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유기농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9409836)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유기농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재배원론


1. 다음 중 가장 먼저 발견된 식물 호르몬은?(2018년 04월)
     1. 옥신
     2. 지베렐린
     3. 시토키닌
     4. ABA

     정답 : []
     정답률 : 81%

2. 작물의 내동성의 생리적 요인으로 틀린 것은?(2018년 04월)
     1. 원형질 수분 투과성 크면 내동성이 증대된다.
     2. 원형질의 점도가 낮은 것이 내동성이 크다.
     3. 당분 함량이 많으면 내동성이 증가한다.
     4. 전분 함량이 많으면 내동성이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작물의 내동성 (추위를 잘 견디는 작물의 성질)의 생리적 요인
㉠ 세포 수분함량이 높아지면 자유수분함량이 많아지면서 세포의 결빙조장 (원형질의 수분 투과성 커야함)
㉡ 삼투압이 낮아야 함
㉢ 유지함량이 높아야 함
㉣ 가용성 당함량이 높아야 함 (당분함량이 많아야 함)
㉤ 전분함량이 낮아야 함
㉥ 원형질의 점도가 낮아야 함
[해설작성자 : Johns]

3. 밭작물 생육에 가장 적합한 토양의 수분항수(水分恒數)는?(2007년 03월)
     1. 최대용수량
     2. 최소용수량
     3. 풍건상태
     4. 건토상태

     정답 : []
     정답률 : 70%

4. 식물의 필수원소 중의 하나인 붕소가 결핍되었을 때 식물에 나타나는 특징적인 증상은?(2016년 03월)
     1. 분열조직에 괴사가 일어나고 사과의 축과병과 같은 병해를 일으키며 수정, 결실이 나빠진다.
     2. 생장점이 말라죽고 줄기가 약해지며 잎의 끝이나 둘레나 황화되고, 심하면 아랫잎이 떨어진다.
     3. 생육초기에 뿌리의 발육이 나빠지고 잎이 암녹색이 되어 둘레에 점이 생기며, 심하게 결핍되면 잎이 황색으로 변한다.
     4. 황백화 현상이 일어나고 줄기나 뿌리에 있는 생장점의 발육이 나빠지며 식물체내의 탄수화물이 감소하며 식물체내의탄수화물이 감소하며 종자의 성숙이 나빠진다.

     정답 : []
     정답률 : 74%

5. 내건성이 강한 작물의 형태적 특성이 아닌 것은?(2011년 03월)
     1. 식물체가 작고 잎도 작다.
     2. 엽조직이 치밀하고, 엽맥과 울타리 조직이 발달되어 있다.
     3. 체적에 대한 표면적의 비가 작고 다육화의 경향이 있다.
     4. 뿌리가 얕고, 지하부보다 지상의 발달이 좋다.

     정답 : []
     정답률 : 75%

6. 토양 통기를 조장하기 위한 재배적 조치가 아닌 것은?(2012년 08월)
     1. 답전윤환 재배를 실시한다.
     2. 객토를 한다.
     3. 중·습답에서는 휴립재배를 한다.
     4. 파종할 때 미숙퇴비를 종자위에 두껍게 덮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30%

7. 지베릴린에 대하여 옳게 설명한 것은?(2016년 08월)
     1. 제초제로 이용된다.
     2. 벼의 키다리병에서 유래한 물질이다.
     3. 지베릴린의 주요 합성물질은 NAA이다.
     4. 사과의 낙과방지에 특히 효과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81%

8. 바람이 작물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2014년 08월)
     1. 냉풍은 작물체온을 저하시키거나 냉해를 유발시키지 않는다.
     2. 강한 바람으로 기공이 열려 이산화탄소 흡수가 증가되므로 광합성을 조장한다.
     3. 강한 바람에 의해서 상처가 나면 호흡이 증대하여 채내양분의 소모가 증대한다.
     4. 일반적으로 벼의 백수한상은 습도 60%에서는 풍속 10m/s 에서도 발생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80%

9. 기지(忌地)의 발생원인 중에서 시설재배 시 가장 크게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2010년 05월)
     1. 연작으로 인한 토양비료분의 일반적인 수탈
     2. 천근성 작물의 연작으로 인한 토양물리성 약화
     3. 다비 연작으로 인하여 작토층에 과잉 집적되는 염류
     4. 동일작물의 다비 연작으로 인한 특정잡초의 발생과 번성

     정답 : []
     정답률 : 67%

10. 도복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3월)
     1. 화곡류에서 도복에 가장 약한 시기는 최고 분얼기 이다.
     2. 병해충이 많이 발생할 경우 도복이 심해진다.
     3. 도복에 의하여 광합성이 감퇴되고 수량이 감소한다.
     4. 도복에 대한 저항성의 정도는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75%

11. 토양수분의 수주 높이가 100cm일 경우 pF값과 기압은 각각 얼마인가? (순서대로 pF, 기압)(2015년 03월)
     1. 1, 0.01
     2. 2, 0.1
     3. 3, 1
     4. 4, 10

     정답 : []
     정답률 : 61%

12. 다음에서 설명하는 것은?(2019년 03월)

    

     1. 평휴법
     2. 휴립구파법
     3. 성휴법
     4. 휴립휴파법

     정답 : []
     정답률 : 75%

13. 벼의 침수피해에 대한 내용이다. (가), (나)에 알맞은 내용은?(2020년 08월)

    

     1. (가) : 크다, (나) : 크다
     2. (가) : 크다, (나) : 작다
     3. (가) : 작다, (나) : 작다
     4. (가) : 작다, (나) : 크다

     정답 : []
     정답률 : 82%

14. 다음 중 자연교잡률(%)이 가장 높은 것은?(2019년 03월)
     1.
     2. 수수
     3. 보리
     4.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수수는 자가수정을 원칙으로 하나 자연교잡률이 높은 편이어서 2~10프로 평균 4.25%에 이름
[해설작성자 : Johns]

15. 대목의 위치에 따른 접목의 분류방법이 아닌 것은?(2009년 05월)
     1. 설접(舌接)
     2. 고접(高接)
     3. 근접(根接)
     4. 복접(腹接)

     정답 : []
     정답률 : 39%

16. 잡초 종자의 발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8년 07월)
     1. 잡초 종자는 대개 수명이 짧다.
     2. 잡초 종자는 대개 협광성이다.
     3. 잡초 종자는 대개 변온에서 발아율이 낮아진다.
     4. 잡초 종자는 대개 복토가 얕으면 잘 발아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17. 제초제로서 처음 사용한 약제는?(2014년 03월)
     1. MCP
     2. MH
     3. 2,4-D
     4. 2,4,5-T

     정답 : []
     정답률 : 75%

18. 우리나라의 작물재배 특색을 가장 잘 나타낸 것은?(2015년 08월)
     1. 고소득 작물의 도입 등 작부체계가 발달하였다.
     2. 최근 질소질 비료의 감축 등으로 친환경농업이 크게 발달하였다.
     3. 쌀의 비중이 커서 미곡(米穀)농업이라 할 수 있다.
     4. 치산치수가 잘 되어 기상재해가 적은 편이다.

     정답 : []
     정답률 : 75%

19. 다음 중 작물의 내동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8월)
     1. 포복성이 작물이 직립성보다 약하다.
     2. 세포내의 당함량이 높으면 내동성이 감소된다.
     3. 작물의 종류와 품종에 따른 차이는 경미하다.
     4. 원형질의 수분투과성이 크면 내동성이 증대된다.

     정답 : []
     정답률 : 75%

20. 녹체춘화형 식물인 것으로만 나열된 것은?(2019년 08월)
     1. 잠두, 무
     2. 추파맥류, 코스모스
     3. 완두, 벼
     4. 양배추, 양파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녹체춘화형식물은 식물체가 어느 정도 커진 뒤에 저온에 감응하여 추대되는 식물로 양배추, 양파, 당근, 우엉, 사리풀 등이 있음
[해설작성자 : Johns]

2과목 : 토양비옥도 및 관리


21. 토양 중에 서식하는 조류(藻類)의 역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2년 03월)
     1. 사상균과 공생하여 지의류 형성
     2. 유기물의 생성
     3. 산소 공급
     4. 산성토양을 중성으로 개량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조류
- 독립영양체로서의 성질 때문에 광이나 수분조건이 양호한 토양표면에서 주로 발생된다.
-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광합성을 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생물이다.
- 탄산칼슘 또는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유기물을 생성한다.
- 유기물을 생성하고 산소를 공급하며 대기중 공중질소를 고정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돌맹이]

22. 빗물이 모여 작은 골짜기를 만들면서 토양을 침식시키는 작용을 무엇이라 하는가?(2014년 03월)
     1. 우곡침식
     2. 계곡침식
     3. 유수침식
     4. 비옥도침식

     정답 : []
     정답률 : 72%

23. 다음 중 자급영양세균이 아닌 것은?(2005년 09월)
     1. 니트로소모나스(Nitrosomonas)
     2. 니트로박터(Nitrobacter)
     3. 티오바실루스(Thiobacillus)
     4. 아조토박터(Azotobacter)

     정답 : []
     정답률 : 37%

24. 다음의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최종 이온의 형태는?(2009년 05월)

    

     1. SO42-, OH-
     2. SO22-, H+
     3. SO32-, H+
     4. SO42-, H+

     정답 : []
     정답률 : 50%

25. 다음 음이온 중 어느 것이 가장 먼저 토양교질물에 흡착되는가?(2015년 03월)
     1. Cl-
     2. NO3-
     3. SO42-
     4. PO43-

     정답 : []
     정답률 : 46%

26. 건조한 토양을 기준하여 지렁이 한 마리가 소화시키는 토양의 양이 연간 0.1톤일 경우, 용적밀도가 1.2g/cm3인 10a 표층토양 10cm를 소화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은?(2015년 08월)
     1. 12년
     2. 120년
     3. 1200년
     4. 12000년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밀도=질량/부피
질량=부피*밀도
부피구하기: 10a=1000m^2, 1000m^2*0.1m(10cm)= 100m^3
1m=100cm니까 1m3=1000000cm3
즉, 앞에서 구한 부피에 밀도를 곱하면 100,000,000cm^3*1.2g/cm^3
120,000,000g = 120,000kg = 120ton
지렁이는 연간 0.1톤을 소화하므로 120톤 소화에는 1200년이 걸림
[해설작성자 : 축산학도인내가유기농업기사를?!]

