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생물분류기사(동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1578111)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생물분류기사(동물)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계통분류학


1. 모식(기준표준)의 종류 중 저자가 한 신종을 기재할 때 근거로 삼은 가장 핵심적인 단일표본 또는 이와 동등하게 특기한 모식은?(2010년 05월)
     1. 총모식(syntype)
     2. 하판토모식(hapantotype)
     3. 신모식(netotype)
     4. 완모식(holotype)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완모식표본(holotype) : 새로운 종을 표현하기 위해 선택되어 쓰이는 한 가지 표본.
총모식표본(syntype) : 완모식표본을 선정할수 없을때 여러 표본중에서 종의 특징을 가장 잘 표현하는 표본을 syntype으로 정함
신모식표본(neotype) : 완모식, 총모식, 및 후모식이 분실 또는 파괴되어 모두 없어져 버린 경우에 새로운 모식 표본을 정해야 하는데, 이때 선정된 표본

2. 중생동물에 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5월)
     1. 몸의 구조는 단순하고, 무척추동물의 신장과 내장에 기생한다.
     2. 후생동물의 상실기 또는 중실포배에 해당하는 동물군이다.
     3. 체표는 섬모로 덮여 있고, 일반적인 세포형과 기관은 없다.
     4. 석회충과 육방충 및 시상충이 해당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중생동물: 다른 동물의 내장에 기생하는 작은 동물로서 이배충과 직유충이 포함된다.
[해설작성자 : isp]

3. 다음 중 환형동물에 포함되는 분류군은?(2017년 09월)
     1. 다판강
     2. 다지강
     3. 다모강
     4. 갑각강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환형동물문(Phylum Annelida)
- 빈모강: 지렁이
- 질강: 거머리
- 다모강: 갯지렁이

다판강: 연체동물문
다지, 갑각: 절지동물문
[해설작성자 : 고먐미최고]

4. 다음 중 벼과(화본과)의 특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4년 05월)
     1. 줄기의 단면은 둥글며, 열매는 영과이다.
     2. 줄기의 단면은 삼각형이며, 열매는 수과이다.
     3. 줄기의 단면은 삼각형이며, 열매는 핵과이다.
     4. 줄기의 단면은 둥글며, 열매는 수과이다.

     정답 : []
     정답률 : 86%

5. 절지동물의 발생학적 특징으로 옳은 것은?(2016년 05월)
     1. 원장으로부터 중배엽이 형성된다.
     2. 입은 원구로부터 발생한다.
     3. 방사난할을 한다.
     4. 조정란이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 절지동물(節肢動物, arthropod)
    -. 절지동물은 외골격과 체절, 관절이 있는 무척추동물이다
    -. 몸은 머리·가슴·배로 구분되며, 각 체절에 부속지가 한 쌍씩이 있다
    -. 지구상 동물 종의 80% 이상을 차지한다
    -. 절지동물은 탈피를 하는 특징이 있다
    -. 곤충·거미·갑각류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6. 다음 중 성적이형(sexual dimorphism)을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2021년 09월)
     1. 암수가 생식기 이외에도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지는 것을 말한다.
     2. 수컷이 암컷보다 크기(덩치)가 큰 특징을 말한다.
     3. 암수가 생식기에 대해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지는 것을 말한다.
     4. 교배에 있어서 암컷의 선택권이 수컷보다 더 큰 것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같은 종류이면서 암수의 형태가 서로 다른 생물의 경우, 암수 개체의 외부 형태가 완전히 구분되어 나타나는 현상
[해설작성자 : 단교배]

7. 다음 중 후구 동물에 해당하는 것은?(2017년 05월)
     1. 갯고사리(바다나리)
     2. 선충
     3. 플라나리아
     4. 다슬기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갯고사리: 극피동물
선충: 선형동물
플라나리아: 편형동물
다슬기: 연체동물
(후구동물: 모악, 극피, 원색, 척추)
[해설작성자 : jimingumi]

8. 다음 중 유생의 형태가 아닌 것은?(2010년 05월)
     1. bipinnaria
     2. tornaria
     3. ophiuroidea
     4. pluteus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ophiuroidea는 거미불가사리아강 이다.

bipinnaria (비핀나리아) 극피동물 부유성 유생
tornaria (토르나리아 유생) 긴 섬모의 운동으로 바다속을 유영하는 반삭동물 유생
pluteus (플루테우스) 극피동물 성게류 및 거미불가사리류 부유유생
[해설작성자 : 찬초]

9. 피자식물에 대하여 Engler 분류체계 : Bessey 분류체계의 원시성을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엥글러(독일. 식물분류학자): 유이화서를 가진 식물을 피자식물의 조상으로 판단.
쌍자엽식물군에 미나리아재미목을 부속시켜 정리하고 있으니    답 3이 맞다고 봅니다.

피자식물(=쌍자엽식물)중 유이화서군에 속하는 특징으로 꽃잎이 없고(불완전화) 수꽃대가 길게 처짐.
버드나무는 꽃받침이 없는 불완전화로 다음의 4개 과가 속합니다.    
1.버드나무과:이가화/버드나무. 포풀러
2.자작나무과:일가화/자작나무. 오리나무.
3.참나무과:일가화/참나무류. 밤나무.
4.가래나무과:일가화/가래나무. 호두나무
[해설작성자 : 열공줌마]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답은 2번이 아닐까 싶습니다.
Engler 분류체계에서는 풍매화이고 Bessey 분류체계에서는 충매화라고 알려져 있는데 여기서는 답이 3번을 포함한다면
2번과 3번 중복 답일 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1]

[추가 오류 신고]
원시적인 꽃-                 앵글러분류: 화피없고 단성화        배시분류: 화피다수,갈래꽃,단성화
원시적 수분메카니즘- 앵글러분류: 풍매화                         배시분류: 충매화
쌍자엽식물의 원초-     앵글러분류: 유이화서류                 배시분류: 미나리아재비목
피자식물의 선조-         앵글러분류: 구과류나 매마등류    배시분류: 소철류,중자고사리

앵글러는 없는것이 원시    단자엽-->쌍자엽                         배시는 없는것이 진화    쌍자엽(미나리아재목)-->단자엽
확실한건 2번은 틀린답..근데 3번이 정답이라고 하면..시험에 나오면 몇번 찍어야하지..ㅠ
[해설작성자 : 뉴발인디]

[추가 오류 신고]
앵글러 분류체계에서 원시적 수분메커니즘은 풍매화, 베시 분류체계에서는 충매화.
쌍자엽식물의 원조는 앵글러 분류체계에서는 유이화서군, 베시 분류체계에서는 미나리아재비목
따라서 정답은 3번이 아니라 2번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10. 다음 중 척삭동물만이 갖는 특유한 특성에 해당되는 것은?(2011년 06월)
     1. 방사난할
     2. 후신관의 배설계
     3. 폐쇄혈관계
     4. 항문 뒤 꼬리

     정답 : []
     정답률 : 91%

11. 마이어가 제시한 다음이 설명하고 있는 것은?(2021년 09월)

    

     1. 속(genus)
     2. 종(species)
     3. 변종(variety)
     4. 지역 개체군(localpopulation)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마이어(1953)는 생식적 격리(生殖的 隔離, reproductive isolation)에 의해 종을 구별하였으며 교배가 가능한 집단을 같은 종으로 취급하였다. 어떤 개체라도 상호간에 교배가 일어날 수 있는 소집단 내의 개체들은 유전적으로 유전자 급원을 형성한다.
[해설작성자 : 도오트]

12. 다음 중 우상복엽이 아닌 식물은?(2009년 05월)
     1. 가죽나무
     2. 산초나무
     3. 침엽수
     4. 가래나무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침엽수는 단엽이다.

13. 다음 중 종자식물에 해당되는 것은?(2017년 09월)
     1. 솔잎란식물
     2. 석송식물
     3. 속새식물
     4. 소철식물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솔잎란, 석송, 속새는 양치식물로 포자로 번식함. 소철은 나자식물(겉씨식물).
[해설작성자 : 뽀]

14. 갑각강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5월)
     1. 외골격은 키틴질로 되어 있다.
     2. 바다, 민물, 육상의 갑각류가 있다.
     3. 2쌍의 촉각을 가진다.
     4. 가슴과 배의 부속지는 전형적으로 단분지형(單分枝型)이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4. 이분지형
[해설작성자 : 도담이방구]

갑각아문(조개껍데기, 갑각, 피각) 중 갑각강(조개껍데기)
- 게, 새우, 가재, 옆새우, 물벼룩 등 수서생활 하는 절지동물 포함
- 외골격 키틴질, 얇고 거의 막상이며 투명한 경우도 있고 탄산칼슘이 침적되어 두껍게 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 머리, 가슴, 복부의 3부분이 뚜렸하며 머리와 가슴이 융합하여 두흉부를 형성한다.
- 2쌍의 촉각을 소유한다.
[해설작성자 : 고먐미최고]

15. 다음 중 연체동물의 특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7년 05월)
     1. 골격은 규질이나 석회질의 골편으로 되어 있다.
     2. 산만신경계를 가지며, 소화계는 단순하다.
     3. 체강은 퇴화하여 심장의 주위에 국한되어 있다.
     4. 방사형 난할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 연체동물
    -. 머리, 발, 내장낭, 외투막의 4부분으로 구성되고, 체표에는 섬모가 있다
    -. 치설과 악판의 연체동물 특유의 저작기관이 있으며 이를 이용해 먹이를 먹는다.
    -. 주로 바다나 민물에서 수중생활을 하나 육지에서 서식하는 종도 있다
    -. 나선형 난할을 한다. 심장 주위에 체강이 있다
    -. 군부, 뿔조개, 달팽이, 민달팽이, 군소, 조개, 굴, 오징어, 문어, 앵무조개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16. 식물의 분류체계는 학자에 따라 다르다. 그 중에서 가능한 모든 분류학적 증거를 이용하여 친소성을 체계에 반영시켰고, 피자식물을 단계원으로 하여 목련목을 원시형군으로 두고 이 노선에서 다른 여러 파자식물군들이 진화한 것으로 본 분류체계는?(2006년 09월)
     1. Takhtajan
     2. Cronquist
     3. Thorne
     4. Dahlgren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타크타잔(Takhtajan)의 분류체계:피자식물을 단계원으로 하여 목련목을 원시형군으로 두고 이 노선에서 다른 여러 피자식물군이 진화한 것으로 본 분류체계
[해설작성자 : lucy]

17. 다음 중 환형동물의 일부 특징과 절지동물의 일부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은?(2015년 05월)
     1. 발톱벌레
     2. 혀벌레
     3. 곰벌레
     4. 끈벌레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발톱벌레 : 유조동물문
유조동물로 이름처럼 다리끝에 발톱이 나있는 것이 특징
혀벌레 : ? ? ? ?
곰벌레 : 완보동물문 (절지동물과 연관이 있지만 환형동물과는 연관이 없다.)
끈벌레 : 유형동물문 (환형동물과는 연관이 있지만 절지동물과는 연관이 없다.)
[해설작성자 : 찬초]

18. 조류의 몸무게를 가볍게 하면서 동시에 강하게 나는 힘을 얻을 수 있도록 적응된 기관계의 묶음은?(2020년 09월)
     1. 골격계와 호흡계
     2. 골격계와 배설계
     3. 골격계와 생식계
     4. 골격계와 소화계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조류의 뼈는 속이 비어 있고 벌집 모양의 구조로 뼈대를 받치고 있어 매우 가볍고 강도가 높다. 몸이 큰 수리류의 경우 뼈의 무게가 전체 무게의 5퍼센트 정도밖에 안 된다. 조류는 일반적으로 몸집이 클수록 더 작은 뼈 무게를 가지고 있어 몸이 크더라도 잘 날 수 있다. 날개 근육은 가슴뼈인 용골돌기(sternum)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조류는 폐와 연결된 큰 공기주머니를 여러개 가지고 있는데 이를 기낭이라고 한다. 기낭은 안에 공기를 드나들게 하여, 몸의 무게를 증감시킬 수 있는 기관이다. 여러 개의 기낭으로 인해 새들은 공기를 흡입할 때 많은 산소를 받아들일 수 있고 비행 할 때 필요한 에너지를 만들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서준낭]

19. 다형종(polytypic species)이 의미하는 것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7년 05월)
     1. 변태하는 생물 종
     2. 성적이형을 가진 종
     3. 계절적 변이가 있는 종
     4. 여러 아종을 가진 종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 다형종 : 넓은 분포지역을 가지며 2개 이상의 아종을 가지는 종
* 단형종 : 아종을 갖고 있지 않는 종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20. 상동과 상사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2009년 05월)
     1. 상동은 분류학에서 계통발생적 기원이 동일한 기관간의 관계를 말한다.
     2. 새와 나비의 날개는 상사의 대표적인 예이다.
     3. 상사는 외관이나 기능은 비슷하나 발생기원이 다른 기관을 말한다.
     4. 어류와 파충류의 비늘은 상동의 대표적인 예이다.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어류와 파충류의 비늘은 상사의 예시임
[해설작성자 : 꼬부기과자야]

