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전기공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7738916)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전기공사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전기응용 및 공사재료


1. 지름 40[㎝]의 완전 확상성 구형 글로브의 중심에 모든 방향의 광도가 균일하게 되도록 120[cd]의 전구를 넣고, 탁상 2[m]의 높이에서 점등하였다. 이 전등 아래의 탁상면 조도[lx]는? (단, 글로브 내면의 반사율은 40[%], 투과율은 50[%]이다.)(2013년 03월)
     1. 25
     2. 30
     3. 35
     4. 40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글로브 효율 = 투과율/(1-반사율) = 0.5/(1-0.4) = 0.833
직하 조도 E = I/r^2*효율 = 120/2^2*0.833 = 24[lx]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글러브 효율 = 0.5/(1-0.4)=0.833
면조도E=pi*B        B= I/S 이니까 조도 E= pi*I/S = (120*pi/pi*2^2)*0.833
[해설작성자 : 고기마스터]

2. 전열 방식의 종류 중 전자의 충돌에 의한 가열 방식은?(2014년 09월)
     1. 아크 가열
     2. 레이저 가열
     3. 유도 가열
     4. 전자빔 가열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전자의 충돌! 전자~ 빔~!!
[해설작성자 : ㅇ]

3. 열차저항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3월)
     1. 주행저항은 차륜의 구름마찰, 베어링 부분의 기계적 마찰, 공기저항 등이다.
     2. 열차가 곡선구간을 달리면 곡선의 반지름에 비례하여 받는 저항을 곡선저항이라 한다.
     3. 경사궤도를 운전시 중력에 의해 발생하는 저항을 구배저항이라 한다.
     4. 열차 가속시 발생하는 저항을 가속저항이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곡선의 반지름에 반비례하여 받는 저항을 곡선저항이라고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출발저항 : 전기철도가 정지 상태에서 출발할 때 발생하는 저항이다
주행 저항: 전기철도가 주행중에 발생하는 저항으로, 공기저항, 기계 마찰 등에 의해 생긴다
구배 저항:전기철도가 경사도를 오르내릴때 발생하는 저항으로 중력에 의해 발생한다
곡선 저항: 원심력에 의해 바퀴와 레일 사이에 마찰이 증가하여 회전수 차에 의한 미끄럼 현상에 따른 마찰 저항으로, 곡선 반지름에 반비례
가속 저항: 전기철도가 가속할 때 발생하는 저항이다.
[해설작성자 : 공상깅상]

4. 다음 중 주로 안개가 많은 지역의 송전선로에 사용되는 애자는?(2004년 05월)
     1. 라인 포스트 애자
     2. 스테이션 포스트 애자
     3. 트리 애자
     4. 스모그 애자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안개 -> 스모그
[해설작성자 : 경하석]

5. 완전 확산면의 휘도가 1[Stilb]일 때의 광속발산도[rlx]는?(2009년 08월)
     1. π
     2. 104π
     3.
     4. 10-4π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1 stilb = 1/10000 [cd/m^2]
R = pi*B
[해설작성자 : 내일이시험인데뭐하니]

1[sb]=1[cd/cm^2]=10^4[cd/m^2]이므로
R=pi*B=pi*10^4
[해설작성자 : 낼 시험]

6. 그림은 ㄱ형완철에서의 현수애자를 설치하는 순서이다. 바르게 된 것은?(2003년 03월)

   

     1. ① ㄱ완철, ② 볼쇄클, ③ 볼크레비스, ④ 현수애자, ⑤ 소켓아이, ⑥ 데드앤드크램프, ⑦ 전선
     2. ① ㄱ완철, ② 앵커쇄클, ③ 소켓아이, ④ 현수애자, ⑤ 볼크레비스, ⑥ 데드앤드크램프, ⑦ 전선
     3. ① ㄱ완철, ② 데드앤드크램프, ③ 볼크레비스, ④ 현수애자, ⑤ 소켓아이, ⑥ 앵커쇄클, ⑦ 전선
     4. ① ㄱ완철, ② 앵커쇄클, ③ 볼크레비스, ④ 현수애자, ⑤ 소켓아이, ⑥ 데드앤드크램프, ⑦ 전선

     정답 : []
     정답률 : 57%

7. 직류 전동기 중 공급전원의 극성이 바뀌면 회전방향이 바뀌는 것은?(2011년 06월)
     1. 분권기
     2. 평복권기
     3. 직권기
     4. 타여자기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타여자 전동기는 공급전원의 극방향을 반대로 하면 회전방향 또한 반대로 됩니다.
다만, 자여자 전동기는 극방향을 바꿀 경우, 계자와 전기자가 모두 변화해 회전 방향이 바뀌지 않게 됩니다.
자여자 전동기는 직권, 분권, 복권(가동,차동) 전동기로 나뉩니다. 따라서 답은 4번 입니다.

참고)
3상 농형 유도전동기의 역회전 : 3선중 임의의 2선을 서로 바꾸어 접속
반발 기동형 : 브러시위 위치를 이동하여 역회전
분상 기동형 : 주권선과 기동권선 중 어느 한쪽 권선의 접속을 반대로
직류 전동기 : 계자권선과 전기자권선 둘 중 한 권선에 대한 극성(전류방향)만 반대방향으로 접속
셰이딩 코일형 전동기 : 역회전 불가
[해설작성자 : HDP]

8. 루소 선도가 다음과 같이 표시될 때, 배광곡선의 식은?(2021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I=acos@+b의 식을 이용해서 풀이합니다
1. @=0 일때 I=100
     100=a×cos(0)+b
    → 100=a+b
2. @=180 일때 I=0
     0=a×cos(180)+b=-a+b
    → a=b
두 식을 이용해서 a=50 , b=50 을 구할 수 있음
I=50cos@+50=50(1+cos@)
그래서 답이 4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공부하는중]

9. 철도차량이 운행하는 곡선부의 종류가 아닌 것은?(2020년 06월)
     1. 단곡선
     2. 복곡선
     3. 반향곡선
     4. 완화곡선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ㄱ. 단곡선(원곡선)
ㄴ. 반향곡선
ㄷ. 완화곡선
ㄹ. 복심곡선
[해설작성자 : 뭉]

복곡선은 운행시 곡선을 지날때 급격하게 경로가 바뀌어 승객들이 불쾌감을 느낄 수 있다고 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 전력용 반도체 소자 중 IGBT의 특성이 아닌 것은?(2022년 03월)
     1. 게이트 구동전력이 매우 높다.
     2. 게이트와 에미터간 입력 임피던스가 매우 높아 BJT보다 구동하기 쉽다.
     3. 소스에 대한 게이트의 전압으로 도통과 차단을 제어한다.
     4. 스위칭 속도는 FET와 트랜지스터의 중간정도로 빠른편에 속한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IGBT : MOSFET과 트랜지스터의 장점을 취한 것으로 소스에 대한 게이트의 전압으로 도통과 차단을 제어하며 고전력 스위칭 소자로 구동전력이 작고 고속스위칭, 고내압화, 고전류밀도가 가능한 소자
[해설작성자 : 녹초]

11. 내선 규정에 의한 일반적인 접지 공사의 접지선의 색깔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4년 09월)
     1. 적색
     2. 청색
     3. 녹색
     4. 흑색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R상 : 흑
S상 : 적
T상 : 청
접지 : 녹
중성선(N상) : 백색 또는 회색
[해설작성자 : 조혁준]

2021.1.1이후 개정 KEC 규정에 의한 전선 색깔
L1 갈색(R상)
L2 흑색(S상)
L3 회색(T상)
N 청색(중성선)
보호도체 녹색, 녹색-노란색(접지선)
[해설작성자 : 한국전기규정 KEC]

12. 변압기유로 쓰이는 절연유에 요구되는 특성이 아닌 것은?(2020년 09월)
     1. 점도가 클 것
     2. 절연내력이 클 것
     3. 인화점이 높을 것
     4. 비열이 커서 냉각 효과가 클 것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절연유의 구비조건

ㅇ절연내력이 클 것.
ㅇ비열과 냉각효과가 클 것.
ㅇ화학적으로 안정적일 것.
ㅇ침전물이 생기지 않을 것.

ㅇ인화점 - 높을 것. (화재가 발생되지 않아야 하므로)
ㅇ응고점 - 낮을 것. (겨울에 잘 얼지 않아야 하므로)
ㅇ점도 - 낮을 것. (점도가 크면 유동성이 떨어지며 냉각효과가 저하되므로)
[해설작성자 : 창전동피카츄]

13. 상향 광속과 하향 광속이 거의 동일하므로 하향 광속으로 직접 작업면에 직사시키고 상향 광속이 반사광으로 작업면의 조도를 증가시키는 조명기구는?(2013년 03월)
     1. 반직접 조명기구
     2. 간접 조명기구
     3. 전반확산 조명기구
     4. 직접 조명기구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반직접조명 : 빛의 60-90%가 아래로, 나머지는 천정면
간접조명 : 상향광속이 90-100%, 나머지 10%정도가 물체의 표면에 직접투사
전반확산조명 : 상향 광속과 하향 광속이 거의 동일하므로 하향 광속으로 직접 작업면에 직사시키고 상향 광속이 반사광으로 작업면의 조도를 증가
[해설작성자 : ㅁㅁ]

14. 케이블의 약호 중 EE의 품명은?(2014년 09월)
     1. 미네랄 인슈레이션 케이블
     2. 폴리에틸렌 절연 비닐 시스 케이블
     3. 형광 방전등용 비닐 전선
     4. 폴리에틸렌 절연 폴리에틸렌 시스 케이블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 MI 케이블 : 미네랄 인슈레이션 케이블
⦁ EE 케이블 : 폴리에틸렌절연 폴리에틸렌 시스케이블
⦁ EV 케이블 : 폴리에틸렌절연 비닐 시스케이블
[해설작성자 : D3]

15. 피뢰설비 설치에 관한 사항으로 옳은 것은?(2020년 06월)
     1. 수뢰부는 동선을 기준으로 35mm2 이상
     2. 접지극은 동선을 기준으로 50mm2 이상
     3. 인하도선은 동선을 기준으로 16mm2 이상
     4. 돌침은 건축물의 맨 윗부분으로부터 20cm 이상 돌출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피뢰설비기준
-수뢰부, 인하도선, 접지극은 최소 단면적 50 mm^2 이상의 피복이 안된 나동선
- 돌침은 건축물의 맨 윗부분으로부터 25[cm] 이상 돌출시킬 것
[해설작성자 : 헤으응]

16. 저압에서만 사용되는 케이블은?(2013년 03월)
     1. 알루미늄피 케이블
     2.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비닐시스 케이블
     3. 콤바인덕트(CD) 케이블
     4. EP고무절연 클로로프렌시스 케이블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관리자 입니다.
시험지 사진 확인 결과
실제 시험문제에서는
저압용 케이블이 아닌 것은? 이라고 되어 있었고 정답은 3번이었습니다.

근데 저압에도 쓰고 고압에도 쓰고 하는 케이블이 있어서 정답이 맞다 안맞다 논란이 많아서
타 출판사 등에서는
저압에서만 사용되는 케이블은? 이라고 딱 저압에서만 이라는 단서를 달아서 문제를 변경하였더군요
이에 따라 저희도 좀더 명확한 정답을 도출하기 위해서

저압에서만 사용되는 케이블은? 으로 문제를 변경하고
정답을 4번으로 변경하였습니다.
가장 잘 설명된 해설 및 오류신고 문항만 남겨 두겠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해설을 참고하시면 될듯합니다.]


