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건설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965153)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건설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산업안전관리론


1. 재해 발생 건수 등의 추이를 파악하여 목표관리를 행하는데 필요한 월별 재해발생건수를 그래프화 하여 관리선을 설정 관리하는 통계분석방법은?(2018년 09월)
     1. 파레토도
     2. 특성요인도
     3. 크로스도
     4. 관리도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파레토도 : 재해 분류 항목을 큰 순서대로 도표화
특성요인도 : 특성과 요인관계를 어골상으로 세분화
크로스도(클로즈분석) : 2개 이상의 문제관계 분석 시 요인별 결과 내역을 크로스하여 분석
관리도 : 월별 재해 발생 수를 그래프화하여 관리선을 설정 관리
[해설작성자 : 맑갑]

2. 다음 중 무재해 이념의 기본 3원칙이 아닌 것은?(2008년 09월)
     1. 무의 원칙
     2. 참가의 원칙
     3. 선취 해결의 원칙
     4. 통제의 원칙

     정답 : []
     정답률 : 83%

3.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정하는 안전보건총괄책임자 지정 대상 사업장이 아닌 것은?(2009년 03월)
     1. 상시근로자가 75명인 신발제조업
     2. 상시근로자가 75명인 제1차 금속산업
     3. 상시근로자가 75명인 선박 및 보트 건조업
     4. 수급인 및 하수급인의 공사금액을 포함한 당해 공사의 총공사 금액이 50억원인 건설업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안전보건총괄책임자
- 관계수급인 포함 상시근로자 100명 이상(선박 및 보트 건조업, 1차 금속 제조업 및 토사석 광업 50명)인 사업
- 관계수급인 포함 공사금액 20억원 이상인 건설업
[해설작성자 : 행복한쌀알이]

4. 재해사례연구의 진행단계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재해상황의 파악 → 사실의 확인 → 문제점의 발견 → 근본적 문제점의 결정 → 대책수립
     2. 재해상황의 파악 → 문제점의 발견 → 근본적 문제점의 결정 → 사실의 확인 → 대책수립
     3. 문제점의 발견 → 재해상황의 파악 → 근본적 문제점의 결정 → 사실의 확인 → 대책수립
     4. 문제점의 발견 → 재해상황의 파악 → 사실의 확인 → 근본적 문제점의 결정 → 대책수립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재해사례연규의 진행단계
전제조건 : 재해상황의 파악
1단계 : 사실의 확인
2단계 : 문제점의 발견
3단계 : 근본적 문제점의 결정
4단계 : 대책수립

5.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관리책임자의 업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08년 05월)
     1. 산업재해예방계획의 수립에 관한 사항
     2. 산업재해에 관한 통계의 기록 유지에 관한 사항
     3. 산업재해의 원인조사 및 재발방지대책의 수립에 관한 사항
     4. 근로자의 건강장해의 원인조사와 재발 방지를 위한 의학적인 조치

     정답 : []
     정답률 : 75%

6. 다음 중 재해조사의 주된 목적을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2013년 06월)
     1. 직접적인 원인을 조사하기 위함이다.
     2. 동일 업종의 산업재해 통계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3. 동종 또는 유사재해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4. 해당 사업장의 안전관리 계획을 수립하기 위함이다.

     정답 : []
     정답률 : 84%

7.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검사 대상 유해ㆍ위험기계등이 아닌 것은?(2018년 04월)
     1. 리프트
     2. 전단기
     3. 압력용기
     4. 밀폐형 구조 롤러기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안전검사 대상 유해/위험기계
1.프레스 2.전단기 3.크레인(이동식 크레인 및 2T미만 호이스트 제외) 4.리프트 5.압력용기 6.곤돌라 7.국소배기장치(이동식제외) 8.원심기(산업용으로 한정) 9.화학설비 및 그 부속설비 10.건조설비 및 그 부속설비 11.롤러기(밀폐형 구조 제외) 12.사출성형기(형체결력 294KN미만 제외)

8. A사업장에서 무상해, 무사고 위험순간이 300건 발생하였다면 버드(Frank Bird)의 재해구성 비율에 따르면 경상은 몇 건이 발생하겠는가?(2017년 05월)
     1. 5
     2. 10
     3. 15
     4. 20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10:30:600
[해설작성자 : 김현웅]

버드 재해구성 비율이론
1 : 10 :30 : 600
1 : 상해, 질병, 중상, 폐질
10 : 경상
30 : 무상해 사고
600 : 무상해, 무사고
기준이며 무상해 무사고가 300이면 >>0.5 : 5 : 15 : 300 의 비율
[해설작성자 : 학생]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답 2번
1:10:30:600

경상 1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버드의 재해발생비율 1:10:30:600 = 중상:경상(물적,인적):무상해 사고(물적):무상해 사고
무상해, 무사고 위험순간이 300건이면
1:10:30:600 -> 0.5:5:15:300 이 되므로, 경상은 5건

9. 직계(Line)형 안전조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8월)
     1. 명령과 보고가 간단명료하다.
     2. 안전정보의 수집이 빠르고 전문적이다.
     3. 안전업무가 생산현장 라인을 통하여 시행된다.
     4. 각종 지시 및 조치사항이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2번 스태프
[해설작성자 : 한번]

[라인형 안전조직]
1.장점
- 안전에 관한 명령과 지시는 생산 라인을 통해 신속, 정확히 전달 실시된다.
- 중소 규모 기업에 활용됨.
2.단점
- 안전 전문 입안에 되어 있지 않아 내용이 빈약
- 안전의 정보가 불충분하다.
[해설작성자 : LIMITLESSYOLO]

10. 산업안전보건법상 공기압축기를 가동하는 때의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의 점검내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6년 10월)
     1. 윤활유의 상태
     2. 압력방출장치의 기능
     3. 회전부의 덮개 또는 울
     4. 비상정지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공기압축기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
- 공기저장 압력용기의 외관상태
- 드레인밸브의 조작 및 배수
- 압력 방출장치의 기능
- 언로드밸브의 기능
- 윤활유 상태
- 회전부의 덮개 또는 울
- 그 밖의 연결부위의 이상유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비상정지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는 산업용 로봇의 작업시작 전 점검 사항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ㅇㅇㅈ]

11. 연간국내공사실적액이 50억원이고, 건설업평균임금이 250만원이며, 노무비율은 0.06인 사업장에서 산출한 상시 근로자수는 얼마인가?(2014년 05월)
     1. 5
     2. 10
     3. 20
     4. 30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50억워×0.06/{(250만원÷24일)×12×24}=10명
[해설작성자 : 기쁨베베]

상시 근로자 수 = (연간 국내공사 실적액 × 노무비율) / (건설업 월평균임금 × 12)
                             = 50억 ×0.06 / 250만 × 12
[해설작성자 : .]

12. 자율안전확인대상 보호구 중 안전모의 시험성능기준항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09년 03월)
     1. 난연성
     2. 내관통성
     3. 내전압성
     4. 턱끈풀림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답 오류 신고
정답이 "3.내전압성"으로 되어있는데 "4.턱끈풀림"이 정답임.
안전모의 시험성능기준항목 : 내관통성, 충격흡수성, 내전압성, 내수성, 난연성
[해설작성자 : 가딘]

[추가 오류 신고]
한솔아카데미/2021 건설안전기사4주완성(필기)/저자:생략
챕트04 보호구 (128 page) 내용 발췌

안전모의 시험성능 기준
내관통성 : AE, ABE종 안전모는 관통거리가 9.5mm... 생략
충격흡수성 : 최고전달충격력이 4,450N을 초과해서는 안되며... 생략
내전압성 : AE, ABE종 안전모는 교류240kV... 생략
내수성 : AE, ABE종 안전모는 질량증가율이 1% 미만이어야 한다.
난연성 : 모체가 불꽃을 내며 5초 이상 연소되지 않아야 한다.
턱끈풀림 : 150N 이상 250N 이하에서 턱끈이 풀려야 한다.

#시험성능 항목 주의!#
AE, ABE종 안전모에만 해당하는 시험성능 항목은 내관통성, 내전압성, 내수성 시험이 있다는 부분을 주의하자.

결론, 지문 혹은 보기에 오류가 있는것 같습니다.
지문에 AE, ABE종 이라는 글이 있다면 4번이 정답.
지문에 AE, ABE종 이라는 글이 없으므로 정답없음.

*16년 4회 시험
안전모의 성능시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정답 4번
1.내수성 시험 / 2.내전압성 시험 / 3.난연성시험 / 4.압박시험
[해설작성자 : 합격 하셨습니다.]

[오류신고 반론]
일반적으로 시험성능시험은 모두 맞으나 자율안전확인대상보호구는 내전압성은 제외임 답은 3번
[해설작성자 : 조한근]

13. 연평균 근로자수가 200인 사업장에서 지난 1년간 5명의 사상자가 발생하였다면 이 사업장의 연천인율은?(2008년 05월)
     1. 20
     2. 25
     3. 28
     4. 30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연천인율=(재해자수/연근로자수)*1000
따라서 (5/200)*1000=25
[해설작성자 : 이생틀]

14. 시몬즈(Simonds)의 재해 코스트 계산방식에 있어 비보험 코스트 항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0년 03월)
     1. 사망재해 건수
     2. 통원상해 건수
     3. 응급조치 건수
     4. 무상해 사고 건수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시몬즈 방식 재해 손실비의 비보험 코스트

1. 휴업 상해 2. 통원 상해 3. 응급조치 상해 4. 무상해 사고
[해설작성자 : 료미]

15. 안전관리 기본조직 중 라인 및 스텝 조직의 특성이 아닌 것은?(2005년 09월)
     1. 대규모 사업장에 적합한 조직이다.
     2. 생산기능과 협조가 잘 이루어진다.
     3. 특별한 사업장에만 적용된다.
     4. 라인 각 계층에 안전업무를 겸임하도록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6%

16. 에너지 저촉형태로 분류한 사고유형 중 에너지가 폭주하여 일어나는 유형에 해당하는 것은?(2016년 10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1: 에너지의 활동영역에 사람이 침범한 경우
2: 사람과 물체, 물체와 물체가 충돌한 유형
4: 대기 중의 에너지에 사람이 노출된 유형
[해설작성자 : ㅎㄷ]

17. 다음 중 하베이(Harvery)의 3E 와 관련이 가장 먼 것은?(2008년 05월)
     1. 감독(Enforcement)
     2. 기술(Engineering)
     3. 비용(Economic)
     4. 교육(Education)

     정답 : []
     정답률 : 74%

18. 근로자가 운반작업 중 2층 계단에서 미끄러져 계단을 따라 아래로 떨어져서 바닥에 머리를 다쳤다. 재해 형태와 가해물 및 기인물로 맞는 것은?(2005년 09월)
     1. 추락재해, 가해물은 계단, 기인물은 바닥
     2. 낙하재해, 가해물은 바닥, 기인물은 계단
     3. 비례재해, 가해물은 운반짐, 기인물은 계단
     4. 전도 ㆍ전락재해, 가해물은 바닥, 기인물은 계단

     정답 : []
     정답률 : 47%

19.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안전보건개선계획을 수립 ㆍ시행하여야 하는 사업장에서 안전보건계획서를 작성할 때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3월)
     1. 시설의 개선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
     2. 안전ㆍ보건교육의 개선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
     3. 복지정책의 개선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
     4. 작업환경의 개선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

     정답 : []
     정답률 : 81%

20.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심의 또는 의결사항이 아닌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09년 05월)
     1. 산업재해예방계획의 수립에 관한 사항
     2. 근로자의 건강진단 등 건강관리에 관한 사항
     3. 산업재해에 관한 통계의 기록ㆍ유지에 관한 사항
     4. 중대재해의 원인조사 및 재발방지대책의 수립에 관한 사항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답 4번 입니다.
[해설작성자 : 신우석]

[추가 오류 신고]

산업재해 예방계획 수립,
안전보건관리 규정 작성 및 변경,
근로자의 안전‧보건교육,
작업환경 측정등 작업환경의 점검 및 개선,
근로자의 건강진단등 건강관리
산업재해의 원인조사 및 재발방지대책 수립,
산업재해에 관한 통계의 기록 및 유지,
유해하거나 위험한 기계‧기구와 그 밖의 설비를 도입한 경우 안전‧보건조치
[해설작성자 : 학생]

[추가 오류 신고]

전부다정답임

2과목 : 산업심리 및 교육


21. 다음 중 생활하고 있는 현실적인 장면에서 해결방법을 찾아내는 것으로 지식, 기능, 태도, 기술 등을 종합적으로 획득하도록 하는 학습방법은?(2012년 05월)
     1. 문제법(Problem Method)
     2. 롤 플레잉(Role Playing)
     3. 버즈 세션(Buzz Session)
     4. 케이슨 메소드(Case Method)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답이 잘못 기록되 있는거 같습니다.
-버즈 세션(6-6회) : 현실적 장면에서 해결방안을 찾아내는 것으로 지식, 기능, 태도, 기술 등을 종합적으로 회득하도록 하는 학습 방법
정답은 3번
[해설작성자 : 학생]

[추가 오류 신고]
정답은 3번
[해설작성자 : 학생]

[추가 오류 신고]
[정답오류] 1번 문제법:동물의 학습능력이나 지능수준을 시험할때 사용하며, 일정한 과제를 부여하고 그것을 해결하는 능력이나 방식을 관찰하는 방법.
그러므로 정답은 3번 버즈세션이 맞는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카우보이]

[오류신고 반론]
전체구성원을 4-6명의 소그룹으로 나누고 각각의 소그룹이 개별적인 토의를 벌인 뒤 각 그룹의 결론을 패널형식으로 토론하고 최후의 리더가 전체적인 결론을 내리는 토의법이다. 최고 50명 정도가 이 회의에 참가할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버즈세션 [buzz session] (사회복지학사전, 2009. 8. 15., 이철수)
[해설작성자 : 갸우띵]

[오류신고 반론]
1번 문제법( 문제해결법 )이 맞습니다 Problem Method로 검색해보시면 찾아보실수 있고 버즈세션이면 그룹으로 나눈다는 내용이 지문에 추가되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다들 yes라 할때 난 no라 했다]

[오류신고 반론]
1번 문제법(Problem Method): 새로운 문제에 당명했을 때 그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학습법
- 현실적 장면에서 새로운 문제에 당명했을때 해결방법을 찾아내는법인거 같아 답은 1번이 맞는거 같습니다
- 교육방법에 종류 : 문제법
- 토의식 교육법에 종류 : 롤플레잉(역할연기), 버즈세션(6-6회의), 케이슨 메소드(사례연구법)
[해설작성자 : 산안기 실기 떨어지고 건안기로 갈아탄 1인]

[오류신고 반론]
* 교재 건설안전기사 필기 / 세화 / 정재수 저
답 : 문제법
해설 : '문제해결법'은 학생이 생활하고 있는 현실적인 장면에서 당면하는 여러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과정중 지식, 태도, 기술, 기능 등을 조합적으로 획득하도록 하는 학습방법
[해설작성자 : 축합격]

22. 다음 중 새로운 자료나 교재를 제시하고, 거기에서의 문제점을 피교육자로 하여금 제기하게 하거나, 의견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발표하게 하고, 다시 깊게 파고 들어서 토의하는 방법은?(2015년 09월)
     1. 포럼(Forum)
     2. 심포지엄(Symposium)
     3. 버즈세션(Buzz Session)
     4. 패널 디스커션(Panel Discussion)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공개토론회'라고도 한다.