2과목 : 환경생태학


21. 다음 중 유해폐기물의 국가간 이동 및 처리에 관한 사항을 골자로 한 국제적 협약(또는 의정서)에 해당하는 것은?(2015년 05월)
     1. 몬트리올 의정서
     2. 바젤협약
     3. CITES
     4. 리우환경협약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몬트리올: 오존층
바젤: 유해폐기물
CITES:멸종야생동식물
리우: 온실가스
[해설작성자 : 율잇]

22. 지구는 6개의 주된 생물지리학적 지역으로 나누는데 우리나라가 속한 생물지리학적 지역은?(2016년 05월)
     1. 구북구(Palearctic)
     2. 동양구(Oriental)
     3. 신북구(Neartic)
     4. 오스트랄라시구(Australasian)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 구북구 : 이란,유라시아,아프가니스탄,히말라야,중국 남부,북아프리카 등이 포함된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23. 다음 중 기생식물이 아닌 것은?(2011년 06월)
     1. 라플레시아
     2. 환삼덩굴
     3. 실새삼
     4. 개종용

     정답 : []
     정답률 : 83%

24. 다음 중 산성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5월)
     1. 산성비는 공기 중으로 배출된 산성물질(아황산가스, 질소산화물 등)이 대기 중에서 수증기와 결합하여 생긴다.
     2. 산성비는 일반적으로 pH 9이하인 비를 말한다.
     3. 식물 잎에 반점을 만들고 광합성을 저해하며 꽃잎이 탈색되는 등 식물에 피해를 준다.
     4. 중국으로부터 대기오염물질 확산과 황사현상은 우리나라에 산성비의 요인으로도 작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산성비란 수소이온 농도(pH)가 5.6 미만인 비이다.
일반적인 비의 pH는 5.6~6.4로 약산성
[해설작성자 : 찬초]

25. 개체군에서의 무서열 경쟁은 승자에 의한 자원의 독점이 일어나지 않는다. 다음 중 제한된 자원의 존재하에서 무서열 경쟁의 밀도와 시간과의 관계를 바르게 표현한 것은?(2009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5%

26. 다음은 하천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알맞은 용어는?(2017년 09월)

    

     1. ㉠ 소, ㉡ 삼각주
     2. ㉠ 여울, ㉡ 소
     3. ㉠ 소, ㉡ 여울
     4. ㉠ 삼각주, ㉡여울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 자연생태복원기사에서도 가끔씩 출제되는 문제입니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27. 적조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9월)
     1. 하수 및 폐수 등에 의한 질소, 인 등의 영양염류 유입이 원인이 된다.
     2. 철분, 구리, 망간 등의 미량 금속 및 유기물질이 풍부할 때 일어난다.
     3. 수온, 염분, pH 등이 적합하고 무풍상태가 계속되어 해수교환이 일어나지 않을 때 일어난다.
     4. 수중 산소 함유량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조류(algae) 자체의 독성으로 인해 어패류가 질식사한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적조 때는 식물 플랑크톤이 대량으로 번식했다가 박테리아에 의해 분해되면서 물속에 녹아 있는 산소가 고갈되므로, 해수의 용존산소량이 부족해져 어패류가 질식사한다.
[해설작성자 : 연우]

28. 개체군 조절 메커니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9월)
     1. 제한된 환경에서 환경수용능력 이상의 개체군은 밀도가 감소한다
     2. 생태계 내에서 개체군의 밀도가 증가하면 자신에게 가해지는 압력이 감소한다
     3. 개체군의 출생률과 사망률의 변화가 밀도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밀도-비의존효과(density-independent effect)라고 한다
     4. 무생물적 조절은 보통 밀도-비의존적(density-independent)인 반면에 생물적 조절은 밀도-의존적(density-dependent)이다

     정답 : []
     정답률 : 87%

29. 대기의 중요한 역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5월)
     1. 자외선을 차단해 준다.
     2. 열을 흡수하고 잡아둔다.
     3. 화학적으로 유용한 기체를 포함한다.
     4. 지구의 중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준다.

     정답 : []
     정답률 : 84%

30. 분석 장치구성이 회전섹터, 광학필터, 시료셀, 검출기, 증폭기, 지시계 등으로 구성되는 분석방법은?(2010년 05월)
     1. 비분산 적외선 분석법
     2. 흡광광도법
     3. 가스크로아토그래프법
     4. 전기전도도법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비분산 적외선 분석법 - 주로 일산화탄소(co) 분석에 사용
[해설작성자 : 김엉곰]

31. 질소의 순환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5월)
     1. 질소는 번개에 의한 격렬한 방법이나 질소 산화물처럼 어떤 오염물질에 대한 태양의 광화학작용에 의해서도 고정될 수 있다.
     2. 탈질세균은 질산성 질소를 탈질과정을 통해 질소분자로 환원한다.
     3. 식물은 토양으로부터 주로 아질산이온을 흡수하여 단백질을 합성한다.
     4. 콩과식물은 질소고정 박테리아에 아주 좋은 서식처이다.

     정답 : []
     정답률 : 72%

32. 용승 현상(upwelling)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21년 09월)
     1. 적도부근의 플랑크톤이 풍부한 해류가 고위도 해역으로 올라간다.
     2. 해안가에서 지속적으로 침전된 영양소가 연안풍에 의해 바다로 공급되는 현상이다.
     3. 계절과 상관없이 발생한다.
     4. 영양소가 풍부한 차가운 심층수가 수면으로 올라온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해양 표층의 물이 발산(물이 주변으로 빠져나감)되는데 표층순환이 이를 채우지 못할 경우 아래쪽에 있는 심층수가 표층으로 올라오는 현상을 용승이라 한다.

33. 교목이 포함된 천이계열의 경우, 천이의 초기단계에서 침입하게 되는 목본식물의 일반적인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1년 09월)
     1. 키가 작고 굵다.
     2. 잎 수가 많다.
     3. 잎의 크기가 작다.
     4. 생장이 빠르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천이 단계에서 목본식물의 경우에는 키다 크고 줄기가 가늘어요. 즉 빠른 성장를 위해서입니다.
또한 잎의 크기가 작다? 오히여 광합성 효율을 위해서 잎이 큰편입니다.

문제가 오류가 있는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단교배]

34. 생태계세서 에너지 안정산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5월)
     1. 군집의 호흡량을 초과하여 축적되는 생산량을 군집순생산량이라 하고, 안정생태계의 군집순생산량은 1 이다.
     2. 안정상태의 군집은 총광합성량과 총 호흡량의 비율(P/R ratio)이고 1보다 크면 독립영양군집이다.
     3. 소나무 조림지에서와 같이 천이의 초기군집은 P/R 비율이 1보다커서 독립영양군집을 이룬다.
     4. 강의 상류는 육상생태계에서 규칙적으로 유기물이 유입되나 세균 등에 의해 소비되는 양이 많아 대부분 P/R 비율은 1보다 적으나, 강의 종류는 식물생산량이 증가되어 1 보다 커진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군집 순생산량=군집 총생산량(P) - 군집 총호흡량(R)
P/R ratio는 1에 가깝다. 그러나 P-R= 0에 가깝다.
[해설작성자 : 굴뚝새]

35. 다음 중 생물권에서 연간 유입되는 태양 방사 에너지의 소산율이 가장 낮은 것은?(2017년 05월)
     1. 광합성
     2. 직접적 열 전환
     3. 반사
     4. 증발, 강우

     정답 : []
     정답률 : 77%

36. 개체군의 밀도조사를 절대밀도 조사법과 상대밀도 조사법으로 분류할 때, 다음 중 절대밀도 조사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5년 05월)
     1. 전수조사
     2. 방형구법
     3. 표지-재포획법
     4. 빈도조사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절대밀도: ex) 전수조사, 방형구조사, 포획-재포획법
상대밀도: 동물의 행동 흔적과 같은 지표를 이용. ex) 트랩, 활동흔적, 빈도조사, 설문조사, 피도조사
[해설작성자 : 율잇]

37. 습지 보전을 위한 국제협약으로 1971년 체결되었으며, 더 이상의 습지 손실을 막고, 지속 가능한 습지가 될 수 있도록 국제적 협력을 목적으로 하는 협약은?(2016년 05월)
     1. 빈협약
     2. 람사협약
     3. 이동동물 국제협약
     4. 종 다양성에 관한 국제협약

     정답 : []
     정답률 : 93%

38. 어느 개체군의 성장이 S자형 곡선에 의해 결정되어 진다고 가정할 때,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개체군의 성장률은 얼마인가?(2009년 05월)

    

     1. 350
     2. 700
     3. 1,000
     4. 1,500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r*N*(1-N/K)
0.7*2000*(1-2000/4000) = 0.7*2000*1/2 = 700
[해설작성자 : 공부하기싫다]

39. 허치슨이 제안한 개념으로 경쟁, 포식, 질병, 기생과 같은 생물적 상호작용에 의해 제한되는 분포를 갖는 종의 생태적 지위를 나타내는 용어는?(2021년 09월)
     1. 기본적인 생태적 지위(fundamental niche)
     2. 실제 생태적 지위(realized niche)
     3. 공간적인 생태적 지위(spatial niche)
     4. 영양의 생태적 지위(trophic niche)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기본적인 생태적 지위 : 경쟁이 없을 때 한 종이 이론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원 및 물리, 화학, 생물학적 조건의 전부를 의미
실제 생태적 지위 : 같은 자원에 대한 경쟁을 피하고 살아남기 위해 일반적으로 한 종은 자신의 기본 지위의 일부분만을 차지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0. 호소 및 하천주변의 식생대에 있어서 침수식물에 해당하는 것은?(2010년 05월)
     1. 개구리밥
     2. 부들
     3. 택사
     4. 검정말

     정답 : []
     정답률 : 86%

3과목 : 형태학


41. 뿌리유형 중 내초에서부터 바깥쪽으로 내생적으로 만들어지는 뿌리는?(2020년 09월)
     1. 주근
     2. 측근
     3. 근모
     4. 부정근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내초(內初): 뿌리의 내부 조직, 특히 중심주라고도 불리는 부분으로, 이 부분에서 뿌리의 새로운 세포가 형성되어 외부로 성장.
내생적: 내부에서부터 시작하여 바깥으로 성장하는 것.

측근은 주근 또는 다른 뿌리에서 옆으로 나오는 부차적인 뿌리로 내초에서 발생하여 바깥쪽으로 성장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주근은 씨앗에서 발아한 주된 뿌리가 성장한 것으로 중심축을 이루는 뿌리, 주로 쌍떡잎식물에서 발견
근모는 뿌리의 표면에 형성되는 작은 모양의 흡수 조직, 물과 영양분 흡수
부정근은 주근 이외의 위치에서 발생하는 뿌리, 줄기, 잎 또는 다른 비정상적인 위치에서 생겨날 수 있음
[해설작성자 : wooomk]

42. 곤충의 소화기관은 전장, 중장, 후장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중 소화, 흡수가 주로 이루어지는 부위는?(2015년 05월)
     1. 전장
     2. 중장
     3. 후장
     4. 후장내막

     정답 : []
     정답률 : 75%

43. 유세포와 후각세포의 가장 큰 차이점은?(2020년 09월)
     1. 세포의 크기
     2. 2차벽의 존재여부
     3. 세포벽의 비후양상
     4. 세포의 대사활동 가능여부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유세포, 후각세포, 후벽세포로 나누는 기준은 세포벽의 형태로 유세포와 후각세포의 세포벽 비후양상이 다르다.
[해설작성자 : 도오트]

44. 극피동물이 가지고 있는 내골격은 무엇인가?(2021년 09월)
     1. 큐티클
     2. 연골
     3. 소골편
     4. 유체골격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극피동물이란 고슴도치의 피부를 가진 동물이라는 뜻이며(불가사리, 성게, 해삼 등), 피하에는 진피성의 석회성 소골편으로 이루어진 내골격이 있다.
[해설작성자 : 도오트]

45. 신경계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5월)
     1. 능뇌는 척수와 연결되고, 뇌의 앞쪽 부분에 위치해 있으며, 일반적으로 의식적, 수의적 작용을 조절한다.
     2. 뇌교는 연수를 도와 호흡조절에도 관여한다.
     3. 소뇌는 연수의 위쪽에 있으며, 구형이며, 자세와 균형을 유지하는 일을 한다.
     4. 뇌의 가장 밑부분에 있는 연수는 호흡률, 심장박동, 혈압 등을 조절하는 중추이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능뇌(=후뇌):중뇌와 척수 사이에 위치, 전신의 운동을 담당하는 교뇌, 반사.호흡.순환 운동 조절하는 숨뇌, 그리고 근육운동과 균형유지를 담당하는 소뇌로 구성됨
[해설작성자 : 오션]

46. 세포의 1차벽의 일부분만이 비후한 조직은?(2009년 05월)
     1. meristematic tissue
     2. collenchyma
     3. sclerenchyma
     4. vascular tissue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collenchyma는 후각조직, sclerenchyma는 후벽조직
[해설작성자 : 구상나무]

47. 식물의 체관부를 구성하는 세포 중 식물체의 기계적 지지를 주요 기능으로 하는 세포가 아닌 것은?(2021년 09월)
     1. 동반세포(companion cell)
     2. 후막세포(sclerenchyma cell)
     3. 섬유세포(fibers)
     4. 보강세포(sclereids)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동반세포 : 속씨식물에서 식물체의 여러 부분으로 양분을 운반하는 체관부를 이루는 여러 세포 중 하나
직접적으로 양분을 운송하는 통로로 기능하는 체관의 사관절(체요소) 옆에 붙어서 주변 세포에서 체관으로 당을 실어 올리는 기능을 하며, 세포 핵과 여러 세포소기관이 없는 체관의 생존을 보조
출처: 네이버 블로그 몽실언니
[해설작성자 : 도오트]

후막세포:후막세포(sclerenchyma)는 두꺼운 2차 세포벽을 가진 세포로, 리그닌이 풍부하여 매우 단단함
체관부에서는 섬유세포와 보강세포 형태로 존재하며, 기계적 지지를 제공함
성숙하면 대부분 세포 내용물이 소실되어 죽은 세포가 됨

섬유세포    길고 가늘며, 유연성을 유지하면서 장력 제공
보강세포    불규칙한 모양, 단단하고 압력에 강함, 식감에 영향(배 과육의 거친 식감 보강세포(석세포)
[해설작성자 : 단교배]

[관리자 입니다.
2번 보기가
시험지 원본상으로은 후각 이라고 되어 있는데

후막세포라는 오류신고가 있어서

제가 검색을 해봤는대..

