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소방공무원(공개)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소방공무원(공개)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4월03일


1. (가) 시대에 볼 수 있는 모습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계절제를 주관하는 천군
     2. 가락바퀴를 사용하는 사람
     3. 부족을 지배하는 읍군과 삼로
     4. 비파형 동검을 보고 있는 군장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93%
     <문제 해설>
간석기,농경목축 시작 = 신석기
[해설작성자 : ㅇㅇ]

간석기,농경목축시작,조,피,수수
쌀x(신석기때 벼농사를 했다는 기록x)
[해설작성자 : 공시생]

1 : 천군은 삼한의 제사장
2 : 읍군과 삼로는 옥저와 동예의 군장
4 : 청동기
[해설작성자 : 평생작심삼일]

2. (가)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농경과 관련하여 동맹이라고 하는 제천행사가 있었다.
     2. 대가들의 호칭에 말, 소, 돼지, 개 등의 가축 이름을 붙였다.
     3. 단궁, 반어피(바다표범 가죽), 과하마 등의 특산물로 중국과 교역하였다.
     4. 시체를 가매장하였다가 뼈만 추려 가족 공동 무덤인 큰 나무 덧널에 넣었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0살이 되기전에... - 민며느리제 = 옥저
1. 동맹 - 고구려
2. 대가들의 호칭에 동물이름 마가,우가,저가,구가 - 부여
3. 단궁,과하마,반어피 - 동예
4. 목곽, 가족공동무덤 - 옥저
[해설작성자 : ㅇㅇ]

3. 밑줄 친 ‘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태학을 설립하였다.
     2. 대가야를 정복하였다.
     3. 관산성에서 전사하였다.
     4.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7%
     <문제 해설>
사료에서 왜인의 침입, 노객은 백성된 자(신라왕이 고구려왕에게 자신을 낮추어 표현), 신라왕의 요청에 따라 보병과 기병 5만으로 신라를 구원... 이러한 내용을 통해 왕은 고구려의 광개토대왕임을 유추할 수 있다.

1번은 소수림왕
2번은 진흥왕
3번은 성왕
4번이 광개토대왕(영락 연호 사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 다음 내용을 실시한 왕의 업적으로 옳은 것은?

   

     1. 삼국 통일을 이룩하였다.
     2. 국학을 설치하여 관료를 양성하였다.
     3. 한강을 차지하고, 북한산에 순수비를 세웠다.
     4. 국호를 신라로 확정하고, 왕의 호칭을 사용하였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2%
     <문제 해설>
1. 반역자 흠돌 = 김흠돌의 난 - 신문왕
2. 녹읍폐지 - 신문왕
[해설작성자 : ㅇㅇ]

1.문무왕
3.진흥왕
4.지증왕
[해설작성자 : 공시생2]

5. 밑줄 친 ‘정책’에 해당하는 것은?

   

     1. 정방을 폐지하였다.
     2. 양현고를 설치하였다.
     3. 과거제를 실시하였다.
     4. 서경 천도를 추진하였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4%
     <문제 해설>
1번은 무신집권기 이후 충선왕, 충목왕(폐지 시도), 공민왕
2번은 예종
4번은 인종

3번이 광종이다.
[해설작성자 : 소간준비생]

1. 최우 집권기에 설치되었다. 폐지와 부활을 반복하다가 창왕 때 완전폐지
2. 예종때 관학 진흥을 위해 7제와 양현고를 설치
[해설작성자 : 평생작심삼일]

6. 다음 사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김부식이 이끄는 관군에게 진압당하였다.
     2. 이자겸이 척준경을 끌어들여 난을 일으켰다.
     3. 정중부, 이의방 등 무신들이 정권을 장악하였다.
     4. 최우는 교정도감 외에 정방과 삼별초를 설치하였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사료에서 서경은 대화세, 금이 공물을 바치고 스스로 항복, 대위, 천개, 천견충의군이라는 내용을 통해 묘청의 서경천도운동임을 유추할 수 있다.

