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워드프로세서 (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5일)(827322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워드프로세서 (구 1급)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워드프로세싱 일반


1.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고 있는 표시 장치는 어느 것인가?(2011년 03월)

   

     1. 음극선관(CRT; Cathode Ray Tube)
     2.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3.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Plasma Display Panel)
     4. 전계 방출형 디스플레이(FED; Field Emission Display)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CRT : 눈이 쉽게 피로해진다. 전력소비량이 많다.
LCD : 보는각도에 따라 선명도가 다르다.
PDP : 혼합가스, 가스가 충돌하기 때문에 열을 식혀 주는 장치가 필요하다.
FED : 전계 방출형 디스플레이는 진공상태인데 강한 자기장에의해 전자가 방출되는 현상을 이용한 표시 장치이다.

2. 다음 중 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문서의 결재 시 결재권자의 서명란에는 서명날짜를 함께 표시한다.
     2. 둘 이상의 행정기관장의 결재가 필요한 문서는 각각의 행정기관 모두가 기안하여야 한다.
     3. 위임전결하는 경우에는 전결하는 사람의 서명란에 “전결” 표시를 한 후 서명하여야 한다.
     4. 결재할 수 있는 사람이 휴가, 출장, 그 밖의 사유로 결재할 수 없을 때에는 그 직무를 대리하는 사람이 대결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둘이상의 행정기관장의 결재가 필요하더라도 기안은 한곳에서 해도 됩니다.
보통 그 문서의 처리를 주관하는 기관에서 기안을 해야함.

3. 다음 중 커닝(Kerning)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0년 05월)
     1. 2개 이상의 이미지를 적절히 연결시켜 변환, 통합하는 기법이다.
     2. 실세계의 연속적인 도형을 표현할 때 매끄러운 직선이 거칠게 보이는 현상을 감소시키는 작업이다.
     3. 3차원 그래픽에서 그려진 물체의 각 면을 적절하게 색칠하고, 효과를 적용하여 화상의 실체감을 강조하는 작업이다.
     4. 글자와 글자 사이를 적절한 간격으로 조정하는 작업으로 광고 등에서 많이 사용하는 작업이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1번 : 모핑
2번 : 안티앨리어싱
3번 : 렌더링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4. 다음 보기와 같은 커서의 위치에서 [Ctrl] 키를 누른 채로 오른쪽 화살표 키를 세 번 누른 결과로 옳은 것은?(2010년 05월)

   

     1.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기 전에는
     2.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기 전에는
     3.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기 전에는
     4.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기 |전에는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Ctrl] 키를 누른 채로 오른쪽 화살표 키를 누르면 단어 단위로 커서가 이동됩니다.(한글자씩이 아닌 단어 단위 즉 띄어쓰기 기준으로 한단계씩 이동 합니다.)

5. 다음 중 같은 크기의 편집 용지에 문단 모양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을 경우 문단 첫 행의 길이가 가장 짧아지는 것은?(2007년 10월)
     1. 왼쪽 여백 5, 내어 쓰기 4, 오른쪽 여백 4
     2. 왼쪽 여백 6, 들여 쓰기 2, 오른쪽 여백 0
     3. 왼쪽 여백 4, 내어 쓰기 2, 오른쪽 여백 6
     4. 왼쪽 여백 4, 들여 쓰기 2, 오른쪽 여백 4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문단 첫 행의 길이가 가장 짧아지는 것은 문단 첫 행의 여백이 가장 큰 것임.
(여백이 크다는 말은 그만큼 그 안에 적혀질 내용의 길이가 줄어든다는(짧아진다는)뜻.

들여쓰기가 적용된 문단의 첫행: 왼쪽여백+들여쓰기+오른쪽여백
2번:6+2+0=8         4번:4+2+4=10

내어쓰기가 적용된문단: 왼쪽여백-내어쓰기+오른쪽여백
1번:5-4+4=5        3번:4-2+6=8

6. 다음 중 기억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10월)
     1. 기억장치는 처리 속도와 사용용도, 기억 용량의 크기 등에 따라 캐시기억장치, 주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 등으로 나눌 수 있다.
     2. 주기억장치는 프로그램 기억 장소, 입력 데이터 기억 장소, 작업 장소 및 출력 데이터 기억 장소로 사용되며, 내부 기억장치라고도 한다.
     3. 주기억장치는 중앙처리장치(CPU)보다 실행 속도가 늦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이다.
     4. 보조기억장치는 주기억장치에 있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별도로 기억시켜 두었다가 필요할 때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억장치이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중앙처리장치와 주기억장치의 속도차이를 보완해주는 것은 캐시메모리입니다. 주로 SRAM 을 사용합니다.

7.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의 저장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3월)
     1. 저장된 파일 형태에 따라 확장자가 달라진다.
     2. 저장 기능은 주기억 장치에서 작성중인 문서의 내용을 보조 기억 장치에 저장하는 것이다.
     3. 서식 있는 문자열(*.rtf)로 저장하면 다른 워드프로세서와 호환이 용이하다.
     4. 자동 저장 파일(*.bak)은 모두 텍스트 파일로 저장된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4.자동 저장 파일은 해당 응용 프로그램의 파일 형식으로 저장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bak = 백(백업)]
실수나 예상하지 못한 불의의 상황으로 인한 데이터 손실에 대비하여 하나 이상의 복사본을 만들어 보관하는 예비 파일입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8. 다음 중 메일머지(Mail Merge)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이름이나 직책, 주소 등만 다르고 나머지 내용은 같은 여러 통의 편지를 쉽게 만들 수 있는 기능이다.
     2. 초청장이나 안내장, 청첩장 등을 만들 경우에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3. 데이터 파일은 꼭 엑셀(xls)이나 액세스(mdb) 파일이어야 한다.
     4. 반드시 본문 파일에서 메일머지 기능을 실행시켜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메일 머지를 수행할 서식 파일(form letter file)에 본문을 입력하면서, 데이터 파일의 사람 이름이나 직책, 주소 등이 대입될 위치를 표시합니다. 데이터 파일로는 윈도우의 주소록과 Outlook 주소록, 한/글 파일, DBF 파일뿐만 아니라 넥셀 파일, 엑셀 파일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사무자동화 지존 오쌤]

9. 다음 중 인쇄용 낱장 용지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5월)
     1. 용지의 크기에 따라 A계열과 B계열로 나누어진다.
     2. A4가 A5보다 크다.
     3. A3보다 B3가 작다.
     4. A4 용지의 규격은 210mm * 297mm이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B>A 이고 작은수>큰수 입니다.

10. 다음 중 문단 여백과 편집 용지 여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10월)
     1. 편집 용지 여백을 주면 실제로 글이 입력되는 부분은 이 편집 용지 여백을 제외한 부분부터 시작된다.
     2. 문단 여백이란 편집 용지 여백을 제외하고 또 다시 여백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3. 두문 및 미문이 인쇄될 영역의 크기는 문단 여백에서 설정하여 준다.
     4. 바꾸고자 하는 문단에 커서를 두고 적절한 문단 여백을 설정하면 해당 문단의 여백만 변경된다.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두문이나 미문은 편집용지 설정에서 지정해 줍니다.

11. 다음 중 출판문화의 변화에 대해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2007년 05월)
     1. 활자 인쇄 → 사진 식자 → 전자통신 출판 → 전자출판
     2. 활자 인쇄 → 사진 식자 → 전자출판 → 전자통신 출판
     3. 사진 식자 → 활자 인쇄 → 전자출판 → 전자통신 출판
     4. 사진 식자 → 활자 인쇄 → 전자통신 출판 → 전자출판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제일 먼저 나온것은 활자 인쇄 이며 그다음 사진 그다음 전자출판 그다음 전자통신출판(인터넷) 활사전전(인터넷) 으로 외우시면 되겠습니다^^

12. 다음 보기의 용어들과 관계가 깊은 것은 어느 것인가?(2008년 05월)

    

     1. 글꼴의 크기단위
     2. 화면의 구성단위
     3. 문서의 분량단위
     4. 파일의 구분단위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포인트만 봐도 무엇을 뜻하는지 알아야합니다.
바로 크기죠,크기를 포인트라고 합니다.

13. 다음 중 보기에서 설명하고 있는 기억장치는 어느 것인가?(2013년 06월)

    

     1. 캐시 메모리(Cache Memory)
     2. 연상 기억 메모리(Associative Memory)
     3. 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
     4.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디지털 카메라, mp3 같은 경우는 전원이 꺼진다해도 내용이 손상 되지않는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합니다

14. 다음은 공문서의 “끝”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한 것이다.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7월)
     1. 본문이 끝났을 경우에는 1자(2타) 띄우고 “끝”자를 표시한다.
     2. 첨부물이 있는 경우에는 붙임의 표시문 끝에 1자(2타) 띄우고 “끝”자를 표시한다.
     3. 본문 내용 또는 붙임의 표시문이 오른쪽 한계선에 닿은 때에는 다음 줄의 왼쪽 기본선에서 1자(2타) 띄우고 “끝”자를 표시한다.
     4. 일괄기안의 경우에는 마지막 안에만 “끝” 자를 표시하면 된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일괄기안의 경우에는 각 안마다 "끝"표시를 하여야 한다.

15. 다음 중 전자출판에 사용되는 용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3월)
     1. 디더링(Dithering) : 기존의 그림을 다른 형태로 새롭게 변형, 수정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2. 오버프린트(Over Print) : 대상체의 컬러가 배경색의 컬러보다 짙을 때에 겹쳐서 인쇄하는 방법이다.
     3. 필터링(Filtering) : 작성된 그림을 필터 기능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형태의 새로운 이미지로 바꾸어 주는 기능이다.
     4. 클립아트(Clip Art) : 작업문서에 자주 사용되는 다양한 그림을 모아 둔 작은 그림의 모음집이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기존의 그림을 다른 형태로 새롭게 변형, 수정하는 작업은 리터칭이라고 합니다.

디더링 : 그래픽 이미지에 효과를 넣는 방법으로 미세한 점으로 이루어진 흑색과 백색으로 이미지 명암 표현기능(제한된 색상을 조합해 복잡한 색이나 새로운 색을 만드는 작업)

16.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편람으로 옳은 것은?(2016년 03월)

    

     1. 행정 편람
     2. 직무 편람
     3. 공고 편람
     4. 민원 편람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직무편람은 부서별 또는 개인별로 그 소관업무에 대한 업무계획·관련 업무 현황 기타 참고자료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활용하는 업무현황철 또는 업무자료철 입니다.


행정편람은 업무처리 절차와 기준, 장비운용 방법, 그 밖의 일상적 근무규칙 등에 관하여 각 업무담장자에게 필요한 지침·기준 또는 지식을 제공하는 업무지도서 또는 업무참고서입니다. 쉽게는 교육적 자료들이라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민원 편람은 민원 업무에 편의성을 위하여 보기에 편리하도록 간추려 놓은 자료들 입니다.
[해설작성자 : windcom tistory]

[업무 편람]
행정 기관에서 문서의 관리, 업무처리와 같은 일을 하기 위하여 업무에 대한 표준화된 사항을 보기 편리하도록 간추린 책입니다.
행정 편람과 직무 편람으로 나뉘어 집니다.

1). 행정 편람 : 절차와 기준, 장비 운용 방법, 근무 규칙 등 업무에 관한 지식을 제공하는 업무 지도서입니다.
2). 직무 편람 : 업무 계획, 업무 현황, 참고 자료를 정리한 자료철로 업무의 처리 절차나 흐름도입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17. 다음 중 전자출판(Electronic Publishing)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10월)
     1. 디더링(Dithering) : 2차원의 이미지에 광원·위치· 색상 등을 첨가하여 사실감을 불어넣어 3차원 화상을 만드는 과정
     2. 모핑(Morphing) : 그래픽 파일의 효과 넣기로, 신문에 난 사진과 같이 미세한 점으로 나타내며 각 점의 명암을 달리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3. 스프레드(Spread) : 대상체의 컬러가 배경색의 컬러보다 짙을 때에 겹쳐서 인쇄하는 방법이다.
     4. 초크(Choke) : 이미지 변형 작업으로 채도, 조명도, 명암 등을 조절해 주는 기능이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초크는 이미지 변형작업, 입출력 파일 포맷, 채도, 조명도, 명암을 조절
[해설작성자 : 워드3번떨어짐]

1. 디더링 : 제한된 색상을 조합 또는 비율을 변화하여 새로운 색을 만드는 작업을 함.
2. 모핑 : 부드럽게 연결하여 변환, 통합 하는 것.
3. 스프레드 : 대상체의 컬러가 배경체의 컬러보다 옅을 때 발생한다.
[해설작성자 : 워드3번떨어짐]

2번에 대한 설명은 하프톤에 대한 설명입니다
[해설작성자 : kkomaeng2]

1번에 대한 설명은 렌더링에 대한 설명입니다.
[해설작성자 : 수료식]

3번에 대한 설명은 오버프린트에 대한 설명입니다.
[해설작성자 : 꿈을 따라가는 여주 촌놈 조영진]

18. 다음 중 전자문서에 대한 설명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2020년 07월)
     1. 컴퓨터 등 정보처리능력을 가진 장치에 의하여 전자적인 형태로 작성되거나 송신·수신 또는 저장된 문서를 말한다.
     2. 전자문서의 효력 발생 시기는 전자문서를 수신자가 관리하거나 지정한 전자적 시스템 등에 입력되었을 때 발생한다.
     3. 전자문서는 공람하였다는 기록을 업무관리시스템 또는 전자문서시스템 상에서 수동으로 표시하며 담당자는 메일로 공람여부를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4. 업무의 성질상 전자문서로 기안하기 곤란하거나 그밖의 특별한 사정이 있지 않은 한 기안은 전자문서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3. 수동 아니고 자동입니다.

