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토목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5일)(4472214)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토목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응용역학


1. 그림과 같은 라멘에서 하중 4tf 를 받는 C점의 휨모멘트는?(2016년 10월)

   

     1. 3tf⋅m
     2. 4tf⋅m
     3. 5tf⋅m
     4. 6tf⋅m

     정답 : []
     정답률 : 87%

2. 그림과 같은 트러스에서 부재 V(중앙의 연직재)의 부재력은 얼마인가?(2018년 03월)

   

     1. 5t(인장)
     2. 5t(압축)
     3. 4t(인장)
     4. 4t(압축)

     정답 : []
     정답률 : 75%

3. 다음 그림과 같이 직교좌표계 위에 있는 사다리꼴 도형 OABC 도심의 좌표는?(2003년 05월)

   

     1. (2.54, 3.46)
     2. (2.77, 3.31)
     3. (3.34, 3.21)
     4. (3.54, 2.7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 변형률이 0.015일 때 응력이 1,200kgf/cm2이면 탄성계수(E)는?(2003년 08월)
     1. 6×104 kgf/cm2
     2. 7×104 kgf/cm2
     3. 8×104 kgf/cm2
     4. 9×104 kgf/cm2

     정답 : []
     정답률 : 46%

5. 지름 d = 3cm인 강봉을 P = 6280kgf의 축방향력으로 당길 때 봉의 횡방향 수축량 δ'를 구한 값은? (단, 프와송비 ν = 1/3, 탄성계수 E = 2 × 106 kgf/cm2)(2002년 03월)
     1. 0.0073 mm
     2. 0.0053 mm
     3. 0.0044 mm
     4. 0.0032 mm

     정답 : []
     정답률 : 37%

6. 어떤 재료의 탄성계수가 E, 프와송비가 ν일 때 이 재료의 전단 탄성계수 G는 어떻게 표시되는가?(2009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2%

7. 지간 ℓ =12m의 단순보에서 C점의 휨응력은 얼마인가? (단, 자중은 무시한다.)(2002년 09월)

   

     1. 600 kgf/cm2
     2. 675 kgf/cm2
     3. 700 kgf/cm2
     4. 775 kgf/cm2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 지름이 1cm, 길이가 1m 인 원형의 강재단면에 1000kg 의 하중이 작용하였다. 자중을 무시할 때 늘어난 길이는? (단, 탄성계수는 2.0 x 106kg/cm2 임)(2005년 03월)
     1. 0.479 mm
     2. 0.637 mm
     3. 0.699 mm
     4. 0.591 m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 다음 그림과 같은 구조물에서 사재 A의 축력으로 옳은 것은?(2008년 03월)

   

     1. 1.4t (인장)
     2. 1.9t (압축)
     3. 3.0t (인장)
     4. 4.0t (압축)

     정답 : []
     정답률 : 24%

10. 그림과 같은 단면에서 직사각형 단면의 최대 전단응력은 원형단면의 최대 전단응력의 몇 배인가? (단, 두 단면적과 작용하는 전단력의 크기는 동일하다.)(2020년 06월)

    

     1. 5/6배
     2. 7/6배
     3. 8/7배
     4. 9/8배

     정답 : []
     정답률 : 67%

11. 지름 D, 길이 ℓ 인 원기둥의 세장비는?(2003년 03월)
     1. 4ℓ / D
     2. 8ℓ / D
     3. 4D / ℓ
     4. 8D / ℓ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2. 다음 인장부재의 수직변위를 구하는 식은? (단, 탄성계수는 E)(2011년 10월)

    

     1. PL/EA
     2. 3PL/2EA
     3. 2PL/EA
     4. 5PL/2EA

     정답 : []
     정답률 : 56%

13. 지름이 D인 원형단면의 단주에서 핵(core)의 면적으로 옳은 것은?(2018년 09월)
     1. πD2 / 4
     2. πD2 / 16
     3. πD2 / 32
     4. πD2 / 64

     정답 : []
     정답률 : 48%

14. 그림과 같은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기둥의 핵 면적은?(2005년 09월)

    

     1. bh/9
     2. bh/18
     3. bh/16
     4. bh/36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5. 그림과 같은 원형단주가 기둥의 중심으로부터 10cm 편심하여 32t의 집중하중이 작용하고 있다. A점의 응력을 σA=0으로 하려면 기둥의 지름 d의 크기는?(2009년 03월)

    

     1. 40cm
     2. 80cm
     3. 120cm
     4. 160cm

     정답 : []
     정답률 : 39%

16. 다음 중 지점(Support)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5년 03월)
     1. 이동지점
     2. 자유지점
     3. 회전지점
     4. 고정지점

     정답 : []
     정답률 : 73%

17. 경간 ℓ=10m인 단순보에 그림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중이 작용할 때 절대 최대 휨모멘트를 구한 값은?(2007년 03월)

    

     1. 4.5 t·m
     2. 5.12 t·m
     3. 6.8 t·m
     4. 8.1 t·m

     정답 : []
     정답률 : 60%

18. 그림과 같은 단주에 P=230kg의 편심하중이 작용할 때 단면에 인장력이 생기지 않기 위한 편심거리 e의 최대값은?(2005년 05월)

    

     1. 4.11cm
     2. 5.76cm
     3. 6.67cm
     4. 7.77c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9. 다음 부정정보에서 지점 B의 수직 반력은 얼마인가? (단, EI는 일정함)(2009년 05월)

    

     1. ( ↑ )
     2. 1.3 ( ↑ )
     3. 1.4 ( ↑ )
     4. 1.5 ( ↑ )

     정답 : []
     정답률 : 69%

20. 그림과 같은 아치의 지점A에서의 지점반력 RA 와 HA 값이 맞는 것은?( 단, RA는 수직반력, HA 수평반력 이다.)(2004년 03월)

    

     1. RA = 18t(↑), HA = 18t(→)
     2. RA = 18t(↑), HA = 6t(→)
     3. RA = 18t(↑), HA = -18t(→)
     4. RA = 18t(↑), HA = -6t(→)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과목 : 측량학


21. 폐합트래버스 측량의 내업을 하기 위하여 각 측선의 경거, 위거를 계산한 결과 측선34의 자료가 없었다. 측선34의 방위각은? (단, 폐합오차는 없는 것으로 가정한다.)(2009년 05월)

    

     1. 64° 10' 44“
     2. 64° 49' 14“
     3. 244° 10' 44“
     4. 115° 49' 14“

     정답 : []
     정답률 : 34%

22. 축척 1/50,000 지형도에서 A점으로부터 B점까지의 도상 거리가 70mm 이었다. A쩜의 표고가 200m, B점의 표고가 10m이라면 이 사면의 경사는?(2008년 03월)
     1. 1/18.4
     2. 1/20.5
     3. 1/22.3
     4. 1/25.1

     정답 : []
     정답률 : 64%

23. 교호수준측량의 결과가 그림과 같을 때, A점의 표고가 55.423m라면 B점의 표고는?(2017년 05월)

    

     1. 52.930m
     2. 53.281m
     3. 54.130m
     4. 54.137m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HB = HA-△hAB
△hAB = (a-b)+(c-d) / 2 = -1.293m
∴HB = 55.423 + (-1.293) = 54.130m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4. 그림과 같이 삼각점 A에 기계를 설치하여 삼각점 B가 시준되지 않으므로 점 P를 관측하여 T′=60° 32′15′′를 얻었다면 각 T는? (단, =1.3㎞, e=5m, =315°)(2008년 03월)

    

     1. 60° 32′23′′
     2. 60° 2254′′
     3. 60° 21′09′′
     4. 60° 17′09′′

     정답 : []
     정답률 : 20%

25. 지상고도 2000m의 비행기 위에서 초점거리 152.7mm의 사진기로 촬영한 수직항공사진에서 길이 50m인 교량의 사진상의 길이는?(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20년 08월)
     1. 2.6mm
     2. 3.8mm
     3. 26mm
     4. 38mm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사진측량 관련 문제는 2022년 부터 시험 범위에서 제외 되었습니다.

26. 화면거리 153mm의 카메라로 고도 800m에서 촬영한 수직사진 한장에 찍히는 실제면적은? (단, 사진의 크기는 23cm×23cm 이다)(2002년 05월)
     1. 1.446km2
     2. 1.840km2
     3. 5.228km2
     4. 5.290km2

     정답 : []
     정답률 : 47%

27. 평판측량에서 전진법에 의하여 측점 16개의 폐합트래버스를 측정할 때 허용 폐합오차는?(2004년 05월)
     1. ± 1.2mm
     2. ± 1.5mm
     3. ± 1.8mm
     4. ± 2.1m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8. 측선의 길이가 85.62m 이고 방위각이 242° 42′ 57″ 일 때 측선위 위거는?(2011년 03월)
     1. -39.249m
     2. 39.249m
     3. -76.094m
     4. 76.094m

     정답 : []
     정답률 : 43%

29. 직접법으로 등고선을 측정하기 위하여 B점에 레벨을 세우고 표고가 75.25m인 P점에 세운 표척을 시준하여 0.85m를 측정했다. 68m인 등고선 위의 점 A를 정하려면 시준하여야 할 표척의 높이는?(2003년 05월)
     1. 8.1m
     2. 5.6m
     3. 6.7m
     4. 9.5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0. 수준측량의 오차 최소화 방법 중 틀린 것은?(2008년 03월)
     1. 표척의 영점오차는 기계의 정치 횟수를 짝수로 세워 오차를 최소화 한다.
     2. 시차는 망원경의 접안경 및 대물경을 명확히 조절한다.
     3. 눈금오차는 기준자와 비교하여 보정값을 정하고 온도에 대한 온도보정도 실시한다.
     4. 표척 기울기에 대한 오차는 표척을 앞뒤로 흔들 때의 최대값을 읽음으로 최소화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1. 다음 그림과 같은 결합 트래버어스에서 A점 및 B점에서 각각 AL 및 BM의 방위각이 기지일 때 측각 오차를 표시하는 식은 어느 것인가?(2007년 03월)

    

     1. Δa= Wa + Σa – 180˚ (n-3) - Wb
     2. Δa= Wa + Σa – 180˚ (n+2) - Wb
     3. Δa= Wa + Σa – 180˚ (n+1) - Wb
     4. Δa= Wa + Σa – 180˚ (n-1) - Wb

     정답 : []
     정답률 : 16%

32. 어떤 경사진 터널 내에서 수준측량을 실시하여 그림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a=1.15m, b=1.56m, 경사거리(S)=31.69m, 연직각 α=+17°47′일 때 두 측점간의 고저차는?(2017년 03월)

    