후막, 후벽 이라는 단어가 더 적절한듯 합니다.

따라서... 후막으로 보기 내용을 변경하였습니다.
그점 참고 부탁 드립니다.]

48. 배를 먹을 때 그 과육에서 모래와 같은 것이 씹히는데 이것은 어떤 조직의 무슨 세포인가?(2010년 05월)
     1. 후벽조직 - 보강세포
     2. 후강조직 - 섬유세포
     3. 후각조직 - 보강세포
     4. 후벽조직 - 섬유세포

     정답 : []
     정답률 : 79%

49. 동물의 소화계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5월)
     1. 소장의 내벽은 융모와 미세융모를 통해 표면적을 넓힌다.
     2. 대장의 주 기능은 물과 무기염류의 흡수이다.
     3. 일반적으로 초식성 동물은 육식성 동물보다 몸체에 비해 소화관이 짧다.
     4. 간은 쓸개즙을 생성하고, 이자는 소화효소와 중탄산염이 풍부한 알칼리성 액체를 생산해낸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 초식성 돌물 : 긴 소화관과 복잡한 발효실을 가지고 있다
* 육식성 동물의 소화기관
    육식 동물의 소화기관은 짧고 단순하며 강력한 소화 효소를 가지고 있어
    단백질을 효과적으로 분해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50. 많은 단자엽 식물의 표피(특히, 벼와 사초의 표피)에서 잎의 수축과 펴짐에 관여하는 특수세포는?(2014년 05월)
     1. 장세포
     2. 규산세포
     3. 우두상세포
     4. 코르크세포

     정답 : []
     정답률 : 78%

51. 다음 괄호 안에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2021년 09월)

    

     1. 수분열조직
     2. 정단분열조직
     3. 후벽조직
     4. 통도조직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 통도조직
    물관부는 특수한 통도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통도조직은 대부분 가늘고 길게 늘어진 속이 빈 세포로 되어 있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52. 다음 중 복엽 또는 그 일부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2006년 09월)
     1. 우상복엽
     2. 장상복엽
     3. 소엽
     4. 단엽

     정답 : []
     정답률 : 80%

53. 다음 중 식물 표피조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0년 05월)
     1. 공변세포(guard cell)
     2. 뿌리털(root hair)
     3. 모용(trichome)
     4. 내피(endodermis)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3. 모용(trichome) : 식물체의 표면에서 발달하는 부드러운 털, 휘발성물질 분비
[해설작성자 : 김엉곰]

54. 감자와 같이 지하경이 비대하여 육질의 덩어리로 된 것은?(2020년 09월)
     1. 포복경(runner)
     2. 괴경(tuber)
     3. 편경(cladodium)
     4. 인경(bulb)

     정답 : []
     정답률 : 84%

55. 목본식물의 줄기에서 잎이 떨어진 자리가 흔적으로 남아 잇는 엽흔에서 볼 수 있는 것은?(2016년 05월)
     1. 관속흔
     2. 겨울눈
     3. 잎눈
     4. 꽃눈

     정답 : []
     정답률 : 77%

56. 포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5월)
     1. 성게에서는 바깥의 세포들이 섬모를 형성함으로써 포배는 수정막에서 탈출하여 자유유영 시기를 시작한다.
     2. 개구리의 포배는 동물극에 있는 난황이 우세하므로 비대칭이며, 포배강은 강 위로 얇고 지붕 같은 덮개를 형서하는 극세포들과 함께 식물극 근처에서 형성된다.
     3. 많은 양의 난황 때문에 새와 파충류의 배에서는 포배가 단순하지 않다.
     4. 포유류의 포배단계는 배낭에 의해 대표되는데 이것은 32개의 세포로 출발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57. 척추동물의 배아는 내배엽, 중배엽, 외배엽의 3배엽으로 구성되는데 다음 중 각 배엽과 그로부터 생겨난 성체구조가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2014년 05월)
     1. 외배엽 - 신경계
     2. 외배엽 - 소화관 내층
     3. 외배엽 - 생식계
     4. 내배엽 - 순환계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외배엽: 몸의 표층, 뇌와 척수를 포함하는 신경구조
중배엽: 골격, 근육, 혈관, 생식소
내배엽: 소화, 호흡, 배설계 등의 내벽으로 분화
[해설작성자 : 고먐미최고]

58. 몸 전체에 많은 구멍이 퍼져 있어 일반적으로 스폰지(sponge)라고 불리는 이 동물은?(2006년 09월)
     1. 중생동물
     2. 해면동물
     3. 편형동물
     4. 유형동물

     정답 : []
     정답률 : 93%

59. 후각조직 세포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6월)
     1. 분열 기능을 회복할 수 있다.
     2. 1차 세포벽이 균일하지 않게 두꺼워진다.
     3. 소성(plasticity)을 가지고, 지지작용을 한다.
     4. 완전히 성숙했을 때는 죽은 세포이다.

     정답 : []
     정답률 : 85%

60. 신경계의 기본단위인 뉴런에서 말단으로부터 뉴런의 나머지 부분으로 자극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곳은?(2020년 09월)
     1. 축삭
     2. 세포체
     3. 신경교
     4. 수상돌기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 수상돌기
    -. 가지돌기(dendrite)라고도 한다
    -. 수상돌기는 신경세포(뉴런)에서 뻗어나온 나뭇가지 모양의 짧은 돌기이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4과목 : 보존 및 자원생물학


61. 거의 동일한 환경자원을 이용하는 같은 영양단계에 있는 종들을 의미하는 일반적인 용어는?(2014년 05월)
     1. host
     2. decomposers
     3. guild
     4. keystone species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host : 숙주
decomposers : 분해자
guild : 생태학에서 동일한 자원을 비슷한 방식으로 이용하는 생물군
keystone species : 핵심종
[해설작성자 : wooomk]

62. 도서 생물 지리설에 근거한 보호지구 설계원리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5월)
     1. 좁은 보호 지구보다는 넓은 보호 지구가 좋다.
     2. 하나의 큰 면적보다는 여러 개의 작은 면적이 좋다.
     3. 선형의 서식지에서 공유가 적은 경우보다는 서식지를 서로 공유하는 경우가 좋다.
     4. 원형의 형태가 좋다.

     정답 : []
     정답률 : 86%

63. 다음 중 보전생물학의 주된 목적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2006년 09월)
     1. 군집 및 생태계에 대한 인간의 활동을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다.
     2. 종의 절멸을 막기 위한 실질적인 보전방법을 발전시키는 것이다.
     3. 절멸의 위험에 처해 있는 종들이 다시 생태계에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재건하는 것이다.
     4.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만 이해하는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88%

64. 다음은 개체군 보전에 관한 사항이다. ( )안에 들어갈 용어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5년 05월)

    

     1. 최대존속면적
     2. 최소존속면적
     3. 최소동태면적
     4. 최대동태면적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면적이 있으면 그 면적에서 최소한 얼마나 움직일 수 있는지 알아야 하기 때문에
움직일 동(動)태면적
~로 이해했습니다.
[해설작성자 : 찬초]

65. 핵심종(keystone species)의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7년 09월)
     1. 핵심종은 군집 또는 생태계 내에서 개체수가 가장 많은 종으로 그 군집 또는 생태계를 지탱하는 중추적 역할을 하는 종이다.
     2. 핵심종은 생태계내의 영양단계상 주로 하부에 위치하여 상위 포식자와 하위 생산자 또는 초식동물들을 중간에서 조절하는 중추적 역할을 하는 종이다.
     3. 핵심종은 가장 하위 영양 단계의 생물군의 보전을 위해서 핵심종을 최대한으로 번창시킬 수 있도록 개체군의 크기를 조절해야만 한다.
     4. 군집 또는 생태계 내에서 핵심종이 사라지면 영양 단계가 붕괴되어 궁극적으로 그 군집 또는 생태계가 붕괴된다.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핵심종 : 일정 지역의 생태 군집 유지에 큰 영향을 미치는 종, 대표적인 핵심종에는 코끼리·해달·수달·불곰 등
[해설작성자 : 찬초]

●핵심종(keystone species)
    핵심종은 생태계에서 개체 수는 적지만 군집 구조와 기능에 큰 영향을 미치는 생물종을 의미한다.
    이들은 포식, 서식지 조절, 경쟁 억제 등을 통해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며,
    제거 시 군집 다양성과 안정성이 붕괴될 수 있다
        * 정의 : 생태계 내 영향력이 큰 종, 소수지만 중요한 역할 수행
        * 핵심종이 사라지면? : 생태계 불균형->생물 다양성 감소->인간 삶에 악영향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66. 생물 다양성에 관한 협약서상 생물자원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06년 09월)
     1. 지구상의 모든 생물을 포함한다.
     2. 실질적 혹은 잠재적으로 사용되거나 가치가 있는 유전자원, 생물체 등을 의미한다.
     3. 생태계의 구성요소이다.
     4. 코끼리떼, 옥수수밭, 유전자는 생물자원에 포함된다.

     정답 : []
     정답률 : 74%

67. 거의 동일한 환경자원을 이용하는 같은 영양단계에 있는 종들을 의미하는 일반적인 용어는?(2006년 09월)
     1. 길드(guild)
     2. 분해자(decomposers)
     3. 숙주(host)
     4. 중추종(keystone species)

     정답 : []
     정답률 : 92%

68. 다음 중 생물다양성의 보전 · 생물자원의 지속 가능한 이용 · 생물자원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이익을 공정하고 공평하게 배분할 것을 목적으로 한 국제협약은?(2017년 09월)
     1. UPOV : International Union for the Protection of New Varieties of Plants
     2. CITES : Conven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s of Wild Flora and Fauna
     3. KC : Kyoto Convention
     4. CBD :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 생물다양성협약(生物多樣性協約,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 CBD
    생물 다양성의 보호를 위한 국제적 대책과 관련 국가 간의 권리, 의무 관계를 규정하기 위해 체결된 국제 협약.
    1992년 5월 케냐의 나이로비에서 채택되었다.

* CITES : 국제보호동물협약.(워싱턴에서 체결)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69. 멸종되기 쉬운 종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5월)
     1. 지리적 분포지역이 매우 협소하다.
     2. 개체군의 크기가 작다.
     3. 인간에게 경제적 가치가 크다.
     4. 몸체가 작다.

     정답 : []
     정답률 : 77%

70. IUCN 이 보존의 대상종으로 구분한 범주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4년 05월)
     1. 절멸종(Extinct)
     2. 다양종(Various)
     3. 위험종(Endangered)
     4. 취약종(Vulnerable)

     정답 : []
     정답률 : 89%

71. 우리나라 하천 생태계에서 생물다양성 감소의 직접적인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1년 09월)
     1. 골재 채취
     2. 유역의 교란
     3. 댐, 교랭 건설 기술의 발전
     4. 유해 독극물이나 기름 유출 등 화학적 요인

     정답 : []
     정답률 : 67%

72. 메타개체군이란 무엇을 말하는가?(2006년 09월)
     1. 비교적 안정된 개체수를 지닌 개체군
     2. 이주와 관련된 일시적이고 유동적인 개체군들의 체계
     3. 핵심 개체군의 주변에 존재하는 개체군
     4. 모든 개체군의 총합

     정답 : []
     정답률 : 85%

73. 다음 중 멸종되기 쉬운 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5월)
     1. 몸체가 작은 종
     2. 개체군의 크기가 작은 종
     3. 유전적 변이가 낮은 종
     4. 계절에 따라 이동하는 생물 종

     정답 : []
     정답률 : 84%

74. 다음 중 보전(Conservation)과 보존(Presernation)의 차이점을 가장 적합하게 설명한 것은?(2011년 06월)
     1. 보전은 협의의 보존을 의미한다.
     2. 보전은 주로 자연의 흐름에 역행하는 인위적인 관리를 대원칙으로 한다.
     3. 보전은 자원을 유지하기 위해 관리가 필요한 경우에, 보존은 자원을 유지하기 위해 관리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사용된다.
     4. 보전은 큰 복합체나 일반적 체계를 대상으로 하며, 보존은 특정개체, 집단, 종 등의 구체적인 대상을 가진다.