19. 다음 중 문서의 분량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는 교정부호 들로만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2011년 06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2번의 첫번째 문양은 한 문단 하나를 내리라는 것이므로 문서의 분량이 증가되고,
두번째 문양은 중간에 그 문단 중 한줄을 비워두라는 것이고
세번째는 문서 사이를 한칸 띄우라는 것이므로 문서의 분량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는 교정부호들로 짝지어져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컴교실 학생 이제하]

20. 다음 중 교정부호 사용 시 유의할 점에 대하여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5월)
     1. 교정부호를 표시하는 색은 눈에 잘 띄게 한다.
     2. 교정부호는 지정한 부호를 사용해서 교정한다.
     3. 한 번 교정된 부분은 다시 교정할 수 없다.
     4. 교정부호가 너무 복잡하거나 난해하지 않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교정취소 교정부호를 사용해서 다시 교정이 가능합니다.

2과목 : PC 운영 체제


21.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바탕 화면에 있는 폴더 아이콘의 바로 가기 메뉴를 사용하여 할 수 있는 작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3월)
     1. 바탕 화면에 해당 폴더의 새로운 바로 가기 아이콘을 만들 수 있다.
     2. 바로 이전에 삭제한 폴더를 복원할 수 있다.
     3. 공유 대상 폴더를 설정할 수 있으며, 동기화할 수 있다.
     4. 해당 폴더의 속성을 재설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삭제한 폴더는 휴지통의 복원 기능을 이용하여야 복원이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22.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네트워크 드라이브 설정과 사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5월)
     1. 네트워크에서 다른 컴퓨터의 특정 폴더를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2. 하나의 독립된 드라이브인것처럼 사용할 수 있다.
     3. 상대편에서 공유를 해제하면 드라이브를 사용할 수 없다.
     4. 네트워크 드라이브에는 폴더를 만들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네트워크 드라이브에 쓰기 권한이 있다면 폴더를 만들수 있으며 파일도 저장할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23. 다음 중 한글 Windows XP를 부팅할 때 <F8> 키를 눌러서 표시되는 [Windows 고급 옵션] 화면에서 [안전 모드] 방식의 부팅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10월)
     1. 컴퓨터가 비정상적으로 작동될 때 컴퓨터에 발생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없다.
     2. 네트워크가 연결된 경우에 컴퓨터 관리자에게 해당 컴퓨터의 디버그 정보를 보내면서 부팅하는 방식이다.
     3. 마지막으로 시스템이 문제없이 실행되고 종료되었을 때 레지스트리 정보와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부팅하는 방식이다.
     4. 시스템의 안전을 위하여 다중 부팅 선택 화면을 이용하여 부팅하는 방식이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2.네트워크로 연결된 경우 컴퓨터 관리자에게 해당 컴퓨터의 디버그 정보를 보내면서 컴퓨터를 시작함 -> 디버그모드
3.마지막으로 시스템이 문제 없이 실행되고 종료되었을 때의 레지스트리 정보와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부팅하는 방식 -> 마지막으로 성공한 구성(작동한 최근 설정값)
[해설작성자 : 김반짝김람보]

24.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여러 개의 창이 열려 있을 때 한 개의 창을 선택하여 제목 표시줄을 마우스로 클릭한 채 좌우로 흔들면 그 창을 제외한 나머지 창들이 최소화되는 기능으로 옳은 것은?(2017년 03월)
     1. 에어로 스냅(Aero Snap)
     2. 에어로 세이크(Aero Shake)
     3. 에어로 피크(Aero Peek)
     4. 에어로 전환 3D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 에어로(Aero) 기능 : 열려진 작업 창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기능
- 에어로 스냅(Snap) : 열려진 창을 좌,우(세로 1/2) 또는 위쪽(최대화)으로 이동하여 창의 크기 조절
- 에어로 세이크(Shake) : 창을 흔들어 열려있는 창을 제외한 다른 모든 창 최소화 하거나 다시 원상태로 표시
- 에어로 피크(Peek) : 열려진 창들의 축소판 미리 보기 가능, 창들을 최소화 지 않고 바탕화면 보기 가능 (단, ‘바탕화면 보기’는 작업 표시줄 속성의 ‘에어로 피크를 사용하여 바탕화면 미리 보기’ 체크 설정 시)    
[해설작성자 : 한방합격 탑플러스 정익종]

좌우로 '흔들면' -> 쉐이킷쉐이킷 -> 에어로 세이크(shake)
[해설작성자 : 나는야 포켓몬마스터]

에어로 전환 3D: 열려있는 모든 창의 내용을 미리보기
[해설작성자 : 추가설명충]

25. 한글 Windows XP에서 [디스크 정리] 창의 [기타 옵션] 탭에 있는 선택 옵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8년 07월)
     1. 휴지통 비우기 - 휴지통에 들어있는 모든 파일을 제거한다.
     2. Windows 구성 요소 - 시스템에 등록된 모든 Windows 구성요소를 한 번에 제거한다.
     3. 설치된 프로그램 - 시스템에 등록된 모든 프로그램을 한 번에 제거한다.
     4. 시스템 복원 - 최근에 시스템을 복원한 내용을 제외하고 모두 제거한다.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참고 : [디스크 정리] - [기타옵션]에는 휴지통 비우기 기능이 없습니다.
위 문제에서 4번 시스템 복원은 그냥 시스템 복원이 아닌 디스크 정리 옵션의 일부인 시스템 복원을 말합니다. 주의 하세요.

26.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검색 결과] 창에서 파일 또는 폴더를 검색하는 방법으로 가능하지 않은 것은?(2008년 07월)
     1. 특정 기간 동안 수정된 파일을 모두 찾기
     2. 일정 횟수 이상 변경된 파일을 모두 찾기
     3. 일정 크기 이상의 파일을 모두 찾기
     4. 특정 문자열이 내용 중에 포함된 텍스트 파일을 모두 찾기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파일또는 검색은수정된날짜, 파일의 크기, 고급옵션, 파일에 들어있는 문자열, 찾는위치, 파일형식등으로 찾을수 있음.
횟수나 특성(속성)으로는 찾을수없음.
[해설작성자 : 인천미래컴]

27.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휴지통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USB 드라이브에 있는 파일이나 폴더를 삭제하면 휴지통에 보관되지 않고 영구히 삭제된다.
     2.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마다 휴지통의 크기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3. 휴지통에 있는 특정 폴더를 더블클릭 하면 해당 폴더의 속성창이 나타난다.
     4. 휴지통에 있는 사진 파일을 더블클릭 하면 원본 사진을 미리보기로 볼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휴지통에 있는 사진 파일을 더블클릭 하면 사진 미리보기가 아닌 속성창이 뜹니다
[해설작성자 : 전생에 뽀로로]

[휴지통]
삭제된 파일이나 폴더가 임시 보관되는 장소로 복원이 가능하며 각 드라이브마다 따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휴지통의 실제 파일이 저당되는 폴더의 위치는 운영체제에서 지정하므로 사용자가 지정할수 없으며 휴지통에 삭제한 파일이나 들어가면 휴지통 아이콘의 모양이 변경됩니다.
휴지통은 드라이브마다 한 개씩 만들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5% ~ 10%범위 내에서 자동으로 설정되고 사용자가 임의로 MB단위로 변경이 가능합니다.
휴지통의 용량이 초과하면 가장 과거의 파일이 제거되며 휴지통용량보다 큰파일을 삭제시 휴지통에 보관되지 않고 즉시 제거 됩니다.
휴지통에 보관된 파일이나 폴더는 휴지통 내에서 실행이 불가하며 사용시 복원(복구)후 실행 가능합니다.
휴지통에 보관없이 바로 삭제되도록 설정이 가능하며 삭제할때마다 메시지가 표시되도록도 설정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28.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보조프로그램인 [원격 데스크톱 연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원격 데스크톱 연결이란 현재의 컴퓨터 앞에서 원격 위치의 데스크톱 컴퓨터에 연결하여 응용 프로그램을 해당 콘솔 앞에서 실행하고 파일, 네트워크 리소스를 액세스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2. 원격에 있는 컴퓨터에서 음악 또는 기타 소리를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재생하거나 녹음할 수 있다.
     3. 원격 작업을 하려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와 제 2의 원격 컴퓨터가 있어야 한다.
     4. 원격 지원을 허용하려면 [시작]-[제어판]-[시스템] 왼쪽 창의 [원격 설정]에서 [하드웨어] 탭을 선택하여 원격으로 제어하도록 허용과 최대 시간 등을 설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원격 지원을 허용하려면 [시작]-[제어판]-[시스템] 왼쪽 창의 [원격 설정]에서 [원격] 탭을 선택하여 원격으로 제어하도록 허용과 최대 시간 등을 설정한다.
[해설작성자 : [채채민☆은혜]]

29.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압축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3월)
     1. 압축은 텍스트뿐만 아니라 음악, 사진, 동영상 파일 등도 압축할 수 있다.
     2. 압축할 때 암호를 지정하거나 분할해서 압축을 할 수 있다.
     3. 압축 프로그램의 종류에는 Winzip, WinRAR, PKZIP 등이 있다.
     4. 암호화된 압축 파일을 전송할 경우에 시간 및 비용이 증가 된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압축파일은 원본에 비해 크기가 줄었으므로 시간과 비용이 절감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압축을 할경우 파일의 크기가 줄어들어 시간 및 비용의 감소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보기에 작성된 내용중 암호화는 파일의 크기에 큰 영향이 없으므로 암호화의 여부는 관련 없습니다.
 
[압축(Compaction) ]
기억 장소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파일 전송시 시간을 줄이거나 대역폭, 비용등을 줄이기 위한 일련의 방법으로 불필요하거나 반복되는 사항을 제거하기 위한 특수한 코딩 기법입니다.
다른 의미로는 사용하지 않은 기억 장소들이 여기저기 분산되어 있을 때 새롭게 실행할 프로세스가 큰 기억 장소를 요구하면 저장할 공간이 부족할 수 있으므로 이렇게 남은 잉여 공간(단편화(Fragmentation)된 공간)을 한 곳으로 모아 큰 공간을 통합하는 작업입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30.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명령 프롬프트] 창에서 할 수 있는 작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6월)
     1. MS-DOS 운영체제용 명령어와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다.
     2. 사용자의 ID가 sanggong 이면 [명령 프롬프트] 창의 초기 설정 디렉토리는 C:\Users\sanggong 이다.
     3. 제목 표시줄에서 바로가기 메뉴의 [속성]을 이용하면 커서의 크기, 글꼴, 배경색, 글꼴 색을 변경 할 수 있다.
     4. 제목 표시줄에서 바로가기 메뉴의 [편집]을 이용하면 [명령 프롬프트] 창에 표시되는 텍스트나 그림, 동영상을 복사하여 다른 응용 프로그램에 붙여 넣을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④ [명령 프롬프트]창에는 그림이나 동영상이 표시되지 않을뿐더러, 표시도 되지않는 그림이나 동영상을 복사하거나 붙여넣을수 없습니다.
하지만 텍스트는 복사&붙여넣기가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 프로그래머(여러분의 합격을 기원합니다)]

31.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작업 관리자] 창에서 할수 있는 작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현재 실행중인 프로그램의 작업에 대하여 강제로 끝내기를 할 수 있다.
     2. 모든 사용자의 프로세스를 표시하거나 해당 프로세스의 끝내기를 할 수 있다.
     3. 시스템의 서비스 항목을 확인하고 해당 서비스를 중지하거나 실행할 수 있다.
     4. 현재 시스템 사용자를 로그오프 하고 새로운 사용자를 추가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4. 강제 로그오프는 가능하나, 새로운 사용자를 추가시킬 순 없음!
[해설작성자 : 알]

32.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스피커와 관련된 [볼륨 조절] 창에서 할 수 있는 작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3월)
     1. [마스터 볼륨] 항목의 슬라이더를 올리거나 내려서 볼륨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2. [음소거]를 지정할 수 있으며 MP3 나 WAV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3. [옵션] 주메뉴의 [속성]을 클릭하여 표시되는 [속성] 창에서 특정 장치를 [볼륨 조절] 창에 포함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4. 왼쪽과 오른쪽 스피커 사이의 [밸런스] 조절을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2. [볼륨 조절]창에서 [음소거]는 지정할 수 있지만, MP3 나 WAV 파일 재생은 Windows Media Player에서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정익종쌤의 한방합격 탑플러스]

33.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네트워크 연결] 설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10월)
     1. [Microsoft 네트워크용 클라이언트]는 Microsoft 네트워크에 있는 리소스를 액세스할 수 있게 한다.
     2. [인터넷 프로토콜(TCP/IP)]은 인터넷과 WAN에 연결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며, 다양하게 연결된 네트워크상에서 통신을 제공한다.
     3. [Microsoft 네트워크용 파일 및 프린터 공유]는 Microsoft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컴퓨터에 있는 리소스를 액세스할 수 있게 한다.
     4. [네트워크 어댑터]는 논리적인 컴퓨터를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소프트웨어이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어댑터는 랜카드를 의미하며 물리적으로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장치입니다.