27. 농경지 토양유기물 유지를 위한 적절한 농경지 유기물 관리 방안으로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8월)
     1. 경운을 최소화
     2. 농경지 피복
     3. 비료사용 억제
     4. 경사지에서의 등고선 재배

     정답 : []
     정답률 : 55%

28. 다음 중 토양 입단을 분산시키거나 수화시 가장 많은 물분자를 주변에 가지는 이온은?(2012년 08월)
     1. Na 이온
     2. Ca 이온
     3. Fe 이온
     4. K 이온

     정답 : []
     정답률 : 64%

29. 토양분류시 특정 토양의 특성을 나타내는 최소의 시료채취 단위(최소용적의 단위체)를 나타내는 용어는?(2007년 03월)
     1. Polypedon
     2. Landscape
     3. Pedon
     4. Soil Individual

     정답 : []
     정답률 : 45%

30. 가장 효과적으로 양이온 치환용량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토양 관리법은?(2017년 03월)
     1. 토양 유기물함량을 낮춘다.
     2. 수소이온 농도를 증가시킨다.
     3. 토양에 점토를 보충한다.
     4. 토양에 통기성을 좋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양이온치환용량(CEC)를 높이기 위해서는
유기물함량을 높이고
수소이온를 낮추고(수소이온이 토양의 음이온과 결합하기 때문에 낮추어야 된다)
토양에 점토 보충(객토)
토양에 통기성하고는 양이온 치환용량과 상관이 없다.
[해설작성자 : ㅇ]

31. 토양의 완충능 buffering capacity 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08월)
     1. 치환산도가 큰 토양일수록 완충능이 크다.
     2. 완충능은 토양의 pH 값이 변화하는 것에 저항하는 힘이다.
     3. 완충능이 큰 토양일수록 활산성에 비해 잠산성이 적다.
     4. 완충능이 큰 토양일수록 교질물질의 함량이 많다.

     정답 : []
     정답률 : 60%

32. 다음 필수식물영양소 중 다량영양소가 아닌 것은?(2021년 05월)
     1. S
     2. P
     3. Fe
     4. Mg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다량영양소: N, P, K, Ca, Mg, S
미량영양소: Cu, Fe, Mn, Zn, B, Mo
[해설작성자 : 유기농업기사]

33. 다음 중 화성암이며, 우리나라 토양의 주요 모재가 되는 암석은?(2012년 03월)
     1. 화강암
     2. 천매암
     3. 석회암
     4. 현무암

     정답 : []
     정답률 : 84%

34. 다음 중 물에 의한 토양 침식에 영향을 끼치는 주요 인자가 아닌 것은?(2012년 08월)
     1. 경사장과 경사각
     2. 강우량과 강우강도
     3. 해발 높이와 일사량
     4. 수분 침투율과 토양구조 안정성

     정답 : []
     정답률 : 60%

35. 과다시비에 의한 수자원의 부영양화 및 유아의 메트헤모글로빈혈증(methemoglobinemia, 일명 청색증)과 밀접하게 관련되는 것은?(2006년 08월)
     1. 칼리
     2. 질소
     3. 인산
     4. 석회

     정답 : []
     정답률 : 50%

36. 미국농무부법(USDA법)에 의한 자갈(gravel)의 입경기준으로 옳은 것은?(2010년 05월)
     1. 2.0mm 이상
     2. 2.0 ~ 1.0mm
     3. 1.0 ~ 0.5mm
     4. 0.5mm 이하

     정답 : []
     정답률 : 54%

37. 토양을 조사하고 분류할 때 기본적으로 토양의 단면 특성을 파악해야 한다. 이 때 조사해야 할 특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3년 06월)
     1. 토양층위의 발달
     2. 토성
     3. 토양미생물 구성
     4. 토양 구조

     정답 : []
     정답률 : 71%

38. 논토양을 미리 풍건처리 한 후에 담수 보온 처리하게 되면 무처리구에 비하여 어떤 유효양분의 생산성이 높아지는가?(2007년 03월)
     1. 유효태 인산
     2. 유효태 칼슘
     3. 유기태 질소
     4. 암모늄태 질소

     정답 : []
     정답률 : 53%

39. 어떤 토층을 Btg라는 기호로 표시하였다. 이 토층의 특성은?(2019년 03월)
     1. 석고가 집적된 무기출 표층
     2. 규산염 점토가 집적된 강 환원 집적층
     3. 염류가 집적된 동결 집적층
     4. 탄산염과 나트륨의 집적층

     정답 : []
     정답률 : 55%

40. 사력질 논토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9년 07월)
     1. 배수가 불량하여 암거배수가 반드시 필요하다.
     2. 양질의 점토함량이 많은 질흙을 객토해야 한다.
     3. 식질 토양보다 완충력이 커서 산도 변화가 작다.
     4. 사토일수록 토양환원이 천천히 진행되어 유해물질 농도는 감소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3과목 : 유기농업개론


41. 다음 중 내습성이 가장 강한 작물은?(2021년 08월)
     1. 당근
     2. 미나리
     3. 고구마
     4. 감자

     정답 : []
     정답률 : 80%

42. 포도나무의 정지법으로 흔히 이용되는 방법이며, 가지를 2단 정도로 길게 직선으로 친 철사에 유인하여 결속시킨 것은?(2022년 04월)
     1. 절단형 정지
     2. 원추형 정지
     3. 변칙주간형 정지
     4. 울타리형 정지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포도나무의 정지법으로 흔히 이용되는 방법이고, 시설비가 적게 들고, 관리에 편리하나 나무의 수명이 짧아진다.
[해설작성자 : 노키]

43. 화학 제초제를 사용하지 않고 쌀겨를 투입하여 잡초를 방제하는 경우의 방제원리로 볼 수 없는 것은?(2017년 03월)
     1. 논물이 혼탁해져 광을 차단하여 잡초 발아가 억제 된다.
     2. 쌀겨의 영양분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 될 때 산소가 일시적으로 고갈되어 잡초의 발아억제에 도움을 준다.
     3. 쌀겨에 함유된 제초제 성분이 잡초의 발아를 억제한다.
     4. 쌀겨가 분해 될 때 생성되는 메탄가스 등이 잡초의 발아를 억제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쌀겨에는 제초제 성분이 없다.
[해설작성자 : ㅇ]

44. 유기축산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은?(2005년 09월)
     1. 약초요법 제재
     2. 비유기사료
     3. 축분사료의 재사용
     4. 대체우유

     정답 : []
     정답률 : 45%

45. 토양의 미생물상 개량에 따른 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2005년 09월)
     1. 미생물의 숫자와 생물체량이 증가하여 토양 양분함량이 높아진다.
     2. 미생물의 호흡량이 많아지면서 땅속 깊은 곳까지 공기유통이 활발해져 뿌리생육이 왕성하다.
     3. 근권미생물상이 유효미생물 중심으로 안정되므로써 뿌리의 병해가 감소된다.
     4. 뿌리주변의 미생물상이 유해미생물 중심으로 변하면서 뿌리가 썩거나 병에 걸리는 확률이 높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59%

46. 다음 중 벼 종자소독 시 냉수온탕침법을 실시할 때 가장 적절한 온탕의 물 온도는?(2012년 05월)
     1. 15℃
     2. 25℃
     3. 35℃
     4. 55℃

     정답 : []
     정답률 : 56%

47. 퇴비의 장점이 아닌 것은?(2012년 08월)
     1. 발효과정 동안 잡초 및 병균 사멸
     2. 산성토양의 산도 조절
     3. 토양 유기물 함량 증가
     4. 퇴비생산시 노동력 절감

     정답 : []
     정답률 : 56%

48. 유기축산을 위한 축사시설 준비 과정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2022년 03월)
     1. 채광이 양호하도록 설계하여 건강한 성장을 도모한다.
     2. 공기의 유입이나 통풍이 양호하도록 설계하여 호흡기 질병이나 먼지 피해를 입지 않도록 한다.
     3. 가축의 분뇨가 외부로 유출되거나 토양에 침투되어 악취 등의 위생문제 및 지하수 오염 등을 일으키지 않도록 한다.
     4. 축사건립에 많은 투자를 피하고, 좁은 면적에 다수의 가축을 밀집 사육시킴으로서 경영의 효율성을 제고한다.

     정답 : []
     정답률 : 88%

49. 다음 중 (가), (나)에 들어갈 내용은?(2016년 08월)

    

     1. 가 : 경지삽, 나 : 녹지삽
     2. 가 : 녹지삽, 나 : 단아삽
     3. 가 : 단아삽, 나 : 신초삽
     4. 가 : 신초삽, 나 : 단아삽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눈 하나만을 삽목하는 것을 단아삽이라 하고, 1년 미난의 가지를 삽목하는 것은 신초삽, 조기이 경화가 덜된 어린 가지를 이용하는 삽목을 녹지삽이라한다.
[해설작성자 : bbongbird]

50. 고간류 사료 중에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조사료는?(2021년 03월)
     1. 보릿짚
     2. 옥수수대
     3. 밀짚
     4. 볏짚

     정답 : []
     정답률 : 80%

51. 다음 중 다년생 논잡초는?(2020년 09월)
     1. 참방동사니
     2. 매자기
     3. 개망초
     4. 돌피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논잡초 다년생 방동사니과
- 너도방동사니, 올방개, 매자기, 올챙이고랭이
[해설작성자 : Johns]

52. 작부체계를 다양화하기 위한 환경친화형 벼 품종 개발 목표로 가장 적절한 것은?(2008년 07월)
     1. 수량과 소득증대
     2. 저항성 품종개발
     3. 내병성과 스트레스에 강한 품종
     4. 단기 생육성 품종개발

     정답 : []
     정답률 : 22%

53. 우리나라에서 친환경농업육성법이 제정된 후 정부가 친환경농업 원년을 선포한 연도는?(2022년 04월)
     1. 1997년
     2. 1998년
     3. 1999년
     4. 2000년

     정답 : []
     정답률 : 59%

54. 소나 돼지와 같은 우제류에 발생하는 심각한 전염병인 구제역의 병원체 종류는?(2015년 08월)
     1. 세균
     2. 바이러스
     3. 진균
     4. 원충

     정답 : []
     정답률 : 83%

55. 품종의 분류 중 내력에 따른 분류로 옳은 것은?(2006년 08월)
     1. 조생종, 중생종, 만생종
     2. 재래품종, 육성품종, 도입품종
     3. 육성품종, 종, 아종
     4. 일반품종, 식용품종, 특수품종

     정답 : []
     정답률 : 50%

56. 유기축산에서 가축에게 급여할 사일리지를 제조할 때 가장 적당한 재료의 수분함량은?(2011년 03월)
     1. 30%
     2. 50%
     3. 70%
     4. 85%

