점 : 지형측량시 기준점이 부족할 때 설치하는 보조기준점
이기점 : 수준측량시 시준이 어려울 때 기계의 이동을 위해 표척을 세우고 전시와 후시를 읽어 수준 노선의 연락을 취하는 점
중간점 : 수준측량시 전시만 취하는 점
[해설작성자 : 초리뽀리집사]

27. 지상사진측량과 항공사진측량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07년 09월)
     1. 지상사진측량은 축척변경이 용이하나, 항공사진 측량은 축척변경이 안된다.
     2. 작업지역이 좁은 경우에는 지상사진측량이 작업지역이 넓은 경우에는 항공사징측량이 유리하다.
     3. 지상사진측량은 전반교회법으로 측량한다.
     4. 항공사진측량은 후방교회법으로 측량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사진측량 관련 문제는 시험 범위에서 제외 되었습니다.

28. 원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3월)
     1. 원곡선을 설치하기 위한 기본요소는 반지름(R)과 교각(I)이다.
     2. 접선길이는 곡선반지름에 비례한다.
     3. 원곡선은 평면곡선과 수직곡선으로 모두 사용할 수 있다.
     4. 고속도로와 같이 고속의 원활한 주행을 위해서는 복심곡선 또는 반향곡선을 주로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곡선은 수평곡선과 수직곡선으로 나뉜다. 수평곡선에서는 원곡선과 완화곡선으로 나뉘고, 고속도로는 원곡선이 아닌! 완화곡선이며 클로소이드 곡선을 사용한다. 그러므로 원곡선에 속하지않으며 복심과 반향곡선을 사용하지않는다. 복심과 반향곡선은 원곡선 4종류에 속하는 곡선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9. 원곡선에서 반지름 R=200m, 시점으로부터 교점(I.P)까지의 추가거리 423.26m 교각 I=42° 20'일 때 시단현의 편각은 얼마인가? (단, 중심말뚝간격은 20m임)(2007년 09월)
     1. 0° 50‘ 00“
     2. 2° 01‘ 52“
     3. 2° 03‘ 11“
     4. 2° 51‘ 47“

     정답 : []
     정답률 : 50%

30. 하천측량에서 유속관측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8월)
     1. 유속계에 의한 평균유속 계산식은 1점법, 2점법, 3점법 등이 있다.
     2. 하천기울기(I)를 이용하여 유속을 구하는 식에는 Chezy식과 Manning식 등이 있다.
     3. 유속관측을 위해 이용되는 부자는 표면부자, 2중부자, 봉부자 등이 있다.
     4. 위어(weir)는 유량관측을 위해 직접적으로 유속을 관측하는 장비이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위어는 보통 이등변삼각형의 형태이고 정확한 유량측정이 필요할 때 많이 사용한다.
Q = (8/15)*C*tan(세타/2)*(2*중력가속도)^1/2*h^(5/2)
이므로 속도와는 관련이 없다.
[해설작성자 : ewq321]

31. 수준측량에서 전,후시 거리를 같게 함으로써 제거되는 오차가 아닌 것은?(2013년 03월)
     1. 빛의 굴절오차
     2. 지구의 곡률오차
     3. 시준선이 기포관측과 평행하지 않아 생기는 오차
     4. 표척눈금의 부정확에서 오는 오차

     정답 : []
     정답률 : 71%

32. 그림과 같이 교각 60°의 두 직선 사이에 반경 R= 300m의, 원곡선을 설치할 때 접선장 T의 길이는?(2007년 03월)

    

     1. 81.603 m
     2. 173.205 m
     3. 346. 410 m
     4. 519. 615 m

     정답 : []
     정답률 : 60%

33. 1600m2의 정사각형 토지면적을 0.5m2까지 정확하게 구하기 위해서 필요한 변길이의 최대 허용 오차는?(2008년 09월)
     1. 6mm
     2. 8mm
     3. 10mm
     4. 12mm

     정답 : []
     정답률 : 48%

34. 직접고저측량을 실시한 결과가 그림과 같을 때, A점의 표고가 10m라면 C점의 표고는? (단, 그림 은 개략도로 실제 치수와 다를 수 있음)(2011년 03월)

    

     1. 9.57m
     2. 9.66m
     3. 10.57m
     4. 10.66m

     정답 : []
     정답률 : 72%

35. 방위각과 방향각의 차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6년 03월)
     1. 방위각은 진북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방향각은 적도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2. 방위각은 진북방향과 측선이 이루는 우회각이고 방향각은 기준선과 측선이 이루는 우회각이다.
     3. 방위각과 방향각은 동일한 것이다.
     4. 방위각은 우측으로 잰 각이며, 방향각은 이와 반대로 좌측으로 잰 각이다.

     정답 : []
     정답률 : 52%

36. 그림과 같은 유심 삼각망에서 만족하여야 할 조건이 아닌 것은?(2014년 05월)

    

     1. (① + ② + ⑨) - 180° = 0
     2. [① + ②] - [⑤ + ⑥] = 0
     3. (⑨ + ⑩ + ⑪ + ⑫) - 360° = 0
     4. (①+②+③+④+⑤+⑥+⑦+⑧) - 360° = 0

     정답 : []
     정답률 : 68%

37. 교호 수준 측량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A점의 표고가 120.564m이면 B점의 표고는?(2009년 08월)

    

     1. 120.759m
     2. 120.672m
     3. 120.524m
     4. 120.328m

     정답 : []
     정답률 : 55%

38. 다음의 설명 중 틀린 것은?(2009년 08월)
     1. 적도를 기준으로 수평면상에서 동쪽으로 돌아가며 잰 각을 방위각이라 한다.
     2. 평면 직교좌표의 X축을 기준으로 하여 오른쪽으로 관측한 각을 방향각이라 한다.
     3. 방위각과 방향각은 좌표원점에서 일치하며 원점에서 멀어질수록 그 차이가 커진다.
     4. 자오선수차는 진북방향각과 절대값이 같다.

