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온실가스관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396762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온실가스관리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기후변화개론


1. 1996년 IPCC 가이드라인상에서 국가온실가스 인벤토리에 포함된 분야가 아닌 것은?(2016년 10월)
     1. 농업
     2. 에너지
     3. 생태계
     4. 폐기물

     정답 : []
     정답률 : 83%

2. 교토의정서에서 감축관리 대상이 되는 온실가스가 아닌 것은?(2016년 10월)
     1. 이산화탄소(CO2)
     2. 과불화탄소(PFCs)
     3. 육불화황(SF6)
     4. 염화불화탄소(CFC)

     정답 : []
     정답률 : 91%

3. 기후변화 관련 국제협약에 대한 설면 중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5월)
     1. 기후변화협약 2차 당사국 총회에서는 감축목표에 대한 법적 구속력 부여에 합의하였다.
     2. 독일에서 개최된 6차 당사국 총회에서는 미국 및 중국 등 주요 온실가스 배출 국가를 포함한 교토의정서 체계에 합의하였다.
     3. 2001년 7차 당사국총회에서 교토메커니즘 관련 사업의 추진기반을 마련하였다.
     4. 3차 당사국 총회에서 교토메커니즘이 채택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51%

4. 부문별 관장기관이 생성한 국가 온실가스 배출통계를 최종확정하기까지의 절차를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2018년 09월)

   

     1. ㄴ→ㄱ→ㄷ→ㄹ
     2. ㄴ→ㄷ→ㄹ→ㄱ
     3. ㄴ→ㄹ→ㄷ→ㄱ
     4. ㄱ→ㄴ→ㄹ→ㄷ

     정답 : []
     정답률 : 90%

5. 다음 중 온실가스이면서 대기 중에 가장 저농도로 존재하는 것은?(2018년 04월)
     1. 아산화질소
     2. 메탄
     3. 육불화황
     4. 아르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공기 구성성분비
N2 > O2 > Ar > CO2 > Ne > He > CH4 > Kr > H2 > N2O > CO > O3
[해설작성자 : 함냐]

6. 1988년 세계기상기구와 유엔환경계획이 공동 설립하였고, 보고서를 통해 기후변화 추세, 원인, 영향, 대응을 분석한 국제기구의 이름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9년 04월)
     1. WHO
     2. IPCC
     3. UNFCCC
     4. GCF

     정답 : []
     정답률 : 86%

7. 기후변화 적응기술 및 정책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6년 10월)
     1. 무경농법은 수확한 농토를 갈지 않고 그루터기에 파종하는 방법이다.
     2. 보호지역제도 관리대안으로 UNESCO는 생물권 보전지역 지정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3. 산림이 농경지나 산업용지, 도시용지로 바뀌면 자연의 이산화탄소 흡수능력이 약화되므로 토지이용형태를 고려해야 한다.
     4. 생물 멸종을 막기 위해서는 특히 먹이사슬의 아래쪽에 있는 동물의 멸종을 막도록 하는 것이 보다 중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83%

8.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가 다루지 않는 분야는?(2019년 09월)
     1. 기후변화 과학
     2. 배출량 거래제
     3. 기후변화 영향평가, 적응 및 취약성
     4. 배출량 완화, 사회 경제적 비용-편익 분석 등의 정책 분야

     정답 : []
     정답률 : 84%

9. IPCC 5차 평가보고서에 따른 지구복사강제력(RF)이 높은 순서에서부터 낮은 순서대로 가장 적합하게 나열된 것은?(2020년 09월)

   

     1. ㉢→㉠→㉣→㉤→㉡
     2. ㉣→㉡→㉢→㉠→㉤
     3. ㉢→㉡→㉤→㉠→㉣
     4. ㉣→㉠→㉢→㉡→㉤

     정답 : []
     정답률 : 72%

10. 기후변화에 대한 유럽연합의 대응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8년 04월)
     1. 유럽에서는 기후변화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인식이 사회 정치적으로 광범위하게 당연한 것으로 수용되어 왔다.
     2. 2000년 교토의정서 비준논쟁 당시, 유럽연합에서는 대부분 산업계와 석유업계는 교토의정서 비준에 대해 강한 반대 입장을 견지하였다.
     3. 유럽연합은 내부적으로 온실가스 감축에 관한 부담공유 협정을 맺고 있었다.
     4. 유럽연합의 적극적인 기후변화정액은 유럽연합체제의 독특한 정치적 구조인 분산된 거버넌스를 토대로 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2. 산업계와 석유업계는 교토의정서 비준에 대해 지지입장을 견지했으며, 미국,호주, 일본 등이 반대하였다.
[해설작성자 : 허]

11. 국내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운영절차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2016년 05월)

    

     1. ㄷ→ㄱ→ㄹ→ㅅ→ㄴ→ㅁ→ㅂ
     2. ㄷ→ㄱ→ㄹ→ㅅ→ㄴ→ㅂ→ㅁ
     3. ㄱ→ㄷ→ㄹ→ㅅ→ㄴ→ㅁ→ㅂ
     4. ㄱ→ㄷ→ㄹ→ㅅ→ㄴ→ㅂ→ㅁ

     정답 : []
     정답률 : 72%

12. 온실효과에 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9월)
     1. 지구 재복사 과정에서 일부 적외선이 지구 바깥으로 나가지 못하고, 지구 대기권 내에 머물러 대기온도가 점차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을 말한다.
     2. 온실가스는 대기 중 성분비는 매우 작으나 미세한 농도 증가에도 대기의 온도를 민감하게 상승시킨다.
     3. 지구 표면의 온도는 대기 중 CO2와 H2O의 농도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고 볼 수 있다.
     4. 태양광선 중 파장이 400nm~700nm 정도의 가시광선이 대기권에 도달하면 72%는 먼지나 구름 등에 의해 반사되고, 18% 정도만이 대기에 흡수, 그 중 10% 정도만 지표에 도달한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지구에 도달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를 100 %라고 할 때, 그 중 약 30 %는 대기층이나 지표면에서 반사되어 곧바로 지구 밖으로 빠져 나가고, 약 70 % 만이 지구에 흡수됩니다. 흡수된 70 %의 태양 복사 에너지 중 50 %는 지표면에 흡수되고, 17 %는 대기 중에 흡수되며, 나머지 3 %는 구름에 흡수됩니다.
[해설작성자 : 연두]

13.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의 주요내용에 대한 설명이 가장 적합한 것은?(2016년 05월)
     1. COP7(미라케시) : 교토메카니즘, 의무준수체계, 흡수원 등에 대한 합의
     2. COP13(발리) : 지구온도 2℃ 상승억제 재확인 및 2050년까지 장기 감축목표에 노력
     3. COP15(코펜하겐) : 선진국과 개도국이 모두 참여하는 새로운 기후변화 체제 마련에 합의
     4. COP18(도하) : 교토의정서를 2022년까지 연장합의

     정답 : []
     정답률 : 55%

14. 제21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는 신기후체제 합의문인 “파리 협정(Paris Agreement)”을 채택하였으며, 그 중 장기목표에 대한 설명 중 ( )안에 가장 알맞은 것은?(2018년 04월)

    

     1. 가:2.5, 나:2.0
     2. 가:3.0, 나:2.5
     3. 가:2.0, 나:1.5
     4. 가:1.5, 나:2.0

     정답 : []
     정답률 : 79%

15. ipcc 제4차 보고서에 나타난 1961년 이후 매년 해수면 상승의 정도는?(2017년 09월)
     1. 0.8mm
     2. 1.8mm
     3. 3.8mm
     4. 5.8mm

     정답 : []
     정답률 : 60%

16.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가 3개의 실행그룹에서 다루는 분야로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4월)
     1. 기후변화 과학
     2. 배출량 거래제
     3. 기후변화 영향평가, 적응 및 취약성
     4. 배출량 완화, 사회 경제적 비용-편익분석 등 정책

     정답 : []
     정답률 : 83%

17. 교토의정서에 대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5월)
     1. 제3차 당사국총회에서 부속서1 국가들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골자로 채택하였다.
     2. 부속서1 국가들은 2010~2012년까지 1990년 대비 평균 2.2% 감축하기로 했다.
     3. 배출권거래제, 공동이행, 청정개발체제 등 시장원리를 도입하였다.
     4. 2005년 2월 16일에 공식 발효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각 당사국은 제1차 의무 이행기간에 속하는 2008년~2012년 사이에 온실가스 총 배출량을 1990년 수준에 비해 평균적으로 5.2% 감축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DoubleM2]

18.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5월)
     1. 취약성 평가는 영향에 대한 가치판단이 배제된 개념이며, 과학적 불확실성은 포함되지 않는다.
     2. 하향식 접근법은 기후시나리오와 기후모형을 기반으로 하여 기후변화에 의한 순영향 평가를 통해 물리적 취약성을 평가하는 접근법이다.
     3. 상향식 접근법은 지역에 기반을 둔 여러 지표들을 바탕으로 하여 그 시스템의 적응능력을 평가함으로써 사회, 경제적인 취약성을 파악하는 접근법이다.
     4. 우리나라는 비교적 영향평가의 기초연구가 잘 진행된 분야(농업, 수자원, 산림, 보건 분야 등)에 일부 취약성 평가가 이루어져 왔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기후변화 취약성은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특정 시스템의 기후 위해에 노출된 위험정도를 말하며, 과학적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기후변화 영향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진다.
[해설작성자 : 하녕주]

19. 온실가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9월)
     1. 육불화황은 전기제품이나 변압기 등의 절연체로 사용된다.
     2. 수수불화탄소와 과불화탄소는 CFCs의 대체물질로 냉매, 소화기 등에 주로 사용된다.
     3. 이산화탄소는 탄소 성분과 대기중의 산소가 결합되는 연소 반응에 의해 발생한다.
     4. 아산화질소는 온실가스 중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4. 이산화탄소
[해설작성자 : 온마]

20.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의 주요기준이 되는 원칙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1년 09월)
     1. 과학적 확실성의 원칙
     2. 공통이지만 차별화된 책임의 원칙
     3. 각자 능력의 원칙
     4. 사전예방의 원칙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과학적 확실성의 원칙은 조세정책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해설작성자 : lucky531]

2과목 : 온실가스 배출의 이해


21.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합금철 생산공정에서 온실가스의 주된 배출시설은?(2021년 05월)
     1. 전기로
     2. 배소로
     3. 소결로
     4. 전해로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합금철 생산 공정의 보고대상 배출시설은 아래와 같다.
    ① 전로
~~
    ② 전기로
~~
출처 :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_[별표6]배출활동별 온실가스 배출량 등의 세부산정방법 및 기준
[해설작성자 : 나온]

22.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전자산업의 웨이퍼 가공공정 중 공정배출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대표 공정 2가지를 가장 올바르게 선정한 것은?(2016년 10월)

    

     1. ㉠, ㉢
     2. ㉡, ㉣
     3. ㉣, ㉥
     4. ㉤, ㉦

     정답 : []
     정답률 : 87%

23.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다음 고상 소각 폐기물 중 화석탄소질량분율이 다른 하나는?(2019년 09월)
     1. 음식물류
     2. 나무류
     3. 플라스틱류
     4. 정원 및 공원 폐기물류

     정답 : []
     정답률 : 76%

24.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아연생산 공정과 거리가 먼 것은?(2017년 09월)
     1. 질산제조공정
     2. 정제공정
     3. 제련공정
     4. 소결공정

     정답 : []
     정답률 : 66%

25.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석유화학제품 생산 공정의 공정배출 보고대상 배출시설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5월)
     1. 메탄올 반응시설
     2. 하이드록실아민 반응시설
     3. 테레프탈산 생산시설
     4. 아크릴로니트릴 반응시설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석유화학제품 생산 공정의 보고대상 배출시설
    ① 메탄올 반응시설
    ② EDC/VCM 반응시설
    ③ 에틸렌옥사이드(EO) 반응시설
    ④ 아크릴로니트릴(AN) 반응시설
    ⑤ 카본블랙(CB) 반응시설
    ⑥ 에틸렌 생산시설
    ⑦ 테레프탈산(TPA) 생산시설
    ⑧ 코크스 제거공정(De-Coking)

26. 유리생산을 위해 다음 연료를 용융·용해시설에 투입했을 때, 일반적으로 연료 성분으로 인한 CO2 배출이 없는 것은?(2022년 04월)
     1. 석회석
     2. 백운석
     3. 소석회
     4. 소다회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 유리생산 융해 공정중 CO2를 배출하는 주요 원료 : 석회석, 백운석, 소다회, 탄산바륨, 골회, 탄산칼륨, 탄산스트론튬
[해설작성자 : DoubleM2]

27.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철도 부문 보고대상 배출시설을 <보기>에서 모두 선택한 것은?(2018년 09월)

    

     1.
     2. ㄱ, ㄴ
     3. ㄱ, ㄴ, ㄷ
     4.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철도 부문의 보고대상 배출시설
① 고속차량
② 전기기관차
③ 전기동차
④ 디젤기관차
⑤ 디젤동차
⑥ 특수차량

28. 상부에서 장입되어 하부로 이동되는 방식이며, 에너지효율이 높은 장점이 있으나, 생산율이 낮고 석탄을 사용하는 경우 품질저하를 가져오는 단점을 가진 킬른은?(2016년 10월)
     1. Shaft Kiln
     2. Lepol Kiln
     3. Rotary Kiln
     4. Suspension Preheater Kiln