     정답 : []
     정답률 : 84%

75. 다음 멸종속도와 관련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09년 05월)
     1. 현재 일어나고 있는 멸종의 대부분은 인위적인 영향이라기보단 자연적인 영향에 의한 것이다.
     2. 인류 역사상 멸종이 가장 심각하게 일어난 곳은 도서라고 볼 수 있다.
     3. 구대륙 열대림 국가에서 원시림 서식지 손실비율이 가장 큰 나라는 짐바브웨이다.
     4. 대륙종이 해양종보다 문(phylum) 단계에서 다양성이 높아 몇 개의 대륙종이 멸종되어도 생물다양성에 막대한 손실을 가져온다.

     정답 : []
     정답률 : 80%

76. 다음 중 멸종될 가능성이 높은 종으로 볼 수 없는 것은?(2016년 05월)
     1. 사람에게 경제적으로 유익하지 못한 종
     2. 계절에 따라 이동하는 종
     3. 서식지 조건이 까다로운 종
     4. 유전적 다양성이 부족한 종

     정답 : []
     정답률 : 86%

77. 환경오염으로 인한 서식지의 황폐화 또는 오염현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6월)
     1. 산업화된 지역의 호수에서는 산성비의 영향으로 동물군집의 상당부분이 손실된다.
     2.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는 새로운 여건에 적응할 수 있는 종이 살아남게 하여 결국 생물군집의 구조가 급격히 변화될 가능성이 있다.
     3. 자연계에 살포딘 살충제가 먹이사슬을 거쳐 생물에 농축되고 궁극적으로 인간에게 영향을 미친다.
     4. 비료, 세제 등의 과도한 사용은 부영양화를 일으켜 물 속의 산소농도가 높아지고 복잡한 구조의 생물군집이 형성된다.

     정답 : []
     정답률 : 81%

78. 다음 설명은 복원에 있어 어떠한 방법을 사용한 것인가?(2016년 05월)

    

     1. 방치
     2. 회복
     3. 대체
     4. 유출

     정답 : []
     정답률 : 92%

79. 다음 중 보전생물학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7년 09월)
     1. 보전생물학은 개체군생물학, 분류학, 생태학 등이 중추를 이룬다.
     2. 보전생물학이란 생물다양성 붕괴의 위협에 대응하여 발전한 종합적인 과학이다.
     3. 보전생물학의 목적은 종, 군집 및 생태계에 대한 인간 활동을 명확히 이해하는데 있다.
     4. 보전생물학은 경제적인 요인들을 우선 순위로 하며 장기간에 걸친 생물보호를 기본 관심사로 삼는다.

     정답 : []
     정답률 : 80%

80. 다음 중 일반적으로 난저장성(recalcitrant) 종자자원에 해당하는 것은?(2010년 05월)
     1. 옥수수
     2. 코코아
     3. 감자
     4.

     정답 : []
     정답률 : 84%

81. 자연환경보전법상 생태ㆍ자연도를 작성할 때 구분하는 지역 중 1등급 권역기준으로 거리가 먼 것은? (단, 그 밖에 생태적 가치가 있는 지역으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지역은 제외한다.)(2009년 05월)
     1. 생태계가 특히 우수하거나 경관이 특히 수려한 지역
     2. 생물의 지리적 분포한계에 위치하는 생태계 지역 또는 주요 식생의 유형을 대표하는 지역
     3. 개발제한구역으로서 장차 보전의 가지가 있는 지역
     4. 멸종위기 야생 동ㆍ식물의 주요 생태축이 되는 지역

     정답 : []
     정답률 : 81%

82.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 의거, 환경부장관이 '국가 생물종 목록'을 구축 할 때, 필요한 자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7년 09월)
     1. 생물종의 국명(國名) 및 학명
     2. 종별 생태적·분류학적 특징
     3. 생물종별 국외 분포 현황
     4. 조사자, 조사기간 및 조사방법

     정답 : []
     정답률 : 73%

83.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환경부장관이 반출승인대상 생물자원에 대하여 국외반출을 승인하지 않을 수 있는 경우로 틀린 것은?(2020년 09월)
     1. 극히 제한적으로 서식하는 경우
     2. 경제적 가치가 낮은 형태적ㆍ유전적 특징을 가지는 경우
     3. 국외에 반출될 경우 그 종의 생존에 위협을 줄 우려가 있는 경우
     4. 국외로 반출될 경우 국가 이익에 큰 손해를 입힐 것으로 우려되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81%

84.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중앙 및 지방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치지 않고 1회에 한하여 2년 이내의 기간 동안 개발행위허가의 제한을 연장할 수 있는 지역은?(2020년 09월)
     1. 지구단위계획구역으로 지정된 지역
     2. 녹지지역으로 수목이 집단적으로 자라고 있는 지역
     3. 계획관리지역으로 조수류 등이 집단적으로 서식하고 있는 지역
     4. 개발행위로 인하여 주변의 환경, 경관, 미관 등이 오염되거나 손상될 우려가 있는 지역

     정답 : []
     정답률 : 60%

85. 다음은 환경정책기본법상 용어의 정의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2010년 05월)

    

     1. 환경오염
     2. 환경훼손
     3. 환경용량
     4. 환경파괴

     정답 : []
     정답률 : 85%

86. 습지보전법상 습지보전을 위해 설치할 수 있는 시설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5월)
     1. 습지연구시설
     2. 습지준설복원시설
     3. 습지오염방지시설
     4. 습지생태관찰시설

     정답 : []
     정답률 : 84%

87. 산지관리법에 의해 산지전용제한지역이 될 수 없는 산지는?(2006년 09월)
     1. 주요 산줄기의 농선부로서 자연경관 및 산림생태계의 보전을 위해 필요한 산지
     2. 지역주민의 임산물 소득을 위해 보전이 필요한 산지
     3. 명승지, 유적지 그 밖의 역사적·문화적으로 보전가치가 있다고 인정되는 산지
     4. 산사태 등 재해발생이 특히 우려되는 산지

     정답 : []
     정답률 : 83%

88. 자연공원법령상 국립공원위원회의 위원장은 누구인가?(2011년 06월)
     1. 환경부장관
     2. 환경부차관
     3. 환경부 자연보전국장
     4. 국립공원관리공단이사장

     정답 : []
     정답률 : 84%

89. 자연환경보전법규상 위임업무 보고사항 중 생태·경관보전지역 안에서의 행위중지·원상회복 또는 대체자연의 조성 등의 명령 실적의 보고횟수 기준으로 옳은 것은?(2011년 06월)
     1. 수시
     2. 연 1회
     3. 연 2회
     4. 연 4회

     정답 : []
     정답률 : 58%

90. 산지관리법상 산림청장이 지정·육성할 수 있는 산지복구전문기관의 업무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0년 05월)
     1. 형질변경된 산지의 복구
     2. 산림자원 육성을 위한 조사연구
     3. 형질변경된 산지의 복구설계·강리
     4. 형질변경된 산지의 자연친화적인 복구방법의 조사·연구 및 개발

     정답 : []
     정답률 : 68%

91. 자연환경보전법상 생태계보전지역의 행위제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6년 09월)
     1. 핵심구역안에서 야생동·식물을 포획하는 행위
     2. 기존 건축물을 2배 미만으로 증축하는 행위
     3. 하천·호소 등의 구조를 변경하는 행위
     4. 토석을 채취하는 행위

     정답 : []
     정답률 : 78%

92. 야생동ㆍ식물보호법상 수렵면허에 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5월)
     1. 수렵면허는 그 주소지를 관할하는 시장ㆍ군수ㆍ구청장으로부터 받는다.
     2. 제1종 수렵면허는 총기를 사용하는 수렵과 관련한 면허이다.
     3. 제2종 수렵면허는 수렵도구를 사용하지 않는 수렵활동과 관련한 면허이다.
     4. 규정에 의해 수렵면허를 받은 자는 환경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5년마다 수렵면허를 갱신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제2종 수렵면허는 활, 석궁, 그물 등으로 수렵활동을 한다.
[해설작성자 : 찬초]

93. 다음은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상 백두대간 보호지역의 지정과 관련한 지역에 관한 설명이다. ( ) 안에 적합한 것은?(2011년 06월)

    

     1. 특별구역
     2. 완충구역
     3. 핵심구역
     4. 생태구역

     정답 : []
     정답률 : 82%

94.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규상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은 박제업자에게 야생동물의 보호ㆍ번식을 위하여 박제품의 신고 등 필요한 명령을 할 수 있는데, 박제업자가 이에 따른 신고 등 필요한 명령을 위반한 경우 각 위반차수별 (개별)행정처분기준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20년 09월)
     1. 1차 : 경고, 2차 : 경고, 3차 : 영업정지 3개월, 4차 : 등록취소
     2. 1차 : 경고, 2차 : 영업정지 1개월, 3차 : 영업정지 3개월, 4차 : 등록취소
     3. 1차 : 영업정지 1개월, 2차 : 영업정지 3개월, 3차 : 영업정지 6개월, 4차 : 사업장 이전
     4. 1차 : 영업정지 1개월, 2차 : 영업정지 3개월, 3차 : 영업정지 6개월, 4차 : 등록취소

     정답 : []
     정답률 : 78%

95.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지구단위계획수립 등에 관한 사항이다.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지구단위계획은 도시의 정비⦁관리⦁보전⦁개발 등 지구단위계획구역의 지정 목적을 고려하여 수립한다.
     2. 지구단위계획은 주거⦁산업⦁유통⦁관광휴양⦁복합 등 지구단위계획구역의 중심기능을 고려하여 수립한다.
     3. 지구단위계획의 수립기준 등은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무총리가 정한다.
     4. 지구단위계획구역 및 지구단위계획은 도시⦁군관리계획으로 결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지구단위계획의 수립기준 등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토해양부장관이 정한다.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52조 ④항
[해설작성자 : 도오트]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49조(지구단위계획의 수립)

① 지구단위계획은 다음 각 호의 사항을 고려하여 수립한다.
     1. 도시의 정비ㆍ관리ㆍ보전ㆍ개발 등 지구단위계획구역의 지정 목적
     2. 주거ㆍ산업ㆍ유통ㆍ관광휴양ㆍ복합 등 지구단위계획구역의 중심기능
     3. 해당 용도지역의 특성
     4.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

② 지구단위계획의 수립기준 등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한다.
     <개정 2013. 3. 23.>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96.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기반시설 중 광장 구분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0년 05월)
     1. 교통광장
     2. 일반광장
     3. 특수광장
     4. 건축물부설광장

     정답 : []
     정답률 : 68%

97. 산지관리법에 의한 산지의 구분에서 보전산지 중 공익용산지에 포함되지 않는 산지는?(2006년 09월)
     1. 산림법에 의한 채종림 및 시험림의 산지
     2. 자연공원법에 의한 공원의 산지
     3. 수도법에 의한 상수원보호구역의 산지
     4. 사찰림의 산지

     정답 : []
     정답률 : 70%

98. 야생동ㆍ 식물보호법규상 멸종위기야생동 ㆍ 식물 Ⅱ급에 해당하는 것으로만 구성되어 있는 것은?(2024년 개정된 규정 적용됨)(2009년 05월)
     1. 삵, 두루미, 긴꼬리투구새우, 제주고사리삼
     2. 가창오리, 암매, 산굴뚝나비, 노랑붓꽃
     3. 삵, 물장군, 노랑붗꽃, 독미나리
     4. 개구리매, 비단벌레, 저어새, 개병풍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급 : 두루미, 제주고사리삼, 암매, 산굴뚝나비, 호사비오리, 모래주사, 비단벌레, 저어새
2급 : 삵, 물장군, 노랑붗꽃, 독미나리, 개구리매
(24년기준)출처: 국립생태원-멸종위기야생동물검색
[해설작성자 : 고구마]

99.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상 산림청장은 백두대간보호기본계획을 몇 년 마다 수립하여야 하는가?(2014년 05월)
     1. 1년
     2. 3년
     3. 5년
     4. 10년

     정답 : []
     정답률 : 68%

100. 자연환경보전법상 용어의 뜻 중 “사람의 접근이 사실상 불가능하여 생태계의 훼손이 방지되고 있는 지역중 군사상의 목적으로 이용되는 외에는 특별한 용도로 사용되지 아니하는 무인도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지역과 관할권이 대한민국에 속하는 날부터 2년간의 비무장지대”를 말하는 것은?(2017년 09월)
     1. 생태축
     2. 생태서식지
     3. 대체서식지
     4. 자연유보지역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자연유보지역>
사람의 접근이 사실상 불가능하여 생태계의 훼손이 방지되고 있는 지역 중 군사상의 목적으로 이용되는 외에는 특별한 용도로 사용되지 않는 무인도와 관할권이 대한민국에 속하는 날부터 2년간의 비무장지대를 말한다.