콤바인덕트 케이블, 알루미늄피 케이블,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비닐시스 케이블 3개다 고압 및 특고압 케이블이구요
EP 고무절연 크로로프렌시스 케이블만 저압 케이블입니다.
문제 오류인거같아요.
문제 : 저압에서만 사용되는 케이블은?? or 고압 및 특고압 케이블이 아닌것은?? 으로 수정되서
답: 4. EP 고무절연 크로로프렌시스 케이블
이게 맞는듯요
[해설작성자 : 반론은 제대로]

17. 기계기구의 단자와 전선의 접속에 사용되는 재료는?(2013년 03월)
     1. 터미널러그
     2. 슬리브
     3. 와이어커넥터
     4. T형 커넥터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터미널리그 : 기계 기구의 단자와 전선을 접속할 때 사용한다
슬리브 : 연선의 접속에 사용한다
와이어접속기(와이어커넥터) : 전선과 전선을 연결할 때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조리]

18. 전기기기 자심재료의 구비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5월)
     1. 보자력 및 잔류자기가 클 것
     2. 투자율이 클 것
     3. 포화 자속밀도가 클 것
     4. 고유저항이 클 것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잔류자기는 크고 보자력은 작을 것
[해설작성자 : 라이언]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자심재료는 잔류자기, 보자력 둘다 작아야합니다.
[해설작성자 : 찾아보고 해설 다세요]

[오류신고 반론]
위에 두 분 말이 다른데요. 자심재료 문제가 논란이 있는 문제입니다.
결론만 먼저 말하면 자심재료는 보자력이 작고 잔류자기는 큰 게 맞습니다.
바로 윗분은 다른 문제였던 옳지 않은 것 고르는 문제에서 4번 보기였던 "잔류자기, 보자력 둘 다 작을 것"이 답이 아니라서 둘 다 작다고 암기하신 거 같은데,,, 그 문제의 2번 보기였던 "투자율이 작을 것"이 너무 아니니까 2번이 답인거고요.
그냥 문제에서 가장 옳지 않은 것으로 고르시면 되고, 개념은 따로 보자력은 작고 잔류자기는 클 것이라고 암기하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제일 답인 걸로 고르세요.]

[오류신고 반론]
정확히 하면 둘 다 작은게맞는데.. 그러한 성질을 갖는 물질을 찾기 어려워서 차선으로 보자력이 작고 잔류자기가 큰 것으로 선택한다고 합니다.
[해설작성자 : 찾아보는걸 찾아보고 해설 다십쇼]

19. 배전반 및 분전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9월)
     1. 개폐기를 쉽게 개폐할 수 있는 장소에 시설하여야 한다.
     2. 옥측 또는 옥외 시설하는 경우는 방수형을 사용하여야 한다.
     3. 노출하여 시설되는 분전반 및 배전반의 재료는 불연성의 것이어야 한다.
     4. 난연성 합성수지로 된 것은 두께가 최소 2mm 이상으로 내아크성인 것이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난연성 합성수지로 된 것은 두께가 최소 1.5㎜ 이상으로 내아크성인 것이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iwc]

20. 도전재료 중 전선재료의 일반적인 구비 조건으로 틀린 것은?(2007년 03월)
     1. 도전율이 작을 것
     2. 인장강도가 비교적 클 것
     3. 가요성이 풍부할 것
     4. 내식성이 클 것

     정답 :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도전재료 구비조건
도전율(전기저항이 낮은재료)
도전율이 클것 인장강도가 클것 가요성이 풍부할것 내식성이 클것

2과목 : 전력공학


21. 150[kVA] 단상변압기 3대를 △-△ 결선으로 사용하다가 1대의 고장으로 V-V결선하여 사용하면 약 몇 [kVA] 부하까지 걸 수 있겠는가?(2016년 03월)
     1. 200
     2. 220
     3. 240
     4. 260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V결선 : Pv = √3*K=√3 * 150 = 260[kVA], 여기서, K는 변압기 1대 용량
[해설작성자 : zceg3]

22. 송전선의 통신선에 대한 유도장해 방지대책이 아닌 것은?(2008년 09월)
     1. 전력선과 통신선과의 상호인덕턴스를 크게 한다.
     2. 전력선의 연가를 충분히 한다.
     3. 고장 발생시의 지락전류를 억제하고, 고장구간을 빨리 차단한다.
     4. 차폐선을 설치한다.

     정답 : []
     정답률 : 16%

23. 고장전류의 크기가 커질수록 동작시간이 짧게 되는 특성을 가진 계전기는?(2021년 03월)
     1. 순한시 계전기
     2. 정한시 계전기
     3. 반한시 계전기
     4. 반한시 정한시 계전기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순한시와 정한시는 고장전류와 상관없이 동작시간은 일정하다
반한시의 경우 고장전류가 커짐에 따라 동작시간이 점점 짧아진다.
반한시 정한시의 경우 고장전류가 커짐에따라 동작시간이 짧아지지만 어느 지점에서 일정해진다.

24. 다음 중 전력원선도에서 알 수 없는 것은?(2004년 05월)
     1. 전력
     2. 역률
     3. 손실
     4. 코로나 손실

     정답 : []
     정답률 : 14%

25. 전압이 다른 송전선로를 루프로 사용하여 조류제어 할 때 필요한 기기는?(2003년 03월)
     1. 동기조상기
     2. 3권선변압기
     3. 분로리액타
     4. 위상조정변압기

     정답 : []
     정답률 : 10%

26. 저압뱅킹배전방식에서 캐스케이딩 현상이란?(2007년 05월)
     1. 저압선이나 변압기에 고장이 생기면 자동적으로 고장이 제거되는 현상
     2. 변압기의 부하배분이 균일하지 못한 현상
     3. 저압선의 고장에 의하여 건전한 변압기의 일부 또는 전부가 차단되는 현상
     4. 전압동요가 적은 현상

     정답 : []
     정답률 : 26%

27. 직렬콘덴서를 선로에 삽입할 때의 이점이 아닌 것은?(2014년 03월)
     1. 선로의 인덕턴스를 보상한다.
     2. 수전단의 전압강하를 줄인다.
     3. 정태안정도를 증가한다.
     4. 송전단의 역률을 개선한다.

     정답 : []
     정답률 : 23%

28. 송전선에 코로나가 발생하면 전선이 부식된다. 무엇에 의하여 부식되는가?(2012년 09월)
     1. 산소
     2. 질소
     3. 수소
     4. 오존

     정답 : []
     정답률 : 27%

29. 배전선로의 전압을 3kV에서 6kV로 승압하면 전압강하율(δ)은 어떻게 되는가? (단, δ3kV는 전압이 3kV일 때 전압강하율이고, δ6kV는 전압이 6kV일 때 전압강하율이고, 부하는 일정하다고 한다.)(2020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전압강하율 e = P/V^2 * (R+Xtan쎄타)
V가 2배 승압하면
전압강하율 e는 1/2^2 인 1/4배로 감소
[해설작성자 : 쏘세지]

30. 한류리액터의 사용 목적은?(2011년 06월)
     1. 누설전류의 제한
     2. 단락전류의 제한
     3. 접지전류의 제한
     4. 이상전압 발생의 방지

     정답 : []
     정답률 : 27%

31. 다음 중 원자로 냉각재의 구비 조건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08년 05월)
     1. 비열이 클 것
     2. 중성자 흡수가 많을 것
     3. 열전도도가 클 것
     4. 유도방사능이 적을 것

     정답 : []
     정답률 : 11%

32. 수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9월)
     1. 수로내의 수위의 이상상승을 방지한다.
     2. 수로식 발전소의 수로의 처음 부분과 수압관의 아래 부분에 설치한다.
     3. 수로에서 유입하는 물속에 토사를 침전시켜서 배사문으로 배사하고 부유물을 제거한다.
     4. 용량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지형적 조건에 따라서 최소한 최대사용 유량을 1~2분 동안 저장할 수 있는 용적을 가져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10%

33. 그림과 같이 지지점 A, B, C에는 고저차가 없으며, 경간 AB와 BC 사이에 전선이 가설되어 그 이도가 각각 12cm 이다. 지지점 B에서 전선이 떨어져 전선의 이도가 D로 되었다면 D의 길이(cm)는? (단, 지지점 B는 A와 C의 중점이며 지지점 B에서 전선이 떨어지기 전, 후의 길이는 같다.)(2022년 04월)

    

     1. 17
     2. 24
     3. 30
     4. 36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전선 길이는 떨어지기 전/후 동일(L=S+8D^2/3S)
2(S+8D1^2/3S)=2S+8D2^2/(3*2S)이므로 4D1^2=D2^2, D2=2D1
[해설작성자 : 1]

34. 150kVA 단상변압기 3대를 △-△ 결선으로 사용하다가 1대의 고장으로 V - V 결선하여 사용하면 약 몇 kVA 부하까지 걸 수 있겠는가?(2007년 03월)
     1. 200
     2. 220
     3. 240
     4. 260

     정답 : []
     정답률 : 22%

35. 가공선 계통은 지중선 계통보다 인덕턴스 및 정전용량이 어떠한가?(2013년 09월)
     1. 인덕턴스, 정전용량이 모두 작다.
     2. 인덕턴스, 정전용량이 모두 크다.
     3. 인덕턴스는 크고, 정전용량은 작다.
     4. 인덕턴스는 작고, 정전용량은 크다.

     정답 : []
     정답률 : 28%

36. 그림과 같이 일직선 배치로 완전 연가한 경우의 등가 선간 거리는?(2018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45%

37. 유효낙차 100m, 최대 사용수량 20m3/s인 발전소의 최대 출력은 약 몇 kW인가? (단, 수차 및 발전기의 합성 효율은 85%라 한다.)(2016년 05월)
     1. 14160
     2. 16660
     3. 24990
     4. 33320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출력 = 9.8 * 유효낙차 * 최대사용수량 * 효율
        = 9.8 * 100 * 20 * 0.85 = 16660
[해설작성자 : DoubleM2]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출력 = (9.8*유효낙차*양수량*여유계수) / (펌프의효율) 입니다.
선지를 전체적으로 수정해야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8. 전력원선도에서 구할 수 없는 것은?(2012년 05월)
     1. 송수전 할 수 있는 최대 전력
     2. 필요한 전력을 보내기 위한 송수전 전압간의 상차각
     3. 선로 손실과 송전 효율
     4. 과도극한 전력

     정답 : []
     정답률 : 23%

39. 제5고조파 전류의 억제를 위해 전력용 커패시터에 직렬로 삽입하는 유도 리액턴스의 값으로 적당한 것은?(2019년 09월)
     1. 전력용 콘덴서 용량의 약 6% 정도
     2. 전력용 콘덴서 용량의 약 12% 정도
     3. 전력용 콘덴서 용량의 약 18% 정도
     4. 전력용 콘덴서 용량의 약 24% 정도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제5고조파를 억제하기 위한 직렬 리액터의 용량은 콘덴서 용량의 4[%] 이상이 되면 되는데, 주파수 변동 등의 여유를 봐서 실제로는 약 5~6[%]인 것이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슝]

리액턴스가 같도록. 5wL = 1/5wC 하면 25분의1    해서 4퍼 나오쥬? 근데 5고조파는 실무적으로 용량에 여유 두는거임 5고조파 아니라 7 9 11 등등 다 이런식으로 적용 가능
[해설작성자 : ㄴㅇㅎ]

40. 유효접지계통에서 피뢰기의 정격전압을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는?(2014년 03월)
     1. 선로 애자련의 충격섬락전압
     2. 내부 이상전압 중 과도이상전압의 크기
     3. 유도뢰의 전압의 크기
     4. 1선 지락고장시 건전상의 대지전위

     정답 : []
     정답률 : 23%
     <문제 해설>
실효값으로서 1선 지락고장 시 건전상의 대지전위, 즉 지속성 이상전압에 의해 결정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과목 : 전기기기


41. 1차측 권수가 1500인 변압기의 2차측에 16[Ω]의 저항을 접속하니 1차 측에서는 8[kΩ]으로 환산되었다. 2차측 권수는?(2014년 03월)
     1. 약 67
     2. 약 87
     3. 약 107
     4. 약 207

     정답 : []
     정답률 : 19%

42. 권선형 유도 전동기의 전부하 운전 시 슬립이 4%이고, 2차 정격전압이 150V 이면 2차 유도기전력은 몇 V 인가?(2018년 03월)
     1. 9
     2. 8
     3. 7
     4. 6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정답 해설]
2차 유도기전력 = sE2 = 0.04 * 150 = 6[V]
[해설작성자 : DoubleM2]

43. 25°의 스텝 각을 갖는 스테핑 모터에 초(s)당 500개의 펄스를 가했을 때 회전속도는 약 몇 r/s인가?(2021년 09월)
     1. 20
     2. 35
     3. 50
     4. 125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스테핑 전동기의 회전속도 = (스텝각/360)*스테핑 주파수
(25/360)*500 = 약 35
[해설작성자 : gangs]

