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온실가스관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7일)(2161146)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온실가스관리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기후변화개론


1.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을 7개 부문별 적응대책과 3개 적응기반 대책으로 분류할 때, 다음중 적응기반 대책에 해당하지 않는 분야는?(2015년 05월)
     1. 기후변화감시예측 분야
     2. 적응산업에너지 분야
     3. 교육홍보국제협력 분야
     4. 해양수산업 분야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부문별 적응대책 7가지 : 건강,재난/재해,농업,산립,해양/수산업,물관리,생태계
적응기반 대책 3가지 : 기후변화감시예측, 적응산업에너지, 교육홍보국제협력
해양수산업분야는 부문별 적응대책 분야입니다.
[해설작성자 : 게을러지면앙대]

2. 다음 중 국내 5가지 온실가스 배출분야에서 배출량이 가장 많은 분야는?(2015년 09월)
     1. 산업공정
     2. 에너지
     3. 폐기물
     4. LULUCF

     정답 : []
     정답률 : 78%

3. 지구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척도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8년 09월)
     1. 해수면 변화, 해양 온도
     2. 강수 온도, 건축물 온도 측정
     3. 빙하, 해빙
     4. 위성 온도 측정, 기후 대리변수

     정답 : []
     정답률 : 85%

4. 기후변화의 영향과 취약성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9월)
     1. 기후변화의 영향이 높고 적응력이 낮을 경우 사회시스템의 기후변화 취약성은 높다고 볼 수 있다.
     2. 기후변화의 영향이 높고 적응력이 높을 경우 사회시스템은 발전의 기회를 가질 수 있다.
     3. 기후변화에 대한 영향과 적응력이 모두 낮을 경우 사회시스템은 잔여위험을 가질 수 있다.
     4. 기후변화의 영향이 낮고 적응력이 높을 경우 사회시스템은 지속가능한 발전을 하지 못한다.

     정답 : []
     정답률 : 93%

5. 기후변화협약의 주요 내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기후변화 완화조치를 포함한 국가계획의 수립, 시행
     2. 온실가스 저감기술 및 공정의 개발
     3. 배출권 거래제도와 공동이행제도의 도입
     4. 선진국의 온실가스를 2020년까지 1990년 수준에서 평균 5.2% 의무 감축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2030년까지 5.2% 감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 유엔기후변화협약의 주요 내용과 거리가 먼 것은?(2016년 10월)
     1. 모든 당사국의 공통이지만 차별화된 책임과 각자 능력의 원칙에 따라 기후변화에 대처 하여야 한다.
     2. 선진국의 의무사항으로 온실가스 배출을 2008~2010년까지 1990년 대비 평균 5.2% 감축하여야 한다.
     3. 모든 회원국은 온실가스감축 국가보고서 및 온실가스 배출목록 보고서를 매년 제출하여야 한다.
     4. 배출권 거래제도와 공동이행 제도의도입도 포함된다.

     정답 : []
     정답률 : 45%

7. 기후변화 적응기술 및 정책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6년 10월)
     1. 무경농법은 수확한 농토를 갈지 않고 그루터기에 파종하는 방법이다.
     2. 보호지역제도 관리대안으로 UNESCO는 생물권 보전지역 지정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3. 산림이 농경지나 산업용지, 도시용지로 바뀌면 자연의 이산화탄소 흡수능력이 약화되므로 토지이용형태를 고려해야 한다.
     4. 생물 멸종을 막기 위해서는 특히 먹이사슬의 아래쪽에 있는 동물의 멸종을 막도록 하는 것이 보다 중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83%

8. 다음 중 교토의정서상 당사국이 준수해야 하는 사항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4년 09월)
     1. 고가의 설비 및 장비의 시장 점유율 확대
     2. 강제적인 감축활동 요구와 기후기금배분의 현실화
     3. 국가 경제의 관련 분야에서 에너지 효율성 향상
     4. Non-ANNEX l 국가의 선진화

     정답 : []
     정답률 : 64%

9. 다음 중 UNFCCC에서 규제하고 있는 온실가스가 아닌 것은?(2018년 04월)
     1. 수소불화탄소
     2. 이산화질소
     3. 육불화황
     4. 과불화탄소

     정답 : []
     정답률 : 93%

10. 1992년 체결된 기후변화에 관한 유엔기본협약의 이론적 틀을 마련하고, 기후변화와 관련된 과학적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국제기구는?(2020년 09월)
     1.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IPCC)
     2. 세계기상기구(WMO)
     3. 유엔환경계획(UNEP)
     4. 유엔개발계획(UNDP)

     정답 : []
     정답률 : 76%

11. 다음은 어떤 회의에서 논의된 중요 사항인가?(2017년 05월)

    

     1. 2009년 코펜하겐회의(COP-15)
     2. 2010년 칸쿤회의(COP-16)
     3. 2011년 더반회의(COP-17)
     4. 2012년 도하회의(COP-18)

     정답 : []
     정답률 : 59%

12. 온실가스 조기감축 실적 인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감축목표 이행실적의 평가단계에서 반영한다.
     2. 사업장단위와 사업단위 감축실적 모두 인정한다.
     3. 연간 인정총량은 전체 관리업체 목표총량의 5%로 설정한다.
     4. 감축실적을 정부재정으로 보상한 경우는 인정에서 제외된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조기감축실적의 연간 인정 총량 1%
[해설작성자 : BF]

13. 우리나라는 국무총리실에서 범정부 기후변화 대책기구가 구성되면서 제1차 ~ 4차까지 기후변화 종합대책을 수립하였는데 이중 기후변화협약 이행기반구축,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 기후변화 적응기반 구축 등 3대 부문 91개 과제를 담고, 처음으로 기후변화 적응문제에 관심을 표명한 것은 제 몇 차 기후변화 종합대책에 해당하는가?(2015년 05월)
     1. 제1차(1999~2001)
     2. 제2차(2002~2004)
     3. 제3차(2005~2007)
     4. 제4차(2008~2012)

     정답 : []
     정답률 : 65%

14. 기후변화 관련 당사국총회의 주요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9월)
     1. 제4차 당사국총회에서는 교토의정서의 세부이행절차 마련을 위한 행동계획을 수립하였다.
     2. 제7차 당사국총회에서는 독일에서 개최되었으며, 독일의 온실가스 감축의 부담방안으로 경제성장에 연동된 온실가스 배출목표를 제시하였다.
     3. 제12차 당사국총회에서는 선진국들의 2차 공약기간 온실가스 감축량 설정을 위한 논의일정에 합의하였다.
     4. 제16차 당사국총회에서는 Post-2012 기후체제 합의를 위한 협상을 지속하기로 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제7차 당사국총회는 모로코에서 개최되었다.
[해설작성자 : 탄소중립]

15. 미래 기후변화의 영향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9월)
     1. 난대성 상록 활엽수인 후박나무는 북부지역으로 확대된다.
     2. 꽃매미, 열대모기 등 북방계 외래곤충이 감소하고 고온으로 인한 병충해 발생가능성이 감소한다.
     3. 농업에 있어서는 생산성 감소의 위협과 신 영농기법 도입의 기회가 공존한다.
     4. 산업전반에서는 산업리스크 증가와 새로운 시장 창출 기회가 공존한다.

     정답 : []
     정답률 : 88%

16. 청정개발체제사업에서 배출권의 투명성과 신뢰성 있는 관리를 위하여 구성하고 운영하는 기구와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5월)
     1. 적응기금(Adaptation Fund)
     2. 운영기구(Designated Operation Entity)
     3. 집행이사회(Executive Board)
     4. 국가승인기구((Designated National Authority)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1. 적응기금 : 개발 도상국들이 급격한 기후 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능력을 키워주고, 기후 변화로 입은 재해를 복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금
[해설작성자 : DoubleM2]

17. 기후시스템에서 구름의 영향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20년 09월)
     1. 구름과 온난화는 관련이 없다.
     2. 낮은 구름이 증가하면 온난화 효과가 크다.
     3. 낮은 구름보다 높은 구름이 증가하면 지구복사에너지를 더 많이 흡수한다.
     4. 현재까지는 온난화로 높은 구름이 감소할 가능성이 지배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답 : []
     정답률 : 79%

18. 우리나라가 2011년에 세계표준센터를 유치한 온실가스는?(2016년 05월)
     1. 이산화탄소
     2. 메탄
     3. 아산화질소
     4. 육불화황

     정답 : []
     정답률 : 62%

19. 배출권 거래제도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5월)
     1. 배출권 거래제도는 시장원리에 기반한 제도이다.
     2. 배출권 거래제도는 자발적인 제도로서 의무를 수반하지 않는다.
     3. 배출권 거래제도는 배출총량이 고정되어 있다.
     4. 배출권 거래제도의 운영에는 일정 수준의 거래비용이 발생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20. 기후변화관련 국제기구 중 UN조직 내 환경활동을 촉진, 조정, 활성화하기 위해 설립된 환경전담 국제정부간 기구로 환경문제에 대한 국제적 협력을 도모하기 위한 기구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9년 09월)
     1. WCRP
     2. UNIDO
     3. UNDP
     4. UNEP

     정답 : []
     정답률 : 87%

2과목 : 온실가스 배출의 이해


21. 합금철 생산에서 전기아크로에 투입되는 원료로 볼 수 없는 것은?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2015년 09월)
     1. 철스크랩
     2. 석회
     3. 슬랙
     4. 흑연전극

     정답 : []
     정답률 : 54%

22.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에서 석유화학제품 생산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2015년 09월)
     1. 메탄올 생산
     2. 암모니아 생산
     3. 에틸렌 옥사이드 생산
     4. 아크릴로니트릴 생산

     정답 : []
     정답률 : 75%

23.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N2O를 산정하지 않는 처리시설은?(2021년 05월)
     1. 하수처리시설
     2. 폐수처리시설
     3. 혐기성 분해시설
     4. 폐가스 소각시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1. 하수처리시설 : CH4, N2O
2. 폐수처리시설 : CH4
3. 혐기성분해시설(폐기물 소각) : CO2, CH4, N2O
4. 폐가스 소각시설(고형폐기물의 생물학적 처리) : CH4, N2O
[해설작성자 : Ice Breakers]

24. 다음 중 목표관리제 보고대상이 아닌 것은?(2021년 09월)
     1. 에어로졸 사용단계에서의 HFCs
     2. 에어컨 생산단계에서의 HFCs
     3. 전기설비 사용단계에서의 SF6
     4. 발포제 생산단계에서의 HFCs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에어로졸 사용단계에서 탈루성 배출은 보고대상이 아닙니다
[해설작성자 : lucky531]

25. 다음은 철강생산의 고로공정 구성이다. ( )안에 들어갈 부생가스로 옳은 것은?(2017년 05월)

    

     1. COG
     2. BFG
     3. LDG
     4. FOG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COG : 코크스 오븐 가스
BFG : 고로가스
LDG : 전로가스
[해설작성자 : 온앤오프팬]

26. 옥탄가가 낮은 경질유분의 탄화수소 구조를 바꾸어 옥탄가가 높은 유분으로 변환시키는 공정은?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2015년 09월)
     1. 메록스
     2. 수첩탈황
     3. 리포오밍
     4. 감압증류

     정답 : []
     정답률 : 72%

27.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이동연소 부문의 철도차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9월)
     1. 철도 부문은 일반적으로 디젤, 전기, 증기 세 가지 중 하나를 사용하여 구동하는 철도기관차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한다.
     2. 철도차량은 고속차량, 전기기관차, 전기동차, 디젤기관차, 디젤동차, 특수차량 등 6종류가 있다.
     3. 디젤기관차와 디젤동차의 주된 차이점은 전기동력의 사용 유무와 관련이 있다.
     4. 증기기관차는 산업용으로만 한정하고 있으며, 발생되는 온실가스는 상대적으로 많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증기기관차는 이동연소 철도차량에 해당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탄소중립]

28. 시멘트 제조공정의 소성공정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2015년 09월)
     1. 예열기-소성로-냉각기-크링커 치장
     2. 예열기-소성로-크링커 치장-냉각기
     3. 크링커 치장-예열기-소성로-냉각기
     4. 예열기-크링커 치장-소성로-냉각기

     정답 : []
     정답률 : 58%

29. 온실가스 배출시설 중 고정연소 배출시설이 아닌 것은?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2015년 09월)
     1. 열병합 발전시설
     2. 일반 보일러시설
     3. 공정연소시설
     4. 수상항해시설

     정답 : []
     정답률 : 83%

30. 철강 제조공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철강 제조공정은 제선 및 제강으로 구분한다.
     2. 제선공정은 철광석에서 선철을 만드는 공정이다.
     3. 전로공정은 선철을 이용하여 강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4. 고로공정은 철스크랩을 이용하여 강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정답 : []
     정답률 : 70%