     정답 : []
     정답률 : 27%

39. 100m2인 정사각형 토지의 면적을 0.1m2까지 정확하게 구현하고자 한다면 이에 필요한 거리관측의 정확도는?(2019년 03월)
     1. 1/2000
     2. 1/1000
     3. 1/500
     4. 1/300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거리관측정밀도는 면적관측정밀도의 1/2배이므로 0.1/100=1/1000 에 0.5를 곱해준다.
(0.1/100)*0.5=1/200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0. 다각측량에서 200m에 대한 거리관측의 오차가 ±2mm이었을 때 이와 같은 정밀도의 각관측 오차는?(2008년 05월)
     1. ±2°
     2. ±4°
     3. ±6°
     4. ±8°

     정답 : []
     정답률 : 56%

3과목 : 수리학 및 수문학


41. 수리수심(Hydraulic depth)을 가장 옳게 표현한 것은? (단, A는 유수단면적)(2008년 09월)
     1. 수심이 H 일 때 A/H 를 뜻한다.
     2. 윤변이 S 일 때 A/S 를 뜻한다.
     3. 수면폭이 B 일 때 A/B 를 뜻한다.
     4. 자유수면에서 수로바닥까지의 최대연직거리이다.

     정답 : []
     정답률 : 30%

42. 직사각형 위어로 유량을 측정하였다. 위어의 수두측정에 2% 의 오차가 발생하였다면 유량에는 몇 %의 오차가 있겠는가?(2003년 05월)
     1. 1%
     2. 1.5%
     3. 2%
     4. 3%

     정답 : []
     정답률 : 54%

43. 도수 전후의 수심이 각각 1m, 3m일 때 에너지손실은?(2014년 05월)
     1. 1/3m
     2. 1/2m
     3. 2/3m
     4. 4/5m

     정답 : []
     정답률 : 68%

44. 면적 평균 강수량 계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5월)
     1. 관측소의 수가 적은 산악지역에는 산술평균법이 적합하다.
     2. 티센망이나 등우선도 작성에 유역 밖의 관측소는 고려하지 말아야 한다.
     3. 등우선도 작성에 지형도가 반드시 필요하다.
     4. 티센 가중법은 관측소간의 우량변화를 선형으로 단순화한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답 3번입니다.
티센 가중법은 우량변화를 선형으로 단순화한 방법
등우선법은 지형의 영향을 고려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정답 4번입니다.
등우선법- 유역면적 5000이상, 산악 영향 고려
티센가중법- 500~5000 이내, 우량변화 선형으로 단순화
산술평균법- 500이내, 평야지역 적합
[해설작성자 : 주희]

45. 미계측 유역에 대한 단위유량도의 합성방법이 아닌 것은?(2019년 04월)
     1. SCS 방법
     2. Clark 방법
     3. Horton 방법
     4. Snyder 방법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합성 단위유량도 = S.C.S(Snyder, Clark, SCS)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6. 배수면적이 500 ha, 유출계수가 0.70인 어느 유역에 연평균강우량이 1300mm 내렸다. 이때 유역 내에서 발생한 최대유출량은?(2020년 08월)
     1. 0.1443 m3/s
     2. 12.64 m3/s
     3. 14.43 m3/s
     4. 1264 m3/s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1/360*0.7*1300/(365*24)*500
ha일경우 1/360, 연평균강우량을 mm/hr 로 환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두번째 해설에 오류가 있습니다. 합리식에서 면적이 ha일 때는 1/360*CIA이고 면적이 km^2일 때는 0.2778CIA를 사용하는 것 입니다.0.2778=1/3.6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7. 미계측 유역에 대한 단위유량도의 합성방법이 아닌 것은?(2004년 03월)
     1. Clark 방법
     2. Horton 방법
     3. Snyder 방법
     4. SCS 방법

     정답 : []
     정답률 : 54%

48. 지름 20cm, 길이 100m의 주철관으로서 매초0.1m3의 물을 40m의 높이까지 양수하려고 한다. 펌프의 효율이 100%라 할 때, 필요한 펌프의 동력은? (단, 마찰손실계수는 0.03, 유출 및 유입손실계수는 각각 1.0과 0.5이다.)(2011년 06월)
     1. 40HP
     2. 65HP
     3. 75HP
     4. 85HP

     정답 : []
     정답률 : 46%

49. 합리식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7년 05월)
     1. 작은 우역면적에 적용한다.
     2. 불투수층 지역이라 가정한다.
     3. 첨두유량은 도달시간 이후부터는 강우강도에 유역면적을 곱한 값이다.
     4. 강우강도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

     정답 : []
     정답률 : 60%

50. 관수로 흐름에서 레이놀즈수가 500보다 작은 경우의 흐름 상태는?(2018년 04월)
     1. 상류
     2. 난류
     3. 사류
     4. 층류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레이놀즈수: 무차원의 수로 흐름상태를 구분하는 지표이다
Re<2000 층류
Re<4000 난류
2000<Re<4000 천이영역
[해설작성자 : 덕이]

51. 광폭 직사각형 단면 수로의 단위폭당 유량이 16m3/s일 때, 한계경사는? (단, 수로의 조도계수 n=0.02이다.)(2018년 04월)
     1. 3.27×10-3
     2. 2.73×10-3
     3. 2.81×10-2
     4. 2.90×10-2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한계경사(Ic) = g/c^2 = 2.73*10-3
한계수심(hc) = (Q/g)^1/3= 2.967m
유속계수(C) = (1/n)*hc = 59.936
[해설작성자 : 덕이]

한계수심(hc) = (q/g)^1/3 = 2.966m
*.q는 단위폭당 유량임을 유의
유속계수(C) = Rh^1/6*1/n = 59.933
*.여기서 동수반경(경심)Rh은 광폭 직사각형이므로 한계수심 hc가 된다.
한계경사(Ic) = g/α*C^2 = 2.73*10^-3
*.보정계수α는 주어주지 않았으니 α= 1로 계산
[해설작성자 : 토목꺼억]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한계수심 hc =(Q^2/g)^(1/3)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2. 개수로 흐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8년 04월)
     1. 사류에서 상류로 변하는 곳에 도수현상이 생긴다.
     2. 개수로 흐름은 중력이 원동력이 된다.
     3. 비에너지는 수로 바닥을 기준으로 한 에너지이다.
     4. 배수곡선은 수로가 단락(段落)이 되는 곳에 생기는 수면곡선이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저하곡선 : 수로가 단락된 곳에서 생기는 수면곡선이다.
[해설작성자 : 빈]