2번은 이자겸의 난 1126년
3번은 경인의난(무신정변) 1170년
4번은 무신집권기

1번이 정답.
[해설작성자 : 소간준비생]

7. (가)와 (나) 사건 사이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1. 여진을 몰아내고 동북 9성을 설치하였다.
     2. 공을 세운 신하들에게 역분전을 지급하였다.
     3. 압록강에서 도련포에 이르는 천리장성을 축조하였다.
     4. 친원적 성향이 강한 권문세족이 지배세력으로 등장하였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0%
     <문제 해설>
가 - 귀주대첩 강감찬 = 거란 3차침입
나 - 윤관의 별무반 창설 = 여진족에게 패배후 별무반 창설

거란과의 전쟁 종료후 재침입을 막기 위해 천리장성 축조 (압록강 ~ 도련포)

참고) 고구려 영류왕 때의 천리장성은 당의 침입을 막기위해 축조 (부여성~비사성)
참고2) 고려 전쟁순서
거란1차(서희)-거란2차(양규)-거란3차(강감찬)-여진(윤관)-몽골1차(박서)-몽골2차(김윤후)-개경환도령(원종)-삼별초의 항쟁
[해설작성자 : ㅇㅇ]

1. (나) 뒤의 일이다
[해설작성자 : 평생작심삼일]

참고
역분전 태조    940
전시과의 모체 개국공신 논공행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 (가)에 들어갈 기관은?

   

     1. 의창
     2. 흑창
     3. 상평창
     4. 동⋅서 대비원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1%
     <문제 해설>
1. 의창 = 2 흑창 - 곡식창고
3. 상평창 - 물가조절 기관(물가가 낮을 때 비싼값으로 사들였다가 물가가 오르면 싼값에 팔아 물가 조절)
4. 동서대비원 - 의료기관(고려)
참고)동서활인서 - 의료기관(조선)
[해설작성자 : ㅇㅇ]

1.성종
2.태조
[해설작성자 : 박수현]

3.개경과 서경 및 12목에 설치 (성종)
[해설작성자 : 평생작심삼일]

9. (가)에 들어갈 말로 옳지 않은 것은?

   

     1. 호구를 늘게 하는 것
     2. 학교 교육을 장려하는 것
     3. 수령의 비리를 감찰하는 것
     4. 공정하게 세금을 징수하는 것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조선 수령7사 - 학교흥(교육진흥),군정수(군대정비),농상성(농업진흥),호구증(호구 증대),부역균(부와 역을 공평징수), 사송간(공정한 재판),간활식(치안 관리)
[해설작성자 : ㅇㅇ]

수령7사의 내용을 모르더라도, 그대는 이미 흡곡"현령"을 지냈다. 라고 하였다. 현령 = 수령이므로 수령이 수령의 비리를 감찰한다는 보기 3번 자체가 모순이므로 현령이 수령임을 안다면 충분히 정답 유추 가능.
[해설작성자 : 소간준비생]

10. (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임진왜란 중에 설치되었다.
     2. 흥선 대원군 때 축소ㆍ폐지되었다.
     3. 여론을 이끄는 언론 활동을 하였다.
     4. 붕당 정치가 형성되는 배경이 되었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본문의 내용은 비변사를 설명한 내용이다.

비변사는 중종때 삼포왜란때 설치 되었으며
명종 때 을묘왜란으로 상설화가 되었음.
선조 임진왜란으로 최고기구
고종 때 흥선대원군이 폐지함.
[해설작성자 : ㅎㅇㅌ]

3. 조선시대 언론기관은 삼사(사헌부, 사간원, 홍문관)
4. 이조전랑 임명 문제 and 척신정치의 잔재
[해설작성자 : 평생작심삼일]

11. (가)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여전론을 주장하였다.
     2. 강화 학파를 형성하였다.
     3. 일본의 성리학 발달에 영향을 주었다.
     4. ‘이’와 ‘기’를 통일적으로 이해하면서 ‘기’를 중시하였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가는 퇴계이황임.
여전론을 주장한 사람은 정약용
강화학파는 양명학의 정제두
일본의 성리학발달에 영향을 준 사람은 이황
이황은 이를 더 중시함
[해설작성자 : ㅎㅇㅌ]

12. 밑줄 친 ‘반란’에 대한 정부의 대책으로 옳은 것은?

    

     1. 호패법을 도입하였다.
     2. 집강소를 설치하였다.
     3. 연분9등법을 마련하였다.
     4. 삼정이정청을 설치하였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사료의 진주의 난민, 백낙신의 백성 수탈, 환곡과 전세가 심했다, 철종실록임을 통해 1862년 임술농민봉기임을 유추할 수 있다.