44. 동기 발전기의 권선을 분포권으로 하면?(2009년 08월)
     1. 기전력의 고조파가 감소하여 파형이 좋아진다.
     2. 난조를 방지한다.
     3. 권선의 리액턴스가 커진다.
     4. 집중권에 비하여 합성유도 기전력이 높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13%

45. 용량 1kVA, 3000/200V의 단상변압기를 단권변압기로 결선해서 3000/3200V의 승압기로 사용할 때 그 부하용량(kVA)은?(2020년 06월)
     1. 1/16
     2. 1
     3. 15
     4. 16

     정답 :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자기용량/부하용량=Vh-Vl/Vh
Vh 승압전압 Vl 승압전 전압
자기용량/부하용량=3200-3000/3200 = 1/16
1번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합격하고싶다]

[오류신고 반론]
부하용량만 언급.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ㄴ합격하고싶다// 아닙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16 4번입니다. 3200/3200-3000= 3200/200 = 16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6. 전력용 변압기에서 1차에 정현파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 2차에 정현파 전압이 유기되기 위해서는 1차에 흘러들어가는 여자전류는 기본파 전류 외에 주로 몇 고조파 전류가 포함되는가?(2019년 04월)
     1. 제2고조파
     2. 제3고조파
     3. 제4고조파
     4. 제5고조파

     정답 : []
     정답률 : 39%

47. 임피던스 전압강하가 5%인 변압기가 운전 중 단락되었을 때 단락전류는 정격전류의 몇 배가 되는가?(2007년 03월)
     1. 2
     2. 5
     3. 10
     4. 20

     정답 : []
     정답률 : 16%

48. 3상 직권 정류자 전동기에 중간(직력)변압기가 쓰이고 있는 이유가 아닌 것은?(2011년 06월)
     1. 정류자 전압의 조정
     2. 회전자 상수의 감소
     3. 경부하 때 속도의 이상 상승 방지
     4. 실효 권수비 선정 조정

     정답 : []
     정답률 : 21%

49. 직류전동기의 총도체수는 80, 단중 중권이며, 극수2, 1극의 자속수 3.14[Wb]이다. 부하를 거어 전기자에 10[A]가 흐르고 있을 때, 발생 토크 [kg·m]는 약 얼마인가?(2007년 09월)
     1. 38.6
     2. 40.8
     3. 42.6
     4. 44.8

     정답 : []
     정답률 : 10%

50. 슬립 St에서 최대 토크를 발생하는 3상 유도전동기에 2차측 한 상의 저항을 r2라 하면 최대토크로 기동하기위한 2차측 한 상에 외부로부터 가해 주어야 할 저항은?(2017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34%

51. 동기발전기에 회전계자형을 사용하는 경우에 대한 이유로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기전력의 파형을 개선한다.
     2. 전기자가 고장자이므로 고압 대전류용에 좋고, 절연하기 쉽다.
     3. 계자가 회전자지만 저압 소용량의 직류이므로 구조가 간단하다.
     4. 전기자보다 계자극을 회전자로 하는 것이 기계적으로 튼튼하다.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기전력 파형 개선은 회전계자형과는 무관함
분포권, 단절권에 관한 내용
[해설작성자 : 흠냐]

52. 단상 변압기에 정현파 유기기전력을 유기하기 위한 여자전류의 파형은?(2016년 03월)
     1. 정현파
     2. 삼각파
     3. 왜형파
     4. 구형파

     정답 : []
     정답률 : 29%

53. 같은 정격전압에서 변압기의 주파수만을 높이면 다음에서 증가하는 것은?(2011년 10월)
     1. 여자전류 증가
     2. 동손 증가
     3. 철손 증가
     4. %임피던스 증가

     정답 : []
     정답률 : 13%

54. 도통(on)상태에 있는 SCR을 차단(off)상태로 만들기 위해서는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2020년 06월)
     1. 게이트 펄스전압을 가한다.
     2. 게이트 전류를 증가시킨다.
     3. 게이트 전압이 부(-)가 되도록 한다.
     4. 전원전압이 극성이 반대가 되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역전압 인가 또는 에노드를 유지 전류 이하
[해설작성자 : Kicc]

게이트는 상관없고 애노드or역전압
[해설작성자 : 223]

55. 권수비가 70인 단상변압기의 전부하 2차 전압은 200[V], 전압변동률이 4[%]일 때 무부하시 1차 단자전압은 몇 [V]인가?(2009년 05월)
     1. 11670
     2. 12360
     3. 13261
     4. 14560

     정답 : []
     정답률 : 15%
     <문제 해설>
V[v] = 200 * 70 * ( 1 + 0.04 ) = 145460[V]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56. 다음은 스텝 모터(step motor)의 장점을 나열한 것이다. 틀린 것은?(2005년 05월)
     1. 피드백 루프가 필요 없이 오픈 루프로 손쉽게 속도 및 위치제어를 할 수 있다.
     2. 디지털 신호를 직접 제어 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등 다른 디지털 기기와 인터페이스가 쉽다.
     3. 가속, 감속이 용이하며 정.역전 및 변속이 쉽다.
     4. 위치제어를 할 때 각도오차가 있고 누적된다.

     정답 : []
     정답률 : 11%

57. 단자전압 220V, 부하전류 50A인 분권발전기의 유도기전력은 몇 V인가? (단, 여기서 전기자 저항은 0.2Ω이며, 계자전류 및 전기자 반작용은 무시한다.)(2021년 03월)
     1. 200
     2. 210
     3. 220
     4. 230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분권발전기의 유도기전력=단자전압+(부하전류*전기자저항)
                                            E=V+(IR)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

유도기전력)E[V] = V + IaRa ▶ 220 + ( 50 * 0.2 ) = 230[V]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58. 변압기의 %Z가 커지면 단락전류는 어떻게 변화하는가?(2020년 06월)
     1. 커진다.
     2. 변동없다.
     3. 작아진다.
     4. 무한대로 커진다.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Is=100/%Z *In 이므로 %Z와 Is는 반비례한다.
[해설작성자 : dmldlrhd]

59. 단권 변압기(Auto transformer)에 대한 말이다.옳지 않은 것은?(2003년 03월)
     1. 1차 권선과 2차 권선의 일부가 공통으로 되어 있다.
     2. 동일출력에 대하여 사용재료 및 손실이 적고 효율이 높다.
     3. 3상에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4. 단권 변압기는 권선비가 1에 가까울수록 보통 변압기에 비하여 유리하다.

     정답 : []
     정답률 : 11%

60. 다음 전동기 중 역률이 가장 좋은 전동기는?(2013년 03월)
     1. 동기 전동기
     2. 반발 기동 전동기
     3. 농형 유도 전동기
     4. 교류 정류자 전동기

     정답 : []
     정답률 : 25%

4과목 :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61. 2개의 전력계를 사용하여 3상 평형부하의 역률을 측정하고자 한다. 전력계의 지시 값이 각각 P1, P2 일 때 이 회로의 역률은?(2019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2전력계법에 의한 전력측정
유효전력P= P1 + P2
무효전력Q=루트3*(P1-P2)
피상전력Pa = 4번보기의 분모와 같음

그래서 역률= 유효전력/피상전력
[해설작성자 : ㄴㅇㅎ]

2전력계법 [ two wattmeter method , 二電力計法 ]
3상 전력의 측정 방법으로, 2개의 단상 전력계를 접속. 3상 전력은 2개의 전력계의 대수합으로 구해짐.
즉, 3상 유효 전력을 P, 2개의 전력계 지시치를 P1, P2 라 하면, P = P1 + P2 이다.
3상 피상/겉보기 전력 Pa = 2 x √(P1^2 + P2^2 - P1 x P2)
역률은 겉보기 전력 분의 유효 전력 이므로
P / Pa = (P1 + P2) / {2 x √(P1^2 + P2^2 - P1 x P2)}
[해설작성자 : 나대로]

62. R=10Ω, C=50㎌의 직렬회로에 200V 의 직류를 가할 때 완충된 전기량 Q(C)는?(2017년 09월)
     1. 10
     2. 0.1
     3. 0.01
     4. 0.001

     정답 :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Q = CV = 50^(-6)*200 = 0.01
[해설작성자 : 범부]

Q = CV = 50*10^(-6)*20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Q = CV
    = 50 x 10^-6 x 200 = 0.01[C]
[해설작성자 : 나대로]

63. 회로의 전압비 전달함수 H(jω)=Vc(jω)/V(jω)는?(2005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9%

64. 그림과 같은 4단자 회로망에서 하이브리드 파라미터 H11은?(2018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하이브리드 파라미터 h11는 v2=0 일때 v1/i1 임
[v1] =    [A B] [v2=0] 인 행렬곱을 전개해서 풀면    v1/i1 =Bi2/Di2 = B/D 가된다    
i1            C D        i2

4단자 회로에서 B = Z3, D = 1+z3/z1 이니까 넣고 풀면됨
[해설작성자 : 흠냐]

z2 임피던스를 단락한 상태에서 z1, z3병렬합성
[해설작성자 : 22년 합격 가자]

65.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t=0에서 스위치 S를 닫으면서 전압 E[V] 를 가할 때 L양단에 걸리는 전압 eL[V] 는?(2005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

66. 회로에서 6Ω에 호르는 전류(A)는?(2022년 04월)

    

     1. 2.5
     2. 5
     3. 7.5
     4. 10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12옴, 4옴 병렬합성해서 6옴과 3옴 병렬회로로 봄
전류분배 법칙에 따라서 8A 전류원에서는 2.666A흐르고 7A 전류원에서는 2.333A흐름
두 전류의 방향은 동일하므로 2.666+2.333=4.999
[해설작성자 : 서교공전기꾼]

12옴과 4옴이 병렬연결되어있으므로 합성하면 3옴.
3옴과 6옴의 병렬회로에 전류원은 방향이 같으므로 15A짜리로 생각.
전류분배법칙에 의해 15A가 병렬연결된 3옴과 6옴에 6대 3의 비로 흐름.
따라서 각각 10A와 5A가 흐름
[해설작성자 : 덩]

67. 대칭 5상 기전력의 선간전압과 상간전압의 위상차는 얼마인가?(2013년 09월)
     1. 27°
     2. 36°
     3. 54°
     4. 72°

     정답 : []
     정답률 : 25%

68. R=2[Ω], L=10[mH], C=4[㎌]의 직렬 공진회로의 Q는 얼마인가?(2006년 05월)
     1. 25
     2. 45
     3. 65
     4. 85

     정답 : []
     정답률 : 13%
     <문제 해설>
직렬공진회로에서 선택도: Q=루트(L/C)
[해설작성자 : 버터스]

Q = 1/R * 루트(L/C) ▶ 1/2 * 루트( 10 * 10^-3 / 4 * 10^-6 ) = 25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69. 회로에서의 전압비 전달함수 는?(2006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11%

70. 의 나이퀴스트 선도는? (단, K>0 이다.)(2015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33%

71. 그림과 같은 보드 위상선도를 갖는 회로망은 어떤 보상기로 사용될 수 있는가?(2011년 06월)

    

     1. 진상 보상기
     2. 지상 보상기
     3. 지상 진상 보상기
     4. 지상 지상 보상기

     정답 : []
     정답률 : 20%

72. 어떤 제어계에 단위 계단입력을 가하였더니 출력이 1-e-21로 나타났다. 이 계의 전달함수는?(2006년 05월)
     1. 1/s+2
     2. 2/s+2
     3. 1/s(s+2)
     4. 2/s(s+2)

     정답 : []
     정답률 : 4%

73. R-L 직렬 회로에서 L=30[mH], R=10[Ω] 일 때 이 회로의 시정수는?(2010년 05월)
     1. 3[ms]
     2. 3X10-1[ms]
     3. 3X10-2[ms]
     4. 3X10-3[ms]

     정답 : []
     정답률 : 10%
     <문제 해설>
시정수[ms] = L / R ▶ 30 / 10 = 3[ms]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74. 전류 와 기전력 사이의 위상차는?(2015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23%

75. 그림과 같은 이상 변압기의 4단자 정수 A, B, C, D는 어떻게 표시되는가?(2002년 03월)

    

     1. n, 0, 0, 1/n
     2. 1/n, 0, 0, 1-n
     3. 1/n, 0, 0, n
     4. n, 0, 1, 1/n

     정답 : []
     정답률 : 15%

76. 아래의 신호흐름선도의 이득 Y6/Y1의 분자에 해당하는 값은?(2014년 05월)

    

     1. G1G2G3G4+G4G5
     2. G1G2G3G4+G4G5+G2H1
     3. G1G2G3G4H3+G2H1+G4H2
     4. G1G2G3G4+G4G5+G2G4G5H1

     정답 : []
     정답률 : 18%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답1번
[해설작성자 : 뺑삼]

[오류신고 반론]
전방 G5G4와 피드백루프인 -G2H1이 경로가 겹치지 않으므로 둘이 곱해주는 값도 포함되어야함
[해설작성자 : 아마도]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경로 G5G4와 루트 G2(-H1)이 겹치지 않으므로 G5G4(1-G2(-H1) 해줘야 합니다 (메이슨룰)
G1G2G3G4 + G4G5(1+G2H1) = G1G2G3G4+G4G5+G2G4G5H1
[해설작성자 : 동생]

77. 그림과 같은 회로의 콘덕턴스 G2에 흐르는 전류 i는 몇 A 인가?(2017년 03월)

    

     1. -5
     2. 5
     3. -10
     4. 10

     정답 : []
     정답률 : 26%
     <문제 해설>
저항의 역수 개념인 Conductance.

