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수산양식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5일)(8489636)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수산양식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어류양식


1. 먹이연쇄 사육방법 중 블루길(bluegill)은 어떤 어종과 혼양하면 효과가 있는가?(2009년 07월)
     1. 초어
     2. 잉어
     3. 백련
     4. 베스

     정답 : []
     정답률 : 89%

2. 실뱀장어가 가장 많이 소상하는 시간대는?(2006년 08월)
     1. 간조시 일몰 후 2~3시간
     2. 만조시 일몰 후 2~3시간
     3. 조석에 관계없이 야간대
     4. 조석에 관계없이 주간대

     정답 : []
     정답률 : 100%

3. 다음 중 은어의 성육장으로 가장 좋은 지반은?(2003년 08월)
     1. 암초(岩礁)
     2. 자갈
     3. 사니질(砂泥質)
     4. 니질(泥質)

     정답 : []
     정답률 : 74%

4. 현재 뱀장어 종묘생산 시 종묘를 구하는 방법 중 주로 사용되는 것은?(2005년 08월)
     1. 바다에서 하천으로 소상하는 것을 채포 사용하는 방법
     2. 자연 채란에 의한 방법
     3. 인공 채란에 의한 방법
     4. 근도식 방법에 의한 채란 방법

     정답 : []
     정답률 : 89%

5. 하루 중에서 잉어가 주로 산란을 하는 시기는?(2007년 08월)
     1. 자정을 전후해서
     2. 새벽부터 오전 중에
     3. 오후에서 일몰 전에
     4. 일몰 후 초저녁에

     정답 : []
     정답률 : 89%

6. 넙치 알의 특성이 옳은 것은?(2015년 08월)
     1. 분리 부성란
     2. 응집성 부성란
     3. 분리 침성란
     4. 부착성 침성란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분리부성란 : 초어, 참돔, 넙치, 농어
[해설작성자 : 네마리의 고양이집]

7. 참돔 가두리 양식장의 적지조건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4년 08월)
     1. 해수의 유동이 좋은 수역
     2. 수온이 연중 10 ~ 15℃를 유지하는 수역
     3. 사료의 공급, 양성어의 출하 등이 편리한 곳
     4. 하천수의 유입에 의한 비중 변동이 없는 곳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적수온: 20~28℃, 15~19℃까지가 성장 범위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 다음 중 잉어 그물 가두리 양식을 위한 적지가 될수 없는 것은?(2006년 08월)
     1. 수심 2.5~3m 이하로 비교적 얕은 곳
     2. 수초(水草)가 많이 번식하지 않은 곳
     3. 사육관리에 무리가 없는 곳
     4. 빈영양인 효소

     정답 : []
     정답률 : 92%

9. 수중 영양 염류의 함량이 생산 증가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양식법은?(2015년 08월)
     1. 유수식 어류 양식
     2. 정수식 지중 양식
     3. 가두리 잉어 양식
     4. 순환여과식 뱀장어 양식

     정답 : []
     정답률 : 58%

10. 순환여과식 사육장치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2010년 07월)
     1. 사육조
     2. 침전조
     3. 생물 여과조
     4. 원영지

     정답 : []
     정답률 : 96%

11. 연어(salmon)치어가 하천에서 바다로 내려가는 시기는?(2002년 08월)
     1. 부화후 내려간다.
     2. 1년후에 내려간다.
     3. 2년후에 내려간다.
     4. 3년후에 내려간다.

     정답 : []
     정답률 : 85%

12. 틸라피아 양식의 산란습성 및 부화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6년 08월)
     1. 틸라피아는 산란기에는 못바닥에 산란구덩이를 파고 산란한다.
     2. 부화된 치어는 어미의 구강 내에서 10 ~ 15일간 머무른다.
     3. 암컷이 수컷보다 성장이 빠르다.
     4. 성숙기에 달한 암컷은 일반 해수지역에서는 산란이 억제된다.

     정답 : []
     정답률 : 75%

13. 동야산 잉어와 이스라엘 잉어의 교배에 의한 종의 개량으로 얻을 수 있는 주요한 장점은?(2005년 08월)
     1. 모양이 좋아 상품가치를 높인다.
     2. 맛이 좋은 품종이 된다.
     3. 병에 강하고 성장이 빨라서 생산성이 높다.
     4. 사료가 적게 들어 생산비가 절감된다.

     정답 : []
     정답률 : 82%

14. 양식업 종사자의 태도와 신념을 나타내는 내용의 영문이 아닌 것은?(2005년 08월)
     1. Work
     2. Wide
     3. Inspection
     4. Experience

     정답 : []
     정답률 : 88%

15. 그물가두리의 형태 중 고기의 활동에 가장 이상적인 형태는?(2002년 08월)
     1. 사각형 가두리
     2. 6각형 가두리
     3. 8각형 가두리
     4. 원형 가두리

     정답 : []
     정답률 : 91%

16. 무지개송어 친어의 성숙 검사주기를 설명한 내용 중 맞는 것은?(2009년 07월)
     1. 친어는 하루에 한번씩 검사
     2. 친어는 2~3주일에 한 번씩 검사
     3. 친어는 1주일에 한 번씩 검사
     4. 많은 수가 성숙하게 되면 과숙 방지를 위하여 2~3주에 두 번씩 검사

     정답 : []
     정답률 : 93%

17. 다음 중 어류 종묘생산을 위한 부화 시 주의사항과 관계가 가장 적은 것은?(2010년 07월)
     1. 용수(用水)
     2. 염분(鹽分)
     3. 광선(光線)
     4. 먹이(飼料)

     정답 : []
     정답률 : 80%

18. 활어 운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7월)
     1. 활어 운반시 어체에 스트레스를 주지 않도록 충격을 최소화 한다.
     2. 운반 용수의 온도는 생리 대사기능이 활발히 유지될 수 있도록 적정 온도로 유지한다.
     3. 좁은 용기에 고밀도로 수용하므로 산소 보충을 해야 한다.
     4. 운반시 어류의 대사 또는 체표 분비에 의한 오물은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제거한다.

     정답 : []
     정답률 : 92%

19. 어류의 축양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4년 08월)
     1. 축양은 생존율을 높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2. 가두리에서 축양할 수 있는 동물은 잉어, 송어, 메기, 은어, 방어, 돔 등이 있다.
     3. 축양은 살아있는 수산동물을 적절한 시설 안에서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일이다.
     4. 다량의 어류를 넣어 1 ~ 2일 이상의 축양를 위해서는 에어레이션 장치와 오물제거를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축양은 성장이 목적이 아니라 살아있는 수확물을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일로, 안전하고 건강하게 원래 상태로 유지시키는 일이 필요하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0. 무지개 송어의 수정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0년 07월)
     1. 광선에는 매우 약하다.
     2. 장거리 운반할 때에는 발안기 전에 운반해야 한다.
     3. 최적부화수온은 10℃ 전후이다.
     4. 약 10℃ 전후에서 16일이 지나면 발안기가 된다.

     정답 : []
     정답률 : 77%

2과목 : 무척추동물양식


21. 굴 채묘에 앞서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은?(2009년 07월)
     1. 채묘기 설치
     2. 수온조사
     3. 부착유생수 조사
     4. 부유유생수 조사

     정답 : []
     정답률 : 85%

22. 우리나라 연안에서 참굴의 전기채묘와 관련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8월)
     1. 전기채묘는 모두 단련종묘로 사용한다.
     2. 창원, 거제만 등이 대표적인 곳이다.
     3. 만내 수심이 비교적 깊은 곳에서 산란한다.
     4. 5월 하순부터 7월 중순 사이가 적당하다.

