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경비지도사 2차(범죄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9일)(7612959)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경비지도사 2차(범죄학)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범죄를 바라보는 3가지 관점이 아닌 것은?(2023년 11월)
     1. 갈등론적 관점
     2. 합의론적 관점
     3. 상호작용론적 관점
     4. 방위론적 관점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범죄학자가 범죄를 바라보는 관점은 합의론적 관점, 갈등론적 관점, 상호주의적 관점 등 3가지로 구분된다.
1) 합의론적 관점은 법의 보편타당성과 평등성을 인정하고, 범죄를 반도덕적-반사회적 행위로 보는 관점이고
2) 갈등론적 관점은 법이 지배계급의 억압도구이고, 범죄는 정치·경제적으로 규정되어 불공정하게 처벌된다고 보는 관점이다.
3) 상호작용주의적 관점은 범죄에는 고유하고 객관적 실체가 없고, 권력집단의 도덕적 기준에 따라 임의적으로 규정된 행위 내지 낙인된 행위가 범죄로 된다고 보는 낙인이론가의 관점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 범죄학자들은 법과 범죄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을 가지고 있다. 다음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1월)
     1. 합의론적 관점은 법률이 사회 주류의 가치, 신념, 의견을 반영하여 제정된다고 주장한다.
     2. 구조기능론적 관점은 법률이 사회질서 유지에 긍정적인 기능을 한다고 주장한다.
     3. 갈등론적 관점은 권력집단이 기득권 강화를 위해 법률과 형사사법시스템을 이용한다고 주장한다.
     4. 상호작용론적 관점은 범죄의 정의가 권력집단의 도덕적 기준에 따라 변화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 화이트칼라 범죄에 속하지 않는 행위는?(2015년 11월)
     1. 기업의 탈세
     2. 기업 사무실 침입절도
     3. 기업의 공정거래 관련 법규 위반
     4. 증권사 직원의 주식 내부자 거래

     정답 : []
     정답률 : 95%

4. 우리나라의 범죄발생추세(1964년-2008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11월)
     1. 1964년에 비해 2008년도 전체 범죄발생건수는 약 2.9배 증가했다.
     2. 1990년 이후 재산범죄는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3. 범죄의 발생은 법의 제정이나 개정과는 무관하다.
     4. 2003년 이후 성폭력범죄는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정답 : []
     정답률 : 93%

5. 아바딘스키(Abadinsky)가 제시한 조직범죄의 특징이 아닌 것은?(2012년 11월)
     1. 정치적ㆍ이념적 목적이 개입된 경우가 많다.
     2. 조직구성원이 매우 제한적이며 배타적이다.
     3. 계층적인 조직구조를 가지고 있다.
     4. 내부구성원이 따라야 할 규칙을 가지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92%

6. 화이트칼라 범죄의 특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08년 11월)
     1. 직무상의 전문지식이나 조직체계를 이용하기 때문에 범죄로 인식하기 어렵다.
     2. 해당 범죄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책임이 있는 사람을 가려내기 어렵다.
     3. 분명하게 드러난 피해자가 드물며 피해의 규모가 크지 않다.
     4. 쉽게 발각되기 어려우며 관대한 처벌을 받는 경향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 셀던(Sheldon)이 분류한 신체유형 중 공격적 기질형은?(2016년 11월)
     1. 내배엽형(endomorphic)
     2. 외배엽형(ectomorphic)
     3. 중배엽형(mesomorphic)
     4. 균등형(balanced)

     정답 : []
     정답률 : 100%

8. 볼드(Vold)의 집단갈등이론으로 설명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범죄는?(2011년 11월)
     1. 정치적 시위 때문에 발생하는 범죄
     2. 성격장애로 인한 범죄
     3. 인종적, 민족적 충돌 때문에 발생하는 범죄
     4. 노동쟁의 때문에 생겨나는 범죄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 갓프레드슨(Gottfredson)과 허쉬(Hirschi)의 범죄 일반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11월)
     1. 범죄는 기회와 상관없이 각 개인의 낮은 자기통제력의 결과이다.
     2. 낮은 자기통제력은 어린 시절 가정의 비효과적인 사회화의 결과이다.
     3. 자기통제력은 안정적이기 때문에 성인기 이후에는 거의 변하지 않는다.
     4. 모든 유형의 범죄의 원인을 설명하려고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 범죄의 원인을 거시적으로 분석한 이론이 아닌 것은?(2010년 11월)
     1. 아노미이론
     2. 하위문화이론
     3. 사회해체이론
     4. 차별접촉이론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 사회내 처우가 아닌 것은?(2023년 11월)
     1. 징역
     2. 사회봉사명령
     3. 전자감시
     4. 치료명령

