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리눅스마스터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446936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리눅스마스터 2급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리눅스 운영 및 관리


1. 다음 중 리눅스의 파일시스템의 파일 개념으로 취급 하는 것이 아닌 것은?(2011년 06월)
     1. 일반파일
     2. 장치파일
     3. 디렉토리
     4. 실행파일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일반 파일(Regualr File)
디렉토리 파일(Directory File)
링크 파일(Link File)
- 심볼릭 링크(Symbolic Link)         # ln -s file1 file2
- 하드 링크(Hard Link)                         # ln file1 file2
장치 파일(Device File)
- 블럭 장치 파일(Block Device File)
- 캐릭터 장치 파일(Character Device File)
[해설작성자 : ㅇㅅ]

2. 리눅스의 일반적인 디렉터리 특성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9년 12월)
     1. /usr : 사용자 홈 저장 디렉터리
     2. /etc : 각종 시스템 설정 파일 저장 디렉터리
     3. /boot : 부트 이미지 저장 디렉터리
     4. /lib : 라이브러리 저장 디렉터리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 /usr : 실행 파일 저장 디렉터리
2. /etc : 각종 시스템 설정 파일 저장 디렉터리
3. /boot : 부트 이미지 저장 디렉터리
4. /lib : 라이브러리 저장 디렉터리

3. 다음 중 장착된 디스크들의 파티션 테이블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2021년 03월)
     1. mount -a
     2. fdisk -l
     3. df -hT
     4. du -h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 mount
[ -a ] : /etc/fstab에 명시된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

2. fdisk
- 옵션 '-l': 현재 디스크의 파티션 테이블 정보를 나타냄

3. df
[ -h ] : 디스크 전체의 사용량을 알기 쉬운 단위로 출력한다.
[ -T ] : 파일 시스템 종류도 출력한다.

4.du
[ -h ] : 파일 및 디렉토리 사용량을 알기 쉬운 단위로 출력한다.
[해설작성자 : 이번주 시험 치기 싫은 사람]

4. 다음 중 스티키 비트(Sticky Bit)에 대한 설정하는 방법으로 알맞은 것은?(2018년 09월)
     1. chmod o+s data/
     2. chmod o+t data/
     3. chmod u+s data/
     4. chmod u+t data/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Set UID = u+s
Set GID = g+s
Sticky bit = o+t
[해설작성자 : 63.75점]

sticky 비트 설정방법 및 활용
- 8진수(1xxx)나 기호(o+t 또는 u+t)를 이용하여 sticky 비트를 설정할 수 있음(sticky 비트 설정 제거 o-t 또는 u-t)
- 리눅스의 경우 o+t, 유닉스(솔라리스)의 경우는 u+t로 설정
- 권한 변경을 위해 chmod 명령어를 이용함
- sticky 비트가 설정되어 있으면 기타 사용자 접근 권한의 실행 권한 자리에 실행 권한이 있으면 소문자 t로 실행권한이 없으면 대문자 T로 표시됨
- /tmp 디렉토리 처럼 공용 디렉토리 접근에 활용
[해설작성자 : 숨겨진오징어]

5. 다음 중 디스크 파티션에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2008년 08월)
     1. mkfs
     2. mkdir
     3. fdisk
     4. format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mkfs : make file system
[해설작성자 : 홍해장]

6. 다음 중 네트워크 상의 시스템 파일들을 공유할 때 사용하는 파일 시스템으로 알맞은 것은?(2016년 06월)
     1. vfat
     2. nfs
     3. msdos
     4. XFS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vfat - FAT-32를 마운트 할 때 지정
nfs - 네트워크 상의 시스템파일들을 공유 할 때
msdos - 이름은 8자, 확장자는 3자까지만 지원
XFS - SGI에서 개발 저널링 파일 시스템
[해설작성자 : 해롱이]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
n f s
이렇게 외우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madeby]

7. 파일시스템 관리 명령으로 가장 올바르지 않은 것은?(2010년 09월)
     1. mkfs
     2. fsck
     3. netstat
     4. cp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netstat : 게이트웨이, 네트워크 연결 상태, 인터페이스 상태, 라우팅 테이블 등을 확인 할 때 사용.
[해설작성자 : 금빛반지 ]

8. 다음 중 /dev/hda2를 ext3 파일 시스템으로 생성하려고 할 때 명령으로 틀린 것은?(2015년 12월)
     1. mkfs –t ext3 /dev/hda2
     2. mke2fs –t ext3 /dev/hda2
     3. mke2fs –j /dev/hda2
     4. fsck –t ext3 /dev/hda2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fsck 명령어는 파일시스템을 체크할때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ggoke]

fsck는 파일 시스템을 검사/복구하는 도구이지, 생성(format) 명령이 아닙니다.

나머지는 왜 맞나?
mkfs -t ext3 /dev/hda2: mkfs 래퍼로 ext3 파일시스템 생성.

mke2fs -t ext3 /dev/hda2: mke2fs에서 타입을 ext3로 지정해 생성.
mke2fs -j /dev/hda2: -j(journal) 옵션으로 저널 추가 → ext3로 생성.

팁: 생성은 mkfs/mke2fs, 검사/수리는 fsck.
[해설작성자 : 박강호]

9. 사용 중인 시스템에 새로운 HDD를 추가 설치하기 위한 순서로 올바른 것은?(2010년 09월)

   

     1. (가)→(나)→(다)
     2. (다)→(가)→(나)
     3. (나)→(다)→(가)
     4. (다)→(나)→(가)

     정답 : []
     정답률 : 72%

10. /tmp 디렉토리에 test란 파일을 생성하려 하였으나, 에러가 발생되며 생성되지 않았다. 다음 중 추가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2014년 06월)

    

     1. df –i
     2. fdisk –l /dev/sda2
     3. eject /dev/sda2
     4. fdisk /dev/sda2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fdisk : 하드디스크 분할
eject : 소프트웨어 제어를 사용하여 이동 저장 매체를 자동으로 열리도록 하는 프로그램
df :현재 사용중인 파일시스템의 전체 용량, 사용한 용량, 사용가능한 용량, 사용률 마운트 정보 등을 보여줌.

보기에 보면 touch : cannot touch '/tmp/test': No space left on device라고 나옴.
즉, 장치에 남아있는 공간이 없다는 의미인데, 파일시스템의 용량을 알기 위해 df명령어를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나]

11.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셸로 알맞은 것은?(2023년 06월)

    

     1. bourne shell
     2. csh
     3. dash
     4. bash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1. bourne shell : 유닉스 운영 체제에서 최초로 개발된 CLI 셸
3. dash : ash(Almquist Shell)에서 파생된 셸로 데비안 및 우분투 시스템의 기본 셸
4. bash : Bourne Again Shell의 약자로 bourne shell의 기능을 확장하는 GNU 프로젝트에 의해 개발된 셸
[해설작성자 : 빠대비]

12. Borne 쉘에서 PATH 변수는 무엇으로 구분되는가?(2012년 06월)
     1. 콜론(:)
     2. 세미콜론(;)
     3. 컴마(,)
     4. 슬래시(/)

     정답 : []
     정답률 : 74%

13. 한 콘솔에서 동시에 여러 프로세스를 수행시키는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2008년 11월)
     1. 현재 수행 중인 foreground 프로세스를 suspend 시키려면 CTRL-z를 누른다.
     2. 명령을 background로 실행하려면 명령줄의 맨 마지막에 % 기호를 붙여 실행한다.
     3. suspend된 프로세스를 foreground로 실행 시키려면 bg 명령을 사용한다.
     4. suspend된 프로세스를 background로 실행 시키려면 fg 명령을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14. 다음 중 데비안 계열 리눅스의 패키지 관리 도구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2년 06월)
     1. dselect
     2. alien
     3. dpkg
     4. dnf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deselect : 데비안계열 패키지 관리 툴 (dpkg or dselect, 레드헷=rpm))
alien : rpm(레드헷) 파일을 deb(데비안) 로 '변환' 혹은 '설치' 혹은 '변환하여 설치'
dpkg : 데비안 패키지 관리 시스템의 기초가 되는 소프트웨어
[해설작성자 : 1트에합격신화]

dnf : Fedora 및 Red Hat 계열
[해설작성자 : 합격 ㄱ]

15. bash 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06월)
     1. 명령행 편집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다.
     2. POSIX와 호환된다.
     3. GNU프로젝트에 의해서 만들어졌다.
     4. Bourne-Again Shell이다.

     정답 : []
     정답률 : 74%

16. 다음 중 가장 최근에 실행한 cat 명령어를 재실행 하기 위한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2014년 03월)
     1. !cat
     2. !!cat
     3. !^cat
     4. $cat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문제를 끝까지 보세요 최근에 실행한과 재실행 !! 최근에 실행 재실행은 !-n이 문구를 보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모세훈]

17. 다음은 히스토리 사용법에 관한 내용이다. 명령문과 관련 설명의 조합으로 알맞은 것은?(2017년 09월)
     1. history : 가장 마지막에 실행한 명령을 재실행한다.
     2. history 5 : 5번째 사용한 명령을 실행한다.
     3. !all : 히스토리에 등록된 모든 명령을 재실행한다.
     4. !5 : 히스토리 목록의 번호중 5번째에 해당하는 명령을 실행한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1. 실행했던 명령어들을 보여준다.
2. 최근실행 했던 5개의 명령어를 보여준다.(descending)
4. 히스토리 넘버 5에 해당하는 명령어를 재실행한다. (ascending)
[해설작성자 : T.T]

!all 은 가장 최근에 'all'로 시작하는 명령문을 실행한다.
[해설작성자 : 수방수방]

18.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21년 03월)

    

     1. [↑]
     2. [↓]
     3. [Tab]
     4. [Ctrl]

     정답 :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자동 완성 기능은 사용자가 명령어를 입력할 때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돕는다. 명령어, 파일 이름, 디렉터리 이름 등을 자동으로 완성한다.

셸에서 명령어의 시작 부분을 입력하고 탭 키를 누르면 해당 입력으로 시작하는 명령어 목록이 제시된다. 만약 유일한 명령어가 있다면 자동으로 완성된다.

파일이나 디렉터리 이름의 일부를 입력하고 탭 키를 누르면 해당 입력으로 시작하는 파일 또는 디렉터리의 이름이 자동 완성된다.

만약 여러 가지 옵션이 가능한 경우 탭 키를 두 번 누르면 가능한 옵션들의 목록이 표시된다.

