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자연생태복원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6일)(64679)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자연생태복원기사(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환경생태학개론


1. 지구온난화 결과 발생하는 환경생태계의 변화 설명으로 틀린것은?(2011년 03월)
     1. 고산지대와 극지방 빙하의 용해를 가속화시킬 것이다.
     2. 세균, 곰팡이 등 병원균의 번창을 유도할 수 있다.
     3. 일상적 문제는 저위도 지역 사람들에게 영향이 더 클 것이다.
     4. 기후대 변화에 따라 동, 식물의 서식 분포가 많이 변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7%

2. C. Darwin이 주장한 개체군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닌 것은?(2006년 05월)
     1. 타 생물의 피식
     2. 기생충과 질병
     3. 물리적 제한요인
     4. 타 생물과의 공생

     정답 : []
     정답률 : 67%

3. '개체군내에는 최적의 생장과 생존을 보장하는 밀도가 있다. 관소 및 과밀은 제한요인으로 작용한다.'가 설명하고 있는 원리는?(2018년 08월)
     1. Allee의 원리
     2. Gause의 원리
     3. 적자생존의 원리
     4. 항상성의 원리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일리효과: 개체군 밀도가 낮은 상황에서의 번식 또는 생존의 감소 시작, 많은 종들은 개체들이 포식자로부터 자신들을 방어하거나 먹이를 발견할 수 있도록 떼나 무리를 짓고 산다.
[해설작성자 : K7, 캠리]

4. 육수생태계에서 독립영양 생물에 속하는 것은?(2004년 12월)
     1. 식물 플랑크톤
     2. 동물 플랑크톤
     3. 수서곤충
     4. 어류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독립영양생물 - 스스로 햇빛을 이용하여 광합성을 통해 에너지를 만들 수 있는 생물
- 식물 플랑크톤
종속영양생물 - 동물 플랑크톤, 수서 곤충, 어류
[해설작성자 : 소연]

5. 해양으로 영양 염류가 과다하게 유입되었을 때 일어나는 생물학적 변화와 거리가 가장 먼 것은?(2021년 08월)
     1. 물의 투명도 저하
     2. 용존산소량의 증가
     3. 어족자원의 감소
     4. 특수종의 이상 증식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염류 증가 하면 용존산소는 감소
[해설작성자 : 국화]

6. 천이이론은 식물군집이 일정한 변화계열을 거치며 마지막에는 가장 안정한 극상군집이 된다는 가설이다. 이 가설에 따른 식물군집의 변화 과정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3년 06월)
     1. 산불 및 교란에 따른 황폐화 → 초본 → 덤불 또는 관목 → 교목 → 극상
     2. 산불 및 교란에 따른 황폐화 → 덤불 → 관목 → 초본 → 교목 → 극상
     3. 산불 및 교란에 따른 황폐화 → 덤불 → 초본과 관목 → 교목 → 극상
     4. 산불 및 교란에 따른 황폐화 → 관목과 교목 → 덤불 → 초본 → 극상

     정답 : []
     정답률 : 91%

7. 다음 [보 기]가 설명하고 있는 습지식물의 유형에 해당하는 것은?(2007년 09월)

   

     1. 갈대
     2. 어리연꽃
     3. 개구리밥
     4. 검정말

     정답 : []
     정답률 : 83%

8. UNESCO의 MAB(Man and Biosphere Reserve)의 평가기준에서 “희귀종, 고유종, 멸종위기종이 많은 곳” 으로 구분한 이 지역은?(2014년 03월)
     1. 완충지역(Buffer Area)
     2. 전이지역(Transition Area)
     3. 가치지역(Value Area)
     4. 핵심지역(Core Area)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지역(3)
- 핵심구역 Core area
: 엄격히 보호되는 하나 또는 여러 개 지역. 생물 다양성의 보전과 간섭을 최소화한 생태계 모니터링, 파괴적이지 않는 조사 연구, 영향이 작은 이용(예:교육) 등을 할 수 있다.
- 완충구역 Buffer area
: 핵심지역을 둘러싸고 있거나 이에 인접해 있다. 환경교육, 레크리에이션, 생태관광, 기초연구 및 응용연구 등의 건전한 생태적 활동에 적합한 협력활동을 위해 이용된다.
- 협력구역 Transition area
: 다양한 농업활동, 주거지, 기타 다른 용도로 이용된다. 지역의 자원을 함께 관리하고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개발하기 위해 지지역사회, 관리 당국, 학자, 비정부단체(NGO), 문화단체, 경제적 이해집단과 기타 이해 당사자들이 함께 일하는 곳이다.
[해설작성자 : 도오트]

9. 제주도의 목장을 수십 년간 방치한 후 관목림과 활엽수림으로 바뀌었다. 이곳에서 진행된 천이는?(2010년 05월)
     1. 1차천이
     2. 2차천이
     3. 타생천이
     4. 종속영양적천이

     정답 : []
     정답률 : 75%

10. 생태계의 구성요소 중 생물적 요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6년 03월)
     1. 영양적 지위
     2. 소비자
     3. 생산자
     4. 분해자

     정답 : []
     정답률 : 87%

11. 개체군(population)의 출생률과 사망률 모두에 특히 영향을 주는 중요한 개체군의 특징은?(2016년 08월)
     1. 연령 분포(age distribution)
     2. 수용 능력(carrying capacity)
     3. 생식 잠재력(reproductive potential)
     4. 환경 저항(environmental resistance)

     정답 : []
     정답률 : 60%

12. 다음 환경포텐셜의 개념 중 종의 공급포텐셜에 적합한 설명은?(2015년 05월)
     1. 종의 생육, 서식과 관계
     2. 생태계의 시간적 변화가 어떤 과정을 거쳐 어느 정도 의 속도로 진행
     3. 식물의 종자나 동물의 개체 등이 다른 곳으로부터 공 급될 가능성
     4. 기후, 지형, 토양, 수환경 등의 토지적 조건이 특정 생 태계 성립에 적당한가를 나타나는 것

     정답 : []
     정답률 : 74%

13. 생태계에서 무기물과 에너지의 흐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8월)
     1. 무기물과 에너지는 모두 순환한다.
     2. 무기물과 에너지는 모두 소모된다.
     3. 무기물은 순환하지만 에너지는 소모된다.
     4. 에너지는 순환하지만 무기물은 소모된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에너지 및 물질의 흐름"
생태계에 있어서 물질은 환경과 생물의 사이를 순환하지만 에너지는 일방적으로 이동되어 시스템 밖으로 소실되는 비가역적인 현상이다.
[해설작성자 : uswoori]

무기물: 탄소를 포함하지 않는 물질
유기물: 탄소를 포함하고 있는 물질
열역학 제 1법칙: 에너지는 형태를 바꾸거나 이동하지만 총에너지는 획득되거나 손실되지 않는다.
열역학 제 2법칙: 에너지가 전달되거나 변형될 때 에너지 일부는 더 이상 전달될 수 없는 형태로 변한다.
[해설작성자 : K7, 캠리]

14. 생태계 군집 구조를 측정하는 생물지수가 아닌 것은?(2017년 05월)
     1. 균등도
     2. 종풍부도
     3. 종다양도
     4. 종포화도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 종다양도 (Species Diversity):
    - Shannon-Wiener Index: 생물군집 내 종의 다양성을 측정
    - Simpson's Index: 종의 상대적인 풍부도를 고려하여 생물다양성을 측정
* 종풍부도 (Species Richness): 특정 지역 내 존재하는 종의 총수를 의미하며, 단순히 종의 개수를 측정하는 지수
* 균등도 (Evenness): 종의 분포가 얼마나 균등하게 이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수. 종의 상대적인 풍부도를 고려하여 계산
(산들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5. 계절 변화에 대한 과학적 연구인 화력학(phenology)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8월)
     1. 화력학은 생물기후학이라고 한다.
     2. 종의 분포를 결정하는 기능적 제한요인이다.
     3. 봄꽃식물은 남사면 같은 미소서식지에서 먼저 개화한다.
     4. Hopkins에 의하면 북반구에서 봄은 하루에 약 27km씩 북상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화력학은 생물기후학이라고 한다"는 문장은 정확하지 않으며, 두 학문은 서로 다른 분야입니다
그러므로 1번이 정답이 아닐까 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6. 다음에서 산호초 생태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7년 05월)
     1. 수온이 20℃ 이상에서만 생성된다.
     2. 강장동물인 산호출의 군체이다.
     3. 하조대부터 깊이 50m 까지 서식한다.
     4. 산호초와 해안이 서로 떨어져 사이에 해협이 있는 것을 거초(fringing reef)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17. 동시출생집단은 사고, 영양부족, 전염병 등의 환경제한을 받아 수명이 짧아지게 되는데, 다음 중 이를 뜻하는 용어는?(2011년 03월)
     1. 생태적 수명
     2. 물리적 수명
     3. 생리적 수명
     4. 제한적 수명

     정답 : []
     정답률 : 43%

18. 생물군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7년 05월)
     1. 온대낙엽수림대는 그라이토양이 발달하며, 수엽교목이 주점종이다.
     2. 북극툰드라는 영구동토를 이루며, 벼과, 사초과, 선태류 및 자의류가 우세하다.
     3. 북방침엽수림대는 포드졸토양으로 종 다양성이 낮아서 1~2종이 넓게 우점한다.
     4. 사막의 토양은 대부분이 아리도솔이며 초본이 좀 더 많은 곳은 물리솔이 발달하며, 키 작은 여러 가지 형태의 건생관목이 우점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19. 한 종개체군과 다른 종개체군 사이에서 두 개체군이 모두 이익을 얻으며 서로 상호 작용을 하지 않으면 생존하지 못하는 관게는?(2019년 08월)
     1. 상리공생
     2. 상조공생
     3. 편리공생
     4. 내부공생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상조공생 : 두 미생물 집단 모두가 이익을 얻지만 두 집단의 공생이 필수적이지는 않다.
편리공생 : 한편은 이익을 받으나 다른 편은 이익도 해도 없는 공생
내부공생 :    서로 다른 성질의 원핵생물들이 생존을 위해 공존을 모색하다가 진핵생물로 진화하게 되었다는 가설
[해설작성자 : 찬초]

20. 다년생 식물이 아닌 것은?(2014년 03월)
     1. 참억새
     2. 코스모스
     3. 붓꽃
     4. 달맞이꽃

     정답 : []
     정답률 : 75%

2과목 : 환경계획학


21.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령에 따라 도시에서 국민 보건 휴양ㆍ정서함양 및 체험활동 등을 위하여 조성ㆍ관리하는 산림 및 수목으로 정의되는 것은?(2021년 03월)
     1. 생활림
     2. 가로수
     3. 임산물
     4. 도시림

     정답 : []
     정답률 : 84%

22. 지속가능한 개발원칙과 관련 없는 것은?(2015년 03월)
     1. 미래세대 배려
     2. 환경부하의 확대
     3. 시민 참여
     4. 사회형평성

     정답 : []
     정답률 : 76%

23. 열역학 제2법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6년 05월)
     1. 고립계에서는 에너지 변환시 엔트로피 총량은 감소한다.
     2. 엔트로피의 증가라 함은 사용 가능한 에너지가 사용 불가능한 에너지의 상태로 전환됨을 의미한다.
     3. 엔트로피 증가의 법칙이라 불리운다.
     4. 에너지 무질서가 증가하는 방향 즉,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정답 : []
     정답률 : 80%

24. 「환경영향평가법」에 따른 전략환경영향평가 평가준비서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2015년 08월)
     1. 대상 지역의 투자계획 및 재원조달방안
     2. 전략환경영향평가 대상계획의 목적 및 개요
     3. 구체적인 입지가 있는 경우 토지이용구상안
     4. 대상계획이 실시되는 지역 및 그 주변지역에 대한 환경현황을 포함한 지역 개황(槪況)