     정답 : []
     정답률 : 73%

12. 밀러(Miller)의 하층계급문화이론에서 주장한 초점적 관심(focal concerns)이 아닌 것은?(2017년 11월)
     1. 말썽부리기(trouble)
     2. 거침(toughness)
     3. 교활(smartness)
     4. 소통(communication)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3. 다음 중 사회반응이론과 관련이 있는 것은?(2012년 11월)
     1. 레머트(Lemert)의 낙인이론
     2. 반두라(Bandura)의 모델이론
     3. 서덜랜드(Sutherland)의 차별적 접촉이론
     4. 타르드(Tarde)의 모방이론

     정답 : []
     정답률 : 85%

14. 샘슨과 라웁(Sampson & Laub)의 연령-등급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1월)
     1. 어린 시절 비행은 성인기 범죄행위를 이해하는데 중요하지만 충분하지 않다.
     2. 젊은 성인기의 긍정적 경험은 범죄자의 궤적이나 경로를 변화시킬 수 있다.
     3. 부정적 경험이 반복되어 누적된 불이익을 받은 사람들은 범죄행위를 지속할 가능성이 크다.
     4. 범죄에서 정상생활로의 전환에는 결혼이나 취업이 주요 역할을 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87%

15. 헤이건(Hagan)의 권력통제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11월)
     1. 여성주의 범죄학을 통제이론과 결합하였다.
     2. 가정 및 직장 내 권력 불평등에 관심을 가졌다.
     3. 성별 권력관계에 따라 자녀 양육방식이 달라진다.
     4. 가부장적 분위기에서 자란 여성은 평등적 분위기에서 자란 여성에 비해 더 많은 비행에 가담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16. 범죄피해조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11월)
     1. 대상자의 과거 범죄행동을 조사한다.
     2. 암수범죄를 해결하는데 효과적이다.
     3. 피해자가 피해사실을 왜곡할 수 있다.
     4. 살인피해자에 대한 조사가 불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100%

17. 개인의 인지발달과 범죄의 관련성을 연구한 학자들로 묶인 것은?(2021년 11월)
     1. 피아제와 콜버그(Piaget & Kohlberg)
     2. 롬브로조와 타르드(Lombroso & Tarde)
     3. 쇼와 맥케이(Shaw & McKay)
     4. 샘슨과 라웁(Sampson & Laub)

     정답 : []
     정답률 : 67%

18. 현행법상 규정된 범죄자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4년 11월)
     1. 공동정범 - 2인 이상이 공동하여 범죄를 범한 자
     2. 누범 - 금고이상의 형을 받아 그 집행을 종료하거나 면제를 받은 후 3년 이내에 금고이상에 해당하는 죄를 범한 자
     3. 범죄소년 - 14세부터 20세 미만까지의 청소년으로서 형벌법령 위반행위자
     4. 상습범 - 6개월 이내에 동종의 범죄를 3회 이상 범한 자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9. 현행법상 성폭력범죄의 예방 및 대책이 아닌 것은?(2016년 11월)
     1. 전자장치부착
     2. 신상정보공개
     3. 약물치료
     4. 보호감호

     정답 : []
     정답률 : 100%

20. 브랜팅햄과 파우스트(Brantingham & Faust)의 범죄예방 구조모델 접근법과 대상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2015년 11월)
     1. 1차적 예방과 일반대중
     2. 2차적 예방과 범죄자
     3. 3차적 예방과 우범자 집단
     4. 4차적 예방과 일반대중

     정답 : []
     정답률 : 75%

21. 조직폭력배가 “조직을 위해 폭력행사는 불가피하다”라고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 하는 중화기술은?(2014년 11월)
     1. 책임의 부정
     2. 피해자의 부정
     3. 손상(injury)의 부정
     4. 더 높은 충성심에의 호소