     정답 : []
     정답률 : 27%

57. 다음 중 논(환원)상태에 해당하는 것은?(2018년 08월)
     1. CO2
     2. NO3-
     3. Mn4+
     4. CH4

     정답 : []
     정답률 : 51%

58. 녹비작물로 이용하는 헤어리베치 생초 2000kg에 함유된 질소 성분량은 얼마인가? (단, 헤어리베치의 수분은 85%, 건초 질소 함량은 4%를 기준으로 한다.)(2022년 04월)
     1. 10kg
     2. 12kg
     3. 15kg
     4. 16kg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헤어리베치 건초 무게 = 2000kg*(1-0.85) = 300kg
(건초 질소 함량을 제시했으므로 건초 무게 구함)
질소 성분량 = 300kg*0.04 = 12kg
[해설작성자 : 도오트]

59. 다음 중 양질의 퇴비를 판정하는 주요한 방법으로 거리가 먼 것은?(2008년 07월)
     1. 관능적 방법
     2. 발아시험법
     3. 탄질율 검사
     4. 물리학적 방법

     정답 : []
     정답률 : 50%

60. 한 포장 내에서 위치에 따라 종자, 비료, 농약 등을 달리함으로써 환경문제를 최소하하면서 생산성을 최대로 하려는 농업은?(2019년 04월)
     1. 자연농업
     2. 정밀농업
     3. 유기농업
     4. 생태농업

     정답 : []
     정답률 : 70%

4과목 : 유기식품 가공.유통론


61. 식품가공에서 쓰이는 1%는 몇 ppm 인가?(2020년 08월)
     1. 100
     2. 1000
     3. 10000
     4. 100000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 ppm = 1 mg / 1 kg
[해설작성자 : 목표는 3기사]

62. D값이 121℃에서 2분인 세균포자의 수를 103으로부터 100으로 감소시킬 때의 F값은?(2013년 06월)
     1. 1분
     2. 3분
     3. 6분
     4. 9분

     정답 : []
     정답률 : 56%

63. 인증농산물의 정보를 검색할 때 아래의 인증번호의 코드 구분 중 시군코드는?(2012년 08월)

    

     1. 15
     2. 06
     3. 1
     4. 3

     정답 : []
     정답률 : 69%

64. 유기가공식품 생산 및 취급시 사용이 가능한 재료는?(2006년 08월)
     1. 식용색소 황색 제 5호
     2. 한천
     3. 사카린나트륨
     4. 안식향산나트륨

     정답 : []
     정답률 : 56%

65. 미생물의 가열 치사 시간을 10배 변화시키는데 필요한 가열 온도의 차이를 나타내는 값은?(2007년 08월)
     1. F값
     2. Z값
     3. D값
     4. K값

     정답 : []
     정답률 : 38%

66. 유기가공식품에 사용하는 원재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0년 07월)
     1. 동일 원재료에 대해서 유기농산물과 비유기농산물을 혼합한 경우에는 함량을 표기해야 한다.
     2. 방사선 조사처리된 원재료를 사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3. 유전자재조합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사용하거나 검출되어서는 아니 된다.
     4. 당해 식품에 사용하는 용기ㆍ포장은 재활용이 가능하거나 생물분해성 재질이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67. 친환경농산물의 그린 마케팅에서 시장의 그린화와 상품의 그린화가 모두 미진한 경우에는 시장침투 전략이 유효하다. 이에 해당하는 품목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2005년 09월)
     1. 쇠고기
     2. 토마토
     3.
     4. 상추

     정답 : []
     정답률 : 50%

68. 친환경농산물의 도매상과 대형 유통업체 같은 소매상 등의 활동 내용을 분석하여 그 특징을 밝히는 연구방법은 어디에 속하는가?(2017년 03월)
     1. 기능별 연구
     2. 기관별 연구
     3. 상품별 연구
     4. 관리적 연구

     정답 : []
     정답률 : 70%

69. 공산물 유통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농산물의 특별한 유통체계는?(2014년 03월)
     1. 전자 상거래
     2. 도매유통
     3. 소매유통
     4. 산지유통

     정답 : []
     정답률 : 43%

70. 식품 중의 대장균군 검사 결과 MPN 값이 50이 나왔다면, 검체 100ml 중에 존재하는 대장균군의 수는 몇 개인가?(2020년 09월)
     1. 5
     2. 50
     3. 500
     4. 5000

     정답 : []
     정답률 : 58%

71. 소비자가 건강, 환경문제 등을 고려하여 유기식품을 구매한다면, 이는 어떤 유형의 마케팅에 해당하는가?(2018년 04월)
     1. 생산지향적 마케팅
     2. 판매지향적 마케팅
     3. 시장지향적 마케팅
     4. 사회복지지향적 마케팅

     정답 : []
     정답률 : 77%

72. 편성혐기성균으로 포자를 형성하며, 치사율이 높은 신경독소를 생산하는 것은?(2011년 08월)
     1. Stapylococcus
     2. Clostridium botulinum
     3. Lactobacillus bulgaricus
     4. Bacillus cereus

     정답 : []
     정답률 : 45%

73. 돌연변이 유발 물질을 테스트하는 Ames테스트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3월)
     1. 히스티딘 요구주를 이용한다.
     2. 돌연변이가 유발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집락을 더 많이 발생시킨다.
     3. 발암성과 변이원성은 완전히 일치한다.
     4. 주로 살모넬라균을 이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Anes테스트: 세균의 돌연변이체를 이용한 화학물질의 돌연변이 유발성과 그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의약품과 식품 첨가물 따위의 유전 독성을 검증하는 일자적인 방법, 전세계의 식품. 의약품 안전검사 기관에서 채택 사용되고 있다.

히스티딘: 단백질을 구성하는 염기성 아미노산의 하나 무색 고체형태 헤모글로빈속에 많이 들어 있으며 부패. 발효하면 독성이 있는 히스타민이 된다 C6H9N3O2
[해설작성자 : 열공줌마]

74. 분유를 제조할 때 주로 사용되는 건조 방법은?(2008년 03월)
     1. 분무건조
     2. 열풍건조
     3. 동결건조
     4. 드럼건조

     정답 : []
     정답률 : 50%

75. 농산물 표준화의 잠재적 효용가치가 아닌 것은?(2022년 03월)
     1. 마케팅비용의 감소
     2. 중간상의 이윤을 높임
     3. 시장 유통활동의 능률화
     4. 가격형성의 효율화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1. 마케핑비용의 감소 - 마케팅비용의 감소로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

76. 케이크 제조 공정 중 multi-stage mixing에 사용되는 creaming step은 fet가 sugar를 함께 혼합하여 크림을 만드는 과정이다. 이 step의 목적이 아닌 것은?(2017년 03월)
     1. 미세한 texture를 가지게 한다.
     2. 공정 중 기다리는 시간(sitting time)을 연장할 수 있게 한다.
     3. 공기를 fat에 가두어 운동성을 줄인다.
     4. 공기를 직접 혼입할 수 있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우유 중 지방이 분리되어 위로 떠오르는 현상을 크리밍 이라 하며, 지방의 운동성을 줄이고 질감을 높이며 시간을 연장시키고자 하는 목적

77. 유기가공식품의 제조, 가공 기준으로 틀린 것은?(2010년 05월)
     1. 기계적, 물리적, 생물적 제조, 가공방법을 사용하여야 하고, 식품첨가물을 최소량 사용하여야 한다.
     2. 유기가공식품과 비유기가공식품을 동일한 시간에 동일한 설비로 제조가공한다.
     3. 유기가공식품과 원료유기농산물은 비유기가공식품 및 비유기원료농산물과 따로 보관, 저장하여야 한다.
     4. 방사선 조사 처리된 원재료를 사용하여서는 아니된다.

     정답 : []
     정답률 : 65%

78. 빵은 오븐에서 나온 후 시간이 지나면서 품질이 저하되는데 이러한빵의노화(staling)라고한다 이중 빵이 굳어지는 것은 밀 전분입자의 노화에 의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07년 03월)
     1.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기 위해 냉장 보관한다.
     2. amylose와 complex를 형성하도록 유화제를 첨가한다.
     3. 탈수제로 작용하는 설탕을 첨가한다.
     4. 80 도 이상에서 수분함량을 15% 이하로 급속히 제거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79. 신선편이 농산식품의 갈변방지를 위한 처리방법이 아닌 것은?(2011년 06월)
     1. 비타민C 첨가
     2. 오존 처리
     3. MA(기체조절) 포장
     4. 가식성 필름 포장

     정답 : []
     정답률 : 48%

80. 유기과채류 가공식품 제조방법으로 틀린 것은?(2021년 05월)
     1. 과채류는 비타민 등 영양분 손실이 적게 가공하는 것이 좋다.
     2. 채소류는 알칼리성이기 때문에 산성 첨가물을 최대로 사용하여 가공하는 것이 좋다.
     3. 잼류는 펙틴, 산, 당분이 적당한 원료를 사용하여 가공하는 것이 좋다.
     4. 부패 및 변질이 잘되지 않는 원료를 사용하여 가공하는 것이 좋다.