어댑터는 하드웨어입니다.

34.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제공하는 [도움말 및 지원]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3월)
     1. 도움말 내용은 프린터로 인쇄할 수 있다.
     2. 도움말 내용의 글꼴이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3. 색인 기능을 이용하여 도움말을 찾을 수 있다.
     4. 하이퍼텍스트 기능을 이용하여 도움말을 찾을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도움말 내용은 추가 및 수정, 삭제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글꼴이나 색상을 변경할 수도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35.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작업 표시줄 및 시작 메뉴 속성] 창에서 할 수 있는 작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9월)
     1. 작업 표시줄의 위치나 크기를 변경하지 못하도록 작업 표시줄 잠금을 설정할 수 있다.
     2. 마우스 포인터가 작업 표시줄에서 벗어나면 작업 표시줄이 사라지는 작업 표시줄 자동 숨기기를 설정할 수 있다.
     3. 같은 종류의 작업 표시줄 단추를 그룹으로 표시할 수 있다.
     4. 작업 표시줄에 있는 시계와 알림 영역을 모두 삭제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작업 표시줄에 있는 시계는 보이지 않게 설정할수 있지만
알림영역 자체를 보이지 않게할수는 없습니다.
위 보기 4번에서 삭제라는 뜻은 실제로 삭제가 아닌 보이지 않게 한다는 뜻으로 해석하면 됩니다.

36.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문서 편집기인 [메모장]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9년 07월)
     1. 그림, 동영상 등의 개체를 삽입하는 OLE 기능을 지원한다.
     2. 서식이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웹 페이지용 HTML 문서를 작성할 수 있다.
     3. 작성된 문서를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는 편지 보내기를 실행할 수 있다.
     4. *.RTF, *.PDF 등의 형식으로 파일 저장이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메모장은 OLE기능은 실행되지 않고,
.txt로 파일 저장가능 하며,
편지 보내기는 웹으로 해야함

37. 한글 Windows XP에서 사용하는 [원격 지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3월)
     1. 다른 위치에 있는 상대방이 Windows와 같이 호환되는 운영체제가 실행되는 컴퓨터에서 사용자 컴퓨터를 편리하게 연결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2. 사용자와 도우미는 모두 Microsoft Outlook 또는 Outlook Express 같은 MAPI 호환 전자 메일 계정이나 Windows Messenger Service를 사용해야 한다.
     3. 사용자와 도우미는 원격 지원을 사용하는 동안에는 인터넷을 사용할 수 없도록 설정된다.
     4. LAN(Local Area Network)에서 작업 중인 경우에는 방화벽으로 인해 원격 지원을 사용하지 못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사용자와 도우미는 원격 지원을 사용하는 동안에도 인터넷을 사용할수 있답니다.
인터넷이 사용 가능해야만 원격지원이 가능하거든요 ^^

38.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바로 가기 아이콘을 만드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3월)
     1. 개체를 선택한 후에 바로 가기 메뉴에서 [바로 가기 만들기]를 선택한다.
     2. [Alt]+[Shift]를 누른 상태로 개체를 선택한 후에 원하는 위치로 마우스 끌어놓기를 한다.
     3. 바로 가기 아이콘을 복사하여 다른 위치에 붙여 넣기를 한다.
     4. 폴더 창에서 개체를 선택한 후에 [파일]-[바로 가기 만들기] 메뉴를 선택한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Ctrl]+[Shift]를 누른 상태로 개체를 선택한 후에 원하는 위치로 마우스 끌어놓기를 한다.

39. 한글 Windows XP의 [인터넷 프로토콜(TCP/IP) 등록정보] 창에서 TCP/IP 지정을 위한 구성 요소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기본 게이트웨이
     2. 기본 설정 DNS 서버
     3. IP 주소
     4. 최대 소켓(Socket)의 수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한글 Windows XP의 [인터넷 프로토콜(TCP/IP) 등록정보] 창에서 TCP/IP 지정을 위한 구성 요소로는
기본 게이트웨이 기본 설정 DNS 서버 IP 주소 등이있다.
최대소켓수는 관계없음
[해설작성자 : 이명박]

40.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홈 그룹]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2월)
     1. 한글 Windows 7이 설치된 두 대 이상의 컴퓨터를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파일 및 프린터를 쉽게 공유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2. 홈 그룹을 설정하려면 네트워크 위치가 [홈 네트워크]로 설정되어야 한다.
     3. 홈 네트워크상에 하나의 컴퓨터가 홈 그룹을 만들고 나머지 컴퓨터가 참여하는 형식으로 구성된다.
     4. 홈 그룹에 참여한 컴퓨터의 모든 사용자 계정이 구성원이 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참여한 컴퓨터의 게스트 계정을 제외한 모든 계정이 구성원이 될 수있다.
[해설작성자 : 나도드뎌내일시험]

윈도우 10 부터는 업데이트를 통해서 '홈 그룹'기능이 사라졌습니다.
홈 그룹 기능이 없다하더라도 윈도우의 기능으로 파일 및 프린터 공유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홈 그룹 및 공유 옵션은 없게 되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41. 다음 중 운영체제의 핵심적인 부분으로서 하드웨어와의 상호 작용 역할을 담당하고 프로그램과 하드웨어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컴퓨터가 부팅된 후 항상 주기억장치에 상주하는 프로그램을 무엇이라고 하는가?(2015년 03월)
     1. 데몬(Daemon)
     2. 커널(Kernel)
     3. 로더(Loader)
     4. 채널(Channel)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참고
① 데몬 : 컴퓨터 시스템의 운영에 관련된 작업을 background 상태로 동작하면서 실행하는 프로그램
③ 로더 : 컴퓨터에 프로그램을 주기억장치에 읽어넣기 위한 프로그램.
④ 채널 : 주기억 장치와 주변 장치 사이에 개재하는 하드웨어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 프로그래머]

[커널(Kernel)]
운영체제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으로 부팅시 주기억장치에 상주하게 됩니다.
하드웨어를 보호하며 프로그램과 하드웨어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담당하게 됩니다.
프로세스 관리, 기억장치 관리, 파일 관리, 입출력 관리, 데이터 전송 및 변환 등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합니다.

[데몬(Daemon) : 상주 프로그램]
시스템의 운영에 관련된 작업을 백 그라운드(Background) 상태로 동작하면서 실행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인터넷상에서 발생하는 서비스들을 처리하기 위하여 웹 서버에서 항상 실행중인 상태로 있습니다.

[로더(Loader)]
컴퓨터 내부로 정보를 들여오거나, 로드 모듈을 디스크 등의 보조기억장치로부터 주기억장치에 적재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입니다.
할당(Allocation), 연결(Linking), 재배치(Relocation), 적재(Loading) 과 같이 4가지 기능이 있습니다.
할당 : 실행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해 기억장치 내에 옮겨 놓을 공간을 확보
연결 : 부 프로그램 호출 시 그 부프로그램이 할당된 기억장소의 시작주소를 호출한 부분에 등록하여 연결하는 것
재배치 : 디스크 등의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각 주소들을 할당된 기억장소의 실제 주소로 배치
적재 : 실행 프로그램을 할당된 기억공간에 실제로 옮기는 것

[채널(Channel)]
CPU를 대신하여 주기억 장치와 입출력 장치 사이에서 입출력을 제어하는 처리장치로 입출력전용 프로세서라 합니다.
CPU와 독립적으로 동작하여 입출력을 완료하여 실제 CPU의 부담을 줄여줌으로 시스템의 속도를 향상시켜 줍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42. 다음에서 설명하는 용어로 적합한 것은?(2014년 06월)

    

     1. BT
     2. VAN
     3. USN
     4. URI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BT : 뜻이 여러가지입니다. 비트토렌트, 생명공학, 블루투스 등의 뜻을 가집니다.
VAN : 부가가치통신망
URI : URL(자원의 주소?)와 유사한 뜻으로 받아 들이시면 됩니다. 일부 혼용하기도 합니다. 정확하게 구분하자면 복잡하므로 생략합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43. 다음 중 규격상 최대 전송속도가 가장 빠른 방식은?(2017년 09월)
     1. USB 3.0
     2. IEEE 1394
     3. IrDA
     4. Bluetooth 3.0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USB 3.0 - 5Gbps
IEEE 1394 - 100Mbps
Bluetooth 3.0 - 24Mbps
IrDA - 3.4Mbps
[해설작성자 : 취미로히어로합니다]

44. 다음 중 포트(Port)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06월)
     1. 직렬포트 : 한 번에 1비트씩 전송하는 방식으로, 프린터, Zip 드라이브 연결에 사용한다.
     2. 병렬포트 : 한 번에 8비트씩 전송하는 방식으로, 마우스, 모뎀 연결에 사용한다.
     3. USB포트 : 12Mbps 이상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지원하고, 주변장치를 최대 127개까지 연결할 수 있다.
     4. PS/2포트 : PS/2용 마우스와 키보드 연결에 사용되며 8핀으로 구성된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직렬포트 : 한 번에 1비트씩 전송하며 오래전 마우스 등에 사용하던 방식입니다.
병렬포트 : 한번에 여러 비트를 전송하며 프린터 등에 늘리 사용되었습니다.
PS/2포트 : PS/2용 마우스와 키보드 연결에 사용되며 6핀으로 구성된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45. 다음 중 마더보드(Mother board)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컴퓨터의 기본회로와 부품들을 담고 있는 컴퓨터 내의 가장 기본적인 물리적 장치이다.
     2. 마더보드와 확장 슬롯 내에 꽂히게 될 확장카드간의 전자적 인터페이스를 채널이라고 한다.
     3. 마더보드 내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바이오스, 확장 슬롯, 접속 회로 등이 포함된다.
     4. 마더보드에 따라서 사용자가 성능 향상을 위해 프로세서를 한 개 이상 설치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마더보드와 확장 슬롯 내에 꽂히게될 확장카드간의 전자적 인터페이스를 버스라고 합니다.
[해설작성자 : 귀찮음워드]

[메인보드(Mainboard)] = [마더보드(Motherboard)]
컴퓨터 내에서 기본회로와 부품을 담고 있으며 중앙처리장치, 주기억 장치, 메모리, 확장 슬롯 등을 연결 가능한 중심 회로 기판입니다.
각 부품 간 통신을 담당하는 버스(BUS)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BIOS와 같은 펌웨어를 통해 컴퓨터의 기본 동작과 하드웨어 설정을 제어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46. 다음 중 소프트웨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10월)
     1. 시스템 소프트웨어는 하드웨어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응용 소프트웨어가 원활하게 실행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2. 유틸리티 소프트웨어란 컴퓨터의 동작에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컴퓨터를 이용하는 주 목적에 대한 부차적인 일부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로 디스크 조각 모음, 화면 보호기, 압축프로그램 등이 있다.
     3. 응용 소프트웨어는 운영 체제에서 실행되는 대부분의 소프트웨어로 워드프로세서, 스프레드시트, 웹브라우저 등이 있다.
     4. 시스템 소프트웨어에는 운영체제, 언어번역 프로그램, 시스템 유틸리티 등이 있으며, 운영체제는 집적회로의 비휘발성 기억 장소(EEPROM)에 저장되었다가 실행된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운영체제는 하드디스크에서 실행한다
[해설작성자 : 서대승]