23. 관리 그리도이론에 따른 리더십의 유형 중 능률만 중시하고 인간관계는 낮은 리더십의 유형은?(2011년 10월)
     1. 무기력형
     2. 무관심형
     3. 과업형
     4. 이상형

     정답 : []
     정답률 : 79%

24. 다음 중 ATT(American Telephone & Telegram) 교육훈련 기법의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1년 03월)
     1. 작업의 감독
     2. 사기앙양
     3. 고객관계
     4. 종업원의 향상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ATT훈련내용
1.작업의감독     2.고객관계     3.종업원의 향상     4.안전     5.계획적감독
6.인사관계        7.작업의 계획 및 인원배치
8.공구 및 자료보고 기록         9.개인작업의 개선
[해설작성자 : 뚀잉]

25. 다음 중 카운슬링(counseling)의 순서로 가장 올바른 것은?(2016년 03월)
     1. 장면 구성 → 내담자와의 대화 → 감정 표출 → 감정의 명확화 → 의견 재분석
     2. 장면 구성 → 내담자와의 대화 → 의견 재분석 → 감정 표출 → 감정의 명확화
     3. 내담자와의 대화 → 장면 구성 → 감정 표출 → 감정의 명확화 → 의견 재분석
     4. 내담자와의 대화 → 장면 구성 → 의견 재분석 → 감정 표출 → 감정의 명확화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장면구성-내담자와의 대화-의견 재분석-감정 표출-감정의 명확화
[해설작성자 : 재덕이치질ㅋ]

26. 다음 중 고립, 정신병, 자살 등이 속하는 사회행동의 기본 형태는?(2014년 03월)
     1. 협력
     2. 융합
     3. 대립
     4. 도피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도피적 기제: ① 고립 ②퇴행 ③억압 ④백일몽
방어적 기제: ① 보상 ②합리화 ③동일시 ④승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7. 직무와 관련한 정보를 직무명세서(job specification)와 직무기술서(job description)로 구분할 경우 직무기술서에 포함되어야 하는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0년 08월)
     1. 직무의 직종
     2. 수행되는 과업
     3. 직무수행 방법
     4. 작업자의 요구되는 능력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직무명세서 : 사람과 관련된 지식, 기술, 능력 등
직무기술서 : 직무에 관련된 과업, 업무, 책임 등
[해설작성자 : ㅇㅇ]

[직무기술서 포함사항]
1. 직무의 직종
2. 수행되는 과업
3. 직무수행 방법

[직무분석]
: 직무에 관한 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직무의 내용과 직무를 담당하는 자의 자격요건을 체계화하는 활동
- 직무를 구성하는 3요소
     1) 과업(task)
     2) 의무(duty)
     3) 책임(responsibility)
[해설작성자 : LIMITLESSYOLO]

28. 다음 중 성공한 지도자들의 특성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5월)
     1. 높은 성취 욕구를 가지고 있다.
     2. 실패에 대한 강한 예견과 두려움을 가지고 있다.
     3. 상사에 대한 강한 부정적 의식과 부하직원에 대한 관심이 크다.
     4. 부모로부터의 정서적 독립과 현실 지향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성공한 지도자들의 공통적으로 소유한 속성
1.업무수행능력
2.강한출세욕구
3.상사에 대한 긍정적태도
4.강력한 조직능력
5.원만한 사교성
6.판단능력
7.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8.매우 활동적이며 공격적인 도전
9.실패에 대한 두려움
[해설작성자 : 느티]

29. 다음 중 ATT(American Telephone & Telegram) 교육훈련기법의 내용이 아닌 것은?(2020년 08월)
     1. 인사관계
     2. 고객관계
     3. 회의의 주관
     4. 종업원의 향상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ATT 주요내용 : 인사관계, 고객관계, 종업원의 향상, 작업의 계획과 인원 배치, 계획적 감독 등
[해설작성자 : ㅇㅇ]

[ATT 교육내용]
1.계획적인감독
2.인원배치 및 작업의 계획
3.작업의 감독
4. 공구와 자료의 보고 및 기록
5.개인작업의 개선
6.인사관계
7.종업원의 기술향상
8.훈련
9.안전 등
[해설작성자 : LIMITLESSYOLO]

30. 교육훈련 지도방법의 4단계 순서로 맞는 것은?(2017년 09월)
     1. 도입 → 제시 → 적용 → 확인
     2. 제시 → 도입 → 적용 → 확인
     3. 적용 → 제시 → 도입 → 확인
     4. 도입 → 적용 → 확인 → 제시

     정답 : []
     정답률 : 68%

31. 그림과 같이 수직 평행인 세로의 선들이 평행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는 착시현상에 해당하는 것은?(2019년 09월)

    

     1. 죌러(Zöller)의 착시
     2. 쾰러(Köhler)의 착시
     3. 헤링(Hering)의 착시
     4. 포겐도르프(Poggendorf)의 착시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독일(또?)의 천체물리학자이자 심령(?)심리연구자 이기도 한 요한 칼 죌러(Johann Karl Friedrich Zöllner, 1834~1882)가 발견한착시현상 입니다.
오른쪽 아래로 향하는 사선은 모두 수평이지만 짧은 선의 영향으로 수평이 아닌 것처럼 보이죠. 뮌스터버그 착시랑 비슷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죌러의 착시 : 나란히 긴 직선이 빗금에 의해 나란해 보이지 않도록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한큐에가자]

32. 다음 중 데이비스(K. Davis)의 동기부여 이론에서 “능력(ability)”을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2020년 09월)
     1. 기능(skill)×태도(attitide)
     2. 지식(knowledge)×기능(skill)
     3. 상황(situation)×태도(attitude)
     4. 지식(knowledge)×상황(situation)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데이비스(K. Davis) 동기부여 이론]
① 능력 = 지식 × 기능
② 동기유발 = 상황 × 태도
③ 인간의 성과 = 능력 × 동기유발
④ 경영의 성과 = 인간의 성과 × 물질의 성과
[해설작성자 : David.T.Lee]

33. 다른 사람의 행동 양식이나 태도를 자기에게 투입하거나 그와 반대로 다른 사람 가운데서 자기의 행동 양식이나 태도와 비슷한 것을 발견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2018년 03월)
     1. 모방(Imitation)
     2. 투사(Projection)
     3. 암시(Suggestion)
     4. 동일시(Identification)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암시(suggestion) : 다른 사람으로부터의 판단이나 행동을 무비판적으로 받아 들이는 것
-모방(imitation) : 남의 행동이나 판단을 표본으로 하여 그것과 같거나 또는 그것이 가까운 행동 또는 판단을 취하는 것
-투사(projection) : 자기 속의 억압된 것을 다른 사람의 것으로 생각하는 것 (자신의 잘못에 대해서 조상탓으로 전가시키는 유형)
-동일화(identification) : 다른 사람의 행동양식이나 태도를 투입시키거나, 다른 사람 가운데서 자기와 비슷한 것을 발견/ 다른사람의 행동 양식이나 태도를 자기에게 투입하거나 그와 반대로 다른 사람 가운데서 자기의 행동양식이나 태도와 비슷한 것을 발견한는 것
[해설작성자 : 학생]

34. 인간의 행동 (B)는 인간의 조건(P)과 환경조건(E)과의 함수 관계를 갖는다. 즉 B=f(P·E)이다. 이 때 환경조건(E)를 가장 잘 나타낸 것은?(2006년 05월)
     1. 물리적 환경
     2. 심리적 환경
     3. 사회적 환경
     4. 심신 상태

     정답 : []
     정답률 : 43%

35. 허시(Hersey)와 브랜차드(Blanchard)의 상황적 리더십 이론에서 리더십의 4가지 유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1년 03월)
     1. 통제적 리더십
     2. 지시적 리더십
     3. 참여적 리더십
     4. 위임적 리더십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허시&블랜차드(Hersey&Blanchard)의 상황적 리더십 모델
1) 능력과 의지가 모두 낮은 경우(R1): 지시형 리더
2) 능력은 낮으나 의지가 높은 경우(R2): 설득형 리더
3) 능력은 높으나 의지가 낮은 경우(R3): 참여형 리더
4) 능력과 의지가 모두 높은 경우(R4): 위임형 리더
[해설작성자 : ns]

허쉬브랜챠드 위임형 / 참여형 / 설득형 / 지시형
허쉬브랜드초콜렛 // '위'기다 '참'지못할 '설'사 '지'사제 먹어!
허쉬브랜드 - 위 참 설 지
[해설작성자 : 진주곰]

36. 기술교육의 진행방법 중 듀이(John Dewey)의 5단계 사고 과정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3년 09월)
     1. 응용시킨다.(Application)
     2. 시사를 받는다.(Suggestion)
     3. 가설을 설정한다.(Hypothesis)
     4. 머리로 생각한다.(Intellectualization)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시사 - 머리(지식화) - 가설 - 추론 - 행동에 의한 가설 검토

[시사]는 [머리][가] [추][행]
[해설작성자 : 꽃미남종태]

37. 직무에 적합한 근로자를 위한 심리검사는 합리적 타당성을 갖추어야 한다. 다음 중 이러한 합리적 타당성을 얻는 방법으로만 나열된 것은?(2012년 09월)
     1. 구인 타당도, 내용 타당도
     2. 예언적 타당도, 공인 타당도
     3. 구인 타당도, 공인 타당도
     4. 예언적 타당도, 안면 타당도

     정답 : []
     정답률 : 71%

38. 착시현상 중에서 실제로는 움직이지 않는데도 움직이는 것처럼 느껴지는 심리적인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2007년 05월)
     1. 잔상
     2. 원근 착시
     3. 가현운동
     4. 침착성 및 도덕성의 결여

     정답 : []
     정답률 : 73%

39. 다음 중 프로그램 학습법(Programmed self-instruction method)의 장점이 아닌 것은?(2013년 03월)
     1. 학습자의 사회성을 높이는데 유리하다.
     2. 한 강사가 많은 수의 학습자를 지도할 수 있다.
     3. 지능, 학습적성, 학습속도 등 개인차를 충분히 고려할 수 있다
     4. 매 반응마다 피드백이 주어지기 때문에 학습자가 흥미를 갖는다.

     정답 : []
     정답률 : 65%

40.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내 안전ㆍ보건교육에 있어 특별안전ㆍ보건교육 대상 작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2년 09월)
     1. 굴착면의 높이가 5m 되는 암석의 굴착작업
     2. 흙막이 지보공의 보강 또는 동바리를 설치하거나 해체하는 작업
     3. 휴대용 목재가공기계를 3대 보유한 사업장에서 해당 기계로 하는 작업
     4. 5m인 구축물을 대상으로 콘크리트 파쇄기를 사용하여 하는 파쇄작업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목재가공기계 5대
[해설작성자 : 건안기]

3과목 :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41. 동작경제의 원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03월)
     1. 공구의 기능을 각각 분리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2. 두 팔의 동작은 동시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대칭적으로 움직이도록 한다.
     3. 공구나 재료는 작업동작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그 위치를 정해준다.
     4. 가능하다면 쉽고도 자연스러운 리듬이 작업동작에 생기도록 작업을 배치한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공구 및 설비 디자인의 원칙에서 공구의 기능을 결합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2. 장비나 설비의 설계에 응용하기 위한 인체측정치의 응용 원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08년 09월)
     1. 반응시간을 이용한 설계
     2. 극단치를 이용한 설계
     3. 조절식 설계
     4. 평균치를 기준으로 한 설계

     정답 : []
     정답률 : 59%

43. 다음 중 지브가 없는 크레인의 정격하중에 관한 정의로 옳은 것은?(2016년 05월)
     1. 짐을 싣고 상승할 수 있는 최대하중
     2. 크레인의 구조 및 재료에 따라 들어올릴수 있는 최대하중
     3. 권상하중에서 훅, 그랩 또는 버킷 등 달기구의 중량에 상당하는 하중을 뺀 하중
     4. 짐을 싣지 않고 상승할 수 있는 최대하중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크레인의 정격하중이란 크레인에서 지브가 없는 것은 인양하중에서 후크, 그래브 버킷 등의 인양용구의 중량을 제외한 것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밍크87]

지바를 갖지않는 크레인은 달아올리기 하중으로부터 훅, 버킷 등 달아올리기 기구의 중량에 상당하는 하중을 제한 하중이고
지브를 갖는 크레인은 구조 및 재료와 아울러 지브 혹은 붐의 경사각 및 길이 또는 지브 위에 놓이는 도르래의 위치에 따라부하시킬 수 있는 최대 하중으로부터 훅, 버킷 등의 달아올리기 기구 중량에 해당하는 하중을 제한 하중이다
[해설작성자 : 과연답은]

44. 시스템 안전분석에 이용되는 전형적인 정성적, 귀납적 분석방법으로서, 서식이 간단하고 비교적 적은노력으로 특별한 훈련없이 분석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법은?(2004년 03월)
     1. CA(criticality analysis)
     2. FMEA(failure modes and effects analysis)
     3. FTA(fault tree analysis)
     4. ETA(event tree analysis)

     정답 : []
     정답률 : 44%

45. 다음 중 화학설비에 대한 안전성 평가에서 정성적 평가 항목이 아닌 것은?(2008년 09월)
     1. 공장내의 배치
     2. 취급물질
     3. 건조물
     4. 입지조건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정량적 평가-화학설비의 취급물질,용량,온도,압력 및 조작
[해설작성자 : 꿈꾸는 딜레마]

46. 와이어로프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2016년 05월)
     1. 소선
     2. 클립
     3. 스트랜드
     4. 심강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다수의 오류 신고로 인하여 정답을 1번에서 2번으로 수정하였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와이어로프의 구성요소
소중한 와이프 스트레스로 심심
(소)선
(중)심
(와이)어로(프)
(스트)랜드
(심)
(심)강

47. 각 기본사상의 발생확률이 증감하는 경우 정상사상의 발생확률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가를 반영하는 지표로서 수리적으로는 편미분계수와 같은 의미를 갖는 FTA의 중요도 지수는?(2019년 09월)
     1. 확률 중요도
     2. 구조 중요도
     3. 치명 중요도
     4. 비구조 중요도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중요도란 기본사상의 발생이 정상사상의 발생에 어느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정량적으로 나타낸 지표이다.
재해예방 선정에서 우선순위를 제시한다.
확률중요도
치명중요도
구조중요도
[해설작성자 : 람쥐]

48. 다음 중 시스템 신뢰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5월)
     1. 시스템의 성공적 퍼포먼스를 확률로 나타낸 것이다.
     2. 각 부품이 동일한 신뢰도를 가질 경우 직렬 구조의 신뢰도는 병렬 구조에 비해 신뢰도가 낮다.
     3. 시스템이 병렬구조는 시스템의 어느 한 부품이 고장 나면 시스템이 고장나는 구조이다.
     4. n중 k구조는 n개의 부품으로 구성된 시스템에서 k개 이상의 부품이 작동하면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가동되는 구조이다.

     정답 : []
     정답률 : 69%

49. 작업환경에서 열교환에 영향을 주는 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6년 09월)
     1. 기습(humidity)
     2. 기온(temperature)
     3. 기류(air movement)
     4. 증발열(evaporation heat)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공기의 온열 조건의 4요소(열 교환에 영향을 주는 요소)
① 기온             ② 습도        ③ 복사온도     ④ 공기의 유동
[해설작성자 : satanjun]

50. 안전교육을 받지 못한 신입직원이 작업 중 전극을 반대로 끼우려고 시도했으나, 플러그의 모양이 반대로는 끼울 수 없도록 설계되어 있어서 사고를 예방할 수 있었다. 작업자가 범한 오류와 이와 같은 사고 예방을 위해 적용된 안전설계 원칙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8년 04월)
     1. 누락(omission) 오류, fail safe 설계원칙
     2. 누락(omission) 오류, fool proof 설계원칙
     3. 작위(commission) 오류, fail safe 설계원칙
     4. 작위(commission) 오류, fool proof 설계원칙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작위(commission) 오류 : 하긴 했는데 잘못 수행 한것
누락(omission) 오류 : 해야하는걸 안했을 경우
fail safe : 안전장치
fool safe : 잘못수행이 안되게 하는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Fool Safe : 불량이나 고장 시, 2중 3중으로 안전하게 통제하는 것.
Fool Proof : 바보 같은 실수가 있더라도 안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본 문제에서는 ‘신입사원’이    작업 중 전극을 반대로 끼우려는 바보 같은 행동을 한 것 = Fool Proof
[해설작성자 : 라이카]

51. 프레스기의 안전장치 수명은 지수분포를 따르며 평균수명은 1000시간이다. 새로 구입한 안전장치가 향후 500시간 동안 고장 없이 작동할 확률(ⓐ)과 이미 1000시간을 사용한 안전장치가 향후 500시간 이상 견딜 확률(ⓑ)은 각각 얼마인가?(2015년 03월)
     1. ⓐ : 0.606, ⓑ : 0.606
     2. ⓐ : 0.707, ⓑ : 0.707
     3. ⓐ : 0.808, ⓑ : 0.808
     4. ⓐ : 0.909, ⓑ : 0.909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신뢰도=e ^ -(고장율*시간)
평균시간 = 1/고장율 --> 고장율 = 1 / 평균시간 =1/1000 = 0.001
a = e ^ -(0.001*500)    = 0.606
b = e ^ -(0.001*1500) = 0.223
보기 b는 오타난것 같네요.
[해설작성자 : 나그네]

[관리자입니다.
원본을 제가 분실한것 같네요..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b 문항 좀 적어 주시면 수정할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오류신고 반론]
다른 문제집 확인결과 오류가 없습니다
정답 1번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노력하는자]

[오류신고 반론]
지수분포를 따르기에 b 값도 a와 동일합니다. b =0.606
(기계를 1000시간 사용 이후 500시간 동안의 신뢰도나 처음부터 500시간 사용 후 신뢰도나 동일한 조건이란 의미)
[해설작성자 : mite8978]

52. 일반적인 화학설비에 대한 안정성 평가(safety assessment) 절차에 있어 안전대책 단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8년 09월)
     1. 위험도 평가
     2. 보전
     3. 관리적 대책
     4. 설비 대책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3단계 : 정량적 평가(위험도 평가)
                해당 화학설비의 취급물질, 용량, 온도, 압력, 조작등 5개 항목에 대해 A,B,C,D 등급으로 나누고,
                A 등급은 10점, B : 5점 , C : 2점 , D : 0점으로 점수를 부여한 후 5개 항목에 대한 점수들의 합을 구한다
                
                        합산결과에 의한 위험도 등급
                        등급             점수                    내         용
                        등급 1     16점 이상         위험도가 높다
                        등급 2     11~15점             주위 상황, 다른 설비와 관련해서 평가
                        등급 3     10점 이하         위험도가 낮다

-4단계 : 안전대책
                설비대책: 안전장치, 방재장치에 대한 대책
                관리대책: 인원배치, 교육훈련, 보전에 대한 대책
[해설작성자 : 나도 안전인]

53. 신뢰성과 보전성 개선을 목적으로 한 효과적인 보전기록자료에 해당하는 것은?(2018년 03월)
     1. 자재관리표
     2. 주유지시서
     3. 재고관리표
     4. MTBF분석표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MTBF분석표
디지털 장비를 처음 사용할 때부터 그 수명이 다해 사용할 수 없게 될 때까지 걸리는 평균시간의 통계적인 값

신뢰성분석 기법 중 현업에서 가장 관심이 많은 시스템신뢰도예측, 고장원인 분석 및 신뢰성데이터분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보전기록관리:신뢰성, 보전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보전기록자료. 이에는 MTBF분석표, 설비이력카드, 고장원인 대책표가 있다
[해설작성자 : 느티]

54. 다음 중 안전성 평가의 기본원칙 6단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0년 05월)
     1. 관계 자료의 정비검토
     2. 정성적 평가
     3. 작업 조건의 평가
     4. 안전대책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안전성 평가 6단계
1. 관계자료의 정비검토
2. 정성적 평가
3. 정량적 평가
4. 안전대책
5. 재해정보에 의한 재평가
6. FTA에 의한 재평가

55. James Reason의 원인적 휴면에러 종류 중 다음 설명의 휴먼에러 종류는?(2022년 03월)

    

     1. 고의 사고(Violation)
     2. 숙련 기반 에러(Skill based error)
     3. 규칙 기반 착오(Rule based mistake)
     4. 지식 기반 착오(Knowledge based mistake)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고의 사고 : 고의적인 사고
숙련기반에러 : 무의식에 의한 행동
규칙기반착오 : 친숙한 상황에 적용되어 나오는 착오
지식기반착오 : 생소하고 특수한 상황에서 나타나는 착오
[해설작성자 : 내일시험]

56. 부품에 고장이 있더라도 플레이너 공작기계를 가장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는 방법은?(2017년 05월)
     1. fail-soft
     2. fail-active
     3. fail-passive
     4. fail-operational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fail-active : 부품 고장시 기계는 경보를 울리나 짧은 시간내 운전가능
fail-passive : 부품 고장시 기계는 정비방향으로 이동
fail-operational :부품 고장시 추후 보수시까지 안전기능 유지
[해설작성자 : 삼송빵집]

57. 정성적 표시장치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정성적 표시장치의 근본 자료 자체는 정량적인 것이다.
     2. 전력계에서와 같이 기계적 혹은 전자적으로 숫자가 표시된다.
     3. 색채 부호가 부적합한 경우에는 계기판 표시 구간을 형상 부호화하여 나타낸다.
     4. 연속적으로 변하는 변수의 대략적인 값이나 변화추세, 변화율 등을 알고자 할 때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2번 : 정량적 설명
[해설작성자 : 하늬]

-정량적표시장치 : 계량값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로 온도,속도,길이와 같은 정적변수를 파악하기 위한장치
-정성적표시장치 : 계략적변화추세나 비율의 파악이 필요할 때 사용하는 장치
[해설작성자 : 김영진]

58. 다음 중 FTA에서 활용하는 최소 컷셋(Minimal cut sets)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5월)
     1. 해당 시스템에 대한 신뢰도를 나타낸다.
     2. 컷셋 중에 타 컷셋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배제하고 남은 컷셋들을 의미한다.
     3. 어느 고장이나 에러를 일으키지 않으면 재해가 일어나지 않는 시스템의 신뢰성이다.
     4. 기본사상이 일어나지 않을 때 정상사상(Top event)이 일어나지 않는 기본사상의 집합이다.

