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유통경로 기능을 묻는건 유통관리사에서 가장 기본적인 개념을 묻는 문제입니다. 소비자에게 제품 구색 불일치를 완화 -> 도소매상(중간상)이 배분, 수합, 구색갖춤을 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소비자에게 거래의 표준화를 제공 -> 편의점이나 대형마트에서 상품이 일정하게 담겨 있고(포장), 가격표가 붙어 있고, 결제할때는 현금만 가능한게 아니라 카드도 가능하고 심지어는 포인트도 사용이 가능한 것처럼 거래가 어렵지 않게 갖춰진걸 의미합니다. [해설작성자 : 시험장이 눈앞에 아른거려]
2.
소매업을 분류하는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대규모와 중소규모는 점포 면적에 따른 구분이다.
2.
제공하는 서비스수준에 따라 완전서비스, 한정서비스, 셀프서비스 등으로 구분한다.
3.
판매하는 상품의 종류에 따라 업태별 구분을 한다.
4.
경영방식에 따라 단독점과 체인점으로 구분한다.
5.
점포의 유무에 따라 점포소매업, 무점포소매업으로 구분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업태별 구분 x 업종별 구분 o [해설작성자 : 개미더듬이풍차돌리기]
3.
유통 경로의 목표를 설정할 경우, 각 특성별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중간상 특성: 중간상 유형별 장단점
2.
기업 특성: 인적, 물적, 재무적 자원
3.
경쟁적 특성: 경쟁자의 유통경로 믹스
4.
환경적 특성: 경기변동, 법적·제도적 환경요인
5.
제품 특성: 판매증대, 이익증대, 소비자 만족
정답 : [
5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제품특성 : 제품의 모양, 크키, 가격 등 [해설작성자 : 개미더듬이풍차돌리기]
4.
조직몰입(organizational commitment)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정서적 몰입은 구성원이 조직에 대하여 동일시하며 애착을 느끼는 심리상태를 의미한다.
2.
규범적 몰입은 도덕적 혹은 윤리적인 의무감을 기반으로 헌신하고자 하는 심리상태를 의미한다.
3.
소속된 조직과 결별하는 데 발생하는 비용으로 인해 구성원으로서의 자격을 유지하려는 상태를 정서적 몰입 이라고 한다.
4.
몰입의 대상이 꼭 하나일 필요는 없고, 기업에 몰입하면서 노조에도 몰입하는 이중몰입이 가능하다.
물류정보는 물류활동의 역할에 따라 수주, 재고, 생산 지시, 물류관리정보 등으로 분류된다.
4.
기업의 물류정보시스템은 초기에는 판매관리와 생산 관리를 위한 정보시스템이 주로 행해졌다.
5.
물류정보란 수송, 운반, 포장, 하역, 유통가공 등 기업의 물류활동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모든 정보를 말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2%
17.
아래 글상자에서 글로벌 제품조직(global product structur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1.
㉠
2.
㉠, ㉡
3.
㉠, ㉡, ㉢
4.
㉠, ㉡, ㉢, ㉣
5.
㉠, ㉡, ㉢, ㉣, ㉤
정답 : [
5
] 정답률 : 48%
18.
공급망의 원활한 운영을 방해하는 잠재적인 위험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채찍효과와 같은 수요 증폭을 유발하는 수요위험
2.
프로세스의 탄력성과 병목 현상 같은 프로세스위험
3.
날씨나 지정학적 격변과 같은 환경위험
4.
글로벌 소싱, 주요 공급업체에 대한 높은 의존도와 같은 공급위험
5.
기업의 평판 손실로 인한 통제위험
정답 : [
5
] 정답률 : 41%
19.
침투가격(penetration pricing) 전략이 적용되는 경우의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시장에 경험 효과가 존재하는 경우
2.
시장에 규모의 경제가 존재하는 경우
3.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크지 않은 경우
4.
단기간에 매출액과 시장점유율을 확보하고자 하는 경우
5.
대량판매를 통하여 높은 이익을 올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탄력성이 크지않은 경우 x 탄력성이 큰 경우 o
탄력성이 크지 않을 땐 스키밍 전략 [해설작성자 : 개미더듬이풍차돌리기]
20.
정량주문법과 정기주문법을 비교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정량주문법은 고가품목에, 정기주문법은 저가품목에 상대적으로 유리하다.
2.
정기주문법은 재고수준을 최소화시켜 품절위험을 낮출 수 있다.
3.
정량주문법은 여러 품목의 운송·발주를 통합해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4.
정기주문법은 주문비용 최적화가 가능하지만 과잉 재고가 발생할 수 있다.
5.
정량주문법은 주문주기가 정해져 있고, 정기주문법은 불규칙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정량주문법은 b급품목과 같은 저가품목에, 정기주문법은 a급품목과 같은 고가품목에 주로 사용합니다. [해설작성자 : dozero]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1,2,3,4,5 모두 정답 처리 [해설작성자 : 김밥]
21.
POS(point of sales)시스템의 업무처리절차가 옳게 나열된 것은?
1.
상품에 인쇄된 바코드를 스캐너가 판독 - 스토어 컨트 롤러에서 POS 시스템으로 발신 - 정보가 스토어 컨트 롤러로 송신 - 스토어 컨트롤러가 당일의 상품 판매 관련 각종 보고서 작성 - 영수증 발행 및 인쇄
2.
상품에 인쇄된 바코드를 스캐너가 판독 - 정보가 스토어 컨트롤러에 송신 - 스토어 컨트롤러에서 POS 단말기로 발신 - 영수증 발행 및 인쇄 - 스토어 컨트 롤러가 당일의 상품 판매 관련 각종 보고서 작성
3.
상품에 인쇄된 바코드를 스캐너가 판독 – 정보가 POS 단말기에 송신 - 영수증 발행 및 인쇄 - POS 단말기에서 스토어 컨트롤러로 발신 - POS 단말기가 당일의 상품 판매 관련 각종 보고서 작성
4.
상품에 인쇄된 바코드를 스캐너가 판독 - 정보가 스토어 컨트롤러에 송신 - 스토어 컨트롤러에서 POS 단말기로 발신 - 스토어 컨트롤러가 당일의 상품 판매 관련 각종 보고서 작성 - 영수증 발행 및 인쇄
5.
상품에 인쇄된 바코드를 스캐너가 판독 - 정보가 POS 단말기에 송신 - POS 단말기에서 스토어 컨트 롤러로 발신 - 스토어 컨트롤러가 당일의 상품 판매 관련 각종 보고서 작성 - 영수증 발행 및 인쇄
정답 : [
2
] 정답률 : 45%
22.
물류활동 중 보관활동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보관활동은 보관설비를 제공하는 활동이다.
2.
보관활동은 제품을 저장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3.
보관활동은 설비를 이용하여 직접 보관을 행하는 활동을 말한다.
4.
보관활동은 하역설비를 제공하거나 설비를 이용하여 직접 하역을 행하는 활동을 의미하기도 한다.
5.
보관활동은 원부자재를 적시에 공급하여 생산을 원활 하게 하고, 완제품을 소비자에게 적시에 공급할 수 있게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보관활동이 아닌 하역에 관한 설명이다. [해설작성자 : 개미더듬이풍차돌리기]
23.