     정답 : []
     정답률 : 61%

25. 도시 및 지역차원의 환경계획으로 생태네트워크의 개념이 아닌 것은?(2019년 08월)
     1. 공간계획이나 물리적 계획을 위한 모델링 도구이다.
     2. 기본적으로 개별적인 서식처와 생물종을 목표로 한다.
     3. 지역적 맥락에서 보전가치가 있는 서식처와 생물종의 보전을 목적으로 한다.
     4. 전체적인 맥락이나 구조측면에서 어떻게 생물종과 서식처를 보전 할 것인가에 중점을 둔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생태네트워크 개념
- 기존의 개별적 서식처나 생물종을 중심으로 x
- 전체적인 맥락과 구조적 측면에서 생물종과 서식처의 보전
- 지역적 측면에서 서식처와 생물종 보전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공간상의 계획측면이 강조
[해설작성자 : 고먐미최고]

전체적인 서식처와 생물종을 목표로 한다.
[해설작성자 : 남극 펭귄]

26. 생태도시계획시 고려해야 될 생태적 원리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7년 05월)
     1. 다양성
     2. 위계성
     3. 순환성
     4. 자립성

     정답 : []
     정답률 : 76%

27. 토지환경성평가를 위해 거쳐야 하는 구체적 과정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2004년 12월)
     1. 환경 적합성 분석
     2. 토지 적성 평가
     3. 사전 환경성 평가
     4. 생태 수용력 분석

     정답 : []
     정답률 : 30%

28. 도시 생태ㆍ녹지 네트워크 계획 수립의 흐름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20년 06월)
     1. 과제정리-평가-해석-조사-계획
     2. 과제정리-조사-평가-해석-계획
     3. 조사-해석-평가-과제정리-계획
     4. 조사-평가-과제정리-해석-계획

     정답 : []
     정답률 : 67%

29. 환경용량을 평가할 때 사용되는 지표 중의 하나로 재화와 용역의 생산에 필요한 에너지 측면의 갗를 과학적으로 측정한 것은?(2006년 05월)
     1. 생태적 발자국
     2. 에머지
     3. 에너지 지수
     4. 에너지환경지표

     정답 : []
     정답률 : 59%

30. 1971년 유네스코가 설립한 MAB(Man and the Biosphere Programme)에서 지정한 생물권보전지역을 구분하는 세 가지 기본요소가 아닌 것은?(2019년 04월)
     1. 완충지역
     2. 핵심지역
     3. 전이지역
     4. 관리지역

     정답 : []
     정답률 : 83%

31. 야생동물의 이동 중 공간규모에 따른 이동통로의 유형이 아닌 것은?(2016년 08월)
     1. 가장자리 규모
     2. 울타리 규모
     3. 경관모자이크 규모
     4. 광역적 규모

     정답 : []
     정답률 : 35%

32. OECD에서 채택한 환경지표 구조는 압력(Pressure)-상태(Status)-대응(Response) 구조였다. 다음 환경문제를 해석하는 환경지표 중 PSR구조가 아닌 것은?(2018년 08월)
     1. 기후변화 : 압력(온실가스 배출) - 상태(농도) - 대응(CFC 회수)
     2. 부영양화 : 압력(질소, 인 배출) - 상태(농도) - 대응(처리관련 투자)
     3. 도시환경질 : 압력(VOCs, NOx, SOx 배출) - 상태(농도) - 대응(운송정책)
     4. 생물다양성 : 압력(개발사업) - 상태(생물종수) - 대응(보호지역 지정)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기후변화: 입력지표 - 온실가스 배출량, CO2, NH4, N2O / 상태지표: 지구평균기온 , 온실가스 대기 농도 / 대응지표: 에너지 원단위, 에너지 환경세
CF) CFC는 프레온 가스를 지칭한다.
[해설작성자 : K7, 캠리]

프레온가스도 온실가스에 해당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프레온가스는 오존층 파괴물질
[해설작성자 : 국화]

33. 환경문제의 특성에 해당되지 않는 사항은?(2014년 03월)
     1. 엔트로피 감소
     2. 상호관련성
     3. 광역성
     4. 시차성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엔트로피는 증가한다 (환경오염은 사용가능한 에너지가 사용불가능한 에너지가 되는것)
엔트로피 : 사용불가능한 에너지
[해설작성자 : 도오트]

34. 다음 중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체계상 가장 하위에 해당하는 계획은?(2013년 06월)
     1. 도시ㆍ군기본계획
     2. 광역도시계획
     3. 지구단위계획
     4. 도시ㆍ군관리계획

     정답 : []
     정답률 : 78%

35. 다음 옴브즈만 기능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1년 08월)
     1. 행정기관의 부작위, 불합리 제도에 의한 국민 권리를 구제한다.
     2. 행정기관의 부당한 처분은 업무의 효율을 위해 보안을 유지하는 등 비민주적으로 행정을 통제한다.
     3. 공개 운영 및 조사 등의 과정에서 행정정보를 적극적으로 공개한다.
     4. 다른 기관에서 처리하여야 하는 민원 안내 및 고질적이고 반복적인 민원을 종결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83%

36. OECD에서 채택한 환경지표 설정을 위한 요소로 인간과 환경의 대응관계에 대한 3가지 구조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4년 05월)
     1. 계획(plan)
     2. 환경상태(state)
     3. 대책(response)
     4. 환경에의 부하(pressure)

     정답 : []
     정답률 : 64%

37. 자연공원을 효율적으로 보전하고 이용하기 위하여 결정하는 용도지구가 아닌 것은?(2014년 03월)
     1. 공원자연보존지구
     2. 공원자연환경지구
     3. 공원문화유산지구
     4. 공원집단시설지구

     정답 : []
     정답률 : 69%

38. “지속 가능한 발전” 이라는 기본원칙 하에서 자연입지적 토지이용의 기본 관리방향들 만으로 적합하게 짝지워진 것은?(2007년 09월)
     1. 생태ㆍ자원관리형 보전, 국가경제와 부합하는 개발 유도, 무분별한 난개발 방지
     2. 생태ㆍ자원관리형 보전, 무분별한 난개발 방지, 부동산 투기의 억제
     3. 생태ㆍ자원관리형 보전, 무분별한 난개발 방지, 경관자원과 조화된 개발 유도
     4. 생태ㆍ자원관리형 보전, 무분별한 난개발 방지, 생태계보전 협력금 제도의 활성화

     정답 : []
     정답률 : 67%

39. 국가환경종합계획은 몇 년마다 수립해야 하는가?(2019년 03월)
     1. 5년
     2. 10년
     3. 15년
     4. 20년

     정답 : []
     정답률 : 68%

40. 다음 중 도시생태계의 특징을 잘못 설명한 것은?(2009년 05월)
     1. 사회ㆍ경제ㆍ자연의 결합으로 성립되는 복합생태계(com plex ecosystem)라 할 수 있다.
     2. 자연 시스템과 인위적 시스템 상호간의 에너지 및 물질교환에 의해 그 기능이 유지되고 있다.
     3. 대도시생태계는 인공적인 요소가 많지만 균형적인 물질 순환체계를 갖추고 있다.
     4. 인위적인 시스템은 그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자연 시스템으로부터 많은 양의 에너지와 물질들을 조달 받은 뒤 재생 불가능한 이용가치가 없는 에너지로 전환시켜 방출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3과목 : 생태복원공학


41. 물에 의한 토양침식의 형태 및 유형 중 빗물침식과 관계가 가장 먼 것은?(2018년 04월)
     1. 복류수침식
     2. 빗방울침식
     3. 면상침식
     4. 누구침식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빗방울침식 - 빗방울 낙하의 충격에 의하여 토양입자가 분산되어 일어나는 토양 침식.
면상침식 - 빗물이 지표의 전면을 고르게 씻어 흘러 표토가 면상(面狀)으로 얇게 박리되는 토양 침식.
누구침식 - 경사지에 빗물에 의해 작은 물길이 생기는 침식. 누로침식.

복류수는 하천의 하상 및 사리층 속을 흐르는 지하수를 말한다.
[해설작성자 : 연우]

42. 야생동물 생태통로 조성 시 각 종별 이동 촉진을 위한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20년 06월)
     1. 곤충류의 경우 1~2km 정도의 넓은 서식처 조성
     2. 양서ㆍ파충류의 경우 서식 및 이동을 위한 수변 환경을 조성
     3. 조류의 경우 다층구조가 형성된 1~2m 정도의 좁은 녹치축 조성
     4. 포유류의 경우 이동통로의 신속성을 위해 단층구조 형성과 돌담, 바위 등의 지장물을 제거

     정답 : []
     정답률 : 76%

43. 도시생태계 내 도시림의 식생복원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4년 08월)
     1. 자연식생녹지는 자생수종의 생태적 특성을 토대로 훼손지 복구 및 복원을 중점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2. 자연식생은 외래종 식재나 인위적인 녹지관리를 지양하고, 천이가 진행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3. 인공림에서 자연식생으로 천이가 진행되는 녹지는 외해종을 제거하고, 자생종만을 남긴다.
     4. 인공조림녹지는 도시섬화하여 자생종의 종자전파가 어려우므로 천이계열상 발전기에 속하는 종을 도입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44. 다음 중 폐광에서 생겨나는 훼손의 유형이 아닌 것은?(2007년 09월)
     1. 노출된 지형
     2. 광미(tailing, 鑛尾)
     3. 지반침하
     4. 여울(riffle)

     정답 : []
     정답률 : 84%

45. 자연 표토 복원공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5월)
     1. 기존응벽에 구조적으로 식생이 가능하도록 한 공법
     2. 자연생태의 표토를 재현하는 시스템화된 녹화공법
     3. 사면 안전은 물론 자연천이를 촉진하는 방법으로 훼손 이전의 생태계로 조기에 이르도록 개발된 공법
     4. 한국의 자생식물을 주요소재로 사용하는 경관생태적인 환경 복원녹화 공법

     정답 : []
     정답률 : 60%

46. 훼손지 비탈면에 사용되는 식물 중 형태적으로 근계(根系) 신장이 좋은 식물이 아닌 것은?(2010년 05월)
     1. 톨훼스큐
     2. 비수리
     3. 까치수영
     4. 억새

     정답 : []
     정답률 : 50%

47. 수서곤충의 유충이 생활하기에 적합한 수심으로 옳은 것은?(2020년 06월)
     1. 10cm 이상
     2. 20cm 이상
     3. 35cm 이상
     4. 50cm 이상

     정답 : []
     정답률 : 51%

48. 다음 [보기]의 빗물을 활용한 생태연못의 조성 과정 중 ( )안에 적합한 것은?(2015년 03월)

    

     1. 빗물의 전처리 시설
     2. 빗물의 침투 관거
     3. 빗물의 침투 측구
     4. 유공관

     정답 : []
     정답률 : 69%

49. 생태기반을 위한 경사면 식재충 조성을 위한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4월)
     1. 0~3%의 경사지는 표면배수에 문제가 있으며, 식재할 때 큰 규모의 식재군을 형성해 주거나 마운딩 처리
     2. 3~8%의 경사지는 완만한 구릉지로 정지작업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식재지로는 부적당
     3. 8~15%의 경사지는 구릉지이거나 암반노출지로 토양층이 깊게 발달되지 않아서 관상수목의 집중 식재가 불가능
     4. 15~25%의 경사지는 일반적인 식재기술로는 식재가 거의 불가능

     정답 : []
     정답률 : 64%

50. 다음 중 부유식물에 해당하는 식물은?(2020년 08월)
     1. 검정말
     2. 애기부들
     3. 생이가래
     4. 물수세미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검정말 : 침수식물
애기부들 : 정수식물
물수세미 : 침수식물
[해설작성자 : 너구리 선생]