53. 다음 중 토양의 침투능(Infiltration Capacity) 결정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21년 08월)
     1. Philip 공식
     2. 침투계에 의한 실측법
     3. 침투지수에 의한 방법
     4. 물수지 원리에 의한 산정법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물수지 원리에 의한 산정법은 증발량 산정법에 사용됨
[해설작성자 : oO]

54. 오리피스(Orifice)의 이론유속 V=√2gh는 다음 중 어느 이론으로부터 유도되는 특수한 경우인 가? (단, V:유속, g:중력가속도, h:수두차)(2013년 06월)
     1. 베르누이(Bernoulli)의 정리
     2. 레이놀즈(Reynolds)의 정리
     3. 벤투리(Venturi)의 이론식
     4. 운동량 방정식 이론

     정답 : []
     정답률 : 69%

55. 면적 10㎢의 지역에 3시간에 10mm의 강우강도로 무한히 내릴 때 평형유출량(Qe)은 약 얼마인가?(2009년 03월)
     1. 9.72 m3/sec
     2. 9.26 m3/sec
     3. 8.94 m3/sec
     4. 8.33 m3/sec

     정답 : []
     정답률 : 53%

56. 유역면적 10km2, 강우강도 80mm/h, 유출계수 0.70일 때 합리식에 의한 첨두유량(Qmax)은?(2021년 03월)
     1. 155.6m3/s
     2. 560m3/s
     3. 1.556m3/s
     4. 5.6m3/s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합리식
Q=0.2778*CIA
[해설작성자 : 도아]

57. 한계수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7년 09월)
     1. 일정한 유량이 흐를 때 최소의 비에너지를 갖게 하는 수심
     2. 일정한 비에너지 아래서 최소유량을 흐르게 하는 수심
     3. 흐름의 속도가 장파의 전파속도와 같은 흐름의 수심
     4. 일정한 유량이 흐를 때 비력을 최소로 하는 수심

     정답 : []
     정답률 : 44%

58. 개수로의 지배단면(Control Sec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6년 09월)
     1. 개수로 내에서 유속이 가장 크게 되는 단면이다.
     2. 개수로 내에서 압력이 가장 크게 작용하는 단면이다.
     3. 개수로 내에서 수로경사가 항상 같은 단면을 말한다.
     4. 한계수심이 생기는 단면으로서 상류에서 사류로 변하는 단면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59. 수표면적이 10km2되는 어떤 저수지 수면으로부터 2m 위에서 측정된 대기의 평균온도가 25℃, 상대습도가 65%이고, 저수지 수면 6m 위에서 측정한 풍속이 4m/s, 저수지 수면 경계층의 수온이 20℃로 추정되었을 때 증방률(Eo)이 1.44mm/day이었다면 이 저수지 수면으로부터의 일증발량(Edav)은?(2014년 03월)
     1. 42300m3/day
     2. 32900m3/day
     3. 27300m3/day
     4. 14400m3/day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일증발량 = 증발률 * 수표면적

60. 수심 2m, 폭 4m, 경사 0.0004인 직사각형 단면수로에서 유량 14.56m3/s가 흐르고 있다. 이 흐름에서 수로표면 조도계수는(n)는?(2017년 05월)
     1. 0.0096
     2. 0.01099
     3. 0.02096
     4. 0.030991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매닝공식
Q=(1/n)*ARh^2/3 *S0^1/2 이고 n을 이항시켜 구할 수 있다.
여기서 Rh=A/P 이고 P는 윤변 길이이므로 8m이다.
따라서 Rh=1이므로 계산하면,
0.010989
[해설작성자 : 단국대 토목공학과 학생]

4과목 : 철근콘크리트 및 강구조


61. 직사각형 단순보에서 계수 전단력 Vu70kN을 전단철근 없이 지지하고자 할 경우 필요한 최소유효깊이 d는? (단, b=400mm, fck=24MPa, fy=350MPa)(2013년 06월)
     1. 426mm
     2. 572mm
     3. 611mm
     4. 751mm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d=12Vu/0.75*루트fck*b
0.75 (직사각형)
[해설작성자 : 참 쉽죵]

62. PSC보를 RC보처럼 생각하여, 콘크리트는 압축력을 받고 긴장재는 인장력을 받게 하여 두 힘의 우력 모멘트로 외력에 의한 휨모멘트에 저항시킨다는 개념은?(2020년 09월)
     1. 응력개념
     2. 강도개념
     3. 하중평형개념
     4. 균등질 보의 개념

     정답 : []
     정답률 : 58%

63. 아래 그림의 지그재그로 구멍이 있는 판에서 순폭을 구하면? (단, 구멍직경은 25mm)(2018년 03월)

    

     1. 187mm
     2. 141mm
     3. 137mm
     4. 125mm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200-25-2(25-40^2/4*50)=141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4. 철근의 겹침이음 등급에서 A급 이음의 조건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2018년 04월)
     1. 배치된 철근량이 이음부 전체 구간에서 해석결과 요구되는 소요 철근량의 3배 이상이고 소요 겹침이음 길이 내 겹침이음된 철근량이 전체 철근량의 1/3 이상인 경우
     2. 배치된 철근량이 이음부 전체 구간에서 해석결과 요구되는 소요 철근량의 3배 이상이고 소요 겹침이음 길이 내 겹침이음된 철근량이 전체 철근량의 1/2 이하인 경우
     3. 배치된 철근량이 이음부 전체 구간에서 해석결과 요구되는 소요 철근량의 2배 이상이고 소요 겹침이음 길이 내 겹침이음된 철근량이 전체 철근량의 1/3 이상인 경우
     4. 배치된 철근량이 이음부 전체 구간에서 해석결과 요구되는 소요 철근량의 2배 이상이고 소요 겹침이음 길이 내 겹침이음된 철근량이 전체 철근량의 1/2 이하인 경우