     정답 : []
     정답률 : 55%

23. 피조개의 발생 시 부유생활 기간은? (단, 수온 20℃ 내외)(2007년 08월)
     1. 1주
     2. 2주
     3. 3주
     4. 4주

     정답 : []
     정답률 : 86%

24. 간석지에서 조위망을 시설한 다음 그안에 종묘를 방양하여 양성하는 패류는?(2002년 08월)
     1. 말조개
     2. 전복
     3. 대합
     4. 바지락

     정답 : []
     정답률 : 82%

25. 전복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8월)
     1. 전복의 부유 유생 기간에는 먹이를 먹지 않는다.
     2. 전복의 먹이 효율은 크기가 작을수록 높다.
     3. 전복의 먹이 성장률은 녹조류,갈조류,홍조류의 순이다.
     4. 전복은 초식성이며 야행성 동물이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전복의 먹이 성장률의 갈조류-녹조류-홍조류 순이다.
[해설작성자 : 네마리의 고양이집]

26. 남해안산 문어의 성장에 가장 좋은 양성기간은?(2006년 08월)
     1. 3~4월
     2. 5~6월
     3. 7~8월
     4. 9~10월

     정답 : []
     정답률 : 52%

27. 다음 중 제방식 양성법으로 많이 양성하는 것은?(2010년 07월)
     1. 가리비
     2. 대하
     3. 백합
     4. 우렁쉥이

     정답 : []
     정답률 : 79%

28. 양식장에서 일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조위 시설을 해야하는 조개류는?(2003년 08월)
     1. 바지락
     2. 피조개
     3. 대합
     4. 키조개

     정답 : []
     정답률 : 79%

29. 꽃개 양성시에 정상적으로 먹이를 공급해야 하는 수온은?(2005년 08월)
     1. 9℃
     2. 12℃
     3. 15℃
     4. 18℃

     정답 : []
     정답률 : 44%

30. 바지락의 채묘에 가장 적합한 방법은?(2009년 07월)
     1. 침설식
     2. 고정 수하식
     3. 완류식
     4. 로프식

     정답 : []
     정답률 : 87%

31. 수온과 해삼의 관계를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2014년 08월)
     1. 수온과 소화관의 발달은 관계없다.
     2. 수온이 낮아지면 해삼의 재생력은 감소한다.
     3. 수온이 낮아지면 해삼의 소화관은 발달한다.
     4. 수온이 높아지면 해삼의 먹이 섭취율은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해삼은 수온이 낮을 때는 식욕이 왕성하고 운동성도 높은 편이나 수온이 16℃ 이상되면 소화관이 위축되면서 여름잠을 잔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2. 다음 중 어린 전복의 먹이로 배양하기에 가장 적합한 종류는?(2010년 07월)
     1. Chaetoceros sp.
     2. Skeletonema sp.
     3. Navicula sp.
     4. Artemia

     정답 : []
     정답률 : 66%

33. 우리나라산 참가리비의 부유유생이 주로 많이 나타나는 시기는?(2004년 08월)
     1. 12∼2월
     2. 3∼5월
     3. 6∼8월
     4. 9∼11월

     정답 : []
     정답률 : 38%

34. 다음 중 전복의 산란 자극 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2014년 08월)
     1. 음건자극
     2. 담수주입자극
     3. 뇌하수체 호르몬 주사
     4. 자외선 조사해수 자극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전복 산란유발 방법으로는 수온자극, 간출자극 및 자외선 조사 해수자극이 사용되고 있는데, 현재 가장 많이 효과적인 방법으로는 간출과 자외선 조사 해수자극을 병행한 것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5.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다음 굴 중 염분 농도가 비교적 높고 수심이 가장 깊은 곳에 서식하는 종은?(2003년 08월)
     1. 참굴
     2. 강굴
     3. 털굴
     4. 벗굴

     정답 : []
     정답률 : 80%

36. 우리나라 산(産) 말똥성게의 주 산란기는?(2003년 08월)
     1. 1∼3 월
     2. 4∼5 월
     3. 6∼7 월
     4. 9∼10 월

     정답 : []
     정답률 : 49%

37. 다음 중 대합의 이동이 가장 심한 경우는?(2016년 08월)
     1. 수온이 높은 시기와 유속이 빠른 때
     2. 다 큰 성패와 해수비중이 낮을 때
     3. 조금 물때와 먹이가 적을 때
     4. 투명도가 작을 때와 영양염류가 많을 때

     정답 : []
     정답률 : 66%

38. 대합의 종묘로 천연적으로 발생한 것을 주로 이용하는 경우 그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0년 07월)
     1. 산란자극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2. 성숙한 어미라도 암수구별이 힘들기 때문이다.
     3. 채묘하는 방법이 특이하기 때문이다.
     4. 난핵포가 소실한 다음 수정하기 때문이다.

     정답 : []
     정답률 : 69%

39. 간석지에서 조위망을 시설한 다음 그 안에 종묘를 방양하여 양성하는 패류는?(2004년 08월)
     1. 말조개
     2. 전복
     3. 대합
     4. 바지락

     정답 : []
     정답률 : 69%

40. 다음 고막(Anadara)류 중 수심이 제일 깊은 곳에서 서식하는 종류는?(2014년 08월)
     1. 고막
     2. 새고막
     3. 피조개
     4. 큰이랑피조개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서식장 수심
- 꼬막: 가장 천새성으로 조간대에 서식
- 새꼬막: 조간대로부터 10m에 서식(1~5m에 주로 서식)
- 피조개: 간조선으로부터 50m에 분포(2~20m에 주로 서식)
- 큰이랑피조개: 수m~30m에 서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과목 : 해조류양식


41. 김 사상체의 병해 중 황반병 발생의 직접적인 원인은?(2010년 07월)
     1. 배양장의 나쁜 시설이 원인이 되어 발생한다.
     2. 탄산칼슘이 조개껍질의 표면에 침착하여 발생한다.
     3. 호염성 세균에 의해서 발생한다.
     4. 광선과 온도의 불균형이 원인이 되어 영양부족으로 발생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42. 다음 중 김의 종묘생산에서 유리사상체의 배양시 가장 좋은 조건은?(2006년 08월)
     1. 수온 18~25℃, 일조시간 13~14시간/1일
     2. 수온 15~20℃, 일조시간 8~10시간/1일
     3. 수온 18~25℃, 일조시간 8~10시간/1일
     4. 수온 15~20℃, 일조시간 13~14시간/1일

     정답 : []
     정답률 : 53%

43. 김 재묘작업이 끝난 후 발을 발아층으로 올리는 것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6년 08월)
     1. 발아층은 4~5시간 노출선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2. 발올리기 시기를 늦추면 해적생물이 붙을 염려가 있다.
     3. 해적생물이 많은 곳인 3일 후, 그렇지 않은 곳은 5~7일 후에 올려준다.
     4. 이 때 해적생물은 주로 따개비, 굴 등 부착패류이다/

     정답 : []
     정답률 : 64%

44. 돌김의 생산량 증대와 채취를 쉽게 하기위한 가장 좋은 환경개선 방법은?(2002년 08월)
     1. 객토
     2. 바닥고르기
     3. 콘크리이트 바르기
     4. 해저암초폭파

     정답 : []
     정답률 : 59%

45. 다음 중 공장폐수 등의 영향이 있는 곳에서 많이 나타나고 이 병으로 수확감소와 품질저하가 생기는 갯병은?(2006년 08월)
     1. 염증병
     2. 흰갯병
     3. 쪼그랑병
     4. 붉은 갯병

     정답 : []
     정답률 : 48%

46. 미역의 인공 채묘의 최적 수온은?(2005년 08월)
     1. 14 ~ 22℃
     2. 17 ~ 20℃
     3. 20 ~ 22℃
     4. 14 ~ 17℃

     정답 : []
     정답률 : 58%

47. 다음 중 각포자 방출 촉진법은?(2006년 08월)
     1. 100% 습도처리
     2. 고비중처리
     3. 연속염기처리
     4. 저온처리

     정답 : []
     정답률 : 50%

48. 다음 중에서 세대교번을 하지 않는 종류는?(2015년 08월)
     1. 홑파래
     2. 청각
     3. 미역
     4.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갈조류: 모자반
녹조류: 청각
[해설작성자 : 네마리의 고양이집]

49. 다음 중에서 세대교번을 하지 않는 종류는?(2009년 07월)
     1. 청각
     2. 홑파래
     3. 미역
     4.

     정답 : []
     정답률 : 74%

50. 갯녹음(백화)현상은 연안에서 해조밭을 이루는 해조류가 쇠퇴하는 대신 어떤 종류의 생물이 증가하는 것을 말하는가?(2009년 07월)
     1. 남조류
     2. 잘피류
     3. 와편모조류
     4. 무절석회조류

     정답 : []
     정답률 : 79%

51. 감자성제의 닭살병의 주된 원인은?(2006년 08월)
     1. 배수 중의 영양영 부족
     2. 탄산칼슘의 침착
     3. 호염성 세균감염
     4. 규조류의 부착

     정답 : []
     정답률 : 64%

52. 김의 생활사 중에서 여름김(夏苔)으로서도 여름을 지나는 종류는?(2002년 08월)
     1. 참김
     2. 방사무늬김
     3. 둥근김
     4. 긴잎돌김

     정답 : []
     정답률 : 57%

53. 미역 양식 관리 중 수심 조절로 올바른 것은?(2016년 08월)
     1. 규조류가 많은 곳은 수심 30 ~ 40cm 정도에 시설한다.
     2. 생장이 늦어지면 3 ~ 4m 깊이에 시설한다.
     3. 12월에 수심을 1 ~ 1.5m로 유지한다.
     4. 2월 이후에는 해수 표면에 유지한다.