     정답 : []
     정답률 : 100%

22. 허쉬(T. Hirschi)의 사회유대이론의 내용이 아닌 것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2, 4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2014년 11월)
     1. ‘왜 사람들은 범죄를 저지르지 않는가’에 관심을 가졌다.
     2. 사회에는 인습가치와 범죄가치가 모두 존재한다고 보았다.
     3. 모든 사람들을 잠재적 범죄자로 가정했다.
     4. 사회유대의 구성요소가 범죄의 원인이라고 보았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3. 여성범죄자에 대한 형사사법기관의 관대한 처벌을 설명하는 것은?(2011년 11월)
     1. 기사도 가설(chivalry hypothesis)
     2. 남성성 가설(masculinity hypothesis)
     3. 신여성범죄자(new female criminal)
     4. 성숙효과(maturation effect)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4. 낙인이론의 주요 개념이 아닌 것은?(2023년 11월)
     1.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2. 이차적 일탈(secondary deviance)
     3. 일차적 일탈(primary deviance)
     4. 악의 극화(dramatization of evil)

     정답 : []
     정답률 : 65%

25. 심리학적 범죄이론 중 인지이론과 관련이 가장 적은 것은?(2014년 11월)
     1. 도덕발달
     2. 행동학습
     3. 정보처리능력
     4. 지능

     정답 : []
     정답률 : 46%

26. 재산범죄인 것은?(2020년 11월)
     1. 배임
     2. 폭행
     3. 살인
     4. 강간

     정답 : []
     정답률 : 94%

27. 머튼(Merton)의 아노미 이론에서 문화적 목표와 제도적 수단을 모두 수용하는 적응양식은?(2023년 11월)
     1. 혁신형(innovation)
     2. 의례형(ritualism)
     3. 도피형(retreatism)
     4. 동조형(conformity)

     정답 : []
     정답률 : 67%

28. 다음에 해당하는 아동학대 유형은?(2022년 11월)

    

     1. 신체적 학대
     2. 정서적 학대
     3. 성적 학대
     4. 방임

     정답 : []
     정답률 : 78%

29. 고전주의 형사사법정책으로 옳은 것은?(2011년 11월)
     1. 형벌은 확실하고 신속하게 부과되어야 한다.
     2. 피해자가 형사절차에서 핵심위치를 차지한다.
     3. 사회복귀가 대표적 정책원리이다.
     4. 갈등해소를 통한 범죄자의 사회재통합을 강조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0. 사이버범죄의 특징이 아닌 것은?(2020년 11월)
     1. 범행의 국제성과 광역성
     2. 발각과 원인규명의 곤란
     3. 범죄자의 범죄의식 희박
     4. 전문가나 내부자의 범행은 극소수

     정답 : []
     정답률 : 90%

31. 무관용 정찰활동(Zero Tolerance Policing)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11월)
     1. 깨진 유리창 이론에 근거한 경찰의 범죄통제전략이다.
     2. 경찰이 문제해결자 또는 사회봉사자라는 인식에로의 전환을 요구한다.
     3. 비교적 사소한 질서문란 행위도 강력하게 단속하는 것이 핵심이다.
     4. 향후 더 큰 범죄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어 범죄율 감소에 기여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82%

32. 어렸을 때의 경험도 중요하지만 청소년의 성장기나 성인시기의 생활환경도 범죄의 원인으로 파악한 학자는?(2010년 11월)
     1. 코헨(Cohen)
     2. 샘슨과 라웁(Sampson & Laub)
     3. 힌델랑(Hindelang)
     4. 베커(Becker)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3. 소년법상 보호처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11월)
     1. 수강명령
     2. 보호관찰관의 단기 보호관찰
     3. 단기 소년원 송치
     4. 약물치료명령

     정답 : []
     정답률 : 84%

34. 다음 중 절대적 형벌이론의 내용이 아닌 것은?(2004년 11월)
     1. 형벌을 범죄자에 대한 영향력 행사로 보는 특별예방이론
     2. 형벌을 절대적 정의의 요구로 보는 정의이론
     3. 속죄의 형태로 보는 속죄이론
     4. 형벌의 법적근거를 응보의 관점에서 보는 응보이론

     정답 : []
     정답률 : 73%

35. 형사사법기관에 종사하는 공무원이 범죄사건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잘못 대응함으로써 범죄피해자가 사건 그 자체로 인한 피해 이외에 새롭게 입게 되는 피해는 무엇인가?(2008년 11월)
     1. 중복 피해
     2. 2차 피해
     3. 간접적 피해
     4. 파생적 피해