자연유보지역은 생태.경관보전지역안에서의 행위제한에 준하는 제한을 받는다
[네이버 지식백과] 자연유보지역 (토지이용 용어사전)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정 답 지

생물분류기사(동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1578111)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생물분류기사(동물)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계통분류학


1. 모식(기준표준)의 종류 중 저자가 한 신종을 기재할 때 근거로 삼은 가장 핵심적인 단일표본 또는 이와 동등하게 특기한 모식은?(2010년 05월)
     1. 총모식(syntype)
     2. 하판토모식(hapantotype)
     3. 신모식(netotype)
     4. 완모식(holotype)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완모식표본(holotype) : 새로운 종을 표현하기 위해 선택되어 쓰이는 한 가지 표본.
총모식표본(syntype) : 완모식표본을 선정할수 없을때 여러 표본중에서 종의 특징을 가장 잘 표현하는 표본을 syntype으로 정함
신모식표본(neotype) : 완모식, 총모식, 및 후모식이 분실 또는 파괴되어 모두 없어져 버린 경우에 새로운 모식 표본을 정해야 하는데, 이때 선정된 표본

2. 중생동물에 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5월)
     1. 몸의 구조는 단순하고, 무척추동물의 신장과 내장에 기생한다.
     2. 후생동물의 상실기 또는 중실포배에 해당하는 동물군이다.
     3. 체표는 섬모로 덮여 있고, 일반적인 세포형과 기관은 없다.
     4. 석회충과 육방충 및 시상충이 해당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중생동물: 다른 동물의 내장에 기생하는 작은 동물로서 이배충과 직유충이 포함된다.
[해설작성자 : isp]

3. 다음 중 환형동물에 포함되는 분류군은?(2017년 09월)
     1. 다판강
     2. 다지강
     3. 다모강
     4. 갑각강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환형동물문(Phylum Annelida)
- 빈모강: 지렁이
- 질강: 거머리
- 다모강: 갯지렁이

다판강: 연체동물문
다지, 갑각: 절지동물문
[해설작성자 : 고먐미최고]

4. 다음 중 벼과(화본과)의 특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4년 05월)
     1. 줄기의 단면은 둥글며, 열매는 영과이다.
     2. 줄기의 단면은 삼각형이며, 열매는 수과이다.
     3. 줄기의 단면은 삼각형이며, 열매는 핵과이다.
     4. 줄기의 단면은 둥글며, 열매는 수과이다.

     정답 : []
     정답률 : 86%

5. 절지동물의 발생학적 특징으로 옳은 것은?(2016년 05월)
     1. 원장으로부터 중배엽이 형성된다.
     2. 입은 원구로부터 발생한다.
     3. 방사난할을 한다.
     4. 조정란이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 절지동물(節肢動物, arthropod)
    -. 절지동물은 외골격과 체절, 관절이 있는 무척추동물이다
    -. 몸은 머리·가슴·배로 구분되며, 각 체절에 부속지가 한 쌍씩이 있다
    -. 지구상 동물 종의 80% 이상을 차지한다
    -. 절지동물은 탈피를 하는 특징이 있다
    -. 곤충·거미·갑각류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6. 다음 중 성적이형(sexual dimorphism)을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2021년 09월)
     1. 암수가 생식기 이외에도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지는 것을 말한다.
     2. 수컷이 암컷보다 크기(덩치)가 큰 특징을 말한다.
     3. 암수가 생식기에 대해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지는 것을 말한다.
     4. 교배에 있어서 암컷의 선택권이 수컷보다 더 큰 것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같은 종류이면서 암수의 형태가 서로 다른 생물의 경우, 암수 개체의 외부 형태가 완전히 구분되어 나타나는 현상
[해설작성자 : 단교배]

7. 다음 중 후구 동물에 해당하는 것은?(2017년 05월)
     1. 갯고사리(바다나리)
     2. 선충
     3. 플라나리아
     4. 다슬기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갯고사리: 극피동물
선충: 선형동물
플라나리아: 편형동물
다슬기: 연체동물
(후구동물: 모악, 극피, 원색, 척추)
[해설작성자 : jimingumi]

8. 다음 중 유생의 형태가 아닌 것은?(2010년 05월)
     1. bipinnaria
     2. tornaria
     3. ophiuroidea
     4. pluteus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ophiuroidea는 거미불가사리아강 이다.

bipinnaria (비핀나리아) 극피동물 부유성 유생
tornaria (토르나리아 유생) 긴 섬모의 운동으로 바다속을 유영하는 반삭동물 유생
pluteus (플루테우스) 극피동물 성게류 및 거미불가사리류 부유유생
[해설작성자 : 찬초]

9. 피자식물에 대하여 Engler 분류체계 : Bessey 분류체계의 원시성을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엥글러(독일. 식물분류학자): 유이화서를 가진 식물을 피자식물의 조상으로 판단.
쌍자엽식물군에 미나리아재미목을 부속시켜 정리하고 있으니    답 3이 맞다고 봅니다.

피자식물(=쌍자엽식물)중 유이화서군에 속하는 특징으로 꽃잎이 없고(불완전화) 수꽃대가 길게 처짐.
버드나무는 꽃받침이 없는 불완전화로 다음의 4개 과가 속합니다.    
1.버드나무과:이가화/버드나무. 포풀러
2.자작나무과:일가화/자작나무. 오리나무.
3.참나무과:일가화/참나무류. 밤나무.
4.가래나무과:일가화/가래나무. 호두나무
[해설작성자 : 열공줌마]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답은 2번이 아닐까 싶습니다.
Engler 분류체계에서는 풍매화이고 Bessey 분류체계에서는 충매화라고 알려져 있는데 여기서는 답이 3번을 포함한다면
2번과 3번 중복 답일 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1]

[추가 오류 신고]
원시적인 꽃-                 앵글러분류: 화피없고 단성화        배시분류: 화피다수,갈래꽃,단성화
원시적 수분메카니즘- 앵글러분류: 풍매화                         배시분류: 충매화
쌍자엽식물의 원초-     앵글러분류: 유이화서류                 배시분류: 미나리아재비목
피자식물의 선조-         앵글러분류: 구과류나 매마등류    배시분류: 소철류,중자고사리

앵글러는 없는것이 원시    단자엽-->쌍자엽                         배시는 없는것이 진화    쌍자엽(미나리아재목)-->단자엽
확실한건 2번은 틀린답..근데 3번이 정답이라고 하면..시험에 나오면 몇번 찍어야하지..ㅠ
[해설작성자 : 뉴발인디]

[추가 오류 신고]
앵글러 분류체계에서 원시적 수분메커니즘은 풍매화, 베시 분류체계에서는 충매화.
쌍자엽식물의 원조는 앵글러 분류체계에서는 유이화서군, 베시 분류체계에서는 미나리아재비목
따라서 정답은 3번이 아니라 2번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10. 다음 중 척삭동물만이 갖는 특유한 특성에 해당되는 것은?(2011년 06월)
     1. 방사난할
     2. 후신관의 배설계
     3. 폐쇄혈관계
     4. 항문 뒤 꼬리

     정답 : []
     정답률 : 91%

11. 마이어가 제시한 다음이 설명하고 있는 것은?(2021년 09월)

    

     1. 속(genus)
     2. 종(species)
     3. 변종(variety)
     4. 지역 개체군(localpopulation)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마이어(1953)는 생식적 격리(生殖的 隔離, reproductive isolation)에 의해 종을 구별하였으며 교배가 가능한 집단을 같은 종으로 취급하였다. 어떤 개체라도 상호간에 교배가 일어날 수 있는 소집단 내의 개체들은 유전적으로 유전자 급원을 형성한다.
[해설작성자 : 도오트]

12. 다음 중 우상복엽이 아닌 식물은?(2009년 05월)
     1. 가죽나무
     2. 산초나무
     3. 침엽수
     4. 가래나무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침엽수는 단엽이다.

13. 다음 중 종자식물에 해당되는 것은?(2017년 09월)
     1. 솔잎란식물
     2. 석송식물
     3. 속새식물
     4. 소철식물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솔잎란, 석송, 속새는 양치식물로 포자로 번식함. 소철은 나자식물(겉씨식물).
[해설작성자 : 뽀]

14. 갑각강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5월)
     1. 외골격은 키틴질로 되어 있다.
     2. 바다, 민물, 육상의 갑각류가 있다.
     3. 2쌍의 촉각을 가진다.
     4. 가슴과 배의 부속지는 전형적으로 단분지형(單分枝型)이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4. 이분지형
[해설작성자 : 도담이방구]

갑각아문(조개껍데기, 갑각, 피각) 중 갑각강(조개껍데기)
- 게, 새우, 가재, 옆새우, 물벼룩 등 수서생활 하는 절지동물 포함
- 외골격 키틴질, 얇고 거의 막상이며 투명한 경우도 있고 탄산칼슘이 침적되어 두껍게 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 머리, 가슴, 복부의 3부분이 뚜렸하며 머리와 가슴이 융합하여 두흉부를 형성한다.
- 2쌍의 촉각을 소유한다.
[해설작성자 : 고먐미최고]

15. 다음 중 연체동물의 특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7년 05월)
     1. 골격은 규질이나 석회질의 골편으로 되어 있다.
     2. 산만신경계를 가지며, 소화계는 단순하다.
     3. 체강은 퇴화하여 심장의 주위에 국한되어 있다.
     4. 방사형 난할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 연체동물
    -. 머리, 발, 내장낭, 외투막의 4부분으로 구성되고, 체표에는 섬모가 있다
    -. 치설과 악판의 연체동물 특유의 저작기관이 있으며 이를 이용해 먹이를 먹는다.
    -. 주로 바다나 민물에서 수중생활을 하나 육지에서 서식하는 종도 있다
    -. 나선형 난할을 한다. 심장 주위에 체강이 있다
    -. 군부, 뿔조개, 달팽이, 민달팽이, 군소, 조개, 굴, 오징어, 문어, 앵무조개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16. 식물의 분류체계는 학자에 따라 다르다. 그 중에서 가능한 모든 분류학적 증거를 이용하여 친소성을 체계에 반영시켰고, 피자식물을 단계원으로 하여 목련목을 원시형군으로 두고 이 노선에서 다른 여러 파자식물군들이 진화한 것으로 본 분류체계는?(2006년 09월)
     1. Takhtajan
     2. Cronquist
     3. Thorne
     4. Dahlgren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타크타잔(Takhtajan)의 분류체계:피자식물을 단계원으로 하여 목련목을 원시형군으로 두고 이 노선에서 다른 여러 피자식물군이 진화한 것으로 본 분류체계
[해설작성자 : lucy]

17. 다음 중 환형동물의 일부 특징과 절지동물의 일부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은?(2015년 05월)
     1. 발톱벌레
     2. 혀벌레
     3. 곰벌레
     4. 끈벌레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발톱벌레 : 유조동물문
유조동물로 이름처럼 다리끝에 발톱이 나있는 것이 특징
혀벌레 : ? ? ? ?
곰벌레 : 완보동물문 (절지동물과 연관이 있지만 환형동물과는 연관이 없다.)
끈벌레 : 유형동물문 (환형동물과는 연관이 있지만 절지동물과는 연관이 없다.)
[해설작성자 : 찬초]

18. 조류의 몸무게를 가볍게 하면서 동시에 강하게 나는 힘을 얻을 수 있도록 적응된 기관계의 묶음은?(2020년 09월)
     1. 골격계와 호흡계
     2. 골격계와 배설계
     3. 골격계와 생식계
     4. 골격계와 소화계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조류의 뼈는 속이 비어 있고 벌집 모양의 구조로 뼈대를 받치고 있어 매우 가볍고 강도가 높다. 몸이 큰 수리류의 경우 뼈의 무게가 전체 무게의 5퍼센트 정도밖에 안 된다. 조류는 일반적으로 몸집이 클수록 더 작은 뼈 무게를 가지고 있어 몸이 크더라도 잘 날 수 있다. 날개 근육은 가슴뼈인 용골돌기(sternum)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조류는 폐와 연결된 큰 공기주머니를 여러개 가지고 있는데 이를 기낭이라고 한다. 기낭은 안에 공기를 드나들게 하여, 몸의 무게를 증감시킬 수 있는 기관이다. 여러 개의 기낭으로 인해 새들은 공기를 흡입할 때 많은 산소를 받아들일 수 있고 비행 할 때 필요한 에너지를 만들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서준낭]

19. 다형종(polytypic species)이 의미하는 것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7년 05월)
     1. 변태하는 생물 종
     2. 성적이형을 가진 종
     3. 계절적 변이가 있는 종
     4. 여러 아종을 가진 종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 다형종 : 넓은 분포지역을 가지며 2개 이상의 아종을 가지는 종
* 단형종 : 아종을 갖고 있지 않는 종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20. 상동과 상사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2009년 05월)
     1. 상동은 분류학에서 계통발생적 기원이 동일한 기관간의 관계를 말한다.
     2. 새와 나비의 날개는 상사의 대표적인 예이다.
     3. 상사는 외관이나 기능은 비슷하나 발생기원이 다른 기관을 말한다.
     4. 어류와 파충류의 비늘은 상동의 대표적인 예이다.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어류와 파충류의 비늘은 상사의 예시임
[해설작성자 : 꼬부기과자야]

2과목 : 환경생태학


21. 다음 중 유해폐기물의 국가간 이동 및 처리에 관한 사항을 골자로 한 국제적 협약(또는 의정서)에 해당하는 것은?(2015년 05월)
     1. 몬트리올 의정서
     2. 바젤협약
     3. CITES
     4. 리우환경협약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몬트리올: 오존층
바젤: 유해폐기물
CITES:멸종야생동식물
리우: 온실가스
[해설작성자 : 율잇]