     정답 : []
     정답률 : 59%

29. 다음 중 아연제련 생산공정이 아닌 것은?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2015년 05월)
     1. 질산제조공정
     2. 용해공정
     3. 주조공정
     4. 배소공정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아연 제련 생산공정
- 배소공정 -> 황산제조공정 -> 용해공정 -> 주조공정
[해설작성자 : 가스가스가스]

30.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HCFC-22 생사과정에서 부산물 형태로 배출되는 온실가스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8년 04월)
     1. SH6
     2. HFC-12
     3. HFC-23
     4. N2O

     정답 : []
     정답률 : 77%

31. 다음은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촉매를 활용한 수증기 개질방법으로 암모니아를 생산하는 7단계 공정이다. 공정순서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8년 09월)
     1. 천연가스탈황→수증기 1차 개질→일산화탄소의 전환→공기로 2차 개질→이산화탄소 제거→메탄화→암모니아 합성
     2. 천연가스탈활→수증기 1차 개질→공기로 2차 개질→이산화탄소 제거→메탄화→일산화탄소의 전환→암모니아 합성
     3. 천연가스탈황→수증기 1차 개질→공기로 2차 개질→일산화탄소의 전환→이산화탄소 제거→메탄화→암모니아 합성
     4. 천연가스탈황→수증기 1차 개질→이산화탄소 제거→일산화탄소의 전환→공기로 2차 개질→메탄화→암모니아 합성

     정답 : []
     정답률 : 78%

32.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외부에서 공급된 전기사용에 대해 보고대상 온실가스를 모두 옳게 나열한 것은?(2019년 04월)
     1. CO2
     2. CO2, CH4
     3. CH4, N2O
     4. CO2, CH4, N2O

     정답 : []
     정답률 : 68%

33. 철강 생산의 공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2015년 09월)
     1. 재선공정-제강공정-연주공정-압연공정
     2. 제선공정-제강공정-압연공정-연주공정
     3. 제강공정-제선공정-연주공정-압연공정
     4. 제강공정-제선공정-압연공정-연주공정

     정답 : []
     정답률 : 75%

34.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에 따라 A업체에서는 암모니아 산화법으로 질산을 제조하고 있으며 온실가스로 배출되는 N2O는 비선택적 촉매환원법(SNCR)으로 제거하고 있다. 이 업체의 여난 질산생산량이 2,000,000L 일 때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은? (단, 배출계수 : 2kgN2O/t질산, 질산밀도 : 1.513 kg/L, N2O의 등가계수(GWP):310적용)(2016년 10월)
     1. 1.240 tCO2-eq
     2. 1,876 tCO2-eq
     3. 4,000 tCO2-eq
     4. 6,052 tCO2-eq

     정답 : []
     정답률 : 64%

35.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기체, 액체 혹은 고체 상태의 원료 화합물을 반응기 내에 공급하여 기관 표면에서의 화학적 반응을 유도함으로써 반도체 기판위에 고체 반응 생성물인 박막층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전자 산업, 특히 반도체 공정에 주로 이용하는 공정은?(2019년 09월)
     1. 식각공정
     2. 화학기상 증착공정
     3. 성형공정
     4. 세정공정

     정답 : []
     정답률 : 81%

36.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이동연소(선박)의 배출원별 보고대상 적용범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수상항해 : 호버크라프트(Hovercraft)와 수중익선(Hydrofoils)을 포함한다.
     2. 수상항해 : 국제/국내 항해의 구분은 출발, 경유, 도착항을 기준하며, 어선을 포함한다.
     3. 국내항해 : 동일 국가 내에서 출항 및 입항하는 모든 석박으로부터의 배출(어업과 군용은 제외)을 의미한다.
     4. 어선 : 어업의 경우 그 나라 안에서 연료보급이 이루어진 모든 국적의 선박을 포함한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1. 수상항해: 호버크라프트와 수중익선을 포함함. 어선은 제외. 국내/국제 항해의 구분은 출발과 도착항을 기준.
2. 국내항해: 동일 국가내 출항 및 입항하는 모든 선박으로부터의 배출(어업, 군용 제외)
3. 어선: 어업의 경우 그 나라 안에서 연료 보급이 이루어진 모든 국적의 선박을 포함.
[해설작성자 : 함냐~]

37. 매립폐기물 내 분해 가능한 탄소가 수십 년에 걸쳐 혐기성 분해된다는 가정에서 출발한 일차분해반응모델로서 매립시설에서 메탄배출량 산정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는 방법은?(2017년 05월)
     1. Mass Balance Method
     2. First Order Decay Method
     3. Affordable Budgeting Method
     4. Competitive Parity Method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1차반응 따른다는 가정을 적용, 2006 IPCC에 제시된 1차 반응모델(FOD)사용
[해설작성자 : 온앤오프팬]

38.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전자산업의 보고대상 배출시설 중 증착시설(CVD 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4월)
     1. 일반적인 CVD 장치는 크게 원료수송부, 반응기, 부산물 배출구의 세부분으로 나눌 수있다.
     2. 산이나 알칼리 용액에 표면처리를 위하여 담구거나 원료 및 제품을 중화시키는 공정이다.
     3. CVD법에 의한 화학반응의 종류로는 이종반응(heterogeneous reaction)이 대표적이다.
     4. 기체, 액체 혹은 고체상태의 원료화합물을 반응기 내에 공급하여 기판 표면에서의 화학적 반응을 유도함으로써 반도체 기관 위에 고체 반응생성물인 박막층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2. 식각공정에 대한 설명
[해설작성자 : 함냐함냐]

39. 증류의 원리에 의해서 원유를 가열, 냉각 및 응축과 같은 물리적 변화 과정을 통하여 일정한 범위의 비점을 가진 석유 유분을 분리시키는 공정은?(2016년 05월)
     1. 상압증류공정
     2. 메록스공정
     3. 가스회수공정
     4. 접촉개질공정

     정답 : []
     정답률 : 73%

40. 사업장의 월평균 전기사용량이 1000kWh 일 때, 온실가스 배출량(tCO2-eq/y)은?(2022년 04월)

    

     1. 0.434
     2. 0.559
     3. 4.341
     4. 5.513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1000/1000*(0.4567+0.0036*21/1000+0.0085*310/1000)*12
[해설작성자 : hunking99]

3과목 : 온실가스 산정과 데이터 품질관리


41.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배출량에 따른 시설규모 분류기준 중 연간 배출량이 가장 많은 배출시설이 속한 그룹은?(2021년 05월)
     1. A 그룹
     2. B 그룹
     3. C 그룹
     4. D 그룹

     정답 : []
     정답률 : 82%

42. ( )안에 들어갈 용어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4년 09월)

    

     1. A : 품질보증 (Quality Assurance) B : 품질관리 (Quality Control)
     2. A : 품질관리 (Quality Control) B : 품질보증 (Quality Assurance)
     3. A : 현장검증 B : 리스크 분석
     4. A : 리스크 분석 B: 현장검증

     정답 : []
     정답률 : 86%

43.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하수 처리할 때, 필요한 자료와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4월)
     1. 방류수의 BOD5농도(mg-BOD/L)
     2. 유입수의 유량(m3)
     3. 메탄 회수량(tCH4)
     4. 반송 슬러지의 Pt 농도(mg-Pt/L)

     정답 : []
     정답률 : 71%

44.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기체연료 고정연소시설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Tier 2 산정방법론으로 산정할 때, 매개변수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에서 별도의 계수를 공표하여 지침에 수록하지 않은 경우)(2022년 04월)
     1. 사업자 또는 연료공급자에 의해 측정된 측정불확도 ±5.0% 이내의 연료 사용량 자료를 활동자료로 활용한다.
     2. 열량계수는 국가 고유 발열량 값을 사용한다.
     3. 배출계수는 국가 고유 배출계수를 사용한다.
     4. 산화계수는 기본값인 1.0을 적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Tier 1 : 기본값 1.0
Tier 2 : 0.995
Tier 3 : 0.995
Tier 4 : 연속측정방식 사용
[해설작성자 : Ice Breakers]

45. 배출량 산정ㆍ보고 원칙 중 배출량을 과대 또는 과소평가되지 않도록 산정해야 함을 나타내는 원칙은?(2017년 05월)
     1. 투명성
     2. 일관성
     3. 완전성
     4. 정확성

     정답 : []
     정답률 : 73%

46. 다음 중 품질보증(QA) 활동에 해당하는 사항은? (단, 품질관리(QC)활동과 비교)(2019년 09월)
     1. 측정가능한 목적이 만족되었는지 검증하고 주어진 과학적 지식 및 가용성이 현재 상태에서 가장 좋은 배출량 산정결과를 나타내는지 검토ㆍ확인
     2. 자료의 무결성, 정확성 및 완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일상적이고 일관적인 검사의 제공
     3. 배출량 산정자료의 문서화 및 보관, 모든 품질관리 활동의 기록
     4. 자료 수집 및 계산에 대한 정확성 검사와 배출량 감축량의 계산ㆍ측정, 불확도 산정, 정보의 보관 및 보고활동

     정답 : []
     정답률 : 57%

47.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에 의거, 소다회 생산에 대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5월)
     1. 보고대상 온실가스는 CO2만 해당한다.
     2. 활동자료로서 트로나(Trona) 광석 사용량 또는 소다회 생산량 자료를 사용한다.
     3. 연속측정방식(CEM)을 이용한 배출량 산정방법론은 적용될 수 없다.
     4. 2006 IPPC 가이드라인에서 소다회 단위 생산량에 대한 기본 배출계수값을 제공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소다회 생산의 보고대상 온실가스는 CO2이고, 연속측정방식을 이용하는방식이다.
[해설작성자 : 탄소중립]

48.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굴뚝연속자동측정기에 의한 배출량 산정방법 중 측정에 기반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은 어떤 값을 기반으로 하여 산출하는가?(2021년 09월)
     1. 건가스 기준의 30분 CO2 부피 평균농도(%)를 사용하여 산정
     2. 습가스 기준의 30분 CO2 부피 평균농도(%)를 사용하여 산정
     3. 건가스 기준의 10분 CO2 부피 평균농도(%)를 사용하여 산정
     4. 습가스 기준의 10분 CO2 부피 평균농도(%)를 사용하여 산정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가. 굴뚝연속자동측정기에 의한 배출량 산정방법
    측정에 기반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은 다음의 일반식을 따른다.
ECO2 = K × CCO2d ×Qsd
ECO2 : CO2배출량 (g CO2/30분)
CCO2d : 30분 CO2 평균농도 % (건 가스(dry basis)기준, 부피농도)
Qsd : 30분 적산 유량 (Sm3) (건 가스 기준)
K : 변환계수(1.964 × 10, 표준상태에서 1kmol이 갖는 공기부피와 이산화탄소 분자량 사이의 변환계수)
출처) 농림축산식품부 -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 내 [별표 15] 연속측정방법의 배출량 산정방법 및 측정기기의 설치관리 기준 등 (제17조 제2항 관련)
[해설작성자 : yul]

49. 철강생산 공정 중 온실가스의 직접배출(scope1)이 일어나지 않은 공정은?(2016년 05월)
     1. 연주공정
     2. 고로공정
     3. 제강공정
     4. 소결공정

     정답 : []
     정답률 : 50%

50. 다음은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에 근거하여 이동연소(도로)에서 Tier 3 산정방법론을 적용하여 CH4 및 N2O 배출량 산정시 요구되는 활동자료에 관한 설명이다.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2018년 09월)

    

     1. 주행거리
     2. 연료소비량
     3. 운행횟수
     4. 차량대수

     정답 : []
     정답률 : 61%

51.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운영을 위한 검증지침상 검증기관의 지정, 관리, 준수사항과 관련된 사항으로 옳지 않는 것은?(2019년 09월)
     1. 검증기관 지정의 유효기간은 지정일로부터 3년이다.
     2. 검증기관은 지정 유효기간 이후에 재지정을 받고자 할 경우 지정기간 만료일 이전 3개월 전까지 검증기관 재지정 신청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3. 검증기관은 검증업무 수행내역 등 자료를 5년 이상 보관하여야 한다.
     4. 검증기관은 반기별 검증업무 수행내역을 작성하여 매 반기 종료일로부터 10일 이내에 국립환경과학원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30일 이내
[해설작성자 : 탄소중립]

52.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온실가스 측정 불확도 산정절차를 4단계로 구분할 때, 다음 중 2단계에 해당하는 것은?(2020년 09월)
     1. 매개변수 분류 및 검토, 불확도 평가 대상 파악
     2. 활동자료, 배출계수 등의 매개변수에 대한 불확도 산정
     3. 배출시설별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상대불확도 산정
     4. 불확도 평가 체계 수립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순서
1. 매개변수 분류 및 검토, 불확도 평가 대상 파악
2. 활동자료, 배출계수 등의 매개변수에 대한 불확도 산정
3. 배출시설 별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상대불확도 산정
4. 불확도 평가체계수립
[해설작성자 : 함냐함냐]