31. 국내 목표관리제의 소각시설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산정방법 특성이 아닌 것은?(2021년 09월)
     1. CO2 배출량 산정은 활동자료인 폐기물의 소각량과 총탄소의 건조 탄소함량비율에 의해 결정된다.
     2. 바이오매스 폐기물(음식물, 목재 등)의 소각으로 인한 CO2배출은 생물학적 배출량이므로 배출량 산정 시 제외되어야 한다.
     3. non-CO2(CH4 및 N2O)의 경우에는 제시된 배출계수 또는 측정을 통하여 배출량을 산정한다.
     4. 국내 목표관리제에서 고상과 액상폐기물의 소각에 의한 온실가스 CO2산정방법으로 Tier 1이상을 요구하고 있으며, 연속측정방법인 Tier 4도 허용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화석연료로 인한 폐기물의 소각으로 인한 이산화탄소만 배출량에 포함되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폐기물 소각으로 인한 이산화탄소 배출은 mass-balance 또는 측정방법에 따라 폐기물의 화석탄소함량을 기준으로 산정된다.
[해설작성자 : ㄱㄱㅇㅅㄹㅎ]

32.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고형폐기물의 생물학적 처리유형 중 혐기성 소화과정에서 주로 발생되는 대표적인 온실가스는?(2021년 05월)
     1. 일산화탄소
     2. 아산화질소
     3. 육불화황
     4. 메탄

     정답 : []
     정답률 : 86%

33. 다음은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철강 생산 공정의 보고대상 배출시설 중 어떤 시설에 관한 설명인가?(2018년 09월)

    

     1. 코크스로
     2. 소결로
     3. 용선로
     4. 전로

     정답 : []
     정답률 : 49%

34. 온실가스 배출시설에 사용되는 연료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9월)
     1. 바이오가솔린(Biogasoline):해조류와 같은 바이오매스를 사용하여 생산하는 가솔린으로 분자당 6~12의 탄소를 포함한다. 바이오부탄올, 바이오에탄올이 알콜기인 것에 반해 바이오가솔린은 탄화수소로서 화학적으로 차이가 난다.
     2. 목탄(Chaecoal):목재 등 목탄생산을 위한 재료를 공기의 공급을 차단하고 가열하거나, 또는 공기를 아주 적게 하여 가열하였을 때 생기는 고체 생성물을 말하며, 재료는 보통 단단한 나무가 사용되며, 검탄ㆍ백탄ㆍ성형목탄으로 분류된다.
     3. 바이오디젤(Biodiesel):쌀겨 기름이나 식용유 등의 식물성 기름을 특수 공정으로 가공하여 경유와 섞어서 만든 디젤기관의 연료로 기존의 경유와 특성이 비슷하지만, 연소 시 공해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4. 코크스로 가스(Coke Oven Gas):철강 산업의 용광로에서 코크스의 연소 시 생산되는 부생가스이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코크스로 가스: 석탄을 코크스로에서 건류할 때 발생하는 수소와 메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가스
[해설작성자 : BERRY]

35. 폐기물 소각시설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2016년 05월)
     1. 배가스 처리
     2. 에너지 회수 증가
     3. 에너지 공급 효율성 증가
     4. 플라스틱 등 고열량 폐기물 투입

     정답 : []
     정답률 : 87%

36. 제품의 생산 공정 및 제품사용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 활동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2016년 05월)
     1. 석유정제활동
     2. 철강생산
     3. 석탄의 채굴
     4. 오존층파괴물질의 대체물질 사용

     정답 : []
     정답률 : 46%

37.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납 생산 공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4월)
     1. 연정광으로부터 미가공 조연(bullion)을 생산하는 1차 생산공정에서는 소결과정을 생략할 수 없다.
     2. 소결공정에서 연정광을 재활용 소결물, 석회석, 실리카, 산소, 납 고함유 슬러지 등과 혼합·연소하여 황과 휘발성 금속을 제거한다.
     3. 제련공정에서 일반적은 고로 또는 ISF(imperial smelting furnace)가 이용되며 납산화물의 환원과정에서 CO2가 배출된다.
     4. 정제납의 2차 생산은 재활용 납을 재사용하기 위한 준비과정이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연정광으로부터 미가공 조연(bullion)을 생산하는 1차 생산공정에서 소결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J.BERRY]

연정광으로부터 미가공 조연(Bullion)을 생산하는 1차 생산 공정은 2가지로 구분된다.
먼저 소결과 제련과정을 연속적으로 거치는 소결/제련 공정으로 전체 1차 납생산 공정의 약 78%를 차지한다.
두 번째는 직접 제련공정으로 소결과정이 생략되며 이 공정은 1차 납 생산 공정의 22%를 차지한다.
[해설작성자 : Ice Breakers]

38. 석유정제공정의 보고대상 배출시설이 아닌 것은?(2016년 05월)
     1. 카본블랙 반응시설
     2. 수소제조시설
     3. 촉매재생시설
     4. 코크스 제조시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석유정제 보고대출 대상>
수소제조, 촉매재생, 코크스 제조
[해설작성자 : 온앤오프팬]

39. 고형 폐기물 매립시설에서 매립시설별 유형별 메탄 보정계수가 적절한 것은?(2020년 09월)
     1. 관리형 매립지(혐기성) - 0.8
     2. 관리형 매립지(준호기성) - 0.5
     3. 비관리형 매립지(매립고 5m 이상) - 0.6
     4. 비관리형 매립지(매립고 5m 미만) - 0.3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관리형-혐기성(1.0) / 준호기성(0.5)
비관리형-5m이상(0.8)/5m미만(0.4)
[해설작성자 : 함냐함냐]

립시설 유형별 메탄 보정계수
- 관리형 매립지 - 혐기성 1.0
- 관리형 매립지 - 준호기성 0.5
- 비관리형 매립지 - 매립고 5m 이상 0.8
- 비관리형 매립지 - 매립고 5m 미만 0.4
- 기타 0.6

40. 이동연소(항공)의 Tier 1 배출량 산정방법론에서 “항공사업법 제 44조”에 따라 항공기취급업을 등록한 계열회사로부터 항공기 지상조업 지원을 받는 경우의 연료사용량 보정계수?(2021년 09월)
     1. 0.0461
     2. 0.0251
     3. 0.0215
     4. 0.0164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AF : 연료사용량 보정계수
         ("항공사업법 제 44조"에 따라 항공기취급업을 등록한 계열회사로부터 항공기 지상조업 지원받는 경우 0.0164, 그렇지 아니한 경우 0.0215)

3과목 : 온실가스 산정과 데이터 품질관리


41.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항공부문의 이동연소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4월)
     1. 배출량 산정방법론은 Tier 1, 2, 3의 세 등급으로 구분할 수 있다.
     2. Tier 2수준의 배출량 산정방법론은 제트 연료를 사용하는 항공기에 적용된다.
     3. Tier 1수준에서 활동자료의 측정불확도는 ±7.5% 이내이다.
     4. Tier 2수준에서 활동자료의 측정불확도는 ±5.0% 이내이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1. 항공은 Tier 1, 2로 구분
[해설작성자 : 음]

42.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측정기기 설치 및 운영관리를 위한 “상대정확도 시험”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9년 09월)
     1. 관리업체의 측정기기 또는 데이터 수집기간의 통신상태 및 대기분야 환경오염공정시험기준에 적합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시험
     2. 측정 자료 간의 오차율을 비교하여 정확성을 확인하는 시험으로 대기분야 환경오염공정시험기준에 따라 적합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시험
     3. 측정기기의 설치위치, 환경조건, 기능, 성능 등이 대기분야 환경오염 공정시험기준에 적합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
     4. 상대정확도 시험은 확인검사와 통합시험으로 구분할 수 있음

     정답 : []
     정답률 : 80%

43. Scope 1과 Scope 2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1년 05월)
     1. 전기, 스팀 등의 구매에 의한 외부에서의 온실가스 배출은 Scope 1에 해당된다.
     2. 중간 생성물의 저장, 이송과정에서의 온실가스 배출은 Scope 2에 해당된다.
     3. 배출원 관리 영역에 있는 차량운행을 통한 온실가스 배출은 Scope 2에 해당된다.
     4. 화학반응을 통한 부산물로서의 온실가스 배출은 Scope 1에 해당된다.

     정답 : []
     정답률 : 73%

44.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온실가스 배출활동별 산정방법론에 따른 보고대상 온실가스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CO2: Tier1,2,3,4
CH4: Tier1
N20: -
[해설작성자 : sscho]

45. 다음 Scope 분류 및 그에 대한 배출활동이 잘못 연결된 것은?(2019년 04월)
     1. Scope 1 : 이동연소, 철강생산, 공공하수처리
     2. Scope 1 : 폐기물 소각, 고정연소, 시멘트생산
     3. Scope 2 : 구입 증기, 구입 전기, 구입 열
     4. Scope 3 : 종업원 출퇴근, 구매된 원료의 생산 공정배출, 공장 내 기숙사 난방

     정답 : []
     정답률 : 83%

46.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모니터링 계획 작성원칙 중 “모니터링 계획에 보고된 동일 배출시설 및 배출활동에 관한 데이터는 상호비교가 가능하도록 해야한다.”는 것과 가장 관련이 깊은 원칙은?(2018년 04월)
     1. 준수성
     2. 일관성
     3. 투명성
     4. 완전성

     정답 : []
     정답률 : 75%

47. 도시가스(LNG)의 사용량의 측정값이 1기압, 15℃에서 10,000m3이다. 1기압, 0℃로 온도보정을 실시한 결과로 가장 가까운 값은?(2018년 09월)
     1. 10549m3
     2. 8500m3
     3. 9479m3
     4. 9985m3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0000*{(273+0)/(273+15)}=9479.1667
[해설작성자 : 흑유]

48.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 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상 검증기관 지정요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5월)
     1. 검증기관은 법이어야 한다.
     2. 상근심사원은 3인 이상 갖추어야 한다.
     3. 검증 매뉴얼은 문서형태로 작성되어야 한다.
     4. 검증기관은 검증절차에 필요한 세부 운영메뉴얼을 구비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심사반의 경우에는 담당공무원 1인과 평가위원 1인을 포함하여 최소 2인 이상으로 구성한다 ▶ 23년 법 개정내용
[해설작성자 : 싫어싫어병 말기]

49.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에 따른 배출시설의 배출량 규모에 따른 산정등급(Tier) 분류기준에서 연간 50만톤 이상의 배출시설에 해당하는 그룹은?(2017년 05월)
     1. A그룹
     2. B그룹
     3. C그룹
     4. D그룹

     정답 : []
     정답률 : 83%

50.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에 따른 배출활동별 온실가스 배출량 등의 세부산정방법 및 기준사항으로 ( )에 알맞은 것은?(2021년 05월)

    

     1. 셋째자리에서 절사하여 둘째자리까지
     2. 셋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둘째자리까지
     3. 넷째자리에서 절사하여 셋째자리까지
     4. 넷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셋째자리까지

     정답 : []
     정답률 : 70%

51.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제하에서 연속측정방법의 배출량 산정방법 및 측정기기의 설치 관리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9월)
     1. 30분 배출량은 g단위로 계산하여, 정수로 산정한다.
     2. 자동측정 자료의 배출량 산정기준으로 월 배출량은 g단위의 30분 배출량을 월 단위로 합산하고 ton단위로 환산한 후 소수점 이하는 반올림 처리하여 점수로 산정한다.
     3. 비정상 측정 자료는 정상 자료 중 최근 30분 평균 자료를 대체자료로 사용한다.
     4. 가동중지 기간의 자료는 '0'으로 처리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월 배출량은 g단위의 30분 배출량을 월 단위로 합산하고, kg단위로 환산한 후 소수점 이하는 버림처리하여 정수로 산정한다.