     정답 : []
     정답률 : 59%

59. FT도에서 신뢰도는? (단, A발생확률은 0.01, B발생확률은 0.02이다.)(2021년 09월)

    

     1. 96.02%
     2. 97.02%
     3. 98.02%
     4. 99.02%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불신뢰도=1-(1-A)(1-B)=1-(1-0.01)(1-0.02)=0.0298
신뢰도=1-불신뢰도=1-0.0298=0.9702x100=97.02%
[해설작성자 : 개나리]

신뢰도=(1-A)(1-B)
[해설작성자 : Aldk]

60. 다음 중 육체작업의 생리학적 부하측정 척도가 아닌 것은?(2005년 05월)
     1. 맥박수
     2. 근전도
     3. 산소소비량
     4. 부정맥

     정답 : []
     정답률 : 39%

4과목 : 건설시공학


61. 된비빔 콘크리트인 경우 진동다짐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5년 05월)
     1. 유효한 다짐시간은 관찰과 경험에 의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다.
     2. 진동기의 사용간격은 60cm를 넘지 않도록 한다.
     3. 진동기를 빼낼 때는 서서히 뽑아 구멍이 남지 않도록 한다.
     4. 된비빔 콘크리트의 경우 구조체의 철근에 진동을 주어 진동효과를 좋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62. 철골공사의 기초상부 고름질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2년 03월)
     1. 전면바름 마무리법
     2. 나중채워넣기 중심바름법
     3. 나중매입공법
     4. 나중채워넣기법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1.전면바름방법
2.나중 채워넣기 중심 바름법
3.나중 채워넣기+자바름법
4.나중 채워넣기 방법
-나중 매입법은 앵커볼트 매입법
[해설작성자 : Charlie]

63. 순환수와 함께 지반을 굴착하고 배출시키면서 공 내에 철근망을 삽입,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말뚝기초를 형성하는 현장타설 말뚝공법은?(2016년 10월)
     1. S.I.P(Soil cement Injected Pile)
     2. D.R.A(Double Rod Auger)
     3. R.C.D(Reverse Circulation Drill)
     4. S.I.G(Super Injection Grouting)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R.C.D(Reverse Circulation Drill)역순환 굴착공법이라고 하며 순환수를 재이용하는 방식에 지반 굴착공법입니다.
[해설작성자 : 멋진남]

64. 투수성이 좋은 사질지반에서 흙막이 벽 뒷면의 수위가 높아서 지하수가 흙막이 벽을 돌아서 모래와 같이 솟아오르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2009년 05월)
     1. 히빙
     2. 보일링
     3. 파이핑
     4. 틱소트로피

     정답 : []
     정답률 : 56%

65. 조적조의 벽체 상부에 철근 콘크리트 테두리보를 설치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2018년 04월)
     1. 벽체에 개구부를 설치하기 위하여
     2. 조적조의 벽체와 일체가 되어 건물의 강도를 높이고 하중을 균등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3. 조적조의 벽체의 수직하중을 특정부위에 집중시키고 벽돌 수량을 절감하기 위하여
     4. 상층부 조적조 시공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테두리보는 일체화
인방보는 개구부와 관련됨
[해설작성자 : U]

66. 공사관리계약(Construcion Management Contract) 방식의 장점이 아닌 것은?(2018년 09월)
     1. 시공 시 단계별 시공법을 적용할 수 있어 설계 및 시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2. 설계과정에서 설계가 시공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할 수 있어 설계도서의 현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기획 및 설계과정에서 발주자와 설계자간의 의견대립 없이 설계대안 및 특수공법의 적용이 가능하다.
     4. 대리인형 CM(CM for fee) 방식은 공사비와 품질에 직접적인 책임을 지는 공사관리계약방식이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4. 대리인형 CM 방식은 공사비와 품질에 직접적인 책임을 지는 공사관리계약방식이다
- 대리인형 CM 방식은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발주자의 컨설턴트 역할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대리인형 CM :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발주자의 컨설턴트 역할을 수행, 공사비용, 품질등 공사결과에 대한 책임없음
[해설작성자 : 가자!]

67. 다음 중 깊은 기초지정에 해당되는 것은?(2018년 09월)
     1. 잡석지정
     2. 피어기초지정
     3. 밑창콘크리트지정
     4. 긴주춧돌지정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피어기초지정
1. 지름이 큰 말뚝을 일반적으로 Pier라 하고, 말뚝과 구별하고 있으며, 우물기초나 깊은 기초공법은 Pier기초에 속한다.
2. 주로 기계로 굴착하여 대두경의 Pile을 구축한다
[해설작성자 : 침착맨]

68. 폼타이, 컬럼밴드 등을 의미하며, 거푸집을 고정하여 작업중의 콘크리트 측압을 최종적으로 부담하는 것은?(2013년 09월)
     1. 박리제
     2. 간격재
     3. 격리재
     4. 긴결재

     정답 : []
     정답률 : 72%

69. 철골작업용 장비 중 절단용 장비로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프릭션 프레스(friction press)
     2. 플레이트 스트레이닝 롤(plate straining roll)
     3. 파워 프레스(power press)
     4. 핵 소우(hack saw)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1,2,3번 : 철골 변형바로잡기 장비
[해설작성자 : 하늬]

70. 철근의 피복두께 확보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1년 05월)
     1. 내화성 확보
     2. 내구성 확보
     3. 구조내력의 확보
     4. 블리딩 현상 방지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블리딩현상: 물-결합재비가 높으면 물이올라오는 현상
즉 재료분리의 일종으로 시멘트와 반응하고 나서 ,남는 물이 올라오는 현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1. 내화피복의 공법과 재료와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5월)
     1. 타설공법 – 콘크리트, 경량콘크리트
     2. 조적공법 – 콘크리트, 경량콘크리트 블록, 돌, 벽돌
     3. 미장공법 – 뿜칠 플라스터, 알루미나 계열 모르타르
     4. 뿜칠공법 – 뿜칠 암면, 습식 뿜칠 암면, 뿜칠 모르타르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미장공법 :철골부재에 메탈라스를 부착하고 단열 모르타르 시공
[해설작성자 : 기쁨베베 ]

미장(철망 모르타르, 철망펄라이트 모르타르)
[해설작성자 : 학생]

72. 강관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3월)
     1. 일반형강에 비하여 국부좌굴에 분리하여 강도가 약하다.
     2. 콘크리트 충전 시 내부의 콘크리트와 외부 강관의 역적 거동에서 합성구조라 볼 수 있다.
     3. 콘크리트 충전 시 별도의 거푸집이 필요 없다.
     4. 접합부 용접기술이 발달한 일본 등에서 활성화되어 있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장점
1.단면에 강도의 방향성이 없다.
2.휨강성, 비틀림 강성이 크다.
3.국부좌굴에 유리하다.
4.가볍고 외관이 경쾌하다.
단점
1.접합부의 절단가공이 어렵다.
2.이음, 맞춤부의 정밀도가 떨어진다.
3.접합이 복잡하다.
[해설작성자 : Charlie]

73. 잡석지정의 다짐량이 5m3일 때 틈막이로 넣는 자갈의 양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2019년 03월)
     1. 0.5 m3
     2. 1.5 m3
     3. 3.0 m3
     4. 5.0 m3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 사출 자갈량 : 잡석량 x 30%
    따라서, 5 x 0.3 = 1.5
[해설작성자 : 축합격]

74. 다음 네트워크 공정표에서 결합점 ②에서의 가장 늦은 완료 시각은?(2005년 09월)

    

     1. 2
     2. 3
     3. 4
     4. 5

     정답 : []
     정답률 : 53%

75. 철골공사의 용접접합에서 플럭스(flux)를 옳게 설명한 것은?(2022년 04월)
     1. 용접 시 용접봉의 피복제 역할을 하는 분말상의 재료
     2. 압연강판의 층 사이에 균열이 생기는 현상
     3. 용접작업의 종단부에 임시로 붙이는 보조판
     4. 용접부에 생기는 미세한 구멍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플럭스(flux) : 용접 시 용접봉의 피복제 역할을 하는 분말상의 재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6. 콘크리트 타설시 일반적인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5월)
     1. 운반거리가 가까운 곳으로부터 타설을 시작한다.
     2. 자유낙하 높이를 작게 한다.
     3. 콘크리트를 수직으로 낙하한다.
     4. 거푸집, 철근에 콘크리트를 충돌시키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운반거리가 먼 곳부터 가까운 곳으로 타설을 해야됩니다.

77. 강관말뚝지정의 장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5년 03월)
     1. 강한 타격에도 견디며 다져진 중간지층의 관통도 가능하다.
     2. 지지력이 크고 이음이 안전하고 강하며 확실하므로 장척 말뚝에 적당하다.
     3. 상부구조와의 결합이 용이하다.
     4. 방부력이 뛰어나 내구성이 우수하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강관말뚝지정 단점 : 부식되기 쉽다. 재료비가 비싸다.
[해설작성자 : 조아롱]

78. 철골용접에 있어 자동용접의 경우 용접봉의 피복재 역할로 쓰이는 분말상의 재료는?(2010년 03월)
     1. 슬래그(Slag)
     2. 시드(Sheathe)
     3. 플럭스(Flux)
     4. 스패터(Spatter)

     정답 : []
     정답률 : 59%

79. 래디믹스트 콘크리트 운반 차량에 특수보온시설을 하여야 할 외기온도 기준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30℃ 이상 또는 0℃ 이하
     2. 30℃ 이상 또는 -2℃ 이하
     3. 25℃ 이상 또는 0℃ 이하
     4. 25℃ 이상 또는 -2℃ 이하

     정답 : []
     정답률 : 50%

80. 지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6월)
     1. 잡석지정-기초 콘크리트 타설 시 흙의 혼입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한다.
     2. 모래지정-지반이 단단하며 건물이 중량일 때 사용한다.
     3. 자갈지정-굳은 지반에 사용되는 지정이다.
     4. 밑창 콘크리트지정-잡석이나 자갈 위 기초부분의 먹매김을 위해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모래지정 : 지반이 약한 점토층에 사용
[해설작성자 : ㅇㅇ]

5과목 : 건설재료학


81. 건축재료의 성질을 물리적 성질과 역학적 성질로 구분할 때 물체의 운동에 관한 성질인 역학적 성질에 속하지 않는 항목은?(2021년 09월)
     1. 비중
     2. 탄성
     3. 강성
     4. 소성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재료의 역학적(기계적) 성질
- 탄성, 소성, 점성, 강도, 경도, 강성, 연성, 취성, 인성, 전성, 팽창, 수축
[해설작성자 : 오늘합격각]

물리적 성질 -    *중량에 관한성질 :비중 함수율 흡수율
                             *열에 관한 성질 : 비열 열전도율

역학적 성질-     *탄성 소성 강성 연성 취성 등
[해설작성자 : 내일도 합격]

82. 비철금속 중 알루미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5월)
     1. 순도가 높은 알루미늄은 맑은 물에 대해 내식성이 크고 전연성이 크다.
     2. 연질이고 강도가 낮다.
     3. 산, 알칼리 및 해수에 대해 내식성이 크다.
     4. 콘크리트에 접하거나 흙 중에 매몰된 경우에는 부식되기 쉽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알루미늄(Aluminum)
1.경량질에 비해 강도가 크다
2. 광선 및 열에 대한 반사율이 커서 열차단재료도 사용된다
3.내화성이 적고 열팽창이 처의 2배 정도로 크다
4. 공기 중에서 Al2o3의 피막을 만들어 내부를 보호한다
5. 내산성 및 내 알카리성이 약하다!
[해설작성자 : 미사천]

83. 다음 중 아스팔트 루핑의 생산에 사용되는 아스팔트는?(2004년 03월)
     1. 록 아스팔트
     2. 유제 아스팔트
     3. 컷백 아스팔트
     4. 블론 아스팔트

     정답 : []
     정답률 : 59%

84. 알루미늄과 그 합금에 대한 다음 성질중 틀린 것은?(2003년 03월)
     1. 열, 전기전도성이 동 다음으로 크고, 반사율도 높다.
     2. 융점이 낮아 용해주조도는 좋으나 내화성이 부족하다
     3. 부식률은 대기중의 습도와 염분 함유량 등에 관계되며 0.08mm/년 정도이다.
     4. 상온에서 판, 선으로 압연가공하면 경도와 연신율이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상온가공을 하면 경도와 인장강도는 증가하고 연신율은 감소한다.
[해설작성자 : 구미촌사람]

85. 콘크리트의 블리딩 현상에 의한 성능저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3월)
     1. 골재와 페이스트의 부착력 저하
     2. 철근과 페이스트의 부착력 저하
     3. 콘크리트의 수밀성 저하
     4. 콘크리트의 응결성 저하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블리딩 현상
1.콘크리트 타설 후 무거운 골재나 시멘트는 침하하고 가벼운 물과 미세물질이 상승하는 현상
2.블리딩에 의한 성능저하
-골재와 페이스트의 부착력 저하
-철근과 페이스트의 부착력 저하
-콘크리트의 내구성, 수밀성 저하
[해설작성자 : Charlie]

86. 각종 벽돌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5년 03월)
     1. 내화벽돌은 내화점토를 원료로 하여 소성한 벽돌로서 내화도는 1,500~2,000℃의 범위이다.
     2. 다공벽돌은 점토에 톱밥, 겨, 탄가루 등을 혼합, 소성한 것으로 방음, 흡음성이 좋다.
     3. 이형벽돌은 형상, 치수가 규격에서 정한 바와 다른 벽돌로서 특수한 구조체에 사용될 목적으로 제조된다.
     4. 포도벽돌은 벽돌에 오지물을 칠해 소성한 벽돌로서, 건물의 내외장 또는 장식물의 치장에 쓰인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포도벽돌은 경질이며 흡습성이 적고 두꺼워서 도로,복도, 창고 등의 바닥면에 자주 쓰임
[해설작성자 : 맑갑]

벽돌에 오지물을 칠해 소성한 벽돌로서, 건물의 내,외장 또는 장식물의 치장에 쓰이는 것은 오지벽돌이다.
[해설작성자 : ㅈㅂ]

87.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6월)
     1. 시멘트의 제조성분에 따라 수축량이 다르다.
     2. 골재의 성질에 따라 수축량이 다르다.
     3. 시멘트량의 다소에 따라 수축량이 다르다.
     4. 된비빔일수록 수축량이 많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된비빔일수록 수축이 작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1. 시멘트의 종류, 분말도, 골재에 영향을 받는다.
2. 단위수량과 단위시멘트량이 많을수록 수축량이 크다.
3. 골재에 함유된 미립분, 점토, 실트는 건조수축을 증대시킨다.
4. W/C비가 같은 경우 사용 단위시멘트량이 클수록 크다.
5. 건조개시 재령은 건조수축에 큰 영향이 없다.
6. 골재가 단단하고 탄성계수가 클수록 적게 된다.
7. 된비빔일수록 수축량이 적다.
[해설작성자 : 건안기합격하자]

88. 콘크리트 혼화재 중 하나인 플라이애시가 콘크리트에 미치는 작용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1년 10월)
     1. 콘크리트 내부의 알칼리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중성화를 촉진시킬 염려가 있다.
     2. 콘크리트 소화초기시의 발열량을 감소시키고 장기적으로 시멘트의 석회와 결합하여 장기강도를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3. 입자가 구형이므로 유동성이 증가되어 단위 수량을 감소시키므로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의 개선, 펌핑성을 향상시킨다.
     4. 알칼리골재반응에 의한 팽창을 증가시키고 콘크리트의 수밀성을 약화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수밀성 향상

89.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을 표시하는 용어 중 거푸집 등의 형상에 순응하여 채우기 쉽고 분리가 일어나지 않는 성질을 말하는 것은?(2004년 03월)
     1. 워커빌리티(workability)
     2. 컨시스턴시(consistency)
     3. 플라스티시티(plasticity)
     4. 피니셔빌리티(finishability)

