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라서, 6,000(완성품수량) + 1,500(월말재공품환산량) = 7,500개가 정답 [해설작성자 : 지롱]
11.
다음 중 부가가치세법상 영세율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비거주자는 어떠한 경우에도 영세율을 적용받을 수 없다.
2.
영세율이 적용되면 부가가치세의 납세의무가 면제된다.
3.
재화의 수출은 내국물품을 외국으로 반출하는 것으로서 내국물품에는 대한민국 선박에 의해 채집된 수산물을 제외한다.
4.
국내에 해당 사업장이 있는 사업자가 국외에서 공급하는 용역에 대하여는 영세율을 적용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납세의무가 면제되는 건 면세임 [해설작성자 : 지롱]
12.
다음 중 부가가치세법상 세금계산서 수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세금계산서는 원칙적으로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시기에 발급하여야 한다.
2.
재화를 단기할부판매로 공급하는 경우에는 대가의 각 부분을 받기로 한 때 각각 세금계산서를 발급해야 한다.
3.
사업자가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시기가 되기 전에 세금계산서를 발급하고 그 세금계산서 발급일로부터 7일 이내에 대가를 받으면 해당 세금계산서를 발급한 때를 공급시기로 본다.
4.
수탁자가 재화를 인도하는 경우에는 위탁자의 명의로 세금계산서를 발급하고 비고란에 수탁자의 사업자등록번호를 부기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단기 할부 판매 - 인도일 장기 할부 판매 - 대가의 각 부분을 받기로 한 때 [해설작성자 : 지롱]
13.
다음은 계속사업자인 ㈜국민의 과세매출에 대한 공급가액 자료이다. 부가가치세 예정고지 대상기간으로 옳은 것은?
1.
2024년 제2기 예정
2.
2025년 제1기 예정
3.
2025년 제2기 예정
4.
2026년 제1기 예정
정답 : [
3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직전 과세 기간 공급가액이 1억 5천 미만 법인사업자 [해설작성자 : CBT 이용자]
14.
다음 중 소득세법상 원천징수시기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12월분 급여를 다음 연도 2월 말일까지 미지급한 경우 다음 연도 2월 말일에 지급한 것으로 보아 소득세를 원천징수한다.
2.
7월분 급여를 12월 31일까지 미지급한 경우 12월 31일에 지급한 것으로 보아 소득세를 원천징수한다.
3.
11월분 급여를 12월 31일까지 미지급한 경우 12월 31일에 지급한 것으로 보아 소득세를 원천징수한다.
4.
1월분 급여를 6월 30일까지 미지급한 경우 6월 30일에 지급한 것으로 보아 소득세를 원천징수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소득세법 제135조 제 1항 귀속시기 지급시기 원천징수시기 2025년 1월~11월 2025년 12월 3일 지급 못함 2025년 12월 31일 2025년 11월 2026년 1월 2025년 12월 31일 2025년 12월 2026년 1월 2026년 1월 31일 2025년 12월 2026년 2월말까지 지급 못함 2026년 2월말 따라서 정답은 4번 [해설작성자 : 지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