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화훼장식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8992555)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화훼장식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화훼장식재료


1. 화훼재료의 엽서(잎차례)의 연결이 틀린 것은?(2016년 01월)
     1. 윤생엽 - 아스플레니움, 칼라데아, 사스피레
     2. 호생엽 - 둥굴레, 송악, 느티나무
     3. 대생엽 - 소철, 마가목, 주목
     4. 근생엽 - 앵초, 맥문동, 민들레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윤생엽 : 둘려나기 잎
호생엽 : 어긋나기 잎으로 되어있는 경우, 줄기마다 한개씩 붙어있는 잎
대생엽 : 마주나기 잎으로 되어있는 경우, 마디마디 두개씩 붙어있는 잎
근생엽 : 지표 가까운 줄기의 마디에서 지면과 수평으로 잎이 달려 마치 뿌리에서 난 것처럼 보이는 잎
[해설작성자 : 좋아요]

아스플레니움, 칼라데아 : 근생엽
사스레피나무 : 호생엽
[해설작성자 : 미네뜨]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아스플레니움,칼라데아는 윤생엽입니다
[해설작성자 : 밍]

[오류신고 반론]
아스플레니움, 칼라데아는 근생엽이 맞습니다.
근생엽은 뿌리에서 난 잎, 혹은 지표와 가까운 줄기의 마디에서 지면과 수평으로 잎이 달려 뿌리에서 나온 것처럼 보이는 잎을 의미합니다.
아스플레니움 및 칼라데아의 사진을 확인해보면, 마치 뿌리에서 나오는 듯한 잎의 모습을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또한 이는 화훼장식기능사 기출문제집의 해설에서도 동일하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고괌]

2. 다음 중 화훼장식에서 건조용 소재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5년 07월)
     1. 국내에서 가장 많이 이용된 건조소재는 다래덩굴이다.
     2. 건조화는 꽃에만 국한되지 않고 꽃, 잎, 줄기, 뿌리, 나무껍질, 버섯, 이끼 등이 이용되고 있다.
     3. 수분이 적고 꽃잎과 줄기가 딱딱하여 건조 후 변형이 잘되지 않는 절화를 채집한다.
     4. 홍화, 밀, 양귀비는 열매를 이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3. 선인장 품종 중 접목용 대목(臺木)으로 이용되지 않는 것은?(2008년 07월)
     1. 삼각주
     2. 용신목
     3. 비모란
     4. 와룡

     정답 : []
     정답률 : 60%

4. 식재시기의 구분에 따라 추식구근류인 것은?(2008년 03월)
     1. 칸나
     2. 크로커스
     3. 다알리아
     4. 글라디올러스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춘식구근:봄철에 심는것으로 노지 월동 불가능, 고온 장일 조건에서 생육및 개화가 촉진된다
                칸나 다알리아 글라디올러스 아마릴리스 칼라
추식구근: 가을에 심어 노지에서 월동 겨울동안 휴먼이 타파되어 이듬해 봄에 일장이 길어질때 개화한다.
                튤립 나리 수선화 프리지어 크로커스 무스카리 스노우드롭 라넌큘러스
온식구근:내한성이 야하여 온실에서 겨울을 나야하는 종류이다
                히야신스 구근 베고니아 시클라멘 아네모네 글로시니아    
[해설작성자 : 귀염둥둥이]

5. 개발선인장이나 가재발선인장의 원산지(기원지)는?(2008년 07월)
     1. 중남미
     2. 한국
     3. 아프리카
     4. 동남아시아

     정답 : []
     정답률 : 68%

6. 화훼의 원예학적 분류가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2011년 02월)
     1. 1,2년생 초화 - 거베라, 카네이션, 원추리
     2. 다년생 숙근초화 - 석죽, 라넌큘러스, 접시꽃
     3. 화목류 - 쟈스민, 익소라, 부겐빌레아
     4. 관엽식물 - 헤마리아, 카틀레야, 온시디움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화목류 - 쟈스민, 익소라, 부겐빌레아

거베라,카네이션: 온실숙근초 /    원추리:노지숙근초
라넌큘러스: 구근류
헤마리아,카틀레야, 온시디움: 난과식물
[해설작성자 : 미네뜨]

7. 다음 중 식물의 웅성(雄性)기관으로 옳은 것은?(2004년 10월)
     1. 주두
     2. 자방
     3. 화사
     4. 화주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웅성기관 화사와 약(꽃밥)
자성기관 주두(암술머리), 화주(암술대), 자방(씨방)

8. 꽃받침이 꽃잎화 된 것이 아닌 것은?(2016년 07월)
     1. 안스리움
     2. 나리
     3. 극락조화
     4. 수국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안수리움은 포엽이 꽃처럼 보이는 식물이다.
[해설작성자 : 이한주]

9. 꽃 장식용으로 자주 쓰이는 칼라( Calla)와 같은 과(科)에 속하는 식물로 가장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2004년 10월)
     1. 백합, 틈나리
     2. 토란, 알로카시아
     3. 군자란, 아마릴리스
     4. 구근 베고니아, 렉스베고니아

     정답 :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천남성과 : 칼라, 토란, 알라카시아

10. 식충식물이 아닌 것은?(2009년 03월)
     1. 세이지
     2. 사라세니아
     3. 끈끈이주걱
     4. 파리지옥

     정답 : []
     정답률 : 70%

11. 다음 중 난과식물의 일종인 호접란이 속하는 속(屬)은?(2007년 04월)
     1. 심비디움
     2. 덴드로비움
     3. 온시디움
     4. 팔레놉시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팔레놉시스속의 난과 식물은 나비 모양으로 생겼다 하여 우리나라에서는 호접란이라 불리고 있다.

12. 분화로 이용되는 난과(蘭科) 식물이 아닌 것은?(2009년 03월)
     1. 심비디움(Cymbidium cv.)
     2. 온시디움(Oncidium cv.)
     3. 팔레높시스(Phalaenopsis cv.)
     4. 유칼립투스(Eucalyptus spp.)