$를 입력한 후 탭 키를 누르면 사용할 수 있는 환경 변수 목록이 표시된다.

~ 기호로 시작하면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 경로가 자동으로 완성된다.
[해설작성자 : 나로롱]

19. 다음 중 [Ctrl]+[C]를 입력했을 때 발생하는 시그널 이름으로 알맞은 것은?(2019년 09월)
     1. SIGINT
     2. SIGQUIT
     3. SIGSTOP
     4. SIGCONT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2 SIGINT = Ctrl + C
3 SIGQUIT = Ctrl + \
20 SIGTSTP = Ctrl + Z
[해설작성자 : Hackpo]

18 SIGCONT : 정지된 프로세스를 다시 실행시킨다.
[해설작성자 : 빠진 부분 채웁니다.]

20. 프로세스들 간의 상관관계를 계층 구조로 보여주는 명령은 무엇인가?(2010년 06월)
     1. pstree
     2. tree
     3. ps --tree
     4. proctree

     정답 : []
     정답률 : 88%

21. 다음 중 프로세스에 전송되는 시그널명과 시그널 번호를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2021년 09월)
     1. ps
     2. kill
     3. stat
     4. signals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kill : 프로세스를 종료시킨다.
-kill[옵션][시그널번호 또는 시그널이름][PID 또는 %작업번호]
-옵션
    -l : 시그널 종류 나열
    -s 시그널번호 : 전달할 시그널의 종류를 지정
     s 시그널명
    -1 : HUP, 프로세스를 재시작
    -9 : 프로세스를 강제로 종료
[해설작성자 : 공부중입니다]

22. 다음 중 멀티태스킹(Multitasking)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12월)
     1. 백그라운드 프로세스의 작업 상태는 jobs 명령으로 확인할 수 있다.
     2. Foreground 와 Background 프로세스 간 전환이 가능하다.
     3. 작업 중인 프로세스를 대기(suspend)시키는 키 조합은 이다.
     4. jobs 명령 시 –기호가 붙은 작업은 + 기호 작업보다 높은 우선순위의 작업이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멀티태스킹(Multitasking) -다중작업
-> 동시에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을 의미

- 사용자가 실행한 프로세스는 중간에 중지가능
-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를 포그라운드 프로세스로 전환하거나 반대로도 가능


[jobs]
-> 백그라운드로 실행중인 프로세스나 현재 중지된 프로세스의 목록을 출력
(백그라운드에 동작하는 프로세스를 확인)

[사용법] jobs    또는 jobs -l(프로세스 번호를 추가로 출력)

작업목록에서 [+]기호 : 현재 작업중을 의미
                     [-]기호 : 작업 대기중을 의미
[해설작성자 : YeoSY]

23. 다음 중 프로세스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9월)
     1. 특정 프로그램이 메모리에 상주해서 실행되고 있으면 이는 프로세스라 부른다.
     2. 리눅스에서 프로세스는 실행시 PID가 할당되어 관리된다.
     3. 리눅스 부팅시 최초의 프로세스의 PID는 0번이고, 최대 65536 까지 할당 가능하다.
     4. 셸에서 명령을 실행하고 해당 프로세스가 종료될 때까지 기다리는 프로세스를 포어그라운드 프로세스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최초의 PID는 1이다.
[해설작성자 : T.T]

[3번]
프로세스: 1~32768
소켓:         0~65535
[해설작성자 : ㅁㅇㄴㄹ]

24. 터미널 설정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는 명령은 어느 것인가?(2010년 09월)
     1. stty -a
     2. help -k
     3. show -a
     4. set -k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stty : 터미널 환경 설정
터미널 라인 설정을 확인하고 수정하는 명령어이다.
-a 옵션은 없나 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5. 다음 설명과 같이 cron을 설정할 때의 날짜 형식으로 알맞은 것은?(2021년 12월)

    

     1. 10 11 * * 1-3 /etc/check.sh
     2. 11 10 * * 1-3 /etc/check.sh
     3. 10 11 * * 1,3 /etc/check.sh
     4. 11 10 * 1,3 /etc/check.sh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분 시 일 월 요일
[해설작성자 : 3기생 화이팅]

26. 다음 환경변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1년 03월)
     1. 사용자가 사용하는 쉘이 bash로 설정되어 있다면 사용자가 로그인 할 때 bash_profile과 .bashrc가 실행된다.
     2. rc 파일들은 쉘이 실행될 때 실행된다.
     3. rc 파일을 변경시키게 되면 쉘을 다시 실행 시키지 않아도 변경된 내용이 자동으로 적용 된다.
     4. rc 파일은 쉘이 실행될 때마다 적용될 수 있는 특정 쉘에 관계된 변수와 설정 사항을 포함 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reboot 해줘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영민이보다 준호 ^~^]

27. 다음 중 쉘의 환경변수 PATH에 새로운 디렉토리를 추가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2010년 06월)
     1. PATH=&PATH:newpath
     2. &PATH=PATH:newpath
     3. PATH=$PATH:newpath
     4. $PATH=PATH:newpath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PATH에 경로 추가방법
export 변수명=$변수명:변수값
[해설작성자 : 2020. 02. 23_코로나바이러스_살려줘]

28. 다음 중 crontab 명령을 사용하여 스케줄링 작업을 등록할 때 사용하는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2015년 12월)
     1. -e
     2. -c
     3. -s
     4. -r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crontab은 사용자가 주기적인 작업을 등록하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이다.
-l crontab 에 설정된 내용을 출력.
-e crontab 의 내용을 작성(등록),수정
-r crontab 의 내용을 삭제
-u root 사용자가 특정 사용자의 crontab 파일을 다룰 때 사용

문제는 스케줄링 작업을 등록할 때 사용하는 옵션이니 등록 -e 가 답이된다.
[해설작성자 : 기묘]

29. 다음 중 실행 중인 emacs 편집기를 종료하는 키 조합(key stroke)으로 알맞은 것은?(2020년 12월)
     1. [Ctrl]+[x] 다음에 [Ctrl]+[c]
     2. [Ctrl]+[x] 다음에 [Ctrl]+[e]
     3. [Ctrl]+[x] 다음에 [Ctrl]+[s]
     4. [Ctrl]+[x] 다음에 [Ctrl]+[f]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Ctrl]+[x]; [Ctrl]+[c] - emacs를 종료한다. 변경된 내요이 있는 경우에는 'y' 또는 'n'로 선택해야한다.
[Ctrl]+[x]; [Ctrl]+[s] - 편집된 내용을 저장한다.
[Ctrl]+[x]; [Ctrl]+[f] - 새문서 작업을 위해 새로운 파일명을 지정하고 편집한다.
[해설작성자 : 할수있다!]

30. 다음 중 vi 편집기 실행 시 명령 모드에서 입력 모드로 전환할 때 사용하는 키(key)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6월)
     1. w
     2. i
     3. a
     4. o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a,o,i(아오이)
남자분들은 아오이소라를 생각하시고 외우시면 쉽습니다..
[해설작성자 : 시험2시간남음]

31. 다음 중 vi 편집기의 명령모드에서 현재 커서가 위치한 곳의 문자를 삭제하는 입력 키로 알맞은 것은?(2021년 03월)
     1. e
     2. d
     3. x
     4. dd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1. e    : 커서가 위치한 단어의 맨 끝 부분으로 이동합니다. 단, 특수문자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그 다음 문자로 이동
2. d    : 효과 없음
3. x    : 현재 커서가 위치한 곳의 문자를 삭제
4. dd : 현재 커서가 위치한 곳의 라인을 삭제
[해설작성자 : 합격기원1000]

32. vi 편집기로 작업 중인 posein.txt 파일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었다. 다음 중 작업 중이던 파일 내용을 불러오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2015년 12월)
     1. vi -c posein.txt
     2. vi -C posein.txt
     3. vi -r posein.txt
     4. vi -R posein.txt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r = 시스템이 다운된 후에 파일 되살리기, R = 읽기전용으로 불러오기
[해설작성자 : 박명수]

vi -R posein.txt : Read-only 모드(읽기 전용).
vi -c posein.txt : -c는 Ex 명령 실행 옵션(예: vi -c 'set nu' file), 복구와 무관.
vi -C posein.txt : Compatibility(vi 호환) 모드(Vim에서), 복구 아님.

r = recover, R = Read-only, c = command, C = Compatibility.
[해설작성자 : 박강호]

33. 다음 중 pico 편집기에서 커서의 위치를 해당 줄의 끝으로 이동하는 조합으로 알맞은 것은?(2014년 06월)
     1. [Ctrl]+[x]
     2. [Ctrl]+[e]
     3. [Ctrl]+[p]
     4. [Ctrl]+[f]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ctrl+x (F2) : nano 종료
•ctrl+p : 이전 줄로
•ctrl+f : 한 문자 앞으로
[해설작성자 : hye]

34. 다음 선언된 셸 변수를 해제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2022년 09월)
     1. env
     2. set
     3. unset
     4. printenv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set으로 환경변수 등록. printenv로는 시스템에 등록된 환경변수 출력
env로 환경변수 조회 및 등록가능. 변수 해제는 unset, 환경 변수도 가능.
[해설작성자 : 시험 공부중이에여]

35. 압축 유틸리티 gzip의 옵션 중 압축률은 다소 낮더라도 압축에 걸리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2011년 12월)
     1. -1
     2. -9
     3. -r
     4. -c

     정답 : []
     정답률 : 53%

36. vi 에디터에서 입력모드로 사용 중 명령모드로 전환해야 할 경우 사용하는 키로 알맞은 것은?(2008년 08월)
     1. Insert 키
     2. Tab 키
     3. Shift 키
     4. Esc 키

     정답 : []
     정답률 : 79%

37.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8년 03월)

    

     1. -qc
     2. -V
     3. -qv
     4. --check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위에 네모칸을 보면 S와 T가 적혀있고 경로가 적혀있다
S 코드는 파일의 크기를 변경해주고 T 코드는 파일 수정시간을 변경해주는 코드이다.
rpm을 검증해주는 -V가 정답이다.