포장의 유형 중 목적별 분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상업포장은 유통과정에서 물품보호 기능을 최우선으로 두고 포장한다.
2.
방청포장은 기계나 금속제품이 녹이 스는 것을 막기 위한 포장으로 산소가 닿지 않게 포장한다.
3.
집합포장은 지게차 등 하역기기에 의한 작업이 용이 하도록 포장단위별로 묶어서 포장한다.
4.
방습포장은 습기가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의약품이나 건조식품에 활용한다.
5.
완충포장은 내용물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 압력을 완화시키도록 포장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상업포장 x 공업포장 o
상업포장 = 잘 팔리게 이쁘게 포장 [해설작성자 : 개미더듬이풍차돌리기]
24.
기업이 윤리경영을 실천해야 하는 이유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기업의 활동이 윤리성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면 기업 이미지가 좋아지고 장기적으로 성장과 발전에 도움을 준다.
2.
기업의 비윤리적 행동에 대해 사회가 지불해야 하는 사회적 비용의 규모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3.
기업윤리는 객관적인 윤리기준으로 업종에 상관없이 기업이 지켜야할 구체적이고 통일된 기준이기 때문 이다.
4.
기업윤리를 소홀하게 다루는 기업은 궁극적으로 기업 경영을 비효율적으로 만들기 때문이다.
5.
기업의 사회적 책임 중 하나인 기업윤리에 대한 사회의 기대와 요구가 점점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64%
25.
유통산업발전법(법률 제20444호, 2024. 9. 20., 일부 개정)에 의한 유통관리사 관련 내용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유통관리사가 되려는 사람은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이 실시하는 유통관리사 자격시험에 합격하여야 한다.
2.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유통관리사의 자격을 취득한 사람에 대하여 그 자격을 취소하여야 한다.
3.
유통관리사의 등급, 유통관리사 자격시험의 실시방법ㆍ응시자격ㆍ시험과목 및 시험과목의 면제나 시험 점수의 가산, 자격증의 발급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4.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유통 관리사를 고용한 유통사업자 및 유통사업자단체에 대하여 다른 유통사업자 및 사업자단체에 우선하여 자금 등을 지원할 수 있다.
5.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다른 사람에게 유통관리사의 명의를 사용하게 하거나 자격증을 빌려준 사람에 대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3개월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자격을 정지할 수 있다.
정답 : [
5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3개월x 6개월o [해설작성자 : 개미더듬이풍차돌리기]
2과목 : 상권분석
26.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시행령(대통령령 제35162호, 2024. 12. 31., 일부개정)은 아래 글상자와 같이 상가 임대료의 인상률 상한(차임 등 증액청구의 기준)을 규정하고 있다. 괄호 안에 알맞은 것은?
1.
3
2.
4
3.
5
4.
8
5.
10
정답 : [
3
] 정답률 : 62%
27.
중심지이론을 적용해 봤을 때 동일계층의 중심지가 여러 개 존재하는 지역에서 중심지 간 경쟁과 소외지역을 최소화 하는 중심지 상권의 모양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원형
2.
다각형
3.
타원형
4.
정육각형
5.
동심원형
정답 : [
4
] 정답률 : 58%
28.
넬슨(R.L. Nelson)의 입지원칙 중에서 상호 보완관계에 있는 점포가 서로 인접하여 있는 경우에 고객 흡인력을 높일 수 있다는 특성으로 병원 근처에 약국이 입지한다든가 식당가 근처에 카페가 분포하는 것과 가장 관련이 높은 원칙은?
1.
중간저지성
2.
누적적 흡인력
3.
양립성
4.
접근가능성
5.
경쟁회피성
정답 : [
3
] 정답률 : 46%
29.
중심지 상권의 계층성을 설명하는 중심지이론의 고차원 중심지와 저차원 중심지의 비교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고차원 중심지일수록 고급상품을 취급한다.
2.
교통이 발달할수록 저차원 중심지는 쇠락한다.
3.
인구가 증가할수록 중심지 간 거리는 멀어진다.
4.
고차원 중심지일수록 소비자 도달거리가 커진다.
5.
고차원 중심지일수록 소비자 이용 빈도가 낮아진다.
정답 : [
3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멀어진다 x 가까워진다 o [해설작성자 : 개미더듬이풍차돌리기]
30.
GIS(지리정보시스템)를 활용한 상권분석과 입지의사결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점포에 대한 정보는 그 속성값으로 점포명칭, 점포유형, 매장면적, 월매출액, 종업원 수 등의 자료를 포함할 수 있다.
2.
편의점, 은행, 대형마트, 백화점 등에서의 신규점포 입지선정이나 기존점포의 점포망관리, 점포의 이동과 폐점결정 등에도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
3.
각종 도로나 지하철 노선 등은 선(線)데이터로 지도에 수록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4.
개별 상점이나 상점가의 위치정보, 행정구역, 토지이용 정보는 좌표를 갖는 점(點)데이터로 지도에 수록한다.
5.
소매점포를 이용하는 소비자 대상의 설문조사 자료도 지도데이터베이스에 포함하여 보다 정밀한 상권분석이 가능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점 데이터 x 면 데이터 o [해설작성자 : 개미더듬이풍차돌리기]
31.
다수의 임대점포로 구성되는 대형상가인 쇼핑센터는 임차인 믹스(tenant mix)가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쇼핑센터의 성격을결정짓고 다수의 고객을 끌어들이는 중심적 역할을 하고, 보통 쇼핑센터에서 매장면적을 크게 점유하여 일반에게 지명도가 높은 상징적 점포를 의미하는 것은?
1.
테넌트(tenant)
2.
일반테넌트(general tenant)
3.
트래픽 풀러(traffic puller)
4.
앵커스토어(anchor store)
5.
서브키테넌트(sub-key tenant)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핵점포=앵커스토어=키테넌트 [해설작성자 : 개미더듬이풍차돌리기]
32.
S지역에 거주하는 소비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점포가 3개만 존재한다. 다음 자료와 Huff모델을 사용하여 소비자들의 이용 확률이 가장 높은 점포와 그 확률을 구한 것으로 옳은 것은? (단, 소비자들의 점포면적에 대한 민감도는 +2, 거리에 대한 민감도는 –2이다.)
1.
A 점포: 약 35%
2.
A 점포: 약 43%
3.
B 점포: 약 45%
4.
B 점포: 약 53%
5.
C 점포: 약 42%
정답 : [
4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소비자가 특정 점포를 이용할 확률 = 점포의 매력도 / 각 점포들의 매력도 합
매력도 = 점포의 규모^점포 면적에 대한 민감도 계수 / 소비자의 거주지에서 점포까지의 거리^거리에 대한 민감도 계수
민감도 계수 -2에서 -부호는 감소의 방향을 의미 (거리가 멀어질수록 이용 확률이 줄어듦) 분모에 있는 값은 지수가 양수일 경우 그 값이 커질수록 전체 매력도는 작아지게 됨
A 점포 > 4^2/2^2 = 4 B 점포 > 9^2/3^2 = 9 C 점포 > 10^2/5^2 = 4
총합 17
각 점포의 이용 확률(소수점 제외) A 점포 > 4/17 = 23% B 점포 > 9/17 = 53% C 점포 > 4/17 = 23% [해설작성자 : 합격내놔]
33.