     정답 : []
     정답률 : 49%

54. 김의 회전식 채묘를 할 때 물레의 회전속도는 얼마가 가장 적당한가?(2004년 08월)
     1. 5 회전/분
     2. 10 회전/분
     3. 20 회전/분
     4. 60 회전/분

     정답 : []
     정답률 : 49%

55. 다음 중 미역의 유주자 방출 시기로 가장 알맞은 것은?(2010년 07월)
     1. 1~3월
     2. 4~6월
     3. 7~9월
     4. 10~12월

     정답 : []
     정답률 : 41%

56. 다음 김 병해 중 생리적 갯병인 것은?(2004년 08월)
     1. 붉은갯병
     2. 구멍갯병
     3. 암종병
     4. 녹반병

     정답 : []
     정답률 : 54%

57. 일반적으로 미역의 본이식 시기는?(2009년 07월)
     1. 가이식 후 5㎜이하일 때
     2. 가이식 후 5~10㎜ 로 성장했을 때
     3. 가이식 후 15~20㎜로 성장했을 때
     4. 가이식 후 30~50㎜로 성장했을 때

     정답 : []
     정답률 : 64%

58. 냉장발의 입고시 가장 알맞은 김의 함수율은?(2007년 08월)
     1. 20~40%
     2. 40~60%
     3. 12~14%
     4. 4~6%

     정답 : []
     정답률 : 70%

59. 다음 중 김발에 붙기 시작할 때 발을 저노출선에 며칠간 고정시켜 주면 고제되는 김의 해적생물은?(2007년 08월)
     1. 따개비
     2. 규조류
     3. 파래류
     4. 매생이

     정답 : []
     정답률 : 64%

60. 미역의 포자엽 고르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6년 08월)
     1. 가급적 크고 두꺼운 것이 좋다.
     2. 다갈색이나 흑갈색이면서 가장자리의 색깔이 짙은 것이 좋다.
     3. 포자엽이 황갈색이고 단단하며 점액이 적은 것이 좋다.
     4. 심한 풍파가 있었던 직후의 포자엽은 좋지 않다.

     정답 : []
     정답률 : 68%

4과목 : 수산생물


61. 해조류의 보상점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2007년 08월)
     1. 광합성량 ≥ 호흡량
     2. 광합성량 > 호흡량
     3. 광합성량 < 호흡량
     4. 광합성량 = 호흡량

     정답 : []
     정답률 : 68%

62. 다음 중 비점착 침성란을 산란하는 어류는?(2010년 07월)
     1. 멸치
     2. 은어
     3. 넙치
     4. 송어

     정답 : []
     정답률 : 39%

63. 다음 수산 생물 중에서 광염성 생물은?(2015년 08월)
     1. 오징어
     2. 망둥어
     3. 우뭇가사리
     4. 가리비

     정답 : []
     정답률 : 61%

64. 우뭇가사리(Gelidium amansii)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4년 08월)
     1. 다년생이다.
     2. 사분포자 또는 과포자를 형성한다.
     3. 난류성이다.
     4. 세대교번을 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우뭇가사리는 동형세대교번을 하는 다년생 해조류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5. 생태계(Ecosystem)의 3가지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2005년 08월)
     1. 생산자
     2. 소비자
     3. 부식자
     4. 분해자

     정답 : []
     정답률 : 82%

66. 수중의 먹이연쇄에 관한 다음의 설명 중 가장 올바른 내용은?(2002년 08월)
     1. 먹이연쇄의 마지막단게에 가까울수록 단위 개체의 크기가 커지고 개체수는 적어진다.
     2. 일반적으로 먹이연쇄의 계급수는 2로써 많다고 하더라도 3을 넘지 않는다.
     3. 먹이연쇄의 마지막단계에 가까울수록 운동성이 커지면 에너지소비는 적어진다.
     4. 먹이연쇄의 초기단계에서는 운동성이 약하나 에너지 소비는 많은 편이다.

     정답 : []
     정답률 : 72%

67. 해조류 중 미역의 수평분포에 있어서 북한계 겨울철 수온은?(2009년 07월)
     1. 2℃
     2. 6℃
     3. 10℃
     4. 14℃

     정답 : []
     정답률 : 39%

68. 일반적인 해조류의 주된 영양소 흡수기관은?(2014년 08월)
     1. 뿌리
     2. 줄기
     3. 몸 표면 전체
     4. 뿌리와 줄기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해조류는 완전히 물속에 잠겨 생활하기 때문에 몸의 표면에서 영양분을 흡수하는 한편 동화작용, 호흡작용도 몸의 표면에서 이뤄진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9. 우뭇가사리의 생태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8월)
     1. 포복지에 의한 번식
     2. 유주자 방출
     3. 재생력
     4. 사분포자 방출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우뭇가사리의 번식
- 과포자, 사분포자에 의한 번식
- 포복지 재생력에 의한 영양번식에 의한 증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0. 식물 플랑크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8월)
     1. 식물 플랑크톤 중 먹이생물로 중요한 종류는 규조류와 황갈편조류이다.
     2. 규조류와 황갈편조류는 일반적으로 연안역이나 용승해역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3. 미세 플랑크톤은 1차 생산력의 80% 이상을 차지한다.
     4. 미세 플랑크톤에는 부유성 균류와 부유성 원생동물의 일부가 포함된다.

     정답 : []
     정답률 : 65%

71. 원양성 해저퇴적물 중 생물기원 퇴적물로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2006년 08월)
     1. 역족류 연니
     2. 방산충 연니
     3. 유공충 연니
     4. 요각류 연니

     정답 : []
     정답률 : 63%

72. 삼어류를 형태상 구분하고자 할 때 그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8월)
     1. 뒷지느러미
     2. 아가미의 구멍수
     3. 이빨
     4. 호흡방법

     정답 : []
     정답률 : 55%

73. 다음 중 가장 유독한 적조생물은?(2014년 08월)
     1. Peridinium sp.
     2. Chaetoceros sp.
     3. Gymnodinium sp.
     4. Skeletonema sp.

     정답 : []
     정답률 : 80%

74. 다음 중 유생의 부유생활 기간이 가장 짧은 것은?(2007년 08월)
     1. 피조개
     2. 가리비
     3. 새고막
     4. 전복

     정답 : []
     정답률 : 50%

75. POM이란?(2005년 08월)
     1. 용존산소량
     2. 용존유기탄소량
     3. 입자성 유기물질
     4. 용존유기물질

     정답 : []
     정답률 : 66%

76. 아가미 호흡과 함께 보조적 수단으로 창자 호흡을 하는 종류는?(2004년 08월)
     1. 뱀장어
     2. 가물치
     3. 미꾸라지
     4. 망둑어

     정답 : []
     정답률 : 48%

77. 일반적으로 동물성 플랑크톤의 일주기 수직이동에 관한 설명이 옳은 것은?(2009년 07월)
     1. 낮에는 표층해면으로, 밤에는 중.심층으로 수직이동 한다.
     2. 밤에는 표층해면으로, 낮에는 중.심층으로 수직이동 한다.
     3. 상, 하층의 수직이동을 하지 않고 일정 수층에 머문다.
     4. 밤, 낮의 수직이동이 일정치 않고, 하고 싶을 때 자유롭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78. 다음 중 적조 발생 방지 대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8월)
     1. 준설
     2. 해조류 양식
     3. 양식장 휴식년제
     4. 치어의 방류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적조발생 방지대책
- 과도한 부영양의 해소: 질소, 인 부하규제와 유기오염물의 제거를 해야 한다
- 자극물질의 제거: 유기물 중금속 등을 제거하고 수질, 저질의 정화를 해야 한다
- 천해매립의 제한: 매립에 의한 정체수역의 출현, 공사에 동반된 저니교반에 의한 재용출, 새로운 부하의 유입 등의 방지 노력이 필요
- 양식품종의 전환: 전복, 해조류 등 적조에 강한 품종으로 변경한다
- 어장환경개선: 어장퇴적물을 준설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9. 다음 해조류 중 알긴산을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은?(2007년 08월)
     1. 비단풀
     2. 다시마
     3. 채찍말
     4. 보리털

     정답 : []
     정답률 : 77%

80. 수산생물의 분포를 지배하는 요인이 아닌 것은?(2015년 08월)
     1. 수온 및 염분
     2. 해류 및 심도
     3. 발생시기의 차이
     4. 먹이의 질과 양

     정답 : []
     정답률 : 70%

81. 참굴의 유생부착시기에 부착생물인 따개비 및 진주담치가 동시에 부착하였을 때 구제법으로 올바른 것은?(2016년 08월)
     1. 채묘기를 수면쪽으로 올려준다.
     2. 채묘기를 육상에 일정시간 노출시킨다.
     3. 채묘기를 육상으로 올려 담수약욕 처리한다.
     4. 채묘기를 육상으로 올려 따개비 및 진주담치 유생을 떼어낸다.