     1. 5.3m
     2. 8.04m
     3. 10.09m
     4. 12.43m

     정답 : []
     정답률 : 54%

33. 종축척이 1 : 100, 횡축척이 1 : 300인 횡단면 도면의 면적을 구하기 위하여 구적기의 축척 1 : 500으로 측정한 면적이 200m2이었다면 실제면적은 얼마인가?(2002년 05월)
     1. 24 m2
     2. 36 m2
     3. 48 m2
     4. 72 m2

     정답 : []
     정답률 : 30%

34. 도로의 단곡선 계산에서 노선기점으로부터 교점까지의 추가거리와 교각을 알고 있을 때 곡선시점의 위치를 구하기 위해서 계산되어야 하는 요소는?(2016년 05월)
     1. 접선장(T.L)
     2. 곡선장(C.L)
     3. 중앙종거(M)
     4. 접선에 대한 지거(Y)

     정답 : []
     정답률 : 66%

35. 그림과 같이 원곡선을 설치하고자 할 때 교점(P)에 장애물이 있어 ∠ACD=150°, ∠CDB=90°및 CD의 거리 400m를 관측하였다. C점으로부터 곡선 시점 A까지의 거리는? (단, 곡선의 반지름은 500m로 한다.)(2016년 10월)

    

     1. 404.15m
     2. 425.88m
     3. 453.15m
     4. 461.88m

     정답 : []
     정답률 : 47%

36. 철도에 완화곡선을 설치하고자 할 때 캔트(cant)의 크기 결정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은 것은?(2015년 09월)
     1. 레일간격
     2. 곡선반지름
     3. 원곡선의 교각
     4. 주행속도

     정답 : []
     정답률 : 58%

37. 촬영고도 3,000m, 사진 I의 주점기선장 59mm, 사진 II의 주점기선장 61mm 일 때 시차차 2.5mm 인 두 점간의 고저차는 얼마인가?(2003년 05월)
     1. 75m
     2. 100m
     3. 125m
     4. 150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8. 어떤 노선을 수준측량한 결과가 표와 같을 때, 측점 1, 2, 3, 4의 지반고 값으로 틀린 것은? (단위 : m)(2019년 04월)

    

     1. 측점 1 : 124.102 m
     2. 측점 2 : 122.623 m
     3. 측점 3 : 124.374 m
     4. 측점 4 : 122.730 m

     정답 : []
     정답률 : 71%

39. 다음중 측량법에 따른 분류가 아닌 것은?(2004년 09월)
     1. 세부측량
     2. 기본측량
     3. 일반측량
     4. 공공측량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0. 교각 I= 90°, 곡선반지름 R = 200m인 단곡선에서 노선기점으로부터 교점 IP까지의 거리가 520m일 때 노선기점으로 부터 곡선시점까지의 거리는?(2004년 03월)
     1. 280m
     2. 320m
     3. 390m
     4. 420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과목 : 수리학


41. 폭이 6m인 직사각형 단면 수로이 경사가 0.0025이며 11m3/s의 유량이 흐르고 있다. 흐름의 어느 단면에서의 유속이 6m/s였다. 이 단면에서 도수가 발생한다면 공액수심은 얼마인가?(2009년 03월)
     1. 0.313m
     2. 0.871m
     3. 1.353m
     4. 2.541m

     정답 : []
     정답률 : 0%

42. 체적이 10m3인 물체가 물 속에 잠겨있다. 물 속에서의 물체의 무게가 13t이었다면 물체의 비중은?(2014년 09월)
     1. 2.6
     2. 2.3
     3. 1.6
     4. 1.3

     정답 : []
     정답률 : 47%

43. 내경 600m, 두께 10mm의 강관에 100kg/cm2 의 압력수를 통과 시킬 때 발생하는 인장응력은?(2008년 05월)
     1. 1000 kg/cm2
     2. 2000 kg/cm2
     3. 3000 kg/cm2
     4. 4000 kg/cm2

     정답 : []
     정답률 : 47%

44. 초속 25m/s, 수평면과의 각 60°로 사출된 분수가 도달하는 최대 연직 높이는? (단, 공기 등 기타 저항은 무시한다.)(2019년 03월)
     1. 23.9m
     2. 20.8m
     3. 27.6m
     4. 15.8m

     정답 : []
     정답률 : 46%

45. 그림은 두 개의 수조를 연결하는 등단면 단일 관수로이다. 관의 유속을 나타낸 식은? (단, f : 마찰손실계수, fo=1.0, fi=0.5, L/D<3000)(2015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8%

46. 다음 중 물의 압축성과 관계없는 것은?(2014년 09월)
     1. 온도
     2. 압력
     3. 정류
     4. 공기 함유량

     정답 : []
     정답률 : 67%

47. 길이 130m인 관로에서 양단의 압력수두차가 8m가 되도록 하고 0.3m3/s의 물을 송수하기 위한 관의 직경은? (단, 관로의 마찰손실계수는 0.03이다.)(2017년 09월)
     1. 43.0cm
     2. 32.5cm
     3. 30.3cm
     4. 25.4cm

     정답 : []
     정답률 : 50%

48. 그림에서 판 AB에 가해지는 힘 F는? (단, ρ는 밀도)(2017년 03월)

    

     1.
     2. ρQV1
     3.
     4. ρQV2

     정답 : []
     정답률 : 59%

49. 폭 1.5m인 직사각형 수로에 유량 1.8m3/sec의 물이 항시 수심 1m로 흐르는 경우 이 흐름의 상태는? (단, 에너지보정계수 α = 1.1)(2004년 09월)
     1. 상류
     2. 한계류
     3. 사류
     4. 부정류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0. Darcy-Weisbach의 마찰손실수두 공식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관의 조도에 비례한다.
     2. 관의 직경에 비례한다.
     3. 관로의 길이에 비례한다.
     4. 유속의 제곱에 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51. 그림과 같이 단면 ①에서 단면적 A1=10cm2, 유속 V1=2m/s이고, 단면 ②에서 단면적 A2=20cm2일 때 단면 ②의 유속(V2)과 유량(Q)은?(2018년 09월)

    

     1. V2=200cm/s , Q=2000cm3/s
     2. V2=100cm/s , Q=1500cm3/s
     3. V2=100cm/s , Q=2000cm3/s
     4. V2=200cm/s , Q=1000cm3/s

     정답 : []
     정답률 : 62%

52. 침투지수법에 의한 침투능 추정방법에 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2009년 05월)
     1. 침투지수란 호우기간의 총침투량을 호우지속 기간으로 나눈 것이다
     2. ø-index는 강우주상도에서 유효우량과 손실우량을 구분하는 수평선에 상응하는 강우강도와 크기가 같다
     3. W-index는 강우강도가 침투능보다 큰 호우기간 동안의 평균침투율이다.
     4. ø-index법은 침투능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고려한 방법으로서 가장 많이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15%

53. 관수로의 마찰손실수두(hL)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3년 08월)
     1. 관의 지름(D)에 비례한다.
     2. 레이놀드수(Re)에 반비례한다.
     3. 관수로의 길이(ℓ )에 비례한다.
     4. 관내 유속(V)의 제곱에 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4. 베르누이 정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의 수두가 일정하다.
     2. 정상류이어야 하며 마찰에 의한 에너지 손실이 없는 경우에 적용된다.
     3. 동수경사선이 에너지선보다 항상 위에 있다.
     4. 동수경사선과 에너지선을 설명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1%

55. Darcy의 법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8년 03월)
     1. Reynolds수가 클수록 안심하고 적용할 수 있다.
     2. 평균유속이 손실수두와 비례관계를 가지고 있는 흐름에 적용될 수 있다.
     3. 정상류 흐름에서 적용될 수 있다.
     4. 층류 흐름에서 적용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60%

56. 지하수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4년 05월)
     1. 불투수층 위의 대수층 내에 자유 지하수면을 가지는 자유 지하수를 양수하는 우물 중 우물바닥이 불투수층까지 도달한 것을 심정이라 한다.
     2. 불수수층 사이에 낀 투수층 내에 포함되어 있는 지하수를 피압면 지하수라 하며 이를 양수하는 우물을 굴착정이라 한다.
     3. 점토층과 같이 불투수층이 낀 투수층 내의 압력을 받고 있는 지하수를 자유면 지하수라 하고 이를 양수하는 우물 중 우물바닥이 불투수층까지 도달하지 않은 것을 천정이라 한다.
     4. 다르시(Darcy)의 법칙에서 지하수 유속은 동수경사에 비례하며 투수계수 k는 토사의 간극률과 입경 등에 따라 다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7. 다음 그림과 같이 높이 2m인 물통에 물이 1.5m만큼 담겨져 있다. 물통이 수평으로 4.9m/sec2의 일정한 가속도를 받고 있을 때 물통의 물이 넘쳐 흐르지 않게 하기 위한 물통의 최소 길이는?(2002년 05월)

    

     1. 2.0m
     2. 2.4m
     3. 2.8m
     4. 3.0m

     정답 : []
     정답률 : 30%

58. 관수로의 관망설계에서 각 분기점 또는 합류점에 유입하는 유량은 그 점에서 정지하지 않고 전부 유출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관망을 해석하는 방법은?(2019년 09월)
     1. Manning 방법
     2. Hardy – Cross 방법
     3. Darcy – Weisbach 방법
     4. Ganguillet – Kutter 방법

     정답 : []
     정답률 : 64%

59. 그림과 같이 수평으로 놓은 원형관의 안지름이 A에서 50cm이고 B에서 25cm로 축소되었다가 다시 C에서 50cm로 되었다. 물이 340ℓ/s의 유량으로 흐를 때 A와 B의 압력차(PA-PB)는? (단, 에너지 손실은 무시한다.)(2015년 05월)

    

     1. 0.225N/cm2
     2. 2.25N/cm2
     3. 22.5N/cm2
     4. 225N/cm2

     정답 : []
     정답률 : 44%

60. 한계수심 hc와 비에너지 he와의 관계로 옳은 것은? (단, 광폭직사각형 단면인 경우)(2011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46%

4과목 : 철근콘크리트 및 강구조


61. 보의 유효높이 600mm, 복부의 폭 320mm, 플랜지의 두께 130mm, 양쪽의 슬래브의 중심간 거리 2.5m, 보의 경간 10.4m로 설계된 대칭 T형보가 있다. 이 보의 플랜지의 유효폭은?(2017년 05월)
     1. 2080mm
     2. 2400mm
     3. 2500mm
     4. 2600mm

     정답 : []
     정답률 : 52%

62. 다음 중 용접이음을 한 경우 용접부의 결함을 나타내는 용어가 아닌 것은?(2015년 09월)
     1. 언더컷(undercut)
     2. 필렛(fillet)
     3. 크랙(crack)
     4. 오버랩(overlap)