다음 중 상권분석의 내용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상권의 공간적 범위 확정
2.
상권내 임대료의 적절성 분석
3.
자사점포의 시장점유율의 추정
4.
상권내 상주인구의 인구특성 분석
5.
상권내 경쟁자들의 전략 특성 분석
정답 : [
2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2번은 상권분석이 아닌 입지분석의 내용이다. [해설작성자 : 개미더듬이풍차돌리기]
34.
도시와 도시, 지역과 지역간에 관찰할 수 있는 역외구매(outshopping) 현상과 관련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해당지역에 거주하는 소비자들이 외부지역에서 구매 하는 상황을 말한다.
2.
IRS가 크다는 것은 거주자의 역외구매 정도가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3.
해당 지역의 전체 혹은 1인당 예상지출액과 실제지출 액이 차이를 유발한다.
4.
소비자의 이동가능성을 높이는 교통수단의 발달은 역외 구매현상을 촉진할 수 있다.
5.
역외구매 현상이 많아 신규수요창출 가능성이 큰 것 이므로 MEP가 높다고 해석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역외구매 정도가 낮다 x 역외구매 정도가 높다 o [해설작성자 : 개미더듬이풍차돌리기]
IRS는 소매포화지수로 신규 점포에 대한 시장 잠재력을 측정할 때 사용. IRS는 역외구매 현상과는 반비례로, IRS가 크다는 것은 해당 지역 잠재 수요가 타 지역에 비해 크다는 것. 즉, IRS가 크다는 것은 거주자의 역외구매 정도가 낮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맞다고 봄.
다만, MEP는 시장확대잠재력이라는 의미. 역외구매 현상이 많다=수요 유출 증가=지역 내 상업 활성도 저하=MEP가 높다고 해석할 수 없음. [해설작성자 : 유통관리사 2급 준비중]
35.
점포의 입지분석과 관련된 설명으로 그 내용이 옳지 않은 것은?
1.
인스토어형 점포는 대형할인점, 백화점, 쇼핑센터 등 대형소매점 내에 입주해 있는 개별 매장을 의미한다.
2.
인스토어형 점포가 입주해 있는 대형소매점은 그 위치와 주요 내점 교통수단에 따라 도시형, 교외형, 혼합형으로 구분된다.
3.
도시형 점포의 경우 주 출입구에서 에스컬레이터까지가 주동선이다.
4.
교외형 점포의 경우 주 주차장에서 주 출입구까지가 주동선이 된다.
5.
인스토어점포 내에서 고객유발매장을 출입구에 가깝게 배치하여 고객 가로치기 현상을 방지하도록 관리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고객유발매장을 점포 안쪽에 비치하여 가는 길목에 충동구매를 유발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개미더듬이풍차돌리기]
36.
아래 글상자의 항목 가운데 쇼핑몰 입지의 장점들만을 모두 포함한 내용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 ㉡, ㉢
2.
㉠, ㉡, ㉣
3.
㉠, ㉡, ㉤
4.
㉡, ㉢, ㉣
5.
㉡, ㉣, ㉤
정답 : [
2
] 정답률 : 63%
37.
소비자의 동선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개별 통행자의 심리 상태에 대한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목적지를 향한 인간의 심리상태를 나타내는 원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집합의 법칙: 사람들은 여러 사람들이 모이는 곳으로 가려한다.
2.
최단거리 실현의 법칙: 사람들은 목적지에 최단거리로 가려고 한다.
3.
안전중시의 법칙: 사람들은 자신의 안전을 위해 위험 하다고 생각되거나 다른 사람들이 가지 않는 곳으로 통행하지 않는다.
4.
보증실현의 법칙: 사람들은 득실을 미리 예상하고 득이 되는 쪽을 선택한다.
5.
부동선 선호 법칙: 사람들은 부동선을 주동선보다 선호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부동선 선호법칙이란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개미더듬이풍차돌리기]
38.
GIS(지리정보시스템)의 기능 중 중첩(overlay)은 공간적으로 동일한 경계선을 가진 두 지도 레이어들에 대해 하나의 레이어에 다른 레이어를 겹쳐 놓고 지도 형상과 속성들을 비교하는 기능이다. 중첩의 기능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결합(union)
2.
교차(intersection)
3.
동일성(identity)
4.
절단(clip)
5.
질의(query)
정답 : [
5
] 정답률 : 45%
39.
권리금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권리금은 법률적으로 반환을 보장받을 수 있다.
2.
임대차 계약기간동안의 사업수익으로 충분히 충당될 수 있는 정도여야 적당하다고 볼 수 있다.
3.
신축건물에도 바닥권리금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는 주변 상권의 강점을 반영하는 것이므로 높아도 무방하다.
4.
일종의 영업권이며 계약 종료시 원칙적으로 전액 반환 받을 수 있다.
5.
해당 상권의 강점 등이 반영된 영업권의 일종으로, 점포의 소유자에게 임차인이 제공하는 추가적인 비용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보증금 임차인과 임대인 반환 o
권리금 임차인과 임차인 반환 x [해설작성자 : 개미더듬이풍차돌리기]
40.
점포를 중심으로 거리가 멀어질수록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차이가 있다는 인식을 근거로 소매점포의 상권을 전략적 차원에서 구분한다. 이와 관련한 설명이 타당하지 않은 것은?
1.
1차상권은 점포에서 가장 가까운 지역이며 소비자의 충성도가 높으며 상대적으로 1인당 판매액이 커서 소매점경영의 핵심적 공간이다.
2.
1차상권은 매출액이나 소비자의 수를 기준으로 비중이 가장 크지만 그 비율에 대한 절대적기준은 없다. 경쟁 점과의 상권중복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
3.
2차상권은 1차상권을 둘러싸는 형태로 매출이나 소비자의 일정비율을 추가로 흡인하는 지역이다. 대체로 1차 상권에 비해 소비자 내점빈도와 1인당 판매액이 낮은 편이다.
4.
3차상권은 상권내 소비자의 내점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으며 경쟁점포들과 상권잠식의 가능성이 높은 지역이다.
5.
한계상권이라고도 하는 3차상권은 상권으로 인정하는 한계(fringe)까지의 공간범위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1차상권은 상권중복의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다. [해설작성자 : 개미더듬이풍차돌리기]
41.
백화점이나 쇼핑센터 등 다층구조의 대형소매점에서 개점계획 시 공간배치 관련 의사결정을 내릴 때 매장을 찾는 고객의 동선(動線)을 전략적으로 유도하여 매출을 극대화하려는 목적으로 샤워효과, 분수효과, 나비효과를 고려하기도 한다. 이와 관련한 일반적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분수효과(Fountain effect)는 분수의 물이 아래에서 위로 물이 뿜어져 나오는 것처럼 대형소매점 하층부의 이벤트가 상층부로 고객을 유도하여 매장전체의 매출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을 말한다.
2.
분수효과(Fountain effect)는 백화점 등에서 지하매장에 식료품코너를 배치하여 고객집객효과가 위층까지 영향을 미치게 하는 것이 대표적 적용사례이다.
3.
샤워효과(Shower effect)는 대형소매점의 상층부에 고객을 유인하는 상품매장이나 시설 등을 배치하여 그곳을 방문한 고객이 하층부로 내려오면서 고객집객효과가 하층부로 연계되는 효과를 말한다.