51. 습지 복원 시 고려되어야 할 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0년 09월)
     1. 기능(function)
     2. 구성(composition)
     3. 균질성(homogeneity)
     4. 역동성과 회복력(dynamics andresilience)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균질성보다는 다양성을 중시한다.
[해설작성자 : 남극 펭귄]

52. 생태계 내에 있는 모든 생물체는 서로 상호작용을 하고 있다. 서로 다른 두 개체군이 서로에게 이익이 되는 관계를 말한 것은?(2019년 03월)
     1. 기생
     2. 착생
     3. 공생
     4. 경쟁

     정답 : []
     정답률 : 88%

53. 하천코리도(corridor)fmf 계획 및 설계할 때 유의사항으로 부적합한 것은?(2010년 07월)
     1. 가능한 모든 지류를 포함하여 설계하여야 한다.
     2. 하천변의 식생은 깨끗이 정리하지 않아야 한다.
     3. 침전물의 유입이 많고 여과를 위해 폭이 불충분할 때는 밀도가 낮은 식생을 제방에 도입하여야 한다.
     4. 생물다양성이 높은 지역, 희귀종 서식지는 보전의 우선 순위에 두고 계획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4%

54. 토양수분의 유형 중 식물이 이용 가능한 유효수분은?(2016년 08월)
     1. 화합수
     2. 흡습수
     3. 모관수
     4. 중력수

     정답 : []
     정답률 : 71%

55. 생태연못 조성 위치상 잘못 된 곳은?(2017년 05월)
     1. 가급적 지하수위가 높은 곳
     2. 야생동물들의 접근이 용이한 곳
     3. 건물이나 기존 수목 등에 의해 그늘이 많은곳
     4. 인근 생물 서식처로부터 생물종 유입이 용이한 곳

     정답 : []
     정답률 : 74%

56. 이식할 수목의 뿌리돌림을 사전에 실시하는 근본적인 목적은?(2015년 08월)
     1. 운반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2. 이식구덩이 크기를 축소하기 위해
     3. 이식을 위한 굴취를 쉽게 하기 위해
     4. 이식력이 약한 수목을 이식하기 위해

     정답 : []
     정답률 : 65%

57. 침수성 식물로만 맞게 짝지어진 것은?(2016년 05월)
     1. 검정말, 물수세미, 거머리말, 말
     2. 가래, 마름, 순채, 수련, 개연꽃
     3. 갈대, 줄, 부들, 애기부들, 창포
     4. 오리나무, 버드나무류, 들메나무, 낙우송

     정답 : []
     정답률 : 79%

58. 토양의 입단화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2017년 05월)
     1. 점토는 수화반경이 작아 입잡들의 엉킴현상을 증진시킨다.
     2. 유기물이 부식되어 감에 따라 점토의 입단화를 돕는다.
     3. 식물의 가능 뿌리와 토양 생물의 활동, 사상균과 방선균의 활동은 토양 인단화를 촉진한다.
     4. 단립구조의 토양 입자들은 토양을 입단화하는 접착제 역할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56%

59.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 잔골재율, 잔골재의 입도, 반죽질기 등에 따르는 마무리하기 쉬운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을 무엇이라 하는가?(2008년 09월)
     1. 피니셔빌리티(finishability)
     2. 워커빌리티(workability)
     3. 반죽질기(consistency)
     4. 성형성(plasticity)

     정답 : []
     정답률 : 84%

60. 생태계 복원의 성공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과정인 모니터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9월)
     1. 모니터링은 복원목적에 따라 달라지나 모니터링 항목은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2. 모니터링은 지표종을 활용하기도 하며 이때에는 환경변화에 매우 민감한 종을 대상으로 한다.
     3. 생물의 모니터링은 활동 및 생활사가 계절에 따라 달라지므로 계절에 따른 조사가 중요하다.
     4. 모니터링은 기초조사, 선택된 항목의 주기적인 모니터링, 그리고 복원 주체와 학문 견구기관과의 유기적인 협조관계가 포함되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4과목 : 경관생태학


61. 종 또는 개체군의 복원에 대한 [보 기]의 설명에서 각각의 ( )에 들어갈 용어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2010년 07월)

    

     1. ① SLOSS, ② 방사(Reintroduction)
     2. ① 비오톱(Biotope), ② 포획번식(Captive Breeding)
     3. ① 포획번식(Captive Breeding), ② 방사(Reintroduction)
     4. ① 메타개체군, ② 이주(Translocation)

     정답 : []
     정답률 : 80%

62. 지난 반세기 동안 네덜란드 북해 연안과 더불어 우리나라의 서해안에서 가장 활발하게 일어났던 훼손으로 인위적으로 해안경관을 변화시켜 친환경적이지 못하며 자연적인 해안경관을 해치게 된 것은?(2007년 05월)
     1. 쓰레기 투기
     2. 해상 유류 유출 사고
     3. 간척 및 매립
     4. 연안의 수많은 양식시설

     정답 : []
     정답률 : 80%

63. 다음 그림은 하천의 차수를 나타내고 있다. 하천의 차수가 그림에서 순서대로(a-b-c) 바르게 나타낸 것은?(2011년 03월)

    

     1. 2-2-6
     2. 2-1-5
     3. 2-2-5
     4. 2-1-3

     정답 : []
     정답률 : 48%

64. 해양의 유형에 따른 경관생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0년 09월)
     1. 암반해안은 해수면의 온도에 따라 대상분포를 나타낸다.
     2. 펄갯벌은 모래질이 20% 이하에 불과하며 갑각류나 조개류가 많이 서식한다.
     3. 모래갯벌은 해수의 흐름이 빠른 수로주변이나 바람이 강한 지역의 해변에 나타나는데 보통 폭이 넓은 편이다.
     4. 자갈해안은 갯벌해안이나 모래사장에 서식하는 생물에 비해 매우 한정된 종들이 낮은 밀도로 서식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모래갯벌: 모래갯벌은 바닥이 주로 모래질로 되어 있다. 바닷물의 흐름이 빠른 해변에 주로 나타나며 해안의 경사가 급하고 갯벌의 폭이 좁은 것이 특징이다. 모래갯벌은 모래 알갱이의 평균 크기가 0.2~0.7mm정도로 유기물의 함량은 적다.
펄갯벌: 모래질이 차지하는 비율이 10%이하에 불과하지만 펄 함량은 90% 이상에 달하는 갯벌이다. 펄갯벌은 바닥이 주로 개흙질로 되어 있으며 바닷물의 흐름이 완만한 내만이나 강하구의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혼합갯벌: 혼합갯벌은 모래 - 펄 갯벌이라 부르기도 한다. 모래와 펄이 각각 90%미만으로 섞여있는 갯벌을 말하며, 혼합갯벌에는 칠게, 동죽, 맛, 가시닻해삼 등이 살고 있다.
[해설작성자 : 남극 펭귄]

65. 우리나라의 산림경관 중 건조하기 쉬운 산능선이나 암반 노출지역에 나타나는 산림식생은?(2017년 08월)
     1. 굴참나무림
     2. 서어나무림
     3. 잣나무림
     4. 소나무림

     정답 : []
     정답률 : 65%

66. 굴곡에 의한 생태적 효과 중 조각을 관통 할 때 좁고 우묵 들어간 곳으로 집중되는 효과를 무엇이라고 하는가?(2014년 08월)
     1. 반도 효과(peninsula effect)
     2. 깔때기 효과(funnel effect)
     3. 벤투리 효과(venturi effect)
     4. 울타리 효과(drift-fence effect)

     정답 : []
     정답률 : 46%

67. 위성 리모트 센싱(Remote Sensing)을 환경문제에 응용할 때의 유리한 특징으로 볼 수 없는 것은?(2010년 05월)
     1. 일시성
     2. 주기성
     3. 광역성
     4. 동시성

     정답 : []
     정답률 : 75%

68. 다음 중 지리정보체계(GIS)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는 것은?(2005년 09월)
     1. 지도자료, 속성데이터,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사람의 5대요소를 가지고 자료를 입력, 설계, 저장, 분석, 출력하는 일련의 작업을 총괄하는 개념
     2. 1966년 미국의 North Carollina 주립대학에서 개발이 시작되었으며, 통계적인 분석과 자료관리, 그래프 작성, 프로그래밍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춘 종합정보 관리시스템
     3. 지표면과 지하 및 지상공간에 존재하고 있는 각종 자연물(산, 강, 토지 등)과 인공구조물(건물, 철도, 도로 등)에 대한 위치정보와 속성정보를 컴퓨터에 입력하여 데이터 베이스화 또는 해석ㆍ처리하는 시스템
     4. 데이터베이스화된 위치정보와 속성정보를 이용하여 각종 계획수립과 의사결정 및 산업활동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만든 첨단 정보시스템

     정답 : []
     정답률 : 71%

69. 경관 자료에는 3가지 중요한 형태가 있다. 이 3가지에 속하지 않는 형태는?(2009년 08월)
     1. 항공사진
     2. 디지털 원격탐사 자료
     3. 모델링 자료
     4. 문헌자료와 센서스

     정답 : []
     정답률 : 79%

70. 비오톱 타입의 재생기간이 짧은 것부터 차례로 나열한 것은?(2011년 08월)

    

     1. ㉢ → ㉠ → ㉣ → ㉡
     2. ㉠ → ㉢ → ㉣ → ㉡
     3. ㉢ → ㉡ → ㉠ → ㉣
     4. ㉢ → ㉠ → ㉡ → ㉣

     정답 : []
     정답률 : 85%

71. 다음 종 또는 개채군의 복원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08년 05월)
     1. 포획번식
     2. 방사
     3. 근친교배
     4. 이주

     정답 : []
     정답률 : 60%

72. 보전 및 복원해야 할 대상인 자연보호구의 가치가 아닌 것은?(2017년 03월)
     1. 유전자원의 제공
     2. 환경교육의 장소제공
     3. 자연 및 생물다양성의 보전
     4. 다른 지역으로의 생물이동 방해

     정답 : []
     정답률 : 81%

73. Diamond가 제시한 보호구 설계를 위한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5월)
     1. 보호구의 면적이 클수록 바람직하다.
     2. 같은 면적일 경우 여러개로 나눠 있는 것보다 하나로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3. 패취간의 거리가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4. 같은 면적일 경우 주연부 길이가 큰 것이 유리하다.

     정답 : []
     정답률 : 68%

74. 서식지 파편화에 의한 멸종가능성이 높은 종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2007년 09월)
     1. 몸체가 작은 종
     2. 종의 확산이 쉬운 종
     3. 유전적 변이가 낮은 종
     4. 좁은 행동권을 요구하는 종

     정답 : []
     정답률 : 36%

75. 주연부 효과(edge effect)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7년 05월)
     1. 주연부 효과란 군집의 가장자리가 종 다양성이 높은 것을 말한다.
     2. 숲의 가장자리에 키 작은 나무(관목)이 빽빽하게 자란다.
     3. 추이대(ecotone)에서도 주연부 효과가 나타난다.
     4. 주연부 효과는 패치의 중심부까지 깊게 나타난다.