     정답 : []
     정답률 : 76%

63. 강도설계법에 의한 휨부재 설계의 기본가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콘크리트의 압축연단에서 최대 변형률은 0.003으로 가정한다.
     2. 철근의 응력이 설계기준항복강도 fy 이하일 때 철근의 응력은 그 변형률에 철근의 탄성계수(Es)를 곱한 값으로 한다.
     3. 콘크리트의 압축응력분포는 일반적으로 삼각형으로 가정한다.
     4. 철근과 콘크리트의 변형률은 중립축에서의 거리에 직선 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64.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 단면의 보에서 등가직사각형 응력블록의 깊이(a)는? (단, As = 2382 mm2, fy = 400 MPa, fck = 28 MPa)(2019년 09월)

    

     1. 58.4mm
     2. 62.3mm
     3. 66.7mm
     4. 72.8mm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As x fy / 0.85 x fck x b
[해설작성자 : easy]

65. 리벳이음에서 리벳 지름 d = 19mm, 철판 두께 t = 12mm, 허용 전단응력은 80Mpa, 허용 지압응력은 160MPa 일 때 이 리벳의 강도는? (단, 1면전단의 경우임)(2008년 03월)
     1. 22.7 kN
     2. 28.4 kN
     3. 30.9 kN
     4. 36.5 kN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6. 철근콘크리트보에서 계수전단력 VuVc의 1/2을 초과하고 비틀림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요구되는 전단철근의 최소 단면적은? (단, bw=300㎜, 전단철근의 간격 s=200mm, 횡방향 철근의 설계기준강도(fyt)=300MPa, fck=30MPa)(2008년 03월)
     1. 35mm2
     2. 70mm2
     3. 105mm2
     4. 140mm2

     정답 : []
     정답률 : 22%

67. 그림의 T형보에서 플랜지의 내민부분(빗금)의 압축력과 비길 수 있는 철근 단면적 Asf는?(2004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8. fck = 240kgf/cm2, fy = 3000kgf/cm2일 때 다음 그림과 같은 보의 균형 철근비(ρb)는?(2002년 09월)

    

     1. 0.0013
     2. 0.0129
     3. 0.0385
     4. 0.0488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9. 전단철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경우 주인장 철근에 45° 이상의 각도로 설치되는 스트럽을 전단철근으로 사용할 수 있다.
     2.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경우 주인장 철근에 30° 이상의 각도로 구부린 굽힘철근을 전단철근으로 사농할 수 있다.
     3. 전단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는 500MPa를 초과할 수 없다.
     4. 전단철근으로 사용하는 스터럽과 기타 철근 또는 철선은 콘크리트 압축연단부터 거리 d/2 만큼 연장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4%

70.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고정하중 30kN/m, 활하중 50kN/m가 작용한다면 소요강도(U)는?(2017년 03월)
     1. 73kN/m
     2. 116kN/m
     3. 127kN/m
     4. 155kN/m

     정답 : []
     정답률 : 70%

71. 아래의 표에서 설명하는 철근은?(2017년 09월)

    

     1. 주철근
     2. 온도철근
     3. 배력철근
     4. 스터럽

     정답 : []
     정답률 : 54%

72.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 fck = 35MPa,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fc = 8MPa일 때 콘크리트의 탄성변형에 의한 PS 강재의 프리스트레스 감소량은? (단, n은 7)(2007년 03월)
     1. 40MPa
     2. 48MPa
     3. 56MPa
     4. 64MPa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3. 다음 중 스터럽을 쓰는 이유로 옳은 것은?(2017년 05월)
     1. 보의 강성(剛性)을 높이고 사인장 응력을 받게 하기 위하여
     2. 콘크리트의 탄성을 높이기 위하여
     3. 콘크리트가 옆으로 튀어 나오는 것은 방지하기 위하여
     4. 철근의 조립을 위하여

     정답 : []
     정답률 : 60%

74.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서 피로에 대한 검토를 하지 않아도 되는 구조 부재는?(2015년 05월)
     1. 기둥
     2. 단순보
     3. 연속보
     4. 슬래브

     정답 : []
     정답률 : 74%

75. 파셜 프리스트레스 보(partially prestressed beam)란 어떤 보인가?(2018년 04월)
     1. 사용하중 하에서 인장응력이 일어나지 않도록 설계된 보
     2. 사용하중 하에서 얼마간의 인장응력이 일어나도록 설계된 보
     3. 계수하중 하에서 인장응력이 일어나지 않도록 설계된 보
     4. 부분적으로 철근 보강된 보

     정답 : []
     정답률 : 54%

76. 휨 부재의 단면을 산정 할 때 최소철근량 규정을 지켜야 하는데, 이렇게 최소 인장철근 단면적을 규정하는 이유는 무엇이가?(2008년 05월)
     1. 취성파괴를 피하기 위해서
     2. 균형적인 철근 분배를 위해서
     3. 과다철근보(과다강보)의 단점 보완을 위해서
     4. 경제적인 단면 이용을 위해서

     정답 : []
     정답률 : 45%

77. 단철근 직사각형보의 단면의 폭 b = 400mm 유효깊이 d = 800mm, As = 2000mm2일 때 철근비(ρ)는 얼마인가?(2009년 05월)
     1. ρ = 0.004
     2. ρ = 0.005
     3. ρ = 0.006
     4. ρ = 0.008

     정답 : []
     정답률 : 67%

78.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 보에서 압축상단에서 중립축까지의 거리(c)는 얼마인가? (단, 철근 D22 4본의 단면적은 1548mm2, fck=35MPa, fy=350MPa이다.)(2015년 05월)

    

     1. 60.7mm
     2. 71.4mm
     3. 75.8mm
     4. 80.9mm

     정답 : []
     정답률 : 60%

79.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전단철근으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은?(2020년 08월)
     1. 주인장 철근에 45°의 각도로 구부린 굽힘철근
     2. 주인장 철근에 45°의 각도로 설치되는 스터럽
     3. 주인장 철근에 30°의 각도로 구부린 굽힘철근
     4. 주인장 철근에 30°의 각도로 설치되는 스터럽

     정답 : []
     정답률 : 44%

80. 전체깊이가 900mm를 초과하는 휨부재 복부의 양측면에 부재 축방향으로 배근하는 철근의 명칭은?(2009년 05월)
     1. 배력철근
     2. 표피철근
     3. 피복철근
     4. 연결철근

     정답 : []
     정답률 : 40%

5과목 : 토질 및 기초


81. 말뚝의 재하시험 시 연약점토 지반인 경우는 말뚝 타입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말뚝 재하시험을 한다. 그 이유로 옳은 것은?(2020년 08월)
     1. 부 마찰력이 생겼기 때문이다.
     2. 타입 된 말뚝에 의해 흙이 팽창되었기 때문이다.
     3. 타입 시 말뚝주변의 흙이 교란되었기 때문이다.
     4. 주면 마찰력이 너무 크게 작용하였기 때문이다.

     정답 : []
     정답률 : 52%

82. 다음의 사운딩(Sounding)방법 중에서 동적인 사운딩(Sounding)은?(2003년 05월)
     1. 이스키 메타(Iskymeter)
     2. 베인 전단시험(Vane Shear Test)
     3. 더취 콘 관입시험(Dutch Cone Penetrometer)
     4. 표준관입시험(Standard Penetration Test)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3. 어느 지반에 30㎝ × 30㎝ 재하판을 이용하여 평판 재하시험을 한 결과 항복하중이 7t, 극한 하중이 15t이었다. 이 지반의 허용 지지력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2003년 03월)
     1. 25.9t/m2
     2. 38.9t/m2
     3. 55.6t/m2
     4. 83.4t/m2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4. 말뚝의 재하시험시 연약점토 지반인 경우 Pile의 타입 후 20일 이상 방치한 후 말뚝 재하시험을 한다. 그 이유는?(2008년 05월)
     1. 타입시 말뚝주변의 흙이 교란되었기 때문에
     2. 부 마찰력이 생겼기 때문에
     3. 타입된 말뚝에 의해 흙이 압축되었기 때문에
     4. 주면 마찰력이 너무 크게 작용하였기 때문에

     정답 : []
     정답률 : 77%

85. 비교적 균질한 토층을 실험한 결과 rt=2.0t/m3, C=2.5t/m2, ø=10° 인 경우에 연직으로 절취할 수 있는 한계고는 얼마인가?(2006년 09월)
     1. Hc=5.96m
     2. Hc=5.11m
     3. Hc=6.48m
     4. Hc=4.71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6. 다음 그림의 파괴 포락선중에서 완전 포화된 점성토에 대해 비압밀비배수 삼축압력(UU)시험을 했을 때 생기는 파괴포락선은 어느 것인가?(2008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7. 연약지반개량공사에서 성토하중에 의해 압밀된 후 다시 추가하중을 재하한 직후의 안정검토를 할 경우 삼축압축시험 중 어떠한 시험이 가장 좋은가?(2011년 03월)
     1. CD시험
     2. UU시험
     3. CU시험
     4. 급속전단시험

     정답 : []
     정답률 : 58%

88. 다음 그림에서 점토 중앙 단면에 작용하는 유효압력은?(2014년 03월)

    

     1. 1.2t/m2
     2. 2.5t/m2
     3. 2.8t/m2
     4. 4.4t/m2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rsat = Gs+1 / e+1 응력 = q+ rsub * H/2

89. 단위체적중량이 1.6t/m3 인 연약점토(φ=0)지반에서 연직으로 2m 까지 절취할 수 있다고 한다. 이때 이 점토지반의 점착력은?(2005년 03월)
     1. 0.4t/m2
     2. 0.8t/m2
     3. 1.6t/m2
     4. 1.72t/m2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0. 유선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5월)
     1. 유선망은 유선과 등수두선(等水頭線)으로 구성되어 있다.
     2. 유로를 흐르는 침투수량은 같다.
     3. 유선과 등수두선은 서로 직교한다.
     4. 침투속도 및 동수구배는 유선망의 폭에 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37%

91. 흙의 전단강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8월)
     1. 흙의 전단강도와 압축강도는 밀접한 관계에 있다.
     2. 흙의 전단강도는 입자간의 내부마찰각과 점착력으로 부터 주어진다.
     3. 외력이 증가하면 전단응력에 의해서 내부의 어느 면능 따라 활동이 일어나 파괴된다.
     4. 일반적으로 사질토는 내부마찰각이 작고 점성토는 점착력이 작다.