4.
샤워효과(Shower effect)는 백화점에서 상층부에 문화 센터, 전문식당가, 명품브랜드 매장을 배치하여 고객 집객효과가 아래층으로 유도되는 것이 일반적 적용사례이다.
5.
나비효과(Butterfly effect)는 브랜드 인지도와 집객력이 큰 앵커매장(anchor shop)을 엘리베이터나 에스컬레이터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매장 안쪽에 배치하여 주변 매장의 상품도 구매하는 연계매출 증대를 꾀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문화센터, 전문식당가는 많은 접객효과를 기대하기 힘들다. [해설작성자 : 개미더듬이풍차돌리기]
42.
점포를 개점할 때는, 행정관청에서 사업자등록번호를 부여받고 사업자등록증을 교부받아야 한다. 이와 관련된 아래의 내용 중에서 옳지 않은 것은?
1.
업종에 따라 영업 신고, 영업 등록, 영업 허가 등이 필요한 업종이 있고, 이 모든 것이 필요 없는 업종도 있다.
2.
독서실, 노래방, 약국 등은 영업 신고를 하면 개점이 가능하다.
3.
편의점, 문방구, 잡화점 등은 임대차 계약서만 있으면 사업자등록이 가능하다.
4.
유흥주점, 단란주점 등은 영업 허가를 받아야 개점이 가능하다.
5.
부동산 중개업, 병원, 안경점 등은 행정관청에서 영업 등록을 해줘야만 개점이 가능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영업신고 x 영업등록 o [해설작성자 : 개미더듬이풍차돌리기]
43.
특정 지역상권 내에서 신규 개점을 하려 한다. 상권규모와 경쟁상태는 아래 글상자의 내용과 같다. 매장면적을 기준으로 매출액을 예상하여 개점전략을 수립하려 한다. 신규 개점 점포의 예상매출액은 얼마인가?
<문제 해설> CRM 실행 프로세스는 고객데이터 수집부터 분석,맞춤형 마케팀,영업,성과 측정까지 단계별로 체계적으로 진행되는 고객 관계 관리 절차입니다. [해설작성자 : 일찍일어나는새]
66.
아래 글상자에서 설명하는 표본 추출방법으로 옳은 것은?
1.
편의 표본추출
2.
단순무작위 표본추출
3.
판단 표본추출
4.
할당 표본추출
5.
층화 표본추출
정답 : [
2
] 정답률 : 56%
67.
다음 중 고객데이터 분석을 통한 소매 의사결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기업 이익에 가장 높게 기여하는 고객을 확인하여 타겟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2.
고객이 한 번의 쇼핑에서 동시에 구입하는 상품을 분석 하여 매장의 배치를 개선한다.
3.
고객이 동시에 장바구니에 담는 상품에 근거하여 특별 할인을 제공한다.
4.
매출이 낮더라도 고객생애가치가 높은 고객들이 주로 구매하는 상품은 계속 공급한다.
5.
매출이 높더라도 다빈도 구매고객이 구매하지 않는 상품은 철수를 결정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56%
68.
아래 글상자에서 설명하는 대안의 평가 모형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결합식 모형
2.
비보완적 평가모형
3.
사전편찬식 모형
4.
분리식 모형
5.
보완적 평가모형
정답 : [
5
] 정답률 : 58%
69.
아래 글상자의 괄호 안에 들어갈 용어들의 나열로 옳은 것은?
1.
㉠ 탐색 조사, ㉡ 기술 조사
2.
㉠ 기술 조사, ㉡ 탐색 조사
3.
㉠ 인과관계 조사, ㉡ 기술 조사
4.
㉠ 기술 조사, ㉡ 인과관계 조사
5.
㉠ 인과관계 조사, ㉡ 탐색 조사
정답 : [
1
] 정답률 : 63%
70.
CRM 도입의 기대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고객 니즈에 맞는 최적의 채널을 제공하고, 거래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채널로 고객을 유도하게 한다.
2.
고객 행위에 대한 깊은 이해를 기반으로 고객만족을 높임으로써 고객충성도 및 고객유지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고객 니즈의 변화를 파악하여 이에 대응하는 상품 개발을 할 수 있다.
4.
고객점유율보다는 시장점유율에 중점을 둔다.
5.
신규고객을 유치하고 기존고객을 활성화하여 평생고객 화함으로써 고객생애에 걸쳐 높은 수익성을 유지하고 새로운 시장기회를 포착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CRM = 고객점유율 > 시장점유율 [해설작성자 : 개미더듬이풍차돌리기]
71.
아래 글상자에서 빅데이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을 모두 나열한 것은?
1.
㉠, ㉡, ㉢
2.
㉠, ㉡, ㉤
3.
㉠, ㉢, ㉣
4.
㉠, ㉢, ㉤
5.
㉠, ㉣, ㉤
정답 : [
3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ㄱ : AI의 발전으로 비정형 데이터의 활용이 늘었다. ㄷ : 숫자는 정형데이터다. ㄹ : 가치(Value)가 아닌 다양성(Variety)이다. [해설작성자 : 개미더듬이풍차돌리기]
72.
유통업체에서 판매 증진을 위해 활용하는 옴니채널(Omni-Channel) 전략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옴니채널이라는 용어는 '모든'이라는 뜻의 단어 '옴니 (omni)'와 '경로'를 뜻하는 '채널(channel)'의 합성어 이다.
2.
옴니채널 활성화에 따라 크로스 쇼퍼(cross shopper)가 감소하게 되었다.
3.
옴니채널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유통 채널을 통합해 어떤 채널에서도 고객에게 최선의 선택을 제공한다.
4.
옴니채널에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든 채널에서 비즈 니스를 추구할 수 있다.
5.
옴니채널은 정보기술 발전으로 소비자들이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보다 편리하게 쇼핑을 할 수 있게 된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감소 x 증가 o [해설작성자 : 개미더듬이풍차돌리기]
2. 크로스 쇼퍼란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넘나들며 다양한 유통 채널을 활용해 구매하는 소비자를 뜻한다. [해설작성자 : 일찍일어나는새]
73.
상품식별코드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표준상품식별코드는 상품을 식별하기 위한 상품 고유의 번호이다.
2.
표준상품식별코드가 바코드에 입력되면 GS1표준바코 드가 만들어진다.
3.
바코드는 식별코드를 기계가 읽을 수 있도록 막대 모양으로 표현한 것이다.
4.
상품식별코드 만으로도 해당 상품의 상품명, 가격 등의 정보를 알 수 있다.
5.
식별코드는 주민등록번호나 자동차등록번호 등과 같이 사람 또는 사물의 식별을 위한 번호체계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상품식별코드는 상품의 고유한 식별을 위해 국제표준(GS1)에 따라 부여되는 번호체계로, 소매상품,물류단위 등 다양한 유통환경에서 상품의 정확한 추적과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구성요소 : 국가코드,업체코드,상품코드,체크디지트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상품에 하나씩만 부여된다. [해설작성자 : 일찍일어나는새]
74.
아래 글상자의 내용 중에서 유통업체의 정보시스템 활용과 관련된 특성을 나열한 것으로 가장 옳은 것은?