38. 다음 RPM 명령 중 설치된 패키지를 제거하는 명령은?(2008년 03월)
     1. rpm -e 패키지이름
     2. rpm -i 패키지이름
     3. rpm -q 패키지이름
     4. rpm -V 패키지이름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eraser    지우개로~ 널 삭제할 수 있다면~
[해설작성자 : 김동현]

39. 다음 그림에 해당하는 명령어와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2020년 10월)

    

     1. rpm -q vsftpd
     2. rpm -qi vsftpd
     3. rpm -qd vsftpd
     4. rpm -V vsftpd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리눅스의 FTP로 vsftpd가 있다.
설치 확인 명령어는 yum과 rpm으로 확인 가능
=> rpm [옵션] 패키지명
-i : 새로운 패키지를 설치
-q : 패키지 설치 여부 확인
[해설작성자 : 뚠혀니]

-qa 패키지명 : 설치 확인
-qf 파일경로(절대경로) : 설치된 파일이 어느 패키지에 포함된 것인지 확인
-ql 패키지명 : 특정 패키지에 포함된 파일을 확인
-qi 패키지명 : 설치된 패키지의 상세정보 보기

40. rpm 명령의 옵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0년 12월)
     1. -U : 설치된 패키지 업그레이드
     2. --force : 기존파일에 강제적으로 설치
     3. -d : 설치된 패키지 제거
     4. -i : 새로운 패키지 설치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설치된 제거는 -d가 아니라 -e다

41. 다음은 /project 디텍터리를 포함해서 하위 디렉터리 및 파일의 그룹 소유권을 project로 변경하는 과정이다.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22년 09월)

    

     1. chgrp -r
     2. chgrp -R
     3. chmod -r
     4. chown -r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chgrp => 파일의 사용자 그룹을 변경
chmod => 파일의 퍼미션을 변경하기 위한 명령어
chown => 파일의 소유자나 소유그룹을 변경하기 위한 명령어
----------------------------------------------------------
-c: 변경된 파일만 자세하게 보여준다.
-f: 변경되지 않은 파일에 대해서 오류 메시지를 보여주지 않는다.
-v: 작업상태를 자세히 보여준다.
-R: 경로와 그 하위 파일들을 모두 변경한다.
--help: 도움말을 출력한다.
--version: 버전 정보를 보여준다.
[해설작성자 : 김크림]

42.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도구로 알맞은 것은?(2017년 03월)

    

     1. apt-get
     2. dnf
     3. pip
     4. yast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페도라 22에서부터 적용된건 dnf이다. yum을 사용해도 동작은하지만 dnf를 사용하라고 메시지가 출력된다.
[해설작성자 : 길가던분]

43. 리눅스에서 설정 가능한 프린터 유형 중 윈도우 XP 시스템과 공유하는 경우 가장 알맞은 것은?(2008년 11월)
     1. Local
     2. Samba printer
     3. JetDirect
     4. Unix Printer

     정답 : []
     정답률 : 74%

44. 프린터 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3월)
     1. 프린터 명령을 실행했을 때 대기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2. 프린터에서 사용할 이름과 임시로 저장할 스풀 디렉토리로 사용한다.
     3. 네트워크 프린터의 점유 비율을 조절하기 위해 스풀 디렉토리의 용량을 조절한다.
     4. 프린트 도중 정전 등의 이유로 전원이 꺼질 경우 스풀링되어 있는 파일은 무조건 지워진다.

     정답 : []
     정답률 : 70%

45. 다음 중 리눅스에서 프린터 서버로 사용하기 위해 설치하는 프로그램으로 알맞은 것은?(2023년 03월)
     1. CUPS
     2. SANE
     3. ALSA
     4. OSS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CUPS(CommonUnix Printing System) : 애플이 개발한 오픈소스프린팅 시스템
---
SANE: (스캐너)이미지 관련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API
---
OSS: 리눅스에서 사운드를 만들고 캡쳐하는 인터페이스
ALSA: 사운드카드용 장비드라이버를 제공하기 위한 리눅스 커널요소
[해설작성자 : dinner]

46. 다음 중 이미지를 스캔하는 scanimage 명령어 옵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6월)
     1. --format : 이미지 형식 지정
     2. -d : 장치 파일명 지정
     3. -h : 프로그램 버전 확인
     4. -L : 사용 가능한 장치 목록 표시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h : 도움말 기능
[해설작성자 : 시험전날]

47. present.txt 파일을 프린터로 출력하고자 할 때 명령으로 틀린 것은?(2011년 12월)
     1. lpr -P lp present.txt
     2. cat present.txt | lpr
     3. cat present.txt > /dev/lp0
     4. cat present.txt < /dev/lp0

     정답 : []
     정답률 : 58%

48. 다음에서 설명하는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8년 03월)

    

     1. LPRng
     2. CUPS
     3. SAMBA
     4. USB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CUPS애
플이 개발한 오픈 소스 프린팅 시스템
다양한 운영체제 지원
HTTP기반의 IPP를 사용
SMB 프로토콜도 부분적으로 지원
lpadmin이라는 명령 이용하여 웹상에서도 제어가능
설정 정보는 /etc/cups/printers.conf파일에 저장
[해설작성자 : DD]

49.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7년 09월)

    

     1. X 서버
     2. X 클라이언트
     3. 윈도 매니저
     4. 디스플레이 매니저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디스플레이 매니저: 사용자 로그인 및 세션 관리를 한다.

50. 다음 중 X 윈도우 설정 프로그램인 system-configdisplay에서 설정할 수 없는 것은?(2009년 03월)
     1. 해상도
     2. 색상수
     3. 이중 헤드
     4. 모니터의 수직 주파수

     정답 : []
     정답률 : 49%

51. 다음 중 윈도우 매니저의 종류로 알맞은 것은?(2016년 12월)
     1. KDE
     2. GRUB
     3. Mutter
     4. GNOME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GNOME에 기본 윈도우 매니저가 Mutter 이다.
[해설작성자 : ㅋㅎㅋㅎ]

1. KDE는 Kool Desktop Environment의 약자로, 독일을 중심으로 한 인터내셔널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커뮤니티이다 데스크탑 환경
2. GRUB은 GNU 프로젝트의 부트로더이다
4. 데스크탑 환경
[해설작성자 : 농협]

52. 다음 중 KDE와 가장 관계가 깊은 라이브러리로 알맞은 것은?(2023년 03월)
     1. Qt
     2. GTK+
     3. FLTK
     4. Motif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KDE 환경은 QT라이브러리를 사용.
GTK+는 GNOME 환경에서 사용.
[해설작성자 : 풍선검왕자]

Qt - KDE (K Desktop Environment)
GTK+ - GNOME
FLTK : FLTK는 특정 데스크탑 환경과 직접 연결되지 않습니다.
Motif - CDE (Common Desktop Environment)
[해설작성자 : 빠대비]

53. 다음 중 Xlib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8년 12월)
     1. C언어로 구현된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로 X 서버와 통신을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2. 개발자들이 Xlib를 통해 프로그램을 구현하려면 X 서버 및 X 클라이언트와 관련된 프로토콜에 관해 자세히 알아야 한다.
     3. Xlib는 저수준의 인터페이스로 키보드나 마우스에 대한 반응 등 단순한 기능만 가지고 있다.
     4. XCB(X protocol C-language Binding)는 Xlib에 비해 향상된 스레딩 기능을 지원한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xlib : xlibrary - 라이브러리는 자세히 알지 못해도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것
[해설작성자 : 오늘시험]

54. 다음 중 프레젠테이션(Presentation) 프로그램으로 알맞은 것은?(2020년 10월)
     1. LibreOffice Calc
     2. LibreOffice Draw
     3. LibreOffice Writer
     4. LibreOffice Impress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Libre]     [MS]
calc            = Excel
Impress     = Power Point(Presentation)
write         = word
Draw            = visio
Base            = Access
[해설작성자 : 1000Power재키찬]

55. 다음 중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매니저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6년 03월)
     1. XDM
     2. GDM
     3. KDM
     4. Xlib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DM이 붙은것은 Display Manager 의 줄임말이므로 디스플레이 매니저와 전혀 상관이 없는것은 4번 X 라이브러리이다
[해설작성자 : zynth]

56. 데스크톱 환경 중 하나인 GNOM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1월)
     1. GNOME은 GNU N etwork Object M odel Environment의 약자이다.
     2. GTK+(GimpTool Kit +)라이브러리를 기반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3. GNOME은 소스가 공개되어 있지 않으며 상용 프로그램으로서 구매 후 활용이 가능하다.
     4. GNOME은 패널, 표준 데스크톱 툴, 응용프로 그램 등과 서로 협동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57. 다음 중 IPv6의 특징으로 알맞은 것은?(2014년 12월)
     1. 주소 표시 공간이 32비트에서 256비트로 확장 되면서 거의 무한에 가까운 주소 제공한다.
     2. IP주소 확장으로 복잡성 증가의 이유로 호스트 주소 자동 설정을 지원되지 않는다.
     3. 전송효율을 목표로 다양한 정보를 담기 위해 IPv4와 비교하면 헤더 구조가 복잡하다.
     4. 패킷 출처 인증, 데이터 무결성 및 비밀 보장 기능을 IPv6 확장 헤더를 통해 적용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IPv6의 주소표시공간은 128비트.
IPv4에 비해 헤더구조 단순.
[해설작성자 : 이성은]

58. 다음 중 ( 괄호 )안에 들어갈 용어로 알맞은 것은?(2013년 09월)

    

     1. 프로토콜
     2. 패킷
     3. 라우터
     4. 브리지

     정답 : []
     정답률 : 82%

59.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LAN 구성방식으로 알맞은 것은?(2017년 12월)

    

     1. 망(Mesh) 형
     2. 스타(Star) 형
     3. 링(Ring) 형
     4. 버스(Bus) 형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①망 형
- 그물망을 떠올리자(노드추가 엄청어렵다. 중간에 노드 몇개 이상생겨도 문제없다)
②스타 형
- 별모양 떠올리자(중앙에 메인 노드 하나에서 뻗어나간다. 하위 노드 이상 생겨도 문제없다)
③링 형
- 링모양 떠올리자(설명은 위 표에)
④버스 형
- 선 하나에 여러줄 뻗어 나가는 모양(하나의 회선에 각 노드들을 연결해서 수가 많아질 수록 전체 성능이 저하되지만 노드의 추가제거가 쉽고, 각 노드들의 충돌이 없다)
[해설작성자 : 경동대 정보보안학과]

60. 통신 장비 중 브리지는 OSI 참조 모델 중 어느 계층에서 동작하는 장비인가?(2010년 12월)
     1. 세션 계층
     2. 전송 계층
     3. 데이터 링크 계층
     4. 물리 계층

     정답 : []
     정답률 : 57%

61. 다음 중 C 클래스 기준으로 서브넷마스크를 255.255.255.192로 설정했을 때 생성되는 서브네트워크의 개수로 알맞은 것은?(2018년 06월)
     1. 4
     2. 8
     3. 32
     4. 64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255.255.255.192에서 사용가능한 호스트의 개수는 64개(256-192)
여기서 문제는 서브네트워크의 개수를 물어봤기 때문에 총 4개가 되는것!(256/64)
호스트개수랑 네트워크 개수랑 헷갈리지 마세용~
[해설작성자 : 결혼하고싶다]

C클래스는 255.255.255.0~255.255.255.255가 사용가능.