52.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굴뚝연속자동측정방법에 따른 배출량 제출 시 실시간 측정자료를 전자적 방식으로 해당관장에게 제출해야 하는데, 이 실시간 측정자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6년 10월)
     1. CO2 농도
     2. 배출가스 유량
     3. 배출구 온도
     4. 배출구 습도

     정답 : []
     정답률 : 82%

53.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제 하에서 다음과 같은 모니터링 유형에 대한 활동자료 산정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5년 05월)

    

     1. 상거래를 목적으로 연료나 원료공급자가 설치ㆍ관리하는 측정기기의 계측자료는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없다.
     2. 주기적인 정도검사를 실시하는 내부측정기기가 같이 설치되어 있을 경우 활동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으로써, 배출시설에 다수의 교정된 측정기기가 부착된 경우, 교정된 자체 측정기기 값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 주기적인 정도검사를 실시하지 않는 내부 측정기기 값을 기준으로 배출시설별 활동자료를 결정한다.
     4. 구매한 연료 및 원료, 전력 및 열에너지를 정도검사를 받지 않은 내부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활동자료를 분배ㆍ결정하는 방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75%

54.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화학산업 온실가스 배출활동에 해당 하지 않는 것은?(2018년 09월)
     1. 질산 생성
     2. 카바이드 생산
     3. 소다회 생산
     4. 석회 생산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석회 생산은 광물산업에 해당.
[해설작성자 : sscho]

55.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하ㆍ폐수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시 CO2는 배출량 산정에서 제외하는 주된 원인으로 가장 적합한 사항은?(2018년 04월)
     1. 배출계수가 없으므로
     2. 생물에서 기원하므로
     3. 하ㆍ폐수에서 CO2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4. 소량 발생하므로

     정답 : []
     정답률 : 80%

56.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제 하에서 고형폐기물의 매립시 배출량 산정과 관련한 매개변수별 관리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9월)
     1. 폐기물 성상별 매립양은 1981년 1월 1일 이후 매립된 폐기물에 대해서만 수집한다.
     2. 메탄 회수량은 측정불확도 ±2.5% 이내의 메탄 회수량 자료를 활용한다.
     3. 메탄으로 전환 가능한 DOC 비율은 IPCC가이드라인 기본값인 0.5를 적용한다.
     4. 메탄 부피비는 IPCC 기본값인 0.5를 적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57.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운영을 위한 검증지침에서 리스크 분석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9월)
     1. 검증팀은 피검증자에게 의해 발생하는 리스크를 평가한다.
     2. 피검증가에 의해 발생하는 리스크에는 고유리스크와 통제리스크가 있다.
     3. 검증팀의 검증과정에서 검출리스크가 발생한다.
     4. 통제리스크는 검증대상의 업종 특성에 따른 리스크이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고유리스크 : 검증대상의 업종 특성에 따른 리스크 이다
[해설작성자 : 온실가스]

58.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고정연소에 사용되는 고체연료에서 발생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해 Tier 3 방법론에 따라 배출계수를 개발하여 사용할 경우, 배출계수 개발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CO2 배출계수는 연료 중 탄소의 질량분율에 비례한다.
     2. 탄소 배출계수는 연료의 열량계수에 반비례한다.
     3. CO2 배출계수는 연료의 순발열량에 반비례한다.
     4. 탄소 배출계수는 CO2 배출계수와 동일하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CO2 배출계수=탄소 배출계수*3.664*10^3
탄소 배출계수=(탄소의 질량 분율/열량계수)*(10^3)

59.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에 따라 고체연료의 고정연소 시 발생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해 Tier 3 방법론에 따라 배출계수를 개발하여 사용할 경우, 배출계수 개발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CO2 배출계수는 연료 중 탄소의 질량 분율에 비례한다.
     2. 탄소 배출계수는 연료의 열량계수에 반비례한다.
     3. CO2 배출계수는 연료의 순발열량에 반비례한다.
     4. 탄소 배출계수는 CO2 배출계수와 동일하다.

     정답 : []
     정답률 : 72%

60.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비선택적 촉매환원법을 사용하여 질산 350t을 생산하였다. 이 때 발생되는 온실가스 배출량(tCO2-eq)은?(2021년 09월)

    

     1. 156
     2. 217
     3. 340
     4. 412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350t질산 × 2kgN2O/t-질산 ×(tCO2-eq/10^3kgCO2-eq) =0.7t CO2-eq
0.7t CO2-eq ×310tCO2/tN2O= 217tCO2-eq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과목 : 온실가스 감축관리


61. CDM 사업계획서(PDD)의 구성 항목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A : 프로젝트 황동에 대한 일반사항 기술
     2. B : 베이스라인 및 모니터링 방법론의 적용
     3. C : 프로젝트 활동 이행기간, 유효기간
     4. D : 프로젝트 활동에 대한 평가

     정답 : []
     정답률 : 73%

62.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위해 정부정책 세부방향을 설정하고자 한다. 다음 중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방법으로 옳은 것은?(2018년 04월)
     1. 풍력발전을 화력발전으로 대체
     2. 건축물 내 LED 등을 형광등으로 교체
     3. 매립장에서 발생하는 LFG(Land Fill Gas)를 연료로 활용
     4. 사업장 내 수소자동차를 가솔린자동차로 교체

     정답 : []
     정답률 : 77%

63.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하에서 승인대상 외부감축사업의 승인기준으로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5월)
     1. 외부감축실적은 지속적이고 정량화되어 검증 가능하여야 한다.
     2. 일반적인 경영여건에서 실시할 수 있는 행동을 넘어서는 추가적인 행동 및 조치에 따른 감축이 발생되어야 한다.
     3. 승인대상 외부사업은 온실가스 감축량의 최소규모를 배출허용총량의 10% 이내로 제한한다.
     4. 외부사업은 배출량 인증위원회에서 승인한 방법론을 적용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64. 자료의 불확실성이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하여 규명하는 시스템적인 절차인 불확도 분석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9월)
     1. 정량적인 분석 결과를 제공하므로 결과의 신뢰성이 높다.
     2. 모든 입력 자료를 확률분포로 나타내는데 한계가 있다.
     3. 수행과정이 간단하고, 전문지식이 필요 없다.
     4. 분석 결과에 대하여 의사 결정이 용이하다.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불확도 분석 - 수행과정이 간단하며, 전문지식이 요구된다
[해설작성자 : 움인]

65. 고온형 연료전지에 해당하는 것은?(2020년 09월)
     1.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
     2.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3. 알칼리 연료전지
     4.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PEMFC 60~80°C 저온형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 DMFC 60~130°C 저온형
알칼리 연료전지                 AFC         60~250°C 저온~중온형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MCFC 600~700°C 고온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SOFC 700~1,000°C 고온형
[해설작성자 : JHPP]

66. 다음 중 소규모 CDM 사업의 기준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5년 09월)
     1. 인위적 배출감축사업으로서 직접배출량이 연간 30000 CO2ton 미만의 사업
     2. 인위적 배출감축사업으로서 직접배출량이 연간 40000 CO2ton 미만의 사업
     3. 인위적 배출감축사업으로서 직접배출량이 연간 50000 CO2ton 미만의 사업
     4. 인위적 배출감축사업으로서 직접배출량이 연간 60000 CO2ton 미만의 사업

     정답 : []
     정답률 : 70%

67. Non-CO2 온실가스인 PFCs 의 주요발생원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9월)
     1. 금속관련산업(철강산업)
     2. 카프로락탐 등을 생산하는 석유화학 공정
     3. Halocarbons 생산공정 및 사용공정
     4. 전자회로나 반도체 생산공정의 에칭공정이나 세정액으로 사용

     정답 : []
     정답률 : 54%

68. 외부사업 추가성 평가 절차 및 방법 중 만족되어야 하는 추가성 기준내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외부사업 타당성 평가 및 감축량 인증에 관한 지침기준)(2019년 09월)
     1. 경제적 추가성 분석은 일반감축사업 대상 중, 연간 60,000 tCO2-eq 초과의 예상 온실가스 감축량 혹은 흡수량을 갖는 사업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분석하도록 한다.
     2. 추진하고자 하는 외부사업이 현행 법ㆍ제도에 의해 제한을 받아야 하며, 외부사업의 내용이 현행 법ㆍ제도에 의무사항으로 규정되어 있어야 한다.
     3. 경제성이 부족하여 외부사업으루 추진하기 어려우나, 외부사업 인증실적 활용을 통하여 경제성 확보가 가능한 사업이어야 한다.
     4. 지방자치단체 등의 기관에서 온실가스 감축에 필요하여 정책적으로 권장하는 사업은 자발적 참여에 의한 활동으로 간주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추진하고자 하는 외부사업이 현행 법ㆍ제도에 의해 제한을 받지 않아야 하며, 외부사업의 내용이 현행 법ㆍ제도에 의무사항으로 규정되어 있지 않아야 한다.
[해설작성자 : J.BERRY]

69. 자동차 온실가스 저감기술이 아닌 것은?(2021년 05월)
     1. 마찰저항 저감과 경량화
     2. CO2를 냉매제로 사용한 에어컨시스템
     3. 에코타이어
     4. 에코브레이크

     정답 : []
     정답률 : 61%

70. A 철강회사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주 연료로 사용되는 경유를 프로판으로 대체하였다. 경유 100,000kL를프로판 50,000kL로 대체할 경우 약 몇 tCO2-eq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하였는가?(2017년 05월)

    

     1. 약 152,000
     2. 약 162,000
     3. 약 172,000
     4. 약 182,000

     정답 : []
     정답률 : 50%

71. 탄소자원화(CCU)에 대한 개념으로 관계가 가장 적은 것은?(2021년 09월)
     1. CO2만을 선택적으로 분리 포집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2. 화학제품의 원료로 전환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3. 광물의 탄산화로 전환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4. 바이오 연료 등으로 전환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탄소자원화(CCU, Carbon Capture Utilization)는 포집된 CO2를 화학, 생물학적 변환 과정을 거쳐 ▲화학·플라스틱 제품의 원료 ▲광물탄산화 ▲바이오 연료 등으로 전환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1. CO2만을 선택적으로 분리 포집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 연소 후 이산화탄소 포집기술을 의미한다.
[해설작성자 : yul]

CCU는 에너지, 산업공정 등의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직접 또는 전환하여 잠재적 시장가치가 있는 제품으로 활용하는 기술로 이산화탄소 외 탄소원(일산화탄소, 메탄 등) 자원화 기술도 포함한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성안당 71번 / 2023년판
CCS(Carbon Capture and Storag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정답 1번)
1.간접감축방법의 일종이다. 2.CO2를 대기로 배출시키기 전에 고농도로 포집/압축/수송/저장하는 기술이다. 3.배기가스로부터 CO2만을 선택적으로 분리 포집하는 기술이다. 4.연소 후 포집, 연소 전 포집, 순산소 연소 포집기술로 구분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문제 내용은 이상이 없습니다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72. 다음 중 신재생에너지기술의 하나인 태양광발전의 장ㆍ단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고갈에 대한 제한이 없으며, 필요한 장소에서 필요한 발전이 가능하다.
     2. 유지 보수가 용이한 편이며, 무인화가 가능하며, 설비의 긴 수명(20년 이상) 등의 장점을 갖는다.
     3. 에너지 밀도가 높아 적은 수의 태양전지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4. 시스템 비용이 고가이므로 초기투자비와 발전단가가 높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에너지 밀도가 낮다
[해설작성자 : lee]

73. 해안지역에 시간당1MW 규모의 풍력발전소를 건설하여 전력생산을 CDM사업으로 추진하려고 한다. 풍력발전의 이용율은 20%이고, 생산된 전력은 모두 전력계통으로 공급된다고 가정할 때, 이 사업에 의한 연간 온실가스 감축량은? (단, 전력계통의 온실가스 배출계수는 0.8CO2톤/MWh, 풍력발전소 자체 전기사용량 무시, 1톤 이하 온실가스 감축량도 무시한다.)(2015년 05월)
     1. 1402 CO2톤/년
     2. 1523 CO2톤/년
     3. 1658 CO2톤/년
     4. 1773 CO2톤/년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1MWh X 0.8tCO2-eq X 20%/100 X 24시간/일 X 365일/년 = 1,401tCO2-eq
[해설작성자 : 어부바동동]

74. 시멘트생산공정에서 온실가스를 감축시키는 방법과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5월)
     1. 가스 바이패스(Gas bypass)를 최소화 한다.
     2. 시멘트 성분중 클링커 함량을 줄인다.
     3. 원료와 연료의 수분함량을 줄인다.
     4. 석탄을 대체하여 폐타이어를 연료로 이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75.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매년 조기감축 실적으로 인정할 수있는 전체 총량은 전체 관리업체 배출허용량의 몇%인가?(2017년 09월)
     1. 전체 관리업체 배출허용량의 1%
     2. 전체 관리업체 배출허용량의 5%
     3. 전체 관리업체 배출허용량의 10%
     4. 전체 관리업체 배출허용량의 20%

     정답 : []
     정답률 : 75%

76. 다음 중 온실가스 감축 방법 중에서 직접 감축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5년 09월)
     1. 대체 물질 개발
     2. 공정 개선
     3. 온실가스 활용
     4. 탄소배출권 구매

     정답 :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탄소배출권 구매는 간접 감축방법임
[해설작성자 : 온실]

77.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 ) 안에 알맞은 용어는?(2022년 04월)

    

     1. 불확도
     2. 표준편차
     3. 평균
     4. 중요도

     정답 : []
     정답률 : 69%

78. 연료전지의 장·단점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0년 09월)
     1. 열효율이 높은 편이다.
     2. 자연환경을 해치지 않는다.
     3. 다양한 크기로 설치가 가능하고, 탄력적으로 가동할 수 있다.
     4. 비용대비 효율성이 뛰어나서, 대량 및 다각도의 상용화에 유리하다.