<문제 해설> 유통경로 기능을 묻는건 유통관리사에서 가장 기본적인 개념을 묻는 문제입니다. 소비자에게 제품 구색 불일치를 완화 -> 도소매상(중간상)이 배분, 수합, 구색갖춤을 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소비자에게 거래의 표준화를 제공 -> 편의점이나 대형마트에서 상품이 일정하게 담겨 있고(포장), 가격표가 붙어 있고, 결제할때는 현금만 가능한게 아니라 카드도 가능하고 심지어는 포인트도 사용이 가능한 것처럼 거래가 어렵지 않게 갖춰진걸 의미합니다. [해설작성자 : 시험장이 눈앞에 아른거려]
2.
소매업을 분류하는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대규모와 중소규모는 점포 면적에 따른 구분이다.
2.
제공하는 서비스수준에 따라 완전서비스, 한정서비스, 셀프서비스 등으로 구분한다.
3.
판매하는 상품의 종류에 따라 업태별 구분을 한다.
4.
경영방식에 따라 단독점과 체인점으로 구분한다.
5.
점포의 유무에 따라 점포소매업, 무점포소매업으로 구분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업태별 구분 x 업종별 구분 o [해설작성자 : 개미더듬이풍차돌리기]
3.
유통 경로의 목표를 설정할 경우, 각 특성별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중간상 특성: 중간상 유형별 장단점
2.
기업 특성: 인적, 물적, 재무적 자원
3.
경쟁적 특성: 경쟁자의 유통경로 믹스
4.
환경적 특성: 경기변동, 법적·제도적 환경요인
5.
제품 특성: 판매증대, 이익증대, 소비자 만족
정답 : [
5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제품특성 : 제품의 모양, 크키, 가격 등 [해설작성자 : 개미더듬이풍차돌리기]
4.
조직몰입(organizational commitment)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정서적 몰입은 구성원이 조직에 대하여 동일시하며 애착을 느끼는 심리상태를 의미한다.
2.
규범적 몰입은 도덕적 혹은 윤리적인 의무감을 기반으로 헌신하고자 하는 심리상태를 의미한다.
3.
소속된 조직과 결별하는 데 발생하는 비용으로 인해 구성원으로서의 자격을 유지하려는 상태를 정서적 몰입 이라고 한다.
4.
몰입의 대상이 꼭 하나일 필요는 없고, 기업에 몰입하면서 노조에도 몰입하는 이중몰입이 가능하다.
물류정보는 물류활동의 역할에 따라 수주, 재고, 생산 지시, 물류관리정보 등으로 분류된다.
4.
기업의 물류정보시스템은 초기에는 판매관리와 생산 관리를 위한 정보시스템이 주로 행해졌다.
5.
물류정보란 수송, 운반, 포장, 하역, 유통가공 등 기업의 물류활동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모든 정보를 말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2%
17.
아래 글상자에서 글로벌 제품조직(global product structur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1.
㉠
2.
㉠, ㉡
3.
㉠, ㉡, ㉢
4.
㉠, ㉡, ㉢, ㉣
5.
㉠, ㉡, ㉢, ㉣, ㉤
정답 : [
5
] 정답률 : 48%
18.
공급망의 원활한 운영을 방해하는 잠재적인 위험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채찍효과와 같은 수요 증폭을 유발하는 수요위험
2.
프로세스의 탄력성과 병목 현상 같은 프로세스위험
3.
날씨나 지정학적 격변과 같은 환경위험
4.
글로벌 소싱, 주요 공급업체에 대한 높은 의존도와 같은 공급위험
5.
기업의 평판 손실로 인한 통제위험
정답 : [
5
] 정답률 : 41%
19.
침투가격(penetration pricing) 전략이 적용되는 경우의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시장에 경험 효과가 존재하는 경우
2.
시장에 규모의 경제가 존재하는 경우
3.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크지 않은 경우
4.
단기간에 매출액과 시장점유율을 확보하고자 하는 경우
5.
대량판매를 통하여 높은 이익을 올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탄력성이 크지않은 경우 x 탄력성이 큰 경우 o
탄력성이 크지 않을 땐 스키밍 전략 [해설작성자 : 개미더듬이풍차돌리기]
20.
정량주문법과 정기주문법을 비교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정량주문법은 고가품목에, 정기주문법은 저가품목에 상대적으로 유리하다.
2.
정기주문법은 재고수준을 최소화시켜 품절위험을 낮출 수 있다.
3.
정량주문법은 여러 품목의 운송·발주를 통합해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4.
정기주문법은 주문비용 최적화가 가능하지만 과잉 재고가 발생할 수 있다.
5.
정량주문법은 주문주기가 정해져 있고, 정기주문법은 불규칙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정량주문법은 b급품목과 같은 저가품목에, 정기주문법은 a급품목과 같은 고가품목에 주로 사용합니다. [해설작성자 : dozero]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1,2,3,4,5 모두 정답 처리 [해설작성자 : 김밥]
21.
POS(point of sales)시스템의 업무처리절차가 옳게 나열된 것은?
1.
상품에 인쇄된 바코드를 스캐너가 판독 - 스토어 컨트 롤러에서 POS 시스템으로 발신 - 정보가 스토어 컨트 롤러로 송신 - 스토어 컨트롤러가 당일의 상품 판매 관련 각종 보고서 작성 - 영수증 발행 및 인쇄
2.
상품에 인쇄된 바코드를 스캐너가 판독 - 정보가 스토어 컨트롤러에 송신 - 스토어 컨트롤러에서 POS 단말기로 발신 - 영수증 발행 및 인쇄 - 스토어 컨트 롤러가 당일의 상품 판매 관련 각종 보고서 작성
3.
상품에 인쇄된 바코드를 스캐너가 판독 – 정보가 POS 단말기에 송신 - 영수증 발행 및 인쇄 - POS 단말기에서 스토어 컨트롤러로 발신 - POS 단말기가 당일의 상품 판매 관련 각종 보고서 작성
4.
상품에 인쇄된 바코드를 스캐너가 판독 - 정보가 스토어 컨트롤러에 송신 - 스토어 컨트롤러에서 POS 단말기로 발신 - 스토어 컨트롤러가 당일의 상품 판매 관련 각종 보고서 작성 - 영수증 발행 및 인쇄
5.
상품에 인쇄된 바코드를 스캐너가 판독 - 정보가 POS 단말기에 송신 - POS 단말기에서 스토어 컨트 롤러로 발신 - 스토어 컨트롤러가 당일의 상품 판매 관련 각종 보고서 작성 - 영수증 발행 및 인쇄
정답 : [
2
] 정답률 : 45%
22.
물류활동 중 보관활동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보관활동은 보관설비를 제공하는 활동이다.
2.
보관활동은 제품을 저장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3.
보관활동은 설비를 이용하여 직접 보관을 행하는 활동을 말한다.
4.
보관활동은 하역설비를 제공하거나 설비를 이용하여 직접 하역을 행하는 활동을 의미하기도 한다.
5.
보관활동은 원부자재를 적시에 공급하여 생산을 원활 하게 하고, 완제품을 소비자에게 적시에 공급할 수 있게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보관활동이 아닌 하역에 관한 설명이다. [해설작성자 : 개미더듬이풍차돌리기]
23.