전류원 하나씩 차근차근 해석해야 함! 나머지 전류원은 개방하고!

먼저, 30[A]의 전류원을 개방회로로 대체하고,
15[A]가 conductance G1: 30[mho]와 G2: 15[mho]중에 15[mho]로는
전류분배법칙에 따라 1/3만큼 흐르게 되니 5[A]가 위에서 아래로 흐르고.

그 다음, 15[A]의 전류원을 개방회로로 대체하고,
30[A]가 conductance G1: 30[mho]와 G2: 15[mho]중에 15[mho]로는
역시 전류분배법칙에 의해 1/3만큼 흐르게 되는데 10[A]가 방향은 아래에서 위로 흐름.
[해설작성자 : 나대로]

78. 전달함수가 과 같은 제어시스템에서 ω = 0.1 rad/s 일 때의 이득(dB)과 위상각(°)은 약 얼마인가?(2022년 04월)
     1. 40dB, -90°
     2. -40dB, 90°
     3. 40dB, -180°
     4. -40dB, -180

     정답 :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이득=20log(|G(s)|)
s=jw, j=1∠90, w=0.1
G(s)=1/(0.01j-0.00001)
이득=20log(1/root(0.01^2+0.00001^2)=39.99
* 공학용계산기 Abs로 20log(1/(0.01j-0.00001) 계산해도 됨
위상각은 1/(0.01j-0.00001) 분모 유리화하면 -j*1/(0.01^2-0.00001^2) 되므로 -j=-90°
[해설작성자 : 1]

79. G(jω) = j0.1ω에서 ω = 0.01[rad/sec] 일 때, 계의 이득[dB]는 얼마인가?(2006년 03월)
     1. -100
     2. -80
     3. -60
     4. -40

     정답 : []
     정답률 : 16%

80. 에서 점근선의 교차점은?(2005년 09월)
     1. 2
     2. 5
     3. -2/3
     4. -4

     정답 : []
     정답률 : 12%

81. 가요전선관공사에 의한 저압 옥내배선의 방법으로 기술기준에 적합한 것은?(2005년 09월)
     1. 2종 금속제 가요전선관을 사용하였다.
     2. 옥외용 비닐절연전선을 사용하였다.
     3. 전선은 지름 5mm의 단선을 사용하였다.
     4. 가요전선관에 제1종 접지공사를 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11%

82. 최대 사용전압 23kV의 권선으로 중성점접지식 전로(중성선을 가지는 것으로 그 중성선에 다중 접지를 하는 전로)에 접속되는 변압기는 몇 V의 절연내력 시험전압에 견디어야 하는가?(2018년 03월)
     1. 21160
     2. 25300
     3. 38750
     4. 34500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변압기 전로의 절연내력에서 최대 사용전압이 7[kV] 초과 25[kV] 이하, 다중접지 방식이면 최대 사용전압의 0.92배에 해당하는 시험 전압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23,000[V] * 0.92 = 21,160[V]입니다.
[해설작성자 : H.Univ.]

83. 전력보안통신설비인 무선통신용 안테나 등을 지지하는 철주의 기초 안전율은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무선용 안테나 등이 전선로의 주위상태를 감시할 목적으로 시설되는 것이 아닌 경우이다.)(2022년 03월)
     1. 1.3
     2. 1.5
     3. 1.8
     4. 2.0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364.1 무선용 안테나 등을 지지하는 철탑 등의 시설]
나. 철주, 철근 콘크리트주 또는 철탑의 기초 안전율은 1.5 이상이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담벼락]

84. 제1종 접지공사의 접지저항값은 몇 [Ω] 이하로 유지하여야 하는가?(2008년 09월)
     1. 10
     2. 30
     3. 50
     4. 100

     정답 : []
     정답률 : 14%

85. 다음 공사에 의한 저압 옥내배선 중 사용되는 전선이 반드시 절연전선이 아니여도 무방한 공사는?(2007년 09월)
     1. 합성수지관 공사
     2. 금속관 공사
     3. 버스덕트 공사
     4. 플로어덕트 공사

     정답 : []
     정답률 : 14%

86. 특고압을 직접 저압으로 변성하는 변압기를 시설하여서는 아니 되는 변압기는?(2018년 03월)
     1. 광산에서 물을 양수하기 위한 양수기용 변압기
     2. 전기로 등 전류가 큰 전기를 소비하기 위한 변압기
     3. 교류식 전기철도용 신호회로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변압기
     4. 발전소, 변전소, 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의 소내용 변압기

     정답 : []
     정답률 : 33%

87. 저압 전로에 사용하는 과전류 차단기로 정격전류 30A의 배선용 차단기에 60A의 전류를 통했을 경우 몇 분 이내에 자동적으로 동작하여야 하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5년 09월)
     1. 2
     2. 6
     3. 10
     4. 15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저압전로에 사용하는 정격전류 63[A] 이하의 배선용 차단기는 정격전류 1.45배 전류를 통한 경우 60분이내 용단
-KEC-
정답없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답에서 0한개씩 빠져 있습니다
2 → 20 6 → 60 10 → 100 15 → 150
[해설작성자 : ㅇㅇ]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위 두개 오류신고가 맞다면 답은 2번 같은데요...
확인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삭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삭제
[해설작성자 : PYR]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1번이네요.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88. 고압용 기계기구를 시설하여서는 안 되는 경우는?(2019년 04월)
     1. 시가지 외로서 지표상 3m 인 경우
     2. 발전소, 변전소, 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에 시설하는 경우
     3. 옥내에 설치한 기계기구를 취급자 이외의 사람이 출입할 수 없도록 설치한 곳에 시설하는 경우
     4. 공장 등의 구내에서 기계기구의 주위에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적당한 울타리를 설치하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고압용 기계기구에 시가지 시설은 가능하다. 시가지 외로서 지표상 3m가 아닌 < 4.5m 이상 >의 높이에 시설하는게 옳다. (3m는 너무 낮음)
[해설작성자 : 공사기사ㅎㅇㅌ]

89. 정격전류 20A 및 40A인 전동기와 정격전류 10A인 전열기 5대에 전기를 공급하는 단상 200V 저압간선이 있다. 간선의 최소 허용전류는 몇 [A]인가?(2007년 09월)
     1. 100
     2. 116
     3. 125
     4. 136

     정답 : []
     정답률 : 11%

90. 전자 개폐기의 조작회로 또는 초인벨ㆍ경보벨 등에 접속하는 전로로서 최대 사용전압이 몇 [V] 이하인 것으로 대지전압이 300V 이하인 강전류 전기의 전송에 사용하는 전로와 변압기로 결합되는 것을 소세력회로라 하는가?(2008년 09월)
     1. 60
     2. 80
     3. 100
     4. 150

     정답 : []
     정답률 : 10%
     <문제 해설>
초인벨 경보벨 벨 어쩌구 저쩌구 나오면
징글벨 징글벨 하듯이 육십벨 육십벨~~~~
[해설작성자 : 야매왕]

91. 출퇴표시등 회로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변압기는 1차측 전로의 대지전압이 300V 이 하, 2차측 전로의 사용전압은 몇 V 이하인 절연변압기이어야 하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7년 09월)
     1. 60
     2. 80
     3. 100
     4. 150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삭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삭제
[해설작성자 : PYR]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1번이네요.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KEC 적용으로 삭제
[해설작성자 : 1]

92. 풀용 수중조명 등에 사용되는 절연변압기의 2차측 전로의 사용전압이 몇 [V]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전로에 지락이 생겼을 때에 자동적으로 전로를 차단하는 장치를 하여야 하는가?(2010년 09월)
     1. 30[V]
     2. 60[V]
     3. 150[V]
     4. 300[V]

     정답 : []
     정답률 : 19%

93. 백열전등 또는 방전등에 전기를 공급하는 옥내의 전로의 대지 전압은 몇 [V]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2011년 10월)
     1. 120
     2. 150
     3. 200
     4. 300

     정답 : []
     정답률 : 25%

94. 특별고압 가공전선로를 제2종 특별고압 보안공사에 의해서 시설할 수 있는 경우는?(2006년 09월)
     1. 특별고압 가공전선이 가공 약전류전선 등과 제1차 접근상태로 시설되는 경우
     2. 특별고압 가공전선이 가장 약전류전선의 위쪽에서 교차하여 시설되는 경우
     3. 특별고압 가공전선이 도로 등과 제1차접근상태로 시설되는 경우
     4. 특별고압 가공전선이 철도 등과 제1차접근상태로 시설되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9%

95. 가반형의 용접전극을 사용하는 아크 용접장치의 용접변압기의 1차측 전로의 대지전압은 몇 V 이하이어야 하는가?(2020년 08월)
     1. 60
     2. 150
     3. 300
     4. 400

     정답 : []
     정답률 : 42%

96. 지중전선로는 기설 지중약전류전선로에 대하여 통신상의 장해를 주지 않도록 기설약전류전선로로부터 충분히 이격시키거나 기타 적당한 방법으로 시설하여야 한다. 이때 통신상의 장해가 발생하는 원인으로 옳은 것은?(2022년 04월)
     1. 충전전류 또는 표피작용
     2. 충전전류 또는 유도작용
     3. 누설전류 또는 표피작용
     4. 누설전류 또는 유도작용

     정답 : []
     정답률 : 48%

97. 폭연성 분진 또는 화약류의 분말이 전기설비가 발화원이 되어 폭발할 우려가 있는 곳의 저압 옥내 전기 설비는 어느 공사에 의하는가?(2012년 03월)
     1. 캡타이어케이블공사
     2. 합성수지관공사
     3. 애자사용공사
     4. 금속관공사

     정답 : []
     정답률 : 26%

98. 애자사용 공사에 의한 저압 옥내배선공사를 할 때 전선의 지지점간의 거리는 몇 [m]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단, 전선은 조영재의 옆면을 따라 붙였다고 한다.)(2013년 09월)
     1. 2
     2. 3
     3. 4
     4. 5

     정답 : []
     정답률 : 25%

99. 발전소의 압축공기장치의 사용압력이 10㎏/cm2이다. 주 공기탱크의 압력계의 눈금은 최대 몇 ㎏/cm2까지 사용할 수 있는가?(2019년 09월)
     1. 15
     2. 20
     3. 25
     4. 30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1.5배 ~ 3배

최대는 3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0. 고압 절연전선을 사용한 저압 가공전선이 안테나와 접근상태로 시설되는 경우에, 가공전선과 안테나 사이의 이격거리는 몇 [cm]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2012년 09월)
     1. 30
     2. 60
     3. 80
     4. 100

     정답 : []
     정답률 : 9%


정 답 지

전기공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7738916)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전기공사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전기응용 및 공사재료


