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산업안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5일)(3400256)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산업안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산업안전관리론


1. 작업에 수반되는 피로의 예방과 대책으로서의 수단이 아닌 것은?(2002년 08월)
     1. 작업부하를 크게 할 것
     2. 정적 동작을 피할 것
     3. 작업정도를 적절하게 할 것
     4. 운동시간을 적당히 할 것

     정답 : []
     정답률 : 94%
     <문제 해설>
작업부하를 크게 할시에는 피로도가 더 커집니다.
[해설작성자 : 다들고생많으시네요]

2. 도수율 4이고 연 근로시간 12000000시간이라면 몇 건의 재해가 발생하였는가?(2002년 05월)
     1. 4.8
     2. 48
     3. 480
     4. 0.48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도수율/1000000=X/12000000
X=48

3. 방독 마스크 정화통 내의 정화제에 의해 흡인공기중의 유해물질이 거의 정상적으로 흡수제거 또는 무독화 된후, 정화제의 제독능력이 떨어졌기 때문에 정화통의 배기공기에서의 유해물질 농도가 최대 허용한도를 넘게되는 현상은?(2002년 08월)
     1. 격리
     2. 정화
     3. 유량
     4. 파과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파과뜻은 정화통 내부의 흡착제가 포화상태가 되어 흡착능력을 상실한 상태를 말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파과"는 정화통의 배기공기에서 유해물질이 허용한도를 넘게 되는 현상을 나타내는 용어로 사용됩니다.
[해설작성자 : 합격해서화이팅~!]

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근로자 안전보건교육 대상과 교육시간으로 옳은 것은?(2023년 08월 08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2020년 08월)
     1. 정기교육인 경우 : 사무직 종사근로자 – 매반기 6시간 이상
     2. 정기교육인 경우 : 관리감독자 지위에 있는 사람 – 연간 10시간 이상
     3. 채용 시 교육인 경우 : 일용근로자 – 4시간 이상
     4. 작업내용 변경 시 교육인 경우 : 일용근로자를 제외한 근로자 – 1시간 이상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정기교육ㅡ1. 사무직 종사 근로자 ㅡ매반기 6시간
정기교육ㅡ2. 관리감독자 ㅡ 연간 16시간
채용시 교육인 경우ㅡ3.일용직 근로자 및 근로계약기간이 1주일 이하인
                                 기간제 근로자 ㅡ 1시간 이상
                                 근로 계약이 1주일 초과 1개월 이하인
                                 기간제 근로자ㅡ4시간이상
                                 그 밖의 근로자ㅡ8시간이상
작업내용 변경시 교육인 경우4.일용근로자 제외한 근로자 ㅡ2시간
                                             일용근로자 및 근로계약기각이 1주일 이하인
                                             기간제 근로자 ㅡ1시간이상
                                             그 밖의 근로자ㅡ2시간이상
[해설작성자 : 꼭 합격하지ㅡ]

5. 다음 중 피로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2006년 08월)
     1. 주관적 피로
     2. 객관적 피로
     3. 생리적 피로
     4. 환경적 피로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피로의 종류에는 주관적 - 권태감 불안 초조
                                객관적 - 작업량 생산된품질 주의산만 의욕상실
                                생리적 - 생체적요소 (수면)
[해설작성자 : 김개리]

6. 다음 중 맥그리거(McGregor)의 X・Y이론에서 Y이론의 관리처방에 해당하는 것은?(2013년 08월)
     1. 분권화의 권한의 위임
     2. 경제적 보상체제의 강화
     3. 권위주의적 리더십의 확립
     4. 면밀한 감독과 엄격한 통제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X이론(독재적 리더십)
-권위주의적 리더십의 확보
-경제적 보상체계의 강화
-세밀한 감독과 엄격한 통제
-상부책임제도의 강화(경영자의 간섭)
-설득, 보상, 벌, 통제의 의한 관리
Y이론(민주적 리더십)
-분권화와 권한의 위임
-민주적 리더십의 확립
-직무확장
-비공식적 조직의 활용
-목표에 의한 관리
-자체 평가제도의 활성화
-조직목표다렁을 위한 자율적인 통제
[해설작성자 : Vante]

7. 다음 중 산업심리의 5대 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9년 04월)
     1. 적성
     2. 감정
     3. 기질
     4. 동기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기질, 동기, 습관, 습성, 감정
[해설작성자 : 유카타]

'기습감동' 으로 외웁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 안전교육 과정 중 "할 수 있다"라는 즉 피교육자가 그것을 스스로 행함으로서만 얻어지는 교육내용에 해당하는 것은?(2002년 03월)
     1. 안전지식의 교육
     2. 안전의식의 교육
     3. 안전태도의 교육
     4. 안전기능 교육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제1단계(지식교육) : 강의 및 시청각 교육 등을 통하여 지식을 전달하는 단계
제2단계(기능교육) : 시범, 견학, 현장실습 교육 등을 통하여 경험을 체득하는 단계
제3단계(태도교육) : 작업 동작 지도 등을 통하여 안전 행동을 습관화 하는 단계
[해설작성자 : 뇌에 저장]

9. 산업안전보건법상 사업 내 안전∙보건교육 중 채용시의 교육 및 작업내용 변경시의 교육 내용에 해당하는 것은?(2011년 03월)
     1.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사항
     2. 건강증진 및 질병 예방에 관한 사항
     3. 유해∙위험 작업환경 관리에 관한 사항
     4. 표준안전작업방법 및 지도 요령에 관한 사항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채용시, 작업내용 변경시의 교육
1. 기계,기구의 위험성과 작업순서 및 동선
2. 정리정돈 및 청소
3. 사고발생시 긴급조치
4. 작업개시 전 점검사항
5. 사고발생시 긴급조치
6. 물질안전보건자료
7. (공통)법, 직업병
[해설작성자 : 탱이]

10. 무재해 운동의 추진을 위한 3요소에 속하지 않 는 것은?(2003년 05월)
     1. 작업조건의 기술적 개선
     2. 톱(top)의 엄격한 안전경영자세
     3. 안전활동의 라인(Line)화
     4. 직장 자주안전활동의 활성화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무재해운동의 3요소
1.최고 경영자의 엄격한 안전경영 자세
2.직장 자주 활동의 활성화
3.라인화의 철져
[해설작성자 : 에스빠따]

11. 안전교육에서 3가지 기본교육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6년 05월)
     1. 안전지식교육
     2. 안전기능교육
     3. 안전태도교육
     4. 안전실시교육

     정답 : []
     정답률 : 80%

12. 무재해 운동의 3대 원칙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6년 08월)
     1. 사람이 죽거나 다쳐서 일을 못하게 되는 일 및 모든 잠재요소를 제거한다.
     2. 잠재위험요인을 발굴·제거로 안전 확보 및 사고를 예방한다.
     3. 작업환경을 개선하고 이상을 발견하면 정비 및 수리를 통해 사고를 예방한다.
     4. 무재해를 지향하고 안전과 건강을 선취하기 위해 전원 참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무의원칙
2선취해결의원칙
3참가의원칙
[해설작성자 : 비귀]

[관리자 입니다.
2024년부터 무재해 운동 및 위험예지훈련이 시험범위에서 제외되었습니다.
참고 문제로만 이용 부탁 드립니다.]

13. 다음 중 알더퍼(Alderfer)의 ERG 이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0년 07월)
     1. 생존 욕구
     2. 관계 욕구
     3. 안전 욕구
     4. 성장 욕구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알더퍼의 E.R.G 이론
E(existence)생존의욕구
R(relatedness)관계의욕구
G(growth)성장의욕구

생존하기 위해 관계를 맺고 성장한다. 로 외우시면 편합니다
[해설작성자 : 김행복]

14. 다음 중 방진마스크 선택시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2012년 08월)
     1. 포집율이 좋아야 한다.
     2. 흡기저항 상승률이 높아야 한다.
     3. 시야가 넓을수록 좋다.
     4. 안면부에 밀착성이 좋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흡기저항 상승률이 높으면 숨을 어찌 쉴까요?
[해설작성자 : 여누찡]

15. 안전관리 조직의 유형 중 참모식 조직의 특성이 아닌 것은?(2006년 08월)
     1. 모든 명령은 생산계통을 따라 이루어진다.
     2. 100명 이상의 사업장에 적합하다.
     3. 안전업무가 전담기능에 의하여 수행되므로 발전적이다.
     4. 라인식 조직보다 비경제적인 조직이며 안전기술 축적이 용이하다.

     정답 : []
     정답률 : 52%

16. 다음 [그림]과 같은 착시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2009년 03월)

    

     1. 동화착오
     2. 분할착오
     3. 윤곽착오
     4. 방향착오

     정답 : []
     정답률 : 80%

17. AE 와 ABE형의 안전모의 내수성 시험은 모체를 20~25℃의 수중에 24시간 담가놓은 후 대기중에 꺼내어 수분을 제거한 무게 증가율이 얼마일 때 합격하는가?(2006년 03월)
     1. 1%미만
     2. 2%이하
     3. 2.5%미만
     4. 3%이하

     정답 : []
     정답률 : 45%

18. 다음 중 재해예방의 4원칙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1년 08월)
     1. 예방가능의 원칙
     2. 원인계기(연계)의 원칙
     3. 대책선정의 원칙
     4. 현장보존의 원칙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해설에 실수가 있는 거 같습니다

예방가능 원칙
손실우연 원칙
대책선정 원칙
원인연계 원칙
[해설작성자 : 창폴]

19. 매슬로우(Maslow)의 욕구 5단계 이론 중 2단계의 욕구에 해당하는 것은?(2008년 07월)
     1. 안전 욕구
     2. 사회적 욕구
     3. 존경의 욕구
     4. 자아 실현의 욕구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매슬로우 5단계 욕구
1단계 : 생리적 욕구
2단계 : 안전의 욕구
3단계 : 애정과 소속의 욕구
4단계 : 존경의 욕구
5단계 : 자아실현의 욕구
[해설작성자 : 알아서 머하겤]

20. 리더쉽의 권한 중 목표 달성을 위하여 부하 직원들이 상사를 존경하여 상사와 함께 일하고자 할 때 상사에게 부여되는 권한을 무엇이라 하는가?(2007년 03월)
     1. 보상적 권한
     2. 강압적 권한
     3. 합법적 권한
     4. 위임된 권한

     정답 : []
     정답률 : 65%

2과목 :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21. 3개 이상의 입력현상 중 언젠가 2개가 일어나면 출력이 생기는 결함수에 이용되는 게이트는?(2003년 08월)
     1. 우선적 AND게이트
     2. 조합 AND게이트
     3. 위험지속기호
     4. 배타적 OR게이트

     정답 : []
     정답률 : 57%

22. 다음 중 작업설계를 함에 있어서 작업만족도를 얻기 위한 수단으로 볼 수 없는 것은?(2010년 03월)
     1. 작업 순환
     2. 작업 분석
     3. 작업 윤택화
     4. 작업 확대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작업만족도를 얻기위한 수단 4가지. 정답률이 낮은 이유는 확대하신분 많을겁니다, 답은
1.순환 2.윤택화 3.확대 4.만족도 입니다

23. 인체의 피부와 허파로 부터 하루에 600g의 수분이 증발된다면 이러한 증발로 인한 열손실율은 몇 와트(Watt)나 되겠는가? (단, 물 1g을 증발시키는데 필요한 에너지는 2410 J/g 이다.)(2004년 09월)
     1. 약 15 Watt
     2. 약 17 Watt
     3. 약 19 Watt
     4. 약 21 Watt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1w = 1j/s
증발한 전체열량/걸린 시간
(600x2410)/(24x60x60)=16.736111

약 17watt 가 나온다
[해설작성자 : 다옴직업학교 특수용접8기]

24. 다음 중 한 장소에 앉아서 수행하는 작업활동에 있어서의 작업에 사용하는 공간을 무엇이라 하는가?(2012년 05월)
     1. 작업공간 포락면
     2. 정상작업 포락면
     3. 작업공간 파악한계
     4. 정상작업 파악한계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작업공간 포락면: 한 장소에 앉아서 수행하는 작업 활동에서, 사람이 작업하는데 사용하는 공간
[해설작성자 : 손지희]


25. 인간의 눈은 모든 빛을 동일하게 받아들이는 것 같아 보이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다음 중 인식범위가 가장 넓은 색상은?(2003년 05월)
     1. 백색
     2. 청색
     3. 적색
     4. 녹색

     정답 : []
     정답률 : 60%

26. 동전던지기에서 앞면이 나올 확률 P(앞)=0.9 이고, 뒷면이 나올 확률 P(뒤)=0.1 일 때, 앞면과 뒷면이 나올 사건 각각의 정보량은?(2015년 05월)
     1. 앞면 : 0.10bit, 뒷면 : 3.32bit
     2. 앞면 : 0.15bit, 뒷면 : 3.32bit
     3. 앞면 : 0.10bit, 뒷면 : 3.52bit
     4. 앞면 : 0.15bit, 뒷면 : 3.52bit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앞면 log(1-0.9)/log2
뒷면 log(1-0.1)/log2
[해설작성자 : 송영규]