47. 다음 중 기억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주기억장치는 컴퓨터 내부에 위치한 기억장치로 현재 사용 중인 데이터나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2. ROM은 내장 메모리를 체크하거나 주변 장치의 초기화를 수행하기 위한 자료 등을 저장한다.
     3. 캐시메모리는 주기억장치와 CPU의 속도 차이를 보완하며, 주기억장치의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4. 가상메모리는 주기억장치의 일부를 보조기억장치인 것처럼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가상메모리는 보조기억장치의 일부를 주기억장치처럼 사용하는 메모리 기법으로 주기억장치보다 큰 프로그램을 불러와 실행해야 할 때 유용함.
[해설작성자 : 뿌잉]

[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
보조기억장치(주로 HDD를 사용)의 일부를 주기억장치처럼 사용하는 메모리 기법으로 주기억장치보다 큰 프로그램을 불러와 사용할시 유용합니다.
가상 메모리를 사용시 주기억장치보다 큰 프로그램 실행은 가능하지만 보조기억장치를 사용하는 만큼 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
가상 메모리의 공간을 일정한 크기의 페이지로 나누어 관리하는 페이징 기법과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으로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전원이 꺼지면 데이터가 소실되는 휘발성 메모리입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48. 다음 중 멀티미디어 활용분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10월)
     1. VCS : 전화, TV를 컴퓨터와 연결해 각종 정보를 얻는 뉴 미디어
     2. VOD :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정보를 원하는 시간에 볼 수 있도록 전송
     3. VR : 컴퓨터그래픽과 시뮬레이션 기능을 이용해 가상 세계 체험
     4. Kiosk : 백화점, 서점, 터미널 등에서 사용하는 무인 안내 시스템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화상 회의 시스템(VCS : Video Conference System)]
초고속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서로 먼 거리에 있는 사람들과 설치되어 있는 TV화면을 통해 영상과 음성을 동시에 전송 받아 한 사무실에서 회의를 하는 것처럼 효과를 내는 장치입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49. 다음 중 자기 디스크 관련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3월)
     1. 섹터(Sector) : 회전축을 중심으로 데이터가 기록되는 동심원
     2. 실린더(Cylinder) : 여러 개의 섹터를 모은 것
     3. 탐색시간(Seek Time) : 읽기/쓰기 헤드가 지정된 트랙을 찾은 후 원판이 회전하여 원하는 섹터의 읽기/쓰기가 시작될 때까지의 시간
     4. 접근시간(Access Time) : 데이터를 읽고 쓰는데 걸리는 시간의 합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트랙(track) - 회전축을 중심으로 구성된 여러 개의 동심원
•섹터(sector) - 트랙을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 놓은 것
•실린더(sylinder) - 동일한 번호를 갖는 트랙들의 집합
•탐색시간(seek time) - 읽고/쓰기 헤드가 데이터 위치한 트랙까지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
•회전 지연(reotational delay time) - 해당 데이터가 있는 섹터에 헤드가 위치하는데 걸리는 시간
[출처] 시스템보안 - 자기디스크 관련 용어|작성자 마요네즈

1.섹터->트랙
2.섹터가 모인 것이 아닌 트랙들의 집합
[해설작성자 : 잘해보자!!!]

섹터:트랙을 여러부분으로 나누어 놓은 것으로 실제 데이터가 저장됨
실린더:동일한 번호를 갖는 트랙들의 집합(트랙수=실린더수)
탐색시간:읽고/쓰기 헤드를 접근하려는 트랙(실린더)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해설작성자 : 깡숭]

[Access Time(접근 시간)]
기억 장치에 읽기 요청이 발생한 시간부터 요구한 정보를 꺼내서 사용 가능할 때까지의 시간
어떤 데이터를 기억장치로부터 읽거나 기억 시킬 때 명령이 시작된 순간부터 명령의 수행이 완료되는 순간까지 소요되는 시간
Access Time = Seek Time(탐색시간) + Search Time(Latency Time)(대기 시간) + Transmission Time(전송 시간)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50. 다음 중 개인정보의 종류와 그에 따른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신체적 정보 : 신체 정보, 의료 정보, 건강 정보
     2. 재산적 정보 : 개인 금융 정보, 개인 신용 정보
     3. 일반적 정보 : 주민등록번호, 이름, 주소
     4. 정신적 정보 : 교육 정보, 근로 정보, 자격 정보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개인정보의 종류에는 보기 1, 2, 3번과 습관, 취미정보 , 사회정보 , 기타정보가 있습니다. 정신적 정보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미래컴퓨터아카데미]

[정신적 정보]
1). 기호·성향 정보
-도서·비디오 등 대여기록, 잡지구독정보, 물품구매내역, 웹사이트 검색내역 등

2). 내면의 비밀 정보
-사상, 신조, 종교, 가치관, 정당·노조 가입여부 및 활동내역 등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51. 다음 중 컴퓨터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옳은 것은?(2009년 02월)
     1. 캐시 메모리(cache memory) 용량의 크기
     2. 레지스터(register)의 크기
     3. 램(RAM) 용량의 크기
     4. 롬(ROM) 용량의 크기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레지스터는 CPU내부의 고속 기억자치로써 보통 16비트 컴퓨터, 32비트 컴퓨터, 64비트 컴퓨터라고 부르는것은 레지스터의 크기를 의미한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52. 다음 중 MIDI 파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8월)
     1. WAV 파일에 비해 크기가 작다.
     2. MIDI 악기와 MIDI 사운드카드가 소리를 재생할 때 필요한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다.
     3. 음악을 악보와 비슷한 하나의 순서(sequence)로 부호화하여 저장한다.
     4. 사람의 목소리도 재생된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4번은 WAV

53.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하는 용어로서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화하고, 용량이 큰 데이터를 압축하여 컴퓨터의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과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2013년 03월)
     1. 인코딩
     2. 디코딩
     3. 캡쳐
     4. 플레이 백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쉽고 말하자면 우리가 핸드폰에 동영상을 넣을때 동영상 변형 작업을 해주어야 들어가지 않습니까? 이처럼 미디어를 변환하는 과정을 인코딩이라고 합니다.

반대로 변환동된동영상을 핸드폰이나 컴퓨터 화면을 볼때 해독하는 작업을 디코딩 이라고 합니다.

54. 다음 중 정보 보안 위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2월)
     1. 스미싱(Smishing): 수신한 메시지에 있는 인터넷 주소를 클릭하면 악성 코드를 설치하여 개인 금융 정보를 빼내는 행위이다.
     2. 스니핑(Sniffing): 네트워크상에서 다른 상대방들의 패킷 교환을 엿보면서 계정과 패스워드를 알아내는 행위이다.
     3. 파밍(Pharming): 검증된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보낸 것처럼 가장하여 해당 컴퓨터 시스템을 완전히 장악해 마음대로 정보를 변조하거나 파괴하는 행위이다.
     4. 랜섬웨어(Ransom Ware): 인터넷 사용자의 컴퓨터에 잠입해 내부 문서나 스프레드시트, 그림 파일 등을 암호화해 열지 못하도록 만든 후 금품을 요구하는 악성 프로그램이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3. 파밍 : 피싱 기법의 일종으로 사용자가 자신의 웹브라우저에서 정확한 주소를 입력해도 가짜 웹사이트로 이동하게 되어 개인정보를 훔치는 행위이다
[해설작성자 : 윤하잉]

3. 파밍 : 악성코드에 감염된 PC를 조작하여 정상적인 은행 사이트에 접속해도 허위 사이트로 유도하여 개인 금융 정보를 빼내는 행위
[해설작성자 : 콩콩]

검증된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보낸 것처럼 가장하여 해당 컴퓨터 시스템을 완전히 장악해 마음대로 정보를 변조하거나 파괴하는 행위는 스푸핑(spoofing)입니다.
[해설작성자 : 올해 워드 자격증 따고 연애도 해야지]

55. 다음 중 컴퓨터 시스템의 정보 보안 요건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기밀성
     2. 무결성
     3. 가용성
     4. 공유성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보안 요건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
인증
부인 방지
[해설작성자 : kkk]

공유는 두사람 이상의 사람이 함께 소유하거나 이용하는 것으로 이는 보안에 취약성이 생길 수 있으므로 보안 요건에는 먼 내용 입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56. 다음 중 지리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컴퓨터 지원을 초고속 인터넷 망을 통해 격자구조로 연결하여 공유함으로써 하나의 고성능 컴퓨터처럼 사용하는 방법은 어느 것인가?(2009년 10월)
     1. 그리드 컴퓨터(Grid Computing)
     2.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Client/Server Computing)
     3. 가상 컴퓨팅(Virtual Computing)
     4. 유비쿼터스 컴퓨팅(Ubiquitous Computing)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1. 그리드 컴퓨터(Grid Computing) : 여러곳에 분산되어 있는 일반 PC급의 저성능 컴퓨터를 하나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한 컴퓨터 처럼 묶어서 슈퍼 컴퓨터 능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기술
2.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Client/Server Computing) : 서버란 어떤 일을 처리해주는 능력을 가진 컴퓨터를 말하며 클라이언트란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받는 컴퓨터를 말합니다. 쉽게 지금 여러분들이 접속하신 곳은 CBT 서버이며 이때 여러분들 컴퓨터는 CBT 서비스를 제공받는 클라이언트 컴퓨터가 됩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57. 다음에서 설명하는 용어로 옳은 것은?(2015년 03월)

    

     1. SSO(Single Sign On)
     2. Trackback
     3. Tethering
     4. RFID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 통합 인증(Single Sign-On)은 한 번의 인증 과정으로 여러 컴퓨터 상의 자원을 이용 가능하게 하는 인증 기능. 싱글 사인온, 단일 계정 로그인, 단일 인증이라고 함
2. 트랙백(trackback)은 블로그에서 사용하는 주요 기능 중 한 가지로서, 간단히 역방향 연결 고리를 자동적으로 생성해 주는 기능.
3. 테더링(영어: tethering)은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기기를 이용하여, 다른 기기에도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 블루투스 무선 기술이나 USB 케이블 등으로 두 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기기가 다른 기기의 모뎀 역할을 하게 됨.(여러분 스마트폰에 있는 기능 한번 확인해 보세요)

58. 다음 중 바이러스 예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1년 06월)
     1. 새로운 디스크는 우선 바이러스 검사를 한다.
     2. 바이러스 예방 기능을 가진 백신 프로그램을 설치한다.
     3. 주기적으로 백신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여 신종바이러스 전염을 예방한다.
     4. 네트워크 메일을 통한 바이러스를 예방하기 위하여 수신된 모든 메일은 열어보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바이러스는 예방하기 위해서는 알지 못하는 사람이 보낸 메일은 가급적 열어 보지 않거나 첨부 파일이 있을경우 반드시 바이러스 검사후 첨부 파일을 열어 보아야 합니다.
무조건적으로 수신된 모든 이메일을 확인하지 않는것은 옳지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59. 다음 중 전자우편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2월)
     1. 전달: 다른 사람에게 알려주고 싶은 경우 받은 메일을 그대로 다른 사람에게 보내는 기능이다.
     2. 회신: 받은 메일에 대하여 답장을 하되, 발송자는 물론 참조인 모두에게 전송하는 기능이다.
     3. 첨부: 문서, 이미지, 동영상 등의 파일을 전자우편에 첨부하여 보내는 기능이다.
     4. 서명: 메시지를 보낸 사람의 신원을 증명하기 위해 메시지 끝에 붙이는 표식으로 이름, 직위, 회사이름, 주소 등을 표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전체회신에 대한 설명
[해설작성자 : 제발 붙자 코로나는 떨어지자]

회신 : 받은 메일에 대하여 답장을 작성하여, 발송자에게 다시 전송하는 기능
[해설작성자 : 제발합격]

60. 다음 중 멀티미디어 활용 분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3월)
     1. Kiosk : 백화점, 서점 등에서 사용하는 무인안내 시스템
     2. VR : 컴퓨터 그래픽과 시뮬레이션 기능을 이용하여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가상의 세계 체험
     3. VCS : 전화, TV를 컴퓨터와 연결해 이미지를 3차원 입체영상으로 보여주는 뉴 미디어
     4. VOD :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 정보를 원하는 시간에 볼 수 있도록 전송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VCS(Video Conference System)의 약자로서 화상 회의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정 답 지

워드프로세서 (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5일)(827322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워드프로세서 (구 1급)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워드프로세싱 일반


1.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고 있는 표시 장치는 어느 것인가?(2011년 03월)

   

     1. 음극선관(CRT; Cathode Ray Tube)
     2.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3.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Plasma Display Panel)
     4. 전계 방출형 디스플레이(FED; Field Emission Display)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CRT : 눈이 쉽게 피로해진다. 전력소비량이 많다.
LCD : 보는각도에 따라 선명도가 다르다.
PDP : 혼합가스, 가스가 충돌하기 때문에 열을 식혀 주는 장치가 필요하다.
FED : 전계 방출형 디스플레이는 진공상태인데 강한 자기장에의해 전자가 방출되는 현상을 이용한 표시 장치이다.