     정답 : []
     정답률 : 26%
     <문제 해설>
■용어설명
1. 워커빌리티(workability) : 작업성
2. 컨시스턴시(consistency) : 반죽질기
3. 플라스티시티(plasticity) : 성형성
4. 피니셔빌리티(finishability) : 마무리용이성
5. 펌프빌리티(pumoability) : 펌프이송성
[해설작성자 : 구미촌사람]

90. 다음 중 소성온도가 가장 높은 것은?(2004년 09월)
     1. 도기
     2. 자기
     3. 토기
     4. 석기

     정답 : []
     정답률 : 67%

91. 폴리머합침콘크리트의 특징 중 틀린 것은 ?(2003년 05월)
     1. 폴리머합침을 하지 않은 기본재료에 비하여 강도와 탄성이 크다.
     2. 폴리머합침을 하지 않은 기본재료에 비하여 내약품성이 우수하다.
     3. 폴리머합침을 하지 않은 기본재료에 비하여 수밀성이 양호하다.
     4. 폴리머합침을 하지 않은 기본재료에 비하여 내화성이 크다.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폴리머합침이 아니라 폴리머함침(含浸)
폴리머함침 콘크리트는 가연성이며 현장시공이 어렵다
[해설작성자 : 투디]

92. 목재접합, 합판제조 등에 사용되며, 다른 접착제와 비교하여 내수성이 부족하고 값이 저렴한 접착제는?(2014년 03월)
     1. 요소수지 접착제
     2. 푸란수지 접착제
     3. 에폭시수지 접착제
     4. 실리콘수지 접착제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1.무색투명하다.
2.내수성, 내알칼리성, 내산성,, 내열성, 내후성이 약하다.
3.내수성이 비닐계 접착제보다는 크고 멜라민 수지나 페놀수지접착제보다는 적다.
4.목재접합,합판접합에 사용한다.
5.다른 합성수지접착제에 비해 내수성이 떨어진다.
[해설작성자 : Charlie]

93. 지름이 18mm인 강봉을 대상으로 인장시험을 행하여 항복하중 27kN, 최대하중 41kN을 얻었다. 이 강봉의 인장강도는?(2021년 09월)
     1. 약 106.3MPa
     2. 약 133.9MPa
     3. 약 161.1MPa
     4. 약 182.3MPa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MPa = N/mm^2 이므로
41x1000(단위:N으로 변환) / (파이 x 18mm^2 / 4) = 161.11 N/mm^2 = 161.1MPa 입니다.
[해설작성자 : 건공졸업생]

인장강도(N/mm^2)=최대하중/원단면적
(41*1000)/(파이*원의반지름^2)
[해설작성자 : 비전공자]

94. 다음 중 강(鋼)의 열처리와 관계없는 용어는?(2019년 09월)
     1. 불림
     2. 담금질
     3. 단조
     4. 뜨임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단조:금속을 두들기거나 가압하는 기계적방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열처리 방법
불림[소준]         : 공기중에서 냉각
풀림[소둔]         : 노속에서 냉각
담금질[소입]    : 가열수 냉각수/기름에서 냉각
뜨임질[소려] : 담금질후 공기중 냉각    
[해설작성자 : 짤짤이]

95. 양질의 도토 또는 장석분을 원료로 하며, 흡수율이 1% 이하로 거의 없고 소성온도가 약 1230~1460℃인 점포 제품은?(2020년 09월)
     1. 토기
     2. 석기
     3. 자기
     4. 도기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점토제품 소성온도
토기 : 700-800
석기 : 1200-1300
자기 : 1230-1460
도기 : 1100
[해설작성자 : ㅇㅇ]

추가로 강도는 자기>석기>도기>토기 순이다.
[해설작성자 : 파이팅해야지]

96. 대리석의 일종으로 다공질이며 황갈색의 반문이 있고 갈면 광택이 나서 우아한 실내장식에 사용되는 것은?(2005년 05월)
     1. 석회암
     2. 트래버틴
     3. 석면
     4. 점판암

     정답 : []
     정답률 : 60%

97. 경량형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단면이 작은 얇은 강판을 냉간성형하여 만든 것이다.
     2. 조립 또는 도장 및 가공 등의 목적으로 축판에 구멍을 뚫어서는 안된다.
     3. 가설구조물 등에 많이 사용된다.
     4. 휨내력은 우수하나 판 두께가 얇아 국부좌굴이나 녹막이 등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조립또는 도장 가공의목적으로 측판에 구멍을 뚫을 수도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8. 다음의 건축물 뿜칠마감재의 조성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5월)
     1. 안료 : 내알칼리성, 내후성, 착색력, 색조의 안정
     2. 유동화제 : 재료를 유동화시키는 재료(물이나 유기용제 등)
     3. 골재 : 치수안정성을 향상하고 흡음성, 단열성 등의 성능개선(모래, 석분, 펌프입자, 질석 등)
     4. 결합재 : 바탕재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한 재료(골재, 시멘트 등)

     정답 : []
     정답률 : 41%

99. 점토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5년 05월)
     1. 점토의 색상은 철산화물 또는 석회물질에 의해 나타난다.
     2. 점토의 가소성은 점토입자가 미세할수록 좋다.
     3. 압축강도와 인장강도는 거의 비슷하다.
     4. 소성수축은 점토 내 휘발분의 양, 조직, 융융도 등이 영향을 준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3번의 경우 압축강도가 인장강도보다 약 5배가 큼
[해설작성자 : 맑갑]

100. 다음 중 시멘트 풍화의 척도로 사용되는 것은?(2008년 09월)
     1. 강열감량
     2. 불용해 잔분
     3. 수경률
     4. 규산율

     정답 : []
     정답률 : 49%

101. 강관비계 조립 시 준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비계기둥에는 미끄러지거나 침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밑받침철물을 사용하거나 깔판ㆍ깔목 등을 사용하여 밑둥잡이를 설치하는 등의 조치를 할 것
     2. 강관의 접속부 또는 교차부(交叉部)는 적합한 부속철물을 사용하여 접속하거나 단단히 묶을 것
     3. 교차 가새의 설치를 금하고 한방향 가새로 설치할 것
     4. 가공전로(架空電路)에 근접하여 비계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가공전로를 이설(移設)하거나 가공전로에 절연용 방호구를 장착하는 등 가공전로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할 것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3. 교차 가새로 보강 할 것.
[해설작성자 : 선바라기]

102. 크레인을 사용하는 경우 작업시작 전에 점검하여야 하는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09년 03월)
     1. 권과방지장치, 브레이크, 클러치 및 운전장치의 기 능
     2. 주행로의 상측 및 트롤리가 횡행하는 레일의 상태
     3. 와이어로프가 통하는 곳의 상태
     4. 붐의 경사각도

     정답 : []
     정답률 : 48%

103. 다음 중 사면(slope)의 안정계산에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2011년 03월)
     1. 흙의 간극비
     2. 흙의 점착력
     3. 흙의 내부마찰각
     4. 흙의 단위 중량

     정답 : []
     정답률 : 41%

104. 토질시험 중 연약한 점토 지반의 점착력을 판별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현장시험은?(2020년 08월)
     1. 배인테스트(Vane Test)
     2. 표준관입시험(SPT)
     3. 하중재하시험
     4. 삼축압축시험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연질, 연약한 점토지반 대표적인 시험 : 베인테스트(vane test)
사질지반 대표적인 시험 : 표준관입시험
[해설작성자 : 건안기합격하자]

105. 다음 중 계측기의 설치 목적에 맞지 않는 것은?(2006년 05월)
     1. 지표침하계 - 지표면의 침하량 변화 측정
     2. 간극수압계 - 지반내 지하수위 변화 측정
     3. 변위계 - 토류 구조물의 각 부재와 콘크리트 등의 응력변화 측정
     4. 하중계 - 버팀보 어스앵커(Earth anchor) 등의 실제 축하중 변화 측정

     정답 :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변위계 - 토류 구조물의 각 부재와 콘크리트 등의 응력변화 측정

틀린 설명입니다.
변위계는 구조물이나 지반의 **변위(위치 변화)**를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응력 변화 측정은 응력계가 사용됩니다.
[해설작성자 : 고통받는인턴]

106. 화물운반하역 작업 중 줄걸이 작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와이어로프 등은 크레인의 후크 중심에 걸어야 한다.
     2. 인양 물체의 안정을 위하여 2줄 걸이 이상을 사용하여야 한다.
     3. 매다는 각도는 60°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4. 근로자를 매달린 물체위에 탑승시키지 않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3. 60°이하
[해설작성자 : 쭈리맘]

107. 다음은 시스템 비계구성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2013년 06월)

    

     1. 전체길이의 4분의 1
     2. 전체길이의 3분의 1
     3. 전체길이의 3분의 2
     4. 전체길이의 2분의 1

     정답 : []
     정답률 : 66%

108. 차량계 하역운반기계를 사용하는 작업을 할 때 그 기계가 넘어지거나 굴러떨어짐으로써 근로자에게 위험을 미칠 우려가 있는 경우에 우선적으로 조치하여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4월)
     1. 해당 기계에 대한 유도자 배치
     2. 지반의 부동침하 방지 조치
     3. 갓길 붕괴 방지 조치
     4. 경보 장치 설치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어떤 하역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고를 경고한다고 막을 수 있지 않다.
[해설작성자 : 도도]

109. 양중기 와이어로프의 부적격한 와이어로프의 사용금지 기준이 아닌 것은?(2005년 05월)
     1. 이음매가 있는 것
     2. 지름의 감소가 공칭지름의 7%를 초과하는 것
     3. 심하게 변형 또는 부식된 것
     4. 길이의 증가가 제조길이의 10%를 초과하는 것

     정답 : []
     정답률 : 40%

110. 그림과 같이 두 곳에 줄을 달아 중량물을 들어올릴 때, 힘 p의 크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9년 03월)

    

     1. 매단 줄의 각도(α)가 0°일 때 최소가 된다.
     2. 매단 줄의 각도(α)가 60°일 때 최소가 된다.
     3. 매단 줄의 각도(α)가 120°일 때 최소가 된다.
     4. 매단 줄의 각도(α)와 상관없이 모두 같다.

     정답 : []
     정답률 : 41%

111. 다음 중 토사붕괴로 인한 재해를 방지하기 위한 흙막이 지보공설비가 아닌 것은?(2011년 03월)
     1. 흙막이판
     2. 말뚝
     3. 턴버클
     4. 띠장

     정답 : []
     정답률 : 65%

112. 거푸집동바리 등을 조립하는 경우에 준수해야 할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5월)
     1. 동바리의 상하 고정 및 미끄러짐 방지조치를 하고, 하중의 지지상태를 유지한다.
     2. 강재와 강재의 접속부 및 교차부는 볼트ㆍ클램프 등 전용철물을 사용하여 단단히 연결한다.
     3. 파이프서포트를 제외한 동바리로 사용하는 강관은 높이 2m마다 수평연결재를 2개 방향으로 만들고 수평연결재의 변위를 방지할 것
     4. 동바리로 사용하는 파이프서포트는 4개이상 이어서 사용하지 않도록 할 것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피이프버포트 3개이상 이어서 사용 하지 않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3. 지반조사 보고서 내용에 해당되지 않는 항목은?(2014년 03월)
     1. 지반공학적 조건
     2. 표준관입시험치, 콘관입저항치 결과분석
     3. 시공예정인 흙막이 공법
     4. 건설할 구조물 등에 대한 지반특성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지반조사 보고서 내용
① 지반공학적 조건
② 표준관입시험치, 콘관입저항치 결과분석
③ 건설할 구조물 등에 대한 지반특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4. 지반의 종류가 다음과 같을 때 굴착면의 기울기 기준으로 옳은 것은?(2023년11월14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2017년 09월)

    

     1. 1:0.5 ~ 1:1.0
     2. 1:1.0 ~ 1:1.5
     3. 1:0.8
     4. 1:0.5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기존 규정]
습지 1:1~1:1.5
건지 1:0.5~1:1
풍화암 1:0.8
연암 1:0.5
경암 1:0.3

2021년 11월 19일 개정된 규정
습지 : 1:1~1:1.5
건지 : 1:0.5~1:1
풍화암 : 1:1.0(변경)
연암 : 1:1.0(변경)
경암 : 1:0.5(변경)

2023년 11월 14일 개정된 규정(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항 규칙 [별표11])
굴착면의 기울기 기준 (제 339조제1항 관련)
----------암반-----------
모래 :    1 : 1.8(추가)
연암 및 풍화암 : 1 : 1.0
경암 : 1 : 0.5
그 밖의 흙 : 1 : 1.2(추가)
----------보통흙----------
습지 : 1:1.0 ~ 1:1.5
건지 : 1:0.5 ~ 1:1.0

115. 강관 틀비계를 조립할 때 유의사항이 아닌 것은?(2004년 03월)
     1. 비계기둥의 밑둥에는 밑받침철물을 사용하여야 하며 고저차가 있는 경우에도 틀비계는 항상 수평, 수직을 유지해야 한다.
     2. 높이가 20m를 넘을 때나 중량물을 적재할 경우 주틀의 간격이 1.8m이하로 한다.
     3. 주틀간 교차가새를 설치하고 최상층 및 10층이내마다 수평재를 설치한다.
     4. 벽이음이나 연결재의 간격은 수직방향 6m이하, 수평 방향 8m이하로 설치한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주틀간 교차가새를 설치하고 최상층 및 5층이내마다 수평재를 설치한다.
[해설작성자 : 구미촌사람]

116. 다음 중 백호우(Backhoe)의 운행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1년 03월)
     1. 경사로나 연약지반에서는 무한궤도식 보다는 타이어 식이 안전하다.
     2. 작업계획서를 작성하고 계획에 따라 작업을 실시하여야 한다.
     3. 작업장소의 지형 및 지반상태 등에 적합한 제한속도를 정하고 운전자로 하여금 이를 준수하도록 하여야한다.
     4. 작업 중 승차석 외의 위치에 근로자를 탑승시켜서는 안 된다.

     정답 : []
     정답률 : 68%

117. 강관비계의 설치 기준으로 옳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9년 04월)
     1. 비계기중의 간격은 띠장방향에서는 1.5m이상 1.8m 이하로 하고, 장선방향에서는 2.0m 이하로 한다.
     2. 띠장 간격은 1.8m 이하로 설치하되, 첫 번째 띠장은 지상으로부터 2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한다.
     3. 비계기둥 간의 적재하중은 400k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4. 비계기둥의 제일 윗부분으로부터 21m되는 지점 밑부분의 비계기둥은 2개의 강관으로 묶어세운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규정 개정]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 약칭: 안전보건규칙 )
[시행 2020. 1. 16.] [고용노동부령 제273호, 2019. 12. 26., 일부개정]
제60조(강관비계의 구조) 사업주는 강관을 사용하여 비계를 구성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개정 2012. 5. 31., 2019. 10. 15., 2019. 12. 26.>
1. 비계기둥의 간격은 띠장 방향에서는 1.85미터 이하, 장선(長線) 방향에서는 1.5미터 이하로 할 것. 다만, 선박 및 보트 건조작업의 경우 안전성에 대한 구조검토를 실시하고 조립도를 작성하면 띠장 방향 및 장선 방향으로 각각 2.7미터 이하로 할 수 있다.
2. 띠장 간격은 2.0미터 이하로 할 것. 다만, 작업의 성질상 이를 준수하기가 곤란하여 쌍기둥틀 등에 의하여 해당 부분을 보강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3. 비계기둥의 제일 윗부분으로부터 31미터되는 지점 밑부분의 비계기둥은 2개의 강관으로 묶어 세울 것. 다만, 브라켓(bracket, 까치발) 등으로 보강하여 2개의 강관으로 묶을 경우 이상의 강도가 유지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4. 비계기둥 간의 적재하중은 400킬로그램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것
[해설작성자 : 산업안전보건법령 법개정]

118. 다음 중 거푸집동바리의 안전조치에 관한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9월)
     1. 동바리의 이음은 맞댄이음 또는 장부이음으로하고 같은 품질의 재료를 사용할 것
     2. 동바리로 사용하는 파이프서포트를 2본 이상 이어서 사용하지 말 것
     3. 거푸집이 곡면인 때에는 버팀대의 부착 등 거푸집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할 것
     4. 동바리로 사용하는 강관은 높이 2m 이내마다 수평연결재를 2개 방향으로 만들 것

     정답 : []
     정답률 : 52%

119. 해체공사 시 작업용 기계기구의 취급 안전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6월)
     1. 철제햄머와 와이어로프의 결속은 경험이 많은 사람으로서 선임된 자에 한하여 실시하도록 하여야 한다.
     2. 팽창제 천공간격은 콘크리트 강도에 의하여 결정되나 70∼120cm 정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3. 쐐기타입으로 해체 시 천공구멍은 타입기 삽입부분의 직경과 거의 같아야 한다.
     4. 화염방사기로 해체작업 시 용기 내 압력은 온도에 의해 상승하기 때문에 항상 40℃이하로 보존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천공간격은 콘크리트 강도에 의하여 결정되나 30 내지 70㎝ 정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해설작성자 : 아무개]

120. 다음 중 굴착작업의 안전조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9월)
     1. 굴착구간으로 표면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배수구를 설치하여 굴착작업부근의 표면수가 원활히 배수되도록 한다.
     2. 암석을 제외한 토질의 굴착시 구조물의 안전성과 작업전의 안전조치가 선행되지 않은 경우는 굴착작업을 중지시켜야 한다.
     3. 굴착구간 위로 작업원이나 자재를 운반할 필요가 있을 경우 필히 난간이 부착된 안전통로를 설치한 후 작업한다.
     4. 지층이 상이한 토질의 굴착시 지지층의 사면 안식각 이 그 위 지층의 사면안식각보다 작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정 답 지

건설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965153)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건설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산업안전관리론