     정답 : []
     정답률 : 67%

79. 다음 중 CDM사업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내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CDM사업의 최종목표는 CER을 발금받는 것으로 모니터링은 CDM사업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과정으로 평가받고 있다.
     2. 모니터링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계측기관리, 절차서, 기록관리 정차서, 검사 및 시험 절차서, 교육 및 훈련 절차서, 문서관리 절차서, 시정 및 예방조치 절차서 등을 구축할 것을 검토하여야 한다.
     3. CDM사업의 모니터링 계획 검증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등록된 PDD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며, CDM사업 등록을 추진하는 조직과 모니터링을 담당하는 조직이 서로 다른 경우 등록된 PDD에 대한 내용을 담당 부서에게 명확하게 전달 및 교육을 하여야 한다.
     4. 계측되는 모니터링 데이터나 방법론이 PDD에 규정한 모니터링 인자의 단위와는 일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모든 데이터 단위 명시를 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82%

80.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관리업체가 당해 업체의 조직경계 외부의 배출시설 또는 배출활동 등에서 온실가스 감축, 흡수 또는 제거한 실적”을 의미하는 용어로 가장 적합한 것은?(2020년 09월)
     1. 온실가스 감축실적
     2. 탄소중립실적
     3. 외부감축실적
     4. 온실가스 인증실적

     정답 : []
     정답률 : 83%

81.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하에서 배출권의 절부를 무상으로 할당할 수 있는 업종에 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매 계획기간마다 평가하여 할당계획에서 정함)(2015년 05월)
     1. 무역집약도가 100분의 5 이상이고, 생산비용 발생도가 100분의 10 이상인 업종
     2. 무역집약도가 100분의 10 이상이고, 생산비용 발생도가 100분의 5 이상인 업종
     3. 무역집약도가 100분의 10 이상이고, 생산비용 발생도가 100분의 20 이상인 업종
     4. 무역집약도가 100분의 20 이상이고, 생산비용 발생도가 100분의 10 이상인 업종

     정답 : []
     정답률 : 68%

82.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에서 산정등급(Tier) 분류체계 중 굴뚝 자동 측정지기 등 배출가스 연속측정방법을 활용한 배출량 산정 방법론에 해당하는 것은?(2014년 09월)
     1. Tier 1
     2. Tier 2
     3. Tier 3
     4. Tier 4

     정답 : []
     정답률 : 71%

83.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령상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계획기간별로 국가 배출권 할당계획을 수립하여야 하는 시기는 매 계획기간 시작 몇 개월 전까지인가?(2020년 09월)
     1. 3개월
     2. 4개월
     3. 5개월
     4. 6개월

     정답 : []
     정답률 : 61%

84.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령상 배출권 거래소의 업무가 아닌 것은?(2020년 09월)
     1. 배출권 거래시장의 개설·운영
     2. 배출권거래중개회사의 등록 취소에 관한 업무
     3. 배출권의 매매(경매를 포함한다.) 및 청산 결제
     4. 불공정거래에 관한 심리 및 회원의 감리

     정답 : []
     정답률 : 60%

85. 다음 설명에서 ( )에 들어갈 내용은?(2021년 09월)

    

     1. 목표 이행실적
     2. 목표 이행계획
     3. 배출권 이행계획
     4. 배출량 적합성평가 계획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관련 법 조항 삭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6.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령상 국토교통부장관이 교통부문의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 절약 및 에너지 이용효율 목표를 수립ㆍ시행 시 포함해야 하는 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2018년 04월)
     1. 에너지 종류별 온실가스 배출권 실거래 현황
     2. 연차별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 절약 및 에너지 이용효율 목표와 그 이행계획
     3. 5년 단위의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 절약 및 에너지 이용효율 목표와 그 이행계획
     4. 자동차, 기차, 항공기, 선박 등 교통수단별 온실가스 배출 현황 및 에너지 소비율

     정답 : []
     정답률 : 67%

87. 교통부문의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절약 및 에너지 이용효율 목표는 누가 수립ㆍ시행하여야 하는가?(2016년 05월)
     1. 환경부장관
     2. 산업통상자원부장관
     3. 국토교통부장관
     4. 기획재정부장관

     정답 : []
     정답률 : 66%

88.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외부사업 온실가스 감축량의 인증에 관한 업무를 부문별 관장기관이 공동으로 정하여 관보에 고시하는 바에 따라 위탁할 수 있는데,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단, 그 밖의 사항 등은 고려하지 않음)(2018년 04월)
     1. 농업기술실용화재단
     2. 한국에너지공단
     3. 한국환경공단
     4. 생태계보전공사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은 2022년 3월 1일 부터 한국농업기술진흥원으로 기관명이 변경되었습니다.
[해설작성자 : 쭈꿈스]

89.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정부는 배출권거래제 도입으로 인한 기업의 경쟁력 감소를 방지하고 배출권 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에 대하여 금융상ㆍ세제상의 지원을 할 수 있는데, 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04월)
     1. 온실가스 감축모형 개발 및 배출량 통계 고도화 사업
     2. 온실가스 저장기술 개발 및 저장설비 설치 사업
     3.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측정 및 체계적 관리시스템의 구축 사업
     4.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 촉진 고도화 구축사업

     정답 : []
     정답률 : 78%

90.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정의에서의 온실가스 종류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9월)
     1. 이산화탄소(CO2)
     2. 메탄(CH4)
     3. 아산화질소(N2O)
     4. 과산화수소(H2O2)

     정답 : []
     정답률 : 92%

91.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으로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배출활동”이란 온실가스를 배출하거나 에너지를 소비하는 일련의 활동을 말한다.
     2. “기준연도”란 온실가스 배출량 등의 관련정보를 비교하기 위해 지정한 과거의 특정기간에 해당하는 연도를 말한다.
     3. “연소배출”이란 연료 또는 물질을 연소함으로써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을 말한다.
     4. “이산화탄소 상당량”이란 이산화탄소에 대한 온실가스의 복사 강제력을 비교하는 단위로서 해당 온실가스의 양에 지구온난화지수를 나누어 산출한 값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이산화탄소 상당량 : 이산화탄소에 대한 온실가스의 복사 강제력을 비교하는 단위로서 온실가스량 x 지구온난화지수 / tCO2-eq로 지구온난화 영향이 이산화탄소 1톤에 상당하는 양
[해설작성자 : 연빈]

92. 다음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운영을 위한 검증지침상 외부사업 온실가스 감축량 검증절차이다. ( )안에 단계 순으로 옳게 배열된 것은?(2019년 04월)
     1. 현장검증→문서검토→내부심의→검증결과 정리 및 평가
     2. 문서검토→내부심의→검증결과 정리 및 평가→현장검증
     3. 문서검토→검증결과 정리 및 평가→현장검증→내부심의
     4. 문서검토→현장검증→검증결과 정리 및 평가→내부심의

     정답 : []
     정답률 : 71%

93. 배출권거래제 기본계획에 포함될 내용이 아닌 것은?(2021년 05월)
     1. 배출권 거래제에 관한 국내외 현황 및 전망에 관한 사항
     2. 무역집약도 또는 탄소집약도 등을 고려한 국내 산업의 지원대책에 관한 사항
     3.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를 고려하여 설정한 온실가스 배출허용총량에 관한 사항
     4. 재원조달, 전문인력 양성, 교육⋅홍보 등 배출권거래제의 효과적 운영에 관한 사항

     정답 : []
     정답률 : 24%
     <문제 해설>
3번 국가온실가스감축 목표를 고려한 배출권거래제 계획기간의 운영에 관한 사항
[해설작성자 : 산인공 빠샤]

제4조(배출권거래제 기본계획의 수립 등)
① 정부는 이 법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10년을 단위로 하여 5년마다 배출권거래제에 관한 중장기 정책목표와 기본방향을 정하는 배출권거래제 기본계획(이하 “기본계획”이라 한다)을 수립하여야 한다.
② 기본계획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개정 2024. 2. 6.>
1. 배출권거래제에 관한 국내외 현황 및 전망에 관한 사항
2. 배출권거래제 운영의 기본방향에 관한 사항
3.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를 고려한 배출권거래제 계획기간의 운영에 관한 사항
4. 경제성장과 부문별ㆍ업종별 신규 투자 및 시설(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사업장 또는 그 일부를 말한다. 이하 같다) 확장 등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 전망에 관한 사항
5. 배출권거래제 운영에 따른 에너지 가격 및 물가 변동 등 경제적 영향에 관한 사항
6. 무역집약도 또는 탄소집약도 등을 고려한 국내 산업의 지원대책에 관한 사항
7. 국제 탄소시장과의 연계 방안 및 국제협력에 관한 사항
8. 그 밖에 재원조달, 전문인력 양성, 교육ㆍ홍보 등 배출권거래제의 효과적 운영에 관한 사항
[해설작성자 : JHPP]

94.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령상 국가온실가스 감축 목표는 2030년의 국가 온실가스 총배출량을 2030년의 온실가스 배출 전망치 대비 얼마수준까지 감축하는 수준인가?(2016년 10월)
     1. 100분의 20
     2. 00분의 25
     3. 00분의 37
     4. 00분의 45

     정답 : []
     정답률 : 81%

95.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건물이 건축물 대장 또는 등기부에 각각 등재되어 있거나 소유지분을 달리하고 있는 경우에 건축물에 대한 특례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9월)
     1. 건물의 소유구분이 지분형식으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최대 지분을 보유한 법인 등을 당해 건물의 소유자로 본다.
     2. 인접 또는 연접한 대지에 동일 법인이 여러 건물을 소유한 경우에는 한 건물로 본다.
     3. 에너지관리의 연계성이 있는 복수의 건물 등은 한 건물로 보며, 동일 부지 내 있거나 인접 또는 연접한 집합건물이 동일한 조직에 의해 에너지 공급·관리 또는 온실가스 관리 등을 받을 경우에도 한 건물로 간주한다.
     4. 동일 건물에 구분 소유자와 임차인에 있는 경우에는 각각의 건물로 본다.

     정답 : []
     정답률 : 81%

96.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에 규정된 부문별 관장기관의 담당업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5년 09월)
     1. 심사위원회의 운영
     2. 관리업체의 선정ㆍ지정ㆍ관리 및 필요한 조치등에 관한 사항
     3. 관리업체에 대한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 절약 등 목표의 설정
     4. 이행실적 및 명세서의 확인

     정답 : []
     정답률 : 58%

97. 조기감축실적을 인정함에 있어 고려되어야 할 기준으로 틀린 것은?(2015년 09월)
     1. 조기행동으로 인한 감축이 정량화 되어야 하고 검증 가능하여야 한다.
     2. 관리업체의 조직경계 안에서 발생한 것에 한하여 그 실적을 인정한다.
     3. 국내에서 실시한 행동에 의한 감축분에 대하여 그 실적을 제외한다.
     4. 관리업체 사업장 단위에서의 감축분 또는 사업단위에서의 감축분에 대하여 인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84%

98.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할당대상업체가 주무관청에 제출하여야 하는 상쇄배출권의 제출한도(기준)는 얼마인가?(2017년 05월)
     1. 할당대상업체 배출권의 100분의 1 이내의 범위
     2. 할당대상업체 배출권의 100분의 5 이내의 범위
     3. 할당대상업체 배출권의 100분의 10 이내의 범위
     4. 할당대상업체 배출권의 100분의 20 이내의 범위

     정답 : []
     정답률 : 54%

99.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배출권의 전부를 무상으로 할당 할 수 있는 업종에 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매 계획기간마다 평가하여 할당계획에서 정함)(2018년 04월)
     1. 무역집약도가 100분의 5 이상이고, 생산비용발생도가 100분의 10 이상인 업종
     2. 무역집약도가 100분의 10 이상이고, 생산비용발생도가 100분의 5 이상인 업종
     3. 무역집약도가 100분의 10 이상이고, 생산비용발생도가 100분의 20 이상인 업종
     4. 무역집약도가 100분의 20 이상이고, 생산비용발생도가 100분의 10 이상인 업종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관련 법 조항 삭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관리자 입니다.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사향령 19 조에 나와있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관련 법 조항 삭제로 이 문제는 넘어가셔도 됩니다.
시행령 제19조(온실가스배출관리업체의 지정기준 및 계획기간) ① 법 제27조제1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량 이상의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업체”란 최근 3년간 연평균 온실가스 배출총량이 5만이산화탄소상당량톤(tCO2eq) 이상인 업체이거나 연평균 온실가스 배출량이 1만5천이산화탄소상당량톤(tCO2eq) 이상인 사업장을 하나 이상 보유하고 있는 업체를 말한다.

② 제1항에서 “최근 3년간”이란 온실가스배출관리업체로 지정된 연도(이하 “지정연도”라 한다)의 직전 3년간을 말한다. 다만, 사업기간이 3년 미만이거나 사업장의 휴업 등으로 3년간의 자료가 없는 경우에는 해당 사업기간 또는 자료 보유기간을 대상으로 산정할 수 있다.