서브넷 마스크가 255.255.255.192라면 /192/쪽만 변경이 가능.

255는 8비트(8자리) 1111 1111 로 구성되어있고

192라는 숫자는 1100 0000 입니다.

서브넷 마스크가 1100 0000 이기때문에 1과0을 나누어 (11 / 00 0000) 부분을 각각 (서브넷 / 호스트주소)로 사용합니다.

서브넷의 숫자는 2자리로 표현가능한 숫자가 2^2 = 4이기 때문에 총 4개의 서브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호스트는 2^6로 64개의 호스트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김대웅]

62. 다음 중 LAN용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규격인 T586B를 제정한 기관으로 알맞은 것은?(2014년 03월)
     1. ISO
     2. IEEE
     3. ANSI
     4. EIA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 ISO :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 나라마다 다른 공업규격을 조정, 통일하고 물자 및 서비스의 국제적 교류를 원활히 하기 위한 국제 기구
○ IEEE :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 미국 표준 협회(ANSI) 에 의하여 미국 국가 표준을 개발하도록 인증받은 전문 기구, 인증조직 형태의 표준개발기구.
○ ANSI :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 미국 표준 협회
○ EIA : Electronic Industries Association
- 미국 전자 공학회의 줄임말
- 전자 기계의 치수, 측정법, 표시법 등의 규격을 통일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
[해설작성자 : HIJUG]

63. 다음에서 설명하는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08년 11월)

    

     1. 라우터
     2. 리피터
     3. 브리지
     4. 게이트웨이

     정답 : []
     정답률 : 70%

64. 다음 중 TCP 및 UDP 프로토콜과 가장 연관이 있는 OSI 계층으로 알맞은 것은?(2013년 06월)
     1. 데이터링크 계층
     2. 네트워크 계층
     3. 전송계층
     4. 세션계층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 데이터링크 계층 : 이더넷, 토큰링, FDDI, ATM 등
2. 네트워크 계층 : IP, ICMP, ARP, RARP, IGMP, BGP, RIP, IPX 등
4. 세션계층 : SSL, TLS, NetBIOS 등
[해설작성자 : 카리스마 김]

65.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프로토콜로 알맞은 것은?(2023년 03월)

    

     1. TCP
     2. ICMP
     3. UDP
     4. HTTP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전송 제어 프로토콜(규약), 연결 지향방식, 패킷 교환방식, 높은 신뢰성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 네트워크 내 장치가 데이터 전송과 관련된 문제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
UDP(User Datagram Prococol) -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규약), 비연결형, 신뢰성 낮음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통신을 위한 규약, text 문서를 주고 받는데 쓰인다.
[해설작성자 : 한큐에 붙었으면 ㅠ]

66. FTP는 2개의 포트 번호를 사용한다. 다음 중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FTP 관련 포트 번호의 조합으로 알맞은 것은?(2015년 12월)
     1. 20번과 21번
     2. 21번과 22번
     3. 21번과 23번
     4. 22번과 23번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20 포트 - FTP 데이터 포트 (파일전송)
21 포트 - FTP 제어 포트 (접속)
22 포트 - SSH
23 포트 - Telnet
[해설작성자 : 연세직업전문학교 떡디션 하이에나 김병우]

67. 다음에서 설명하는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3년 09월)

    

     1. IRC
     2. ssh
     3. sftp
     4. scp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IRC(Internet Relay Chat) 끝의 c가 채팅으로 기억하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내일 시험]

68. 다음 중 접속된 FTP 서버의 연결을 해제하고 셸 프롬프트로 빠져나오는 명령으로 틀린 것은?(2017년 09월)
     1. bye
     2. exit
     3. quit
     4. close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연결해제 명령어는 bye,exit,quit 3개가 맞습니다. 답은 4번입니다.

[추가 해설]

close 는 서버와의 연결 해제까지 진행 X
사용자의 log out 개념
[해설작성자 : NIVIAL]

69. 네트워크 전송상의 충돌이 없고, 노드의 숫자가 늘더라도 전체적인 성능 저하가 적으며, 노드의 추가가 비교적 어렵고 노드에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전체 네트워크가 중단될 수 있는 LAN 구성방식으로 알맞은 것은?(2023년 06월)
     1. 스타형
     2. 링형
     3. 망형
     4. 버스형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링형
각 노드가 좌우의 인접한 노드와 연결 되어 원형을 이룬 형태
네트워크 전송 상 충돌이 없고 노드 숫자가 증가하더라도 망 성능의 저하가 적음
노드 추가 삭제가 용이하지 않음
[해설작성자 : 왜 내일 시험이지]

70.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브라우저 중 노르웨이에서 개발된 브라우저로 윈도즈, 리눅스 등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작동되고 작고 빠르기 때문에 임베디드 시스템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브라우저는?(2012년 03월)
     1. 넷스케이프
     2. 모질라
     3. 오페라
     4. 파이어폭스

     정답 : []
     정답률 : 51%

71. 다음 중 아래와 같이 Kernel IP routing table을 확인할 수 있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2011년 09월)

    

     1. netstat
     2. traceroute
     3. hostname
     4. ifconfig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netstat -rounting Table 상태확인정보명령어
[해설작성자 : 임현성]

72. 다음 중 시스템에 설정된 게이트웨이 주소값을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2015년 12월)
     1. route
     2. ifconfig
     3. mii-tool
     4. ethtool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게이트웨이 주소값 확인 명령어]
1. route : 확인도가능하고 값설정(route add default gw 292.168.0.1)도 할 있습니다.
2. ip route :
3. netstate -rn
4. cat /etc/sysconfig/network

[해설작성자 : speedjung]

73. 다음 중 ftp 명령어와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2014년 09월)
     1. upload : 로컬시스템에 있는 파일을 원격의 서버로 전송한다. send 명령과 동일하다.
     2. move : 접속된 서버의 디렉토리를 이동한다.
     3. get : 원격의 서버에 있는 파일을 로컬시스템으로 가져온다.
     4. open : 파일을 열어서 사용할 때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get : 다운로드
put : 업로드

74. 다음 중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 속한 특정 호스트의 MAC 주소를 조회하려고 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2015년 06월)
     1. ifconfig
     2. arp
     3. mii-tool
     4. netstat

     정답 : []
     정답률 : 57%

75. 다음 중 X 클라이언트를 원격지로 전송하기 위해 변경하는 환경변수로 알맞은 것은?(2023년 12월)
     1. VISUAL
     2. DISPLAY
     3. TERM
     4. XTERM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VISUAL = 사용자의 기본 텍스트 에디터를 나타내는 환경 변수
TERM = 터미널 유형을 나타내는 환경 변수
XTERM =    X 윈도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터미널 에뮬레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환경 변수

76. 다음 중 dig(Domain Information Groper) 명령을 이용하여 DNS로부터 도메인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쿼리 타입과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12월)
     1. all : 지정한 도메인의 모든 정보를 의미
     2. mx : 지정한 도메인의 메일서버 정보를 의미
     3. ns : 네임서버를 의미
     4. soa : SOA 정보를 의미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any:지정한 도메인의 모든 정보를 의미

77. 임베디드 분야 중 최근 모바일 시장에서는 스마트폰이 대세가 되어 시장을 주도하려고 있다.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리눅스 기반의 운영체제가 아닌 것은?(2010년 06월)
     1. bada(Samsung)
     2. LiMo(LiMo Foundation)
     3. android(Google)
     4. iPhone OS(Apple)

     정답 : []
     정답률 : 42%

78. 다음중 서버가상화솔루션에 대한연결이틀린 것은?(2013년 12월)
     1. Microsoft : Windows server 2012 hyper-V
     2. Citrix : Xen Desktop
     3. RedHat : RHEV
     4. VMware : vSphere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Citrix : Xen Hypervisor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9. 다음 그림과 가장 관계가 깊은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2020년 12월)

    

     1. 고성능 계산 능력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의 LVS클러스터
     2.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HA클러스터
     3. 대규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의 HPC클러스터
     4. 유동적인 네트워크 연결 모델을 지원하기 위한 AP클러스터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2. HA Cluster(고가용성 클러스터):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클러스터(금융기업)

*HPC Cluster(고계산용 클러스터): 고성능 계산 능력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의 클러스터(기상청)
*LVS Cluster(부하 분산 클러스터): 대규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의 클러스터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 나그네]

80. 다음 보기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2013년 12월)

    

     1. BSD
     2. GPL
     3. MPL
     4. LGPL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1. BSD Berkley Software Distribution 4.3 캘리포니아 주립 대학 버클리교에서 개발한 것으로, 1986년에 발표되었다.
2. GPL(General Public License)
        공개운영체계인 GNU 프로젝트로부터 제공되는 소프트웨어에 적용되는 라이센스. 사용자들이 소프트웨어를 자유롭게 공유하고 내용을 수정하도록 보증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사람들은 GPL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의 배포판을 만들어 배포할 수 있고, 원한다면 그 배포판을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GPL의 가장 큰 특징은 GPL이 적용된 SW를 이용해 개량된 SW를 개발했을 경우, 개발한 SW의 소스코드 역시 공개해야 한다. 가장 널리(전체 공개SW의 70~80%) 적용되는 공개SW 라이선스로, 공개SW 세계의 헌법이라는 별칭까지 붙어있다. 자유SW재단의 리차드 스톨만이 만들었다


정 답 지

리눅스마스터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446936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리눅스마스터 2급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리눅스 운영 및 관리


1. 다음 중 리눅스의 파일시스템의 파일 개념으로 취급 하는 것이 아닌 것은?(2011년 06월)
     1. 일반파일
     2. 장치파일
     3. 디렉토리
     4. 실행파일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일반 파일(Regualr File)
디렉토리 파일(Directory File)
링크 파일(Link File)
- 심볼릭 링크(Symbolic Link)         # ln -s file1 file2
- 하드 링크(Hard Link)                         # ln file1 file2
장치 파일(Device File)
- 블럭 장치 파일(Block Device File)
- 캐릭터 장치 파일(Character Device File)
[해설작성자 : ㅇㅅ]

2. 리눅스의 일반적인 디렉터리 특성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9년 12월)
     1. /usr : 사용자 홈 저장 디렉터리
     2. /etc : 각종 시스템 설정 파일 저장 디렉터리
     3. /boot : 부트 이미지 저장 디렉터리
     4. /lib : 라이브러리 저장 디렉터리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 /usr : 실행 파일 저장 디렉터리
2. /etc : 각종 시스템 설정 파일 저장 디렉터리
3. /boot : 부트 이미지 저장 디렉터리
4. /lib : 라이브러리 저장 디렉터리

3. 다음 중 장착된 디스크들의 파티션 테이블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2021년 03월)
     1. mount -a
     2. fdisk -l
     3. df -hT
     4. du -h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 mount
[ -a ] : /etc/fstab에 명시된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

2. fdisk
- 옵션 '-l': 현재 디스크의 파티션 테이블 정보를 나타냄

3. df
[ -h ] : 디스크 전체의 사용량을 알기 쉬운 단위로 출력한다.
[ -T ] : 파일 시스템 종류도 출력한다.

