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전기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6일)(5086096)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전기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전기자기학


1. 그림과 같은 직각 코일이 인 자계에 위치하고 있다. 코일에 5[A] 전류가 흐를 때 Z축에서의 토크 [Nm]는?(2012년 08월)

   

     1. 2.66×10-4ax[Nm]
     2. 5.66×10-4ax[Nm]
     3. 2.66×10-4az[Nm]
     4. 5.66×10-4az[Nm]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1. T = r X F

2. F = (I X B)* 길이

3. F = (5az X 0.05/2^1/2 * (ax+ay) * 0.08 = (5*0.05/2^1/2*0.08)* ((az X ax) + (az X ay))
                 = 0.01414 (ay-ax)

4. T = r X F = 0.04ay X 0.01414 (ay-ax) = (0.04*0.01414)*(ay X ay)(ay X -ax)
         = 5.66x10^-4 (-(-az) = 5.66x^10-4 az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 대지의 고유저항이 ρ[Ω·m]일 때 반지름 a[m]인 그림과 같은 반구 접지극의 접지저항[Ω]은?(2010년 03월)

   

     1. ρ/(4πa)
     2. ρ/(2πa)
     3. (2πρ)/a
     4. 2πρa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반구의 정전용량 C=2(파이)(입실론)a
RC=고유저항x입실론
[해설작성자 : 조봉관]

R = 고유저항 x 입실론/C    [C=2(파이)(입실론)a]
R = 고유저항 / 2 x (파이) a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렌쯔의 법칙을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2010년 03월)
     1. 전자유도에 의하여 생기는 전류의 방향은 항상 일정하다.
     2. 전자유도에 의하여 생기는 전류의 방향은 자속 변화를 방해하는 방향이다.
     3. 전자유도에 의하여 생기는 전류의 방향은 자속변화를 도와주는 방향이다.
     4. 전자유도에 의하여 생기는 전류의 방향은 자속변화와는 관계가 없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페러데이-렌쯔의 법칙 : 유도기전력 = -NdØ/dt이다
페러데이의 법칙은 유도기전력의 크기를 결정하고, 렌쯔는 방향을 결정하는데 (-)의 부호를 가지고 있으므로    유도기전력은 자속의 변화를 방해하는 방향으로 발생한다.
[해설작성자 : 허허]

4. 도전율 σ, 투자율 μ인 도체에 교류 전류가 흐를 때 표피 효과의 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08월)
     1. σ가 클수록 작아진다.
     2. μ가 클수록 작아진다.
     3. μs가 클수록 작아진다.
     4. 주파수가 높을수록 커진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전자유도에서 표피효과 문제
공식 기억
δ=루트(1/πfσμ)
이므로, 주파수가 높으면 작아진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옳지 않은 것

[추가 오류 신고]

문제 해설의 공식은 침투깊이에 대한 공식이며
표피효과는 침투깊이가 작을수록 커집니다.
따라서 표피효과는 f 가 클수록, 도전율이 클수록, 투자율이 클수록
표피효과도 커집니다.
[해설작성자 : 지나가다 들림]

[오류신고 반론]
오류없음 : 답 4번 맞음.
δ = √(2/ωσμ) = √(2/2πfσμ) = √(1/πfσμ) = √(ρ/πfμ)[m]
주파수,도전률,투자율이 클수록 침투깊이(δ)가 작게되어 표피효과가 심해짐.

[오류신고 반론]
주파수 도전율 투자율의 앞글자를 따서    주도투라고 외우시면 됩니다
주식에 도전하고 계속 투자가 커질수록 표피효과가 심해진다 라고 외우시면 됩니다
조금 억지일 수 있지만, 주식에 계속 도전하고 투자가 커질수록 표피효과가 심해진다 자꾸보면 정들고 외워집니다
[해설작성자 : 황동빈]

5. 코일 A 및 코일 B가 있다. 코일 A의 전류가 1/30초간에 10[A] 변화할 때 코일 B에 10[V]의 기전력을 유도한다고 한다. 이때의 상호 인덕턴스는 몇 [H]인가?(2009년 05월)
     1. 1/0.3
     2. 1/3
     3. 1/30
     4. 1/300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e=L*(di/dt)
시간당(초 단위) 전류변화율
[해설작성자 : 선녀와낚시꾼]

E =    M * (di/dt)
M = 상호 인덕턴스
L = 자기 인덕턴스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 낚시꾼]

6. 다음의 관계식 중 성립할 수 없는 것은? (단, μ는 투자율, μ0는 진공의 투자율, x는 자화율, J는 자화의 세기이다.)(2016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J=XH
[해설작성자 : 우주최강상큼이]

7. 자기인덕턴스의 성질을 옳게 표현한 것은?(2005년 03월)
     1. 항상 부(負)이다.
     2. 항상 정(正)이다.
     3. 항상 0이다.
     4. 유도되는 기전력에 따라 정(正)도 되고 부(負)도 된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자기인덕턴스: 자신의 회로에 단위 전류가 흐를 때의 자속쇄교수를 말하며 항상 정(+)의 값을 갖는다.
상호인덕턴스: 두 회로 사이의 관계로 두 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만드는 자속이 같은 방향이면 정(+)의 값을, 반대면 부(-)의 값을 갖는다.
[해설작성자 : 피카츄빠직]

8. Q=0.15[C]으로 대전하고 있는 큰 도체구에 그 반경이 큰구의 1/2 인 작은 도체구를 접촉했다가 떼면, 작은 도체구가 얻는 전하[C]는 얼마로 되는가?(2012년 08월)
     1. 0.01
     2. 0.05
     3. 0.1
     4. 0.2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접속시 전위가 같아지는 것을 이용하면됨
[해설작성자 : 국민대학교]

중화 현상에 의해서 전하는 반지름에 비례하여 분배.
따라서 큰 도체구에는 작은 도체구보다 2배가 분포되며, 0.15C의 전하가 큰 도체구에 0.10C, 작은 도체구에 0.05C가 분포된다.
[해설작성자 : 내가보려고남김]

C는 반지름a에 비례, Q는 C에비례, 접촉시 전위가 일정해짐
Ca가 Cb 보다 2배 크므로 Q값도 2배 큼
[해설작성자 : 너무 쉬워서 정답률80퍼가 아님에놀람]

중화현상 : 두 도체를 접촉했다 떼면 지름(반지름)에 비례해서 전하의 크기가 나눠짐.
                     -> 지름이 2배큰 곳 0.10[c]
[해설작성자 : 게이]

도체구 A의 전하 Q=Q1+Q2
Q1:대전된 후 도체구 A의 전하
Q2:대전된 후 도체구 B의 전하
두 도체구를 접속시키면 전위는 같게되므로
V=Q1/4πε0r1=Q2/4πε0r2 에서
Q2=(4πε0r2/4πε0r1)Q1 이 되고 이를 정리하면
Q2=(r2/r1)Q1=(r2/r1)(Q-Q2)에서 r,Q값을 대입
Q2=1/2(0.15-Q2)
Q2=0.05[C]
[해설작성자 : 피카츄빠직]

9. 와전류의 방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6년 05월)
     1. 일정하지 않다.
     2. 자력선의 방향과 동일하다.
     3. 자계와 평행되는 면을 관통한다.
     4. 자속에 수직되는 면을 회전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10. 내압 1000V 정전용량 1μF, 내압 750V 정전용량 2μF, 내압 500V 정전용량 5μF인 콘덴서 3개를 직렬로 접속하고 인가 전압을 서서히 높이면 최초로 파괴되는 콘덴서는?(2012년 03월)
     1. 1μF
     2. 2μF
     3. 5μF
     4. 동시에 파괴된다.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Q1= c1v1 = 1*10^-6*1000 = 1*10^-3[C]
Q2= c2v2 = 2*10^-6*750    = 1.5*10^-3[C]
Q3= c3v3 = 5*10^-6*500    = 2.5*10^-3[C]

Q1의 정전용량 1*10^-3[C]으로 제일 적으므로 가장 먼저 파괴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 그림과 같이 환상 철심에 2개의 코일을 감고, 1차 코일을 전지에 2차 코일을 검류계에 연결한다. 다음의 각 경우 중 검류계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옳게 언급된 것은?(2008년 07월)

    

     1. 스위치 K2를 닫은 다음 스위치 K1을 닫으면 전류는 b에서 a로 흐른다.
     2. 스위치 K1을 닫은 후 잠깐 있다가 스위치 K2를 닫으면 전류는 a에서 b로 흐른다.
     3. 스위치 K1과 K2를 닫아 놓고, 스위치 K1을 급히 열면 전류는 b에서 a로 흐른다.
     4. 스위치 K1과 K2를 닫아 놓고, 스위치 K2을 급히 열면 전류는 b에서 a로 흐른다.

     정답 : []
     정답률 : 45%

12. 일정전압의 직류전원에 저항을 접속하여 전류를 흘릴 때, 저항값을 20 % 감소시키면 흐르는 전류는 처음 저항에 흐르는 전류의 몇 배가 되는가?(2018년 04월)
     1. 1.0배
     2. 1.1배
     3. 1.25배
     4. 1.5배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옴의법칙에 의해 V=IR
압력이 일정하면 전류와 저항의 곱은 항상 일정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깅]

입력 V는 일정
V = IR
Va = I* x * 0.8*R
V = Va 여야 하므로
x * 0.8 = 1
x = 1.25
[해설작성자 : ID:azor19]

13. 간격이 3[cm]이고 면적이 30[cm2]인 평판의 공기 콘덴서에 220[V]의 전압을 가하면 두 판 사이에 작용하는 힘은 약 몇 [N]인가?(2021년 03월)
     1. 6.3 × 10-6
     2. 7.14 × 10-7
     3. 8 × 10-5
     4. 5.75 × 10-4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2eE^2
[해설작성자 : 공겹계속할까]

W =½cv2 = F * d

             εS*V2
∴ F=    ──────
             2*d*d
[해설작성자 : 이거 적는거 힘드네여]

W=Fd 이고 F=W/d=e*S*V^2/2*d^2 입니다
[해설작성자 : 응저]

F=QE     Q=CV    C=eS/d     E=V/d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W=0.5CV2=Fd
C=eS/d
e=8.855×10^-12
S=30×10^-4
V=220
d=3×10^-4
[해설작성자 : 마지막]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d=3x10^-2
[해설작성자 : 마지막]

[오류신고 반론]
풀이 1
F=½eE^2[N/m^2] 구하려는 것은 [N] 이므로
F=½eE^2*S[N] 이때 전계 E=V/d , 면적S 단위는[m^2]
F=½*8.855*10^-12*(220/0.03)^2*30*10^-4=7.14*10^-7

풀이 2
W=½CV^2[N*m] 구하려는 것은 [N] 이므로
W=½CV^2/d[N] 이때 C=eS/d
W=½*(eS/d)*V^2/d=½*(8.855*10^-12*30*10^-4/0.03)*220^2/0.03=7.14*10^-7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F[N] = 1 / 2 * ( V / d )^2 * ε * S ▶ 1 / 2 * ( 220 / 0.03 )^2 * 8.855 * 10^-12 * 30 * 10^-4 = 7.143 * 10^-7[N]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14. 도체 표면에서 전계 E=Exax+Eyay+Ezaz[V/m] 이고, 도체면과 법선 방향인 미소길이 dL=dxax+dyay+dzaz[m] 일 때 성립되는 식은?(2011년 06월)
     1. Exdx=Eydy
     2. Eydz=Ezdy
     3. Exdy=Eydz
     4. Eydy=Ezdz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전기력선의 방정식
dx/Ex = dy/Ey = dz/Ez
[해설작성자 : 싱싱한배추]

15. 유전률 ε=10 이고 전계의 세기가 100V/m인 유전체 내부에 축적되는 에너지 밀도는 몇 J/m3 인가?(2004년 05월)
     1. 2.5×104
     2. 5×104
     3. 4.5×109
     4. 9×109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W = 1/2(ED) > D = eE
따라서 W = 1/2 (eE^2)
                = 1/2 (10*100^2)
                = 50000 > 5*10^4
[해설작성자 : 무디]

W[J/m^3] = ( 1 / 2 ) * ε * E^2 ▶ ( 1 / 2 ) * 10 * 100^2 = 5 * 10^4[J/m^3]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16. 자성체에 외부의 자계 H0를 가하였을 때 자화의 세기 J와의 관계식은? (단, N 은 감자율, μ는 투자율이다.)(2011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H(내부자계) = H0(외부자계)-H'(감자율)
J/Xm                = H0                    -NJ/u0
J/u0(us-1)    = H0                    -NJ/u0
J                     = H0u0(us-1) / (1+N(us-1))
[해설작성자 : 전기기사떨어질운명]

17. 그림과 같이 면적 S[m2]인 평행판 콘덴서의 극판 간에 판과 평행으로 두께 d1[m], d2[m], 유전율 ε1[F/m], ε2[F/m] 의 유전체를 삽입하면 정전용량 [F]은?(2012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C = (C1*C2)/(C1+C2) (콘덴서의 직렬연결)
    = (ε1*ε2 * S2/d1*d2) / (ε1*S/d1 + ε2*S/d2) -> 분자와 분모를을 S*ε1*ε2 로 나누고 d1*d2를 곱하면
    = S / (d2/ε2 + d1/ε1)     ->1번 정답
[해설작성자 : 해설작성자]

18. 다음 식 중에서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E = -grad V
     2.
     3.
     4.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gradV는 1계미분
[해설작성자 : 원큐합격소망]

19. Z축상에 놓여 있는 선전하 밀도 λ = 2πε[C/m] 인 균일한 선전하에 의한 점 (1,2,4)를 통과하는 전기력선의 방정식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2006년 05월)
     1. y = 0.5x
     2. y = x
     3. y = 2x
     4. y = 4x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z축상에 놓여있으므로 전기력선은 xy평면의 모든방향으로 원점에서부터 균일하게 뻗어나갑니다.
이때 x=1 y=2와 원점, 두점을 동시에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3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_<]

20. 반지름 a[m]의 반구형 도체를 대지표면에 그림과 같이 묻었을 때 접지저항 r[Ω]은? (단, p[Ωㆍm]는 대지의 고유저항이다.)(2014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구형 도체일때 V = Q / (4πεr) 이므로 C = 4πεr.
반구형이므로 C = 2πεr.
R x C = ρxε 에서 C를 대입하여 정리하면
R =    ρ/ (2πa).
[해설작성자 : 화이팅]

2과목 : 전력공학


21. 송전선에서 재폐로 방식을 사용하는 목적은?(2018년 03월)
     1. 역률 개선
     2. 안정도 증진
     3. 유도장해의 경감
     4. 코로나 발생방지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재폐로 방식은 가공배전 선로에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신속하게 차단과 투입을 2~3회 반복하면서 사고가 해결되면 정상 송전하고 사고가 해결 되지 않을 경우 완전 개방(Lock out)시켜 송전을 함에 있어서 안정도를 증진시킨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2. 송전 계통에서 자동재폐로 방식의 장점이 아닌 것은?(2016년 05월)
     1. 신뢰도 향상
     2. 공급 지장 시간의 단축
     3. 보호 계전 방식의 단순화
     4. 고장상의 고속도 차단, 고속도 재투입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교류 계통에서는 차단기, 재폐로, 단로기 같은 여러가지 기기들이 들어옴으로 써 보호 계전 방식이 복잡해집니다.
[해설작성자 : 2.0]

23. 배전반에 접속되어 운전 중인 계기용 변압기(PT) 및 변류기(CT)의 2차측 회로를 점검할 때 조치사항으로 옳은 것은?(2019년 03월)
     1. CT만 단락시킨다.
     2. PT만 단락시킨다.
     3. CT와 PT 모두를 단락시킨다.
     4. CT와 PT 모두를 개방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PT(변압기)
110V/고전압 -> 저전압/개방
CT(변류기)
5A/대전류 -> 저전류/단락
[해설작성자 : Pokdo]

CT 개방시, R=무한대 -> 철심 자기포화로 과열, 고전압 유기
     개피
     단씨     ->"계(개)단이 있는 피씨"
[해설작성자 : 원큐합격소망]

암기 개PT단CT
[해설작성자 : 아재]

24. 한 대의 주상변압기에 역률(뒤짐) cosθ1, 유효전력 P1(kW)의 부하와 역률(뒤짐) cosθ2, 유효전력 P2(kW)의 부하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을 때 주상변압기 2차 측에서 본 부하의 종합역률은 어떻게 되는가?(2019년 04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문제에서 P 단위가 [KW]기 때문에 유효전력인거고
유효전력은 피상전력뒤에 코사인이 곱해져있는거고, 탄젠트는 코사인분에 사인세타니까 답3번
[해설작성자 : 이게 답이지ㅇㅇ]