1. 재해 발생 건수 등의 추이를 파악하여 목표관리를 행하는데 필요한 월별 재해발생건수를 그래프화 하여 관리선을 설정 관리하는 통계분석방법은?(2018년 09월)
     1. 파레토도
     2. 특성요인도
     3. 크로스도
     4. 관리도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파레토도 : 재해 분류 항목을 큰 순서대로 도표화
특성요인도 : 특성과 요인관계를 어골상으로 세분화
크로스도(클로즈분석) : 2개 이상의 문제관계 분석 시 요인별 결과 내역을 크로스하여 분석
관리도 : 월별 재해 발생 수를 그래프화하여 관리선을 설정 관리
[해설작성자 : 맑갑]

2. 다음 중 무재해 이념의 기본 3원칙이 아닌 것은?(2008년 09월)
     1. 무의 원칙
     2. 참가의 원칙
     3. 선취 해결의 원칙
     4. 통제의 원칙

     정답 : []
     정답률 : 83%

3.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정하는 안전보건총괄책임자 지정 대상 사업장이 아닌 것은?(2009년 03월)
     1. 상시근로자가 75명인 신발제조업
     2. 상시근로자가 75명인 제1차 금속산업
     3. 상시근로자가 75명인 선박 및 보트 건조업
     4. 수급인 및 하수급인의 공사금액을 포함한 당해 공사의 총공사 금액이 50억원인 건설업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안전보건총괄책임자
- 관계수급인 포함 상시근로자 100명 이상(선박 및 보트 건조업, 1차 금속 제조업 및 토사석 광업 50명)인 사업
- 관계수급인 포함 공사금액 20억원 이상인 건설업
[해설작성자 : 행복한쌀알이]

4. 재해사례연구의 진행단계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재해상황의 파악 → 사실의 확인 → 문제점의 발견 → 근본적 문제점의 결정 → 대책수립
     2. 재해상황의 파악 → 문제점의 발견 → 근본적 문제점의 결정 → 사실의 확인 → 대책수립
     3. 문제점의 발견 → 재해상황의 파악 → 근본적 문제점의 결정 → 사실의 확인 → 대책수립
     4. 문제점의 발견 → 재해상황의 파악 → 사실의 확인 → 근본적 문제점의 결정 → 대책수립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재해사례연규의 진행단계
전제조건 : 재해상황의 파악
1단계 : 사실의 확인
2단계 : 문제점의 발견
3단계 : 근본적 문제점의 결정
4단계 : 대책수립

5.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관리책임자의 업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08년 05월)
     1. 산업재해예방계획의 수립에 관한 사항
     2. 산업재해에 관한 통계의 기록 유지에 관한 사항
     3. 산업재해의 원인조사 및 재발방지대책의 수립에 관한 사항
     4. 근로자의 건강장해의 원인조사와 재발 방지를 위한 의학적인 조치

     정답 : []
     정답률 : 75%

6. 다음 중 재해조사의 주된 목적을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2013년 06월)
     1. 직접적인 원인을 조사하기 위함이다.
     2. 동일 업종의 산업재해 통계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3. 동종 또는 유사재해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4. 해당 사업장의 안전관리 계획을 수립하기 위함이다.

     정답 : []
     정답률 : 84%

7.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검사 대상 유해ㆍ위험기계등이 아닌 것은?(2018년 04월)
     1. 리프트
     2. 전단기
     3. 압력용기
     4. 밀폐형 구조 롤러기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안전검사 대상 유해/위험기계
1.프레스 2.전단기 3.크레인(이동식 크레인 및 2T미만 호이스트 제외) 4.리프트 5.압력용기 6.곤돌라 7.국소배기장치(이동식제외) 8.원심기(산업용으로 한정) 9.화학설비 및 그 부속설비 10.건조설비 및 그 부속설비 11.롤러기(밀폐형 구조 제외) 12.사출성형기(형체결력 294KN미만 제외)

8. A사업장에서 무상해, 무사고 위험순간이 300건 발생하였다면 버드(Frank Bird)의 재해구성 비율에 따르면 경상은 몇 건이 발생하겠는가?(2017년 05월)
     1. 5
     2. 10
     3. 15
     4. 20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10:30:600
[해설작성자 : 김현웅]

버드 재해구성 비율이론
1 : 10 :30 : 600
1 : 상해, 질병, 중상, 폐질
10 : 경상
30 : 무상해 사고
600 : 무상해, 무사고
기준이며 무상해 무사고가 300이면 >>0.5 : 5 : 15 : 300 의 비율
[해설작성자 : 학생]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답 2번
1:10:30:600

경상 1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버드의 재해발생비율 1:10:30:600 = 중상:경상(물적,인적):무상해 사고(물적):무상해 사고
무상해, 무사고 위험순간이 300건이면
1:10:30:600 -> 0.5:5:15:300 이 되므로, 경상은 5건

9. 직계(Line)형 안전조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8월)
     1. 명령과 보고가 간단명료하다.
     2. 안전정보의 수집이 빠르고 전문적이다.
     3. 안전업무가 생산현장 라인을 통하여 시행된다.
     4. 각종 지시 및 조치사항이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2번 스태프
[해설작성자 : 한번]

[라인형 안전조직]
1.장점
- 안전에 관한 명령과 지시는 생산 라인을 통해 신속, 정확히 전달 실시된다.
- 중소 규모 기업에 활용됨.
2.단점
- 안전 전문 입안에 되어 있지 않아 내용이 빈약
- 안전의 정보가 불충분하다.
[해설작성자 : LIMITLESSYOLO]

10. 산업안전보건법상 공기압축기를 가동하는 때의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의 점검내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6년 10월)
     1. 윤활유의 상태
     2. 압력방출장치의 기능
     3. 회전부의 덮개 또는 울
     4. 비상정지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공기압축기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
- 공기저장 압력용기의 외관상태
- 드레인밸브의 조작 및 배수
- 압력 방출장치의 기능
- 언로드밸브의 기능
- 윤활유 상태
- 회전부의 덮개 또는 울
- 그 밖의 연결부위의 이상유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비상정지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는 산업용 로봇의 작업시작 전 점검 사항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ㅇㅇㅈ]

11. 연간국내공사실적액이 50억원이고, 건설업평균임금이 250만원이며, 노무비율은 0.06인 사업장에서 산출한 상시 근로자수는 얼마인가?(2014년 05월)
     1. 5
     2. 10
     3. 20
     4. 30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50억워×0.06/{(250만원÷24일)×12×24}=10명
[해설작성자 : 기쁨베베]

상시 근로자 수 = (연간 국내공사 실적액 × 노무비율) / (건설업 월평균임금 × 12)
                             = 50억 ×0.06 / 250만 × 12
[해설작성자 : .]

12. 자율안전확인대상 보호구 중 안전모의 시험성능기준항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09년 03월)
     1. 난연성
     2. 내관통성
     3. 내전압성
     4. 턱끈풀림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답 오류 신고
정답이 "3.내전압성"으로 되어있는데 "4.턱끈풀림"이 정답임.
안전모의 시험성능기준항목 : 내관통성, 충격흡수성, 내전압성, 내수성, 난연성
[해설작성자 : 가딘]

[추가 오류 신고]
한솔아카데미/2021 건설안전기사4주완성(필기)/저자:생략
챕트04 보호구 (128 page) 내용 발췌

안전모의 시험성능 기준
내관통성 : AE, ABE종 안전모는 관통거리가 9.5mm... 생략
충격흡수성 : 최고전달충격력이 4,450N을 초과해서는 안되며... 생략
내전압성 : AE, ABE종 안전모는 교류240kV... 생략
내수성 : AE, ABE종 안전모는 질량증가율이 1% 미만이어야 한다.
난연성 : 모체가 불꽃을 내며 5초 이상 연소되지 않아야 한다.
턱끈풀림 : 150N 이상 250N 이하에서 턱끈이 풀려야 한다.

#시험성능 항목 주의!#
AE, ABE종 안전모에만 해당하는 시험성능 항목은 내관통성, 내전압성, 내수성 시험이 있다는 부분을 주의하자.

결론, 지문 혹은 보기에 오류가 있는것 같습니다.
지문에 AE, ABE종 이라는 글이 있다면 4번이 정답.
지문에 AE, ABE종 이라는 글이 없으므로 정답없음.

*16년 4회 시험
안전모의 성능시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정답 4번
1.내수성 시험 / 2.내전압성 시험 / 3.난연성시험 / 4.압박시험
[해설작성자 : 합격 하셨습니다.]

[오류신고 반론]
일반적으로 시험성능시험은 모두 맞으나 자율안전확인대상보호구는 내전압성은 제외임 답은 3번
[해설작성자 : 조한근]

13. 연평균 근로자수가 200인 사업장에서 지난 1년간 5명의 사상자가 발생하였다면 이 사업장의 연천인율은?(2008년 05월)
     1. 20
     2. 25
     3. 28
     4. 30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연천인율=(재해자수/연근로자수)*1000
따라서 (5/200)*1000=25
[해설작성자 : 이생틀]

14. 시몬즈(Simonds)의 재해 코스트 계산방식에 있어 비보험 코스트 항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0년 03월)
     1. 사망재해 건수
     2. 통원상해 건수
     3. 응급조치 건수
     4. 무상해 사고 건수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시몬즈 방식 재해 손실비의 비보험 코스트

1. 휴업 상해 2. 통원 상해 3. 응급조치 상해 4. 무상해 사고
[해설작성자 : 료미]

15. 안전관리 기본조직 중 라인 및 스텝 조직의 특성이 아닌 것은?(2005년 09월)
     1. 대규모 사업장에 적합한 조직이다.
     2. 생산기능과 협조가 잘 이루어진다.
     3. 특별한 사업장에만 적용된다.
     4. 라인 각 계층에 안전업무를 겸임하도록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6%

16. 에너지 저촉형태로 분류한 사고유형 중 에너지가 폭주하여 일어나는 유형에 해당하는 것은?(2016년 10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1: 에너지의 활동영역에 사람이 침범한 경우
2: 사람과 물체, 물체와 물체가 충돌한 유형
4: 대기 중의 에너지에 사람이 노출된 유형
[해설작성자 : ㅎㄷ]

17. 다음 중 하베이(Harvery)의 3E 와 관련이 가장 먼 것은?(2008년 05월)
     1. 감독(Enforcement)
     2. 기술(Engineering)
     3. 비용(Economic)
     4. 교육(Education)

     정답 : []
     정답률 : 74%

18. 근로자가 운반작업 중 2층 계단에서 미끄러져 계단을 따라 아래로 떨어져서 바닥에 머리를 다쳤다. 재해 형태와 가해물 및 기인물로 맞는 것은?(2005년 09월)
     1. 추락재해, 가해물은 계단, 기인물은 바닥
     2. 낙하재해, 가해물은 바닥, 기인물은 계단
     3. 비례재해, 가해물은 운반짐, 기인물은 계단
     4. 전도 ㆍ전락재해, 가해물은 바닥, 기인물은 계단

     정답 : []
     정답률 : 47%

19.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안전보건개선계획을 수립 ㆍ시행하여야 하는 사업장에서 안전보건계획서를 작성할 때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3월)
     1. 시설의 개선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
     2. 안전ㆍ보건교육의 개선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
     3. 복지정책의 개선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
     4. 작업환경의 개선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

     정답 : []
     정답률 : 81%

20.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심의 또는 의결사항이 아닌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09년 05월)
     1. 산업재해예방계획의 수립에 관한 사항
     2. 근로자의 건강진단 등 건강관리에 관한 사항
     3. 산업재해에 관한 통계의 기록ㆍ유지에 관한 사항
     4. 중대재해의 원인조사 및 재발방지대책의 수립에 관한 사항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답 4번 입니다.
[해설작성자 : 신우석]

[추가 오류 신고]

산업재해 예방계획 수립,
안전보건관리 규정 작성 및 변경,
근로자의 안전‧보건교육,
작업환경 측정등 작업환경의 점검 및 개선,
근로자의 건강진단등 건강관리
산업재해의 원인조사 및 재발방지대책 수립,
산업재해에 관한 통계의 기록 및 유지,
유해하거나 위험한 기계‧기구와 그 밖의 설비를 도입한 경우 안전‧보건조치
[해설작성자 : 학생]

[추가 오류 신고]

전부다정답임

2과목 : 산업심리 및 교육


21. 다음 중 생활하고 있는 현실적인 장면에서 해결방법을 찾아내는 것으로 지식, 기능, 태도, 기술 등을 종합적으로 획득하도록 하는 학습방법은?(2012년 05월)
     1. 문제법(Problem Method)
     2. 롤 플레잉(Role Playing)
     3. 버즈 세션(Buzz Session)
     4. 케이슨 메소드(Case Method)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답이 잘못 기록되 있는거 같습니다.
-버즈 세션(6-6회) : 현실적 장면에서 해결방안을 찾아내는 것으로 지식, 기능, 태도, 기술 등을 종합적으로 회득하도록 하는 학습 방법
정답은 3번
[해설작성자 : 학생]

[추가 오류 신고]
정답은 3번
[해설작성자 : 학생]

[추가 오류 신고]
[정답오류] 1번 문제법:동물의 학습능력이나 지능수준을 시험할때 사용하며, 일정한 과제를 부여하고 그것을 해결하는 능력이나 방식을 관찰하는 방법.
그러므로 정답은 3번 버즈세션이 맞는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카우보이]

[오류신고 반론]
전체구성원을 4-6명의 소그룹으로 나누고 각각의 소그룹이 개별적인 토의를 벌인 뒤 각 그룹의 결론을 패널형식으로 토론하고 최후의 리더가 전체적인 결론을 내리는 토의법이다. 최고 50명 정도가 이 회의에 참가할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버즈세션 [buzz session] (사회복지학사전, 2009. 8. 15., 이철수)
[해설작성자 : 갸우띵]

[오류신고 반론]
1번 문제법( 문제해결법 )이 맞습니다 Problem Method로 검색해보시면 찾아보실수 있고 버즈세션이면 그룹으로 나눈다는 내용이 지문에 추가되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다들 yes라 할때 난 no라 했다]

[오류신고 반론]
1번 문제법(Problem Method): 새로운 문제에 당명했을 때 그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학습법
- 현실적 장면에서 새로운 문제에 당명했을때 해결방법을 찾아내는법인거 같아 답은 1번이 맞는거 같습니다
- 교육방법에 종류 : 문제법
- 토의식 교육법에 종류 : 롤플레잉(역할연기), 버즈세션(6-6회의), 케이슨 메소드(사례연구법)
[해설작성자 : 산안기 실기 떨어지고 건안기로 갈아탄 1인]

[오류신고 반론]
* 교재 건설안전기사 필기 / 세화 / 정재수 저
답 : 문제법
해설 : '문제해결법'은 학생이 생활하고 있는 현실적인 장면에서 당면하는 여러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과정중 지식, 태도, 기술, 기능 등을 조합적으로 획득하도록 하는 학습방법
[해설작성자 : 축합격]

22. 다음 중 새로운 자료나 교재를 제시하고, 거기에서의 문제점을 피교육자로 하여금 제기하게 하거나, 의견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발표하게 하고, 다시 깊게 파고 들어서 토의하는 방법은?(2015년 09월)
     1. 포럼(Forum)
     2. 심포지엄(Symposium)
     3. 버즈세션(Buzz Session)
     4. 패널 디스커션(Panel Discussion)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공개토론회'라고도 한다.

23. 관리 그리도이론에 따른 리더십의 유형 중 능률만 중시하고 인간관계는 낮은 리더십의 유형은?(2011년 10월)
     1. 무기력형
     2. 무관심형
     3. 과업형
     4. 이상형

     정답 : []
     정답률 : 79%

24. 다음 중 ATT(American Telephone & Telegram) 교육훈련 기법의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1년 03월)
     1. 작업의 감독
     2. 사기앙양
     3. 고객관계
     4. 종업원의 향상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ATT훈련내용
1.작업의감독     2.고객관계     3.종업원의 향상     4.안전     5.계획적감독
6.인사관계        7.작업의 계획 및 인원배치
8.공구 및 자료보고 기록         9.개인작업의 개선
[해설작성자 : 뚀잉]

25. 다음 중 카운슬링(counseling)의 순서로 가장 올바른 것은?(2016년 03월)
     1. 장면 구성 → 내담자와의 대화 → 감정 표출 → 감정의 명확화 → 의견 재분석
     2. 장면 구성 → 내담자와의 대화 → 의견 재분석 → 감정 표출 → 감정의 명확화
     3. 내담자와의 대화 → 장면 구성 → 감정 표출 → 감정의 명확화 → 의견 재분석
     4. 내담자와의 대화 → 장면 구성 → 의견 재분석 → 감정 표출 → 감정의 명확화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장면구성-내담자와의 대화-의견 재분석-감정 표출-감정의 명확화
[해설작성자 : 재덕이치질ㅋ]

26. 다음 중 고립, 정신병, 자살 등이 속하는 사회행동의 기본 형태는?(2014년 03월)
     1. 협력
     2. 융합
     3. 대립
     4. 도피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도피적 기제: ① 고립 ②퇴행 ③억압 ④백일몽
방어적 기제: ① 보상 ②합리화 ③동일시 ④승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7. 직무와 관련한 정보를 직무명세서(job specification)와 직무기술서(job description)로 구분할 경우 직무기술서에 포함되어야 하는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0년 08월)
     1. 직무의 직종
     2. 수행되는 과업
     3. 직무수행 방법
     4. 작업자의 요구되는 능력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직무명세서 : 사람과 관련된 지식, 기술, 능력 등
직무기술서 : 직무에 관련된 과업, 업무, 책임 등
[해설작성자 : ㅇㅇ]

[직무기술서 포함사항]
1. 직무의 직종
2. 수행되는 과업
3. 직무수행 방법

[직무분석]
: 직무에 관한 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직무의 내용과 직무를 담당하는 자의 자격요건을 체계화하는 활동
- 직무를 구성하는 3요소
     1) 과업(task)
     2) 의무(duty)
     3) 책임(responsibility)
[해설작성자 : LIMITLESSYOLO]