포장의 유형 중 목적별 분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상업포장은 유통과정에서 물품보호 기능을 최우선으로 두고 포장한다.
2.
방청포장은 기계나 금속제품이 녹이 스는 것을 막기 위한 포장으로 산소가 닿지 않게 포장한다.
3.
집합포장은 지게차 등 하역기기에 의한 작업이 용이 하도록 포장단위별로 묶어서 포장한다.
4.
방습포장은 습기가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의약품이나 건조식품에 활용한다.
5.
완충포장은 내용물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 압력을 완화시키도록 포장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상업포장 x 공업포장 o
상업포장 = 잘 팔리게 이쁘게 포장 [해설작성자 : 개미더듬이풍차돌리기]
24.
기업이 윤리경영을 실천해야 하는 이유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기업의 활동이 윤리성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면 기업 이미지가 좋아지고 장기적으로 성장과 발전에 도움을 준다.
2.
기업의 비윤리적 행동에 대해 사회가 지불해야 하는 사회적 비용의 규모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3.
기업윤리는 객관적인 윤리기준으로 업종에 상관없이 기업이 지켜야할 구체적이고 통일된 기준이기 때문 이다.
4.
기업윤리를 소홀하게 다루는 기업은 궁극적으로 기업 경영을 비효율적으로 만들기 때문이다.
5.
기업의 사회적 책임 중 하나인 기업윤리에 대한 사회의 기대와 요구가 점점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64%
25.
유통산업발전법(법률 제20444호, 2024. 9. 20., 일부 개정)에 의한 유통관리사 관련 내용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유통관리사가 되려는 사람은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이 실시하는 유통관리사 자격시험에 합격하여야 한다.
2.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유통관리사의 자격을 취득한 사람에 대하여 그 자격을 취소하여야 한다.
3.
유통관리사의 등급, 유통관리사 자격시험의 실시방법ㆍ응시자격ㆍ시험과목 및 시험과목의 면제나 시험 점수의 가산, 자격증의 발급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4.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유통 관리사를 고용한 유통사업자 및 유통사업자단체에 대하여 다른 유통사업자 및 사업자단체에 우선하여 자금 등을 지원할 수 있다.
5.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다른 사람에게 유통관리사의 명의를 사용하게 하거나 자격증을 빌려준 사람에 대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3개월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자격을 정지할 수 있다.
정답 : [
5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3개월x 6개월o [해설작성자 : 개미더듬이풍차돌리기]
2과목 : 상권분석
26.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시행령(대통령령 제35162호, 2024. 12. 31., 일부개정)은 아래 글상자와 같이 상가 임대료의 인상률 상한(차임 등 증액청구의 기준)을 규정하고 있다. 괄호 안에 알맞은 것은?
1.
3
2.
4
3.
5
4.
8
5.
10
정답 : [
3
] 정답률 : 62%
27.
중심지이론을 적용해 봤을 때 동일계층의 중심지가 여러 개 존재하는 지역에서 중심지 간 경쟁과 소외지역을 최소화 하는 중심지 상권의 모양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원형
2.
다각형
3.
타원형
4.
정육각형
5.
동심원형
정답 : [
4
] 정답률 : 58%
28.
넬슨(R.L. Nelson)의 입지원칙 중에서 상호 보완관계에 있는 점포가 서로 인접하여 있는 경우에 고객 흡인력을 높일 수 있다는 특성으로 병원 근처에 약국이 입지한다든가 식당가 근처에 카페가 분포하는 것과 가장 관련이 높은 원칙은?
1.
중간저지성
2.
누적적 흡인력
3.
양립성
4.
접근가능성
5.
경쟁회피성
정답 : [
3
] 정답률 : 46%
29.
중심지 상권의 계층성을 설명하는 중심지이론의 고차원 중심지와 저차원 중심지의 비교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고차원 중심지일수록 고급상품을 취급한다.
2.
교통이 발달할수록 저차원 중심지는 쇠락한다.
3.
인구가 증가할수록 중심지 간 거리는 멀어진다.
4.
고차원 중심지일수록 소비자 도달거리가 커진다.
5.
고차원 중심지일수록 소비자 이용 빈도가 낮아진다.
정답 : [
3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멀어진다 x 가까워진다 o [해설작성자 : 개미더듬이풍차돌리기]
30.
GIS(지리정보시스템)를 활용한 상권분석과 입지의사결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점포에 대한 정보는 그 속성값으로 점포명칭, 점포유형, 매장면적, 월매출액, 종업원 수 등의 자료를 포함할 수 있다.
2.
편의점, 은행, 대형마트, 백화점 등에서의 신규점포 입지선정이나 기존점포의 점포망관리, 점포의 이동과 폐점결정 등에도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
3.
각종 도로나 지하철 노선 등은 선(線)데이터로 지도에 수록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4.
개별 상점이나 상점가의 위치정보, 행정구역, 토지이용 정보는 좌표를 갖는 점(點)데이터로 지도에 수록한다.
5.
소매점포를 이용하는 소비자 대상의 설문조사 자료도 지도데이터베이스에 포함하여 보다 정밀한 상권분석이 가능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점 데이터 x 면 데이터 o [해설작성자 : 개미더듬이풍차돌리기]
31.
다수의 임대점포로 구성되는 대형상가인 쇼핑센터는 임차인 믹스(tenant mix)가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쇼핑센터의 성격을결정짓고 다수의 고객을 끌어들이는 중심적 역할을 하고, 보통 쇼핑센터에서 매장면적을 크게 점유하여 일반에게 지명도가 높은 상징적 점포를 의미하는 것은?
1.
테넌트(tenant)
2.
일반테넌트(general tenant)
3.
트래픽 풀러(traffic puller)
4.
앵커스토어(anchor store)
5.
서브키테넌트(sub-key tenant)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핵점포=앵커스토어=키테넌트 [해설작성자 : 개미더듬이풍차돌리기]
32.
S지역에 거주하는 소비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점포가 3개만 존재한다. 다음 자료와 Huff모델을 사용하여 소비자들의 이용 확률이 가장 높은 점포와 그 확률을 구한 것으로 옳은 것은? (단, 소비자들의 점포면적에 대한 민감도는 +2, 거리에 대한 민감도는 –2이다.)
1.
A 점포: 약 35%
2.
A 점포: 약 43%
3.
B 점포: 약 45%
4.
B 점포: 약 53%
5.
C 점포: 약 42%
정답 : [
4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소비자가 특정 점포를 이용할 확률 = 점포의 매력도 / 각 점포들의 매력도 합
매력도 = 점포의 규모^점포 면적에 대한 민감도 계수 / 소비자의 거주지에서 점포까지의 거리^거리에 대한 민감도 계수
민감도 계수 -2에서 -부호는 감소의 방향을 의미 (거리가 멀어질수록 이용 확률이 줄어듦) 분모에 있는 값은 지수가 양수일 경우 그 값이 커질수록 전체 매력도는 작아지게 됨
A 점포 > 4^2/2^2 = 4 B 점포 > 9^2/3^2 = 9 C 점포 > 10^2/5^2 = 4
총합 17
각 점포의 이용 확률(소수점 제외) A 점포 > 4/17 = 23% B 점포 > 9/17 = 53% C 점포 > 4/17 = 23% [해설작성자 : 합격내놔]
33.