     정답 : []
     정답률 : 61%

65. 설계휨강도가 φMn=350kN ∙ m인 단철근 직사각형 보의 유효깊이 d는? (단, 철근비 p=0.014, bw=350mm, fck=21MPa, fy=350MPa이고, 이 단면은 인장지배단면이다.)(2013년 06월)
     1. 462mm
     2. 528mm
     3. 574mm
     4. 651mm

     정답 : []
     정답률 : 38%

66. 인장 이형철근의 정착길이 산정시 필요한 보정계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단, fsp는 콘크리트의 쪼갬인장강도)(2009년 08월)
     1. 상부철근(정착길이 또는 겹침이음부 아래 300mm를 초과되게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친 수평철근)인 경우, 철근배근 위치에 따른 보정계수 1.3을 사용한다.
     2. 에폭시 도막철근인 경우, 피복두께 및 순간격에 따라 1.2나 2.0의 보정계수를 사용한다.
     3. fsp가 주어지지 않은 경량콘크리트인 경우, 1.3의 보정계수를 사용한다.
     4. 에폭시 도막철근이 상부철근인 경우, 보정계수끼리 곱한 값이 1.7보다 클 필요는 없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3번 0.75 아닌가요 답 2개같습니다

[추가 오류 신고]

3번도 보정계수 1.3이 아닌 0.75로 오답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번과 3번 두개입니다
[해설작성자 : 권기호]

67. 다음은 L형강에서 인장력을 검토를 위한 순폭계산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2007년 05월)

    

     1. 전개 총폭(b)=b1+b2-t이다.
     2. 경우 순폭(bn)=b-d이다.
     3. 리벳선간거리(g)=g1-t이다.
     4. 인 경우 순폭 이다.

     정답 : []
     정답률 : 64%

68.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2003)에서 규정한 강도감소 계수를 잘못 기술한 것은?(2007년 03월)
     1. 무근 콘크리트의 휨모멘트: ø=0.65
     2. 전단력과 비틀림 모멘트: ø=0.70
     3. 콘크리트의 지압력: ø=0.70
     4. 축인 장력: ø=0.85

     정답 : []
     정답률 : 30%

69. b=300mm, d=500mm, As=3-D25=1520mm2가 1열로 배치된 단철근 직사각형 보의 설계 휨강도(øMn)는? (단, fck=28MPa, fy=400MPa이고, 과소철근보이다.)(2020년 09월)
     1. 132.5kNㆍm
     2. 183.3kNㆍm
     3. 236.4kNㆍm
     4. 307.7kNㆍm

     정답 : []
     정답률 : 62%

70.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 단면의 프리텐션 부재의 편심 배치한 직선 PS강재를 820kN으로 긴장했을 때 탄성변형으로 인한 프리스트레스의 감소량은? (단, I=3.125×109mm4, n=6이고, 자중에 의한 영향은 무시한다.)(2011년 03월)

    

     1. 44.5MPa
     2. 46.5MPa
     3. 48.5MPa
     4. 50.5MPa

     정답 : []
     정답률 : 52%

71. 압축 이형철근의 정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9월)
     1. 정착길이는 항상 200mm 이상이어야 한다.
     2. 정착길이는 기본정착길이에 적용 가능한 모든 보정계수를 곱하여 구하여야 한다.
     3. 해석결과 요구되는 철근량을 초과하여 배치한 경우의 보정계수는 이다.
     4. 지름이 6mm 이상이고 나선 간격이 100mm이하인 나선철근으로 둘러싸인 압축 이형철근의 보정계수는 0.8이다.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지름이 6mm 이상이고 나선 간격이 100mm이하인 나선철근으로 둘러싸인 압축 이형철근의 보정계수는 0.75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2.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비틀림철근 상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Ph : 가장 바깥의 횡방향 폐쇄스터럽 중심선의 둘레(mm)이다.)(2019년 03월)
     1. 종방향 비틀림철근은 양단에 정착하여야 한다.
     2. 횡방향 비틀림철근의 간격은 Ph/4 보다 작아야 하고, 또한 200mm보다 작아야 한다.
     3. 종방향 철근의 지름은 스터럽 간격의 1/24 이상이어야 하며, 또한 D10 이상의 철근이어야 한다.
     4. 비틀림에 요구되는 종방향 철근은 폐쇄스터럽의 둘레를 따라 300mm 이하의 간격으로 분포시켜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횡방향 비틀림철근의 간격은 "Ph/8" 보다 작아야 하고, 또한 "300mm"보다 작아야 한다.
[해설작성자 : gavis]

73. 그림과 같은 철근콘크리트보 단면이 파괴시 인 장철근의 변형률은? (단, fck=28MPa, fy=350MPa, As=1,520mm2)(2011년 10월)

    

     1. 0.004
     2. 0.008
     3. 0.011
     4. 0.015

     정답 : []
     정답률 : 51%

74. 주어진 T형 단면에서 전단에 대해 위험단면에서 Vud/Mu=0.28 이었다. 휨철근 인장강도의 40% 이상의 유효 프리스트레스트 힘이 작용할 때 콘크리트의 공칭전단강도 (Vc)는 얼마인가? (단, fck=45MPa, Vu :계수전단력, Mu :계수휨모멘트, d:앞축측 표면에서 긴장재 도심까지의 거리)(2016년 10월)

    

     1. 185.7kN
     2. 230.5kN
     3. 321.7kN
     4. 462.7kN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0.05*루트45)+(4.9*0.28)}*(300*450)=230.5
[해설작성자 : 계ㄷ 토목]

75. 그림과 같이 경간 L=9m인 연속 슬래브에서 반 T형 단면의 유효폭(b)은 얼마인가?(2010년 09월)

    

     1. 1100mm
     2. 1050mm
     3. 900mm
     4. 850mm

     정답 : []
     정답률 : 51%

76. 강도설계법에서 그림과 같은 단철근 T형보의 공칭휨강도(Mn)는? (단, As=5000mm2, fck=21MPa, fy=300MPa, 그림의 단위는 mm이다.)(2020년 09월)

    

     1. 711.3kNㆍm
     2. 836.8kNㆍm
     3. 947.5kNㆍm
     4. 1084.6kNㆍm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a > 80