정보량 I , 확률 P
I = -log (P) / log 2
앞면 정보량 -log(0.9)/log2
뒷면 정보량 -log(0.1)/log2

앞면 log2(0.9) = 0.15 [bit]
뒷면 log2(0.1) = 3.32 [bit]

공학용계산기 사용시 log(2,0.9) 이런식으로 콤마를 붙여서 입력하십쇼
[해설작성자 : 레몬맨두]

제가 본책에는
앞면 log(1/0.9)/log2 = 0.152
뒷면 log(1/0.1)/log2 = 3.321
이렇게되어있네요
[해설작성자 : 첫경험]

27. 다음 FT도의 컷셋(cut sets)으로 옳은 것은?(2010년 07월)

    

     1. {X1, X3}, {X1, X4}, {X2, X3}, {X2, X4}
     2. {X1, X2}, {X1, X3}, {X2, X3}, {X2, X4}
     3. {X1, X2}, {X1, X3}, {X1, X4}, {X2, X4}
     4. {X1, X3}, {X1, X4}, {X2, X3}, {X3, X4}

     정답 : []
     정답률 : 62%

28. 다음 중 선 자세와 앉은 자세의 비교에서 틀린 것은?(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장에서는 1, 4번이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2014년 08월)
     1. 서 있는 자세보다 앉은 자세에서 혈액순환이 향상된다.
     2. 서 있는 자세보다 앉은 자세에서 균형감이 높다.
     3. 서 있는 자세보다 앉은 자세에서 정확한 팔 움직임이 가능하다.
     4. 앉은 자세보다 서 있는 자세에서 척추에 더 많은 해를 줄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앉은 자세보다 서 있는 자세에서 혈액순환이 향상된다.
장시간 앉아서 작업하는 것은 허리에 해를 줄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손지희]

정답 4번
누워있는 자세보다 서 있는 자세가 2배의 척추 압력을 받고, 앉은 자세는 서 있는 자세의 2배의 척추 압력을 받는다.
[해설작성자 : 강산]

29. 화학설비에 대한 안정성 평가 단계 중 제2단계의 주요 진단 항목이 아닌 것은?(2008년 05월)
     1. 건조물
     2. 공정계통도
     3. 중간 제품
     4. 소방설비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제 2단계 : 정성적 평가
1) 설계관계 : 공장내 배치, 공장의 입지조건, 건조물, 소방설비
2) 운전관계 : 원재료•중간제품 등, 수송•저장 등, 공정기기, 공정•공정작업을 위한 작업규정 유무 등
[해설작성자 : 202277031]

30. 기계와 인간의 상대적 수행도를 나타내는 다음[그림]에서 시스템의 재설계가 요구되는 영역은?(2009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7%

31. 다음의 감각기관 중 반응속도가 가장 빠른 것은?(2013년 08월)
     1. 시각
     2. 촉각
     3. 후각
     4. 미각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촉각: 0.18초 (촉각은 무조건 반응이라서 반응이 빠르다)

시각: 0.20초
후각,미각: 0.29초
통각: 0.7초
[해설작성자 : 손지희]

청각 0.17초 입니다.
청각, 촉각, 시각, 미각, 통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2. 다음 표지 장치 중 정적 표시 장치는?(2003년 03월)
     1. 온도계
     2. 속도계
     3. 고도계
     4. 그래프

     정답 : []
     정답률 : 64%

33. 다음 중 FTA를 이용하여 사고원인의 분석 등 시스템의 위험을 분석할 경우 기대 효과와 관계없는 것은?(2013년 03월)
     1. 사고원인 분석의 정량화 가능
     2. 사고원인 규명의 귀납적 해석가능
     3. 안전점검을 위한 체크리스트 작성 가능
     4. 복잡하고 대형화된 시스템의 신뢰성분석 및 안전성 분석가능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FTA : 정량적, 연역적
[해설작성자 : 스피드웨건]

FTA를 사용시
1. 사건의 간편화 일반화 정량화 (연역적) 체크리스트 작성 가능 결함진단가능 시간과 노력 절감
[해설작성자 : CMJ]

사고원인 규명의 귀납적 해석은 FMEA의 특성이다.
[해설작성자 : 뱅드림]

34. 조도가 400럭스인 위치에 놓인 흰색 종이 위에 짙은 회색의 글자가 씌어져 있다. 종이의 반사율 80%이고, 글자의 반사율은 40%라 할 때 종이와 글자의 대비는 얼마인가?(2014년 03월)
     1. -100%
     2. -50%
     3. 50%
     4. 100%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80-40)/80x100 = 50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ㅁㅇㄴ]

대비 공식 =( 배경의 반사율 - 표적의 반사율 / 배경의 반사율 ) * 100
[해설작성자 : CMJ]

35. 다음 통제장치의 형태 중 그 성격이 다른 것은?(2002년 05월)
     1. 푸시버튼
     2. 터글스위치
     3. 놉(knob)
     4. 로터리스위치

     정답 : []
     정답률 : 57%

36. 다음 중 기계가 인간을 능가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2010년 05월)
     1. 물리적인 양을 신속하게 계수하거나 측정한다.
     2. 완전히 새로운 해결책을 찾아낸다.
     3. 암호화된 정보를 신속하게 대량으로 보관한다.
     4. 반복적인 작업을 신뢰성 있게 수행한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기계가 완전 새로운 해결책을 찾는다고 하면 결함이 생길 이유가 없죠???
[해설작성자 : Rosy]

37. 다음 중 설비의 가용도를 나타내는 공식으로 옳은 것은?(2010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1%

38. 동전던지기에서 앞면이 나올 확률 P(앞)=0.6이고, 뒷면이 나올 확률 P(뒤)=0.4일 때, 앞면과 뒷면이 나올 사건의 정보량을 각각 맞게 나타낸 것은?(2019년 03월)
     1. 앞면:0.10bit, 뒷면:1.00bit
     2. 앞면:0.74bit, 뒷면:1.32bit
     3. 앞면:1.32bit, 뒷면:0.74bit
     4. 앞면:2.00bit, 뒷면:1.00bit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정보량(H) = log2(1/P)
[해설작성자 : 공부중]

log(1/P)÷log(2)
[해설작성자 : 10개년3회독]

39. 인체측정치를 이용한 설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8월)
     1. 평균치를 기준으로 한 설계를 제일 먼저 고려한다.
     2. 의자의 깊이와 너비는 모두 작은 사람을 기준으로 설계한다.
     3. 자세와 동작에 따라 고려해야 할 인체측정치수가 달라진다.
     4. 큰 사람을 기준으로 한 설계는 인체측정치의 5%tile을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3번 - 인체측정 설계원칙 중 조절식에 관한 설명
[해설작성자 : 스마트팩토리과]

인체측정치 설계시 조절식설계->극단치설계->평균치설계 순입니다
[해설작성자 : 유환줘]

조절식 설계를 제일먼저 고려
깊이 작은사람 너비 큰사람
큰사람기준설계 95%
[해설작성자 : 붙고싶다]

40. 다음 중 정신적 작업 부하에 대한 생리적 측정치에 해당하는 것은?(2013년 03월)
     1. 에너지대사량
     2. 최대산소소비능력
     3. 근전도
     4. 부정맥 지수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정신적 부하 작업 척도
심박수(부정맥)
뇌전위(점멸융합주파수)
동공반응(눈 깜박임률)
호흡수
[해설작성자 : 다옴직업학교 특수용접8기]

부정맥은 심장 박동이 고르지 못하고 불규칙적인 상태로 정신적 작업부하를 측정하는 기준
[해설작성자 : 주궉]

3과목 : 기계위험방지기술


41. 동력 전도 부분의 전방 30cm위치에 일방 평형보호망을 설치하고자 한다. 보호망의 최대 개구 간격은?(2003년 03월)
     1. 36mm
     2. 46mm
     3. 56mm
     4. 66mm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보호망의 최대 개구 간격 : Y = 6 + X/10

42. 다음 중 목재가공용 둥근톱에 설치해야 하는 분할날의 두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03월)
     1. 톱날 두께의 1.1배 이상이고, 톱날의 치진폭보다 커야한다.
     2. 톱날 두께의 1.1배 이상이고, 톱날의 치진폭보다 작아야 한다.
     3. 톱날 두께의 1.1배 이내이고, 톱날의 치진폭보다 커야한다.
     4. 톱날 두께의 1.1배 이내이고, 톱날의 치진폭보다 작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목재가공용 둥근톱 ㅡ 연삭기와 비교하면서 외우면 나중에 안헷갈림

분할날과 톱날 원주면 사이의 거리는 12mm이내로 조정하고 표준 테이블면 상의 톱 뒷날의 2/3 이상을 덮도록 해야 한다.

43. 다음 설명 중 ( )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3년 03월)

    

     1. ① 0.5m2, ② 1.0m
     2. ① 1.0m2, ② 1.2m
     3. ① 1.5m2, ② 1.5m
     4. ① 2.0m2, ② 2.5m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관련 법령에서 삭제된 내용입니다.

44. 기계설비 구조의 안전을 위해 설계 시 고려하여야 할 안전계수(safety factor)의 산출 공식으로 틀린 것은?(2017년 03월)
     1. 파괴강도÷허용응력
     2. 안전하중÷파단하중
     3. 파괴하중÷허용하중
     4. 극한강도÷최대설계응력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안전계수 산출공식의 기본은 기준강도 나누기 허용응력이다
기준강도=항복강도=극한강도=인장강도=파단하중=최대응력으로 볼 수 있다.
허용응력=설계하중=최대설계응력=인장응력=안전하중=허용응력으로 볼 수 있다.
2번의 안전하중 나누기 파단하중은 안전계수 산출공식으로 맞지 않다.
고치려면 파단하중 나누기 안전하중이 옳다
[해설작성자 : 이만그럼]

45. 드릴 작업시 올바른 작업 안전 수칙으로 틀린 것은?(2007년 05월)
     1. 구멍을 뚫을 때 관통된 것을 확인하기 위해 손으로 만져서는 안된다.
     2. 드릴을 끼운 후에 척 렌치(chuck Wrench)를 끼우고 작업 한다.
     3. 작업모를 착용하고 옷소매가 긴 작업복은 입지 않는다.
     4. 드릴작업에서는 보호 안경을 쓰거나 안전덮개(shield)를 설치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드릴에 렌치를 끼우고 사용하면 렌치가 돌아가겠죠??
[해설작성자 : Rosy]

46. 기계의 동작 상태가 설정한 순서, 조건에 따라 진행되어 한 가지 상태의 종료가 끝난 다음 상태를 생성하는 제어 시스템을 가진 로봇은?(2010년 07월)
     1. 시퀀스 로봇
     2. 플레이백 로봇
     3. 수치제어 로봇
     4. 학습제어 로봇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순서에 따라 진행된다=시퀀스
[해설작성자 : 여권발급하고싶다]

47. 프레스 등을 사용하여 작업할 때 작업시작전의 점검사항으로 틀린 것은?(2005년 05월)
     1. 클러치 및 브레이크의 기능
     2. 1행정 1정지기구·급정지장치 및 비상정지장치의 기능
     3. 프레스의 금형 및 고정볼트
     4. 이상음, 진동상태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작업시작전이므로 시동이 켜져있지 않기 때문에 이상음과 진동상태를 점검할 수 없겠죠?
[해설작성자 : 재발합시다]

48. 다음 중 금형의 설계 및 제작시 안전화 조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5월)
     1. 펀치와 세장비가 맞지 않으면 길이를 짧게 조정한다.
     2. 강도 부족으로 파손되는 경우 충분한 강도를 갖는 재료로 교체한다.
     3. 열처리 불량으로 인한 파손을 막기 위해 담금질(Quenching)을 실시한다.
     4. 캠 및 기타 충격이 반복해서 가해지는 부분에는 완충장치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담금질은 열처리를 하는게 아니라 급랭(고온에 열을 냉각 시키는 것)하는 방법이다.
[해설작성자 : 화이팅]

열처리 불량으로 파손을 막는건 뜨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9. 다음 중 컨베이어(conveyor)의 주요 구성품이 아닌 것은?(2012년 03월)
     1. 롤러(Roller)
     2. 벨트(Belt)
     3. 지브(Jib)
     4. 체인(Chain)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지브는 크레인의 구성품으로 화물을 매달기 위한 arm을 말한다.