22. 지구는 6개의 주된 생물지리학적 지역으로 나누는데 우리나라가 속한 생물지리학적 지역은?(2016년 05월)
     1. 구북구(Palearctic)
     2. 동양구(Oriental)
     3. 신북구(Neartic)
     4. 오스트랄라시구(Australasian)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 구북구 : 이란,유라시아,아프가니스탄,히말라야,중국 남부,북아프리카 등이 포함된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23. 다음 중 기생식물이 아닌 것은?(2011년 06월)
     1. 라플레시아
     2. 환삼덩굴
     3. 실새삼
     4. 개종용

     정답 : []
     정답률 : 83%

24. 다음 중 산성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5월)
     1. 산성비는 공기 중으로 배출된 산성물질(아황산가스, 질소산화물 등)이 대기 중에서 수증기와 결합하여 생긴다.
     2. 산성비는 일반적으로 pH 9이하인 비를 말한다.
     3. 식물 잎에 반점을 만들고 광합성을 저해하며 꽃잎이 탈색되는 등 식물에 피해를 준다.
     4. 중국으로부터 대기오염물질 확산과 황사현상은 우리나라에 산성비의 요인으로도 작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산성비란 수소이온 농도(pH)가 5.6 미만인 비이다.
일반적인 비의 pH는 5.6~6.4로 약산성
[해설작성자 : 찬초]

25. 개체군에서의 무서열 경쟁은 승자에 의한 자원의 독점이 일어나지 않는다. 다음 중 제한된 자원의 존재하에서 무서열 경쟁의 밀도와 시간과의 관계를 바르게 표현한 것은?(2009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5%

26. 다음은 하천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알맞은 용어는?(2017년 09월)

    

     1. ㉠ 소, ㉡ 삼각주
     2. ㉠ 여울, ㉡ 소
     3. ㉠ 소, ㉡ 여울
     4. ㉠ 삼각주, ㉡여울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 자연생태복원기사에서도 가끔씩 출제되는 문제입니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27. 적조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9월)
     1. 하수 및 폐수 등에 의한 질소, 인 등의 영양염류 유입이 원인이 된다.
     2. 철분, 구리, 망간 등의 미량 금속 및 유기물질이 풍부할 때 일어난다.
     3. 수온, 염분, pH 등이 적합하고 무풍상태가 계속되어 해수교환이 일어나지 않을 때 일어난다.
     4. 수중 산소 함유량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조류(algae) 자체의 독성으로 인해 어패류가 질식사한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적조 때는 식물 플랑크톤이 대량으로 번식했다가 박테리아에 의해 분해되면서 물속에 녹아 있는 산소가 고갈되므로, 해수의 용존산소량이 부족해져 어패류가 질식사한다.
[해설작성자 : 연우]

28. 개체군 조절 메커니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9월)
     1. 제한된 환경에서 환경수용능력 이상의 개체군은 밀도가 감소한다
     2. 생태계 내에서 개체군의 밀도가 증가하면 자신에게 가해지는 압력이 감소한다
     3. 개체군의 출생률과 사망률의 변화가 밀도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밀도-비의존효과(density-independent effect)라고 한다
     4. 무생물적 조절은 보통 밀도-비의존적(density-independent)인 반면에 생물적 조절은 밀도-의존적(density-dependent)이다

     정답 : []
     정답률 : 87%

29. 대기의 중요한 역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5월)
     1. 자외선을 차단해 준다.
     2. 열을 흡수하고 잡아둔다.
     3. 화학적으로 유용한 기체를 포함한다.
     4. 지구의 중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준다.

     정답 : []
     정답률 : 84%

30. 분석 장치구성이 회전섹터, 광학필터, 시료셀, 검출기, 증폭기, 지시계 등으로 구성되는 분석방법은?(2010년 05월)
     1. 비분산 적외선 분석법
     2. 흡광광도법
     3. 가스크로아토그래프법
     4. 전기전도도법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비분산 적외선 분석법 - 주로 일산화탄소(co) 분석에 사용
[해설작성자 : 김엉곰]

31. 질소의 순환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5월)
     1. 질소는 번개에 의한 격렬한 방법이나 질소 산화물처럼 어떤 오염물질에 대한 태양의 광화학작용에 의해서도 고정될 수 있다.
     2. 탈질세균은 질산성 질소를 탈질과정을 통해 질소분자로 환원한다.
     3. 식물은 토양으로부터 주로 아질산이온을 흡수하여 단백질을 합성한다.
     4. 콩과식물은 질소고정 박테리아에 아주 좋은 서식처이다.

     정답 : []
     정답률 : 72%

32. 용승 현상(upwelling)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21년 09월)
     1. 적도부근의 플랑크톤이 풍부한 해류가 고위도 해역으로 올라간다.
     2. 해안가에서 지속적으로 침전된 영양소가 연안풍에 의해 바다로 공급되는 현상이다.
     3. 계절과 상관없이 발생한다.
     4. 영양소가 풍부한 차가운 심층수가 수면으로 올라온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해양 표층의 물이 발산(물이 주변으로 빠져나감)되는데 표층순환이 이를 채우지 못할 경우 아래쪽에 있는 심층수가 표층으로 올라오는 현상을 용승이라 한다.

33. 교목이 포함된 천이계열의 경우, 천이의 초기단계에서 침입하게 되는 목본식물의 일반적인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1년 09월)
     1. 키가 작고 굵다.
     2. 잎 수가 많다.
     3. 잎의 크기가 작다.
     4. 생장이 빠르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천이 단계에서 목본식물의 경우에는 키다 크고 줄기가 가늘어요. 즉 빠른 성장를 위해서입니다.
또한 잎의 크기가 작다? 오히여 광합성 효율을 위해서 잎이 큰편입니다.

문제가 오류가 있는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단교배]

34. 생태계세서 에너지 안정산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5월)
     1. 군집의 호흡량을 초과하여 축적되는 생산량을 군집순생산량이라 하고, 안정생태계의 군집순생산량은 1 이다.
     2. 안정상태의 군집은 총광합성량과 총 호흡량의 비율(P/R ratio)이고 1보다 크면 독립영양군집이다.
     3. 소나무 조림지에서와 같이 천이의 초기군집은 P/R 비율이 1보다커서 독립영양군집을 이룬다.
     4. 강의 상류는 육상생태계에서 규칙적으로 유기물이 유입되나 세균 등에 의해 소비되는 양이 많아 대부분 P/R 비율은 1보다 적으나, 강의 종류는 식물생산량이 증가되어 1 보다 커진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군집 순생산량=군집 총생산량(P) - 군집 총호흡량(R)
P/R ratio는 1에 가깝다. 그러나 P-R= 0에 가깝다.
[해설작성자 : 굴뚝새]

35. 다음 중 생물권에서 연간 유입되는 태양 방사 에너지의 소산율이 가장 낮은 것은?(2017년 05월)
     1. 광합성
     2. 직접적 열 전환
     3. 반사
     4. 증발, 강우

     정답 : []
     정답률 : 77%

36. 개체군의 밀도조사를 절대밀도 조사법과 상대밀도 조사법으로 분류할 때, 다음 중 절대밀도 조사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5년 05월)
     1. 전수조사
     2. 방형구법
     3. 표지-재포획법
     4. 빈도조사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절대밀도: ex) 전수조사, 방형구조사, 포획-재포획법
상대밀도: 동물의 행동 흔적과 같은 지표를 이용. ex) 트랩, 활동흔적, 빈도조사, 설문조사, 피도조사
[해설작성자 : 율잇]

37. 습지 보전을 위한 국제협약으로 1971년 체결되었으며, 더 이상의 습지 손실을 막고, 지속 가능한 습지가 될 수 있도록 국제적 협력을 목적으로 하는 협약은?(2016년 05월)
     1. 빈협약
     2. 람사협약
     3. 이동동물 국제협약
     4. 종 다양성에 관한 국제협약

     정답 : []
     정답률 : 93%

38. 어느 개체군의 성장이 S자형 곡선에 의해 결정되어 진다고 가정할 때,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개체군의 성장률은 얼마인가?(2009년 05월)

    

     1. 350
     2. 700
     3. 1,000
     4. 1,500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r*N*(1-N/K)
0.7*2000*(1-2000/4000) = 0.7*2000*1/2 = 700
[해설작성자 : 공부하기싫다]

39. 허치슨이 제안한 개념으로 경쟁, 포식, 질병, 기생과 같은 생물적 상호작용에 의해 제한되는 분포를 갖는 종의 생태적 지위를 나타내는 용어는?(2021년 09월)
     1. 기본적인 생태적 지위(fundamental niche)
     2. 실제 생태적 지위(realized niche)
     3. 공간적인 생태적 지위(spatial niche)
     4. 영양의 생태적 지위(trophic niche)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기본적인 생태적 지위 : 경쟁이 없을 때 한 종이 이론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원 및 물리, 화학, 생물학적 조건의 전부를 의미
실제 생태적 지위 : 같은 자원에 대한 경쟁을 피하고 살아남기 위해 일반적으로 한 종은 자신의 기본 지위의 일부분만을 차지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0. 호소 및 하천주변의 식생대에 있어서 침수식물에 해당하는 것은?(2010년 05월)
     1. 개구리밥
     2. 부들
     3. 택사
     4. 검정말

     정답 : []
     정답률 : 86%

3과목 : 형태학


41. 뿌리유형 중 내초에서부터 바깥쪽으로 내생적으로 만들어지는 뿌리는?(2020년 09월)
     1. 주근
     2. 측근
     3. 근모
     4. 부정근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내초(內初): 뿌리의 내부 조직, 특히 중심주라고도 불리는 부분으로, 이 부분에서 뿌리의 새로운 세포가 형성되어 외부로 성장.
내생적: 내부에서부터 시작하여 바깥으로 성장하는 것.

측근은 주근 또는 다른 뿌리에서 옆으로 나오는 부차적인 뿌리로 내초에서 발생하여 바깥쪽으로 성장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주근은 씨앗에서 발아한 주된 뿌리가 성장한 것으로 중심축을 이루는 뿌리, 주로 쌍떡잎식물에서 발견
근모는 뿌리의 표면에 형성되는 작은 모양의 흡수 조직, 물과 영양분 흡수
부정근은 주근 이외의 위치에서 발생하는 뿌리, 줄기, 잎 또는 다른 비정상적인 위치에서 생겨날 수 있음
[해설작성자 : wooomk]

42. 곤충의 소화기관은 전장, 중장, 후장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중 소화, 흡수가 주로 이루어지는 부위는?(2015년 05월)
     1. 전장
     2. 중장
     3. 후장
     4. 후장내막

     정답 : []
     정답률 : 75%

43. 유세포와 후각세포의 가장 큰 차이점은?(2020년 09월)
     1. 세포의 크기
     2. 2차벽의 존재여부
     3. 세포벽의 비후양상
     4. 세포의 대사활동 가능여부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유세포, 후각세포, 후벽세포로 나누는 기준은 세포벽의 형태로 유세포와 후각세포의 세포벽 비후양상이 다르다.
[해설작성자 : 도오트]

44. 극피동물이 가지고 있는 내골격은 무엇인가?(2021년 09월)
     1. 큐티클
     2. 연골
     3. 소골편
     4. 유체골격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극피동물이란 고슴도치의 피부를 가진 동물이라는 뜻이며(불가사리, 성게, 해삼 등), 피하에는 진피성의 석회성 소골편으로 이루어진 내골격이 있다.
[해설작성자 : 도오트]

45. 신경계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5월)
     1. 능뇌는 척수와 연결되고, 뇌의 앞쪽 부분에 위치해 있으며, 일반적으로 의식적, 수의적 작용을 조절한다.
     2. 뇌교는 연수를 도와 호흡조절에도 관여한다.
     3. 소뇌는 연수의 위쪽에 있으며, 구형이며, 자세와 균형을 유지하는 일을 한다.
     4. 뇌의 가장 밑부분에 있는 연수는 호흡률, 심장박동, 혈압 등을 조절하는 중추이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능뇌(=후뇌):중뇌와 척수 사이에 위치, 전신의 운동을 담당하는 교뇌, 반사.호흡.순환 운동 조절하는 숨뇌, 그리고 근육운동과 균형유지를 담당하는 소뇌로 구성됨
[해설작성자 : 오션]

46. 세포의 1차벽의 일부분만이 비후한 조직은?(2009년 05월)
     1. meristematic tissue
     2. collenchyma
     3. sclerenchyma
     4. vascular tissue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collenchyma는 후각조직, sclerenchyma는 후벽조직
[해설작성자 : 구상나무]

47. 식물의 체관부를 구성하는 세포 중 식물체의 기계적 지지를 주요 기능으로 하는 세포가 아닌 것은?(2021년 09월)
     1. 동반세포(companion cell)
     2. 후막세포(sclerenchyma cell)
     3. 섬유세포(fibers)
     4. 보강세포(sclereids)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동반세포 : 속씨식물에서 식물체의 여러 부분으로 양분을 운반하는 체관부를 이루는 여러 세포 중 하나
직접적으로 양분을 운송하는 통로로 기능하는 체관의 사관절(체요소) 옆에 붙어서 주변 세포에서 체관으로 당을 실어 올리는 기능을 하며, 세포 핵과 여러 세포소기관이 없는 체관의 생존을 보조
출처: 네이버 블로그 몽실언니
[해설작성자 : 도오트]

후막세포:후막세포(sclerenchyma)는 두꺼운 2차 세포벽을 가진 세포로, 리그닌이 풍부하여 매우 단단함
체관부에서는 섬유세포와 보강세포 형태로 존재하며, 기계적 지지를 제공함
성숙하면 대부분 세포 내용물이 소실되어 죽은 세포가 됨

섬유세포    길고 가늘며, 유연성을 유지하면서 장력 제공
보강세포    불규칙한 모양, 단단하고 압력에 강함, 식감에 영향(배 과육의 거친 식감 보강세포(석세포)
[해설작성자 : 단교배]

[관리자 입니다.
2번 보기가
시험지 원본상으로은 후각 이라고 되어 있는데

후막세포라는 오류신고가 있어서

제가 검색을 해봤는대..