     정답 : []
     정답률 : 77%

76. 메타개체군 이론에는 결여 되어 있으나 경관생태학에서만 찾아 볼 수 있는 특징이 아닌 것은?(2013년 03월)
     1. 주변 환경의 질적인 변이
     2. 패치의 질적인 변이
     3. 가장자리 효과
     4. 생물의 이동

     정답 : []
     정답률 : 62%

77. 경관을 이루는 기본적인 단위는 경관요소이며,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이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2014년 08월)
     1. 공간(space)
     2. 조각(patch)
     3. 바탕(matrix)
     4. 통로(corridor)

     정답 : []
     정답률 : 68%

78. 공간에서 경관단위의 분포(공간적 관계)를 위해 Zonneveld는 “지권의 토지속성 중 최소한 하나(대기, 식생, 토양, 암석, 수문 등)에서 동질성을 갖는 가장 작은 총체적인 토지의 단위”를 무엇이라 하였는가?(2010년 05월)
     1. 에코톱(Ecotope)
     2. 모자이크(Mosaics)
     3. 매트릭스(Matrix)
     4. 패치(patch)

     정답 : []
     정답률 : 39%

79. 서식지 단편화 효과에 의해 사라질 가능성이 높은 종이 아닌 것은?(2005년 09월)
     1. 희귀종(Rare specise)
     2. 행동반경이 작은 종
     3. 잠재적 생식능력이 낮은 종
     4. 산포가 제한된 종

     정답 : []
     정답률 : 77%

80. 다음 중 코리더(corridor)의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5년 09월)
     1. 서식지
     2. 이동통로
     3. 필터
     4. 종의 단절

     정답 : []
     정답률 : 95%

81.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환경부장관은 국내에 서식하는 모든 생물종에 대하여 국가생물종 목록을 구축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 국가 생물종 목록 구축에 피요한 자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7년 03월)
     1. 생물종의 영명 및 근연종명
     2. 종별 생태적ㆍ분류학적 특징
     3. 종별 주요 서식지 및 국내 분포현황
     4. 조사자, 조사기간 및 조사방법

     정답 : []
     정답률 : 64%

82. 환경정책기본법령상 각 항목별 대기환경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8월)
     1. 아황산가스(SO2)의 1시간평균치는 0.15ppm 이하이다.
     2. 이산화질소(NO2)의 연간평균치는 0.03ppm 이하이다.
     3. 오존(O3)의 1시간평균치는 0.1ppm 이하이다.
     4. 벤젠의 연간평균치는 0.5μg/m3 이하이다.

     정답 : []
     정답률 : 67%

83. 환경정책기본법령상 해역의 생태기반 해수수질 기준 중 Ⅲ(보통) 등급의 수질평가 지수값(Water Quality Index)은?(2013년 03월)
     1. 34~46
     2. 47~59
     3. 60~72
     4. 73~85

     정답 : []
     정답률 : 75%

84. 야생동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는 멸종위기 야생생물Ⅰ급의 곤충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6년 03월)
     1. 산굴뚝 나비
     2. 상제나비
     3. 수염풍뎅이
     4. 애기뿔쇠똥구리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애기뿔쇠똥구리는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이다.
[해설작성자 : 오연수]

[곤충류]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
붉은점모시나비, 비단벌레, 산굴뚝나비, 상제나비, 수염풍뎅이, 장수하늘소
[해설작성자 : 고먐미최고]

85. 국토기본법령상 중앙행정기관의 장 및 시ㆍ도지사가 수립하는 국토종합계획 실행을 위한 소관별 실천계획은 몇 년 단위로 작성하는가?(2017년 05월)
     1. 1년
     2. 3년
     3. 5년
     4. 10년

     정답 : []
     정답률 : 67%

86. 환경정책기본법령상 아황산가스(SO2)의 대기환경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24시간 평균치이다.)(2020년 09월)
     1. 0.02ppm 이하
     2. 0.03ppm 이하
     3. 0.05ppm 이하
     4. 0.06ppm 이하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아황산가스의 기준: 연간 평균치 - 0.02 이하, 24시간 평균치 - 0.05 이하, 1시간 평균치 - 0.15 이하
    
[해설작성자 : 남극 펭귄]

87. 자연환경보전법상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자연환경조사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2018년 08월)
     1. 환경부장관은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조하여 10년마다 전국의 자연환경을 조사하여야 한다.
     2. 환경부장관은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조하여 매 5년마다 생태 • 자연도에서 1등급 권역으로 분류된 지역의 자연환경을 조사하여야 한다.
     3. 환경부장관 둥이 자연환경조사를 위하여 조사원으로 하여금 타인의 토지에 출입하고자 하는 경우,그 조사원은 출입할 날의 3일 전까지 그 토지의 소유자 • 점유자 또는 관리인에게 그 뜻을 통지하여야 한다.
     4. 규정에 의한 조사 및 관찰에 필요한 사항은 국무총리령으로 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1. 환경부장관은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조하여 5년마다 전국의 자연환경을 조사하여야 한다.
2. 환경부장관은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조하여 생태·자연도에서 1등급 권역으로 분류된 지역과 자연상태의 변화를 특별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지역에 대하여 5년마다 자연환경을 조사할 수 있다.
4. 규정에 의한 조사의 내용·방법 기타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해설작성자 : ㅇ]

2번이 틀린이유 -> 1등급 권역으로 분류된 지역의 자연환경은 2년마다 조사해야한다.    (5년 xxx -> 2년)
[해설작성자 : K7, 캠리]

88. 야생동ㆍ식물보호법상 생물자원보전시설을 등록한 자가 시설 및 요건을 갖추지 못하여 등록이 취소된 경우, 취소된 날부터 며칠이내에 그 등록증을 환경부장관에게 반납하여야 하는가?(2011년 08월)
     1. 3일 이내에
     2. 5일 이내에
     3. 7일 이내에
     4. 15일 이내에

     정답 : []
     정답률 : 81%

89.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 보전에 관한 특별법상 특정도서에서의 행위제한 대상으로 옳은 것은?(2021년 05월)
     1. 군사∙항해∙조난구조 행위
     2. 개간∙매립∙준설 또는 간척 행위
     3. 국가가 시행하는 해양자원개발 행위
     4. 천재지변 등 재해의 발생 방지 및 대응을 위하여 필요한 행위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 보전에 관한 특별법: 특정도서에서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행위제한 대상으로 적용하지 아니한다.
1. 군사 및 항해, 조난구호 행위
2. 천재지변 등 재해의 발생 방지 및 대응을 위하여 필요한 행위
3. 국가가 시행하는 해양자원개발 행위
4. [도서개발 촉진법]제6조 3항의 사업계획에 따른 개발 행위
5. [문화재 보호법]에 따라 문화재청장 또는 시 도시자사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행위
[해설작성자 : 남극 펭귄]

90. 산지관리법상 산림청장이 지정ㆍ육성할 수 있는 산지복구전문기관의 업무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0년 05월)
     1. 형질변경된 산지의 복구
     2. 산림자원 육성을 위한 조사연구
     3. 형질변경된 산지의 복구설계ㆍ감리
     4. 형질변경된 산지의 자연친화적인 복구방법의 조사ㆍ연구 및 개발

     정답 : []
     정답률 : 50%

91. 개발제한구역의지정및관리에관한특별조치법상의 개발제한 구역관리계획 수립에 대한 기술 중 맞지 않는 것은?(2005년 05월)
     1.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시ㆍ도지사는 개발제한구역을 종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개발제한구역관리계획을 수립하여 건설교통부장관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2. 개발제한구역관리계획은 5년 단위로 수립한다.
     3. 개발제한구역관리계획에는 개발제한구역 관리의 목표와 기본방향, 현황 및 실태의 조사, 토지이용 및 보전 등을 포함하여야 한다.
     4. 시ㆍ도지사가 관리계획을 수립하고자 하는 때에는 미리 관계 시장, 군수 또는 구청장의 의견을 듣고 지방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1%

92. 산지관리법에 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산림청장은 보전산지를 지정하려면 그 산지가 표시된 산지구분도를 작성하여 관계 행정기관의 장과 혐의한 후 중앙산지관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2. 산지전용ㆍ일시사용제한지역에서 사방시설의 설치로 산지를 일시 사용하는 행위는 허용된다.
     3. 산림청장은 산사태 등 재해발생이 특히 우려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산지로서 공공의 이익증진을 위하여 보전이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산지를 산지전용ㆍ일시사용제한지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
     4. 지방자치단체가 산지전용ㆍ일시사용제한지역의 지정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산지소유자와 협의하여 산지전용제한지역안의 산지를 산림청장이 정한 감정평가가격 기준으로 매수한다.

     정답 : []
     정답률 : 56%

93. 농지법령상 신고 또는 고발사항에 대한 포상금 지급기준(건당)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8월)
     1. 속임수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농지취득자격증명을 발급받은 자는 10만원이다.
     2. 용도변경의 승인을 받지 아니하고 전용된 토지를 다른목적으로 사용한 자는 60만원이다.
     3. 허가를 받지 아니하고 농지를 전용하거나 속임수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농지전용허가를 받은 자는 50만원이다.
     4. 농업진흥구역 및 농업보호구역에서의 행위제한을 위반한 자는 30만원이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2. 10만원이다
[해설작성자 : 도담이방구]

94. 다음은 환경정책기본법령상 수질 및 수생태계 상태별 생물학적 특성 이해표이다. 이에 가장 적합한 생물등급은?(2021년 08월)

    

     1. 매우 좋음 ~ 좋음
     2. 좋음 ~ 보통
     3. 보통 ~ 약간 나쁨
     4. 약간 나쁨 ~ 매우 나쁨

     정답 : []
     정답률 : 74%

95. 농지법규상 실습지 등으로 농지를 소유할 수 있는 공곤단체로 거리가 먼 것은?(2007년 05월)
     1. 한국농촌공사
     2. 농수산물유통공사
     3. 한국식품개발연구원
     4. 한국농지개발공사

     정답 : []
     정답률 : 30%

96.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용도지구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을 모두 열거한 것은?(2019년 04월)

    

     1. ㉠, ㉡
     2. ㉠, ㉢
     3. ㉡, ㉢
     4. ㉢, ㉣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경관지구 : 경관을 보전·관리 및 형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구
방재지구 : 풍수해 등의 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구
[해설작성자 : 지구방위본부]

- 방화지구: 화재의 위험을 예방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구로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도시·군관리계획으로 결정·고시된 지구
[해설작성자 : 산들로]

97. 산지관리법령산 대통령령이 정하는 토석채취허가기준 중 산지의 경사도에 관한 기준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2008년 09월)

    

     1. ① 45도, ② 1: 0.5 이하
     2. ① 45도, ② 1: 0.4 이하
     3. ① 35도, ② 1: 0.5 이하
     4. ① 35도, ② 1: 0.4 이하

     정답 : []
     정답률 : 54%

98. 습지보전법상 용어의 정의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2009년 08월)

    

     1. 하천습지
     2. 경계습지
     3. 조석습지
     4. 연안습지

     정답 : []
     정답률 : 80%

99. 다음은 자연환경보전법상 생태ㆍ자연도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2017년 05월)

    

     1. ㉠ 5만분의 1 이상, ㉡ 7일 이상
     2. ㉠ 5만분의 1 이상, ㉡ 14일 이상
     3. ㉠ 2만 5천분의 1 이상, ㉡ 7일 이상
     4. ㉠ 2만 5천분의 1 이상, ㉡ 14일 이상

     정답 : []
     정답률 : 72%

100. 다음은 농지법규성 포상금 지급기준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2014년 03월)

    

     1. 15일 이내
     2. 1월 이내
     3. 45일 이내
     4. 2월 이내

     정답 : []
     정답률 : 44%


정 답 지

자연생태복원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6일)(64679)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자연생태복원기사(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환경생태학개론


1. 지구온난화 결과 발생하는 환경생태계의 변화 설명으로 틀린것은?(2011년 03월)
     1. 고산지대와 극지방 빙하의 용해를 가속화시킬 것이다.
     2. 세균, 곰팡이 등 병원균의 번창을 유도할 수 있다.
     3. 일상적 문제는 저위도 지역 사람들에게 영향이 더 클 것이다.
     4. 기후대 변화에 따라 동, 식물의 서식 분포가 많이 변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7%