50. 기계를 구성하는 요소에서 피로현상은 안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다음 중 기계요소의 피로파괴현상과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2017년 03월)
     1. 소음(noise)
     2. 노치(notch)
     3. 부식(corrosion)
     4. 치수 효과(size effect)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소음은 인간요소의 피로파괴현상 중 하나.
[해설작성자 : 공부중]

피로 파괴현상의 영향요인
① 노치
② 부식 피로
③ 치수 효과
④ 온도
⑤ 표면상태 등
[해설작성자 : 붉은여우]

51. 다음 중 근로자에게 위험을 미칠 우려가 있는 공작기계에서 덮개, 울 등을 설치해야 하는 경우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8년 07월)
     1. 연삭기 또는 평삭기의 테이블, 형삭기 램 등의 행정 끝
     2. 선반으로부터 돌출하여 회전하고 있는 가공물 부근
     3. 톱날 접촉예방장치가 설치된 원형톱(목재가공용 둥근 톱 기계 제외) 기계의 위험부위
     4. 띠톱기계의 위험한 톱날(절단부분 제외)부위

     정답 : []
     정답률 : 50%

52. 가스용접용 용기를 보관하는 저장소의 온도는 몇 ℃이하로 유지해야 하는가?(2013년 03월)
     1. 0℃
     2. 20℃
     3. 40℃
     4. 60℃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직사 광선을 받지않는 장소로서 저장소의 온도는 40도 이하가 적당하다.
[해설작성자 : 산안산기과거문제난이도뭔데]

53. 보일러의 압력방출장치가 2개 이상 설치된 경우, 최고 사용압력 이하에서 1개가 작동되고, 남은 1개의 작동 압력은?(2015년 03월)
     1. 최고사용압력의 1.05배 이하
     2. 최고사용압력의 1.1배 이하
     3. 최고사용압력의 1.25배 이하
     4. 최고사용압력의 1.5배 이하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압력방출장치(보일러의 안전장치)
보일러 규격에 맞는 압력방출장치를 1개 또는 2개 이상 설치하고 최고사용압력(설계압력 또는 최고허용압력) 이하에서 작동되도록 한다.

압력방출장치가 2개 이상 설치된 경우 최고사용압력 이하에서 1개가 작동되고, 다른 압력방출장치는    최고사용압력 1.05배 이하에서 작동되도록 부착
[해설작성자 : 앙김호띠]

화재를 대비한 경우 1.1배
[해설작성자 : 잉]

외부 1.1배
[해설작성자 : {'}]

54. 다음은 연삭기의 구조면에서의 방호대책이다. 옳은 것은?(2005년 05월)
     1. 숫돌의 결합시 축과 0.5mm 정도의 틈새를 둔다.
     2. 칩비산방지 투명판(shield)은 방호장치이다.
     3. 연삭숫돌을 연삭기에 고정시킬 때 라벨을 제거하고 견고히 부착한다.
     4. 탁상용연삭기는 작업받침대(work rest)와 조정편을 설치하고 연삭숫돌과 조정편의 간격은 1∼3mm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24%
     <문제 해설>
칩비산방지 투명판은 선반의 방호장치임.
[해설작성자 : 시오닝]

55. 클러치의 마찰면이 마멸되면 페달의 간격과의 관계는?(2006년 03월)
     1. 페달의 간격은 없다.
     2. 페달의 간격이 커진다.
     3. 페달의 간격과 관계없다.
     4. 페달의 간격이 적어진다.

     정답 : []
     정답률 : 63%

56. 안전계수 6인 로프의 파단하중이 1116㎏이라면 이 로프는 얼마 이하로 물건을 매달아야 하는가?(2004년 03월)
     1. 186(kg)
     2. 190(kg)
     3. 195(kg)
     4. 200(kg)

     정답 : []
     정답률 : 70%

57. 다음 중 보일러의 부식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3월)
     1. 증기발생이 과다할 때
     2. 급수처리를 하지 않은 물을 사용할 때
     3. 급수에 해로운 불순물이 혼입되었을 때
     4. 불순물을 사용하여 수관이 부식되었을 때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보일러의 부식원인
1) 불순물이 많이 혼입되었을때
2) 급수처리하지 않은 물을 사용할때
[해설작성자 : ㄱㅃ]

58. 다음 중 컨베이어의 안전장치가 아닌 것은?(2020년 06월)
     1. 이탈 및 역주행방지장치
     2. 비상정지장치
     3. 덮개 또는 울
     4. 비상난간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비상난간이 아니라 건널다리가 안전장치임
[해설작성자 : 박재환]

59. 지게차의 안전장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03월)
     1. 후사경
     2. 헤드가드
     3. 백 레스트
     4. 권과방지장치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후사경 전조등 헤드가드 백레스트 브레이크 안전벨트

[추가 해설]
권과방지장치는 크레인
[해설작성자 : 크레인5번떨어짐]

60. 프레스의 작업 시작 전 점검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4월)
     1. 클러치 및 브레이크의 기능
     2. 금형 및 고정볼트 상태
     3. 전단기(剪斷機)의 칼날 및 테이블의 상태
     4. 언로드 밸브의 기능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언로드 밸브는 공기압축기 입니다.

4과목 : 전기 및 화학설비위험방지기술


61. 다음 중 전기화재의 주요 원인이 되는 전기의 발열현상에서 가장 큰 열원에 해당하는 것은?(2013년 06월)
     1. 줄(Joule) 열
     2. 고주파 가열
     3. 자기유도에 의한 열
     4. 전기화학 반응열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전기의 가장 큰 열원=줄(joule)열

Q=I제곱 x R x T
I=전류 r=전기저항 t=통전시간
[해설작성자 : 너도하면 나도 한다]

62. 고압용 퓨즈는 정격전류의 몇배에 견뎌야 하는가?(2004년 03월)
     1. 1.2배
     2. 1.3배
     3. 1.6배
     4. 1.8배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고압비포장 : 1.25배
고압포장 : 1.3배
[해설작성자 : 합격합시다]

63.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누전에 의한 감전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확실한 접지를 하여야 하는 부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1년 06월)
     1. 전기기계∙ 기구의 금속제 외피 및 철대
     2. 전기를 사용하지 아니하는 설비 중 전동식 양중기의 프레임에 해당하는 금속체
     3. 사용전압이 대지전압 150V를 넘는 코드 및 플러그를 접속하여 사용하는 전기기계∙기구의 노출된 비충전 금속체
     4. 전기용품안전 관리법에 의한 이중절연구조 또는 이와 동등 이상으로 보호되는 전기가계∙기구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전기용품안전 관리법에 의한 이중절연구조 또는 이와 동등 이상으로 보호되는 기구들인데 굳이 접지를 할 필요는 없겠죠?
[해설작성자 : 문제를 잘 읽어보면 풀 수 있는 문제]

64. 분말 소화약제 중에서 A,B,C급 소화에 유효한 제3종 분말 소화약제는 어느 것인가?(2004년 03월)
     1. 인산암모늄(NH4H2PO4)
     2. 탄산수소칼륨(KHCO3)
     3. 탄산수소나트륨(NaHCO3)
     4. 탄산수소칼륨과 요소와의 화합물(KC2H2N2O3)

     정답 : []
     정답률 : 33%

65. 다음중 전선이 연소될 때의 단계별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7년 08월)
     1. 착화단계, 순시용단 단계, 발화단계, 인화단계
     2. 인화단계, 착화단계, 발화단계, 순시용단 단계
     3. 순시용단 단계, 착화단계, 인화단계, 발화단계
     4. 발화단계, 순시용단 단계, 착화단계, 인화단계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점점 불이 붙어가면서 선이 녹아 끊어진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TUIX]

전선연소는 인화가 제일먼저라는점 기억해주세요
[해설작성자 : 메이플 토벤머리]

인화:불꽃이 존재..     착화: 가연물에 불이붙음..        발화: 열로만 존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인 → 착 → 발 → 순
[해설작성자 : 외우세요]

66. 일반적으로 전기 기기의 누전으로 인한 감전 재해의 방지 대책으로서 해당 없는 것은?(2002년 03월)
     1. 보호 접지법
     2. 이중 절연 기기의 사용
     3. 감전 방지용 누전 차단기의 사용
     4. 전로의 채용

     정답 : []
     정답률 : 60%

67. 이동전선에 접속하여 임시로 사용하는 전등이나 가설의 배선 또는 이동전선에 접속하는 가공매달기식 전등 등을 접촉함으로 인한 감전 및 전구의 파손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망을 부착하도록 하고 있다. 이들을 설치시 준수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2015년 08월)
     1. 보호망은 쉽게 파손되지 않을 것
     2. 재료는 용이하게 변형되지 아니하는 것으로 할 것
     3. 전구의 밝기를 고려하여 유리로 된 것을 사용할 것
     4. 전구의 노출된 금속부분에 쉽게 접촉되지 아니하는 구조로 할 것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재료는 쉽게 파손되거나, 변형되지 않는 것으로 할것
[해설작성자 : 정수롤리폴리]

68. 60[Hz]의 가정용 교류일 경우 인체가 감전되어 전격의 고통은 이겨낼 수 있는 전류값[mA]은?(2003년 05월)
     1. 7-8
     2. 50-55
     3. 100-150
     4. 1000-1100

     정답 : []
     정답률 : 43%

69. 산소용기의 압력계가 100kg/cm2였다. 몇 [psia]인가? (단, 대기압은 표준대기압이다.)(2003년 05월)
     1. 1465
     2. 1455
     3. 1438
     4. 1423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류 신고 내용]
표준대기압 1.0332kg/cm^2 = 14.7psi
100/1.0332 = 96.786
96.79X14.7psi = 1422.813 = 1423psi
정답을 4번으로 바꾸어야 할 것 같음.

[오류신고 반론]
3번 맞습니다. 문제를 보면 psi가 아니라 절대압을 나타내는 psia이기 때문에 절대압=대기압+게이지압 이기 때문에 (101.0332X14.7)/1.0332로 풀어야 합니다. 그래서 답은 1438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유프트]

70. 저압방폭설비에 필요한 전선관을 상호 접속시에는 유니온 카플링을 사용하여 최소한 몇 산이상 유효하게 접속하여야 하는가?(2003년 05월)
     1. 3산
     2. 4산
     3. 5산
     4. 7산

     정답 : []
     정답률 : 41%

71. 다음 각 물질의 저장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8월)
     1. 황린은 저장용기 중에 물을 넣어 보관한다.
     2. 과산화수소는 장기 보존시 유리용기에 저장된다.
     3. 피크린산은 철 또는 구리로 된 용기에 저장한다.
     4. 마그네슘은 다습하고 통풍이 잘 되는 장소에 보관한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과산화수소 = 가벼운 플라스틱 병에 밀봉보관 하며 35도 이하의 장소에서 보관할것.
피크린산 = 화기의 접금을 엄금,통풍이 잘되는 곳에 보관한다.
마그네슘 = 서늘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한다.
[해설작성자 : 뱅드림]

72. 운전하고 있던 탈수기가 정지하여 탈수기용 개폐기를 수 차례 개폐조작 중 개폐기 충전부에 감전, 사망한 문제점과 거리가 먼 것은?(2004년 05월)
     1. 전기담당자가 아니면서 고장난 기계기구 취급
     2. 습기 및 물기 있는 장소에서 작업
     3. 전동기 외함접지 미 실시
     4. 불량시설 조기 개보수

     정답 : []
     정답률 : 47%

73. 플라스틱, 섬유, 고무, 필름공장 등에서 정전기 제거에 유용한 제전기는?(2003년 08월)
     1. 가전압식제전기
     2. 자기방전식제전기
     3. 이온식제전기
     4. 가압식제전기

     정답 : []
     정답률 : 44%

74. 아세틸렌(C2H2)의 공기 중 완전연소 조성농도(Cst)는 약 얼마인가?(2019년 04월)
     1. 6.7 vol%
     2. 7.0 vol%
     3. 7.4 vol%
     4. 7.7 vol%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C2H2 + 2.5O2 => 2CO2 + H20
공기중 산소조성농도 21%
에틸렌 조성농도 산소 21/2.5% = 8.4
8.4 ÷ (8.4+21+79) ×10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위 반응식에서
            100                                                100
------------------        -->        ------------        = 7.7
1+4.773(산소몰수)                         1+4.773*(2.5)

할로겐원소 존재시 산소몰수 대신 (n+ (m-f-2람다/4))
n = 탄소
f = 할로겐원소
람다 = 산소원자수
[해설작성자 : 파랑계란]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100/1+4.773×(n+(m-f-2ㅅ/4)) 하면 7.7324xxx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용용]

[추가 오류 신고]
Cst=100/1+4.773*(2+2/4)=7.7324로
답은 3번 7.74[vol%]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계산기]

[오류신고 반론]
계산기님 해설에 7.74가 반올림하면 7.7이지 어떻게 3번 7.4가 됩니까? 3번 보기 7.74가 아니고 7.4입니다.
정확히 알고 오류 신고하세요 괜히 처음 익히는 사람들 혼돈주지마시고
[해설작성자 : 계산기 버려라]