1. 지름 40[㎝]의 완전 확상성 구형 글로브의 중심에 모든 방향의 광도가 균일하게 되도록 120[cd]의 전구를 넣고, 탁상 2[m]의 높이에서 점등하였다. 이 전등 아래의 탁상면 조도[lx]는? (단, 글로브 내면의 반사율은 40[%], 투과율은 50[%]이다.)(2013년 03월)
     1. 25
     2. 30
     3. 35
     4. 40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글로브 효율 = 투과율/(1-반사율) = 0.5/(1-0.4) = 0.833
직하 조도 E = I/r^2*효율 = 120/2^2*0.833 = 24[lx]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글러브 효율 = 0.5/(1-0.4)=0.833
면조도E=pi*B        B= I/S 이니까 조도 E= pi*I/S = (120*pi/pi*2^2)*0.833
[해설작성자 : 고기마스터]

2. 전열 방식의 종류 중 전자의 충돌에 의한 가열 방식은?(2014년 09월)
     1. 아크 가열
     2. 레이저 가열
     3. 유도 가열
     4. 전자빔 가열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전자의 충돌! 전자~ 빔~!!
[해설작성자 : ㅇ]

3. 열차저항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3월)
     1. 주행저항은 차륜의 구름마찰, 베어링 부분의 기계적 마찰, 공기저항 등이다.
     2. 열차가 곡선구간을 달리면 곡선의 반지름에 비례하여 받는 저항을 곡선저항이라 한다.
     3. 경사궤도를 운전시 중력에 의해 발생하는 저항을 구배저항이라 한다.
     4. 열차 가속시 발생하는 저항을 가속저항이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곡선의 반지름에 반비례하여 받는 저항을 곡선저항이라고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출발저항 : 전기철도가 정지 상태에서 출발할 때 발생하는 저항이다
주행 저항: 전기철도가 주행중에 발생하는 저항으로, 공기저항, 기계 마찰 등에 의해 생긴다
구배 저항:전기철도가 경사도를 오르내릴때 발생하는 저항으로 중력에 의해 발생한다
곡선 저항: 원심력에 의해 바퀴와 레일 사이에 마찰이 증가하여 회전수 차에 의한 미끄럼 현상에 따른 마찰 저항으로, 곡선 반지름에 반비례
가속 저항: 전기철도가 가속할 때 발생하는 저항이다.
[해설작성자 : 공상깅상]

4. 다음 중 주로 안개가 많은 지역의 송전선로에 사용되는 애자는?(2004년 05월)
     1. 라인 포스트 애자
     2. 스테이션 포스트 애자
     3. 트리 애자
     4. 스모그 애자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안개 -> 스모그
[해설작성자 : 경하석]

5. 완전 확산면의 휘도가 1[Stilb]일 때의 광속발산도[rlx]는?(2009년 08월)
     1. π
     2. 104π
     3.
     4. 10-4π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1 stilb = 1/10000 [cd/m^2]
R = pi*B
[해설작성자 : 내일이시험인데뭐하니]

1[sb]=1[cd/cm^2]=10^4[cd/m^2]이므로
R=pi*B=pi*10^4
[해설작성자 : 낼 시험]

6. 그림은 ㄱ형완철에서의 현수애자를 설치하는 순서이다. 바르게 된 것은?(2003년 03월)

   

     1. ① ㄱ완철, ② 볼쇄클, ③ 볼크레비스, ④ 현수애자, ⑤ 소켓아이, ⑥ 데드앤드크램프, ⑦ 전선
     2. ① ㄱ완철, ② 앵커쇄클, ③ 소켓아이, ④ 현수애자, ⑤ 볼크레비스, ⑥ 데드앤드크램프, ⑦ 전선
     3. ① ㄱ완철, ② 데드앤드크램프, ③ 볼크레비스, ④ 현수애자, ⑤ 소켓아이, ⑥ 앵커쇄클, ⑦ 전선
     4. ① ㄱ완철, ② 앵커쇄클, ③ 볼크레비스, ④ 현수애자, ⑤ 소켓아이, ⑥ 데드앤드크램프, ⑦ 전선

     정답 : []
     정답률 : 57%

7. 직류 전동기 중 공급전원의 극성이 바뀌면 회전방향이 바뀌는 것은?(2011년 06월)
     1. 분권기
     2. 평복권기
     3. 직권기
     4. 타여자기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타여자 전동기는 공급전원의 극방향을 반대로 하면 회전방향 또한 반대로 됩니다.
다만, 자여자 전동기는 극방향을 바꿀 경우, 계자와 전기자가 모두 변화해 회전 방향이 바뀌지 않게 됩니다.
자여자 전동기는 직권, 분권, 복권(가동,차동) 전동기로 나뉩니다. 따라서 답은 4번 입니다.

참고)
3상 농형 유도전동기의 역회전 : 3선중 임의의 2선을 서로 바꾸어 접속
반발 기동형 : 브러시위 위치를 이동하여 역회전
분상 기동형 : 주권선과 기동권선 중 어느 한쪽 권선의 접속을 반대로
직류 전동기 : 계자권선과 전기자권선 둘 중 한 권선에 대한 극성(전류방향)만 반대방향으로 접속
셰이딩 코일형 전동기 : 역회전 불가
[해설작성자 : HDP]

8. 루소 선도가 다음과 같이 표시될 때, 배광곡선의 식은?(2021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I=acos@+b의 식을 이용해서 풀이합니다
1. @=0 일때 I=100
     100=a×cos(0)+b
    → 100=a+b
2. @=180 일때 I=0
     0=a×cos(180)+b=-a+b
    → a=b
두 식을 이용해서 a=50 , b=50 을 구할 수 있음
I=50cos@+50=50(1+cos@)
그래서 답이 4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공부하는중]

9. 철도차량이 운행하는 곡선부의 종류가 아닌 것은?(2020년 06월)
     1. 단곡선
     2. 복곡선
     3. 반향곡선
     4. 완화곡선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ㄱ. 단곡선(원곡선)
ㄴ. 반향곡선
ㄷ. 완화곡선
ㄹ. 복심곡선
[해설작성자 : 뭉]

복곡선은 운행시 곡선을 지날때 급격하게 경로가 바뀌어 승객들이 불쾌감을 느낄 수 있다고 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 전력용 반도체 소자 중 IGBT의 특성이 아닌 것은?(2022년 03월)
     1. 게이트 구동전력이 매우 높다.
     2. 게이트와 에미터간 입력 임피던스가 매우 높아 BJT보다 구동하기 쉽다.
     3. 소스에 대한 게이트의 전압으로 도통과 차단을 제어한다.
     4. 스위칭 속도는 FET와 트랜지스터의 중간정도로 빠른편에 속한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IGBT : MOSFET과 트랜지스터의 장점을 취한 것으로 소스에 대한 게이트의 전압으로 도통과 차단을 제어하며 고전력 스위칭 소자로 구동전력이 작고 고속스위칭, 고내압화, 고전류밀도가 가능한 소자
[해설작성자 : 녹초]

11. 내선 규정에 의한 일반적인 접지 공사의 접지선의 색깔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4년 09월)
     1. 적색
     2. 청색
     3. 녹색
     4. 흑색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R상 : 흑
S상 : 적
T상 : 청
접지 : 녹
중성선(N상) : 백색 또는 회색
[해설작성자 : 조혁준]

2021.1.1이후 개정 KEC 규정에 의한 전선 색깔
L1 갈색(R상)
L2 흑색(S상)
L3 회색(T상)
N 청색(중성선)
보호도체 녹색, 녹색-노란색(접지선)
[해설작성자 : 한국전기규정 KEC]

12. 변압기유로 쓰이는 절연유에 요구되는 특성이 아닌 것은?(2020년 09월)
     1. 점도가 클 것
     2. 절연내력이 클 것
     3. 인화점이 높을 것
     4. 비열이 커서 냉각 효과가 클 것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절연유의 구비조건

ㅇ절연내력이 클 것.
ㅇ비열과 냉각효과가 클 것.
ㅇ화학적으로 안정적일 것.
ㅇ침전물이 생기지 않을 것.

ㅇ인화점 - 높을 것. (화재가 발생되지 않아야 하므로)
ㅇ응고점 - 낮을 것. (겨울에 잘 얼지 않아야 하므로)
ㅇ점도 - 낮을 것. (점도가 크면 유동성이 떨어지며 냉각효과가 저하되므로)
[해설작성자 : 창전동피카츄]

13. 상향 광속과 하향 광속이 거의 동일하므로 하향 광속으로 직접 작업면에 직사시키고 상향 광속이 반사광으로 작업면의 조도를 증가시키는 조명기구는?(2013년 03월)
     1. 반직접 조명기구
     2. 간접 조명기구
     3. 전반확산 조명기구
     4. 직접 조명기구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반직접조명 : 빛의 60-90%가 아래로, 나머지는 천정면
간접조명 : 상향광속이 90-100%, 나머지 10%정도가 물체의 표면에 직접투사
전반확산조명 : 상향 광속과 하향 광속이 거의 동일하므로 하향 광속으로 직접 작업면에 직사시키고 상향 광속이 반사광으로 작업면의 조도를 증가
[해설작성자 : ㅁㅁ]

14. 케이블의 약호 중 EE의 품명은?(2014년 09월)
     1. 미네랄 인슈레이션 케이블
     2. 폴리에틸렌 절연 비닐 시스 케이블
     3. 형광 방전등용 비닐 전선
     4. 폴리에틸렌 절연 폴리에틸렌 시스 케이블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 MI 케이블 : 미네랄 인슈레이션 케이블
⦁ EE 케이블 : 폴리에틸렌절연 폴리에틸렌 시스케이블
⦁ EV 케이블 : 폴리에틸렌절연 비닐 시스케이블
[해설작성자 : D3]

15. 피뢰설비 설치에 관한 사항으로 옳은 것은?(2020년 06월)
     1. 수뢰부는 동선을 기준으로 35mm2 이상
     2. 접지극은 동선을 기준으로 50mm2 이상
     3. 인하도선은 동선을 기준으로 16mm2 이상
     4. 돌침은 건축물의 맨 윗부분으로부터 20cm 이상 돌출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피뢰설비기준
-수뢰부, 인하도선, 접지극은 최소 단면적 50 mm^2 이상의 피복이 안된 나동선
- 돌침은 건축물의 맨 윗부분으로부터 25[cm] 이상 돌출시킬 것
[해설작성자 : 헤으응]

16. 저압에서만 사용되는 케이블은?(2013년 03월)
     1. 알루미늄피 케이블
     2.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비닐시스 케이블
     3. 콤바인덕트(CD) 케이블
     4. EP고무절연 클로로프렌시스 케이블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관리자 입니다.
시험지 사진 확인 결과
실제 시험문제에서는
저압용 케이블이 아닌 것은? 이라고 되어 있었고 정답은 3번이었습니다.

근데 저압에도 쓰고 고압에도 쓰고 하는 케이블이 있어서 정답이 맞다 안맞다 논란이 많아서
타 출판사 등에서는
저압에서만 사용되는 케이블은? 이라고 딱 저압에서만 이라는 단서를 달아서 문제를 변경하였더군요
이에 따라 저희도 좀더 명확한 정답을 도출하기 위해서

저압에서만 사용되는 케이블은? 으로 문제를 변경하고
정답을 4번으로 변경하였습니다.
가장 잘 설명된 해설 및 오류신고 문항만 남겨 두겠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해설을 참고하시면 될듯합니다.]


콤바인덕트 케이블, 알루미늄피 케이블,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비닐시스 케이블 3개다 고압 및 특고압 케이블이구요
EP 고무절연 크로로프렌시스 케이블만 저압 케이블입니다.
문제 오류인거같아요.
문제 : 저압에서만 사용되는 케이블은?? or 고압 및 특고압 케이블이 아닌것은?? 으로 수정되서
답: 4. EP 고무절연 크로로프렌시스 케이블
이게 맞는듯요
[해설작성자 : 반론은 제대로]

17. 기계기구의 단자와 전선의 접속에 사용되는 재료는?(2013년 03월)
     1. 터미널러그
     2. 슬리브
     3. 와이어커넥터
     4. T형 커넥터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터미널리그 : 기계 기구의 단자와 전선을 접속할 때 사용한다
슬리브 : 연선의 접속에 사용한다
와이어접속기(와이어커넥터) : 전선과 전선을 연결할 때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조리]

18. 전기기기 자심재료의 구비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5월)
     1. 보자력 및 잔류자기가 클 것
     2. 투자율이 클 것
     3. 포화 자속밀도가 클 것
     4. 고유저항이 클 것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잔류자기는 크고 보자력은 작을 것
[해설작성자 : 라이언]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자심재료는 잔류자기, 보자력 둘다 작아야합니다.
[해설작성자 : 찾아보고 해설 다세요]

[오류신고 반론]
위에 두 분 말이 다른데요. 자심재료 문제가 논란이 있는 문제입니다.
결론만 먼저 말하면 자심재료는 보자력이 작고 잔류자기는 큰 게 맞습니다.
바로 윗분은 다른 문제였던 옳지 않은 것 고르는 문제에서 4번 보기였던 "잔류자기, 보자력 둘 다 작을 것"이 답이 아니라서 둘 다 작다고 암기하신 거 같은데,,, 그 문제의 2번 보기였던 "투자율이 작을 것"이 너무 아니니까 2번이 답인거고요.
그냥 문제에서 가장 옳지 않은 것으로 고르시면 되고, 개념은 따로 보자력은 작고 잔류자기는 클 것이라고 암기하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제일 답인 걸로 고르세요.]