     정답 : []
     정답률 : 100%

36. 수용자의 사회복귀를 목적으로 자율성과 주체성을 존중하는 교정처우모델은?(2024년 11월)
     1. 통제모델
     2. 의료모델
     3. 구금모델
     4. 재통합모델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7. 수형자 구금제도 중 혼거제의 장점은?(2022년 11월)
     1. 범죄악풍의 감염가능성이 있다.
     2. 수형자의 사회성 훈련에 용이하다.
     3. 개별처우가 곤란하다.
     4. 수형자간 갈등을 조장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7%

38. 향정신성의약품으로 분류되는 마약류는?(2017년 11월)
     1. 아편
     2. 코카인
     3. 메스암페타민
     4. 양귀비

     정답 : []
     정답률 : 92%

39. 브랜팅햄과 파우스트(Brantingham & Faust)의 범죄예방 구조모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1월)
     1. 1차적 예방은 일반대중을 대상으로 한다.
     2. 1차적 예방의 예로는 환경설계, 이웃감시 등이 있다.
     3. 2차적 예방은 특별예방과 관련이 있다.
     4. 3차적 예방은 범죄자를 주요 대상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87%

40. 깨진창이론(broken window theory)에 근거한 경찰활동은?(2022년 11월)
     1. 경미범죄의 단속
     2. 안보사범 정보수집
     3. 살인범죄 수사
     4. 대형참사범죄 수사

     정답 : []
     정답률 : 80%


정 답 지

경비지도사 2차(범죄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9일)(7612959)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경비지도사 2차(범죄학)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범죄를 바라보는 3가지 관점이 아닌 것은?(2023년 11월)
     1. 갈등론적 관점
     2. 합의론적 관점
     3. 상호작용론적 관점
     4. 방위론적 관점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범죄학자가 범죄를 바라보는 관점은 합의론적 관점, 갈등론적 관점, 상호주의적 관점 등 3가지로 구분된다.
1) 합의론적 관점은 법의 보편타당성과 평등성을 인정하고, 범죄를 반도덕적-반사회적 행위로 보는 관점이고
2) 갈등론적 관점은 법이 지배계급의 억압도구이고, 범죄는 정치·경제적으로 규정되어 불공정하게 처벌된다고 보는 관점이다.
3) 상호작용주의적 관점은 범죄에는 고유하고 객관적 실체가 없고, 권력집단의 도덕적 기준에 따라 임의적으로 규정된 행위 내지 낙인된 행위가 범죄로 된다고 보는 낙인이론가의 관점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 범죄학자들은 법과 범죄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을 가지고 있다. 다음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1월)
     1. 합의론적 관점은 법률이 사회 주류의 가치, 신념, 의견을 반영하여 제정된다고 주장한다.
     2. 구조기능론적 관점은 법률이 사회질서 유지에 긍정적인 기능을 한다고 주장한다.
     3. 갈등론적 관점은 권력집단이 기득권 강화를 위해 법률과 형사사법시스템을 이용한다고 주장한다.
     4. 상호작용론적 관점은 범죄의 정의가 권력집단의 도덕적 기준에 따라 변화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 화이트칼라 범죄에 속하지 않는 행위는?(2015년 11월)
     1. 기업의 탈세
     2. 기업 사무실 침입절도
     3. 기업의 공정거래 관련 법규 위반
     4. 증권사 직원의 주식 내부자 거래

     정답 : []
     정답률 : 95%

4. 우리나라의 범죄발생추세(1964년-2008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11월)
     1. 1964년에 비해 2008년도 전체 범죄발생건수는 약 2.9배 증가했다.
     2. 1990년 이후 재산범죄는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3. 범죄의 발생은 법의 제정이나 개정과는 무관하다.
     4. 2003년 이후 성폭력범죄는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정답 : []
     정답률 : 93%

5. 아바딘스키(Abadinsky)가 제시한 조직범죄의 특징이 아닌 것은?(2012년 11월)
     1. 정치적ㆍ이념적 목적이 개입된 경우가 많다.
     2. 조직구성원이 매우 제한적이며 배타적이다.
     3. 계층적인 조직구조를 가지고 있다.
     4. 내부구성원이 따라야 할 규칙을 가지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92%