53.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제 하에서 관리업체 A의기체연료 고정연소시설 배출량이 621,000톤으로 산정되었다고 하면 온실가스 배출량 선정 방법론에 대한 최소 산정등급은?(2014년 09월)
     1. Tier 1
     2. Tier 2
     3. Tier 3
     4. Tier 4

     정답 : []
     정답률 : 67%

54.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제 하에서 온실가스 배출량 등의 산정정차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5년 09월)
     1. 조직 경계의 설정
     2. 모니터링 유형 및 방법의 설정
     3. 배출량 산정 및 모니터링 체계의 구축
     4. 목표설정

     정답 : []
     정답률 : 83%

55.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Tier 1A 방법에 따른 아연 생산공정의 보고대상 온실가스 배출량(tCO2)은?(단, 생산된 아연의 양 2000톤, 아연생산량당 기본배출계수 1.72tCO2/t, 건식야금법에 대한 아연생산량당 배출계수 0.43tCO2/t, Waelz Kiln과정에 대한 아연생산량당 배출계수 3.66tCO2/t)(2017년 09월)
     1. 860
     2. 3440
     3. 7320
     4. 11620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2000 t x 1.72 tCO2/t = 34000 tCO2
[해설작성자 : ensignys]

56.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아디프산 생산량이 320t일 때(감축기술은 촉매분해방법 적용), 발생되는 온실가스 배출량(tCO2-eq)은?(2019년 04월)

    

     1. 3458.07
     2. 3874.92
     3. 4338.02
     4. 5260.08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300(kgN2o/t-아디프산)*320(t-아디프산)*(1-0.925*0.89)*10^(-3) = 16.968
N2O는 310tCO2-eq이므로, 16.968*310 = 5260.08tCO2-eq

57.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운영을 위한 검증지침에서 리스크 분석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검증팀은 피검증자에 의해 발생하는 리스크를 평가한다.
     2. 피검증자에 의해 발생하는 리스크에는 고유리스크와 통제리스크가 있다.
     3. 검증팀의 검증과정에서 검출리스크가 발생한다.
     4. 통제리스크는 검증대상의 업종 특성에 따른 리스크이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4. 고유리스크에 대한 설명
[해설작성자 : 합격가자]

58.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제 하에서 운영경계 설정 시 운영경계 구분에서 다음 중 Scope2에 해당하는 사항은?(2021년 09월)
     1. 외부에서 구매한 전기 또는 열
     2. 고정연소 배출원
     3. 이동연소 배출원
     4. 하ㆍ폐수 처리시설 배출원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Scope1: 기업이 직접 배출하는 고정연소, 이동연소, 고정배출
Scope2: 외부에서 구매한 전기 또는 열(스팀)
Scope3: 상하폐수처리와 같은 간접 배출원
[해설작성자 : 레알닭알]

59.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에 따른 배출활동별 온실가스 배출량 등의 세부산정방법 및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5월)
     1. 세부적인 온실가스 흡수량 등의 산정방법이 제시되지 않은 배출활동은 관리업체가 자체적으로 산정방법을 개발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여야 한다.
     2. 석유제품의 기체연료에 대해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모든 조건은 0℃ 1기압 상태의 체적과 관련된 활동자료를 적용한다.
     3. 액체연료는 20℃를 기준으로 한 체적을 적용한다.
     4. 사업장 고유 배출계수 개발 시, 활동자료 측정주기와 동 활동자료에 대한 조성분석주기를 기준으로 가중평균을 적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액체 연료는 15℃ 기준
[해설작성자 : 외롭다람쥐]

60.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령상 다음 중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2020년 09월)

    

     1. 1년
     2. 3년
     3. 4년
     4. 5년

     정답 : []
     정답률 : 81%

4과목 : 온실가스 감축관리


61. 감축프로젝트를 기획하고자 하는 A회사가 100tCO2-eq의 감축의무 달성을 위해 내부적으로 가능한 감축프로젝트를 조사한 결과, 총 1,000,000원이 소요되는 A1 투자안이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투자를 통해 감축되는 온실가스는 총 100tCO2-eq이며, 에너지 및 생산효율 증가로 인해 총 100,000원의 별도수익이 예상된다. 한편 배출거래제도 하에서 배출권 가격은 10,000원/tCO2-eq에 형성되었다고 할 때 A회사의 단위당 (가)감축단가와, (나)해당사업성 검토(타당성)가 가장 적합하게 짝지어진 것은? (단, 배출권 가격변동 등에 대한 기타사항은 고려하지 않는다.)(2015년 05월)
     1. (가) 9,000원/tCO2-eq, (나) 사업 기각
     2. (가) 9,000원/tCO2-eq, (나) 사업 수행
     3. (가) 10,000원/tCO2-eq, (나) 사업 기각
     4. (가) 10,000원/tCO2-eq, (나) 사업 수행

     정답 : []
     정답률 : 62%

62. A업체는 2016년도에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의 관리업체로 최초 지정되었다. 이 경우 동 업체의 목표관리를 위한 기준연도 선정기준으로 옳은 것은?(2021년 05월)
     1. 2015년도
     2. 2013 ~ 2015년도
     3. 2011 ~ 2015년도
     4. 2006 ~ 2015년도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배출시설 규모 최초 결정 이후 매년 1월1일 기준으로 최근에 제출된 명세서의 해당 시설 온실가스 배출랴에 따라 시설규모를 결정하며 최근 3년간 평균 자료 활용
[해설작성자 : 승짱]

제24조(기준연도 배출량) ① 목표관리를 위한 기준연도는 관리업체가 지정된 연도의 직전 3개년으로 하며, 이 기간의 연평균 온실가스 배출량을 기준연도 배출량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JS]

63. 온실가스 감축기술 및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5월)
     1. 공정에서 사용되는 온실가스를 비온실가스 또는 지구온난화지수(GWP)가 낮은 물질로 대체하는 것은 '직접 감축방법'이다.
     2. 외부로부터 탄소배출권을 구매하는 탄소상쇄는 '간접 감축방법'이다.
     3. 온실가스 배출이 높은 공정을 배출이 적은 공정으로 대체하는 것은 '직접 감축방법'이다.
     4. 신재생에너지를 도입 적요하여 배출원의 온실가스 배출을 상쇄하는 방법은 '직접 감축방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신재생에너지를 도입적용하여 배출원의 온실가스 배출을 상쇄하는 방법은 간접 감축방법에 해당된다.
[해설작성자 : 탄소중립]

64. 다음 중 기후변화협약 교토의정서에 의한 청정개발 체제(CDM) 사업을 등록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절차가 아닌 것은?(2015년 09월)
     1. 사업 타당성 확인
     2. 사업 유치국의 정부 승인
     3. CERs 발생
     4. 사업계획서 작성

     정답 : []
     정답률 : 70%

65. 고온형 연료전지에 해당하는 것은?(2020년 09월)
     1.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
     2.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3. 알칼리 연료전지
     4.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PEMFC 60~80°C 저온형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 DMFC 60~130°C 저온형
알칼리 연료전지                 AFC         60~250°C 저온~중온형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MCFC 600~700°C 고온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SOFC 700~1,000°C 고온형
[해설작성자 : JHPP]

66. 온실가스 배출량 등의 산정 결과와 관련하여 정량된 양을 합리적으로 추정한 값의 분산특성을 나타내는 정도를 의미하는 것은?(2021년 09월)
     1. 정확도
     2. 정밀도
     3. 분산특성
     4. 불확도

     정답 : []
     정답률 : 83%

67.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에 따라 부문별 관장기관이 조기감출실적 평가할 때 고려대상과 거리가 먼 것은?(2016년 10월)
     1. 조기행동의 추가성
     2. 조기행동의 실제성
     3. 조기행동의 따른 감축효과의 지속성
     4. 조기행동의 자율성

     정답 : []
     정답률 : 65%

68. CDM사업 추진시 사업 참가자들(PPs)과 계약을 통해 타당성 평가 및 검,인증을 수행하는 CDM관련기관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4년 09월)
     1. DOE
     2. DNA
     3. MOP
     4. EA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DOE(Designated Operational Entity) : UNFCCC CDM 집행위원회(EB)에서 지정하는 국제 공인 CDM 검인증기관으로 CDM사업 계획의 타당성확인, 사업에 의한 감축실적 검증을 수행
정답 : 1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9. 할당대상업체의 조직경계 외부의 배출시설에서 국제적 기준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흡수·제거하는 사업을 무엇이라고 하는가?(2022년 04월)
     1. 외부사업
     2. 공정사업
     3. 경계사업
     4. 상쇄사업

     정답 : []
     정답률 : 65%

70. A 철강회사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주 연료로 사용되는 경유를 프로판으로 대체하였다. 경유 100,000kL를프로판 50,000kL로 대체할 경우 약 몇 tCO2-eq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하였는가?(2017년 05월)

    

     1. 약 152,000
     2. 약 162,000
     3. 약 172,000
     4. 약 182,000

     정답 : []
     정답률 : 50%

71. 다음에서 설명하는 모니터링 보고서 작성원칙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8년 09월)

    

     1. 일관성
     2. 보수성
     3. 투명성
     4. 완전성

     정답 : []
     정답률 : 86%

72. CDM 사업은 조림 및 재조림 등을 통해 온실가스를 흡수하는 사업도 포함하고 있다. 흡수원의 범위와 관계가 먼 것은?(2021년 09월)
     1. 조림 규모는 나무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통상 300 ~ 1000ha 정도
     2. 재조림 사업은 1990년 이전에 산림이 아닌 토지를 산림으로 전환하는 사업
     3. 조림 CDM 사업은 50년간 산림이거나 산림이 아닌 토지를 산림으로 전환하는 사업
     4. 소규모 조림, 재조림 CDM 사업은 CDM 사업유치국에서 연간 8000ton 이하를 순흡수하는 사업에 적용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신규조림 CDM 사업은 50년 간 산림이 아니던 토지를 산림으로 전환하는 사업을 말하며, 재조림 CDM 사업은 1990년 이전에 산림이 아닌 토지를 산림으로 전환하는 사업을 말한다.
(출처 : 한국에너지공단 CDM인증센터)
[해설작성자 : JS]

73. 공사시행 시 장비투입에 따른 경유를 사용할 경우 온실가스 총 배출량(tCO2-eq)을 구하면 약 얼마인가?(2017년 09월)

    

     1. 6.2
     2. 620
     3. 6200
     4. 6200000

     정답 : []
     정답률 : 59%

74.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조기감축실적 인정기준으로 옳지 않는 것은?(2017년 09월)
     1. 조기감축실적은 국내ㆍ외에서 실시한 행동에 의한 감축분에 대하여 그 실적을 인정한다.
     2. 조기감축실적은 할당대상업체의 조직경계 안에서 발생한 것에 한하여 그 실적을 인정한다.
     3. 조기감축실적은 할당대상업체 단위에서의 감축분 또는 사업단위에서의 감축분에 대하여인정할 수 있다.
     4. 조기감축실적으로 인정되기 위해서는 조기행동으로 인한 감축이 실제적이고 지속적이어야 하며, 정량화되어야 하고 검증 가능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국내에서 실시한것만 인정 (국외X)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5. 폐기물 에너지 및 기술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2015년 09월)
     1. SRF는 가연성 고체폐기물을 성형하여 제조한 고체 연료이다.
     2. 폐기물 열분해는 무산소 환원반응이다.
     3. 화석 연료의 사용을 줄임으로써 온실가스 배출 감축에 기여한다.
     4. 에너지화 과정에서 2차 오염물질 발생이 없다.

     정답 : []
     정답률 : 86%

76. CDM 사업자는 일정기간 동안 사업에 의한 감축활동을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를 모니터링 보고서로 정리ㆍ작성하여 DOE에게 검증을 의뢰하는데, DOE가 해야 할 CDM 모니터링 보고서 검증업무 수행 절차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8년 04월)
     1. 시정조치 → 문서검토 → 현장심사 → 검증보고서 작성
     2. 현장심사 → 문서검토 → 시정조치 → 검증보고서 작성
     3. 문서검토 → 현장심사 → 검증보고서 작성 → 시정조치
     4. 문서검토 → 현장심사 → 시정조치 → 검증보고서 작성

     정답 : []
     정답률 : 56%

77. 바이오에너지의 특징으로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4월)
     1. 열에너지, 전기에너지, 직접 연료 등 다양한 형태로의 사용이 가능하다.
     2. 그 자체로도 저장성은 용이하지 않으며, 다른 에너지 형태로 전환되더라도 저장은 어렵다.
     3. 청정연료에 해당한다.
     4. 재생가능한 에너지원에 해당한다.