     정답 : []
     정답률 : 75%

81. 식품산업진흥법에 따른 유기가공식품 인증기준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2년 03월)
     1. 유기원료를 상업적으로 조달할 수 없는 경우, 물과 소금을 제외한 제품 중량의 5% 비율 내에서 비유기 원료를 사용할 수 있다.
     2. 미생물 제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유전자변형 미생물에서 유래한 것은 사용할 수 없다.
     3. 식품위생을 위한 원재료의 방사선 조사처리는 허용한다.
     4. 여과를 위하여 석면을 포함하여 식품 및 환경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물질이나 기술을 사용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75%

82. 유기식품의 생산, 가공, 표시, 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 라인의 유기생산 원칙에서 벌의 건강에 관한 효과적인 양봉 관리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8년 03월)
     1. 지역 여건에 잘 적응하는 튼튼한 품종을 선택
     2. 상황에 따라 여왕벌 교체
     3. 오염된 양봉기자재는 청소하고 소독하여 사용
     4. 벌통의 수벌을 체계적으로 관리

     정답 : []
     정답률 : 64%

83. 친환경관련법에서 유기식품 등의 인증 기준에 따른 유기농산물의 재배방법으로 틀린 것은?(2016년 03월)
     1. 화학비료와 유기합성농약을 전혀 사용하지 아니하여야 한다.
     2. 단기간의 적절한 윤작계획에 따라 두과작물, 녹비작물 또는 천근성작물을 재배하여야 한다.
     3. 토양에 투입하는 유기물은 유기농산물의 인증기준에 맞게 생산된 것이어야 한다.
     4. 가축분뇨를 원료로 하는 퇴비 · 액비는 유실 및 용탈 등으로 인하여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아니하도록 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84. 농림축산식품부 소관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에서 유기가공품으로 인증을 받은 자가 인증품의 표시사항을 위반하였을 경우 행정처분기준은?(2020년 06월)
     1. 판매정지 1개월
     2. 표시사용정지 1개월
     3. 유기가공식품 인증취소
     4. 해당 인증품의 인증표시 변경

     정답 : []
     정답률 : 50%

85. 식품의약품안전청장이 고시한 식품의 표시기준에서 유기가공식품 생산 및 취급시 사용이 가능한 재료가 아닌 것은?(2009년 03월)
     1. 탄산칼슘
     2. 탄산바륨
     3. 탄산칼륨
     4. 탄산나트륨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6. 유기식품의 생산, 가공, 표시, 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의 유기생산 원칙 중 가축 및 가축제품 일반원칙이 아닌 것은?(2008년 03월)
     1. 인공수정이 허용되나 자연번식 방법 사용
     2. 동물성 사료(육분)의 공급 감축
     3. 항생제 등 화학약품, 예방백신 사용금지
     4. 스트레스 최소화로 질병 억제

     정답 : []
     정답률 : 30%

87. 농립축산식품부 소관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에 대한 내용이다. ( )에 알맞은 내용은?(2019년 04월)

    

     1. 1개월
     2. 3개월
     3. 6개월
     4. 12개월

     정답 : []
     정답률 : 67%

88. 「농림축산식품부 소관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ㆍ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상 70% 이상이 유기농축산물인 제품의 제한적 유기표시 허용기준으로 틀린 것은?(2021년 08월)
     1. 유기 또는 이와 유사한 용어를 제품명 또는 제품명의 일부로 사용할 수 없다.
     2. 표시장소는 주 표시면을 제외한 표시면에 표시할 수 있다.
     3. 원재료명 표시란에 유기농축산물의 총함량 또는 원료ㆍ재료별 함량을 g 혹은 kg으로 표시해야 한다.
     4. 최종 제품에 남아 있는 원료 또는 재료의 70% 이상의 유기농축산물이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3. 원재료명 표시란에 유기농축산물의 총함량 또는 원료ㆍ재료별 함량을 백분율(%)로 표시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안토시아닌]

89. 친환경농업육성법 시행규칙에 의한 친환경농산물의 인증기준에서 유기농림산물의 병해충 및 잡초의 방제ㆍ조절방법으로 틀린 것은?(2012년 05월)
     1. 멀칭ㆍ예취 및 화염제초
     2. 덫ㆍ울타리ㆍ빛 및 소리와 같은 기계적 통제
     3. 식물ㆍ농장퇴비 및 돌가루 등에 의한 생체역학적 수단
     4. 일반 농자재를 적극적으로 사용한 후 기계적인 방법을 제외하고 물리적인 방법으로만 방제

     정답 : []
     정답률 : 75%

90. 농어업 자원·환경 및 친환경농어업 등에 과한 실태조사·평가에 대한 내용이다. ( )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4월)

    

     1. 환경부장관
     2. 농림축산식품부장관
     3. 해양수산부장관
     4. 지방자치단체의 장

     정답 : []
     정답률 : 48%

91. 무농약농산물 인증의 구비요건에 관한 기중으로 옳은 것은?(2009년 03월)
     1. 유기합성농약의 살포 횟수는 농약관리법에 따른 안전사용기준의 2분의 1이하여야 한다.
     2. 화학비료는 농촌진흥청장이 권장하는 성분량의 1/3 이하를 사용하여야 한다.
     3. 유기합성농약과 화학비료는 일체사용하지 아니하여야 한다.
     4. 유전자변형종자를 사용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32%

92. 유기농산물 가공품 품질인증에 관한 규정상 품질인증 신청기한은?(2007년 03월)
     1. 가공개시 10일 전까지
     2. 가공개시 30일 전까지
     3. 가공개시 42일 전까지
     4. 가공개시 45일 전까지

     정답 : []
     정답률 : 67%

93. 『농림축산식품부 소관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상 다음 ( ) 안에 알맞은 것은?(2021년 05월)

    

     1. 7일
     2. 1개월
     3. 42일
     4. 2개월

     정답 : []
     정답률 : 46%

94. 친환경농업육성법령상 유기농산물 생산포장의 토양개량과 작물생육을 위해 사용가능한 자재 중 농촌진흥청장이 고시한 품질규격에 적합해야만 사용할 수 있는 것은?(2013년 06월)
     1. 황산가리
     2. 목초액
     3. 키토산
     4. 칼륨암석

     정답 : []
     정답률 : 30%

95. 친환경관련법에서 유기식품 등의 유기표시 기능으로 틀린 것은?(2016년 03월)
     1. 표시도형의 국문 및 영문 모두 글자의 활자체는 고딕체로 하고, 글자 크기는 표시 도형의 크기에 따라 조정한다.
     2. 표시 도형의 색상은 녹색을 기본 색상으로 하되, 포장체의 색깔 등을 고려하여 파랑색, 빨강색 또는 검정색으로 할 수 있다.
     3. 표시도형의 크기는 포장제의 크기에 따라 조정할 수 없다.
     4. 표시 도형의 위치는 포장제 주 표시면의 측면에 표시하되, 포장재 구조상 측면 포시가 어려울 경우에는 표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1%

96. 유기식품의 생산ㆍ가공ㆍ표시ㆍ유통에 관한 Codex가이드라인에서 규정한 용어의 정의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07년 08월)
     1. “농산물/농산물계 제품”은 인간의 섭취, 또는 동물사료용으로 판매되는 모든 가공ㆍ비가공 제품을 말한다.
     2. “검사”란 요건에 부합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식품, 원료, 가공, 유통의 관리체계 또는 식품을 검사하는 것을 말한다. 유기식품 검사에는 최종제품 시험 및 생산,가공체계 조사도 포함된다.
     3. “표시”는 손으로 쓰거나 인쇄하거나 그림으로 나타낸 것으로 라벨에 나타나거나 첨부되거나 식품 근처에 전시되는 모든 것을 말한다.
     4. “인증기관”은 '유기식품'으로 팔거나 유기식품이란 라벨이 붙은 제품이 가이드 라인에 부합되게 생산, 가공, 준비, 취급, 수입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일을 맡은 공식정부기관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40%

97. 유기식품의 생산ㆍ가공ㆍ표시ㆍ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에서 규정하고 있는 검사/인증시의 최소 검사요건 및 예방조치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2년 05월)
     1. 수입국은 수출국의 유기제품의 검사요건을 그대로 인정하여 적용해야 한다.
     2. 인증기관이 해당 구역을 방문 시에는 반드시 사전에 통보하여야 한다.
     3. 인증기관은 최소한 1년에 한 번씩 해당 구역 전체에 대해 물리적인 검사를 실시해야 한다.
     4. 사업자는 매년 1월 1일 농가별 작물생산 스케줄을 작성하여 통보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98. 『농림축산식품부 소관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상 유기가공식품·비식용유기가공품의 인증기준에 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2021년 05월)
     1. 해충 및 병원균 관리를 위하여 방사선 조사 방법을 사용할 것
     2. 비유기 원료 또는 재료의 오염 등 불가항력적인 요인으로 합성농약 성분이 검출된 것으로 입증되는 경우에는 0.01 g/kg 이하까지만 허용할 것
     3. 유기식품·가공품에 시설이나 설비 또는 원료의 세척, 살균, 소독에 사용된 물질이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장이 정한 것만 함유될 것
     4. 사업자는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소속 공무원 또는 인증기관으로 하여금 유기가공식품·비식용유기가공품의 제조·가공 또는 취급의 전 과정에 관한 기록 및 사업장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할 것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1번.
해충 및 병원균 관리를 위해 예방적 방법, 기계적ㆍ물리적ㆍ생물학적 방법을 우선 사용해야 하고, 불가피한 경우 별표 1 제1호가목2)에서 정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밖의 화학적 방법이나 방사선 조사방법을 사용하지 않을 것

2번.
1) 합성농약 성분은 검출되지 않을 것. 다만, 비유기 원료 또는 재료의 오염 등 불가항력적인 요인으로 합성농약 성분이 검출된 것으로 입증되는 경우에는 0.01mg/kg 이하까지만 허용한다.
2) 인증품에 인증품이 아닌 제품을 혼합하거나 인증품이 아닌 제품을 인증품으로 판매하지 않을 것

3번.
1) 유기식품ㆍ유기가공품에 시설이나 설비 또는 원료ㆍ재료의 세척, 살균, 소독에 사용된 물질이 함유되지 않도록 할 것
2) 세척제ㆍ소독제를 시설 및 장비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기식품ㆍ유기가공품의 유기적 순수성이 훼손되지 않도록 할 것
[해설작성자 : 뺭뺭이뺭뺭]

99. 유기가공식품 인증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0년 07월)
     1. 해당 식품의 제조ㆍ가공에 사용한 원재료(정제수와 염화나트륨 제외)의 90% 이상이 친환경농업 육성법에 의한 유기농산물이어야 한다.
     2. 동일 원재료에 대하여 유기농산물과 비유기농산물은 혼합하여 사용하여서는 아니된다.
     3. 해당 식품 중 사용량이 10%이하인 재료는 방사선 처리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4. 해당 식품 중 사용량이 5% 이하인 재료는 유전자재조합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사용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0. 식품산업진흥법 관련 규정에 따라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장(농관원장)은 유기가공식품 인증업체 및 인증품에 대하여 지도 및 관리를 위래 현장조사 및 시판품조사를 실시 할 수 있다. 농관원장이 현장조사 및 시판품조사를 실시하는 시기로 옳은 것은?(2010년 07월)
     1. 현장조사 : 연 1회. 시판품조사 : 연 1회
     2. 현장조사 : 연 2회. 시판품조사 : 연 1회
     3. 현장조사 : 연 1회. 시판품조사 : 연 2회
     4. 현장조사 : 연 2회. 시판품조사 : 연 2회

     정답 : []
     정답률 : 34%


정 답 지

유기농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9409836)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유기농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재배원론


1. 다음 중 가장 먼저 발견된 식물 호르몬은?(2018년 04월)
     1. 옥신
     2. 지베렐린
     3. 시토키닌
     4. ABA