[오류신고 반론]
정확히 하면 둘 다 작은게맞는데.. 그러한 성질을 갖는 물질을 찾기 어려워서 차선으로 보자력이 작고 잔류자기가 큰 것으로 선택한다고 합니다.
[해설작성자 : 찾아보는걸 찾아보고 해설 다십쇼]

19. 배전반 및 분전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9월)
     1. 개폐기를 쉽게 개폐할 수 있는 장소에 시설하여야 한다.
     2. 옥측 또는 옥외 시설하는 경우는 방수형을 사용하여야 한다.
     3. 노출하여 시설되는 분전반 및 배전반의 재료는 불연성의 것이어야 한다.
     4. 난연성 합성수지로 된 것은 두께가 최소 2mm 이상으로 내아크성인 것이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난연성 합성수지로 된 것은 두께가 최소 1.5㎜ 이상으로 내아크성인 것이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iwc]

20. 도전재료 중 전선재료의 일반적인 구비 조건으로 틀린 것은?(2007년 03월)
     1. 도전율이 작을 것
     2. 인장강도가 비교적 클 것
     3. 가요성이 풍부할 것
     4. 내식성이 클 것

     정답 :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도전재료 구비조건
도전율(전기저항이 낮은재료)
도전율이 클것 인장강도가 클것 가요성이 풍부할것 내식성이 클것

2과목 : 전력공학


21. 150[kVA] 단상변압기 3대를 △-△ 결선으로 사용하다가 1대의 고장으로 V-V결선하여 사용하면 약 몇 [kVA] 부하까지 걸 수 있겠는가?(2016년 03월)
     1. 200
     2. 220
     3. 240
     4. 260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V결선 : Pv = √3*K=√3 * 150 = 260[kVA], 여기서, K는 변압기 1대 용량
[해설작성자 : zceg3]

22. 송전선의 통신선에 대한 유도장해 방지대책이 아닌 것은?(2008년 09월)
     1. 전력선과 통신선과의 상호인덕턴스를 크게 한다.
     2. 전력선의 연가를 충분히 한다.
     3. 고장 발생시의 지락전류를 억제하고, 고장구간을 빨리 차단한다.
     4. 차폐선을 설치한다.

     정답 : []
     정답률 : 16%

23. 고장전류의 크기가 커질수록 동작시간이 짧게 되는 특성을 가진 계전기는?(2021년 03월)
     1. 순한시 계전기
     2. 정한시 계전기
     3. 반한시 계전기
     4. 반한시 정한시 계전기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순한시와 정한시는 고장전류와 상관없이 동작시간은 일정하다
반한시의 경우 고장전류가 커짐에 따라 동작시간이 점점 짧아진다.
반한시 정한시의 경우 고장전류가 커짐에따라 동작시간이 짧아지지만 어느 지점에서 일정해진다.

24. 다음 중 전력원선도에서 알 수 없는 것은?(2004년 05월)
     1. 전력
     2. 역률
     3. 손실
     4. 코로나 손실

     정답 : []
     정답률 : 14%

25. 전압이 다른 송전선로를 루프로 사용하여 조류제어 할 때 필요한 기기는?(2003년 03월)
     1. 동기조상기
     2. 3권선변압기
     3. 분로리액타
     4. 위상조정변압기

     정답 : []
     정답률 : 10%

26. 저압뱅킹배전방식에서 캐스케이딩 현상이란?(2007년 05월)
     1. 저압선이나 변압기에 고장이 생기면 자동적으로 고장이 제거되는 현상
     2. 변압기의 부하배분이 균일하지 못한 현상
     3. 저압선의 고장에 의하여 건전한 변압기의 일부 또는 전부가 차단되는 현상
     4. 전압동요가 적은 현상

     정답 : []
     정답률 : 26%

27. 직렬콘덴서를 선로에 삽입할 때의 이점이 아닌 것은?(2014년 03월)
     1. 선로의 인덕턴스를 보상한다.
     2. 수전단의 전압강하를 줄인다.
     3. 정태안정도를 증가한다.
     4. 송전단의 역률을 개선한다.

     정답 : []
     정답률 : 23%

28. 송전선에 코로나가 발생하면 전선이 부식된다. 무엇에 의하여 부식되는가?(2012년 09월)
     1. 산소
     2. 질소
     3. 수소
     4. 오존

     정답 : []
     정답률 : 27%

29. 배전선로의 전압을 3kV에서 6kV로 승압하면 전압강하율(δ)은 어떻게 되는가? (단, δ3kV는 전압이 3kV일 때 전압강하율이고, δ6kV는 전압이 6kV일 때 전압강하율이고, 부하는 일정하다고 한다.)(2020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전압강하율 e = P/V^2 * (R+Xtan쎄타)
V가 2배 승압하면
전압강하율 e는 1/2^2 인 1/4배로 감소
[해설작성자 : 쏘세지]

30. 한류리액터의 사용 목적은?(2011년 06월)
     1. 누설전류의 제한
     2. 단락전류의 제한
     3. 접지전류의 제한
     4. 이상전압 발생의 방지

     정답 : []
     정답률 : 27%

31. 다음 중 원자로 냉각재의 구비 조건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08년 05월)
     1. 비열이 클 것
     2. 중성자 흡수가 많을 것
     3. 열전도도가 클 것
     4. 유도방사능이 적을 것

     정답 : []
     정답률 : 11%

32. 수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9월)
     1. 수로내의 수위의 이상상승을 방지한다.
     2. 수로식 발전소의 수로의 처음 부분과 수압관의 아래 부분에 설치한다.
     3. 수로에서 유입하는 물속에 토사를 침전시켜서 배사문으로 배사하고 부유물을 제거한다.
     4. 용량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지형적 조건에 따라서 최소한 최대사용 유량을 1~2분 동안 저장할 수 있는 용적을 가져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10%

33. 그림과 같이 지지점 A, B, C에는 고저차가 없으며, 경간 AB와 BC 사이에 전선이 가설되어 그 이도가 각각 12cm 이다. 지지점 B에서 전선이 떨어져 전선의 이도가 D로 되었다면 D의 길이(cm)는? (단, 지지점 B는 A와 C의 중점이며 지지점 B에서 전선이 떨어지기 전, 후의 길이는 같다.)(2022년 04월)

    

     1. 17
     2. 24
     3. 30
     4. 36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전선 길이는 떨어지기 전/후 동일(L=S+8D^2/3S)
2(S+8D1^2/3S)=2S+8D2^2/(3*2S)이므로 4D1^2=D2^2, D2=2D1
[해설작성자 : 1]

34. 150kVA 단상변압기 3대를 △-△ 결선으로 사용하다가 1대의 고장으로 V - V 결선하여 사용하면 약 몇 kVA 부하까지 걸 수 있겠는가?(2007년 03월)
     1. 200
     2. 220
     3. 240
     4. 260

     정답 : []
     정답률 : 22%

35. 가공선 계통은 지중선 계통보다 인덕턴스 및 정전용량이 어떠한가?(2013년 09월)
     1. 인덕턴스, 정전용량이 모두 작다.
     2. 인덕턴스, 정전용량이 모두 크다.
     3. 인덕턴스는 크고, 정전용량은 작다.
     4. 인덕턴스는 작고, 정전용량은 크다.

     정답 : []
     정답률 : 28%

36. 그림과 같이 일직선 배치로 완전 연가한 경우의 등가 선간 거리는?(2018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45%

37. 유효낙차 100m, 최대 사용수량 20m3/s인 발전소의 최대 출력은 약 몇 kW인가? (단, 수차 및 발전기의 합성 효율은 85%라 한다.)(2016년 05월)
     1. 14160
     2. 16660
     3. 24990
     4. 33320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출력 = 9.8 * 유효낙차 * 최대사용수량 * 효율
        = 9.8 * 100 * 20 * 0.85 = 16660
[해설작성자 : DoubleM2]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출력 = (9.8*유효낙차*양수량*여유계수) / (펌프의효율) 입니다.
선지를 전체적으로 수정해야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8. 전력원선도에서 구할 수 없는 것은?(2012년 05월)
     1. 송수전 할 수 있는 최대 전력
     2. 필요한 전력을 보내기 위한 송수전 전압간의 상차각
     3. 선로 손실과 송전 효율
     4. 과도극한 전력

     정답 : []
     정답률 : 23%

39. 제5고조파 전류의 억제를 위해 전력용 커패시터에 직렬로 삽입하는 유도 리액턴스의 값으로 적당한 것은?(2019년 09월)
     1. 전력용 콘덴서 용량의 약 6% 정도
     2. 전력용 콘덴서 용량의 약 12% 정도
     3. 전력용 콘덴서 용량의 약 18% 정도
     4. 전력용 콘덴서 용량의 약 24% 정도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제5고조파를 억제하기 위한 직렬 리액터의 용량은 콘덴서 용량의 4[%] 이상이 되면 되는데, 주파수 변동 등의 여유를 봐서 실제로는 약 5~6[%]인 것이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슝]

리액턴스가 같도록. 5wL = 1/5wC 하면 25분의1    해서 4퍼 나오쥬? 근데 5고조파는 실무적으로 용량에 여유 두는거임 5고조파 아니라 7 9 11 등등 다 이런식으로 적용 가능
[해설작성자 : ㄴㅇㅎ]

40. 유효접지계통에서 피뢰기의 정격전압을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는?(2014년 03월)
     1. 선로 애자련의 충격섬락전압
     2. 내부 이상전압 중 과도이상전압의 크기
     3. 유도뢰의 전압의 크기
     4. 1선 지락고장시 건전상의 대지전위

     정답 : []
     정답률 : 23%
     <문제 해설>
실효값으로서 1선 지락고장 시 건전상의 대지전위, 즉 지속성 이상전압에 의해 결정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과목 : 전기기기


41. 1차측 권수가 1500인 변압기의 2차측에 16[Ω]의 저항을 접속하니 1차 측에서는 8[kΩ]으로 환산되었다. 2차측 권수는?(2014년 03월)
     1. 약 67
     2. 약 87
     3. 약 107
     4. 약 207

     정답 : []
     정답률 : 19%

42. 권선형 유도 전동기의 전부하 운전 시 슬립이 4%이고, 2차 정격전압이 150V 이면 2차 유도기전력은 몇 V 인가?(2018년 03월)
     1. 9
     2. 8
     3. 7
     4. 6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정답 해설]
2차 유도기전력 = sE2 = 0.04 * 150 = 6[V]
[해설작성자 : DoubleM2]

43. 25°의 스텝 각을 갖는 스테핑 모터에 초(s)당 500개의 펄스를 가했을 때 회전속도는 약 몇 r/s인가?(2021년 09월)
     1. 20
     2. 35
     3. 50
     4. 125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스테핑 전동기의 회전속도 = (스텝각/360)*스테핑 주파수
(25/360)*500 = 약 35
[해설작성자 : gangs]

44. 동기 발전기의 권선을 분포권으로 하면?(2009년 08월)
     1. 기전력의 고조파가 감소하여 파형이 좋아진다.
     2. 난조를 방지한다.
     3. 권선의 리액턴스가 커진다.
     4. 집중권에 비하여 합성유도 기전력이 높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13%