4.du
[ -h ] : 파일 및 디렉토리 사용량을 알기 쉬운 단위로 출력한다.
[해설작성자 : 이번주 시험 치기 싫은 사람]

4. 다음 중 스티키 비트(Sticky Bit)에 대한 설정하는 방법으로 알맞은 것은?(2018년 09월)
     1. chmod o+s data/
     2. chmod o+t data/
     3. chmod u+s data/
     4. chmod u+t data/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Set UID = u+s
Set GID = g+s
Sticky bit = o+t
[해설작성자 : 63.75점]

sticky 비트 설정방법 및 활용
- 8진수(1xxx)나 기호(o+t 또는 u+t)를 이용하여 sticky 비트를 설정할 수 있음(sticky 비트 설정 제거 o-t 또는 u-t)
- 리눅스의 경우 o+t, 유닉스(솔라리스)의 경우는 u+t로 설정
- 권한 변경을 위해 chmod 명령어를 이용함
- sticky 비트가 설정되어 있으면 기타 사용자 접근 권한의 실행 권한 자리에 실행 권한이 있으면 소문자 t로 실행권한이 없으면 대문자 T로 표시됨
- /tmp 디렉토리 처럼 공용 디렉토리 접근에 활용
[해설작성자 : 숨겨진오징어]

5. 다음 중 디스크 파티션에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2008년 08월)
     1. mkfs
     2. mkdir
     3. fdisk
     4. format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mkfs : make file system
[해설작성자 : 홍해장]

6. 다음 중 네트워크 상의 시스템 파일들을 공유할 때 사용하는 파일 시스템으로 알맞은 것은?(2016년 06월)
     1. vfat
     2. nfs
     3. msdos
     4. XFS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vfat - FAT-32를 마운트 할 때 지정
nfs - 네트워크 상의 시스템파일들을 공유 할 때
msdos - 이름은 8자, 확장자는 3자까지만 지원
XFS - SGI에서 개발 저널링 파일 시스템
[해설작성자 : 해롱이]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
n f s
이렇게 외우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madeby]

7. 파일시스템 관리 명령으로 가장 올바르지 않은 것은?(2010년 09월)
     1. mkfs
     2. fsck
     3. netstat
     4. cp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netstat : 게이트웨이, 네트워크 연결 상태, 인터페이스 상태, 라우팅 테이블 등을 확인 할 때 사용.
[해설작성자 : 금빛반지 ]

8. 다음 중 /dev/hda2를 ext3 파일 시스템으로 생성하려고 할 때 명령으로 틀린 것은?(2015년 12월)
     1. mkfs –t ext3 /dev/hda2
     2. mke2fs –t ext3 /dev/hda2
     3. mke2fs –j /dev/hda2
     4. fsck –t ext3 /dev/hda2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fsck 명령어는 파일시스템을 체크할때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ggoke]

fsck는 파일 시스템을 검사/복구하는 도구이지, 생성(format) 명령이 아닙니다.

나머지는 왜 맞나?
mkfs -t ext3 /dev/hda2: mkfs 래퍼로 ext3 파일시스템 생성.

mke2fs -t ext3 /dev/hda2: mke2fs에서 타입을 ext3로 지정해 생성.
mke2fs -j /dev/hda2: -j(journal) 옵션으로 저널 추가 → ext3로 생성.

팁: 생성은 mkfs/mke2fs, 검사/수리는 fsck.
[해설작성자 : 박강호]

9. 사용 중인 시스템에 새로운 HDD를 추가 설치하기 위한 순서로 올바른 것은?(2010년 09월)

   

     1. (가)→(나)→(다)
     2. (다)→(가)→(나)
     3. (나)→(다)→(가)
     4. (다)→(나)→(가)

     정답 : []
     정답률 : 72%

10. /tmp 디렉토리에 test란 파일을 생성하려 하였으나, 에러가 발생되며 생성되지 않았다. 다음 중 추가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2014년 06월)

    

     1. df –i
     2. fdisk –l /dev/sda2
     3. eject /dev/sda2
     4. fdisk /dev/sda2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fdisk : 하드디스크 분할
eject : 소프트웨어 제어를 사용하여 이동 저장 매체를 자동으로 열리도록 하는 프로그램
df :현재 사용중인 파일시스템의 전체 용량, 사용한 용량, 사용가능한 용량, 사용률 마운트 정보 등을 보여줌.

보기에 보면 touch : cannot touch '/tmp/test': No space left on device라고 나옴.
즉, 장치에 남아있는 공간이 없다는 의미인데, 파일시스템의 용량을 알기 위해 df명령어를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나]

11.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셸로 알맞은 것은?(2023년 06월)

    

     1. bourne shell
     2. csh
     3. dash
     4. bash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1. bourne shell : 유닉스 운영 체제에서 최초로 개발된 CLI 셸
3. dash : ash(Almquist Shell)에서 파생된 셸로 데비안 및 우분투 시스템의 기본 셸
4. bash : Bourne Again Shell의 약자로 bourne shell의 기능을 확장하는 GNU 프로젝트에 의해 개발된 셸
[해설작성자 : 빠대비]

12. Borne 쉘에서 PATH 변수는 무엇으로 구분되는가?(2012년 06월)
     1. 콜론(:)
     2. 세미콜론(;)
     3. 컴마(,)
     4. 슬래시(/)

     정답 : []
     정답률 : 74%

13. 한 콘솔에서 동시에 여러 프로세스를 수행시키는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2008년 11월)
     1. 현재 수행 중인 foreground 프로세스를 suspend 시키려면 CTRL-z를 누른다.
     2. 명령을 background로 실행하려면 명령줄의 맨 마지막에 % 기호를 붙여 실행한다.
     3. suspend된 프로세스를 foreground로 실행 시키려면 bg 명령을 사용한다.
     4. suspend된 프로세스를 background로 실행 시키려면 fg 명령을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14. 다음 중 데비안 계열 리눅스의 패키지 관리 도구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2년 06월)
     1. dselect
     2. alien
     3. dpkg
     4. dnf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deselect : 데비안계열 패키지 관리 툴 (dpkg or dselect, 레드헷=rpm))
alien : rpm(레드헷) 파일을 deb(데비안) 로 '변환' 혹은 '설치' 혹은 '변환하여 설치'
dpkg : 데비안 패키지 관리 시스템의 기초가 되는 소프트웨어
[해설작성자 : 1트에합격신화]

dnf : Fedora 및 Red Hat 계열
[해설작성자 : 합격 ㄱ]

15. bash 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06월)
     1. 명령행 편집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다.
     2. POSIX와 호환된다.
     3. GNU프로젝트에 의해서 만들어졌다.
     4. Bourne-Again Shell이다.

     정답 : []
     정답률 : 74%

16. 다음 중 가장 최근에 실행한 cat 명령어를 재실행 하기 위한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2014년 03월)
     1. !cat
     2. !!cat
     3. !^cat
     4. $cat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문제를 끝까지 보세요 최근에 실행한과 재실행 !! 최근에 실행 재실행은 !-n이 문구를 보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모세훈]

17. 다음은 히스토리 사용법에 관한 내용이다. 명령문과 관련 설명의 조합으로 알맞은 것은?(2017년 09월)
     1. history : 가장 마지막에 실행한 명령을 재실행한다.
     2. history 5 : 5번째 사용한 명령을 실행한다.
     3. !all : 히스토리에 등록된 모든 명령을 재실행한다.
     4. !5 : 히스토리 목록의 번호중 5번째에 해당하는 명령을 실행한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1. 실행했던 명령어들을 보여준다.
2. 최근실행 했던 5개의 명령어를 보여준다.(descending)
4. 히스토리 넘버 5에 해당하는 명령어를 재실행한다. (ascending)
[해설작성자 : T.T]

!all 은 가장 최근에 'all'로 시작하는 명령문을 실행한다.
[해설작성자 : 수방수방]

18.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21년 03월)

    

     1. [↑]
     2. [↓]
     3. [Tab]
     4. [Ctrl]

     정답 :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자동 완성 기능은 사용자가 명령어를 입력할 때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돕는다. 명령어, 파일 이름, 디렉터리 이름 등을 자동으로 완성한다.

셸에서 명령어의 시작 부분을 입력하고 탭 키를 누르면 해당 입력으로 시작하는 명령어 목록이 제시된다. 만약 유일한 명령어가 있다면 자동으로 완성된다.

파일이나 디렉터리 이름의 일부를 입력하고 탭 키를 누르면 해당 입력으로 시작하는 파일 또는 디렉터리의 이름이 자동 완성된다.

만약 여러 가지 옵션이 가능한 경우 탭 키를 두 번 누르면 가능한 옵션들의 목록이 표시된다.

$를 입력한 후 탭 키를 누르면 사용할 수 있는 환경 변수 목록이 표시된다.