2. 다음 중 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문서의 결재 시 결재권자의 서명란에는 서명날짜를 함께 표시한다.
     2. 둘 이상의 행정기관장의 결재가 필요한 문서는 각각의 행정기관 모두가 기안하여야 한다.
     3. 위임전결하는 경우에는 전결하는 사람의 서명란에 “전결” 표시를 한 후 서명하여야 한다.
     4. 결재할 수 있는 사람이 휴가, 출장, 그 밖의 사유로 결재할 수 없을 때에는 그 직무를 대리하는 사람이 대결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둘이상의 행정기관장의 결재가 필요하더라도 기안은 한곳에서 해도 됩니다.
보통 그 문서의 처리를 주관하는 기관에서 기안을 해야함.

3. 다음 중 커닝(Kerning)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0년 05월)
     1. 2개 이상의 이미지를 적절히 연결시켜 변환, 통합하는 기법이다.
     2. 실세계의 연속적인 도형을 표현할 때 매끄러운 직선이 거칠게 보이는 현상을 감소시키는 작업이다.
     3. 3차원 그래픽에서 그려진 물체의 각 면을 적절하게 색칠하고, 효과를 적용하여 화상의 실체감을 강조하는 작업이다.
     4. 글자와 글자 사이를 적절한 간격으로 조정하는 작업으로 광고 등에서 많이 사용하는 작업이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1번 : 모핑
2번 : 안티앨리어싱
3번 : 렌더링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4. 다음 보기와 같은 커서의 위치에서 [Ctrl] 키를 누른 채로 오른쪽 화살표 키를 세 번 누른 결과로 옳은 것은?(2010년 05월)

   

     1.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기 전에는
     2.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기 전에는
     3.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기 전에는
     4.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기 |전에는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Ctrl] 키를 누른 채로 오른쪽 화살표 키를 누르면 단어 단위로 커서가 이동됩니다.(한글자씩이 아닌 단어 단위 즉 띄어쓰기 기준으로 한단계씩 이동 합니다.)

5. 다음 중 같은 크기의 편집 용지에 문단 모양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을 경우 문단 첫 행의 길이가 가장 짧아지는 것은?(2007년 10월)
     1. 왼쪽 여백 5, 내어 쓰기 4, 오른쪽 여백 4
     2. 왼쪽 여백 6, 들여 쓰기 2, 오른쪽 여백 0
     3. 왼쪽 여백 4, 내어 쓰기 2, 오른쪽 여백 6
     4. 왼쪽 여백 4, 들여 쓰기 2, 오른쪽 여백 4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문단 첫 행의 길이가 가장 짧아지는 것은 문단 첫 행의 여백이 가장 큰 것임.
(여백이 크다는 말은 그만큼 그 안에 적혀질 내용의 길이가 줄어든다는(짧아진다는)뜻.

들여쓰기가 적용된 문단의 첫행: 왼쪽여백+들여쓰기+오른쪽여백
2번:6+2+0=8         4번:4+2+4=10

내어쓰기가 적용된문단: 왼쪽여백-내어쓰기+오른쪽여백
1번:5-4+4=5        3번:4-2+6=8

6. 다음 중 기억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10월)
     1. 기억장치는 처리 속도와 사용용도, 기억 용량의 크기 등에 따라 캐시기억장치, 주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 등으로 나눌 수 있다.
     2. 주기억장치는 프로그램 기억 장소, 입력 데이터 기억 장소, 작업 장소 및 출력 데이터 기억 장소로 사용되며, 내부 기억장치라고도 한다.
     3. 주기억장치는 중앙처리장치(CPU)보다 실행 속도가 늦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이다.
     4. 보조기억장치는 주기억장치에 있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별도로 기억시켜 두었다가 필요할 때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억장치이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중앙처리장치와 주기억장치의 속도차이를 보완해주는 것은 캐시메모리입니다. 주로 SRAM 을 사용합니다.

7.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의 저장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3월)
     1. 저장된 파일 형태에 따라 확장자가 달라진다.
     2. 저장 기능은 주기억 장치에서 작성중인 문서의 내용을 보조 기억 장치에 저장하는 것이다.
     3. 서식 있는 문자열(*.rtf)로 저장하면 다른 워드프로세서와 호환이 용이하다.
     4. 자동 저장 파일(*.bak)은 모두 텍스트 파일로 저장된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4.자동 저장 파일은 해당 응용 프로그램의 파일 형식으로 저장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bak = 백(백업)]
실수나 예상하지 못한 불의의 상황으로 인한 데이터 손실에 대비하여 하나 이상의 복사본을 만들어 보관하는 예비 파일입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8. 다음 중 메일머지(Mail Merge)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이름이나 직책, 주소 등만 다르고 나머지 내용은 같은 여러 통의 편지를 쉽게 만들 수 있는 기능이다.
     2. 초청장이나 안내장, 청첩장 등을 만들 경우에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3. 데이터 파일은 꼭 엑셀(xls)이나 액세스(mdb) 파일이어야 한다.
     4. 반드시 본문 파일에서 메일머지 기능을 실행시켜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메일 머지를 수행할 서식 파일(form letter file)에 본문을 입력하면서, 데이터 파일의 사람 이름이나 직책, 주소 등이 대입될 위치를 표시합니다. 데이터 파일로는 윈도우의 주소록과 Outlook 주소록, 한/글 파일, DBF 파일뿐만 아니라 넥셀 파일, 엑셀 파일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사무자동화 지존 오쌤]

9. 다음 중 인쇄용 낱장 용지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5월)
     1. 용지의 크기에 따라 A계열과 B계열로 나누어진다.
     2. A4가 A5보다 크다.
     3. A3보다 B3가 작다.
     4. A4 용지의 규격은 210mm * 297mm이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B>A 이고 작은수>큰수 입니다.

10. 다음 중 문단 여백과 편집 용지 여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10월)
     1. 편집 용지 여백을 주면 실제로 글이 입력되는 부분은 이 편집 용지 여백을 제외한 부분부터 시작된다.
     2. 문단 여백이란 편집 용지 여백을 제외하고 또 다시 여백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3. 두문 및 미문이 인쇄될 영역의 크기는 문단 여백에서 설정하여 준다.
     4. 바꾸고자 하는 문단에 커서를 두고 적절한 문단 여백을 설정하면 해당 문단의 여백만 변경된다.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두문이나 미문은 편집용지 설정에서 지정해 줍니다.

11. 다음 중 출판문화의 변화에 대해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2007년 05월)
     1. 활자 인쇄 → 사진 식자 → 전자통신 출판 → 전자출판
     2. 활자 인쇄 → 사진 식자 → 전자출판 → 전자통신 출판
     3. 사진 식자 → 활자 인쇄 → 전자출판 → 전자통신 출판
     4. 사진 식자 → 활자 인쇄 → 전자통신 출판 → 전자출판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제일 먼저 나온것은 활자 인쇄 이며 그다음 사진 그다음 전자출판 그다음 전자통신출판(인터넷) 활사전전(인터넷) 으로 외우시면 되겠습니다^^

12. 다음 보기의 용어들과 관계가 깊은 것은 어느 것인가?(2008년 05월)

    

     1. 글꼴의 크기단위
     2. 화면의 구성단위
     3. 문서의 분량단위
     4. 파일의 구분단위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포인트만 봐도 무엇을 뜻하는지 알아야합니다.
바로 크기죠,크기를 포인트라고 합니다.

13. 다음 중 보기에서 설명하고 있는 기억장치는 어느 것인가?(2013년 06월)

    

     1. 캐시 메모리(Cache Memory)
     2. 연상 기억 메모리(Associative Memory)
     3. 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
     4.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디지털 카메라, mp3 같은 경우는 전원이 꺼진다해도 내용이 손상 되지않는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합니다

14. 다음은 공문서의 “끝”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한 것이다.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7월)
     1. 본문이 끝났을 경우에는 1자(2타) 띄우고 “끝”자를 표시한다.
     2. 첨부물이 있는 경우에는 붙임의 표시문 끝에 1자(2타) 띄우고 “끝”자를 표시한다.
     3. 본문 내용 또는 붙임의 표시문이 오른쪽 한계선에 닿은 때에는 다음 줄의 왼쪽 기본선에서 1자(2타) 띄우고 “끝”자를 표시한다.
     4. 일괄기안의 경우에는 마지막 안에만 “끝” 자를 표시하면 된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일괄기안의 경우에는 각 안마다 "끝"표시를 하여야 한다.

15. 다음 중 전자출판에 사용되는 용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3월)
     1. 디더링(Dithering) : 기존의 그림을 다른 형태로 새롭게 변형, 수정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2. 오버프린트(Over Print) : 대상체의 컬러가 배경색의 컬러보다 짙을 때에 겹쳐서 인쇄하는 방법이다.
     3. 필터링(Filtering) : 작성된 그림을 필터 기능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형태의 새로운 이미지로 바꾸어 주는 기능이다.
     4. 클립아트(Clip Art) : 작업문서에 자주 사용되는 다양한 그림을 모아 둔 작은 그림의 모음집이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기존의 그림을 다른 형태로 새롭게 변형, 수정하는 작업은 리터칭이라고 합니다.

디더링 : 그래픽 이미지에 효과를 넣는 방법으로 미세한 점으로 이루어진 흑색과 백색으로 이미지 명암 표현기능(제한된 색상을 조합해 복잡한 색이나 새로운 색을 만드는 작업)

16.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편람으로 옳은 것은?(2016년 03월)

    

     1. 행정 편람
     2. 직무 편람
     3. 공고 편람
     4. 민원 편람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직무편람은 부서별 또는 개인별로 그 소관업무에 대한 업무계획·관련 업무 현황 기타 참고자료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활용하는 업무현황철 또는 업무자료철 입니다.


행정편람은 업무처리 절차와 기준, 장비운용 방법, 그 밖의 일상적 근무규칙 등에 관하여 각 업무담장자에게 필요한 지침·기준 또는 지식을 제공하는 업무지도서 또는 업무참고서입니다. 쉽게는 교육적 자료들이라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민원 편람은 민원 업무에 편의성을 위하여 보기에 편리하도록 간추려 놓은 자료들 입니다.
[해설작성자 : windcom tistory]

[업무 편람]
행정 기관에서 문서의 관리, 업무처리와 같은 일을 하기 위하여 업무에 대한 표준화된 사항을 보기 편리하도록 간추린 책입니다.
행정 편람과 직무 편람으로 나뉘어 집니다.

1). 행정 편람 : 절차와 기준, 장비 운용 방법, 근무 규칙 등 업무에 관한 지식을 제공하는 업무 지도서입니다.
2). 직무 편람 : 업무 계획, 업무 현황, 참고 자료를 정리한 자료철로 업무의 처리 절차나 흐름도입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17. 다음 중 전자출판(Electronic Publishing)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10월)
     1. 디더링(Dithering) : 2차원의 이미지에 광원·위치· 색상 등을 첨가하여 사실감을 불어넣어 3차원 화상을 만드는 과정
     2. 모핑(Morphing) : 그래픽 파일의 효과 넣기로, 신문에 난 사진과 같이 미세한 점으로 나타내며 각 점의 명암을 달리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3. 스프레드(Spread) : 대상체의 컬러가 배경색의 컬러보다 짙을 때에 겹쳐서 인쇄하는 방법이다.
     4. 초크(Choke) : 이미지 변형 작업으로 채도, 조명도, 명암 등을 조절해 주는 기능이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초크는 이미지 변형작업, 입출력 파일 포맷, 채도, 조명도, 명암을 조절
[해설작성자 : 워드3번떨어짐]

1. 디더링 : 제한된 색상을 조합 또는 비율을 변화하여 새로운 색을 만드는 작업을 함.
2. 모핑 : 부드럽게 연결하여 변환, 통합 하는 것.
3. 스프레드 : 대상체의 컬러가 배경체의 컬러보다 옅을 때 발생한다.
[해설작성자 : 워드3번떨어짐]

2번에 대한 설명은 하프톤에 대한 설명입니다
[해설작성자 : kkomaeng2]

1번에 대한 설명은 렌더링에 대한 설명입니다.
[해설작성자 : 수료식]

3번에 대한 설명은 오버프린트에 대한 설명입니다.
[해설작성자 : 꿈을 따라가는 여주 촌놈 조영진]

18. 다음 중 전자문서에 대한 설명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2020년 07월)
     1. 컴퓨터 등 정보처리능력을 가진 장치에 의하여 전자적인 형태로 작성되거나 송신·수신 또는 저장된 문서를 말한다.
     2. 전자문서의 효력 발생 시기는 전자문서를 수신자가 관리하거나 지정한 전자적 시스템 등에 입력되었을 때 발생한다.
     3. 전자문서는 공람하였다는 기록을 업무관리시스템 또는 전자문서시스템 상에서 수동으로 표시하며 담당자는 메일로 공람여부를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4. 업무의 성질상 전자문서로 기안하기 곤란하거나 그밖의 특별한 사정이 있지 않은 한 기안은 전자문서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3. 수동 아니고 자동입니다.