     정답 : []
     정답률 : 55%

82. 다음 중 수중의 암모니아 측정에 이용하는 방법은?(2014년 08월)
     1. 이온전극법
     2. 비탁법
     3. 중량분석법
     4. 불꽃광도법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이온전극법: 시료 중의 분석대상이온의 농도(이온활량)에 감응하여 비교전극과 이온전극 간에 나타나는 전위차를 이용하여 목적이온의 농도를 정량하는 방법으로서 시료 중 음이온 및 양이온의 분석에 이용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3. 시안화물 측정용 시류수를 사장에 의하여 채수 다음날 분석을 하고자 한다. 시료수에 어떤 처리를 해두는 것이 좋은가?(2005년 08월)
     1. 수산화나트륨으로 pH를 12로 해둔다.
     2. 염산으로 pH를 1로 한다.
     3. 완출제로 pH를 7~8로 한다.
     4. 포르말린으로 미생물을 제거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84. 채수시 물과 공기의 접촉을 피해야 하는 측정 항목은?(2014년 08월)
     1. 용존산소
     2. 화학적 산소 소비량
     3. 수소이온 농도
     4. 암모니아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용존산소 측정방법: 시료의 채수
- 공기와 접촉 방지 필요
- 교란 방지
- 압력, 온도변화 방지
- 기포 함유 방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5. 다음 중 Aeromonas균이 아닌 다른 세균(細菌)에 의하여 발병되는 병명은?(2010년 07월)
     1. 솔발울병
     2. 잉어 적반병
     3. 뱀장어 적점병
     4. 송어 절창병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적점병은 슈도모나스 앙길리셉티카(Pseudomonas Anguilliseptica)
[해설작성자 : 도리콩]

86. 윙클러법으로 용존산소량을 측정할 때 전분지시약을 가하면 용액은 어떤 색깔로 되는가?(2003년 08월)
     1. 청색
     2. 황색
     3. 적색
     4. 녹색

     정답 : []
     정답률 : 60%

87. BOD 3㎎/ℓ , 유량 5 m3/sec인 하천에 유량 6000m3/day BOD 800㎎/ℓ 인 공장 폐수를 방류하려고 할때 이 하천의 BOD를 5㎎/ℓ 이하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공장폐수를 몇 % 이상 제거시켜야 하는가?(2004년 08월)
     1. 약 81%
     2. 약 78%
     3. 약 75%
     4. 약 73%

     정답 : []
     정답률 : 46%

88. 가정에서 수돗물을 받아 가정용 수조에 즉시 사용할 경우 수돗물 소독약인 클로로칼키를 중화시키는데 사용하는 약품명은?(2010년 07월)
     1. Furan 제
     2. Sulfa 제
     3. Mineral 제
     4. Hypo 제

     정답 : []
     정답률 : 64%

89. 굴의 생식소에 흡충이 기생되면 굴은 어떤 색을 띠게 되는가?(2003년 08월)
     1. 유백색
     2. 청록색
     3. 황갈색
     4. 암청색

     정답 : []
     정답률 : 62%

90. 비중계로써 염분 농도를 측정할 때 필수적인 기구가 아닌것은?(2002년 08월)
     1. 뷰렛
     2. 수온계
     3. 실린더
     4. 비중계

     정답 : []
     정답률 : 64%

91. 포르말린을 양어지에 살포했을 때, 잔류효과에 대한 설명 중 옳지 못한 것은?(2005년 08월)
     1. 맑은 물에서는 장시간 잔류된다.
     2. 환수시키지 않았을 때 포르말린의 성분이 소실되는데는 5 ~15일이나 소요된다.
     3. 횐수시켰을 때 어체내의 잔류는 2~3일만에 제거된다.
     4. 일반적으로 식물성 부유생물이 적으면 많은 것보다 빨리 소실된다.

     정답 : []
     정답률 : 70%

92. 뱀장어의 비타민 B1 결핍증은?(2004년 08월)
     1. 체색명화, 신경이상, 아가미출혈
     2. 체색암화, 유영이상, 지느러미출혈
     3. 새엽의 곤봉화, 피부의 손상, 위의 팽창
     4. 복부수종, 안구돌출, 운동력실조

     정답 : []
     정답률 : 45%

93. 해수에서 염소량으로부터 총 염분량을 계산하는 식은?(2006년 08월)
     1. S %(염분량) = 0.80655 × Cl %(염소량)
     2. S %(염분량) = 1.80655 × Cl %(염소량)
     3. S %(염분량) = 0.03 × Cl %(염소량)
     4. S %(염분량) = 1.03 × Cl %(염소량)

     정답 : []
     정답률 : 69%

94. 유기오염도의 바로미터로 취급되면 자연수계에 다량 함유될 대는 플랑크톤의 이상발생을 유기할 수 있고, 그 자체로서는 독성을 갖지 않으나 오염지표 물질로서 중요한 것은?(2005년 08월)
     1. 암모니아성 질소
     2. 아질산성질소
     3. 질산성질소
     4. 유리질소

     정답 : []
     정답률 : 45%

95. 혐기성 박테리아나 원생동물의 역할로 분해되어 발생하는 생성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6년 08월)
     1. H2S
     2. CH4
     3. NH3
     4. NO3

     정답 : []
     정답률 : 77%

96. 양식어류에 기생하는 백점충(Ichthyophthirius)을 구제하기 힘든 이유는?(2004년 08월)
     1. 백점충은 내장에 기생하기 때문이다.
     2. 백점충은 피하나 진피에 기생하기 때문이다.
     3. 지느러미의 기부에 기생하기 때문이다.
     4. 아가미의 상피조직에 기생하기 때문이다.

     정답 : []
     정답률 : 58%

97. 익티오포누스의 감염을 확인하기 위하여 관찰을 행하였다. 해당 질병임을 확인할 수 있는 관찰 대상으로 부적합한 것은?(2007년 08월)
     1. 다핵구상체
     2. 육아종
     3. 결절
     4. 증생

     정답 : []
     정답률 : 49%

98. 물이 및 닻벌레가 처음 번식하기 시작하는 수온은?(2003년 08월)
     1. 10℃이상
     2. 14℃이상
     3. 20℃이상
     4. 25℃이상

     정답 : []
     정답률 : 72%

99. 용해성 중금속 원소 측정용 시료를 채수한 병에 염산을 0.1N 정도 되게 가하는 이유는?(2002년 08월)
     1. 세균번식억제
     2. 중합방지
     3. 예비분해
     4. 용기내벽 유착방지

     정답 : []
     정답률 : 55%

100. 뱀장어에 유행하는 Edward 병의 유행시기는?(2006년 08월)
     1.
     2. 가을
     3. 여름
     4. 겨울

     정답 : []
     정답률 : 58%


정 답 지

수산양식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5일)(8489636)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수산양식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어류양식


1. 먹이연쇄 사육방법 중 블루길(bluegill)은 어떤 어종과 혼양하면 효과가 있는가?(2009년 07월)
     1. 초어
     2. 잉어
     3. 백련
     4. 베스

     정답 : []
     정답률 : 89%

2. 실뱀장어가 가장 많이 소상하는 시간대는?(2006년 08월)
     1. 간조시 일몰 후 2~3시간
     2. 만조시 일몰 후 2~3시간
     3. 조석에 관계없이 야간대
     4. 조석에 관계없이 주간대