왜냐하면 기준이 유효전력이기 때문이죠. 유효전력을 무효전력으로 표현하는 방법은 유효전력 P에 sin?를 곱하는 것이 아닌 tan?를 곱하는 것입니다.
[해설작성자 : 피카츄]

피상전력에 COS세타를 곱하면 유효전력                                     피상전력=루트((유효전력)^2+(무료전력)^2)
피상전력에 SIN세타를 곱하면 무효전력                                     역율=유효전력/피상전력
역으로 유효전력에 COS세타를 나누면 피상전력                                =P1+P2(유효전력)/루트((P1+P2)^2+(P1tan세타+P2tan세타)^2
역으로 무효전력에 SIN세타를 나누면 피상전력
(유효전력/COS세타)*SIN세타= 무효전력=유효전력*(sin/cos)=유효전력*tan세타
[해설작성자 : 아재]

25. 정전압 송전방식에서 전력원선도를 그리려면 무엇이 주어져야 하는가?(2009년 05월)
     1. 송수전단 전압, 선로의 일반회로정수
     2. 송수전단 전류, 선로의 일반회로정수
     3. 조상기 용량, 수전단 전압
     4. 송전단 전압, 수전단 전류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전력 원선도 작성시 필요한 것
- 송전단 전압
- 수전단 전압
- 회로 정수
[해설작성자 : ㅅㅅㅅ]

26. 22.9[kV] 가공배전선로에서 주 공급선로의 정전사고 시예비 전원 선로로 자동 전환되는 개폐장치는?(2008년 05월)
     1.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
     2. 자동선로 구분 개폐기
     3. 자동부하 전환 개폐기
     4. 기중부하 개폐기

     정답 : []
     정답률 : 65%

27. 수차를 돌리고 나온 물이 흡출관을 통과할 때 흡출관의 중심부에 진공상태를 형성하는 현상은?(2012년 03월)
     1. racing
     2. jumping
     3. hunting
     4. caviatation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물이 고속으로 이동하면서 압력으로 인한 진공상태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Cavitation(공동현상)이라고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8. 그림과 같은 송전계통에서 S점에 3상 단락사고가 발생했을 때 단락전류(A)는 약 얼마인가? (단, 선로의 길이와 리액턴스는 각각 50㎞, 0.6Ω/㎞이다.)(2021년 05월)

    

     1. 224
     2. 324
     3. 454
     4. 554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기준용량 20mva 발전기 %리액턴스=20/2(병렬)=10%
변압기 %리액턴스=20(기준용량)/40×8=4%
선로 리액턴스=PX/10V^2=20000×30(0.6×50)/10×110^2
총 리액턴스=10+4+4.95
단락전류=100/18.95×(20000/루트3×110)=553.96
많이 어렵네요 다른방법으로 리액턴스 환산하는 방법도 있는데 이 방법이 더 쉬울듯
[해설작성자 : 합격하자]

기준용량 40[MVA] 선정
발전기 %리액턴스 = 40/2=20%
변압기 %리액턴스 = 8%
선로 리액턴스= 50km x 0.6 = 30
선로측 %리액턴스 PX/10V^2= 40000 x 30/10 x 110^2 = 9.92
총 리액턴스 20 + 8 + 9.92 = 37.92
단락전류 = 100/%X x P/루트3 X V = 100/37.92 x 40000/루트3 x 110 = 553.65 A
같은 방법으로 기준용량 바꿔서 해봤어요
다들 합격해서 좋은 일만 생기기를
[해설작성자 : 어제보다 행복한 오늘]

옴법풀이
발전기 1대의 고압측 환산 리액턴스
        Zg = (10V^2 X %Zg) / P = (10*110^2 X 20) / 20000 = 121Ω
병렬 연결이므로 121/2 = 60.5Ω

다음 변압기의 고압측 환산 리액턴스
        Zt = (10*110^2 X 8) / 40000 = 24.2Ω (위 식과 동일, 대신 각 변압기 P값 혼동조심)
다음 선로 리액턴스
        ZL = 길이 X 리액턴스 = 50X0.6 = 30Ω
따라서) Z = Zg+Zt+ZL = 114.7Ω

단락전류 Is = 110*10^3 / root3 X 114.7 = 553.69[A]
[해설작성자 : 무디]

29. 전선의 표피효과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5년 03월)
     1. 전선이 굵을수록, 주파수가 낮을수록 커진다.
     2. 전선이 굵을수록, 주파수가 높을수록 커진다.
     3. 전선이 가늘수록, 주파수가 낮을수록 커진다.
     4. 전선이 가늘수록, 주파수가 높을수록 커진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δ=√(1/πfσμ)[m] 에서 δ: 침투깊이, σ: 도전율, f: 주파수, μ: 투자율
따라서 투자율, 도전율, 투자율이 클수록 δ가 감소하고
침투깊이(표피두께)가 감소하므로 표피효과는 증가한다.
[해설작성자 : 피카츄빠직]

30. 수전용 변전설비의 1차측 차단기의 용량은 주로 어느 것에 의하여 정해지는가?(2012년 08월)
     1. 수전 계약 용량
     2. 부하 설비의 용량
     3. 공급측 전원의 단락 용량
     4. 수전전력의 역률과 부하율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차단 = 단락임

31. 임피던스 Z1, Z2 및 Z3를 그림과 같이 접속한 선로의 A쪽에서 전압파 E가 진행해 왔을 때 접속점 B에서 무반사로 되기 위한 조건은?(2015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투과계수 감마=(Z_2-Z_1)/(Z_1+Z_2)이고
본 문제에서 Z_1=Z_1, Z_2=(Z_2||Z_3)
감마가 0일 경우, Z_1=(Z_2||Z_3).
병렬연결을 풀이하고 보기와 식을 비교하면 답은 3번
[해설작성자 : 기모리]

32. 전력 계통의 안정도 향상 대책으로 직렬 리액턴스를 적게 하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2009년 07월)
     1. 발전기의 리액턴스를 적게 한다.
     2. 변압기의 리액턴스를 적게 한다.
     3. 복도체를 사용한다.
     4. 단락비가 작은 발전기를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직렬 리액턴스를 적게
1. 발전기나 변압기의 리액턴스를 작게 한다,
2. 발전기의 단락비를 크게 한다,
3. 선로의 병행 회전수를 늘리거나 복도체 또는 다도체 방식을 사용한다
4. 직렬 콘덴서를 삽입하여 선로의 리액턴스를 보상한다.
[해설작성자 : ㅇㅇ]

33. 수차 발전기에 제동권선을 설치하는 주된 목적은?(2017년 05월)
     1. 정지시간 단축
     2. 회전력의 증가
     3. 과부하 내량의 증대
     4. 발전기의 안정도 증진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제동권선 -> 난조방지(발전기 안정도 증가)
[해설작성자 : ㅈㅈㅎ]

34. 교류 송전방식에 비교하여 직류 송전방식을 설명할 때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7월)
     1. 선로의 리액턴스가 없으므로 안정도가 높다.
     2. 유전체손은 없지만 충전용량이 커지게 된다.
     3. 코로나손 및 전력손실이 적다.
     4. 표피효과나 근접효과가 없으므로 실효저항의 증대가 없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직류송전은 유전체와 상관없다
[해설작성자 : 혁이]

35. 최근에 우리나라에서 많이 채용되고 있는 가스절연개폐설비(GIS)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2018년 08월)
     1. 대기 절연을 이용한 것에 비해 현저하게 소형화 할 수 있으나 비교적 고가이다.
     2. 소음이 적고 충전부가 완전한 밀폐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안정성이 높다.
     3. 가스 압력에 대한 엄중 감시가 필요하며 내부 점검 및 부품 교환이 번거롭다.
     4. 한랭지, 산악 지방에서도 액화 방지 및 산화 방지 대책이 필요 없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가스절연개폐설비(GIS)의 장점
1. 충전부가 대기에 노출되지 않아 안정성, 신뢰성이 높다.
2. 감전사고 위험이 적다.
3. 밀폐형으로 배기 소음이 없다.
4. 소형화 가능.
5. 보수, 점검이 용이하다.

가스절연개폐설비(GIS)의 단점
1.사고의 대응이 부적절한 경우 대형사고 유발 우려가 있다.
2. 고장시 조기복구, 임시복구다 불가능 하다.
3. SF6 가스의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4. 내부점검 및 부품교환이 번거롭다.
5. 한랭지, 산악 지방에서도 액화 방지 및 산화 방지 대책이 필요 하다.

36. 설비 A가 150kW, B 가 350kW, 수용률이 각각 0.6, 0.7일 때 합성최대전력이 279kW이면 부등률은?(2009년 07월)
     1. 1.1
     2. 1.2
     3. 1.3
     4. 1.4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부등률=∑(설비용량*수용률)/합성최대전력
(150*0.6)+(350*0.7)/279=1.2
[해설작성자 : 왕배]

37. 변전소에서 접지를 하는 목적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기기의 보호
     2. 근무자의 안전
     3. 차단 시 아크의 소호
     4. 송전시스템의 중성점 접지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계전기가 동작하고 트립코일이 여자되어 차단기가 개방될 때 차단기의 접점이 떨어지며 아크가 발생한다.
이 때 아크를 소호시키는 방법에 따른 종류의 구분이 OCB,VCB,GCB등으로 나뉘며, 접지와는 관계가 없다.
[해설작성자 : 안승진]

38. 조속기의 폐쇄시간이 짧을수록 나타나는 현상으로 옳은 것은?(2020년 08월)
     1. 수격작용은 작아진다.
     2. 발전기의 전압 상승률은 커진다.
     3. 수차의 속도 변동률은 작아진다.
     4. 수압관 내의 수압 상승률은 작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조속기 폐쇄시간이 짧다?
조속기는 수차발전기에서 속도를 조절하는 친구임
때문에 폐쇄시간이 짧으면 당연히 속도 변동률이 작아짐
[해설작성자 : 킹갓대호]

조속기 : 수차의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출력을 가감하기 위하여 수차의 입력, 즉 유량을 조절하는 장치

속도변동률 = (수차의 최대 회전속도-정격회전속도)/정격회전속도 ×100%
이므로 조속기의 폐쇄시간이 짧을수록 수차의 최대 회전속도가 감소하여 속도변동률은 작아진다
[해설작성자 : 피카츄빠직]

39. 단선 고장시의 이상전압이 최저인 접지방식은?(2004년 08월)
     1. 직접 접지식
     2. 비접지식
     3. 고저항 접지식
     4. 소호리액터 접지식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1. 직접 접지식 : 중성점을 직접 접지하여, 지락 사고시 전위 상승이 작다. 문제의 이상전압이 최저
4. 소호 리액터 접지식 : 지락 전류가 최소이다. 계속 송전이 가능하고 이상 전압이 가장 크다.
[해설작성자 : 을지 장원]

40. 사고, 정전 등의 중대한 영향을 받는 지역에서 정전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예비전원용 배전선로로 전환하는 장치는?(2020년 06월)
     1. 차단기
     2. 리클로저(Recloser)
     3. 섹셔널라이저(Sectionalizer)
     4. 자동부하 전환개폐기(Auto Load Transfer Switch)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배전선로 보호협조: 변전소 차단기 - 리클로저 - 섹셔너라이저 -    라인 퓨즈
고장구간 자동개폐기: 수용가의 구내 고장이 배전선로에 파급되는 것을 방지
자동부하 절체 개폐기: 주전원이 정전되면 자동적으로 예비전원으로 절체
[해설작성자 : ㅅㅅㅅ]

문제 제목을 보면, "정전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 4번을 보면 자동부하 전환개폐기("Auto" Load Transfer Switch)
제목의 "자동" 과, 4번의 Auto가 연결.
[해설작성자 : 나에게도행운이]

3과목 : 전기기기


41. 변압기의 임피던스 전압이란?(2009년 07월)
     1. 정격 전류시의 2차측 단자전압이다.
     2. 변압기의 1차를 단락, 1차에 1차 정격전류와 같은 전류를 흐르게 하는데 필요한 1차 내압이다.
     3. 정격 전류가 흐를 때의 변압기 내의 전압 강하이다.
     4. 변압기의 2차를 단락, 2차에 2차 정격전류와 같은 전류를 흐르게 하는데 필요한 2차 전압이다.

     정답 : []
     정답률 : 71%

42. 3상 유도 전동기의 회전방향은 이 전동기에서 발생되는 회전 자계의 회전 방향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2012년 08월)
     1. 아무 관계도 없다.
     2. 회전 자계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3. 회전 자계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4. 부하 조건에 따라 정해진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대칭 3상 권선에 3상 교류 전압을 공급하여 회전 자계가 발생하면, 회전자는 회전 자계보다 느리게 회전자계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해설작성자 : WY합격]

43. 전부하시의 단자전압이 무부하시의 단자전압보다 높은 직류발전기는?(2022년 04월)
     1. 분권발전기
     2. 평복권발전기
     3. 과복권발전기
     4. 차동복권발전기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전부하시의 단자전압: V_n
무부하시의 단자전압: V_0
V_0<V_n(전압변동률 음수)인 발전기: 과복권, 직권
V_0=V_n(전압변동률 0)인 발전기: 평복권
V_0>V_n(전압변동률 양수)인 발전기: 타여자, 부족복권, 분권
[해설작성자 : 곧시험]

44. 다음 사이리스터 중 3단자 사이리스터가 아닌것은?(2005년 03월)
     1. SCS
     2. SCR
     3. GTO
     4. TRIAC

     정답 : []
     정답률 : 64%

45. 3상 4극 220[V]인 유도 전동기의 권선이 2병렬 델타(△× 2)결선으로 되어 있다. 결선을 고쳐 3상 380[V]로 사용하려면 다음중 옳은 것은?(2004년 03월)
     1. △×1
     2.
     3.
     4.

     정답 : []
     정답률 : 47%

46. 발전기의 단자부근에서 단락이 일어났다고 하면 단락전류는?(2003년 08월)
     1. 계속 증가한다.
     2. 발전기가 즉시 정지한다.
     3. 일정한 큰 전류가 흐른다.
     4. 처음은 큰 전류이나 점차로 감소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단락해서 임피던스 0이니까 전류커짐 전류가 커진다 전압강하가 커짐 단자전압 감소 다시 전류 감소
[해설작성자 : 로니콜먼]

47. 60Hz 의 변압기에 50Hz 의 동일전압을 가했을 때의 자속밀도는 60Hz 때와 비교하였을 경우 어떻게 되는가?(2019년 03월)
     1. 로 감소
     2. 으로 증가
     3. 로 감소
     4. 으로 증가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E= 4.44fBΦ
E가 일정하며 f값이 줄어든다면 자속밀도는 증가한다.
f^1 이므로 6/5만큼 증가
[해설작성자 : PokDo]

위 해설 잘못된 듯 해요
자속과 자속밀도 관계 : B=Φ/A
변압기 유기기전력 : E = 4.44fΦN= 4.44f B A N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변압기에서 f와 B는 반비례 관계
f가 60에서 50으로 감소 시 B는 1.2배 증가해요
[해설작성자 : 흠?]

48. 3300/210[V], 10[kVA]의 단상변압기가 있다. % 저항강하는 3[%], % 리액턴스 강하는4[%]이다. 이 변압기가 무부하인 경우의 2차 단자전압은 약 몇[V]인가? (단, 변압기는 지역률 80[%]일 때 정격출력을 낸다고 한다.)(2008년 05월)
     1. 168
     2. 216
     3. 220
     4. 228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지역률일때는 +
진역률일때는 - 주의하세용
[해설작성자 : 전기기사합격!!]

3*0.8 + 4*0.6 =4.8% = (Vo - 210 / 210)*100
V0 = 22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전압변동률)ε[%] = ( p * cosθ ) + ( q * sinθ ) ▶ ( 3 * 0.8 ) + ( 4 * 0.6 ) = 4.8[%]
V2[V] = V * ( 1 + ε / 100 ) ▶ 210 * ( 1 + 4.8 / 100 ) = 220.08[V]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49. SCR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5월)
     1. 3단자 소자이다.
     2. 스위칭 소자이다.
     3. 직류 전압만을 제어한다.
     4. 적은 게이트 신호로 대전력을 제어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SCR은 3단자 스위칭 소자로 적은 게이트 신호로 대전력을 제어한다.
SCR은 게이트에 (+)의 트리거 펄스가 인가되면 통전 상태로 되어 정류작용(교류->직류)을 개시한다.
[해설작성자 : 짱예원]

50. 단락비가 큰 동기기는?(2005년 05월)
     1. 전기자 반작용이 크다.
     2. 기계가 소형이다.
     3. 전압변동율이 크다.
     4. 안정도가 높다.