     정답 : []
     정답률 : 44%

92. 점토지반상에 성토나 구조물등과 같이 하중이 급격히 재하되는 때의 점토지반의 단기간 안정을 검토하기 위해서는 어느 시험을 사용하는가?(2004년 03월)
     1. 비압밀비배수시험
     2. 비압밀배수시험
     3. 압밀배수시험
     4. 압밀비배수시험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3. 함수비가 18%의 흙 500kg을 함수비 24%로 만들려고 한다. 추가해야 하는 물의 양은 약 얼마인가?(2008년 05월)
     1. 80kg
     2. 54kg
     3. 39kg
     4. 26kg

     정답 : []
     정답률 : 58%

94. 어떤 흙의 입경가적곡선에서 D10=0.05mm, D30=0.09mm, D60=0.15mm이었다. 균등계수 Cu와 곡률계수 Cg의 값은?(2003년 08월)
     1. Cu=3.0, Cg=1.08
     2. Cu=3.5, Cg=2.08
     3. Cu=1.7, Cg=2.45
     4. Cu=2.4, Cg=1.82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5. 분사현상(quick sand action)에 관한 그림이 아래와 같을 때 수두차 h를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하면 모래시료에 분사현상이 발생하겠는가? (단, 모래의 비중 2.60, 공극율 50%)(2004년 09월)

    

     1. 6㎝
     2. 12㎝
     3. 24㎝
     4. 3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6. 10개의 무리 말뚝기초에 있어서 효율이 0.8, 단항으로 계산한 말뚝 1개의 허용지지력이 10t일 때 군항의 허용 지지력은?(2003년 08월)
     1. 50t
     2. 80t
     3. 100t
     4. 125t

     정답 : []
     정답률 : 70%

97. 평판재하시험이 끝나는 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8년 04월)
     1. 침하량이 15mm에 달할 때
     2. 하중 강도가 현장에서 예상되는 최대 접지압력을 초과할 때
     3. 하중 강도가 그 지반의 항복점을 넘을 때
     4. 흙의 함수비가 소성한계에 달할 때

     정답 : []
     정답률 : 54%

98. 표준관입 시험에 대한 아래 표의 설명에서 ( )에 적합한 것은?(2015년 05월)

    

     1. 200
     2. 250
     3. 300
     4. 350

     정답 : []
     정답률 : 73%

99. 흙의 입도분석 결과 입경가적 곡선이 입경의 좁은 범위내에 대부분이 몰려있는 입경분포가 나쁜 빈입도(poor grading)일때 다음중 옳지 않은 것은?(2004년 03월)
     1. 균등계수는 작을 것이다.
     2. 공극비가 클것이다.
     3. 다짐에 적합한 흙이 아닐것이다.
     4. 투수계수가 낮을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0. 아래는 불교란 흙 시료를 채취하기 위한 샘플러 선단의 그림이다. 면적비(Ar)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2019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6%

101. 유입하수량 30000 m3/day, 유입 BOD 200mg/L, 유입 SS 150mg/L이고, BOD 제거율이 95%, SS 제거율이 90%일 경우, 유출 BOD의 농도( ㉠ )와 유출 SS의 농도( ㉡ )는?(2019년 09월)
     1. ㉠ : 10mg/L, ㉡ : 15mg/L
     2. ㉠ : 10mg/L, ㉡ : 30mg/L
     3. ㉠ : 16mg/L, ㉡ : 15mg/L
     4. ㉠ : 16mg/L, ㉡ : 30mg/L

     정답 : []
     정답률 : 50%

102. 배수관을 망상(그물모양)으로 배치하는 방식의 특징이 아닌 것은?(2004년 03월)
     1. 고장의 경우 단수염려가 없다.
     2. 관내의 물이 정체하지 않는다.
     3. 관로해석이 편리하고 정확하다.
     4. 수압분포가 균등하고 화재시에 유리하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3. 어느 도시의 총인구가 5만명이고, 급수인구는 4만명일 때 1년간 총급수량이 200만m3이었다. 이 도시의 급수보급률과 1인1일평균급수량은?(2019년 03월)
     1. 125%, 0.110m3/인・일
     2. 125%, 0.137m3/인・일
     3. 80%, 0.110m3/인・일
     4. 80%, 0.137m3/인・일

     정답 : []
     정답률 : 58%

104. 관로의 접합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6월)
     1. 관정접합 : 유수는 원활한 흐름이 되지만 굴착깊이가 증가되어 공사비가 증대된다.
     2. 관중심접합 : 수면접합과 관저접합의 중간적인 방법이나 보통 수면접합에 준용된다.
     3. 수면접합 : 수리학적으로 대개 계획수위를 일치시켜 접합시키는 것으로서 양호한 방법이다.
     4. 관저접합 : 수위상승을 방지하고 양정고를 줄일 수 있으나 굴착깊이가 증가되어 공사비가 증대된다.

     정답 : []
     정답률 : 56%

105. 수두 60m의 수압을 가진 수압관의 내경이 1000mm일 때, 강관의 최소 두께는? (단, 관의 허용응력 σta=1300kgf/cm2이다.)(2020년 06월)
     1. 0.12cm
     2. 0.15cm
     3. 0.23cm
     4. 0.30cm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t = PD/2시그마
[해설작성자 : ★이민우41★]

106. 계획1일 평균급수량이 400L, 계획시간 최대급수량이 25L, 계획1일 최대급수량이 500L일 경우에 계획첨두율은?(2016년 03월)
     1. 1.50
     2. 1.25
     3. 1.2
     4. 20.0

     정답 : []
     정답률 : 57%

107. 하천에 오수가 유입될 때 하천의 자정작용 중 최초의 분해지대에서 BOD가 감소하는 주원인은?(2016년 03월)
     1. 유기물의 침전
     2. 탁도의 증가
     3. 온도의 변화
     4. 미생물의 번식

     정답 : []
     정답률 : 57%

108. 염소의 살균능력이 큰 것부터 순서대로 나열된 것은?(2019년 03월)
     1. Chloramines > OCl > HOCl
     2. Chloramines > HOCl > OCl
     3. HOCl > Chloramines > OCl
     4. HOCl > OCl > Chloramines

     정답 : []
     정답률 : 66%

109. 분류식 하수배제 방식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5월)
     1. 강우시의 오수처리에 유리하다.
     2. 합류식보다 관거의 부설비가 많이 소요된다.
     3. 분류식은 오수관과 우수관을 별도로 설치한다.
     4. 합류식보다 우수처리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정답 : []
     정답률 : 59%

110. 침전시설과 여과시설 등을 거친 정수장의 배출수는 최종적으로 적절한 배출수 처리설비를 거쳐 방류된다. 배출수 처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9월)
     1. 발생 슬러지는 위해하므로 주로 매립하고, 재활용은 제한한다.
     2. 재순환되는 세척배출수의 목표수질은 평균적인 원수수질과 같거나 더 양호해야 한다.
     3. 슬러지처리시설은 정수처리시설에서 발생하는 슬러지를 처리하고 처분하는데 충분한 기능과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4. 세척배출수에서 발생된 슬러지와 정수공정의 침전슬러지는 배출수처리시설의 농축조에서 농축처리하며 그 상징수는 정수공정으로 반송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50%

111. 수도관 내의 수격현상(water hanner)을 겸감시키는 방안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07년 05월)
     1. 펌프의 급정지를 피한다.
     2. 관로에 압력조정 수조(surge tank)를 설치한다.
     3. 운전 중 관내 유속을 최대로 유지한다.
     4. 압력수조(air-chamber)를 설치한다.

     정답 : []
     정답률 : 86%

112. 수원의 구비요건으로 틀린 것은?(2016년 03월)
     1. 수질이 좋아야 한다.
     2. 수량이 풍부하여야 한다.
     3. 정수장보다 가능한 한 낮은 곳에 위치하여야 한다.
     4. 상수 소비지에서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정답 : []
     정답률 : 65%

113. 하수처리법 중 활성슬러지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5년 05월)
     1. 호기성미생물의 대사작용에 의하여 유기물을 제거한다.
     2. 부유물을 활성화시켜 침전·부착 시킨다.
     3. 부유생물을 이용하는 방법과 쇄석 등의 표면에 부착한 생물막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4. 세균을 제거함으로써 슬러지를 정화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4. 1일 정수량이 10000m3/d인 정수장에서, 염소소 독을 위하여 100kg/d를 주입한 후 잔류염소 농도를 측정하였을 때, 0.2mg/L였다면 염소요구량 농도는?(2017년 03월)
     1. 0.8mg/L
     2. 1.2mg/L
     3. 9.8mg/L
     4. 10.2mg/L

     정답 : []
     정답률 : 48%

115. 인구 20만 도시에 계획1인1일최대급수량 500L, 급수보급률 85%를 기준으로 상수도시설을 계획할 때 도시의 계획1일최대급수량은?(2019년 04월)
     1. 85000 m3/일
     2. 100000 m3/일
     3. 120000 m3/일
     4. 170000 m3/일

     정답 : []
     정답률 : 61%

116. 하수도 계획 대상유역에서 분할된 각 구역별 유출계수가 표와 같을 때 전체 유역의 유출계수는?(2019년 03월)

    

     1. 0.350
     2. 0.410
     3. 0.447
     4. 0.534

     정답 : []
     정답률 : 56%

117. 집수매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1년 10월)
     1. 집수매거 경사는 될 수 있으며 1/100 이상의 급경사로 하는 것이 좋다.
     2. 집수매거의 유출단에서 매거내의 평균유속은 3m/s이하로 한다.
     3. 호소수, 저수지수와 같은 지표수를 취수하기 위한 시설이다.
     4. 매설은 복류수의 흐름방향에 대하여 가능한 직각으로 설치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31%

118. BOD가 94.8mg/L인 오수 5m3/h를 유량이 50m3/h인 하천에 방류한 결과 BOD가 14.1mg/L가 되었다. 오수가 유입되기 이전의 하천 BOD는?(2017년 09월)
     1. 2.0mg/L
     2. 4.0mg/L
     3. 6.0mg/L
     4. 8.0mg/L

     정답 : []
     정답률 : 46%

119. 정수 생물처리법인 회전원판방식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2007년 05월)
     1. 체류시간 : 2시간 정도
     2. 처리수조의 깊이 3~4m
     3. 쪽기시설 : 용존산소 유지를 위해 필요함
     4. 슬러지배출시설 :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많음

     정답 : []
     정답률 : 29%

120. 펌프의 양수량을 조절하는 방식이 아닌 것은?(2016년 05월)
     1. 펌프의 회전방향을 변경하는 방법
     2. 토출밸브의 개폐정도를 변경하는 방법
     3. 펌프의 회전수를 변화하는 방법
     4. 펌프의 운전대수를 증감하는 방법

     정답 : []
     정답률 : 56%


정 답 지

토목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5일)(4472214)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토목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응용역학


1. 그림과 같은 라멘에서 하중 4tf 를 받는 C점의 휨모멘트는?(2016년 10월)

   

     1. 3tf⋅m
     2. 4tf⋅m
     3. 5tf⋅m
     4. 6tf⋅m

     정답 : []
     정답률 : 87%

2. 그림과 같은 트러스에서 부재 V(중앙의 연직재)의 부재력은 얼마인가?(2018년 03월)