Asf = 0.85 * fck * (b - bw) * t / fy
        = 0.85 * 21 * (1000 - 400) * 80 / 300
        = 2856 mm2

a = ((As - Asf) * fy) / (0.85 * fck * bw)
    = ((5000 - 2856) * 300) / (0.85 * 21 * 400)
    = 90.1 mm

Mn = Asf * fy * (d - t / 2) + (As - Asf) * fy * (d - a / 2)
     = 2856 * 300 * (600 - 80 / 2) + (5000 - 2856) * 300 * (600 - 90.1 / 2)
     = 836.8 kN·m
[해설작성자 : 돈모으자]

77. 그림과 같은 리벳 연결에서 리벳의 허용력은? (단, 리벳 지름은 12mm이며, 리벳의 허용전단응력은 200MPa, 허용지압응력은 400MPa이다.)(2015년 09월)

    

     1. 60.2KN
     2. 55.2kN
     3. 45.2kN
     4. 40.2kN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리벳 지름x -> 리벳 구멍 지름

78. 주어진 단철근보 단면에서 균열검토를 위한 유효인장 단면적(A)은 얼마인가? (단, 사용 철근은 D25-6EA이다.)(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07년 03월)

    

     1. 9000mm2
     2. 10000mm2
     3. 1200mm2
     4. 60000mm2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답이없네요 75000인데

79. 보의 유효깊이(d) 600mm, 복부의 폭( bw) 320mm, 플랜지의 두께 130mm, 인장철근량 7650mm2, 양쪽 슬래브의 중심간 거리 2.5m, 경간 10.4m, fck=25MPa, fy=400MPa로 설계된 대칭 T형보가 있다. 이 보의 등가 직사각형 응력 블록의 깊이(a)는?(2015년 09월)
     1. 51.2mm
     2. 60mm
     3. 137.5mm
     4. 145mm

     정답 : []
     정답률 : 47%

80. 포스트텐션 긴장재의 마찰손실을 구하기 위해 아래의 표와 같은 근사식을 사용하고자 한다. 이때 근사식을 사용할 수 있는 조건으로 옳은 것은?(2015년 05월)

    

     1. Po 의 값이 5000kN이하인 경우
     2. Po 의 값이 5000kN을 초과하는 경우
     3. (Kl+μα)의 값이 0.3이하인 경우
     4. (Kl+μα)의 값이 0.3을 초과하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62%

5과목 : 토질 및 기초


81. 흙의 포화단위중량이 20 kN/m3 인 포화점토층을 45°경사로 8m를 굴착하엿다. 흙의 강도정수 Cu = 65 kN/m2, ø = 0° 이다. 그림과 같은 파괴면에 대하여 사면의 안전율은? (단, ABCD의 면적은 70m2 이고 O점에서 ABCD의 무게중심까지의 수직거리는 4.5m 이다.)(2021년 05월)

    

     1. 4.72
     2. 4.21
     3. 2.67
     4. 2.36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65×12.1×18.89/70×20×4.5=2.36
89.5×2파이×12.1/360=18.89
[해설작성자 : 덕이]

82. 포화된 지반의 간극비를 e, 함수비를 w, 간극률을 n, 비중을 Gs : 라 할 때 다음 중 한계 동수 경사를 나타내는 식으로 적절한 것은?(2018년 03월)
     1. Gs+1/1+e
     2. e-w/w(1+e)
     3. (1+n)(Gs-1)
     4. Gs(1-w+e)/(1+Gs)(1+e)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Icr=(Gs-1)/(1+e)
Gs*W=S*e→e=(Gs*W)/S→포화된 지반이라 S=1 e=Gs*W
(e-W)/(W(1+e))→(W(Gs-1))/(W(1+e))→(Gs-1)/(1=e)
[해설작성자 : 크로꼬다일]

83. 토질 종류에 따른 다짐 곡선을 설명항 것 중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8월)
     1. 조립토가 세립토에 비하여 최대건조단위 중량이 크게 나타나고 최적함수비는 작게 나타난다.
     2. 조립토에서는 입도분포가 양호할수록 최대건조단위 중량은 크고 최적함수비는 작다.
     3. 조립토 일수록 다짐 곡선은 완만하고 세립토 일수록 다짐 곡선은 급하게 나타난다.
     4. 점성토에서는 소성이 클수록 최대건조단위 중량은 감소하고 최적함수비는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84. 표준관입시험(SPT)을 할 때 처음 150mm 관입에 요하는 N값은 제외하고, 그 후 300mm 관입에 요하는 타격수로 N값을 구한다. 그 이유로 옳은 것은?(2020년 08월)
     1. 흙은 보통 150mm 밑부터 그 흙의 성질을 가장 잘 나타낸다.
     2. 관입봉의 길이가 정확히 450mm 이므로 이에 맞도록 관입시키기 위함이다.
     3. 정확히 300mm를 관입시키기가 어려워서 150mm 관입에 요하는 N값을 제외한다.
     4. 보링구멍 밑면 흙이 보링에 의하여 흐트러져 150mm 관입 후부터 N값을 측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85. 입도분석 시험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이 흙을 통일분류법에 의해 분류하면? (단, 0.074mm체 통과율=3%, 2mm체 통과율=40%, 4.75mm체통과율=65%, D10=0.10㎜, D30=0.13㎜, D60=3.2㎜)(2005년 05월)
     1. GW
     2. G
     3. SW
     4. SP

     정답 : []
     정답률 : 37%

86. 다음 그림과 같이 점토질 지반에 연속기초가 설치되어 있다. Terzaghi 공식에 의한 이 기초의 허용 지지력 qa는 얼마인가? (단, φ = 0이며, 폭(B)=2m, Nc=5.14, Nq=1.0, Nr=0, 안전율 Fs=3이다.)(2011년 03월)

    