     정답 : []
     정답률 : 75%

13. 추식구근으로 무피인경에 속하는 식물은?(2006년 01월)
     1. 수선
     2. 아마릴리스
     3. 무스카리
     4. 나리(백합)

     정답 : []
     정답률 : 76%

14. 난에서 줄기가 다육화한 양분저장 기관을 뜻하는 것은?(2009년 07월)
     1. 괴근
     2. 인경
     3. 구근
     4. 위구경

     정답 : []
     정답률 : 47%

15. 난꽃의 특징에서 나타나는 용어가 아닌 것은?(2016년 01월)
     1. 꽃술대(예주)
     2. 순판
     3. 약모
     4. 통상화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통상화 : 합판화의 일종으로 통모양의 꽃을 말함.
[해설작성자 : 신유짱]

16. 실내에 살아 있는 식물을 장식했을 때 실내 환경에 미치는 영향으로 틀린 것은?(2008년 07월)
     1. 광합성 활동으로 산소를 발생시켜 공기를 정화한다.
     2. 잎의 증산작용으로 실내습도는 높인다.
     3. 휘발성 유기물질을 흡수하므로 공기를 정화시킨다.
     4. 양이온을 발생하여 사람의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다.

     정답 : []
     정답률 : 65%

17. 화훼장식의 디자인 기법 중 비슷한 종류나 색상의 재료를 한 곳에 모아주면서 서로의 길이를 다르게 표현하는 것은?(2009년 07월)
     1. 그룹핑
     2. 스태킹
     3. 번들링
     4. 프레밍

     정답 : []
     정답률 : 77%

18. 절화를 물에 꽂을 때 줄기의 절단면은 어떤 상태인 것이 수분흡수가 많고 좋은가?(2016년 01월)
     1. 망치로 찧어 줄기 끝을 뭉갠 것
     2. 수평면으로 자른 것
     3. 사선으로 자른 것
     4. 어떤 상태든 상관없다.

     정답 : []
     정답률 : 94%

19. 화훼장식 디자인 기법중 플로랄 폼을 가려주는 베이싱(basing) 기법이 아닌 것은?(2009년 03월)
     1. 밴딩(banding)
     2. 레이어링(layering)
     3. 필로잉(pillo wing)
     4. 테라싱(terracing)

     정답 : []
     정답률 : 77%

20. 테이블장식에서 고려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2010년 03월)
     1. 진한 향과 색의 꽃을 꽂는다.
     2. 사방에서 감상할 수 있도록 꽂는다.
     3. 장식물이 시야를 가리지 않도록 꽂는다.
     4. 꽃이나 잎이 잘 떨어지는 소재는 피한다.

     정답 : []
     정답률 : 97%

2과목 : 화훼장식 제작 및 유지관리


21. 그 자체만으로는 구성요소로 인식하기에 너무 작은 소재들을 색, 질감, 형태 단위로 모아 빈틈없이 덩어리를 만들어 꽂는 기술을?(2010년 07월)
     1. 바인딩(binding)
     2. 프레이밍(framing)
     3. 클러스터링(clustering)
     4. 그룹핑(grouping)

     정답 : []
     정답률 : 71%

22. 병문안용으로 꽃을 고를 때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2년 02월)
     1. 환자의 기분이 되어 꽃을 선택한다.
     2. 수명이 길고 계절감을 느낄 수 있는 꽃이 좋다.
     3. 꽃가루가 있는 꽃은 피한다.
     4. 향기가 강한 꽃을 선택한다.

     정답 : []
     정답률 : 93%

23. 식물의 분지를 증가시키는데 기여하는 광의 파장 범위는?(2015년 01월)
     1. 400~450㎚
     2. 500~550㎚
     3. 600~650㎚
     4. 700~750㎚

     정답 : []
     정답률 : 52%

24. 다음 디자인의 기법 중 베이싱(basing)기법과 배치 형태가 유사한 것은 아닌 것은?(2016년 01월)
     1. 테러싱(terracing)
     2. 파베(pave)
     3. 필로잉(pillowing)
     4. 섀도잉(shadowing)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베이싱기법 : 작품의 기부와 플로랄폼을 가리기 위한 기법(테라싱, 레이어링, 클러스터링, 스테킹, 팔로잉, 파베등)
테라싱(질감표현) : 작품의 바닥부분에 재료를 계단식으로 꽂아가면서 표현
파베(질감표현) : 꽃과 꽃 사이에 빈 공간이 없이 촘촘이 꽂는 기법. 깊이감을 최소화하면서 평면으로 보여지게 표현
필로잉(질감,색표현) : 베게 모양의 뭉치로 모아 작은 언덕을 이루듯이 낮게 배치시키는 방법
섀도잉(깊이,입체감표현) : 재료들을 높고 낮게 위 아래로 꽂아가면서 입체감을 표현하고 그림자가 보여지게 하는 방법
[해설작성자 : 좋아요]

25. 코사지나 부케를 만들 때 식물 종류별 철사감기 방법으로 틀린 것은?(2007년 07월)
     1. 프리지어 - 트위스팅 메소드
     2. 칼라 - 인서트 메소드
     3. 장미 - 피어스 메소드
     4. 아이비 - 헤어핀 메소드

     정답 : []
     정답률 : 66%

26. 다음 그림의 형태로 작품을 구성할 경우 ①~⑦ 위치의 외곽선을 표현하기로 가장 적합한 소재는?(2012년 07월)

    

     1. 스프레이 카네이션
     2. 스프레이 장미
     3. 리아트리스
     4. 나리

     정답 : []
     정답률 : 70%

27. 소재에 따른 철사 처리법이 가장 적합하게 짝지어진 것은?(2009년 03월)
     1. 거베라 - 인서션(insertion)법
     2. 소국 - 크로싱(crossing)법
     3. 카네이션 - 헤어핀(hairpin)법
     4. 프리지아 - 후크(hook)법

     정답 : []
     정답률 : 80%

28. 일반적으로 절화의 수분 흡수를 저해하는 유관 속 폐쇄 원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1월)
     1. 보존제 처리한 물속 자르기
     2. 절단 후 도관 중에 기포 발생
     3. 절단면에 유액에 의한 절구 굳음 현상
     4. 미생물 증식으로 인한 도관부 폐쇄

     정답 : []
     정답률 : 82%

29. 다음 중 보광시(補光時)작물의 반응이 가장 민감한 생육시기는?(2010년 07월)
     1. 발아기
     2. 본엽이 출현하기 시작하는 생육초기
     3. 생육최성기
     4. 결실기