75. 가정에서 튀김기름으로 요리 하다가 식용유에 불이 붙었을 때 채소기류를 기름에 넣으면 불이 꺼지는 경우에 해당되는 소화법은?(2010년 05월)
     1. 냉각소화법
     2. 질식소화법
     3. 제거소화법
     4. 희석소화법

     정답 : []
     정답률 : 43%

76. 다음 중 전압의 분류가 잘못된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0년 05월)
     1. 저압 - 600볼트 이하의 교류전압
     2. 저압 - 750볼트 이하의 직류전압
     3. 고압 - 600볼트 초과 7천볼트 이하의 교류전압
     4. 초고압 - 1만볼트를 초과하는 직류전압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규정 개정]
2021년 KEC 규정으로 전압 규정이 바뀌었습니다.
저압: 교류 1000v 이하 직류 1500v 이하
고압: 저압 초과 7000v 이하
특고압: 7000v 초과
[해설작성자 : 101010]

77. 증기운 폭발에 대한 다음의 설명 중에서 옳지 않은 것은?(2004년 05월)
     1. 대량의 가연성 가스및 기화하기 쉬운 액체가 사고에 의해 누출, 누설하여 발화원에 의해 폭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2. 증기운 폭발은 일종의 가스폭발이라고도 한다.
     3. 증기운 폭발은 주로 폐쇄공간에서 발생한다.
     4. LNG가 누출 될때도 증기운폭발을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주요소에서 폭발사고가 일어났다는 뉴스를 보신적 있으시죠?? 이 문제와 같은 경우입니다.
[해설작성자 : 주유소 폭발사고 조심하자]

78. 다음 중 물질의 위험성과 그 시험방법이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2011년 08월)
     1. 인화점 - 태그 밀폐식
     2. 발화온도 - 산소지수법
     3. 연소시험 - 도입법
     4. 최소발화에너지 - 크리브란드 개방식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인화점 - 태그 밀폐식, 세타 밀폐식, 클리브랜드 개방식
[해설작성자 : 투이치]

79. 다음 중 누전화재라는 것을 입증하기 위한 요건이 아닌 것은?(2010년 05월)
     1. 누전점
     2. 발화점
     3. 접지점
     4. 접속점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누)가 (발)을 접질(접지)렀나? 로 외우면 쉬움
[해설작성자 : ㅇ]

80. 다음 중 화재의 종류가 옳게 연결된 것은?(2020년 08월)
     1. A급화재 - 유류화재
     2. B급화재 - 유류화재
     3. C급화재 - 일반화재
     4. D급화재 – 일반화재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A급 일반
B급 유류
C급 전기
D급 금속

81. 거푸집동바리 서치시 안전기준으로 틀린 것은?(2006년 03월)
     1. 동바리로 강관을 사용하는 경우 높이 2m 이내마다 수평 연결재를 2개 방향으로 만들고 수평연결재의 변위를 방지한다.
     2. 동바리로 파이프서포트를 이어서 사용할 때는 3본까지로 제한한다.
     3. 동바리의 이음은 맞댄이음 또는 장부이음으로 한다.
     4. 강재와 강재와의 접속부 및 교차부는 볼트, 클램프 등 전용철물을 사용하여 단단히 연결한다.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2. 2본까지 가능합니다. 3본이상 사용금지!
[해설작성자 : 세종대기계공]

82. 벽체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이 터져서 콘크리트가 쏟아진 사고가 발생하였다. 다음 중 이 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추정할 수 있는 것은?(2014년 03월)
     1. 콘크리트를 부어 넣는 속도가 빨랐다.
     2. 거푸집에 박리제를 다량 도포했다.
     3. 대기 온도가 매우 높았다.
     4. 시멘트 사용량이 많았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빠르게넣으면 측압이커짐
[해설작성자 : 류현진]

83. 차량계 하역운반기계의 운전자가 운전위치를 이탈하는 경우의 조치사항으로 부적절한 것은?(2018년 08월)
     1. 포크 및 버킷을 가장 높은 위치에 두어 근로자 통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였다.
     2. 원동기를 정지시키고 브레이크를 걸었다.
     3. 시동키를 운전대에서 분리시켰다.
     4. 경사지에서 갑작스런 주행이 되지 않도록 바퀴에 블록 등을 놓았다.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포크와 버킷은 무족권 지면에(낮은곳)위치 시키기
[해설작성자 : 단골문제 틀리면 시험 접자]

84. 철골작업시 추락재해를 방지하기 위한 설비가 아닌 것은?(2005년 05월)
     1. 안전대 및 구명줄
     2. 어스 앙카
     3. 승강용 트랩
     4. 추락방지용 방망

     정답 : []
     정답률 : 59%

85. 지내력 시험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하중-침하량 곡선을 얻었을 때 장기하중에 대한 허용 지내력도로 옳은 것은? (단, 장기하중에 대한 허용 지내력도= 단기하중에 대한 허용 지내력도×1/2)(2017년 08월)

    

     1. 6 t/m2
     2. 7t/m2
     3. 12t/m2
     4. 14t/m2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12 x 1/2 = 6 [t/m^2)
[해설작성자 : 승원]

86. 화물취급작업 중 화물 적재 시 준수해야 하는 사항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2년 03월)
     1. 침하의 우려가 없는 튼튼한 기반 위에 적재할 것
     2. 중량의 화물은 건물의 칸막이나 벽에 기대어 적재 할 것
     3. 불안정할 정도로 높이 쌓아 올리지 말 것
     4. 편하중이 생기지 아니하도록 적재할 것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무엇보다도 화물 적재할 때는 칸막이나 벽이 기대어 적재하면 한쪽으로 쏠려 화물이 무너져 근로자가 다칠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한쪽으로 기대어 화물을 적재하지말고 튼튼한 곳에 적재하고 불안정하게 높이 쌓아올리지 않거나 편하중이 생기도록 화물을 적재하면 안됩니다.
[해설작성자 : 김행복]

87. 근로자의 작업배치 추락위험이 있을 때 비계 조립 등에 의하여 작업발판을 설치해야 하는 높이 기준은?(2009년 03월)
     1. 1m 이상
     2. 2m 이상
     3. 3m
     4. 4m 이상

     정답 : []
     정답률 : 71%

88. 근로자의 추락 위험이 있는 장소에서 발생하는 추락재해의 원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2018년 04월)
     1. 안전대를 부착하지 않았다.
     2. 덮개를 설치하지 않았다.
     3. 투하설비를 설치하지 않았다.
     4. 안전난간을 설치하지 않았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투하설비는 낙하관련 설비입니다.
[해설작성자 : 남똘]

89. 건설현장에서 거푸집 동바리를 조립할 때 준수 사항으로 틀린 것은?(2008년 05월)
     1. 동바리의 이음은 맞댄이음 또는 장부이음으로 할 것
     2. 깔옥의 사용, 콘크리트 타설, 말뚝박기 등 동바리의 침하 방지 조치를 할 것
     3. 동바리로 사용하는 강관(파이프서포트 제외)은 높이 3미터 이내마다 수평연결재를 3개 방향으로 설치할 것
     4. 강재와 강재와의 접속부 및 교차부는 볼트, 클램프 등 전용철물을 사용하여 연결할 것

     정답 : []
     정답률 : 70%

90. 타워크레인을 벽체에 지지하는 경우 서면심사 서류 등이 없거나 명확하지 아니할 때 설치를 위해서는 특정 기술자의 확인을 필요로 하는데, 그 기술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2년 03월)
     1. 건설안전기술사
     2. 기계안전기술사
     3. 건축시공기술사
     4. 건설안전분야 산업안전지도사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확인 받아야하는 기술자
건축구조기술사/건축기계기술사
기계안전기술사/ 건설안전기술사
건설안전분야 산업지도사
[해설작성자 : 군바리는 자격증공부중]

91. 낙하물 방지망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8월)
     1. 높이 10[m] 이내마다 설치한다.
     2. 내민 길이는 벽면으로부터 3[m] 이상으로 한다.
     3. 수평면과의 각도는 20[°] 이상, 30[°] 이하를 유지 한다.
     4. 방호선반의 설치기준과 동일하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낙하 방지 (물건 떨어지는 사고) > 2M
추락 방지 (사람떨어지는 사고)    > 3M

[추가 해설]
내민길이는 벽면으로부터 2M 이상

92. 기초의 안전상 부동침하를 방지하는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6월)
     1. 구조물의 전체 하중이 기초에 균등하게 분포되도록 한다.
     2. 기초 상호간을 지중보로 연결한다.
     3. 한 구조물의 기초는 2종류 이상의 복합적인 기초형식 으로 한다.
     4. 기초 지반 아래의 토질이 연약할 경우는 연약지반 처리 공법으로 보강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구조물 기초를 여러가지 섞어 버리면 비교적 약한 기초에 하중이 쏠리게 됩니다
한 순간에 가버리는 수가 있어요
[해설작성자 : 나머지는 몰라서 옳지 않은 것만 해설]

93. 다음 중 옹벽 안정조건의 검토사항이 아닌 것은/(2006년 03월)
     1. 활동(sliding)에 대한 안전검토
     2. 전도(overtering)에 대한 안전검토
     3. 지반 지지력(settlement)에 대한 안전검토
     4. 보일링(boiling)에 대한 안전검토

     정답 : []
     정답률 : 58%

94. 흙막이 지보공을 설치할 때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이상이 있을 때에 즉시 보수하여야할 사항이 아닌 것은?(2004년 03월)
     1. 부재의 손상, 변형, 변위 및 탈락의 유무와 상태
     2. 버팀대 강도
     3. 부재의 접속부, 부착부 및 교차부의 상태
     4. 침하의 정도

     정답 : []
     정답률 : 32%

95. 높이 2m 이상인 작업발판의 끝이나 개구부 등에서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설비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8년 05월)
     1. 안전난간
     2. 덮개
     3. 방호선반
     4. 울타리

     정답 : []
     정답률 : 44%

96. 콘크리트 타설시 안전에 유의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3월)
     1. 타설 순서는 계획에 의하여 실시한다.
     2. 콘크리트를 다짐효과를 위하여 최대한 높은 곳에서 타설한다.
     3. 콘크리트를 치는 도중에는 거푸집, 동바리 등의 이상 유무 확인하여야 한다.
     4. 타설시 공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밀실하게 부어 넣는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콘크리트는 높은곳에서 타설하면 측압이 커집니다
[해설작성자 : 전지민]

97. 토석이 붕괴되는 원인에는 외적요인과 내적인 요인이 있으므로 굴착작업 전, 중, 후에 유념하여 토석이 붕괴되지 않도록 조치를 취해야 한다. 다음 중 외적인 요인이 아닌 것은?(2012년 05월)
     1. 사면, 법면의 경사 및 기울기의 증가
     2. 지진, 차량, 구조물의 중량
     3. 공사에 의한 진동 및 반복 하중의 증가
     4. 절토 사면의 토질, 암질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4 - 내적요인
토석의 강도저하 - 내적요인
[해설작성자 : 또요]

98. 작업에서의 위험요인과 재해형태가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2017년 05월)
     1. 무리한 자재적재 및 통로 미확보 → 전도
     2. 개구부 안전난간 미설치 → 추락
     3. 벽돌 등 중량물 취급 작업 → 협착
     4. 항만 하역 작업 → 질식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상식적으로 생각해도 하역 작업하다가 잘못하면, 숨막혀 죽는 게(질식) 아니라 떨어져서 죽겠죠(추락)?
[해설작성자 : 상식문제]

99. 층고가 높은 슬래브 거푸집 하부에 적용하는 무지주 공법이 아닌 것은?(2018년 03월)
     1. 보우빔(bow beam)
     2. 철근일체형 데크플레이트(deck plate)
     3. 페코빔(pecco beam)
     4. 솔져시스템(soldier system)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솔져시스템 : 합벽을 지지해주는 것으로 합벽지지대라고도 함.
[해설작성자 : 솔져]

100. 지반보다 6m 정도 깊은 경질 지반의 기초터파기에 적합한 굴착 기계는?(2011년 08월)
     1. Drag Line
     2. Tractor Shovel
     3. BackHoe
     4. Power Shovel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백호 - 지면보다 낮은 곳을 굴착 (5~6m)
[해설작성자 : 투이치]

백호 = 드래그쇼벨
[해설작성자 : 건안산기 마스터]

추가로 지면보다 높은곳을 굴착하는것은 파워셔블
[해설작성자 : 구폴뚜벅이]


정 답 지

산업안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5일)(3400256)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산업안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산업안전관리론


1. 작업에 수반되는 피로의 예방과 대책으로서의 수단이 아닌 것은?(2002년 08월)
     1. 작업부하를 크게 할 것
     2. 정적 동작을 피할 것
     3. 작업정도를 적절하게 할 것
     4. 운동시간을 적당히 할 것

     정답 : []
     정답률 : 94%
     <문제 해설>
작업부하를 크게 할시에는 피로도가 더 커집니다.
[해설작성자 : 다들고생많으시네요]

2. 도수율 4이고 연 근로시간 12000000시간이라면 몇 건의 재해가 발생하였는가?(2002년 05월)
     1. 4.8
     2. 48
     3. 480
     4. 0.48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도수율/1000000=X/12000000
X=48

3. 방독 마스크 정화통 내의 정화제에 의해 흡인공기중의 유해물질이 거의 정상적으로 흡수제거 또는 무독화 된후, 정화제의 제독능력이 떨어졌기 때문에 정화통의 배기공기에서의 유해물질 농도가 최대 허용한도를 넘게되는 현상은?(2002년 08월)
     1. 격리
     2. 정화
     3. 유량
     4. 파과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파과뜻은 정화통 내부의 흡착제가 포화상태가 되어 흡착능력을 상실한 상태를 말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파과"는 정화통의 배기공기에서 유해물질이 허용한도를 넘게 되는 현상을 나타내는 용어로 사용됩니다.
[해설작성자 : 합격해서화이팅~!]