     정답 : []
     정답률 : 100%

3. 다음 중 은어의 성육장으로 가장 좋은 지반은?(2003년 08월)
     1. 암초(岩礁)
     2. 자갈
     3. 사니질(砂泥質)
     4. 니질(泥質)

     정답 : []
     정답률 : 74%

4. 현재 뱀장어 종묘생산 시 종묘를 구하는 방법 중 주로 사용되는 것은?(2005년 08월)
     1. 바다에서 하천으로 소상하는 것을 채포 사용하는 방법
     2. 자연 채란에 의한 방법
     3. 인공 채란에 의한 방법
     4. 근도식 방법에 의한 채란 방법

     정답 : []
     정답률 : 89%

5. 하루 중에서 잉어가 주로 산란을 하는 시기는?(2007년 08월)
     1. 자정을 전후해서
     2. 새벽부터 오전 중에
     3. 오후에서 일몰 전에
     4. 일몰 후 초저녁에

     정답 : []
     정답률 : 89%

6. 넙치 알의 특성이 옳은 것은?(2015년 08월)
     1. 분리 부성란
     2. 응집성 부성란
     3. 분리 침성란
     4. 부착성 침성란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분리부성란 : 초어, 참돔, 넙치, 농어
[해설작성자 : 네마리의 고양이집]

7. 참돔 가두리 양식장의 적지조건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4년 08월)
     1. 해수의 유동이 좋은 수역
     2. 수온이 연중 10 ~ 15℃를 유지하는 수역
     3. 사료의 공급, 양성어의 출하 등이 편리한 곳
     4. 하천수의 유입에 의한 비중 변동이 없는 곳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적수온: 20~28℃, 15~19℃까지가 성장 범위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 다음 중 잉어 그물 가두리 양식을 위한 적지가 될수 없는 것은?(2006년 08월)
     1. 수심 2.5~3m 이하로 비교적 얕은 곳
     2. 수초(水草)가 많이 번식하지 않은 곳
     3. 사육관리에 무리가 없는 곳
     4. 빈영양인 효소

     정답 : []
     정답률 : 92%

9. 수중 영양 염류의 함량이 생산 증가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양식법은?(2015년 08월)
     1. 유수식 어류 양식
     2. 정수식 지중 양식
     3. 가두리 잉어 양식
     4. 순환여과식 뱀장어 양식

     정답 : []
     정답률 : 58%

10. 순환여과식 사육장치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2010년 07월)
     1. 사육조
     2. 침전조
     3. 생물 여과조
     4. 원영지

     정답 : []
     정답률 : 96%

11. 연어(salmon)치어가 하천에서 바다로 내려가는 시기는?(2002년 08월)
     1. 부화후 내려간다.
     2. 1년후에 내려간다.
     3. 2년후에 내려간다.
     4. 3년후에 내려간다.

     정답 : []
     정답률 : 85%

12. 틸라피아 양식의 산란습성 및 부화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6년 08월)
     1. 틸라피아는 산란기에는 못바닥에 산란구덩이를 파고 산란한다.
     2. 부화된 치어는 어미의 구강 내에서 10 ~ 15일간 머무른다.
     3. 암컷이 수컷보다 성장이 빠르다.
     4. 성숙기에 달한 암컷은 일반 해수지역에서는 산란이 억제된다.

     정답 : []
     정답률 : 75%

13. 동야산 잉어와 이스라엘 잉어의 교배에 의한 종의 개량으로 얻을 수 있는 주요한 장점은?(2005년 08월)
     1. 모양이 좋아 상품가치를 높인다.
     2. 맛이 좋은 품종이 된다.
     3. 병에 강하고 성장이 빨라서 생산성이 높다.
     4. 사료가 적게 들어 생산비가 절감된다.

     정답 : []
     정답률 : 82%

14. 양식업 종사자의 태도와 신념을 나타내는 내용의 영문이 아닌 것은?(2005년 08월)
     1. Work
     2. Wide
     3. Inspection
     4. Experience

     정답 : []
     정답률 : 88%

15. 그물가두리의 형태 중 고기의 활동에 가장 이상적인 형태는?(2002년 08월)
     1. 사각형 가두리
     2. 6각형 가두리
     3. 8각형 가두리
     4. 원형 가두리

     정답 : []
     정답률 : 91%

16. 무지개송어 친어의 성숙 검사주기를 설명한 내용 중 맞는 것은?(2009년 07월)
     1. 친어는 하루에 한번씩 검사
     2. 친어는 2~3주일에 한 번씩 검사
     3. 친어는 1주일에 한 번씩 검사
     4. 많은 수가 성숙하게 되면 과숙 방지를 위하여 2~3주에 두 번씩 검사

     정답 : []
     정답률 : 93%

17. 다음 중 어류 종묘생산을 위한 부화 시 주의사항과 관계가 가장 적은 것은?(2010년 07월)
     1. 용수(用水)
     2. 염분(鹽分)
     3. 광선(光線)
     4. 먹이(飼料)

     정답 : []
     정답률 : 80%

18. 활어 운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7월)
     1. 활어 운반시 어체에 스트레스를 주지 않도록 충격을 최소화 한다.
     2. 운반 용수의 온도는 생리 대사기능이 활발히 유지될 수 있도록 적정 온도로 유지한다.
     3. 좁은 용기에 고밀도로 수용하므로 산소 보충을 해야 한다.
     4. 운반시 어류의 대사 또는 체표 분비에 의한 오물은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제거한다.

     정답 : []
     정답률 : 92%

19. 어류의 축양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4년 08월)
     1. 축양은 생존율을 높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2. 가두리에서 축양할 수 있는 동물은 잉어, 송어, 메기, 은어, 방어, 돔 등이 있다.
     3. 축양은 살아있는 수산동물을 적절한 시설 안에서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일이다.
     4. 다량의 어류를 넣어 1 ~ 2일 이상의 축양를 위해서는 에어레이션 장치와 오물제거를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축양은 성장이 목적이 아니라 살아있는 수확물을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일로, 안전하고 건강하게 원래 상태로 유지시키는 일이 필요하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0. 무지개 송어의 수정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0년 07월)
     1. 광선에는 매우 약하다.
     2. 장거리 운반할 때에는 발안기 전에 운반해야 한다.
     3. 최적부화수온은 10℃ 전후이다.
     4. 약 10℃ 전후에서 16일이 지나면 발안기가 된다.

     정답 : []
     정답률 : 77%

2과목 : 무척추동물양식


21. 굴 채묘에 앞서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은?(2009년 07월)
     1. 채묘기 설치
     2. 수온조사
     3. 부착유생수 조사
     4. 부유유생수 조사

     정답 : []
     정답률 : 85%

22. 우리나라 연안에서 참굴의 전기채묘와 관련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8월)
     1. 전기채묘는 모두 단련종묘로 사용한다.
     2. 창원, 거제만 등이 대표적인 곳이다.
     3. 만내 수심이 비교적 깊은 곳에서 산란한다.
     4. 5월 하순부터 7월 중순 사이가 적당하다.

     정답 : []
     정답률 : 55%

23. 피조개의 발생 시 부유생활 기간은? (단, 수온 20℃ 내외)(2007년 08월)
     1. 1주
     2. 2주
     3. 3주
     4. 4주

     정답 : []
     정답률 : 86%

24. 간석지에서 조위망을 시설한 다음 그안에 종묘를 방양하여 양성하는 패류는?(2002년 08월)
     1. 말조개
     2. 전복
     3. 대합
     4. 바지락

     정답 : []
     정답률 : 82%

25. 전복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8월)
     1. 전복의 부유 유생 기간에는 먹이를 먹지 않는다.
     2. 전복의 먹이 효율은 크기가 작을수록 높다.
     3. 전복의 먹이 성장률은 녹조류,갈조류,홍조류의 순이다.
     4. 전복은 초식성이며 야행성 동물이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전복의 먹이 성장률의 갈조류-녹조류-홍조류 순이다.
[해설작성자 : 네마리의 고양이집]

26. 남해안산 문어의 성장에 가장 좋은 양성기간은?(2006년 08월)
     1. 3~4월
     2. 5~6월
     3. 7~8월
     4. 9~10월

     정답 : []
     정답률 : 52%

27. 다음 중 제방식 양성법으로 많이 양성하는 것은?(2010년 07월)
     1. 가리비
     2. 대하
     3. 백합
     4. 우렁쉥이