다음 중 상권분석의 내용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상권의 공간적 범위 확정
2.
상권내 임대료의 적절성 분석
3.
자사점포의 시장점유율의 추정
4.
상권내 상주인구의 인구특성 분석
5.
상권내 경쟁자들의 전략 특성 분석
정답 : [
2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2번은 상권분석이 아닌 입지분석의 내용이다. [해설작성자 : 개미더듬이풍차돌리기]
34.
도시와 도시, 지역과 지역간에 관찰할 수 있는 역외구매(outshopping) 현상과 관련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해당지역에 거주하는 소비자들이 외부지역에서 구매 하는 상황을 말한다.
2.
IRS가 크다는 것은 거주자의 역외구매 정도가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3.
해당 지역의 전체 혹은 1인당 예상지출액과 실제지출 액이 차이를 유발한다.
4.
소비자의 이동가능성을 높이는 교통수단의 발달은 역외 구매현상을 촉진할 수 있다.
5.
역외구매 현상이 많아 신규수요창출 가능성이 큰 것 이므로 MEP가 높다고 해석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역외구매 정도가 낮다 x 역외구매 정도가 높다 o [해설작성자 : 개미더듬이풍차돌리기]
IRS는 소매포화지수로 신규 점포에 대한 시장 잠재력을 측정할 때 사용. IRS는 역외구매 현상과는 반비례로, IRS가 크다는 것은 해당 지역 잠재 수요가 타 지역에 비해 크다는 것. 즉, IRS가 크다는 것은 거주자의 역외구매 정도가 낮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맞다고 봄.
다만, MEP는 시장확대잠재력이라는 의미. 역외구매 현상이 많다=수요 유출 증가=지역 내 상업 활성도 저하=MEP가 높다고 해석할 수 없음. [해설작성자 : 유통관리사 2급 준비중]
35.
점포의 입지분석과 관련된 설명으로 그 내용이 옳지 않은 것은?
1.
인스토어형 점포는 대형할인점, 백화점, 쇼핑센터 등 대형소매점 내에 입주해 있는 개별 매장을 의미한다.
2.
인스토어형 점포가 입주해 있는 대형소매점은 그 위치와 주요 내점 교통수단에 따라 도시형, 교외형, 혼합형으로 구분된다.
3.
도시형 점포의 경우 주 출입구에서 에스컬레이터까지가 주동선이다.
4.
교외형 점포의 경우 주 주차장에서 주 출입구까지가 주동선이 된다.
5.
인스토어점포 내에서 고객유발매장을 출입구에 가깝게 배치하여 고객 가로치기 현상을 방지하도록 관리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고객유발매장을 점포 안쪽에 비치하여 가는 길목에 충동구매를 유발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개미더듬이풍차돌리기]
36.
아래 글상자의 항목 가운데 쇼핑몰 입지의 장점들만을 모두 포함한 내용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 ㉡, ㉢
2.
㉠, ㉡, ㉣
3.
㉠, ㉡, ㉤
4.
㉡, ㉢, ㉣
5.
㉡, ㉣, ㉤
정답 : [
2
] 정답률 : 63%
37.
소비자의 동선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개별 통행자의 심리 상태에 대한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목적지를 향한 인간의 심리상태를 나타내는 원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집합의 법칙: 사람들은 여러 사람들이 모이는 곳으로 가려한다.
2.
최단거리 실현의 법칙: 사람들은 목적지에 최단거리로 가려고 한다.
3.
안전중시의 법칙: 사람들은 자신의 안전을 위해 위험 하다고 생각되거나 다른 사람들이 가지 않는 곳으로 통행하지 않는다.
4.
보증실현의 법칙: 사람들은 득실을 미리 예상하고 득이 되는 쪽을 선택한다.
5.
부동선 선호 법칙: 사람들은 부동선을 주동선보다 선호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부동선 선호법칙이란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개미더듬이풍차돌리기]
38.
GIS(지리정보시스템)의 기능 중 중첩(overlay)은 공간적으로 동일한 경계선을 가진 두 지도 레이어들에 대해 하나의 레이어에 다른 레이어를 겹쳐 놓고 지도 형상과 속성들을 비교하는 기능이다. 중첩의 기능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결합(union)
2.
교차(intersection)
3.
동일성(identity)
4.
절단(clip)
5.
질의(query)
정답 : [
5
] 정답률 : 45%
39.
권리금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권리금은 법률적으로 반환을 보장받을 수 있다.
2.
임대차 계약기간동안의 사업수익으로 충분히 충당될 수 있는 정도여야 적당하다고 볼 수 있다.
3.
신축건물에도 바닥권리금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는 주변 상권의 강점을 반영하는 것이므로 높아도 무방하다.
4.
일종의 영업권이며 계약 종료시 원칙적으로 전액 반환 받을 수 있다.
5.
해당 상권의 강점 등이 반영된 영업권의 일종으로, 점포의 소유자에게 임차인이 제공하는 추가적인 비용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보증금 임차인과 임대인 반환 o
권리금 임차인과 임차인 반환 x [해설작성자 : 개미더듬이풍차돌리기]
40.
점포를 중심으로 거리가 멀어질수록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차이가 있다는 인식을 근거로 소매점포의 상권을 전략적 차원에서 구분한다. 이와 관련한 설명이 타당하지 않은 것은?
1.
1차상권은 점포에서 가장 가까운 지역이며 소비자의 충성도가 높으며 상대적으로 1인당 판매액이 커서 소매점경영의 핵심적 공간이다.
2.
1차상권은 매출액이나 소비자의 수를 기준으로 비중이 가장 크지만 그 비율에 대한 절대적기준은 없다. 경쟁 점과의 상권중복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
3.
2차상권은 1차상권을 둘러싸는 형태로 매출이나 소비자의 일정비율을 추가로 흡인하는 지역이다. 대체로 1차 상권에 비해 소비자 내점빈도와 1인당 판매액이 낮은 편이다.
4.
3차상권은 상권내 소비자의 내점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으며 경쟁점포들과 상권잠식의 가능성이 높은 지역이다.
5.
한계상권이라고도 하는 3차상권은 상권으로 인정하는 한계(fringe)까지의 공간범위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1차상권은 상권중복의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다. [해설작성자 : 개미더듬이풍차돌리기]
41.
백화점이나 쇼핑센터 등 다층구조의 대형소매점에서 개점계획 시 공간배치 관련 의사결정을 내릴 때 매장을 찾는 고객의 동선(動線)을 전략적으로 유도하여 매출을 극대화하려는 목적으로 샤워효과, 분수효과, 나비효과를 고려하기도 한다. 이와 관련한 일반적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분수효과(Fountain effect)는 분수의 물이 아래에서 위로 물이 뿜어져 나오는 것처럼 대형소매점 하층부의 이벤트가 상층부로 고객을 유도하여 매장전체의 매출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을 말한다.
2.
분수효과(Fountain effect)는 백화점 등에서 지하매장에 식료품코너를 배치하여 고객집객효과가 위층까지 영향을 미치게 하는 것이 대표적 적용사례이다.
3.
샤워효과(Shower effect)는 대형소매점의 상층부에 고객을 유인하는 상품매장이나 시설 등을 배치하여 그곳을 방문한 고객이 하층부로 내려오면서 고객집객효과가 하층부로 연계되는 효과를 말한다.