     정답 : []
     정답률 : 81%

2. 작물의 내동성의 생리적 요인으로 틀린 것은?(2018년 04월)
     1. 원형질 수분 투과성 크면 내동성이 증대된다.
     2. 원형질의 점도가 낮은 것이 내동성이 크다.
     3. 당분 함량이 많으면 내동성이 증가한다.
     4. 전분 함량이 많으면 내동성이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작물의 내동성 (추위를 잘 견디는 작물의 성질)의 생리적 요인
㉠ 세포 수분함량이 높아지면 자유수분함량이 많아지면서 세포의 결빙조장 (원형질의 수분 투과성 커야함)
㉡ 삼투압이 낮아야 함
㉢ 유지함량이 높아야 함
㉣ 가용성 당함량이 높아야 함 (당분함량이 많아야 함)
㉤ 전분함량이 낮아야 함
㉥ 원형질의 점도가 낮아야 함
[해설작성자 : Johns]

3. 밭작물 생육에 가장 적합한 토양의 수분항수(水分恒數)는?(2007년 03월)
     1. 최대용수량
     2. 최소용수량
     3. 풍건상태
     4. 건토상태

     정답 : []
     정답률 : 70%

4. 식물의 필수원소 중의 하나인 붕소가 결핍되었을 때 식물에 나타나는 특징적인 증상은?(2016년 03월)
     1. 분열조직에 괴사가 일어나고 사과의 축과병과 같은 병해를 일으키며 수정, 결실이 나빠진다.
     2. 생장점이 말라죽고 줄기가 약해지며 잎의 끝이나 둘레나 황화되고, 심하면 아랫잎이 떨어진다.
     3. 생육초기에 뿌리의 발육이 나빠지고 잎이 암녹색이 되어 둘레에 점이 생기며, 심하게 결핍되면 잎이 황색으로 변한다.
     4. 황백화 현상이 일어나고 줄기나 뿌리에 있는 생장점의 발육이 나빠지며 식물체내의 탄수화물이 감소하며 식물체내의탄수화물이 감소하며 종자의 성숙이 나빠진다.

     정답 : []
     정답률 : 74%

5. 내건성이 강한 작물의 형태적 특성이 아닌 것은?(2011년 03월)
     1. 식물체가 작고 잎도 작다.
     2. 엽조직이 치밀하고, 엽맥과 울타리 조직이 발달되어 있다.
     3. 체적에 대한 표면적의 비가 작고 다육화의 경향이 있다.
     4. 뿌리가 얕고, 지하부보다 지상의 발달이 좋다.

     정답 : []
     정답률 : 75%

6. 토양 통기를 조장하기 위한 재배적 조치가 아닌 것은?(2012년 08월)
     1. 답전윤환 재배를 실시한다.
     2. 객토를 한다.
     3. 중·습답에서는 휴립재배를 한다.
     4. 파종할 때 미숙퇴비를 종자위에 두껍게 덮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30%

7. 지베릴린에 대하여 옳게 설명한 것은?(2016년 08월)
     1. 제초제로 이용된다.
     2. 벼의 키다리병에서 유래한 물질이다.
     3. 지베릴린의 주요 합성물질은 NAA이다.
     4. 사과의 낙과방지에 특히 효과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81%

8. 바람이 작물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2014년 08월)
     1. 냉풍은 작물체온을 저하시키거나 냉해를 유발시키지 않는다.
     2. 강한 바람으로 기공이 열려 이산화탄소 흡수가 증가되므로 광합성을 조장한다.
     3. 강한 바람에 의해서 상처가 나면 호흡이 증대하여 채내양분의 소모가 증대한다.
     4. 일반적으로 벼의 백수한상은 습도 60%에서는 풍속 10m/s 에서도 발생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80%

9. 기지(忌地)의 발생원인 중에서 시설재배 시 가장 크게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2010년 05월)
     1. 연작으로 인한 토양비료분의 일반적인 수탈
     2. 천근성 작물의 연작으로 인한 토양물리성 약화
     3. 다비 연작으로 인하여 작토층에 과잉 집적되는 염류
     4. 동일작물의 다비 연작으로 인한 특정잡초의 발생과 번성

     정답 : []
     정답률 : 67%

10. 도복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3월)
     1. 화곡류에서 도복에 가장 약한 시기는 최고 분얼기 이다.
     2. 병해충이 많이 발생할 경우 도복이 심해진다.
     3. 도복에 의하여 광합성이 감퇴되고 수량이 감소한다.
     4. 도복에 대한 저항성의 정도는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75%

11. 토양수분의 수주 높이가 100cm일 경우 pF값과 기압은 각각 얼마인가? (순서대로 pF, 기압)(2015년 03월)
     1. 1, 0.01
     2. 2, 0.1
     3. 3, 1
     4. 4, 10

     정답 : []
     정답률 : 61%

12. 다음에서 설명하는 것은?(2019년 03월)

    

     1. 평휴법
     2. 휴립구파법
     3. 성휴법
     4. 휴립휴파법

     정답 : []
     정답률 : 75%

13. 벼의 침수피해에 대한 내용이다. (가), (나)에 알맞은 내용은?(2020년 08월)

    

     1. (가) : 크다, (나) : 크다
     2. (가) : 크다, (나) : 작다
     3. (가) : 작다, (나) : 작다
     4. (가) : 작다, (나) : 크다

     정답 : []
     정답률 : 82%

14. 다음 중 자연교잡률(%)이 가장 높은 것은?(2019년 03월)
     1.
     2. 수수
     3. 보리
     4.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수수는 자가수정을 원칙으로 하나 자연교잡률이 높은 편이어서 2~10프로 평균 4.25%에 이름
[해설작성자 : Johns]

15. 대목의 위치에 따른 접목의 분류방법이 아닌 것은?(2009년 05월)
     1. 설접(舌接)
     2. 고접(高接)
     3. 근접(根接)
     4. 복접(腹接)

     정답 : []
     정답률 : 39%

16. 잡초 종자의 발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8년 07월)
     1. 잡초 종자는 대개 수명이 짧다.
     2. 잡초 종자는 대개 협광성이다.
     3. 잡초 종자는 대개 변온에서 발아율이 낮아진다.
     4. 잡초 종자는 대개 복토가 얕으면 잘 발아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17. 제초제로서 처음 사용한 약제는?(2014년 03월)
     1. MCP
     2. MH
     3. 2,4-D
     4. 2,4,5-T

     정답 : []
     정답률 : 75%

18. 우리나라의 작물재배 특색을 가장 잘 나타낸 것은?(2015년 08월)
     1. 고소득 작물의 도입 등 작부체계가 발달하였다.
     2. 최근 질소질 비료의 감축 등으로 친환경농업이 크게 발달하였다.
     3. 쌀의 비중이 커서 미곡(米穀)농업이라 할 수 있다.
     4. 치산치수가 잘 되어 기상재해가 적은 편이다.

     정답 : []
     정답률 : 75%

19. 다음 중 작물의 내동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8월)
     1. 포복성이 작물이 직립성보다 약하다.
     2. 세포내의 당함량이 높으면 내동성이 감소된다.
     3. 작물의 종류와 품종에 따른 차이는 경미하다.
     4. 원형질의 수분투과성이 크면 내동성이 증대된다.

     정답 : []
     정답률 : 75%

20. 녹체춘화형 식물인 것으로만 나열된 것은?(2019년 08월)
     1. 잠두, 무
     2. 추파맥류, 코스모스
     3. 완두, 벼
     4. 양배추, 양파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녹체춘화형식물은 식물체가 어느 정도 커진 뒤에 저온에 감응하여 추대되는 식물로 양배추, 양파, 당근, 우엉, 사리풀 등이 있음
[해설작성자 : Johns]

2과목 : 토양비옥도 및 관리


21. 토양 중에 서식하는 조류(藻類)의 역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2년 03월)
     1. 사상균과 공생하여 지의류 형성
     2. 유기물의 생성
     3. 산소 공급
     4. 산성토양을 중성으로 개량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조류
- 독립영양체로서의 성질 때문에 광이나 수분조건이 양호한 토양표면에서 주로 발생된다.
-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광합성을 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생물이다.
- 탄산칼슘 또는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유기물을 생성한다.
- 유기물을 생성하고 산소를 공급하며 대기중 공중질소를 고정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돌맹이]

22. 빗물이 모여 작은 골짜기를 만들면서 토양을 침식시키는 작용을 무엇이라 하는가?(2014년 03월)
     1. 우곡침식
     2. 계곡침식
     3. 유수침식
     4. 비옥도침식

     정답 : []
     정답률 : 72%

23. 다음 중 자급영양세균이 아닌 것은?(2005년 09월)
     1. 니트로소모나스(Nitrosomonas)
     2. 니트로박터(Nitrobacter)
     3. 티오바실루스(Thiobacillus)
     4. 아조토박터(Azotobacter)

     정답 : []
     정답률 : 37%

24. 다음의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최종 이온의 형태는?(2009년 05월)

    

     1. SO42-, OH-
     2. SO22-, H+
     3. SO32-, H+
     4. SO42-, H+

     정답 : []
     정답률 : 50%

25. 다음 음이온 중 어느 것이 가장 먼저 토양교질물에 흡착되는가?(2015년 03월)
     1. Cl-
     2. NO3-
     3. SO42-
     4. PO43-

     정답 : []
     정답률 : 46%

26. 건조한 토양을 기준하여 지렁이 한 마리가 소화시키는 토양의 양이 연간 0.1톤일 경우, 용적밀도가 1.2g/cm3인 10a 표층토양 10cm를 소화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은?(2015년 08월)
     1. 12년
     2. 120년
     3. 1200년
     4. 12000년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밀도=질량/부피
질량=부피*밀도
부피구하기: 10a=1000m^2, 1000m^2*0.1m(10cm)= 100m^3
1m=100cm니까 1m3=1000000cm3
즉, 앞에서 구한 부피에 밀도를 곱하면 100,000,000cm^3*1.2g/cm^3
120,000,000g = 120,000kg = 120ton
지렁이는 연간 0.1톤을 소화하므로 120톤 소화에는 1200년이 걸림
[해설작성자 : 축산학도인내가유기농업기사를?!]