     정답 : []
     정답률 : 72%

30. 벽면을 장식하기에 부적합한 형태는?(2010년 07월)
     1. 리스(wreath)
     2. 갈란드(garland)
     3. 사방화(四方花)
     4. 콜라주(collage)

     정답 : []
     정답률 : 87%

31. 전통 한국식 꽃꽂이의 특성이 아닌 것은?(2014년 01월)
     1. 자연에서 식물이 자라는 모습을 화기에 재현한 자연적인 구성이다.
     2. 나뭇가지의 선의 아름다움을 강조한다.
     3. 대부분 사방형으로 제작한다.
     4. 자연에서 식물이 자라는 형태는 직립형, 경사형, 하수형으로 나눌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81%

32. 다음과 같은 고려사항이 요구되는 유러피언 스타일(european style)의 디자인은?(2011년 02월)

    

     1. 식생형(Vegetative)
     2. 장식형(Decorative)
     3. 형 - 선형적 구성(Formal - linear)
     4. 병행형(Parallel)

     정답 : []
     정답률 : 84%

33. 다음 형태 중 음성(음화)적 공간이 가장 적게 나타나는 것은?(2012년 02월)
     1. 부채형
     2. 호가드형
     3. 초승달형
     4. L자형

     정답 : []
     정답률 : 65%

34. 화훼장식의 구성형식 중에서 그래픽적 구성의 설명으로 가장 알맞는 것은?(2005년 07월)
     1. 식물소재의 사회적 의미가 돋보이도록 표현하면서 구성한다.
     2. 식물 개개의 생태적 모습이나 특성을 고려하여 구성한다.
     3. 식물소재 본래의 품위, 움직임, 질감 등을 추상적으로 변형시켜서 구성한다.
     4. 대칭과 비대칭의 질서를 유지하면서 형과 선을 명확하게 표현하면서 구성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35. 디자인에서 어떤 부위를 강조하거나 아름답게 보이게 하기 위하여 그 주위를 둘러싸 그 속을 바라보도록 구성하는 방법은?(2013년 07월)
     1. 새도잉
     2. 프레이밍
     3. 시퀸싱
     4. 클러스터링

     정답 : []
     정답률 : 65%

36. 다음 중 주지(主枝) 방향에 의한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06년 07월)
     1. 부화형(浮花型)
     2. 경사형(傾斜型)
     3. 직립형(直立型)
     4. 하수형(下垂型)

     정답 : []
     정답률 : 91%

37. 절화 생리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1월)
     1. 일반적으로 저온에 두면 오랫동안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
     2. 일반적으로 여름에 수확한 절화가 겨울에 수확한 것에 비해 수명이 길다.
     3. 안수리움, 반다 등은 8℃이하의 저온에 두면 저온장해를 받는다.
     4. 온도가 높고 습도가 낮은 상태에서 절화를 보관하면 쉽게 시들어 관상할 수 있는 기간이 매우 짧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76%

38. 절화의 노화원인 중 관련이 가장 먼 것은?(2015년 07월)
     1. C/N율 저하
     2. 수분균형 불량
     3. 에틸렌에 노출
     4. 호흡에 의한 양분소모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c/n율 : 식물체 내의 탄수화물과 질소의 비율. c/n율에 따라 생육과 개화 결실이 지배된다.
c/n율 높음 - 개화촉진
c/n율 낮음 - 영양생장
[해설작성자 : 푸푸리]

39. 서양꽃꽂이에서 직선구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5년 01월)
     1. 부채꼴형
     2. 역T자형
     3. 대각선형
     4. 수직형

     정답 : []
     정답률 : 76%

40. 화훼장식품의 제작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0년 03월)
     1. 번들링(bundling)은 유사한 재료를 다발로 묶어 장식하는 기법이다.
     2. 레이어링(layering)은 포기나 덩어리를 둘 이상 나누어 꽂는 기법이다.
     3. 그룹핑(grouping)은 같은 종류, 색, 질감 등의 소재를 함께 모아 소재가 두드러져 보이도록 하는 기법이다.
     4. 시퀀싱(sequencing)은 크기, 색 등의 요소에 점진적인 변화를 주어 꽂는 기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레이어링은 소재들을 겹겹이 겹쳐 다양하게 연출하는 기법이다.
[해설작성자 : 운기미]

41. 테라싱(terracing)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0년 03월)
     1. 동일한 소재들을 크기에 따라 앞 뒤 수평이 되게 일정 한 간격으로 계단처럼 배치한다.
     2. 특수한 요소를 강조하거나 주의를 끌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하는 기법이다.
     3. 동일한 단위로 알아볼 수 있도록 모아 시각적인 효과를 거두도록 하는 기법이다.
     4. 보석박기, 작은 알돌들을 가능한 빡빡하게 모으는 것처럼 소재를 구성하는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87%

42. 다음 중 디자인 원리로 옳지 않은 것은?(2004년 10월)
     1. 통일
     2. 색채
     3. 균형
     4. 대비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색채는 디자인의 요소에 속한다.

43. 한국의 전통적인 오방색과 방위표시가 잘못 연결된 것은?(2006년 07월)
     1. 청 - 동쪽
     2. 흑 - 북쪽
     3. 황 - 남쪽
     4. 백 - 서쪽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동(청) - 서(백) - 남(적) - 북(흑) - 중앙(황)
[해설작성자 : 연습생]

44. 초등학교 교실에 화분 키우기를 하여 식물의 이름과 생육 모습을 관찰하게 함으로서 아이들에게 얻을 수 있는 교육적 효과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1년 04월)
     1. 식물 생장의 이해
     2. 전자파 차단, 방음 등의 환경개선
     3. 꽃과 식물을 이용한 생활환경 대한 관심
     4. 식물에 대한 식물학적 이해와 애정의 감정적 승화