     정답 : []
     정답률 : 65%

51. 그림과 같은 변압기에서 1차 전류는 몇 A 인가?(2006년 08월)

    

     1. 0.8
     2. 8
     3. 10
     4. 20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권수비 = 루트(R1/R2) ▶ 5 = 루트(R1/5) ▶ 5^2 = R1/5 ▶ R1 = 125
I = 100 / 125 = 0.8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권수비a=I2/I1이라 5가 아니라 1/5 아닌가용??
[해설작성자 : 삼척블루파워 합격하자]

52. 유도전동기 1극의 자속을 , 2차 유효전류 I2cosθ2, 토크 τ의 관계로 옳은 것은?(2022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토크=k*자속*2차유효전류
[해설작성자 : 파이팅무]

53. 상전압 200V인 3상 반파정류회로에 SCR을 사용하여 위상제어를 할 때 제어각이 60°이면 직류 출력 전압은 약 몇 V 인가?(2006년 08월)
     1. 117
     2. 187
     3. 216
     4. 234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직류 출력 전압 Ed = (3√6/2π)*V*cosθ = (3√6/2π)*200*cos60 = 117[V]
[해설작성자 : Jacky]

3상 반파 직류 출력 전압)Ed[V] = ( 3√6 / 2π) * V * cosθ ▶ 1.17 * 200 * cos60˚ = 117[V]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54. 송전 계통에 접속한 무부하의 동기 전동기를 동기조상기라 한다. 이때 동기 조상기의 계자를 과여자로 해서 운전할 경우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5월)
     1. 콘덴서로 작용한다.
     2. 위상이 뒤진 전류가 흐른다.
     3. 송전선의 역률을 좋게 한다.
     4. 송전선의 전압강하를 감소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콘덴서는 진상이니까 앞선다

55. 유도 전동기와 직결된 전기 동력계의 부하 전류를 증가하면 유도 전동기의 속도는?(2012년 03월)
     1. 증가한다.
     2. 감소한다.
     3. 변함이 없다.
     4. 동기 속도로 회전한다.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유도 전동기와 직결된 전기 동력계의 부하 전류를 증가하면 전기 동력계에 역방향의
토크가 발생하므로 유도 전동기의 속도는 감소한다.
[해설작성자 : Jacky]

56. 단상 정류자전동기의 일종인 단상 반발전동기에 해당되는 것은?(2021년 05월)
     1. 시라게전동기
     2. 반발유도전동기
     3. 아트킨손형전동기
     4. 단상 직권 정류자전동기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 단상 정류자전동기 *
아트킨손, 톰슨, 데리

1. 시라게 전동기 - 3상 분권 정류자 전동기(3상 분권형)
4. 단상 직권 정류자전동기 - 유도보상직권, 직권, 보상직권(단상 직권형)
[해설작성자 : 모슬포]

57. 10[kVA], 2000/100[V] 변압기의 1차 환산 등가 임피던스가 6+j8[Ω]일 때 % 리액턴스 강하는 몇 [%]인가?(2007년 05월)
     1. 1.5
     2. 2
     3. 5
     4. 10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I[A] = P / V ▶ 10 * 10^3 / 2000 = 5[A]
%리액턴스강하)q[%] = ( I * X / V ) * 100 ▶ ( 5 * 8 / 2000 ) * 100 = 2[%]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58. 단락비가 큰 동기 발전기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3월)
     1. 전압 변동률이 크다.
     2. 전기자 반작용이 작다.
     3. 과부하 용량이 크다.
     4. 동기 임피던스가 작다.

     정답 : []
     정답률 : 61%

59. 50Hz로 설계된 3상 유도전동기를 60Hz에 사용하는 경우 단자전압을 110%로 높일 때 일어나는 현상으로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철손불변
     2. 여자전류감소
     3. 온도상승증가
     4. 출력이 일정하면 유효전류 감소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1.철손 = f*B^2 = f*(자속/면적)^2 = f*E /(4.44*N*f*면적)
즉, 철손= E^2/f에 비례.
E->1.1E,f'=0.6/0.5*f    => (1.1)^2/1.2 = 1.008, 거의 변화가 없다.
2.E=V-Ia*Ra, V가 1.1배 증가-> Ia 증가 -> If 감소 (분권전동기로 가정시)
3.I는 변화가 없으므로 온도상승 없음
4.출력 일정 =    V상승분만큼 감소.
[해설작성자 : 원큐합격소망]

1. 철손=히스테리시스손∝(fB)2∝(fΦ)2∝E2/f=1.12/1.2=1.008 -> 불변
2. 여자전류∝Φ∝E/f=1.1/1.2 -> 감소
3. 온도∝철손 -> 불변
4. Icosθ=P/E -> 감소
[해설작성자 : 데자와]

60. 단상 변압기의 병렬운전 조건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2011년 08월)
     1. 각 변압기의 극성이 일치할 것
     2. 각 변압기의 권수비가 같고 1차 및 2차 정격전압이 같을 것
     3. 각 변압기의 백분율 임피던스 강하가 같을 것.
     4. 각 변압기의 저항과 임피던스의 비는 x/r 일 것.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단상변압기 병렬운전조건
1. 극성이 같을 것
2. 권수비 같고, 1차2차 정격전압 같을 것
3. 백뷴율 임피던스 강하가 같을 것
4. r/x 비가 같을 것

4과목 :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61. 의 상태 변수를 라 할때, 시스템 매트릭스(system matrix)는?(2014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편법으로 상태변수를 하위항부터 오른쪽으로 넘기면됨 그러면 -2 -1 이 넘어가서 3번
[해설작성자 : ㅇㅇ]

62. 어떤 제어계에 단위 계단 입력을 가하였더니 출력이 1-e-2t로 나타났다. 이 계의 전달함수는?(2014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출력/입력 -> (1/s - 1/s+2) / 1/s = 1 - s/s+2 = 2 / s+2
[해설작성자 : 응 단위계단 함수의 라플라스 변환 고려해야돼~]

R(S) = 1/S
C(s) = 1 → 1/S
             e^(-2t) → 1/(S+2)
G(s) = C(S) / R(S)
         = [1/S - 1/(S+2)] / 1/S
         = 2 / S+2
[해설작성자 : ㅅㅅㅅ]

63. 전달함수 에 ω =0.1인 정현파 입력을 주었을 때 보드선도의 이득은?(2013년 03월)
     1. -40[dB]
     2. -20[dB]
     3. 0[dB]
     4. 20[dB]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g = 20 * log|G(jw)|
    = 20 * log|1 / [jw * (jw + 10)]
    = 20 * log|1 / [w * root(w^2 + 10^2)]
    = 20 * log|1 / [0.1 * root(01^2 + 10^2)]
    = 20 * log|1 / 1|
    = 0 [dB]

[추가 해설]

g = 20loglG(jω)l = 20logl1/[jω(jω+10)]l = 20log[1/ω√(ω^2+10^2)]lω=0.1
    = 20log[1/0.1*√(0.1^2+10^2)] = 20log1 = 0[dB]

64. 그림과 같은 블록선도에서 C(s)/R(s) 의 값은?(2014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1%

65. 와 같은 함수를 상태함수로 변환 하였다. 벡터 A, B의 값으로 적당한 것은?(2018년 04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편법 ---> +5 , +4 부호바꿔서 반대로 -4     -5 대입하면 답
[해설작성자 : 홍스치킨]

66. 4단자망의 파라미터 정수에 관한 서술 중 잘못된 것은?(2007년 05월)
     1. ABCD 파라미터 중 A 및 D는 차원(dimension)이 없다.
     2. h 파라미터 중 h12 및 h21은 차원이 없다.
     3. ABCD 파라미터 중 B는 어드미턴스, C는 임피던스의 차원을 갖는다.
     4. h 파라미터 중 h11은 임피던스, h22는 어드미턴스의 차원을 갖는다.

     정답 : []
     정답률 : 60%

67. 그림의 블록선도에 대한 전달함수 C/R는?(2019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메이슨 전방경로/(1-(각 루프 합) + 겹치지않는 루프간 곱 ...) 전방경로=G1G2G3, 루프1=-G1G2G4, 루프2=-G2G3 답3번
[해설작성자 : 현우 못생김]

68. 그림과 같은 회로의 전달함수는?(2006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E0= E0분의 저항/ 전체 저항 * E1

E0분의 저항 = R2+1/(C2*s)
전체 저항 R1+R2+1/(C2*s)

그러므로 E0 = (R2*C2*s+1)/((R1+R2)*C2*s+1) * E1
[해설작성자 : 기사필기만 5번]

69. 그림의 시퀀스 회로에서 전자접촉기 X에 의한 A접점(Normal open contact)의 사용 목적은?(2019년 04월)

    

     1. 자기유지회로
     2. 지연회로
     3. 우선 선택회로
     4. 인터록(interlock)회로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자기유지
한번 동작된 회로가 취급한 상태를 원래대로 하여도 정해진 다른 값이 입력되기 전까지 계속 동작하고 있는 것을 자기유지회로라고 한다.
[해설작성자 : 화이팅!]

70. 어떤 제어계에서 입력신호를 가한 다음 출력신호가 정상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의 응답은?(2004년 05월)
     1. 정상응답
     2. 선형응답
     3. 과도응답
     4. 시간응답

     정답 : []
     정답률 : 45%

71. 대칭좌표법에서 대칭분을 각 상전압으로 표시한 것 중 틀린 것은?(2018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1번 영상전압,    2번 정상전압,     3번 역상전압
[해설작성자 : 용산철도고 현자]

72. 회로에서 4단자 정수 A, B, C, D의 값은?(2019년 04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4단자망 π형회로나 T형회로 행렬 외워서 푸는게 아니라 행렬3개 만들고 곱해서 풀면 안외워도품 ㅇㅇ
Zc→Za→Zb 순으로 만들면 되고
| 1     0 | * | 1 Za | * | 1     0 | = 4번처럼 나옴 답4번
|1/Zc 1 |     | 0    1 |     |1/Zb 1 |
[해설작성자 : 일주일뒤시험]

73. 다음과 같은 회로에서 t=0+ 에서 스위치 K 를 닫았다. i1(0+), i2(0+)는 얼마인가?(2003년 05월)

    

     1. i1(0+) = 0, i2(0+) = V/R2
     2. i1(0+) = V/R1, i2(0+) = 0
     3. i1(0+) = 0, i2(0+) = 0
     4. i1(0+) = V/R1, i2(0+) = V/R2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C는 처음에0 나중에 무한대로 작용
L은 처음에 무한대 나중에 0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해설작성자 : 토리]

74. 다음 그림은 전압이 10[V]인 전원장치에 가변저항과 전열기를 연결한 회로이다. 가변저항이 5[Ω]일 때, 회로에흐르는 전류는 1[A]이다. 가변저항을 15[Ω]으로 바꾸고 전열기를 4초 동안 사용 할 경우 전열기에서 소비되는 전력[W]은 얼마인가? (단, 전원장치의 전압과 전열기의 저항은 일정하다)(2011년 06월)

    

     1. 1.25
     2. 1.5
     3. 1.88
     4. 2.0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1A * (5 + R ) = 10
- R = 5

Pt = V^2 / R
     = 10^2 / 20
Pr = 5 * (5/20)
     = 1.25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전체저항)Rt[Ω] = V / I ▶ 10 / 1 = 10[Ω]
전체저항)10[Ω] = 5 + Rh ▶ (전열기)Rh[Ω] = 5[Ω]
가변저항 15[Ω]으로 변경시 전류) I[A] = V / ( R + Rh ) ▶ 10 / ( 15 + 5 ) = 0.5[A]
가변저항 15[Ω]으로 변경시 전열기에서 소비되는 전력)P[W] = I^2 * Rh ▶ 0.5^2 * 5 = 1.25[W]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75. 최대값이 Im인 정현파 교류의 반파정류 파형의 실효값은?(2018년 08월)
     1. Im / 2
     2. Im / √2
     3. 2Im / π
     4. πIm / 2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파고율=최대값/실효값        최대값Vm     실효값 Vm/루트2    →    Vm/Vm/루트2 = 루트2
[해설작성자 : 아재]

루트(i^2/2파이*적분 (파이에서 0까지) sin세타) = 루트(i^2/2파이*적분((루트1-cos2세타))/2)= i/2
[해설작성자 : 알아볼라나..?]

76. 그림과 같은 구형파의 라플라스 변환은?(2017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2u(t)-2u(t-4) = 2/s-(2/s)*e^-4s = 2/s(1-e^-4s)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Laplace Transform 기본 정의
: 주어진 함수 f(t)와 시간 t≥0 에 대하여 f(t)의 라플라스 변환 L{f(t)} = F(s) = ∫∞~0 exp^(-st)·f(t)dt

f(t)는 0~4까지 2의 값을 가지는 함수이므로,
L{2} = ∫∞~0 exp^(-st)·2 dt
                 = -2/s x exp^(-st)│4~0 = -2/s x exp^(-4s) - (-2/s) x 1 = 2/s x {1 - exp^(-4s)}

Laplace 변환의 기본을 묻는 문제!
[해설작성자 : 나대로]

77. 그림과 같은 파형의 순시값은?(2012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Vmsin(wt플마위상각)
[해설작성자 : 로니컬먼]

78. 각 상의 임피던스가 R+jX[Ω]인 것을 Y 결선으로 한 평형 3상 부하에 선간전압 E[V]를 가하면 선전류는 몇 [A]가 되는가?(2013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상전류 Ip = (E/root3)/Z = E/root3*Z
Y결선에서 상전류와 선전류는 서로 같음
그러므로 답은 4번
[해설작성자 : 똑똑한 똘똘이]

79. z 변환 함수 Z/(Z-e-aT)에 대응되는 라플라스 변환과 이에 대응되는 시간함수는?(2008년 07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δ(t)     → 1             → 1
u(t)        → 1/s         → z/(z-1)
t             → 1/s^2     → Tz/(z-1)^2
e^(-at) → 1/(s+a) → z/(z-e^(-at))
[해설작성자 : ㅅㅅㅅ]

80. 는?(2022년 04월)
     1. δ(t)+e-t(cos2t-sin2t)
     2. δ(t)+e-t(cos2t+2sin2t)
     3. δ(t)+e-t(cos2t-2sin2t)
     4. δ(t)+e-t(cos2t+sin2t)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3번-δ(t)+e-t(cos2t-2sin2t)
                             2-2.2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s^2+2s+5+s-3/s^2+2s+5
=> 1+    s-3/s^2+2s+5
=> 1+    (s+1)-4/(s+1)^2+4
여기서 s+1을 s로 하면
s/s^2+4    -    4/s^2+4로 정리됨
[해설작성자 : 몰라몰라]

@몰라몰라 님께서 정리한식으로 풀면...