     정답 : []
     정답률 : 79%

28. 양식장에서 일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조위 시설을 해야하는 조개류는?(2003년 08월)
     1. 바지락
     2. 피조개
     3. 대합
     4. 키조개

     정답 : []
     정답률 : 79%

29. 꽃개 양성시에 정상적으로 먹이를 공급해야 하는 수온은?(2005년 08월)
     1. 9℃
     2. 12℃
     3. 15℃
     4. 18℃

     정답 : []
     정답률 : 44%

30. 바지락의 채묘에 가장 적합한 방법은?(2009년 07월)
     1. 침설식
     2. 고정 수하식
     3. 완류식
     4. 로프식

     정답 : []
     정답률 : 87%

31. 수온과 해삼의 관계를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2014년 08월)
     1. 수온과 소화관의 발달은 관계없다.
     2. 수온이 낮아지면 해삼의 재생력은 감소한다.
     3. 수온이 낮아지면 해삼의 소화관은 발달한다.
     4. 수온이 높아지면 해삼의 먹이 섭취율은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해삼은 수온이 낮을 때는 식욕이 왕성하고 운동성도 높은 편이나 수온이 16℃ 이상되면 소화관이 위축되면서 여름잠을 잔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2. 다음 중 어린 전복의 먹이로 배양하기에 가장 적합한 종류는?(2010년 07월)
     1. Chaetoceros sp.
     2. Skeletonema sp.
     3. Navicula sp.
     4. Artemia

     정답 : []
     정답률 : 66%

33. 우리나라산 참가리비의 부유유생이 주로 많이 나타나는 시기는?(2004년 08월)
     1. 12∼2월
     2. 3∼5월
     3. 6∼8월
     4. 9∼11월

     정답 : []
     정답률 : 38%

34. 다음 중 전복의 산란 자극 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2014년 08월)
     1. 음건자극
     2. 담수주입자극
     3. 뇌하수체 호르몬 주사
     4. 자외선 조사해수 자극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전복 산란유발 방법으로는 수온자극, 간출자극 및 자외선 조사 해수자극이 사용되고 있는데, 현재 가장 많이 효과적인 방법으로는 간출과 자외선 조사 해수자극을 병행한 것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5.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다음 굴 중 염분 농도가 비교적 높고 수심이 가장 깊은 곳에 서식하는 종은?(2003년 08월)
     1. 참굴
     2. 강굴
     3. 털굴
     4. 벗굴

     정답 : []
     정답률 : 80%

36. 우리나라 산(産) 말똥성게의 주 산란기는?(2003년 08월)
     1. 1∼3 월
     2. 4∼5 월
     3. 6∼7 월
     4. 9∼10 월

     정답 : []
     정답률 : 49%

37. 다음 중 대합의 이동이 가장 심한 경우는?(2016년 08월)
     1. 수온이 높은 시기와 유속이 빠른 때
     2. 다 큰 성패와 해수비중이 낮을 때
     3. 조금 물때와 먹이가 적을 때
     4. 투명도가 작을 때와 영양염류가 많을 때

     정답 : []
     정답률 : 66%

38. 대합의 종묘로 천연적으로 발생한 것을 주로 이용하는 경우 그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0년 07월)
     1. 산란자극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2. 성숙한 어미라도 암수구별이 힘들기 때문이다.
     3. 채묘하는 방법이 특이하기 때문이다.
     4. 난핵포가 소실한 다음 수정하기 때문이다.

     정답 : []
     정답률 : 69%

39. 간석지에서 조위망을 시설한 다음 그 안에 종묘를 방양하여 양성하는 패류는?(2004년 08월)
     1. 말조개
     2. 전복
     3. 대합
     4. 바지락

     정답 : []
     정답률 : 69%

40. 다음 고막(Anadara)류 중 수심이 제일 깊은 곳에서 서식하는 종류는?(2014년 08월)
     1. 고막
     2. 새고막
     3. 피조개
     4. 큰이랑피조개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서식장 수심
- 꼬막: 가장 천새성으로 조간대에 서식
- 새꼬막: 조간대로부터 10m에 서식(1~5m에 주로 서식)
- 피조개: 간조선으로부터 50m에 분포(2~20m에 주로 서식)
- 큰이랑피조개: 수m~30m에 서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과목 : 해조류양식


41. 김 사상체의 병해 중 황반병 발생의 직접적인 원인은?(2010년 07월)
     1. 배양장의 나쁜 시설이 원인이 되어 발생한다.
     2. 탄산칼슘이 조개껍질의 표면에 침착하여 발생한다.
     3. 호염성 세균에 의해서 발생한다.
     4. 광선과 온도의 불균형이 원인이 되어 영양부족으로 발생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42. 다음 중 김의 종묘생산에서 유리사상체의 배양시 가장 좋은 조건은?(2006년 08월)
     1. 수온 18~25℃, 일조시간 13~14시간/1일
     2. 수온 15~20℃, 일조시간 8~10시간/1일
     3. 수온 18~25℃, 일조시간 8~10시간/1일
     4. 수온 15~20℃, 일조시간 13~14시간/1일

     정답 : []
     정답률 : 53%

43. 김 재묘작업이 끝난 후 발을 발아층으로 올리는 것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6년 08월)
     1. 발아층은 4~5시간 노출선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2. 발올리기 시기를 늦추면 해적생물이 붙을 염려가 있다.
     3. 해적생물이 많은 곳인 3일 후, 그렇지 않은 곳은 5~7일 후에 올려준다.
     4. 이 때 해적생물은 주로 따개비, 굴 등 부착패류이다/

     정답 : []
     정답률 : 64%

44. 돌김의 생산량 증대와 채취를 쉽게 하기위한 가장 좋은 환경개선 방법은?(2002년 08월)
     1. 객토
     2. 바닥고르기
     3. 콘크리이트 바르기
     4. 해저암초폭파

     정답 : []
     정답률 : 59%

45. 다음 중 공장폐수 등의 영향이 있는 곳에서 많이 나타나고 이 병으로 수확감소와 품질저하가 생기는 갯병은?(2006년 08월)
     1. 염증병
     2. 흰갯병
     3. 쪼그랑병
     4. 붉은 갯병

     정답 : []
     정답률 : 48%

46. 미역의 인공 채묘의 최적 수온은?(2005년 08월)
     1. 14 ~ 22℃
     2. 17 ~ 20℃
     3. 20 ~ 22℃
     4. 14 ~ 17℃

     정답 : []
     정답률 : 58%

47. 다음 중 각포자 방출 촉진법은?(2006년 08월)
     1. 100% 습도처리
     2. 고비중처리
     3. 연속염기처리
     4. 저온처리

     정답 : []
     정답률 : 50%

48. 다음 중에서 세대교번을 하지 않는 종류는?(2015년 08월)
     1. 홑파래
     2. 청각
     3. 미역
     4.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갈조류: 모자반
녹조류: 청각
[해설작성자 : 네마리의 고양이집]

49. 다음 중에서 세대교번을 하지 않는 종류는?(2009년 07월)
     1. 청각
     2. 홑파래
     3. 미역
     4.

     정답 : []
     정답률 : 74%

50. 갯녹음(백화)현상은 연안에서 해조밭을 이루는 해조류가 쇠퇴하는 대신 어떤 종류의 생물이 증가하는 것을 말하는가?(2009년 07월)
     1. 남조류
     2. 잘피류
     3. 와편모조류
     4. 무절석회조류

     정답 : []
     정답률 : 79%

51. 감자성제의 닭살병의 주된 원인은?(2006년 08월)
     1. 배수 중의 영양영 부족
     2. 탄산칼슘의 침착
     3. 호염성 세균감염
     4. 규조류의 부착

     정답 : []
     정답률 : 64%

52. 김의 생활사 중에서 여름김(夏苔)으로서도 여름을 지나는 종류는?(2002년 08월)
     1. 참김
     2. 방사무늬김
     3. 둥근김
     4. 긴잎돌김

     정답 : []
     정답률 : 57%

53. 미역 양식 관리 중 수심 조절로 올바른 것은?(2016년 08월)
     1. 규조류가 많은 곳은 수심 30 ~ 40cm 정도에 시설한다.
     2. 생장이 늦어지면 3 ~ 4m 깊이에 시설한다.
     3. 12월에 수심을 1 ~ 1.5m로 유지한다.
     4. 2월 이후에는 해수 표면에 유지한다.