③ 법 제27조제1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계획기간”이란 1년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탄소중립]

100.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상 정부가 범지구적인 온실가수 감축에 적극 대응하고 저탄소 녹색성장을 효율적ㆍ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중장기 및 단계별 목표를 설정해야 하는 항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9월)
     1. 도서지역 에너지 보급률 목표
     2. 에너지 절약 목표 및 에너지 이용효율 목표
     3. 신ㆍ재생에너지 보급 목표
     4. 온실가스 감축 목표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국가에서 추진해야 할 목표
1. 온실가스 감축 목표
2. 에너지 절약 목표 및 에너지 이용 효율 목표
3. 에너지 자립 목표
4. 신재생에너지 보급 목표
[해설작성자 : 탄소중립]


정 답 지

온실가스관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7일)(2161146)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온실가스관리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기후변화개론


1.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을 7개 부문별 적응대책과 3개 적응기반 대책으로 분류할 때, 다음중 적응기반 대책에 해당하지 않는 분야는?(2015년 05월)
     1. 기후변화감시예측 분야
     2. 적응산업에너지 분야
     3. 교육홍보국제협력 분야
     4. 해양수산업 분야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부문별 적응대책 7가지 : 건강,재난/재해,농업,산립,해양/수산업,물관리,생태계
적응기반 대책 3가지 : 기후변화감시예측, 적응산업에너지, 교육홍보국제협력
해양수산업분야는 부문별 적응대책 분야입니다.
[해설작성자 : 게을러지면앙대]

2. 다음 중 국내 5가지 온실가스 배출분야에서 배출량이 가장 많은 분야는?(2015년 09월)
     1. 산업공정
     2. 에너지
     3. 폐기물
     4. LULUCF

     정답 : []
     정답률 : 78%

3. 지구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척도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8년 09월)
     1. 해수면 변화, 해양 온도
     2. 강수 온도, 건축물 온도 측정
     3. 빙하, 해빙
     4. 위성 온도 측정, 기후 대리변수

     정답 : []
     정답률 : 85%

4. 기후변화의 영향과 취약성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9월)
     1. 기후변화의 영향이 높고 적응력이 낮을 경우 사회시스템의 기후변화 취약성은 높다고 볼 수 있다.
     2. 기후변화의 영향이 높고 적응력이 높을 경우 사회시스템은 발전의 기회를 가질 수 있다.
     3. 기후변화에 대한 영향과 적응력이 모두 낮을 경우 사회시스템은 잔여위험을 가질 수 있다.
     4. 기후변화의 영향이 낮고 적응력이 높을 경우 사회시스템은 지속가능한 발전을 하지 못한다.

     정답 : []
     정답률 : 93%

5. 기후변화협약의 주요 내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기후변화 완화조치를 포함한 국가계획의 수립, 시행
     2. 온실가스 저감기술 및 공정의 개발
     3. 배출권 거래제도와 공동이행제도의 도입
     4. 선진국의 온실가스를 2020년까지 1990년 수준에서 평균 5.2% 의무 감축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2030년까지 5.2% 감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 유엔기후변화협약의 주요 내용과 거리가 먼 것은?(2016년 10월)
     1. 모든 당사국의 공통이지만 차별화된 책임과 각자 능력의 원칙에 따라 기후변화에 대처 하여야 한다.
     2. 선진국의 의무사항으로 온실가스 배출을 2008~2010년까지 1990년 대비 평균 5.2% 감축하여야 한다.
     3. 모든 회원국은 온실가스감축 국가보고서 및 온실가스 배출목록 보고서를 매년 제출하여야 한다.
     4. 배출권 거래제도와 공동이행 제도의도입도 포함된다.

     정답 : []
     정답률 : 45%

7. 기후변화 적응기술 및 정책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6년 10월)
     1. 무경농법은 수확한 농토를 갈지 않고 그루터기에 파종하는 방법이다.
     2. 보호지역제도 관리대안으로 UNESCO는 생물권 보전지역 지정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3. 산림이 농경지나 산업용지, 도시용지로 바뀌면 자연의 이산화탄소 흡수능력이 약화되므로 토지이용형태를 고려해야 한다.
     4. 생물 멸종을 막기 위해서는 특히 먹이사슬의 아래쪽에 있는 동물의 멸종을 막도록 하는 것이 보다 중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83%

8. 다음 중 교토의정서상 당사국이 준수해야 하는 사항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4년 09월)
     1. 고가의 설비 및 장비의 시장 점유율 확대
     2. 강제적인 감축활동 요구와 기후기금배분의 현실화
     3. 국가 경제의 관련 분야에서 에너지 효율성 향상
     4. Non-ANNEX l 국가의 선진화

     정답 : []
     정답률 : 64%

9. 다음 중 UNFCCC에서 규제하고 있는 온실가스가 아닌 것은?(2018년 04월)
     1. 수소불화탄소
     2. 이산화질소
     3. 육불화황
     4. 과불화탄소

     정답 : []
     정답률 : 93%

10. 1992년 체결된 기후변화에 관한 유엔기본협약의 이론적 틀을 마련하고, 기후변화와 관련된 과학적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국제기구는?(2020년 09월)
     1.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IPCC)
     2. 세계기상기구(WMO)
     3. 유엔환경계획(UNEP)
     4. 유엔개발계획(UNDP)

     정답 : []
     정답률 : 76%

11. 다음은 어떤 회의에서 논의된 중요 사항인가?(2017년 05월)

    

     1. 2009년 코펜하겐회의(COP-15)
     2. 2010년 칸쿤회의(COP-16)
     3. 2011년 더반회의(COP-17)
     4. 2012년 도하회의(COP-18)

     정답 : []
     정답률 : 59%

12. 온실가스 조기감축 실적 인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감축목표 이행실적의 평가단계에서 반영한다.
     2. 사업장단위와 사업단위 감축실적 모두 인정한다.
     3. 연간 인정총량은 전체 관리업체 목표총량의 5%로 설정한다.
     4. 감축실적을 정부재정으로 보상한 경우는 인정에서 제외된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조기감축실적의 연간 인정 총량 1%
[해설작성자 : BF]

13. 우리나라는 국무총리실에서 범정부 기후변화 대책기구가 구성되면서 제1차 ~ 4차까지 기후변화 종합대책을 수립하였는데 이중 기후변화협약 이행기반구축,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 기후변화 적응기반 구축 등 3대 부문 91개 과제를 담고, 처음으로 기후변화 적응문제에 관심을 표명한 것은 제 몇 차 기후변화 종합대책에 해당하는가?(2015년 05월)
     1. 제1차(1999~2001)
     2. 제2차(2002~2004)
     3. 제3차(2005~2007)
     4. 제4차(2008~2012)

     정답 : []
     정답률 : 65%

14. 기후변화 관련 당사국총회의 주요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9월)
     1. 제4차 당사국총회에서는 교토의정서의 세부이행절차 마련을 위한 행동계획을 수립하였다.
     2. 제7차 당사국총회에서는 독일에서 개최되었으며, 독일의 온실가스 감축의 부담방안으로 경제성장에 연동된 온실가스 배출목표를 제시하였다.
     3. 제12차 당사국총회에서는 선진국들의 2차 공약기간 온실가스 감축량 설정을 위한 논의일정에 합의하였다.
     4. 제16차 당사국총회에서는 Post-2012 기후체제 합의를 위한 협상을 지속하기로 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제7차 당사국총회는 모로코에서 개최되었다.
[해설작성자 : 탄소중립]

15. 미래 기후변화의 영향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9월)
     1. 난대성 상록 활엽수인 후박나무는 북부지역으로 확대된다.
     2. 꽃매미, 열대모기 등 북방계 외래곤충이 감소하고 고온으로 인한 병충해 발생가능성이 감소한다.
     3. 농업에 있어서는 생산성 감소의 위협과 신 영농기법 도입의 기회가 공존한다.
     4. 산업전반에서는 산업리스크 증가와 새로운 시장 창출 기회가 공존한다.

     정답 : []
     정답률 : 88%

16. 청정개발체제사업에서 배출권의 투명성과 신뢰성 있는 관리를 위하여 구성하고 운영하는 기구와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5월)
     1. 적응기금(Adaptation Fund)
     2. 운영기구(Designated Operation Entity)
     3. 집행이사회(Executive Board)
     4. 국가승인기구((Designated National Authority)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1. 적응기금 : 개발 도상국들이 급격한 기후 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능력을 키워주고, 기후 변화로 입은 재해를 복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금
[해설작성자 : DoubleM2]

17. 기후시스템에서 구름의 영향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20년 09월)
     1. 구름과 온난화는 관련이 없다.
     2. 낮은 구름이 증가하면 온난화 효과가 크다.
     3. 낮은 구름보다 높은 구름이 증가하면 지구복사에너지를 더 많이 흡수한다.
     4. 현재까지는 온난화로 높은 구름이 감소할 가능성이 지배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답 : []
     정답률 : 79%

18. 우리나라가 2011년에 세계표준센터를 유치한 온실가스는?(2016년 05월)
     1. 이산화탄소
     2. 메탄
     3. 아산화질소
     4. 육불화황

     정답 : []
     정답률 : 62%

19. 배출권 거래제도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5월)
     1. 배출권 거래제도는 시장원리에 기반한 제도이다.
     2. 배출권 거래제도는 자발적인 제도로서 의무를 수반하지 않는다.
     3. 배출권 거래제도는 배출총량이 고정되어 있다.
     4. 배출권 거래제도의 운영에는 일정 수준의 거래비용이 발생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20. 기후변화관련 국제기구 중 UN조직 내 환경활동을 촉진, 조정, 활성화하기 위해 설립된 환경전담 국제정부간 기구로 환경문제에 대한 국제적 협력을 도모하기 위한 기구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9년 09월)
     1. WCRP
     2. UNIDO
     3. UNDP
     4. UNEP

     정답 : []
     정답률 : 87%

2과목 : 온실가스 배출의 이해


21. 합금철 생산에서 전기아크로에 투입되는 원료로 볼 수 없는 것은?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2015년 09월)
     1. 철스크랩
     2. 석회
     3. 슬랙
     4. 흑연전극

     정답 : []
     정답률 : 54%

22.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에서 석유화학제품 생산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2015년 09월)
     1. 메탄올 생산
     2. 암모니아 생산
     3. 에틸렌 옥사이드 생산
     4. 아크릴로니트릴 생산

     정답 : []
     정답률 : 75%

23.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N2O를 산정하지 않는 처리시설은?(2021년 05월)
     1. 하수처리시설
     2. 폐수처리시설
     3. 혐기성 분해시설
     4. 폐가스 소각시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1. 하수처리시설 : CH4, N2O
2. 폐수처리시설 : CH4
3. 혐기성분해시설(폐기물 소각) : CO2, CH4, N2O
4. 폐가스 소각시설(고형폐기물의 생물학적 처리) : CH4, N2O
[해설작성자 : Ice Breakers]

24. 다음 중 목표관리제 보고대상이 아닌 것은?(2021년 09월)
     1. 에어로졸 사용단계에서의 HFCs
     2. 에어컨 생산단계에서의 HFCs
     3. 전기설비 사용단계에서의 SF6
     4. 발포제 생산단계에서의 HFCs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에어로졸 사용단계에서 탈루성 배출은 보고대상이 아닙니다
[해설작성자 : lucky531]

25. 다음은 철강생산의 고로공정 구성이다. ( )안에 들어갈 부생가스로 옳은 것은?(2017년 05월)

    

     1. COG
     2. BFG
     3. LDG
     4. FOG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COG : 코크스 오븐 가스
BFG : 고로가스
LDG : 전로가스
[해설작성자 : 온앤오프팬]

26. 옥탄가가 낮은 경질유분의 탄화수소 구조를 바꾸어 옥탄가가 높은 유분으로 변환시키는 공정은?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2015년 09월)
     1. 메록스
     2. 수첩탈황
     3. 리포오밍
     4. 감압증류

     정답 : []
     정답률 : 72%

27.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이동연소 부문의 철도차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9월)
     1. 철도 부문은 일반적으로 디젤, 전기, 증기 세 가지 중 하나를 사용하여 구동하는 철도기관차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한다.
     2. 철도차량은 고속차량, 전기기관차, 전기동차, 디젤기관차, 디젤동차, 특수차량 등 6종류가 있다.
     3. 디젤기관차와 디젤동차의 주된 차이점은 전기동력의 사용 유무와 관련이 있다.
     4. 증기기관차는 산업용으로만 한정하고 있으며, 발생되는 온실가스는 상대적으로 많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증기기관차는 이동연소 철도차량에 해당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탄소중립]

28. 시멘트 제조공정의 소성공정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2015년 09월)
     1. 예열기-소성로-냉각기-크링커 치장
     2. 예열기-소성로-크링커 치장-냉각기
     3. 크링커 치장-예열기-소성로-냉각기
     4. 예열기-크링커 치장-소성로-냉각기

     정답 : []
     정답률 : 58%

29. 온실가스 배출시설 중 고정연소 배출시설이 아닌 것은?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2015년 09월)
     1. 열병합 발전시설
     2. 일반 보일러시설
     3. 공정연소시설
     4. 수상항해시설

     정답 : []
     정답률 : 83%

30. 철강 제조공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철강 제조공정은 제선 및 제강으로 구분한다.
     2. 제선공정은 철광석에서 선철을 만드는 공정이다.
     3. 전로공정은 선철을 이용하여 강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4. 고로공정은 철스크랩을 이용하여 강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정답 : []
     정답률 : 70%

31. 국내 목표관리제의 소각시설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산정방법 특성이 아닌 것은?(2021년 09월)
     1. CO2 배출량 산정은 활동자료인 폐기물의 소각량과 총탄소의 건조 탄소함량비율에 의해 결정된다.
     2. 바이오매스 폐기물(음식물, 목재 등)의 소각으로 인한 CO2배출은 생물학적 배출량이므로 배출량 산정 시 제외되어야 한다.
     3. non-CO2(CH4 및 N2O)의 경우에는 제시된 배출계수 또는 측정을 통하여 배출량을 산정한다.
     4. 국내 목표관리제에서 고상과 액상폐기물의 소각에 의한 온실가스 CO2산정방법으로 Tier 1이상을 요구하고 있으며, 연속측정방법인 Tier 4도 허용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화석연료로 인한 폐기물의 소각으로 인한 이산화탄소만 배출량에 포함되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폐기물 소각으로 인한 이산화탄소 배출은 mass-balance 또는 측정방법에 따라 폐기물의 화석탄소함량을 기준으로 산정된다.
[해설작성자 : ㄱㄱㅇㅅㄹㅎ]