후막, 후벽 이라는 단어가 더 적절한듯 합니다.

따라서... 후막으로 보기 내용을 변경하였습니다.
그점 참고 부탁 드립니다.]

48. 배를 먹을 때 그 과육에서 모래와 같은 것이 씹히는데 이것은 어떤 조직의 무슨 세포인가?(2010년 05월)
     1. 후벽조직 - 보강세포
     2. 후강조직 - 섬유세포
     3. 후각조직 - 보강세포
     4. 후벽조직 - 섬유세포

     정답 : []
     정답률 : 79%

49. 동물의 소화계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5월)
     1. 소장의 내벽은 융모와 미세융모를 통해 표면적을 넓힌다.
     2. 대장의 주 기능은 물과 무기염류의 흡수이다.
     3. 일반적으로 초식성 동물은 육식성 동물보다 몸체에 비해 소화관이 짧다.
     4. 간은 쓸개즙을 생성하고, 이자는 소화효소와 중탄산염이 풍부한 알칼리성 액체를 생산해낸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 초식성 돌물 : 긴 소화관과 복잡한 발효실을 가지고 있다
* 육식성 동물의 소화기관
    육식 동물의 소화기관은 짧고 단순하며 강력한 소화 효소를 가지고 있어
    단백질을 효과적으로 분해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50. 많은 단자엽 식물의 표피(특히, 벼와 사초의 표피)에서 잎의 수축과 펴짐에 관여하는 특수세포는?(2014년 05월)
     1. 장세포
     2. 규산세포
     3. 우두상세포
     4. 코르크세포

     정답 : []
     정답률 : 78%

51. 다음 괄호 안에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2021년 09월)

    

     1. 수분열조직
     2. 정단분열조직
     3. 후벽조직
     4. 통도조직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 통도조직
    물관부는 특수한 통도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통도조직은 대부분 가늘고 길게 늘어진 속이 빈 세포로 되어 있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52. 다음 중 복엽 또는 그 일부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2006년 09월)
     1. 우상복엽
     2. 장상복엽
     3. 소엽
     4. 단엽

     정답 : []
     정답률 : 80%

53. 다음 중 식물 표피조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0년 05월)
     1. 공변세포(guard cell)
     2. 뿌리털(root hair)
     3. 모용(trichome)
     4. 내피(endodermis)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3. 모용(trichome) : 식물체의 표면에서 발달하는 부드러운 털, 휘발성물질 분비
[해설작성자 : 김엉곰]

54. 감자와 같이 지하경이 비대하여 육질의 덩어리로 된 것은?(2020년 09월)
     1. 포복경(runner)
     2. 괴경(tuber)
     3. 편경(cladodium)
     4. 인경(bulb)

     정답 : []
     정답률 : 84%

55. 목본식물의 줄기에서 잎이 떨어진 자리가 흔적으로 남아 잇는 엽흔에서 볼 수 있는 것은?(2016년 05월)
     1. 관속흔
     2. 겨울눈
     3. 잎눈
     4. 꽃눈

     정답 : []
     정답률 : 77%

56. 포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5월)
     1. 성게에서는 바깥의 세포들이 섬모를 형성함으로써 포배는 수정막에서 탈출하여 자유유영 시기를 시작한다.
     2. 개구리의 포배는 동물극에 있는 난황이 우세하므로 비대칭이며, 포배강은 강 위로 얇고 지붕 같은 덮개를 형서하는 극세포들과 함께 식물극 근처에서 형성된다.
     3. 많은 양의 난황 때문에 새와 파충류의 배에서는 포배가 단순하지 않다.
     4. 포유류의 포배단계는 배낭에 의해 대표되는데 이것은 32개의 세포로 출발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57. 척추동물의 배아는 내배엽, 중배엽, 외배엽의 3배엽으로 구성되는데 다음 중 각 배엽과 그로부터 생겨난 성체구조가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2014년 05월)
     1. 외배엽 - 신경계
     2. 외배엽 - 소화관 내층
     3. 외배엽 - 생식계
     4. 내배엽 - 순환계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외배엽: 몸의 표층, 뇌와 척수를 포함하는 신경구조
중배엽: 골격, 근육, 혈관, 생식소
내배엽: 소화, 호흡, 배설계 등의 내벽으로 분화
[해설작성자 : 고먐미최고]

58. 몸 전체에 많은 구멍이 퍼져 있어 일반적으로 스폰지(sponge)라고 불리는 이 동물은?(2006년 09월)
     1. 중생동물
     2. 해면동물
     3. 편형동물
     4. 유형동물

     정답 : []
     정답률 : 93%

59. 후각조직 세포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6월)
     1. 분열 기능을 회복할 수 있다.
     2. 1차 세포벽이 균일하지 않게 두꺼워진다.
     3. 소성(plasticity)을 가지고, 지지작용을 한다.
     4. 완전히 성숙했을 때는 죽은 세포이다.

     정답 : []
     정답률 : 85%

60. 신경계의 기본단위인 뉴런에서 말단으로부터 뉴런의 나머지 부분으로 자극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곳은?(2020년 09월)
     1. 축삭
     2. 세포체
     3. 신경교
     4. 수상돌기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 수상돌기
    -. 가지돌기(dendrite)라고도 한다
    -. 수상돌기는 신경세포(뉴런)에서 뻗어나온 나뭇가지 모양의 짧은 돌기이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4과목 : 보존 및 자원생물학


61. 거의 동일한 환경자원을 이용하는 같은 영양단계에 있는 종들을 의미하는 일반적인 용어는?(2014년 05월)
     1. host
     2. decomposers
     3. guild
     4. keystone species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host : 숙주
decomposers : 분해자
guild : 생태학에서 동일한 자원을 비슷한 방식으로 이용하는 생물군
keystone species : 핵심종
[해설작성자 : wooomk]

62. 도서 생물 지리설에 근거한 보호지구 설계원리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5월)
     1. 좁은 보호 지구보다는 넓은 보호 지구가 좋다.
     2. 하나의 큰 면적보다는 여러 개의 작은 면적이 좋다.
     3. 선형의 서식지에서 공유가 적은 경우보다는 서식지를 서로 공유하는 경우가 좋다.
     4. 원형의 형태가 좋다.

     정답 : []
     정답률 : 86%

63. 다음 중 보전생물학의 주된 목적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2006년 09월)
     1. 군집 및 생태계에 대한 인간의 활동을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다.
     2. 종의 절멸을 막기 위한 실질적인 보전방법을 발전시키는 것이다.
     3. 절멸의 위험에 처해 있는 종들이 다시 생태계에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재건하는 것이다.
     4.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만 이해하는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88%

64. 다음은 개체군 보전에 관한 사항이다. ( )안에 들어갈 용어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5년 05월)

    

     1. 최대존속면적
     2. 최소존속면적
     3. 최소동태면적
     4. 최대동태면적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면적이 있으면 그 면적에서 최소한 얼마나 움직일 수 있는지 알아야 하기 때문에
움직일 동(動)태면적
~로 이해했습니다.
[해설작성자 : 찬초]

65. 핵심종(keystone species)의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7년 09월)
     1. 핵심종은 군집 또는 생태계 내에서 개체수가 가장 많은 종으로 그 군집 또는 생태계를 지탱하는 중추적 역할을 하는 종이다.
     2. 핵심종은 생태계내의 영양단계상 주로 하부에 위치하여 상위 포식자와 하위 생산자 또는 초식동물들을 중간에서 조절하는 중추적 역할을 하는 종이다.
     3. 핵심종은 가장 하위 영양 단계의 생물군의 보전을 위해서 핵심종을 최대한으로 번창시킬 수 있도록 개체군의 크기를 조절해야만 한다.
     4. 군집 또는 생태계 내에서 핵심종이 사라지면 영양 단계가 붕괴되어 궁극적으로 그 군집 또는 생태계가 붕괴된다.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핵심종 : 일정 지역의 생태 군집 유지에 큰 영향을 미치는 종, 대표적인 핵심종에는 코끼리·해달·수달·불곰 등
[해설작성자 : 찬초]

●핵심종(keystone species)
    핵심종은 생태계에서 개체 수는 적지만 군집 구조와 기능에 큰 영향을 미치는 생물종을 의미한다.
    이들은 포식, 서식지 조절, 경쟁 억제 등을 통해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며,
    제거 시 군집 다양성과 안정성이 붕괴될 수 있다
        * 정의 : 생태계 내 영향력이 큰 종, 소수지만 중요한 역할 수행
        * 핵심종이 사라지면? : 생태계 불균형->생물 다양성 감소->인간 삶에 악영향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66. 생물 다양성에 관한 협약서상 생물자원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06년 09월)
     1. 지구상의 모든 생물을 포함한다.
     2. 실질적 혹은 잠재적으로 사용되거나 가치가 있는 유전자원, 생물체 등을 의미한다.
     3. 생태계의 구성요소이다.
     4. 코끼리떼, 옥수수밭, 유전자는 생물자원에 포함된다.

     정답 : []
     정답률 : 74%

67. 거의 동일한 환경자원을 이용하는 같은 영양단계에 있는 종들을 의미하는 일반적인 용어는?(2006년 09월)
     1. 길드(guild)
     2. 분해자(decomposers)
     3. 숙주(host)
     4. 중추종(keystone species)

     정답 : []
     정답률 : 92%

68. 다음 중 생물다양성의 보전 · 생물자원의 지속 가능한 이용 · 생물자원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이익을 공정하고 공평하게 배분할 것을 목적으로 한 국제협약은?(2017년 09월)
     1. UPOV : International Union for the Protection of New Varieties of Plants
     2. CITES : Conven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s of Wild Flora and Fauna
     3. KC : Kyoto Convention
     4. CBD :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 생물다양성협약(生物多樣性協約,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 CBD
    생물 다양성의 보호를 위한 국제적 대책과 관련 국가 간의 권리, 의무 관계를 규정하기 위해 체결된 국제 협약.
    1992년 5월 케냐의 나이로비에서 채택되었다.

* CITES : 국제보호동물협약.(워싱턴에서 체결)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69. 멸종되기 쉬운 종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5월)
     1. 지리적 분포지역이 매우 협소하다.
     2. 개체군의 크기가 작다.
     3. 인간에게 경제적 가치가 크다.
     4. 몸체가 작다.

     정답 : []
     정답률 : 77%

70. IUCN 이 보존의 대상종으로 구분한 범주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4년 05월)
     1. 절멸종(Extinct)
     2. 다양종(Various)
     3. 위험종(Endangered)
     4. 취약종(Vulnerable)

     정답 : []
     정답률 : 89%

71. 우리나라 하천 생태계에서 생물다양성 감소의 직접적인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1년 09월)
     1. 골재 채취
     2. 유역의 교란
     3. 댐, 교랭 건설 기술의 발전
     4. 유해 독극물이나 기름 유출 등 화학적 요인

     정답 : []
     정답률 : 67%

72. 메타개체군이란 무엇을 말하는가?(2006년 09월)
     1. 비교적 안정된 개체수를 지닌 개체군
     2. 이주와 관련된 일시적이고 유동적인 개체군들의 체계
     3. 핵심 개체군의 주변에 존재하는 개체군
     4. 모든 개체군의 총합

     정답 : []
     정답률 : 85%

73. 다음 중 멸종되기 쉬운 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5월)
     1. 몸체가 작은 종
     2. 개체군의 크기가 작은 종
     3. 유전적 변이가 낮은 종
     4. 계절에 따라 이동하는 생물 종

     정답 : []
     정답률 : 84%

74. 다음 중 보전(Conservation)과 보존(Presernation)의 차이점을 가장 적합하게 설명한 것은?(2011년 06월)
     1. 보전은 협의의 보존을 의미한다.
     2. 보전은 주로 자연의 흐름에 역행하는 인위적인 관리를 대원칙으로 한다.
     3. 보전은 자원을 유지하기 위해 관리가 필요한 경우에, 보존은 자원을 유지하기 위해 관리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사용된다.
     4. 보전은 큰 복합체나 일반적 체계를 대상으로 하며, 보존은 특정개체, 집단, 종 등의 구체적인 대상을 가진다.

     정답 : []
     정답률 : 84%

75. 다음 멸종속도와 관련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09년 05월)
     1. 현재 일어나고 있는 멸종의 대부분은 인위적인 영향이라기보단 자연적인 영향에 의한 것이다.
     2. 인류 역사상 멸종이 가장 심각하게 일어난 곳은 도서라고 볼 수 있다.
     3. 구대륙 열대림 국가에서 원시림 서식지 손실비율이 가장 큰 나라는 짐바브웨이다.
     4. 대륙종이 해양종보다 문(phylum) 단계에서 다양성이 높아 몇 개의 대륙종이 멸종되어도 생물다양성에 막대한 손실을 가져온다.