     정답 : []
     정답률 : 82%

78. 온실가스 감축 이행계획 작성 및 이행관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온실가스 감축 이행계획에는 배출시설의 현황과 배출량 산정을 위한 활동도를 계량하는 계측정보를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2. 조직경계의 변경 및 배출시설 변경사항 및 계획에 관해서는 즉시 보고가 가능해야 하고, 실제 관리조직과 연계하여 업무를 배정하도록 하며, 조직개편 등에 의해 사업장 및 배출시설이 사업장 간에 이동되어야 하므로 지역별로 별도의 관리는 요구되지 않는다.
     3. 공정도 및 모니터링 포인트는 조직의 주요 활동을 중심으로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 보고에 활용이 되는 주요 공정 및 모니터링 포인트를 병기할 수 있어야 한다.
     4. 배출시설별 감축 이행계획은 배출시설별 적용 가능한 감축 아이템을 선정하고, 감축효과 및 절감액, 투자계획 등을 수립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79. 온실가스 목표관리제의 기준년도 배출량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21년 05월)
     1. 기준연도는 관리업체가 최초로 지정된 연도의 직전 3개년으로 한다.
     2. 기준연도 기간 중 신⋅증설이 발생한 경우 해당 신⋅증설 시설의 기준연도 배출량은 최근 2개년 평균 또는 단년도 배출량으로 정할 수 있다.
     3. 관리업체의 최근 3개년 배출량 자료가 없는 경우에는 활용 가능한 최근 2개년 평균 또는 단년도 배출량을 기준연도 배출량으로 정할 수 있다.
     4. 기준년도 기간의 월평균 온실가스 배출량을 기준연도 배출량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52%

80.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에 관한 기술 구분 중 이산화탄소 포집(연소후 포집)기술과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9월)
     1. 습식 아민 기술
     2. 백금 촉매 기술
     3. 분리막 기술
     4. 암모니아 기술

     정답 : []
     정답률 : 48%

81.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관리업체의 소관 관장기관 분류 중 “해양ㆍ수산ㆍ해운ㆍ항만 분야”가 해당하는 곳은?(2019년 04월)
     1. 국토교통부
     2. 해양수산부
     3. 산업통상자원부
     4. 환경부

     정답 : []
     정답률 : 83%

82.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상 저탄소 녹색성장 실현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책무와 거리가 먼 것은?(2020년 09월)
     1. 각종 정책을 수립할 때 경제와 환경의 조화로운 발전 및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 하며, 국제적인 기후변화대응 및 에너지·자원 개발협력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여야 한다.
     2. 지역주민에게 저탄소 녹색성장에 대한 교육과 홍보를 강화하여야 한다.
     3. 저탄소 녹색성장 대책을 수립·시행할 때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지역적 특성과 여건을 고려하여야 한다.
     4. 관할구역 내의 사업자, 주민 및 민간단체의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활동을 장려하기 위하여 정보제공, 재정지원 등 필요한 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83. 배출권 거래소의 업무가 아닌 것은?(2015년 09월)
     1. 배출권 거래시장의 개설ㆍ운영에 관한 업무
     2. 배출권 거래중개회사의 등록 취소에 관한 업무
     3. 배출권의 매매에 관한 업무
     4. 배출권의 경매 업무

     정답 : []
     정답률 : 92%

84.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령상 배출권 거래소의 업무가 아닌 것은?(2020년 09월)
     1. 배출권 거래시장의 개설·운영
     2. 배출권거래중개회사의 등록 취소에 관한 업무
     3. 배출권의 매매(경매를 포함한다.) 및 청산 결제
     4. 불공정거래에 관한 심리 및 회원의 감리

     정답 : []
     정답률 : 60%

85.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령상 할당대상업체가 인증받은 온실가스 배출량보다 제출한 배출권이 적은 경우 부족한 부분에 대해 부과할 수 있는 과징금 기준은?(2022년 04월)
     1. 이산화탄소 1톤당 10만원의 범위에서 해당 이행연도에 배출권 평균 시장가격의 3배 이하
     2. 이산화탄소 1톤당 10만원의 범위에서 해당 이행연도에 배출권 평균 시장가격의 2배 이하
     3. 이산화탄소 1톤당 5만원의 범위에서 해당 이행연도에 배출권 평균 시장가격의 3배 이하
     4. 이산화탄소 1톤당 5만원의 범위에서 해당 이행연도에 배출권 평균 시장가격의 2배 이하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제33조(과징금)
① 주무관청은 제27조에 따라 할당대상업체가 제출한 배출권이 제25조에 따라 인증한 온실가스 배출량보다 적은 경우에는 그 부족한 부분에 대하여 이산화탄소 1톤당 10만원의 범위에서 해당 이행연도의 배출권 평균 시장가격의 3배 이하의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요시]

86.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 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에 규정된 관리업체가 조기감축 실적을 인정받고자 할 때, 조기감축 실적 인정 신청서를 제출해야하는 시기는?(2016년 05월)
     1. 최초 지정된 해의 다음 연도 3월 31일까지
     2. 최초 지정된 해의 다음 연도 7월 31일까지
     3. 최초 지정된 해의 다음 연도 8월 31일까지
     4. 최초 지정된 해의 다음 연도 12월 31일까지

     정답 : []
     정답률 : 56%

87. 할당대상업체별 배출권 할당량을 결정할 때에 고려사항이 아닌 것은?(2015년 09월)
     1. 유상으로 할당하는 배출권의 비율
     2.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및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 목표
     3. 할당대상업체의 과거 온실가스 배출량 또는 기술수준
     4. 계획기간 중의 해당 업종 또는 할당대상업체의 예상성장률

     정답 : []
     정답률 : 67%

88.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시행령상 부문별 관장기관은 소관 부문별 전년도 온실가스정보 및 통계를 작성하여 언제까지 온실가스 종합정보센터에 제출하여야 하는가?(2017년 09월)
     1. 매년 1월 31까지
     2. 매년 3월 31까지
     3. 매년 6월 30까지
     4. 매년 12월 31까지

     정답 : []
     정답률 : 30%

89.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령상 배출권 할당위원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4월)
     1. 할당위원회는 위원장 1명과 20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2. 할당위원회에는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간사위원 2명을 둔다.
     3. 배출권 할당위원회의 회의는 재적위원 과반수의 출석으로 개의하고 출석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4. 배출권 할당위원회의 회의는 할당위원회의 위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거나 재적위원의 3분의 1 이상이 요구할 때 개최한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할당위원회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간사위원 1명을 둔다
[해설작성자 : Ice Breakers]

90. 온실가스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매개변수'에 관한 내용이 아닌 것은?(2022년 04월)
     1. 두 개 이상 변수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변수
     2.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는 데 필요한 탄소함량
     3.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는 데 필요한 불확도
     4.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는 데 필요한 발열량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매개변수"란 두 개 이상 변수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변수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는 데 필요한 활동자료, 배출계수, 발열량, 산화율, 탄소함량 등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JS]

91.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1차 계획기간에는 배출권의 전부를 무상으로 할당하고, 2차 계획기간에 할당대상업체별로 할당되는 배출권의 무상할당 비율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100분의 80
     2. 100분의 87
     3. 100분의 90
     4. 100분의 97

     정답 : []
     정답률 : 72%

92.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령상 온실가스 감축과 에너지 절약 및 에너지 이용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에 관한 총괄ㆍ조정기능을 수행하는 자는?(2017년 05월)
     1. 기획재정부장관
     2. 국무조정실장
     3. 환경부장관
     4.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정답 : []
     정답률 : 73%

93.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에 따라 배출량 등의 산정절차 중 ( ) 안에 알맞은 내용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2022년 04월)

    

     1. 배출활동의 확인·구분 → 배출활동별 배출량 산정방법론의 선택 → 배출량 산정 및 모니터링 체계의 구축 → 모니터링 유형 및 방법의 설정
     2. 배출활동별 배출량 산정방법론의 선택 → 모니터링 유형 및 방법의 설정 → 배출량 산정 및 모니터링 체계의 구축 → 배출활동의 확인·구분
     3. 배출활동별 배출량 산정방법론의 선택 → 배출량 산정 및 모니터링 체계의 구축 → 배출활동의 확인·구분 → 모니터링 유형 및 방법의 설정
     4. 배출활동의 확인·구분 → 모니터링 유형 및 방법의 설정 → 배출량 산정 및 모니터링 체계의 구축 → 배출활동별 배출량 산정방법론의 선택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① 관리업체는 온실가스 배출량의 산정과 관련하여 아래 각 호에 대해서는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이하 "배출량 인증지침"이라 한다)제8조, 제10조부터 제23조까지를 적용한다. 이 경우 "할당대상업체"는 "관리업체"로, "환경부장관"은 "부문별 관장기관"으로 본다.
1. 배출량 등의 산정절차
2. 조직경계 결정방법
3. 배출량 등의 산정방법 및 적용기준
4. 활동자료의 수집방법
5. 불확도 관리기준 및 방법
6. 배출계수 활용 및 개발
7. 연속측정방법에 따른 배출량 산정방법 및 기준
8. 바이오매스 등에 관한 사항
9. 적용 특례 등에 관한 사항
10. 모니터링 계획 작성 방법
11. 품질관리 및 보증
② 제1항에도 불구하고 배출량 등의 산정절차의 명세서 작성 서식에 관한 사항은 배출량 인증지침 제86조를 따른다.
③ 제1항에도 불구하고, 관리업체가 자체적으로 개발한 산정방법 및 배출계수 산정등급 3(Tier 3)에 따라 배출량 등을 산정할 경우에는 별표 5의 절차에 따라 부문별 관장기관으로부터 배출시설 또는 공정 단위의 산정방법 또는 고유 배출계수의 사용 가능 여부를 통보받은 후 사용해야 한다.

94.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령상 국가온실가스 감축 목표는 2030년의 국가 온실가스 총배출량을 2030년의 온실가스 배출 전망치 대비 얼마수준까지 감축하는 수준인가?(2016년 10월)
     1. 100분의 20
     2. 00분의 25
     3. 00분의 37
     4. 00분의 45

     정답 : []
     정답률 : 81%

95.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하에서 배출권거래제 할당 대상업체로 지정·고시하는 기준으로 옳은 것은?(2015년 05월)
     1. 관리업체 중 최근 3년간 온실가스 배출량의 연평균 총량이 100,000tCO2-eq 이상인 업체이거나 25,000tCO2-eq이상인 사업장의 해당 업체
     2. 관리업체 중 최근 3년간 온실가스 배출량의 연평균 총량이 125,000tCO2-eq 이상인 업체이거나 25,000tCO2-eq이상인 사업장의 해당 업체
     3. 관리업체 중 최근 3년간 온실가스 배출량의 연평균 총량이 1500,000tCO2-eq 이상인 업체이거나 25,000tCO2-eq이상인 사업장의 해당 업체
     4. 관리업체 중 최근 3년간 온실가스 배출량의 연평균 총량이 175,000tCO2-eq 이상인 업체이거나 25,000tCO2-eq이상인 사업장의 해당 업체

     정답 : []
     정답률 : 83%

96. 다음은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령상 2014년 1월 1일부터 적용되는 기준이다. ()안에 알맞은 것은?(2016년 10월)

    

     1. 50kiiotonnes CO2-rq 이상
㉡ 200terajoules 이상
     2. 87.5kiiotonnes CO2-rq 이상
㉡ 350terajoules 이상
     3. 125kiiotonnes CO2-rq 이상
㉡ 350terajoules 이상
     4. 125kiiotonnes CO2-rq 이상
㉡ 500terajoules 이상

     정답 : []
     정답률 : 79%

97.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상 정부가 저탄소 녹색성장을 촉진하기 위하여 수립ㆍ시행하여야 하는 금융 시책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7년 05월)
     1. 녹색경제 및 녹색산업의 지원 등을 위한 재원의 조성 및 자금 지원
     2. 저탄소 녹색성장을 지원하는 새로운 금융상품의 개발
     3.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기반시설 구축사업에 대한 민간투자 활성화
     4. 녹색경제 관련 정보의 수집ㆍ분석 및 제공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제58조(금융의 지원 및 활성화) ① 정부는 탄소중립 사회로의 이행과 녹색성장의 추진 등 기후위기 대응을 위하여 재원
조성, 자금 지원, 금융상품의 개발, 민간투자 활성화, 탄소중립 관련 정보 공시제도 강화, 탄소시장 거래 활성화 등을
포함하는 금융 시책을 수립ㆍ시행하여야 한다.
② 제1항에 따른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금융의 촉진에 관한 사항은 따로 법률로 정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8. 녹색성장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9월)
     1. 위원장은 국무총리가 지면하는 사람이 된다.
     2. 위원의 임기는 1년으로 하되, 연임할 수 있다.
     3. 위원장 2명을 포함한 50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4. 위원장은 각자 위원회를 대표하며, 위원회의 업무를 총괄한다.