   

     1. 5t(인장)
     2. 5t(압축)
     3. 4t(인장)
     4. 4t(압축)

     정답 : []
     정답률 : 75%

3. 다음 그림과 같이 직교좌표계 위에 있는 사다리꼴 도형 OABC 도심의 좌표는?(2003년 05월)

   

     1. (2.54, 3.46)
     2. (2.77, 3.31)
     3. (3.34, 3.21)
     4. (3.54, 2.7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 변형률이 0.015일 때 응력이 1,200kgf/cm2이면 탄성계수(E)는?(2003년 08월)
     1. 6×104 kgf/cm2
     2. 7×104 kgf/cm2
     3. 8×104 kgf/cm2
     4. 9×104 kgf/cm2

     정답 : []
     정답률 : 46%

5. 지름 d = 3cm인 강봉을 P = 6280kgf의 축방향력으로 당길 때 봉의 횡방향 수축량 δ'를 구한 값은? (단, 프와송비 ν = 1/3, 탄성계수 E = 2 × 106 kgf/cm2)(2002년 03월)
     1. 0.0073 mm
     2. 0.0053 mm
     3. 0.0044 mm
     4. 0.0032 mm

     정답 : []
     정답률 : 37%

6. 어떤 재료의 탄성계수가 E, 프와송비가 ν일 때 이 재료의 전단 탄성계수 G는 어떻게 표시되는가?(2009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2%

7. 지간 ℓ =12m의 단순보에서 C점의 휨응력은 얼마인가? (단, 자중은 무시한다.)(2002년 09월)

   

     1. 600 kgf/cm2
     2. 675 kgf/cm2
     3. 700 kgf/cm2
     4. 775 kgf/cm2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 지름이 1cm, 길이가 1m 인 원형의 강재단면에 1000kg 의 하중이 작용하였다. 자중을 무시할 때 늘어난 길이는? (단, 탄성계수는 2.0 x 106kg/cm2 임)(2005년 03월)
     1. 0.479 mm
     2. 0.637 mm
     3. 0.699 mm
     4. 0.591 m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 다음 그림과 같은 구조물에서 사재 A의 축력으로 옳은 것은?(2008년 03월)

   

     1. 1.4t (인장)
     2. 1.9t (압축)
     3. 3.0t (인장)
     4. 4.0t (압축)

     정답 : []
     정답률 : 24%

10. 그림과 같은 단면에서 직사각형 단면의 최대 전단응력은 원형단면의 최대 전단응력의 몇 배인가? (단, 두 단면적과 작용하는 전단력의 크기는 동일하다.)(2020년 06월)

    

     1. 5/6배
     2. 7/6배
     3. 8/7배
     4. 9/8배

     정답 : []
     정답률 : 67%

11. 지름 D, 길이 ℓ 인 원기둥의 세장비는?(2003년 03월)
     1. 4ℓ / D
     2. 8ℓ / D
     3. 4D / ℓ
     4. 8D / ℓ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2. 다음 인장부재의 수직변위를 구하는 식은? (단, 탄성계수는 E)(2011년 10월)

    

     1. PL/EA
     2. 3PL/2EA
     3. 2PL/EA
     4. 5PL/2EA

     정답 : []
     정답률 : 56%

13. 지름이 D인 원형단면의 단주에서 핵(core)의 면적으로 옳은 것은?(2018년 09월)
     1. πD2 / 4
     2. πD2 / 16
     3. πD2 / 32
     4. πD2 / 64

     정답 : []
     정답률 : 48%

14. 그림과 같은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기둥의 핵 면적은?(2005년 09월)

    

     1. bh/9
     2. bh/18
     3. bh/16
     4. bh/36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5. 그림과 같은 원형단주가 기둥의 중심으로부터 10cm 편심하여 32t의 집중하중이 작용하고 있다. A점의 응력을 σA=0으로 하려면 기둥의 지름 d의 크기는?(2009년 03월)

    

     1. 40cm
     2. 80cm
     3. 120cm
     4. 160cm

     정답 : []
     정답률 : 39%

16. 다음 중 지점(Support)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5년 03월)
     1. 이동지점
     2. 자유지점
     3. 회전지점
     4. 고정지점

     정답 : []
     정답률 : 73%

17. 경간 ℓ=10m인 단순보에 그림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중이 작용할 때 절대 최대 휨모멘트를 구한 값은?(2007년 03월)

    

     1. 4.5 t·m
     2. 5.12 t·m
     3. 6.8 t·m
     4. 8.1 t·m

     정답 : []
     정답률 : 60%

18. 그림과 같은 단주에 P=230kg의 편심하중이 작용할 때 단면에 인장력이 생기지 않기 위한 편심거리 e의 최대값은?(2005년 05월)

    

     1. 4.11cm
     2. 5.76cm
     3. 6.67cm
     4. 7.77c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9. 다음 부정정보에서 지점 B의 수직 반력은 얼마인가? (단, EI는 일정함)(2009년 05월)

    

     1. ( ↑ )
     2. 1.3 ( ↑ )
     3. 1.4 ( ↑ )
     4. 1.5 ( ↑ )

     정답 : []
     정답률 : 69%

20. 그림과 같은 아치의 지점A에서의 지점반력 RA 와 HA 값이 맞는 것은?( 단, RA는 수직반력, HA 수평반력 이다.)(2004년 03월)

    

     1. RA = 18t(↑), HA = 18t(→)
     2. RA = 18t(↑), HA = 6t(→)
     3. RA = 18t(↑), HA = -18t(→)
     4. RA = 18t(↑), HA = -6t(→)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과목 : 측량학


21. 폐합트래버스 측량의 내업을 하기 위하여 각 측선의 경거, 위거를 계산한 결과 측선34의 자료가 없었다. 측선34의 방위각은? (단, 폐합오차는 없는 것으로 가정한다.)(2009년 05월)

    

     1. 64° 10' 44“
     2. 64° 49' 14“
     3. 244° 10' 44“
     4. 115° 49' 14“

     정답 : []
     정답률 : 34%

22. 축척 1/50,000 지형도에서 A점으로부터 B점까지의 도상 거리가 70mm 이었다. A쩜의 표고가 200m, B점의 표고가 10m이라면 이 사면의 경사는?(2008년 03월)
     1. 1/18.4
     2. 1/20.5
     3. 1/22.3
     4. 1/25.1

     정답 : []
     정답률 : 64%

23. 교호수준측량의 결과가 그림과 같을 때, A점의 표고가 55.423m라면 B점의 표고는?(2017년 05월)

    

     1. 52.930m
     2. 53.281m
     3. 54.130m
     4. 54.137m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HB = HA-△hAB
△hAB = (a-b)+(c-d) / 2 = -1.293m
∴HB = 55.423 + (-1.293) = 54.130m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4. 그림과 같이 삼각점 A에 기계를 설치하여 삼각점 B가 시준되지 않으므로 점 P를 관측하여 T′=60° 32′15′′를 얻었다면 각 T는? (단, =1.3㎞, e=5m, =315°)(2008년 03월)

    

     1. 60° 32′23′′
     2. 60° 2254′′
     3. 60° 21′09′′
     4. 60° 17′09′′

     정답 : []
     정답률 : 20%

25. 지상고도 2000m의 비행기 위에서 초점거리 152.7mm의 사진기로 촬영한 수직항공사진에서 길이 50m인 교량의 사진상의 길이는?(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20년 08월)
     1. 2.6mm
     2. 3.8mm
     3. 26mm
     4. 38mm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사진측량 관련 문제는 2022년 부터 시험 범위에서 제외 되었습니다.

26. 화면거리 153mm의 카메라로 고도 800m에서 촬영한 수직사진 한장에 찍히는 실제면적은? (단, 사진의 크기는 23cm×23cm 이다)(2002년 05월)
     1. 1.446km2
     2. 1.840km2
     3. 5.228km2
     4. 5.290km2

     정답 : []
     정답률 : 47%

27. 평판측량에서 전진법에 의하여 측점 16개의 폐합트래버스를 측정할 때 허용 폐합오차는?(2004년 05월)
     1. ± 1.2mm
     2. ± 1.5mm
     3. ± 1.8mm
     4. ± 2.1m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8. 측선의 길이가 85.62m 이고 방위각이 242° 42′ 57″ 일 때 측선위 위거는?(2011년 03월)
     1. -39.249m
     2. 39.249m
     3. -76.094m
     4. 76.094m

     정답 : []
     정답률 : 43%

29. 직접법으로 등고선을 측정하기 위하여 B점에 레벨을 세우고 표고가 75.25m인 P점에 세운 표척을 시준하여 0.85m를 측정했다. 68m인 등고선 위의 점 A를 정하려면 시준하여야 할 표척의 높이는?(2003년 05월)
     1. 8.1m
     2. 5.6m
     3. 6.7m
     4. 9.5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0. 수준측량의 오차 최소화 방법 중 틀린 것은?(2008년 03월)
     1. 표척의 영점오차는 기계의 정치 횟수를 짝수로 세워 오차를 최소화 한다.
     2. 시차는 망원경의 접안경 및 대물경을 명확히 조절한다.
     3. 눈금오차는 기준자와 비교하여 보정값을 정하고 온도에 대한 온도보정도 실시한다.
     4. 표척 기울기에 대한 오차는 표척을 앞뒤로 흔들 때의 최대값을 읽음으로 최소화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1. 다음 그림과 같은 결합 트래버어스에서 A점 및 B점에서 각각 AL 및 BM의 방위각이 기지일 때 측각 오차를 표시하는 식은 어느 것인가?(2007년 03월)

    

     1. Δa= Wa + Σa – 180˚ (n-3) - Wb
     2. Δa= Wa + Σa – 180˚ (n+2) - Wb
     3. Δa= Wa + Σa – 180˚ (n+1) - Wb
     4. Δa= Wa + Σa – 180˚ (n-1) - Wb

     정답 : []
     정답률 : 16%

32. 어떤 경사진 터널 내에서 수준측량을 실시하여 그림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a=1.15m, b=1.56m, 경사거리(S)=31.69m, 연직각 α=+17°47′일 때 두 측점간의 고저차는?(2017년 03월)

    

     1. 5.3m
     2. 8.04m
     3. 10.09m
     4. 12.43m

     정답 : []
     정답률 : 54%

33. 종축척이 1 : 100, 횡축척이 1 : 300인 횡단면 도면의 면적을 구하기 위하여 구적기의 축척 1 : 500으로 측정한 면적이 200m2이었다면 실제면적은 얼마인가?(2002년 05월)
     1. 24 m2
     2. 36 m2
     3. 48 m2
     4. 72 m2