32.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고형폐기물의 생물학적 처리유형 중 혐기성 소화과정에서 주로 발생되는 대표적인 온실가스는?(2021년 05월)
     1. 일산화탄소
     2. 아산화질소
     3. 육불화황
     4. 메탄

     정답 : []
     정답률 : 86%

33. 다음은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철강 생산 공정의 보고대상 배출시설 중 어떤 시설에 관한 설명인가?(2018년 09월)

    

     1. 코크스로
     2. 소결로
     3. 용선로
     4. 전로

     정답 : []
     정답률 : 49%

34. 온실가스 배출시설에 사용되는 연료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9월)
     1. 바이오가솔린(Biogasoline):해조류와 같은 바이오매스를 사용하여 생산하는 가솔린으로 분자당 6~12의 탄소를 포함한다. 바이오부탄올, 바이오에탄올이 알콜기인 것에 반해 바이오가솔린은 탄화수소로서 화학적으로 차이가 난다.
     2. 목탄(Chaecoal):목재 등 목탄생산을 위한 재료를 공기의 공급을 차단하고 가열하거나, 또는 공기를 아주 적게 하여 가열하였을 때 생기는 고체 생성물을 말하며, 재료는 보통 단단한 나무가 사용되며, 검탄ㆍ백탄ㆍ성형목탄으로 분류된다.
     3. 바이오디젤(Biodiesel):쌀겨 기름이나 식용유 등의 식물성 기름을 특수 공정으로 가공하여 경유와 섞어서 만든 디젤기관의 연료로 기존의 경유와 특성이 비슷하지만, 연소 시 공해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4. 코크스로 가스(Coke Oven Gas):철강 산업의 용광로에서 코크스의 연소 시 생산되는 부생가스이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코크스로 가스: 석탄을 코크스로에서 건류할 때 발생하는 수소와 메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가스
[해설작성자 : BERRY]

35. 폐기물 소각시설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2016년 05월)
     1. 배가스 처리
     2. 에너지 회수 증가
     3. 에너지 공급 효율성 증가
     4. 플라스틱 등 고열량 폐기물 투입

     정답 : []
     정답률 : 87%

36. 제품의 생산 공정 및 제품사용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 활동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2016년 05월)
     1. 석유정제활동
     2. 철강생산
     3. 석탄의 채굴
     4. 오존층파괴물질의 대체물질 사용

     정답 : []
     정답률 : 46%

37.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납 생산 공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4월)
     1. 연정광으로부터 미가공 조연(bullion)을 생산하는 1차 생산공정에서는 소결과정을 생략할 수 없다.
     2. 소결공정에서 연정광을 재활용 소결물, 석회석, 실리카, 산소, 납 고함유 슬러지 등과 혼합·연소하여 황과 휘발성 금속을 제거한다.
     3. 제련공정에서 일반적은 고로 또는 ISF(imperial smelting furnace)가 이용되며 납산화물의 환원과정에서 CO2가 배출된다.
     4. 정제납의 2차 생산은 재활용 납을 재사용하기 위한 준비과정이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연정광으로부터 미가공 조연(bullion)을 생산하는 1차 생산공정에서 소결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J.BERRY]

연정광으로부터 미가공 조연(Bullion)을 생산하는 1차 생산 공정은 2가지로 구분된다.
먼저 소결과 제련과정을 연속적으로 거치는 소결/제련 공정으로 전체 1차 납생산 공정의 약 78%를 차지한다.
두 번째는 직접 제련공정으로 소결과정이 생략되며 이 공정은 1차 납 생산 공정의 22%를 차지한다.
[해설작성자 : Ice Breakers]

38. 석유정제공정의 보고대상 배출시설이 아닌 것은?(2016년 05월)
     1. 카본블랙 반응시설
     2. 수소제조시설
     3. 촉매재생시설
     4. 코크스 제조시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석유정제 보고대출 대상>
수소제조, 촉매재생, 코크스 제조
[해설작성자 : 온앤오프팬]

39. 고형 폐기물 매립시설에서 매립시설별 유형별 메탄 보정계수가 적절한 것은?(2020년 09월)
     1. 관리형 매립지(혐기성) - 0.8
     2. 관리형 매립지(준호기성) - 0.5
     3. 비관리형 매립지(매립고 5m 이상) - 0.6
     4. 비관리형 매립지(매립고 5m 미만) - 0.3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관리형-혐기성(1.0) / 준호기성(0.5)
비관리형-5m이상(0.8)/5m미만(0.4)
[해설작성자 : 함냐함냐]

립시설 유형별 메탄 보정계수
- 관리형 매립지 - 혐기성 1.0
- 관리형 매립지 - 준호기성 0.5
- 비관리형 매립지 - 매립고 5m 이상 0.8
- 비관리형 매립지 - 매립고 5m 미만 0.4
- 기타 0.6

40. 이동연소(항공)의 Tier 1 배출량 산정방법론에서 “항공사업법 제 44조”에 따라 항공기취급업을 등록한 계열회사로부터 항공기 지상조업 지원을 받는 경우의 연료사용량 보정계수?(2021년 09월)
     1. 0.0461
     2. 0.0251
     3. 0.0215
     4. 0.0164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AF : 연료사용량 보정계수
         ("항공사업법 제 44조"에 따라 항공기취급업을 등록한 계열회사로부터 항공기 지상조업 지원받는 경우 0.0164, 그렇지 아니한 경우 0.0215)

3과목 : 온실가스 산정과 데이터 품질관리


41.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항공부문의 이동연소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4월)
     1. 배출량 산정방법론은 Tier 1, 2, 3의 세 등급으로 구분할 수 있다.
     2. Tier 2수준의 배출량 산정방법론은 제트 연료를 사용하는 항공기에 적용된다.
     3. Tier 1수준에서 활동자료의 측정불확도는 ±7.5% 이내이다.
     4. Tier 2수준에서 활동자료의 측정불확도는 ±5.0% 이내이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1. 항공은 Tier 1, 2로 구분
[해설작성자 : 음]

42.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측정기기 설치 및 운영관리를 위한 “상대정확도 시험”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9년 09월)
     1. 관리업체의 측정기기 또는 데이터 수집기간의 통신상태 및 대기분야 환경오염공정시험기준에 적합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시험
     2. 측정 자료 간의 오차율을 비교하여 정확성을 확인하는 시험으로 대기분야 환경오염공정시험기준에 따라 적합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시험
     3. 측정기기의 설치위치, 환경조건, 기능, 성능 등이 대기분야 환경오염 공정시험기준에 적합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
     4. 상대정확도 시험은 확인검사와 통합시험으로 구분할 수 있음

     정답 : []
     정답률 : 80%

43. Scope 1과 Scope 2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1년 05월)
     1. 전기, 스팀 등의 구매에 의한 외부에서의 온실가스 배출은 Scope 1에 해당된다.
     2. 중간 생성물의 저장, 이송과정에서의 온실가스 배출은 Scope 2에 해당된다.
     3. 배출원 관리 영역에 있는 차량운행을 통한 온실가스 배출은 Scope 2에 해당된다.
     4. 화학반응을 통한 부산물로서의 온실가스 배출은 Scope 1에 해당된다.

     정답 : []
     정답률 : 73%

44.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온실가스 배출활동별 산정방법론에 따른 보고대상 온실가스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CO2: Tier1,2,3,4
CH4: Tier1
N20: -
[해설작성자 : sscho]

45. 다음 Scope 분류 및 그에 대한 배출활동이 잘못 연결된 것은?(2019년 04월)
     1. Scope 1 : 이동연소, 철강생산, 공공하수처리
     2. Scope 1 : 폐기물 소각, 고정연소, 시멘트생산
     3. Scope 2 : 구입 증기, 구입 전기, 구입 열
     4. Scope 3 : 종업원 출퇴근, 구매된 원료의 생산 공정배출, 공장 내 기숙사 난방

     정답 : []
     정답률 : 83%

46.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모니터링 계획 작성원칙 중 “모니터링 계획에 보고된 동일 배출시설 및 배출활동에 관한 데이터는 상호비교가 가능하도록 해야한다.”는 것과 가장 관련이 깊은 원칙은?(2018년 04월)
     1. 준수성
     2. 일관성
     3. 투명성
     4. 완전성

     정답 : []
     정답률 : 75%

47. 도시가스(LNG)의 사용량의 측정값이 1기압, 15℃에서 10,000m3이다. 1기압, 0℃로 온도보정을 실시한 결과로 가장 가까운 값은?(2018년 09월)
     1. 10549m3
     2. 8500m3
     3. 9479m3
     4. 9985m3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0000*{(273+0)/(273+15)}=9479.1667
[해설작성자 : 흑유]

48.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 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상 검증기관 지정요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5월)
     1. 검증기관은 법이어야 한다.
     2. 상근심사원은 3인 이상 갖추어야 한다.
     3. 검증 매뉴얼은 문서형태로 작성되어야 한다.
     4. 검증기관은 검증절차에 필요한 세부 운영메뉴얼을 구비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심사반의 경우에는 담당공무원 1인과 평가위원 1인을 포함하여 최소 2인 이상으로 구성한다 ▶ 23년 법 개정내용
[해설작성자 : 싫어싫어병 말기]

49.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에 따른 배출시설의 배출량 규모에 따른 산정등급(Tier) 분류기준에서 연간 50만톤 이상의 배출시설에 해당하는 그룹은?(2017년 05월)
     1. A그룹
     2. B그룹
     3. C그룹
     4. D그룹

     정답 : []
     정답률 : 83%

50.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에 따른 배출활동별 온실가스 배출량 등의 세부산정방법 및 기준사항으로 ( )에 알맞은 것은?(2021년 05월)

    

     1. 셋째자리에서 절사하여 둘째자리까지
     2. 셋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둘째자리까지
     3. 넷째자리에서 절사하여 셋째자리까지
     4. 넷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셋째자리까지

     정답 : []
     정답률 : 70%

51.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제하에서 연속측정방법의 배출량 산정방법 및 측정기기의 설치 관리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9월)
     1. 30분 배출량은 g단위로 계산하여, 정수로 산정한다.
     2. 자동측정 자료의 배출량 산정기준으로 월 배출량은 g단위의 30분 배출량을 월 단위로 합산하고 ton단위로 환산한 후 소수점 이하는 반올림 처리하여 점수로 산정한다.
     3. 비정상 측정 자료는 정상 자료 중 최근 30분 평균 자료를 대체자료로 사용한다.
     4. 가동중지 기간의 자료는 '0'으로 처리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월 배출량은 g단위의 30분 배출량을 월 단위로 합산하고, kg단위로 환산한 후 소수점 이하는 버림처리하여 정수로 산정한다.

52.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굴뚝연속자동측정방법에 따른 배출량 제출 시 실시간 측정자료를 전자적 방식으로 해당관장에게 제출해야 하는데, 이 실시간 측정자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6년 10월)
     1. CO2 농도
     2. 배출가스 유량
     3. 배출구 온도
     4. 배출구 습도

     정답 : []
     정답률 : 82%

53.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제 하에서 다음과 같은 모니터링 유형에 대한 활동자료 산정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5년 05월)

    

     1. 상거래를 목적으로 연료나 원료공급자가 설치ㆍ관리하는 측정기기의 계측자료는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없다.
     2. 주기적인 정도검사를 실시하는 내부측정기기가 같이 설치되어 있을 경우 활동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으로써, 배출시설에 다수의 교정된 측정기기가 부착된 경우, 교정된 자체 측정기기 값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 주기적인 정도검사를 실시하지 않는 내부 측정기기 값을 기준으로 배출시설별 활동자료를 결정한다.
     4. 구매한 연료 및 원료, 전력 및 열에너지를 정도검사를 받지 않은 내부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활동자료를 분배ㆍ결정하는 방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75%

54.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화학산업 온실가스 배출활동에 해당 하지 않는 것은?(2018년 09월)
     1. 질산 생성
     2. 카바이드 생산
     3. 소다회 생산
     4. 석회 생산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석회 생산은 광물산업에 해당.
[해설작성자 : sscho]

55.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하ㆍ폐수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시 CO2는 배출량 산정에서 제외하는 주된 원인으로 가장 적합한 사항은?(2018년 04월)
     1. 배출계수가 없으므로
     2. 생물에서 기원하므로
     3. 하ㆍ폐수에서 CO2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4. 소량 발생하므로

     정답 : []
     정답률 : 80%

56.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제 하에서 고형폐기물의 매립시 배출량 산정과 관련한 매개변수별 관리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9월)
     1. 폐기물 성상별 매립양은 1981년 1월 1일 이후 매립된 폐기물에 대해서만 수집한다.
     2. 메탄 회수량은 측정불확도 ±2.5% 이내의 메탄 회수량 자료를 활용한다.
     3. 메탄으로 전환 가능한 DOC 비율은 IPCC가이드라인 기본값인 0.5를 적용한다.
     4. 메탄 부피비는 IPCC 기본값인 0.5를 적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57.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운영을 위한 검증지침에서 리스크 분석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9월)
     1. 검증팀은 피검증자에게 의해 발생하는 리스크를 평가한다.
     2. 피검증가에 의해 발생하는 리스크에는 고유리스크와 통제리스크가 있다.
     3. 검증팀의 검증과정에서 검출리스크가 발생한다.
     4. 통제리스크는 검증대상의 업종 특성에 따른 리스크이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고유리스크 : 검증대상의 업종 특성에 따른 리스크 이다
[해설작성자 : 온실가스]

58.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고정연소에 사용되는 고체연료에서 발생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해 Tier 3 방법론에 따라 배출계수를 개발하여 사용할 경우, 배출계수 개발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CO2 배출계수는 연료 중 탄소의 질량분율에 비례한다.
     2. 탄소 배출계수는 연료의 열량계수에 반비례한다.
     3. CO2 배출계수는 연료의 순발열량에 반비례한다.
     4. 탄소 배출계수는 CO2 배출계수와 동일하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CO2 배출계수=탄소 배출계수*3.664*10^3
탄소 배출계수=(탄소의 질량 분율/열량계수)*(10^3)

59.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에 따라 고체연료의 고정연소 시 발생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해 Tier 3 방법론에 따라 배출계수를 개발하여 사용할 경우, 배출계수 개발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CO2 배출계수는 연료 중 탄소의 질량 분율에 비례한다.
     2. 탄소 배출계수는 연료의 열량계수에 반비례한다.
     3. CO2 배출계수는 연료의 순발열량에 반비례한다.
     4. 탄소 배출계수는 CO2 배출계수와 동일하다.