6. 화이트칼라 범죄의 특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08년 11월)
     1. 직무상의 전문지식이나 조직체계를 이용하기 때문에 범죄로 인식하기 어렵다.
     2. 해당 범죄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책임이 있는 사람을 가려내기 어렵다.
     3. 분명하게 드러난 피해자가 드물며 피해의 규모가 크지 않다.
     4. 쉽게 발각되기 어려우며 관대한 처벌을 받는 경향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 셀던(Sheldon)이 분류한 신체유형 중 공격적 기질형은?(2016년 11월)
     1. 내배엽형(endomorphic)
     2. 외배엽형(ectomorphic)
     3. 중배엽형(mesomorphic)
     4. 균등형(balanced)

     정답 : []
     정답률 : 100%

8. 볼드(Vold)의 집단갈등이론으로 설명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범죄는?(2011년 11월)
     1. 정치적 시위 때문에 발생하는 범죄
     2. 성격장애로 인한 범죄
     3. 인종적, 민족적 충돌 때문에 발생하는 범죄
     4. 노동쟁의 때문에 생겨나는 범죄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 갓프레드슨(Gottfredson)과 허쉬(Hirschi)의 범죄 일반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11월)
     1. 범죄는 기회와 상관없이 각 개인의 낮은 자기통제력의 결과이다.
     2. 낮은 자기통제력은 어린 시절 가정의 비효과적인 사회화의 결과이다.
     3. 자기통제력은 안정적이기 때문에 성인기 이후에는 거의 변하지 않는다.
     4. 모든 유형의 범죄의 원인을 설명하려고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 범죄의 원인을 거시적으로 분석한 이론이 아닌 것은?(2010년 11월)
     1. 아노미이론
     2. 하위문화이론
     3. 사회해체이론
     4. 차별접촉이론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 사회내 처우가 아닌 것은?(2023년 11월)
     1. 징역
     2. 사회봉사명령
     3. 전자감시
     4. 치료명령

     정답 : []
     정답률 : 73%

12. 밀러(Miller)의 하층계급문화이론에서 주장한 초점적 관심(focal concerns)이 아닌 것은?(2017년 11월)
     1. 말썽부리기(trouble)
     2. 거침(toughness)
     3. 교활(smartness)
     4. 소통(communication)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3. 다음 중 사회반응이론과 관련이 있는 것은?(2012년 11월)
     1. 레머트(Lemert)의 낙인이론
     2. 반두라(Bandura)의 모델이론
     3. 서덜랜드(Sutherland)의 차별적 접촉이론
     4. 타르드(Tarde)의 모방이론

     정답 : []
     정답률 : 85%

14. 샘슨과 라웁(Sampson & Laub)의 연령-등급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1월)
     1. 어린 시절 비행은 성인기 범죄행위를 이해하는데 중요하지만 충분하지 않다.
     2. 젊은 성인기의 긍정적 경험은 범죄자의 궤적이나 경로를 변화시킬 수 있다.
     3. 부정적 경험이 반복되어 누적된 불이익을 받은 사람들은 범죄행위를 지속할 가능성이 크다.
     4. 범죄에서 정상생활로의 전환에는 결혼이나 취업이 주요 역할을 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87%

15. 헤이건(Hagan)의 권력통제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11월)
     1. 여성주의 범죄학을 통제이론과 결합하였다.
     2. 가정 및 직장 내 권력 불평등에 관심을 가졌다.
     3. 성별 권력관계에 따라 자녀 양육방식이 달라진다.
     4. 가부장적 분위기에서 자란 여성은 평등적 분위기에서 자란 여성에 비해 더 많은 비행에 가담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16. 범죄피해조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11월)
     1. 대상자의 과거 범죄행동을 조사한다.
     2. 암수범죄를 해결하는데 효과적이다.
     3. 피해자가 피해사실을 왜곡할 수 있다.
     4. 살인피해자에 대한 조사가 불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100%

17. 개인의 인지발달과 범죄의 관련성을 연구한 학자들로 묶인 것은?(2021년 11월)
     1. 피아제와 콜버그(Piaget & Kohlberg)
     2. 롬브로조와 타르드(Lombroso & Tarde)
     3. 쇼와 맥케이(Shaw & McKay)
     4. 샘슨과 라웁(Sampson & Laub)