2. C. Darwin이 주장한 개체군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닌 것은?(2006년 05월)
     1. 타 생물의 피식
     2. 기생충과 질병
     3. 물리적 제한요인
     4. 타 생물과의 공생

     정답 : []
     정답률 : 67%

3. '개체군내에는 최적의 생장과 생존을 보장하는 밀도가 있다. 관소 및 과밀은 제한요인으로 작용한다.'가 설명하고 있는 원리는?(2018년 08월)
     1. Allee의 원리
     2. Gause의 원리
     3. 적자생존의 원리
     4. 항상성의 원리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일리효과: 개체군 밀도가 낮은 상황에서의 번식 또는 생존의 감소 시작, 많은 종들은 개체들이 포식자로부터 자신들을 방어하거나 먹이를 발견할 수 있도록 떼나 무리를 짓고 산다.
[해설작성자 : K7, 캠리]

4. 육수생태계에서 독립영양 생물에 속하는 것은?(2004년 12월)
     1. 식물 플랑크톤
     2. 동물 플랑크톤
     3. 수서곤충
     4. 어류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독립영양생물 - 스스로 햇빛을 이용하여 광합성을 통해 에너지를 만들 수 있는 생물
- 식물 플랑크톤
종속영양생물 - 동물 플랑크톤, 수서 곤충, 어류
[해설작성자 : 소연]

5. 해양으로 영양 염류가 과다하게 유입되었을 때 일어나는 생물학적 변화와 거리가 가장 먼 것은?(2021년 08월)
     1. 물의 투명도 저하
     2. 용존산소량의 증가
     3. 어족자원의 감소
     4. 특수종의 이상 증식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염류 증가 하면 용존산소는 감소
[해설작성자 : 국화]

6. 천이이론은 식물군집이 일정한 변화계열을 거치며 마지막에는 가장 안정한 극상군집이 된다는 가설이다. 이 가설에 따른 식물군집의 변화 과정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3년 06월)
     1. 산불 및 교란에 따른 황폐화 → 초본 → 덤불 또는 관목 → 교목 → 극상
     2. 산불 및 교란에 따른 황폐화 → 덤불 → 관목 → 초본 → 교목 → 극상
     3. 산불 및 교란에 따른 황폐화 → 덤불 → 초본과 관목 → 교목 → 극상
     4. 산불 및 교란에 따른 황폐화 → 관목과 교목 → 덤불 → 초본 → 극상

     정답 : []
     정답률 : 91%

7. 다음 [보 기]가 설명하고 있는 습지식물의 유형에 해당하는 것은?(2007년 09월)

   

     1. 갈대
     2. 어리연꽃
     3. 개구리밥
     4. 검정말

     정답 : []
     정답률 : 83%

8. UNESCO의 MAB(Man and Biosphere Reserve)의 평가기준에서 “희귀종, 고유종, 멸종위기종이 많은 곳” 으로 구분한 이 지역은?(2014년 03월)
     1. 완충지역(Buffer Area)
     2. 전이지역(Transition Area)
     3. 가치지역(Value Area)
     4. 핵심지역(Core Area)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지역(3)
- 핵심구역 Core area
: 엄격히 보호되는 하나 또는 여러 개 지역. 생물 다양성의 보전과 간섭을 최소화한 생태계 모니터링, 파괴적이지 않는 조사 연구, 영향이 작은 이용(예:교육) 등을 할 수 있다.
- 완충구역 Buffer area
: 핵심지역을 둘러싸고 있거나 이에 인접해 있다. 환경교육, 레크리에이션, 생태관광, 기초연구 및 응용연구 등의 건전한 생태적 활동에 적합한 협력활동을 위해 이용된다.
- 협력구역 Transition area
: 다양한 농업활동, 주거지, 기타 다른 용도로 이용된다. 지역의 자원을 함께 관리하고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개발하기 위해 지지역사회, 관리 당국, 학자, 비정부단체(NGO), 문화단체, 경제적 이해집단과 기타 이해 당사자들이 함께 일하는 곳이다.
[해설작성자 : 도오트]

9. 제주도의 목장을 수십 년간 방치한 후 관목림과 활엽수림으로 바뀌었다. 이곳에서 진행된 천이는?(2010년 05월)
     1. 1차천이
     2. 2차천이
     3. 타생천이
     4. 종속영양적천이

     정답 : []
     정답률 : 75%

10. 생태계의 구성요소 중 생물적 요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6년 03월)
     1. 영양적 지위
     2. 소비자
     3. 생산자
     4. 분해자

     정답 : []
     정답률 : 87%

11. 개체군(population)의 출생률과 사망률 모두에 특히 영향을 주는 중요한 개체군의 특징은?(2016년 08월)
     1. 연령 분포(age distribution)
     2. 수용 능력(carrying capacity)
     3. 생식 잠재력(reproductive potential)
     4. 환경 저항(environmental resistance)

     정답 : []
     정답률 : 60%

12. 다음 환경포텐셜의 개념 중 종의 공급포텐셜에 적합한 설명은?(2015년 05월)
     1. 종의 생육, 서식과 관계
     2. 생태계의 시간적 변화가 어떤 과정을 거쳐 어느 정도 의 속도로 진행
     3. 식물의 종자나 동물의 개체 등이 다른 곳으로부터 공 급될 가능성
     4. 기후, 지형, 토양, 수환경 등의 토지적 조건이 특정 생 태계 성립에 적당한가를 나타나는 것

     정답 : []
     정답률 : 74%

13. 생태계에서 무기물과 에너지의 흐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8월)
     1. 무기물과 에너지는 모두 순환한다.
     2. 무기물과 에너지는 모두 소모된다.
     3. 무기물은 순환하지만 에너지는 소모된다.
     4. 에너지는 순환하지만 무기물은 소모된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에너지 및 물질의 흐름"
생태계에 있어서 물질은 환경과 생물의 사이를 순환하지만 에너지는 일방적으로 이동되어 시스템 밖으로 소실되는 비가역적인 현상이다.
[해설작성자 : uswoori]

무기물: 탄소를 포함하지 않는 물질
유기물: 탄소를 포함하고 있는 물질
열역학 제 1법칙: 에너지는 형태를 바꾸거나 이동하지만 총에너지는 획득되거나 손실되지 않는다.
열역학 제 2법칙: 에너지가 전달되거나 변형될 때 에너지 일부는 더 이상 전달될 수 없는 형태로 변한다.
[해설작성자 : K7, 캠리]

14. 생태계 군집 구조를 측정하는 생물지수가 아닌 것은?(2017년 05월)
     1. 균등도
     2. 종풍부도
     3. 종다양도
     4. 종포화도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 종다양도 (Species Diversity):
    - Shannon-Wiener Index: 생물군집 내 종의 다양성을 측정
    - Simpson's Index: 종의 상대적인 풍부도를 고려하여 생물다양성을 측정
* 종풍부도 (Species Richness): 특정 지역 내 존재하는 종의 총수를 의미하며, 단순히 종의 개수를 측정하는 지수
* 균등도 (Evenness): 종의 분포가 얼마나 균등하게 이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수. 종의 상대적인 풍부도를 고려하여 계산
(산들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5. 계절 변화에 대한 과학적 연구인 화력학(phenology)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8월)
     1. 화력학은 생물기후학이라고 한다.
     2. 종의 분포를 결정하는 기능적 제한요인이다.
     3. 봄꽃식물은 남사면 같은 미소서식지에서 먼저 개화한다.
     4. Hopkins에 의하면 북반구에서 봄은 하루에 약 27km씩 북상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화력학은 생물기후학이라고 한다"는 문장은 정확하지 않으며, 두 학문은 서로 다른 분야입니다
그러므로 1번이 정답이 아닐까 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6. 다음에서 산호초 생태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7년 05월)
     1. 수온이 20℃ 이상에서만 생성된다.
     2. 강장동물인 산호출의 군체이다.
     3. 하조대부터 깊이 50m 까지 서식한다.
     4. 산호초와 해안이 서로 떨어져 사이에 해협이 있는 것을 거초(fringing reef)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17. 동시출생집단은 사고, 영양부족, 전염병 등의 환경제한을 받아 수명이 짧아지게 되는데, 다음 중 이를 뜻하는 용어는?(2011년 03월)
     1. 생태적 수명
     2. 물리적 수명
     3. 생리적 수명
     4. 제한적 수명

     정답 : []
     정답률 : 43%

18. 생물군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7년 05월)
     1. 온대낙엽수림대는 그라이토양이 발달하며, 수엽교목이 주점종이다.
     2. 북극툰드라는 영구동토를 이루며, 벼과, 사초과, 선태류 및 자의류가 우세하다.
     3. 북방침엽수림대는 포드졸토양으로 종 다양성이 낮아서 1~2종이 넓게 우점한다.
     4. 사막의 토양은 대부분이 아리도솔이며 초본이 좀 더 많은 곳은 물리솔이 발달하며, 키 작은 여러 가지 형태의 건생관목이 우점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19. 한 종개체군과 다른 종개체군 사이에서 두 개체군이 모두 이익을 얻으며 서로 상호 작용을 하지 않으면 생존하지 못하는 관게는?(2019년 08월)
     1. 상리공생
     2. 상조공생
     3. 편리공생
     4. 내부공생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상조공생 : 두 미생물 집단 모두가 이익을 얻지만 두 집단의 공생이 필수적이지는 않다.
편리공생 : 한편은 이익을 받으나 다른 편은 이익도 해도 없는 공생
내부공생 :    서로 다른 성질의 원핵생물들이 생존을 위해 공존을 모색하다가 진핵생물로 진화하게 되었다는 가설
[해설작성자 : 찬초]

20. 다년생 식물이 아닌 것은?(2014년 03월)
     1. 참억새
     2. 코스모스
     3. 붓꽃
     4. 달맞이꽃

     정답 : []
     정답률 : 75%

2과목 : 환경계획학


21.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령에 따라 도시에서 국민 보건 휴양ㆍ정서함양 및 체험활동 등을 위하여 조성ㆍ관리하는 산림 및 수목으로 정의되는 것은?(2021년 03월)
     1. 생활림
     2. 가로수
     3. 임산물
     4. 도시림

     정답 : []
     정답률 : 84%

22. 지속가능한 개발원칙과 관련 없는 것은?(2015년 03월)
     1. 미래세대 배려
     2. 환경부하의 확대
     3. 시민 참여
     4. 사회형평성

     정답 : []
     정답률 : 76%

23. 열역학 제2법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6년 05월)
     1. 고립계에서는 에너지 변환시 엔트로피 총량은 감소한다.
     2. 엔트로피의 증가라 함은 사용 가능한 에너지가 사용 불가능한 에너지의 상태로 전환됨을 의미한다.
     3. 엔트로피 증가의 법칙이라 불리운다.
     4. 에너지 무질서가 증가하는 방향 즉,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정답 : []
     정답률 : 80%

24. 「환경영향평가법」에 따른 전략환경영향평가 평가준비서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2015년 08월)
     1. 대상 지역의 투자계획 및 재원조달방안
     2. 전략환경영향평가 대상계획의 목적 및 개요
     3. 구체적인 입지가 있는 경우 토지이용구상안
     4. 대상계획이 실시되는 지역 및 그 주변지역에 대한 환경현황을 포함한 지역 개황(槪況)

     정답 : []
     정답률 : 61%

25. 도시 및 지역차원의 환경계획으로 생태네트워크의 개념이 아닌 것은?(2019년 08월)
     1. 공간계획이나 물리적 계획을 위한 모델링 도구이다.
     2. 기본적으로 개별적인 서식처와 생물종을 목표로 한다.
     3. 지역적 맥락에서 보전가치가 있는 서식처와 생물종의 보전을 목적으로 한다.
     4. 전체적인 맥락이나 구조측면에서 어떻게 생물종과 서식처를 보전 할 것인가에 중점을 둔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생태네트워크 개념
- 기존의 개별적 서식처나 생물종을 중심으로 x
- 전체적인 맥락과 구조적 측면에서 생물종과 서식처의 보전
- 지역적 측면에서 서식처와 생물종 보전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공간상의 계획측면이 강조
[해설작성자 : 고먐미최고]