     정답 : []
     정답률 : 51%

99.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관리업체의 부문별 관장기관 구분 중 산업ㆍ발전 분야의 관장기관은?(2018년 09월)
     1. 산업통상자원부
     2. 환경부
     3. 국토교통부
     4. 기획재정부

     정답 : []
     정답률 : 81%

100. 온실가스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기존 배출시설의 예상배출량 산정방법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2022년 04월)
     1. 기준연도 배출시설 배출량의 선형 증감 추세
     2. 기준연도 배출시설 배출양의 증감률
     3. 국제 연평균 온실가스 배출량의 증감 추세
     4. 기준연도 배출시설의 단위 활동자료와 온실가스 배출량의 상관관계식을 이용한 배출량

     정답 : []
     정답률 : 62%


정 답 지

온실가스관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396762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온실가스관리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기후변화개론


1. 1996년 IPCC 가이드라인상에서 국가온실가스 인벤토리에 포함된 분야가 아닌 것은?(2016년 10월)
     1. 농업
     2. 에너지
     3. 생태계
     4. 폐기물

     정답 : []
     정답률 : 83%

2. 교토의정서에서 감축관리 대상이 되는 온실가스가 아닌 것은?(2016년 10월)
     1. 이산화탄소(CO2)
     2. 과불화탄소(PFCs)
     3. 육불화황(SF6)
     4. 염화불화탄소(CFC)

     정답 : []
     정답률 : 91%

3. 기후변화 관련 국제협약에 대한 설면 중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5월)
     1. 기후변화협약 2차 당사국 총회에서는 감축목표에 대한 법적 구속력 부여에 합의하였다.
     2. 독일에서 개최된 6차 당사국 총회에서는 미국 및 중국 등 주요 온실가스 배출 국가를 포함한 교토의정서 체계에 합의하였다.
     3. 2001년 7차 당사국총회에서 교토메커니즘 관련 사업의 추진기반을 마련하였다.
     4. 3차 당사국 총회에서 교토메커니즘이 채택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51%

4. 부문별 관장기관이 생성한 국가 온실가스 배출통계를 최종확정하기까지의 절차를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2018년 09월)

   

     1. ㄴ→ㄱ→ㄷ→ㄹ
     2. ㄴ→ㄷ→ㄹ→ㄱ
     3. ㄴ→ㄹ→ㄷ→ㄱ
     4. ㄱ→ㄴ→ㄹ→ㄷ

     정답 : []
     정답률 : 90%

5. 다음 중 온실가스이면서 대기 중에 가장 저농도로 존재하는 것은?(2018년 04월)
     1. 아산화질소
     2. 메탄
     3. 육불화황
     4. 아르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공기 구성성분비
N2 > O2 > Ar > CO2 > Ne > He > CH4 > Kr > H2 > N2O > CO > O3
[해설작성자 : 함냐]

6. 1988년 세계기상기구와 유엔환경계획이 공동 설립하였고, 보고서를 통해 기후변화 추세, 원인, 영향, 대응을 분석한 국제기구의 이름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9년 04월)
     1. WHO
     2. IPCC
     3. UNFCCC
     4. GCF

     정답 : []
     정답률 : 86%

7. 기후변화 적응기술 및 정책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6년 10월)
     1. 무경농법은 수확한 농토를 갈지 않고 그루터기에 파종하는 방법이다.
     2. 보호지역제도 관리대안으로 UNESCO는 생물권 보전지역 지정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3. 산림이 농경지나 산업용지, 도시용지로 바뀌면 자연의 이산화탄소 흡수능력이 약화되므로 토지이용형태를 고려해야 한다.
     4. 생물 멸종을 막기 위해서는 특히 먹이사슬의 아래쪽에 있는 동물의 멸종을 막도록 하는 것이 보다 중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83%

8.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가 다루지 않는 분야는?(2019년 09월)
     1. 기후변화 과학
     2. 배출량 거래제
     3. 기후변화 영향평가, 적응 및 취약성
     4. 배출량 완화, 사회 경제적 비용-편익 분석 등의 정책 분야

     정답 : []
     정답률 : 84%

9. IPCC 5차 평가보고서에 따른 지구복사강제력(RF)이 높은 순서에서부터 낮은 순서대로 가장 적합하게 나열된 것은?(2020년 09월)

   

     1. ㉢→㉠→㉣→㉤→㉡
     2. ㉣→㉡→㉢→㉠→㉤
     3. ㉢→㉡→㉤→㉠→㉣
     4. ㉣→㉠→㉢→㉡→㉤

     정답 : []
     정답률 : 72%

10. 기후변화에 대한 유럽연합의 대응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8년 04월)
     1. 유럽에서는 기후변화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인식이 사회 정치적으로 광범위하게 당연한 것으로 수용되어 왔다.
     2. 2000년 교토의정서 비준논쟁 당시, 유럽연합에서는 대부분 산업계와 석유업계는 교토의정서 비준에 대해 강한 반대 입장을 견지하였다.
     3. 유럽연합은 내부적으로 온실가스 감축에 관한 부담공유 협정을 맺고 있었다.
     4. 유럽연합의 적극적인 기후변화정액은 유럽연합체제의 독특한 정치적 구조인 분산된 거버넌스를 토대로 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2. 산업계와 석유업계는 교토의정서 비준에 대해 지지입장을 견지했으며, 미국,호주, 일본 등이 반대하였다.
[해설작성자 : 허]

11. 국내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운영절차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2016년 05월)

    

     1. ㄷ→ㄱ→ㄹ→ㅅ→ㄴ→ㅁ→ㅂ
     2. ㄷ→ㄱ→ㄹ→ㅅ→ㄴ→ㅂ→ㅁ
     3. ㄱ→ㄷ→ㄹ→ㅅ→ㄴ→ㅁ→ㅂ
     4. ㄱ→ㄷ→ㄹ→ㅅ→ㄴ→ㅂ→ㅁ

     정답 : []
     정답률 : 72%

12. 온실효과에 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9월)
     1. 지구 재복사 과정에서 일부 적외선이 지구 바깥으로 나가지 못하고, 지구 대기권 내에 머물러 대기온도가 점차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을 말한다.
     2. 온실가스는 대기 중 성분비는 매우 작으나 미세한 농도 증가에도 대기의 온도를 민감하게 상승시킨다.
     3. 지구 표면의 온도는 대기 중 CO2와 H2O의 농도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고 볼 수 있다.
     4. 태양광선 중 파장이 400nm~700nm 정도의 가시광선이 대기권에 도달하면 72%는 먼지나 구름 등에 의해 반사되고, 18% 정도만이 대기에 흡수, 그 중 10% 정도만 지표에 도달한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지구에 도달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를 100 %라고 할 때, 그 중 약 30 %는 대기층이나 지표면에서 반사되어 곧바로 지구 밖으로 빠져 나가고, 약 70 % 만이 지구에 흡수됩니다. 흡수된 70 %의 태양 복사 에너지 중 50 %는 지표면에 흡수되고, 17 %는 대기 중에 흡수되며, 나머지 3 %는 구름에 흡수됩니다.
[해설작성자 : 연두]

13.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의 주요내용에 대한 설명이 가장 적합한 것은?(2016년 05월)
     1. COP7(미라케시) : 교토메카니즘, 의무준수체계, 흡수원 등에 대한 합의
     2. COP13(발리) : 지구온도 2℃ 상승억제 재확인 및 2050년까지 장기 감축목표에 노력
     3. COP15(코펜하겐) : 선진국과 개도국이 모두 참여하는 새로운 기후변화 체제 마련에 합의
     4. COP18(도하) : 교토의정서를 2022년까지 연장합의

     정답 : []
     정답률 : 55%

14. 제21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는 신기후체제 합의문인 “파리 협정(Paris Agreement)”을 채택하였으며, 그 중 장기목표에 대한 설명 중 ( )안에 가장 알맞은 것은?(2018년 04월)

    

     1. 가:2.5, 나:2.0
     2. 가:3.0, 나:2.5
     3. 가:2.0, 나:1.5
     4. 가:1.5, 나:2.0

     정답 : []
     정답률 : 79%

15. ipcc 제4차 보고서에 나타난 1961년 이후 매년 해수면 상승의 정도는?(2017년 09월)
     1. 0.8mm
     2. 1.8mm
     3. 3.8mm
     4. 5.8mm

     정답 : []
     정답률 : 60%

16.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가 3개의 실행그룹에서 다루는 분야로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4월)
     1. 기후변화 과학
     2. 배출량 거래제
     3. 기후변화 영향평가, 적응 및 취약성
     4. 배출량 완화, 사회 경제적 비용-편익분석 등 정책

     정답 : []
     정답률 : 83%

17. 교토의정서에 대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5월)
     1. 제3차 당사국총회에서 부속서1 국가들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골자로 채택하였다.
     2. 부속서1 국가들은 2010~2012년까지 1990년 대비 평균 2.2% 감축하기로 했다.
     3. 배출권거래제, 공동이행, 청정개발체제 등 시장원리를 도입하였다.
     4. 2005년 2월 16일에 공식 발효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각 당사국은 제1차 의무 이행기간에 속하는 2008년~2012년 사이에 온실가스 총 배출량을 1990년 수준에 비해 평균적으로 5.2% 감축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DoubleM2]

18.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5월)
     1. 취약성 평가는 영향에 대한 가치판단이 배제된 개념이며, 과학적 불확실성은 포함되지 않는다.
     2. 하향식 접근법은 기후시나리오와 기후모형을 기반으로 하여 기후변화에 의한 순영향 평가를 통해 물리적 취약성을 평가하는 접근법이다.
     3. 상향식 접근법은 지역에 기반을 둔 여러 지표들을 바탕으로 하여 그 시스템의 적응능력을 평가함으로써 사회, 경제적인 취약성을 파악하는 접근법이다.
     4. 우리나라는 비교적 영향평가의 기초연구가 잘 진행된 분야(농업, 수자원, 산림, 보건 분야 등)에 일부 취약성 평가가 이루어져 왔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기후변화 취약성은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특정 시스템의 기후 위해에 노출된 위험정도를 말하며, 과학적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기후변화 영향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진다.
[해설작성자 : 하녕주]

19. 온실가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9월)
     1. 육불화황은 전기제품이나 변압기 등의 절연체로 사용된다.
     2. 수수불화탄소와 과불화탄소는 CFCs의 대체물질로 냉매, 소화기 등에 주로 사용된다.
     3. 이산화탄소는 탄소 성분과 대기중의 산소가 결합되는 연소 반응에 의해 발생한다.
     4. 아산화질소는 온실가스 중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4. 이산화탄소
[해설작성자 : 온마]

20.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의 주요기준이 되는 원칙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1년 09월)
     1. 과학적 확실성의 원칙
     2. 공통이지만 차별화된 책임의 원칙
     3. 각자 능력의 원칙
     4. 사전예방의 원칙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과학적 확실성의 원칙은 조세정책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해설작성자 : lucky531]

2과목 : 온실가스 배출의 이해


21.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합금철 생산공정에서 온실가스의 주된 배출시설은?(2021년 05월)
     1. 전기로
     2. 배소로
     3. 소결로
     4. 전해로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합금철 생산 공정의 보고대상 배출시설은 아래와 같다.
    ① 전로
~~
    ② 전기로
~~
출처 :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_[별표6]배출활동별 온실가스 배출량 등의 세부산정방법 및 기준
[해설작성자 : 나온]

22.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전자산업의 웨이퍼 가공공정 중 공정배출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대표 공정 2가지를 가장 올바르게 선정한 것은?(2016년 10월)

    

     1. ㉠, ㉢
     2. ㉡, ㉣
     3. ㉣, ㉥
     4. ㉤, ㉦

     정답 : []
     정답률 : 87%

23.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다음 고상 소각 폐기물 중 화석탄소질량분율이 다른 하나는?(2019년 09월)
     1. 음식물류
     2. 나무류
     3. 플라스틱류
     4. 정원 및 공원 폐기물류

     정답 : []
     정답률 : 76%

24.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아연생산 공정과 거리가 먼 것은?(2017년 09월)
     1. 질산제조공정
     2. 정제공정
     3. 제련공정
     4. 소결공정

     정답 : []
     정답률 : 66%

25.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석유화학제품 생산 공정의 공정배출 보고대상 배출시설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5월)
     1. 메탄올 반응시설
     2. 하이드록실아민 반응시설
     3. 테레프탈산 생산시설
     4. 아크릴로니트릴 반응시설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석유화학제품 생산 공정의 보고대상 배출시설
    ① 메탄올 반응시설
    ② EDC/VCM 반응시설
    ③ 에틸렌옥사이드(EO) 반응시설
    ④ 아크릴로니트릴(AN) 반응시설
    ⑤ 카본블랙(CB) 반응시설
    ⑥ 에틸렌 생산시설
    ⑦ 테레프탈산(TPA) 생산시설
    ⑧ 코크스 제거공정(De-Coking)

26. 유리생산을 위해 다음 연료를 용융·용해시설에 투입했을 때, 일반적으로 연료 성분으로 인한 CO2 배출이 없는 것은?(2022년 04월)
     1. 석회석
     2. 백운석
     3. 소석회
     4. 소다회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 유리생산 융해 공정중 CO2를 배출하는 주요 원료 : 석회석, 백운석, 소다회, 탄산바륨, 골회, 탄산칼륨, 탄산스트론튬
[해설작성자 : DoubleM2]

27.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철도 부문 보고대상 배출시설을 <보기>에서 모두 선택한 것은?(2018년 09월)

    

     1.
     2. ㄱ, ㄴ
     3. ㄱ, ㄴ, ㄷ
     4.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철도 부문의 보고대상 배출시설
① 고속차량
② 전기기관차
③ 전기동차
④ 디젤기관차
⑤ 디젤동차
⑥ 특수차량

28. 상부에서 장입되어 하부로 이동되는 방식이며, 에너지효율이 높은 장점이 있으나, 생산율이 낮고 석탄을 사용하는 경우 품질저하를 가져오는 단점을 가진 킬른은?(2016년 10월)
     1. Shaft Kiln
     2. Lepol Kiln
     3. Rotary Kiln
     4. Suspension Preheater Kiln

     정답 : []
     정답률 : 59%

29. 다음 중 아연제련 생산공정이 아닌 것은?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2015년 05월)
     1. 질산제조공정
     2. 용해공정
     3. 주조공정
     4. 배소공정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아연 제련 생산공정
- 배소공정 -> 황산제조공정 -> 용해공정 -> 주조공정
[해설작성자 : 가스가스가스]