28. 다음 중 성공한 지도자들의 특성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5월)
     1. 높은 성취 욕구를 가지고 있다.
     2. 실패에 대한 강한 예견과 두려움을 가지고 있다.
     3. 상사에 대한 강한 부정적 의식과 부하직원에 대한 관심이 크다.
     4. 부모로부터의 정서적 독립과 현실 지향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성공한 지도자들의 공통적으로 소유한 속성
1.업무수행능력
2.강한출세욕구
3.상사에 대한 긍정적태도
4.강력한 조직능력
5.원만한 사교성
6.판단능력
7.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8.매우 활동적이며 공격적인 도전
9.실패에 대한 두려움
[해설작성자 : 느티]

29. 다음 중 ATT(American Telephone & Telegram) 교육훈련기법의 내용이 아닌 것은?(2020년 08월)
     1. 인사관계
     2. 고객관계
     3. 회의의 주관
     4. 종업원의 향상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ATT 주요내용 : 인사관계, 고객관계, 종업원의 향상, 작업의 계획과 인원 배치, 계획적 감독 등
[해설작성자 : ㅇㅇ]

[ATT 교육내용]
1.계획적인감독
2.인원배치 및 작업의 계획
3.작업의 감독
4. 공구와 자료의 보고 및 기록
5.개인작업의 개선
6.인사관계
7.종업원의 기술향상
8.훈련
9.안전 등
[해설작성자 : LIMITLESSYOLO]

30. 교육훈련 지도방법의 4단계 순서로 맞는 것은?(2017년 09월)
     1. 도입 → 제시 → 적용 → 확인
     2. 제시 → 도입 → 적용 → 확인
     3. 적용 → 제시 → 도입 → 확인
     4. 도입 → 적용 → 확인 → 제시

     정답 : []
     정답률 : 68%

31. 그림과 같이 수직 평행인 세로의 선들이 평행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는 착시현상에 해당하는 것은?(2019년 09월)

    

     1. 죌러(Zöller)의 착시
     2. 쾰러(Köhler)의 착시
     3. 헤링(Hering)의 착시
     4. 포겐도르프(Poggendorf)의 착시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독일(또?)의 천체물리학자이자 심령(?)심리연구자 이기도 한 요한 칼 죌러(Johann Karl Friedrich Zöllner, 1834~1882)가 발견한착시현상 입니다.
오른쪽 아래로 향하는 사선은 모두 수평이지만 짧은 선의 영향으로 수평이 아닌 것처럼 보이죠. 뮌스터버그 착시랑 비슷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죌러의 착시 : 나란히 긴 직선이 빗금에 의해 나란해 보이지 않도록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한큐에가자]

32. 다음 중 데이비스(K. Davis)의 동기부여 이론에서 “능력(ability)”을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2020년 09월)
     1. 기능(skill)×태도(attitide)
     2. 지식(knowledge)×기능(skill)
     3. 상황(situation)×태도(attitude)
     4. 지식(knowledge)×상황(situation)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데이비스(K. Davis) 동기부여 이론]
① 능력 = 지식 × 기능
② 동기유발 = 상황 × 태도
③ 인간의 성과 = 능력 × 동기유발
④ 경영의 성과 = 인간의 성과 × 물질의 성과
[해설작성자 : David.T.Lee]

33. 다른 사람의 행동 양식이나 태도를 자기에게 투입하거나 그와 반대로 다른 사람 가운데서 자기의 행동 양식이나 태도와 비슷한 것을 발견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2018년 03월)
     1. 모방(Imitation)
     2. 투사(Projection)
     3. 암시(Suggestion)
     4. 동일시(Identification)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암시(suggestion) : 다른 사람으로부터의 판단이나 행동을 무비판적으로 받아 들이는 것
-모방(imitation) : 남의 행동이나 판단을 표본으로 하여 그것과 같거나 또는 그것이 가까운 행동 또는 판단을 취하는 것
-투사(projection) : 자기 속의 억압된 것을 다른 사람의 것으로 생각하는 것 (자신의 잘못에 대해서 조상탓으로 전가시키는 유형)
-동일화(identification) : 다른 사람의 행동양식이나 태도를 투입시키거나, 다른 사람 가운데서 자기와 비슷한 것을 발견/ 다른사람의 행동 양식이나 태도를 자기에게 투입하거나 그와 반대로 다른 사람 가운데서 자기의 행동양식이나 태도와 비슷한 것을 발견한는 것
[해설작성자 : 학생]

34. 인간의 행동 (B)는 인간의 조건(P)과 환경조건(E)과의 함수 관계를 갖는다. 즉 B=f(P·E)이다. 이 때 환경조건(E)를 가장 잘 나타낸 것은?(2006년 05월)
     1. 물리적 환경
     2. 심리적 환경
     3. 사회적 환경
     4. 심신 상태

     정답 : []
     정답률 : 43%

35. 허시(Hersey)와 브랜차드(Blanchard)의 상황적 리더십 이론에서 리더십의 4가지 유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1년 03월)
     1. 통제적 리더십
     2. 지시적 리더십
     3. 참여적 리더십
     4. 위임적 리더십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허시&블랜차드(Hersey&Blanchard)의 상황적 리더십 모델
1) 능력과 의지가 모두 낮은 경우(R1): 지시형 리더
2) 능력은 낮으나 의지가 높은 경우(R2): 설득형 리더
3) 능력은 높으나 의지가 낮은 경우(R3): 참여형 리더
4) 능력과 의지가 모두 높은 경우(R4): 위임형 리더
[해설작성자 : ns]

허쉬브랜챠드 위임형 / 참여형 / 설득형 / 지시형
허쉬브랜드초콜렛 // '위'기다 '참'지못할 '설'사 '지'사제 먹어!
허쉬브랜드 - 위 참 설 지
[해설작성자 : 진주곰]

36. 기술교육의 진행방법 중 듀이(John Dewey)의 5단계 사고 과정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3년 09월)
     1. 응용시킨다.(Application)
     2. 시사를 받는다.(Suggestion)
     3. 가설을 설정한다.(Hypothesis)
     4. 머리로 생각한다.(Intellectualization)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시사 - 머리(지식화) - 가설 - 추론 - 행동에 의한 가설 검토

[시사]는 [머리][가] [추][행]
[해설작성자 : 꽃미남종태]

37. 직무에 적합한 근로자를 위한 심리검사는 합리적 타당성을 갖추어야 한다. 다음 중 이러한 합리적 타당성을 얻는 방법으로만 나열된 것은?(2012년 09월)
     1. 구인 타당도, 내용 타당도
     2. 예언적 타당도, 공인 타당도
     3. 구인 타당도, 공인 타당도
     4. 예언적 타당도, 안면 타당도

     정답 : []
     정답률 : 71%

38. 착시현상 중에서 실제로는 움직이지 않는데도 움직이는 것처럼 느껴지는 심리적인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2007년 05월)
     1. 잔상
     2. 원근 착시
     3. 가현운동
     4. 침착성 및 도덕성의 결여

     정답 : []
     정답률 : 73%

39. 다음 중 프로그램 학습법(Programmed self-instruction method)의 장점이 아닌 것은?(2013년 03월)
     1. 학습자의 사회성을 높이는데 유리하다.
     2. 한 강사가 많은 수의 학습자를 지도할 수 있다.
     3. 지능, 학습적성, 학습속도 등 개인차를 충분히 고려할 수 있다
     4. 매 반응마다 피드백이 주어지기 때문에 학습자가 흥미를 갖는다.

     정답 : []
     정답률 : 65%

40.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내 안전ㆍ보건교육에 있어 특별안전ㆍ보건교육 대상 작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2년 09월)
     1. 굴착면의 높이가 5m 되는 암석의 굴착작업
     2. 흙막이 지보공의 보강 또는 동바리를 설치하거나 해체하는 작업
     3. 휴대용 목재가공기계를 3대 보유한 사업장에서 해당 기계로 하는 작업
     4. 5m인 구축물을 대상으로 콘크리트 파쇄기를 사용하여 하는 파쇄작업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목재가공기계 5대
[해설작성자 : 건안기]

3과목 :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41. 동작경제의 원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03월)
     1. 공구의 기능을 각각 분리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2. 두 팔의 동작은 동시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대칭적으로 움직이도록 한다.
     3. 공구나 재료는 작업동작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그 위치를 정해준다.
     4. 가능하다면 쉽고도 자연스러운 리듬이 작업동작에 생기도록 작업을 배치한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공구 및 설비 디자인의 원칙에서 공구의 기능을 결합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2. 장비나 설비의 설계에 응용하기 위한 인체측정치의 응용 원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08년 09월)
     1. 반응시간을 이용한 설계
     2. 극단치를 이용한 설계
     3. 조절식 설계
     4. 평균치를 기준으로 한 설계

     정답 : []
     정답률 : 59%

43. 다음 중 지브가 없는 크레인의 정격하중에 관한 정의로 옳은 것은?(2016년 05월)
     1. 짐을 싣고 상승할 수 있는 최대하중
     2. 크레인의 구조 및 재료에 따라 들어올릴수 있는 최대하중
     3. 권상하중에서 훅, 그랩 또는 버킷 등 달기구의 중량에 상당하는 하중을 뺀 하중
     4. 짐을 싣지 않고 상승할 수 있는 최대하중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크레인의 정격하중이란 크레인에서 지브가 없는 것은 인양하중에서 후크, 그래브 버킷 등의 인양용구의 중량을 제외한 것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밍크87]

지바를 갖지않는 크레인은 달아올리기 하중으로부터 훅, 버킷 등 달아올리기 기구의 중량에 상당하는 하중을 제한 하중이고
지브를 갖는 크레인은 구조 및 재료와 아울러 지브 혹은 붐의 경사각 및 길이 또는 지브 위에 놓이는 도르래의 위치에 따라부하시킬 수 있는 최대 하중으로부터 훅, 버킷 등의 달아올리기 기구 중량에 해당하는 하중을 제한 하중이다
[해설작성자 : 과연답은]

44. 시스템 안전분석에 이용되는 전형적인 정성적, 귀납적 분석방법으로서, 서식이 간단하고 비교적 적은노력으로 특별한 훈련없이 분석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법은?(2004년 03월)
     1. CA(criticality analysis)
     2. FMEA(failure modes and effects analysis)
     3. FTA(fault tree analysis)
     4. ETA(event tree analysis)

     정답 : []
     정답률 : 44%

45. 다음 중 화학설비에 대한 안전성 평가에서 정성적 평가 항목이 아닌 것은?(2008년 09월)
     1. 공장내의 배치
     2. 취급물질
     3. 건조물
     4. 입지조건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정량적 평가-화학설비의 취급물질,용량,온도,압력 및 조작
[해설작성자 : 꿈꾸는 딜레마]

46. 와이어로프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2016년 05월)
     1. 소선
     2. 클립
     3. 스트랜드
     4. 심강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다수의 오류 신고로 인하여 정답을 1번에서 2번으로 수정하였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와이어로프의 구성요소
소중한 와이프 스트레스로 심심
(소)선
(중)심
(와이)어로(프)
(스트)랜드
(심)
(심)강

47. 각 기본사상의 발생확률이 증감하는 경우 정상사상의 발생확률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가를 반영하는 지표로서 수리적으로는 편미분계수와 같은 의미를 갖는 FTA의 중요도 지수는?(2019년 09월)
     1. 확률 중요도
     2. 구조 중요도
     3. 치명 중요도
     4. 비구조 중요도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중요도란 기본사상의 발생이 정상사상의 발생에 어느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정량적으로 나타낸 지표이다.
재해예방 선정에서 우선순위를 제시한다.
확률중요도
치명중요도
구조중요도
[해설작성자 : 람쥐]

48. 다음 중 시스템 신뢰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5월)
     1. 시스템의 성공적 퍼포먼스를 확률로 나타낸 것이다.
     2. 각 부품이 동일한 신뢰도를 가질 경우 직렬 구조의 신뢰도는 병렬 구조에 비해 신뢰도가 낮다.
     3. 시스템이 병렬구조는 시스템의 어느 한 부품이 고장 나면 시스템이 고장나는 구조이다.
     4. n중 k구조는 n개의 부품으로 구성된 시스템에서 k개 이상의 부품이 작동하면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가동되는 구조이다.

     정답 : []
     정답률 : 69%

49. 작업환경에서 열교환에 영향을 주는 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6년 09월)
     1. 기습(humidity)
     2. 기온(temperature)
     3. 기류(air movement)
     4. 증발열(evaporation heat)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공기의 온열 조건의 4요소(열 교환에 영향을 주는 요소)
① 기온             ② 습도        ③ 복사온도     ④ 공기의 유동
[해설작성자 : satanjun]

50. 안전교육을 받지 못한 신입직원이 작업 중 전극을 반대로 끼우려고 시도했으나, 플러그의 모양이 반대로는 끼울 수 없도록 설계되어 있어서 사고를 예방할 수 있었다. 작업자가 범한 오류와 이와 같은 사고 예방을 위해 적용된 안전설계 원칙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8년 04월)
     1. 누락(omission) 오류, fail safe 설계원칙
     2. 누락(omission) 오류, fool proof 설계원칙
     3. 작위(commission) 오류, fail safe 설계원칙
     4. 작위(commission) 오류, fool proof 설계원칙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작위(commission) 오류 : 하긴 했는데 잘못 수행 한것
누락(omission) 오류 : 해야하는걸 안했을 경우
fail safe : 안전장치
fool safe : 잘못수행이 안되게 하는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Fool Safe : 불량이나 고장 시, 2중 3중으로 안전하게 통제하는 것.
Fool Proof : 바보 같은 실수가 있더라도 안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본 문제에서는 ‘신입사원’이    작업 중 전극을 반대로 끼우려는 바보 같은 행동을 한 것 = Fool Proof
[해설작성자 : 라이카]

51. 프레스기의 안전장치 수명은 지수분포를 따르며 평균수명은 1000시간이다. 새로 구입한 안전장치가 향후 500시간 동안 고장 없이 작동할 확률(ⓐ)과 이미 1000시간을 사용한 안전장치가 향후 500시간 이상 견딜 확률(ⓑ)은 각각 얼마인가?(2015년 03월)
     1. ⓐ : 0.606, ⓑ : 0.606
     2. ⓐ : 0.707, ⓑ : 0.707
     3. ⓐ : 0.808, ⓑ : 0.808
     4. ⓐ : 0.909, ⓑ : 0.909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신뢰도=e ^ -(고장율*시간)
평균시간 = 1/고장율 --> 고장율 = 1 / 평균시간 =1/1000 = 0.001
a = e ^ -(0.001*500)    = 0.606
b = e ^ -(0.001*1500) = 0.223
보기 b는 오타난것 같네요.
[해설작성자 : 나그네]

[관리자입니다.
원본을 제가 분실한것 같네요..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b 문항 좀 적어 주시면 수정할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오류신고 반론]
다른 문제집 확인결과 오류가 없습니다
정답 1번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노력하는자]

[오류신고 반론]
지수분포를 따르기에 b 값도 a와 동일합니다. b =0.606
(기계를 1000시간 사용 이후 500시간 동안의 신뢰도나 처음부터 500시간 사용 후 신뢰도나 동일한 조건이란 의미)
[해설작성자 : mite8978]

52. 일반적인 화학설비에 대한 안정성 평가(safety assessment) 절차에 있어 안전대책 단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8년 09월)
     1. 위험도 평가
     2. 보전
     3. 관리적 대책
     4. 설비 대책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3단계 : 정량적 평가(위험도 평가)
                해당 화학설비의 취급물질, 용량, 온도, 압력, 조작등 5개 항목에 대해 A,B,C,D 등급으로 나누고,
                A 등급은 10점, B : 5점 , C : 2점 , D : 0점으로 점수를 부여한 후 5개 항목에 대한 점수들의 합을 구한다
                
                        합산결과에 의한 위험도 등급
                        등급             점수                    내         용
                        등급 1     16점 이상         위험도가 높다
                        등급 2     11~15점             주위 상황, 다른 설비와 관련해서 평가
                        등급 3     10점 이하         위험도가 낮다

-4단계 : 안전대책
                설비대책: 안전장치, 방재장치에 대한 대책
                관리대책: 인원배치, 교육훈련, 보전에 대한 대책
[해설작성자 : 나도 안전인]

53. 신뢰성과 보전성 개선을 목적으로 한 효과적인 보전기록자료에 해당하는 것은?(2018년 03월)
     1. 자재관리표
     2. 주유지시서
     3. 재고관리표
     4. MTBF분석표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MTBF분석표
디지털 장비를 처음 사용할 때부터 그 수명이 다해 사용할 수 없게 될 때까지 걸리는 평균시간의 통계적인 값

신뢰성분석 기법 중 현업에서 가장 관심이 많은 시스템신뢰도예측, 고장원인 분석 및 신뢰성데이터분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보전기록관리:신뢰성, 보전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보전기록자료. 이에는 MTBF분석표, 설비이력카드, 고장원인 대책표가 있다
[해설작성자 : 느티]

54. 다음 중 안전성 평가의 기본원칙 6단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0년 05월)
     1. 관계 자료의 정비검토
     2. 정성적 평가
     3. 작업 조건의 평가
     4. 안전대책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안전성 평가 6단계
1. 관계자료의 정비검토
2. 정성적 평가
3. 정량적 평가
4. 안전대책
5. 재해정보에 의한 재평가
6. FTA에 의한 재평가

55. James Reason의 원인적 휴면에러 종류 중 다음 설명의 휴먼에러 종류는?(2022년 03월)

    

     1. 고의 사고(Violation)
     2. 숙련 기반 에러(Skill based error)
     3. 규칙 기반 착오(Rule based mistake)
     4. 지식 기반 착오(Knowledge based mistake)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고의 사고 : 고의적인 사고
숙련기반에러 : 무의식에 의한 행동
규칙기반착오 : 친숙한 상황에 적용되어 나오는 착오
지식기반착오 : 생소하고 특수한 상황에서 나타나는 착오
[해설작성자 : 내일시험]

56. 부품에 고장이 있더라도 플레이너 공작기계를 가장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는 방법은?(2017년 05월)
     1. fail-soft
     2. fail-active
     3. fail-passive
     4. fail-operational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fail-active : 부품 고장시 기계는 경보를 울리나 짧은 시간내 운전가능
fail-passive : 부품 고장시 기계는 정비방향으로 이동
fail-operational :부품 고장시 추후 보수시까지 안전기능 유지
[해설작성자 : 삼송빵집]

57. 정성적 표시장치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정성적 표시장치의 근본 자료 자체는 정량적인 것이다.
     2. 전력계에서와 같이 기계적 혹은 전자적으로 숫자가 표시된다.
     3. 색채 부호가 부적합한 경우에는 계기판 표시 구간을 형상 부호화하여 나타낸다.
     4. 연속적으로 변하는 변수의 대략적인 값이나 변화추세, 변화율 등을 알고자 할 때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2번 : 정량적 설명
[해설작성자 : 하늬]

-정량적표시장치 : 계량값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로 온도,속도,길이와 같은 정적변수를 파악하기 위한장치
-정성적표시장치 : 계략적변화추세나 비율의 파악이 필요할 때 사용하는 장치
[해설작성자 : 김영진]

58. 다음 중 FTA에서 활용하는 최소 컷셋(Minimal cut sets)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5월)
     1. 해당 시스템에 대한 신뢰도를 나타낸다.
     2. 컷셋 중에 타 컷셋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배제하고 남은 컷셋들을 의미한다.
     3. 어느 고장이나 에러를 일으키지 않으면 재해가 일어나지 않는 시스템의 신뢰성이다.
     4. 기본사상이 일어나지 않을 때 정상사상(Top event)이 일어나지 않는 기본사상의 집합이다.