전체적인 서식처와 생물종을 목표로 한다.
[해설작성자 : 남극 펭귄]

26. 생태도시계획시 고려해야 될 생태적 원리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7년 05월)
     1. 다양성
     2. 위계성
     3. 순환성
     4. 자립성

     정답 : []
     정답률 : 76%

27. 토지환경성평가를 위해 거쳐야 하는 구체적 과정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2004년 12월)
     1. 환경 적합성 분석
     2. 토지 적성 평가
     3. 사전 환경성 평가
     4. 생태 수용력 분석

     정답 : []
     정답률 : 30%

28. 도시 생태ㆍ녹지 네트워크 계획 수립의 흐름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20년 06월)
     1. 과제정리-평가-해석-조사-계획
     2. 과제정리-조사-평가-해석-계획
     3. 조사-해석-평가-과제정리-계획
     4. 조사-평가-과제정리-해석-계획

     정답 : []
     정답률 : 67%

29. 환경용량을 평가할 때 사용되는 지표 중의 하나로 재화와 용역의 생산에 필요한 에너지 측면의 갗를 과학적으로 측정한 것은?(2006년 05월)
     1. 생태적 발자국
     2. 에머지
     3. 에너지 지수
     4. 에너지환경지표

     정답 : []
     정답률 : 59%

30. 1971년 유네스코가 설립한 MAB(Man and the Biosphere Programme)에서 지정한 생물권보전지역을 구분하는 세 가지 기본요소가 아닌 것은?(2019년 04월)
     1. 완충지역
     2. 핵심지역
     3. 전이지역
     4. 관리지역

     정답 : []
     정답률 : 83%

31. 야생동물의 이동 중 공간규모에 따른 이동통로의 유형이 아닌 것은?(2016년 08월)
     1. 가장자리 규모
     2. 울타리 규모
     3. 경관모자이크 규모
     4. 광역적 규모

     정답 : []
     정답률 : 35%

32. OECD에서 채택한 환경지표 구조는 압력(Pressure)-상태(Status)-대응(Response) 구조였다. 다음 환경문제를 해석하는 환경지표 중 PSR구조가 아닌 것은?(2018년 08월)
     1. 기후변화 : 압력(온실가스 배출) - 상태(농도) - 대응(CFC 회수)
     2. 부영양화 : 압력(질소, 인 배출) - 상태(농도) - 대응(처리관련 투자)
     3. 도시환경질 : 압력(VOCs, NOx, SOx 배출) - 상태(농도) - 대응(운송정책)
     4. 생물다양성 : 압력(개발사업) - 상태(생물종수) - 대응(보호지역 지정)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기후변화: 입력지표 - 온실가스 배출량, CO2, NH4, N2O / 상태지표: 지구평균기온 , 온실가스 대기 농도 / 대응지표: 에너지 원단위, 에너지 환경세
CF) CFC는 프레온 가스를 지칭한다.
[해설작성자 : K7, 캠리]

프레온가스도 온실가스에 해당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프레온가스는 오존층 파괴물질
[해설작성자 : 국화]

33. 환경문제의 특성에 해당되지 않는 사항은?(2014년 03월)
     1. 엔트로피 감소
     2. 상호관련성
     3. 광역성
     4. 시차성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엔트로피는 증가한다 (환경오염은 사용가능한 에너지가 사용불가능한 에너지가 되는것)
엔트로피 : 사용불가능한 에너지
[해설작성자 : 도오트]

34. 다음 중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체계상 가장 하위에 해당하는 계획은?(2013년 06월)
     1. 도시ㆍ군기본계획
     2. 광역도시계획
     3. 지구단위계획
     4. 도시ㆍ군관리계획

     정답 : []
     정답률 : 78%

35. 다음 옴브즈만 기능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1년 08월)
     1. 행정기관의 부작위, 불합리 제도에 의한 국민 권리를 구제한다.
     2. 행정기관의 부당한 처분은 업무의 효율을 위해 보안을 유지하는 등 비민주적으로 행정을 통제한다.
     3. 공개 운영 및 조사 등의 과정에서 행정정보를 적극적으로 공개한다.
     4. 다른 기관에서 처리하여야 하는 민원 안내 및 고질적이고 반복적인 민원을 종결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83%

36. OECD에서 채택한 환경지표 설정을 위한 요소로 인간과 환경의 대응관계에 대한 3가지 구조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4년 05월)
     1. 계획(plan)
     2. 환경상태(state)
     3. 대책(response)
     4. 환경에의 부하(pressure)

     정답 : []
     정답률 : 64%

37. 자연공원을 효율적으로 보전하고 이용하기 위하여 결정하는 용도지구가 아닌 것은?(2014년 03월)
     1. 공원자연보존지구
     2. 공원자연환경지구
     3. 공원문화유산지구
     4. 공원집단시설지구

     정답 : []
     정답률 : 69%

38. “지속 가능한 발전” 이라는 기본원칙 하에서 자연입지적 토지이용의 기본 관리방향들 만으로 적합하게 짝지워진 것은?(2007년 09월)
     1. 생태ㆍ자원관리형 보전, 국가경제와 부합하는 개발 유도, 무분별한 난개발 방지
     2. 생태ㆍ자원관리형 보전, 무분별한 난개발 방지, 부동산 투기의 억제
     3. 생태ㆍ자원관리형 보전, 무분별한 난개발 방지, 경관자원과 조화된 개발 유도
     4. 생태ㆍ자원관리형 보전, 무분별한 난개발 방지, 생태계보전 협력금 제도의 활성화

     정답 : []
     정답률 : 67%

39. 국가환경종합계획은 몇 년마다 수립해야 하는가?(2019년 03월)
     1. 5년
     2. 10년
     3. 15년
     4. 20년

     정답 : []
     정답률 : 68%

40. 다음 중 도시생태계의 특징을 잘못 설명한 것은?(2009년 05월)
     1. 사회ㆍ경제ㆍ자연의 결합으로 성립되는 복합생태계(com plex ecosystem)라 할 수 있다.
     2. 자연 시스템과 인위적 시스템 상호간의 에너지 및 물질교환에 의해 그 기능이 유지되고 있다.
     3. 대도시생태계는 인공적인 요소가 많지만 균형적인 물질 순환체계를 갖추고 있다.
     4. 인위적인 시스템은 그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자연 시스템으로부터 많은 양의 에너지와 물질들을 조달 받은 뒤 재생 불가능한 이용가치가 없는 에너지로 전환시켜 방출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3과목 : 생태복원공학


41. 물에 의한 토양침식의 형태 및 유형 중 빗물침식과 관계가 가장 먼 것은?(2018년 04월)
     1. 복류수침식
     2. 빗방울침식
     3. 면상침식
     4. 누구침식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빗방울침식 - 빗방울 낙하의 충격에 의하여 토양입자가 분산되어 일어나는 토양 침식.
면상침식 - 빗물이 지표의 전면을 고르게 씻어 흘러 표토가 면상(面狀)으로 얇게 박리되는 토양 침식.
누구침식 - 경사지에 빗물에 의해 작은 물길이 생기는 침식. 누로침식.

복류수는 하천의 하상 및 사리층 속을 흐르는 지하수를 말한다.
[해설작성자 : 연우]

42. 야생동물 생태통로 조성 시 각 종별 이동 촉진을 위한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20년 06월)
     1. 곤충류의 경우 1~2km 정도의 넓은 서식처 조성
     2. 양서ㆍ파충류의 경우 서식 및 이동을 위한 수변 환경을 조성
     3. 조류의 경우 다층구조가 형성된 1~2m 정도의 좁은 녹치축 조성
     4. 포유류의 경우 이동통로의 신속성을 위해 단층구조 형성과 돌담, 바위 등의 지장물을 제거

     정답 : []
     정답률 : 76%

43. 도시생태계 내 도시림의 식생복원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4년 08월)
     1. 자연식생녹지는 자생수종의 생태적 특성을 토대로 훼손지 복구 및 복원을 중점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2. 자연식생은 외래종 식재나 인위적인 녹지관리를 지양하고, 천이가 진행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3. 인공림에서 자연식생으로 천이가 진행되는 녹지는 외해종을 제거하고, 자생종만을 남긴다.
     4. 인공조림녹지는 도시섬화하여 자생종의 종자전파가 어려우므로 천이계열상 발전기에 속하는 종을 도입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44. 다음 중 폐광에서 생겨나는 훼손의 유형이 아닌 것은?(2007년 09월)
     1. 노출된 지형
     2. 광미(tailing, 鑛尾)
     3. 지반침하
     4. 여울(riffle)

     정답 : []
     정답률 : 84%

45. 자연 표토 복원공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5월)
     1. 기존응벽에 구조적으로 식생이 가능하도록 한 공법
     2. 자연생태의 표토를 재현하는 시스템화된 녹화공법
     3. 사면 안전은 물론 자연천이를 촉진하는 방법으로 훼손 이전의 생태계로 조기에 이르도록 개발된 공법
     4. 한국의 자생식물을 주요소재로 사용하는 경관생태적인 환경 복원녹화 공법

     정답 : []
     정답률 : 60%

46. 훼손지 비탈면에 사용되는 식물 중 형태적으로 근계(根系) 신장이 좋은 식물이 아닌 것은?(2010년 05월)
     1. 톨훼스큐
     2. 비수리
     3. 까치수영
     4. 억새

     정답 : []
     정답률 : 50%

47. 수서곤충의 유충이 생활하기에 적합한 수심으로 옳은 것은?(2020년 06월)
     1. 10cm 이상
     2. 20cm 이상
     3. 35cm 이상
     4. 50cm 이상

     정답 : []
     정답률 : 51%

48. 다음 [보기]의 빗물을 활용한 생태연못의 조성 과정 중 ( )안에 적합한 것은?(2015년 03월)

    

     1. 빗물의 전처리 시설
     2. 빗물의 침투 관거
     3. 빗물의 침투 측구
     4. 유공관

     정답 : []
     정답률 : 69%

49. 생태기반을 위한 경사면 식재충 조성을 위한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4월)
     1. 0~3%의 경사지는 표면배수에 문제가 있으며, 식재할 때 큰 규모의 식재군을 형성해 주거나 마운딩 처리
     2. 3~8%의 경사지는 완만한 구릉지로 정지작업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식재지로는 부적당
     3. 8~15%의 경사지는 구릉지이거나 암반노출지로 토양층이 깊게 발달되지 않아서 관상수목의 집중 식재가 불가능
     4. 15~25%의 경사지는 일반적인 식재기술로는 식재가 거의 불가능

     정답 : []
     정답률 : 64%

50. 다음 중 부유식물에 해당하는 식물은?(2020년 08월)
     1. 검정말
     2. 애기부들
     3. 생이가래
     4. 물수세미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검정말 : 침수식물
애기부들 : 정수식물
물수세미 : 침수식물
[해설작성자 : 너구리 선생]

51. 습지 복원 시 고려되어야 할 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0년 09월)
     1. 기능(function)
     2. 구성(composition)
     3. 균질성(homogeneity)
     4. 역동성과 회복력(dynamics andresilience)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균질성보다는 다양성을 중시한다.
[해설작성자 : 남극 펭귄]

52. 생태계 내에 있는 모든 생물체는 서로 상호작용을 하고 있다. 서로 다른 두 개체군이 서로에게 이익이 되는 관계를 말한 것은?(2019년 03월)
     1. 기생
     2. 착생
     3. 공생
     4. 경쟁