     정답 : []
     정답률 : 49%

54. 김의 회전식 채묘를 할 때 물레의 회전속도는 얼마가 가장 적당한가?(2004년 08월)
     1. 5 회전/분
     2. 10 회전/분
     3. 20 회전/분
     4. 60 회전/분

     정답 : []
     정답률 : 49%

55. 다음 중 미역의 유주자 방출 시기로 가장 알맞은 것은?(2010년 07월)
     1. 1~3월
     2. 4~6월
     3. 7~9월
     4. 10~12월

     정답 : []
     정답률 : 41%

56. 다음 김 병해 중 생리적 갯병인 것은?(2004년 08월)
     1. 붉은갯병
     2. 구멍갯병
     3. 암종병
     4. 녹반병

     정답 : []
     정답률 : 54%

57. 일반적으로 미역의 본이식 시기는?(2009년 07월)
     1. 가이식 후 5㎜이하일 때
     2. 가이식 후 5~10㎜ 로 성장했을 때
     3. 가이식 후 15~20㎜로 성장했을 때
     4. 가이식 후 30~50㎜로 성장했을 때

     정답 : []
     정답률 : 64%

58. 냉장발의 입고시 가장 알맞은 김의 함수율은?(2007년 08월)
     1. 20~40%
     2. 40~60%
     3. 12~14%
     4. 4~6%

     정답 : []
     정답률 : 70%

59. 다음 중 김발에 붙기 시작할 때 발을 저노출선에 며칠간 고정시켜 주면 고제되는 김의 해적생물은?(2007년 08월)
     1. 따개비
     2. 규조류
     3. 파래류
     4. 매생이

     정답 : []
     정답률 : 64%

60. 미역의 포자엽 고르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6년 08월)
     1. 가급적 크고 두꺼운 것이 좋다.
     2. 다갈색이나 흑갈색이면서 가장자리의 색깔이 짙은 것이 좋다.
     3. 포자엽이 황갈색이고 단단하며 점액이 적은 것이 좋다.
     4. 심한 풍파가 있었던 직후의 포자엽은 좋지 않다.

     정답 : []
     정답률 : 68%

4과목 : 수산생물


61. 해조류의 보상점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2007년 08월)
     1. 광합성량 ≥ 호흡량
     2. 광합성량 > 호흡량
     3. 광합성량 < 호흡량
     4. 광합성량 = 호흡량

     정답 : []
     정답률 : 68%

62. 다음 중 비점착 침성란을 산란하는 어류는?(2010년 07월)
     1. 멸치
     2. 은어
     3. 넙치
     4. 송어

     정답 : []
     정답률 : 39%

63. 다음 수산 생물 중에서 광염성 생물은?(2015년 08월)
     1. 오징어
     2. 망둥어
     3. 우뭇가사리
     4. 가리비

     정답 : []
     정답률 : 61%

64. 우뭇가사리(Gelidium amansii)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4년 08월)
     1. 다년생이다.
     2. 사분포자 또는 과포자를 형성한다.
     3. 난류성이다.
     4. 세대교번을 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우뭇가사리는 동형세대교번을 하는 다년생 해조류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5. 생태계(Ecosystem)의 3가지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2005년 08월)
     1. 생산자
     2. 소비자
     3. 부식자
     4. 분해자

     정답 : []
     정답률 : 82%

66. 수중의 먹이연쇄에 관한 다음의 설명 중 가장 올바른 내용은?(2002년 08월)
     1. 먹이연쇄의 마지막단게에 가까울수록 단위 개체의 크기가 커지고 개체수는 적어진다.
     2. 일반적으로 먹이연쇄의 계급수는 2로써 많다고 하더라도 3을 넘지 않는다.
     3. 먹이연쇄의 마지막단계에 가까울수록 운동성이 커지면 에너지소비는 적어진다.
     4. 먹이연쇄의 초기단계에서는 운동성이 약하나 에너지 소비는 많은 편이다.

     정답 : []
     정답률 : 72%

67. 해조류 중 미역의 수평분포에 있어서 북한계 겨울철 수온은?(2009년 07월)
     1. 2℃
     2. 6℃
     3. 10℃
     4. 14℃

     정답 : []
     정답률 : 39%

68. 일반적인 해조류의 주된 영양소 흡수기관은?(2014년 08월)
     1. 뿌리
     2. 줄기
     3. 몸 표면 전체
     4. 뿌리와 줄기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해조류는 완전히 물속에 잠겨 생활하기 때문에 몸의 표면에서 영양분을 흡수하는 한편 동화작용, 호흡작용도 몸의 표면에서 이뤄진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9. 우뭇가사리의 생태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8월)
     1. 포복지에 의한 번식
     2. 유주자 방출
     3. 재생력
     4. 사분포자 방출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우뭇가사리의 번식
- 과포자, 사분포자에 의한 번식
- 포복지 재생력에 의한 영양번식에 의한 증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0. 식물 플랑크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8월)
     1. 식물 플랑크톤 중 먹이생물로 중요한 종류는 규조류와 황갈편조류이다.
     2. 규조류와 황갈편조류는 일반적으로 연안역이나 용승해역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3. 미세 플랑크톤은 1차 생산력의 80% 이상을 차지한다.
     4. 미세 플랑크톤에는 부유성 균류와 부유성 원생동물의 일부가 포함된다.

     정답 : []
     정답률 : 65%

71. 원양성 해저퇴적물 중 생물기원 퇴적물로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2006년 08월)
     1. 역족류 연니
     2. 방산충 연니
     3. 유공충 연니
     4. 요각류 연니

     정답 : []
     정답률 : 63%

72. 삼어류를 형태상 구분하고자 할 때 그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8월)
     1. 뒷지느러미
     2. 아가미의 구멍수
     3. 이빨
     4. 호흡방법

     정답 : []
     정답률 : 55%

73. 다음 중 가장 유독한 적조생물은?(2014년 08월)
     1. Peridinium sp.
     2. Chaetoceros sp.
     3. Gymnodinium sp.
     4. Skeletonema sp.

     정답 : []
     정답률 : 80%

74. 다음 중 유생의 부유생활 기간이 가장 짧은 것은?(2007년 08월)
     1. 피조개
     2. 가리비
     3. 새고막
     4. 전복

     정답 : []
     정답률 : 50%

75. POM이란?(2005년 08월)
     1. 용존산소량
     2. 용존유기탄소량
     3. 입자성 유기물질
     4. 용존유기물질

     정답 : []
     정답률 : 66%

76. 아가미 호흡과 함께 보조적 수단으로 창자 호흡을 하는 종류는?(2004년 08월)
     1. 뱀장어
     2. 가물치
     3. 미꾸라지
     4. 망둑어

     정답 : []
     정답률 : 48%

77. 일반적으로 동물성 플랑크톤의 일주기 수직이동에 관한 설명이 옳은 것은?(2009년 07월)
     1. 낮에는 표층해면으로, 밤에는 중.심층으로 수직이동 한다.
     2. 밤에는 표층해면으로, 낮에는 중.심층으로 수직이동 한다.
     3. 상, 하층의 수직이동을 하지 않고 일정 수층에 머문다.
     4. 밤, 낮의 수직이동이 일정치 않고, 하고 싶을 때 자유롭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78. 다음 중 적조 발생 방지 대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8월)
     1. 준설
     2. 해조류 양식
     3. 양식장 휴식년제
     4. 치어의 방류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적조발생 방지대책
- 과도한 부영양의 해소: 질소, 인 부하규제와 유기오염물의 제거를 해야 한다
- 자극물질의 제거: 유기물 중금속 등을 제거하고 수질, 저질의 정화를 해야 한다
- 천해매립의 제한: 매립에 의한 정체수역의 출현, 공사에 동반된 저니교반에 의한 재용출, 새로운 부하의 유입 등의 방지 노력이 필요
- 양식품종의 전환: 전복, 해조류 등 적조에 강한 품종으로 변경한다
- 어장환경개선: 어장퇴적물을 준설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9. 다음 해조류 중 알긴산을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은?(2007년 08월)
     1. 비단풀
     2. 다시마
     3. 채찍말
     4. 보리털

     정답 : []
     정답률 : 77%

80. 수산생물의 분포를 지배하는 요인이 아닌 것은?(2015년 08월)
     1. 수온 및 염분
     2. 해류 및 심도
     3. 발생시기의 차이
     4. 먹이의 질과 양

     정답 : []
     정답률 : 70%

81. 참굴의 유생부착시기에 부착생물인 따개비 및 진주담치가 동시에 부착하였을 때 구제법으로 올바른 것은?(2016년 08월)
     1. 채묘기를 수면쪽으로 올려준다.
     2. 채묘기를 육상에 일정시간 노출시킨다.
     3. 채묘기를 육상으로 올려 담수약욕 처리한다.
     4. 채묘기를 육상으로 올려 따개비 및 진주담치 유생을 떼어낸다.