     1. 6.4t/m2
     2. 13.5t/m2
     3. 18.5t/m2
     4. 40.49t/m2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terzaghi 공식은 필수 암기.
qu= 알파*C*Nc + 베타*B*Nrr1 + r2*D*Nq
요기 문제에서는 Nr=0 이므로 테르자기식에서 가운데식은 통째로 날아갑니다. 따라서 알파*C*Nc, r2*D*Nq만 구하면되네요.
C는 일축압축강도 주어졌으니까 나누기 2하면 7.43. 연속기초 : 알파=1 베타=0.5,    D= 1.2    Nc=5.14, Nq=1 대입하면
qu= 40.49t/m^2 와 쉽다 ~ 4번~ 하면 틀립니다!!
왜냐면 문제에서 허용지지력 구해라고했으니까 안전율만큼 나눠줘야지요. 그래서 진짜답은 40.49/3인 13.5
[해설작성자 : 차니]

87. 흙속에 있는 한 점의 최대 및 최소 주응력이 각각 2.0 kg/cm2 및 1.0kg/cm2일 때 최대 주응력면과 30°를 이루는 평면상의 전단응력을 구한 값은?(2010년 05월)
     1. 0.105 kg/cm2
     2. 0.215 kg/cm2
     3. 0.323 kg/cm2
     4. 0.433 kg/cm2

     정답 : []
     정답률 : 50%

88. 주동토압을 PA, 수동토압을 PP, 정지토압을 P0라 할 때 토압의 크기 순서는?(2004년 09월)
     1. PA > PP > P0
     2. PP > P0 > PA
     3. PP > PA > P0
     4. P0 > PA > PP

     정답 : []
     정답률 : 47%

89. 말뚝에 대한나 동역학적 지지력공식 중 말뚝머리에서 측정되는 리바운드량을 공식에 이용하는 것은?(2007년 09월)
     1. Hilley 공식
     2. Engineering News공식
     3. Sander 공식
     4. Weisbach 공식

     정답 : []
     정답률 : 21%

90. Paper drain 설계 시 Drain paper의 폭이 10cm, 두께가 0.3cm일 때 Drain paper의 등치환산원의 직경이 약 얼마이면 Sand drain과 동등한 값으로 볼 수 있는가? (단, 형상계수(a)는 0.75이다.)(2020년 06월)
     1. 5cm
     2. 8cm
     3. 10cm
     4. 15cm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D=0.75×2×(10+0.3)/파이=5cm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1. sand drain 공법에서 sand pile을 정삼각형으로 배치할때 모래기둥의 간격은?(단, pile의 유효지름은 40㎝ 이다.)(2004년 03월)
     1. 38㎝
     2. 40㎝
     3. 42㎝
     4. 44㎝

     정답 : []
     정답률 : 30%

92. 모래지반의 현장상태 습윤 단위 중량을 측정한 결과 1.8t/m3으로 얻어졌으며 동일한 모래를 체취하여 실내에서 가장 조밀한 상태의 간극비를 구한 결과 emin =0.45, 가장 느슨한 상태의 간극비를 구한 결과 emax=0.92를 얻었다. 현장상태의 상대밀도는 약 몇 %인가? (단, 모래의 비중 Gs =2.7이고, 현장상태의 함수비 w =10%이다.)(2016년 03월)
     1. 44%
     2. 57%
     3. 64%
     4. 80%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γw=Gs+wGs/1+e --> 1.8=2.7+0.1x2.7/1+e
e=0.65 나옵니다!!
0.92-0.65/(0.92-0.45)x100 = 57.4% 나오내요!!
참고기출문제 2010년 3월7일 시험지 찾아보세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3년 한솔 책 보신 분들, 한솔에는 단위중량 18kN/m^3으로 나와서 e=0.62인데, 1.8t/m^3으로 하면 e=0.65 나와요
e= 0.65 사용해서 57%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3년 보라색 한솔책 57로 나와있어요
1.8t/m^3 이기 때문에 57이 맞는 것 같습니다..
동일한 문제가 나온 기출문제를 찾아봤는데
2016년 3월 1일 / 2010년 3월 7일 답이 모두 57로 되어있어요
[해설작성자 : 주희]

단위를 확인하세요. 한솔은 단위가 kN/m^3 이라 값이 다르게 나오는 겁니다.
cbt에 출제된 문제들 보면 t/m^3 이라 계산하면 57% 맞습니다. 시험 풀때도 단위 꼭 확인하고 푸세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3. 아래 표와 같은 흙을 통일분류법에 따라 분류한 것으로 옳은 것은?(2018년 08월)

    

     1. GW
     2. GP
     3. SW
     4. SP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균등계수Cu=7.9>4 입도양호
곡률계수Cg=1.4 1<Cg<3 입도양호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4. 실내시험에 의한 점토의 강도 증가율(Cu/P)산정 방법이 아닌 것은?(2018년 08월)
     1. 소성지수에 의한 방법
     2. 비배수 전단강도에 의한 방법
     3. 압밀비배수 삼축압축시험에 의한 방법
     4. 직접전단시험에 의한 방법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소성지수에 의한 방법
비배수 전단강도에 의한 방법
압밀비배수 삼축압축시험에 의한 방법
액성한계에 의한 방법
[해설작성자 : 기사마스터]

95. 아래 그림에서 지표면에서 깊이 6m에서의 연직응력(бv)과 수평응력(бh)의 크기를 구하면? (단, 토압계수는 0.6이다.)(2013년 06월)

    

     1. бv=12.34t/m2, бh =7.4t/m2
     2. бv=8.73t/m2, бh=5.24t/m2
     3. бv=11.22t/m2, бh=6.73t/m2
     4. бv=9.52t/m2, бh=5.71t/m2

     정답 : []
     정답률 : 67%

96. 어떤 군은 점토층을 깊이 7m까지 연직 절토하였다. 이 점토층의 일축압축강도가 1.4㎏/cm2, 흙의 단위중량이 2t/m3라 하면 파괴의 안전율은?(2017년 09월)
     1. 0.5
     2. 1.0
     3. 1.5
     4. 2.0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한계고를 이용해 안전율을 구하는 문제입니다.
한계고=2*일축압축강도/흙의 단위중량입니다.1.4kg/cm2을 t/m2으로 바꾸면 14t/m2이 됩니다.
ic=2*14/2=14m
안전율Fs=한계고/절토깊이
따라서14/7=2입니다.