1번은 태종
2번은 동학농민운동(집강소는 농민들이 SELF설치, 교정청이 정부가 설치)
3번은 세종의 공법(1444년)
4번이 임술농민봉기의 결과. 설치만하고 시행은 하지 않았으며, 삼정의 문란은 흥선대원군이 바로잡음.
[해설작성자 : 소간준비생]

13. 다음 사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한성 조약 체결의 계기가 되었다.
     2. 보국안민, 제폭구민을 기치로 내걸었다.
     3. 최익현 등의 유생들에 의해 주도되었다.
     4. 구식 군인에 대한 차별 대우가 발단이 되었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사료에서 우정국 낙성연, 총판 홍영식, 민영익 부상(죽진 않음), 왕이 경우궁 이동했다는 내용을 통해 갑신정변(1884)임을 유추할 수 있다.

2번은 동학농민운동
3번은 을사의병 or 위정척사운동 or 서원철폐반대 or 경복궁 중건 반대 => all 최익현 업적
4번은 임오군란(1882.6) => 임오군란으로 인해 제물포조약과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체결

1번 한성조약이 갑신정변의 결과(일본과 조선의 조약으로 조선이 일본한테 돈 주는 내용), 그외 청과 일본이 톈진조약을 통해 청, 일 양군 동시 파병이 가능해짐
[해설작성자 : 소간준비생]

14. (가) 단체의 활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만주에 독립군 기지를 마련하였다.
     2. 고종 퇴위 반대 운동을 전개하였다.
     3. 일본의 황무지 개간권 요구에 반대하였다.
     4. 자유 민권 운동과 의회 설립 운동을 추진하였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7%
     <문제 해설>
1.신민회
2.대한 자강회
3.보안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보기의 (가)는 열강의 이권침탈 반대, 만민공도회, 러시아 절영도 조차와 한러은행설립 반대를 했다는 내용으로 보아 독립협회임을 유추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소간준비생]

15. (가)∼(라)의 사건을 발생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1. (가) → (다) → (나) → (라)
     2. (가) → (다) → (라) → (나)
     3. (라) → (가) → (다) → (나)
     4. (라) → (나) → (가) → (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봉오동전투(1920.6)-훈춘사건(1920.10월초)-청산리대첩(1920.10월 중)-간도참변(1920.10월 말)-자유시참변(1921.6)-참의부(1924)-정의부(1925)-신민부(1926)-3부통합운동(1928)
*1920년에 일어난 사건 순서를 자세히 기억해 두세요.
[해설작성자 : ㅇㅇ]

참의부23 정의부 24 신민부 25
[해설작성자 : 공시생2]

16. 다음 법령과 관련된 사업의 결과로 옳지 않은 것은?

    

     1. 조선 총독부의 지세 수입이 증가하였다.
     2. 소작인들이 경작권을 인정받지 못하였다.
     3. 일본인 농업 이주민이 지주로 성장할 수 있었다.
     4. 토지 소유권을 인정하는 증명서로 지계를 발급하였다.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보기는 1910 ~ 1918에 실시된 일제의 토지조사 사업이다.
그 목적은 총독부의 지세 확보, 토지약탈, 토지 매매를 용이하게 해 일본인 이주를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며, 지주들은 토지 소유권을 인정받았으나 소작농들은 관습적 경작권을 인정받지 못했다.

4번의 지계는 광무개혁에서 양전사업의 일환인 지계발급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소간준비생]

* 광무개혁 : 1896년부터 고종 및 대한제국 정부의 개명된 집권층이 주도한 근대적 개혁
[해설작성자 : 평생작심삼일]

17. 다음 강령을 발표한 단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민족 협동 전선의 성격을 표방하였다.
     2. 고등 교육 기관인 대학을 설립하고자 하였다.
     3. 백정에 대한 차별을 철폐하는 운동을 전개하였다.
     4. 어린이날을 제정하고, 잡지 『어린이』를 발간하였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보기의 강령은 신간회의 강령이다(1927~1931).

2번은 민립대학설립운동(1922~1924)을 주도한 조선교육회(회장 이상재 - 우익)
3번은 백정(당시 '도한') 차별 철폐=형평운동을 전개한 조선형평사(1923년, 이학찬)
4번은 천도교 소년회(어린이날 제정 1922.5.1)

1번이 신간회에 해당한다. 신간회는 좌우합작단체이므로 민족 협동 전선의 성격을 표방함이 맞다.
[해설작성자 : 소간준비생]

18. 다음을 주장한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대한매일신보』에 「독사신론」을 발표하여 민족주의 사학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2. 정약용 서거 99주년을 기념하며 『여유당전서』를 간행하면서 조선학을 제창하였다.
     3. 진단학회를 조직하고 철저한 문헌고증으로 한국사를 객관적으로 서술하려 하였다.
     4. 유물 사관에 바탕을 두고 한국사가 세계사의 보편법칙에 따라 발전하였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역사는 아와 비아의 투쟁이라는 내용을 통해 민족주의 사학의 신채호임을 유추할 수 있다.