     정답 : []
     정답률 : 72%

60.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비선택적 촉매환원법을 사용하여 질산 350t을 생산하였다. 이 때 발생되는 온실가스 배출량(tCO2-eq)은?(2021년 09월)

    

     1. 156
     2. 217
     3. 340
     4. 412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350t질산 × 2kgN2O/t-질산 ×(tCO2-eq/10^3kgCO2-eq) =0.7t CO2-eq
0.7t CO2-eq ×310tCO2/tN2O= 217tCO2-eq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과목 : 온실가스 감축관리


61. CDM 사업계획서(PDD)의 구성 항목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A : 프로젝트 황동에 대한 일반사항 기술
     2. B : 베이스라인 및 모니터링 방법론의 적용
     3. C : 프로젝트 활동 이행기간, 유효기간
     4. D : 프로젝트 활동에 대한 평가

     정답 : []
     정답률 : 73%

62.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위해 정부정책 세부방향을 설정하고자 한다. 다음 중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방법으로 옳은 것은?(2018년 04월)
     1. 풍력발전을 화력발전으로 대체
     2. 건축물 내 LED 등을 형광등으로 교체
     3. 매립장에서 발생하는 LFG(Land Fill Gas)를 연료로 활용
     4. 사업장 내 수소자동차를 가솔린자동차로 교체

     정답 : []
     정답률 : 77%

63.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하에서 승인대상 외부감축사업의 승인기준으로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5월)
     1. 외부감축실적은 지속적이고 정량화되어 검증 가능하여야 한다.
     2. 일반적인 경영여건에서 실시할 수 있는 행동을 넘어서는 추가적인 행동 및 조치에 따른 감축이 발생되어야 한다.
     3. 승인대상 외부사업은 온실가스 감축량의 최소규모를 배출허용총량의 10% 이내로 제한한다.
     4. 외부사업은 배출량 인증위원회에서 승인한 방법론을 적용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64. 자료의 불확실성이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하여 규명하는 시스템적인 절차인 불확도 분석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9월)
     1. 정량적인 분석 결과를 제공하므로 결과의 신뢰성이 높다.
     2. 모든 입력 자료를 확률분포로 나타내는데 한계가 있다.
     3. 수행과정이 간단하고, 전문지식이 필요 없다.
     4. 분석 결과에 대하여 의사 결정이 용이하다.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불확도 분석 - 수행과정이 간단하며, 전문지식이 요구된다
[해설작성자 : 움인]

65. 고온형 연료전지에 해당하는 것은?(2020년 09월)
     1.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
     2.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3. 알칼리 연료전지
     4.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PEMFC 60~80°C 저온형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 DMFC 60~130°C 저온형
알칼리 연료전지                 AFC         60~250°C 저온~중온형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MCFC 600~700°C 고온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SOFC 700~1,000°C 고온형
[해설작성자 : JHPP]

66. 다음 중 소규모 CDM 사업의 기준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5년 09월)
     1. 인위적 배출감축사업으로서 직접배출량이 연간 30000 CO2ton 미만의 사업
     2. 인위적 배출감축사업으로서 직접배출량이 연간 40000 CO2ton 미만의 사업
     3. 인위적 배출감축사업으로서 직접배출량이 연간 50000 CO2ton 미만의 사업
     4. 인위적 배출감축사업으로서 직접배출량이 연간 60000 CO2ton 미만의 사업

     정답 : []
     정답률 : 70%

67. Non-CO2 온실가스인 PFCs 의 주요발생원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9월)
     1. 금속관련산업(철강산업)
     2. 카프로락탐 등을 생산하는 석유화학 공정
     3. Halocarbons 생산공정 및 사용공정
     4. 전자회로나 반도체 생산공정의 에칭공정이나 세정액으로 사용

     정답 : []
     정답률 : 54%

68. 외부사업 추가성 평가 절차 및 방법 중 만족되어야 하는 추가성 기준내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외부사업 타당성 평가 및 감축량 인증에 관한 지침기준)(2019년 09월)
     1. 경제적 추가성 분석은 일반감축사업 대상 중, 연간 60,000 tCO2-eq 초과의 예상 온실가스 감축량 혹은 흡수량을 갖는 사업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분석하도록 한다.
     2. 추진하고자 하는 외부사업이 현행 법ㆍ제도에 의해 제한을 받아야 하며, 외부사업의 내용이 현행 법ㆍ제도에 의무사항으로 규정되어 있어야 한다.
     3. 경제성이 부족하여 외부사업으루 추진하기 어려우나, 외부사업 인증실적 활용을 통하여 경제성 확보가 가능한 사업이어야 한다.
     4. 지방자치단체 등의 기관에서 온실가스 감축에 필요하여 정책적으로 권장하는 사업은 자발적 참여에 의한 활동으로 간주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추진하고자 하는 외부사업이 현행 법ㆍ제도에 의해 제한을 받지 않아야 하며, 외부사업의 내용이 현행 법ㆍ제도에 의무사항으로 규정되어 있지 않아야 한다.
[해설작성자 : J.BERRY]

69. 자동차 온실가스 저감기술이 아닌 것은?(2021년 05월)
     1. 마찰저항 저감과 경량화
     2. CO2를 냉매제로 사용한 에어컨시스템
     3. 에코타이어
     4. 에코브레이크

     정답 : []
     정답률 : 61%

70. A 철강회사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주 연료로 사용되는 경유를 프로판으로 대체하였다. 경유 100,000kL를프로판 50,000kL로 대체할 경우 약 몇 tCO2-eq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하였는가?(2017년 05월)

    

     1. 약 152,000
     2. 약 162,000
     3. 약 172,000
     4. 약 182,000

     정답 : []
     정답률 : 50%

71. 탄소자원화(CCU)에 대한 개념으로 관계가 가장 적은 것은?(2021년 09월)
     1. CO2만을 선택적으로 분리 포집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2. 화학제품의 원료로 전환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3. 광물의 탄산화로 전환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4. 바이오 연료 등으로 전환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탄소자원화(CCU, Carbon Capture Utilization)는 포집된 CO2를 화학, 생물학적 변환 과정을 거쳐 ▲화학·플라스틱 제품의 원료 ▲광물탄산화 ▲바이오 연료 등으로 전환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1. CO2만을 선택적으로 분리 포집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 연소 후 이산화탄소 포집기술을 의미한다.
[해설작성자 : yul]

CCU는 에너지, 산업공정 등의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직접 또는 전환하여 잠재적 시장가치가 있는 제품으로 활용하는 기술로 이산화탄소 외 탄소원(일산화탄소, 메탄 등) 자원화 기술도 포함한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성안당 71번 / 2023년판
CCS(Carbon Capture and Storag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정답 1번)
1.간접감축방법의 일종이다. 2.CO2를 대기로 배출시키기 전에 고농도로 포집/압축/수송/저장하는 기술이다. 3.배기가스로부터 CO2만을 선택적으로 분리 포집하는 기술이다. 4.연소 후 포집, 연소 전 포집, 순산소 연소 포집기술로 구분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문제 내용은 이상이 없습니다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72. 다음 중 신재생에너지기술의 하나인 태양광발전의 장ㆍ단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고갈에 대한 제한이 없으며, 필요한 장소에서 필요한 발전이 가능하다.
     2. 유지 보수가 용이한 편이며, 무인화가 가능하며, 설비의 긴 수명(20년 이상) 등의 장점을 갖는다.
     3. 에너지 밀도가 높아 적은 수의 태양전지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4. 시스템 비용이 고가이므로 초기투자비와 발전단가가 높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에너지 밀도가 낮다
[해설작성자 : lee]

73. 해안지역에 시간당1MW 규모의 풍력발전소를 건설하여 전력생산을 CDM사업으로 추진하려고 한다. 풍력발전의 이용율은 20%이고, 생산된 전력은 모두 전력계통으로 공급된다고 가정할 때, 이 사업에 의한 연간 온실가스 감축량은? (단, 전력계통의 온실가스 배출계수는 0.8CO2톤/MWh, 풍력발전소 자체 전기사용량 무시, 1톤 이하 온실가스 감축량도 무시한다.)(2015년 05월)
     1. 1402 CO2톤/년
     2. 1523 CO2톤/년
     3. 1658 CO2톤/년
     4. 1773 CO2톤/년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1MWh X 0.8tCO2-eq X 20%/100 X 24시간/일 X 365일/년 = 1,401tCO2-eq
[해설작성자 : 어부바동동]

74. 시멘트생산공정에서 온실가스를 감축시키는 방법과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5월)
     1. 가스 바이패스(Gas bypass)를 최소화 한다.
     2. 시멘트 성분중 클링커 함량을 줄인다.
     3. 원료와 연료의 수분함량을 줄인다.
     4. 석탄을 대체하여 폐타이어를 연료로 이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75.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매년 조기감축 실적으로 인정할 수있는 전체 총량은 전체 관리업체 배출허용량의 몇%인가?(2017년 09월)
     1. 전체 관리업체 배출허용량의 1%
     2. 전체 관리업체 배출허용량의 5%
     3. 전체 관리업체 배출허용량의 10%
     4. 전체 관리업체 배출허용량의 20%

     정답 : []
     정답률 : 75%

76. 다음 중 온실가스 감축 방법 중에서 직접 감축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5년 09월)
     1. 대체 물질 개발
     2. 공정 개선
     3. 온실가스 활용
     4. 탄소배출권 구매

     정답 :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탄소배출권 구매는 간접 감축방법임
[해설작성자 : 온실]

77.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 ) 안에 알맞은 용어는?(2022년 04월)

    

     1. 불확도
     2. 표준편차
     3. 평균
     4. 중요도

     정답 : []
     정답률 : 69%

78. 연료전지의 장·단점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0년 09월)
     1. 열효율이 높은 편이다.
     2. 자연환경을 해치지 않는다.
     3. 다양한 크기로 설치가 가능하고, 탄력적으로 가동할 수 있다.
     4. 비용대비 효율성이 뛰어나서, 대량 및 다각도의 상용화에 유리하다.