내부마찰각은 1도 필요없습니다 문제풀때
Hc= 2×일축강도 / 흙단위중량     이기때문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한계고 = 2*q/r, q = 일축압축강도, r=흙의 단위중량
일축압축강도 = 2c*tan(45+φ/2)
문제에선 점착력(c)가 아닌 일축압축강도가 주어졌으므로 내부마찰각은 딱히 필요가 없습니다
문제에서 만약 점착력이 주어졌다면 내부 마찰각이 필요하죠!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7. 다음 흙의 다짐에 관한것중 틀린 것은?(2003년 05월)
     1. 인공적으로 흙에 압력이나 충격을 가하여 밀도를 높이는 것을 다짐이라 한다.
     2. 최대건조밀도때의 함수비를 최적함수비라 한다.
     3. 영공기공극 곡선은 흙이 완전포화될때 함수비 - 밀도 곡선을 말한다.
     4. 다짐에너지를 증가하면 최적함수비는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52%

98. 그림과 같은 정수 중에 있는 포화토의 A-A'면에서의 유효 응력은?(2004년 03월)

    

     1. 12.2t/m2
     2. 16.0t/m2
     3. 1.22t/m2
     4. 1.60t/m2

     정답 : []
     정답률 : 48%

99. 사질토에 대한 직접 전단시험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경과를 얻었다. 내부마찰각을 약 얼마인가?(2009년 08월)

    

     1. 25°
     2. 30°
     3. 35°
     4. 40°

     정답 : []
     정답률 : 64%

100. 토질조사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사운딩(Sounding)이란 지중에 저항체를 삽입하여 토층의 성상을 파악하는 현장 시험이다.
     2. 불교란시료를 얻기 위해서 Foil Sampler, Thin Wall Tube Sampler 등이 사용된다.
     3. 표준관입시험은 로드(Rod)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N 치가 작게 나온다.
     4. 베인 시험은 정적인 사운딩이다.

     정답 : []
     정답률 : 60%

101. 우수관거 및 합류관거 내에서의 부유물 침전을 막기 위하여 계획우수량에 대하여 요구되는 최소 유속은?(2014년 05월)
     1. 0.3m/s
     2. 0.6m/s
     3. 0.8m/s
     4. 1.2m/s

     정답 : []
     정답률 : 49%

102. 침전지의 수심이 4m이고 체류시간이 2시간일 때 이 침전지의 표면부하율(Surface loading rate)은?(2012년 03월)
     1. 12m3/m2·day
     2. 24m3/m2·day
     3. 36m3/m2·day
     4. 48m3/m2·day

     정답 : []
     정답률 : 54%

103. 오존처리법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1년 03월)
     1. 자체의 높은 산화력으로 염소에 비하여 높은 살균력을 가지고 있다.
     2. 유기물질의 생분해성을 증가시킨다.
     3. 철ㆍ망간의 산화능력이 크다.
     4. 소독의 잔류효과가 크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4. 잔류효과가 큰 것은 잔류염소가 남는 '염소처리법'입니다. 오존 처리법은 소독력이 뛰어나지만 잔류효과가 없어서 지속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차니]

104. 하수 배제방식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5월)
     1. 분류식은 합류식에 비해 우천시 월류의 위험이 크다.
     2. 합류식은 단면적이 크기 때문에 검사, 수리 등에 유리하다.
     3. 합류식은 분류식(2계통 건설)에 비해 건설비가 저렴하고 시공이 용이하다.
     4. 분류식은 강우초기에 노면의 오염물질이 포함된 세정수가 직접 하천 등으로 유입된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합류식이 우천시 월류의 위험이 더 큼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5. 지표수를 수원으로 하는 경우의 상수시설 배치순서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0년 03월)
     1. 취수탑 - 침사지 - 응집침전지 - 정수지 - 배수지
     2. 집수매거 - 응집침전지 - 침사지 - 정수지 - 배수지
     3. 취수문 - 여과지 - 보통침전지 - 배수탑 - 배수관망
     4. 취수구 - 약품침전지 - 혼화지- 정수지 - 배수지

     정답 : []
     정답률 : 68%

106. 부영양화(Eutrophication) 발생시 나타나는 현상으로 틀린 것은?(2013년 06월)
     1. 조류 번식에 의한 냄새 발생
     2. 수중 생물종의 변화
     3. 염소요구량 증가
     4. 중금속의 침전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중금속 침전은 부영양화와 관계가 없다.
[해설작성자 : 필기2수]

107. 다음 중 하수슬러지 개량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8년 04월)
     1. 세정
     2. 열처리
     3. 동결
     4. 농축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개량방법에는 세정 동결 열처리 약품처리가 있다.
농축은 아니다.

108. 지름 400mm, 길이 1000m인 원형 철근 콘크리트 관에 물이 가득 차 흐르고 있다. 이 관로 시점의 수두가 50m 라면 관로 종점의 수압(kgf/cm2)은? (단, 손실수두는 마찰손실 수두만을 고려하며 마찰계수(f) = 0.05, 유속은 Manning 공식을 이용하여 구하고 조도계수(n) = 0.013, 동수경사(I) = 0.001 이다.)(2022년 04월)
     1. 2.92 kgf/cm2
     2. 3.28 kgf/cm2
     3. 4.83 kgf/cm2
     4. 5.31 kgf/cm2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매닝공식과 베르누이 방정식을 쓸 수 있으면 그렇게 어려운 문제는 아님
시점의 수두가 50m이므로 시점의 수압 = 50t/m^2, 관내 유속은 매닝공식으로 V = 1/0.013*(0.4/4)^2/3*0.001^1/2 = 0.524m/s
관은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고 보면 직경이 같은 관에선 유속이 동일하므로 속도수두 같음, 위치수두도 같음
베르누이 방정식을 쓰면 50+0+0=p/γ+0+0+0.05*1000/0.4*0.524^2/2*9.8, p=48.25t/m^2=4.83kg/cm^2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물이 가득 찬 콘크리트 관에서 R(경심)은 A/S 인데 이때 A는 원형관 단면의 넓이 즉 파이r^2이고 S는 단면에서 수로 벽과 접하는 부분의 넓이인데 가득 차니 원주와 같겠죠? 따라서 2파이r이 됩니다. 그래서 여기서 R은 결국 약분되어 r/2 가 됩니다.