~ 기호로 시작하면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 경로가 자동으로 완성된다.
[해설작성자 : 나로롱]

19. 다음 중 [Ctrl]+[C]를 입력했을 때 발생하는 시그널 이름으로 알맞은 것은?(2019년 09월)
     1. SIGINT
     2. SIGQUIT
     3. SIGSTOP
     4. SIGCONT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2 SIGINT = Ctrl + C
3 SIGQUIT = Ctrl + \
20 SIGTSTP = Ctrl + Z
[해설작성자 : Hackpo]

18 SIGCONT : 정지된 프로세스를 다시 실행시킨다.
[해설작성자 : 빠진 부분 채웁니다.]

20. 프로세스들 간의 상관관계를 계층 구조로 보여주는 명령은 무엇인가?(2010년 06월)
     1. pstree
     2. tree
     3. ps --tree
     4. proctree

     정답 : []
     정답률 : 88%

21. 다음 중 프로세스에 전송되는 시그널명과 시그널 번호를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2021년 09월)
     1. ps
     2. kill
     3. stat
     4. signals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kill : 프로세스를 종료시킨다.
-kill[옵션][시그널번호 또는 시그널이름][PID 또는 %작업번호]
-옵션
    -l : 시그널 종류 나열
    -s 시그널번호 : 전달할 시그널의 종류를 지정
     s 시그널명
    -1 : HUP, 프로세스를 재시작
    -9 : 프로세스를 강제로 종료
[해설작성자 : 공부중입니다]

22. 다음 중 멀티태스킹(Multitasking)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12월)
     1. 백그라운드 프로세스의 작업 상태는 jobs 명령으로 확인할 수 있다.
     2. Foreground 와 Background 프로세스 간 전환이 가능하다.
     3. 작업 중인 프로세스를 대기(suspend)시키는 키 조합은 이다.
     4. jobs 명령 시 –기호가 붙은 작업은 + 기호 작업보다 높은 우선순위의 작업이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멀티태스킹(Multitasking) -다중작업
-> 동시에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을 의미

- 사용자가 실행한 프로세스는 중간에 중지가능
-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를 포그라운드 프로세스로 전환하거나 반대로도 가능


[jobs]
-> 백그라운드로 실행중인 프로세스나 현재 중지된 프로세스의 목록을 출력
(백그라운드에 동작하는 프로세스를 확인)

[사용법] jobs    또는 jobs -l(프로세스 번호를 추가로 출력)

작업목록에서 [+]기호 : 현재 작업중을 의미
                     [-]기호 : 작업 대기중을 의미
[해설작성자 : YeoSY]

23. 다음 중 프로세스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9월)
     1. 특정 프로그램이 메모리에 상주해서 실행되고 있으면 이는 프로세스라 부른다.
     2. 리눅스에서 프로세스는 실행시 PID가 할당되어 관리된다.
     3. 리눅스 부팅시 최초의 프로세스의 PID는 0번이고, 최대 65536 까지 할당 가능하다.
     4. 셸에서 명령을 실행하고 해당 프로세스가 종료될 때까지 기다리는 프로세스를 포어그라운드 프로세스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최초의 PID는 1이다.
[해설작성자 : T.T]

[3번]
프로세스: 1~32768
소켓:         0~65535
[해설작성자 : ㅁㅇㄴㄹ]

24. 터미널 설정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는 명령은 어느 것인가?(2010년 09월)
     1. stty -a
     2. help -k
     3. show -a
     4. set -k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stty : 터미널 환경 설정
터미널 라인 설정을 확인하고 수정하는 명령어이다.
-a 옵션은 없나 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5. 다음 설명과 같이 cron을 설정할 때의 날짜 형식으로 알맞은 것은?(2021년 12월)

    

     1. 10 11 * * 1-3 /etc/check.sh
     2. 11 10 * * 1-3 /etc/check.sh
     3. 10 11 * * 1,3 /etc/check.sh
     4. 11 10 * 1,3 /etc/check.sh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분 시 일 월 요일
[해설작성자 : 3기생 화이팅]

26. 다음 환경변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1년 03월)
     1. 사용자가 사용하는 쉘이 bash로 설정되어 있다면 사용자가 로그인 할 때 bash_profile과 .bashrc가 실행된다.
     2. rc 파일들은 쉘이 실행될 때 실행된다.
     3. rc 파일을 변경시키게 되면 쉘을 다시 실행 시키지 않아도 변경된 내용이 자동으로 적용 된다.
     4. rc 파일은 쉘이 실행될 때마다 적용될 수 있는 특정 쉘에 관계된 변수와 설정 사항을 포함 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reboot 해줘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영민이보다 준호 ^~^]

27. 다음 중 쉘의 환경변수 PATH에 새로운 디렉토리를 추가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2010년 06월)
     1. PATH=&PATH:newpath
     2. &PATH=PATH:newpath
     3. PATH=$PATH:newpath
     4. $PATH=PATH:newpath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PATH에 경로 추가방법
export 변수명=$변수명:변수값
[해설작성자 : 2020. 02. 23_코로나바이러스_살려줘]

28. 다음 중 crontab 명령을 사용하여 스케줄링 작업을 등록할 때 사용하는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2015년 12월)
     1. -e
     2. -c
     3. -s
     4. -r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crontab은 사용자가 주기적인 작업을 등록하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이다.
-l crontab 에 설정된 내용을 출력.
-e crontab 의 내용을 작성(등록),수정
-r crontab 의 내용을 삭제
-u root 사용자가 특정 사용자의 crontab 파일을 다룰 때 사용

문제는 스케줄링 작업을 등록할 때 사용하는 옵션이니 등록 -e 가 답이된다.
[해설작성자 : 기묘]

29. 다음 중 실행 중인 emacs 편집기를 종료하는 키 조합(key stroke)으로 알맞은 것은?(2020년 12월)
     1. [Ctrl]+[x] 다음에 [Ctrl]+[c]
     2. [Ctrl]+[x] 다음에 [Ctrl]+[e]
     3. [Ctrl]+[x] 다음에 [Ctrl]+[s]
     4. [Ctrl]+[x] 다음에 [Ctrl]+[f]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Ctrl]+[x]; [Ctrl]+[c] - emacs를 종료한다. 변경된 내요이 있는 경우에는 'y' 또는 'n'로 선택해야한다.
[Ctrl]+[x]; [Ctrl]+[s] - 편집된 내용을 저장한다.
[Ctrl]+[x]; [Ctrl]+[f] - 새문서 작업을 위해 새로운 파일명을 지정하고 편집한다.
[해설작성자 : 할수있다!]

30. 다음 중 vi 편집기 실행 시 명령 모드에서 입력 모드로 전환할 때 사용하는 키(key)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6월)
     1. w
     2. i
     3. a
     4. o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a,o,i(아오이)
남자분들은 아오이소라를 생각하시고 외우시면 쉽습니다..
[해설작성자 : 시험2시간남음]

31. 다음 중 vi 편집기의 명령모드에서 현재 커서가 위치한 곳의 문자를 삭제하는 입력 키로 알맞은 것은?(2021년 03월)
     1. e
     2. d
     3. x
     4. dd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1. e    : 커서가 위치한 단어의 맨 끝 부분으로 이동합니다. 단, 특수문자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그 다음 문자로 이동
2. d    : 효과 없음
3. x    : 현재 커서가 위치한 곳의 문자를 삭제
4. dd : 현재 커서가 위치한 곳의 라인을 삭제
[해설작성자 : 합격기원1000]

32. vi 편집기로 작업 중인 posein.txt 파일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었다. 다음 중 작업 중이던 파일 내용을 불러오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2015년 12월)
     1. vi -c posein.txt
     2. vi -C posein.txt
     3. vi -r posein.txt
     4. vi -R posein.txt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r = 시스템이 다운된 후에 파일 되살리기, R = 읽기전용으로 불러오기
[해설작성자 : 박명수]

vi -R posein.txt : Read-only 모드(읽기 전용).
vi -c posein.txt : -c는 Ex 명령 실행 옵션(예: vi -c 'set nu' file), 복구와 무관.
vi -C posein.txt : Compatibility(vi 호환) 모드(Vim에서), 복구 아님.

r = recover, R = Read-only, c = command, C = Compatibility.
[해설작성자 : 박강호]

33. 다음 중 pico 편집기에서 커서의 위치를 해당 줄의 끝으로 이동하는 조합으로 알맞은 것은?(2014년 06월)
     1. [Ctrl]+[x]
     2. [Ctrl]+[e]
     3. [Ctrl]+[p]
     4. [Ctrl]+[f]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ctrl+x (F2) : nano 종료
•ctrl+p : 이전 줄로
•ctrl+f : 한 문자 앞으로
[해설작성자 : hye]

34. 다음 선언된 셸 변수를 해제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2022년 09월)
     1. env
     2. set
     3. unset
     4. printenv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set으로 환경변수 등록. printenv로는 시스템에 등록된 환경변수 출력
env로 환경변수 조회 및 등록가능. 변수 해제는 unset, 환경 변수도 가능.
[해설작성자 : 시험 공부중이에여]

35. 압축 유틸리티 gzip의 옵션 중 압축률은 다소 낮더라도 압축에 걸리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2011년 12월)
     1. -1
     2. -9
     3. -r
     4. -c

     정답 : []
     정답률 : 53%

36. vi 에디터에서 입력모드로 사용 중 명령모드로 전환해야 할 경우 사용하는 키로 알맞은 것은?(2008년 08월)
     1. Insert 키
     2. Tab 키
     3. Shift 키
     4. Esc 키

     정답 : []
     정답률 : 79%

37.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8년 03월)

    

     1. -qc
     2. -V
     3. -qv
     4. --check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위에 네모칸을 보면 S와 T가 적혀있고 경로가 적혀있다
S 코드는 파일의 크기를 변경해주고 T 코드는 파일 수정시간을 변경해주는 코드이다.
rpm을 검증해주는 -V가 정답이다.