     정답 : []
     정답률 : 86%

45. 화훼장식에 색채를 응용할 경우 고려할 점으로 틀린 것은?(2011년 07월)
     1. 통일성과 조화미를 갖는 색과 명도를 제공하는 것이 좋다.
     2. 작품의 전체적인 명도가 높을수록 크게 보이고, 낮을수록 작게 보인다.
     3. 꽃색을 안정감 있게 배색하려면 명도가 높은 꽃을 아래쪽에 비치하는 것이 좋다.
     4. 시선의 주의력을 집중적으로 드러나게 할 경우 따뜻한 계통의 색을 이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46. 화훼장식 디자인의 원리와 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01월)
     1. 색(color)은 유일하게 촉각에 호소하는 요소로서 균형, 깊이, 강조, 리듬, 조화와 통일을 이루는데 사용된다.
     2. 균형(balance)은 물리적 균형과 시각적 균형이 모두 존재할 때 안정감을 준다.
     3. 디자인을 완성시키는데 있어서는 시간, 장소, 목적을 존재할 때 안정감을 준다.
     4. 디자인의 압도적인 느낌을 주도하며 흥미를 유발하는 시각적 활동의 중심을 초점이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색은 촉각이아니라 시각에 호소하는 요소이다
[해설작성자 : kim]

47. 화훼장식 디자인 요소인 공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07월)
     1. 화훼장식물을 중심으로 볼 때 공간은 물리적인 공간과 화훼장식물의 공간으로 나뉠 수 있다.
     2. 화훼장식 작품 안에서 공간은 양성적 공간과 음성적 공간으로 나뉠 수 있다.
     3. 음성적 공간은 양성적 공간에 비하여 디자이너가 의도적으로 계획한 적극적 공간이다.
     4. 양성적 공간은 재료가 꽉 채워진 공간이다.

     정답 : []
     정답률 : 74%

48. 화훼장식의 디자인 원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게 짝지어진 것은?(2009년 07월)
     1. 구성-일치감, 동일성과 관련된 구성 요소들을 배합하여 나타내는 미적본질
     2. 조화-물리적, 시각적 안정감을 주는 배치에 의해 이루어지는 원리
     3. 균형-소재들 간의 상대적인 크기의 관계
     4. 강조-부분적이고 소극적으로 특정 부분을 강하게 표현

     정답 : []
     정답률 : 47%

49. 다음 중 색의 3속성으로만 나열된 것은?(2013년 01월)
     1. 빨강, 파랑, 초록
     2. 빨강, 노랑, 초록
     3. 색상, 명도, 채도
     4. 색상, 명도, 순도

     정답 : []
     정답률 : 76%

50. 다음과 같은 고려사항이 요구되는 화훼장식의 조형 형태는?(2012년 04월)

    

     1. 식생적 구성
     2. 장식적 구성
     3. 형-선적 구성
     4. 병행적 구성

     정답 : []
     정답률 : 71%

51. 일상적으로 꽃과 식물이 애호되고 전문도서와 화훼장식 기술학교가 설립되는 등 서양의 화훼장식이 체계화되기 시작한 시대는?(2013년 04월)
     1. 르네상스 시대
     2. 바로크 시대
     3. 로코코 시대
     4. 빅토리아 시대

     정답 : []
     정답률 : 72%

52. 다음 중 화훼장식의 역할 중 공기 중 습도와 기온의 조절, 공기정화 능력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2005년 04월)
     1. 치료효과
     2. 정서함양
     3. 환경조절
     4. 공간장식

     정답 : []
     정답률 : 91%

53. 화훼장식 구성내의 시각적인 평형감과 평정의 느낌을 주는 것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2012년 02월)
     1. 강조
     2. 균형
     3. 비례
     4. 리듬

     정답 : []
     정답률 : 87%

54. 화훼장식의 속성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0년 07월)
     1. 예술성
     2. 철학성
     3. 실용성
     4. 모방성

     정답 : []
     정답률 : 73%

55. 화훼장식 기능 중 회사원들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일의 효율성과 창의성을 높여주는데 효과적인 역할을 하는 기능은?(2013년 04월)
     1. 장식적 기능
     2. 심리적 기능
     3. 환경적 기능
     4. 교육적 기능

     정답 : []
     정답률 : 88%

56. 보색 대비가 아닌 것은?(2013년 07월)
     1. 빨강(R) - 청록(BG)
     2. 노랑(Y) - 남색(PB)
     3. 파랑(B) - 주황(YR)
     4. 녹색(G) - 보라(P)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녹색의 보색은 자주색이다.
[해설작성자 : 운기미]

57. 원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1년 04월)
     1. 그 색을 다른 색으로 더 이상 분해 할 수 없다.
     2. 어떠한 다른 색들의 혼합에 의하여 만들 수 없다.
     3. 스펙트럼의 3원색을 전부 혼합하면 흑색이 된다.
     4. 모든 색광의 근원이 되는 색이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색광혼합의 3원색을 혼합하면 백색광이 된다.
스팩트럼= 빛을 파장에 따라 배열한것
[해설작성자 : 미네뜨]

58. 두가지 이상의 디자인 요소가 서로 분리하거나 배척하지 않고 각 요소가 통합된 감각적 효과를 발휘 할 때 일어나는 미적원리는?(2009년 07월)
     1. 비례
     2. 균형
     3. 조화
     4. 대비

     정답 : []
     정답률 : 83%

59. 이색 3조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2년 02월)
     1. 12개의 색상환에서 1색상씩 건너뛰어 3색이 함께 조화될 수 있게 한다.
     2. 색상환이 마주보는 반대쪽에 대립하는 색이다.
     3. 색상환에서 120° 의 위치에 있는 색과 함께 조화를 이루는 것이다.
     4. 유사색 조하보다 좀 더 약한 색채 조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4%

60. 병치혼합의 특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0년 07월)
     1. 회전혼합과 같은 평균혼합이므로 명도와 채도가 평균값으로 지각된다.
     2. 병치혼합의 원리를 이용한 효과를 베졸드(Willheln von Bzold)효과라고 한다.
     3. 색료 자체의 혼합이 아니기 때문에 가법혼색에 속한다.
     4. 채도가 떨어진 상태에서 중간색을 얻을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0%


정 답 지

화훼장식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8992555)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화훼장식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화훼장식재료