F(s) = (s^2 + 3s + s) / (s^2 + 2s + 5)
= (s^2 + 2s + 5 + s - 3) / (s^2 + 2s + 5)
= 1 + (s-3) / (s^2 + 2s + 5)
= 1 + (s-3) / (( s+ 1)^2 + 2^2)
= 1 + (s+1 -4) / (( s+ 1)^2 + 2^2)
= 1 + (s+1)/ (( s+ 1)^2 + 2^2) - 2 x 2 / (( s+ 1)^2 + 2^2)

역라프라스 처리를 하면.
delta(t) + e^-t x cos 2t - e&-t x sin 2t
= delta(t) + e^-t (cos 2t - sin 2t)
[해설작성자 : jj]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jj님이 역라플라스후 sin항 앞에 2를 빼먹으신 것 같습니다.
δ(t) + e^-t x cos2t - '2' x e^-t x sin2t
δ(t) + e^-t (cos2t-2sin2t)
따라서, 정답 3번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 전자과]

[오류신고 반론]
분모자 차수가 같으므로 분리함 아래와 같이하면 분자는 문제대로 S^2+3s+2가 됨 / 이후 완전제곱식(라플라스) /항 분리
(S^2+2s+5)+s-3    =     1+s-3    =     (s+1)-4        =         s+1        -            4             =
S^2+2s+5             = S^2+2s+5 = (s+1)^2+2^2    =(s+1)^2+2^2 - (s+1)^2+2^2    = 최종적으로 앞항은 e-atcos 뒷항은 2e-atsin
sin은 분모가 2제곱이라 상수에 2를 곱해야하기때문에 2sin이됨 공통 묶으면 3번이됨
[해설작성자 : ㅇㅇ]

81. 고압용의 개폐기, 차단기, 피뢰기 기타 이와 유사한 기구로서 동작시에 아크가 생기는 것은 목재의 벽 또는 천정 기타의 가연성 물체로부터 몇 m이상 떼어 놓아야 하는가?(2004년 08월)
     1. 1
     2. 1.2
     3. 1.5
     4. 2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아크를 발생하는 기구의 시설(판단기준 제35조)
고압 - 1m이상
특고압 - 2m이상
[해설작성자 : Jacky]

82. 사용 전압이 170[kV]일 때 울타리 담등의 높이와 울타리담 등으로부터 충전부분까지의 거리[m]의 합계는?(2011년 03월)
     1. 5
     2. 5.12
     3. 6
     4. 6.12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60kV 초과시
6m + 1만(V)마다 0.12m를 더하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전기왕]

[문제 보충 해설]
기술기준 제50조(발전소 등의 울타리, 담 등의 시설)
사용전압이 170[kV]일 때 울타리, 담 등의 높이와 울타리, 담 등으로부터 충전부분까지의 거리의 합계는 사용전압이 160[kV]이하는 6[m]에
160[kV]를 넘는 10[kV]또는 그 단수마다 12[cm]을 더한 값으로 된다. ***거리의 합계 = 6 + 0.12 = 6.12[m]이다.
[해설작성자 : zceg3]

83. 가반형의 용접전극을 사용하는 아크용접장치의 용접변압기의 1차측 전로의 대지전압은 몇 V 이하이어야 하는가?(2004년 03월)
     1. 150
     2. 220
     3. 300
     4. 380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아크 용접장치의 시설(판단기준 제247조)
1. 용접변압기는 절연변압기일 것.
2. 용접변압기의 1차측 전로의 대지전압은 300V 이하일 것.
3. 용접변압기의 1차측 전로에는 용접변압기에 가까운 곳에 쉽게 개폐할 수 있는 개폐기를 시설할 것.
4. 피용접재 또는 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받침대․정반 등의 금속체에는 제3종 접지공사를 할 것.
[해설작성자 : Jacky]

84. 교량위에 시설하는 조명용 저압 가공 전선로에 사용되는 경동선의 최소 굵기는 몇 mm인가?(2014년 05월)
     1. 1.6
     2. 2.0
     3. 2.6
     4. 3.2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교량에 시설하는 전선로 (판단기준 제148조)
저압인 경우
1. 교량의 윗면에 시설하는 것은 다음에 의하는 이외에 전선의 높이를 교량의 노면상 5m 이상으로 하여 시설할 것.
가. 전선은 케이블인 경우 이외에는 인장강도 2.30kN 이상의 것 또는 지름 2.6mm 이상의 경동선의 절연전선일 것.
나. 전선과 조영재 사이의 이격거리는 전선이 케이블인 경우 이외에는 30cm 이상일 것.
다. 전선은 케이블인 경우 이외에는 조영재에 견고하게 붙인 완금류에 절연성․난연성 및 내수성의 애자로 지지할 것.
라. 전선이 케이블인 경우에는 제69조(제1항제4호는 제외한다)의 규정에 준하는 이외에 전선과 조영재 사이의 이격거리를 15cm 이상으로 하여 시설할 것.
2. 교량의 옆면에 시설하는 것은 제1호 또는 제94조제2항부터 제5항까지의 규정에 준하여 시설할 것.
3. 교량의 아랫면에 시설하는 것은 제196조의 규정에 준하는 이외에 제183조의 규정에 준하는 합성수지관 공사, 제184조의 규정에 준하는 금속관 공사, 제186조의 규정에 준하는 가요전선관 공사 또는 193조(제3항은 제외한다)의 규정에 준하는 케이블 공사에 의하여 시설할 것.
[해설작성자 : tgbgmjl]

85. 154kV 가공전선과 가공 약전류 전선이 교차하는 경우에 시설하는 보호망을 구성하는 금속선 중 가공 전선의 바로 아래에 시설되는 것 이외의 다른 부분에 시설되는 금속선은 지름 몇 mm 이상의 아연도 철선이어야 하는가?(2016년 05월)
     1. 2.6
     2. 3.2
     3. 4.0
     4. 5.0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가공전선 바로 아래 시설 -> 5mm & 8.05kN
그 외 -> 4mm & 3.64kN
[해설작성자 : 한달안에 합격 ㄱㄱ]

86. 사용전압 66[kVA] 가공전선과 6[kV] 고공 전선을 동일지지물에 시설하는 경우, 특고압 가공전선은 케이블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단면적이 몇 mm2 인 경동연선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세기 및 굵기의 연선이어야 하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1년 06월)
     1. 22
     2. 38
     3. 55
     4. 100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사용전선: 연선 규격 -> 인장강도 21.67[kN]이상의 연선 또는 단면적이 55[mm square]이상인 경동연선을 사용.
[해설작성자 : 홍상준]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규정바뀜]
사용전선: 연선 규격 -> 인장강도 21.67[kN]이상의 연선 또는 단면적이 50[mm square]이상인 경동연선을 사용.
[해설작성자 : ㅇㅇ]

87. 최대사용전압 22.9kV인 3상 4선식 다중 접지방식의 지중 전선로의 절연내력시험을 직류로 할 경우 시험전압은 몇 V 인가?(2018년 08월)
     1. 16448
     2. 21068
     3. 32796
     4. 42136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22.9x0.92=21068 직류니까 x2 하면 42136
[해설작성자 : 합격자]

88. 특고압 계기용변성기의 2차측 전로의 접지 공사는?(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0년 03월)
     1. 제 1종 접지공사
     2. 제 2종 접지 공사
     3. 제 3종 접지 공사
     4. 특별 제 3종 접지 공사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종 접지공사
- 특고압 계기용 변성기 2차측
- 고압 기계기구의 외함
- 피뢰기
2종 접지공사
- 변압기 2차측 중성점 또는 1단자
3종 접지공사
- 덕트(400V 미만)
- 고압계기용 변성기 2차측
- 400V미만의 기기 외함, 철대
- 유도장해 방지 차폐선
특별 3종 접지공사
- 400V 이상의 저압 기계 기구의 외함, 철대
[해설작성자 : ㅅㅅㅅ]

(2021년 KEC 규정 변경으로 인하여 접지관련 문제는 출제되지 않습니다.)

89. 고압 가공인입선의 전선으로는 지름이 몇 [mm]이상의 경동선의 고압 절연전선을 사용하는가?(2012년 08월)
     1. 1.6
     2. 2.6
     3. 3.5
     4. 5.0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고압 인입선 등의 시설(판단기준 제102조)
고압 가공인입선은 인장강도 8.01kN 이상의 고압절연전선, 특고압 절연전선 또는 지름 5mm 이상의 경동선의
고압 절연전선, 특고압 절연전선 또는 인하용 절연전선을 애자사용공사에 의하여 시설하거나 케이블을 시설
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Jacky]

90. 수소냉각식 발전기 및 이에 부속하는 수소냉각장치에 대한 시설기준으로 틀린 것은?(2021년 03월)
     1. 발전기 내부의 수소의 온도를 계측하는 장치를 시설할 것
     2. 발전기 내부의 수소의 순도가 70[%] 이하로 저하한 경우에 경보를 하는 장치를 시설할 것
     3. 발전기는 기밀구조의 것이고 또한 수소가 대기압에서 폭발하는 경우에 생기는 압력에 견디는 강도를 가지는 것일 것
     4. 발전기 내부의 수소의 압력을 계측하는 장치 및 그 압력이 현저히 변동한 경우에 이를 경보하는 장치를 시설할 것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85% 이하일 때 경보
[해설작성자 : 김이삭

제51조 (수소냉각식 발전기 등의 시설) 수소냉각식의 발전기․조상기 또는 이에 부속하는 수소 냉각 장치는 다음 각 호에 따라 시설하여야 한다.
3. 발전기안 또는 조상기안의 수소의 순도가 85 % 이하로 저하한 경우에 이를 경보하는 장치를 시설할 것.
85% 경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상주감시를 하는 시설에서는 85% 경보
상주감시를 아니하는 곳에서는 90%일때 기술원이 있는 장소에 경보 85%차단
[해설작성자 : 야호]

351.10 수소냉각식 발전기 등의 시설
수소냉각식의 발전기ㆍ조상기 또는 이에 부속하는 수소 냉각 장치는 다음 각 호에 따라 시설하여야 한다.
가. 발전기 또는 조상기는 기밀구조(氣密構造)의 것이고 또한 수소가 대기압에서 폭발 하는 경우에 생기는 압력에 견디는 강도를 가지는 것일 것.
나. 발전기축의 밀봉부에는 질소 가스를 봉입할 수 있는 장치 또는 발전기 축의 밀봉부로부터 누설된 수소 가스를 안전하게 외부에 방출할 수 있는 장치를 시설할 것.
다. 발전기 내부 또는 조상기 내부의 수소의 순도가 85 % 이하로 저하한 경우에 이를 경보하는 장치를 시설할 것.
라. 발전기 내부 또는 조상기 내부의 수소의 압력을 계측하는 장치 및 그 압력이 현저히 변동한 경우에 이를 경보하는 장치를 시설할 것.
마. 발전기 내부 또는 조상기 내부의 수소의 온도를 계측하는 장치를 시설할 것.
바. 발전기 내부 또는 조상기 내부로 수소를 안전하게 도입할 수 있는 장치 및 발전기안 또는 조상기안의 수소를 안전하게 외부로 방출할 수 있는 장치를 시설할 것.
사. 수소를 통하는 관은 동관 또는 이음매 없는 강판이어야 하며 또한 수소가 대기압에서 폭발하는 경우에 생기는 압력에 견디는 강도의 것일 것.
아. 수소를 통하는 관ㆍ밸브 등은 수소가 새지 아니하는 구조로 되어 있을 것.
자. 발전기 또는 조상기에 붙인 유리제의 점검 창 등은 쉽게 파손되지 아니하는 구조로 되어 있을 것.
[해설작성자 : sanghuh]

91. 수소냉각식 발전기의 시설기준을 잘못 설명한 것은?(2003년 08월)
     1. 발전기는 기밀구조의 것이고, 또한 수소가 대기압에서 폭발하는 경우에 생기는 압력에 견디는 강도를 가지는 것일 것
     2. 발전기안의 수소온도를 계측하는 장치를 시설할 것
     3. 발전기안의 수소의 압력을 계측하는 장치 및 그 압력이 현저히 변동한 경우에 이를 경보하는 장치를 시설할 것
     4. 발전기안의 수소의 순도가 85%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는 자동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할 것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수소 냉각 발전기등의 시설
- 발전기 또는 조상기는 기밀구조
- 수소의 순도가 85% 이하로 저하된 경우 경보장치를 시설할 것
- 기계 안에 수소 온도 계측 장치의 시설
- 동관 또는 연결부 없는 강고나 사용
- 수소가 새지 않는 구조로 할 것
[해설작성자 : ㅅㅅㅅ]

92. 수소 냉각식 발전기 등의 시설기준을 잘못 설명한 것은?(2008년 07월)
     1. 발전기는 기밀구조의 것이고, 또한 수소가 대기압에서 폭발하는 경우에 생기는 압력에 견디는 강도를 가지는 것
     2. 발전기안의 수소의 온도를 계측하는 장치를 시설 할 것
     3. 발전기 안의 수소의 압력을 계측하는 장치 및 그 압력이 현저히 변동한 경우에 이를 경보하는 장치를 시설 할 것
     4. 발전기 안의 수소의 순도가 85[%]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 이를 경보하는 장치를 시설 할 것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수소 순도 85% 이상이 아닌 이하로 됐을시 경보장치 필요
[해설작성자 : 윤도미]

93. 전력보안통신설비의 조가선은 단면적 몇 mm2 이상의 아연도강연선을 사용하여야 하는가?(2022년 04월)
     1. 16
     2. 38
     3. 50
     4. 55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통신 설비나 전차선의 조가선은 38mm^2 이상
[해설작성자 : 수도공고갤러리 갤주]

94. 옥내에 시설되는 전동기가 소손될 우려가 있는 경우 과전류가 생겼을 때 자동으로 차단하거나 경보를 발생하는 장치를 시설하여야 한다. 이 규정에 적용되는 전동기 정격 출력의 최소값은?(2012년 03월)
     1. 150W 초과
     2. 200W 초과
     3. 250W 초과
     4. 300W 초과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전동기의 과부하 보호 장치의 시설(판단기준 제174조)
옥내에 시설하는 전동기(정격 출력이 0.2㎾ 이하인 것을 제외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에는 전동기가
손상될 우려가 있는 과전류가 생겼을 때에 자동적으로 이를 저지하거나 이를 경보하는 장치를 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Jacky]

95. 금속관 공사에 의한 저압 옥내배선의 방법으로 틀린 것은?(2010년 07월)
     1. 옥외용 비닐 절연전선을 사용하였다.
     2. 전선으로 연선을 사용하였다.
     3. 콘크리트에 매설하는 관은 두께 1.2[㎜]용을 사용하였다.
     4. 사용전압 400[V] 이상이고 사람의 접촉 우려가 없어 제3종 접지공사를 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접촉우려 x -> 3종
[해설작성자 : ㅎㅎ]

전선은 절연전선(옥외용 비닐전연전선 제외)
전선은 연선
- 짧고 가는 금속관에 넣을 것
- 단면적은 10mm^2 이하의 것
전선은 금속관 안에서 접속점이 없을 것
[해설작성자 : ㅅㅅㅅ]

96. 엘리베이터 등의 상강로 내에 시설되는 저압 옥내배선에 사용되는 전압의 최대한도는?(2011년 06월)
     1. 250V 미만
     2. 300V 미만
     3. 400V 미만
     4. 600V 미만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판단기준 제207조) 엘리베이터. 덤웨이터 등의 승강로 안의 저압 옥내 배선 등의 시설
엘리베이터. 덤웨이터 등의 승강로 내에 시설하는 사용 전압이 400[v] 미만인 저압 옥내 배선, 저압의 이동 전선 및 이에 직접 접속하는 리프트 케이블은 이에 적합한 비닐리프트 케이블 또는 고무리프트 케이블을 사용하여야 한다.

97. 일정 용량 이상의 조상기에는 그 내부에 고장이 생긴 경우에 자동적으로 이를 전로로부터 차단하는 장치를 하여야 하는데 그 용량은 몇 [kVA] 이상인가?(2010년 03월)
     1. 15000
     2. 20000
     3. 35000
     4. 40000

     정답 : []
     정답률 : 69%

98. 애자사용 공사를 습기가 많은 장소에 시설하는 경우 전선과 조영재 사이의 이격거리는 몇 cm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사용전압은 440V인 경우이다.(2017년 03월)
     1. 2.0
     2. 2.5
     3. 4.5
     4. 6.0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400V 미만 2.5cm 이상
400V 이상(건조한 장소)2.5cm이상
                 (습한 장소) 4.5cm이상
[해설작성자 : 합격합시다]

애자사용 공사(판단기준 제181조)
1. 전선은 절연전선(옥외용 비닐 절연전선 및 인입용 비닐 절연전선을 제외한다)일 것.
2. 전선 상호 간의 간격은 6cm 이상일 것.
3. 전선과 조영재 사이의 이격거리는 사용전압이 400V 미만인 경우에는 2.5cm 이상, 400V 이상인 경우에는 4.5cm
     (건조한 장소에 시설하는 경우에는 2.5cm)이상일 것.
4. 전선의 지지점 간의 거리는 전선을 조영재의 윗면 또는 옆면에 따라 붙일 경우에는 2m 이하일 것.
5. 사용전압이 400V 이상인 것은 제4호의 경우 이외에는 전선의 지지점 간의 거리는 6m 이하일 것.
6. 저압 옥내배선은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할 것. 다만, 사용전압이 400V 미만인 경우에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는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7. 전선이 조영재를 관통하는 경우에는 그 관통하는 부분의 전선을 전선마다 각각 별개의 난연성 및 내수성이 있는
     절연관에 넣을 것. 다만, 사용전압이 150 V 이하인 전선을 건조한 장소에 시설하는 경우로서 관통하는 부분의
     전선에 내구성이 있는 절연 테이프를 감을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해설작성자 : Jacky]

99. 154[kV]가공 전선로를 시가지에 시설하는 경우 특별고압 가공전선에 지락 또는 단락이 생기면 몇 초 이내에 자동적으로 이를 전로로부터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하는가?(2007년 05월)
     1. 1
     2. 2
     3. 3
     4. 5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00Kv를 초과하면 1초
[해설작성자 : ㄱㅂㅎ]

100. 백열전등 또는 방전등 및 이에 부속하는 전선은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는 경우 대지 전압은 최대 몇 [V]인가?(2010년 03월)
     1. 100
     2. 150
     3. 300
     4. 450

     정답 : []
     정답률 : 70%


정 답 지

전기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6일)(5086096)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전기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전기자기학


1. 그림과 같은 직각 코일이 인 자계에 위치하고 있다. 코일에 5[A] 전류가 흐를 때 Z축에서의 토크 [Nm]는?(2012년 08월)

   

     1. 2.66×10-4ax[Nm]
     2. 5.66×10-4ax[Nm]
     3. 2.66×10-4az[Nm]
     4. 5.66×10-4az[Nm]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1. T = r X F