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근로자 안전보건교육 대상과 교육시간으로 옳은 것은?(2023년 08월 08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2020년 08월)
     1. 정기교육인 경우 : 사무직 종사근로자 – 매반기 6시간 이상
     2. 정기교육인 경우 : 관리감독자 지위에 있는 사람 – 연간 10시간 이상
     3. 채용 시 교육인 경우 : 일용근로자 – 4시간 이상
     4. 작업내용 변경 시 교육인 경우 : 일용근로자를 제외한 근로자 – 1시간 이상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정기교육ㅡ1. 사무직 종사 근로자 ㅡ매반기 6시간
정기교육ㅡ2. 관리감독자 ㅡ 연간 16시간
채용시 교육인 경우ㅡ3.일용직 근로자 및 근로계약기간이 1주일 이하인
                                 기간제 근로자 ㅡ 1시간 이상
                                 근로 계약이 1주일 초과 1개월 이하인
                                 기간제 근로자ㅡ4시간이상
                                 그 밖의 근로자ㅡ8시간이상
작업내용 변경시 교육인 경우4.일용근로자 제외한 근로자 ㅡ2시간
                                             일용근로자 및 근로계약기각이 1주일 이하인
                                             기간제 근로자 ㅡ1시간이상
                                             그 밖의 근로자ㅡ2시간이상
[해설작성자 : 꼭 합격하지ㅡ]

5. 다음 중 피로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2006년 08월)
     1. 주관적 피로
     2. 객관적 피로
     3. 생리적 피로
     4. 환경적 피로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피로의 종류에는 주관적 - 권태감 불안 초조
                                객관적 - 작업량 생산된품질 주의산만 의욕상실
                                생리적 - 생체적요소 (수면)
[해설작성자 : 김개리]

6. 다음 중 맥그리거(McGregor)의 X・Y이론에서 Y이론의 관리처방에 해당하는 것은?(2013년 08월)
     1. 분권화의 권한의 위임
     2. 경제적 보상체제의 강화
     3. 권위주의적 리더십의 확립
     4. 면밀한 감독과 엄격한 통제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X이론(독재적 리더십)
-권위주의적 리더십의 확보
-경제적 보상체계의 강화
-세밀한 감독과 엄격한 통제
-상부책임제도의 강화(경영자의 간섭)
-설득, 보상, 벌, 통제의 의한 관리
Y이론(민주적 리더십)
-분권화와 권한의 위임
-민주적 리더십의 확립
-직무확장
-비공식적 조직의 활용
-목표에 의한 관리
-자체 평가제도의 활성화
-조직목표다렁을 위한 자율적인 통제
[해설작성자 : Vante]

7. 다음 중 산업심리의 5대 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9년 04월)
     1. 적성
     2. 감정
     3. 기질
     4. 동기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기질, 동기, 습관, 습성, 감정
[해설작성자 : 유카타]

'기습감동' 으로 외웁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 안전교육 과정 중 "할 수 있다"라는 즉 피교육자가 그것을 스스로 행함으로서만 얻어지는 교육내용에 해당하는 것은?(2002년 03월)
     1. 안전지식의 교육
     2. 안전의식의 교육
     3. 안전태도의 교육
     4. 안전기능 교육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제1단계(지식교육) : 강의 및 시청각 교육 등을 통하여 지식을 전달하는 단계
제2단계(기능교육) : 시범, 견학, 현장실습 교육 등을 통하여 경험을 체득하는 단계
제3단계(태도교육) : 작업 동작 지도 등을 통하여 안전 행동을 습관화 하는 단계
[해설작성자 : 뇌에 저장]

9. 산업안전보건법상 사업 내 안전∙보건교육 중 채용시의 교육 및 작업내용 변경시의 교육 내용에 해당하는 것은?(2011년 03월)
     1.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사항
     2. 건강증진 및 질병 예방에 관한 사항
     3. 유해∙위험 작업환경 관리에 관한 사항
     4. 표준안전작업방법 및 지도 요령에 관한 사항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채용시, 작업내용 변경시의 교육
1. 기계,기구의 위험성과 작업순서 및 동선
2. 정리정돈 및 청소
3. 사고발생시 긴급조치
4. 작업개시 전 점검사항
5. 사고발생시 긴급조치
6. 물질안전보건자료
7. (공통)법, 직업병
[해설작성자 : 탱이]

10. 무재해 운동의 추진을 위한 3요소에 속하지 않 는 것은?(2003년 05월)
     1. 작업조건의 기술적 개선
     2. 톱(top)의 엄격한 안전경영자세
     3. 안전활동의 라인(Line)화
     4. 직장 자주안전활동의 활성화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무재해운동의 3요소
1.최고 경영자의 엄격한 안전경영 자세
2.직장 자주 활동의 활성화
3.라인화의 철져
[해설작성자 : 에스빠따]

11. 안전교육에서 3가지 기본교육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6년 05월)
     1. 안전지식교육
     2. 안전기능교육
     3. 안전태도교육
     4. 안전실시교육

     정답 : []
     정답률 : 80%

12. 무재해 운동의 3대 원칙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6년 08월)
     1. 사람이 죽거나 다쳐서 일을 못하게 되는 일 및 모든 잠재요소를 제거한다.
     2. 잠재위험요인을 발굴·제거로 안전 확보 및 사고를 예방한다.
     3. 작업환경을 개선하고 이상을 발견하면 정비 및 수리를 통해 사고를 예방한다.
     4. 무재해를 지향하고 안전과 건강을 선취하기 위해 전원 참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무의원칙
2선취해결의원칙
3참가의원칙
[해설작성자 : 비귀]

[관리자 입니다.
2024년부터 무재해 운동 및 위험예지훈련이 시험범위에서 제외되었습니다.
참고 문제로만 이용 부탁 드립니다.]

13. 다음 중 알더퍼(Alderfer)의 ERG 이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0년 07월)
     1. 생존 욕구
     2. 관계 욕구
     3. 안전 욕구
     4. 성장 욕구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알더퍼의 E.R.G 이론
E(existence)생존의욕구
R(relatedness)관계의욕구
G(growth)성장의욕구

생존하기 위해 관계를 맺고 성장한다. 로 외우시면 편합니다
[해설작성자 : 김행복]

14. 다음 중 방진마스크 선택시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2012년 08월)
     1. 포집율이 좋아야 한다.
     2. 흡기저항 상승률이 높아야 한다.
     3. 시야가 넓을수록 좋다.
     4. 안면부에 밀착성이 좋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흡기저항 상승률이 높으면 숨을 어찌 쉴까요?
[해설작성자 : 여누찡]

15. 안전관리 조직의 유형 중 참모식 조직의 특성이 아닌 것은?(2006년 08월)
     1. 모든 명령은 생산계통을 따라 이루어진다.
     2. 100명 이상의 사업장에 적합하다.
     3. 안전업무가 전담기능에 의하여 수행되므로 발전적이다.
     4. 라인식 조직보다 비경제적인 조직이며 안전기술 축적이 용이하다.

     정답 : []
     정답률 : 52%

16. 다음 [그림]과 같은 착시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2009년 03월)

    

     1. 동화착오
     2. 분할착오
     3. 윤곽착오
     4. 방향착오

     정답 : []
     정답률 : 80%

17. AE 와 ABE형의 안전모의 내수성 시험은 모체를 20~25℃의 수중에 24시간 담가놓은 후 대기중에 꺼내어 수분을 제거한 무게 증가율이 얼마일 때 합격하는가?(2006년 03월)
     1. 1%미만
     2. 2%이하
     3. 2.5%미만
     4. 3%이하

     정답 : []
     정답률 : 45%

18. 다음 중 재해예방의 4원칙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1년 08월)
     1. 예방가능의 원칙
     2. 원인계기(연계)의 원칙
     3. 대책선정의 원칙
     4. 현장보존의 원칙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해설에 실수가 있는 거 같습니다

예방가능 원칙
손실우연 원칙
대책선정 원칙
원인연계 원칙
[해설작성자 : 창폴]

19. 매슬로우(Maslow)의 욕구 5단계 이론 중 2단계의 욕구에 해당하는 것은?(2008년 07월)
     1. 안전 욕구
     2. 사회적 욕구
     3. 존경의 욕구
     4. 자아 실현의 욕구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매슬로우 5단계 욕구
1단계 : 생리적 욕구
2단계 : 안전의 욕구
3단계 : 애정과 소속의 욕구
4단계 : 존경의 욕구
5단계 : 자아실현의 욕구
[해설작성자 : 알아서 머하겤]

20. 리더쉽의 권한 중 목표 달성을 위하여 부하 직원들이 상사를 존경하여 상사와 함께 일하고자 할 때 상사에게 부여되는 권한을 무엇이라 하는가?(2007년 03월)
     1. 보상적 권한
     2. 강압적 권한
     3. 합법적 권한
     4. 위임된 권한

     정답 : []
     정답률 : 65%

2과목 :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21. 3개 이상의 입력현상 중 언젠가 2개가 일어나면 출력이 생기는 결함수에 이용되는 게이트는?(2003년 08월)
     1. 우선적 AND게이트
     2. 조합 AND게이트
     3. 위험지속기호
     4. 배타적 OR게이트

     정답 : []
     정답률 : 57%

22. 다음 중 작업설계를 함에 있어서 작업만족도를 얻기 위한 수단으로 볼 수 없는 것은?(2010년 03월)
     1. 작업 순환
     2. 작업 분석
     3. 작업 윤택화
     4. 작업 확대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작업만족도를 얻기위한 수단 4가지. 정답률이 낮은 이유는 확대하신분 많을겁니다, 답은
1.순환 2.윤택화 3.확대 4.만족도 입니다

23. 인체의 피부와 허파로 부터 하루에 600g의 수분이 증발된다면 이러한 증발로 인한 열손실율은 몇 와트(Watt)나 되겠는가? (단, 물 1g을 증발시키는데 필요한 에너지는 2410 J/g 이다.)(2004년 09월)
     1. 약 15 Watt
     2. 약 17 Watt
     3. 약 19 Watt
     4. 약 21 Watt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1w = 1j/s
증발한 전체열량/걸린 시간
(600x2410)/(24x60x60)=16.736111

약 17watt 가 나온다
[해설작성자 : 다옴직업학교 특수용접8기]

24. 다음 중 한 장소에 앉아서 수행하는 작업활동에 있어서의 작업에 사용하는 공간을 무엇이라 하는가?(2012년 05월)
     1. 작업공간 포락면
     2. 정상작업 포락면
     3. 작업공간 파악한계
     4. 정상작업 파악한계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작업공간 포락면: 한 장소에 앉아서 수행하는 작업 활동에서, 사람이 작업하는데 사용하는 공간
[해설작성자 : 손지희]


25. 인간의 눈은 모든 빛을 동일하게 받아들이는 것 같아 보이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다음 중 인식범위가 가장 넓은 색상은?(2003년 05월)
     1. 백색
     2. 청색
     3. 적색
     4. 녹색

     정답 : []
     정답률 : 60%

26. 동전던지기에서 앞면이 나올 확률 P(앞)=0.9 이고, 뒷면이 나올 확률 P(뒤)=0.1 일 때, 앞면과 뒷면이 나올 사건 각각의 정보량은?(2015년 05월)
     1. 앞면 : 0.10bit, 뒷면 : 3.32bit
     2. 앞면 : 0.15bit, 뒷면 : 3.32bit
     3. 앞면 : 0.10bit, 뒷면 : 3.52bit
     4. 앞면 : 0.15bit, 뒷면 : 3.52bit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앞면 log(1-0.9)/log2
뒷면 log(1-0.1)/log2
[해설작성자 : 송영규]

정보량 I , 확률 P
I = -log (P) / log 2
앞면 정보량 -log(0.9)/log2
뒷면 정보량 -log(0.1)/log2

앞면 log2(0.9) = 0.15 [bit]
뒷면 log2(0.1) = 3.32 [bit]