27. 농경지 토양유기물 유지를 위한 적절한 농경지 유기물 관리 방안으로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8월)
     1. 경운을 최소화
     2. 농경지 피복
     3. 비료사용 억제
     4. 경사지에서의 등고선 재배

     정답 : []
     정답률 : 55%

28. 다음 중 토양 입단을 분산시키거나 수화시 가장 많은 물분자를 주변에 가지는 이온은?(2012년 08월)
     1. Na 이온
     2. Ca 이온
     3. Fe 이온
     4. K 이온

     정답 : []
     정답률 : 64%

29. 토양분류시 특정 토양의 특성을 나타내는 최소의 시료채취 단위(최소용적의 단위체)를 나타내는 용어는?(2007년 03월)
     1. Polypedon
     2. Landscape
     3. Pedon
     4. Soil Individual

     정답 : []
     정답률 : 45%

30. 가장 효과적으로 양이온 치환용량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토양 관리법은?(2017년 03월)
     1. 토양 유기물함량을 낮춘다.
     2. 수소이온 농도를 증가시킨다.
     3. 토양에 점토를 보충한다.
     4. 토양에 통기성을 좋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양이온치환용량(CEC)를 높이기 위해서는
유기물함량을 높이고
수소이온를 낮추고(수소이온이 토양의 음이온과 결합하기 때문에 낮추어야 된다)
토양에 점토 보충(객토)
토양에 통기성하고는 양이온 치환용량과 상관이 없다.
[해설작성자 : ㅇ]

31. 토양의 완충능 buffering capacity 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08월)
     1. 치환산도가 큰 토양일수록 완충능이 크다.
     2. 완충능은 토양의 pH 값이 변화하는 것에 저항하는 힘이다.
     3. 완충능이 큰 토양일수록 활산성에 비해 잠산성이 적다.
     4. 완충능이 큰 토양일수록 교질물질의 함량이 많다.

     정답 : []
     정답률 : 60%

32. 다음 필수식물영양소 중 다량영양소가 아닌 것은?(2021년 05월)
     1. S
     2. P
     3. Fe
     4. Mg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다량영양소: N, P, K, Ca, Mg, S
미량영양소: Cu, Fe, Mn, Zn, B, Mo
[해설작성자 : 유기농업기사]

33. 다음 중 화성암이며, 우리나라 토양의 주요 모재가 되는 암석은?(2012년 03월)
     1. 화강암
     2. 천매암
     3. 석회암
     4. 현무암

     정답 : []
     정답률 : 84%

34. 다음 중 물에 의한 토양 침식에 영향을 끼치는 주요 인자가 아닌 것은?(2012년 08월)
     1. 경사장과 경사각
     2. 강우량과 강우강도
     3. 해발 높이와 일사량
     4. 수분 침투율과 토양구조 안정성

     정답 : []
     정답률 : 60%

35. 과다시비에 의한 수자원의 부영양화 및 유아의 메트헤모글로빈혈증(methemoglobinemia, 일명 청색증)과 밀접하게 관련되는 것은?(2006년 08월)
     1. 칼리
     2. 질소
     3. 인산
     4. 석회

     정답 : []
     정답률 : 50%

36. 미국농무부법(USDA법)에 의한 자갈(gravel)의 입경기준으로 옳은 것은?(2010년 05월)
     1. 2.0mm 이상
     2. 2.0 ~ 1.0mm
     3. 1.0 ~ 0.5mm
     4. 0.5mm 이하

     정답 : []
     정답률 : 54%

37. 토양을 조사하고 분류할 때 기본적으로 토양의 단면 특성을 파악해야 한다. 이 때 조사해야 할 특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3년 06월)
     1. 토양층위의 발달
     2. 토성
     3. 토양미생물 구성
     4. 토양 구조

     정답 : []
     정답률 : 71%

38. 논토양을 미리 풍건처리 한 후에 담수 보온 처리하게 되면 무처리구에 비하여 어떤 유효양분의 생산성이 높아지는가?(2007년 03월)
     1. 유효태 인산
     2. 유효태 칼슘
     3. 유기태 질소
     4. 암모늄태 질소

     정답 : []
     정답률 : 53%

39. 어떤 토층을 Btg라는 기호로 표시하였다. 이 토층의 특성은?(2019년 03월)
     1. 석고가 집적된 무기출 표층
     2. 규산염 점토가 집적된 강 환원 집적층
     3. 염류가 집적된 동결 집적층
     4. 탄산염과 나트륨의 집적층

     정답 : []
     정답률 : 55%

40. 사력질 논토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9년 07월)
     1. 배수가 불량하여 암거배수가 반드시 필요하다.
     2. 양질의 점토함량이 많은 질흙을 객토해야 한다.
     3. 식질 토양보다 완충력이 커서 산도 변화가 작다.
     4. 사토일수록 토양환원이 천천히 진행되어 유해물질 농도는 감소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3과목 : 유기농업개론


41. 다음 중 내습성이 가장 강한 작물은?(2021년 08월)
     1. 당근
     2. 미나리
     3. 고구마
     4. 감자

     정답 : []
     정답률 : 80%

42. 포도나무의 정지법으로 흔히 이용되는 방법이며, 가지를 2단 정도로 길게 직선으로 친 철사에 유인하여 결속시킨 것은?(2022년 04월)
     1. 절단형 정지
     2. 원추형 정지
     3. 변칙주간형 정지
     4. 울타리형 정지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포도나무의 정지법으로 흔히 이용되는 방법이고, 시설비가 적게 들고, 관리에 편리하나 나무의 수명이 짧아진다.
[해설작성자 : 노키]

43. 화학 제초제를 사용하지 않고 쌀겨를 투입하여 잡초를 방제하는 경우의 방제원리로 볼 수 없는 것은?(2017년 03월)
     1. 논물이 혼탁해져 광을 차단하여 잡초 발아가 억제 된다.
     2. 쌀겨의 영양분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 될 때 산소가 일시적으로 고갈되어 잡초의 발아억제에 도움을 준다.
     3. 쌀겨에 함유된 제초제 성분이 잡초의 발아를 억제한다.
     4. 쌀겨가 분해 될 때 생성되는 메탄가스 등이 잡초의 발아를 억제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쌀겨에는 제초제 성분이 없다.
[해설작성자 : ㅇ]

44. 유기축산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은?(2005년 09월)
     1. 약초요법 제재
     2. 비유기사료
     3. 축분사료의 재사용
     4. 대체우유

     정답 : []
     정답률 : 45%

45. 토양의 미생물상 개량에 따른 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2005년 09월)
     1. 미생물의 숫자와 생물체량이 증가하여 토양 양분함량이 높아진다.
     2. 미생물의 호흡량이 많아지면서 땅속 깊은 곳까지 공기유통이 활발해져 뿌리생육이 왕성하다.
     3. 근권미생물상이 유효미생물 중심으로 안정되므로써 뿌리의 병해가 감소된다.
     4. 뿌리주변의 미생물상이 유해미생물 중심으로 변하면서 뿌리가 썩거나 병에 걸리는 확률이 높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59%

46. 다음 중 벼 종자소독 시 냉수온탕침법을 실시할 때 가장 적절한 온탕의 물 온도는?(2012년 05월)
     1. 15℃
     2. 25℃
     3. 35℃
     4. 55℃

     정답 : []
     정답률 : 56%

47. 퇴비의 장점이 아닌 것은?(2012년 08월)
     1. 발효과정 동안 잡초 및 병균 사멸
     2. 산성토양의 산도 조절
     3. 토양 유기물 함량 증가
     4. 퇴비생산시 노동력 절감

     정답 : []
     정답률 : 56%

48. 유기축산을 위한 축사시설 준비 과정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2022년 03월)
     1. 채광이 양호하도록 설계하여 건강한 성장을 도모한다.
     2. 공기의 유입이나 통풍이 양호하도록 설계하여 호흡기 질병이나 먼지 피해를 입지 않도록 한다.
     3. 가축의 분뇨가 외부로 유출되거나 토양에 침투되어 악취 등의 위생문제 및 지하수 오염 등을 일으키지 않도록 한다.
     4. 축사건립에 많은 투자를 피하고, 좁은 면적에 다수의 가축을 밀집 사육시킴으로서 경영의 효율성을 제고한다.

     정답 : []
     정답률 : 88%

49. 다음 중 (가), (나)에 들어갈 내용은?(2016년 08월)

    

     1. 가 : 경지삽, 나 : 녹지삽
     2. 가 : 녹지삽, 나 : 단아삽
     3. 가 : 단아삽, 나 : 신초삽
     4. 가 : 신초삽, 나 : 단아삽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눈 하나만을 삽목하는 것을 단아삽이라 하고, 1년 미난의 가지를 삽목하는 것은 신초삽, 조기이 경화가 덜된 어린 가지를 이용하는 삽목을 녹지삽이라한다.
[해설작성자 : bbongbird]

50. 고간류 사료 중에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조사료는?(2021년 03월)
     1. 보릿짚
     2. 옥수수대
     3. 밀짚
     4. 볏짚

     정답 : []
     정답률 : 80%

51. 다음 중 다년생 논잡초는?(2020년 09월)
     1. 참방동사니
     2. 매자기
     3. 개망초
     4. 돌피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논잡초 다년생 방동사니과
- 너도방동사니, 올방개, 매자기, 올챙이고랭이
[해설작성자 : Johns]

52. 작부체계를 다양화하기 위한 환경친화형 벼 품종 개발 목표로 가장 적절한 것은?(2008년 07월)
     1. 수량과 소득증대
     2. 저항성 품종개발
     3. 내병성과 스트레스에 강한 품종
     4. 단기 생육성 품종개발

     정답 : []
     정답률 : 22%

53. 우리나라에서 친환경농업육성법이 제정된 후 정부가 친환경농업 원년을 선포한 연도는?(2022년 04월)
     1. 1997년
     2. 1998년
     3. 1999년
     4. 2000년

     정답 : []
     정답률 : 59%

54. 소나 돼지와 같은 우제류에 발생하는 심각한 전염병인 구제역의 병원체 종류는?(2015년 08월)
     1. 세균
     2. 바이러스
     3. 진균
     4. 원충

     정답 : []
     정답률 : 83%

55. 품종의 분류 중 내력에 따른 분류로 옳은 것은?(2006년 08월)
     1. 조생종, 중생종, 만생종
     2. 재래품종, 육성품종, 도입품종
     3. 육성품종, 종, 아종
     4. 일반품종, 식용품종, 특수품종

     정답 : []
     정답률 : 50%

56. 유기축산에서 가축에게 급여할 사일리지를 제조할 때 가장 적당한 재료의 수분함량은?(2011년 03월)
     1. 30%
     2. 50%
     3. 70%
     4. 85%

     정답 : []
     정답률 : 27%

57. 다음 중 논(환원)상태에 해당하는 것은?(2018년 08월)
     1. CO2
     2. NO3-
     3. Mn4+
     4. CH4