     정답 : []
     정답률 : 59%

59. FT도에서 신뢰도는? (단, A발생확률은 0.01, B발생확률은 0.02이다.)(2021년 09월)

    

     1. 96.02%
     2. 97.02%
     3. 98.02%
     4. 99.02%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불신뢰도=1-(1-A)(1-B)=1-(1-0.01)(1-0.02)=0.0298
신뢰도=1-불신뢰도=1-0.0298=0.9702x100=97.02%
[해설작성자 : 개나리]

신뢰도=(1-A)(1-B)
[해설작성자 : Aldk]

60. 다음 중 육체작업의 생리학적 부하측정 척도가 아닌 것은?(2005년 05월)
     1. 맥박수
     2. 근전도
     3. 산소소비량
     4. 부정맥

     정답 : []
     정답률 : 39%

4과목 : 건설시공학


61. 된비빔 콘크리트인 경우 진동다짐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5년 05월)
     1. 유효한 다짐시간은 관찰과 경험에 의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다.
     2. 진동기의 사용간격은 60cm를 넘지 않도록 한다.
     3. 진동기를 빼낼 때는 서서히 뽑아 구멍이 남지 않도록 한다.
     4. 된비빔 콘크리트의 경우 구조체의 철근에 진동을 주어 진동효과를 좋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62. 철골공사의 기초상부 고름질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2년 03월)
     1. 전면바름 마무리법
     2. 나중채워넣기 중심바름법
     3. 나중매입공법
     4. 나중채워넣기법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1.전면바름방법
2.나중 채워넣기 중심 바름법
3.나중 채워넣기+자바름법
4.나중 채워넣기 방법
-나중 매입법은 앵커볼트 매입법
[해설작성자 : Charlie]

63. 순환수와 함께 지반을 굴착하고 배출시키면서 공 내에 철근망을 삽입,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말뚝기초를 형성하는 현장타설 말뚝공법은?(2016년 10월)
     1. S.I.P(Soil cement Injected Pile)
     2. D.R.A(Double Rod Auger)
     3. R.C.D(Reverse Circulation Drill)
     4. S.I.G(Super Injection Grouting)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R.C.D(Reverse Circulation Drill)역순환 굴착공법이라고 하며 순환수를 재이용하는 방식에 지반 굴착공법입니다.
[해설작성자 : 멋진남]

64. 투수성이 좋은 사질지반에서 흙막이 벽 뒷면의 수위가 높아서 지하수가 흙막이 벽을 돌아서 모래와 같이 솟아오르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2009년 05월)
     1. 히빙
     2. 보일링
     3. 파이핑
     4. 틱소트로피

     정답 : []
     정답률 : 56%

65. 조적조의 벽체 상부에 철근 콘크리트 테두리보를 설치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2018년 04월)
     1. 벽체에 개구부를 설치하기 위하여
     2. 조적조의 벽체와 일체가 되어 건물의 강도를 높이고 하중을 균등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3. 조적조의 벽체의 수직하중을 특정부위에 집중시키고 벽돌 수량을 절감하기 위하여
     4. 상층부 조적조 시공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테두리보는 일체화
인방보는 개구부와 관련됨
[해설작성자 : U]

66. 공사관리계약(Construcion Management Contract) 방식의 장점이 아닌 것은?(2018년 09월)
     1. 시공 시 단계별 시공법을 적용할 수 있어 설계 및 시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2. 설계과정에서 설계가 시공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할 수 있어 설계도서의 현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기획 및 설계과정에서 발주자와 설계자간의 의견대립 없이 설계대안 및 특수공법의 적용이 가능하다.
     4. 대리인형 CM(CM for fee) 방식은 공사비와 품질에 직접적인 책임을 지는 공사관리계약방식이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4. 대리인형 CM 방식은 공사비와 품질에 직접적인 책임을 지는 공사관리계약방식이다
- 대리인형 CM 방식은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발주자의 컨설턴트 역할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대리인형 CM :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발주자의 컨설턴트 역할을 수행, 공사비용, 품질등 공사결과에 대한 책임없음
[해설작성자 : 가자!]

67. 다음 중 깊은 기초지정에 해당되는 것은?(2018년 09월)
     1. 잡석지정
     2. 피어기초지정
     3. 밑창콘크리트지정
     4. 긴주춧돌지정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피어기초지정
1. 지름이 큰 말뚝을 일반적으로 Pier라 하고, 말뚝과 구별하고 있으며, 우물기초나 깊은 기초공법은 Pier기초에 속한다.
2. 주로 기계로 굴착하여 대두경의 Pile을 구축한다
[해설작성자 : 침착맨]

68. 폼타이, 컬럼밴드 등을 의미하며, 거푸집을 고정하여 작업중의 콘크리트 측압을 최종적으로 부담하는 것은?(2013년 09월)
     1. 박리제
     2. 간격재
     3. 격리재
     4. 긴결재

     정답 : []
     정답률 : 72%

69. 철골작업용 장비 중 절단용 장비로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프릭션 프레스(friction press)
     2. 플레이트 스트레이닝 롤(plate straining roll)
     3. 파워 프레스(power press)
     4. 핵 소우(hack saw)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1,2,3번 : 철골 변형바로잡기 장비
[해설작성자 : 하늬]

70. 철근의 피복두께 확보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1년 05월)
     1. 내화성 확보
     2. 내구성 확보
     3. 구조내력의 확보
     4. 블리딩 현상 방지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블리딩현상: 물-결합재비가 높으면 물이올라오는 현상
즉 재료분리의 일종으로 시멘트와 반응하고 나서 ,남는 물이 올라오는 현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1. 내화피복의 공법과 재료와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5월)
     1. 타설공법 – 콘크리트, 경량콘크리트
     2. 조적공법 – 콘크리트, 경량콘크리트 블록, 돌, 벽돌
     3. 미장공법 – 뿜칠 플라스터, 알루미나 계열 모르타르
     4. 뿜칠공법 – 뿜칠 암면, 습식 뿜칠 암면, 뿜칠 모르타르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미장공법 :철골부재에 메탈라스를 부착하고 단열 모르타르 시공
[해설작성자 : 기쁨베베 ]

미장(철망 모르타르, 철망펄라이트 모르타르)
[해설작성자 : 학생]

72. 강관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3월)
     1. 일반형강에 비하여 국부좌굴에 분리하여 강도가 약하다.
     2. 콘크리트 충전 시 내부의 콘크리트와 외부 강관의 역적 거동에서 합성구조라 볼 수 있다.
     3. 콘크리트 충전 시 별도의 거푸집이 필요 없다.
     4. 접합부 용접기술이 발달한 일본 등에서 활성화되어 있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장점
1.단면에 강도의 방향성이 없다.
2.휨강성, 비틀림 강성이 크다.
3.국부좌굴에 유리하다.
4.가볍고 외관이 경쾌하다.
단점
1.접합부의 절단가공이 어렵다.
2.이음, 맞춤부의 정밀도가 떨어진다.
3.접합이 복잡하다.
[해설작성자 : Charlie]

73. 잡석지정의 다짐량이 5m3일 때 틈막이로 넣는 자갈의 양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2019년 03월)
     1. 0.5 m3
     2. 1.5 m3
     3. 3.0 m3
     4. 5.0 m3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 사출 자갈량 : 잡석량 x 30%
    따라서, 5 x 0.3 = 1.5
[해설작성자 : 축합격]

74. 다음 네트워크 공정표에서 결합점 ②에서의 가장 늦은 완료 시각은?(2005년 09월)

    

     1. 2
     2. 3
     3. 4
     4. 5

     정답 : []
     정답률 : 53%

75. 철골공사의 용접접합에서 플럭스(flux)를 옳게 설명한 것은?(2022년 04월)
     1. 용접 시 용접봉의 피복제 역할을 하는 분말상의 재료
     2. 압연강판의 층 사이에 균열이 생기는 현상
     3. 용접작업의 종단부에 임시로 붙이는 보조판
     4. 용접부에 생기는 미세한 구멍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플럭스(flux) : 용접 시 용접봉의 피복제 역할을 하는 분말상의 재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6. 콘크리트 타설시 일반적인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5월)
     1. 운반거리가 가까운 곳으로부터 타설을 시작한다.
     2. 자유낙하 높이를 작게 한다.
     3. 콘크리트를 수직으로 낙하한다.
     4. 거푸집, 철근에 콘크리트를 충돌시키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운반거리가 먼 곳부터 가까운 곳으로 타설을 해야됩니다.

77. 강관말뚝지정의 장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5년 03월)
     1. 강한 타격에도 견디며 다져진 중간지층의 관통도 가능하다.
     2. 지지력이 크고 이음이 안전하고 강하며 확실하므로 장척 말뚝에 적당하다.
     3. 상부구조와의 결합이 용이하다.
     4. 방부력이 뛰어나 내구성이 우수하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강관말뚝지정 단점 : 부식되기 쉽다. 재료비가 비싸다.
[해설작성자 : 조아롱]

78. 철골용접에 있어 자동용접의 경우 용접봉의 피복재 역할로 쓰이는 분말상의 재료는?(2010년 03월)
     1. 슬래그(Slag)
     2. 시드(Sheathe)
     3. 플럭스(Flux)
     4. 스패터(Spatter)

     정답 : []
     정답률 : 59%

79. 래디믹스트 콘크리트 운반 차량에 특수보온시설을 하여야 할 외기온도 기준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30℃ 이상 또는 0℃ 이하
     2. 30℃ 이상 또는 -2℃ 이하
     3. 25℃ 이상 또는 0℃ 이하
     4. 25℃ 이상 또는 -2℃ 이하

     정답 : []
     정답률 : 50%

80. 지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6월)
     1. 잡석지정-기초 콘크리트 타설 시 흙의 혼입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한다.
     2. 모래지정-지반이 단단하며 건물이 중량일 때 사용한다.
     3. 자갈지정-굳은 지반에 사용되는 지정이다.
     4. 밑창 콘크리트지정-잡석이나 자갈 위 기초부분의 먹매김을 위해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모래지정 : 지반이 약한 점토층에 사용
[해설작성자 : ㅇㅇ]

5과목 : 건설재료학


81. 건축재료의 성질을 물리적 성질과 역학적 성질로 구분할 때 물체의 운동에 관한 성질인 역학적 성질에 속하지 않는 항목은?(2021년 09월)
     1. 비중
     2. 탄성
     3. 강성
     4. 소성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재료의 역학적(기계적) 성질
- 탄성, 소성, 점성, 강도, 경도, 강성, 연성, 취성, 인성, 전성, 팽창, 수축
[해설작성자 : 오늘합격각]

물리적 성질 -    *중량에 관한성질 :비중 함수율 흡수율
                             *열에 관한 성질 : 비열 열전도율

역학적 성질-     *탄성 소성 강성 연성 취성 등
[해설작성자 : 내일도 합격]

82. 비철금속 중 알루미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5월)
     1. 순도가 높은 알루미늄은 맑은 물에 대해 내식성이 크고 전연성이 크다.
     2. 연질이고 강도가 낮다.
     3. 산, 알칼리 및 해수에 대해 내식성이 크다.
     4. 콘크리트에 접하거나 흙 중에 매몰된 경우에는 부식되기 쉽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알루미늄(Aluminum)
1.경량질에 비해 강도가 크다
2. 광선 및 열에 대한 반사율이 커서 열차단재료도 사용된다
3.내화성이 적고 열팽창이 처의 2배 정도로 크다
4. 공기 중에서 Al2o3의 피막을 만들어 내부를 보호한다
5. 내산성 및 내 알카리성이 약하다!
[해설작성자 : 미사천]

83. 다음 중 아스팔트 루핑의 생산에 사용되는 아스팔트는?(2004년 03월)
     1. 록 아스팔트
     2. 유제 아스팔트
     3. 컷백 아스팔트
     4. 블론 아스팔트

     정답 : []
     정답률 : 59%

84. 알루미늄과 그 합금에 대한 다음 성질중 틀린 것은?(2003년 03월)
     1. 열, 전기전도성이 동 다음으로 크고, 반사율도 높다.
     2. 융점이 낮아 용해주조도는 좋으나 내화성이 부족하다
     3. 부식률은 대기중의 습도와 염분 함유량 등에 관계되며 0.08mm/년 정도이다.
     4. 상온에서 판, 선으로 압연가공하면 경도와 연신율이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상온가공을 하면 경도와 인장강도는 증가하고 연신율은 감소한다.
[해설작성자 : 구미촌사람]

85. 콘크리트의 블리딩 현상에 의한 성능저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3월)
     1. 골재와 페이스트의 부착력 저하
     2. 철근과 페이스트의 부착력 저하
     3. 콘크리트의 수밀성 저하
     4. 콘크리트의 응결성 저하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블리딩 현상
1.콘크리트 타설 후 무거운 골재나 시멘트는 침하하고 가벼운 물과 미세물질이 상승하는 현상
2.블리딩에 의한 성능저하
-골재와 페이스트의 부착력 저하
-철근과 페이스트의 부착력 저하
-콘크리트의 내구성, 수밀성 저하
[해설작성자 : Charlie]

86. 각종 벽돌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5년 03월)
     1. 내화벽돌은 내화점토를 원료로 하여 소성한 벽돌로서 내화도는 1,500~2,000℃의 범위이다.
     2. 다공벽돌은 점토에 톱밥, 겨, 탄가루 등을 혼합, 소성한 것으로 방음, 흡음성이 좋다.
     3. 이형벽돌은 형상, 치수가 규격에서 정한 바와 다른 벽돌로서 특수한 구조체에 사용될 목적으로 제조된다.
     4. 포도벽돌은 벽돌에 오지물을 칠해 소성한 벽돌로서, 건물의 내외장 또는 장식물의 치장에 쓰인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포도벽돌은 경질이며 흡습성이 적고 두꺼워서 도로,복도, 창고 등의 바닥면에 자주 쓰임
[해설작성자 : 맑갑]

벽돌에 오지물을 칠해 소성한 벽돌로서, 건물의 내,외장 또는 장식물의 치장에 쓰이는 것은 오지벽돌이다.
[해설작성자 : ㅈㅂ]

87.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6월)
     1. 시멘트의 제조성분에 따라 수축량이 다르다.
     2. 골재의 성질에 따라 수축량이 다르다.
     3. 시멘트량의 다소에 따라 수축량이 다르다.
     4. 된비빔일수록 수축량이 많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된비빔일수록 수축이 작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1. 시멘트의 종류, 분말도, 골재에 영향을 받는다.
2. 단위수량과 단위시멘트량이 많을수록 수축량이 크다.
3. 골재에 함유된 미립분, 점토, 실트는 건조수축을 증대시킨다.
4. W/C비가 같은 경우 사용 단위시멘트량이 클수록 크다.
5. 건조개시 재령은 건조수축에 큰 영향이 없다.
6. 골재가 단단하고 탄성계수가 클수록 적게 된다.
7. 된비빔일수록 수축량이 적다.
[해설작성자 : 건안기합격하자]

88. 콘크리트 혼화재 중 하나인 플라이애시가 콘크리트에 미치는 작용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1년 10월)
     1. 콘크리트 내부의 알칼리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중성화를 촉진시킬 염려가 있다.
     2. 콘크리트 소화초기시의 발열량을 감소시키고 장기적으로 시멘트의 석회와 결합하여 장기강도를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3. 입자가 구형이므로 유동성이 증가되어 단위 수량을 감소시키므로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의 개선, 펌핑성을 향상시킨다.
     4. 알칼리골재반응에 의한 팽창을 증가시키고 콘크리트의 수밀성을 약화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수밀성 향상

89.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을 표시하는 용어 중 거푸집 등의 형상에 순응하여 채우기 쉽고 분리가 일어나지 않는 성질을 말하는 것은?(2004년 03월)
     1. 워커빌리티(workability)
     2. 컨시스턴시(consistency)
     3. 플라스티시티(plasticity)
     4. 피니셔빌리티(finishability)

     정답 : []
     정답률 : 26%
     <문제 해설>
■용어설명
1. 워커빌리티(workability) : 작업성
2. 컨시스턴시(consistency) : 반죽질기
3. 플라스티시티(plasticity) : 성형성
4. 피니셔빌리티(finishability) : 마무리용이성
5. 펌프빌리티(pumoability) : 펌프이송성
[해설작성자 : 구미촌사람]