     정답 : []
     정답률 : 55%

82. 다음 중 수중의 암모니아 측정에 이용하는 방법은?(2014년 08월)
     1. 이온전극법
     2. 비탁법
     3. 중량분석법
     4. 불꽃광도법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이온전극법: 시료 중의 분석대상이온의 농도(이온활량)에 감응하여 비교전극과 이온전극 간에 나타나는 전위차를 이용하여 목적이온의 농도를 정량하는 방법으로서 시료 중 음이온 및 양이온의 분석에 이용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3. 시안화물 측정용 시류수를 사장에 의하여 채수 다음날 분석을 하고자 한다. 시료수에 어떤 처리를 해두는 것이 좋은가?(2005년 08월)
     1. 수산화나트륨으로 pH를 12로 해둔다.
     2. 염산으로 pH를 1로 한다.
     3. 완출제로 pH를 7~8로 한다.
     4. 포르말린으로 미생물을 제거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84. 채수시 물과 공기의 접촉을 피해야 하는 측정 항목은?(2014년 08월)
     1. 용존산소
     2. 화학적 산소 소비량
     3. 수소이온 농도
     4. 암모니아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용존산소 측정방법: 시료의 채수
- 공기와 접촉 방지 필요
- 교란 방지
- 압력, 온도변화 방지
- 기포 함유 방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5. 다음 중 Aeromonas균이 아닌 다른 세균(細菌)에 의하여 발병되는 병명은?(2010년 07월)
     1. 솔발울병
     2. 잉어 적반병
     3. 뱀장어 적점병
     4. 송어 절창병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적점병은 슈도모나스 앙길리셉티카(Pseudomonas Anguilliseptica)
[해설작성자 : 도리콩]

86. 윙클러법으로 용존산소량을 측정할 때 전분지시약을 가하면 용액은 어떤 색깔로 되는가?(2003년 08월)
     1. 청색
     2. 황색
     3. 적색
     4. 녹색

     정답 : []
     정답률 : 60%

87. BOD 3㎎/ℓ , 유량 5 m3/sec인 하천에 유량 6000m3/day BOD 800㎎/ℓ 인 공장 폐수를 방류하려고 할때 이 하천의 BOD를 5㎎/ℓ 이하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공장폐수를 몇 % 이상 제거시켜야 하는가?(2004년 08월)
     1. 약 81%
     2. 약 78%
     3. 약 75%
     4. 약 73%

     정답 : []
     정답률 : 46%

88. 가정에서 수돗물을 받아 가정용 수조에 즉시 사용할 경우 수돗물 소독약인 클로로칼키를 중화시키는데 사용하는 약품명은?(2010년 07월)
     1. Furan 제
     2. Sulfa 제
     3. Mineral 제
     4. Hypo 제

     정답 : []
     정답률 : 64%

89. 굴의 생식소에 흡충이 기생되면 굴은 어떤 색을 띠게 되는가?(2003년 08월)
     1. 유백색
     2. 청록색
     3. 황갈색
     4. 암청색

     정답 : []
     정답률 : 62%

90. 비중계로써 염분 농도를 측정할 때 필수적인 기구가 아닌것은?(2002년 08월)
     1. 뷰렛
     2. 수온계
     3. 실린더
     4. 비중계

     정답 : []
     정답률 : 64%

91. 포르말린을 양어지에 살포했을 때, 잔류효과에 대한 설명 중 옳지 못한 것은?(2005년 08월)
     1. 맑은 물에서는 장시간 잔류된다.
     2. 환수시키지 않았을 때 포르말린의 성분이 소실되는데는 5 ~15일이나 소요된다.
     3. 횐수시켰을 때 어체내의 잔류는 2~3일만에 제거된다.
     4. 일반적으로 식물성 부유생물이 적으면 많은 것보다 빨리 소실된다.

     정답 : []
     정답률 : 70%

92. 뱀장어의 비타민 B1 결핍증은?(2004년 08월)
     1. 체색명화, 신경이상, 아가미출혈
     2. 체색암화, 유영이상, 지느러미출혈
     3. 새엽의 곤봉화, 피부의 손상, 위의 팽창
     4. 복부수종, 안구돌출, 운동력실조

     정답 : []
     정답률 : 45%

93. 해수에서 염소량으로부터 총 염분량을 계산하는 식은?(2006년 08월)
     1. S %(염분량) = 0.80655 × Cl %(염소량)
     2. S %(염분량) = 1.80655 × Cl %(염소량)
     3. S %(염분량) = 0.03 × Cl %(염소량)
     4. S %(염분량) = 1.03 × Cl %(염소량)

     정답 : []
     정답률 : 69%

94. 유기오염도의 바로미터로 취급되면 자연수계에 다량 함유될 대는 플랑크톤의 이상발생을 유기할 수 있고, 그 자체로서는 독성을 갖지 않으나 오염지표 물질로서 중요한 것은?(2005년 08월)
     1. 암모니아성 질소
     2. 아질산성질소
     3. 질산성질소
     4. 유리질소

     정답 : []
     정답률 : 45%

95. 혐기성 박테리아나 원생동물의 역할로 분해되어 발생하는 생성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6년 08월)
     1. H2S
     2. CH4
     3. NH3
     4. NO3

     정답 : []
     정답률 : 77%

96. 양식어류에 기생하는 백점충(Ichthyophthirius)을 구제하기 힘든 이유는?(2004년 08월)
     1. 백점충은 내장에 기생하기 때문이다.
     2. 백점충은 피하나 진피에 기생하기 때문이다.
     3. 지느러미의 기부에 기생하기 때문이다.
     4. 아가미의 상피조직에 기생하기 때문이다.

     정답 : []
     정답률 : 58%

97. 익티오포누스의 감염을 확인하기 위하여 관찰을 행하였다. 해당 질병임을 확인할 수 있는 관찰 대상으로 부적합한 것은?(2007년 08월)
     1. 다핵구상체
     2. 육아종
     3. 결절
     4. 증생

     정답 : []
     정답률 : 49%

98. 물이 및 닻벌레가 처음 번식하기 시작하는 수온은?(2003년 08월)
     1. 10℃이상
     2. 14℃이상
     3. 20℃이상
     4. 25℃이상

     정답 : []
     정답률 : 72%

99. 용해성 중금속 원소 측정용 시료를 채수한 병에 염산을 0.1N 정도 되게 가하는 이유는?(2002년 08월)
     1. 세균번식억제
     2. 중합방지
     3. 예비분해
     4. 용기내벽 유착방지

     정답 : []
     정답률 : 55%

100. 뱀장어에 유행하는 Edward 병의 유행시기는?(2006년 08월)
     1.
     2. 가을
     3. 여름
     4. 겨울

     정답 : []
     정답률 : 58%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수산양식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5일)(8489636)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333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2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5 3
» 수산양식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5일)(8489636) 좋은아빠되기 2025.11.25 2
7331 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3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5 3
7330 수질환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7월2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5 3
7329 9급 국가직 공무원 재난관리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7월1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5 3
7328 식물보호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9월2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5 3
7327 수능(생활과윤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9월0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5 2
7326 가스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10월06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5 2
7325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조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5일)(2200487) 좋은아빠되기 2025.11.25 3
7324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10월10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5 3
7323 배관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5일)(3744865) 좋은아빠되기 2025.11.25 2
7322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3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5 5
7321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8월2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5 3
7320 청소년상담사 2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10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5 3
7319 정보기기운용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4월03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5 2
7318 비서 3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5일)(3905542) 좋은아빠되기 2025.11.25 4
7317 전파전자통신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3월11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7316 소방공무원(경력) 소방관계법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10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5 4
7315 위험물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7월2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5 2
7314 정보통신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9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5 5
Board Pagination Prev 1 ...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 600 Next
/ 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