     정답 : []
     정답률 : 30%

34. 도로의 단곡선 계산에서 노선기점으로부터 교점까지의 추가거리와 교각을 알고 있을 때 곡선시점의 위치를 구하기 위해서 계산되어야 하는 요소는?(2016년 05월)
     1. 접선장(T.L)
     2. 곡선장(C.L)
     3. 중앙종거(M)
     4. 접선에 대한 지거(Y)

     정답 : []
     정답률 : 66%

35. 그림과 같이 원곡선을 설치하고자 할 때 교점(P)에 장애물이 있어 ∠ACD=150°, ∠CDB=90°및 CD의 거리 400m를 관측하였다. C점으로부터 곡선 시점 A까지의 거리는? (단, 곡선의 반지름은 500m로 한다.)(2016년 10월)

    

     1. 404.15m
     2. 425.88m
     3. 453.15m
     4. 461.88m

     정답 : []
     정답률 : 47%

36. 철도에 완화곡선을 설치하고자 할 때 캔트(cant)의 크기 결정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은 것은?(2015년 09월)
     1. 레일간격
     2. 곡선반지름
     3. 원곡선의 교각
     4. 주행속도

     정답 : []
     정답률 : 58%

37. 촬영고도 3,000m, 사진 I의 주점기선장 59mm, 사진 II의 주점기선장 61mm 일 때 시차차 2.5mm 인 두 점간의 고저차는 얼마인가?(2003년 05월)
     1. 75m
     2. 100m
     3. 125m
     4. 150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8. 어떤 노선을 수준측량한 결과가 표와 같을 때, 측점 1, 2, 3, 4의 지반고 값으로 틀린 것은? (단위 : m)(2019년 04월)

    

     1. 측점 1 : 124.102 m
     2. 측점 2 : 122.623 m
     3. 측점 3 : 124.374 m
     4. 측점 4 : 122.730 m

     정답 : []
     정답률 : 71%

39. 다음중 측량법에 따른 분류가 아닌 것은?(2004년 09월)
     1. 세부측량
     2. 기본측량
     3. 일반측량
     4. 공공측량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0. 교각 I= 90°, 곡선반지름 R = 200m인 단곡선에서 노선기점으로부터 교점 IP까지의 거리가 520m일 때 노선기점으로 부터 곡선시점까지의 거리는?(2004년 03월)
     1. 280m
     2. 320m
     3. 390m
     4. 420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과목 : 수리학


41. 폭이 6m인 직사각형 단면 수로이 경사가 0.0025이며 11m3/s의 유량이 흐르고 있다. 흐름의 어느 단면에서의 유속이 6m/s였다. 이 단면에서 도수가 발생한다면 공액수심은 얼마인가?(2009년 03월)
     1. 0.313m
     2. 0.871m
     3. 1.353m
     4. 2.541m

     정답 : []
     정답률 : 0%

42. 체적이 10m3인 물체가 물 속에 잠겨있다. 물 속에서의 물체의 무게가 13t이었다면 물체의 비중은?(2014년 09월)
     1. 2.6
     2. 2.3
     3. 1.6
     4. 1.3

     정답 : []
     정답률 : 47%

43. 내경 600m, 두께 10mm의 강관에 100kg/cm2 의 압력수를 통과 시킬 때 발생하는 인장응력은?(2008년 05월)
     1. 1000 kg/cm2
     2. 2000 kg/cm2
     3. 3000 kg/cm2
     4. 4000 kg/cm2

     정답 : []
     정답률 : 47%

44. 초속 25m/s, 수평면과의 각 60°로 사출된 분수가 도달하는 최대 연직 높이는? (단, 공기 등 기타 저항은 무시한다.)(2019년 03월)
     1. 23.9m
     2. 20.8m
     3. 27.6m
     4. 15.8m

     정답 : []
     정답률 : 46%

45. 그림은 두 개의 수조를 연결하는 등단면 단일 관수로이다. 관의 유속을 나타낸 식은? (단, f : 마찰손실계수, fo=1.0, fi=0.5, L/D<3000)(2015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8%

46. 다음 중 물의 압축성과 관계없는 것은?(2014년 09월)
     1. 온도
     2. 압력
     3. 정류
     4. 공기 함유량

     정답 : []
     정답률 : 67%

47. 길이 130m인 관로에서 양단의 압력수두차가 8m가 되도록 하고 0.3m3/s의 물을 송수하기 위한 관의 직경은? (단, 관로의 마찰손실계수는 0.03이다.)(2017년 09월)
     1. 43.0cm
     2. 32.5cm
     3. 30.3cm
     4. 25.4cm

     정답 : []
     정답률 : 50%

48. 그림에서 판 AB에 가해지는 힘 F는? (단, ρ는 밀도)(2017년 03월)

    

     1.
     2. ρQV1
     3.
     4. ρQV2

     정답 : []
     정답률 : 59%

49. 폭 1.5m인 직사각형 수로에 유량 1.8m3/sec의 물이 항시 수심 1m로 흐르는 경우 이 흐름의 상태는? (단, 에너지보정계수 α = 1.1)(2004년 09월)
     1. 상류
     2. 한계류
     3. 사류
     4. 부정류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0. Darcy-Weisbach의 마찰손실수두 공식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관의 조도에 비례한다.
     2. 관의 직경에 비례한다.
     3. 관로의 길이에 비례한다.
     4. 유속의 제곱에 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51. 그림과 같이 단면 ①에서 단면적 A1=10cm2, 유속 V1=2m/s이고, 단면 ②에서 단면적 A2=20cm2일 때 단면 ②의 유속(V2)과 유량(Q)은?(2018년 09월)

    

     1. V2=200cm/s , Q=2000cm3/s
     2. V2=100cm/s , Q=1500cm3/s
     3. V2=100cm/s , Q=2000cm3/s
     4. V2=200cm/s , Q=1000cm3/s

     정답 : []
     정답률 : 62%

52. 침투지수법에 의한 침투능 추정방법에 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2009년 05월)
     1. 침투지수란 호우기간의 총침투량을 호우지속 기간으로 나눈 것이다
     2. ø-index는 강우주상도에서 유효우량과 손실우량을 구분하는 수평선에 상응하는 강우강도와 크기가 같다
     3. W-index는 강우강도가 침투능보다 큰 호우기간 동안의 평균침투율이다.
     4. ø-index법은 침투능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고려한 방법으로서 가장 많이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15%

53. 관수로의 마찰손실수두(hL)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3년 08월)
     1. 관의 지름(D)에 비례한다.
     2. 레이놀드수(Re)에 반비례한다.
     3. 관수로의 길이(ℓ )에 비례한다.
     4. 관내 유속(V)의 제곱에 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4. 베르누이 정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의 수두가 일정하다.
     2. 정상류이어야 하며 마찰에 의한 에너지 손실이 없는 경우에 적용된다.
     3. 동수경사선이 에너지선보다 항상 위에 있다.
     4. 동수경사선과 에너지선을 설명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1%

55. Darcy의 법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8년 03월)
     1. Reynolds수가 클수록 안심하고 적용할 수 있다.
     2. 평균유속이 손실수두와 비례관계를 가지고 있는 흐름에 적용될 수 있다.
     3. 정상류 흐름에서 적용될 수 있다.
     4. 층류 흐름에서 적용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60%

56. 지하수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4년 05월)
     1. 불투수층 위의 대수층 내에 자유 지하수면을 가지는 자유 지하수를 양수하는 우물 중 우물바닥이 불투수층까지 도달한 것을 심정이라 한다.
     2. 불수수층 사이에 낀 투수층 내에 포함되어 있는 지하수를 피압면 지하수라 하며 이를 양수하는 우물을 굴착정이라 한다.
     3. 점토층과 같이 불투수층이 낀 투수층 내의 압력을 받고 있는 지하수를 자유면 지하수라 하고 이를 양수하는 우물 중 우물바닥이 불투수층까지 도달하지 않은 것을 천정이라 한다.
     4. 다르시(Darcy)의 법칙에서 지하수 유속은 동수경사에 비례하며 투수계수 k는 토사의 간극률과 입경 등에 따라 다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7. 다음 그림과 같이 높이 2m인 물통에 물이 1.5m만큼 담겨져 있다. 물통이 수평으로 4.9m/sec2의 일정한 가속도를 받고 있을 때 물통의 물이 넘쳐 흐르지 않게 하기 위한 물통의 최소 길이는?(2002년 05월)

    

     1. 2.0m
     2. 2.4m
     3. 2.8m
     4. 3.0m

     정답 : []
     정답률 : 30%

58. 관수로의 관망설계에서 각 분기점 또는 합류점에 유입하는 유량은 그 점에서 정지하지 않고 전부 유출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관망을 해석하는 방법은?(2019년 09월)
     1. Manning 방법
     2. Hardy – Cross 방법
     3. Darcy – Weisbach 방법
     4. Ganguillet – Kutter 방법

     정답 : []
     정답률 : 64%

59. 그림과 같이 수평으로 놓은 원형관의 안지름이 A에서 50cm이고 B에서 25cm로 축소되었다가 다시 C에서 50cm로 되었다. 물이 340ℓ/s의 유량으로 흐를 때 A와 B의 압력차(PA-PB)는? (단, 에너지 손실은 무시한다.)(2015년 05월)

    

     1. 0.225N/cm2
     2. 2.25N/cm2
     3. 22.5N/cm2
     4. 225N/cm2

     정답 : []
     정답률 : 44%

60. 한계수심 hc와 비에너지 he와의 관계로 옳은 것은? (단, 광폭직사각형 단면인 경우)(2011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46%

4과목 : 철근콘크리트 및 강구조


61. 보의 유효높이 600mm, 복부의 폭 320mm, 플랜지의 두께 130mm, 양쪽의 슬래브의 중심간 거리 2.5m, 보의 경간 10.4m로 설계된 대칭 T형보가 있다. 이 보의 플랜지의 유효폭은?(2017년 05월)
     1. 2080mm
     2. 2400mm
     3. 2500mm
     4. 2600mm

     정답 : []
     정답률 : 52%

62. 다음 중 용접이음을 한 경우 용접부의 결함을 나타내는 용어가 아닌 것은?(2015년 09월)
     1. 언더컷(undercut)
     2. 필렛(fillet)
     3. 크랙(crack)
     4. 오버랩(overlap)

     정답 : []
     정답률 : 76%

63. 강도설계법에 의한 휨부재 설계의 기본가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콘크리트의 압축연단에서 최대 변형률은 0.003으로 가정한다.
     2. 철근의 응력이 설계기준항복강도 fy 이하일 때 철근의 응력은 그 변형률에 철근의 탄성계수(Es)를 곱한 값으로 한다.
     3. 콘크리트의 압축응력분포는 일반적으로 삼각형으로 가정한다.
     4. 철근과 콘크리트의 변형률은 중립축에서의 거리에 직선 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64.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 단면의 보에서 등가직사각형 응력블록의 깊이(a)는? (단, As = 2382 mm2, fy = 400 MPa, fck = 28 MPa)(2019년 09월)