공학용계산기 사용시 log(2,0.9) 이런식으로 콤마를 붙여서 입력하십쇼
[해설작성자 : 레몬맨두]

제가 본책에는
앞면 log(1/0.9)/log2 = 0.152
뒷면 log(1/0.1)/log2 = 3.321
이렇게되어있네요
[해설작성자 : 첫경험]

27. 다음 FT도의 컷셋(cut sets)으로 옳은 것은?(2010년 07월)

    

     1. {X1, X3}, {X1, X4}, {X2, X3}, {X2, X4}
     2. {X1, X2}, {X1, X3}, {X2, X3}, {X2, X4}
     3. {X1, X2}, {X1, X3}, {X1, X4}, {X2, X4}
     4. {X1, X3}, {X1, X4}, {X2, X3}, {X3, X4}

     정답 : []
     정답률 : 62%

28. 다음 중 선 자세와 앉은 자세의 비교에서 틀린 것은?(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장에서는 1, 4번이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2014년 08월)
     1. 서 있는 자세보다 앉은 자세에서 혈액순환이 향상된다.
     2. 서 있는 자세보다 앉은 자세에서 균형감이 높다.
     3. 서 있는 자세보다 앉은 자세에서 정확한 팔 움직임이 가능하다.
     4. 앉은 자세보다 서 있는 자세에서 척추에 더 많은 해를 줄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앉은 자세보다 서 있는 자세에서 혈액순환이 향상된다.
장시간 앉아서 작업하는 것은 허리에 해를 줄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손지희]

정답 4번
누워있는 자세보다 서 있는 자세가 2배의 척추 압력을 받고, 앉은 자세는 서 있는 자세의 2배의 척추 압력을 받는다.
[해설작성자 : 강산]

29. 화학설비에 대한 안정성 평가 단계 중 제2단계의 주요 진단 항목이 아닌 것은?(2008년 05월)
     1. 건조물
     2. 공정계통도
     3. 중간 제품
     4. 소방설비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제 2단계 : 정성적 평가
1) 설계관계 : 공장내 배치, 공장의 입지조건, 건조물, 소방설비
2) 운전관계 : 원재료•중간제품 등, 수송•저장 등, 공정기기, 공정•공정작업을 위한 작업규정 유무 등
[해설작성자 : 202277031]

30. 기계와 인간의 상대적 수행도를 나타내는 다음[그림]에서 시스템의 재설계가 요구되는 영역은?(2009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7%

31. 다음의 감각기관 중 반응속도가 가장 빠른 것은?(2013년 08월)
     1. 시각
     2. 촉각
     3. 후각
     4. 미각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촉각: 0.18초 (촉각은 무조건 반응이라서 반응이 빠르다)

시각: 0.20초
후각,미각: 0.29초
통각: 0.7초
[해설작성자 : 손지희]

청각 0.17초 입니다.
청각, 촉각, 시각, 미각, 통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2. 다음 표지 장치 중 정적 표시 장치는?(2003년 03월)
     1. 온도계
     2. 속도계
     3. 고도계
     4. 그래프

     정답 : []
     정답률 : 64%

33. 다음 중 FTA를 이용하여 사고원인의 분석 등 시스템의 위험을 분석할 경우 기대 효과와 관계없는 것은?(2013년 03월)
     1. 사고원인 분석의 정량화 가능
     2. 사고원인 규명의 귀납적 해석가능
     3. 안전점검을 위한 체크리스트 작성 가능
     4. 복잡하고 대형화된 시스템의 신뢰성분석 및 안전성 분석가능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FTA : 정량적, 연역적
[해설작성자 : 스피드웨건]

FTA를 사용시
1. 사건의 간편화 일반화 정량화 (연역적) 체크리스트 작성 가능 결함진단가능 시간과 노력 절감
[해설작성자 : CMJ]

사고원인 규명의 귀납적 해석은 FMEA의 특성이다.
[해설작성자 : 뱅드림]

34. 조도가 400럭스인 위치에 놓인 흰색 종이 위에 짙은 회색의 글자가 씌어져 있다. 종이의 반사율 80%이고, 글자의 반사율은 40%라 할 때 종이와 글자의 대비는 얼마인가?(2014년 03월)
     1. -100%
     2. -50%
     3. 50%
     4. 100%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80-40)/80x100 = 50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ㅁㅇㄴ]

대비 공식 =( 배경의 반사율 - 표적의 반사율 / 배경의 반사율 ) * 100
[해설작성자 : CMJ]

35. 다음 통제장치의 형태 중 그 성격이 다른 것은?(2002년 05월)
     1. 푸시버튼
     2. 터글스위치
     3. 놉(knob)
     4. 로터리스위치

     정답 : []
     정답률 : 57%

36. 다음 중 기계가 인간을 능가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2010년 05월)
     1. 물리적인 양을 신속하게 계수하거나 측정한다.
     2. 완전히 새로운 해결책을 찾아낸다.
     3. 암호화된 정보를 신속하게 대량으로 보관한다.
     4. 반복적인 작업을 신뢰성 있게 수행한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기계가 완전 새로운 해결책을 찾는다고 하면 결함이 생길 이유가 없죠???
[해설작성자 : Rosy]

37. 다음 중 설비의 가용도를 나타내는 공식으로 옳은 것은?(2010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1%

38. 동전던지기에서 앞면이 나올 확률 P(앞)=0.6이고, 뒷면이 나올 확률 P(뒤)=0.4일 때, 앞면과 뒷면이 나올 사건의 정보량을 각각 맞게 나타낸 것은?(2019년 03월)
     1. 앞면:0.10bit, 뒷면:1.00bit
     2. 앞면:0.74bit, 뒷면:1.32bit
     3. 앞면:1.32bit, 뒷면:0.74bit
     4. 앞면:2.00bit, 뒷면:1.00bit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정보량(H) = log2(1/P)
[해설작성자 : 공부중]

log(1/P)÷log(2)
[해설작성자 : 10개년3회독]

39. 인체측정치를 이용한 설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8월)
     1. 평균치를 기준으로 한 설계를 제일 먼저 고려한다.
     2. 의자의 깊이와 너비는 모두 작은 사람을 기준으로 설계한다.
     3. 자세와 동작에 따라 고려해야 할 인체측정치수가 달라진다.
     4. 큰 사람을 기준으로 한 설계는 인체측정치의 5%tile을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3번 - 인체측정 설계원칙 중 조절식에 관한 설명
[해설작성자 : 스마트팩토리과]

인체측정치 설계시 조절식설계->극단치설계->평균치설계 순입니다
[해설작성자 : 유환줘]

조절식 설계를 제일먼저 고려
깊이 작은사람 너비 큰사람
큰사람기준설계 95%
[해설작성자 : 붙고싶다]

40. 다음 중 정신적 작업 부하에 대한 생리적 측정치에 해당하는 것은?(2013년 03월)
     1. 에너지대사량
     2. 최대산소소비능력
     3. 근전도
     4. 부정맥 지수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정신적 부하 작업 척도
심박수(부정맥)
뇌전위(점멸융합주파수)
동공반응(눈 깜박임률)
호흡수
[해설작성자 : 다옴직업학교 특수용접8기]

부정맥은 심장 박동이 고르지 못하고 불규칙적인 상태로 정신적 작업부하를 측정하는 기준
[해설작성자 : 주궉]

3과목 : 기계위험방지기술


41. 동력 전도 부분의 전방 30cm위치에 일방 평형보호망을 설치하고자 한다. 보호망의 최대 개구 간격은?(2003년 03월)
     1. 36mm
     2. 46mm
     3. 56mm
     4. 66mm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보호망의 최대 개구 간격 : Y = 6 + X/10

42. 다음 중 목재가공용 둥근톱에 설치해야 하는 분할날의 두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03월)
     1. 톱날 두께의 1.1배 이상이고, 톱날의 치진폭보다 커야한다.
     2. 톱날 두께의 1.1배 이상이고, 톱날의 치진폭보다 작아야 한다.
     3. 톱날 두께의 1.1배 이내이고, 톱날의 치진폭보다 커야한다.
     4. 톱날 두께의 1.1배 이내이고, 톱날의 치진폭보다 작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목재가공용 둥근톱 ㅡ 연삭기와 비교하면서 외우면 나중에 안헷갈림

분할날과 톱날 원주면 사이의 거리는 12mm이내로 조정하고 표준 테이블면 상의 톱 뒷날의 2/3 이상을 덮도록 해야 한다.

43. 다음 설명 중 ( )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3년 03월)

    

     1. ① 0.5m2, ② 1.0m
     2. ① 1.0m2, ② 1.2m
     3. ① 1.5m2, ② 1.5m
     4. ① 2.0m2, ② 2.5m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관련 법령에서 삭제된 내용입니다.

44. 기계설비 구조의 안전을 위해 설계 시 고려하여야 할 안전계수(safety factor)의 산출 공식으로 틀린 것은?(2017년 03월)
     1. 파괴강도÷허용응력
     2. 안전하중÷파단하중
     3. 파괴하중÷허용하중
     4. 극한강도÷최대설계응력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안전계수 산출공식의 기본은 기준강도 나누기 허용응력이다
기준강도=항복강도=극한강도=인장강도=파단하중=최대응력으로 볼 수 있다.
허용응력=설계하중=최대설계응력=인장응력=안전하중=허용응력으로 볼 수 있다.
2번의 안전하중 나누기 파단하중은 안전계수 산출공식으로 맞지 않다.
고치려면 파단하중 나누기 안전하중이 옳다
[해설작성자 : 이만그럼]

45. 드릴 작업시 올바른 작업 안전 수칙으로 틀린 것은?(2007년 05월)
     1. 구멍을 뚫을 때 관통된 것을 확인하기 위해 손으로 만져서는 안된다.
     2. 드릴을 끼운 후에 척 렌치(chuck Wrench)를 끼우고 작업 한다.
     3. 작업모를 착용하고 옷소매가 긴 작업복은 입지 않는다.
     4. 드릴작업에서는 보호 안경을 쓰거나 안전덮개(shield)를 설치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드릴에 렌치를 끼우고 사용하면 렌치가 돌아가겠죠??
[해설작성자 : Rosy]

46. 기계의 동작 상태가 설정한 순서, 조건에 따라 진행되어 한 가지 상태의 종료가 끝난 다음 상태를 생성하는 제어 시스템을 가진 로봇은?(2010년 07월)
     1. 시퀀스 로봇
     2. 플레이백 로봇
     3. 수치제어 로봇
     4. 학습제어 로봇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순서에 따라 진행된다=시퀀스
[해설작성자 : 여권발급하고싶다]

47. 프레스 등을 사용하여 작업할 때 작업시작전의 점검사항으로 틀린 것은?(2005년 05월)
     1. 클러치 및 브레이크의 기능
     2. 1행정 1정지기구·급정지장치 및 비상정지장치의 기능
     3. 프레스의 금형 및 고정볼트
     4. 이상음, 진동상태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작업시작전이므로 시동이 켜져있지 않기 때문에 이상음과 진동상태를 점검할 수 없겠죠?
[해설작성자 : 재발합시다]

48. 다음 중 금형의 설계 및 제작시 안전화 조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5월)
     1. 펀치와 세장비가 맞지 않으면 길이를 짧게 조정한다.
     2. 강도 부족으로 파손되는 경우 충분한 강도를 갖는 재료로 교체한다.
     3. 열처리 불량으로 인한 파손을 막기 위해 담금질(Quenching)을 실시한다.
     4. 캠 및 기타 충격이 반복해서 가해지는 부분에는 완충장치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담금질은 열처리를 하는게 아니라 급랭(고온에 열을 냉각 시키는 것)하는 방법이다.
[해설작성자 : 화이팅]

열처리 불량으로 파손을 막는건 뜨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9. 다음 중 컨베이어(conveyor)의 주요 구성품이 아닌 것은?(2012년 03월)
     1. 롤러(Roller)
     2. 벨트(Belt)
     3. 지브(Jib)
     4. 체인(Chain)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지브는 크레인의 구성품으로 화물을 매달기 위한 arm을 말한다.