4.
샤워효과(Shower effect)는 백화점에서 상층부에 문화 센터, 전문식당가, 명품브랜드 매장을 배치하여 고객 집객효과가 아래층으로 유도되는 것이 일반적 적용사례이다.
5.
나비효과(Butterfly effect)는 브랜드 인지도와 집객력이 큰 앵커매장(anchor shop)을 엘리베이터나 에스컬레이터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매장 안쪽에 배치하여 주변 매장의 상품도 구매하는 연계매출 증대를 꾀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문화센터, 전문식당가는 많은 접객효과를 기대하기 힘들다. [해설작성자 : 개미더듬이풍차돌리기]
42.
점포를 개점할 때는, 행정관청에서 사업자등록번호를 부여받고 사업자등록증을 교부받아야 한다. 이와 관련된 아래의 내용 중에서 옳지 않은 것은?
1.
업종에 따라 영업 신고, 영업 등록, 영업 허가 등이 필요한 업종이 있고, 이 모든 것이 필요 없는 업종도 있다.
2.
독서실, 노래방, 약국 등은 영업 신고를 하면 개점이 가능하다.
3.
편의점, 문방구, 잡화점 등은 임대차 계약서만 있으면 사업자등록이 가능하다.
4.
유흥주점, 단란주점 등은 영업 허가를 받아야 개점이 가능하다.
5.
부동산 중개업, 병원, 안경점 등은 행정관청에서 영업 등록을 해줘야만 개점이 가능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영업신고 x 영업등록 o [해설작성자 : 개미더듬이풍차돌리기]
43.
특정 지역상권 내에서 신규 개점을 하려 한다. 상권규모와 경쟁상태는 아래 글상자의 내용과 같다. 매장면적을 기준으로 매출액을 예상하여 개점전략을 수립하려 한다. 신규 개점 점포의 예상매출액은 얼마인가?
<문제 해설> CRM 실행 프로세스는 고객데이터 수집부터 분석,맞춤형 마케팀,영업,성과 측정까지 단계별로 체계적으로 진행되는 고객 관계 관리 절차입니다. [해설작성자 : 일찍일어나는새]
66.
아래 글상자에서 설명하는 표본 추출방법으로 옳은 것은?
1.
편의 표본추출
2.
단순무작위 표본추출
3.
판단 표본추출
4.
할당 표본추출
5.
층화 표본추출
정답 : [
2
] 정답률 : 56%
67.
다음 중 고객데이터 분석을 통한 소매 의사결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기업 이익에 가장 높게 기여하는 고객을 확인하여 타겟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2.
고객이 한 번의 쇼핑에서 동시에 구입하는 상품을 분석 하여 매장의 배치를 개선한다.
3.
고객이 동시에 장바구니에 담는 상품에 근거하여 특별 할인을 제공한다.
4.
매출이 낮더라도 고객생애가치가 높은 고객들이 주로 구매하는 상품은 계속 공급한다.
5.
매출이 높더라도 다빈도 구매고객이 구매하지 않는 상품은 철수를 결정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56%
68.
아래 글상자에서 설명하는 대안의 평가 모형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결합식 모형
2.
비보완적 평가모형
3.
사전편찬식 모형
4.
분리식 모형
5.
보완적 평가모형
정답 : [
5
] 정답률 : 58%
69.
아래 글상자의 괄호 안에 들어갈 용어들의 나열로 옳은 것은?
1.
㉠ 탐색 조사, ㉡ 기술 조사
2.
㉠ 기술 조사, ㉡ 탐색 조사
3.
㉠ 인과관계 조사, ㉡ 기술 조사
4.
㉠ 기술 조사, ㉡ 인과관계 조사
5.
㉠ 인과관계 조사, ㉡ 탐색 조사
정답 : [
1
] 정답률 : 63%
70.
CRM 도입의 기대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고객 니즈에 맞는 최적의 채널을 제공하고, 거래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채널로 고객을 유도하게 한다.
2.
고객 행위에 대한 깊은 이해를 기반으로 고객만족을 높임으로써 고객충성도 및 고객유지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고객 니즈의 변화를 파악하여 이에 대응하는 상품 개발을 할 수 있다.
4.
고객점유율보다는 시장점유율에 중점을 둔다.
5.
신규고객을 유치하고 기존고객을 활성화하여 평생고객 화함으로써 고객생애에 걸쳐 높은 수익성을 유지하고 새로운 시장기회를 포착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CRM = 고객점유율 > 시장점유율 [해설작성자 : 개미더듬이풍차돌리기]
71.
아래 글상자에서 빅데이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을 모두 나열한 것은?
1.
㉠, ㉡, ㉢
2.
㉠, ㉡, ㉤
3.
㉠, ㉢, ㉣
4.
㉠, ㉢, ㉤
5.
㉠, ㉣, ㉤
정답 : [
3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ㄱ : AI의 발전으로 비정형 데이터의 활용이 늘었다. ㄷ : 숫자는 정형데이터다. ㄹ : 가치(Value)가 아닌 다양성(Variety)이다. [해설작성자 : 개미더듬이풍차돌리기]
72.
유통업체에서 판매 증진을 위해 활용하는 옴니채널(Omni-Channel) 전략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옴니채널이라는 용어는 '모든'이라는 뜻의 단어 '옴니 (omni)'와 '경로'를 뜻하는 '채널(channel)'의 합성어 이다.
2.
옴니채널 활성화에 따라 크로스 쇼퍼(cross shopper)가 감소하게 되었다.
3.
옴니채널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유통 채널을 통합해 어떤 채널에서도 고객에게 최선의 선택을 제공한다.
4.
옴니채널에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든 채널에서 비즈 니스를 추구할 수 있다.
5.
옴니채널은 정보기술 발전으로 소비자들이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보다 편리하게 쇼핑을 할 수 있게 된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감소 x 증가 o [해설작성자 : 개미더듬이풍차돌리기]
2. 크로스 쇼퍼란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넘나들며 다양한 유통 채널을 활용해 구매하는 소비자를 뜻한다. [해설작성자 : 일찍일어나는새]
73.
상품식별코드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표준상품식별코드는 상품을 식별하기 위한 상품 고유의 번호이다.
2.
표준상품식별코드가 바코드에 입력되면 GS1표준바코 드가 만들어진다.
3.
바코드는 식별코드를 기계가 읽을 수 있도록 막대 모양으로 표현한 것이다.
4.
상품식별코드 만으로도 해당 상품의 상품명, 가격 등의 정보를 알 수 있다.
5.
식별코드는 주민등록번호나 자동차등록번호 등과 같이 사람 또는 사물의 식별을 위한 번호체계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상품식별코드는 상품의 고유한 식별을 위해 국제표준(GS1)에 따라 부여되는 번호체계로, 소매상품,물류단위 등 다양한 유통환경에서 상품의 정확한 추적과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구성요소 : 국가코드,업체코드,상품코드,체크디지트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상품에 하나씩만 부여된다. [해설작성자 : 일찍일어나는새]
74.
아래 글상자의 내용 중에서 유통업체의 정보시스템 활용과 관련된 특성을 나열한 것으로 가장 옳은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