19. 다음 중 문서의 분량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는 교정부호 들로만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2011년 06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2번의 첫번째 문양은 한 문단 하나를 내리라는 것이므로 문서의 분량이 증가되고,
두번째 문양은 중간에 그 문단 중 한줄을 비워두라는 것이고
세번째는 문서 사이를 한칸 띄우라는 것이므로 문서의 분량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는 교정부호들로 짝지어져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컴교실 학생 이제하]

20. 다음 중 교정부호 사용 시 유의할 점에 대하여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5월)
     1. 교정부호를 표시하는 색은 눈에 잘 띄게 한다.
     2. 교정부호는 지정한 부호를 사용해서 교정한다.
     3. 한 번 교정된 부분은 다시 교정할 수 없다.
     4. 교정부호가 너무 복잡하거나 난해하지 않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교정취소 교정부호를 사용해서 다시 교정이 가능합니다.

2과목 : PC 운영 체제


21.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바탕 화면에 있는 폴더 아이콘의 바로 가기 메뉴를 사용하여 할 수 있는 작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3월)
     1. 바탕 화면에 해당 폴더의 새로운 바로 가기 아이콘을 만들 수 있다.
     2. 바로 이전에 삭제한 폴더를 복원할 수 있다.
     3. 공유 대상 폴더를 설정할 수 있으며, 동기화할 수 있다.
     4. 해당 폴더의 속성을 재설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삭제한 폴더는 휴지통의 복원 기능을 이용하여야 복원이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22.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네트워크 드라이브 설정과 사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5월)
     1. 네트워크에서 다른 컴퓨터의 특정 폴더를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2. 하나의 독립된 드라이브인것처럼 사용할 수 있다.
     3. 상대편에서 공유를 해제하면 드라이브를 사용할 수 없다.
     4. 네트워크 드라이브에는 폴더를 만들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네트워크 드라이브에 쓰기 권한이 있다면 폴더를 만들수 있으며 파일도 저장할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23. 다음 중 한글 Windows XP를 부팅할 때 <F8> 키를 눌러서 표시되는 [Windows 고급 옵션] 화면에서 [안전 모드] 방식의 부팅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10월)
     1. 컴퓨터가 비정상적으로 작동될 때 컴퓨터에 발생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없다.
     2. 네트워크가 연결된 경우에 컴퓨터 관리자에게 해당 컴퓨터의 디버그 정보를 보내면서 부팅하는 방식이다.
     3. 마지막으로 시스템이 문제없이 실행되고 종료되었을 때 레지스트리 정보와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부팅하는 방식이다.
     4. 시스템의 안전을 위하여 다중 부팅 선택 화면을 이용하여 부팅하는 방식이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2.네트워크로 연결된 경우 컴퓨터 관리자에게 해당 컴퓨터의 디버그 정보를 보내면서 컴퓨터를 시작함 -> 디버그모드
3.마지막으로 시스템이 문제 없이 실행되고 종료되었을 때의 레지스트리 정보와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부팅하는 방식 -> 마지막으로 성공한 구성(작동한 최근 설정값)
[해설작성자 : 김반짝김람보]

24.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여러 개의 창이 열려 있을 때 한 개의 창을 선택하여 제목 표시줄을 마우스로 클릭한 채 좌우로 흔들면 그 창을 제외한 나머지 창들이 최소화되는 기능으로 옳은 것은?(2017년 03월)
     1. 에어로 스냅(Aero Snap)
     2. 에어로 세이크(Aero Shake)
     3. 에어로 피크(Aero Peek)
     4. 에어로 전환 3D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 에어로(Aero) 기능 : 열려진 작업 창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기능
- 에어로 스냅(Snap) : 열려진 창을 좌,우(세로 1/2) 또는 위쪽(최대화)으로 이동하여 창의 크기 조절
- 에어로 세이크(Shake) : 창을 흔들어 열려있는 창을 제외한 다른 모든 창 최소화 하거나 다시 원상태로 표시
- 에어로 피크(Peek) : 열려진 창들의 축소판 미리 보기 가능, 창들을 최소화 지 않고 바탕화면 보기 가능 (단, ‘바탕화면 보기’는 작업 표시줄 속성의 ‘에어로 피크를 사용하여 바탕화면 미리 보기’ 체크 설정 시)    
[해설작성자 : 한방합격 탑플러스 정익종]

좌우로 '흔들면' -> 쉐이킷쉐이킷 -> 에어로 세이크(shake)
[해설작성자 : 나는야 포켓몬마스터]

에어로 전환 3D: 열려있는 모든 창의 내용을 미리보기
[해설작성자 : 추가설명충]

25. 한글 Windows XP에서 [디스크 정리] 창의 [기타 옵션] 탭에 있는 선택 옵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8년 07월)
     1. 휴지통 비우기 - 휴지통에 들어있는 모든 파일을 제거한다.
     2. Windows 구성 요소 - 시스템에 등록된 모든 Windows 구성요소를 한 번에 제거한다.
     3. 설치된 프로그램 - 시스템에 등록된 모든 프로그램을 한 번에 제거한다.
     4. 시스템 복원 - 최근에 시스템을 복원한 내용을 제외하고 모두 제거한다.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참고 : [디스크 정리] - [기타옵션]에는 휴지통 비우기 기능이 없습니다.
위 문제에서 4번 시스템 복원은 그냥 시스템 복원이 아닌 디스크 정리 옵션의 일부인 시스템 복원을 말합니다. 주의 하세요.

26.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검색 결과] 창에서 파일 또는 폴더를 검색하는 방법으로 가능하지 않은 것은?(2008년 07월)
     1. 특정 기간 동안 수정된 파일을 모두 찾기
     2. 일정 횟수 이상 변경된 파일을 모두 찾기
     3. 일정 크기 이상의 파일을 모두 찾기
     4. 특정 문자열이 내용 중에 포함된 텍스트 파일을 모두 찾기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파일또는 검색은수정된날짜, 파일의 크기, 고급옵션, 파일에 들어있는 문자열, 찾는위치, 파일형식등으로 찾을수 있음.
횟수나 특성(속성)으로는 찾을수없음.
[해설작성자 : 인천미래컴]

27.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휴지통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USB 드라이브에 있는 파일이나 폴더를 삭제하면 휴지통에 보관되지 않고 영구히 삭제된다.
     2.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마다 휴지통의 크기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3. 휴지통에 있는 특정 폴더를 더블클릭 하면 해당 폴더의 속성창이 나타난다.
     4. 휴지통에 있는 사진 파일을 더블클릭 하면 원본 사진을 미리보기로 볼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휴지통에 있는 사진 파일을 더블클릭 하면 사진 미리보기가 아닌 속성창이 뜹니다
[해설작성자 : 전생에 뽀로로]

[휴지통]
삭제된 파일이나 폴더가 임시 보관되는 장소로 복원이 가능하며 각 드라이브마다 따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휴지통의 실제 파일이 저당되는 폴더의 위치는 운영체제에서 지정하므로 사용자가 지정할수 없으며 휴지통에 삭제한 파일이나 들어가면 휴지통 아이콘의 모양이 변경됩니다.
휴지통은 드라이브마다 한 개씩 만들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5% ~ 10%범위 내에서 자동으로 설정되고 사용자가 임의로 MB단위로 변경이 가능합니다.
휴지통의 용량이 초과하면 가장 과거의 파일이 제거되며 휴지통용량보다 큰파일을 삭제시 휴지통에 보관되지 않고 즉시 제거 됩니다.
휴지통에 보관된 파일이나 폴더는 휴지통 내에서 실행이 불가하며 사용시 복원(복구)후 실행 가능합니다.
휴지통에 보관없이 바로 삭제되도록 설정이 가능하며 삭제할때마다 메시지가 표시되도록도 설정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28.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보조프로그램인 [원격 데스크톱 연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원격 데스크톱 연결이란 현재의 컴퓨터 앞에서 원격 위치의 데스크톱 컴퓨터에 연결하여 응용 프로그램을 해당 콘솔 앞에서 실행하고 파일, 네트워크 리소스를 액세스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2. 원격에 있는 컴퓨터에서 음악 또는 기타 소리를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재생하거나 녹음할 수 있다.
     3. 원격 작업을 하려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와 제 2의 원격 컴퓨터가 있어야 한다.
     4. 원격 지원을 허용하려면 [시작]-[제어판]-[시스템] 왼쪽 창의 [원격 설정]에서 [하드웨어] 탭을 선택하여 원격으로 제어하도록 허용과 최대 시간 등을 설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원격 지원을 허용하려면 [시작]-[제어판]-[시스템] 왼쪽 창의 [원격 설정]에서 [원격] 탭을 선택하여 원격으로 제어하도록 허용과 최대 시간 등을 설정한다.
[해설작성자 : [채채민☆은혜]]

29.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압축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3월)
     1. 압축은 텍스트뿐만 아니라 음악, 사진, 동영상 파일 등도 압축할 수 있다.
     2. 압축할 때 암호를 지정하거나 분할해서 압축을 할 수 있다.
     3. 압축 프로그램의 종류에는 Winzip, WinRAR, PKZIP 등이 있다.
     4. 암호화된 압축 파일을 전송할 경우에 시간 및 비용이 증가 된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압축파일은 원본에 비해 크기가 줄었으므로 시간과 비용이 절감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압축을 할경우 파일의 크기가 줄어들어 시간 및 비용의 감소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보기에 작성된 내용중 암호화는 파일의 크기에 큰 영향이 없으므로 암호화의 여부는 관련 없습니다.
 
[압축(Compaction) ]
기억 장소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파일 전송시 시간을 줄이거나 대역폭, 비용등을 줄이기 위한 일련의 방법으로 불필요하거나 반복되는 사항을 제거하기 위한 특수한 코딩 기법입니다.
다른 의미로는 사용하지 않은 기억 장소들이 여기저기 분산되어 있을 때 새롭게 실행할 프로세스가 큰 기억 장소를 요구하면 저장할 공간이 부족할 수 있으므로 이렇게 남은 잉여 공간(단편화(Fragmentation)된 공간)을 한 곳으로 모아 큰 공간을 통합하는 작업입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30.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명령 프롬프트] 창에서 할 수 있는 작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6월)
     1. MS-DOS 운영체제용 명령어와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다.
     2. 사용자의 ID가 sanggong 이면 [명령 프롬프트] 창의 초기 설정 디렉토리는 C:\Users\sanggong 이다.
     3. 제목 표시줄에서 바로가기 메뉴의 [속성]을 이용하면 커서의 크기, 글꼴, 배경색, 글꼴 색을 변경 할 수 있다.
     4. 제목 표시줄에서 바로가기 메뉴의 [편집]을 이용하면 [명령 프롬프트] 창에 표시되는 텍스트나 그림, 동영상을 복사하여 다른 응용 프로그램에 붙여 넣을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④ [명령 프롬프트]창에는 그림이나 동영상이 표시되지 않을뿐더러, 표시도 되지않는 그림이나 동영상을 복사하거나 붙여넣을수 없습니다.
하지만 텍스트는 복사&붙여넣기가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 프로그래머(여러분의 합격을 기원합니다)]

31.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작업 관리자] 창에서 할수 있는 작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현재 실행중인 프로그램의 작업에 대하여 강제로 끝내기를 할 수 있다.
     2. 모든 사용자의 프로세스를 표시하거나 해당 프로세스의 끝내기를 할 수 있다.
     3. 시스템의 서비스 항목을 확인하고 해당 서비스를 중지하거나 실행할 수 있다.
     4. 현재 시스템 사용자를 로그오프 하고 새로운 사용자를 추가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4. 강제 로그오프는 가능하나, 새로운 사용자를 추가시킬 순 없음!
[해설작성자 : 알]

32.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스피커와 관련된 [볼륨 조절] 창에서 할 수 있는 작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3월)
     1. [마스터 볼륨] 항목의 슬라이더를 올리거나 내려서 볼륨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2. [음소거]를 지정할 수 있으며 MP3 나 WAV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3. [옵션] 주메뉴의 [속성]을 클릭하여 표시되는 [속성] 창에서 특정 장치를 [볼륨 조절] 창에 포함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4. 왼쪽과 오른쪽 스피커 사이의 [밸런스] 조절을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2. [볼륨 조절]창에서 [음소거]는 지정할 수 있지만, MP3 나 WAV 파일 재생은 Windows Media Player에서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정익종쌤의 한방합격 탑플러스]

33.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네트워크 연결] 설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10월)
     1. [Microsoft 네트워크용 클라이언트]는 Microsoft 네트워크에 있는 리소스를 액세스할 수 있게 한다.
     2. [인터넷 프로토콜(TCP/IP)]은 인터넷과 WAN에 연결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며, 다양하게 연결된 네트워크상에서 통신을 제공한다.
     3. [Microsoft 네트워크용 파일 및 프린터 공유]는 Microsoft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컴퓨터에 있는 리소스를 액세스할 수 있게 한다.
     4. [네트워크 어댑터]는 논리적인 컴퓨터를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소프트웨어이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어댑터는 랜카드를 의미하며 물리적으로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장치입니다.