1. 화훼재료의 엽서(잎차례)의 연결이 틀린 것은?(2016년 01월)
     1. 윤생엽 - 아스플레니움, 칼라데아, 사스피레
     2. 호생엽 - 둥굴레, 송악, 느티나무
     3. 대생엽 - 소철, 마가목, 주목
     4. 근생엽 - 앵초, 맥문동, 민들레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윤생엽 : 둘려나기 잎
호생엽 : 어긋나기 잎으로 되어있는 경우, 줄기마다 한개씩 붙어있는 잎
대생엽 : 마주나기 잎으로 되어있는 경우, 마디마디 두개씩 붙어있는 잎
근생엽 : 지표 가까운 줄기의 마디에서 지면과 수평으로 잎이 달려 마치 뿌리에서 난 것처럼 보이는 잎
[해설작성자 : 좋아요]

아스플레니움, 칼라데아 : 근생엽
사스레피나무 : 호생엽
[해설작성자 : 미네뜨]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아스플레니움,칼라데아는 윤생엽입니다
[해설작성자 : 밍]

[오류신고 반론]
아스플레니움, 칼라데아는 근생엽이 맞습니다.
근생엽은 뿌리에서 난 잎, 혹은 지표와 가까운 줄기의 마디에서 지면과 수평으로 잎이 달려 뿌리에서 나온 것처럼 보이는 잎을 의미합니다.
아스플레니움 및 칼라데아의 사진을 확인해보면, 마치 뿌리에서 나오는 듯한 잎의 모습을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또한 이는 화훼장식기능사 기출문제집의 해설에서도 동일하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고괌]

2. 다음 중 화훼장식에서 건조용 소재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5년 07월)
     1. 국내에서 가장 많이 이용된 건조소재는 다래덩굴이다.
     2. 건조화는 꽃에만 국한되지 않고 꽃, 잎, 줄기, 뿌리, 나무껍질, 버섯, 이끼 등이 이용되고 있다.
     3. 수분이 적고 꽃잎과 줄기가 딱딱하여 건조 후 변형이 잘되지 않는 절화를 채집한다.
     4. 홍화, 밀, 양귀비는 열매를 이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3. 선인장 품종 중 접목용 대목(臺木)으로 이용되지 않는 것은?(2008년 07월)
     1. 삼각주
     2. 용신목
     3. 비모란
     4. 와룡

     정답 : []
     정답률 : 60%

4. 식재시기의 구분에 따라 추식구근류인 것은?(2008년 03월)
     1. 칸나
     2. 크로커스
     3. 다알리아
     4. 글라디올러스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춘식구근:봄철에 심는것으로 노지 월동 불가능, 고온 장일 조건에서 생육및 개화가 촉진된다
                칸나 다알리아 글라디올러스 아마릴리스 칼라
추식구근: 가을에 심어 노지에서 월동 겨울동안 휴먼이 타파되어 이듬해 봄에 일장이 길어질때 개화한다.
                튤립 나리 수선화 프리지어 크로커스 무스카리 스노우드롭 라넌큘러스
온식구근:내한성이 야하여 온실에서 겨울을 나야하는 종류이다
                히야신스 구근 베고니아 시클라멘 아네모네 글로시니아    
[해설작성자 : 귀염둥둥이]

5. 개발선인장이나 가재발선인장의 원산지(기원지)는?(2008년 07월)
     1. 중남미
     2. 한국
     3. 아프리카
     4. 동남아시아

     정답 : []
     정답률 : 68%

6. 화훼의 원예학적 분류가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2011년 02월)
     1. 1,2년생 초화 - 거베라, 카네이션, 원추리
     2. 다년생 숙근초화 - 석죽, 라넌큘러스, 접시꽃
     3. 화목류 - 쟈스민, 익소라, 부겐빌레아
     4. 관엽식물 - 헤마리아, 카틀레야, 온시디움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화목류 - 쟈스민, 익소라, 부겐빌레아

거베라,카네이션: 온실숙근초 /    원추리:노지숙근초
라넌큘러스: 구근류
헤마리아,카틀레야, 온시디움: 난과식물
[해설작성자 : 미네뜨]

7. 다음 중 식물의 웅성(雄性)기관으로 옳은 것은?(2004년 10월)
     1. 주두
     2. 자방
     3. 화사
     4. 화주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웅성기관 화사와 약(꽃밥)
자성기관 주두(암술머리), 화주(암술대), 자방(씨방)

8. 꽃받침이 꽃잎화 된 것이 아닌 것은?(2016년 07월)
     1. 안스리움
     2. 나리
     3. 극락조화
     4. 수국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안수리움은 포엽이 꽃처럼 보이는 식물이다.
[해설작성자 : 이한주]

9. 꽃 장식용으로 자주 쓰이는 칼라( Calla)와 같은 과(科)에 속하는 식물로 가장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2004년 10월)
     1. 백합, 틈나리
     2. 토란, 알로카시아
     3. 군자란, 아마릴리스
     4. 구근 베고니아, 렉스베고니아

     정답 :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천남성과 : 칼라, 토란, 알라카시아

10. 식충식물이 아닌 것은?(2009년 03월)
     1. 세이지
     2. 사라세니아
     3. 끈끈이주걱
     4. 파리지옥

     정답 : []
     정답률 : 70%

11. 다음 중 난과식물의 일종인 호접란이 속하는 속(屬)은?(2007년 04월)
     1. 심비디움
     2. 덴드로비움
     3. 온시디움
     4. 팔레놉시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팔레놉시스속의 난과 식물은 나비 모양으로 생겼다 하여 우리나라에서는 호접란이라 불리고 있다.

12. 분화로 이용되는 난과(蘭科) 식물이 아닌 것은?(2009년 03월)
     1. 심비디움(Cymbidium cv.)
     2. 온시디움(Oncidium cv.)
     3. 팔레높시스(Phalaenopsis cv.)
     4. 유칼립투스(Eucalyptus spp.)

     정답 : []
     정답률 : 75%

13. 추식구근으로 무피인경에 속하는 식물은?(2006년 01월)
     1. 수선
     2. 아마릴리스
     3. 무스카리
     4. 나리(백합)

     정답 : []
     정답률 : 76%

14. 난에서 줄기가 다육화한 양분저장 기관을 뜻하는 것은?(2009년 07월)
     1. 괴근
     2. 인경
     3. 구근
     4. 위구경

     정답 : []
     정답률 : 47%

15. 난꽃의 특징에서 나타나는 용어가 아닌 것은?(2016년 01월)
     1. 꽃술대(예주)
     2. 순판
     3. 약모
     4. 통상화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통상화 : 합판화의 일종으로 통모양의 꽃을 말함.
[해설작성자 : 신유짱]

16. 실내에 살아 있는 식물을 장식했을 때 실내 환경에 미치는 영향으로 틀린 것은?(2008년 07월)
     1. 광합성 활동으로 산소를 발생시켜 공기를 정화한다.
     2. 잎의 증산작용으로 실내습도는 높인다.
     3. 휘발성 유기물질을 흡수하므로 공기를 정화시킨다.
     4. 양이온을 발생하여 사람의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다.