     정답 : []
     정답률 : 51%

58. 녹비작물로 이용하는 헤어리베치 생초 2000kg에 함유된 질소 성분량은 얼마인가? (단, 헤어리베치의 수분은 85%, 건초 질소 함량은 4%를 기준으로 한다.)(2022년 04월)
     1. 10kg
     2. 12kg
     3. 15kg
     4. 16kg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헤어리베치 건초 무게 = 2000kg*(1-0.85) = 300kg
(건초 질소 함량을 제시했으므로 건초 무게 구함)
질소 성분량 = 300kg*0.04 = 12kg
[해설작성자 : 도오트]

59. 다음 중 양질의 퇴비를 판정하는 주요한 방법으로 거리가 먼 것은?(2008년 07월)
     1. 관능적 방법
     2. 발아시험법
     3. 탄질율 검사
     4. 물리학적 방법

     정답 : []
     정답률 : 50%

60. 한 포장 내에서 위치에 따라 종자, 비료, 농약 등을 달리함으로써 환경문제를 최소하하면서 생산성을 최대로 하려는 농업은?(2019년 04월)
     1. 자연농업
     2. 정밀농업
     3. 유기농업
     4. 생태농업

     정답 : []
     정답률 : 70%

4과목 : 유기식품 가공.유통론


61. 식품가공에서 쓰이는 1%는 몇 ppm 인가?(2020년 08월)
     1. 100
     2. 1000
     3. 10000
     4. 100000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 ppm = 1 mg / 1 kg
[해설작성자 : 목표는 3기사]

62. D값이 121℃에서 2분인 세균포자의 수를 103으로부터 100으로 감소시킬 때의 F값은?(2013년 06월)
     1. 1분
     2. 3분
     3. 6분
     4. 9분

     정답 : []
     정답률 : 56%

63. 인증농산물의 정보를 검색할 때 아래의 인증번호의 코드 구분 중 시군코드는?(2012년 08월)

    

     1. 15
     2. 06
     3. 1
     4. 3

     정답 : []
     정답률 : 69%

64. 유기가공식품 생산 및 취급시 사용이 가능한 재료는?(2006년 08월)
     1. 식용색소 황색 제 5호
     2. 한천
     3. 사카린나트륨
     4. 안식향산나트륨

     정답 : []
     정답률 : 56%

65. 미생물의 가열 치사 시간을 10배 변화시키는데 필요한 가열 온도의 차이를 나타내는 값은?(2007년 08월)
     1. F값
     2. Z값
     3. D값
     4. K값

     정답 : []
     정답률 : 38%

66. 유기가공식품에 사용하는 원재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0년 07월)
     1. 동일 원재료에 대해서 유기농산물과 비유기농산물을 혼합한 경우에는 함량을 표기해야 한다.
     2. 방사선 조사처리된 원재료를 사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3. 유전자재조합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사용하거나 검출되어서는 아니 된다.
     4. 당해 식품에 사용하는 용기ㆍ포장은 재활용이 가능하거나 생물분해성 재질이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67. 친환경농산물의 그린 마케팅에서 시장의 그린화와 상품의 그린화가 모두 미진한 경우에는 시장침투 전략이 유효하다. 이에 해당하는 품목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2005년 09월)
     1. 쇠고기
     2. 토마토
     3.
     4. 상추

     정답 : []
     정답률 : 50%

68. 친환경농산물의 도매상과 대형 유통업체 같은 소매상 등의 활동 내용을 분석하여 그 특징을 밝히는 연구방법은 어디에 속하는가?(2017년 03월)
     1. 기능별 연구
     2. 기관별 연구
     3. 상품별 연구
     4. 관리적 연구

     정답 : []
     정답률 : 70%

69. 공산물 유통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농산물의 특별한 유통체계는?(2014년 03월)
     1. 전자 상거래
     2. 도매유통
     3. 소매유통
     4. 산지유통

     정답 : []
     정답률 : 43%

70. 식품 중의 대장균군 검사 결과 MPN 값이 50이 나왔다면, 검체 100ml 중에 존재하는 대장균군의 수는 몇 개인가?(2020년 09월)
     1. 5
     2. 50
     3. 500
     4. 5000

     정답 : []
     정답률 : 58%

71. 소비자가 건강, 환경문제 등을 고려하여 유기식품을 구매한다면, 이는 어떤 유형의 마케팅에 해당하는가?(2018년 04월)
     1. 생산지향적 마케팅
     2. 판매지향적 마케팅
     3. 시장지향적 마케팅
     4. 사회복지지향적 마케팅

     정답 : []
     정답률 : 77%

72. 편성혐기성균으로 포자를 형성하며, 치사율이 높은 신경독소를 생산하는 것은?(2011년 08월)
     1. Stapylococcus
     2. Clostridium botulinum
     3. Lactobacillus bulgaricus
     4. Bacillus cereus

     정답 : []
     정답률 : 45%

73. 돌연변이 유발 물질을 테스트하는 Ames테스트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3월)
     1. 히스티딘 요구주를 이용한다.
     2. 돌연변이가 유발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집락을 더 많이 발생시킨다.
     3. 발암성과 변이원성은 완전히 일치한다.
     4. 주로 살모넬라균을 이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Anes테스트: 세균의 돌연변이체를 이용한 화학물질의 돌연변이 유발성과 그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의약품과 식품 첨가물 따위의 유전 독성을 검증하는 일자적인 방법, 전세계의 식품. 의약품 안전검사 기관에서 채택 사용되고 있다.

히스티딘: 단백질을 구성하는 염기성 아미노산의 하나 무색 고체형태 헤모글로빈속에 많이 들어 있으며 부패. 발효하면 독성이 있는 히스타민이 된다 C6H9N3O2
[해설작성자 : 열공줌마]

74. 분유를 제조할 때 주로 사용되는 건조 방법은?(2008년 03월)
     1. 분무건조
     2. 열풍건조
     3. 동결건조
     4. 드럼건조

     정답 : []
     정답률 : 50%

75. 농산물 표준화의 잠재적 효용가치가 아닌 것은?(2022년 03월)
     1. 마케팅비용의 감소
     2. 중간상의 이윤을 높임
     3. 시장 유통활동의 능률화
     4. 가격형성의 효율화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1. 마케핑비용의 감소 - 마케팅비용의 감소로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

76. 케이크 제조 공정 중 multi-stage mixing에 사용되는 creaming step은 fet가 sugar를 함께 혼합하여 크림을 만드는 과정이다. 이 step의 목적이 아닌 것은?(2017년 03월)
     1. 미세한 texture를 가지게 한다.
     2. 공정 중 기다리는 시간(sitting time)을 연장할 수 있게 한다.
     3. 공기를 fat에 가두어 운동성을 줄인다.
     4. 공기를 직접 혼입할 수 있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우유 중 지방이 분리되어 위로 떠오르는 현상을 크리밍 이라 하며, 지방의 운동성을 줄이고 질감을 높이며 시간을 연장시키고자 하는 목적

77. 유기가공식품의 제조, 가공 기준으로 틀린 것은?(2010년 05월)
     1. 기계적, 물리적, 생물적 제조, 가공방법을 사용하여야 하고, 식품첨가물을 최소량 사용하여야 한다.
     2. 유기가공식품과 비유기가공식품을 동일한 시간에 동일한 설비로 제조가공한다.
     3. 유기가공식품과 원료유기농산물은 비유기가공식품 및 비유기원료농산물과 따로 보관, 저장하여야 한다.
     4. 방사선 조사 처리된 원재료를 사용하여서는 아니된다.

     정답 : []
     정답률 : 65%

78. 빵은 오븐에서 나온 후 시간이 지나면서 품질이 저하되는데 이러한빵의노화(staling)라고한다 이중 빵이 굳어지는 것은 밀 전분입자의 노화에 의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07년 03월)
     1.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기 위해 냉장 보관한다.
     2. amylose와 complex를 형성하도록 유화제를 첨가한다.
     3. 탈수제로 작용하는 설탕을 첨가한다.
     4. 80 도 이상에서 수분함량을 15% 이하로 급속히 제거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79. 신선편이 농산식품의 갈변방지를 위한 처리방법이 아닌 것은?(2011년 06월)
     1. 비타민C 첨가
     2. 오존 처리
     3. MA(기체조절) 포장
     4. 가식성 필름 포장

     정답 : []
     정답률 : 48%

80. 유기과채류 가공식품 제조방법으로 틀린 것은?(2021년 05월)
     1. 과채류는 비타민 등 영양분 손실이 적게 가공하는 것이 좋다.
     2. 채소류는 알칼리성이기 때문에 산성 첨가물을 최대로 사용하여 가공하는 것이 좋다.
     3. 잼류는 펙틴, 산, 당분이 적당한 원료를 사용하여 가공하는 것이 좋다.
     4. 부패 및 변질이 잘되지 않는 원료를 사용하여 가공하는 것이 좋다.

     정답 : []
     정답률 : 75%

81. 식품산업진흥법에 따른 유기가공식품 인증기준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2년 03월)
     1. 유기원료를 상업적으로 조달할 수 없는 경우, 물과 소금을 제외한 제품 중량의 5% 비율 내에서 비유기 원료를 사용할 수 있다.
     2. 미생물 제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유전자변형 미생물에서 유래한 것은 사용할 수 없다.
     3. 식품위생을 위한 원재료의 방사선 조사처리는 허용한다.
     4. 여과를 위하여 석면을 포함하여 식품 및 환경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물질이나 기술을 사용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75%

82. 유기식품의 생산, 가공, 표시, 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 라인의 유기생산 원칙에서 벌의 건강에 관한 효과적인 양봉 관리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8년 03월)
     1. 지역 여건에 잘 적응하는 튼튼한 품종을 선택
     2. 상황에 따라 여왕벌 교체
     3. 오염된 양봉기자재는 청소하고 소독하여 사용
     4. 벌통의 수벌을 체계적으로 관리

     정답 : []
     정답률 : 64%

83. 친환경관련법에서 유기식품 등의 인증 기준에 따른 유기농산물의 재배방법으로 틀린 것은?(2016년 03월)
     1. 화학비료와 유기합성농약을 전혀 사용하지 아니하여야 한다.
     2. 단기간의 적절한 윤작계획에 따라 두과작물, 녹비작물 또는 천근성작물을 재배하여야 한다.
     3. 토양에 투입하는 유기물은 유기농산물의 인증기준에 맞게 생산된 것이어야 한다.
     4. 가축분뇨를 원료로 하는 퇴비 · 액비는 유실 및 용탈 등으로 인하여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아니하도록 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84. 농림축산식품부 소관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에서 유기가공품으로 인증을 받은 자가 인증품의 표시사항을 위반하였을 경우 행정처분기준은?(2020년 06월)
     1. 판매정지 1개월
     2. 표시사용정지 1개월
     3. 유기가공식품 인증취소
     4. 해당 인증품의 인증표시 변경