50. 기계를 구성하는 요소에서 피로현상은 안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다음 중 기계요소의 피로파괴현상과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2017년 03월)
     1. 소음(noise)
     2. 노치(notch)
     3. 부식(corrosion)
     4. 치수 효과(size effect)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소음은 인간요소의 피로파괴현상 중 하나.
[해설작성자 : 공부중]

피로 파괴현상의 영향요인
① 노치
② 부식 피로
③ 치수 효과
④ 온도
⑤ 표면상태 등
[해설작성자 : 붉은여우]

51. 다음 중 근로자에게 위험을 미칠 우려가 있는 공작기계에서 덮개, 울 등을 설치해야 하는 경우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8년 07월)
     1. 연삭기 또는 평삭기의 테이블, 형삭기 램 등의 행정 끝
     2. 선반으로부터 돌출하여 회전하고 있는 가공물 부근
     3. 톱날 접촉예방장치가 설치된 원형톱(목재가공용 둥근 톱 기계 제외) 기계의 위험부위
     4. 띠톱기계의 위험한 톱날(절단부분 제외)부위

     정답 : []
     정답률 : 50%

52. 가스용접용 용기를 보관하는 저장소의 온도는 몇 ℃이하로 유지해야 하는가?(2013년 03월)
     1. 0℃
     2. 20℃
     3. 40℃
     4. 60℃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직사 광선을 받지않는 장소로서 저장소의 온도는 40도 이하가 적당하다.
[해설작성자 : 산안산기과거문제난이도뭔데]

53. 보일러의 압력방출장치가 2개 이상 설치된 경우, 최고 사용압력 이하에서 1개가 작동되고, 남은 1개의 작동 압력은?(2015년 03월)
     1. 최고사용압력의 1.05배 이하
     2. 최고사용압력의 1.1배 이하
     3. 최고사용압력의 1.25배 이하
     4. 최고사용압력의 1.5배 이하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압력방출장치(보일러의 안전장치)
보일러 규격에 맞는 압력방출장치를 1개 또는 2개 이상 설치하고 최고사용압력(설계압력 또는 최고허용압력) 이하에서 작동되도록 한다.

압력방출장치가 2개 이상 설치된 경우 최고사용압력 이하에서 1개가 작동되고, 다른 압력방출장치는    최고사용압력 1.05배 이하에서 작동되도록 부착
[해설작성자 : 앙김호띠]

화재를 대비한 경우 1.1배
[해설작성자 : 잉]

외부 1.1배
[해설작성자 : {'}]

54. 다음은 연삭기의 구조면에서의 방호대책이다. 옳은 것은?(2005년 05월)
     1. 숫돌의 결합시 축과 0.5mm 정도의 틈새를 둔다.
     2. 칩비산방지 투명판(shield)은 방호장치이다.
     3. 연삭숫돌을 연삭기에 고정시킬 때 라벨을 제거하고 견고히 부착한다.
     4. 탁상용연삭기는 작업받침대(work rest)와 조정편을 설치하고 연삭숫돌과 조정편의 간격은 1∼3mm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24%
     <문제 해설>
칩비산방지 투명판은 선반의 방호장치임.
[해설작성자 : 시오닝]

55. 클러치의 마찰면이 마멸되면 페달의 간격과의 관계는?(2006년 03월)
     1. 페달의 간격은 없다.
     2. 페달의 간격이 커진다.
     3. 페달의 간격과 관계없다.
     4. 페달의 간격이 적어진다.

     정답 : []
     정답률 : 63%

56. 안전계수 6인 로프의 파단하중이 1116㎏이라면 이 로프는 얼마 이하로 물건을 매달아야 하는가?(2004년 03월)
     1. 186(kg)
     2. 190(kg)
     3. 195(kg)
     4. 200(kg)

     정답 : []
     정답률 : 70%

57. 다음 중 보일러의 부식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3월)
     1. 증기발생이 과다할 때
     2. 급수처리를 하지 않은 물을 사용할 때
     3. 급수에 해로운 불순물이 혼입되었을 때
     4. 불순물을 사용하여 수관이 부식되었을 때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보일러의 부식원인
1) 불순물이 많이 혼입되었을때
2) 급수처리하지 않은 물을 사용할때
[해설작성자 : ㄱㅃ]

58. 다음 중 컨베이어의 안전장치가 아닌 것은?(2020년 06월)
     1. 이탈 및 역주행방지장치
     2. 비상정지장치
     3. 덮개 또는 울
     4. 비상난간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비상난간이 아니라 건널다리가 안전장치임
[해설작성자 : 박재환]

59. 지게차의 안전장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03월)
     1. 후사경
     2. 헤드가드
     3. 백 레스트
     4. 권과방지장치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후사경 전조등 헤드가드 백레스트 브레이크 안전벨트

[추가 해설]
권과방지장치는 크레인
[해설작성자 : 크레인5번떨어짐]

60. 프레스의 작업 시작 전 점검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4월)
     1. 클러치 및 브레이크의 기능
     2. 금형 및 고정볼트 상태
     3. 전단기(剪斷機)의 칼날 및 테이블의 상태
     4. 언로드 밸브의 기능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언로드 밸브는 공기압축기 입니다.

4과목 : 전기 및 화학설비위험방지기술


61. 다음 중 전기화재의 주요 원인이 되는 전기의 발열현상에서 가장 큰 열원에 해당하는 것은?(2013년 06월)
     1. 줄(Joule) 열
     2. 고주파 가열
     3. 자기유도에 의한 열
     4. 전기화학 반응열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전기의 가장 큰 열원=줄(joule)열

Q=I제곱 x R x T
I=전류 r=전기저항 t=통전시간
[해설작성자 : 너도하면 나도 한다]

62. 고압용 퓨즈는 정격전류의 몇배에 견뎌야 하는가?(2004년 03월)
     1. 1.2배
     2. 1.3배
     3. 1.6배
     4. 1.8배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고압비포장 : 1.25배
고압포장 : 1.3배
[해설작성자 : 합격합시다]

63.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누전에 의한 감전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확실한 접지를 하여야 하는 부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1년 06월)
     1. 전기기계∙ 기구의 금속제 외피 및 철대
     2. 전기를 사용하지 아니하는 설비 중 전동식 양중기의 프레임에 해당하는 금속체
     3. 사용전압이 대지전압 150V를 넘는 코드 및 플러그를 접속하여 사용하는 전기기계∙기구의 노출된 비충전 금속체
     4. 전기용품안전 관리법에 의한 이중절연구조 또는 이와 동등 이상으로 보호되는 전기가계∙기구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전기용품안전 관리법에 의한 이중절연구조 또는 이와 동등 이상으로 보호되는 기구들인데 굳이 접지를 할 필요는 없겠죠?
[해설작성자 : 문제를 잘 읽어보면 풀 수 있는 문제]

64. 분말 소화약제 중에서 A,B,C급 소화에 유효한 제3종 분말 소화약제는 어느 것인가?(2004년 03월)
     1. 인산암모늄(NH4H2PO4)
     2. 탄산수소칼륨(KHCO3)
     3. 탄산수소나트륨(NaHCO3)
     4. 탄산수소칼륨과 요소와의 화합물(KC2H2N2O3)

     정답 : []
     정답률 : 33%

65. 다음중 전선이 연소될 때의 단계별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7년 08월)
     1. 착화단계, 순시용단 단계, 발화단계, 인화단계
     2. 인화단계, 착화단계, 발화단계, 순시용단 단계
     3. 순시용단 단계, 착화단계, 인화단계, 발화단계
     4. 발화단계, 순시용단 단계, 착화단계, 인화단계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점점 불이 붙어가면서 선이 녹아 끊어진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TUIX]

전선연소는 인화가 제일먼저라는점 기억해주세요
[해설작성자 : 메이플 토벤머리]

인화:불꽃이 존재..     착화: 가연물에 불이붙음..        발화: 열로만 존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인 → 착 → 발 → 순
[해설작성자 : 외우세요]

66. 일반적으로 전기 기기의 누전으로 인한 감전 재해의 방지 대책으로서 해당 없는 것은?(2002년 03월)
     1. 보호 접지법
     2. 이중 절연 기기의 사용
     3. 감전 방지용 누전 차단기의 사용
     4. 전로의 채용

     정답 : []
     정답률 : 60%

67. 이동전선에 접속하여 임시로 사용하는 전등이나 가설의 배선 또는 이동전선에 접속하는 가공매달기식 전등 등을 접촉함으로 인한 감전 및 전구의 파손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망을 부착하도록 하고 있다. 이들을 설치시 준수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2015년 08월)
     1. 보호망은 쉽게 파손되지 않을 것
     2. 재료는 용이하게 변형되지 아니하는 것으로 할 것
     3. 전구의 밝기를 고려하여 유리로 된 것을 사용할 것
     4. 전구의 노출된 금속부분에 쉽게 접촉되지 아니하는 구조로 할 것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재료는 쉽게 파손되거나, 변형되지 않는 것으로 할것
[해설작성자 : 정수롤리폴리]

68. 60[Hz]의 가정용 교류일 경우 인체가 감전되어 전격의 고통은 이겨낼 수 있는 전류값[mA]은?(2003년 05월)
     1. 7-8
     2. 50-55
     3. 100-150
     4. 1000-1100

     정답 : []
     정답률 : 43%

69. 산소용기의 압력계가 100kg/cm2였다. 몇 [psia]인가? (단, 대기압은 표준대기압이다.)(2003년 05월)
     1. 1465
     2. 1455
     3. 1438
     4. 1423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류 신고 내용]
표준대기압 1.0332kg/cm^2 = 14.7psi
100/1.0332 = 96.786
96.79X14.7psi = 1422.813 = 1423psi
정답을 4번으로 바꾸어야 할 것 같음.

[오류신고 반론]
3번 맞습니다. 문제를 보면 psi가 아니라 절대압을 나타내는 psia이기 때문에 절대압=대기압+게이지압 이기 때문에 (101.0332X14.7)/1.0332로 풀어야 합니다. 그래서 답은 1438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유프트]

70. 저압방폭설비에 필요한 전선관을 상호 접속시에는 유니온 카플링을 사용하여 최소한 몇 산이상 유효하게 접속하여야 하는가?(2003년 05월)
     1. 3산
     2. 4산
     3. 5산
     4. 7산

     정답 : []
     정답률 : 41%

71. 다음 각 물질의 저장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8월)
     1. 황린은 저장용기 중에 물을 넣어 보관한다.
     2. 과산화수소는 장기 보존시 유리용기에 저장된다.
     3. 피크린산은 철 또는 구리로 된 용기에 저장한다.
     4. 마그네슘은 다습하고 통풍이 잘 되는 장소에 보관한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과산화수소 = 가벼운 플라스틱 병에 밀봉보관 하며 35도 이하의 장소에서 보관할것.
피크린산 = 화기의 접금을 엄금,통풍이 잘되는 곳에 보관한다.
마그네슘 = 서늘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한다.
[해설작성자 : 뱅드림]

72. 운전하고 있던 탈수기가 정지하여 탈수기용 개폐기를 수 차례 개폐조작 중 개폐기 충전부에 감전, 사망한 문제점과 거리가 먼 것은?(2004년 05월)
     1. 전기담당자가 아니면서 고장난 기계기구 취급
     2. 습기 및 물기 있는 장소에서 작업
     3. 전동기 외함접지 미 실시
     4. 불량시설 조기 개보수

     정답 : []
     정답률 : 47%

73. 플라스틱, 섬유, 고무, 필름공장 등에서 정전기 제거에 유용한 제전기는?(2003년 08월)
     1. 가전압식제전기
     2. 자기방전식제전기
     3. 이온식제전기
     4. 가압식제전기

     정답 : []
     정답률 : 44%

74. 아세틸렌(C2H2)의 공기 중 완전연소 조성농도(Cst)는 약 얼마인가?(2019년 04월)
     1. 6.7 vol%
     2. 7.0 vol%
     3. 7.4 vol%
     4. 7.7 vol%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C2H2 + 2.5O2 => 2CO2 + H20
공기중 산소조성농도 21%
에틸렌 조성농도 산소 21/2.5% = 8.4
8.4 ÷ (8.4+21+79) ×10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위 반응식에서
            100                                                100
------------------        -->        ------------        = 7.7
1+4.773(산소몰수)                         1+4.773*(2.5)

할로겐원소 존재시 산소몰수 대신 (n+ (m-f-2람다/4))
n = 탄소
f = 할로겐원소
람다 = 산소원자수
[해설작성자 : 파랑계란]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100/1+4.773×(n+(m-f-2ㅅ/4)) 하면 7.7324xxx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용용]

[추가 오류 신고]
Cst=100/1+4.773*(2+2/4)=7.7324로
답은 3번 7.74[vol%]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계산기]

[오류신고 반론]
계산기님 해설에 7.74가 반올림하면 7.7이지 어떻게 3번 7.4가 됩니까? 3번 보기 7.74가 아니고 7.4입니다.
정확히 알고 오류 신고하세요 괜히 처음 익히는 사람들 혼돈주지마시고
[해설작성자 : 계산기 버려라]

75. 가정에서 튀김기름으로 요리 하다가 식용유에 불이 붙었을 때 채소기류를 기름에 넣으면 불이 꺼지는 경우에 해당되는 소화법은?(2010년 05월)
     1. 냉각소화법
     2. 질식소화법
     3. 제거소화법
     4. 희석소화법

     정답 : []
     정답률 : 43%

76. 다음 중 전압의 분류가 잘못된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0년 05월)
     1. 저압 - 600볼트 이하의 교류전압
     2. 저압 - 750볼트 이하의 직류전압
     3. 고압 - 600볼트 초과 7천볼트 이하의 교류전압
     4. 초고압 - 1만볼트를 초과하는 직류전압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규정 개정]
2021년 KEC 규정으로 전압 규정이 바뀌었습니다.
저압: 교류 1000v 이하 직류 1500v 이하
고압: 저압 초과 7000v 이하
특고압: 7000v 초과
[해설작성자 : 101010]