     정답 : []
     정답률 : 67%

79. 다음 중 CDM사업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내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CDM사업의 최종목표는 CER을 발금받는 것으로 모니터링은 CDM사업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과정으로 평가받고 있다.
     2. 모니터링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계측기관리, 절차서, 기록관리 정차서, 검사 및 시험 절차서, 교육 및 훈련 절차서, 문서관리 절차서, 시정 및 예방조치 절차서 등을 구축할 것을 검토하여야 한다.
     3. CDM사업의 모니터링 계획 검증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등록된 PDD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며, CDM사업 등록을 추진하는 조직과 모니터링을 담당하는 조직이 서로 다른 경우 등록된 PDD에 대한 내용을 담당 부서에게 명확하게 전달 및 교육을 하여야 한다.
     4. 계측되는 모니터링 데이터나 방법론이 PDD에 규정한 모니터링 인자의 단위와는 일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모든 데이터 단위 명시를 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82%

80.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관리업체가 당해 업체의 조직경계 외부의 배출시설 또는 배출활동 등에서 온실가스 감축, 흡수 또는 제거한 실적”을 의미하는 용어로 가장 적합한 것은?(2020년 09월)
     1. 온실가스 감축실적
     2. 탄소중립실적
     3. 외부감축실적
     4. 온실가스 인증실적

     정답 : []
     정답률 : 83%

81.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하에서 배출권의 절부를 무상으로 할당할 수 있는 업종에 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매 계획기간마다 평가하여 할당계획에서 정함)(2015년 05월)
     1. 무역집약도가 100분의 5 이상이고, 생산비용 발생도가 100분의 10 이상인 업종
     2. 무역집약도가 100분의 10 이상이고, 생산비용 발생도가 100분의 5 이상인 업종
     3. 무역집약도가 100분의 10 이상이고, 생산비용 발생도가 100분의 20 이상인 업종
     4. 무역집약도가 100분의 20 이상이고, 생산비용 발생도가 100분의 10 이상인 업종

     정답 : []
     정답률 : 68%

82.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에서 산정등급(Tier) 분류체계 중 굴뚝 자동 측정지기 등 배출가스 연속측정방법을 활용한 배출량 산정 방법론에 해당하는 것은?(2014년 09월)
     1. Tier 1
     2. Tier 2
     3. Tier 3
     4. Tier 4

     정답 : []
     정답률 : 71%

83.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령상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계획기간별로 국가 배출권 할당계획을 수립하여야 하는 시기는 매 계획기간 시작 몇 개월 전까지인가?(2020년 09월)
     1. 3개월
     2. 4개월
     3. 5개월
     4. 6개월

     정답 : []
     정답률 : 61%

84.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령상 배출권 거래소의 업무가 아닌 것은?(2020년 09월)
     1. 배출권 거래시장의 개설·운영
     2. 배출권거래중개회사의 등록 취소에 관한 업무
     3. 배출권의 매매(경매를 포함한다.) 및 청산 결제
     4. 불공정거래에 관한 심리 및 회원의 감리

     정답 : []
     정답률 : 60%

85. 다음 설명에서 ( )에 들어갈 내용은?(2021년 09월)

    

     1. 목표 이행실적
     2. 목표 이행계획
     3. 배출권 이행계획
     4. 배출량 적합성평가 계획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관련 법 조항 삭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6.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령상 국토교통부장관이 교통부문의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 절약 및 에너지 이용효율 목표를 수립ㆍ시행 시 포함해야 하는 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2018년 04월)
     1. 에너지 종류별 온실가스 배출권 실거래 현황
     2. 연차별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 절약 및 에너지 이용효율 목표와 그 이행계획
     3. 5년 단위의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 절약 및 에너지 이용효율 목표와 그 이행계획
     4. 자동차, 기차, 항공기, 선박 등 교통수단별 온실가스 배출 현황 및 에너지 소비율

     정답 : []
     정답률 : 67%

87. 교통부문의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절약 및 에너지 이용효율 목표는 누가 수립ㆍ시행하여야 하는가?(2016년 05월)
     1. 환경부장관
     2. 산업통상자원부장관
     3. 국토교통부장관
     4. 기획재정부장관

     정답 : []
     정답률 : 66%

88.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외부사업 온실가스 감축량의 인증에 관한 업무를 부문별 관장기관이 공동으로 정하여 관보에 고시하는 바에 따라 위탁할 수 있는데,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단, 그 밖의 사항 등은 고려하지 않음)(2018년 04월)
     1. 농업기술실용화재단
     2. 한국에너지공단
     3. 한국환경공단
     4. 생태계보전공사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은 2022년 3월 1일 부터 한국농업기술진흥원으로 기관명이 변경되었습니다.
[해설작성자 : 쭈꿈스]

89.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정부는 배출권거래제 도입으로 인한 기업의 경쟁력 감소를 방지하고 배출권 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에 대하여 금융상ㆍ세제상의 지원을 할 수 있는데, 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04월)
     1. 온실가스 감축모형 개발 및 배출량 통계 고도화 사업
     2. 온실가스 저장기술 개발 및 저장설비 설치 사업
     3.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측정 및 체계적 관리시스템의 구축 사업
     4.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 촉진 고도화 구축사업

     정답 : []
     정답률 : 78%

90.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정의에서의 온실가스 종류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9월)
     1. 이산화탄소(CO2)
     2. 메탄(CH4)
     3. 아산화질소(N2O)
     4. 과산화수소(H2O2)

     정답 : []
     정답률 : 92%

91.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으로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배출활동”이란 온실가스를 배출하거나 에너지를 소비하는 일련의 활동을 말한다.
     2. “기준연도”란 온실가스 배출량 등의 관련정보를 비교하기 위해 지정한 과거의 특정기간에 해당하는 연도를 말한다.
     3. “연소배출”이란 연료 또는 물질을 연소함으로써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을 말한다.
     4. “이산화탄소 상당량”이란 이산화탄소에 대한 온실가스의 복사 강제력을 비교하는 단위로서 해당 온실가스의 양에 지구온난화지수를 나누어 산출한 값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이산화탄소 상당량 : 이산화탄소에 대한 온실가스의 복사 강제력을 비교하는 단위로서 온실가스량 x 지구온난화지수 / tCO2-eq로 지구온난화 영향이 이산화탄소 1톤에 상당하는 양
[해설작성자 : 연빈]

92. 다음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운영을 위한 검증지침상 외부사업 온실가스 감축량 검증절차이다. ( )안에 단계 순으로 옳게 배열된 것은?(2019년 04월)
     1. 현장검증→문서검토→내부심의→검증결과 정리 및 평가
     2. 문서검토→내부심의→검증결과 정리 및 평가→현장검증
     3. 문서검토→검증결과 정리 및 평가→현장검증→내부심의
     4. 문서검토→현장검증→검증결과 정리 및 평가→내부심의

     정답 : []
     정답률 : 71%

93. 배출권거래제 기본계획에 포함될 내용이 아닌 것은?(2021년 05월)
     1. 배출권 거래제에 관한 국내외 현황 및 전망에 관한 사항
     2. 무역집약도 또는 탄소집약도 등을 고려한 국내 산업의 지원대책에 관한 사항
     3.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를 고려하여 설정한 온실가스 배출허용총량에 관한 사항
     4. 재원조달, 전문인력 양성, 교육⋅홍보 등 배출권거래제의 효과적 운영에 관한 사항

     정답 : []
     정답률 : 24%
     <문제 해설>
3번 국가온실가스감축 목표를 고려한 배출권거래제 계획기간의 운영에 관한 사항
[해설작성자 : 산인공 빠샤]

제4조(배출권거래제 기본계획의 수립 등)
① 정부는 이 법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10년을 단위로 하여 5년마다 배출권거래제에 관한 중장기 정책목표와 기본방향을 정하는 배출권거래제 기본계획(이하 “기본계획”이라 한다)을 수립하여야 한다.
② 기본계획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개정 2024. 2. 6.>
1. 배출권거래제에 관한 국내외 현황 및 전망에 관한 사항
2. 배출권거래제 운영의 기본방향에 관한 사항
3.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를 고려한 배출권거래제 계획기간의 운영에 관한 사항
4. 경제성장과 부문별ㆍ업종별 신규 투자 및 시설(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사업장 또는 그 일부를 말한다. 이하 같다) 확장 등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 전망에 관한 사항
5. 배출권거래제 운영에 따른 에너지 가격 및 물가 변동 등 경제적 영향에 관한 사항
6. 무역집약도 또는 탄소집약도 등을 고려한 국내 산업의 지원대책에 관한 사항
7. 국제 탄소시장과의 연계 방안 및 국제협력에 관한 사항
8. 그 밖에 재원조달, 전문인력 양성, 교육ㆍ홍보 등 배출권거래제의 효과적 운영에 관한 사항
[해설작성자 : JHPP]

94.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령상 국가온실가스 감축 목표는 2030년의 국가 온실가스 총배출량을 2030년의 온실가스 배출 전망치 대비 얼마수준까지 감축하는 수준인가?(2016년 10월)
     1. 100분의 20
     2. 00분의 25
     3. 00분의 37
     4. 00분의 45

     정답 : []
     정답률 : 81%

95.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건물이 건축물 대장 또는 등기부에 각각 등재되어 있거나 소유지분을 달리하고 있는 경우에 건축물에 대한 특례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9월)
     1. 건물의 소유구분이 지분형식으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최대 지분을 보유한 법인 등을 당해 건물의 소유자로 본다.
     2. 인접 또는 연접한 대지에 동일 법인이 여러 건물을 소유한 경우에는 한 건물로 본다.
     3. 에너지관리의 연계성이 있는 복수의 건물 등은 한 건물로 보며, 동일 부지 내 있거나 인접 또는 연접한 집합건물이 동일한 조직에 의해 에너지 공급·관리 또는 온실가스 관리 등을 받을 경우에도 한 건물로 간주한다.
     4. 동일 건물에 구분 소유자와 임차인에 있는 경우에는 각각의 건물로 본다.

     정답 : []
     정답률 : 81%

96.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에 규정된 부문별 관장기관의 담당업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5년 09월)
     1. 심사위원회의 운영
     2. 관리업체의 선정ㆍ지정ㆍ관리 및 필요한 조치등에 관한 사항
     3. 관리업체에 대한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 절약 등 목표의 설정
     4. 이행실적 및 명세서의 확인

     정답 : []
     정답률 : 58%

97. 조기감축실적을 인정함에 있어 고려되어야 할 기준으로 틀린 것은?(2015년 09월)
     1. 조기행동으로 인한 감축이 정량화 되어야 하고 검증 가능하여야 한다.
     2. 관리업체의 조직경계 안에서 발생한 것에 한하여 그 실적을 인정한다.
     3. 국내에서 실시한 행동에 의한 감축분에 대하여 그 실적을 제외한다.
     4. 관리업체 사업장 단위에서의 감축분 또는 사업단위에서의 감축분에 대하여 인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84%

98.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할당대상업체가 주무관청에 제출하여야 하는 상쇄배출권의 제출한도(기준)는 얼마인가?(2017년 05월)
     1. 할당대상업체 배출권의 100분의 1 이내의 범위
     2. 할당대상업체 배출권의 100분의 5 이내의 범위
     3. 할당대상업체 배출권의 100분의 10 이내의 범위
     4. 할당대상업체 배출권의 100분의 20 이내의 범위

     정답 : []
     정답률 : 54%

99.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배출권의 전부를 무상으로 할당 할 수 있는 업종에 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매 계획기간마다 평가하여 할당계획에서 정함)(2018년 04월)
     1. 무역집약도가 100분의 5 이상이고, 생산비용발생도가 100분의 10 이상인 업종
     2. 무역집약도가 100분의 10 이상이고, 생산비용발생도가 100분의 5 이상인 업종
     3. 무역집약도가 100분의 10 이상이고, 생산비용발생도가 100분의 20 이상인 업종
     4. 무역집약도가 100분의 20 이상이고, 생산비용발생도가 100분의 10 이상인 업종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관련 법 조항 삭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관리자 입니다.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사향령 19 조에 나와있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관련 법 조항 삭제로 이 문제는 넘어가셔도 됩니다.
시행령 제19조(온실가스배출관리업체의 지정기준 및 계획기간) ① 법 제27조제1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량 이상의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업체”란 최근 3년간 연평균 온실가스 배출총량이 5만이산화탄소상당량톤(tCO2eq) 이상인 업체이거나 연평균 온실가스 배출량이 1만5천이산화탄소상당량톤(tCO2eq) 이상인 사업장을 하나 이상 보유하고 있는 업체를 말한다.

② 제1항에서 “최근 3년간”이란 온실가스배출관리업체로 지정된 연도(이하 “지정연도”라 한다)의 직전 3년간을 말한다. 다만, 사업기간이 3년 미만이거나 사업장의 휴업 등으로 3년간의 자료가 없는 경우에는 해당 사업기간 또는 자료 보유기간을 대상으로 산정할 수 있다.

③ 법 제27조제1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계획기간”이란 1년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탄소중립]

100.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상 정부가 범지구적인 온실가수 감축에 적극 대응하고 저탄소 녹색성장을 효율적ㆍ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중장기 및 단계별 목표를 설정해야 하는 항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9월)
     1. 도서지역 에너지 보급률 목표
     2. 에너지 절약 목표 및 에너지 이용효율 목표
     3. 신ㆍ재생에너지 보급 목표
     4. 온실가스 감축 목표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국가에서 추진해야 할 목표
1. 온실가스 감축 목표
2. 에너지 절약 목표 및 에너지 이용 효율 목표
3. 에너지 자립 목표
4. 신재생에너지 보급 목표
[해설작성자 : 탄소중립]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온실가스관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7일)(2161146)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189 전파통신기능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4월03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88 산림산업기사(구60문항)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7일)(7294897)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87 축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7일)(6226022)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86 경찰공무원(순경) 사회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3월0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85 자동차정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5월2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2
» 온실가스관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7일)(2161146)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83 방수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7일)(1261136)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82 경영지도사 1차 2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4월0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2
23181 사회복지사 1급(2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2월0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80 전자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3월1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2
23179 9급 지방직 공무원 공업화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6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78 화학분석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2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77 전기공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3월0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76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0년03월1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75 소방공무원(공개,경력) 소방학개론(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2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74 전자상거래운용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4월1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73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재배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6월2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72 경찰공무원(순경) 경찰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7일)(7823954)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71 침투비파괴검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3월0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23170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3월28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7 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165 Next
/ 1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