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면적 S[m2]의 파이프를 θ로 경사시켜서 비중 ρ인 액체를 Q[m3/s]의 유량으로 양정 H[m]까지 끌어올린다고 할 때 액체 펌프에 요하는 소요동력 P[kW]는?
1.
P=ρHQs
2.
P=9.8ρHQs
3.
P=ρHQ
4.
P=9.8ρHQ
정답 : [
4
] 정답률 : 63%
17.
목표값이 시간에 대하여 변하지 않는 제어로 주파수를 제어하는 제어는?
1.
비율 제어
2.
정치 제어
3.
추종 제어
4.
비율 제어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자동제어계의 동작순서:검출 -> 비교 -> 판단 -> 조작 ※제어요소의 구성:조작부와 조절부. ※자동제어의 분류 1.제어량에 의한 분류 : 프로세서제어, 서보기구제어, 자동조정제어 (1)서보기구제어:위치, 방위, 각도등 기계적 변위를 제어량으로 추종한다. (2)자동조정제어:회전속도, 주파수, 전압, 전류, 힘, 장력을 제어량으로 추종한다. (3)프로세서제어:유량, 압력, 온도, 농도, PH등의 상태량을 생산공정에 알맞게 자동조절하는 제어를 말한다. 외란의 억제를 주 목적으로 한다.
2.목표값에 의한 분류 : 정치제어, 추치제어. (1)정치제어:목표값이 시간에 대하여 변화하지 않는 제어를 말한다. ⓐ프로세서제어 : 유량, 압력, 온도, 농도, PH등의 상태량을 생산공정에 알맞게 자동조절하는 제어를 말한다. 외란의 억제를 주 목적으로 한다.
ⓑ자동조정제어 : 회전속도, 주파수, 전압, 전류, 힘, 장력을 제어량으로 추종한다.
(2)추치제어 ⓐ추종제어 ⓑ프로그램제어 ⓒ비율제어(목표값이 시간에 따라 변하는 제어이다.)
3.동작에 의한 분류 (1)불연속제어 (2)연속제어
※사이리스터 위상제어 1.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회로의 소자에 사이리스터를 사용하여 출력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의 하나이다. 또 이 제어를 이용한 직류전동기의 가변속도제어 및 직류전동기를 이용한 교류형 전동차의 제어를 말한다.
※피드백제어 1.출력의 신호를 입력의 상태로 되돌려주는 제어이고 피드백에 의하여 제어할 양의 값은 목표치와 비교하여 일치가 되도록 동작을 행하는 제어를 말한다.
※제어방식의 종류 1.비례(P)제어:정상오차 수반, 잔류편차 발생 2.적분(I)제어:잔류편차 제거 3.비례적분(PI)제어:잔류편차 제거, 제어결과가 진동적으로 될 수 있다. 4.비례적분미분(PID)제어:잔류편차제거, 응답의 오버슈트감소, 응답 속응성의 개선. [해설작성자 : 운수납자]
18.
자기소호 기능을 갖지 않는 반도체 소자는?
1.
Diode
2.
GTO
3.
MOSFET
4.
IGBT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ON, OFF에 의한 제어 (1)on, off불가능 소자(스위치 불가 소자):다이오드 (2)on가능, off불가능:SCR, TRIAC(사이리스터) (3)on, off가능:GTO, BJT, MOSFET, IGBT [해설작성자 : 운수납자]
19.
다음 중 겹치기 용접이 아닌 것은?
1.
점 용접
2.
업셋 용접
3.
심 용접
4.
프로젝션 용접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저항용접:모재의 접합부에 대전류를 흘려서 발생하는 저항열에 의해 접합부를 반용융 상태로하고 압력을 가하여 접합을 시킨다. 1.전원은 상용주파수를 사용한다. 2.잔류응력이 작다. 3.대전류가 필요하기에 설비비가 비싸다. 4.종류 (1)겹치기 저항용접 ⓐ점용접:필라멘트 용접, 열전대용접에 사용한다 ⓑ돌기용접:프로젝션 용접 ⓒ이음매용접(=심용접, 스폿용접):자동차, 항공 우주, 철도, 백색가전, 금속기구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 (2)맞대기 저항용접 ⓐ입셋 맞대기 용접 ⓑ플래시 맞대기 용접 ⓒ충격용접(고유저항이 작고, 열전도율이 큰것에 이용한다) [해설작성자 : 운수납자]
배전선로 개폐기 중 반드시 차단기능이 있는 후비 보조 장치와 직렬로 설치하여 고장구간을 분리시키는 개폐기는?