45. 용량 1kVA, 3000/200V의 단상변압기를 단권변압기로 결선해서 3000/3200V의 승압기로 사용할 때 그 부하용량(kVA)은?(2020년 06월)
     1. 1/16
     2. 1
     3. 15
     4. 16

     정답 :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자기용량/부하용량=Vh-Vl/Vh
Vh 승압전압 Vl 승압전 전압
자기용량/부하용량=3200-3000/3200 = 1/16
1번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합격하고싶다]

[오류신고 반론]
부하용량만 언급.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ㄴ합격하고싶다// 아닙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16 4번입니다. 3200/3200-3000= 3200/200 = 16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6. 전력용 변압기에서 1차에 정현파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 2차에 정현파 전압이 유기되기 위해서는 1차에 흘러들어가는 여자전류는 기본파 전류 외에 주로 몇 고조파 전류가 포함되는가?(2019년 04월)
     1. 제2고조파
     2. 제3고조파
     3. 제4고조파
     4. 제5고조파

     정답 : []
     정답률 : 39%

47. 임피던스 전압강하가 5%인 변압기가 운전 중 단락되었을 때 단락전류는 정격전류의 몇 배가 되는가?(2007년 03월)
     1. 2
     2. 5
     3. 10
     4. 20

     정답 : []
     정답률 : 16%

48. 3상 직권 정류자 전동기에 중간(직력)변압기가 쓰이고 있는 이유가 아닌 것은?(2011년 06월)
     1. 정류자 전압의 조정
     2. 회전자 상수의 감소
     3. 경부하 때 속도의 이상 상승 방지
     4. 실효 권수비 선정 조정

     정답 : []
     정답률 : 21%

49. 직류전동기의 총도체수는 80, 단중 중권이며, 극수2, 1극의 자속수 3.14[Wb]이다. 부하를 거어 전기자에 10[A]가 흐르고 있을 때, 발생 토크 [kg·m]는 약 얼마인가?(2007년 09월)
     1. 38.6
     2. 40.8
     3. 42.6
     4. 44.8

     정답 : []
     정답률 : 10%

50. 슬립 St에서 최대 토크를 발생하는 3상 유도전동기에 2차측 한 상의 저항을 r2라 하면 최대토크로 기동하기위한 2차측 한 상에 외부로부터 가해 주어야 할 저항은?(2017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34%

51. 동기발전기에 회전계자형을 사용하는 경우에 대한 이유로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기전력의 파형을 개선한다.
     2. 전기자가 고장자이므로 고압 대전류용에 좋고, 절연하기 쉽다.
     3. 계자가 회전자지만 저압 소용량의 직류이므로 구조가 간단하다.
     4. 전기자보다 계자극을 회전자로 하는 것이 기계적으로 튼튼하다.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기전력 파형 개선은 회전계자형과는 무관함
분포권, 단절권에 관한 내용
[해설작성자 : 흠냐]

52. 단상 변압기에 정현파 유기기전력을 유기하기 위한 여자전류의 파형은?(2016년 03월)
     1. 정현파
     2. 삼각파
     3. 왜형파
     4. 구형파

     정답 : []
     정답률 : 29%

53. 같은 정격전압에서 변압기의 주파수만을 높이면 다음에서 증가하는 것은?(2011년 10월)
     1. 여자전류 증가
     2. 동손 증가
     3. 철손 증가
     4. %임피던스 증가

     정답 : []
     정답률 : 13%

54. 도통(on)상태에 있는 SCR을 차단(off)상태로 만들기 위해서는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2020년 06월)
     1. 게이트 펄스전압을 가한다.
     2. 게이트 전류를 증가시킨다.
     3. 게이트 전압이 부(-)가 되도록 한다.
     4. 전원전압이 극성이 반대가 되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역전압 인가 또는 에노드를 유지 전류 이하
[해설작성자 : Kicc]

게이트는 상관없고 애노드or역전압
[해설작성자 : 223]

55. 권수비가 70인 단상변압기의 전부하 2차 전압은 200[V], 전압변동률이 4[%]일 때 무부하시 1차 단자전압은 몇 [V]인가?(2009년 05월)
     1. 11670
     2. 12360
     3. 13261
     4. 14560

     정답 : []
     정답률 : 15%
     <문제 해설>
V[v] = 200 * 70 * ( 1 + 0.04 ) = 145460[V]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56. 다음은 스텝 모터(step motor)의 장점을 나열한 것이다. 틀린 것은?(2005년 05월)
     1. 피드백 루프가 필요 없이 오픈 루프로 손쉽게 속도 및 위치제어를 할 수 있다.
     2. 디지털 신호를 직접 제어 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등 다른 디지털 기기와 인터페이스가 쉽다.
     3. 가속, 감속이 용이하며 정.역전 및 변속이 쉽다.
     4. 위치제어를 할 때 각도오차가 있고 누적된다.

     정답 : []
     정답률 : 11%

57. 단자전압 220V, 부하전류 50A인 분권발전기의 유도기전력은 몇 V인가? (단, 여기서 전기자 저항은 0.2Ω이며, 계자전류 및 전기자 반작용은 무시한다.)(2021년 03월)
     1. 200
     2. 210
     3. 220
     4. 230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분권발전기의 유도기전력=단자전압+(부하전류*전기자저항)
                                            E=V+(IR)
[해설작성자 : 동부산폴리텍]

유도기전력)E[V] = V + IaRa ▶ 220 + ( 50 * 0.2 ) = 230[V]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58. 변압기의 %Z가 커지면 단락전류는 어떻게 변화하는가?(2020년 06월)
     1. 커진다.
     2. 변동없다.
     3. 작아진다.
     4. 무한대로 커진다.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Is=100/%Z *In 이므로 %Z와 Is는 반비례한다.
[해설작성자 : dmldlrhd]

59. 단권 변압기(Auto transformer)에 대한 말이다.옳지 않은 것은?(2003년 03월)
     1. 1차 권선과 2차 권선의 일부가 공통으로 되어 있다.
     2. 동일출력에 대하여 사용재료 및 손실이 적고 효율이 높다.
     3. 3상에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4. 단권 변압기는 권선비가 1에 가까울수록 보통 변압기에 비하여 유리하다.

     정답 : []
     정답률 : 11%

60. 다음 전동기 중 역률이 가장 좋은 전동기는?(2013년 03월)
     1. 동기 전동기
     2. 반발 기동 전동기
     3. 농형 유도 전동기
     4. 교류 정류자 전동기

     정답 : []
     정답률 : 25%

4과목 :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61. 2개의 전력계를 사용하여 3상 평형부하의 역률을 측정하고자 한다. 전력계의 지시 값이 각각 P1, P2 일 때 이 회로의 역률은?(2019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2전력계법에 의한 전력측정
유효전력P= P1 + P2
무효전력Q=루트3*(P1-P2)
피상전력Pa = 4번보기의 분모와 같음

그래서 역률= 유효전력/피상전력
[해설작성자 : ㄴㅇㅎ]

2전력계법 [ two wattmeter method , 二電力計法 ]
3상 전력의 측정 방법으로, 2개의 단상 전력계를 접속. 3상 전력은 2개의 전력계의 대수합으로 구해짐.
즉, 3상 유효 전력을 P, 2개의 전력계 지시치를 P1, P2 라 하면, P = P1 + P2 이다.
3상 피상/겉보기 전력 Pa = 2 x √(P1^2 + P2^2 - P1 x P2)
역률은 겉보기 전력 분의 유효 전력 이므로
P / Pa = (P1 + P2) / {2 x √(P1^2 + P2^2 - P1 x P2)}
[해설작성자 : 나대로]

62. R=10Ω, C=50㎌의 직렬회로에 200V 의 직류를 가할 때 완충된 전기량 Q(C)는?(2017년 09월)
     1. 10
     2. 0.1
     3. 0.01
     4. 0.001

     정답 :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Q = CV = 50^(-6)*200 = 0.01
[해설작성자 : 범부]

Q = CV = 50*10^(-6)*20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Q = CV
    = 50 x 10^-6 x 200 = 0.01[C]
[해설작성자 : 나대로]

63. 회로의 전압비 전달함수 H(jω)=Vc(jω)/V(jω)는?(2005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9%

64. 그림과 같은 4단자 회로망에서 하이브리드 파라미터 H11은?(2018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하이브리드 파라미터 h11는 v2=0 일때 v1/i1 임
[v1] =    [A B] [v2=0] 인 행렬곱을 전개해서 풀면    v1/i1 =Bi2/Di2 = B/D 가된다    
i1            C D        i2

4단자 회로에서 B = Z3, D = 1+z3/z1 이니까 넣고 풀면됨
[해설작성자 : 흠냐]

z2 임피던스를 단락한 상태에서 z1, z3병렬합성
[해설작성자 : 22년 합격 가자]

65.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t=0에서 스위치 S를 닫으면서 전압 E[V] 를 가할 때 L양단에 걸리는 전압 eL[V] 는?(2005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

66. 회로에서 6Ω에 호르는 전류(A)는?(2022년 04월)

    

     1. 2.5
     2. 5
     3. 7.5
     4. 10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12옴, 4옴 병렬합성해서 6옴과 3옴 병렬회로로 봄
전류분배 법칙에 따라서 8A 전류원에서는 2.666A흐르고 7A 전류원에서는 2.333A흐름
두 전류의 방향은 동일하므로 2.666+2.333=4.999
[해설작성자 : 서교공전기꾼]

12옴과 4옴이 병렬연결되어있으므로 합성하면 3옴.
3옴과 6옴의 병렬회로에 전류원은 방향이 같으므로 15A짜리로 생각.
전류분배법칙에 의해 15A가 병렬연결된 3옴과 6옴에 6대 3의 비로 흐름.
따라서 각각 10A와 5A가 흐름
[해설작성자 : 덩]

67. 대칭 5상 기전력의 선간전압과 상간전압의 위상차는 얼마인가?(2013년 09월)
     1. 27°
     2. 36°
     3. 54°
     4. 72°

     정답 : []
     정답률 : 25%

68. R=2[Ω], L=10[mH], C=4[㎌]의 직렬 공진회로의 Q는 얼마인가?(2006년 05월)
     1. 25
     2. 45
     3. 65
     4. 85

     정답 : []
     정답률 : 13%
     <문제 해설>
직렬공진회로에서 선택도: Q=루트(L/C)
[해설작성자 : 버터스]

Q = 1/R * 루트(L/C) ▶ 1/2 * 루트( 10 * 10^-3 / 4 * 10^-6 ) = 25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69. 회로에서의 전압비 전달함수 는?(2006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11%

70. 의 나이퀴스트 선도는? (단, K>0 이다.)(2015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33%

71. 그림과 같은 보드 위상선도를 갖는 회로망은 어떤 보상기로 사용될 수 있는가?(2011년 06월)

    

     1. 진상 보상기
     2. 지상 보상기
     3. 지상 진상 보상기
     4. 지상 지상 보상기

     정답 : []
     정답률 : 20%

72. 어떤 제어계에 단위 계단입력을 가하였더니 출력이 1-e-21로 나타났다. 이 계의 전달함수는?(2006년 05월)
     1. 1/s+2
     2. 2/s+2
     3. 1/s(s+2)
     4. 2/s(s+2)

     정답 : []
     정답률 : 4%

73. R-L 직렬 회로에서 L=30[mH], R=10[Ω] 일 때 이 회로의 시정수는?(2010년 05월)
     1. 3[ms]
     2. 3X10-1[ms]
     3. 3X10-2[ms]
     4. 3X10-3[ms]

     정답 : []
     정답률 : 10%
     <문제 해설>
시정수[ms] = L / R ▶ 30 / 10 = 3[ms]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74. 전류 와 기전력 사이의 위상차는?(2015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23%

75. 그림과 같은 이상 변압기의 4단자 정수 A, B, C, D는 어떻게 표시되는가?(2002년 03월)

    

     1. n, 0, 0, 1/n
     2. 1/n, 0, 0, 1-n
     3. 1/n, 0, 0, n
     4. n, 0, 1, 1/n

     정답 : []
     정답률 : 15%

76. 아래의 신호흐름선도의 이득 Y6/Y1의 분자에 해당하는 값은?(2014년 05월)

    

     1. G1G2G3G4+G4G5
     2. G1G2G3G4+G4G5+G2H1
     3. G1G2G3G4H3+G2H1+G4H2
     4. G1G2G3G4+G4G5+G2G4G5H1

     정답 : []
     정답률 : 18%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답1번
[해설작성자 : 뺑삼]

[오류신고 반론]
전방 G5G4와 피드백루프인 -G2H1이 경로가 겹치지 않으므로 둘이 곱해주는 값도 포함되어야함
[해설작성자 : 아마도]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경로 G5G4와 루트 G2(-H1)이 겹치지 않으므로 G5G4(1-G2(-H1) 해줘야 합니다 (메이슨룰)
G1G2G3G4 + G4G5(1+G2H1) = G1G2G3G4+G4G5+G2G4G5H1
[해설작성자 : 동생]

77. 그림과 같은 회로의 콘덕턴스 G2에 흐르는 전류 i는 몇 A 인가?(2017년 03월)

    

     1. -5
     2. 5
     3. -10
     4. 10

     정답 : []
     정답률 : 26%
     <문제 해설>
저항의 역수 개념인 Conductance.