어댑터는 하드웨어입니다.

34.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제공하는 [도움말 및 지원]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3월)
     1. 도움말 내용은 프린터로 인쇄할 수 있다.
     2. 도움말 내용의 글꼴이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3. 색인 기능을 이용하여 도움말을 찾을 수 있다.
     4. 하이퍼텍스트 기능을 이용하여 도움말을 찾을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도움말 내용은 추가 및 수정, 삭제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글꼴이나 색상을 변경할 수도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35.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작업 표시줄 및 시작 메뉴 속성] 창에서 할 수 있는 작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9월)
     1. 작업 표시줄의 위치나 크기를 변경하지 못하도록 작업 표시줄 잠금을 설정할 수 있다.
     2. 마우스 포인터가 작업 표시줄에서 벗어나면 작업 표시줄이 사라지는 작업 표시줄 자동 숨기기를 설정할 수 있다.
     3. 같은 종류의 작업 표시줄 단추를 그룹으로 표시할 수 있다.
     4. 작업 표시줄에 있는 시계와 알림 영역을 모두 삭제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작업 표시줄에 있는 시계는 보이지 않게 설정할수 있지만
알림영역 자체를 보이지 않게할수는 없습니다.
위 보기 4번에서 삭제라는 뜻은 실제로 삭제가 아닌 보이지 않게 한다는 뜻으로 해석하면 됩니다.

36.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문서 편집기인 [메모장]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9년 07월)
     1. 그림, 동영상 등의 개체를 삽입하는 OLE 기능을 지원한다.
     2. 서식이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웹 페이지용 HTML 문서를 작성할 수 있다.
     3. 작성된 문서를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는 편지 보내기를 실행할 수 있다.
     4. *.RTF, *.PDF 등의 형식으로 파일 저장이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메모장은 OLE기능은 실행되지 않고,
.txt로 파일 저장가능 하며,
편지 보내기는 웹으로 해야함

37. 한글 Windows XP에서 사용하는 [원격 지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3월)
     1. 다른 위치에 있는 상대방이 Windows와 같이 호환되는 운영체제가 실행되는 컴퓨터에서 사용자 컴퓨터를 편리하게 연결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2. 사용자와 도우미는 모두 Microsoft Outlook 또는 Outlook Express 같은 MAPI 호환 전자 메일 계정이나 Windows Messenger Service를 사용해야 한다.
     3. 사용자와 도우미는 원격 지원을 사용하는 동안에는 인터넷을 사용할 수 없도록 설정된다.
     4. LAN(Local Area Network)에서 작업 중인 경우에는 방화벽으로 인해 원격 지원을 사용하지 못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사용자와 도우미는 원격 지원을 사용하는 동안에도 인터넷을 사용할수 있답니다.
인터넷이 사용 가능해야만 원격지원이 가능하거든요 ^^

38.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바로 가기 아이콘을 만드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3월)
     1. 개체를 선택한 후에 바로 가기 메뉴에서 [바로 가기 만들기]를 선택한다.
     2. [Alt]+[Shift]를 누른 상태로 개체를 선택한 후에 원하는 위치로 마우스 끌어놓기를 한다.
     3. 바로 가기 아이콘을 복사하여 다른 위치에 붙여 넣기를 한다.
     4. 폴더 창에서 개체를 선택한 후에 [파일]-[바로 가기 만들기] 메뉴를 선택한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Ctrl]+[Shift]를 누른 상태로 개체를 선택한 후에 원하는 위치로 마우스 끌어놓기를 한다.

39. 한글 Windows XP의 [인터넷 프로토콜(TCP/IP) 등록정보] 창에서 TCP/IP 지정을 위한 구성 요소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기본 게이트웨이
     2. 기본 설정 DNS 서버
     3. IP 주소
     4. 최대 소켓(Socket)의 수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한글 Windows XP의 [인터넷 프로토콜(TCP/IP) 등록정보] 창에서 TCP/IP 지정을 위한 구성 요소로는
기본 게이트웨이 기본 설정 DNS 서버 IP 주소 등이있다.
최대소켓수는 관계없음
[해설작성자 : 이명박]

40.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홈 그룹]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2월)
     1. 한글 Windows 7이 설치된 두 대 이상의 컴퓨터를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파일 및 프린터를 쉽게 공유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2. 홈 그룹을 설정하려면 네트워크 위치가 [홈 네트워크]로 설정되어야 한다.
     3. 홈 네트워크상에 하나의 컴퓨터가 홈 그룹을 만들고 나머지 컴퓨터가 참여하는 형식으로 구성된다.
     4. 홈 그룹에 참여한 컴퓨터의 모든 사용자 계정이 구성원이 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참여한 컴퓨터의 게스트 계정을 제외한 모든 계정이 구성원이 될 수있다.
[해설작성자 : 나도드뎌내일시험]

윈도우 10 부터는 업데이트를 통해서 '홈 그룹'기능이 사라졌습니다.
홈 그룹 기능이 없다하더라도 윈도우의 기능으로 파일 및 프린터 공유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홈 그룹 및 공유 옵션은 없게 되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41. 다음 중 운영체제의 핵심적인 부분으로서 하드웨어와의 상호 작용 역할을 담당하고 프로그램과 하드웨어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컴퓨터가 부팅된 후 항상 주기억장치에 상주하는 프로그램을 무엇이라고 하는가?(2015년 03월)
     1. 데몬(Daemon)
     2. 커널(Kernel)
     3. 로더(Loader)
     4. 채널(Channel)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참고
① 데몬 : 컴퓨터 시스템의 운영에 관련된 작업을 background 상태로 동작하면서 실행하는 프로그램
③ 로더 : 컴퓨터에 프로그램을 주기억장치에 읽어넣기 위한 프로그램.
④ 채널 : 주기억 장치와 주변 장치 사이에 개재하는 하드웨어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 프로그래머]

[커널(Kernel)]
운영체제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으로 부팅시 주기억장치에 상주하게 됩니다.
하드웨어를 보호하며 프로그램과 하드웨어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담당하게 됩니다.
프로세스 관리, 기억장치 관리, 파일 관리, 입출력 관리, 데이터 전송 및 변환 등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합니다.

[데몬(Daemon) : 상주 프로그램]
시스템의 운영에 관련된 작업을 백 그라운드(Background) 상태로 동작하면서 실행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인터넷상에서 발생하는 서비스들을 처리하기 위하여 웹 서버에서 항상 실행중인 상태로 있습니다.

[로더(Loader)]
컴퓨터 내부로 정보를 들여오거나, 로드 모듈을 디스크 등의 보조기억장치로부터 주기억장치에 적재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입니다.
할당(Allocation), 연결(Linking), 재배치(Relocation), 적재(Loading) 과 같이 4가지 기능이 있습니다.
할당 : 실행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해 기억장치 내에 옮겨 놓을 공간을 확보
연결 : 부 프로그램 호출 시 그 부프로그램이 할당된 기억장소의 시작주소를 호출한 부분에 등록하여 연결하는 것
재배치 : 디스크 등의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각 주소들을 할당된 기억장소의 실제 주소로 배치
적재 : 실행 프로그램을 할당된 기억공간에 실제로 옮기는 것

[채널(Channel)]
CPU를 대신하여 주기억 장치와 입출력 장치 사이에서 입출력을 제어하는 처리장치로 입출력전용 프로세서라 합니다.
CPU와 독립적으로 동작하여 입출력을 완료하여 실제 CPU의 부담을 줄여줌으로 시스템의 속도를 향상시켜 줍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42. 다음에서 설명하는 용어로 적합한 것은?(2014년 06월)

    

     1. BT
     2. VAN
     3. USN
     4. URI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BT : 뜻이 여러가지입니다. 비트토렌트, 생명공학, 블루투스 등의 뜻을 가집니다.
VAN : 부가가치통신망
URI : URL(자원의 주소?)와 유사한 뜻으로 받아 들이시면 됩니다. 일부 혼용하기도 합니다. 정확하게 구분하자면 복잡하므로 생략합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43. 다음 중 규격상 최대 전송속도가 가장 빠른 방식은?(2017년 09월)
     1. USB 3.0
     2. IEEE 1394
     3. IrDA
     4. Bluetooth 3.0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USB 3.0 - 5Gbps
IEEE 1394 - 100Mbps
Bluetooth 3.0 - 24Mbps
IrDA - 3.4Mbps
[해설작성자 : 취미로히어로합니다]

44. 다음 중 포트(Port)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06월)
     1. 직렬포트 : 한 번에 1비트씩 전송하는 방식으로, 프린터, Zip 드라이브 연결에 사용한다.
     2. 병렬포트 : 한 번에 8비트씩 전송하는 방식으로, 마우스, 모뎀 연결에 사용한다.
     3. USB포트 : 12Mbps 이상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지원하고, 주변장치를 최대 127개까지 연결할 수 있다.
     4. PS/2포트 : PS/2용 마우스와 키보드 연결에 사용되며 8핀으로 구성된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직렬포트 : 한 번에 1비트씩 전송하며 오래전 마우스 등에 사용하던 방식입니다.
병렬포트 : 한번에 여러 비트를 전송하며 프린터 등에 늘리 사용되었습니다.
PS/2포트 : PS/2용 마우스와 키보드 연결에 사용되며 6핀으로 구성된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45. 다음 중 마더보드(Mother board)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컴퓨터의 기본회로와 부품들을 담고 있는 컴퓨터 내의 가장 기본적인 물리적 장치이다.
     2. 마더보드와 확장 슬롯 내에 꽂히게 될 확장카드간의 전자적 인터페이스를 채널이라고 한다.
     3. 마더보드 내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바이오스, 확장 슬롯, 접속 회로 등이 포함된다.
     4. 마더보드에 따라서 사용자가 성능 향상을 위해 프로세서를 한 개 이상 설치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마더보드와 확장 슬롯 내에 꽂히게될 확장카드간의 전자적 인터페이스를 버스라고 합니다.
[해설작성자 : 귀찮음워드]

[메인보드(Mainboard)] = [마더보드(Motherboard)]
컴퓨터 내에서 기본회로와 부품을 담고 있으며 중앙처리장치, 주기억 장치, 메모리, 확장 슬롯 등을 연결 가능한 중심 회로 기판입니다.
각 부품 간 통신을 담당하는 버스(BUS)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BIOS와 같은 펌웨어를 통해 컴퓨터의 기본 동작과 하드웨어 설정을 제어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46. 다음 중 소프트웨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10월)
     1. 시스템 소프트웨어는 하드웨어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응용 소프트웨어가 원활하게 실행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2. 유틸리티 소프트웨어란 컴퓨터의 동작에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컴퓨터를 이용하는 주 목적에 대한 부차적인 일부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로 디스크 조각 모음, 화면 보호기, 압축프로그램 등이 있다.
     3. 응용 소프트웨어는 운영 체제에서 실행되는 대부분의 소프트웨어로 워드프로세서, 스프레드시트, 웹브라우저 등이 있다.
     4. 시스템 소프트웨어에는 운영체제, 언어번역 프로그램, 시스템 유틸리티 등이 있으며, 운영체제는 집적회로의 비휘발성 기억 장소(EEPROM)에 저장되었다가 실행된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운영체제는 하드디스크에서 실행한다
[해설작성자 : 서대승]

47. 다음 중 기억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주기억장치는 컴퓨터 내부에 위치한 기억장치로 현재 사용 중인 데이터나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2. ROM은 내장 메모리를 체크하거나 주변 장치의 초기화를 수행하기 위한 자료 등을 저장한다.
     3. 캐시메모리는 주기억장치와 CPU의 속도 차이를 보완하며, 주기억장치의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4. 가상메모리는 주기억장치의 일부를 보조기억장치인 것처럼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가상메모리는 보조기억장치의 일부를 주기억장치처럼 사용하는 메모리 기법으로 주기억장치보다 큰 프로그램을 불러와 실행해야 할 때 유용함.
[해설작성자 : 뿌잉]