2. F = (I X B)* 길이

3. F = (5az X 0.05/2^1/2 * (ax+ay) * 0.08 = (5*0.05/2^1/2*0.08)* ((az X ax) + (az X ay))
                 = 0.01414 (ay-ax)

4. T = r X F = 0.04ay X 0.01414 (ay-ax) = (0.04*0.01414)*(ay X ay)(ay X -ax)
         = 5.66x10^-4 (-(-az) = 5.66x^10-4 az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 대지의 고유저항이 ρ[Ω·m]일 때 반지름 a[m]인 그림과 같은 반구 접지극의 접지저항[Ω]은?(2010년 03월)

   

     1. ρ/(4πa)
     2. ρ/(2πa)
     3. (2πρ)/a
     4. 2πρa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반구의 정전용량 C=2(파이)(입실론)a
RC=고유저항x입실론
[해설작성자 : 조봉관]

R = 고유저항 x 입실론/C    [C=2(파이)(입실론)a]
R = 고유저항 / 2 x (파이) a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렌쯔의 법칙을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2010년 03월)
     1. 전자유도에 의하여 생기는 전류의 방향은 항상 일정하다.
     2. 전자유도에 의하여 생기는 전류의 방향은 자속 변화를 방해하는 방향이다.
     3. 전자유도에 의하여 생기는 전류의 방향은 자속변화를 도와주는 방향이다.
     4. 전자유도에 의하여 생기는 전류의 방향은 자속변화와는 관계가 없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페러데이-렌쯔의 법칙 : 유도기전력 = -NdØ/dt이다
페러데이의 법칙은 유도기전력의 크기를 결정하고, 렌쯔는 방향을 결정하는데 (-)의 부호를 가지고 있으므로    유도기전력은 자속의 변화를 방해하는 방향으로 발생한다.
[해설작성자 : 허허]

4. 도전율 σ, 투자율 μ인 도체에 교류 전류가 흐를 때 표피 효과의 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08월)
     1. σ가 클수록 작아진다.
     2. μ가 클수록 작아진다.
     3. μs가 클수록 작아진다.
     4. 주파수가 높을수록 커진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전자유도에서 표피효과 문제
공식 기억
δ=루트(1/πfσμ)
이므로, 주파수가 높으면 작아진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옳지 않은 것

[추가 오류 신고]

문제 해설의 공식은 침투깊이에 대한 공식이며
표피효과는 침투깊이가 작을수록 커집니다.
따라서 표피효과는 f 가 클수록, 도전율이 클수록, 투자율이 클수록
표피효과도 커집니다.
[해설작성자 : 지나가다 들림]

[오류신고 반론]
오류없음 : 답 4번 맞음.
δ = √(2/ωσμ) = √(2/2πfσμ) = √(1/πfσμ) = √(ρ/πfμ)[m]
주파수,도전률,투자율이 클수록 침투깊이(δ)가 작게되어 표피효과가 심해짐.

[오류신고 반론]
주파수 도전율 투자율의 앞글자를 따서    주도투라고 외우시면 됩니다
주식에 도전하고 계속 투자가 커질수록 표피효과가 심해진다 라고 외우시면 됩니다
조금 억지일 수 있지만, 주식에 계속 도전하고 투자가 커질수록 표피효과가 심해진다 자꾸보면 정들고 외워집니다
[해설작성자 : 황동빈]

5. 코일 A 및 코일 B가 있다. 코일 A의 전류가 1/30초간에 10[A] 변화할 때 코일 B에 10[V]의 기전력을 유도한다고 한다. 이때의 상호 인덕턴스는 몇 [H]인가?(2009년 05월)
     1. 1/0.3
     2. 1/3
     3. 1/30
     4. 1/300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e=L*(di/dt)
시간당(초 단위) 전류변화율
[해설작성자 : 선녀와낚시꾼]

E =    M * (di/dt)
M = 상호 인덕턴스
L = 자기 인덕턴스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 낚시꾼]

6. 다음의 관계식 중 성립할 수 없는 것은? (단, μ는 투자율, μ0는 진공의 투자율, x는 자화율, J는 자화의 세기이다.)(2016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J=XH
[해설작성자 : 우주최강상큼이]

7. 자기인덕턴스의 성질을 옳게 표현한 것은?(2005년 03월)
     1. 항상 부(負)이다.
     2. 항상 정(正)이다.
     3. 항상 0이다.
     4. 유도되는 기전력에 따라 정(正)도 되고 부(負)도 된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자기인덕턴스: 자신의 회로에 단위 전류가 흐를 때의 자속쇄교수를 말하며 항상 정(+)의 값을 갖는다.
상호인덕턴스: 두 회로 사이의 관계로 두 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만드는 자속이 같은 방향이면 정(+)의 값을, 반대면 부(-)의 값을 갖는다.
[해설작성자 : 피카츄빠직]

8. Q=0.15[C]으로 대전하고 있는 큰 도체구에 그 반경이 큰구의 1/2 인 작은 도체구를 접촉했다가 떼면, 작은 도체구가 얻는 전하[C]는 얼마로 되는가?(2012년 08월)
     1. 0.01
     2. 0.05
     3. 0.1
     4. 0.2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접속시 전위가 같아지는 것을 이용하면됨
[해설작성자 : 국민대학교]

중화 현상에 의해서 전하는 반지름에 비례하여 분배.
따라서 큰 도체구에는 작은 도체구보다 2배가 분포되며, 0.15C의 전하가 큰 도체구에 0.10C, 작은 도체구에 0.05C가 분포된다.
[해설작성자 : 내가보려고남김]

C는 반지름a에 비례, Q는 C에비례, 접촉시 전위가 일정해짐
Ca가 Cb 보다 2배 크므로 Q값도 2배 큼
[해설작성자 : 너무 쉬워서 정답률80퍼가 아님에놀람]

중화현상 : 두 도체를 접촉했다 떼면 지름(반지름)에 비례해서 전하의 크기가 나눠짐.
                     -> 지름이 2배큰 곳 0.10[c]
[해설작성자 : 게이]

도체구 A의 전하 Q=Q1+Q2
Q1:대전된 후 도체구 A의 전하
Q2:대전된 후 도체구 B의 전하
두 도체구를 접속시키면 전위는 같게되므로
V=Q1/4πε0r1=Q2/4πε0r2 에서
Q2=(4πε0r2/4πε0r1)Q1 이 되고 이를 정리하면
Q2=(r2/r1)Q1=(r2/r1)(Q-Q2)에서 r,Q값을 대입
Q2=1/2(0.15-Q2)
Q2=0.05[C]
[해설작성자 : 피카츄빠직]

9. 와전류의 방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6년 05월)
     1. 일정하지 않다.
     2. 자력선의 방향과 동일하다.
     3. 자계와 평행되는 면을 관통한다.
     4. 자속에 수직되는 면을 회전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10. 내압 1000V 정전용량 1μF, 내압 750V 정전용량 2μF, 내압 500V 정전용량 5μF인 콘덴서 3개를 직렬로 접속하고 인가 전압을 서서히 높이면 최초로 파괴되는 콘덴서는?(2012년 03월)
     1. 1μF
     2. 2μF
     3. 5μF
     4. 동시에 파괴된다.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Q1= c1v1 = 1*10^-6*1000 = 1*10^-3[C]
Q2= c2v2 = 2*10^-6*750    = 1.5*10^-3[C]
Q3= c3v3 = 5*10^-6*500    = 2.5*10^-3[C]

Q1의 정전용량 1*10^-3[C]으로 제일 적으므로 가장 먼저 파괴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 그림과 같이 환상 철심에 2개의 코일을 감고, 1차 코일을 전지에 2차 코일을 검류계에 연결한다. 다음의 각 경우 중 검류계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옳게 언급된 것은?(2008년 07월)

    

     1. 스위치 K2를 닫은 다음 스위치 K1을 닫으면 전류는 b에서 a로 흐른다.
     2. 스위치 K1을 닫은 후 잠깐 있다가 스위치 K2를 닫으면 전류는 a에서 b로 흐른다.
     3. 스위치 K1과 K2를 닫아 놓고, 스위치 K1을 급히 열면 전류는 b에서 a로 흐른다.
     4. 스위치 K1과 K2를 닫아 놓고, 스위치 K2을 급히 열면 전류는 b에서 a로 흐른다.

     정답 : []
     정답률 : 45%

12. 일정전압의 직류전원에 저항을 접속하여 전류를 흘릴 때, 저항값을 20 % 감소시키면 흐르는 전류는 처음 저항에 흐르는 전류의 몇 배가 되는가?(2018년 04월)
     1. 1.0배
     2. 1.1배
     3. 1.25배
     4. 1.5배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옴의법칙에 의해 V=IR
압력이 일정하면 전류와 저항의 곱은 항상 일정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깅]

입력 V는 일정
V = IR
Va = I* x * 0.8*R
V = Va 여야 하므로
x * 0.8 = 1
x = 1.25
[해설작성자 : ID:azor19]

13. 간격이 3[cm]이고 면적이 30[cm2]인 평판의 공기 콘덴서에 220[V]의 전압을 가하면 두 판 사이에 작용하는 힘은 약 몇 [N]인가?(2021년 03월)
     1. 6.3 × 10-6
     2. 7.14 × 10-7
     3. 8 × 10-5
     4. 5.75 × 10-4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2eE^2
[해설작성자 : 공겹계속할까]

W =½cv2 = F * d

             εS*V2
∴ F=    ──────
             2*d*d
[해설작성자 : 이거 적는거 힘드네여]

W=Fd 이고 F=W/d=e*S*V^2/2*d^2 입니다
[해설작성자 : 응저]

F=QE     Q=CV    C=eS/d     E=V/d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W=0.5CV2=Fd
C=eS/d
e=8.855×10^-12
S=30×10^-4
V=220
d=3×10^-4
[해설작성자 : 마지막]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d=3x10^-2
[해설작성자 : 마지막]

[오류신고 반론]
풀이 1
F=½eE^2[N/m^2] 구하려는 것은 [N] 이므로
F=½eE^2*S[N] 이때 전계 E=V/d , 면적S 단위는[m^2]
F=½*8.855*10^-12*(220/0.03)^2*30*10^-4=7.14*10^-7

풀이 2
W=½CV^2[N*m] 구하려는 것은 [N] 이므로
W=½CV^2/d[N] 이때 C=eS/d
W=½*(eS/d)*V^2/d=½*(8.855*10^-12*30*10^-4/0.03)*220^2/0.03=7.14*10^-7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F[N] = 1 / 2 * ( V / d )^2 * ε * S ▶ 1 / 2 * ( 220 / 0.03 )^2 * 8.855 * 10^-12 * 30 * 10^-4 = 7.143 * 10^-7[N]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14. 도체 표면에서 전계 E=Exax+Eyay+Ezaz[V/m] 이고, 도체면과 법선 방향인 미소길이 dL=dxax+dyay+dzaz[m] 일 때 성립되는 식은?(2011년 06월)
     1. Exdx=Eydy
     2. Eydz=Ezdy
     3. Exdy=Eydz
     4. Eydy=Ezdz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전기력선의 방정식
dx/Ex = dy/Ey = dz/Ez
[해설작성자 : 싱싱한배추]

15. 유전률 ε=10 이고 전계의 세기가 100V/m인 유전체 내부에 축적되는 에너지 밀도는 몇 J/m3 인가?(2004년 05월)
     1. 2.5×104
     2. 5×104
     3. 4.5×109
     4. 9×109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W = 1/2(ED) > D = eE
따라서 W = 1/2 (eE^2)
                = 1/2 (10*100^2)
                = 50000 > 5*10^4
[해설작성자 : 무디]

W[J/m^3] = ( 1 / 2 ) * ε * E^2 ▶ ( 1 / 2 ) * 10 * 100^2 = 5 * 10^4[J/m^3]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16. 자성체에 외부의 자계 H0를 가하였을 때 자화의 세기 J와의 관계식은? (단, N 은 감자율, μ는 투자율이다.)(2011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H(내부자계) = H0(외부자계)-H'(감자율)
J/Xm                = H0                    -NJ/u0
J/u0(us-1)    = H0                    -NJ/u0
J                     = H0u0(us-1) / (1+N(us-1))
[해설작성자 : 전기기사떨어질운명]

17. 그림과 같이 면적 S[m2]인 평행판 콘덴서의 극판 간에 판과 평행으로 두께 d1[m], d2[m], 유전율 ε1[F/m], ε2[F/m] 의 유전체를 삽입하면 정전용량 [F]은?(2012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C = (C1*C2)/(C1+C2) (콘덴서의 직렬연결)
    = (ε1*ε2 * S2/d1*d2) / (ε1*S/d1 + ε2*S/d2) -> 분자와 분모를을 S*ε1*ε2 로 나누고 d1*d2를 곱하면
    = S / (d2/ε2 + d1/ε1)     ->1번 정답
[해설작성자 : 해설작성자]

18. 다음 식 중에서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E = -grad V
     2.
     3.
     4.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gradV는 1계미분
[해설작성자 : 원큐합격소망]

19. Z축상에 놓여 있는 선전하 밀도 λ = 2πε[C/m] 인 균일한 선전하에 의한 점 (1,2,4)를 통과하는 전기력선의 방정식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2006년 05월)
     1. y = 0.5x
     2. y = x
     3. y = 2x
     4. y = 4x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z축상에 놓여있으므로 전기력선은 xy평면의 모든방향으로 원점에서부터 균일하게 뻗어나갑니다.
이때 x=1 y=2와 원점, 두점을 동시에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3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_<]

20. 반지름 a[m]의 반구형 도체를 대지표면에 그림과 같이 묻었을 때 접지저항 r[Ω]은? (단, p[Ωㆍm]는 대지의 고유저항이다.)(2014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구형 도체일때 V = Q / (4πεr) 이므로 C = 4πεr.
반구형이므로 C = 2πεr.
R x C = ρxε 에서 C를 대입하여 정리하면
R =    ρ/ (2πa).
[해설작성자 : 화이팅]

2과목 : 전력공학


21. 송전선에서 재폐로 방식을 사용하는 목적은?(2018년 03월)
     1. 역률 개선
     2. 안정도 증진
     3. 유도장해의 경감
     4. 코로나 발생방지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재폐로 방식은 가공배전 선로에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신속하게 차단과 투입을 2~3회 반복하면서 사고가 해결되면 정상 송전하고 사고가 해결 되지 않을 경우 완전 개방(Lock out)시켜 송전을 함에 있어서 안정도를 증진시킨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2. 송전 계통에서 자동재폐로 방식의 장점이 아닌 것은?(2016년 05월)
     1. 신뢰도 향상
     2. 공급 지장 시간의 단축
     3. 보호 계전 방식의 단순화
     4. 고장상의 고속도 차단, 고속도 재투입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교류 계통에서는 차단기, 재폐로, 단로기 같은 여러가지 기기들이 들어옴으로 써 보호 계전 방식이 복잡해집니다.
[해설작성자 : 2.0]

23. 배전반에 접속되어 운전 중인 계기용 변압기(PT) 및 변류기(CT)의 2차측 회로를 점검할 때 조치사항으로 옳은 것은?(2019년 03월)
     1. CT만 단락시킨다.
     2. PT만 단락시킨다.
     3. CT와 PT 모두를 단락시킨다.
     4. CT와 PT 모두를 개방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PT(변압기)
110V/고전압 -> 저전압/개방
CT(변류기)
5A/대전류 -> 저전류/단락
[해설작성자 : Pokdo]

CT 개방시, R=무한대 -> 철심 자기포화로 과열, 고전압 유기
     개피
     단씨     ->"계(개)단이 있는 피씨"
[해설작성자 : 원큐합격소망]

암기 개PT단CT
[해설작성자 : 아재]

24. 한 대의 주상변압기에 역률(뒤짐) cosθ1, 유효전력 P1(kW)의 부하와 역률(뒤짐) cosθ2, 유효전력 P2(kW)의 부하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을 때 주상변압기 2차 측에서 본 부하의 종합역률은 어떻게 되는가?(2019년 04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문제에서 P 단위가 [KW]기 때문에 유효전력인거고
유효전력은 피상전력뒤에 코사인이 곱해져있는거고, 탄젠트는 코사인분에 사인세타니까 답3번
[해설작성자 : 이게 답이지ㅇㅇ]

왜냐하면 기준이 유효전력이기 때문이죠. 유효전력을 무효전력으로 표현하는 방법은 유효전력 P에 sin?를 곱하는 것이 아닌 tan?를 곱하는 것입니다.
[해설작성자 : 피카츄]

피상전력에 COS세타를 곱하면 유효전력                                     피상전력=루트((유효전력)^2+(무료전력)^2)
피상전력에 SIN세타를 곱하면 무효전력                                     역율=유효전력/피상전력
역으로 유효전력에 COS세타를 나누면 피상전력                                =P1+P2(유효전력)/루트((P1+P2)^2+(P1tan세타+P2tan세타)^2
역으로 무효전력에 SIN세타를 나누면 피상전력
(유효전력/COS세타)*SIN세타= 무효전력=유효전력*(sin/cos)=유효전력*tan세타
[해설작성자 : 아재]