    

     1. 58.4mm
     2. 62.3mm
     3. 66.7mm
     4. 72.8mm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As x fy / 0.85 x fck x b
[해설작성자 : easy]

65. 리벳이음에서 리벳 지름 d = 19mm, 철판 두께 t = 12mm, 허용 전단응력은 80Mpa, 허용 지압응력은 160MPa 일 때 이 리벳의 강도는? (단, 1면전단의 경우임)(2008년 03월)
     1. 22.7 kN
     2. 28.4 kN
     3. 30.9 kN
     4. 36.5 kN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6. 철근콘크리트보에서 계수전단력 VuVc의 1/2을 초과하고 비틀림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요구되는 전단철근의 최소 단면적은? (단, bw=300㎜, 전단철근의 간격 s=200mm, 횡방향 철근의 설계기준강도(fyt)=300MPa, fck=30MPa)(2008년 03월)
     1. 35mm2
     2. 70mm2
     3. 105mm2
     4. 140mm2

     정답 : []
     정답률 : 22%

67. 그림의 T형보에서 플랜지의 내민부분(빗금)의 압축력과 비길 수 있는 철근 단면적 Asf는?(2004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8. fck = 240kgf/cm2, fy = 3000kgf/cm2일 때 다음 그림과 같은 보의 균형 철근비(ρb)는?(2002년 09월)

    

     1. 0.0013
     2. 0.0129
     3. 0.0385
     4. 0.0488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9. 전단철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경우 주인장 철근에 45° 이상의 각도로 설치되는 스트럽을 전단철근으로 사용할 수 있다.
     2.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경우 주인장 철근에 30° 이상의 각도로 구부린 굽힘철근을 전단철근으로 사농할 수 있다.
     3. 전단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는 500MPa를 초과할 수 없다.
     4. 전단철근으로 사용하는 스터럽과 기타 철근 또는 철선은 콘크리트 압축연단부터 거리 d/2 만큼 연장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4%

70.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고정하중 30kN/m, 활하중 50kN/m가 작용한다면 소요강도(U)는?(2017년 03월)
     1. 73kN/m
     2. 116kN/m
     3. 127kN/m
     4. 155kN/m

     정답 : []
     정답률 : 70%

71. 아래의 표에서 설명하는 철근은?(2017년 09월)

    

     1. 주철근
     2. 온도철근
     3. 배력철근
     4. 스터럽

     정답 : []
     정답률 : 54%

72.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 fck = 35MPa,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fc = 8MPa일 때 콘크리트의 탄성변형에 의한 PS 강재의 프리스트레스 감소량은? (단, n은 7)(2007년 03월)
     1. 40MPa
     2. 48MPa
     3. 56MPa
     4. 64MPa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3. 다음 중 스터럽을 쓰는 이유로 옳은 것은?(2017년 05월)
     1. 보의 강성(剛性)을 높이고 사인장 응력을 받게 하기 위하여
     2. 콘크리트의 탄성을 높이기 위하여
     3. 콘크리트가 옆으로 튀어 나오는 것은 방지하기 위하여
     4. 철근의 조립을 위하여

     정답 : []
     정답률 : 60%

74.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서 피로에 대한 검토를 하지 않아도 되는 구조 부재는?(2015년 05월)
     1. 기둥
     2. 단순보
     3. 연속보
     4. 슬래브

     정답 : []
     정답률 : 74%

75. 파셜 프리스트레스 보(partially prestressed beam)란 어떤 보인가?(2018년 04월)
     1. 사용하중 하에서 인장응력이 일어나지 않도록 설계된 보
     2. 사용하중 하에서 얼마간의 인장응력이 일어나도록 설계된 보
     3. 계수하중 하에서 인장응력이 일어나지 않도록 설계된 보
     4. 부분적으로 철근 보강된 보

     정답 : []
     정답률 : 54%

76. 휨 부재의 단면을 산정 할 때 최소철근량 규정을 지켜야 하는데, 이렇게 최소 인장철근 단면적을 규정하는 이유는 무엇이가?(2008년 05월)
     1. 취성파괴를 피하기 위해서
     2. 균형적인 철근 분배를 위해서
     3. 과다철근보(과다강보)의 단점 보완을 위해서
     4. 경제적인 단면 이용을 위해서

     정답 : []
     정답률 : 45%

77. 단철근 직사각형보의 단면의 폭 b = 400mm 유효깊이 d = 800mm, As = 2000mm2일 때 철근비(ρ)는 얼마인가?(2009년 05월)
     1. ρ = 0.004
     2. ρ = 0.005
     3. ρ = 0.006
     4. ρ = 0.008

     정답 : []
     정답률 : 67%

78.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 보에서 압축상단에서 중립축까지의 거리(c)는 얼마인가? (단, 철근 D22 4본의 단면적은 1548mm2, fck=35MPa, fy=350MPa이다.)(2015년 05월)

    

     1. 60.7mm
     2. 71.4mm
     3. 75.8mm
     4. 80.9mm

     정답 : []
     정답률 : 60%

79.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전단철근으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은?(2020년 08월)
     1. 주인장 철근에 45°의 각도로 구부린 굽힘철근
     2. 주인장 철근에 45°의 각도로 설치되는 스터럽
     3. 주인장 철근에 30°의 각도로 구부린 굽힘철근
     4. 주인장 철근에 30°의 각도로 설치되는 스터럽

     정답 : []
     정답률 : 44%

80. 전체깊이가 900mm를 초과하는 휨부재 복부의 양측면에 부재 축방향으로 배근하는 철근의 명칭은?(2009년 05월)
     1. 배력철근
     2. 표피철근
     3. 피복철근
     4. 연결철근

     정답 : []
     정답률 : 40%

5과목 : 토질 및 기초


81. 말뚝의 재하시험 시 연약점토 지반인 경우는 말뚝 타입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말뚝 재하시험을 한다. 그 이유로 옳은 것은?(2020년 08월)
     1. 부 마찰력이 생겼기 때문이다.
     2. 타입 된 말뚝에 의해 흙이 팽창되었기 때문이다.
     3. 타입 시 말뚝주변의 흙이 교란되었기 때문이다.
     4. 주면 마찰력이 너무 크게 작용하였기 때문이다.

     정답 : []
     정답률 : 52%

82. 다음의 사운딩(Sounding)방법 중에서 동적인 사운딩(Sounding)은?(2003년 05월)
     1. 이스키 메타(Iskymeter)
     2. 베인 전단시험(Vane Shear Test)
     3. 더취 콘 관입시험(Dutch Cone Penetrometer)
     4. 표준관입시험(Standard Penetration Test)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3. 어느 지반에 30㎝ × 30㎝ 재하판을 이용하여 평판 재하시험을 한 결과 항복하중이 7t, 극한 하중이 15t이었다. 이 지반의 허용 지지력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2003년 03월)
     1. 25.9t/m2
     2. 38.9t/m2
     3. 55.6t/m2
     4. 83.4t/m2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4. 말뚝의 재하시험시 연약점토 지반인 경우 Pile의 타입 후 20일 이상 방치한 후 말뚝 재하시험을 한다. 그 이유는?(2008년 05월)
     1. 타입시 말뚝주변의 흙이 교란되었기 때문에
     2. 부 마찰력이 생겼기 때문에
     3. 타입된 말뚝에 의해 흙이 압축되었기 때문에
     4. 주면 마찰력이 너무 크게 작용하였기 때문에

     정답 : []
     정답률 : 77%

85. 비교적 균질한 토층을 실험한 결과 rt=2.0t/m3, C=2.5t/m2, ø=10° 인 경우에 연직으로 절취할 수 있는 한계고는 얼마인가?(2006년 09월)
     1. Hc=5.96m
     2. Hc=5.11m
     3. Hc=6.48m
     4. Hc=4.71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6. 다음 그림의 파괴 포락선중에서 완전 포화된 점성토에 대해 비압밀비배수 삼축압력(UU)시험을 했을 때 생기는 파괴포락선은 어느 것인가?(2008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7. 연약지반개량공사에서 성토하중에 의해 압밀된 후 다시 추가하중을 재하한 직후의 안정검토를 할 경우 삼축압축시험 중 어떠한 시험이 가장 좋은가?(2011년 03월)
     1. CD시험
     2. UU시험
     3. CU시험
     4. 급속전단시험

     정답 : []
     정답률 : 58%

88. 다음 그림에서 점토 중앙 단면에 작용하는 유효압력은?(2014년 03월)

    

     1. 1.2t/m2
     2. 2.5t/m2
     3. 2.8t/m2
     4. 4.4t/m2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rsat = Gs+1 / e+1 응력 = q+ rsub * H/2

89. 단위체적중량이 1.6t/m3 인 연약점토(φ=0)지반에서 연직으로 2m 까지 절취할 수 있다고 한다. 이때 이 점토지반의 점착력은?(2005년 03월)
     1. 0.4t/m2
     2. 0.8t/m2
     3. 1.6t/m2
     4. 1.72t/m2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0. 유선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5월)
     1. 유선망은 유선과 등수두선(等水頭線)으로 구성되어 있다.
     2. 유로를 흐르는 침투수량은 같다.
     3. 유선과 등수두선은 서로 직교한다.
     4. 침투속도 및 동수구배는 유선망의 폭에 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37%

91. 흙의 전단강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8월)
     1. 흙의 전단강도와 압축강도는 밀접한 관계에 있다.
     2. 흙의 전단강도는 입자간의 내부마찰각과 점착력으로 부터 주어진다.
     3. 외력이 증가하면 전단응력에 의해서 내부의 어느 면능 따라 활동이 일어나 파괴된다.
     4. 일반적으로 사질토는 내부마찰각이 작고 점성토는 점착력이 작다.