     정답 : []
     정답률 : 88%

53. 하천코리도(corridor)fmf 계획 및 설계할 때 유의사항으로 부적합한 것은?(2010년 07월)
     1. 가능한 모든 지류를 포함하여 설계하여야 한다.
     2. 하천변의 식생은 깨끗이 정리하지 않아야 한다.
     3. 침전물의 유입이 많고 여과를 위해 폭이 불충분할 때는 밀도가 낮은 식생을 제방에 도입하여야 한다.
     4. 생물다양성이 높은 지역, 희귀종 서식지는 보전의 우선 순위에 두고 계획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4%

54. 토양수분의 유형 중 식물이 이용 가능한 유효수분은?(2016년 08월)
     1. 화합수
     2. 흡습수
     3. 모관수
     4. 중력수

     정답 : []
     정답률 : 71%

55. 생태연못 조성 위치상 잘못 된 곳은?(2017년 05월)
     1. 가급적 지하수위가 높은 곳
     2. 야생동물들의 접근이 용이한 곳
     3. 건물이나 기존 수목 등에 의해 그늘이 많은곳
     4. 인근 생물 서식처로부터 생물종 유입이 용이한 곳

     정답 : []
     정답률 : 74%

56. 이식할 수목의 뿌리돌림을 사전에 실시하는 근본적인 목적은?(2015년 08월)
     1. 운반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2. 이식구덩이 크기를 축소하기 위해
     3. 이식을 위한 굴취를 쉽게 하기 위해
     4. 이식력이 약한 수목을 이식하기 위해

     정답 : []
     정답률 : 65%

57. 침수성 식물로만 맞게 짝지어진 것은?(2016년 05월)
     1. 검정말, 물수세미, 거머리말, 말
     2. 가래, 마름, 순채, 수련, 개연꽃
     3. 갈대, 줄, 부들, 애기부들, 창포
     4. 오리나무, 버드나무류, 들메나무, 낙우송

     정답 : []
     정답률 : 79%

58. 토양의 입단화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2017년 05월)
     1. 점토는 수화반경이 작아 입잡들의 엉킴현상을 증진시킨다.
     2. 유기물이 부식되어 감에 따라 점토의 입단화를 돕는다.
     3. 식물의 가능 뿌리와 토양 생물의 활동, 사상균과 방선균의 활동은 토양 인단화를 촉진한다.
     4. 단립구조의 토양 입자들은 토양을 입단화하는 접착제 역할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56%

59.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 잔골재율, 잔골재의 입도, 반죽질기 등에 따르는 마무리하기 쉬운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을 무엇이라 하는가?(2008년 09월)
     1. 피니셔빌리티(finishability)
     2. 워커빌리티(workability)
     3. 반죽질기(consistency)
     4. 성형성(plasticity)

     정답 : []
     정답률 : 84%

60. 생태계 복원의 성공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과정인 모니터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9월)
     1. 모니터링은 복원목적에 따라 달라지나 모니터링 항목은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2. 모니터링은 지표종을 활용하기도 하며 이때에는 환경변화에 매우 민감한 종을 대상으로 한다.
     3. 생물의 모니터링은 활동 및 생활사가 계절에 따라 달라지므로 계절에 따른 조사가 중요하다.
     4. 모니터링은 기초조사, 선택된 항목의 주기적인 모니터링, 그리고 복원 주체와 학문 견구기관과의 유기적인 협조관계가 포함되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4과목 : 경관생태학


61. 종 또는 개체군의 복원에 대한 [보 기]의 설명에서 각각의 ( )에 들어갈 용어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2010년 07월)

    

     1. ① SLOSS, ② 방사(Reintroduction)
     2. ① 비오톱(Biotope), ② 포획번식(Captive Breeding)
     3. ① 포획번식(Captive Breeding), ② 방사(Reintroduction)
     4. ① 메타개체군, ② 이주(Translocation)

     정답 : []
     정답률 : 80%

62. 지난 반세기 동안 네덜란드 북해 연안과 더불어 우리나라의 서해안에서 가장 활발하게 일어났던 훼손으로 인위적으로 해안경관을 변화시켜 친환경적이지 못하며 자연적인 해안경관을 해치게 된 것은?(2007년 05월)
     1. 쓰레기 투기
     2. 해상 유류 유출 사고
     3. 간척 및 매립
     4. 연안의 수많은 양식시설

     정답 : []
     정답률 : 80%

63. 다음 그림은 하천의 차수를 나타내고 있다. 하천의 차수가 그림에서 순서대로(a-b-c) 바르게 나타낸 것은?(2011년 03월)

    

     1. 2-2-6
     2. 2-1-5
     3. 2-2-5
     4. 2-1-3

     정답 : []
     정답률 : 48%

64. 해양의 유형에 따른 경관생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0년 09월)
     1. 암반해안은 해수면의 온도에 따라 대상분포를 나타낸다.
     2. 펄갯벌은 모래질이 20% 이하에 불과하며 갑각류나 조개류가 많이 서식한다.
     3. 모래갯벌은 해수의 흐름이 빠른 수로주변이나 바람이 강한 지역의 해변에 나타나는데 보통 폭이 넓은 편이다.
     4. 자갈해안은 갯벌해안이나 모래사장에 서식하는 생물에 비해 매우 한정된 종들이 낮은 밀도로 서식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모래갯벌: 모래갯벌은 바닥이 주로 모래질로 되어 있다. 바닷물의 흐름이 빠른 해변에 주로 나타나며 해안의 경사가 급하고 갯벌의 폭이 좁은 것이 특징이다. 모래갯벌은 모래 알갱이의 평균 크기가 0.2~0.7mm정도로 유기물의 함량은 적다.
펄갯벌: 모래질이 차지하는 비율이 10%이하에 불과하지만 펄 함량은 90% 이상에 달하는 갯벌이다. 펄갯벌은 바닥이 주로 개흙질로 되어 있으며 바닷물의 흐름이 완만한 내만이나 강하구의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혼합갯벌: 혼합갯벌은 모래 - 펄 갯벌이라 부르기도 한다. 모래와 펄이 각각 90%미만으로 섞여있는 갯벌을 말하며, 혼합갯벌에는 칠게, 동죽, 맛, 가시닻해삼 등이 살고 있다.
[해설작성자 : 남극 펭귄]

65. 우리나라의 산림경관 중 건조하기 쉬운 산능선이나 암반 노출지역에 나타나는 산림식생은?(2017년 08월)
     1. 굴참나무림
     2. 서어나무림
     3. 잣나무림
     4. 소나무림

     정답 : []
     정답률 : 65%

66. 굴곡에 의한 생태적 효과 중 조각을 관통 할 때 좁고 우묵 들어간 곳으로 집중되는 효과를 무엇이라고 하는가?(2014년 08월)
     1. 반도 효과(peninsula effect)
     2. 깔때기 효과(funnel effect)
     3. 벤투리 효과(venturi effect)
     4. 울타리 효과(drift-fence effect)

     정답 : []
     정답률 : 46%

67. 위성 리모트 센싱(Remote Sensing)을 환경문제에 응용할 때의 유리한 특징으로 볼 수 없는 것은?(2010년 05월)
     1. 일시성
     2. 주기성
     3. 광역성
     4. 동시성

     정답 : []
     정답률 : 75%

68. 다음 중 지리정보체계(GIS)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는 것은?(2005년 09월)
     1. 지도자료, 속성데이터,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사람의 5대요소를 가지고 자료를 입력, 설계, 저장, 분석, 출력하는 일련의 작업을 총괄하는 개념
     2. 1966년 미국의 North Carollina 주립대학에서 개발이 시작되었으며, 통계적인 분석과 자료관리, 그래프 작성, 프로그래밍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춘 종합정보 관리시스템
     3. 지표면과 지하 및 지상공간에 존재하고 있는 각종 자연물(산, 강, 토지 등)과 인공구조물(건물, 철도, 도로 등)에 대한 위치정보와 속성정보를 컴퓨터에 입력하여 데이터 베이스화 또는 해석ㆍ처리하는 시스템
     4. 데이터베이스화된 위치정보와 속성정보를 이용하여 각종 계획수립과 의사결정 및 산업활동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만든 첨단 정보시스템

     정답 : []
     정답률 : 71%

69. 경관 자료에는 3가지 중요한 형태가 있다. 이 3가지에 속하지 않는 형태는?(2009년 08월)
     1. 항공사진
     2. 디지털 원격탐사 자료
     3. 모델링 자료
     4. 문헌자료와 센서스

     정답 : []
     정답률 : 79%

70. 비오톱 타입의 재생기간이 짧은 것부터 차례로 나열한 것은?(2011년 08월)

    

     1. ㉢ → ㉠ → ㉣ → ㉡
     2. ㉠ → ㉢ → ㉣ → ㉡
     3. ㉢ → ㉡ → ㉠ → ㉣
     4. ㉢ → ㉠ → ㉡ → ㉣

     정답 : []
     정답률 : 85%

71. 다음 종 또는 개채군의 복원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08년 05월)
     1. 포획번식
     2. 방사
     3. 근친교배
     4. 이주

     정답 : []
     정답률 : 60%

72. 보전 및 복원해야 할 대상인 자연보호구의 가치가 아닌 것은?(2017년 03월)
     1. 유전자원의 제공
     2. 환경교육의 장소제공
     3. 자연 및 생물다양성의 보전
     4. 다른 지역으로의 생물이동 방해

     정답 : []
     정답률 : 81%

73. Diamond가 제시한 보호구 설계를 위한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5월)
     1. 보호구의 면적이 클수록 바람직하다.
     2. 같은 면적일 경우 여러개로 나눠 있는 것보다 하나로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3. 패취간의 거리가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4. 같은 면적일 경우 주연부 길이가 큰 것이 유리하다.

     정답 : []
     정답률 : 68%

74. 서식지 파편화에 의한 멸종가능성이 높은 종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2007년 09월)
     1. 몸체가 작은 종
     2. 종의 확산이 쉬운 종
     3. 유전적 변이가 낮은 종
     4. 좁은 행동권을 요구하는 종

     정답 : []
     정답률 : 36%

75. 주연부 효과(edge effect)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7년 05월)
     1. 주연부 효과란 군집의 가장자리가 종 다양성이 높은 것을 말한다.
     2. 숲의 가장자리에 키 작은 나무(관목)이 빽빽하게 자란다.
     3. 추이대(ecotone)에서도 주연부 효과가 나타난다.
     4. 주연부 효과는 패치의 중심부까지 깊게 나타난다.