1번 독사신론은 1908년 신채호가 대한매일신보에 기고
2번 조선학 운동은 1934년에 정인보, 안재홍이 주도
3번 진단학회와, 철저한 문헌고증과 객관적 서술은 실증주의 사학에 해당한다.
4번 유물사관과 한국사의 보편성 강조는 사회경제 사학의 백남운이다.
[해설작성자 : 소간준비생]

19. 다음 성명이 발표된 계기로 옳은 것은?

    

     1. 6⋅3 시위가 전개되었다.
     2. 4⋅19 혁명이 발생하였다.
     3. 한⋅일 협정이 체결되었다.
     4. 부⋅마 민주 항쟁이 일어났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사료는 이승만 하야에 대한 내용이다. (1960.4.26)

1번 6.3 시위는 1964년 박정희의 한일왜교 정책에 대한 반대
3번 한일협정 체결은 1965년 박정희
4번 부마민주항쟁은 1979년 10월 유신반대운동

2번 4.19혁명이 이승만의 정권유지(부통령 이기붕 당선 목적을 위한) 3.15 부정선거에 따른 결과이므로 정답.
[해설작성자 : 소간준비생]

20. 다음 헌법이 적용된 시기에 일어난 사건으로 옳은 것은?

    

     1. 윤보선이 대통령직에서 물러났다.
     2. 국가 재건 최고 회의를 만들었다.
     3. 3⋅1 민주 구국 선언을 발표하였다.
     4. 고위 공무원의 재산 등록을 의무화하였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사료에서 통일주체국민회의를 키워드로 제7차개헌(유신헌법, 1972.12) 때 임을 유추할 수 있다.

1번은 1962년이다. 윤보선은 5.16군사정변 이후 사임했다.
2번은 1961.5.18이다. 5.16 직후 군사혁명위를 개칭해 국가재건최고회의라고 하였다.
3번은 1976년 유신반대투쟁의 일환이다.
4번은 1993년 YS정부의 공직자 재산 공개이다.

1, 2번은 4차개헌 헌법 적용 시기이고, 4번은 9차개헌 헌법 적용시기이다.
3번이 유신헌법 적용시기 이므로 3번이 정답.
[해설작성자 : 소간준비생]

* 국가재건최고회의 1961년 5.16군사정변 직후 박정희 소장중심으로 구성
[해설작성자 : 평생작심삼일]

소방공무원(공개)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4월03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90 산업안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5년 08월 16일(3522188) 좋은아빠되기 2022.09.29 434
389 제품디자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5년 05월 29일(6759519) 좋은아빠되기 2022.09.29 16
388 청소년상담사 1급(1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5년 03월 28일(5062063) 좋은아빠되기 2022.09.29 18
387 9급 국가직 공무원 조경계획및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22년 04월 02일(6301111) 좋은아빠되기 2022.09.29 15
386 경찰공무원(순경) 영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4년 03월 15일(1236891) 좋은아빠되기 2022.09.29 11
385 물류관리사 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0년 08월 22일(1495511) 좋은아빠되기 2022.09.29 39
384 리눅스마스터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7년 06월 10일(3419406) 좋은아빠되기 2022.09.29 128
383 누설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4년09월20일 좋은아빠되기 2022.09.29 30
» 소방공무원(공개)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21년04월03일 좋은아빠되기 2022.09.29 19
381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기계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21년06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2.09.29 26
380 용접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모의고사(786246) 좋은아빠되기 2022.09.29 177
379 제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7년09월16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2.09.29 56
378 경찰공무원(순경)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모의고사(4366436) 좋은아빠되기 2022.09.29 22
377 사회복지사 1급(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9년01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22.09.29 80
376 수능(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모의고사(9604579) 좋은아빠되기 2022.09.29 19
375 임상심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21년 08월 14일(2960465) 좋은아빠되기 2022.10.03 318
374 9급 지방직 공무원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1년 06월 13일(6595525) 좋은아빠되기 2022.10.03 22
373 수능(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4년 07월 10일(8507445) 좋은아빠되기 2022.10.03 11
372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응용역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5년 06월 13일(228247) 좋은아빠되기 2022.10.03 22
371 전자부품장착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7년 07월 15일(4회)(3927851) 좋은아빠되기 2022.10.03 107
Board Pagination Prev 1 ...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210 Next
/ 210