     정답 : []
     정답률 : 44%

92. 점토지반상에 성토나 구조물등과 같이 하중이 급격히 재하되는 때의 점토지반의 단기간 안정을 검토하기 위해서는 어느 시험을 사용하는가?(2004년 03월)
     1. 비압밀비배수시험
     2. 비압밀배수시험
     3. 압밀배수시험
     4. 압밀비배수시험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3. 함수비가 18%의 흙 500kg을 함수비 24%로 만들려고 한다. 추가해야 하는 물의 양은 약 얼마인가?(2008년 05월)
     1. 80kg
     2. 54kg
     3. 39kg
     4. 26kg

     정답 : []
     정답률 : 58%

94. 어떤 흙의 입경가적곡선에서 D10=0.05mm, D30=0.09mm, D60=0.15mm이었다. 균등계수 Cu와 곡률계수 Cg의 값은?(2003년 08월)
     1. Cu=3.0, Cg=1.08
     2. Cu=3.5, Cg=2.08
     3. Cu=1.7, Cg=2.45
     4. Cu=2.4, Cg=1.82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5. 분사현상(quick sand action)에 관한 그림이 아래와 같을 때 수두차 h를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하면 모래시료에 분사현상이 발생하겠는가? (단, 모래의 비중 2.60, 공극율 50%)(2004년 09월)

    

     1. 6㎝
     2. 12㎝
     3. 24㎝
     4. 3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6. 10개의 무리 말뚝기초에 있어서 효율이 0.8, 단항으로 계산한 말뚝 1개의 허용지지력이 10t일 때 군항의 허용 지지력은?(2003년 08월)
     1. 50t
     2. 80t
     3. 100t
     4. 125t

     정답 : []
     정답률 : 70%

97. 평판재하시험이 끝나는 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8년 04월)
     1. 침하량이 15mm에 달할 때
     2. 하중 강도가 현장에서 예상되는 최대 접지압력을 초과할 때
     3. 하중 강도가 그 지반의 항복점을 넘을 때
     4. 흙의 함수비가 소성한계에 달할 때

     정답 : []
     정답률 : 54%

98. 표준관입 시험에 대한 아래 표의 설명에서 ( )에 적합한 것은?(2015년 05월)

    

     1. 200
     2. 250
     3. 300
     4. 350

     정답 : []
     정답률 : 73%

99. 흙의 입도분석 결과 입경가적 곡선이 입경의 좁은 범위내에 대부분이 몰려있는 입경분포가 나쁜 빈입도(poor grading)일때 다음중 옳지 않은 것은?(2004년 03월)
     1. 균등계수는 작을 것이다.
     2. 공극비가 클것이다.
     3. 다짐에 적합한 흙이 아닐것이다.
     4. 투수계수가 낮을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0. 아래는 불교란 흙 시료를 채취하기 위한 샘플러 선단의 그림이다. 면적비(Ar)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2019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6%

101. 유입하수량 30000 m3/day, 유입 BOD 200mg/L, 유입 SS 150mg/L이고, BOD 제거율이 95%, SS 제거율이 90%일 경우, 유출 BOD의 농도( ㉠ )와 유출 SS의 농도( ㉡ )는?(2019년 09월)
     1. ㉠ : 10mg/L, ㉡ : 15mg/L
     2. ㉠ : 10mg/L, ㉡ : 30mg/L
     3. ㉠ : 16mg/L, ㉡ : 15mg/L
     4. ㉠ : 16mg/L, ㉡ : 30mg/L

     정답 : []
     정답률 : 50%

102. 배수관을 망상(그물모양)으로 배치하는 방식의 특징이 아닌 것은?(2004년 03월)
     1. 고장의 경우 단수염려가 없다.
     2. 관내의 물이 정체하지 않는다.
     3. 관로해석이 편리하고 정확하다.
     4. 수압분포가 균등하고 화재시에 유리하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3. 어느 도시의 총인구가 5만명이고, 급수인구는 4만명일 때 1년간 총급수량이 200만m3이었다. 이 도시의 급수보급률과 1인1일평균급수량은?(2019년 03월)
     1. 125%, 0.110m3/인・일
     2. 125%, 0.137m3/인・일
     3. 80%, 0.110m3/인・일
     4. 80%, 0.137m3/인・일

     정답 : []
     정답률 : 58%

104. 관로의 접합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6월)
     1. 관정접합 : 유수는 원활한 흐름이 되지만 굴착깊이가 증가되어 공사비가 증대된다.
     2. 관중심접합 : 수면접합과 관저접합의 중간적인 방법이나 보통 수면접합에 준용된다.
     3. 수면접합 : 수리학적으로 대개 계획수위를 일치시켜 접합시키는 것으로서 양호한 방법이다.
     4. 관저접합 : 수위상승을 방지하고 양정고를 줄일 수 있으나 굴착깊이가 증가되어 공사비가 증대된다.

     정답 : []
     정답률 : 56%

105. 수두 60m의 수압을 가진 수압관의 내경이 1000mm일 때, 강관의 최소 두께는? (단, 관의 허용응력 σta=1300kgf/cm2이다.)(2020년 06월)
     1. 0.12cm
     2. 0.15cm
     3. 0.23cm
     4. 0.30cm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t = PD/2시그마
[해설작성자 : ★이민우41★]

106. 계획1일 평균급수량이 400L, 계획시간 최대급수량이 25L, 계획1일 최대급수량이 500L일 경우에 계획첨두율은?(2016년 03월)
     1. 1.50
     2. 1.25
     3. 1.2
     4. 20.0

     정답 : []
     정답률 : 57%

107. 하천에 오수가 유입될 때 하천의 자정작용 중 최초의 분해지대에서 BOD가 감소하는 주원인은?(2016년 03월)
     1. 유기물의 침전
     2. 탁도의 증가
     3. 온도의 변화
     4. 미생물의 번식

     정답 : []
     정답률 : 57%

108. 염소의 살균능력이 큰 것부터 순서대로 나열된 것은?(2019년 03월)
     1. Chloramines > OCl > HOCl
     2. Chloramines > HOCl > OCl
     3. HOCl > Chloramines > OCl
     4. HOCl > OCl > Chloramines

     정답 : []
     정답률 : 66%

109. 분류식 하수배제 방식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5월)
     1. 강우시의 오수처리에 유리하다.
     2. 합류식보다 관거의 부설비가 많이 소요된다.
     3. 분류식은 오수관과 우수관을 별도로 설치한다.
     4. 합류식보다 우수처리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정답 : []
     정답률 : 59%

110. 침전시설과 여과시설 등을 거친 정수장의 배출수는 최종적으로 적절한 배출수 처리설비를 거쳐 방류된다. 배출수 처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9월)
     1. 발생 슬러지는 위해하므로 주로 매립하고, 재활용은 제한한다.
     2. 재순환되는 세척배출수의 목표수질은 평균적인 원수수질과 같거나 더 양호해야 한다.
     3. 슬러지처리시설은 정수처리시설에서 발생하는 슬러지를 처리하고 처분하는데 충분한 기능과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4. 세척배출수에서 발생된 슬러지와 정수공정의 침전슬러지는 배출수처리시설의 농축조에서 농축처리하며 그 상징수는 정수공정으로 반송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50%

111. 수도관 내의 수격현상(water hanner)을 겸감시키는 방안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07년 05월)
     1. 펌프의 급정지를 피한다.
     2. 관로에 압력조정 수조(surge tank)를 설치한다.
     3. 운전 중 관내 유속을 최대로 유지한다.
     4. 압력수조(air-chamber)를 설치한다.

     정답 : []
     정답률 : 86%

112. 수원의 구비요건으로 틀린 것은?(2016년 03월)
     1. 수질이 좋아야 한다.
     2. 수량이 풍부하여야 한다.
     3. 정수장보다 가능한 한 낮은 곳에 위치하여야 한다.
     4. 상수 소비지에서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정답 : []
     정답률 : 65%

113. 하수처리법 중 활성슬러지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5년 05월)
     1. 호기성미생물의 대사작용에 의하여 유기물을 제거한다.
     2. 부유물을 활성화시켜 침전·부착 시킨다.
     3. 부유생물을 이용하는 방법과 쇄석 등의 표면에 부착한 생물막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4. 세균을 제거함으로써 슬러지를 정화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4. 1일 정수량이 10000m3/d인 정수장에서, 염소소 독을 위하여 100kg/d를 주입한 후 잔류염소 농도를 측정하였을 때, 0.2mg/L였다면 염소요구량 농도는?(2017년 03월)
     1. 0.8mg/L
     2. 1.2mg/L
     3. 9.8mg/L
     4. 10.2mg/L

     정답 : []
     정답률 : 48%

115. 인구 20만 도시에 계획1인1일최대급수량 500L, 급수보급률 85%를 기준으로 상수도시설을 계획할 때 도시의 계획1일최대급수량은?(2019년 04월)
     1. 85000 m3/일
     2. 100000 m3/일
     3. 120000 m3/일
     4. 170000 m3/일

     정답 : []
     정답률 : 61%

116. 하수도 계획 대상유역에서 분할된 각 구역별 유출계수가 표와 같을 때 전체 유역의 유출계수는?(2019년 03월)

    

     1. 0.350
     2. 0.410
     3. 0.447
     4. 0.534

     정답 : []
     정답률 : 56%

117. 집수매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1년 10월)
     1. 집수매거 경사는 될 수 있으며 1/100 이상의 급경사로 하는 것이 좋다.
     2. 집수매거의 유출단에서 매거내의 평균유속은 3m/s이하로 한다.
     3. 호소수, 저수지수와 같은 지표수를 취수하기 위한 시설이다.
     4. 매설은 복류수의 흐름방향에 대하여 가능한 직각으로 설치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31%

118. BOD가 94.8mg/L인 오수 5m3/h를 유량이 50m3/h인 하천에 방류한 결과 BOD가 14.1mg/L가 되었다. 오수가 유입되기 이전의 하천 BOD는?(2017년 09월)
     1. 2.0mg/L
     2. 4.0mg/L
     3. 6.0mg/L
     4. 8.0mg/L

     정답 : []
     정답률 : 46%

119. 정수 생물처리법인 회전원판방식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2007년 05월)
     1. 체류시간 : 2시간 정도
     2. 처리수조의 깊이 3~4m
     3. 쪽기시설 : 용존산소 유지를 위해 필요함
     4. 슬러지배출시설 :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많음

     정답 : []
     정답률 : 29%

120. 펌프의 양수량을 조절하는 방식이 아닌 것은?(2016년 05월)
     1. 펌프의 회전방향을 변경하는 방법
     2. 토출밸브의 개폐정도를 변경하는 방법
     3. 펌프의 회전수를 변화하는 방법
     4. 펌프의 운전대수를 증감하는 방법

     정답 : []
     정답률 : 56%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토목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5일)(4472214)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94 9급 국가직 공무원 전기이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3월2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593 9급 지방직 공무원 건축계획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5월2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 토목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5일)(4472214)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591 해양조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5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590 위험물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3월0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589 건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5일)(7701751)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588 배관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5일)(342517)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587 남성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7월17일(4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586 임산가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5일)(1456582)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585 ERP 인사 2급 실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3월0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584 9급 지방직 공무원 지적측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6월1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583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지방세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582 9급 국가직 공무원 경제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4월1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581 정보통신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9월0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580 위험물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7월2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579 소방공무원(경력) 소방관계법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10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578 전파전자통신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3월11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577 비서 3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5일)(3905542)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576 정보기기운용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4월03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2
575 청소년상담사 2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10월0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2
Board Pagination Prev 1 ...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 395 Next
/ 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