     정답 : []
     정답률 : 80%

76. 다음 중 멸종될 가능성이 높은 종으로 볼 수 없는 것은?(2016년 05월)
     1. 사람에게 경제적으로 유익하지 못한 종
     2. 계절에 따라 이동하는 종
     3. 서식지 조건이 까다로운 종
     4. 유전적 다양성이 부족한 종

     정답 : []
     정답률 : 86%

77. 환경오염으로 인한 서식지의 황폐화 또는 오염현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6월)
     1. 산업화된 지역의 호수에서는 산성비의 영향으로 동물군집의 상당부분이 손실된다.
     2.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는 새로운 여건에 적응할 수 있는 종이 살아남게 하여 결국 생물군집의 구조가 급격히 변화될 가능성이 있다.
     3. 자연계에 살포딘 살충제가 먹이사슬을 거쳐 생물에 농축되고 궁극적으로 인간에게 영향을 미친다.
     4. 비료, 세제 등의 과도한 사용은 부영양화를 일으켜 물 속의 산소농도가 높아지고 복잡한 구조의 생물군집이 형성된다.

     정답 : []
     정답률 : 81%

78. 다음 설명은 복원에 있어 어떠한 방법을 사용한 것인가?(2016년 05월)

    

     1. 방치
     2. 회복
     3. 대체
     4. 유출

     정답 : []
     정답률 : 92%

79. 다음 중 보전생물학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7년 09월)
     1. 보전생물학은 개체군생물학, 분류학, 생태학 등이 중추를 이룬다.
     2. 보전생물학이란 생물다양성 붕괴의 위협에 대응하여 발전한 종합적인 과학이다.
     3. 보전생물학의 목적은 종, 군집 및 생태계에 대한 인간 활동을 명확히 이해하는데 있다.
     4. 보전생물학은 경제적인 요인들을 우선 순위로 하며 장기간에 걸친 생물보호를 기본 관심사로 삼는다.

     정답 : []
     정답률 : 80%

80. 다음 중 일반적으로 난저장성(recalcitrant) 종자자원에 해당하는 것은?(2010년 05월)
     1. 옥수수
     2. 코코아
     3. 감자
     4.

     정답 : []
     정답률 : 84%

81. 자연환경보전법상 생태ㆍ자연도를 작성할 때 구분하는 지역 중 1등급 권역기준으로 거리가 먼 것은? (단, 그 밖에 생태적 가치가 있는 지역으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지역은 제외한다.)(2009년 05월)
     1. 생태계가 특히 우수하거나 경관이 특히 수려한 지역
     2. 생물의 지리적 분포한계에 위치하는 생태계 지역 또는 주요 식생의 유형을 대표하는 지역
     3. 개발제한구역으로서 장차 보전의 가지가 있는 지역
     4. 멸종위기 야생 동ㆍ식물의 주요 생태축이 되는 지역

     정답 : []
     정답률 : 81%

82.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 의거, 환경부장관이 '국가 생물종 목록'을 구축 할 때, 필요한 자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7년 09월)
     1. 생물종의 국명(國名) 및 학명
     2. 종별 생태적·분류학적 특징
     3. 생물종별 국외 분포 현황
     4. 조사자, 조사기간 및 조사방법

     정답 : []
     정답률 : 73%

83.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환경부장관이 반출승인대상 생물자원에 대하여 국외반출을 승인하지 않을 수 있는 경우로 틀린 것은?(2020년 09월)
     1. 극히 제한적으로 서식하는 경우
     2. 경제적 가치가 낮은 형태적ㆍ유전적 특징을 가지는 경우
     3. 국외에 반출될 경우 그 종의 생존에 위협을 줄 우려가 있는 경우
     4. 국외로 반출될 경우 국가 이익에 큰 손해를 입힐 것으로 우려되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81%

84.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중앙 및 지방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치지 않고 1회에 한하여 2년 이내의 기간 동안 개발행위허가의 제한을 연장할 수 있는 지역은?(2020년 09월)
     1. 지구단위계획구역으로 지정된 지역
     2. 녹지지역으로 수목이 집단적으로 자라고 있는 지역
     3. 계획관리지역으로 조수류 등이 집단적으로 서식하고 있는 지역
     4. 개발행위로 인하여 주변의 환경, 경관, 미관 등이 오염되거나 손상될 우려가 있는 지역

     정답 : []
     정답률 : 60%

85. 다음은 환경정책기본법상 용어의 정의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2010년 05월)

    

     1. 환경오염
     2. 환경훼손
     3. 환경용량
     4. 환경파괴

     정답 : []
     정답률 : 85%

86. 습지보전법상 습지보전을 위해 설치할 수 있는 시설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5월)
     1. 습지연구시설
     2. 습지준설복원시설
     3. 습지오염방지시설
     4. 습지생태관찰시설

     정답 : []
     정답률 : 84%

87. 산지관리법에 의해 산지전용제한지역이 될 수 없는 산지는?(2006년 09월)
     1. 주요 산줄기의 농선부로서 자연경관 및 산림생태계의 보전을 위해 필요한 산지
     2. 지역주민의 임산물 소득을 위해 보전이 필요한 산지
     3. 명승지, 유적지 그 밖의 역사적·문화적으로 보전가치가 있다고 인정되는 산지
     4. 산사태 등 재해발생이 특히 우려되는 산지

     정답 : []
     정답률 : 83%

88. 자연공원법령상 국립공원위원회의 위원장은 누구인가?(2011년 06월)
     1. 환경부장관
     2. 환경부차관
     3. 환경부 자연보전국장
     4. 국립공원관리공단이사장

     정답 : []
     정답률 : 84%

89. 자연환경보전법규상 위임업무 보고사항 중 생태·경관보전지역 안에서의 행위중지·원상회복 또는 대체자연의 조성 등의 명령 실적의 보고횟수 기준으로 옳은 것은?(2011년 06월)
     1. 수시
     2. 연 1회
     3. 연 2회
     4. 연 4회

     정답 : []
     정답률 : 58%

90. 산지관리법상 산림청장이 지정·육성할 수 있는 산지복구전문기관의 업무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0년 05월)
     1. 형질변경된 산지의 복구
     2. 산림자원 육성을 위한 조사연구
     3. 형질변경된 산지의 복구설계·강리
     4. 형질변경된 산지의 자연친화적인 복구방법의 조사·연구 및 개발

     정답 : []
     정답률 : 68%

91. 자연환경보전법상 생태계보전지역의 행위제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6년 09월)
     1. 핵심구역안에서 야생동·식물을 포획하는 행위
     2. 기존 건축물을 2배 미만으로 증축하는 행위
     3. 하천·호소 등의 구조를 변경하는 행위
     4. 토석을 채취하는 행위

     정답 : []
     정답률 : 78%

92. 야생동ㆍ식물보호법상 수렵면허에 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5월)
     1. 수렵면허는 그 주소지를 관할하는 시장ㆍ군수ㆍ구청장으로부터 받는다.
     2. 제1종 수렵면허는 총기를 사용하는 수렵과 관련한 면허이다.
     3. 제2종 수렵면허는 수렵도구를 사용하지 않는 수렵활동과 관련한 면허이다.
     4. 규정에 의해 수렵면허를 받은 자는 환경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5년마다 수렵면허를 갱신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제2종 수렵면허는 활, 석궁, 그물 등으로 수렵활동을 한다.
[해설작성자 : 찬초]

93. 다음은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상 백두대간 보호지역의 지정과 관련한 지역에 관한 설명이다. ( ) 안에 적합한 것은?(2011년 06월)

    

     1. 특별구역
     2. 완충구역
     3. 핵심구역
     4. 생태구역

     정답 : []
     정답률 : 82%

94.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규상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은 박제업자에게 야생동물의 보호ㆍ번식을 위하여 박제품의 신고 등 필요한 명령을 할 수 있는데, 박제업자가 이에 따른 신고 등 필요한 명령을 위반한 경우 각 위반차수별 (개별)행정처분기준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20년 09월)
     1. 1차 : 경고, 2차 : 경고, 3차 : 영업정지 3개월, 4차 : 등록취소
     2. 1차 : 경고, 2차 : 영업정지 1개월, 3차 : 영업정지 3개월, 4차 : 등록취소
     3. 1차 : 영업정지 1개월, 2차 : 영업정지 3개월, 3차 : 영업정지 6개월, 4차 : 사업장 이전
     4. 1차 : 영업정지 1개월, 2차 : 영업정지 3개월, 3차 : 영업정지 6개월, 4차 : 등록취소

     정답 : []
     정답률 : 78%

95.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지구단위계획수립 등에 관한 사항이다.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지구단위계획은 도시의 정비⦁관리⦁보전⦁개발 등 지구단위계획구역의 지정 목적을 고려하여 수립한다.
     2. 지구단위계획은 주거⦁산업⦁유통⦁관광휴양⦁복합 등 지구단위계획구역의 중심기능을 고려하여 수립한다.
     3. 지구단위계획의 수립기준 등은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무총리가 정한다.
     4. 지구단위계획구역 및 지구단위계획은 도시⦁군관리계획으로 결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지구단위계획의 수립기준 등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토해양부장관이 정한다.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52조 ④항
[해설작성자 : 도오트]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49조(지구단위계획의 수립)

① 지구단위계획은 다음 각 호의 사항을 고려하여 수립한다.
     1. 도시의 정비ㆍ관리ㆍ보전ㆍ개발 등 지구단위계획구역의 지정 목적
     2. 주거ㆍ산업ㆍ유통ㆍ관광휴양ㆍ복합 등 지구단위계획구역의 중심기능
     3. 해당 용도지역의 특성
     4.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

② 지구단위계획의 수립기준 등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한다.
     <개정 2013. 3. 23.>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96.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기반시설 중 광장 구분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0년 05월)
     1. 교통광장
     2. 일반광장
     3. 특수광장
     4. 건축물부설광장

     정답 : []
     정답률 : 68%

97. 산지관리법에 의한 산지의 구분에서 보전산지 중 공익용산지에 포함되지 않는 산지는?(2006년 09월)
     1. 산림법에 의한 채종림 및 시험림의 산지
     2. 자연공원법에 의한 공원의 산지
     3. 수도법에 의한 상수원보호구역의 산지
     4. 사찰림의 산지

     정답 : []
     정답률 : 70%

98. 야생동ㆍ 식물보호법규상 멸종위기야생동 ㆍ 식물 Ⅱ급에 해당하는 것으로만 구성되어 있는 것은?(2024년 개정된 규정 적용됨)(2009년 05월)
     1. 삵, 두루미, 긴꼬리투구새우, 제주고사리삼
     2. 가창오리, 암매, 산굴뚝나비, 노랑붓꽃
     3. 삵, 물장군, 노랑붗꽃, 독미나리
     4. 개구리매, 비단벌레, 저어새, 개병풍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급 : 두루미, 제주고사리삼, 암매, 산굴뚝나비, 호사비오리, 모래주사, 비단벌레, 저어새
2급 : 삵, 물장군, 노랑붗꽃, 독미나리, 개구리매
(24년기준)출처: 국립생태원-멸종위기야생동물검색
[해설작성자 : 고구마]

99.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상 산림청장은 백두대간보호기본계획을 몇 년 마다 수립하여야 하는가?(2014년 05월)
     1. 1년
     2. 3년
     3. 5년
     4. 10년

     정답 : []
     정답률 : 68%

100. 자연환경보전법상 용어의 뜻 중 “사람의 접근이 사실상 불가능하여 생태계의 훼손이 방지되고 있는 지역중 군사상의 목적으로 이용되는 외에는 특별한 용도로 사용되지 아니하는 무인도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지역과 관할권이 대한민국에 속하는 날부터 2년간의 비무장지대”를 말하는 것은?(2017년 09월)
     1. 생태축
     2. 생태서식지
     3. 대체서식지
     4. 자연유보지역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자연유보지역>
사람의 접근이 사실상 불가능하여 생태계의 훼손이 방지되고 있는 지역 중 군사상의 목적으로 이용되는 외에는 특별한 용도로 사용되지 않는 무인도와 관할권이 대한민국에 속하는 날부터 2년간의 비무장지대를 말한다.

자연유보지역은 생태.경관보전지역안에서의 행위제한에 준하는 제한을 받는다
[네이버 지식백과] 자연유보지역 (토지이용 용어사전)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생물분류기사(동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1578111)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726 농작업안전보건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12월2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0
23725 9급 국가직 공무원 안전관리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4월09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0
23724 금속재료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5월0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0
23723 9급 지방직 공무원 공업화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6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0
23722 전기공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7738916)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0
23721 열처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04월07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20 식품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7월2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19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4월14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18 소음진동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5월1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17 금속도장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5303854)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16 자동차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7월11일(4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15 경찰공무원(순경) 형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8월2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14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과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2월2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13 경영지도사 1차 2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8697670)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2
» 생물분류기사(동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1578111)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11 기계조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5월1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10 경찰공무원(순경)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8월21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09 청소년상담사 3급(2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3월2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08 9급 국가직 공무원 컴퓨터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4월0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07 제선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2월12일(1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187 Next
/ 1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