[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
보조기억장치(주로 HDD를 사용)의 일부를 주기억장치처럼 사용하는 메모리 기법으로 주기억장치보다 큰 프로그램을 불러와 사용할시 유용합니다.
가상 메모리를 사용시 주기억장치보다 큰 프로그램 실행은 가능하지만 보조기억장치를 사용하는 만큼 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
가상 메모리의 공간을 일정한 크기의 페이지로 나누어 관리하는 페이징 기법과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으로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전원이 꺼지면 데이터가 소실되는 휘발성 메모리입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48. 다음 중 멀티미디어 활용분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10월)
     1. VCS : 전화, TV를 컴퓨터와 연결해 각종 정보를 얻는 뉴 미디어
     2. VOD :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정보를 원하는 시간에 볼 수 있도록 전송
     3. VR : 컴퓨터그래픽과 시뮬레이션 기능을 이용해 가상 세계 체험
     4. Kiosk : 백화점, 서점, 터미널 등에서 사용하는 무인 안내 시스템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화상 회의 시스템(VCS : Video Conference System)]
초고속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서로 먼 거리에 있는 사람들과 설치되어 있는 TV화면을 통해 영상과 음성을 동시에 전송 받아 한 사무실에서 회의를 하는 것처럼 효과를 내는 장치입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49. 다음 중 자기 디스크 관련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3월)
     1. 섹터(Sector) : 회전축을 중심으로 데이터가 기록되는 동심원
     2. 실린더(Cylinder) : 여러 개의 섹터를 모은 것
     3. 탐색시간(Seek Time) : 읽기/쓰기 헤드가 지정된 트랙을 찾은 후 원판이 회전하여 원하는 섹터의 읽기/쓰기가 시작될 때까지의 시간
     4. 접근시간(Access Time) : 데이터를 읽고 쓰는데 걸리는 시간의 합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트랙(track) - 회전축을 중심으로 구성된 여러 개의 동심원
•섹터(sector) - 트랙을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 놓은 것
•실린더(sylinder) - 동일한 번호를 갖는 트랙들의 집합
•탐색시간(seek time) - 읽고/쓰기 헤드가 데이터 위치한 트랙까지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
•회전 지연(reotational delay time) - 해당 데이터가 있는 섹터에 헤드가 위치하는데 걸리는 시간
[출처] 시스템보안 - 자기디스크 관련 용어|작성자 마요네즈

1.섹터->트랙
2.섹터가 모인 것이 아닌 트랙들의 집합
[해설작성자 : 잘해보자!!!]

섹터:트랙을 여러부분으로 나누어 놓은 것으로 실제 데이터가 저장됨
실린더:동일한 번호를 갖는 트랙들의 집합(트랙수=실린더수)
탐색시간:읽고/쓰기 헤드를 접근하려는 트랙(실린더)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해설작성자 : 깡숭]

[Access Time(접근 시간)]
기억 장치에 읽기 요청이 발생한 시간부터 요구한 정보를 꺼내서 사용 가능할 때까지의 시간
어떤 데이터를 기억장치로부터 읽거나 기억 시킬 때 명령이 시작된 순간부터 명령의 수행이 완료되는 순간까지 소요되는 시간
Access Time = Seek Time(탐색시간) + Search Time(Latency Time)(대기 시간) + Transmission Time(전송 시간)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50. 다음 중 개인정보의 종류와 그에 따른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신체적 정보 : 신체 정보, 의료 정보, 건강 정보
     2. 재산적 정보 : 개인 금융 정보, 개인 신용 정보
     3. 일반적 정보 : 주민등록번호, 이름, 주소
     4. 정신적 정보 : 교육 정보, 근로 정보, 자격 정보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개인정보의 종류에는 보기 1, 2, 3번과 습관, 취미정보 , 사회정보 , 기타정보가 있습니다. 정신적 정보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미래컴퓨터아카데미]

[정신적 정보]
1). 기호·성향 정보
-도서·비디오 등 대여기록, 잡지구독정보, 물품구매내역, 웹사이트 검색내역 등

2). 내면의 비밀 정보
-사상, 신조, 종교, 가치관, 정당·노조 가입여부 및 활동내역 등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51. 다음 중 컴퓨터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옳은 것은?(2009년 02월)
     1. 캐시 메모리(cache memory) 용량의 크기
     2. 레지스터(register)의 크기
     3. 램(RAM) 용량의 크기
     4. 롬(ROM) 용량의 크기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레지스터는 CPU내부의 고속 기억자치로써 보통 16비트 컴퓨터, 32비트 컴퓨터, 64비트 컴퓨터라고 부르는것은 레지스터의 크기를 의미한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52. 다음 중 MIDI 파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8월)
     1. WAV 파일에 비해 크기가 작다.
     2. MIDI 악기와 MIDI 사운드카드가 소리를 재생할 때 필요한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다.
     3. 음악을 악보와 비슷한 하나의 순서(sequence)로 부호화하여 저장한다.
     4. 사람의 목소리도 재생된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4번은 WAV

53.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하는 용어로서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화하고, 용량이 큰 데이터를 압축하여 컴퓨터의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과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2013년 03월)
     1. 인코딩
     2. 디코딩
     3. 캡쳐
     4. 플레이 백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쉽고 말하자면 우리가 핸드폰에 동영상을 넣을때 동영상 변형 작업을 해주어야 들어가지 않습니까? 이처럼 미디어를 변환하는 과정을 인코딩이라고 합니다.

반대로 변환동된동영상을 핸드폰이나 컴퓨터 화면을 볼때 해독하는 작업을 디코딩 이라고 합니다.

54. 다음 중 정보 보안 위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2월)
     1. 스미싱(Smishing): 수신한 메시지에 있는 인터넷 주소를 클릭하면 악성 코드를 설치하여 개인 금융 정보를 빼내는 행위이다.
     2. 스니핑(Sniffing): 네트워크상에서 다른 상대방들의 패킷 교환을 엿보면서 계정과 패스워드를 알아내는 행위이다.
     3. 파밍(Pharming): 검증된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보낸 것처럼 가장하여 해당 컴퓨터 시스템을 완전히 장악해 마음대로 정보를 변조하거나 파괴하는 행위이다.
     4. 랜섬웨어(Ransom Ware): 인터넷 사용자의 컴퓨터에 잠입해 내부 문서나 스프레드시트, 그림 파일 등을 암호화해 열지 못하도록 만든 후 금품을 요구하는 악성 프로그램이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3. 파밍 : 피싱 기법의 일종으로 사용자가 자신의 웹브라우저에서 정확한 주소를 입력해도 가짜 웹사이트로 이동하게 되어 개인정보를 훔치는 행위이다
[해설작성자 : 윤하잉]

3. 파밍 : 악성코드에 감염된 PC를 조작하여 정상적인 은행 사이트에 접속해도 허위 사이트로 유도하여 개인 금융 정보를 빼내는 행위
[해설작성자 : 콩콩]

검증된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보낸 것처럼 가장하여 해당 컴퓨터 시스템을 완전히 장악해 마음대로 정보를 변조하거나 파괴하는 행위는 스푸핑(spoofing)입니다.
[해설작성자 : 올해 워드 자격증 따고 연애도 해야지]

55. 다음 중 컴퓨터 시스템의 정보 보안 요건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기밀성
     2. 무결성
     3. 가용성
     4. 공유성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보안 요건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
인증
부인 방지
[해설작성자 : kkk]

공유는 두사람 이상의 사람이 함께 소유하거나 이용하는 것으로 이는 보안에 취약성이 생길 수 있으므로 보안 요건에는 먼 내용 입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56. 다음 중 지리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컴퓨터 지원을 초고속 인터넷 망을 통해 격자구조로 연결하여 공유함으로써 하나의 고성능 컴퓨터처럼 사용하는 방법은 어느 것인가?(2009년 10월)
     1. 그리드 컴퓨터(Grid Computing)
     2.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Client/Server Computing)
     3. 가상 컴퓨팅(Virtual Computing)
     4. 유비쿼터스 컴퓨팅(Ubiquitous Computing)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1. 그리드 컴퓨터(Grid Computing) : 여러곳에 분산되어 있는 일반 PC급의 저성능 컴퓨터를 하나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한 컴퓨터 처럼 묶어서 슈퍼 컴퓨터 능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기술
2.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Client/Server Computing) : 서버란 어떤 일을 처리해주는 능력을 가진 컴퓨터를 말하며 클라이언트란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받는 컴퓨터를 말합니다. 쉽게 지금 여러분들이 접속하신 곳은 CBT 서버이며 이때 여러분들 컴퓨터는 CBT 서비스를 제공받는 클라이언트 컴퓨터가 됩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57. 다음에서 설명하는 용어로 옳은 것은?(2015년 03월)

    

     1. SSO(Single Sign On)
     2. Trackback
     3. Tethering
     4. RFID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 통합 인증(Single Sign-On)은 한 번의 인증 과정으로 여러 컴퓨터 상의 자원을 이용 가능하게 하는 인증 기능. 싱글 사인온, 단일 계정 로그인, 단일 인증이라고 함
2. 트랙백(trackback)은 블로그에서 사용하는 주요 기능 중 한 가지로서, 간단히 역방향 연결 고리를 자동적으로 생성해 주는 기능.
3. 테더링(영어: tethering)은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기기를 이용하여, 다른 기기에도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 블루투스 무선 기술이나 USB 케이블 등으로 두 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기기가 다른 기기의 모뎀 역할을 하게 됨.(여러분 스마트폰에 있는 기능 한번 확인해 보세요)

58. 다음 중 바이러스 예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1년 06월)
     1. 새로운 디스크는 우선 바이러스 검사를 한다.
     2. 바이러스 예방 기능을 가진 백신 프로그램을 설치한다.
     3. 주기적으로 백신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여 신종바이러스 전염을 예방한다.
     4. 네트워크 메일을 통한 바이러스를 예방하기 위하여 수신된 모든 메일은 열어보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바이러스는 예방하기 위해서는 알지 못하는 사람이 보낸 메일은 가급적 열어 보지 않거나 첨부 파일이 있을경우 반드시 바이러스 검사후 첨부 파일을 열어 보아야 합니다.
무조건적으로 수신된 모든 이메일을 확인하지 않는것은 옳지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59. 다음 중 전자우편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2월)
     1. 전달: 다른 사람에게 알려주고 싶은 경우 받은 메일을 그대로 다른 사람에게 보내는 기능이다.
     2. 회신: 받은 메일에 대하여 답장을 하되, 발송자는 물론 참조인 모두에게 전송하는 기능이다.
     3. 첨부: 문서, 이미지, 동영상 등의 파일을 전자우편에 첨부하여 보내는 기능이다.
     4. 서명: 메시지를 보낸 사람의 신원을 증명하기 위해 메시지 끝에 붙이는 표식으로 이름, 직위, 회사이름, 주소 등을 표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전체회신에 대한 설명
[해설작성자 : 제발 붙자 코로나는 떨어지자]

회신 : 받은 메일에 대하여 답장을 작성하여, 발송자에게 다시 전송하는 기능
[해설작성자 : 제발합격]

60. 다음 중 멀티미디어 활용 분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3월)
     1. Kiosk : 백화점, 서점 등에서 사용하는 무인안내 시스템
     2. VR : 컴퓨터 그래픽과 시뮬레이션 기능을 이용하여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가상의 세계 체험
     3. VCS : 전화, TV를 컴퓨터와 연결해 이미지를 3차원 입체영상으로 보여주는 뉴 미디어
     4. VOD :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 정보를 원하는 시간에 볼 수 있도록 전송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VCS(Video Conference System)의 약자로서 화상 회의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워드프로세서 (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5일)(8273222)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워드프로세서, 워드(구 1급)필기, 워드1급, 워드, 1급,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328 컬러리스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8월21일(1166)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0
8327 컬러리스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6월12일(1165)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0
8326 컬러리스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3월20일(1164)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0
8325 컬러리스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7월25일(1163)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0
8324 컬러리스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5월09일(1162)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0
8323 컬러리스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7월26일(1160)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0
8322 컬러리스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5월10일(1159)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0
8321 컬러리스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3월01일(1158)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0
8320 컬러리스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7월27일(1157)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0
8319 컬러리스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3월02일(1156)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0
8318 컬러리스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8월05일(1155)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0
8317 컬러리스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3월04일(1154)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0
8316 컬러리스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08월16일(1153)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0
8315 컬러리스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03월05일(1152)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0
8314 컬러리스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8월07일(1151)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0
8313 컬러리스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3월06일(1150)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0
8312 컬러리스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8월08일(1149)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8311 컬러리스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3월07일(1148)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8310 컬러리스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8월10일(1147)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8309 컬러리스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3월16일(1146)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432 Next
/ 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