     정답 : []
     정답률 : 50%

85. 식품의약품안전청장이 고시한 식품의 표시기준에서 유기가공식품 생산 및 취급시 사용이 가능한 재료가 아닌 것은?(2009년 03월)
     1. 탄산칼슘
     2. 탄산바륨
     3. 탄산칼륨
     4. 탄산나트륨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6. 유기식품의 생산, 가공, 표시, 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의 유기생산 원칙 중 가축 및 가축제품 일반원칙이 아닌 것은?(2008년 03월)
     1. 인공수정이 허용되나 자연번식 방법 사용
     2. 동물성 사료(육분)의 공급 감축
     3. 항생제 등 화학약품, 예방백신 사용금지
     4. 스트레스 최소화로 질병 억제

     정답 : []
     정답률 : 30%

87. 농립축산식품부 소관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에 대한 내용이다. ( )에 알맞은 내용은?(2019년 04월)

    

     1. 1개월
     2. 3개월
     3. 6개월
     4. 12개월

     정답 : []
     정답률 : 67%

88. 「농림축산식품부 소관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ㆍ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상 70% 이상이 유기농축산물인 제품의 제한적 유기표시 허용기준으로 틀린 것은?(2021년 08월)
     1. 유기 또는 이와 유사한 용어를 제품명 또는 제품명의 일부로 사용할 수 없다.
     2. 표시장소는 주 표시면을 제외한 표시면에 표시할 수 있다.
     3. 원재료명 표시란에 유기농축산물의 총함량 또는 원료ㆍ재료별 함량을 g 혹은 kg으로 표시해야 한다.
     4. 최종 제품에 남아 있는 원료 또는 재료의 70% 이상의 유기농축산물이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3. 원재료명 표시란에 유기농축산물의 총함량 또는 원료ㆍ재료별 함량을 백분율(%)로 표시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안토시아닌]

89. 친환경농업육성법 시행규칙에 의한 친환경농산물의 인증기준에서 유기농림산물의 병해충 및 잡초의 방제ㆍ조절방법으로 틀린 것은?(2012년 05월)
     1. 멀칭ㆍ예취 및 화염제초
     2. 덫ㆍ울타리ㆍ빛 및 소리와 같은 기계적 통제
     3. 식물ㆍ농장퇴비 및 돌가루 등에 의한 생체역학적 수단
     4. 일반 농자재를 적극적으로 사용한 후 기계적인 방법을 제외하고 물리적인 방법으로만 방제

     정답 : []
     정답률 : 75%

90. 농어업 자원·환경 및 친환경농어업 등에 과한 실태조사·평가에 대한 내용이다. ( )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4월)

    

     1. 환경부장관
     2. 농림축산식품부장관
     3. 해양수산부장관
     4. 지방자치단체의 장

     정답 : []
     정답률 : 48%

91. 무농약농산물 인증의 구비요건에 관한 기중으로 옳은 것은?(2009년 03월)
     1. 유기합성농약의 살포 횟수는 농약관리법에 따른 안전사용기준의 2분의 1이하여야 한다.
     2. 화학비료는 농촌진흥청장이 권장하는 성분량의 1/3 이하를 사용하여야 한다.
     3. 유기합성농약과 화학비료는 일체사용하지 아니하여야 한다.
     4. 유전자변형종자를 사용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32%

92. 유기농산물 가공품 품질인증에 관한 규정상 품질인증 신청기한은?(2007년 03월)
     1. 가공개시 10일 전까지
     2. 가공개시 30일 전까지
     3. 가공개시 42일 전까지
     4. 가공개시 45일 전까지

     정답 : []
     정답률 : 67%

93. 『농림축산식품부 소관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상 다음 ( ) 안에 알맞은 것은?(2021년 05월)

    

     1. 7일
     2. 1개월
     3. 42일
     4. 2개월

     정답 : []
     정답률 : 46%

94. 친환경농업육성법령상 유기농산물 생산포장의 토양개량과 작물생육을 위해 사용가능한 자재 중 농촌진흥청장이 고시한 품질규격에 적합해야만 사용할 수 있는 것은?(2013년 06월)
     1. 황산가리
     2. 목초액
     3. 키토산
     4. 칼륨암석

     정답 : []
     정답률 : 30%

95. 친환경관련법에서 유기식품 등의 유기표시 기능으로 틀린 것은?(2016년 03월)
     1. 표시도형의 국문 및 영문 모두 글자의 활자체는 고딕체로 하고, 글자 크기는 표시 도형의 크기에 따라 조정한다.
     2. 표시 도형의 색상은 녹색을 기본 색상으로 하되, 포장체의 색깔 등을 고려하여 파랑색, 빨강색 또는 검정색으로 할 수 있다.
     3. 표시도형의 크기는 포장제의 크기에 따라 조정할 수 없다.
     4. 표시 도형의 위치는 포장제 주 표시면의 측면에 표시하되, 포장재 구조상 측면 포시가 어려울 경우에는 표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1%

96. 유기식품의 생산ㆍ가공ㆍ표시ㆍ유통에 관한 Codex가이드라인에서 규정한 용어의 정의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07년 08월)
     1. “농산물/농산물계 제품”은 인간의 섭취, 또는 동물사료용으로 판매되는 모든 가공ㆍ비가공 제품을 말한다.
     2. “검사”란 요건에 부합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식품, 원료, 가공, 유통의 관리체계 또는 식품을 검사하는 것을 말한다. 유기식품 검사에는 최종제품 시험 및 생산,가공체계 조사도 포함된다.
     3. “표시”는 손으로 쓰거나 인쇄하거나 그림으로 나타낸 것으로 라벨에 나타나거나 첨부되거나 식품 근처에 전시되는 모든 것을 말한다.
     4. “인증기관”은 '유기식품'으로 팔거나 유기식품이란 라벨이 붙은 제품이 가이드 라인에 부합되게 생산, 가공, 준비, 취급, 수입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일을 맡은 공식정부기관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40%

97. 유기식품의 생산ㆍ가공ㆍ표시ㆍ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에서 규정하고 있는 검사/인증시의 최소 검사요건 및 예방조치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2년 05월)
     1. 수입국은 수출국의 유기제품의 검사요건을 그대로 인정하여 적용해야 한다.
     2. 인증기관이 해당 구역을 방문 시에는 반드시 사전에 통보하여야 한다.
     3. 인증기관은 최소한 1년에 한 번씩 해당 구역 전체에 대해 물리적인 검사를 실시해야 한다.
     4. 사업자는 매년 1월 1일 농가별 작물생산 스케줄을 작성하여 통보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98. 『농림축산식품부 소관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상 유기가공식품·비식용유기가공품의 인증기준에 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2021년 05월)
     1. 해충 및 병원균 관리를 위하여 방사선 조사 방법을 사용할 것
     2. 비유기 원료 또는 재료의 오염 등 불가항력적인 요인으로 합성농약 성분이 검출된 것으로 입증되는 경우에는 0.01 g/kg 이하까지만 허용할 것
     3. 유기식품·가공품에 시설이나 설비 또는 원료의 세척, 살균, 소독에 사용된 물질이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장이 정한 것만 함유될 것
     4. 사업자는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소속 공무원 또는 인증기관으로 하여금 유기가공식품·비식용유기가공품의 제조·가공 또는 취급의 전 과정에 관한 기록 및 사업장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할 것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1번.
해충 및 병원균 관리를 위해 예방적 방법, 기계적ㆍ물리적ㆍ생물학적 방법을 우선 사용해야 하고, 불가피한 경우 별표 1 제1호가목2)에서 정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밖의 화학적 방법이나 방사선 조사방법을 사용하지 않을 것

2번.
1) 합성농약 성분은 검출되지 않을 것. 다만, 비유기 원료 또는 재료의 오염 등 불가항력적인 요인으로 합성농약 성분이 검출된 것으로 입증되는 경우에는 0.01mg/kg 이하까지만 허용한다.
2) 인증품에 인증품이 아닌 제품을 혼합하거나 인증품이 아닌 제품을 인증품으로 판매하지 않을 것

3번.
1) 유기식품ㆍ유기가공품에 시설이나 설비 또는 원료ㆍ재료의 세척, 살균, 소독에 사용된 물질이 함유되지 않도록 할 것
2) 세척제ㆍ소독제를 시설 및 장비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기식품ㆍ유기가공품의 유기적 순수성이 훼손되지 않도록 할 것
[해설작성자 : 뺭뺭이뺭뺭]

99. 유기가공식품 인증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0년 07월)
     1. 해당 식품의 제조ㆍ가공에 사용한 원재료(정제수와 염화나트륨 제외)의 90% 이상이 친환경농업 육성법에 의한 유기농산물이어야 한다.
     2. 동일 원재료에 대하여 유기농산물과 비유기농산물은 혼합하여 사용하여서는 아니된다.
     3. 해당 식품 중 사용량이 10%이하인 재료는 방사선 처리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4. 해당 식품 중 사용량이 5% 이하인 재료는 유전자재조합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사용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0. 식품산업진흥법 관련 규정에 따라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장(농관원장)은 유기가공식품 인증업체 및 인증품에 대하여 지도 및 관리를 위래 현장조사 및 시판품조사를 실시 할 수 있다. 농관원장이 현장조사 및 시판품조사를 실시하는 시기로 옳은 것은?(2010년 07월)
     1. 현장조사 : 연 1회. 시판품조사 : 연 1회
     2. 현장조사 : 연 2회. 시판품조사 : 연 1회
     3. 현장조사 : 연 1회. 시판품조사 : 연 2회
     4. 현장조사 : 연 2회. 시판품조사 : 연 2회

     정답 : []
     정답률 : 34%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유기농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9409836)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유기농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9409836)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33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환경공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6월2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32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한국사(유공자)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31 가구제작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10월05일(5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30 건설안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10월01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9 9급 국가직 공무원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4월1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8 와전류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5월1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7 9급 국가직 공무원 교정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0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6 폐기물처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8월2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5 계리직공무원 우편 및 금융상식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7월2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4 FAT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9269209)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 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7621251)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2 항로표지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8월1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1 열처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706339)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0 PSAT 언어논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3월09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19 9급 지방직 공무원 자료조직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1264394)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18 9급 국가직 공무원 영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4월0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2
17 해양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5월09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16 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4월06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15 압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4월02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Board Pagination Prev 1 ... 1177 1178 1179 1180 1181 1182 1183 1184 1185 1186 Next
/ 1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