38. 다음 RPM 명령 중 설치된 패키지를 제거하는 명령은?(2008년 03월)
     1. rpm -e 패키지이름
     2. rpm -i 패키지이름
     3. rpm -q 패키지이름
     4. rpm -V 패키지이름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eraser    지우개로~ 널 삭제할 수 있다면~
[해설작성자 : 김동현]

39. 다음 그림에 해당하는 명령어와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2020년 10월)

    

     1. rpm -q vsftpd
     2. rpm -qi vsftpd
     3. rpm -qd vsftpd
     4. rpm -V vsftpd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리눅스의 FTP로 vsftpd가 있다.
설치 확인 명령어는 yum과 rpm으로 확인 가능
=> rpm [옵션] 패키지명
-i : 새로운 패키지를 설치
-q : 패키지 설치 여부 확인
[해설작성자 : 뚠혀니]

-qa 패키지명 : 설치 확인
-qf 파일경로(절대경로) : 설치된 파일이 어느 패키지에 포함된 것인지 확인
-ql 패키지명 : 특정 패키지에 포함된 파일을 확인
-qi 패키지명 : 설치된 패키지의 상세정보 보기

40. rpm 명령의 옵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0년 12월)
     1. -U : 설치된 패키지 업그레이드
     2. --force : 기존파일에 강제적으로 설치
     3. -d : 설치된 패키지 제거
     4. -i : 새로운 패키지 설치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설치된 제거는 -d가 아니라 -e다

41. 다음은 /project 디텍터리를 포함해서 하위 디렉터리 및 파일의 그룹 소유권을 project로 변경하는 과정이다.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22년 09월)

    

     1. chgrp -r
     2. chgrp -R
     3. chmod -r
     4. chown -r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chgrp => 파일의 사용자 그룹을 변경
chmod => 파일의 퍼미션을 변경하기 위한 명령어
chown => 파일의 소유자나 소유그룹을 변경하기 위한 명령어
----------------------------------------------------------
-c: 변경된 파일만 자세하게 보여준다.
-f: 변경되지 않은 파일에 대해서 오류 메시지를 보여주지 않는다.
-v: 작업상태를 자세히 보여준다.
-R: 경로와 그 하위 파일들을 모두 변경한다.
--help: 도움말을 출력한다.
--version: 버전 정보를 보여준다.
[해설작성자 : 김크림]

42.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도구로 알맞은 것은?(2017년 03월)

    

     1. apt-get
     2. dnf
     3. pip
     4. yast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페도라 22에서부터 적용된건 dnf이다. yum을 사용해도 동작은하지만 dnf를 사용하라고 메시지가 출력된다.
[해설작성자 : 길가던분]

43. 리눅스에서 설정 가능한 프린터 유형 중 윈도우 XP 시스템과 공유하는 경우 가장 알맞은 것은?(2008년 11월)
     1. Local
     2. Samba printer
     3. JetDirect
     4. Unix Printer

     정답 : []
     정답률 : 74%

44. 프린터 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3월)
     1. 프린터 명령을 실행했을 때 대기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2. 프린터에서 사용할 이름과 임시로 저장할 스풀 디렉토리로 사용한다.
     3. 네트워크 프린터의 점유 비율을 조절하기 위해 스풀 디렉토리의 용량을 조절한다.
     4. 프린트 도중 정전 등의 이유로 전원이 꺼질 경우 스풀링되어 있는 파일은 무조건 지워진다.

     정답 : []
     정답률 : 70%

45. 다음 중 리눅스에서 프린터 서버로 사용하기 위해 설치하는 프로그램으로 알맞은 것은?(2023년 03월)
     1. CUPS
     2. SANE
     3. ALSA
     4. OSS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CUPS(CommonUnix Printing System) : 애플이 개발한 오픈소스프린팅 시스템
---
SANE: (스캐너)이미지 관련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API
---
OSS: 리눅스에서 사운드를 만들고 캡쳐하는 인터페이스
ALSA: 사운드카드용 장비드라이버를 제공하기 위한 리눅스 커널요소
[해설작성자 : dinner]

46. 다음 중 이미지를 스캔하는 scanimage 명령어 옵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6월)
     1. --format : 이미지 형식 지정
     2. -d : 장치 파일명 지정
     3. -h : 프로그램 버전 확인
     4. -L : 사용 가능한 장치 목록 표시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h : 도움말 기능
[해설작성자 : 시험전날]

47. present.txt 파일을 프린터로 출력하고자 할 때 명령으로 틀린 것은?(2011년 12월)
     1. lpr -P lp present.txt
     2. cat present.txt | lpr
     3. cat present.txt > /dev/lp0
     4. cat present.txt < /dev/lp0

     정답 : []
     정답률 : 58%

48. 다음에서 설명하는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8년 03월)

    

     1. LPRng
     2. CUPS
     3. SAMBA
     4. USB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CUPS애
플이 개발한 오픈 소스 프린팅 시스템
다양한 운영체제 지원
HTTP기반의 IPP를 사용
SMB 프로토콜도 부분적으로 지원
lpadmin이라는 명령 이용하여 웹상에서도 제어가능
설정 정보는 /etc/cups/printers.conf파일에 저장
[해설작성자 : DD]

49.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7년 09월)

    

     1. X 서버
     2. X 클라이언트
     3. 윈도 매니저
     4. 디스플레이 매니저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디스플레이 매니저: 사용자 로그인 및 세션 관리를 한다.

50. 다음 중 X 윈도우 설정 프로그램인 system-configdisplay에서 설정할 수 없는 것은?(2009년 03월)
     1. 해상도
     2. 색상수
     3. 이중 헤드
     4. 모니터의 수직 주파수

     정답 : []
     정답률 : 49%

51. 다음 중 윈도우 매니저의 종류로 알맞은 것은?(2016년 12월)
     1. KDE
     2. GRUB
     3. Mutter
     4. GNOME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GNOME에 기본 윈도우 매니저가 Mutter 이다.
[해설작성자 : ㅋㅎㅋㅎ]

1. KDE는 Kool Desktop Environment의 약자로, 독일을 중심으로 한 인터내셔널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커뮤니티이다 데스크탑 환경
2. GRUB은 GNU 프로젝트의 부트로더이다
4. 데스크탑 환경
[해설작성자 : 농협]

52. 다음 중 KDE와 가장 관계가 깊은 라이브러리로 알맞은 것은?(2023년 03월)
     1. Qt
     2. GTK+
     3. FLTK
     4. Motif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KDE 환경은 QT라이브러리를 사용.
GTK+는 GNOME 환경에서 사용.
[해설작성자 : 풍선검왕자]

Qt - KDE (K Desktop Environment)
GTK+ - GNOME
FLTK : FLTK는 특정 데스크탑 환경과 직접 연결되지 않습니다.
Motif - CDE (Common Desktop Environment)
[해설작성자 : 빠대비]

53. 다음 중 Xlib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8년 12월)
     1. C언어로 구현된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로 X 서버와 통신을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2. 개발자들이 Xlib를 통해 프로그램을 구현하려면 X 서버 및 X 클라이언트와 관련된 프로토콜에 관해 자세히 알아야 한다.
     3. Xlib는 저수준의 인터페이스로 키보드나 마우스에 대한 반응 등 단순한 기능만 가지고 있다.
     4. XCB(X protocol C-language Binding)는 Xlib에 비해 향상된 스레딩 기능을 지원한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xlib : xlibrary - 라이브러리는 자세히 알지 못해도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것
[해설작성자 : 오늘시험]

54. 다음 중 프레젠테이션(Presentation) 프로그램으로 알맞은 것은?(2020년 10월)
     1. LibreOffice Calc
     2. LibreOffice Draw
     3. LibreOffice Writer
     4. LibreOffice Impress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Libre]     [MS]
calc            = Excel
Impress     = Power Point(Presentation)
write         = word
Draw            = visio
Base            = Access
[해설작성자 : 1000Power재키찬]

55. 다음 중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매니저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6년 03월)
     1. XDM
     2. GDM
     3. KDM
     4. Xlib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DM이 붙은것은 Display Manager 의 줄임말이므로 디스플레이 매니저와 전혀 상관이 없는것은 4번 X 라이브러리이다
[해설작성자 : zynth]

56. 데스크톱 환경 중 하나인 GNOM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1월)
     1. GNOME은 GNU N etwork Object M odel Environment의 약자이다.
     2. GTK+(GimpTool Kit +)라이브러리를 기반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3. GNOME은 소스가 공개되어 있지 않으며 상용 프로그램으로서 구매 후 활용이 가능하다.
     4. GNOME은 패널, 표준 데스크톱 툴, 응용프로 그램 등과 서로 협동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57. 다음 중 IPv6의 특징으로 알맞은 것은?(2014년 12월)
     1. 주소 표시 공간이 32비트에서 256비트로 확장 되면서 거의 무한에 가까운 주소 제공한다.
     2. IP주소 확장으로 복잡성 증가의 이유로 호스트 주소 자동 설정을 지원되지 않는다.
     3. 전송효율을 목표로 다양한 정보를 담기 위해 IPv4와 비교하면 헤더 구조가 복잡하다.
     4. 패킷 출처 인증, 데이터 무결성 및 비밀 보장 기능을 IPv6 확장 헤더를 통해 적용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IPv6의 주소표시공간은 128비트.
IPv4에 비해 헤더구조 단순.
[해설작성자 : 이성은]

58. 다음 중 ( 괄호 )안에 들어갈 용어로 알맞은 것은?(2013년 09월)

    

     1. 프로토콜
     2. 패킷
     3. 라우터
     4. 브리지

     정답 : []
     정답률 : 82%

59.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LAN 구성방식으로 알맞은 것은?(2017년 12월)

    

     1. 망(Mesh) 형
     2. 스타(Star) 형
     3. 링(Ring) 형
     4. 버스(Bus) 형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①망 형
- 그물망을 떠올리자(노드추가 엄청어렵다. 중간에 노드 몇개 이상생겨도 문제없다)
②스타 형
- 별모양 떠올리자(중앙에 메인 노드 하나에서 뻗어나간다. 하위 노드 이상 생겨도 문제없다)
③링 형
- 링모양 떠올리자(설명은 위 표에)
④버스 형
- 선 하나에 여러줄 뻗어 나가는 모양(하나의 회선에 각 노드들을 연결해서 수가 많아질 수록 전체 성능이 저하되지만 노드의 추가제거가 쉽고, 각 노드들의 충돌이 없다)
[해설작성자 : 경동대 정보보안학과]

60. 통신 장비 중 브리지는 OSI 참조 모델 중 어느 계층에서 동작하는 장비인가?(2010년 12월)
     1. 세션 계층
     2. 전송 계층
     3. 데이터 링크 계층
     4. 물리 계층

     정답 : []
     정답률 : 57%

61. 다음 중 C 클래스 기준으로 서브넷마스크를 255.255.255.192로 설정했을 때 생성되는 서브네트워크의 개수로 알맞은 것은?(2018년 06월)
     1. 4
     2. 8
     3. 32
     4. 64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255.255.255.192에서 사용가능한 호스트의 개수는 64개(256-192)
여기서 문제는 서브네트워크의 개수를 물어봤기 때문에 총 4개가 되는것!(256/64)
호스트개수랑 네트워크 개수랑 헷갈리지 마세용~
[해설작성자 : 결혼하고싶다]

C클래스는 255.255.255.0~255.255.255.255가 사용가능.