25. 정전압 송전방식에서 전력원선도를 그리려면 무엇이 주어져야 하는가?(2009년 05월)
     1. 송수전단 전압, 선로의 일반회로정수
     2. 송수전단 전류, 선로의 일반회로정수
     3. 조상기 용량, 수전단 전압
     4. 송전단 전압, 수전단 전류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전력 원선도 작성시 필요한 것
- 송전단 전압
- 수전단 전압
- 회로 정수
[해설작성자 : ㅅㅅㅅ]

26. 22.9[kV] 가공배전선로에서 주 공급선로의 정전사고 시예비 전원 선로로 자동 전환되는 개폐장치는?(2008년 05월)
     1.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
     2. 자동선로 구분 개폐기
     3. 자동부하 전환 개폐기
     4. 기중부하 개폐기

     정답 : []
     정답률 : 65%

27. 수차를 돌리고 나온 물이 흡출관을 통과할 때 흡출관의 중심부에 진공상태를 형성하는 현상은?(2012년 03월)
     1. racing
     2. jumping
     3. hunting
     4. caviatation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물이 고속으로 이동하면서 압력으로 인한 진공상태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Cavitation(공동현상)이라고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8. 그림과 같은 송전계통에서 S점에 3상 단락사고가 발생했을 때 단락전류(A)는 약 얼마인가? (단, 선로의 길이와 리액턴스는 각각 50㎞, 0.6Ω/㎞이다.)(2021년 05월)

    

     1. 224
     2. 324
     3. 454
     4. 554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기준용량 20mva 발전기 %리액턴스=20/2(병렬)=10%
변압기 %리액턴스=20(기준용량)/40×8=4%
선로 리액턴스=PX/10V^2=20000×30(0.6×50)/10×110^2
총 리액턴스=10+4+4.95
단락전류=100/18.95×(20000/루트3×110)=553.96
많이 어렵네요 다른방법으로 리액턴스 환산하는 방법도 있는데 이 방법이 더 쉬울듯
[해설작성자 : 합격하자]

기준용량 40[MVA] 선정
발전기 %리액턴스 = 40/2=20%
변압기 %리액턴스 = 8%
선로 리액턴스= 50km x 0.6 = 30
선로측 %리액턴스 PX/10V^2= 40000 x 30/10 x 110^2 = 9.92
총 리액턴스 20 + 8 + 9.92 = 37.92
단락전류 = 100/%X x P/루트3 X V = 100/37.92 x 40000/루트3 x 110 = 553.65 A
같은 방법으로 기준용량 바꿔서 해봤어요
다들 합격해서 좋은 일만 생기기를
[해설작성자 : 어제보다 행복한 오늘]

옴법풀이
발전기 1대의 고압측 환산 리액턴스
        Zg = (10V^2 X %Zg) / P = (10*110^2 X 20) / 20000 = 121Ω
병렬 연결이므로 121/2 = 60.5Ω

다음 변압기의 고압측 환산 리액턴스
        Zt = (10*110^2 X 8) / 40000 = 24.2Ω (위 식과 동일, 대신 각 변압기 P값 혼동조심)
다음 선로 리액턴스
        ZL = 길이 X 리액턴스 = 50X0.6 = 30Ω
따라서) Z = Zg+Zt+ZL = 114.7Ω

단락전류 Is = 110*10^3 / root3 X 114.7 = 553.69[A]
[해설작성자 : 무디]

29. 전선의 표피효과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5년 03월)
     1. 전선이 굵을수록, 주파수가 낮을수록 커진다.
     2. 전선이 굵을수록, 주파수가 높을수록 커진다.
     3. 전선이 가늘수록, 주파수가 낮을수록 커진다.
     4. 전선이 가늘수록, 주파수가 높을수록 커진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δ=√(1/πfσμ)[m] 에서 δ: 침투깊이, σ: 도전율, f: 주파수, μ: 투자율
따라서 투자율, 도전율, 투자율이 클수록 δ가 감소하고
침투깊이(표피두께)가 감소하므로 표피효과는 증가한다.
[해설작성자 : 피카츄빠직]

30. 수전용 변전설비의 1차측 차단기의 용량은 주로 어느 것에 의하여 정해지는가?(2012년 08월)
     1. 수전 계약 용량
     2. 부하 설비의 용량
     3. 공급측 전원의 단락 용량
     4. 수전전력의 역률과 부하율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차단 = 단락임

31. 임피던스 Z1, Z2 및 Z3를 그림과 같이 접속한 선로의 A쪽에서 전압파 E가 진행해 왔을 때 접속점 B에서 무반사로 되기 위한 조건은?(2015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투과계수 감마=(Z_2-Z_1)/(Z_1+Z_2)이고
본 문제에서 Z_1=Z_1, Z_2=(Z_2||Z_3)
감마가 0일 경우, Z_1=(Z_2||Z_3).
병렬연결을 풀이하고 보기와 식을 비교하면 답은 3번
[해설작성자 : 기모리]

32. 전력 계통의 안정도 향상 대책으로 직렬 리액턴스를 적게 하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2009년 07월)
     1. 발전기의 리액턴스를 적게 한다.
     2. 변압기의 리액턴스를 적게 한다.
     3. 복도체를 사용한다.
     4. 단락비가 작은 발전기를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직렬 리액턴스를 적게
1. 발전기나 변압기의 리액턴스를 작게 한다,
2. 발전기의 단락비를 크게 한다,
3. 선로의 병행 회전수를 늘리거나 복도체 또는 다도체 방식을 사용한다
4. 직렬 콘덴서를 삽입하여 선로의 리액턴스를 보상한다.
[해설작성자 : ㅇㅇ]

33. 수차 발전기에 제동권선을 설치하는 주된 목적은?(2017년 05월)
     1. 정지시간 단축
     2. 회전력의 증가
     3. 과부하 내량의 증대
     4. 발전기의 안정도 증진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제동권선 -> 난조방지(발전기 안정도 증가)
[해설작성자 : ㅈㅈㅎ]

34. 교류 송전방식에 비교하여 직류 송전방식을 설명할 때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7월)
     1. 선로의 리액턴스가 없으므로 안정도가 높다.
     2. 유전체손은 없지만 충전용량이 커지게 된다.
     3. 코로나손 및 전력손실이 적다.
     4. 표피효과나 근접효과가 없으므로 실효저항의 증대가 없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직류송전은 유전체와 상관없다
[해설작성자 : 혁이]

35. 최근에 우리나라에서 많이 채용되고 있는 가스절연개폐설비(GIS)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2018년 08월)
     1. 대기 절연을 이용한 것에 비해 현저하게 소형화 할 수 있으나 비교적 고가이다.
     2. 소음이 적고 충전부가 완전한 밀폐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안정성이 높다.
     3. 가스 압력에 대한 엄중 감시가 필요하며 내부 점검 및 부품 교환이 번거롭다.
     4. 한랭지, 산악 지방에서도 액화 방지 및 산화 방지 대책이 필요 없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가스절연개폐설비(GIS)의 장점
1. 충전부가 대기에 노출되지 않아 안정성, 신뢰성이 높다.
2. 감전사고 위험이 적다.
3. 밀폐형으로 배기 소음이 없다.
4. 소형화 가능.
5. 보수, 점검이 용이하다.

가스절연개폐설비(GIS)의 단점
1.사고의 대응이 부적절한 경우 대형사고 유발 우려가 있다.
2. 고장시 조기복구, 임시복구다 불가능 하다.
3. SF6 가스의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4. 내부점검 및 부품교환이 번거롭다.
5. 한랭지, 산악 지방에서도 액화 방지 및 산화 방지 대책이 필요 하다.

36. 설비 A가 150kW, B 가 350kW, 수용률이 각각 0.6, 0.7일 때 합성최대전력이 279kW이면 부등률은?(2009년 07월)
     1. 1.1
     2. 1.2
     3. 1.3
     4. 1.4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부등률=∑(설비용량*수용률)/합성최대전력
(150*0.6)+(350*0.7)/279=1.2
[해설작성자 : 왕배]

37. 변전소에서 접지를 하는 목적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기기의 보호
     2. 근무자의 안전
     3. 차단 시 아크의 소호
     4. 송전시스템의 중성점 접지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계전기가 동작하고 트립코일이 여자되어 차단기가 개방될 때 차단기의 접점이 떨어지며 아크가 발생한다.
이 때 아크를 소호시키는 방법에 따른 종류의 구분이 OCB,VCB,GCB등으로 나뉘며, 접지와는 관계가 없다.
[해설작성자 : 안승진]

38. 조속기의 폐쇄시간이 짧을수록 나타나는 현상으로 옳은 것은?(2020년 08월)
     1. 수격작용은 작아진다.
     2. 발전기의 전압 상승률은 커진다.
     3. 수차의 속도 변동률은 작아진다.
     4. 수압관 내의 수압 상승률은 작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조속기 폐쇄시간이 짧다?
조속기는 수차발전기에서 속도를 조절하는 친구임
때문에 폐쇄시간이 짧으면 당연히 속도 변동률이 작아짐
[해설작성자 : 킹갓대호]

조속기 : 수차의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출력을 가감하기 위하여 수차의 입력, 즉 유량을 조절하는 장치

속도변동률 = (수차의 최대 회전속도-정격회전속도)/정격회전속도 ×100%
이므로 조속기의 폐쇄시간이 짧을수록 수차의 최대 회전속도가 감소하여 속도변동률은 작아진다
[해설작성자 : 피카츄빠직]

39. 단선 고장시의 이상전압이 최저인 접지방식은?(2004년 08월)
     1. 직접 접지식
     2. 비접지식
     3. 고저항 접지식
     4. 소호리액터 접지식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1. 직접 접지식 : 중성점을 직접 접지하여, 지락 사고시 전위 상승이 작다. 문제의 이상전압이 최저
4. 소호 리액터 접지식 : 지락 전류가 최소이다. 계속 송전이 가능하고 이상 전압이 가장 크다.
[해설작성자 : 을지 장원]

40. 사고, 정전 등의 중대한 영향을 받는 지역에서 정전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예비전원용 배전선로로 전환하는 장치는?(2020년 06월)
     1. 차단기
     2. 리클로저(Recloser)
     3. 섹셔널라이저(Sectionalizer)
     4. 자동부하 전환개폐기(Auto Load Transfer Switch)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배전선로 보호협조: 변전소 차단기 - 리클로저 - 섹셔너라이저 -    라인 퓨즈
고장구간 자동개폐기: 수용가의 구내 고장이 배전선로에 파급되는 것을 방지
자동부하 절체 개폐기: 주전원이 정전되면 자동적으로 예비전원으로 절체
[해설작성자 : ㅅㅅㅅ]

문제 제목을 보면, "정전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 4번을 보면 자동부하 전환개폐기("Auto" Load Transfer Switch)
제목의 "자동" 과, 4번의 Auto가 연결.
[해설작성자 : 나에게도행운이]

3과목 : 전기기기


41. 변압기의 임피던스 전압이란?(2009년 07월)
     1. 정격 전류시의 2차측 단자전압이다.
     2. 변압기의 1차를 단락, 1차에 1차 정격전류와 같은 전류를 흐르게 하는데 필요한 1차 내압이다.
     3. 정격 전류가 흐를 때의 변압기 내의 전압 강하이다.
     4. 변압기의 2차를 단락, 2차에 2차 정격전류와 같은 전류를 흐르게 하는데 필요한 2차 전압이다.

     정답 : []
     정답률 : 71%

42. 3상 유도 전동기의 회전방향은 이 전동기에서 발생되는 회전 자계의 회전 방향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2012년 08월)
     1. 아무 관계도 없다.
     2. 회전 자계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3. 회전 자계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4. 부하 조건에 따라 정해진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대칭 3상 권선에 3상 교류 전압을 공급하여 회전 자계가 발생하면, 회전자는 회전 자계보다 느리게 회전자계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해설작성자 : WY합격]

43. 전부하시의 단자전압이 무부하시의 단자전압보다 높은 직류발전기는?(2022년 04월)
     1. 분권발전기
     2. 평복권발전기
     3. 과복권발전기
     4. 차동복권발전기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전부하시의 단자전압: V_n
무부하시의 단자전압: V_0
V_0<V_n(전압변동률 음수)인 발전기: 과복권, 직권
V_0=V_n(전압변동률 0)인 발전기: 평복권
V_0>V_n(전압변동률 양수)인 발전기: 타여자, 부족복권, 분권
[해설작성자 : 곧시험]

44. 다음 사이리스터 중 3단자 사이리스터가 아닌것은?(2005년 03월)
     1. SCS
     2. SCR
     3. GTO
     4. TRIAC

     정답 : []
     정답률 : 64%

45. 3상 4극 220[V]인 유도 전동기의 권선이 2병렬 델타(△× 2)결선으로 되어 있다. 결선을 고쳐 3상 380[V]로 사용하려면 다음중 옳은 것은?(2004년 03월)
     1. △×1
     2.
     3.
     4.

     정답 : []
     정답률 : 47%

46. 발전기의 단자부근에서 단락이 일어났다고 하면 단락전류는?(2003년 08월)
     1. 계속 증가한다.
     2. 발전기가 즉시 정지한다.
     3. 일정한 큰 전류가 흐른다.
     4. 처음은 큰 전류이나 점차로 감소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단락해서 임피던스 0이니까 전류커짐 전류가 커진다 전압강하가 커짐 단자전압 감소 다시 전류 감소
[해설작성자 : 로니콜먼]

47. 60Hz 의 변압기에 50Hz 의 동일전압을 가했을 때의 자속밀도는 60Hz 때와 비교하였을 경우 어떻게 되는가?(2019년 03월)
     1. 로 감소
     2. 으로 증가
     3. 로 감소
     4. 으로 증가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E= 4.44fBΦ
E가 일정하며 f값이 줄어든다면 자속밀도는 증가한다.
f^1 이므로 6/5만큼 증가
[해설작성자 : PokDo]

위 해설 잘못된 듯 해요
자속과 자속밀도 관계 : B=Φ/A
변압기 유기기전력 : E = 4.44fΦN= 4.44f B A N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변압기에서 f와 B는 반비례 관계
f가 60에서 50으로 감소 시 B는 1.2배 증가해요
[해설작성자 : 흠?]

48. 3300/210[V], 10[kVA]의 단상변압기가 있다. % 저항강하는 3[%], % 리액턴스 강하는4[%]이다. 이 변압기가 무부하인 경우의 2차 단자전압은 약 몇[V]인가? (단, 변압기는 지역률 80[%]일 때 정격출력을 낸다고 한다.)(2008년 05월)
     1. 168
     2. 216
     3. 220
     4. 228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지역률일때는 +
진역률일때는 - 주의하세용
[해설작성자 : 전기기사합격!!]

3*0.8 + 4*0.6 =4.8% = (Vo - 210 / 210)*100
V0 = 22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전압변동률)ε[%] = ( p * cosθ ) + ( q * sinθ ) ▶ ( 3 * 0.8 ) + ( 4 * 0.6 ) = 4.8[%]
V2[V] = V * ( 1 + ε / 100 ) ▶ 210 * ( 1 + 4.8 / 100 ) = 220.08[V]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49. SCR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5월)
     1. 3단자 소자이다.
     2. 스위칭 소자이다.
     3. 직류 전압만을 제어한다.
     4. 적은 게이트 신호로 대전력을 제어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SCR은 3단자 스위칭 소자로 적은 게이트 신호로 대전력을 제어한다.
SCR은 게이트에 (+)의 트리거 펄스가 인가되면 통전 상태로 되어 정류작용(교류->직류)을 개시한다.
[해설작성자 : 짱예원]

50. 단락비가 큰 동기기는?(2005년 05월)
     1. 전기자 반작용이 크다.
     2. 기계가 소형이다.
     3. 전압변동율이 크다.
     4. 안정도가 높다.