기존 해설에 추가해설을 하나 더합니다. 베르누이 공식 사용 시 우측 공식은 Darch-Weisbach공식입니다.
마찰손실수두 h=f x (l/d) x (v^2/2g) 공식을 쓴 것입니다.

109. 처리수량이 6,000m3/day정수장에서 염소를 6mg/L의 농도로 주입한다. 잔류염소 농도가 0.2mg/L 이었다면 염소 요구량은? (단, 염소의 순도는 75% 이다.)(2008년 03월)
     1. 36.6 kg/day
     2. 46.4 kg/day
     3. 100.1 kg/day
     4. 480.4 kg/day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염소요구량농도=염소주입농도-잔류염소농도=6.0-5.2=5.8
염소요구량=염소요구량농도*유량/순도=5.8*6000/0.75=46400g/day
[해설작성자 : 쑤야]

110. 활성슬러지법에서 MLSS란 무엇을 뜻하는가?(2005년 05월)
     1. 방류수 중의 부유물질
     2. 반송슬러지의 부유물질
     3. 폐수 중의 부유물질
     4. 폭기조 내의 부유물질

     정답 : []
     정답률 : 63%

111. Hardy-Cross 방법에 의해 상수 배수관망을 해석할 때에 각 폐합관의 마찰손실수두 h의 산정식은? (단, Q 는 유량, k는 상수)(2003년 05월)
     1. Hazen-Williams 식 사용시 h = kQ1.85
     2. Hazen-Williams 식 사용시 h = kQ3
     3. Darcy-Weisbach 식 사용시 h = kQ1.85
     4. Darcy-Weisbach 식 사용시 h = kQ3

     정답 : []
     정답률 : 46%

112. 하수배제 방식의 합류식과 분류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3월)
     1. 분류식이 합류식에 비하여 일반적으로 관거의 부설비가 적게 든다.
     2. 분류식은 강우초기에 비교적 오염된 노면배수가 직접 공공수역에 방류될 우려가 있다.
     3. 하수관거내의 유속의 변화폭은 합류식이 분류식보다 크다.
     4. 합류식, 하수관거는 단면이 커서 관거내 유지관리가 분류식보다 쉽다.

     정답 : []
     정답률 : 66%

113. 급수량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0년 08월)
     1. 시간최대급수량은 일최대급수량보다 작게 나타난다.
     2. 계획1일평균급수량은 시간최대급수량에 부하율을 곱해 산정한다.
     3. 소화용수는 일최대급수량에 포함되므로 별도로 산정하지 않는다.
     4. 계획1일최대급수량은 계획1일평균급수량에 계획첨두율을 곱해 산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114. 하수도 시설을 계획할 때 원칙적으로 계획목표년도는 몇 년인가?(2006년 03월)
     1. 10년
     2. 20년
     3. 30년
     4. 40년

     정답 : []
     정답률 : 66%

115. 대기압이 10.33m, 포화수증기압이 0.238m, 흡입관내의 전 손실수두가 1.2m, 토출관의 전 손실수두가 5.6m, 펌프의 공동현상계수(σ)가 0.8이라 할 때, 공동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펌프가 흡입수면으로부터 얼마의 높이까지 위치할 수 있겠는가?(2020년 06월)
     1. 약 0.8m까지
     2. 약 2.4m까지
     3. 약 3.4m까지
     4. 약 4.5m까지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10.33x0.8-(0.238-1.2+5.6)/0.8=2.47m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6. 다음 그림은 펌프 표준득성 곡선이다. 펌프의 양정을 나타내는 곡선 형태는?(2007년 09월)

    

     1. A
     2. B
     3. C
     4. D

     정답 : []
     정답률 : 60%

117. 합류식과 분류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4월)
     1. 분류식의 경우 관로 내 퇴적은 적으나 수세효과는 기대할 수 없다.
     2. 합류식의 경우 일정량 이상이 되면 우천 시 오수가 월류한다.
     3. 합류식의 경우 관경이 커지기 때문에 2계통인 분류식보다 건설비용이 많이 든다.
     4. 분류식의 경우 오수와 우수를 별개의 관로로 배제하기 때문에 오수의 배제계획이 합리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분류식은 2계통을 건설하는 경우 합류식에 비해 건설비용이 많이 든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8. 펌프의 흡입관에 대한 다음 사항 중 틀린 것은?(2005년 09월)
     1. 충분한 흡입수두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2. 흡입관은 가능하면 수평으로 설치되도록 한다.
     3. 흡입관에는 공기가 혼입되지 않도록 한다.
     4. 펌프 한 대에 하나의 흡입관을 설치한다.

     정답 : []
     정답률 : 61%

119. 상수도에 있어서 도ㆍ송수관거의 평균유속의 허용최대값은?(2015년 05월)
     1. 3m/s
     2. 4m/s
     3. 5m/s
     4. 6m/s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최소 0.3m/sec 최대 3.0m/sec
[해설작성자 : TIWSY]

120. 하수도시설의 일차침전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3월)
     1. 침전지 형상은 원형,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 한다.
     2. 직사각형 침전지의 폭과 길이의 비는 1:3 이상으로 한다.
     3. 유효수심은 2.5~4m를 표준으로 한다.
     4. 침전시간은 계획1일 최대오수량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12시간 정도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55%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토목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7389102)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도목기사, 토목, 기사,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3 9급 국가직 공무원 전자공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7월11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162 직업상담사 1급(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6962159)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 토목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7389102)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160 유통관리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580439)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159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전자공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158 수능(세계지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9369475)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157 금속재료시험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10월20일(5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156 9급 지방직 공무원 지역사회간호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8014782)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155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4월14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154 <h2>자동차정비기능사 필기 시험문제 및 CBT 2013년10월12일(5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153 PC정비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4월2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152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6월2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151 용접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1148434)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4 5
150 배관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4월04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149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사회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6월2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148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공중보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6월1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4 4
147 청소년상담사 1급(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10월01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146 기계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7월20일(4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145 9급 지방직 공무원 과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144 수산양식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8월0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Board Pagination Prev 1 ...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364 365 ... 369 Next
/ 3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