90. 다음 중 소성온도가 가장 높은 것은?(2004년 09월)
     1. 도기
     2. 자기
     3. 토기
     4. 석기

     정답 : []
     정답률 : 67%

91. 폴리머합침콘크리트의 특징 중 틀린 것은 ?(2003년 05월)
     1. 폴리머합침을 하지 않은 기본재료에 비하여 강도와 탄성이 크다.
     2. 폴리머합침을 하지 않은 기본재료에 비하여 내약품성이 우수하다.
     3. 폴리머합침을 하지 않은 기본재료에 비하여 수밀성이 양호하다.
     4. 폴리머합침을 하지 않은 기본재료에 비하여 내화성이 크다.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폴리머합침이 아니라 폴리머함침(含浸)
폴리머함침 콘크리트는 가연성이며 현장시공이 어렵다
[해설작성자 : 투디]

92. 목재접합, 합판제조 등에 사용되며, 다른 접착제와 비교하여 내수성이 부족하고 값이 저렴한 접착제는?(2014년 03월)
     1. 요소수지 접착제
     2. 푸란수지 접착제
     3. 에폭시수지 접착제
     4. 실리콘수지 접착제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1.무색투명하다.
2.내수성, 내알칼리성, 내산성,, 내열성, 내후성이 약하다.
3.내수성이 비닐계 접착제보다는 크고 멜라민 수지나 페놀수지접착제보다는 적다.
4.목재접합,합판접합에 사용한다.
5.다른 합성수지접착제에 비해 내수성이 떨어진다.
[해설작성자 : Charlie]

93. 지름이 18mm인 강봉을 대상으로 인장시험을 행하여 항복하중 27kN, 최대하중 41kN을 얻었다. 이 강봉의 인장강도는?(2021년 09월)
     1. 약 106.3MPa
     2. 약 133.9MPa
     3. 약 161.1MPa
     4. 약 182.3MPa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MPa = N/mm^2 이므로
41x1000(단위:N으로 변환) / (파이 x 18mm^2 / 4) = 161.11 N/mm^2 = 161.1MPa 입니다.
[해설작성자 : 건공졸업생]

인장강도(N/mm^2)=최대하중/원단면적
(41*1000)/(파이*원의반지름^2)
[해설작성자 : 비전공자]

94. 다음 중 강(鋼)의 열처리와 관계없는 용어는?(2019년 09월)
     1. 불림
     2. 담금질
     3. 단조
     4. 뜨임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단조:금속을 두들기거나 가압하는 기계적방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열처리 방법
불림[소준]         : 공기중에서 냉각
풀림[소둔]         : 노속에서 냉각
담금질[소입]    : 가열수 냉각수/기름에서 냉각
뜨임질[소려] : 담금질후 공기중 냉각    
[해설작성자 : 짤짤이]

95. 양질의 도토 또는 장석분을 원료로 하며, 흡수율이 1% 이하로 거의 없고 소성온도가 약 1230~1460℃인 점포 제품은?(2020년 09월)
     1. 토기
     2. 석기
     3. 자기
     4. 도기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점토제품 소성온도
토기 : 700-800
석기 : 1200-1300
자기 : 1230-1460
도기 : 1100
[해설작성자 : ㅇㅇ]

추가로 강도는 자기>석기>도기>토기 순이다.
[해설작성자 : 파이팅해야지]

96. 대리석의 일종으로 다공질이며 황갈색의 반문이 있고 갈면 광택이 나서 우아한 실내장식에 사용되는 것은?(2005년 05월)
     1. 석회암
     2. 트래버틴
     3. 석면
     4. 점판암

     정답 : []
     정답률 : 60%

97. 경량형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단면이 작은 얇은 강판을 냉간성형하여 만든 것이다.
     2. 조립 또는 도장 및 가공 등의 목적으로 축판에 구멍을 뚫어서는 안된다.
     3. 가설구조물 등에 많이 사용된다.
     4. 휨내력은 우수하나 판 두께가 얇아 국부좌굴이나 녹막이 등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조립또는 도장 가공의목적으로 측판에 구멍을 뚫을 수도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8. 다음의 건축물 뿜칠마감재의 조성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5월)
     1. 안료 : 내알칼리성, 내후성, 착색력, 색조의 안정
     2. 유동화제 : 재료를 유동화시키는 재료(물이나 유기용제 등)
     3. 골재 : 치수안정성을 향상하고 흡음성, 단열성 등의 성능개선(모래, 석분, 펌프입자, 질석 등)
     4. 결합재 : 바탕재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한 재료(골재, 시멘트 등)

     정답 : []
     정답률 : 41%

99. 점토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5년 05월)
     1. 점토의 색상은 철산화물 또는 석회물질에 의해 나타난다.
     2. 점토의 가소성은 점토입자가 미세할수록 좋다.
     3. 압축강도와 인장강도는 거의 비슷하다.
     4. 소성수축은 점토 내 휘발분의 양, 조직, 융융도 등이 영향을 준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3번의 경우 압축강도가 인장강도보다 약 5배가 큼
[해설작성자 : 맑갑]

100. 다음 중 시멘트 풍화의 척도로 사용되는 것은?(2008년 09월)
     1. 강열감량
     2. 불용해 잔분
     3. 수경률
     4. 규산율

     정답 : []
     정답률 : 49%

101. 강관비계 조립 시 준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비계기둥에는 미끄러지거나 침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밑받침철물을 사용하거나 깔판ㆍ깔목 등을 사용하여 밑둥잡이를 설치하는 등의 조치를 할 것
     2. 강관의 접속부 또는 교차부(交叉部)는 적합한 부속철물을 사용하여 접속하거나 단단히 묶을 것
     3. 교차 가새의 설치를 금하고 한방향 가새로 설치할 것
     4. 가공전로(架空電路)에 근접하여 비계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가공전로를 이설(移設)하거나 가공전로에 절연용 방호구를 장착하는 등 가공전로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할 것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3. 교차 가새로 보강 할 것.
[해설작성자 : 선바라기]

102. 크레인을 사용하는 경우 작업시작 전에 점검하여야 하는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09년 03월)
     1. 권과방지장치, 브레이크, 클러치 및 운전장치의 기 능
     2. 주행로의 상측 및 트롤리가 횡행하는 레일의 상태
     3. 와이어로프가 통하는 곳의 상태
     4. 붐의 경사각도

     정답 : []
     정답률 : 48%

103. 다음 중 사면(slope)의 안정계산에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2011년 03월)
     1. 흙의 간극비
     2. 흙의 점착력
     3. 흙의 내부마찰각
     4. 흙의 단위 중량

     정답 : []
     정답률 : 41%

104. 토질시험 중 연약한 점토 지반의 점착력을 판별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현장시험은?(2020년 08월)
     1. 배인테스트(Vane Test)
     2. 표준관입시험(SPT)
     3. 하중재하시험
     4. 삼축압축시험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연질, 연약한 점토지반 대표적인 시험 : 베인테스트(vane test)
사질지반 대표적인 시험 : 표준관입시험
[해설작성자 : 건안기합격하자]

105. 다음 중 계측기의 설치 목적에 맞지 않는 것은?(2006년 05월)
     1. 지표침하계 - 지표면의 침하량 변화 측정
     2. 간극수압계 - 지반내 지하수위 변화 측정
     3. 변위계 - 토류 구조물의 각 부재와 콘크리트 등의 응력변화 측정
     4. 하중계 - 버팀보 어스앵커(Earth anchor) 등의 실제 축하중 변화 측정

     정답 :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변위계 - 토류 구조물의 각 부재와 콘크리트 등의 응력변화 측정

틀린 설명입니다.
변위계는 구조물이나 지반의 **변위(위치 변화)**를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응력 변화 측정은 응력계가 사용됩니다.
[해설작성자 : 고통받는인턴]

106. 화물운반하역 작업 중 줄걸이 작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와이어로프 등은 크레인의 후크 중심에 걸어야 한다.
     2. 인양 물체의 안정을 위하여 2줄 걸이 이상을 사용하여야 한다.
     3. 매다는 각도는 60°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4. 근로자를 매달린 물체위에 탑승시키지 않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3. 60°이하
[해설작성자 : 쭈리맘]

107. 다음은 시스템 비계구성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2013년 06월)

    

     1. 전체길이의 4분의 1
     2. 전체길이의 3분의 1
     3. 전체길이의 3분의 2
     4. 전체길이의 2분의 1

     정답 : []
     정답률 : 66%

108. 차량계 하역운반기계를 사용하는 작업을 할 때 그 기계가 넘어지거나 굴러떨어짐으로써 근로자에게 위험을 미칠 우려가 있는 경우에 우선적으로 조치하여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4월)
     1. 해당 기계에 대한 유도자 배치
     2. 지반의 부동침하 방지 조치
     3. 갓길 붕괴 방지 조치
     4. 경보 장치 설치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어떤 하역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고를 경고한다고 막을 수 있지 않다.
[해설작성자 : 도도]

109. 양중기 와이어로프의 부적격한 와이어로프의 사용금지 기준이 아닌 것은?(2005년 05월)
     1. 이음매가 있는 것
     2. 지름의 감소가 공칭지름의 7%를 초과하는 것
     3. 심하게 변형 또는 부식된 것
     4. 길이의 증가가 제조길이의 10%를 초과하는 것

     정답 : []
     정답률 : 40%

110. 그림과 같이 두 곳에 줄을 달아 중량물을 들어올릴 때, 힘 p의 크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9년 03월)

    

     1. 매단 줄의 각도(α)가 0°일 때 최소가 된다.
     2. 매단 줄의 각도(α)가 60°일 때 최소가 된다.
     3. 매단 줄의 각도(α)가 120°일 때 최소가 된다.
     4. 매단 줄의 각도(α)와 상관없이 모두 같다.

     정답 : []
     정답률 : 41%

111. 다음 중 토사붕괴로 인한 재해를 방지하기 위한 흙막이 지보공설비가 아닌 것은?(2011년 03월)
     1. 흙막이판
     2. 말뚝
     3. 턴버클
     4. 띠장

     정답 : []
     정답률 : 65%

112. 거푸집동바리 등을 조립하는 경우에 준수해야 할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5월)
     1. 동바리의 상하 고정 및 미끄러짐 방지조치를 하고, 하중의 지지상태를 유지한다.
     2. 강재와 강재의 접속부 및 교차부는 볼트ㆍ클램프 등 전용철물을 사용하여 단단히 연결한다.
     3. 파이프서포트를 제외한 동바리로 사용하는 강관은 높이 2m마다 수평연결재를 2개 방향으로 만들고 수평연결재의 변위를 방지할 것
     4. 동바리로 사용하는 파이프서포트는 4개이상 이어서 사용하지 않도록 할 것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피이프버포트 3개이상 이어서 사용 하지 않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3. 지반조사 보고서 내용에 해당되지 않는 항목은?(2014년 03월)
     1. 지반공학적 조건
     2. 표준관입시험치, 콘관입저항치 결과분석
     3. 시공예정인 흙막이 공법
     4. 건설할 구조물 등에 대한 지반특성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지반조사 보고서 내용
① 지반공학적 조건
② 표준관입시험치, 콘관입저항치 결과분석
③ 건설할 구조물 등에 대한 지반특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4. 지반의 종류가 다음과 같을 때 굴착면의 기울기 기준으로 옳은 것은?(2023년11월14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2017년 09월)

    

     1. 1:0.5 ~ 1:1.0
     2. 1:1.0 ~ 1:1.5
     3. 1:0.8
     4. 1:0.5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기존 규정]
습지 1:1~1:1.5
건지 1:0.5~1:1
풍화암 1:0.8
연암 1:0.5
경암 1:0.3

2021년 11월 19일 개정된 규정
습지 : 1:1~1:1.5
건지 : 1:0.5~1:1
풍화암 : 1:1.0(변경)
연암 : 1:1.0(변경)
경암 : 1:0.5(변경)

2023년 11월 14일 개정된 규정(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항 규칙 [별표11])
굴착면의 기울기 기준 (제 339조제1항 관련)
----------암반-----------
모래 :    1 : 1.8(추가)
연암 및 풍화암 : 1 : 1.0
경암 : 1 : 0.5
그 밖의 흙 : 1 : 1.2(추가)
----------보통흙----------
습지 : 1:1.0 ~ 1:1.5
건지 : 1:0.5 ~ 1:1.0

115. 강관 틀비계를 조립할 때 유의사항이 아닌 것은?(2004년 03월)
     1. 비계기둥의 밑둥에는 밑받침철물을 사용하여야 하며 고저차가 있는 경우에도 틀비계는 항상 수평, 수직을 유지해야 한다.
     2. 높이가 20m를 넘을 때나 중량물을 적재할 경우 주틀의 간격이 1.8m이하로 한다.
     3. 주틀간 교차가새를 설치하고 최상층 및 10층이내마다 수평재를 설치한다.
     4. 벽이음이나 연결재의 간격은 수직방향 6m이하, 수평 방향 8m이하로 설치한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주틀간 교차가새를 설치하고 최상층 및 5층이내마다 수평재를 설치한다.
[해설작성자 : 구미촌사람]

116. 다음 중 백호우(Backhoe)의 운행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1년 03월)
     1. 경사로나 연약지반에서는 무한궤도식 보다는 타이어 식이 안전하다.
     2. 작업계획서를 작성하고 계획에 따라 작업을 실시하여야 한다.
     3. 작업장소의 지형 및 지반상태 등에 적합한 제한속도를 정하고 운전자로 하여금 이를 준수하도록 하여야한다.
     4. 작업 중 승차석 외의 위치에 근로자를 탑승시켜서는 안 된다.

     정답 : []
     정답률 : 68%

117. 강관비계의 설치 기준으로 옳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9년 04월)
     1. 비계기중의 간격은 띠장방향에서는 1.5m이상 1.8m 이하로 하고, 장선방향에서는 2.0m 이하로 한다.
     2. 띠장 간격은 1.8m 이하로 설치하되, 첫 번째 띠장은 지상으로부터 2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한다.
     3. 비계기둥 간의 적재하중은 400k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4. 비계기둥의 제일 윗부분으로부터 21m되는 지점 밑부분의 비계기둥은 2개의 강관으로 묶어세운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규정 개정]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 약칭: 안전보건규칙 )
[시행 2020. 1. 16.] [고용노동부령 제273호, 2019. 12. 26., 일부개정]
제60조(강관비계의 구조) 사업주는 강관을 사용하여 비계를 구성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개정 2012. 5. 31., 2019. 10. 15., 2019. 12. 26.>
1. 비계기둥의 간격은 띠장 방향에서는 1.85미터 이하, 장선(長線) 방향에서는 1.5미터 이하로 할 것. 다만, 선박 및 보트 건조작업의 경우 안전성에 대한 구조검토를 실시하고 조립도를 작성하면 띠장 방향 및 장선 방향으로 각각 2.7미터 이하로 할 수 있다.
2. 띠장 간격은 2.0미터 이하로 할 것. 다만, 작업의 성질상 이를 준수하기가 곤란하여 쌍기둥틀 등에 의하여 해당 부분을 보강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3. 비계기둥의 제일 윗부분으로부터 31미터되는 지점 밑부분의 비계기둥은 2개의 강관으로 묶어 세울 것. 다만, 브라켓(bracket, 까치발) 등으로 보강하여 2개의 강관으로 묶을 경우 이상의 강도가 유지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4. 비계기둥 간의 적재하중은 400킬로그램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것
[해설작성자 : 산업안전보건법령 법개정]

118. 다음 중 거푸집동바리의 안전조치에 관한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9월)
     1. 동바리의 이음은 맞댄이음 또는 장부이음으로하고 같은 품질의 재료를 사용할 것
     2. 동바리로 사용하는 파이프서포트를 2본 이상 이어서 사용하지 말 것
     3. 거푸집이 곡면인 때에는 버팀대의 부착 등 거푸집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할 것
     4. 동바리로 사용하는 강관은 높이 2m 이내마다 수평연결재를 2개 방향으로 만들 것

     정답 : []
     정답률 : 52%

119. 해체공사 시 작업용 기계기구의 취급 안전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6월)
     1. 철제햄머와 와이어로프의 결속은 경험이 많은 사람으로서 선임된 자에 한하여 실시하도록 하여야 한다.
     2. 팽창제 천공간격은 콘크리트 강도에 의하여 결정되나 70∼120cm 정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3. 쐐기타입으로 해체 시 천공구멍은 타입기 삽입부분의 직경과 거의 같아야 한다.
     4. 화염방사기로 해체작업 시 용기 내 압력은 온도에 의해 상승하기 때문에 항상 40℃이하로 보존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천공간격은 콘크리트 강도에 의하여 결정되나 30 내지 70㎝ 정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해설작성자 : 아무개]

120. 다음 중 굴착작업의 안전조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9월)
     1. 굴착구간으로 표면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배수구를 설치하여 굴착작업부근의 표면수가 원활히 배수되도록 한다.
     2. 암석을 제외한 토질의 굴착시 구조물의 안전성과 작업전의 안전조치가 선행되지 않은 경우는 굴착작업을 중지시켜야 한다.
     3. 굴착구간 위로 작업원이나 자재를 운반할 필요가 있을 경우 필히 난간이 부착된 안전통로를 설치한 후 작업한다.
     4. 지층이 상이한 토질의 굴착시 지지층의 사면 안식각 이 그 위 지층의 사면안식각보다 작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건설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965153)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9 수능(한국근ㆍ현대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4098014)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38 화공기사(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9월0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37 귀금속가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1402130)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36 전기철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8월1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35 소방시설관리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5월0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34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재배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6월2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33 웹디자인개발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3월28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32 9급 국가직 공무원 국제법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4월0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31 금형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1244739)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30 9급 국가직 공무원 과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4월09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9 해양조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4월2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8 지게차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9170112)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 건설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965153)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2
26 응용지질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5월31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5 기상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3월1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4 9급 국가직 공무원 교정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4월1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정보보호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695342)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2 해양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5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1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3월2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0 인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10월06일(5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3
Board Pagination Prev 1 ... 1173 1174 1175 1176 1177 1178 1179 1180 1181 1182 Next
/ 1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