     정답 : []
     정답률 : 77%

76. 메타개체군 이론에는 결여 되어 있으나 경관생태학에서만 찾아 볼 수 있는 특징이 아닌 것은?(2013년 03월)
     1. 주변 환경의 질적인 변이
     2. 패치의 질적인 변이
     3. 가장자리 효과
     4. 생물의 이동

     정답 : []
     정답률 : 62%

77. 경관을 이루는 기본적인 단위는 경관요소이며,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이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2014년 08월)
     1. 공간(space)
     2. 조각(patch)
     3. 바탕(matrix)
     4. 통로(corridor)

     정답 : []
     정답률 : 68%

78. 공간에서 경관단위의 분포(공간적 관계)를 위해 Zonneveld는 “지권의 토지속성 중 최소한 하나(대기, 식생, 토양, 암석, 수문 등)에서 동질성을 갖는 가장 작은 총체적인 토지의 단위”를 무엇이라 하였는가?(2010년 05월)
     1. 에코톱(Ecotope)
     2. 모자이크(Mosaics)
     3. 매트릭스(Matrix)
     4. 패치(patch)

     정답 : []
     정답률 : 39%

79. 서식지 단편화 효과에 의해 사라질 가능성이 높은 종이 아닌 것은?(2005년 09월)
     1. 희귀종(Rare specise)
     2. 행동반경이 작은 종
     3. 잠재적 생식능력이 낮은 종
     4. 산포가 제한된 종

     정답 : []
     정답률 : 77%

80. 다음 중 코리더(corridor)의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5년 09월)
     1. 서식지
     2. 이동통로
     3. 필터
     4. 종의 단절

     정답 : []
     정답률 : 95%

81.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환경부장관은 국내에 서식하는 모든 생물종에 대하여 국가생물종 목록을 구축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 국가 생물종 목록 구축에 피요한 자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7년 03월)
     1. 생물종의 영명 및 근연종명
     2. 종별 생태적ㆍ분류학적 특징
     3. 종별 주요 서식지 및 국내 분포현황
     4. 조사자, 조사기간 및 조사방법

     정답 : []
     정답률 : 64%

82. 환경정책기본법령상 각 항목별 대기환경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8월)
     1. 아황산가스(SO2)의 1시간평균치는 0.15ppm 이하이다.
     2. 이산화질소(NO2)의 연간평균치는 0.03ppm 이하이다.
     3. 오존(O3)의 1시간평균치는 0.1ppm 이하이다.
     4. 벤젠의 연간평균치는 0.5μg/m3 이하이다.

     정답 : []
     정답률 : 67%

83. 환경정책기본법령상 해역의 생태기반 해수수질 기준 중 Ⅲ(보통) 등급의 수질평가 지수값(Water Quality Index)은?(2013년 03월)
     1. 34~46
     2. 47~59
     3. 60~72
     4. 73~85

     정답 : []
     정답률 : 75%

84. 야생동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는 멸종위기 야생생물Ⅰ급의 곤충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6년 03월)
     1. 산굴뚝 나비
     2. 상제나비
     3. 수염풍뎅이
     4. 애기뿔쇠똥구리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애기뿔쇠똥구리는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이다.
[해설작성자 : 오연수]

[곤충류]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
붉은점모시나비, 비단벌레, 산굴뚝나비, 상제나비, 수염풍뎅이, 장수하늘소
[해설작성자 : 고먐미최고]

85. 국토기본법령상 중앙행정기관의 장 및 시ㆍ도지사가 수립하는 국토종합계획 실행을 위한 소관별 실천계획은 몇 년 단위로 작성하는가?(2017년 05월)
     1. 1년
     2. 3년
     3. 5년
     4. 10년

     정답 : []
     정답률 : 67%

86. 환경정책기본법령상 아황산가스(SO2)의 대기환경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24시간 평균치이다.)(2020년 09월)
     1. 0.02ppm 이하
     2. 0.03ppm 이하
     3. 0.05ppm 이하
     4. 0.06ppm 이하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아황산가스의 기준: 연간 평균치 - 0.02 이하, 24시간 평균치 - 0.05 이하, 1시간 평균치 - 0.15 이하
    
[해설작성자 : 남극 펭귄]

87. 자연환경보전법상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자연환경조사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2018년 08월)
     1. 환경부장관은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조하여 10년마다 전국의 자연환경을 조사하여야 한다.
     2. 환경부장관은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조하여 매 5년마다 생태 • 자연도에서 1등급 권역으로 분류된 지역의 자연환경을 조사하여야 한다.
     3. 환경부장관 둥이 자연환경조사를 위하여 조사원으로 하여금 타인의 토지에 출입하고자 하는 경우,그 조사원은 출입할 날의 3일 전까지 그 토지의 소유자 • 점유자 또는 관리인에게 그 뜻을 통지하여야 한다.
     4. 규정에 의한 조사 및 관찰에 필요한 사항은 국무총리령으로 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1. 환경부장관은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조하여 5년마다 전국의 자연환경을 조사하여야 한다.
2. 환경부장관은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조하여 생태·자연도에서 1등급 권역으로 분류된 지역과 자연상태의 변화를 특별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지역에 대하여 5년마다 자연환경을 조사할 수 있다.
4. 규정에 의한 조사의 내용·방법 기타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해설작성자 : ㅇ]

2번이 틀린이유 -> 1등급 권역으로 분류된 지역의 자연환경은 2년마다 조사해야한다.    (5년 xxx -> 2년)
[해설작성자 : K7, 캠리]

88. 야생동ㆍ식물보호법상 생물자원보전시설을 등록한 자가 시설 및 요건을 갖추지 못하여 등록이 취소된 경우, 취소된 날부터 며칠이내에 그 등록증을 환경부장관에게 반납하여야 하는가?(2011년 08월)
     1. 3일 이내에
     2. 5일 이내에
     3. 7일 이내에
     4. 15일 이내에

     정답 : []
     정답률 : 81%

89.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 보전에 관한 특별법상 특정도서에서의 행위제한 대상으로 옳은 것은?(2021년 05월)
     1. 군사∙항해∙조난구조 행위
     2. 개간∙매립∙준설 또는 간척 행위
     3. 국가가 시행하는 해양자원개발 행위
     4. 천재지변 등 재해의 발생 방지 및 대응을 위하여 필요한 행위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 보전에 관한 특별법: 특정도서에서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행위제한 대상으로 적용하지 아니한다.
1. 군사 및 항해, 조난구호 행위
2. 천재지변 등 재해의 발생 방지 및 대응을 위하여 필요한 행위
3. 국가가 시행하는 해양자원개발 행위
4. [도서개발 촉진법]제6조 3항의 사업계획에 따른 개발 행위
5. [문화재 보호법]에 따라 문화재청장 또는 시 도시자사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행위
[해설작성자 : 남극 펭귄]

90. 산지관리법상 산림청장이 지정ㆍ육성할 수 있는 산지복구전문기관의 업무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0년 05월)
     1. 형질변경된 산지의 복구
     2. 산림자원 육성을 위한 조사연구
     3. 형질변경된 산지의 복구설계ㆍ감리
     4. 형질변경된 산지의 자연친화적인 복구방법의 조사ㆍ연구 및 개발

     정답 : []
     정답률 : 50%

91. 개발제한구역의지정및관리에관한특별조치법상의 개발제한 구역관리계획 수립에 대한 기술 중 맞지 않는 것은?(2005년 05월)
     1.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시ㆍ도지사는 개발제한구역을 종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개발제한구역관리계획을 수립하여 건설교통부장관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2. 개발제한구역관리계획은 5년 단위로 수립한다.
     3. 개발제한구역관리계획에는 개발제한구역 관리의 목표와 기본방향, 현황 및 실태의 조사, 토지이용 및 보전 등을 포함하여야 한다.
     4. 시ㆍ도지사가 관리계획을 수립하고자 하는 때에는 미리 관계 시장, 군수 또는 구청장의 의견을 듣고 지방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1%

92. 산지관리법에 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산림청장은 보전산지를 지정하려면 그 산지가 표시된 산지구분도를 작성하여 관계 행정기관의 장과 혐의한 후 중앙산지관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2. 산지전용ㆍ일시사용제한지역에서 사방시설의 설치로 산지를 일시 사용하는 행위는 허용된다.
     3. 산림청장은 산사태 등 재해발생이 특히 우려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산지로서 공공의 이익증진을 위하여 보전이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산지를 산지전용ㆍ일시사용제한지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
     4. 지방자치단체가 산지전용ㆍ일시사용제한지역의 지정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산지소유자와 협의하여 산지전용제한지역안의 산지를 산림청장이 정한 감정평가가격 기준으로 매수한다.

     정답 : []
     정답률 : 56%

93. 농지법령상 신고 또는 고발사항에 대한 포상금 지급기준(건당)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8월)
     1. 속임수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농지취득자격증명을 발급받은 자는 10만원이다.
     2. 용도변경의 승인을 받지 아니하고 전용된 토지를 다른목적으로 사용한 자는 60만원이다.
     3. 허가를 받지 아니하고 농지를 전용하거나 속임수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농지전용허가를 받은 자는 50만원이다.
     4. 농업진흥구역 및 농업보호구역에서의 행위제한을 위반한 자는 30만원이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2. 10만원이다
[해설작성자 : 도담이방구]

94. 다음은 환경정책기본법령상 수질 및 수생태계 상태별 생물학적 특성 이해표이다. 이에 가장 적합한 생물등급은?(2021년 08월)

    

     1. 매우 좋음 ~ 좋음
     2. 좋음 ~ 보통
     3. 보통 ~ 약간 나쁨
     4. 약간 나쁨 ~ 매우 나쁨

     정답 : []
     정답률 : 74%

95. 농지법규상 실습지 등으로 농지를 소유할 수 있는 공곤단체로 거리가 먼 것은?(2007년 05월)
     1. 한국농촌공사
     2. 농수산물유통공사
     3. 한국식품개발연구원
     4. 한국농지개발공사

     정답 : []
     정답률 : 30%

96.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용도지구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을 모두 열거한 것은?(2019년 04월)

    

     1. ㉠, ㉡
     2. ㉠, ㉢
     3. ㉡, ㉢
     4. ㉢, ㉣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경관지구 : 경관을 보전·관리 및 형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구
방재지구 : 풍수해 등의 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구
[해설작성자 : 지구방위본부]

- 방화지구: 화재의 위험을 예방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구로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도시·군관리계획으로 결정·고시된 지구
[해설작성자 : 산들로]

97. 산지관리법령산 대통령령이 정하는 토석채취허가기준 중 산지의 경사도에 관한 기준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2008년 09월)

    

     1. ① 45도, ② 1: 0.5 이하
     2. ① 45도, ② 1: 0.4 이하
     3. ① 35도, ② 1: 0.5 이하
     4. ① 35도, ② 1: 0.4 이하

     정답 : []
     정답률 : 54%

98. 습지보전법상 용어의 정의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2009년 08월)

    

     1. 하천습지
     2. 경계습지
     3. 조석습지
     4. 연안습지

     정답 : []
     정답률 : 80%

99. 다음은 자연환경보전법상 생태ㆍ자연도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2017년 05월)

    

     1. ㉠ 5만분의 1 이상, ㉡ 7일 이상
     2. ㉠ 5만분의 1 이상, ㉡ 14일 이상
     3. ㉠ 2만 5천분의 1 이상, ㉡ 7일 이상
     4. ㉠ 2만 5천분의 1 이상, ㉡ 14일 이상

     정답 : []
     정답률 : 72%

100. 다음은 농지법규성 포상금 지급기준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2014년 03월)

    

     1. 15일 이내
     2. 1월 이내
     3. 45일 이내
     4. 2월 이내

     정답 : []
     정답률 : 44%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자연생태복원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6일)(64679)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자연생태복원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6일)(64679)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6 2
39 침투비파괴검사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09월1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6 1
38 9급 지방직 공무원 공업화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6일)(4284142)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6 1
37 9급 지방직 공무원 건축계획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6일)(8567029)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6 1
36 유통관리사 3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11월1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6 1
35 9급 지방직 공무원 사회복지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6월1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6 1
34 청소년상담사 1급(1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3월29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6 1
33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공중보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6월0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6 1
32 여성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7월12일(4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6 1
31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지역사회간호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6월2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6 1
30 ERP 회계 2급 실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3월2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6 1
29 산림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6일)(939316)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6 1
28 폐기물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10월0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6 1
27 임산가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8월0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6 1
26 정보처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7월31일(4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6 1
25 수능(생명과학I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6일)(7692983)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6 2
24 소방설비산업기사(기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6일)(4098878)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6 2
23 전기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6일)(5086096)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6 2
22 TAT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4월1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6 2
21 비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5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6 3
Board Pagination Prev 1 ... 1149 1150 1151 1152 1153 1154 1155 1156 1157 1158 Next
/ 1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