1.
컷아웃 스위치
2.
부하 개폐기
3.
리클로저
4.
섹셔널라이저
정답 : [
4
] 정답률 : 41%
26.
가공 송전선에 사용되는 애자 1연 중 전압 부담이 최대인 애자는?
1.
철탑에 제일 가까운 애자
2.
전선에 제일 가까운 애자
3.
중앙에 있는 애자
4.
전선으로부터 1/4 지점에 있는 애자
정답 : [
2
] 정답률 : 54%
27.
다음은 무엇을 결정할 때 사용되는 식인가? (단, ɭ은 송전거리[㎞]이고, P는 송전전력[㎾]이다.)
1.
송전전압
2.
송전선의 굵기
3.
역률 개선 시 콘덴서의 용량
4.
발전소의 발전전압
정답 : [
1
] 정답률 : 45%
28.
자가용 변전소의 1차측 차단기의 용량을 결정할 때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은?
1.
부하설비 용량
2.
공급측의 단락 용량
3.
부하의 부하율
4.
수전계약 용량
정답 : [
2
] 정답률 : 51%
29.
일반적으로 수용가 상호간, 배전변압기 상호간, 급전선 상호간 또는 변전소 상호간에서 각각의 최대부하는 그 발생 시각이 약간씩 다르다. 따라서 각각의 최대수요 전력의 합계는 그 군의 종합 최대수요전력보다도 큰 것이 보통이다. 이 최대전력의 발생시각 또는 발생시기의 분산을 나타내는 지표는?
1.
전일효율
2.
부등률
3.
부하율
4.
수용률
정답 : [
2
] 정답률 : 48%
30.
다음 중 SF 가스 차단기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밀폐구조로 소음이 작다.
2.
근거리 고장 등 가혹한 재기 전압에 대해서도 우수하다.
3.
아크에 의해 SF6 가스가 분해되며 유독가스를 발생시킨다.
4.
SF6 가스의 소호능력은 공기의 100~200배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55%
31.
3상 3선식에서 전선의 선간거리가 각각 1m, 2m, 4m로 삼각형으로 배치되어 있을 때 등가선간거리는 몇 m인가?
1.
1
2.
2
3.
3
4.
4
정답 : [
2
] 정답률 : 39%
32.
원자로 내에서 발생한 열에너지를 외부로 끄집어내기 위한 열매체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반사체
2.
감속재
3.
냉각재
4.
제어봉
정답 : [
3
] 정답률 : 53%
33.
송전선로에 복도체를 사용하는 가장 주된 목적은?
1.
건설비를 절감하기 위하여
2.
진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3.
전선의 이도를 주기 위하여
4.
코로나를 방지하기 위하여
정답 : [
4
] 정답률 : 58%
34.
선로 임피던스 Z, 송수전단 양쪽에 어드미턴스 Y인 π형 회로의 4단자 정수에서 B의 값은?
1.
Y
2.
Z
3.
4.
정답 : [
2
] 정답률 : 43%
35.
수전단 전압이 송전단 전압보다 높아지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옵티마 현상
2.
자기 여자 현상
3.
페란티 현상
4.
동기화 현상
정답 : [
3
] 정답률 : 60%
36.
출력 20㎾의 전동기로서 총 양정 10m, 펌프효율 0.75일 때 양수량은 몇 m3/min인가?
1.
9.18
2.
9.85
3.
10.31
4.
11.02
정답 : [
1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P= QH/6.12n
Q=6.12P/H = 6.12*20*0.75/10 = 9.18 [해설작성자 : 공군 병장]
37.
전압이 일정 값 이하로 되었을 때 동작하는 것으로서 단락 시 고장 검출용으로도 사용되는 계전기는?
1.
OVR
2.
OVGR
3.
NSR
4.
UVR
정답 : [
4
] 정답률 : 52%
38.
취수구에 제수문을 설치하는 목적은?