30.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HCFC-22 생사과정에서 부산물 형태로 배출되는 온실가스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8년 04월)
     1. SH6
     2. HFC-12
     3. HFC-23
     4. N2O

     정답 : []
     정답률 : 77%

31. 다음은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촉매를 활용한 수증기 개질방법으로 암모니아를 생산하는 7단계 공정이다. 공정순서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8년 09월)
     1. 천연가스탈황→수증기 1차 개질→일산화탄소의 전환→공기로 2차 개질→이산화탄소 제거→메탄화→암모니아 합성
     2. 천연가스탈활→수증기 1차 개질→공기로 2차 개질→이산화탄소 제거→메탄화→일산화탄소의 전환→암모니아 합성
     3. 천연가스탈황→수증기 1차 개질→공기로 2차 개질→일산화탄소의 전환→이산화탄소 제거→메탄화→암모니아 합성
     4. 천연가스탈황→수증기 1차 개질→이산화탄소 제거→일산화탄소의 전환→공기로 2차 개질→메탄화→암모니아 합성

     정답 : []
     정답률 : 78%

32.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외부에서 공급된 전기사용에 대해 보고대상 온실가스를 모두 옳게 나열한 것은?(2019년 04월)
     1. CO2
     2. CO2, CH4
     3. CH4, N2O
     4. CO2, CH4, N2O

     정답 : []
     정답률 : 68%

33. 철강 생산의 공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기준)(2015년 09월)
     1. 재선공정-제강공정-연주공정-압연공정
     2. 제선공정-제강공정-압연공정-연주공정
     3. 제강공정-제선공정-연주공정-압연공정
     4. 제강공정-제선공정-압연공정-연주공정

     정답 : []
     정답률 : 75%

34.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에 따라 A업체에서는 암모니아 산화법으로 질산을 제조하고 있으며 온실가스로 배출되는 N2O는 비선택적 촉매환원법(SNCR)으로 제거하고 있다. 이 업체의 여난 질산생산량이 2,000,000L 일 때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은? (단, 배출계수 : 2kgN2O/t질산, 질산밀도 : 1.513 kg/L, N2O의 등가계수(GWP):310적용)(2016년 10월)
     1. 1.240 tCO2-eq
     2. 1,876 tCO2-eq
     3. 4,000 tCO2-eq
     4. 6,052 tCO2-eq

     정답 : []
     정답률 : 64%

35.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기체, 액체 혹은 고체 상태의 원료 화합물을 반응기 내에 공급하여 기관 표면에서의 화학적 반응을 유도함으로써 반도체 기판위에 고체 반응 생성물인 박막층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전자 산업, 특히 반도체 공정에 주로 이용하는 공정은?(2019년 09월)
     1. 식각공정
     2. 화학기상 증착공정
     3. 성형공정
     4. 세정공정

     정답 : []
     정답률 : 81%

36.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이동연소(선박)의 배출원별 보고대상 적용범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수상항해 : 호버크라프트(Hovercraft)와 수중익선(Hydrofoils)을 포함한다.
     2. 수상항해 : 국제/국내 항해의 구분은 출발, 경유, 도착항을 기준하며, 어선을 포함한다.
     3. 국내항해 : 동일 국가 내에서 출항 및 입항하는 모든 석박으로부터의 배출(어업과 군용은 제외)을 의미한다.
     4. 어선 : 어업의 경우 그 나라 안에서 연료보급이 이루어진 모든 국적의 선박을 포함한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1. 수상항해: 호버크라프트와 수중익선을 포함함. 어선은 제외. 국내/국제 항해의 구분은 출발과 도착항을 기준.
2. 국내항해: 동일 국가내 출항 및 입항하는 모든 선박으로부터의 배출(어업, 군용 제외)
3. 어선: 어업의 경우 그 나라 안에서 연료 보급이 이루어진 모든 국적의 선박을 포함.
[해설작성자 : 함냐~]

37. 매립폐기물 내 분해 가능한 탄소가 수십 년에 걸쳐 혐기성 분해된다는 가정에서 출발한 일차분해반응모델로서 매립시설에서 메탄배출량 산정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는 방법은?(2017년 05월)
     1. Mass Balance Method
     2. First Order Decay Method
     3. Affordable Budgeting Method
     4. Competitive Parity Method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1차반응 따른다는 가정을 적용, 2006 IPCC에 제시된 1차 반응모델(FOD)사용
[해설작성자 : 온앤오프팬]

38.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전자산업의 보고대상 배출시설 중 증착시설(CVD 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4월)
     1. 일반적인 CVD 장치는 크게 원료수송부, 반응기, 부산물 배출구의 세부분으로 나눌 수있다.
     2. 산이나 알칼리 용액에 표면처리를 위하여 담구거나 원료 및 제품을 중화시키는 공정이다.
     3. CVD법에 의한 화학반응의 종류로는 이종반응(heterogeneous reaction)이 대표적이다.
     4. 기체, 액체 혹은 고체상태의 원료화합물을 반응기 내에 공급하여 기판 표면에서의 화학적 반응을 유도함으로써 반도체 기관 위에 고체 반응생성물인 박막층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2. 식각공정에 대한 설명
[해설작성자 : 함냐함냐]

39. 증류의 원리에 의해서 원유를 가열, 냉각 및 응축과 같은 물리적 변화 과정을 통하여 일정한 범위의 비점을 가진 석유 유분을 분리시키는 공정은?(2016년 05월)
     1. 상압증류공정
     2. 메록스공정
     3. 가스회수공정
     4. 접촉개질공정

     정답 : []
     정답률 : 73%

40. 사업장의 월평균 전기사용량이 1000kWh 일 때, 온실가스 배출량(tCO2-eq/y)은?(2022년 04월)

    

     1. 0.434
     2. 0.559
     3. 4.341
     4. 5.513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1000/1000*(0.4567+0.0036*21/1000+0.0085*310/1000)*12
[해설작성자 : hunking99]

3과목 : 온실가스 산정과 데이터 품질관리


41.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배출량에 따른 시설규모 분류기준 중 연간 배출량이 가장 많은 배출시설이 속한 그룹은?(2021년 05월)
     1. A 그룹
     2. B 그룹
     3. C 그룹
     4. D 그룹

     정답 : []
     정답률 : 82%

42. ( )안에 들어갈 용어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4년 09월)

    

     1. A : 품질보증 (Quality Assurance) B : 품질관리 (Quality Control)
     2. A : 품질관리 (Quality Control) B : 품질보증 (Quality Assurance)
     3. A : 현장검증 B : 리스크 분석
     4. A : 리스크 분석 B: 현장검증

     정답 : []
     정답률 : 86%

43.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하수 처리할 때, 필요한 자료와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4월)
     1. 방류수의 BOD5농도(mg-BOD/L)
     2. 유입수의 유량(m3)
     3. 메탄 회수량(tCH4)
     4. 반송 슬러지의 Pt 농도(mg-Pt/L)

     정답 : []
     정답률 : 71%

44.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기체연료 고정연소시설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Tier 2 산정방법론으로 산정할 때, 매개변수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에서 별도의 계수를 공표하여 지침에 수록하지 않은 경우)(2022년 04월)
     1. 사업자 또는 연료공급자에 의해 측정된 측정불확도 ±5.0% 이내의 연료 사용량 자료를 활동자료로 활용한다.
     2. 열량계수는 국가 고유 발열량 값을 사용한다.
     3. 배출계수는 국가 고유 배출계수를 사용한다.
     4. 산화계수는 기본값인 1.0을 적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Tier 1 : 기본값 1.0
Tier 2 : 0.995
Tier 3 : 0.995
Tier 4 : 연속측정방식 사용
[해설작성자 : Ice Breakers]

45. 배출량 산정ㆍ보고 원칙 중 배출량을 과대 또는 과소평가되지 않도록 산정해야 함을 나타내는 원칙은?(2017년 05월)
     1. 투명성
     2. 일관성
     3. 완전성
     4. 정확성

     정답 : []
     정답률 : 73%

46. 다음 중 품질보증(QA) 활동에 해당하는 사항은? (단, 품질관리(QC)활동과 비교)(2019년 09월)
     1. 측정가능한 목적이 만족되었는지 검증하고 주어진 과학적 지식 및 가용성이 현재 상태에서 가장 좋은 배출량 산정결과를 나타내는지 검토ㆍ확인
     2. 자료의 무결성, 정확성 및 완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일상적이고 일관적인 검사의 제공
     3. 배출량 산정자료의 문서화 및 보관, 모든 품질관리 활동의 기록
     4. 자료 수집 및 계산에 대한 정확성 검사와 배출량 감축량의 계산ㆍ측정, 불확도 산정, 정보의 보관 및 보고활동

     정답 : []
     정답률 : 57%

47.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에 의거, 소다회 생산에 대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5월)
     1. 보고대상 온실가스는 CO2만 해당한다.
     2. 활동자료로서 트로나(Trona) 광석 사용량 또는 소다회 생산량 자료를 사용한다.
     3. 연속측정방식(CEM)을 이용한 배출량 산정방법론은 적용될 수 없다.
     4. 2006 IPPC 가이드라인에서 소다회 단위 생산량에 대한 기본 배출계수값을 제공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소다회 생산의 보고대상 온실가스는 CO2이고, 연속측정방식을 이용하는방식이다.
[해설작성자 : 탄소중립]

48.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굴뚝연속자동측정기에 의한 배출량 산정방법 중 측정에 기반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은 어떤 값을 기반으로 하여 산출하는가?(2021년 09월)
     1. 건가스 기준의 30분 CO2 부피 평균농도(%)를 사용하여 산정
     2. 습가스 기준의 30분 CO2 부피 평균농도(%)를 사용하여 산정
     3. 건가스 기준의 10분 CO2 부피 평균농도(%)를 사용하여 산정
     4. 습가스 기준의 10분 CO2 부피 평균농도(%)를 사용하여 산정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가. 굴뚝연속자동측정기에 의한 배출량 산정방법
    측정에 기반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은 다음의 일반식을 따른다.
ECO2 = K × CCO2d ×Qsd
ECO2 : CO2배출량 (g CO2/30분)
CCO2d : 30분 CO2 평균농도 % (건 가스(dry basis)기준, 부피농도)
Qsd : 30분 적산 유량 (Sm3) (건 가스 기준)
K : 변환계수(1.964 × 10, 표준상태에서 1kmol이 갖는 공기부피와 이산화탄소 분자량 사이의 변환계수)
출처) 농림축산식품부 -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 내 [별표 15] 연속측정방법의 배출량 산정방법 및 측정기기의 설치관리 기준 등 (제17조 제2항 관련)
[해설작성자 : yul]

49. 철강생산 공정 중 온실가스의 직접배출(scope1)이 일어나지 않은 공정은?(2016년 05월)
     1. 연주공정
     2. 고로공정
     3. 제강공정
     4. 소결공정

     정답 : []
     정답률 : 50%

50. 다음은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에 근거하여 이동연소(도로)에서 Tier 3 산정방법론을 적용하여 CH4 및 N2O 배출량 산정시 요구되는 활동자료에 관한 설명이다.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2018년 09월)

    

     1. 주행거리
     2. 연료소비량
     3. 운행횟수
     4. 차량대수

     정답 : []
     정답률 : 61%

51.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운영을 위한 검증지침상 검증기관의 지정, 관리, 준수사항과 관련된 사항으로 옳지 않는 것은?(2019년 09월)
     1. 검증기관 지정의 유효기간은 지정일로부터 3년이다.
     2. 검증기관은 지정 유효기간 이후에 재지정을 받고자 할 경우 지정기간 만료일 이전 3개월 전까지 검증기관 재지정 신청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3. 검증기관은 검증업무 수행내역 등 자료를 5년 이상 보관하여야 한다.
     4. 검증기관은 반기별 검증업무 수행내역을 작성하여 매 반기 종료일로부터 10일 이내에 국립환경과학원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30일 이내
[해설작성자 : 탄소중립]

52.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온실가스 측정 불확도 산정절차를 4단계로 구분할 때, 다음 중 2단계에 해당하는 것은?(2020년 09월)
     1. 매개변수 분류 및 검토, 불확도 평가 대상 파악
     2. 활동자료, 배출계수 등의 매개변수에 대한 불확도 산정
     3. 배출시설별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상대불확도 산정
     4. 불확도 평가 체계 수립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순서
1. 매개변수 분류 및 검토, 불확도 평가 대상 파악
2. 활동자료, 배출계수 등의 매개변수에 대한 불확도 산정
3. 배출시설 별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상대불확도 산정
4. 불확도 평가체계수립
[해설작성자 : 함냐함냐]

53.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제 하에서 관리업체 A의기체연료 고정연소시설 배출량이 621,000톤으로 산정되었다고 하면 온실가스 배출량 선정 방법론에 대한 최소 산정등급은?(2014년 09월)
     1. Tier 1
     2. Tier 2
     3. Tier 3
     4. Tier 4

     정답 : []
     정답률 : 67%

54.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제 하에서 온실가스 배출량 등의 산정정차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5년 09월)
     1. 조직 경계의 설정
     2. 모니터링 유형 및 방법의 설정
     3. 배출량 산정 및 모니터링 체계의 구축
     4. 목표설정