서브넷 마스크가 255.255.255.192라면 /192/쪽만 변경이 가능.

255는 8비트(8자리) 1111 1111 로 구성되어있고

192라는 숫자는 1100 0000 입니다.

서브넷 마스크가 1100 0000 이기때문에 1과0을 나누어 (11 / 00 0000) 부분을 각각 (서브넷 / 호스트주소)로 사용합니다.

서브넷의 숫자는 2자리로 표현가능한 숫자가 2^2 = 4이기 때문에 총 4개의 서브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호스트는 2^6로 64개의 호스트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김대웅]

62. 다음 중 LAN용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규격인 T586B를 제정한 기관으로 알맞은 것은?(2014년 03월)
     1. ISO
     2. IEEE
     3. ANSI
     4. EIA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 ISO :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 나라마다 다른 공업규격을 조정, 통일하고 물자 및 서비스의 국제적 교류를 원활히 하기 위한 국제 기구
○ IEEE :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 미국 표준 협회(ANSI) 에 의하여 미국 국가 표준을 개발하도록 인증받은 전문 기구, 인증조직 형태의 표준개발기구.
○ ANSI :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 미국 표준 협회
○ EIA : Electronic Industries Association
- 미국 전자 공학회의 줄임말
- 전자 기계의 치수, 측정법, 표시법 등의 규격을 통일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
[해설작성자 : HIJUG]

63. 다음에서 설명하는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08년 11월)

    

     1. 라우터
     2. 리피터
     3. 브리지
     4. 게이트웨이

     정답 : []
     정답률 : 70%

64. 다음 중 TCP 및 UDP 프로토콜과 가장 연관이 있는 OSI 계층으로 알맞은 것은?(2013년 06월)
     1. 데이터링크 계층
     2. 네트워크 계층
     3. 전송계층
     4. 세션계층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 데이터링크 계층 : 이더넷, 토큰링, FDDI, ATM 등
2. 네트워크 계층 : IP, ICMP, ARP, RARP, IGMP, BGP, RIP, IPX 등
4. 세션계층 : SSL, TLS, NetBIOS 등
[해설작성자 : 카리스마 김]

65.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프로토콜로 알맞은 것은?(2023년 03월)

    

     1. TCP
     2. ICMP
     3. UDP
     4. HTTP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전송 제어 프로토콜(규약), 연결 지향방식, 패킷 교환방식, 높은 신뢰성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 네트워크 내 장치가 데이터 전송과 관련된 문제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
UDP(User Datagram Prococol) -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규약), 비연결형, 신뢰성 낮음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통신을 위한 규약, text 문서를 주고 받는데 쓰인다.
[해설작성자 : 한큐에 붙었으면 ㅠ]

66. FTP는 2개의 포트 번호를 사용한다. 다음 중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FTP 관련 포트 번호의 조합으로 알맞은 것은?(2015년 12월)
     1. 20번과 21번
     2. 21번과 22번
     3. 21번과 23번
     4. 22번과 23번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20 포트 - FTP 데이터 포트 (파일전송)
21 포트 - FTP 제어 포트 (접속)
22 포트 - SSH
23 포트 - Telnet
[해설작성자 : 연세직업전문학교 떡디션 하이에나 김병우]

67. 다음에서 설명하는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3년 09월)

    

     1. IRC
     2. ssh
     3. sftp
     4. scp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IRC(Internet Relay Chat) 끝의 c가 채팅으로 기억하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내일 시험]

68. 다음 중 접속된 FTP 서버의 연결을 해제하고 셸 프롬프트로 빠져나오는 명령으로 틀린 것은?(2017년 09월)
     1. bye
     2. exit
     3. quit
     4. close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연결해제 명령어는 bye,exit,quit 3개가 맞습니다. 답은 4번입니다.

[추가 해설]

close 는 서버와의 연결 해제까지 진행 X
사용자의 log out 개념
[해설작성자 : NIVIAL]

69. 네트워크 전송상의 충돌이 없고, 노드의 숫자가 늘더라도 전체적인 성능 저하가 적으며, 노드의 추가가 비교적 어렵고 노드에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전체 네트워크가 중단될 수 있는 LAN 구성방식으로 알맞은 것은?(2023년 06월)
     1. 스타형
     2. 링형
     3. 망형
     4. 버스형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링형
각 노드가 좌우의 인접한 노드와 연결 되어 원형을 이룬 형태
네트워크 전송 상 충돌이 없고 노드 숫자가 증가하더라도 망 성능의 저하가 적음
노드 추가 삭제가 용이하지 않음
[해설작성자 : 왜 내일 시험이지]

70.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브라우저 중 노르웨이에서 개발된 브라우저로 윈도즈, 리눅스 등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작동되고 작고 빠르기 때문에 임베디드 시스템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브라우저는?(2012년 03월)
     1. 넷스케이프
     2. 모질라
     3. 오페라
     4. 파이어폭스

     정답 : []
     정답률 : 51%

71. 다음 중 아래와 같이 Kernel IP routing table을 확인할 수 있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2011년 09월)

    

     1. netstat
     2. traceroute
     3. hostname
     4. ifconfig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netstat -rounting Table 상태확인정보명령어
[해설작성자 : 임현성]

72. 다음 중 시스템에 설정된 게이트웨이 주소값을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2015년 12월)
     1. route
     2. ifconfig
     3. mii-tool
     4. ethtool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게이트웨이 주소값 확인 명령어]
1. route : 확인도가능하고 값설정(route add default gw 292.168.0.1)도 할 있습니다.
2. ip route :
3. netstate -rn
4. cat /etc/sysconfig/network

[해설작성자 : speedjung]

73. 다음 중 ftp 명령어와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2014년 09월)
     1. upload : 로컬시스템에 있는 파일을 원격의 서버로 전송한다. send 명령과 동일하다.
     2. move : 접속된 서버의 디렉토리를 이동한다.
     3. get : 원격의 서버에 있는 파일을 로컬시스템으로 가져온다.
     4. open : 파일을 열어서 사용할 때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get : 다운로드
put : 업로드

74. 다음 중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 속한 특정 호스트의 MAC 주소를 조회하려고 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2015년 06월)
     1. ifconfig
     2. arp
     3. mii-tool
     4. netstat

     정답 : []
     정답률 : 57%

75. 다음 중 X 클라이언트를 원격지로 전송하기 위해 변경하는 환경변수로 알맞은 것은?(2023년 12월)
     1. VISUAL
     2. DISPLAY
     3. TERM
     4. XTERM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VISUAL = 사용자의 기본 텍스트 에디터를 나타내는 환경 변수
TERM = 터미널 유형을 나타내는 환경 변수
XTERM =    X 윈도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터미널 에뮬레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환경 변수

76. 다음 중 dig(Domain Information Groper) 명령을 이용하여 DNS로부터 도메인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쿼리 타입과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12월)
     1. all : 지정한 도메인의 모든 정보를 의미
     2. mx : 지정한 도메인의 메일서버 정보를 의미
     3. ns : 네임서버를 의미
     4. soa : SOA 정보를 의미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any:지정한 도메인의 모든 정보를 의미

77. 임베디드 분야 중 최근 모바일 시장에서는 스마트폰이 대세가 되어 시장을 주도하려고 있다.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리눅스 기반의 운영체제가 아닌 것은?(2010년 06월)
     1. bada(Samsung)
     2. LiMo(LiMo Foundation)
     3. android(Google)
     4. iPhone OS(Apple)

     정답 : []
     정답률 : 42%

78. 다음중 서버가상화솔루션에 대한연결이틀린 것은?(2013년 12월)
     1. Microsoft : Windows server 2012 hyper-V
     2. Citrix : Xen Desktop
     3. RedHat : RHEV
     4. VMware : vSphere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Citrix : Xen Hypervisor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9. 다음 그림과 가장 관계가 깊은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2020년 12월)

    

     1. 고성능 계산 능력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의 LVS클러스터
     2.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HA클러스터
     3. 대규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의 HPC클러스터
     4. 유동적인 네트워크 연결 모델을 지원하기 위한 AP클러스터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2. HA Cluster(고가용성 클러스터):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클러스터(금융기업)

*HPC Cluster(고계산용 클러스터): 고성능 계산 능력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의 클러스터(기상청)
*LVS Cluster(부하 분산 클러스터): 대규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의 클러스터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 나그네]

80. 다음 보기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2013년 12월)

    

     1. BSD
     2. GPL
     3. MPL
     4. LGPL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1. BSD Berkley Software Distribution 4.3 캘리포니아 주립 대학 버클리교에서 개발한 것으로, 1986년에 발표되었다.
2. GPL(General Public License)
        공개운영체계인 GNU 프로젝트로부터 제공되는 소프트웨어에 적용되는 라이센스. 사용자들이 소프트웨어를 자유롭게 공유하고 내용을 수정하도록 보증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사람들은 GPL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의 배포판을 만들어 배포할 수 있고, 원한다면 그 배포판을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GPL의 가장 큰 특징은 GPL이 적용된 SW를 이용해 개량된 SW를 개발했을 경우, 개발한 SW의 소스코드 역시 공개해야 한다. 가장 널리(전체 공개SW의 70~80%) 적용되는 공개SW 라이선스로, 공개SW 세계의 헌법이라는 별칭까지 붙어있다. 자유SW재단의 리차드 스톨만이 만들었다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리눅스마스터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4469368)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리눅스마스터, 2급, 리눅스, 마스터,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 열처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04월07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43 전기공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7738916)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42 9급 지방직 공무원 공업화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6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41 금속재료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5월0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40 9급 국가직 공무원 안전관리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4월09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2
39 농작업안전보건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12월2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2
» 리눅스마스터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4469368)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37 경비지도사 2차(경비업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11월1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36 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1월31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35 공인중개사 2차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10월2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2
34 소방공무원(경력) 생활영어(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4월09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2
33 전자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4월0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32 9급 지방직 공무원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9108478)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31 DIAT 정보통신상식(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1073850)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30 정보통신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9월2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2
29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정보봉사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7505930)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8 축산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9월2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0
27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자동차구조원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6 유기농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3월0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5 수질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8월21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Board Pagination Prev 1 ... 1180 1181 1182 1183 1184 1185 1186 1187 1188 1189 Next
/ 1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