1.
모래를 배제한다.
2.
홍수위를 낮춘다.
3.
유량을 조절한다.
4.
낙차를 높인다.
정답 : [
3
] 정답률 : 54%
39.
송전단 전압 161kV, 수전단 전압 154kV, 상차각 45도, 리액턴스 14.14Ω일 때, 선로손실을 무시하면 전송전력은 몇 MW인가?
1.
1753
2.
1518
3.
1240
4.
877
정답 : [
3
] 정답률 : 40%
40.
연가를 하는 주된 목적에 해당되는 것은?
1.
선로정수를 평형시키기 위하여
2.
단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3.
대전력을 수송하기 위하여
4.
페란티 현상을 줄이기 위하여
정답 : [
1
] 정답률 : 61%
3과목 : 전기기기
41.
동기 발전기의 병렬운전조건에서 같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기전력
2.
위상
3.
주파수
4.
용량
정답 : [
4
] 정답률 : 55%
42.
다음 중 반자성 특성을 갖는 자성체는?
1.
규소강판
2.
초전도체
3.
페리자성체
4.
네오디뮴 자석
정답 : [
2
] 정답률 : 43%
43.
직류 분권 발전기의 무부하 포화 곡선이 이고, If는 계자전류[A], V는 무부하 전압[V]으로 주어질 때 계자 회로의 저항이 25[Ω]이면, 몇 [V]의 전압이 유기되는가?
1.
200
2.
250
3.
280
4.
300
정답 : [
1
] 정답률 : 19%
44.
권선형 유도전동기에서 비례추이를 할 수 없는 것은?
1.
회전력
2.
1차 전류
3.
2차 전류
4.
출력
정답 : [
4
] 정답률 : 49%
45.
용량 150[kVA]의 단상 변압기의 철손이 1[㎾], 전부하 동손이 4[㎾]이다. 이 변압기의 최대효율은 몇 [kVA]에서 나타나는가?
1.
50
2.
75
3.
100
4.
150
정답 : [
2
] 정답률 : 41%
46.
전력용 MOSFET와 전력용 BJT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전력용 BJT는 전압제어소자로 온 상태를 유지하는데 거의 무시할 만큼 전류가 필요로 한다.
2.
전력용 MOSFET는 비교적 스위칭 시간이 짧아 높은 스위칭 주파수로 사용할 수 있다.
3.
전력용 BJT는 일반적으로 턴온 상태에서의 전압강하가 전력용 MOSFET보다 작아 전력손실이 적다.
4.
전력용 MOSFET는 온오프 제어가 가능한 소자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BJT는 베이스전류 제어 방식으로 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전류가 흘러야 한다. [해설작성자 : 추아푸아]
47.
단상 유도전동기의 기동방법 중 기동 토크가 가장 큰 것은?
1.
반발 기동형
2.
반발 유도형
3.
콘덴서 기동형
4.
분상 기동형
정답 : [
1
] 정답률 : 50%
48.
단락비가 큰 동기기는?
1.
안정도가 높다.
2.
전압변동률이 크다.
3.
기계가 소형이다.
4.
전기자 반작용이 크다.
정답 : [
1
] 정답률 : 43%
49.
단상 전파 제어 정류 회로에서 순저항 부하일 때의 평균 출력 전압은? (단, Vm은 인가전압의 최대값이고 점호각은 ∝이다.)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35%
50.
직류 분권전동기의 공급 전압의 극성을 반대로 하면 회전 방향은 어떻게 되는가?
1.
변하지 않는다.
2.
반대로 된다.
3.
발전기로 된다.
4.
회전하지 않는다.
정답 : [
1
] 정답률 : 46%
51.
[보기]의 설명에서 빈칸 ㉠~㉢에 알맞은 말은?
1.
㉠감소, ㉡증가, ㉢좋아지게
2.
㉠감소, ㉡감소, ㉢좋아지게
3.
㉠감소, ㉡증가, ㉢나빠지게
4.
㉠증가, ㉡감소, ㉢나빠지게
정답 : [
1
] 정답률 : 35%
52.
10[kVA], 2000/380[V]의 변압기 1차 환산 등가임피던스가 3+j4[Ω]이다. %임피던스 강하는 몇 [%]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