     정답 : []
     정답률 : 65%

17. 화훼장식의 디자인 기법 중 비슷한 종류나 색상의 재료를 한 곳에 모아주면서 서로의 길이를 다르게 표현하는 것은?(2009년 07월)
     1. 그룹핑
     2. 스태킹
     3. 번들링
     4. 프레밍

     정답 : []
     정답률 : 77%

18. 절화를 물에 꽂을 때 줄기의 절단면은 어떤 상태인 것이 수분흡수가 많고 좋은가?(2016년 01월)
     1. 망치로 찧어 줄기 끝을 뭉갠 것
     2. 수평면으로 자른 것
     3. 사선으로 자른 것
     4. 어떤 상태든 상관없다.

     정답 : []
     정답률 : 94%

19. 화훼장식 디자인 기법중 플로랄 폼을 가려주는 베이싱(basing) 기법이 아닌 것은?(2009년 03월)
     1. 밴딩(banding)
     2. 레이어링(layering)
     3. 필로잉(pillo wing)
     4. 테라싱(terracing)

     정답 : []
     정답률 : 77%

20. 테이블장식에서 고려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2010년 03월)
     1. 진한 향과 색의 꽃을 꽂는다.
     2. 사방에서 감상할 수 있도록 꽂는다.
     3. 장식물이 시야를 가리지 않도록 꽂는다.
     4. 꽃이나 잎이 잘 떨어지는 소재는 피한다.

     정답 : []
     정답률 : 97%

2과목 : 화훼장식 제작 및 유지관리


21. 그 자체만으로는 구성요소로 인식하기에 너무 작은 소재들을 색, 질감, 형태 단위로 모아 빈틈없이 덩어리를 만들어 꽂는 기술을?(2010년 07월)
     1. 바인딩(binding)
     2. 프레이밍(framing)
     3. 클러스터링(clustering)
     4. 그룹핑(grouping)

     정답 : []
     정답률 : 71%

22. 병문안용으로 꽃을 고를 때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2년 02월)
     1. 환자의 기분이 되어 꽃을 선택한다.
     2. 수명이 길고 계절감을 느낄 수 있는 꽃이 좋다.
     3. 꽃가루가 있는 꽃은 피한다.
     4. 향기가 강한 꽃을 선택한다.

     정답 : []
     정답률 : 93%

23. 식물의 분지를 증가시키는데 기여하는 광의 파장 범위는?(2015년 01월)
     1. 400~450㎚
     2. 500~550㎚
     3. 600~650㎚
     4. 700~750㎚

     정답 : []
     정답률 : 52%

24. 다음 디자인의 기법 중 베이싱(basing)기법과 배치 형태가 유사한 것은 아닌 것은?(2016년 01월)
     1. 테러싱(terracing)
     2. 파베(pave)
     3. 필로잉(pillowing)
     4. 섀도잉(shadowing)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베이싱기법 : 작품의 기부와 플로랄폼을 가리기 위한 기법(테라싱, 레이어링, 클러스터링, 스테킹, 팔로잉, 파베등)
테라싱(질감표현) : 작품의 바닥부분에 재료를 계단식으로 꽂아가면서 표현
파베(질감표현) : 꽃과 꽃 사이에 빈 공간이 없이 촘촘이 꽂는 기법. 깊이감을 최소화하면서 평면으로 보여지게 표현
필로잉(질감,색표현) : 베게 모양의 뭉치로 모아 작은 언덕을 이루듯이 낮게 배치시키는 방법
섀도잉(깊이,입체감표현) : 재료들을 높고 낮게 위 아래로 꽂아가면서 입체감을 표현하고 그림자가 보여지게 하는 방법
[해설작성자 : 좋아요]

25. 코사지나 부케를 만들 때 식물 종류별 철사감기 방법으로 틀린 것은?(2007년 07월)
     1. 프리지어 - 트위스팅 메소드
     2. 칼라 - 인서트 메소드
     3. 장미 - 피어스 메소드
     4. 아이비 - 헤어핀 메소드

     정답 : []
     정답률 : 66%

26. 다음 그림의 형태로 작품을 구성할 경우 ①~⑦ 위치의 외곽선을 표현하기로 가장 적합한 소재는?(2012년 07월)

    

     1. 스프레이 카네이션
     2. 스프레이 장미
     3. 리아트리스
     4. 나리

     정답 : []
     정답률 : 70%

27. 소재에 따른 철사 처리법이 가장 적합하게 짝지어진 것은?(2009년 03월)
     1. 거베라 - 인서션(insertion)법
     2. 소국 - 크로싱(crossing)법
     3. 카네이션 - 헤어핀(hairpin)법
     4. 프리지아 - 후크(hook)법

     정답 : []
     정답률 : 80%

28. 일반적으로 절화의 수분 흡수를 저해하는 유관 속 폐쇄 원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1월)
     1. 보존제 처리한 물속 자르기
     2. 절단 후 도관 중에 기포 발생
     3. 절단면에 유액에 의한 절구 굳음 현상
     4. 미생물 증식으로 인한 도관부 폐쇄

     정답 : []
     정답률 : 82%

29. 다음 중 보광시(補光時)작물의 반응이 가장 민감한 생육시기는?(2010년 07월)
     1. 발아기
     2. 본엽이 출현하기 시작하는 생육초기
     3. 생육최성기
     4. 결실기

     정답 : []
     정답률 : 72%

30. 벽면을 장식하기에 부적합한 형태는?(2010년 07월)
     1. 리스(wreath)
     2. 갈란드(garland)
     3. 사방화(四方花)
     4. 콜라주(collage)