77. 증기운 폭발에 대한 다음의 설명 중에서 옳지 않은 것은?(2004년 05월)
     1. 대량의 가연성 가스및 기화하기 쉬운 액체가 사고에 의해 누출, 누설하여 발화원에 의해 폭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2. 증기운 폭발은 일종의 가스폭발이라고도 한다.
     3. 증기운 폭발은 주로 폐쇄공간에서 발생한다.
     4. LNG가 누출 될때도 증기운폭발을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주요소에서 폭발사고가 일어났다는 뉴스를 보신적 있으시죠?? 이 문제와 같은 경우입니다.
[해설작성자 : 주유소 폭발사고 조심하자]

78. 다음 중 물질의 위험성과 그 시험방법이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2011년 08월)
     1. 인화점 - 태그 밀폐식
     2. 발화온도 - 산소지수법
     3. 연소시험 - 도입법
     4. 최소발화에너지 - 크리브란드 개방식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인화점 - 태그 밀폐식, 세타 밀폐식, 클리브랜드 개방식
[해설작성자 : 투이치]

79. 다음 중 누전화재라는 것을 입증하기 위한 요건이 아닌 것은?(2010년 05월)
     1. 누전점
     2. 발화점
     3. 접지점
     4. 접속점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누)가 (발)을 접질(접지)렀나? 로 외우면 쉬움
[해설작성자 : ㅇ]

80. 다음 중 화재의 종류가 옳게 연결된 것은?(2020년 08월)
     1. A급화재 - 유류화재
     2. B급화재 - 유류화재
     3. C급화재 - 일반화재
     4. D급화재 – 일반화재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A급 일반
B급 유류
C급 전기
D급 금속

81. 거푸집동바리 서치시 안전기준으로 틀린 것은?(2006년 03월)
     1. 동바리로 강관을 사용하는 경우 높이 2m 이내마다 수평 연결재를 2개 방향으로 만들고 수평연결재의 변위를 방지한다.
     2. 동바리로 파이프서포트를 이어서 사용할 때는 3본까지로 제한한다.
     3. 동바리의 이음은 맞댄이음 또는 장부이음으로 한다.
     4. 강재와 강재와의 접속부 및 교차부는 볼트, 클램프 등 전용철물을 사용하여 단단히 연결한다.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2. 2본까지 가능합니다. 3본이상 사용금지!
[해설작성자 : 세종대기계공]

82. 벽체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이 터져서 콘크리트가 쏟아진 사고가 발생하였다. 다음 중 이 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추정할 수 있는 것은?(2014년 03월)
     1. 콘크리트를 부어 넣는 속도가 빨랐다.
     2. 거푸집에 박리제를 다량 도포했다.
     3. 대기 온도가 매우 높았다.
     4. 시멘트 사용량이 많았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빠르게넣으면 측압이커짐
[해설작성자 : 류현진]

83. 차량계 하역운반기계의 운전자가 운전위치를 이탈하는 경우의 조치사항으로 부적절한 것은?(2018년 08월)
     1. 포크 및 버킷을 가장 높은 위치에 두어 근로자 통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였다.
     2. 원동기를 정지시키고 브레이크를 걸었다.
     3. 시동키를 운전대에서 분리시켰다.
     4. 경사지에서 갑작스런 주행이 되지 않도록 바퀴에 블록 등을 놓았다.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포크와 버킷은 무족권 지면에(낮은곳)위치 시키기
[해설작성자 : 단골문제 틀리면 시험 접자]

84. 철골작업시 추락재해를 방지하기 위한 설비가 아닌 것은?(2005년 05월)
     1. 안전대 및 구명줄
     2. 어스 앙카
     3. 승강용 트랩
     4. 추락방지용 방망

     정답 : []
     정답률 : 59%

85. 지내력 시험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하중-침하량 곡선을 얻었을 때 장기하중에 대한 허용 지내력도로 옳은 것은? (단, 장기하중에 대한 허용 지내력도= 단기하중에 대한 허용 지내력도×1/2)(2017년 08월)

    

     1. 6 t/m2
     2. 7t/m2
     3. 12t/m2
     4. 14t/m2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12 x 1/2 = 6 [t/m^2)
[해설작성자 : 승원]

86. 화물취급작업 중 화물 적재 시 준수해야 하는 사항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2년 03월)
     1. 침하의 우려가 없는 튼튼한 기반 위에 적재할 것
     2. 중량의 화물은 건물의 칸막이나 벽에 기대어 적재 할 것
     3. 불안정할 정도로 높이 쌓아 올리지 말 것
     4. 편하중이 생기지 아니하도록 적재할 것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무엇보다도 화물 적재할 때는 칸막이나 벽이 기대어 적재하면 한쪽으로 쏠려 화물이 무너져 근로자가 다칠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한쪽으로 기대어 화물을 적재하지말고 튼튼한 곳에 적재하고 불안정하게 높이 쌓아올리지 않거나 편하중이 생기도록 화물을 적재하면 안됩니다.
[해설작성자 : 김행복]

87. 근로자의 작업배치 추락위험이 있을 때 비계 조립 등에 의하여 작업발판을 설치해야 하는 높이 기준은?(2009년 03월)
     1. 1m 이상
     2. 2m 이상
     3. 3m
     4. 4m 이상

     정답 : []
     정답률 : 71%

88. 근로자의 추락 위험이 있는 장소에서 발생하는 추락재해의 원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2018년 04월)
     1. 안전대를 부착하지 않았다.
     2. 덮개를 설치하지 않았다.
     3. 투하설비를 설치하지 않았다.
     4. 안전난간을 설치하지 않았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투하설비는 낙하관련 설비입니다.
[해설작성자 : 남똘]

89. 건설현장에서 거푸집 동바리를 조립할 때 준수 사항으로 틀린 것은?(2008년 05월)
     1. 동바리의 이음은 맞댄이음 또는 장부이음으로 할 것
     2. 깔옥의 사용, 콘크리트 타설, 말뚝박기 등 동바리의 침하 방지 조치를 할 것
     3. 동바리로 사용하는 강관(파이프서포트 제외)은 높이 3미터 이내마다 수평연결재를 3개 방향으로 설치할 것
     4. 강재와 강재와의 접속부 및 교차부는 볼트, 클램프 등 전용철물을 사용하여 연결할 것

     정답 : []
     정답률 : 70%

90. 타워크레인을 벽체에 지지하는 경우 서면심사 서류 등이 없거나 명확하지 아니할 때 설치를 위해서는 특정 기술자의 확인을 필요로 하는데, 그 기술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2년 03월)
     1. 건설안전기술사
     2. 기계안전기술사
     3. 건축시공기술사
     4. 건설안전분야 산업안전지도사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확인 받아야하는 기술자
건축구조기술사/건축기계기술사
기계안전기술사/ 건설안전기술사
건설안전분야 산업지도사
[해설작성자 : 군바리는 자격증공부중]

91. 낙하물 방지망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8월)
     1. 높이 10[m] 이내마다 설치한다.
     2. 내민 길이는 벽면으로부터 3[m] 이상으로 한다.
     3. 수평면과의 각도는 20[°] 이상, 30[°] 이하를 유지 한다.
     4. 방호선반의 설치기준과 동일하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낙하 방지 (물건 떨어지는 사고) > 2M
추락 방지 (사람떨어지는 사고)    > 3M

[추가 해설]
내민길이는 벽면으로부터 2M 이상

92. 기초의 안전상 부동침하를 방지하는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6월)
     1. 구조물의 전체 하중이 기초에 균등하게 분포되도록 한다.
     2. 기초 상호간을 지중보로 연결한다.
     3. 한 구조물의 기초는 2종류 이상의 복합적인 기초형식 으로 한다.
     4. 기초 지반 아래의 토질이 연약할 경우는 연약지반 처리 공법으로 보강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구조물 기초를 여러가지 섞어 버리면 비교적 약한 기초에 하중이 쏠리게 됩니다
한 순간에 가버리는 수가 있어요
[해설작성자 : 나머지는 몰라서 옳지 않은 것만 해설]

93. 다음 중 옹벽 안정조건의 검토사항이 아닌 것은/(2006년 03월)
     1. 활동(sliding)에 대한 안전검토
     2. 전도(overtering)에 대한 안전검토
     3. 지반 지지력(settlement)에 대한 안전검토
     4. 보일링(boiling)에 대한 안전검토

     정답 : []
     정답률 : 58%

94. 흙막이 지보공을 설치할 때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이상이 있을 때에 즉시 보수하여야할 사항이 아닌 것은?(2004년 03월)
     1. 부재의 손상, 변형, 변위 및 탈락의 유무와 상태
     2. 버팀대 강도
     3. 부재의 접속부, 부착부 및 교차부의 상태
     4. 침하의 정도

     정답 : []
     정답률 : 32%

95. 높이 2m 이상인 작업발판의 끝이나 개구부 등에서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설비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8년 05월)
     1. 안전난간
     2. 덮개
     3. 방호선반
     4. 울타리

     정답 : []
     정답률 : 44%

96. 콘크리트 타설시 안전에 유의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3월)
     1. 타설 순서는 계획에 의하여 실시한다.
     2. 콘크리트를 다짐효과를 위하여 최대한 높은 곳에서 타설한다.
     3. 콘크리트를 치는 도중에는 거푸집, 동바리 등의 이상 유무 확인하여야 한다.
     4. 타설시 공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밀실하게 부어 넣는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콘크리트는 높은곳에서 타설하면 측압이 커집니다
[해설작성자 : 전지민]

97. 토석이 붕괴되는 원인에는 외적요인과 내적인 요인이 있으므로 굴착작업 전, 중, 후에 유념하여 토석이 붕괴되지 않도록 조치를 취해야 한다. 다음 중 외적인 요인이 아닌 것은?(2012년 05월)
     1. 사면, 법면의 경사 및 기울기의 증가
     2. 지진, 차량, 구조물의 중량
     3. 공사에 의한 진동 및 반복 하중의 증가
     4. 절토 사면의 토질, 암질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4 - 내적요인
토석의 강도저하 - 내적요인
[해설작성자 : 또요]

98. 작업에서의 위험요인과 재해형태가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2017년 05월)
     1. 무리한 자재적재 및 통로 미확보 → 전도
     2. 개구부 안전난간 미설치 → 추락
     3. 벽돌 등 중량물 취급 작업 → 협착
     4. 항만 하역 작업 → 질식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상식적으로 생각해도 하역 작업하다가 잘못하면, 숨막혀 죽는 게(질식) 아니라 떨어져서 죽겠죠(추락)?
[해설작성자 : 상식문제]

99. 층고가 높은 슬래브 거푸집 하부에 적용하는 무지주 공법이 아닌 것은?(2018년 03월)
     1. 보우빔(bow beam)
     2. 철근일체형 데크플레이트(deck plate)
     3. 페코빔(pecco beam)
     4. 솔져시스템(soldier system)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솔져시스템 : 합벽을 지지해주는 것으로 합벽지지대라고도 함.
[해설작성자 : 솔져]

100. 지반보다 6m 정도 깊은 경질 지반의 기초터파기에 적합한 굴착 기계는?(2011년 08월)
     1. Drag Line
     2. Tractor Shovel
     3. BackHoe
     4. Power Shovel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백호 - 지면보다 낮은 곳을 굴착 (5~6m)
[해설작성자 : 투이치]

백호 = 드래그쇼벨
[해설작성자 : 건안산기 마스터]

추가로 지면보다 높은곳을 굴착하는것은 파워셔블
[해설작성자 : 구폴뚜벅이]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산업안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5일)(3400256)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산업, 안전, 산업기사, 산업안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949 공조냉동기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9월27일(5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2
3948 수능(한국지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10월1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3
3947 9급 국가직 공무원 형사소송법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4월1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3
» 산업안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5일)(3400256)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3
3945 <h2>전기기능사 필기 시험문제 및 CBT 2002년07월21일(4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2
3944 수능(생명과학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4월1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3
3943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5월0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3
3942 운전면허 학과시험(필기) 1종 2종(2020년판)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0005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2
3941 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3월0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4
3940 컴퓨터활용능력 3급(폐지)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5일)(9472003)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3939 9급 지방직 공무원 기계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6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4
3938 워드프로세서 (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5일)(8273222)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2
3937 청소년상담사 3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5일)(1851738)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4
3936 수능(지구과학I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7월1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2
3935 방사선비파괴검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3월0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3
3934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기계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6월1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4
3933 사회복지사 1급(3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2월0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3
3932 일반기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5월11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3
3931 수능(화학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3월1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3930 9급 지방직 공무원 지적측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5일)(7118810)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4
Board Pagination Prev 1 ...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 566 Next
/ 5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