전류원 하나씩 차근차근 해석해야 함! 나머지 전류원은 개방하고!

먼저, 30[A]의 전류원을 개방회로로 대체하고,
15[A]가 conductance G1: 30[mho]와 G2: 15[mho]중에 15[mho]로는
전류분배법칙에 따라 1/3만큼 흐르게 되니 5[A]가 위에서 아래로 흐르고.

그 다음, 15[A]의 전류원을 개방회로로 대체하고,
30[A]가 conductance G1: 30[mho]와 G2: 15[mho]중에 15[mho]로는
역시 전류분배법칙에 의해 1/3만큼 흐르게 되는데 10[A]가 방향은 아래에서 위로 흐름.
[해설작성자 : 나대로]

78. 전달함수가 과 같은 제어시스템에서 ω = 0.1 rad/s 일 때의 이득(dB)과 위상각(°)은 약 얼마인가?(2022년 04월)
     1. 40dB, -90°
     2. -40dB, 90°
     3. 40dB, -180°
     4. -40dB, -180

     정답 :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이득=20log(|G(s)|)
s=jw, j=1∠90, w=0.1
G(s)=1/(0.01j-0.00001)
이득=20log(1/root(0.01^2+0.00001^2)=39.99
* 공학용계산기 Abs로 20log(1/(0.01j-0.00001) 계산해도 됨
위상각은 1/(0.01j-0.00001) 분모 유리화하면 -j*1/(0.01^2-0.00001^2) 되므로 -j=-90°
[해설작성자 : 1]

79. G(jω) = j0.1ω에서 ω = 0.01[rad/sec] 일 때, 계의 이득[dB]는 얼마인가?(2006년 03월)
     1. -100
     2. -80
     3. -60
     4. -40

     정답 : []
     정답률 : 16%

80. 에서 점근선의 교차점은?(2005년 09월)
     1. 2
     2. 5
     3. -2/3
     4. -4

     정답 : []
     정답률 : 12%

81. 가요전선관공사에 의한 저압 옥내배선의 방법으로 기술기준에 적합한 것은?(2005년 09월)
     1. 2종 금속제 가요전선관을 사용하였다.
     2. 옥외용 비닐절연전선을 사용하였다.
     3. 전선은 지름 5mm의 단선을 사용하였다.
     4. 가요전선관에 제1종 접지공사를 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11%

82. 최대 사용전압 23kV의 권선으로 중성점접지식 전로(중성선을 가지는 것으로 그 중성선에 다중 접지를 하는 전로)에 접속되는 변압기는 몇 V의 절연내력 시험전압에 견디어야 하는가?(2018년 03월)
     1. 21160
     2. 25300
     3. 38750
     4. 34500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변압기 전로의 절연내력에서 최대 사용전압이 7[kV] 초과 25[kV] 이하, 다중접지 방식이면 최대 사용전압의 0.92배에 해당하는 시험 전압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23,000[V] * 0.92 = 21,160[V]입니다.
[해설작성자 : H.Univ.]

83. 전력보안통신설비인 무선통신용 안테나 등을 지지하는 철주의 기초 안전율은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무선용 안테나 등이 전선로의 주위상태를 감시할 목적으로 시설되는 것이 아닌 경우이다.)(2022년 03월)
     1. 1.3
     2. 1.5
     3. 1.8
     4. 2.0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364.1 무선용 안테나 등을 지지하는 철탑 등의 시설]
나. 철주, 철근 콘크리트주 또는 철탑의 기초 안전율은 1.5 이상이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담벼락]

84. 제1종 접지공사의 접지저항값은 몇 [Ω] 이하로 유지하여야 하는가?(2008년 09월)
     1. 10
     2. 30
     3. 50
     4. 100

     정답 : []
     정답률 : 14%

85. 다음 공사에 의한 저압 옥내배선 중 사용되는 전선이 반드시 절연전선이 아니여도 무방한 공사는?(2007년 09월)
     1. 합성수지관 공사
     2. 금속관 공사
     3. 버스덕트 공사
     4. 플로어덕트 공사

     정답 : []
     정답률 : 14%

86. 특고압을 직접 저압으로 변성하는 변압기를 시설하여서는 아니 되는 변압기는?(2018년 03월)
     1. 광산에서 물을 양수하기 위한 양수기용 변압기
     2. 전기로 등 전류가 큰 전기를 소비하기 위한 변압기
     3. 교류식 전기철도용 신호회로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변압기
     4. 발전소, 변전소, 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의 소내용 변압기

     정답 : []
     정답률 : 33%

87. 저압 전로에 사용하는 과전류 차단기로 정격전류 30A의 배선용 차단기에 60A의 전류를 통했을 경우 몇 분 이내에 자동적으로 동작하여야 하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5년 09월)
     1. 2
     2. 6
     3. 10
     4. 15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저압전로에 사용하는 정격전류 63[A] 이하의 배선용 차단기는 정격전류 1.45배 전류를 통한 경우 60분이내 용단
-KEC-
정답없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답에서 0한개씩 빠져 있습니다
2 → 20 6 → 60 10 → 100 15 → 150
[해설작성자 : ㅇㅇ]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위 두개 오류신고가 맞다면 답은 2번 같은데요...
확인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삭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삭제
[해설작성자 : PYR]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1번이네요.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88. 고압용 기계기구를 시설하여서는 안 되는 경우는?(2019년 04월)
     1. 시가지 외로서 지표상 3m 인 경우
     2. 발전소, 변전소, 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에 시설하는 경우
     3. 옥내에 설치한 기계기구를 취급자 이외의 사람이 출입할 수 없도록 설치한 곳에 시설하는 경우
     4. 공장 등의 구내에서 기계기구의 주위에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적당한 울타리를 설치하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고압용 기계기구에 시가지 시설은 가능하다. 시가지 외로서 지표상 3m가 아닌 < 4.5m 이상 >의 높이에 시설하는게 옳다. (3m는 너무 낮음)
[해설작성자 : 공사기사ㅎㅇㅌ]

89. 정격전류 20A 및 40A인 전동기와 정격전류 10A인 전열기 5대에 전기를 공급하는 단상 200V 저압간선이 있다. 간선의 최소 허용전류는 몇 [A]인가?(2007년 09월)
     1. 100
     2. 116
     3. 125
     4. 136

     정답 : []
     정답률 : 11%

90. 전자 개폐기의 조작회로 또는 초인벨ㆍ경보벨 등에 접속하는 전로로서 최대 사용전압이 몇 [V] 이하인 것으로 대지전압이 300V 이하인 강전류 전기의 전송에 사용하는 전로와 변압기로 결합되는 것을 소세력회로라 하는가?(2008년 09월)
     1. 60
     2. 80
     3. 100
     4. 150

     정답 : []
     정답률 : 10%
     <문제 해설>
초인벨 경보벨 벨 어쩌구 저쩌구 나오면
징글벨 징글벨 하듯이 육십벨 육십벨~~~~
[해설작성자 : 야매왕]

91. 출퇴표시등 회로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변압기는 1차측 전로의 대지전압이 300V 이 하, 2차측 전로의 사용전압은 몇 V 이하인 절연변압기이어야 하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7년 09월)
     1. 60
     2. 80
     3. 100
     4. 150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삭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삭제
[해설작성자 : PYR]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1번이네요.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KEC 적용으로 삭제
[해설작성자 : 1]

92. 풀용 수중조명 등에 사용되는 절연변압기의 2차측 전로의 사용전압이 몇 [V]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전로에 지락이 생겼을 때에 자동적으로 전로를 차단하는 장치를 하여야 하는가?(2010년 09월)
     1. 30[V]
     2. 60[V]
     3. 150[V]
     4. 300[V]

     정답 : []
     정답률 : 19%

93. 백열전등 또는 방전등에 전기를 공급하는 옥내의 전로의 대지 전압은 몇 [V]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2011년 10월)
     1. 120
     2. 150
     3. 200
     4. 300

     정답 : []
     정답률 : 25%

94. 특별고압 가공전선로를 제2종 특별고압 보안공사에 의해서 시설할 수 있는 경우는?(2006년 09월)
     1. 특별고압 가공전선이 가공 약전류전선 등과 제1차 접근상태로 시설되는 경우
     2. 특별고압 가공전선이 가장 약전류전선의 위쪽에서 교차하여 시설되는 경우
     3. 특별고압 가공전선이 도로 등과 제1차접근상태로 시설되는 경우
     4. 특별고압 가공전선이 철도 등과 제1차접근상태로 시설되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9%

95. 가반형의 용접전극을 사용하는 아크 용접장치의 용접변압기의 1차측 전로의 대지전압은 몇 V 이하이어야 하는가?(2020년 08월)
     1. 60
     2. 150
     3. 300
     4. 400

     정답 : []
     정답률 : 42%

96. 지중전선로는 기설 지중약전류전선로에 대하여 통신상의 장해를 주지 않도록 기설약전류전선로로부터 충분히 이격시키거나 기타 적당한 방법으로 시설하여야 한다. 이때 통신상의 장해가 발생하는 원인으로 옳은 것은?(2022년 04월)
     1. 충전전류 또는 표피작용
     2. 충전전류 또는 유도작용
     3. 누설전류 또는 표피작용
     4. 누설전류 또는 유도작용

     정답 : []
     정답률 : 48%

97. 폭연성 분진 또는 화약류의 분말이 전기설비가 발화원이 되어 폭발할 우려가 있는 곳의 저압 옥내 전기 설비는 어느 공사에 의하는가?(2012년 03월)
     1. 캡타이어케이블공사
     2. 합성수지관공사
     3. 애자사용공사
     4. 금속관공사

     정답 : []
     정답률 : 26%

98. 애자사용 공사에 의한 저압 옥내배선공사를 할 때 전선의 지지점간의 거리는 몇 [m]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단, 전선은 조영재의 옆면을 따라 붙였다고 한다.)(2013년 09월)
     1. 2
     2. 3
     3. 4
     4. 5

     정답 : []
     정답률 : 25%

99. 발전소의 압축공기장치의 사용압력이 10㎏/cm2이다. 주 공기탱크의 압력계의 눈금은 최대 몇 ㎏/cm2까지 사용할 수 있는가?(2019년 09월)
     1. 15
     2. 20
     3. 25
     4. 30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1.5배 ~ 3배

최대는 3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0. 고압 절연전선을 사용한 저압 가공전선이 안테나와 접근상태로 시설되는 경우에, 가공전선과 안테나 사이의 이격거리는 몇 [cm]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2012년 09월)
     1. 30
     2. 60
     3. 80
     4. 100

     정답 : []
     정답률 : 9%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전기공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7738916)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724 금속재료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5월0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23 9급 지방직 공무원 공업화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6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 전기공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7738916)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21 열처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04월07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20 식품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7월2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19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4월14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18 소음진동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5월1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17 금속도장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5303854)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16 자동차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7월11일(4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15 경찰공무원(순경) 형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8월2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14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과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2월2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13 경영지도사 1차 2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8697670)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2
23712 생물분류기사(동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1578111)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11 기계조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5월1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10 경찰공무원(순경)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8월21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09 청소년상담사 3급(2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3월2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08 9급 국가직 공무원 컴퓨터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4월0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07 제선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2월12일(1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06 수산양식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8월0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0
23705 화공기사(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1년09월2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188 Next
/ 11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