     정답 : []
     정답률 : 67%

18. 현행법상 규정된 범죄자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4년 11월)
     1. 공동정범 - 2인 이상이 공동하여 범죄를 범한 자
     2. 누범 - 금고이상의 형을 받아 그 집행을 종료하거나 면제를 받은 후 3년 이내에 금고이상에 해당하는 죄를 범한 자
     3. 범죄소년 - 14세부터 20세 미만까지의 청소년으로서 형벌법령 위반행위자
     4. 상습범 - 6개월 이내에 동종의 범죄를 3회 이상 범한 자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9. 현행법상 성폭력범죄의 예방 및 대책이 아닌 것은?(2016년 11월)
     1. 전자장치부착
     2. 신상정보공개
     3. 약물치료
     4. 보호감호

     정답 : []
     정답률 : 100%

20. 브랜팅햄과 파우스트(Brantingham & Faust)의 범죄예방 구조모델 접근법과 대상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2015년 11월)
     1. 1차적 예방과 일반대중
     2. 2차적 예방과 범죄자
     3. 3차적 예방과 우범자 집단
     4. 4차적 예방과 일반대중

     정답 : []
     정답률 : 75%

21. 조직폭력배가 “조직을 위해 폭력행사는 불가피하다”라고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 하는 중화기술은?(2014년 11월)
     1. 책임의 부정
     2. 피해자의 부정
     3. 손상(injury)의 부정
     4. 더 높은 충성심에의 호소

     정답 : []
     정답률 : 100%

22. 허쉬(T. Hirschi)의 사회유대이론의 내용이 아닌 것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2, 4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2014년 11월)
     1. ‘왜 사람들은 범죄를 저지르지 않는가’에 관심을 가졌다.
     2. 사회에는 인습가치와 범죄가치가 모두 존재한다고 보았다.
     3. 모든 사람들을 잠재적 범죄자로 가정했다.
     4. 사회유대의 구성요소가 범죄의 원인이라고 보았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3. 여성범죄자에 대한 형사사법기관의 관대한 처벌을 설명하는 것은?(2011년 11월)
     1. 기사도 가설(chivalry hypothesis)
     2. 남성성 가설(masculinity hypothesis)
     3. 신여성범죄자(new female criminal)
     4. 성숙효과(maturation effect)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4. 낙인이론의 주요 개념이 아닌 것은?(2023년 11월)
     1.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2. 이차적 일탈(secondary deviance)
     3. 일차적 일탈(primary deviance)
     4. 악의 극화(dramatization of evil)

     정답 : []
     정답률 : 65%

25. 심리학적 범죄이론 중 인지이론과 관련이 가장 적은 것은?(2014년 11월)
     1. 도덕발달
     2. 행동학습
     3. 정보처리능력
     4. 지능

     정답 : []
     정답률 : 46%

26. 재산범죄인 것은?(2020년 11월)
     1. 배임
     2. 폭행
     3. 살인
     4. 강간

     정답 : []
     정답률 : 94%

27. 머튼(Merton)의 아노미 이론에서 문화적 목표와 제도적 수단을 모두 수용하는 적응양식은?(2023년 11월)
     1. 혁신형(innovation)
     2. 의례형(ritualism)
     3. 도피형(retreatism)
     4. 동조형(conformity)

     정답 : []
     정답률 : 67%

28. 다음에 해당하는 아동학대 유형은?(2022년 11월)

    

     1. 신체적 학대
     2. 정서적 학대
     3. 성적 학대
     4. 방임

     정답 : []
     정답률 : 78%

29. 고전주의 형사사법정책으로 옳은 것은?(2011년 11월)
     1. 형벌은 확실하고 신속하게 부과되어야 한다.
     2. 피해자가 형사절차에서 핵심위치를 차지한다.
     3. 사회복귀가 대표적 정책원리이다.
     4. 갈등해소를 통한 범죄자의 사회재통합을 강조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0. 사이버범죄의 특징이 아닌 것은?(2020년 11월)
     1. 범행의 국제성과 광역성
     2. 발각과 원인규명의 곤란
     3. 범죄자의 범죄의식 희박
     4. 전문가나 내부자의 범행은 극소수