     정답 : []
     정답률 : 87%

31. 전통 한국식 꽃꽂이의 특성이 아닌 것은?(2014년 01월)
     1. 자연에서 식물이 자라는 모습을 화기에 재현한 자연적인 구성이다.
     2. 나뭇가지의 선의 아름다움을 강조한다.
     3. 대부분 사방형으로 제작한다.
     4. 자연에서 식물이 자라는 형태는 직립형, 경사형, 하수형으로 나눌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81%

32. 다음과 같은 고려사항이 요구되는 유러피언 스타일(european style)의 디자인은?(2011년 02월)

    

     1. 식생형(Vegetative)
     2. 장식형(Decorative)
     3. 형 - 선형적 구성(Formal - linear)
     4. 병행형(Parallel)

     정답 : []
     정답률 : 84%

33. 다음 형태 중 음성(음화)적 공간이 가장 적게 나타나는 것은?(2012년 02월)
     1. 부채형
     2. 호가드형
     3. 초승달형
     4. L자형

     정답 : []
     정답률 : 65%

34. 화훼장식의 구성형식 중에서 그래픽적 구성의 설명으로 가장 알맞는 것은?(2005년 07월)
     1. 식물소재의 사회적 의미가 돋보이도록 표현하면서 구성한다.
     2. 식물 개개의 생태적 모습이나 특성을 고려하여 구성한다.
     3. 식물소재 본래의 품위, 움직임, 질감 등을 추상적으로 변형시켜서 구성한다.
     4. 대칭과 비대칭의 질서를 유지하면서 형과 선을 명확하게 표현하면서 구성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35. 디자인에서 어떤 부위를 강조하거나 아름답게 보이게 하기 위하여 그 주위를 둘러싸 그 속을 바라보도록 구성하는 방법은?(2013년 07월)
     1. 새도잉
     2. 프레이밍
     3. 시퀸싱
     4. 클러스터링

     정답 : []
     정답률 : 65%

36. 다음 중 주지(主枝) 방향에 의한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06년 07월)
     1. 부화형(浮花型)
     2. 경사형(傾斜型)
     3. 직립형(直立型)
     4. 하수형(下垂型)

     정답 : []
     정답률 : 91%

37. 절화 생리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1월)
     1. 일반적으로 저온에 두면 오랫동안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
     2. 일반적으로 여름에 수확한 절화가 겨울에 수확한 것에 비해 수명이 길다.
     3. 안수리움, 반다 등은 8℃이하의 저온에 두면 저온장해를 받는다.
     4. 온도가 높고 습도가 낮은 상태에서 절화를 보관하면 쉽게 시들어 관상할 수 있는 기간이 매우 짧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76%

38. 절화의 노화원인 중 관련이 가장 먼 것은?(2015년 07월)
     1. C/N율 저하
     2. 수분균형 불량
     3. 에틸렌에 노출
     4. 호흡에 의한 양분소모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c/n율 : 식물체 내의 탄수화물과 질소의 비율. c/n율에 따라 생육과 개화 결실이 지배된다.
c/n율 높음 - 개화촉진
c/n율 낮음 - 영양생장
[해설작성자 : 푸푸리]

39. 서양꽃꽂이에서 직선구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5년 01월)
     1. 부채꼴형
     2. 역T자형
     3. 대각선형
     4. 수직형

     정답 : []
     정답률 : 76%

40. 화훼장식품의 제작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0년 03월)
     1. 번들링(bundling)은 유사한 재료를 다발로 묶어 장식하는 기법이다.
     2. 레이어링(layering)은 포기나 덩어리를 둘 이상 나누어 꽂는 기법이다.
     3. 그룹핑(grouping)은 같은 종류, 색, 질감 등의 소재를 함께 모아 소재가 두드러져 보이도록 하는 기법이다.
     4. 시퀀싱(sequencing)은 크기, 색 등의 요소에 점진적인 변화를 주어 꽂는 기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레이어링은 소재들을 겹겹이 겹쳐 다양하게 연출하는 기법이다.
[해설작성자 : 운기미]

41. 테라싱(terracing)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0년 03월)
     1. 동일한 소재들을 크기에 따라 앞 뒤 수평이 되게 일정 한 간격으로 계단처럼 배치한다.
     2. 특수한 요소를 강조하거나 주의를 끌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하는 기법이다.
     3. 동일한 단위로 알아볼 수 있도록 모아 시각적인 효과를 거두도록 하는 기법이다.
     4. 보석박기, 작은 알돌들을 가능한 빡빡하게 모으는 것처럼 소재를 구성하는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87%

42. 다음 중 디자인 원리로 옳지 않은 것은?(2004년 10월)
     1. 통일
     2. 색채
     3. 균형
     4. 대비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색채는 디자인의 요소에 속한다.

43. 한국의 전통적인 오방색과 방위표시가 잘못 연결된 것은?(2006년 07월)
     1. 청 - 동쪽
     2. 흑 - 북쪽
     3. 황 - 남쪽
     4. 백 - 서쪽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동(청) - 서(백) - 남(적) - 북(흑) - 중앙(황)
[해설작성자 : 연습생]

44. 초등학교 교실에 화분 키우기를 하여 식물의 이름과 생육 모습을 관찰하게 함으로서 아이들에게 얻을 수 있는 교육적 효과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1년 04월)
     1. 식물 생장의 이해
     2. 전자파 차단, 방음 등의 환경개선
     3. 꽃과 식물을 이용한 생활환경 대한 관심
     4. 식물에 대한 식물학적 이해와 애정의 감정적 승화

     정답 : []
     정답률 : 86%

45. 화훼장식에 색채를 응용할 경우 고려할 점으로 틀린 것은?(2011년 07월)
     1. 통일성과 조화미를 갖는 색과 명도를 제공하는 것이 좋다.
     2. 작품의 전체적인 명도가 높을수록 크게 보이고, 낮을수록 작게 보인다.
     3. 꽃색을 안정감 있게 배색하려면 명도가 높은 꽃을 아래쪽에 비치하는 것이 좋다.
     4. 시선의 주의력을 집중적으로 드러나게 할 경우 따뜻한 계통의 색을 이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46. 화훼장식 디자인의 원리와 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01월)
     1. 색(color)은 유일하게 촉각에 호소하는 요소로서 균형, 깊이, 강조, 리듬, 조화와 통일을 이루는데 사용된다.
     2. 균형(balance)은 물리적 균형과 시각적 균형이 모두 존재할 때 안정감을 준다.
     3. 디자인을 완성시키는데 있어서는 시간, 장소, 목적을 존재할 때 안정감을 준다.
     4. 디자인의 압도적인 느낌을 주도하며 흥미를 유발하는 시각적 활동의 중심을 초점이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색은 촉각이아니라 시각에 호소하는 요소이다
[해설작성자 : kim]

