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상 재난의 대응 단계에서 지역통제단장과 시장・군수・구청장은 재난이 발생할 우려가 있거나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즉시 관계 법령 등이 정하는 바에 따라 수방(水防) 및 그 밖에 재난 발생을 예방하거나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필요한 응급조치를 하여야 한다. 이때 지역 통제단장이 하여야 하는 응급조치로 옳지 않은 것은?
1.
진화에 관한 응급조치
2.
현장지휘통신체계의 확보
3.
재난을 발생시킬 요인의 제거
4.
긴급수송 및 구조 수단의 확보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3. 관계인이 하는 일 [해설작성자 : 딥빡]
6.
인화성 액체에 의한 화재는 액체 가연물이 바닥에서 흐르거나, 살포된 부위가 집중적으로 소훼되고 탄화경계가 뚜렷이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보기>에서 설명하는 화재패턴으로 옳은 것은?
1.
도넛패턴(Doughnut pattern)
2.
스플래시패턴(Splash pattern)
3.
원형패턴(Circular shaped pattern)
4.
틈새연소패턴(Seam burn pattern)
정답 : [
2
] 정답률 : 73%
7.
에테인(C2H6)이 완전연소한다고 가정했을 때 존스(Jones)식에 따라 산출된 연소하한계(LFL)는? (단, 계산 결과는 소수점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한다.)
1.
1.7
2.
2.2
3.
3.1
4.
5.2
정답 : [
3
] 정답률 : 50%
8.
위험도(H) 값이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단, 계산 결과는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한다.)
1.
ㄱ, ㄹ
2.
ㄴ, ㄷ
3.
ㄱ, ㄷ, ㄹ
4.
ㄱ, ㄴ, ㄷ, ㄹ
정답 : [
4
] 정답률 : 43%
9.
고체 가연물인 피크르산(Picric Acid)의 연소 형태로 옳은 것은?
1.
훈소
2.
자기연소
3.
표면연소
4.
증발연소
정답 : [
2
] 정답률 : 65%
10.
푸리에(Fourier)의 열전도법칙에 따라 물질을 통해 전달되는 열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물질의 두께에 비례한다.
2.
물질의 전열면적에 비례한다.
3.
물질 양면의 온도차에 비례한다.
4.
물질의 열전도율에 비례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2%
11.
연소 시 발생하는 황화수소(H2S)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계란 썩는 냄새가 나는 가연성가스이다.
2.
폴리염화비닐 등이 연소할 때 발생되는 맹독성가스이다.
3.
청산가스라고도 하며 동물의 털이 불완전연소할 때 발생한다.
4.
황(S)을 포함하고 있는 유기화합물이 완전연소할 때 발생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6%
12.
표준상태에서 메테인(CH4) 2 mole이 완전연소할 때 필요한 산소의 부피[L]는?
1.
11.2
2.
22.4
3.
44.8
4.
89.6
정답 : [
4
] 정답률 : 49%
13.
내화구조물의 화재가혹도 판단을 위한 주요 요소 중 화재지속시간을 산정하기 위한 인자로 옳지 않은 것은? (단, 환기지배형 화재로 가정한다.)
1.
화재실의 바닥면적
2.
화재실의 최고온도
3.
화재실의 개구부 높이
4.
화재실의 개구부 면적
정답 : [
2
] 정답률 : 41%
14.
건축물의 지하층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하중 산정 시 필요하지 않은 항목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모두 고른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