     정답 : []
     정답률 : 90%

31. 무관용 정찰활동(Zero Tolerance Policing)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11월)
     1. 깨진 유리창 이론에 근거한 경찰의 범죄통제전략이다.
     2. 경찰이 문제해결자 또는 사회봉사자라는 인식에로의 전환을 요구한다.
     3. 비교적 사소한 질서문란 행위도 강력하게 단속하는 것이 핵심이다.
     4. 향후 더 큰 범죄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어 범죄율 감소에 기여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82%

32. 어렸을 때의 경험도 중요하지만 청소년의 성장기나 성인시기의 생활환경도 범죄의 원인으로 파악한 학자는?(2010년 11월)
     1. 코헨(Cohen)
     2. 샘슨과 라웁(Sampson & Laub)
     3. 힌델랑(Hindelang)
     4. 베커(Becker)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3. 소년법상 보호처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11월)
     1. 수강명령
     2. 보호관찰관의 단기 보호관찰
     3. 단기 소년원 송치
     4. 약물치료명령

     정답 : []
     정답률 : 84%

34. 다음 중 절대적 형벌이론의 내용이 아닌 것은?(2004년 11월)
     1. 형벌을 범죄자에 대한 영향력 행사로 보는 특별예방이론
     2. 형벌을 절대적 정의의 요구로 보는 정의이론
     3. 속죄의 형태로 보는 속죄이론
     4. 형벌의 법적근거를 응보의 관점에서 보는 응보이론

     정답 : []
     정답률 : 73%

35. 형사사법기관에 종사하는 공무원이 범죄사건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잘못 대응함으로써 범죄피해자가 사건 그 자체로 인한 피해 이외에 새롭게 입게 되는 피해는 무엇인가?(2008년 11월)
     1. 중복 피해
     2. 2차 피해
     3. 간접적 피해
     4. 파생적 피해

     정답 : []
     정답률 : 100%

36. 수용자의 사회복귀를 목적으로 자율성과 주체성을 존중하는 교정처우모델은?(2024년 11월)
     1. 통제모델
     2. 의료모델
     3. 구금모델
     4. 재통합모델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7. 수형자 구금제도 중 혼거제의 장점은?(2022년 11월)
     1. 범죄악풍의 감염가능성이 있다.
     2. 수형자의 사회성 훈련에 용이하다.
     3. 개별처우가 곤란하다.
     4. 수형자간 갈등을 조장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7%

38. 향정신성의약품으로 분류되는 마약류는?(2017년 11월)
     1. 아편
     2. 코카인
     3. 메스암페타민
     4. 양귀비

     정답 : []
     정답률 : 92%

39. 브랜팅햄과 파우스트(Brantingham & Faust)의 범죄예방 구조모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1월)
     1. 1차적 예방은 일반대중을 대상으로 한다.
     2. 1차적 예방의 예로는 환경설계, 이웃감시 등이 있다.
     3. 2차적 예방은 특별예방과 관련이 있다.
     4. 3차적 예방은 범죄자를 주요 대상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87%

40. 깨진창이론(broken window theory)에 근거한 경찰활동은?(2022년 11월)
     1. 경미범죄의 단속
     2. 안보사범 정보수집
     3. 살인범죄 수사
     4. 대형참사범죄 수사

     정답 : []
     정답률 : 80%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경비지도사 2차(범죄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9일)(7612959)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 전자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4월17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9 1
34 <h2>전자출판기능사 필기 시험문제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9일)(3582742)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9 1
» 경비지도사 2차(범죄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9일)(7612959)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9 1
32 조경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9일)(506523)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9 1
31 무선설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3월09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9 1
3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회계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6월2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9 1
29 폐기물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0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9 1
28 공조냉동기계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03월0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9 1
27 이용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3월2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9 1
26 화공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5월2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9 1
25 정보통신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10월0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9 1
24 9급 지방직 공무원 안전관리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9일)(4910316)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9 1
23 변리사 1차(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2월1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9 1
22 남성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7월18일(4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9 1
21 9급 국가직 공무원 응용역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9일)(2823308)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9 1
20 건설기계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10월02일(5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9 1
19 소비자전문상담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8월2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9 1
18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재배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9 1
17 대기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9일)(8983314)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9 1
16 영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4월04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9 1
Board Pagination Prev 1 ... 1188 1189 1190 1191 1192 1193 1194 1195 1196 1197 Next
/ 1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