     정답 : []
     정답률 : 65%

51. 그림과 같은 변압기에서 1차 전류는 몇 A 인가?(2006년 08월)

    

     1. 0.8
     2. 8
     3. 10
     4. 20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권수비 = 루트(R1/R2) ▶ 5 = 루트(R1/5) ▶ 5^2 = R1/5 ▶ R1 = 125
I = 100 / 125 = 0.8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권수비a=I2/I1이라 5가 아니라 1/5 아닌가용??
[해설작성자 : 삼척블루파워 합격하자]

52. 유도전동기 1극의 자속을 , 2차 유효전류 I2cosθ2, 토크 τ의 관계로 옳은 것은?(2022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토크=k*자속*2차유효전류
[해설작성자 : 파이팅무]

53. 상전압 200V인 3상 반파정류회로에 SCR을 사용하여 위상제어를 할 때 제어각이 60°이면 직류 출력 전압은 약 몇 V 인가?(2006년 08월)
     1. 117
     2. 187
     3. 216
     4. 234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직류 출력 전압 Ed = (3√6/2π)*V*cosθ = (3√6/2π)*200*cos60 = 117[V]
[해설작성자 : Jacky]

3상 반파 직류 출력 전압)Ed[V] = ( 3√6 / 2π) * V * cosθ ▶ 1.17 * 200 * cos60˚ = 117[V]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54. 송전 계통에 접속한 무부하의 동기 전동기를 동기조상기라 한다. 이때 동기 조상기의 계자를 과여자로 해서 운전할 경우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5월)
     1. 콘덴서로 작용한다.
     2. 위상이 뒤진 전류가 흐른다.
     3. 송전선의 역률을 좋게 한다.
     4. 송전선의 전압강하를 감소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콘덴서는 진상이니까 앞선다

55. 유도 전동기와 직결된 전기 동력계의 부하 전류를 증가하면 유도 전동기의 속도는?(2012년 03월)
     1. 증가한다.
     2. 감소한다.
     3. 변함이 없다.
     4. 동기 속도로 회전한다.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유도 전동기와 직결된 전기 동력계의 부하 전류를 증가하면 전기 동력계에 역방향의
토크가 발생하므로 유도 전동기의 속도는 감소한다.
[해설작성자 : Jacky]

56. 단상 정류자전동기의 일종인 단상 반발전동기에 해당되는 것은?(2021년 05월)
     1. 시라게전동기
     2. 반발유도전동기
     3. 아트킨손형전동기
     4. 단상 직권 정류자전동기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 단상 정류자전동기 *
아트킨손, 톰슨, 데리

1. 시라게 전동기 - 3상 분권 정류자 전동기(3상 분권형)
4. 단상 직권 정류자전동기 - 유도보상직권, 직권, 보상직권(단상 직권형)
[해설작성자 : 모슬포]

57. 10[kVA], 2000/100[V] 변압기의 1차 환산 등가 임피던스가 6+j8[Ω]일 때 % 리액턴스 강하는 몇 [%]인가?(2007년 05월)
     1. 1.5
     2. 2
     3. 5
     4. 10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I[A] = P / V ▶ 10 * 10^3 / 2000 = 5[A]
%리액턴스강하)q[%] = ( I * X / V ) * 100 ▶ ( 5 * 8 / 2000 ) * 100 = 2[%]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58. 단락비가 큰 동기 발전기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3월)
     1. 전압 변동률이 크다.
     2. 전기자 반작용이 작다.
     3. 과부하 용량이 크다.
     4. 동기 임피던스가 작다.

     정답 : []
     정답률 : 61%

59. 50Hz로 설계된 3상 유도전동기를 60Hz에 사용하는 경우 단자전압을 110%로 높일 때 일어나는 현상으로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철손불변
     2. 여자전류감소
     3. 온도상승증가
     4. 출력이 일정하면 유효전류 감소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1.철손 = f*B^2 = f*(자속/면적)^2 = f*E /(4.44*N*f*면적)
즉, 철손= E^2/f에 비례.
E->1.1E,f'=0.6/0.5*f    => (1.1)^2/1.2 = 1.008, 거의 변화가 없다.
2.E=V-Ia*Ra, V가 1.1배 증가-> Ia 증가 -> If 감소 (분권전동기로 가정시)
3.I는 변화가 없으므로 온도상승 없음
4.출력 일정 =    V상승분만큼 감소.
[해설작성자 : 원큐합격소망]

1. 철손=히스테리시스손∝(fB)2∝(fΦ)2∝E2/f=1.12/1.2=1.008 -> 불변
2. 여자전류∝Φ∝E/f=1.1/1.2 -> 감소
3. 온도∝철손 -> 불변
4. Icosθ=P/E -> 감소
[해설작성자 : 데자와]

60. 단상 변압기의 병렬운전 조건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2011년 08월)
     1. 각 변압기의 극성이 일치할 것
     2. 각 변압기의 권수비가 같고 1차 및 2차 정격전압이 같을 것
     3. 각 변압기의 백분율 임피던스 강하가 같을 것.
     4. 각 변압기의 저항과 임피던스의 비는 x/r 일 것.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단상변압기 병렬운전조건
1. 극성이 같을 것
2. 권수비 같고, 1차2차 정격전압 같을 것
3. 백뷴율 임피던스 강하가 같을 것
4. r/x 비가 같을 것

4과목 :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61. 의 상태 변수를 라 할때, 시스템 매트릭스(system matrix)는?(2014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편법으로 상태변수를 하위항부터 오른쪽으로 넘기면됨 그러면 -2 -1 이 넘어가서 3번
[해설작성자 : ㅇㅇ]

62. 어떤 제어계에 단위 계단 입력을 가하였더니 출력이 1-e-2t로 나타났다. 이 계의 전달함수는?(2014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출력/입력 -> (1/s - 1/s+2) / 1/s = 1 - s/s+2 = 2 / s+2
[해설작성자 : 응 단위계단 함수의 라플라스 변환 고려해야돼~]

R(S) = 1/S
C(s) = 1 → 1/S
             e^(-2t) → 1/(S+2)
G(s) = C(S) / R(S)
         = [1/S - 1/(S+2)] / 1/S
         = 2 / S+2
[해설작성자 : ㅅㅅㅅ]

63. 전달함수 에 ω =0.1인 정현파 입력을 주었을 때 보드선도의 이득은?(2013년 03월)
     1. -40[dB]
     2. -20[dB]
     3. 0[dB]
     4. 20[dB]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g = 20 * log|G(jw)|
    = 20 * log|1 / [jw * (jw + 10)]
    = 20 * log|1 / [w * root(w^2 + 10^2)]
    = 20 * log|1 / [0.1 * root(01^2 + 10^2)]
    = 20 * log|1 / 1|
    = 0 [dB]

[추가 해설]

g = 20loglG(jω)l = 20logl1/[jω(jω+10)]l = 20log[1/ω√(ω^2+10^2)]lω=0.1
    = 20log[1/0.1*√(0.1^2+10^2)] = 20log1 = 0[dB]

64. 그림과 같은 블록선도에서 C(s)/R(s) 의 값은?(2014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1%

65. 와 같은 함수를 상태함수로 변환 하였다. 벡터 A, B의 값으로 적당한 것은?(2018년 04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편법 ---> +5 , +4 부호바꿔서 반대로 -4     -5 대입하면 답
[해설작성자 : 홍스치킨]

66. 4단자망의 파라미터 정수에 관한 서술 중 잘못된 것은?(2007년 05월)
     1. ABCD 파라미터 중 A 및 D는 차원(dimension)이 없다.
     2. h 파라미터 중 h12 및 h21은 차원이 없다.
     3. ABCD 파라미터 중 B는 어드미턴스, C는 임피던스의 차원을 갖는다.
     4. h 파라미터 중 h11은 임피던스, h22는 어드미턴스의 차원을 갖는다.

     정답 : []
     정답률 : 60%

67. 그림의 블록선도에 대한 전달함수 C/R는?(2019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메이슨 전방경로/(1-(각 루프 합) + 겹치지않는 루프간 곱 ...) 전방경로=G1G2G3, 루프1=-G1G2G4, 루프2=-G2G3 답3번
[해설작성자 : 현우 못생김]

68. 그림과 같은 회로의 전달함수는?(2006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E0= E0분의 저항/ 전체 저항 * E1

E0분의 저항 = R2+1/(C2*s)
전체 저항 R1+R2+1/(C2*s)

그러므로 E0 = (R2*C2*s+1)/((R1+R2)*C2*s+1) * E1
[해설작성자 : 기사필기만 5번]

69. 그림의 시퀀스 회로에서 전자접촉기 X에 의한 A접점(Normal open contact)의 사용 목적은?(2019년 04월)

    

     1. 자기유지회로
     2. 지연회로
     3. 우선 선택회로
     4. 인터록(interlock)회로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자기유지
한번 동작된 회로가 취급한 상태를 원래대로 하여도 정해진 다른 값이 입력되기 전까지 계속 동작하고 있는 것을 자기유지회로라고 한다.
[해설작성자 : 화이팅!]

70. 어떤 제어계에서 입력신호를 가한 다음 출력신호가 정상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의 응답은?(2004년 05월)
     1. 정상응답
     2. 선형응답
     3. 과도응답
     4. 시간응답

     정답 : []
     정답률 : 45%

71. 대칭좌표법에서 대칭분을 각 상전압으로 표시한 것 중 틀린 것은?(2018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1번 영상전압,    2번 정상전압,     3번 역상전압
[해설작성자 : 용산철도고 현자]

72. 회로에서 4단자 정수 A, B, C, D의 값은?(2019년 04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4단자망 π형회로나 T형회로 행렬 외워서 푸는게 아니라 행렬3개 만들고 곱해서 풀면 안외워도품 ㅇㅇ
Zc→Za→Zb 순으로 만들면 되고
| 1     0 | * | 1 Za | * | 1     0 | = 4번처럼 나옴 답4번
|1/Zc 1 |     | 0    1 |     |1/Zb 1 |
[해설작성자 : 일주일뒤시험]

73. 다음과 같은 회로에서 t=0+ 에서 스위치 K 를 닫았다. i1(0+), i2(0+)는 얼마인가?(2003년 05월)

    

     1. i1(0+) = 0, i2(0+) = V/R2
     2. i1(0+) = V/R1, i2(0+) = 0
     3. i1(0+) = 0, i2(0+) = 0
     4. i1(0+) = V/R1, i2(0+) = V/R2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C는 처음에0 나중에 무한대로 작용
L은 처음에 무한대 나중에 0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해설작성자 : 토리]

74. 다음 그림은 전압이 10[V]인 전원장치에 가변저항과 전열기를 연결한 회로이다. 가변저항이 5[Ω]일 때, 회로에흐르는 전류는 1[A]이다. 가변저항을 15[Ω]으로 바꾸고 전열기를 4초 동안 사용 할 경우 전열기에서 소비되는 전력[W]은 얼마인가? (단, 전원장치의 전압과 전열기의 저항은 일정하다)(2011년 06월)

    

     1. 1.25
     2. 1.5
     3. 1.88
     4. 2.0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1A * (5 + R ) = 10
- R = 5

Pt = V^2 / R
     = 10^2 / 20
Pr = 5 * (5/20)
     = 1.25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전체저항)Rt[Ω] = V / I ▶ 10 / 1 = 10[Ω]
전체저항)10[Ω] = 5 + Rh ▶ (전열기)Rh[Ω] = 5[Ω]
가변저항 15[Ω]으로 변경시 전류) I[A] = V / ( R + Rh ) ▶ 10 / ( 15 + 5 ) = 0.5[A]
가변저항 15[Ω]으로 변경시 전열기에서 소비되는 전력)P[W] = I^2 * Rh ▶ 0.5^2 * 5 = 1.25[W]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75. 최대값이 Im인 정현파 교류의 반파정류 파형의 실효값은?(2018년 08월)
     1. Im / 2
     2. Im / √2
     3. 2Im / π
     4. πIm / 2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파고율=최대값/실효값        최대값Vm     실효값 Vm/루트2    →    Vm/Vm/루트2 = 루트2
[해설작성자 : 아재]

루트(i^2/2파이*적분 (파이에서 0까지) sin세타) = 루트(i^2/2파이*적분((루트1-cos2세타))/2)= i/2
[해설작성자 : 알아볼라나..?]

76. 그림과 같은 구형파의 라플라스 변환은?(2017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2u(t)-2u(t-4) = 2/s-(2/s)*e^-4s = 2/s(1-e^-4s)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Laplace Transform 기본 정의
: 주어진 함수 f(t)와 시간 t≥0 에 대하여 f(t)의 라플라스 변환 L{f(t)} = F(s) = ∫∞~0 exp^(-st)·f(t)dt

f(t)는 0~4까지 2의 값을 가지는 함수이므로,
L{2} = ∫∞~0 exp^(-st)·2 dt
                 = -2/s x exp^(-st)│4~0 = -2/s x exp^(-4s) - (-2/s) x 1 = 2/s x {1 - exp^(-4s)}

Laplace 변환의 기본을 묻는 문제!
[해설작성자 : 나대로]

77. 그림과 같은 파형의 순시값은?(2012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Vmsin(wt플마위상각)
[해설작성자 : 로니컬먼]

78. 각 상의 임피던스가 R+jX[Ω]인 것을 Y 결선으로 한 평형 3상 부하에 선간전압 E[V]를 가하면 선전류는 몇 [A]가 되는가?(2013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상전류 Ip = (E/root3)/Z = E/root3*Z
Y결선에서 상전류와 선전류는 서로 같음
그러므로 답은 4번
[해설작성자 : 똑똑한 똘똘이]

79. z 변환 함수 Z/(Z-e-aT)에 대응되는 라플라스 변환과 이에 대응되는 시간함수는?(2008년 07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δ(t)     → 1             → 1
u(t)        → 1/s         → z/(z-1)
t             → 1/s^2     → Tz/(z-1)^2
e^(-at) → 1/(s+a) → z/(z-e^(-at))
[해설작성자 : ㅅㅅㅅ]

80. 는?(2022년 04월)
     1. δ(t)+e-t(cos2t-sin2t)
     2. δ(t)+e-t(cos2t+2sin2t)
     3. δ(t)+e-t(cos2t-2sin2t)
     4. δ(t)+e-t(cos2t+sin2t)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3번-δ(t)+e-t(cos2t-2sin2t)
                             2-2.2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s^2+2s+5+s-3/s^2+2s+5
=> 1+    s-3/s^2+2s+5
=> 1+    (s+1)-4/(s+1)^2+4
여기서 s+1을 s로 하면
s/s^2+4    -    4/s^2+4로 정리됨
[해설작성자 : 몰라몰라]

@몰라몰라 님께서 정리한식으로 풀면...

F(s) = (s^2 + 3s + s) / (s^2 + 2s + 5)
= (s^2 + 2s + 5 + s - 3) / (s^2 + 2s + 5)
= 1 + (s-3) / (s^2 + 2s + 5)
= 1 + (s-3) / (( s+ 1)^2 + 2^2)
= 1 + (s+1 -4) / (( s+ 1)^2 + 2^2)
= 1 + (s+1)/ (( s+ 1)^2 + 2^2) - 2 x 2 / (( s+ 1)^2 + 2^2)

역라프라스 처리를 하면.
delta(t) + e^-t x cos 2t - e&-t x sin 2t
= delta(t) + e^-t (cos 2t - sin 2t)
[해설작성자 : jj]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jj님이 역라플라스후 sin항 앞에 2를 빼먹으신 것 같습니다.
δ(t) + e^-t x cos2t - '2' x e^-t x sin2t
δ(t) + e^-t (cos2t-2sin2t)
따라서, 정답 3번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 전자과]

[오류신고 반론]
분모자 차수가 같으므로 분리함 아래와 같이하면 분자는 문제대로 S^2+3s+2가 됨 / 이후 완전제곱식(라플라스) /항 분리
(S^2+2s+5)+s-3    =     1+s-3    =     (s+1)-4        =         s+1        -            4             =
S^2+2s+5             = S^2+2s+5 = (s+1)^2+2^2    =(s+1)^2+2^2 - (s+1)^2+2^2    = 최종적으로 앞항은 e-atcos 뒷항은 2e-atsin
sin은 분모가 2제곱이라 상수에 2를 곱해야하기때문에 2sin이됨 공통 묶으면 3번이됨
[해설작성자 : ㅇㅇ]

81. 고압용의 개폐기, 차단기, 피뢰기 기타 이와 유사한 기구로서 동작시에 아크가 생기는 것은 목재의 벽 또는 천정 기타의 가연성 물체로부터 몇 m이상 떼어 놓아야 하는가?(2004년 08월)
     1. 1
     2. 1.2
     3. 1.5
     4. 2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아크를 발생하는 기구의 시설(판단기준 제35조)
고압 - 1m이상
특고압 - 2m이상
[해설작성자 : Jacky]

82. 사용 전압이 170[kV]일 때 울타리 담등의 높이와 울타리담 등으로부터 충전부분까지의 거리[m]의 합계는?(2011년 03월)
     1. 5
     2. 5.12
     3. 6
     4. 6.12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60kV 초과시
6m + 1만(V)마다 0.12m를 더하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전기왕]

[문제 보충 해설]
기술기준 제50조(발전소 등의 울타리, 담 등의 시설)
사용전압이 170[kV]일 때 울타리, 담 등의 높이와 울타리, 담 등으로부터 충전부분까지의 거리의 합계는 사용전압이 160[kV]이하는 6[m]에
160[kV]를 넘는 10[kV]또는 그 단수마다 12[cm]을 더한 값으로 된다. ***거리의 합계 = 6 + 0.12 = 6.12[m]이다.
[해설작성자 : zceg3]