47. 화훼장식 디자인 요소인 공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07월)
     1. 화훼장식물을 중심으로 볼 때 공간은 물리적인 공간과 화훼장식물의 공간으로 나뉠 수 있다.
     2. 화훼장식 작품 안에서 공간은 양성적 공간과 음성적 공간으로 나뉠 수 있다.
     3. 음성적 공간은 양성적 공간에 비하여 디자이너가 의도적으로 계획한 적극적 공간이다.
     4. 양성적 공간은 재료가 꽉 채워진 공간이다.

     정답 : []
     정답률 : 74%

48. 화훼장식의 디자인 원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게 짝지어진 것은?(2009년 07월)
     1. 구성-일치감, 동일성과 관련된 구성 요소들을 배합하여 나타내는 미적본질
     2. 조화-물리적, 시각적 안정감을 주는 배치에 의해 이루어지는 원리
     3. 균형-소재들 간의 상대적인 크기의 관계
     4. 강조-부분적이고 소극적으로 특정 부분을 강하게 표현

     정답 : []
     정답률 : 47%

49. 다음 중 색의 3속성으로만 나열된 것은?(2013년 01월)
     1. 빨강, 파랑, 초록
     2. 빨강, 노랑, 초록
     3. 색상, 명도, 채도
     4. 색상, 명도, 순도

     정답 : []
     정답률 : 76%

50. 다음과 같은 고려사항이 요구되는 화훼장식의 조형 형태는?(2012년 04월)

    

     1. 식생적 구성
     2. 장식적 구성
     3. 형-선적 구성
     4. 병행적 구성

     정답 : []
     정답률 : 71%

51. 일상적으로 꽃과 식물이 애호되고 전문도서와 화훼장식 기술학교가 설립되는 등 서양의 화훼장식이 체계화되기 시작한 시대는?(2013년 04월)
     1. 르네상스 시대
     2. 바로크 시대
     3. 로코코 시대
     4. 빅토리아 시대

     정답 : []
     정답률 : 72%

52. 다음 중 화훼장식의 역할 중 공기 중 습도와 기온의 조절, 공기정화 능력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2005년 04월)
     1. 치료효과
     2. 정서함양
     3. 환경조절
     4. 공간장식

     정답 : []
     정답률 : 91%

53. 화훼장식 구성내의 시각적인 평형감과 평정의 느낌을 주는 것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2012년 02월)
     1. 강조
     2. 균형
     3. 비례
     4. 리듬

     정답 : []
     정답률 : 87%

54. 화훼장식의 속성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0년 07월)
     1. 예술성
     2. 철학성
     3. 실용성
     4. 모방성

     정답 : []
     정답률 : 73%

55. 화훼장식 기능 중 회사원들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일의 효율성과 창의성을 높여주는데 효과적인 역할을 하는 기능은?(2013년 04월)
     1. 장식적 기능
     2. 심리적 기능
     3. 환경적 기능
     4. 교육적 기능

     정답 : []
     정답률 : 88%

56. 보색 대비가 아닌 것은?(2013년 07월)
     1. 빨강(R) - 청록(BG)
     2. 노랑(Y) - 남색(PB)
     3. 파랑(B) - 주황(YR)
     4. 녹색(G) - 보라(P)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녹색의 보색은 자주색이다.
[해설작성자 : 운기미]

57. 원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1년 04월)
     1. 그 색을 다른 색으로 더 이상 분해 할 수 없다.
     2. 어떠한 다른 색들의 혼합에 의하여 만들 수 없다.
     3. 스펙트럼의 3원색을 전부 혼합하면 흑색이 된다.
     4. 모든 색광의 근원이 되는 색이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색광혼합의 3원색을 혼합하면 백색광이 된다.
스팩트럼= 빛을 파장에 따라 배열한것
[해설작성자 : 미네뜨]

58. 두가지 이상의 디자인 요소가 서로 분리하거나 배척하지 않고 각 요소가 통합된 감각적 효과를 발휘 할 때 일어나는 미적원리는?(2009년 07월)
     1. 비례
     2. 균형
     3. 조화
     4. 대비

     정답 : []
     정답률 : 83%

59. 이색 3조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2년 02월)
     1. 12개의 색상환에서 1색상씩 건너뛰어 3색이 함께 조화될 수 있게 한다.
     2. 색상환이 마주보는 반대쪽에 대립하는 색이다.
     3. 색상환에서 120° 의 위치에 있는 색과 함께 조화를 이루는 것이다.
     4. 유사색 조하보다 좀 더 약한 색채 조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4%

60. 병치혼합의 특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0년 07월)
     1. 회전혼합과 같은 평균혼합이므로 명도와 채도가 평균값으로 지각된다.
     2. 병치혼합의 원리를 이용한 효과를 베졸드(Willheln von Bzold)효과라고 한다.
     3. 색료 자체의 혼합이 아니기 때문에 가법혼색에 속한다.
     4. 채도가 떨어진 상태에서 중간색을 얻을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0%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화훼장식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8992555)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화훼, 화훼장식기능사, 장시, 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774 수능(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3월11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0
23773 위험물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7월19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0
23772 건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3월0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71 화공기사(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1년09월2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0
23770 원예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3월30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0
23769 경찰공무원(순경) 과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2월1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0
23768 농업기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8594286)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0
23767 9급 국가직 공무원 조경계획및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3월2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66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5월1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65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응용역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6월2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 화훼장식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8992555)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63 청소년상담사 2급(2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3월29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62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9월2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2
23761 수능(생명과학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7월1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60 토목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6월0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59 경비지도사 2차(기계경비기획및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11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58 소방설비기사(기계분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5월2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57 청소년상담사 1급(2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3월2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756 유통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1212832)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3
23755 방사선비파괴검사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8월31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189 Next
/ 1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