     정답 : []
     정답률 : 83%

55.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Tier 1A 방법에 따른 아연 생산공정의 보고대상 온실가스 배출량(tCO2)은?(단, 생산된 아연의 양 2000톤, 아연생산량당 기본배출계수 1.72tCO2/t, 건식야금법에 대한 아연생산량당 배출계수 0.43tCO2/t, Waelz Kiln과정에 대한 아연생산량당 배출계수 3.66tCO2/t)(2017년 09월)
     1. 860
     2. 3440
     3. 7320
     4. 11620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2000 t x 1.72 tCO2/t = 34000 tCO2
[해설작성자 : ensignys]

56.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아디프산 생산량이 320t일 때(감축기술은 촉매분해방법 적용), 발생되는 온실가스 배출량(tCO2-eq)은?(2019년 04월)

    

     1. 3458.07
     2. 3874.92
     3. 4338.02
     4. 5260.08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300(kgN2o/t-아디프산)*320(t-아디프산)*(1-0.925*0.89)*10^(-3) = 16.968
N2O는 310tCO2-eq이므로, 16.968*310 = 5260.08tCO2-eq

57.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운영을 위한 검증지침에서 리스크 분석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검증팀은 피검증자에 의해 발생하는 리스크를 평가한다.
     2. 피검증자에 의해 발생하는 리스크에는 고유리스크와 통제리스크가 있다.
     3. 검증팀의 검증과정에서 검출리스크가 발생한다.
     4. 통제리스크는 검증대상의 업종 특성에 따른 리스크이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4. 고유리스크에 대한 설명
[해설작성자 : 합격가자]

58.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제 하에서 운영경계 설정 시 운영경계 구분에서 다음 중 Scope2에 해당하는 사항은?(2021년 09월)
     1. 외부에서 구매한 전기 또는 열
     2. 고정연소 배출원
     3. 이동연소 배출원
     4. 하ㆍ폐수 처리시설 배출원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Scope1: 기업이 직접 배출하는 고정연소, 이동연소, 고정배출
Scope2: 외부에서 구매한 전기 또는 열(스팀)
Scope3: 상하폐수처리와 같은 간접 배출원
[해설작성자 : 레알닭알]

59.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에 따른 배출활동별 온실가스 배출량 등의 세부산정방법 및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5월)
     1. 세부적인 온실가스 흡수량 등의 산정방법이 제시되지 않은 배출활동은 관리업체가 자체적으로 산정방법을 개발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여야 한다.
     2. 석유제품의 기체연료에 대해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모든 조건은 0℃ 1기압 상태의 체적과 관련된 활동자료를 적용한다.
     3. 액체연료는 20℃를 기준으로 한 체적을 적용한다.
     4. 사업장 고유 배출계수 개발 시, 활동자료 측정주기와 동 활동자료에 대한 조성분석주기를 기준으로 가중평균을 적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액체 연료는 15℃ 기준
[해설작성자 : 외롭다람쥐]

60.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령상 다음 중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2020년 09월)

    

     1. 1년
     2. 3년
     3. 4년
     4. 5년

     정답 : []
     정답률 : 81%

4과목 : 온실가스 감축관리


61. 감축프로젝트를 기획하고자 하는 A회사가 100tCO2-eq의 감축의무 달성을 위해 내부적으로 가능한 감축프로젝트를 조사한 결과, 총 1,000,000원이 소요되는 A1 투자안이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투자를 통해 감축되는 온실가스는 총 100tCO2-eq이며, 에너지 및 생산효율 증가로 인해 총 100,000원의 별도수익이 예상된다. 한편 배출거래제도 하에서 배출권 가격은 10,000원/tCO2-eq에 형성되었다고 할 때 A회사의 단위당 (가)감축단가와, (나)해당사업성 검토(타당성)가 가장 적합하게 짝지어진 것은? (단, 배출권 가격변동 등에 대한 기타사항은 고려하지 않는다.)(2015년 05월)
     1. (가) 9,000원/tCO2-eq, (나) 사업 기각
     2. (가) 9,000원/tCO2-eq, (나) 사업 수행
     3. (가) 10,000원/tCO2-eq, (나) 사업 기각
     4. (가) 10,000원/tCO2-eq, (나) 사업 수행

     정답 : []
     정답률 : 62%

62. A업체는 2016년도에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의 관리업체로 최초 지정되었다. 이 경우 동 업체의 목표관리를 위한 기준연도 선정기준으로 옳은 것은?(2021년 05월)
     1. 2015년도
     2. 2013 ~ 2015년도
     3. 2011 ~ 2015년도
     4. 2006 ~ 2015년도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배출시설 규모 최초 결정 이후 매년 1월1일 기준으로 최근에 제출된 명세서의 해당 시설 온실가스 배출랴에 따라 시설규모를 결정하며 최근 3년간 평균 자료 활용
[해설작성자 : 승짱]

제24조(기준연도 배출량) ① 목표관리를 위한 기준연도는 관리업체가 지정된 연도의 직전 3개년으로 하며, 이 기간의 연평균 온실가스 배출량을 기준연도 배출량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JS]

63. 온실가스 감축기술 및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5월)
     1. 공정에서 사용되는 온실가스를 비온실가스 또는 지구온난화지수(GWP)가 낮은 물질로 대체하는 것은 '직접 감축방법'이다.
     2. 외부로부터 탄소배출권을 구매하는 탄소상쇄는 '간접 감축방법'이다.
     3. 온실가스 배출이 높은 공정을 배출이 적은 공정으로 대체하는 것은 '직접 감축방법'이다.
     4. 신재생에너지를 도입 적요하여 배출원의 온실가스 배출을 상쇄하는 방법은 '직접 감축방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신재생에너지를 도입적용하여 배출원의 온실가스 배출을 상쇄하는 방법은 간접 감축방법에 해당된다.
[해설작성자 : 탄소중립]

64. 다음 중 기후변화협약 교토의정서에 의한 청정개발 체제(CDM) 사업을 등록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절차가 아닌 것은?(2015년 09월)
     1. 사업 타당성 확인
     2. 사업 유치국의 정부 승인
     3. CERs 발생
     4. 사업계획서 작성

     정답 : []
     정답률 : 70%

65. 고온형 연료전지에 해당하는 것은?(2020년 09월)
     1.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
     2.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3. 알칼리 연료전지
     4.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PEMFC 60~80°C 저온형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 DMFC 60~130°C 저온형
알칼리 연료전지                 AFC         60~250°C 저온~중온형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MCFC 600~700°C 고온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SOFC 700~1,000°C 고온형
[해설작성자 : JHPP]

66. 온실가스 배출량 등의 산정 결과와 관련하여 정량된 양을 합리적으로 추정한 값의 분산특성을 나타내는 정도를 의미하는 것은?(2021년 09월)
     1. 정확도
     2. 정밀도
     3. 분산특성
     4. 불확도

     정답 : []
     정답률 : 83%

67.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에 따라 부문별 관장기관이 조기감출실적 평가할 때 고려대상과 거리가 먼 것은?(2016년 10월)
     1. 조기행동의 추가성
     2. 조기행동의 실제성
     3. 조기행동의 따른 감축효과의 지속성
     4. 조기행동의 자율성

     정답 : []
     정답률 : 65%

68. CDM사업 추진시 사업 참가자들(PPs)과 계약을 통해 타당성 평가 및 검,인증을 수행하는 CDM관련기관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4년 09월)
     1. DOE
     2. DNA
     3. MOP
     4. EA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DOE(Designated Operational Entity) : UNFCCC CDM 집행위원회(EB)에서 지정하는 국제 공인 CDM 검인증기관으로 CDM사업 계획의 타당성확인, 사업에 의한 감축실적 검증을 수행
정답 : 1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9. 할당대상업체의 조직경계 외부의 배출시설에서 국제적 기준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흡수·제거하는 사업을 무엇이라고 하는가?(2022년 04월)
     1. 외부사업
     2. 공정사업
     3. 경계사업
     4. 상쇄사업

     정답 : []
     정답률 : 65%

70. A 철강회사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주 연료로 사용되는 경유를 프로판으로 대체하였다. 경유 100,000kL를프로판 50,000kL로 대체할 경우 약 몇 tCO2-eq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하였는가?(2017년 05월)

    

     1. 약 152,000
     2. 약 162,000
     3. 약 172,000
     4. 약 182,000

     정답 : []
     정답률 : 50%

71. 다음에서 설명하는 모니터링 보고서 작성원칙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8년 09월)

    

     1. 일관성
     2. 보수성
     3. 투명성
     4. 완전성

     정답 : []
     정답률 : 86%

72. CDM 사업은 조림 및 재조림 등을 통해 온실가스를 흡수하는 사업도 포함하고 있다. 흡수원의 범위와 관계가 먼 것은?(2021년 09월)
     1. 조림 규모는 나무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통상 300 ~ 1000ha 정도
     2. 재조림 사업은 1990년 이전에 산림이 아닌 토지를 산림으로 전환하는 사업
     3. 조림 CDM 사업은 50년간 산림이거나 산림이 아닌 토지를 산림으로 전환하는 사업
     4. 소규모 조림, 재조림 CDM 사업은 CDM 사업유치국에서 연간 8000ton 이하를 순흡수하는 사업에 적용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신규조림 CDM 사업은 50년 간 산림이 아니던 토지를 산림으로 전환하는 사업을 말하며, 재조림 CDM 사업은 1990년 이전에 산림이 아닌 토지를 산림으로 전환하는 사업을 말한다.
(출처 : 한국에너지공단 CDM인증센터)
[해설작성자 : JS]

73. 공사시행 시 장비투입에 따른 경유를 사용할 경우 온실가스 총 배출량(tCO2-eq)을 구하면 약 얼마인가?(2017년 09월)

    

     1. 6.2
     2. 620
     3. 6200
     4. 6200000

     정답 : []
     정답률 : 59%

74.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조기감축실적 인정기준으로 옳지 않는 것은?(2017년 09월)
     1. 조기감축실적은 국내ㆍ외에서 실시한 행동에 의한 감축분에 대하여 그 실적을 인정한다.
     2. 조기감축실적은 할당대상업체의 조직경계 안에서 발생한 것에 한하여 그 실적을 인정한다.
     3. 조기감축실적은 할당대상업체 단위에서의 감축분 또는 사업단위에서의 감축분에 대하여인정할 수 있다.
     4. 조기감축실적으로 인정되기 위해서는 조기행동으로 인한 감축이 실제적이고 지속적이어야 하며, 정량화되어야 하고 검증 가능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국내에서 실시한것만 인정 (국외X)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5. 폐기물 에너지 및 기술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2015년 09월)
     1. SRF는 가연성 고체폐기물을 성형하여 제조한 고체 연료이다.
     2. 폐기물 열분해는 무산소 환원반응이다.
     3. 화석 연료의 사용을 줄임으로써 온실가스 배출 감축에 기여한다.
     4. 에너지화 과정에서 2차 오염물질 발생이 없다.

     정답 : []
     정답률 : 86%

76. CDM 사업자는 일정기간 동안 사업에 의한 감축활동을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를 모니터링 보고서로 정리ㆍ작성하여 DOE에게 검증을 의뢰하는데, DOE가 해야 할 CDM 모니터링 보고서 검증업무 수행 절차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8년 04월)
     1. 시정조치 → 문서검토 → 현장심사 → 검증보고서 작성
     2. 현장심사 → 문서검토 → 시정조치 → 검증보고서 작성
     3. 문서검토 → 현장심사 → 검증보고서 작성 → 시정조치
     4. 문서검토 → 현장심사 → 시정조치 → 검증보고서 작성

     정답 : []
     정답률 : 56%

77. 바이오에너지의 특징으로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4월)
     1. 열에너지, 전기에너지, 직접 연료 등 다양한 형태로의 사용이 가능하다.
     2. 그 자체로도 저장성은 용이하지 않으며, 다른 에너지 형태로 전환되더라도 저장은 어렵다.
     3. 청정연료에 해당한다.
     4. 재생가능한 에너지원에 해당한다.