83. 가반형의 용접전극을 사용하는 아크용접장치의 용접변압기의 1차측 전로의 대지전압은 몇 V 이하이어야 하는가?(2004년 03월)
     1. 150
     2. 220
     3. 300
     4. 380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아크 용접장치의 시설(판단기준 제247조)
1. 용접변압기는 절연변압기일 것.
2. 용접변압기의 1차측 전로의 대지전압은 300V 이하일 것.
3. 용접변압기의 1차측 전로에는 용접변압기에 가까운 곳에 쉽게 개폐할 수 있는 개폐기를 시설할 것.
4. 피용접재 또는 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받침대․정반 등의 금속체에는 제3종 접지공사를 할 것.
[해설작성자 : Jacky]

84. 교량위에 시설하는 조명용 저압 가공 전선로에 사용되는 경동선의 최소 굵기는 몇 mm인가?(2014년 05월)
     1. 1.6
     2. 2.0
     3. 2.6
     4. 3.2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교량에 시설하는 전선로 (판단기준 제148조)
저압인 경우
1. 교량의 윗면에 시설하는 것은 다음에 의하는 이외에 전선의 높이를 교량의 노면상 5m 이상으로 하여 시설할 것.
가. 전선은 케이블인 경우 이외에는 인장강도 2.30kN 이상의 것 또는 지름 2.6mm 이상의 경동선의 절연전선일 것.
나. 전선과 조영재 사이의 이격거리는 전선이 케이블인 경우 이외에는 30cm 이상일 것.
다. 전선은 케이블인 경우 이외에는 조영재에 견고하게 붙인 완금류에 절연성․난연성 및 내수성의 애자로 지지할 것.
라. 전선이 케이블인 경우에는 제69조(제1항제4호는 제외한다)의 규정에 준하는 이외에 전선과 조영재 사이의 이격거리를 15cm 이상으로 하여 시설할 것.
2. 교량의 옆면에 시설하는 것은 제1호 또는 제94조제2항부터 제5항까지의 규정에 준하여 시설할 것.
3. 교량의 아랫면에 시설하는 것은 제196조의 규정에 준하는 이외에 제183조의 규정에 준하는 합성수지관 공사, 제184조의 규정에 준하는 금속관 공사, 제186조의 규정에 준하는 가요전선관 공사 또는 193조(제3항은 제외한다)의 규정에 준하는 케이블 공사에 의하여 시설할 것.
[해설작성자 : tgbgmjl]

85. 154kV 가공전선과 가공 약전류 전선이 교차하는 경우에 시설하는 보호망을 구성하는 금속선 중 가공 전선의 바로 아래에 시설되는 것 이외의 다른 부분에 시설되는 금속선은 지름 몇 mm 이상의 아연도 철선이어야 하는가?(2016년 05월)
     1. 2.6
     2. 3.2
     3. 4.0
     4. 5.0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가공전선 바로 아래 시설 -> 5mm & 8.05kN
그 외 -> 4mm & 3.64kN
[해설작성자 : 한달안에 합격 ㄱㄱ]

86. 사용전압 66[kVA] 가공전선과 6[kV] 고공 전선을 동일지지물에 시설하는 경우, 특고압 가공전선은 케이블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단면적이 몇 mm2 인 경동연선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세기 및 굵기의 연선이어야 하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1년 06월)
     1. 22
     2. 38
     3. 55
     4. 100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사용전선: 연선 규격 -> 인장강도 21.67[kN]이상의 연선 또는 단면적이 55[mm square]이상인 경동연선을 사용.
[해설작성자 : 홍상준]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규정바뀜]
사용전선: 연선 규격 -> 인장강도 21.67[kN]이상의 연선 또는 단면적이 50[mm square]이상인 경동연선을 사용.
[해설작성자 : ㅇㅇ]

87. 최대사용전압 22.9kV인 3상 4선식 다중 접지방식의 지중 전선로의 절연내력시험을 직류로 할 경우 시험전압은 몇 V 인가?(2018년 08월)
     1. 16448
     2. 21068
     3. 32796
     4. 42136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22.9x0.92=21068 직류니까 x2 하면 42136
[해설작성자 : 합격자]

88. 특고압 계기용변성기의 2차측 전로의 접지 공사는?(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0년 03월)
     1. 제 1종 접지공사
     2. 제 2종 접지 공사
     3. 제 3종 접지 공사
     4. 특별 제 3종 접지 공사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종 접지공사
- 특고압 계기용 변성기 2차측
- 고압 기계기구의 외함
- 피뢰기
2종 접지공사
- 변압기 2차측 중성점 또는 1단자
3종 접지공사
- 덕트(400V 미만)
- 고압계기용 변성기 2차측
- 400V미만의 기기 외함, 철대
- 유도장해 방지 차폐선
특별 3종 접지공사
- 400V 이상의 저압 기계 기구의 외함, 철대
[해설작성자 : ㅅㅅㅅ]

(2021년 KEC 규정 변경으로 인하여 접지관련 문제는 출제되지 않습니다.)

89. 고압 가공인입선의 전선으로는 지름이 몇 [mm]이상의 경동선의 고압 절연전선을 사용하는가?(2012년 08월)
     1. 1.6
     2. 2.6
     3. 3.5
     4. 5.0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고압 인입선 등의 시설(판단기준 제102조)
고압 가공인입선은 인장강도 8.01kN 이상의 고압절연전선, 특고압 절연전선 또는 지름 5mm 이상의 경동선의
고압 절연전선, 특고압 절연전선 또는 인하용 절연전선을 애자사용공사에 의하여 시설하거나 케이블을 시설
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Jacky]

90. 수소냉각식 발전기 및 이에 부속하는 수소냉각장치에 대한 시설기준으로 틀린 것은?(2021년 03월)
     1. 발전기 내부의 수소의 온도를 계측하는 장치를 시설할 것
     2. 발전기 내부의 수소의 순도가 70[%] 이하로 저하한 경우에 경보를 하는 장치를 시설할 것
     3. 발전기는 기밀구조의 것이고 또한 수소가 대기압에서 폭발하는 경우에 생기는 압력에 견디는 강도를 가지는 것일 것
     4. 발전기 내부의 수소의 압력을 계측하는 장치 및 그 압력이 현저히 변동한 경우에 이를 경보하는 장치를 시설할 것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85% 이하일 때 경보
[해설작성자 : 김이삭

제51조 (수소냉각식 발전기 등의 시설) 수소냉각식의 발전기․조상기 또는 이에 부속하는 수소 냉각 장치는 다음 각 호에 따라 시설하여야 한다.
3. 발전기안 또는 조상기안의 수소의 순도가 85 % 이하로 저하한 경우에 이를 경보하는 장치를 시설할 것.
85% 경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상주감시를 하는 시설에서는 85% 경보
상주감시를 아니하는 곳에서는 90%일때 기술원이 있는 장소에 경보 85%차단
[해설작성자 : 야호]

351.10 수소냉각식 발전기 등의 시설
수소냉각식의 발전기ㆍ조상기 또는 이에 부속하는 수소 냉각 장치는 다음 각 호에 따라 시설하여야 한다.
가. 발전기 또는 조상기는 기밀구조(氣密構造)의 것이고 또한 수소가 대기압에서 폭발 하는 경우에 생기는 압력에 견디는 강도를 가지는 것일 것.
나. 발전기축의 밀봉부에는 질소 가스를 봉입할 수 있는 장치 또는 발전기 축의 밀봉부로부터 누설된 수소 가스를 안전하게 외부에 방출할 수 있는 장치를 시설할 것.
다. 발전기 내부 또는 조상기 내부의 수소의 순도가 85 % 이하로 저하한 경우에 이를 경보하는 장치를 시설할 것.
라. 발전기 내부 또는 조상기 내부의 수소의 압력을 계측하는 장치 및 그 압력이 현저히 변동한 경우에 이를 경보하는 장치를 시설할 것.
마. 발전기 내부 또는 조상기 내부의 수소의 온도를 계측하는 장치를 시설할 것.
바. 발전기 내부 또는 조상기 내부로 수소를 안전하게 도입할 수 있는 장치 및 발전기안 또는 조상기안의 수소를 안전하게 외부로 방출할 수 있는 장치를 시설할 것.
사. 수소를 통하는 관은 동관 또는 이음매 없는 강판이어야 하며 또한 수소가 대기압에서 폭발하는 경우에 생기는 압력에 견디는 강도의 것일 것.
아. 수소를 통하는 관ㆍ밸브 등은 수소가 새지 아니하는 구조로 되어 있을 것.
자. 발전기 또는 조상기에 붙인 유리제의 점검 창 등은 쉽게 파손되지 아니하는 구조로 되어 있을 것.
[해설작성자 : sanghuh]

91. 수소냉각식 발전기의 시설기준을 잘못 설명한 것은?(2003년 08월)
     1. 발전기는 기밀구조의 것이고, 또한 수소가 대기압에서 폭발하는 경우에 생기는 압력에 견디는 강도를 가지는 것일 것
     2. 발전기안의 수소온도를 계측하는 장치를 시설할 것
     3. 발전기안의 수소의 압력을 계측하는 장치 및 그 압력이 현저히 변동한 경우에 이를 경보하는 장치를 시설할 것
     4. 발전기안의 수소의 순도가 85%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는 자동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할 것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수소 냉각 발전기등의 시설
- 발전기 또는 조상기는 기밀구조
- 수소의 순도가 85% 이하로 저하된 경우 경보장치를 시설할 것
- 기계 안에 수소 온도 계측 장치의 시설
- 동관 또는 연결부 없는 강고나 사용
- 수소가 새지 않는 구조로 할 것
[해설작성자 : ㅅㅅㅅ]

92. 수소 냉각식 발전기 등의 시설기준을 잘못 설명한 것은?(2008년 07월)
     1. 발전기는 기밀구조의 것이고, 또한 수소가 대기압에서 폭발하는 경우에 생기는 압력에 견디는 강도를 가지는 것
     2. 발전기안의 수소의 온도를 계측하는 장치를 시설 할 것
     3. 발전기 안의 수소의 압력을 계측하는 장치 및 그 압력이 현저히 변동한 경우에 이를 경보하는 장치를 시설 할 것
     4. 발전기 안의 수소의 순도가 85[%]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 이를 경보하는 장치를 시설 할 것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수소 순도 85% 이상이 아닌 이하로 됐을시 경보장치 필요
[해설작성자 : 윤도미]

93. 전력보안통신설비의 조가선은 단면적 몇 mm2 이상의 아연도강연선을 사용하여야 하는가?(2022년 04월)
     1. 16
     2. 38
     3. 50
     4. 55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통신 설비나 전차선의 조가선은 38mm^2 이상
[해설작성자 : 수도공고갤러리 갤주]

94. 옥내에 시설되는 전동기가 소손될 우려가 있는 경우 과전류가 생겼을 때 자동으로 차단하거나 경보를 발생하는 장치를 시설하여야 한다. 이 규정에 적용되는 전동기 정격 출력의 최소값은?(2012년 03월)
     1. 150W 초과
     2. 200W 초과
     3. 250W 초과
     4. 300W 초과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전동기의 과부하 보호 장치의 시설(판단기준 제174조)
옥내에 시설하는 전동기(정격 출력이 0.2㎾ 이하인 것을 제외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에는 전동기가
손상될 우려가 있는 과전류가 생겼을 때에 자동적으로 이를 저지하거나 이를 경보하는 장치를 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Jacky]

95. 금속관 공사에 의한 저압 옥내배선의 방법으로 틀린 것은?(2010년 07월)
     1. 옥외용 비닐 절연전선을 사용하였다.
     2. 전선으로 연선을 사용하였다.
     3. 콘크리트에 매설하는 관은 두께 1.2[㎜]용을 사용하였다.
     4. 사용전압 400[V] 이상이고 사람의 접촉 우려가 없어 제3종 접지공사를 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접촉우려 x -> 3종
[해설작성자 : ㅎㅎ]

전선은 절연전선(옥외용 비닐전연전선 제외)
전선은 연선
- 짧고 가는 금속관에 넣을 것
- 단면적은 10mm^2 이하의 것
전선은 금속관 안에서 접속점이 없을 것
[해설작성자 : ㅅㅅㅅ]

96. 엘리베이터 등의 상강로 내에 시설되는 저압 옥내배선에 사용되는 전압의 최대한도는?(2011년 06월)
     1. 250V 미만
     2. 300V 미만
     3. 400V 미만
     4. 600V 미만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판단기준 제207조) 엘리베이터. 덤웨이터 등의 승강로 안의 저압 옥내 배선 등의 시설
엘리베이터. 덤웨이터 등의 승강로 내에 시설하는 사용 전압이 400[v] 미만인 저압 옥내 배선, 저압의 이동 전선 및 이에 직접 접속하는 리프트 케이블은 이에 적합한 비닐리프트 케이블 또는 고무리프트 케이블을 사용하여야 한다.

97. 일정 용량 이상의 조상기에는 그 내부에 고장이 생긴 경우에 자동적으로 이를 전로로부터 차단하는 장치를 하여야 하는데 그 용량은 몇 [kVA] 이상인가?(2010년 03월)
     1. 15000
     2. 20000
     3. 35000
     4. 40000

     정답 : []
     정답률 : 69%

98. 애자사용 공사를 습기가 많은 장소에 시설하는 경우 전선과 조영재 사이의 이격거리는 몇 cm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사용전압은 440V인 경우이다.(2017년 03월)
     1. 2.0
     2. 2.5
     3. 4.5
     4. 6.0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400V 미만 2.5cm 이상
400V 이상(건조한 장소)2.5cm이상
                 (습한 장소) 4.5cm이상
[해설작성자 : 합격합시다]

애자사용 공사(판단기준 제181조)
1. 전선은 절연전선(옥외용 비닐 절연전선 및 인입용 비닐 절연전선을 제외한다)일 것.
2. 전선 상호 간의 간격은 6cm 이상일 것.
3. 전선과 조영재 사이의 이격거리는 사용전압이 400V 미만인 경우에는 2.5cm 이상, 400V 이상인 경우에는 4.5cm
     (건조한 장소에 시설하는 경우에는 2.5cm)이상일 것.
4. 전선의 지지점 간의 거리는 전선을 조영재의 윗면 또는 옆면에 따라 붙일 경우에는 2m 이하일 것.
5. 사용전압이 400V 이상인 것은 제4호의 경우 이외에는 전선의 지지점 간의 거리는 6m 이하일 것.
6. 저압 옥내배선은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할 것. 다만, 사용전압이 400V 미만인 경우에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는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7. 전선이 조영재를 관통하는 경우에는 그 관통하는 부분의 전선을 전선마다 각각 별개의 난연성 및 내수성이 있는
     절연관에 넣을 것. 다만, 사용전압이 150 V 이하인 전선을 건조한 장소에 시설하는 경우로서 관통하는 부분의
     전선에 내구성이 있는 절연 테이프를 감을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해설작성자 : Jacky]

99. 154[kV]가공 전선로를 시가지에 시설하는 경우 특별고압 가공전선에 지락 또는 단락이 생기면 몇 초 이내에 자동적으로 이를 전로로부터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하는가?(2007년 05월)
     1. 1
     2. 2
     3. 3
     4. 5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00Kv를 초과하면 1초
[해설작성자 : ㄱㅂㅎ]

100. 백열전등 또는 방전등 및 이에 부속하는 전선은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는 경우 대지 전압은 최대 몇 [V]인가?(2010년 03월)
     1. 100
     2. 150
     3. 300
     4. 450

     정답 : []
     정답률 : 70%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전기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6일)(5086096)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전기, 기사, 전기기사,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 자연생태복원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6일)(64679)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6 2
45 침투비파괴검사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09월1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6 1
44 9급 지방직 공무원 공업화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6일)(4284142)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6 1
43 9급 지방직 공무원 건축계획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6일)(8567029)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6 1
42 유통관리사 3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11월1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6 1
41 9급 지방직 공무원 사회복지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6월1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6 1
40 청소년상담사 1급(1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3월29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6 1
39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공중보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6월0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6 1
38 여성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7월12일(4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6 1
37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지역사회간호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6월2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6 1
36 ERP 회계 2급 실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3월2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6 1
35 산림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6일)(939316)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6 1
34 폐기물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10월0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6 1
33 임산가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8월0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6 1
32 정보처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7월31일(4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6 1
31 수능(생명과학I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6일)(7692983)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6 2
30 소방설비산업기사(기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6일)(4098878)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6 2
» 전기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6일)(5086096)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6 2
28 TAT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4월1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6 2
27 비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5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6 3
Board Pagination Prev 1 ... 1150 1151 1152 1153 1154 1155 1156 1157 1158 1159 Next
/ 1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