     정답 : []
     정답률 : 82%

78. 온실가스 감축 이행계획 작성 및 이행관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온실가스 감축 이행계획에는 배출시설의 현황과 배출량 산정을 위한 활동도를 계량하는 계측정보를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2. 조직경계의 변경 및 배출시설 변경사항 및 계획에 관해서는 즉시 보고가 가능해야 하고, 실제 관리조직과 연계하여 업무를 배정하도록 하며, 조직개편 등에 의해 사업장 및 배출시설이 사업장 간에 이동되어야 하므로 지역별로 별도의 관리는 요구되지 않는다.
     3. 공정도 및 모니터링 포인트는 조직의 주요 활동을 중심으로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 보고에 활용이 되는 주요 공정 및 모니터링 포인트를 병기할 수 있어야 한다.
     4. 배출시설별 감축 이행계획은 배출시설별 적용 가능한 감축 아이템을 선정하고, 감축효과 및 절감액, 투자계획 등을 수립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79. 온실가스 목표관리제의 기준년도 배출량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21년 05월)
     1. 기준연도는 관리업체가 최초로 지정된 연도의 직전 3개년으로 한다.
     2. 기준연도 기간 중 신⋅증설이 발생한 경우 해당 신⋅증설 시설의 기준연도 배출량은 최근 2개년 평균 또는 단년도 배출량으로 정할 수 있다.
     3. 관리업체의 최근 3개년 배출량 자료가 없는 경우에는 활용 가능한 최근 2개년 평균 또는 단년도 배출량을 기준연도 배출량으로 정할 수 있다.
     4. 기준년도 기간의 월평균 온실가스 배출량을 기준연도 배출량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52%

80.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에 관한 기술 구분 중 이산화탄소 포집(연소후 포집)기술과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9월)
     1. 습식 아민 기술
     2. 백금 촉매 기술
     3. 분리막 기술
     4. 암모니아 기술

     정답 : []
     정답률 : 48%

81.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관리업체의 소관 관장기관 분류 중 “해양ㆍ수산ㆍ해운ㆍ항만 분야”가 해당하는 곳은?(2019년 04월)
     1. 국토교통부
     2. 해양수산부
     3. 산업통상자원부
     4. 환경부

     정답 : []
     정답률 : 83%

82.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상 저탄소 녹색성장 실현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책무와 거리가 먼 것은?(2020년 09월)
     1. 각종 정책을 수립할 때 경제와 환경의 조화로운 발전 및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 하며, 국제적인 기후변화대응 및 에너지·자원 개발협력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여야 한다.
     2. 지역주민에게 저탄소 녹색성장에 대한 교육과 홍보를 강화하여야 한다.
     3. 저탄소 녹색성장 대책을 수립·시행할 때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지역적 특성과 여건을 고려하여야 한다.
     4. 관할구역 내의 사업자, 주민 및 민간단체의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활동을 장려하기 위하여 정보제공, 재정지원 등 필요한 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83. 배출권 거래소의 업무가 아닌 것은?(2015년 09월)
     1. 배출권 거래시장의 개설ㆍ운영에 관한 업무
     2. 배출권 거래중개회사의 등록 취소에 관한 업무
     3. 배출권의 매매에 관한 업무
     4. 배출권의 경매 업무

     정답 : []
     정답률 : 92%

84.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령상 배출권 거래소의 업무가 아닌 것은?(2020년 09월)
     1. 배출권 거래시장의 개설·운영
     2. 배출권거래중개회사의 등록 취소에 관한 업무
     3. 배출권의 매매(경매를 포함한다.) 및 청산 결제
     4. 불공정거래에 관한 심리 및 회원의 감리

     정답 : []
     정답률 : 60%

85.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령상 할당대상업체가 인증받은 온실가스 배출량보다 제출한 배출권이 적은 경우 부족한 부분에 대해 부과할 수 있는 과징금 기준은?(2022년 04월)
     1. 이산화탄소 1톤당 10만원의 범위에서 해당 이행연도에 배출권 평균 시장가격의 3배 이하
     2. 이산화탄소 1톤당 10만원의 범위에서 해당 이행연도에 배출권 평균 시장가격의 2배 이하
     3. 이산화탄소 1톤당 5만원의 범위에서 해당 이행연도에 배출권 평균 시장가격의 3배 이하
     4. 이산화탄소 1톤당 5만원의 범위에서 해당 이행연도에 배출권 평균 시장가격의 2배 이하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제33조(과징금)
① 주무관청은 제27조에 따라 할당대상업체가 제출한 배출권이 제25조에 따라 인증한 온실가스 배출량보다 적은 경우에는 그 부족한 부분에 대하여 이산화탄소 1톤당 10만원의 범위에서 해당 이행연도의 배출권 평균 시장가격의 3배 이하의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요시]

86.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 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에 규정된 관리업체가 조기감축 실적을 인정받고자 할 때, 조기감축 실적 인정 신청서를 제출해야하는 시기는?(2016년 05월)
     1. 최초 지정된 해의 다음 연도 3월 31일까지
     2. 최초 지정된 해의 다음 연도 7월 31일까지
     3. 최초 지정된 해의 다음 연도 8월 31일까지
     4. 최초 지정된 해의 다음 연도 12월 31일까지

     정답 : []
     정답률 : 56%

87. 할당대상업체별 배출권 할당량을 결정할 때에 고려사항이 아닌 것은?(2015년 09월)
     1. 유상으로 할당하는 배출권의 비율
     2.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및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 목표
     3. 할당대상업체의 과거 온실가스 배출량 또는 기술수준
     4. 계획기간 중의 해당 업종 또는 할당대상업체의 예상성장률

     정답 : []
     정답률 : 67%

88.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시행령상 부문별 관장기관은 소관 부문별 전년도 온실가스정보 및 통계를 작성하여 언제까지 온실가스 종합정보센터에 제출하여야 하는가?(2017년 09월)
     1. 매년 1월 31까지
     2. 매년 3월 31까지
     3. 매년 6월 30까지
     4. 매년 12월 31까지

     정답 : []
     정답률 : 30%

89.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령상 배출권 할당위원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4월)
     1. 할당위원회는 위원장 1명과 20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2. 할당위원회에는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간사위원 2명을 둔다.
     3. 배출권 할당위원회의 회의는 재적위원 과반수의 출석으로 개의하고 출석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4. 배출권 할당위원회의 회의는 할당위원회의 위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거나 재적위원의 3분의 1 이상이 요구할 때 개최한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할당위원회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간사위원 1명을 둔다
[해설작성자 : Ice Breakers]

90. 온실가스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매개변수'에 관한 내용이 아닌 것은?(2022년 04월)
     1. 두 개 이상 변수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변수
     2.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는 데 필요한 탄소함량
     3.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는 데 필요한 불확도
     4.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는 데 필요한 발열량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매개변수"란 두 개 이상 변수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변수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는 데 필요한 활동자료, 배출계수, 발열량, 산화율, 탄소함량 등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JS]

91.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1차 계획기간에는 배출권의 전부를 무상으로 할당하고, 2차 계획기간에 할당대상업체별로 할당되는 배출권의 무상할당 비율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100분의 80
     2. 100분의 87
     3. 100분의 90
     4. 100분의 97

     정답 : []
     정답률 : 72%

92.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령상 온실가스 감축과 에너지 절약 및 에너지 이용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에 관한 총괄ㆍ조정기능을 수행하는 자는?(2017년 05월)
     1. 기획재정부장관
     2. 국무조정실장
     3. 환경부장관
     4.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정답 : []
     정답률 : 73%

93.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에 따라 배출량 등의 산정절차 중 ( ) 안에 알맞은 내용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2022년 04월)

    

     1. 배출활동의 확인·구분 → 배출활동별 배출량 산정방법론의 선택 → 배출량 산정 및 모니터링 체계의 구축 → 모니터링 유형 및 방법의 설정
     2. 배출활동별 배출량 산정방법론의 선택 → 모니터링 유형 및 방법의 설정 → 배출량 산정 및 모니터링 체계의 구축 → 배출활동의 확인·구분
     3. 배출활동별 배출량 산정방법론의 선택 → 배출량 산정 및 모니터링 체계의 구축 → 배출활동의 확인·구분 → 모니터링 유형 및 방법의 설정
     4. 배출활동의 확인·구분 → 모니터링 유형 및 방법의 설정 → 배출량 산정 및 모니터링 체계의 구축 → 배출활동별 배출량 산정방법론의 선택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① 관리업체는 온실가스 배출량의 산정과 관련하여 아래 각 호에 대해서는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이하 "배출량 인증지침"이라 한다)제8조, 제10조부터 제23조까지를 적용한다. 이 경우 "할당대상업체"는 "관리업체"로, "환경부장관"은 "부문별 관장기관"으로 본다.
1. 배출량 등의 산정절차
2. 조직경계 결정방법
3. 배출량 등의 산정방법 및 적용기준
4. 활동자료의 수집방법
5. 불확도 관리기준 및 방법
6. 배출계수 활용 및 개발
7. 연속측정방법에 따른 배출량 산정방법 및 기준
8. 바이오매스 등에 관한 사항
9. 적용 특례 등에 관한 사항
10. 모니터링 계획 작성 방법
11. 품질관리 및 보증
② 제1항에도 불구하고 배출량 등의 산정절차의 명세서 작성 서식에 관한 사항은 배출량 인증지침 제86조를 따른다.
③ 제1항에도 불구하고, 관리업체가 자체적으로 개발한 산정방법 및 배출계수 산정등급 3(Tier 3)에 따라 배출량 등을 산정할 경우에는 별표 5의 절차에 따라 부문별 관장기관으로부터 배출시설 또는 공정 단위의 산정방법 또는 고유 배출계수의 사용 가능 여부를 통보받은 후 사용해야 한다.

94.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령상 국가온실가스 감축 목표는 2030년의 국가 온실가스 총배출량을 2030년의 온실가스 배출 전망치 대비 얼마수준까지 감축하는 수준인가?(2016년 10월)
     1. 100분의 20
     2. 00분의 25
     3. 00분의 37
     4. 00분의 45

     정답 : []
     정답률 : 81%

95.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하에서 배출권거래제 할당 대상업체로 지정·고시하는 기준으로 옳은 것은?(2015년 05월)
     1. 관리업체 중 최근 3년간 온실가스 배출량의 연평균 총량이 100,000tCO2-eq 이상인 업체이거나 25,000tCO2-eq이상인 사업장의 해당 업체
     2. 관리업체 중 최근 3년간 온실가스 배출량의 연평균 총량이 125,000tCO2-eq 이상인 업체이거나 25,000tCO2-eq이상인 사업장의 해당 업체
     3. 관리업체 중 최근 3년간 온실가스 배출량의 연평균 총량이 1500,000tCO2-eq 이상인 업체이거나 25,000tCO2-eq이상인 사업장의 해당 업체
     4. 관리업체 중 최근 3년간 온실가스 배출량의 연평균 총량이 175,000tCO2-eq 이상인 업체이거나 25,000tCO2-eq이상인 사업장의 해당 업체

     정답 : []
     정답률 : 83%

96. 다음은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령상 2014년 1월 1일부터 적용되는 기준이다. ()안에 알맞은 것은?(2016년 10월)

    

     1. 50kiiotonnes CO2-rq 이상
㉡ 200terajoules 이상
     2. 87.5kiiotonnes CO2-rq 이상
㉡ 350terajoules 이상
     3. 125kiiotonnes CO2-rq 이상
㉡ 350terajoules 이상
     4. 125kiiotonnes CO2-rq 이상
㉡ 500terajoules 이상

     정답 : []
     정답률 : 79%

97.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상 정부가 저탄소 녹색성장을 촉진하기 위하여 수립ㆍ시행하여야 하는 금융 시책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7년 05월)
     1. 녹색경제 및 녹색산업의 지원 등을 위한 재원의 조성 및 자금 지원
     2. 저탄소 녹색성장을 지원하는 새로운 금융상품의 개발
     3.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기반시설 구축사업에 대한 민간투자 활성화
     4. 녹색경제 관련 정보의 수집ㆍ분석 및 제공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제58조(금융의 지원 및 활성화) ① 정부는 탄소중립 사회로의 이행과 녹색성장의 추진 등 기후위기 대응을 위하여 재원
조성, 자금 지원, 금융상품의 개발, 민간투자 활성화, 탄소중립 관련 정보 공시제도 강화, 탄소시장 거래 활성화 등을
포함하는 금융 시책을 수립ㆍ시행하여야 한다.
② 제1항에 따른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금융의 촉진에 관한 사항은 따로 법률로 정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8. 녹색성장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9월)
     1. 위원장은 국무총리가 지면하는 사람이 된다.
     2. 위원의 임기는 1년으로 하되, 연임할 수 있다.
     3. 위원장 2명을 포함한 50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4. 위원장은 각자 위원회를 대표하며, 위원회의 업무를 총괄한다.

     정답 : []
     정답률 : 51%

99.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관리업체의 부문별 관장기관 구분 중 산업ㆍ발전 분야의 관장기관은?(2018년 09월)
     1. 산업통상자원부
     2. 환경부
     3. 국토교통부
     4. 기획재정부

     정답 : []
     정답률 : 81%

100. 온실가스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기존 배출시설의 예상배출량 산정방법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2022년 04월)
     1. 기준연도 배출시설 배출량의 선형 증감 추세
     2. 기준연도 배출시설 배출양의 증감률
     3. 국제 연평균 온실가스 배출량의 증감 추세
     4. 기준연도 배출시설의 단위 활동자료와 온실가스 배출량의 상관관계식을 이용한 배출량

     정답 : []
     정답률 : 62%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온실가스관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3967622)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온실가스관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3967622)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138 식물보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3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137 수능(화학I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10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136 전자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7월2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135 임상심리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9월2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134 잠수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4월02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2
133 환경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4월02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132 수능(지구과학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9월01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131 유기농업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3월30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130 기계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201753)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129 공유압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405435)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128 생산자동화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5월2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127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전자공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2464192)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126 컴퓨터활용능력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4241533)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2
125 TAT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12월0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124 화학분석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7월20일(4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123 전자부품장착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1977918)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122 화학분석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772651)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121 가스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8843955)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120 화약류관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9월0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Board Pagination Prev 1 ... 1171 1172 1173 1174 1175 1176 1177 1178 1179 1180 ... 1182 Next
/ 1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